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920A -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 - Google Patents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920A
KR20230107920A KR1020220003084A KR20220003084A KR20230107920A KR 20230107920 A KR20230107920 A KR 20230107920A KR 1020220003084 A KR1020220003084 A KR 1020220003084A KR 20220003084 A KR20220003084 A KR 20220003084A KR 20230107920 A KR20230107920 A KR 20230107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t
mcu
error
hour met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호영
김맹준
이덕진
Original Assignee
(주)엔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엔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0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920A/en
Publication of KR2023010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9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4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of instru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power or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G01R35/007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압센서와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생성되는 전력량의 계산 및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계측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자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메인 MCU 및 상기 메인 MCU의 계측된 데이터와 오차 정밀도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력량계와의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하면, 상위 서버로 필요한 오차 보정값을 통보하고, 알람을 울리도록 하는 서브 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t-hour meter capable of adjusting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the voltag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and stores the measured data, monitors the measured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self-set cycle, and the main MCU measur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b-MCU that monitors the received data and error precision, compares the error with the watt-hour meter, and when an error occurs, notifies the upper server of a necessary error correction value and sounds an alarm.

Description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A watt-hour meter capable of adjusting the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MCU의 작동을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더욱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t-hour meter capable of adjusting the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an MCU, and more particularly, by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MCU and adjusting the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capable of more precisely adjusting the error accuracy. It's about a power meter that can do it.

단상 또는 삼상 전자식 전력량계의 오차 정밀도는 전력량계의 전류/전압 센서, 전자부품 등의 성능에 따라 각각 다른 오차 정밀도를 가진다. 현재 전자식 전력량계의 오차 정밀도는 생산과정에서 기준기(Standard Meter)가 있는 오차 시험기를 통해 오차 정밀도를 시험하고 조정(Calibration)한 후, 출고된다. 또한 전력량계의 배터리 이상, 과/저 전압, 전압 결상 등의 기기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자기진단 기능은 펌웨어의 설계에 따라 수행 가능 여부가 나뉘게 된다.The error accuracy of a single-phase or three-phase electronic watt-hour meter has different error accuracy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current/voltage sensor and electronic parts of the watt-hour meter. Currently, the error accuracy of the electronic watt-hour meter is released after testing and calibration through an error tester with a standard meter in the production process. In addition, the self-diagnosis function that can determine device failures such as battery failure, over/under voltage, voltage phase loss, etc. of the watt-hour meter depends on the design of the firmware.

전력량계의 제품 수명은 보통 7~ 13년 정도인데, 설치 후 센서 이상, 계측 소자 불량, 경년 변화 및 노이즈와 같은 제품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해 전압/전류/위상 등을 잘못 계측하여 제품 사용 기간 동안 오차 정밀도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The lifespan of a watt-hour meter is usually 7 to 13 years. After installation, voltage/current/phase are measured incorrectly due to external factors that can affect product performance, such as sensor failure, measurement device failure, secular change, and noise. As a result, problems with error accuracy often occur during the product use period.

전력량계가 오차 정밀도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계기 고장, 검침 착오 등으로 수용가의 전기요금 계산에 있어 과소, 과다 청구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전기 계량에 대한 신뢰성과 공공성이 훼손되고 고객 만족도 하락 및 공정한 전력거래 환경구축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전력회사는 오차 정밀도 불량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감하게 관리하고 있다.If the watt-hour meter has a problem with error precision, problems such as meter failure or meter reading errors may cause consumers to under-charge or over-charge, which damages the reliability and publicity of electricity metering, lowers customer satisfaction, and Because it adversely affects the establishment of a trading environment, power companies are sensitively managing errors and precision defects to prevent them from occurring.

전력회사는 이런 오차 정밀도 불량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순회 또는 특별 점검 등을 통해 현장에서 전력량계 오차 시험기 등을 활용해 오차 정밀도를 확인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is error precision problem, electric power companies are checking the error precision by using a watt-hour meter error tester at the site through tours or special inspections by deploying dedicated personnel. This method is time-consuming and costly.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01017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1017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7365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73659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0-009506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95069

따라서, 본 발명은 단상 또는 3상의 전력량계 내부에 형성되어, 계측 및 계량, 통신 등의 기능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메인 MCU와 상기 메인 MCU를 모니터링하고,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기 위한 서브 MCU를 상기 전력량계에 특별히 내장하여, 상기 서브 MCU가 최적의 오차 보정값을 계산해 내면, 그 값을 상위서버를 통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한 전달로서, 오차 정밀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MCU formed inside a single-phase or three-phase watt-hour meter and actively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measurement, metering, and communication, and a sub-MCU for monitoring the main MCU and calculating an error correction value for the watt-hour meter. When the sub-MCU calculates an optimal error correction value, the value is transmitted through a firmware update through an upper server, and the error accuracy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은 MCU를 2개 사용하여, 상기 MCU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오차 및 자기진단을 감시하고 오차 보정값을 서버에 제시할 수 있는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MCUs to monitor the MCU periodically to monitor errors and self-diagnosis, and to monitor an operating state capable of presenting an error correction value to a server, to a power meter capable of adjusting error accuracy. it's abou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류센서와 전압센서로부터 전압, 전류 및 위상계측을 하는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에 있어서, 상기 전압센서와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생성되는 전력량의 계산 및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계측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자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메인 MCU 및 상기 메인 MCU의 계측된 데이터와 오차정밀도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력량계와의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하면, 상위서버로 필요한 오차 보정값을 통보하고, 알람을 울리도록 하는 서브 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t-hour meter capable of adjusting the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measuring voltage, current, and phase from a current sensor and a voltage sensor,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the voltag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A main MCU that stores calculated and measured data, monitors the measured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self-set cycle, and monitors the measured data and error accuracy of the main MCU to reduce the error with the watt-hour me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b-MCU that notifies the necessary error correction value to the upper server and sounds an alarm when an error occurs by comparison.

또한, 상기 전력량계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메인 MCU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 및 저장하는 상위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upper server that is formed apart from the watt-hour meter and receives, collects, and stor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MCU.

또한, 상기 상위서버는 상기 서브 MCU로부터 오차 보정값을 전송받아,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하여 오차 보정 값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error correction value from the sub MCU and transmits it to the upper system so that the error correction value can be changed through firmware update.

또한, 상기 서브 MCU는 상기 오차 보정값을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b-MCU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rror correction valu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using an algorithm embedded therein.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량계의 내부에 있는 메인 MCU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고 오차보정값을 계산하기 위한 서브 MCU를 내장하여, 상기 메인 MCU의 오차 정밀도를 판단하며, 오차가 발생하면 상기 서브 MCU를 활용하여 오차보정값을 계산하여, 상위 서버로 오차보정값의 변경을 통보하도록 하여, 전력 계측의 신뢰도를 높여 공정한 전력거래 환경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통해 전체적인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main MCU inside the watt-hour meter and embeds a sub-MCU for calculating an error correction value, determines the error precision of the main MCU, and if an error occurs, utilizes the sub-MCU By calculating the error correction value and notifying the upper server of the change in the error correction value, the reliability of power measurement is increased, a fair power trading environment is established, and the overall operation cost is reduced through efficient business processing.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서브 MCU가 메인 MCU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오차 정밀도를 감지하는 방법을 타나내는 흐름도.
도 3은 서브 MCU가 오차보정값을 확정하여, 상위서버를 통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전력량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운영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4의 스마트 센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력량계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전력량계를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9는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아크분석기의 감시 및 경보 과정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인공지능 기반 전기화재 예측 및 예지보전 방법의 과정 흐름도.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t-hour meter capable of adjusting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sub MCU monitors a main MCU in real time to detect an error accuracy;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sub MCU determines an error correction value and executes a firmware update through an upper server;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monitoring an watt-hour meter;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server.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mart sensor of Figure 4;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onitoring an electricity mete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8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a power meter failure;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nitoring devic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an example of a monitoring and warning process of an arc analyzer;
11 is a process flow char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lectrical fire prediction and predictive maintenance metho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clear in advance that a singular expression also mean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want to leave

본 발명은 전압센서와 전류센서는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전력량계에 있어서, 상기 전압센서와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생성되는 전력량의 계산 및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계측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자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상시 외부에 전송하는 메인 MCU와 상기 메인 MCU의 계측된 데이터와 오차정밀도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력량계와의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MCU에 필요한 오차 보정값을 통보하고 알람을 울리도록 하는 서브 MCU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watt-hour meter in which a voltage sensor and a current sensor measure voltage, current, and phase and receive the measured data,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the voltag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is calculated and the measured data is stored, A main MCU that monitors the measured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utside at all times according to a self-set cycle, and monitors the measured data and error accuracy of the main MCU, compares the error with the watt-hour meter, and if an error occurs, the It consists of a sub-MCU that notifies the main MCU of the required error correction value and sounds an alarm.

또한, 상기 전력량계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메인 MCU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 및 저장하는 상위서버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n upper server that is formed apart from the watt-hour meter and receives, collects, and stor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MCU is further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서브 MCU가 메인 MCU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오차 정밀도를 감지하는 방법을 타나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서브 MCU가 오차보정값을 확정하여, 상위서버를 통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전력량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는 운영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4의 스마트 센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력량계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8은 전력량계를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9는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0은 아크분석기의 감시 및 경보 과정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인공지능 기반 전기화재 예측 및 예지보전 방법의 과정 흐름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t-hour meter capable of adjusting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detecting error accuracy by a sub MCU monitoring a main MCU in real time. 3 is a flowchart showing how the sub-MCU determines the error correction value and executes the firmware update through the upper server,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monitoring a power meter,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mart sensor of FIG. 4, FIG. 7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onitoring an watt-hour mete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nd FIG. 8 describes a system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a power meter failure FIG.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nitoring device, FIG. 10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rc analyzer monitoring and warning process, and FIG. 11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lectrical fire prediction. and a process flow diagram of the predictive maintenance method.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등장하는 용어인 MCU는 Micro Controller Unit의 약자로서, 마이크로 제어장치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입출력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기기로서, 장치나 기기 등의 조작이나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집적 회로이다. Prior to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MCU, which appear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breviation of Micro Controller Unit, and is a microcontroller. As a device, it is an integrated circuit that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operation or process of a device or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의 메인 MCU(10) 및 서브 MCU(20)는 모두 전력량계(5)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전력량계(5)는 수용가의 유효전력을 측정하여 계량하는 통상의 전기계기이다.In addition, the main MCU 10 and the sub MCU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oth embedded inside the watt-hour meter 5, and the watt-hour meter 5 is a normal electric instrument that measures and measures the active power of the consumer. .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센서(11)와 전류센서(12)는 전압, 전류, 위상을 계측하여, 이러한 계측 데이터를 전력량계(5)를 통하여, 내장되어 있는 메인 MCU(10)로 전송한다.1, it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voltage sensor 11 and the current sensor 12 measure voltage, current, and phase, and these measurement data are embedded through the watt-hour meter 5. transmitted to the main MCU 10.

그러면, 상기 메인 MCU(10)는 유효, 무효, 피상 전력이나 전력량을 계산하고, 계측, 계량 데이터(유효/무효/피상의 전력 및 전력량)를 계산하여 기록 및 저장하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동작의 내용은 배터리(미도시) 이상, 과/저 전압, 과/저 전류, 전압/전류 결상, 비정상 온도, 자계 감지 등과 같은 작동을 수행하며, 저장한다. Then, the main MCU 10 calculates active, inactive, apparent power or amount of power, calculates, records and stores measurement and measurement data (active/inactive/apparent power and amount of power), and executes an operation.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perform and store operations such as battery (not shown) abnormality, over/low voltage, over/low current, voltage/current phase loss, abnormal temperature, magnetic field detection, and the like.

또한, 후술할 서브 MCU(20)는 메인 MCU(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데, 작동정보,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서브 MCU(20)가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정한 모니터링 주기를 갖고 상기 메인 MCU(10)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메인 MCU(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하여 오차 여부를 비교한다. In addition, the sub MCU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ceives data from the main MCU 10, collects operation information and metering data, and the sub MCU 20 collects the data at a constant monitoring cycle, and the main MCU ( 10) is monitored, and an error is compared through data received from the main MCU 10.

서브 MCU(20)가 오차의 차이를 감지하게 되면,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여 확정 하여 전력량계(5)와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 상위서버(3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When the sub MCU 20 detects the difference in error, it calculates and determines the error correction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upper server 30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wer meter 5 in real time.

상기 서브 MCU(20)의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방식은 내부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 계산을 통하여 할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 계산 등에 관한 설명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error correction value of the sub MCU 20 can be performed through automatic calculation using an internal algorithm. Since the description of automatic calculation using the algorithm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시 말해서, 서브 MCU(20)는 메인 MCU(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작동정보, 계량값을 수집하여 비교하는데, 상시 서브 MCU(20)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정한 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메인 MCU(10)와 수집, 비교를 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ub MCU 20 receives data from the main MCU 10, collects operation information and measurement values, and compares them. 10), collection, and comparison.

또한, 상기 서브 MCU(20)는 상기 메인 MCU(10)를 모니터링하다가 오차가 틀어졌을 때, 상위 서버(30)로 하여금 알람 등을 울리도록 하여 통보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브 MCU(20)가 알람을 울리도록 통보하여, 상기 상위 서버(30)가 알람을 울리는 구성과 작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ub MCU 20 also plays a role of notifying the upper server 30 by sounding an alarm when an error occurs while monitoring the main MCU 10 . He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notifying the sub-MCU 20 to sound an alarm and causing the upper server 30 to sound an alarm will be omitted since it is a well-known technique.

그리고, 상기 메인 MCU(10)는 자체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위 서버(30)에 데이터를 상시 실시간 전송한다. 예를 들어, 15분 간격(조정 가능)으로 저장시키는 데이터 수치 및 계량 값을 상위 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ain MCU 10 always transmits data to the upper server 30 in real time according to a self-set period. For example, data values and measurement values to be stored at 15-minute intervals (adjustable) are transmitted to the upper server 30 .

또한, 상기 상위 서버(30)는 상기 메인 MCU(10) 또는 서브 MCU(20)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 및 저장하는 역할도 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erver 30 also serves to receive, collect, and stor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MCU 10 or the sub MCU 20 .

서브 MCU(20)는 상기 메인 MCU(10)와 동일하게 전압센서(21)와 전류센서(22)를 통하여 전압, 전류, 위상을 계측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서브 MCU(20)에 전송하며 그리고, 유효, 무효, 피상 전력이나 전력량을 계산하고 계측, 계량 데이터를 기록 및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MCU(10)와 동일하다. Like the main MCU 10, the sub MCU 20 measures the voltage, current, and phase through the voltage sensor 21 and the current sensor 22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sub MCU 20, and It calculates effective, reactive, apparent power or amount of power, and records and stores measurement and metering data, which is the same as the main MCU 10.

또한, 상기 서브 MCU(20)는 상기 메인 MCU(10)와의 데이터 비교를 통한 초과 임계값을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위서버(30)에 통보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불량감지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오차 정밀도를 감지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위서버(30)로 통보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오차 정밀도의 파악에 대한 설명은 후술(後述)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ub MCU 20 detects an excess threshold value through data comparison with the main MCU 10 and notifies the upper server 30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such as defective detection data, etc. is to transmit In other words, it also serves to notify the upper server 30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by detecting error accuracy. A description of grasping the error accuracy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상위서버(30)의 형태는 통상의 서버 또는 모뎀도 될수 있으며, 메인 MCU(10)에게서 데이터를 받아서 저장하거나, 고차원의 상위 시스템(미도시)이나 관계 기관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위 시스템이란 상위서버(30)와는 다른 우월한 서버 또는 모뎀 등과 같이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이다. Here, the form of the upper server 30 may be a normal server or modem, and serves to receive and store data from the main MCU 10, or transmit it to a high-level upper system (not shown) or related organizations. Here, the upper system means a system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superior server different from the upper server 30 or a modem.

다시 말해, 상위 서버(30)는 상기 서브 MCU(20)로부터 정확한 오차 보정값을 전송받아,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오차 보정값을 변경할수 있도록 상위 시스템으로 통보,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upper server 30 serves to receive an accurate error correction value from the sub MCU 20 and notify and transmit it to the upper system so that the error correction value can be changed through firmware update.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란 원격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장치에서 발견된 오류를 수정하거나, 전력량계(5)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의미한다. The firmware update refers to an online service capable of correcting an error found in a device or adding a new function to the watt-hour meter 5 through remote program upgrade.

즉, 서브 MCU(20)는 메인 MCU(10)의 데이터를 끌어들여서, 동작 등의 오차를 서로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오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sub MCU 20 pulls in data from the main MCU 10 and compares errors in operation and the like to check errors in real time.

상기 서브 MCU(20)도 상기 메인 MCU(10)와 동일하게 계측, 계량, 자기진단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에 대한 기록과 저장을 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MCU(10)의 고장이나 오작동시, 계량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여 전력량계(5)의 수리 및 교체까지의 계측의 공백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ince the sub MCU 20 performs functions such as measurement, metering, self-diagnosis, etc. and records and stores data in the same way as the main MCU 10, in case of failure or malfunction of the main MCU 10 , It is to prevent the loss of metering data, thereby minimizing the blank period of measurement until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watt-hour meter (5).

이하에서는, 상기 상위 서버(30)의 작동 관계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upper server 30 will be described.

앞서 서술한 대로, 서브 MCU(20)는 메인 MCU(10)의 계측, 계량, 자기진단 등의 기능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감시)하는데, 상기 계측, 계량 데이터와 상기 메인 MCU(10)로부터 수집한 계측, 계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정시간 동안 설정된 차이가 임계값을 초과함을 감지하였으며 내부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차보정을 위한 값을 계산한다. 상기와 같이 계산된 오차보정값을 서브 MCU(20)는 상기 상위서버(30)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ub MCU 20 periodically monitors (monitors) functions such as measurement, measurement, and self-diagnosis of the main MCU 10, and the measurement and measurement data collected from the main MCU 10 By comparing measurement and weighing data, it is detected that the difference se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nd the value for error correction is calculated using an internal algorithm. The error correction value calculated as abov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erver 30 by the sub MCU 20 .

즉, 상기 서브 MCU(20)의 작동관계를 다시 설명하면, 메인 MCU(10)의 계측/계량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오차값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 발생 시, 상위 서버(30)로 알람을 전송하고, 현재의 전력 상태에 대한 최적의 오차 보정값을 상기 상위 서버(30)로 전송한다. That is, to explain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sub MCU 20 again, the measurement/measurement data of the main MCU 10 is monitored and an alarm is sent to the upper server 30 when an error value exceeds a set threshold value, An optimal error correction value for the current power stat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erver 30 .

전력량계(5)와 원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위서버(30)는 상기 서브 MCU(20)로부터 전송된 오차 정밀도의 값을 확인하고, 해결 조치를 판단하게 된다. The upper server 30 formed remotely from the watt-hour meter 5 checks the error precision value transmitted from the sub MCU 20 and determines a solution.

그러면, 상기 상위서버(30)는 원격에 있는 상위 시스템(도시는 생략)에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를 하거나 해당 전력량계(50)의 교체를 통보한다.Then, the upper server 30 notifies the re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power meter 50 or updates the firmware to the upper system (not shown) in the remote lo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량계(5)의 내부에 메인 MCU(10)와 상기 메인 MCU(10)에 대한 오차 보정을 위한 모니터링을 하는 서브 MCU(20)를 내장하고, 상기 메인 MCU(10)의 오차 보정을 하여야 할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브 MCU(20)에 내장된 알고리즘을 통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mbeds the main MCU 10 and the sub MCU 20 for monitoring for error correction of the main MCU 10 inside the watt-hour meter 5, and the error of the main MCU 10 When a situation requiring correction occurs, an error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through an algorithm built in the sub MCU 20 .

그러면, 서브 MCU(20)는 상기 오차 보정값을 상기 상위 서버(30)로 전송하여, 전력량계(5)를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하여 오차보정값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Then, the sub MCU 20 transmits the error correction value to the upper server 30 to change the error correction value of the energy meter 5 through firmware upd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확한 오차 보정을 통해서, 수용가에게는 정확한 계량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여 공정한 전력 거래 환경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통해 전체적인 운용 비용을 절감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ccurate metering services to consumers through accurate error correction,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data, establishing a fair electricity trading environment, and reducing overall operating costs through efficient work processin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서브 MCU(20)가 메인 MCU(10)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오차 정밀도를 파악하는 흐름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어느 정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flow in which the sub MCU 20 monitors the main MCU 10 in real time to determine the error accuracy. For reference, redundant description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to some extent.

먼저, 메인 MCU(10)가 전압센서(11)로부터 전압, 전류센서(12)로부터 전류를 계측하여 전력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서브 MCU(20)도 역시 전압센서(21)로부터 전압, 전류센서(22)로부터 전류를 계측하여 전력량을 계산한다(제1 단계).First, the main MCU 10 measures the voltage from the voltage sensor 11 and the current from the current sensor 12 to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And, the sub MCU 20 also measures the voltage from the voltage sensor 21 and the current from the current sensor 22 to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first step).

상기 서브 MCU(20)는 상기 메인 MCU(10)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제2 단계).The sub MCU 20 monitors the main MCU 10 in real time (second step).

상기 서브 MCU(20)는 상기 메인 MCU(10)를 통하여 수신한 계측한 전력량 등을 비교하여 자체적으로 설정된 오차의 범위가 임계값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3 단계). The sub MCU 20 compares the measured power amount received through the main MCU 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error range set by itself is out of a threshold value (step 3).

여기서, 상기 설정값은 사전에 서브 MCU(20)에 미리 설정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0.1% ~ 1%의 오차가 발생하면 임의의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등의 조치를 취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정 값의 변경도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다. Here, the setting value is set in advance in the sub MCU 20, so that, for example, when an error of 0.1% to 1% occurs, an arbitrary alarm can be generated and other measures can be tak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 value as much as possible.

더 나아가, 상기 서브 MCU(20)는 상기 전력량 이외에도 전압, 전류, 위상, 전력을 상기 메인 MCU(10)와 비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서브 MCU(20)가 오차 정밀도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인 것이다. Furthermore, the sub MCU 20 compares voltage, current, phase, and power with the main MCU 10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power. Therefore, the third step is a step in which the sub MCU 20 detects whether or not the error accuracy is poor.

상기 제3단계에서 비교한 전력량 등의 값이 설정된 임계값을 벗어났으면, 상기 서브 MCU(20)는 상기 상위서버(30)에 상기 메인 MCU(10)의 오차 정밀도가 불량하다는 신호를 통보, 전송하는 것이다(제4 단계).If the value such as the amount of power compared in the third step is out of the set threshold, the sub MCU 20 notifies the upper server 30 of a signal that the error precision of the main MCU 10 is poor, to transmit (step 4).

상기 제4단계를 통하여 통보를 받은 상위서버(30)는 오차정밀도를 확인하여 적절한 해결조치를 판단하여 조치하는 것이다(제5 단계). The upper server 30, notified through the fourth step, checks the error precision, determines an appropriate solution, and takes action (fifth step).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서브 MCU(20)가 메인 MCU(10)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오차 보정값을 확정하여 상위서버(30)에 전달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어느 정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in which the sub MCU 20 monitors the main MCU 10 in real time, determines an error correction value, and transmits the error correction value to the upper server 30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wise, redundant description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to some extent.

먼저, 메인 MCU(10)는 전압센서(11)와 전류센서(12)로부터 전류 및 전압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량을 계측/계량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다(S 1). First, the main MCU 10 receives current and voltage data from the voltage sensor 11 and the current sensor 12 to measure/measure the amount of power (S1).

다음으로, 서브 MCU(20)는 실시간으로 상기 메인 MCU(10)를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한다(S 2).Next, the sub MCU 20 executes a monitoring operation for the main MCU 10 in real time (S2).

상기 서브 MCU(20)는 상기 메인 MCU(10)에서의 오차를 비교하여 상기 오차가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3).The sub MCU 20 compares the error in the main MCU 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error exceeds a certain range (S3).

만일, 상기 S 3에서 상기 오차가 범위를 초과하거나 맞지 않으면, 상기 서브 MCU(20)는 내부 알고리즘을 통한 계산으로 상기 메인 MCU(10)의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고 이를 확정하게 되며, 상기 서브 MCU(20)는 상위 서버(30)로 계산한 오차보정값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S 4). 여기서, 상기 서브 MCU(20)와 상기 상위 서버(30)는 양쪽에 모두 포터(미도시)가 있어서, 이를 통해서 서로 소통하는 것이다. If, in S 3 , the error exceeds the range or does not match, the sub MCU 20 calculates and determines an error correction value of the main MCU 10 by calculation through an internal algorithm, and the sub MCU 20 determines the error correction value. (20) transmits the data of the calculated error correction value to the upper server 30 (S4). Here, the sub MCU 20 and the upper server 30 have ports (not shown) on both sides, through which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S 4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은 상위 서버(30)는 외부 기관 등에 의뢰하여 전력량계(5)를 펌웨어 업데이트 등과 같은 적절한 해결조치를 할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이다(S 5).The upper server 30, which has received the data through S 4 , requests an external institution and the like to transmit the watt-hour meter 5 so that it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such as firmware update (S 5).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device for monitoring an electric power meter capable of adjusting an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링하는 장치는 전류센서(12, 22)와 전압센서(11, 21)로부터 전압, 전류 및 위상계측을 하는 전력량계(5)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내장된 메인 MCU(10)와 상기 전력량계(5)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20), 스마트 센서(50) 등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monitoring device is a main built-in control unit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watt-hour meter 5 that measures voltage, current, and phase from the current sensors 12 and 22 and the voltage sensors 11 and 21. It consists of an MCU 10, a communication module 120 for transmitting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watt-hour meter 5, and a smart sensor 50.

그리고, 상기 스마트 센서(50)의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중계기(60)가 형성된다. Then, a repeater 60 providing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smart sensor 50 to the outside is formed.

또한,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중계기(60)에서 제공되는 상기 스마트 센서(50)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받아 제공하는 통신모듈(120)과, 전송받은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DB 모듈(130)과, 상기 DB 모듈(130)의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스마트 센서(50)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학습하여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인공지능 모듈(140)과, 상기 통신모듈(120), 상기 인공지능 모듈(140) 및 상기 DB 모듈(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운영서버(10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again,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receives and provide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smart sensor 50 provided from the repeater 6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stores and manages the received monitoring information. The DB module 130,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for determining the alarm situation by learn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DB module 130 and the real-time moni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mart sensor 5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 120), the operation server 100 including the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and the DB module 130 is provided.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제공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기(90: 도4 참조)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terminal (90: see FIG. 4) display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o the user is formed.

상기 스마트 센서(50)는 전력량계(5) 주변의 각종 환경을 감시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스마트 센서(50)는 주변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등을 감지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중계기(60)를 통하여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실시간 운영서버(100)로 전달된다.The smart sensor 50 monitors various environments around the watt-hour meter 5 and collects informa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The smart sensor 50 collects information by detecting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etc.,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repeater 60 and transmitted to the real-time operation server 100 .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MCU(10)는 전력량계(5)의 센서(미도시)를 제어하여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main MCU 10 controls a sensor (not shown) of the watt-hour meter 5 to transmit sens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통신모듈(10-1)은 메인 MCU(10)의 제어에 따라 전력량계(5)의 감지정보를 중계기(60)로 전송하며,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0-1 transmits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att-hour meter 5 to the repeater 60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MCU 10, and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types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ans.

표시모듈(10-2)은 상기 메인 MCU(10)의 제어에 따라 전력량계(5)의 정상 동작 여부를 표시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상태 표시용 LED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0-2 displays whether the watt-hour meter 5 is normally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MCU 10, and may be composed of LED lamps for displaying various colors.

경보모듈(10-3)은 메인 MCU(1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센서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스마트 센서(50) 자체에서 경보를 알리는 구성으로, 부저나 싸이렌과 같은 통상의 경보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larm module 10-3 is configured to notify an alarm in the smart sensor 50 itself when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from a specific sensor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MCU 10, and is composed of a normal alarm means such as a buzzer or a siren. It can be.

이때,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이상 신호인지 여부는 메인 MCU(10)에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전원모듈(10-4)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 센서(50)의 각 구성을 구동하는 전원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전원접속수단과 충전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MCU 10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is an abnormal signal. The power module 10-4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for driving each component of the smart sensor 50 using external power, and may include a power connection means and a charging means.

중계기(60)는 스마트 센서(50)로부터 감지 정보를 제공받아 외부의 운영서버(100)에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100) 또는 단말기(9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중계기(60)는 외부에 대하여 인터넷이 가능하고, 내부 기기에 대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일례로, LTE 라우터 또는 유무선 공유기로 구성될수 있다. The repeater 60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 sensor 50, transmits it to the external operation server 100,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or the terminal 90. To this end, the repeater 60 is configured as a means capable of internet access to the outside and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internal devices, and may be configured as an LTE router or a wired/wireless router, for example.

운영서버(100)는 스마트 센서(5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량게 내부에 경보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내부의 상황을 단말기(9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peration server 100 us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or 50 to determine whether an alarm situation has occurred inside the energy meter, and provides the internal situation to the terminal 90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in real time.

이를 위한 운영서버(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와 통신모듈(120)과, DB 모듈(130)과, 학습유닛(141)과, 분석유닛(142)과, 판단유닛(143)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유닛(141), 분석유닛(142) 및 판단유닛(143)은 인공지능 모듈(140)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 6, the operation server 100 for this purpose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communication module 120, a DB module 130, a learning unit 141, an analysis unit 142, and a judgment unit 143. As shown, the learning unit 141, the analysis unit 142 and the judgment unit 143 constitut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통신모듈(120)은 스마트 센서(50) 및 단말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LTE, 5G 등 다양한 통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DB 모듈(130)은 스마트 센서(5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 sensor 50 and the terminal 100 and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LTE and 5G. The DB module 130 cumulatively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or 50 .

DB 모듈(130)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는 인공지능 모듈(140)에 제공되어 반복적인 학습에 따라 경보 상황을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된다.The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in the DB module 130 is provid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and used as data for determining an alarm situation according to repetitive learning.

인공지능 모듈(140)은 스마트 센서(50)와 DB 모듈(130)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정보를 학습 및 통계/분석하여 경보 상황을 가장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판단하도록 제어한다. 인공지능 모듈(140)는 스마트 센서(50) 모니터링되는 센서 정보와 DB 모듈(130)에서 제공되는 센서 정보를 대상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고, 이러한 기계적 학습으로 전력량계(5)가 설치된 각 지역의 지역적 환경 및 특성 등에 가장 적절한 위험 표시 수치를 스스로 설정 및 판단하여 경보 상황을 제어한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learns and statistics/analyzes the real-tim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mart sensor 50 and the DB module 130 to control an alarm situation to be determined most efficiently and precise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performs deep learning on the sensor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smart sensor 50 and the senso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B module 130, and through this mechanical learning, the regional power meter 5 is installed in each region. Controls the alarm situation by setting and determining the most appropriate risk display value for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이를 위한 인공지능 모듈(140)은 학습유닛(141), 분석유닛(142) 및 판단유닛(14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학습유닛(141)은 딥 러닝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정보를 학습하고, 분석유닛(142)은 학습에 연동되어 모니터링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표시 수치를 설정하고, 판단유닛(143)은 분석결과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된 정보에 대한 경보 상황 여부를 판단한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for this may include a learning unit 141, an analysis unit 142, and a judgment unit 143. The learning unit 141 learns the information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deep learning, the analysis unit 142 analyzes the monitored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learning to set a risk display value, and the judgment unit 143 analyzes Depending on the resul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larm situation for the real-time monitored information.

따라서, 인공지능 모듈(140)과 연동되는 운영서버(100)에서는 지역적 환경이나 거주자의 특성에 의한 경보 발령 오차를 최소로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operation server 100 interworking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error in issuing an alarm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environment or residents.

제어부(110)는 통신모듈(120)을 통하여 스마트 센서(50) 및 단말기(90)와 정보 전송을 제어하고, 인공지능 모듈(140)에서 경보 상황에 대한 학습 및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스마트 센서(50)에서 모니터링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단말기(9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information transmission with the smart sensor 50 and the terminal 9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control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to learn and judge an alarm situ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provides the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smart sensor 50 to the terminal 90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ituation even from the outside.

단말기(90)는 전력량계(5) 내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지위를 갖는 자 예컨대, 외부에서 관리자들이 소유하는 단말기로서, 운영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90)에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시스템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된다. The terminal 90 is a terminal owned by a person having a position to monitor information in the watt-hour meter 5, for example, an external manager, and provides real-time moni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o the manager. To this end, a system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real-time monitoring informa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90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센서(50)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누적적으로 학습 및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전력량계(5)가 설치된 환경 및 특성 등에 의한 경보 발령 오차를 최소로 할 수 있다.The monitor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collect various information using the smart sensor 50, etc., learn and analyze the collected information cumulatively, and alarm by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watt-hour meter 5 is installed. Ordering errors can be minimized.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력량계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for monitoring a power mete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운영서버(100)는 학습된 인공지능 모듈(140)을 통하여 전력량계(5)의 고장을 예측한다(S1). 상기 S1에서는 전력량계(5)들로부터 수집된 각 부품들의 상태정보와 그에 따라 생성된 진단 정보, 기타 각종 정보 등의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모듈(140)을 학습시킨다. The operation server 100 predicts failure of the watt-hour meter 5 through the 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S1). In the above S1,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is trained based on big data such as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collected from the watt-hour meters 5, diagnostic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ly, and other various information.

운영서버(100)는, 전력량계(5)의 메인 MCU(1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고장인지, 아니면 고장이 예상되는지 등을 나타내는 진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단 정보를 상기 메인 MCU(10)로 피드백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100 analy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ain MCU 10 of the watt-hour meter 5 to generate diagnostic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it is operating normally, whether there is a failure, or whether a failure is expected, and the generated diagnostic information may be fed back to the main MCU 10.

운영서버(100)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전력량계(5)의 메인 MCU(1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난 파트가 있으면, 해당 파트가 고장이거나 교체 주기가 도래했다고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포함하는 경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MCU(10)에 통보한다. The operation server 100 pre-sets a normal functioning range, analyzes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MCU 10 of the watt-hour meter 5, and if there is a part out of the preset normal range, the corresponding part is broken or the replacement cycle It is determined that has arrived, and warn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is generated and notified to the main MCU 10 .

각 파트에 대한 정상 범위는 경험이나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 또는 전문가들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normal range for each part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by experience or statistical methods or by experts.

즉, 현재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전력량계들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각 파트에 대해 정상으로 판단 가능한 표준편차 범위를 결정하고, 진단 대상의 상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에서 결정된 표준편차 범위를 벗어나는 파트가 있는 경우는 해당 파트가 고장이거나 교체 주기가 도래했음을 나타내는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으로 사용되는 표준편차 범위는 각 파트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140)의 판단유닛(143)은 고장여부의 판정기준이나 정상사용 가능 범위가 사전에 설정되지 않은 파트에 대한 진단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동종 전력량계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다.That is, the standard deviation range that can be judged normal for each part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electricity meters currently operating normally, and the part outside the standard deviation range determined above is compared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iagnosis target. In this case, warn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part is out of order or a replacement period has arrived may be generated. The standard deviation range used as a referenc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part. In addition, the judgment unit 143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includes data collected from the same type of watt-hour meters to generate diagnostic information for parts for which the criteria for failure or the normal usable range are not set in advance. use big data

S2에서는, 학습된 인공지능 모듈(140)을 이용해 진단 대상의 전력량계(5)를 위한 고장을 예측한다. In S2, a failure for the watt-hour meter 5 to be diagnosed is predicted using the 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상기 인공지능 모듈(140)은 진단 대상 전력량계(5)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전력량계를 분석하고 각 파트별 고장 예측결과를 출력할 것이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will input information about the watt-hour meter 5 to be diagnosed, analyze the watt-hour meter, and output a failure prediction result for each part.

또한, 인공지능 모듈(140)은, 전력량계(5)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와 그에 기반한 진단 결과 등을 포함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된 학습유닛(141)을 구비하여, 진단 대상 전력량계를 위한 고장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has a learning unit 141 learned based on big data including stat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watt-hour meter 5 and diagnosis results based thereon, and predicts failures for the watt-hour meter to be diagnose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즉, 인공지능 모듈(140)의 분석유닛(142)이 전력량계(5)의 메인 MCU(10)를 통해 수집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이나 교체 시점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된 결과에 따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어느 파트가 언제쯤 고장날 것인지 예측하여 고장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소정 시일 내에 고장나거나 교체해야 되는 것으로 예측되면, 이에 해당하는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That is, as a method of predicting a failure or replacement point using big data collected by the analysis unit 142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through the main MCU 10 of the watt-hour meter 5,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When comprehensively analyzing according to the learned results, failure predi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predicting which part will fail and when, and when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fail or needs to be replac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orresponding diagnostic information is generated.

S3에서는 만일, 전력량계(5)에서 고장이 예측되는 파트가 있으면, S4는 고장 예측 정보를 생성한다.In S3, if there is a part in which failure is predicted in the watt-hour meter 5, S4 generates failure predic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듈(140)의 판단유닛(143)에서 진단 대상의 전력량계에 대하여 향후, 2년이 되기 전에 A부품이 고장날 가능성이 85%라고 예측하는 결과를 내놓았다면,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전력량계(5)의 메인 MCU(1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judgment unit 143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0 predicts that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component A is 85% before 2 years in the future for the watt-hour meter to be diagnose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included. Failure prediction information to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in MCU 10 of the corresponding watt-hour meter 5.

S5에서는 상기 S4에서 전송받은 상기 메인 MCU(10)는 생성된 고장 예측정보를 해당 전력량계(5)의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하여 참고하여 조치하도록 한다.In S5, the main MCU 10 transmitted in S4 transmits the generated failure prediction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ystem (not shown) of the corresponding watt-hour meter 5 to refer to and take ac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를 고장진단 및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ystem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a power meter capable of adjusting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다수개의 전력량계(5-1 내지 5-N)를 원격에서 감시하는 모니터링 장치(M), 게이트웨이(200) 및 관리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8, the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monitoring device M remotely monitoring a plurality of watt-hour meters 5-1 to 5-N sporadically distributed, a gateway 200, and a management server 300. made up of, etc.

상기 모니터링 장치(M)는 전략량계(5-1 내지 5-N)의 진동, 전압 및 전류의 고장을 측정하여 해당 전력량계에 대한 고장관련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한다. The monitoring device M obtains failure-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watt-hour meter by measuring vibration, voltage, and current failures of the strategic meters 5-1 to 5-N, and the obtained failure-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al equipment. It also transmit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게이트웨이(200)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M)로부터 전송된 전력량계(5-1 내지 5-N)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유/무선 통신망(250)을 통해 전달한다.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250) is passed through.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250)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M)의 전력량계(5-1 내지 5-N)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고장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전력량계(5-1 내지 5-N)에 대한 고장상태를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configured with failure-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watt-hour meters 5-1 to 5-N of the monitoring device M received from the gateway 2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0. Fault conditions are diagnos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and fault conditions of the watt-hour meters (5-1 to 5-N) are remotely monitored in real time.

특히, 모니터링 장치(M)는 전력량계(5-1 내지 5-N)에 대한 고장을 측정하여 해당 전력량계의 고장관련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monitoring device M measures the failure of the watt-hour meters 5-1 to 5-N, obtains failure-related information of the watt-hour meter, and transmits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obtained failure-related information. perform a function

이때, 각 전력량계(5-1 내지 5-N)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예컨대, 설치장소, 장치의 일련번호, 장치의 제조회사,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장치의 모델 및 장치의 버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watt-hour meter (5-1 to 5-N) is, for example, installation location, serial number of the device, manufacturer of the device,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f the device, model and device of the devi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versions of the information.

이러한 상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전력량계(5-1 내지 5-N)의 생산자 및 관리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M) 내의 저장모듈(156)에 미리 저장되어질 수 있다The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at least one of the producers and managers of the watt-hour meters 5-1 to 5-N, and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56 in the monitoring device M.

상기 다수개의 전력량계(5-1 내지 5-N)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장치(M)는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도면부호는 생략)을 통해 게이트웨이(20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로서,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넓은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분산해서 동시에 송신이 가능한 직접 확산 스펙트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device M for monitoring the plurality of watt-hour meters 5-1 to 5-N is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through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At this time, a low-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is a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an utilize direct spread spectru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echnology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by distributing data over a wide bandwidth using little power.

이러한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은 저전력으로 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고, 암호화/복호화 통신을 통한 보안성 및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넓은 지역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uch a low-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can process low-capacity data with low power, secure maximum security and safety through encryption/decryption communication,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over a wide area at low cost.

모니터링 장치(M)는 다수개의 전력량계(5)가 설치된 장소와 원격으로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One or more monitoring devices M may be disposed remotely from the place where the plurality of watt-hour meters 5 are installed.

모니터링 장치(M)는 전력량계(5-1 내지 5-N)들이 설치되는 지점에 대한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을 측정하여 해당 전력량계에 대한 고장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onitoring device M performs a function of obtaining failure-relat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watt-hour meter by measuring a failure of at least one of vibration, voltage, and/or current for the point where the watt-hour meters 5-1 to 5-N are installed. do.

도 9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장치(M)는, 제어모듈(150)을 비롯하여, 진동감지모듈(151), 전압감지모듈(152), 전류감지모듈(153), 통신모듈(155), 및 전원공급모듈(15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9, the monitoring device M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control module 150, a vibration sensing module 151, a voltage sensing module 152, a current sensing module 153,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5. , and a power supply module 154 and the like.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M)는 저장모듈(156) 및 표시모듈(15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monitoring device M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odule 156 and a display module 157.

진동감지모듈(151)은 전력량계(5)에 구비된 각종 구성요소들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 발생에 대한 진동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ibration sensing module 151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vibrations caused by external shocks of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watt-hour meter 5 and outputting a vibration sensing signal for vibration generation.

이러한 진동감지모듈(151)은 실내 및/또는 실외에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진동을 감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환경 정보를 센싱(sensing)하여 대응되는 센서신호로써 출력하는 센서들 예컨대, 충격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압전센서 및/또는 압력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vibration sensing module 151 senses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 field to be monitored for vibration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sensor signal, such as a shock sensor and a speed sensor, in order to detect vibration indoors and/or outdoors. ,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 piezoelectric sensor, and/or a pressure sensor may be used.

전압감지모듈(152)은 전력량계(5)에 연결된 전압센서(11, 21)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의 전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oltage detection module 152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voltages of various devices such as the voltage sensors 11 and 21 connected to the watt-hour meter 5.

전류감지모듈(153)은 전력량계(5)와 연결된 전류센서(12, 22)들의 전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urrent sensing module 153 performs a function of sensing currents of the current sensors 12 and 22 connected to the watt-hour meter 5 .

이러한 전압감지모듈(152) 및/또는 전류감지모듈(153)은 하나로 통합되어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가에 인입되어 다수로 분배된 전력선(PL)에 각각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전력선(PL)에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oltage sensing module 152 and/or the current sensing module 153 may be integrated into one or provided separately, and are directly and/or indirectly connected to power lines (PL) that are introduced into a customer and distributed to a plurality, respectively. , and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current and/or voltage flowing through each power line (PL).

즉, 전압감지모듈(152) 및/또는 전류감지모듈(153)은 각 전력선(PL) 주위에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유도 현상 및/또는 전류자기 효과에 의해 각 전력선(PL)에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모듈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voltage sensing module 152 and/or the current sensing module 153 are directly and/or indirectly connected around each power line PL, so that each power line PL is detected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or a current magnetic effect. A module that detects the current and/or voltage flowing through the

통신모듈(155)은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전력량계(5)에 대한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장 관련 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55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and transmits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at least one failure-related information among vibration, voltage, and/or current for the watt-hour meter 5 to a low-power wide-area communication network (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gateway 200 using LPWAN).

제어모듈(150)은 모니터링 장치(M)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듈로서, 특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감지모듈(151), 전압감지모듈(152), 전류감지모듈(153), 통신모듈(155), 전원공급모듈(154), 저장모듈(156) 및/또는 표시모듈(157)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module 150 is a module for controlling the monitoring device M as a whole, and according to a specific control signal, the vibration sensing module 151, the voltage sensing module 152, the current sensing module 153,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 155), the power supply module 154, the storage module 156, and/or the display module 157, etc.,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operations.

또한, 제어모듈(150)은 진동감지모듈(151), 전압감지모듈(152) 및/또는 전류감지모듈(153)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전력량계에 대한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전력량계(5)에 대한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55)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50 detects at least one of vibration, voltage, and/or current for the watt-hour meter from at least one of the vibration sensing module 151, the voltage sensing module 152, and/or the current sensing module 153. Failure-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and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gateway 200 along with at least one failure-related information among vibration, voltage, and/or current for the received watt-hour meter (5). I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55 to be transmitted.

그리고, 전원공급모듈(154)은 각 모듈 즉, 진동감지모듈(151), 전압감지모듈(152), 전류감지모듈(153), 통신모듈(155), 제어모듈(150), 저장모듈(156)및/또는 표시모듈(157)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module 154 includes each module, that is, vibration sensing module 151, voltage sensing module 152, current sensing module 153, communication module 155, control module 150, storage module 156 ) and/or a function of supplying necessary power to the display module 157, etc., it is preferable to be implemented with a conventional portable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모니터링 장치(M)는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전력량계(5-1, 5-N)에 대한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주기적 및/또는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모듈(15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onitoring device M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and identifies a unique device together with at least one failure-related information among vibration, voltage, and/or current for the watt-hour meters 5-1 and 5-N. 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odule 156 that stores information periodically and/or in real time.

즉, 저장모듈(156)에는 제어부(15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156)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등), 램(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EP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module 156 may store and maintain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Such a storage module 156 is,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ROM, 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모니터링 장치(M)는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전력량계(5)에 대한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 및/또는 고장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표시모듈(157)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monitoring device (M)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and displays failure-related information and/or failure status of at least one of vibration, voltage, and/or current for the watt-hour meter 5 on the screen. A display module 157 may be further included.

모니터링 장치(M)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양방향 원격검침 시스템)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성되어 관리서버(300)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동작됨이 바람직하다. The monitoring device M is preferably configured based on an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network and operated according to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such as the management server 300.

이러한 AMI 네트워크 기반에서는 전력량계로부터 전력 사용량을 읽어가는 것(Metering)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요금정보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Based on such an AMI network,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ad the power consumption from the watt-hour meter (metering), but also to provide a charge information service.

또한, 상기 AMI 네트워크 기반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수용가에 설치된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열량 등 각종 스마트 계량기의 사용량을 원격에서 검침하는 한편, 해당 정보를 상위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취합, 분석 및 가공한 후, 이를 다시 수용가에게 제공하는 양방항 통신 인프라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AMI network base remotely reads the usage of various smart meters such as electricity, gas, water, hot water, and heat installed in consumers consuming energy, while automatically collecting,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information in the upper system. After that, it means a two-way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t to the consumer again.

게이트웨이(200)는 모니터링 장치(M)와 원격의 관리서버(300)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게이트웨이(200)는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을 통해 각 전력량계(5-1 내지 5-N) 및 모니터링 장치(M)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250)을 통해 관리서버(300)와 연결되어 있다.The gateway 200 is connected between the monitoring device M and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300 to serve as a relay for data and/or signals, and the gateway 200 connects each power meter through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It is connected to (5-1 to 5-N) and the monitoring device (M),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0.

이러한 게이트웨이(200)는 LPWAN을 통해 모니터링 장치(M)로부터 전송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유/무선 통신망(250)을 통해 관리서버(3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gateway 200 receives the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the failure-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M through the LPWAN,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0. do.

또한, 게이트웨이(200)는 유/무선 통신망(25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부터 전달된 제어정보를 모니터링 장치(M)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유/무선 통신망(250)은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ateway 20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the monitoring device M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0.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0 is made of, for example, Eth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관리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250)을 통해 게이트웨이(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250)을 통해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전달받은 모니터링 장치(M)의 전력량계의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고장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전력량계(5-1 내지 5-N)에 대한 고장상태를 원격으로 실시간 및/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anagement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gateway 2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0, and is related to the failure of the watt-hour meter of the monitoring device M received from the gateway 2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0. In addition to diagnosing fault conditions based on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information and storing and managing them in a database (DB), fault conditions for watt-hour meters (5-1 to 5-N) are remotely real-time and/or periodic. to perform monitoring functions.

또한, 관리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각 전력량계(5-1 내지 5-N)로부터 전송된 전력량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진동, 전압 및/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관련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진동 정상값, 전압 정상값 및/또는 전류 정상값 중 적어도 하나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전력량계를 고장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at least one failure-related information of vibration, voltage, and/or current for at least one point of the watt-hour meter transmitted from each watt-hour meter 5-1 to 5-N through the gateway 200. is provided, and based on this, when at least one range of a predetermined normal value of vibration, normal voltage value, and/or normal current value is exceeded, the corresponding watt-hour meter can be diagnosed as a faulty state.

또한, 관리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M)로부터 전송된 전력량계에 대한 고장관련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력량계(5-1 내지 5-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력량계의 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장소별로 전력량계의 고장 관련 정보 및/또는 고장 상태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장소별로 전력량계(5)의 고장상태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력량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failure-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watt-hour meter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M through the gateway 200, and uses it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watt-hour meter (5-1 to 5- Search for location information of a preset watt-hour meter corresponding to N), store and manage the failure-related information and/or failure state of the watt-hour meter for each location in the database (DB), and based on this, the watt-hour meter (5) for each lo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ergy meter management service so that the failure state of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력량계의 화재 등을 예지하여 사전 대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전력량계의 전기화재 예측 장치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lectric fire prediction device for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watt-hour meter capable of foreseeing and preparing for a fire in the watt-hour me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0에 도시된 대로, 전력량계(5)들의 내부에는 아크 분석기(200)가 형성되며, 온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전류, 누설전류에 대한 감지 데이터 및 표면 온도에 대해서도 감지할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arc analyzer 200 is formed inside the watt-hour meters 5, and can sense not only the temperature, but also detection data for overcurrent and leakage current, and surface temperature.

또한, 아크분석기(400)는 전력량계(5)의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부하회로를 포함하고, 부하의 저항성분(R), 유도성분(L), 용량성분(C)을 분석하여 유효 아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센싱데이터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arc analyzer 400 includes a load circuit for analyzing components of a load receiving power from the watt-hour meter 5, and measures the resistive component R, the inductive component L, and the capacitive component C of the load. Analysis to detect whether or not an effective arc has occurred, and generating sensing data using this.

이러한 아크에는 화재나 열화 등 전기적 결함의 원인이 되는 유효 아크와 전기적 결함과 무관한 무효 아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부하의 저항성분, 유도성분, 용량성분을 분석하면, 유효 아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se arcs can be divided into effective arcs that cause electrical defects such as fire or deterioration, and invalid arcs that are not related to electrical defects. By analyzing the resistive, inductive, and capacitive components of the loa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n effective arc is generated. there will be

아크의 형태는 미세 전기불꽃 형태나 복합 병렬 아크 형태로 검출될 수 있으며, 복합병렬 아크는 전선이 완전히 단락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아크이며, 아크 강도를 강, 약 등으로 구분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The form of the arc can be detected in the form of a fine electric spark or a complex parallel arc, and the complex parallel arc is an arc that can occur before the wire is completely shorted, and the arc intensity can be classified into strong and weak.

이때 과전류, 누설전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류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전선 대비 허용 전류와 차단기 대비 허용 전류를 분석할 수 있으며, 내장형 온도센서(미도시)를 배치하여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 감지하고, 전선 온도의 허용 여부 이상으로 감지되는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determine overcurrent and leakage current, current data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to analyze the allowable current versus the wire and the allowable current versus the breaker, and a built-in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s placed to detect the temperature data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it is detected more than allowed.

또한, 아크 분석기(400)에서 감지된 센싱데이터들은 지역망(무선통신 자가망 등)에서 아크 관리서버(500)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도면부호 생략)를 통하여 전송되고, 상기 아크관리서버(500)에서는 안전관리자의 관리단말(550) 또는 운영 PC(600)로 센싱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또는 학습에 의해 예측되는 경우, 경고 팝업 메시지(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발생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data detected by the arc analyzer 400 is transmitted through a gateway (reference numeral omitted) connected to the arc management server 500 in a local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private network, etc.), and the arc management server 500 In the case where the sensing data is detected by the safety manager's management terminal 550 or the operating PC 600 at a threshold or higher, or predicted by learning, a warning pop-up message (text message) is sent or the location of the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아크관리서버(500)는 전력량계(5)의 센싱장치(미도시)로부터 수집된 모든 센싱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고, 저장된 센싱데이터를 데이터 속성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분류하고, 머신러닝을 통하여 화재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The arc management server 500 receives all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ensing device (not shown) of the watt-hour meter 5, stores it in a database (not shown), converts it into big data, and clusters and classifies the stored sensing data according to data properties. and fire occurrence can be predicted through machine learning.

특히, 클러스터링하는 과정에서 유사한 속성의 센싱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해 K-평균 알고리즘(K-means algorithm)에 의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K-평균 알고리즘은 주어진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묶는 알고리즘으로, 각 클러스터와 거리 차이의 분산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상기 유사한 속성은 전기적 특성(전압, 전류, 주변온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컨대 전류이상(과전류, 누설전류 등), 전력이상(유효, 무효, 피상전력, 역률 등), 아크 이상(유효아크, 주변온도 등)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lustering process, clustering is performed by a K-means algorithm to classify sensing data of similar properties, and the K-means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groups given data into k clusters. It operates in a way that minimizes the variance of the cluster and the distance difference. The similar properties may vary depending on electrical characteristics (voltage, current, ambient temperature, etc.), for example, current abnormality (overcurrent, leakage current, etc.), power abnormality (effective, ineffective, apparent power, power factor, etc.), arc abnormality (effective arc, ambient temperature, etc.).

상기 K-평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센싱데이터의 집합에 평균을 정의하고 계산할 수 있으며, 수집된 상기 센싱데이터의 속성 패턴 인식에 의해 다른 데이터 포인트보다 기준(centroid)으로부터 거리가 비이상적으로 먼 데이터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클러스터링이 될 수 있다.An average can be defined and calculated for the set of sensing data using the K-means algorithm, and by recognizing the attribute pattern of the collected sensing data, data that is non-ideally farther from the centroid than other data points Clustering can be done in a way that eliminates

유사한 속성끼리 분류된 센싱데이터는 속성별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모델을 활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그 결과 아크나 화재 발생 여부 또는 전력 이상 여부를 예측하게 된다.Sensing data classified with similar attributes is learned by using a learning model based on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each attribute, and as a result, arcs, fires, or power abnormalities are predicted.

상기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경우, 심층 신경망(DNN)을 사용하거나 합성곱신경망(CNN) 또는 순환신경망(RNN) 방식과 같이 여러가지 방식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각 속성별로 센싱데이터의 이상 패턴에 대해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예측기법에서는 후술하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various types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a deep neural network (DN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or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may be us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technique described later may be used as a prediction technique for accurately distinguishing abnormal patterns of sensing data for each attribute.

SVM 기법이란 클래시피케이션(classification), 리그레션(regression), 특이점 판별(outliers detection) 등에 주로 사용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머신러닝 방법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두 그룹의 데이터셋을 구분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 각 그룹의 최대 거리에 있는 중간지점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분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e SVM technique is one of supervised learning machine learning methods mainly used for classification, regression, and outliers detection. For example, among several methods for classifying two groups of datasets, it can be said that accurately distinguishing the middle point at the maximum distance of each group is the best way to increase classification accuracy.

특히, SVM은 복수의 디멘션을 갖는 데이터에 대해서, 복수의 디멘션을 잘 구분할 수 있는 최적의 결정 경계(decision boundary)를 찾는 것에 최적화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센싱데이터에 상술한 것과 같은 SVM 기법을 적용할 때, 센싱데이터들이 점점 더 축적될수록 머신러닝의 트레이닝 횟수가 증대되고, 결과적으로 트레이닝을 통해 획득한 모델링의 정확도가 점점 높아지게 된다. In particular, SVM is known as an optimized method for finding an optimal decision boundary capable of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dimensions for data having a plurality of dimensions. In addition, when the SVM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s, the number of machine learning training increases as the sensing data is gradually accumulated, and as a result, the accuracy of the modeling obtained through training gradually increases. do.

또한, 아크나 화재 발생 여부 또는 전력 이상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서 센싱데이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임계값은 학습모델의 학습에 의해 정해지거나 변동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dict whether an arc or fire occurs or whether there is a power failure, it may be based on whether sensing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threshold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may be determined or changed by learning of a learning model.

예를 들면, 수집된 센싱데이터가 과전류에 대한 센싱데이터인 경우 차단기 용량 대비 과전류를 기준으로 주기적으로 과전류 상태를 체크하여 과전류 상태에 따른 아크나 화재 발생 여부 또는 전력 이상 여부를 예측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collected sensing data is sensing data for overcurrent, the overcurrent state is periodically checked based on the overcurrent relative to the circuit breaker capacity to predict whether an arc or fire occurs or a power abnormality occurs according to the overcurrent state.

마찬가지로, 누설전류, 차단기 온/오프상태, 상별전류/전압/전력, 단상전류/전압/전력, 역률, 고조파에 대해서도 수집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모델에서 학습을 통하여 전력 이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Similarly, based on the collected sensing data for leakage current, circuit breaker on/off state, current/voltage/power for each phase, single-phase current/voltage/power, power factor, and harmonics, power abnormality can be predicted through learning in the learning model. .

학습모델은 정상 상태의 센싱데이터와 현재 수집된 센싱데이터의 변화 수치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수치화하여 이상 상태를 알려주지 않는 비지도학습을 통해 빅데이터화하여 이상검출 학습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The learning model can create an anomaly detection learning model by converting it into big data through unsupervised learning that does not inform an abnormal state by digitizing it to set a threshold value using the sensing data in a normal state and the change value of the currently collected sensing data.

또한, 학습모델은 기준이 되는 초기 임계값이 없더라도, 정상적인 상태의 센싱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와 대조되는 이상 상태의 센싱데이터 표본을 생성하여 임계값을 정할 수 있다. 또한, 아크관리서버(500)는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아크 또는 화재 발생 여부 또는 전력 이상 여부를 예측하면서, 그 발생주체를 예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initial threshold value as a standard, the learning model may collect sensing data in a normal state and generate a sample of sensing data in an abnormal state in contrast with the sensing data sample to determine the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arc management server 500 may predict the subject of occurrence while predicting whether an arc or fire occurs or whether there is a power failure based on the sensing data.

도 11은 인공지능 기반 전기화재 예측방법의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lectric fire prediction method.

먼저, 센싱장치(미도시)를 통하여 과전류, 유효아크 및 온도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이상을 체크할수 있는 센싱데이터를 수집한다(S10).First, through a sensing device (not shown), sensing data capable of checking a power abnormal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overcurrent, an effective arc, and a temperature state is collected (S10).

상기 수집된 센싱데이터를 아크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S20).The collected sens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arc management server 500 (S20).

이후, 상기 아크관리서버(500)에서는 상기 수집된 센싱데이터를 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고, 저장된 센싱데이터를 데이터 속성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분류한다(S30).Thereafter, the arc management server 500 stores the collected sensing data to convert them into big data, and clusters and classifies the stored sensing data according to data attributes (S30).

또한, 머신러닝을 통해서 화재나 아크 발생 여부 또는 전력 이상 여부를 예측한다(S40).In addition, whether a fire or an arc occurs or a power failure is predicted through machine learning (S40).

상기 S40에서 화재나 아크 발생 또는 전력 이상이 발견되면, 관련된 사설관리업체나 관리당국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S50).If a fire, arc occurrence or power abnormality is found in S40, the related private management company or management authority is notified by way of providing an alarm (S50).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5 : 전력량계 10 : 메인 MCU
11 : 전압센서 12 : 전류센서
20 : 서브 MCU 21 : 전압센서
22 : 전류센서 30 : 상위서버
40 : 통신모듈 50 : 스마트 센서
60 : 중계기 90 : 단말기
100 : 운영서버 110 : 제어부
120 : 통신모듈 130 : DB모듈
140 : 인공지능 모듈 141 : 학습유닛
142 : 분석유닛 143 : 판단유닛
M : 모니터링 장치 200 : 게이트웨이
250 : 유무선통신망 300 : 관리서버
400 : 아크 분석기 500 : 아크관리서버
550 : 관리자 단말 600 : 운영 PC
5: power meter 10: main MCU
11: voltage sensor 12: current sensor
20: sub MCU 21: voltage sensor
22: current sensor 30: upper server
40: communication module 50: smart sensor
60: repeater 90: terminal
100: operation server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module 130: DB module
140: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141: learning unit
142: analysis unit 143: judgment unit
M: monitoring device 200: gateway
250: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management server
400: arc analyzer 500: arc management server
550: manager terminal 600: operating PC

Claims (4)

전압센서와 전류센서는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전력량계에 있어서,
상기 전압센서와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생성되는 전력량의 계산 및 상기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모니터링하여, 자체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메인 MCU; 및
상기 메인 MCU의 계측된 데이터와 오차 정밀도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력량계와의 오차를 비교해서 오차가 발생하면, 외부에 필요한 오차 보정값을 통보하고, 알람을 울리도록 하는 서브 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
In the watt-hour meter in which the voltag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measure voltage, current, and phase and receive the measured data,
a main MCU that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the voltage sensor and the current sensor, stores and monitors the measured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self-set cycle; and
and a sub-MCU that monitors the measured data and error accuracy of the main MCU, compares the error with the watt-hour meter, and notifies an externally necessary error correction value and sounds an alarm when an error occurs. A watt-hour meter that can adjust the error precision by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메인 MCU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 및 저장하는 상위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차정밀도를 조정할수 있는 전력량계.
According to claim 1,
The watt-hour meter capable of adjusting error accuracy by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server that is formed apart from the watt-hour meter and receives, collects, and stores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MCU.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서버는 상기 서브 MCU로부터 오차 보정값을 전송받아,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하여 상기 오차 보정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는 전력량계.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pper server receives the error correction value from the sub MCU and transmits the error correction value to the outside so that the error correction value can be changed through firmware upd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MCU는 상기 오차 보정값의 계산은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는 전력량계.
According to claim 1,
The energy meter capable of calculating the error correction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MCU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error correction value using an internal algorithm.
KR1020220003084A 2022-01-10 2022-01-10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 KR202301079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084A KR20230107920A (en) 2022-01-10 2022-01-10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084A KR20230107920A (en) 2022-01-10 2022-01-10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920A true KR20230107920A (en) 2023-07-18

Family

ID=8742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084A KR20230107920A (en) 2022-01-10 2022-01-10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920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171A (en) 2006-07-26 2008-01-30 한국전력공사 Portable error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ment apparatus of electric power volume
KR20130073659A (en) 2011-12-23 2013-07-03 (주)에디테크 Instrument and method to obtain ratio error of current transformer for watt-hour-meter
KR20200095069A (en)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남전사 Portable error corection apparatuse for Internet of Things me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171A (en) 2006-07-26 2008-01-30 한국전력공사 Portable error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ment apparatus of electric power volume
KR20130073659A (en) 2011-12-23 2013-07-03 (주)에디테크 Instrument and method to obtain ratio error of current transformer for watt-hour-meter
KR20200095069A (en)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남전사 Portable error corection apparatuse for Internet of Things m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185B1 (en) Platform for analyzing electric motor health and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RU2313815C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chnical plant, which contains a set of systems, in particular, electric power plant
US20160077164A1 (en) Failure sign diagnosis system of electrical power grid and method thereof
BR112013026307B1 (en) DYNAMIC EVALUATION SYSTEM FOR MONITORING HIGH VOLTAGE ELECTRICAL COMPONENTS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AT LEAST ONE HIGH VOLTAGE ELECTRICAL COMPONENT
CN109905462A (en) A kind of equipment health degree management system
CN109724646A (en) A kind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 switchgear cable connector monitoring method, server and system
KR102136141B1 (en) Emergency generator including function for fault preven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US20230366706A1 (en) Methods and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for diagnosing accuracy of smart gas ultrasonic meters
KR102234448B1 (en) Real-time Management System of Display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US20220083851A1 (en) Vibrating Machine Automated Diagnosis with Supervised Learning
CN109738014A (en) The intelligent diagnosing method and system of city integrated piping lane equipment fault
CN117082105B (en) Environment-friendly intelligent hospital facil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527888B1 (en) Smart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KR102296568B1 (en) Swithchboard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KR20210109136A (en) Equipment and system including function for fault preven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CN117390403B (en) Power grid fault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new energy lighthouse power station
KR102296561B1 (en) Integrated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for Swithchboar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Zigbee
KR202201688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quipment
CN117423225A (en) Disaster remote sensing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high-speed railway operation
KR20230107920A (en) Digital power meter capabling adjustment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motion -monitoring
KR20230076630A (en) Digital power meter capable of culculating aberration correction value
CN115393142A (en) Intelligent park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latform
KR20230076628A (en) Digital power meter of aberration accuracy and the self-monitoring
CN104991222B (en) metering automation terminal quality evaluation system
KR20210109753A (en) Emergency generator including function for fault preven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