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780A -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780A
KR20230035780A KR1020210118194A KR20210118194A KR20230035780A KR 20230035780 A KR20230035780 A KR 20230035780A KR 1020210118194 A KR1020210118194 A KR 1020210118194A KR 20210118194 A KR20210118194 A KR 20210118194A KR 20230035780 A KR20230035780 A KR 20230035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deo
unit
content video
blank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078B1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퍼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퍼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퍼빅
Priority to KR102021011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7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은 바닥부와 벽체부를 포함하며, 컨텐츠 동영상을 출력하는 컨텐츠 표시부와, 컨텐츠 표시부의 내부에서 컨텐츠를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사전에 제작된 컨텐츠 동영상이 저장되어 컨텐츠 표시부에 전송하고,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컨텐츠 동영상을 수신받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컨텐츠 동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촬영장치가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바닥부 및 벽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산출하는 컨텐츠영역산출부와, 컨텐츠영역산출부에서 산출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산출하는 공백영역산출부를 포함하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컨텐츠영역과 공백영역을 구획하는 공간구획부와,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된 공백영역에 표시할 컨텐츠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영상선택부와,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한 공백영역에 영상선택부에서 선택한 컨텐츠 동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컨텐츠 동영상을 제작하는 영상합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Content video production system based on extended reality }
본 발명은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확장현실 기반의 스튜디오에서 촬영된 컨텐츠 동영상을 편집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 동영상을 제작 및 제공하기 위한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 다양한 매체를 실행하고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보급으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효율성과 편의성의 관점에서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기술 수요의 증대로 이어지면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한 분야인 확장현실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은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 ity, AR), 그리고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으로 광범위하고 다양한 수준의 초실감형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에 대한 가상세계의 이미지는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며, 현실세계의 이미지에 추가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 사용자에게 확장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콘텐츠로써, 확장현실 기반의 스튜디오 안에서 컨텐츠를 촬영하고, 촬영한 컨텐츠를 유저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컨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무대에서 공연 중인 객체의 위치 및 동작에 매핑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은 무대 공연에서 촬영된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가 부자연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17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현실 기반의 스튜디오에서 촬영된 컨텐츠 동영상을 편집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 동영상을 제작 및 제공하기 위한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은 바닥부와 벽체부를 포함하며, 컨텐츠 동영상을 출력하는 컨텐츠 표시부;
상기 컨텐츠 표시부의 내부에서 컨텐츠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사전에 제작된 컨텐츠 동영상이 저장되어 상기 컨텐츠 표시부에 전송하고,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컨텐츠 동영상을 수신받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컨텐츠 동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촬영장치가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상기 바닥부 및 벽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산출하는 컨텐츠영역산출부와, 상기 컨텐츠영역산출부에서 산출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산출하는 공백영역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컨텐츠영역과 공백영역을 구획하는 공간구획부;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된 공백영역에 표시할 컨텐츠 동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영상선택부;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한 공백영역에 상기 영상선택부에서 선택한 컨텐츠 동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컨텐츠 동영상을 제작하는 영상합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컨텐츠 표시부를 촬영할 때의 촬영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표시부에 표시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랜더링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촬영각도가 변화할 때마다 상기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표시부에 표시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재랜더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컨텐츠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 합성할 컨텐츠 동영상을 사전에 제작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선택부는,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된 공백영역 중에서 상 측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에서 선택하는 상부영상선정부; 및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된 공백영역 중에서 측면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에서 선택하는 측면영상선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상선정부 및 측면영상선정부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이 동일한 경우,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상기 상부영상선정부에 들어갈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 영역과, 상기 측면영상선정부에 들어갈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 영역을 각각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합성부는,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과,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한 공백영역에 상기 상부영상선정부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과, 상기 측면영상선정부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을 선정하고,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으로 편집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표시부의 내부(스튜디오 내부)에서 컨텐츠를 촬영하고, 촬영된 컨텐츠에 영역을 각각 구획한 이후 공백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사전에 제작된 동영상 컨텐츠를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의 제작환경을 나타내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의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 동영상의 완성본을 나타내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은 컨텐츠 동영상을 출력하는 컨텐츠 표시부(10)와, 컨텐츠 표시부(10)의 내부에서 진행되는 컨텐츠를 촬영하는 촬영장치(20)와,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을 수신받는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표시부(10)는 벽체부(11)와, 바닥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벽체부(11)와, 하나의 바닥부(12)가 구성되며, 벽체부(11) 및 바닥부(12)에서 컨텐츠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닥부(12)는 하나 이상의 유저가 컨텐츠를 진행하기 위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화유리로 마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촬영장치(20)는 벽체부(11) 및 바닥부(12)의 내부에서 진행되는 컨텐츠를 촬영하는 장치이며, 캠코더, 카메라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촬영장치(20)는 컨텐츠 표시부(10)의 내부에서 진행되는 컨텐츠를 촬영할 때, 촬영장치(20)의 촬영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는 촬영장치(20)의 촬영각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30)에서는 센서부(21)에서 감지한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컨텐츠 표시부(10)에 표시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랜더링 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장치(20) 중앙에서 좌측으로 회전하여 영상을 촬영한다고 가정하면, 센서부(21)에서 좌측으로 회전하는 정보를 감지하여 이를 서버(30)에 전송하고, 센서부(21)에서 감지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동영상을 중심에서 좌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랜더링하여 컨텐츠 표시부(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에서 감지한 촬영각도가 변화할 때마다 변화된 촬영각도의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표시부(10)에 표시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재랜더링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촬영장치(20)의 촬영각도가 변경될 때마다 컨텐츠 표시부(10)에 표시되는 컨텐츠 동영상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재랜더링되어 출력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30)는 촬영장치(20)에서 촬영된 컨텐츠 동영상과, 사전에 기 제작된 컨텐츠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과 기 제작된 컨텐츠 동영상을 합성하여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 동영상을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버(30)는 컨텐츠 동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1)와, 촬영장치(20)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컨텐츠영역과 공백영역을 구획하는 공간구획부(32)와, 공백영역에 표시할 컨텐츠 동영상을 선택하는 영상선택부(33)와, 촬영장치(20)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과, 영상선택부(33)에서 선택한 컨텐츠 동영상을 공간구획부(32)에서 구획한 공백영역에 합성하는 영상합성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1)는 사전에 기 제작된 컨텐츠 동영상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31a)와, 촬영장치(20)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2 저장부(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저장부(31a)는 사전에 기 제작된 컨텐츠 동영상이 저장되고, 촬영장치(20)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공백영역에 합성할 컨텐츠 동영상에 사용되거나, 컨텐츠 표시부(10)에 표시될 컨텐츠 동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저장부(31b)는 촬영장치(20)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을 임시 저장하거나, 영상합성부(34)에서 합성한 컨텐츠 동영상(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 동영상)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간구획부(32)는 촬영장치(20)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을 기준으로 영역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바닥부(12) 및 벽체부(11)에 해당하는 영역을 산출하는 컨텐츠영역산출부(32a)와, 컨텐츠영역산출부(32a)에서 산출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산출하는 공백영역산출부(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영역산출부(32a)는 촬영장치(20)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컨텐츠 표시부(10)의 내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컨텐츠를 한 영역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벽체부(11)와, 바닥부(12)에서 표시하고 있는 컨텐츠 동영상과, 컨텐츠 표시부(10)의 내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컨텐츠를 포함하여 하나의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공백영역산출부(32b)는 컨텐츠영역산출부(32a)에서 산출한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바닥부(12) 및 벽체부(11)의 측면 및 천장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공백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영상선택부(33)는 공백영역산출부(32b)에서 산출된 공백영역 중에서 상측 예컨대 천장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제1 저장부(31a)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에서 선택하는 상부영상선정부(33a)와, 공백영역산출부(32b)에서 산출된 상측을 제외한 나머지 예컨대 측면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제1 저장부(31a)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에서 선택하는 측면영상선정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영상선정부(33a)와, 측면영상선정부(33b)에서 서로 다른 컨텐츠 동영상을 선정하였을 경우, 바로 적용할 수 있고, 예컨대 상부영상선정부(33a)와, 측면영상선정부(33b)에서 같은 컨텐츠 동영상을 선정하였을 경우,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상부영상선정부(33a)에 삽입될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 영역과, 측면영상선정부(33b)에 들어갈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 영역을 각각 구획한 이후, 각각 구획한 부분에 한정하여 공백부분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합성부(34)는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 공백영역에 영상선택부(33)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확장기반의 컨텐츠 동영상으로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과, 공백영역산출부(32b)에서 산출한 공백영역에 상부영상선정부(33a)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와, 측면영상선정부(33b)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를 선정하고, 각각 선정된 컨텐츠 동영상에 공백영역에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으로 편집할 수 있다. 편집된 동영상은 제2 저장부(31b)에 별도로 저장되거나, 외부로 송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표시부의 내부(스튜디오 내부)에서 컨텐츠를 촬영하고, 촬영된 컨텐츠에 영역을 각각 구획한 이후 공백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사전에 제작된 동영상 컨텐츠를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확장현실 기반의 컨텐츠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컨텐츠 표시부 11 - 벽체부
12 - 바닥부 20 - 촬영장치
21 - 센서부 30 - 서버
31 - 데이터베이스 31a - 제1 저장부
31b - 제2 저장부 32 - 공간구획부
32a - 컨텐츠영역산출부 32b - 공백영역산출부
33 - 영상산출부 33a - 상부영상선정부
33b - 측면영상선정부 34 - 영상합성부

Claims (6)

  1. 바닥부와 벽체부를 포함하며, 컨텐츠 동영상을 출력하는 컨텐츠 표시부;
    상기 컨텐츠 표시부의 내부에서 컨텐츠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사전에 제작된 컨텐츠 동영상이 저장되어 상기 컨텐츠 표시부에 전송하고,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컨텐츠 동영상을 수신받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컨텐츠 동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촬영장치가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상기 바닥부 및 벽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산출하는 컨텐츠영역산출부와, 상기 컨텐츠영역산출부에서 산출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산출하는 공백영역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컨텐츠영역과 공백영역을 구획하는 공간구획부;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된 공백영역에 표시할 컨텐츠 동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영상선택부;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한 공백영역에 상기 영상선택부에서 선택한 컨텐츠 동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컨텐츠 동영상을 제작하는 영상합성부; 를 포함하는,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컨텐츠 표시부를 촬영할 때의 촬영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표시부에 표시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랜더링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촬영각도가 변화할 때마다 상기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표시부에 표시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재랜더링하는,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컨텐츠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 합성할 컨텐츠 동영상을 사전에 제작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를 포함하는,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선택부는,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된 공백영역 중에서 상 측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에서 선택하는 상부영상선정부; 및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된 공백영역 중에서 측면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동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컨텐츠 동영상에서 선택하는 측면영상선정부; 를 포함하는,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상선정부 및 측면영상선정부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이 동일한 경우,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에서 상기 상부영상선정부에 들어갈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 영역과, 상기 측면영상선정부에 들어갈 컨텐츠 동영상의 일부 영역을 각각 구획하는,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상합성부는,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컨텐츠 동영상과, 상기 공백영역산출부에서 산출한 공백영역에 상기 상부영상선정부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과, 상기 측면영상선정부에서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을 선정하고, 선정한 컨텐츠 동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으로 편집하는,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KR1020210118194A 2021-09-06 2021-09-06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KR10258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94A KR102587078B1 (ko) 2021-09-06 2021-09-06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94A KR102587078B1 (ko) 2021-09-06 2021-09-06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780A true KR20230035780A (ko) 2023-03-14
KR102587078B1 KR102587078B1 (ko) 2023-10-10

Family

ID=8550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94A KR102587078B1 (ko) 2021-09-06 2021-09-06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60B1 (ko) 2013-07-10 2015-02-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대 가상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22634B1 (ko) * 2016-03-24 2017-04-04 주식회사 씨와이크리에이티브그룹 뮤직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126B1 (ko) * 2017-10-26 2019-04-01 주식회사 이누씨 고화질 동영상의 스트리밍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240302B1 (ko) * 2014-10-21 2021-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피팅 장치 및 이의 가상 피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60B1 (ko) 2013-07-10 2015-02-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대 가상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40302B1 (ko) * 2014-10-21 2021-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피팅 장치 및 이의 가상 피팅 방법
KR101722634B1 (ko) * 2016-03-24 2017-04-04 주식회사 씨와이크리에이티브그룹 뮤직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126B1 (ko) * 2017-10-26 2019-04-01 주식회사 이누씨 고화질 동영상의 스트리밍 전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078B1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3688B2 (en) Volumetric depth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EP2160714B1 (en) Augmenting images for panoramic display
US9055277B2 (en) Image rendering device, image rendering method, and image rendering program for rendering stereoscopic images
US9020241B2 (en) Image providing device, image providing method, and image providing program for providing past-experience images
EP2328125B1 (en) Image splicing method and device
US1054782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o generate high-definition viewpoint interpolation image
US20160210785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mapping
US201401816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annotations to an image
US201401395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synthesized environment map
KR102059732B1 (ko) 디지털 비디오 렌더링
US11252398B2 (en) Creating cinematic video from multi-view capture data
JP2016511850A (ja) プレノプティックライトフィールドに対しアノテーションを付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108171B2 (ja) 画像合成装置
KR102161437B1 (ko) 증강현실의 공간맵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KR102218843B1 (ko)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중첩 레이어 기반의 멀티 카메라 증강현실 방송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230035780A (ko)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동영상 제작 시스템
US20210037230A1 (en)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inventory verification
WO2021149509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52104A1 (en) Virtual content experie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ame
JP7011728B2 (ja) 画像データ出力装置、コンテンツ作成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画像データ出力方法、コンテンツ作成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2380181B1 (ko) Vr 온라인 스토어에 관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
US2024008715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202400367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7153070B2 (ja) 3darコンテンツ作成装置、3dar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3darコンテンツ作成システム
KR2018007522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