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555A -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555A
KR20230016555A KR1020210162052A KR20210162052A KR20230016555A KR 20230016555 A KR20230016555 A KR 20230016555A KR 1020210162052 A KR1020210162052 A KR 1020210162052A KR 20210162052 A KR20210162052 A KR 20210162052A KR 20230016555 A KR20230016555 A KR 20230016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ness
control unit
central control
han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콩쑤 양
씽 장
자이씽 리
바오준 왕
셩홍 카이
웨이셩 허
구안팅 리우
구오타이 헤
울린 첸
메이미아오 펭
Original Assignee
쉔젠 동추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쉔젠 동추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쉔젠 동추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1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A63B2022/065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for cycling with a group of people, e.g. spinning c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Visualisation of specific exercise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를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은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중앙 제어 유닛;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캐릭터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도록 제어하고, 가상 캐릭터가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중앙 제어 유닛으로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피드백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포함하고; 중앙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에서 영향에 매칭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데 추가로 사용되고; 본 출원의 중앙 제어 유닛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보냄으로써, 사용자에게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몰입하는 재미를 제공하고,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의 실감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FITNESS CONTROL SYSTEM AND SPINNING BICYCLE}
본 출원은 피트니스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및 생활 수준의 지속적으로 향상에 따라,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점차 높아지고, 더욱 많은 사람들이 피트니스를 좋아하고 있다.
많은 피트니스 프로그램 중, 스피닝 바이크는 가장 인기 있는 피트니스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스피닝 바이크는 운동량이 큰 피트니스 프로그램으로서,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고, 체중 감량, 다리 근력 강화 및 신체 소질을 전면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닝 바이크는 구조가 단일하여, 즐거운 피트니스 및 몰입형 피트니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은 중앙 제어 유닛으로 피트니스 기기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감지하고, 단말 기기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제어하며,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중앙 제어 유닛에 피드백하고, 중앙 제어 유닛에서 대응되는 피드백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피트니스 즐거움과 실감을 향상시키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양태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피트니스 기기에 적용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중앙 제어 유닛 및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단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표시하고,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가상 캐릭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상기 도로 상황 정보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으로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피드백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도로 상황 정보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영향을 기반으로 확정되는 것이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서 상기 영향에 매칭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데 추가로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진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유닛은 상기 핸들 위치에 장착되되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구체적으로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유닛이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 위치에서 상기 영향에 매칭되는 진동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도로 상황 정보가 서로 다른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 제어 정보는 서로 다르고;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도로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따라 확정되며; 상기 울퉁불퉁한 정도는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도로의 울퉁불퉁한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제어 신호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에 대응되며, 상기 울퉁불퉁한 정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과 양의 상관 관계를 이룬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제1 각도 측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각도 측정 유닛은 상기 휠에 설치되되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각도 측정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얻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제2 각도 측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각도 측정 유닛은 상기 핸들 위치에 장착되되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각도 측정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얻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속도 조절 유닛 및 사용자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조작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휠 속도 조절 조작에 응답하여 휠 속도 조절 조작에 대응되는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속도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속도 조절 신호를 상기 속도 조절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수신한 속도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 유닛은 쉬프트 업-다운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업-다운 제어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쉬프트 업-다운 조작에 응답하여, 쉬프트 업-다운 조절 조작에 대응되는 쉬프트 업-다운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속도 업-다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속도 업-다운 신호를 상기 속도 조절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수신한 속도 업-다운 신호에 따라, 상기 쉬프트 업-다운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기어 위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 유닛은 브레이크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브레이크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브레이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를 상기 속도 조절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수신한 브레이크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자기 제어 유닛 및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휠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 제어 유닛은 중앙 제어 유닛 및 전자석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구체적으로 수신한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펄스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펄스 조절 신호를 상기 자기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자기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펄스 조절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펄스 조절 신호에 대응되는 조절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조절 전류를 상기 전자석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자석은 수신한 조절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 전류에 대응되는 자기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기력으로 휠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제2 양태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바이크 본체 및 전술한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이 상기 바이크 본체에 장착되는 스피닝 바이크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바이크 본체는 프레임, 핸들 및 휠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유닛은 핸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각도 측정 유닛은 휠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각도 측정 유닛은 핸들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조작 유닛은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휠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기술방안에서, 상기 바이크 본체는 프레임, 핸들 및 휠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핸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 기기는 핸들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 유닛은 핸들의 그립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각도 측정 유닛은 휠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각도 측정 유닛은 핸들와 프레임 연결 위치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 제어 유닛은 핸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은 휠의 외주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이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중앙 제어 유닛 및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단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표시하며,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가상 캐릭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상기 도로 상황 정보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으로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피드백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도로 상황 정보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영향을 기반으로 확정되는 것이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서 상기 영향에 매칭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데 추가로 사용되며;
본 출원에 따른 중앙 제어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파라미터 변경 정보를 단말 기기에 전송하며, 단말 기기는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며, 중앙 제어 유닛에 감지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전송하고, 중앙 제어 유닛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보냄으로써, 사용자에게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몰입하는 재미를 제공하고,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의 실감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고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속도 조절 유닛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피닝 바이크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본 출원의 출원에 따른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설명되는 실시예는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 통상적으로 첨부 도면에서 설명하고 도시되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는 각종 서로 다른 배치 방식으로 배열되고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 도면에서 제공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청구하고자 하는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단지 본 출원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조적 노동을 들이지 않는 전제 하에 본 기술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기존의 스피닝 바이크는 기능이 단일하고, 특히 핸들이 단조로워, 사용자가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몰입하기 어렵고, 사용 시 사용자가 따분함, 지루함을 느끼기 쉽다.
이에 대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를 제공하고, 이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서로 충돌되지 않는 한, 하기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피트니스 기기에 적용된다. 사용자는 체력 증진의 목적을 위해,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고 단련한다. 본 출원의 피트니스 기기는 핸들 및 휠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피트니스 기기 사용 시, 핸들을 잡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고,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중앙 제어 유닛(100) 및 중앙 제어 유닛(100)에 연결되는 단말 기기(110)를 포함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110)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스크린을 통해 그래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래팩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가 표시되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가상 캐릭터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110)는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상기 그래팩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중앙 제어 유닛(100)은 사용자가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단말 기기(110)에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단말 기기(110)는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기반으로,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고; 가상 캐릭터가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도로 상황 정보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중앙 제어 유닛(100)으로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피드백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제어 신호는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도로 상황 정보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영향에 따라 확정된다.
중앙 제어 유닛(100)은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에서 영향에 매칭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데 추가로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 사용 시, 단말 기기(110)는 초기에 하나의 디폴트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표시하게 되고,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가상 캐릭터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단말 기기(110)를 통해 하나의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고, 이때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캐릭터는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피트니스 기기의 구성은 사용자의 피트니스 동작에 따라 운동하고, 다시 말해서 피트니스 기기의 파라미터가 변경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운동 시, 피트니스 기기의 휠은 사용자의 피트니스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고; 휠의 초기 각도를 0°로 가정할 경우, 사용자 운동 시, 휠은 순시침 방향으로 10° 회전하면, 피트니스 기기의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는 +10°이다. 중앙 제어 유닛(100)이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감지된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단말 기기(110)에 전송하여, 단말 기기(110)에 가상 캐릭터의 이동을 업데이트하도록 데이터 지원을 제공한다.
단말 기기(110)는 중앙 제어 유닛(100)에서 제공하는 피트니스 기기의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기반으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가상 캐릭터가 피트니스 기기의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에 대응되는 변경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다시 말해서, 단말 기기(110)는 중앙 제어 유닛(100)과 통신하여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사용자의 가상 캐릭터와 실제 사용자의 피트니스 동작을 동기화한다.
단말 기기(110)가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이동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도록 가상 캐릭터를 제어할 때,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도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단말 기기(110)는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도로 상황 정보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단말 기기(110)는 감지된 도로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중앙 제어 유닛(100)으로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피드백한다. 중앙 제어 유닛(100)은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를 제어하여 대응되는 피드백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가 울퉁불퉁한 자갈길일 경우, 단말 기기(110)는 감지된 자갈길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따라, 울퉁불퉁한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클 경우, 단말 기기(110)는 중앙 제어 유닛(100)에 자운스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이 진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출원은 단말 기기(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하나의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제공하여, 운동 시 사용자의 흥취를 향상시키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단말 기기(110)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 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자신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몰입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핸들 위치에 장착되며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 유닛(120)을 더 포함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구체적으로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 위치에서 영향에 매칭되는 진동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진동 유닛(120)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도로 상황 정보가 서로 다른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 제어 신호는 서로 다르고; 설정 조건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도로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따라 확정되며; 울퉁불퉁한 정도는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도로의 울퉁불퉁한 정도를 나타내고;
제어 신호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에 대응되며, 울퉁불퉁한 정도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과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진동 유닛(120)을 포함하고, 진동 유닛(120)은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도로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따라 울퉁불퉁한 정도에 대응되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을 생성하고, 다시 말해서 울퉁불퉁한 정도가 높을수록, 중앙 제어 유닛(100)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이 더 크고, 진동 유닛(120)은 대응되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에 하나의 자갈이 있고, 가상 캐릭터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해당 자갈을 지나갈 경우, 한차례의 자운스가 발생한다. 단말 기기(110)는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감지된 자갈의 정보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상기 자갈의 정보에 대응되는 진동 주파수 및 폭의 제어 신호를 피드백하며, 진동 유닛(120)은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진동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볼 수 있을뿐만 아니라,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을 실제로 경험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을 포함하고;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은 휠에 설치되되,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은 사용자가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수신한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얻고,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단말 기기(110)에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 따른 중앙 제어 유닛(100)에 관련하여,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구체적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을 통해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은 감지된 복수의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수신한 복수의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얻는다.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은 제1 휠의 회전 파라미터 및 제2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제1 휠의 회전 파라미터 및 제2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제1 휠의 회전 파라미터 및 제2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을 통해 휠이 순시침 방향으로 5°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1 휠의 회전 파라미터는 +5°이고;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을 통해 휠이 순시침 방향으로 3°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2 휠의 회전 파라미터는 +3°이며; 이때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는 +8°이다.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을 통해 휠이 순시침 방향으로 5°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1 휠의 회전 파라미터는 +5°이고;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을 통해 휠이 역시침 방향으로 3°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2 휠의 회전 파라미터는 -3°이며; 이때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는 +2°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을 포함하고;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은 핸들 위치에 장착되며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은 사용자가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수신한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얻고,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단말 기기(110)에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은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본 출원에서 중앙 제어 유닛(100)에 관련하여,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을 핸들 위치에 장착하고,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감지한다.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은 감지된 복수의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수신한 복수의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얻는다.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을 통해 제1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 및 제2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제1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 및 제2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제1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 및 제2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을 통해 핸들이 오른쪽으로 2°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1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는 +2°이고;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을 통해 다시 핸들이 오른으로 1°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2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는 +1°이며; 이때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는 +3°이다.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을 통해 핸들이 오른쪽으로 2°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1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는 +2°이고;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을 통해 다시 핸들이 왼쪽으로 1°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2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는 -1°이며; 이때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는 +1°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각각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속도 조절 유닛(160) 및 사용자 조작 유닛(150)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조작 유닛(150)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휠 속도 조절 조작에 응답하여, 휠 속도 조절 조작에 대응되는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조작 신호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수신한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속도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속도 조절 신호를 속도 조절 유닛(16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속도 조절 유닛(160)은 수신한 속도 조절 신호를 기반으로,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휠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조작 유닛(150)은 쉬프트 업-다운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쉬프트 업-다운 제어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쉬프트 업-다운 조작에 응답하여, 쉬프트 업-다운 조절 조작에 대응되는 쉬프트 업-다운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수신한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속도 업-다운 신호를 생성하고, 속도 업-다운 신호를 속도 조절 유닛(16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속도 조절 유닛(160)은 수신한 속도 업-다운 신호를 기반으로 쉬프트 업-다운 조절 파라미터에 의해 피트니스 기기의 기어 위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조작 유닛(150)은 브레이크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브레이크 제어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수신한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브레이크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브레이크 신호를 생성하고, 브레이크 신호를 속도 조절 유닛(16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속도 조절 유닛(160)은 수신한 브레이크 신호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조작 유닛(150)을 포함하고, 사용자 조작 유닛(150)은 핸들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편이하다. 사용자는 운동 과정에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 조작 유닛(150)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기어 위치를 선택하거나 브레이크 조작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유닛(150)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휠 속도 조절 조작에 응답하고, 사용자의 속도 조절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생성하며, 조작 신호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속도 조절 신호를 생성하며; 속도 조절 유닛은 속도 조절 신호를 기반으로 휠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단 기어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3단에서 휠이 받는 자기력은 4N이고, 4단에서 휠이 받는 자기력은 3N이다. 사용자는 제어 버튼으로 “1단 추가” 조작을 입력하고; 제어 버튼은 중앙 제어 유닛(100)에 1단 추가 조작 신호를 발송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이 수신한 1단 추가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응력을 3N으로 낮추는 속도 조절 신호로 생성하고, 응력을 3N으로 낮추는 생성된 속도 조절 신호를 속도 조절 유닛(160)에 전송하며, 속도 조절 유닛(160)은 휠의 회전 속도를 3N으로 조절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조절 유닛(160)은 자기 제어 유닛(161) 및 전자석(162)을 포함하고; 전자석(162)은 휠 위치에 설치되며; 자기 제어 유닛(161)은 각각 중앙 제어 유닛(100) 및 전자석(1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구체적으로 수신한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펄스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펄스 조절 신호를 자기 제어 유닛(161)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자기 제어 유닛(161)은 수신한 펄스 조절 신호를 기반으로 펄스 조절 신호에 대응되는 조절 전류를 생성하고, 조절 전류를 전자석(162)에 전송하고;
전자석(162)은 수신한 조절 전류를 기반으로 조절 전류에 대응되는 자기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기력으로 휠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본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의 속도 조절 유닛(160)은 구체적으로 자기 제어 유닛(161) 및 전자석(162)이다. 중앙 제어 유닛(100)은 펄스 조절 신호를 통해 자기 제어 유닛(161)을 제어하고, 자기 제어 유닛(161)은 펄스 조절 신호에 대응되는 조절 전류를 생성하며, 자기 제어 유닛(161)은 전류 조절을 통해 전자석(162)을 제어하여, 전자석(162)으로부터 조절 전류에 대응되는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휠의 회전 속도는 자기력에 관계되고, 자기력이 클수록 휠의 회전 속도가 더 늦고; 자기력이 작을수록 휠의 회전 속도는 더 빠르다. 사용자가 브레이크 조작을 진행할 경우, 전자석(162)이 휠을 흡인하여 휠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스피닝 바이크는 바이크 본체 및 상술한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바이크 본체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크 본체는 프레임(210), 핸들(220) 및 휠(230)을 포함하고; 진동 유닛(120)이 핸들(220)에 설치되며;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은 휠(230)에 설치되고,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은 핸들(220)에 설치되며, 사용자 조작 유닛(150)은 핸들(220)에 설치되고, 속도 조절 유닛(160)은 휠(23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 유닛(100)은 핸들(220) 내부에 설치되고, 단말 기기(110)는 핸들(220)의 전방에 설치되며, 진동 유닛(120)은 핸들(220)의 그립 위치에 설치되고; 제1 각도 측정 유닛(130)은 휠(230) 중심 위치에 설치되며, 제2 각도 측정 유닛(140)은 핸들(220)과 프레임(210) 연결 위치의 저부에 설치되고, 자기 제어 유닛(161)은 핸들(220) 내부에 설치되며, 전자석(162)은 휠(230)의 외주에 설치된다.
본 스피닝 바이크에 있어서, 프레임(210)은 핸들(220)에 활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시 말해서 핸들(220)은 좌우로 회전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110)는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다. 프레임(210)에는 시트, 페달 등 스피닝 바이크에 필요한 여러 부품들이 설치된다.
사용자가 상기 스피닝 바이크 사용 시, 태블릿 컴퓨터를 켜면, 태블릿 컴퓨터에 하나의 디폴트 피트니스 시나리오가 표시되고,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상기 스피닝 바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가상 캐릭터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태블릿 컴퓨터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해당 스피닝 바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캐릭터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스피닝 바이크를 사용할 때, 가상 캐릭터는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도 대응되게 이동하고; 아울러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울퉁불퉁한 도로가 나타날 경우, 중앙 제어 유닛(100)은 진동 유닛(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와 동일한 자운스를 체험하게 하며; 사용자가 본 스피닝 바이크를 사용하여 커브를 돌고, 변속하거나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가상 캐릭터도 대응되는 조작을 진행하여; 사용자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몰입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모든 스피닝 바이크는 케이던스(즉 휠(230)의 회전)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가 한바퀴(즉 휠(230)이 360° 회전)을 밟아야만 중앙 제어 유닛(100)이 사용자의 페달링 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실제 동작을 반영하지 못한다.
상기 스피닝 바이크는 리드 파이프, 영구 자석 및 제1 각도 센서의 방식을 적용하여, 감지 경로를 증가한다. 휠 회전 시, 제1 각도 센서는 각도 변경 데이터를 생성하고, S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여, 케이던스 감지를 완성한다.
사용자가 바이크를 탈 경우, 사용자가 페달을 밟음과 동시에 제1 각도 센서는 휠(23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휠(230)의 회전 각도 정보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휠(230)의 회전 각도 정보를 기반으로 휠(230)의 회전 각도 변경 정보를 산출하여 얻고, 블루투스를 통해 태블릿 컴퓨터에 전송하며, 태블릿 컴퓨터를 통해 휠(230)의 회전 각도 변경 정보를 수신한 후, 그에 따라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가 변화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실제 페달링 속도를 태블릿 컴퓨터의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가상 캐릭터에 동기화하여. 사용자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몰입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실체 체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스피닝 바이크에 가동 핸들(220)을 설치하여 취미를 향상시킨다.
핸들(220) 내측에 제2 각도 센서가 설치되고, SPI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들(220)의 회전 정보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한다. 핸들(220)이 회전 시, 제2 각도 센서는 회전 정보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핸들(220)의 회전 정보를 기반으로 핸들(220)의 회전 변경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가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커브를 돌아야 할 경우, 핸들(220)을 제어하여 커브를 돌 수 있고, 핸들(220)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 핸들(220) 내부의 제2 각도 센서는 핸들(220)의 회전 각도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핸들(220)의 회전 각도 데이터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한다. 중앙 제어 유닛(100)은 핸들(220)의 회전 각도 데이터를 수신한 후, 블루투스를 통해 좌회전 또는 우회전에 필요한 데이터를 태블릿 컴퓨터에 전송하고, 태블릿 컴퓨터는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차량과 가상 캐릭터가 커브를 돌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차량과 가상 캐릭터가 커브를 도는 것은 직접적으로 좌회전하거나 우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핸들(220)의 회전 변경 각도에 따라 대응되는 폭만큼 회전한다.
중앙 제어 유닛(100)은 I2C 버스를 통해 자기 제어 유닛(161)의 전류 정보를 수집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은 자기 제어 유닛(161)의 전류 변화를 수집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변조된 PWM 입력을 통해 자기 제어 유닛(161)에 대해 전류 제어를 진행한다.
사용자가 주행 과정에서 브레이크를 밟아야 할 경우, 브레이크 버튼을 누르고, 브레이크 제어 유닛/이 브레이크 신호를 수신한 후 485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100)에 전송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브레이크 정보를 수신한 후, 변조된 PWM을 자기 제어 유닛(161)으로 출력하여, 자기 제어 유닛(161)의 자기력을 증가시켜, 스피닝 바이크의 휠(230)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태블릿 컴퓨터에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가상 캐릭터도 상응하게 정지한다.
본 스피닝 바이크는 핸들(220)의 쉬프트 업-다운 스위치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100)에 쉬프트 업-다운 신호를 전송하고, 쉬프트 업-다운 신호는 중앙 제어 유닛(100)을 거쳐 처리되며, 중앙 제어 유닛(100)은 처리를 거친 쉬프트 업-다운 정보를 자기 제어 유닛(161)에 전송하고, 자기 제어 유닛(161)은 전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통해 고단 기어와 저단 기어 사이의 변경을 실현하며, 기어 위치 변화를 태블릿 컴퓨터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평탄한 도로에서 오르막 구간으로 주행 시, 평탄한 도로에서 기어는 4단이고, 여전히 4단으로 오르막에서 주행할 겨우 더 많은 페달력을 사용하게 되지만, 기어를 낮추면 주행이 더 쉬워질 수 있기에, 이로써 사용자가 실제 주행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스피닝 바이크에서, 핸들(220)에 핸들(220)의 좌우 진동 기능을 증가하여, 태블릿 컴퓨터에서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가상 캐릭터가 울퉁불퉁한 도로에서 주행할 경우, 울퉁불퉁한 도로 정보를 중앙 제어 유닛(100)에 백홀하고, 중앙 제어 유닛(100)에서 울퉁불퉁한 도로 정보를 수신한 후, 진동 신호를 모터 구동 파트에 전송하며, 모터 구동 파트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핸들(220)의 좌우 진동 모터를 구동하여 진동을 실현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다른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시스템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하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 기능의 구분일 뿐,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또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되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여지거나 논의되는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고, 시스템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연결, 기계적 연결 또는 다른 형태의 연결일 수 있다.
별도의 부재로 설명되는 상기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되는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지점에 있을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두 개 및 그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단독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이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 복수의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매체는U 디스크, 모바일 하드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매체를 포함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이하의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 및 문자는 유사한 항목을 가르키기에 일 첨부 도면에서 하나의 항목이 정의되면 이후의 첨부 도면에서 이에 대해 추가로 정의 및 해석할 필요가 없고, 그 외,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단지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마지막으로 유의해야 할 점은, 이상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하고,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써,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여전히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거나, 일부 기술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변화 또는 대체를 진행하더라도 상응한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100 : 중앙 제어 유닛 110 : 단말 기기
120 : 진동 유닛 130 : 제1 각도 측정 유닛
140 : 제2 각도 측정 유닛 150 : 사용자 조작 유닛
160 : 속도 조절 유닛

Claims (12)

  1.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피트니스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중앙 제어 유닛 및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단말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를 표시하고,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가상 캐릭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각 파라미터의 변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의 도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상기 도로 상황 정보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으로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피드백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도로 상황 정보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영향을 기반으로 확정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상기 설정 조건에 매칭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에서 상기 영향에 매칭되는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데 추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핸들 위치에 장착되되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구체적으로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유닛이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 위치에서 상기 영향에 매칭되는 진동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상황 정보가 서로 다른 설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대응되는 피드백 제어 정보는 서로 다르고; 상기 설정 조건은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도로의 울퉁불퉁한 정도에 따라 확정되며; 상기 울퉁불퉁한 정도는 상기 목표 피트니스 시나리오 중 도로의 울퉁불퉁한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제어 신호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에 대응되며, 상기 울퉁불퉁한 정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폭과 양의 상관 관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휠에 설치되되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각도 측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각도 측정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휠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얻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핸들 위치에 장착되되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각도 측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각도 측정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핸들의 회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얻고,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핸들의 회전 변경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기기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속도 조절 유닛 및 사용자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조작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휠 속도 조절 조작에 응답하여, 휠 속도 조절 조작에 대응되는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속도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속도 조절 신호를 상기 속도 조절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수신한 속도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휠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유닛은 쉬프트 업-다운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업-다운 제어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쉬프트 업-다운 조작에 응답하여, 쉬프트 업-다운 조절 조작에 대응되는 쉬프트 업-다운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쉬프트 업-다운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속도 업-다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속도 업-다운 신호를 상기 속도 조절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수신한 속도 업-다운 신호에 따라, 상기 쉬프트 업-다운 조절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기어 위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유닛은 브레이크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유닛은 피트니스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확정하고,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브레이크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브레이크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브레이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브레이크 신호를 상기 속도 조절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수신한 브레이크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트니스 기기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휠 위치에 설치되는 전자석, 및 각각 중앙 제어 유닛과 전자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기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구체적으로 수신한 상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펄스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펄스 조절 신호를 상기 자기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자기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펄스 조절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펄스 조절 신호에 대응되는 조절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조절 전류를 상기 전자석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자석은 수신한 조절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 전류에 대응되는 자기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기력으로 휠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10. 바이크 본체 및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바이크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바이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크 본체는 프레임, 핸들 및 휠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유닛은 핸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각도 측정 유닛은 휠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각도 측정 유닛은 핸들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조작 유닛은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속도 조절 유닛은 휠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바이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크 본체는 프레임, 핸들 및 휠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핸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 기기는 핸들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 유닛은 핸들의 그립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각도 측정 유닛은 휠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각도 측정 유닛은 핸들과 프레임 연결 위치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기 제어 유닛은 핸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은 휠의 외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바이크.
KR1020210162052A 2021-07-26 2021-11-23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 KR202300165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844233.X 2021-07-26
CN202110844233.XA CN113413572A (zh) 2021-07-26 2021-07-26 一种健身控制系统及动感单车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55A true KR20230016555A (ko) 2023-02-02

Family

ID=7771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052A KR20230016555A (ko) 2021-07-26 2021-11-23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21738A1 (ko)
KR (1) KR20230016555A (ko)
CN (1) CN1134135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4494B (zh) * 2021-09-01 2022-08-30 深圳动趣科技有限公司 健身单车磁阻力控制方法、装置及健身单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9202T2 (de) * 1996-07-02 2005-05-04 Graber Products, Inc., Madison Elektronisches übungssystem
GB0006672D0 (en) * 2000-03-21 2000-05-10 Rice Michael J P Improvements relating to controllers
US20070281828A1 (en) * 2000-03-21 2007-12-06 Rice Michael J P Games controllers
WO2004067102A2 (en) * 2003-01-24 2004-08-12 Yang Hao H Exercise machines with entertainment themes
US20070123390A1 (en) * 2005-11-29 2007-05-31 Mathis Christopher E Exercise equipment with interactive gaming component
US20210291012A1 (en) * 2012-08-31 2021-09-23 Blue Goji Llc Exercise machine platform for emulation of realistic movement
US20200376339A1 (en) * 2019-05-28 2020-12-03 Defond Electrical Industries Limited Immersive virtual reality exercis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1738A1 (en) 2023-01-26
CN113413572A (zh) 202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251B2 (en) Load variance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machine
US8717254B1 (en) Portable motion sensor and video glasses system for displaying a real time video display to a user while exercising
US105763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icycle trainer
KR101094858B1 (ko) 실시간 가상 현실 스포츠 플랫폼 장치
US7220219B2 (en) Bicycle treadmill having automatic speed and resistance adjustments
KR101666811B1 (ko) 실제 운행환경을 구현하는 자전거 운행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방법
US201401712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icycle trainer
US20100035726A1 (en) Cardio-fitness station with virtual-reality capability
KR102142062B1 (ko) Vr 콘텐츠 연동 홈 트레이닝 장치
KR100786650B1 (ko) 게임 기능을 구비한 헬스 싸이클
KR20230016555A (ko) 피트니스 제어 시스템 및 스피닝 바이크
KR101246826B1 (ko) 역주행 및 부하 제공이 가능한 자전거 시뮬레이션시스템
KR20150113230A (ko) 자전거 거치대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2461484B1 (ko) 메타버스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60292534A1 (en) Stationary virtual cycl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0136864A (ja) 運動支援装置
AU2021106897A4 (en) Fitness Control System and Spinning Bicycle
TW201323034A (zh) 具路況模擬功能之室內健身車訓練器
TWM510779U (zh) 一種具有模擬實境運動的雲端健身車
FR2852526A1 (fr) Machine de simulation sportive utilisant un equipement de sport existant.
KR20130044257A (ko) 단합된 운동 동작에 기초한 다참여자 운동 게임 시스템
CN108992847B (zh) 一种动感单车辅助系统及其工作方法和动感单车
JPH0623067A (ja) 運動量表示装置
KR20110057758A (ko) 단합된 운동 동작에 기초한 다참여자 운동 게임 시스템
US20230035175A1 (en) Indoor cycle linked with gam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