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372A -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372A
KR20230014372A KR1020210095628A KR20210095628A KR20230014372A KR 20230014372 A KR20230014372 A KR 20230014372A KR 1020210095628 A KR1020210095628 A KR 1020210095628A KR 20210095628 A KR20210095628 A KR 20210095628A KR 20230014372 A KR20230014372 A KR 2023001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cility management
circuit
management system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102021009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372A/en
Publication of KR2023001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3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05B19/4187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by tool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facility device and a facility management device. The facility device provides status data information.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manages and analyzes the status data information to generate detection data information.

Description

설비 관리 시스템 및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설비 관리 시스템 및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 전원을 인가 받아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및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년도 경기도 기술개발 사업'(과제번호 : Y2020006)의 지원으로 진행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performs a preset operation upon receiving supply power. This invention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20 Year Gyeonggi-do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ask number: Y2020006).

일반적으로 제품 생산을 위한 설비 장치를 갖춘 공장은 자동화된 생산 라인을 갖추고 있다. 요즈음 이러한 자동화된 공장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각각의 생산 라인에 적용하여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smart factory system)으로 진화하고 있다. In general, factories equipped with equipment for producing products have automated production lines. These days, these automated factories are evolving into smart factory systems by applying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o each production line.

여기서, 사물 인터넷, 즉 IoT는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 값을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의미한다. 이러한 IoT 기술은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기술,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및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에서 IoT 기술은 각 생산 라인에 사용되는 설비 장치에 대한 상태 데이터 정보 등을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태 데이터 정보는 설비 장치에 부착된 센서에서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 값을 비롯하여 설비 장치에서 생성되는 여러 데이터 값을 포함한다. 그리고 IoT 기술을 통해 수집된 상태 데이터 정보는 해당하는 설비 장치에 대한 제품 생산성 및 동작 효율성 등을 향상을 위한 데이터 값을 검출하는데 이용된다.Here, the Internet of Things (IoT) refers to a technology or environment in which sensors are attached to objects to exchange data values in real time. Such IoT technology includes sensing technology,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network infrastructure technology, and IoT service interface technology. In the smart factory system, IoT technology is used to collect status data information about equipment used in each production line. Here,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cludes a sensing data value provided from a sensor attached to the equipment and various data values generated from the equipment. In addition, the state data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oT technology is used to detect data values for improving product productiv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이하, 설비 장치에 대한 제품 생산성 및 동작 효율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값인 검출 데이터 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해당 설비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를 '설비 관리 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vice that detects detection data information, which is a data value for improving product productiv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a facility device, and manages the facility device through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 'facility management device'.

설비 관리 장치는 관리 대상 설비 장치로부터 상태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 대상 장치에 대한 유의미한 검출 데이터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검출된 검출 데이터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로 전송된다. 설비 관리 장치와 클라우드 서버 장치의 데이터 교환에 대한 연구 개발은 현재도 진행 중인 상태이다.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collects state data information from the facility device to be managed and detects meaningful detection data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to be managed. And the detection data information thus detected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devic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data exchange between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and the cloud server device is still in progress.

한편, 현재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은 산업 사물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내에 포함되는 설비 관리 장치의 개수는 수백 개에서 수천 개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 장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대한 트래픽을 감당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Meanwhile, the current smart factory system is developing into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technology. And the number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included in the smart factory system is increasing from hundreds to thousands. Therefore, the cloud server device is placed in a situation where it has to deal with traffic for a huge amount of data.

다른 한편,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 각각은 외부로부터 공급 전원을 인가 받아 관리 대상 설비 장치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공급 전원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는 경우 설비 관리 장치는 다양한 동작 오류를 야기한다. 따라서,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 각각은 공급 전원을 원활히 제공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receives supply power from the outside and performs a management operation on the facility to be managed. At this time, when supply power is not smoothly supplied,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causes various operational errors.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smoothly receive supply pow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공급 전원이 원활히 제공되지 않더라도 내부적으로 안정적인 내부 공급 전원을 확보할 수 있는 설비 관리 시스템 및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nternally securing internally stable power supply even when external power supply is not smoothly provided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신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설비 장치; 및 상기 상태 데이터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여 검출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내부 공급 전원을 활성화하는 설비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quipment device providing state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 operating state; and a facility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and analyzes the state data information to generate detection data information, and activates internally supplied power by monitoring extern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신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설비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상태 데이터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여 복수의 검출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내부 공급 전원을 활성화하는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 각각은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한 검출 신호를 서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quipment device providing a plurality of state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 operating state; and a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detection data information by managing and analyzing the plurality of state data information and activating internal power supply by monitoring extern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Each of the management devices may share a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monitor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비 장치의 상태 데이터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설비 관리 장치에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의 결과 값에 따라 내부 공급 전원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공급 전원 또는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하여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ing external supply power applied to a facility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and analyzes state data information of the facility device; activating internally supplied power according to a result value of the step of monitoring the externally supplied power; and select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to perform a corresponding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비 관리 장치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공급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설비 관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검출 데이터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reliability of detection data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because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can receive stable power supply under any circumstanc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설비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설비 관리 장치에 대한 다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설비 장치(110), 설비 관리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facility device 110 and a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

우선, 설비 장치(110)는 자신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설비 장치(110)는 예컨대,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탑재될 수 있으며, 센서로부터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획득하여 설비 관리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설비 장치(110)는 중대형 규모의 제조 설비 장치 뿐만 아니라 소규모의 전자 장치 등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facility device 11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corresponding to its operating state. The facility device 110 may be equipped with,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sensors, and may obtain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from the sensors and provide the obtained state data information to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200 . The facility device 110 may include not only medium-large sized manufacturing facility devices but also small-scale electronic devices.

다음으로, 설비 관리 장치(120)는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관리 및 분석하여 검출 데이터 정보(INF_DT)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검출 데이터 정보(INF_DT)는 설비 장치(110)에서 제공되는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분석하여 설비 장치(110)에 대한 제품 생산성 및 동작 효율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의미한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may be a component for generating detection data information INF_DT by managing and analyzing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Here, the detection data information (INF_DT) may include meaningful data information for improving product productiv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equipment 110 by analyzing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provided from the equipment 110. there is.

이어서, 설비 관리 장치(12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모니터링하여 내부 공급 전원(V_INN, 도 2 참조)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후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설비 관리 장치(12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불안정하게 인가되는 경우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할 수 있다. 참고로, 설비 관리 장치(120)는 설계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개의 설비 관리 장치(120)만 도시하였다.Next,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activate the internal power supply (V_INN, see FIG. 2) by monitor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applied from the out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may activate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when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is applied unstably. For reference, a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12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design, and in FIG. 1 , only on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설비 관리 장치(120)로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불안정한 경우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시켜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에 대한 관리 및 분석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설비 관리 장치(12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데이터 정보(INF_DT)는 높은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internal power source V_INN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appli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is unstable, thereby providing status data information ( INF_ST) management and analysis operations can be stably performed. Accordingly, high reliability of the detection data information INF_DT output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can be guaranteed.

한편,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서버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장치(130)는 설비 관리 장치(120)에서 제공되는 검출 데이터 정보(INF_DT)에 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서버 회로(130)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버 회로(130)는 분석 결과를 통해 설비 장치(110)를 직접 제어하거나 설비 관리 장치(120)로 하여금 설비 장치(110)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설비 장치(110)는 이러한 구성 및 제어를 통해 제품 생산성 및 동작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server device 130 . The server device 130 may be a component for deriving an analysis result for the detection data information INF_DT provided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 Here, the server circu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cloud server devi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rver circuit 130 may directly control the facility device 110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r allow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to control the facility device 110 . As a result, product productiv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equipment 110 may be improved through such configuration and control.

도 2 는 도 1 의 설비 관리 장치(120)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

도 2 를 참조하면, 설비 관리 장치(120)는 전원 검출 회로(210), 내부 전원 충전 회로(220), 전원 선택 회로(230), 및 동작 회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may include a power detection circuit 210 , an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220 , a power selection circuit 230 , and an operation circuit 240 .

우선, 전원 검출 회로(21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DET)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검출 회로(21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전압 레벨과 기준 전압 레벨(도시되지 않음)을 비교하여 검출 신호(DET)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검출 회로(21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 보다 낮아지는 경우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불안정하게 인가됨을 인지할 수 있다. 그래서 전원 검출 회로(21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불안정하게 인가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DET)를 생성할 수 있다.First, the power detection circuit 210 may be a component for generating the detection signal DET by detecting the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ly supplied power source V_EXT. For example, the power detection circuit 210 may generate the detection signal DET by comparing the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with a reference voltage level (not shown). The power detection circuit 210 may recognize that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is applied unstably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level. Thus, the power detection circuit 210 may generate a detection signal DET corresponding to the unstabl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다음으로, 내부 전원 충전 회로(22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인가 받아 충전하여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내부 전원 충전 회로(22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충전 동작을 위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전원 충전 회로(22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충전할 수 있으며,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22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ternal power supply V_INN by receiving and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220 may include a capacitor for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220 may charge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ircuit to prevent overcharging.

다음으로, 전원 선택 회로(230)는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외부 공급 전원(V_EXT) 또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선택 출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검출 신호(DET)는 외부 공급 전원(V_EXT) 또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선택하기 위한 예컨대, 논리 레벨 값을 가질 수 있다. 논리 레벨 값은 논리 '하이' 레벨 또는 논리 '로우'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검출 신호(DET)는 복수의 데이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Next, the power selection circuit 230 may be a component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or the internal power supply V_IN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 Here, the detection signal DET may have, for example, a logic level value for select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The logic level value may mean a logic 'high' level or a logic 'low' level. For reference, the detection signal DET may have a plurality of data values, which may vary according to design.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 검출 회로(21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안정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논리 '하이' 레벨을 가지는 검출 신호(DET)를 생성할 수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원 검출 회로(21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불안전하게 인가되는 경우 논리 '로우' 레벨을 가지는 검출 신호(DET)를 생성할 수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래서 전원 선택 회로(230)는 논리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출력 전원(V_OUT)으로 선택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선택 회로(230)는 논리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출력 전원(V_OUT)으로 선택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전달하는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급 전원(V_INN)은 손실 없이 이후 설명될 동작 회로(240)로 제공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power detection circuit 210 can generate the detection signal DET having a logic 'high' level when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is stably applied. Also, it is assumed that the power detection circuit 210 can generate the detection signal DET having a logic 'low' level when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is unsafely applied. Accordingly, the power selection circuit 230 may select and output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as the output power V_OUT based on the logic 'high' level detection signal DET. Also, the power selection circuit 230 may select and output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as the output power V_OUT based on the logic 'low' level detection signal DET. At this time, the transistor that transfers the internal power supply (V_INN) may be composed of a PMOS transistor. Accordingly,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can be provided to the operation circuit 240 to be described later without loss.

다음으로, 동작 회로(240)는 전원 선택 회로(230)에서 제공되는 출력 전원(V_OUT)을 인가 받으며,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동작은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관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관리하는 동작은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분석하는 동작,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에 대응하는 입/출력 및 제어하는 동작, 및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저장하는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circuit 2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put power V_OUT provided from the power selection circuit 230 and perform a preset oper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 Here, the preset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managing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And the operation of managing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includes an operation of analyzing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an operation of input/output and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and an operation of storing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actions, etc.

그래서 동작 회로(240)는 논리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분석하는 동작과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에 대응하는 입/출력 및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작 회로(24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선택적으로 인가 받아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분석하는 동작과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에 대응하는 입/출력 및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회로(240)는 논리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DET)에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작 회로(240)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선택적으로 인가 받아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ion circuit 240 performs an operation of analyzing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based on the logic 'high' level detection signal DET and an operation of input/output and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can do.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circuit 24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selectively receiving external power supply V_EXT to analyze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and an operation of input/output and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can In addition, the operation circuit 24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storing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in the logic 'low' level detection signal DET.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circuit 24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storing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by selectively receiving the internal supply voltage V_IN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충전 동작을 통해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불안정하게 인가되는 경우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 즉, 선택 출력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비 관리 시스템(10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과 내부 공급 전원(V_INN)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through a charg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can stably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activat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that is, selectively outputt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when it is applied unstably. In addi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can stably perform preset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xternally supplied power source V_EXT and the internally supplied power source V_INN.

도 3 은 도 1 의 설비 관리 장치(120)에 대한 다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

도 3 을 참조하면, 설비 관리 장치(120)는 전원 검출 회로(310), 내부 전원 충전 회로(320), 모드 제어 회로(330), 전원 선택 회로(340), 및 동작 회로(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의 전원 검출 회로(310)와 내부 전원 충전 회로(320) 각각은 도 2 의 전원 검출 회로(210)와 내부 전원 충전 회로(220)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검출 회로(310)와 내부 전원 충전 회로(3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모드 제어 회로(330), 전원 선택 회로(340), 및 동작 회로(3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includes a power detection circuit 310, an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320, a mode control circuit 330, a power selection circuit 340, and an operation circuit 350. can do. Each of the power detection circuit 310 and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320 of FIG. 3 may correspond to the power detection circuit 210 and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220 of FIG. 2 , respectively. Therefore, descriptions of the power detection circuit 310 and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320 will be omitted. Hereinafter, the mode control circuit 330,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40, and the operation circuit 350 will be described.

우선, 모드 제어 회로(330)는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시작 준비 모드와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First of all, the mode control circuit 330 may be a componen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start preparation mode and the end preparation mod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

여기서, 시작 준비 모드는 설비 관리 시스템(100)이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가 된 이후 다시 온 상태가 되어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공급되는 초기 구간에서 동작 회로(350)가 시작 동작을 준비하기 위한 모드 일 수 있다. 예컨대, 시작 동작은 동작 회로(350)의 초기 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시작 준비 모드는 충전 동작이 완료되어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내부 전원 충전 회로(320)는 이전 온 상태에서 충전 동작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동작 회로(350)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인가 받아 시작 준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Here, in the start preparation mode, after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is turned off from the on state, the operation circuit 350 is turned on again in the initial section where the external power source V_EXT is supplied. It may be a mode to prepare for start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starting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etting an initial value of the operation circuit 350 . For reference, the start preparation mode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internal supply power (V_INN) can be provided. In other words, since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320 is completed in the previous on state,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receive the internal power supply V_INN and perform a start preparation mode.

종료 준비 모드는 설비 관리 시스템(100)이 오프 상태가 되기 이전 시점에서 동작 회로(350)의 종료 동작을 준비하기 위한 모드 일 수 있다. 예컨대, 종료 동작은 동작 회로(350)가 연산 중인 데이터 값이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 등이 없어지지 않도록 해당 동작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내부 전원 충전 회로(320)는 온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동작 회로(350)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인가 받아 종료 준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The termination preparation mode may be a mode for preparing the termin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circuit 350 before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turns off. For example, the end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tor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data value so that the operation circuit 350 does not lose the data value being calculated or the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For reference, since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320 is in an on state and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receive the internal power supply V_INN and perform the termination preparation mode.

다음으로, 전원 선택 회로(340)는 모드 제어 회로(330)에서 출력되는 모드 제어 신호(CTR_MD)에 기초하여 외부 공급 전원(V_EXT) 또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선택 출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후 다시 설명하겠지만, 전원 선택 회로(340)는 노말 모드에서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출력 전원(V_OUT)으로 선택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선택 회로(340)는 시작 준비 모드와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에서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출력 전원(V_OUT)으로 선택 출력할 수 있다.Next,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40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d output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or the internal power supply V_INN based on the mode control signal CTR_MD output from the mode control circuit 33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40 may select and output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as the output power V_OUT in the normal mode. Also,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40 may select and output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as the output power V_OUT in at least one of the start preparation mode and the end preparation mode.

다음으로, 동작 회로(350)는 전원 선택 회로(330)에서 제공되는 출력 전원(V_OUT)을 인가 받으며, 모드 제어 신호(CTR_MD)에 기초하여 시작 준비 모드, 노말 모드, 및 종료 준비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동작 회로(350)는 시작 준비 모드, 노말 모드, 및 종료 준비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동작 회로(350)는 시작 준비 모드와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에서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선택적으로 인가 받을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circuit 350 receives the output power V_OUT provided from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30 and enters the start preparation mode, the normal mode, and the end preparation mode based on the mode control signal CTR_MD. may be configured for Also,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be a component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art preparation mode, the normal mode, and the end prepar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selectively receive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in at least one preparation mode of the start preparation mode and the end preparation mode.

이하, 도 3 의 설비 관리 장치(120)의 구동 동작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검출 신호(DET)는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전압 레벨에 따라 논리 '하이' 레벨 또는 논리 '로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riving oper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3 will be briefly review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detection signal DET has a logic 'high' level or a logic 'low' level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 supply power source V_EX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우선, 설비 관리 장치(120)가 최초로 온 상태가 되면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전압 레벨이 점점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전원 충전 회로(320)는 충전 동작을 통해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검출 신호(DET)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정상 상태의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가지기 때문에 논리 '로우' 레벨이 될 수 있다. 모드 제어 회로(330)는 최초로 논리 '로우' 레벨을 가지는 검출 신호(DET)에 대하여 논리 '하이' 레벨의 모드 제어 신호(CTR_MD)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전압 레벨은 점점 상승하여 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레벨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역시, 검출 신호(DET)는 논리 '하이' 레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드 제어 회로(330)는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논리 '하이' 레벨의 모드 제어 신호(CTR_MD)를 생성할 수 있다.First, when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first turns on, the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V_EXT may gradually increase. Also,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320 may generat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through a charg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detection signal DET may become a logic 'low' level because the external supply voltage V_EXT has a voltage level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state. The mode control circuit 330 may initially generate a mode control signal CTR_MD of a logic 'high' level with respect to the detection signal DET having a logic 'low' level. Subsequently, the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may gradually increase to a target voltage level corresponding to a normal state. Also at this time, the detection signal DET may become a logic 'high' level. Further, the mode control circuit 330 may generate a mode control signal CTR_MD of a logic 'high' level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

따라서, 전원 선택 회로(340)는 논리 '하이' 레벨의 모드 제어 신호(CTR_MD)에 기초하여 출력 전원(V_OUT)으로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선택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회로(35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인가 받아 노말 동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노말 동작 모드는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관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40 may select and output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as the output power V_OUT based on the mode control signal CTR_MD having a logic 'high' level. In addition,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enter the normal operation mode by receiv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As described above, the normal operation mod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managing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이어서, 설비 관리 장치(120)에 대한 오프 동작 또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불안정하게 인가되면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전압 레벨은 점점 낮아질 수 있다. 이때, 검출 신호(DET)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정상 상태의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가지기 때문에 논리 '로우' 레벨이 될 수 있다. 모드 제어 회로(330)는 논리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논리 '로우' 레벨의 모드 제어 신호(CTR_MD)를 생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is turned off or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is applied unstably, the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may gradually decrease. At this time, the detection signal DET may become a logic 'low' level because the external supply voltage V_EXT has a voltage level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state. The mode control circuit 330 may generate a logic 'low' level mode control signal CTR_MD based on the logic 'low' level detection signal DET.

따라서, 전원 선택 회로(340)는 논리 '로우' 레벨의 모드 제어 신호(CTR_MD)에 기초하여 출력 전원(V_OUT)으로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선택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회로(350)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인가 받아 종료 준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40 may select and output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as the output power V_OUT based on the mode control signal CTR_MD of the logic 'low' level. In addition,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enter the termination preparation mode by receiv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이어서, 설비 관리 장치(120)가 다시 온 상태가 되면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전압 레벨은 다시 점점 높아질 수 있다. 이때, 검출 신호(DET)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이 정상 상태의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가지기 때문에 논리 '로우' 레벨이 될 수 있다. 모드 제어 회로(330)는 내부 전원 충전 회로(320)의 충전 동작 이후에 발생하는 논리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DET)에 대하여 논리 '로우' 레벨의 모드 제어 신호(CTR_MD)를 생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is turned on again, the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 supply power source V_EXT may gradually increase again. At this time, the detection signal DET may become a logic 'low' level because the external supply voltage V_EXT has a voltage level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state. The mode control circuit 330 may generate a logic 'low' level mode control signal CTR_MD in response to the logic 'low' level detection signal DET generated after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320. there is.

따라서, 전원 선택 회로(340)는 논리 '로우' 레벨의 모드 제어 신호(CTR_MD)에 기초하여 출력 전원(V_OUT)으로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선택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회로(350)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인가 받아 시작 준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40 may select and output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as the output power V_OUT based on the mode control signal CTR_MD of the logic 'low' level. Also,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enter a start preparation mode by receiv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위와 같은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인가 받아 노말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인가 받아 시작 준비 모드와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operations,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normal mode by receiving external supply power V_EXT. In addi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100 may perform at least one preparation mode among a start preparation mode and an end preparation mode by receiv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400)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를 참조하면, 설비 관리 시스템(400)은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 에는 설비 장치가 생략되었다. 설비 장치는 복수의 설비 장치를 포함하며 복수의 설비 장치에서 복수의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1, INF_ST2, … INF_STn, 여기서, n은 자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설비 장치는 하나의 설비 장치를 포함하며 하나의 설비 장치는 복수의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1, INF_ST2, … INF_STn)를 생성할 수 있다. 설비 장치는 설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 . For reference, equipment is omitted in FIG. 4 . The equipment includes a plurality of equipment, and a plurality of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1, INF_ST2, ... INF_ST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can be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equipment. In addition, the facility device includes one facility device, and one facility device may generate a plurality of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1, INF_ST2, ... INF_STn). Equipment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sign.

우선,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410)는 복수의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1, INF_ST2, … INF_STn)를 관리 및 분석하여 복수의 검출 데이터 정보(INF_DT1, INF_DT2, … INF_DTn)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복수의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1, INF_ST2, … INF_STn) 각각은 설비 장치에서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 값을 비롯한 여러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410)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검출 데이터 정보(INF_DT1, INF_DT2, … INF_DTn)는 서버 장치(130, 도 1 참조)로 제공될 수 있다.First,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lurality of detection data information (INF_DT1, INF_DT2, ... INF_DTn) by managing and analyzing a plurality of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1, INF_ST2, ... INF_STn). .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1, INF_ST2, ... INF_STn) may include several data values including sensing data values provided from equipment. The plurality of detection data information (INF_DT1, INF_DT2, ... INF_DTn)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device 130 (see FIG. 1).

이어서,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4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V_EXT1, V_EXT2, … V_EXTn)을 모니터링하여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410) 각각은 도 1 내지 도 4 에서 설명한 설비 관리 장치(120)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410)는 예컨대, 제1 내지 제n 설비 관리 장치(410_1, 410_2, … 410_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n 설비 관리 장치(410_1, 410_2, … 410_n) 각각은 서로 다른 외부 공급 전원(V_EXT1, V_EXT2, … V_EXTn)을 인가 받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제1 내지 제n 설비 관리 장치(410_1, 410_2, … 410_n)는 설계에 따라 서로 동일한 외부 공급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적어도 2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공급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Subsequently,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 may be configured to activate the internal power supply V_INN by monitor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1, V_EXT2, ... V_EXTn applied from the out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 may correspond to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1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Also,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 may include, for example, first through nth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_1, 410_2, ... 410_n. Here, as an example, each of the first to n th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_1, 410_2, ... 410_n receives different external power supplies V_EXT1, V_EXT2, ... V_EXTn. The first through nth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_1, 410_2, ... 410_n may receive the same external power supply or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supply power sources depending on the design.

한편,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410) 각각은 검출 신호(DET)를 공유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설비 관리 장치(410_1)를 대표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설비 관리 장치(410_1)는 제1 외부 공급 전원(V_EXT1)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검출 신호(DET)를 생성할 수 있다. 검출 신호(DET)를 생성하는 구성 및 동작은 도 2 및 도 3 에서 충분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 설비 관리 장치(410_1)는 검출 신호(DET)를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에서 생성되는 검출 신호(DET)는 이후 단에 연결된 설비 관리 장치로 검출 신호(DET)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 may share the detection signal DE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may monitor the first external power supply V_EXT1 and generate the detection signal DET according to the result.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generating the detection signal DET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in FIGS. 2 and 3, they will be omitted. Also,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may provide the detection signal DET to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etection signal DET generated by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may provide the detection signal DET to a facility management device connected to a later stage.

이와 관련하여, 제1 설비 관리 장치(410_1)에서 생성되는 검출 신호(DET)는 제1 외부 공급 전원(V_EXT1)을 모니터링한 결과 값이다. 다시 말하면, 검출 신호(DET)는 제1 외부 공급 전원(V_EXT1)이 불안정한 상태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설비 관리 장치(410_1)는 검출 신호(DET)를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1)에 제공함으로써 제1 외부 공급 전원(V_EXT1)이 불안정한 상태라는 정보를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1)에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을 인가 받는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는 제1 외부 공급 전원(V_EXT1)에 대한 불안정한 상태를 공유하여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의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detection signal DET generated by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is a value obtained by monitoring the first external power source V_EXT1. In other words, the detection signal DET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external power source V_EXT1 is in an unstable state. Accordingly,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provides the detection signal DET to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to transmit information that the first external power source V_EXT1 is in an unstable state to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can be provided to Accordingly,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receiving the second external supply power V_EXT2 shares the unstable state of the first external supply power V_EXT1 to prevent unexpected situations in the second external supply power V_EXT2. You can prepare.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설비 관리 장치(410_1)는 제1 외부 공급 전원(V_EXT1)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DET)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는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의 정상 및 비정상 전압 레벨에 대한 마진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과 기준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는 제1 설비 관리 장치(410_1)에서 제공되는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 레벨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는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의 전압 레벨이 조금만 낮아지더라도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을 불안정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는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이전에 이를 대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may generate the detection signal DET by detecting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external power supply V_EXT1.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may adjust a margin range for normal and abnormal voltage levels of the second external power source V_EXT2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 In other word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may monitor the second external supplied power source V_EXT2 by comparing the level of the second external supplied power source V_EXT2 with the reference voltage level. In this case,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may adjust the reference voltage level to a high level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 provided from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 As a result,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external supplied power source V_EXT2 is in an unstable state even if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external supplied power source V_EXT2 is slightly lowered. Accordingly,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may prepare for an unstable state before the second external supply power V_EXT2 becomes unstable.

한편, 제1 설비 관리 장치(410_1)에서 생성되는 검출 신호(DET)는 서버 장치(130, 도 1 참조)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장치(130)에서 발생하는 트래픽과 무관하게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는 제2 외부 공급 전원(V_EXT2)에 대한 대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ction signal DET generated by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1 may be directly provided to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rver device 130 (see FIG. 1 ). Accordingly, regardless of traffic generated by the server device 130,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may perform a preparation operation for the second external power source V_EXT2.

위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400)은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410)가 검출 신호(DET)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다른 설비 관리 장치에서 발생한 외부 공급 전원의 이상 증상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 share the detection signal DET with each other, thereby generating external supply power from other facility management devices. You can preemptively respond to abnormal symptoms of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500)을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500 of operating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를 참조하면,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500)은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510),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하는 단계(S520), 및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operation method 500 of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monitor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S510), activat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S520), and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mode. Step S530 may be included.

우선,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510)는 설비 장치의 상태 데이터 정보(INF_ST)를 관리 및 분석하는 설비 관리 장치에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510)는 도 2 의 전원 검출 회로(210)와 도 3 의 전원 검출 회로(310)에서 수행될 수 있다.First, the step of monitoring external supply power (V_EXT) (S510) may be a step for monitor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appli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and analyzes the state data information (INF_ST) of the facility device. . The step of monitor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S510) may be performed by the power detection circuit 210 of FIG. 2 and the power detection circuit 310 of FIG.

다음으로,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하는 단계(S52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510)의 결과 값에 따라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510)의 결과 값은 도 2 의 검출 신호(DET)와 도 3 의 검출 신호(DET) 및 모드 제어 신호(CTR_MD)가 될 수 있다.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하는 단계(S520)는 도 2 의 전원 선택 회로(230)와 도 3 의 전원 선택 회로(340)에서 수행될 수 있다.Next, activat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S520) may be a step for activat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according to the result value of the step S510 of monitor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Here, result values of the step of monitor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V_EXT (S510) may be the detection signal DET of FIG. 2, the detection signal DET of FIG. 3, and the mode control signal CTR_MD. The step of activat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S520) may be performed by the power selection circuit 230 of FIG. 2 and the power selection circuit 340 of FIG.

다음으로,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53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 또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선택하여 해당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530)는 도 2 의 동작 회로(240)와 동작 도 3 의 동작 회로(3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도 3 에서 설명하였듯이, 동작 회로(350)는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인가 받아 노말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회로(350)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인가 받아 시작 준비 모드와 종류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mode (S530) may be a step fo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mode by select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supply (V_EXT)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supply (V_INN).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mode (S530) may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circuit 240 of FIG. 2 and the operation circuit 350 of FIG. In particula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perform the normal mode by receiving the external supply voltage V_EXT. Further, the operation circuit 350 may perform at least one preparation mode among a start preparation mode and a kind preparation mode by receiv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한편, 도 4 에서 설명하였듯이, 설비 관리 장치(410)는 제1 및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1, 410_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1, 410_2)는 검출 신호(DET)를 공유할 수 있으며, 제2 설비 관리 장치(410_2)는 검출 신호(DET)에 기초하여 외부 공급 전원(V_EXT)의 정상 및 비정상 전압 레벨에 대한 마진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_1 and 410_2 . Also, the first and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s 410_1 and 410_2 may share the detection signal DET, and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410_2 may determine the external supply voltage V_EX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 You can adjust the margin range for normal and abnormal voltage leve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500)은 외부 공급 전원(V_EXT)을 모니터링하여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500)은 외부 공급 전원(V_EXT) 또는 내부 공급 전원(V_INN)을 사용하여 해당 모드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thod 500 of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tivate the internal supply power V_INN by monitor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V_EXT.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500 of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can stably perform the corresponding mode by us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supply (V_EXT)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supply (V_IN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설비 관리 시스템 110 : 설비 장치
120 : 설비 관리 장치 130 : 서버 장치
100: facility management system 110: facility device
120: facility management device 130: server device

Claims (17)

자신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설비 장치; 및
상기 상태 데이터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여 검출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내부 공급 전원을 활성화하는 설비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equipment providing state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 operating state; and
A facility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and analyzes the state data information to generate detection data information, and monitors external power supply applied from the outside to activate internal supply pow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 장치는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검출 회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인가 받아 충전하여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생성하는 내부 전원 충전 회로;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공급 전원 또는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전원 선택 회로; 및
상기 전원 선택 회로에서 제공되는 출력 전원을 인가 받으며,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회로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a power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ly supplied power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an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generating the internal power supply by receiving and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a power selection circuit that selects and outputs the external supply power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and
An operation circuit receiving output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election circuit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 장치는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검출 회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인가 받아 충전하여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생성하는 내부 전원 충전 회로;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시작 준비 모드와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 회로;
상기 모드 제어 회로에서 출력되는 모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공급 전원 또는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전원 선택 회로; 및
상기 전원 선택 회로에서 제공되는 출력 전원을 인가 받으며, 상기 모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작 준비 모드, 노말 모드, 및 상기 종료 준비 모드로 진입 및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회로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a power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ly supplied power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an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generating the internal power supply by receiving and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a mode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preparation mode of a start preparation mode and an end preparation mod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a power selection circuit that selects and outputs the external supply power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based on a mod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ode control circuit; and
an operation circuit that receives output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election circuit, enters the start preparation mode, normal mode, and end preparation mode based on the mode control signal and performs preset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s; includ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준비 모드는 상기 동작 회로의 초기 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 preparation mode includes an operation of setting an initial value of the operation circuit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준비 모드는 상기 동작 회로의 동작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reparation mode includes an operation of storing operation data values of the operation circuit.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선택 회로는 상기 노말 모드에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선택 출력하고, 상기 시작 준비 모드와 상기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에서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power selection circuit selects and outputs the external supply power in the normal mode, and selects and outputs the internal supply power in at least one of the start preparation mode and the end preparation mode.
facility management system.
자신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설비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상태 데이터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여 복수의 검출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내부 공급 전원을 활성화하는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 각각은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한 검출 신호를 서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Equipment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state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 operating state; and
A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detection data information by managing and analyzing the plurality of state data information and activating internal power supply by monitoring external power supply applied from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shares a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monitor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with each oth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 각각에 인가되는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공급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external supply power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supply power sources.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 각각은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검출 회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인가 받아 충전하여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생성하는 내부 전원 충전 회로;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공급 전원 또는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전원 선택 회로; 및
상기 전원 선택 회로에서 제공되는 출력 전원을 인가 받으며,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회로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a power detection circuit that detects a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ly supplied power and generates the detection signal;
an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generating the internal power supply by receiving and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a power selection circuit that selects and outputs the external supply power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and
An operation circuit receiving output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election circuit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 각각은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검출 회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인가 받아 충전하여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생성하는 내부 전원 충전 회로;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시작 준비 모드와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 회로;
상기 모드 제어 회로에서 출력되는 모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공급 전원 또는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전원 선택 회로; 및
상기 전원 선택 회로에서 제공되는 출력 전원을 인가 받으며, 상기 모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작 준비 모드, 노말 모드, 및 상기 종료 준비 모드로 진입 및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회로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a power detection circuit that detects a voltage level of the externally supplied power and generates the detection signal;
an internal power charging circuit generating the internal power supply by receiving and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a mode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preparation mode of a start preparation mode and an end preparation mod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a power selection circuit that selects and outputs the external supply power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based on a mod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ode control circuit; and
an operation circuit that receives output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election circuit, enters the start preparation mode, normal mode, and end preparation mode based on the mode control signal and performs preset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s; includ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준비 모드는 상기 동작 회로의 초기 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 preparation mode includes an operation of setting an initial value of the operation circuit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준비 모드는 상기 동작 회로의 동작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reparation mode includes an operation of storing operation data values of the operation circuit.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선택 회로는 상기 노말 모드에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선택 출력하고, 상기 시작 준비 모드와 상기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에서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power selection circuit selects and outputs the external supply power in the normal mode, and selects and outputs the internal supply power in at least one of the start preparation mode and the end preparation mode.
facility managemen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관리 장치는 제1 및 제2 설비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설비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설비 관리 장치에서 생성되는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설비 관리 장치에 인가되는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정상 및 비정상 전압 레벨에 대한 마진 범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plurality of facility management devices include first and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s;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adjusts a margin range for normal and abnormal voltage levels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applied to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to be
facility management system.
설비 장치의 상태 데이터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하는 설비 관리 장치에 인가되는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의 결과 값에 따라 내부 공급 전원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공급 전원 또는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하여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monitoring external power supply applied to a facility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and analyzes state data information of facility devices;
activating internally supplied power according to a result value of the step of monitoring the externally supplied power; and
Select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or the internal supply power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mode
How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work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 받아 노말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공급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 받아 시작 준비 모드와 종료 준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준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mode is
performing a normal mode by selectively receiving the external supply power; and
Performing at least one preparation mode of a start preparation mode and an end preparation mode by selectively receiving the internal supply power
How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work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 장치는 제1 및 제2 설비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설비 관리 장치에 대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의 결과 값을 공유하여 상기 제2 설비 관리 장치에 인가되는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정상 및 비정상 전압 레벨에 대한 마진 범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facility management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s;
and adjusting a margin range for normal and abnormal voltage levels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applied to the second facility management device by sharing a result value of the step of monitor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for the first facility management device. to be
How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works.
KR1020210095628A 2021-07-21 2021-07-21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202300143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28A KR20230014372A (en) 2021-07-21 2021-07-21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28A KR20230014372A (en) 2021-07-21 2021-07-21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72A true KR20230014372A (en) 2023-01-30

Family

ID=8510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628A KR20230014372A (en) 2021-07-21 2021-07-21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3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4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single application
US11226607B2 (en) Abnormality determination system, data transmitter-receptor, motor controll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abnormality
US1050315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rocess plant using a redundant local supervisory controller
JP6795444B2 (en) Anomaly detection system,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EP3346381A1 (en) Cloud service control device, cloud service control system, cloud ser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055927B2 (en) Structure for analyzing dynamic CPU voltage
US10558191B2 (en) Generation and publication of shared tagsets
US78448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dynamic CPU voltage
US20170187585A1 (en) Technologies for validating operations of devices
US20170075373A1 (en) Remote supervisory control system
KR20230014372A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20190094931A1 (en) ENERGY HARVESTING and AMBIENT CONDITION TRACKING in IoT for ADAPTIVE SENSING and SELF-MODIFYING APPLICATIONS
US20180241216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optical power transfer
US2021037354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For Industrial Automation
US100953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current monitor power telemetry accuracy
CN115904719A (en) Data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90078378A (en) Method for predicting communication protocol of inverter device i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20111620A (en) Analog input module of plc and method for detecting disconnection in the same
JP2022134340A (en) Peripheral apparatus,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US10659574B2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699111B2 (en) Control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of manufacturing device
KR20150102262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Based on Wireless Terminal
US11856124B2 (en) Method for providing patter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1629180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capable error detection of band gap reference and method thereof
US20230344256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wo-wire sens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