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482A - 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 Google Patents

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482A
KR20230036482A KR1020210119385A KR20210119385A KR20230036482A KR 20230036482 A KR20230036482 A KR 20230036482A KR 1020210119385 A KR1020210119385 A KR 1020210119385A KR 20210119385 A KR20210119385 A KR 20210119385A KR 20230036482 A KR20230036482 A KR 20230036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erver
storage
terminal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21011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482A/en
Publication of KR2023003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4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re are a server equipped with a control part database, and a storage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and stores food or side dishes. The storage unit has a temperature-controlling heater or refrigerator function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is equipped with a display that displays information, an input/output device that inputs and outputs information, and a central processing device that controls a component part.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unit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When a customer's terminal exists and a food or side dish order is placed through the customer's terminal, the customer's terminal transmits the food or side dish order to the server, thereby providing a method to organically manage storage units distributed by location from a central server, allowing for food delivery from nearby food delivery stores to storage units in each location based on its needs. Additionally, the customer's food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is system also provides a method that allows customers who have placed food orders or need food to collect their required food from a nearby storage unit. The method aims to manage the distributed storage units according to their location.

Description

음식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음식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각각의 음식 보관고 별로 음식을 저장 보관하고, 음식 배달 요청이 올 경우 가까운 지역의 배달점에서 음식을 직접 배달하여 보관고에 저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delivery method using a food sto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storing and storing food for each food storage, and delivering food directly from a delivery store in a nearby area when a request for food delivery comes, and storing the food in the storage. It's about how to build

최근에는 배달 산업이 증가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음식 뿐 아니라 다양한 소규모의 제품까지 배달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the delivery industry has been increasing, and in some cases, not only food but also various small-scale products are being delivered.

그리고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실버 세대, 주부, 퇴근길 직장인 등 누구나 시간과 횟수에 제한 없이 우리동네 배달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편의점 배달 플랫폼 비즈니스까지 등장하고 있다. 도보를 통해 배달하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일상 생활 중의 도보 동선에 부합하는 배달 건이 있을 경우 언제든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다.And in line with this trend, even a convenience store delivery platform business is emerging, where anyone, including the silver generation, housewives, and office workers on the way home from work, can participate as a deliveryman in our neighborhood without restrictions on time and number of times. Since it is delivered on foot, it is a method that ordinary people can participate at any time if there is a delivery case that fits the walking flow in daily life.

또한, 새벽배송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마트나 슈퍼, 전통시장과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 가지 않고도 전날 밤에 집에서 주문만 하면 다음날 아침 식품들을 받아볼 수 있기 있다. 이러한, 새벽배송이 가능해진 것은 두 가지 덕분이다. 고객의 당일 주문량을 예측해 필요한 재고를 직접 운영하는 창고에 쌓아놓고 있기 때문이며, 빠른 배송 시스템도 도입되었기 때문이다.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early morning delivery service, it is possible to receive food the next morning by simply placing an order at home the night before without going to an offline store such as a mart, supermarket, or traditional market. These early-morning deliveries were made possible thanks to two things. This is because it predicts the amount of customers' orders on the same day and stores the necessary inventory in the warehouse that it directly operates, and a fast delivery system has also been introduced.

새벽배송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소비자들은 점차 새벽배송 업체의 상품기획력(MD)을 중요한 요소로 따져보고 있다. 마치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서 좋은 상품을 내세우는 것처럼 새벽배송 시장에서도 좋은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As early morning delivery services become more common, consumers increasingly consider the MD (MD) of early morning delivery companies as an important factor. Just as department stores and hypermarkets offer good products, it has become important to sell good products at low prices in the early morning delivery market.

이러한 배송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달 노동자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배달 노동자의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하는 방법이 선택되고 있기 때문에, 유기적 효울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며, 배달 노동자들의 지나친 노동력 희생이 동반되어야 만 실현 가능한 것이 현재의 배송 시스템이다.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delivery system is the delivery worker. However, since the method of delivery using delivery workers' means of transportation is still being selected, it does not show organic efficiency, and the current delivery system is only feasible when delivery workers sacrifice excessive labor.

물론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4-0122405호 에서는 "식단에 포함되는 음식 정보와 주문 정보를 토대로 회원을 구분하는 회원 관리 메뉴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식단을 설계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회원 가입 요청이 접수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회원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식사 배달 가능 여부에 따라 회원 가입을 승인한 후 회원별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회원 관리 메뉴 중에서 회원에 해당하는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회원이 식사 주문 가능 시간대에 식사 시간, 배달 지역 및 주문 개수를 포함한 식사 주문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식사 주문 정보에 따른 작업 지시 명령을 조리장에 설치된 조리장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해당 식사 시간에 설계된 식단의 음식 조리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장의 단말기를 통해 작업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배달 지역을 담당하는 배송자별로 배송 지시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배송 지시 명령에 따라 상기 음식 조리 작업이 완료되어 포장된 식사를 배송하도록 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식사 배달 방법."을 제공하고, Of cours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2405, "Set up and manage a member management menu that classifies members based on fo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nu and order information, and periodically design at least one menu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When a request for member registration is received by the user, the user is prompted to enter member information, and membership registration is approv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meal delivery is possible, t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member is assigned, and corresponding member is selected from the member management menu Setting a menu for ordering meals; When the member inputs meal order information including meal time, delivery area, and number of orders in a time zone where meals can be ordered, a work order command according to the meal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hef's terminal installed in the kitchen. and, when a task comple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of the kitchen, a delivery instruction command is output for each delivery person in charge of the delivery area, and the delivery instruction Provided a meal delivery method using the Internet comprising the step of delivering the packaged meal after the food cooking oper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a comman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21-0000192 호에서는 "구매 단말의 구매자와 관련한 맛 정보 및 상기 구매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서버 및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의 상품 정보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구매 단말;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구매 단말의 구매자와 관련한 맛 정보, 결제 기능 수행 결과 및 배송지 정보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정보와 관련한 판매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구매 단말의 구매자와 관련한 맛 정보 및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구매 단말의 구매자가 주문한 상품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상품을 상기 구매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판매 단말을 포함하는 반찬 중개 시스템."을 제공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21-0000192 states that "at least one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one or mor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tas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 terminal and one or mor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urchase terminal. When information is selected, the purchase terminal interworks with the server and the payment server to perform a payment function for at least one product related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product information; After the payment function is normally performed, the purchase terminal The server for providing tas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r, a result of performing the payment function, and information on a delivery destination to a sales terminal related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tas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yer of the purchase terminal and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payment function A side dish mediation system including the sales terminal that manufactures a product ordered by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 terminal and provides the manufactured product to the purchase terminal."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은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above technologies do not provide a food delivery system using storage.

따라서, 필요한 장소에 분산된 보관고를 유기적으로 관리하는 방법과 장소별로 분산된 보관고를 매개로 하여 직접 음식 배달하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절실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method of organically managing the warehouses distributed in necessary places and a method of directly delivering food through the medium of the warehouses distributed by place.

선행 기술 문헌 prior art literatur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122405호 (2014년10월20일)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2405 (October 20, 2014)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21-0000192호 (2021년01월04일)Prior Art 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021-0000192 (January 04, 2021)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음식 보관고 별로 음식을 저장 보관하고, 음식 배달 요청이 올 경우 가까운 지역의 배달점에서 음식을 직접 배달하여 보관고에 저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system that stores and stores food for each food storage, and when a food delivery request comes, delivers food directly from a delivery store in a nearby area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또한, 음식 주문자가 주문 요청을 하면 음식 배달자는 정해진 장소에 존재하는 보관고에 주문된 음식을 보관하도록 하므로서, 음식 주문자가 보관고를 통하여 용이하게 음식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when a food orderer makes an order request, a food delivery person stores the ordered food in a storage room at a designated place, so that the food orderer can easily receive the food through the storage room.

상기의 목적은, 제어부 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된 서버가 존재하고, 상기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고 음식 혹은 반찬이 보관되는 보관고가 존재하고, 상기 보관고에는 온도 조절이 되고 일정 온도가 유지되는 온장기 혹은 냉장기 기능이 존재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및 상기 구성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보관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주문자 단말기가 존재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를 통하여 음식 혹은 반찬 주문이 실시되면, 상기 주문자 단말기는 서버에 음식 혹은 반찬 주문을 전달하므로서 달성된다.For the above purpose, there is a server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database, a storage room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wired/wireless Internet and storing food or side dishes, and a heating device in which temperature is controlled and a constant temperature is maintained in the storage room. Alternatively, a refrigerator function exists,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 input/output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are provided, and information on storage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and orderers When a terminal exists and an order for food or side dishes is made through the orderer terminal, the orderer terminal transfers the order for food or side dishes to the server.

그리고 서버의 제어부는 제 j 보관고가 보관중인 음식 혹은 반찬의 재고를 판단한다, And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determines the stock of food or side dishes stored in the j storage,

또한 공급자 단말기가 더 구비되어, 서버로 부터 음식 혹은 반찬이 주문이 실시되면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전달된다. In addition, a supplier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and when food or side dishes are ordered from the server, it is delivered to the supplier terminal.

또한 배달자 단말기가 더 구비되고, 보관고에 주문 음식 혹은 반찬이 놓여지면 배달자 단말기가 배달 완료를 서버에 전송한다.In addition, a delivery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and when ordered food or side dishes are placed in the storage, the delivery terminal transmits delivery completion to the server.

또한 서버에 전송할 때 보관고에 놓여진 위치도 전송되고, 배달자 단말기를 통하여 배달 시작이 선택되면 보관고의 문이 개폐 상태로 된다, 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to the server, the location placed in the storage is also transmitted, and when delivery start is selected through the delivery terminal, the door of the storage is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별로 분산된 보관고를 중앙 서버에서 유기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므로서, 각각의 장소별로 존재하는 보관고에 더 필요한 음식을 가까은 거리의 음식 배달점에서 배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주문자의 음식도 보관고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 주문을 하거나 음식이 필요한 주문자가 가까운 보관고를 통하여 필요한 음식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별로 분산된 보관고를 관리하는 방법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organically managing warehouses distributed by place in a central server is provided, so that more necessary food can be delivered from a nearby food delivery store to storages that exist in each place.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way to manage the distributed storage for each location so that food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and orderers who order food or need food can receive the necessary food through a nearby storage.

도 1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서버에서 단말기와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원 발명의 보관고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보관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정보이다.
도 10은 주문자 단말기, 공급자 단말기 및 배달자 단말기가 서버와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음식(반찬) 배달과 수령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은 보관고의 위치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방법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wired/wireless Interne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erver in more detail.
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terminal to a server.
5 to 7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information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information about a storage.
1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orderer terminals, supplier terminals, and delivery terminals are connected to a server.
11 and 12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a food (side dish) delivery and reception method.
13 is a method of an embodiment of indicating a location of a storage bi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한편,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구성중에서 통상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에 대하여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mo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technique may b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 sha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소별로 분산된 보관고를 관히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managing storages distributed by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effects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ical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장소별로 분산된 보관고를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주문이 발생될 경우 주문자가 지정한 장소의 보관고로, 주문 받은 음식을 배달자가 보관고까지 배달하여 보관고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storage warehouses distributed by location are integratedly managed by the server, and when an order is generated, a delivery person delivers the ordered food to the storage warehouse at a place designated by the orderer and stores the food in the storage warehouse.

도 1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wired/wireless Internet.

본원 발명에서 서버(100)는 장소별로 분산된 보관고(200n)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도 1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단말기(50n)은 주문자 단말기(50n)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provides a method for integrally managing the warehouses 200n distributed by location, and the terminal 50n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 means the orderer terminal 50n.

즉, 단말기는 제 1 단말기(50-1), 2 단말기(50-2), 제 3 단말기(50-3), 마찬가지로 제 n 단말기(50-n) 이다.That is, the terminals are the first terminal 50-1, the second terminal 50-2, the third terminal 50-3, and similarly the nth terminal 50-n.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및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02)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The server 100 in the communication system is a device constituting a system for operating variou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through wired/wireless Internet. An input unit 103 for input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by managers or operators of the server 100, an output unit 105 for outputting 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database unit 104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 operation information. and an interface unit 102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visitor through the Internet or a communication network.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means all information such as images, videos, and texts.

그리고, 단말기(혹은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50-n)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And, the terminal (or computer or smart phone) 50-n is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Internet (or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50-n)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0),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8) 및 정보 혹은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는 데이터 입출력부(10)가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the terminal 50-n includes a CPU 20 serving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a display unit 30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 memory unit 21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 28) and a data input/output unit 10 capable of inputting/outputting information or data.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erver in more detail.

서버(100) 내에는 제어부(101)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111), 데이터 처리부(112) 및 인터넷 접속자 혹은 인터넷 회원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113)로 구성된다.A control unit 101 is configured in the server 100, and the control unit 101 includes a data search unit 111 that searches for data, a data processing unit 112, and a site operation unit that manages and operates Internet users or Internet members ( 113).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4)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4)에는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141), 각각의 정보 코드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및 다수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43)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atabase 14 is further configured, and the database 14 includes an operation database 141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site operation, an information database 142 storing data suitable for each information code,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stored. It consists of database 143.

한편, 서버(100)의 제어부(101)에서는 사이트 운영부(113)가 접속자에 대한 정보와 회원 가입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111)에서는 접속자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4)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112)에서는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자에게 전송하여 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unit 101 of the server 100, the site management unit 113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visitor, membership registration, and information on content use, and the data search unit 111 transmits information from the visitor. Information matching with is searched through the database 14,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12 transmits the searched data to the visitor through the interface.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단말기(50-n)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In the draw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terminal 50-n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가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부(21)에는 통상적으로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롬,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하는 이이피롬이 존재한다. In addition, a memory unit 21 for storing information is provided, and the memory unit 21 includes a RO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program of the display device, a RAM for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and a user-needed ROM. There is an EPROM that stores data and data necessary to process it.

R/F부(24)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력장치(28)는 단말기로 휴대용 표시장치(태블릿 피씨 혹은 스마트폰)가 사용될 경우 휴대용 표시장치 상단에 위치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입력장치(28)는 입력장치 구동부(27)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가 수행된다. The R/F unit 24 is a radio frequency, and tunes to an RF channel, amplifies an input voice signal, and changes an RF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When a portable display device (tablet PC or smart phone) is used as a terminal, the input device 28 is a normal input device positioned on top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o input information. The input device 28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through the input device driver 27 .

또한 도 1의 실시예에 설명된 입출력부(10)는 상기 입력장치(28), 키보드, 메뉴키 등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수단과 스피커 진동기 출력 프린트등 정보를 출력하는 통상의 수단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10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means common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the input device 28, keyboard, menu key, etc., and common means for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speaker vibrator output and printing. .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5)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가 있다.There is a display driving circuit 25 that drives the display by the outpu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and there is a display 30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ing circuit.

아울러 중앙처리장치(20)는 디스플레이(30) 구동부(27)를 통해서디스플레이(3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 controls the display 30 through the display 30 driving unit 27 .

도 4는 서버에서 단말기와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terminal to a server.

도 4는 본원 발명의 기본 구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장소별로 분산된 각각의 보관고(200-n)는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서버(10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정보를 주고 받고 정보가 선택되며, 상기 서버(100)와 상기 보관고는 상기 주고 받은 정보와 선택된 정보를 상호 간에 전송한다. 4 can be referred to a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storage 200-n distributed by location is connected to the server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n, information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and information is selected, and the server 100 and the storage store transmit the exchanged information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to each other.

상기 별도 서버(150)는 본원 발명의 시스템 내에서 결제 등을 진행할 때 필요한 새로운 서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별도 서버(150)의 기능을 서버(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separate server 150 may be a new server required when making a payment with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functions of the separate server 150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100.

도 5 내지 도 7은 본원 발명의 보관고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5 to 7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발명의 보관고는 음식(혹은 반찬)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냉장기능을 하거나 혹은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온장고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store food (or side dishes), and can function as a refrigerator or a warmer that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처럼 본원 발명의 보관고(200n)는 음식이 보관되는 본체(210), 본체를 닫아 주는 문(211) 및 음식물이 보관되는 데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장기(225)로 구성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5, the storage compartment 200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0 in which food is stored, a door 211 that closes the main body, and a refrigerator 225 that maintains the temperature required to store the food. do.

한편, 상기 문(211) 외부에 디스플레이(212)와 입출력부(213)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서는 보관고(200n)에서 주문한 음식을 꺼내거나 배달된 음식을 집어 넣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Meanwhile, a display 212 and an input/output unit 213 are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door 211 . At this time, necessar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ordered food from the storage 200n or putting in the delivered food.

그리고 입출력부(224)은 주문자 혹은 배달자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코드를 인식하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되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 한다.) 혹은 코드 나 정보를 입력하는 자판이거나 혹은 터치 패널 기능이 존재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코드나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되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 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212) 위에 입력장치 기능이 부과되어 코드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224 is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unique code of the orderer or delivery person (a common method for recognizing the code is used, so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a keyboard for inputting codes or information, or It may be a display having a touch panel function. (Since a common method of inputting codes or information is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ntered.

오 6은 보관고 내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으로, 본체(210)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라고 할 수 있다. 보관고의 본체(210) 내부에는 선반(210a)가 존재하고 각각의 선반(210a)에는 음식(반찬)(210b)이 놓여지게 된다. O 6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and can be referred to a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0. There are shelves 210a inside the main body 210 of the storage, and food (side dish) 210b is placed on each shelf 210a.

도 7은 본원 발명의 보관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냉동기(혹은 냉온기)(225)는 제어부(225a)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가 보관고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도록 조절하고, 이러한 조절은 음식(반찬)이 보관되는 내부의 본체(210) 내에 구비된 센서에 의하여 가능하며 상기 센서는 본체 제어부(210a)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220)에 의하여 제어된다.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zer (or cooler/warmer) 225 control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rough the controller 225a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is constant, and this control is performed by a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where food (side dish) is stored. It is possible by and the sensor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through the body control unit 210a.

디스플레이 구동부(212a)를 통한 중앙처리장치(220)의 제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212)도 각각의 단계에 맞는 정보를 표시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위에 구비된 입력장치(223)도 입력장치 구동부(223a)를 통한 중앙처리장치(220)의 제어에 의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By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through the display driver 212a, the display 212 also displays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stage, and the input device 223 provided on the display also operates the input device driver 223a. Through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information input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기능 수행을 위한 알고리즘과 정보는 메모리부(221)에 저장된다. Algorithms and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221 .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에서 제시된 보관고(200-n)는 일정한 온도(냉장 혹은 냉온)로 유지가 되면서 음식(반찬)을 보관할 수 있는 통상의 물품 보관 기기라고 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torage bin 200-n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 common item storage device that can store food (side dishes) while being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refrigerated or cold).

도 8과 도 9는 보관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정보이다. 8 and 9 are information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information about a storage.

도 8은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보관고(200-n)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제 1 보관고(200-1)에 대한 정보, 제 2 보관고(200-2)에 대한 정보, 제 3 보관고(200-3)에 대한 정보, 및 제 n 보관고(200-n)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information on a storage 200-n in a database 104 of a server 100, that is, information on a first storage 200-1 and a second storage. Information about 200-2, information about the third storage 200-3, and information about the nth storage 200-n are stored.

그리고 각각의 보관고(200-n)마다 보관고 명, 아이디(보관고 마다 서버와 연결되기 위하여 식별되는 아이디가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보관고(200-n)의 위치와 각각의 보관고의 특징이 저장된다.And, for each storage 200-n, the storage name and ID (an ID identified to be connected to the server may exist for each storage). The location of each storage unit 200-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age unit are stored.

각각의 보관고(200-n)에 보돤된 음식(반찬)의 정보도 저장된다. 음식(반찬) 정보라고 하면, 음식(반찬)의 이름과 각각의 음식(반찬)에 대한 보관 정보이다. Information on food (side dishes) stored in each storage container 200-n is also stored. When it comes to food (side dish) information, it is the name of the food (side dish) and storage information for each dish (side dish).

예를들어,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볶음 김치 20개, 돼지 졔육 볶음 15 개, 동태전 15 개, 김치 찌게 20 개 및 기타 다른 음식(반찬)이 보관되었다면, 상기 보관고(200-15)가 저장중인 상기 음식(반찬) 정보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다, For example, if 20 pieces of stir-fried kimchi, 15 pieces of stir-fried pork, 15 pieces of Dongtaejeon, 20 pieces of kimchi stew, and other food (side dishes) are stored in the 15th storage (200-15), the storage (200-15 ) The food (side dish) information being stored is stored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이때, 주문자가 보관고(200-n)에서 상기 음식(반찬)을 수령하거나 구매하면, 수령되거나 구매한 음식(반찬)을 제하고 데이터 베이스(104)에 보관된 음식(반찬) 정보가 저장된다,At this time, when the orderer receives or purchases the food (side dish) from the storage 200-n, the food (side dish)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04 is stored except for the food (side dish) received or purchased.

예를들면, 주문자 혹은 수령자가 돼지 제육 볶음 2개, 볶음 김치 1개를 수령하였다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볶음 김치 19 개 돼지 제육 볶음 13 개가 저장된 것으로 정보가 저장된다. For example, if the orderer or recipient receives 2 pieces of stir-fried pork and 1 piece of stir-fried kimchi, the server's database contains information that 19 pieces of stir-fried kimchi and 13 pieces of stir-fried pork are stored in the 15th storage (200-15). Saved.

한편, 본원 발명의 보관고(200-n)의 특징은 음식(반찬)의 공급자가 상기 보관고(200-n)로 음식(반찬)을 배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각각의 보관고(200-n)에 배달된 음식(반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8의 "주문 음식 배달 정보"가 이에 관한 저장 정보이다,Meanwhile, a feature of the storage unit 200-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supplier of food (side dish) delivers food (side dish) to the storage unit 200-n. Accordingly, information on food (side dish) delivered to each storage 200-n is stored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Order food delivery information" in FIG. 8 is storage information about this,

예를들면,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배달자가 동태전 5 개, 김치 찌게 5 개 배달하여 상기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저장하였다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동태전 20개, 김치찌게 25개가 보관된 것으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음식이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0000년 00월 00일 00시에 저장된 For example, if the delivery person delivered 5 pieces of Dongtaejeon and 5 pieces of kimchi stew to the 15th storage box (200-15) and stored them in the 15th storage box (200-15),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contains Dongtaejeon. Information is stored as 20 pieces and 25 pieces of kimchi jjige are stored, and, and, the food is stored in the 15th storage (200-15) at 00:00, 00/00/0000

결과적으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0000년 00월 00일 00시, 제 n 공급자(혹은 제 n 배달자)가 동태전 5 개, 김치 찌게 5를 보관고(200-15)에 배달 되었음을 저장하게 된다.As a result,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at 00:00, 00/00/0000, the nth supplier (or the nth deliverer) stored 5 Dongtaejeon and 5 Kimchi stew in the 15th storage (200-15). It stores that it has been delivered to (200-15).

마찬가지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0000년 00월 00일 00시, 제 n 주문자가 돼지 제육 볶음 2개, 볶음 김치 1개를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수령(주문)하였음을 저장하게 된다. Similarly,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at 00:00 on 00/00/0000 in the 15th storage (200-15), the nth orderer ordered 2 pieces of fried pork and 1 piece of stir-fried kimchi in the 15th storage (200 -15), it is stored that it was received (ordered).

한편, 본원 발명에서 사용된 제 n 번째는 다수개 중에서 하나를 특정하여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실제로 수행되는 알고리즘 혹은 수행되는 프로그램에서는 제 n 번째처럼 일련 번호가 사용되지 않고, 아이디나 식별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t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for specifying and describing one of a plurality, and in an algorithm or program that is actually executed, a serial number is not used like the n-th, and an ID or identification code is used. can be used

따라서, 각각의 음식(반찬)에도 식별 부호가 부여되어, 다른 음식반찬)과 구별 되도록 한다.Therefore, an identification code is given to each food (side dish)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food side dishes).

아울러, 저장되는 음식(반찬) 정보는 재고 현황이며, 따라서 매일 매 시간 반입되고 반출된 음식(반찬)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그리고 반입 음식(반찬)과 반출 음식(반찬)이 저장되는 방법은 날자별 시간별 저장으로 이러한 데이터 분류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 사용됨으로서 해결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tored food (side dish) information is the stock status, and therefore information on food (side dish) brought in and taken out every hour of every day is also stored. In addition, the method of storing food brought in (side dish) and food taken out (side dish) is stored by date and time, and this data classification method can be solved by using a conventional method.

또한, 도 9는 보관고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되는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제 n 번째 보관고(200-n)의 메모리부(21)에는 저장된 음식(반찬), 배달된 음식(반찬)과 시간, 수령된 음식(반찬)과 시간이 저장된다. 9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storage. That i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stored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the memory unit 21 of the nth storage 200-n stores food (side dish), delivered food (side dish) and time, The received food (side dish) and time are stored.

도 10은 주문자 단말기, 공급자 단말기 및 배달자 단말기가 서버와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orderer terminals, supplier terminals, and delivery terminals are connected to a server.

제 n 번째 주문자 단말기(50-n)에서 주문이 발생되면, 주문 내용은 서버에 전달되게 된다.When an order is generated in the n-th orderer terminal 50-n, the contents of the order are delivered to the server.

이때,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상기 제 n 번째 주문자 단말기(50-n)에 대응되는 보관고(200-n)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예를들어, 제 2,500 번째 주문자 단말기(50-2,500)에서 주문이 실행되면, 상기 주문자 단말기가 주문한 음식은 제 15번째 보관고(200-15)에 보관이 되도록 지정된다는 의미이다.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storage 200-n corresponding to the n-th orderer terminal 50-n is also stored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For example, if an order is executed in the 2,500th orderer terminal 50-2,500, this means that the food ordered by the orderer terminal is designated to be stored in the 15th storage box 200-15.

예를들어 제 2,500 번째 주문자 단말기(50-2,500)에서 김치 찌게가 주문되면, 상기 주문된 김치 찌게가 제 15번째 보관고(200-15)로 배달이 된다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kimchi stew is ordered from the 2,500th orderer terminal 50-2,500, the ordered kimchi stew is delivered to the 15th storage storage 200-15,

즉, 모든 주문자 단말기(50-n)은 서버(100)와 연결되고, 모든 공급자 단말기(60-n)도 서버(100)와 연결된다. 이상의 실시예를 근거로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행되게 된다.That is, all orderer terminals 50-n are connected to the server 100, and all supplier terminals 60-n are also connected to the server 100. Based on the above embodiment, the following steps are performed.

1) 주문자 단말기(50-n)에서 주문이 실시된다,1) An order is placed in the orderer terminal 50-n,

본원 발명의 상기 주문자 단말기(50-n) 내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거나, 웹 페이지 접속 방법으로 주문자 단말기(50-n)가 서버(100)에 접속된다.(이것은 통상의 방법에 의한다.)A program is executed in the orderer's terminal 50-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orderer's terminal 50-n is connected to the server 100 by way of a web page access method. (This is done by the usual method.)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음식(반찬)이 주문되고,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창에 음식 수령 시간을 입력(혹은 시간 메뉴에서 선택)하게 된다.Food (side dish) is ordered through the input device 28, and the food pick-up time is input (or selected from the time menu) on the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30.

2) 주문 정보가 서버에 전송된다.2) Order information is sent to the server.

상기 주문자 단말기(50-n)에서 주문된 정보가 서버에 전달되게 된다. 서버의 제어부(101)는 상기 주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공급자 단말기(60-n)에 전달하게 된다.Information ordered by the orderer terminal 50-n is delivered to the server. The controller 101 of the server stores the ord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04 and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upplier terminal 60-n.

3) 공급자 단말기에 전달되는 방법이 존재한다,3) There is a method to be delivered to the provider terminal,

- 서버(100)의 제어부는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지정된 공급자 단말기(60-n)에 주문 정보를 전송한다. -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100 transmits order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provider terminal 60-n through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예를들어 제 2,500 번째 주문자 단말기(50-2,500)에서 음식(반찬) 주문이 발생되면 제 35 번째 공급자 단말기(60-35)에 주문 정보가 전송되도록 지정되어, 상기 제 2,500 번째 주문자 단말기(50-2,500)에서의 주문 정보는 상기 제 35 번째 공급자 단말기(60-35)에 전송된다.For example, when a food (side dish) order is generated from the 2,500th orderer terminal 50-2,500, order information is designated to be transmitted to the 35th supplier terminal 60-35, and the 2,500th orderer terminal 50-35 Order information at 2,500) is transmitted to the 35th provider terminal 60-35.

- 주문이 발생된 주문자 단말기(50-n)에 지정된 공급자 단말기(60-n)에서, 주문 음식(반찬)의 공급이 어렵다면,(공급자의 휴일, 음식(반찬) 품절 등 여러 이유가 존재할 것이다.) 서버에서는 원래 지정된 공급자 주변의 공급자에게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공급이 어렵다."는 정보는 서버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 받은 공급자 단말기(60-n)를 통하여 "공급이 어렵다"는 답을 서버(100)로 전송하므로서 서버(100)가 인식 가능하다. - If it is difficult to supply the ordered food (side dish) in the supplier terminal 60-n designated to the orderer terminal 50-n where the order was placed, there will be several reasons (supplier's holiday, food (side dish) out of stock, etc.) .) The server can transmit order information to suppliers around the originally designated supplier. The information "difficulty in supply" can be recognized by the server 100 by transmitting the answer "difficulty in supply"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60-n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 공급자 단말기(60-n)가 공동으로 열람할 수 있는 페이지(공급자 단말기(60-n)가 메뉴 선택을 통하여 볼 수 있는 페이지)에 주문 정보가 표시되어, 공급자 단말기(60-n)기 상기 주문을 선택하므로서, 음식(반찬) 공급자가 정해질 수 있다.- Orde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page that the supplier terminal 60-n can jointly view (a page that the supplier terminal 60-n can view through menu selection), and the supplier terminal 60-n reminds By selecting an order, the food (side dish) supplier can be determined.

예를들어, 제 2,500 번째 주문자 단말기(50-2,500)에서 음식(반찬) 주문이 발생되고,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 받은 서버는 미리 지정된 보관고(200-n) 혹은 주문 할때 지정된 보관고(200-n)와 같은 지역(에를들면, 반경 00 km 이내, 혹은 대 도시에서는 동일한 동이나 구, 혹은 중소 도시에서는 동일한 시 등)에 위치하는 공급자 단말기(60-n)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송한다.For example, a food (side dish) order is generated from the 2,500th orderer terminal 50-2,500, and the server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is a pre-designated storage 200-n or a designated storage 200-n ) and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upplier terminal 60-n located in the same area (eg, within a radius of 00 km, or the same dong or district in a large city, or the same city in a small or medium-sized city).

상기 주문 정보는 수신 받은 공급자 단말기(60-n)의 디스플레이에 표시가 된다.The orde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received supplier terminal 60-n.

물론, 지역 구분없이 공급자 단말기(60-n)의 디스플레이에 주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한다, 즉 서버가 주문 정보를 모든 공급자 단말기(60-n)에 전송하는 것이다.Of course, order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upplier terminal 60-n regardless of region. This method is according to the usual method, that is, the server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all supplier terminals 60-n.

이때, 서버(100)는 상기 주문 정보(주문 음식(반찬), 보관고, 수령 시간에 대한 정보)를 공급자 단말기(60-n)에 전송한다. At this time,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information on ordered food (side dish), storage, and receipt time) to the supplier terminal 60-n.

- 주문자가 공급자를 선택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 There is also a way for the orderer to select a supplier.

주문자 단말기(50-n)을 통하여 주문이 발생되어 보관고(200-n)가 지정되고, 상기 지정된 보관고(200-n)에서 주문자가 주문 음식(반찬)을 수령하는 시간이 정해지게 된다. 상기 정보는 주문자 단말기(50-n)를 통하여 서버(100)에 전송된다,An order is generated through the orderer terminal 50-n, the storage 200-n is designated, and the time for the orderer to receive the ordered food (side dish) from the designated storage 200-n is determine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orderer terminal 50-n.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104)를 통하여, 주문 음식(반찬)이 배달된 후 저장되기로 지정된 보관고(200-n)가 가까운 공급자(60-n)들을 검색하고, 상기 공급자(60-n) 정보를 주문자 단말기(50-n)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50-n)의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받은 공급자(60-n) 정보가 표시된다.Through the database 104, the server searches suppliers 60-n close to the designated storage 200-n to be stored after the ordered food (side dish) is delivered, and retrieves the supplier 60-n inform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orderer terminal 50-n.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supplier 60-n received from the serv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orderer terminal 50-n.

주문자 단말기(50-n)의 입력장치(28)를 통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공급자(60-n)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정보는 서버에 전송된다.When the supplier 60-n is selected in the usual way through the input device 28 of the orderer terminal 50-n, the sel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서버(100)는 상기 선택된 공급자 단말기(60-n)에게 주문 정보(주문 음식(반찬), 보관고, 수령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The server 100 transmits order information (information on ordered food (side dish), storage, and pick-up time) to the selected supplier terminal 60-n.

- 서버는 배달 운영자 단말기(70)에 배달 정보를 전송하여, 주문 음식(반찬)을 정해진 보관고(200-n)에 배달 되도록 한다. - The server transmits delivery information to the delivery operator terminal 70 so that the ordered food (side dish) is delivered to the designated storage 200-n.

도 11과 도 12는 음식(반찬) 배달과 수령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11 and 12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a food (side dish) delivery and reception method.

도 11은 배달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배달자가 보관고(200-n)에 앞에서 배달 시작을 하게 된다.(250 단계) 11 is a diagram showing a delivery method. The delivery starts in front of the warehouse (200-n). (Step 250)

이때, 배달 시작은 배달자가 배달자 단말기(70)를 통하여 통하여 배달 시작을 선택하면서 시작된다. 상기의 배달 시작 선택은 배달자 단말기(7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배달 선택이 실시됨으로서 가능하다.At this time, delivery starts when the delivery person selects delivery start through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70 . The above delivery start selection is possible by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delivery terminal 70 and performing delivery selection.

그리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서버(100)로부터 배달자 단말기(70)가 코드를 전송 받고 상기 코드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되고 배달 선택이 되므로서 가능하다,And, as another method, it is possible because the delivery terminal 70 receives the code from the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code, and selects delivery.

상기 코드 전송 방법은 서버(100)가 메신저를 통하여 배달자 단말기(70)에 전송하고, 배달자 단말기(7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코드를 선택되면, 서버에 접속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가능하다.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code is possible in a normal method in which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code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70 through a messenger and connects to the server when the cod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device of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70. .

즉, 상기 코드는 URL 주소가 포함되고, 고유 코드가 포함되어 배달이 실시될 때만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코드이다.That is, the code is a one-time use only when a URL address is included and a unique code is included and delivery is performed.

배달자 단말기(70)를 통하여 배달 시작이 선택되면, 서버(100)는 보관고에 전송하여 보관고가 개폐 가능하도록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252 단계)When delivery start is selected through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70, the server 100 transmits a command to the storag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tep 252)

그렇게 되면, 보관고(200)의 중앙처리장치(220)는 문(211)을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열어 주게 된다. 이러한 개폐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 사용된다, 즉 본원 발명의 도 7의 구성도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문을 잠그는 장금 장치를 이동하게 하는 동력을 사용하여 장금장치를 풀어준다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of the storage 200 open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211 . This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es a conventional method, that is, although it is omitted in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7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by using power to move the locking device locking the door.

배달자를 통하여 음식(반찬)이 정해진 보관고(200)에 놓여지게 된다.(254 단계) Food (side dishes) is placed in the designated storage 200 through the delivery person. (Step 254)

배달자에 의하여 배달자 단말기(70)에 음식(반찬)이 놓여진 위치가 입력된다. 또는 보관고(200) 내부 센서 혹은 이미지 센서에 의하여 음식(반찬)이 놓여진 위치를 보관고 중앙처리장치(220)가 감지하게 된다. The location where the food (side dish) is placed is input to the delivery terminal 70 by the delivery person. Alternatively, the storage storag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detects the location where food (side dish) is placed by a sensor inside the storage storage 200 or an image sensor.

배달 완성이 서버에 전송된다.(256 단계) Delivery completion is sent to the server (step 256).

배달 완성과 함께 보관고(200)에 음식(반찬)이 놓여진 위치가 서버에 전송된다, When the delivery is completed, the location of the food (side dish) in the storage 20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서버는 음식(반찬)을 주문한 주문자 단말기(50-n)에 배달 완성을 전송하고, 배달 완성을 전송 받은 주문자 단말기(50-n)은 배달 완성을 주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258 단계) The server transmits delivery completion to the orderer terminal 50-n that ordered the food (side dish), and the orderer terminal 50-n that receives the delivery completion displays the delivery completion on the display of the orderer terminal (step 258).

그리고, 상기의 과정이 모두 실행되면 배달 종료가 되게 된다.(260 단계) And, when all of the above processes are executed, the delivery ends. (Step 260)

한편, 음식(반찬)의 포장지에 고유 코드가 존재하여 상기 고유 코드를 보관고 이미지 센서가 인식하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a unique code exists on the packaging of food (side dish), a common method of storing the unique code and recognizing it by an image sensor may be used.

도 12는 음식(반찬)을 수령하는 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2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receiving food (side dishes).

수령 시작을 하게 되면 보관고 문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270 단계 및 272 단계) When receiving starts, the storag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Steps 270 and 272)

이때, 수령 시작은 주문자가 주문자 단말기(50-n)를 통하여 통하여 수령 시작을 선택하면서 시작된다. 상기의 수령 시작 선택은 주문자 단말기(50-n)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수령 선택이 실시됨으로서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reception starts when the orderer selects reception start through the orderer terminal 50-n. The selection to start receiving can be made by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orderer's terminal 50-n and selecting the reception.

그리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서버(100)로부터 주문자 단말기(50-n)가 코드를 전송 받고 상기 코드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되고 수령 선택이 되므로서 가능하다,In another method, it is possible because the orderer terminal 50-n receives a code from the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code, and selects reception.

상기 코드 전송 방법은 서버(100)가 메신저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50-n)에 전송하고, 주문자 단말기(50-n)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코드를 선택되면, 서버에 접속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가능하다.The code transmission method is a general method in which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code to the orderer terminal 50-n through a messenger and connects to the server when the cod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device of the orderer terminal 50-n. possible.

즉, 상기 코드는 URL 주소가 포함되고, 고유 코드가 포함되어 수령이 실시될 때만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코드이다.That is, the code is a one-time use only when a URL address is included and a unique code is included and reception is performed.

그리고, "보관고 문 개폐 가능"은 상기 서술된 실시예와 같이 통상의 방법이 사용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is a conventional metho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배달 음식이 보관고(200-n)에서 수령되게 되게 되고, 배달 음식이 수령되면 음식 수령이 서버에 전송된다.(274 단계 및 276 단계) Delivery food is to be received in the warehouse 200-n, and when the delivery food is received, the food recep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teps 274 and 276)

수령 완성과 함께 보관고(200)에 음식(반찬)이 놓여진 위치가 서버에 전송된다, Upon receipt completion, the location of the food (side dish) placed in the storage 20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서버는 음식(반찬)을 공급자 단말기(60-n)에 수령 완성을 전송하고, 수령 완성을 전송 받은 공급자 단말기(60-n)은 수령 완성을 공급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The server transmits the receipt completion of the food (side dish) to the supplier terminal 60-n, and the supplier terminal 60-n that receives the receipt completion displays the receipt completion on the display of the supplier terminal.

그리고, 상기의 과정이 모두 실행되면 수령 종료가 되게 된다.(280 단계) And, when all of the above processes are executed, the reception ends. (Step 280)

한편, 음식(반찬)의 포장지에 고유 코드가 존재하여 상기 고유 코드를 보관고 이미지 센서가 인식하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선반 하부(210a)(도 6에서 보면 음식(반찬) 위)에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a unique code exists on the packaging of food (side dish), a common method of storing the unique code and recognizing it by an image sensor may be used. The sensor is positioned on the lower shelf 210a (on food (side dish) in FIG. 6 ).

도 13은 보관고의 위치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방법이다.13 is a method of an embodiment of indicating the location of a storage bin.

보관고(200-n)가 한개 만 존재하지 않고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보관고(200-n) 각각에 (200-n)-1 혹은 (200-n)-n 처럼 일련 번호가 존재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torage bins 200-n may exist instead of just one. In this case, a serial number such as (200-n)-1 or (200-n)-n may exist in each of the storage bins 200-n.

그리고, 보관고(200-n) 가각에 선반이 존재하면, 각각의 선반에 제 1칸, 2칸, 3칸, 4칸 및 n칸처럼 선반의 위치도 지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식(반찬)이 보관될 경우 상기 "(200-n)-n" 과 "n 칸"이 사용되게 된다. Also, if there are shelves in each of the storage bins 200-n, the positions of the shelves can also be designated, such as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n shelves on each shelf. Therefore, when food (side dish) is stored, the above “(200-n)-n” and “n spaces” are used.

그리고 냉장 기능을 하는 보관고와 온장고 기능을 하는 보관고가 분리될 수 있으며, 하나의 보관고에 문을 분리하여 냉장고와 온장고 기능을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 당연히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온장 기능과 냉장 기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즉 "제 50 번째 보관고(200-50)은 냉장 기능을 하는 보관고"처럼 정보가 저장된다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torage that functions as a refrigerator and the storage that functions as a warmer may be separated, and a door may be separated from one storage to include both refrigerator and warmer functions. Of course, information on the heating function and the refrigerating func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That is, information is stored like "the 50th storage room (200-50) has a refrigerating function".

한편, 본원 발명에서 사용된 제 n 번째는 다수개 중에서 하나를 특정하여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실제로 수행되는 알고리즘 혹은 수행되는 프로그램에서는 제 n 번째처럼 일련 번호가 사용되지 않고, 아이디나 식별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t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for specifying and describing one of a plurality, and in an algorithm or program that is actually executed, a serial number is not used like the n-th, and an ID or identification code is used. can be used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정보가 저장되는 곳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와 단말기(주문자 단말기, 공급자 단말기, 배달자 단말기)의 메모리부이며, 서버와 상기 단말기가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은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하는 것이다. 그리고, 단말기(주문자 단말기, 공급자 단말기, 배달자 단말기)에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곳은은 중앙처리장치이며, 서버에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곳은은 제어부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and the memory unit of the terminal (orderer terminal, supplier terminal, delivery terminal), and information is exchanged between the server and the terminal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performs the algorithm in the terminals (orderer terminal, supplier terminal, delivery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algorithm in the server.

100 : 서버 101 : 제어부
104 : 데이터 베이스 150 : 별도 서버
20 : 중앙처리장치 21 : 메모리부
24 : R/F 부 28 : 입력장치
30 : 디스플레이 50-n : 주문자 단말기
60-n : 공급자 단말기 70 : 배달자 단말기
200 : 보관고 210 : 본체
210a : 선반 210b : 음식(반찬)
211 : 문 212 : 디스플레이
220 : 중앙처리장치 221 : 메모리부
222 : 디스플레이 223 : 입력장치
224 : 입출력부 225 : 냉장기
100: server 101: control unit
104: database 150: separate server
20: central processing unit 21: memory unit
24: R/F part 28: input device
30: display 50-n: orderer terminal
60-n: provider terminal 70: delivery terminal
200: storage 210: main body
210a: shelf 210b: food (side dishes)
211: door 212: display
220: central processing unit 221: memory unit
222: display 223: input device
224: input/output unit 225: refrigerator

Claims (6)

제어부 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된 서버가 존재하고, 상기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고 음식 혹은 반찬이 보관되는 보관고가 존재하고,
상기 보관고에는 온도 조절이 되고 일정 온도가 유지되는 온장기 혹은 냉장기 기능이 존재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및 상기 구성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보관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주문자 단말기가 존재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기를 통하여 음식 혹은 반찬 주문이 실시되면, 상기 주문자 단말기는 서버에 음식 혹은 반찬 주문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
There is a server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database, and there is a storage that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and stores food or side dishes,
The storage has a warmer or refrigerator function in which temperature is controlled and a constant temperature is maintained,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 input/output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are provided,
Information on storage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A food delivery method using a food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orderer terminal exists and an order for food or side dishes is executed through the orderer terminal, the orderer terminal transmits the order for food or side dishes to the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서버의 제어부는 제 j 보관고가 보관중인 음식 혹은 반찬의 재고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determines the stock of food or side dishes stored in the j-th storage. 공급자 단말기가 더 구비되어, 서버로 부터 음식 혹은 반찬이 주문이 실시되면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A food delivery method using a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a supplier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and when food or side dishes are ordered from a server, they are delivered to the supplier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배달자 단말기가 더 구비되고, 보관고에 주문 음식 혹은 반찬이 놓여지면 배달자 단말기가 배달 완료를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The food delivery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elivery terminal, wherein the delivery terminal transmits a delivery completion message to the server when ordered food or side dishes are placed in the storage box. 제 4항에 있어서, 배달 완료를 서버에 전송할 때 보관고에 놓여진 위치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Claim 5] The food delivery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the delivery comple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location of the storage is also transmitted. 제 4항에 있어서, 배달자 단말기를 통하여 배달 시작이 선택되면 보관고의 문이 개폐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고를 이용한 음식 배달 방법.











[Claim 5] The food delivery method using a storage lock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oor of the locker is opened or closed when delivery start is selected through the delivery terminal.











KR1020210119385A 2021-09-07 2021-09-07 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KR202300364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85A KR20230036482A (en) 2021-09-07 2021-09-07 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85A KR20230036482A (en) 2021-09-07 2021-09-07 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82A true KR20230036482A (en) 2023-03-14

Family

ID=8550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385A KR20230036482A (en) 2021-09-07 2021-09-07 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48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7912B (en) Inventory-based tracking, dish recommendations, food freshness notifications, and consumption notifications from personal food inventory
CN108025871B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inventory management method for storage
US7653603B1 (en) Network connected delivery box using access codes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US7907054B1 (en) Advanced food and/or drink organization and/or handling system
US20120101876A1 (en) Method of managing household product inventory
EP0971176A2 (en) Kitchen appliance
US20030177072A1 (en) Internet-based grocery orde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e-through customer pickup of grocery orders at multiple locations as selected by customer
US20100179881A1 (en) System for making product purchases
WO2016075301A1 (en) Smart appliance process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10339589B2 (en) Connected consumables preparation area
JP6600141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090094526A (en) Smart purchasing support system
US20160247219A1 (en) Interactive transaction system for physical merchant stores
JP2020191073A (en) Product providing system
KR2005007765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of internet refrigerator, its program storing recorded medium
KR102212319B1 (en) System for managing goods information in refrigerator using RFID
KR20230036482A (en) The method of Food delivery using food storage device
KR20190082536A (en)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reservation order service
JP2019102016A (en) Warehouse management server, electronic transaction server, commodity purchase supporting system, and program
KR101303848B1 (en) Efficiency enhancement equipment for solar photovoltaic power facilities
WO2021229829A1 (en) Information-providing method
JPWO2002027581A1 (en) Food purchase / development support method, purchase / development support system, and refrigerator
CN110889927A (en) Intelligent system of selling and storing cabinet
WO2022239182A1 (en) Automatic vending system and automatic vending method for automatic vending system
KR20220151795A (en) The method of managing warehouses distributed by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