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230A -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 Google Patents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230A
KR20230048230A KR1020210131267A KR20210131267A KR20230048230A KR 20230048230 A KR20230048230 A KR 20230048230A KR 1020210131267 A KR1020210131267 A KR 1020210131267A KR 20210131267 A KR20210131267 A KR 20210131267A KR 20230048230 A KR20230048230 A KR 20230048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letter
online
online lett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병국
Original Assignee
문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국 filed Critical 문병국
Priority to KR102021013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230A/en
Publication of KR2023004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2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06Q50/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for writing or reading an online letter by recogniz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s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nline letter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service provider server; and a databa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write a letter at any time.

Description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식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온라인 편지를 쓰거나 읽을 수 있으며, 다른 사람과 하나의 온라인 편지를 연결하여 공유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recogniz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using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n write or read an online letter, and can communicate with others. It relates to a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that connects and shares online letters of

편지는 종이 편지지에서 전자우편으로 발전하여 컴퓨터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서 읽고 쓰는 것으로 발전하였다. 이것은 종이라는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어 언제 어디에서도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면 전자적인 방법으로 편지를 주고 받을 수 있고 동영상, 사진 및 파일을 첨부하는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추가하는 혁신을 가져왔다.Letters have evolved from paper stationery to e-mail and have evolved into reading and writing on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smartphones. This transcended the physical limitations of paper and brought about innovations in adding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sending and receiving letters electronically whenever and wherever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and attaching videos, photos and files.

또한 근래 들어, 스마트폰이라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보편화되었고, 스마트폰에는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그 카메라로 바코드나 2차원코드, QR코드와 같은 시각적인 코드를 인식하면 특정한 정보들이 보여지거나, 특정한 사이트로 연결, 또는 특정한 앱(app)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personal portable terminals called smartphones have become common, and smartphones are basically equipped with cameras, so that when a visual code such as a barcode, 2D code, or QR code is recognized with the camera, specific information is displayed, or specific information is displayed. You can connect to a site or run a specific app.

이렇듯 전자우편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편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지만, 너무 많은 관계 속에서 수많은 편지를 주고 받다보니 특정한 편지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고 독립적으로 관리하는데에는 적절치 않았다.As such, the universalization of e-mail and smart phones has enabled us to send and receive letters anytime, anywhere, but as we exchange numerous letters in too many relationships, it is not appropriate to attach greater value to a particular letter and manage it independently.

또한 선물을 할 때에는 지금도 종이엽서나 편지지 또는 카드에 편지를 써서 함께 제공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인 편지는 종이매체라는 한계로 인하여 편지를 잃어버리거나 훼손하면 더 이상 볼 수 없고, 동영상이나 사진 및 파일을 첨부할 수 없으며, 휴대하지 않으면 수시로 원할 때 볼 수도 없다. 또한 작성자가 다수에게 제공할 경우 다수의 편지를 인쇄해야 하여 높은 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Also, when giving a gift, I still write a letter on a paper postcard, stationery, or card and offer it together.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paper media, these physical letters cannot be viewed any longer if the letters are lost or damaged, and videos, photos and files cannot be attached, and cannot be viewed whenever desired unless carried. In addition, if a writer provides it to many people, a large number of letters must be printed, resulting in high costs.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편지를 읽고 쓸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특히 편지의 인식 방법이 고유의 식별코드를 이용하므로, 선물에 고유 식별코드만 적용하면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으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편지를 읽고 쓸 수 있으며, 동영상과 사진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거나 연결할 수 있고, 종이 편지지와 같은 물리적 매체가 필요 없어 저렴하면서 잃어버리거나 훼손하여 사라질 위험도 없으며, 다수에게도 간단하게 편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하나의 편지를 다수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식별코드에 연결하여 공유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ading and writing letters online us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in particular, recognizing letters. Since the method us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f you apply only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a gift, you can read and write letters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with your smartphone anytime, anywhere, and can include or link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videos and photos. There is no need for physical media such as paper stationery, so it is inexpensive and there is no risk of loss or damage, and a letter can be easily provided to many people, and a single letter can be shared by multiple users by linking it to their identification code. It is to provide an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a method therefo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식별코드를 인식 및 식별하기 위한 앱(application)이 설치된 다수개의 사용자 단말기와; 이미 설정된 서비스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와;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전송하는 온라인 편지와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식별코드와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온라인 편지 및 관련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시 서비스사업자 서버에 접속하면 언제든지 앞서 저장된 온라인 편지와 관련정보를 열람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letter system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ha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stalled with applications for recognizing and identifying identification codes. and; a service provider server that operates an already set service site; It consists of a database that stores and manages online letters and 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ice provider server; When a user terminal accesses the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an identification code, the service provider serv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user terminal information, user online letter and related information, records them in a database, and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c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accessing the server of the service provider at all times, the previously stored online letter and related information can be read or modified at any time.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의 작성방법은, 고유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제품에 설치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 및 식별하는 것으로 이미 설정된 서비스 사이트로 자동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사이트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 온라인 편지, 편지지, 복수개의 링크주소(URL), 댓글을 포함한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포함하여 온라인 편지 입력 및 수정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식별코드에 대한 기 작성된 온라인 편지가 있는 경우에, 상기 온라인 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코드에 다른 식별코드를 연결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 및 식별하는 것으로 이미 설정된 서비스 사이트로 자동 접속할 때 상기 식별코드에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 여부에 따라서 상기 식별코드와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를 선택하면 해당 식별코드에 할당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가 맞다면 상기 연결된 식별코드의 온라인 편지를 수신하여 볼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for writing an online letter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installing it in a product; automatically accessing a previously set service site by recognizing and identify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 user terminal; inputting a password at the service sit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assword is correc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put information including user terminal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code, online letter, letter paper, a plurality of link addresses (URLs), and comments is received and recorded in a database to perform online letter input and correction operations, or , outputting the online letter through the user terminal if there is a pre-written online letter for the identification code; and connecting another identification code to the identification code; Selecting one of the other identification codes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nother identification code is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when automatically accessing a service site already set by recognizing and identify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 user terminal; inputting a password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when the other connected identification code is sel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receiving and viewing the online letter of the connected identification code if the password is correc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편지를 읽고 쓸 수 있어 언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편지지가 필요하지 않으며, 고유의 식별코드를 통해 자신만을 위한 온라인 편지에 접속하여 정확하고 편리하고,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안전하며, 동영상이나 사진 및 특정사이트로의 연결을 할 수 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함께 전할 수 있고, 식별코드를 선물이나 제품에 인쇄하거나 스티커로 붙여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다른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연결하여 하나의 온라인 편지와 관련한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ad and write the online letter using his portable terminal, so it can be used conveniently at any time, and there is no need for separate letter paper. , Accurate and convenient by accessing an online letter only for oneself throug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safe by setting a password, and being able to connect to a video or photo and a specific site, it is possible to convey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together, and to identify It can be used simply by printing the code on a gift or product or attaching it as a sticker, and by linking another user's identification code to the user's identification code, one online letter-related service can be shar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에서 임의의 사용자가 서비스공급자 서버에 접속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보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에서 임의의 소비자가 서비스공급자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편지를 작성하는 화면을 보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에서 임의의 소비자가 서비스공급자 서버에 접속하여 작성된 온라인 편지를 보는 화면을 보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에서 임의의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 후 온라인 편지 작성절차 및 읽기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에서 임의의 소비자가 서비스공급자 서버에 접속하여 다른 식별코드와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화면을 보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에서 임의의 소비자가 서비스공급자 서버에 접속할 때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가 있어서 원래의 식별코드와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 중에서 선택하는 화면을 보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에서 임의의 소비자가 서비스공급자 서버에 접속하여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를 선택하여 해당 식별코드에 작성된 온라인 편지를 보는 화면을 보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에서 임의의 소비자가 다른 식별코드와 연결하거나, 연결된 온라인 편지를 읽거나, 연결된 식별코드를 해제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an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screen for a random user to access a service provider server and input a password in an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creen where a consumer accesses a service provider server and composes an online letter in the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screen where a consumer connects to a service provider server and views an online letter written in the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flow chart illustrating an online letter writing procedure and a reading procedure after a consumer purchases a product in an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creen in which a consumer accesses a service provider server and connects or disconnects with another identification code in the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creen for selecting among other identification codes connected to the original identification code because there is another identification code connected when a random consumer accesses the service provider server in the online letter system using identification cod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FIG. 8 shows a screen in which a customer accesses a service provider server, selects another connected identification code, and views an online letter written in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in the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trol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 consumer to connect with another identification code, read a connected online letter, or release a linked identification code in an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mmon or dictionary meaning, but 'the inventor must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ca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many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은,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고유의 식별코드(200)를 인식 및 식별하는 앱(application)이 설치된 다수개의 사용자 단말기(100:100a,100n)와, As shown in FIG. 1, the online letter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has an application that recognizes and identifi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200. A plurality of installed user terminals (100: 100a, 100n),

다수개의 사용자 단말기(100:100a,100n) 중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100a)에서 고유의 식별코드(200)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코드(200)에 포한된 인터넷 주소(URL)로 인터넷(3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온라인 편지를 작성하거나 읽을 수 있는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와,A user terminal (100a)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100a, 100n) recogniz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200) and accesses the Internet (300) with an Internet address (URL)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200). A service provider server 400 connected through and capable of writing or reading online letters;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가 전송하는 정보와 온라인 편지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500)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 database 500 that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and online letters transmitted by each user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

여기서, 식별코드(200)는 QR코드, 바(Bar)코드, RFID코드,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Here, the identification code 200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among a QR code, a bar code, an RFID code, and an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ASCII) code,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로, 세로를 활용하여 숫자는 최대 7,089자, 문자는 최대 4,296자, 한자도 최대 1,817자 정도를 기록할 수 있는 2차원적으로 구성되는 QR 코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품의 인증코드, 제조 또는 판매사의 인터넷 주소(URL)나 사진 및 동영상 정보, 지도 정보, 명함 정보 등을 모두 담을 수 있다. It is desirable to use a two-dimensional QR code that can record up to 7,089 numbers, up to 4,296 characters, and up to 1,817 Chinese characters using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Alternatively, the Internet address (URL) of the seller, photo and video information, map information, business card information, etc. may all be included.

또한, 바코드는 특정 상품명이나 제조사 등의 정보를 기록하도록 가로 배열에 최대 20여자의 숫자 정보만 넣을 수 있는 1차원적으로 구성되는 코드이며, 또한, RFID 코드는 작은 칩을 동전 크기 정도의 작은 안테나와 연결해서, 리더기를 통해 많은 량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코드이다. In addition, a barcode is a one-dimensional code that can contain up to 20 numerical information in a horizontal arrangement to record information such as a specific product name or manufacturer. In addition, an RFID code is a small chip with a small antenna about the size of a coin. It is a code that can send and receive a large amount of data through a reader by connecting to .

또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기능이 가능하여 인터넷(300)을 통하여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 접속 가능하며, 식별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앱이 내장된 단말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알려진 스마트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 무선 랜카드를 구비한 하드웨어(Hardware),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OS), 및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각각 탑재된다. In addition, each user terminal 100 i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and is capable of accessing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through the Internet 300 and has a built-in app capable of identify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is a desktop device. It may be selectively used among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palmtop comput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bu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ing portability and mobility, a generally known smart phone is used. It would be preferable to use In addition, each user terminal 100 is equipped with hardware, an operating system (OS), and a web browser equipped with wired and wireless LAN cards that perform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특히,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탑재된 웹 브라우저는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서 양방향 통신하는 HTML 문서나 파일과 연동 및 출력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로서,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구글 크롬 중에서 하나가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식별코드(200)에 포함된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사이트 주소에 접속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탑재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해당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예를 들어, 메인 화면 등)의 표시를 요청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web browser installed in each user terminal 100 is application software that interlocks with and outputs HTML documents or files that communicate in both directions in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In general personal computers, Internet Explorer, Mozilla Firefox, and Opera , Safari, or Google Chrome can be installed. Therefore, when each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service site address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200,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installed web browser. A display of content (eg, a main screen, etc.)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service provider server 400 may be reques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서비스사업자 서버(400)를 사용하고 있으나, 등록된 전체 고객의 수와 시스템의 처리 용량에 따라 복수개의 서비스사업자 서버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is used, but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 servers may be conn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registered customers and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system.

이와 같은 서비스사업자 서버(400)는 크게 하드웨어와 운영체계 (소프트웨어)로 구분될 수 있지만, 기능적인 면에서 볼 때에는 크롬이나 익스플로러 같은 웹브라우저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정 컨텐츠에 따라 HTTP 응답을 해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Such a service provider server 40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hardware and operating system (software), but in terms of functionality, it accepts HTTP requests from web browsers such as Chrome or Explorer, and can be found on web pages such as HTML documents. It means a program that provides an HTTP response according to specific content that can be access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미리 저장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400)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apache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회사의 제품인 IIS 또는 Nginx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that displays a pre-stored web page on the user terminal 100 is preferably implemented with apache, which can be used free of charge, but may also be implemented with IIS or Nginx, which are products of other companies. there is.

apache는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에 특정 URL을 입력하고 실행하면 그 URL에 해당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예를 들어, apache)가 실행되고, apache는 사용자가 요청한 URL에 따라 미리 작성되어 웹 페이지 형식으로 저장된 HTML, image와 같은 컨테츠 파일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In apache, when a user enters a specific URL into the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executes it,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eg, apache) corresponding to the URL is executed, and apache executes the URL according to the URL requested by the user. Contents files such as HTML and images prepar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form of a web page ar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to be displayed.

이때,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와의 통신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웹페이지는 대부분 HTML 문서형태로 전달이 되며, HTML에는 각종 이미지들과 스타일시트, 스크립트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because most web pages are delivered in the form of HTML documents, and HTML This is because it includes various images, stylesheets, and scripts.

한편,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는 인터넷(300) 상에서 HTTP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해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와 별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middleware (software engine) that executes an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HTTP on the Interne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rvice provider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eparately from the server 400.

이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은 동적 서버 콘텐츠를 수행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500)와 연동으로 동작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요청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uch a web application performs dynamic server contents and can perform a specific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100 by mainl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500 .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은 대부분이 자바 기반으로 주로 Java EE 표준을 수용하고 있으나, 자바 기반이지만 Java EE 표준을 따르지 않는 제품과 .NET이나 Citrix 기반인 비Java 계열도 사용될 수 있다.Most of these web applications are Java-based and mainly accept Java EE standards, but Java-based products that do not follow Java EE standards and non-Java products based on .NET or Citrix can also be used.

한편, 데이터 베이스(500)는 다수의 제품정보, 정품제품 인증정보, 불법복제품 신고정보를 전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운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atabase 500 is software that converts and operates a large number of product information,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information, and pirated product reporting information into a database, thereby helping to conveniently work with web applica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데이터 베이스(500)는 오픈소스이고 무료면서 편의성이나 성능이 상당한 MySQL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ORACLE 또는 mssql이 사용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500 is open source, and it is preferable to use MySQL, which is free and has considerable convenience and performance, but ORACLE or mssql can be us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nline mail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조업자 또는 판매업자는 식별코드(200)를 생성하여 판매할 제품에 부착(설치) 또는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포함시킨다(S110).First, a manufacturer or seller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200 and includes it in a method of attaching (installing) or forming an identification code 200 to a product to be sold (S110).

여기서, 식별코드(200)에는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연결하는 인터넷주소와 고유의 인증코드(예를 들어, 고유 ID)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드의 형태에 따라 스티커 형상으로 제조하여 제품에 부착하거나, 제품의 제조시 제품에 직접 형성시키거나 인쇄하는 방식도 가능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200 includes an Internet addres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and a unique authentication code (eg, unique I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form or print on the product when manufacturing the product.

한편, 제조업자 또는 판매업자는 해당 제품에 포함시킨 식별코드(200)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서비스사업자 서버(400)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500)에 등록 및 저장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the manufacturer or seller may register and store the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200 included in the product in the database 500 through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이와 같이 식별코드 초기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임의의 소비자가 특정 제품을 구매한 후(S1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코드(200)를 스캐닝 및 인식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0a)를 이용하여 해당 식별코드(200)를 스캐닝 및 인식시킨다(S130).In this way, after an arbitrary consumer purchases a specific product in a state where the identification code initialization is completed (S120), as shown in FIG. 1, a user terminal 100a having an app capable of scanning and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200 installed ) to scan and recognize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200 (S130).

이때,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a)는 식별코드(200)에 내재된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의 인터넷주소를 이용해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 접속하고(S14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접속 초기화면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a)의 화면에 표시한다(S150).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a accesses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using the Internet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inherent in the identification code 200 (S140), and the control unit of the user terminal 100a The connection initial screen shown in FIG. 2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a (S150).

여기서, 접속초기화면에 마련한 광고창에는 배너광고(예를 들어, SMART LETTER)가 삽입되어 상기 배너광고를 클릭하면 미리 설정된 인터넷주소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banner advertisement (for example, SMART LETTER) is inserted into the advertisement window prepared on the initial connection screen, and when the banner advertisement is clicked, it is connected to a preset Internet address.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a)의 화면에 표시되는 접속초기화면에는 비밀번호입력창(101), 읽기버튼(102), 쓰기버튼(103), 편지연결버튼(110)이 각각 표시된다.In addition, a password input window 101, a read button 102, a write button 103, and a mail connection button 110 are respectively displayed on the connection initial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a.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a)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비밀번호입력창(101)에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읽기버튼(102) 또는 쓰기버튼(103) 또는 편지연결버튼(110)을 선택하여 누르고(S160),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서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170)At this time,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a enters the passwor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101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n selects and presses the read button 102 or the write button 103 or the mail connection button 110 (S160) , It is checked whether the entered password matches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S170).

이때 온라인 편지를 작성하기 전이나 읽기 전에 비밀번호의 설정 또는 입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편지의 쓰기나 읽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모르는 제3자의 조작이나 훔쳐보기를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writing or reading of the online letter is possible only when the password is set or entered normally before writing or reading the online letter, so manipulation or spying by a third party who does not know the password can be prevented.

비밀번호가 일치하고 쓰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온라인 편지 작성화면이 나온다(S210). 여기에는 사용방법이 명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온라인 편지를 작성하는데, 먼저 온라인 편지지를 변경하는 편지지 변경버튼(104)을 눌러 편지지 디자인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S220).If the passwords match and write is selected, an online letter writing screen appears (S210). Here, the usage method is specified, and the online letter is prepared accordingly. First, the letterhead design can be sequentially changed by pressing the letterhead change button 104 for changing the online letterhead (S220).

그리고 온라인 편지지 본문(105)에 편지 내용을 작성하고(S230), 마지막으로 동영상이나 사진, 특정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는 링크주소 입력창(106)에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고(S240), 저장버튼(107)을 눌러 작성한 편지를 저장한다(S250).Then, the contents of the letter are written in the online letterhead body 105 (S230), and finally, the Internet address is entered in the link address input window 106 for entering the Internet address for accessing videos, photos, or specific sites (S240). , Press the save button 107 to save the written letter (S250).

비밀번호가 일치하고 읽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라인 편지 읽기화면이 나온다(S310). 이때 기 작성된 편지가 없을 경우에는 ‘작성된 편지가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만일 기 작성된 편지가 있다면 해당 편지와 링크주소를 보여주고, 사용자는 링크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거나 동영상, 사진 등 멀티미디어 정보로 연결되어 이용할 수 있다(S320). 그리고 편지를 다 읽은 후에 닫기 버튼을 클릭하여 온라인 편지 브라우저를 종료할 수 있다.(S330)When the passwords match and reading is selected, as shown in FIG. 4, the online letter reading screen appears (S310). At this time, if there is no written letter, the message ‘There is no written letter.’ appears. If there is a pre-written letter, the letter and the link address are displayed, and the user can click the link address to go to the corresponding site or connect to multimedia information such as videos and photos (S320). After reading the letter, the online letter browser may be terminated by clicking the close button (S330).

비밀번호가 일치하고 편지연결을 선택한 경우에는, 온라인 편지연결 화면이 나온다(S540). 여기에는 사용방법이 명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다른 식별코드와 연결하는데, 먼저 연결할 식별코드를 스캔하기 위해 스캔버튼(111)을 눌러 사용자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앱을 실행시키고, 이를 통해 연결할 다른 식별코드를 스캔하면, 스캔된 식별코드의 주소가 연결주소입력창(112)에 자동으로 기록되고(S610), 저장버튼(114)을 눌러 편지연결을 저장한다(S620).If the passwords match and mail connection is selected, an online mail connection screen appears (S540). Here, the method of use is specified and connected with other identification codes accordingly. First, press the scan button 111 to scan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connected to run an app that can recognize the camera 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s smartphone, When another identification code to be connected is scanned through this, the address of the scanned identification code is automatically recorded in the connection address input window 112 (S610), and the mail connection is saved by pressing the save button 114 (S620).

상기와 같이 직접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온라인 편지를 연결는 방법 이외에도 연결할 식별코드 주소를 메시지나 이메일 또는 SNS메신저로 받아 상기 연결주소입력창(112)에 직접 붙여넣기 하거나 텍스트로 입력하고 저장하여 편지연결을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method of linking online mail by directly scanning the identification code as described above,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address to be linked via message, e-mail, or SNS messenger and directly pasting it into the connection address input window 112 or entering and saving as text to link mail can also be saved.

이렇게 편지가 연결된 이후에 식별코드를 통해 접속하면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가 있는지를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서 확인하고(S430),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식별코드(내 편지)와 연결된 식별코드(연결된 편지) 중에서 어디로 갈 것인지를 선택하는 편지선택 화면이 팝업된다(S440). 이 때, 연결된 편지로 접속버튼(122)을 클릭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식별코드에 저장된 온라인 편지와 해당 편지에 함께 저장된 사진이나 링크주소를 보여준다(S740).If access is made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after the letter is connected in this way,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checks whether there is another identification code connected (S430), and if there is another identification code connected, the original identification as shown in FIG. A letter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where to go from among the code (my letter) and the linked identification code (linked letter) is popped up (S440). At this time, when the access button 122 is clicked on the connected letter, the online letter stored in the link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picture or link address stored together with the letter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8 (S740).

연결된 편지를 해제하고자 하면, 초기접속화면에서 편지연결로 진입하여 도6에 도시된 편지연결 화면에서 편지연결해제버튼(113)을 누르고(S550), 저장버튼(114)을 눌러 편지연결을 해제하고(S560), 이렇게 편지연결이 해제되면 다음의 식별코드 스캔 또는 초기접속화면 접속부터는 편지선택화면이 팝업되지 않고 원래의 편지로 바로 접속할 수 있다.If you want to disconnect the connected letter, enter the letter connection on the initial access screen, press the letter disconnection button 113 on the mail connection screen shown in FIG. 6 (S550), press the save button 114 to release the letter connection, (S560), if the letter connection is released in this way, from the next scan of the identification code or access to the initial access screen, the original letter can be directly accessed without popping up the letter selection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Referr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온라인 편지를 작성해야 하는 사용자에게는 원격에서 온라인으로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또는 SNS를 통하여 온라인 편지를 작성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URL)를 보내주면 해당 사용자는 식별코드(200)가 없는 상태에서도 단말기(100a)로 접속하여 온라인 편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는 한 사람이 여러 사람에게 한 가지의 온라인 편지를 전달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If a user who needs to write an online letter is sent an Internet address (URL) that can access the service provider server 400 remotely online through e-mail, text message, or SNS, the user writes an identification code (200 ), it is possible to write an online letter by connecting to the terminal 100a. This is a method that can be applied when one person forwards one online letter to several peop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00a,100n : 사용자 단말기
200 : 식별코드 (QR 코드)
300 : 인터넷
400 : 서비스사업자 서버
500 : 데이터베이스
100, 100a, 100n: User terminal
200: identification code (QR code)
300: Internet
400: service provider server
500: database

Claims (6)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식별코드를 인식 및 식별하기 위한 앱(application)이 설치된 다수개의 사용자 단말기와;
이미 설정된 서비스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와;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전송하는 온라인 편지와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식별코드와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온라인 편지 및 관련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상시 서비스사업자 서버에 접속하면 언제든지 앞서 저장된 온라인 편지와 관련정보를 열람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stalled with applications for recognizing and identifying identification codes;
a service provider server that operates an already set service site;
It consists of a database that stores and manages online letters and 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ice provider server;
When accessing the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an identification code using a user terminal,
The service provider server,
Receive the identification code, user terminal information, user online letter and related information and record them in a database;
A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viously stored online letter and related information can be read or modified at any time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ccessing the server of the service provider at any time.
고유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제품에 설치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 및 식별하는 것으로 이미 설정된 서비스 사이트로 자동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사이트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비밀번호가 맞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편지 작성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식별코드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 온라인 편지, 편지지, 복수개의 링크주소(URL), 댓글을 포함한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포함하여 온라인 편지 입력 및 수정작업을 수행하거나,
편지 읽기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식별코드에 대한 기 작성된 온라인 편지가 있는 경우에, 상기 온라인 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거나,
편지 연결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식별코드에 다른 식별코드를 연결하거나,
상기 편지 연결을 선택했는데 기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식별코드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Generat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installing it in the product;
automatically accessing an already set service site by recognizing and identify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 user terminal;
inputting a password at the service sit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assword is correc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writing a letter is selected, input information including user terminal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code, online letter, letter paper, a plurality of link addresses (URLs), and comments is received and recorded in a database. to perform input and correction work; or
If letter reading is selected and there is an online letter prepared for the identification code, the online letter is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If you select letter linking, connect another identification code to the above identification code,
deleting the identification code when the mail connection is selected and there is another identification code previously linked; A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온라인 편지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지 않고 문자메시지나 이메일, SNS의 통신방법으로 온라인 편지를 작성하는 식별코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식별코드 데이터를 통하여 서비스 사이트로 접속하는 단계;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According to claim 2,
If you are writing an online letter,
Receiving identification code data for writing an online letter by text message, e-mail, or SNS communication method without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connecting to a service site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data; Online letter system using code and its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기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식별코드와 상기 식별코드에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다른 식별코드를 선택하면 해당 식별코드의 온라인 편지를 수신하여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According to claim 2,
If there is another identification code already connected,
selecting one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nother identification code link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ther connected identification code is selected, the online letter of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can be received and view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사이트에서 온라인 편지를 작성하는 단계에서 온라인 편지에 배너광고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According to claim 2,
A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wherein a banner advertisement is inserted into the online letter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online letter at the service site.
제 2 항에 있어서,
편지 읽기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식별코드에 대한 기 작성된 온라인 편지가 있는 경우에, 상기 온라인 편지에 댓글을 읽거나 쓰거나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편지 시스템 및 이의 방법.
According to claim 2,
A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when reading a letter is selected, if there is a pre-written online letter for the identification code, a comment can be read, written, or modified on the online letter.
KR1020210131267A 2021-10-02 2021-10-02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KR202300482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67A KR20230048230A (en) 2021-10-02 2021-10-02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67A KR20230048230A (en) 2021-10-02 2021-10-02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230A true KR20230048230A (en) 2023-04-11

Family

ID=8597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267A KR20230048230A (en) 2021-10-02 2021-10-02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82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2172B2 (en) Method, client device and server of accessing network information through graphic code
US9727657B2 (en) Multi-mode barcode resolution system
US8572695B2 (en) Method for applying a physical seal authorization to documents in electronic workflows
JP2002366941A (en) Palm office assistant
WO2010087257A1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6301919A (en) Communication server and code generation server
US9058325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4566884B2 (en) Campaig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erver, and campaign management method
CN107240023A (en) client identity confirm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230048230A (e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KR20040079625A (en) A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Contents Using Code Pattern
JP200505750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2544096A (en) Remote registration system for mobile subscribers
KR20040081890A (en) An Apparatus For Providing Web Shopping Using Code Pattern And Method Thereof
KR20170007873A (en) Certification qualifying and counterfeit report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KR20170135249A (en) Online lette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JP2002259249A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homepage
KR2010005064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cheduler service
EP2549425A2 (en) Multi-mode barcode resolution system
KR20180010092A (en) Online Purchasing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TWI783659B (en) Personal Data Management System
KR20090114520A (en) The system of operating a electronic form
KR1006108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pping connection destination with connection code issues in advance by accessory form and record medium recorded the method
JP4656084B2 (en) Campaig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erver, and campaign management method
KR20150020033A (en) Method for virtual image delivery service using printed m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