KR20230109414A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414A
KR20230109414A KR1020220005366A KR20220005366A KR20230109414A KR 20230109414 A KR20230109414 A KR 20230109414A KR 1020220005366 A KR1020220005366 A KR 1020220005366A KR 20220005366 A KR20220005366 A KR 20220005366A KR 20230109414 A KR20230109414 A KR 20230109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formation
recipe information
feedback data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은미
박소영
이고은
권보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414A/en
Publication of KR2023010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4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조리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가정 간편식을 조리할 때 조리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음식물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cooking appliance. 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providing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cooking feedback data, and updating th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oking feedback data.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user cooks home convenience food using a cooking appliance, food can be conveniently cooked without directly manipulating the cooking appliance.

Description

조리 기기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Cooking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

본 명세서는 조리 기기의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cooking appliance.

조리 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조리 기기는 조리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는 마그네트론, 히터, 스팀 발생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The cooking device is a device that heats and cooks food.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heat source for heating food accommodated in the cooking chamber. Such a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heat sources such as a magnetron, a heater, and a steam generator. A user may cook food in various ways using the cooking appliance.

한편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와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하여 가정 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가정 간편식은 별도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또는 단순 조리 과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 가공, 포장한 완전, 반조리 형태의 제품을 의미한다.Meanwhile, consumption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dietary life and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Home convenience food refers to products in complete or semi-cooked form that are manufactured, processed, and packaged so that they can be consumed as they are or after a simple cooking process without a separate cooking process.

일반적으로 가정 간편식 제품의 포장지에는 다양한 조리 기기를 이용한 가정 간편식의 조리 방법이 표시 또는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정 간편식 제품의 포장지에 기록된 조리 방법을 참조하여 각 음식물에 적합한 조리 기기의 조작 방법을 일일이 확인하여 조리 기기를 조작해야 한다.In general, a method of cooking the home meal using various cooking devices is displayed or printed on the packaging of the home meal product. Therefore, the user has to operate the cooking device by check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device suitable for each food by referring to the cooking method recorded on the packaging of the home meal product.

그러나 사용자가 조리 기기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조리 기기를 적절하게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 가정 간편식 제품의 포장지에 기록된 조리 방법과는 다르게 음식물이 조리될 가능성이 있다.However, if the user is not accustomed to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or if the user does not properly operate the cooking applia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ood is cooked differently from the cooking method written on the packaging of the home meal product.

또한 사용자의 조리 환경이나 각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조리 기기의 사양 또는 성능의 차이로 인하여 가정 간편식 제품의 포장지에 기록된 조리 방법에 따라서 조리가 수행되더라도 음식물이 완전하게 조리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food may not be completely cooked even if cook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written on the packaging of the home meal product due to differences in the user's cooking environment or the specifications or performance of cooking appliances possessed by each user.

본 명세서의 목적은 사용자가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가정 간편식을 조리할 때 조리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음식물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allow a user to conveniently cook food without directly manipulating the cooking device when cooking home convenience food using the cooking device.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은 사용자가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가정 간편식을 조리할 때 사용자의 기호가 반영된 최적의 조리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the user with an optimal cooking method in which the user's preference is reflected when the user cooks home convenience food using a cooking appliance.

본 명세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bjec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mponents and combinations described in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providing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cooking feedback data, and updating th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oking feedback data.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새로운 레시피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pdating of th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oking feedback data includes obtaining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cooking feedback data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nd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pdating the recipe information to be the new recipe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범위 내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p of acquiring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cooking feedback data in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includes inputting the cooking feedback data within a learning range set by the user in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to create a new recipe. It includes obtaining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시피 정보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ipe information includes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 조리 평가 정보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oking feedback data includes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and cooking evaluation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레시피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레시피 정보 관리부는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nd a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providing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r receives cooking feedback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updates th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oking feedback data.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시피 정보 관리부는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새로운 레시피 정보로 업데이트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cquires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cooking feedback data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nd updates the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new recipe information. do.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시피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범위 내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cquires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cooking feedback data within a learning range set by a user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시피 정보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ipe information includes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 조리 평가 정보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oking feedback data includes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and cooking evaluation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가정 간편식을 조리할 때 조리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음식물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user cooks home convenience food using a cooking appliance, food can be conveniently cooked without directly manipulating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 기기를 이용하여 가정 간편식을 조리할 때 사용자의 기호가 반영된 최적의 조리 방법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조리 기기와 가정 간편식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user cooks the home meal using the cooking appliance, the user is provided with an optimal cooking method reflecting the user's preference, so that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cooking device and the home meal can be increased. there i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관리 장치 및 다른 장치들 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품 식별 정보가 획득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품 수량 정보가 입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표시부를 통해 조리 용기의 종류 및 조리 용기의 위치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network configuration between 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and oth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on which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a user terminal in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a user terminal in 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a type of cooking vessel and a location of the cooking vessel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describing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관리 장치 및 다른 장치들 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1 illustrates a network configuration between 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and oth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는 조리 기기(100), 사용자 단말(200), 공유기(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cooking appliance 1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sharing device 400 by wire or wirelessly.

조리 기기(100)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기기이다. 조리 기기(100)의 예시적인 구조 및 제어 방법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다.The cooking device 100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An exemplary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사용자 단말(200)은 명령어 처리나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음성 입력 장치(예컨대, 마이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 장치(예컨대, 스피커), 외부에 위치한 물건 등의 사진을 획득할 수 있는 촬영 장치(예컨대, 카메라),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말이다.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processor for command processing or calculation, a display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 voice input device (eg, a microphone)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vo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eg, a microphone) capable of outputting voice. , speaker), a photographing device (eg, a camera) capable of obtaining a picture of an object located outside, and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other devices.

사용자 단말(200)의 예시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 태블릿, 데스크탑, 랩탑 등을 들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200)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기술된다.Examples of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but the range of the user terminal 200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a case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is a smart phone as an example.

공유기(400)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통신 라인과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출한다. 조리 기기(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기(40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한다. 공유기(400)는 공유기(400)와 통신 연결된 장치, 예컨대 조리 기기(100) 및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통신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이에 따라서 공유기(400)에 접속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router 40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installed in a place such as a home or office and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he cooking applian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exist within a range capable of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the router 400 . The router 400 receives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device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router 400, for example, the cooking applian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wireless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or receives an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radio signal and transmitted. Accordingly, the cooking appliance 100 connected to the router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300 .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는 조리 기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의 예시로는 조리 기기(100)의 제조사 또는 판매사에서 운영하는 서버를 들 수 있으나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communicates with the cooking appliance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 An example of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3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manufacturer or seller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but the type of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300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는 공유기(400)를 통해 조리 기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는 조리 기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요청에 기초하여 조리 기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oking appliance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router 400 .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cooking appliance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information or a request receiv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

또한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는 조리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조리 기기(10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조리 기기(100)의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조리 기기(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receiv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100 to the user terminal 200 . Through this,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cooking appliance 100 by remotely checking the status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조리실(110), 마그네트론(120), 히터(130), 스팀 발생기(140), 통신부(150), 제어부(160), 표시부(170) 및 입력부(180)를 포함한다.2 and 3 , the cooking applian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cooking chamber 110, a magnetron 120, a heater 130, a steam generator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a display unit 170 and an input unit 180.

조리실(110)은 조리 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조리실(110)은 조리 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oking chamber 110 is a space in which cooking objects are accommodated. The cooking chamber 110 may be formed inside a case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

조리실(110)에는 조리 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거치대(111)가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복수 개의 거치대(111)는 조리실(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조리 용기의 양측을 거치대(111)에 각각 올려놓음으로써 조리 용기가 조리실(110) 내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거치될 수 있다.In the cooking chamber 110, a plurality of holders 111 for holding cooking vessels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A plurality of holders 11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oking chamber 110 . By placing both sides of the cooking vessel on the holder 111, respectively, the cooking vessel may be mounted at different heights inside the cooking chamber 110.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거치대(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거치대(111)는 조리실(110)의 바닥면에 가장 근접한 제1 거치대, 제1 거치대의 바로 위에 위치한 제2 거치대, 제2 거치대의 바로 위에 위치한 제3 거치대 및 제3 거치대의 바로 위에 위치하며 조리실(110)의 천장면에 가장 근접한 제4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거치대(111)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총 4단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holders 111 may be formed in a total of four stages as shown in FIG. 2 . That is, the plurality of cradle 111 includes a first cradle closes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a second cradle located directly above the first cradle, a third cradle located directly above the second cradle, and immediately above the third cradle. A fourth cradle positioned above and closest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may be included.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ders 111 are four stag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마그네트론(120)은 조리실(110)의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한다. 마그네트론(120)은 조리실(110)의 측면, 후면, 천장면 중 어느 한 군데에 위치할 수 있다.The magnetron 120 supplies microwaves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 The magnetron 120 may be located on any one of a side surface, a rear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

히터(130)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서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다. 히터(130)가 구동되면 조리실(110)의 내부로 열에너지가 공급된다.The heater 130 is a heat source that dissipates heat by electric energy. When the heater 130 is driven, heat energy is supplied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

일 실시예에서, 히터(130)는 조리실(110)의 일측에서 조리실(110)의 내부로 열을 가하는 제1 히터(131) 및 조리실(110)의 타측에서 조리실(110)의 내부로 열을 가하는 제2 히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히터(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110)의 천장면에 위치하는 상부 히터일 수 있으며, 제2 히터(132)는 조리실(110)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방 히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er 130 is a first heater 131 that applies heat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from one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hea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A second heater 132 applied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first heater 131 may be an upper heater position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as shown in FIG. 2, and the second heater 132 may be a rear heater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can

스팀 발생기(140)는 조리실(110)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한다. 스팀 발생기(140)는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조리실(110)의 내부로 분사함으로써,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140 supplies steam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 The steam generator 140 may supply steam by heating supplied water to generate steam and injecting it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

통신부(150)는 다른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된 제품 식별 정보에 매칭되며,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용기의 종류 및 조리 용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가 통신부(150)를 통해서 수신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Recipe information that match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includes a cooking mode, cooking time, type of cooking vessel, and location of the cooking vesse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사용자는 가정 간편식 제품을 구매하고, 구매한 가정 간편식 제품에 포함된 음식물을 조리 기기(100)를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다. 가정 간편식 제품의 예시로는 만두, 피자, 볶음밥 등과 같이 조리 기기(100)를 통해 간단하게 조리하여 취식 가능한 음식물을 들 수 있다. The user may purchase a home convenience meal product and cook food included in the purchased home convenience meal product using the cooking device 100 . Examples of home convenience food products include foods that can be easily cooked and eaten through the cooking device 100, such as dumplings, pizza, and fried rice.

가정 간편식 제품의 포장지에는 제품 식별 정보가 표시 또는 인쇄될 수 있다. 제품 식별 정보는 특정 제품을 다른 제품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제품 명칭, 제품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r printed on the packaging of the home meal product.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pecific product from other product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rcode, a QR code, an RFID tag, a product name, and a product pictur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 식별 정보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에 제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고, 사용자 단말(200)은 제품 식별 정보를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A user may photograph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a photographing device of the user terminal 200 . Accordingly,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user terminal 200 ,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

제어부(160)는 조리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조리 모드 및 조리 시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 The controller 160 sets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and cooking time.

조리 모드는 마그네트론(120), 히터(130), 스팀 발생기(140) 등과 같은 가열원 중 어떠한 것을 통해 조리를 수행하는지에 관한 정보로, 마이크로파 조리 모드, 구이 조리 모드, 오븐 조리 모드, 스팀 조리 모드, 스팀 마이크로파 조리 모드 및 스팀 오븐 조리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각 조리 모드에 따라 제어부(160)가 동작하도록 하는 대상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cooking mode is information about which of the heating sources such as the magnetron 120, the heater 130, and the steam generator 140 is used to cook, and includes a microwave cooking mode, a grill cooking mode, an oven cooking mode, and a steam cooking mode. , at least one of a steam microwave cooking mode and a steam oven cooking mode. Objects for causing the controller 160 to operate according to each cooking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조리 시간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된 제품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조리 시간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레시피 정보를 입력할 때, 함께 입력하는 제품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수량 정보가 1개 또는 200g인 경우보다, 제품의 수량 정보가 2개 또는 400g인 경우, 조리 시간이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 시간은 각 제품별로 수행된 조리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cooking time may be set differently based on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recipe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e cooking time may be set based on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that is also input. For example, the cooking time may be set longer when the quantity information of the product is 2 or 400g than when the quantity information of the product is 1 or 200g. Such cooking time may be set based on results of cooking experiments performed for each product.

표시부(170)는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조리 용기의 종류 및 조리 용기의 위치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cooking vessel inclu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조리 용기의 종류는 각 조리 모드에 따라 적합한 조리 용기의 종류이다. 그리고 조리 용기의 위치는 각 조리 모드에 따라 적합한 조리 용기의 위치로, 조리실(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거치대(111)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The type of cooking vessel is a type of cooking vessel suitable for each cooking mode. Also, the location of the cooking vessel may be any one of a plurality of holders 111 formed in the cooking chamber 110 as a location of a sui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each cooking mode.

이와 같이 표시부(170)는 조리 용기의 종류 및 조리 용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조리할 때 이용해야 하는 조리 용기의 종류 및 해당 제품을 조리할 때 조리 용기를 위치시켜야 하는 거치대를 별도로 찾아보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isplay unit 170 informs the user of the type of cooking vessel and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type of cooking vessel to use when cook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and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when cook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You can avoid looking for a stand separatel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각 조리 모드에 따라 제어부(160)가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대상 및 표시부(170)가 표시하는 조리 용기의 종류 및 조리 용기의 위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object set to be operated by the controller 160 according to each cooking mode may be as follows.

제어부(160)는 설정된 조리 모드가 마이크로파 조리 모드이면, 마그네트론(120)이 조리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조리 용기의 종류로 법랑 용기 또는 석쇠를, 조리 용기의 위치로 복수 개의 거치대(111) 중 제1 거치대 내지 제3단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t cooking mode is the microwave cooking mode, the controller 160 may set the magnetron 120 to operate based on the cooking time. Also,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an enamel pot or a grill as a type of cooking vessel, and a first to third stage of the plurality of holders 111 as positions of the cooking vessel.

제어부(160)는 설정된 조리 모드가 구이 조리 모드이면, 제1 히터(131)가 조리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조리 용기의 종류로 열전도 코팅 용기를, 조리 용기의 위치로 복수 개의 거치대(111) 중 제4 거치대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t cooking mode is the roast cooking mode, the controller 160 may set the first heater 131 to operate based on the cooking time. Also,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the heat conductive coating container as the type of cooking container and the fourth holder among the plurality of holders 111 as the posi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제어부(160)는 설정된 조리 모드가 오븐 조리 모드이면, 히터(130)가 조리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조리 용기의 종류로 열전도 코팅 용기를, 조리 용기의 위치로 복수 개의 거치대(111) 중 제4 거치대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t cooking mode is the oven cooking mode, the controller 160 may set the heater 130 to operate based on the cooking time. Also,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the heat conductive coating container as the type of cooking container and the fourth holder among the plurality of holders 111 as the posi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제어부(160)는 설정된 조리 모드가 스팀 조리 모드이면, 스팀 발생기(140)가 조리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조리 용기의 종류로 법랑 용기 또는 석쇠를, 조리 용기의 위치로 복수 개의 거치대(111) 중 제1 거치대 내지 제3 거치대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t cooking mode is the steam cooking mode, the controller 160 may set the steam generator 140 to operate based on the cooking time. Also,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an enamel pot or a grill as a type of cooking vessel, and display first to third holders among the plurality of holders 111 as positions of cooking vessels.

제어부(160)는 설정된 조리 모드가 스팀 마이크로파 조리 모드이면, 마그네트론(120) 및 스팀 발생기(140)가 조리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조리 용기의 종류로 법랑 용기 또는 석쇠를, 조리 용기의 위치로 복수 개의 거치대(111) 중 제1 거치대 내지 제3 거치대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t cooking mode is the steam microwave cooking mode, the controller 160 may set the magnetron 120 and the steam generator 140 to operate based on the cooking time. Also,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an enamel pot or a grill as a type of cooking vessel, and display first to third holders among the plurality of holders 111 as positions of cooking vessels.

제어부(160)는 설정된 조리 모드가 스팀 오븐 조리 모드이면, 히터(130) 및 스팀 발생기(140)가 조리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조리 용기의 종류로 열전도 코팅 용기를, 조리 용기의 위치로 복수 개의 거치대(111) 중 제4 거치대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t cooking mode is the steam oven cooking mode, the controller 160 may set the heater 130 and the steam generator 140 to operate based on the cooking time. Also,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the heat conductive coating container as the type of cooking container and the fourth holder among the plurality of holders 111 as the posi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입력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기기(100)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기기(100)의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등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80)는 기설정된 조리 모드, 조리 시간 등에 따라 조리 기기(100)가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는 조리 시작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80 receives an input from a user. The input unit 180 may receive various types of inpu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180 may receive input related to the cooking mode and cooking time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from the user. Also, the input unit 180 may receive a cooking start input causing the cooking appliance 100 to start an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oking mode, cooking time, and the like.

제어부(160)는 통신부(150) 또는 입력부(180)를 통해 조리 시작 입력을 수신하면, 설정된 조리 모드 및 조리 시간에 따라 마그네트론(120), 히터(130) 및 스팀 발생기(14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 cooking start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or the input unit 180, at least one of the magnetron 120, the heater 130, and the steam generator 140 operates according to the set cooking mode and cooking time. control to operat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는 수신부(301) 및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를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301 and a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

수신부(3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품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The receiver 301 receiv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또는 조리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recipe information manager 302 may transmit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cooking device 100 .

레시피 정보는 조리 기기(100)를 통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기(100)의 조작 방법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레시피 정보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정 간편식 제품과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가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에 저장된다.Recip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about a method of operating the cooking device 100 to cook food through the cooking device 100 . In one embodiment, the recipe information may include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home meal product is stored in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300 .

일 실시예에서, 제품 식별 정보는 하나 이상의 레시피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리 기기(100)를 통해 조리하려는 제품이 A사의 만두 제품인 경우, 만두를 일반적으로 조리하는 방법, 만두가 보다 촉촉한 식감을 가지도록 조리하는 방법, 만두가 보다 바삭한 식감을 가지도록 조리하는 방법 등 3가지의 조리 방법이 A사의 만두 제품과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matched with one or more recipe information. For example, if a product that the user wants to cook through the cooking device 100 is a dumpling product from company A, a method for cooking dumplings in general, a method for cooking dumplings to have a more moist texture, and a method for cooking dumplings to have a more crispy texture Three cooking methods, such as the cooking method, may be stored as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mpany A's dumpling products.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또는 조리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Upon 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r 302 may transmit one or more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cooking device 10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된 복수의 레시피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레시피 정보를 조리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user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recip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transmit the recip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oking device 100.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 기기(100)가 구동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cooking device 100 is driven based on the recipe information and cooking of food is finished, the user may input cooking feedback data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조리 피드백 데이터는 조리 기기(100)를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될 때, 조리 기기(100)의 실제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 및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조리 기기(100)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가 종료된 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음식물이 조리될 때 조리 기기(100)의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 및 음식물의 조리 상태에 대한 조리 평가 정보(예컨대, 덜익음/잘익음, 또는 상/중/하, 또는 0~100점 등)를 조리 피드백 데이터로서 입력할 수 있다.The cooking feedback data is information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n actual operatio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when food is cooked using the cooking appliance 100. )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For example, when food is cook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fter cooking of food using the cooking appliance 100 is finished, the user may use the cooking mode inform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the type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and the cook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ontainer and cook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cooking state of food (eg, undercooked/well cooked, high/middle/low, or 0 to 100 points) may be input as cooking feedback data.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조리 기기 관리장치(3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서 수신부(301)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cooking feedback data input by the user to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 Accordingly, the receiver 301 receives cooking feedback data.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고,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를 새로운 레시피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updat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cooking feedback data. In one embodiment,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acquire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cooking feedback data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nd update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new recipe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예컨대,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각각의 음식물에 적합한 최적의 레시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이렇게 획득되는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각각의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새로운 조리 피드백 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레시피 정보의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항상 최적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is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eg, artificial neural network (Artifici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 etc.)), it is possible to obtain optimal recipe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food by learning cooking feedback data.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update the new recipe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way to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continuously updates the recipe information whenever new cooking feedback data is input, so that optimal recipe information can always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범위 내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학습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조리 피드백 데이터만을 학습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기호만이 반영된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자신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 및 다른 사용자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학습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자신 및 다른 사람의 기호가 함께 반영된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acquire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cooking feedback data within a learning range set by a user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 user may set a learning rang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by setting only the cooking feedback data input by the user as the learning rang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recipe information reflecting only his or her taste, and by setting the user's own cooking feedback data and other users' cooking feedback data as the learning range, the user and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recipe information. Recipe information that reflects other people's preferences may also be provided.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정 간편식 제품의 포장지에 표시 또는 인쇄된 제품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장치로 촬영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서 제품 식별 정보가 획득된다(S402).Referring to FIG. 4 , the user captur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r printed on the wrapping paper of the home meal product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of the user terminal 200 . Accordingly,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200 (S402).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품 식별 정보가 획득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on which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a user terminal in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에서 조리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제어하고자 하는조리 기기(100)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5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cooking appliance 100 on the user terminal 200 and selects the cooking appliance 100 to be controlled,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200 shows a figure. A screen such as 5 may be displayed.

이때 도 5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우측 상단의 인식 버튼(510)을 클릭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장치를 통해 제품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과 같은 화면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clicks the recognition button 510 at the top right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5 , the user may execute a screen for inputt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of the user terminal 200 . Then, a screen as shown in FIG. 6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200 .

이때 사용자는 제품 식별 정보를 화면 중앙의 사각 모서리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촬영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에 제품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제품의 바코드를 화면 중앙의 사각 모서리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제품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input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by locating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side the square corner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inputting a shooting command. That is, the user may input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by locating the barcode of the product inside the square corner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6 .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제품 식별 정보를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로 전송한다(S404).Referring back to FIG. 4 ,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300 (S404).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는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406).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transmits one or more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S406).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하나 이상의 레시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레시피 정보를 확인하거나, 표시된 레시피 정보 중에서 원하는 레시피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S408).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the received one or more recipe information on a display. The user may check one or more recip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or select desired recipe information from among displayed recipe information (S408).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정보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추후 동일한 제품 식별 정보가 입력된 경우, 저장된 레시피 정보를 추천 레시피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추천 레시피 정보를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고,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는 수신한 추천 레시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separately store recip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Further,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stored recipe information as recommended recipe information when the sam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later. Also,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recommended recipe information to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and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store the received recommended recipe information.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제품 수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품 수량 정보가 입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Also, the user may input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into the user terminal 200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a user terminal in 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품 식별 정보를 입력한 후,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 an example of a scree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after inputt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hown.

사용자는 도 7의 중단에 표시된 바와 같은 수량 입력 창(710)을 이용하여, 제품 수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된 제품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조리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using the quantity input window 710 as shown in the middle of FIG. 7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may change the cooking time inclu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그 후, 사용자는 도 7의 하단 우측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전송 버튼(720)을 누름으로써 레시피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After that, the user can select recipe information by pressing the transmission button 720 as shown in the bottom right of FIG. 7 .

이외에도, 사용자는 도 7의 하단 좌측에 표시된 바와 같은 구매하기 버튼(730)을 이용하여, 제품 식별 정보를 통해 선택된 조리 대상 제품을 추가로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구매하기 버튼(730)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제품 식별 정보를 통해 선택된 조리 대상 제품을 추가로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additionally purchase the product to be cooked selected throug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buy button 730 as shown in the lower left of FIG. 7 .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the purchase button 730, the user terminal 200 may access a site where the selected product to be cooked can be additionally purchased throug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레시피 정보가 확인 또는 선택되면, 조리 기기 관리 장치(300)의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시피 정보를 조리 기기(100)로 전송한다(S410).Referring back to FIG. 4 , when recipe information is confirmed or selected by the user,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of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transmits the recip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oking appliance 100 (S410). ).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 정보를 조리 기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recip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oking device 100 .

레시피 정보가 수신되면, 조리 기기(100)의 제어부(160)는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조리 모드 및 조리 시간을 조리 기기(100)의 조리 모드 및 조리 시간으로 설정한다(S412). 제어부(160)는 조리 모드에 따라 마그네트론(120), 히터(130) 및 스팀 발생기(14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될 열원으로 결정하고, 설정된 조리 시간에 따라서 열원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recip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ler 160 of the cooking device 100 sets the cooking mode and cooking time inclu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to the cooking mode and cooking time of the cooking device 100 (S412).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magnetron 120, the heater 130, and the steam generator 140 as a heat source to be driven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and controls the heat source to be driven according to the set cooking time.

또한 조리 기기(100)의 표시부(170)는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조리 용기의 종류 및 조리 용기의 위치를 표시한다(S414).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표시부를 통해 조리 용기의 종류 및 조리 용기의 위치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70 of the cooking device 100 displays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cooking vessel inclu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S414). 8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a type of cooking vessel and a location of the cooking vessel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8을 참조하면, 레시피 정보에 따라 표시부(170)에 표시된 화면의 일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도 8과 같이 화면의 좌측에는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조리 용기의 종류(171)를, 화면의 우측에는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조리 용기의 위치(172)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조리 용기의 종류(171)를 참조하여 조리 용기를 선택하고, 표시부(170)에 표시된 조리 용기의 위치(172)를 참조하여 조리 용기를 조리 기기(100)의 조리실(110)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조리 용기의 배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가정 간편식 제품에 포함된 음식물을 조리 용기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one embodiment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according to recipe information may be checked. As shown in FIG. 8 ,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the type 171 of the cooking vessel inclu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the location 172 of the cooking vessel inclu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The user selects a cooking vessel with reference to the type 171 of the cooking vess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and refers to the position 172 of the cooking vess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to place the cooking vessel in the cooking chamber of the cooking device 100. (110). When the arrangement of the cooking container is completed, the user may place the food included in the home convenience food product on the cooking container.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에 조리 시작 명령이 입력된다(S416).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조리 시작 명령을 입력하기 전에 조리 기기(100)의 조리 모드, 조리 시간, 조리 용기의 종류, 조리 용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 a cooking start command is input to the cooking device 100 (S416). In one embodiment, the user may change the cooking mode, cooking time, type of cooking vessel, and location of the cooking vessel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before inputting a cooking start command.

조리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조리가 시작된다(S418). 즉, 제어부(160)는 설정된 조리 모드 및 조리 시간에 따라 마그네트론(120), 히터(130) 및 스팀 발생기(14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 cooking start command is input, cooking starts (S418).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magnetron 120, the heater 130, and the steam generator 140 to be driven according to the set cooking mode and cooking time.

설정된 조리 시간이 경과하면 조리가 종료된다(S420). When the set cooking time elapses, cooking ends (S420).

조리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한다(S422). 조리 피드백 데이터는 조리 기기(100)를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될 때, 조리 기기(100)의 실제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 및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조리 기기(100)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가 종료된 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음식물이 조리될 때 조리 기기(100)의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 및 음식물의 조리 상태에 대한 조리 평가 정보(예컨대, 덜익음/잘익음, 또는 상/중/하, 또는 0~100점 등)를 조리 피드백 데이터로서 입력할 수 있다.When cooking is finished, the user inputs cooking feedback data to the user terminal 200 (S422). The cooking feedback data is information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n actual operatio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when food is cooked using the cooking appliance 100. )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For example, when food is cook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fter cooking of food using the cooking appliance 100 is finished, the user may use the cooking mode inform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the type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and the cook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ontainer and cook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cooking state of food (eg, undercooked/well cooked, high/middle/low, or 0 to 100 points) may be input as cooking feedback data.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조리 기기 관리장치(300)에 전송한다(S424). 이에 따라서 수신부(301)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cooking feedback data input by the user to the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apparatus 300 (S424). Accordingly, the receiver 301 receives cooking feedback data.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426). 일 실시예에서,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고,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를 새로운 레시피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recipe information manager 302 updates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oking feedback data (S426). In one embodiment,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acquire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cooking feedback data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nd update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new recipe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예컨대,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각각의 음식물에 적합한 최적의 레시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이렇게 획득되는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각각의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is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eg, artificial neural network (Artifici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 etc.)), it is possible to obtain optimal recipe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food by learning cooking feedback data.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update the new recipe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way to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는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범위 내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학습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조리 피드백 데이터만을 학습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기호만이 반영된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자신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 및 다른 사용자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학습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자신 및 다른 사람의 기호가 함께 반영된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acquire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cooking feedback data within a learning range set by a user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 user may set a learning rang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by setting only the cooking feedback data input by the user as the learning rang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recipe information reflecting only his or her taste, and by setting the user's own cooking feedback data and other users' cooking feedback data as the learning range, the user and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recipe information. Recipe information that reflects other people's preferences may also be provided.

이후 단계(S402)로 복귀하여 사용자가 다시 레시피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레시피 정보 관리부(302)에 의해서 업데이트된 새로운 레시피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fter returning to step S402, when the user requests provision of recipe information again, new recipe information updated by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2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명세서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even if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0)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관리 방법.
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Providing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cooking feedback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Updating th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oking feedback data.
How to care for your cooking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새로운 레시피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Updating th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oking feedback data
acquiring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cooking feedback data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nd
Updating the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new recipe information
How to care for your cooking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범위 내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cquiring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cooking feedback data 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cquiring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cooking feedback data within a learning range set by a user in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How to care for your cooking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정보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cipe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How to care for your cooking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 조리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ing feedback data is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container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container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evaluation information
How to care for your cooking appliance.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레시피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레시피 정보 관리부는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조리 기기 관리 장치.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nd
And a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receiving unit receives cooking feedback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updates the recipe information based on the cooking feedback data.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정보 관리부는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새로운 레시피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조리 기기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Obtaining new recipe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cooking feedback data in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and updating the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new recipe information.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범위 내의 조리 피드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새로운 레시피 정보를 획득하는
조리 기기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recip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New recipe information is obtained by inputting cooking feedback data within the learning range set by the user into a predetermined machine learning model.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정보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recipe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vessel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vessel location information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피드백 데이터는
조리 모드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용기의 종류 정보 및 조리 용기의 위치 정보, 조리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cooking feedback data is
Cooking mode information,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container type information and cooking container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oking evaluation information
Cooking appliance management device.
KR1020220005366A 2022-01-13 2022-01-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 KR202301094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366A KR20230109414A (en) 2022-01-13 2022-01-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366A KR20230109414A (en) 2022-01-13 2022-01-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414A true KR20230109414A (en) 2023-07-20

Family

ID=8742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366A KR20230109414A (en) 2022-01-13 2022-01-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41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482B1 (en) A food cooking device, an electronic library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5657066B1 (en) Cooker
KR20190057202A (en) Wireless Control Cooking System
JP2020514670A (en) Operating system for cookware
KR20190057020A (en) User interface for cooking system
US20180310760A1 (en) Control system for cooking
KR20080095314A (en) Foo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KR20210138485A (en) Terminal apparatus, coo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arutus
CN115136735A (en) Cook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device and cooking system
JP5897088B2 (en) Cooker
KR202301094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king device
CN114893946B (en) Food storage device and intelligent cooking method
KR20220100201A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JP2016136085A (en) system
KR102189589B1 (en) Method for cooking food
JP7325525B2 (en) Recip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11893396B2 (en) Domestic appliance, domest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domestic appliance
US20240071077A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765797B2 (en) Terminal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control system
US20240064880A1 (en) Cook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control method
JP6869206B2 (en) Cooker and cooker cooking system
KR20210138478A (en) Cook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system
KR102299437B1 (en) Cooking apparatus for guiding favorite recip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28274A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JP2001317740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setting microwave o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