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145A -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 Google Patents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145A
KR20230063145A KR1020210148080A KR20210148080A KR20230063145A KR 20230063145 A KR20230063145 A KR 20230063145A KR 1020210148080 A KR1020210148080 A KR 1020210148080A KR 20210148080 A KR20210148080 A KR 20210148080A KR 20230063145 A KR20230063145 A KR 2023006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und
organ
recognition
frequenc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구진
서선일
조은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비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비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비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4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145A/en
Publication of KR2023006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1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8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Doppler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8/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6Beam shap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3Ultrasound therapy using multiple frequenc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1Beam steering with moving parts, e.g. transducers, lenses,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5Beam steering by modifying an excitation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s, which makes an operator recognize an organ state of a patient and at the same time treat the organ, a target to be treated.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n ultrasound unit which is trained to generate or analyze an ultrasonic image containing an organ to be treated through a reflective ultrasound after transmitting ultrasound to a patient, identifies the organ from the ultrasonic image, and irradiates ultrasound to a movable focal point, which is changed depending on changes in motions, distances, and location of the organ according to movements of the organ, to treat the organ; an input unit which has an input means for setting a display and an analytic mode of the ultrasonic image;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the ultrasonic image received from the ultrasound unit by a method of the display and the analytic mode se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processed ultrasonic image to the ultrasound unit to analyze the same.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환자의 장기 종류, 위치 및 장기 상태를 인식함과 동시에 치료대상의 장기를 치료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in which a practitioner recognizes the type, location, and condition of a patient's organ using ultrasound and simultaneously treats the organ to be treated. It is about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s.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치료는 비침습적(non-invasive)이고 또한, 비손상(non-traumatic)적으로 접근하는 치료법이다. 이것은 특히 종양(tumor)을 가진 환자에게 적용된다. 종래의 외과적 처리 또는 화학적 요법과 비교하여 HIFU 치료는 환자에게 외상을 덜 주고, 따라서 이것의 적용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징후는 간암(liver cancer), 골 육종(bone sarcoma), 유방암(breast cancer), 췌장암(pancreas cancer), 신장암(kidney cancer), 연조직의 종양(soft tissue tumor) 및 골반 종양(pelvic tumor)을 포함한다. 또한, 저강도 집속 초음파(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LIFU)를 이용한 치료법도 최근 새로운 신경조절 기술 및 비침습적인 다양한 부위에 자극을 주는 능력으로 새로은 치료법 대안으로 보여지고 있다. 신경조절이란 특정 부위의 신경활동을 자극하여 여러 가지 신경 활동을 흥분시키거나 억제할수 있으며 이러한 자극 방법을 통해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활용 되고 있다.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treatment is a non-invasive and non-traumatic approach. This applies especially to patients with tumors. Compared to conventional surgical treatment or chemotherapy, HIFU treatment is less traumatic for patients, and therefore its application is rapidly increasing. These indications include liver cancer, bone sarcoma, breast cancer, pancreas cancer, kidney cancer, soft tissue tumor and pelvic tumor. includes In addition, treatment using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LIFU) has recently been shown as a new treatment alternative due to its new neuromodulation technology and ability to non-invasively stimulate various parts. Neuromodulation can stimulate or inhibit various nerve activities by stimulating nerve activity in a specific area, and through this stimulation method, it is used as a non-invasive treatment method.

대부분의 집속 초음파(Focused ultrasound) 치료는 대상 종양을 관심 영역에 위치시키고 치료를 모니터하기 위한 초음파 영상 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초음파 영상 장치는 진단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향하여 초음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초음파로부터 대상체의 영상을 형성하여 표시하는 장치로서 인체 조직의 반사계수를 이용하는 B-모드(brightness-mode)로서 많이 표현된다.Most focused ultrasound treatments use an ultrasound imaging device to position a target tumor in an area of interest and monitor the treatment. As a device for forming and displaying an image of , it is often expressed as a B-mode (brightness-mode) that uses the reflection coefficient of human tissue.

한편, 일부 집속 초음파 치료는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MRI는 조직 간의 자기적 이완의 정도로부터 정보를 얻어서 영상을 시각화한다. MRI는 체내 구조물의 사진을 생성하기 위해 자기장을 사용하는 진단 기술로서, 인체 내의 수소 원자가 자기장 및 전자파와 반응하는 방식을 근거로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의 원리를 기반으로 MRI는 소작 범위의 온도측정이 가능한 유일한 영상기법으로서 뇌, 척수, 심장, 안구, 간, 췌장, 신장, 유방 및 전립선 같은 신체의 연부조직 종양을 발견하고 질환을 검사하는데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some focused ultrasound treatments us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or this purpose, and MRI visualizes images by obtaining information from the degree of magnetic relaxation between tissues. MRI is a diagnostic technique that uses a magnetic field to create pictures of structures in the body. It creates images based on how hydrogen atoms in the body react with magnetic fields and electromagnetic waves. Based on the above principles, MRI is the only imaging technique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in the cauterization range, and is used to detect tumors in soft tissues of the body such as the brain, spinal cord, heart, eyeball, liver, pancreas, kidney, breast and prostate and examine the disease. do.

종래의 초음파 영상 장치는 상기 B-모드 또는 MRI와 같은 초음파 영상 표시 방법을 단일화함에 따라, 초음파 영상을 비교할 수 없어 장기의 운동 혹은 장 내 공기로 인하여 허상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As ultrasound image display methods such as the B-mode or MRI are unified, the conventional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is vulnerable to virtual images due to organ motion or air in the intestine because ultrasound images cannot be compared.

또한, 종래의 집속 초음파 치료는 장기의 모션(Motion), 거리(Distance) 및 위치(Position)를 정확히 계산한 후에 장기에 발생된 종양 등의 치료대상을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는데, 장기의 운동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기 어려움에 따라 치료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ocused ultrasound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calculate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nd then generate ultrasound toward the treatment target, such as a tumor generated in the orga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reatment is reduced due to difficulty in accurately calculating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organs that are changed in real time by exercis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5495호(2008.07.04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45495 (registered on July 4, 20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기의 치료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장기를 판별하도록 학습되고, 치료대상 장기의 운동을 예측하여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정확히 계산한 후 치료대상 장기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learns to discriminate organs from ultrasound images in order to improve organ treatment efficiency, and predicts the motion of the target organ to be treated to determine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that irradiates ultrasound toward the organ to be treated after accurately calculating .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듀서의 1차 공진주파수를 장기의 치료용 주파수로 이용하고, 상기 1차 공진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차 또는 그 이상 차수의 공진주파수를 장기의 인식용 주파수로 이용하여 장기를 인식 및 치료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rimary resonant frequency of the transducer as a frequency for organ treatment, and uses a second or higher order resonant frequency relatively higher than the primary resonant frequency as a frequency for organ recogn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capable of recognizing and treating a.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은, 환자에게 초음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통해 치료대상의 장기가 포함된 초음파 영상을 생성 또는 분석하도록 학습되며, 상기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상기 장기를 판별한 후, 상기 장기의 운동에 따른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에 맞춰 변화되는 이동식 초점에 초음파를 조사시켜 상기 장기가 치료되도록 하는 초음파부; 상기 초음파 영상의 표시 및 분석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입력부; 및 상기 초음파부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초음파 영상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표시 및 분석모드의 방법으로 처리하며, 상기 초음파부가 분석하도록 상기 처리된 초음파 영상을 상기 초음파부에 송신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transmit ultrasound to a patient and generate or analyze an ultrasound image including an organ of a target to be treated through the reflected ultrasound. After identifying the organ from the ultrasound image, the ultrasound unit irradiates ultrasonic waves to a movable focus that change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rgan, so that the organ is treated. ; an input unit provided with input means for displaying the ultrasound image and setting an analysis mode;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ultrasound image received from the ultrasound unit in a display and analysis mode se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processed ultrasound image to the ultrasound unit for analysis by the ultrasound unit. there is.

본 발명은 딥러닝 학습을 통해 학습되어 환자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통해 생성된 초음파 영상의 분석을 통해 장기를 판별하여 장기의 치료 과정이 자동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proceeding the treatment process of the organ by discriminating the org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ltrasound image generated through the ultrasound that is learned through deep learning and reflected from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은 장기의 운동을 예측하여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정확히 계산한 후 장기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시킴으로써, 장기의 치료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the motion of the organ, accurately calculates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nd then irradiates ultrasound toward the organ, thereby improv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organ.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부의 구성 및 신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부의 구성 및 신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모듈이 치료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통상적인 빔 포머와 본 발명에 따른 빔 포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을 이용한 치료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ultrason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signal processing of the ultrason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signal processing of the ultrasound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treatment target by a deep lear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eam former and a beam 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eatment process using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은 시술자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환자의 장기 상태를 인식함과 동시에 치료대상의 장기를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환자의 장기 상태 인식과 장기의 치료를 위한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a practitioner recognizes a patient's organ condition using ultrasound and at the same time treats a target organ, recognizing the patient's organ condition and treating the organ. The components for are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은 초음파부(10), 정보처리부(20), 입력부(40) 및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includes an ultrasound unit 10,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 an input unit 40, and a display unit 30.

상기 초음파부(10)는 환자에게 초음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통해 치료대상의 장기가 포함된 초음파 영상을 생성 또는 분석하도록 학습되며,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치료대상의 장기를 판별한 후 상기 치료대상 장기의 운동에 따른 치료대상 장기의 모션(Motion), 거리(Distance) 및 위치(Position)의 변화에 맞춰 변화되는 이동식 초점에 초음파를 조사시켜 치료대상의 장기를 치료한다.The ultrasound unit 10 transmits ultrasound to the patient and learns to generate or analyze an ultrasound image including the organ to be treated through the reflected ultrasound. After determining the organ to be treated from the ultrasound image, the organ to be treated The target organ is treated by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to the movable focus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target orga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arget.

또한, 상기 초음파부(10)는 초음파 영상을 생성 및 분석하기 위해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조사하며, 장기의 치료를 위해 이동식 초점에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조사하는데, 상기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방식에 따라 형태가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sound unit 10 irradiates ultrasound of a frequency for recognition to generate and analyze an ultrasound image, and irradiates ultrasound of a frequency for treatment to a movable focus for long-term treatment. The shape may be chang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ethod of irradiating the ultrasonic wave of the frequenc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부의 구성 및 신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ultrasoun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and signal processing process of an ultrasou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부(10)는 일 실시예로서 초음파 영상을 생성 및 분석하기 위한 초음파 영상 생성 및 분석부(11)와 이동식 초점에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초음파 치료부(12)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ultrasound unit 10 includes an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analysis unit 11 for generating and analyzing an ultrasound image and an ultrasound treatment unit 12 for irradiating ultrasound to a movable focus. are provided

상기 초음파 영상 생성 및 분석부(11)는 초음파 영상을 생성 또는 분석하기 위해 상기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환자에게 송신하는 인식용 트랜스듀서가 포함된 제1 초음파 프로브(110)를 구비한다.Th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analysis unit 11 includes a first ultrasound probe 110 including a transducer for recognition that transmits ultrasound of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to a patient in order to generate or analyze an ultrasound image.

상기 초음파 치료부(12)는 치료대상의 장기를 치료하기 위해 이동식 초점에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치료용 트랜스듀서가 포함된 제2 초음파 프로브(120)를 구비한다.The ultrasonic treatment unit 12 includes a second ultrasonic probe 120 including a treatment transducer for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of a treatment frequency to a movable focus to treat an organ of a treatment target.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초음파 프로브(110)가 환자에게 조사할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는 주파수 대역이 1MHz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제2 초음파 프로브(120)가 이동식 초점에 조사할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는 주파수 대역이 20~500 KHz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ound of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to be irradiated to the patient by the first ultrasound probe 110 may have a frequency band of 1 MHz or higher, and the ultrasound of the frequency for treatment to be irradiated to the moving focus by the second ultrasound probe 120. may have a frequency band of 20 to 500 KHz.

이때, 상기 제1 초음파 프로브(110)로부터 조사되는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주파수 대역이 1MHz 이상인 것은, 상기 초음파부(10)를 통해 치료될 장기의 검사에 이용될 주파수 대역이 심장(2~3 MHz), 복부(3~5 MHz), 유방 및 갑상선(7.5~13 MHz), 안구(7.5~12 MHz), 위장관 및 혈관(15~30 MHz)와 같이 1~30 MHz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f the frequency band of the ultrasonic wave for recognition emitted from the first ultrasonic probe 110 is 1 MHz or higher, the frequency band to be used for the examination of the organ to be treated through the ultrasound unit 10 is the heart (2 to 3). MHz), abdomen (3-5 MHz), breast and thyroid (7.5-13 MHz), eye (7.5-12 MHz), and gastrointestinal tract and blood vessels (15-30 MHz).

상기 초음파부(10)는 상기 제1 초음파 프로브(110)에서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제2 초음파 프로브(120)에서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이동식 초점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구비되는데, 이는 후술될 다른 실시예의 초음파부(10)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ultrasound unit 10 allows the first ultrasound probe 110 to irradiate ultrasound of a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 the second ultrasound probe 120 to irradiate ultrasound of a frequency for treatment to a movable focus, FIG. 3 As shown in, additional components are provid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ultrasonic unit 10 of another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부의 구성 및 신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signal processing of the ultrasound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초음파부(10)는 상기 초음파 영상 생성 및 분석부(11)와 초음파 치료부(12)를 대체하여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와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 조사가 가능한 초음파 영상 생성 및 치료부(10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4 , an ultrasound unit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places th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analysis unit 11 and the ultrasound treatment unit 12 to emit ultrasound at a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 ultrasound at a frequency for treatment. An image generation and treatment unit 100 is provided.

상기 초음파 영상 생성 및 치료부(100)는 초음파 영상의 생성과 이동식 초점으로의 초음파 조사가 가능토록, 상기 인식용 트랜스듀서와 치료용 트랜스듀서가 결합된 트랜스듀서 모듈을 포함한 초음파 프로브를 구비한다.Th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treatment unit 100 includes an ultrasound probe including a transducer module in which the recognition transducer and the treatment transducer are combined to enabl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ultrasound irradiation with a moving focus.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초음파 영상의 생성과 초음파 치료 과정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복수(예: 100~300개)로 구비된 압전소자가 시분할을 통해 조사 시간대를 나누어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In the ultrasound probe, a plurality of (eg, 100 to 300) piezoelectric elements are divided into irradiation time zones through time division so that th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the ultrasound 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can be investigated.

더 나아가,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위상(phase)의 조절을 통해 초음파의 방향을 조절하여 장기를 향해 조사하는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이동식 초점에 모이도록 한다.Furthermore, the ultrasound probe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ultrasound by controlling the phase so that the ultrasound of the therapeutic frequency irradiated toward the organ is converged at the movable focal point.

한편, 상기 초음파부(10)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의 조사가 가능토록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 목표 처리 모듈(14), 빔 포머(15), 빔 컨트롤러(16) 및 메인 컨트롤러(17)가 더 구비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이 가능토록 멀티플렉서(MUX), 증폭기(AMP), A/D 컨버터(ADC), 대역통과 필터(BFP) 등이 회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ltrasound unit 10 includes an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a target processing module 14, a beam former 15, and a beam controller ( 16) and a main controller 17 are further provided, and a multiplexer (MUX), an amplifier (AMP), an A/D converter (ADC), a band pass filter (BFP), etc. are on the circuit to enable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an be placed.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은 딥러닝 학습을 통해 상기 초음파 영상 및 치료부(100)로부터 생성된 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초음파 영상 내에서 장기를 판별하며, 상기 장기의 운동에 따른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를 감지한다.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analyzes the ultrasound image and the ultrasound image generated by the treatment unit 100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to determine an organ in the ultrasound image, and determines the orga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rgan. detect changes in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본 발명에서,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이 장기 판별 및 상기 장기의 운동에 따른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for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to identify organs and detect changes in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s according to the movements of the organs is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모듈이 치료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treatment target by a deep lear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은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장기의 판별과 감지를 위해 딥러닝 방식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S11).Referring to FIG. 5 ,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may be trained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to discriminate and detect an organ from an ultrasound image (S11).

이때,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은 딥러닝 학습 방식을 한정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CNN)의 방식을 통해 딥러닝 학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딥러닝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is not limited to a deep learning learning method, but is preferably deep learning learning through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ethod, and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 algorithm for performing deep learning based learning may be configured.

또한,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은 합성곱 신경망의 컨볼루션(Convolution) 과정과 풀링(Pooling) 과정의 반복을 통해 초음파 영상 내에서 장기를 판별하도록 학습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object discriminating and detecting module 13 is trained to discriminate an organ in an ultrasound image by repeating a convolution process and a pooling process of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딥러닝 학습 후,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은 초음파 영상을 획득(생성)하게 되면(S12), 딥러닝 학습을 통해 구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초음파 영상 내에서 장기를 판별할 수 있다(S13).After deep learning learning, when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acquires (generates) an ultrasound image (S12), it can discriminate an organ in the ultrasound image according to a rule established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 S13).

장기의 판별 후,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은 초음파 영상 내에서 판별한 장기를 추적함으로써(S14), 환자의 호흡으로 인해 발생되는 장기의 운동에 따른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를 감지한다.After determining the organ,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tracks the organ identified in the ultrasound image (S14), thereby determining the motion, distance, and location of the orga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rgan caused by the patient's respiration. detect chang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목표 처리 모듈(14)은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로부터 감지된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를 통해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예측한다.Referring back to FIG. 4 , the target processing module 14 predicts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through changes in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detected by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본 발명에서, 상기 목표 처리 모듈(14)은 비선형화 데이터인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에 대한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에 대한 변화량을 선형화하는데,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에 대한 변화량의 선형화를 위해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 및 자코비안 행렬(Jacobian matrix)이 적용된 알고리즘이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processing module 14 determines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in order to predict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using non-linearized data,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n algorithm to which an Extended Kalman Filter and a Jacobian matrix are applied is configured to linearize the change in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여기서, 확장 칼만 필터라 함은 칼만 필터에서의 선형성 가정을 완화시킨 필터로서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량을 선형화하기 위해 자코비안 행렬을 적용하며, 상기 자코비안 행렬은 비선형화 데이터인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선형화하는데, 이 과정은 이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다.Here, the extended Kalman filter is a filter that relaxes the linearity assumption in the Kalman filter, and applies a Jacobian matrix to linearize the change in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nd the Jacobian matrix is nonlinearized data.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re linearized, and this process is as shown in [Equation 1] and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는 비선형화 데이터인 상기 장기의 모션(r), 거리(Φ) 및 위치(θ)의 변화량을 정의한다.[Equation 1] defines the amount of change in motion (r), distance (Φ), and position (θ) of the organ, which are nonlinear data.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는 상기 장기의 모션(r), 거리(Φ) 및 위치(θ)의 변화량을 선형화한다.[Equation 2] linearizes the changes in the motion (r), distance (Φ), and position (θ) of the organ.

이러한 상기 목표 처리 모듈(14)은 상기 자코비안 행렬의 변환 및 선형화 과정과 확장 칼만 필터의 예측 및 갱신 절차를 이용하여 선형화된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에 대한 변화량을 통해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예측한다.The target processing module 14 uses the transformation and linearization process of the Jacobian matrix and the prediction and update process of the extended Kalman filter to determine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linearized using the motion, distance, and change amount of the organ. and predict location.

상기 빔 포머(15)는 상기 목표 처리 모듈로부터 예측되는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입력될 신호의 진폭 또는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이동식 초점의 위치를 조정한다.The beamformer 15 adjusts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ocus by adjusting the amplitude or delay time of a signal to be input to the ultrasound probe according to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predicted from the target processing module.

이러한 상기 빔 포머(15)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서 조사될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생성되도록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데, 상기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 간에는 하모닉(또는 고조파)이 발생될 수 있다.The beamformer 15 transmits a signal to the ultrasound probe so that ultrasound waves of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 the frequency for treatment to be irradiated from the ultrasound probe are generated. Harmonic (or harmonic) between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 the frequency for treatment this may occur.

이를 위해, 상기 초음파부(10)는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 간의 하모닉을 제거하기 위해 주파수 조정 모듈(18)이 더 구비된다.To this end, the ultrasound unit 10 further includes a frequency adjustment module 18 to remove harmonics between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 the frequency for treatment.

도 6은 통상적인 빔 포머와 본 발명에 따른 빔 포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eam former and a beam 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조하면, 도 6의 (a)에 도시된 것은 통상의 빔 포머이며, 도 6의 (b)에 도시된 것은 상기 주파수 조정 모듈(18)이 연결된 본 발명의 빔 포머(15)이다.Referring to FIG. 6, shown in (a) of FIG. 6 is a conventional beamformer, and shown in (b) of FIG. 6 is the beamformer 15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frequency adjustment module 18 is connected. .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주파수 조정 모듈(18)은 상기 빔 포머(15)의 신호에서 생성될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 간의 하모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빔 포머(15)에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변조)하며, 상기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빔 포머(15)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6, the frequency adjusting module 18 inputs the signal to the beamformer 15 to remove harmonics between a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 a frequency for treatment to be generated from the signal of the beamformer 15. Adjusts (modulates) the frequency of the signal to b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eamformer 15 to adjust the frequency of the signal.

즉, 본 발명의 빔 포머(15)는 상기 주파수 조정 모듈(18)을 통해 주파수가 조정된 신호의 진폭 또는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 간의 하모닉을 제거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하모닉이 제거된 신호를 수신받게 된다.That is, the beamformer 15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amplitude or delay time of the signal whose frequency is adjusted through the frequency adjustment module 18 to remove the harmonic between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 the frequency for treatment. The ultrasonic probe receives a signal from which harmonics have been removed.

이에, 상기 초음파 영상 생성 및 치료부(100)는 상기 트랜스듀서 모듈이 하모닉이 제거된 신호 중 1차 공진주파수를 치료용 주파수로 이용하여 상기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이동식 초점에 조사하고, 상기 1차 공진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차 또는 그 이상 차수의 공진주파수를 인식용 주파수로 이용하여 상기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환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1차 공진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공진주파수를 2차 공진주파수로 설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Accordingly, th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treatment unit 100 irradiates ultrasound of the frequency for treatment to the mobile focus by using the primary resonant frequency of the harmonic-removed signals of the transducer module as the frequency for treatment, and Ultrasound of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atient by using a resonant frequency of a second or higher order,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primary resonant frequency, as a recognition frequency. Hereinafter, a resonant frequency relatively higher than the primary resonant frequency will be set as the secondary resonant frequency and described.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랜스듀서 모듈은 1차 공진주파수가 250 KHz 또는 500 KHz일 수 있는데, 상기 트랜스듀서 모듈의 1차 공진주파수가 250 Khz인 경우 2차 공진주파수는 500~750 KHz일 수 있고, 상기 트랜스듀서 모듈의 1차 공진주파수가 500 KHz인 경우 2차 공진주파수는 1.5~1.7 MHz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ducer module may have a primary resonant frequency of 250 KHz or 500 KHz. When the primary resonant frequency of the transducer module is 250 Khz, the secondary resonant frequency may be 500 to 750 KHz, When the primary resonant frequency of the transducer module is 500 KHz, the secondary resonant frequency may be 1.5 to 1.7 MHz.

한편, 통상적으로 장기의 검사용 초음파는 분해능(resolution)의 향상을 위해 2.4 MHz를 사용되고 있는데, 분해능이라 함은 인체 내에서 서로 다른 장기(조직)을 구별하여 양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2.4 MHz is usually used for organ inspection ultrasound to improve resolution, which means the ability to distinguish different organs (tissues) within the human body and display them as aspects. .

그러나 본 발명의 초음파부(10)는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과 상기 목표 처리 모듈(14)을 통해 장기의 판별과 상기 모션, 거리 및 위치의 예측이 가능함에 따라, 초음파의 주파수를 통해 분해능의 향상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통상의 초음파보다 낮은 주파수(최대 2 MHz 이하)를 인식용 주파수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the ultrasound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organ and predict the motion, distance, and location through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and the target processing module 14, Since there is no need to improve the resolution through this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frequency lower than that of normal ultrasonic waves (up to 2 MHz or less) can be used as a frequency for recognition.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빔 컨트롤러(16)는 상기 빔 포머(15)에서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빔 포머(15)의 동작을 제어한다.Referring back to FIG. 4 , the beam controller 1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eam former 15 so that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beam former 15 .

상기 메인 컨트롤러(17)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서 인식용 주파수 및/또는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상기 빔 컨트롤러(16)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main controller 1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eam controller 16 so that the ultrasound probe emits ultrasound waves of a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or a frequency for treatment.

도 4를 중심으로 상기 초음파부(10)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빔 포머(15)가 상기 초음파 영상 생성 및 치료부(100)의 초음파 프로브로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인식용 주파수인 2차 공진주파수의 초음파를 환자에게 송신하며, 상기 초음파부(10)의 증폭기 및 A/D 컨버터는 상기 환자로부터 반사되어 증폭 및 A/D 변환된 후 상기 빔 포머(15)가 수신하게 되고,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은 상기 빔 포머(15)로부터 수신하는 초음파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생성한 후에 상기 초음파 영상 내에서 장기를 판별 및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목표 처리 모듈(14)이 상기 장기의 운동에 따른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예측하면, 상기 빔 포머(15)와 주파수 조정 모듈(18)이 신호의 주파수 조정과 상기 신호의 진폭 또는 지연시간의 조절한 후에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상기 신호를 송신하여 이동식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치료용 주파수인 1차 공진주파수의 초음파를 이동식 초점에 조사하여 장기의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o describ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ultrasound unit 10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when the beamformer 15 transmits a signal to the ultrasound probe of th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treatment unit 100, the ultrasound probe Ultrasound of a second resonant frequency, which is a frequency for recognition, is transmitted to the patient, and the amplifier and A/D converter of the ultrasound unit 10 reflect it from the patient and amplify and A/D convert it, and then the beamformer 15 After generating an ultrasound image through the ultrasound received from the beamformer 15,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3 determines an organ in the ultrasound image and determines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nd if the target processing module 14 predicts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throug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organ, the beamformer 15 and the frequency adjustment After the module 18 adjusts the frequency of the signal and the amplitude or delay time of the signal,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ltrasound probe to adjust the movable focus, and the ultrasound probe has a primary resonant frequency, which is a frequency for treatment. Ultrasound is irradiated to a mobile focus to allow long-term treatment.

더 나아가, 상기 초음파부(10)의 대역통과 필터는 초음파의 주파수 대역과 매칭될 수 있으며, 멀티플렉서는 초음파의 송신 및 수신 과정에 맞추어 초음파의 송신 또는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bandpass filter of the ultrasound unit 10 may be matched with the frequency band of ultrasound, and the multiplexer may be switched to transmit or receive ultrasoun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un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처리부(20)는 상기 초음파부(10)로부터 수신하는 초음파 영상을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설정된 표시 및 분석모드의 방법으로 처리하며, 처리된 초음파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송신한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 processes the ultrasound image received from the ultrasound unit 10 according to the display and analysis mode set through the input unit 40, and converts the processed ultrasound image into the I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0.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정보처리부(20)를 통해 처리된 초음파 영상을 출력하며, 시술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장기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The display unit 30 outputs the ultrasound image process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 and the operator recognizes the patient's organ condition using the ultrasound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0.

다만,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의 비용 절감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의 구성요소에서 생략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the display unit 30 may be omitted from the components of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이와 같이 초음파 영상의 출력 과정이 생략되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부(20)는 상기 입력부(40)의 표시 및 분석모드의 방법으로 처리된 초음파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30)가 아닌 상기 초음파부(1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초음파부(10)는 딥러닝 학습을 통해 학습되어 상기 정보처리부(20)로부터 처리된 초음파 영상을 분석하며, 초음파 영상의 분석을 통해 장기를 판별한 후, 판별한 장기 중 치료대상의 장기에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장기의 치료가 진행되도록 한다.In this way, whe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ultrasound image is omit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 transmits the ultrasound image processed by the method of the display and analysis mode of the input unit 40 to the ultrasound unit 10 instead of the display 30. The ultrasound unit 10 analyzes the ultrasound image learned through deep learning and process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 determines the org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ltrasound image, and among the identified organs Ultrasound is irradiated to the organ of the target to be treated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organ proceeds.

상기 입력부(40)는 초음파 영상의 표시 및 분석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입력수단은 시술자에 의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unit 40 is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for displaying an ultrasound image and setting an analysis mode, and a signal may be input to the input means by an operator.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설정되는 초음파 영상의 표시 및 분석모드라 함은, 상기 초음파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인 M-모드(Motion mode), B-모드(Brightness mode) 및 D-모드(Doppler mode)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nd analysis modes of the ultrasound image set through the input unit 40 refer to M-mode (motion mode), B-mode (brightness mode), and D-mode, which are methods of processing the ultrasound image. A Doppler mode may be included.

상기 M-모드는 움직이는 반사체의 거리를 시간적 변화로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심장 판막을 관찰하는데 이용되며, 태아의 심음도 기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M-mode is a method of displaying the distance of a moving reflector as a temporal change, and is mainly used to observe a heart valve, and has a feature of being able to record a heart sound of a fetus.

상기 B-모드는 반사음을 밝은 점(dot)들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2차원적 단면 영상으로 나타내며, 압전소자의 전자 가동방식을 이용하여 위상차 별로 가동될 때 실시간의 초음파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The B-mode is a method of representing reflected sound as bright dots, which is represented as a two-dimensional cross-sectional image, and outputs a real-time ultrasound image when actuated by phase difference using an electronic actuation method of a piezoelectric element.

상기 D-모드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혈류의 속도 및 방향 등을 측정, 표시하는 방법으로 펄스파(Pulse wave)나 연속파(Continuous wave)를 이용한다.The D-mode uses a pulse wave or a continuous wave as a method of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speed and direction of blood flow using the Doppler effect.

즉, 상기 입력부(40)는 초음파 영상의 표시 및 분석모드를 상기 M-모드, B-모드 및 D-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나, 초음파 영상의 모든 표시 및 분석모드의 설정도 가능할 수 있다.That is, the input unit 40 can set the display and analysis mode of the ultrasound image to at least one of the M-mode, B-mode, and D-mode, but may also set all display and analysis modes of the ultrasound image. there is.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입력부(40)에서 표시 및 분석모드의 설정에 따라 M-모드, B-모드 및 D-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영상 뿐만 아니라 M-모드, B-모드 및 D-모드의 각 초음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isplay unit 30 is provided in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nic waves, the display unit 30 is configured in the M-mod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display and analysis mode in the input unit 40, At least one ultrasound image of B-mode and D-mode as well as ultrasound images of M-mode, B-mode, and D-mode may be output.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입력부(40)에서 M-모드, B-모드 및 D-모드가 초음파 영상의 표시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시술자가 구별가능토록 표시 및 분석모드의 명칭이 기재된 형태로 M-모드, B-모드 및 D-모드의 초음파 영상을 출력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when M-mode, B-mode, and D-mode are set as ultrasound image display modes in the input unit 40,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and names analysis modes so that the operator can distinguish them. In the form described above, M-mode, B-mode, and D-mode ultrasound images can be output to the output area.

구체적인 다른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입력부(40)에서 M-모드, B-모드 및 D-모드가 초음파 영상의 표시 및 분석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시술자가 특정 표시 및 분석모드의 초음파 영상을 선택가능토록 M-모드, B-모드 및 D-모드의 초음파 영상이 순차적으로 출력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시술자가 신호를 입력하여 선택되는 표시모드의 초음파 영상이 상기 출력영역 상에 출력되도록 하고 나머지 표시모드의 초음파 영상은 상기 출력영역 상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취소화될 수 있다.As another specific example, when the M-mode, B-mode, and D-mode are set as ultrasound image display and analysis modes in the input unit 40, the display unit 30 allows the operator to display ultrasound in a specific display and analysis mode. The ultrasound images of M-mode, B-mode, and D-mode are sequentially output to the output area so that the image can be selected, and the ultrasound image of the display mode selected by the operator inputting a signal is output on the output area. and ultrasound images in the remaining display modes may be canceled so as not to be exposed on the output area.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초음파부(10)는 상기 입력부(40)의 표시 및 분석모드를 통해 설정된 M-모드, B-모드 및 D-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생성된 초음파 영상을 상기 정보처리부(20)로부터 수신한 후 분석하여 장기를 판별하며, 판별된 장기 중 치료대상의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에 맞춰 변화되는 이동식 초점에 초음파를 조사시킴으로써, 치료대상의 장기를 치료할 수 있다.Unlike this, when the display unit 30 is not provided in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nic waves, the ultrasound unit 10 has an M-mode set through the display and analysis mode of the input unit 40, The ultrasound image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the B-mode and the D-mode is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 and then analyzed to determine the organ, and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to be treated among the identified organs are determined. By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to the movable focus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the organ of the treatment target can be treat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은 시술자에게 초음파 영상 생성 과정과 장기 치료 과정의 종료를 안내하기 위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50 that generates an alarm in order to guide an operator on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ultrasound image and the end of the long-term treatment process. there is.

상기 알람부(50)는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환자에게 송신하여 초음파 영상이 생성되는 초음파 영상 생성 과정의 종료를 시술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제1 알람을 발생시키며,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이동식 초점에 조사하는 장기 치료 과정의 종료를 시술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알람과 상이한 제2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alarm unit 50 generates a first alarm so that an operator can determine the end of an ultrasound image generation process by transmitting ultrasound of a frequency for recognition to the patient, and transmits ultrasound of a frequency for treatment to a mobile focus. A second alarm different from the first alarm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operator can determine the end of the long-term treatment process irradiated on the body.

이러한 상기 알람부(50)는 상기 제1, 2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초음파 영상 생성 후 또는 장기의 치료 후에 환자가 대기하는 시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alarms, the alarm unit 50 can minimize the waiting time of the patient after generation of an ultrasound image or long-term treatment.

이와 같은,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은 누워있거나 엎드려 있는 환자에게 적용 가능토록, 통상적인 병원용 침대에 부착되거나 환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관절 위치 제어 장치가 구비된 병원용 침대에 부착될 수 있다.Such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is attached to a conventional hospital bed or equipped with a multi-joint position control device for fixing the patient's positio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lying or face-down patient. can be attached to

또한,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은 가정에서 평상시에 사용이 가능토록, 상기 초음파부(10)가 복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Also, in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the ultrasound unit 10 may be transformed into a belly band so that it can be used at home at home.

이하에서는,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을 이용하여 환자의 장기 상태 인식과 치료대상의 장기를 치료하는 장기 인식 및 치료방법(S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method (S100) for recognizing a patient's organ state and treating a target organ using the ultrasound-based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을 이용한 치료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eatment process using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장기 인식 및 치료방법(S100)에서는 먼저, 시술자가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을 동작시킬 모드를 설정하여(S110),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을 자동화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120).Referring to FIG. 7 , in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method (S100), first, an operator sets a mode for operating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the ultrasound waves (S110), The treatment system 1 can be operated in an automated mode or a manual mode (S120).

이때 만약,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이 자동화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초음파부(10)는 자동으로 동작되어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환자에게 송신한 후,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13)에서 생성된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장기를 판별 및 감지할 수 있다(S130).At this time, if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is operated in an automated mode, the ultrasound unit 10 is automatically operated and transmits ultrasound at a frequency for recognition to the patient, and then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An organ may be discriminated and sensed from the ultrasound image generated by the sensing module 13 (S130).

이와 달리 만약,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1)이 메뉴얼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시술자는 트랜스듀서 모듈을 수동(직접) 조작하여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생성되도록 하고,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장기에 조사되도록 초점을 조준한다(S160).In contrast, if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1 using ultrasound is operated in a manual mode, the operator manually (directly) manipulates the transducer module to generate an ultrasound image through ultrasound at a frequency for recognition, The focus is aimed so that the ultrasound of the frequency for treatment is irradiated to the organ (S160).

장기 판별 및 감지 후, 시술자는 이동식 초점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방식을 자동으로 설정할 것인지 아니면, 수동으로 설정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S140).After determining and detecting the organ, the operator may select whether to automatically set a method of irradiating ultrasound to the movable focus or manually (S140).

이때 만약, 시술자가 초음파의 조사 방식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우(S140-YES), 상기 초음파부(10)는 상기 빔 포머(15)가 이동식 초점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상기 초음파 프로브가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이동식 초점에 조사하여 환자의 장기가 치료되도록 한다(S150).At this time, if the operator automatically sets the ultrasound irradiation method (S140-YES), the ultrasound unit 10 adjusts the location of the movable focus of the beamformer 15, and then the ultrasound probe adjusts the frequency for treatment. Ultrasound of the movable focus is irradiated so that the patient's organs are treated (S150).

이와 달리 만약, 시술자가 초음파의 조사 방식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경우(S140-NO), 시술자는 트랜스듀서 모듈을 수동 조작하여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장기에 조사되도록 초점을 조준하며(S160),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조사하여 환자의 장기가 치료되도록 한다(S170).In contrast, if the operator manually sets the ultrasound irradiation method (S140-NO), the operator manually manipulates the transducer module to aim the focus so that the ultrasound of the frequency for treatment is irradiated to the organ (S160), The patient's organs are treated by irradiating ultrasound of the desired frequency (S170).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of combining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10: 초음파부,
11: 초음파 영상 생성 및 분석부,
12: 초음파 치료부,
13: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
14: 목표 처리 모듈,
15: 빔 포머,
16: 빔 컨트롤러,
17: 메인 컨트롤러,
18: 주파수 조정 모듈,
20: 정보처리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입력부,
50: 알람부,
100: 초음파 영상 생성 및 치료부,
110: 제1 초음파 프로브,
120: 제2 초음파 프로브.
1: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10: ultrasound unit,
11: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analysis unit,
12: ultrasonic treatment unit,
13: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14: target processing module;
15: Beamformer,
16: beam controller,
17: main controller,
18: frequency adjustment module;
2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0: display unit,
40: input unit,
50: alarm unit,
100: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treatment unit,
110: first ultrasonic probe,
120: second ultrasound probe.

Claims (11)

환자에게 초음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통해 치료대상의 장기가 포함된 초음파 영상을 생성 또는 분석하도록 학습되며, 상기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상기 장기를 판별한 후, 상기 장기의 운동에 따른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에 맞춰 변화되는 이동식 초점에 초음파를 조사시켜 상기 장기가 치료되도록 하는 초음파부;
상기 초음파 영상의 표시 및 분석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입력부; 및
상기 초음파부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초음파 영상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표시 및 분석모드의 방법으로 처리하며, 상기 초음파부가 분석하도록 상기 처리된 초음파 영상을 상기 초음파부에 송신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It transmits ultrasound to the patient and learns to generate or analyze an ultrasound image including the organ of the treatment target through the reflected ultrasound, and after determining the organ from the ultrasound image, the motion of the orga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rgan, an ultrasound unit for treating the organ by irradiating ultrasound to a movable focus that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and location;
an input unit provided with input means for displaying the ultrasound image and setting an analysis mode; and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ultrasound image received from the ultrasound unit in a display and analysis mode se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processed ultrasound image to the ultrasound unit for analysis by the ultrasound unit.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n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는,
인식용 트랜스듀서와 치료용 트랜스듀서가 결합된 트랜스듀서 모듈을 포함한 초음파 프로브를 구비하여 상기 초음파 영상의 생성과 상기 이동식 초점으로의 초음파 조사가 가능한 초음파 영상 생성 및 치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ltrasonic part,
An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treatment unit having an ultrasound probe including a transducer module in which a recognition transducer and a treatment transducer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ultrasound image and to perform ultrasound irradiation to the movable focus;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는,
딥러닝 학습을 통해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처리된 초음파 영상 내에서 장기를 판별하며, 상기 장기의 운동에 따른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를 감지하는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로부터 감지된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의 변화를 통해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예측하는 목표 처리 모듈;
상기 목표 처리 모듈로부터 예측되는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입력될 신호의 진폭 또는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이동식 초점의 위치를 조정하는 빔 포머;
상기 빔 포머에서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빔 포머의 동작을 제어하는 빔 컨트롤러; 및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서 상기 인식용 주파수 및/또는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상기 빔 컨트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ultrasonic part,
an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that discriminates an organ in the processed ultrasound image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and detects a change in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organ;
a target processing module that predicts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through changes in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detected by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a beamform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ocus by adjusting the amplitude or delay time of a signal to be input to the ultrasound probe according to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predicted by the target processing module;
a beam controlle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beam former so that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beam former; and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in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eam controller so that the ultrasound probe irradiates ultrasound waves of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and/or the frequency for treat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은,
합성곱 신경망(CNN)으로 딥러닝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ined by deep learning with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처리 모듈은,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 및 자코비안 행렬(Jacobian matrix)을 적용하여 상기 객체 판별 및 감지 모듈로부터 감지된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에 대한 변화량을 선형화한 후에 상기 장기의 모션, 거리 및 위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target processing module,
After lineariz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tion,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organ detected by the object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module by applying an Extended Kalman Filter and a Jacobian matrix, the motion, distance, and motion of the organ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predicts the loc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는,
상기 빔 포머와 연결되며, 상기 빔 포머에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조정을 통해 상기 신호에서 생성될 상기 인식용 주파수와 치료용 주파수 간의 하모닉을 제거하는 주파수 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ultrasonic part,
A frequency adjustment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beamformer and removes harmonics between the recognition frequency and the treatment frequency to be generated from the signal by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signal input to the beamformer; Used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영상 생성 및 치료부는,
상기 트랜스듀서 모듈이 상기 하모닉이 제거된 신호 중 1차 공진주파수를 치료용 주파수로 이용하여 상기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상기 이동식 초점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treatment unit,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ducer module irradiates ultrasonic waves of the frequency for treatment to the movable focus by using a primary resonant frequency among the signals from which harmonics have been removed as a treatment frequenc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영상 생성 및 치료부는,
상기 트랜스듀서 모듈이 상기 하모닉이 제거된 신호 중 상기 1차 공진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차 또는 그 이상 차수의 공진주파수를 인식용 주파수로 이용하여 상기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상기 환자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treatment unit,
The transducer module transmits ultrasound waves of the frequency for recognition to the patient by using a resonance frequency of a second or higher order,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signals from which the harmonics have been removed, as a frequency for recognitio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nic wa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는,
상기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인식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상기 환자에게 송신하는 인식용 트랜스듀서가 포함된 제1 초음파 프로브를 구비하는 초음파 영상 생성 및 분석부; 및
상기 장기의 치료를 위하여 상기 이동식 초점에 치료용 주파수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치료용 트랜스듀서가 포함된 제2 초음파 프로브를 구비하는 초음파 치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ltrasonic part,
an ultrasound image generation and analysis unit having a first ultrasound probe including a recognition transducer for transmitting ultrasound of a frequency for recognition to the patient to generate the ultrasound image; and
An ultrasound treatment unit having a second ultrasound probe including a therapeutic transducer for irradiating ultrasound of a therapeutic frequency to the movable focus for the treatment of the organ; recognizing and treating an organ using ultrasound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영상의 표시 및 분석모드는,
상기 초음파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인 M-모드, B-모드 및 D-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and analysis mode of the ultrasound image,
A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M-mode, B-mode, and D-mode as a method of processing the ultrasound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초음파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기 인식 및 치료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outputting the ultrasound image process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KR1020210148080A 2021-11-01 2021-11-01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KR202300631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80A KR20230063145A (en) 2021-11-01 2021-11-01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80A KR20230063145A (en) 2021-11-01 2021-11-01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145A true KR20230063145A (en) 2023-05-09

Family

ID=8640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80A KR20230063145A (en) 2021-11-01 2021-11-01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14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95B1 (en) 2001-11-05 2008-07-10 베이징 유안데 바이오메디칼 프로젝트 컴파니 리미티드 Extracorporeal high intensity focus ultrasonic wave therapeut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95B1 (en) 2001-11-05 2008-07-10 베이징 유안데 바이오메디칼 프로젝트 컴파니 리미티드 Extracorporeal high intensity focus ultrasonic wave therapeutic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6611B2 (en) Ultrasound therapeutic and scanning apparatus
CN108135565B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images obtained using various imaging modalities and verifying image registration
CA2522302C (en) Shear mode diagnostic ultrasound
US7344509B2 (en) Shear mode therapeutic ultrasound
CN110192893B (en) Quantifying region of interest placement for ultrasound imaging
US20100286520A1 (en) Ultrasound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mechanical properties of a target region
US9326689B2 (en) Thermally tagged motion tracking for medical treatment
EP2649953B1 (en) Ultrasound treatment device
JPWO2005120373A1 (en) Ultrasonic therapy device
JP2022500093A (en) Focused ultrasound system with optimized monitoring of cavitation
JP5255964B2 (en) Surgery support device
CN113316419A (en) Echo based focus correction
CN101330876B (en) Medical ultrasonic apparatus having irradiation position-confirming function
JP2011015732A (en) Ultrasonic treatment device
US10573009B2 (en) In vivo movement tracking apparatus
US6308715B1 (en) Ultrasonic detection of restenosis in stents
JP7355825B2 (en) Automated needle detection
CN110464460B (en) Method and system for cardiac intervention operation
CN108351394B (en)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MRI-derived interference to a concurrently used RF system
US1076589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transcranial ultrasound focusing
KR20230063145A (en) Organ recognition and treatment system using ultrasound
US11872413B2 (en) Control method for the treatment of brain tissue using an ultrasonic probe and an implanted acoustic window on the cranium
CN116507295A (en) Multi-parameter optimization for ultrasound procedures
US20010050087A1 (en) Ultrasonic detection of restenosis in stents
JP2016027842A (en) Ultrasonic 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