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558A - Pressing device and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essing device and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558A
KR20230016558A KR1020210185875A KR20210185875A KR20230016558A KR 20230016558 A KR20230016558 A KR 20230016558A KR 1020210185875 A KR1020210185875 A KR 1020210185875A KR 20210185875 A KR20210185875 A KR 20210185875A KR 20230016558 A KR20230016558 A KR 20230016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hamber
piston
length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이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복 filed Critical 이상복
Publication of KR2023001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5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coffee extractor, which comprises: a powder receiving part accommodating coffee powder for extracting coffee; a chamber detachably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to accommodate water; a pist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hamber so that the water is pressed into the coffee powder and the coffee is extracted; a coffee receiving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to accommodate the extracted coffee; and a pressurizing device selectively coupled to the piston so that the piston moves downward. The piston comprises: a chamber receiving part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hamber when moved downward; a support unit extended in one direction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hamber receiving part and supporting the pressurizing device so that the piston moves downward by the pressurizing device; and a rod provided inside the chamber receiv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chamber to pressurize the water. The length of the pressurizing device in the one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in the one direction.

Description

가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피추출기{PRESSING DEVICE AND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Pressing device and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 {PRESSING DEVICE AND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피추출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device and a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

최근에는 커피를 마시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포드커피 및 각종 캡슐커피 등과 같은 타서 마시기가 편리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포드커피 등은 원두를 커피가루로 분쇄한 후, 작은 컵이나 팩에 밀봉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원두 또는 커피가루가 공기와 접촉하여 상하거나 산화되는 문제를 방지하였기 때문에 커피의 맛이 아주 향기롭고 간편하게 타서 마실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포드커피나 캡슐커피를 추출하여 마시기 위해서는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취급이 불편한 커피추출기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실외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drinking coffee, products that are easy to burn and drink, such as pod coffee and various capsule coffee, have been released. These pod coffees are sealed in small cups or packs after ground beans into coffee powder, and because they prevent the problem of normal beans or coffee powder being damaged or oxidized in contact with air, the taste of coffee is very fragrant and burns easily. Due to its drinkable advantage, its demand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in order to extract and drink pod coffee or capsule coffee,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s use outdoors is limited because it is bulky and heavy and requires a coffee extractor that is inconvenient to handle.

이러한 단점에 의해 최근에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추출기가 일부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커피추출기는 커피가루를 수용하는 수용부, 수용부와 연통되고 고온의 물이 수용되는 챔버, 물을 커피가루로 가압하기 위해 챔버를 수용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스톤의 손잡이를 잡고 피스톤을 하측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챔버에 수용된 물을 커피가루로 가압하고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Due to these disadvantages, some portable coffee extractors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have recently been released. The portable coffee extractor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coffee powder, a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ccommodating high-temperature water, and a piston accommodating the chamber to pressurize water into coffee powder. Therefore,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of the piston and press the piston downward to pressuri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hamber with coffee powder and extract coffee.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커피추출기는 피스톤의 손잡이가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 피스톤의 손잡이로 누를 시, 피스톤과 챔버가 흔들릴 수 있다. 또한, 피스톤과 챔버가 흔들릴 경우, 일정한 힘으로 물을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 없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coffee extractor, the handle of the piston is formed to be small, so when the user presses the handle of the piston, the piston and the chamber may shake. In addition, when the piston and the chamber are shaken, water cannot be continuously pressurized with a constant force, and thus coffee with a desired taste cannot be extrac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물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는 커피추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nvented against the above background, to provide a coffee extractor capable of pressurizing water with a constant force.

또한, 휴대하기 편리한 커피추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portable coffee extrac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가루를 수용하는 가루수용부; 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가루수용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물이 상기 커피가루로 가압되어 상기 커피가 추출되도록, 상기 챔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피스톤; 상기 가루수용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추출되는 상기 커피를 수용하는 커피수용부; 및 상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챔버수용부; 상기 챔버수용부의 외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압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챔버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챔버에 삽입되어 상기 물을 가압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커피추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 receiving unit for accommodating coffee powder for extracting coffee; a chamber detach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to accommodate water; a pist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movable up and down in the chamber so that the water is pressurized with the coffee powder to extract the coffee; A coffee accommodating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to accommodate the extracted coffee; and a pressurizing device selectively coupled to the piston so that the piston moves downward, wherein the piston includes a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mber when moving downward; a support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pressurizing device so that the piston is moved downward by the pressurizing device; and a rod provided inside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chamber to pressurize the water, wherein a length of the pressurizing device in one direction is longer than a length of the support in the one direc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챔버수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수용부; 및 상기 상부수용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직경이 상기 상부수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하부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하부수용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장치에는, 상기 상부수용부가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커피추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accommodating portion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support extends in the one direction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pressing device includes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A coffee extractor may be provided in whic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portion is passed is formed.

또한, 상기 가압장치에는, 상기 지지대가 안착되도록 하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입인된 지지대안착부; 및 상기 하부수용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대안착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하부안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하부안착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커피추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iz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seating portion inserte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support is seated; and a lower seating portion retracted inwardly from the support seating portion to seat the lower receiving portion, and a coffee extractor having the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또한, 상기 하부수용부의 상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부수용부로 향할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안착부는 상기 하부수용부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를 향할수록 상기 가압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곡면을 포함하는, 커피추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lower seating port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toward the opening toward the pressing device. A coffee extractor including a curved surface inclined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지지대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양단부 간의 길이는, 상기 챔버수용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장치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커피추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s are formed in plural pieces and exten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ength betwee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hamber accommodat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ffee extractor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가압장치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피스톤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커피추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ffee extractor may be provided in which a length of the pressure device in one direction is longer than a length of the piston in an up-down direction.

또한, 상기 가압장치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압장치의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는 상기 지지대의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커피추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device is coupled to the pisto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ffee extractor may be provided.

또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커피추출기에 포함된 피스톤을 하강시키기 위한 가압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피스톤에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입인된 지지대안착부; 및 상기 지지대안착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하부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안착부의 중심에는 상기 피스톤이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가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izing device for lowering the piston included in the coffee extractor to extract coffee, the main body; a support seating portion inserte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iston; and a lower seating portion drawn inward from the support seating portion, wherein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piston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또한, 상기 본체의 하면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일 방향의 수직한 타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피스톤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n one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the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n one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ressurizing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하부안착부는 상기 개구를 향할수록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곡면을 포함하는, 가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ssing device including a curved surface inclined inward toward the opening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seat por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압장치에 의해 피스톤과, 챔버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ston and the chamber from being shaken by the pressure device.

또한, 가압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일정한 힘으로 물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pressurize water with a certain force by means of the pressure device, the user can extract coffee with a desired taste.

또한, 가압장치는 피스톤과 분리될 수 있으므로, 커피추출기를 휴대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dev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piston, it is easy to carry the coffee extra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따라 절개한 커피추출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가루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가루수용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스쿱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커피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가압장치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가압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따라 절개한 가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가루수용부에 연결된 호퍼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의 샤워스크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ffee extractor cut along AA' of FIG.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owder receiving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powder receiving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mber of a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ston of a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oop of a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ffee receiving part of the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 pressure device of a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pressure device of the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device cut along BB′ of FIG. 10;
12 is a side view of a hopper connected to a powder receiving unit of a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wer screen of a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upled to or 'supported' by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upled to or supported by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side, etc.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it is made clear in advance that they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1)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offee extra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피추출기(1)는 압력을 통해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피추출기(1)는 가루수용부(100), 챔버(200), 피스톤(300), 스쿱(400), 커피수용부(500), 가압장치(600), 호퍼(700) 및 샤워스크린(8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coffee extractor 1 is a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through pressure. The coffee extractor 1 includes a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a chamber 200, a piston 300, a scoop 400, a coffee accommodating unit 500, a pressurizing device 600, a hopper 700, and a shower screen ( 800) may be included.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가루수용부(100)는 커피가루를 수용할 수 있다. 가루수용부(100)는 커피가루를 수용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가루수용부(100)는 챔버(2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루수용부(100)의 하면에는 추출된 커피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루수용부(100)의 하면은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may accommodate coffee powder. An upper surface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may be opened to accommodate coffee powder. The powder receiving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chamber 20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so that the extracted coffee passes through.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powder receiving unit 100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도 5를 더 참조하면, 챔버(200)는 물을 수용하기 위해, 가루수용부(1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은 고온의 물일 수 있다. 또한, 챔버(200)의 적어도 일부는 피스톤(30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챔버(200)와 가루수용부(100)는 서로 연결될 때,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200)는 물수용부(210) 및 하부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5 , the chamber 2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wder receiving unit 100 to accommodate water. The water may be hot water. Also,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mber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piston 300 . In addition, when the chamber 200 and the powder receiving unit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y may communicate. The chamber 200 may include a water receiving portion 210 and a lower connection portion 220 .

물수용부(210)는 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수용부(21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물수용부(210)의 상면을 통해 물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물수용부(210)에는 개방된 상면에는 후술할 로드(330)가 삽입될 수 있다.The water accommodating part 210 may extend vertically to accommodate water.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210 may be opened. Wate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unit 210 . In addition, a rod 3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water accommodating part 210 .

하부연결부(220)는 물수용부(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루수용부(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연결부(220)의 직경은 물수용부(2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루수용부(100)와 연결될 때, 가루수용부(1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연결부(220)와 가루수용부(100)의 사이를 통해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연결부(220)와 가루수용부(100)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220 may be disposed below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210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100 .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220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210, and when connected to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100, a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100 may be inserted. In addition, a separate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part 220 and the powder accommodation part 100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part 220 and the powder accommodation part 100. can

도 6을 더 참조하면, 피스톤(300)은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챔버(200)에 수용된 물을 커피가루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은 커피가루를 통과하여 커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300)은 챔버(20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챔버(2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300)은 챔버수용부(310), 지지대(320) 및 로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6 , the piston 300 may pressuriz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chamber 200 towards the coffee powder in order to extract the coffee. This water can pass through the coffee grounds and be formed into coffee. The piston 3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200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amber 200 . In addition, the piston 300 may include a chamber accommodating part 310 , a support 320 and a rod 330 .

챔버수용부(3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면이 개방되어 챔버(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챔버수용부(310)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챔버(200)의 상부수용부(311)와 하부수용부(312)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챔버수용부(310)는 상부수용부(311)와 하부수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3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n open lower surfac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mber 200 . In other words,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310 may accommodate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311 and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312 of the chamber 200 while moving downward. The chamber accommodating part 310 may include an upper accommodating part 311 and a lower accommodating part 312 .

상부수용부(3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물수용부(210)를 수용할 수 있다. 상부수용부(311)는 가압장치(600)의 후술할 개구(610)를 관통할 수 있다.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311 may accommodate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210 whi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oving downwar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311 may pass through an opening 610 of the pressing device 600 to be described later.

하부수용부(312)는 상부수용부(3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직경이 상부수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수용부(312)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하부연결부(22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수용부(312)의 상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수용부(311)로 향할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312 is disposed under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311 and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312 may accommodate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220 while moving downward. 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312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311 .

지지대(320)는 챔버수용부(310)의 외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320)는 하부수용부(312)의 외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지지대(320)는 가압장치(600)에 의해 피스톤(300)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압장치(6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대(320)가 가압장치(600)에 의해 프레스되면, 피스톤(300)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20)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가압장치(600)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32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hamber accommodating part 310 . For example, the support 32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312 . One direction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The support 320 may support the pressure device 600 so that the piston 300 is moved downward by the pressure device 600 . In other words, when the support 320 is pressed by the pressing device 600, the piston 300 may be moved downward.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upport 320 in one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ressing device 600 in one direction.

지지대(32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지지대(320)는 하부수용부(312)를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지지대(320)의 일 방향으로의 양단부 간의 길이는 챔버수용부(310)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가압장치(600)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20)의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는 0.2cm 이상 0.5c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s 320 may be formed in plural and extend in dir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two supports 320 may exten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with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12 as a center. The length betwee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320 in one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ressing device 600 in one direction. .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320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0.2 cm or more and 0.5 cm or less.

로드(330)는 챔버(200)에 수용된 물을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챔버수용부(3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드(330)는 피스톤(300)이 챔버(200)에 연결될 때, 챔버(200)의 물수용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330)는 피스톤(300)이 챔버(2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물수용부(210)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드(330)는 피스톤(300)이 하방으로 이동될 때, 물을 커피가루로 가압할 수 있다.The rod 3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mber accommodating part 310 to pressuriz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chamber 200 downward. Also, when the piston 300 is connected to the chamber 200, the rod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water container 210 of the chamber 200. When the piston 300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hamber 200, the rod 330 may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210. In other words, the rod 330 may pressurize water into coffee powder when the piston 300 moves downward.

도 7을 참조하면, 스쿱(400)은 커피가루를 가루수용부(100)에 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루수용부(100)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누르기 위해 스쿱(4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쿱(400)에 의해 커피가루는 가루수용부(100)에서 일정하게 분포되어 압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coop 400 may be used to contain coffee powder in the powder receiving unit 100. In addition, the user may use the scoop 400 to press the coffee powder accommodated in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 By the scoop 400, the coffee powder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and compressed in the powder receiving unit 100.

도 8을 참조하면, 커피수용부(500)는 가루수용부(10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루수용부(100)로부터 추출되는 커피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수용부(500)는 컵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coffee accommodating unit 5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to accommodate coffee extracted from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 For example, the coffee container 500 may be a cup.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가압장치(600)는 사용자가 가압장치(600)를 이용하여 피스톤(300)을 하방으로 용이하게 가압하도록 피스톤(3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장치(6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압장치(600)는 피스톤(300)에 결합될 때, 지지대(32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가압장치(600)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복수 개의 지지대(320)의 양단부 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장치(600)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15cm 이상, 25c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장치(600)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피스톤(300)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의 상하 길이는 10cm 이상, 14c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to 11 , the pressure device 6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piston 3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ress the piston 300 downward using the pressure device 600 . For example, the pressing device 6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device 600 is coupled to the piston 300, it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320.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ressing device 600 in one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betwee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320 .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pressing device 600 in one direction may be 15 cm or more and 25 cm or less.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ressure device 600 in one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piston 300 . The upper and lower length of the piston may be formed to be 10 cm or more and 14 cm or less.

가압장치(600)는 피스톤(300)에 체결되었을 때,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는 지지대(320)의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장치(600)의 두께는 0.5cm 이상, 1.5c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장치(600)의 무게는 100g 이상 115g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루수용부(100), 챔버(200), 피스톤(300), 및 커피수용부(500)가 연결된 무게는 180g일 수 있다. 이러한 가압장치(600)는 본체, 개구(610), 지지대안착부(620) 및 하부안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ressure device 600 is fastened to the piston 300,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320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pressure device 600 may have a thickness of 0.5 cm or more and 1.5 cm or less.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pressing device 600 may be formed to be 100 g or more and 115 g or less. Meanwhile, the weight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the chamber 200, the piston 300, and the coffee accommodating unit 500 connected may be 180g. The pressing device 600 may include a main body, an opening 610, a support seat 620, and a lower seat 630.

본체는 가압장치(60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본체의 하면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일 방향의 수직한 타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하면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피스톤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가압장치(600)가 피스톤(300)에 결합될 때, 지지대(320)에 지지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constitute the appearance of the pressurizing device 600.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one direction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in anothe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one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320 when the pressurizing device 600 is coupled to the piston 300.

개구(610)는 가압장치(600)가 피스톤(300)과 결합되도록, 본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610)에는 챔버수용부(310)의 상부수용부(311)가 관통할 수 있다. 또한, 개구(610)의 직경은 하부수용부(3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610)에 의해 가압장치(600)는 지지대(320)에 지지될 수 있다.The opening 61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pressurizing device 600 is coupled to the piston 300 .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311 of the chamber accommodating part 310 may pass through the opening 610 . Also, the diameter of the opening 61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312 . The pressure device 600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320 by the opening 610 .

지지대안착부(620)는 지지대(320)가 안착되기 위해 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안착부(620)는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방향은 가압장치(600)가 피스톤(300)에 결합될 때, 상방일 수 있다. 또한, 지지대안착부(620)는 복수의 지지대(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안착부(620)에 지지대(320)가 안착될 경우, 가압장치(600)는 피스톤(300)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대안착부(620)의 중심에는 개구(610)가 위치할 수 있다.The support seating portion 62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so that the support 320 is seated thereon. The support seating portion 620 may be formed by being drawn i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inward direction may be upward when the pressurizing device 600 is coupled to the piston 300. In addition, the support seating portion 6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upports 320 . When the support 320 is seated on the support seating portion 620, the pressure device 6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iston 300. An opening 61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mounting portion 620 .

하부안착부(630)는 하부수용부(312)가 안착될 수 있게 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안착부(630)는 지지대안착부(620)로부터 가압장치(600)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안착부(630)의 중심에는 개구(61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안착부(630)는 챔버수용부(310)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부안착부(630)는 하부수용부(312)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은 중심방향 및 하측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lower seating portion 63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to allow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12 to be seated thereon. The lower seating portion 630 may be formed by being introduced from the support seating portion 620 toward the inside of the pressing device 600 . An opening 61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630 . The lower seating portion 6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310 . In other words, the lower seating portion 630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shap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312 . This curved surface may have a convex shape toward one or more of a center direction and a downward direction.

도 12를 더 참조하면, 호퍼(700)는 사용자에 의해 커피가루가 가루수용부(100)에 투입될 때, 커피가루를 가루수용부(1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호퍼(7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커피가루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호퍼(700)는 가루수용부(100)와 챔버(200)가 분리될 때, 가루수용부(1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호퍼는 도징링이라고도 한다.Referring further to FIG. 12 , the hopper 700 may guide the coffee powder to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when coffee powder is put into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by the user. The hopper 700 may be formed with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coffee powder passes in a vertical direction. The hopper 7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when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and the chamber 200 are separated. Such a hopper is also called a dosing ring.

도 13을 더 참조하면, 샤워스크린(800)은 물수용부(210)에 수용된 물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물을 커피가루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샤워스크린(800)에는 물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샤워스크린(800)은 가루수용부(100)와 물수용부(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샤워스크린(800)은 물이 가루수용부(100)로 가압되기 전에는 물이 커피가루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워스크린(800)은 복수의 홀이 형성된 철판과 철판의 테두리에 구비된 실리콘 링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13 , the shower screen 800 can evenly distribute the water to the coffee powder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receiving unit 210 .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shower screen 800 . The shower screen 8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wder receiving unit 100 and the water receiving unit 210. In addition, the shower screen 800 can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coffee powder before the water is pressurized into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 For example, the shower screen 800 may include an ir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silicon ring provided on an edge of the iron plat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1)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the coffee extra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커피가루가 가루수용부(100)에 수용되도록 가루수용부(100)와 호퍼(700)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쿱(400)을 통해 커피가루를 가루수용부(100)로 투입할 수 있다. 가루수용부(100)에 커피가루가 수용되면, 호퍼(700)가 분리되고, 커피수용부(500)와 챔버(200)가 연결하되, 커피수용부(500)와 물수용부(210) 사이에 샤워스크린(800)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챔버(200)에 물을 투입하고, 로드(330)가 챔버(200)에 삽입되도록 피스톤(300)을 챔버(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후, 가압장치(600)가 피스톤(300)에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프레스될 수 있다. 가압장치(600)가 프레스되면 피스톤(30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물이 샤워스크린(800)을 통과하여 커피가루를 향해 가압되고 커피가 추출되어 커피수용부(500)에 수용될 수 있다.First,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and the hopper 700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The user may inject coffee powder into the powder receiving unit 100 through the scoop 400 . When the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100, the hopper 700 is separated, and the coffee accommodating part 500 and the chamber 200 are connected, but between the coffee accommodating part 500 and the water accommodating part 210. The shower screen 800 may be positioned in In addition, the piston 300 may be connected to the chamber 200 so that water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200 and the rod 33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200 . Then, the pressure device 600 may be coupled to the piston 300 and pressed by the user. When the pressure device 600 is pressed, the piston 300 moves downward so that water passes through the shower screen 800 and is pressurized toward the coffee powder, and the coffee is extracted and accommodated in the coffee container 500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ffee extra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가루수용부(100), 챔버(200), 피스톤(300), 커피수용부(500) 및 가압장치(600)는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커피추출기(1)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Since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100, the chamber 200, the piston 300, the coffee accommodating unit 500, and the pressurizing device 60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coffee extractor 1. .

또한, 가압장치(600)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복수 개의 지지대(320)의 일 방향으로의 양단부 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가압장치(600)의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는 복수의 지지대(320)의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가압장치(600)를 통해 피스톤(300)을 쉽게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ressing device 600 in one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betwee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320 in one direc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pressing device 6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plurality of supports 320 Since it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piston 300 downward through the pressure device 600 .

또한, 가압장치(600)에는 지지대안착부(62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압장치(600)를 하방으로 프레스할 때, 가압장치(600)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ounting portion 620 may be formed in the pressing device 600,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device 600 downward, the pressing device 600 may be prevented from shaking.

또한, 가압장치(600)에는 하부안착부(63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가압장치(600)를 하방으로 프레스할 때, 동일한 압력으로 복수의 지지대(320)와 챔버수용부(310)의 하부수용부(312)를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될 수 있으므로, 피스톤(300)과 챔버(200)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압장치(600)에 의해 사용자는 일정한 힘으로 물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seating portion 630 may be formed in the pressing device 600,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device 600 downward, the plurality of supports 320 and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310 with the same pressure Since the lower receiving portion 312 of the can be pressurized at the same time with a constant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ston 300 and the chamber 200 from shaking.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pressurize the water with a certain force by the pressure device 600, the user can extract coffee with a desired tast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indicat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is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커피추출기 100: 가루수용부
200: 챔버 210: 물수용부
220: 하부연결부 300: 피스톤
310: 챔버수용부 311: 상부수용부
312: 하부수용부 320: 지지대
330: 로드 400: 스쿱
500: 커피수용부 600: 가압장치
610: 개구 620: 지지대안착부
630: 하부안착부 700: 호퍼
800: 샤워스크린
1: coffee extractor 100: powder receiving unit
200: chamber 210: water receiving unit
220: lower connection part 300: piston
310: chamber accommodating part 311: upper accommodating part
312: lower receiving part 320: support
330: rod 400: scoop
500: coffee receiving unit 600: pressurizing device
610: opening 620: support seat
630: lower seating part 700: hopper
800: shower screen

Claims (10)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가루를 수용하는 가루수용부;
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가루수용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물이 상기 커피가루로 가압되어 상기 커피가 추출되도록, 상기 챔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피스톤;
상기 가루수용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추출되는 상기 커피를 수용하는 커피수용부; 및
상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챔버수용부;
상기 챔버수용부의 외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압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챔버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챔버에 삽입되어 상기 물을 가압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커피추출기.
Powd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coffee powder for extracting coffee;
a chamber detach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to accommodate water;
a pist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movable up and down in the chamber so that the water is pressurized with the coffee powder to extract the coffee;
A coffee accommodating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to accommodate the extracted coffee; and
And a pressure device selectively coupled to the piston so that the piston moves downward,
the piston,
a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mber when moved downward;
a support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pressurizing device so that the piston is moved downward by the pressurizing device; and
A rod provided inside the chamber accommoda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chamber to pressurize the water;
The length of the pressing device in the one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in the one direction,
coffee extra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수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수용부; 및
상기 상부수용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직경이 상기 상부수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하부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하부수용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장치에는, 상기 상부수용부가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커피추출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hamber receiving portion,
an upper receiving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and includes a lower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The support extends in the one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In the pressurizing devic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upp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s formed.
coffee extrac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에는,
상기 지지대가 안착되도록 하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입인된 지지대안착부; 및
상기 하부수용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대안착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하부안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하부안착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커피추출기.
According to claim 2,
In the pressure device,
a support seating portion inserte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support is seated; and
A lower seating portion drawn inward from the support seating portion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lower receiving portion is seated,
The opening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coffee extrac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부의 상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부수용부로 향할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안착부는 상기 하부수용부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를 향할수록 상기 가압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곡면을 포함하는,
커피추출기.
According to claim 3,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the lower seating portion includes a curv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pressing device toward the opening,
coffee extra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양단부 간의 길이는,
상기 챔버수용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장치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커피추출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is formed in a plurality and extends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ength betwee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hamber receiv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ressurizing device in the one direction,
coffee extra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피스톤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커피추출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pressurizing device in one direc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offee extra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압장치의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는 상기 지지대의 상하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커피추출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ressure device is coupled to the pisto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ffee extractor.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커피추출기에 포함된 피스톤을 하강시키기 위한 가압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피스톤에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입인된 지지대안착부; 및
상기 지지대안착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하부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안착부의 중심에는 상기 피스톤이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가압장치.
In the pressurizing device for lowering the piston included in the coffee extractor to extract coffee,
main body;
a support seating portion inserte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iston; and
Including a lower seating portion retracte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support seating portion,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piston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eating portion.
pressurization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일 방향의 수직한 타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피스톤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압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n one direc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othe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The length in on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ston,
pressurization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안착부는 상기 개구를 향할수록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곡면을 포함하는,
가압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lower seating part includes a curved surface inclined inward toward the opening,
pressurization device.
KR1020210185875A 2021-07-26 2021-12-23 Pressing device and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 KR2023001655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7862 2021-07-26
KR1020210097862 2021-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58A true KR20230016558A (en) 2023-02-02

Family

ID=8522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875A KR20230016558A (en) 2021-07-26 2021-12-23 Pressing device and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5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5979B (en) Tea-maker having a closable pouring spout
US11612269B2 (en) System for mix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CN100531633C (en) A brewing receptacle and a foam unit and a beverage maker comprising such a brewing receptacle
EP1845826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US8028616B2 (en) Beverage maker with adjustable brew chamber
US20130213240A1 (en) Portable brewing device
US20140072684A1 (en) French press beverage maker
NO322870B1 (en) Device for extracting a substance by preparing a beverage from an insert
CA2236733A1 (en) Device for making up a drink
EP1845827B8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IL135950A0 (en) Device for feeding precompressed single-serving pods in machines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beverages
CA2581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delivering a beverage with the use of a raw matter contained in a cartridge
US20090199721A1 (en) Single cup coffee brewer
CA2251884C (en) Microwavable beverage maker
CN105848535A (en) Beverage machine
KR20230016558A (en) Pressing device and coffee extractor including the same
DE60004402D1 (en) GROUP FOR PREPARING INFUSION DRINKS AND MACHINE WITH SUCH A GROUP
US20150122132A1 (en) Brew chamber packet ejector
US20210330114A1 (en) Portable coffee drip-brewer
ITTO20090646A1 (en) SYSTEM, CAPSULE, ROUT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FOR INFUSION WITH A CONCENTRATION THA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PT2187789E (en) System comprising a brewing machine and a portion pack holder
CN211212654U (en) Material cup and beverage brewing machine
RU2008145114A (en) DISPOSABLE COFFEE FOR PREPARING A COFFEE
KR20210059510A (en)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CN110234256A (en) Soaking device and method for soaking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