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676A - Braking system and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 Google Patents

Braking system and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676A
KR20230088676A KR1020237006529A KR20237006529A KR20230088676A KR 20230088676 A KR20230088676 A KR 20230088676A KR 1020237006529 A KR1020237006529 A KR 1020237006529A KR 20237006529 A KR20237006529 A KR 20237006529A KR 20230088676 A KR20230088676 A KR 20230088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information
vehicle
signaling system
factors influe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루크 임버트
마테오 프리아
Original Assignee
파이벨리 트랜스포트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벨리 트랜스포트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파이벨리 트랜스포트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3008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6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8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62On-board target speed calculation or superv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B61L3/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60Y2200/31Locomo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RV)용 제동 시스템(100)이 설명되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OB) 시그널링 시스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OB) 시그널링 시스템 모두에 저부착의 조건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사전 정의된 명목 감속 값에 적용되는 보정 팩터, k웨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동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결정된다. 절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정보가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휠(W)과 레일(R)의 이용 가능한 부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제동 시스템이 설명된다. 시그널링 아키텍처도 설명된다.A braking system (100) for at least one rail vehicle (RV) is described, which includes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OB) signaling system or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OB) signaling system, comprising information about a correction factor, k wet , applied to a predefined nominal deceleration value of the at least one rolling stock in conditions of low attachment , arrang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nformation on each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determined in real time by the braking system. A further braking system is described in which the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theft vehicle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attachment of the rail (R) to at least one wheel (W) of the railway vehicle. A signaling architecture is also described.

Figure P1020237006529
Figure P1020237006529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Braking system and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철도 교통 및 관련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ERTMS/ETCS(유럽 철도 교통 관리 시스템/유럽 열차 제어 시스템(European Rail Traffic Management System/European Train Control System))을 위한 관리, 제어 및 보호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rail traffic and related on-board vehicle signaling, management,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s for ERTMS/ETCS (European Rail Traffic Management System/European Train Control System) It relates to the fiel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system and a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그 운행 중 철도 차량의 성능은 운행 중인 철도 인프라스트럭처 및 상기 철도 차량의 성능과 관련이 있다.The performance of a rolling stock during its operation is related to the railroad infrastructure in oper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rolling stock.

철도 차량과 철도 인프라스트럭처는 시그널링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며, 이는 철도 차량의 제어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안전한 동작을 보장한다.Railroad vehicles and rail infrastructure are linked by a signaling system, which enables control and management of rail vehicles and ensures their safe operation.

요즘에는 상이한 특징을 갖는 많은 유형의 철도 차량이 있으며 시그널링 시스템도 마찬가지이다.Nowadays there are many types of railway vehicl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o do signaling systems.

대부분의 새로운 철도 운송 차량은 감마(gamma) 열차라고 칭하며 고정된 구성, 특정된 수의 철도 차량 및 알려진 제동 디바이스 세트를 갖는다.Most new rail transport vehicles are called gamma trains and have a fixed configuration, a specified number of rail vehicles and a known set of braking devices.

시그널링 시스템은 철도 차량과 철도 인프라스트럭처 사이의 가교이며 양쪽의 일부이다.Signaling systems are a bridge between rolling stock and rail infrastructure and are part of both sides.

알려진 시그널링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trackside signaling system)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를 포함한다.Known signaling systems typically includ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a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an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철도 차량에 포함되어 있다.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백본(backbone)과 통신하여 다양한 철도 차량 서브시스템에 정보를 송수신하고 또한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와도 통신한다.An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s included in the rail vehicle.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communicates with the backbone of at least one rail vehicle to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various rail vehicle subsystems and also communicates with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는 철도 인프라스트럭처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및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와 통신한다.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is included in the rail infrastructur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frastructure network and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제동 동안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속도와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이 운행한 거리 사이의 관계를 제동 곡선이라고 칭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ed of the at least one railroad car and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at least one railroad car during braking is called a braking curve.

현재 및 과거의 시그널링 시스템은 주로 고정된 블록 개념에 기초하며, 여기서 제동 곡선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 또는 열차의 구축 동안 결정된 사전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한다.Current and past signaling systems are mainly based on a fixed block concept, where the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braking curve are based on predefined parameters determined during construction of at least one rolling stock or train.

상기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상기 제동 곡선을 결정하도록 배열된다. 그 후, 제동 곡선으로부터 상기 철도 차량의 정지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re arranged to determine the braking curve. Th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opping distance of the railway vehicle from the braking curve.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동 곡선은 사전 결정된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각각의 철도 차량에 대해 결정되며, 그 값은 철도 차량이 만들어질 때 사전 정의된다.As mentioned above, this braking curve is determined for each rolling stock as a function of predetermined parameters, the values of which are predefined when the rolling stock is built.

불리한 환경 조건의 경우, 일반적으로 저부착 계수의 경우 보정 팩터가 사용된다. 철도 산업에서는, 이러한 보정 팩터를 통상적으로 K웨트(wet)라고 칭한다.In the case of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a correction factor is usually used in the case of low adhesion coefficients. In the railroad industry, this correction factor is commonly referred to as K wet .

종래 기술에서, 상기 보정 팩터 K웨트는 불리한 환경 조건 하에서도 결정된 정지 거리가 안전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값을 할당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보정 팩터 K웨트의 값은 일반적으로 저부착 조건이 있는 것을 고려하여 정의된다.In the prior art, the correction factor K wet is assigned a predetermined value to ensure that the determined stopping distance is sufficient to ensure that safety is maintained even under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Accordingly, the value of this correction factor K wet is generally defined taking into account that there is a low adhesion cond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시스템은 주로 고정된 블록 개념에 기초하며, 여기서 제동 곡선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 또는 열차를 구축하는 동안 결정된 사전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한다. 따라서, 이러한 보정 팩터 K웨트의 값도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 또는 열차의 구축 중에만 정의된다.As mentioned above, the signaling system is mainly based on a fixed block concept, where the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braking curve are based on predefined parameters determin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at least one rolling stock or train. Accordingly, the value of this correction factor K wet is also defined only during construction of at least one rolling stock or train.

그 결과, 철도 차량의 정상 동작 조건 중에, 철도 차량이 유리한 환경 조건에 있지 않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의해 결정된 제동 곡선은 실제가 아닌 저하된 제동 곡선이 될 것이며,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상기 진술한 불리한 환경 조건의 존재를 설명하는 실제가 아닌 저하된 제동 곡선이 될 것이다.As a result, during norm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rolling stock, even if the rolling stock is not in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braking curve determined by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s not realistic. There will be a degraded braking curve that is not real, which accounts for the existence of the above-mentioned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are not actually present.

그 결과,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철도 차량이 보다 유리한 환경 조건 하에서 실제로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정지 거리를 상기 철도 차량에 할당할 것이다.As a result,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ill assign the rolling stock a greater stopping distance than the rolling stock can actually achieve under more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한편,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의한 제동 곡선의 결정을 위해 보정 팩터 K웨트에 추가하여 철도 차량의 레벨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함이 있는 경우와 관련하여, 추가의 사전 결정된 파라미터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값은 철도 차량이 만들어진 때에 다시 사전 정의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t least one defect at the level of the rolling stock in addition to the correction factor K wet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braking curve by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n connection with , additional predetermined parameters can also be used, the values of which are again predefined when the rolling stock is built.

이러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의해 결정된 제동 곡선은 더 저하된 제동 곡선이 될 것이며, 이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함의 가능한 존재를 고려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braking curve determined by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ill be a lowered braking curve, which also determines the possible presence of said at least one defect. will consider

그 결과, 철도 차량이 결함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의해 결정된 제동 곡선은 상기 추정된 결함의 존재를 고려하는 실제가 아닌 저하된 제동 곡선이 될 것이다.As a result, even if the rolling stock does not have a defect, the braking curve determined by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the at least one on-board signaling system, OB, is actually taking into account the presence of said estimated defect. will be a degraded braking curve.

이 경우,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따라서 결함이 없거나 유리한 환경 조건에서 철도 차량이 실제로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정지 거리를 상기 철도 차량에 할당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thus assign to said rolling stock a stopping distance greater than what the rolling stock can actually achieve in the absence of faults or in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something to do.

도 1은 상기 사전 결정된 파라미터에 비추어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의해 결정된 정지 거리 D1을 상단에 도시하고, 결함이 없는 철도 차량 RV의 실제 정지 거리 D2를 하단에 도시한다.1 shows the stopping distance D1 determined by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n view of said predetermined parameters, at the top, and the actual stopping distance D2 of an undefective rail vehicle RV is shown at the bottom.

저하된 제동 곡선의 결정 및 상기 철도 차량에 대한 더 긴 정지 거리의 결과적인 할당은 예를 들어, 철도 라인 상의 교통의 불리한 취급을 초래한다. 실제로, 철도 차량은 필요 이상으로 서로 더 먼 거리를 주행하게 될 것이다.Determination of a lowered braking curve and consequent assignment of longer stopping distances for said rolling stock results in, for example, unfavorable handling of traffic on a railway line. In practice, rolling stock will travel farther from each other than necessary.

제동 곡선 계산의 가능한 예가 일반적으로 아래에 제공된다. 제동 곡선의 계산은 예를 들어, ETCS 사양(ERTMS/ETCS, 서브세트 026-3, 서브세트 026-7)에 설명되어 있다.A possible example of a damping curve calculation is generally provided below. Calculation of the damping curve is described, for example, in the ETCS specification (ERTMS/ETCS, subset 026-3, subset 026-7).

제동 곡선은 일반적으로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의해 수행되는 제동 계산에 의해 생성된다. 제동 곡선의 계산은 저부착 계수의 경우 상기 보정 팩터 K웨트에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이러한 보정 팩터는 일반적으로 속도 K웨트(V) 및 상기 차량에 따른다.The braking curve is usually generated by braking calculations performed by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Calculation of the damping curve is based in part on the correction factor K wet in the case of low adhesion coefficients. This correction factor generally depends on the speed K wet (V) and the vehicle.

제동 곡선 계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파라미터의 일부 예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다:Some examples of parameters that can affect the damping curve calculation are, for example:

- 안전과 관련된 안전 감속: A_SAFE(V, d): 속도 및 거리에 의존, 철도 차량에 의존;- safety deceleration related to safety: A_SAFE(V, d): dependent on speed and distance, dependent on rolling stock;

- 비상 브레이크의 안전 감속: A_BRAKE_SAFE(V, d): 속도 및 거리에 의존, 차량에 의존;- Safe deceleration of emergency brake: A_BRAKE_SAFE(V, d): dependent on speed and distance, dependent on vehicle;

- 비상 브레이크 감속: A_BRAKE_EMERGENCY(V, d): 속도 및 거리에 의존, 차량에 의존;- Emergency brake deceleration: A_BRAKE_EMERGENCY(V, d): dependent on speed and distance, vehicle dependent;

- 신뢰 레벨의 계수: M_NVEBCL: 국가 값, 철도 라인에 의존;- Coefficient of confidence level: M_NVEBCL: country value, depends on railway line;

- 차량 제동 성능: K드라이(dry)(V, M_NVEBCL): 속도 및 신뢰 레벨에 의존, 차량에 의존;- vehicle braking performance: K dry (V, M_NVEBCL): dependent on speed and confidence level, vehicle dependent;

- 이용 가능한 휠/레일 부착 대한 가중 팩터: M_NVAVADH: 국가 값, 철도 라인에 의존;- Weighting factor for available wheel/rail attachments: M_NVAVADH: country value, depending on the railway line;

- 부착 팩터: M_ADHESION: 레일에 대한 계수, 레일에 의존;- Attachment factor: M_ADHESION: factor for rail, dependent on rail;

- 레일의 조건 유형: M_TRACKCOND: 특정 유형의 브레이크를 비활성화할 수 있음, 레일에 의존;- condition type of rail: M_TRACKCOND: can disable certain type of brake, depends on rail;

- 특수 브레이크(EP, MTB, 와전류, ED): 브레이크 구축 및 감속 시간에 영향을 주기 위해 사용, 철도 차량에 의존;- special brakes (EP, MTB, eddy current, ED): used to influence brake build-up and deceleration time, dependent on rail vehicles;

- 감소된 부착 조건 하에서의 최대 감속(mu < 0.06): A_MAXREDADH: 브레이크 및 특수 브레이크의 위치에 따름, 국가 값.- Maximum deceleration under reduced attachment conditions (mu < 0.06): A_MAXREDADH: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rake and special brake, national value.

종래 기술에서는, 철도 차량의 전체 제동 거리 계산 및 전체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비상 브레이크 감속 및 계수 K드라이 및 K웨트가 시운전 동안 측정되거나 몬테 카를로(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오프라인에서 계산된다.In the prior art, the emergency brake deceleration and coefficients K dry and K wet , which affect the overall braking distance calculation and overall performance of a rolling stock, are measured during commissioning or calculated off-line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사용될 수 있는 공식은 이하와 같다A formula that can be used is:

Figure pct00001
(1)
Figure pct00001
(One)

안전 감속 A안전은 비상 브레이크 A브레이크 안전의 안전 감속과 정상 부착 조건을 갖는 위치에 대한 경사 A경사의 감속에 기초한다.Safety deceleration A safety is based on the safety deceleration of the emergency brake A brake safety and the deceleration of slope A for a position with normal attachment conditions.

Figure pct00002
(2)
Figure pct00002
(2)

안전 감속 A안전은 안전 비상 브레이크 감속 A브레이크 안전과 감소된 부착 조건을 갖는 위치에 대한 경사 A경사의 감속과 감소된 부착 도전에서의 최대 감속 AMAXREDADH 사이의 최대 값에 기초한다.Safety deceleration A safety is based on the maximum value between safe emergency brake deceleration A brake safety and the maximum deceleration of slope A slope A for locations with reduced attachment conditions and the maximum deceleration A MAXREDADH at reduced attachment challenge.

Figure pct00003
(3)
Figure pct00003
(3)

A브레이크안전은 철도 차량이 속도와 거리의 함수로서 달성할 수 있는 감속이다. 식은 속도와 거리의 함수로서 A브레이크 비상에 따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값은 제동 중에 사용될 수 있는 특수 유형의 브레이크에 따른다.A brake safety is the deceleration that a rail vehicle can achieve as a function of speed and distance. The equation shows that A brake emergency as a function of speed and distance. The value depends on the special type of brake that can be used during braking.

사용될 수 있는 특수 유형의 제동 디바이스는 해당 특수 제동 디바이스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해 분명히 결정되지만, MTRACKCOND의 값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실제로, 이러한 변수는 트랙의 일부에 대한 일부 유형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의 금지를 나타낸다.The special type of braking device that can be used is obviously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at special braking device, but also by the value of M TRACKCOND . In practice, these variables represent the prohibition of some types of special braking devices on parts of the track.

식은 또한 속도와 신뢰 레벨의 함수로서 K드라이에 따른다. 신뢰 레벨은 K드라이 계수의 신뢰도에 대한 타깃이다. 이는 장비 단편의 결함 비율과 예측 값 주변의 분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The equation also depends on K dry as a function of speed and confidence level. The confidence level is the target for the reliability of the K dry coefficient. It is used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around the defect rate and predicted value of a piece of equipment.

식은 또한 속도의 함수로서 K웨트에 따른다. K웨트 계수는 WSP("휠 슬립 보호(Wheel Slip Protection)") 시스템의 성능이 평가되고 제동 거리의 연장이 모니터링되는 EN15595에 따른 현장 테스트에 기초한다. 그 후 제동 거리의 범위는 K웨트 계수로 변환된다.The equation also depends on K wet as a function of speed. The K wet factor is based on field tests according to EN15595 where the performance of the WSP ("Wheel Slip Protection") system is evaluated and the extension of the braking distance is monitored. The range of braking distances is then converted into K wet factors.

식은 또한 MNVAVADH에 따르며, 이 값은 조작자에 의한 K웨트 계수의 변조를 허용하는 데 사용된다.The expression also depends on M NVAVADH , which value is used to allow modulation of the K wet coefficient by the operator.

위의 공식은 전체 제동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한 공식의 예일 뿐이다.The formula above is just an example of the various possible formulas for calculating total braking distance.

이하 몇 가지 예시적인 사례가 있다:Here are some illustrative examples:

사례 1:Case 1:

이하의 데이터는(실제 필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이한 변수의 사용 및 그 영향의 예를 제공한다:The data below (based on actual field data) provides examples of the use of different variables and their effects:

MNVAVADH = 0 | K웨트는 위의 공식 (3)에서 완전히 고려된다;MNVAVADH = 0 | K wet is fully taken into account in equation (3) above;

K웨트 = 0.7 | K웨트는 EN15595에 따라 결정된다;K wet = 0.7 | K wet is determined according to EN15595;

M부착 = 1 | 레일은 미끄럽지 않다; Attach M = 1 | The rails are not slippery;

K드라이 = 0.8 | EBCL 레벨에 기초하여 계산된 K드라이는 1개의 결함을 고려한다;K dry = 0.8 | K dry calculated based on the EBCL level considers 1 defect;

AMAXREDADH = 0.5 | 레일이 미끄럽지 않기 때문에 이 상황과 관련이 없다;A MAXREDADH = 0.5 | It is irrelevant to this situation as the rails are not slippery;

상술한 바와 같이 변수를 설정하면, 명목 동작 조건에 대한 K드라이를 계산하여 결함이 고려되었기 때문에 최초 결함에서 시스템은 탄력적이다. 이러한 고려는 또한 실제 명목 조건(결함 없음)에서 달성할 수 있는 성능을 저하시킨다.By setting the parameters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is resilient at the first failure because the failure was taken into account by calculating K dry for the nominal operating condition. These considerations also reduce the performance that can be achieved in real nominal conditions (no faults).

상술한 바와 같이 변수를 설정하면, 두 번째 결함으로부터 시스템은 더 느린 속도로 실행되어야 하며, 따라서 동작 서비스에 영향을 미친다.Setting the variable as described above, from the second fault the system must run at a slower speed, thus affecting operating services.

위와 같이 변수를 설정하면, 정상적인 드라이 실행 조건 하에서, 제동 거리는 항상 EN15595에 정의된 저부착 조건에 기초하여 제동 거리의 저하를 고려한다.Setting the parameters as above, under normal dry run conditions, the braking distance always considers the degradation of the braking distance based on the low adhesion condition defined in EN15595.

사례 2:Case 2:

이제 이러한 두 번째 데이터세트를 고려한다:Now consider this second dataset:

MNVAVADH = 0 | K웨트는 위의 공식 (3)에서 완전히 고려된다;M NVAVADH = 0 | K wet is fully taken into account in equation (3) above;

K웨트 = 0.7 | K웨트는 EN15595에 따라 결정된다;K wet = 0.7 | K wet is determined according to EN15595;

M부착 = 0 | 레일이 미끄럽다; Attach M = 0 | the rails are slippery;

K드라이 = 0.8 | EBCL 레벨에 기초하여 계산된 K드라이는 1개의 결함을 고려한다;K dry = 0.8 | K dry calculated based on the EBCL level considers 1 defect;

AMAXREDADH = 0.3 | 레일이 미끄럽기 때문에 이 상황과 관련이 있다.A MAXREDADH = 0.3 | This situation is relevant because the rails are slippery.

상술한 바와 같이 변수를 설정하면, 레일이 미끄럽고 안전 비상 브레이크 감속과 AMAXREDADH 사이의 최소값이 안전 감속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With the parameters set as described above, the rail is slippery and the minimum between the safe emergency brake deceleration and A MAXREDADH is used to determine the safe deceleration.

A_MAXREDADH가 최소임을 고려하여, K드라이와 K웨트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감속은 실제 부착이나 장비 결함에 따르지 않는다.Considering that A_MAXREDADH is a minimum, K dry and K wet are no longer used and the deceleration used does not depend on actual attachment or equipment failure.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라인의 실제 부착 조건에 따라,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또는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제동 중에 차량이 달성할 수 있는 실제 성능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or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hich vehicle can achieve during braking, depending on the actual condition of attachment of the line on which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is traveling. It is to provide a solution to inform the actual performance in real time.

이러한 방식으로,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또는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부착 조건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사용하여 철도 차량이 달성할 수 있는 성능을 결정하고 철도 차량의 실제 작업 조건의 함수로서 제동 곡선, 및 그에 따른 정지 거리의 계산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way,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or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uses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attachment conditions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that a rolling stock can achieve and to determine the actu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rolling stock. It will be possible to adjust the braking curve as a function, and hence the calculation of the stopping distance.

예를 들어, 드라이 조건 하에서,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또는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차량이 함께 더 가깝게 주행하여 전체 라인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종래 기술보다 더 짧은 제동 거리를 허용하는 진정한 제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under dry conditions,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or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llow for shorter braking distances than prior art so vehicles can travel closer together to increase overall line capacity.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true braking distance.

반대로, 저부착 조건에서는,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또는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가 이전 사례보다 더 긴 제동 거리를 초래하여 안전한 정지 거리를 보장할 것이다. 이 경우, 제동 거리는 제동 곡선을 계산할 때 적용되는 실제 부착 조건과 상대적인 보정 팩터 K웨트를 고려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Conversely, in low adhesion conditions,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or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ill result in a longer braking distance than in the previous case to ensure a safe stopping distance. In this case, the braking distance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actual attachment conditions applied when calculating the braking curve and the relative correction factor K wet .

새로운 시그널링 시스템은 이동식 블록과 자동 열차 동작(ATO: automatic train operation)을 지향한다.The new signaling system is oriented toward mobile blocks and automatic train operation (ATO).

이동식 블록은 다른 철도 차량의 특징 및 실제 존재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형의 시그널링 시스템은 각각의 차량의 특징을 고려할 수 있다.Movable blocks allow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presence of other rail vehicles. A signaling system of this type can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ehicle.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청구항 1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청구항 14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정의되며, 그 내용은 본 설명의 통합된 부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are achiev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 least one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having the features defined in claim 1 and a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having the features defined in claim 14.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fined in the dependent claims, the content of which is to be understood as an integral part of the present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능적 및 구조적 특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여기서:
- 도 1은 2개의 가능한 제동 곡선을 예시의 방식으로 예시한다.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 도 2b는 부착 정보를 사용하는 예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 도 3은 3개의 가능한 사용 구성을 예시한다.
- 도 4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정보가 분산된 방식으로 전송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 도 5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정보가 중앙에서 전송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features of some preferred embodiments of at least one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and brak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
- Figure 1 illustrates by way of example two possible damping curves.
- Figure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using attachment information.
- Fig. 3 illustrates three possible usage configurations.
-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information on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is transmitted in a decentralized manner.
- Figure 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information about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is centrally transmitted.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제시되거나 도면에 예시된 구성 요소의 구조적인 상세 사항 및 구성에 대한 그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지 않음을 명확히 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를 가정할 수 있고 실제로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법 및 용어는 설명적인 목적을 가지며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 및 이들의 변형의 사용은 아래에 제시된 요소 및 그 등가물뿐만 아니라 추가 요소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should be made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ts application to the structural details and configurations of compon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capable of contemplating other embodiments and of being embodied or configured in practice in different way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ology and terminology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use of "include" and "comprise" and variation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elements set forth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as well as additional elements and equivalents thereof.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된다.In the foll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braking system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described.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제동 시스템은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모두에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철도 차량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에 관한 이러한 정보는 저부착 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명목 감속의 사전 정의된 값에 적용될 보정 팩터, k웨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In this first embodiment, the braking system transmits information about each factor influencing the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to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at least It is arranged to provide both to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to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This information about each factor influencing rolling stock braking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correction factor, k wet , to be applied to a predefined value of the nominal deceleration of at least one rolling stock in the low adhesion condition.

철도 차량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에 관한 이러한 정보는 제동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결정된다. 특히, 철도 차량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이러한 정보는 정적이지 않고 철도 차량의 구축 동안 정의된 디폴트 값이 아니다.This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rail vehicle braking is determined in real time by the braking system. In particular, this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rail vehicle braking is not static and is not a default value defined during construction of the rail vehicle.

예를 들어, 제동 시스템은 예를 들어, 상기 철도 차량의 차 축과 연관된 부착 값으로부터 저부착 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사전 정의된 명목 감속 값에 적용되는 보정 팩터 k웨트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상기 제동 시스템(예를 들어, "휠 슬라이드 보호(wheel slide protection)" 시스템, WSP)과 연관된 특수 시스템/수단/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의 차 축의 부착 값을 판독 또는 수신함으로써 또는 상기 하나의 차 축의 부착 값을 측정함으로써 보정 팩터 k웨트를 결정하는 동일한 제동 시스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king system may determine in real time a correction factor k wet applied to a predefined nominal deceleration value of at least one rolling stock in a low sticking condition, eg from a sticking value associated with an axle of the rolling stock. there is. This can be done, for example, by reading or receiving the attachment value of said one axle from a special system/means/device associated with said braking system (e.g. "wheel slide protection" system, WSP) or said It can be the same braking system that determines the correction factor k wet by measuring the attachment value of one axle.

제2 실시예에서, 제동 시스템(100)은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모두에 제공하도록 다시 배열된다.In a second embodiment, the braking system 1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each factor affecting the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to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to both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앞의 실시예와 달리,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에 관한 정보가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휠 W와 레일 R의 이용 가능한 부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information about each factor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road car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attachment of the rail R and at least one wheel W of the railroad car. .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에 관한 정보는 다시 제동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결정된다.Information on each factor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again determined in real time by the braking system.

이러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는 수신된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휠 W와 레일 R의 이용 가능한 부착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저부착 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명목 감속의 사전 정의된 값에 적용되는 보정 팩터 k웨트를 결정하도록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수신된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휠 W와 레일 R의 이용 가능한 부착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저부착 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명목 감속 값에 적용되는 보정 팩터 k웨트를 결정하도록 배열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determines the nominal deceleration of the at least one rolling stock in the low-attachment condi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said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attachment of the rail R and the at least one wheel W of the rolling stock. Arranged to determine a correction factor k wet applied to a predefined value of .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said information about the possible attachment of the rail R with the at least one wheel W of the railroad vehicle, determines the at least one rolling stock in the low attachment condition. Arranged to determine the correction factor k wet applied to the nominal deceleration value of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도 2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용 제동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s can be seen for example in FIG. 2 , the braking system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can include at least one braking device 102 .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대해,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에 관한 정보는 이하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for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n each factor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 제동 시스템(100)에 의해 결정된 휠과 레일 사이의 최적의 슬라이딩 지점에 관한 정보;- information about the optimal sliding point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 determined by the braking system 100;

-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정보;- information about the speed of at least one rolling stock;

-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현재 속도에 기초하여 제동 시스템(100)에 의해 결정된 제동 거리에 관한 정보;- information about the braking distance determined by the braking system 100 on the basis of the current speed of the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102)의 사용을 위한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for use of said at least one braking device 102;

- 철도 차량의 감속에 관한 정보;- Information on the deceleration of rolling stock;

-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인가된 제동력의 레벨에 관한 정보.- information about the level of braking force applied by the at least one braking device.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모두에 "제공하는"이라는 용어는 직접적인 제공이 있는 경우와, 하나 이상의 중간 수단 요소/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모두에 정보를 전달하고 제동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중간 열차 제어 및 관리 시스템, TCMS("TRAIN CONTROL & MANAGEMENT SYSTEM")에 대한 중간 제공을 통해 획득된 간접 제공이 있는 경우 모두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providing” to both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means that there is direct provision, one or more intermediate means elements/devices or systems, eg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Indirect provision obtained through intermediary provision to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intermediate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TRAIN CONTROL & MANAGEMENT SYSTEM”), which forwards information to both OB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braking system. If any, it means all.

철도 차량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는 철도 차량의 제동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철도 차량 내부의 모든 양태 또는 철도 차량 외부의 환경적 양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actors influencing rail vehicle braking can be understood to mean all aspects inside a rail vehicle or environmental aspects external to a rail vehicle that can influence the braking action of a rail vehicle.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휠 및 레일의 이용 가능한 부착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알려진 알고리즘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출되거나 결정되는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휠 및 레일의 현재 이용 가능한 부착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attachments of at least one wheel and rail of a railway vehicle is understood a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currently available attachment of at least one wheel and rail of a railroad vehicle which is detected or determined in real time, for example according to a known algorithm. It can be.

제동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휠과 레일 사이의 최적 슬라이딩 지점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알려진 알고리즘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출되거나 결정된 휠과 레일 사이의 최적의 슬라이딩 지점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현대의 WSP는 차 축 슬라이딩 지점을 사용하여 저부착 조건에서 제동 성능을 개선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지점은 몇몇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들 중 다수는 최적의 슬라이딩 지점을 결정하기 위해 시행 착오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이미 이용 가능한 최적의 슬라이딩 지점을 갖는 것과 비교하여 제동력의 손실을 생성한다. 최적의 슬라이딩 지점은 차량의 전체 감속/제동 거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제동 시스템에 중요한 정보이다.The information about the optimal sliding point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 determined by the braking system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indicating an optimal sliding point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 that is detected or determined in real time according to a known algorithm, for example. Hyundai's WSP uses axle sliding points to improve braking performance in low-attach conditions. This sliding point can be determined in several ways. Many of these require trial and error to determine the optimal sliding point. This creates a loss of braking power compared to having an optimal sliding point already available. The optimal sliding point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braking system as it can affect the vehicle's overall deceleration/braking distance.

부착 정보에 대해 설명한 것과 유사한 원리를 사용하여, 관련 제동 디바이스와 관련 시그널링 디바이스 간에 최적의 슬라이딩 지점이 공유된 후 후속 철도 차량 또는 열차로 다시 송신될 수 있다.Using a principle similar to that described for attachment information, the optimum sliding point can be shared between the associated braking device and the associated signaling device and then transmitted back to subsequent rolling stock or trains.

저부착 조건에서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명목 감속의 사전 정의된 값에 적용되는 보정 팩터 k웨트에 관한 정보는 저부착 계수의 경우 보정 계수 값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correction factor k wet applied to a predefined value of the nominal deceleration of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in the low adhesion condition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representing a correction factor value in the case of a low adhesion coefficient.

철도 차량 속도에 관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검출 또는 결정된 현재 철도 차량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speed of the rolling stock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current speed of the rolling stock detected or determined in real time.

차량의 현재 속도로부터 제동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제동 거리에 관한 정보는 임의의 알려진 알고리즘에 따라 제동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제동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braking distance determined by the braking system from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braking distance determined by th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y known algorithm.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한 현재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결함으로 인해 예를 들어, 특정 제동 디바이스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vailability for use of the at least one braking device may be understood to mean information about whether a particular braking device is available, eg due to a defect.

철도 차량의 현재 감속에 관한 정보는 철도 차량의 감속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deceleration of the railroad car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celeration of the railroad car in real time.

현재 제동력 레벨에 관한 정보는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인가된 제동의 현재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가능한 최대 제동 레벨에 대한 인가 퍼센티지이다. 이 정보는 모니터링 목적으로도 송신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braking force level can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current level of braking applied by the braking device. This information is, for example, the application percentage for the maximum possible braking level. This information may also be transmitted for monitoring purposes.

이 정보는 전달될 예측 힘이 아닌 전달된 실제 힘에 기초하여 제동 거리 계산을 적응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제동 거리 계산을 더 정확하게 만들 것이다.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adapt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ion based on the actual force delivered rather than the predicted force to be delivered. This will make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ion more accurate.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는 전기 공압식 또는 전기 역학식 또는 전기 기계식 유형이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braking device is of an electro-pneumatic or electro-mechanical or electro-mechanical type.

이하는 부착 정보를 사용하는 예이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는 휠과 레일 사이에 존재하는 부착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부착을 측정하는 통상적인 방법이 EN15595에 설명되어 있다. 측정된 부착 값은 그 후 제동 시스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도 2b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동 거리 계산은 제동 거리 MIN(μ측정, μ트랙)을 결정하기 위해 측정된 부착 μ측정과 레일 부착 μ트랙 사이의 최저값에 기초하여 부착 값 μmin을 입력으로 사용한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using attachment information. In this case, it is considered that the at least one braking device is capable of measuring the attachment that exists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 A common method for measuring adhesion is described in EN15595. The measured attachment value can then be communicated by the braking system. As can be observed in Fig. 2b,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ion inputs the attachment value μ min based on the lowest value between the measured attachment μ measurement μ and the rail attachment μ track to determine the braking distance MIN(μ measure , μ track ) use as

V차 축 1,2,..n은 측정된 부착 μ측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각각의 차 축의 속도이다.The V order axes 1,2,..n are the velocity of each order axis used to determine the measured adhesion μ measurement .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는 통과하는 철도 차량에 레일 부착 값 μ트랙을 전달한다.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transmits the rail attachment value μ track to passing rail vehicles.

첫 번째 철도 차량이 제동될 때, 측정된 부착 μ측정은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전달된다. 각각의 제동 시퀀스의 끝에서(제동의 끝 또는 철도 차량 속도가 0 VRV = 0과 같음)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의 측정된 부착 μOB측정은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에 전달된다.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는 수신된 레일 정보 μOB측정을 저장한다. 후속 철도 차량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상기 μOB측정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μ트랙 레일 부착 값 μ트랙을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first rolling stock is braked, the measured adhesion μ is transmitted to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t the end of each braking sequence (end of braking or rolling stock speed equal to 0 V RV = 0) the measured attachment μ OB of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stores the received rail information μ OB measurement .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f the subsequent rolling stock may receive an updated μ track rail attachment value μ track based on the μ OB measurement .

μ트랙은 적어도 마지막 3개의 저장된 부착 값에 걸쳐 측정된 평균 부착, 평균(μ, μn-1, μn-2)이다.μ track is the average attachment, average (μ, μ n-1 , μ n-2 ) measured over at least the last three stored attachment values.

μmin 또는 μ측정은 저부착으로 인해 제동 거리 연장의 영향을 결정하는 ETCS에서 사용되는 팩터, 예를 들어, K웨트를 조절하여 제동 거리 계산에 사용될 수 있다.μ min or μ measurement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braking distance by adjusting the factor used in ETC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tending the braking distance due to low adhesion, eg, K wet .

이 경우

Figure pct00004
이며, 여기서 K웨트는 이용 가능한 부착을 나타내는 계수이다.in this case
Figure pct00004
, where K wet is a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available attachment.

그에 따라 정의된 계수가 레일 클리닝 효과로 인해 실제 차량 성능보다 더 긴 제동 거리를 추정할 것이므로, 이는 제동 곡선이 실제 측정된 부착 값에 기초하여 조절되고 보수적인 접근법을 가질 수 있게 할 것이다.Since the coefficient defined accordingly will estimate a braking distance longer than the actual vehicle performance due to the rail cleaning effect, this will allow the braking curve to be adjusted based on the actual measured adhesion values and take a conservative approach.

이 방법은 제2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 부착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게 하고 레일 부착의 실제 상태에 기초한 제동 거리 계산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접근법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부착 대신에 K웨트 계수를 전송하는 것이다.This method allows the rail attachment data to be continuously updated and a braking distance calculation based on the actual state of the rail attachment to be us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embodiment. Another alternative approach is to transmit the K wet coefficient instead of the measured adhes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first embodiment.

이하는 제동 디바이스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는 예이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using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of braking devices.

현재, 철도 차량 공급자는 제동 장비의 각각의 그리고 모든 단편, 즉, 각각의 유형의 제동 디바이스 및 비상 제동을 개시, 전파 및 적용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요소에 대한 결함률을 계산한다.Currently, rail vehicle suppliers calculate failure rates for each and every piece of braking equipment, ie each type of braking device and other elements involved in initiating, propagating and applying emergency braking.

현재 ETCS 제동 거리 계산에서, 신뢰 레벨 변수가 제동 디바이스의 가능한 이용 불가성 및 그 힘의 확률적 분포를 고려하여 비상 제동 감속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오프라인 몬테 카를로(Monte Carlo) 접근법이 상이한 디바이스의 결함에 사용된다.In current ETCS braking distance calculations, a confidence level variable i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n emergency brake decele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le unavailability of a braking device and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its force. Typically, an offline Monte Carlo approach is used for defects in different devices.

불리하게도, 이러한 접근법은 정적이며 실제 결함을 고려하지 않지만 결함의 더 광범위한 확률을 고려한다.Disadvantageously, this approach is static and does not take into account actual defects, but rather broader probabilities of defects.

본 발명으로 인해, 적절한 정보가 주어진 시그널링은 차량에 탑재된 모든 제동 디바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로 얼마나 큰 제동 거리가 달성될 수 있는지 정확히 계산될 수 있다.Thanks to the invention, signaling given the appropriate information can include in real time the availability of all braking devices onboard the vehicle. With this information it can be calculated exactly how large a braking distance can be achieved.

예를 들어, 철도 차량은 전기 공압식 브레이크 EP(electropneumatic brake)만을 갖고 다른 구성 요소는 비상 제동의 개시, 전파 또는 적용의 일부가 아니다. 예를 들어, 명목상 10개의 디바이스가 사용된다고 고려한다. 각각의 디바이스는 전체 제동력의 10%에 대응한다. 단일 EP 제동 디바이스의 결함률은 시간당 5×10-6이다.For example, a railway vehicle has only an electropneumatic brake (EP) and no other components are part of the initiation, propagation or application of emergency braking. For example, consider that nominally 10 devices are used. Each device corresponds to 10% of the total braking force. The failure rate of a single EP braking device is 5×10 -6 per hour.

예 1:Example 1:

차량이 운행 중이며 EP 디바이스 결함을 갖지 않는다. EP 브레이크의 확률적 분포는 1 디락(dirac)과 같다. 차량은 EBCL 레벨 5와 등가인 적어도 1×10-5의 확실성으로 100% 감속을 달성할 것이다. 즉, 차량은 EP 디바이스의 1개 결함의 결함률보다 덜 확실하게 감속에 도달할 것이다. 차량은 EBCL 레벨 9보다 더 높은 적어도 1×10-10의 확실성으로 90% 감속을 달성할 것이다. 즉, 차량은 EP 디바이스의 2개의 결함의 결함률보다 적은 확실성으로 감속에 도달할 것이다. 그러나, 확실성이 1개의 EP 디바이스의 결함률보다 더 높기 때문에, 1개의 EP 디바이스가 고장날 것이라고 고려한다.The vehicle is running and has no EP device faults. The stochastic distribution of EP breaks is equal to 1 dirac. The vehicle will achieve 100% deceleration with a certainty of at least 1×10 -5 equivalent to EBCL level 5. That is, the vehicle will reach deceleration with less certainty than the failure rate of 1 failure of the EP device. The vehicle will achieve a 90% deceleration with a certainty of at least 1×10 -10 higher than EBCL level 9. That is, the vehicle will reach deceleration with less certainty than the failure rate of the two failures of the EP device. However, since the certainty is higher than the failure rate of 1 EP device, consider that 1 EP device will fail.

예 2:Example 2:

차량이 운행 중이며 1개의 EP 디바이스 결함을 갖는다. 이는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으로 통지되었으며, 이는 1개의 EP 디바이스 결함으로 저하된 감속이 명목 감속의 90%임을 의미한다. 차량은 EBCL 레벨 5와 등가인 적어도 1×10-5의 확실성으로 90% 감속을 달성할 것이다. 차량은 EP 디바이스의 1개의 결함의 결함률보다 낮은 확실성으로 저하된 감속을 달성할 것이다. 1개의 EP 단위가 이미 고장났기 때문에 명목 감속이 아닌 저하된 감속을 달성한다. 차량은 EBCL 레벨 9 위의 적어도 1×10-10의 확실성으로 80% 감속을 달성할 것이다. 차량은 EP 디바이스의 2개 결함의 결함과 관련하여 덜 확실하게 감속에 도달할 것이다.The vehicle is running and has 1 EP device fault. This was notified by on-board vehicle signaling, which means that the reduced deceleration with one EP device fault is 90% of the nominal deceleration. The vehicle will achieve a 90% deceleration with a certainty of at least 1×10 -5 equivalent to EBCL level 5. The vehicle will achieve reduced deceleration with a certainty lower than the failure rate of one failure of the EP device. A reduced deceleration rather than a nominal deceleration is achieved because one EP unit has already failed. The vehicle will achieve an 80% deceleration with a certainty of at least 1×10 -10 above EBCL level 9. The vehicle will reach deceleration less reliably in connection with the failure of the two faults of the EP device.

다음 단계는 필요한 EBCL과 고려되는 디바이스의 결함률에 기초하여 감속을 계산하는 방식을 보여준다.The following steps show how to calculate the deceleration based on the required EBCL and the defect rate of the device being considered.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이 예는 EP 전기 공압식 브레이크만 사용하는 차량에 대해 제공되었다. 모두 감속에 기여하는 경우 복수의 유형의 제동 디바이스를 갖는 차량에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위의 내용은 특수 제동 디바이스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is example is provided for a vehicle using only EP electro-pneumatic brakes. The same concept can be applied to vehicles having multiple types of braking devices where all contribute to deceleration. The abov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special braking devices.

추가 양태에서, 차량의 현재 감속 및 속도를 참조하면, 이는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관련 시그널링 디바이스 TS, OB에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복수의 측정치들이 분석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철도 차량 속도 및 감속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In a further aspect, referring to the current decelera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this may be provided by the braking device to the relevant signaling devices TS, OB. A plurality of measurements can then be analyzed, and a more accurate rolling stock speed and deceleration becomes available.

일반적으로,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통상적으로 1과 2 사이의 제한된 수의 속도 센서에 대한 기준 속도의 계산에 기초한다.Generally,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s based on the calculation of a reference speed for a limited number of speed sensors, typically between one and two.

전기 공압식 EP, 전기 역학식 ED, 전기 기계식 EM 제동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WSP 기능을 포함하며, 이는 휠과 차량 사이의 종방향 속도 차이로 정의되는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휠에 가해지는 힘을 조정한다. 힘을 조정하기 위해, WSP 기능이 내장된 디바이스는 휠의 속도를 측정하고 프로세싱된 알고리즘에 따라 차량 속도를 추정한다.Electro-pneumatic EP, electrodynamic ED, and electromechanical EM braking devices typically include a WSP function, which adjusts the force applied to the wheel based on sliding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longitudinal speed between the wheel and the vehicle. To adjust the force, the device with built-in WSP function measures the speed of the wheel and estimates the vehicle speed according to the processed algorithm.

로컬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는 4개의 상이한 휠 속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속도 추정에 기초하고, 가속도계 또는 GPS를 사용하여 적어도 EN15595에서 요구되는 만큼의 정확도로 철도 차량의 속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Locally, each device may calculate the speed of a rolling stock with an accuracy at least as required by EN15595, based on an estimate of the speed of at least one rolling stock for four different wheel speeds, and using an accelerometer or GPS.

고려된 휠의 수와 EN 표준 준수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의한 차량 속도 추정은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의해 계산된 것보다 더 나을 것이다.Based on the number of wheels considered and EN standard compliance, the vehicle speed estimate by the brake device will be better than that calculated by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또한, 상이한 유닛의 속도 계산이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집중될 수 있다.Also, speed calculations of different units can be concentrated to more accurately estimate the speed of at least one rolling stock.

추가 양태에서, 분명히 제동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차 축 또는 다양한 차 축의 각각의 휠과 연관된 복수의 제동 디바이스(102)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 further aspect, obviously, the braking system 100 may control a plurality of braking devices 102 associated with each wheel of, for example, a car axle or various car axles.

바람직하게는, 제동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특수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정보는 이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raking system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special brak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factor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may further include: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의 현재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vailability of said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인가된 제동력의 현재 레벨에 관한 정보.-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evel of braking force applied by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한 현재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결함으로 인해 예를 들어, 특정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vailability for use of said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for example, a particular special braking device is available because of a defect, for example.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인가된 현재 제동력 레벨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특수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인가된 현재 제동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예를 들어, 가능한 최대 제동 레벨에 대한 인가 퍼센티지이다. 이 정보는 모니터링 목적으로도 송신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braking force level applied by the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braking force level applied by the special braking device, for example. This information is, for example, the application percentage for the maximum possible braking level. This information may also be transmitted for monitoring purposes.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트랙 브레이크, MTB, 및/또는 샌드박스 및/또는 와전류(eddy current) 유형 브레이크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may be at least one magnetic track brake, MTB, and/or sandbox and/or eddy current type brake.

예를 들어, 샌드박스는 특수 브레이크 카테고리에 속하며; 이는 차량의 감속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특성을 갖지만, 다른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힘을 강화하므로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친다.For example, sandbox belongs to the special break category; It has a property that does not directly contribute to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but has an effect on the braking of the rail vehicle as it reinforces the forces generated by other braking devices.

샌드박스 효율성 정보도 모니터링 목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Sandbox efficiency information may also be transmitted for monitoring purposes.

도 3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의 구성 1에서, 제동 시스템은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As can be observed in FIG. 3, in configuration 1 of the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the braking system directly provides at least one of the above information about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railway vehicles to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can do.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의 구성 2에서, 제동 시스템은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로 전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configuration 2 of the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the braking system may provide at least one of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s, OB, with at least one of the above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n this case,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may be arranged to convey said information about a factor influencing braking of a rail vehicle to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의 구성 3에서, 제동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열차 제어 및 관리 시스템, TCMS에도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또한 송신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는 각각 상기 열차 제어 및 관리 시스템, TCMS로부터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configuration 3 of the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the braking system transmits also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to the at least one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of the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thereby controll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t can be arrang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said information about a factor influencing .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re respectively dependent on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rolling stock from the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It can be arranged to receive said information about.

추가 실시예에서, 제동 시스템이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에 제공하도록 배열될 때, 제동 시스템은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에도 전송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로부터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a further embodiment, when the braking system is arranged to provid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t least one of said information about a factor influencing braking of a rail vehicle, the braking system influences the braking of a rail vehicle. It may be arrange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said information about a factor affecting the at least one remote server as well. In this case,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may be arranged to receive from said at least one remote server said information about a factor influencing the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도 4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또는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차 제어 및 관리 시스템, TCMS로 직접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104)는 또한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에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As can be observed in FIG. 4 , said at least one braking device transmits said information about a factor influencing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to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said at least one s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gain directly to said at least one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If present, said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104 also transmits said information about a factor influencing the braking of a rail vehicle to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said at least one track. It can be arranged to provide to the side signaling system, TS.

즉,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동 디바이스 또는 하나 이상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분산된 방식으로 제공된다.That is, the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decentralized manner by one or more braking devices or one or more special braking devices.

도 5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가 실시예에서, 제동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동 디바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제동 제어 유닛(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동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차 제어 및 관리 시스템, TCMS에 제공되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제동 디바이스로부터 중앙 집중식으로 수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수 제동 디바이스가 존재할 때, 제동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에 제공되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특수 제동 디바이스로부터 중앙 집중식으로 수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5 , in a further embodiment the braking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brake control unit 106 assigned to control, for example, one or more braking devices and/or one or more special braking devices. can do. In this case, the brak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in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in the at least one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It may be arranged to centrally collect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braking device. When a special braking device is present, the brake control unit also determines a factor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 vehicle provided to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said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rrangements may be made to centrally collect said information about from a special braking device.

상술한 중앙 집중식과 같은 일부 유형의 아키텍처의 경우, 주 제동 디바이스를 통해 제동 거리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For some types of architecture, such as the centralized one described above,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primary braking device.

실제로, 제동 거리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데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가 유닛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Indeed, the real-time data need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braking distance is available for the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동 제어 유닛은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Advantageously, said brake control unit is capable of processing at least one of said information about a factor influencing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2020년 8월 27일부터 시행되는 최신 규정에 따라 안전 무결성 레벨(SIL(Safety Integrity Level)) ≥ 2인 해결책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or example be a solution with a Safety Integrity Level (SIL) ≥ 2 according to the latest regulations coming into force from August 27, 2020.

바람직하게는, 제동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모두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 수단은 디지털 I/O, 이더넷(Ethernet), MVB, CAN, 에셜론(Echelon), 블루투스(Bluetooth), WiFi, GSM일 수 있다.Preferably, the braking system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wired communication means or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Both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ans may be digital I/O, Ethernet, MVB, CAN, Echelon, Bluetooth, WiFi, or GSM.

본 발명은 또한 이하를 포함하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comprising:

-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제동 시스템;- a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 모두.-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both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상기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에서, 상기 제동 시스템이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제공할 때,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철도 차량의 제동 곡선을 결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the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when the braking system provides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controls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Arrangements can be made to determine the braking curve of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said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

또한, 상기 제동 시스템이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제공할 때, 그리고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철도 차량에 의해 달성 가능한 감속을 결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raking system provides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ail vehicles,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road vehicles, the at least Whe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of one braking device,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deceleration achievable by the rolling stock based on said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of said at least one braking device. can be arranged

마지막으로, 특수 제동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동 시스템이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를 온-보드 시그널링 시스템, OB에 제공할 때, 그리고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관한 상기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 O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철도 차량에 의해 달성 가능한 감속을 결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Finally, when a special braking device is present, when the braking system provides the on-board signaling system, OB, with the abov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olling stock, and which affects the braking of the rolling stock When said information about the factor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of said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based on said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of said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Arrangements may be made to determine the deceleration achievable by the rolling stock.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에 대해 본 설명에서 설명되는 것은 복수의 철도 차량을 포함하는 열차의 경우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What is described in this description for at least one rolling stock can be similarly applied in the case of a train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ing stock.

따라서, 달성된 이점은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 TS 및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이 이를 둘러싸는 부착 조건에 내재된 실시간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철도 차량의 제동 곡선 및 철도 차량의 정지 거리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해결책을 제안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그널링 아키텍처를 갖는 제동 시스템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각각의 실시예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Thus, the achieved advantage is a solution that allows th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to determine the braking curve of a rolling stock and the stopping distance of a rolling stock as a function of real-time parameters inherent in the attachment conditions surrounding it. that it was proposed Various aspects and embodiments of a braking system having a signaling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t is understood that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 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varied within the scop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RV: railway vehicle)용 제동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제동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trackside signaling system)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모두에 상기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 저부착의 조건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사전 정의된 명목 감속 값에 적용되는 보정 팩터, k웨트(we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동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결정되는, 제동 시스템(100).
A braking system (100)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RV), comprising:
The braking system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OB). arranged to provide both system (TS) and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said rail vehicle;
The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 contains information about a correction factor, k wet, which is applied to the predefined nominal deceleration value of said at least one rolling stock in conditions of low attachment;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determined in real time by the braking system.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RV)용 제동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제동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모두에 상기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 상기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휠(W: wheel)과 레일(R: rail)의 이용 가능한 부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동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결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은 수신된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W)과 레일(R)의 상기 이용 가능한 부착에 관한 상기 정보의 함수로서 저부착의 조건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사전 정의된 명목 감속 값에 적용되는 보정 팩터, k웨트를 결정하도록 배열되고/배열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은 수신된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W)과 레일(R)의 상기 이용 가능한 부착에 관한 상기 정보의 함수로서 저부착의 조건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사전 정의된 명목 감속 값에 적용되는 보정 팩터, k웨트를 결정하도록 배열되는, 제동 시스템(100).
A braking system (100) for at least one rail vehicle (RV), comprising:
The braking system 100 comprises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said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rrang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said railway vehicle to both a vehicle signaling system (OB);
The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 contains information about possible attachments of at least one wheel (W) and rail (R) of the railway vehicle;
the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determined in real time by the braking system;
Said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may, in conditions of low attachment, as a function of said received information about said available attachment of said at least one wheel (W) and rail (R) of said railway vehicle, Arranged and/or arranged to determine a correction factor, k wet , which is applied to a predefined nominal deceleration value of the at least one rolling stock, and/or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s configured to: a correction factor applied to the predefined nominal deceleration value of said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in conditions of low attachment as a function of said information about said available attachment of rail R with at least one wheel W, k A braking system (100), arranged to determine wet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102)를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raking system, wherein the braking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braking device (10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 상기 제동 시스템(100)에 의해 결정된 휠과 레일 사이의 최적의 슬라이딩 지점에 관한 정보;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정보;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현재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동 시스템(100)에 의해 결정된 제동 거리에 관한 정보;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102)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
- 상기 철도 차량의 감속에 관한 정보;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에 의해 인가된 제동력의 레벨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is:
- information about the optimal sliding point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 determined by the braking system 100;
- information about the speed of said at least one rolling stock;
- information about the braking distance determined by the braking system 100 based on the current speed of the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of said at least one braking device 102;
- information about the deceleration of said rolling stock;
- at least one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level of braking force applied by said at least one braking devic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는 전기 공압식 또는 전기 역학식 또는 전기 기계식 유형인,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said at least one braking device is of an electro-pneumatic or electro-dynamic or electro-mechanical typ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10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결정되는, 상기 철도 차량의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104)의 사용에 대한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104)에 의해 인가된 제동력의 레벨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104);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determined in real time by the braking system, is:
-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for use of said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104;
- additionally comprising information about the level of braking force applied by said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10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는:
- 자기 트랙 브레이크, MTB(magnetic track brake);
- 샌드박스(sandbox);
- 와전류(Eddy current) 브레이크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is:
- magnetic track brake, MTB (magnetic track brake);
- sandbox;
- A brak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devices of an eddy current brake.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는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에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Said at least one braking device transmits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said braking of said rail vehicle to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to said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 TS), the braking system.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는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에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Said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transmits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said braking of said rail vehicle to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to said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the braking system.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동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동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에 제공되는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동 디바이스들로부터 중앙 집중식으로 수집하도록 배열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9,
at least one brake control unit;
The brak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relating to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provided to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to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 braking system arranged to centrally collect information from said braking devices.
제6항을 인용하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에 제공되는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특수 제동 디바이스들로부터 중앙 집중식으로 수집하도록 배열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which refers to claim 6,
The brake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relating to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provided to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to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to centrally collect information from said special braking devices.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제어 유닛은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세싱하도록 배열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brake control unit is arranged to process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모두에 제공하는, 제동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The braking system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wired communication means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the at least one an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f an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both said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로서,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동 시스템;
-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 및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을 포함하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
As a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 a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or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or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n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ncluding,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제14항에 있어서,
- 상기 제동 시스템이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에 제공하도록 배열될 때, 상기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은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의 함수로서 상기 철도 차량의 제동 곡선을 결정하도록 배열되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
According to claim 14,
- when the braking system is arranged to provide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 vehicle,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 to determine a braking curve of the railway vehicle as a function of the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 상기 제동 시스템이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에 제공하도록 배열될 때, 그리고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한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한 상기 이용 가능성에 관한 상기 정보의 함수로서 상기 철도 차량에 의해 도달될 수 있는 감속을 결정하도록 배열되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
The method of claim 14 or 15,
- when the braking system is arranged to provide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ith the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 vehicle, and When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for use of said at least one braking device,
wherein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s arranged to determine a deceleration attainable by the rail vehicle as a function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for use of the at least one braking device. .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시스템이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될 때; 그리고
- 상기 제동 시스템이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에 제공하도록 배열될 때, 그리고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차량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한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수 제동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한 상기 이용 가능성에 관한 상기 정보의 함수로서 상기 철도 차량에 의해 도달될 수 있는 상기 감속을 결정하도록 배열되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 when the system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3; and
- when the braking system is arranged to provide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ith the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 vehicle, and when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for use of said at least one special vehicle device;
wherein th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s arranged to determine the deceleration attainable by the railway vehicle as a function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ility for use of the at least one special braking device. signaling architecture.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시스템이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에 제공하도록 배열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은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에 전달하도록 배열되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7,
when the braking system is arrang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 vehicle to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wherein said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is arranged to convey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said braking of said rail vehicle to said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architecture.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시스템은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열차 제어 및 관리 시스템(TCMS: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차량 시그널링 시스템(OB)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은 상기 열차 제어 및 관리 시스템(TCMS)으로부터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열되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8,
The braking system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way vehicle to at least one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of the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thereby arrang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said braking of a vehicle;
The at least one on-board vehicle signaling system (OB) and/or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can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olling stock from the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Arranged to receive said information about the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시스템이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에 제공하도록 배열될 때,
상기 제동 시스템은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트랙사이드 시그널링 시스템(TS)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로부터 상기 철도 차량의 상기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열되는, 철도 시그널링 아키텍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9,
when the braking system is arrang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raking of the rail vehicle to the at least one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the braking system is arrange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said braking of said railway vehicle to at least one remote server;
wherein said trackside signaling system (TS) is arranged to receive said information about factors influencing said braking of said rolling stock from said at least one remote server.
KR1020237006529A 2020-08-31 2021-08-31 Braking system and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KR2023008867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2000020677 2020-08-31
IT102020000020677 2020-08-31
PCT/IB2021/057936 WO2022043964A1 (en) 2020-08-31 2021-08-31 Braking system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and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676A true KR20230088676A (en) 2023-06-20

Family

ID=7313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529A KR20230088676A (en) 2020-08-31 2021-08-31 Braking system and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04265A1 (en)
JP (1) JP2023538952A (en)
KR (1) KR20230088676A (en)
CN (1) CN115867477A (en)
BR (1) BR112023002653A2 (en)
WO (1) WO2022043964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0009A1 (en) * 2004-03-27 2006-12-13 DeltaRail Group Limited Train operating system
KR101456534B1 (en) * 2013-06-17 2014-10-31 현대로템 주식회사 Train control supervision system
KR101866610B1 (en) * 2014-09-17 2018-06-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for Warning of Exceeding Speed Limit in Railway Vehicles
KR102088409B1 (en) * 2017-12-07 2020-03-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utomatic shun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945971B1 (en) * 2018-04-26 2019-05-02 (주)그린시스템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in location
EP3894298A4 (en) * 2018-12-13 2023-01-25 Asiatic Innovations Pty Ltd Transport and rail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4265A1 (en) 2023-07-05
JP2023538952A (en) 2023-09-12
WO2022043964A1 (en) 2022-03-03
CN115867477A (en) 2023-03-28
BR112023002653A2 (en)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9136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riving authorization for a rail vehicle
CA2869711C (en) Brake monitoring system for an air brake arrangement
US20090177344A1 (en) Method for the Onboard Determination of Train Detection, Train Integrity and Positive Train Separation
US10933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ges in the longitudinal dynamic behavior of a railway vehicle
CN110678376B (en) Assistance of train guidance systems by onlin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bout braking capacity
CN102414072B (en) Method for operating rail vehicle
US11142871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EP3168111A1 (en) Control system with adhesion map for rail vehicles
JP2004328993A (en) Train control system,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train control unit
KR101465525B1 (en) Linking system for anti-skid control of railway vehicle and method
KR102622589B1 (en) Electronic braking con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s
JP201550988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e and braking device of a vehicle with a friction brake
US20200207322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etermining braking-relevant actual values of a rail vehicle for the performance of controlled-retardation braking with distributed sensors
US202103948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Derailed State of a Rail Vehicle
KR20230088676A (en) Braking system and railway signaling architecture for at least one railway vehicle
JP7339351B2 (en) Method for detecting braking operation of railway vehicle and emergency braking method for railway vehicle
CN114435428B (en) Train braking curve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and train control method and system
WO2009089492A1 (en) Method for the onboard determination of train detection, train integrity and positive train separation
WO2021186619A1 (en) Wear estimation device
Folęga et al. Effect of train position reporting on railway line capacity
CN114620096B (en) Processing method after wheel diameter calibration failure, vehicle-mounted controller, train and medium
JP2010233344A (en) Onboard brake control system and onboard brake control method
WO2023223277A1 (en) System for verifyng a braking release condition of a plurality of braking means of at least one vehicle, and vehicle
GB2621327A (en) Rail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train for operation on a rail network
EP3569468A1 (en)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 vehicle speed recommendation for operating a railway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