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858A -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858A
KR20230069858A KR1020220150331A KR20220150331A KR20230069858A KR 20230069858 A KR20230069858 A KR 20230069858A KR 1020220150331 A KR1020220150331 A KR 1020220150331A KR 20220150331 A KR20220150331 A KR 20220150331A KR 20230069858 A KR20230069858 A KR 20230069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working machine
operating device
working
satis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카시 데구치
나오토 카게야마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6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8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02F9/265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with follow-up actions (e.g. control signals sent to actuate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37Coordinating the movements of the implement and of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Remotely operated machines, e.g. unmanne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 work machine, a control program for a work machine, a control system for a work machine, and a work machine that can easily reduce the burden on the operator due to operation. The control method for a work machine (3) comprises: receiving operations on an operating device (35) for controlling the work machine (3); monitoring specific ideas that are subject to surveillance; and,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determining whether the judgment condi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are satisfied.

Description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및 작업 기계{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제어되는 작업 기계에 사용되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및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working machine, a control program for a working machine, a control system for a working machine, and a working machine used in a working machine controll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n an operating device.

관련 기술로서, 기체와, 기체에 탑재된 작업 장치와, 작업 장치의 선단부에 장착된 유압 브레이커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관련 기술에 의한 작업 기계는 유압 브레이커를 작동 불능으로 하는 오토 해머 금지 상태와, 유압 브레이커를 작동 가능하게 하는 오토 해머 허가 상태를 스위칭 가능한 스위칭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작업 기계에서는 부주의한 타격을 행하지 않도록 통상은 오토 해머 금지 상태가 되고, 스위칭 스위치가 조작됨으로써 오토 해머 허가 상태로 스위칭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는 오토 해머 금지 상태로 스위칭 스위치가 조작되면 오토 해머 대기 상태로 이행하고, 오토 해머 대기 상태로 일정 시간 내에 다시 스위칭 스위치가 조작되면 오토 해머 허가 상태로 이행한다.As a related art, a working machine equipped with a body, a work device mounted on the body, and a hydraulic breaker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work device is known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The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urther includes a switching switch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n auto hammer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hydraulic breaker is inoperable and an auto hammer permission state in which the hydraulic breaker is operable. In this working machine, the auto hammer prohibition state is normally set so as not to inadvertently strike, and the switching switch is operated to switch to the auto hammer permission state. Specifically, when the switching switch is operated in the auto hammer prohibition state, the working machine transits to the auto hammer standby state, and when the switching switch is operated agai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auto hammer standby state, it transits to the auto hammer permission state.

일본 특허공개 2010-209641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209641

상기 관련 기술에서는 스위칭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오토 해머 금지 상태로부터 오토 해머 허가 상태로 스위칭되므로, 예를 들면 갑자기 유압 브레이커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타격을 개시하는 것 같은 일이 없도록 오퍼레이터가 주의해서 조작할 필요가 있다.In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since the automatic hammer prohibited state is switched to the automatic hammer permitted state by operation of a switching switch, the operator must operate carefully so that, for example, the hydraulic breaker does not suddenly become operable and start hitting. There is a need.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에 의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하기 쉬운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 working machine, a control program for a working machine, a control system for a working machine, and a working machine that can easily reduce the operator's burden by operation.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은 작업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것과, 감시 대상인 특정 사상(事象)을 감시하는 것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면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관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갖는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n operation to a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working machine, monitoring a specific event to be monitored, and when the specific event occurs, the operating device It h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ecision condition regarding the operation for is satisfied.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을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A control program for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gram for causing one or more processors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of the working machine.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은 취득 처리부와, 감시 처리부와, 판정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취득 처리부는 작업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을 접수한다. 상기 감시 처리부는 감시 대상인 특정 사상을 감시한다. 상기 판정 처리부는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면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관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A control system for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quisition processing unit, a monitoring processing unit, and a judgment processing unit. The acquisition processing section accepts an operation to a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work machine.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monitors a specific event to be monitored.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judges whether or not a judgment condition regarding an operation on the operation device is satisfied when the specific event occurs.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는 상기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과,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제어되는 기체를 구비한다.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system for the working machine and a body controlled according to an operation to the operat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에 의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하기 쉬운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a working machine, th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s, th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s, and the working machine which can easily alleviate the operator's burden by operation can be provided.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조작 장치의 개략 외관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 표시 장치의 개략 외관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Embodiment 1;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Embodiment 1;
3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n operating device for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Embodiment 1;
4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 work machin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s according to Embodiment 1;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s according to Embodiment 2;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examples of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형태 1)(Embodiment 1)

[1] 전체 구성[1] Overall configuration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부(31)와, 선회부(32)와, 작업부(33)를 기체(30)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작업 기계(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1)(이하, 간단히 「제어 시스템(1)」이라고도 한다)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 외, 기체(3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2), 구동 장치(34), 조작 장치(35), 제어 밸브(36), 컷오프 스위치(371), 및 컷오프 레버(372) 등을 더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working machine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raveling part 31 , a turning part 32 , and a working part 33 in the body 3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working machine 3 further includes a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ontrol system 1”).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dy 30 includes a display device 2, a driving device 34, an operating device 35, a control valve 36, a cut-off switch 371, and a cut-off lever. (372) and the like are further provided.

본 개시에서 말하는 「작업 기계」는 각종 작업용의 기계를 의미하고, 일례로서 백호(유압 셔블, 미니 셔블 등을 포함한다), 휠로더, 및 캐리어 등의 작업 차량이다. 작업 기계(3)는 1개 이상의 작업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기계(3)는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작업용 선박, 드론 또는 멀티콥터 등의 작업 비상체 등이어도 좋다. 또한, 작업 기계(3)는 건설 기계(건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식기, 트랙터 또는 콤바인 등의 농업 기계(농기)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작업 기계(3)가 승용 타입의 백호이며, 굴착 작업, 정지 작업, 홈굴착 작업 또는 적재 작업 등을 작업으로서 실행 가능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working machine"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eans various kinds of working machine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ork vehicles such as backhoes (including hydraulic excavators, mini excavators, etc.), wheel loaders, and carriers. The working machine 3 has a working unit 33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one or more jobs. The work machine 3 is not limited to a "vehicle", and may be, for example, a work flying vehicle such as a work vessel, a drone or a multicopter. In addition, the work machine 3 is not limited to a construction machine (dry machine), and may be, for example, an agricultural machine (agricultural machine) such as a power planter, a tractor or a combine. In this embodim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a case where the work machine 3 is a backhoe of a riding type and excavation work, leveling work, groove excavation work or stacking work as work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작업 기계(3)가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의 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D1)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선회부(32)의 비선회 상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3)(의 운전부(321))에 탑승한 유저(오퍼레이터)로부터 본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D2) 및 좌우 방향(D3)을 정의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각 방향은 모두 작업 기계(3)의 기체(30)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되는 방향이며, 작업 기계(3)의 전진시에 기체(30)가 이동하는 방향이 「전방」, 작업 기계(3)의 후퇴시에 기체(30)가 이동하는 방향이 「후방」이 된다. 마찬가지로 작업 기계(3)의 우선회시에 기체(30)의 전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이 「우방」, 작업 기계(3)의 좌선회시에 기체(30)의 전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이 「좌방」이 된다. 단, 이들 방향은 작업 기계(3)의 사용 방향(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usable state of the working machine 3 is defined as the vertical direction D1. In addition, in the non-swinging state of the turning unit 32, the front-back direction D2 and the left-right direction D3 are based on the direction seen from the user (operator) riding on (the driving unit 321 of) the work machine 3. ) is defined. In other words, each direction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irection defined on the basis of the base body 30 of the working machine 3,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body 30 moves when the working machine 3 moves forward is " "Fro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body 30 moves when the work machine 3 is retracted becomes "rearward". Similar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body 30 moves when the work machine 3 turns right is "right",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machine 30 moves when the work machine 3 turns left is "left". . However, these direction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direction of use of the work machine 3 (direction at the time of use).

작업 기계(3)는 동력원이 되는 엔진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엔진은 디젤 엔진이다. 엔진은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여기에서는 경유)가 공급됨으로써 구동한다. 작업 기계(3)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엔진에 의해 유압 펌프가 구동되고, 유압 펌프로부터 기체(30)의 각 부의 유압 액츄에이터(유압 모터(43) 및 유압 실린더(44) 등을 포함한다)에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기체(30)가 구동한다. 이와 같은 작업 기계(3)는, 예를 들면 기체(30)의 운전부(321)에 탑승한 유저(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351, 352)(도 3 참조) 등의 조작 장치(35)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된다.The working machine 3 has an engine serving as a power source.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engine is a diesel engine. The engine is driven by being supplied with fuel (here, light oil) from a fuel tank. In the work machine 3, for example, a hydraulic pump is driven by an engine, and from the hydraulic pump to hydraulic actuators (including the hydraulic motor 43 and the hydraulic cylinder 44) of each part of the body 30 The gas 30 is driven by supplying hydraulic oil. In such a work machine 3, for example, a user (operator) riding on the driving unit 321 of the body 30 operates an operating device 35 such as operating levers 351 and 352 (see Fig. 3). controlled by manipulation.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기계(3)가 승용 타입의 백호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작업부(33)는 운전부(321)에 탑승한 유저(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되고, 굴착 작업 등의 작업을 실행한다. 유저가 탑승하는 운전부(321)는 선회부(32)에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ase where the work machine 3 is a passenger-type backhoe is assumed as described above, the work unit 33 is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operator) riding on the driver 321, and excavation is performed. run tasks, etc. The driving unit 321 on which the user rides is formed on the turning unit 32 .

여기에서 기체(30)의 운전부(321)에는 표시 장치(2) 및 조작 장치(35)가 탑재되어 있으며, 유저는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작업 기계(3)에 관련되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보면서 조작 장치(35)를 조작 가능하다. 일례로서 표시 장치(2)의 표시 화면에 냉각 수온 및 작동 유온 등의 작업 기계(3)의 가동 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필요한 작업 기계(3)의 가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 장치(2)에서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device 2 and the operating device 35 are mounted on the driving unit 321 of the body 30, and the user can perform various tasks related to the work machine 3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The operating device 35 can be operated while viewing the information. As an example, by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orking machine 3, such as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operating oil temperature,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 the user can operate the working machine 3 necessary for operating the operating device 35. Information about the state can be checked on the display device 2 .

주행부(31)는 주행 기능을 갖고, 지면을 주행(선회를 포함한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행부(31)는, 예를 들면 좌우 1쌍의 크롤러(311) 및 블레이드(312) 등을 갖고 있다. 주행부(31)는 크롤러(311)를 구동하기 위한 주행용의 유압 모터(43)(유압 액츄에이터) 등을 더 갖는다.The traveling unit 31 has a traveling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raveling (including turning) on the ground. The traveling part 31 has, for example, a pair of right and left crawlers 311 and blades 312 and the like. The travel section 31 further has a travel hydraulic motor 43 (hydraulic actuator) and the like for driving the crawler 311 .

선회부(32)는 주행부(31)의 상방에 위치하고, 주행부(31)에 대하여 연직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회부(32)는 선회용의 유압 모터(유압 액츄에이터) 등을 갖고 있다. 선회부(32)에는 운전부(321) 외, 엔진 및 유압 펌프 등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선회부(32)의 전단부에는 작업부(33)가 부착되는 붐 브래킷(322)이 설치되어 있다.The turning unit 32 is located above the traveling unit 31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urn around a rotation axis along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unit 31 . The turning part 32 has a hydraulic motor (hydraulic actuator) for turning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driving unit 321, an engine, a hydraulic pump, and the like are mounted in the turning unit 32. In addition, a boom bracket 322 to which the work unit 33 is attached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wing unit 32 .

작업부(33)는 1개 이상의 작업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업부(33)는 선회부(32)의 붐 브래킷(322)에 지지되어 있으며, 작업을 실행한다. 작업부(33)는 어태치먼트(331)를 갖는다. 어태치먼트(331)는 복수 종류의 기구 중으로부터 작업의 내용에 따라 선택되는 임의의 기구(작업구)이다. 어태치먼트(331)는 일례로서 기체(3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작업의 내용에 따라 교환된다. 작업 기계(3)용의 어태치먼트(331)로서는, 예를 들면 브레이커, 오거, 크러셔, 포크, 버킷, 포크클로, 철골 커터, 아스팔트 절삭기, 예취기, 리퍼, 멀쳐, 틸트 로테이터, 및 탬퍼 등의 여러 가지의 기구가 있다.The work unit 33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ecute one or more jobs. The work unit 33 is supported by the boom bracket 322 of the swing unit 32 and performs work. The working part 33 has an attachment 331 . The attachment 331 is an arbitrary tool (work tool)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too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work. The attachment 33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30 as an example, and is ex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work. As the attachment 331 for the working machine 3, for example, a breaker, an auger, a crusher, a fork, a bucket, a fork claw, a steel frame cutter, an asphalt cutter, a reaper, a ripper, a mulcher, a tilt rotator, and a tamper. There is an instrument of

작업부(33)는 붐(332), 암(333), 및 유압 액츄에이터(유압 실린더(44) 및 유압 모터 등을 포함한다) 등을 더 갖고 있다. 어태치먼트(331)는 암(333)의 선단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작업부(33)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엔진에 의해 유압 펌프가 구동되고, 작업부(33)의 유압 액츄에이터에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작업부(33)가 동작한다.The working part 33 further has a boom 332, an arm 333, a hydraulic actuator (including a hydraulic cylinder 44 and a hydraulic motor, etc.), and the like. Attachment 331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arm 333 . Here, the working unit 33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n engine as a power source. Specifically, the hydraulic pump is driven by the engine, and hydraulic oil is supplied to the hydraulic actuator of the working unit 33 from the hydraulic pump, so that the working unit 33 operates.

붐(332)은 선회부(32)의 붐 브래킷(3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붐(332)은 붐 브래킷(322)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붐(332)은 붐 브래킷(322)에 지지되는 기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암(333)은 붐(332)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암(333)은 붐(332)에 대하여 수평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boom 33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om bracket 322 of the pivoting part 32 . Specifically, the boom 332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rotation axi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boom bracket 322 . The boom 332 has a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proximal end supported by the boom bracket 322 . The arm 333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boom 332. The arm 333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boom 332 about a rotation axis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작업 기계(3)는 구동 장치(34)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동 장치(34)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작업부(33)의 어태치먼트(331)를 구동하고, 여러 가지의 작업을 실행한다. 즉, 작업 기계(3)에서는 작업의 내용에 따라, 예를 들면 브레이커 또는 오거 등의 어태치먼트(331)가 기체(30)에 부착되고, 구동 장치(34)로부터의 동력을 어태치먼트(331)에 공급해서 어태치먼트(331)를 구동함으로써 작업을 실행한다. 그 때문에 작업 기계(3)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어태치먼트(331)가 소망의 움직임을 하도록, 예를 들면 유저(오퍼레이터)가 조작 장치(35)를 조작함으로써 어태치먼트(331)에 공급되는 구동 장치(34)의 출력(동력) 등이 제어된다.In addition, the work machine 3 is equipped with a driving device 34, drives the attachment 331 of the work section 33 with power from the driving device 34, and executes various jobs. That is, in the working machine 3, an attachment 331 such as a breaker or an auger is attached to the body 30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work, and power from the driving device 34 is supplied to the attachment 331 Then, by driving the attachment 331, the job is executed. Therefore, in executing a job with the work machine 3, the drive device supplied to the attachment 331 is supplied to the attachment 331 by, for example, a user (operator) operating the operating device 35 so that the attachment 331 makes a desired movement. The output (power) of (34) and the like are controlled.

구동 장치(34)는 어태치먼트(331)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구동 장치(34)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유압 기기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331)의 구동용의 동력으로서 인출하기 위한 PTO(Power take-off) 등의 장치(기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장치(34)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로부터의 작동유를 어태치먼트(331)에 송출함으로써 어태치먼트(331)에 공급한다. 구동 장치(34)는 어태치먼트(331)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어태치먼트(331)에 공급하는 동력의 크기를 조절한다.The driving device 34 is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attachment 331 .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driving device 34 is composed of a device (mechanism) such as a power take-off (PTO) for taking out power from the engine as driving power for the attachment 331 made of hydraulic equipment. Specifically, the driving device 34 supplies the attachment 331 by sending hydraulic oil from a hydraulic pump driven by an engine to the attachment 331 . The driving device 34 adjust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attachment 331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hydraulic fluid supplied to the attachment 331 .

여기에서 구동 장치(34)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4개)의 출력 포트(341~344)를 갖고 있다(도 2 참조). 이들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는 각각 동력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는 각각 개별로 동력, 즉 작동유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며, 구동 장치(34)는 이들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 각각으로부터 동력을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 각각은 PTO 포트이기 때문에 출력 포트(341)를 「PTO1」, 출력 포트(342)를 「PTO2」, 출력 포트(343)를 「PTO3」, 출력 포트(344)를 「PTO4」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Here, the driving device 34 has a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four 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see Fig. 2). Each of thes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outputting power.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can individually adjust power, that is, the flow rate of hydraulic oil, and the driving device 34 outputs power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In this embodiment, since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is a PTO port, the output port 341 is set to "PTO1", the output port 342 is set to "PTO2", and the output port 343 is set to "PTO3". In some cases, the port 344 is indicated as "PTO4".

선회부(32) 및 주행부(31) 각각에 대해서도 작업부(33)와 마찬가지로 동력원으로서의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동작한다. 즉, 선회부(32) 및 주행부(31)의 유압 액츄에이터(유압 모터)에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선회부(32) 및 주행부(31)가 동작한다.Each of the turning part 32 and the traveling part 31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n engine as a power source, similarly to the working part 33 . That is, by supplying hydraulic oil from a hydraulic pump to the hydraulic actuator (hydraulic motor) of the swinging part 32 and the traveling part 31, the turning part 32 and the traveling part 31 operate.

조작 장치(35)는 기체(30)의 운전부(321)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저(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장치(35)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조작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 장치(35)는 1쌍의 조작 레버(351, 352)(도 3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조작 장치(35)에 대해서 상세하게는 「[2] 조작 장치」의 란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ng device 35 is disposed on the driving unit 321 of the body 30 and i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n operating input from a user (operator). The operating device 35 accepts various operations by the user by, for example,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operation.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operating device 35 includes a pair of operating levers 351 and 352 (see Fig. 3). The operating device 35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lumn of "[2] Operating device".

제어 시스템(1)은,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1 이상의 프로세서와,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주구성으로 하고, 여러 가지의 처리(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시스템(1)은 작업 기계(3)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통합 컨트롤러이며, 예를 들면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이루어진다. 단, 제어 시스템(1)은 통합 컨트롤러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1개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주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어 시스템(1)에 대해서 상세하게는 「[3] 제어 시스템의 구성」의 란에서 설명한다.The control system 1 has, for example, a computer system having one or more processors such as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one or more memories such as ROM (Read Only Memory) and RAM (Random Access Memory) as a main configuration, , various processing (information processing) is executed.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system 1 is an integrated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entire working machine 3, and is composed of, for exampl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However, the control system 1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tegrated controller, or may have one processor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as its main configuration. The control system 1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lumn of "[3] Configuration of Control System".

표시 장치(2)는 기체(30)의 운전부(321)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저(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고, 유저에게 여러 가지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표시 장치(2)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오퍼레이터)는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p1)(도 4 참조)을 시인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표시 장치(2)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device 2 is disposed on the driving unit 321 of the body 30, and i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operation input by a user (operator) and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 user. The display device 2 accepts various operations by the user by, for example, outputting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reby, the user (operator) can visually recognize the display screen Dp1 (refer to FIG. 4)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and can also operate the display device 2 as needed.

표시 장치(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1)와, 조작부(22)와, 표시부(23)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2)는 제어 시스템(1)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 시스템(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시 장치(2)는 작업 기계(3)에 사용되는 전용 디바이스이다.As shown in FIG. 2 , the display device 2 includes a control unit 21 , an operation unit 22 , and a display unit 23 . The display device 2 is configured to be communicable with the control system 1, and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control system 1.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display device 2 is a dedicated device used for the work machine 3 .

제어부(21)는 제어 시스템(1)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표시 장치(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1)는 조작부(22)에서 접수한 유저의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어 시스템(1)에서 생성되는 표시 화면(Dp1)을 표시부(23)에 표시하거나 한다.The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display device 2 according to data from the control system 1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1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operation received by the operation unit 22 or displays a display screen Dp1 generated by the control system 1 on the display unit 23 .

조작부(22)는 표시부(23)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p1)에 대한 유저(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조작부(22)는, 예를 들면 유저(U1)(도 4 참조)의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유저(U1)에 의한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부(2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식의 복수(여기에서는 6개)의 누름 단추 스위치(221~226)를 포함한다. 이들 복수의 누름 단추 스위치(221~226)는 표시부(23)의 표시 영역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표시 영역에 근접해서(도 4의 예에서는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누름 단추 스위치(221~226)는 후술하는 표시 화면(Dp1)에 표시되는 항목에 대응시켜져 있으며, 복수의 누름 단추 스위치(221~226)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됨으로써 표시 화면(Dp1)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조작(선택)된다.The operation unit 22 i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n operation input by a user (operator) to the display screen Dp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 The operation unit 22 accepts various operations by the user U1, for example, by outputting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U1 (see Fig. 4).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operation unit 22 includes a plurality of mechanical push button switches 221 to 226 (six here) as shown in FIG. 4 . These plurality of push button switches 221 to 226 are arranged close to the display area (downward in the example of FIG. 4 ) so as to follow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23 . These plurality of push button switches 221 to 226 correspond to items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Dp1 described later, an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button switches 221 to 226 is operated, the display screen Dp1 Any one of the items is manipulated (selected).

또한, 조작부(22)는 터치 패널 및 조작 다이얼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부(22)에 대한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Dp1)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조작(선택)되게 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22 may include a touch panel, an operation dial, and the like. Also in this case, any one item of the display screen Dp1 is operated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2 .

표시부(23)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유저(U1)(오퍼레이터)에게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표시부(23)는 유저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에 의해 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시부(23)는 백라이트 부착된 풀컬러의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긴 「횡장(橫長)」의 표시 영역을 갖고 있다.The display unit 23 is a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the user U1 (operator)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EL display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23 present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o the user by means of a display.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display unit 23 is a full-color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backlight, and as shown in FIG. 4, it has a horizontally long "horizontal" display area.

도 2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3)의 유압 회로 및 전기 회로(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점선이 저압의(파일럿유용의) 유로, 1점 쇄선의 화살표가 전기 신호의 경로를 나타낸다.2 schematically shows a hydraulic circuit and an electric circuit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working machine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2,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low-pressure (pilot use) flow path, and the dotted line arrow indicates the electrical signal path.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3)의 기체(30)는 표시 장치(2), 구동 장치(34), 및 조작 장치(35)에 추가하여 제어 밸브(36), 컷오프 스위치(371), 및 컷오프 레버(372) 등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body 30 of the working machine 3 includes a control valve 36, a cutoff switch 371, in addition to the display device 2, the driving device 34, and the operating device 35, and a cut-off lever 372 and the like.

여기에서 구동 장치(34)에는 유압 펌프로부터의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스위칭 가능한 파일럿식의 방향 스위칭 밸브(컨트롤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방향 스위칭 밸브에 파일럿 펌프로부터 입력 지령이 되는 파일럿유가 공급됨으로써 구동 장치(34)는 구동된다. 그리고 방향 스위칭 밸브로의 파일럿유의 공급로에는 전자식의 제어 밸브(36)(전자 밸브)가 삽입되어 있다. 제어 밸브(36)는 제어 시스템(1)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전류)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 밸브(36)는 여기에서는 (전자식)비례 제어 밸브인 것으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로의 개방/차단을 스위칭 가능한 개폐 밸브이어도 좋다.Here, the drive device 34 is provided with a pilot type directional switching valve (control valve)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and flow rate of hydraulic oil from the hydraulic pump. The driving device 34 is driven by supplying pilot oil serving as an input command from the pilot pump to the directional switching valve. An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36 (solenoid valve) is inserted into the pilot oil supply path to the directional switching valve. The control valve 36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current) from the control system 1 . The control valve 36 is assumed to be a (electronic) proportional control valve her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 example, an on-off valve capable of switching the opening/closing of a flow path.

제어 밸브(36)는 통전 상태, 즉 제어 신호로서의 전류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일럿유의 유로를 개방하고, 비통전 상태, 즉 제어 신호로서의 전류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일럿유의 유로를 차단한다. 그 때문에 제어 밸브(36)로의 공급 전류(제어 신호)가 차단됨으로써 구동 장치(34)가 구동 불능이 되고,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구동 장치(34)의 출력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The control valve 36 opens the pilot oil passage in an energized state, i.e., a state in which current as a control signal is supplied, and blocks the pilot oil passage in a non-energized state, i.e.,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as a control signal is cut off. Therefore, when the supply current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36 is cut off, the driving device 34 becomes inoperable, and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is forcibly stopp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do.

컷오프 스위치(371)는 컷오프 레버(372)에 연동하고 있다. 컷오프 레버(372)는 기체(30)의 운전부(321)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저(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컷오프 레버(372)는 상하 방향(D1)을 따라 조작 가능하다. 컷오프 레버(372)가 가동 범위의 상단 위치인 「오름 위치」에 있으면 컷오프 스위치(371)는 「오프」이며, 컷오프 레버(372)가 가동 범위의 하단 위치인 「내림 위치」에 있으면 컷오프 스위치(371)는 「온」이다. 그리고 컷오프 스위치(371)는 제어 시스템(1)에 접속되어 있으며, 컷오프 스위치(371)가 오프인 상태에서는 제어 시스템(1)이 제어 신호로서의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제어 밸브(36)에 의해 유압 회로를 강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컷오프 스위치(371)의 온/오프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전/비통전이 스위칭되는 컷오프 밸브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어 시스템(1)을 개재하지 않고, 컷오프 스위치(371)에 연동해서 유압 회로가 차단되어도 좋다. 즉, 컷오프 스위치(371)가 오프일 때에 컷오프 밸브에 의해 유압 회로가 차단됨으로써 제어 시스템(1)을 개재하는 일 없이 유압 회로가 강제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컷오프 레버(372)가 「내림 위치」에 있으면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의해 구동 장치(34)가 구동하는 것에 비해,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으면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구동 장치(34)의 출력이 강제적으로 정지한다. 그 때문에 구동 장치(34)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유저(오퍼레이터)는 컷오프 레버(372)를 「내림 위치」로 조작할 필요가 있다.The cut-off switch 371 is interlocked with the cut-off lever 372. The cut-off lever 372 is disposed on the driving unit 321 of the body 30 and receives an operation input from a user (operator).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cut-off lever 372 can be oper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1.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at the "up position",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range, the cut-off switch 371 is "off", and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at the "down position",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range, the cut-off switch ( 371) is "on". And, the cut-off switch 37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1, and in a state in which the cut-off switch 371 is off, the control system 1 cuts off the current as a control signal to open the hydraulic circuit by the control valve 36. forcibly blocked. In addition, when a cut-off valve that is directly switched on/off by the on/off of the cut-off switch 371 is provided, the hydraulic circui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cut-off switch 371 without intervening the control system 1. may be blocked. That is, when the cut-off switch 371 is OFF, the hydraulic circuit is forcibly cut off without intervening the control system 1 by blocking the hydraulic circuit with the cut-off valve. Therefore,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at the "lower position", the driving device 34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whereas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at the "up position", the operating device 35 ),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is forcibly stopped. Therefore, in order to drive the drive device 34, the user (operator) needs to operate the cut-off lever 372 to the "down position".

또한, 선회부(32) 및 주행부(31) 각각에 대해서도 유압 액츄에이터(유압 모터)에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동작하므로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으면 선회부(32) 및 주행부(31)도 구동 불능이 된다. 즉,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으면 작업부(33), 선회부(32), 및 주행부(31)의 전체에 대해서 강제적으로 구동 불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ydraulic actuator (hydraulic motor) operates by supplying hydraulic oil from a hydraulic pump to each of the swing unit 32 and the traveling unit 31,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in the "up position", the swing unit 32 and The driving part 31 also becomes inoperable. In other words,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at the "raised position", all of the work portion 33, the swing portion 32, and the travel portion 31 are forcibly disabled.

요컨대, 컷오프 스위치(371)는 오프일 때에 작업 기계(3)의 동작이 제한(금지를 포함한다)되는 「로크 상태」에 있으며, 온일 때에 작업 기계(3)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는 「로크 해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어서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에 있으면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구동 장치(34)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3)의 동작이 강제적으로 제한된다. 컷오프 레버(372)는 이렇게 작업 기계(3)의 동작을 로크할 때에 조작되는 레버이며, 게이트(식) 로크 레버와 동의이다.In short, the cut-off switch 371 is in a "locked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3 is restricted (including prohibited) when it is off, and when it is on, it is in a "unlocked state" that does not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3. state”. And, if the cut-off switch 371 is in a locked state (off)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at the "raised position",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of the work machine 3 including the drive device 34 Movement is forcibly restricted. The cut-off lever 372 is a lever operated when locking the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3 in this way, and is synonymous with the gate (expression) lock lever.

또한, 기체(30)는 상술한 구성에 추가하여 통신 단말, 연료 탱크, 및 배터리 등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체(30)에는 기체(30)의 주변을 촬상하는 카메라 등 작업 기계(3)의 주위의 감시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검지 대상물을 검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류(카메라를 포함한다)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dy 30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terminal, a fuel tank, a battery,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body 30 is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including cameras) for detecting objects to be detected in the monitoring area around the work machine 3, such as a camera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body 30.

[2] 조작 장치[2] Operating device

이어서, 조작 장치(35)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작 장치(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쌍의 조작 레버(351, 352)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의 「정면에서 볼 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51)는 운전부(321)에 탑승한 유저(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오른손측에 위치하고, 조작 레버(352)는 운전부(321)에 탑승한 유저로부터 보아 왼손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유저는, 예를 들면 조작 레버(351)를 오른손으로, 조작 레버(352)를 왼손으로 쥐고, 이들 1쌍의 조작 레버(351, 352)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기계(3)에 전진, 후퇴 등의 여러 가지의 동작을 실행시킨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operating device 35 includes a pair of operating levers 351 and 352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front view" of FIG. 3 , the control lever 351 is located on the right hand side when viewed from the user (operator) riding on the driver's unit 321, and the control lever 352 is located on the driver's unit 321.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boarding user. Therefore, the user holds the control lever 351 with his right hand and the control lever 352 with his left hand, for example, and operates the pair of control levers 351 and 352 to move the machine 3 forward and backward. Execute various actions such as

여기에서 조작 장치(35)는 구동 장치(34)의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를 개별로 조작 가능해지도록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에 1대1로 대응하는 복수(여기에서는 4개)의 조작자(Sw1~Sw4)를 갖고 있다. 조작자(Sw1)는 조작 레버(351)의 전면측(정면측)에 배치되고, 조작자(Sw2)는 조작 레버(352)의 전면측(정면측)에 배치된다. 조작자(Sw4)는 조작 레버(351)의 후면측(배면측)에 배치되고, 조작자(Sw3)는 조작 레버(352)의 후면측(배면측)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른손측의 조작 레버(351)에는 그 전후면으로 나누어 조작자(Sw1) 및 조작자(Sw4)가 설치되고, 왼손측의 조작 레버(352)에는 그 전후면으로 나누어 조작자(Sw2) 및 조작자(Sw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조작자(Sw1~Sw4)는 구동 장치(3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작동유의 유량)를 조절하는 「조절 조작자」를 구성한다.Here, the operating device 35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here, 4 dog) of operators (Sw1 to Sw4). The operator Sw1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front side) of the control lever 351, and the operator Sw2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front side) of the control lever 352. The operator Sw4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rear side) of the control lever 351, and the operator Sw3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rear side) of the control lever 352.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or Sw1 and the operator Sw4 are provided on the right-hand side operation lever 351 divided into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left-hand operation lever 352 is divided into the front and back sides and the operator Sw2 ) and an operator Sw3 are installed. Thes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4 constitute an "adjustment operator" that adjusts the magnitude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driving device 34 (flow rate of hydraulic oil).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복수의 조작자(Sw1~Sw4)는 모두 우방(A1) 또는 좌방(A2)으로 경도(傾倒)하도록 조작 가능한 레버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특히, 각 조작자(Sw1~Sw4)는 가동 범위의 좌우 방향(D3)의 중심을 뉴트럴 포지션(Pn1)(도 3 참조)으로 하고, 조작력이 작용되어 있는 동안만 우방(A1) 또는 좌방(A2)으로 경도하고, 조작력이 없어지면 뉴트럴 포지션(Pn1)으로 복귀하는 모멘터리형의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조작자(Sw1~Sw4)는 각각 우방(A1) 또는 좌방(A2)으로 조작됨으로써 그 조작량(경도량)에 따라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34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작동유의 유량)를 결정한다. 기본적으로는 조작자(Sw1~Sw4)의 조작량이 커질수록 각각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34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크고, 즉 작동유의 유량은 증대한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all of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4 are made of lever switches that can be operated to tilt to the right (A1) or to the left (A2). In particular, each manipulator Sw1 to Sw4 sets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3 of the movable range at the neutral position Pn1 (see FIG. 3), and moves to the right (A1) or left (A2) only while the operating force is applied. It is a momentary type switch that is mild and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Pn1) when the operating force is lost. As such operators Sw1 to Sw4 are operated in the right direction A1 or the left direction A2, respectively, the amount of power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output ports 341 to 344 according to the amount of manipulation (the amount of hardness) (flow rate of hydraulic oil). decide Basically, as the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ors Sw1 to Sw4 increases, the power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output ports 341 to 344 increases, that is, the flow rate of hydraulic oil increases.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출력 포트(341)에는 조작자(Sw1)가 대응하고, 출력 포트(342)에는 조작자(Sw2)가 대응하고, 출력 포트(343)에는 조작자(Sw3)가 대응하고, 출력 포트(344)에는 조작자(Sw4)가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저가 조작자(Sw1)를 조작하면 구동 장치(34)에 있어서의 출력 포트(341)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조작자(Sw1)의 조작량에 따라 조절된다. 한편, 유저가 조작자(Sw4)를 조작하면 구동 장치(34)에 있어서의 출력 포트(34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조작자(Sw4)의 조작량에 따라 조절된다.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는 「할당 정보」에 의해 규정되어 있으며, 할당 정보는, 예를 들면 제어 시스템(1)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operator Sw1 corresponds to the output port 341, the operator Sw2 corresponds to the output port 342, the operator Sw3 corresponds to the output port 343, and the output port 344 ) is assumed to correspond to the operator Sw4. In this cas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or Sw1,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port 341 of the driving device 34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operator Sw1.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manipulator Sw4,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port 344 of the driving device 34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or Sw4. Correspond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and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4 is defined by "assignment information", and the assignme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system 1, for example. .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할당 정보(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 등의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관한 설정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2)에 있어서 행해진다. 즉, 표시 장치(2)의 표시부(23)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 등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setting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such as assignment information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and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4),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It is done in (2). 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and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4 by a user's operation on a setting screen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of the display device 2. do.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레버(351)의 후면측(배면측)에는 조작자(Sw5)가 배치되고, 조작 레버(352)의 후면측(배면측)에는 조작자(Sw6)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자(Sw5, Sw6)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기능(홀드 기능)을 유효(온)로 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즉, 조작자(Sw5, Sw6)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조작자」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자(Sw5, Sw6)는 모두 모멘터리형의 누름 단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유저가 조작자(Sw5, Sw6)를 누름 조작하면 유지 기능이 유효가 되고, 구동 장치(34)의 출력이 유지(보지)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Sw5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rear side) of the control lever 351, and the operator Sw6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rear side) of the control lever 352. The operators Sw5 and Sw6 are operators for enabling (on) a holding function (hold function) for holding the output of the drive device 34 . That is, the operators Sw5 and Sw6 constitute a "maintenance operator" for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all of the operators Sw5 and Sw6 are momentary-type push button switches. Therefore, when the user pushes the operators Sw5 and Sw6, the holding function becomes effective, and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is held (holded).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레버(351)에 배치된 조작자(Sw5)는 동일 조작 레버(351)에 설치된 조작자(Sw1)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에 대해서 유지 기능을 유효하게 한다. 한편, 조작 레버(352)에 설치된 조작자(Sw6)는 동일 조작 레버(352)에 설치된 조작자(Sw2)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342)에 대해서 유지 기능을 유효하게 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자(Sw5)를 누름 조작하면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 중 출력 포트(341)에 대해서 출력이 유지(보지)된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Sw5 disposed on the control lever 351 makes the holding function effective for the output port 341 corresponding to the operator Sw1 provided on the same control lever 351. 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Sw6 installed on the operating lever 352 makes the holding function effective for the output port 342 corresponding to the operator Sw2 installed on the same operating lever 352.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or Sw5, the output is held (held) with respect to the output port 341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단,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 조작자(Sw5, Sw6)는 동일 조작 레버(351, 352)에 설치된 조작자(Sw1~Sw4)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344) 중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고 있으면 좋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자(Sw5)이면 출력 포트(341, 344)의 양쪽에 대한 유지 기능을 유효하게 해도 좋고, 출력 포트(344)에 대한 유지 기능을 유효하게 해도 좋다. 한편, 조작자(Sw6)이면 출력 포트(342, 343)의 양쪽에 대한 유지 기능을 유효하게 해도 좋고, 출력 포트(343)에 대한 유지 기능을 유효하게 해도 좋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long as each operator Sw5 and Sw6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the output ports 341 to 344 corresponding to the operators Sw1 to Sw4 provided on the same operation levers 351 and 352. good night. Therefore, for example, as long as it is the operator Sw5, the holding function for both of the output ports 341 and 344 may be made valid, or the holding function for the output port 344 may be made valid. On the other hand, if it is the operator Sw6, the holding function for both of the output ports 342 and 343 may be made valid, or the holding function for the output port 343 may be made valid.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3)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34)는 복수의 조작자(Sw1~Sw6)를 갖는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조작자(Sw1~Sw6)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절 조작용의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와,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조작용의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를 포함한다. 또한,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에 대해서는 1개의 조작 레버(351)(또는 조작 레버(352))에 대해서 복수 설치되어 있다.In short, in the working machine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device 34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having a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6. Here,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6 include an adjustment operator (operators Sw1 to Sw4)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34 and a holding operation for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34. includes maintenance operators (manipulators Sw5 and Sw6). In addition, a plurality of adjustment operators (operators Sw1 to Sw4) are provided with respect to one operating lever 351 (or operating lever 352).

여기에서 작업 기계(3)는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와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가 동시에 조작되었을 경우에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의 조작량에 따른 값으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자(Sw1)를 조작 중에 조작자(Sw5)를 누름 조작하면 조절 조작자(조작자(Sw1))와 유지 조작자(조작자(Sw5))가 동시에 조작되게 된다. 이 경우, 출력 포트(341)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는 조작자(Sw5)가 조작된 시점에서의 조작자(Sw1)의 조작량에 따른 값으로 유지된다.Here, the working machine 3 converts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to the adjusting operator (operators Sw1 to Sw6) when the adjusting operator (operators Sw1 to Sw4) and the holding operator (operators Sw5 and Sw6) are simultaneously operated. It is maintained at the value according to the manipulated variable of Sw4)).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and operates the operator Sw5 while operating the operator Sw1, the adjustment operator (operator Sw1) and the maintenance operator (operator Sw5) are simultaneously operated. In this case, the magnitude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port 341 is maintained at a value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amount of the manipulator Sw1 at the time when the manipulator Sw5 is manipulated.

한편,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와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 중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만이 조작되었을 경우, 작업 기계(3)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규정값으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자(Sw5)만을 누름 조작했을 경우, 조작자(Sw1)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341)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크기는 출력 포트(341)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값으로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only the holding operator (manipulators Sw5 and Sw6) is operated among the adjustment operators (operators Sw1 to Sw4) and the holding operators (operators Sw5 and Sw6), the working machine 3 is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34 Maintains the output of the specified value.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only the operator Sw5, the magnitude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port 341 corresponding to the operator Sw1 is maintained at a prescribed value set in advance for the output port 341. do.

따라서, 유저의 조작의 방법에 의해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임의의 값으로 유지하는 것과,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규정값으로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임의의 값으로 유지할 때의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임의 홀드」라고 부르고, 구동 장치(34)의 출력을 규정값으로 유지할 때의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규정값 홀드」라고 부른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divide and use between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at an arbitrary value and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at a specified value by a user's operation method. 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lding function when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is held at an arbitrary value is referred to as "optional hold",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lding function when hold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34 at a specified value is referred to as "optional hold". This is called “regular value hol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조작 레버(351, 352)에는 그 그립 부분에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시하는 표시등(350)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등(350)은, 예를 들면 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그 발광 상태(점등 상태)에 의해 유지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시한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each control lever 351, 352 is provided with an indicator light 350 on its grip portion for presen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lding function. The indicator light 350 includes,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lding function is presented by its light emitting state (lit state).

또한, 각 조작자(Sw1~Sw4)는 레버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토글 스위치, 로커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인코더 등이어도 좋다. 조작자(Sw5, Sw6)에 대해서도 누름 단추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레버 스위치 또는 터치 센서 등이어도 좋다. 또한, 조작 레버(351, 352)는 좌우가 반대이어도 좋고, 또는 전후 방향(D2) 또는 상하 방향(D1)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조작 레버(351, 352)는 1개이어도 좋다. 또한, 조작자(Sw5, Sw6)는 조작 레버(351, 352)의 후면측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작 레버(351, 352)의 측면 또는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조작 장치(35)는 조작 레버(351, 352)에 상술한 복수의 조작자(Sw1~Sw6) 이외의 조작자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표시등(350)에 대해서도 적당히 생략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operator Sw1 - Sw4 is not limited to a lever switch, For example, a toggle switch, a rocker switch, a rotary switch, a slide switch, or an encoder may be sufficient as it. The operators Sw5 and Sw6 are not limited to push button switches, and may be, for example, lever switches or touch sensors. In addition, the control levers 351 and 352 may be left and right reversed, or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D2 or up-down direction D1. One operation lever 351, 352 may be sufficient as it. Note that the operators Sw5 and Sw6 are not limited to the rear side of the control levers 351 and 352, but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r front side of the control levers 351 and 352, for example. In addition, the operating device 35 may have operators other than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6 described above on the operating levers 351 and 352 . Also, the indicator light 350 can be appropriately omitted.

[3] 제어 시스템의 구성[3] Composition of control system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어 시스템(1)은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따라 기체(30)(주행부(31), 선회부(32), 작업부(33), 및 구동 장치(34) 등을 포함한다)의 각 부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장치(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기계(3)의 기체(30)에 탑재되어 있다. 제어 시스템(1)은 작업 기계(3)의 구성 요소이며, 기체(30) 등과 함께 작업 기계(3)를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3)는 적어도 제어 시스템(1)과,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따라 제어되는 기체(30)를 구비하고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control system 1 controls the body 30 (including the traveling part 31, the turning part 32, the working part 33, the driving device 34, etc.)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control each part of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device 35 is mounted on the body 30 of the work machine 3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ystem 1 is a component of the working machine 3 and constitutes the working machine 3 together with the body 30 and the like. In other words, the working machine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he control system 1 and the body 30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

제어 시스템(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 처리부(11)와, 감시 처리부(12)와, 판정 처리부(13)와, 스위칭 처리부(14)와, 제어 처리부(15)와, 통지 처리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어 시스템(1)은 1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주구성으로 하므로 1 이상의 프로세서가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들 복수의 기능부(취득 처리부(11) 등)가 실현된다. 제어 시스템(1)에 포함되는 이들 복수의 기능부는 복수의 하우징에 분산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1개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system 1 includes an acquisition processing unit 11, a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a judgment processing unit 13, a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a control processing unit 15, a notification processing unit ( 16)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since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1 is a computer system having one or more processors, these plurality of functional units (acquisition processing unit 11, etc.) come true These plurality of functional units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1 may be formed in a dispersed manner in a plurality of housings, or may be formed in one housing.

제어 시스템(1)은 기체(30)의 각 부에 설치된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 시스템(1)에는 적어도 표시 장치(2), 조작 장치(35), 제어 밸브(36), 및 컷오프 스위치(371)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 시스템(1)은 표시 장치(2) 및 제어 밸브(36) 등을 제어하거나 표시 장치(2), 조작 장치(35), 및 컷오프 스위치(371)로부터 전기 신호(조작 신호 등)를 취득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통신 가능」이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전파 또는 광을 매체로 하는 통신)의 적당한 통신 방식에 의해 직접적, 또는 통신망(네트워크) 또는 중계기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보(데이터)를 수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제어 시스템(1)은 각종 정보(데이터)의 수수를 각 디바이스와 직접적으로 행해도 좋고, 중계기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행해도 좋다. 제어 시스템(1)과 기체(30)의 각 부에 설치된 디바이스는 일례로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가능하다.The control system 1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devices installed in each part of the body 30 . That is, at least the display device 2, the operating device 35, the control valve 36, the cut-off switch 371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1. Thereby, the control system 1 controls the display device 2 and the control valve 36 or the like or receives electrical signals (operation signals, etc.) from the display device 2, the operating device 35, and the cut-off switch 371. It is possible to acquire or do "Communication possible" a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eans that information (data) can be exchanged directly by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sing radio waves or light as a medium) or indirectl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or repeater. It means you can. Therefore, the control system 1 may perform exchange of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data) directly with each device or may perform it indirectly through a relay or the like. Devices installed in each part of the control system 1 and the body 30 can communicate by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as an example.

취득 처리부(11)는 작업 기계(3)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즉, 복수의 조작자(Sw1~Sw6)를 갖는 조작 장치(35)가 유저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취득 처리부(11)는 상기 조작 신호를 취득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의 조작자(Sw1~Sw6) 중 조작자(Sw1)에 대해서 뉴트럴 포지션(Pn1)에 대한 조작량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취득 처리부(11)에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Acquisition processing unit 11 executes acquisition processing for accepting an operation to operating device 35 for controlling work machine 3 . That is, when the operation device 35 having a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6 outputs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acquisition processing unit 11 acquires the operation signal.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acquisition processing unit 11 to acquire, for example, an operation signal representing the operation amount for the neutral position Pn1 for the operator Sw1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6.

감시 처리부(12)는 감시 대상인 특정 사상을 감시하는 감시 처리를 실행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특정 사상」은 미리 정해져 있는 특정한 사상이며, 감시 처리부(12)는 특정 사상의 발생의 유무를 감시하고 있다. 즉, 특정 사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감시 처리부(12)에서 특정 사상의 발생이 검지되게 된다.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executes monitoring processing for monitoring a specific event as a monitoring target. A "specific event" referred to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a specific event determined in advance, and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monitors whether or not the specific event occurs. That is,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specific event.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정 사상은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동작 상태의 변화를 수반하는 사상을 포함한다. 즉, 특정 사상에는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이 일정(고정)함에도 불구하고, 작업 기계(3)의 동작 상태에 무엇인지 변화가 발생하는 것 같은 사상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오퍼레이터)가 조작 장치(35)의 조작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작업 기계(3)의 동작 상태가 급변하는 것 같은 사상의 발생을 특정 사상의 발생으로서 감시 처리부(12)에서 검지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작업 기계(3)의 갑작스러운 구동, 또는 작업 기계(3)의 급정지 등으로 이어지는 사상을 특정 사상의 발생으로서 검지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n event accompanying a change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 That is,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n event in which some change occurs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ork machine 3 despite the constant (fixed)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operator) maintains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ng device 35,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which the operating state of the work machine 3 suddenly changes is detected by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as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detection becomes possible. 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ct, for example, an event leading to a sudden drive of the work machine 3 or a sudden stop of the work machine 3 as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정 사상은 작업 기계(3)에 있어서의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온)로 스위칭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어서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에 있는 상태로부터, 컷오프 레버(372)가 「내림 위치」로 조작되어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해제 상태(온)로 스위칭되는 것이 특정 사상에 포함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 장치(35)를 조작한 상태로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스위칭되는 것에 수반하여 작업 기계(3)가 갑자기 구동되는 것 같은 사상의 발생을 특정 사상의 발생으로서 감시 처리부(12)에서 검지 가능해진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cific idea includes that the cutoff switch 371 in the work machine 3 is switched from a locked state (off) to an unlocked state (on). That is, from the state in which the cut-off switch 371 is locked (off)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in the "up position", the cut-off lever 372 is operated in the "lower position" to lock the cut-off switch 371. Switching to the unlocked state (on) is included in the specific idea. Thereby,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user operated the operating device 35, the cut-off switch 371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and the working machine 3 is suddenly driven. The occurrence can be detected by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as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또한, 특정 사상은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관한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예를 들면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를 규정하는 「할당 정보」가 변경되는 등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관한 설정의 변경이 행해지는 것이 특정 사상에 포함된다. 이것에 의해 일례로서 유저가 조작자(Sw1)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로 조작자(Sw1)에 대한 할당 정보가 출력 포트(341)로부터 출력 포트(342)로 변경되는 것에 수반하여 출력 포트(342)가 갑자기 구동되는 것 같은 사상의 발생을 특정 사상의 발생으로서 감시 처리부(12)에서 검지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specific idea includes that the setting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are changed. That is, a change in the setting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such as changing "assignment information" defin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and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4, for example. What is done is included in the particular idea. As a result, as an example, the output port 342 is suddenly switched as the assignment information for the operator Sw1 is changed from the output port 341 to the output port 342 while the user is operating the operator Sw1.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at seems to be driven can be detected by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as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판정 처리부(13)는 특정 사상이 발생하면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관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판정 조건」은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관련해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며, 예를 들면 각 조작자(Sw1~Sw4)의 위치가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는 것, 조작자(Sw5, Sw6)가 비조작인 것, 또는 특정한 조작자가 길게 눌러지는(소정 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조작되는) 것 등이다.The judgment processing unit 13 executes judgment processing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judgment conditions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are satisfied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The "determination condit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ndition pre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for example, that the position of each operator Sw1 to Sw4 is in the neutral position Pn1, and the operator Sw5 , Sw6) is non-operation, or a specific operator is pressed for a long time (operat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스위칭 처리부(14)는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의 유효와 무효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가 「무효」이면, 예를 들면 구동 장치(34)가 구동 불능이 되고,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구동 장치(34)의 출력이 강제적으로 정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스위칭 처리부(14)는 판정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유효하게 하고,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에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무효로 한다.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executes switching processing for switching validity and invalidity of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f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s "invalid", for example, the driving device 34 becomes inoperable, an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the driving device The output of (34) is forcibly stopped.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validates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when the judgment condition is satisfied, and operates when the judgment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35 is invalidated.

제어 처리부(15)는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따라 기체(30)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처리에서는 제어 처리부(15)는 기체(30)의 주행부(31), 선회부(32), 및 작업부(33) 등의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처리부(15)는 적어도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따라 제어 밸브(36)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구동 장치(34)를 제어한다.The control processing unit 15 executes control processing for controlling the aircraft 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 In the control processing,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5 executes control of the traveling unit 31, the turning unit 32, the working unit 33, and the like of the body 30. Specifically,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5 controls the driving device 34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36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at least.

통지 처리부(16)는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는 통지를 행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통지」는 유저(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수단으로 통지를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표시(표시등의 점등을 포함한다), 소리(음성을 포함한다), 타단말로의 송신 또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로의 기입 등의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통지 처리부(16)는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 즉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가 「무효」로 될 경우에 표시 장치(2)의 표시부(23)에 그 취지를 표시시킴으로써 판정 결과에 의거하는 통지를 행한다(도 7 참조).The notification processing unit 16 executes notification processing for making a notification based on a result of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a judgment condition is satisfied. "Notification" a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eans notifying the user (operator) by various means, such as display (including lighting of indicator lamps), sound (including voice), and other terminals. means such as transmission of or writing to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notification processing unit 16 displays the display device 2 when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at is, when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becomes "invalid". By displaying that effect on the display unit 23 of ),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performed (see Fig. 7).

[4]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4] How to control work machines

이하, 도 5~도 7을 참조하면서 주로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 기계(3)의 제어 방법(이하, 간단히 「제어 방법」이라고 한다)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어 방법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횡축을 시간축으로 하고, 컷오프 신호, PTO 조작 및 PTO 제어의 상태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컷오프 신호」는 컷오프 스위치(371)로부터 제어 시스템(1)에 입력되는 전기 신호이며, 컷오프 스위치(371)의 오프(로크 상태) 또는 온(로크 해제 상태)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말하는 「PTO 조작」은 조작 장치(35)로부터 제어 시스템(1)에 입력되는 전기 신호(조작 신호)이며, 특히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Sw1~Sw4)의 조작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PTO 제어」는 제어 시스템(1)으로부터 제어 밸브(36)에 출력되는 전기 신호(제어 신호)에 의한 제어의 상태이며, 특히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의 제어의 유효 또는 무효를 나타낸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control method”) of the work machine 3 mainly executed by the control system 1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by the control method. Fig. 6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example of state changes of a cutoff signal, PTO operation, and PTO control, with the horizontal axis as the time axis. The "cutoff signal" referred to here is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cutoff switch 371 to the control system 1, and indicates the off (locked state) or on (unlocked state) of the cutoff switch 371. The "PTO operation" referred to here is an electric signal (operation signal) input to the control system 1 from the operating device 35, and in particular, an operator for operating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ing device 34 ( Indicates the operation status of Sw1 to Sw4). In addition, "PTO control" is a state of control by an electric signal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system 1 to the control valve 36, and in particular, the control of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device 34. indicates the validity or invalidity of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을 주구성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므로, 바꿔 말하면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제어 프로그램」이라고 한다)에 의해 구체화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 방법에 의한 각 처리를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은 제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어 시스템(1) 및 표시 장치(2)에 의해 협동(協動)해서 실행되어도 좋다.Sinc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ecuted by the control system 1 whose main component is a computer system, in other words, it is embodied by a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ontrol program"). That is,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one or more processors to execute each process by the control method. Such a control program may be executed cooperatively by the control system 1 and the display device 2, for example.

여기에서 제어 시스템(1)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미리 설정된 특정한 개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제어 방법에 의한 하기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개시 조작은, 예를 들면 작업 기계(3)의 엔진의 기동 조작 등이다. 한편, 제어 시스템(1)은 미리 설정된 특정한 종료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제어 방법에 의한 하기 각종 처리를 종료한다. 종료 조작은, 예를 들면 작업 기계(3)의 엔진의 정지 조작 등이다.Here, the control system 1 executes the following various processes by the control method when a specific preset start operation for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is performed. The starting operation is, for example, starting operation of the engine of the working machine 3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ystem 1 terminates the following various processes by the control method when a specific end operation set in advance is performed. The end operation is, for example, an engine stop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3 or the like.

또한,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어서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에 있는 상태를 초기 상태로 했을 경우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온)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정 사상」의 예로 하고, 각 조작자(Sw1~Sw4)의 위치가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는 것을 「판정 조건」의 예로서 설명한다.In addition, below, as an example, the control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cut-off switch 371 is in the locked state (off) at the "raising position" of the cut-off lever 372 is set as the initial state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witching of the cut-off switch 371 from the locked state (off) to the unlocked state (on) is taken as an example of a "specific event", and the positions of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at the neutral position Pn1. Existen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determination condition".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은, 우선 컷오프 스위치(371)로부터 컷오프 신호를 취득한다(S1). 여기에서 초기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컷오프 신호는 로크 상태에 있다. 그 후, 제어 시스템(1)의 감시 처리부(12)는 컷오프 신호로부터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해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는 채로는 컷오프 신호는 로크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감시 처리부(12)는 로크 해제 상태에 없다고 판단하여(S2: No) 처리를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한편, 유저가 컷오프 레버(372)를 내리는 조작을 행하여 컷오프 레버(372)가 「내림 위치」가 되면 컷오프 신호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감시 처리부(12)는 로크 해제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여(S2: Yes) 처리를 스텝 S3으로 이행시킨다. 이때 감시 처리부(12)는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온)로 스위칭됨으로써 「특정 사상」의 발생이라고 판단한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system 1 first acquires a cutoff signal from the cutoff switch 371 (S1). Here, in the initial state, since the cut-off lever 372 is in the "rais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ut-off signal is in the locked state. After that,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of the control system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t-off switch 371 is in an unlocked state from the cut-off signal (S2). Since the cut-off signal is in the locked state while the cut-off lever 372 remains in the "raised position",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determines that it is not in the unlocked state (S2: No) and returns the processing to step S1.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to lower the cut-off lever 372 and the cut-off lever 372 is brought to the "down position", the cut-off signal is in the unlock state, so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determines that the lock is released (S2 : Yes)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3. At this time,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2 determines that a "specific event" occurs when the cutoff switch 371 is switched from a locked state (off) to an unlocked state (on).

스텝 S3에서는 제어 시스템(1)의 취득 처리부(11)는 조작 장치(35)로부터 조작 신호를 취득한다. 이때 취득 처리부(11)는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Sw1~Sw4)의 조작 상태를 PTO 조작으로서 취득한다. 스텝 S4에서는 제어 시스템(1)의 판정 처리부(13)는 조작 신호로부터 특정되는 조작자(Sw1~Sw4)의 조작 상태(PTO 조작)가 뉴트럴 포지션(Pn1)(핀포인트에 한정되지 않고, 여유 공간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이어도 좋다)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조작자(Sw1~Sw4)는 조작력이 없어지면 뉴트럴 포지션(Pn1)으로 복귀하는 모멘터리형의 스위치이다. 그 때문에 유저가 조작자(Sw1~Sw4) 중 적어도 1개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판정 처리부(13)는 뉴트럴 포지션(Pn1)에 없다고 판단하여(S4: No) 처리를 스텝 S5로 이행시킨다. 한편, 유저가 조작자(Sw1~Sw4)의 어느 것도 조작하고 있지 않는 비조작 상태에서는 판정 처리부(13)는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다고 판단하여(S4: Yes) 처리를 스텝 S6으로 이행시킨다. 이때 판정 처리부(13)는 조작자(Sw1~Sw4)가 모든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음으로써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한다.In step S3, the acquisition processing part 11 of the control system 1 acquires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device 35. At this time, the acquisition processing unit 11 acquires the operating states of the operators Sw1 to Sw4 for operating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unit 34 as PTO operations. In step S4, the decision processing unit 13 of the control system 1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states (PTO operation) of the operators Sw1 to Sw4 specified from the operation signals are in the neutral position Pn1 (not limited to pinpoint, and the free space is may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luding).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momentary switches that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Pn1 when the operating force is lost.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ors Sw1 to Sw4,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13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ot in the neutral position Pn1 (S4: No) and transfers the processing to step S5. On the other hand, in a non-operating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operating any of the operators Sw1 to Sw4,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13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the neutral position Pn1 (S4: Yes) and transfers the processing to step S6. At this time,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13 judges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because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all in the neutral positions Pn1.

스텝 S5에서는 제어 시스템(1)의 스위칭 처리부(14)는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무효화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스위칭 처리부(14)는 조작자(Sw1~Sw4)의 조작(PTO 조작)에 따른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의 제어(PTO 제어)를 무효화함으로써 작업 기계(3)의 제어를 무효화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Sw1~Sw4)의 실제 조작량에 의하지 않고,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의 전체에 대해서 출력이 강제적으로 정지한다.In step S5, 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of the control system 1 invalidates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invalidates the control (PTO control) of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device 34 according to the operations (PTO operation) of the operators (Sw1 to Sw4) to operate the machine. The control of (3) is invalidated. As a result, the output of all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device 34 is forcibly stopped regardless of the actual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ors Sw1 to Sw4.

또한, 스텝 S6에서는 제어 시스템(1)의 스위칭 처리부(14)는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유효화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스위칭 처리부(14)는 조작자(Sw1~Sw4)의 조작(PTO 조작)에 따른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의 제어(PTO 제어)를 유효화함으로써 작업 기계(3)의 제어를 유효화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Sw1~Sw4)의 실제 조작량에 따라 구동 장치(34)의 각 출력 포트(341~344)의 출력이 제어 가능해진다.Moreover, in step S6, the switching processing part 14 of the control system 1 validates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activates the control (PTO control) of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unit 34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operators (Sw1 to Sw4) (PTO operation), thereby enabling the working machine. The control of (3) is validated. Accordingly, the outputs of the respectiv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device 34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ctual operation amounts of the operators Sw1 to Sw4.

그 후, 스텝 S7에서는 제어 시스템(1)의 취득 처리부(11)는 조작 장치(35)로부터 조작 신호를 취득한다. 이때 취득 처리부(11)는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Sw1~Sw4)의 조작 상태를 PTO 조작으로서 취득한다. 스텝 S8에서는 제어 시스템(1)의 제어 처리부(15)는 조작 신호로부터 특정되는 조작자(Sw1~Sw4)의 조작 상태(PTO 조작)가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유저가 조작자(Sw1~Sw4) 중 적어도 1개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 처리부(15)는 뉴트럴 포지션(Pn1)에 없다고 판단하여(S8: No) 처리를 스텝 S9로 이행시킨다. 한편, 유저가 조작자(Sw1~Sw4)의 어느 것도 조작하고 있지 않는 비조작 상태에서는 제어 처리부(15)는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다고 판단하여(S8: Yes) 처리를 스텝 S7로 되돌아간다.Then, in step S7, the acquisition processing part 11 of the control system 1 acquires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device 35. At this time, the acquisition processing unit 11 acquires the operating states of the operators Sw1 to Sw4 for operating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unit 34 as PTO operations. In step S8,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5 of the control system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states (PTO operation) of the operators Sw1 to Sw4 specified from the operation signals are in the neutral position Pn1.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ors Sw1 to Sw4,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5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ot in the neutral position Pn1 (S8: No) and transfers the processing to step S9. On the other hand, in a non-operation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operating any of the operators Sw1 to Sw4,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5 determines that it is in the neutral position Pn1 (S8: Yes) and returns the process to step S7.

스텝 S9에서는 제어 시스템(1)의 제어 처리부(15)는 조작 신호로부터 특정되는 조작자(Sw1~Sw4)의 조작 상태(PTO 조작)에 따라 제어 밸브(36)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를 제어하는 PTO 제어를 실행한다. 스텝 S9를 갖고 제어 방법에 의한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In step S9, the control processing unit 15 of the control system 1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36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s (PTO operation) of the operators Sw1 to Sw4 specified from the operation signals, thereby driving the device 34 ) Execute PTO control to control the output ports 341 to 344. A series of processing by the control method ends with step S9.

제어 시스템(1)은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로 조작되고,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가 될 때마다 상기 스텝 S1~S9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처리가 적당히 추가 또는 생략되어도 좋고, 처리의 순번이 적당히 교체되어도 좋다.The control system 1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s S1 to S9 above whenever the cut-off lever 372 is operated to the "raised position" and the cut-off switch 371 is locked (off). The flow chart shown in FIG. 5 is only an example, and processes may be added or omitted appropriately, or the order of processes may be appropriately replaced.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처리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신호의 유효/무효가 스위칭되게 된다. 즉, 시점(t1)까지의 기간은 컷오프 레버(372)가 「올림 위치」에 있어서 컷오프 신호는 로크 상태(오프)에 있다. 그 때문에 시점(t1)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PTO 제어는 「무효」이기 때문에 조작자(Sw1~Sw4)가 뉴트럴 포지션(Pn1)으로부터 조작되어 PTO 조작이 「조작」의 상태에 있어도 구동 장치(34)의 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즉, 조작자(Sw1~Sw4)의 실제 조작량에 의하지 않고,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의 전체에 대해서 출력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컷오프 신호가 로크 상태(오프)에 있으면 제어 신호를 오프로 하여 제어 신호에 의한 쓸데 없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컷오프 신호가 로크 상태(오프)에 있으면 애초에 유압 회로가 차단되어 구동 장치(34)가 구동될 일은 없기 때문에 제어 신호를 오프로 하지 않아도 구동 장치(34)는 강제적으로 정지된다.According to the series of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the validity/invalidity of the control signal is switched. That is, during the period up to the time point t1, the cutoff signal is in a locked state (off) when the cutoff lever 372 is in the "raised position". Therefore, in the period up to the time point t1, since the PTO control is "invalid", even if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operated from the neutral position Pn1 and the PTO operation is in the "operation" state, the operation of the drive device 34 No control is exercised. That is, the output of all of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device 34 is forcibly stopped regardless of the actual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ors Sw1 to Sw4.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when the cutoff signal is in a locked state (off), the control signal is turned off to prevent wasteful power consumption by the control signal from occurring,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at is, if the cutoff signal is in a locked state (off), the hydraulic circuit is initially blocked and the drive device 34 will not be driven, so the drive device 34 is forcibly stopped even if the control signal is not turned off.

한편, 시점(t1)에 있어서 유저가 컷오프 레버(372)를 「내림 위치」로 조작하면 컷오프 신호는 로크 해제 상태(온)가 된다. 즉, 시점(t1)에 있어서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온)로 스위칭되는 「특정 사상」이 발생한다. 단, 시점(t1)에 있어서는 PTO 조작이 「조작」의 상태에 있어서 뉴트럴 포지션(Pn1)에 없기 때문에 「판정 조건」은 충족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시점(t1)으로부터 시점(t2)까지의 기간에는 PTO 제어는 「무효」이기 때문에 조작자(Sw1~Sw4)가 뉴트럴 포지션(Pn1)으로부터 조작되어 PTO 조작이 「조작」의 상태에 있어도 구동 장치(34)의 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즉, 조작자(Sw1~Sw4)의 실제 조작량에 의하지 않고,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의 전체에 대해서 출력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point t1, when the user operates the cut-off lever 372 to the "lower position", the cut-off signal becomes a lock release state (on). That is, at the time point t1, a "specific event" in which the cutoff switch 371 is switched from a locked state (off) to an unlocked state (on) occurs. However, at the time point t1, since the PTO operation is not in the neutral position Pn1 in the state of "operation",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refore, since the PTO control is "invalid" during the period from the time point t1 to the time point t2, even if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operated from the neutral position Pn1 and the PTO operation is in the "operation" state, the drive device The control of (34) is not performed. That is, the output of all of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device 34 is forcibly stopped regardless of the actual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ors Sw1 to Sw4.

시점(t2)에서는 유저가 조작자(Sw1~Sw4)의 모든 조작을 그만둠으로써 조작자(Sw1~Sw4)의 전체가 뉴트럴 포지션(Pn1)이 되어 PTO 조작이 「비조작」의 상태가 된다. 즉, 시점(t2)에 있어서 조작자(Sw1~Sw4)가 모두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음으로써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게 된다. 그 때문에 시점(t2)에서는 PTO 제어는 「유효」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시점(t2) 이후의 시점(t3)에 있어서 조작자(Sw1~Sw4)가 뉴트럴 포지션(Pn1)으로부터 조작되어 PTO 조작이 「조작」의 상태가 되면 구동 장치(34)의 제어가 행해진다. 즉, 시점(t2) 이후의 기간에 있어서는 조작자(Sw1~Sw4)의 실제 조작량에 따라 구동 장치(34)의 출력 포트(341~344)의 출력이 제어된다.At the time point t2, since the user stops all operations of the operators Sw1 to Sw4, the entirety of the operators Sw1 to Sw4 is in the neutral position Pn1, and the PTO operation is in a state of "non-operation". That is, when all of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in the neutral position Pn1 at the time point t2,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refore, at the time point t2, the PTO control is switched to "effective".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operated from the neutral position Pn1 at the time point t3 after the time point t2 and the PTO operation is in the "operation" state, control of the driving device 34 is performed. That is, in the period after the point in time t2, the outputs of the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drive unit 34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ctual operation amounts of the operators Sw1 to Sw4.

본 실시형태에서는 PTO 제어가 「무효」일 경우에는 조절 조작자(조작자(Sw1~Sw4))의 조작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34)의 구동이 행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지 조작자(조작자(Sw5, Sw6))의 조작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34)의 구동도 행해지지 않는다. 즉, 「규정값 홀드」 기능에 의해 구동 장치(34)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졌다고 해도 PTO 제어가 「무효」일 경우에는 구동 장치(34)의 출력은 강제적으로 정지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TO control is "invalid", not only is the drive device 34 not drive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operators (operators Sw1 to Sw4), but also the maintenance operators (operators Sw5 and Sw6) The driving of the driving device 34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 is also not performed. That is, even if an operation for driving the drive device 34 is performed by the "regular value hold" function, when the PTO control is "invalid", the output of the drive device 34 is forcibly stopp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방법은 작업 기계(3)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것과, 감시 대상인 특정 사상을 감시하는 것과, 특정 사상이 발생하면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관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갖는다. 요컨대, 도 6의 예이면 시점(t1)에서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스위칭되면(도 5의 스텝 S2: Yes) 「특정 사상」의 발생이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시점(t1) 이후 조작자(Sw1~Sw4)가 모두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으면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한다(도 5의 스텝 S4: Yes).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n operation to the operating device 35 for controlling the work machine 3, monitoring a specific event to be monitored, and the operating device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It has a func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regarding the operation for (35) is satisfied. In short, in the case of the example in Fig. 6, when the cutoff switch 371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at the time point t1 (Step S2 in Fig. 5: Yes),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event" has occurred. In this case, for example, if all of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in the neutral position Pn1 after the time point t1,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step S4 in FIG. 5: Yes).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스위칭되었을 때에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관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판정 결과를 유저(오퍼레이터)에게 알림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작업 기계(3)의 갑작스러운 동작에 대비할 수 있으므로 조작에 의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cut-off switch 371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s satisfied is determined. Therefore, by notifying the user (operator) of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example, the operator can prepare for the sudden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3, so the burden on the operator due to operation can be easily reduc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방법은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의 유효와 무효를 스위칭하는 것을 더 갖는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스위칭되었을 때에는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에 관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에 따라 작업 기계(3)의 제어의 유효와 무효가 자동적으로 스위칭된다. 그 때문에 유저(오퍼레이터)가 주의해서 조작할 것도 없이 작업 기계(3)의 갑작스러운 동작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has switching validity and invalidation of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based on the judgment result of whether or not the judgment condition is satisfied. . By this, for example, when the cut-off switch 371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depends on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s satisfied. Valid and invalid are automatically switch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a sudden movement of the working machine 3 without a user (operator) needing to operate carefully.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정 사상이 발생한 후에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됨으로써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유효하게 한다. 즉, 특정 사상의 발생 후 판정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작업 기계(3)의 제어가 자동적으로 유효화된다. 그 때문에 유저(오퍼레이터)가 주의해서 조작할 것도 없이 작업 기계(3)의 갑작스러운 동작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in this embodiment,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s made effective by determining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a specific event occurs. That is, control of the working machine 3 is automatically validated by satisfying the determination condition after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a sudden movement of the working machine 3 without a user (operator) needing to operate carefully.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장치(35)에 대한 조작은 작업 기계(3)의 PTO 포트(출력 포트(341~344))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스위칭되었을 때에 작업 기계(3)의 PTO 포트(출력 포트(341~344))의 출력이 갑자기 발생하는 것을 회피 가능하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to the operating device 35 includes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TO ports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working machine 3. By this, for example, when the cut-off switch 371 is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it is possible to avoid sudden generation of output from the PTO ports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work machine 3. .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방법에 의하면 도 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는 통지가 표시 장치(2)의 표시부(23)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p1) 상에서 행해진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표시 화면(Dp1) 등의 「화면」은 표시 장치(2)에서 표시되는 영상(화상)을 의미하고, 도상, 도형, 사진, 텍스트,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표시 화면(Dp1)이 동영상 등을 포함할 경우에는 표시 화면(Dp1)은 일정한 영상이 아니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영상을 포함한다. 도 7과 같이 표시 장치(2)의 표시부(23)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p1)을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영역을 나타내는 1점 쇄선, 인출선, 및 참조 부호는 어느 것이나 설명을 위해 붙여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실제로 표시 장치(2)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7 , a display screen Dp1 on which a notification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of the display device 2 is done on A “screen” such as the display screen Dp1 in the present disclosure refers to a video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and includes images, figures, photos, texts, moving pictures, and the like. Here, when the display screen Dp1 includes a video or the like, the display screen Dp1 is not a constant image, but includes a constantly changing image. As shown in FIG. 7 , in the diagram showing the display screen Dp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of the display device 2, dashed-dot lines, lead lines, and reference numerals indicating regions are all added for explanation only. and is not act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어 시스템(1)의 통지 처리부(16)는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 즉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가 「무효」로 될 경우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Dp1) 상에 메시지(M1)를 표시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칭 처리부(14)는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무효화했을 경우(도 5의 스텝 S5)에 통지 처리부(16)가 메시지(M1)를 표시시킴으로써 통지를 행한다. 메시지(M1)는, 예를 들면 표시 화면(Dp1)의 다른 표시에 중첩하도록 팝업 표시되고, 「PTO 제어: 무효」와 같이 작업 기계(3)의 제어(여기에서는 PTO 제어)가 「무효」인 취지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M1)는 「유효화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를 1번 뉴트럴로 되돌려 주십시오」와 같이 작업 기계(3)의 제어(여기에서는 PTO 제어)를 유효화하기 위한 순서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when the notification processing unit 16 of the control system 1 does not satisfy the determination condition, that is,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becomes "invali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a message M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Dp1.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invalidates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step S5 in Fig. 5), the notification processing unit 16 sends the message M1. Notification is made by displaying. The message M1 is displayed in a popup so as to overlap with other displays on the display screen Dp1, for example, and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here, the PTO control) is "invalid" such as "PTO control: invalid". Include text that expresses the purpose. In addition, the message M1 includes text indicating a procedure for validating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here, PTO control), such as "Return the switch to No. 1 neutral to make it valid."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메시지(M1)는 작업 기계(3)의 제어가 「무효」인 동안만 표시된다. 그 때문에 제어 시스템(1)의 스위칭 처리부(14)는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유효화하면(도 5의 스텝 S6) 메시지(M1)는 사라진다. 또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는 통지의 표시 형태는 메시지(M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컷오프 스위치(371)의 온/오프를 나타내는 아이콘(Im1)과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Dp1)에 표시되는 아이콘에 의해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는 통지가 이루어져도 좋다.In this embodiment, such a message M1 is displayed only while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is "invalid". Therefore, when the switching processing part 14 of the control system 1 validates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step S6 in FIG. 5), the message M1 disappears. In addition, the display form of the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s not limited to the message M1. For example, a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may be made by an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Dp1 similarly to the icon Im1 indicating on/off of the cut-off switch 371. .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방법은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는 통지를 행하는 것을 더 갖는다. 이것에 의해 유저(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는 현재 작업 기계(3)의 제어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알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조작 장치(35)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판정 결과의 통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 즉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가 「무효」가 될 경우에만 행해지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판정 결과의 통지는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것 같은 통지이면 좋고, 예를 들면 판정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 즉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가 「유효」가 되었을 경우에 판정 결과의 통지가 행해져도 좋다. 또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 즉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가 「무효」가 될 경우이며, 또한 조작 장치(35)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만 작업 기계(3)의 제어가 「무효」인 취지가 통지되어도 좋다.In this way,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has notification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this, the user (operator) can know whether the current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is "valid" or "invalid", and then can operate the operating device 35 . The notification of the judgment result is not limit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notification of the judgment result is performed only when the judgment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at is, when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becomes "invalid" as described above. . That is, the notification of the judgment result may be a notification that can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judgment condition is satisfied. ) may be notified of the determination result when the control of "valid". In addition, when the judgment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at is, when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becomes "invalid", and only when the operating device 35 is operated, the working machine It may be notified that the control in (3) is "invalid".

[5] 그 밖의 기능[5] Other functions

「특정 사상」은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오프)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온)로 스위칭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판정 조건」은 각 조작자(Sw1~Sw4)의 위치가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위칭 처리부(14)에 의해 유효/무효가 스위칭되는 제어는 작업 기계(3)의 PTO 포트(출력 포트(341~344))의 출력 제어(PTO 제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pecific event" is not limited to switching the cutoff switch 371 from a locked state (off) to an unlocked state (on). Similarly,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of each manipulator Sw1 to Sw4 being in the neutral position Pn1. In addition, the control in which validation/invalidation is switched by 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is not limited to output control (PTO control) of the PTO ports (output ports 341 to 344) of the work machine 3.

즉, 「특정 사상」은, 예를 들면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를 규정하는 「할당 정보」가 변경되는 등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관한 설정이 변경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표시 장치(2)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해 할당 정보 등의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관한 설정이 변경됨으로써 특정 사상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관한 설정은 복수의 출력 포트(341~344)와 복수의 조작자(Sw1~Sw4)의 대응 관계의 설정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장치(35)의 조작과 작동유의 유량의 대응 관계 등의 설정을 포함한다.That is, the "specific event" i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such as changing the "assignment information" defin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and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4. It may be that the setting related to is changed. In this case, a specific event is generated by changing setting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operation device 35, such as assignment information, by a user's operation to the display device 2, for example. Here, the setting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s not limited to the setting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341 to 344 and the plurality of operators Sw1 to Sw4,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and the hydraulic fluid It includes settings such a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of the flow rate of

또한, 스위칭 처리부(14)에 의해 유효/무효가 스위칭되는 제어가, 예를 들면 PTO 제어 이외의 주행부(31), 선회부(32) 또는 작업부(33) 등의 제어일 경우에, 예를 들면 조작 레버(351, 352)의 조작과 주행부(31), 선회부(32) 또는 작업부(33)의 동작의 대응 관계가 변경되는 것을 특정 사상에 포함해도 좋다. 또한, 조작 레버(351, 352)의 조작에 대한 주행부(31), 선회부(32) 또는 작업부(33)의 동작 패턴의 변경도 특정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조작자(Sw1~Sw4)가 아니라 조작 레버(351, 352)가 뉴트럴 포지션에 있는 것 등이 「판정 조건」이 된다.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control whose validity/invalidity is switched by 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is, for exampl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31, turning unit 32, or operation unit 33 other than the PTO control, yes For example, a specific event may include a change in correspondence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levers 351 and 352 and the operation of the traveling part 31, the turning part 32, or the working part 33. In addition, a change in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driving part 31, the turning part 32, or the working part 33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levers 351 and 352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pecific idea.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that the control levers 351 and 352 are in the neutral position instead of the respective operators Sw1 to Sw4.

또한, 스위칭 처리부(14)에 의해 유효/무효가 스위칭되는 제어는 어태치먼트(331)를 기체(30)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퀵 히치의 제어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컷오프 스위치(371)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스위칭되는 것에 대하여 퀵 히치를 동작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정 사상에 포함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유저(오퍼레이터)가 퀵 히치의 개방 조작을 한 상태로 전원 스위치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스위칭되는 것에 수반하여 퀵 히치가 갑자기 구동되는 것 같은 사상의 발생을 특정 사상의 발생으로서 감시 처리부(12)에서 검지 가능해진다.Also, the control of enabling/invalidating by the switching processing unit 14 may include control of a quick hitch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attachment 331 from the body 30. In this case, the specific idea may include, for example, that the power switch for enabling the quick hitch to be switched from off to on in response to the cutoff switch 371 being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As a result, for example, occurrence of an event in which the quick hitch is suddenly actuated as a result of the power switch being switched from off to on in a state where the user (operator) has operated the quick hitch to open is regarded as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It becomes detectable by the monitoring processing part 12.

[6] 변형예[6] Modification

이하, 실시형태 1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당히 조합해서 적용 가능하다.Modifications to Embodiment 1 are listed below. Modifications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in appropriate combination.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1)은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로서의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주구성으로 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1)으로서의 기능이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미리 기록되어도 좋고,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제공되어도 좋고, 컴퓨터 시스템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 카드, 광학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서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제어 시스템(1)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부는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control system 1 in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omputer system. A computer system has one or more processors as hardware and one or more memories as main components. The functions as the control system 1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realized when the processor executes the program recorded in the memory of the computer system. The program may be pre-recorded in the memory of the computer system, provided through an electric communication line, or may be provided after being recorded on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an optical disk, or a hard disk drive readable by the computer system. In addition, some or all of the functional units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1 may be constituted by electronic circuits.

또한, 제어 시스템(1)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1개의 하우징 내에 집약되어 있는 것은 제어 시스템(1)에 필수 구성은 아니고, 제어 시스템(1)의 구성 요소는 복수의 하우징에 분산되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반대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복수의 장치(예를 들면, 제어 시스템(1) 및 표시 장치(2))에 분산되어 있는 기능이 1개의 하우징 내에 집약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 시스템(1)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클라우드(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for the control system 1 that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1 are integrated into one housing, and even if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 system 1 are distributed and formed in a plurality of housings, good night. Conversely, in Embodiment 1, functions distributed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eg, control system 1 and display device 2) may be integrated into one housing. In addition, at least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1 may be realized by a cloud (cloud computing) or the like.

또한, 작업 기계(3)의 동력원은 디젤 엔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젤 엔진 이외의 엔진이어도 좋고, 모터(전동기) 또는 엔진과 모터(전동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식의 동력원이어도 좋다.In addition, the power source of the working machine 3 is not limited to a diesel engine, and may be, for example, an engine other than a diesel engine, a motor (electric motor) or a hybrid power source including an engine and a motor (electric motor).

또한, 구동 장치(34)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어태치먼트(331)의 구동용의 동력으로서) 인출하기 위한 PTO(Power take-off) 등의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과는 별도로 어태치먼트(331)의 구동용의 동력을 출력하는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구동 장치(34)는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어태치먼트(331)에 동력을 공급하는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터 등의 전동기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장치이어도 좋다. 이 경우, 구동 장치(34)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예를 들면 구동 장치(34)에 흐르는 전류 등에 의해 제어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device 34 is not limited to a device such as a power take-off (PTO) for extracting power from the engine (as power for driving the attachment 331), and the attachment 331 separately from the engine. ) may be a device that outputs power for driving. In addition, the driving device 34 is not limited to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attachment 331 by supplying hydraulic fluid, and may be, for example, a device that generates power by an electric motor such as a motor. In this case, the power output from the driving device 34 is controlled by, for exampl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device 34 or the like.

또한, 어태치먼트(331)는 기체(30)에 부착되어 있으면 좋고, 어태치먼트(331)가 기체(3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은 필수 구성은 아니다. 또한, 기체(30)에 대하여 복수의 어태치먼트(331)가 동시에 부착되어도 좋다.In addition, the attachment 331 should just be attached to the body 30, and it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that the attachment 33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30. In addition, a plurality of attachments 331 may be simultaneously attached to the body 30 .

또한, 표시 장치(2)는 전용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랩탑 컴퓨터, 태블릿 단말 또는 스마트폰 등의 범용 단말이어도 좋다. 또한, 표시부(23)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이 표시 화면(Dp1)을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로젝터와 같이 투영에 의해 표시 화면(Dp1)을 표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표시부(23)의 표시 영역은 횡장에 한정되지 않고, 종장이어도 좋다.Note that the display device 2 is not limited to a dedicated device, and may be, for example, a general-purpose terminal such as a laptop computer, tablet terminal, or smart phon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3 is not limited to a mode that directly displays the display screen Dp1,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EL display, bu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display screen Dp1 by projection, such as, for example, a projector. good night.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section 23 is not limited to the horizontal length, but may be vertical.

또한, 조작부(22)의 정보의 입력의 형태로서 누름 단추 스위치(221~226), 터치 패널 및 조작 다이얼 이외의 양태를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부(22)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 등의 양태를 채용해도 좋다.Moreover, you may employ|adopt aspects other than the push button switches 221-226, a touch panel, and an operation dial as a form of inputting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part 22. For example, the operating unit 22 may employ a pointing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voice input, gesture input, or input of an operation signal from another terminal.

또한, 조작 장치(35) 및 표시 장치(2) 등은 기체(30)에 탑재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체(3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조작 장치(35) 및 표시 장치(2) 등은 기체(3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기체(30)의 원격 조작을 실현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device 35, the display device 2, etc. are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mounted on the base body 30, and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base body 30,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operating device 35, the display device 2, etc. are configured to be communicable with the body 30, and remote operation of the body 30 is realized.

(실시형태 2)(Embodiment 2)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방법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O 제어를 유효화하는 타이밍이 실시형태 1에 의한 제어 시스템(1)과 상위하다. 이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인 부호를 붙여서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timing for validating the PTO control. Hereinafter, common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Embodiment 1, and explanations are omitted appropriately.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는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유효화하는 스텝 S6이 생략되고, 스텝 S8과 스텝 S9 사이에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유효화하는 스텝 S16이 추가된 점에서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와 상위하다.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low chart shown in FIG. 8, step S6 for validating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s omitted, and between steps S8 and S9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t differs from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in that step S16 for validating the control of the working machine 3 is added. Other point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Embodiment 1, so explanations are omitted here.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4에서 조작자(Sw1~Sw4)가 모두 뉴트럴 포지션(Pn1)에 있음으로써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되는 것만으로는(S4: Yes) 바로 작업 기계(3)의 제어(PTO 제어)가 유효화될 일은 없다. 즉,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된 후(S4: Yes), 다시 조작 신호를 취득하여(S7) 유저가 조작자(Sw1~Sw4) 중 적어도 1개를 조작함으로써 뉴트럴 포지션(Pn1)에 없다고 판단된 타이밍에서(S8: No) 작업 기계(3)의 제어(PTO 제어)가 유효화된다(S16).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is performed only by determining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S4: Yes) because all the operators Sw1 to Sw4 are in the neutral position Pn1 in step S4. (PTO control) will not be validated. That is, the timing at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in the neutral position Pn1 by manipulat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ors Sw1 to Sw4 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S4: Yes), and the operation signal is acquired again (S7). At (S8: No), the control (PTO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is validated (S16).

이 예에서는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된 후에 유저가 조작자(Sw1~Sw4) 중 적어도 1개를 조작할 때까지는 작업 기계(3)의 제어(PTO 제어)는 무효화되어 있으므로 도 7과 같은 메시지(M1)의 표시는 계속되게 된다.In this example, since the control (PTO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is invalid until the user operates at least one of the operators Sw1 to Sw4 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 message M1 as shown in FIG. ) is displayed continuously.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정 사상이 발생한 후에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되고, 조작 장치(35)가 더 조작됨으로써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를 유효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판정 조건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유저(오퍼레이터)가 실제로 조작 장치(35)를 조작해서 처음으로 조작 장치(35)의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 기계(3)의 제어가 유효화되므로 오퍼레이터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해 작업 기계(3)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after a specific event occurs,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s made effective by further operating the operating device 35 . This not only satisfies the judgment conditions, but also the user (operator) actually operates the operating device 35, and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35 is validated for the first time. It is easy to prevent the work machine 3 from operating by improper operation.

실시형태 2에 의한 구성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구성(변형예를 포함한다)과 적당히 조합해서 채용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Embodiment 2 can be employed in appropriate combination with various configurations (including modified examples) described in Embodiment 1.

1: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3: 작업 기계
11: 취득 처리부
12: 감시 처리부
13: 판정 처리부
30: 기체
35: 조작 장치
371: 컷오프 스위치
341~344: 출력 포트(PTO 포트)
1: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s
3: working machine
11: acquisition processing unit
12: monitoring processing unit
13: judgment processing unit
30: gas
35: operating device
371: cutoff switch
341~344: output ports (PTO ports)

Claims (12)

작업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것과,
감시 대상인 특정 사상을 감시하는 것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면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관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갖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Receiving an operation to a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a working machine;
to monitor a specific ideology that is to be monitored; and
and judging whether or not a determination condition relating to an operation on the operating device is satisfied when the specific event occurs.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기계의 제어의 유효와 무효를 스위칭하는 것을 더 갖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switching validity and invalidity of the control of the work machin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한 후에 상기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됨으로써,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기계의 제어를 유효하게 하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specific event occurs, the control of the working machin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is effective.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한 후에 상기 판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되어 상기 조작 장치가 더 조작됨으로써,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기계의 제어를 유효하게 하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2,
After the specific event occurs,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operating device is further operated, thereby validating the control of the working machin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상은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기계의 동작 상태의 변화를 수반하는 사상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n event involving a change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orking machin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상은 상기 작업 기계에 있어서의 컷오프 스위치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스위칭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specific idea includes that the cutoff switch in the working machine is switched from a locked state to an unlocked state.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상은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에 관한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specific event includes changing setting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은 상기 작업 기계의 PTO 포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TO port of the working machine.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는 통지를 행하는 것을 더 갖는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Further having a notification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above de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How to control working machines.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을,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The control method of the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s to run on one or more processors.
작업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취득 처리부와,
감시 대상인 특정 사상을 감시하는 감시 처리부와,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면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관한 판정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an acquisition processing unit that accepts an operation to an ope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work machine;
A monitoring processing unit that monitors a specific event to be monitored;
and a judgment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judgment condition relating to an operation on the operating device is satisfied when the specific event occurs.
Control systems for working machines.
제 11 항에 기재된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과,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제어되는 기체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A control system for a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1;
Having a ga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device
working machine.
KR1020220150331A 2021-11-12 2022-11-11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KR2023006985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84444 2021-11-12
JP2021184444A JP2023072113A (en) 2021-11-12 2021-11-12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858A true KR20230069858A (en) 2023-05-19

Family

ID=8404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331A KR20230069858A (en) 2021-11-12 2022-11-11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51588A1 (en)
EP (1) EP4180585A1 (en)
JP (1) JP2023072113A (en)
KR (1) KR20230069858A (en)
CN (1) CN11612236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9641A (en) 2009-03-12 2010-09-24 Caterpillar Japan Ltd Work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153B1 (en) * 2018-03-20 2024-04-18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Shove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13056591A (en) * 2018-11-14 2021-06-29 住友建机株式会社 Shovel, shovel control device, and shovel suppor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9641A (en) 2009-03-12 2010-09-24 Caterpillar Japan Ltd Work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0585A1 (en) 2023-05-17
US20230151588A1 (en) 2023-05-18
CN116122368A (en) 2023-05-16
JP2023072113A (en)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45756A (en) Display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display system for work machine,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for work machine
KR20230132372A (en)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working machine,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and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KR20230132373A (en)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working machine,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and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KR20230069858A (en)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KR20230019384A (en)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JP2023129872A (en) Work machine control system, work machine, control method of work machine, and control program of work machine
US20230407604A1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JP2023129871A (en) Work machine control system, work machine, control method of work machine, and control program of work machine
JP2023074224A (en)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US20230407603A1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JP2023074223A (en)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JP2023074222A (en)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JP2023129874A (en) Work machine control system, work machine, control method of work machine, and control program of work machine
JP2023129873A (en) Work machine control system, work machine, control method of work machine, and control program of work machine
CN115874665A (en)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and control program for work machine
EP4299844A1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
JP2023176830A (en)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JP2024075941A (e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JP2024069887A (e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JP2022163351A (en)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JP2022163352A (en) Control method of working machine, control program for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CN117988414A (en) Work machine control method, work machine control program,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work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