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781A - 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 - Google Patents

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781A
KR20230016781A KR1020210098208A KR20210098208A KR20230016781A KR 20230016781 A KR20230016781 A KR 20230016781A KR 1020210098208 A KR1020210098208 A KR 1020210098208A KR 20210098208 A KR20210098208 A KR 20210098208A KR 20230016781 A KR20230016781 A KR 2023001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user
editing
cap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앤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앤플레이
Priority to KR102021009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781A/en
Publication of KR2023001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7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chitectu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 VR content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ing part installed in an image generating device and acquiring the 2D image of a target item by photographing the target item from various angles; a server for receiving the 2D image, providing a 3D image editing environment, and generating the edited 3D image as VR content;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part to the server and transmitting an image editing command.

Description

메타버스 관련 AR/VR 기술을 활용한 환경 컨텐츠 제작 방법{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

본 발명은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객체를 여러 각도에서 촬상한 복수 개의 2D 이미지를 전송받아 VR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R content cre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R content cre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VR content by receiving a plurality of 2D images of objects photographed from various angles from a user.

VR(Virtual Reality)은 컴퓨터로 만들어지는 3차원 환경에서 사람이 실재 주변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것처럼 경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최근 VR 기술은 오락 게임 분야를 넘어 영상, 광고, 의료, 교육 등 각분야에서 응용개발되고 있다.VR (Virtual Realit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3D environment created by a computer so that people can experience as if they are interacting with a real environment. Recently, VR technology is being applied and developed in various fields such as video, advertisement, medical care, and education beyond the field of entertainment and games.

광고 분야의 경우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통해 기존의 2차원적 평면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비자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광고 제작자가 마련한 상품의 일면만보고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게 되어서, 배달된 상품과의 차이로 인해 구매 만족도가 현저하게 떨러지게 되며, 심지어는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In the case of advertising, conventional two-dimensional flat images are provided to consumers through images or videos, and consumers select products they want through images or videos. However, in this method, the product purchase decision is made by looking only at one side of the product prepared by the advertisement produc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livered product and the purchased product significantly deteriorates, and even returns of the product occur.

최근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상품을 알리기 위해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작하려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technologies for producing advertisements using virtual reality are being developed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nform consumers of products.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5336호는 가상현실 모델링을 이용하여 광고 상품을 찾아갈 수 있는 광고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갖는 가상의 3차원 입체공간을 화면상에 출력, 각 지점에 광고 선택창을분류별로 표시, 광고의 선택, 및 해당 광고의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Publication No. 2002-0005336 proposes an advertising method that can find an advertising product using virtual reality modeling, and outputs a virtual three-dimensional space having information on a moving route on a screen, each point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n advertisement selection window by category, select an advertisement,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VR을 이용한 다른 광고의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00-0037114호의 가상현실공간에서의 광고기법은 인터넷상에서 사용자들에게 실생활 속의 집과 같은 형태의 가상공간을 제공하고 광고주들이 제공한 실제 제품 모델들과 광고주 회사의 로고나 제품명이 들어가 있는 물건들을 이용해 사용자가 집 내부를 꾸밀 수 있게 제공하고 있다. As an example of another advertisement using VR, the advertisement technique in virtual reality space of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37114 provides users with a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a house in real life on the Internet and uses actual product models provided by advertisers. It is providing users with the ability to decorate the inside of their homes using items containing the logos or product names of advertisers and companie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한 2D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변환하여 VR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R content cre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VR content by converting a 2D image captured by a user into a 3D image.

본 발명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다양한 시점으로 상품을 확인할 수 있는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R content creation system capable of checking products from various viewpoints in a virtual reality spac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이미지 생성 장치에 탑재되고, 대상 물품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여 대상 물품의 2D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부와, 상기 2D 이미지를 전송받아 3D 이미지 편집 환경을 제공하고 편집된 3D 이미지를 VR 컨텐츠로 생성하는 서버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2D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미지 편집 명령을 전송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R content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ing unit mounted on an image generating device and acquiring 2D images of a target product by photographing a target product from various angles, receiving the 2D image, providing a 3D image editing environment, and editing the image. It comprises a server for generating VR content from the 3D image,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to the server and transmitting an image editing command.

또한 이미지 생성 장치는 몸체(Body)의 상측에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측면 가로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는 “ㄷ"자 형상의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에 설치되고 턴테이블의 중앙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부, 및 제어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대가 회전하면 항상 턴테이블의 중앙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mage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turntabl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a “c” shaped turntabl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and rotating based on a horizontal axis of the side, and a turntable installed on the turntable and the upper center of the turntable It consists of a camera holder and a control unit, which are installed so as to face the upper center of the turntable at all times when the rotary table rotates.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서버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대상 물품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부와, 사용자 정보, 2D 이미지, 3D 이미지, VR 컨텐츠를 기록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 단말기로 2D 이미지에 대한 편집화면을 제공하는 편집 화면 제공부와, 3D 이미지를 VR 컨텐츠로 변환하는 VR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rver of the VR contents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formation unit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arget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database for recording user information, 2D images, 3D images, and VR contents, and a user terminal to 2D images. It includes an editing screen providing unit providing an editing screen for the object, and a VR contents generating unit converting 3D images into VR contents.

또한 편집 화면 제공부는 뷰어 편집 모듈과 오브젝트 보정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뷰어 편집 모듈은 이미지회전과 회전방향 조정과 회전축 조정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오브젝트 보정 모듈은 오브젝트 배경제거와 이미지컬러 보정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editing screen provision unit consists of a viewer editing module and an object correction module. The viewer editing module performs functions of image rotation, rotation direction adjustment, and rotation axis adjustment, and the object correction module performs functions of removing object background and image color correction. do.

또한 오브젝트 배경 제거는 이미지 선명화 단계, 이진화 단계, 외관선 검출 단계, 및 배경 분리단계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게 외관선 검출을 위한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object background removal is composed of an image sharpening step, a binarization step, an apparent line detection step, and a background separation step, and the user is provided to select an algorithm for detecting the apparent lin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촬상한 상품의 이미지를 직접 편집토록 하여 VR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satisfaction with VR content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user to directly edit the captured product image.

또한 여러 각도에서 상품을 회전하면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 각도로 마치 3차원 이미지처럼 보여줄 수 있어,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상품의 면을 살펴볼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mages taken while rotating the product from various angles can be displayed as a 3D image at the speed and angle desir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xamine the side of the product that the user wants to see,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또한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품을 제외한 배경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공하는 VR 컨텐츠에서의 상품에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ground image excluding the product can be removed from the captured imag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n the product in the provided VR content can be increased.

추가적으로 회전하는 상품의 특정 위치에 태그를 제공함으로써 상품의 자세한 설명을 추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duct can be added by providing a tag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rotating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부가 탑재되는 이미지 생성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이미지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 물품을 촬상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 화면 제공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경제거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VR content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image generating device equipped with an ima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position where an image of a target article is captured using an image generating device.
4 shows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dit scree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background remova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거치부는 제1 높이로 위치한다. 텐테이블이 10도 회전한 후 멈추면 카메라는 제1 높이에서 대상 물품를 촬상한다. 이어서 턴테이블은 다시 10도를 회전한다. 이와 같은 턴테이블의 회전과 카메라의 촬상을 반복하여 턴테이블이 1회전을 완료하면, 제1 높이에서 모두 36의 촬상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제1 높이에서 모든 촬상이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제1 높이 보다 높은 제2 높이로 카메라 거치부를 상승시킨다. 턴테이블은 1회전을 하며 제2 높이에서 모두 36장의 촬상 이미지를 획득하면 다시 제2 높이에서 제3 높이로 카메라 거치부를 상승시킨다.The mounting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first height. When the tentable stops after rotating 10 degrees, the camera captures an image of the target object at the first height. The turntable then rotates another 10 degrees. When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and the imaging of the camera are repeated and the turntable completes one rotation, all 36 captured images are acquired at the first height. In this way, when all images are captured at the first height, the controller raises the camera holder to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he turntable rotates once, and when all 36 captured images are acquired at the second height, the camera holder is raised from the second height to the third height.

본 발명에서는 턴테이블이 10도 간격으로 회전한 후 멈춘 다음 촬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턴테이블을 멈춤없이 연속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거치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상 모드를 연사모드로 설정하여 촬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대상 물품의 하부를 촬상하고 하는 경우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투명 지지대를 설치한 후 대상 물품을 상기 투명 지지대의 상부에 놓고 촬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rntable rotates at intervals of 10 degrees and then stops, and then imaging is performed as an embodiment, but the turntable may be driven to continuously rotate without stopping. In this case, imaging may be performed by setting an imaging mode of a camera installed in the camera holder to a continuous shooting mo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lower part of the target article, after installing a transparent support on the top of the turntable, the target article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support and image pickup may be performed.

도 3은 촬상 위치를 나타낸 것인데, 단위 높이가 8개로 설정된 경우, 가장 낮은 위치인 제1 높이(C1)에서부터가장 높은 위치인 제8 높이(C8)에서 다수의 촬상을 수행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5 높이(C5)에서 여러 각도로대상 물품을 촬상하는 것을 보여준다. 각각의 점(point)는 촬상 각도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3 shows imaging positions. When the unit height is set to 8, multiple imaging is performed from the lowest position, the first height C1, to the highest position, the eighth height C8. Referring to the drawing, it shows that the target article is captured from various angles at a fifth height (C5). Each point represents an imaging angular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촬상은 이와 같은 대상 물품의 이전에 배경 촬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경 촬상은 대상물품을 턴테이블에 놓지 않고 촬상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배경 촬상은 턴테이블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높이(C1~C8)에는 각각 하나의 배경 촬상 이미지를 획득한다. 도면에서 H1~H8은 배경 촬상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나타낸 것인다. 배경 촬상이 이루어진 후, 대상 물품을 턴테이블의 상부에 놓고 대상 물품 촬상을시작한다. 상기 배경 촬상은 2D 이미지로부터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대상물품의 촬상 이미지와 배경 촬상 이미지를 중첩한 다음 검출된 대상 물품의 촬상 이미지로부터 배경을 삭제하여대상 물품만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In im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imaging may be performed prior to such a target object. Background imaging refers to imaging without placing an object on the turntable. The background imaging is performed while the turntable is stopped, and one background imaging image is acquired at each height (C1 to C8). In the drawing, H1 to H8 indicate points where background imaging is performed. After background imaging has been performed, the target object is placed on top of the turntable and target object imaging is started. The background imaging may be used for image processing to separate a background from a 2D image. For example, an image of only the target article may be obtained by overlapping a captured image of the target article with a captured background image and then deleting the background from the detected image of the target article.

대상 물품의 촬상 이미지는 촬상 위치정보가 포함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이미지가ITG_P025_256.jpg 인 경우, ITG는 대상 물품 식별부호이며, 025는 직하방향에서 25도 높이에서 촬상된 각도를의미하며, 256은 25도 높이에서 촬상된 이미지들 중 256번째 이미지라는 것을 나타낸다. The captured image of the target product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aptured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captured image is ITG_P025_256.jpg, ITG is the target product identification code, 025 means an angle captured at a height of 25 degrees from the direct downward direction, and 256 is the 256th image among images captured at a height of 25 degrees indicates that

본 발명에서는 대상 물품의 촬상 이미지로서, 이미지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촬상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고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른 종류의 촬상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대상 물품의 촬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aptured image of a target product, imaging using an image generating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but the captured image of the target product can be obtained using another type of image generating device without necessarily being limited thereto.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여러 각도로 촬상한 이미지로도 대상 물품의 촬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대상 물품을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대상 물품을 주변을 따라 복수 개의 촬상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the captured image of the target product even when the user captures images from various angle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the user may capture a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target product in a state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target product is fix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이미지는 대상 물품을 여러 각도,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상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As described above, it is sufficient to acquire images obtained by capturing a target product from various angles and different directions in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촬상된 2D 이미지들은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단말기는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 폰, PDA, 노트북, 사용자 PC일 수 있다. The 2D images captured in this way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server. The terminal may be a smart phone, a PDA, a laptop computer, or a user PC.

한편, 상기 카메라 거치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를 대신하여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말기를 결합할 수있다. Meanwhile, instead of the camera coupled to the camera holder, a terminal including a camera may be coupled.

상기 촬상부로부터 촬상된 2D 이미지는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200)는 촬상된 2D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변환하고 VR 컨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서버는 단말기로부터2D 이미지를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2D 이미지를 변환하고, VR 컨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서버는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VR 컨텐츠를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long with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terminal. The server 200 converts the captured 2D image into a 3D image and creates VR content. The server receives 2D images from terminals. Also, the server receives a user command from the terminal. The server converts 2D images according to user commands and creates VR contents. The server may output the generated VR contents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것이다. 4 shows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부(210), 데이터 베이스(220), 편집 화면 제공부(230), VR 컨텐츠 생성부(240)를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rver 200 includes a user information unit 210, a database 220, an editing screen providing unit 230, and a VR contents generating unit 240.

상기 사용자 정보부(210)은 사용자 식별정보, 대상 물품 식별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다. 상기사용자 정보부은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관련 컨텐츠를 표시한다. The user information unit 210 receiv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arget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s terminal. The user information unit is connected to a database and displays user-related content.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ID에는 사용자의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등과 연관된다. 상기 대상 물품 식별정보는 대상 물품 식별부호와, 높이 각도와, 이미지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r's ID. The user ID is associated with the user's name, email, phone number, and the like. The target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target product identification code, a height angle, and an image index.

상기 데이터 베이스(220)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2D 이미지, 변환된 3D 이미지, 및 VR컨텐츠를 기록한다. The database 220 records user information, 2D images, converted 3D images, and VR contents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상기 편집 화면 제공부(230)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2D 이미지를 전송받고 사용자 단말기로 편집 화면을 제공한다 VR 컨텐츠 생성부(240)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편집이 완료되면, 3D 이미지를 VR 컨텐츠를 변환한다. 변환된 VR컨텐츠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The editing screen providing unit 230 receives the 2D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and provides the editing screen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edit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command, the VR content generating unit 240 converts the 3D image into VR content. convert The converted VR contents are stored in the databas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 화면 제공부를 나타낸 것이다. 5 shows an editing scree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편집 화면 제공부(230)은 뷰어 편집 모듈(231), 오브젝트 보정모듈(232)을 포함한다. 상기 뷰여 편집 모듈(231)은 이미지의 회전기능과 회전방향 조정기능과 회전축 조정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 회전기능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 또는 드래그 동작에 의해 VR 이미지에서 대상 물품을 회전시키는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회전방향 조정기능은 뷰어의 회전 방향을 결정한다. 예컨대 화면상에서 좌에서 우측으로드래그 하면 이에 따라 대상 물품을 우측에서 바라본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때 좌에서 우측으로 드래그 하는 속도를 감지하고 좌에서 우로 회전하는 속도에 비례하도록 표시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The editing screen providing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ewer editing module 231 and an object correction module 232 . The viewer editing module 231 is composed of an image rotation function, a rotation direction adjustment function, and a rotation axis adjustment function. The image rotation function provides a function of rotating a target item in a VR image by a user's touch operation or drag operation. The rotation direction adjusting function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viewer. For example, when dragging from left to right on the screen, an image view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target item is displayed accordingly. At this time, a speed of dragging from left to right may be detected, and a display function may be provided in proportion to the speed of rotation from left to right.

한편, 턴테이블의 정확한 중앙지점에 대상 물품을 놓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 조정기능은 촬상된 복수의 2D 이미지들은 서로 동일한 촬상 중심을 갖도록 회전축을 조정하여, 최종 VR 이미지에 포함된 대상 물품을 회전시켜도 떨림이 없도록 조정된다. 이에 따라 안정된 그리고 균형감 있는 회전 뷰어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not easy to place the target object at the exact central point of the turntable. Accordingly, the axis of rotation adjustment function adjusts the axis of rota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2D images captured have the same center of imaging, and the object included in the final VR image It is adjusted so that there is no shaking even when the article is rotated. Accordingly, a stable and balanced rotation viewer can be provided.

상기 오브젝트 보정모듈은 오브젝트 배경제거 기능과, 이미지 컬러 보정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브젝트 배경제거 기능은 촬상된 이미지에서 대상 물품을 제외한 배경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object correction module includes an object background removal function and an image color correction function. The object background removal function performs a function of removing a background excluding a target item from a captured imag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given later.

상기 이미지 컬러 보정기능은 이미지 속에 포함된 그늘, 흐릿한 부분을 보정한다. 이러한 보정은 색조, 대비를증가시켜 뚜렸다 이미지를 획득한다. 예컨대 컬러 보정은 스마트 필터, 미니어쳐 필터, 틸트쉬프트 필터 등과같은 효과를 부여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image color correction function compensates for shade and blurred parts included in the image. This correction increases the color tone and contrast to obtain a clear image. For example, color correction may be implemented by applying effects such as a smart filter, a miniature filter, a tilt shift filter, and the like.

이미지 컬러 보정기능은 배경 제거 기능의 이전과 이후에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이미지 보정이 이루어질 수있다. 이미지 컬러 보정기능이 배경 제거 기능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컬러 보정기능을 배경을 제거하기 위한 경계선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컬러 보정기능이 배경 제거 기능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컬러 보정기능은 대상 물품을 선명하고 또렷한 시각적효과를 갖도록 하여 화면상에서 마치 입체적인 실물을 살펴보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The image color correction function may be selectively applied before and after the background removal function to perform image correction. When the image color correction function is performed before the background removal function, the image color correc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as a preprocessing step for clearly distinguishing a boundary line for removing the background. In addition, when the image color correction function is performed after the background removal function, the image color correction function makes the target product have a vivid and clear visual effect, giving a feeling of looking at a three-dimensional real object on the scree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경제거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6 shows a background remova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배경제거 기능은 이미지 선명화 단계, 이진화 단계, 외곽선 검출 단계, 및 배경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ckground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sharpening step, a binarization step, an outline detection step, and a background separation step.

상기 이미지 선명화 단계와 이진화 단계는 외곽선을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로서 수행된다. 상기 선명화 단계는 배경으로부터 대상 물품을 분리하기 위하여 원본 이미지를 뚜렷하게 보정한다. 예를 들어, 촬상된 전체 이미지에 블러(Blur) 처리한 후 색조대비를 통해 뚜렸한 이미지로보정한다. 이로서 대상 물품의 배경의 경계를명확히 한다. The image sharpening and binarization steps are performed as preprocessing steps for detecting an outline. The sharpening step sharpens the original image in order to separate the object from the background. For example, after a blur process is performed on the entire captured image, a clear image is corrected through color contrast. This makes clear the boundary of the background of the target article.

상기 이진화 단계는 촬상된 이미지에서 RGB 정보를 제거하고 명암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는 것으로서, 이후의영상 처리 시 처리량을 간략화하여 연산량을 단축시킨다. 예컨대 상기 흑백 이미지는 8비트 이미지로 변환될 수있다. 상기 이진화 단계 이후에 잡영 처리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 물품과 배경의 경계를 쉽게 획득될 수 있다. The binarization step removes RGB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image and extracts it using contrast information, which simplifies the amount of processing and shortens the amount of calculation in subsequent image processing. For example, the black-and-white image may be converted into an 8-bit image. After the binarization step, a miscellaneous process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boundary between the target article and the background can be easily obtained.

상기 외곽선 검출단계는 픽셀의 불연속적인 명암의 차이, 농도의 차이가 급격한 부분을 외곽선으로 검출한다.상기 외곽선 검출은 소벨(Sobel) 에지 알고리즘 또는 Canny 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 될 수 있다. 이와같은 알고리즘은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의 편집화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소벨 에지 연산자를 이용한 외곽선 검출은 연산속도가 느리지만 밝기에 민감한 검출 성능을 보여준다. In the detecting of the outline, a part in which a discontinuous difference in brightness and density of pixels is abrupt is detected as an outline. The detection of the outline may be performed using a Sobel edge algorithm or a Canny edge algorithm. Such an algorithm can b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edit screen of the terminal. In particular, outline detection using the Sobel edge operator shows detection performance that is sensitive to brightness, although the calculation speed is slow.

본 발명에서는 외곽선 검출단계로서 소벨 에지 연산자를 이용하여 외곽선을 검출한다. 소벨 에지 연산자는 수직마스크와 수평 마스크를 이용하여 X, Y방향의 미분을 계산하고, X, Y방향의 미분을 각각 결합하여 지점(x, y)에서의 에지 크기(E(x,y))와 기울기 방향(θ)을 구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벨 경계값은 낮은 경계값으로 설정한다. 낮은 경계값은 외곽선 주변에 잡영을 포함하고 있어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지만 경계를 명확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의 방향은, 이후의 단계를 위해, 복수의 분할된 각도 방향으로 라운딩(rounding)한다. 이와 같이 외곽선을 검출이 완료되면, 외곽선을 기준으로 내부는 대상 물품 영역으로 정의하고, 외곽선의 외부는 배경 영역으로 정의한다. 배경분리 단계는 배경으로 정의된 영역을 제거하여 대상 물품만이 포함된 이미지를획득한다. 원본 이미지로부터 외곽선을 검출한 이미지를 중첩한 다음 검출된 외곽선 외부 영역의 이미지를 삭제함으로써 원본 이미지로부터 배경을 삭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utline detection step, an outline is detected using a Sobel edge operator. The Sobel edge operator calculates the derivatives in the X and Y directions using a vertical mask and a horizontal mask, and combines the derivatives in the X and Y directions, respectively, to obtain the edge size (E(x,y)) at the point (x, y) and the slope direction (θ) are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bel boundary value is set to a low boundary value. A low boundary value includes multiple images around the outline, so a lot of computation is required, but the boundary can be clearly extracted. The direction of the slope is rounded to a plurality of divided angular directions for later steps. When the detection of the outline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inside of the outline is defined as the target article area, and the outside of the outline is defined as the background area. In the background separation step, an image including only the target object is obtained by removing a region defined as a background. The background is deleted from the original image by overlapping the image in which the outline is detected from the original image and then deleting the image outside the detected outline.

배경 분리가 완료되면, 일련의 2D 이미지들을 하나의 3D 이미지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대상 물품을촬상이 복수의 2D 이미지들을 하나의 대상 물품에 대한 3D 이미지로서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대상 물품에 대한 3D 이미지로 보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가진다. When background separation is complete, a series of 2D images are created as one 3D image. Specifically, imaging of one target item combines a plurality of 2D images as a 3D image of one target item. The combined image has a visual effect as if it is viewed as a 3D image of the target produc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command.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손가락으로 드래그하면, 드래그된 거리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이미지들을 연속하여 출력한다. For example, when a user drags with a finger using a terminal,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s are continuously output according to the dragged distance.

이와 같이 편집이 완료되면, 편집이 완료된 3D 이미지를 VR 컨텐츠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은 사용자 정보의 사용자 식별정보와 대상 물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로부터 VR 컨텐츠 파일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VR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광고에 사용할 수 있다. 종래 광고에 사용되는 대상 물품 이미지는 설정한 각도로 촬영된 몇 개의 대상 물품 이미지만 보고 상품의 구매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텐츠는 소비자가 원하는 위치, 방향에서 상품을 관찰할 수 있어,대상 물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When editing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edited 3D image is converted into VR content. The conversion generates a VR content file from a 3D imag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arget i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 information. The user can connect to the server through the terminal, download VR content, and use it for advertisement. For target product images used in conventional advertisement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purchase a product by looking at only a few target product images photographed at a set angle. VR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nsumers to observe a product in a desired location and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target produc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이미지 생성 장치;
상기 이미지 생성 장치에 탑재되고, 대상 물품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여 대상 물품의 2D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부;
상기 2D 이미지를 전송받아 3D 이미지 편집 환경을 제공하고 편집된 3D 이미지를 VR 컨텐츠로 생성하는 서버;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상기 2D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이미지 편집 명령을 전송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 2D 이미지에 대한 편집화면을 제공하는 편집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화면 제공부는 뷰어 편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뷰어 편집 모듈은 이미지 회전, 회전방향 조정, 복수의 2D 이미지들이 서로 동일한 촬상 중심을 갖도록 회전축을 조정하는 회전축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VR 컨텐츠 생성 시스템.
image generating device;
an imaging unit mounted on the image generating device and acquiring 2D images of the target article by photographing the target article from various angles;
A server receiving the 2D image, providing a 3D image editing environment, and generating the edited 3D image as VR content;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to the server and transmitting an image editing command;
The server includes an editing screen providing unit providing an editing screen for a 2D image to the terminal, and the editing screen providing unit includes a viewer editing module, wherein the viewer editing module rotates an image, adjusts a rotation direction, and controls a plurality of 2D images. VR content cre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 rotation axis adjustment function for adjusting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y have the same imaging center.
KR1020210098208A 2021-07-27 2021-07-27 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 KR202300167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08A KR20230016781A (en) 2021-07-27 2021-07-27 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08A KR20230016781A (en) 2021-07-27 2021-07-27 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781A true KR20230016781A (en) 2023-02-03

Family

ID=8522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208A KR20230016781A (en) 2021-07-27 2021-07-27 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78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4617A (en) * 2023-05-29 2023-08-18 广东横琴全域空间人工智能有限公司 Multi-view three-dimensional modeling method, system, automation equipment and shooting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4617A (en) * 2023-05-29 2023-08-18 广东横琴全域空间人工智能有限公司 Multi-view three-dimensional modeling method, system, automation equipment and shooting terminal
CN116614617B (en) * 2023-05-29 2024-03-19 广东横琴全域空间人工智能有限公司 Multi-view three-dimensional modeling method, system, automation equipment and shooting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1022A1 (en) Background separated images for print and on-line use
Howse OpenCV computer vision with python
EP3879843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7855732B2 (en) Hand producer for background separated images
US74601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omni-directional object views
US9922681B2 (en) Techniques for adding interactive features to videos
CA3083486C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live preview via machine learning models
Howse et al. Opencv: computer vision projects with python
CN107944420A (en) The photo-irradiation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of facial image
WO2023197780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096144B (en) Interactive holographic proj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KR20180070082A (en) Vr contents generating system
KR101759799B1 (en)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KR20230016781A (en) A method of producing environmental contents using AR/VR technology related to metabuses
US118368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interactive 3D representations of real objects
CN111399655B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VR synchronization
Kim et al. Multimodal visual data registration for web-based visualization in media production
KR20180113944A (en) Vr contents generating system
CN112449249A (en) Video stream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914871A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three-dimensional scene
KR102218095B1 (en)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Method Using Person and Plane Recognition, and Medium Storing Instructions to Execute the method Thereof
EP42605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depth perception of a non-visible spectrum image of a scene
Wissemann Semi-Automated Creation of Cinemagraphs for the Exhibition Still Mo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