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701A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701A
KR20230099701A KR1020230068739A KR20230068739A KR20230099701A KR 20230099701 A KR20230099701 A KR 20230099701A KR 1020230068739 A KR1020230068739 A KR 1020230068739A KR 20230068739 A KR20230068739 A KR 20230068739A KR 20230099701 A KR20230099701 A KR 2023009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rt
shelf
informatio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도영
이상지
Original Assignee
구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도영 filed Critical 구도영
Priority to KR102023006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701A/en
Publication of KR2023009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7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28Adaptations for calculators, memory aids or reading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사람들이 마트 등에서 편리하게 장을 볼 수 있게 하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편리한 장보기를 위한 제1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단말이 사용자의 손이나 손 주변에 착용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진열대에 장착된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는 단계;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진열대의 물품이 픽업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erminal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enabling people to conveniently shop at a mart or the like are disclosed.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terminal for convenient grocery shopping, comprising: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is worn on or near a user's hand;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is approaching the shelf by communicating with the D2D device mounted on the shelf;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operating a first terminal, including recognizing that a product from the shelf is being picked up by a first terminal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Description

편리한 장보기를 위한 휴대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본 개시는 마트에서 편리하게 장을 보기 위하여 휴대 단말이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트에서 쇼핑할 때, 물품을 픽업하면 자동으로 이를 인식하고, 카트에 넣는 것도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용자가 결제 계산대에서 카트에서 물건을 꺼내지 않고 결제 수행후에 그대로 출구를 통과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to conveniently shop at a mart. When shopping at a mart, when picking up an item, it automatically recognizes it and automatically recognizes putting it in a cart, so that the user ca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ing through an exit as it is after making a payment without removing an item from a cart at a checkout counter.

최근 무인 마트들이 세계에 많이 등장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아마존 고(Amazon Go) 라는 무인 매장이 등장했으며, 한국에서는 ‘이마트24’브랜드에서 무인 매장을 서울에 설치하였다. 또, 한국에는 신용카드로 출입할 수 있는 많은 무인 매장들이 있다.Recently, many unmanned marts have appeared in the world. In the United States, an unmanned store called Amazon Go appeared, and in Korea, an unmanned store was installed in Seoul by the ‘Emart 24’ brand. Also, there are many unmanned stores in Korea that can be accessed with a credit card.

아마존 고 혹은 ‘이마트24’의 무인매장은 모두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여, 편리한 장보기를 지원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하고 매장에 들어서면, 여러 대의 카메라와 사람 인식 장치들이 사람을 추적하고, 사람이 물품을 픽업하는 모습을 인식하여 어떤 물건을 픽업했는 지 알아낸다. 여기서, 물품 진열대에 있는 물품을 픽업할 때, 물품 아래에 있는 저울 센서가 작아진 무게 정보를 관련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사람의 픽업 동작과 저울 센서에서 받은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사용자가 어떤 물건을 픽업했는 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트 출구를 나갈 때 따로 결제할 필요없이 바로 물건을 가지고 나갈 수 있다.Amazon Go or E-Mart 24's unmanned stores all use a similar method to support convenient grocery shopping. That is, when a user authenticates and enters a store, multiple cameras and human recognition devices track the person and recognize the person picking up an item to find out which item the person has picked up. Here, when picking up an item on the product shelf, the scale sensor under the product transmits the reduced weight information to the related server. The server may know which user has picked up which object by using the person's pick-up motion and the weigh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ale sensor. Therefore, when the user leaves the mart, he or she can immediately take the goods without having to pay separately.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카메라가 실시간 영상 처리를 수행해야 하며, 사용자가 조밀해서 겹치는 상황에서 오류가 날 수 있다. 또, 매장에 정밀 저울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무게와 모양이 비슷한 물품을 픽업했다가 이를 다시 진열대에 반품하면, 어떤 물품을 반품했는 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즉, 진열대 안쪽에 반품하게 되면 카메라에 잡히지 않게 되어 어떤 물품을 반품했는 지 알기 어렵다. 반대로 진열대 바깥에 반품하게 되면, 카메라에는 보이나 사용자가 이미 진열대 바깥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물품들을 힘들게 밀면서 반품해야 한다. 또,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속도가 빠른 인터넷 망을 구축해야 한다. 이것은 수많은 카메라와 함께 설치와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높인다.However, in order to build such a system, a number of cameras must perform real-time image processing, and errors may occur in situations where users are densely overlapping. In addition, even if a precision scale is installed in a store, if a user picks up an item with a similar weight and shape and returns it to the shelf, it is difficult to know exactly which item was returned. In other words, if the product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shelf, it will not be captured by the camera, making it difficult to know which item has been returned. Conversely, when returning products outside the shelf, the camera can see them, but the user has to push hard to return the items that are already occupying a seat outside the shelf. In addition, in order to transmit video to a cloud server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et, a fairly high-speed Internet network must be established. This, along with numerous cameras, greatly increases the cost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이에 반해, 한국에서 신용카드로 출입가능한 무인 매장은 상당히 저렴한 방법을 사용한다. 사용자가 물건을 진열대에서 꺼낸 후에, 직접 무인 계산대에서 바코드로 계산을 수행하고, 신용카드로 결제를 수행한다. 이 때, 매장 안에는 폐쇄 회로 텔레비전(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도둑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무인 매장에서도 CCTV 카메라의 사각 지대가 발생할 수 있고, 점주가 CCTV 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도난에 매우 취약하다. 신용카드로 인증하는 경우라도, 인증자와 함께 인증하지 않은 사람이 들어올 경우, 비인증자는 물건을 골라서 혼자 혹은 인증자가 나갈 때 함께 나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한국의 무인 매장은 사람이 없는 밤에만 주로 운영하며, 낮에는 유인 매장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in Korea, unmanned stores that can be accessed by credit card use a fairly inexpensive method. After the user takes out the product from the display stand, the user directly calculates with a barcode at the unmanned checkout counter and pays with a credit card. At this time, since a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camera is installed in the st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sers from stealing. However, even in such an unmanned store, blind spots of CCTV cameras may occur, and it is difficult for the store owner to check each CCTV, so it is very vulnerable to theft. Even in the case of authentication with a credit card, if an unauthorized person enters with the authenticator, the non-authenticator can pick up an object and leave alone or with the authenticator. For this reason, unmanned stores in Korea are usually operated only at night when there are no people, and are often operated as manned stores during the day.

이와 같이 소비자에게 편리한 장보기를 제공하기 위한 마트의 동작들은 설치 운용비가 너무 비싸거나, 동작에 오류가 있을 수 있거나, 도난 등의 위험이 있다.In this way, operations of the mart to provide convenient grocery shopping to consumers are too expensive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there may be errors in operation, or there is a risk of thef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목적은, 소비자가 마트 등에서 물품을 픽업하고 반납하는 방법을 편리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nvenient and low-cost method for consumers to pick up and return products from a mart or the lik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의 동작 방법은,An operation method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사용자의 손이나 손 주변에 제1 단말이 착용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진열대에 장착된 단말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는 단계; 및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진열대의 물품이 픽업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cognizing that a first terminal is worn on or around a user's hand; Recognizing proximity to the shelf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shelf; and recognizing that a product from the shelf is being picked up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D2D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비접촉 근거리 통신 방식), 초광대역(ultra-wideband, UWB),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중의 하나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2D communication may be one of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ltra-wideband (UWB), and wifi-direct.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이 진열대에 장착된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진열대에 장착된 D2D 장치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파워가 미리 정한 임계 파워 값보다 더 크거나 혹은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된 제1 단말과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한 임계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제1 단말이 상기 진열대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is approaching the shelf by communicating with the D2D device mounted on the shelf may include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2D device mounted on the shelf; When the received power of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power valu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display shelf D2D device measured us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1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is close to the shel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진열대의 물품이 픽업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진열대 저울 센서의 무게 감소 정보와 물품 정보를 제1 단말이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진열대 저울 센서의 무게 감소 정보와 물품 정보를 제1 단말이 수신하여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that an item is picked up from the shelf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reduces the weight of the shelf scale sensor transmitted by the shelf D2D device. The first terminal may receiv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r the first terminal may receive and recognize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f the shelf scale sensor transmitted by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와 D2D 통신을 수행하여 제1 단말의 ID 를 상기 카트에 등록하고 상기 카트의 ID를 제1 단말에 등록하는 상호 ID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with a cart D2D device by a first terminal to register an ID of the first terminal in the cart and performing mutual ID registration in which the ID of the cart is registered in the firs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카트에 담겼음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ecognizing that the picked-up product is placed in the cart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cart D2D device by the first terminal.

여기서,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카트에 담겼음을 인식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의 정보를 상기 카트 D2D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상기 카트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for recognizing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cart D2D device includes: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is approaching the cart D2D device; transmitting, by a first terminal,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icked-up item to the cart D2D device;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by a first terminal,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to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여기서,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파워가 미리 정한 임계 파워보다 크거나 혹은 카트 D2D 장치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측정한 제1 단말과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한 임계 거리보다 작을 때 이를 근접으로 인식할 수 있다.Here,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is approaching the cart D2D device means that the first terminal receives power of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cart D2D devi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power or transmits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cart D2D devi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cart D2D device, measured through the process,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it may be recognized as proximity.

여기서,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상기 카트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카트 D2D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카트 저울 센서의 무게 증가 정보를 제1 단말이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and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the weight increase information of the cart scale sensor transmitted by the cart D2D device is transmitted as a first terminal. It may be what the terminal recei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 담겨진 물품이 다시 상기 카트에서 꺼내졌음을 더 인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to further recognize that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cart has been taken out of the cart again.

여기서,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 담겨진 물품이 다시 상기 카트에서 꺼내졌음을 인식하는 것은,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로부터 상기 카트의 무게 감소 정보와 상기 카트 바코드 인식기에서 인식된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and recognizes that the goods contained in the cart are taken out of the cart agai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of the cart and the cart D2D device from the cart D2D device.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art barcode rea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진열대에 반납되는 것을 더 인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to further recognize that the product taken out of the cart is returned to the shelf.

여기서, 제1 단말이 상기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진열대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상기 진열대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로부터 상기 진열대의 무게 증가 정보와 상기 진열대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to recognize that the product taken out of the cart is returned to the shelf is the first terminal approaching the shelf. recognizing;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by a first terminal, weight increase information of the shelf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from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여기서, 제1 단말이 상기 진열대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한 후, 제1 단말이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 정보와 상기 접근한 진열대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물품이 아니면, 진동장치를 이용한 진동 혹은 스피커를 이용한 소리 혹은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나 화면의 불빛으로 사용자에게 잘못된 진열대에 접근했음을 알릴 수 있다.Here, after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is approaching the shelf, the first terminal compares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cart with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pproached shelf, and if it is not the same product, a vibration device is used. Vibration, a sound from a speaker, or a light-emitting diode (LED) or display light can alert the user that they are approaching the wrong shelf.

여기서, 제1 단말이 상기 진열대 D2D 장치로부터 상기 진열대의 무게 증가 정보와 상기 진열대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수신했을 때, 제1 단말이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 정보와 상기 진열대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물품이 아니면, 진동장치를 이용한 진동 혹은 스피커를 이용한 소리 혹은 LED나 화면의 불빛으로 사용자에게 잘못된 진열대에 물품을 반납했음을 알릴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on the weight increase of the shelf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from the shelf D2D device, the first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aken out of the cart and information on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shelf. In comparison, if it is not the same product,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that the product has been returned to the wrong display stand through vibration using a vibration device, sound using a speaker, or light from an LED or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반납기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반납기에 반납되는 것을 더 인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return machine D2D device to further recognize that the product taken out of the cart is returned to the return machine.

여기서,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반납기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반납기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로부터 감소한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반납기 D2D 장치로부터 상기 반납기 저울 센서가 측정한 무게 정보와 상기 반납기 바코드 인식기가 인식한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rt grocery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return machine D2D device to recognize that the item taken out of the cart is returned to the return machine is the first terminal using the reduced weight information from the cart D2D device receiving;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by a first terminal,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return machine scale sensor and produc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turn machine barcode reader from a mart grocery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a return machine D2D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마트에서 장보기를 수행할 때, 시계 형태나 팔찌 형태의 단말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 장치가 내장된 단말을 손목 등에 착용하고 D2D 장치와 저울 및 바코드 인식기가 달린 카트를 이용하여 쇼핑을 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카트에 넣고 빼는 물품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트에서 물품을 꺼내지 않고도 편리하게 장보기를 마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나 카메라의 영상을 처리하는 까다로운 작업 없이도 더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무인 매장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s shopping at a mart, he or she wears a device in which a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device in the form of a watch or a bracelet is embedded on the wrist, etc. And shopping can be done using a cart equipped with a barcode reader. At this time,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recognize the items to be put in and removed from the cart.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finish shopping without taking the product out of the cart. Because of this, it is possible to build an unmanned store more safely and economically without the difficult work of processing cameras or images from camera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제안되는 장보기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손이나 손목 등에 착용될 수 있는 단말을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단말 구성도이다.
도 3은 진열대를을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진열대 구성도이다.
도 4는 카트를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카트 구성도이다.
도 5는 결제장치를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결제장치 구성도이다.
도 6은 반납기를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반납기 구성도이다.
도 7은 마트 장보기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마트 장보기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이 물품 픽업을 인식하기 까지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제1 단말이 진열대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픽업된 물품이 카트에 담겼음을 인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단말이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진열대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단말이 D2D 통신을 수행하여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반납기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elements necessary for the proposed shopping system.
2 is a terminal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a terminal that can be worn on a hand or wrist.
3 is a display shelf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display shelf.
4 is a car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cart.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yment device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payment devic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turn machine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return machine.
7 is a block diagram of a mart shopping cart system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mart shopping cart system.
8 is a flow chart until the first terminal recognizes product pick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that a first terminal is approaching a shelf.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that a picked-up item is put in a cart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cart D2D device by a first terminal.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that a product taken out of a cart is returned to a shelf by a first terminal.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first terminal performs D2D communication to recognize that an item taken out of a cart is returned to a return machine.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disclosure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of A and B” may mean “at least one of A or B” or “at least one of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A and B”. Also,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or more of A and B” may mean “one or more of A or B” or “one or more of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A and B”.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은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단말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 장치 등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종 기기들이 서로 통신으로 연결될 경우, 이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각종 기기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말은 사용자의 손 혹은 손목 등에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inal refers to a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watch, smart glass, and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It may refer to various devices that a user can carry and use while moving, such as a device. Also, when these various devices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may mean a combination thereof. A terminal composed of the various devices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worn on a user's hand or wris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제안되는 장보기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110)은 사용자(140)에 의하여 휴대가 가능한 장치 혹은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D2D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손이나 손목 주변에 착용이 가능한 형태이다. 진열대(120)는 물품을 진열하여 놓을 수 있게 만든 대로서 여러 장치를 포함한다. 카트(130)은 물품을 실어나를 수 있는 수레로서 여러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140)는 단말(110)을 착용한 사람을 의미한다. 대형 저울 센서(150)는 미리 알려진 카트(130) 자체의 무게와 측정된 물품이 담긴 카트(130)의 총 무게를 이용하여 상품의 총 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며,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이나 결제장치(160)등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제장치(160)은 사용자(140)가 카트(130)에 담긴 물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보통 인터넷을 통하여 신용카드 서버 등에 접속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반납기(170)는 사용자(140)가 카트(130)에 담긴 물품을 관련 진열대(120)가 아닌 곳에서 편리하게 반품할 수 있는 기계로서 여러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은 사용자(140)가 편리하게 장을 볼 수 있도록, 여러 구성 요소들과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고, 각종 정보를 처리, 저장 및 관리하는 장보기 중앙 처리 시스템이다.1 is a diagram showing elements necessary for the proposed shopping system. As illustrated in FIG. 1 , the terminal 110 includes a D2D device as a device or a combination of devices that can be carried by the user 140 and is wearable around the hand or wrist. The display stand 120 is a bar that allows products to be displayed and placed therein, and includes various devices. The cart 130 includes several devices as a wagon capable of transporting goods. The user 140 means a person wearing the terminal 110 . The large scale sensor 150 can measure the total weight of the product using the known weight of the cart 130 itself and the total weight of the cart 130 containing the measured items, and the mart shopping system 180 or payment It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160 or the like by wire or wirelessly. The payment device 160 refers to a device through which the user 140 can pay for items contained in the cart 130 . Usually, payment can be made by accessing a credit card server, etc. through the Internet. The return machine 170 is a machine through which the user 140 can conveniently return the goods contained in the cart 130 to a place other than the related display shelf 120 and includes several devices. The mart grocery shopping system 180 is a shopping central processing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various components and processes, stores, and manages various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140 can shop conveniently.

도 2는 손이나 손목 등에 착용될 수 있는 단말(110)을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단말 구성도이다. 단말(110)은 화면(111),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112), 스피커(113), 진동장치(114), D2D 장치(115), 착용감지 센서(11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면(111)은 사용자(140)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LED(112) 는 사용자(140)에게 불빛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로서 여러 가지 색깔의 불빛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피커(113)는 사용자(140)에게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진동장치(114)는 사용자(140)에게 진동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D2D 장치(115)는 단말(110)이 D2D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의 D2D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착용감지 센서(116)는 사용자(140)가 단말(110)을 착용했음을 인식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단말(110) 내부에서 정보 교환을 위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2 is a termi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terminal 110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or wrist. The terminal 110 is composed of a screen 111, a light-emitting diode (LED) 112, a speaker 113, a vibration device 114, a D2D device 115, a wear sensor 116, and the like. It can be. The screen 111 is a device that visually conveys information to the user 140 . The LED 112 is a device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user 140 through light, and various colored lights can be used. The speaker 113 is a device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user 140 through sound. The vibration device 114 is a device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user 140 through vibration. The D2D device 115 is a device that allows the terminal 1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2D device by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The wearing comfort sensor 116 is a sensor that recognizes that the user 140 is wearing the terminal 110 . These devices may be interconnected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in the terminal 110 .

도 3은 진열대(120)를 구성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는 요소를 나타내는 진열대(120) 구성도이다. 진열대(120)는 물품 진열을 위한 프레임(121)과 저울 센서(122)와 D2D 장치(123)와 외부 송수신 장치와의 정보 교환을 위한 송수신 장치(124)와 불빛을 통해서 여러 가지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한 불빛 장치(125) 및 사용자(140)에게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126)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진열대(120)에는 사용자(140)에게 판매하기 위한 물품(127)들이 진열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 물품(127)들은 향후 사용자(140)에 의하여 카트(130)로 이동되거나 반납기(170)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121)은 진열대(120)의 틀로서 여러 장치가 장착되며 또한 물품(127)이 진열될 수 있다. 저울 센서(122)는 진열된 물품(127)들의 총 무게 및 무게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D2D 장치(123)는 진열대(120)가 D2D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의 D2D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송수신 장치(124)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외부의 다른 송수신 장치들와 연결되어 상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과 같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LTE(long term evolution) 같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제장치 송수신 장치(162), 반납기 송수신 장치(174), 마트 장보기 시스템 송수신 장치(182)도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21)을 제외한 장치들은 진열대(120) 내부에서 정보 교환을 위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play stand 120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to configure the display stand 120 . The display stand 120 includes a frame 121 for displaying goods, a scale sensor 122, a D2D device 123, and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124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light to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light device 125 and a speaker 126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140 through sound. In particular, items 127 for sale to the user 140 may be displayed on the shelf 120, and these items 127 may be moved to the cart 130 by the user 140 in the future or returned to the return machine 170. can be moved to The frame 121 is a frame of the display stand 120, and various devices are mounted therein, and also items 127 can be displayed. The scale sensor 122 is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total weight of the displayed items 127 and the amount of change in weight. The D2D device 123 is a device that allows the display stand 12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2D device by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124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other exter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s by wire or wirelessly and performs mutual information exchange. For example, it may be connected by wire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cable or wirelessly such as by long term evolution (LTE). The payment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162, return machin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174, and mart shopping system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182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Devices other than the frame 121 may be interconnected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in the shelf 120 .

도 4은 카트(130)를 구성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는 요소를 나타내는 카트(130) 구성도이다. 카트(130)는 화면(131), 바코드 인식기(132), D2D 장치(133), 저울 센서(134), 스피커(135), 프레임(13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면(131)은 사용자(140)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바코드 인식기(132)는 물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장치로서, 카트의 프레임(136)에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혹은 프레임(136)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바코드 인식기(132)가 분리될 수 있는 경우, 바코드 인식기(132)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카트(13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D2D 장치(133)는 카트(130)가 D2D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의 D2D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저울 센서(134)는 카트(130)에 담긴 물품들의 총 무게 및 무게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스피커(135)는 사용자(140)에게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프레임(136)은 수레의 틀로서 상기 여러 장치가 장착되며 또한 물품들을 담을 수 있다. 프레임(136)을 제외한 장치들은 카트(130) 내부에서 정보 교환을 위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rt 130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to configure the cart 130. The cart 130 may include a screen 131, a barcode reader 132, a D2D device 133, a scale sensor 134, a speaker 135, a frame 136, and the like. The screen 131 is a device that visually conveys information to the user 140 . The barcode reader 132 is a device for recognizing the barcode of an article, and may be mounted on the frame 136 of the cart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frame 136. If the barcode reader 132 can be separated, the barcode reader 132 must communicate with the cart 130 by wire or wirelessly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e D2D device 133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cart 130 to transmit/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2D device by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The balance sensor 134 is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total weight of items contained in the cart 130 and the amount of change in weight. The speaker 135 is a device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user 140 through sound. The frame 136 is a frame of a wagon, and the various devices are mounted thereon, and may also contain items. Devices other than the frame 136 may be interconnected for information exchange inside the cart 130 .

도 5은 결제장치를 구성하는 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를 나타내는 결제장치 구성도이다. 결제장치는 결제를 수행하는 포스기(point of sales, POS)(161)와 D2D 장치(163)와 정보 교환을 위한 송수신 장치(16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기(161)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신용 카드 서버와 등과 같은 결제 서버와 연결되어 결제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D2D 장치(163)는 결제장치가 D2D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의 D2D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송수신 장치(162)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외부의 다른 송수신 장치들와 연결되어 상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결제장치 내부에서 정보 교환을 위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yment device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payment device. The payment device may include a point of sales (POS) 161 for performing payment and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162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D2D device 163. The post machine 161 is generally a device that performs payment by being connected to a payment server such as a credit card server using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the Internet. The D2D device 163 is a device that enables a payment device to transmit/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2D device by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162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other exter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s by wire or wirelessly and performs mutual information exchange. These devices may be interconnected for information exchange inside the payment device.

도 6은 반납기(170)를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를 나타내는 반납기(170) 구성도이다. 반납기(170)는 반납할 물건을 올려 놓을 저울 센서(171)와 반납할 물품의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기(172)와 D2D 장치(173)와 정보 교환을 위한 송수신 장치(174)와 불빛을 통해서 여러 가지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한 불빛 장치(175) 및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17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울 센서(171)는 반납될 물품의 무게 혹은 반납기(170)에 반납된 물품들의 총 무게 혹은 무게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D2D 장치(173)는 반납기(170)가 D2D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의 D2D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송수신 장치(174)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외부의 다른 송수신 장치들와 연결되어 상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반납기(170) 내부에서 정보 교환을 위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turn unit 170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return unit 170. The return machine 170 includes a scale sensor 171 to place an item to be returned, a barcode reader 172 to recognize the barcode of the item to be returned, a D2D device 173, and a transceiver 174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light. It may include a light device 175 for transmitt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and a speaker 176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ith sound. The scale sensor 171 is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items to be returned or the total weight or change in weight of items returned to the return machine 170 . The D2D device 173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return machine 17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2D device by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174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other exter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s by wire or wirelessly and performs mutual information exchange. These devices may be interconnected for information exchange inside the return unit 170 .

도 7은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을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는 요소를 나타내는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 구성도이다. 서버는 D2D 장치(183)와 송수신 장치(182)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마트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송수신 장치(182)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진열대(120) 혹은 반납기(160) 혹은 결제장치(170)를 연결시켜주는 장치이다. D2D 장치(183)는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이 D2D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의 D2D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 내부에서 정보 교환을 위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7 is a block diagram of a mart shopping cart system 180 showing elem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mart shopping cart system 180 . The server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D2D device 183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182, and provides a mart shopping service by using the information.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182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 shelf 120 or the return machine 160 or the payment device 170 wired or wirelessly. The D2D device 183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mart shopping system 18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2D device by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These devices may be interconnected for information exchange inside the mart shopping system 180 .

여기서, D2D 장치들은 상호 단말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하여 연결될 수 있다. 각 D2D 장치들은 패킷 혹은 비콘(beacon) 혹은 시그널 혹은 펄스 등등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은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현재 상용화된 D2D 통신들에는 NFC, 블루투스, wifi-direct, UWB(ultra-wideband) 밑 기타 여러 통신들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용화된 D2D 통신 수단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향후 상용화되는 D2D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D2D 장치가 다른 D2D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한다는 것을 기술하지만, D2D 장치가 사용하는 구체적인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는다.Here, D2D devices may be connected by performing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Each D2D device may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such as a packet, a beacon, a signal, or a pulse. In addition, D2D communication may support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r the like. Current commercialized D2D communications include NFC, Bluetooth, wifi-direct, and other communications under ultra-wideband (UWB).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using the above commercialized D2D communication means, and can also be configured using D2D communication means to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at a D2D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another D2D device, a specific communication protocol used by the D2D device is not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장치(115)를 내장한 단말(110)이 물품 픽업을 인식하기 위한 절차도이다.8 is a procedure diagram for the terminal 110 incorporating the D2D device 115 to recognize item pick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단말(110)이 사용자(140)의 손이나 손 주변에 착용되는 것을 인식하고(S801), 단말(110)이 진열대 D2D 장치(12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120)에 근접한 것을 인식(S802)하며, 단말(110)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 혹은 진열대 D2D 장치(12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120)의 물품이 픽업되는 것을 인식(S803)한다. 다양한 인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D2D 장치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 상용화된 D2D 통신 수단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향후 상용화되는 D2D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FIG. 8 ,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110 is worn on or around the hand of the user 140 (S801),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stand D2D device 123 to detect proximity to the display stand 120. In step S802,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or the shelf D2D device 123 to recognize that the product on the shelf 120 is being picked up (S803). As described above, a D2D device used for various recognitions may be configured using already commercialized D2D communication means, or may be configured using D2D communication means to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우선, 단말(110)이 사용자(140)의 손이나 손 주변에 착용되는 것을 인식(S801)하는 것은, 첫째 착용감지 센서(116)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방법은 삼성이나 애플의 스마트 워치에서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하다. 혹은 사용자(140)가 단말(110)의 버튼을 누르거나 화면(111)을 탭(살짝 두드림)함으로써 인식이 될 수 있다. 혹은 단말의 D2D 장치(115)가 착용되었다는 신호를 받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140)가 단말(110)을 착용한 후에, 사용자(140)가 가진 D2D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가 단말(110)에게 착용 여부를 D2D 통신으로 공지할 수 있다.First,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110 is worn on or around the hand of the user 140 (S801)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wearing sensor 116. That is, these methods are the same as those used in smart watches made by Samsung or Apple. Alternatively, it may be recognized when the user 140 presses a button of the terminal 110 or taps (slightly taps) the screen 111 . Alternatively, it can be performed by receiving a signal that the D2D device 115 of the terminal is worn. For example, after the user 140 wears the terminal 110, another device capable of D2D communication possessed by the user 140 sends the terminal 110 may be notified of wearing or not through D2D communication.

도 9는 단말이 진열대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110)이 진열대 D2D 장치(12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120)에 근접한 것을 인식(S802)하는 것은, 단말(110)이 진열대 D2D 장치(123)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S901),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파워가 미리 정한 임계 파워 값보다 더 크거나 혹은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된 단말(110)과 진열대 D2D 장치(123)와의 거리가 미리 정한 임계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단말(110)이 상기 진열대(120)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S902)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 파워에 의한 판단은 상기 기술된 대부분의 D2D 통신들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거리에 의한 판단은 UWB 에 의해서 가능하다. UWB 는 cm 단위의 매우 정밀한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말(110)이 진열대(120)에 근접했음을 인식하면, 이를 LED(112)를 통해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열대(120) 근접은 노란색 불빛으로 표현될 수 있다. 진열대(120)도 단말(110)의 근접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일한 노란색 불빛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열대의 불빛 장치(125)가 노란색으로 표현되면, 노란색으로 바뀌지 않은 단말(110)들은 노란색 단말(110)의 사용자(140)가 물건을 픽업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왜냐하면, 여러 단말(110)들이 근접한다면, 어떤 단말(110)이 물품을 픽업했는지가 구별되기 어렵다. 만약 노란색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단말(110)이 같은 진열대(120)에 근접한다면, 뒤늦게 근접한 단말(110)이 자신의 사용자(140)에게 진동이나 빨간 불빛 등으로 근접할 수 없음을 알릴 수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that a terminal is approaching a shelf. As illustrated in FIG. 9 , when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stand D2D device 123 and recognizes that it is close to the display stand 120 (S802), the terminal 110 determines that the display stand D2D device 123 is A radio signal to be transmitted is received (S901), and the reception power of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power value 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10 and the display stand D2D device 123 measured us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When the distanc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it can be made by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110 is close to the display stand 120 (S902). Judgment by reception power can be used in most of the D2D communications described above, but judgment by distance is possible by UWB. UWB is known to have a very precise distance measurement capability in cm. When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110 is close to the shelf 120, this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LED 112. For example, proximity to the shelf 120 may be represented by a yellow light. The display stand 120 may also recognize the proximity of the terminal 110 in the same way as above,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presented by the same yellow light. In this way, when the lighting device 125 of the display stand is expressed in yellow, the terminals 110 that do not turn yellow have to wait until the user 140 of the yellow terminal 110 picks up the product. Because, if several terminals 110 are clo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ich terminal 110 has picked up the item. If another terminal 110 approaches the same shelf 120 despite being yellow, the terminal 110 that is belatedly approaching may notify its user 140 that it cannot approach by vibrating or red light.

단말(110)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 혹은 진열대 D2D 장치(12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120)의 물품이 픽업되는 것을 인식(S803)하는 것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123)가 송신하는 상기 진열대 저울 센서(122)의 무게 감소 정보와 물품 정보를 단말(110)이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가 송신하는 상기 진열대 저울 센서(122)의 무게 감소 정보와 물품 정보를 단말(110)이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140)가 물품을 픽업할 때, 진열대 저울 센서(122)는 무게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진열대 D2D 장치(123)는 물품 정보와 무게 감소 정보를 D2D 통신으로 단말(110)에 알릴 수 있다. 혹은 물품 정보와 무게 감소 정보는 송수신 장치(124)를 통해서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에 전달될 수 있고,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는 수신한 물품 정보와 무게 감소 정보를 D2D 통신으로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110)이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스피커(113), 진동장치(114), 화면(111), LED(112) 등을 통해 물품이 픽업 되었음을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 만약, 이미 단말(110)이 해당 진열대(120)에 근접해 있는데, 다른 사용자(140)가 근접 불가 정보를 무시하고 물건을 픽업하면, 근접한 두 단말(110)이 모두 물건을 동시 픽업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단말(110)과 관련된 두 카트(130) 중에서 어느 한 카트(130)에서 물품이 담기면, 해당 정보를 상기 동시 픽업을 인식한 두 단말(110)에게 모두 전달해서 동시 픽업 사건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두 사용자(140)의 단말(110)들은 동시 픽업 발생과 종료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113), 진동장치(114), 화면(111), LED(112) 등을 통해 각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When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or the shelf D2D device 123 to recognize that an item is being picked up from the shelf 120 (S803), the shelf D2D device 123 This can be done by the terminal 110 receiving the transmitted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f the shelf scale sensor 122 . Alternatively, the terminal 110 may receive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f the shelf scale sensor 122 transmitted by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 That is, when the user 140 picks up an item, the shelf scale sensor 122 detects that the weight has decreased, and accordingly, the display rack D2D device 123 transmits the item information and the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10 through D2D communication. can inform Alternatively, the product information and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rt shopping system 180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124, and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transmits the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and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D2D communication ( 110) can be transmitted. When the terminal 110 receives the information, it can inform the user 140 that the item has been picked up through the speaker 113, the vibration device 114, the screen 111, the LED 112, and the like. If the terminal 110 is already close to the corresponding shelf 120 and another user 140 ignores the proximity impossible information and picks up an object, it will be recognized that both terminals 110 in close proximity have picked up the object at the same time. can In this case, if any one cart 130 of the two carts 130 associated with the two terminals 110 contains an item,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delivered to both terminals 110 that recognize the simultaneous pickup, so that a simultaneous pickup event occurs. You can notify that it is over. Here, the terminals 110 of the two users 140 transmit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and end of simultaneous pickup to each user 140 through the speaker 113, the vibration device 114, the screen 111, the LED 112, and the like. can inform

지금까지는 사용자(140)가 물품을 픽업할 때, 이를 단말(110)이 인식하는 방법을 서술하였다. 이후부터는 사용자(140)가 물품을 카트(130)에 넣을 때, 단말(110)이 이를 인식하는 방법을 서술한다.So far, when the user 140 picks up an item, a method for the terminal 110 to recognize this has been described. Hereafter, when the user 140 puts an item into the cart 130, a method for the terminal 110 to recognize this will be described.

카트(130)가 물품(127)이 담기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단말(110)로부터 픽업된 물품의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사용자(140)는 자신의 카트(130)에 픽업된 물품을 넣을 수도 있고, 아니면 다른 사람의, 이를 테면 같이 쇼핑하는 친구의 카트(130)에 픽업된 물품을 넣을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140)가 자신의 카트(130)에는 자신이 픽업한 물품만을 담고 싶다면 착용한 단말(110)과 카트(130)가 서로 상대방의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등록해야 한다. 사용자(140)는 착용한 단말(110)의 D2D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110)의 ID 를 카트(130)에 등록하고 상기 카트(130)의 ID를 상기 단말(110)에 등록하는 상호 ID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ID 등록이 수행된 경우, 다른 사람이 사용자(140)의 카트(130)에 물건을 넣거나 혹은 사용자(140)가 다른 사람의 카트(130)에 물건을 넣을 경우, 단말(110)이나 카트(130)는 사용자(140)에게 경고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110)은 경고를 전달하기 위해 진동장치(114)를 이용한 진동 혹은 스피커(113)를 이용한 소리 혹은 LED(112)의 불빛 혹은 화면(111) 안내를 사용할 수 있다. 화면 안내는 불빛이나 메시지로 표현될 수 있다. 카트(130)는 경고 전달을 위해 스피커를 이용한 소리 혹은 화면(131)을 이용한 경고 안내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cart 130 to recognize that the item 127 is contained in it, information on the item picked up from the terminal 110 must be received. The user 140 may place the picked-up item in his or her own cart 130, or may place the picked-up item in the cart 130 of another person, such as a friend shopping with them. If the user 140 wants to put only the items he/she picked up in his or her cart 130, the terminal 110 worn by the user 140 and the cart 130 must register each other's identification (ID). The user 140 registers the ID of the terminal 110 in the cart 130 and the ID of the cart 130 in the terminal 110 through D2D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110 worn by the user 140. registration can be performed. When such mutual ID registration is performed, when another person puts an item in the cart 130 of the user 140 or the user 140 puts an item in the cart 130 of another person, the terminal 110 or the cart 130 may deliver an alert to user 140 . The terminal 110 may use vibration using the vibration device 114, sound using the speaker 113, light of the LED 112, or guidance on the screen 111 to deliver a warning. The screen guide may be expressed as a light or a message. The cart 130 may use a sound using a speaker or a warning guide using a screen 131 to deliver a warning.

사용자(140)가 물품을 카트(130)에 넣을 때 단말(110)이 이를 인식하기 위해서, 단말(110)은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 혹은 상기 카트 D2D 장치(13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카트(130)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여기서, 단말(110)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로부터 상기 픽업된 물품이 카트(130)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카트(130)가 픽업된 물품이 카트(130)에 담겼다는 정보를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에 D2D 장치(133)로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카트(130)가 직접 D2D 통신으로 단말(110)에 상기 픽업된 물품이 카트(130)에 담겼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In order for the terminal 110 to recognize when the user 140 puts an item into the cart 130,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or the cart D2D device 133 to It is necessary to receive information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130 . Here, in order for the terminal 110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that the picked-up item is placed in the cart 130, first, the item picked up by the cart 130 is placed in the cart 130. information must be transmitted to the D2D device 133 to the mart shopping system 180. Therefore,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cart 130 to directly transmit information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130 to the terminal 110 through D2D communication.

도 10은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픽업된 물품이 카트에 담겼음을 인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따라서 단말(110)이 상기 카트 D2D 장치(13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카트(130)에 담겼음을 인식하는 방법은, 단말(110)이 카트 D2D 장치(133)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고(S1001), 단말(110)이 상기 카트 D2D 장치(13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의 정보를 상기 카트 D2D 장치(133)에게 전송하고(S1002), 단말(110)이 상기 카트 D2D 장치(13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상기 카트(130)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S1003) 이루어 질 수 있다. 단말(110)은 상기 정보를 수신한 후, 물품이 담겼다는 정보를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S1004). 물품이 카트(130)에 담기면, 단말(110)이나 카트(130)는 스피커, 진동장치, LED, 화면 등을 이용하여 이를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10)의 LED(112) 의 색깔은 픽업 상태에서 초록색일 수 있고, 물품이 카트(130)에 담기면 초록색이 꺼질 수 있다. 카트(130)는 자체적으로 물품이 카트(130)에 담기면 화면(131)에 담긴 물품을 표시하여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that a picked-up item is put in a cart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cart D2D device by a first terminal. As illustrated in FIG. 10 , in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cart D2D device 133 and recognizes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130,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cart D2D device 133. Recognizing proximity to the D2D device 133 (S1001),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cart D2D device 133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icked-up item to the cart D2D device 133 ( In step S1002,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cart D2D device 133 to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130 (S1003).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the terminal 110 may inform the user 140 of the information that the article is contained (S1004). When an item is put into the cart 130, the terminal 110 or the cart 130 may notify the user 140 of this using a speaker, a vibration device, an LED, a scree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LED 112 of the terminal 110 may be green in the pickup state, and the green color may be turned off when the item is put in the cart 130. The cart 130 may notify the user 140 by displaying the product on the screen 131 when the product is put into the cart 130 by itself.

단말(110)이 카트 D2D 장치(133)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S1001)하는 것은, 단말(110)이 진열대 D2D 장치(12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120)에 근접함을 인식(S802)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카트 D2D 장치(133)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파워가 미리 정한 임계 파워 값보다 크거나, 혹은 측정된 상기 두 D2D 장치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한 임계 거리 값보다 작은 경우에, 단말(110)은 자신과 카트(130)가 근접했음을 인식할 수 있다.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110 is approaching the cart D2D device 133 (S1001) recognizes that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stand D2D device 123 and is approaching the display stand 120 (S802) It can be done using the same method as That is, when the received power of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cart D2D device 133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power value or the measured distance between the two D2D device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value, the terminal 110 may recognize that the cart 130 is close to itself.

단말(110)이 상기 카트 D2D 장치(13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상기 카트(130)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하는(S1003) 것은, 카트 저울 센서(134)가 무게의 증가를 감지하면 무게 증가 정보를 카트 D2D 장치(133)가 단말(110)에게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단말(110)이 카트(130)에 근접해 있고 카트(130)의 무게가 증가하였다면, 단말(110)은 사용자(140)가 카트(130)에 픽업한 물품을 담았음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130)는 S1002 단계에서 수신한 물품 정보에 포함된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저울 센서(134)가 측정한 무게의 증가 값을 상기 물품의 무게 값으로 나눈 값이 미리 설정한 값의 범위를 벗어나면, 잘못된 물품이 담겼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은 상기 픽업된 물품이 상기 카트(130)에 담겼다는 정보 대신에 알 수 없는 물건이 카트(130)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cart D2D device 133 and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130 (S1003), the cart scale sensor 134 detects an increase in weight. When detected, the cart D2D device 133 transmits weight increas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10 . That is, if the terminal 110 is close to the cart 130 and the weight of the cart 130 increases, the terminal 11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140 has put the items picked up in the cart 130. . Here, the cart 130 uses the weigh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1002, an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weight increase value measured by the scale sensor 134 by the weight value of the product is the preset value. If it is out of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wrong item is contained. In this case, the terminal 110 may receive information that an unknown item is put in the cart 130 instead of information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130 .

단말(110)은 상기 물품이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한 후, 물품이 담겼다는 정보를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는데(S1004), 스피커(113), 진동장치(114), LED(112), 화면(111) 등을 이용하여 이를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LED(112) 의 색깔은 픽업 상태에서 초록색일 수 있고, 물품이 카트(130)에 담기면 초록색이 꺼질 수 있다. 만약 잘못된 물품이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예를 들어, 단말(110)은 불빛을 초록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화시켜 이를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 참고로 카트(130)는 자체적으로 물품이 카트(130)에 담기면 화면(131)에 담긴 물품을 표시하여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상기 나눈 값이 미리 설정한 비율의 범위 안에 있으면, 카트(130)는 물품의 무게 증가를 화면(131)에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단말(110)로부터 받은 상기 물품의 정보를 화면(131)에 표시하여, 상기 물품이 정상적으로 카트(130)에 담겼음을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that the article is contained, the terminal 110 may inform the user 140 of the information that the article is contained (S1004), the speaker 113, the vibration device 114, the LED 112, This may be notified to the user 140 using the screen 111 or the like.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terminal LED 112 may be green in the picked up state, and the green color may be turned off when the item is put into the cart 130. If information that an incorrect article is received is received, for example, the terminal 110 may notify the user 140 by changing a light from green to red. For reference, the cart 130 may notify the user 140 by displaying the product on the screen 131 when the product is put into the cart 130 by itself. That is, if the divided value is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t ratio, the cart 130 can display the weight increase of the product on the screen 131, and also displays the produc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on the screen 131. ),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140 that the product is normally put in the cart 130.

지금부터는 단말(110)이 상기 카트 D2D 장치(13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카트(130)에 담겨진 물품이 다시 상기 카트(130)에서 꺼내졌음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상기 인식을 위해서, 단말(110)은 카트 D2D 장치(133)로부터 카트(130)의 무게 감소 정보와 카트 바코드 인식기(132)에서 인식된 물품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즉, 사용자(140)는 반품하고 싶은 물품을 카트(130)에서 꺼내고, 이때 카트 저울 센서(134)는 무게의 감소를 감지한다. 또한, 사용자(140)는 카트(130)에서 꺼낸 물품의 바코드를 카트 바코드 인식기(132)에 인식시킨다. 이와 같은 사용자(140)의 행동에 의해서 카트(130)는 무게 감소 정보와 바코드 인식기(132)에서 인식된 물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따라서 카트(130)는 이 정보를 D2D 장치(133)를 통하여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 카트 바코드 인식기(132)가 필요한 이유는 단말(110)이 무게 감소 정보 만으로는 카트(130)에서 꺼내진 물품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사용자(140)가 진열대(120)에 진열된 물품을 픽업할 때는 해당 물품이 무엇인지 진열대(120)가 알려주기 때문에, 단말(110)은 픽업된 물품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여기서, 단말(110)은 카트 D2D 장치(133)로부터 카트(130)의 무게 감소 정보와 카트 바코드 인식기(132)에서 인식된 물품 정보를 따로따로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110)은 사용자(140)가 카트(130)에서 물품을 꺼낼 때 무게 감소 정보를 카트(130)로부터 한 번 수신하고, 사용자(140)가 상기 물품의 바코드를 바코드 인식기(132)에 인식시킬 때 또 한 번 물품 정보를 카트(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트(130)가 단말(110)에게 상기 두 정보를 각각 보낼 수도 있고, 한번에 보낼 수도 있다. 단말(110)은 상기 두 정보를 받았음을 소리, 진동, 불빛, 화면 안내 등으로 사용자(1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140)의 편리한 쇼핑을 도울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11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133 and recognizes that an article contained in the cart 130 has been taken out of the cart 130 will be described. For the recognition, the terminal 110 needs to receive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of the cart 130 from the cart D2D device 133 and produc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art barcode reader 132 . That is, the user 140 takes out an item to be returned from the cart 130, and at this time, the cart scale sensor 134 detects a decrease in weight. In addition, the user 140 causes the cart barcode reader 132 to recognize barcodes of items taken out of the cart 130 . By such actions of the user 140, the cart 130 can obtain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arcode reader 132, and thus the cart 130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the D2D device 133.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through. The reason why the cart barcode reader 132 is required is that the terminal 110 cannot know exactly what the item has been taken out of the cart 130 based only on the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140 picks up an item displayed on the shelf 120, the terminal 110 can know the information of the item that has been picked up because the shelf 120 informs them what the item is. Here, the terminal 110 may separately receive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of the cart 130 and produc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art barcode reader 132 from the cart D2D device 133 . That is, the terminal 110 receives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from the cart 130 once when the user 140 takes out an item from the cart 130, and the user 140 sends the barcode of the item to the barcode reader 132. When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cart 130 again. As such, the cart 130 may send the two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10 individually or at once. The terminal 110 may deliver to the user 140 that the two pieces of information have been received through sound, vibration, light, or screen guidance. In this way, convenient shopping of the user 140 may be assisted.

카트(130)의 입장에서 상기 동작을 살펴보면, 카트 저울 센서(134)가 무게 감소를 인식하면, 카트(130)는 카트(130) 안에 있던 물품이 픽업되었음을 화면(131)을 표시할 수 있고, 바코드 인식을 요청하는 안내를 화면(131)에 표시할 수 있다. 카트 바코드 인식기(132)가 물품을 인식하면, 카트(130)는 해당 물건이 픽업되었음을 화면(13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140)가 바코드를 찍어야 하는 이유는 카트(130)나 단말(110)이 상기 카트(130)에서 꺼내진 물품이 무엇인지 알기 어렵기 때문인데, 만약 카트(130)의 목록에 담긴 물품들의 무게가 서로 큰 차이가 난다면, 카트 저울 센서(134)에서 측정한 무게 감소만으로도 해당 제품이 무엇인지 판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트 저울 센서(134)에서 측정한 무게 감소 정보에 의하여 충분히 물품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 카트(130)는 바코드 인식이 필요 없음을 불빛이나 화면 안내로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 혹은 카트(130)가 상기 정보를 D2D 장치(133)로 단말(110)에게 전송하면, 단말(110)이 소리, 진동, 불빛, 화면 안내 등으로 이를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Looking at the above oper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rt 130, when the cart scale sensor 134 recognizes a decrease in weight, the cart 130 can display a screen 131 that the item in the cart 130 has been picked up, A guide requesting barcode recogni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31 . When the cart barcode reader 132 recognizes an item, the cart 130 may display on the screen 131 that the item has been picked up. Here, the reason why the user 140 needs to scan the barcode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cart 130 or the terminal 110 to know what the item is taken out of the cart 130, if it is included in the list of the cart 130 If the weights of the items differ greatly from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what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just by reducing the weight measured by the cart scale sensor 134 . In this way, when product information can be sufficiently obtained based on the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art scale sensor 134, the cart 130 can notify the user 140 that barcode recognition is not necessary through light or screen guidance. Alternatively, when the cart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10 through the D2D device 133, the terminal 110 can notify the user 140 of this information through sound, vibration, light, or screen guidance.

지금부터는 단말(110)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12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130)에서 꺼내진 물품이 진열대(120)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11은 제1 단말이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진열대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식을 위한 방법은, 단말(110)이 진열대(120)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고(S1101), 단말(110)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 혹은 진열대 D2D 장치(123)로부터 진열대(120)의 무게 증가 정보와 진열대(120)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수신함으로(S1102)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단말(110)이 진열대(120)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S1101)하는 것은 S802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단말(110)이 진열대(120)의 무게 정보 증가와 진열대(120)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수신(S1102)하는 것은, 진열대 저울 센서(122)가 무게 증가를 감지하면, 진열대 D2D 장치(123)가 무게 증가 정보와 진열대(120)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혹은 진열대 송수신 장치(124)가 상기 무게 증가 정보와 진열대(120)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에 전송하면, 마트 장보기 시스템(180)이 D2D 장치(183)를 통해서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From now on,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or the shelf D2D device 123 to recognize that an item taken out of the cart 130 is returned to the shelf 120 is described. describe about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that a product taken out of a cart is returned to a shelf by a first terminal. As illustrated in FIG. 11 , the method for recognition recognizes that the terminal 110 is approaching the shelf 120 (S1101), and the terminal 110 detects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or the shelf D2D This may be achieved by receiving weight increase information of the shelf 120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120 from the device 123 (S1102). Here,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110 approaches the shelf 120 (S1101)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as in step S802. When the terminal 110 receives the increase in weight information of the shelf 120 and the information of products displayed on the shelf 120 (S1102), when the shelf scale sensor 122 detects an increase in weight, the display shelf D2D device 123 may transmit weight increas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120 to the terminal 110 . Alternatively, when the shelf transceiver 124 transmits the weight increas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120 to the mart shopping system 180, the mart shopping system 180 transmits the terminal 110 through the D2D device 183. ) can be transmitted.

만약 사용자(140)가 카트(130)에서 꺼낸 물품을 가지고 잘못된 진열대(120)에 근접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140)에게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110)은 상기 카트(130)에서 꺼내진 물품 정보와 상기 접근한 진열대(120)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물품이 아니면, 진동혹은소리혹은불빛혹은화면안내로사용자(140)에게 잘못된 진열대(120)에 접근했음을 알릴 수 있다.If the user 140 approaches the wrong shelf 120 with an item taken out of the cart 130, the user 140 should be notified of this. To this end, the terminal 110 compares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cart 130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pproaching shelf 120, and if it is not the same product, the user 140 may be informed that the wrong shelf 120 has been accessed.

또한, 만약 사용자(140)가 카트(130)에서 꺼낸 물품을 잘못된 진열대(120)에 놓을 경우, 이를 사용자(140)에게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110)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 혹은 진열대 D2D 장치(123)로부터 상기 진열대(120)의 무게 증가 정보와 상기 진열대(120)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수신했을 때, 단말(110)은 상기 카트(130)에서 꺼내진 물품 정보와 상기 진열대(120)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물품이 아니면, 진동 혹은 소리 혹은 불빛 혹은 화면 안내로 사용자(140)에게 잘못된 진열대(120)에 물품을 반납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단말(110)은 D2D 장치(115)로 마트 장보기 시스템이나 혹은 진열대(120)에게 상기 잘못된 진열대(120)에 반납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140 places an item taken out of the cart 130 on the wrong shelf 120, the user 140 should be notified of this. To this end, when the terminal 110 receives weight increase information of the shelf 120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120 from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or the shelf D2D device 123, the terminal 110 compares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cart 130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120, and if it is not the same product, the user 140 is notified of the wrong shelf (with vibration, sound, light or screen guidance). 120) to notify that the goods have been returned. In addition, the terminal 110 may notify the mart shopping system or the shelf 120 that the item has been returned to the wrong shelf 120 through the D2D device 115 .

지금부터는 단말(110)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 혹은 상기 반납기 D2D 장치(173)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130)에서 꺼내진 물품이 반납기(170)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From now on,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or the return machine D2D device 173 to recognize that an item taken out of the cart 130 is returned to the return machine 170 is described. describe about

도 12는 제1 단말이 D2D 통신을 수행하여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반납기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식을 위한 방법은, 단말(110)이 상기 카트 D2D 장치(133)로부터 감소한 무게 정보를 수신하고(S1201), 단말(110)이 반납기(170)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고(S1202), 단말(110)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183) 혹은 반납기 D2D 장치(173)로부터 상기 반납기 저울 센서(171)가 측정한 무게 정보와 상기 반납기 바코드 인식기(172) 혹은 상기 카트 바코드 인식기(132)가 인식한 물품 정보 및 인식된 물품의 무게와 측정한 무게의 일치 여부를 수신하는 것(S1203)일 수 있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first terminal performs D2D communication to recognize that an item taken out of a cart is returned to a return machine. As illustrated in FIG. 12 , in the method for recognizing, the terminal 110 receives reduced weight information from the cart D2D device 133 (S1201), and detects that the terminal 110 is approaching the return machine 170. In step S1202, the terminal 110 receives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return machine scale sensor 171 from the mart grocery shopping system D2D device 183 or the return machine D2D device 173 and the return machine barcode reader 172 or the cart The barcode reader 132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recognized item and whether the weight of the recognized item matches the measured weight (S1203).

S1201 단계에서 사용자(140)가 반품하고 싶은 물품을 카트(130)에서 꺼낼 때, 카트 저울 센서(134)는 무게의 감소를 감지하여 이를 D2D 장치(133)를 통하여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user 140 takes out an item to be returned from the cart 130 in step S1201, the cart scale sensor 134 detects a decrease in weight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110 through the D2D device 133. .

사용자(140)는 카트(130)에서 물품을 꺼내고, 반납하기 위해서 반납기(170)에 접근하게 된다. 단말(110)이 반납기(170)에 접근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S1202)의 동작은 단말(110)이 진열대(120)에 접근하는 단계(S802)의 동작과 같다. 다만 접근 대상이 진열대(120)가 아니라 반납기(170)라는 점만이 다를 뿐이다.The user 140 approaches the return machine 170 to take out the product from the cart 130 and return it.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110 approaches the return machine 170 (S1202)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10 approaching the shelf 120 (S802).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access target is not the shelf 120 but the return machine 170 .

사용자(140)는 카트(130)에서 꺼낸 물품의 바코드를 반납기 바코드 인식기(172) 혹은 카트 바코드 인식기(132)에 인식시키고, 반납기 저울 센서(171)에 상기 물품을 올려놓는다. 이와 같은 사용자(140)의 행동에 의해서, 반납기(170)는 인식된 물품 정보와 저울 센서(171)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140)가 카트 바코드 인식기(132)를 사용한 경우, 카트(130)는 상기 인식된 물품 정보를 D2D 장치(133)를 이용하여 반납기(170)에 전달할 수 있고, 따라서 반납기(170)는 인식된 물품 정보와 무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반납기(170)는 상기 인식된 물품 정보에 기록된 무게와 반납기 저울 센서(171)가 측정한 무게가 미리 정한 비율이상 차이가 생길 경우, 일치 여부를 ‘불일치’로 판단하여 자체적으로 불빛이나 소리로 사용자(140)에게 알릴 수 있다. 혹은 반납기(170)는 잘못된 물품이 반납되었다는 것을 D2D 장치(173)로 단말(110)에게 알릴 수 있고, 단말(110)이 소리, 진동, 불빛, 화면 안내로 사용자(140)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일치 여부가 ‘일치’라면, 반납기(170)는 인식된 물품 정보와 무게 정보 및 일치 정보를 D2D 장치(173)를 통하여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S1203)The user 140 recognizes the barcode of an item taken out of the cart 130 with the return machine barcode reader 172 or the cart barcode reader 132, and places the item on the return machine scale sensor 171. By such actions of the user 140, the return machine 17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ecognized item and information about the weight measured by the scale sensor 171. When the user 140 uses the cart barcode reader 132, the cart 130 may transmit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return machine 170 using the D2D device 133, and the return machine 170 recognizes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item and weight information. Thereafter,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recorded in the recognized item information and the weight measured by the return machine scale sensor 171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the return machine 170 judges whether or not the match is 'mismatch' and lights or lights itself. The user 140 may be notified by sound. Alternatively, the return machine 170 may notify the terminal 110 that the wrong item has been returned through the D2D device 173, and the terminal 110 may notify the user 140 through sound, vibration, light, or screen guidance. . If the match is 'match', the return machine 170 may transmit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and match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10 through the D2D device 173 (S1203).

추가적으로 단말(110)은 D2D 장치(115)를 통하여 해당 물품이 반납 완료되었음을 카트(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S1204) 상기 반납 완료 정보를 수신한 카트(130)는 반납된 물품을 구매 목록에서 제외하여 이를 화면(131)으로 사용자(140)에게 보여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10 may notify the cart 130 that the return of the corresponding item has been completed through the D2D device 115 (S1204). The cart 130 receiving the return completion information places the returned item in the purchase list. It can be excluded and shown to the user 140 through the screen 131 .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readable program or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In additi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store and execute computer-readable programs or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and flash memory. The program command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본 개시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som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n apparatus, it may also represent a description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method, where a block or apparatus corresponds to a method step or feature of a method step. Similarly, aspect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method may also be represented by a corresponding block or item or a corresponding feature of a device. Some or all of the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or using) a hardware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microprocessor, programmable computer, or electronic circuitry. In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such a device.

실시 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embodiments, a programmable logic device (eg,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ay be us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embodiment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microprocessor to perform one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Generally, methods are preferably performed by some hardware device.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disclosur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8)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손이나 손 주변에 제1 단말이 착용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진열대에 장착된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는 단계; 및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진열대의 물품이 픽업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terminal performing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Recognizing that a first terminal is worn on or around a user's hand;
Recognizing proximity to the shelf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2D device mounted on the shelf; and
Recognizing that an item from the shelf is being picked up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2D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비접촉 근거리 통신 방식), 초광대역(ultra-wideband, UWB),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중의 하나인,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2D communication is one of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ltra-wideband (UWB), and wifi-direct.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진열대에 장착된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진열대에 장착된 D2D 장치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파워가 미리 정한 임계 파워 값보다 더 크거나 혹은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된 제1 단말과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한 임계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제1 단말이 상기 진열대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ognizing proximity to the shelf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D2D device mounted on the shelf,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a D2D device mounted on the display stand;
When the received power of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power valu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display shelf D2D device measured us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1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is in proximity to the shelf,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진열대의 물품이 픽업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진열대 저울 센서의 무게 감소 정보와 물품 정보를 제1 단말이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진열대 저울 센서의 무게 감소 정보와 물품 정보를 제1 단말이 수신하여 인식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to recognize that the product is being picked up from the shelf,
A first terminal receives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f the shelf scale sensor transmitted by the shelf D2D device, or receives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f the shelf scale sensor transmitted by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it receives and recognizes,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와 D2D 통신을 수행하여 제1 단말의 ID 를 상기 카트에 등록하고 상기 카트의 ID를 제1 단말에 등록하는 상호 ID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erminal performs D2D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to register the ID of the first terminal in the cart and performs mutual ID registration of registering the ID of the cart with the first terminal.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카트에 담겼음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
Recognizing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by the first terminal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cart D2D device, further comprising: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6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카트에 담겼음을 인식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의 정보를 상기 카트 D2D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상기 카트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to recognize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approaches the cart D2D device;
transmitting, by a first terminal,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icked-up item to the cart D2D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by a first terminal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7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제1 단말이 카트 D2D 장치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파워가 미리 정한 임계 파워보다 크거나 혹은 카트 D2D 장치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측정한 제1 단말과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한 임계 거리보다 작을 때 이를 근접으로 인식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7,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approaches the cart D2D device,
When the received power of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cart D2D device of the first termi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power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cart D2D device measured through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cart D2D device is predetermined When it is less than the critical distance, it recognizes it as proximity,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7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픽업된 물품이 상기 카트에 담겼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카트 D2D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카트 저울 센서의 무게 증가 정보를 제1 단말이 수신하는 것인,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and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picked-up item is put in the cart,
The first terminal receives weight increase information of the cart scale sensor transmitted by the cart D2D devic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6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 담겨진 물품이 다시 상기 카트에서 꺼내졌음을 더 인식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to further recognize that the items contained in the cart have been taken out of the cart again.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0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 담겨진 물품이 다시 상기 카트에서 꺼내졌음을 인식하는 것은,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로부터 상기 카트의 무게 감소 정보와 상기 카트 바코드 인식기에서 인식된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0,
When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art D2D device and recognizes that the item contained in the cart has been taken out of the cart again,
Receiving, by a first terminal, weight reduction information of the cart and produc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art barcode reader from the cart D2D devic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0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진열대에 반납되는 것을 더 인식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to further recognize that the item taken out of the cart is returned to the shelf.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2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기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진열대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상기 진열대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로부터 상기 진열대의 무게 증가 정보와 상기 진열대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to recognize that the product taken out of the cart is returned to the shelf,
Recognizing that a first terminal approaches the shelf;
Receiving, by a first terminal, weight increase information of the shelf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from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3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기 진열대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한 후,
제1 단말이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 정보와 상기 접근한 진열대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물품이 아니면, 진동장치를 이용한 진동 혹은 스피커를 이용한 소리 혹은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나 화면의 불빛으로 사용자에게 잘못된 진열대에 접근했음을 알리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3,
After recognizing that the first terminal is approaching the shelf,
The first terminal compares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cart with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djacent shelf, and if it is not the same product, vibration using a vibration device, sound using a speaker, or light-emitting diode (LED) ) or a light on the screen to inform the user that they have approached the wrong shelf,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3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기 진열대 D2D 장치로부터 상기 진열대의 무게 증가 정보와 상기 진열대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수신했을 때,
제1 단말이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 정보와 상기 진열대에 진열되는 물품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물품이 아니면, 진동장치를 이용한 진동 혹은 스피커를 이용한 소리 혹은 LED나 화면의 불빛으로 사용자에게 잘못된 진열대에 물품을 반납했음을 알리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3,
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on the weight increase of the shelf and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from the shelf D2D device,
The first terminal compares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cart with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helf, and if it is not the same product, vibration using a vibrating device, sound using a speaker, or LED or screen light informs the user that the product is displayed on the wrong shelf. notifying that the item has been returned;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0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반납기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반납기에 반납되는 것을 더 인식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return machine D2D device to further recognize that the item taken out of the cart is returned to the return machin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제16 항에 있어서,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반납기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카트에서 꺼내진 물품이 반납기에 반납되는 것을 인식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상기 카트 D2D 장치로부터 감소한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이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반납기 D2D 장치로부터 상기 반납기 저울 센서가 측정한 무게 정보와 상기 반납기 바코드 인식기가 인식한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말의 동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6,
A method in which a first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mart grocery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a return machine D2D device to recognize that an item taken out of the cart is returned to the return machine,
receiving reduced weight information from the cart D2D device by a first terminal;
Receiving, by a first terminal,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return machine scale sensor and produc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turn machine barcode reader from a mart grocery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a return machine D2D devic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고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나 손 주변에 착용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진열대에 장착된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진열대에 근접한 것을 인식하는 단계;
마트 장보기 시스템 D2D 장치 혹은 상기 진열대 D2D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진열대의 물품이 픽업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D2D 통신 수행 단말

In a terminal that can be worn by a user and performs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recognizing what is being worn on or around the user's hand;
Recognizing proximity to the shelf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2D device mounted on the shelf;
Performing the step of recognizing that an item from the shelf is being picked up by communicating with the mart shopping system D2D device or the shelf D2D device,
D2D communication performing terminal

KR1020230068739A 2023-05-27 2023-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KR202300997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739A KR20230099701A (en) 2023-05-27 2023-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739A KR20230099701A (en) 2023-05-27 2023-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701A true KR20230099701A (en) 2023-07-04

Family

ID=8715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739A KR20230099701A (en) 2023-05-27 2023-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7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2311B2 (en) Method and medium for shopping in a physical store
US20190279185A1 (en) Intelligent shopping cart, intelligent shopping system and implement method therefor
US10964153B2 (en) Sales system, sales terminal, user terminal, and program
US11692864B2 (en) Open-type self-service vending method based on buyer positioning, and system
US20240086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Capture Device Selection from Within Data Capture Device Repository
JP6134607B2 (en) User observation system
US11361642B2 (en) Building system with sensor-based automated checkout system
EP3109838A1 (en) Mobile device based digital wallet for retail shopping, related system and method
EP3510571A1 (en) Order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8006094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enabling retail shopping while disabling components based on location
JP65806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article providing system
US11676462B2 (en) Valida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larm event tags
US109571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ing to objects
US10467609B2 (en) Products identifying carrier
US111269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and purchasing goods
US10499754B2 (en) Sensing device for shopping cart
WO201908394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objectively confirming customer self-scanning of products in a retail store
US20180099185A1 (en) Retail shopping facility workout systems and methods
CN108171286B (en) Unmanned selling method and system
KR20140139945A (en) Smart store system
JP7276089B2 (en) payment system
KR202300997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shopping
CN114556455A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location verification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KR202301048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vineg terminal and mart shopping system for convineint shopping
KR202301048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art terminal for fast sho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