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713A -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713A
KR20230080713A KR1020210168127A KR20210168127A KR20230080713A KR 20230080713 A KR20230080713 A KR 20230080713A KR 1020210168127 A KR1020210168127 A KR 1020210168127A KR 20210168127 A KR20210168127 A KR 20210168127A KR 20230080713 A KR20230080713 A KR 2023008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information
virtual
virtual sto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버스
Priority to KR102021016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713A/en
Publication of KR2023008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7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판매자측 단말, 구매자측 단말, 및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수신한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매장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매장을 적어도 구매자측 단말에 출력되도록 가상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적어도 구매자측 단말로 전송하고, 구매자측 단말은, 가상 매장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 내 제품을 구매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e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ler-side terminal, a buyer-side terminal, and a serve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wherein the server is configured to provide a virtual store based on offline store information of a seller received through a seller-side terminal. and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rtual store to at least the purchaser's terminal so that the generated virtual store is output to at least the purchaser's terminal, and the purchaser's terminal purchases products in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virtual store.

Description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

본 발명은,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매장을 촬영하고, 촬영한 오프라인 매장을 가상의 가상 매장에 생성한 후, 생성된 가상 매장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오프라인 매장 내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hotographing an offline store, generating the photographed offline store in a virtual virtual store, and obtain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from the created virtual st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provides virtual store information so that customers can purchase products in an offline store.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기재된 것일 뿐이고, 기술되는 내용들이 당연하게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do not naturally constitute prior art.

최근 고객이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는 기존의 오프라인 쇼핑 방식은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 또는 TV 광고방송을 이용한 홈 쇼핑몰 방식 등으로 변화되었으며, 이에 더하여 가상의 쇼핑몰을 제공하는 다양한 방식의 사이버 쇼핑몰이 보편화 되었다.Recently, the existing offline shopping method, in which customers visit actual offline stores and purchase desired products, has changed to Internet shopping using computers or home shopping mall methods using TV commercials. In addition, various methods of providing virtual shopping malls have changed. Cyber shopping malls have become commonplace.

사이버 쇼핑몰이란, 구매자가 물건을 구입하려고 할 때, 물품 판매처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상에 구축된 웹사이트를 통하여 물건을 구입하고 결재(신용카드, 전자화폐, 현금 등)를 실시하는 형태를 말할 수 있다. A cyber shopping mall refers to a form in which a buyer purchases a product through a website built on the Internet and pays (credit card, electronic money, cash, etc.) can

특히, 사회적으로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의해 고객과 매장과의 접촉 단절이 발생하였고, 매장들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라이브 커머스나 실시간으로 매장 정보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In particular, social contact with customers and stores has been cut off due to the Corona 19 virus, and stores are trying to provide store information in real time or live commerce to overcome this crisis.

그러나, 개별 매장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을 홍보 및 광고하기 위해서는 개별 제품 각각을 촬영하고 업로드해야 한다는 시간적, 비용적 한계가 있다. However, in order for individual stores to promote and advertise products through applications, there are time and cost limitations in that each individual product must be photographed and uploaded.

따라서, 개별 매장의 효율성이 향상된 제품 홍보 및 광고를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system for promoting and advertising products with improved efficiency in individual stores.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foregoing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프라인 매장을 가상 현실 상에 구현한 가상 매장에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An object to be solv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that enables an offline store to be created in a virtual store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 매장 상에서 제품 구매 시,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제품 구매와 동일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so that when a product is purchased in a virtual store, it is the same as a product purchased in an actual offline sto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촬영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 및 매장 내 제품의 정보를 구매자측 단말을 통해 실시간 또는 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that can check offline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in the store taken in an offline store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through a buyer's terminal. are doing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seen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판매자측 단말, 구매자측 단말, 및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수신한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매장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매장을 적어도 구매자측 단말에 출력되도록 가상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적어도 구매자측 단말로 전송하고, 구매자측 단말은, 가상 매장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 내 제품을 구매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ler-side terminal, a buyer-side terminal, and a server that provides virtual store information, and the server includes a seller-side terminal. A virtual store is created based on the seller's offline stor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tor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rtual store is transmitted to at least the buyer's terminal so that the created virtual store is output to at least the buyer's terminal. Purchase products in offline stores through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버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와 구매자측 단말에 노출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offline store information and offline store information exposed to the purchaser's terminal match.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판매자측 단말은 오프라인 매장을 촬영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촬영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배치된 매장 제품 정보, 매장 공지 정보, 매장 이용 인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생성하고, 매장 제품 정보, 매장 공지 정보, 매장 이용 인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판매자측 단말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ler's terminal receives a captured image of an offline store, transmits the received captured image to a server, and the server includes store product information disposed in the offline store, store notice information, At least one piece of store user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at least one of store product information, store notice information, and store user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a seller sid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상 매장을 이용하는 구매자측 단말은 복수 개이고, 서버는, 복수의 구매자측 단말이 동시에 가상 매장 이용을 요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상 매장 이용을 요청하는 복수의 구매자측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를 초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를 초과하여 가상 매장 이용을 요청한 구매자측 단말을 가상 매장 이용 대기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urchaser-side terminals using the virtual store, and the plurality of purchaser-side terminals simultaneously request the use of the virtual store,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the virtual store is exceeded. , and if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purchaser-side terminals requesting the use of the virtual store exceeds the preset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the virtual store, the purchaser-side terminal that requests the use of the virtual store in excess of the preset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the virtual store can be switched to a standby state for using a virtual stor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버는,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실시간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한 실시간 오프라인 매장 정보와 구매자측 단말에 노출되는 가상 매장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한 실시간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기준으로 구매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가상 매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receive real-time offline store information through the seller-side terminal in real time, and the real-time offline stor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ller-side terminal in real time and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exposed to the buyer-sid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e information does not match, virtual stor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buyer's terminal may be updated based on real-time offline store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ller's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상 매장은 오프라인 매장의 실제 환경 및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고, 가상 매장은 복수 개이고, 서버는, 복수의 가상 매장들이 나열된 가상 매장 거리를 생성하고, 가상 매장 거리에는 가상 매장 각각의 이용을 대기하는 대기 인수 또는 대기 인수를 표현하는 대기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store is based on a real environment and a captured image of an offline store, the virtual store is plural, the server generates a virtual store street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are listed, and the virtual store street In the virtual store, it is possible to display a queue representing a waiting factor or a waiting factor waiting for use of each virtual store.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판매자측 단말, 구매자측 단말, 및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오프라인 매장을 촬영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가상 매장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가상 매장 정보를 구매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ler-side terminal, a buyer-side terminal, and a serve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wherein the server provides an offline store. It includes a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receives a captured image and generates virtual stor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captured image,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or to a purchaser's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매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 매장에서 오프라인 매장을 쇼핑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 제품을 확인, 구매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yer can check and purchase products in a virtual store without visiting an offline store with the same effect as shopping in an offline store.

또한, 판매자는 매장과 제품을 가상 현실 상의 가상 매장을 통해 생성할 수 있게 되어 비 접촉으로도 매장을 생성하고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eller can create a store and products through a virtual store in virtual reality,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ore and sell products even without contact.

더욱이, 오프라인 매장을 표시하는 가상 현실은 실제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한 환경, 위치 정보와 유사하게 구현하도록 하여 보다 사실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구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Moreover, the virtual reality displaying the offline store can be implemented similarly to the environment and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actual offline store is located, so that the offline store can be guided to the buyer more realistically.

또한,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을 하나의 가상 현실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자가 하나의 가상 매장만을 둘러보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가상 매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상 매장 이용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enabling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to be implemented in one virtual reality, the buyer can use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instead of looking around only one virtual stor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sing the virtual stor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측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 및 수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매자측 단말에서 복수의 가상 매장을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 매장을 구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of a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yer'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d receiv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using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are checked in a buyer's terminal of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irtual store is implemented using a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발명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발명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발명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발명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발명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invent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vent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inven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making it easy to understand the embodiments inv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inven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면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거치된 제품을 촬영한 영상, 판매 중이거나 판매 예정 중인 제품들에 대한 정보, 이미지 정보, 오프라인 매장 내부 정보,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 등이 서버(100)에 저장되면, 저장된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가상 매장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가상 매장이 생성되면 구매자는 구매자측 단말(200)을 통해 가상 매장을 확인할 수 있고, 가상 매장에서 판매자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of a product in which a seller selling a product is photographed in an offline store, information about products being sold or scheduled to be sold, and images When information, internal information of an offline store, event information occurring in an offline store,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server 100, stor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ler's offline store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virtual store. When the virtual store is created, the buyer can check the virtual store through the buyer's side terminal 200 and purchase products from the seller in the virtual store.

구체적으로, 판매자는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거치된 제품을 촬영한 영상, 판매 중이거나 판매 예정 중인 제품들에 대한 정보, 이미지 정보, 오프라인 매장 내부 정보,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 등과 같은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서버(1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00)에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서버(100)에서 가상 매장을 생성함으로써 가상 매장에 반영될 수 있다. 이후, 구매자는 구매자측 단말(200)을 이용하여, 가상 매장에 입점된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상 매장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을 확인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매자가 제품을 확대하거나 상세 정보 확인하는 실행을 하면 제품 구매를 위한 별도의 URL이 생성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seller sells a video of the product displayed in the offline store by the seller, information on products being sold or planned to be sold,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inside the offline store, event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offline store, etc. The same offline stor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erver 100 .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100 may be reflected in the virtual store by creating a virtual store in the server 100 . After that, the purchaser can use the purchaser's side terminal 200 to check the offline stores located in the virtual store, and can check or purchase products sold in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virtual store. To this end, when a buyer enlarges a product or checks detailed information, a separate URL for product purchase may be created.

이때, 서버(100)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 내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거나 판매 예정 중인 제품들의 특징 등을 3D 영상, 2D 영상, 또는 이미지 등으로 저장하여, 서버(100)를 통해 구매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매자는 구매자측 단말(200)을 이용하여, 서버(100)에 의해 구현된 가상 매장을 통해서 실제 오프라인 매장 내부 정보, 제품의 특징 등을 실시간으로 보다 실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rver 100 stores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sold or scheduled to be sold in offline stores or offline stores as 3D images, 2D images, images, etc.,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buyers through the server 100 can do. Through this, the purchaser can use the purchaser's terminal 200 to more realistically check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actual offline store, product characteristics, etc. through the virtual store implemented by the server 100 in real time.

판매자측 단말(300) 및 구매자측 단말(200)은 온라인 쇼핑을 실행할 수 있는 구매자 및 판매자 각각의 개인 단말일 수 있으며, 각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100)에 구현된 가상 매장에 접속할 수 있다.The seller-side terminal 300 and the buyer-side terminal 200 may be individual terminals of the buyer and seller, respectively, capable of executing online shopping, and may access a virtual store implemented in the server 100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each terminal.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of a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환경은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서버(100)(이하, 서버), 구매자측 단말(200) 및 판매자측 단말(300)이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environment of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er), a buyer side terminal 200 and a seller side terminal 300 Through this network 400, they are connect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구체적으로, 구매자측 단말(200)은, 후술할 서버(100)가 저장한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 정보,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판매하거나 판매 예정 중인 제품의 정보, 판매자가 제공하는 실시간 영상,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다. Specifically, the purchaser-side terminal 200 includes offline store information of the seller stored by the server 100 to be described later, information on products sold or scheduled to be sold in the offline store, real-time video provided by the seller, an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offline store. It is a device that can check event information, etc.

이러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구매자측 단말(200)에서 어플리케이션에서 구현된 가상 매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MR(Mixed Reality) 서비스 및/또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매장이 구현될 수 있다. This offline store information can be checked through a virtual stor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in the purchaser-side terminal 200, and in some other embodiments, MR (Mixed Reality) service and / or AR (Augmented Reality) / VR (Virtual Reality) A virtual store may be implemented using technologies such as

이를 위해 구매자측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 (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aply; HMD)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매자측 단말(200)이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예를 들지만, 구매자측 단말(200)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o this end, the purchaser's terminal 200 includes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erminal, and telematics. (Telematics)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notebook computer, slate PC,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e.g. ,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Wibro terminal,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smart TV,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VN (Audio It may be any one of various terminals such as a video navigation (Video Navigation) terminal, an audio/video (A/V) system, a flexible terminal,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purchaser's terminal 200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is give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the purchaser's terminal 200 .

판매자측 단말(300)은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 및 판매 중인 제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는 장치이다. 또한, 판매자측 단말(300)을 통해 촬영한 촬영 영상 및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구매자측 단말(200)과 실시간으로 텍스트나, 화상이나, 음성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홍보 및 광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판매자측 단말(300)은 촬영장치를 포함하여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 매장 내 제품 등을 촬영할 수 있다. The seller-side terminal 300 is a device that captur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product that a seller wants to sell, an offline store selling, and a product being sold. In addition, the captured video captured through the seller's terminal 300 and information about the offline stor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and real-time communication with the buyer's terminal 200 is possible through text, video, or voice. By being connected, sellers can promote and advertise the products they want to sell. To this end, the seller-side terminal 3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device and take pictures of the seller's offline store, products in the store, and the like.

서버(100)는 판매자측 단말(300)에서 촬영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매장을 생성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다양한 판매자들이 가상 매장을 개설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판매자가 개설한 가상 매장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을 연결할 수 있게 하고 가상 매장을 통해 구매자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면서 실제 제품을 홍보 및 판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is a component capable of generating a virtual store based on offline stor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seller side terminal 300 . Specifically, the server 100 allows various sellers to open virtual stores based on virtual reality. 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n offline store can be connected through a virtual store opened by a seller and real-time products can be promoted and sold while communicating with buyers in real time through the virtual store.

네트워크(400)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근거리 및/또는 원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지만 네트워크(400)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network 400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various wireless networks, short-distance and/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the network 40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측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yer'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구매자측 단말(200) 및 판매자측 단말(300)은 서버(100)를 통해 구현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10)에서 서버(100)는 통신부(110), 정보 생성부(120), 정보 전송부(130), 매칭부(140), 인원 출력부(150), 메모리(160) 및 프로세서(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is a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server 100 in which a buyer's terminal 200 and a seller's terminal 300 are provided. In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the server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a matching unit 140, a personnel output unit 150, and a memory 160. ) and the processor 170.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이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other devices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or an interface.

정보 생성부(120)는 판매자측 단말(300)의 촬영장치(미도시)를 통해 판매자가 촬영한 오프라인 매장의 영상 등을 저장하고 저장한 영상을 기반으로 가상 현실에서 가상 매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stores an image of an offline store captured by the seller through a photographing device (not shown) of the seller-side terminal 300 and creates a virtual store in virtual reality based on the stored image. do.

구체적으로 정보 생성부(120)는 오프라인 매장,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판매하거나 판매 예정 중인 제품, 이미지 정보, 오프라인 매장 내부 정보,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매장 내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거나 판매 예정 중인 제품은 3D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생성부(120)는 제품, 오프라인 매장을 다각도의 2D나 파노라마로 촬영한 후, 촬영한 2D 이미지를 3D로 변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품, 오프라인 매장 등을 처음부터 3D로 촬영하는 3D 촬영장치(예: 360°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an offline store, products sold or scheduled to be sold in the offline store, image information, internal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and event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offline store. In this case, the inside of the offline store or the product sold or scheduled to be sold in the offline store may be generated as a 3D image. To this end,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include an algorithm capable of converting a 2D image into a 3D image after taking a product or offline store in 2D or panorama from multiple angles, and creating a product or offline store from the beginn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may be created using a 3D photographing device (eg, a 360° camera, etc.) that photographs in 3D.

정보 전송부(130)는 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3D 이미지 기반의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구매자측 단말(2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3D image-based offline store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to the buyer's terminal 200 .

설명한 바와 같이, 판매자는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 내부 정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거나 판매 예정 중인 제품의 정보,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 등을 가상 매장에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ller may creat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seller's offline store, information on products sold or scheduled to be sold in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on events occurring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like, in the virtual store.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가상 매장을 통해 구매자측 단말(2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는 구매자측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100)를 통해 생성된 가상 매장에 접속할 수 있다. 구매자가 가상 매장에 접속하면,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구매자측 단말(200)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제품 각각을 선택 및 확인할 수 있다. Stored offline store information can be checked in the purchaser's terminal 200 through the virtual store. Specifically, the purchaser may access the virtual store created through the server 100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urchaser's terminal 200 . When the buyer accesses the virtual store, products sold in the actual offline store can be checked on the purchaser's terminal 200, and each product can be selected and checked.

매칭부(140)는 정보 생성부(120)에 저장된 오프라인 매장 정보와 구매자측 단말(200)에 노출되는 가상 매장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matching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offline stor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and virtual store information exposed to the buyer's terminal 200 match.

구체적으로, 매칭부(14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저장한 제품의 정보와 구매자측 단말(200)에 노출되는 가상 매장에 나타난 제품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매장에서 저장한 제품의 정보와 구매자측 단말(200)을 통해 확인되는 제품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보 생성부(120)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제품 정보를 새롭게 입력 받거나, 판매자에게 관련 제품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는 안내를 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저장한 제품의 정보가 구매자측 단말(200)을 통해 확인되는 제품의 정보와 일치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matching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an offline store matches product information displayed in a virtual store exposed to the purchaser's terminal 200 . At this time, if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product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purchaser's terminal 200 do not match,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is newly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or the seller Guidance is provided to update related product information so that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an offline store can be matched with product information checked through the purchaser's terminal 200 .

즉, 판매자는 준 실시간 또는/및 실시간으로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서버(100)에 입력, 저장하고, 생성된 가상 매장은 판매자가 입력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기준으로 갱신될 수 있다. That is, the seller inputs and stores offline store information in the server 100 in near real time or/and real time, and the created virtual store may be updated based on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input by the sell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가상 매장을 다수의 구매자가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의 판매자가 소수이고, 소수의 판매자가 다수의 구매자에게 실시간으로 제품을 안내하거나 홍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구매자가 동시에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 제품 정보를 수신 받고자 하는 경우 정확한 제품 정보, 매장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Also, in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yers can use a virtual store corresponding to one offline store. For example, a small number of sellers in one offline store may guide or promote products to many buyers in real time.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buyers want to receive product information from one offline store at the same time, there may be limitations in receiving accurate product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구매자측 단말(200)로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요청하는 가상 매장의 이용 인원수가 기 설정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출력하는 인원 출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has a number of people output unit (150) outputting whether the number of users of the virtual store request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through the purchaser's terminal 200 exceeds the preset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the virtual store. ) may be further included.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요청하는 매장 이용 인원이 기 설정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보다 많은 경우, 서버(100)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요청하는 구매자측 단말(200)을 가상 매장 이용 대기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인원 출력부(150)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요청하는 매장 이용 인원이 기 설정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보다 많은 경우,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요청하는 구매자측 단말(200)에“매장 이용 대기”로 안내할 수 있다. 이후, 매장을 이용하는 인원에서 매장 이용을 종료하는 구매자가 발생할 경우, 매장 이용 대기 중인 구매자측 단말(200)로 매장 이용이 가능한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매장 이용 대기 중인 구매자측 단말(200)은 매장 이용 또는 매장 이용 중지를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number of store users request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the preset virtual store, the server 100 may switch the purchaser-side terminal 200 request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to a standby state for using the virtual store. . For example, the number output unit 150 of the server 100 outputs the buyer's terminal 200 request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when the number of store users request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a preset virtual store. You may be guided to "Wait for store use" in After that, if a buyer terminates the use of the store among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 store, the buyer's terminal 200 waiting to use the store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store, and the buyer's terminal 200 waiting to use the store You can choose to use or stop using the store.

판매자측에서는 이러한 “매장 이용 대기”상태를 활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만큼의 적정한 인원을 접속하여 제품이나 서비스 또는 고객 응대의 서비스를 좋은 퀄리티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판매자측에서는 “매장 이용 대기”를 하기 위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를 조정함으로써, “매장 이용 대기”상태인 구매자측 단말(20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매장 이용 대기”상태인 구매자측 단말(200)의 개수를 증가시켜 인기가 높은 상점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는 마케팅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The seller side can use this “waiting for use of the store” state to access the appropriate number of people to provide the product or service, and provide the product or service or customer service with good quality. Furthermore, the seller side can adjust the number of purchaser terminals 200 in the “store use standby” state by adjusting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the virtual store for “store use standby”, and in some cases “store use standb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urchaser-side terminals 200 in the “state, a marketing effect that can be recognized as a highly popular store may be obtained.

설명한 바와 같이, 구매자측 단말(200)에 표시되는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가상 현실에 기반하여 가상 매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구매자측 단말(200)에 보여지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는 실제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한 위치에 기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제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한 장소가 [강남]인 경우, [강남] 거리와 유사하게 가상 현실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현실 상에 가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offline store information of a seller displayed on the purchaser sid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store based on virtual reality. In this case,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purchaser's terminal 200 may be based on the actual location of the offline store. For example, if the place where the actual offline store is located is [Gangnam], a virtual reality may be created similarly to the street of [Gangnam], and the virtual offline store may be located on the generated virtual reality.

또한, [강남]에는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할 수도 있다.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은 실제 [강남] 과 유사한 가상 현실 상에 나열될 수 있으며, 가상 현실에 나열된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은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구매자측 단말(200)에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number of offline stores may be located in [Gangnam].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may be listed in a virtual reality similar to the real [Gangnam], and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listed in the virtual reality may be exposed to the purchaser's terminal 200 using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즉, 인접한 오프라인 매장들은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가상의 [강남]생성될 수 있으며, 가상의 [강남]은 실제 강남 거리와 유사한 환경으로 보여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실제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한 매장을 가상의 [강남]에서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0)는 하나의 가상 현실 상에 다수의 가상 매장을 생성할 수 있고, 구매자는 생성된 다수의 가상 매장을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adjacent offline stores can be created in virtual [Gangnam] through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he virtual [Gangnam] can be created to be viewed as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Gangnam street. In addition, the buyer can use the same store as the actual offline store in the virtual [Gangnam]. In other words, the server 100 can create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in one virtual reality, and the buyer can use the created plurality of virtual stores in one system.

프로세서(170)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를 포함하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과 연결되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pecifically, it is connec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memory, and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 of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y executing at least on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프로세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드웨어 컨트롤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기계(Hardware Finite State Machine, H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A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processors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embedded processors, microprocessors, hardware control logic, hardware finite state machines (HFSMs), and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 can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of them.

프로세서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 또는 특정 디바이스를 위해 설계된 전용 프로세서로서, 메모리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는 판매자가 촬영한 2D 또는 3D 영상에 기초하여 가상 매장을 2D 또는 3D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rocessor is a kind of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dedicated processor designed for a specific device,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y driving control software loaded in a memory. In particular, the processor may enable the virtual store to be displayed in 2D or 3D based on 2D or 3D images captured by the seller.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rocessor may include any kind of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data. Here, a 'processor'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hardware having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functions expressed by codes or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for example. As an example of such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메모리(160)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및 판매자가 촬영한 2D 또는 3D 영상에 기초하여 가상 매장을 2D 또는 3D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고,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60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virtual store to be viewed in 2D or 3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he 2D or 3D image taken by the seller, and operates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t is capable of storing control software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and may include a volatile or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또한, 메모리(160)는 이상의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것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야기하는(cause)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60 is connected to the above processor and may store codes that,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cause the processor to control the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여기서,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 (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mory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or flash storage medi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uch memory may include internal memory and/or external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SRAM, or SDRAM, one time programmable ROM (OTP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 or non-volatile memory such as NOR flash memory, flash drive such as SSD, compact flash (CF) card, SD card, Micro-SD card, Mini-SD card, Xd card, or memory stick, or HDD It may include a storage device such as.

도 3을 참고하면, 구매자측 단말(200)은 통신부(210), 정보 수신부(220), 정보 표시부(230), 제품 구매부(240), 메모리(260) 및 프로세서(2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purchaser's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20, an information display unit 230, a product purchasing unit 240, a memory 260, a processor 270, and the like. It can be.

통신부(210)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a component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of a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정보 수신부(220)는 서버(100)에서 생성된 가상 매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판매자는 판매자측 단말(300)의 촬영장치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을 촬영하고, 서버(100)는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서버(100)에서 가상 매장을 생성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22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virtual store generated by the server 100 . As described above, the seller may photograph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of the seller-side terminal 300, and the server 100 may create a virtual store in the server 100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생성된 가상 매장은 오프라인 매장, 매장 내 판매하는 제품, 매장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 매장을 이용하는 매장 이용 인원 정보 등의 정보 등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동시에 하나의 정보만 노출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정보가 동시에 구매자측 단말(20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The created virtual store may guide information such as an offline store, products sold in the store, event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stor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tore users using the store, and the like. Although only one piece of information may be exposed at the same time, preferably,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can be simultaneously guided to the buyer's side terminal 200 .

정보 표시부(230)는 구매자측 단말(200)에서 수신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노출하는 구성이며, 단말의 패널, VR/AR 기기의 디지털 글래스의 패널 등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30 is a component that exposes offline sto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urchaser's terminal 200, and may be at least one of a panel of a terminal and a panel of digital glasses of a VR/AR device.

구매자가 구매자측 단말(200)이 서버(100)를 통해 생성된 가상 매장과 접속하면, 구매자측 단말(200)에서 가상 매장에 대응하는 실제의 오프라인 매장과, 매장 내 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가 가상 매장에서 임의의 제품을 선택하면, 서버(100)는 구매자측 단말(200)을 통해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품 구매부(240)를 통해 구매자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URL이 전송되거나, 구매를 안내하는 결제시스템을 구동하도록 하여 제품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purchaser's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virtual store created through the server 100, the purchaser's terminal 200 can check an actual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store and products in the store. At this time, if the buyer selects a product in the virtual store, the server 100 may guide the buyer to purchase the product through the buyer's terminal 200 . That is, a new URL through which a buyer can purchase a produc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roduct purchasing unit 240, or a payment system for guiding purchase is driven so that product purchase can be made.

한편 구매자측 단말(200)의 프로세서(270)는 구매자측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메모리(260)와 연결되며, 메모리(2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에 연결되어 수신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구매자측 단말(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270 of the purchaser's terminal 20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purchaser's terminal 20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270 is connected to the memory 260, executes at least on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260, and connects to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obtain the purchaser's terminal 200 based on received information. You have full control over the action.

이러한 메모리(260) 및 프로세서(270)는 앞서 설명된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메모리(160) 및 프로세서(170)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memory 260 and the processor 27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the memory 160 and the processor 170 of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 및 수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d receiv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using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tor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우선 판매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한 영상을 판매자측 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에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하는 과정에서 촬영한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예: 가격, 제품 크기, 제품을 제작한 원단 등)를 함께 입력할 수도 있다(S110). 이렇게 입력된 촬영 영상은 판매자측 단말(300)로부터 서버(100)로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4 , first, the seller may take a 3D image of the offline store. The captured image can be input to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eller's terminal 300, and specific information (eg, price, product size, product fabric, etc.) (S110). The captured image thus input is transmitted from the seller side terminal 300 to the server 100 .

이후, 서버(100)에는 오프라인 매장과 대응하는 가상 매장이 생성될 수 있다(S120). 즉, 판매자는 서버(100)에 생성된 가상 매장 상에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판매 중이거나 판매 예정이 제품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서버(100)가 생성하는 가상 매장은 실제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한 환경과 유사한 가상 매장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실제 오프라인 매장이 [강남]에 위치하는 경우 [강남]을 가상 현실상에 구현하고, 구현된 가상 현실의 [강남] 상에 가상 매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상 현실의 [강남]에는 실제 [강남]과 유사하게 복수의 가상 매장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가 생성하는 가상 매장은 실제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한 곳과 상이할 수도 있으며, 가상 매장들은 실제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와 상이한 곳에 상이한 브랜드들의 매장이 입점될 수도 있다. Thereafter, a virtual store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store may be created in the server 100 (S120). That is, the seller may input offline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n sale or scheduled to be sold on the virtual store created in the server 100 . In particular, a virtual store created by the server 100 may create a virtual store similar to an environment in which an actual offline store is located. For example, if an actual offline store is located in [Gangnam], [Gangnam] may be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and a virtual store may be created in [Gangnam] of the implemented virtual reality. In this case,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may be created in [Gangnam] of virtual reality similarly to real [Gangnam]. In addition, a virtual store created by the server 100 may be different from where an actual offline store is located, and stores of different brands may be located in a different location from the actual offline store.

가상 매장이 생성되고, 구매자가 구매자측 단말(200)을 통해 서버(100)와 연결되면, 구매자는 복수의 가상 매장 중 원하는 가상 매장을 선택할 수 있다(S130). 가상 매장을 선택한 구매자는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 들어가는 것과 같이 가상 매장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virtual store is created and the buyer connects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buyer's terminal 200, the buyer can select a desired virtual store from among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S130). Buyers who choose a virtual store can see inside the virtual store just like entering a physical store.

구매자가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제품을 선택하면, 제품이 확대되거나 제품에 대한 새로운 URL이 생성되거나 제품에 대한 설명이나 광고가 출력될 수 있다(S140). 제품에 대한 새로운 URL에는 구매자가 선택한 제품은 판매자가 기 입력한 제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buyer selects a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the product may be expanded, a new URL for the product may be created, or a description or advertisement for the product may be displayed (S140). In the new URL for the product, product information previously entered by the seller may be displayed on the product selected by the buyer.

한편, 구매자가 선택한 제품에 대한 정보는 판매자측 단말(300) 또는/및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판매자는 이를 확인하고 구매자가 선택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on the product selected by the buy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ller's terminal 300 or/and the server 100, and the seller checks thi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oduct selected by the buyer through video and images in real time. You may.

이후 구매자가 선택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제품을 안내하는 URL에 생성된 결제 URL을 선택, 이동하여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구매자측 단말(200)이 제품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구매를 요청하면, 서버(100)는 구매자측 단말(200)에 제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URL이나 결제창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Afterwards, if the buyer wants to purchase the selected product, he or she can purchase the product by selecting and moving to the payment URL created in the URL for guiding the product (S150). For example, when the purchaser's terminal 200 finally selects a product and requests purchase, the server 100 may cause the purchaser's terminal 200 to output a payment URL or payment window for payment of the produc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매자측 단말에서 복수의 가상 매장을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 매장을 구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are checked in a purchaser-side terminal of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irtual store is implemented using .

도 5를 참고하면, 가상 현실에 생성된 가상 매장은 복수일 수 있다. 각각의 가상 매장은 각 매장의 간판(511, 521, 531), 매장 썸네일(512, 522, 532), 각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대기 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의 대기 정도에 대한 정보는 대기인수 표시(514, 524, 534) 또는 대기열 표시(513, 523, 53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may be created in virtual reality. Each virtual stor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signboards 511 , 521 , and 531 , store thumbnails 512 , 522 , and 532 , a waiting level of buyers who want to use each store, and the like. Her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waiting of the buyer may be displayed by at least one of the waiting number display 514 , 524 , and 534 or the queue display 513 , 523 , and 533 .

각 가상 매장의 매장 정보는 각각의 가상 매장(510, 520, 530)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매장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Store information of each virtual store may be exposed through each of the virtual stores 510, 520, and 530, and a method of guiding store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onditions.

이때, 각 가상 매장(510, 520, 530)을 이용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각 가상 매장(510, 520, 530)을 이용할 수 있는 구매자, 즉, 각 가상 매장(510, 520, 530) 이용을 요청하는 구매자의 수가 기 설정된 각 가상 매장(510, 520, 530)의 참여 가능 인원수 보다 많은 경우,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매장(510, 520, 530) 이용을 위한 “대기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buyer who wants to use each of the virtual stores 510, 520, and 530 requests a purchaser who can use each of the virtual stores 510, 520, and 530, that is, each virtual store 510, 520, and 530. If the number of buyer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at can participate in each of the preset virtual stores (510, 520, and 530),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guide a “waiting state” for using each virtual store (510, 520, and 530). there is.

실시예로, 각 가상 매장(510, 520, 530)의 일 측에 가상 매장 이용을 위한 대기인수 표시(514, 524, 534) 또는 대기열 표시(513, 523, 533)가 출력될 수 있다. 대기인수 표시(514, 524, 534)는 각 가상 매장(510, 520, 530)의 일 측에 대기인수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대기열 표시(513, 523, 533)는 각 가상 매장(510, 520, 530)의 일 측에 사람 이미지가 줄을 선 것과 같은 이미지로 대기줄(대기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대기인수 표시(514, 524, 534) 또는 대기열 표시(513, 523, 533) 이외에도 각 가상 매장(510, 520, 530)에 입장하기 위한 대기 시간과 같은 대기 정보가 각 가상 매장(510, 520, 530)의 적어도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즉, 구매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가상 매장의 이벤트 정보 및 가상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 정보 이외에 가상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구매자들의 수를 판단하여 매장을 이용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As an example, a queue display 514 , 524 , 534 or a queue display 513 , 523 , 533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each virtual store 510 , 520 , and 530 . The standby number display 514 , 524 , and 534 may display the standby number in numbers on one side of each virtual store 510 , 520 , and 530 . The queue displays 513 , 523 , and 533 may display a queue (queue) as an image of people standing in line at one side of each virtual store 510 , 520 , and 530 . In addition to this, although not shown in FIG. 5, in addition to the waiting number display (514, 524, 534) or the queue display (513, 523, 533), waiting time such as waiting time for entering each virtual store (510, 520, 530)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one side of each of the virtual stores 510 , 520 , and 530 . That is, the buyer can check the waiting time for using the virtual store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other buyers who want to use the virtual store, in addition to event information of the virtual store they want to use and product information on sale in the virtual store.

도 6을 참고하면, 판매자측 단말(300)에는 실제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한 거리나, 아울렛 거리를 표현한 가상 현실에 오프라인 매장과 대응하는 가상 매장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측 단말(300)에는 실제 오프라인 매장의 상황을 촬영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eller's terminal 300 may display a street where an actual offline store is located or a virtual store corresponding to an offline store in virtual reality expressing an outlet street. In addition, a screen for confirming a process of photographing a situation of an actual offline store may be displayed on the seller side terminal 300 .

예를 들어, 판매자가 카페인 경우(601), 판매자측 단말(610)에는 가상의 카페 거리 상에 판매자의 카페와 대응하는 가상 카페 매장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판매자(카페 사업자 회원)는 오프라인 매장인 카페를 2D 또는3D로 촬영하여 가상 카페 매장에 노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ller is a cafe (601), the seller's terminal 610 may display a virtual caf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eller's cafe on a virtual cafe street. At this time, the seller (cafe operator member) may take a 2D or 3D photograph of the cafe, which is an offline store, and expose it to the virtual cafe store.

가상 카페 매장은 구매자측 단말(6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구매자측 단말(62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판매자와 채팅(624), 매장 공지(623), 메뉴판(621), 노출된 가상 카페 매장을 통해 음용제품 구매 단말기(622) 등이 될 수 있다. The virtual cafe store may be displayed on the purchaser's terminal 620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uyer's terminal 620 may be a chatting 624 with a seller, a store notice 623, a menu board 621, a drinking product purchase terminal 622 through an exposed virtual cafe store, and the like.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가 의류 매장인 경우(602), 판매자측 단말(630)에는 가상의 의류 판매 거리, 아울렛 매장 상에 판매자의 의류 매장과 대응하는 가상 의류 매장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측 단말(300)에는 실제 오프라인 매장의 상황을 촬영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ller is a clothing store (602), the seller's terminal 630 may display a virtual clothing store corresponding to the seller's clothing store on a virtual clothing sales street and outlet store. there is. In addition, a screen for confirming a process of photographing a situation of an actual offline store may be displayed on the seller side terminal 300 .

이때, 판매자(의류매장 사업자 회원)는 오프라인 매장인 의류매장을 2D 또는 3D로 촬영하여 가상 의류 매장에 노출할 수 있다. 가상 의류 매장은 구매자측 단말(6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구매자측 단말(640)에 표시되는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에 실제 진열되어 있는 제품들(641), 제품의 상세 정보 및 구매 결제 창(642), 매장 공지(643), 판매자와 채팅(644), 판매자의 매장 내 제품 라이브 방송(645)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ller (member of the clothing store operator) may take a 2D or 3D photograph of the clothing store, which is an offline store, and expose it to the virtual clothing store. The virtual clothing store may be displayed on the purchaser side terminal 640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uyer's terminal 640 includes products actually displayed in the offline store 641, product detailed information and purchase payment window 642, store notice 643, and chatting with the seller 644. , seller's in-store product live broadcasting 645, etc. may be information.

이와 같이, 구매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 매장에서 오프라인 매장을 쇼핑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 제품을 확인, 구매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buyer can check and purchase the product in the virtual store without visiting the offline store with the same effect as shopping in the offline store.

또한, 판매자는 매장과 제품을 가상 현실 상의 가상 매장을 통해 생성할 수 있게 되어 비 접촉으로도 매장을 생성하고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eller can create a store and products through a virtual store in virtual reality,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ore and sell products even without contact.

더욱이, 오프라인 매장을 표시하는 가상 현실은 실제 오프라인 매장이 위치한 환경, 위치 정보와 유사하게 구현하도록 하여 보다 사실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구매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Moreover, the virtual reality displaying the offline store can be implemented similarly to the environment and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actual offline store is located, so that the offline store can be guided to the buyer more realistically.

또한,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들을 하나의 가상 현실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자가 하나의 가상 매장만을 둘러보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가상 매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상 매장 이용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enabling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to be implemented in one virtual reality, the buyer can use a plurality of virtual stores instead of looking around only one virtual stor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sing the virtual stor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100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서버
110 통신부
120 정보 생성부
130 정보 전송부
140 매칭부
150 인원 출력부
160 메모리
170 프로세서
200 구매자측 단말
210 통신부
220 정보 수신부
230 정보 표시부
240 제품 구매부
260 메모리
270 프로세서
300 판매자측 단말
400 네트워크
10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Server providing 100 virtual store information
1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20 information generator
130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matching unit
150 Personnel Output
160 memory
170 processor
200 Buyer side terminal
210 Ministry of Communications
220 information receiver
230 information display
240 product purchasing department
260 memory
270 processor
300 Seller side terminal
400 network

Claims (7)

판매자측 단말;
구매자측 단말; 및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수신한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매장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가상 매장을 적어도 상기 구매자측 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가상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적어도 상기 구매자측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측 단말은,
상기 가상 매장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 제품을 구매하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seller side terminal;
Buyer's terminal; and
Including a server that provides virtual store information;
The server,
The virtual store is created based on offline store information of the seller received through the seller's terminal,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rtual store is transmitted to at least the buyer's terminal so that the created virtual store is output to at least the buyer's terminal. transmit,
The purchaser side terminal,
Purchasing a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virtual stor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정보와 상기 구매자측 단말에 노출되는 오프라인 매장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and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exposed to the purchaser's terminal match;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측 단말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촬영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 배치된 매장 제품 정보, 매장 공지 정보, 매장 이용 인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장 제품 정보, 매장 공지 정보, 매장 이용 인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ller side terminal receives a captured image of the offline store, transmits the received captured image to the server,
The server,
At least one of store product information, store notice information, and store user information disposed in the offline store is generated, and at least one of the store product information, store notice information, and store user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eller terminal. to do,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매장을 이용하는 상기 구매자측 단말은 복수 개이고,
상기 서버는,
복수의 상기 구매자측 단말이 동시에 상기 가상 매장 이용을 요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상기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매장 이용을 요청하는 상기 복수의 구매자측 단말의 개수가 상기 기 설정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가상 매장의 참여 가능 인원수를 초과하여 상기 가상 매장 이용을 요청한 구매자측 단말을 가상 매장 이용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purchaser-side terminals using the virtual store is plural;
The server,
When a plurality of purchaser-side terminals request the use of the virtual store at the same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set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the virtual store is exceeded,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purchaser-side terminals requesting use of the virtual store is determined. When the preset number of people who can participate in the virtual store is exceeded, converting the purchaser's terminal that has requested the use of the virtual store to a standby state for using the virtual stor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실시간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한 상기 실시간 오프라인 매장 정보와 상기 구매자측 단말에 노출되는 가상 매장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판매자측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한 상기 실시간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구매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가상 매장 정보를 갱신하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It is possible to receive real-time offline store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seller-sid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l-time offline store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ller-side terminal and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exposed to the buyer-side terminal do not match, the real-time offline store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ller-side terminal Updating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urchaser-side terminal as a reference;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매장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실제 환경 및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가상 매장은 복수 개이고,
상기 서버는,
복수의 상기 가상 매장들이 나열된 가상 매장 거리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매장 거리에는 상기 가상 매장 각각의 이용을 대기하는 대기 인수 또는 상기 대기 인수를 표현하는 대기열을 표시하도록 하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virtual store is based on the real environment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captured image, and the number of virtual stores is plural;
The server,
Creating a virtual store stree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virtual stores are listed, and displaying a waiting factor waiting for use of each of the virtual stores or a queue representing the waiting factor on the virtual store street.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판매자측 단말;
구매자측 단말; 및
가상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오프라인 매장을 촬영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매장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가상 매장 정보를 상기 구매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가상 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
seller side terminal;
Buyer's terminal; and
Including a server that provides virtual store information;
The server,
an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a captured image of an offline store and generate virtual stor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captured image; and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sto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the purchaser-side terminal.
Virtual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KR1020210168127A 2021-11-30 2021-11-30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 KR202300807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127A KR20230080713A (en) 2021-11-30 2021-11-30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127A KR20230080713A (en) 2021-11-30 2021-11-30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713A true KR20230080713A (en) 2023-06-07

Family

ID=8676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127A KR20230080713A (en) 2021-11-30 2021-11-30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71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3899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an Item
JP6770034B2 (en) Visualization of articles using augmented reality
US20240087003A1 (en) User interface using tagged media, 3d indexed virtual reality images,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locations, for electronic commerce
US11393019B2 (en)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trade information
US10877649B2 (en) Browsing system, brow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10029352A1 (en) Brokering system for location-based tasks
US105153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virtual gift giving
US20150046280A1 (en) Technologies for video-based commerce
US98815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content
US20150058870A1 (en) Facilitating purchase from video advertisements
JP6941549B2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s to support the sale of goods
WO20131582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on a consumer device
KR102115065B1 (en) Method of video contents with real time
KR20230080713A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rtual store
KR20090061801A (en) Auction method of advertisement, recording medium and auction system of advertisement
JP7228742B1 (en) ADVERTISING SYSTEM, ADVERTI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46974B1 (en) Metabus based virtual space management system
JP2018160227A (en) Browsing system and program
US8543472B2 (en) Network data exchange method and network server
KR20230043445A (en) System for providing owner information of metahuman and method thereof
KR20230166552A (en) Method of selling product by virtual show host in metaverse and device implementing thereof
KR20140007274A (en) A server and a product trading terminal for providing trading service on the on/of lin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rading service
JP2020013552A (en) Terminal device, browsing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2020009016A (en) Terminal, browsing system,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90009484A (en) Link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