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095A - 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095A
KR20230101095A KR1020210190896A KR20210190896A KR20230101095A KR 20230101095 A KR20230101095 A KR 20230101095A KR 1020210190896 A KR1020210190896 A KR 1020210190896A KR 20210190896 A KR20210190896 A KR 20210190896A KR 20230101095 A KR20230101095 A KR 20230101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lectrical signal
time
screen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송남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21019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095A/en
Publication of KR2023010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0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7Manual driven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6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voi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1Emergency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응급 처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기 신호를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각각을 획득한 복수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응급 처치 시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 상기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함 -를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device outputting a screen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and a band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of the user, wherein the display device obtains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first aid treatments from the user an input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obta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 plurality of input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aid times are provided to the user, and first aid recor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electric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a - to the user through a screen; and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first aid recor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an external device.

Description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Wear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ording first aid time {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급 대원이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allows paramedics to record first aid treatment time.

구급 대원은 구조 상황에서 다양한 응급 처치를 수행한다. 구급 대원은 구조 활동 일지를 작성할 때나, 병원 의료진에게 환자를 인계할 때에 각 응급 처치를 수행한 시간을 기록하고 전달해야할 필요가 있다.Paramedics perform a variety of first aid in rescue situations. Paramedics need to record and deliver the time for performing each first aid when filling out a rescue activity log or handing over a patient to a hospital medical staff.

그러나, 구조 상황에서 구급 대원의 손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각 응급 처치를 수행한 시간을 기록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펜이나 스마트폰으로 시간을 통해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하는 것이 아닌, 구급 대원의 손목에 착용되어 안전하고 편하게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필요하다.However, since the paramedic's hands are not free in a rescue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record the time taken to perform each first ai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safely and conveniently record first aid time by being worn on the wrist of a paramedic, rather than recording first aid time through time with a pen or smart phon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응급 처치 마다 수행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ording execution time for each emergency treat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가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응급 처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기 신호를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각각을 획득한 복수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응급 처치 시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 상기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함 -를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ording first aid treatment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ording first aid treatment time by being worn on a user's wrist, including displaying a screen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nd a band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of the user, wherein the display device obtains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first aid treatments from the user an input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obta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 plurality of input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aid times are provided to the user, and first aid recor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electric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a - to the user through a screen; and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first aid recor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an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버튼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utton and a touch screen.

여기서, 상기 출력부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화면은 가슴압박품질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1 입력 화면, 정맥로 확보에 대응되는 제2 입력 화면, 전문 기도 유지술에 대응되는 제3 입력 화면, 에피네프린 투여에 대응되는 제4 입력 화면,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5 입력 화면 및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6 입력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는 상기 제1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2 전기 신호, 상기 제3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3 전기 신호, 상기 제4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4 전기 신호, 상기 제5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5 전기 신호 및 상기 제6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6 전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input screens provided by the output unit include a first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a second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intravenous line securing, a third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and epinephrine. A four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administration, a fif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use of an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and a six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use of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obtained by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Is a first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input screen, a secon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econd input screen, a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third input screen, and a four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ourth input screen. An electrical signal, a fif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to the fifth input screen, and a six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to the sixth input screen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가슴압박품질장치 사용 시작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리듬을 따라 가슴압박품질장치를 사용하도록 주기적으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Here, it further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providing audibl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obtains the first electrical signal. is stored as the start time of using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and the voice output unit may periodically output voice so that the user uses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according to the rhythm.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제4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fourth input screen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제5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fifth input screen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third electrical signal.

여기서, 상기 출력부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정맥로 확보 및 전문 기도 유지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선택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input screens provided by the output unit include a first selection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one of intravenous line securing and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and wherein the input unit is a response to the first input screen. When obtain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first selection screen.

여기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는 상기 제1 선택 화면의 응답인 제1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 및 상기 제1 선택 화면의 응답인 제1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by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include a first vein securing selection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selection screen and a first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selection screen. and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first intravenous line securing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econd input screen, and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first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The third input screen may be output.

여기서, 상기 출력부가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한 경우,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4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when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econd input screen and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econd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ecures the time at which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vein. Save as the successful time, and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fourth input screen.

여기서, 상기 출력부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전문 기도 유지술 및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선택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4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에피네프린 투여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input screens provided by the output unit include a second selection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one of expert airway maintenance and use of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and the input unit is a response of the fourth input screen. Whe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obtained,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an epinephrine administration time, and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second selection screen.

여기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는 상기 제2 선택 화면의 응답인 제2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 및 제1 기계식 압박 선택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기계식 압박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electric signals acquired by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include a second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and a first mechanical compression selection signal, which are responses of the second selection screen, and the input unit includes the second professional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When an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is obtained,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third input screen, and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first mechanical compression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sixth input screen. .

여기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한 경우,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3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5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when the output unit outputs the third input screen and the input unit obtains the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third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third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It is stored as the successful maintenance time, and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fifth input screen.

여기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5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fifth electrical signal, which is a response of the fif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fifth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usage time, and the output unit stores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s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use time. 6 Input screen can be output.

여기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6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hich is a response of the six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may store the time at which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the use tim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여기서, 상기 출력부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정맥로 확보 및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3 선택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가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한 경우,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3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3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when the plurality of input screens provided by the output unit include a third selection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one of intravenous line securing and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use, and the output unit outputs the third input screen,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third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third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the successful time of the maintenance of the airway, and the output unit performs the third selection. screen can be output.

여기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는 상기 제3 선택 화면의 응답인 제2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 및 제2 기계식 압박 선택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기계식 압박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by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include a second vein securing selection signal and a second mechanical compression selection signal, which are responses of the third selection screen, and the input unit includes the second intravenous route selection signal. When the securing selection signal is obtained,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second input screen, and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second mechanical compression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sixth input screen.

여기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which is a response of the second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a successful time for securing a vein, and the output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acquired, and the output unit stores the sixth electrical signal. Input screen can be output.

여기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6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hich is a response of the six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may store the time at which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the use tim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여기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6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hich is a response of the six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may store the time at which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the use tim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처치 마다 수행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ording execution time for each emergency treat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처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응급 처치 기록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응급 처치 선택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화면에 출력된 응급 처치 기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treatment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aid record scree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aid selection scree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first aid record results output on a scree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he scope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precedents,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However, in the case where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 arbitrar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not the simpl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s necessar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necessary.

구급 대원의 구급 활동에 대한 시계열적 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이 구급 활동 일지 상에 응급 처치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급 대원이 심폐정지환자를 응급처치할 경우, 세부상황표 상에 응급 처치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별 구급대원이 전문처치기록지 상에 전문 응급 처치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급 대원이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할 경우, 병원 의료진에 환자 인계시 처치 내용과 그에 대한 시간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There may be cases in which time-sequential information on rescue activities by paramedics is required. For example, paramedics need to record time for first aid in a first aid activity log. In addition, when paramedics provide first aid to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arrest,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time for first aid on the detailed situation tab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special paramedics to record the time for professional first aid on the professional first aid record sheet. In addition, when the paramedics transfer the patient to the hospital, it is necessary to deliver the treatment contents and the corresponding time when the patient is handed over to the hospital medical staff.

구체적인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은 구급활동일지 상에 현장 도착 시간, 환자 접촉 시간, 현장 출발 시간 및 병원 도착 시간을 기재할 필요가 있다.As a specific example, paramedics need to record arrival time at the scene, patient contact time, departure time at the scene, and arrival time at the hospital in the first aid activity log.

또한, 구급 대원이 심폐정지환자를 응급처치할 경우, 심폐정지환자 응급처치 세부상황표에 심폐소생술 시작시간, 기계식압박장치 사용 시작시간, 가슴압박품질측정기 사용 시작시간, 전문기도유지술 성공시간, 정맥로확보 시간 및 약물 투여 시간을 기재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when paramedics provide first aid to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arrest, the first aid treatment details for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arrest include the start time of CPR, the start time of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s, the start time of chest compression quality monitors, the successful time of advanced airway maintenance, and the intravenous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time of securing the lobe and the time of drug administration.

또한, 특별 구급 대원이 특별구급대 전문처치 기록지 상에 호기말이산화탄소장치 사용 시간, 기계식압박장치 사용시간, 가슴압박품질 측정장치 사용 시간, 전문기도유지술 성공시간, 정맥로확보 성공시간 및 에피네프린 투여시간을 기재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special paramedics recorded the use time of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the time of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use, the time of using chest compression quality measuring device, the time of successful airway maintenance, the successful time of securing intravenous line, and the time of epinephrine administration on the special emergency department professional treatment record sheet. need to be listed.

이처럼, 구급 대원이 기록하는 환자에 대해 응급 처치 시간은 일지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일 뿐만 아니라 의료진이 환자를 치료할 때에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구급 대원이 응급 처치에 대한 시간을 즉각적으로 기록하기에는 쉽지 않다.As such, the first aid treatment time for the patient recorded by the paramedics may be not only information to be recorded in a log, but also essential information required when the medical staff treats the patient. However, it is not easy for paramedics to immediately record the time for first aid in the field.

구급 대원이 응급 처치를 하는 동안, 손이 자유롭지 않으므로 펜과 수첩을 통해 기록하는 것이 어렵고, 단말기를 계속 손에 쥘 수 없으므로 단말기를 통해 어떤 응급 처치를 어느 시각에 수행했는지를 기록하기도 힘들다.While the paramedics are performing first aid, it is difficult to record with a pen and notebook because their hands are not free, and it is difficult to record which emergency treatment was performed and at what time through the terminal because they cannot hold the terminal continuously.

따라서, 본원 발명은 구급 대원이 응급 처치를 수행한 시간을 즉각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구급 대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제안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of a paramedic so that the paramedic can immediately record the time of performing first ai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100 and a band 20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어, 청각적인 정보 또한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visu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so that auditory information may also be output.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 및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정은 터치스크린으로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액정을 터치함으로써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liquid crystal and buttons. At this time, as a touch screen, the liquid crystal not only outputs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but also obtains an input signal by the user touching the liquid crystal.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버튼식으로 구현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 및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액정을 통해 여러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식으로 구현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액정을 터치함으로써 액정을 통해 여러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button type or a touch typ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button type,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and a plurality of buttons, and when a user presses a button, several screens are output through the liquid crystal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can provid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touch type,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by outputting several screens through the liquid crystal when the user touches the liquid crystal.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가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형, 타원형,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shown in FIG. 1 as a rectangle,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 circular, oval, or other polygonal shape.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명명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의 본체로서,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The nam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the display, so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displaying information. The display device 100 is a main bod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and may be one electronic device.

밴드(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웨어러블 기기(1000)가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밴드(200)는 고무, 플라스틱, 섬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nd 200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so that the wearable device 1000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The band 20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but may als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band 2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plastic, or fibe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도 2(a)는 버튼식 형태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버튼식 및 터치식이 혼합된 형태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2,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100 implemented in a button type form, and FIG. 2(b) shows a display device 100 implemented in a button type and touch type mixed form. ) is a drawing showing.

도 2(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101) 및 복수의 버튼(10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버튼은 복수의 응급 처치에 대응되는 버튼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of FIG. 2( a )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101 and a plurality of buttons 102 . Specifically, each button may be a butt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mergency treatments.

예를 들어, 제1 버튼은 가슴압박품질장치 사용 시작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버튼이고, 제2 버튼은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버튼이고, 제3 버튼은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버튼이고, 제3 버튼은 에피네프린 투여 시간을 기록할 수 잇는 버튼이고, 제4 버튼은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시작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버튼이고, 제5 버튼은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작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버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utton is a button capable of recording the start time of using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the second button is a button capable of recording the successful time of intravenous access, and the third button is the successful time of advanced airway maintenance. is a button that can record, the third button is a button that can record the epinephrine administration time, the fourth button is a button that can record the start time of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use, and the fifth button is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It can be a button that can record the start time.

도 2(b)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101) 및 복수의 버튼(1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정(101)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사용자가 액정(101)을 터치함으로써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버튼(10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재부팅 등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of FIG. 2( b )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101 and a plurality of buttons 102 . Specifically, the liquid crystal 101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2 (b) is a touch screen, and the first aid time can be recorded by a user touching the liquid crystal 101 . In this case, the button 102 may be a button capable of controlling hardware such as power and reboot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

또는 도 2(b)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및 버튼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구조 활동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display device 100 of FIG. 2 (b), the user can record the rescue activity time by using both the touch screen and buttons.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응급 처치에 대한 기록(가슴압박품질장치 사용, 정맥로 확보, 전문 기도 유지술, 에피네프린 투여,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등)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액정(101)을 통해 기록하고, 현장 출동 및 현장 도착 시간과 관련된 시간은 버튼(102)을 통해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액정(101) 및 버튼(102)을 혼합하여 응급 처치에 대한 기록을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records first aid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use, intravenous access, advanced airway maintenance, epinephrine administration,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us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use, etc.) 101), and the time related to the time of dispatch to the site and arrival at the site can be recorded through the button 102.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may record first aid by mixing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and the button 102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 input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nd a storage unit 150.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에 제어 명령을 보내 각 부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oversee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10 may send control commands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input unit 130, the output unit 140, and the storage unit 150 to execute operations of each department.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nnect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transmit/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exchange data with and from the user's terminal.

또한,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maintain or disconnect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s need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maintain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t all ti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통신부(12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 액정(101)을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버튼(102)을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30 may obtain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example, the input unit 130 may obtain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f the display device 100 . Also, for example, the input unit 130 may obtain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button 102 of the display device 100 .

입력부(130)가 전기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제어부(110)는 각 응급 처치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저장부(150)의 설명에서 다시 설명한다.As the input unit 130 acquires the electric signal, the controller 110 may record the time for each emergency treatment.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in the description of the storage unit 150 .

출력부(140)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 및/또는 가공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의 출력은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출력이거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of outputting information so that a user can check it.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obtain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or processed. The output of information may be a visual, auditory, and/or tactile output, or may be in various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출력부(14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또는 그 외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LCD, OLED, LED 또는 그 외의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that outputs an image,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a haptic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 and/or other various types of output means. In this case, the display may refer to an image display device in a broad sense including LCD, OLED, LED, or other various forms capable of performing an image output function.

출력부(140)는 자체적으로 외부로 정볼르 출력하는 장치 대신, 정보를 출력하는 외부의 출력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utput interface (such as a USB port) that connects an external output device that outputs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0 instead of a device that outputs information to the outside by itself.

출력부(140)는 입력부(130)와 일체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입력부(130)인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be integrated with the input unit 130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40 may be in the form of a touch display integrally configured with a touch sensor that is the input unit 130 .

출력부(140)는 복수의 입력 화면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40)는 복수의 응급 처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visually provide a plurality of input screens to the user. Specifically,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 plurality of input screen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first aid treatments.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가슴압박품질 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1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입력 화면은 사용자가 가슴압박품질 장치 사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가슴압박품질 장치 사용 시간 입력'과 같은 텍스트나 가슴압박품질 장치에 대한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부(140)로부터 제1 입력 화면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입력부(130)를 통해 제1 입력 화면에 대한 응답인 제1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 first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input screen may include text such as 'Input the use time of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or a picture of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usage time of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At this time, the user may receiv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nput screen from the output unit 140 and apply a first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to the first input screen through the input unit 130 .

즉,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를 통해 가슴압박품질 장치 사용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제1 입력 화면을 보고, 가슴압박품질 장치를 사용하기 전 또는 사용한 직후에 제1 전기 신호를 통해 가슴압박품질 장치를 사용한 시간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에 입력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sees the first input screen through which the use time of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can be recorded throug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and performs chest compression through the first electrical signal before or immediately after using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The time of using the quality device may be input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

또한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정맥로 확보에 대응되는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2 입력 화면은 사용자가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 입력'과 같은 텍스트나 정맥로 확보에 대한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부(140)로부터 제2 입력 화면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입력부(130)를 통해 제2 입력 화면에 대한 응답인 제2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 second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securing a vein route. For example, the second input screen may include text such as 'input of successful intravenous access time' or a picture of intravenous access so that the user can input a successful intravenous access time. At this time, the user may receiv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input screen from the output unit 140 and apply a secon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to the second input screen through the input unit 130 .

즉,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를 통해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제2 입력 화면을 보고, 정맥로를 확보한 직후에 제2 전기 신호를 통해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에 입력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sees the second input screen capable of recording the successful time of securing the intravenous line throug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and immediately after securing the intravenous line, the user transmits the successful time of securing the intravenous line through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t can be input to the device 1000.

또한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전문 기도 유지술에 대응되는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3 입력 화면은 사용자가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 입력'과 같은 텍스트나 전문 기도 유지술에 대한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부(140)로부터 제3 입력 화면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입력부(130)를 통해 제3 입력 화면에 대한 응답인 제3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 third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For example, the third input screen may include text such as 'enter successful airway maintenance time' or a picture of expert airway maintenance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successful time of expert airway maintenance. At this time, the user may receiv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third input screen from the output unit 140 and apply a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to the third input screen through the input unit 130 .

즉,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를 통해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제3 입력 화면을 보고, 전문 기도 유지술을 성공한 직후에 제3 전기 신호를 통해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에 입력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views a third input screen capable of recording the time of successful maintenance of the airway throug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and immediately after the successful maintenance of the airway, the user displays the successful time of the maintenance of the specialized airway through the third electrical signal. can be input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또한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에피네프린 투여에 대응되는 제4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4 입력 화면은 사용자가 에피네프린 투여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에피네프린 투여 시간 입력'과 같은 텍스트나 에피네프린 투여에 대한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부(140)로부터 제4 입력 화면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입력부(130)를 통해 제4 입력 화면에 대한 응답인 제4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 four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administration of epinephrine. For example, the fourth input screen may include text such as 'enter epinephrine administration time' or a picture of epinephrine administration so that the user can input an epinephrine administration time. At this time, the user can receiv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fourth input screen from the output unit 140 and apply a four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to the fourth input screen through the input unit 130 .

즉,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를 통해 에피네프린 투여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제4 입력 화면을 보고, 에피네프린을 투여한 직후에 제4 전기 신호를 통해 에피네프린 투여 시간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에 입력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views the fourth input screen capable of recording the epinephrine administration time throug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and immediately after administering the epinephrine, the user transmits the epinephrine administration time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through a fourth electrical signal. can be entered.

또한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5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5 입력 화면은 사용자가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시간 입력'과 같은 텍스트나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에 대한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부(140)로부터 제5 입력 화면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입력부(130)를 통해 제5 입력 화면에 대한 응답인 제5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 fif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use of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For example, the fifth input screen may include text such as 'enter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usage time' or a picture of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use time. At this time, the user may receiv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fifth input screen from the output unit 140 and apply a fif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to the fifth input screen through the input unit 130 .

즉,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를 통해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제5 입력 화면을 보고,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를 사용하기 직전 또는 사용한 직후에 제5 전기 신호를 통해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시간을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에 입력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views the fifth input screen through which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use time can be recorded throug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and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is transmitted through a fifth electrical signal immediately before or immediately after using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The use time of the carbon dioxide device may be input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

또한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6 입력 화면은 사용자가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 입력'과 같은 텍스트나 기계식 압박 장치에 대한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부(140)로부터 제6 입력 화면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입력부(130)를 통해 제6 입력 화면에 대한 응답인 제6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 six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As a specific example, the sixth input screen may include text such as 'enter the use tim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or a pictur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usage tim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At this time, the user can receiv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sixth input screen from the output unit 140 and apply a six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to the sixth input screen through the input unit 130 .

즉,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를 통해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제6 입력 화면을 보고, 기계식 압박 장치를 사용하기 직전 또는 사용한 직후에 제6 전기 신호를 통해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을 웨어러블 전지기기(1000)에 입력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views the sixth input screen throug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for recording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use time, and uses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through a sixth electrical signal immediately before or immediately after using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Time may be input to the wearable battery device 1000 .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전기 신호 내지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들을 획득한 시간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o sixth electrical signals are obtained, the control unit 110 may store the acquisition tim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in the storage unit 150 .

저장부(150)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들을 획득한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receive data about the acquisition tim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nd store it.

또한,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variou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display device 100 to operate.

저장부(150)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하드디스크(HDD), SSD, 플래쉬 메모리, 롬, 램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temporarily or semi-permanently store data.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50 may be a hard disk (HDD), SSD, flash memory, ROM, RAM, or cloud sto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ules for storing data.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되는 형태나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or in a detachable form.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들을 획득한 시간에 대한 데이터들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출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Data about acquisition tim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may be visually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140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처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treatment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응급 처치는 가슴압박품질장치를 사용하는 단계(S110), 정맥로를 확보하는 단계(S120), 전문 기도 유지술을 수행하는 단계(S130), 에피네프린을 투여하는 단계(S140),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S150) 및 기계식 압박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first aid includes using a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S110), securing an intravenous route (S120), performing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130), and administering epinephrine (S140). ), using an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S150), and using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S160).

구급 대원은 응급 처치를 수행할 때, 먼저 가슴압박품질장치를 사용(S110)할 수 있다. 가슴압박품질장치를 이용해서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first aid, paramedics may first use a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S11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이후, 구급 대원은 정맥로 확보(S120) 또는 전문 기도 유지술(S130)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선택에 따라 구급 대원의 응급 처치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Then, the paramedics can selectively perform intravenous access (S120) or expert airway maintenance (S130). Depending on the selection, the first aid order of paramedics may be determined.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이 가슴압박품질장치를 사용(S110)하고 난 후, 정맥로 확보(S120)에 대한 응급 처치를 수행하였다면, 정맥로를 확보(S120)하고난 이후, 필연적으로 환자에게 에피네프린을 투여(S140)할 수 있다. 즉, 구급 대원이 정맥로를 확보(S120)한다면, 이후 단계는 필연적으로 에피네프린을 투여(S140)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For example, if the paramedics perform first aid for intravenous access (S120) after using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S110), after securing the intravenous line (S120), epinephrine is inevitably given to the patient. Can be administered (S140). That is, if the paramedic secures an intravenous route (S120), the next step will inevitably be a step of administering epinephrine (S140).

구급 대원은 환자에게 에피네프린을 투여(S140)한 이후, 전문 기도 유지술(S130)을 수행하게 된다.After the paramedics administer epinephrine to the patient (S140), they perform an expert airway maintenance operation (S130).

구급 대원이 환자에게 에피네프린을 투여(S140)한 이후, 전문 기도 유지술(S130)을 수행항 경우, 구급 대원은 전문 기도 유지술(S130) 이후 필연적으로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를 사용(S150)할 수 있다. 즉, 구급 대원이 전문 기도 유지술(S130)을 수행한다면, 이후 단계는 필연적으로 호기말 이산화 탄소 장치를 사용(S150)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After the paramedic administers epinephrine to the patient (S140) and performs the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130), the paramedic can inevitably use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S150) after the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130). there is. That is, if the paramedic performs an expert airway maintenance (S130), the next step will inevitably be a step of using an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S150).

다른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이 가슴압박품질장치를 사용(S110)하고 난 후, 전문 기도 유지술(S130)에 대한 응급 처치를 수행하였다면, 전문 기도 유지술(S130)을 수행한 이후, 필연적으로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를 사용(S150)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if the paramedic performs first aid for expert airway maintenance (S130) after using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S110), after performing the expert airway maintenance (S130), inevitably An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may be used (S150).

구급 대원은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를 사용(S150)한 이후, 정맥로 확보(S120)에 대한 응급 처치를 수행하게 된다.After the paramedics use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S150), they perform emergency treatment for intravenous access (S120).

즉, 구급 대원은 단계 S110을 수행한 후, 선택에 따라 단계 S120 - S140 - S130 - S150 대로 응급 처치를 하거나, 단계 S130 - S150 - S120 - S140 대로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다.That is, after performing step S110, the paramedics may perform first aid according to steps S120 - S140 - S130 - S150 or perform first aid according to steps S130 - S150 - S120 - S140 according to selection.

선택에 따라 마지막 단계를 수행하고 나서, 구급 대원은 기계식 압박 장치를 사용(S160)하여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에 따라 에피네프린을 투여(S140)하고 나서 전문 기도 유지술(S130)을 수행하지 않고 기계식 압박 장치를 바로 사용(S160)하거나,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를 사용(S150)하고 나서, 정맥로를 확보(S120)하지 않고 기계식 압박 장치를 바로 사용(S160)할 수도 있다.After performing the last step according to the selection, the paramedic may perform CPR using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S160).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fter administration of epinephrine (S140) according to the choice,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is used immediately (S160) without performing an advanced airway maintenance (S130), or an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is used (S150) Then,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may be directly used (S160) without securing the intravenous route (S120).

결론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급 대원의 응급 처치는 순서를 따라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도 구급 대원의 응급 처치 순서를 따라 기록을 위한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일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한 다음, 다음 순서의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다음 순서의 응급 처치에 대응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In conclusion, as shown in FIG. 4 , first aid by paramedics can be performed in sequence. Accordingl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may also output an input screen for recording according to the first aid procedure of the paramedics. Therefore,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automatically output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ext first aid treatment so that the user can record the first first aid treatment time and then record the next first aid treatment tim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응급 처치 기록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응급 처치 선택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aid record scree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aid selection scree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a)는 가슴압박품질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1 입력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정맥로 확보에 대응되는 제2 입력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c)는 전문 기도 유지술에 대응되는 제3 입력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d)는 에피네프린 투여에 대응되는 제4 입력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e) 호기말 이산화탄소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5 입력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f)는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6 입력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5 (a) shows an example of a first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a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FIG. 5 (b) shows an example of a second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securing a vein, and FIG. 5 (c) ) shows an example of the third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FIG. 5 (d) shows an example of the four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epinephrine administration, and FIG. 5 (e) uses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5(f) shows an example of the six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도 6(a)는 도 4의 단계 S110 이후 정맥로 확보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화면 또는 전문 기도 유지술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화면을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는 제1 선택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 6(a) is output by the display device 100 to select a screen capable of recording the time for intravenous line securing or a screen capable of recording the time for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after step S110 of FIG. 4 . It shows an example of the first selection screen that can be done.

도 6(b)는 도 4의 단계 S140 이후 전문 기도 유지술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화면 또는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화면을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는 제2 선택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 6( b ) shows the display device 100 to select a screen for recording the time for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or a screen for recording the time for using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after step S140 of FIG. 4 . It shows an example of the second selection screen that can be output.

도 6(c)는 도 4의 단계 S150 이후 정맥로 확모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화면 또는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에 대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화면을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는 제3 선택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 6(c) is an output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select a screen for recording the time for intravenous expansion or a screen for recording the time for using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after step S150 of FIG. 4 . It shows an example of the third selection screen that can be done.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입력 화면을 출력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액정(101)을 터치하거나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가슴압박품질장치를 사용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the first input screen, the user may input the time of using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pressing the button 102 .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obtai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store the time at which the first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in the storage unit 150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출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규칙적인 심폐소생술을 위한 주기적인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를 통해 자동적으로 메트로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btain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from the user,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a periodic sound for regular CPR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140 .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metronium func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40 after acquir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자동적으로 도 5의 제2 입력 화면 또는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first electrical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automatically output the second input screen or the third input screen of FIG. 5 .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사용자가 응급 처치 순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 6의 제1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first electric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first selection screen of FIG. 6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first aid procedure. may be

이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액정(101) 또는 버튼(102)을 통해 제1 선택 화면에서 정맥로 확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제1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도 5의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intravenous route securing on the first selec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button 102, the display device 100 obtains a first intravenous route securing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user. can After the display device 100 obtains the first vein securing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second input screen of FIG. 5 .

또는 이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액정(101) 또는 버튼(102)을 통해 제1 선택 화면에서 전문 기도 유지술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제1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도 5의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user selects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on the first selec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button 102,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 first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can be obtained.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first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third input screen of FIG. 5 .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액정(101)을 터치하거나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the second input screen, the user may input a successful intravenous route securing time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pressing the button 102 .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obtai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store the time at which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in the storage unit 150 .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출력부(140)는 도 5의 제4 입력 화면을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quires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e output unit 140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fourth input screen of FIG. 5 .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4 입력 화면을 출력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액정(101)을 터치하거나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에피네프린 투여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the fourth input screen, the user may input the epinephrine administration time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pressing the button 102 .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obtai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and store the time at which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in the storage unit 150 .

구급 대원은 경우에 따라 에피네프린을 주기적으로 투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한 이후, 일정주기로 출력부(140)는 에피네프린 투여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Paramedics need periodic administration of epinephrine on occasion. Accordingly, after the display device 100 acquires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the output unit 140 may visually, audibly, or tactilely provide information on epinephrine administration to the user at regular intervals.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으로부터 3분 마다 출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에피네프린 투여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udio information about epinephrine administr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140 every 3 minutes from the time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acqui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자동적으로 도 5의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automatically output the third input screen of FIG. 5 .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사용자가 응급 처치 순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 6의 제2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second selection screen of FIG. 6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first aid procedure. may be

이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액정(101) 또는 버튼(102)을 통해 제2 선택 화면에서 전문 기도 유지술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제2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도 5의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on the second selec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button 102,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 corresponding second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can be obtained After the display device 100 obtains the second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third input screen of FIG. 5 .

또는 이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액정(101) 또는 버튼(102)을 통해 제2 선택 화면에서 기계식 압박 장치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제1 기계식 압박 장치 선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기계식 압박 장치 선택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도 5의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on the second selec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button 102, the display device 100 obtains a first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user. can do.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first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sixth input screen of FIG. 5 .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액정(101)을 터치하거나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the third input screen, the user may input the successful time of the advanced airway maintenance surgery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pressing the button 102 .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acquire the third electrical signal and store the acquisition time of the third electrical signal in the storage unit 150 .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제3 전기기 신호를 획득하면, 출력부(140)는 도 5의 제5 입력 화면을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acquires the third electrical signal, the output unit 140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fifth input screen of FIG. 5 .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5 입력 화면을 출력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액정(101)을 터치하거나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5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the fifth input screen, the user may input the usage time of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pressing the button 102 .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obtain a fifth electrical signal and store the time at which the fifth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in the storage unit 15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자동적으로 도 5의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fifth electrical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automatically output the second input screen of FIG. 5 .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사용자가 응급 처치 순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 6의 제3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전에 출력부(140)가 선택 화면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에 대응되는 선택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했다면, 출력부(140)는 응급 처치 순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fifth electrical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third selection screen of FIG. 6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first aid procedure. may be However, if the output unit 140 previously outputs a selection screen and the display device 100 obtains a corresponding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outputs a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n emergency treatment sequence. Maybe not.

이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액정(101) 또는 버튼(102)을 통해 제3 선택 화면에서 정매개로 확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제2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도 5의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securing by regular mediation on the third selec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button 102, the display device 100 obtains a second intravenous route securing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user. can do. After the display device 100 obtains the second vein securing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second input screen of FIG. 5 .

또는 이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액정(101) 또는 버튼(102)을 통해 제3 선택 화면에서 기계식 압박 장치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제2 기계식 압박 장치 선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기계식 압박 장치 선택 신호를 획득한 이후, 출력부(140)는 도 5의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on the third selec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the button 102, the display device 100 obtains a second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user. can do. 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second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sixth input screen of FIG. 5 .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액정(101)을 터치하거나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the sixth input screen, the user may input the use time of the mechanical pressure device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liquid crystal 101 or pressing the button 102 .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acquire the sixth electrical signal and store the acquisition time of the sixth electrical signal in the storage unit 150 .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화면에 출력된 응급 처치 기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first aid record results output on a scree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액정(101)은 사용자가 기록한 응급 처치 시간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liquid crystal 101 of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may output result data about the first aid treatment time recorded by the user.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응급 처치 입력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들을 포함한 데이터를 액정(101)을 통해 도 7과 같이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obtain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id input from the user and store the acquisition tim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in the storage unit 15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may output data including times at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were acquir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101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구급 대원)는 구조 상황에서 웨어러블 전자기기(1000)를 통해 응급 처치를 기록한 후,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first aid record data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first aid record data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Accordingly, the user (paramedic) may record first aid throug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0 in a rescue situation and then check first aid record data through the terminal.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9)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가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응급 처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기 신호를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각각을 획득한 복수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응급 처치 시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 상기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함 -를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처치 기록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rn on a user's wrist so that the user can record an emergency treatment time,
a display device outputting a screen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 band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o be worn on the user's wrist;
The display device,
an input unit that obtains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emergency procedures from the us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obta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 plurality of input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aid times are provided to the user, and first aid recor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electric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time information.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a - to the user through a screen;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aid recor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an external devic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버튼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button and a touch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화면은 가슴압박품질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1 입력 화면, 정맥로 확보에 대응되는 제2 입력 화면, 전문 기도 유지술에 대응되는 제3 입력 화면, 에피네프린 투여에 대응되는 제4 입력 화면,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5 입력 화면 및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에 대응되는 제6 입력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는 상기 제1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1 전기 신호, 상기 제2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2 전기 신호, 상기 제3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3 전기 신호, 상기 제4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4 전기 신호, 상기 제5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5 전기 신호 및 상기 제6 입력 화면의 응답인 제6 전기 신호를 포함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input screens provided by the output unit include a first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a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a second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intravenous line securing, a third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and epinephrine administration. A four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a fif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and a sixth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by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include a first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input screen, a secon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econd input screen, and a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third input screen. An electrical signal, a four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ourth input screen, a fif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fth input screen, and a six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ixth input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가슴압박품질장치 사용 시작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리듬을 따라 가슴압박품질장치를 사용하도록 주기적으로 음성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voice output unit for providing audible information to the user,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first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a start time of using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The voice output unit periodically outputs voice so that the user uses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device according to the rhythm.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제4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output unit outputs the fourth input screen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제5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output unit outputs the fifth input screen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third electrical signal.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정맥로 확보 및 전문 기도 유지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선택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input screens provided by the output unit include a first selection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one of intravenous line securing and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input screen, the output unit outputs the first selection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는 상기 제1 선택 화면의 응답인 제1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 및 상기 제1 선택 화면의 응답인 제1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7,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by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include a first vein securing selection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selection screen and a first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rst selection screen,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first vein securing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econd input screen;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first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outputs the third input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한 경우,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4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econd input screen and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econd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a successful time for securing an intravenous line,
The output unit outputs the fourth input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전문 기도 유지술 및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선택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4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에피네프린 투여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9,
The plurality of input screens provided by the output unit include a second selection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between expert airway maintenance and use of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which is a response of the four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an epinephrine administration time;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econd selection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는 상기 제2 선택 화면의 응답인 제2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 및 제1 기계식 압박 선택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전문 기도 유지술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기계식 압박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0,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by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include a second expert airway maintenance surgery selection signal and a first mechanical compression selection signal, which are responses of the second selection screen,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econd specialized airway maintenance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outputs the third input screen;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first mechanical compression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ixth input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한 경우,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3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5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output unit outputs the third input screen and the input unit obtains the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third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third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a successful time for maintaining an advanced airway,
The output unit outputs the fifth input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5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호기말 이산화탄소 장치 사용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2,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fif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fif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fifth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the end-tidal carbon dioxide device usage time,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ixth input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6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으로 저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3,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ix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ix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a use tim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정맥로 확보 및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3 선택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가 제3 입력 화면을 출력한 경우,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3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전문 기도 유지술 성공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3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plurality of input screens provided by the output unit include a third selection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one of securing a vein and using a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When the output unit outputs the third input screen and the input unit acquires the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third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third electrical signal was acquired as a successful time for maintaining an advanced airway,
The output unit outputs the third selection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신호는 상기 제3 선택 화면의 응답인 제2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 및 제2 기계식 압박 선택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정맥로 확보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기계식 압박 선택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5,
The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acquired by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include a second vein securing selection signal and a second mechanical compression selection signal, which are responses of the third selection screen,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econd vein securing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econd input screen;
When the input unit obtains the second mechanical compression selection signal,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ixth input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정맥로 확보 성공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6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6,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econd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a successful time for securing an intravenous line,
The output unit outputs the sixth input scr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6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으로 저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6,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ix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ix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a use tim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6 입력 화면의 응답인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6 전기 신호를 획득한 시간을 기계식 압박 장치 사용 시간으로 저장하는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7,
When the input unit acquires the sixth electrical signal that is a response of the sixth input scree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sixth electrical signal was obtained as a use time of the mechanical compression devic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cord first aid times.
KR1020210190896A 2021-12-29 2021-12-29 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 KR202301010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896A KR20230101095A (en) 2021-12-29 2021-12-29 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896A KR20230101095A (en) 2021-12-29 2021-12-29 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095A true KR20230101095A (en) 2023-07-06

Family

ID=8718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896A KR20230101095A (en) 2021-12-29 2021-12-29 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09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4859B2 (en) Transmitting treatment information
TWI563982B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uscultation
US9838645B2 (en) Remote monitoring of telemedicine device
RU2686189C2 (en) Combination of defibrillator data with patient's monitor
US9808636B2 (en) Electrocardiogram identification
AU2016269572B2 (en) User device platform for interacting with cloud-based platform
US20150178457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obtaining a record of a medical treatment event in real time
US200802029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 First Aid Container
US201502132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al time annotation of a medical treatment event
US20210271291A1 (en) Docking station system
US20220072321A1 (en) Medical Treatment System with Companion Device
US2021030488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patient encounter records
CN108962341A (en) A kind of method, apparatus and Medical Devices of record rescue process event
US9283138B1 (en)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devices for massage therapy
KR20230101095A (en) Wearable device for recording first aid time
US20150363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Medical Counselling
JP2000331080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taking medicine
CN203898896U (en) Rehabilitation assistive device
KR20230168693A (en) Cpr situation display method and system
TWM651509U (en) Medical guidance information system
US20240127947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30043824A1 (en) Active compression-decompression device integration
EP4011286A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cision support
JP2023115768A (en) Treatment support system, control method for treatment support system, and control program for treatment support system
KR20160004436A (en) Body information smart chart based on iot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hr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