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805A -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 Google Patents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805A
KR20230096805A KR1020220057359A KR20220057359A KR20230096805A KR 20230096805 A KR20230096805 A KR 20230096805A KR 1020220057359 A KR1020220057359 A KR 1020220057359A KR 20220057359 A KR20220057359 A KR 20220057359A KR 20230096805 A KR20230096805 A KR 2023009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logging
user
place
metaverse
p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용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옷깃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옷깃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옷깃
Publication of KR2023009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8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은,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 또는 GPS를 통해 파악된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 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에서 디바이스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장소를 기반으로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re presented. In the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implemented by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 of interest that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or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GPS Deriving a candidate list of (Point of Interest, POI); extracting at least one or more data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device sensor, place-related information, and a past visit history of the user from the derived POI candidate list; and inputting the extracted data into a predictive model to select a place that the user is likely to visit as a visit place, and a lifelogging service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visit place.

Figure P1020220057359
Figure P1020220057359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아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relate to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geotagg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geotagg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라이프로깅(lifelogging)은 개인이 생활하면서 보고, 듣고, 만나고, 느끼는 모든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웹 사이트에 자료를 올릴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라이프로깅은 빅데이터 시대에 특정 유저와 관련한 통합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구축하는 관점에서 핵심적이고 포괄적인 기술이며, Instagram, Facebook, Twitter 등 글로벌 SNS 서비스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이다. 사람이 지닌 기억력의 한계로 인하여 개인의 일상을 기록하기 위한 일기 등은 과거로부터 존재해 왔던 아날로그 형태의 라이프로깅이며, 21세기의 라이프로깅은 디지털을 활용하여 진화 중이다.Lifelogging is a service that automatically records all information that an individual sees, hears, meets, and feels while living, and can upload data to a website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Lifelogging is a core and comprehensive technology from the viewpoint of building an integrated database (DB) related to a specific user in the era of big data, and is the ultimate goal of global SNS services such as Instagram, Facebook, and Twitter. Due to the limitations of human memory, a diary to record an individual's daily life is an analog form of lifelogging that has existed since the past, and lifelogging in the 21st century is evolving using digital technology.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정보로는 서비스 이용 개시 시점 이후부터의 라이프로깅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서비스 이용 시점 이전 과거로의 라이프로깅 데이터 수집 확장을 위해서는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 등 다양한 기록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sensor has a limitation that only lifelogging from the start of service use is possible. In order to expand the collection of lifelogging data to the past prior to the point of service use, a technology that can utilize various records such as photos stored in the device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10-1706371호는 이러한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06371 describes a technology related to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that performs such a lifelog service.

한국등록특허 10-170637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0637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하여 유저가 방문한 장소들을 기록하고, 같은 장소를 방문한 유저들을 연결하는 라이프로깅 기술을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nd more specifically, record places visited by use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nd users who have visited the same place Provides lifelogging technology that connec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빅데이터 및 지오태깅을 이용하여 사진에 기록되어 있는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장소를 자동으로 태깅함으로써, 빠르게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저의 과거 방문이력에 대한 라이프로깅의 시간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big data and geotagging to automatically tag visited places using meta information recorded in photos, thereby quickly generating lifelogging data and providing lifelogg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It is to provide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that can expand the temporal ran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이프로깅을 바탕으로 개별 장소 단위의 하이퍼로컬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물리적 거리가 아닌 정서적 거리에 기반한 강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averse service that connects hyperlocal communities in individual places based on lifelogging, thereby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that can form a strong bond based on emotional distance rather than physical distance. It is to provide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device 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은,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 또는 GPS를 통해 파악된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 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에서 디바이스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장소를 기반으로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implemented by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 of interest that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or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GPS Deriving a candidate list of (Point of Interest, POI); extracting at least one or more data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device sensor, place-related information, and a past visit history of the user from the derived POI candidate list; and inputting the extracted data into a predictive model to select a place that the user is likely to visit as a visit place, and a lifelogging service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visit place.

상기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by the user at present or in the past.

지오태깅 및 장소 분석을 위한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구축된 상기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structing a POI database for geotagging and location analysis, and a POI candidate list may be derived based on the constructed POI database.

상기 유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상기 예측 모델을 통해 선택된 상기 장소를 수정하는 경우 거짓(False) 값으로 판별하고, 상기 장소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 참(True) 값으로 판별하여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learning the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user's feedback, wherein the step of learning the predictive model determines a false value when the user modifies the place selected through the predictive model. And, if the place is not modified, the prediction model can be trained by determining it as a true value.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는,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영상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장소를 자동으로 지오태깅하여 획득할 수 있다.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may be obtained by automatically geotagging the visited place using meta information included in a photo or video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남긴 게시글의 텍스트에서 장소명 또는 장소를 유추할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관심지점(POI)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data, the data may be extracted by extracting a place name or a keyword from which the place may be inferred from the text of the post left by the user, grasping information on a point of interest (POI), and extracting the data.

상기 데이터를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진 또는 영상의 위치 정보와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유저의 사진 또는 영상을 포함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The step of inputting the data to a predictive model and selecting a place that the user is likely to visit as a visit place may includ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hoto or video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list of the POI to be visited by other users. You can select a place to visit based on big data including photos or videos of

상기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The step of identifying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by the user at present or in the past may include, when meta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at the present or in the past, the meta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a life log of the past.

상기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메시지 기록, 결제 내역 및 유저의 동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The step of identifying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by the user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may include, when access to a photo or video taken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cannot obtain meta information, the user Includ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f message records, payment details, and the user's movement stored in the terminal, and based on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a life log of the past can be recorded.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장치는,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 또는 GPS를 통해 파악된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 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하는 POI 후보 목록 도출부; 도출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에서 디바이스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입력 데이터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하는 예측 모델을 포함하고, 상기 방문 장소를 기반으로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metaverse lifelogging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 of interest (POI)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or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GPS a POI candidate list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candidate list of ); an input data extractor extracting at least one or more of data collected from a device sensor, place-related information, and a past visit history of the user from the derived POI candidate list; and a prediction model inputting the extracted data to select a place the user is likely to visit as a visit place, and providing a lifelogging service based on the visit place.

상기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r for recognizing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meta-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in the past or currently by the user.

지오태깅 및 장소 분석을 위한 관심지점(POI)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A POI database for storing POI data for geotagging and location analysi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POI candidate list may be derived based on the POI database. there is.

상기 유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예측 모델 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델 학습부는, 상기 유저가 상기 예측 모델을 통해 선택된 상기 장소를 수정하는 경우 거짓(False) 값으로 판별하고, 상기 장소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 참(True) 값으로 판별하여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prediction model learning unit for learning the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user's feedback, wherein the prediction model learning unit determines a false value when the user modifies the place selected through the prediction model , If the place is not modified, the prediction model may be trained by determining a true value.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는,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영상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장소를 자동으로 지오태깅하여 획득할 수 있다.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may be obtained by automatically geotagging the visited place using meta information included in a photo or video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상기 예측 모델은, 상기 사진 또는 영상의 위치 정보와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유저의 사진 또는 영상을 포함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The predictive model may select a visit place based on big data including pictures or videos of other users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icture or video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 candidate list.

상기 위치 정보 판단부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may record a lifelog of the past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when meta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at present or in the past.

상기 위치 정보 판단부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메시지 기록, 결제 내역 및 유저의 동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한 후, 상기 촬영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u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including message records, payment details, and the user's movement, when meta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at present or in the past. After grasping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a past lifelog may be recorded based on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빅데이터 및 지오태깅을 이용하여 사진에 기록되어 있는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장소를 자동으로 태깅함으로써, 빠르게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저의 과거 방문이력에 대한 라이프로깅의 시간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tagging visited places using meta information recorded in photos using big data and geotagging, lifelogging data is quickly generated, and the life history of the user's past visi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that can expand the temporal range of logg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라이프로깅을 바탕으로 개별 장소 단위의 하이퍼로컬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물리적 거리가 아닌 정서적 거리에 기반한 강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etaverse service that connects hyperlocal communities in individual places based on lifelogg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nection that can form a strong bond based on emotional distance rather than physical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device using geotagging.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에 저장된 메타 정보를 활용한 라이프로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깅 예측 모델을 통한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 서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a processor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that can be performed by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lifelogging using meta information stored in a pho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through a geotagging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based geotag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several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Wi-Fi 실내 측위 기술이 적용되어 유저가 방문한 정확한 장소를 백그라운드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기록하고, 같은 장소를 방문한 유저 간 실시간 대화 및 친구 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ndroid-based Wi-Fi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is applied to automatically record the exact places visited by users using background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real-time conversations and friend connection functions between users visiting the same place.

그러나, 안드로이드 OS 정책 상 백그라운드 위치 권한 사용에 대한 사용자 동의 절차가 강화되어, Wi-Fi 실내 측위 기술로 라이프로깅이 이루어지는 사용자는 소수에 불과(전체 유저의 5% 수준)하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센서를 활용한 Wi-Fi 실내 측위 기술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경우 정밀도(precision) 및 리콜(recall) 성능 한계로 인한 방문 장소 오인식 또는 누락이 발생한다. 그리고, 지역 커뮤니티나 다른 유저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전제가 되는 라이프로깅 데이터 축적까지 서비스 개시 이후 상당 기간이 소요되어 가입 초기 유저 이탈이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as the Android OS policy has strengthened the user consent process for the use of background location permission, only a small number of users (5% of all users) are lifelogging with Wi-Fi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In addition, in the case of Wi-Fi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a mobile device sensor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visit place misrecognition or omission occurs due to limitations in precision and recall performance. In addition, it takes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fter the start of the service to accumulate lifelogging data, which is a premise for interaction with local communities or other users, and user departure at the initial stage of subscription may occur.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실시간 위치 정보만으로는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설치 이후부터의 기록은 가능하나 서비스 설치 이전 유저의 라이프로깅 데이터 확보를 위해서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의 메타 정보를 활용한 라이프로깅의 시간적 범위 확장이 필요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ord after the mobile platform service is installed only with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bu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emporal scope of lifelogging using meta information of photos stored in the device in order to secure the user's lifelogging data before the service is installed. .

아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하여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방문한 장소들을 기록하고, 같은 장소를 방문한 유저들을 연결하는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빅데이터 및 지오태깅을 이용하여 사진에 기록되어 있는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장소를 자동으로 태깅함으로써, 빠르게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저의 과거 방문이력에 대한 라이프로깅의 시간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의 사진 또는 영상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기 이전의 사진 또는 영상들로 라이프로깅이 가능한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may provide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recording places visited by a user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nd connecting users who have visited the same pla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tagging visited places using meta information recorded in photos using big data and geotagging, lifelogging data is quickly generated, and the life history of the user's past visits The temporal scope of logging can be extended. Accordingly, the lifelogging range can be expanded to photos or images of the past or photos or images before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라이프로깅을 바탕으로 개별 장소 단위의 하이퍼로컬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물리적 거리가 아닌 정서적 거리에 기반한 강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etaverse service that connects hyperlocal communities in individual places based on lifelogging, it is possible to form a strong bond based on emotional distance rather than physical distance.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장치가 도 1의 컴퓨터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00)은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영구 저장 장치(130), 버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a metaverse lifelogging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computer system 100 of FIG. 1 . As shown in FIG. 1, the computer system 100 includes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 permanent storage device 130, It may include a bus 140 , an input/output interface 150 and a network interface 160 .

프로세서(110)는 명령어들의 임의의 시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그의 일부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세서, 이동 장치 또는 다른 전자 장치 내의 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서버 팜, 클라우드 컴퓨터, 콘텐츠 플랫폼, 이동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셋톱 박스, 미디어 플레이어 등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버스(140)를 통해 메모리(120)에 접속될 수 있다.Processor 110 may include or be part of any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ny sequence of instructions. Processor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mputer processor, a processor in a mobile device or other electronic device, and/or a digital processor. Processor 110 may be included, for example, in a server computing device, server computer, series of server computers, server farm, cloud computer, content platform, mobile computing device, smartphone, tablet, set top box, media player, and the like. Processor 110 may be connected to memory 120 through bus 140 .

메모리(120)는 컴퓨터 시스템(100)에 의해 사용되거나 그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 영구, 가상 또는 기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및/또는 동적 RAM(Dynamic RAM, DRA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상태 정보와 같은 임의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장치를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 또는 적절한 경우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Memory 120 may include volatile, permanent, virtual or other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used by or output by computer system 100 . The memory 120 may include,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and/or dynamic RAM (DRAM). Memory 120 may be used to store any information, such as state information of computer system 100. The memory 120 may also be used to store instructions of the computer system 100, including instructions for a metaverse lifelogging device using, for exampl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Computer system 10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110 as needed or appropriate.

버스(14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는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 사이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 사이에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버스(14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병렬, 직렬 또는 다른 토폴로지 배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Bus 1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that enables interaction between the various components of computer system 100. Bus 140 may carry data between components of computer system 100, for example, between processor 110 and memory 120, for example. Bus 140 may include a wireless and/or wired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components of computer system 100, and may include parallel, serial, or other topological arrangements.

영구 저장 장치(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 비해) 소정의 연장된 기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100)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메모리 또는 다른 영구 저장 장치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컴퓨터 시스템(100) 내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비휘발성 메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Persistent storage device 130 is a component such as a memory or other persistent storage device as used by computer system 100 to store data for some extended period of time (e.g., relative to memory 120). may include Persistent storage 130 may include non-volatile main memory as used by processor 110 in computer system 100 . Persistent storage device 130 may include, for example, flash memory, a hard disk, an optical disk, or other computer readable medium.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 명령 입력,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입력 또는 출력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 및/또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장치를 위한 데이터가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Input/output interface 150 may include interfaces to a keyboard, mouse, voice command input, display, or other input or output device. Configuration commands and/or data for the metaverse lifelogging device using AI-based geotagging may be received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15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 및/또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장치를 위한 데이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Network interface 160 may include one or more interfaces to network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or the Internet. Network interface 160 may include interfaces for wired or wireless connections. Configuration commands and/or data for the metaverse lifelogging device using AI-based geotagging may b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60 .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100)은 도 1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Also, in other embodiments, computer system 1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ose of FIG. 1 .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a processor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metaverse lif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that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It is a flow chart showing the logging metho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위치 정보 판단부(210), POI 후보 목록 도출부(220), 입력 데이터 추출부(230), 예측 모델(240) 및 예측 모델 학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장치로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가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도록 컴퓨터 시스템(100)을 제어하기 위해 동작하는 기능적 표현으로서 위치 정보 판단부(210)가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310 내지 S35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2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을 처리하기 위해 구현된 프로그램의 코드에 대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rocessor 11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10, a POI candidate list derivation unit 220, an input data extraction unit 230, a prediction model 240, and a prediction model learning unit 250. ) may be included. Also, according to embodiments, a point of interest (POI) database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processor 110 may be referred to as a metaverse lifelogging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Components of the processor 110 may represent different fun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11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provided by at least one program code. For example,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as a functional expression that controls the computer system 100 so that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location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by a user currently or in the past through meta information. (210) may be used. The processor 110 and components of the processor 110 may perform steps S310 to S350 included in the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of FIG. 3 .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and components of the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n instruction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code included in the memory 120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described above. Here, at least one program code may correspond to a code of a program implemented to process the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the AI-based geotagging.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은 도시된 순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계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may not occur in the order shown,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or additional processes may be included.

단계(S310)에서, 위치 정보 판단부(210)는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In step S310,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r 210 may grasp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by the user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일례로, 위치 정보 판단부(210)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치 정보 판단부(210)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메시지 기록, 결제 내역 및 유저의 동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파악한 후, 촬영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의 사진의 메타 정보가 시간 정보만을 포함한 경우, 그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메시지 기록 또는 결제 내역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메시지 기록, 결제 내역 및 유저의 동선뿐 아니라, 유사한 시간에 촬영된 다른 사진의 위치 정보 등 사진이 촬영된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기록이면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 정보의 사용은 유저의 동의 여부에 따라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r 210 can obtain meta information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at present or in the past, it can record a past lifelog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r 210 cannot acquire meta information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at present or in the past, at least one of message records, payment details, and the user's movement path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After captu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e above information, a past lifelog may be recorded based on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meta information of a past photo includes only tim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message records or payment details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it is a record that show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where the photo was taken, such as message records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payment details, and user's movement, as well as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photos taken at similar times, it can be additionally us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e use of can be set to be used according to the consent of the user.

한편, 지오태깅 및 장소 분석을 위한 관심지점(POI)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Meanwhile, a POI database for storing POI data for geotagging and place analysis may be further included. Accordingly, a POI candidate list may be derived based on the POI database.

단계(S320)에서, POI 후보 목록 도출부(220)는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 또는 GPS를 통해 파악된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 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GPS 좌표 또는 사진 또는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00m 이내에 존재하는 POI 목록 long-list를 도출할 수 있다.In step S320, the POI candidate list derivation unit 220 derives a candidate list of points of interest (POI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or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GPS. can For example, a long-list POI list existing within a radius of 100 m may be derived based on the user's GPS coordinates or location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단계(S330)에서, 입력 데이터 추출부(230)는 도출된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에서 디바이스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는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영상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장소를 자동으로 지오태깅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남긴 게시글의 텍스트에서 장소명이나 장소를 유추할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해서 관심지점(POI)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유저가 남긴 게시글은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유저가 허용한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통해 수집할 수도 있다.In step S330, the input data extractor 230 extracts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evice sensor, place-related information, and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from the derived POI candidate list. can Here,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may be obtained by automatically geotagging the visited place using meta information included in a photo or video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In addition, information on a point of interest (POI) can be grasped by extracting a place name or a keyword from which a place can be inferred from the text of a post left by a user. At this time, the posts left by the user may be collected through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and may be collected through other applications permitted by the user or the web according to embodiments.

단계(S340)에서, 예측 모델(240)은 추출된 데이터를 입력하여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할 수 있다. 예측 모델(240)은 Logistics regression, Neural network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유저의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예측 모델(240)은 사진 또는 영상의 위치 정보와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유저의 사진 또는 영상을 포함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문 장소를 기반으로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40, the prediction model 240 may input the extracted data and select a place where the user is likely to visit as a visit place. The prediction model 240 may select a place where the user is likely to visit by utilizing methodologies such as logistics regression and neural network. For example, the predictive model 240 may select a place to visit based on big data including photos or images of other users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photos or images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a POI candidate list. Accordingly, a lifelogging service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visited place.

단계(S350)에서, 예측 모델 학습부(250)는 유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예측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측 모델 학습부(250)는 유저가 예측 모델을 통해 선택된 장소를 수정하는 경우 거짓(False) 값으로 판별하고, 장소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 참(True) 값으로 판별하여 예측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In step S350, the predictive model learning unit 250 may learn the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user's feedback. More specifically, the predictive model learning unit 250 determines a false value when the user modifies the selected place through the predictive model, and determines a true value when the user does not modify the place, thereby forming the predictive model. can be learned

이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오태깅을 통한 라이프로깅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 이용 시점 이전 기록에 대한 라이프로깅 기간을 확장할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embodiments, a lifelogging function can be provided through geotagging, and in particular, a lifelogging period for a record prior to the point of service use can be extended by utilizing image information stored in a user terminal.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비스 사용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방문 장소에 대한 지오태깅 기능을 통해 라이프로깅 기능의 편의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service usability can be enhanced, and convenience and accuracy of a lifelogging fun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a geotagging function for an accurate visit pl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유저가 방문한 장소들을 기록하고, 같은 장소를 방문한 유저들을 연결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400)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실시간 위치 정보(411)와 저장된 사진의 메타 정보(412)를 활용하여 유저가 방문한 장소를 자동으로 “체크인” 형태로 라이프로깅(410)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장소를 방문한 유저들 간 실시간 오픈 채팅(421)으로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공통 관심사 기반의 하이퍼로컬 커뮤니티(420)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400 that records places visited by users and connects users visiting the same place may be provided. For example, by us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411 of a mobile device and meta information 412 of a stored photo, a place visited by a user may be automatically life-logged 410 in the form of “check-in”. In addition, a hyperlocal community 420 based on common interests can be formed on a mobile platform through real-time open chatting 421 between users visiting the same place.

실시예들은 라이프로깅의 대상인 ‘장소’를 매개로 하이퍼로컬 서비스 영역을 아우르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들은 동네 또는 물리적인 거리가 아니라, 잠실 야구장, xx 대학교, 동네 카페 등과 같이 특정 개별 장소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리적 거리가 아닌 정서적 거리에 기반한 강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Embodiments can provide a metaverse service that encompasses the hyperlocal service area through the 'place', which is the object of lifelogging, as a medium. In particular, the embodiments may provide a metabus service centered on specific individual places such as Jamsil Baseball Stadium, xx University, and neighborhood cafes, rather than neighborhoods or physical streets. As a result, a strong bond can be formed based on emotional distance rather than physical distan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에 저장된 메타 정보를 활용한 라이프로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lifelogging using meta information stored in a pho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510)에 기록되어 있는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장소를 자동으로 태깅(520)하는 방식(즉, 지오태깅)으로 가입 초기 빠르게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저의 과거 방문이력에 대한 라이프로깅의 시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서비스의 사용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lifelogging data is quickly generated at the initial stage of subscription by automatically tagging (520) the place to be visited by utilizing meta information recorded in a photo (510) stored in a mobile device (i.e., geotagging)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alue of using the service by extending the temporal range of lifelogging for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이 찍힌 GPS 좌표와 주변 POI(Point of Interest)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가 방문한 장소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인공지능 예측 모델을 제공할 수 있으며,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지오태깅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model that automatically selects a place visited by a user based on GPS coordinates where the picture was taken and surrounding POI (Point of Interest) property information, and machine learning is used to Geotagging performance can be continuously improved.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문하는 장소마다 애플리케이션(앱)을 실행하는 불편함 없이 자동으로 동선이 기록되는 라이프로깅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 센서가 아닌 빅데이터와 지오태깅을 활용한 라이프로깅을 통해 유저의 현재와 과거를 포함하는 라이프로깅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라이프로깅을 바탕으로 개별 장소 단위의 하이퍼로컬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felogging metaverse service in which movement is automatically recorded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running an application (app) at each place visited.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lifelogging technology including the present and past of a user may be provided through lifelogging using big data and geotagging, not a mobile device sensor.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abus service that connects hyperlocal communities in individual places based on lifelogg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깅 예측 모델을 통한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through a geotagging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 또는 사진(영상)의 메타 정보(610)를 자동으로 태깅하여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620)은 파악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장소 목록을 추출(621)하고, 유저의 라이프로깅 데이터(622)를 이용하여 예측 모델(623)을 통해 방문 장소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정된 방문 장소를 이용하여 라이프로깅 서비스(630)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firs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terminal or meta information 610 of a photo (video) may be automatically tagged to determine location information. Th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620 may extract a list of nearby places using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621), and estimate a visited place through a predictive model 623 using the user's lifelogging data 622. . Accordingly, the lifelogging service 630 may be provided using the estimated visit place.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깅 예측 모델을 통한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through a geotagging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오태깅 및 장소 분석을 위한 POI DB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오태깅 및 장소 분석을 위한 POI 데이터 수집 항목을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POI 데이터 수집 항목을 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OI DB for geotagging and location analysis may be constructed. Here, POI data collection items for geotagging and location analysis can be determined, and for example, POI data collection items can be determined as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DB를 구축하기 위해 웹 크롤링(Web Crawling), 정부지원 데이터바우처 사업 지원 등을 통한 데이터 구매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In order to build a DB, methods such as web crawling and data purchase through government-sponsored data voucher business support can be used.

또한,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 기능의 구현을 위한 예측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 서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diction model for implementation of AI-based geotagging func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based geotag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예측 모델(740)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유저의 GPS 좌표를 기준으로 반경 100m 이내에 존재하는 POI의 후보 목록(POI long-list)(720)을 도출할 수 있다. POI의 후보 목록(720)으로부터 디바이스 센서(731)로부터 수집된 정보, 장소 관련 평균적인 방문자 수, 업종, 운영시간 등의 정보(732), 해당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733) 등 예측 모델의 입력(input)이 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Logistics regression, Neural network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유저의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선택(750)하는 예측 모델(74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의 피드백(760)을 바탕으로 유저가 해당 장소를 수정하는 경우 False 값으로 판별하고, 해당 장소 그대로 등록하는 경우 True 값으로 판별하여 예측 모델(740)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는 학습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nd a prediction model 740 may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First, a POI long-list 720 of POIs existing within a radius of 100 m based on the user's GPS coordinates may be deriv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evice sensor 731 from the POI candidate list 720, information such as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related to the place, type of business, operating hours, etc. 732, past visit history of the user 733, etc. input of the prediction model (input) data can be extrac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dictive model 740 for selecting 750 a place where a user is likely to visit by utilizing methodologies such as logistics regression and neural network. Here, based on the user's feedback 760, a learning model tha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740 by determining a false value when the user modifies the corresponding place and a true value when registering the corresponding place as it is. can provide.

또한,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DB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DB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 상의 컴퓨팅 엔진(Computing Engine) 서버를 구축하고 SQL DB를 통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Autoscaling, Load balancer, Docker 등을 사용하여 트래픽 증가에 대비한 유연한 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보안을 위한 Firewall 및 whitelist 방식의 IP를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rver and DB providing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can be constructed. For example, in order to build a cloud DB server that provides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a computing engine server on Google Cloud Platform can be built and data can be accumulated through SQL DB. In addition, you can configure a flexible server in preparation for traffic increase by using autoscaling, load balancer, Docker, etc. And you can manage Firewall and whitelist IP for cloud security.

그리고,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REST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REST API를 제공하기 위해 Node.js, typescript 언어를 기반으로 nest.js framework를 활용하여 Rest AP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JWT 토큰(token)을 활용한 보안 인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과 리프레쉬 토큰(Refresh token)을 통해 보안성과 사용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그리고 Swagger를 활용하여 RESTful API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nd, REST API for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can be provided. For example, rest API can be provided by utilizing nest.js framework based on Node.js and typescript language to provide REST API for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ecurity authentication function using a JWT token. Security and usability can be pursued simultaneously through authentication token and refresh token. Also, you can systematically manage RESTful APIs by using Swagger.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 Kotlin 언어를 활용하여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을 제공하고, Clean Architecture 기반으로 Dagger2(Hilt), Retrofit, Kotlinx, Serialization, Coil을 조합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도 UI 구현을 위한 NAVER Maps SDK, 장소 검색을 위한 NAVER Place API, 채팅을 위한 Sendbird SDK, Notification 기능 구현을 위한 Firebase FCM 등 외부 라이브러리를 활용할 수 있다.An application providing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Android application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order to provide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Android application, Android native apps are provided using the Kotlin language, and a framework combining Dagger2 (Hilt), Retrofit, Kotlinx, Serialization, and Coil based on Clean Architecture is utilized. can In addition, you can use external libraries such as NAVER Maps SDK for map UI implementation, NAVER Place API for place search, Sendbird SDK for chatting, and Firebase FCM for notification function implementation.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유저가 사용자 단말(810)을 이용하여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후, 촬영된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촬영된 사진에 포함된 시간, 좌표 등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820)을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820)은 유저의 관심 업종, 물리적 거리, 장소의 인기도, 영업 시간 등을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820)에서 사용자 단말(810)에서 수집된 정보, 장소 관련 정보,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이력) 등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방문 장소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 모델(830)에 추출된 데이터를 입력하여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예측 모델(830)은 애플리케이션 등에서의 유저의 게시글에 포함된 장소 정보, 자주 방문하는 업종, 과거 방문 히스토리 등 유저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user may access an application provided with a lifelogging mobile platform service using a user terminal 810 and then upload a captured photo.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meta information such as time and coordinates included in the captured photo, and derive a candidate list 820 of points of interest (POI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can do. In this case, the POI candidate list 820 may b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type of interest, physical distance, popularity of the place, business hours, and the like. Data such a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terminal 810, place-related information, and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history) may be extracted from the POI candidate list 820, and the visit place may be predicted. By inputting the extracted data to the model 830, a user may select a place that is highly likely to be visited as a visit place. At this time, the prediction model 830 may select a place that the user is likely to visit as a visit place based on user behavior data such as place information included in user posts in applications, etc., frequently visited industries, and past visit histories. there is.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라이프로깅을 위한 지오태깅 기능을 활용하여 유저 개인의 디지털 저널(Journal)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고,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관심사 기반의 동호회 등 하이퍼로컬 커뮤니티 유저들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소상공인 점주의 지역 유저 대상으로 직접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컨대. 매장 관련 실시간 채팅방을 통한 점주와 고객 간 소통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by utilizing the geotagging function for lifelogging, it can be used as a digital journal service for individual users, and a platform for hyperlocal community users such as interest-based clubs centered on places can provi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rect communication channel for local users of local small business owners, eg.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between the store owner and customers through a real-time chat room related to the store.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센서를 활용한 측위를 통해 라이프로깅 기술 영역을 확장하였고, POI 빅데이터와 지오태깅 예측 모델을 결합한 라이프로깅으로 기술 영역을 확대하였다. 또한, 실시예들은 장소 POI 데이터 수집 기법에 대한 고도화 및 학습 모델을 활용한 예측 모델의 역량을 강화시켰다.The embodiments expanded the lifelogging technology area through positioning using a mobile device location sensor, and expanded the technology area to lifelogging combining POI big data and a geotagging prediction model. In addition, the embodiments have enhanced the capability of the prediction model using the advanced and learning model for the place POI data collection technique.

또한, 실시예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라이프로깅 서비스 전반의 활성화에 기여하였고, 오프라인 관심사 커뮤니티를 온라인으로 활성화시켰다. 모바일 앱을 통해 같은 장소를 기반으로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 간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예컨대, 아파트의 맘 카페, 골프장/테니스장 등의 운동 동호회, 대학/학원 등의 스터티 그룹 등)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은 디지털 마케팅에서 소외되어 있던 소상공인 점주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역 마케팅 기회를 제공하고, 매장 단골 고객과의 실시간 채팅 등을 통한 단골고객관리 CRM Tool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contributed to the vitalization of the overall mobile application-based lifelogging service and activated the offline interest community online. Communities among people who share interests based on the same place can be activated through mobile apps (eg, mom cafes in apartments, sports clubs at golf courses/tennis courts, study groups at universities/academies, etc.). Moreover, the embodiments provide local marketing opportunities that small business owners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digital marketing can easily access, and can serve as a regular customer management CRM tool through real-time chatting with regular store customers.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can be embodied in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7)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방법에 있어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 또는 GPS를 통해 파악된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 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에서 디바이스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장소를 기반으로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In the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implemented by a computer system,
deriving a candidate list of points of interest (POI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or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GPS;
extracting at least one or more data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device sensor, place-related information, and a past visit history of the user from the derived POI candidate list; and
Selecting a place where the user is likely to visit by inputting the extracted data into a predictive model as a visit place
including,
A method of operating a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that provides a lifelogging service based on the visit pl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iguring out location information taken by the user through meta-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now or in the past
Further compris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지오태깅 및 장소 분석을 위한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구축된 상기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eps to build a point of interest (POI) database for geotagging and place analysis
Including more,
A method of operating a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for deriving a candidate list of the point of interest (POI) based on the constructed point of interest (POI) data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상기 예측 모델을 통해 선택된 상기 장소를 수정하는 경우 거짓(False) 값으로 판별하고, 상기 장소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 참(True) 값으로 판별하여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Learning the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user's feedback
Including more,
The step of learning the predictive model,
Metaverse lifelogging, which determines a false value when the user modifies the place selected through the prediction model, and determines a true value when the place is not modified to learn the prediction model. How the mobile platform wor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는,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영상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장소를 자동으로 지오태깅하여 획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Using meta information included in photos or videos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to automatically geotag and acquire the visited place
Characterized by,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남긴 게시글의 텍스트에서 장소명 또는 장소를 유추할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관심지점(POI)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xtracting the data is,
Extracting the data by extracting the place name or keyword that can infer the place from the text of the post left by the user, identifying information on a point of interest (POI)
Characterized by,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진 또는 영상의 위치 정보와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유저의 사진 또는 영상을 포함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장소를 선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inputting the data into a predictive model and selecting a place that the user is likely to visit as a visit place,
Selecting a place to visit based on big data including photos or images of other users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hotos or images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 candidate list
Characterized by,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aken through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by the user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If meta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recording a life log of the past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메시지 기록, 결제 내역 및 유저의 동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aken through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by the user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If meta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location information captured using at least one of message records, payment details, and user's movement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step to figure out
including,
Recording a past lifelog based on the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인공지능 기반 지오태깅을 이용한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장치에 있어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 또는 GPS를 통해 파악된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 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하는 POI 후보 목록 도출부;
도출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에서 디바이스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입력 데이터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유저가 방문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방문 장소로 선택하는 예측 모델
을 포함하고,
상기 방문 장소를 기반으로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In the metaverse lifelogging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 POI candidate list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candidate list of points of interest (POI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meta information of a picture or video or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GPS;
an input data extractor extracting at least one or more of data collected from a device sensor, place-related information, and a past visit history of the user from the derived POI candidate list; and
A prediction model that inputs the extracted data and selects a place that the user is likely to visit as a place to visit.
including,
A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that provides a lifelogging service based on the visit pl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의 메타 정보를 통해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According to claim 10,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taken through meta information of a photo or video taken by the user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Further comprising,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10항에 있어서,
지오태깅 및 장소 분석을 위한 관심지점(POI)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심지점(POI)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을 도출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According to claim 10,
Point-of-interest (POI) database to store point-of-interest (POI) data for geotagging and place analysis
Including more,
A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that derives a candidate list of the point of interest (POI) based on the point of interest (POI) databas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예측 모델 학습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델 학습부는,
상기 유저가 상기 예측 모델을 통해 선택된 상기 장소를 수정하는 경우 거짓(False) 값으로 판별하고, 상기 장소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 참(True) 값으로 판별하여 상기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According to claim 10,
A predictive model learning unit for learning the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user's feedback.
Including more,
The predictive model learning unit,
Metaverse lifelogging, which determines a false value when the user modifies the place selected through the prediction model, and determines a true value when the place is not modified to learn the prediction model. mobile platfor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과거 방문 히스토리는,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사진 또는 영상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방문 장소를 자동으로 지오태깅하여 획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According to claim 10,
The user's past visit history,
Using meta information included in photos or videos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to automatically geotag and acquire the visited place
Characterized by,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델은,
상기 사진 또는 영상의 위치 정보와 상기 관심지점(POI)의 후보 목록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유저의 사진 또는 영상을 포함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장소를 선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According to claim 10,
The predictive model,
Selecting a place to visit based on big data including photos or images of other users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hotos or images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 candidate list
Characterized by,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판단부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According to claim 11,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If meta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recording a life log of the past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판단부는,
현재 또는 과거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접근하여 메타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유저의 단말에 저장된 메시지 기록, 결제 내역 및 유저의 동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위치 정보를 파악한 후, 상기 촬영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라이프로그를 기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라이프로깅 모바일 플랫폼.
According to claim 11,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If meta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by accessing a photo or video taken in the present or in the past, location information captured using at least one of message records, payment details, and user's movement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After grasping, recording the past lifelog based on the photographed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KR1020220057359A 2021-12-23 2022-05-10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KR2023009680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5781 2021-12-23
KR1020210185781 2021-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805A true KR20230096805A (en) 2023-06-30

Family

ID=869596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60A KR20230096806A (en) 2021-12-23 2022-05-10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220057359A KR20230096805A (en) 2021-12-23 2022-05-10 Metaverse lifelog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60A KR20230096806A (en) 2021-12-23 2022-05-10 Metaverse lifelogging mobile platfor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o-tagg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9680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71B1 (en) 2015-10-08 2017-02-28 이영신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lifelog service and a server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71B1 (en) 2015-10-08 2017-02-28 이영신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lifelog service and a server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806A (en)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150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inimizing false positives in face recognition applications
JP6784308B2 (en) Programs that update facility characteristics, programs that profile facilities, computer systems, and how to update facility characteristics
US9292518B2 (en) Auto-tagging in geo-social networking system
US9805065B2 (en) Computer-vision-assisted location accuracy augmentation
JP6300295B2 (en)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server therefor, and terminal
JP6759844B2 (en) Systems, methods, programs and equipment that associate images with facilities
JP5826947B2 (en) Face recognition using social networking information
CN103797493B (en) For sharing the smart camera of picture automatically
WO20140900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US9418482B1 (en) Discovering visited travel destinations from a set of digital images
JP62296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6015444A1 (en) Target user determination method, device and network server
KR101686830B1 (en) Tag suggestions for images on online social networks
BR112014000615B1 (en) METHOD TO SELECT VISUAL CONTENT EDITING FUNCTIONS, METHOD TO ADJUST VISUAL CONTENT, AND SYSTEM TO PROVIDE A PLURALITY OF VISUAL CONTENT EDITING FUNCTIONS
US20160148298A1 (en) Photo based user recommendations
US202000198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story video
JP7224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lse positives in face recognition
CN110020144B (en) Recommendation model building method and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server thereof
KR20200102500A (en) Method, apparatus and selection engine for classification matching of videos
US9652685B2 (en) Generating story graphs with large collections of online images
US113411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using locations of electronic devices of users in a specific space to analyz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rs
KR20200014416A (en) Recommendation Method Using Contents with Location Data and Its System
WO2022123466A1 (en) Visual camera re-localization using graph neural networks and relative pose supervision
Hillen et al. Geo-reCAPTCHA: Crowdsourcing large amounts of geographic information from earth observation data
KR20140027011A (en) Method and server for recommending friends, and terminal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