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131A -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131A
KR20230087131A KR1020210175798A KR20210175798A KR20230087131A KR 20230087131 A KR20230087131 A KR 20230087131A KR 1020210175798 A KR1020210175798 A KR 1020210175798A KR 20210175798 A KR20210175798 A KR 20210175798A KR 20230087131 A KR20230087131 A KR 2023008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object
dummy
matrix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6826B1 (en
Inventor
안치연
정우석
김현명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21017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826B1/en
Publication of KR2023008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1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6Aligning or centring of the image pick-up or image-field
    • G06V30/1475Inclination or skew detection or correction of characters or of image to be recognised
    • G06V30/1478Inclination or skew detection or correction of characters or of image to be recognised of characters or characters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there is.

Description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최근, 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 단말 장치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문서를 열람, 작성,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이 출시되고 있다. Recently, as electronic terminal devices such as computers, smart phones, or tablet PCs have become widely availabl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ocument-related programs have been released that enable users to view, create, and edit electronic documents using these electronic terminal devices. .

이러한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로는 기본적인 문서의 작성, 편집 등을 지원하는 워드프로세서, 데이터의 입력, 산술연산, 데이터 관리를 보조하는 스프레드시트, 발표자의 발표를 보조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등이 있다.Such electronic document-related programs include word processors supporting basic document preparation and editing, data input, arithmetic operations, and data management assisting spreadsheets, presentation programs assisting presenters in presentations, and the like.

이러한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을 활용하여 전자 문서를 작성하는 사용자는, 전자 문서의 내용을 보다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에서 지원하는 이미지 삽입 기능을 활용하여 전자 문서에 이미지 개체를 삽입하는 경우가 많다.Users who create electronic documents using these electronic document-related programs often insert image objects into electronic documents by using image insertion functions supported by electronic document-related programs in order to make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document more specific. many.

한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에는 주민등록번호나 전화번호 등과 같은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개인 정보가 무분별하게 타인에게 유출된다면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mage objects inserted into electronic documents may contai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or phone numbers. If such personal information is indiscriminately leaked to others, it may be misused for a crime. Be careful.

이와 관련해서, 기존에는,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 개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하여, 이미지 개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일일이 마스킹 처리한 후, 해당 이미지 개체를 전자 문서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았다.In this regard, in the past,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 user directly identifie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is individually checked. After masking, the corresponding image object was often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사용자가 미처 식별하지 못한 경우,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 정보가 쉽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not only takes a lot of time, but also has a problem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can be easily leaked to the outside if the user fails to identify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

만약,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이 도입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f a technology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s introduce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can be more efficiently prevented.

따라서,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research on a technology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s required.

본 발명은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는 개인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들이 저장되어 있는 정규 표현식 저장부,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의 제1 지점에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사전 설정된 텍스트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추출부,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정규 표현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자열 확인부,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열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질의 메시지 표시부 및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최종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하는 이미지 삽입부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different regular expressions preset to correspond to a display format of personal information. If an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a first image object at a first point in an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to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in which the first image object is stored, the first image A text extraction unit for performing text recognition on an object to extract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and when the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is extracted,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among the extracted text A string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a string having a not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stored in is present, a string having a not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among the extracted text, If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one first string exists, a query message asking the user whether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despite the fact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When a final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query message display unit generating and displaying the first image object on the scree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an image inserting unit inserting the first image object at the first point of the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개인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는 정규 표현식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의 제1 지점에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사전 설정된 텍스트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정규 표현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열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최종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display forma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different regular Maintaining a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in which expressions are stored, when a user applies an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a first image object at a first point in the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 preset text recognition model, extracting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by performing text recognition on the first image object; when the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is extracted, among the extracted text, the regular expression Checking whether a string having a not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stored in a storage unit exists, a string having a not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among the extracted text, If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one first string exists, a query message asking the user whether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despite the fact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generating and displaying on the screen, and when a final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query message, the image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inserting the first image object at a first point.

본 발명은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s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e person who has it.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is document,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functional block, or means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ub-components, and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mechanical functions performed by each component are electronic It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known elements or mechanical elements such as circuits, integrated circuit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nd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two or more may be integrated into one.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s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or the steps of the flowchart ar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at perform designated functions by being loaded into a processor or memory of a device capable of data processing, such as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 purpose computer,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and a network computer.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memory included in a computer device or in a computer readable memory, the functions described in blocks of a block diagram or steps of a flowchart are produced as a product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m. It could be. Further,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functions mentioned in blocks or steps may be executed out of a predetermined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reverse order, and in some cases, some blocks or steps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110)는 정규 표현식 저장부(111), 텍스트 추출부(112), 문자열 확인부(113), 질의 메시지 표시부(114) 및 이미지 삽입부(1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111, a text extraction unit 112, a string check unit 113, a query message display unit 114, and It includes an image insertion unit 115.

정규 표현식 저장부(111)에는 개인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들이 저장되어 있다.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111 stores a plurality of different regular expressions preset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format of personal information.

여기서, 정규 표현식이란 '111-2222-3333'이나 '123456-4567890'과 같이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를 의미한다.Here, the regular expression means a formal language used to express a set of strings with specific rules, such as '111-2222-3333' or '123456-4567890'.

예컨대, 정규 표현식 저장부(111)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개인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111 may store a plurality of different regular expressions preset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format of personal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개인 정보의 표기 형식Notation format of personal information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휴대폰번호 표기 형식Mobile phone number notation format ^\d{3}-\d{3,4}-\d{4}$^\d{3}-\d{3,4}-\d{4}$ 전화번호 표기 형식Phone number notation format ^\d{2,3}-\d{3,4}-\d{4}$^\d{2,3}-\d{3,4}-\d{4}$ 주민등록번호 표기 형식Format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6}-\d{7}$^\d{6}-\d{7}$ ...... ......

텍스트 추출부(112)는 사용자(130)에 의해, 전자 문서의 제1 지점에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사전 설정된 텍스트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추출한다. 여기서, 텍스트 인식 모듈이란 이미지나 영상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획득할 수 있는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술이나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전 구축된 텍스트 인식 모듈을 의미한다.When an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a first image object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130, the text extraction unit 112 detects the first image object on the basis of a preset text recognition model. Text recognition is performed on the image object to extract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Here, the text recognition module refers to a pre-built text recognition module based o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technology or deep learning technology that can be obtained by recognizing text in an image or video.

문자열 확인부(113)는 텍스트 추출부(112)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정규 표현식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When the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is extracted by the text extraction unit 112, the string check unit 113, among the extracted text,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stored in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111 Checks whether a string having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expressions exists.

질의 메시지 표시부(114)는 문자열 확인부(113)에 의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열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130)에 대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The query message display unit 114 is a string having a not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among the extracted text by the string confirmation unit 113,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one first string exists, For the user 130, a query message inquiring whether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despit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미지 삽입부(115)는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130)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최종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한다.The image inserting unit 115 responds to the query message and when a final image inserting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130, the first image objec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one point.

이하에서는, 텍스트 추출부(112), 문자열 확인부(113), 질의 메시지 표시부(114) 및 이미지 삽입부(115)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text extraction unit 112, the character string confirmation unit 113, the query message display unit 114, and the image insertion unit 1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xample.

먼저, 전자 단말 장치(110)에 사용자(130)에 의해, 전자 문서의 제1 지점에, '이미지 개체 1'을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었다고 가정하자.First, it is assumed that an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image object 1' at a first point of an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by the user 130 .

이때, '이미지 개체 1'은 도 2의 도면부호 210으로 표시된 그림과 같다고 가정하자.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image object 1' is the same as the pictur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10 in FIG. 2 .

그러면, 텍스트 추출부(112)는 사전 설정된 텍스트 인식 모델을 기초로, '이미지 개체 1(210)'에 대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이미지 개체 1(210)'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로, '홍길동, 연락처 : 010-1234-5678'과 같은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Then, the text extractor 112 performs text recognition on 'Image Object 1 (210)' based on a preset text recognition model, and converts the text included in 'Image Object 1 (210)' into 'Hong Gil-dong'. , Contact: 010-1234-5678' text can be extracted.

그러고 나서, 문자열 확인부(113)는 '홍길동, 연락처 : 010-1234-5678'과 같은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표 1과 같은 정규 표현식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string check unit 113 selects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stored in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111 as shown in Table 1 among the extracted texts such as 'Hong Gil-dong, contact: 010-1234-5678'.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 string having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

관련해서, 상기 표 1과 같은 정규 표현식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을 서로 비교해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도면부호 211로 표시되어 있는 문자열은 '휴대폰번호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is, referring to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111 as shown in Table 1, comparing the extracted text and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the string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11 among the extracted text is 'mobile phon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a not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number notation format'.

따라서, 문자열 확인부(113)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로, 문자열(211)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ring checking unit 113 can confirm that the string 211 exists as a string having a not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in the extracted text.

그러면, 질의 메시지 표시부(114)는 사용자(130)에 대해, '이미지 개체 1(210)'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이미지 개체 1(210)'을 삽입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query message display unit 114 asks the user 130 whether or not to insert the 'image object 1 210'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even though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1 210'. A query message to be queried may be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전자 단말 장치(110)에 사용자(130)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에 '이미지 개체 1(210)'을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최종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었다고 가정하자.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a command to insert a final image instructing to insert 'image object 1 (210)'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by the user 130 in response to the query message. .

그러면, 이미지 삽입부(115)는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이미지 개체 1(210)'을 삽입할 수 있다.Then, the image insertion unit 115 may insert 'image object 1 210'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단말 장치(110)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116) 및 마스킹 처리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may further include a dummy image generator 116 and a masking processor 117 .

더미 이미지 생성부(116)는 이미지 삽입부(115)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삽입된 이후, 사용자(130)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masking) 처리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와 동일한 크기의 더미(dummy) 이미지를 생성한다.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by the image insertion unit 115, the dummy image generator 116 determines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mage object by the user 130. When a masking processing command is applied, a dummy imag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image object is created.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더미 이미지 생성부(116)는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 인증 행렬 저장부(117), 참조 이미지 저장부(118), 비밀번호 설정 요청부(119), 벡터 추출부(120), 연산 행렬 생성부(121) 및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image generator 116 has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dummy image, and includes an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117, a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18, and a password setting request unit. 119, a vector extraction unit 120, an operation matrix generation unit 121, and a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22.

인증 행렬 저장부(117)에는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사전 설정된 n(n은 2 이상의 자연수임) x n 크기의 인증 행렬이 저장되어 있다,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117, an authentication matrix having a size of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x n composed of '1' and '0' components is stored.

예컨대, n을 '3'이라고 하는 경우, 인증 행렬 저장부(117)에는 '

Figure pat00001
'과 같은 '3 x 3' 크기의 인증 행렬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n is '3',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117 '
Figure pat00001
An authentication matrix having a size of '3 x 3' such as ' may be stored.

참조 이미지 저장부(118)에는 '1'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참조 이미지와, '0'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2 참조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18 stores a first reference image pre-specified as corresponding to the '1' component and a pre-specified second reference image as corresponding to the '0' component.

예컨대, '1'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참조 이미지 1'이 도 3의 도면부호 310으로 표시된 그림과 같다고 하고, '0'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참조 이미지 2'가 도 3의 도면부호 320으로 표시된 그림과 같다고 하는 경우, 참조 이미지 저장부(118)에는 '참조 이미지 1(310)'과 '참조 이미지 2(320)'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reference image 1', which is pre-specified as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of '1', is the same as the pictur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10 in FIG. 3, and 'reference image 2', which is pre-specified as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of '0' If it is the same as the figur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20 of 3, 'reference image 1 310' and 'reference image 2 320'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18.

비밀번호 설정 요청부(119)는 이미지 삽입부(115)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삽입된 이후, 사용자(130)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처리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130)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by the image inserting unit 115, the password setting request unit 119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mage object by the user 130. When the masking processing command is applied, a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user 130 to set a password for unmask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벡터 추출부(120)는 상기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130)에 의해 제1 비밀번호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비밀번호에 대해 n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1 연산 값 x를 산출한 후, 인증 행렬 저장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로부터, x+1번째 열에 위치하는 제1 열벡터와, x+1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행벡터를 추출한다.When the first password is set by the user 130 in response to the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the vector extractor 120 performs a modulo operation with n as a divisor for the first password, After calculating the first operation value x, from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117, the first column vector located at the x+1th column and the first row vector located at the x+1th row extract

여기서, 모듈로 연산은 피제수를 제수로 나누는 나눗셈을 수행하여 그에 대한 나머지(remainder)를 산출하는 연산을 의미한다.Here, the modulo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of calculating a remainder by performing division by dividing a dividend by a divisor.

연산 행렬 생성부(121)는 벡터 추출부(120)에 의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가 추출되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를 행렬 곱하여 n x n 크기의 연산 행렬을 생성한다.When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extracted by the vector extractor 120, the operation matrix generator 121 multiplies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to generate an n×n operation matrix. do.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는 연산 행렬 생성부(121)에 의해 상기 연산 행렬이 생성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 영역을 n x n개로 분할함으로써, n x n개의 분할 영역들을 생성한 후, 상기 n x n개의 분할 영역들 중, 상기 인증 행렬에서 '1'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상기 제1 참조 이미지를 삽입하고, 상기 인증 행렬에서 '0'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상기 제2 참조 이미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한다.When the operation matrix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matrix generator 121, the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22 divides an image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image object into n x n parts to generate n x n divided areas, Among the n x n divided regions,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a '1' component is locat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and a '0' component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is inserted. The dummy image is generated by inserting the second reference image into each divided area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이하에서는, 비밀번호 설정 요청부(119), 벡터 추출부(120), 연산 행렬 생성부(121) 및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password setting request unit 119, the vector extractor 120, the calculation matrix generator 121, and the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or 1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xample.

먼저, 전술한 예와 같이, n을 '3'이라고 하고, 이미지 삽입부(115)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이미지 개체 1(210)'이 삽입되었다고 하며, 그 이후, 전자 단말 장치(110)에 사용자(130)에 의해, '이미지 개체 1(210)'에 대한 마스킹 처리 명령이 인가되었다고 가정하자. First, as in the above example, let n be '3', and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object 1 210'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by the image inserting unit 115, and thereafter, Assume that a masking processing command for 'image object 1 (210)'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by the user 130.

그러면, 비밀번호 설정 요청부(119)는 사용자(130)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password setting request unit 119 may display a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user 130 to set a password for unmasking on the screen.

이때, 상기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130)에 의해 제1 비밀번호로, '1230'이 설정되었다고 하는 경우, 벡터 추출부(120)는 '1230'에 대해 '3'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1 연산 값을 '0'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when '1230' is set as the first password by the user 130, the vector extractor 120 sets '3' as a divisor for '1230'. By performing the modulo operation, the first operation value may be calculated as '0'.

그러고 나서, 벡터 추출부(120)는 인증 행렬 저장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인 '

Figure pat00002
'로부터, '1'번째 열에 위치하는 제1 열벡터인 '
Figure pat00003
'과, '1'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행벡터인 '
Figure pat00004
'을 추출할 수 있다.Then, the vector extractor 120 uses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117 '
Figure pat00002
From ', the first column vector located in the '1' column '
Figure pat00003
' and ', the first row vector located in the '1'th row, '
Figure pat00004
' can be extracted.

그러면, 연산 행렬 생성부(121)는 상기 제1 열벡터인 '

Figure pat00005
'과 상기 제1 행벡터인 '
Figure pat00006
'을 행렬 곱하여 '3 x 3' 크기의 연산 행렬을 '
Figure pat00007
'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Then, the operation matrix generator 121 generates the first column vector '
Figure pat00005
' and the first row vector '
Figure pat00006
' is matrix multiplied to obtain an operation matrix of size '3 x 3'.
Figure pat00007
' can be created.

그러고 나서,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는 도 4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이미지 개체 1(210)'과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 영역(410)을 '3 x 3'개로 분할함으로써, '9'개의 분할 영역들(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을 생성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4 , the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22 divides the image area 410 having the same size as the 'image object 1 210' into '3 x 3' pieces, so that '9' The divided regions 411 , 412 , 413 , 414 , 415 , 416 , 417 , 418 , and 419 may be created.

그 이후,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는 '9'개의 분할 영역들(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중 상기 연산 행렬에서 '1'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참조 이미지 1(310)'을 삽입하고, 상기 인증 행렬에서 '0'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참조 이미지 2(320)'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22 selects the component '1' in the operation matrix among the '9' divided regions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and 419. 'Reference image 1 (31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areas located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int, and 'reference image 1 (31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areas located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0' component is locat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By inserting the image 2 (320)', the dummy image can be created.

관련해서, 상기 연산 행렬인 '

Figure pat00008
'에서, '1'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은 '1행 1열, 1행 2열, 3행 1열, 3행 2열'이고, '9'개의 분할 영역들(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중 '1행 1열, 1행 2열, 3행 1열, 3행 2열'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은 '분할 영역(411), 분할 영역(412), 분할 영역(417), 분할 영역(418)'이므로,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는 '분할 영역(411), 분할 영역(412), 분할 영역(417), 분할 영역(418)' 각각에 '참조 이미지 1(310)'을 삽입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operation matrix '
Figure pat00008
', the point at which the component of '1' is located is '1st row, 1st column, 1st row, 2nd column, 3rd row, 1st column, 3rd row, 2nd column', and '9' partitioned areas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the partitioned areas located at the points corresponding to '1st row, 1st column, 1st row, 2nd column, 3rd row, 1st column, 3rd row, 2nd column' are called 'partitioned areas 411'. , split area 412, split area 417, and split area 418', the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22 'segmented area 411, split area 412, split area 417, and split area (418)', 'reference image 1 (310)' may be inserted.

또한, 상기 연산 행렬인 '

Figure pat00009
'에서, '0'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은 '1행 3열, 2행 1열, 2행 2열, 2행 3열, 3행 3열'이고, '9'개의 분할 영역들(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중 '1행 3열, 2행 1열, 2행 2열, 2행 3열, 3행 3열'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들은 '분할 영역(413), 분할 영역(414), 분할 영역(415), 분할 영역(416), 분할 영역(419)'이므로,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는 '분할 영역(413), 분할 영역(414), 분할 영역(415), 분할 영역(416), 분할 영역(419)' 각각에 '참조 이미지 2(320)'를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atrix '
Figure pat00009
', the point at which the component of '0' is located is '1st row, 3rd column, 2nd row, 1st column, 2nd row, 2nd column, 2nd row, 3rd column, 3rd row, 3rd column', and '9' partitioned areas 411 ,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1st row, 3rd column, 2nd row, 1st column, 2nd row, 2nd column, 2nd row, 3rd column, 3rd row, 3rd column' Since the divided regions are 'division area 413, segmentation area 414, segmentation area 415, segmentation area 416, and segmentation area 419', the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22 'segmentation area 413 ), the divided area 414, the divided area 415, the divided area 416, and the divided area 419', 'reference image 2 320' may be inserted.

이러한 방식으로,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는 '이미지 개체 1(210)'과 동일한 크기의 더미 이미지를 도 5의 도면부호 510으로 표시된 그림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22 may generate a dummy imag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image object 1 210' as shown in the figure 510 of FIG. 5 .

이렇게, 더미 이미지 생성부(116)에 의해 상기 더미 이미지가 생성되면, 마스킹 처리부(117)는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상위 레이어(layer) 상에, 상기 더미 이미지를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마스킹 처리한다.In this way, when the dummy image is generated by the dummy image generator 116, the masking processor 117 on the upper layer of the first image object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e first image object is masked by overlapping and displaying the dummy image.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122)에 의해 더미 이미지(510)가 생성되었다고 하는 경우, 마스킹 처리부(117)는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삽입되어 있는 '이미지 개체 1(210)'의 상위 레이어 상에, 더미 이미지(510)를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이미지 개체 1(210)'을 마스킹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foregoing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dummy image 510 is generated by the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or 122, the masking processor 117 processes the 'image object 1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By overlapping and displaying the dummy image 510 on the upper layer of '(210)', 'Image object 1 (210)' can be masked.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단말 장치(110)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부(123), 벡터 재추출부(124), 연산 행렬 재생성부(125), 더미 행렬 생성부(126) 및 마스킹 해제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includes a password input request unit 123, a vector re-extraction unit 124, an operation matrix regeneration unit 125, a dummy matrix generation unit 126 and A masking release unit 127 may be further included.

비밀번호 입력 요청부(123)는 마스킹 처리부(117)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마스킹 처리된 이후, 사용자(130)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해제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130)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masked by the masking processing unit 117, the password input request unit 123 receives a command to unmask the first image object by the user 130, the user ( 130),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password for unmask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벡터 재추출부(124)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130)에 의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비밀번호에 대해 n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연산 값 x를 산출한 후, 인증 행렬 저장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로부터, x+1번째 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열벡터와, x+1번째 행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행벡터를 재추출한다.When the first password is input by the user 130 in response to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the vector re-extraction unit 124 performs a modulo operation with n as a divisor for the first password, After calculating the first operation value x, from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117, the first column vector located at the x+1th column and the first column vector located at the x+1th row Re-extract the first row vector.

연산 행렬 재생성부(125)는 벡터 재추출부(124)에 의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가 재추출되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를 행렬 곱하여 n x n 크기의 상기 연산 행렬을 재생성한다.When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re-extracted by the vector re-extracting unit 124, the operation matrix regenerating unit 125 multiplies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by a matrix to perform the operation of size n x n. Recreate the matrix.

더미 행렬 생성부(126)는 연산 행렬 생성부(125)에 의해 상기 연산 행렬이 재생성되면, 상기 더미 이미지를 n x n개로 분할함으로써, n x n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을 생성한 후, 상기 n x n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 중, 상기 제1 참조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1'의 성분을 할당하고, 상기 제2 참조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0'의 성분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n x n 크기의 더미 행렬을 생성한다.When the operation matrix is regenerated by the operation matrix generator 125, the dummy matrix generator 126 divides the dummy image into n×n pieces to generate n×n dummy partitioned areas, and then divides the dummy image into n×n dummy partitioned areas. , by assigning a component of '1' to each of the dummy partitioned areas into which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and by allocating a component of '0' to each of the dummy partitioned areas into which the second reference image is inserted; A dummy matrix of size n × n composed of '1' and '0' elements is created.

마스킹 해제부(127)는 더미 행렬 생성부(126)에 의해 상기 더미 행렬이 생성되면, 상기 더미 행렬을 상기 연산 행렬과 비교하여, 상기 더미 행렬이 상기 연산 행렬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상위 레이어 상에 겹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더미 이미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적용되어 있는 마스킹을 해제한다.When the dummy matrix is generated by the dummy matrix generator 126, the unmasking unit 127 compares the dummy matrix with the operation matrix,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ummy matrix matches the operation matrix, the first The masking applied to the first image object is released by removing the dummy image overlapping and displayed on the upper layer of the first image object.

이하에서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부(123), 벡터 재추출부(124), 연산 행렬 생성부(125), 더미 행렬 생성부(126) 및 마스킹 해제부(127)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password input request unit 123, the vector re-extraction unit 124, the calculation matrix generator 125, the dummy matrix generator 126, and the masking unit 12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examples. I'm going to do it.

먼저, 전술한 예와 같이, n을 '3'이라고 하고, 마스킹 처리부(117)에 의해, '이미지 개체 1(210)'이 마스킹 처리되었다고 하며, 그 이후, 전자 단말 장치(110)에 사용자(130)에 의해, '이미지 개체 1(210)'에 대한 마스킹 해제 명령이 인가되었다고 가정하자.First, as in the abo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n is '3' and 'Image object 1 (210)' is masked by the masking processing unit 117, and thereafter, the user ( 130), it is assumed that an unmasking command for 'image object 1 (210)' is applied.

그러면, 비밀번호 입력 요청부(123)는 사용자(130)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password input request unit 123 may display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user 130 to input a password for unmasking on the screen.

이때, 상기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130)에 의해, 상기 제1 비밀번호인 '1230'이 입력되었다고 하는 경우, 벡터 재추출부(124)는 '1230'에 대해 '3'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연산 값인 '0'을 산출한 후, 인증 행렬 저장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인 '

Figure pat00010
'로부터, '1'번째 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열벡터인 '
Figure pat00011
'과, '1'번째 행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행벡터인 '
Figure pat00012
'을 재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when it is assumed that '1230', which is the first password, is input by the user 130, the vector re-extraction unit 124 divides '1230' by '3'. After calculating the first operation value '0' by performing a modulo operation to be, the authentication matrix '0'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117
Figure pat00010
From ', the first column vector located in the '1'th column, '
Figure pat00011
', and 'the first row vector located in the '1'th row, '
Figure pat00012
' can be re-extracted.

그러면, 연산 행렬 재생성부(125)는 상기 제1 열벡터인 '

Figure pat00013
'과 상기 제1 행벡터인 '
Figure pat00014
'을 행렬 곱하여, '3 x 3' 크기의 상기 연산 행렬인 '
Figure pat00015
'을 재생성할 수 있다.Then, the operation matrix regeneration unit 125 generates the first column vector '
Figure pat00013
' and the first row vector '
Figure pat00014
' by matrix multiplication, the operation matrix of size '3 x 3''
Figure pat00015
' can be regenerated.

그러고 나서, 더미 행렬 생성부(126)는 도 6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더미 이미지(510)를 '3 x 3'개로 분할함으로써, '9'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을 생성한 후, '9'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중 '참조 이미지 1(310)'이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1'의 성분을 할당하고, '참조 이미지 2(320)'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0'의 성분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3 x 3' 크기의 더미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514, 515, 516, 517, 518, and 519) are generated, and 'reference image 1 ( 310)' is inserted into the '1' component, and by assigning a '0' component to each of the dummy partitioned areas into which the 'reference image 2 320' is inserted, ' A '3 x 3' dummy matrix composed of elements of '1' and '0' can be created.

관련해서, '9'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중 '참조 이미지 1(310)'이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들은 '더미 분할 영역(511), 더미 분할 영역(512), 더미 분할 영역(517), 더미 분할 영역(518)'이므로, 더미 행렬 생성부(126)는 '더미 분할 영역(511), 더미 분할 영역(512), 더미 분할 영역(517), 더미 분할 영역(518)' 각각에 대해 '1'의 성분을 할당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is, among the '9' dummy partitioned areas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and 519, dummy partitioned areas into which 'reference image 1 310' is inserted are 'dummy partitioned areas'. Region 511, dummy partition region 512, dummy partition region 517, and dummy partition region 518', so the dummy matrix generator 126 determines 'dummy partition region 511 and dummy partition region 512'. , the dummy partitioned area 517 and the dummy partitioned area 518' can be assigned a component of '1'.

또한, '9'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중 '참조 이미지 2(320)'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들은 '더미 분할 영역(513), 더미 분할 영역(514), 더미 분할 영역(515), 더미 분할 영역(516), 더미 분할 영역(519)'이므로, 더미 행렬 생성부(126)는 '더미 분할 영역(513), 더미 분할 영역(514), 더미 분할 영역(515), 더미 분할 영역(516), 더미 분할 영역(519)' 각각에 대해 '0'의 성분을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9' dummy partitioned areas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and 519, dummy partitioned areas into which 'reference image 2 320' is inserted are 'dummy partitioned areas'. 513, the dummy partitioned area 514, the dummy partitioned area 515, the dummy partitioned area 516, and the dummy partitioned area 519' A component of '0'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dummy partition area 514, dummy partition area 515, dummy partition area 516, and dummy partition area 519'.

이러한 방식으로, 더미 행렬 생성부(126)는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3 x 3' 크기의 더미 행렬을 '

Figure pat00016
'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ummy matrix generator 126 creates a '3 x 3' dummy matrix composed of '1' and '0' elements.
Figure pat00016
' can be created.

그러면, 마스킹 해제부(127)는 상기 더미 행렬인 '

Figure pat00017
'을 상기 연산 행렬인 '
Figure pat00018
'과 비교하여, 상기 더미 행렬이 상기 연산 행렬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한 후, '이미지 개체 1(210)'의 상위 레이어 상에 겹쳐서 표시되고 있는 더미 이미지(510)를 제거함으로써, '이미지 개체 1(210)'에 적용되어 있는 마스킹을 해제할 수 있다.Then, the demasking unit 127 is the dummy matrix '
Figure pat00017
' as the operation matrix '
Figure pat00018
', and after confirming that the dummy matrix matches the operation matrix, by removing the dummy image 510 overlapping and displayed on the upper layer of the 'image object 1 210', the 'image object 1 ( 210)' can be cancel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단말 장치(110)는 섬네일 표시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may further include a thumbnail display unit 128 .

섬네일 표시부(128)는 마스킹 처리부(117)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마스킹 처리된 이후, 사용자(130)에 의해, 전자 단말 장치(110)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포인터가 상기 더미 이미지 상에 호버(hover)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해상도를 사전 설정된 비율로 낮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포인터가 호버된 지점의 인접 지점에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한다.After the first image object has been masked by the masking processor 117, the thumbnail display unit 128 displays a hover over the dummy image when the pointer of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is hovered over by the user 130. When hovered, a thumbnail image in which the resolution of the first image object is lowered at a preset ratio is generated, and the thumbnail image is displayed at a point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 pointer hovers.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마스킹 처리부(117)에 의해 '이미지 개체 1(210)'이 마스킹 처리되었다고 하고, 그 이후, 도 7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사용자(130)에 의해, 전자 단말 장치(110)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포인터(520)가 더미 이미지(510) 상에 호버되었다고 가정하자.For example, as in the abo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image object 1 210' is masked by the masking processing unit 117, and then, as shown in FIG. 7, by the user 130, the electronic terminal Assume that the pointer 520 of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110 hovers over the dummy image 510 .

이때, 사전 설정된 비율을 '20%'라고 하는 경우, 섬네일 표시부(128)는 '이미지 개체 1(210)'의 해상도를 '20%'로 낮춘 섬네일 이미지(530)를 생성하여, 포인터(520)가 호버된 지점의 인접 지점에 섬네일 이미지(530)를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reset ratio is '20%', the thumbnail display unit 128 generates a thumbnail image 530 with the resolution of 'Image Object 1 210' lowered to '20%', and the pointer 520 A thumbnail image 530 may be displayed at a point adjacent to the hovered point.

관련해서, '이미지 개체 1(210)'의 해상도가 '360dpi'라고 하는 경우, 섬네일 표시부(128)는 '이미지 개체 1(210)'의 해상도를, '360dpi'의 '20%'인 '72dpi'로 낮춘 이미지를 섬네일 이미지(530)로 생성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resolution of 'Image Object 1 210' is '360 dpi', the thumbnail display unit 128 sets the resolution of 'Image Object 1 210' to '72 dpi, which is '20%' of '360 dpi'. An image lowered to ' may be generated as a thumbnail image 530 .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810)에서는 개인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는 정규 표현식 저장부를 유지한다.In step S810, a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different regular expressions preset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format of personal information are stored is maintained.

단계(S82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의 제1 지점에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사전 설정된 텍스트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추출한다.In step S820, when an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a first image object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the text for the first image object is determined based on a preset text recognition model. Recognition is performed to extract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단계(S830)에서는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정규 표현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In step S830, when the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is extracted, a character string having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stored in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exists among the extracted text. check whether or not

단계(S840)에서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열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In step S840, if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one first string exists as a string having a not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among the extracted text, the first image object for the user A query message inquiring whether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despite personal information being included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단계(S850)에서는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최종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한다.In step S850, when a command to insert a final image instructing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query message,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at the first point.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삽입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처리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와 동일한 크기의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상위 레이어 상에, 상기 더미 이미지를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is,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by the user, for the first image object If a masking processing command is applied, generating a dummy imag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image object, and if the dummy image is generated, an upper layer of the first image object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sking the first image object by overlapping and displaying the dummy image on the imag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사전 설정된 n(n은 2 이상의 자연수임) x n 크기의 인증 행렬이 저장되어 있는 인증 행렬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1'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참조 이미지와, '0'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2 참조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참조 이미지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삽입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처리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1 비밀번호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비밀번호에 대해 n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1 연산 값 x를 산출한 후, 상기 인증 행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로부터, x+1번째 열에 위치하는 제1 열벡터와, x+1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행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가 추출되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를 행렬 곱하여 n x n 크기의 연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행렬이 생성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 영역을 n x n개로 분할함으로써, n x n개의 분할 영역들을 생성한 후, 상기 n x n개의 분할 영역들 중, 상기 연산 행렬에서 '1'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상기 제1 참조 이미지를 삽입하고, 상기 연산 행렬에서 '0'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상기 제2 참조 이미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dummy image, an authentication matrix having a size of n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x n, composed of '1' and '0' components, is stored. maintaining an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a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in which a first reference image previously designated as corresponding to a component of '1' and a second reference image designated in advance as corresponding to a component of '0' are stored; and maintaining, if a masking processing command for the first image object is applied by the user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releasing the masking for the user. Displaying a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set a password for the screen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when a first password is set by the user, n is a divisor for the first password After calculating a first calculation value x by performing a modulo operation, a first column vector located at an x+1th column and a first column vector located at an x+1th row from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extracting a first row vector located therein, generating an n×n operation matrix by matrix-multiplying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when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extracted, and the operation matrix When is generated, after generating n x n divided areas by dividing the image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image object into n x n pieces, the component '1' in the operation matrix is located among the n x n split areas.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into each divided region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and the second reference image is inserted into each divided region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an element of '0' is located in the operation matrix. A step of generating the dummy image by inserting .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마스킹 처리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해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비밀번호에 대해 n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연산 값 x를 산출한 후, 상기 인증 행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로부터, x+1번째 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열벡터와, x+1번째 행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행벡터를 재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가 재추출되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를 행렬 곱하여 n x n 크기의 상기 연산 행렬을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행렬이 재생성되면, 상기 더미 이미지를 n x n개로 분할함으로써, n x n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을 생성한 후, 상기 n x n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 중, 상기 제1 참조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1'의 성분을 할당하고, 상기 제2 참조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0'의 성분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n x n 크기의 더미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행렬이 생성되면, 상기 더미 행렬을 상기 연산 행렬과 비교하여, 상기 더미 행렬이 상기 연산 행렬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상위 레이어 상에 겹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더미 이미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적용되어 있는 마스킹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if a command to unmask the first image object is applied by the user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masked, the Displaying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user to input a password for unmasking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when the first password is input by the user, the After calculating the first operation value x by performing a modulo operation with n as a divisor for the first password, the authentication matrix located in the x+1th column from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is calculated. re-sampling a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located in an x+1th row; when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re-sampled,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Regenerating the operation matrix having a size of n×n by performing matrix multiplication; and when the operation matrix is regenerated, dividing the dummy image into n×n pieces to generate n×n dummy partitioned areas, and then among the n×n dummy partitioned areas, the first By allocating a component of '1' to each of the dummy partitioned areas into which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and a component of '0' to each of the dummy partitioned areas into which the second reference image is inserted, '1' and Generating an n x n dummy matrix composed of '0' elements, and when the dummy matrix is generated, comparing the dummy matrix with the operation matrix,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ummy matrix matches the operation matrix,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leasing masking applied to the first image object by removing the dummy image overlapping and displayed on a higher layer of the first image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마스킹 처리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포인터가 상기 더미 이미지 상에 호버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해상도를 사전 설정된 비율로 낮춘 섬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포인터가 호버된 지점의 인접 지점에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may include,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masked, a pointer of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is displayed on the dummy image by the us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thumbnail image in which the resolution of the first image object is lowered at a predetermined ratio when hovering over the pointer, and displaying the thumbnail image at a point adjacent to the point at which the pointer hovers.

이상,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전자 단말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Her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Since it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for an ope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through combination with a computer. ca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It can be recorded on a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0: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111: 정규 표현식 저장부 112: 텍스트 추출부
113: 문자열 확인부 114: 질의 메시지 표시부
115: 이미지 삽입부 116: 더미 이미지 생성부
117: 인증 행렬 저장부 118: 참조 이미지 저장부
119: 비밀번호 설정 요청부 120: 벡터 추출부
121: 연산 행렬 생성부 122: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
123: 비밀번호 입력 요청부 124: 벡터 재추출부
125: 연산 행렬 재생성부 126: 더미 행렬 생성부
127: 마스킹 해제부 128: 섬네일 표시부
130: 사용자
110: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111: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112: text extraction unit
113: string confirmation unit 114: query message display unit
115: image inserting unit 116: dummy image generating unit
117: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118: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19: password setting request unit 120: vector extraction unit
121: calculation matrix generator 122: dummy image generation processor
123: password input request unit 124: vector re-extraction unit
125: operation matrix regeneration unit 126: dummy matrix generation unit
127: unmasking unit 128: thumbnail display unit
130: user

Claims (12)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개인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들이 저장되어 있는 정규 표현식 저장부;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의 제1 지점에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사전 설정된 텍스트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추출부;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정규 표현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자열 확인부;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열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질의 메시지 표시부; 및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최종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하는 이미지 삽입부
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different regular expressions preset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format of personal information are stored;
When an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a first image object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text recognition is performed on the first image object based on a preset text recognition model, a text extraction unit extracting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When the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is extracted, checking whether a string having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stored in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exists among the extracted text string confirmation unit;
Among the extracted texts, if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one first string exists as a string having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for the user a query message display unit generating and displaying a query message on a screen inquiring whether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despite the presence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In response to the query message, when a final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mage insertion sectio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삽입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masking) 처리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와 동일한 크기의 더미(dummy) 이미지를 생성하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더미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상위 레이어(layer) 상에, 상기 더미 이미지를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마스킹 처리하는 마스킹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f a masking processing command for the first image object is applied by the user, the same size as the first image object a dummy image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dummy image; and
When the dummy image is generated, masking the first image object by overlapping and displaying the dummy image on an upper layer of the first image object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masking processing unit
Electronic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이미지 생성부는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사전 설정된 n(n은 2 이상의 자연수임) x n 크기의 인증 행렬이 저장되어 있는 인증 행렬 저장부;
'1'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참조 이미지와, '0'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2 참조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참조 이미지 저장부;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삽입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처리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비밀번호 설정 요청부;
상기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1 비밀번호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비밀번호에 대해 n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1 연산 값 x를 산출한 후, 상기 인증 행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로부터, x+1번째 열에 위치하는 제1 열벡터와, x+1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행벡터를 추출하는 벡터 추출부;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가 추출되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를 행렬 곱하여 n x n 크기의 연산 행렬을 생성하는 연산 행렬 생성부; 및
상기 연산 행렬이 생성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 영역을 n x n개로 분할함으로써, n x n개의 분할 영역들을 생성한 후, 상기 n x n개의 분할 영역들 중, 상기 연산 행렬에서 '1'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상기 제1 참조 이미지를 삽입하고, 상기 연산 행렬에서 '0'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상기 제2 참조 이미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더미 이미지 생성 처리부
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ummy image generating unit
an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for storing an authentication matrix having a size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xn composed of '1' and '0'components;
a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in which a first reference image pre-specified as corresponding to a '1' component and a pre-specified second reference image as corresponding to a '0' component are stored;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when a masking command for the first image object is applied by the user, a password for unmasking is set for the user. Password setting request unit for displaying a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at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when a first password is set by the user, a first calculation value x is calculated by performing a modulo operation with n as a divisor for the first password, and then a vector extractor extracting a first column vector positioned at an x+1-th column and a first row vector positioned at an x+1-th row from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an operation matrix generating unit generating an operation matrix having an nxn size by matrix-multiplying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when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extracted; and
When the operation matrix is generated, nxn divided areas are generated by dividing the image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image object into nxn pieces, and then, among the nxn divided areas, the component of '1' in the operation matrix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areas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reference image, and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areas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0' component in the operation matrix. 2 a dummy image generating processor generating the dummy image by inserting a reference image;
Electronic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마스킹 처리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해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부;
상기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비밀번호에 대해 n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연산 값 x를 산출한 후, 상기 인증 행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로부터, x+1번째 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열벡터와, x+1번째 행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행벡터를 재추출하는 벡터 재추출부;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가 재추출되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를 행렬 곱하여 n x n 크기의 상기 연산 행렬을 재생성하는 연산 행렬 재생성부;
상기 연산 행렬이 재생성되면, 상기 더미 이미지를 n x n개로 분할함으로써, n x n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을 생성한 후, 상기 n x n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 중, 상기 제1 참조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1'의 성분을 할당하고, 상기 제2 참조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0'의 성분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n x n 크기의 더미 행렬을 생성하는 더미 행렬 생성부; 및
상기 더미 행렬이 생성되면, 상기 더미 행렬을 상기 연산 행렬과 비교하여, 상기 더미 행렬이 상기 연산 행렬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상위 레이어 상에 겹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더미 이미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적용되어 있는 마스킹을 해제하는 마스킹 해제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masked by the masking processing unit, if a command to unmask the first image object is applied by the user, the user is prompted to input a password for unmasking. Password input requesting unit for displaying a requested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when the first password is input by the user, a modulo operation with n as a divisor is performed on the first password to calculate the first operation value x. a vector re-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re-extract the first column vector located at an x+1-th column and the first row vector located at an x+1-th row from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an operation matrix regeneration unit regenerating the operation matrix having a size of nxn by multiplying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by a matrix when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re-extracted;
When the operation matrix is regenerated, nxn dummy partitioned regions are generated by dividing the dummy image into nxn pieces, and then, among the nxn dummy partitioned regions, for each dummy partitioned region into which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An nxn dummy matrix composed of '1' and '0' components by assigning a '1' component and assigning a '0' component to each of the dummy partition regions into which the second reference image is inserted. a dummy matrix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 and
When the dummy matrix is generated, the dummy matrix i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matrix,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ummy matrix matches the operation matrix, the dummy image overlapping and displayed on the upper layer of the first image object is displayed. A masking release unit for canceling the masking applied to the first image object by removing the masking
Electronic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마스킹 처리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포인터가 상기 더미 이미지 상에 호버(hover)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해상도를 사전 설정된 비율로 낮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포인터가 호버된 지점의 인접 지점에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섬네일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masked by the masking processing unit, when the pointer of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is hovered over the dummy image by the user, the first image object A thumbnail display unit that creates a thumbnail image whose resolution is lowered to a preset ratio and displays the thumbnail image at a point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 pointer hovers.
Electronic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전자 문서에 삽입되는 이미지 개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개인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들이 저장되어 있는 정규 표현식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의 제1 지점에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사전 설정된 텍스트 인식 모델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정규 표현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복수의 정규 표현식들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열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 문서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할 것을 지시하는 최종 이미지 삽입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image object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the method comprising:
maintaining a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different regular expressions preset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format of personal information are stored;
When an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a first image object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text recognition is performed on the first image object based on a preset text recognition model, extracting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When the tex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is extracted, checking whether a string having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stored in the regular expression storage unit exists among the extracted text step;
Among the extracted texts, if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one first string exists as a string having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ular expressions,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object for the user generating an inquiry message inquiring whether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despite the fact that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nd displaying the message on a screen; and
In response to the query message, when a final image insertion command instructing to insert the first image objec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applied by the us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tep to insert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삽입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masking) 처리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와 동일한 크기의 더미(dummy)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상위 레이어(layer) 상에, 상기 더미 이미지를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개체를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f a masking processing command for the first image object is applied by the user, the same size as the first image object generating a dummy image; and
When the dummy image is generated, masking the first image object by overlapping and displaying the dummy image on an upper layer of the first image object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tep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사전 설정된 n(n은 2 이상의 자연수임) x n 크기의 인증 행렬이 저장되어 있는 인증 행렬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1'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1 참조 이미지와, '0'의 성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지정된 제2 참조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참조 이미지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삽입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처리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1 비밀번호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비밀번호에 대해 n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제1 연산 값 x를 산출한 후, 상기 인증 행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로부터, x+1번째 열에 위치하는 제1 열벡터와, x+1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행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가 추출되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를 행렬 곱하여 n x n 크기의 연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행렬이 생성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 영역을 n x n개로 분할함으로써, n x n개의 분할 영역들을 생성한 후, 상기 n x n개의 분할 영역들 중, 상기 연산 행렬에서 '1'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상기 제1 참조 이미지를 삽입하고, 상기 연산 행렬에서 '0'의 성분이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 각각에 상기 제2 참조 이미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generating the dummy image is
maintaining an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in which an authentication matrix having a size of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xn, composed of '1' and '0' components, is stored;
maintaining a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in which a first reference image previously specified as corresponding to a component of '1' and a second reference image specified in advance as corresponding to a component of '0' are stored;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inserted at the first poi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when a masking command for the first image object is applied by the user, a password for unmasking is set for the user. Displaying a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at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password setting request message, when a first password is set by the user, a first calculation value x is calculated by performing a modulo operation with n as a divisor for the first password, and then extracting a first column vector positioned at an x+1th column and a first row vector positioned at an x+1th row from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generating an nxn operation matrix by matrix-multiplying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when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extracted; and
When the operation matrix is generated, nxn divided areas are generated by dividing the image are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image object into nxn pieces, and then, among the nxn divided areas, the component of '1' in the operation matrix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areas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reference image, and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areas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0' component in the operation matrix. 2 Generating the dummy image by inserting a reference imag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마스킹 처리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대한 마스킹 해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마스킹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비밀번호에 대해 n을 제수로 하는 모듈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연산 값 x를 산출한 후, 상기 인증 행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 행렬로부터, x+1번째 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열벡터와, x+1번째 행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행벡터를 재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가 재추출되면, 상기 제1 열벡터와 상기 제1 행벡터를 행렬 곱하여 n x n 크기의 상기 연산 행렬을 재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산 행렬이 재생성되면, 상기 더미 이미지를 n x n개로 분할함으로써, n x n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을 생성한 후, 상기 n x n개의 더미 분할 영역들 중, 상기 제1 참조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1'의 성분을 할당하고, 상기 제2 참조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더미 분할 영역 각각에 대해 '0'의 성분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들로 구성된 n x n 크기의 더미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행렬이 생성되면, 상기 더미 행렬을 상기 연산 행렬과 비교하여, 상기 더미 행렬이 상기 연산 행렬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상위 레이어 상에 겹쳐서 표시되고 있는 상기 더미 이미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에 적용되어 있는 마스킹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8,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masked, if a command to unmask the first image object is applied by the user,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user to input a password for unmasking displaying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when the first password is input by the user, a modulo operation with n as a divisor is performed on the first password to calculate the first operation value x. re-extracting the first column vector positioned at the x+1th column and the first row vector positioned at the x+1th row from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matrix storage unit;
regenerating the operation matrix having an nxn size by matrix-multiplying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when the first column vector and the first row vector are re-extracted;
When the operation matrix is regenerated, nxn dummy partitioned regions are generated by dividing the dummy image into nxn pieces, and then, among the nxn dummy partitioned regions, for each dummy partitioned region into which the first reference image is inserted. An nxn dummy matrix composed of '1' and '0' components by assigning a '1' component and assigning a '0' component to each of the dummy partition regions into which the second reference image is inserted. generating; and
When the dummy matrix is generated, the dummy matrix i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matrix,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ummy matrix matches the operation matrix, the dummy image overlapping and displayed on the upper layer of the first image object is displayed. releasing the masking applied to the first image object by removing it;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개체가 마스킹 처리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포인터가 상기 더미 이미지 상에 호버(hover)되면, 상기 제1 이미지 개체의 해상도를 사전 설정된 비율로 낮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포인터가 호버된 지점의 인접 지점에 상기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8,
After the first image object is masked, when a pointer of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is hovered over the dummy image by the user, the resolution of the first image object is reduced to a preset ratio. Generating a lowered thumbnail image and displaying the thumbnail image at a point adjacent to a point at which the pointer hovers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10 through a combination with a computer.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10 through a combination with a computer.
KR1020210175798A 2021-12-09 2021-12-09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76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798A KR102576826B1 (en) 2021-12-09 2021-12-09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798A KR102576826B1 (en) 2021-12-09 2021-12-09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131A true KR20230087131A (en) 2023-06-16
KR102576826B1 KR102576826B1 (en) 2023-09-11

Family

ID=869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798A KR102576826B1 (en) 2021-12-09 2021-12-09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82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05B1 (en) * 2012-07-30 2013-08-2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contained in electronic document
WO2016018682A1 (en) * 2014-07-28 2016-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cessing image to identify object for insertion into document
KR20160091307A (en) * 2016-07-22 2016-08-02 주식회사 드라마앤컴퍼니 Apparatus for generating text information by cropping personal information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1814120B1 (en) * 2011-08-26 2018-01-0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image to electrical document
KR20210126906A (en)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Electronic device that enables the insertion of data into image contained in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120B1 (en) * 2011-08-26 2018-01-0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image to electrical document
KR101282705B1 (en) * 2012-07-30 2013-08-2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contained in electronic document
WO2016018682A1 (en) * 2014-07-28 2016-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cessing image to identify object for insertion into document
KR20160091307A (en) * 2016-07-22 2016-08-02 주식회사 드라마앤컴퍼니 Apparatus for generating text information by cropping personal information image and method thereof
KR20210126906A (en)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Electronic device that enables the insertion of data into image contained in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826B1 (en)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5053B1 (en) Section extraction tool for pdf documents
US9658991B2 (en) Reordering text from unstructured sources to intended reading flow
KR102287149B1 (en)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a separation line of a paragraph based on text line information in a pdf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44351B1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supporting easy undo processing of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67504B1 (en) Spreadsheet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n automatic filter func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temporary head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76826B1 (en)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object, which is to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00437B1 (en) Electron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that enables the insertion of special characters at specific locations on the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entered character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28051B1 (en)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enables display of a document to which a font in unsupported data format is applie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00444B1 (en) Document editing device to check whether the font applied to the document is a supported fo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75507B1 (en)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s retrieval of objects from document by matching objects and keywords inserted into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19724B1 (en) Terminal device for supporting quick search for video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66711B1 (en) Spreadsheet document edit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djustment controls that match the data notation format of the input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66706B1 (en) Electronic device that enables easy selection of dependent edit action in document editing program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58098B1 (en)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for copying to keep the shape of the character in the pdf document and method for copying to keep the shape of the character in the pdf document of the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JP6535978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KR102545260B1 (en)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that supports application of natural substitute fonts when loading electronic documents with unsupported fonts applie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66719B1 (en) Electronic devices that support natural pasting of copied text from pdf documents into electronic documents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00457B1 (en)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s efficient typing practice by presenting words by level according to phoneme classif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45262B1 (en) 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associated document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particular document based on simultaneous usage criteri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110880A (en)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important keywords for documents based on style attribut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42510B1 (en) Document edit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specifies the storage file format for documents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0730B1 (en) Electronic apparatus that provides a translation function that maintains the style information of the sente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0756B1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generating electronic document into which chatting messages, inputted by users through the chatting service, are inserted,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7482B1 (en) Electronic apparatus which is able to convert the format of annotations inserted into a pdf document fast to the format editable by the application editing tools and then load the annotations,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00486B1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support easy subscript entry for mathematical operators in electronic docume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