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863A - 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 - Google Patents

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863A
KR20230057863A KR1020210142119A KR20210142119A KR20230057863A KR 20230057863 A KR20230057863 A KR 20230057863A KR 1020210142119 A KR1020210142119 A KR 1020210142119A KR 20210142119 A KR20210142119 A KR 20210142119A KR 20230057863 A KR20230057863 A KR 2023005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matching
icons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7492B1 (en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이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재 filed Critical 이경재
Priority to KR102021014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492B1/en
Publication of KR2023005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8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4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apparatus. More specifically, in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apparatus using an automatic irrigation apparatus including a supply unit provided in a pipe structure with a plurality of inlets and one outlet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compressor and a pump unit connected to at least two fluid tanks, the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apparatus has an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easily monitor the internal flow path, which is difficult to see with the naked eye, in real tim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low status of objects flowing in or out through the pipe internal flow path of the irrigation apparatus in the form of an intuitive interface.

Description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

본 발명은 관수 장치의 파이프 공급 라인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 또는 에어의 흐름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flow information of fluid or air passing through an inside of a pipe supply line of an irrigation device.

작물의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분이다. 이를 고려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비료나 영양분을 공급하는 일보다 우선적으로 관수설비를 확보하여 작물의 재배에 결정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Moisture is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crop growth. In consideration of this, farmhouses that grow crops prioritize irrigation facilities prior to supplying fertilizers or nutrients to prevent critical problems in crop cultivation.

특히, 농가에서 사용되는 관수장치는 비닐하우스 등에 구비된 분사노즐이나 기타 다양한 장치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관수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급수펌프의 구동 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관을 통해 분사노즐로 공급되어 고압으로 분사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특징을 가진다.In particular, the irrigation device used in farmhouses is configured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water by being connected to a spray nozzle provided in a vinyl house or other various devices. It has a feature of operating in a manner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spray nozzle through the supply pipe and sprayed at high pressure.

종래에는 관수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밸브를 조작 및 제어하는 방식만 가능하였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팜 기술이 발달하면서 원격에서 관수 설비를 조작 및 제어하는 방식 또한 점차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Conventionally, only a method in which an operator manually operates and controls valves was possible during irrigation work, bu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farm technology, a method of remotely operating and controlling irrigation facilities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한 원격 제어 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해당 설비 내에서 측정된 센싱값이나 상태값을 그대로 전송받는 것에 불과하여 정확한 위치별 모니터링이 어렵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원격 제어 방식을 통해 적절한 타이밍에 특정 장치에 대한 구동 제어나 섬세한 조작을 수행하기엔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most cases, the information that a remote user can check during remote control through a terminal is only the sensing value or status value measured in the facility as it is, making it difficult to monitor accurately by location. Until now, it is difficult to perform driving control or delicate manipulation of a specific device at an appropriate timing through a remote control method.

KRKR 10-2045649 10-2045649 B1B1 KRKR 10-2018-0064956 10-2018-0064956 AA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수 장치의 파이프 공급 라인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 또는 에어의 흐름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flow information of fluid or air passing through an inside of a pipe supply line of an irrigat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자동 관수 장치의 하우징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영역들을 설정하는 가상 영역 설정부와, 상기 복수의 가상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 레이어를 생성하는 영역 레이어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영역 레이어들 각각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를 부여하는 식별 코드 부여부와, 유체 또는 에어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유입받거나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입출력 객체와, 객체 간을 연결하여 상기 대상물을 소정 방향으로 유입 또는 이송하도록 동작하는 연결 객체와, 상기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차단, 도통, 분리, 혼합,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설정하고, 각 객체에 대한 명칭, 방향 속성, 상태 속성,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객체 설정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영역 레이어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각각 선택하는 선택 명령과, 상기 선택된 객체를 상기 선택된 영역 레이어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배치 명령을 각각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객체가 상기 영역 레이어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객체와 상기 영역 레이어에 대응하여 부여된 식별 코드를 매칭하도록 하는 매칭부와, 상기 영역 레이어상에 상기 복수의 객체들이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나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치된 복수의 객체들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방향 속성 및 이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매칭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매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tering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area setting unit that sets a plurality of virtual area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pace areas partitioned by a housing frame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a region layer creation unit generating a plurality of region lay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rtual regions;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ing unit assign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 layers; An input/output object that operates to receive or discharge an object containing air, a connection object that operates to introduce or transport the objec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connecting the objects, and blocks, conducts, separates, or mixes the flow of the object , an object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ing a control object that performs at least one operation of change, and setting at least one property information of a name, a direction property, a state property, and a sensing value for each object; An interface module for receiving inputs from a user of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one of the region layers and at least one object, and an arrangement command for arranging the selected objec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elected region layer, respectively; If the selected objec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egion layer according to the above,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placed object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corresponding to the region layer; When arranged in a desired or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tching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matching is possible based on preset direction attributes and prioriti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rranged object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복수의 객체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객체 종류별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영역 레이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어느 하나의 영역 레이어를 화면상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을 상기 제1 영역과 상이한 제2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 및 배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 방식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face module includes: an icon generator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bjects by object type; and any one region layer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gion layers. an interface generating unit generating an interface for displaying the icons in a first area on the screen and displaying the plurality of icons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interface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command and an arrangement command for one from a user in a touch gesture manner.

또한, 상기 매칭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아이콘이 상기 영역 레이어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영역 레이어에 대응하여 부여된 식별 코드를 매칭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영역 레이어상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이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나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 각각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하여 기설정된 방향 속성 및 이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매칭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며, 상기 매칭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아이콘을 각각에 대한 상기 영역 레이어상의 배치 위치에 표시하되, 상기 표시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속성정보를 해당 아이콘 위치 주변에 표시하도록 하는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tching unit, when at least one icon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egion layer according to a user's input, matche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isposed icon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corresponding to the region layer. and, when the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in an order desired by the user on the region layer, the matching control unit determines a direction attribute preset for an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cons arranged and a priority therefo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matching is possible based on, displaying at least one icon determined to be matchable at an arrangement position on the region layer for each icon, and displaying predetermined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ed ic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screen to be displayed around the position of the icon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매칭이 완료됨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대한 배치 결과, 한 쌍의 상기 입출력 객체가 배치 순서의 시작과 끝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결 객체 또는 상기 제어 객체가 배치 순서의 중간에 배치되되 객체 간에 서로 연결되어 하나로 연결된 경우일 때, 해당 경우에 대응하여 배치된 모든 객체들을 같은 라인으로 그룹화한 후 그룹별로 매칭하는 라인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icons as the matching is completed, a pair of the input/output objects are arrang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arrangement sequence,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object or the control object i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arrangement sequence, but between the objects In the cas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into 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ne matching unit that groups all the objects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ase to the same line and then matches them by group.

또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매칭된 복수의 라인들이 존재하는 경우, 각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의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라인 영역을 그룹별로 구별 가능하도록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lines matched to correspond to each of a plurality of groups, the display unit highlights a line area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a plurality of icons belonging to each group to be distinguishable for each group. to be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의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영역 레이어 상에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아이콘을 배치하도록 하는 배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 방식으로 입력받아 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ser interface unit receives a selection command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a second area on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terface from a user, and based on the interface,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lacement command for arranging at least one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is received from a user in a touch gesture method on the region layer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on the screen, and location coordinates are generated and stored accordingly. to b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객체 설정부는, 상기 입출력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속성과 상기 대상물의 유입량, 배출량, 유입속도, 배출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센싱값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을 유입 또는 이송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속성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차단, 도통, 분리, 혼합,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동작에 대응하는 상태 속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bject setting unit senses at least one of a first direction attribute for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input/output object, and at least one of an inflow amount, discharge amount, inflow rate, and discharge rate of the object. A value is set, and a second direction attribute for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or transported is set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connection object, and a block, conduction, or separation for the flow of the object is set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control object. It is characterized by setting a state propert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operations: , mixing, and changing.

또한,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객체가 상기 입출력 객체 또는 상기 연결 객체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 객체가 상기 상호 연결된 객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상기 제1 방향 속성 또는 상기 제2 방향 속성과 동일한 방향 속성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ching control unit may, when the control object is interconnected with the input/output object or the connection object based on a connection state betwee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ranged icons, the control object is connected to the interconnected o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have the same direction property as the first direction property or the second direction property set in correspondence thereto.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객체가 불연속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 객체의 전후에 배치되는 상기 입출력 객체 또는 상기 제어 객체와의 연결 여부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따른 연결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매칭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tching control unit may, when the connection object is discontinuously arranged based on a connection state betwee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ranged icons, the input/output object or the control object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on o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whether or not the matching is possible is determined by reflecting a conn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el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입출력 객체와 상기 연결 객체가 상호 연결되어 배치된 경우, 상기 입출력 객체와 상기 연결 객체 각각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방향 속성이 불일치하면 상기 상호 연결된 배치 상태에 대응하는 매칭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tching control unit, when the input/output object and the connection object are mutually connected and arranged based on a connection state betwee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ranged icons, each of the input/output object and the connection o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matching corresponding to the interconnected arrangement state is impossible if the corresponding preset direction attributes are inconsistent.

본 발명에 따르면, 관수 장치의 파이프 내부 유로에 의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대상물의 흐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함에 따라 육안으로 파악하기 곤란한 내부 유로에 대한 사용자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low state of objects introduced or discharged through the pipe internal flow path of the irrigation device in the form of an intuitive interface, the user can easily monitor the internal flow path, which is difficult to grasp with the naked eye, in real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내부 유로에 대한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객체 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상태대로 객체 간의 연결 구조가 형성되는 직관적인 설계 방식으로 파이프 라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어 모니터링용 데이터 설계 작업을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ipeline data can be created in an intuitive design method in which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objects is formed in a state where an object ic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pipe internal flow path is placed at a loca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simply perform the data design work for monito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영역 레이어 생성부에 의해 복수의 영역 레이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하여 자동 관수 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에 대한 선택 명령 및 배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표시부에 의해 매칭 완료된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면서 각 아이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속성정보를 해당 아이콘 위치 주변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와,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일부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되는 라인 영역을 그룹별로 구별 가능하도록 강조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region layers by the region layer generator of FIG. 2;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receiving a selection command and an arrangement command for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components of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rom a user by using an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by the user interface unit of FIG. 2 . is the drawing shown,
FIG. 5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icons matched by the display unit of FIG. 2 and displaying predetermined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con around a corresponding icon location, and a group to whic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icons belong.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highlighting a line area corresponding to a line area to be distinguishable by group,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s to be solved,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영역 레이어 생성부에 의해 복수의 영역 레이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하여 자동 관수 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에 대한 선택 명령 및 배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표시부에 의해 매칭 완료된 복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면서 각 아이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속성정보를 해당 아이콘 위치 주변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와,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일부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되는 라인 영역을 그룹별로 구별 가능하도록 강조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area layers by the area layer creation unit, and FIG. 4 is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irrigation device using an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by the user interface unit of FIG. 2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ceiving a selection command and an arrangement command for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lements from a user, and FIG. 5 displays a plurality of icons matched by the display unit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preset attribute information around a corresponding icon location and an example of a screen highlighting a line area corresponding to a group to whic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icons belong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or each group. .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자동 관수 장치(10)는 농경지 또는 비닐하우스에 필요한 물과 양액을 별도의 혼합 공정 없이 동시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관수하는 장치를 나타내며, 적어도 둘 이상의 유체 탱크에 저장된 유체(물 또는 양액)를 압송하는 펌프 유닛(12)과, 상기 압송된 유체가 유입되면 이를 혼합 배출하는 공급 유닛(13)과,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펌프 유닛(13) 및 공급 유닛(13)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4)과, 전술한 유닛들(12,13,24)을 상하 이격되게 지지하는 하우징 프레임(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utomatic irrigation device 1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for irrigation by simultaneously supplying water and nutrient solution required for farmland or a vinyl house without a separate mixing process, and the fluid (water or nutrient solution) stored in at least two fluid tanks ), a pump unit 12 that pressurizes the pumped fluid, a supply unit 13 that mixes and discharges the pumped fluid when it flows in, and a control that controls the pump unit 13 and the supply unit 13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It may include a unit 14 and a housing frame 11 supporting the aforementioned units 12 , 13 , and 2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펌프 유닛(12)은 제1 유체(물) 및 제2 유체(양액)가 각각 저장된 탱크에 연결되는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펌프는 각각 제1 및 제2 유체 탱크 각각의 탱크 하단에 있는 배수 노즐과 이송 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공급 유닛(13)의 유입구와는 배관 연결된 상태로, 제1 펌프 또는 제2 펌프의 구동 시 해당 펌프와 호스 연결된 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공급 유닛(13)의 유입구로 압송한다.The pump unit 12 includes a first pump and a second pump connected to tanks in which the first fluid (water) and the second fluid (nutrient solution) are stor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pumps have first and second pumps, respectively. Fluid stored in a tank that is connected through a drain nozzle at the bottom of each fluid tank and a transfer hose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upply unit 13, and is connected to the tank when the first pump or the second pump is operated. to the inlet of the supply unit 13.

공급 유닛(13)은 외부의 공기압축기(2)와 펌프 유닛(12)에 각각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유입구와 하나의 배출구를 가지는 파이프 구조로 마련되며, 제1 펌프 및 제2 펌프에 의해 물과 양액이 각각 압송되면 상기 공기압축기에 의해 발생된 소정의 압축공기를 이용해 혼합하여 외부로 공급 배출한다.The supply unit 13 is provided in a pip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inlets and one outlet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compressor 2 and the pump unit 12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is provided with water and water by a first pump and a second pump. When each of the nutrient solutions is pressurized, they are mixed using predetermined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air compressor and then suppli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공급 유닛(13)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는 개폐 밸브와 유량 및 유속을 측정 가능한 유량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on/off valve and a flowmeter capable of measuring the flow rate and flow rate are installed at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upply unit 13 .

제어 유닛(14)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과 공급 유닛(13) 내부에 기설치된 개폐 밸브 및 유량계에 의해 측정된 상태값 및 센싱값을 각각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펌프 유닛(12), 공급 유닛(13) 및 공기압축기(2)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4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user's control command and a state value and a sensing value measured by an on-off valve and a flowmeter pre-installed in the supply unit 13, respectively, and a pump unit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12), a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unit 13 and the air compressor 2.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30)와 통신 연결되되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서버와 TCP/IP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펌프 유닛(12), 공급 유닛(13) 및 공기압축기(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폐 밸브 및 상기 유량계로부터 상기 상태값 및 센싱값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30 and performs TCP/IP-based data communication with a server using a predetermined Internet network to respond to a control command input by a user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connected to the server. It may receive data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ump unit 12, the supply unit 13, and the air compressor 2 to receive the state value and the sensing value from the on-off valve and the flowmeter.

이때, 사용자 단말기(30)에는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된 상태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어명령 입력UI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application connected to the server is pre-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30, and a control command input UI for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is displaye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하우징 프레임(11)은 복수 개의 수직바에 대하여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하부렉, 중앙렉 및 상부렉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 영역이 구획되면, 하부측의 제1 공간 영역에 펌프 유닛(12)을 수용하고 중앙측의 제2 공간 영역에 공급 유닛(13)을 수용하고 상부측의 제3 공간 영역에 제어 유닛(14)을 수용하는 구조로 마련된다.The housing frame 11 accommodates the pump unit 12 in a first space area on the lower side when a plurality of space areas are partitioned by lower racks, central racks, and upper ra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It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ly unit 13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tial region at the center and the control unit 14 is accommodated in the third spatial region at the upper side.

전술한 자동 관수 장치(10)의 구조적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20)는, 자동 관수 장치(10) 내부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정보를 아이콘 기반의 인터페이스 형태로 구현하여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설정 모듈(100), 인터페이스 모듈(200), 제어 모듈(300) 및 표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features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low of an object flowing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con-based interface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 connected to communication, and as shown in FIG. 400).

먼저, 설정 모듈(100)은 자동 관수 장치(10)의 프레임 수용 공간 및 파이프 내부 유로에 각각 대응하는 가상의 영역 레이어 및 객체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setting module 100 serves to set virtual area layers and objec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rame accommodating space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and the pipe internal passage.

이와 관련하여, 설정 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영역 설정부(120), 영역 레이어 생성부(140), 식별 코드 부여부(160) 및 객체 설정부(180)를 포함한다.In this regard, the setting module 100 includes a virtual region setting unit 120, a region layer creation unit 140, an identification code granting unit 160, and an object setting unit 180, as shown in FIG. .

가상 영역 설정부(120)는 자동 관수 장치(10)의 하우징 프레임(1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영역들을 설정한다.The virtual area setting unit 120 sets a plurality of virtual are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pace areas partitioned by the housing frame 11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

이때, 상기 복수의 공간 영역들은 자동 관수 장치(10)의 하우징 프레임(11)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수직바 및 렉에 의해 상하벽 및 양측벽으로 둘러싸이는 물리적인 공간 영역(S)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우징 프레임(11)의 하부렉과 중앙렉에 의해 구획되어 펌프 유닛(12)이 수용되는 하부측의 제1 공간 영역(S1)과, 중앙렉과 상부렉에 의해 구획되어 공급 유닛(13)이 수용되는 중앙측의 제2 공간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pace areas represent a physical space area S surrounded by upper and lower walls and side walls by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nd racks constituting the housing frame 11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A lower first space area S1 partitioned by the lower and central racks of the housing frame 11 and accommodating the pump unit 12, and partitioned by the central rack and upper racks to accommodate the supply unit 13 It may include a second space area S2 on the central side to be accommodated.

영역 레이어 생성부(140)는 가상 영역 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가상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 레이어를 생성한다.The region layer creation unit 140 creates a plurality of region lay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rtual regions set by the virtual region setting unit 120 .

여기서, 상기 영역 레이어는 각 유닛의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3차원의 가상 영역을 2차원 위치 좌표를 가지는 평면 영역에 투영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Here, the region layer may be generated by projecting a 3D virtu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each unit onto a plane region having 2D location coordinates.

예컨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자동 관수 장치(10)에 대하여, 가상 영역 설정부(120)는 제1 공간 영역(S1) 및 제2 공간 영역(S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가상 영역 및 제2 가상 영역을 설정하고, 영역 레이어 생성부(14)는 상기 설정된 제1 가상 영역 및 제2 가상 영역 각각을 2차원 평면에 투영한 형태의 제1 영역 레이어(L1) 및 제2 영역 레이어(L2)를 생성하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and 3 , in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area setting unit 120 corresponds to the first space area S1 and the second space area S2, respectively. A first virtual region and a second virtual region are set, and the region layer creation unit 14 creates a first region layer L1 formed by projecting each of the set first virtual region and second virtual region onto a two-dimensional plane. and a second region layer L2 is created.

식별 코드 부여부(160)는 영역 레이어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영역 레이어들(L1,L2,L3) 각각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를 부여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ment unit 160 assigns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 layers L1, L2, and L3 generated by the region layer generation unit 140 from each other.

객체 설정부(180)는 자동 관수 장치(10)에 포함되는 공급 유닛(13)의 파이프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객체들 및 이에 대한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object setting unit 180 serves to set a plurality of objects corresponding to components forming an internal pipe passage of the supply unit 13 included in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and attribute information thereof.

객체 설정부(180)는 유체 또는 에어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유입받거나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입출력 객체(IU)와, 객체 간을 연결하여 상기 대상물을 소정 방향으로 유입 또는 이송하도록 동작하는 연결 객체(IL)와, 상기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차단, 도통, 분리, 혼합,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객체(IC)를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설정한다.The object setting unit 180 is an input/output object (I U) that operates to receive or discharge an object containing fluid or air, and a connection object (I U ) that operates to introduce or transfer the objec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connecting the object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ing L ) and a control object ( IC ) performing at least one operation among blocking, conducting, separating, mixing, and changing the flow of the object are set.

여기서, 입출력 객체(IU)는 자동 관수 장치(10)에 포함되는 파이프 구조의 공급 유닛(13)에서 대상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입구 또는 배출구 영역에 대응하고, 연결 객체(IL)는 공급 유닛(13)에서 상기 유입된 대상물이 이송되는 파이프 내의 이송 영역에 대응하고, 제어 객체(IC)는 공급 유닛(13)에서 상기 이송되는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동작이 수행되는 파이프 내의 동작 영역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input/output object (I U ) corresponds to the inlet or outlet area through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or discharged from the supply unit 13 of the pipe structure included in the automatic irrigation device 10, and the connection object ( IL ) is the supply unit. In (13), it corresponds to the transport area within the pipe where the introduced object is transported, and the control object (I C )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area within the pipe where the operation for the flow of the transported object is performed in the supply unit 13. it may be

이때, 상기 동작 영역은 파이프 라인 내부에 기설치된 개폐 밸브의 상태에 따라 상기 대상물에 대한 차단 또는 도통 동작을 수행하는 영역과, 복수의 파이프 라인이 하나로 합쳐져서 상기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혼합 동작을 수행하는 영역과, 하나의 파이프 라인이 여러 개로 분리되어 상기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분리 동작을 수행하는 영역과, 파이프 라인 내부에 기설치된 제어 유닛을 이용하거나 상기 개폐 밸브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대상물의 흐름 상태(유량,유속 등)을 변경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area is a region for performing a blocking or conducting operation for the objec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n-off valve pre-installed inside the pipeline, and a plurality of pipelines are combined into one to perform a mixing operation for the flow of the object An area in which one pipeline is divided into several areas to perform a separation operation for the flow of the object, and the flow of the object by using a control unit pre-installed inside the pipeline 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off valve. It can include areas that change states (flow rate, flow rate, etc.).

객체 설정부(180)는 각 객체에 대한 명칭, 방향 속성, 상태 속성,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설정한다.The object setting unit 180 sets at least one attribute information of a name, a direction attribute, a state attribute, and a sensing value for each object.

구체적으로, 객체 설정부(180)는 입출력 객체(IU)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속성(Ad1)과 상기 대상물의 유입량, 배출량, 유입속도, 배출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센싱값을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bject setting unit 180 is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input/output object (I U ), which includes a first direction attribute (Ad1) f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nd the inflow, discharge, inflow speed, and discharge of the object. A sensing value for at least one of the speeds may be set.

여기서, 상기 센싱값은 자동 관수 장치(10)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유량계에 의해 측정된 유량 센싱값 또는 유속 센싱값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sensed value may include a flow rate sensed value or a flow rate sensed value measured by a flow meter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or outlet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

또한, 객체 설정부(180)는 연결 객체(IL)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을 유입 또는 이송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속성(Ad2)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setting unit 180 may set a second direction attribute Ad2 for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or transported as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IL .

또한, 객체 설정부(180)는 제어 객체(IC)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차단, 도통, 분리, 혼합,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동작에 대응하는 상태 속성(As)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setting unit 180 sets a state attribute (A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peration of blocking, conducting, separating, mixing, and changing the flow of the object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control object ( IC ). can be set

이때, 객체 설정부(180)는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소정 객체에 대한 선택 명령 및 이에 대한 속성값을 해당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object setting unit 180 may set a selection command for a predetermined object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connected user terminal 30 and an attribute value for the selected object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object.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설정 모듈(100)에 의해 설정된 영역 레이어 및 객체를 이용하여 자동 관수 장치(10)의 파이프 내부 유로에 대응하는 가상의 아이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interface module 200 serves to implement a virtual icon-based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pipe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 by using the area layer and object set by the setting module 100 .

이와 관련하여,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생성부(220), 인터페이스 생성부(2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를 포함한다.In this regard, the interface module 200 includes an icon generator 220, an interface generator 240, and a user interface 260 as shown in FIG.

아이콘 생성부(220)는 객체 설정부(180)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객체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객체 종류별로 구분하여 생성한다.The icon creation unit 220 classifies and creates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bjects set by the object setting unit 180 by object type.

여기서, 아이콘 생성부(220)는 객체 종류별로 서로 상이하게 기저장된 객체 이미지(다양한 도형, 클립아트, 그림 등)를 이용하되, 입출력 객체(IU)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입출력 객체(IU)에 대한 제1 방향 속성(Ad1)이 연상되도록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형상을 가지는 입출력 객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연결 객체(IL)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연결 객체(IL)에 대한 제2 방향 속성(Ad2)이 연상되도록 특정 방향을 가리키되 입출력 객체와는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 객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제어 객체(IC)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제어 객체(IC)에 의한 수행 동작(차단, 도통, 분리, 혼합, 변경 등)에 기초한 상태 속성(As)이 직관적으로 연상 가능하되 각 수행 동작별로 구분 가능하도록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제어 객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icon generation unit 220 uses different previously stored object images (various figures, clip art, pictures, etc.) for each object type, but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input/output object (IU) is for the input/output object (IU). It is created using an input/output object image having a shape pointing in a specific direction so as to remind the first direction attribute Ad1, and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bject IL is the second direction attribute Ad2 for the connection object IL. It is created using a connection object image that points in a specific direction but has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put/output object, and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object IC is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object IC (blocking, conducting, separating) , mixture, change, etc.) can be intuitively associated with, but can be created using control object images having different shapes so that each operation can be distinguished.

인터페이스 생성부(240)는 영역 레이어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영역 레이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어느 하나의 영역 레이어를 화면상의 제1 영역(41)에 표시하고, 아이콘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아이콘들을 제1 영역(41)과 상이한 제2 영역(42)에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The interface generator 240 displays one region lay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region layers created by the region layer generator 140 on the first region 41 on the screen, and the icon generator 220 An interface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cons generated by ) in the second area 42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41 is generate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인터페이스 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소정 아이콘에 대한 선택 명령 및 배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The user interface unit 260 displays the interface generated by the interface generator 240 and receives a selection command and an arrangement command for a predetermined icon from the user.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30)의 화면상의 제2 영역(42)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30)의 화면상의 제1 영역(41)에 표시되는 상기 영역 레이어 상에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아이콘을 배치하도록 하는 배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 방식으로 입력받아 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 및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interface unit 260 receives a selection command fo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42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 from the user based on the interface, and Based on the above, a user inputs an arrangement command for arranging at least one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on the region layer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41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a touch gesture method. It may be to generate and store location coordinates accordingly.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제2 영역(42)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영역 레이어가 표시되는 제1 영역(41) 내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이동함에 따른 배치 상태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Here,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42 is selected through a user's touch input, the user interface unit 260 drags the selected icon into the first area 41 where the area layer is displayed and It may be to receive an input of an arrangement state according to dropping and moving.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30)의 화면상의 제1 영역(41) 및 제2 영역(42)에 표시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설정부(180)에 의해 기설정된 객체별 명칭, 속성 정보 및 설정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 설정창(43)을 화면상의 또 다른 영역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260 displays the interface on the first area 41 and the second area 42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 as shown in FIG. 4, the object setting unit 180 ), the object setting window 43 including the name of each object, propert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setting is set may be displayed together in another area on the screen.

다음으로, 제어 모듈(300)은 인터페이스 모듈(200)에 의해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한 제어 판단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control module 300 serves to make a control decision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implemented by the interface module 200 .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부(320), 매칭 제어부(240) 및 라인 매칭부(360)를 포함한다.In this regard, the control module 300 includes a matching unit 320 , a matching control unit 240 and a line matching unit 360 as shown in FIG. 2 .

매칭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아이콘이 상기 영역 레이어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영역 레이어에 대응하여 부여된 식별 코드를 매칭하도록 한다.The matching unit 320, when at least one icon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egion layer according to a user's input, matche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laced icon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corresponding to the region layer. .

여기서, 매칭부(320)는 상기 배치된 아이콘에 대한 영역 레이어상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2차원 위치 좌표를 획득한 후 상기 배치 결과에 따른 객체 및 식별코드에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matching unit 320 may acquire 2D loca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egion layer for the arranged icon, and then match and store the two-dimensional location coordinates with the object and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lacement result.

매칭 제어부(240)는 상기 영역 레이어상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이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나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 각각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하여 기설정된 방향 속성 및 이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매칭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in the order desired by the user on the region layer, the matching control unit 240 determines the direction property and the priority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cons arranged in advance.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matching is possible.

구체적으로, 매칭 제어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배치 명령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객체(IC)가 입출력 객체(IU) 또는 연결 객체(IL)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제어 객체(IC)가 상기 상호 연결된 객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1 방향 속성(Ad1) 또는 제2 방향 속성(Ad2)과 동일한 방향 속성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tching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input/output of the control object ( IC )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c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arrangement command input by the user interface unit 260. When interconnected with the object (I U ) or connection object ( IL ), the control object (I C ) corresponds to the interconnected object with a preset first direction property (Ad1) or second direction property (Ad2) and It may be set to have the same direction attribute.

또한, 매칭 제어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배치 명령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연결 객체(IL)가 불연속 배치되는 경우, 연결 객체(IL)의 전후에 배치되는 입출력 객체(IU) 또는 제어 객체(IC)와의 연결 여부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따른 연결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매칭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ching control unit 240,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c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arrangement command input by the user interface unit 260, the connection object IL is discontinuously arranged. In this case, whether to connect to the input/output object (I U ) or control object (I C )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on object (IL )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the conn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election is reflected and the matching is performed. It may be to decide whether it is possible or not.

또한, 매칭 제어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배치 명령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입출력 객체(IU)와 연결 객체(IL)가 상호 연결되어 배치된 경우, 입출력 객체(IU)와 연결 객체(IL) 각각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방향 속성이 불일치하면 상기 상호 연결된 배치 상태에 대응하는 매칭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ching control unit 240,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cons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arrangement command input by the user interface unit 260, the input-output object (I U ) and the connection object When ( IL ) is interconnected and arranged, if the preset direction properti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output object (I U ) and the connection object ( IL ) do not match, determining that matching corresponding to the interconnected arrangement state is impossible it could be

라인 매칭부(360)는 공급 유닛(13)의 파이프 내부 유로에 구비된 복수 개의 유입구 및 배출구 중에서 특정 대상물의 흐름 구간에 대응하는 객체들을 동일 라인으로 매칭하기 위한 것이다.The line matching unit 360 is for matching objects corresponding to a flow section of a specific object to the same line among a plurality of inlets and outlets provided in the pipe internal passage of the supply unit 13 .

여기서, 라인 매칭부(360)는 매칭부(320)에 의해 상기 매칭이 완료됨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대한 배치 결과, 한 쌍의 입출력 객체(IU)가 배치 순서의 시작과 끝에 각각 배치되고 연결 객체(IL) 또는 제어 객체(IC)가 배치 순서의 중간에 배치되되 객체 간에 서로 연결되어 하나로 연결된 경우일 때, 해당 경우에 대응하여 배치된 모든 객체들을 같은 라인으로 그룹화한 후 그룹별로 매칭할 수 있다.Here, as a result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icon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matching by the matching unit 320, the line matching unit 360, a pair of input/output objects (I U ) are dispos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arrangement sequence, respectively. When a connection object (I L ) or a control object (I C ) i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arrangement sequence, but objec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as one, all placed objects are grouped in the same line in response to the case, and then grouped by group can be matched.

마지막으로, 표시부(400)는 제어 모듈(300)에 의한 제어 판단이 완료되면 최종 매칭된 결과에 대응하는 객체 아이콘 기반의 파이프 라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Finally, the display unit 400 serves to provide the user with object icon-based pipelin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nal matched result when the control judgment by the control module 300 is completed.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표시부(400)는 매칭 제어부(340)에 의해 매칭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콘(I1,I2,I3)을 각각에 대한 상기 영역 레이어상의 배치 위치에 표시하되, 상기 표시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속성정보(51,52,53)를 해당 아이콘 위치 주변에 표시하도록 하는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A , the display unit 400 arranges at least one object icon (I 1 , I 2 , I 3 ) determined to be matchable by the matching control unit 340 on the region layer for each of them. A scree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 to display preset attribute information 51 , 52 , and 53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splayed icons around the corresponding icon position while displaying the screen at the location.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부(400)는 라인 매칭부(360)에 의한 그룹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매칭된 복수의 라인들이 존재하는 경우, 각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의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라인 영역(54)을 그룹별로 구별 가능하도록 강조 표시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5B , the display unit 400 displays a plurality of lines belonging to each group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lines match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group matching result by the line matching unit 360. The line area 54 corresponding to the area around the icons of may be highlighted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or each group.

여기서, 상기 라인 영역은 매칭부(320)에 의한 매칭 결과로써 영역 레이어별로 매칭 저장된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한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인접한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line area may correspond to an adjacent area based on location coordinates of each of a plurality of icons matched and stored for each area layer as a result of matching by the matching unit 320 .

이때, 표시부(400)는 상기 라인 영역에 대응하는 외곽선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효과나 마킹 효과 등을 적용하여 강조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400 may highlight and display an outline corresponding to the line area by applying a highlight effect or a marking effect.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 및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을 그대로 포함하되 제2 가상 영역 설정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 and the aforementioned drawings, the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may includ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s they are, bu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irtual area setting unit 122.

제2 가상 영역 설정부(122)는 공급 유닛(13)의 배출구와 공급 호스(6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양액의 혼합물을 관수 공급받는 복수 개의 관수 대상 영역(61,62,63)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가상 영역들을 설정한다.The second virtual area setting unit 122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upply unit 13 through the supply hose 60 and receives a mixture of water and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outlet, and a plurality of irrigation target areas 61 and 62 ,63) A plurality of second virtual regions corresponding to each are set.

이때, 영역 레이어 생성부(140)는 제2 가상 영역 설정부(122)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제2 가상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영역 레이어들을 생성하고, 식별 코드 부여부(160)는 상기 생성된 제2 영역 레이어들 각각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gion layer creation unit 140 generates a plurality of second region lay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virtual regions set by the second virtual region setting unit 122, and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ing unit 160 may assign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each of the generated second region layers from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생성된 복수의 제2 영역 레이어들은 전술한 상기 영역 레이어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짐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200) 및 제어 모듈(300)에 의한 인터페이스 입력 시 이용되고, 표시부(40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파이프 라인 데이터에 관수 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generated second region layers have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as the above-described region layer, they are used when an interface is input by the interface module 200 and the control module 300, and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0. Information on a target area to be watered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pipeline data provided to the user by the user.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수 장치의 파이프 내부 유로에 의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대상물의 흐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함에 따라 육안으로 파악하기 곤란한 내부 유로에 대한 사용자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formation on the flow state of the object introduced or discharged through the pipe internal flow path of the irrigat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tuitive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internal flow path that is difficult to visually grasp in real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monitoring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내부 유로에 대한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객체 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상태대로 객체 간의 연결 구조가 형성되는 직관적인 설계 방식으로 파이프 라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어 모니터링용 데이터 설계 작업을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pipeline data in an intuitive design method in which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objects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n object ic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pipe internal flow path is placed at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simply perform the data design work for monitoring.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practic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strength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better understood, so that the concept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serve similar purposes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readily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hapes for the purpose.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ed and changed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and thes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also shown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Any differences within them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 공기 압축기 10: 자동 관수 장치
11: 하우징 프레임 12: 펌프 유닛
13: 공급 유닛 14: 제어 유닛
20: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30: 사용자 단말기
100: 설정 모듈 120: 가상 영역 설정부
140: 영역 레이어 생성부 160: 식별 코드 부여부
180: 객체 설정부 200: 인터페이스 모듈
220: 아이콘 생성부 240: 인터페이스 생성부
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00: 제어 모듈
320: 매칭부 340: 매칭 제어부
360: 라인 매칭부 400: 표시부
2: air compressor 10: automatic watering device
11: housing frame 12: pump unit
13: supply unit 14: control unit
20: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30: user terminal
100: setting module 120: virtual area setting unit
140: Area layer generation unit 160: Identification code granting unit
180: object setting unit 200: interface module
220: icon generator 240: interface generator
260: user interface unit 300: control module
320: matching unit 340: matching control unit
360: line matching unit 400: display unit

Claims (10)

외부의 공기압축기와 적어도 둘 이상의 유체 탱크에 연결되는 펌프 유닛에 각각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유입구와 하나의 배출구를 가지는 파이프 구조로 마련되는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 관수 장치를 이용한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 관수 장치의 하우징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 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영역들을 설정하는 가상 영역 설정부;
상기 복수의 가상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 레이어를 생성하는 영역 레이어 생성부;
상기 복수의 영역 레이어들 각각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를 부여하는 식별 코드 부여부;
유체 또는 에어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유입받거나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입출력 객체와, 객체 간을 연결하여 상기 대상물을 소정 방향으로 유입 또는 이송하도록 동작하는 연결 객체와, 상기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차단, 도통, 분리, 혼합,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설정하고, 각 객체에 대한 명칭, 방향 속성, 상태 속성,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객체 설정부;
어느 하나의 상기 영역 레이어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각각 선택하는 선택 명령과, 상기 선택된 객체를 상기 선택된 영역 레이어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배치 명령을 각각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객체가 상기 영역 레이어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객체와 상기 영역 레이어에 대응하여 부여된 식별 코드를 매칭하도록 하는 매칭부; 및
상기 영역 레이어상에 상기 복수의 객체들이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나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치된 복수의 객체들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방향 속성 및 이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매칭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매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using an automatic irrigation device including a supply unit provided in a pip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inlets and one outlet respectively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compressor and a pump unit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fluid tanks ,
a virtual area setting unit that sets a plurality of virtual area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pace areas partitioned by the housing frame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a region layer creation unit generating a plurality of region lay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rtual regions;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ing unit assign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 layers;
An input/output object that operates to receive or discharge an object containing fluid or air, a connection object that operates to introduce or transfer the objec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connecting objects, and blocks, conducts, or separates the flow of the object Object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ing a control object that performs at least one operation of , blending, and changing, and setting at least one property information among name, direction property, state property, and sensing value for each object. ;
an interface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one of the region layers and at least one object, and an arrangement command for arranging the selected object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selected region layer, respectively, from a user;
a matching unit configured to, when the selected objec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egion layer according to a user's input, match the disposed object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corresponding to the region layer; and
When the plurality of objects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an order desired by the user on the region layer, a matching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matching is possible based on a direction attribute pre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rranged objects and a priority therefor.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복수의 객체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객체 종류별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부;
상기 복수의 영역 레이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어느 하나의 영역 레이어를 화면상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을 상기 제1 영역과 상이한 제2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 및 배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 방식으로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module,
an icon creation unit that classifies and creates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bjects by object type;
An interface creation unit that generates an interface for displaying one area layer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rea layers in a first area of the screen and displaying the plurality of icons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 and
A user interface unit that displays the generated interface and receives a selection command and an arrangement command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from a user in a touch gesture method; watering control interface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아이콘이 상기 영역 레이어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영역 레이어에 대응하여 부여된 식별 코드를 매칭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영역 레이어상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이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나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 각각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하여 기설정된 방향 속성 및 이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매칭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며,
상기 매칭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아이콘을 각각에 대한 상기 영역 레이어상의 배치 위치에 표시하되, 상기 표시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속성정보를 해당 아이콘 위치 주변에 표시하도록 하는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atching unit,
When at least one icon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egion layer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isposed icon is match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corresponding to the region layer;
The matching control unit,
When the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an order desired by the user on the region layer, whether or not matching is possible is determined based on a preset direction attribut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rranged icons and a priority therefor. is to decide,
A user terminal displaying at least one icon determined to be matchable at an arrangement position on the region layer for each icon, and displaying predetermined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ed icon around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icon.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provided to.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이 완료됨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대한 배치 결과, 한 쌍의 상기 입출력 객체가 배치 순서의 시작과 끝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결 객체 또는 상기 제어 객체가 배치 순서의 중간에 배치되되 객체 간에 서로 연결되어 하나로 연결된 경우일 때, 해당 경우에 대응하여 배치된 모든 객체들을 같은 라인으로 그룹화한 후 그룹별로 매칭하는 라인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s a result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icons as the matching is completed, the pair of input/output objects are arrang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arrangement sequence,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object or the control object is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arrangement sequence, but the objec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line matching unit for grouping all the objects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ame line and then matching them by group when the case is connected into o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매칭된 복수의 라인들이 존재하는 경우, 각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의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라인 영역을 그룹별로 구별 가능하도록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display unit,
When a plurality of lines matched to correspond to each of a plurality of groups exist, the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by highlighting a line area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a plurality of icons belonging to each group to be distinguishable for each group.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의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영역 레이어 상에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아이콘을 배치하도록 하는 배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 방식으로 입력받아 이에 따른 위치 좌표를 생성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user interface unit,
A selection command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based on the interface, and the icon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based on the interface. The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a placement command for arranging at least one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on the region layer in a touch gesture method from a user and generating and storing positional coordinates according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설정부는,
상기 입출력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속성과 상기 대상물의 유입량, 배출량, 유입속도, 배출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센싱값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을 유입 또는 이송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속성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로서 상기 대상물의 흐름에 대한 차단, 도통, 분리, 혼합,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동작에 대응하는 상태 속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object setting unit,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input/output object, a first direction attribute for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nd a sensing value for at least one of an inflow, an outflow, an inflow velocity, and an outflow velocity of the object are set;
Setting a second direction attribute for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introduced or transported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connection object,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a state attribut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performing operations of blocking, conducting, separating, mixing, and changing the flow of the object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control objec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객체가 상기 입출력 객체 또는 상기 연결 객체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 객체가 상기 상호 연결된 객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상기 제1 방향 속성 또는 상기 제2 방향 속성과 동일한 방향 속성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matching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object is interconnected with the input/output object or the connection object based on a connection state betwee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ranged icons, the control object corresponds to the interconnected object, and the first control object is preset.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have the same direction property as the direction property or the second direction propert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객체가 불연속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 객체의 전후에 배치되는 상기 입출력 객체 또는 상기 제어 객체와의 연결 여부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따른 연결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매칭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matching control unit,
When the connection object is discontinuously arranged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ranged icons,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object is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object or the control object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on object is determined by a user's input.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according to,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atching is possible by reflecting the conn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el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배치된 복수의 아이콘들에 대응되는 객체 간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입출력 객체와 상기 연결 객체가 상호 연결되어 배치된 경우, 상기 입출력 객체와 상기 연결 객체 각각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방향 속성이 불일치하면 상기 상호 연결된 배치 상태에 대응하는 매칭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matching control unit,
When the input/output object and the connection object are interconnected and arranged based o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ranged icons, if the input/output object and the direction property prese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nection objects do not match Irrigation contro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at matching corresponding to the interconnected arrangement state is impossible.
KR1020210142119A 2021-10-22 2021-10-22 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 KR102657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19A KR102657492B1 (en) 2021-10-22 2021-10-22 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19A KR102657492B1 (en) 2021-10-22 2021-10-22 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863A true KR20230057863A (en) 2023-05-02
KR102657492B1 KR102657492B1 (en) 2024-04-15

Family

ID=8638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119A KR102657492B1 (en) 2021-10-22 2021-10-22 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49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542A (en) * 2014-05-15 2015-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using an Input Contro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80064956A (en)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System for improving manufacturing process test bed
KR102036632B1 (en) * 2017-11-15 2019-10-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Tactile Interface Device
KR102045649B1 (en) 2017-12-26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ayout of process line based on vertual equipment
KR102202574B1 (en) * 2013-01-31 2021-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Displaying Method for Device and Device Thereof
KR102268036B1 (en) * 2016-04-08 2021-06-23 허스크바르나 에이비 Intelligent watering pump
KR20210077127A (en) * 2019-12-17 2021-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Phytotron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574B1 (en) * 2013-01-31 2021-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Displaying Method for Device and Device Thereof
KR20150131542A (en) * 2014-05-15 2015-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using an Input Contro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268036B1 (en) * 2016-04-08 2021-06-23 허스크바르나 에이비 Intelligent watering pump
KR20180064956A (en)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System for improving manufacturing process test bed
KR102036632B1 (en) * 2017-11-15 2019-10-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Tactile Interface Device
KR102045649B1 (en) 2017-12-26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layout of process line based on vertual equipment
KR20210077127A (en) * 2019-12-17 2021-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Phytotron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492B1 (en)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94886B (en) For the system and method at shower able to programme interface
CN111295631B (en) Method for virtually configuring a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rresponding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9597370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navigation level to be configured and presented in process plant
JP5308513B2 (en) Direct dispensing in computer-controlled liquid processing workstations
CN10453638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mula development situation information
CN101713986B (en) Complete integration of stand-alone batch operator interface capabilities into generic human machine interface
US20060048846A1 (en) Instrumentation control software
US20090089715A1 (en) Automatic Re-Positioning of Graphical Program Nodes during Node Placement or Node Movement
EP1123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the status of a parallel capillary electrophoresis device
CN111601496B (en) Method for graphically representing droplet size of agricultural sprayer
WO1999039567A1 (en) Irrigation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CN109597369A (en) Intelligent function block and method for being integrated into PLC in control system
JP5829780B1 (en) Programming device
KR102657492B1 (en) Interface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igation
WO2017050277A1 (en) Irrigation system
US20110072383A1 (en) Work Sta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9663345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3D game
US9760257B2 (en) Installation guide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00083110A1 (en) Human-machine interface having multiple touch display navigation capabilities
TW201904656A (en) Dye blend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a motor module to pressurize a dye container and enables a quantitative pump to supply a specific amount of dye to a material collection zone where a vibration module vibrates to automatically blend the dye
US7864158B1 (en) Use of graphical information to control processes
CN109731329A (en) A kind of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lacement location of virtual component in game
US9422070B2 (en) Device for controlled metering and mixing of several active liquids
CN104881231A (en) Touch Gesture For Connection Of Streams In A Flowsheet Simulator
WO20202066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mote-controlled movable platfor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