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632A -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 Google Patents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632A
KR20230080632A KR1020210167985A KR20210167985A KR20230080632A KR 20230080632 A KR20230080632 A KR 20230080632A KR 1020210167985 A KR1020210167985 A KR 1020210167985A KR 20210167985 A KR20210167985 A KR 20210167985A KR 20230080632 A KR20230080632 A KR 2023008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authentication
server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우
황덕수
이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Priority to KR102021016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632A/ko
Priority to PCT/KR2022/017820 priority patent/WO2023101258A1/ko
Publication of KR2023008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1Revocation or update of secret information, e.g. encryption key update or re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증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인증 서버는,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한 리더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는 진품 인증 모듈; 및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결과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Program and Metaverse Server}
본 발명은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함과 아울러, 진품 인증된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이 메타버스에 생성되도록 할 수 있는,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에 관련된 것이다.
고가의 명품 브랜드나 메이커 제품을 위주로 성행했던 위조품 문제는 최근 과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 부품, 자동차 및 항공기의 기계 부품,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하드웨어 제품 및 전자 기기에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무단 복제 및 불법 유통 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위조되는 제품의 분야와 범위가 확산되고 위조품의 불법 유통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자는 위조품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무형의 손해를 방지하고자 정품 인증 기술을 연구하여 이를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현실 세계를 가상의 공간에서 구현하는 플랫폼인 메타버스가 크게 주목 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를 가상의 온라인 공간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는 완전히 다른 대안적 세계를 디지털 데이터로 구축하여 온라인 공간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사람들은 자신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 게임, 모임, 탐험, 심지어 사회적 활동은 물론 경제적 활동까지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메타버스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음에 따라, 현실에서 구매한 제품이 메타버스에서도 동일한 가치로 인정 받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이용자들은, 현실에서 고가의 명품을 구매한 경우, 이 고가의 명품이 자신이 활동하는 메타버스에서도 가상으로 생성되어 메타버스에서도 명품으로 인정 받기를 원한다. 즉, 메타버스 이용자들은, 현실 세계처럼, 메타버스에서도 자신의 구매한 명품을 자랑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메타버스에 생성된 가상 제품에 대한 거래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 또한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에, 현실에서 적용되고 있는 진품 인증과 같이, 가상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함과 아울러, 진품 인증된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이 메타버스에 생성되도록 할 수 있는,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타버스 환경에 생성되는 가상 제품들 간의 거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증 서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서버는,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한 리더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는 진품 인증 모듈; 및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결과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태그는 상기 리더의 태깅에 따른 RF 신호의 수신 시 마다,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시키기 위한 난수를 새로이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되, 상기 암호키가 계속 재 생성되도록, 상기 새로이 생성되는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키를 리프레시(refresh)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호화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호화 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복 테스트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복 테스트 모듈은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의 존재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복 테스트 모듈은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NFT 생성 정보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가 생성되도록, NFT 블록체인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NFT 생성 정보는 상기 특정 제품의 고유값, 아이디, 연식 및 모델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태그는 QR 코드, 13.56 MHz 대역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125kHz, 134kHz, 433.92MHz, 860 내지 960MHz 및 2.45GHz 대역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이 의류인 경우, 상기 인식 태그는 단추에 마련되고, 상기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이 골프채인 경우, 상기 인식 태그는 골프채의 손잡이 또는 골프채의 샤프트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이 가방인 경우, 상기 인식 태그는 가방 내측, 가방 손잡이 및 가방 지퍼 중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상기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이 신발인 경우, 상기 인식 태그는 신발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방법은,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한 리더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더로부터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존재하는지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프로그램은, 전술한 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을 다운 받아 설치한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로그인부가 실행되는 로그인 단계; 상기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할 때, 상기 인식 태그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인식 태그로부터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통신부가 실행되는 통신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제품의 진품 여부를 인증한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인증 결과 출력부가 실행되는 인증 결과 출력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되,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특정 제품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FT 블록체인 서버에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상기 NFT 블록체인 서버와 통신 연결되는 NFT 생성 요청부가 실행되는 NFT 생성 요청 단계를 더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버스 서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이 요청된 경우,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 및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은, 상기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의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 생성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상기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을 태깅한 리더 또는 상기 리더와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 생성과 관련하여 통신한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NFT가 생성되어 있는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이 요청된 경우,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 및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NFT가 생성되어 있는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은,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NFT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인증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이 요청된 경우,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 및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은, 연동되어 있는 판매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한 리더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는 진품 인증 모듈; 및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결과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함과 아울러, 진품 인증된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이 메타버스에 생성되도록 할 수 있는,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제품을 가상 공간인 메타버스에서도 자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제품 및 가상 제품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가상 제품에 대한 거래 시 소유권 이전, 증명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복제 문제 또한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함으로써, 오프라인 제품에 부여되는 현실 세계의 가치를 메타버스 환경에서도 인정 받을 수 있음은 물론,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거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거래 안정성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거래를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진품 인증 과정을 시 계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중복 테스트 과정을 시 계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진품 인증 과정을 시 계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의 가상 제품 생성 과정을 시 계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진품 인증 과정을 시 계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중복 테스트 과정을 시 계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진품 인증 과정을 시 계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진품 인증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제품(RP)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하는 리더(R), 상기 제품(RP) 그리고 상기 제품(RP)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판매자 서버(2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 태그(T)는 해당 제품(RP)의 진품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 정보는 제품(RP)이 제조되는 과정이나 출하되는 과정에서 인식 태그(T)에 저장될 수 있으며, 판매자 서버(200)에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제품(RP)에 대한 일련번호(serial num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URL은 특정 제품(RP)을 제조한 제조사에서 특정 제품(RP)을 소개하고 설명하기 위해 만든 웹 페이지에 대한 주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제품(RP)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인식 태그(T)는 QR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식 태그(T)는 13.56 MHz 대역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125kHz, 134kHz, 433.92MHz, 860 내지 960MHz 및 2.45GHz 대역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중 어느 하나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인식 태그(T)는 수신되는 RF 신호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동작하는 패시브(passive) 타입의 소자로 이루어진 무 전원 태그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인식 태그(T)는 소정 부피를 갖는 칩(chip) 형태로 구비될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칩 형태로 구비되는 인식 태그(T)는 가방, 신발, 의류 등의 제품(RP)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제품(RP)에는 인식 태그(T)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식 태그(T)는 제품(RP)의 표면에 부착 가능한 스티커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티커 형태로 구비되는 인식 태그(T)의 일 측면에는 코팅 형성된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더(R)는 예를 들어, 인식 태그(T)와 RF 통신 연결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휴대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더(R)로 작동하는 자신의 휴대폰을 인식 태그(T)에 태깅(tagging)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인식 태그(T)에 저장되어 있는, 진품 인증을 위한 해당 제품(RP)의 식별 정보를 상기 인식 태그(T)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식 태그(T)는 리더(R)에 의해 태깅될 때마다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시키기 위한 난수(random number)를 새로이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리더(R)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식 태그(T)는, 상기 암호키가 계속 재 생성되도록, 상기 새로이 생성되는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키를 리프레시(refresh)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0의 VP)이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0의 VP)이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메타버스 서버(3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100)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리더(R)에 제공하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리더(R)로부터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100)에 의한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RP)이 예를 들어, 고가의 명품 가방인 경우, 인식 태그(T)는 가방의 내측 중에서 내피와 외피 사이, 가방의 손잡이 또는 가방의 지퍼 등에 부착되거나 담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100)는 가방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가방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리더(R)에 대한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가방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게 된다.
이때, 인증 서버(100)는 상기 가방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제품(RP)인 가방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의 가방이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가방 생성키를 생성하여 리더(R)를 통하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하거나, 리더(R)를 경유하지 않고, 메타버스 서버(300)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100)에 의한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RP)이 예를 들어, 고가의 명품 의류인 경우, 인식 태그(T)는 의류의 단추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100)는 의류의 단추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의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리더(R)에 대한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의류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게 된다.
이때, 인증 서버(100)는 상기 의류가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의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의 의류가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의류 생성키를 생성하여 리더(R)를 통하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하거나, 리더(R)를 경유하지 않고, 메타버스 서버(300)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100)에 의한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RP)이 예를 들어, 고가의 골프채인 경우, 인식 태그(T)는 골프채의 손잡이나 샤프트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100)는 골프채의 손잡이나 샤프트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골프채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리더(R)에 대한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골프채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게 된다.
이때, 인증 서버(100)는 상기 골프채가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골프채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의 골프채가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골프채 생성키를 생성하여 리더(R)를 통하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하거나, 리더(R)를 경유하지 않고, 메타버스 서버(300)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100)에 의한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RP)이 고가의 또는 한정판 신발인 경우, 인식 태그(T)는 신발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100)는 신발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신발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리더(R)에 대한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신발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게 된다.
이때, 인증 서버(100)는 상기 신발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신발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의 신발이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신발 생성키를 생성하여 리더(R)를 통하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하거나, 리더(R)를 경유하지 않고, 메타버스 서버(300)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 서버(100)는 고가의 가방, 의류, 신발, 골프채 등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제품(RP) 및 리더(R), 즉, 사용자의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제품(RP)의 진품 여부를 인증함과 아울러,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0의 VP)이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진품 인증 모듈(120) 및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판매자 서버(200)로부터 제품(RP)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제공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는 판매자 서버(200)로부터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제1 고유 정보를 제공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제품(RP) 별 제1 식별 정보와 해당 제품(RP)을 구매한 구매자 별 제1 고유 정보가 리스트업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매칭 테이블은 특정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 인증을 위한 소스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별 정보는 특정 URL에 대한 정보, 특정 제품(RP)에 대한 일련 번호(S/N), 모델명, 생산 일자, 생산 공장, 유통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통 경로에 관한 정보는 오직 오프라인에서만 구매 가능한 제품, 오프라인에 더해 모든 온라인에서 구매 가능한 제품, 일부 온라인에서만 구매 가능한 제품으로, 각 제품(RP)들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자에 대한 제1 고유 정보는 구매자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리더(R)로 사용되는 핸드폰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더(R)로 사용되는 핸드폰 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진품 인증 모듈(120)은 특정 제품(RP)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 받은 경우,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리더(R)에 대한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품 인증 모듈(120)은, 제품(RP)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제품(RP)에 대한 제2 식별 정보 및 리더(R)에 대한 제2 고유 정보가, 판매자 서버(200)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제품(RP)에 대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제1 고유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품 인증 모듈(120)은 특정 제품(RP)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제품(RP)에 대한 제2 식별 정보가 특정 URL인 경우, 이 특정 URL이 데이터베이스(110)에 해당 제품(RP)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URL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진품 인증 모듈(120)은 특정 URL에 대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거나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여 매칭됨과 아울러, 제1 고유 정보와 제2 고유 정보 또한 매칭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제품(RP)을 진품으로 인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품 인증 모듈(120)은 특정 제품(RP)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제품(RP)에 대한 제2 식별 정보가 특정 제품(RP)의 일련 번호(S/N)인 경우, 이 특정 제품(RP)의 일련 번호(S/N)가 데이터베이스(110)에 해당 제품(RP)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일련 번호(S/N)와 일치하는지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제품(RP)에 대한 일련 번호(S/N)가 유출되어, 서로 동일한 일련 번호(S/N)를 가지는 다수 개의 가품이 유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제품(RP)에 대한 일련 번호(S/N)가 데이터베이스(1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제품(RP)에 대한 일련 번호(S/N)와 서로 일치한다는 것만으로 해당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판정하게 되면, 위조품 혹은 가품을 진품으로 인증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이, 가품이 진품인 것으로 인증 받아 유통된다면, 인식 태그(T)를 기반으로 하는 인증 서버(100)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상품 가치도 하락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품 인증 모듈(120)은 데이터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진품 인증 모듈(120)은 특정 제품(RP)의 모델명, 생산일자, 생산공장, 유통경로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일련 번호(S/N)로 제공되는 제2 식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제품(RP)의 일련 번호(S/N) 및 부가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진품 인증 모듈(120)은 리더(R), 즉, 사용자에 대한 제2 고유 정보가, 매칭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제1 고유 정보와 매칭되는지 더 판별할 수 있다.
진품 인증 모듈(120)은 이들 정보가 모두 매칭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제품(RP)을 진품으로 인증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은 진품 인증 모듈(120)에 의해 이루어진 제품(RP)에 대한 인증 결과를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은 진품 인증 모듈(120)을 통하여 상기 제품(RP)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정품, 즉,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0의 VP)을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 생성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가상 제품 생성키, 다시 말해, 상기 가상 제품(도 10의 VP)이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상 제품 생성키를 리더(R)를 통하여 메타버스 서버(300)에 더 제공하거나 직접 메타버스 서버(300)에 더 제공할 수 있다.이에, 인증 서버(100)로부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는 메타버스(도 10의 M) 환경에 상기 가상 제품(도 10의 VP)을 생성하고 오프라인에 상응하는 가치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은 특정 제품(RP)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NFT 생성 정보는 상기 특정 제품(RP)에 대한 NFT가 생성되도록, NFT 블록체인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NFT 블록체인 서버로 제공되는 NFT 생성 정보는 상기 특정 제품(RP)의 고유값, 아이디, 연식 및 모델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FT 블록체인 서버에 특정 제품(RP)에 대한 NFT 생성을 요청함으로써, 예를 들어, 가방, 신발, 의류, 골프채 등과 같은 오프라인 상의 제품(RP)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진품 인증된 다양한 오프라인 제품(RP)들을 디지털 자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라인 제품(RP)에 대한 NFT는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상기 오프라인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1의 VP)에 대해 생성된 NFT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 가상 제품(도 11의 VP)에 대한 거래 시 소유권 이전, 증명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복제 문제 또한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제품(도 11의 VP)에 대해 생성되는 NFT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되는, 오프라인 제품(RP)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오프라인 제품(RP)을 디지털 자산화함으로써, 상기 오프라인 제품(RP)에 부여되는 현실 세계 가치를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도 인정 받을 수 있음은 물론,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의 거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거래 안정성에 기반하여,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의 거래를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중복 테스트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복 테스트 모듈(140)은, 인증 서버(100) 또는 리더(R)로부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의 존재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복 테스트 모듈(140)은 예를 들어,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유효한 가상 제품 생성키인지 아니면 복제된 생성키인지 중복 테스트를 통하여 확인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복 테스트 모듈(140)은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즉, 인증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유효한 가상 제품 생성키인 것으로 판정하여,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복 테스트 모듈(140)은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가방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가방 생성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가방 생성키가 유효한 가상 가방 생성키인 것으로 판정하여, 진품 인증된 제품(RP)인 가방의 이미지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복호화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호화 모듈(160)은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제품(RP)에 대한 제2 식별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인식 태그(T)가 제품(RP)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더(R)의 태깅에 의해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가 요청되면(S1), 인식 태그(T)는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를 리더(R)로 전송할 수 있다(S2).
인식 태그(T)로부터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 받은 리더(R)는 식별 정보를 리더(R)의 고유 정보와 함께 인증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3).
리더(R)로부터 식별 정보 및 고유 정보를 전송 받은 인증 서버(100)는 진품 인증 모듈(120)을 통하여, 식별 정보 및 고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과 매칭시켜,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S4).
그 다음, 인증 서버(100)는 제품(RP)에 대한 인증 결과를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에 전달할 수 있다(S5).
그 다음, 인증 서버(100)는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을 통하여, 제품(RP)에 대한 인증 결과를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서버(100)는 진품 인증 모듈(120)을 통하여 상기 제품(RP)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1의 VP)이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생성하여,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을 통하여, 인증 결과와 함께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S6).
또한, 인증 서버(100)는 진품 인증 모듈(120)을 통하여 상기 제품(RP)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1의 VP)이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생성하여,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을 통하여, 메타버스 서버(300)에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S7).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리더(R)는 인증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가상 제품 생성키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S11).
리더(R)로부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는 인증 서버(100)에 상기 리더(R)로부터 제공 받은 가상 제품 생성키에 대한 중복 테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S12).
메타버스 서버(300)로부터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에 대한 중복 테스트를 요청 받은 인증 서버(100)는 중복 테스트 모듈(140)을 통하여,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유효한 가상 제품 생성키인지 아니면 복제된 생성키인지 중복 테스트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다(S13).
그 다음, 인증 서버(100)는 중복 테스트 모듈(140)을 통하여,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유효한 가상 제품 생성키인 것으로 판정하여,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S14). 여기서, 상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 정보는 상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 파일이거나 상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거나 개시되어 있는 링크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100)는 중복 테스트 모듈(140)을 통하여,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신발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신발 생성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신발 생성키가 유효한 가상 신발 생성키인 것으로 판정하여, 진품 인증된 제품(RP)인 신발의 이미지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인증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진품 인증된 제품(RP)인 신발의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 가상 제품(도 11의 VP)인 가상 신발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인식 태그(T)가 제품(RP)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더(R)의 태깅에 의해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가 요청되면(S21), 인식 태그(T)는 예를 들어, 태깅에 따른 RF 신호 수신 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고(S22), 암호화된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를 리더(R)로 전송할 수 있다(S23).
인식 태그(T)로부터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전송 받은 리더(R)는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리더(R)의 고유 정보와 함께 인증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24).
리더(R)로부터 암호화된 식별 정보와 고유 정보를 전송 받은 인증 서버(100)는 복호화 모듈(160)을 통하여,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S25). 이때, 리더(R)에 의해 고유 정보 또한 암호화된 경우, 인증 서버(100)는 복호화 모듈(160)을 통하여, 암호화된 고유 정보 또한 복호화할 수 있다.
그 다음, 인증 서버(100)는 복호화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진품 인증 모듈(120)에 제공하고(S26), 진품 인증 모듈(120)을 통하여, 복호화된 식별 정보 및 고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과 매칭시켜,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S27).
그 다음, 인증 서버(100)는 제품(RP)에 대한 인증 결과를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에 전달할 수 있다(S28).
그 다음, 인증 서버(100)는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을 통하여, 제품(RP)에 대한 인증 결과를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S29). 이때, 인증 서버(100)는 인증 결과를 암호화하여 상기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태그(T)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는 리더(R)에서 복호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증 서버(100)에는 복호화된 식별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인증 서버(100)는 진품 인증 모듈(120)을 통하여 상기 제품(RP)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1의 VP)이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생성하여,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을 통하여, 인증 결과와 함께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서버(100)는 인증 결과와 가상 제품 생성키를 암호화하여 상기 리더(R)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서버(100)는 진품 인증 모듈(120)을 통하여 상기 제품(RP)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1의 VP)이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생성하여, 인증 결과 제공 모듈(130)을 통하여, 메타버스 서버(300)에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도 5의 100)와 비교하여, 판매자 서버(도 5의 200)에 제품(RP)에 대한 정보와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달리, 인증 모듈(120')이, 제품(RP)에 대한 정보와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인증 모듈(120')은 특정 제품(RP)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특정 제품(RP)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제품(R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제품(RP)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특정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 태그(T)는 리더(R)에 의해 태깅될 때마다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시키기 위한 난수(random number)를 새로이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리더(R)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 태그(T)는, 상기 암호키가 계속 재 생성되도록, 상기 새로이 생성되는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키를 리프레시(refresh)할 수 있다.
제품(RP)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인식 태그(T)가 제품(RP)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품(RP)을 구매한 유저가 인증 앱(App)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상기 인증 앱이 설치되어 있는 리더(R)의 태깅에 의해 제품(RP)에 대한 정보가 요청되면, 인식 태그(T)는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리더(R)로 전송할 수 있다.
인식 태그(T)로부터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은 리더(R)는 상기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증 앱에 대한 회원 가입 시 제공 받은 유저 정보와 함께 인증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리더(R)로부터 제품(RP) 정보 및 유저 정보를 전송 받은 인증 서버(100')는 인증 모듈(120')을 통하여,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서버(100')로부터 상기 제품(RP)에 대한 진품 인증 받은 리더(R)는 NFT 블록체인 서버(400)에 상기 진품 인증 받은 제품(RP)에 대한 NFT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상기 NFT 블록체인 서버(400)는 상기 진품 인증 받은 제품(RP)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더(R)에 제공된, 상기 진품 인증 받은 제품(RP)에 대한 NFT는 예를 들어, 리더(R)에 설치되어 있는 NFT 앱의 전자 지갑에 담길 수 있다.
한편, NFT 블록체인 서버(400)로부터 상기 진품 인증 받은 제품(RP)에 대한 NFT를 제공 받은 유저는 리더(R)에 설치되어 있는 메타버스 앱에 로그인하여, 상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도 11의 VP)이 메타버스(도 11의 M) 환경에서 생성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리더(R)에 설치되어 있는 NFT 앱의 전자 지갑에 담겨 있는 상기 진품 인증된 제품(RP)에 대한 NFT를 확인한 후 그 진위 여부를, 이를 생성한 NFT 블록체인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을 수 있다. 즉, 메타버스 서버(300)는 리더(R)에 설치되어 있는 NFT 앱의 전자 지갑에 담겨 있는 상기 진품 인증된 제품(RP)에 대한 NFT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NFT 블록체인 서버(40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의 가상 제품 생성 과정을 시 계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더(R) 또는 인증 서버(100)로부터,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 즉, 진품으로 인증된 제품(RP)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M)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VP)이 메타버스 서버(300)에 요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300)는 리더(R) 또는 인증 서버(100)로부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VP)이 메타버스(M) 환경에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타버스 서버(300)는 이러한 가상 제품 생성키에 대한 중복 테스트를 인증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으며, 인증 서버(100)로부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인증 서버(100)로부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 정보, 예를 들어,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이미지가 저장 및 개시되어 있는 링크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진품 인증된 제품(RP)에 대한 가상 제품(VP)을 메타버스(M) 환경에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메타버스 서버(300)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메타버스(M) 환경에서 활동하는 아바타(A)에 상기 가상 제품(VP)을 착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인증 서버(100)로부터 진품 인증된 제품(RP)이 선글라스, 자켓 및 신발인 경우, 인증 서버(100)로부터 진품 인증된 선글라스, 자켓 및 신발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진품 인증된 선글라스, 자켓 및 신발을, 상기 특정 사용자의 아바타(A)가 활동하는 메타버스(M) 환경에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메타버스 서버(300)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아바타(A)에 가상 제품(VP)으로 생성된 가상 선글라스, 가상 자켓 및 가상 신발을 착용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인증 서버(100)로부터 진품 인증된 제품(RP)이 명품 가방인 경우, 인증 서버(100)로부터 진품 인증된 명품 가방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진품 인증된 명품 가방을,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A)가 활동하는 메타버스(M) 환경에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메타버스 서버(300)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A)에 가상 제품(VP)으로 생성된 가상 명품 가방을 착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하고 진품 인증된 제품(RP)을 가상 공간인 메타버스(M)에서도 다른 사용자들에게 자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메타버스(M) 환경에서,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된 가상 제품(VP)들을 팔거나 살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에서 구매하고 진품 인증된 제품(RP)과, 이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된 가상 제품(VP)에 대해서는 각각, 블록체인으로 연결되는 NFT가 생성됨에 따라, 가상 제품(VP)에 대한 안전한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300)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 및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 즉, 진품 인증된 제품(RP)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M)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VP)이 요청된 경우, 그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상기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의 온라인 메타버스(M)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VP) 생성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상기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을 태깅한 리더(R) 또는 상기 리더(R)와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 생성과 관련하여 통신한 인증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리더(R)로부터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경우,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별을 인증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인증 서버(100)로부터 기 제공 받은 가상 제품 생성키와, 상기 리더(R)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비교하여, 상기 리더(R)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제품 생성키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은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RP)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M)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VP)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은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RP)인 선글라스, 자켓 및 신발에 대한 가상 제품(VP) 즉, 가상 선글라스, 가상 자켓 및 가상 신발을 생성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M) 환경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A)에 가상 제품(VP)으로 생성된 가상 선글라스, 가상 자켓 및 가상 신발을 착용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증 서버(100)는 리더(R)로부터 요청된 제품(RP)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VP)이 메타버스(M) 환경에서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생성하여 리더(R)로 전송하거나(S30), 메타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31-1).
이때, 인증 서버(100)로부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전송 받은 리더(R)는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메타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31-2).
즉, 인증 서버(100)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직접 전송하거나, 리터(R)를 통하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리더(R) 또는 인증 서버(100)로부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전송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을 통하여, 가상 제품 생성키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
그 다음, 메타버스 서버(300)는 진위 여부 판단 결과를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에 제공할 수 있다(S33).
그 다음, 메타버스 서버(300)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을 통하여, 메타버스(M)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VP)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버(300)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을 통하여,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RP)인 선글라스, 자켓 및 신발에 대한 가상 제품(VP)인 가상 선글라스, 가상 자켓 및 가상 신발을, 메타버스(M) 환경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A)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A)에 착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하고 진품 인증된 선글라스, 자켓 및 신발을 가상 공간인 메타버스(M)에서도 다른 사용자들에게 자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에 대하여,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300')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 및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R)을 통하여, NFT가 생성되어 있는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이 요청된 경우, 그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R)에 제공한 NFT 블록체인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을 수 있다. 즉,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상기 NFT 블록체인 서버(400)로부터 상기 NFT의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다.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은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NFT가 생성되어 있는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유저가 NFT 앱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상기 NFT 앱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R)을 통하여 NFT 블록체인 서버(400)에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요청하면, 상기 NFT 블록체인 서버(400)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사용자 단말(R)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R)에 제공된,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R)에 설치되어 있는 NFT 앱의 전자 지갑에 담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요청한다는 것은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구매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NFT 블록체인 서버(400)로부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제공 받은 유저는 사용자 단말(R)에 설치되어 있는 메타버스 앱에 로그인하여, 상기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기상 제품이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R)에 설치되어 있는 NFT 앱의 전자 지갑에 담겨 있는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확인한 후 그 진위 여부를, 이를 생성한 NFT 블록체인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을 수 있다. 즉, 메타버스 서버(300')는 NFT 블록체인 서버(4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R)에 설치되어 있는 NFT 앱의 전자 지갑에 담겨 있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의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의 진위를 NFT 블록체인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은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을 통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에 대하여,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버(300'')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 및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사용자 단말(R)을 통하여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이 요청된 경우, 그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은, 연동되어 있는 판매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은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오프라인에서 특정 제품을 구매한 유저는 사용자 단말(R)에 설치되어 있는 메타버스 앱에 로그인하여, 상기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기상 제품이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310'')을 통하여, 연동되어 있는 판매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제품이 진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320'')을 통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S110 단계 및 S1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계
먼저, S110 단계에서는 제품(RP)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리더(R)에 대한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10 단계에서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제품(RP)에 대한 제2 식별 정보 및 리더(R)에 대한 제2 고유 정보가, 판매자 서버(200)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품(RP)에 대한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제1 고유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10 단계에서는 특정 제품(RP)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제품(RP)에 대한 제2 식별 정보가 특정 URL인 경우, 이 특정 URL이 데이터베이스(110)에 해당 제품(RP)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URL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S110 단계에서는 특정 URL에 대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거나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여 매칭됨과 아울러, 제1 고유 정보와 제2 고유 정보 또한 매칭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제품(RP)을 진품으로 인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S110 단계에서는 특정 제품(RP)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제품(RP)에 대한 제2 식별 정보가 특정 제품(RP)의 일련 번호(S/N)인 경우, 이 특정 제품(RP)의 일련 번호(S/N)가 데이터베이스(110)에 해당 제품(RP)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는 일련 번호(S/N)와 일치하는지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해, S110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10 단계에서는 특정 제품(RP)의 모델명, 생산일자, 생산공장, 유통경로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일련 번호(S/N)로 제공되는 제2 식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제품(RP)의 일련 번호(S/N) 및 부가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때, S110 단계에서는 리더(R), 즉, 사용자에 대한 제2 고유 정보가, 매칭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제품(RP)의 구매자에 대한 제1 고유 정보와 매칭되는지 더 판별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는 일례로, 인식 태그(T)가 고가의 명품 가방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인식 태그(T)를 태깅한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제품(RP)인 고가의 명품 가방에 대한 제2 식별 정보 및 리더(R)에 대한 제2 고유 정보가, 판매자 서버(200)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고가의 명품 가방에 대한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가의 명품 가방 구매자에 대한 제1 고유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고가의 명품 가방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S120 단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20 단계에서는 제품(RP), 즉, 고가의 명품 가방에 대한 진품 인증 결과를 리더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120 단계에서는 S110 단계를 통하여 상기 고가의 명품 가방이 정품, 즉,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진품 인증된 고가의 명품 가방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VP)인 가상 명품 가방이 메타버스(M) 환경에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진품 인증 결과와 함께 리더(R)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120 단계에서는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직접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120 단계에서는 상기 제품(RP)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를 NFT 블록체인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FT 생성 정보는 상기 제품(RP)의 고유값, 아이디, 연식 및 모델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라인 제품(RP)에 대한 NFT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되는, 상기 오프라인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에 대해 생성된 NFT와 블록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 환경에서, 가상 제품에 대한 거래 시 소유권 이전, 증명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복제 문제 또한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중복 테스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복 테스트 단계에서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의 존재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즉, 중복 테스트 단계에서는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유효한 가상 제품 생성키인지 아니면 복제된 생성키인지 중복 테스트를 통하여 확인해줄 수 있다.
중복 테스트 단계에서는 현재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유효한 가상 제품 생성키인 것으로 판정하여,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복호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호화 단계에서는 리더(R)로부터 전송되는, 제품(RP)에 대한 제2 식별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은 로그인 단계(S210), 통신 연결 단계(S220) 및 인증 결과 출력 단계(S230)를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은, 인증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App), 예를 들어, 진품 인증 앱을 다운 받아 설치한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로그인부가 활성화되는 로그인 단계(S210)를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성별, 나이, 연락처, 주소와 같은 개인의 고유 정보를, 제품(RP) 구매 시 구매자 서버(200)에 기 제공한 자이거나, 상기 고유 정보를 인증 서버(100)에 제공한 회원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시 회원 또는 비 회원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은 누구나 사용 가능한 오픈형 혹은 개방형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 인증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특정 제품(RP)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특정 제품(RP)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T)를 태깅할 때, 상기 인식 태그(T)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인식 태그(T)로부터 상기 특정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통신부가 활성화되는 통신 연결 단계(S220)를 실행시킬 수 있다.
통신 연결 단계(S220)에서는 사용자가 리더(R)로 인식 태그(T)를 태깅하는 동작을 할 때, 예를 들어, 통신 모듈로부터 RF 신호를 인식 태그(T)로 송출하여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인식 태그(T)는 수신되는 RF 신호에 기반하여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제품(RP)에 대한 식별 정보를 다시 통신 모듈 측으로 RF 신호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식 태그(T)는 RF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시키기 위한 난수(random number)를 새로이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통신 모듈 측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식 태그(T)는, 상기 암호키가 계속 재 생성되도록, 상기 새로이 생성되는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키를 리프레시(refresh)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은 이와 같이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식별 정보가 복호화되도록, 복호화부가 활성화되는 복호화 단계를 더 실행시킬 수 있다.
하지만, 암호화된 식별 정보는 인증 서버(100)에서 복호화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복호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인증 프로그램은 암호화된 식별 정보가 복호화되어 인증 서버(100)에 전송되도록 실행되거나, 암호화된 식별 정보가 그대로 인증 서버(100)에 전송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정보 및 특정 제품(RP)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품(RP)의 진품 여부를 인증한 인증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인증 결과 출력부가 활성화되는 인증 결과 출력 단계(S230)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예를 들어, 고가의 명품 가방, 옷, 골프채, 신발 등 대한 진품 여부를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간단한 태깅 동작만으로, 제품(RP)에 대한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고가의 명품 가방, 옷, 골프채, 신발 등과 같은 제품(RP)이 인증 서버(100)에 의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 서버(100)에 의해, 상기 진품 인증된 제품(RP)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VP)이 메타버스(M) 환경에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인증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메타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300)는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RP)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M)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버(300)는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RP)인 선글라스, 자켓 및 신발에 대한 가상 제품(VP)인 가상 선글라스, 가상 자켓 및 가상 신발을, 메타버스(M) 환경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A)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A)에 착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하고 진품 인증된 선글라스, 자켓 및 신발을 가상 공간인 메타버스(M)에서도 다른 사용자들에게 자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명품 가방, 옷, 골프채, 신발 등과 같은 제품(RP)이 인증 서버(100)에 의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 서버(100)에 의해, 상기 진품 인증된 제품(RP)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인증 프로그램은, NFT 블록체인 서버(400)에 상기 특정 제품(RP)에 대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제품(RP)에 대한 NFT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상기 NFT 블록체인 서버(400)와 통신 연결되는 NFT 생성 요청부가 활성화되는 NFT 생성 요청 단계를 더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리더(R)는 예컨대, 스마트 폰일 수 있고, 인증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 저장될 수 있고, 앱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의 단계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은 인식 태그(T)와 통신 연결 가능한 어떠한 전자기기에도 적용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은 스마트 폰에 적용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프로그램의 각 단계는, 실행시킬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을 다운 받아 설치한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로그인부가 실행되는 로그인 단계; 상기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할 때, 상기 인식 태그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인식 태그로부터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통신부가 실행되는 통신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제품의 진품 여부를 인증한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인증 결과 출력부가 실행되는 인증 결과 출력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되,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특정 제품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하지는 않았으나,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각 단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인증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120; 진품 인증 모듈
130; 인증 결과 제공 모듈
140; 중복 테스트 모듈
150; NFT 생성 모듈
160; 복호화 모듈
200; 판매자 서버
300; 메타버스 서버
310; 정보 진위 판별 모듈
320; 가상 제품 생성 모듈
RP; 제품
VP; 가상 제품
T; 인식 태그
R; 리더
M; 메타버스
A; 아바타

Claims (16)

  1.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한 리더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는 진품 인증 모듈; 및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결과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인증 서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태그는 상기 리더의 태깅에 따른 RF 신호의 수신 시 마다,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시키기 위한 난수를 새로이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되, 상기 암호키가 계속 재 생성되도록, 상기 새로이 생성되는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키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인증 서버.
  3. 제2 항에 있어서,
    복호화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호화 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복호화하는, 인증 서버.
  4. 제1 항에 있어서,
    중복 테스트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복 테스트 모듈은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의 존재 여부를 테스트하는, 인증 서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테스트 모듈은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 서버에 제공하는, 인증 서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생성 정보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가 생성되도록, NFT 블록체인 서버로 제공되는, 인증 서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NFT 생성 정보는 상기 특정 제품의 고유값, 아이디, 연식 및 모델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태그는 QR 코드, 13.56 MHz 대역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125kHz, 134kHz, 433.92MHz, 860 내지 960MHz 및 2.45GHz 대역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증 서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이 의류인 경우, 상기 인식 태그는 단추에 마련되고,
    상기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이 골프채인 경우, 상기 인식 태그는 골프채의 손잡이 또는 골프채의 샤프트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이 가방인 경우, 상기 인식 태그는 가방 내측, 가방 손잡이 및 가방 지퍼 중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상기 진품 여부 인증에 필요한 제품이 신발인 경우, 상기 인식 태그는 신발 내측에 마련되는, 인증 서버.
  10.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한 리더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별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로부터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를 제공 받은 메타버스 서버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에 제공된 가상 제품 생성키와 동일한 가상 제품 생성키가 존재하는지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증 방법.
  12. 제1 항에 따른 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을 다운 받아 설치한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로그인부가 실행되는 로그인 단계;
    상기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대한 진품 인증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특정 제품에 마련되어 있는 인식 태그를 태깅할 때, 상기 인식 태그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인식 태그로부터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통신부가 실행되는 통신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제품의 진품 여부를 인증한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인증 결과 출력부가 실행되는 인증 결과 출력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되,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특정 제품이 진품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진품 인증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제품을 메타버스 환경에 생성시키기 위한 가상 제품 생성키 또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지털 자산화하기 위한 NFT를 생성하기 위한 NFT 생성 정보가 제공되는, 인증 프로그램.
  13. 제12 항에 있어서,
    NFT 블록체인 서버에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 생성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상기 NFT 블록체인 서버와 통신 연결되는 NFT 생성 요청부가 실행되는 NFT 생성 요청 단계를 더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
  14.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이 요청된 경우,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 및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은, 상기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의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 생성을 허용하는 가상 제품 생성키를, 상기 오프라인에서 구매된 정품 제품을 태깅한 리더 또는 상기 리더와 상기 가상 제품 생성키 생성과 관련하여 통신한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메타버스 서버.
  15.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NFT가 생성되어 있는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이 요청된 경우,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 및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NFT가 생성되어 있는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은,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NFT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NFT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인증 받는, 메타버스 서버.
  16.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이 요청된 경우,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진위 판별 모듈; 및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해 온라인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제품을 생성하는 가상 제품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 진위 판별 모듈은, 연동되어 있는 판매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상기 특정 제품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메타버스 서버.
KR1020210167985A 2021-11-30 2021-11-30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KR20230080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985A KR20230080632A (ko) 2021-11-30 2021-11-30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PCT/KR2022/017820 WO2023101258A1 (ko) 2021-11-30 2022-11-14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985A KR20230080632A (ko) 2021-11-30 2021-11-30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632A true KR20230080632A (ko) 2023-06-07

Family

ID=8661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985A KR20230080632A (ko) 2021-11-30 2021-11-30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0632A (ko)
WO (1) WO20231012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9375B2 (ja) * 2008-03-07 2013-03-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メタバース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の真贋判断システム、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505726B1 (en) * 2018-12-07 2019-12-10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ryptographically secured digital assets
KR20200113602A (ko) * 2019-03-26 2020-10-07 권형석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0201A (ko) * 2019-11-18 2021-05-26 나영혜 블록체인 기반의 진품 여부 확인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98045B1 (ko) * 2020-11-30 2021-09-03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보안 태그, 인증 서버 및 인증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258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8653A1 (en) Authentication of products
US10412071B2 (en) Secure transaction systems and methods
US7949609B2 (en) System for secure online selling, buying and bill pay in an electronic commerce setting
US1134815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pparel that provides embedded verification of a transferrable non-fungible token
CN104899775A (zh) 一种产品的防伪方法及产品的防伪查验方法及一种防伪包装
US20180047032A1 (en) Merchandise anti-counterfeiting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th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US20180032759A1 (en) Open registry for human identification
KR101812638B1 (ko) 보안 장치를 이용한 정품 인증 모듈, 서비스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0786A (ko) 인터넷 비지니스 보안 시스템
CN102165474A (zh) 用于具有多个组件的物体的验证的设备、系统和方法
KR101839348B1 (ko) 개인키 기반의 위조품 발견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05894303A (zh) 一种产品的防伪方法及产品的防伪查验方法及一种防伪包装
WO2017116303A1 (en) Secure dual-mode anti-counterfeit product authentication methodology and system
CN105894304A (zh) 一种产品防伪方法
WO2018018175A1 (zh) 物品的防伪验证装置及方法
CN107276976A (zh) 验证产品的真实性的认证方法和系统
US20220156753A1 (en) End-to-End Product Authentication Technique
CN104182866A (zh) 适合于转手贸易等情况的产品或物品的防伪的系统及方法
KR20180030001A (ko) 개인키 기반의 위조품 발견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08985431B (zh) 一种防伪标签及其检测鉴定注册商标的商品真品的方法
US20170200154A1 (en) Method for protecting the resale of an object provided with an nfc tag
CN107483427B (zh) 一种基于Ntag21X系列芯片的自增强型防伪方法
CN105991607B (zh) 一种网络访问方法和装置
KR20230080632A (ko)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KR102298045B1 (ko) 보안 태그, 인증 서버 및 인증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