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168A - A prefabricated drone - Google Patents

A prefabricated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168A
KR20230045168A KR1020210127698A KR20210127698A KR20230045168A KR 20230045168 A KR20230045168 A KR 20230045168A KR 1020210127698 A KR1020210127698 A KR 1020210127698A KR 20210127698 A KR20210127698 A KR 20210127698A KR 20230045168 A KR20230045168 A KR 20230045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frame
coupling
unit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9534B1 (en
Inventor
채홍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에듀
Priority to KR102021012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534B1/en
Publication of KR2023004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1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5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rone that has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by children or beginner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rone that allows even children to easily assemble by simplifying the assembly of each component, is not damaged when the drones collide with each other since each componen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prevents people from getting hurt even when the drone collides with people, has a shape similar to a sphere when assembled and completed, making it easy to balance when flying, and has a main body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that can be protected even if there is a collision since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a frame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Description

조립식 드론 {A prefabricated drone}A prefabricated drone

본 발명은 조립식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 구비되어 어린이나 초보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드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drone th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rone and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by children or beginners.

'드론(Drone)'이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의미하며, 주로 표적용, 정찰용, 감시용 등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민간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즉, 화산 분화구 촬영처럼 사람이 직접 가서 촬영하기 어려운 장소를 촬영하거나 인터넷 쇼핑몰의 무인(無人)택배 서비스이다. 무인 택배 서비스의 경우 인공위성을 이용해 위치를 확인하는 GPS(위성항법장치) 기술을 활용해 서류, 책, 피자 등을 개인에게 배달하는 것이다. 또, 최근에는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드론을 원격 조정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헬리 캠이 방송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등 드론의 활용 분야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Drone' refers to an airplane or helicopter-shaped aircraft that flies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human being on board, and is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such as targeting,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but recently It is also used for various purposes. That is, it is an unmanned courier service for internet shopping malls or taking pictures of places that are difficult for a person to go and film, such as taking pictures of a volcanic crater. In the case of an unmanned delivery service, documents, books, pizza, etc. are delivered to individuals using GPS (Global Navigation System) technology that uses artificial satellites to determine location. In addition, recently, the field of application of drones is gradually expanding, such as a helicam that captures images while remotely controlling a drone by attaching a camera to the drone, which is widely used for broadcasting.

드론이 실생활에 밀접하게 도입됨에 따라 드론을 완구로 활용하여 교육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드론을 교육적인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사용자가 조립하기 쉽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즉 창의성을 키울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부품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드론이 개발되고 있다.As drones are closely introduced into real life, the use of drones as toys for educational purposes is increasing. In order to use drones for educational purposes, they should be developed to be easy for general users to assemble, that is, drones formed by combining a number of parts are being developed to enhance creativity.

이에 따라, 드론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실내에서 실습하게 되면 조종이 숙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드론이 벽에 부딪히거나 사람과 충돌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외에서 실습한다고 하더라도 드론이 지면으로 떨어져서 파손되거나 드론끼리 충돌하는 등 학습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demand of people who want to learn drones is increasing. However, in this case, when practicing indoors, since the control is not mastered, the drone bumps into a wall or collides with a person, causing a safety accid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ven if practiced outdoors,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learning efficiency was reduced, such as drones falling to the ground and being damaged or drones colliding with each other.

또한, 기존의 드론들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사출물로 형성된 부품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드론 본체의 무게가 무겁게 제작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조작할 때 사고의 위험도 있으며 초급자들이 다루기에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existing drones are made of a combination of parts formed of plastic or metal injection molding, and since the weight of the drone body is heavy,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when operating by ordinary peop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for beginners to handle.

따라서, 어린이들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사람과 충돌하더라도 다치지 않으며, 드론의 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구용 조립식 드론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development of prefabricated drones for toys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by children, is not injured even when colliding with a person, and can prevent damage to the main body of the dron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2407호 ("교육용 드론 키트 장치 및 시스템", 2020.12.11.)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92407 ("Educational drone kit device and system", 2020.1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구성의 조립을 단순화하여 어린이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드론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ron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by children by simplifying the assembly of each component.

또한, 각 구성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드론끼리 충돌해도 파손되지 않으며, 사람과 부딪혀도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립식 드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rone that is not damaged even when drones collide with each other because each componen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prevents people from being injured even when they collide with people.

아울러, 조립되어 완성된 드론은 구와 유사한 형태로 비행 시 균형을 잡기 쉬우며, 내부 공간에 본체가 위치하고, 프레임이 구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돌하더라도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본체는 보호할 수 있는 조립식 드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ssembled drone has a shape similar to a sphere, making it easy to balance when flying, and since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frame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the body located in the inner space can be protected even if it collide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한 쌍의 날개부; 상기 날개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날개가 회전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본체부; 및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태의 복수 개의 구조체가 서로 결합되어 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가 결합되는 가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드부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wings; a main body portion fitted with the wing portion and supplying power so that the wing rotates; and a guard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haped structure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pherical shape, and the main body part is coupled to the guard part, wherein the guard par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균형부, 상기 날개부가 결합되는 날개 결합부, 상기 날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론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단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메인보드 및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lance part installed to maintain balance while the drone flies, a wing coupling part to which the wing part is coupled,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wing part, and the battery, A main board on which one or more selected from a switch for controlling on/off of the drone, a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and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are installed, and a battery compartment for storing the batter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wealth.

또한, 상기 가드부는, 제1하부 프레임, 상기 제1하부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1측면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1상부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결합되어 링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가드부, 제2하부 프레임, 상기 제2하부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상부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결합되어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가드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가드부 및 상기 본체 가드부 및 상기 수직 가드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ard unit, a first lower frame, a pair of first side fram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lower frame, and a first upper fram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frame are formed integrally or mutually. A body guard unit coupled to form a ring shape, a second lower frame, a pair of second side fram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lower frame, and a second upper fram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side frame It is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ring shape, and includes at least one vertical guard part coupled to the main body guard part and at least one horizontal guard part coupled to the main body guard part and the vertical guard part. do.

또한, 상기 본체 가드부는, 상기 제1하부 프레임의 중앙에 상기 본체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guard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lower frame.

또한, 상기 본체 가드부는, 상기 제1상부 프레임, 상기 제1하부 프레임 및 상기 제1측면 프레임에는 소정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1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는 서로 동일 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 프레임 또는 상기 제1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의 개수는 상기 수직 가드부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상기 수직 가드부의 개수보다 많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1측면 프레임의 소정 높이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guard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formed in the form of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irst upper frame, the first lower frame, and the first side frame, and the first upper frame and the first low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frame are form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or the first lower fra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vertical guard par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air of the first side frame.

또한, 상기 수직 가드부는, 상기 제2상부 프레임, 상기 제2하부 프레임 및 상기 제2측면 프레임에는 소정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2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는 서로 동일 선상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의 소정 높이에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는 상기 제1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guard unit, the second upper frame, the second lower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formed in the form of grooves of a predetermined depth, the second upper frame and the second lower frame The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frame are form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s, and th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side frame is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sid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또한, 상기 제2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1상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2상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하부 프레임은 상기 제1하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하부 프레임은 상기 제2하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가드부와 상기 수직 가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upp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upper frame, the first upp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upper frame, and the second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lower frame. 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and the first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second low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guard unit and the vertical guard unit are coupled.

또한, 상기 수평 가드부는, 내벽에 복수 개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드부는 상기 제1측면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가드부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가드부와 상기 수평 가드부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 가드부는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가드부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가드부와 상기 수평 가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guard unit,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the horizontal guard un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ide frame, the first side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guard unit, the body guard The horizontal guard unit is coupled with the horizontal guard unit, the horizontal guard un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unit of the second side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unit of the horizontal guard unit, and the vertical guard unit and the horizontal guard unit are coupled.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부의 일단을 개방시키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is install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opens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loses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또한, 상기 본체 가드부, 상기 수직 가드부 및 상기 수평 가드부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엠보싱 형태의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constitut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body guard unit, the vertical guard unit and the horizontal guard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of the embossed form formed in a curved surface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각 구성의 조립을 단순화하여 어린이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드론끼리 충돌해도 파손되지 않으며, 사람과 부딪혀도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립되어 완성된 드론은 구와 유사한 형태로 비행 시 균형을 잡기 쉬우며, 내부 공간에 본체가 위치하고, 프레임이 구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돌하더라도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본체는 보호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mplifies the assembly of each component, so that even children can easily assemble it. In addition, since each componen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not damaged even when the drones collide with each othe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people from being injured even when they collide with a person. In addition, the assembled drone is easy to balance when flying in a shape similar to a sphere, and since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frame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the main body located in the inner space can be protected even if it collid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본체부 평면도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날개부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날개부가 결합된 본체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본체 가드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본체 가드부 조립 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수직 가드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수직 가드부 조립 예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수평 가드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수평 가드부 조립 예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결합부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lan view of the wing of the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to which the wings of a prefabricated drone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main body guard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ssembling a main body guard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vertical guard unit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ssembling a vertical guard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horizontal guard unit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ssembling a horizontal guard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art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10)은, 구와 유사한 형태로 복수 개의 가드부가 구와 유사한 형태로 끼움 결합되고, 가드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본체부(100)가 수용된다. 본체부(100)는 드론(10)이 비행하기 위한 상부 날개부(170)와 하부 날개부(180)가 결합되고, 배터리(141), 메인보드(150), 스위치(151), 센서(152) 등이 구비되어 있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in the dro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ard parts are fitted and coupled in a shape similar to a sphere, and the body part 100 is accommodated in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guard parts. In the body part 100, an upper wing part 170 and a lower wing part 180 for the drone 10 to fly are combined, and a battery 141, a main board 150, a switch 151, and a sensor 152 ), etc. are provided.

종래의 조립식 드론은 날개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어린이나 초보자가 날고 있는 드론을 손으로 잡거나 드론과 부딪힐 경우, 빠르게 회전하는 날개부에 의해 다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드론이 비행 중 벽 또는 구조물과 충돌할 경우 날개부가 부러지거나 강한 충돌에 의해 메인보드나 센서 등이 파손될 경우에는 드론을 수리하거나 다시 구매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wings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drone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concern that children or beginners may be injured by rapidly rotating wings when they catch the flying drone with their hands or collide with the drone. In addition, when the drone collides with a wall or structure during flight, when the wing part is broken or the main board or sensor is damaged due to a strong collis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one must be repaired or repurchased.

그러나, 본 발명의 드론(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드부가 끼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본체부(100)가 수용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드론(10)이 비행 중 벽 또는 구조물과 충돌하더라도 가드부와 충돌하기 때문에 본체부(100)는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나 초보자가 비행 중인 드론을 잡거나 드론에 부딪히더라도 상부 날개부(170)와 하부 날개부(180)는 가드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내에서만 회전하기 때문에 상부 날개부(170)와 하부 날개부(180)에 긁혀 상처가 생길 우려가 없으며 가드부는 소정의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람과 충돌하더라도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ro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guard parts are fitted to form an inner space and the main body part 10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o the drone 10 is installed on a wall or during flight. Even if it collides with the structure, the body part 100 can be protected because it collides with the guard part. In addition, even if children or beginners catch the drone in flight or bump into the drone, the upper wing 170 and the lower wing 180 rotate only with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guard, so the upper wing 170 and the lower wing 170 rotate only with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guard. There is no fear of scratching the wing portion 180, and since the guard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damage can be prevented even if it collides with a person.

이때, 가드부는 본체부(100)가 끼움 결합하는 본체 가드부(200), 본체 가드부(200)와 십자를 이루도록 본체 가드부(200)에 끼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가드부(300) 및 지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본체 가드부(200) 및 수직 가드부(300)와 끼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가드부(400)를 포함한다. 본체 가드부(200), 수직 가드부(300) 및 수평 가드부(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guard unit includes a body guard unit 200 to which the body unit 100 is fitted, at least one vertical guard unit 300 fitted to the body guard unit 200 to form a cross with the body guard unit 200, and It includes at least one horizontal guard part 400 fitted with the main body guard part 200 and the vertical guard part 30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ody guard unit 200, the vertical guard unit 300 and the horizontal guard unit 4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드론(10)의 구성품과 설명하고, 조립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2 to 9, the components of the dro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assembly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본체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축 형태이며, 축은 제1축(110)과 제2축(120)이 결합되어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제2축(120)의 내부에 제1축(110)이 설치된다. 제1축(110) 및 제2축(120)의 하부 끝단은 제1축(110) 및 제2축(120)을 회전시키는 기어 박스(160)가 형성된다. 기어 박스(160)의 형태는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된 본체 결합부(21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 결합부(211)에 끼움 결합된다. 기어 박스(160)에 설치된 복수의 기어는 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모터(130)의 축에는 기어 박스(160)에 구비된 기어를 구동하는 원동기어가 구비되어 있고, 모터(130)는 배터리(1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2 is a plan view of a main body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portion 100 is in the form of a vertical axi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axis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axis 110 and the second axis 120, but the second axis ( 120)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shaft 110.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are formed with gear boxes 160 that rotate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 The shape of the gearbox 160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211 formed on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body guard unit 200 and is fitted into the body coupling portion 211. The plurality of gears installed in the gearbox 160 receive power from the motor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haft, and the shaft of the motor 130 is provided with a driving gear for driving the gears provided in the gearbox 160, , The motor 13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41.

본체부(100)의 제1축(110)에는 제1균형부(111)가 설치되며, 제2축(120)에는 제2균형부(121)가 설치된다. 이는 드론(10)이 비행 중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균형부(111)의 하부에는 상부 날개부(17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날개 결합부(112)가 제1균형부(121)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2균형부(121)의 하부에는 하부 날개부(1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 날개 결합부(122)가 제2균형부(121)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The first balance part 111 is installed on the first shaft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balance part 121 is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120. This allows the drone 10 to maintain balance during flight. The upper wing coupling part 112 is combined with the first balancing part 121 so that the upper wing part 17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lancing part 111 and formed integrally, and the second balancing part 121 ) The lower wing coupling part 122 is combined with the second balance part 121 so that the lower wing part 18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 and is formed integrally.

기어 박스(160)의 상부 일측에는 배터리 수납부(140)가 형성되며, 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1)가 배터리 수납부(140)에 수납되어 드론(10)이 비행하는 동안 배터리(14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어 박스(160)의 상부 타측에는 모터(130)가 구비되고, 기어 박스(130)의 하부에는 메인보드(150)가 구비된다. 배터리(141)와 메인보드(150) 사이 및 모터(130)와 메인보드(150)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보드(150)에는 드론(1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151)와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152), 배터리(141)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충전 단자(153) 및 발광하는 LED(154)가 구비되어 있다. A battery compartment 1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gearbox 160, and a battery 141 that supplies power to the motor 130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ompartment 140 while the drone 10 flies. The battery 14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he motor 1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gear box 160, and the main board 150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gear box 130. Between the battery 141 and the main board 150 and between the motor 130 and the main board 1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main board 150 has a switch 151 controlling on/off of the drone 10 and a sensor 152 for detecting an obstacle, a charging terminal 153 for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battery 141, and an LED 154 for emitting light.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날개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부(170)와 하부 날개부(180)가 배열되어 있다. 상부 날개부(170)와 하부 날개부(180)는 좌우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날개부(170) 및 하부 날개부(180)는 판 형태이기는 하나 일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단면이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3A is a plan view of a wing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A , an upper wing part 170 and a lower wing part 180 are arranged. The upper wing part 170 and the lower wing part 180 are form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shape. The upper wing part 170 and the lower wing part 180 have a plate shape, but are formed to have a curved cross section by protruding to one side.

상부 날개부(170)의 하단에는 일부가 개구된 상부 날개 고리(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날개부(180)의 하단 또한 일부가 개구된 하부 날개 고리(18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날개 고리(171)는 본체부(100)의 상부 날개 결합부(112)에 끼움 결합되며, 하부 날개 고리(181)는 본체부(100)의 하부 날개 결합부(122)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부 날개부(170) 및 하부 날개부(180)의 돌출된 면이 하늘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upper wing ring 171 partially opene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wing portion 170, and a lower wing ring 181 partially opene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wing portion 180. The upper wing ring 171 is fitted into the upper wing coupling part 112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lower wing ring 181 is fitted into the lower wing coupling portion 122 of the body portion 1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surfaces of the upper wing 170 and the lower wing 180 are coupled toward the sky.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날개부가 결합된 본체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 결합부(112)에 상부 날개부(170) 한 쌍이 결합되고, 하부 날개 결합부(122)에 하부 날개부(180) 한 쌍이 결합된다. 날개부가 본체부(100)에 결합된 후, 본체 가드부(200)에 본체부(100)가 결합된다. 본체 가드부(2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3b show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to which the wings of the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s shown in FIG. 3B , a pair of upper wing portions 170 are coupled to the upper wing coupling portion 112 and a pair of lower wing portions 180 are coupled to the lower wing coupling portion 122 . After the w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0, the body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body guard portion 200. The body guard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본체 가드부(200)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가드부(200)는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은 지면에 대해 평행한 일직선 형태이며, 하단에는 지면에 서 있을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다리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 양단부에는 제1측면 프레임(220)이 각각 소정 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측면 프레임(220)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곡면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220)의 상단 사이에 제1상부 프레임(230)이 형성되며, 제1상부 프레임(230) 또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곡면을 형성한다. 본체 가드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 프레임(210),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220), 제1상부 프레임(230)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제1하부 프레임(210),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220), 제1상부 프레임(230)을 각각 제조한 후 서로 끼움 결합되어 본체 가드부(200)가 형성되는 조립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4 shows a plan view of the body guard unit 200 of the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main body guard 200 is formed in a square ring shape.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main body guard unit 200 is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ground, and one or more legs protrude from the lower end so as to stand on the ground. At both ends of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body guard unit 200, first side frames 220 are forme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respectively, and the first side frame 220 protrudes outward to form a curved surface. A first upper frame 23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s 220, and the first upper frame 230 also protrudes outward to form a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 4, the body guard unit 200 may integrally form a first lower frame 210, a pair of first side frames 220, and a first upper frame 230, and the first After manufacturing the lower frame 210, the pair of first side frames 220, and the first upper frame 230, respectively, they may be fitted together to form an assembly type in which the main body guard unit 200 is formed.

제1하부 프레임(210)의 상면 중앙에는 본체부(100)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결합부(211)에 본체부(100)의 기어 박스(160)가 끼움 결합된다.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frame 210, a body coupling portion 211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is fitted is formed, and the gear box 160 of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in the body coupling portion 211. is fitted and combined.

본체 가드부(200)의 제1측면 프레임(220)에는 수평 가드부(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201c, 201d)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가드부(200)의 제1상부 프레임(230)에는 수직 가드부(300)의 제2상부 프레임(3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201a, 20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상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a, 201b)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하부 프레임의 하단에도 수직 가드부(300)의 제2하부 프레임(3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201e, 201f)가 형성된다.First coupling parts 201c and 201d are formed on the first side frame 220 of the body guard unit 200 so that the horizontal guard unit 400 can be coupled thereto. First coupling parts 201a and 201b are formed in the first upper frame 230 of the main body guard unit 200 so that the second upper frame 330 of the vertical guard unit 300 can be coupled. The first coupling so that the second lower frame 310 of the vertical guard unit 30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low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01a and 201b formed on the upper frame 230. Sections 201e and 201f are formed.

이때, 제1상부 프레임(230)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01a, 201b)의 개수는 수직 가드부(300)의 개수만큼 형성되고, 제1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01e, 201f)의 개수도 수직 가이드부(300)의 개수만큼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first coupling parts 201a and 201b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230 is equal to the number of vertical guard parts 300, and the first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first lower frame 210 The number of (201e, 201f) is formed as much as the number of vertical guide parts (300).

제1하부 프레임(210)의 본체 결합부(211)의 하부 측면에는 메인보드(150)가 결합되고, 메인보드(150)와 접촉하는 본체 결합부(211)의 하부 측면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은 제1하부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메인보드(150)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The main board 15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oupling part 211 of the first lower frame 21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body coupling part 211 in contact with the main board 150. This through hole is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ard 150 coupled to the first lower frame 210 .

메인보드(150)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메인보드(150)에는 스위치(151), 센서(152), 충전 단자(153), LED(154)가 설치되고, 메인보드(150)에 설치된 스위치(151), 센서(152), 충전 단자(153), LED(154)가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결합부(2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스위치(151)를 조작할 수 있고, 센서(152)가 드론(10) 주변을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충전 단자(153)에 충전 케이블을 끼울 수 있고, 발광하는 LED(154)를 사용자가 확인하여 주위가 어두울 때, 드론(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board 150 i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switch 151, a sensor 152, a charging terminal 153, and an LED 154 are installed on the main board 150. The installed switch 151, sensor 152, charging terminal 153, and LED 154 are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ower coupling part 210 of the body guard part 20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witch 151 can be manipulated, the sensor 152 can detect the surroundings of the drone 10, the user can insert the charging cable into the charging terminal 153, and the user can check the LED 154 that emits light so that the surroundings are When it is dark, the position of the drone 10 can be confirmed.

스위치(151), 센서(152), 충전 단자(153), LED(154)가 제1하부 결합부(2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메인보드(150)를 배치한 후, 메인보드(150) 기판의 일측면 및 타측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과 대응되는 형태의 본체 이탈 방지부(240)가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에 결합된다.After disposing the main board 150 so that the switch 151, the sensor 152, the charging terminal 153, and the LED 154 are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ower coupling part 210, the main board 150 substrate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body guard unit 200 and the body departure prevention unit 240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wer frame of the body guard unit 200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210).

제1하부 프레임(210) 및 본체 이탈 방지부(240)에는 메인보드(150)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보드(150)가 배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메인보드(150)가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ower frame 210 and the main body detachment prevention unit 240 in contact with the main board 150 are for guiding the position where the main board 150 is placed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so that the main board 150 can easily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본체 가드부(200)에 본체부(100)를 조립하는 조립 예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된 본체 결합부(211)에 본체부(100)의 기어 박스(160)가 끼움 결합되며, 제1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에 의해 메인보드(150)가 설치될 위치가 가이드되어 설치된 후, 본체 이탈 방지부(240)가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메인보드(150)의 측면을 보호하고, 본체부(100)가 본체 가드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ssembling the body part 100 to the body guard part 200 of the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gear box 160 of the body portion 100 is fitted into the body coupling portion 211 formed on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body guard portion 200, and the first lower frame After the location where the main board 150 is to be installed is guided and installed by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body 210, the main body separation preventing unit 240 is coupled to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main body guard unit 200 It protects the side of the main board 150 and prevents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guard 200 .

이때, 본체 이탈 방지부(240)는 별도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본체 이탈 방지부(240)와 제1하부 프레임(210)을 결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separation prevention unit 24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main body guard unit 200 by having a separate coupling means, or the body separation prevention unit 240 by using an adhesive means by the operator. ) and the first lower frame 210 may be combin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가드부(200)의 양 제1측면 프레임(220) 사이 거리, 즉 제1하부 프레임(210)의 길이는 상부 날개부(170) 또는 하부 날개부(180) 한 쌍이 일직선으로 펼쳐진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부 날개부(170)와 하부 날개부(180)가 회전할 때 본체 가드부(200)에 닿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 frames 220 of the body guard 200,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lower frame 210 is a pair of upper wing 170 or lower wing 180 It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spread in a straight line and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touch the main body guard 200 when the upper wing 170 and the lower wing 180 rotate.

본체 가드부(200)에 본체부(100)를 결합한 후에는 본체 가드부(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가드부(300)가 결합된다. 이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After coupling the body portion 100 to the body guard portion 200, at least one vertical guard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body guard portion 2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수직 가드부(300)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가드부(300)는 제2하부 프레임(310), 제2하부 프레임(310)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20) 및 제2측면 프레임(320)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는 제2상부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수직 가드부(300)는 제2하부 프레임(310),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20) 및 제2상부 프레임(3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이 끼움 결합되어 하나의 수직 가드부(3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6 shows a plan view of a vertical guard unit 300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vertical guard part 300 includes a second lower frame 310, a pair of second side frames 32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lower frame 310, and a second side frame ( 320) includes a second upper frame 330 coupled between the upper ends. The vertical guard unit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of a second lower frame 310, a pair of second side frames 320 and a second upper frame 330, and as shown in FIG. 6, each component This fitting may be coupled to form one vertical guard unit 300 .

제2하부 프레임(310)은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본체 가드부(200)와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부(301d)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20)이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제2하부 프레임(310)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2측면 프레임(320)은 '엘(L)'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하부 프레임(310)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측면 프레임(320)은 세로 축을 기준으로 좌측의 제2측면 프레임과 좌우 대칭된 '엘(L)'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lower frame 310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01d for coupling with the main body guard 200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air of second side frames 320 are formed at both ends. A protrusion 303 that can be coupled thereto is formed. The second side frame 320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second lower frame 310 is preferably formed in an 'L' shape, and the second side frame 320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lower frame 310 The frame 320 preferably has an 'L' shape symmetrical with the second side frame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제2하부 프레임(310),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20), 제2상부 프레임(330)이 서로 끼움 결합되어 수직 가드부(300)가 형성될 경우, 제2하부 프레임(310)의 양단에는 돌출부(303)가 형성되고, 제2하부 프레임(310)과 결합되는 제2측면 프레임(320)의 단부에는 제2하부 프레임(310)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303)에 대응되는 형태의 함몰부(304)가 형성되며, 함몰부(304)와 돌출부(303)가 끼움 결합되어 제2측면 프레임(320)과 제2하부 프레임(310)이 결합된다. 제2측면 프레임(320)의 상단에는 제2하부 프레임(310)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303)와 같은 돌출부(303)가 형성되어 제2상부 프레임(33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2측면 프레임(320)의 외측 중앙에는 수평 가드부(400)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301b, 30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본체 가드부(200)의 제1측면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c, 201d)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cond lower frame 310,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s 320, and the second upper frame 330 are fitted together to form the vertical guard part 300, the second lower frame 310 Protrusions 303 are formed at both ends, and at the end of the second side frame 320 coupled to the second lower frame 310,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303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lower frame 310 A recessed portion 304 is formed, and the recessed portion 304 and the protruding portion 303 are fitted and coupled so that the second side frame 320 and the second lower frame 310 are coupled. Protrusions 303, such as the protrusions 303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lower frame 310,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frame 320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second upper frame 330. At the outer center of the second side frame 320, second coupling parts 301b and 301c to which the horizontal guard unit 400 is coupled are formed, which are attached to the first side frame 220 of the body guard unit 20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formed first coupling portions 201c and 201d.

제2상부 프레임(330)은 제2측면 프레임(320) 사이에 결합되며, 제2상부 프레임(330)의 양단에는 제2측면 프레임(320)에 형성된 돌출부(303)에 대응되는 형태의 함몰부(304)가 형성되어 제2측면 프레임(320)과 제2상부 프레임(330)이 용이하게 결합된다. 제2상부 프레임(330)의 하면 중앙에는 본체 가드부(200)와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3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상부 프레임(330)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301a)의 위치는 제2하부 프레임(3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d)와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upper frame 330 is coupled between the second side frames 320, and at both ends of the second upper frame 330 there are de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303 formed on the second side frame 320. 304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side frame 320 and the second upper frame 330 are easily coupled. A second coupling portion 301a for coupling with the body guard 20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rame 33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1a formed on the second upper frame 330 The position of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coupling part 301d formed on the second lower frame 310 .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하부 프레임(310),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20) 및 제2상부 프레임(330)은 각각 돌출부(303)와 함몰부(304)가 형성되고, 서로 끼움 결합되어 하나의 수직 가드부(300)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lower frame 310,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s 320, and the second upper frame 330 are formed with protrusions 303 and depressions 304, respectively, and are fitted together. One vertical guard part 300 is forme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의 수직 가드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측면 프레임(320) 사이 거리는 상부 날개부(170) 또는 하부 날개부(180) 한 쌍이 일직선으로 펼쳐진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부 날개부(170)와 하부 날개부(180)가 회전할 때 수직 가드부(300)에 닿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t least one vertical guard part 300 of the dron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ide frames 320 is the upper wing part 170 or the lower wing part ( 180)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sprea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upper wing 170 and the lower wing 180 do not touch the vertical guard 300 when rotat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수직 가드부 조립 예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부 프레임(310),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320) 및 제2상부 프레임(330)이 조립되거나 제2하부 프레임(310), 제2측면 프레임(320) 및 제2상부 프레임(330)이 일체로 형성된 수직 가드부(300)는 본체 가드부(200)에 결합된다. 수직 가드부(300)의 제2상부 프레임(330)과 본체 가드부(200)의 제1상부 프레임(230)이 십(十)자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본체 가드부(200)에 복수 개가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의 수직 가드부(300)는 두 개가 형성되어 본체 가드부(200)에 결합되었으나, 수직 가드부(300)가 하나만 형성되거나 두 개보다 더 많이 형성될 수도 있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ssembling a vertical guard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lower frame 310,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s 320 and the second upper frame 330 are assembled or the second lower frame 310 and the second side frame 320 ) and the second upper frame 330 integrally formed vertical guard unit 300 is coupled to the body guard unit 200. The second upper frame 330 of the vertical guard unit 300 and the first upper frame 230 of the body guard unit 200 are coupled to form the character 10 (十), and a plurality of pieces are fitted to the body guard unit 200. may be combined. Although two vertical guard parts 300 of the dron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nd coupled to the body guard part 200, only one vertical guard part 300 is formed or more than two are formed. It could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가드부(200)의 제1상부 프레임(230)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01a, 201b)와 제1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01e, 201f)는 수직 가드부(300)의 개수만큼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본체 가드부(200)의 제1상부 프레임(230)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01a, 201b)와 제1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01e, 201f)는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01a and 201b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230 of the body guard unit 20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01e and 201f formed on the first lower frame 210 Since it is formed by the number of vertical guard parts 300, the first coupling parts 201a and 201b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230 of the body guard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lower frame 210 Two first coupling parts 201e and 201f are formed on the .

수직 가드부(300)의 제2하부 프레임(3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d)에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e)가 끼움 결합되며, 수직 가드부(300)의 제2상부 프레임(33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a)는 본체 가드부(200)의 제1상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a)에 끼움 결합된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e formed on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body guard 200 is fit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1d formed on the second lower frame 310 of the vertical guard portion 3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1a formed on the second upper frame 330 of the vertical guard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a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230 of the body guard unit 200. fitting is combined

이때, 제2하부 프레임(3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d)는 'ㄱ'자 형태의 제2이탈 방지부(302c)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상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a, 201b)에도 'ㄱ'자 형태의 제1이탈 방지부(202a, 20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체 가드부(200), 수직 가드부(300) 및 수평 가드부(400)가 결합되어 드론(10)이 조립되었을 때 각 가드부가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탈 방지부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1d formed on the second lower frame 310 is provided with a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302c in the shape of 'L',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230 The 'L'-shaped first separation preventing parts 202a and 202b are also formed in the parts 201a and 201b. This is provided to prevent the respective guard parts from departing from each other when the drone 10 is assembled by combining the body guard part 200, the vertical guard part 300, and the horizontal guard part 400.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

이때, 수직 가드부(300)의 하단에도 소정 길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다리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드론이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one or more legs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guard part 300 so that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nd stably on the groun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수평 가드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 가드부(400)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수평 가드부(400)의 내벽에는 복수 개의 제3결합부(401a, 401b, 401c, 401d, 401e, 401f)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에 형성된 제3결합부(401c, 401d)는 본체 가드부(200)의 제1측면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c, 201d)에 각각 끼움 결합되며,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제3결합부(401a, 401b, 401e, 401f)는 수직 가드부(300)의 제2측면 프레임(32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b, 301c) 및 또 다른 수직 가드부의 제2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2개의 제2결합부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8 is a plan view of a horizontal guard unit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horizontal guard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A plurality of third coupling parts 401a, 401b, 401c, 401d, 401e, 401f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rizontal guard part 400. The third coupling portions 401c and 401d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are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01c and 201d formed on the first side frame 220 of the body guard unit 2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three coupling portions 401a, 401b, 401e, and 401f are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301b and 301c formed on the second side frame 320 of the vertical guard portion 300 and the second side frame of another vertical guard portion. The two second coupling parts are each fitted and coupled.

이때, 본 발명의 수직 가드부(300)는 두 개이기 때문에 수평 가드부(400)의 상측에 형성된 제3결합부(401a, 401b)와 하측에 형성된 제3결합부(401e, 401f)는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vertical guard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wo, the third coupling parts 401a and 401b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guard unit 400 and the third coupling parts 401e and 401f formed on the lower side are respectively It is formed of two.

수평 가드부(4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horizontal guard unit 400 may be formed integrally, o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upl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수평 가드부 조립 예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 가드부(400)의 제3결합부(401a, 401b, 401c, 401d, 401e, 401f)는 본체 가드부(200)의 제1측면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c, 201d)와 수직 가드부(300)의 제2측면 프레임(32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b, 301c)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측면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c, 201d)와 수직 가드부(300)의 제2측면 프레임(32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b, 301c)는 제1측면 프레임(220)과 제2측면 프레임(320)의 중앙에 형성되되, 같은 높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평 가드부(400)가 휘어지지 않고 본체 가드부(200)와 수직 가드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9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ssembling a horizontal guard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third coupling part (401a, 401b, 401c, 401d, 401e, 401f) of the horizontal guard par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he first side frame 220 of the body guard part 200 The formed first coupling portions 201c and 201d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301b and 301c formed on the second side frame 320 of the vertical guard unit 300 are respectively fitted and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01c and 201d formed on the first side frame 22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301b and 301c formed on the second side frame 320 of the vertical guard unit 300 are 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ide frame 220 and the second side frame 320, and since it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horizontal guard part 400 does not bend and the main body guard part 200 and the vertical guard part 300 can be combined

본체 가드부(200)의 제1측면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c, 201d)와 수직 가드부(300)의 제2측면 프레임(32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b, 301c) 또한 'ㄱ'자 형태의 제1이탈 방지부(202c, 202d) 및 제2이탈 방지부(302a, 30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체 가드부(200), 수직 가드부(300) 및 수평 가드부(400)가 결합되어 드론(10)이 조립되었을 때 각 가드부가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01c and 201d formed on the first side frame 220 of the body guard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301b and 301c formed on the second side frame 320 of the vertical guard unit 300 ) In addition, 'L'-shaped first separation prevention units 202c and 202d and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units 302a and 302b are formed. This is provided to prevent the respective guard parts from departing from each other when the drone 10 is assembled by combining the body guard part 200, the vertical guard part 300, and the horizontal guard part 400.

본 발명의 드론(10)을 구성하는 본체 가드부(200), 수직 가드부(300) 및 수평 가드부(400)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외면은 상기 본체 가드부, 상기 수직 가드부 및 상기 수평 가드부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엠보싱 형태의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드론(10)이 사람과 충돌하더라도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된 엠보싱 형태의 돌출부에 의해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물체 또는 벽과 충돌하더라도 가드부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드론(1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바람의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body guard part 200, the vertical guard part 300 and the horizontal guard part 400 constituting the dro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guard part, the vertical guard part and the horizontal gu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constituting one or more selected parts is continuously arranged with embossed protrusion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even if the drone 10 collides with a person, a person is injured by the embossed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can be prevented, and even if it collides with another object or wall, since the guard can absorb the impact, damage to the drone 10 can be minimized and wind resistance can be reduc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결합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가드부(200)의 제1상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a)에 수직 가드부(300)의 제2상부 프레임(33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a)가 끼움 결합된다. 이는 하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 가드부(200)의 제1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e)가 수직 가드부(300)의 제2하부 프레임(3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d)에 끼움 결합되고, 제1측면 프레임(220)과 제2측면 프레임(320)에 형성된 제1결합부(201c, 201d) 또는 제2결합부(301b, 301c)에 수평 가드부(400)의 제3결합부(401a, 401b, 401c, 401d, 401e, 401f)가 끼움 결합될 때도 동일하다.10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art of a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coupling formed on the second upper frame 330 of the vertical guard 30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a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230 of the body guard 200. Part 301a is fitted. This is for explaining one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e formed on the first lower frame 210 of the main body guard unit 200 is formed on the second lower frame 310 of the vertical guard unit 300. It is fit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1d and is horizontal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01c and 201d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301b and 301c formed on the first side frame 220 and the second side frame 320. The same applies when the third coupling parts 401a, 401b, 401c, 401d, 401e, and 401f of the guard part 400 are fitted.

제1결합부(201a)의 일단은 'ㄱ'자 형태의 제1이탈 방지부(202a)에 의해 막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 가드부(200), 수직 가드부(300) 및 수평 가드부(4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201a)의 일단을 막고 있는 제1이탈 방지부(202a)에 외력을 가하여 제1결합부(201a)를 막고 있는 제1이탈 방지부(202a)를 이동시켜 제1결합부(201a)에 제2상부 프레임(330)의 제2결합부(301a)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제1결합부(210a)에 제2결합부(301a)가 끼움 결합된 후, 제1이탈 방지부(202a)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1이탈 방지부(202a)는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제1결합부(201a)의 일단을 다시 막아, 수직 가드부(300)가 본체 가드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art 201a is blocked by the 'L'-shaped first separation preventing part 202a. As described above, the body guard unit 200, the vertical guard unit 300 and the horizontal guard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refor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02a blocking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a,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02a block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a is moved to achieve the first engagemen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1a of the second upper frame 330 can be coupled to the portion 201a, and afte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1a is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a,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1a is fitted.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202a is removed,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unit 202a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and blocks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1a again, so that the vertical guard unit 300 is the main body. 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ard part 200.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1상부 프레임(230)의 상면에 소정 깊이 파여 형성되는 제1결합부(201a)의 일단을 막고 있는 제1이탈 방지부(202a)에 외력을 가하여 제1결합부(201a)의 일단이 개방되도록 한 후, 제1결합부(201a)에 제2상부 프레임(330)을 삽입시킨다. 이때, 제1상부 프레임(230)에 대해 제2상부 프레임(330)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제2상부 프레임(330)의 하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301a)에는 제1상부 프레임(230)이 삽입된다. 따라서, 제1결합부(201a)와 제2결합부(301a)에 의해 제1상부 프레임(230)과 제2상부 프레임(330)은 서로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제1상부 프레임(230)과 제2상부 프레임(330)이 결합된 후, 제1이탈 방지부(202a)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1이탈 방지부(202a)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제1결합부(201a)의 상단을 막기 때문에 제2상부 프레임(330)이 제1상부 프레임(2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02a blocking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a formed by digging a predetermined depth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frame 230,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a After one end of ) is opened, the second upper frame 3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art 201a. At this time, the second upper frame 33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upper frame 23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01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rame 330 has the first upper frame 230 is inserted Accordingly, the first upper frame 230 and the second upper frame 330 are coupled in a form in which parts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201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1a. After the first upper frame 230 and the second upper frame 330 are coupled,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unit 202a is removed,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unit 202a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unit 202a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art 201a is block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upper frame 3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upper frame 230 .

따라서, 본 발명의 드론(10)은 링 형태의 본체 가드부(200), 수직 가드부(300) 및 수평 가드부(400)를 조립하여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쉬워 어린이나 초보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하기 쉬움과 동시에 각 가드부끼리 긴밀한 결합이 유지되는 드론(10)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dro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the ring-shaped main body guard unit 200, the vertical guard unit 300, and the horizontal guard unit 400, assembly is easy and even children or beginners can easily assemble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one 10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close coupling between each guard unit.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Technical idea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but also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드론
100 본체부
110 제1축
111 제1균형부
112 상부 날개 결합부
120 제2축
121 제2균형부
122 하부 날개 결합부
130 모터
140 배터리 수납부
141 배터리
150 메인보드
151 스위치
152 센서
153 충전 단자
154 LED
160 기어 박스
170 상부 날개부
171 상부 날개 고리
180 하부 날개부
181 하부 날개 고리
200 본체 가드부
201 제1결합부
202 제1이탈 방지부
210 제1하부 프레임
211 본체 결합부
220 제1측면 프레임
230 제1상부 프레임
240 본체 이탈 방지부
300 수직 가드부
301 제2결합부
302 제2이탈 방지부
303 돌출부
304 함몰부
310 제2하부 프레임
320 제2측면 프레임
330 제2상부 프레임
400 수평 가드부
401 제3결합부
10 drones
100 body part
110 1st axis
111 first balance part
112 upper wing joint
120 2nd axis
121 second balance part
122 lower wing joint
130 motor
140 battery compartment
141 battery
150 motherboard
151 switch
152 sensor
153 charging terminal
154 LEDs
160 gearbox
170 upper wing
171 upper wing loop
180 lower wing
181 lower wing loop
200 body guard
201 first coupling part
202 First departure prevention unit
210 first lower frame
211 body joint
220 first side frame
230 first upper frame
240 main body separation prevention unit
300 vertical guard
301 second coupling part
302 second departure prevention unit
303 protrusion
304 depression
310 second lower frame
320 second side frame
330 second upper frame
400 horizontal guard
401 third joint

Claims (10)

한 쌍의 날개부;
상기 날개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날개가 회전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본체부; 및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태의 복수 개의 구조체가 서로 결합되어 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가 결합되는 가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드부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a pair of wings;
a main body portion fitted with the wing portion and supplying power so that the wing rotates; and
A plurality of ring-shaped structure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pherical shape, and a guard unit to which the main body unit is coupled;
The prefabricated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ard par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균형부,
상기 날개부가 결합되는 날개 결합부,
상기 날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론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단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메인보드 및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A balance unit installed so that the drone can be balanced while flying;
A wing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wing portion is couple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wing,
A main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hav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drone, a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and a charging terminal for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battery. and
A prefabricated drone comprising a battery storage unit in which the battery is sto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제1하부 프레임, 상기 제1하부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1측면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1상부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결합되어 링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가드부,
제2하부 프레임, 상기 제2하부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상부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결합되어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가드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가드부 및
상기 본체 가드부 및 상기 수직 가드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uard unit,
A first lower frame, a pair of first side fram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lower frame, and a first upper fram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frame are integrally form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ring shape. body guard part to be,
A second lower frame, a pair of second side fram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lower frame, and a second upper fram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side frame are integrally form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ring shape. And, at least one vertical guard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guard unit and
A prefabricated drone comprising at least one horizontal guard coupled to the body guard and the vertical gu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가드부는,
상기 제1하부 프레임의 중앙에 상기 본체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guard unit,
The prefabricated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first lower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가드부는,
상기 제1상부 프레임, 상기 제1하부 프레임 및 상기 제1측면 프레임에는 소정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1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는 서로 동일 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 프레임 또는 상기 제1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의 개수는 상기 수직 가드부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상기 수직 가드부의 개수보다 많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1측면 프레임의 소정 높이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guard unit,
The first upper frame, the first lower frame, and the first side frame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formed in the form of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and the first lower frame are form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first upper frame or the first lower frame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vertical guards or It is formed to be more than the number of vertical guards,
A prefabricated drone,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par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드부는,
상기 제2상부 프레임, 상기 제2하부 프레임 및 상기 제2측면 프레임에는 소정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2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는 서로 동일 선상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의 소정 높이에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는 상기 제1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rtical guard unit,
The second upper frame, the second lower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formed in the form of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second upper frame and the second lower frame are form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par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s, and the coupling part formed on the second side frame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coupling part formed on the first side frame.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1상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2상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하부 프레임은 상기 제1하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하부 프레임은 상기 제2하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가드부와 상기 수직 가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upp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first upper frame, the first upp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second upper frame,
The second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first lower frame, the first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second lower frame,
The prefabricated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guard unit and the vertical guard unit are coupl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드부는,
내벽에 복수 개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드부는 상기 제1측면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가드부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가드부와 상기 수평 가드부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 가드부는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의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가드부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가드부와 상기 수평 가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rizontal guard unit,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The horizontal guard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first side frame, the first side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horizontal guard part, and the main body guard part and the horizontal guard part are coupled,
The horizontal guard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second side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horizontal guard part so that the vertical guard part and the horizontal guard part are coupled.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부의 일단을 개방시키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5 or 6, wherein the coupling part,
It is install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upling part, and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prefabricated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opens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o close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가드부, 상기 수직 가드부 및 상기 수평 가드부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엠보싱 형태의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According to claim 3,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constitut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main body guard, the vertical guard, and the horizontal guard is formed by continuously arranging embossed protrusions formed in a curved surface.
KR1020210127698A 2021-09-28 2021-09-28 A prefabricated drone KR102539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98A KR102539534B1 (en) 2021-09-28 2021-09-28 A prefabricated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98A KR102539534B1 (en) 2021-09-28 2021-09-28 A prefabricated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168A true KR20230045168A (en) 2023-04-04
KR102539534B1 KR102539534B1 (en) 2023-06-02

Family

ID=8592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698A KR102539534B1 (en) 2021-09-28 2021-09-28 A prefabricated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53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807A (en) * 2015-02-11 2016-08-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A drone having high accessibility
US20160280359A1 (en) * 2015-03-26 2016-09-29 University Of North Dakota Perching attachment for unmanned aircraft
US20160375983A1 (en) * 2010-07-23 2016-12-29 Gaofei Yan Self-righting frame and aeronautical vehicle and method of use
KR20180039816A (en) * 2016-10-11 2018-04-19 수상에스티(주) Dron with the radial pattern arrangement of outside frame
KR102148264B1 (en) * 2018-11-30 2020-08-26 마승윤 Multi purpose mission type drones
KR102192407B1 (en) 2020-07-29 2020-12-17 서광석 Educational drone kit device and system
US20210086894A1 (en) * 2014-03-27 2021-03-25 The Board Of Regents For Oklahoma State University Spherical vtol aerial vehicle
KR20210084200A (en) * 2019-12-27 2021-07-07 구건우 Unfoldable Drone Pro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5983A1 (en) * 2010-07-23 2016-12-29 Gaofei Yan Self-righting frame and aeronautical vehicle and method of use
US20210086894A1 (en) * 2014-03-27 2021-03-25 The Board Of Regents For Oklahoma State University Spherical vtol aerial vehicle
KR20160098807A (en) * 2015-02-11 2016-08-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A drone having high accessibility
US20160280359A1 (en) * 2015-03-26 2016-09-29 University Of North Dakota Perching attachment for unmanned aircraft
KR20180039816A (en) * 2016-10-11 2018-04-19 수상에스티(주) Dron with the radial pattern arrangement of outside frame
KR102148264B1 (en) * 2018-11-30 2020-08-26 마승윤 Multi purpose mission type drones
KR20210084200A (en) * 2019-12-27 2021-07-07 구건우 Unfoldable Drone Protection Device
KR102192407B1 (en) 2020-07-29 2020-12-17 서광석 Educational drone kit devi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534B1 (en)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149B1 (en) Unmanned flying vehicle including a duct structure
EP2691300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kit
US20180170539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detachable computing device
US20190042530A1 (en) Multi-direction connectable electronic module and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
US10222820B2 (en) Shifter lever structure an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same
US8279266B2 (en) Video system using camera modules to provide real-time composite video image
WO2017081668A1 (en) Amphibiou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system and flying car with multiple aerial and aquatic flight modes for capturing panoramic virtual reality views, interactive video and transportation with mobile and wearable application
CN103025609A (en) Reconfigurable battery-operated vehicle system
KR101552486B1 (en) Multifunction connected flywheel propulsion module, using the same the puzzle assembled multicopter operating methods and system.
US10179647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EP3087832A1 (en) Novel electronic toy ball for pets
CN110440641B (en) Intelligent self-balancing mobile robot targ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uniper The Complete Guide to Drones Extended 2nd Edition
KR102539534B1 (en) A prefabricated drone
CN107531296A (en) The self-advancing device being coupled with magnetic
CN107891991A (en) Unmanned plane
US11541984B2 (en) Modular flat-packable drone kit
Behnke et al. Playing soccer with RoboSapien
KR102462806B1 (en) Multicopter Installed A Plurality Of Camera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mage Received Therefrom
KR20110108103A (en) A movable robot
Pouransari et al. Intelligent rescuer robot for detecting victims accurately in natural disasters
JP2022106252A (en) Flight type robot, control program for flight type robot, and control method for flight type robot
KR102617414B1 (en) System for driving test of drone
D’Angelo et al. Design of an Autonomous Quad-rotor UAV for Urban Search and Rescue
Czupryniak et al. Throwable tactical robot-description of construction and performed t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