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681A - 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681A
KR20230070681A KR1020210156509A KR20210156509A KR20230070681A KR 20230070681 A KR20230070681 A KR 20230070681A KR 1020210156509 A KR1020210156509 A KR 1020210156509A KR 20210156509 A KR20210156509 A KR 20210156509A KR 20230070681 A KR20230070681 A KR 2023007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reality service
work
metaverse
partici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성
박용석
김현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5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0681A/en
Publication of KR2023007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6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2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with decreasing value according to a parameter, e.g.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using a blockchain in a meta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a metaverse, a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receives a report on copyright violation of the real world in a virtual space from a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and pays a reward to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if a reported work is verified as copyright violation. Accordingly, copyrights can be monitored in a metaverse which did not exist before. Since monitoring is performed by a metaverse participant instead of a metaverse platform manager, voluntary copyright protection is possible in the entire domain of the metaverse.

Description

메타버스 상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

본 발명은 메타버스, 블록체인, 저작권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verse, blockchain, and copyright-related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 on a metaverse using a blockchain.

현재 저작권 관리는 대표적으로 저작물의 fingerprint를 이용한 모니터링과 저작권 신탁 관리단체와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계약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Fingerprint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저작물에 대한 출처 없이 무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저작권 신탁 관리단체와 서비스 제공 플랫폼 간의 계약은 계약을 통해 신탁 관리단체에게 저작권 사용료을 지급하여 서비스 제공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저작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려고 사용된다.Currently, copyright management is typically carried out through monitoring using fingerprints of works and contracts between copyright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service provision platforms. The monitoring method using Fingerprint is used to prevent unauthorized use without a source for the copyrighted work, and the contract between the copyright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and the service providing platform pays the copyright usage fee to the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through the contract to allow users to use the service providing platform. is used to make the work freely available.

하지만 통신기술의 발달과 코로나 팬데믹으로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시장이 등장했다. 메타버스는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사용자들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새로운 체험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로블록스(Roblox)가 알려져 있는데, 로블록스에서는 사용자들이 직접 게임 콘텐츠를 창작하여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게임 제작사에서 제공한 콘텐츠만 소비할 수 있는 기존 게임과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corona pandemic, a new market called metaverse has emerged.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which means transcendence, and universe, which means the world. Roblox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metaverse platform. In Roblox, users can create and enjoy game contents themselves,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existing games that can only consume contents provided by game manufacturers. .

즉,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창작 할 수 있는 메타버스의 특징 때문에 기존의 저작물 관리 방법은 메타버스 시장에서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상에서 특정 사용자가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원을 재생할 경우, 메타버스 플랫폼 관리자는 사용자의 마이크를 감청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fingerprint를 이용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게임 같은 창작물을 만들었을 때, 창작물 내에서 음원 같은 저작물이 어떻게 소비되는지 모두 모니터링 하는건 매우 많은 자원이 소비되므로 정확한 저작물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저작권 신탁 관리단체와 메타버스 플랫폼 간의 실제 사용량에 비례한 보상금 지금 계약은 난항을 겪는다.In other wor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that allows users to create their own content, the existing work management method has come to a limit in the metaverse market. For example, when a specific user plays a sound source using a microphone on the metaverse, monitoring using fingerprint is impossible because the metaverse platform manager is not monitoring the user's microphone. In addition, when users create creations such as games on the Metaverse platform, monitoring how all of the copyrighted works such as sound sources are consumed within the creations consumes a lot of resources, making it difficult to measure the exact amount of copyrighted works. Compensation proportional to the actual usage between metaverse platforms. Currently, contrac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 상에서 저작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new technology for resolving copyright disputes on the metaverse is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타버스 상에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방안으로, 저작권 침해를 모니터링하던 참여자가 블록체인으로 저작권 침해를 신고하면 블록체인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pyright protection on the metaverse.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pay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은,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로부터 가상공간 상에서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신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by a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a report on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virtual space from a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and if the reported work is confirmed as copyright infringement,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paying compensation to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보상 지급 단계는,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신고된 저작물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과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인지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제1 확인단계에서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저작물 사용자가 신고된 저작물의 사용권이 있는지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제2 확인단계에서 저작물 사용자가 사용권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ward payment step includes a first confirmation step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checks whether the reported work is the work of a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contracted with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a second confirmation step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confirms whether the user of the work has the right to use the reported work if it is confirmed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that the work is not the contracted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I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of the work does not have the right to use,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paying a reward to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may include.

보상 지급 단계는, 제2 확인단계에서 저작물 사용자가 사용권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신고를 종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ward payment step, if it is confirmed i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that the user of the work has the right to use, the step of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terminating the report; may further include.

보상 지급 단계는, 제1 확인단계에서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인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신고를 종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ensation payment step, if it is confirmed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that the work is the contracted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the step of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terminating the report; may further include.

제2 확인 단계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과 사용권이 등록되는 제1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저작물 사용자가 신고된 저작물의 사용권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user of the work has the right to use the reported work by using the first block chain in which the copyright and usage right for the work are registered.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는, 저작권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에 저작권 침해에 대한 신고시 보상을 지급받는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저작권 침해를 신고할 수 있다.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s can report copyright infringement by executing a smart contract on the condition that compensation is paid when reporting copyright infringement to the block chain for copyright management.

보상 지급 단계는,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로 확인되면, 실행된 스마트 컨트랙에 따라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에게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In the compensation payment step, if the reported work is confirmed as copyright infringement, tokens can be paid to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executed smart contract.

그리고 토큰은, 가상현실 서비스 상에서 콘텐츠 이용하여 사용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ken may be usable by using content on the virtual reality service.

저작물은,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가 가상공간에서 콘텐츠를 제작할 때 사용된 저작물과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가 가상공간에서 공표한 저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Works may include works used when VR service participants produce content in virtual space and works published by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s in virtual spa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은, 가상현실 서비스에 참여하는 참여자 단말; 참여자 단말이 가상공간 상에서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를 신고하고, 신고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참여자 단말에게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여자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작권 침해의 신고가 있으면,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인지 확인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자 단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ipant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 blockchain network in which participant terminals report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virtual space and pay compensation for reporting; And a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provides virtual reality services to participant terminals and, if there is a report of copyright infringement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confirms whether the reported work is copyright infringement and pays compensation to the participant terminal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platform; include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은,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가, 가상공간 상에서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신고하는 단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a virtual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reporting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a virtual space through a blockchain network; and verifying, by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whether the reported work is copyright infringement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은, 가상현실 서비스에 참여하는 참여자 단말; 참여자 단말이 가상공간 상에서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를 신고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참여자 단말에게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여자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작권 침해의 신고가 있으면,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인지 확인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ipant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 blockchain network in which participant terminals report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virtual space; and a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that provides a virtual reality service to a participant terminal and confirms whether the reported work is copyright infringement if there is a report of copyright infringement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메타버스 상에서의 저작권 모니터링이 가능한데, 메타버스 플랫폼 관리자가 아닌 메타버스 참여자에 의해 모니터링이 수행되므로, 메타버스 전체 영역에서 자발적인 저작권 보호가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pyright monitoring on the metaverse, which did not previously exist, is possible. Since monitoring is performed by metaverse participants, not metaverse platform managers, voluntary Copyright protection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타버스 플랫폼의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타버스 참여자들의 블럭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taverse servi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ure 2 is a flow chart provided to explain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using a block chain on the meta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metaverse platform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metaverse participants shown in Figure 1.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메타버스 플랫폼은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모니터링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타버스 참여자들이 자발적으로 저작권 침해를 모니터링 하도록 하고, 저작권 침해 신고와 침해 여부 판단 및 신고에 대한 보상을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The metaverse platform suffers from monitoring for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etaverse participants to voluntarily monitor copyright infringement, and proposes a method of processing copyright infringement reports, judgment of infringement, and compensation for reports using blockchain.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플랫폼(100),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300) 및 다수의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구축된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taverse servi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shown, the metaverse servi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a metaverse platform 100, a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a copyright management block chain 300, and a plurality of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are connected and built through the Internet.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플랫폼이다.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은 메타버스 플랫폼(100)이 제공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들이 이용하는 단말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The metaverse platform 100 is a service provider platform that provides metaverse services.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may refer to users who use the metaverse service provided by the metaverse platform 100 or may refer to terminals they use. .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은 누구라도 정당한 사용권 없이 타인의 저작물을 사용하여 저작권을 침해할 여지가 있다.In the process of using the metaverse service,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have room for copyright infringement by using other people's works without legitimate use rights.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은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및 그에 대한 사용권이 등록되어 관리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이다.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is a block chain network in which copyrights and usage rights for works are registered and managed.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은 다른 참여자들의 저작권 침해를 발견하면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300)을 통해 신고할 수 있고, 신고에 대한 보상으로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300)을 통해 토큰을 제공받을 수 있다.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can report copyright infringement of other participants through the copyright management block chain (300), and as a reward for reporting copyright A toke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management block chain 300 .

이하에서는, 메타버스 참여자-1(400-1)이 메타버스 참여자-2(400-2)의 저작물 사용을 저작권 침해로 판단한 경우를 상정하여, 저작권 침해의 신고와 판단 및 신고에 대한 보상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assuming that Metaverse Participant-1 (400-1) judges the use of the work of Metaverse Participant-2 (400-2) as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process of reporting and judgment of copyright infringement and compensation for reporting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메타버스 참여자-1(400-1)"은 "신고자[메타버스 참여자-1(400-1)]"로 표기하고, "메타버스 참여자-2(400-2)"는 "저작물 사용자[메타버스 참여자-2(400-2)]"로 표기한다.For better understanding, "Metaverse Participant-1 (400-1)" is written as "Reporter [Metaverse Participant-1 (400-1)]" and "Metaverse Participant-2 (400-2)" is marked as "work user [metaverse participant-2 (400-2)]".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provided to explain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using a block chain on the meta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신고자[메타버스 참여자-1(400-1)]가 저작물 사용자[메타버스 참여자-2(400-2)]가 메타버스 상에서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판단하면(S510), 신고자[메타버스 참여자-1(400-1)]는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300)에 저작권 침해 신고시 보상을 지급받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저작권 침해를 신고 한다(S520).As shown, first, if the reporter [metaverse participant-1 (400-1)] determines that the copyright user [metaverse participant-2 (400-2)] is violating copyright on the metaverse (S510), the reporter [Metaverse Participant-1 (400-1)] reports copyright infringement to the Metaverse Platform (100) by executing a smart contract on the condition that compensation is paid when reporting copyright infringement to the copyright management block chain (300). Do (S520).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및 그에 대한 사용권은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S510단계에서의 저작권 침해 판단은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을 통해 가능하지만, 이 방법이 다른 방법이나 신고자[메타버스 참여자-1(400-1)]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할 수도 있다. 개인적인 판단에 의한다 하더라도, 이 절차는 자발적인 신고를 장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최종 판단은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의해 수행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Since the copyright for the work and the right to use it are registered in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the copyright infringement judgment in step S510 is possible through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but this method is different from other methods or reporters [meta Bus participant-1 (400-1)] may make a personal decision. Even if it is based on personal judgment, this procedure is aimed at encouraging voluntary reporting, and the final judgment is performed by the metaverse platform 100, so there is no problem.

저작권 침해 신고가 있으면, 즉,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300)에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행되면,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먼저 신고된 저작물이 메타버스 플랫폼(100)과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인지 확인한다(S530).If there is a copyright infringement report, that is, when a smart contract is executed on the copyright management block chain 300, the metaverse platform 100 first checks whether the reported work is the work of the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contracted with the metaverse platform 100 Do (S530).

S530단계에서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S530-N),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저작물 사용자[메타버스 참여자-2(400-2)]가 신고된 저작물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이 있는지 확인한다(S540).If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the work of the contracted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in step S530 (S530-N), the metaverse platform 100 has a legitimate right to use the work for which the work user [Metaverse Participant-2 (400-2)] has been reported. Check if there is (S540).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을 통해 저작물 사용자[메타버스 참여자-2(400-2)]가 정당한 사용권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The metaverse platform 100 can check whether the copyright user [metaverse participant-2 (400-2)] has a legitimate right to use through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S540단계에서 저작물 사용자[메타버스 참여자-2(400-2)]가 저작물에 대한 사용권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S540-N),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저작물 사용자[메타버스 참여자-2(400-2)]가 저작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단하고, S520단계에서 실행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신고자[메타버스 참여자-1(400-1)]에게 토큰을 지급한다(S550).In step S54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work user [metaverse participant-2 (400-2)] does not have a license for the work (S540-N), the metaverse platform 100 is the work user [metaverse participant-2 (400-2)] -2)] is judged to have infringed the copyright, and tokens are paid to the reporter [Metaverse Participant-1 (400-1)] according to the smart contract executed in step S520 (S550).

지급되는 토큰은 메타버스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큰이다. 이 토큰은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에서 저작물 사용권을 구매하는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The tokens paid are tokens that can be used on the metaverse. This token can also be used when purchasing the right to use a work in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반면, S540단계에서 저작물 사용자[메타버스 참여자-2(400-2)]가 저작물에 대한 사용권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S540-Y),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저작물 사용자[메타버스 참여자-2(400-2)]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S520단계에서 실행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종료시켜, 보상 없이 저작권 침해 신고를 종료 처리한다(S560).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in step S540 that the work user [metaverse participant-2 (400-2)] has the right to use the work (S540-Y), the metaverse platform 100 is the work user [metaverse participant-2 (400-2)] determines that the copyright is not infringed, and the smart contract executed in step S520 is terminated, and the copyright infringement report is terminated without compensation (S560).

한편, S530단계에서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로 확인되면(S530-Y),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S520단계에서 실행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종료시켜, 보상 없이 저작권 침해 신고를 종료 처리한다(S560).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as the copyrighted work of the contracted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in step S530 (S530-Y), the metaverse platform 100 terminates the smart contract executed in step S520 and terminates the copyright infringement report without compensation (S560 ).

메타버스 플랫폼(100)과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은 메타버스 플랫폼(100)이 제공하는 메타버스에서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저작물이기 때문이다.In the metaverse provided by the metaverse platform (100), the works of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s contracted with the metaverse platform (100) are freely accessible to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Because it is a work that can be used.

지금까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저작권 침해의 신고와 판단 및 신고에 대한 보상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So far, the reporting and judgment of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metaverse using blockchain and the compensation process for reporting have been explain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작권 침해가 문제되는 상황으로 크게 두 가지를 상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major situations in which copyright infringement is a problem can be assumed.

하나는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이 메타버스 상에서 저작권 보호대상이 되는 저작물을 이용하여 콘텐츠(저작물)를 만드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이 게임을 콘텐츠로 만든다면, 만들어진 게임은 배경음악, 효과음, 질감 등을 원소로 갖는 집합 A라고 할 수 있다. 즉, 게임 A는 A={x1,x2, ..., xn}, 배경음악, 효과음, 질감 등의 원소는 xk(k는 1, 2, 3, ..., n)로 정의할 수 있다. 만약 게임 A의 임의의 원소 xα에 대한 저작권이 확보되지 않았다면, 게임 A는 명백히 저작권에 문제가 있는 콘텐츠가 된다. 하지만 메타버스 플랫폼(100)의 관리자는 자원의 한계로 플랫폼에서 생성되는 모든 메타버스 콘텐츠와 콘텐츠에서 사용되는 원소들을 모니터링 할 수 없으므로, 게임 A 같은 메타버스 내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문제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 One is when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create content (works) using works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on the metaverse. For example, if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in the metaverse platform (100) make a game content, the created game is background music, sound effect, texture, etc. It can be said to be a set A having as an element. In other words, for game A, A = {x 1 ,x 2 , ..., x n }, and elements such as background music, sound effect, and texture are x k (k is 1, 2, 3, ..., n). can be defined If the copyright for any element x α of game A is not secured, the game A clearly becomes a copyrighted content. However, since the manager of the metaverse platform 100 cannot monitor all metaverse content created on the platform and the elements used in the content due to resource limitations, it is easy to recognize copyright issues occurring within the metaverse such as Game A. not.

다른 하나는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이 메타버스 상에서 저작권 보호대상이 되는 저작물을 무단 공표/스트리밍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메타버스에서 특정 참여자가 마이크를 통해 무단으로 음원을 스트리밍한다면, 메타버스 플랫폼 관리자는 참여자에 대한 감청을 수행 중인 것이 아니므로 무단 스트리밍을 적발하기가 쉽지 않다.The other is a case in which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publish/stream unauthorized works subject to copyright protection on the metaverse. For example, if a specific participant in the metaverse streams a sound source through a microphone without permission, the metaverse platform manager is not monitoring the participant, so it is not easy to detect unauthorized streaming.

하지만, 본 방법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권 침해를 신고한 메타버스 참여자는 메타버스 상에서 다른 콘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큰을 보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저작권 모니터링에 대한 동기가 부여된다.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ethod, a metaverse participant who reports copyright infringement can obtain a token that can be used in other contents on the metaverse as a reward, thus providing motivation for copyright monitoring.

메타버스 내 콘텐츠 창작자가 저작물을 사용할 때,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확보(또는 사용 허가 인증)는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에서 저작물에 해당하는 토큰의 거래로 이루어진다.When a content creator in the metaverse uses a work, securing the copyright (or certification of permission to use) for the work is made by trading the token corresponding to the work in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예를 들어 콘텐츠 창작자가 자신의 창작물 A에 사용하기 위한 저작물 x1에 대한 사용 허가를 받길 원한다면,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에서 x1을 사용 할 수 있는 권리로 정의된 토큰을 구매한다. 토큰을 구매하면 거래 기록이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에 기록되기 때문에 누구나 콘텐츠 창작자가 x1에 대한 사용 권한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콘텐츠 창작자가 저작물 x1을 사용하고 있는데, 메타버스 내 사용자들이 콘텐츠 창작자가 x1에 대한 거래 기록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면, 콘텐츠 창작자를 저작권 위반으로 신고하여 보상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a content creator wants to obtain permission to use a work x 1 for use in his creation A, he purchases a token defined as the right to use x 1 in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When a token is purchased, the transaction record is recorded in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so anyone can confirm that the content creator has the right to use x 1 . Conversely, if a content creator is using a work x 1 , and users in the metaverse confirm that the content creator has no transaction record for x 1 , it is possible to report the content creator for copyright violation and receive compensation.

기존 저작권 모니터링 방식은 audio fingerprint를 이용하기 때문에 음원에 대한 저작권 위반 위주로 모니터링으로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은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원뿐만 아니라 상표, 디자인 등 다양한 저작물에 대한 모니터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Existing copyright monitoring methods used audio fingerprints, so they were limited to monitoring copyright violations of sound sources, but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voluntary, so it can be applied to monitoring not only sound sources but also various copyrighted works such as trademarks and designs.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타버스 플랫폼(100)의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가능하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metaverse platform 100 shown in FIG. As shown, the metaverse platform 100 can be implemented as a server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110, a processor 120 and a storage unit 130.

통신부(110)는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300) 및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120)는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에게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도 2에 도시된 저작권 모니터링 과정에서 메타버스 플랫폼(100)이 담당하는 절차들을 수행한다. 저장부(130)는 프로세서(120)가 동작하고 기능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the copyright management block chain 300, and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The processor 120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to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while the metaverse platform 100 in the copyright monitoring process shown in FIG. carry out these procedures. The storage unit 130 provides a necessary storage space for the processor 120 to operate and function.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의 블럭도이다. 메타버스 참여자들(400-1, 400-2, ..., 400-n)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므로, 도 4에는 참조부호 '400'으로 대표하여 하나만을 도시하였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shown in FIG. Since the metaverse participants (400-1, 400-2, ..., 400-n) may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FIG. 4 shows only one represented by the reference numeral '400'.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참여자(400)는 통신부(410), VR 출력부(420), 프로세서(430), 조작부(440) 및 저장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로 구현가능하다.As shown, the metaverse participant 400 can be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410, a VR output unit 420, a processor 430, a manipulation unit 440 and a storage unit 450. .

통신부(410)는 메타버스 플랫폼(100),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200) 및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300)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VR 출력부(420)는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의해 제공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한 3D 디스플레이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41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metaverse platform 100, the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200, and the copyright management block chain 300. VR output unit 420 is a 3D display for displaying the metaverse service provided by the metaverse platform (100).

프로세서(430)는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저작권 모니터링 과정에서 메타버스 참여자(400)가 담당하는 절차들을 수행한다. 조작부(440)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아 프로세서(430)로 전달하며, 저장부(450)는 프로세서(430)가 동작하고 기능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한다.The processor 430 performs procedures in charge of the metaverse participant 400 in the copyright monitoring process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40 receives a user operation and transfers it to the processor 430, and the storage unit 450 provides a storage spac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430 to operate and function.

지금까지, 메타버스 상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So far, the copyright monitoring method using blockchain on the metavers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a preferred embodiment.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메타버스 서비스는 가상현실 서비스의 일종으로 언급한 것이다. 따라서, 메타버스 서비스와 다른 종류의 가상현실 서비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The metabus service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mentioned as a kind of virtual reality service.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metaverse service and other types of virtual reality services.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Meanwhi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echnical idea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s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ny data storage device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store data.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hard disk drive, and the like. In addition, computer readable codes or programs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ed between computer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메타버스 플랫폼
200 : 저작권 등록 블록체인
300 :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
400-1, 400-2, ..., 400-n : 메타버스 참여자
100: Metaverse platform
200: copyright registration block chain
300: Copyright Management Blockchain
400-1, 400-2, ..., 400-n: Metaverse participants

Claims (12)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로부터 가상공간 상에서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신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Receiving, by a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a report on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virtual space from a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and
If the reported work is confirmed as copyright infringement,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paying compensation to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상 지급 단계는,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신고된 저작물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과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인지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제1 확인단계에서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저작물 사용자가 신고된 저작물의 사용권이 있는지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제2 확인단계에서 저작물 사용자가 사용권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ward payment step is,
A first confirmation step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checks whether the reported work is the work of a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contracted with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a second confirmation step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confirms whether the user of the work has the right to use the reported work if it is confirmed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that the work is not the contracted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I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of the work does not have the right to use,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paying compensation to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2에 있어서,
보상 지급 단계는,
제2 확인단계에서 저작물 사용자가 사용권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신고를 종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reward payment step is,
I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of the work has the right to use,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terminates the report;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
보상 지급 단계는,
제1 확인단계에서 계약된 신탁 관리단체의 저작물인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신고를 종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reward payment step is,
In the first confirmation step, if it is confirmed that the work is the contracted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the step of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terminating the report;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확인 단계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과 사용권이 등록되는 제1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저작물 사용자가 신고된 저작물의 사용권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econd confirmation step,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first block chain in which the copyright and usage right for the work are registered, whether the user of the work has the right to use the reported 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는,
저작권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에 저작권 침해에 대한 신고시 보상을 지급받는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저작권 침해를 신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s,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pyright infringement is reported to the block chain for copyright management by executing a smart contract under the condition that compensation is paid when reporting copyright infringement.
청구항 6에 있어서,
보상 지급 단계는,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로 확인되면, 실행된 스마트 컨트랙에 따라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에게 토큰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reward payment step is,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ported work is confirmed as copyright infringement, tokens are paid to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executed smart contract.
청구항 7에 있어서,
토큰은,
가상현실 서비스 상에서 콘텐츠 이용하여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oken,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s can be used and used in the virtual reality ser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작물은,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가 가상공간에서 콘텐츠를 제작할 때 사용된 저작물과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가 가상공간에서 공표한 저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orks,
A copyright monitoring method in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pyrighted work used when a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creates content in a virtual space and a copyrighted work published by a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in a virtual space.
가상현실 서비스에 참여하는 참여자 단말;
참여자 단말이 가상공간 상에서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를 신고하고, 신고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참여자 단말에게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여자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작권 침해의 신고가 있으면,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인지 확인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자 단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Participant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 blockchain network in which participant terminals report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virtual space and pay compensation for reporting; and
A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that provides virtual reality services to participant terminals and, if there is a report of copyright infringement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checks whether the reported work is copyright infringement and pays compensation to the participant terminal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comprising a.
가상현실 서비스 참여자가, 가상공간 상에서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신고하는 단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상에서 저작권 모니터링 방법.
A virtual reality service participant reporting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a virtual space through a blockchain network; and
A 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in a virtual space,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by a virtual reality service platform, whether a copyrighted work reported through a blockchain network is infringing.
가상현실 서비스에 참여하는 참여자 단말;
참여자 단말이 가상공간 상에서 실제 세계의 저작권 침해를 신고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참여자 단말에게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여자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작권 침해의 신고가 있으면, 신고된 저작물이 저작권 침해인지 확인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Participant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 blockchain network in which participant terminals report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real world in virtual space; and
A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a virtual reality service to a participant terminal and, if there is a report of copyright infringement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through a blockchain network, confirms whether the reported work is copyright infringement; a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comprising: .
KR1020210156509A 2021-11-15 2021-11-15 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 KR202300706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509A KR20230070681A (en) 2021-11-15 2021-11-15 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509A KR20230070681A (en) 2021-11-15 2021-11-15 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681A true KR20230070681A (en) 2023-05-23

Family

ID=8654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509A KR20230070681A (en) 2021-11-15 2021-11-15 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06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lligan et al. How DRM-based content delivery systems disrupt expectations of" personal use"
RU2367014C2 (en) Determination of degree of access to content or similar in system for protecting content or similar
Netanel Impose a noncommercial use levy to allow free peer-to-peer file sharing
RU2348073C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erver registration/subregistration in drm architecture
KR101332147B1 (en)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dynamic rights and resources sharing
TWI721362B (en) Method and device for issuing rewards to users of works based on blockchain
US8775320B1 (en) Redistribution of rights-managed content and technique for encouraging same
US20210125163A1 (en) System and method of enforcing and monitoring contracts
US80691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nd managing usage rights associated with an item repository
JP2004265358A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EP157363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gning consequential rights to documents and documents having such rights
JPH08263441A (en) System for safe distribution and control of digital work andits control method
US2008015564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JP2012084163A (en) Computer execution method and system for enforcing right for specifying method of use of item among multiple repositories
CN109410096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roviding litigation strategy information of infringing cases
TW2020066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ing reward to work publisher based on blockchain
KR20230070681A (en) Method for monitoring copyright with blockchain on Metaverse
Fessler Webcasting Royalty Rates
Heileman et al. The DRM game
Bauman The Nexus Analysis: License Enforcement in the Wake of MDY v. Blizzard
Noguchi Freedom override by Digital Rights Management technologies: Causes in market mechanisms and possible legal options to keep a better balance
JP4951518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firming that issuance of rights expression is permitted
Thorwirth The de-centralized rights locker
WO2005065026A2 (e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and trading system
JP2003228635A (en) Approval certification image data issuing device and approval certification picture data verif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