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077A -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077A
KR20230107077A KR1020220026268A KR20220026268A KR20230107077A KR 20230107077 A KR20230107077 A KR 20230107077A KR 1020220026268 A KR1020220026268 A KR 1020220026268A KR 20220026268 A KR20220026268 A KR 20220026268A KR 20230107077 A KR20230107077 A KR 2023010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information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김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택 filed Critical 김성택
Publication of KR2023010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0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낚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입력받은 낚시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낚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부터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 구축부,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필요한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대상 어종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조건 정보 입력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조건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조건 정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의해 낚시 소비자들이 잘 알 수 없는 낚시터별 실시간 어종정보, 낚시포인트, 어종공략법, 필요한 낚시 장비 등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지역 낚시관계자 및 전문가들에게 관련 정보를 수시로 등록하게 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제때에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더불어, 낚시성과물을 검증하여 아이템을 줌으로써 기존에 오프라인 방식에 한정되던 낚시를 낚시인 레벨 부여, 낚시 배틀 등 온라인상의 게임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낚시의 재미를 한층 배가 시킬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llecting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and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inputted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are provided by a fishing-related service provider terminal. A DB construction unit that collects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from the database and converts it into a database, a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that receives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fish species information in order to search for necessary fishing-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ishing consumer, and a database-based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and an information-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extract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By having local fishing officials and experts who know the best about real-time fish species information by fishing site, fishing points, fish species strategy, and necessary fishing equipment that fishing consumers do not know well, register related information from time to time, so that consumers can obtain the information they want in a timely manner. Effects that can be provided customized are derived. In addition, by verifying fishing results and giving items, it is possible to conduct fishing, which was previously limited to offline methods, through online game methods such as giving angler levels and fishing battles, thereby further doubling the fun of fishing.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related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낚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입력받은 낚시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낚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제공해주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collecting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service platfor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nd providing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input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is extracted and provided through a service platfor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낚시의 대상인 물고기는 계절, 수온, 조류 등의 영향을 받아 수시로 이동하고 있어 정확한 위치 파악이 곤란하다. 특히 기후온난화로 인해 생태계가 변화되고 있어 이런 경향은 더 심화되고 있다.Fish, which are objects of fishing, move frequen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ason, water temperature, current, etc.,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locate them. In particular, as the ecosystem is changing due to climate warming, this trend is intensifying.

이에 소비자가 원하는 어종이 소비자가 원하는 때에 있는 낚시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a fishing spot where the type of fish desired by the consumer is located at the time the consumer desires.

또한, 같은 어종에 대한 낚시방법도 주변지형 등 장소에 따라 다르고 같은 장소에서도 시간대별 날씨별 조류 흐름별로 낚시포인트 및 낚시방법이 천차만별이여서 어종별, 장소별, 시간때별 등 상황에 맞는 다양한 낚시 포인트 및 어종공략법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fishing method for the same fish specie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lace, such as the surrounding terrain, and even in the same place, there are many different fishing points and fishing methods depending on the time of day, weather, and current flow, so that various fishing points suitable for the situation such as fish species, place, and time and fish species strategy.

한편, 낚시장비는 기본적으로 민물고기, 바다고기 여부, 낚시터 유형(갯바위, 방파제, 선상낚시, 백사장 등), 낚시방법(찌낚시, 처넣기 낚시, 선상외줄낚시, 루어낚시 등)에 따라 기본장비가 달라야 하고, 수온, 조류, 해저지형, 물고기 특성 등에 따라 미끼, 바늘, 낚시줄 등 채비들도 달라야한다. 이에 더해 낚시하는 사람의 숙련도, 취향에 따라 손맛을 중시하는 장비, 힘을 중시하는 장비 등 복잡하고 다양하다. 따라서,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 어종, 숙련도에 맞는 최적의 낚시장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basic equipment for fishing equipment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it is freshwater fish or sea fish, type of fishing site (rock, breakwater, boat fishing, sandy beach, etc.) In addition, the equipment such as bait, hook, and fishing line mus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tide, seabed topography, and fish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is,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angler, the equipment that emphasizes hand taste, and the equipment that emphasizes strength, etc., are complex and divers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nformation on the optimal fishing equipment suitable for the desired location, fish species, and skill level of the consumer.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6665호Publication No. 10-2020-0136665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0051호Publication No. 10-2000-0050051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낚시 소비자들이 잘 알 수 없는 낚시터별 실시간 어종정보, 낚시포인트, 어종공략법, 필요한 낚시장비 등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지역 낚시관계자 및 전문가들에게 관련 정보를 수시로 등록하게 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제때에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낚시터 및 장비 추천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such a technical background, and provides relevant information to local fishing officials and experts who know best about real-time fish species information by fishing site, fishing points, fish species strategy, and necessary fishing equipment that fishing consumers do not know well.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fishing spot and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that can provide consumers with the information they want in a timely manner by allowing them to register.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은 낚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부터 낚시터 정보, 낚시장비 정보,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 정보, 숙박시설 정보, 낚시용품점 정보, 낚싯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 구축부,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필요한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대상 어종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조건 정보 입력부, 상기 DB 구축부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조건 정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That is, the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of fishing site information,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fishing point and fish strategy information, accommodation facility information, fishing supply store information, and fishing boat information from a fishing-related service provider terminal. A DB construction unit that collects and converts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into a database, a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that receives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fish species information in order to search for necessary fishing-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ishing consumer, and the DB construction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based on the database built in the unit,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to a user terminal. do.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낚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부터 낚시터 정보, 낚시장비 정보,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 정보, 숙박시설 정보, 낚시용품점 정보, 낚싯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 구축 단계,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필요한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대상 어종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조건 정보 입력 단계, 상기 DB 구축 단계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조건 정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정보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driving method of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fishing spot information,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fishing point and fish strategy information, accommodation facility information, fishing supply store information, and fishing boat information from a fishing-related service provider terminal. A DB construction step of collecting and databaseizing one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a condition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fish species information in order to search for necessary fishing-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ishing consumer, the above A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based on the database built in the DB construction step, and providing information that provides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to a user terminal. Include steps.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 소비자들이 잘 알 수 없는 낚시터별 실시간 어종정보, 낚시포인트, 어종공략법, 필요한 낚시 장비 등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지역 낚시관계자 및 전문가들에게 관련 정보를 수시로 등록하게 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제때에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낚시터 및 장비 추천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l fishing officials and experts who know best about real-time fish species information by fishing site, fishing points, fish species strategy, and necessary fishing equipment that fishing consumers do not know well are frequently registered with related information, so that consumers can obtain the information they want. The effect of providing a personalized fishing spot and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that can be provided in a timely manner is derived.

더불어, 낚시성과물을 검증하여 아이템을 줌으로써 기존에 오프라인 방식에 한정되던 낚시를 낚시인 레벨 부여, 낚시 배틀 등 온라인상의 게임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낚시의 재미를 한층 배가 시킬수 있다.In addition, by verifying fishing results and giving items, it is possible to conduct fishing, which was previously limited to offline methods, through online game methods such as giving angler levels and fishing battles, thereby further doubling the fun of fishing.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 구축부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낚시터 장소, 유형, 실시간 어종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DB 구축부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낚시터별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에 대한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DB 구축부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낚시터별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에 대한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테이블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낚시터 및 숙박시설 추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맞춤형 낚시 장비 추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성과 정보 입력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exemplary diagrams of fishing spot location, type, and real-time fish species data formats stored in the database constructed by the DB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a data format for fishing points for each fishing spot and methods for targeting fish species stored in a database constructed by a DB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mplary data formats for fishing points for each fishing location and methods for targeting fish species stored in a database constructed by a DB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n exemplary view of a table format in which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o search for fishing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recommending fishing spots and lodging facilities of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recommendation function of an information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view of a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riving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excessively inclu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positive sense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은 낚시 장비 업체, 낚시용품점, 낚시인(소비자)등이 낚시터 장소, 유형, 실시간 어종정보,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 낚시 장비 등에 대한 정보를 낚시 DB에 등록한다. 낚시 DB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맞춤형 낚시터 및 낚시 장비 관련 정보를 낚시인(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낚시인(소비자)는 이를 활용하여 낚시 한 후 그 성과물을 검증받고 레벨 관리에 사용하거나 낚시 대회 참가 자격을 부여받는 등 여러각도로 활용가능한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A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service platform in which fishing equipment companies, fishing supply stores, anglers (consumers), etc. provide information on fishing spot locations, types, real-time fish species information, fishing points and methods for targeting fish species, fishing equipment, etc. Register the information in the fishing DB. The fishing DB can provide anglers (consumers) with information related to customized fishing spots and fishing equipment by classifying data. Anglers (consumers) can acquire item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verified after fishing and using it for level management or being granted qualifications to participate in fishing competitions.

즉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은 낚시인(소비자)이 잡고자하는 어종을 선택하면, 해당 어종에 부합하는 맞춤형 낚시터 및 맞춤형 낚시장비를 추천하고,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부가적으로 낚시터와 연계된 숙박시설, 장비업체, 낚시용품점 등에 대한 이용 서비스를 제공한다.That is, in the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angler (consumer) selects a fish species to be caught, a customized fishing spot and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suitable for the fish species are recommended, and fishing points and methods for targeting the fish species are provided to the user. It recommends and additionally provides services for accommodations, equipment companies, fishing supply stores, etc. related to the fishing grounds.

정보 제공자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후 맞춤형 정보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위해 각 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핵심 매칭 요소 즉, 매칭코어를 포함한다. 즉 모든 정보는 매칭코어가 포함된 상태로 수집, 전달된다.After the information provider's information is accumulated in the database, it includes a key matching element, that is, a matching core, that organically connects each information to be delivered to consumers as customized information. In other words, all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delivered with the matching core inclu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낚시에 필수적인 정보인 어종, 낚시터 주소, 낚시터 유형을 주된 매칭 코어로 낚시 방법 등을 보완적 매칭코어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모든 정보는 어종, 낚시터주소, 낚시터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fish species, fishing site addresses, and fishing site types, which are essential information for fishing, may be used as main matching cores, and fishing methods and the like may be used as supplementary matching cores. Accordingly, al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fish species, fishing site addresses, and fishing site types.

한편, 낚시장비업체 등 정보 제공자로부터 낚시터 장소 등 낚시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은 다음과 같이 검색 및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fishing-related information such as fishing spot location is input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such as a fishing equipment company and a database is built, the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may proceed with a search and payment process as follows.

도 1과 같이 낚시 소비자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낚시터 또는 낚시 장비에 대해 맞춤형 조건 검색을 요청한다. 그러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이 맞춤형 낚시터 또는 낚시 장비 정보를 추천해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a fishing consumer requests a customized condition search for a fishing spot or fishing equipment through a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en, the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ommend customized fishing spot or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그리고 낚시 소비자가 추천받은 낚시터 또는 낚시 장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낚시 소비자는 선택한 낚시터 또는 낚시 장비 이용에 대한 구매 또는 예약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다. Further, when the fishing consumer selects at least one of the recommended fishing spots or fishing equipment, the fishing consumer performs payment according to purchase or reservation for the use of the selected fishing spot or fishing equipment.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은 낚시 소비자가 결제한 낚시터 또는 낚시 장비 이용에 대해 해당 낚시터나 낚시장비 업체에 구매, 예약 현황을 통보해준다. At this time, the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notifies the fishing site or fishing equipment company of the current status of purchase and reservation for the use of the fishing site or fishing equipment paid by the fishing consumer.

그러면 낚시 장비 업체 또는 낚시터는 낚시 소비자에게 물품 배송 및 유료 낚시터 이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낚시 소비자는 낚시 장비를 수령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Then, the fishing equipment company or the fishing ground provides goods delivery and paid fishing spot use services to fishing consumers. And fishing consumers can receive fishing equipment or use the service.

이후에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은 낚시 소비자를 통해 낚시 장비 수령 또는 유료 낚시터 및 낚싯배 이용이 확인되면 낚시 장비 업체등으로 낚시 소비자가 결제한 예약 및 이용 비용을 송금해준다. 이때 서비스 플랫폼은 자체 수수료를 차감후 송금한다. Afterward, the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fishing consumer receiving fishing equipment or using a paid fishing spot and fishing boat is confirmed through a fishing consumer. will remit At this time, the service platform remits money after deducting its own fees.

아울러,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은 추천한 낚시터 및 낚시장비로 대상 어종을 획득할 경우, 서비스 플랫폼에 의해 대상어종의 크기, 희귀성 등을 서비스 플랫폼에 인증하면, 아이템을 제공한다. 제공된 아이템은 낚시 챌린지에 참여 자격으로 이용되거나 낚시 배틀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provides an item when a target fish species is obtained with a recommended fishing spot and fishing equipment, and the size and rarity of the target fish species are certified by the service platform to the service platform. to provide. The provided item can be used as a qualification for participating in a fishing challenge or used in a fishing battle.

이때 아이템은 매일 특정시점(예, 오전 0시)을 기준으로 낚시 소비자들이 플랫폼에 결제한 현황을 취합하여 예약 회원수 및 구매액 등을 반영하여 낚시터별로 배정한다. 아이템은 낚시대회 참가권 등으로 활용되는 것이므로 한정된 수량만 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tem is assigned to each fishing spot by collecting the current status of fishing consumers' payments to the platform based on a specific point in time (eg, 0:00 am) every day and reflecting the number of reservation members and purchase amount. Since the item is used as a ticket to participate in a fishing tournament, it is desirable to issue only a limited number.

그 후 낚시 소비자의 성과물을 검증한 후 낚시터별로 배정된 아이템 수 내에서 낚시소비자별 아이템을 선착순 등의 방법으로 배정한다. 예를들어 당일 추가 결제 및 취소현황 등을 반영하여 아이템 배정 수를 조정할 수 있다. Thereafter, after verifying the results of the fishing consumers, the items for each fishing consumer are assigned in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within the number of items allocated for each fishing site. For example, the number of items assigned can be adjusted by reflecting the current status of additional payment and cancella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통신부(110), DB 구축부(120), 조건 정보 입력부(130), 정보 추출부(140), 정보 제공부(150),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 아이템 지급부(17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 the fish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DB construction unit 120, a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30,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0,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 a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an item payment unit 170, and a database 180.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낚시인인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과 낚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30)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위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ny internal component or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external arbitrary terminal may include a user terminal 20 possessed by a consumer who is an angler and a service provider terminal 30 possessed by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fishing-related service. Her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Direc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includ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coaxial cables,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20)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소지하는 사용자에 의해 구분하여 설명할 뿐, 기술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service provider terminal 30 are only described separately by the possessing us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may be technically implement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사용자 단말(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10)이 제공하는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낚시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낚시를 한 후 자신의 낚시 성과물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로 구현된다. The user terminal 20 receives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nputs information related to his/her own fishing achievement after fishing. It is implemented a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10)이 제공하는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낚시터 관련 정보나 낚시 장비 관련 정보, 낚시터 주변의 숙박 시설 정보와 같은 낚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로 구현된다. 예를들어 낚시터 운영자나 낚시용품점 운영자, 숙박시설 운영자, 지역 낚시 관계자등이 소지하는 단말장치일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terminal 30 provides fishing-related information, such as fishing-related information, fishing equipment-related information, and accommodation information around the fishing site, through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implemented a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service provider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example, it may be a terminal device owned by a fishing ground operator, a fishing supply store operator, an accommodation facility operator, or a local fishing person.

사용자 단말(20)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 (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 and the service provider terminal 30 include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foldable terminal,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notebook computer, slate PC, tablet PC, ultrabook ( ultrabook), wearable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smartwatch,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Wibro terminal,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terminals, smart TV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s, A/V (Audio/Video) systems, flexible terminals, digital signage devices, and the like.

DB 구축부(120)는 낚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 단말(30)로부터 낚시터 정보, 낚시장비 정보,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 정보, 숙박시설 정보, 낚시용품점 정보, 낚싯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collects at least one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from the fishing site information,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fishing point and fishing strategy information, accommodation facility information, fishing supply store information, and fishing boat information from the fishing-related service provider terminal 30 The data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stored in the database 180.

데이터베이스(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base 180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Only Memory)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180)는 유료낚시터, 낚싯배, 낚시용품점과 같은 낚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등록된 다양한 낚시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In one embodiment, the database 180 stores various fishing-related data registered by fishing-related service providers such as paid fishing spots, fishing boats, and fishing supply stores.

DB 구축부(120)는 낚시터 장소, 유형, 실시간 어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DB 구축부(120)는 유료 낚시터, 낚시용품점, 낚싯배, 낚시터 주변 숙박시설 관계자등으로부터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DB builder 120 stores the fishing spot location, type, and real-time fish species information in a database. The DB builder 120 may collect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from paid fishing spots, fishing supply stores, fishing boats, and people involved in lodging facilities around the fishing spots.

일 실시예에 있어서 DB 구축부(120)는 웹크롤링으로 웹상에 업로드된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더 수집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B builder 120 may further collect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uploaded on the web by web crawling.

DB 구축부(120)는 등록 대상 낚시터에서 주로 잡을 수 있는 대상 어종을 등록한다. 어종은 등록 대상 낚시터에서 주로 잡을 수 있는 대상 어종을 선택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이다. 주어종 1종류에 부어종 2~3종류로 제철 어종을 실시간으로 알리기 위해 수시로 업데이트한다.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registers target fish species that can be mainly caught at the fishing site to be registered. The fish species is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target fish species that can be mainly caught in the fishing spot to be registered. It is updated from time to time to inform the seasonal fish species in real time with one main species and 2 to 3 secondary species.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 구축부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낚시터 장소, 유형, 실시간 어종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이다. 3 to 5 are exemplary diagrams of fishing spot location, type, and real-time fish species data formats stored in the database constructed by the DB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종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어종은 서식지로 구분하거나, 중소형과 대형으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저장된다. Specifically,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fish species data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sh species are stored so that they can be selected by categorizing them by habitat or by classifying them into small, medium and large sizes.

DB 구축부(120)는 낚시터의 위치(주소), 연락처, 낚시용품점 및 출항지와의 거리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 The DB builder 120 further stores the location (address) of the fishing spot, contact information, fishing goods store,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ort of departure in the database 180 .

또한 낚시터 유형에 따라 민물, 바다낚시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fishing site, it can be stored by dividing it into freshwater and sea fishing.

민물은 유료 낚시터, 강, 하천, 저수지, 댐, 기타 항목을 포함하고, 바다는 유료 낚시터, 갯바위, 방파제, 백사장, 선상, 기타 항목을 포함한다. 한 주소지에 여러 유형이 동시에 있으면 복수 선택이 가능하다. Fresh water includes paid fishing spots, rivers, streams, reservoirs, dams, and other items, and sea includes paid fishing spots, sea rocks, breakwaters, sandy beaches, ships, and other items. Multiple selections are possible if there are multiple types at the same address.

DB 구축부(120)는 유료 낚시터 입장료, 선박 사용료를 포함하는 입장료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호, 숙박유형, 주소지, 연락처, 가격, 객실수등 숙박 시설 및 시설 이용료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further stores admission information including paid fishing spot admission fees and ship usage fees, and stores information including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facility usage fees such as company name, lodging type, address, contact number, price, and number of rooms.

구체적으로 도 4 는 유료낚시터, 낚싯배, 낚시용품점으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4 와 같이 DB 구축부(120)는 유료낚시터, 낚싯배, 낚시용품점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유료 낚시터, 낚싯배, 낚시용품점별로 구분하여 상호, 주소지, 연락처, 입장료, 낚시터와의 거리, 낚시터 장소, 어종, 낚시터 유형 정보를 저장한다. Specifically,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ata storage format for s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a paid fishing spot, a fishing boat, and a fishing supply store. As shown in FIG. 4,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collects related information from paid fishing spots, fishing boats, and fishing supply store service providers, and classifies it into a database by paid fishing spot, fishing boat, and fishing supply store, and stores the name, address, contact number, admission fee, and distance from the fishing spot. , the fishing spot location, fish species, and fishing spot type information are stored.

또한 도 5 는 숙박시설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포맷의 예시도이다. 도 5와 같이 DB 구축부(120)는 숙박시설 운영자로부터 숙박시설 정보를 획득하여 숙박시설별로 상호, 주소지, 연락처, 숙박 유형 및 등급가격, 낚시터와의 거리, 낚시터 주소, 낚시터 유형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숙박 유형별 등급 및 객실 수 정보를 더 저장한다. 여기서 등급은 객실 이용료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들어 A등급은 20만원이상, B등급은 10만원 내지 20만원, C등급은 5만원 내지 10만원, D등급은 5만원 이하일 수 있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ata storage format for s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accommodation service provider. As shown in FIG. 5,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obtains accommodation information from the accommodation operator and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company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lodging type and graded price, distance from a fishing spot, fishing spot address, and fishing spot type for each lodging facility. and further store information on the rating and number of rooms for each type of stay. Here, the rating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oom charge. For example, the A grade may be 200,000 won or more, the B grade may be 100,000 won to 200,000 won, the C grade may be 50,000 won to 100,000 won, and the D grade may be less than 50,000 won.

추가적으로 DB 구축부(120)는 낚시터별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also stores fishing points and fishing methods for each fishing site as a database.

도 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DB 구축부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낚시터별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에 대한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of a data format for fishing points for each fishing spot and methods for targeting fish species stored in a database constructed by a DB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 의 테이블 항목마다 기재된 숫자는 등록 내용물의 수이고 해당 부분을 클릭하면 등록 내용물의 정본 세부 내용의 확인 및 새로운 정보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The number written in each table item of FIG. 6 is the number of registered contents, and when the corresponding part is clicked, the details of the original contents of the registered contents can be confirmed and new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DB 구축부(120)는 지역 낚시터에 대한 지식이 많은 유료 낚시터, 낚싯배, 낚시용품점 및 숙박시설 관련자는 물론 해당 지역에서 낚시 경험이 있는 다른 낚시 소비자로부터 자신의 경험을 자유롭게 등록받을 수 있다.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can freely register their experiences from other fishing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in fishing in the area as well as people related to paid fishing spots, fishing boats, fishing supply stores, and lodging facilities who have a lot of knowledge about local fishing spots.

등록 내용으로는 낚시터 주변의 상세지형, 대상 어종의 습성, 시간대별 낚시 포인트 및 공략 수심과 공략방법, 낚시별 낚시 포인트 및 공략 수심과 공략방법, 조류, 물때별 낚시 포인트 및 공략 수심과 공략 방법, 최고 조과물 및 장비, 기타 낚시에 도움이 되는 일체의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s of registration include detailed terrain around the fishing spot, habits of target fish species, fishing points by time zone and target depth and strategy, fishing points and target depth and strategy by fishing, current, fishing point and target depth and strategy by tide, It can include the best fish and equipment, and all other things that are helpful for fishing.

구체적으로 낚시터 주변 상세 지형은 지도로 확인되지 않는 수중여, 어초, 침선등 물속 지형이나 해조류 발달지역, 내향물골, 내향바지선 및 장기 정박중인 선박위치, 가두리 양식장, 방파제 접합부위, 갯바위 홈통 등 물고기의 이동과 관련된 상세 지형 정보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detailed topography around the fishing spot is the underwater topography that is not confirmed on a map, such as underwater fish, fishing reefs, sunken ships, seaweed development areas, inward water valleys, inward barges and long-term anchored ships, cage farms, breakwater junctions, seawater gutter, etc. Movement of fish Includes detailed topographical information related to

대상 어종의 습성은 해당 지역 대상 어종의 크기, 먹이습성, 입질성향, 활동성, 힘, 주요 활동시간등을 포함한다. The habits of the target fish species include the size, feeding habit, bite tendency, activity, power, and main activity time of the target fish spec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시간대별 낚시 포인트 및 공략 수심과 공략 방법은 주간, 야간 동시간대별 이동경로, 수심, 모이는 곳, 주미끼와 밑밥, 물고기 유인방법, 입질 확인, 챔질 타이밍등 전반적인 어종 공략 방법을 포함한다. Fishing points and attacking depth and attacking methods by time zone include overall methods of targeting fish species, such as daytime and nighttime movement routes, water depths, gathering places, main bait and groundbait, fish attraction method, bite check, and fishing timing.

또한 날씨별 낚시 포인트 및 공략 수심과 공략 방법은 흐린날, 비오는날, 파도치는날, 맑은날 등 날씨별 어종 이동경로, 모이는 곳 및 전반적인 어종 공략 방법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shing point, targeting depth, and targeting method by weather include the movement route of fish species by weather such as cloudy day, rainy day, wavey day, and clear day, gathering place, and overall fish species attack method.

조류, 물때별 낚시 포인트 및 공략 수심과 공략 방법은 물때, 주요 조류 이동경로에 따른 어종 이동경로 및 전반적인 어종 공략 방법을 포함하고, 최고 조과물 및 장비는 일시, 장소, 최대 조과 크기, 조과량 및 그날 사용한 어종 공략 장비 및 방법 정보를 포함한다. Fishing points and targeting depths and targeting methods for each tide and tide include tide time, fish species movement routes according to major tidal routes, and overall fish species attack methods.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fish species attacking equipment and methods used that day.

뿐만 아니라, DB 구축부(120)는 낚시 장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stores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in a database.

도 7 및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DB 구축부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낚시터별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에 대한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이다.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mplary data formats for fishing points for each fishing location and methods for targeting fish species stored in a database constructed by a DB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B 구축부(120)는 제조사, 중고 제품 소유자등으로부터 낚시대를 비롯하여 낚시에 필요한 미끼, 바늘, 찌 등 일체의 낚시 장비와 안전 장비 및 패션 상품 등 낚시에 이용되는 모든 상품의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can register information on all products used for fishing, such as fishing rods, baits, needles, and bobbers necessary for fishing, safety equipment, and fashion products, from manufacturers and used product owners. .

또한 낚시용품점, 유료낚시터, 낚싯배 관계자등에 의해 낚시 장비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by a fishing goods store, a paid fishing spot, or a person in charge of a fishing boat.

낚시는 동일한 어종이라 하더라도 수심, 수중여등 지리적 상황 및 시간별, 낚시별, 조류별 상황에 따라 낚시 장비를 달리해야하기 때문에 개개의 낚시 장비와 별도로 특정지역 특정 상황에 특화된 낚시 장비 조합을 별개의 상품으로 인정하여 낚시용품점등 제한된 범위의 지역 낚시 관계자에게 등록을 허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Even for the same species of fish, different types of fishing equipment are required depending on ge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water depth, depth of water, time of day, fishing type, and current situation. Therefore, a combination of fishing gear specialized for a specific area and specific situation is a separate product apart from individual fishing gear. By recognizing it, it can be implemented to allow registration to local fishing officials in a limited range, such as fishing supplies stores.

이때 DB 구축부(120)는 낚시대, 릴, 낚싯줄, 찌, 미끼, 봉돌등 낚시 채비 일체와 안전장비 및 패션 상품 등 낚시에 이용되는 모든 상품을 포함하는 낚시 장비 일체와, 특정 지역 특정상황에 특화된 낚시 장비의 조합, 신상품외에 중고 상품도 별도로 표시하여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includes all fishing equipment including all fishing equipment such as fishing rods, reels, fishing lines, floats, baits, rods, safety equipment and fashion products, and all fishing equipment specialized for specific situations in a specific area. In addition to combinations of fishing equipment and new products, used products may be separately display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80 .

특정 지역 특정상황에 특화된 낚시 장비의 조합은 예를들어 통영 욕지항 방파제 볼락 찌낚시 장비 세트 1호와 같이 저장될 수 있다. DB 구축부(120)가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 등록 내용은 낚시 기법, 장비의 발전등의 사유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A combination of fishing equipment specialized for a specific area and a specific situation can be stored, for example, Tongyeong Yokji Port Breakwater Rockfish Float Fishing Equipment Set No. 1. The registration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180 by the DB builder 120 may be continuously updated due to developments in fishing techniques and equipment.

구체적으로 제조사별 일반 현황 및 연락처, 제품명, 제조년월일, 구체적 규격, 사용설명서, 사진등을 포함하는 장비의 제품 상세 내역을 포함한다. 중고제품의 경우에는 소유자 주소 및 연락처, 제조연도와 사용연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한다. Specifically, it includes the product details of the equipment including general status and contact information for each manufacturer, product name, date of manufacture, specific specifications, user manual, and photos. In the case of used products, the address and contact information of the owner, the year of manufacture and the number of years of use are further included and stored.

주 대상 어종을 전문용과 일반용으로 구분하여 전문용의 경우 주대상 어종과 1~2개의 부대상 어종을 등록받는다. 또한 낚시터 유형에 따라 장비가 주로 사용되는 낚시터를 체크하고 일반용인 경우에 해당 사항을 모두 체크하여 등록한다. The main target fish species are divided into professional and general fish, and in the case of professional fish, the main target fish species and one or two secondary fish species are register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fishing site, the fishing site where the equipment is mainly used is checked, and in the case of general use, all applicable items are checked and registered.

낚시 방법으로 찌낚시, 처넣기낚시(흘림낚시), 원투낚시, 선상외줄낚시, 루어낚시, 맥낚시등 낚시 방법에 따라 낚시 장비를 분류하고, 일반용의 경우 해당 사항을 모두 체크하여 저장한다. 또한 낚시 장비 사용에 요구되는 숙련도에 따라 상/중/하로 숙련도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Fishing equipmen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shing method such as float fishing, throw fishing (draw fishing), long cast fishing, outboard fishing, lure fishing, and line fishing. In the case of general use, check and save all relevant item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required for using fishing equipment, the proficiency level is classified into high/medium/low and stored.

도 7에서 제품 상세 설명은 제품명 클릭후 별도 양식으로 등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공용이라 함은 낚시터 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낚시 장비를 말한다.In FIG. 7 , product detailed descrip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registered in a separate form after clicking on a product name. Common refers to a general type of fishing equipment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fishing ground.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장소와 어종에 따라 낚시 장비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information on the combination of fishing equipment according to location and fish species is further stored.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DB 구축부(120)는 지역 낚시터에 대한 최신 정보를 지역 숙박시설, 유료 낚시터, 낚싯배, 낚시용품점 관련자등으로 하여금 수시로 추가등록 및 수정 가능하도록하여 지역 낚시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180)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날씨 또는 계절 시기별로 주종이 될 수 있는 어종에 맞는 낚시 장비 조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at is, in one embodiment,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enables the person related to local accommodations, paid fishing spots, fishing boats, fishing supply stores, etc. to add and modify the latest information on local fishing spots at any time, thereby creating a database for local fishing spots ( 180) can be effectively built. A combination of fishing equipment suitable for a fish species that can be a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weather or season can be stored in a database.

조건 정보 입력부(130)는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필요한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대상 어종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다.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30 receives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fish specie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 possessed by the fishing consumer to search for necessary fishing related inform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테이블 포맷의 예시도이다. 9 is an exemplary view of a table format in which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o search for fishing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건 정보 입력부(130)는 낚시 소비자들이 원하는 어종, 지역, 낚시터 유형, 숙박시설 등의 정보를 조건 정보로 입력받는다.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30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a fish species desired by fishing consumers, a region, a fishing spot type,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as condition information.

조건 정보 입력부(130)로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으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이에 부합하는 정보와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등의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30, the fish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customized information such as fishing points and methods for targeting fish speci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건 정보 입력부(1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대상 어종, 희망 낚시터 위치,범위, 희망 낚시터 유형, 원하는 안전성과 붐빔 정도, 숙박시설의 사용여부, 희망 숙박업소의 유형 및 등급 정보, 선상낚시 유무 정보, 맞춤형 낚시장비 정보 등을 입력받는다.In one embodiment,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3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 such as target fish species, desired fishing spot location, range, desired fishing spot type, desired safety and crowding level, use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ype of desired accommodation and Rating information, on-board fishing information,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etc. are input.

이때 조건 정보 입력부(130)가 입력받는 조건 입력 사항이 구체적일수록 최적의 맞춤형 낚시터를 추천해줄 수 있음은 자명하다. 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30 can recommend an optimal customized fishing spot as the condition input items are more specific.

정보 추출부(140)는 DB 구축부(120)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80)에 기반하여 조건 정보 입력부(130)로 입력된 조건 정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0 extracts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30 based on the database 180 built by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낚시터 및 숙박시설 추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recommending fishing spots and lodging facilities of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보 추출부(140)는 도 10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80)로부터 사용자 단말(20)로 입력된 소비자 요구사항 즉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내용을 추출하여 낚시터 및 숙박시설을 추천해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0 extracts content that meets consumer requirements, that is, cond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terminal 20 from the database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recommends fishing spots and lodging facilities. there is.

이때 추천 우선 순위는 최신 등록 시점, 거리, 공헌도, 소비자 평가를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ommendation priority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atest registration time, distance, contribution, and consumer evaluation.

그리고 정보 제공부(150)는 정보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해준다.Als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provides the fishing 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40 to the user terminal 2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부(150)는 조건 정보 입력부(130)로 입력된 낚시 소비자들이 원하는 어종, 지역, 낚시터 유형, 숙박시설 등의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이에 부합하는 정보와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 등의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is based on condition information such as fish species, regions, fishing ground types, accommodations, etc. desired by fishing consumers input through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30, matching information and fishing points and We can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such as fish species strategy.

도 10에서 각 항목의 데이터를 클릭하면, 해당 추천 낚시터나 숙박 시설의 사진등 상세 내용이 더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숙박시설 예약 클릭시에 예약 및 결제 처리 시스템으로 이동한다. If data of each item is clicked in FIG. 10 ,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a picture of a corresponding recommended fishing spot or accommodation facility may be further presented. And when you click on the accommodation reservation, it moves to the reservation and payment processing system.

포인트, 어종 공략법 항목의 숫자는 등재된 등록물 건수로 클릭시에 상세 내용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150)는 각 낚시터별로 배정된 아이템을 별도로 공지할 수 있다. The number of points and fish strategy items is the number of registered items and is implemented so that detailed contents can be displayed when click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separately notify items assigned to each fishing spot.

직접 숙박 시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예약을 요청하고 처리하거나, 다른 숙박시설의 예약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여타의 숙박시설 예약을 위한 전용 앱을 실행시키거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숙박 시설 예약 시스템과 연동시킴으로써 숙박시설 예약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It can form a direct communication channel with lodging facilities to request and process reservations, or i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reservation system of other lodging facilities. The user terminal 20 may be implemented to make an accommodation reservation by executing a dedicated app for other accommodation reservations or accessing a web page and interlocking with an accommodation reservation system.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맞춤형 낚시 장비 추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1 to 13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recommendation function of an information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1은 낚시터가 정해진 경우에 맞춤형 낚시 장비를 추천받기 위해 사용자가 요구사항을 입력하는 포맷의 예시도이다. Specifically, FIG. 11 is an exemplary view of a format in which a user inputs a request to receive a recommendation for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when a fishing spot is determined.

도 11과 같이 낚시 소비자가 직접 원하는 낚시터 정보를 지정하여 입력하거나, 낚시터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 낚시터 항목을 공란으로 남겨두도록 구현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fishing consumer directly designates and inputs desired fishing spot information, or when the fishing spot is not determined,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fishing spot item is left blank.

정보 추출부(140)는 도 12와 같이 낚시 소비자에 의해 낚시터가 정해진 경우에는 해당 낚시터의 대상 어종에 대해 가장 적합한 낚시 장비를 추출하여 추천해줄 수 있다. When a fishing spot is determined by a fishing consumer as shown in FIG. 12 ,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0 may extract and recommend the most suitable fishing equipment for the target fish species of the fishing spot.

정보 추출부(140)는 도 12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80)로부터 사용자 단말(20)로 입력된 소비자 요구사항 즉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내용을 추출하여 낚시장비 세트를 추천해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 the information extractor 140 may recommend a set of fishing equipment by extracting content that meets consumer requirements, that is, cond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terminal 20 from the database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이때 도 12에 기재된 낚시장비세트중 일부 항목을 선택받아 구매할 수 있도록 구매 처리를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2의 추천 데이터 포맷에서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항목의 상세 설명이 출력되도록 구현된다.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add purchase processing so that some items selected from among the fishing equipment set shown in FIG. 12 can be selected and purchased. In addition, when an item is clicked in the recommended data format of FIG. 12,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 is output.

정보 추출부(140)는 낚시용품점, 유료 낚시터, 낚싯배 관계자 등 지역 낚시터 관계자들이 등록한 장비 정보들 중 낚시 소비자가 원하는 대상 어종에 부합한 낚시 장비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0 extracts and provides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arget fish species desired by fishing consumers from equipment information registered by local fishing site officials, such as fishing supply stores, paid fishing sites, and fishing boat officials.

그리고 정보 제공부(150)는 도 12와 같이 정보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추천 낚시 장비 세트를 소비자 평점등에 의해 순위를 지정하여 정보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information by ranking the recommended fishing equipment sets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40 according to consumer ratings as shown in FIG. 12 .

그리고 도 13과 같이 낚시터가 정해진 경우에는 해당 낚시터의 대상 어종에 대해 가장 적합한 추천 낚시대를 추출하여 추천해줄 수도 있다. 정보 추출부(140)는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정보들로부터 정해진 낚시터에서 낚시 소비자가 잡기 원하는 어종을 잡기 위해 최적화된 추천 낚시대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a fishing spot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13, a recommended fishing rod most suitable for the target fish species of the fishing spot may be extracted and recommended. The information extractor 140 extracts and provides a recommended fishing rod optimized for catching a species of fish that a fishing consumer wants to catch at a predetermined fishing spot from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80 .

반면, 낚시터가 정해지지않은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된 장비를 지역 낚시터 관계자들의 추천수와 소비자 평점등을 가중 평가한 우선순위등의 방법으로 추천해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shing spot is not determined, the equipment registered in the database 180 may be recommended in a priority order method in which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of local fishing site officials and consumer ratings are weight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정보 제공부(150)가 제공한 낚시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으로 낚시 성과 정보를 입력받는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receives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 as feedback on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성과 정보 입력 포맷의 예시도이다. 14 is an exemplary view of a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의 입력 포맷은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내용을 자동 생성한 것으로 구현되고,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하여 제공된 내용의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format of FIG. 14 is implemented by automatically generating content in the database of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20 possessed by the fishing consumer to receive an acknowledgment of the provided content. can be implemented in this way.

낚시 성과물의 크기는 사진촬영등을 통해 간접 측정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에 기입되고 무게는 낚시터등에서 확인절차를 거친 경우에 기입된다. The size of the fishing result is indirectly measured through photography, etc., and is entered in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weight is entered when a confirmation procedure is performed at the fishing ground.

아이템 지급부(170)는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로 입력된 낚시 성과 정보에 따라 낚시 성과물의 어종 정보 또는 크기 정보에 따라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로 아이템을 차등 지급한다.The item payment unit 170 differentially provides an item to the user terminal 20 owned by the fishing consumer according to the fish species information or size information of the fishing result according to the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

일 양상에 있어서, DB 구축부(120)는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로 입력된 낚시 성과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정보 제공부(150)는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로 입력받은 낚시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 중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와 대응되는 낚시 성과 정보를 더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DB construction unit 120 further databases the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to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provides fishing related information input to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mong the feedback is further provided.

즉 낚시 소비자가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숙박시설, 낚시터등을 이용하였거나 낚시 장비를 구매한 경우 그 낚시 성과물에 대해 입력하면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는 낚시 성과 정보를 입력받는다. That is, when a fishing consumer uses an accommodation facility, fishing ground, etc. or purchases fishing equipment through a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and inputs the fishing result,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receives the fishing result information.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가 낚시 성과물에 대한 검증 과정을 거쳐서 등록하면 아이템 지급부(170)는 사용자 단말(20)로 아이템을 지급할 수 있다. Whe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goes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fishing result and registers it, the item payment unit 170 may provide the item to the user terminal 20 .

이때 검증 과정은 낚시 소비자들에 의한 자율 검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낚시 소비자가 직접 낚시 성과물을 촬영하여 획득한 아이템과 함께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공개함으로써 다른 낚시 소비자들로부터 아이템 획득의 정당성을 검증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다른 낚시소비자로부터 이의 제기가 수신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의 운영자가 사후 시정등의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때 아이템 수를 제한하여 다른 낚시 소비자들에 의한 자율 검증을 활성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erification process may proceed with autonomous verification by fishing consumers.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fishing consumers can verify the legitimacy of acquiring items from other fishing consumers by disclosing them through a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together with items acquired by directly photographing fishing results. At this time, when an objection is received from another fishing consumer, the operator of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mplemented to take measures such as post-correction. At this time, autonomous verification by other fishing consumers can be activated by limiting the number of items.

낚시 소비자가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자신이 잡은 어종을 입력하면 다른 낚시 소비자들이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된 사진을 통해 확인한다. 이때 일정거리범위 내에서 촬영된 사진을 업로드하도록 구현된다. 예를들어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에 일정 거리에서 사진이 촬영되도록 초점거리가 고정된 카메라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일정 거리 범위내의 촬영 사진이 업로드될 수 있다. When a fishing consumer inputs the type of fish he or she caught through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other fishing consumers check the photos uploaded to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At this time, it is implemented to upload photos taken within a certain distance range. For example, a photograph taken within a range of a certain distance may be uploaded by applying camera software having a fixed focal length to a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so that a photograph is taken at a certain distance.

또한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는 인증과정에서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이 낚시 성과물인 어종의 피사체 윤곽을 인식하여 다른 낚시 소비자들로부터 업로드된 낚시 성과물 이미지에 포함된 낚시 성과물의 처음과 끝선이 정확히 지정되었는지 등을 확인받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recognizes the outline of the subject of the fish species, which is a fishing result, dur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and accurately designates the beginning and end lines of the fishing result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fishing result uploaded from other fishing consumers. It may further perform a function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it has been performed.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는 AI를 통해 어종과 크기를 플랫폼 내에서 검증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I 기술 등을 활용하여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로 입력받은 낚시 성과물 정보에 따라 어종을 분석하고 어종 사이즈를 분별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may perform a function of verifying the fish species and size within the platform through AI.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fish species and classify the fish species size according to the fishing resul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by using AI technology or the like.

피드백 정보 입력부(160)는 숙박시설, 유료 낚시터, 낚시용품점, 낚싯배등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에 가맹된 시설등을 이용하여 실시한 낚시 성과물에 대한 정보를 더 입력받는다.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과 연관이 없으면 날짜나 장소등의 확인이 어려워 검증, 등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60 further receives information on fishing results performed by using facilities affiliated with the fish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such as accommodation facilities, paid fishing spots, fishing supply stores, and fishing boats. This is because verification and registration are impossi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date or place if it is not related to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아이템 지급부(170)는 낚시 성과물의 어종에 따라 희귀성, 크기등을 고려하여 아이템을 차등지급한다.The item payment unit 170 differentially provides items in consideration of rarity, size, etc. according to the type of fish of the fishing result.

아이템 지급부(170)에서 지급된 아이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에 가입한 낚시 소비자의 레벨 관리나 낚시대회등 소정의 참가 자격을 판단하는 데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챌린지 또는 낚시 배틀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활용 가능하다. The item paid by the item payment unit 170 may be used in various ways to determine the level management of fishing consumers who have subscribed to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r to determine predetermined participation qualifications such as fishing competitions. It can also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challenges or fishing battl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1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riving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낚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부터 낚시터 정보, 낚시장비 정보,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 정보, 숙박시설 정보, 낚시용품점 정보, 낚싯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DB를 구축한다(S300).First, a driving method of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fishing spot information,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fishing point and fish strategy information, accommodation facility information, fishing supply store information, and fishing boat information from a fishing-related service provider terminal. A database is constructed by collecting one piece of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S300).

그리고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필요한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대상 어종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다(S310). Further, in order to retrieve necessary fishing-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ishing consumer,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fish species information is received (S31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낚시 조건 정보 입력 단계는 대상 어종의 주종과 부종, 낚시터 위치범위, 낚시터 유형, 낚시터의 붐빔정도 및 희망 숙박업소의 유형 및 등급 정보, 선상낚시 유무 정보, 맞춤형 낚시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putting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s the main species and subspecies of the target fish species, the location range of the fishing spot, the type of fishing spot, the degree of crowding of the fishing spot and the type and grade information of the desired accommodati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re is fishing on board, and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Receive input of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그리고 DB 구축 단계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조건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조건 정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S320). Then, based on the database built in the DB construction step, fishing-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extracted (S320).

이때 정보 추출 단계는, 조건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조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항목별로 적어도 하나이상 추출하고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들에 추천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제공한다. At this time, in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at least one piece of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 input in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step is extracted for each item, and recommendation priority is given to the extract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nd provided.

이후에 정보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준다(S330). Afterwards,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33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낚시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으로 낚시 성과 정보를 입력받는다(S340).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s received as feedback on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from the user terminal (S340).

그리고 피드백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낚시 성과 정보에 따라 낚시 성과물의 어종 정보 또는 크기 정보에 따라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 아이템을 차등 지급한다(S35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i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step, the item is differentially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wned by the fishing consumer according to the fish species information or size information of the fishing achievement (S350).

즉, DB 구축 단계는 피드백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낚시 성과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정보 제공 단계는, 피드백 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낚시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 중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와 대응되는 낚시 성과 정보를 더 제공한다.That is, in the DB construction step, the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i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step is further databased, an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the fishing corresponding to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feedback on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input i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step. Provide more performance information.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be able to.

10 :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20 : 사용자 단말
30 : 서비스 제공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DB 구축부 130 : 조건 정보 입력부
140 : 정보 추출부 150 : 정보 제공부
160 : 피드백 정보 입력부 170 : 아이템 지급부
180 : 데이터베이스
10: Fishing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 User terminal
30: service provider terminal 110: communication unit
120: DB construction unit 130: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140: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50: information provision unit
160: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170: item payment unit
180: database

Claims (10)

낚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부터 낚시터 정보, 낚시장비 정보,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 정보, 숙박시설 정보, 낚시용품점 정보, 낚싯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 구축부;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필요한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대상 어종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조건 정보 입력부;
상기 DB 구축부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조건 정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A DB construction unit that collects at least one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of fishing site information,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fishing point and fish strategy information, accommodation facility information, fishing supply store information, and fishing boat information from a fishing-related service provider terminal and converts them into a database;
a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that receives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fish species information in order to retrieve necessary fishing-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ishing consumer;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based on the database built by the DB construction unit; and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to a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부가 제공한 낚시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으로 낚시 성과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 정보 입력부; 및
상기 피드백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낚시 성과 정보에 따라 낚시 성과물의 어종 정보 또는 크기 정보에 따라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 아이템을 차등 지급하는 아이템 지급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that receives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as feedback on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rom a user terminal; and
An item payment unit that differentially provides items to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ishing consumer according to fish species information or size information of a fishing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to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related informat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B 구축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낚시 성과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낚시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 중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와 대응되는 낚시 성과 정보를 더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DB building unit,
Further database the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to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The information provider,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further providing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mong the feedback on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 입력부는,
대상 어종의 주종과 부종, 낚시터 위치범위, 낚시터 유형, 낚시터의 붐빔정도 및 희망 숙박업소의 유형 및 등급 정보, 선상낚시 유무 정보, 맞춤형 낚시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Personalized fishing that receives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main species and subspecies of target fish species, location range of fishing grounds, type of fishing grounds, degree of crowding of fishing grounds, type and grade of desired accommodati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re is fishing on board, and information on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A system for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조건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조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항목별로 적어도 하나이상 추출하고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들에 추천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which extracts at least one piece of fish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item that meets the conditions input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unit, gives recommendation priority to the extract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nd provides them.
낚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부터 낚시터 정보, 낚시장비 정보, 낚시 포인트 및 어종 공략법 정보, 숙박시설 정보, 낚시용품점 정보, 낚싯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낚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 구축 단계;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필요한 낚시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해, 대상 어종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조건 정보 입력 단계;
상기 DB 구축 단계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 정보 입력 단계로 입력된 조건 정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정보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A database construction step of collecting at least one fishing-related information data of fishing site information, fishing equipment information, fishing point and fish strategy information, accommodation facility information, fishing supply store information, and fishing boat information from a fishing-related service provider terminal and forming a database;
A condition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fish species information in order to retrieve necessary fishing 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ishing consumer;
a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in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step based on the database built in the DB construction step;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fishing 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to a user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낚시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으로 낚시 성과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 정보 입력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낚시 성과 정보에 따라 낚시 성과물의 어종 정보 또는 크기 정보에 따라 낚시 소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로 아이템을 차등 지급하는 아이템 지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im 6,
a feedback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as feedback on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from a user terminal; and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n item payment step of differentially providing items to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ishing consumer according to fish species information or size information of a fishing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i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step; How to operate the provision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B 구축 단계는,
상기 피드백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낚시 성과 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피드백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낚시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 중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와 대응되는 낚시 성과 정보를 더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DB construction step,
Further database the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i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step,
In the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A method of driving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urther providing fishing perform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among the feedback on the fishing-related information input in the feedback information input ste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 입력 단계는,
대상 어종의 주종과 부종, 낚시터 위치범위, 낚시터 유형, 낚시터의 붐빔정도 및 희망 숙박업소의 유형 및 등급 정보, 선상낚시 유무 정보, 맞춤형 낚시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im 7,
In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step,
Personalized fishing that receives fishing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main species and subspecies of target fish species, location range of fishing grounds, type of fishing grounds, degree of crowding of fishing grounds, type and grade of desired accommodati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re is fishing on board, and information on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How to operat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조건에 부합한 낚시 관련 정보를 항목별로 적어도 하나이상 추출하고 추출된 낚시 관련 정보들에 추천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낚시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A method of driving a personaliz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wherein at least one piece of fishing-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 input in th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step is extracted for each item, and the extracted fishing-related information is given a recommendation priority and provided.
KR1020220026268A 2022-01-07 2022-02-28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3010707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732 2022-01-07
KR20220002732 2022-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077A true KR20230107077A (en) 2023-07-14

Family

ID=8715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68A KR20230107077A (en) 2022-01-07 2022-02-28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07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051A (en) 2000-05-04 2000-08-05 정진숙 Direct Delivery System for information of fishing
KR20200136665A (en)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싸파에프앤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051A (en) 2000-05-04 2000-08-05 정진숙 Direct Delivery System for information of fishing
KR20200136665A (en)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싸파에프앤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fish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5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and processing data relating to an activity
Goodwin Tourism,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ase studies from Asia and Africa
Schernewski et al. Retrospective assessment of a managed coastal realignment and lagoon restoration measure: the Geltinger Birk, Germany
Britz The history of South African inland fisheries policy with governance recommendations for the democratic era
Fernández et al. New marine commons along the Chilean coast–the management areas (MAs) of Peñuelas and Chigualoco
Baldwin A PARTICIPATORY MARINE RESOURCE AND SPACE-USE INFORMATION SYSTEM FOR THE GRENADINE ISLANDS
KR20230107077A (en)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fishing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Moore et al. Developing robust and cost-effective methods for estimating the national recreational catch of Southern Bluefin Tuna in Australia
Crowley et al. Drought and outdoor recreation: impacts, adaptation strategies, and information gaps in the intermountain West
Najamuddin et al. Performance of fishing gear on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in south Sulawesi, Indonesia.
Sukmayeti A Social Mapping of Fishermen Resource and Accessibility for Coastal Tourism Development Policy
Driml Protection for profit
KR20200061558A (e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edictive forecasting model for capturing aquatic organisms using drones and devices mounted on the drones.
KR102637036B1 (en) Server, method and user device for authorizing fishing activity
Murray A socio-ecological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nge in the Kannaland Municipality of the Klein Karoo, South Africa, over the last 100 years
Castaño et al. Understanding the dilemmas of multifunctional regional planning.
McConney Grenada case study: the lobster fishery at Sauteurs
Iwane Substance and Depth in Fisheries Management: Engaging Hawaiʻi Small Boat Fishers to Mitigate Pelagic Shark Mortality
Granderson et al. Report on the assessment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n the Anguilla and Montserrat fisheries sectors
McIntosh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Planning in Hovsgol Aimag’s National Parks, Mongolia
Turkowski et al. Inland fisheries management in Poland-current state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KR20220062180A (en) AI and Big Data-based Fishing Competition Management Systems with the Internet of Things Fishing Information Collection
Somers et al. GITA-UCC-SFMP-HM-FC Collaborative Research for Improved Cuttlefish Management Progress Report
Kelly Considering the lives of humans (Homo sapiens), jaguars (Panthera onca), and pumas (Puma concolor) in the nation of nature: Measuring the capacity for coexistence with large predators in the mesoamerican biological corridor
Authority Direct value of the recreational SBT fishery in Port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