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217A -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 - Google Patents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217A
KR20230055217A KR1020210138662A KR20210138662A KR20230055217A KR 20230055217 A KR20230055217 A KR 20230055217A KR 1020210138662 A KR1020210138662 A KR 1020210138662A KR 20210138662 A KR20210138662 A KR 20210138662A KR 20230055217 A KR20230055217 A KR 2023005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distribution history
nft
nth
blockch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병완
류한석
Original Assignee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217A/en
Publication of KR2023005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2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distribution history using NFTs.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transmit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b) generating a transaction includ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disseminating the transaction to a blockchain network, and requesting issuance of an N^th (#n) NFT; (c) generating a transaction issuing the N^th (#n) NFT includ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the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as unique information, and disseminating the transaction to the blockchain network; and (d) generating a block including the transaction information and recording the block on the blockchain network. Therefore, the time and cost of document work used to check the distribution history can be reduced.

Description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NFT token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

본 발명은 NFT토큰(대체불가토큰, Non-Fungible Token)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 대상물 별로 NFT토큰을 생성하여 각 유통 대상물의 유통 이력 정보를 기록하여 유통 대상물의 유통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NFT tokens (Non-Fungible Tokens), and more particularly, to generate NFT tokens for each distribution subject through a blockchain network to track the distribution history of each distribution subject.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stribution history of distribution objects by recording information.

근래에는 생산물 및 원자재의 유통 이력 및 추적 관리를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들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국가 시험사업으로 블록체인을 적용한 농산물 유통, 축산물 유통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한 바가 있으며, 유통이력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blockchain technologie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distribution history and tracking management of products and raw materials. In addition, as a national test project, blockchain has been applied to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livestock products to which blockchain has been applied, and it is being appropriately used as a system to track and manage distribution history.

그러나, 단순히 유통 이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하고 관리하여 데이터의 위 변조 방지 및 무결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으로는 유통 이력을 철저하게 추적 및 관리하여 오남용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유통 대상물의 이력을 관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이에 새로운 방식의 유통 이력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However, a system that simply records and manages the distribution history on the blockchain network to prevent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ata and guarantees integrity, manages the history of distribution objects that need to be prevented from misuse by thoroughly tracking and managing the distribution history. It is a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do, and a new way of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is needed.

일 예로, 대마(HEMP)와 같이 재배 -> 가공 -> 제품생산 각 단계 별로 규제/감독기관에 의해 허가 받은 자만이 재배, 가공, 생산 관리가 가능한 유통 대상물의 경우, 각 단계 별로 1) 유통 대상물의 변화 및 2) 유통이력을 철저하게 추적을 하여야 하며, 각 유통 대상물에 관한 이력에 접근하거나 기록할 권한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distribution objects such as hemp (HEMP), cultivation -> processing -> product production, cultivation, processing, and production management can only be performed by a person authorized by the regulatory/supervisory body at each stage, 1) distribution objects for each stage Changes in and 2) distribution history must be thoroughly tracked, and there is a need to separately manage the authority to access or record the history of each distribution object.

즉, 유통 대상물이 변형되거나 가공된 시점 별로 권한이 부여된 자에 의한 유통 이력 관리가 필요한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생산물 및 원자재 추적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apply a product and raw material tracking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when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by an authorized person is required for each time point in which a distribution object is transformed or processed.

즉, 대마(HEMP)와 같이 규제 감독기관의 관리가 필요한 유통 대상물의 오남용 방지를 위하여 Seed-to-Product 유통 단계를 아우르는 빈틈없는 추적이 가능한 NFT토큰의 발행 및 관리를 규제 감독기관 고유의 권한으로 설정하고 각 유통단계별로 유통이력을 관리하는 자에게 인/허가를 부여하고, 위반 사항 발생시 실시간으로 유통이력을 관리할 권한 취소가 가능하도록 NFT토큰을 이용한 관리 대상물 추적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vent the misuse and abuse of distribution objects that require the management of regulatory supervisory bodies, such as hemp (HEMP), the issuance and management of NFT tokens that can be traced seamlessly across the Seed-to-Product distribution stage are the authority of the regulatory supervisory authorit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tracking management objects using NFT tokens so that authorization/permission can be granted to the person who manages the distribution history for each distribution stage, and the right to manage the distribution history can be revoked in real time when a violation occurs.

KRKR 10-1871468 10-1871468 BB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 대상물 별로 대체불가능한 토큰을 생성하여 각 유통 대상물의 유통 이력 정보를 기록하여 특정 유통 대상물의 생산, 가공, 제품 유통 전 단계를 추적하는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non-fungible token for each distribution object through a blockchain network and records the distribution history information of each distribution object to produce, process, and produce a specific distribution objec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istory management system that tracks all stages of distribu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방법은,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이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 이력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유통 이력 데이터를 대상물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토큰발행관리 단말에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에 대응하는 NFT 토큰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된 상기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포함하는 제N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단계 및 (d)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설정된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NFT tok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t least one distribution history record permission terminal transmit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a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to a server, (b) ) The server stores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in the object history management database, generates a transaction includ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in which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is stored, propagate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and transmits it to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Requesting the issuance of an NFT toke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c)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contain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propaga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as unique information (# n) generating a transaction for issuing an NFT token and propagating it to a blockchain network; and (d) at least one or more participating nodes generating a block containing the at least one or more transaction information using a consensus algorithm preset in the blockchain network. It includes the step of creating and recording on the blockchain network.

이때, 본 발명의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방법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 전 형태의 제N차(#n) NFT 토큰에 저장된 모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더 포함하여 변경된 형태의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에 관한 제N+1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N차(#n) 및 제N+1차(#n) NFT 토큰은 토큰 일련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큰 일련번호는 암호화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되며, 상기 암호화된 토큰 일련번호는 QR 코드 또는 RFID를 활용한 태그 정보로 변환되어 사용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NFT tok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c), when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is changed, all distributions stored in the Nth (#n) NFT token of the form before the change A transaction for issuing an N+1st (#n) NFT token for a changed form of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may be generated by further including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Nth (#n) and N+1st (#n) NFT tokens further include token serial number information, the token serial number is encrypted and recorded in a blockchain network, and the encrypted token The serial number may be converted into ta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or RFID and used.

또한 본 발명의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방법은,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이 발행이 완료된 상기 제N차(#n) NFT 토큰에 기록된 기존 유통 이력 데이터를 갱신하는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In addition, in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NFT tok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a),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updates the exis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recorded in the Nth (#n) NFT token issued. In the case of sending distribution history update data that

상기 (b)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발행이 완료된 제N차(#n) NFT 토큰에 저장된 모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 또는 갱신된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더 포함하는 제N차(#n+1) NFT 토큰을 생성하고 제N차(#n) NFT 토큰을 소각할 것을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로 요청하고,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은 제N차(#n+1) NFT 토큰 생성을 요청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N차(#n+1) NFT 토큰이 발행된 이후에, 기존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된 제N차(#n) NFT 토큰을 소각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ep (b), the server includes all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issued Nth (#n) NFT token, but the distribution history update data or updated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A request is made to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to generate an Nth (#n+1) NFT token further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and incinerate the Nth (#n) NFT token, and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A transaction requesting generation of a second (#n+1) NFT token is created, and after the Nth (#n+1) NFT token is issued, the Nth (#n) NFT in which the exis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is stored A step of generating a transaction for burning the token and propagating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N차(#n) NFT 토큰의 생성과 관련된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 및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전부로부터 상기 제N차(#n) NFT 토큰에 대한 소유권 이전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NFT 토큰의 소유권 이전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NFT toke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he Nth (#n) NFT token and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 permission When an ownership transfer execution command for the Nth (#n) NFT token is received from all terminals, the ownership transfer command for the NFT token may be executed.

또한, 본 발명의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방법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설정된 합의 알고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의 과반수가 블록생성 합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ensus algorithm preset in the blockchain network can generate the block when a majority of the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reaches a block generation agreement. .

또한, 본 발명의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은,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별로, 특정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이력 데이터만을 기록할 수 있도록 기록권한 및 기록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이 상기 기록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유통이력 데이터에 대한 기록을 누락한 경우, 기 설정된 취소조건에 따라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에 부여된 기록권한을 취소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NFT toke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for each distribution history record permission terminal, records authority and recording so that only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a specific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can be recorded. Conditions are set, and if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recording condition or omits the record of distribution history data, the recording authority granted to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t cancellation condition. You can execute the cancel command.

본 발명의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시스템은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서버, 토큰발행관리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형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상기 서버,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형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된다.The distribution history system using the NFT tok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chain network formed by a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a server, a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and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and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the server, the above It is composed of a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and a blockchain network formed by the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토큰을 이용하여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 별로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면,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 별로 유통이력 확인을 위해 이용되는 서류 작업이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When using a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in a blockchain network using NFT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required for paperwork used to check the distribution history for each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and cost savings.

또한, 검증된 참여자 노드 간의 합의를 통해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 공유하게 되므로 데이터 변조 및 조작 측면에서 서류 교환 방식보다 안전하고 투명하게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에 대한 유통이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tribution history information is distributed and shared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verified participant nodes, the distribution history information for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can be managed more safely and transparently than the document exchange method in terms of data tampering and manipul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또한, 접근권한이 있는 단말에만 NFT토큰에 기록된 정보가 공유되고, 참여자별로 권한이 다르게 부여되므로,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NFT token is shared only by terminals with access rights, and different rights are granted to each participa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ata privacy problems can be supplemented.

구체적으로, 대마(HEMP)와 같은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의 경우,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 기준이 존재하기 때문에, 빈틈없는 제품의 품질 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재배, 수확 및 유통과정에 대한 철저한 추적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Specifically, in the case of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s such as hemp (HEMP), safety management and quality control standards exist to prevent misuse and abuse, so it is difficult to thoroughly manage product quality, as well as to control the cultivation, harvesting, and distribution process. The reality is that thorough tracking is difficult.

이에 본 발명은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의 재배, 가공, 제조, 보관, 이송 등의 전 과정에서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 이력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며, 유통이력을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관리할 뿐 아니라, 기록된 정보를 접근권한이 있는 단말에게만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records and manages the history of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in real time in the entire process of cultivation, processing, manufacturing, storage, and transfer of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and manages the right to record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only to terminals with access rights.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특정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이력정보가 고유정보로 기록된 NFT토큰을 발행하여 권한이 있는 감독기관이 이를 소유하고 관리함으로써, 대마(HEMP)와 같이 대상물의 변화, 분할, 합병 등으로 변화하는 이력들을 각 변화 대상물 별로 철저히 관리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sues NFT tokens in which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is recorded as unique information, and an authorized supervisory authority owns and manages it, thereby changing, dividing, Changed histories due to mergers, etc., can be thoroughly managed for each subject of 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유통 관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유통 관리 시스템과 식약처가 운영하는 마약류 통합 관리시스템(NIMS)의 연동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대마(HEMP) 관리 대상물 이력 관리 조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유통 관리 종합 시스템의 레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레이어의 각 구성 레벨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규제/감독 기관 및 HEMP 유통과 관련된 행위자에 부여된 권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토큰에 매칭되는 QR코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토큰에 저장될 유통 이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hemp (HEMP) distribution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working between a HEMP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arcotic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NIM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igure 3 is a block chain-based hemp (HEMP) management object history management perspec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layers of a comprehensive system for managing hemp (HEMP) distrib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verview diagram of each configuration level of a blockchai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network connection of a distribution history system using NFT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authority granted to a cannabis (HEMP) regulatory/supervisory agency and an actor related to HEMP distrib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QR code image matched to an NFT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5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distribution history information to be stored in an NFT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unless actually necessar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are on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in other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lso, while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as separate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that certain components are included simply indicates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exist as an open express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또한 '제1, 제2, 제n'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별도의 예외적 설명이 없는 한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In additio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nth' are expressions used only for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other characteristics between components unless otherwise exceptionally described.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유통 이력 관리 활용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using hemp (HEMP)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언급하는 용어인 대마(Hemp) 관리 대상물에 대해 설명하면, 대마(HEMP) 관리 대상물이란, 씨앗, 배아, 전초, 꽃, 부산물, 오일, 폐기물, 화장품 완제품 등 유통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는 대마(Hemp) 관리 대상물을 지칭한다. First, when describing the hemp management object, which is a term mention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mp (HEMP) management object is a distribution of seeds, embryos, outposts, flowers, by-products, oil, waste, finished cosmetics, etc. It refers to the hemp management object that changes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유통 관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hemp (HEMP) distribution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미국의 경우, 대마(HEMP)는 산업 특성상 다른 농수산물과는 차별되는 전용 관리 툴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특히, 다른 농수산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스펜서리(소매점), 테스트랩(성분검사시설), 흡연 라운지(카페) 등 대마(HEMP) 생태계 내 다양한 플레이어들에게 라이선스를 발부하여 유통 이력을 추적하고 관리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소매운송 및 소매의 경우 해당사항이 없으나, 의료 대마 유통과 관련하여 재배 -> 제조/가공 -> 중간단계 운송 -> 성분테스트 -> 폐기처리 각 단계에 대한 대마(HEMP) 관리 대상물 유통 관리 툴이 필요한 실정이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hemp (HEMP) has a very developed dedicated management tool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ue to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licenses are issued to various players in the hemp (HEMP) ecosystem, such as Spencerry (retail stores), test labs (component testing facilities), and smoking lounges (cafes), which are not found in othe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o track and manage distribution history. there i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 retail transportation and retail are not applicable, but in relation to medical cannabis distribution, cultivation -> manufacturing / processing -> intermediate stage transportation -> ingredient testing -> hemp (HEMP) for each stage of disposal There is a need for a management object distribution management too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유통 관리 시스템과 식약처가 운영하는 마약류 통합 관리시스템(NIMS)의 연동 개요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working between a HEMP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a narcotic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NIM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대마(HEMP) 관리 대상물 이력 관리 조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chain-based hemp (HEMP) management object history management perspec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은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의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전체 취급사항(수출입, 제조, 판매 등)을 보고, 저장 및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의 전주기 이력 관리 시스템은 추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과 상호 연동(inter-operation)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integrated narcotics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for reporting, storing, and monitoring the entire handling of narcotics or psychotropic drugs (export/import, manufacture, sale, etc.) The entire cycle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hemp (HE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operated with the integrated drug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과 상호 연동 시, 대마(HEMP) 유통 이력 기록 권한이 있는 단말과 연결된 내부 관리용 서버(1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된 대마(HEMP)에 관한 이력 정보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대마(Hemp) 관리 대상물에 대한 이력 기록 권한이 있는 단말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아 직접 접속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된 대마(Hemp) 관리 대상물에 관한 이력 정보에 대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이력정보를 업로드하거나 보고할 수도 있다.When interworking with the integrated narcotics management system, the history information on HEMP recorded on the blockchain network is managed through the internal management server 10 connected to the terminal authorized to record the distribution history of HEMP. It can be reported to the system, but if necessary, the terminal with the right to record the history of the Hemp management object receives the authority from the Narcotic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directly accesses the Hemp management object recorded on the blockchain network. It is also possible to upload or report the history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narcotics management system for the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drug.

도 3을 참조하면, 규제 당국, 농장, 연구소, 제조업자, 운반자, 폐기업자 등 민과 관을 아우르는 생태계 내 모든 참여자들이 취하는 모든 행위와 그 행위의 발생 시점, 대마(HEMP) 씨앗, 전초, 꽃/잎사귀 및 그 가공품, 부산물과 폐기물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는 대상물의 변화 내용과 변화 시점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 대마(Hemp) 관리 대상물에 대한 전주기 이력정보에 대해 정부(경북도청, 안동시청 등)기관 및 식약처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Referring to Figure 3, all actions taken by all participants in the ecosystem, including private and public sectors, such as regulators, farms, research institutes, manufacturers, transporters, and disposal companies, and the timing of the actions, hemp (HEMP) seeds, outposts, and flowers / Record the history of changes and timing of objects that change in various forms, such as leaves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by-products and wastes, on the blockchain network, and the history of the entire cycle of the hemp management object recorded on the blockchain network It aim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monitor and control information in real time by government agencies (Gyeongbuk Provincial Office, Andong City Hall, etc.)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유통 관리 종합 시스템의 레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layers of the hemp (HEMP) distribution management comprehensiv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전주기 이력관리 시스템은 3가지 주요 레이어(앱 레이어/블록체인 레이어/제도, 규제 및 프로세스 레이어)로 구성된다. 이하, 각 3가지 주요레이어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4, the hemp (HEMP) lifecycl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ree main layers (app layer / block chain layer / system, regulation and process layer). Hereinafter, each of the three main layers will be described.

1) 앱 레이어(Application Layer)는 대마(HEMP) 유통과 관련하여 참여하는 주체별로 필요한 기능이 구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액세스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 이력정보들을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에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 인허가 관리 및 유통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규제당국용 모니터링 앱 애플리케이션, ii) 재배현황, 재고관리 및 담당인원 출입관리가 가능한 농장관리용 애플리케이션, iii) 대마(HEMP)의 가공 후 성분함량 측정 관리가 가능한 인증업체용 인증관리 애플리케이션, iv) CBD 오일 추출 내역 관리 및 중간 대상물 소분 관리가 가능한 제조 및 가공업자용 애플리케이션 및 v) 입고관리, 재고관리, 출고관리 및 판매 신고가 가능한 유통/수출업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1) The application layer is composed of blockchain network access mobile and web applications equipped with necessary functions for each participating entity in relation to HEMP distribution. That is, relat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orded in the blockchain network. For example, i) monitoring app application for regulatory authorities that can monitor licens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tatus in real time, ii) application for farm management that enables cultivation status, inventory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of personnel in charge, iii) hemp (HEMP) Certification management application for certified companies that can measure and manage ingredient content after processing, iv) application for manufacturing and processors that can manage CBD oil extraction details and subdivision management of intermediate objects, and v) warehousing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release management, and sales reporting Applications for possible distributors/exporters may be provided.

2) 블록체인 레이어는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비가역성을 담보하는 Semi-Private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며, 행위 주체의 성격과 그 주체가 가진 권한, 그리고 그 권한으로 행할 수 있는 수확, 폐기 등 행위 내용의 명확한 정의 및 추적 가능성 담보하고, 씨앗, 배아, 전초, 꽃, 부산물, 오일, 폐기물, 화장품 완제품 등 유통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는 대마(Hemp) 관리 대상물의 변화 이력을 유연하면서도 일관적인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라이센스(허가)를 얻은 참여자만이 참여할 수 있는 닫힌 생태계를 관장하는 보안성 담보할 수 있다.2) The blockchain layer consists of a semi-private blockchain that ensures objectively verifiable irreversibility, and clearly defines the nature of the subject, the rights the subject has, and the content of actions such as harvesting and discarding that can be performed with that authority. and traceability, and manage the change history of hemp management objects that change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stage, such as seeds, embryos, outposts, flowers, by-products, oil, waste, and finished cosmetics, in a flexible and consistent manner. can In addition, it can ensure the security of a closed ecosystem in which only licensed participants can participate.

3) 제도/규제 및 프로세스 레이어는, 대마(HEMP) 유통 관련 산업 생태계 내의 각 참여자들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에 대한 인/허가 제도 및 세부 규제안에 대한 설계를 통해 HEMP 유통망 관리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3) The system/regulation and process layer clearly defines each participant in the industrial ecosystem related to hemp (HEMP) distribution and defines the HEMP distribution network management process through the design of the authorization/permission system and detailed regula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레이어의 각 구성 레벨에 대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레이어는 행위자 레벨(층위), 대상물 레벨(층위), 원장기록 레벨(층위)로 구성된다. 5 is an overview diagram of each configuration level of a blockchai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chai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actor level (layer), an object level (layer), and a ledger record level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레이어는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비가역성을 담보하는 세미 프라이빗 블록체인(Semi-Private Blockchain)으로 구성된다. 도 5에서 각각의 참여노드 즉, 블록생성자 1~N(Block Producer 1 ~ N)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블록생성자(Block Producer)는 단일회사가 아니라, 본 사업과 관련된 기관 내지는 회사로 구성일종의 컨소시움으로 구성되어 있어 허가 받은 자들로 구성된 노드이다. 즉, 단일회사(Private Corporation)가 아닌 허가 받은 다양한 기관 및 회사가 노드로 참여하고 있어 세미 프라이빗 블록체인(Semi-Private Blockchain)이라고 정의한다.The blockchai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mi-private blockchain that ensures objectively verifiable irreversibility. In FIG. 5, each participating node, that is, Block Producer 1 to N (Block Producer 1 to N) may generate a block. At this time, each Block Producer is not a single company, but a consortium composed of organizations or companies related to the project, so it is a node composed of authorized persons. In other words, it is defined as a semi-private blockchain because various authorized institutions and companies, rather than a single company, participate as nodes.

즉, 허가 받은 노드만이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허가형(Private)의 성격을 가지며, 단일 기관이 아닌 관계된 다양한 기관/회사들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노드로 참여할 수 있으므로 세미 프라이빗 블록체인(Semi Private)의 성격을 가진다. 이때, 블록생성자(Block Producer)가 5명인 경우, 3명(과반)이 합의(Consensus)에 의해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들에 대한 진본이 확인될 수 있으며, 이를 이른 바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has a permissioned nature in that only authorized nodes can participate, and since various related institutions/companies can participate as nodes that can create blocks, rather than a single institution, a semi-private blockchain ) has the character of At this time, if there are 5 block producers, the authenticity of the transactions included in the block can be confirmed by 3 (a majority) consensus, which is called DPOS (Delegated Proof of Stake). It can be referred to as a consensus algorithm.

즉, 참여가 허가된 블록생성자(Block Producer)들은 트랜잭션 내역이 담긴 블록을 생성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고, 해당 트랜잭션 내역이 담긴 블록에 대해 B 블록생성자(Block Producer) 과반수의 합의(Consensus)가 이루어지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트랜잭션 내역이 담긴 블록을 생성하게 된다.In other words, Block Producers who are allowed to participate create blocks with transaction details, are given the authority to verify them, and obtain a consensus of the majority of Block Producers B for the blocks containing the transaction details. When (Consensus) is made, a block containing the transaction details is created on the blockchain network.

전술한 바와 같이, 세미 프라이빗 블록체인(Semi-Private Blockchain)을 통하여 첫째로, 행위 주체의 성격과 그 주체가 가진 권한, 그리고 그 권한으로 행할 수 있는 수확, 폐기 등 행위 내용의 명확한 정의 및 추적 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둘째로, 대마의 씨앗, 배아, 전초, 꽃, 부산물, 오일, 폐기물, 화장품 완제품 등 유통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는 대마(HEMP) 관리 대상물의 변화 이력을 유연하면서도 일관적인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Semi-Private Blockchain, first, the nature of the subject, the authority that the subject has, and the clear definition and traceability of the contents of actions such as harvesting and disposal that can be performed with that authority Second, hemp seeds, embryos, outposts, flowers, by-products, oil, waste, finished cosmetics, etc. can be flexibly and consistently changed the history of hemp (HEMP) management objects that change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stage. can be managed in an appropriate way.

즉, 단일 노드 내지는 단일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완전한 허가형 블록체인이 아니라, 여러 이해관계 주체들이 블록생성 노드로 참여하여 운영된다는 점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유통이력에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보안성, 무결성 등이 담보될 뿐 아니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주요 업데이트 상황이 발생한 경우, 퍼블릭 블록체인과 비교하여 소수의 블록생성 노드 간 합의를 통해 유연하고 빠르게 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not a completely permissioned blockchain operated by a single node or entity, but reliability and security for data in the distribution history shared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in that it is operated with several stakeholders participating as block generation nodes. In addition to guaranteeing stability and integrit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flexibly and quickly to each situation through agreement between a small number of block generating nodes compared to public blockchains in the event of a major update of the blockchain network.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network connection of a distribution history system using NFT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마(HEMP) 규제/감독 기관 및 HEMP 유통과 관련된 행위자에 부여된 권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authority granted to a cannabis (HEMP) regulatory/supervisory agency and an actor related to HEMP distrib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토큰에 매칭되는 QR코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9 to 11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QR code image matched to an NFT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토큰에 저장될 유통 이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2 to 15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distribution history information to be stored in an NFT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 및 토큰발행 관리 단말(30)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호 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2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 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5G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server 10,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and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m. Here, the network may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Internet such as wireless fidelity (Wi-Fi), mobile Internet such as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or world interoperability for m2microwave access (WiMAX),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or CDMA. 2G mobile network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G mobile networks such a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or CDMA2000, and 3.5G mobile networks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etworks such as 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or an LTE-Advanced network, and a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 및 토큰발행 관리 단말(30)은 서버(10)와 연결되는 통신 기능과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단말은, IoT기기,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and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connected to the server 10 and a display function capable of outputting images or text. For example, each terminal is an IoT devic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and a smart phone. ), smart watch, smart glass, eBook reade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ortable game device, navigation device, 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ayer, digital audio recorder, digital audio player, digital picture recorder, digital picture player, digital video recorder, digital video player video play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시스템은,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 서버(10), 토큰발행관리 단말(3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형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history system using NFT tokens is a blockchain network formed by a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a server 10, a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and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includes

보다 상세하게는,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또는 서버(10)로 전송하는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토큰발행관리 단말(30)에 제N차(#n) NFT 토큰 발행을 요청하는 서버(10),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된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포함하는 제N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토큰 발행발행관리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기 설정된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 permission terminal 20 for transmitt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to the blockchain network and / or the server 10,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the metadata address where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is stored. The server 10 that generates and propagates a transaction including information to the blockchain network and requests the issuance of the Nth (#n) NFT token to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distribution history data propaga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or A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and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that generates a transaction issuing the Nth (#n) NFT token containing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as unique information and propagate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uses a preset consensus algorithm and a block chain network that generates a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transaction information.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은,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 이력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이때,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또는 서버(10)로 전송할 권한을 가진다.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transmits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a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to the server 10 . At this time, it has the authority to transmit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to the blockchain network and / or the server 10.

도 9 및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이 기록하는 유통 이력 데이터는 재배조건, 재배이력 정보, 추출가공정보(원재료 변환이력정보, 폐기 정보 등), 판매/수출정보(구매자 신원인증, 환불, 반품정보 등), 품질인증정보(CBD 및 THC 성분함량 정보, 농약사용정보 등), 가공제품정보(화장품, 음료, 꽃, 궐련, 원액 등), 이송정보(출고이력 정보, 인수양도 인증정보, 수령확인정보 등), 준법정보(인허가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9 and 12 to 15,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recorded by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includes cultivation conditions, cultivation history information, extrac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raw material conversion history information, disposal information, etc.), sales/ Export information (purchaser identification, refund, return information, etc.), quality certification information (CBD and THC ingredient content information, pesticide use information, etc.), processed product information (cosmetics, beverages, flowers, cigarettes, undiluted solutions, etc.), transfer information ( It may include release history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ransfer certification information, receipt confirmation information, etc.), compliance information (licensing and permission information, etc.), etc.

이때,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은 특정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이력 데이터만을 기록할 수 있도록 기록권한 및 기록조건이 설정되어 있으며, 설정된 기록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유통이력 데이터에 대한 기록을 누락한 경우, 설정된 취소조건에 따라 기록권한이 취소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has a recording authority and a recording condition set so that only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a specific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can be recorded. In case of omission of records, the record authority may be revoked according to the set cancellation conditions.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대마 유통 이력 관리가 필요한 다수의 행위자 중 대마(HEMP) 재배 농장을 예시로 설명한다.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대마 재배 농장 단말)은 대마 재배와 관련된 유통이력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때, 토큰발행관리 단말(30)(규제당국 내지는 정부기관 단말)에서 요구한 일정 기록 조건(기록시간: 매일 오전 10시, 기록 항목: 출입자 명단, 출입 횟수, 심은 씨앗의 갯수에 대한 기록 항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은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의 기록권한을 취소할 수 있다. 한편, 기록권한이 취소된 단말은 실제 규제 감독기관에 의해 대마 재배와 관련된 인허가가 취소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 a hemp (HEMP) cultivation farm among a plurality of actors requiring hemp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hemp cultivation farm terminal) may record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hemp cultivation. At this time, the schedule record conditions requested by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regulatory authority or government agency terminal) (recording time: 10:00 am every day, record items: list of visitors, number of visits, record items for the number of seeds planted) If not satisfied,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may cancel the recording authority of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for which the recording right has been revoked may be recognized as having the license related to cannabis cultivation revoked by the actual regulatory supervisory authority.

서버(10)는 블록체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서버(10)를 의미하며, 서버(10)는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이 전송한 유통 이력 데이터 및 유통 이력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주소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한편, 서버(10)는 유통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도면 미도시)에 저장하거나, IPFS 시스템(분산형 파일 시스템, 도면 미도시) 상에도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는 토큰발행허가 단말(정부 기관 내지는 규제감독기관과 연동된 단말)로부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의 기록권한 등을 허가하거나 취소하는 명령을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erver 10 means a server 10 having a blockchain interface, and the server 10 transfers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transmitted by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and the metadata address of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to a blockchain network. send to Meanwhile, the server 10 may store distribution history data in a history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or may also be stored on an IPFS system (distributed file system, not shown). The server 10 transmits a command for permitting or canceling the recording authority of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from the token issuance permission terminal (a terminal linked to a government agency or a regulatory supervisory authority) to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can be conveyed

이때, 서버(10)는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토큰발행관리 단말(30)에 유통 이력 관리 대상물의 유통이력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N차(#n) NFT 토큰 발행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 전 형태의 제N차(#n) NFT 토큰에 저장된 모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더 포함하여 변경된 형태의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에 관한 제N+1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10 generates a transaction includ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in which distribution history data is stored, propagates the transaction to the blockchain network, and distributes it to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issuance of the Nth (#n) NFT token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form of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is changed, all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Nth (#n) NFT token of the form before the change is further included, and the provision regarding the changed form of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You can create a transaction that issues N+1 (#n) NFT tokens.

이하, 제N차 NFT 토큰 및 제N+1차 NFT 토큰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대마 관리 대상물은 유통 단계에서 씨앗, 전초, 배양조직, 클론, 줄기, CBD 등 셀 수 없이 다양한 형태로 파생되며 변화한다. 즉, 대마 관리 대상물은 그 형태가 다양하므로 각 대상물 별로 이력을 누적하여 변화 형태 및 변화 이력을 철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은 전초와 관련된 제1차 NFT 토큰, 수확물과 관련된 제2차 NFT 토큰, 폐기물과 관련된 제3차 NFT 토큰, CBD 추출물과 관련된 제4차 NFT 토큰, 중간 가공물과 관련된 제5차 NFT 토큰 ~ .... ~ 최종 제품과 관련된 제N차 NFT 토큰 등 동일한 전초에서 시작되었지만 각 대상물이 달라지면서 각 대상물 별로 순차적으로 별도의 제1차 내지 제N차 NFT 토큰이 발행되며, 해당 대상물에 대한 이력이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대상물이 변화하여 새롭게 발행된 NFT 토큰에는 그 전에 발행된 대상물 NFT 토큰에 대한 이력이 전부 포함되어, 마지막 대상물의 전체 변화 이력을 하나의 토큰으로 누적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Nth NFT token and the N+1st NFT token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hemp management objects are derived and changed in countless forms such as seeds, outposts, cultured tissues, clones, stems, and CBD in the distribution stage. That is, since hemp management objects have various forms,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the change form and change history by accumulating the history for each object. For example, the subject matter is the 1st NFT token related to the outpost, the 2nd NFT token related to harvest, the 3rd NFT token related to waste, the 4th NFT token related to CBD extract, and the 5th related to intermediate processing. NFT Token ~ .... ~ The Nth NFT token related to the final product, etc. It started from the same outpost, but as each object changes, separate 1st to Nth NFT tokens are issued sequentially for each object, and the object history can be recorded. On the other hand, the newly issued NFT token with a change in the object includes all of the history of the previously issued object NFT token, so that the entire change history of the last object can be cumulatively confirmed and managed as one token.

즉, 동일한 재배 대마로부터 제조/생산/가공된 대상물 별 NFT 토큰은 관리 대상물의 유통 과정 중 전초, 꽃?잎사귀 등의 수확물의 소분 용기, 오일 추출물로 그 형태가 변해 나감에 따라 병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병합 또는 분리시에는 병합또는 분리된 결과물 토큰에 그 이전 단계의 이력 일체를 유실됨 없이 모두 보존하여 후차로 생성된 NFT토큰은 이전 대상물에 관한 모든 이력을 관리 및 보존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NFT tokens for each object manufactured/produced/processed from the same cultivated hemp can be merged or separated as their form changes into subdivision containers and oil extracts of crops such as outposts, flowers, and leaves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management object. In the case of merging or separation, all of the history of the previous stage is preserved in the merged or separated result token without loss, so that the subsequently generated NFT token can manage and preserve all the history of the previous objec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이 발행이 완료된 제N차(#n) NFT 토큰에 기록된 기존 유통 이력 데이터를 갱신하는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서버(10)는 발행이 완료된 제N차(#n) NFT 토큰에 저장된 모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하되,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 또는 갱신된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더 포함하는 제N차(#n+1) NFT 토큰을 생성하고 제N차(#n) NFT 토큰을 소각할 것을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30)로 요청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transmits distribution history update data for updating the exis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recorded in the Nth (#n) NFT token issued, the server 10 ) includes all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issued Nth (#n) NFT token, but further includes distribution history update data or updated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as uniqu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to generate (#n+1) NFT tokens and incinerate the Nth (#n) NFT token.

이하, 제N차 NFT 토큰 및 제N+1차 NFT 토큰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CBD 추출물과 관련된 제4차(#1) NFT 토큰에 유효성분(CBD)의 함량이 0.002% 및 유해성분(THC)에 대한 함량이 0.4%로 기록되어 있었으나, 유해성분(THC)에 대한 함량이 0.3%로 정정된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기존 제4차(#1) NFT토큰에 기록된 모든 이력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력 갱신데이터가 포함된 제4차(#2) NFT 토큰이 생성되고, 이전에 생성된 제4차(#1) NFT 토큰은 소각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Nth NFT token and the N+1st NFT token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n the 4th (#1) NFT token related to CBD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 (CBD) content was recorded as 0.002% and the harmful ingredient (THC) content as 0.4%, but the harmful ingredient (THC) When the distribution history update data with the content corrected to 0.3% is transmitted, the 4th (#2) containing all the history update data including all the history data recorded in the existing 4th (#1) NFT token ) NFT tokens are created, and the previously generated 4th (#1) NFT tokens can be incinerated.

이를 통해, 동일한 대상물에 대한 갱신 이력을 단일 NFT 토큰으로 철저하게 관리함으로써, 동일 대상물에 대한 이력 변동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by thoroughly managing the renewal history for the same object with a single NFT toke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of history changes for the same object.

한편, 갱신데이터로 인해 수정되는 내용이 유통 이력 데이터 오기재 등으로 인한 갱신 요청인 경우, 해당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에 대하여 기록권한 취소의 근거가 되는 벌점이 부여될 수 있으나, 토큰발행허가 단말(정부기관, 규제 감독 기관) 또는 마약류 통합 관리시스템 등의 보고 요구사항 추가 요구에 따라 갱신하거나 추가할 이력 데이터 항목이 발생하여 갱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기록권한 취소의 근거가 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modified by the update data is an update request due to an incorrect entry in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penalty points that are the basis for canceling the recording right may be given to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but token issuance In case the updated data is enter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history data item to be updated or added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additional reporting requirements from the permission terminal (government agency, regulatory supervision agency) or the integrated narcotics management system, etc., it is not grounds for canceling the record authority.

이때,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은 제N차(#n+1) NFT 토큰 생성을 요청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N차(#n+1) NFT 토큰이 발행된 이후에, 기존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된 제N차(#n) NFT 토큰을 소각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generates a transaction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Nth (#n+1) NFT token, and after the Nth (#n+1) NFT token is issued, the existing distribution A transaction that burns the Nth (#n) NFT token in which the history data is stored can be created and propaga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11을 참조하면, 발행된 제N차(#n) 및 제N+1차(#n) NFT 토큰은 토큰 일련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고, 토큰 일련번호는 암호화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되며, 암호화된 토큰 일련번호는 QR 코드 또는 RFID를 활용한 태그 정보로 변환되어 사용 가능하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9 to 11, the issued Nth (#n) and N+1th (#n) NFT tokens further include token serial number information, and the token series The number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the blockchain network, and the encrypted token serial number can be converted into tag information using QR code or RFID and used.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된 상기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포함하는 제N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generates a transaction for issuing the Nth (#n) NFT token contain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propaga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as unique information and propagate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do.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은 유통단계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는 대상물 추적을 위한 NFT 토큰의 발행 및 관리를 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다.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may distribute and manage smart contracts on a blockchain network for the issuance and management of NFT tokens for tracking objects that vary in form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stage.

구체적으로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이 NFT 토큰 생성(minting), NFT 토큰 이력 업데이트, NFT 토큰 전송(transfer), NFT 토큰 소각(burn), NFT 토큰 오퍼(offer), NFT 토큰 오퍼 취소, NFT 토큰 병합(merge), NFT 토큰 분리(split)에 관한 스마트 컨트랙트 세트를 블록생성 노드 과반수의 합의에 따라 배포하고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를 이용하여 NFT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performs NFT token generation (minting), NFT token history update, NFT token transfer (transfer), NFT token incineration (burn), NFT token offer (offer), NFT token offer cancellation, NFT token A smart contract set for merging and splitting NFT tokens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a majority of block generating nodes, and NFT tokens can be issued and managed using the generated smart contract address.

즉,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이 배포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대상물의 유통이력과 관련된 NFT 토큰이 저장되는 NFT 토큰 데이터베이스 성격을 가지며,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은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에 유통이력과 관련된 NFT 토큰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mart contract distributed by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has the nature of an NFT token database in which NFT token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history of the object are stored, and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stores the distribution history and distribution history in the distributed smart contract address. You can store and manage related NFT tokens.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N차(#n) NFT 토큰의 생성과 관련된 토큰발행관리 단말(30)로부터 소유권 이전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NFT 토큰의 소유권 이전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an ownership transfer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he Nth (#n) NFT token based on the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the ownership transfer command of the NFT token may be executed. there is.

한편, 제N차(#n) NFT 토큰의 생성과 관련된 토큰발행관리 단말(30) 및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 전부로부터 제N차(#n) NFT 토큰에 대한 소유권 이전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NFT 토큰의 소유권 이전 명령이 실행될 수 있도록 MSIG(Multi Signature)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NFT 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은 해당 NFT토큰 기록에 관여한 모든 단말들의 전자서명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wnership transfer execution command for the Nth (#n) NFT token is received from all of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and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he Nth (#n) NFT token. If so, MSIG (Multi Signature) can be set so that the ownership transfer command of the NFT token can be executed. Through this, the transfer of ownership of the NFT token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electronic signatures of all terminals involved in recording the NFT toke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시스템이 NFT 토큰을 이용하여 유통이력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른 하는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상호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FT tokens by the distribution history system using NFT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of the method according to FIG. 7 may be performed on a block chain network interlocked with a computer network, and each step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7 as follows.

먼저,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이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 이력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한다(S100).First, (a) at least on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transmits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a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to the server 10 (S100).

이후, (b) 서버(10)가 유통 이력 데이터를 대상물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토큰발행관리 단말(30)에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에 대응하는 NFT 토큰 발행을 요청한다(S200). Thereafter, (b) the server 10 stores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in the object history management database, creates a transaction includ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in which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is stored, propagate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and tokens The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is requested to issue an NFT toke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S200).

이어서, (c)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된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포함하는 제N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S300).Subsequently, (c)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creates a transaction for issuing the Nth (#n) NFT token contain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propaga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as unique information to block It propagates to the chain network (S300).

이때, (c) 단계에서,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의 형태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변경 전 형태의 제N차(#n) NFT 토큰에 저장된 모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더 포함하여 변경된 형태의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에 관한 제N+1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step (c),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has changed, all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Nth (#n) NFT token of the form before the change is further includ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transaction for issuing the N+1th (#n) NFT token for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of the form.

이때, 발행되는 제N차(#n) 및 제N+1차(#n) NFT 토큰은 토큰 일련번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토큰 일련번호는 암호화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되며, 암호화된 토큰 일련번호는 QR 코드 또는 RFID를 활용한 태그 정보로 변환되어 사용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th (#n) and N+1st (#n) NFT tokens to be issued may further include token serial number information. Meanwhile, the token serial number is encrypted and recorded in the blockchain network, and the encrypted token serial number can be converted into ta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or RFID and used.

마지막으로 (d)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설정된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한다(S400).Finally (d)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generates a block including at least one transaction information using a consensus algorithm preset in the blockchain network and records it in the blockchain network (S40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a) 단계에서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이 발행이 완료된 상기 제N차(#n) NFT 토큰에 기록된 기존 유통 이력 데이터를 갱신하는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b) 단계에서 서버(10)는 발행이 완료된 제N차(#n) NFT 토큰에 저장된 모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하되,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 또는 갱신된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더 포함하는 제N차(#n+1) NFT 토큰을 생성하고 제N차(#n) NFT 토큰을 소각할 것을 토큰발행관리 단말(30)로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토큰발행관리 단말(30)은 제N차(#n+1) NFT 토큰 생성을 요청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제N차(#n+1) NFT 토큰이 발행된 이후에, 기존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된 제N차(#n) NFT 토큰을 소각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a),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updates the distribution history to update the exis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recorded in the Nth (#n) NFT token issued. Data can be transmitted, in this case, in step (b), the server 10 includes all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issued Nth (#n) NFT token, but distribution history update data or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Nth (#n+1) NFT token further including the updated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as unique information and to request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to incinerate the Nth (#n) NFT token. there is. Subsequently,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generates a transaction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Nth (#n+1) NFT token, and after the Nth (#n+1) NFT token is issued, the exis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A transaction for incinerating the stored Nth (#n) NFT token can be generated and propaga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각 단계의 실행을 통해 생성된 NFT 토큰에 대한 소유권은 권한이 있는 자의 소유권 이전 명령 실행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제N차(#n) NFT 토큰의 생성과 관련된 토큰발행관리 단말(30)로부터 소유권 이전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NFT 토큰의 소유권 이전 명령이 실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N차(#n) NFT 토큰의 생성과 관련된 토큰발행관리 단말(30) 및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20) 전부로부터 제N차(#n) NFT 토큰에 대한 소유권 이전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NFT 토큰의 소유권 이전 명령이 실행될 수 있도록 MSIG(Multi Signature)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NFT 토큰의 소유권 이전 실행은 해당 NFT토큰 기록에 관여한 모든 단말들의 전자서명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Ownership of the NFT tokens created through the execution of each step can be carried out by the authorized person's ownership transfer command execution command. At this time, when an ownership transfer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he Nth (#n) NFT token based on the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the ownership transfer command of the NFT token may be executed. , Preferably, an ownership transfer execution command for the Nth (#n) NFT token from all of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30 and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20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he Nth (#n) NFT token When this is received, MSIG (Multi Signature) can be set so that the ownership transfer command of the NFT token can be executed. Through this, the transfer of ownership of the NFT token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electronic signatures of all terminals involved in recording the NFT token.

한편, 상술한 각 단계의 주체인 구성 요소들이 해당 단계를 실시하기 위한 과정과 다양한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ocess and various embodiments for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ubject of each step described above to perform the step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etc.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A computer program in which software codes and the like are recorded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r a memory unit and driven by a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means known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n encoding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encoding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each block or block diagram of the block diagram. Each step in the flow chart create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way, such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char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load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generat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iece of code that contain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specified logical function.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ir fun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서버
20 :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30 : 토큰발행관리 단말
10: Server
20: distribution history record permission terminal
30: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Claims (8)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이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 이력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토큰발행관리 단말에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에 대응하는 NFT 토큰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된 상기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포함하는 제N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단계 및
(d)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설정된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방법.
(a) at least on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transmit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a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to a server;
(b) The server creates a transaction includ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in which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is stored, propagates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and issues NFT tokens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s to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making a request;
(c)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generates a transaction for issuing the Nth (#n) NFT token containing the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propaga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as unique information to the blockchain network. dissemination and
(d)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generates a block including the at least one transaction information using a consensus algorithm preset in the blockchain network and records it in the blockchain network,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의 형태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변경 전 형태의 제N차(#n) NFT 토큰에 저장된 모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더 포함하여 변경된 형태의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에 관한 제N+1차(#n) NFT 토큰을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c),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orm of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has been changed, all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Nth (#n) NFT token of the form before the change is further included in the changed form of the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a transaction issuing the N + 1st (#n) NFT token related to,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N차(#n) 및 제N+1차(#n) NFT 토큰은 토큰 일련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큰 일련번호는 암호화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되며, 상기 암호화된 토큰 일련번호는 QR 코드 또는 RFID를 활용한 태그 정보로 변환되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Nth (#n) and N+1th (#n) NFT tokens further include token serial number information, the token serial number is encrypted and recorded in a blockchain network, and the encrypted token serial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by being converted to tag information using a QR code or RFID,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이 발행이 완료된 상기 제N차(#n) NFT 토큰에 기록된 기존 유통 이력 데이터를 갱신하는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서버는 상기 발행이 완료된 제N차(#n) NFT 토큰에 저장된 모든 유통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유통 이력 갱신 데이터 또는 갱신된 메타데이터 주소정보를 고유정보로 더 포함하는 제N차(#n+1) NFT 토큰을 생성하고 제N차(#n) NFT 토큰을 소각할 것을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로 요청하고,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은 제N차(#n+1) NFT 토큰 생성을 요청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N차(#n+1) NFT 토큰이 발행된 이후에, 기존 유통 이력 데이터가 저장된 제N차(#n) NFT 토큰을 소각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a),
When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transmits distribution history update data for updating the exis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recorded in the Nth (#n) NFT token issued,
In step (b),
The server includes all distribution history data or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issued Nth (#n) NFT token, and further includes the distribution history update data or updated metadata address information as unique information. Requesting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to generate an Nth (#n+1) NFT token and incinerate the Nth (#n) NFT token,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creates a transaction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Nth (#n+1) NFT token,
After the Nth (#n+1) NFT token is issued, generating a transaction for incinerating the Nth (#n) NFT token in which the existing distribution history data is stored and propagating it to the blockchain network doing,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N차(#n) NFT 토큰의 생성과 관련된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 및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전부로부터 상기 제N차(#n) NFT 토큰에 대한 소유권 이전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NFT 토큰의 소유권 이전 명령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or the Nth (#n) NFT token from all of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he Nth (#n) NFT token based on the smart contract of the blockchai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wnership transfer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the ownership transfer command of the NFT token is executed.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설정된 합의 알고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의 과반수가 블록생성 합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ensus algorithm preset in the blockchai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majority of the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reaches a block generation agreement, the block is generated.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은,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별로, 특정 유통이력 관리 대상물과 관련된 유통이력 데이터만을 기록할 수 있도록 기록권한 및 기록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이 상기 기록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유통이력 데이터에 대한 기록을 누락한 경우, 기 설정된 취소조건에 따라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에 부여된 기록권한을 취소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For each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set recording authority and recording conditions so that only distribution history data related to a specific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object can be recorded,
If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recording condition or omits the record of distribution history data, executes a command to cancel the recording authority granted to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cancellation condition. characterized in that,
Distribution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NFT token.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시스템은,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서버;
토큰발행관리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형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유통이력 기록 허가 단말, 상기 서버, 상기 토큰발행관리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 노드가 형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시스템.

The distribution history system using NFT tokens,
distribution history record permission terminal;
server;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and
It includes a blockchain network formed by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The distribution history recording permission terminal, the server, the token issuanc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blockchain network formed by the at least one participating node is a distribution history system using NFT tokens configured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KR1020210138662A 2021-10-18 2021-10-18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 KR202300552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662A KR20230055217A (en) 2021-10-18 2021-10-18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662A KR20230055217A (en) 2021-10-18 2021-10-18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217A true KR20230055217A (en) 2023-04-25

Family

ID=8610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662A KR20230055217A (en) 2021-10-18 2021-10-18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21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468B1 (en) 2017-08-02 2018-06-26 조진한 Block-chain based total 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produ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468B1 (en) 2017-08-02 2018-06-26 조진한 Block-chain based total 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seng et al. Governance on the drug supply chain via gcoin blockchain
Du et al.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smart healthcare: constructing a hierarchical framework
Peled When transparency and collaboration collide: The USA open data program
Franks Implications of blockchain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for records management and information governance programs
Young et al. Lessons learned from ramping up a Canadian Take Home Naloxone programme during a public health emergency: a mixed-methods study
Honeyman et al. A digital nhs
Tenorio-Fornes et al. Decentralizing science: Towards an interoperable open peer review ecosystem using blockchain
Hong et al. An agri-product traceability system based on iot and blockchain technology
Kirkland Vaccine court: The law and politics of injury
Pane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s to postmarket surveillance of medical devices
EP3907689A1 (en) Rights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Benchoufi et al. From clinical trials to highly trustable clinical trials: blockchain in clinical trials, a game changer for improving transparency?
Agrawal et al. An extensive blockchain based applications survey: Tools, frameworks,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solutions
US201900803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decentralized platform for connecting members of an open-science community
Ciampi et al. Modernizing healthcare by using blockchain
Bergmark et al. Complex interventions and interorganisational relationships: examining core implementation components of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Miyasaka Porro et al. Coercive harmony in land acquisition: the gendered impact of corporate “responsibility” in the Brazilian Amazon
Sunyaev Health-care telematics in Germany: design and application of a security analysis method
Fournier et al. Enriching smart contracts with temporal aspects
Sapra et al. A blockchain solution for the privacy of patients’ medical data
KR20230055217A (en)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using non-fungible token
Cintyamena et al. Scaling up public health interventions: case study of the polio immunization program in Indonesia
Valencia Compensatory afforestation in Odisha, India: A political ecology of forest restoration
Fisher et al. Increased capture of pediatric surgical complications utilizing a novel case-log web application to enhance quality improvement
Tamilmani et al. Blockchain integrated with Industrial IOT towards Industry 4.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