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839A -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 Google Patents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839A
KR20230020839A KR1020210102726A KR20210102726A KR20230020839A KR 20230020839 A KR20230020839 A KR 20230020839A KR 1020210102726 A KR1020210102726 A KR 1020210102726A KR 20210102726 A KR20210102726 A KR 20210102726A KR 20230020839 A KR20230020839 A KR 20230020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one conduction
main body
connec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주원
김귀환
Original Assignee
(주)모비프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프렌 filed Critical (주)모비프렌
Priority to KR102021010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839A/en
Publication of KR2023002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8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comprising: a main body (200) as a housing that can store electrical members; a unit body (220) that is a separate receiving box separated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200) and accommodates a bone conduction unit (230) therein; a flat U-shaped suspender (210) that connects the main body (200) and the unit body (220)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and is suspended from an ear (E) of a user (P); and a connector (240) which is a band or wire connected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main bodies (200) and worn on a head (H) of the user (P), thereby conducting acoustic signals to the human body through mechanical vibration. The main body (200) is a liner-shaped extension with a long length (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a rear (R) of the ear (E) of the user (P), the connector (240)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ody having an inclined wear angle (a) toward a rear neck portion (N) of the user (P) from a longitudinal axis (C) of the main body (200) at a free end of the pair of main bodies (200), and thus an inner diameter portion (R) of the connector (40) is located at the rear neck portion (N) of the user (P). The present invention fundamentally eliminates the need for replacement of bands or wire connector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ccording to options requested by consumers.

Description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발명은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신호와 정신적인 치료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골전도 방식으로 인체의 청각신경으로 전달하는 응용제품에 채용되기에 적합한 골전도 응용을 위한 헤드셋(Headset)의 구성의 개선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bone conduction suitable for use in application products that transmit acoustic signals and electrical signals for mental treatment selectively or together to the human auditory nerve in a bone conduction manner. It relates to the provision of improvements in the construction of headsets for applications.

최근 들어 종래의 인체의 고막으로의 공기의 진동에 의한 공기전도(air conduction)를 통한 소리의 청취방식에 대하여 골전도(bone conduction)에 의한 소리의 청취양태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In recent year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hearing sound through air conduction by vibration of air to the eardrum of the human body, a mode of listening to sound by bone conduction has been widely spread.

'골전도'라 함은 두개골의 물리적인 진동전도성을 응용하여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 청각신경을 거쳐 뇌로 바로 전달되는 방식이다.'Bone conduction' is a method in which sound is transmitted to the cochlea by applying the physical vibration conductivity of the skull, and directly to the brain via the auditory nerve.

골전도를 이용한 헤드셋의 경우, 공기전도형 헤드셋의 착용에 따라 주위 소리를 들을 수 없는 환경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과, 종래 공기전도를 통한 방식에서의 소음성 난청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의 건강보호 상의 유용성이 있어 보급이 증대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prevention of accidents that may occur in an environment in which ambient sounds cannot be heard due to the wearing of the air conduction headset, and the occurrence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rough air conduction It is useful in protecting the user's health, which can prevent back problems, and its spread is increasing.

골전도를 이용하는 헤드셋의 경우, 음향, 음성신호(이하 '음향'으로 통일하여 기재한다.)의 인체의 청각신경으로의 전달을 수행하기 위한 기계적인 진동발생수단으로써 골전도유닛을 구비하여, 이 골전도유닛은 입력되는 음향의 전기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 출력하여 인체의 두부의 피부 - 골격계로 전도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상적인 종래로부터의 골전도유닛은 프레임, 보이스코일, 마그네트, 진동판 등으로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a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 bone conduction unit is provided as a mechanical vibration generating means for transmitting sound and audio sig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und') to the auditory nerve of the human body. The bone conduction unit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input sound into mechanical vibration, outputs it, and conducts it to the skin-skeletal system of the head of the human body.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units include frames, voice coils, magnets, It consists of a diaphragm, etc.

특히, 소멸 특허인 특허문헌 3의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28401 호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은 골전도유닛을 개시하고 있으며, 본 구성에서는 코일(11)에 의하여 구동되는 마그넷유닛(20)이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진동판(40) 및 이 진동판(40)을 보호하는 보호캡(50)이 결합된 형태의 것을 개시하고 있고, 이러한 구성은 이미 일반적인 골전도유닛의 하나의 형태로서 알려져 있다.In particular,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28401 of Patent Document 3, which is an extinct patent, discloses a bone conduction unit as shown in FIG. 9, and in this configuration, the magnet unit 20 driven by the coil 11 A mechanically connected diaphragm 40 and a protective cap 50 protecting the diaphragm 40 are disclosed, and this configuration is already known as one form of a general bone conduction unit.

골전도유닛의 진동판과 인체의 두부의 피부는 밀접한 접속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일반적인 스피커형의 헤드셋이 어느 정도의 유격이 있어도 음향의 전달이 가능한 것과는 상이한 부분이다.The diaphragm of the bone conduction unit and the skin of the head of the human body must be closely connected, which is different from a general speaker-type headset in which sound can be transmitted even with some clearance.

골전도유닛의 진동판의 인체 두부의 피부로의 밀접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하여서는 기구적으로 진동판과 인체의 두부 특히, 양 귀측의 피부로 진동판을 밀접시키는 구성이 요청되고 다양한 구성이 종래로부터 안출되어 있다.In order to ensure close contact of the diaphragm of the bone conduction unit with the skin of the head of the human body, a structure that mechanically closes the diaphragm to the head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the skin of both ears, is required, and various structures have been devised in the past. .

본 발명은 상기하는 목적을 구현하기에 최적화된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음향의 전도를 보장하면서도 다양한 가변위의 두부 체형을 가지는 사용자의 사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사용자에 두부의 둘레크기의 변위에 따라 양 귀측의 한 쌍의 조합체를 연결하는 밴드 또는 와이어부의 조절기구가 불요하여 구성이 간단하게 함으로써 제조비가 저렴한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ptimized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reby ensuring smooth sound conduction and enabling use by users having various variable head body shap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figuration with a low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by not requiring a band or wire unit adjusting mechanism connecting a pair of combinations on both ears according to displacement.

상기의 관점과 함께 부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기술은,Technologies that can be additionally considered along with the above viewpoints are,

골전도유닛의 진동판을 금속재 또는 카본 등의 도전성의 전극으로 하거나 별도의 전극체를 부가함으로써, 평소에는 음악 등을 즐길 수 있게 하면서 필요한 경우 전극으로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특수한 목적으로서의 치료효과를 부가적으로 발할 수 있는 겸용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을 구성하는 것이다.The diaphragm of the bone conduction unit is made of conductive electrodes such as metal or carbon, or by adding a separate electrode body, it is possible to enjoy music on a regular basis and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electrodes when necessary, thereby providing a therapeutic effect as a special purpose. It is to configure a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that can additionally emit.

부언하여 설명하면, 종래로부터 제어된 전기적 신호의 인체로의 인가로 인한 응용기술로서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이하 'TENSE'라 함.: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stimulation)라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는 바, 이는 인체에 계산된 전기적인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통증을 치료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러시아 등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In addition, a technology calle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NSE') has been established as an applied technology due to the application of controlled electrical signals to the human body. It is known to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treating pain by applying calculat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especially in Russia and the like.

사람의 신체는 소정의 개별적인 주파수에 좋게 반응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TENS를 이용하는 장치들은 사람의 신체의 여러 부분에 걸쳐 배치되는 전극에 진동하는 경피적 에너지를 제공하여 다양한 효과를 발할 수 있다. 또한, TENS는 피부의 표면에 대한 전기적 자극의 응용으로, 주로 통증의 경감을 위한 것이다.It is accepted that the human body responds favorably to certain individual frequencies, and devices using TENS can produce a variety of effects by providing oscillating transcutaneous energy to electrodes placed over various parts of the human body. In addition, TENS is an application of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rface of the skin, mainly for pain relief.

TENS는 주파수, 펄스폭, 진폭으로 특징지어지는 몇몇 종류의 전기적 파형을 가지고 외부 표면 전극을 통하여 인가 및 처치됨으로써 약물적, 비침습적, 비중독성이며, 사용금지사유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고, 밝혀진 치료효과로서는 우울증의 개선, 수면질의 대폭적인 향상, 스트레스의 해소, 집중력의 증대 및 신체 매커니즘의 개선이 학술적으로 입증되어 있다.TENS is applied and treated through external surface electrodes with several types of electrical waveforms characterized by frequency, pulse width, and amplitude, so it is pharmacological, non-invasive, non-toxic, has the advantage of having few contraindications, and is a treatment that has been identified. Its effects have been scientifically proven to improve depression, significantly improve sleep quality, relieve stress, increase concentration, and improve body mechanisms.

종래로부터 국내에서는 환자가 앉는 의자(Chair)와 전기적인 기구로부터 전도되는 전기자극을 인체에 인가하기 위한 두부 착용 형태의 밴드를 가지는 치료기가 '경두개전기자극치료기'라는 명칭으로 대학병원의 정신과 등에 널리 보급되어 우울증의 확실한 개선 등에 효과를 발하고 있으나, 이러한 의자형태와 구성의 임상적인 치료기는 그 가격이 수천만원에 달하게 되고 반드시 래원하여야 적용이 가능한 불편성이 있다.Conventionally, in Korea, a treatment device with a head-worn band for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 conducted from a chair and electrical equipment to the human body is called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device' and is used in psychiatric departments of university hospitals. It is widely distributed and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but the clinical treatment device of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is chair costs tens of thousands of won,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can be applied only when requested.

따라서, 보급형의 형태로서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가격의 치료기를 제공하여 각종의 우울증 환자로의 치료적용, 수험생의 학습집중도의 증대, 유아들의 TIC 장애의 개선, ADH 등의 개선효과등을 얻을 수 있는 장치가 요청되었다.Therefore, by provid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low-priced treatment device in the form of a popular type, it is a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epression patients,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students studying, improve TIC disorders in children, and improve ADH. has been requested

이에 본 출원인은 기히 2020년 12월 16일자로 등록된 특허 10-2194266 호의 'TENS 기능을 가지는 골전도장치'를 안출한 바 있고,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devised a 'bone conduction device with TENS function' of Patent No. 10-2194266 registered on December 16, 2020,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디코딩부; 상기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컨버터;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골전도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골전도유닛;상기 골전도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외측에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금속전극; TENS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발생기; 및 상기 TENS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금속 전극에 인가하는 TENS 신호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전도유닛은 제1 골전도유닛 및 제2 골전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골전도유닛과 상기 제2 골전도유닛은 각각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금속 전극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금속 전극을 포함하는 골전도 장치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ecoding unit for decoding audio data; a digital-to-analog converter converting the decoded audio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an analog audio signal; a bone conduction unit that converts the analog audio signal into a bone conduction signal and outputs the bone conduction signal; a metal electrode installed outside a housing accommodating the bone conduction unit to contact a user's skin; a frequency generator generating a TENS signal; and a TENS signal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the TENS signal and apply the amplified TENS signal to the metal electrode, wherein the bone conduction unit includes a first bone conduction unit and a second bone conduction unit, the first bone conduction unit and the second bone conduction unit. The bone conduction unit is accommodated in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respectively, and the metal electrode includes a first metal electrode installed outside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metal electrode installed outside the second housing. Features a bone conduction device.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는, 상기하는 선원의 구성에 의하여 발생되는 치료를 위한 TENS 용의 전극체를 종래로부터의 음향발생용의 골전도유닛의 진동판을 도전성 금속, 카본재 등의 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전극체로 제공하고 이 전극체에 제어용의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을 위한 배선을 제공하고, 제어부에서 음향신호와 TENS 용의 전기신호의 어느 하나의 발생을 제어 또는 동시에 발생을 제어함(즉, 음악 등을 청취하면서 동시에 TENS 치료를 수행함)으로써,In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body for TENS for treatment genera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ource and the diaphragm of the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unit for sound generation are made of materials such as conductive metal and carbon material. Configure or provide as a separate electrode body, provide wiring for the transmission of electrical signals for control to this electrode body, and control the generation of either the acoustic signal or the electrical signal for TENS in the control unit or simultaneously control the generation By doing (i.e., performing TENS treatment while listening to music, etc.),

음악 감상 등을 위한 헤드셋의 일반적인 기능에 부가하여 선택적으로 TENS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It is disclosed that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that selectively performs a TENS function in addition to general functions of a headset for listening to music can be provided.

한국 특허 제 10 - 2194266 호Korean Patent No. 10 - 2194266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7920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920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28401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28401

없슴.None.

본 발명에 관계되어 발견되는 유사한 기술분야의 선원으로서는 특허문헌 2가 있으며, 특허문헌 2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As a source in a similar technical field discovered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atent Document 2, and as shown in FIG. 1, Patent Document 2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 밴드와 한 쌍의 이어폰부로 구성된 백헤드 밴드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밴드(4)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착용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밀착될 수 있게 헤드 밴드(4)중 임의의 부분을 1회 이상 반복되게 접어서 두상 크기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길이 조절부(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헤어 밴드(4)는 착용자의 머리 양측에 한 쌍의 길이 조절부(3)가 위치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머리 후두부(H)에 길이 조절부(3)가 위치하며, 상기 길이 조절부(3)의 형상 파형 또는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back headband earphone composed of a headband worn on the head and a pair of earphones, the headband (4)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can be attached to any of the headbands (4)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head. A length adjusting unit (3) whose length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by repeatedly folding the part of at least once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hair band (4) has a pair of length adjusting units (3) on both sides of the wearer's head. Is located or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3) is located at the back of the head (H) of th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3) is made of a waveform or coil shape.

본 선원특허의 구성은 통상적인 백헤드 어어폰의 구성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본 발명이 추구하는 바와는 후술하는 기술적인 사상과 작용효과에서 상이하다.The configuration of this sailor's pat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erms of technical ideas and operational effect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it focuses on a configuration that can adjust the length in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backhead earphone.

골전도 응용 헤드셋이 최적의 성능으로 기능하기 위하여서는 골전도유닛의 진동판이 사용자가 착용하는 두부의 양쪽 귀 측의 피부와 밀착되어야 하는 구성이 요구되고, 종래로부터의 제품들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골전도유닛을 헤드셋용 본체와 분리된 구성으로 하여 그 사이를 탄성적인 탄성와이어형상체의 귀걸이 부분인 서스펜더로 하여 이 서스펜더의 탄성으로 골전도유닛 부분이 인체의 두부의 피부에 밀착하게 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In order for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to function optimall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aphragm of the bone conduction unit must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n both ears of the head worn by the user is required, and conventional products have bone conduction for this purpose. The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headset, and a suspender, which is an earring part of an elastic elastic wire-shaped body, is formed between them, and the elasticity of the suspender makes the bone conduction unit part adhere to the skin of the human head.

사람에 따라 두부의 머리둘레의 크기는 유전적, 성장환경적인 요소가 다름에 따라 변위의 범위가 매우 큰 것으로서, 동일한 내직경의 헤드밴드를 헤드셋에 제공하는 경우, 사람마다의 두부의 둘레크기에 따른 차이가 있어 사용자에 따라서는 두부와 헤드밴드의 내경부 사이에 공간이 유발(머리둘레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된다.The size of the head circumference of the head for each person has a very large range of displacement due to differences in genetic and growth environmental factors. Depending on the user, a space is induced between the head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headband (in the case of a user with a small head circumference).

이를 조절하기 위하여서는 헤드밴드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기의 선원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의 채용은 제조원가를 앙등시킬 뿐만 아니라, 장시간 음악청취 등을 위하여 의자의 머리받이에 기대게 되는 경우 길이조절을 위한 부재가 머리에 압박감을 주거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In order to adjust this, it can be considered to provide the headband with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the above-mentioned line, which can be adjusted in length. When leaning on the member for adjusting the length, it is undesirable because it gives pressure to the head or causes discomfort.

따라서, 상기와 같은 헤드밴드의 길이조절을 위한 별도의 기구적인 구성이 불요하여 대단히 간결하면서도, 동시에 사용자의 두부에 기계적인 압박감을 부여하지 아니하는 구성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구성이 요청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configured to be very simpl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eadband and at the same time not to apply mechanical pressure to the user's hea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vision of such a configuration.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제공으로써 다양한 변위적인 두부의 체형을 가지는 다수의 사용자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하고, 별도의 헤드셋의 양측 유닛을 연결하는 헤드밴드의 길이의 조절을 위한 추가적인 기구의 필요성을 배제하게 한다.The provision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use a number of users having various displaceable head body shapes, and additionally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eadband connecting the units on both sides of the separate headset. Eliminates the need for instrument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전기적인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함체로서의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분리,이격된 별도의 수용함체이며 그 내방에 골전도유닛을 수용하는 유닛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유닛바디를 전기적, 기구적으로 연결하면서 사용자의 귀에 현가되는 평면 'U' 자 형상의 서스펜더, 상기 좌,우 한 쌍의 메인바디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밴드 또는 와이어인 커넥터를 가짐으로써, 음향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인체로 전도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를 구성에 있어서;A main body as an accommodating casket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ical members, a separate accommodating casket separated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and a unit body accommodating a bone conduction unit therein, and the main body and the unit body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A flat 'U' shaped suspender suspended to the user's ear while connected to the user's ear, and a band or wire connector connected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main bodies and worn on the user's head, thereby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to mechanical vibration In constructing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that conducts to the human body;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사용자의 귀 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그 종축 방향의 길이가 긴 라이너(liner) 형상의 연장체이고,The main body is a liner-shaped elongated body hav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user's ear,

상기 커넥터는 한 쌍의 상기 메인바디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종방향 축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후방 목부를 향하여 경사진 착용경사각을 가지는 연결체로 구성하여,The connector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ody having an inclined wearing inclination angle from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main body at the free end of the pair of main bodies toward the rear neck of the user,

상기 커넥터의 내경부가 상기 사용자의 후방 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 양태의 주요한 특징이다.It is a key feature of one embodiment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is located at the rear neck of the user.

또한, 전기적인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함체로서의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분리,이격된 별도의 수용함체이며 그 내방에 골전도유닛을 수용하는 유닛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유닛바디를 전기적, 기구적으로 연결하면서 사용자의 귀에 현가되는 평면 'U' 자 형상의 서스펜더, 상기 좌,우 한 쌍의 메인바디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밴드 또는 와이어인 커넥터를 가짐으로써, 음향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인체로 전도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를 구성에 있어서;In addition, the main body as an accommodating box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ical members, a unit body that is a separate accommodating box separated from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and accommodates a bone conduction unit therein, the main body and the unit body electrically and electrically, A flat 'U' shaped suspender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and suspended to the user's ears, and a band or wire-in connector connected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main bodies and worn on the user's head, thereby transmitting sound signals to the machine In the construction of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that conducts vibration to the human body;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귀 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그 종축 방향의 길이가 긴 라이너(liner) 형상의 연장체이고,The main body is an elongated body in the shape of a liner hav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ear of the user,

상기 커넥터는 한 쌍의 상기 메인바디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종방향 축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후방 목부를 향하여 경사진 착용경사각을 가지는 연결체로 구성하여 상기 커넥터의 내경부가 상기 사용자의 후방 목부에 위치하고;The connector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ody having an inclined wearing inclination angle from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main body at the free end of the pair of main bodies toward the rear neck of the user,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is located in the rear neck of the user. ;

상기 유닛바디의 상기 골전도유닛의 진동판부를 전극체로 하거나 부가적인 전극체를 더 가지고, 상기 전극체에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TENS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stimulation)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장치로부터 인가함으로써, 상기 음향의 청취와 상기 TENS 치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주요한 다른 실시 양태의 구성의 특징이 된다.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E') to the electrode body from a control device, using the diaphragm part of the bone conduction unit of the unit body as an electrode body or having an additional electrode body. , being able to perform the hearing of the sound and the TENS treatment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is a major configuration feature of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는 개선된 구성과 기구적인 특징의 단일의 밴드 또는 와이어인 커넥터를 제공하여 대부분의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밴드 또는 와이어 커넥터의 교체를 근원적으로 불요하게 하여 판매 대상 소비자의 요구옵션에 따른 제조원가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ngle band or wire-in connector with improved configuration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enabling most users to use it, thereby making the replacement of the band or wire connector fundamentally unnecessary, and thus being sold.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ccording to the option requested by the consumer.

동시에, 비정형적인 두부형상을 가지는 사용자나 머리가 긴 여성 사용자의 경우에도 사용이 극히 편리한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를 제공한다.At the same time,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that is extremely convenient to use even for a user with an atypical head shape or a female user with long hair is provided.

나아가,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는 음향청취에 부가하여 선택적으로 TENS 치료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형태와 구성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in a shape and configuration suitable for selectively performing TENS treatment in addition to sound listening.

도 1은 종래 선원의 헤드셋의 헤드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한국인의 머리둘레의 통계분포도.
도 3은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한국인의 목둘레의 통계분포도.
도 4는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기에 적합한 구성의 종래로부터의 제품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 설명을 위한 측면도.
도 5는 종래로부터의 제품의 구성 설명과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6은 본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착용상태도.
도 9는 공지 구성의 골전도유닛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dband of a conventional sailor's headset;
2 is a statistical distribution of head circumferences of Koreans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istical distribution of neck circumferences of Koreans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product having a configuration suitable for appl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a wearing state of the headset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roduct.
6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side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wearing state diagram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ne conduction unit having a known configura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한국인의 머리둘레의 통계분포도, 도 3은 한국인의 목둘레의 통계분포도, 도 4는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기에 적합한 구성의 종래로부터의 제품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 설명을 위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착용상태도로서 순차적으로 함께 설명한다.2 is a statistical distribution of head circumferences of Koreans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atistical distribution of neck circumferences of Koreans, and FIG. 4 is a technical diagram of the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product from the prior art with a configuration suitable for the concept to be applie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headset of FIG. 4 in a wearing state,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8 is a wearing state diagram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together.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은 종래로부터의 제품과 비교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products.

다양한 종류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가 기히 시장에 출시되고 있고 대부분의 제품은 유사한 외관상 구성 및 기구적인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도 4 내지 5와 같은 구성의 제품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Various types of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ies have been released on the market, and most of the products have similar external and mechanical configurations, and the products with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4 and 5 will be described as representative.

종래로부터의 헤드셋(OA)를 설명하되, 도 4에서와 같이, 헤드셋(OA)은 좌,우대칭되는 유닛이므로 양 측의 구성을 혼합하여 설명한다.Although the conventional headset OA is described, as in FIG. 4, since the headset OA is a left-right symmetrical unit, the configuration of both sides will be mixed and described.

전체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다양한 박스 형상의 사용자 두부(H)의, 좌,우용의 한 쌍의 메인바디(100)가 내부에 PCB, 배터리 등의 전기적인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함체로서 제공된다.A pair of main bodies 100 for the left and right of the user's head (H) in various box shapes molded entirely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are provided as housings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ical members such as PCBs and batteries therein. .

메인바디(100)의 단부 상방 측에는 역시 도시하는 바와 같이,As shown above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착용 시에 사용자의 귀 상방부에 걸림되어 현가되는 걸림부로서 작용하는 개략 'U' 자 형상의 탄성 합성수지재 등의 관체인 서스펜더(110)가 제공되며, 서스펜더(110)의 내방 관체부에는 도시하지 아니하는 전기적인 결선용의 전선이 배설된다.When worn, a suspender 110, which is a tube made of an e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 shape of a 'U' and acts as a hanging portion that is hung and suspended above the user's ear, is provided, and the inner tube body of the suspender 110 is shown. Wires for electrical wiring that are not used are laid out.

서스펜더(110)의 전방 측(사용자의 두부(H)상에서의 얼굴 측(F)) 단부에는 상술한 기계적인 진동을 인가하기 위한 골전도유닛(130)이 내장되는 개략 박스형의 수용체인 유닛바디(120)가 일체로 또는 별도로 고정되며,A unit body, which is a roughly box-shaped receptor, in which the bone conduction unit 130 for applying the above-described mechanical vibration is built-in at the front side (face side (F) on the user's head (H)) end of the suspender 110 ( 120) is integrally or separately fixed,

유닛바디(120)의 내방에 수용되는 골전도유닛(130)으로부터 노출되는 진동판 또는 별도의 보호판으로 피복된 진동판부(도시하지 아니함)가 노출되어 있다.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공과 내장마이크(도시하지 아니함)가 더 제공될 수 있다.A diaphragm exposed from the bone conduction unit 130 accommodated inside the unit body 120 or a diaphragm portion covered with a separate protective plate (not shown) is exposed. A communication ball and a built-in microphone (not shown) for phone calls may be further provided.

통상적으로는, 유닛바디(120)의 노출되는 반대 측에는 헤드셋(OA)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버턴(121)이 터치버턴 등으로 제공되며 이 메인버턴(121)은 메인바디(100)에 제공되는 제품도 있다.Typically, the main button 121 for controlling the headset (OA) is provided as a touch button on the opposite side exposed to the unit body 120, and the main button 121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There is also

상기와 같이, 종래로부터 메인바디(100)와 유닛바디(120)를 서스펜더(110)로서 연결되도록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탄성관체인 서스펜더(110)가 유닛바디(120)의 골전도유닛(130)의 진동판부(131)를 사용자의 두부(H)의 피부 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줌으로써 밀접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대부분의 시판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은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by separating and configur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unit body 120 to be connected as the suspender 110, the suspender 110, which is an elastic tube, is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unit 130 of the unit body 120. By elastically pushing the diaphragm 131 toward the skin side of the user's head H, an effect of enabling close connection can be obtained, and most commercially availabl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ies employ this configuration.

상기와 같은 좌,우 한 쌍의 메인바디(100) - 서스펜더(110) - 유닛바디(130) 조합체는 메인바디(100)의 후방단부에서 연결 또는 고정되는 개략 'U' 자 형상의 밴드 또는 와이어 타입의 커넥터(140)로써 연결된다.The combination of a pair of left and right main body 100 - suspender 110 - unit body 13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or fix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00 with a band or wire in a substantially 'U' shape. It is connected as a connector 140 of the type.

일반적으로 사람의 사용자(P)의 두부(H) 둘레의 크기와 형상은 사람에 따라 그 편차가 대단히 큰 것으로서 통계적으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단일의 내직경을 가지는 개략 'U' 형상의 커넥터(140) 만으로는 모든 사용자의 편차를 흡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it is known statistically that the size and shap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head (H) of a user P of a person varies greatly from person to person, and therefore, a connector 140 of a roughly 'U' shape having a single inner diamet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absorb the deviations of all users with only one.

상기한 종래로부터의 구성을 가지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OA)의 경우, 커넥터(140)는 단일의 내직경을 가지는 탄성밴드 또는 탄성와이어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착용하게 되나,In the case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A) having the above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connector 140 is provided as an elastic band or elastic wire having a single inner diameter to be worn around the user's head,

유전적, 성장환경적 요인에 따른 다양한 두부형태(H,H')의 둘레 크기를 가지는 사용자(P)를 흡수하기 위하여, 표준적인 사용자(P)의 두부(H) 둘레의 크기보다는 다소 크도록 제조되고, 사용자(P)가 음악의 청취 중에 의자 등받이 또는 머리받이에 두부(H)를 기대는 경우, 사용자(P)의 두부(H)에 커넥터(140) 자체의 탄성에 의한 압박감이나 통증을 부여하거나 커넥터(140)의 여유있는 길이로 인하여 서스펜더(110)가 사용자(P)의 귀(E)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In order to absorb the user (P) with the circumference of various head shapes (H, H') according to genetic and growth environmental factors, the circumference of the head (H) of the standard user (P) is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ead (H) manufactured, and when the user (P) leans the head (H) against the chair back or headrest while listening to music, the pressure or pain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or 140 itself is applied to the head (H) of the user (P). However, due to the excessive length of the connector 140, the suspender 110 is detached from the ear E of the user P.

또한, 유전적, 성장환경적인 요인으로 두부(H)의 형상이 비정형적(예를 들면, 속칭 "짱구") 인 경우, 두부(H) 둘레의 크기의 변위편차로부터 크게 벗어나게 되어 착용이 아예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지며, 머리가 긴 여성의 경우는 상당한 볼륨의 머리카락의 존재로 인하여 역시 착용이 불가능한 중요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if the shape of the head (H) is atypical (for example, a so-called "chanjanggu") due to genetic and growth environmental factors, it is greatly deviated from the displacement deviation of the size of the head (H), making it impossible to wear it at all. There is also a problem, and in the case of women with long hair, due to the presence of considerable volume of hair, they also have an important problem that cannot be worn.

상기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는 기구적인 구성의 형태와 디자인을 변경하여 음향청취에 최적화된 구성을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TENS 를 이용한 치료기로서도 기능하게 하게 한다.Consider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optimized for sound listening by changing the shape and design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and additionally functions as a treatment device using TENS let it do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하기에서 설명한다.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통계적인 관점에서 사용자에 따라 최적화된 커넥터의 길이와 형상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From a statistic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length and shape of the optimized connector according to the user.

도 2는 20 ~ 29 세 사이의 한국인의 개별적인 사람에 따른 머리둘레의 크기의 분포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 통계대상 분위의 따라 측정값이 산포되어 있고 각 분위별 값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도 3은 개별적인 사람에 따른 목둘레의 크기의 분포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 통계대상 분위의 따라 측정값이 5 분위에 집중적으로 산포되어 그 변위편차가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Figure 2 shows the distribution of head circumference size according to individual Koreans between the ages of 20 and 29, and it can be seen that the measured values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each quantile of the statistical objec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for each quantile is large. Figure 3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size of the neck circum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peopl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cement deviation is very small because the measured values are concentrated in the 5th quartile according to each statistical target quartile.

이를 통하여 입증할 수 있는 사실은, 사람의 머리둘레의 크기에 비하여 목둘레의 크기는 상당히 한정된 유사한 범위 이내에 존재한다는 것이다.The fact that can be proven through this is that the size of the neck circumference compared to the size of the head circumference of a person exists within a fairly limited similar range.

따라서,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Therefore, in configuring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상술한 커넥터(140)를 사용자(P)의 두부(H) 둘레의 크기를 기준하여 하여 제공하지 않고, 목(N) 둘레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하는 기하학적인 구성이 단일의 사이즈(길이)의 커넥터(240)로써 다수의 사용자를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하여 요구되는 커넥터(240)의 옵션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능한 커넥터(240)가 사용자(P)의 목부(N)에 안착하여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nector 140 is not provided based on the siz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head (H) of the user P, but the geometrical configuration provided based on the siz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neck (N) is a single size (length)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ptions of the connector 240 required by enabling a number of users to satisfactorily use the connector 240 of the connector 240 to be seated in the neck portion N of the user P. It can be seen that this is preferable.

도 6 내지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골전도 헤드셋어셈블리(NA)을 설명하되, 도면에서와 같이, 헤드셋어셈블리(A)는 역시 좌,우대칭되는 유닛이므로 양 측의 구성을 혼합하여 설명한다.The bone conduction headset assembly (N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through FIGS. 6 to 8, but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headset assembly (A) is also a left-right symmetrical unit, so the configuration of both sides will be mixed and described.

본 발명의 골전도 헤드셋어셈블리(NA) 역시, 전체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다양한 박스 형상의 사용자(P)의 두부(H) 좌,우용의 한 쌍의 메인바디(200)가 내부에 PCB, 배터리 등의 전기적인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함체로서 제공된다.The bone conduction headset assembly (N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ntirely mold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pair of main bodies 200 fo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H) of the user (P) in various box shapes are inside a PCB, battery, etc. It is provided as a receiving box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lectrical member of the.

메인바디(200)의 단부 상방 측에는 착용 시에 사용자(P)의 귀(E)에 걸림되어 현가되는 걸림부로서 작용하는 개략 'U' 자 형상의 탄성의 합성수지재 등의 관체인 서스펜더(210), 상기 서스펜더(210)의 전방 측(사용자의 두부(H)상에서의 얼굴 측(F)) 단부에서 진동판부(233)가 노출되는 골전도유닛(230)이 내장되는 개략 박스형의 수용체인 유닛바디(220);On the upper side of the end of the main body 200, a suspender 210, which is a tubular body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of elasticity in a shape of a 'U', acting as a hanging part that is suspended by being caught in the ear (E) of the user P when worn. , A unit body, which is a roughly box-shaped receptor in which the bone conduction unit 230, in which the diaphragm portion 233 is exposed at the end of the front side (the face side (F) on the user's head (H)) of the suspender 210, is built-in (220);

를 가지는 기구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구비한다. 도면에서 236 은 제어를 위한 메인버턴, 238은 통화를 위한 통공이다.It has the same mechanical configuration with In the drawing, 236 is a main button for control, and 238 is a through hole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안출된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NA)의 메인바디(200)는 도 6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6 below, the main body 200 of the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NA) devi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착용 시에 사용자(P)의 귀(E) 후방(R)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비교적 종축(C) 방향으로의 길이(L)가 긴 라이너(liner) 형상의 개략 직사각형, 마름모꼴, 장반경의 길이가 긴 타원체 등의 박스형상체로서 구성한다.When worn, a liner shape with a relatively long length L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C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R of the ear E of the user P, and the approximate length of a rectangle, lozenge, or long radius. It is constituted as a box-shaped body such as an elongated ellipsoid.

메인바디(200)를 박스체 상에서의 횡축방향 길이(가로길이)에 비하여 종축(C) 방향으로의 길이(세로길이)가 긴 개략 직사각형상의 라이너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가지는 유용성은 하기와 같다.The usefulness of the main body 200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liner shape having a longer length (vertical length) in the longitudinal axis (C) direction than the length (horizontal length) in the transverse axis direction on the box body is as follows.

메인바디(200)의 자유단부(즉, 서스펜더(210) 착용부의 반대 측)으로부터 일체 또는 교체가능하도록 연장되는 개략 'U' 형상의 밴드 또는 와이어인 커넥터(240)의 착용위치를 사용자의 후방 목부(N) 측으로 가능한 이동시킴으로써 커넥터(240)의 내경부(R)가 후방 목부(N)에 안착하여 위치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The wearing position of the connector 240, which is a band or wire in a roughly 'U' shape extending integrally or replaceably from the free end of the main body 200 (ie, the opposite side of the suspender 210 wearing part) to the user's rear neck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position the inner diameter portion R of the connector 240 seated on the rear neck portion N by moving it to the (N) side as much as possible.

좌,우 한 쌍의 메인바디(200) - 서스펜더(210) - 유닛바디(220)를 연결하는 밴드 또는 와이어 형상의 커넥터(240)는 메인바디(200)의 길이방향 종축(C)으로부터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착용경사각(a)을 가지도록 한 쌍의 메인바디(200) 사이에 제공되고, 개략 반원형상의 커넥터(40)의 내경부(R)는 사용자의 후방 목부(N)의 중 - 하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속하여 위치하게 된다.A band or wire-shaped connector 240 connecting a pair of left and right main bodies 200 - suspender 210 - unit body 220 is experimentally measured from the longitudinal longitudinal axis C of the main body 200. It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main bodies 200 to have a determined wearing inclination angle (a), and the inner diameter portion (R) of the approximately semicircular connector 40 is tangent to the middle-lower portion of the user's rear neck portion (N). Sexual connection and positioning.

커넥터(240)의 내경부(R)의 직경은 상술한 한국의 표준적인 목둘레 보다 다소 큰 값에서 선정하여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목부(N)와 커넥터(240)의 내경부(R) 사이에 잔여공간(M)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inner diameter (R) of the connector 240 is selected and designed at a value slightly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Korean standard neck circumference, so that the remainder between the user's neck (N) and the inner diameter (R) of the connector 240 A space M may be provided.

잔여공간(M)의 제공으로서, 가능한 다양한 변위의 목(N) 둘레의 크기를 가지는 사용자(P)가 단일의 내직경의 커넥터(240)로써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P)에 따른 커넥터(240)의 교체의 필요성을 최소화하게 한다.As the provision of the remaining space M, the user P having the circumference size of the neck N of various possible displacements can be used as a connector 240 having a single inner diameter. This minimizes the need for replacement of the connector 240.

상술의 커넥터(240)의 잔여공간(M)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사용자(P)가 의자(도시하지 아니함)의 머리받이에 머리를 기대는 경우에도 목부(N)는 머리받이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종래 구성에 따른 두부(H)의 이물감이나, 두부(H)로의 압박감이 인가되지 않는 유용한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Despite the existence of the remaining space M of the connector 240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user P leans his head on the headrest of a chair (not shown), the neck portion N does not contact the headrest, A foreign body sensation of the head (H) or a pressure feeling to the head (H)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has a useful action and effect.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P)의 두부(H)의 양 귀(E) 측으로의 골전도유닛(230)의 진동판부(233)의 밀착은 연결관체로서의 기계적인 탄성으로 밀착시키는 탄성관체인 서스펜더(210)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사용자(P)의 목부(N)에서의 밀착은 기술적이고 작용효과적인 의미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attachment of the diaphragm 233 of the bone conduction unit 230 to both ears E of the head H of the user P is a suspender, which is an elastic tube that is mechanically elastic as a connecting tube. Since it is made by 210, the user P's close contact at the neck N has no technical and functional meaning.

상기에서, 만일 메인바디(200)의 종축(C) 방향의 길이(L)가 길지 않은 경우, In the above, if the length (L) of the longitudinal axis (C)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0 is not long,

메인바디(200)의 자유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240)가 시작하는 연결점이 사용자(P)의 두부(H)의 상단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넥터(240)가 목부(N)에 위치하기 위하여서는 착용경사각(a)이 상당한 예각을 이루어야 하게 되어,Since the connection point at which the connector 240 extending from the free end of the main body 200 starts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head H of the user P, the connector 240 is positioned at the neck N. The wearing inclination angle (a) has to be a considerable acute angle,

사용자(P)의 후방 목부(N)로의 접속성이 저하되며 착용감 역시 불량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접속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onnectivity to the rear neck portion N of the user P is reduced, and the fit is also poor, and stable connection is difficult.

상기에서 메인바디(200)의 종축(C) 방향의 길이(L)와 착용경사각(a)의 각도는 통계학적 자료에 근거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변수일 것이며 설계적으로 확정적인 수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언급하지 아니한다.In the above, the length (L) of the main body 200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C) and the angle of the wearing inclination angle (a) will be experimentally determined variables based on statistical data, and various design-defining numerical values are selected. It can be, so it is not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의 구성의 또 하나의 유용성은 하기와 같다.Another usefulnes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set assembly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통계적으로 보아, 서스펜더(210)의 착용위치인 사용자(P)의 귀(E)의 상단점(e)과 목부(N)가 개시되는 경부개시점(f) 사이의 거리(k)는 동양인과 서양인 간에 차이가 크지 않다.Statistically, the distance (k) between the upper end point (e) of the ear (E) of the user (P), which is the wearing position of the suspender 210, and the neck starting point (f), where the neck (N) starts, is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Westerners.

따라서, 메인바디(200)의 종축(C) 방향 길이의 연장구성과, 메인바디(200)의 자유단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착용경사각(a)을 가지는 본 발명의 헤드셋(NA)의 경우,Therefore, in the case of the headset (N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xtension of the length of the main body 200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C) and a wearing inclination angle (a) while extending from the free end of the main body 200,

적용가능대상의 예외가 극히 적어 대다수의 사용자(P) 층의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수출의 경우에도 역시 단일의 커넥터(240)로써 대부분의 사용자(P)를 판매 대상으로 할 수 있어 사용자(P)의 신체 변위와 함께 지역적인 제약을 제거할 수 있다.With very few exceptions to applicable targets, the use of the majority of the user (P) layer is possible, so even in the case of export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st of the users (P) are sold as a single connector 24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move regional restrictions along with the body displacement of the user P.

상기와 같이, 종축(C) 방향 길이의 길이(L)가 긴 라이너 형상의 메인바디(200)의 단부에 착용경사각(a)을 가지면서 고정되는 커넥터(240)는 다양한 목(N) 둘레의 크기의 사용자(P)의 변위범위를 흡수할 수 있고, 커넥터(240)가 안정적으로 목부(N)에 위치하게 하여 머리카락이 긴 여성의 경우도 머리카락의 볼륨에 무관하게 목부(N)에 착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대향의 제한성이 대폭 제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240 fix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200 having a long liner shape having a length L in the longitudinal axis C direction while having a wearing inclination angle a has a variety of neck circumferences. It can absorb the displacement range of the user (P) of the size, and the connector 240 is stably positioned at the neck (N) so that even women with long hair can wear it on the neck (N) regardless of the volume of the hair. Thus, user-facing limitations are largely removed.

상기에 구성에 부가하여 골전도유닛(230)의 진동판부(233)를 상술한 바와 같이, 음향신호를 위한 전기적 단자와는 절연된 도전성의 전극체(도시하지 아니함)로 구성하거나 별도의 전극체를 부가하여 구성하고,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diaphragm 233 of the bone conduction unit 230 is composed of a conductive electrode body (not shown) insulated from an electrical terminal for a sound signal, or a separate electrode body. It is composed by adding

이 전극체에 역시 상술한 본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의 제어된 TENS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달함으로써, 통상적인 음향청취와 TENS 치료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골전도 응용의 헤드셋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It is also useful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s that can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perform normal sound listening and TENS treatment by transmitting the controlled TENS signal of the present inventor's pre-registered patent as an electrical signal to this electrode body. can be applied appropriately.

200: 메인바디
230: 골전도유닛
220: 유닛바디
200: main body
230: bone conduction unit
220: unit body

Claims (4)

전기적인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함체로서의 메인바디(200), 상기 메인바디(200)와 분리,이격된 별도의 수용함체이며 그 내방에 골전도유닛(230)을 수용하는 유닛바디(220), 상기 메인바디(200)와 상기 유닛바디(220)를 전기적, 기구적으로 연결하면서 사용자(P)의 귀(E)에 현가되는 평면 'U' 자 형상의 서스펜더(210), 상기 좌,우 한 쌍의 메인바디(200)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P)의 두부(H)에 착용되는 밴드 또는 와이어인 커넥터(240)를 가짐으로써, 음향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인체로 전도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를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200)는 상기 사용자(P)의 상기 귀(E) 후방(R)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그 종축 방향의 길이(L)가 긴 라이너(liner) 형상의 연장체이고,
상기 커넥터(240)는 한 쌍의 상기 메인바디(200)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메인바디(200)의 종방향 축(C))으로부터 상기 사용자(P)의 후방 목부(N)를 향하여 경사진 착용경사각(a)을 가지는 연결체로 구성하여,
상기 커넥터(40)의 내경부(R)가 상기 사용자(P)의 후방 상기 목부(N)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
A main body 200 as a receiving box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ical members, a separate receiving box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00, and a unit body 220 accommodating the bone conduction unit 230 therein , A flat 'U' shaped suspender 210 suspended from the ear (E) of the user (P) whil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200) and the unit body (220), the left and right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that conducts sound signals to the human body as mechanical vibrations by having a connector 240, which is a band or wire, connected to a pair of main bodies 200 and worn on the head H of the user P. In configuring the headset assembly;
The main body 200 is a liner-shaped elongated body having a long length 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rear R of the ear E of the user P,
The connector 240 is worn inclined toward the rear neck portion N of the user P from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main body 200 at the free end of the pair of main bodies 200. Composed of a connecting body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portion (R) of the connector (40) is located at the neck portion (N) behind the user (P).
전기적인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함체로서의 메인바디(200), 상기 메인바디(200)와 분리,이격된 별도의 수용함체이며 그 내방에 골전도유닛(230)을 수용하는 유닛바디(220), 상기 메인바디(200)와 상기 유닛바디(220)를 전기적, 기구적으로 연결하면서 사용자(P)의 귀(E)에 현가되는 평면 'U' 자 형상의 서스펜더(210), 상기 좌,우 한 쌍의 메인바디(200)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P)의 두부(H)에 착용되는 밴드 또는 와이어인 커넥터(240)를 가짐으로서, 음향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인체로 전도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를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200)는 상기 사용자(P)의 귀(E) 후방(R)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그 종축(C) 방향의 길이(L)가 긴 라이너(liner) 형상의 연장체이고,
상기 커넥터(240)는 한 쌍의 상기 메인바디(200)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메인바디(200)의 종방향 축(C)으로부터 상기 사용자(P)의 후방 상기 목부(N)를 향하여 경사진 착용경사각(a)을 가지는 연결체로 구성하여 상기 커넥터(40)의 내경부(R)가 상기 사용자(P)의 후방 상기 목부(N)에 위치하고;
상기 유닛바디(220)의 상기 골전도유닛(230)의 진동판부(233)를 전극체로 하거나 부가적인 전극체를 더 가지고, 상기 전극체에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TENS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stimulation)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장치로부터 인가함으로써, 상기 음향의 청취와 상기 TENS 치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
A main body 200 as a receiving box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ical members, a separate receiving box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00, and a unit body 220 accommodating the bone conduction unit 230 therein , A flat 'U' shaped suspender 210 suspended from the ear (E) of the user (P) whil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200) and the unit body (220), the left and right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that conducts sound signals to the human body as mechanical vibrations by having a connector 240, which is a band or wire, connected to a pair of main bodies 200 and worn on the head H of the user P. In configuring the headset assembly;
The main body 200 is a liner-shaped elongated body having a long length L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C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rear R of the ear E of the user P,
The connector 240 is slanted from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main body 200 at the free end of the pair of main bodies 200 toward the rear neck portion N of the user P.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ody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 so that the inner diameter portion (R) of the connector 40 is located in the neck portion (N) at the rear of the user (P);
The diaphragm part 233 of the bone conduction unit 230 of the unit body 220 is used as an electrode body or an additional electrode body is further provided,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s performed on the electrode body. A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the hearing of the sound and the TENS treatment can be performed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40)의 내경부(R)의 내직경은 상기 사용자(P)의 통계적인 표준 목(N) 둘레의 크기보다 큰 값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P)의 목부(N)와 상기 커넥터(240)의 내경부(R) 사이에 잔여공간(M)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R of the connector 240 is set to a larger value than the statistical standard neck circumference of the user P, so that the neck portion N of the user P and the connect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ing a residual space (M) between the inner diameter (R) of (24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200)의 상기 사용자(P)의 상기 귀(E) 후방(R)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그 종축(C) 방향의 길이(L)는, 상기 메인바디(200) 단부에 고정되는 상기 커넥터(240)가 상기 사용자(P)의 상기 목부(N)에 위치하기에 적합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응용 헤드셋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ength (L) of the main body (200) in the longitudinal axis (C) direc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R) of the ear (E) of the user (P) is fix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200). Bone conduction application heads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240) is of a suitable length to be located on the neck (N) of the user (P).
KR1020210102726A 2021-08-04 2021-08-04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KR202300208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26A KR20230020839A (en) 2021-08-04 2021-08-04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26A KR20230020839A (en) 2021-08-04 2021-08-04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839A true KR20230020839A (en) 2023-02-13

Family

ID=8520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726A KR20230020839A (en) 2021-08-04 2021-08-04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839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920A (en) 2010-07-15 2012-01-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Top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128401A (en) 2014-05-09 2015-11-18 (주)아트콤프로덕션 A pillow for a sound sleep having bone conduck vibrating device
KR102194266B1 (en) 2018-08-20 2020-12-22 (주)모비프렌 Bone conduction apparatus with TENS therapy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920A (en) 2010-07-15 2012-01-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Top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128401A (en) 2014-05-09 2015-11-18 (주)아트콤프로덕션 A pillow for a sound sleep having bone conduck vibrating device
KR102194266B1 (en) 2018-08-20 2020-12-22 (주)모비프렌 Bone conduction apparatus with TENS therapy fun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094B2 (en) Helmet having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KR100937159B1 (en) Bone conductive headphone
US10212525B2 (en) Universal earpiece
JP5473640B2 (en) Speaker device
CN111432300B (en) Sensory stimulation or monitoring device for the back of the neck
US7266208B2 (en) Auditory aid device for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suffering from partial neurosensory hearing loss
US7925038B2 (en) Earset assembly
JP7018205B2 (en) Hearing device
JP7262850B2 (en) Bone conduction headset exclusively for tinnitus treatment that stimulates the mastoid process and auricle at the same time
CN201157623Y (en) Auricular point treating type telephone earphone
KR102115271B1 (en) bone conduction headset with dual mic
KR20230020839A (en)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US11700478B2 (en) Headphone and multi-stage noise-cancellation earphone assembly
US20240042162A1 (en) Wearable device for vibrotactile and/or thermal nerve stimulation
CN111935582B (en) Variable self-adaptation earphone shell and use its earplug device, hearing-aid equipment
KR100769289B1 (en) Auricle vibration speaker and earset with the same
JP2004320605A (en) Bone conduction speaker
KR100689881B1 (en) Wireless headset using receiver
KR102089729B1 (en)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JP6865126B2 (en) Voice generator
CN205657839U (en) Low noise ossiphone
KR200282696Y1 (en) Bone conduction speaker of piezoelectric type
CN217011139U (en) Earphone is felt to body and earphone control system is felt to body
US11825258B2 (en) Headset assembly using bone conduction
KR102664819B1 (en) Bone Conduction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6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728

Effective date: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