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601A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601A
KR20230105601A KR1020220001212A KR20220001212A KR20230105601A KR 20230105601 A KR20230105601 A KR 20230105601A KR 1020220001212 A KR1020220001212 A KR 1020220001212A KR 20220001212 A KR20220001212 A KR 20220001212A KR 20230105601 A KR20230105601 A KR 20230105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ar
rolling
coefficient
gesture
rolling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투안 안 응우옌
반 투안 두옹
꾸옥 틴 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601A/en
Publication of KR2023010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6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센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센서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센서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자 펜의 위치가 식별되면,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slide bar)를 식별하고, 전자 펜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제스처(rolling gestur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variation coefficient) 및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enforcement coefficient)를 식별하고,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 및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를 제어할 수 있다. An electronic device is disclosed.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display, a sensor provided in the display,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command,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display, the sensor, and the memory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or executes at least one command,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is identified on the display by the sensor, a slide bar displayed on the display is identified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and information about a rolling gesture bas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is obtained. Obtain, identify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d the enforcement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control the slide ba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the rolling gesture. can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lectronic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펜 입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n electronic pen inpu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기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supplied.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smart phones or tablet PCs that can be carried by users is actively progressing. A smart phone or tablet PC mainly has a touch screen, and a user can control fun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등) 뿐만 아니라 펜 형상의 입력 장치를 이용해서도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신체나 입력 장치 등이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지점의 터치 좌표와 그 터치 좌표 상에 표시된 메뉴(또는 아이콘)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자 펜의 터치 기능 만이 활용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not only with his or her body (eg, a finger) but also with a pen-shaped input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 operations according to touch coordinates of a point where the body or an input device touches the touch screen and a menu (or icon) displayed on the touch coordinates.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only the touch function of the electronic pen was utilized.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전자 펜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a slide bar displayed on a screen through a rolling gesture of an electronic pe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센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자 펜의 위치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slide bar)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펜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제스처(rolling gestur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variation coefficient) 및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enforcement coefficient)를 식별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 및 상기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할 수 있다.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isplay, a sensor provided in the display,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command, and a display, the sensor, and the memor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evice,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is identified on the display by the sensor, the slide bar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A slide bar is identified, information on a rolling gesture based on a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is obtained, and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d an enforcement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re obtained. ) is identified, and the slide bar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information on the rolling gesture.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자 펜의 위치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slide bar)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자 펜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제스처(rolling gestur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variation coefficient) 및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enforcement coefficient)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 및 상기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identifying a slide bar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is identified on the display;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rolling gesture based on a vertical axis, identifying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d an enforcement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and controlling the slide bar based on a variation coefficient, an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information on the rolling gesture.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화면을 터치하지 않고 제어 메뉴에 대한 사용자 UX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뉴를 검색하고 조정해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펜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슬라이드 바를 쉽고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UX of the control menu can be improved without touching the screen by controlling the screen through the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r interaction time required to search and adjust the menu. In addition, the slide bar can be easily and flexibly adjusted through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펜의 개략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에 따른 슬라이드 바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에 따른 슬라이드 바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별 슬라이드 바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스타일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를 이용한 이미지 확대 및 축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를 이용한 오브젝트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펜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A and 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chematic opera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slide bar according to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slide bar according to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slide bar for each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djusting a pen sty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variation coefficient of a slide b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larging and reducing an image using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A and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n object using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ure. Therefor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has,” “can have,” “includes,” or “can include”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and/or B should be understood to denote either "A" or "B" or "A and B".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as used herein,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refer to one component It is used only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eg, a third element).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or configured to)” as used in this disclosure mea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hardwar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not shown),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It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펜의 개략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A and 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chematic opera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펜(2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가 쥐기 편하도록 얇고 긴 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펜(200)는 펜 형 입력 장치, 스타일러스 펜, S-펜 등과 같이 다양한 용어로 지칭할 수 있지만, 반드시 펜 형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뭉툭하거나, 평평한 형상의 바디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A , the electronic p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tant length and may be implemented in a thin and long pen shape for a user to hold comfortably. Accordingly, the electronic pen 200 may be referred to by various terms such as a pen type input device, a stylus pen, an S-pen, etc., bu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mplemented in a pen shape.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blunt or flat body.

전자 펜(200)는 액티브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액티브 방식은 전자 펜(200)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고유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자 장치(100)에 전자 펜(200) 감지를 위한 센서가 추가되어, 전자 장치(100)의 운영 체제 단에서 전자 펜(200)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전자 펜(200)와 손가락 터치를 구분하거나, 각 입력 장치를 구분해 인식함으로써 손가락과 펜을 오가며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진다.The electronic pen 200 may be implemented in an active manner. In the active method, a battery is built into the electronic pen 200 to generate a unique signal, a sensor for detecting the electronic pen 200 is ad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operates the electronic device 100. This is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pen 200 . In this case,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electronic pen 200 and a finger touch or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each input device,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finger and the pen.

전자 장치(100)는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패널로 구현되거나,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노트북, 랩탑, 휴대폰, 스마트폰, 전자 칠판, 전자 액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키오스크(kiosk), PMP(Portable Media Mlayer), MP3 player, 게임기, LFD(Large Format Display), 노트북(notebook), 랩탑(laptop)), TV, 모니터(monitor), 프로젝터 시스템 등과 같은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의 가전 기기, 의료 기기, 웨어러블 기기 등도 전자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n input panel such as a touch panel or a touch screen, or includes a touch panel or a touch screen, a lap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 electronic blackboard, an electronic photo frame,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or a kiosk. (kiosk), PMP (Portable Media Player), MP3 player, game console, LFD (Large Format Display), laptop (notebook), laptop (laptop), TV, monitor (monitor), projector system, etc. ca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home appliances, medical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 패널은 도 1b에서와 같은 전극 패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격자 무늬의 전극 패턴은 세로 방향 라인(211) 및 가로 방향 라인(212-1, 212-2, 212-3)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은 전기적 필드(electric field)를 송신하는 송신부, 전기적 필드의 변화를 감지하는 수신부로 구분되어 도체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필드의 변화를 감지하여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펜(200) 자체에서 전기적 필드를 출력하면, 전극 패턴에서 전기적 필드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만약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자 한다면, 교차하는 두 방향의 전극 중, 제1 방향의 전극을 송신부, 제2 방향의 전극을 수신부로 나누어 기능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A capacitive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n electrode pattern structure as shown in FIG. 1B. The grid-like electrode pattern shown in FIG. 1B includes vertical lines 211 and horizontal lines 212-1, 212-2, and 212-3. This method is divided into a transmitter that transmits an electric field and a receiver that detects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and can detect a coordinate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caused by contact with a conductor. Specifically, when an electric field is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200 itself,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is sensed in the electrode pattern. If a finger touch is to be sensed, among electrodes in two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a method in which an electrode in a first direction is a transmitting unit and an electrode in a second direction is a receiving unit may be used.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펜(200)를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시키고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라면, 전자 장치(100)는 그 이동 궤적에 따라 라인 즉, 필기 궤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필기 궤적의 두께, 명도, 크기, 색상, 채도, 폰트, 형태 등을 조정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 operations according to signals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2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electronic pen 200 to the touch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moves the touch point,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a line, that is, a writing trajectory according to the moving trajectory. do.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hickness, brightness, size, color, saturation, font, shape, etc. of the writing trajectory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ognize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and perform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ognizes the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센서(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110 , a sensor 120 , a memory 130 and a processor 140 .

디스플레이(110)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11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including a self-light emitting element or a display including a non-light emitting element and a backlight. For example, 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LED (Light Emitting Diodes), micro LED (micro LED), Mini LED, PDP (Plasma Display Panel), QD (Quantum dot) display , QLED (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etc.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displays. The display 110 may also include a driving circuit, a backlight unit, and the like tha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si TFT, a 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TFT, or an organic TFT (OTFT). Meanwhile, the display 110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a rollable display, a 3D display, a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e physically connected, and the like.

센서(120)는 디스플레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센서(120)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센서(120)는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오브젝트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The sensor 120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110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nsor 12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ive type or a resistive type. A capacitive touch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calculates touch coordinates by detecting microelectricity excited by a user's body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touches the display surface using a dielectric coated on the display surface. The resistive touch sensor refers to a type of touch sensor that includes two built-in electrode plates and calculates touch coordinates by detecting current flowing as the top and bottom plat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touched point. In addition, an infrared sensing method, a surface ultrasonic conduction method, an integral tension measurement method, a piezo effect method, and the like may be used to detect a touch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sensor 12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a touch object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pen has come into contact with or approached by using a magnetic and magnetic field sensor, an optical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다른 예에 따라 센서(120)는 레이저 등과 같은 광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0)는 광 센서, 레이저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sensor 120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an optical input such as a laser. For example, the sensor 12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n optical sensor, a laser detection sensor, and the like.

메모리(130)는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로봇(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로봇(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13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various embodiments. The memory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emory embed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in the form of a removable memory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 data storage purpose. For example, data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stored in a memory embed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data for an extended function of the robot 100 is detachable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stored in memo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emory embed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volatile memory (eg, DRAM (dynamic RAM), SRAM (static RAM), SDRAM (synchronous dynamic RAM), etc.), non-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 Examples: OTPROM (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flash memory (such as NAND flash or NOR flash, etc.) ), a hard drive, or a solid state drive (SS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emor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robot 100, a memory card (eg, compact flash (CF)) , SD (secure digital), Micro-SD (micro secure digital), Mini-SD (mini secure digital), xD (extreme digital), MMC (multi-media card), etc.), external memory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SB port (eg For example, a USB memor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 및 메모리(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l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processo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140 may be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110 and the memory 130 to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100. Processor 140 may be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by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130 .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NPU (Neural Processing Unit),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microprocessor,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processor, and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signals. Processing Unit), time controller (TCON), but is not limited to,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 controller unit (MCU), micro processing unit (MPU), controller (controlle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or one or more of an ARM processor, or may be defined by the term. 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with a built-in processing algorithm, large scale integration (LSI),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롤링 제스처는 임계 각도 이상 롤링이 이루어지는 제스처일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각도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전자 펜(200)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각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의 특성, 롤링 이력 등에 기초하여 변경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rocessor 140 may recognize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 Here, the rolling gesture may be a gesture in which rolling is performed at a threshold angle or more. In this case, the critical angle may be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lectronic pen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be chang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slide bar, rolling history, or the like, or may be set by the user.

한편, 롤링 제스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뿐 아니라, 근접 입력, 레이저 포인터 입력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olling gesture may be receiv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roximity input, a laser pointer input, and the like, as well as a touch input as described above.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센서(120)에 의해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전자 펜(200)의 위치가 식별되면,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slide bar)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펜(200)의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내의 슬라이드 바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가 한 개인 경우 임계 거리와 상관 없이 해당 슬라이드 바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가 복수 개인 경우 가장 가까운 거리의 슬라이드 바를 식별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is identified on the display 110 by the sensor 120, the processor 140 displays a slide bar on the display 110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can identify. According to an example, a slide bar within a critical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may be identified.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when there is only one slide bar displayed on the display 100, the corresponding slide bar may be identified regardless of a threshold distan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lide bars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a slide bar with the closest distance may be identified.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가 인식되면, 전자 펜(200)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제스처(rolling gestur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로세서(140)는 센서(120)에 의해 인식된 터치 좌표(또는 호버링 좌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Next, when the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is recognized,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bas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200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 .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based on a change in touch coordinates (or hovering coordinates) recognized by the sensor 120 .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built into the display 110.

여기서,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는, 전자 펜(200)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각도, 롤링 방향 및 롤링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펜(200)의 기울기 등과 같은 다른 정보도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on the rolling ges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olling angle, a rolling direction, and a rolling speed bas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20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information such as the inclin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may also be included in the rolling gesture information.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variation coefficient) 및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enforcement coefficient)를 식별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d an enforcement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여기서,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는 슬라이드 바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기본 이동 단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는 슬라이드 바의 기본 이동 단위에 대응되는 롤링 제스처의 기본 롤링 각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Her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may be information about a basic movement unit for adjus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Also,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may be information about a basic rolling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basic movement unit of the slide bar.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c)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는 슬라이드 바의 특성(예를 들어, 웹페이지 조정을 위한 슬라이드 바, 동영상 재생 시점 조정을 위한 슬라이드 바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e variation coefficient c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Here,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lide ba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ide bar (eg, a slide bar for adjusting a web page, a slide bar for adjusting a playback time of a video, etc.).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를 동등한 값으로 나누어 나눈 몫에 해당하는 값을 변동 계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가 0 ~ 10 사이인 경우 변동 계수를 1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가 동영상 처리 바인 경우 동영상 길이에 따른 변동 계수는 10분 동영상에 대해 10초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a value corresponding to a quotient obtained by divid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by equal values as a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is between 0 and 10,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may be determined in units of 1. For example, when the slide bar is a video processing ba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video may be 10 seconds for a 10-minute video,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공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정지 이미지 재생 어플리케이션, 소셜 어플리케이션 등) 또는 실행 화면에 제공되는 슬라이드 바의 타입(동영상, 정지 이미지, 대화창, 쇼핑창, 워드 파일, PDF 파일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를 식별하고,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식별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slide bar is provid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the type of application (eg,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a still image playback application, a social application, etc.) or a slide bar provided on the execution screen.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is identifi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ypes (video, still image, chat window, shopping window, word file, PDF file, etc.), and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is identified based on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can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가 달성될 때마다 슬라이드 바가 변동 계수 만큼(예를 들어 1 단위)로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4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slide bar by a variation coefficient (eg, 1 unit) whenever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is achieved.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각도에 기초하여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롤링 각도를 기준으로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는 각도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는 1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n application coefficient θ of the rolling gesture based on an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Here,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based on the rolling angle may be an angular unit. For example,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may be 1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각도가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 적용 계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초 동안 롤링 각도가 10도 이상인 경우 적용 계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매 기간 마다 롤링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 적용 계수를 1 값으로 획득하고, 롤링 각도가 일정 각도 미만이면 적용 계수를 0 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obtain an application coefficient when the rolling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n application coefficient may be obtained when the rolling angle is 10 degrees or more for 1 second. For example, the application coefficient may be obtained as a value of 1 when the rolling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for each period, and the application coefficient may be obtained as a value of 0 when the rolling angl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이 후,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 및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를 제어할 수 있다. Then,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slide bar based on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기본 롤링 각도의 롤링 제스처가 식별된 횟수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에 대응되는 기본 이동 단위 만큼 슬라이드 바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by the basic movement unit corresponding to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rolling gesture of the basic rolling angle is identified.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이동 값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 내의 속도이면, 슬라이드 바의 기본 변동 계수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드 바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differently control the movement value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For example, if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is within a threshold range,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slide bar to correspond to the basic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또한,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보다 큰 값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기본 변동 계수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Also, when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exceeds a threshold range,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slide bar based on a value greater tha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That is, the processor 140 may increas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from the basic coefficient of variation.

또한,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 미만이면,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보다 작은 값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기본 변동 계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Also, if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is less than the critical range,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slide bar based on a value smaller than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That is, the processor 140 may reduc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from the basic coefficient of vari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이미지를 확대시키고,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면 이미지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의 제어와 동일한 원리로 롤링 각도 및 롤링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확대량/축소량, 확대 속도/축소 속도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rolling gesture for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is input, the processor 140 may enlarge or reduce the image based on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input rolling gesture and display the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enlarge the image when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rolling gesture is clockwise and reduce the image when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rolling gesture is counterclockwise. In this case, the processor 140 can, of course, adjust the amount of enlargement/reduction and the amount of enlargement/redu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olling angle and the rolling speed in the same principle as the control of the slide bar.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에 기초하여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브젝트는 설정 값, 폰트 크기 등과 같이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조정이 가능한 속성을 가지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오브젝트의 속성을 오름차순 방향으로 조정하고,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면 오브젝트의 속성을 내림차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rolling gesture for a specific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is input, the processor 140 may adjust attributes of the specific object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input rolling gesture, where , a specific object may be an object having properties that can be adjusted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such as setting values and font sizes. For example, if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rolling gesture is clockwise, the processor 140 may adjust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in an ascending direction, and if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rolling gesture i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may be adjusted in a descending direc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드로잉 화면에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롤링 제스처에 기초하여 전자 펜(200)의 펜 스타일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롤링 방향에 따라 펜 굵기, 펜 타입, 펜 색상 등과 같이 펜 스타일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rolling gesture is input on the drawing screen, the processor 140 may adjust pen styl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based on the rolling gesture.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change various properties related to the pen style, such as pen thickness, pen type, and pen color, according to the rolling direc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가 수행되는 동안 전자 펜(200)의 기울기 정보 또는 기울기 방향 등에 기초하여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different functions based on tilt information or a tilt direc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while performing a rolling gesture.

상술한 실시 예 외에 롤링 제스처에 따라 다양한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에 대한 롤링 제스처 입력시 라인 타입(실선, 점선 등), 라인 굵기 등을 조정하거나, 키보드 자판의 언어 변경, 기호 타입 변경 등도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various adjustments may be possible according to the rolling gesture. For example, upon inputting a rolling gesture for a line, it may be possible to adjust a line type (solid line, dotted line, etc.), line thickness, or the like, or to change a keyboard language or symbol type.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3A to 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디스플레이(110) 상에 3 개의 슬라이드 바(310, 320, 330)이 표시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In FIGS. 3A to 3C , it is assumed that three slide bars 310 , 320 , and 33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

프로세서(14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표시된 개의 슬라이드 바(310, 320, 330) 중 특정 슬라이드 바(320) 상에 전자 펜(200)의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320)를 조정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200)과 화면 상의 거리(d1)가 일정 거리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320)를 조정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4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200)과 화면 상의 거리(d2)가 일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는 슬라이드 바(320)의 조정과 관계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the processor 140 detects a touch of the electronic pen 200 on a specific slide bar 320 among the number of slide bars 310, 320, and 330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user selects the slide bar ( 320) can be judged to be preparing to adjust.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B ,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preparing to adjust the slide bar 320 whe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electronic pen 200 and the scree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However, as shown in FIG. 3C ,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at the adjustment of the slide bar 320 is irrelevant whe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electronic pen 200 and the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distance.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200)의 위치 및 화면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320)를 조정할 준비를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200)과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통신 모듈이 비 활성화된 경우)시키거나,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촬영할 카메라를 턴 온 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preparing to adjust the slide bar 32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and the distance from the screen, and may perform a necessary oper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activate a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electronic pen 200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active) or turn on a camera to capture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자 펜(200)이 롤링되면, 전자 펜(200) 내부의 센서는 전자 펜(200)의 3축(x축, y축, z축)에 대응되는 각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z축에 대응되는 각도의 변화가 슬라이드 바의 제어에 적용되는 롤링 제스처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when the electronic pen 200 is rolled by the user, the sensor inside the electronic pen 200 measures the angle corresponding to the three axes (x-axis, y-axis, z-axis) of the electronic pen 200. changes can be detected. Here, a change in angle corresponding to the z-axis may be a rolling gesture applied to control the slide bar.

일 예에 따라 전자 펜(200)에 대한 사용자의 임의의 액션과 구분하기 위해 전자 펜(200)의 3축(x축, y축, z축)에 대응되는 각도의 변화를 모두 고려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all changes in angles corresponding to three axes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electronic pen 200 may be considered in order to be distinguished from a user's arbitrary a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pen 200 .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200)의 x축 및 y축에 대응되는 각도가 임계 값 미만으로 감지, 즉 x축 및 y축에 대응되는 각도가 크게 변경되지 않음과 동시에 z축에 큰 변화를 주는 액션을 롤링 제스처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및 y축에 대응되는 각도가 임계 값 이상으로 크게 변경되는 액션은 롤링 제스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B , angles corresponding to the x-axis and y-axis of the electronic pen 200 are detected a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that is, angles corresponding to the x-axis and y-axis a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nd at the same time An action that causes a large change in the z-axis may be determined as a rolling gesture. That is, as shown in FIG. 4C , an action in which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x-axis and the y-axis is significantly changed beyond a threshold value may be determined as not being a rolling gesture.

다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도 롤링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이 되어야 롤링 제스처로 판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even in the case shown in FIG. 4B , the rolling gesture may be determined as a rolling gesture only when the rolling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ang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에 따른 슬라이드 바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slide bar according to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 펜(200)의 롤링 각도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510)가 조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slide bar 510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rolling angle of the electronic pen 200 .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200)의 z축을 기준으로 임계 각도(α) 이상 롤링되면, 롤링 각도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510)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각도(α) 이상 롤링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임계 각도(α) 보다 초과된 각도(α')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드 바(510)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α')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바(510)의 이동 값(d)를 식별하고 식별된 이동 값(d)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α')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바(510)의 이동 값(d)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롤링 제스처의 동작 계수,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롤링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adjust the slide bar 510 based on the rolling angle when the electronic pen 200 rolls at a critical angle α or more with respect to the z-axis. For example, if the roll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angle α,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slide bar 510 may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angle α′ exceeding the threshold angle α. there is. For example, a movement value d of the slide bar 510 corresponding to the angle α′ may be identified, and the slide bar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identified movement value d. Here, the movement value d of the slide bar 510 corresponding to the angle α' i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as described above, the mo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for example, rolling speed). can be determined based on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에 따른 슬라이드 바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slide bar according to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특정 시점 t1에서 전자 펜(200)이 임계 각도(α) 만큼 롤링되면 전자 펜(200)이 롤링 제스처의 동작 계수 α1에 대응되도록 추가 롤링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자 펜(200)이 롤링 제스처의 동작 계수 α1 만큼 추가 롤링되고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 내의 속도인 v1인 경우, 면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d1 만큼 슬라이드 바(510)를 조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A,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pen 200 is additionally rolled to correspond to the motion coefficient α1 of the rolling gesture when the electronic pen 200 is rolled by the threshold angle α at a specific time point t1. can identify. When the electronic pen 200 is additionally rolled by the motion coefficient α1 of the rolling gesture and the rolling speed is v1, which is within a threshold range, the processor 140 may adjust the slide bar 510 by the variation coefficient d1 of the surface slide bar. .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각도가 동일하더라도 롤링 속도가 상이한 경우 슬라이드 바(510)의 변동 계수를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롤링 속도가 임계 속도보다 큰 경우 기본 변동 계수보다 큰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슬라이드 바(5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롤링 속도가 임계 속도보다 작은 경우 기본 변동 계수보다 작은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슬라이드 바(510)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differently adjus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510 when the rolling speed is different even though the rolling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is the sam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slide bar 510 to increase or decrease a value larger than the basic variation coefficient when the rolling speed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speed. Also, when the rolling speed is smaller than the critical speed, the slide bar 510 may be controlled to increase or decrease a value smaller than the basic coefficient of variation.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510)가 변동 계수 d1 만큼 조정된 t2 시점에서 전자 펜(200)이 임계 각도(α) 만큼 롤링되고 롤링 제스처의 동작 계수 α1 와 동일한 α2 만큼 추가 롤링되면 롤링 속도에 기초하여 변동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 속도가 v1이 속하는 임계 범위보다 큰 v2인 경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d1에서 d2로 증가시켜 슬라이드 바(510)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d2는 롤링 속도 v1에 대한 v2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는 d1에 롤링 속도 v1에 대한 v2 비율과 동일한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 at time t2 when the slide bar 510 is adjusted by the variation coefficient d1, the electronic pen 200 is rolled by the critical angle α, and α2 equal to the motion coefficient α1 of the rolling gesture. When additionally rolled as much as possibl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rolling speed. That is, as shown, when the rolling speed is v2 greater than the critical range to which v1 belongs, the slide bar 510 may be adjusted by increa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from d1 to d2. Here, d2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atio of v2 to the rolling speed v1. For example, d2 may be determined by multiplying d1 by a ratio equal to the ratio of v2 to the rolling speed v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하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이동 값 D가 조정될 수 있으나, 수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adjust the movement value D of the slide bar based on Equation 1 below, but the equ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C는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α는 임계 롤링 각도 이상으로 롤링되는 롤링 각도, θ는 롤링 제스처의 동작 계수, vpre는 기설정된 속도 및 vaverage는 평균 롤링 속도를 의미한다. Here, C is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α is a rolling angl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ritical rolling angle, θ is a motion coefficient of a rolling gesture, v pre is a preset speed, and v average is an average rolling speed.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별 슬라이드 바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slide bar for each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의 위치에 정확히 전자 펜(200)을 위치시키지 않고 대응되는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전자 펜(2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롤링 동작을 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바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user performs a rolling operation while placing the electronic pen 200 at an arbitrary position in a corresponding area without accurately positioning the electronic pen 200 at the position of the slide bar. Even in this case, the slide ba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에서, 복수의 웹 뷰 영역(710, 720, 730)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가 인식되면 대응되는 웹 뷰 영역(710, 720, 730)을 위 또는 아래로 스크롤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슬라이드 바에 대응되는 영역은 해당 슬라이드 바가 조정되었을 때 영향을 받는 영역으로 다른 슬라이드 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when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is recognized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a plurality of web view areas 710, 720, and 730 in a web browser, the corresponding web view area 710 , 720, 730) can be scrolled up or down. In this case, an are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lide bar is an area affected when the corresponding slide bar is adjusted, and may be implemented so as not to be influenced by other slide bars.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스타일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djusting a pen sty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a는 관련 기술에 따라 드로잉 화면(또는 드로잉 뷰 화면)에서 펜 스타일 조정을 위해 설정 버튼(810)을 선택하여 해당 UI(820)를 오픈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하지만,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드로잉 화면에서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전자 펜(200)의 펜 스타일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830)를 표시하고, 슬라이드 바의 조정에 따른 펜 스타일 정보를 함깨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롤링 방향에 따라 펜 굵기, 펜 타입, 펜 색상 등과 같이 펜 스타일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8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corresponding UI 820 is opened by selecting a setting button 810 to adjust a pen style on a drawing screen (or drawing view screen) according to a related art.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en style of the electronic pen 200 may be adjusted through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on the drawing scree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B ,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the slide bar 830 and display pen sty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slide bar together. Meanwhile, the processor 140 may change various properties related to the pen style, such as pen thickness, pen type, and pen color, according to the rolling direction.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variation coefficient of a slide b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슬라이드 바의 범위를 기 정의된 정보에 의해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슬라이드 바의 시작점, 종료점, 포인터의 위치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range of the slide bar cannot be determined based on predefined information,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starting point, the ending point, and the location of the pointer.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910)의 시작점의 좌표(x1, y), 종료점의 좌표(x2, y), 포인터의 좌표(xn, y)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910)의 변동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910)의 변동 계수(c)= (x2-x1)/a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a" 값은 어플리케이션의 타입, 화면에 제공된 조정 대상의 타입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은 설정 어플리케이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a" 값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the processor 140 displays the coordinates of the starting point (x1, y), the coordinates of the ending point (x2, y), and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xn) of the slide bar 910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 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910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variation coefficient (c) of the slide bar 910 may be determined as (x2-x1)/a. Here, the value “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application, the type of adjustment target provided on the screen, and the like. For example, a video application may have a relatively smaller value of “a” than a setting application.

한편, 프로세서(140)는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가 달성되면, 마지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의 현재 위치(xp, y)에서 포인터의 다음 위치(sp+(x2-x1)/a, y)로의 스와이프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슬라이드 바를 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lication count of the rolling gesture is achieved, the processor 140 moves from the current position (xp, y) of the pointer to the next position (sp+(x2-x1)/a, y) of the pointer as shown in the last figure. You can adjust the slide bar by sending swipe events to your application.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를 이용한 이미지 확대 및 축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larging and reducing an image using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이미지/비디오, 라이브 뷰 영상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mage/video, a live view image, or the like may be enlarged or reduced through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 펜(200)의 로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 롤링 속도, 롤링 각도 등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때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하지 않고도 펜을 굴려 라이브 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when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is input at an arbitrary position on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image is enlarged or scaled based on the rolling direction, rolling speed, rolling angle, etc. of the rolling gesture. can be scaled dow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aking a picture or a video using a camera, the user can enlarge or reduce the live view by rolling the pen without touching the screen.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제스처를 이용한 오브젝트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1A and 1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n object using a rolling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다양한 오브젝트의 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전자 펜(200)의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해당 오브젝트이 속성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perties of various objects may be adjusted through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 For example, when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for a specific object is input, the processor 130 may adjust properties of the object in a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일 예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를 선택된 후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롤링 제스처에 기초하여 선택된 텍스트의 글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 if a rolling gesture is input after text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font size of the selected text based on the rolling gesture.

다른 예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내에 포함된 타이머 또는 날짜와 같은 오브젝트가 선택된 후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롤링 제스처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의 숫자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1B , if a rolling gesture is input after an object such as a timer or a date included in a box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the selected object based on the rolling gesture. there is.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센서(120), 메모리(130), 프로세서(140), 통신 인터페이스(150), 사용자 인터페이스(160) 및 스피커(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12, an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110, a sensor 120, a memory 130, a processor 140, a communication interface 150, a user interface 160, and a speaker 170. can do. Amo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2 ,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shown in FIG. 2 will be omitted.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부 서버(예를 들어 웹 하드)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자 펜(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Of cours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5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interface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50 includes Bluetooth, AP-based Wi-Fi (Wi-Fi, Wireless LAN network), Zigbee, wired/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Ethernet, IEEE 1394,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Universal Serial Bus),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 (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Optica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with an external device, an external storage medium (eg, a USB memory), an external server (eg, a web hard drive), etc.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 coaxial, or the lik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50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 리모콘 송수신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모콘 송수신부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리모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6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such as a button, a touch pad, a mouse, and a keyboard, or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display function and manipulation input function together, or a remote control transceiver. The remote control transmitting/receiving unit may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 device or transmit a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and Wi-Fi communication.

스피커(170)는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에 대응되는 정보 또는 각종 알림을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도록 스피커(17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peaker 17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not only various kinds of audio data, but also various notification sounds or voice messages. 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the speaker 170 to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I screen or various notifications in the form of audio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마이크(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A microphone (not shown)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r other sounds and converting them into audio data.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50.

카메라(미도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턴 온 되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미도시)는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는 반도체 광학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를 통해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영상 신호는 증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처리될 수 있다. A camera (not shown)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ent to perform photographing. A camera (not shown) may convert a captured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generate image data based on the converted signal. For example, an object may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through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nd the image signal thus converted may be amplified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n signal processed.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100)와 서버(미도시)를 통해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 전자 장치(100)와 직접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의 일종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100')에 기설치되어 있거나,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UI(이하 App UI), 예를 들어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pecific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a server (not shown) or an application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application may be a type of software directly used by the user on the OS. The application may be pre-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may be downloaded from a server (not shown), and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UI (hereinafter App UI), for example, an icon interface.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펜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3에 따르면, 전자 펜(200)는 펜 팁(210), 통신 인터페이스(220), 전극부(230), 센서(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FIG. 13 , the electronic pen 200 includes a pen tip 210, a communication interface 220, an electrode unit 230, a sensor 240, and a processor 25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200)는 사용자가 쥐기에 적합한 일자형의 바디부 및 그의 일단에 결합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 단에는 펜 팁(210)이 노출될 수 있다. 다만, 바디부 및 입력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것이며, 입력부가 바디부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입력부 및 바디부는 구분 없이 하나의 본체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pen 200 may include a straight body suitable for a user to hold and an input unit coupled to one end thereof. For example, the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conical shape as shown, and the pen tip 210 may be exposed at one end. However, the body part and the input part are sepa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put part can be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body part. That is, the input unit and the body unit may be implemented as one main body without distinction.

펜 팁(210)은 전자 펜(20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펜 팁(210)은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펜 팁(210)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펜 팁(2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시에 필기 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펜 팁(210)이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과 직접적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물질로는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유리 등이 될 수 있다.The pen tip 21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electronic pen 200 . The pen tip 2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conductive metal tip. The pen tip 210 may exist inside a non-conductive material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pen tip 21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an insulating material that prevents the pen tip 210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touch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further included to soften the writing feeling during use.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for example, rubber, plastic, or glass.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전자 펜(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유선 이더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모듈은 펜 팁(2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d Ethernet modul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nd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 .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pen tip 210.

일 실시 예에 따라,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220)가 구비되지 않고 펜 팁(210)이 해당 기능을 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펜 팁(210)은 송신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펜 팁(210)은 전자 장치(100)의 터치 패널 상에 접촉(Contact) 또는 근접(Hovering)될 때, 그 접촉(또는 근접) 지점에서 전도성 펜 팁(210)은 터치 패널과 커플링되어 터치 패널의 접촉(또는 근접) 지점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eparat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may not be provided and the pen tip 210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the pen tip 210 may serve as a transmitting electrode. When the pen tip 210 is in contact with or hovering on the touch panel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nductive pen tip 210 is coupled to the touch panel at the point of contact (or proximity) and touches 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point of contact (or proximity) of the panel.

전극부(230)는 펜 팁(2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입력부에 형성된다. 전극부(230)는 전자 장치(100)와 커패시터로 동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극부(230)는 전극 링 또는 전극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부(230)로서 다양한 전극 재료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ITO(Indium Tin Oxide)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전극부(230)에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고 전극부(230)와 전자 장치(100) 간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electrode unit 230 is formed in an input unit separated from the pen tip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electrode unit 2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within a range in which it can operate as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de unit 2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lectrode ring or an electrode plate. In addition, various electrode materials may be used as the electrode unit 230, and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indium tin oxide (ITO).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240 may apply a preset frequency signal to the electrode unit 230 and output a signal whose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a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unit 23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센서(240)는 전자 펜(200)의 롤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센서(240)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과 같이 전자 펜(200)의 롤링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센서로 구현 가능하다. The sensor 240 may obtain roll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nsor 24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e rolling of the electronic pen 200,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프로세서(250)는 펜 팁(210), 통신 인터페이스(220), 전극부(230) 및 센서(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펜(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25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전자 펜(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DSP뿐 아니라,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The processor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en tip 21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the electrode unit 230, and the sensor 2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electronic pen 200,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s well as a DSP.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4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controlle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It may include, or be defined in terms of, one or more of the ARM processors.

프로세서(250)는 센서(240)를 통해 획득된 롤링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to transmit the roll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24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250)는 센서(240)를 통해 획득된 센싱 값(예를 들어 가속도 값)을 그대로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센싱 값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예를 들어, 롤링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cessor 250 transmits the sensing value (eg, acceleration value) acquired through the sensor 24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it is, or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ing value (eg, rolling information). )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또한, 프로세서(250)는 전극부(230)를 통해 센싱된 센싱 값(예를 들어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센싱 값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예를 들어 기울기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50 transmits the sensed value (eg, capacitance variation) sens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23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ransmits information (eg, slop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ed valu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100.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4에 도시된 전자 장치(110, 100')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자 펜(200)의 위치가 식별되면,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slide bar)를 식별한다(S1410).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s 110 and 100' shown in FIG. 14,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is identified on the display, a slide bar displayed on the display is identified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Do (S1410).

이어서, 전자 펜(200)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제스처(rolling gestur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1420). 여기서,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는, 전자 펜(200)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각도, 롤링 방향 및 롤링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는 전자 펜(200)으로 부터 수신될 수 있다. Next, information on a rolling gesture bas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200 is acquired (S1420). Here, the information on the rolling ges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olling angle, a rolling direction, and a rolling speed bas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200 .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may be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 .

이어서,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variation coefficient) 및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enforcement coefficient)를 식별한다(S1430). 다만, S1420 및 S1430 단계가 반드시 해당 순서일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S1430 단계에서 획득되는 적어도 일부 정보(예를 들어, 변동 계수)는 S1420 단계에서 획득되는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보다 먼저 획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ubsequently,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d an enforcement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re identified (S1430). However, steps S1420 and S143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 the corresponding order, and in some cases, at least some information (eg, coefficient of variation) obtained in step S1430 may be obtained before information on the rolling gesture obtained in step S1420. Of course there is.

이 후,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 및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를 제어한다(S1440).Thereafter, the slide bar is controlled based 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S1440).

S1430 단계에서는,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는, 슬라이드 바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기본 이동 단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In step S1430,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may be identified based on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Her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may be information on a basic movement unit for adjus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또한, S1430 단계에서는, 롤링 제스처의 각도에 기초하여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는, 슬라이드 바의 기본 이동 단위에 대응되는 롤링 제스처의 기본 롤링 각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Also, in step S1430, an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may be identified based on the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Here,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basic rolling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basic movement unit of the slide bar.

또한, S1430 단계에서는, 슬라이드 바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공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를 식별하고,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식별할 수 있다. Also, in step S1430, when the slide bar is provid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a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may be identified based on the type of application, and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may be identified based on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

또한, S1440 단계에서는, 기본 롤링 각도의 롤링 제스처가 식별된 횟수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에 대응되는 기본 이동 단위 만큼 슬라이드 바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Also, in step S1440,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may be controlled by the basic movement unit corresponding to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rolling gesture of the basic rolling angle is identified.

또한, S1440 단계에서는,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 내의 속도이면,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고,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보다 큰 값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고,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 미만이면,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보다 작은 값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바를 제어할 수 있다. In step S1440, if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is within the threshold range, the slide bar is controlled to correspond to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and if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exceeds the threshold rang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is greater tha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The slide bar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value, and if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is less than a threshold range, the slide bar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value smaller tha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또한,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a rolling gesture for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is input, displaying an enlarged or reduced image based on a rolling direction of the input rolling gesture.

또한,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에 기초하여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a rolling gesture for a specific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input, adjusting properties of the specific object in a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based on a rolling direction of the input rolling gesture.

또한, 제어 방법은, 드로잉 화면에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롤링 제스처에 기초하여 전자 펜(200)의 펜 스타일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pen styl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 based on the rolling gesture when the rolling gesture is input on the drawing screen.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펜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화면을 터치하지 않고 제어 메뉴에 대한 사용자 UX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뉴를 검색하고 조정해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펜의 롤링 제스처를 통해 슬라이드 바를 쉽고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UX of the control menu can be improved without touching the screen by controlling the screen through the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r interaction time required to search and adjust the menu. In addition, the slide bar can be easily and flexibly adjusted through a rolling gesture of the electronic pen.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펜(200)가 액티브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패시브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 예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전자 펜(200)이 롤링 정보를 전송하는 실시 예에 있어서, 액티브 방식의 전자 펜(200)이 유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case in which the electronic pen 200 is implemented in an active manner has been described,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applied even in a case in which the electronic pen 200 is implemented in a passive manner. However,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onic pen 200 transmits rolling inform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ctive electronic pen 200 may be advantageous.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산출은 딥 러닝 기반의 인공 신경망(또는 심층 인공 신경망) 즉,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stalled in an existing electronic device. 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calculat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may be performed using a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or deep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is, a learning network model.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only by upgrading software or hardware of an existing electronic device.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through an embedded serv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of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including instructions stor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a (eg, a computer). can A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calling a stored command from a storage medium and operating according to the called command, and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A)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When a command is executed by a processor, the processor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directly or by using other compon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An instruction may include code generated or executed by a compiler or interpreter. 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empora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does not contain a signal and is tangible, but does not distinguish whether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or temporarily in the storage medium.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provided.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online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 server, or a relay server's memory.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composed of a single object or a plurality of entities, and some sub-components among the aforementioned sub-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ther sub-components may be used.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various embodiments.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som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may be integrated into one entity and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performed by each corresponding component prior to integ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modules, programs, or other components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titively, or heuristically, or at least som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may be omitted, or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can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전자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센서 130: 메모리 140: 프로세서 200: 전자 펜
100: electronic device 110: display
DESCRIPTION OF SYMBOLS 120: sensor 130: memory 140: processor 200: electronic pen

Claims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센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자 펜의 위치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slide bar)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펜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제스처(rolling gestur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variation coefficient) 및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enforcement coefficient)를 식별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 및 상기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In electronic devices,
display;
a sensor provided in the display;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display, the sensor, and the memory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command,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on the display is identified by the sensor, a slide bar displayed on the display is identified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rolling gesture based on a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identify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d an enforcement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Controlling the slide bar based o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펜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각도, 롤링 방향 및 롤링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olling angle, a rolling direction, and a rolling speed based on a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식별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기본 이동 단위에 대한 정보인,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dentifying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lide ba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is,
Information about a basic movement unit for adjus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the electronic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롤링 제스처의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를 식별하며,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기본 이동 단위에 대응되는 상기 롤링 제스처의 기본 롤링 각도에 대한 정보인,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rocessor,
Identifying an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based on an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is,
Information about a basic rolling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corresponding to a basic movement unit of the slide bar, the electronic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롤링 각도의 롤링 제스처가 식별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에 대응되는 기본 이동 단위 만큼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by a basic movement unit corresponding to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rolling gesture of the basic rolling angle is identi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슬라이드 바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를 식별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When the slide bar is provid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dentifying a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type of the application;
An electronic device that identifies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 내의 속도이면,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고,
상기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보다 큰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고,
상기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상기 임계 범위 미만이면,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보다 작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When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is within a threshold range, controlling the slide bar to correspond to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When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exceeds the threshold range, controlling the slide bar based on a value greater tha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Controlling the slide bar based on a value smaller tha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when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is less than the threshold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When a rolling gesture for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input, the electronic device enlarges or reduces the image based on a rolling direction of the input rolling gesture and displays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When a rolling gesture for a specific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input, properties of the specific object are adjusted in a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based on a rolling direction of the inputted rolling ges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드로잉 화면에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롤링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펜의 펜 스타일 정보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f a rolling gesture is input on the drawing screen, the electronic device adjusts pen styl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based on the rolling gesture.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상기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the processor,
An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rolling gesture from the electronic pen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자 펜의 위치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slide bar)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자 펜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제스처(rolling gestur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variation coefficient) 및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enforcement coefficient)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 및 상기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a slide bar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is identified on the display;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rolling gesture based on a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identifying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d an enforcement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and controlling the slide bar based o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an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and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제스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 펜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하는 롤링 각도, 롤링 방향 및 롤링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Information about the rolling gesture,
A control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olling angle, a rolling direction, and a rolling speed based on a vertical axis of the electronic pe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계수 및 상기 적용 계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식별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기본 이동 단위에 대한 정보인,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Identify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the applied coefficient comprises:
Identifying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lide ba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is,
Information on a basic movement unit for adjus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the control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계수 및 상기 적용 계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롤링 제스처의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를 식별하며,
상기 롤링 제스처의 적용 계수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기본 이동 단위에 대응되는 상기 롤링 제스처의 기본 롤링 각도에 대한 정보인,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Identify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the applied coefficient comprises:
Identifying an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based on an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The application coefficient of the rolling gesture is,
Information on a basic rolling angle of the rolling gesture corresponding to a basic movement unit of the slide bar, the control metho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롤링 각도의 롤링 제스처가 식별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에 대응되는 기본 이동 단위 만큼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lide ba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by a basic movement unit corresponding to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rolling gesture of the basic rolling angle is identifi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계수 및 상기 적용 계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드 바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를 식별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를 식별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Identify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the applied coefficient comprises:
When the slide bar is provid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dentifying a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type of the application;
The control method of identifying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slide bar based on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a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임계 범위 내의 속도이면,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고,
상기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보다 큰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고,
상기 롤링 제스처의 롤링 속도가 상기 임계 범위 미만이면, 상기 슬라이드 바의 변동 계수 보다 작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lide bar,
When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is within a threshold range, controlling the slide bar to correspond to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When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exceeds the threshold range, controlling the slide bar based on a value greater tha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Controlling the slide bar based on a value smaller than a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slide bar when the rolling speed of the rolling gesture is less than the threshold ran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When a rolling gesture for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input, enlarging or reducing the image based on a rolling direction of the inputted rolling gesture and displaying the imag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롤링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롤링 제스처의 롤링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When a rolling gesture for a specific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input, adjusting properties of the specific object in a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based on a rolling direction of the inputted rolling gestur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ethod.
KR1020220001212A 2022-01-04 2022-01-0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056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12A KR20230105601A (en) 2022-01-04 2022-01-0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12A KR20230105601A (en) 2022-01-04 2022-01-0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601A true KR20230105601A (en) 2023-07-11

Family

ID=8715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12A KR20230105601A (en) 2022-01-04 2022-01-0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6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US98237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touch input
US2022021730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10387014B2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icons displayed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US1047435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over multiple regions of a touch-sensitive surface
US9317713B2 (en) Obstructing user content based on location
KR102215080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US10360871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with external display devic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3647922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US10928948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8717B1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8338A (en) Potable terminal device comprisings bend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7589864B (en) Multi-touch display panel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200097164A1 (en) Linking Multiple Window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US10365748B2 (en) Smart touch location predictor based on direction vector
KR101559091B1 (en) Potable terminal device comprisings bend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9425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battery notification
KR1022161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US201502688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160078160A (en) Method for receving a user input by detecting a movement of a user and apparatus thereof
KR20150052481A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EP3204843B1 (en) Multiple stage user interface
KR10217657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inputs
KR20160064928A (en) Handwriting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35338B1 (en) Pan and zoom gesture detection in a multiple touch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