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710A -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710A
KR20230066710A KR1020210151979A KR20210151979A KR20230066710A KR 20230066710 A KR20230066710 A KR 20230066710A KR 1020210151979 A KR1020210151979 A KR 1020210151979A KR 20210151979 A KR20210151979 A KR 20210151979A KR 20230066710 A KR20230066710 A KR 2023006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sentence
sgm
view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동욱
고영준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버
Priority to KR102021015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6710A/en
Publication of KR2023006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7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작성중인 문서를 표시하는 영역인 문서 뷰와 문장 생성 모듈(SGM)과의 대화형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영역인 대화 뷰를 구비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문서 작성자가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SGM)과 자연어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문서 뷰에서의 문서 작성자의 조작 형태에 대응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의 스토리 생성 모드(다음문장 추천 모드, 재작성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며 그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따라 대화 뷰의 구성 및 상호작용을 상이하게 구성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 작성자가 문장 생성 모듈(SGM)과 자연어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문서 작성자의 의도를 정확하고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문장 생성 모듈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공지능 기반으로 자동 생성된 스토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 작성자가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 사항을 입력하는 데에 필요한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어 스토리 작성 과정에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문서 작성에 관한 작업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active interface having a document view, which is an area for displaying a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and a conversation view, which is an area that provides interactive interaction with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so that a document writer can us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ntences. Configure the interface to interact with the generation module (SGM) in natural language, and select the story generation mod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rewrite mode) of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n response to the document writer's operation form in the document vie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reation system that is activated as a story creation system and differently configures a conversation view and an interaction according to an activated story crea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document writer to interact with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n natural language, so that the intention of the document writer can be accurately, specifically and abundantly conveyed 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or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ument creator can simplify the operation required to input instructions in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greatl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story creation process, and accordingly, the document cre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work productivity.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cre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특히, 본 발명은 현재 작성중인 문서를 표시하는 영역인 문서 뷰와 문장 생성 모듈(SGM)과의 대화형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영역인 대화 뷰를 구비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문서 작성자가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SGM)과 자연어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문서 뷰에서의 문서 작성자의 조작 형태에 대응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의 스토리 생성 모드(다음문장 추천 모드, 재작성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며 그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따라 대화 뷰의 구성 및 상호작용을 상이하게 구성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active interface having a document view, which is an area for displaying a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and a conversation view, which is an area for interactive interaction with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so that a document writer can us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face is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bas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n natural language, and the story generation mod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rewrite mode) of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responds to the document writer's operation form in the document vie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that selectively activates and configures a conversation view and intera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ctivated story generation mode.

일반적으로 '스토리 자동 생성(automatic story generating)'이란 컴퓨터 장치가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 글쓰기(automatic writing)를 의미한다. 종래로 스토리 자동 생성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automatic story generating' means automatic writing using a computer program performed by a computer device. Conventionally, various technologie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tories have been proposed, and recently, attempts to introduc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have been actively made.

종래의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문서 생성 목적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주어진 텍스트의 다음에 올 문장을 추천하는 "다음문장 추천" 방식이고, 두 번째는 주어진 텍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공지능이 재작성하는 "재작성" 방식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의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다음문장 추천 인터페이스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재작성 인터페이스이다.The interface method of the conven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ocument creation. The first is a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ethod that recommends the next sentence of a given text, and the second is a "rewrite" method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rewrites all or part of a given text. [Fig. 1] and [Fig. 2]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nterfaces used in the prior ar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reation system. [Figure 1] is a prior art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interface, and [Figure 2] is a prior art rewriting interface.

종래기술에서 첫 번째 방식인 "다음문장 추천"하는 예로는 Write With Transformer와 Gmail을 들 수 있다. [도 1]은 Write With Transformer의 다음문장 추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인 윈도우에는 문서 작성자가 입력한 텍스트가 표시되는데, 문서 작성자가 단축키 또는 특정 버튼을 누르면 현재 텍스트에 이어서 확률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은 다음 문장을 추천해준다. 이때, [도 1]의 좌측 하단에는 다음문장 추천 기능에 관한 설정 메뉴가 있다.Examples of “recommendation of the next sentence”, which is the first method in the prior art, include Write With Transformer and Gmail.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interface of Write With Transformer. The main window displays the text entered by the document creator. When the document creator presses a shortcut key or a specific button, the next sentence that is likely to follow the current text is recommended. At this time, in the lower left of [Fig. 1], there is a setting menu related to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function.

종래기술에서 두 번째 방식인 "텍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공지능이 재작성"하는 예로는 Shedko (2018), Gabriel et al.의 Inkwell (2015), 그리고 Gero와 Chilton의 단어 임베딩 기반 유의어 사전인 Metaphoria (2019)를 들 수 있다. 이들 기술은 텍스트의 선택된 부분(예: 단어, 문장)이나 텍스트 전체를 미리 정해진 변환 형식에 따라 재작성하여 문서 작성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재작성 인터페이스인 Metaphoria의 유의어 추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그와 관련된 의미가 있는 연상 키워드를 추천한다.Examples of the second method in the prior art, "artificial intelligence rewriting all or part of the text", are Shedko (2018), Gabriel et al.'s Inkwell (2015), and Gero and Chilton's word embedding-based thesaurus, Metaphoria. (2019) can be cited. These technologies rewrite selected parts of text (eg, words or sentences) or the entire tex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version format and provide it to the document writer.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synonym recommendation interface of Metaphoria, which is a rewriting interface. When a word is selected, an association keyword that has a meaning related to it is recommended.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인공지능 기반의 문장 생성 모듈(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에 문서 작성자의 입력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구성에 있다. 종래기술은 SGM이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거나 기존 문장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문서 작성자가 SGM에 전달할 수 있는 입력(지시)의 형태가 제한적이다.A problem in the prior art lies in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that transmits the input of a document writer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n the prior art, the form of input (instruction) that a document writer can transmit to the SGM is limi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a new sentence or converting an existing sentence by the SGM.

구체적으로, [도 1]에서 살펴본 종래기술의 다음문장 추천 인터페이스는 버튼과 슬라이더 메뉴를 통해 SGM의 파라미터를 직접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도 2]에서 살펴본 종래기술의 재작성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인터페이스의 틀 안에서 SGM의 동작을 조작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Metaphoria는 주어진 추천 단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며, 그 외에는 SGM에 별다른 입력을 전달할 수 없다.Specifically, the prior art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interface examined in [Fig. 1] has the inconvenience of directly manipulating parameters of the SGM through buttons and slider menus. The rewrite interface of the prior art described in [Fig. 2] needs to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SGM within the framework of a predetermined interface. For example, in [Figure 2], Metaphoria must select one of the given suggested words, and other than that, it cannot deliver any input to the SGM.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creating a stor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general.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작성중인 문서를 표시하는 영역인 문서 뷰와 문장 생성 모듈(SGM)과의 대화형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영역인 대화 뷰를 구비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문서 작성자가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SGM)과 자연어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문서 뷰에서의 문서 작성자의 조작 형태에 대응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의 스토리 생성 모드(다음문장 추천 모드, 재작성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며 그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따라 대화 뷰의 구성 및 상호작용을 상이하게 구성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active interface having a document view, which is an area for displaying a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and a conversation view, which is an area that provides interactive interaction with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so that a document writer can The interface is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AI-based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n natural language, and the story generation mod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rewrite mode) is selectively activated, and an interface providing technology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reation system that configures the composition and interaction of a conversation view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ctivated story creation mode is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들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matters, and other problems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장치가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서 작성자와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 간에 스토리 자동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 computer device to provide an interfac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tory between a document creator and an AI-based story creation system through a computer screen.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현재 작성중인 문서를 표시하는 문서 뷰(document view; DCV)를 문서 작성자를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제 1 단계;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SGM)과 문서 작성자 간의 대화형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대화 뷰(interaction view; IRV)를 문서 작성자를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제 2 단계-- 문서 뷰(DCV)와 대화 뷰(IRV)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이한 영역으로 제공됨 --; 문서 작성자가 문서 뷰(DCV)에서 수행하는 조작 형태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다음문장 추천 모드와 재작성 모드의 두 가지 스토리 생성 모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제 3 단계;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문서 뷰(DCV)에서 윈도우 커서가 가리키는 문서 위치에 대한 다음문장 추천을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하는 제 4 단계;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문서 뷰(DCV)에서 문서 작성자가 선택한 텍스트 부분(이하, '선택 텍스트'라 함)에 대한 재작성을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하는 제 5 단계; 그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따라 다음문장 추천 또는 선택 텍스트 재작성에 관련된 자연어 형식의 지시사항을 설정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로 전달하는 제 6 단계; 그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대응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이 생성한 추천 문장을 문장 생성 모듈(SGM)로부터 제공받아 대화 뷰(IRV)에 표시하는 제 7 단계; 대화 뷰(IRV) 상에 이루어지는 문서 작성자의 선택에 따라 그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대응하여 추천 문장을 문서 뷰(DCV)에 반영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providing a document view (DCV) displaying a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as a first interface element for a document writer; A second step of providing an interaction view (IRV) as a second interface element for the document writer to provide inter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nd the document writer--document view (DCV) ) and the conversation view (IRV) are provided as different areas on the display screen --; a third step of selectively activating one of the two story creation modes, a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nd a rewriting mode, automatically based on a form of manipulation performed by the document writer in the document view (DCV); a fourth step of instructing a sentence generating module (SGM) to recommend a next sentence for a document position indicated by a window cursor in a document view (DCV) whe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a fifth step of instructing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to rewrite a text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ected text') selected by a document writer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the rewrite mode is activated; a sixth step of setting instructions in a natural language format related to recommending a next sentence or rewriting selected text according to the activated story generation mode and transmitting the instructions to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 seventh step of receiving a recommended sentence generated by the sentence generating module (SGM) in response to the activated story generating mode from the sentence generating module (SGM) and displaying the recommended sentence on the conversation view (IRV); An eighth step of reflecting a recommended sentence to the document view (DCV)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tory creation mode according to the document creator's selection made on the conversation view (IRV).

또한, 제 3 단계는, 문서 뷰(DCV)에서 윈도우 커서가 현재 작성 중인 문서의 어느 한 지점에 멈추면 다음문장 추천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문서 뷰(DCV)에서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서 문장이나 단어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면 재작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tep may include activating a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when the window cursor stops at a certain point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n the document view (DCV); and activating a rewrite mode when a selection of a sentence or word is detected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n the document view (DCV).

또한, 제 8 단계는,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문서 뷰(DCV)에서 윈도우 커서가 가리키는 문서 위치에 추천 문장을 삽입하는 단계;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문서 뷰(DCV)에서 선택 텍스트를 추천 문장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ighth step may include inserting a recommended sentence at a document position indicated by the window cursor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Replacing the selected text with a recommended sentence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the rewriting mode is activated.

또한, 제 2 단계는, 문장 생성 모듈(SGM)과 문서 작성자 간의 대화형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대화 뷰(IRV)를 문서 작성자를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단계; 문서 작성자의 지시 사항과 문장 생성 모듈(SGM)의 응답이 쌍(pair)을 이루어 구성된 대화 내역을 저장 표시하기 위한 대화내역 창(interaction history window; IHW)을 대화 뷰(IRV)의 표시 영역 내에 제 1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단계; 문서 작성자가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지시 창(command window; CMW)을 대화 뷰(IRV)의 표시 영역 내에 제 2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단계-- 대화내역 창(IHW)과 지시 창(CMW)은 대화 뷰(IRV)의 표시 영역 내에 상이한 영역으로 제공됨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6 단계는,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지시 창(CMW)을 통해 윈도우 커서가 놓여진 위치에 문서 작성자가 표현하려는 내용을 담은 자연어 형식의 테스트 문장을 지시사항으로 입력받아 문장 생성 모듈(SGM)로 전달하는 단계;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문서 뷰(DCV)에서 식별한 자연어 형식의 선택 텍스트를 지시사항으로 설정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7 단계는, 그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대응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이 생성한 추천 문장을 문장 생성 모듈(SGM)로부터 제공받아 대화내역 창(IHW)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providing a conversation view (IRV) as a second interface element for the document writer to provide inter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nd the document writer; Provides an interaction history window (IHW) within the display area of the conversation view (IRV) for storing and displaying the conversation history composed of the instructions of the document writer and the response of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n pairs Step 1 providing as an interface element; A step of providing a command window (CMW) for the document writer to input instructions 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s a second interface element within the display area of the conversation view (IRV)--dialogue history window (IHW) and the indication window CMW is provided as a different area within the display area of the conversation view IRV. At this time, in the sixth step, whe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a test sentence in natural language format containing the content to be expressed by the document writer is input as an instru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window cursor is placed through the instruction window (CMW) to generate the sentence passing to the module (SGM); Setting the selected text in natural language format identified in the document view (DCV) as instructions when the rewrite mode is activated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text 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this time, the seventh step includes receiving a recommended sentence generated by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n response to the activated story generation mode from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nd displaying it o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can be configured.

또한, 제 7 단계는, 추천 문장과 연계하여 복수의 선택사항을 대화내역 창(IHW)에 표시하는 단계; 대화내역 창(IHW)에서 문서 작성자에 의한 제 1 사항의 선택이 식별되면,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문서 뷰(DCV)의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서 윈도우 커서가 표시된 부분에 추천 문장을 삽입 처리하고,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문서 뷰(DCV)의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서 추천 문장에 의해 선택 텍스트를 대체 처리하는 단계; 대화내역 창(IHW)에서 문서 작성자에 의한 제 2 사항의 선택이 식별되면, 추천 문장을 버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venth step may include displaying a plurality of options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in association with the recommended sentence; If the selection of the first item by the document writer is identified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the recommended sentence is inserted at the part where the window cursor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the next sentence suggestion mode is activated. processing, and replacing the selected text by the recommended sentence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the rewriting mode is activated; If the selection of the second item by the document writer is identified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discarding the recommended senten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제 7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SGM)의 스토리 자동 생성에 관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해 대화내역 창(IHW)에서 복수의 선택사항 중 문서 작성자에 의한 선택 결과를 문장 생성 모듈(SGM)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rsation history window ( IHW) to transmit the selection result by the document writ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ptions 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the abov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on a computer.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 작성자가 문장 생성 모듈(SGM)과 자연어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문서 작성자의 의도를 정확하고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문장 생성 모듈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공지능 기반으로 자동 생성된 스토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document writer to interact with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n natural language, so that the intention of the document writer can be accurately, specifically and abundantly conveyed 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or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 작성자가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 사항을 입력하는 데에 필요한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어 스토리 작성 과정에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문서 작성에 관한 작업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ument creator can simplify the operation required to input instructions in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greatl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story creation process, and accordingly, the document cre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work productivity.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의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다음문장 추천 모드의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재작성 모드의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서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의 스크립트 템플릿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Fig. 1] and [Fig. 2]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nterfaces used in the prior ar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reation system.
[Fig. 3] and [Fig. 4]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active interface i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Fig. 6]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active interface in rewrite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nd [Fig. 8]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script template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ntence generation modul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인공지능 기반으로 스토리를 생성할 때에 문서 작성자가 어떤 문장이 생성되어야할지 문장 생성 모듈(SGM)에 정확하고 구체적이며 풍부하게 지시를 내릴 수 있는 방식은 자연어를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 문장을 하드보일드 문체로 재작성하라"를 들 수 있다. 종래기술의 인터페이스 방식에서는 SGM에 자연어 형태의 명령을 내릴 수 없었다. When creating a stor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 way for a document writer to give accurate, specific, and abundant instructions 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bout what sentences to be generated is to input natural language. For example, "Rewrite this sentence in hard-boiled style." In the interface method of the prior art, it was not possible to issue commands in the form of natural language to the SGM.

본 발명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에서 자연어를 통해 SGM과 상호작용 가능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는 "다음문장 추천" 모드의 대화형 인터페이스이고 [도 5]와 [도 6]은 "재작성" 모드의 대화형 인터페이스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active interfa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SGM through natural language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is presented. [Fig. 3] to [Fig. 6] show an example of a conversational inte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interactive interfaces i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nd [Fig. 5] and [Fig. 6] are interactive interfaces in the "rewrite" mode.

본 발명에서 컴퓨터 화면을 통해 이루어지는 문서 작성자와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 간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두 가지 인터페이스 요소를 갖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편의상 문서 뷰(document view; DCV)와 대화 뷰(interaction view; IRV)라고 부른다. 문서 뷰는 현재 작성중인 문서를 표시하는 영역이고, 대화 뷰는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SGM)과 문서 작성자 간의 대화형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좌측 윈도우는 문서 뷰이고 우측 윈도우는 대화 뷰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문장 추천 모드와 재작성 모드 모두 문서 뷰와 대화 뷰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interface between the document creator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through a computer screen has two interface elements.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a document view (DCV) and an interaction view (IRV) ) is called. The document view is an area that displays a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and the conversation view is an area that provides interactive interaction between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nd a document writer. In [Fig. 3] to [Fig. 6], the left window is the document view and the right window is the conversation view. As shown in [Figs. 3] to [Fig. 6], both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nd the rewrite mode have interface elements of a document view and a dialog view.

문서 뷰(DCV)는 문서 작성자가 현재 작성중인 문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문서 뷰 상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있는 중일 수도 있고, 다른 문서작성기(예: MS Word)에서 작성한 문서를 읽어들여와 수정하는 중일 수도 있다. The document view (DCV) is an area where a document creator displays a document currently being created. You may be creating a document on the document view, or you may be reading and editing a document created in another document writer (eg MS Word).

문서 작성자가 문서 뷰(DCV)에서 수행하는 조작 형태에 기초하여 두 가지 종류의 스토리 생성 모드(다음문장 추천 모드, 재작성 모드) 중에서 한 가지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이때, 스토리 생성 모드의 선택적인 활성화는 문서 작성자가 어떠한 모드 설정 조작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 뷰(DCV) 상에서 이루어지는 문서 작성자의 조작 형태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문서 뷰에서 윈도우 커서가 현재 작성 중인 문서의 어느 한 지점에 멈추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다. 다음문장 추천 모드에서는 문서 뷰에서 윈도우 커서가 가리키는 문서 위치에 대한 다음 문장을 추천해야 한다는 것을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한다. 한편, 문서 뷰에서 현재 작성 중인 문서의 일부분(문장이나 단어)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다. 재작성 모드에서는 문서 뷰에서 문서 작성자가 선택한 텍스트 부분(문장, 단어), 즉 '선택 텍스트'에 대한 재작성을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한다. One of two types of story generation modes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nd rewrite mode) is selectively activated based on the form of manipulation performed by the document creator in the document view (DCV). At this time, the selective activation of the story generation mode is automatically performed based on the document creator's manipulation type performed on the document view (DCV), rather than any mode setting manipulation by the document creator. In the document view, when the window cursor stops at any point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3] and [Fig. 4]. I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the SGM is instructed to recommend the next sentence for the document position pointed by the window cursor in the document view. Meanwhile, when a selection of a part (sentence or word) of a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s detected in the document view, the rewriting mode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5] and [Fig. 6]. In the rewrite mode, the text generation module (SGM) is instructed to rewrite the text part (sentence or word) selected by the document writer in the document view, that is, 'selected text'.

대화 뷰(IRV)는 문서 작성자가 인공지능 SGM에 다음문장 추천이나 재작성에 관련된 지시사항(command)을 자연어로 입력하기 위한 공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이 지시사항을 입력받아 인공지능 SGM으로 전달한다. 이때, 대화 뷰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그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된다. [도 3]과 [도 4]는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모습이고, [도 5]와 [도 6]은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모습이다. The conversation view (IRV) is a space for a document writer to input commands related to recommending or rewriting the next sentence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in natural language. The interactive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se instructions and transfers them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At this time, the input interface of the conversation view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ctivated story creation mode. [Fig. 3] and [Fig. 4] show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ctivated, and [Fig. 5] and [Fig. 6] show the rewrite mode activated.

본 발명에서 대화 뷰(IRV)는 두 가지 인터페이스 요소를 갖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편의상 대화내역 창(interaction history window; IHW)과 지시 창(command window; CMW)이라고 부른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대화내역 창은 우측 상단에 표시되고 지시 창은 우측 하단에 표시된다. 대화내역 창과 지시 창에서 우측의 녹색은 문서 작성자가 타이핑 입력한 텍스트이고 좌측의 파란색은 인공지능 SGM이 생성한 텍스트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sation view (IRV) has two interface elements, which are called an interaction history window (IHW) and a command window (CMW) for convenience in this specification. In [Fig. 3] to [Fig. 6],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s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corner and the instruction window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corner.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and instruction window, the green text on the right is the text typed by the document writer, and the blue text on the left is the text creat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대화내역 창(IHW)은 인공지능 SGM과 문서 작성자의 1대1 메신저 대화와 같이 문서 작성자의 지시 사항과 인공지능 SGM의 응답이 쌍(pair)을 이루어 구성된 대화 내역을 저장 표시한다.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stores and displays conversation history composed of pairs of instructions from the document writer and responses from the AI SGM, such as a one-on-one messenger conversation between the AI SGM and the document creator.

지시 창(CMW)은 문서 작성자가 인공지능 SGM에 지시 사항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요소이다. 지시 창에는 그 선택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대응하는 레이블(label)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음문장 추천 모드에서는 "I would like a suggestion. (이 위치에 적합한 문장을 추천하시오)"라는 레이블이 표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재작성 모드에서는 "Please rewrite this text. (이 텍스트를 재작성하시오)"라는 레이블이 표시되어 있다.The instruction window (CMW) is an interface element through which document writers input instructions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ory creation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instruction window. Referring to FIG. 3, i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 label "I would like a suggestion. (Please recommend a sentence suitable for this position)"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 5, in the rewrite mode, a label "Please rewrite this text. (Please rewrite this text)" is displayed.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문서 뷰(DCV)에서 윈도우 커서가 현재 작성 중인 문서의 어느 한 지점에 멈추어져 있기에 스토리 생성 모드는 자동적으로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고 대화 뷰(IRV)도 다음문장 추천 모드에 맞게 설정된다. 다음문장 추천 모드에서 문서 작성자는 그 윈도우 커서가 놓여진 위치에 자신이 표현하려는 내용을 담은 테스트 문장을 지시 창(CMW)에 입력하고 "Send" 버튼을 누른다. 인공지능 SGM은 그 테스트 문장의 내용을 참고하여 문서 뷰에서 윈도우 커서가 가리키는 문서 위치에 대한 다음 문장을 추천한다. Referring to [Fig. 3] and [Fig. 4], in the document view (DCV), since the window cursor is stopped at a certain point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the story creation mode automatically activates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nd the dialog view (IRV) is also set according to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the document writer inputs a test sentence containing the contents he or she wants to express in the instruction window (CMW) at the location where the window cursor is placed and presses the "Send" butt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recommends the following sentence for the document position pointed by the window cursor in the document view by referring to the content of the test sentence.

[도 3]에서 문서 작성자는 윈도우 커서가 놓여진 지점에 자신이 표현하려는 내용으로서 "The house doesn't interact with other people while conversing with Lily. The narrator is forced to do things like turning on the TV manually."라는 테스트 문장을 지시 창(CMW)에 입력하고 "Send" 버튼을 눌렀다. 이 테스트 문장은 인공지능 SGM에 다음문장의 생성에 관한 지시사항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지시사항을 자연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Fig. 3], the document writer describes the content he wants to express at the point where the window cursor is placed, saying "The house doesn't interact with other people while conversing with Lily. The narrator is forced to do things like turning on the TV manually." was entered into the instruction window (CMW) and the "Send" button was pressed. This test sentence is an instruction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to generate the next sentence.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in a natural language format.

그에 대응하여, [도 4]에서 인공지능 SGM이 추천한 문장 "Of couser, during those hours that she spent connecting, the house would steadfastly refuse to connect with me. I would have to demote myself to the tedious task of turning on the television by hand. Once I even had to turn off the living room lights myself."가 대화내역 창(IHW)에 표시되었다. 그리고, 대화내역 창(IHW)에는 이 추천 문장과 연계하여 두 가지 선택사항이 표시되어 있다. 문장 작성자가 첫번째 사항을 선택하면 문장 작성자가 그 추천 문장이 맘에 들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문서 뷰(DCV)에 표시된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서 윈도우 커서가 표시된 부분에 그 추천 문장이 삽입된다. 만일 문장 작성자가 두번째 사항을 선택하면 문장 작성자가 그 추천 문장이 맘에 들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 추천 문장은 버려진다. 본 발명에서 인공지능 SGM은 대화내역 창(IHW)에서 추천 문장에 대한 문장 작성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스토리 자동 생성에 관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rrespondingly, in [Figure 4],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recommended sentence "Of couser, during those hours that she spent connecting, the house would steadfastly refuse to connect with me. I would have to demote myself to the tedious task of turning on the television by hand. Once I even had to turn off the living room lights myself." was displayed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And,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two options are displayed in connection with this recommended sentence. If the sentence writer selects the first option, it means that the sentence writer likes the recommended sentence, so the recommended sentence is inserted at the part where the window cursor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displayed in the document view (DCV). If the sentence writer selects the second option, it means that the sentence writer did not like the recommendation sentence, so the recommendation sentence is discar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learns about automatic story creation based on the sentence writer's selection of the recommended sentence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문서 뷰(DCV)에서 현재 작성 중인 문서의 일부분 "Then she would converse for hours, and I would never hear a response."에 대한 선택을 식별함에 따라, 스토리 생성 모드는 자동적으로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고 대화 뷰(IRV)도 재작성 모드에 맞게 설정된다. 이때, 선택 텍스트는 인공지능 SGM에 대체문장 재작성에 관한 지시사항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지시사항을 자연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nd [Fig. 6], as the document view (DCV) identifies a selection for "Then she would converse for hours, and I would never hear a response." The story creation mode automatically activates the rewrite mode and the conversation view (IRV) is set to suit the rewrite mode. At this time, the selected text is an instruction for rewriting the alternative sentence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in a natural language format.

[도 5]에서 인공지능 SGM은 선택 텍스트를 재작성하여 "They talked mysteriously for house but I could never pick up who was talking on the other side."를 추천하였으며, 그 히스토리가 대화내역 창(IHW)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문서 작성자가 첫번째 사항을 선택하면 문서 뷰(DCV)에 표시된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서 그 추천 문장이 선택 텍스트를 대체한다. [도 6]에서 문서 뷰(DCV)는 문서 작성자가 첫번째 사항을 선택하여 위 추천 문장이 선택 텍스트를 대체한 결과를 나타낸다. 반대로 문서 작성자가 두번째 사항을 선택하면 그 추천 문장은 버려진다. 재작성 모드에서도 대화내역 창(IHW)에서 추천 문장에 대한 문장 작성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SGM의 스토리 자동 생성에 관한 인공지능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ure 5],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rewrote the selection text and recommended "They talked mysteriously for house but I could never pick up who was talking on the other side." The history is displayed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indicated. And, if the document writer selects the first item, the recommended sentence replaces the selected text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displayed on the document view (DCV). In [Fig. 6], the document view (DCV) shows the result of the document writer selecting the first item and replacing the selected text with the above recommended sentence. Conversely, if the document writer chooses the second option, the recommendation is discarded. Even in the rewrite mode, it is desirable to perform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related to the automatic generation of storie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based on the sentence writer's selection of the recommended sentence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한편, 문서 작성자가 지시 창에 아무런 내용을 작성하지 않고 "Send" 버튼을 누르는 경우, 인공지능 SGM은 별도의 맥락 없이 그 선택된 타겟 텍스트와 그 선택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따라 문장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문장을 추천해서 대화내역 창에 표시한다. 또한, 문서 작성자는 그 선택된 스토리 생성 모드가 어떤 문장을 생성할지를 자연어로 표현하여 지시 창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보일드 문체를 사용하여", "격정적인 표현을 활용하여", "최대한 간결하게"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면, 그 입력된 지시 내용은 인공지능 기반의 SGM에 스토리 생성에 관한 맥락 정보(context information)로 추가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ocument writer presses the "Send" button without writing any content in the instruction window,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GM generates a sentence according to the selected target text and the selected story generation mode without a separate context, and the generated sentence is recommended and displayed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n addition, the document creator can express in natural language what sentence the selected story generation mode will generate and input it into the instruction window. For example, "use a hard-boiled style", "use a passionate expression", "as concisely as possible", etc. Then, the input instructions are added to the AI-based SGM as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story creation.

인공지능 기반의 문장 생성 모듈(SGM)으로 종래 제시된 기술로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3(GPT-3)를 들 수 있다. GPT-3는 딥러닝을 이용해 인간스러운 텍스트를 만들어내는 자기회귀 언어 모델로서 OpenAI사가 개발한 GPT-n 시리즈의 3세대 언어 예측 모델이다. GPT-3에 의하면 각종 언어 관련 문제풀이, 랜덤 글짓기, 간단한 사칙연산, 번역, 주어진 문장에 따른 간단한 웹 코딩이 가능하다.A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 previously proposed technology may include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3 (GPT-3). GPT-3 is a self-regressive language model that creates human-like text using deep learning and is the third-generation language prediction model of the GPT-n series developed by OpenAI. According to GPT-3, various language-related problem solving, random writing, simple arithmetic operations, translation, and simple web coding according to given sentences are possible.

GPT-3와 같은 Transformer 기반 SGM은 문서 형태로 작성된 스크립트를 입력으로 받고 그에 따라 나올 확률이 높은 텍스트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상에 문서 작성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스크립트로 변환하는 템플릿을 구비한다. 문서 작성자가 "Send" 버튼을 누를 때마다 [도 7] 및 [도 8]에서 "<>"로 표기된 부분이 모두 문서 작성자가 입력한 텍스트로 변환되어 작성된 스크립트가 SGM에 입력된다.Transformer-based SGM such as GPT-3 receives a script written in the form of a document as an input and generates text with a high probability of coming out according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late that converts text input by a document creator into a script on an interface. Whenever the document creator presses the "Send" button, all parts marked with "<>" in [Fig. 7] and [Fig. 8] are converted into text input by the document creator, and the written script is input to the SGM.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서 인공지능 기반 SGM의 스크립트 템플릿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음문장 추천 모드에서 인공지능 기반 SGM의 스크립트 템플릿을 나타내고, [도 8]은 재작성 모드에서 인공지능 기반 SGM의 스크립트 템플릿을 나타낸다.[Fig. 7] and [Fig. 8]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script templates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GM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script template of SG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nd [Figure 8] shows a script template of SG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write mode.

SGM이 성공적으로 "응답:" 이후에 따라오는 출력 텍스트를 작성하면 그 출력이 대화내역 창에 표시된다. 대화내역 창에서 문서 작성자가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출력 텍스트의 내용이 문서 뷰로 옮겨간다. 다음문장 추천 모드에서는 출력 텍스트가 커서 위치에 추가되고, 재작성 모드에서는 출력 텍스트가 선택 텍스트를 대체한다.When the SGM successfully writes the output text that follows "Reply:", the output is displayed in the transcript window. When the document creator selects the checkbox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the content of the output text is moved to the document view. I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the output text is added at the cursor position, and in the rewrite mode, the output text replaces the selected text.

본 발명에서는 문서 뷰의 커서 위치나 텍스트 선택 여부에 따라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두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이 채택되었다. 이로 인해, 문서 작성자가 SGM에 지시 사항을 입력하는 데에 필요한 조작을 1회의 마우스 클릭 또는 1회의 드래그 입력 정도로 줄여준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음문장 추천 또는 재작성을 원하는 타겟 텍스트의 위치를 별도로 대화 뷰에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한, 스토리 생성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모드, 즉 다음문장 추천 모드와 재작성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리 작성 과정에 사용자의 편의를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of switching between two modes of the story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document view or whether text is selected is adopted. This reduces the number of operations required by document creators to input instructions into the SGM to one mouse click or one drag inpu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put the position of the target text to recommend or rewrite the next sentence to the conversation view. In addition, no separate input is required to switch between the two most frequently used modes in the story creation process, that is,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nd the rewrit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greatly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writing a story.

문서 작성은 인지 부하가 큰 창의적 작업이다. 따라서 복잡한 메뉴 선택을 없애고 적은 조작으로 타겟 텍스트를 선택하고 스토리 생성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작업 생산성에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시사항을 자연어 형식으로 SGM에 전달함으로써 문서 작성자는 인공지능 기반의 SGM이 어떤 문장을 생성해야 하는지에 관한 자신의 의도를 정확하고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다.Documentation is a creative task with a high cognitive load. Therefore, eliminating complicated menu selections and being able to select target text and set story creation modes with fewer operations directly contributes to work productivity. By passing instructions to the SGM in natural language form through an interface, document writers can accurately and richly express their intentions regarding what sentences should be generated by the AI-based SGM.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As such non-volatile recording media, there are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s, SSDs, CD-ROMs, NAS, magnetic tapes, web disks, and cloud disks. and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execu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procedure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Claims (7)

컴퓨터 장치가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서 작성자와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 간에 스토리 자동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현재 작성중인 문서를 표시하는 문서 뷰(document view; DCV)를 문서 작성자를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제 1 단계;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SGM)과 문서 작성자 간의 대화형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대화 뷰(interaction view; IRV)를 문서 작성자를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문서 뷰(DCV)와 상기 대화 뷰(IRV)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이한 영역으로 제공됨 --;
문서 작성자가 상기 문서 뷰(DCV)에서 수행하는 조작 형태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다음문장 추천 모드와 재작성 모드의 두 가지 스토리 생성 모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제 3 단계;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문서 뷰(DCV)에서 윈도우 커서가 가리키는 문서 위치에 대한 다음문장 추천을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하는 제 4 단계;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문서 뷰(DCV)에서 문서 작성자가 선택한 텍스트 부분(이하, '선택 텍스트'라 함)에 대한 재작성을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하는 제 5 단계;
상기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따라 다음문장 추천 또는 선택 텍스트 재작성에 관련된 자연어 형식의 지시사항을 설정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로 전달하는 제 6 단계;
상기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대응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이 생성한 추천 문장을 문장 생성 모듈(SGM)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대화 뷰(IRV)에 표시하는 제 7 단계;
상기 대화 뷰(IRV) 상에 이루어지는 문서 작성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추천 문장을 상기 문서 뷰(DCV)에 반영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 method in which a computer device provides an interfac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tory between a document creator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reation system through a computer screen,
A first step of providing a document view (DCV) displaying a document currently being prepared as a first interface element for a document writer;
A second step of providing an interaction view (IRV) for providing interactive interaction between an AI-based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nd a document writer as a second interface element for a document writer--the document view ( DCV) and the conversation view (IRV) are provided as different areas on the display screen --;
a third step of selectively activating one of two story creation modes, a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and a rewriting mode, automatically based on a form of manipulation performed by a document writer in the document view (DCV);
a fourth step of instructing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to recommend a next sentence for a document position indicated by a window cursor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a fifth step of instructing a sentence generating module (SGM) to rewrite a text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ected text') selected by a document writer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the rewriting mode is activated;
a sixth step of setting instructions in a natural language format related to recommending a next sentence or rewriting selected text according to the activated story generation mode and transmitting them to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 seventh step of receiving a recommended sentence generated by a sentence generating module (SGM)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tory generating mode from the sentence generating module (SGM) and displaying the recommended sentence on the conversation view (IRV);
an eighth step of reflecting the recommended sentence to the document view (DCV) in response to the activated story creation mode according to a document creator's selection made on the conversation view (IRV);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문서 뷰(DCV)에서 윈도우 커서가 현재 작성 중인 문서의 어느 한 지점에 멈추면 다음문장 추천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문서 뷰(DCV)에서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서 문장이나 단어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면 재작성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step,
activating a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when a window cursor stops at a certain point of a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n the document view (DCV);
activating a rewrite mode when a selection of a sentence or word is detected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n the document view (DCV);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문서 뷰(DCV)에서 윈도우 커서가 가리키는 문서 위치에 상기 추천 문장을 삽입하는 단계;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문서 뷰(DCV)에서 상기 선택 텍스트를 상기 추천 문장으로 대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eighth step,
inserting the recommended sentence at a document position indicated by a window cursor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a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replacing the selected text with the recommended sentence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a rewrite mode is activate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문장 생성 모듈(SGM)과 문서 작성자 간의 대화형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대화 뷰(IRV)를 문서 작성자를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단계;
문서 작성자의 지시 사항과 문장 생성 모듈(SGM)의 응답이 쌍(pair)을 이루어 구성된 대화 내역을 저장 표시하기 위한 대화내역 창(interaction history window; IHW)을 상기 대화 뷰(IRV)의 표시 영역 내에 제 1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단계;
문서 작성자가 문장 생성 모듈(SGM)에 지시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지시 창(command window; CMW)을 상기 대화 뷰(IRV)의 표시 영역 내에 제 2 인터페이스 요소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대화내역 창(IHW)과 상기 지시 창(CMW)은 상기 대화 뷰(IRV)의 표시 영역 내에 상이한 영역으로 제공됨 --;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6 단계는,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지시 창(CMW)을 통해 윈도우 커서가 놓여진 위치에 문서 작성자가 표현하려는 내용을 담은 자연어 형식의 테스트 문장을 지시사항으로 입력받아 문장 생성 모듈(SGM)로 전달하는 단계;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문서 뷰(DCV)에서 식별한 자연어 형식의 상기 선택 텍스트를 지시사항으로 설정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스토리 생성 모드에 대응하여 문장 생성 모듈(SGM)이 생성한 추천 문장을 문장 생성 모듈(SGM)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대화내역 창(IHW)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econd step,
providing a conversation view (IRV) for providing interactive interaction between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nd a document writer as a second interface element for a document writer;
In the display area of the conversation view (IRV), an interaction history window (IHW) for storing and displaying conversation history composed of instructions from the document creator and the response of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s paired. providing as a first interface element;
Providing a command window (CMW) for a document writer to input instructions into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as a second interface element within the display area of the conversation view (IRV)--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 IHW) and the indication window (CMW) are provided in different areas within the display area of the conversation view (IRV) --;
It is composed of,
The sixth step,
Whe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a test sentence in natural language form containing the content to be expressed by the document writer is input as a command at the position where the window cursor is placed through the instruction window (CMW) and transmitted 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doing;
setting the selected text in a natural language format identified in the document view (DCV) as instructions when the rewrite mode is activated,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text to a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It is composed of,
The seventh step,
receiving a recommended sentence generated by a sentence generating module (SGM) in response to the activated story generating mode from the sentence generating module (SGM) and displaying it o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추천 문장과 연계하여 복수의 선택사항을 상기 대화내역 창(IHW)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화내역 창(IHW)에서 문서 작성자에 의한 제 1 사항의 선택이 식별되면, 다음문장 추천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문서 뷰(DCV)의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서 윈도우 커서가 표시된 부분에 상기 추천 문장을 삽입 처리하고, 재작성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문서 뷰(DCV)의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서 상기 추천 문장에 의해 상기 선택 텍스트를 대체 처리하는 단계;
상기 대화내역 창(IHW)에서 문서 작성자에 의한 제 2 사항의 선택이 식별되면, 상기 추천 문장을 버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seventh step,
displaying a plurality of options in connection with the recommended sentence o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If the selection of the first item by the document writer is identified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the recommendation is made on the part where the window cursor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the next sentenc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inserting a sentence, and replacing the selected text by the recommended sentence in a document currently being written in the document view (DCV) when a rewriting mode is activated;
discarding the recommended sentence when the selection of the second item by the document writer is identified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문장 생성 모듈(SGM)의 스토리 자동 생성에 관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해 상기 대화내역 창(IHW)에서 상기 복수의 선택사항 중 문서 작성자에 의한 선택 결과를 문장 생성 모듈(SGM)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Performed after the seventh step,
Transmitting the selection result by the document writ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ptions in the conversation history window (IHW) to the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about the automatic story gener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ntence generation module (SGM) step;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컴퓨터에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 생성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to execute the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a computer.
KR1020210151979A 2021-11-08 2021-11-08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KR202300667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979A KR20230066710A (en) 2021-11-08 2021-11-08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979A KR20230066710A (en) 2021-11-08 2021-11-08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710A true KR20230066710A (en) 2023-05-16

Family

ID=8654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979A KR20230066710A (en) 2021-11-08 2021-11-08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671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son et al. Beyond hacking: a model based approach to user interface design
KR101076867B1 (en) Automatic image capture for generating content
McKay UI is communication: How to design intuitive, user centered interfaces by focusing on effective communication
US7861170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content for a voice-user interface
Weintrop et al. To block or not to block, that is the question: students' perceptions of blocks-based programming
KR101087312B1 (en) Importation of automatically generated content
KR101038395B1 (en) Active content wizard: execution of tasks and structured content
Martin The utility of speech input in user-computer interfaces
KR101548524B1 (en) Rendering teaching animations on a user-interface display
US8261177B2 (en) Generating media presentations
CA2495038C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user interface elements known to an application and user
US8798999B2 (en) Dialog design tool and method
CN100399241C (en) Automatic text generation
AU695912B2 (en) A computer based training system
KR20060092041A (en) Using existing content to generate active content wizard executables for execution of tasks
US20080160487A1 (en) Modularized computer-aided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system
CN112219214A (en) System and method with time-matched feedback for interview training
CN103197929A (en)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 programming facing children
CN109074218B (en) Document content playback
KR20230066710A (en)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for AI-based story generation system
US8346560B2 (en) Dialog design apparatus and method
Dumas et al. A graphical editor for the SMUIML multimodal user interaction description language
KR102144891B1 (en) Humanoid robot developmnet framework system
JPH09251368A (en) Construction supporting system for intelligent agent
van Dam Dialogue acts in GU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