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179A - 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 - Google Patents

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179A
KR20230040179A KR1020210123460A KR20210123460A KR20230040179A KR 20230040179 A KR20230040179 A KR 20230040179A KR 1020210123460 A KR1020210123460 A KR 1020210123460A KR 20210123460 A KR20210123460 A KR 20210123460A KR 20230040179 A KR20230040179 A KR 2023004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cid dianhydride
multilayer film
dianhydride
constit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연
김원겸
심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21012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179A/en
Publication of KR2023004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1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2Copolyimides derived from at least two different tetracarboxylic compounds or two different diamino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ayered polyimide film which can be used as a cover window of a display by exhibit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while exhibiting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bending properties, such as high surface hardness and high bending properti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ed film of at least two layers including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wherein the first layer has modulus of 5 GPa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and yield strain (Y/S) of less than 2.0 %, and the second layer has modulus of less than 5 GPa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and yield strain (Y/S) of 2.0 % or more.

Description

우수한 경도와 굴곡 특성을 갖는 다층 필름{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Multi-layer film having excellent hardness and bending properties {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하면서, 높은 표면경도와 고굴곡 특성을 발휘하여 디스플레이의 커버윈도우로 사용될 수 있는 다층 폴리이미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polyimide film that exhibits excellent transparency, high surface hardness and high flexural properties and can be used as a cover window for a display.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는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윈도우(Cover Window)가 적용된다. 종래 커버 윈도우의 재질로는 평탄도, 내열성, 내화학성 및 수분이나 기체에 대한 배리어 성능이 우수하고, 선팽창계수(CTE)가 작으며, 광 투과율이 높은 강화 유리가 주로 사용되었다.A cover window for protecting a panel is applied to a surface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s a material of a conventional cover window, tempered glass having excellent flatness,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barrier performance against moisture or gas, a low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CTE), and high light transmittance has been mainly used.

한편, 최근 곡면 디스플레이나 접이식(in-folding) 디스플레이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커버 윈도우 역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나, 종래 유리 재질의 커버 윈도우는 대체로 무겁고 깨지기 쉬울 뿐 아니라, 유연성이 떨어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하지 못하다.Meanwhile, flexible displays such as curved displays and in-folding displays are being developed. In order to be applied to such a flexible display, the cover window must also have flexibility, but a conventional glass cover window is generally heavy and easy to break, and is not suitable for a flexible display due to poor flexibility.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성형성이 비교적 자유로운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커버 윈도우들이 제안되고 있다.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커버 윈도우는 가볍고, 잘 깨지지 않으며,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커버 윈도우용 플라스틱 재료로는 주로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투명성이 우수한 반면, 유리전이온도(Tg)가 150℃ 이하로 내열 특성이 나쁘고, 내화학성 및 기계적 강도가 떨어져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전술한 플라스틱 재료에 두꺼운 하드 코팅층 등을 도입하기도 하나, 이 경우 성형시 하드 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굴곡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커버 윈도우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cently, cover windows using a plastic material having relatively free formability have been proposed. A cover window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 hard to break, and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designs. Currently, as a plastic material for a cover window,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re mainly used. While these materials have excellent transparency, thei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less than 150° C., and their application is limited due to poor heat resistance, poor chem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thick hard coating layer or the like is sometimes introduced into the plastic material described above, but in this case, cracks occur in the hard coating layer during molding or flexi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ver window becomes thick,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표면 경도와 기계적 강도, 높은 유연성, 투명성 등의 제반 물성이 동시에 우수하여 커버 윈도우로 적용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ed film that can be applied as a cover window with excellent surface hardness, mechanical strength, high flexibility, transparency,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describe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 필름으로서, 상기 제1층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된 모듈러스가 5GPa 이상이고, 항복 변형(Yield Strain, Y/S)이 2.0% 미만이며, 상기 제2층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된 모듈러스가 5GPa 미만이고, 항복변형(Y/S)이 2.0% 이상이며,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각각,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을 포함하여 공중합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인,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film of at least two layers including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wherein the first layer has a modulus of 5 GPa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and a yield strain (Yield Strain, Y/S) is less than 2.0%, the modulus of the second layer is less than 5 GPa, the yield strain (Y/S) is 2.0% or more, and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have a modulu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Each of the layers includes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and a polyimide or polyamideimide film copolymerized with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의 모듈러스는 5 내지 7 GPa이고, 항복변형(Y/S)은 1.0 내지 1.99%이며, 상기 제2층의 모듈러스는 3 내지 4.99 GPa이고, 항복변형(Y/S)은 2.0 내지 3.0%일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us of the first layer is 5 to 7 GPa, the yield strain (Y/S) is 1.0 to 1.99%, the modulus of the second layer is 3 to 4.99 GPa, and the yield strain (Y/S) is 1.0 to 1.99%. The strain (Y/S) may be between 2.0 and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ASTM D3363 규격에 의해 측정된 제1층의 연필경도는 H 이상이고, 제2층의 연필경도는 H 미만일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layer measured by the ASTM D3363 standard may be greater than H, and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layer may be less than H.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과 제2층은 각각, 곡률 반경 1 내지 5mm로 굴곡시켰을 때 파단까지의 굴곡 횟수가 200,000회 이상일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bent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1 to 5 mm, the number of bends until breakage may be 200,000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과 제2층은 각각, 두께 30 내지 100 ㎛에서 파장 550nm의 광 투과율이 85% 이상이며, ASTM E313 규격에 의한 황색도가 5 이하일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85% or more at a wavelength of 550 nm at a thickness of 30 to 100 μm and a yellowness of 5 or less according to the ASTM E313 stand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각각,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및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is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at least one of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4,4′-디아미노벤즈아닐라이드(DABA), 4,4'-디아미노-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TFDB), 2,2'-디메틸벤지딘(m-Tol), 및 3,3'-디메틸벤지딘(o-To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is para-phenylenediamine (p-PDA), 4,4′-diaminobenzanilide (DABA), 4,4 With '-diamino-2,2'-bis(trifluoromethyl)biphenyl (TFDB), 2,2'-dimethylbenzidine (m-Tol), and 3,3'-dimethylbenzidine (o-Tol)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지환족 산이무수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type of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is a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s;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cyclic acid dianhydri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3,3',4,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S-BPDA),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2,3,3,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a-BPDA),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TDA), 1,2,3,4-사이클로부탄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BDA), 1,2,3,4-사이클로펜탄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PDA), 1,2,4,5-사이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HDA),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6FDA), 비사이클로[2,2,2]-7-옥텐-2,3,5,6-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BOTA), 및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로멜리틱 이무수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is 3,3',4,4'-biphenyl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S-BPDA), pyromellitic acid dianhydride Water (PMDA), 2,3,3,4-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a-BPDA), 3,3',4,4'-benzopheno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1,2,3 ,4-cyclobut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BDA), 1,2,3,4-cyclopent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PDA), 1,2,4,5-cyclohex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HDA), 2 ,2-bis(3,4-dicarboxyphenyl)-1,1,1,3,3,3-hexafluoropropane (6FDA), bicyclo[2,2,2]-7-octene-2,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3,5,6-tetracarboxylic dianhydride (BOTA), and 4-(trifluoromethyl)pyromellitic dianhydr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및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may include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at least one of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2,2-비스(3-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Bis-AP-AF),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4,4′-디아미노벤즈아닐라이드(DABA), 4,4'-디아미노-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TFDB), 2,2'-비스(트리플루오로 메틸)-4,3'- 디아미노비페닐(FODA),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다이아미노페닐에테르(6FAPB), 2,2'- 비스 (4- 아미노 페녹시 페닐) 프로판(HFBAPP), 3,3'-설포닐다이아닐린(3,3-DDS), 4,4'-설포닐다이아닐린(4,4-DDS), 4,4- 비스 (3- 아미노 페녹시) 디페닐 설폰(m-BAPS), 및 4,4'-옥시디아닐린(4,4-OD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is 2,2-bis (3-amino-4-hydroxyphenyl) hexafluoropropane (Bis-AP-AF) , para-phenylenediamine (p-PDA), 4,4′-diaminobenzanilide (DABA), 4,4′-diamino-2,2′-bis(trifluoromethyl)biphenyl (TFDB) ), 2,2'-bis (trifluoromethyl) -4,3'-diaminobiphenyl (FODA), 2,2'-bis (trifluoromethyl) -4,4'-diaminophenyl ether (6FAPB), 2,2'-bis (4-aminophenoxyphenyl) propane (HFBAPP), 3,3'-sulfonyldianiline (3,3-DDS), 4,4'-sulfonyldianiline (4, 4-DDS), 4,4-bis (3-aminophenoxy) diphenyl sulfone (m-BAPS), and 1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4'-oxydianiline (4,4-ODA) may contain more th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불소화 산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is a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fluorinated acid dianhydr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4,4′-(4,4′-이소프로필리덴다이페녹시)비스 프탈산 이무수물(BPADA), 3,3′,4,4′-다이페닐에테르 카르복실산이무수물(ODPA), 3,3',4,4'-다이페닐설폰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DSDA),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다이메틸실란 산이무수물(SiDA),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6FD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is 4,4′-(4,4′-isopropylidenediphenoxy) bisphthalic dianhydride (BPADA), 3,3′,4,4′-diphenylether carboxylic acid dianhydride (ODPA), 3,3′,4,4′-diphenylsulfo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DSDA), bis(3,4- composed of dicarboxyphenyl)dimethylsilane acid dianhydride (SiDA) and 2,2-bis(3,4-dicarboxyphenyl)-1,1,1,3,3,3-hexafluoropropane (6FDA) It may contai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또는 불소화 산이무수물의 함량은 각각, 제2층을 구성하는 전체 산이무수물 100 몰%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몰%일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or the fluorinated acid dianhydride may be 10 to 100 mol% based on 100 mol% of the total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 또는 제2층을 구성하는 상기 디아민(a)과 상기 산이무수물(b)의 몰수의 비(a/b)는 0.7 내지 1.3 범위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a/b) of the number of moles of the diamine (a) and the acid dianhydride (b)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or the second layer may be in the range of 0.7 to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의 두께 비율은 당해 제1층과 제2층의 두께를 합한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10 : 90 ~ 90 : 10 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10: 90 to 90: 10 based 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적어도 하나는, 광학 특성 보상을 위한 착색제, 및 무기 필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lorant for compensating optical properties and an inorganic fi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다층 필름은 제1층과 제2층이 순차 적층되며, 대향 배치되는 제1층 및 제2층 사이에 형성된 제1 접착층; 및 비(非)대향하는 제1층과 제2층 중 어느 일면 상에 형성된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layer film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in which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med on any one surface of the non-opposit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t least one of them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를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윈도우 또는 보호필름으로 사용되는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layer film used as a cover window or protective film of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다층필름에 구비된 제1층과 제2층 중 어느 하나는 제2 접착층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과 부착되며,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provided in the multi-layer film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other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부착된 다층 필름의 최외면은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보호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multilayer film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hard coating layer, an anti-fingerprint layer, and a protective film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물성을 발휘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표면경도 및 모듈러스 특성을 갖는 제1층과, 유연성과 벤딩 특성(Bendability)을 갖는 제2층이 구비된 다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layer having a first layer having excellent surface hardness and modulus characteristics and a second layer having flexibility and bendability using polyimide compositions exhibit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ilm can be provided.

이러한 다층 필름은 제1층과 제2층의 배치구조를 변경하거나 또는 적용하고자 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비율 조절을 통해, 원하는 표면경도 특성을 갖는 커버윈도우, 또는 높은 벤딩 특성을 갖는 커버 윈도우로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 Such a multi-layer film can be freely applied as a cover window having a desired surface hardness property or a cover window having a high bending property by chang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r adjusting the ratio of the polyimide composition to be applied. can do.

또한 본 발명에서는 높은 광투과도, 낮은 황색도 등의 우수한 광학특성을 나타내어, 최종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product can be improved by exhibit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such as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low yellownes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롯한 당 분야의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커버 윈도우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 당 분야에 공지된 IT 제품, 전자제품, 가전제품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multi-layered polyimid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applied as a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s, flexible displays, etc. in the related art including flat panel display panels, and other IT products, electronic products, It can also be applied to home appliances.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diverse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을 이용한 인장시험에 있어서, 항복변형(Yield Strain)이 정의된 응력-변형 곡선(Stress-Strain Curve) 그래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ayer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ayer fil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ess-strain curve graph in which yield strain is defined in a tensile test using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명세서 전체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조를 지칭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to examples. Her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structure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위에" 또는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원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임의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고자 사용된 것이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bove" or "on" means not only the case of being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but also the case of another part in the middle thereof, and must necessarily specify the direction of gravity It does not mean that it is located above the standard. 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 not indicate any order or importance, but are used to distinguish components from each other.

<다층 필름><Multilayer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투명 필름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로 사용될 수 있다. The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parent film that can be provided in a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can be used as a cover window of a flexible display.

여기서 커버 윈도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외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필름을 지칭한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는 윈도우 필름 단독이거나, 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진 별도의 기재(Substrate) 상에 윈도우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Here, the cover window refers to a film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to protect the display device. The cover window may be a window film alone or a film having a window coating layer formed on a separate substrate made of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한편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는 일상 생활에서 내스크래치성과, 플렉시블(flexibility) 등의 가공 특성을 가져야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광학 특성 역시 뒷받침되어야 한다. 종래 플라스틱 재질의 윈도우는 가교밀도 증가로 인해 내마모성이 증가하는 반면, 크랙이 발생하고 굴곡성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접이식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의 커버 윈도우로 적용되기가 어려웠다. On the other hand, the cover window of the display device exposed to the outside should not only have processing characteristics such as scratch resistance and flexibility in everyday life, but also have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While abrasion resistance of a window made of a conventional plastic material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crosslinking density, it is difficult to apply it as a cover window of a foldable display because cracks occur and flexi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서로 상이한 물성을 갖는 제1층과 제2층을 구비하여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구성한다. 일례로, 제1층은 모듈러스 및 표면경도가 높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을 사용하고, 제2층은 높은 항복변형(Yield Strain, Y/S)과 고 굴곡 특성을 갖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을 사용한다. 이러한 다층 필름은 종래 공지된 플라스틱 재질의 필름 또는 단일층 형태의 폴리이미드 필름 대비 높은 표면경도와 우수한 벤딩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층과 제2층 모두가 우수한 광학특성을 보유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대향 배치되어 커버윈도우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접이식(foldable) 모바일폰의 커버윈도우로 적용시, 최외면에 위치되는 제1층 또는 제2층의 배치구조나 그 폴리아믹산 조성을 소정 범위로 조절함에 따라 벤딩 특성을 중요시하는 커버윈도우, 또는 표면 경도와 기계적 특성을 중요시하는 커버윈도우로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당 분야에 공지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인폴딩(in-folding), 아웃폴딩(out-folding)형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일 수 있다. In contrast, the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of at least two layers. For example, the first layer uses polyimide or polyamideimide film having high modulus and surface hardness, and the second layer is polyimide or polyamide having high yield strain (Y/S) and high flexural properties. use mid film. This multi-layer film not only secures high surface hardness and excellent bending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ly known plastic films or single-layer polyimide films, but also ha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layers. , It may be disposed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applied as a cover window. In particular, when applied to a cover window of a foldable mobile phone, a cover window or surface in which bending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layer or the second layer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r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thereof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can be freely applied as a cover window for which hard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important. Such a display device may be applied to any display device known in the art without limitation, and may be in particular an in-folding or out-folding type foldable display.

한편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100, 2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FIGS. 1 and 2 schematically show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층 필름(100, 200)은 서로 상이한 물성을 갖는 제1층(110)과 제2층(120)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서, 이들(110, 1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을 포함하여 공중합된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이다. 구체적으로, 제1층(110)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된 모듈러스(Modulus)가 5GPa 이상이고, 항복 변형(Yield Strain, Y/S)이 2.0% 미만이며, 상기 제2층(120)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된 모듈러스가 5GPa 미만이고, 항복변형(Y/S)이 2.0% 이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at least two layers including a first layer 110 and a second layer 120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and these ( 110, 120) are each independently at least one diamine; and a polyimide film or polyamideimide film copolymerized with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Specifically, the first layer 110 has a modulus of 5 GPa or more and a yield strain (Y/S) of less than 2.0%,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and the second layer 120 is ASTM D882. The modulus measured according to D882 is less than 5 GPa, and the yield strain (Y/S) may be 2.0% or more.

본 명세서에서, 항복 변형(yield strain, Y/S, 降伏變形)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된 다층 필름의 응력-변형 곡선(Stress-Strain Curve)에 있어서, 특정 인장강도 구간(예, 20~40 MPa)에서의 응력-변형 기울기(Stress-Strain slope, X1) 대비 적어도 80% 이상을 갖는 소정 임계점(threshold slope, X2 ≥ X1 ×0.8)의 x 절편값, 즉 인장 변형(Tensile strain)으로 정의된다(하기 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정의된 항복 변형(Y/S)은, 폴리이미드 필름이 갖는 특정 조성에 기인하는 고유한 물성이므로, 종래 폴리이미드 필름과 구별되는 물성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항복 변형(Y/S)은 25℃에서 측정하는 인장 시험에 의해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S-S curve)을 기초로 할 수 있으며, 모듈러스(Young's modulus)는 ASTM D882에 따라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yield strain (Y/S, 降伏變形) is a stress-strain curve of a multilayer film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in a specific tensile strength range (eg, 20 to 40 The x-intercept value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slope (X 2 ≥ X 1 × 0.8) having at least 80% of the stress-strain slope (X 1 ) in MPa), that is, tensile strain It is defined as (see FIG. 3 below). Since the yield strain (Y/S) defined as above is a unique physical property due to th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polyimide film, it may correspond to a physical proper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polyimide film. This yield strain (Y / S) can be based on the stress-strain curve (SS curve) obtained by a tensile test measured at 25 ° C, and the modulus (Young's modulus) means a valu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100)에서 제1층(110)의 모듈러스는 5 내지 7 GPa이고, 항복변형(Y/S)은 1.0 내지 1.99%이며, 상기 제2층(120)의 모듈러스는 3 내지 4.99 GPa이고, 항복변형(Y/S)은 2.0 내지 3.0%일 수 있다. 전술한 모듈러스와 항복변형(Y/S)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본 발명의 다층 필름(100, 200)의 경우, 제1층(110)의 표면경도를 보다 향상시켜 내스크래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2층(120)의 굴곡 내성을 보다 상승시켜, 반복되는 굴곡 피로에 대한 크랙 발생을 억제하고 우수한 유연성과 벤딩성을 나타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multilayer fil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us of the first layer 110 is 5 to 7 GPa, the yield strain (Y / S) is 1.0 to 1.99%, and the second layer 120 The modulus may be 3 to 4.99 GPa, and the yield strain (Y/S) may be 2.0 to 3.0%. In the case of the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modulus and yield strain (Y/S) parameters, the surface hardness of the first layer 110 may be further improved to exhibit scratch resistance. In addition, by further increasing the bending resistance of the second layer 120, generation of cracks due to repeated bending fatigue may be suppressed, and excellent flexibility and bendability may be exhibited.

전술한 모듈러스와 항복 변형(Yield Strain, Y/S) 파라미터 및 그 수치는 제1층(110), 제2층(120), 및 이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100, 200)의 두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스와 항복변형(Y/S)의 수치는 당해 다층 필름(100, 200)의 전체 두께 30 내지 100 ㎛를 기준으로 측정된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30 내지 90 ㎛, 구체적으로 80 ± 5 ㎛일 수 있다.The aforementioned modulus and yield strain (Y/S) parameters and their values are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110, the second layer 120, and the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including the same. can The values of the modulus and the yield strain (Y/S)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total thickness of 30 to 100 μm of the multilayer film (100, 200), for example, 30 to 90 μm, specifically 80 ± 5 μm can be

다른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다층 필름(100)에서 ASTM D3363 규격에 의해 측정된 제1층(110)의 연필경도(Hardness)는 H 이상이고, 제2층(120)의 연필경도는 H 미만일 수 있다. 여기서, 연필경도는 ASTM D3363 규격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For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layer 110 measured by the ASTM D3363 standard in the multilayer film 100 is greater than H, and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layer 120 is less than H can Here, the pencil hardness means a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3363 standard.

또 다른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다층 필름(100, 200)을 구성하는 제1층(110)과 제2층(120)은 각각 곡률 반경 1 내지 5mm로 굴곡시켰을 때 파단까지의 굴곡 횟수가 200,000회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벤딩성이 우수한 제2층(120)의 경우, 파단까지의 굴곡 횟수의 변형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2,000,000회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00,000회 이하일 수 있다.For another specific example, when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are bent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1 to 5 mm, respectively, the number of bendings until fracture is 200,000 may be more than o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econd layer 120 having excellent bendability, the upper limit of the deform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until fra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t may be 2,000,000 times or less, and may be specifically 1,500,000 times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이 이동통신 단말기나 태블릿 PC 등의 커버 윈도우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시인성을 높이고자 고투명도 및 광투과율 등의 우수한 광학 특성을 동시에 가져야 한다.In order for the polyimid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used as a cover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tablet PC, it must simultaneously have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such as high transparency and light transmittance in order to increase visibility of a display screen.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다층 폴리이미드 필름은, 두께 30 내지 100 ㎛에서, 파장 550nm의 광 투과율이 85% 이상이며, 구체적으로 88% 이상일 수 있다. 또한 ASTM E313-73 규격에 의한 황색도(Y.I.)는 5 이하일 수 있다. 이때 광투과율의 상한치와 황색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For one specific example, the multilayer polyimide film has a light transmittance of 85% or more at a wavelength of 550 nm at a thickness of 30 to 100 μm, and specifically may be 88% or more. In addition, yellowness (Y.I.) according to the ASTM E313-73 standard may be 5 or less. At this time, the upper limit of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lower limit of the yellownes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전술한 본 발명의 다층 필름(100)은 제1층(110)과 제2층(12)이 각각 갖는 고유한 물성 조절 및 이들의 두께 비율 제어를 통해 최종 다층 필름의 모듈러스, 항복변형, 연필경도, 광 투과율, 황색도 등의 각종 물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multilayer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odulus, yield strain, and pencil hardness of the final multilayer film by adjusting the uniqu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 and controlling their thickness ratio. , light transmittance, and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yellowness can be optimized.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다층 폴리이미드 필름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된 모듈러스(Modulus)가 5.0 내지 6.5 GPa 이고, 항복 변형(Yield Strain, Y/S)이 1.5 내지 2.5%이고, ASTM D3363 규격에 의한 연필경도(Hardness)는 H 이상이고, 파장 550nm의 광 투과율이 87% 이상이며, ASTM E313-73 규격에 의한 황색도(Y.I.)는 3.0 이하 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층(110)과 제2층(12)의 갖는 고유한 물성 조절 및 이들의 두께 비율 제어 등을 통해 최종 다층 필름의 물성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multilayer polyimide film has a modulus of 5.0 to 6.5 GPa, a yield strain (Y/S) of 1.5 to 2.5%, and a modulu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ASTM D3363 standard. Pencil hardness (Hardness) by H or more, a light transmittance of 550 nm wavelength is 87% or more, yellowness (Y.I.) according to the ASTM E313-73 standard may be 3.0 or les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al multilayer film can be freely modified as desired by the user by adjusting the uniqu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 and controlling their thickness ratio.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100)에 한정된 각 물성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당해 필름 두께 10 내지 100 ㎛를 기준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30 내지 80 ㎛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두께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두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Each physical property limited to the multilayer fil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film thickness of 10 to 100 μm, and may be specifically 30 to 80 μm, unless otherwise specifi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thickness range,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normal thickness range known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100, 200)은, 전술한 모듈러스와 항복 변형(Y/S) 특성을 만족한다면,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 및/또는 이의 조성 등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다층 필름(100, 200)은 적어도 1종의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을 포함하여 공중합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전술한 디아민, 산이무수물, 필요에 따라 용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고온에서 이미드화 및 열처리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The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components constituting polyimide or polyamideimide resin and/or their composition, as long as they satisfy the above-described modulus and yield strain (Y/S) characteristics. . For example, the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and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and may be prepared by imidizing and heat-treating a polyamic acid composi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diamine, acid dianhydride, and, if necessary, a solvent, at a high temperature.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는 방향족 산이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용액중합하여 폴리아믹산 유도체를 제조한 후, 고온에서 폐환탈수시켜 이미드화하여 제조되는 고내열 수지를 일컫는다. 이러한 폴리이미드 수지는 이미드(imide) 고리를 함유하는 고분자 물질로서, 이미드 고리의 화학적 안정성을 기초로 하여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는 랜덤 공중합체(random copolymer)나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형태일 수 있다. In general, polyimide (PI) resins or polyamideimide resins are prepar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of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aromatic diamine or aromatic diisocyanate to prepare polyamic acid derivatives, followed by ring-closure dehydration at high temperature to imidize. heat-resistant resin. Such a polyimide resin is a polymer material containing an imide ring,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wear resistance and electrical properties based on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imide ring. The polyimide or polyamideimide resin may be in the form of a random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본 발명의 다층 필름(100) 중 제1층(110) 및/또는 제2층(120)을 구성하는 디아민(a) 성분은 분자 내 디아민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디아민 화합물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디아민 화합물로는 디아민 구조를 갖는 방향족, 지환족, 지방족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층 필름(100, 200)을 구성하는 제1층(110)의 높은 표면경도와 기계적 물성; 제2층(120)의 우수한 항복 변형(Y/S)과 고굴곡성; 이들(110, 120)의 높은 광투과도(High Transmittance), 낮은 Y.I, 낮은 헤이즈(Haze) 등의 광학 특성을 고려할 때, 제1층(110) 및 제2층(120)을 구성하는 디아민 화합물로서, 불소 치환기가 도입된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설폰계 방향족 디아민, 히드록시계 방향족 디아민, 에테르계 방향족 디아민, 비불소계 방향족 디아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2종 이상 혼합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 diamine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and/or the second layer 120 of the multilayer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having a diamine structure in the molecule, and is known in the art. Conventional diamine compound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diamine compound includes an aromatic, alicyclic, aliphatic compound having a diamine struc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surface hard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rst layer 110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100, 200); excellent yield strain (Y/S) and high flexibility of the second layer 120; Considering optical properties such as high transmittance, low Y.I, and low haze of these 110 and 120, as a diamine compound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having a fluorine substituent introduced thereto, sulfone-based aromatic diamine, hydroxy-based aromatic diamine, ether-based aromatic diamine, and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 may be used alone or in a mixture of two or more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m. there is.

일 구체예를 들면, 제1층(110)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및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제1층(110)을 구성하는 디아민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4,4′-디아미노벤즈아닐라이드(DABA), 4,4'-디아미노-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 (TFDB), 2,2'-디메틸벤지딘(m-Tol), 및 3,3'-디메틸벤지딘(o-To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specific example,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at least one of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s.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diamine compound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include para-phenylenediamine (p-PDA), 4,4′-diaminobenzanilide (DABA), 4,4′-dia In the group consisting of mino-2,2'-bis(trifluoromethyl)biphenyl (TFDB), 2,2'-dimethylbenzidine (m-Tol), and 3,3'-dimethylbenzidine (o-Tol) One or more selected species may be included.

다른 일 구체예를 들면, 제2층(120)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전술한 제1층(110)의 디아민 화합물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및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층(120)을 구성하는 디아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2,2-비스(3-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Bis-AP-AF),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4,4′-디아미노벤즈아닐라이드(DABA), 4,4'-디아미노-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TFDB), 2,2'-비스(트리플루오로 메틸)-4,3'- 디아미노비페닐(FODA),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다이아미노페닐에테르(6FAPB), 2,2'- 비스 (4- 아미노 페녹시 페닐) 프로판(HFBAPP), 3,3'-설포닐다이아닐린(3,3-DDS), 4,4'-설포닐다이아닐린(4,4-DDS), 4,4- 비스 (3- 아미노 페녹시) 디페닐 설폰(m-BAPS), 및 4,4'-옥시디아닐린(4,4-OD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언급되지 않으면서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지환족 방향족 디아민, 설폰계 방향족 디아민, 히드록시계 방향족 디아민, 에테르계 방향족 디아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another specific example,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12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diamine compound of the first layer 110 described above, and more specifically,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at least one of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s. Non-limiting examples of the diamin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120 include 2,2-bis (3-amino-4-hydroxyphenyl) hexafluoropropane (Bis-AP-AF), para-phenylene Diamine (p-PDA), 4,4′-diaminobenzanilide (DABA), 4,4′-diamino-2,2′-bis(trifluoromethyl)biphenyl (TFDB), 2,2 '-bis (trifluoromethyl) -4,3'-diaminobiphenyl (FODA), 2,2'-bis (trifluoromethyl) -4,4'-diaminophenyl ether (6FAPB), 2 ,2'-bis(4-aminophenoxyphenyl) propane (HFBAPP), 3,3'-sulfonyldianiline (3,3-DDS), 4,4'-sulfonyldianiline (4,4-DDS), It may conta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4-bis (3-aminophenoxy) diphenyl sulfone (m-BAPS) and 4,4'-oxydianiline (4,4-ODA). there is. If necessary, it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 fluorinated aromatic diamines,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s, alicyclic aromatic diamines, sulfone-based aromatic diamines, hydroxy-based aromatic diamines, ether-based aromatic diamines, and the like known in the art without being mentioned above. can

전술한 제1층(110) 또는 제2층(120)을 구성하는 디아민 화합물(a)에서,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및/또는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당해 제1층(110) 또는 제2층(120)을 구성하는 전체 디아민 100 몰%를 기준으로 0 내지 100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내지 90 몰%, 보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80 몰%일 수 있다. 다만,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과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중 적어도 하나의 함량은 전체 디아민 100 몰%를 만족하도록 포함된다. In the diamine compound (a)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first layer 110 or second layer 120,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 or the content of the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 to 100 mol% based on 100 mol% of the total diamin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or the second layer 120, respectively, Specifically, it may be 10 to 90 mol%, more specifically 20 to 80 mol%. However, the content of at least one of the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the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 is included to satisfy 100 mol% of the total diamine.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상기 제1층(110) 또는 제2층(120)을 구성하는 디아민(a)으로서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과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을 혼용(混用)할 수 있다. 이때 이들의 사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50~90 : 10~50 몰%비일 수 있다.For a preferred example, as the diamine (a)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or the second layer 120,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 may be mixed. At this time, their use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0 to 90: 10 to 50 mol% ratio.

본 발명의 다층 필름(100) 중 제1층(110) 및/또는 제2층(120)을 구성하는 산이무수물(b) 성분은 분자 내 디안하이드라이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산이무수물 화합물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일례로, 산이무수물(dianhydride)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방향족, 지환족, 지방족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층 필름(100, 200)을 구성하는 제1층(110)의 높은 표면경도와 기계적 물성; 제2층(120)의 우수한 항복 변형(Y/S)과 고굴곡성; 이들의 높은 광투과도(High Transmittance), 낮은 Y.I, 낮은 헤이즈(Haze) 등의 광학 특성을 고려할 때, 제1층(110) 및 제2층(120)을 구성하는 산이무수물 화합물로서, 불소 치환기가 도입된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설폰계 방향족 산이무수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2종 이상 혼합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 acid dianhydride (b) component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and/or the second layer 120 of the multilayer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having a dianhydride structure in the molecule, and the related art Conventional acid dianhydride compounds known to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an aromatic, alicyclic, or aliphatic compound having a dianhydride struc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surface hard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rst layer 110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100, 200); excellent yield strain (Y/S) and high flexibility of the second layer 120; Considering their optical properties, such as high transmittance, low Y.I, and low haze, the acid dianhydride compounds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have a fluorine substituent. The introduced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sulfone-based aromatic acid dianhydride may be used alone or in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by properly combining them.

일 구체예를 들면, 제1층(110)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지환족 산이무수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지환족 산이무수물 중 적어도 2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층(110)을 구성하는 산이무수물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3,3',4,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S-BPDA),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2,3,3,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a-BPDA),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TDA), 1,2,3,4-사이클로부탄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BDA), 1,2,3,4-사이클로펜탄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PDA), 1,2,4,5-사이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HDA),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6FDA), 비사이클로[2,2,2]-7-옥텐-2,3,5,6-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BOTA), 및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로멜리틱 이무수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one specific example, the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a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s;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cyclic acid dianhydrides. preferably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s;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s; and alicyclic acid dianhydrides, at least two or more, more preferably all of them. Non-limiting examples of the acid dianhydride compound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include 3,3',4,4'-biphenyl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S-BPDA) and pyromellitic acid dianhydride (PMDA). , 2,3,3,4-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a-BPDA), 3,3',4,4'-benzopheno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1,2,3,4-cyclo But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BDA), 1,2,3,4-cyclopent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PDA), 1,2,4,5-cyclohex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HDA), 2,2-bis (3,4-dicarboxyphenyl)-1,1,1,3,3,3-hexafluoropropane (6FDA), bicyclo[2,2,2]-7-octene-2,3,5,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6-tetracarboxylic dianhydride (BOTA) and 4-(trifluoromethyl)pyromellitic dianhydride.

전술한 제1층(110)을 구성하는 산이무수물 화합물(a)에서,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지환족 산이무수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당해 제1층(110)을 구성하는 전체 산이무수물 100 몰%를 기준으로 0 내지 100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내지 90 몰%, 보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80 몰%일 수 있다. 다만,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과 지환족 산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의 함량은 전체 산이무수물 100 몰%를 만족하도록 포함된다. In the acid dianhydride compound (a)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first layer 110, a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s; And the content of the alicyclic acid dianhydr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 to 100 mol% based on 100 mol% of the total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specifically 10 to 90 mol%, More specifically, it may be 20 to 80 mol%. However, the content of at least one of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alicyclic acid dianhydride is included to satisfy 100 mol% of the total acid dianhydride.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제1층(110)을 구성하는 산이무수물(b)으로서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지환족 산이무수물을 혼용(混用)할 수 있다. 이때 이들의 사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표면경도와 모듈러스 등의 물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5~30 : 5~20 : 50~90 몰%비일 수 있다. For one specific example, as the acid dianhydride (b)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a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s; And alicyclic acid dianhydride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this time, their use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urface hardness and modulus. For example, it may be 5 to 30: 5 to 20: 50 to 90 mol% ratio.

다른 일 구체예를 들면, 제2층(120)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전술한 제1층(110)의 산이무수물과 상이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불소화 산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층(120)을 구성하는 산이무수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4,4′-(4,4′-이소프로필리덴다이페녹시)비스 프탈산 이무수물(BPADA), 3,3′,4,4′-다이페닐에테르 카르복실산이무수물(ODPA), 3,3',4,4'-다이페닐설폰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DSDA),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다이메틸실란 산이무수물(SiDA),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6FDA)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언급되지 않으면서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지환족 산이무수물, 설폰계 방향족 산이무수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another specific example,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120 is different from the acid dianhydride of the first layer 110 described above, and more specifically, a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fluorinated acid dianhydrid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120 include 4,4′-(4,4′-isopropylidenediphenoxy)bisphthalic dianhydride (BPADA), 3,3′, 4,4'-diphenylether carboxylic acid dianhydride (ODPA), 3,3',4,4'-diphenylsulfo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DSDA), bis(3,4-dicarboxyphenyl)di 1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silane acid dianhydride (SiDA) and 2,2-bis (3,4-dicarboxyphenyl) -1,1,1,3,3,3-hexafluoropropane (6FDA) May include more than one species. If necessary, a conventional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 alicyclic acid dianhydride, or a sulfone-based aromatic acid dianhydride known in the art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being mentioned above.

또한 제2층(120)을 구성하는 산이무수물 화합물(a)에서,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의 함량은 각각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당해 제2층(120)을 구성하는 전체 산이무수물 100 몰%를 기준으로 0 내지 100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내지 90 몰%, 보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80 몰%일 수 있다. 다만,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의 함량은 전체 디아민 100 몰%를 만족하도록 포함된다.In addition, in the acid dianhydride compound (a)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120, the content of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may be 0 to 100 mol%, specifically 10 to 90 mol%, and more specifically 20 to 80 mol% based on 100 mol% of the acid dianhydride. However, the content of at least one of the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th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is included to satisfy 100 mol% of the total diamine.

일 구체예를 들면, 제2층(110)을 구성하는 산이무수물(b)으로서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을 혼용(混用)할 수 있다. 이때 이들의 사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10~90 : 90~10 몰%비이며, 구체적으로 50~90 : 50~10 몰%비일 수 있다.For one specific example, as the acid dianhydride (b)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110, a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may be mixed. At this time, the use ratio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 to 90: 90 to 10 mol% ratio, and specifically 50 to 90: 50 to 10 mol% ratio.

제1층(110) 및/또는 제2층(120)을 구성하는 폴리아믹산 조성물에서, 상기 디아민 성분(a)의 몰수와 상기 산이무수물 성분(b)의 몰수의 비(a/b)는 0.7~1.3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 범위일 수 있다.In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and/or the second layer 120, the ratio (a/b) of the number of moles of the diamine component (a) to the number of moles of the acid dianhydride component (b) is 0.7 ~ 1.3, preferably 0.8 to 1.2, more preferably 0.9 to 1.1.

본 발명의 폴리아믹산 조성물은 전술한 단량체들의 용액 중합반응을 위한 용매로서 당 분야에 공지된 유기용매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용매의 일례를 들면, m-크레졸,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디에틸아세테이트, 및 디메틸 프탈레이트(DMP)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극성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클로로포름과 같은 저비점 용액 또는 γ-부티로락톤과 같은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용매(중합용 제1 용매)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적절한 폴리아믹산 조성물(폴리아믹산 용액)의 분자량과 점도를 얻기 위하여 전체 폴리아믹산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 95 중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In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s a solvent for solution polymerization of the above-described monomers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m-cresol, N-methyl-2-pyrrolidone (NMP), 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acetamide (DMAc), dimethylsulfoxide (DMSO), acetone, diethyl At least one polar solvent selected from acetate and dimethyl phthalate (DMP) may be used. In addition, a low boiling point solution such as tetrahydrofuran (THF) or chloroform or a solvent such as γ-butyrolactone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solvent (first solvent for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0 to 9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in order to obtain an appropriate molecular weight and viscosity of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polyamic acid solution) , More preferably, it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70 to 90% by weight.

상술한 폴리아믹산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과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을 유기용매에 투입한 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일례로 폴리이미드의 물성 개선을 위해 디아민(a)과 산이무수물(b)을 대략 1 : 1의 당량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믹산 조성물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제1층(110) 및/또는 제2층(120)을 구성하는 폴리아믹산 조성물 전체 중량 100 중량%을 기준으로, 산이무수물 2.5 내지 25.0 중량%, 디아민 2.5 내지 25.0 중량%, 및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의 유기용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용매의 함량은 7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믹산 조성물은 당해 고형분 100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산이무수물 30 내지 70 중량%, 및 디아민 30 내지 7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above-described polyamic acid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dding at least one kind of acid dianhydride and at least one kind of diamine to an organic solvent and then reacting them. For example,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imide, diamine (a) and acid dianhydride (b) ) can be adjusted to an equivalence ratio of approximately 1: 1. The composition of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2.5 to 25.0 weight of an acid dianhydride based on 100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110 and/or the second layer 120. %, 2.5 to 25.0% by weight of diamine, and a balance of an organic solvent that satisfies 100%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Here, the content of the organic solvent may be 70 to 90% by weight. In addition,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may include 30 to 70 wt% of acid dianhydride and 30 to 70 wt% of diamine based on 100 wt% of the solid content,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폴리아믹산 조성물은 약 1,000 내지 200,000 cps,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50,000 cps 범위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폴리아믹산 조성물의 점도가 전술한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폴리아믹산 조성물의 코팅시 두께 조절이 용이하며, 코팅 표면이 균일하게 발휘될 수 있다.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viscosity ranging from about 1,000 to 200,000 cps, preferably about 5,000 to 50,000 cps. When the viscosity of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fall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thickness can be easily controlled during coating of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and the coating surface can be exhibited uniformly.

필요에 따라, 상기 폴리아믹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소제, 산화방지제, 난연화제, 분산제, 점도 조절제, 레벨링제, 무기필러, 착색제 등의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소량 포함할 수 있다.As necessary,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may contain at least one of a plasticizer, an antioxidant, a flame retardant, a dispersant, a viscosity modifier, a leveling agent, an inorganic filler, a colorant, etc. Additives may be included in small amounts.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1층(110) 및 제2층(120) 중 적어도 하나는, 착색제 및 무기 필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제, 무기 필러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착색제, 무기 필러 성분을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lorant and an inorganic filler. These colorants, inorganic fillers, etc.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 colorants and inorganic filler components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상기 착색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광학 특성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착색제, 염료, 및/또는 안료 등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착색제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카본 블랙, 산화 코발트, Fe-Mn-Bi 흑색, 산화철 흑색, 운모질 산화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제의 종류에 따라 제1층(110) 및 제2층(120)은 각각 블랙, 진회색, 흑갈색, 진갈색 등의 유색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착색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착색제는 상기 제1층(110) 또는 제2층(120)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The color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lorants, dyes, and/or pigments used for compensating optical properties in the art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The material usable as the color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cobalt oxide, Fe-Mn-Bi black, iron oxide black, and mica iron oxid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colorant,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may each have a color such as black, dark gray, dark brown, or dark brown.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color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content rang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colora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layer 110 or the second layer 120 .

사용 가능한 무기 필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클레이, 탈크, 규산칼슘, 산화티탄, 산화안티몬, 유리섬유, 붕산알루미늄,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칼슘,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비스무스, 산화티탄, 지르콘산바륨, 지르콘산칼슘, 질화붕소, 질화규소, 활석(talc), 운모(mica) 등이 있다. 이러한 무기 필러의 사용량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최종 다층 필름의 기계적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무기 필러의 평균 입경 및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일례로 0.1 내지 10 ㎛ 범위일 수 있다. Non-limiting examples of usable inorganic fillers include silica,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alumina, magnesia, clay, talc, calcium silicate, titanium oxide, antimony oxide, glass fiber, aluminum borate, barium titanate, strontium titanate, and calcium titanate. , magnesium titanate, bismuth titanate, titanium oxide, barium zirconate, calcium zirconate, boron nitride, silicon nitride, talc, mica, and the like. The amount of the inorganic filler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al multilayer fil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conventional rang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range of 0.1 to 10 μm.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The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상기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일 실시예를 들면, 제1층(또는 제2층)을 구성하는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기재(substrate), 예컨대 유리 기판 상에 코팅(캐스팅)한 후 30~350℃의 범위에서 온도를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0.5 ~ 8시간 동안 이미드 폐환반응 (Imidazation)을 유도시켜 제조한 후, 제조된 제1층(또는 제2층)의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제2층(또는 제1층)을 구성하는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코팅하고 이미드화하여 제2층(또는 제1층) 폴리이미드 필름을 형성하여 최종 제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film, after coating (casting)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or second layer) on a substrate,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a temperature range of 30 to 350 ° C. After preparing by inducing imide ring closure reaction (Imidazation) for 0.5 to 8 hours while slowly raising the temperature in the second layer (or first layer) on the polyimide film of the prepared first layer (or second layer) ) It may be finally prepared by coating and imidizing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or first layer) to form a polyimide film.

이때 코팅방법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스핀코팅(Spin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 슬롯다이 코팅(Slot die coating) 및 스프레이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색투명한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두께는 수 백 nm에서 수십 ㎛가 되도록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적어도 1회 이상 코팅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ating method may use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without limitation, and as an example, spin coating, dip coating, solvent casting, slot die coating, and It can be made by at least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ray coating.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may be coated at least once or more so that the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imide resin layer has a thickness of several hundred nm to several tens of μm.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합된 폴리아믹산을 지지체에 캐스팅하여 이미드화하는 단계에 적용되는 이미드화법으로는 열이미드화법, 화학이미드화법, 또는 열이미드화법과 화학이미드화법을 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the polyimide film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idation method applied to the imidization step by casting the polymerized polyamic acid on a support is a thermal imidation method, a chemical imidation method, or a thermal imidation method and a chemical imidation method. It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imidization method.

열이미드화법은 폴리아믹산 조성물(폴리아믹산 용액)을 지지체상에 캐스팅하여 30 ~ 400℃의 온도범위에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 ~ 10시간 가열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얻는 방법이다.The thermal imidation method is a method of obtaining a polyimide film by casting a polyamic acid composition (polyamic acid solution) on a support and heating it for 1 to 10 hours while slowly raising the temperature in a temperature range of 30 to 400 ° C.

또한 화학이미드화법은 폴리아믹산 조성물에 아세트산무수물 등의 산무수물로 대표되는 탈수제와 이소퀴놀린, β-피콜린, 피리딘 등의 아민류 등으로 대표되는 이미드화 촉매를 투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화학이미드화법에 열이미드화법 또는 열이미드화법을 병용하는 경우, 폴리아믹산 조성물의 가열 조건은 폴리아믹산 조성물의 종류,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 등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다.In the chemical imidation method, a dehydrating agent represented by an acid anhydride such as acetic anhydride and an imidation catalyst represented by amines such as isoquinoline, β-picoline, and pyridine are added to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When a thermal imidation method or a thermal imidation method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hemical imidation method, heating conditions of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polyimide film to be produced, and the like.

상기 열이미드화법과 화학이미드화법을 병용하는 경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아믹산 조성물에 탈수제 및 이미드화 촉매를 투입하여 지지체상에 캐스팅한 후 80 ~ 300℃, 바람직하게는 150 ~ 250℃에서 가열하여 탈수제 및 이미드화 촉매를 활성화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경화 및 건조한 후, 폴리이미드 필름을 얻을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thermal imidation method and the chemical imidation method are used together, a dehydrating agent and an imidation catalyst are added to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casted on a support, and then 80 to 300 ° C., preferably 150 to 250 ° C. After partially curing and drying by heating at °C to activate the dehydrating agent and the imidation catalyst, a polyimide film can be obtained.

상기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다른 일 실시예를 들면, 기제조된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OCA)일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투명 접착제(OCA)는 제1층과 제2층 사이의 대향면 뿐만 아니라 비(非)대향하는 제1층과 제2층 중 어느 일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For another example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film, a conventional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between the pre-prepared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is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OCA). Such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opposite surface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but also on any one surface of the non-opposit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이와 같이 형성된 다층 필름(10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10 내지 150㎛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범위일 수 있다. 이때 다층 필름(100)을 구성하는 제1층(110)과 제2층(120)의 두께 비율은 당해 제1층과 제2층의 두께를 합한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10 : 90 ~ 90 : 10 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film 100 thus form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applied field.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150 μm,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100 μm. At this time,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100 is 10:90 to 90:10 based 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t may be,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2층(120) 상에 제1층(110)이 적층된 구조; 제1층(110) 상에 제2층(120)이 적층된 구조를 도 1-2를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다층 필름(100)을 구성하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층의 개수와 적층 순서를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일례로, 전술한 제1층(110), 제2층(120)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또는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다른 표면층이나 이형필름, 기재필름, 보호필름 등을 추가로 도입하여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ayer 110 is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120;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layer 120 is stacked on the first layer 110 is exemplarily described through FIGS. 1-2. Howev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reely select and configure the number and stacking order of the polyimide or polyamideimide layer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100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example, the order of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described above is changed, or by additionally introducing other common surface layers, release films, base films, protective films, etc. known in the art, 3 I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more than one layer.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 및 그 변형예들은, 높은 표면경도와 기계적 특성; 우수한 항복 변형(Y/S)과 고굴곡 특성, 우수한 광학 특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윈도우 또는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로 적용되어 표면 찰상을 방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우수한 유연성과 시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The polyimide or polyamideimid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nd its modifications have high surface hard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It can be usefully used in various fields requiring excellent yield strain (Y/S), high flexural properties, and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For example, it may be used as a cover window or protective film of a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it can be applied as a cover window of a display device to prevent surface scratches and provide excellent flexibility and visibility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다층 필름(100, 200)은 제1층(110)과 제2층(120)이 순차 적층되며, 대향 배치되는 제1층(110) 및 제2층(120) 사이에 형성된 제1 접착층(미도시); 및 비(非)대향하는 제1층(110)과 제2층(120) 중 어느 일면 상에 형성된 제2 접착층(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일례로 광학 투명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multilayer film 100 or 200, a first layer 110 and a second layer 120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between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on (not shown); And a second adhesive layer (not shown) formed on any one surface of the non-opposite first layer 110 and second layer 120; At least one of them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identical to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onventional adhesive and/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s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다층필름(100, 200)에 구비된 제1층(110)과 제2층(120) 중 어느 하나는 제2 접착층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과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최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최외면에 배치되는 다층 필름(100, 200)의 일 구성으로서 높은 모듈러스, 표면경도와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제1층(110)이 배치될 경우, 표면 경도를 중요시하는 커버윈도우(Cover Window) 필름에 적용되어 디스플레이의 내스크래치성 및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최외면에 배치되는 다층 필름(100, 200)의 일 구성으로서 높은 항복 변형(Y/S), 폴딩성을 갖는 제2층(120)을 사용할 경우, 벤딩성(bendability)을 중요시하는 커버윈도우(Cover Window) 필름에 적용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으로 인해 반복되는 굴곡 피로에 대한 크랙 발생을 억제하고 뛰어난 굴곡성을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one of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provided in the multilayer film 100,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other is attached to the outermost surface. can be placed.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ayer 110 having high modulus, surface hard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is disposed as one component of the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a cover window film for which surface hardness is important It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scratch resistance and reliability of the display. And when the second layer 120 having high yield strain (Y/S) and foldability is used as one component of the multilayer films 100 and 200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a cover window in which bendability is important (Cover Window) By being applied to the film, crack generation due to repeated bending fatigue can be suppressed due to excellent flexibility and excellent flexibility can be exhibited.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부착된 다층 필름(100, 200)의 최외면은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보호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보호필름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For one specific example,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multilayer film 100 or 200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hard coating layer, an anti-fingerprint layer, and a protective film layer. The hard coating layer, the anti-fingerprint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 configurations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나 비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평판 표시 장치(FPD: Flat Panel Display Device) 뿐 아니라, 곡면형 표시 장치(Curved Display Device), 폴더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폴더블 모바일폰, 스마트폰, 이동통신 단말기나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음극선관 표시장치(Cathode Ray Display), 전자 페이퍼 등일 수 있다. 일 구체예를 들면, LCD, PDP, OLE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전술한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며, 그 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이나 보호막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refers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or a non-flexible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and include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PD) as well as a curved display device,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a foldable display device. It includes a foldable display device, a flexible display device, a foldable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ablet PC,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n electrophoretic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It may be a field emission display, a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a plasma display, a cathode ray display, electronic paper, and the like. For example, it may be a flat panel display panel such as LCD, PDP, OLED.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uses, the multilay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known in the art, and can also be used as a substrate or protective film for other flexible displays.

전술한 다층 필름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구체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 편광판, 터치스크린패널, 커버 윈도우, 및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One specific example of a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multilayer film includes a display unit, a polarizing plate, a touch screen panel, a cover window, and a protective film, and the cover window comprises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Here,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conventional components known in the art.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9.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 다층필름 제조][Examples 1 to 9. Manufacture of polyamic acid and polyimide multilayer film]

하기 표 1에 기재된 디아민과 산이무수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예 1~4의 폴리아믹산을 제조하였다 Polyamic acids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4 were prepared using compositions including diamine and acid dianhydride shown in Table 1 below.

이후 제2층 필름(120)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LCD용 유리에 스핀 코팅한 후, 질소 분위기의 컨벡션 오븐에서 80℃에서 30분, 150℃에서 30분, 200℃에서 1시간, 300℃에서 1시간으로 단계적으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건조 및 이미드 폐환반응(Imidazation)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이미드화율이 85% 이상인 막 두께 5~75 ㎛의 제2층 폴리이미드 필름(120)을 제조하였다. Thereafter, in order to prepare the second layer film 120,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2 below was spin-coated on the glass for LCD, and then in a nitrogen atmosphere convection oven at 80 ° C. for 30 minutes, at 150 ° C. for 30 minutes, 200 ° C. Drying and imidazation were carried out while slowly raising the temperature stepwise at °C for 1 hour and 300 °C for 1 hour. Accordingly, a second layer polyimide film 120 having an imidation rate of 85% or more and a film thickness of 5 to 75 μm was manufactured.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2층 폴리이미드 필름(120) 상에, 하기 표 1~2에 기재된 제1층 필름(110)의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스핀 코팅한 후, 질소 분위기의 컨벡션 오븐에서 80℃에서 30분, 150℃에서 30분, 200℃에서 1시간, 300℃에서 1시간으로 단계적으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건조 및 이미드 폐환반응(Imidazation)을 진행하여 이미드화율이 85% 이상인 막 두께 5~75㎛의 제1층 폴리이미드 필름(110)이 형성된 실시예 1 내지 9의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After spin-coating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of the first layer film 110 described in Tables 1 and 2 below on the second layer polyimide film 120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t 80 ° C. in a convection oven in a nitrogen atmosphere. 30 minutes, 150℃ for 30 minutes, 200℃ for 1 hour, 300℃ for 1 hour, while gradually raising the temperature step by step, drying and imidazation are carried out to achieve a film thickness of 85% or more with an imidation rate of 5 to 75 Multilayer films of Examples 1 to 9 in which the first layer polyimide film 110 of μm was formed were prepared.

디아민 (몰%)Diamine (mol %) 산이무수물 (몰%)Acid dianhydride (mol%) 제1모노머1st monomer 제2모노머Second monomer 제1모노머1st monomer 제2모노머Second monomer 제3 모노머3rd monomer 제1층
(110)
1st floor
(110)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TFDB (100)TFDB (100) -- BPDA (20)BPDA (20) CBDA (70)CBDA (70) 6FDA (10)6FDA (10)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TFDB (90)TFDB (90) m-Tol (10)m-Tol (10) BPDA (20)BPDA (20) CBDA (70)CBDA (70) 6FDA (10)6FDA (10) 제2층
(120)
2nd floor
(120)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TFDB (90)TFDB (90) m-Tol (10)m-Tol (10) BPADA (40)BPADA (40) BPDA (20)BPDA (20) ODPA (40)ODPA (40)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TFDB (90)TFDB (90) m-Tol (10)m-Tol (10) BPADA (40)BPADA (40) BPDA (30)BPDA (30) 6FDA (30)6FDA (30)

구조structure 구성composition 제1층 (100)1st floor (100) 제2층 (200)2nd floor (200) 조성Furtherance 두께 (㎛)Thickness (㎛) 조성Furtherance 두께 (㎛)Thickness (㎛) 다층 필름
(제1층-제2층)
multilayer film
(1st floor - 2nd floor)
실시예 1Example 1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55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4545
실시예 2Example 2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1010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4040 실시예 3Example 3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2020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3030 실시예 4Example 4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2525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7575 실시예 5Example 5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2525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2525 실시예 6Example 6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7575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2525 실시예 7Example 7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3030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2020 실시예 8Example 8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4040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1010 실시예 9Example 9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4545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55 단일층
필름
(제1층 또는 제2층)
single layer
film
(1st or 2nd floor)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5050 --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100100 --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 --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5050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 --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100100

[비교예 1~4.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Comparative Examples 1 to 4. Production of polyamic acid composition and polyimide film]

상기 표 1 및 2에 기재된 디아민과 산이무수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예 1~4의 폴리아믹산을 제조하였다. Polyamic acids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4 were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s containing the diamine and acid dianhydride described in Tables 1 and 2 above.

상기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LCD용 유리에 스핀 코팅한 후, 질소 분위기의 컨벡션 오븐에서 80℃에서 30분, 150℃에서 30분, 200℃에서 1시간, 300℃에서 1시간으로 단계적으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건조 및 이미드 폐환반응(Imidazation)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이미드화율이 85% 이상인 막 두께 50 ㎛ 또는 100 ㎛의 단일층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불산으로 유리를 에칭하여 비교예 1 내지 4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각각 취하였다.After spin-coating the polyamic acid composition on glass for LCD, drying while slowly raising the temperature in a convection oven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t 80 ° C for 30 minutes, 150 ° C for 30 minutes, 200 ° C for 1 hour, and 300 ° C for 1 hour and imide ring closure reaction (Imidazation) was performed. Accordingly, a single-layer polyimide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of 50 μm or 100 μm and having an imidization rate of 85% or more was prepared. Thereafter, the glass was etched with hydrofluoric acid to obtain polyimide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respectively.

[실험예: 물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실시예 1~9와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imide resin films prepared in Examples 1 to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물성평가 방법><Physical property evaluation method>

1) 광투과도 측정1) Measurement of light transmittance

550nm 파장에서 UV-Vis NIR Spectrophotometer(Shimadzu, 모델명: UV-315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t was measured using a UV-Vis NIR Spectrophotometer (Shimadzu, model name: UV-3150) at a wavelength of 550 nm.

2) 황색도 측정2) Yellowness measurement

분광측색계(Konica Minolta, CM-3700d)를 이용하여 550nm에서의 황색도를 ASTM E313-73 규격으로 측정하였다. The yellowness at 550 nm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E313-73 standard using a spectrophotometer (Konica Minolta, CM-3700d).

3) 두께 측정 3) Thickness measurement

두께 측정기(Mitutoyo, 모델명: 547-401)를 이용하여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film was measured using a thickness meter (Mitutoyo, model name: 547-401).

4) 모듈러스 측정4) Modulus measurement

UTM (Instron, 모델명: 5942)을 이용하여 ASTM D882규격으로 인장강도(MPa), 탄성율(GPa)을 측정하였다. Tensile strength (MPa) and modulus of elasticity (GPa)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882 standard using UTM (Instron, model name: 5942).

5) 항복변형(Yield Strain) 측정5) Measurement of Yield Strain

UTM (Instron, 모델명: 5942)을 이용하여 ASTM D882 규격으로 20~40 MPa 구간에서 응력-변형 곡선의 기울기(Stress-Strain slope threshold, X1)를 기준으로 80% 이상 일치하는 임계값(X2 ≥ X1 × 0.8)에 대응되는 변형(Strain, x값)을 측정하였다.Using UTM (Instron, model name : 5942), a threshold value (X 2 Strain (x value) corresponding to ≥ X 1 × 0.8) was measured.

6) 굴곡특성 측정(Dynamic Folding cycle)6) Measurement of bending characteristics (Dynamic Folding cycle)

면상체 무부하 U자 접기시험 장비(DLDMLS-FS, YUASA)를 사용하여 굴곡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곡률 반경을 1mm~5mm로 조절하여 폴딩 사이클(Folding Cycle)을 측정하였다.The bending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a flat body unloaded U-folding test equipment (DLDMLS-FS, YUASA), and the folding cycle was measured by adjusting the radius of curvature to 1 mm to 5 mm.

7) 연필경도 측정7) Measurement of pencil hardness

폴리이미드 필름의 경도를 확인하기 위해, 연필경도시험기 [CORTECH(CT-PC2)]를 이용하여 ASTM D3363 규격에 따라 표면경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시 사용된 연필 (Mistubishi, Japan)을 90°로 세워 끝을 샌드페이퍼로 마모시켰고, 1 kg의 하중이 일정 방향으로 적용되는 상태에서 45°의 각도로 기울여 일정한 속도로 마찰시킬 때 폴리이미드 필름 표면에서의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지 않는 가장 높은 값을 측정하였다. 1개의 시험편에 대해서 3회씩 반복 측정하였으며, 0회 이상 흔적이 생기지 않는 경우 사용된 연필의 경도를 표면경도 값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긁음의 정도로서, (Soft) 9B~B→HB→F→H~9H (Hard)의 순서로, 즉 최대 강도시 연필 종류로 표시한 것이다.In order to check the hardness of the polyimide film, the surface hardnes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3363 standard using a pencil hardness tester [CORTECH (CT-PC2)]. The pencil (Mistubishi, Japan) used for measurement was held at 90° and the tip was abraded with sandpaper, and the surface of the polyimide film was rubbed at a constant speed while tilted at an angle of 45° while a load of 1 kg was applied in a certain direction. The highest value at which scratches did not occur was measured. The measure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for one test piece, and when no trace was generated more than 0 times, the hardness of the pencil used was measured as a surface hardness value. At this time, as the degree of scratching, (Soft) 9B ~ B → HB → F → H ~ 9H (Hard), that is, it is indicated by the type of pencil at maximum strength.

구조structure 구성composition 필름의 특성Characteristics of the film 두께
(㎛)
thickness
(μm)
투과도
(%)
permeability
(%)
황색도yellowness 모듈러스
(GPa)
modulus
(GPa)
항복변형
(Yield strain,%)
yield strain
(Yield strain,%)
연필
경도
pencil
Hardness
Dynamic Folding cycle (@1R)Dynamic Folding cycle (@1R)
다층
폴리이미드
(제1층-제2층)
multi-layer
polyimide
(1st floor - 2nd floor)
실시예 1Example 1 제1층1st floor 55 89.989.9 1.01.0 5.95.9 1.71.7 HH 210K210K
제2층2nd floor 4545 88.588.5 1.81.8 4.94.9 2.22.2 HBHB 1100K1100K 최종final 5050 89.289.2 1.61.6 5.75.7 2.02.0 HH 530K530K 실시예 2Example 2 제1층1st floor 1010 89.889.8 1.41.4 5.95.9 1.71.7 HH 210K210K 제2층2nd floor 4040 88.688.6 1.81.8 4.94.9 2.22.2 HBHB 1100K1100K 최종final 5050 89.189.1 1.71.7 5.75.7 2.12.1 HH 580K580K 실시예 3Example 3 제1층1st floor 2020 89.689.6 1.61.6 6.16.1 1.61.6 HH 210K210K 제2층2nd floor 3030 88.688.6 1.71.7 4.84.8 2.22.2 BB 1000K1000K 최종final 5050 89.489.4 1.61.6 5.75.7 2.02.0 HH 620K620K 실시예 4Example 4 제1층1st floor 2525 89.689.6 1.61.6 6.16.1 1.61.6 HH 210K210K 제2층2nd floor 7575 88.288.2 1.91.9 4.94.9 2.12.1 HBHB 850K850K 최종final 100100 88.788.7 1.71.7 5.65.6 2.02.0 HH 520K520K 실시예 5Example 5 제1층1st floor 2525 89.689.6 1.61.6 6.16.1 1.61.6 HH 210K210K 제2층2nd floor 2525 88.688.6 1.61.6 4.74.7 2.22.2 BB 1000K1000K 최종final 5050 89.389.3 1.61.6 5.65.6 2.12.1 HH 530K530K 실시예 6Example 6 제1층1st floor 7575 89.189.1 1.91.9 6.66.6 1.61.6 2H2H 250K250K 제2층2nd floor 2525 88.688.6 1.61.6 4.74.7 2.22.2 BB 1000K1000K 최종final 100100 88.8888.88 1.71.7 6.26.2 2.02.0 HH 540K540K 실시예 7Example 7 제1층1st floor 3030 89.589.5 1.61.6 6.16.1 1.61.6 HH 210K210K 제2층2nd floor 2020 88.688.6 1.61.6 4.74.7 2.22.2 BB 1000K1000K 최종final 5050 88.788.7 1.61.6 5.85.8 2.02.0 HH 510K510K 실시예 8Example 8 제1층1st floor 4040 89.589.5 1.71.7 6.26.2 1.61.6 HH 200K200K 제2층2nd floor 1010 89.889.8 1.51.5 4.64.6 2.22.2 2B2B 1200K1200K 최종final 5050 89.689.6 1.61.6 6.06.0 2.02.0 HH 480K480K 실시예 9Example 9 제1층1st floor 4545 89.589.5 1.71.7 6.26.2 1.61.6 HH 210K210K 제2층2nd floor 55 89.989.9 1.51.5 4.64.6 2.22.2 2B2B 1200K1200K 최종final 5050 89.589.5 1.61.6 6.06.0 2.02.0 HH 450K450K 단일층
폴리이미드
single layer
polyimid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050 89.289.2 1.71.7 6.26.2 1.61.6 HH 210K210K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00100 87.187.1 3.43.4 6.76.7 1.61.6 2H2H 200K200K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5050 88.688.6 1.81.8 4.94.9 2.22.2 HBHB 1000K1000K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00100 88.488.4 3.83.8 4.94.9 2.22.2 HBHB 600K600K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다층 필름의 경우 비교예 1의 단일층 필름 대비 높은 항복변형(Yield Strain, Y/S)을 나타내어 Folding 횟수가 100만회를 넘어가도 변화가 없는 특성으로 보였으며, 단일층 구조인 비교예 3 대비 모듈러스(Modulus)와 연필경도 특성이 동시에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3, in the case of the multilayer films of Examples 1 and 2, the yield strain (Y/S) is higher than that of the single layer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re is no change even if the number of folding exceeds 1 million times. , and it was found that the modulus and pencil hardness characteristics were simultaneously improv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3, which is a single layer structure.

또한 실시예 4의 경우, 동일 두께를 갖는 비교예 2 및 4에 비해, 보다 우수한 광학 특성과 폴딩 특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실시예 5의 경우에도, 동일 두께를 갖는 비교예 1 대비 낮은 황색도와 우수한 Folding 특성을 보였으며, 비교예 3 대비 낮은 황색도, 높은 모듈러스(Modulus)와 연필경도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In addition, Example 4 exhibited better optical properties and folding properties than Comparative Examples 2 and 4 having the same thickness. And even in the case of Example 5, it showed low yellowness and excellent folding characteristic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the same thickness, and showed characteristics of low yellowness, high modulus and pencil hardnes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3.

또한 실시예 6의 다층 필름은 비교예 2 와 비교예 4과 비교하여, 100 ㎛의 두꺼운 두께 조건 하에서도 광학특성 개선과 Folding 특성의 향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 addition, the multilayer film of Example 6,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show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optical characteristics and folding characteristics even under a thick thickness condition of 100 μm.

아울러 실시예 7 내지 9의 다층 필름의 경우에도 단일층 구조를 갖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요구 특성의 향상을 나타냄에 따라 다양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요구 특성에 적절히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multilayer films of Examples 7 to 9, a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having a single layer structure,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and thus various flexible displays (Flexible display) It was seen tha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lay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applied as a cover window of a display device.

100, 200: 다층 필름
110: 제1층
120: 제2층
100, 200: multilayer film
110: first layer
120: second layer

Claims (23)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 필름으로서,
상기 제1층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된 모듈러스가 5GPa 이상이고, 항복 변형(Yield Strain, Y/S)이 2.0% 미만이며,
상기 제2층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된 모듈러스가 5GPa 미만이고, 항복변형(Y/S)이 2.0% 이상이며,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각각,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을 포함하여 공중합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필름인, 다층 필름.
As a multilayer film of at least two or more layers including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The first layer has a modulus of 5 GPa or more, a yield strain (Y / S) of less than 2.0%,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The second layer has a modulus of less than 5 GPa and a yield strain (Y / S) of 2.0%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Each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ncludes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and a polyimide or polyamideimide film copolymerized with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모듈러스는 5 내지 7 GPa이고, 항복변형(Y/S)은 1.0 내지 1.99%이며,
상기 제2층의 모듈러스는 3 내지 4.99 GPa이고, 항복변형(Y/S)은 2.0 내지 3.0%인,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us of the first layer is 5 to 7 GPa, the yield strain (Y / S) is 1.0 to 1.99%,
The second layer has a modulus of 3 to 4.99 GPa and a yield strain (Y/S) of 2.0 to 3.0%.
제1항에 있어서,
ASTM D3363 규격에 의해 측정된 제1층의 연필경도는 H 이상이고, 제2층의 연필경도는 H 미만인,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A multilayer film, wherein the pencil hardness of the first layer is greater than H and the pencil hardness of the second layer is less than H, as measured by the ASTM D3363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제2층은 각각,
곡률 반경 1 내지 5mm로 굴곡시켰을 때 파단까지의 굴곡 횟수가 200,000회 이상인,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respectively,
A multilayer film having a bending number of 200,000 or more until breaking when bending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1 to 5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제2층은 각각,
두께 30 내지 100 ㎛에서 파장 550nm의 광 투과율이 85% 이상이며,
ASTM E313 규격에 의한 황색도가 5 이하인,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respectively,
The transmittance of light at a wavelength of 550 nm is 85% or more at a thickness of 30 to 100 μm,
A multilayer film having a yellowness of 5 or less according to the ASTM E313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및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kind of diamin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is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a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4,4′-디아미노벤즈아닐라이드(DABA), 4,4'-디아미노-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 (TFDB), 2,2'-디메틸벤지딘(m-Tol), 및 3,3'-디메틸벤지딘(o-To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6,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is para-phenylenediamine (p-PDA), 4,4'-diaminobenzanilide (DABA), 4,4'-diamino-2,2' -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trifluoromethyl)biphenyl (TFDB), 2,2'-dimethylbenzidine (m-Tol), and 3,3'-dimethylbenzidine (o-Tol) Multi-layer film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지환족 산이무수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type of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may include a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s; And a multilayer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cyclic acid dianhydrid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3,3',4,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S-BPDA),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2,3,3,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a-BPDA),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BTDA), 1,2,3,4-사이클로부탄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BDA), 1,2,3,4-사이클로펜탄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PDA), 1,2,4,5-사이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HDA),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6FDA), 비사이클로[2,2,2]-7-옥텐-2,3,5,6-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BOTA), 및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로멜리틱 이무수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8,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is 3,3',4,4'-biphenyl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S-BPDA), pyromellitic acid dianhydride (PMDA), 2,3, 3,4-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a-BPDA), 3,3',4,4'-benzopheno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1,2,3,4-cyclobut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BDA), 1,2,3,4-cyclopent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PDA), 1,2,4,5-cyclohexa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CHDA), 2,2-bis(3,4- Dicarboxyphenyl)-1,1,1,3,3,3-hexafluoropropane (6FDA), bicyclo[2,2,2]-7-octene-2,3,5,6-tetracarboxylic A multilayer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id dianhydride (BOTA), and 4-(trifluoromethyl)pyromellitic dianhydr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지환족 산이무수물의 각 함량은 각각 당해 제1층을 구성하는 전체 산이무수물 100 몰%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몰%인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8,
the 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s; and each content of the alicyclic acid dianhydride is 10 to 100 mol% based on 100 mol% of the total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및 비불소화 방향족 디아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is fluorinated aromatic diamine; and a non-fluorinated aromatic diam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디아민은, 2,2-비스(3-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Bis-AP-AF),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4,4′-디아미노벤즈아닐라이드(DABA), 4,4'-디아미노-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TFDB), 2,2'-비스(트리플루오로 메틸)-4,3'- 디아미노비페닐(FODA),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다이아미노페닐에테르(6FAPB), 2,2'- 비스 (4- 아미노 페녹시 페닐) 프로판(HFBAPP), 3,3'-설포닐다이아닐린(3,3-DDS), 4,4'-설포닐다이아닐린(4,4-DDS), 4,4- 비스 (3- 아미노 페녹시) 디페닐 설폰(m-BAPS), 및 4,4'-옥시디아닐린(4,4-OD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1,
At least one type of diamin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is 2,2-bis (3-amino-4-hydroxyphenyl) hexafluoropropane (Bis-AP-AF), para-phenylenediamine (p- PDA), 4,4'-diaminobenzanilide (DABA), 4,4'-diamino-2,2'-bis(trifluoromethyl)biphenyl (TFDB), 2,2'-bis( Trifluoromethyl) -4,3'-diaminobiphenyl (FODA), 2,2'-bis (trifluoromethyl) -4,4'-diaminophenyl ether (6FAPB), 2,2'- Bis (4-aminophenoxyphenyl) propane (HFBAPP), 3,3'-sulfonyldianiline (3,3-DDS), 4,4'-sulfonyldianiline (4,4-DDS), 4,4- A multilayer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 (3-aminophenoxy) diphenyl sulfone (m-BAPS) and 4,4'-oxydianiline (4,4-OD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및 불소화 산이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type of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is a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and a fluorinated acid dianhydri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무수물은, 4,4′-(4,4′-이소프로필리덴다이페녹시)비스 프탈산 이무수물(BPADA), 3,3′,4,4′-다이페닐에테르 카르복실산이무수물(ODPA), 3,3',4,4'-다이페닐설폰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DSDA),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다이메틸실란 산이무수물(SiDA),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6FD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3,
At least one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is 4,4'-(4,4'-isopropylidenediphenoxy) bisphthalic dianhydride (BPADA), 3,3',4,4' -Diphenyl ether carboxylic acid dianhydride (ODPA), 3,3',4,4'-diphenylsulfone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DSDA), bis(3,4-dicarboxyphenyl)dimethylsilane acid dianhydride (SiDA),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2-bis (3,4-dicarboxyphenyl) -1,1,1,3,3,3-hexafluoropropane (6FDA) , multi-layer fil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불소화 방향족 산이무수물 또는 불소화 산이무수물의 함량은 각각, 당해 제2층을 구성하는 전체 산이무수물 100 몰%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몰%인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tent of the non-fluorinated aromatic acid dianhydride or fluorinated acid dianhydride is 10 to 100 mol% based on 100 mol% of the total acid dianhydride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또는 제2층을 구성하는 디아민(a)과 산이무수물(b)의 몰수의 비(a/b)는 각각 0.7 내지 1.3 범위인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ratio (a / b) of the number of moles of diamine (a) and acid dianhydride (b)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or the second layer is in the range of 0.7 to 1.3,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의 두께 비율은 10 : 90 내지 90 : 10 인,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10: 90 to 90: 10, the multilay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적어도 하나는, 착색제 및 무기 필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lorant and an inorganic filler, the multilay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은 제1층과 제2층이 순차 적층되며,
대향 배치되는 제1층 및 제2층 사이에 형성된 제1 접착층; 및
비(非)대향하는 제1층과 제2층 중 어느 일면 상에 형성된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ultilayer film,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at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med on any one surface of the non-opposite first and second layers; A multilayer film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9,
The multilayer film,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comprises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윈도우 또는 보호필름으로 사용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
A multilayer film used as a cover window or protective film for display device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에 구비된 제1층과 제2층 중 어느 하나는 제2 접착층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과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외면에 배치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19,
Any one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provided in the multilayer film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other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film.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부착된 다층 필름의 외면은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보호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
According to claim 22,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layer film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hard coating layer, an anti-fingerprint layer, and a protective film layer.
KR1020210123460A 2021-09-15 2021-09-15 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 KR202300401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60A KR20230040179A (en) 2021-09-15 2021-09-15 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60A KR20230040179A (en) 2021-09-15 2021-09-15 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179A true KR20230040179A (en) 2023-03-22

Family

ID=8600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460A KR20230040179A (en) 2021-09-15 2021-09-15 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17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8654B2 (en) Polyimid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ase material for flexible display, front panel for flexible display, LED lighting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6843224B2 (en)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amide-imid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8473677B (en) Polyamide acid composition with improved adhesive strength and polyimide film comprising same
KR10138703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imide substrate embedded with glass fabric for flexible display
KR20150077177A (en) Polyamic acid solution, transparent polyimide film, transparent substrate using the same
KR20160003606A (en) Polyamic acid solution, transparent polyimide film, transparent substrate using the same
JP2020164704A (en) Polyamic acid, polyamic acid solution, polyimide, polyimide film, laminate and flexib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imide film
KR102209390B1 (en) Plastic laminated film
TWI709592B (en) Polyimid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imide film
KR20230040179A (en) Multi-layered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bendability
KR101284397B1 (en) Polyamic acid and display device
KR20210075665A (en) Polyimide film having high yield strain
KR102471725B1 (en) Polyimide based film
KR20210075610A (en) Polyimide film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KR102493648B1 (en) Polyimide film having excellent resilence property
CN115298248B (en) Polyimide film having moisture absorption resistance and water absorption resistance
CN114854196B (en) Polyimide film
KR102485698B1 (en) Polyimide film having excellent optical property
JP2024014746A (en) Polyamic acid resin and transparent polyimide film using the same
KR20210138351A (en) Polyimide film having low reflexibility
KR20230100854A (en) Polyamideimide polymer, polyamideimide film and window cover film incluing the same
KR20240059961A (en) Polyimide resin composition and transparent polyimide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KR20230087011A (en) Polyamideimide polymer, polyamideimide film and window cover film incluing the same
JP2023105599A (en) Polyamide-imide resin composition, polyamide-imide resin fil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rphology of polyamide-imide resin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