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104A - 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104A
KR20230075104A KR1020210161368A KR20210161368A KR20230075104A KR 20230075104 A KR20230075104 A KR 20230075104A KR 1020210161368 A KR1020210161368 A KR 1020210161368A KR 20210161368 A KR20210161368 A KR 20210161368A KR 20230075104 A KR20230075104 A KR 20230075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idth
point
diamet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광인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인사 filed Critical (주)광인사
Priority to KR102021016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104A/en
Publication of KR2023007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1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ecure printing method and a printout by the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with more than one print status grade when copying, wherein the secure printing method may comprise: when viewing points or lines that appear on a printed printout with a naked eye, defining the minimum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that is copied as 100% where the point or line copied looks exactly the same as the point or line to the naked eye and defining the maximum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that cannot be copied at all as 0%; and setting the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to have one or more steps, wherein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point or line ranges from 100% to 0%, thereby enabling printing that has all of: a diameter or width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point or line at 0%; a diameter or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point or line at 100%; and a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corresponding to more than one step in between.

Description

보안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한 보안 인쇄물{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물 및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서보안 등의 분야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복사시 복사 방지 표시를 구현할 수 있는 보안용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d matter and a prin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inted matter for security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document security and the like, and can implement a copy protection mark during copying, and a printing method thereof.

기업간의 경쟁이나 국가간의 안보와 관련하여 중요한 사항들에 대한 비밀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이런 기밀사항들은 사진이나 문서, 근래에는 전자파일 형태로 유출될 위험이 커서 이에 대한 대응책이 요청된다.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o keep and protect the confidentiality of important matters related to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and security between countries. There is a high risk of leakage of such confidenti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photos, documents, or electronic files in recent years, so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전통적으로 기밀 사항에 대한 매우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문서는 기밀 등급을 분류하여 비표시를 하고, 과거에는 출입자를 일일이 몸수색을 하거나 소지물을 뒤져 검색하기도 하고, 근래에는 도서관에서 흔히 하는 것과 같이 전자 감응 물질로 처리하며, 이를 보관하는 일정 구역의 입출구에 이런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감지기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Traditionally, documents that can convey a lot of information about confidential matters are classified into confidentiality levels and not marked. In many cases, it is treated with a sensitive material, and leakage to the outside is prevented by installing a 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such a material at the entrance and exit of a certain area where it is stored.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개인용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어 유출하거나, 복사기나 스캐너로 원본이 아닌 복사물 형태로 유출하면 이를 회피할 수 있어서 문제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런 문제가 되는 행위를 복사, 결과물을 복사물, 사용된 기기를 복사기라고 주로 통칭을 사용하여 표현하면서 넓은 의미로 단순화하여 표현하기로 한다.However, recently, taking a picture using a personal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leaking it, or leaking it in the form of a copy rather than the original using a photocopier or scanner is a problem because it can be avoided. In the following, the problematic behavior will be expressed in a broad sense by simplifying and expressing the act of copying, the result being a copy, and the used device being commonly referred to as a copier.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복사기나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복사를 할 경우 복사물에 비밀문건임이 나타나도록 하여 이를 반출할 때 검색을 통해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거나, 이런 문서를 유통하기 어렵게 하거나, 아예 복사물에 내용이 나타나지 않아 복사 자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but when copying using a copier or scanner, the secret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copy so that it can be easily checked through search when it is taken out, or it is difficult to distribute such a document. Or, there was a case where the contents did not appear on the copy at all, so that the copy itself was not made.

이런 경우는 대개 육안으로 대상을 인식하는 것과 카메라나 복사기, 스캐너에 사용되는 전자적 광학적 시각 데이터 감지 및 처리 수단이 대상을 다르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This case is usually possible because the object is recognized differently by the naked eye and the electronic and optical visual data detection and processing means used in cameras, copiers, and scanners can recognize the object differently.

즉, 복사나 스캐너의 스캔에서 기계가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점이나 선보다 작은 점이나 선을 이용하면 망점 구성을 통해 육안으로는 보이고, 복사 등에서는 보이지 않는 형태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문서 원본을 복사 방지 혹은 복사 표시 용지로 만들면 복사본은 문서에 복사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by using dots or lines smaller than the minimum size that can be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by a machine in copying or scanning by a scanner, it is possible to create a shape that is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invisible to copying through the halftone dot configuration. In addition, if the original document is made of copy protection or copy indication paper using this principle, the copy can be marked for copy on the document.

복사 표시와 같은 이런 수단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일단 인쇄물을 인쇄를 통해 만들 때 특정한 인쇄 수법을 통해 앞서 언급하듯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복사를 할 경우 복사물에 비밀문건임이 나타나도록 하거나, 복사물에 원본 내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order for this means, such as copy marking, to be possible, once a printed matter is made through printing, through a specific printing method, as mentioned above, i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but when copying,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py appear confidential, or the copy contains the origin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prevent it from appearing.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0014169호에는 바탕부와 문자부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인쇄물 혹은 인쇄구조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육안으로 볼 때는 바탕부와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바탕부와 비교하여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색조합을 이용하여 이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20-0014169 discloses a print or printing structure composed of a background portion and a text portion to prevent forgery. Here,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it is recogniz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background part and the text part, and when recognized by scanning means including copying and shooting, the text part is recognized brighter than the background part to prevent forgery. to perform the function.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9175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1756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48599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48599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0014169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20-0014169

그런데, 기존의 이러한 복사 방지 기법들에 따르면 복사에 의해 드러나는 표시가 문자부와 바탕부의 단순 구분에 의해 단순히 'COPY' 등으로 단순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다른 기호, 문자로 나타내더라도 단순히 복사물인지 아닌지만 단순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 그치고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se existing copy protection techniques, in many cases, the mark revealed by copying is simply displayed as 'COPY' by simply distinguishing the character part and the background part, and even if it is expressed with other symbols or characters, it is simply Whether it is a copy or not is limited to the case of making it simple to determine.

그러나 비표시도 등급이나 유형이 있듯이 복사 방지를 위해 복사물에 나타나도록 한 표시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하고, 그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런 다양한 표현을 위해 복사후 나타나는 복사물에서 단순히 종래와 같이 문자부와 바탕부로 나뉘어지는 표현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보다 다양한 표현의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However, as there are levels or types of non-marking, it may be necessary to express the markings that appear on copies to prevent copying in various ways as needed, and respond appropriately accordingly. For these various expressions, it would be desirable if there was a technology that enables more diverse expression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expression simply divided into a character part and a background part as in the prior art in the copy appearing after copying.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복사방해기법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명암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즉, 복사방해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복사시 복사기가 읽어내는 정도의 차이를 통해서 명암 그레이드(grade)을 나타내고 그 명암 그레이드를 통해서 복사 전에는 보이지 않던 문자, 도형, 기호나 기타 특정 모양을 명암 차이가 있는 그림이나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런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인쇄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basic principle of the radiation-jamming technique to realize contrast that is not implemented in the existing radiation-jamming technique, but shows the contrast grade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ading by the copier when copy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xpressing characters, figures, symbols, or other specific shapes that were not visible before copying through the contrast grade as a picture or shape with a difference in contrast, and a printed product made by such a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안 인쇄방법은,The security pri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육안으로 볼 때 인쇄에 의해 인쇄물에 나타나는 점이나 선 가운데 복사할 때 육안으로 볼 때와 완전히 같아 보이도록 복사가 되는 것을 점이나 선의 최소 직경 혹은 너비(선폭)를 100%라고 하고, 복사가 전혀 안되는 점이나 선의 최대 직경 혹은 너비를 0%라고 하면, 100%와 0% 사이에 점이나 선의 직경 혹은 너비를 하나 이상의 단계를 가지도록 정하여, 0%에서의 점이나 선의 직경 혹은 너비 이하의 직경 혹은 너비와, 100%에서의 점이나 선의 직경 혹은 너비 이상의 직경 혹은 너비와, 그 중간의 하나 이상 단계에 해당하는 점이나 선의 직경 혹은 너비를 모두 가지도록 인쇄를 하여 인쇄물을 만듦으로써 복사시 기존의 인쇄상태, 가령 검은색, 및 비인쇄상태, 가령 흰색으로 표현되는 바탕부와 문자부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인쇄상태 그레이드를 가진, 가령 명암 그레이드를 가지도록 (보다 구체적 예로 하나 이상의 명도 그레이드를 가지는 회색 그레이드 구역을 더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copying in the middle of a point or line that appears on a printout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the minimum diameter or width (line width) of a point or line that is copied so that it looks exactly the same as when seen with the naked eye is 100%, and the copying is not possible at all. Assuming that the maximum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is 0%,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point or line is determined in one or more steps between 100% and 0%, and the diameter or width less than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point or line at 0% Existing printing conditions at the time of copying by printing to have both a diameter or width greater than the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at 100% and a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steps in the middle , For example, to have one or more printing status grades, such as a contrast grade, in addition to the background and text expressed in black and non-printing conditions, such as white (more specifically, a gray grade area having one or more brightness grade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more.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표현하면, 본 발명의 보안 인쇄방법은 Expressed in more detail, the security pri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육안으로 볼 때 인쇄에 의해 인쇄물에 나타나는 점이나 선 가운데 복사할 때 육안으로 볼 때와 완전히 같아 보이도록 복사가 되는 것을 점이나 선의 최소 직경 혹은 너비를 100%라고 하고, 복사가 전혀 안되는 점이나 선의 최대 직경 혹은 너비를 0%라고 하면, 100% 및 0%에 해당하는 점의 크기나 선폭을 각각 확인하고 결정하는 단계,When copying in the middle of a point or line that appears on a printout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the minimum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that is copied so that it looks exactly the same as when seen with the naked eye is 100%, and the point or line that cannot be copied at all is called 100%. If the maximum diameter or width is 0%, checking and determining the size or line width of the dots corresponding to 100% and 0%, respectively;

100% 및 0%에 해당하는 점의 크기나 선폭 사이의 점 크기나 선폭을 하나 이상의 단계를 가지도록 정하는 단계,Determining the dot size or line width between 100% and 0% in one or more steps;

인쇄 대상의 어느 위치 혹은 어느 구역이 어느 인쇄상태 단계 혹은 등급을 가지도록 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which position or area of the print target is to have which printing state level or grade;

결정된 단계에 따라 인쇄 대상의 위치별 혹은 구역별로 해당 점의 크기 혹은 해당 선폭을 가진 점이나 선으로 인쇄를 실시하여 인쇄물을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p, printing may be performed with dots or lines having a corresponding dot size or a corresponding line width for each location or region of the printing target to produce a printed produ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안 인쇄물은, The security pri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육안으로 볼 때 인쇄에 의해 인쇄물에 나타나는 점이나 선 가운데 복사후 육안으로 볼 때와 완전히 같아 보이도록 복사가 되는 것(복사시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을 점이나 선의 최소 직경 혹은 너비를 100%라고 하고, 복사가 전혀 안되는 것(복사시 흰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을 점이나 선의 최대 직경 혹은 너비를 0%라고 하고, 100%와 0% 사이의 직경이나 너비를 하나 이상의 단계를 가지도록 정할 때, 0%에 해당하는 직경 혹은 너비 이하의 점이나 선, 100%에 해당하는 직경 혹은 너비 이상의 점이나 선, 0%와 100%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계에 해당하는 직경 혹은 너비 이하의 점이나 선을 모두 가져, 복사시 인쇄상태로 표현되는 부분과 완전 비인쇄 상태로 표현되는 부분 외에 이들 두 상태 사이의 인쇄상태 그레이드를 가진, 가령 명암 그레이드를 가진 회색으로 표현되는 부분을 하나 이상 더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middle of the dots or lines that appear on the printout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after copying, the minimum diameter or width of the dot or line is 100%. , and the maximum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is 0% for a thing that cannot be copied at all (the part that is displayed in white during copying), and the diameter or width between 100% and 0% is set to have one or more steps , points or lines less than or equal to 0% diameter or width, points or line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diameter or width, points or lines less than or equal to diameter or width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 steps between 0% and 100% With all the lines, in addition to the part expressed in the printed state at the time of copying and the part expressed in the completely non-printed state, with a printing state grade between these two states, for example, to have one or more parts expressed in gray with a contrast grade characterized by being mad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보안 인쇄물은, 육안으로 볼 때 인쇄에 의해 인쇄물에 나타나는 점이나 선 가운데 복사할 때 육안으로 볼 때와 완전히 같아 보이도록 복사가 되는 점이나 선의 최소 직경 혹은 너비를 100% 인쇄상태라고 하고, 복사가 전혀 안되는 점이나 선의 최대 직경 혹은 너비를 0% 인쇄상태라고 하고, 100% 인쇄상태와 0% 인쇄상태 사이의 인쇄상태에 해당하는 인쇄상태의 단계를 하나 이상 이룰 수 있는 크기의 점이나 선폭의 선을 정할 때, 인쇄물 내에 100% 이하 0% 이상의 서로 다른 인쇄상태 혹은 단계가 적어도 3개 포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security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ints 100% of the minimum diameter or width of the point or line to be copied so that it looks exactly the same as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when copied in the middle of the point or line appearing on the printout by printing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The maximum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that cannot be copied at all is called the 0% printing state, and the size that can achieve one or more stages of the printing state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state between the 100% printing state and the 0% printing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ree different printing states or steps of 100% or less and 0% or more are included in the printed matter when determining the dot or line width of the line.

즉, 본 발명 인쇄물에는 복사시 서로 다른 인쇄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서로 다른 인쇄상태가 3가지 이상이 포함되도록 만들어지고, 가장 간단한 예로서, 인쇄상태 100%에 해당하는 망점 크기 이하 인쇄상태 0%에 해당하는 망점 크기 이상의 서로 다른 3가지 이상 종류의 망점 크기를 가진 인쇄물을 들 수 있다. That is,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include three or more different printing conditions that make it look different when copying. Prints having three or more different types of dot siz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rresponding dot size may be mentioned.

본 발명에서 점은 실제로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원형, 다각형, 별모양 기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점은 원형, 다각형, 별모양을 포함하여 면적을 측정할 수 있는 폐곡선 2차원 도형 가운데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직경이나 너비는 이 점의 크기를 특징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이며, 실제 점의 형태에 따라 그 길이를 측정하는 규칙을 달리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원의 경우 직경이나 반경으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나 대각선의 길이로, 오각형의 경우 한 각과 그에 대응하는 변의 중점 사이의 거리로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 actually has an area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polygon, a star shape, and the like. That is, the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one or a combination of closed curve two-dimensional figures including circles, polygons, and star shapes that can measure areas. Here, the diameter or width means an arbitrary length that can characterize the size of the dot,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different rules for measur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ctual do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ircl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diameter or radius, by the length of a side or diagonal of a square, and by the distance between an angle and the midpoint of the corresponding side in the case of a pentagon.

본 발명에서 선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선뿐 아니라 곡선도 가능하고, 선과 선 사이의 간격도 일정하여 두 선이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nes have a certain width, that not only straight lines but also curved lines are possible, an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s is also constant so that the two lines run in parallel.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복사방해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되 복사시 복사기가 읽어내는 정도의 차이를 통해서 명암 그레이드(grade)을 나타내고 그 명암 그레이드를 통해서 복사 전에는 보이지 않던 문자, 도형, 기호나 기타 특정 모양을 명암 차이가 있는 그림이나 모양으로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existing copy-jamming technique is used, but the contrast grade is expressed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ading by the copier during copying, and through the contrast grade, characters, figures, symbols or other specific characters that were not visible before copying are used. The shape can be expressed as a picture or shape with contrast.

따라서, 복사방지 표시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여, 대상물의 복사 방지 등급을 나타내는 등 복사방지 대상물의 구분에도 사용할 수 있고, 그 구분에 맞는 대처를 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by implementing the copy protection mark in various forms, it can be used for classifying copy-protected objects, such as indicating the copy-protection level of the object, and can be dealt with appropriately for the classification.

한편, 복사 방지 문양은 역으로 발상하면 원본 문서가 진본인지를 판단하는 기준, 근거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가령, 원본 문서의 복사 방지 문양이나 형태가 단순하다면 그런 용지와 그런 용지를 이용한 문서를 쉽게 만들고, 이를 원본 문서 유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원 발명과 같이 복사나 스캔을 통해 보이는 복사 방지 문양을 명도 그레이드를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로 만들면 원본의 진위 여부 파악을 위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conversely, the anti-copying pattern can be a criterion or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an original document is authentic. In this case, for example, if the copy prevention pattern or shape of the original document is si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such paper and a document using such paper and use it to leak the original document, and copying or scanning visible through copying or scanning like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revention pattern is made in a complex form using the brightness grade, it will be possible to use it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original.

도1은 원 망점 구성에 따라 6개로 세분된 복사 대상물에서의 세분된 원 망점 구성을 서로 비교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2는 도1의 확대도와 같은 망점을 가지는 6개로 세분된 대상물을 육안으로 본 명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비교도,
도3은 도1의 확대도와 같은 망점을 가지는 6개로 세분된 대상물을 복사한 후의 복사물을 육안으로 본 명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비교도,
도4는 정사각형 망점 구성에 따라 6개로 세분된 복사 대상물에서의 세분된 정사각형 망점 구성을 서로 비교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5는 도4의 확대도와 같은 망점을 가지는 6개로 세분된 대상물을 육안으로 본 명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비교도,
도6은 도4의 확대도와 같은 망점을 가지는 6개로 세분된 대상물을 복사한 후의 복사물을 육안으로 본 명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비교도,
도7은 서로 같은 단위면적당 인쇄면적의 비율을 가지되 집속 정도를 달리하는 5가지 유형의 복사 대상물에서의 선형 망점 구성을 서로 비교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8은 본 발명을 이용한 대상물의 복사물이 명도를 서로 달리하는 3개 이상 영역들을 가지고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subdivided circular halftone dot configurations in a copy object subdivided into six according to circular halftone dot configurations compared with each other;
Figure 2 is a comparison diagram showing the brightness of objects divided into 6 pieces having the same halftone dots as the enlarged view of Figure 1 with the naked eye;
Figure 3 is a comparison diagram showing the brightness of the copy after copying the object subdivided into six pieces having the same halftone dots as the enlarged view of Figure 1, compared with the naked ey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subdivided square dot configurations in a copy object subdivided into six according to the square dot configuration by comparison with each other;
Figure 5 is a comparison diagram showing the brightness of objects divided into 6 pieces having the same halftone dots as the enlarged view of Figure 4 with the naked eye;
Figure 6 is a comparison diagram showing the brightness of the copy after copying the object subdivided into six pieces having the same halftone dots as the enlarged view of Figure 4, compared with the naked eye;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linear dots in five types of copy objects having the same ratio of printing area per unit area but different convergence degrees, compared with each other;
8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at a copy of an objec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ress various expressions with three or more areas having different brightness.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설명을 용이하기 위한 전제로서, 복사방해기법으로 복사가 전혀 안되는 0%에 해당하는 크기, 선폭과 육안으로 볼 때와 차이없이 완전히 복사가 되는 100%에 해당하는 크기 사이에 최소 1단계부터 원하는 단계까지 세분할 수 있다.First, as a premise for ease of explanation, at least one step is desired between the size corresponding to 0%, which is not copied at all by the radiation interference technique, and the size corresponding to 100%, which is completely copied without any difference from the line width and the naked eye. It can be subdivided into stages.

이하 편의상 발명의 설명에서는 그 세분화를 0%인 경우와 100%인 경우를 포함하여 6개의 단계로 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 더 세분하게 만들 수 있고 세분화가 될수록 명암은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지만, 그런 경우, 세분화로 인한 작업 시간과 비용도 비례하게 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subdivision will be described in six stages, including the case of 0% and the case of 100%. Of course, in some cases, it can be further subdivided, and the contrast can look softer and more natural as the subdivision is made, but in that case, the work time and cost due to subdivision will be proportionate.

또한, 각 구분에 있어서 각 단계의 모든 점이나 선은 크기 혹은 선폭이 다르지만 단위면적당 포함되는 점의 면적의 총합이나 선의 면적의 총합은 개별 점과 선의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것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each division, all points or lines in each step have different sizes or line widths, but the total area of points or the total area of lines included per unit area is set to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size of individual points and lines.

그리고, 복사가 가능하게 되는 점, 선의 크기가 기준점이 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기준이 되는 단위면적을 편의상 1 mm2 이라고 정한다. Then, it is assumed that the point at which copying is possible and the size of the line become the reference point. First, for convenience, the standard unit area is defined as 1 mm 2 .

복사가 완전히 되는 점 하나의 면적이 0.1 mm2 이라고 하고 복사가 전혀 안되는 점의 면적이 0.01 mm2 이라고 하더라도, 복사가 되는 점들의 면적의 총합과 복사가 안되는 점들의 면적의 총합이 동일하면 육안으로 동일한 명도 수준, 농도의 원본 지면을 이루게 된다. 단위면적에 얼마나 많은 점을 넣을지는 바탕색의 농도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같은 크기의 복수의 점들은 통상 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하기로 한다.Even if the area of one point where copying is complete is 0.1 mm 2 and the area of the point where no copying is made is 0.01 mm 2 , if the total area of radiating points and the total area of non-copying points are the same, it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It achieves the original surface of the same brightness level and density. How many points to put in a unit area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the background color. In addition, here,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same size are normally considered to be equally distributed.

예를 들어 단위면적안에 복사가 되는 0.1 mm2 면적의 점 하나만 넣는다고 하면 그 면적의 합은 0.1 mm2 이 되고, 0.01 mm2 면적의 점을 사용하는 경우, 육안으로 같은 바탕색 농도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점 면적의 총합이 같도록 그 숫자를 10개로 하면 된다. (참조식: 0.01 mm2 x 10 = 0.1 mm2). 이후 이들 크기가 다른 두 점 사이에서 각 단계의 점의 크기를 세분화하고, 이를 통해 만들어지는 점들의 면적의 합은 항상 0.1 mm2 이 되도록 한다. 만약 중간 점 하나의 면적이 0.05 mm2 이면 이 점은 정해진 면적 1 mm2 안에 2개꼴로 (2 x 0.05 mm2 = 0.1 mm2) 들어가도록 한다. For example, if a single point with an area of 0.1 mm 2 that is copied is inserted into a unit area, the sum of the areas is 0.1 mm 2 . Set the number to 10 so that the sum of the areas of the same points is the same. (Reference formula: 0.01 mm 2 x 10 = 0.1 mm 2 ). Then, the size of the dots at each stage is subdivided between the two dots of different sizes, and the sum of the areas of the dots created through this is always 0.1 mm 2 . If the area of one midpoint is 0.05 mm 2 , this point must be placed in 2 units (2 x 0.05 mm 2 = 0.1 mm 2 ) within the designated area of 1 mm 2 .

한편, 점은 원형의 전형적인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서 점, 선과, 다각형과 같은 면적을 산정할 수 있는 폐곡선 형태의 2차원 도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선이든 2차원 도형이든 복사가 육안으로 볼 때와 같이 완전히 되고, 복사가 완전히 안되는 일정 기준(폭이나 한 편의 길이, 혹은 직경 등)에서의 크기를 확인하고 그 상한과 하한 사이의, 일정 기준에서의 크기 범위를 세분화 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ot need not be limited to a circular typical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two-dimensional figure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capable of calculating an area such as a point, a line, and a polygon can be used. Whether it is a line or a two-dimensional figure, copy is complete as seen with the naked eye, check the size at a certain standard (width, length of one side, or diameter, etc.) subdivide the size range of .

(실시예 1)(Example 1)

하나의 예시로서, 먼저 원 망점 구성에 따라 6개로 세분된 복사 대상물에서의 세분된 원 망점 구성은 다음의 표1과 같이 정리될 수 있으며, 이때 원 망점의 구성은 도1의 확대도와 같이 상호 비교하여 도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복사기(스캐너 등 포함하는 넓은 개념)에서 복사후 사라지는 망점의 크기는 지름 0.05 mm 이하의 점이고, 복사후 완전히 재현되는 망점의 크기는 지름 0.10 mm 이상의 점이라고 한다. As an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original halftone dots in the copy object subdivided into six according to the original halftone configuration can be organiz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wherein the configuration of the halftone dots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so that it can be shown. Here, the size of dots that disappear after copying in a copier (a broad concept including scanners) is a dot with a diameter of 0.05 mm or less, and the size of a dot that is completely reproduced after copying is said to be a dot with a diameter of 0.10 mm or more.

항목item 단위unit 크기 수치size figure 지름길이a shortcut mmmm 0.100.10 0.090.09 0.080.08 0.070.07 0.060.06 0.050.05 망점중심간 거리 Distance between dot centers mmmm 1.001.00 0.900.90 0.800.80 0.700.70 0.600.60 0.500.50 망점 면적 (단일)Dot area (single) mm2 mm 2 0.00790.0079 0.00640.0064 0.00500.0050 0.00380.0038 0.00280.0028 0.00200.0020 단위면적당 망점개수The number of dots per unit area dog 1.00001.0000 1.23461.2346 1.56251.5625 2.04082.0408 2.77782.7778 4.00004.0000 단위면적당 망점면적Dot area per unit area mm2 mm 2 0.00790.0079 0.00790.0079 0.00790.0079 0.00790.0079 0.00790.0079 0.00790.0079 단위면적당 면적비율Area ratio per unit area %% 8.72668.7266 8.72668.7266 8.72668.7266 8.72668.7266 8.72668.7266 8.72668.7266 복사후 망점 재현율Dot reproducibility after copying %% 100100 8080 6060 4040 2020 00

위 표의 크기 수치 란의 첫째 칸, 첫째 줄의 0.10은 지름 길이가 0.10mm라는 것이고, 첫째 칸, 둘째 줄의 1.00mm은 대상물에 있는 망점들에서 망점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첫째 칸, 세째 줄의 0.0079mm2은 망점 면적으로, 단일 망점의 면적은 단일 망점의 직경의 절반의 제곱에 원주율을 곱한 수치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첫째 칸, 네째 줄은 단위 면적 1mm2 당의 망점의 갯수를, 첫째 칸 다섯째 줄의 단위 면적당 망점 면적은 그 단위 면적 내의 개별 망점 면적과 단위 면적당 갯수를 곱한 값을, 첫째 칸 여섯째 줄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은 단위 면적 1mm2 에 대한 단위 면적당 망점 면적의 비율(%)을, 첫째 칸 일곱째 줄의 복사후 망점 재현율은 실제로 복사한 후의 일정 기준에 의해 측정된 수치로, 가령 육안으로 본 명도 대비 복수 후의 명도 수치로 정할 수 있다. 0.10 in the first column and the first row of the size numerical column in the table above means the diameter length is 0.10mm, and 1.00mm in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row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dots in the object and the center of the dot. 0.0079mm 2 of a string is the dot area. The area of a single dot is the square of half the diameter of a single dot multiplied by the circumferential rate. In the same way, the first column and the fourth row represent the number of dot per unit area of 1mm 2 , the dot area per unit area of the first column and fifth row is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individual dot area within the unit area by the number per unit area, and the sixth row of the first column The area ratio per unit area of is the ratio (%) of the dot area per unit area for the unit area of 1 mm 2 , and the dot recall after copying in the 7th line of the first column is a value measured by a certain standard after actually copying, for example, It can be set as a numerical value of the brightness after a plurality of values compared to the brightness.

다른 칸에 대한 수치는 망점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분된 대상들에 대한 것으로, 첫째 칸에 대한 수치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되거나 계산된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Numerical values for the other cells are for objects with different dot diameters, and are measured or calculated in the same way as the values for the first column, so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2 및 도3은 각각 도1의 확대도와 같은 망점을 가지는 대상물(망점이 인쇄된 원본 용지)을 육안으로 본 명도와 복사한 후의 복사물을 육안으로 본 명도를 나타낸다. 단, 도면 상의 6개 대상물에 대한 순서는 도1 내지 도3에서 동일한 순서이다.2 and 3 show the visual brightness of an object having halftone dots (original paper on which halftone dots are print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visual brightness of the copy after copying,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 . However, the order of the six objects on the drawing is the same in Figs. 1 to 3.

표1에서 보듯이 단위 면적당 인쇄된 망점의 총 면적이 동일하므로 육안으로는 도2와 같이 같은 명도로 보임에도 불구하고, 복사 후의 명도는 도3과 같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 등급(grade)에 해당하는 대상물 위치, 영역을 어떤 망점 구성을 적용해야 복사 후 원하는 화상이 표현될 수 있을 지를 미리 정하고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Table 1, since the total area of halftone dots printed per unit area is the same, the brightness after copying shows different aspects as shown in FIG. It will be possible to decide and plan in advance which halftone dot configur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position and area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grade so that the desired image can be expressed after copying.

(실시예 2)(Example 2)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정사각형 망점 구성에 따라 6개로 세분된 복사 대상물에서의 세분된 정사각형 망점 구성은 다음의 표2와 같이 정리될 수 있으며, 이때 정사각형 망점의 구성은 도4의 확대도와 같이 상호 비교하여 도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복사기(스캐너 등 포함하는 넓은 개념)에서 복사후 사라지는 망점의 크기는 지름 0.05 mm 이하의 점이고, 복사후 완전히 재현되는 망점의 크기는 지름 0.10 mm 이상의 점이라고 한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subdivided square dots in the copying object subdivided into six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quare dots can be arranged as shown in Table 2 below.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square dots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so that it can be shown. Here, the size of dots that disappear after copying in a copier (a broad concept including scanners) is a dot with a diameter of 0.05 mm or less, and the size of a dot that is completely reproduced after copying is said to be a dot with a diameter of 0.10 mm or more.

비교comparison 단위unit 크기 수치size figure 변길이side length mmmm 0.100.10 0.090.09 0.080.08 0.070.07 0.060.06 0.050.05 망점중심간 간격 Spacing between dot centers mmmm 1.001.00 0.900.90 0.800.80 0.700.70 0.600.60 0.500.50 망점 면적 (단일)Dot area (single) mm2 mm 2 0.01000.0100 0.00810.0081 0.00640.0064 0.00490.0049 0.00360.0036 0.00250.0025 단위면적당 망점개수The number of dots per unit area dog 1.00001.0000 1.23461.2346 1.56251.5625 2.04082.0408 2.77782.7778 4.00004.0000 단위면적당 망점면적Dot area per unit area mm2 mm 2 0.01000.0100 0.01000.0100 0.01000.0100 0.01000.0100 0.01000.0100 0.01000.0100 단위면적당 면적비율Area ratio per unit area %% 11.111111.1111 11.111111.1111 11.111111.1111 11.111111.1111 11.111111.1111 11.111111.1111 복사후 망점 재현율Dot reproducibility after copying %% 100100 8080 6060 4040 2020 00

위 표의 크기 수치 란의 첫째 칸, 첫째 줄의 0.10은 정사각형 1 변의 길이가 0.10mm라는 것이고, 첫째 칸, 둘째 줄의 1.00mm은 대상물에 있는 망점들에서 망점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첫째 칸, 세째 줄의 0.0100mm2은 망점 면적으로, 단일 망점의 면적은 단일 망점의 1변의 길이를 제곱한 수치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첫째 칸, 네째 줄은 단위 면적 1mm2 당의 망점의 갯수를, 첫째 칸 다섯째 줄의 단위 면적당 망점 면적은 그 단위 면적 내의 개별 망점 면적과 단위 면적당 갯수를 곱한 값을, 첫째 칸 여섯째 줄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은 단위 면적 1mm2 에 대한 단위 면적당 망점 면적의 비율(%)을, 첫째 칸 일곱째 줄의 복사후 망점 재현율은 실제로 복사한 후의 일정 기준에 의해 측정된 수치로, 가령 육안으로 본 명도 대비 복수 후의 명도 수치로 정할 수 있다. 0.10 in the first column of the size numerical column in the table above means that the length of one side of a square is 0.10mm, and 1.00mm in the first column and second row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dots in the object and the center of the dots. , 0.0100mm 2 in the third row is the dot area, and the area of a single dot is the square of the length of one side of a single dot. In the same way, the first column and the fourth row represent the number of dot per unit area of 1mm 2 , the dot area per unit area of the first column and fifth row is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individual dot area within the unit area by the number per unit area, and the sixth row of the first column The area ratio per unit area of is the ratio (%) of the dot area per unit area for the unit area of 1 mm 2 , and the dot recall after copying in the 7th line of the first column is a value measured by a certain standard after actually copying, for example, It can be set as a numerical value of the brightness after a plurality of values compared to the brightness.

참고로, 엄밀하게는 실시예 1에서의 단위면적당 (망점의) 면적비율과 실시예 1에서의 단위면적당 면적비율이 다르므로 복사후 망점 재현율도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여기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명확한 실험 수치를 반영한 것이 아님을 고려해야 하고, 단위 면적 크기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개별 망점 형태에 따른 재현율이 다소간 차이가 날 수 있음도 고려할 수 있다. For reference, strictly speaking, since the area ratio (of halftone dots) per unit area in Example 1 is different from the area ratio per unit area in Example 1, it is common that the halftone dot reproducibility after copying is also different, but here is a clear experiment as an example for understanding.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figures are not reflected,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recall rate according to the shape of each dot may b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size of the unit area is determined.

여기서도 다른 칸에 대한 수치는 망점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분된 대상들에 대한 것으로, 첫째 칸에 대한 수치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되거나 계산된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gain, the values for the other cells are for objects with different dot diameters, and are measured or calculated in the same way as the values for the first colum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5 및 도6은 각각 도4의 확대도와 같은 망점을 가지는 대상물(망점이 인쇄된 원본 용지)을 육안으로 본 명도와 복사한 후의 복사물을 육안으로 본 명도를 나타낸다. 여깃도 도면 상의 6개 대상물에 대한 순서는 도4 내지 도6에서 동일한 순서이다.5 and 6 respectively show the visual brightness of an object having halftone dots (original paper on which halftone dots are printed) as see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4 and the visual brightness of the copy after copying. Here, the order of the six objects on the drawing is the same in Figs. 4 to 6.

표2에서 보듯이 단위 면적당 인쇄된 망점의 총 면적이 동일하므로 육안으로는 도5와 같이 같은 명도로 보임에도 불구하고, 복사 후의 명도는 도6과 같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 등급(grade)에 해당하는 대상물 위치, 영역을 어떤 망점 구성을 적용해야 복사 후 원하는 화상이 표현될 수 있을 지를 미리 정하고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Table 2, since the total area of halftone dots printed per unit area is the same, even though they appear to have the same brightness as in FIG. 5 with the naked eye, the brightness after copying shows different aspects as shown in FIG. It will be possible to decide and plan in advance which halftone dot configur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position and area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grade so that the desired image can be expressed after copying.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앞선 표들 및 도면들에서 보여지듯이 지름의 길이가 0.1 mm 이 원이거나 변의 길이가 0.1 mm인 정사각형은 복사시 복사기가 그 점의 크기를 인지하여 완전한 재현이 되고, 지름의 길이가 0.05 mm 원이거나 변의 길이가 0.05 mm 인 정사각형은 복사시 복사기가 그 점을 인지하지 못하여 사라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preceding tables and drawings, a circle with a diameter of 0.1 mm or a square with a side length of 0.1 mm is completely reproduced by recognizing the size of the dot during copying, and the length of the diameter is A circle of 0.05 mm or a square with a side length of 0.05 mm disappears because the copier does not recognize the point during copying.

이들 두 상태 혹은 두 단계 사이에 4단계를 더 정하고, 각 단계의 점을 크기로 세분화하고 단위면적당 세분화된 점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을 같게 하면, 육안으로는 총 6개 단계가 모두 동일한 회색으로 인식하게 된다. 복사시에는 지름이 0.1 mm 의 원이나 변의 길이가 0.1 mm의 점은 100% 선명하게 재현되고, 지름이 0.09 mm 의 원이나 변의 길이가 0.09 mm의 점은 80%, 지름이 0.08 mm 의 원이나 변의 길이가 0.08 mm의 점은 60% , 지름이 0.07 mm 의 원이나 변의 길이가 0.07 mm의 점은 40%, 지름이 0.06 mm 의 원이나 변의 길이가 0.06 mm의 점은 20% 재현되고, 지름이 0.05 mm 의 원이나 변의 길이가 0.05 mm의 점은 아예 사라지게 된다. 위에서 예를 든 도형은 원형과 정사각형인데, 거의 모든 다각형이나 비대칭도형(타원형, 별, 하트 등)도 이 발명의 망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If 4 more steps are set between these two states or two steps, and the dots of each step are subdivided by size and the area ratio of the subdivided points per unit area is the same, the naked eye recognizes all six steps as the same gray color. . When copying, a circle with a diameter of 0.1 mm or a point with a side length of 0.1 mm is reproduced 100% clearly, a circle with a diameter of 0.09 mm or a point with a side length of 0.09 mm is reproduced 80% of the time, and a circle with a diameter of 0.08 mm 60% of points with a side length of 0.08 mm, 40% of circles with a diameter of 0.07 mm or points with a side length of 0.07 mm, 20% of circles with a diameter of 0.06 mm or points with a side length of 0.06 mm, and 20% of points with a diameter of 0.06 mm This circle of 0.05 mm or a point with a side length of 0.05 mm disappears altogether. The figures exemplified above are circles and squares, but almost all polygons or asymmetric figures (ovals, stars, hearts, etc.) can also be used as halftone dots for this invention.

이런 원리를 통해서 사진이나 그림을 흑백으로 변화하고 6가지 단계로 명암을 분화하여 그림을 만들면 복사전 육안으로 볼 때는 모두 동일한 명도의 회색으로 보이지만 복사후 각각의 단계별 재현농도에 따라 명암의 차이가 나타나고 이를 통해 명암 등급이 있는 그림이나 이미지를 만들 수 있고, 그 그림이나 이미지를 통해 필요한 구분을 하여 그에 맞는 처리를 할 수 있다.Through this principle, if a picture or picture is changed to black and white and the light and shade are differentiated into six stages to create a picture, they all look gray with the same brightness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before copying, but after copying, differences in light and shade appear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density of each stag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reate a picture or image with a contrast level, and through the picture or image,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processing by making necessary classifications.

(실시예 3)(Example 3)

이상의 실시예 1, 2에서는 원 망점과 정사각형 망점을 이용하되, 개별 망점의 직경 혹은 1변 크기를 차별화하여 복사시 명도 차별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나, 복사시의 명도 차별화는 점이 아닌 선으로도 가능하며, 실시예 3은 선을 통한 명도 등급화를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이다. In the above embodiments 1 and 2, circular halftone dots and square halftone dots were used, but the diameter of individual halftone dots or the size of one side was differentiated to enable brightness differentiation during copying. , Example 3 is an example for showing brightness grading through lines.

도7은 서로 같은 단위면적당 인쇄면적의 비율을 가지는 5가지 유형의 복사 대상물에 대한 확대도이다. 제일 위쪽의 단위 면적 내에서는 크기가 같은 수평선분 8개와 수직선분 8개 모두 16개의 선분이 단위 면적 전체에 걸쳐 거의 고르게 분포하는 것을 나타낸다.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five types of copy objects having the same printing area ratio per unit area. In the uppermost unit area, 16 line segments, including 8 horizontal segments and 8 vertical segments of the same size, are almost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unit area.

그 아래쪽의 단위 면적 내에는 수평선분 2개가 직렬되어 길이가 2배인 수평선분을 만들고, 수직선분 2개가 직렬되어 길이가 2배인 수직 선분을 만들고 있으며, 그 상태에서 단위 면적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분포의 고르기에서는 앞선 가장 위쪽의 것에 비해 덜 고른 분포라고 할 수 있다. In the unit area below it, two horizontal segments are serially made to make a horizontal segment twice the length, and two vertical segments are serially made to create a vertical segment with twice the length, and in that state they a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over the unit area. However, in the evenness of the distribu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 less even distribution than the topmost one.

그 아래쪽 3번째의 단위 면적 내에는 수평선분 하나와 수직선분 하나가 서로의 중심이 겹치도록 결합하여 +자 형태를 가진다. 단, 여기서는 인쇄 면적이 서로의 중심에서 겹치지만 선폭에 비해 선분의 길이가 충분히 길다고 보고, 이런 경우에서 겹친 면적은 무시될 수 있다고 본다. 이런 경우, 배경 부분에서 인쇄된 +자 부분의 분포는, 즉 인쇄된 면적의 분포는 위쪽 두 개에 비해 덜 고르고, 더 집중된 형태가 된다. In the lower third unit area, one horizontal segment and one vertical segment are combined so that their centers overlap each other to form a + character. However, here, although the printed areas overlap each other at the center, it is considered that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is sufficiently long compared to the line width, and in this case, the overlapped area can be ignored. In this case, the distribution of the +-shaped part printed in the background part, that is, the distribution of the printed area becomes less even and more concentrated compared to the upper two.

아래에서 두번째의 단위 면적 내에서는 하나의 +자 부분에 다른 하나의 +자 부분이 45도 회전하여 중심이 서로 겹쳐져 주의표시와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앞서 이루어진 논의와 마찬가지로 이런 대상물에서는 배경 부분에서 인쇄된 주의표시 형태의 분포는, 즉 인쇄된 면적의 분포는 위쪽 세 개에 비해 덜 고르고, 더 집중된 형태가 된다. Within the second unit area from the bottom, one +-shaped part rotates 45 degrees to the other +-shaped part, and the centers overlap each other, taking a similar shape to a caution sign. As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distribution of the printed caution notice type in the background part of such an object, that is, the distribution of the printed area, is less even and more concentrated compared to the upper three.

가장 아래의 단위 면적 내에서는 그 위쪽의 주의표시 형태가 2개의 긴 수평 선분 및 2개의 긴 수직 선분으로 이루어진 큰 사각형 창에 감싸진 형태를 보이며, 여기서는 인쇄된 면적의 분포는 위쪽 네 개에 비해 덜 고르고, 더 집중된 형태가 된다. Within the bottommost unit area, the top caution sign is wrapped in a large rectangular window consisting of two long horizontal lines and two long vertical lines, where the distribution of the printed are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op four. It becomes an even, more concentrated form.

앞선 두 실시예에서 인쇄된 부분이 더 작은 면적의 여러 개로 나뉘었던 것에 비해 더 큰 면적의 더 작은 갯수의 망점에 집중될 때 복사시 더 잘 인식되고 재현율이 높아 명도가 낮은 영역으로 보이는 것처럼, 도7에 나타난 각 단위 영역도 제일 위쪽 대상물이 복사할 때 가장 높은 명도, 가장 밝은 화면을 보이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낮은 명도, 어두운 화면을 보이게 된다. In the preceding two embodiments, when the printed part is concentrated in a smaller number of dots in a larger area than when it is divided into several smaller areas, it is better recognized during copying and has a high reproducibility, making it appear as a low-brightness area. Each unit area shown in Figure 7 also shows the highest brightness and brightest screen when the uppermost object is copied, and lower brightness and darker screen as it moves downward.

물론, 이때 단위 면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듯이 육안으로 얼핏 볼 때 정확한 점의 존재 및 형태를 판별하기에 충분히 작은 면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Of course, at this time, as is well known in the art, it is premised that the unit area is set to an area small enough to determine the existence and shape of an accurate point at a glance with the naked eye.

도8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복사물이 종래의 "COPY"와 같은 명도가 높은 배경 부분과 명도가 낮은 문자인쇄부만을 나타내던 것이 어떤 형태로 바뀔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실시예들이다. FIG. 8 is exemplary embodiments showing how the copy can be changed in a form in which only a background part with a high brightness and a character printing part with a low brightness, such as a conventional "COPY", can be changed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위쪽의 실시예는 명도 구역이 단순히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면서 6단계에 걸쳐 밝아지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아래쪽의 실시예는 대각선 방향으로 좌상에서 우하로 가면서 서로 겹치게 배치된 4각형 구역이 명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점차 변화하는 모양 혹은 밝은 구역에서 어두운 구역으로 변이하는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The upper exampl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ness zone simply goes from left to right and becomes brighter in 6 steps, and the lower exampl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ectangular zones overlapping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upper left to lower right show high brightness. It shows a shape that gradually changes from low to low, or from a light area to a dark area.

물론, 이런 실시예 외의 다수의 구역별로 명도 등급을 적용하여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고, 실제로 간단한 흑백 그림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various expressions can be applied by applying brightness levels to a plurality of zones other than this embodiment, and a simple black-and-white picture can be actually implemented.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limited examples,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ly describ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or appl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or appl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육안으로 볼 때 인쇄에 의해 인쇄물에 나타나는 점이나 선 가운데 복사할 때 육안으로 볼 때와 완전히 같아 보이도록 복사가 되는 것을 점이나 선의 최소 직경 혹은 너비를 100%라고 하고, 복사가 전혀 안되는 점이나 선의 최대 직경 혹은 너비를 0%라고 하면, 100% 및 0%에 해당하는 점의 크기나 선폭을 각각 확인하고 결정하는 단계,
100% 및 0%에 해당하는 점의 크기나 선폭 사이의 점 크기나 선폭을 하나 이상의 단계를 가지도록 정하는 단계,
인쇄 대상의 어느 위치 혹은 어느 구역이 어느 인쇄상태 단계 혹은 등급을 가지도록 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단계에 따라 인쇄 대상의 위치별 혹은 구역별로 해당 점의 크기 혹은 해당 선폭을 가진 점이나 선으로 인쇄를 실시하여 인쇄물을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보안 인쇄방법.
When copying in the middle of a point or line that appears on a printout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the minimum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that is copied so that it looks exactly the same as when seen with the naked eye is 100%, and the point or line that cannot be copied at all is called 100%. If the maximum diameter or width is 0%, checking and determining the size or line width of the dots corresponding to 100% and 0%, respectively;
Determining the dot size or line width between 100% and 0% in one or more steps;
Determining which position or area of the print target is to have which printing state level or grade;
A security printing method comprising a step of making a printed matter by printing with dots or lines having a corresponding dot size or a corresponding line width for each location or area of the printing targe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ps.
육안으로 볼 때 인쇄에 의해 인쇄물에 나타나는 점이나 선 가운데 복사할 때 육안으로 볼 때와 완전히 같아 보이도록 복사가 되는 점이나 선의 최소 직경 혹은 너비를 100% 인쇄상태라고 하고, 복사가 전혀 안되는 점이나 선의 최대 직경 혹은 너비를 0% 인쇄상태라고 하고, 100% 인쇄상태와 0% 인쇄상태 사이의 인쇄상태에 해당하는 인쇄상태의 단계를 하나 이상 이룰 수 있는 크기의 점이나 선폭의 선을 정할 때, 인쇄물 내에 100% 이하 0% 이상의 서로 다른 인쇄상태 혹은 단계가 적어도 3개 포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The minimum diameter or width of a point or line that is copied so that it looks exactly the same as when seen with the naked eye when copied in the center of a point or line that appears on a printout by printing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is called a 100% printed state, and a point or line that cannot be copied at all The maximum diameter or width of the line is called the 0% printing state, and when determining a line of a size or line width that can achieve one or more stages of the printing state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state between the 100% printing state and the 0% printing state, A security pri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ree different print states or stages of 100% or less and 0% or more are included in the pri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은 원형, 다각형, 별모양을 포함하여 면적을 측정할 수 있는 폐곡선 2차원 도형 가운데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According to claim 2,
The point is a security printou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ne or a combination of closed curve two-dimensional figures that can measure the area, including circular, polygonal, and star-shap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은 선은 일정한 선폭 및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평행한 선이며, 직선 혹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According to claim 2,
The line is a plurality of parallel lines having a certain line width and a certain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aight line or a curve.
KR1020210161368A 2021-11-22 2021-11-22 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 KR202300751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368A KR20230075104A (en) 2021-11-22 2021-11-22 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368A KR20230075104A (en) 2021-11-22 2021-11-22 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104A true KR20230075104A (en) 2023-05-31

Family

ID=8654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368A KR20230075104A (en) 2021-11-22 2021-11-22 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104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99B1 (en) 2005-07-20 2014-01-07 제이디에스 유니페이즈 코포레이션 A two-step method of coating an article for security printing
KR101391756B1 (en) 2013-07-1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curity printing method thereof
KR20200014169A (en) 2018-07-31 2020-02-10 캐논 톡키 가부시키가이샤 Film forma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99B1 (en) 2005-07-20 2014-01-07 제이디에스 유니페이즈 코포레이션 A two-step method of coating an article for security printing
KR101391756B1 (en) 2013-07-1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curity printing method thereof
KR20200014169A (en) 2018-07-31 2020-02-10 캐논 톡키 가부시키가이샤 Film forma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658B2 (en) Magnetic watermarking of a printed substrate by metameric rendering
US8455087B2 (en) Infrared encoding of security elements using standard xerographic materials with distraction patterns
US72260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article
JP4103826B2 (en) Authenticity determin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US8460781B2 (en) Infrared encoding of security elements using standard xerographic materials
US5479507A (en) Copy indicating security device
EP1209897B1 (en) Systems and method for policy based printing and forgery detection
CA2501513C (en) Document containing security images
CN101288097B (en) Anti-copy method of document
US20080180751A1 (en) Variable guilloche and method
US20070136213A1 (en) Inline system to detect and show proof of indicia fraud
JPH06215177A (en) High-speed document confirmation system, document for confirmation and document confirmation method
US6636614B1 (en) Method for preventing the falsification of documents comprising a photograph, preferably a facial-view photograph
US20140369569A1 (en) Printed Authentication Pattern for Low Resolution Reproductions
KR101468412B1 (en) A printed matter for forgery prevention and method of verifying a counterfeit
MX20110066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document printing.
KR20230075104A (en) method of security printing and prints made by the same
US20070086070A1 (en) Full Color Scanning Protection of a Document
KR101470619B1 (en) Print media Applied to the security element and method.
JPH0730743A (en) Image processor
AU2004321079A1 (en) Full color scanning protection of document
KR101642710B1 (en) A Testing Method Of Forging/Manipulating Of Securities
KR102502692B1 (en) method of identifying printed matter using identification mark in the printed matter
US20070133023A1 (en) Document For Determining Interference Scanning Frequencies
KR20120086950A (en) Forgery prevention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