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810A - Novel Anti-EphA2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Novel Anti-EphA2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810A
KR20230022810A KR1020220097825A KR20220097825A KR20230022810A KR 20230022810 A KR20230022810 A KR 20230022810A KR 1020220097825 A KR1020220097825 A KR 1020220097825A KR 20220097825 A KR20220097825 A KR 20220097825A KR 20230022810 A KR20230022810 A KR 2023002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cells
epha2
cancer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돈
이수연
정효영
강영주
김은경
김유정
김대영
김윤지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02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8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3Natural-killer cells [NK or NK-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3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recombinant expression
    • A61K39/4631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464422Ephrin Receptors [E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6Natural killers cells [NK], NK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8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46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cancer treated
    • A61K2239/55Lu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Onc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antibody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an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 of the antibody; and immune cells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Th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using the same, and the immune cells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can be usefully used for cancer treatment.

Description

신규한 항-EphA2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를 발현하는 면역세포{Novel Anti-EphA2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Novel Anti-EphA2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본 발명은 EphA2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신규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상기 항체의 항원 결합 가변 단편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면역세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an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 of the antibody, and an immune cell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꾸준한 발전과 변화 과정을 거쳐 왔으며, 외과적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등의 방법이 현재까지 계속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암 치료 방법들은 암이 전이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만 효과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미 전이가 진행된 상태에서는 예컨대 외과적 수술을 하더라도 추후 재발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 암을 치료하기 위해 면역 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오고 있다.Methods for treating cancer have gone through a process of steady development and change, and methods such as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re still being used, but these existing cancer treatment methods are only used in the early stage when the cancer has not metastasized. In most cases, it is effective, and in a state where metastasis has already progressed, there is a problem that, for example, even if surgical operation is performed,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is high. Accordingly, studies on methods of using an immune response to treat cancer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그 중에서도,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이를 강화시키거나 유전공학적으로 변형하여 다시 환자에게 주입하는 세포치료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종양 침윤 림프구(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및 T 세포 수용체(T-cell receptor, TCR)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T 세포나 자연살해 세포(NK cell)에 항원 특이성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인공 수용체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경우, 상기 수용체가 암 세포 특이적 항원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면역세포를 활성화하고 특이적 면역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세포외 도메인과, 막통과 도메인, 그리고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발현되는 T 세포는 CAR-T 세포라 명명되었고(Kershaw et al., Nat. Rev. Immunol., 5(12): 928-940 (2005); Restifo et al., Nat. Rev. Immunol., 12(4): 269-281 (2012)), 자연살해 세포의 경우 CAR-NK 세포라고 명명되었다.Among them,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ell therapy methods that use immune cells to reinforce them or genetically modify them and inject them back into the patient. For example,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chimeric antigen receptors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and T-cell receptor (TCR) technologies are being studi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himeric antigen receptor, which is an artificial receptor designed to deliver antigen specificity to T cells or natural killer cells (NK cells), the receptor binds to a cancer cell-specific antigen to activate the immune cells and achieve specific immunity. It consists of an extracellular domain that can be provided, a transmembrane domain, and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And T cells expressing these chimeric antigen receptors were named CAR-T cells (Kershaw et al. , Nat. Rev. Immunol. , 5 (12): 928-940 (2005); Restifo et al. , Nat. Rev. Immunol. , 12 (4): 269-281 (2012)), in the case of natural killer cells were named CAR-NK cells.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주로 T 세포 수용체의 신호전달 서브유닛인 CD3zeta 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1세대 CAR). 그리고 여기에 면역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촉진하는 공동-자극 분자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추가하는 형태로 진화되어 왔다. 예를 들면, 현재 시판되고 있는 CAR-T 세포 치료제는 각각 CD28과 4-1BB 공자극 분자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으며(2세대 CAR), 이후 CD28과 4-1BB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동시에 포함하는 CAR(3세대 CAR) 등이 시도되고 있다(Stegen et al., Nat. Rev. Drug Discov., 14(7): 499-509 (2015)).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is mainly based on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of CD3zeta, a signaling subunit of the T cell receptor (first-generation CAR). And it has evolved in the form of adding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that promotes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immune cells. For example, currently marketed CAR-T cell therapeutics use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s of CD28 and 4-1BB co-stimulatory molecules, respectively (second-generation CARs), followed by CD28 and 4-1BB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s. A CAR (3rd generation CAR) containing at the same time has been attempted (Stegen et al. , Nat. Rev. Drug Discov. , 14 (7): 499-509 (2015)).

한편, EphA2(ephrin type-A receptor 2)는 사람의 EPHA2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로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 과발현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암 세포의 성장 및 침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EphA2의 발현은 암 환자의 생존율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암 세포에서 특히 과발현되어 나타나는 상기 EphA2를 타겟으로 하는 항체나 이를 이용한 상기 CAR-T, CAR-NK 치료제 등을 개발함으로써 암을 치료하기 위한 또다른 측면의 전략과 방법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On the other hand, EphA2 (ephrin type-A receptor 2) is a protein expressed from the human EPHA2 gene and is known to be overexpressed in various types of cancer, including breast cancer, prostate cancer, lung cancer, etc., and promotes the growth and penetration of cancer cells. It is known.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xpression of EphA2 is related to the survival rate of cancer patients. Under this technical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study another aspect of strategie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by developing antibodies targeting the EphA2, which is particularly overexpressed in cancer cells, or the CAR-T and CAR-NK therapeutics using the same. The need to do so emerges.

본 발명은 암 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to EphA2, which is mainly expressed in cancer cells.

또한, 본 발명은 면역세포에서 발현되었을 때, 암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또는 세포용해 활성을 증폭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chimeric antigen receptor capable of amplifying cytotoxic or cytolytic activity against cancer cells when expressed in immune cell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시키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발현 벡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nucleotide and an expression vector for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시킴으로써 암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한 면역세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mune cell with excellent therapeutic effect against cancer by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n its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using the immune cell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 또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EphA2(ephrin type-A receptor 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vy chain CDR1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SEQ ID NO: 9, a heavy chain CDR2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or SEQ ID NO: 10, and SEQ ID NO: 3 or sequenc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No. 11; and a light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or SEQ ID NO: 12, a light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or SEQ ID NO: 13, and a light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or SEQ ID NO: 14. region; and provides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ephrin type-A receptor 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EphA2(ephrin type-A receptor 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binding domain); 막통과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로서, 상기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는,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 또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EphA2 항체의 단일 사슬 가변 단편(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인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acellular domain containing an antigen binding site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ephrin type-A receptor 2) (extracellular binding domain); transmembrane domain; And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a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comprising a; antigen binding site that binds specifically to EphA2, SEQ ID NO: 1 or SEQ ID NO: 9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a heavy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or SEQ ID NO: 10, and a heavy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or SEQ ID NO: 11 and SEQ ID NO: 4 or SEQ ID NO: 12 An anti-EphA2 antibod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light chain CDR1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or SEQ ID NO: 13 and light chain CDR3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or SEQ ID NO: 14. It provide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that is a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 of.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그리고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nucleotide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an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the polynucleoti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mune cell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n its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ncer treatment comprising the immune cells.

본 발명의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그리고 이를 이용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암 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EphA2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발현된 면역세포에서 신호전달이 발생함에 따라 면역세포의 세포독성 또는 세포용해 활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면역세포와 공배양된 암 세포의 탈과립(degranulation)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Antibodies,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s using the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ically bind to EphA2, which is mainly expressed in cancer cells, and thus signal transduction in immune cells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As this occurs, the cytotoxic or cytolytic activity of immune cells i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secretion of cytokines is promoted. In addition, this has an effect of increasing degranulation of cancer cells co-cultured with the immune cells.

따라서, 본 발명의 항체나 이를 이용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 그리고 이를 발현시킨 면역세포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chimeric antigen receptor using the same, and immune cells expressing the antibody can be usefully used for cancer treatment.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a은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가변 단편(scFv)을 세포외 도메인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EphA2-CAR1)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b는 이를 클로닝한 발현 벡터의 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은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가변 단편(scFv)을 세포외 도메인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EphA2-CAR2)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b는 이를 클로닝한 발현 벡터의 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 2종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자연살해 세포(EphA2#79-CAR1-NK 세포 및 EphA2#85-CAR1-NK 세포)를 대상으로, 도 3b는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 2종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T 세포(EphA2#79-CAR2-T 세포 및 EphA2#85-CAR2-T 세포)를 대상으로, 각각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들(EphA2-CAR1 및 EphA2-CAR2)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 및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주인 K562 세포를 대상으로 EphA2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 2종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자연살해 세포(EphA2#79-CAR1-NK 세포 및 EphA2#85-CAR1-NK 세포)의, EphA2를 발현하는 MDA-MB-231 세포와 EphA2를 발현하지 않는 K562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세포용해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를 나타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 2종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자연살해 세포(EphA2#79-CAR1-NK 세포 및 EphA2#85-CAR1-NK 세포)를 EphA2를 발현하는 MDA-MB-231 세포 또는 EphA2를 발현하지 않는 K562 세포와 공배양하였을 때, 자연살해 세포들에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IFN-γ)의 양과 탈과립(degranulation) 지표인 CD107α의 발현량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 2종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T 세포(EphA2#79-CAR2-T 세포 및 EphA2#85-CAR2-T 세포)의, EphA2를 발현하는 A549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세포용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난 것이다.
도 9a는 폐암 세포주인 H460 세포에서 EphA2가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자연살해 세포(EphA2#79-CAR1-NK 세포)의 H460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세포용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c는 H460 세포를 실험동물에 주입하여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을 확인한 실험의 개요를 간략히 도식화한 것이고, 도 9d 및 도 9e는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자연살해 세포의 H460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세포용해 활성)에 의한 항암 활성을 각각 종양의 크기와 무게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A549-Luciferase 세포를 주입한 실험동물에서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 2종의 유전자를 도입 및 발현시킨 T 세포(EphA2#79-CAR2-T 세포 및 EphA2#85-CAR2-T 세포)의 A549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세포용해 활성)에 의한 항암 활성을 각각 종양의 크기와 무게로 확인한 결과이다. 또한, 도 10c는 마우스 혈액 내에서 상기 EphA2-CAR2-T 세포의 존부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10d는 종양 내에서 상기 EphA2-CAR2-T 세포의 존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Figure 1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EphA2-CAR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n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 (scFv)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as an extracellular domain, and Figure 1b is a cloned expression thereof. It represents a map of vectors.
Figure 2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EphA2-CAR2)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n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 (scFv)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as an extracellular domain, and Figure 2b is a cloned expression thereof. It represents a map of vectors.
3a shows natural killer cells (EphA2#79-CAR1-NK cells and EphA2#85-CAR1-NK cells) into which two types of chimeric antigen receptor gen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troduced and expressed, and FIG. 3b shows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EphA2 -CAR1 and EphA2-CAR2) are show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4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EphA2 in MDA-MB-231 cells, a breast cancer cell line, A549 cells, a lung cancer cell line, and K562 cells, a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ell line.
Figure 5 is MDA-MB expressing EphA2 in natural killer cells (EphA2#79-CAR1-NK cells and EphA2#85-CAR1-NK cells) into which two types of chimeric antigen receptor gen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troduced and expressed. -231 cells and K562 cells that do not express EphA2 were measured for cytotoxicity (cytolytic activit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6 and 7 show MDA expressing EphA2 in natural killer cells (EphA2#79-CAR1-NK cells and EphA2#85-CAR1-NK cells) into which two types of genes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troduced and expressed. -When co-cultured with MB-231 cells or K562 cells that do not express EphA2, the amount of cytokine (IFN-γ) secreted by natural killer cells and the expression level of CD107α, an indicator of degranula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pectively. that showed a result.
8 is a diagram of A549 cells expressing EphA2 in T cells (EphA2#79-CAR2-T cells and EphA2#85-CAR2-T cells) into which two types of chimeric antigen receptor gen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troduced and expressed. It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cytotoxicity (cytolytic activity).
9a is a result confirming that EphA2 is expressed in H460 cells, a lung cancer cell line, and FIG. 9b is a result of natural killer cells (EphA2#79-CAR1-NK cells) into which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gen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troduced and expressed.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cytotoxicity (cytolytic activity) for H460 cells. Figure 9c is a simplified schematic of an experiment confirming the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into which the gen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troduced and expressed by injecting H460 cells into experimental animals, and Figures 9d and 9e show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cancer activity by the cytotoxicity (cytolytic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into H460 cells into which the gen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was introduced and expressed, respectively, by the size and weight of the tumor.
10a and 10b show T cells (EphA2#79-CAR2-T cells and EphA2#85-CAR2-T cells) into which two types of chimeric antigen receptor gen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troduced and expressed in experimental animals injected with A549-Luciferase cells. It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anticancer activity by cytotoxicity (cytolytic activity) of A549 cells of T cells) by tumor size and weight, respectively. In addition, FIG. 10c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phA2-CAR2-T cells in mouse blood, and FIG. 10d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phA2-CAR2-T cells in a tumor.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신규한 항-EphA2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및 이를 발현시키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발현 벡터1. Novel anti-EphA2 antibodies,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s) containing the same, and polynucleotides and expression vectors for expres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EphA2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EphA2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ti-EphA2 antibodies and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to EphA2.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antibody)"는 면역학적으로 항원의 에피토프(epitope)와 특이적 결합하여 반응성을 갖는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항체, 다클론항체, 전체 길이의 사슬 구조를 가진 항체(전장항체, full-length antibody), 적어도 항원 결합 기능을 갖는 기능적인 단편(항원 결합 단편)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체는 단일클론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일 수 있다. 상기 단일클론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체 집단에서 수득한 단일 분자 조성의 항체 분자를 지칭하고, 이러한 단일클론항체는 특정 에피토프에 대해 단일 결합 특이성 및 친화도를 나타낸다. 상기 전장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다이설파이드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중쇄(heavy chain, HC) 및 경쇄(light chain, LC)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쇄 및 경쇄는 가변영역 및 불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tibody" refers to an immunoglobulin molecule having a reactivity by specifically binding to an epitope of an antigen immunologically. The antibody may include all of monoclonal antibodies, polyclonal antibodies, antibodies having a full-length chain structure (full-length antibodies), functional fragments having at least an antigen-binding function (antigen-binding fragments), and recombinant antibodies. Specifically, th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noclonal antibody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e monoclonal antibody refers to an antibody molecule of a single molecular composition obtained from a substantially identical antibody population, and such monoclonal antibody exhibits a single binding specificity and affinity for a particular epitope. The full-length antibody has a structure having two full-length light chains and two full-length heavy chains, and each light chain may be connected to the heavy chain through a disulfide bond. The antibody includes a heavy chain (HC) and a light chain (LC) polypeptide, and the heavy chain and light chain may include a variable region and a constant region.

상기 불변영역은 면역계의 다양한 종류의 세포(T-세포 등), 보체계의 성분을 포함하는 숙주 조직 등에, 상기 항체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부위이다. 상기 불변영역은, 같은 종으로부터 유래하는 같은 종류의 항체라면 항원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하며, 이를 이루는 아미노산 서열 역시 항체마다 동일하거나 높은 유사도를 갖는다. 상기 불변영역은 중쇄의 불변영역(CH로 약칭될 수 있음)과 경쇄 불변영역(CL로 약칭될 수 있음)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중쇄불변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및/또는 엡실론(ε) 타입을 가지며, 서브클래스로 감마1(γ1), 감마2(γ2), 감마3(γ3), 감마4(γ4), 알파1(α1) 및/또는 알파2(α2)를 가진다. 경쇄불변영역은 카파(κ) 및 람다(λ) 타입을 가진다. IgG는 아형(subtype)으로, IgG1, IgG2, IgG3 및 IgG4를 포함한다.The constant region is a region that mediates binding of the antibody to various types of cells (T-cells, etc.) of the immune system, host tissues including components of the complement system, and the like. The constant region, if it is the same type of antibody derived from the same species, has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antigen, and the amino acid sequence constituting it also has the same or high similarity for each antibody. The constant region may be divided into a heavy chain constant region (which may be abbreviated as CH) and a light chain constant region (which may be abbreviated as CL). The heavy chain constant region has gamma (γ), mu (μ), alpha (α), delta (δ) and / or epsilon (ε) types, and subclasses include gamma 1 (γ1), gamma 2 (γ2), It has gamma 3 (γ3), gamma 4 (γ4), alpha 1 (α1) and/or alpha 2 (α2). The light chain constant region has kappa (κ) and lambda (λ) types. IgG is a subtype and includes IgG1, IgG2, IgG3 and IgG4.

상기 가변영역은 항원에 대해 특이성을 가지는 항체 부위로, 중쇄의 가변영역(VH로 약칭될 수 있음)과 경쇄의 가변영역(VL로 약칭될 수 있음)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가변영역에는 3개의 CDR(complementary-determining regions, 또는 상보성 결정 영역)과 4개의 FR(framework regions)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CDR은 항원의 인식에 관여하는 고리 형태의 부위일 수 있으며, 상기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항원에 대한 특이성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CDR은 그 순서에 따라 CDR1, CDR2, CDR3로 지칭될 수 있으며, 중쇄 및 경쇄 중 어느 폴리펩타이드의 CDR인지 여부에 따라,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CDR-H1, CDR-H2, CDR-H3로,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CDR-L1, CDR-L2, CDR-L3로 지칭될 수 있다. FR도 마찬가지로, 중쇄가변영역의 경우 FR-H1, FR-H2, FR-H3, FR-H4로, 경쇄가변영역의 경우 FR-L1, FR-L2, FR-L3, FR-L4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DR 및 FR은 각각의 가변영역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The variable region is an antibody region having specificity for an antigen, and may be divided into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which may be abbreviated as VH) and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which may be abbreviated as VL). The variable region may include three complementary-determining regions (CDRs) and four framework regions (FRs). The CDR may be a ring-shaped region involved in antigen recognition, and specificity for the antige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CDR. The CDRs may be referred to as CDR1, CDR2, and CDR3 according to their order,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heavy chain or light chain is a CDR of any polypeptide, in the case of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DR-H1, CDR-H2, CDR-H3, In the case of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it may be referred to as CDR-L1, CDR-L2, or CDR-L3. Similarly, FR can be referred to as FR-H1, FR-H2, FR-H3, and FR-H4 for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FR-L1, FR-L2, FR-L3, and FR-L4 for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there is. In addition, the CDRs and FRs may be arranged in the following order in each variable region.

본 발명에서 용어 "항원 결합 단편"은, 항체의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는, 본 발명 인간화 항체의 임의의 단편을 의미한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단편", "항체 단편" 등의 용어와 호환되어 지칭될 수 있으며,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Fab, Fab', F(ab')2, Fv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antigen-binding fragment" refers to any fragment of the humanized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retains the antigen-binding function of the antibody. The antigen-binding fragment may be interchangeably referred to with terms such as "fragment" and "antibody fragment", and the antigen-binding fragment may be Fab, Fab', F(ab') 2 , Fv,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상기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영역(CH1 도메인)을 가지는 구조로 1 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상기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 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 (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상기 Fab와 차이가 있다. 상기 F(ab')2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상기 Fv는 중쇄가변영역 및 경쇄가변영역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 조각을 의미한다. 이중쇄 Fv(two-chain Fv)는 비공유 결합으로 중쇄가변영역과 경쇄가변영역이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ingle-chain 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해 중쇄가변영역과 경쇄가변영역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C-말단에서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중쇄 Fv와 같이 다이머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거나(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ab has a structure having light and heavy chain variable regions, a light chain constant region, and a first constant region (CH1 domain) of a heavy chain, and has one antigen binding site. The Fab' is different from the Fab in that it has a hinge region including one or more cysteine residues at the C-terminus of the heavy chain CH1 domain. The F(ab') 2 is generated when a cysteine residue in the hinge region of Fab' forms a disulfide bond. The Fv refers to a minimum antibody fragment having only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Double-chain Fv (two-chain Fv) has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nnected by a non-covalent bond, and single-chain Fv (single-chain Fv) generally has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nd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valently bonded through a peptide linker. or directly linked at the C-terminus, it can form a dimer-like structure like double-chain Fv. The antigen-binding fragment may be prepared using a proteolytic enzyme (for example, Fab may be obtained by restriction digestion of whole antibody with papain, and F(ab')2 fragment may be obtained by digestion with pepsin), or It can be produced through genetic recombination technolog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링커는 펩타이드 링커일 수 있으며, 약 10 내지 25개 아미노산 길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커에는 글리신(G) 및/또는 세린(S)과 같은 친수성 아미노산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예를 들어, (GS)n, (GGS)n, (GSGGS)n 또는 (GnS)m(n, m은 각각 1 내지 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nS)m(n, m은 각각 1 내지 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linker may be a peptide linker and may have a length of about 10 to 25 amino acids. For example, the linker may include a hydrophilic amino acid such as glycine (G) and/or serine (S). The linker may include, for example, (GS)n, (GGS)n, (GSGGS)n or (GnS)m (n and m are each 1 to 10), and for example, (GnS)m( n and m may each be 1 to 1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용어, "에피토프(epitope)"는 면역글로불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결합할 수 있는 항원 상의 특정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에피토프는 연속 아미노산으로부터 또는 단백질의 3차 접힘에 의해 병치된 불연속 아미노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epitope" refers to a specific site on an antigen that can be specifically recognized and bound by an immunoglobuli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e epitope may be formed from contiguous amino acids or from discontinuous amino acids juxtaposed by tertiary folding of a protein.

상기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배경 결합보다 큰 결합 친화성으로 다른 분자에 대해 결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세포외 도메인은 표적 항원에 대해 약 10-5 M 이상의 친화성 또는 Ka(1/M의 단위를 갖는 특정 결합 상호작용의 평형 해리 상수)로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친화성은 M의 단위를 갖는 특정 결합 상호작용의 평형 해리 상수(Kd)가 10-5 M 내지 10-13 M 또는 상기 범위 이하인 것일 수 있다.The “specifically binding” may mean binding to another molecule with a binding affinity greater than background binding, for example, the extracellular domain has an affinity or Ka of about 10 −5 M or higher for the target antigen. (equilibrium dissociation constant of a specific binding interaction having a unit of 1/M). The affinity may have an equilibrium dissociation constant (Kd) of a specific binding interaction having a unit of M of 10 −5 M to 10 −13 M or less than the above range.

본 발명의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 또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EphA2(ephrin type-A receptor 2)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vy chain CDR1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SEQ ID NO: 9, a heavy chain CDR2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or SEQ ID NO: 10, and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or SEQ ID NO: 11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3 having the sequence; and a light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or SEQ ID NO: 12, a light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or SEQ ID NO: 13, and a light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or SEQ ID NO: 14. domain; and specifically binds to EphA2 (ephrin type-A receptor 2).

상기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have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7 or SEQ ID NO: 15.

상기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 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may have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or SEQ ID NO: 16.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예컨대 인간으로부터 유래하는 항체의 중쇄불변영역 및/또는 경쇄불변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EphA2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상기 인간으로부터 유래하는 항체의 중쇄불변영역 및/또는 경쇄불변영역은 그 종류나 아미노산 서열에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 heavy chain constant region and/or a light chain constant region of an antibody derived from a human, and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specifically binds to EphA2. The heavy chain constant region and/or light chain constant region of the human-derived antibody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ype or amino acid sequence, as long as the properties are not impaired.

앞서 설명한 아미노산 서열들은, 이를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의 구조, 기능, 활성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삽입,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 서열들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변형이 일어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아미노산 변형은 예컨대 인산화 (phosphorylation), 황화(sulfation), 아크릴화(acrylation), 당화(glycosylation), 메틸화(methylation), 파네실화(farnesylation)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간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앞서 설명한 아미노산 서열들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이나 이의 변이체를 포함한다.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의 의미는, 앞서 설명한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 또는 9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described amino acid sequences may include variants having different sequences due to deletion, insertion, substitution, or combination thereof of amino acid residue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structure, function, activity, etc. of the polypeptide containing the same. . In addition, the amino acid sequences may include amino acids with conventional modifications known in the art, and the amino acid modifications include, for example, phosphorylation, sulfation, acrylation, glycosylation, methylation ( methylation), farnesylation, and the like. The humanized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ose having amino acid sequences substantially identical thereto, as well as those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amino acid sequences, or variants thereof. The meaning of having the substantially identical amino acid sequence is 90% or more, 91% or more, 92% or more, 93% or more, 94% or more, 95% or more, 96% or more, 97% or more, 98% or more of the amino acid sequence described above. % or more, 99% or more, or may include an amino acid sequence having a homology of 99.5%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용어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는 표적 항원 및 상기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를 인식하여 결합하였을 때 이에 대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합성 복합체이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binding domain), 막통과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을 포함할 수 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면역세포의 표면에 발현되어 세포외 도메인에 포함된 항원 결합 부위를 통해, 특정 항원, 예컨대 암 세포의 표면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됨으로써, 면역세포 내에서 신호전달을 일으켜 면역세포의 활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바, 특정 항원만을 표적으로 하여 면역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is a synthetic complex designed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to a target antigen and a cell expressing the antigen when recognized and bound thereto. A chimeric antigen receptor may include an extracellular binding domain, a transmembrane domain, and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immune cells and recognizes and binds to a specific antigen, such as an antigen specifically expressed on the surface of cancer cells, through an antigen binding site included in an extracellular domain, thereby signaling within the immune cell. Transduction can cause changes in the activity of immune cells, and an immune response can be induced by targeting only a specific antigen.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는, EphA2(ephrin type-A receptor 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binding domain); 막통과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을 포함한다.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racellular binding domain including an antigen binding site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rin type-A receptor 2 (EphA2); transmembrane domain; and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상기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는,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 또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EphA2 항체의 단일 사슬 가변 단편(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일 수 있다.The antigen-binding site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is a heavy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SEQ ID NO: 9, a heavy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or SEQ ID NO: 10, and SEQ ID NO: 3 or SEQ ID NO: 11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3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and a light chain CDR1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or SEQ ID NO: 12, a light chain CDR2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or SEQ ID NO: 13, and SEQ ID NO: 6 or SEQ ID NO: It may be a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 of an anti-EphA2 antibody includ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including a light chain CDR3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14.

본 발명의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면역세포의 표면에 발현되었을 때, 표적 항원인 EphA2가 상기 수용체에 결합하게 되면 면역세포 내에서 신호전달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면역세포의 세포독성(또는 세포용해 활성)의 향상 및/또는 상기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 촉진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세포독성(또는 세포용해 활성)의 향상 또는 사이토카인 분비 촉진은 항원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면역세포가 나타내는 세포독성(또는 세포용해 활성)이나 사이토카인 분비보다 높은 수준으로 세포독성(또는 세포용해 활성)을 나타내거나 높은 수준으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것일 수 있다. When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an immune cell, when EphA2, the target antigen, binds to the receptor, signal transduction occurs in the immune cell, and cytotoxicity (or cytolysis) of the immune cell occurs. activity) and/or stimulation of cytokine secretion of the immune cells may be induced. The enhancement of cytotoxicity (or cytolytic activity) or promotion of cytokine secretion is at a higher level than cytotoxicity (or cytolytic activity) or cytokine secretion exhibited by immune cells in the absence of antigen. activity) or secrete cytokines at high levels.

상기 세포외 도메인은, 힌지 도메인(hinge domain) 및 스페이서 도메인(spacer doma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외 도메인의 항원 결합 부위는, 힌지 도메인 및/또는 스페이서 도메인을 통해 막통과 도메인과 연결될 수 있다.The extracellular domai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inge domain and a spacer domain. The antigen-binding site of the extracellular domain may be linked to the transmembrane domain through a hinge domain and/or a spacer domain.

상기 힌지 도메인은, 적절한 세포/세포 접촉, 적절한 항원/항원 결합 부위의 결합 결합 및 적절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발현되는 면역세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항원 결합 부위가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 세포외 도메인의 위치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상기 세포외 도메인과 막통과 도메인 사이에 하나 이상의 힌지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도메인은 천연, 합성, 반-합성 또는 재조합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힌지 도메인은 천연 발생 면역글로불린 힌지 영역 또는 변화된 면역글로불린 힌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화된 힌지 영역은 (a) 최대 30%의 아미노산 변화(예: 최대 25%, 20%, 15%, 10% 또는 5%의 아미노산 치환 또는 결실)을 갖는 천연 발생 힌지 영역, (b) 최대 30% 아미노산 변화(예: 최대 25%, 20%, 15%, 10% 또는 5%의 아미노산 치환 또는 결실)을 갖는 적어도 10개 아미노산(예: 적어도 12, 13, 14 또는 15개 아미노산) 길이의 천연 발생 힌지 영역의 일부, 또는 (c) 코어 힌지 영역(이는 4, 5, 6, 7, 8, 9, 10, 11, 12, 13, 14 또는 15, 또는 적어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또는 15개 아미노산 길이일 수 있다)을 포함하는 천연 발생 힌지 영역의 일부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천연 발생 면역글로불린 힌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는 하나 이상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예: 하나 이상의 세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변화된 면역글로불린 힌지 영역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또 다른 아미노산 잔기, 예컨대 시스테인으로 치환된 야생형 면역글로불린 힌지 영역의 프롤린 잔기를 가질 수 있다. 힌지 도메인은 CD8, CD4, CD28 및 CD7 등의 유형 1 막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하는 힌지 영역일 수 있으나, 상기 항원 결합 부위와 막통과 도메인, 그리고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세포막 사이로 연결 가능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이들 분자로부터의 야생형 힌지 영역일 수 있거나 변화될 수 있다.The hinge domain is the antigen-binding site from the surface of the immune cell on which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is expressed, so as to enable proper cell/cell contact, binding of the appropriate antigen/antigen-binding site, and activation of the appropriate chimeric antigen receptor. As a part that allows to be physically separated, i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extracellular domain.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may include one or more hinge domains between the extracellular domain and the transmembrane domain. Hinge domains may be derived from natural, synthetic, semi-synthetic or recombinant sources. A hinge domain may comprise the amino acid sequence of a naturally occurring immunoglobulin hinge region or an altered immunoglobulin hinge region. The altered hinge region is (a) a naturally occurring hinge region with up to 30% amino acid change (e.g., amino acid substitutions or deletions of up to 25%, 20%, 15%, 10% or 5%), (b) up to 30% Natural at least 10 amino acids (e.g., at least 12, 13, 14, or 15 amino acids) in length with % amino acid changes (e.g., amino acid substitutions or deletions of up to 25%, 20%, 15%, 10%, or 5%) part of the hinge region, or (c) the core hinge region (which is 4, 5, 6, 7, 8, 9, 10, 11, 12, 13, 14 or 15, or at least 4, 5, 6, 7, 8 , 9, 10, 11, 12, 13, 14 or 15 amino acids in length). In certain embodiments, one or more cysteine residues in a naturally occurring immunoglobulin hinge region may be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other amino acid residues (eg, one or more serine residues). The altered immunoglobulin hinge region may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have a proline residue of a wild-type immunoglobulin hinge region substituted with another amino acid residue, such as cysteine. The hinge domain may be a hinge region derived from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ype 1 membrane proteins such as CD8, CD4, CD28 and CD7, but if the antigen binding site, the transmembrane domain, and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can be linked between the cell membrane Any of thes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lso, it can be the wild type hinge region from these molecules or it can be changed.

상기 스페이서 도메인은 연결 도메인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예컨대 CD28 유래의 힌지 도메인 및/또는 CD8 유래의 힌지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CD28 유래의 힌지 도메인 및/또는 CD8 유래의 힌지 도메인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pacer domain may be referred to as a linking domai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hinge domain derived from CD28 and/or a hinge domain derived from CD8, and the entire or It may contain some.

상기 힌지 도메인 및/또는 스페이서 도메인은, Myc 에피토프, CD8 힌지 도메인 및 F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Myc 에피토프 및 CD8 힌지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Myc 에피토프는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CD8 힌지 도메인은 서열번호 18 또는 서열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hinge domain and/or spacer doma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yc epitope, a CD8 hinge domain, and Fc,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 Myc epitope and a CD8 hinge domain. More specifically, the Myc epitope may include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7, and the CD8 hinge domain may include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8 or SEQ ID NO: 19.

상기 막통과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은, 세포외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서로 연결하여 융합시키고 면역 세포의 원형질 막에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일부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막통과 도메인은 천연, 합성, 반합성 또는 재조합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막통과 도메인은 T-세포 수용체(TCR)의 알파(α), 베타(β) 또는 제타(ζ) 사슬, CD28, CD3 엡실론(ε), CD45, CD4, CD5, CD8, CD9, CD16, CD22, CD33, CD37, CD64, CD80, CD86, CD134, CD137 및 CD15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ransmembrane domain refers to a partial region that connects and fuses an extracellular domain and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with each other and serves to anchor a chimeric antigen receptor to the plasma membrane of an immune cell. The transmembrane domain may be from natural, synthetic, semisynthetic or recombinant sources. The transmembrane domain is the alpha (α), beta (β) or zeta (ζ) chain of the T-cell receptor (TCR), CD28, CD3 epsilon (ε), CD45, CD4, CD5, CD8, CD9, CD16, CD22 , CD33, CD37, CD64, CD80, CD86, CD134, CD137 and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154,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막통과 도메인은 링커(linker)를 통해 상기 세포외 도메인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커는 2 내지 10개 아미노산 길이의 짧은 올리고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 링커일 수 있으며, 예컨대 글리신(G)-세린(S) 이중체(double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ransmembrane domain may be attached to the extracellular domain through a linker. For example, the linker may be a short oligopeptide or polypeptide linker of 2 to 10 amino acids in length, such as, but not limited to, a glycine (G)-serine (S) doublet.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면역세포의 기능(예를 들어, 키메릭 항원 수용체와 항원이 결합된 표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또는 세포용해 활성) 인자의 방출을 포함하는 활성화, 사이토카인 생성, 증식 및 세포독성 또는 세포용해 활성, 또는 상기 항원 결합으로 유발된 기타 세포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와 항원의 결합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면역세포의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작동 기능 신호를 전달하고 세포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단백질의 일부일 수 있다.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functions of immune cells (e.g., activation including release of cytotoxic (or cytolytic activity) factors for target cells to which chimeric antigen receptors and antigens are bound, cytokine production,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or cytolytic activity, or other cellular responses induced by the antigen binding), which serves to transmit signals generated according to the binding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the antigen to the inside of the immune cell corresponds to the part.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may be a part of a protein that transmits an effector signal and directs the cell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기존에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발전 과정에서 이용되었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세대 CAR(키메릭 항원 수용체)에서 이용되었던 CD3ζ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2세대 CAR에서 이용되었던 것처럼, 면역세포에 대한 반응성 향상을 위하여 공자극 도메인(CD28 또는 CD137/4-1BB)과 CD3ζ를 결합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3세대 CAR에서 이용되었던 것처럼 두 가지 이상의 공자극 도메인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생체 내 CAR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의 확장 및 지속성 달성을 위해 공자극 도메인을 4-1BB, CD28 또는 OX40 등과 결합시킬 수 있다. 나아가, 4세대 CAR에서 이용하였던 것처럼 IL-12 또는 IL-15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암호화하는 추가 유전자를 포함하여, 사이토카인의 CAR 기반 면역단백질이 추가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5세대 CAR에서 이용하였던 것처럼 면역세포 강화를 위해 인터루킨 리셉터 체인, 예를 들어, IL-2Rβ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s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previously us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chimeric antigen receptor may be used. Specifically, it may include only CD3ζ used in the first generation CAR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as used in the second-generation CAR, a form in which a co-stimulatory domain (CD28 or CD137/4-1BB) and CD3ζ are combined can be used to improve responsiveness to immune cells. In addition, two or more co-stimulatory domains may be used as in the third-generation CAR, and at this time, to achieve expansion and persistence of immune cells including the CAR in vivo, the co-stimulatory domain is 4-1BB, CD28 or OX40, etc. can be combined. Furthermore, as used in the 4th generation CAR, additional genes encoding cytokines such as IL-12 or IL-15 can be included to allow the expression of additional CAR-based immunoproteins of cytokines, and the 5th generation CAR As used in, an interleukin receptor chain, for example, IL-2Rβ may be further included to enhance immune cells.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T-세포 수용체(TCR) 제타(ζ), FcR 감마(γ), FcR 베타(β), CD3 감마(γ), CD3 델타(δ), CD3 엡실론(ε), CD3 제타(ζ), CD5, CD22, CD79a, CD79b 및 CD66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is T-cell receptor (TCR) zeta (ζ), FcR gamma (γ), FcR beta (β), CD3 gamma (γ), CD3 delta (δ), CD3 epsilon (ε), CD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eta (ζ), CD5, CD22, CD79a, CD79b, and CD66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에 의한 상기 면역세포의 활성화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의 2개 상이한 부류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원-의존성 일차 활성화를 개시하는 1차 신호전달 도메인 및 2차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항원-독립적 방식으로 작용하는 공자극 신호전달 도메인에 의해 면역세포 활성화가 매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1차 신호전달 도메인(primary signaling domain) 및 공자극 신호전달 도메인(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ctivation of the immune cell by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may be mediated by two different classes of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s. For example, immune cell activation can be mediated by a primary signaling domain that initiates an antigen-dependent primary activation and a 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 that acts in an antigen-independent manner to provide a secondary signal. Accordingly,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may include a primary signaling domain and a 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

상기 1차 신호전달 도메인(primary signaling domain)이란, 면역세포 활성화를 자극 또는 억제 방식으로 조절하는 신호전달 도메인을 의미한다. 자극 방식으로 작용하는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은 면역수용체 티로신-기반 활성화 모티브 또는 ITAM으로 공지되어 있는 신호전달 모티브를 함유할 수 있다.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을 함유하는 ITAM은 TCRζ, FcRγ, FcRβ, CD3γ, CD3δ, CD3ε, CD3ζ, CD5, CD22, CD79a, CD79b, CD66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은 CD3ζ(zeta)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imary signaling domain refers to a signaling domain that regulates immune cell activation in a stimulating or inhibiting manner. Primary signaling domains that act in a stimulatory manner may contain signaling motifs known as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s or ITAMs. The ITAM containing the primary signaling domain may be TCRζ, FcRγ, FcRβ, CD3γ, CD3δ, CD3ε, CD3ζ, CD5, CD22, CD79a, CD79b, CD66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the primary signaling domain may be CD3ζ(zet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공자극 신호전달 도메인(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이란, 공자극 분자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의미한다. 상기 공자극 신호전달 도메인은 CD2, CD7, CD27, CD28, CD30, CD40, 4-1BB(CD137), OX40(CD134), CDS, ICAM-1, ICOS(CD278), LFA-1(CD11a/CD18), GITR, MyD88, DAP10, DAP12, PD-1, LIGHT, NKG2C, EphA2, CD83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자극 신호전달 도메인(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자극 분자는 DAP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 refers to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The 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 is CD2, CD7, CD27, CD28, CD30, CD40, 4-1BB (CD137), OX40 (CD134), CDS, ICAM-1, ICOS (CD278), LFA-1 (CD11a/CD18) , GITR, MyD88, DAP10, DAP12, PD-1, LIGHT, NKG2C, EphA2, may include a 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83,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pecifically, the co-stimulatory molecule may be DAP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2개 이상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들이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2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 링커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링커 서열은 예컨대 글리신-세린 연속 서열일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예를 들어, (GS)n, (GGS)n, (GSGGS)n 또는 (GnS)m(n, m은 각각 1 내지 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nS)m(n, m은 각각 1 내지 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may include two or mor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s, and in the case of including two or mor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s,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s may be ser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y may be connected through a polypeptide linker consisting of 2 to 10 amino acids, and the linker sequence may be, for example, a glycine-serine continuous sequence. The linker may include, for example, (GS)n, (GGS)n, (GSGGS)n or (GnS)m (n and m are each 1 to 10), and for example, (GnS)m( n and m may each be 1 to 1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면역세포의 면역 기능 촉진 인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면역세포의 면역 기능 촉진 인자는 인터루킨 신호 서열(interleukin signal sequence)일 수 있다. 상기 인터루킨 신호 서열은 IL(interleukin)-12, IL-8, IL-2 등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면역세포가 T 세포일 경우, 상기 면역 기능 촉진 인자는 IL-7, CCL19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may further include an immune function stimulating factor of immune cells, and for example, the immune function stimulating factor of immune cells may be an interleukin signal sequence. The interleukin signal sequence may induce expression of IL-12, IL-8, IL-2,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when the immune cells are T cells, the immune function promoting factor may be IL-7, CCL19,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2종(#79 및 #85)의 항-EphA2 항체의 scFv를 세포외 도메인에 포함하고, 이와 Myc 및 힌지 도메인으로 연결된 CD28을 막통과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포함하며, CD3-zeta 및 DAP10을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연결한 형태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설계하여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제조하였다(EphA2-CAR1).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2종(#79 및 #85)의 항-EphA2항체의 scFv를 세포외 도메인에 포함하고, 이와 CD8을 힌지 도메인 및 막통과 도메인으로 포함하며, CD3-zeta 및 41-BB를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연결한 형태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설계하여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제조하였다(EphA2-CAR2).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Fvs of two types of anti-EphA2 antibodies (#79 and #85) having the same amino acid sequence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the extracellular domain, and CD28 linked to Myc and hinge domains are included. A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by designing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a transmembrane domain and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and CD3-zeta and DAP10 linked to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EphA2-CAR1 ). In addition,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Fvs of two anti-EphA2 antibodies having the same amino acid sequence as described above (#79 and #85) are included in the extracellular domain, and CD8 is included in the hinge domain and membrane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by designing a chimeric antigen receptor in which CD3-zeta and 41-BB were linked as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and including the transit domain (EphA2-CAR2).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면역세포의 표면에서 발현하여 EphA2를 인식해 결합하게 되면 면역세포의 세포독성 또는 세포용해 활성을 향상시키거나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가 존재할 때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항원 결합 부위가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할 경우, 신호전달에 의해 면역세포의 세포독성 또는 세포용해 활성 향상 및/또는 사이토카인 분비 촉진이 유도될 수 있어, 암 세포를 공격하는 세포독성 효능 또는 세포용해 효능이 우수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immune cells and recognizes and binds to EphA2, it can enhance the cytotoxic or cytolytic activity of immune cells or induce cytokine secretion of immune cells. can Therefore, when the antigen-binding sit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recognizes and binds to an antigen when cancer cells expressing EphA2 exist, cytotoxicity or cytolytic activity of immune cells is enhanced and/or cytokine secretion is promoted by signal transduction. can be induced, so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excellent cytotoxicity or cytolytic activity to attack cancer cell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시키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nucleotide and an expression vector for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한다.The polynucleotide includes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본 발명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DNA(gDNA 및 cDNA) 및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기본 구성단위인 뉴클레오티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티드 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polynucleotide" comprehensively includes DNA (gDNA and cDNA) and RNA molecules, and nucleotides, which are basic structural units, include not only natural nucleotides, but also analogs in which sugar or base sites are modified. do.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한다는 것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전사, 번역 등의 통상적인 단백질 발현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이 합성될 수 있는 유전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와 완전히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단백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이나, 상기 단백질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Encod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means that the polynucleotide undergoes a normal protein expression process such as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to encode genetic information that can synthesize a protein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re is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a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completely identical to that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a protein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amino acid sequence as the protein, or a protein encoding a protein having the same and/or similar activity as the protein Even polynucleotide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EphA2 항체의 항원 결합 가변 단편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20또는 서열번호 2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lynucleo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an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 of an anti-EphA2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and more specifically, the base of SEQ ID NO: 20 or SEQ ID NO: 21 It may contain sequences.

또한,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항원 결합 가변 단편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뿐만 아니라 이와 연결된 다른 세포외 도메인 부분, 상기 막통과 도메인 및/또는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nucleo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 but also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another extracellular domain portion linked thereto, the transmembrane domain, and/or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can

상기 항체, 항원 결합 가변 단편, 세포외 도메인, 막통과 도메인,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등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이들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Descriptions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s, such as the antibodies,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s, extracellular domains, transmembrane domains, and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2 또는 서열번호 23 또는 서열번호 24 또는 서열번호 2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2종(#79 및 #85)의 항-EphA2 항체의 scFv를 세포외 도메인에 포함하고, 이와 Myc 및 힌지 도메인으로 연결된 CD28을 막통과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포함하며, CD3-zeta 및 DAP10을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연결한 형태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설계하여 이를 발현시키기 위해 상기 서열번호 22 또는 서열번호 2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조하였다(EphA2-CAR1). 본 발명의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에서는, 2종 (#79 및 #85)의 항-EphA2항체의 scFv를 세포외 도메인에 포함하고, 이와 CD8의 힌지도메인과 막통과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포함하며, CD3-zeta 및 41-BB를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연결한 형태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설계하여 이를 발현시키키 위해 상기 서열번호 24 또는 서열번호 2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조하였다(EphA2-CAR2).The polynucleotide may include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SEQ ID NO: 23, SEQ ID NO: 24, or SEQ ID NO: 25.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Fvs of two types of anti-EphA2 antibodies (#79 and #85) are included in the extracellular domain, and CD28 linked to Myc and hinge domains are transmembrane domains and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A polynucleotide contain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or SEQ ID NO: 23 is prepared to design and expres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in which CD3-zeta and DAP10 are linked to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and to express the receptor. (EphA2-CAR1).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Fvs of two types of anti-EphA2 antibodies (#79 and #85) are included in the extracellular domain, and the hinge domain, transmembrane domain, and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of CD8 are included. In addition, a polynucleotide contain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4 or SEQ ID NO: 25 is prepared to design and expres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in which CD3-zeta and 41-BB are linked to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EphA2-CAR2).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나열된 염기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한 염기서열이란, 예컨대 전사 및 번역되었을 때 동일한 아미노산이 합성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나열된 염기서열들과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 또는 9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서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olynucleo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ucleotide sequence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nucleotide sequence listed above. The substantially identical nucleotide sequence includes, for example, cases in which the same amino acid can be synthesized when transcribed and translated, and is 90% or more, 91% or more, 92% or more, 93% or more, 94% or more than the listed nucleotide sequences. It may be a nucleotide sequence having a homology of at least 95%, at least 96%, at least 97%, at least 98%, at least 99%, or at least 99.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를 도입시켜 발현시키고자 하는 생물의 종류와 상기 생물의 전사, 번역 등 발현 시스템에 따라, 최적화된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코돈의 축퇴성(degeneracy)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에 따라 발현되는 단백질을 암호화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코돈 최적화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변형은,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시켜 적용시키고자 하는 생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포유동물, 영장류의 코돈 선택에 최적화하여 변형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간으로부터 발현시켜 작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최적화되어 변형된 것일 수 있다.The polynucleotide encod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may include an optimized nucleotide sequ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sm to be introduced and expressed, and the expression system of the organism such as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This is due to the degeneracy of codons, and therefore, there may be various combinations of nucleotide sequences capable of encoding proteins to be expressed, and all of them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 of the polynucleotide according to the codon optimiz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sm to which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expressed and applied. For example, the polynucleo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ized for codon selection of mammals and primates. It may be a modified polynucleotide,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polynucleotide optimized and modified to be suitable for expression and function in humans.

본 발명의 발현 벡터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The expression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above polynucleotide.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본 발명의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상기 발현 벡터는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시켜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발현될 수 있도록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특정 세포 또는 생물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거나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보관,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Since the polynucleotide contains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the nucleotide sequence can be used to express and prepare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It can serve to move the polynucleotide to a specific cell or organism so that it can be expressed, or can be used to store and store the polynucleotide.

상기 발현 벡터는 원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The expression vector may be constructed using a prokaryotic or eukaryotic cell as a host.

예를 들어, 상기 발현 벡터가 원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전사를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 (예컨대, tac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lacUV5 프로모터, lpp 프로모터, pLλ 프로모터, pRλ 프로모터, rac5 프로모터, amp 프로모터, recA 프로모터, SP6 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및 T7 프로모터 등), 번역의 개시를 위한 리보솜 결합 자리 및 전사/번역 종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숙주 세포로서 E.coli (예를 들어, HB101, BL21, DH5α 등)가 이용되는 경우, E coli 트립토판 생합성 경로의 프로모터 및 오퍼레이터 부위 (Yanofsky, C, J Bacteriol, (1984) 158:1018-1024), 그리고 파지 λ의 좌향 프로모터 (pLλ 프로모터, Herskowitz, I and Hagen, D, Ann Rev Genet, (1980) 14:399-445)가 조절부위로서 이용될 수 있다. 숙주 세포로서 바실러스 균이 이용되는 경우,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의 독소단백질 유전자의 프로모터(Appl Environ Microbiol (1998) 64:3932-3938; Mol Gen Genet (1996) 250:734-741) 또는 바실러스균에서 발현 가능한 어떠한 프로모터라도 조절부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발현 벡터는 당업계에서 종종 사용되는 플라스미드(예를 들어, pCL, pSC101, pGV1106, pACYC177, ColE1, pKT230, pME290, pBR322, pUC8/9, pUC6, pBD9, pHC79, pIJ61, pLAFR1, pHV14, pGEX 시리즈, pET 시리즈 및 pUC19 등), 파지(예를 들어, λgt4·λB, λ-Charon, λΔz1 및 M13 등) 또는 바이러스(예를 들어, SV40 등)를 조작하여 제작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pression vector uses a prokaryotic cell as a host, a strong promoter capable of promoting transcription (e.g., tac promoter, lac promoter, lacUV5 promoter, lpp promoter, pLλ promoter, pRλ promoter, rac5 promoter, amp promoter, recA promoter, SP6 promoter, trp promoter and T7 promoter, etc.), a ribosome binding site for initiation of translation, and a transcription/translation termination sequence. When E. coli (eg, HB101, BL21, DH5α, etc.) is used as the host cell, the promoter and operator regions of the E coli tryptophan biosynthetic pathway (Yanofsky, C, J Bacteriol, (1984) 158: 1018-1024) , and the leftward promoter of phage λ (pLλ promoter, Herskowitz, I and Hagen, D, Ann Rev Genet, (1980) 14:399-445) can be used as a control region. When Bacillus bacteria are used as host cells, the promoter of the toxin protein gene of Bacillus thuringiensis (Appl Environ Microbiol (1998) 64: 3932-3938; Mol Gen Genet (1996) 250: 734-741) or expression in Bacillus bacteria Any possible promoter can be used as a regulatory region. The expression vector is a plasmid often used in the art (e.g., pCL, pSC101, pGV1106, pACYC177, ColE1, pKT230, pME290, pBR322, pUC8/9, pUC6, pBD9, pHC79, pIJ61, pLAFR1, pHV14, pGEX series , pET series and pUC19, etc.), phages (eg, λgt4·λB, λ-Charon, λΔz1, and M13, etc.) or viruses (eg, SV40, etc.).

상기 발현 벡터가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포유동물 세포의 지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예를 들어,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β-액틴 프로모터, 사람 헤로글로빈 프로모터 및 사람 근육 크레아틴 프로모터) 또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를 들어,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프로모터, HSV의 tk 프로모터, 마우스 유방 종양 바이러스(MMTV) 프로모터, HIV의 LTR 프로모터, 몰로니 바이러스의 프로모터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의 프로모터 및 로우스 사코마 바이러스(RSV)의 프로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사 종결 서열로서 폴리아데닐화 서열을 일반적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발현 벡터는 CMV 프로모터를 갖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expression vector is a eukaryotic cell as a host, a promoter derived from the genome of a mammalian cell (eg, metallotionine promoter, β-actin promoter, human hemoglobin promoter and human muscle creatine promoter) or mammalian Promoters derived from animal viruses (e.g., adenovirus late promoter, vaccinia virus 75K promoter, SV40 promoter, cytomegalovirus (CMV) promoter, tk promoter of HSV, mouse mammary tumor virus (MMTV) promoter, LTR of HIV A promoter, a promoter of Moloney virus, a promoter of Epstein Barr virus (EBV) and a promoter of Rouss sarcoma virus (RSV)) may be used, and may generally have a polyadenylation sequence as a transcription termination sequence. The expression vector may have a CMV promoter.

또한, 상기 발현 벡터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항체의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서열과 융합될 수 있다. 융합되는 서열은, 예컨대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Pharmacia, USA), 말토스 결합 단백질(NEB, USA), FLAG(IBI, USA) 및 6x His(hexahistidine; Quiagen, USA)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현 벡터에 의해 발현되는 단백질이 키메릭 항원 수용체이므로 이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제를 위한 추가적인 서열 없이도 발현된 단백질을 단백질 A 컬럼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정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vector may be fused with other sequences to facilitate purification of the antibody expressed therefrom. Sequences to be fused include, for example, glutathione S-transferase (Pharmacia, USA), maltose binding protein (NEB, USA), FLAG (IBI, USA) and 6x His (hexahistidine; Quiagen, USA). In addition, since the protein expressed by the expression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the expressed protein can be easily purified through a protein A column or the like without an additional sequence for purification.

상기 발현 벡터는 선택표지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암피실린, 겐타마이신, 카베니실린, 클로람페니콜,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게네티신, 네오마이신 및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한 내성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pression vector contains an antibiotic resistance gene commonly used in the art as a selection marker, for example, ampicillin, gentamicin, carbenicillin,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kanamycin, geneticin, neomycin and tetracycline. resistance genes may be included.

2. EphA2에 대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는 면역세포2. Immune cells expressing a chimeric antigen receptor for EphA2 on their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해 향상된 세포독성 또는 세포용해 활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는 면역세포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mune cells characterized by exhibiting enhanced cytotoxic or cytolytic activity against cancer cells expressing EphA2.

상기 면역세포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한다.The immune cell expresses the above-described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its surface.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앞서 “1. 신규한 항-EphA2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및 이를 발현시키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발현 벡터”에서 이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암 세포에서 발현되는 EphA2 항원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is described in “1. Novel anti-EphA2 antibodies,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s) containing the same, and polynucleotides and expression vectors for express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may include an antigen binding site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to the EphA2 antigen expressed in cancer cells.

상기 면역세포는 면역을 유도하여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세포라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연살해 세포(NK cell), T 세포, 자연살해 T 세포(NKT cell),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ytokine Induced Killer cell; CIK), 마크로파지 및 수지상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면역세포는 CAR-NK 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Natural Killer Cell), CAR-T 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 CAR-NKT 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Natural killer T Cell), CAR-대식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Macrophage) 등일 수 있다. Any cell that can induce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by inducing immunity can be used as the immune cell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natural killer cells (NK cells), T cells, natural killer T cells (NKT cells), cytotoxic cells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tokine induced killer cells (CIK),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immune cells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ell surface include CAR-NK cells (Chimeric Antigen Receptor Natural Killer Cell), CAR-T cells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 and CAR-NKT cells (Chimeric Antigen Receptor Cell). Receptor Natural killer T Cell), CAR-macrophage (Chimeric Antigen Receptor Macrophage), and the like.

상기 T 세포는 세포독성 T 림프구(Cytotoxic T lymphocyte; CTL), 종양 침윤 림프구(Tumor infiltrating lymphocyte; TIL), 말초혈액 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에서 분리한 T 세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 cells may be cytotoxic T lymphocytes (CTL),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T cells isolated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etc., but are limited thereto. It is not.

상기 CAR-NK 세포는 자연살해 세포에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도입된 세포를 의미하며, 기존의 T 세포를 기반으로 한 CAR-T 치료제를 이용하였을 때의 암 면역치료가 가지고 있는 지속적인 독성에 의한 문제점, 자가면역 질환의 위험, 이종세포 이식에 대한 이식편대숙주질환(GVHD)의 문제점, 비표적 독성 문제 등을 반응 개시(on)/중지(off)의 스위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암 세포를 표적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의 치료제로 활용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CAR-NK cell refers to a cell into which a chimeric antigen receptor is introduced into a natural killer cell, and a problem due to the persistent toxicity of cancer immunotherapy when using a conventional T cell-based CAR-T therapeutic agent , the risk of autoimmune disease, the problem of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for xenogeneic cell transplantation, the problem of off-target toxicity, etc. can be solved through the on/off switch, as well as various cance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as a general-purpose therapeutic agent by allowing it to target cells.

본 발명의 면역세포는, 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EphA2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결합할 수 있는 항체의 항원 결합 가변 단편(scFv)를 세포외 도메인으로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세포 표면에 발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EphA2가 발현된 암 세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에 의해 신호전달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면역세포의 세포독성 또는 세포용해 활성이 더욱 향상되고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면역세포는 암 세포를 공격해 이를 치료하는 활성을 가질 수 있다.The immune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an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 (scFv) of an antibody capable of specifically recognizing and binding to EphA2, which can be specifically expressed in cancer cells, as an extracellular domain, expressed on the cell surface. Therefore, when the EphA2-expressing cancer cells exist, signal transduction may occur by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which further enhances the cytotoxic or cytolytic activity of immune cells and increases the amount of cytokine secretion. . Therefore, the immune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ctivity to attack and treat cancer cells.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EphA2 특이적 항체 2종의 항원 결합 가변 단편을 세포외 도메인으로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자연살해 세포의 표면 및 T 세포에 발현시켰다. 상기 각각의 2종의 자연살해 세포는 EphA2를 발현하는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와 공배양되었을 때, 그리고 상기 각각의 2종의 T 세포는 EphA2를 발현하는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와 공배양되었을 때, 모두 세포독성(또는 세포용해 활성)이 향상되었고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이 현저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탈과립(degranulation) 정도 역시 증가하여 본 발명의 면역세포는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해 탁월한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암 세포에 대한 치료 효과는 암 세포를 이식한 동물모델에서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the antigen-binding variable fragments of two types of EphA2-specific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xtracellular domains wa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natural killer cells and on T cells. When each of the two natural killer cells were co-cultured with EphA2-expressing breast cancer cell line MDA-MB-231 cells, and each of the two T cells were co-cultured with EphA2-expressing lung cancer cell line A549 cells. When cultured, both cytotoxicity (or cytolytic activity) was improved, the amount of cytokine secretion was remarkably increased, and the degree of degranulation was also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xcellent treatment effect. In addition, the therapeutic effect on cancer cells as described above was clearly confirmed in an animal model transplanted with cancer cells.

3. 본 발명 면역세포의 암에 대한 치료 용도3. Therapeutic use of the immune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anc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immune cells.

상기 면역세포, 이로부터 발현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등에 관한 설명은, '신규한 항-EphA2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및 이를 발현시키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발현 벡터' 및 '2. EphA2에 대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는 면역세포'에서 이들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기재를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immune cells, chimeric antigen receptors expressed therefrom, and the like, 'a novel anti-EphA2 antibody,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nd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containing the same and for expressing the same' Polynucleotides and Expression Vectors' and '2. Immune cells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for EphA2 on their surfac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m, so description is omitted to avoid repetitive explanation.

본 발명에서 용어 “암”은 “종양”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전형적으로 조절되지 않은 세포 성장/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생리학적 상태를 지칭하거나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ancer” is used synonymously with “tumor” and refers to or refers to a mammalian physiological condition typically characterized by unregulated cell growth/proliferation.

본 발명의 조성물로 치료할 수 있는 암 또는 암종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고형암 및 혈액암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암은 폐암, 위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췌장암, 대장암, 결장암, 식도암, 피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간암, 두경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혈액암, 다발성 골수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 악성 림프종, 흉선암, 골육종, 섬유성 종양 및 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키메릭 항원 수용체로부터 인식할 수 있는 항원을 포함하는 암 세포라면 본 발명에서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Cancer or carcinoma that can be treat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both solid cancer and hematological cancer. For example, the cancer is lung cancer, stomach cancer, ovarian cancer, cervical cancer, breast cancer, pancreatic cancer, colon cancer, colon cancer, esophageal cancer, skin cancer, thyroid cancer, kidney cancer, liver cancer, head and neck cancer, bladder cancer, prostate cancer, blood cancer, and multiple myeloma. , acute myelogenous leukemia, malignant lymphoma, thymic cancer, osteosarcoma, fibrotic tumor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ain canc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antigen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second chimeric antigen receptor Any cancer cell containing a cancer cell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암의 발전의 억제, 증상의 경감 또는 제거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treatment" means suppression of the development of cancer, relief or elimination of symptoms.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 대상인 개체의 종양 세포의 수에 비해 상기 면역세포의 수가 1배 내지 10배, 2배 내지 10배, 또는 5배 내지 8배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1 to 10 times, 2 to 10 times, or 5 to 8 times the number of immune cells compared to the number of tumor cells of the subject to be tre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이외에도, 의약외품 조성물, 건강식품용 조성물 등의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o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quasi-drug compositions, health food composition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암의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의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것이며,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The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meaning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s that it does not inhibit the activity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does not have toxicity more than is adaptable to the subject of application (prescription), and the 'carrier' facilitates the addition of the compound into cells or tissues. defined as a compound that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어떤 편리한 담체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 투여 또는 반복 투여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담체,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트리-하이드록시 유도체와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적당한 담체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상기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트리-하이드록시 유도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적당한 담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 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 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적당한 활택제와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y convenient carrier, and such dosage form may be a single or repeated dosage form.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solid preparation or a liquid preparation. Solid prepara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and suppositories. Solid preparations may include carriers, flavoring agents, binders, preservatives, disintegrants, lubricants, filler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olutions, suspensions, and emulsions such as water and propylene glycol soluti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epared by adding appropriate colorants, flavoring agents, stabilizers, viscosifiers, and the like. For example, a powder may be prepared by simply mixing a tri-hydroxy derivative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such as lactose, starch, or microcrystalline cellulose. Granules are obtained by mixing the tri-hydroxy derivative of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a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binder such as polyvinylpyrrolidone or hydroxypropylcellulose, followed by mixing water, It may be prepared using a wet granulation method using a solvent such as ethanol or isopropanol or a dry granulation method using compression force. In addition, tablets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granules with a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lubricant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hen tableting them using a tableting machine.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해야 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주사제(예를 들어, 근육주사, 복강주사, 정맥주사, 주입(infusion), 피하주사, 임플란트), 흡입제, 비강투여제, 질제, 직장투여제, 설하제, 트랜스더말제, 토피칼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 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비독성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 첨가제, 비히클을 포함하는 적당한 투여 유닛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n oral agent, an injection (eg,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fusion, subcutaneous injection, implant), inhalant, nasal agent, It may be administered as a vaginal agent, a rectal agent, a sublingual agent, a transdermal agent, a topical agent,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it may be formulated into an appropriate dosage unit formulation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s, and vehicles that are commonly used and non-toxic.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매일 약 0.0001 mg/kg 내지 약 10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001 mg/kg 내지 약 1 g/kg의 1일 투여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상기 혼합물의 정제 정도,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을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at about 0.0001 mg/kg to about 10 g/kg daily, and at a daily dosage of about 0.001 mg/kg to about 1 g/kg. However, the dos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the mixture, the patient's condition (age, sex, weight, etc.), the severity of the condition being treated, and the like. If necessary, for convenience, the total daily dose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throughout the day.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specifical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1-1] [1-1]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단일 사슬 가변 단편 제작Construction of a 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of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암 세포에서 발현되는 EphA2(ephrin type-A receptor 2)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 EphA2 항체 서열 중에서, 특이적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서열을 이용해 단일 사슬 가변 단편(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 2종(#79, #85)을 제조하였다. Among the anti-EphA2 antibody sequences that can specifically bind to the EphA2 (ephrin type-A receptor 2) protein expressed in cancer cells, a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using a sequen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ecific binding fragment; scFv) two types (#79, #85) were prepared.

#79 scFv의 경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과,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85 scFv의 경우,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과,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In the case of #79 scFv,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 heavy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and a heavy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It was designed to include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including light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light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and light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And in the case of #85 scFv,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heavy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9, heavy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heavy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1, and SEQ ID NO: 12 It was designed to include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including light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3, light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light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4.

[1-2] [1-2] 자연살해 세포에 도입할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설계Design of chimeric antigen receptors for introduction into natural killer cells

상기와 같이 설계된 2종의 scFv를 항원 결합 부위로 포함하는 세포외 도메인으로 하여 자연살해 세포에 도입할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2종의 scFv를 항원 결합 부위로 포함하는 세포외 도메인과, CD28을 막통과 도메인으로 하여 Myc 및 힌지 도메인으로 연결시켰고, 상기 막통과 도메인에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CD3-zeta와 공자극 분자로 CD28 DAP10을 추가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위 3세대 CAR로 분류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갖도록,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설계하였다(각각 'EphA2#79-CAR1' 및 'EphA2#85-CAR1'라 하고, 이들을 통칭하여 'EphA2-CAR1'라고 함). 그리고,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컨스트럭트의 염기서열을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삽입하였다(도 1).A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o be introduced into natural killer cells was designed by using the two types of scFvs designed as above as extracellular domains containing antigen binding sites. Specifically, an extracellular domain containing the two scFvs as antigen-binding sites and CD28 as a transmembrane domain were linked to Myc and a hinge domain, and the transmembrane domain was linked with CD3-zeta as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By adding and linking CD28 DAP10 as a co-stimulatory molecule,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have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of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lassified as a so-called third-generation CAR ('EphA2#79-CAR1, respectively). ' and 'EphA2#85-CAR1',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phA2-CAR1'). The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construct encoding it was inserted into the lentiviral vector (FIG. 1).

[1-3] [1-3] T 세포에 도입할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설계Design of chimeric antigen receptors for introduction into T cells

추가적으로, 상기와 같이 설계된 2종의 scFv를 항원 결합 부위로 포함하는 세포외 도메인으로 하여 T 세포에 도입할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2종의 scFv를 항원 결합 부위로 포함하는 세포외 도메인과, CD8을 막통과 도메인으로 하여 힌지 도메인으로 연결시켰고, 상기 막통과 도메인에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CD3-zeta와 공자극 분자로 4-1BB를 추가하여 연결함으로써, 소위 2세대 CAR로 분류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갖도록,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설계하였다(각각 'EphA2#79-CAR2' 및 'EphA2#85-CAR2'라 하고, 이들을 통칭하여 'EphA2-CAR2'라고 함). 그리고,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컨스트럭트의 염기서열을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삽입하였다(도 2).Additionally, a chimeric antigen receptor to be introduced into T cells was designed with the extracellular domain containing the two types of scFvs designed as described above as antigen binding sites. Specifically, an extracellular domain containing the two scFvs as an antigen-binding site and CD8 as a transmembrane domain were linked to a hinge domain, and the transmembrane domain was coupled to CD3-zeta as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and co-stimulation By adding and linking 4-1BB as a molecule,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have a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of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lassified as a so-called second-generation CAR ('EphA2#79-CAR2', respectively). and 'EphA2#85-CAR2',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phA2-CAR2'). The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construct encoding it was inserted into the lentiviral vector (FIG. 2).

[실시예 2][Example 2]

EphA2에 대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는 면역세포의 제조Preparation of immune cells expressing a chimeric antigen receptor for EphA2 on the surface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설계한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들을 표면에 발현할 수 있는 면역세포를 제조하였다.Immune cells capable of expressing on the surface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in Example 1 were prepared.

[2-1] [2-1] EphA2-CAR1을 발현하는 자연살해 세포의 제조Preparation of natural killer cells expressing EphA2-CAR1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바이러스 패키징 벡터(viral packaging vector; pMDLG/RRE, pRSV/REV, VSVG)와 함께 HEK293T 세포에 형질전환하고, 그로부터 EphA2-CAR1을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를 수득한 다음, 이를 초고속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농축시킨 다음, Spinoculation 방법(360g, 90min, RT)으로 감염다중도(Multiplicity of Infection; MOI)가 30이 되도록 자연살해 세포에 감염시켰다. 상기와 같이 감염된 자연살해 세포를 37℃, 5% CO2 조건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신선한 배지로 갈아주고, 3일 후에 제대로 감염된 자연살해 세포의 선별을 위하여 3ug/ml 농도의 퓨로마이신(puromycin)을 처리하여 배양을 계속 진행하였다. 대조군으로 감염되지 않은 자연살해 세포에도 퓨로마이신을 처리하고, 대조군에서 자연살해 세포가 퓨로마이신에 의해 모두 사멸될 때까지 퓨로마이신이 처리된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을 계속하였다. 대조군의 자연살해 세포가 모두 사멸한 시점에서 감염된 자연살해 세포를 선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HEK293T cells were transfected with the lentivirus vector prepared in Example 1-2 together with a viral packaging vector (pMDLG/RRE, pRSV/REV, VSVG), and a lentivirus expressing EphA2-CAR1 was obtained therefrom. After obtaining, it was concentrated using an ultra-high-speed centrifugal separator, and then infected with natural killer cells by a spinoculation method (360 g, 90 min, RT) such that the multiplicity of infection (MOI) was 30. After culturing the infected natural killer cells as described above for 5 hours at 37°C and 5% CO 2 ,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a fresh medium, and after 3 days, puromycin at a concentration of 3ug/ml was used to select properly infected natural killer cells. ) to continue the culture. Puromycin was also treated with uninfected natural killer cells as a control group, and culture was continued using the puromycin-treated medium until all natural killer cells in the control group were killed by puromyci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selecting infected natural killer cells at the time point when all natural killer cells of the control group died.

상기와 같이 제작 및 선별된 EphA2#79-CAR1 및 EphA2#85-CAR1을 발현하는 자연살해 세포(각각 ‘EphA2#79-CAR1-NK 세포’ 및 ‘EphA2#85-CAR1-NK 세포’라고 하고, 이들을 통칭하여 ‘EphA2-CAR1-NK 세포’라고 함)에, EphA2-CAR1의 myc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myc 항체(CST; 9B11)를 처리하고(4℃, 암소에서 30분), 유세포 분석을 통해 Myc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EphA2-CAR1을 발현하지 않는 본래의 자연살해 세포를 사용하였다.Natural killer cells expressing EphA2#79-CAR1 and EphA2#85-CAR1 prepared and selected as described above (referred to as 'EphA2#79-CAR1-NK cells' and 'EphA2#85-CAR1-NK cells', respectively, Thes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phA2-CAR1-NK cells') were treated with an anti-myc antibody (CST; 9B11) that specifically binds to myc of EphA2-CAR1 (4°C, 30 minutes in the dark), and flow cytometry Analysis confirmed the expression of Myc. At this time, natural killer cells that do not express EphA2-CAR1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그 결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2종의 EphA2-CAR1-NK 세포 모두에서 EphA2-CAR1이 제대로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3a , it was confirmed that EphA2-CAR1 was properly expressed in both types of EphA2-CAR1-NK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2] [2-2] EphA2-CAR2를 발현하는 T 세포의 제조Preparation of T cells expressing EphA2-CAR2

말초혈액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를 T 세포로 분화시킨 다음, 상기 실시예 1-3에서 준비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상기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바이러스 수득 및 Spinoculation 방법(5MOI,, 300g, 32℃, 90min)으로 분화된 T세포에 감염시켜 EphA2#79-CAR2 및 EphA2#85-CAR2를 발현하는 T 세포(각각 ‘EphA2#79-CAR2-T 세포’ 및 ‘EphA2#85-CAR2-T 세포’라고 하고, 이들을 통칭하여 ‘EphA2-CAR2-T 세포’라고 함)를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항-EphA2 항체(His-tag recombinant Protein EphA2(NKMAX) 및 Anti-6X His tag® antibody(FITC)(abcam))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기을 통해 EphA2-CAR2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이때 대조군으로는 EphA2-CAR2를 발현하지 않는 본래의 T 세포를 사용하였다.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were differentiated into T cells, and then the lentiviral vector prepared in Example 1-3 was obtained using the same virus obtained in Example 2-1 and Spinoculation method (5MOI, 300g, 32°C, 90min), and infected T cells expressing EphA2#79-CAR2 and EphA2#85-CAR2 ('EphA2#79-CAR2-T cells' and 'EphA2#85-CAR2, respectively). -T cell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phA2-CAR2-T cells') were produced. Then, the expression of EphA2-CAR2 was confirmed by flow cytometry using anti-EphA2 antibodies (His-tag recombinant Protein EphA2 (NKMAX) and Anti-6X His tag ® antibody (FITC) (abcam)). used native T cells that do not express EphA2-CAR2.

그 결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2종의 EphA2-CAR2-T 세포 모두에서 EphA2-CAR2가 제대로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3B , it was confirmed that EphA2-CAR2 was properly expressed in both types of EphA2-CAR2-T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실시예 3][Example 3]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한, EphA2-CAR1-NK 세포 및 EphA2-CAR2-T 세포의 세포독성(또는 세포용해 활성) 확인Confirmation of cytotoxicity (or cytolytic activity) of EphA2-CAR1-NK cells and EphA2-CAR2-T cells against cancer cells expressing EphA2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는 자연살해 세포 및 T세포는, EphA2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scFv를 항원 결합 부위로 포함하고 있는바, 상기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cytotoxicity)을 확인하였다.As prepared in Example 2, the natural killer cells and T cells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ir surface contain scFv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as an antigen binding site, and the EphA2 Cytotoxicity to cancer cells expressing was confirmed.

[3-1] [3-1]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의 선별Selection of cancer cells expressing EphA2

먼저,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로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한국세포주은행)와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그리고 EphA2를 발현하지 않는 암 세포로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주인 K562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선정하고, 항-EphA2 항체(Human EphA2/Mouse IgG2A Alexa Fluor® 488-conjugated antibody(R&D systems))를 1ul/100ul의 양으로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4℃, 암소에서 30분), 유세포 분석기을 통해 세 세포주에서 EphA2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First, breast cancer cell line MDA-MB-231 cells (Korea Cell Line Bank) and lung cancer cell line A549 cells (Korea Cell Line Bank) were used as EphA2-expressing cancer cells, and chronic myeloid leukemia cell line as cancer cells that do not express EphA2. After selecting K562 cells (Korea Cell Line Bank) and reacting with anti-EphA2 antibody (Human EphA2/Mouse IgG2A Alexa Fluor ® 488-conjugated antibody (R&D systems)) in an amount of 1ul/100ul (4°C, cow 30 min), the expression level of EphA2 in the three cell lines was confirmed by flow cytometry.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DA-MB-231 세포와 A549 세포는 EphA2를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그리고 K562 세포는 EphA2를 발현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 it was confirmed that MDA-MB-231 cells and A549 cells expressed EphA2, and K562 cells did not express EphA2.

[3-2] [3-2]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한 EphA2-CAR1-NK 세포의 활성 확인Confirmation of the activity of EphA2-CAR1-NK cells against EphA2-expressing cancer cells

상기와 같이 EphA2의 발현 여부가 확인된 MDA-MB-231 세포와 K562 세포들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2종의 EphA2-CAR1-NK 세포의 세포독성을 칼세인 AM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MDA-MB-231 세포와 K562 세포에 칼세인을 5u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37℃, 5% CO2, 암소에서 1시간), 칼세인으로 염색된 각각의 암 세포에 본래의 자연살해 세포와 상기 2종의 각 EphA2-CAR1-NK 세포를 각각 5:1, 1:1, 0.5:1의 비율(자연살해 세포 : 암 세포)로 처리하여 반응시킨 다음(37℃, 5% CO2 조건에서 4시간), 상등액 100ul를 취하여 상등액 내에 존재하는 칼세인의 양을 확인하였다.Regarding the MDA-MB-231 cells and K562 cells for which expression of EphA2 was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the cytotoxicity of the two types of EphA2-CAR1-NK cells prepared in Example 2-1 was evaluated by Calcein AM assay. Confirmed. Specifically, MDA-MB-231 cells and K562 cells were reacted with calcein at a concentration of 5ug/ml (37°C, 5% CO2, 1 hour in the dark), and each cancer cell stained with calcein The original natural killer cells and each of the two types of EphA2-CAR1-NK cells were treated and reacted at a ratio of 5:1, 1:1, and 0.5:1 (natural killer cells: cancer cells), respectively (37 ° C. , 4 hours under 5% CO 2 condition), taking 100ul of the supernatant to confirm the amount of calcein present in the supernatant.

그 결과, 아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hA2를 발현하는 MDA-MB-231 세포에 대해서는 상기 2종의 EphA2#79-CAR1-NK 세포 및 EphA2#85-CAR1-NK 세포가 모두 대조군 자연살해 세포에 비해 훨씬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세포독성이, 처리된 EphA2-CAR1-NK 세포에 농도의존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EphA2를 발현하지 않는 K562 세포에 대해서는 대조군과 상기 2종의 EphA2-CAR1-NK 세포 모두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below, for MDA-MB-231 cells expressing EphA2, the two types of EphA2#79-CAR1-NK cells and EphA2#85-CAR1-NK cells were both the control natural killer cells. In addition to exhibiting much higher cytotoxicity compared to cells, this cytotoxicity was found to be concentration dependent on treated EphA2-CAR1-NK cells. In contrast,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two types of EphA2-CAR1-NK cells showed little cytotoxicity to K562 cells that do not express EphA2.

나아가, 상기 2종의 EphA2-CAR1-NK 세포에 대하여 사이토카인(cytokine)과 그래뉼(granule)의 분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MDA-MB-231 세포와 K562 세포에 본래의 자연살해 세포 또는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2종의 각 EphA2-CAR1-NK 세포를 1:1로 처리하여 반응시킨 다음(37℃, 5% CO2 조건에서 16시간), 상등액을 모아서 상등액 내에 존재하는 INF-γ(Interferon-γ)를 ELISA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때 본래의 자연살해 세포와 EphA2-CAR1-NK 세포의 단독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Furthermore, the secretion of cytokines and granules was confirmed with respect to the two types of EphA2-CAR1-NK cells. Specifically, MDA-MB-231 cells and K562 cells were reacted by treating the original natural killer cells or each of the two types of EphA2-CAR1-NK cells prepared in Example 2-1 1: 1 (37 ℃, 5% CO 2 conditions for 16 hour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INF-γ (Interferon-γ) present in the supernatant was confirmed through ELISA. At this time, the amount of cytokine secreted from the original natural killer cells and EphA2-CAR1-NK cells alone was used as a control.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hA2를 발현하는 MDA-MB-231 세포에 처리한 EphA2-CAR1-NK 세포에서만 INF-γ의 분비량이 현저히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 it was confirmed that only the EphA2-CAR1-NK cells treated with MDA-MB-231 cells expressing EphA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mount of INF-γ secretion.

또한, MDA-MB-231 세포와 K562 세포와 본래의 자연살해 세포 또는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2종의 각 EphA2-CAR1-NK 세포를 RPMI(10% FBS)에서 1:1로 혼합하여 반응시킨 다음(37℃, 5% CO2 조건에서 4시간), 자연살해 세포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항-CD56 항체를 처리하여 염색하고, 유세포 분석을 통해 본래의 자연살해 세포와 상기 2종의 EphA2-CAR1-NK 세포들에서 CD107a가 발현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In addition, MDA-MB-231 cells, K562 cells, original natural killer cells, or each of the two types of EphA2-CAR1-NK cells prepared in Example 2-1 were mixed 1:1 in RPMI (10% FBS). After reaction (4 hours at 37°C, 5% CO 2 conditions), anti-CD56 antibody was treated and stained to select natural killer cells, and through flow cytometry, original natural killer cells and the above two types The degree of CD107a expression in EphA2-CAR1-NK cells was analyzed.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NF-γ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EphA2를 발현하는 MDA-MB-231 세포에 처리한 EphA2-CAR1-NK 세포에서만 CD107a의 발현이 현저히 향상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as in the case of INF-γ,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CD107a was significantly enhanced only in EphA2-CAR1-NK cells treated with MDA-MB-231 cells expressing EphA2. .

[3-3] [3-3]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한 EphA2-CAR2-T 세포의 활성 확인Confirmation of activity of EphA2-CAR2-T cells against EphA2-expressing cancer cells

상기와 같이 EphA2의 발현 여부가 확인된 A549 세포에서 GFP를 발현시키고, 이에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작한 EphA2-CAR2-T 세포를 각각 2:1, 1:1, 0.5:1. 0.25:1의 비율(T 세포 : 암 세포)로 처리하고, IncuCyte 장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4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IncuCyte ZOO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EphA2-CAR2-T 세포의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GFP was expressed in A549 cells in which EphA2 expression was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phA2-CAR2-T cells prepared in Example 2-2 were respectively 2:1, 1:1, and 0.5:1.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ratio of 0.25: 1 (T cells: cancer cells), and data were collected at 4-hour intervals while culturing for 48 hours in an IncuCyte instrument, and the cytotoxicity of EphA2-CAR2-T cells was analyzed using the IncuCyte ZOOM program. did

그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hA2를 발현하는 A549 세포에 대해서는 상기 2종의 EphA2-CAR2-T 세포들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8 ,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types of EphA2-CAR2-T cells were cytotoxic to A549 cells expressing EphA2.

[실시예 4][Example 4]

인 비보(in vivo ( in vivoin vivo )에서 EphA2-CAR1-NK 세포 및 EphA2-CAR2-T 세포의 세포독성(또는 세포용해 활성) 확인) Confirmation of cytotoxicity (or cytolytic activity) of EphA2-CAR1-NK cells and EphA2-CAR2-T cells in

상기 실시예 3에서 확인된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는 자연살해 세포 및 T세포의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cytotoxicity)을 동물모델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The cytotoxicity of cancer cells expressing EphA2 of natural killer cells and T cells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in Example 3 on the surface was confirmed again in an animal model.

[4-1] [4-1]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한 EphA2-CAR1-NK 세포의 활성 확인Confirmation of the activity of EphA2-CAR1-NK cells against EphA2-expressing cancer cells

먼저, 상기 실시예 [3-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폐암 세포주인 H460 세포(한국세포주은행)에서 EphA2가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도 9a), 상기 실시예 [3-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H460 세포에 대하여 EphA2#79-CAR1-NK 세포가 세포외 도메인이 제거된 CAR를 발현하는 대조군 자연살해 세포(dECTO)에 비해 훨씬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9b).First, it was confirmed that EphA2 was expressed in lung cancer cell line H460 cells (Korea Cell Line Bank)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1] (Fig. 9a), and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3-2]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phA2#79-CAR1-NK cells showed much higher cytotoxicity to the H460 cells than the control natural killer cells (dECTO) expressing CAR from which the extracellular domain was removed (FIG. 9b).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460 세포 3x106개를 약 6주령의 암컷 Balb/c 누드 마우스(새론바이오)의 옆구리 부분에 피하주사하고 10일 경과 후에 종양의 크기가 50mm3 정도 되었을 때, 상기 EphA2-CAR1-NK 세포 또는 대조군 자연살해 세포 2x106개를 3일 또는 4일 간격으로 5회에 걸쳐 정맥주사하였다. 그런 다음, 24일에 걸쳐 종양의 크기와 무게를 측정하였다.Next, as shown in FIG. 9c, 3x10 6 of the H460 cells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into the flank of about 6-week-old female Balb/c nude mice (Saeron Bio), and after 10 days, the size of the tumor was about 50 mm 3 2x10 6 of the EphA2-CAR1-NK cells or control natural killer cells were intravenously injected 5 times every 3 or 4 days. Then, the size and weight of the tumors were measured over 24 days.

그 결과, 도 9d 및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 자연살해 세포를 투여한 마우스 비하여, 본 발명의 EphA2-CAR1-NK 세포를 투여한 마우스에서 종양의 크기와 무게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9D and 9E , it was confirmed that the tumor size and weight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mice administered with the EphA2-CAR1-NK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mice administered with control natural killer cells. .

[4-2] [4-2]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한 EphA2-CAR2-T 세포의 활성 확인Confirmation of activity of EphA2-CAR2-T cells against EphA2-expressing cancer cells

다음으로, EphA2를 발현하는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에 루시퍼라아제(luciferase)가 도입된 A549-Luciferase 세포(PerkinElmer) 1x106개를 6주령의 수컷 NOG 마우스(㈜코아텍)의 오른쪽 옆구리 부분에 피하주사하고, 종양의 크기가 200mm3 정도 되었을 때, 상기 EphA2-CAR2-T 세포 또는 Next, 1x10 6 of A549-Luciferase cells (PerkinElmer) into which luciferase was introduced into A549 cells, a lung cancer cell line expressing EphA2,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into the right flank of 6-week-old male NOG mice (Coretech Co., Ltd.). Inject, and when the size of the tumor is about 200 mm 3 , the EphA2-CAR2-T cells or

세포외 도메인이 제거된 CAR를 발현하는 대조군 T 세포(dECTO) 5x106개를 정맥주사하였다. 그런 다음, 45일에 걸쳐 주 2회씩 종양의 크기, 마우스의 무게 및 IVIS를 측정하였다.Control T cells (dECTO) expressing CAR from which the extracellular domain was removed were injected intravenously. Then, tumor size, mouse weight and IVIS were measured twice a week over 45 days.

그 결과, 도 10a,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phA2-CAR2-T 세포가 종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맥주사 후 마우스 혈액 내에서 상기 EphA2-CAR2-T 세포와 대조군 T 세포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아울러,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phA2-CAR2-T 세포가 대조군 T 세포에 비하여 종양 내에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 it was confirmed that the EphA2-CAR2-T cells effectively suppressed tumors, and as shown in FIG. 10C , the EphA2-CAR2-T cells were found in mouse blood after intravenous injection. The presence of cells and control T cells was also confi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d , it was confirmed that the EphA2-CAR2-T cells were present in a larger amount in the tumor than the control T cells.

[정리][organize]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의 2종의 항-EphA2 항체(#79, #85)는 EphA2에 대해 특이적인 결합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상기 EphA2를 발현하는 암 세포의 EphA2를 인식하여 결합하게 될 경우 상기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표면에 발현된 면역세포(자연살해 세포 또는 T 세포)에서 신호전달을 유발하고, 이에 따라 면역세포가 암 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각종 면역반응을 유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을 인 비트로(in vitro) 뿐만 아니라 인 비보(in vivo)에서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In view of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the two anti-EphA2 antibodies (#79 and #85)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xhibit specific binding ability to EphA2, but also inhibit EphA2 in cancer cells expressing EphA2. When recognizing and bind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containing the antigen-binding site of the antibody triggers signal transduction in immune cells (natural killer cells or T cells) expressed on the surface, and thus the immune cells attack cancer cells. It was clearly confirmed not only in vitro but also in vivo that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various immune responses that can be pro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for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these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 또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고,
EphA2(ephrin type-A receptor 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SEQ ID NO: 9, a heavy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or SEQ ID NO: 10, and a heavy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or SEQ ID NO: 11 ; and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or SEQ ID NO: 12, a light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or SEQ ID NO: 13, and a light chain CDR3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or SEQ ID NO: 14 including;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rin type-A receptor 2 (EphA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will have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7 or SEQ ID NO: 15,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 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will have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or SEQ ID NO: 16,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EphA2(ephrin type-A receptor 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binding domain);
막통과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로서,
상기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는,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 또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EphA2 항체의 단일 사슬 가변 단편(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인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an extracellular binding domain containing an antigen binding site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rin type-A receptor 2 (EphA2);
transmembrane domain; and
Including;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A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he antigen-binding site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is a heavy chain CDR1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SEQ ID NO: 9, a heavy chain CDR2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or SEQ ID NO: 10, and SEQ ID NO: 3 or SEQ ID NO: 11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3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and a light chain CDR1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 or SEQ ID NO: 12, a light chain CDR2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5 or SEQ ID NO: 13, and SEQ ID NO: 6 or SEQ ID NO: A chimeric antigen receptor that is a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 of an anti-EphA2 antibod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including a light chain CDR3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1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는,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EphA2 항체의 단일 사슬 가변 단편인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he method of claim 4,
The antigen-binding site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A chimeric antigen receptor that is a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of an anti-EphA2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7 or SEQ ID NO: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EphA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는,
서열번호 8 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EphA2 항체의 단일 사슬 가변 단편인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he method of claim 4,
The antigen-binding site that specifically binds to EphA2,
A chimeric antigen receptor that is a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of an anti-EphA2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or SEQ ID NO: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 도메인은, 힌지 도메인(hinge domain) 및 스페이서 도메인(spacer doma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ellular domai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inge domain and a spacer domai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 도메인 또는 스페이서 도메인은, Myc 에피토프, CD8 힌지 도메인 및 F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he method of claim 7,
The hinge domain or spacer doma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yc epitope, a CD8 hinge domain, and Fc,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막통과 도메인은, T-세포 수용체(TCR)의 알파(α), 베타(β) 또는 제타(ζ) 사슬, CD28, CD3 엡실론(ε), CD45, CD4, CD5, CD8, CD9, CD16, CD22, CD33, CD37, CD64, CD80, CD86, CD134, CD137 및 CD15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nsmembrane domain is the alpha (α), beta (β) or zeta (ζ) chain of the T-cell receptor (TCR), CD28, CD3 epsilon (ε), CD45, CD4, CD5, CD8, CD9, CD16,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22, CD33, CD37, CD64, CD80, CD86, CD134, CD137 and CD154, chimeric antigen recep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T-세포 수용체(TCR) 제타(ζ), FcR 감마(γ), FcR 베타(β), CD3 감마(γ), CD3 델타(δ), CD3 엡실론(ε), CD3 제타(ζ), CD5, CD22, CD79a, CD79b 및 CD66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T-cell receptor (TCR) zeta (ζ), FcR gamma (γ), FcR beta (β), CD3 gamma (γ), CD3 delta (δ), CD3 epsilon (ε), CD3 zeta (ζ), CD5,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22, CD79a, CD79b and CD66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T-세포 수용체(TCR) 제타(ζ), FcR 감마(γ), FcR 베타(β), CD3 감마(γ), CD3 델타(δ), CD3 엡실론(ε), CD3 제타(ζ), CD5, CD22, CD79a, CD79b 및 CD66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제1 신호전달 도메인(primary signaling domain)으로 포함하고,
CD2, CD7, CD27, CD28, CD30, CD40, 4-1BB(CD137), OX40(CD134), CDS, ICAM-1, ICOS(CD278), LFA-1(CD11a/CD18), GITR, MyD88, DAP10, DAP12, PD-1, LIGHT, NKG2C, EphA2 및 CD8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공자극 신호전달 도메인(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으로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
T-cell receptor (TCR) zeta (ζ), FcR gamma (γ), FcR beta (β), CD3 gamma (γ), CD3 delta (δ), CD3 epsilon (ε), CD3 zeta (ζ), CD5,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22, CD79a, CD79b and CD66d as a primary signaling domain;
CD2, CD7, CD27, CD28, CD30, CD40, 4-1BB (CD137), OX40 (CD134), CDS, ICAM-1, ICOS (CD278), LFA-1 (CD11a/CD18), GITR, MyD88, DAP10,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AP12, PD-1, LIGHT, NKG2C, EphA2 and CD83 as a 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A polynucleotide comprising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of any one of claims 4 to 11. 청구항 12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An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the polynucleotide of claim 12 .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는, 면역세포.An immune cell expressing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11 on its surfac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면역세포는 자연살해 세포(NK cell), T 세포, 자연살해 T 세포(NKT cell),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ytokine Induced Killer cell; CIK), 마크로파지 및 수지상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면역세포.
The method of claim 14,
The immune cell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killer cells (NK cells), T cells, natural killer T cells (NKT cells), cytokine induced killer cells (CIK),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Which is, immune cells.
청구항 14의 면역세포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immune cells of claim 1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위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췌장암, 대장암, 결장암, 식도암, 피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간암, 두경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혈액암, 다발성 골수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 악성 림프종, 흉선암, 골육종, 섬유성 종양 및 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6
The cancers include lung cancer, stomach cancer, ovarian cancer, cervical cancer, breast cancer, pancreatic cancer, colon cancer, colon cancer, esophageal cancer, skin cancer, thyroid cancer, kidney cancer, liver cancer, head and neck cancer, bladder cancer, prostate cancer, blood cancer, multiple myeloma, acute myeloid leukemia , Malignant lymphoma, thymic cancer, osteosarcoma,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ibrotic tumors and brain cance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1020220097825A 2021-08-06 2022-08-05 Novel Anti-EphA2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KR2023002281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10 2021-08-06
KR20210103610 2021-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810A true KR20230022810A (en) 2023-02-16

Family

ID=8515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825A KR20230022810A (en) 2021-08-06 2022-08-05 Novel Anti-EphA2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22810A (en)
CN (1) CN118055945A (en)
WO (1) WO2023014182A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6589B (en) * 2009-10-14 2014-08-20 卡罗拜奥斯制药公司 Antibodies to epha3
EP2595657A4 (en) * 2010-07-22 2015-09-23 Univ California Anti-tumor antigen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MX2018009389A (en) * 2016-03-16 2018-11-21 Univ California Protein a binding polypeptides, anti-epha2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504223A4 (en) * 2016-08-26 2020-03-25 Baylor College of Medicine Constitutively active cytokine receptors for cell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182A1 (en) 2023-02-09
CN118055945A (en) 202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0828B2 (en) Antibodies targeting BCMA and uses thereof
US11945878B2 (en) Switch molecule and switchable chimeric antigen receptor
KR102624213B1 (en) Anti-HER2 affibody and switchable chimeric antigen receptor using the same as switch molecule
JP2024505955A (en) New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ts use
KR102534281B1 (en) Novel Anti-PD-L1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CN115232209B (en) Antibodies targeting GPRC5D and uses thereof
EP4375292A1 (en) Novel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s expressing same
AU2022272973A1 (en) Dosing regimens for cancer immunotherapy
KR20230022810A (en) Novel Anti-EphA2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US20230028399A1 (en) Bcma-directed cellular immunotherapy compositions and methods
EP4332118A1 (en) Novel anti-cd5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same
KR102530111B1 (en) Antibody targeting cotinine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2671410B1 (en) Chimeric antigen receptor specifically binding to RANK ligand and use thereof
KR20230021391A (en) Novel anti-B7H3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KR20230021392A (en) Novel anti-DLK1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EP4378953A1 (en) Cd229 targeting moiety for the tratment of cd229 positive cancer
KR102666554B1 (en) Receptor Tyrosine-protein Kinase ErbB3-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US20240174768A1 (en) Bispecific antibodies enhancing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s
KR20220124839A (en) Chimeric antigen receptor specifically binding to RANK ligand and use thereof
TW202246311A (en) Erbb3-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immune cell expressing the same
WO2024115077A1 (en) Cd229 and bcma targeting moieties for the treatment of cd229- bcma- positive cancer
KR20240067081A (en) IL-2 variants and fusion proteins thereof
WO2022226584A1 (en) EGFRvIII BINDING PROTEINS
CN116063527A (en) Antibodies targeting mesothelin and use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