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779A -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779A
KR20230065779A KR1020210151694A KR20210151694A KR20230065779A KR 20230065779 A KR20230065779 A KR 20230065779A KR 1020210151694 A KR1020210151694 A KR 1020210151694A KR 20210151694 A KR20210151694 A KR 20210151694A KR 20230065779 A KR20230065779 A KR 20230065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space
content
virtual
virtual exhibition
art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6848B1 (en
Inventor
신호
임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to KR102021015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848B1/en
Publication of KR2023006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7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8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 control method of a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analyzing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and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

Figure P1020210151694
Figure P1020210151694

Description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galler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galler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configur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최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활동들이 온라인으로 넘어오거나, 온라인과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온라인 갤러리이다.Recently, various activities that used to be performed off-line are moving over to online, or are being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online. One of them is the online gallery.

온라인 갤러리는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게시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관람객들이 온라인으로 방문하여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online gallery allows artists to post their works online, and allows online visitors to visit and browse the works of each artist online.

예를 들어 온라인 갤러리는 예를 들어 웹 서버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라인 관람객들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온라인 갤러리에 접속한 후, 해당 온라인 갤러리에 게시된 각 아티스트들이 작품을 열람할 수 있다.For example, an online gallery may be operated as a web server. In this case, online visitors can access the online gallery using a web browser and view works of each artist posted in the online gallery.

이처럼 온라인 갤러리는 오프라인상에게 전시되던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전시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As such, online galleries have a positive effect of allowing many people to appreciate the works by displaying the works of each artist online, which were previously displayed offline.

그런데 이처럼 온라인 갤러리는 사용자(아티스트)의 선택 등에 의해 꾸밀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스킨 모듈을 제공하여 아티스트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is way, the online gallery can be decorated according to the user's (artist's) selec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skin modules may be provided and the artist may be selected.

하지만 일반적으로 온라인 갤러리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스킨 모듈의 개수는 그렇게 많지 않아서 선택이 폭이 좁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작품과 조화를 이루는 스킨 모듈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skin modules provided by online gallery operators is generally limited, and it is not easy to find skin modules that harmonize with works.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콘텐츠)에 부합하도록 가상 전시공간을 일일이 구성하는 것도 상당히 시간이 많이 필요한 작업이다.In addition, it is a very time-consuming task for artists to individually configure virtual exhibition spaces to match their works (contents).

즉, 종래에는 사용자(아티스트) 입장에서 바라보는 가상 전시 공간을 제공 서비스의 사용 편리성 부족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다.That is, in the prior art, lack of usability of a service provid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viewed from a user (artist) point of view has always been a problem.

등록특허 제10-1106857호Registered Patent No. 10-110685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티스트의 수동 조작이 없더라도, 아티스트들이 업로드하는 작품(콘텐츠)에 부합되도록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object is a virtual gallery system and control for configur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to conform to works (contents) uploaded by artists even without manual manipulation by artists. is to provide a wa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rol method of a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analyzing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The method may include changing a configuration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artist based on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여기서,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nd at least one of the color and background imag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where the content is placed is changed using the extracted object. can

여기서, 상기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a front surface, each of which gives an effect of extending toward the front, based on the front, and analyzes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to display the image. , Each main object existing in the lower, left, and right regions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main objects for each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regions are separated and dispos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respectively. can do.

여기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type of the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content is determined,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each main object a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the extracted similar objects are each of the plurality of extracted similar object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t can be arranged separately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와; 상기 콘텐츠 분석부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builder for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a content analysis unit that analyzes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may be included to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unit.

여기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추출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analysis unit analyzes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nd extracts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an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uses the object extract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to display the virtual exhibi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rranged. At least one of the color of the space and the background image may be changed.

여기서, 상기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a front surface, each of which gives an effect of extending toward the front, based on the front, and the content analysis unit includes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is analyzed to extract each of the main objects existing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areas, an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extracts the main objects for each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areas extracted by the content analyzer, respectively,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t can be separately dispos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여기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판단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analyzer determines the type of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content, an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extracts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each main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zer from the database, and the plurality Similar objects extracted one by one may be separately arrang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respective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전시공간이 아티스트의 수동 조작이 없더라도 전시되는 콘텐츠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an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displayed content even without manual manipulation by an artist,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특히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영역별로 추출한 후, 3차원 가상공간으로 이루어진 가상 전시공간의 대응되는 면에 배치함으로써, 콘텐츠와 조화를 이루는 전시공간의 구성으로 인해 온라인 관람객의 감동을 배가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by extracting objects included in the content by area and placing them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de up of a 3D virtual space, the impression of the online audience can be doubled due to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pace in harmony with the content.

특히, 가상 전시 공간이라는 것은 단지 그 안에 배치되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가상 전시 공간 자체에도 개성이 묻어 나와야 주목을 받고 오히려 작품(콘텐츠)를 부각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전시되는 콘텐츠로부터 추출된 특징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콘텐츠(작품)의 내용으로 몰입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virtual exhibition space can attract attention and highlight works (contents) only when not only the content placed in it, but als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tself has a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being immersed in the content (ar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3차원으로 이루어진 가상 전시공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콘텐츠의 영역별로 추출한 객체가 가상 전시공간의 대응되는 면에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virtual gall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of FIG. 1;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virtual exhibition spac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objects extracted for each area of content are arrang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5 to 7 are control flow diagrams of a virtual gall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combinations of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although alphabets such as '(a)' are included in some claims of the claims for convenience, these alphabets do not pr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combinations of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although alphabets such as '(a)' are included in some claims of the claims for convenience, these alphabets do not pr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each signal referred to in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on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connection or the like, but may also refer to a group of signals transmitte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described later. . That is, in each embodiment, a plurality of signals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or transmitted afte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counterpart device may be expressed as one signal name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combinations of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although alphabets such as '(a)' are included in some claims of the claims for convenience, these alphabets do not pr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including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아티스트 단말기(200),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ntire system may include an artist terminal 200, a virtual gallery system 100, and an online viewer terminal 300.

아티스트 단말기(200)는 아티스트들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가상 전시공간을 꾸미는 기능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고, 유선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아티스트는 반드시 예술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콘텐츠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여 타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The artist terminal 200 is for artists to access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nd perform functions such as uploading content or decora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may be Here, the artist does not necessarily refer only to those who specialize in artistic activities, but refers to all people who want to upload their contents online so that others can view them.

또한 상술한 콘텐츠는 각 아티스트들이 제작하거나 창작한 작품들에 대한 전자적 데이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tent may be electronic data about works produced or created by each artist.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각 아티스트들에 의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콘텐츠 즉, 작품들을 열람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The online viewer terminal 300 is a device for viewing contents, that is, works, registered in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by each artist, and includes all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된 경우,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는 장치면 충분하다.For example, when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is configured as a web server, the online visitor terminal 300 may be a device including a web browser.

한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함과 아울러 그 가상 전시공간에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공간에 전시 또는 배치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rtist terminal 200 and the online visitor terminal 300,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equest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In addition to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it performs a function of arranging predetermined contents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also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contents displayed or arrang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online visitor terminal 300. do.

이를 위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회원제에 기반한 시스템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가상 전시공간을 제공하거나 콘텐츠의 등록을 처리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온라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공간을 열람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o this end,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may perform system operation based on a membership system. For example, it may provide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artists who have subscribed as members in advance or process registration of contents, and similarly, it may be possible to process registration of members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view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of each artist for online visitors who have signed up with .

이러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An example of a specific functional block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is as shown in FIG. 2 .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110), 콘텐츠 분석부(120),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includ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a content analysis unit 120, a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130, an input unit 140, and a storage unit 15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입력부(14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각종 요청 신호, 콘텐츠, 각종 정보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input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various request signals, contents, and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and the online viewer terminal 300 .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orage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information, contents, etc. received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and the online visitor terminal 300, and also dynamically responds to requests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and the online visitor terminal 30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information, contents, etc. created by

특히,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가상 전시공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그 업로드한 아티스트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5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a virtual exhibition space created at the request of the artist terminal 200, and also functions to match and register content received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with the uploaded artist. also perform

물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회원 정보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when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operates on a membership basis, memb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각 회원 정보와, 각 회원이 등록하거나 각 회원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정보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저장부(150)에 등록되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each memb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gistered by each member or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member are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150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it itself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더 나아가 저장부(150)에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 동작 중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실시간 저장될 수도 있다.Furthermore, information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nd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n real time.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110)는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uilding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of build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여기서 가상 전시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영역 또는 공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가상 전시공간은 복수 개의 웹페이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eans an area or space in which predetermined contents can be arranged a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when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is composed of a web server,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eb pages. It could be.

일 예로,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110)는 각 아티스트들마다 5개의 웹페이지(각 URL로 접근할 수 있는 각각의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 웹페이지에는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0개)의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는 제한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uilding unit 110 may provide 5 web pages (each web page accessible by each URL) for each artist, and each web page has a preset number (eg, For example, 10 contents) may be previously set by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

특히, 가상 전시공간은 각 콘텐츠마다 구축되는 개별적 가상공간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 개의 콘텐츠가 배치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일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be an individual virtual space constructed for each content, or a virtual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arranged.

이러한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110)에 의해 구축되는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공간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Each artist's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ed by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uilder 110 may have various shapes.

예를 들어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a front surface, each of which gives an effect of extending toward the front, based on the front.

즉, 정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티스트에 의해 등록(업로드)된 콘텐츠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온라인 관람객으로 하여금 자신이 마치 바닥면과, 천정, 좌측 벽, 우측 벽이 있는 건물 안에 들어와 있는 것과 같이 착각이 들도록 가상 전시공간에게 입체적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later, content registered (uploaded) by an artist can be placed on the front side, and at this time, online viewers can feel as if they are inside a building with a floor, ceiling, left wall, and right wall. It is possible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to create an illusion.

이러한 가상 전시공간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되었다.An example of such a virtual exhibition space is shown in FIG. 3 .

동 도면을 참조하면 정육면체와 같은 공간이 가상 전시공간으로써 구성되고, 그 정면에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된 콘텐츠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a space like a cube is configured as a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ent uploaded by an artist is placed in front of the space.

이렇게 가상 전시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온라인 관람객에게 오프라인 갤러리를 방문한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three-dimensionally, it is possible to provide online visitors with the same feeling as visiting an offline gallery.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ent analyzer 120 performs a function of analyzing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analyzer 120 may analyze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and extract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된 콘텐츠가 수작업으로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경우, 콘텐츠 분석부(120)는 해당 그림에서 배경과 배경 이외의 부분을 구분하여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If the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corresponds to a hand-drawn picture, the content analyzer 120 may extract an object by distinguishing a background part from a part other than the background part from the corresponding picture.

일 예로 콘텐츠 분석부(120)는 테두리 강조 필터링 등을 이용하여 배경을 제외한 나머지 객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미지에서 배경과 그 외의 객체를 분리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the content analyzer 120 may extract objects other than the background by using edge emphasis filtering, etc. Since the technology itself of separating the background and other objects from an image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a more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is omitted.

한편, 콘텐츠로부터 객체를 추출함에 있어서,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의 영역을 구분하여 영역별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Meanwhile, in extracting an object from the content, the content analyzer 120 may divide the content area and extract the object for each area.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500)를 상, 하, 좌, 우(510, 520, 530, 540)로 구분하여 그 각각의 영역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영역별로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the content analyzer 120 divides the content 500 into top, bottom, left, and right (510, 520, 530, 540) and includes them in their respective areas.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main objects that have been identified by area.

도 4(a)에서는 상부 영역(510)에는 A 객체가, 하부 영역(520)에는 B 객체가, 좌측 영역(530)에는 C 객체가, 우측 영역(540)에는 D 객체가 존재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고, 이 경우 콘텐츠 분석부(120)는 A,B,C,D 의 주요 객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As an example, in FIG. 4( a ), object A exists in the upper area 510, object B exists in the lower area 520, object C exists in the left area 530, and object D exists in the right area 540. In this cas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can extract the main objects of A, B, C, and D, respectively.

여기서 주요 객체는 예를 들어 각 영역에 복수 개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중에서 해당 영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main object may be, for example, one that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in a corresponding area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in each area.

또한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500)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Also, the content analyzer 120 may determine the type of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content 500 .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추출한 주요 객체가 꽃인지, 나무인지, 동물인지, 사람인지 등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the extracted main object is a flower, a tree, an animal, or a person.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600)의 구성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

예를 들어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가 추출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500)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600)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130 may change at least one of a color and a background imag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where the corresponding content 500 is arranged using an object extract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there is.

즉, 가상 전시공간(600)이 도 3과 같이 3차원 형태로 구축되어 있는 경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3차원의 적어도 일부 면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이미지가 적어도 일부 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is constructed in a 3D form as shown in FIG. 3,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130 changes the color of at least some of the 3D surfaces or displays a specific image on at least some of the surfaces. that can be placed.

만일, 도 4(a)와 같이 콘텐츠 분석부(120)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500)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If the content analyzer 120 analyzes the content 500 uploaded from the artist and extracts each main object present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reas as shown in FIG. 4 (a),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The decoration unit 130 separates the main objects for each upper, lower, left, and right area extract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into the upper surface 610, lower surface 620, left surface 630, It can be disposed separately on the right side 640.

이러한 결과가 도 4(b)에 도시되었다.These results are shown in Fig. 4(b).

즉, 도 4(b)를 참조하면,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에는 콘텐츠(500)의 상부 영역(510)에 있던 A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하면(620)에는 콘텐츠(500)의 하부 영역(520)에 있던 B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좌측면(630)에는 콘텐츠(500)의 좌측 영역(530)에 있던 C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우측면(640)에는 콘텐츠(500)의 우측 영역(540)에 있던 D객체가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4(b), the object A located in the upper area 510 of the content 5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61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 620, the B object in the lower area 520 of the contents 500 is disposed, and the C object in the left area 530 of the contents 50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63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 object located in the right area 540 of the content 50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64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

물론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가상 전시공간(600)의 정면에는 콘텐츠(500)를 있는 그대로 배치하여 마치 오프라인 갤러리에 그림이 걸려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Of course, the decoration part 13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place the content 500 as it is on the front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to give an effect as if a picture is hanging in an offline gallery.

이처럼 정면을 기준으로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정면에 배치되는 콘텐츠(500)로부터 추출한 객체를 다시 배치함으로써, 콘텐츠(500)와 입체적 배경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어서, 온라인 관람객의 감동이 배가될 수 있다.In this way, by rearranging objects extracted from the content 500 disposed in the front on the upper surface 610, lower surface 620, left surface 630, and right surface 64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based on the front, the contents (500) and the three-dimensional background can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so the impression of the online audience can be doubled.

더 나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분석부(120)에 의해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가 판단된 경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가 판단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ype of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zer 120,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type of each main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zer 120.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similar objects may b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the extracted similar objects may be separately dispos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respectively.

예를 들어 도 4(a)에서 B영역에 존재하는 객체가 진달래꽃이라면,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이와 유사한 철쭉, 나리꽃, 제비꽃 이미지를 기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미 도시함)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하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object existing in area B in FIG. 4 (a) is an azalea flower,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130 extracts similar images of azaleas, lilies, and violets from a pre-configured database (not shown) to create virtual It can b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exhibition space.

이 경우 온라인 관람객 입장에서는 콘텐츠에 포함된 꽃과는 동일하지는 않은 다른 꽃 종류들이 마치 가상의 전시공간 바닥에 깔려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어서, 콘텐츠 관람/열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online viewers may feel as if other types of flowers that are not identical to the flowers included in the content are spread on the floor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thus the effect of viewing/reading the content can be maximized.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제어흐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trol flow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아티스트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공간 구축을 한 후 해당 아티스트에 할당 처리한다(단계 S1).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builds a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each artist's request, and then assigns it to the corresponding artist (step S1).

이어서 가상 전시공간이 할당된 아티스트로부터 콘텐츠의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한다(단계 S3).Subsequently, when there is a request for content registration from an artist assigned a virtual exhibition spac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nalyzes the uploaded content (step S3).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한다(단계 S5).Then,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changes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of the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content (step S5).

도 6에는 도 3의 과정 중에서 가상 전시공간이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이 있는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부분적인 제어흐름이 도시되었다.FIG. 6 shows a partial control flow in the case wher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nd a right surface in the process of FIG. 3 .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영역별로 분석하여 주요 객체를 추출하는데(단계 S11), 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를 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우측 영역으로 구분한 후 각 영역으로부터 주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nalyzes the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by area and extracts a main object (step S11). For example, after dividing the content into an upper area, a lower area, a left area, and a right area, each area The main object can be extracted from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콘텐츠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는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에 배치하고(단계 S13), 콘텐츠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는 가상 전시공간의 하면에 배치하며(단계 S15), 콘텐츠의 좌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는 가상 전시공간의 좌측면에 배치하고(단계 S17), 콘텐츠의 우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는 가상 전시공간의 우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단계 S19).Thereafter,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rranges the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upper area of the cont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tep S13), and arranges the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lower area of the cont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tep S13). S15), the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left area of the content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tep S17), and the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right area of the content is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tep S19).

도 6에서는 특정 콘텐츠로부터 주요 객체가 추출된 후에 가상 전시공간의 각 면에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만일 가상 전시공간에 여러 개의 콘텐츠가 배치 및 전시되는 경우, 동일한 가상 전시공간에 배치되는 각 콘텐츠로부터 객체들을 각각 추출한 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객체를 주요 객체로 선정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In FIG. 6, as an example, main objects are extracted from specific content and then placed on each sid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ut if multiple contents are arranged and display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each content placed in the same virtual exhibition space. After each object is extracted from , the object occupying the largest portion may be selected as the main object and processed.

다른 예로써, 가상 전시공간에 여러 개의 콘텐츠가 배치 및 전시되는 경우, 동일한 가상 전시공간에 배치되는 각 콘텐츠로부터 주요 객체들을 각각 추출한 후, 그 주요 객체들 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주요 객체 복사본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주요 객체 복사본들을 가상 전시공간의 대응되는 면에 가득차게 채울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상 전시공간에 전시되는 콘텐츠별 주요 객체들이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면에 가득차 있는 것처럼 보여져 일반 건물이 아니라 콘텐츠와 관련된 색다른 공간에서 콘텐츠를 열람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multiple contents are arranged and display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fter extracting the main objects from each content placed in the same virtual exhibition space, a copy of the main object i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between the main objects. Later, the created main object copies can be filled up to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n this case, the main objects of each content display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ppear to fill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giving a feeling of viewing the content in a different space related to the content rather than in a general building.

도 7에는 도 6보다 더 구체적인 제어 흐름의 일 예가 도시되었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more specific control flow than FIG. 6 .

즉,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영역별로 분석하여 주요 객체를 추출하는데, 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를 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우측 영역으로 구분한 후 각 영역으로부터 주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S21).That is,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nalyzes the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for each area and extracts a main object. For example, after dividing the content into an upper area, a lower area, a left area, and a right area, the main object is extracted from each area. An object can be extracted (step S21).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S23).Subsequently,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determines the type of the main object extracted (step S23).

즉,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콘텐츠의 각 영역(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우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를 각각 판단하는 것이다.That is,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determines the types of main objects extracted from each area (upper area, lower area, left area, right area) of content.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콘텐츠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만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에 배치하고(단계 S25), 콘텐츠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만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하면에 배치하며(단계 S27), 콘텐츠의 좌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만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좌측면에 배치하고(단계 S29), 콘텐츠의 우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만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우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단계 S31).Thereafter,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extracts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content from the database and arranges the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tep S25), and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content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extracted main object a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tep S27), and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left area of the content are placed. It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tep S29), and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right area of the content a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Yes (step S31).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가 가상 전시 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에로써,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mainly changes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analyzes each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 analyz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Arrangement processing may be performed in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artist.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content analysis unit extracts an object included in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and then determines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extracted objec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determines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determined object According to thi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be determined.

콘텐츠 내에서 배경과 객체를 분리하는 것 자체는 이미지 분석관 관련된 기수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는데, 콘텐츠의 배경으로부터 소정의 객체를 분리/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하는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Separating the background and object within the content itself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in the field of image analysis, and the process of separating/extracting a certain object from the background of the content and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extracted object The judging process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예를 들어 딥러닝과 같이 기계학습에 기초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경우 소정의 콘텐츠(그림 이미지 등)에 포함된 식물, 동물, 사람 등에 대한 객체 추출 과정과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대해 판단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achine learning such as deep learn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objects for plants, animals, people, etc. included in predetermined content (such as drawing images) an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object This may happen at the same time.

객체의 형태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가로 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고, 객체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식물인지, 동물이나 식물이라면 어떠한 동/식물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으며, 크기는 콘텐츠(예를 들어 그림 이미지) 내에서 상대적 크기 또는 절대적 크기에 대한 판단일 수 있다. 일 예로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인지에 대한 판단일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object may be a determination of whether it is a form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a form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ype of the object is, as described above, whether it is a person, animal, or plant, and if it is an animal or plant, what kind of animal / plant it is etc., and the size may be a judgment on the relative size or absolute size within the content (for example, a drawing image). For example, it may be a judgment as to whether it is a still life painting, a portrait painting, or a landscape painting.

특히 콘텐츠에 복수 개의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분석부는 그 중 주요 객체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할 수도 있는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추출된 주요 객체에 대해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f a plurality of objects are included in the content, the content analysis unit may select a main object among them and determine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selected object.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여기서 주요 객체인지 여부는 객체의 배치 위치(예를 들어 콘텐츠 중심부에 배치되었는지 여부)와, 콘텐츠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 등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Here,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the main objec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bject's arrangement position (for example, whether it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ontent) and the ratio it occupies within the content.

이처럼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가 추출되고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 등이 판단된 이후,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After th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is extracted and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object is determined, the decorative part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hape, type, and size of the object. location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콘텐츠가 세로방향으로 쭉 뻗은 나무를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가상 전시 공간 중 세로 방향으로 긴 위치에 해당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content corresponds to a picture of a tree extending vertically, the decorative part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place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a vertically long position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즉, 특정 아티스트에게 각기 다른 형태의 가상 전시 공간이 할당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중에서 현재 콘텐츠 내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나 종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가장 어울리는 가상 전시 공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different types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are allocated to a specific artis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selects the most suitable virtual exhibition space among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type, size, etc. of objects included in the current content,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placed.

콘텐츠 자체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를 배치하는 경우 오히려 전체적으로 획일적 이미지를 주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그러한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내용별 유사도에 따른 감흥을 배가시킬 수 있다.When content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ent itself, a uniform image is given as a whole,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excitement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each content without causing such a problem.

더 나아가 콘텐츠 분석부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는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한 후에, 그 선정된 액자 프레임을 해당 콘텐츠와 결합하여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ent analysis unit may determine the painting style of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based on the similarity with the registered painting style information. After selecting the fram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inting styl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The selected picture frame may be combin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실질적으로 콘텐츠(작품)마다 어떤 액자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그 작품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액자 프레임의 선택은 그만큼 중요하다.Substantially, depending on which frame is used for each content (work), the quality of the work is affected, so the selection of the frame is just as important.

특히,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액자 프레임의 중요성 및 효과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가장 부합하는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decoration unit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analyze the importance and effect of the frame and select the frame most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가상 전시 공간에 게시되는 각 콘텐츠는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유사한 화풍에 대한 기존 다양한 액자 프레임으로 전시된 콘텐츠들의 판매율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현재 새로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each content post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be sold online. You can also select a picture frame.

물론 판매뿐만 아니라 일명 '좋아요'버튼 등과 같이 온라인 관람객의 호응도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유사한 화풍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어떠한 액자 프레임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ich picture frame is suitable for content with a similar painting style by examining statistics on the level of response of online visitors, such as the so-called 'Like' button, as well as sales.

이때 액자 프레임의 선정에 있어서는 단순히 액자 프레임의 모양이나 재질 뿐만 아니라, 액자 프레임 안에 콘텐츠가 놓이는 위치 즉, 액자 프레임과 콘텐츠까지의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the frame may include not only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frame, but also the position where the content is placed in the fram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 and the content.

즉, 액자 프레임은 단순히 콘텐츠의 테두리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백(즉, 액자 프레임으로부터 콘텐츠까지의 거리)을 통해 오히려 콘텐츠(작품)를 두드러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icture frame frame not only serves as a border of the content, but also makes the content (work) stand out through the blank space (ie, the distance from the frame to the content).

이러한 최적의 액자 프레임의 선정 및 콘텐츠와의 결합 후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를 통해 온라인 관람객에게 실제 오프라인 전시관에 전시된 아티스트의 작품이라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fter selecting the optimal picture frame and combining it with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nline audience with the feeling that it is the artist's work displayed in the actual offline exhibition hall through placemen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특히,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가 판단될 수 있는데, 이때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shape, type, and size of an object may be determined for a plurality of contents by the content analyzer. At this tim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performs a grou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loc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be determined.

더 나아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이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는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painting style of the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milarity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painting style information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an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selects the fram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inting style After combining it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 it can be placed in a virtual exhibition space.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Meanwhi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cess of perform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by a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computer-readable). Her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of an electronic recording medium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Compact Disk), and the like.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executed on hardware such as a computer or smart phone to perform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such a program or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가상 갤러리 시스템 200 : 아티스트 단말기
300 :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 110 :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
120 : 콘텐츠 분석부 130 :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
140 : 입력부 150 : 저장부
100: virtual gallery system 200: artist terminal
300: online visitor terminal 110: virtual exhibition space building unit
120: content analysis unit 130: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140: input unit 150: storage unit

Claims (10)

(a)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b)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 establish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b) analyzing the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c) a method of controlling a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figur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 in step (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b),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In the step (c), at least one of a color and a background imag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n which the content is arranged is changed using the object extracted in the step (b). How to control the gallery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a front surface, each of which has an effect extending toward the front, based on the front,
In the step (b),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is analyzed to extract each main object existing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reas;
In the step (c), the main objects for each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regions extracted in the step (b) are separately arrang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respectively. A control method of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spatial com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the step (b), the type of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content is determined;
In the step (c),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each main object determined in the step (b) a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the extracted similar objects are respectively extracte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 control method of a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figur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re separately arrang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4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와;
상기 콘텐츠 분석부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a virtual exhibition space building unit that builds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a content analysis unit that analyzes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configur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that changes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추출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ent analyzer analyzes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nd extracts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Where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changes at least one of a color and a background image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in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rranged using the object extract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figur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a front surface, each of which has an effect extending toward the front, based on the front,
The content analyzer analyzes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nd extracts each main object present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reas;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on unit is configured to separately arrange the main objects for each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regions extract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respectively.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do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판단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content analyzer determines the type of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conten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ecorating unit extracts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main object type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from the database, and sets the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to the upper, lower, and left sid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respectively.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configur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ted and arranged on the right side.
KR1020210151694A 2021-11-05 2021-11-05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16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4A KR102616848B1 (en) 2021-11-05 2021-11-05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4A KR102616848B1 (en) 2021-11-05 2021-11-05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79A true KR20230065779A (en) 2023-05-12
KR102616848B1 KR102616848B1 (en) 2023-12-27

Family

ID=8638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694A KR102616848B1 (en) 2021-11-05 2021-11-05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84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57B1 (en)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dimensional virtual-reality museum
KR20170107581A (en)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in virtual space
KR101933279B1 (en) * 2016-09-29 2018-12-27 김영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service based on audience's activity in the iot environment
KR102107315B1 (en) * 2018-10-26 2020-05-06 신효미 Art work management system and art work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2276936B1 (en) *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xhibits in 3d virtual exhibition space
KR102308678B1 (en)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provide ser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57B1 (en)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dimensional virtual-reality museum
KR20170107581A (en)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in virtual space
KR101933279B1 (en) * 2016-09-29 2018-12-27 김영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service based on audience's activity in the iot environment
KR102107315B1 (en) * 2018-10-26 2020-05-06 신효미 Art work management system and art work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2308678B1 (en)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provide service
KR102276936B1 (en) *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xhibits in 3d virtual exhibition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848B1 (en)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4693B (en) Ceramic tile type selection method and system displayed in VR scene based on AR product model
US108396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a scene for presentation to a user
KR20170094279A (en) Methods for generating a 3d virtual body model of a person combined with a 3d garment image,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90778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photo-based project having a flush photo montage on the front cover
CN105354248B (en) The recognition methods of distributed image low-level image feature and system based on gray scale
US20170285916A1 (en) Camera effects for photo story generation
KR101995788B1 (en) Method for providing previewable customized product service using contents overlay and actual measurement
JP2004537901A (en) Automatic frame selection and layout of one or more images and generation of images bounded by frames
CN110084871B (en) Image typeset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terminal
CN107818490A (en) Equipment choosing guidance method, devic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CN104166966B (en) Achieving method for image enhancement reality application
CN103150656A (en) Method for selecting commodity component by using mask through webpage
CN103150099A (en) Method for selecting commodity components by using draw strings through webpage
CN103971407A (en) Online 3D garment customization interactive design system
CN109074680A (en) Realtime graphic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in augmented reality based on communication
CN115222929A (en) VR virtual exhibition room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CN110136087B (en) Self-adaptive frame adjusting method of display terminal and related equipment
CN112274926A (en) Virtual character reloading method and device
CN106445439B (en) A kind of method of online exhibiting pictures
CN114820292A (en) Image synthesis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3150960B (en) Three-dimensional scene demonstration method and system
KR20230065779A (en)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52585B1 (en)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18613A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using 3d model
KR102616846B1 (en) Virtual gallery system comprising reward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