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550A -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550A
KR20230008550A KR1020210089346A KR20210089346A KR20230008550A KR 20230008550 A KR20230008550 A KR 20230008550A KR 1020210089346 A KR1020210089346 A KR 1020210089346A KR 20210089346 A KR20210089346 A KR 20210089346A KR 20230008550 A KR20230008550 A KR 2023000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detachable
communication
pins
a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범
박병석
이재영
김상준
김우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8550A/en
Publication of KR2023000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5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3Remote me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a device and modem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A pin map structur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and removable modem may comprise: two power supply pins placed in opposite directions; three ground power pins;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removable modem;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 connection signal pin for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ion; a transmission/reception conversion signal pin for a transmission/reception mode conversion signal of the removable modem; an operation mode pin for indicating an initial operation mode of the removable modem; a reset pin for resetting the removable modem; and spare pins. The detachable modem and AMI device having a connection unit of the pin map structure can transmit and receive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nd determine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andardizing connection between an AMI device and modem,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odems.

Description

원격검침 인프라 시스템에서 기기와 모뎀 간의 통신 구조 및 동작 방법{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원격검침 인프라 시스템에서 기기와 통신 모뎀 간의 통신 구조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communication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between a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em in a remote meter reading infrastructure system.

원격검침 인프라(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는 전력 사용 정보를 공급자와 소비자에게 양방향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효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자발적인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유도하는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이다. AMI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 설비는 크게 수용가 측에 설치되는 스마트 미터와 변대주에 설치되는 데이터집중장치(DCU, Data Concentration Unit), 스마트미터 게이트웨이(SMGW, Smart Meter Gateway), 이들 장치에 접속이 가능한 통신 모뎀, 및 원격지의 상위 AMI 서버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is an intelligent power metering infrastructure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of power supply and induces voluntary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by providing bidirectional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o suppliers and consumers in real time. The key facilities for building AMI are the smart meter installed on the consumer side, the data concentration unit (DCU) installed on the sub-apartment, the smart meter gateway (SMGW), and the It can be divided into a communication modem and a remote upper level AMI server system.

AMI에서 데이터 집중 장치는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수용가에 설치된 각종 스마트 미터로부터 전력 사용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통신 모뎀은 데이터집중장치와 스마트 미터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설비로써, 현재 주로 PLC를 지원하는 모뎀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AMI에서는 스마트 미터별, 및/또는 데이터 집중 장치별로 형태, 자재, 제어 방식, 및/또는 운영방식이 상이한 통신 모뎀들이 이용된다.In AMI, the data concentrator collects data representing power usage information from various smart meters installed in the consumer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nd transmits it to the upper system. A communication modem is a facility for exchanging data between a data concentrator and a smart meter, and a modem supporting PLC is mainly used. In existing AMIs, communication modems that are different in form, material, control method, and/or operation method are used for each smart meter and/or each data concentrator.

기존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에서는 통신 모뎀들의 형태, 자재, 제어 방식, 및/또는 운영방식이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원격 검침을 위해 동일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기기에 맞는 전용 모뎀들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AMI의 경제성 및 유지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the existing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ince the communication modems are all different in form, material, control method, and/or operation method, dedicated modems suitable for the device are required even if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for remote meter reading. As a result,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maintainability of AMI may be deteriorated.

따라서,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AMI 기기 및 모뎀 간의 접속부를 표준화하여, 모뎀에 대한 구분 없이 통신할 수 있는 구조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Therefor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tructu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out discrimination of modems by standardizing a connection between an AMI device and a mod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re disclosed.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원격검침 인프라 시스템에서 표준화된 접속부를 통해 모뎀과 AMI 기기가 서로를 식별하고,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identifying each other between a modem and an AMI device through a standardized connection unit in a remote meter read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setting an operation mode is disclosed.

본 개시물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시스템에서 기기와 착탈형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한 핀맵 구조는,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 두 개의 전원 공급 핀들, 세 개의 그라운드 전원 핀들, 상기 기기와 상기 착탈형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한 세 쌍의 통신 핀들, 전력선 통신을 위한 두 쌍의 신호 핀들,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을 위한 접속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송수신 모드 전환 신호를 위한 송수신 전환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초기 동작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동작 모드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리셋을 위한 리셋 핀, 및 예비 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inmap structur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and a removable modem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includes two power supply pins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three ground power pins,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detachable modem,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 connection signal pin for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a transmission/reception mode conversion signal of the detachable modem A conversion signal pin, an operation mode pin for indicating an initial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a reset pin for resetting the detachable modem, and a spare pin may be includ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 쌍의 통신 핀들은,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 통신, AT_COMMAND 통신, 모듈 데이터 통신, 또는 PPP(Point to Point Protocol) 통신에 이용되는 한 쌍의 제1 UART 통신 핀들, RS-485 멀티 드롭 통신, 또는 상기 AT_COMMAND 통신에 이용되는 한 쌍의 제2 UART 통신 핀들, 및 USB 포트로 이용되거나, 상기 착탈형 모뎀과 상기 기기에 내장된 모듈 간의 통신을 위한 한 쌍의 USB/UART 겸용 통신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are a pair of first UART communication used for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HDLC) communication, AT_COMMAND communication, module data communication, or Point to Point Protocol (PPP) communication. pins, a pair of second UART communication pins used for RS-485 multi-drop communication or the AT_COMMAND communication, and a pair of USB ports used as USB ports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achable modem and a module built in the device /UART combined communication pins may be includ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선 통신을 위한 두 쌍의 신호 핀들은, 전력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한 쌍의 핀들, 및 전력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한 쌍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include a pair of pi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a pair of pi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 signal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can do.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시스템에서 AMI 기기의 동작 방법은, 20개의 핀으로 구성된 접속부를 통해 착탈형 모뎀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 상기 착탈형 모뎀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는 동작, 상기 착탈형 모뎀으로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착탈형 모뎀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operating an AMI device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system includes an operation of applying power to a detachable modem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composed of 20 pins, and from the detachable modem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obtaining and registe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to the removable modem, and an operation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mode of the removable modem.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부는, 전원부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 두 개의 전원 공급 핀들, 세 개의 그라운드 전원 핀들, 상기 기기와 상기 착탈형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한 세 쌍의 통신 핀들, 전력선 통신을 위한 두 쌍의 신호 핀들,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을 위한 접속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송수신 모드 전환 신호를 위한 송수신 전환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초기 동작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동작 모드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리셋을 위한 리셋 핀, 및 예비 핀을 포함하는 핀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unit includes two power supply pins, three ground power pins, and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detachable modem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to reduce noise of the power supply unit. ,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 connection signal pin for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a transmission/reception conversion signal pin for a transmission/reception mode conversion signal of the removable modem, and an initial operation mode of the removable modem A pin map including an operation mode pin, a reset pin for resetting the detachable modem, and a spare pin may be includ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MI 기기는, 상기 세 쌍의 통신 핀들 중 어느 한 쌍의 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착탈형 모뎀과 통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MI device may communicate with the detachable modem using any one pair of pins among the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 쌍의 통신 핀들 중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 수신에 이용된 어느 한 쌍의 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착탈형 모뎀과의 통신 선로를 구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figuring a communication line with the detachable modem using any one pair of pins us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among the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는, AT_COMMAND 통신을 기반으로 수신되며,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는, 상기 착탈형 모뎀의 통신 종류에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is received based on AT_COMMAND communic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may be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type of the detachable modem.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는, AT_COMMAND 통신을 기반으로 전송되며,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는,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is transmitted based on AT_COMMAND communic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may be set as a number value for a device typ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는, 상기 AMI 기기가 계기인 경우, 계기에 대한 기기 식별자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계기에 대한 기기 식별자는, 제조사 번호,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 또는 일련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type number is obtained from a device identifier for the device when the AMI device is a device, and the device identifier for the device is a manufacturer number, a device type number, or a serial numb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s.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MI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착탈형 모뎀이 착탈형 간선 모뎀인 경우, 상기 AMI 기기에 내장된 내장형 무선 모뎀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모드는, 상기 AMI 기기의 내장형 무선 모뎀이 주변 계기들의 내장형 무선 모뎀에 대한 마스터 모뎀으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MI device further includes, when the detachable modem is a detachable trunk modem,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a built-in wireless modem built into the AMI device to a master mode, wherein the master The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built-in wireless modem of the AMI device operates as a master modem for the built-in wireless modems of peripheral devices.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MI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마스터 모드로 변경된 상기 내장형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계기들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 및 상기 수집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착탈형 모뎀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MI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of collecting measurement data of the peripheral instruments using the built-in wireless modem changed to the master mode,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to the removable modem More actions may be includ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MI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착탈형 모뎀이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착탈형 모뎀의 탈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내장형 무선 모뎀을 상기 마스터 모드에서 기본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모드는, 상기 AMI 기기의 내장형 무선 모뎀이 외장형 간선 모뎀에 구비된 내장형 무선 모뎀과 통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MI device includes detecting whether the removable modem is attached or not, and changing the built-in wireless modem from the master mode to a basic mode when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removable modem is detected. The basic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built-in wireless modem of the AMI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built-in wireless modem provided in the external main line modem.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MI 기기는, 계기, 데이터집중장치(DCU), 또는 스마트미터 게이트웨이(SMG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MI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er, a data concentrator (DCU), or a smart meter gateway (SMGW).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시스템에서 착탈형 모뎀의 동작 방법은, 20개의 핀으로 구성된 접속부를 통해 AMI 기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동작, 상기 AMI 기기로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AMI 기기로부터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착탈형 모뎀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AMI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operating a detachable modem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system includes an operation of receiving power from an AMI device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composed of 20 pins, and the AMI device.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from the AMI device,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and the set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mode to the AMI device may be includ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탈형 모뎀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착탈형 모뎀이 접속 중인 기기의 종류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접속 중인 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의 종류는, 계기, 데이터집중장치(DCU), 또는 스마트 게이트웨이(SMG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type of device being accessed by the detachable modem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and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type of device being accessed by the detachable modem.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the type of th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strument, a data concentrator (DCU), and a smart gateway (SMGW).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탈형 모뎀의 접속부는, 전원부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 두 개의 전원 공급 핀들, 세 개의 그라운드 전원 핀들, 상기 기기와 상기 착탈형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한 세 쌍의 통신 핀들, 전력선 통신을 위한 두 쌍의 신호 핀들,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을 위한 접속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송수신 모드 전환 신호를 위한 송수신 전환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초기 동작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동작 모드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리셋을 위한 리셋 핀, 및 예비 핀을 포함하는 핀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of the detachable modem includes two power supply pins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to reduce power supply noise, three ground power pins, and three pair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detachable modem. Indicates communication pins,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 connection signal pin for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a transmit/receive conversion signal pin for a transmit/receive mode conversion signal of the detachable modem, and an initial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It may include a pin map including an operation mode pin for resetting, a reset pin for resetting the detachable modem, and a spare pin.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탈형 모뎀은, 상기 세 쌍의 통신 핀들 중 어느 한 쌍의 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AMI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achable modem may communicate with the AMI device using any one pair of pins among the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는, AT_COMMAND 통신을 기반으로 전송되며,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는, 상기 착탈형 모뎀의 통신 종류에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is transmitted based on AT_COMMAND communic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may be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type of the detachable modem.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는, AT_COMMAND 통신을 기반으로 수신되며,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는,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is received based on AT_COMMAND communic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may be set as a number value for a device typ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는, 상기 AMI 기기가 계기인 경우, 계기에 대한 기기 식별자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계기에 대한 기기 식별자는, 제조사 번호,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 또는 일련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type number is obtained from a device identifier for the device when the AMI device is a device, and the device identifier for the device is a manufacturer number, a device type number, or a serial numb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s.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탈형 모뎀이 착탈형 간선 모뎀인 경우, 상기 AMI 기기의 내장형 무선 모뎀에 의해 수집된 주변 계기들의 계측 데이터, 및 상기 AMI 기기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주변 계기들의 계측 데이터, 및 상기 AMI 기기의 계측 데이터를 상위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etachable modem is a detachable trunk modem, measurement data of peripheral devices collected by the built-in wireless modem of the AMI device, operation of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AMI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s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AMI device to a higher communication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검침 인프라 시스템에서 기기 및 모뎀 간의 접속부 표준화를 통해 모뎀에 대한 구분 없이 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호 운영성을 확보하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기와 모뎀 간의 접속부를 표준화하고, 이를 이용한 동작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특정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향후 도래할 신규 통신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으로 이원화되어 동일 통신 방식이나 서로 다른 자재로 구매하여 관리하던 모뎀을 단일 모뎀으로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으므로, 자재 관리 및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remote meter reading infrastructure system,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distinction of modem through standardiz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a device and a modem,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reducing operating costs by securing interoperability. You can get it. In addition, by standardizing a connection between a device and a modem and proposing an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and can be applied to a new communication method to come in the future. In addition, modems that were previously dualized as a master modem and a slave modem in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nd purchased and managed with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or different materials can be integrated and operated as a single modem, so material management and purchase costs can be reduced. there is.

또한,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계기에 착탈형 간선 모뎀이 장착되는 경우, 계기의 내장형 무선 모뎀을 마스터 모뎀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내장형 무선 모뎀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계기들에 추가적인 간선 모뎀을 설치하지 않고, 해당 통신 범위 내의 계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위 데이터 집중 장치로 전송할 수 있어, 비용 편익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detachable trunk modem is mounted on an instrument, the built-in wireless modem of the instrument is operated as a master modem, so that additional trunk modems are added to other instruments existing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without installing, it is possible to collect data from instruments with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range and transmit it to the upper data concentrator, improving cost-benefit.

도 1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 및 모뎀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부의 핀맵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와 모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에서 모뎀을 식별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뎀에서 접속된 AMI 기기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장형 무선 모뎀과 착탈형 간선 모뎀이 장착된 AMI 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와 착탈형 간선 모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에서 내장형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주변 계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에서 내장형 무선 모뎀을 운용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탈형 간선 모뎀에서 AMI 기기 및 상위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AMI device and a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pin map structure diagram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flowchart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n AMI device and a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of identifying a modem in an AMI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flowchart of sett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AMI device connected in a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AMI device equipped with a built-in wireless modem and a detachable trunk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flowchart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n AMI device and a detachable trunk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of collecting information of a peripheral device by using a built-in wireless modem in an AMI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flowchart of operating an embedded wireless modem in an AMI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ommunication with an AMI device and an upper communication device in a detachable trunk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can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또는 '기'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위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듈', '부' 또는 '기'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부' 또는 '기'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예로서 '모듈', '부' 또는 '기'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 '모듈', '부' 또는 '기'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부' 또는 '기'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부' 또는 '기'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suffixes 'module', 'unit', or 'group'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for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that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itself. In addition, a 'module', 'unit' or 'group'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bu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module', 'unit' or 'group'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a 'module', 'unit' or 'group'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A function provided within one component, 'module', 'unit' or 'unit'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modules', 'units' or 'units', or may be combined with additional components. It can be further separated into 'modules', 'units' or 'units'.

본 개시물의 몇몇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irectly embodied in hardware executed by a processor,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A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recording medium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recording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and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ntegral with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recording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 ASIC may reside within a user terminal.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도 1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기기 및 모뎀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이하에서 도 1의 일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부의 핀맵 구조도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device and a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ome components of FIG. 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 2 is a pin map structure diagram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AMI 기기(100)는 계기, 데이터집중장치, 또는 스마트미터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기는, 전압, 전류, 전력, 유효 전력, 무효 전력, 역률,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 및 표시하는 스마트 미터일 수 있다. 데이터 집중 장치는, 각종 계기들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스마트미터 게이트웨이는, 각종 계기 및/또는 데이터 집중 장치들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 및 응용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MI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er, a data concentrator, and a smart meter gateway. The instrument may be a smart meter that measures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power, active power, reactive power, power factor, or frequency. The data concentrator may be a device that collects data measured from various instruments and transmits it to an upper system. A smart meter gateway may be a device that serves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by collecting and applying measurement data from various instruments and/or data concentrators.

AMI 기기(100)는 착탈형 모뎀(110)의 장착을 위한 접속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MI device 100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102 for mounting a detachable modem 110.

착탈형 모뎀(110)은 AMI 기기(100)에 착탈 가능한 모뎀으로, 접속부(112)를 통해 AMI 기기(100)에 장착 및/또는 접속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modem 110 is a modem detachable from the AMI device 100, and can be mounted and/or connected to the AMI devic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12.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MI 기기(100) 접속부(102), 및/또는 착탈형 모뎀(110)의 접속부(112)는 특정 핀맵 구조를 갖도록 표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 접속부(102), 및/또는 착탈형 모뎀(110)의 접속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핀맵을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20개의 핀을 갖는 통신 핀맵으로 접속부를 표준화함으로써, 전력선통신(PLC) 모뎀 및/또는 다른 다양한 종류의 모뎀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의 접속부의 핀맵 구조는, AMI 기기(100)와 착탈형 모뎀(110) 간의 물리적인 접속 핀의 수를 최소화하면서, 다종 통신 장치를 지원할 수 있도록 각 핀들을 배열한 구조이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nection unit 102 of the AMI device 100 and/or the connection unit 112 of the removable modem 110 may be standardized to have a specific pinmap structure. 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102 of the AMI device 100 and/or the connection unit 112 of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in map structure as shown in FIG. 2 .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standardizing the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pinmap having 20 pins as shown in FIG. 2, both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odem and/or other various types of modems can be accommodated. Hereinafter, the pin map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art of FIG. 2 is a structure in which pins are arranged to support multiple types of communication devices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physical connection pins between the AMI device 100 and the detachable modem 110.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부의 핀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2개의 모뎀용 DC 전원 핀들(201, 215), 3개의 GND 핀들(203, 204,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뎀용 DC 전원 핀들(201, 205)은 DC 전원을 모뎀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용 DC 전원 핀들(201, 205)은 전원부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접속부의 핀맵은, 통신을 위해 USB/UART(Universal Serial Bus/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겸용 핀들인 USB_DP/UART2_RXD(213)과 USB_DM/UART2_TXD(214), 및 UART 전용 핀들인 UART1_RXD(205), UART1_TXD(207), UART3_RXD(210), 및 UART3_TXD(205)를 포함할 수 있다. UART3_RXD(210), 및 UART3_TXD(205)는, 계기 RS 485 컨트롤러와 직접 결선되어 계기 및 외부 장치와 직접 직렬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pin map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wo DC power pins 201 and 215 for a modem and three GND pins 203 and 204 to supply DC power. , 212). DC power pins 201 and 205 for the modem may b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to stably supply DC power to the modem. For example, the DC power pins 201 and 205 for the modem may b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to reduce noise of the power supply unit. The pin map of the connection part is USB/UART (Universal Serial Bus/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combined pins USB_DP/UART2_RXD (213) and USB_DM/UART2_TXD (214), and UART-only pins UART1_RXD (205) and UART1_TXD for communication. (207), UART3_RXD (210), and UART3_TXD (205). UART3_RXD (210) and UART3_TXD (205)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strument RS 485 controller to enable direct serial communication with instruments and external devices.

접속부의 핀맵은, PLC 통신을 위해 전압선과 커플러로 연결된 신호 핀들인 TX_SIGN(217), RX_SIGN(218), TX_SIGP(219), 및 TX_SIGN(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n map of 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TX_SIGN 217, RX_SIGN 218, TX_SIGP 219, and TX_SIGN 220, which are signal pins connected to a voltage line and a coupler for PLC communication.

접속부의 핀맵은, USB 접속 신호용 핀인 USB_VBUS(216), 모뎀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핀인 MODE(206), 송신 및 수신 모드 전환을 위한 핀인 Rx/Tx 전환 신호(202), 리셋을 위한 핀인 Reset(209), 및 예비 핀인 Reserved(20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n map of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USB_VBUS (216), a pin for USB connection signal, MODE (206), a pin for modem setting, Rx/Tx conversion signal (202), a pin for switching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and Reset (209), a pin for reset. ), and Reserved 208, which is a reserved pin.

하기 표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핀맵에서 각 핀들의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Table 1 below shows the role of each pin in the above-described pin map in more detail.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여 도 2의 핀들을 살펴보면, 모뎀용 DC 전원(201, 215)은 모뎀에 3.3V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핀들이며, GND(203, 204, 212)는 모뎀에 공급하는 그라운드 전원을 위한 핀들이다. Looking at the pins of FIG. 2 with reference to Table 1, the DC power supplies 201 and 215 for the modem are pins for supplying 3.3V power to the modem, and GNDs 203, 204 and 212 are ground power supplies to the modem pins for

Rx/Tx 전환 신호(202)는, 착탈 모뎀 전용 RS-485 TX/RX 전환 신호인 TXEN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핀이다. TXEN 신호가 하이(high)인 경우, Tx 모드로 전환을 나타내고, TXEN 신호가 로우(low)인 경우, Rx 모드로 전환을 나타낼 수 있다. MODE(206)은, 모뎀의 초기 동작을 식별하기 위한 신호인 MODE 신호를 송수신하기위한 핀으로, 모뎀이 데이터집중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MODE 신호는 로우(low)가 되며, 모뎀이 계기에 장착되는 경우, MODE 신호는 하이(high)가 된다. The Rx/Tx conversion signal 202 is a pi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TXEN signal, which is an RS-485 TX/RX conversion signal dedicated to the detachable modem. When the TXEN signal is high, it may indicate switching to the Tx mode, and when the TXEN signal is low, it may indicate switching to the Rx mode. MODE 206 is a pi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ODE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identify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modem. When the modem is installed in the data concentrator, the MODE signal becomes low, and the modem is installed in the instrument. If so, the MODE signal goes high.

UART1_RXD(205) 및 UART1_TXD(207)는, AMI 기기와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해 이용되며, UART3_RXD(210) 및 UART3_TXD(211)는, RS-485 멀티드롭 통신 또는 AT_Command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USB_DP/UART2_RXD(213) 및 USB_DM/UART2_TXD(214)는 착탈형 LTE 모뎀의 경우에는 USB 통신을 위해 이용되고, 계기가 내장 SUN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착탈형 모뎀과 내장 SUN 모듈과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UART1_RXD (205) and UART1_TXD (207) are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AMI device and the modem, and UART3_RXD (210) and UART3_TXD (211) can be used for RS-485 multi-drop communication or AT_Command communication. USB_DP/UART2_RXD (213) and USB_DM/UART2_TXD (214) are used for USB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a detachable LTE modem, and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achable modem and the built-in SUN module when the device uses a built-in SUN module. there is.

Reset(209)은 모뎀을 리셋(reset)시키기 위한 Reset 신호 송수신에 이용되고, USB_VBUS(216)는 LTE 모뎀의 USB 접속 신호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The Reset 209 is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set signal for resetting the modem, and the USB_VBUS 216 can be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USB connection signal of the LTE modem.

TX_SIGN(217), RX_SIGN(218), TX_SIGP(219), 및 TX_SIGN(220) 각각은 PLC 통신을 위한 + 신호, 또는 - 신호의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Each of the TX_SIGN 217, RX_SIGN 218, TX_SIGP 219, and TX_SIGN 220 may be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 signal or a - signal for PLC communication.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MI 기기(100)와 모뎀(110) 간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의 핀맵은 도 2 및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표준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in map of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on between the AMI device 100 and the modem 110 may be standardized to have a structure as described in FIG. 2 and Table 1.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MI 기기(100)와 모뎀(110)은, 도 2 및/또는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준화된 접속부를 통해, 접속된 장치에 대한 식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MI device 100 and the modem 110 may perform an identification operation for a connected device through a standardized connection unit as described in FIG. 2 and/or Table 1. there is.

도 3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와 모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AMI 기기(100)는 도 1의 AMI 기기(100)이고, 착탈형 모뎀(110)은 도 1의 착탈형 모뎀(110)일 수 있다.3 is a flowchart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n AMI device and a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a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but not necessarily sequentially. For example, the order of each operation may be changed, or at least two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Here, the AMI device 100 may be the AMI device 100 of FIG. 1 , and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be the detachable modem 110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AMI 기기(100)에 착탈형 모뎀(110)이 장착(또는 접속)되는 경우, 동작 301에서 AMI 기기(100)는 착탈형 모뎀(110)에 DC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는 접속부(102)의 전원 공급을 위한 핀들을 이용하여 착탈형 모뎀(110)에 DC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착탈형 모뎀(110)은 접속부(112)의 전원 공급을 위한 핀들을 이용하여 AMI 기기(100)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 공급을 위한 핀들은, 도 2 및/또는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모뎀용 DC 전원(201, 215), 3개의 GND(203, 204, 212)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when the detachable modem 110 is mounted (or connected) to the AMI device 100, the AMI device 100 may apply DC power to the detachable modem 110 in operation 301. For example, the AMI device 100 may apply DC power to the detachable modem 110 using pi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ion unit 102 .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receive DC power from the AMI device 100 using pins for power supply of the connection unit 112 . As described in FIG. 2 and/or Table 1, pins for supplying power may include two DC power supplies 201 and 215 for modems and three GNDs 203, 204 and 212.

착탈형 모뎀(110)은 AMI 기기(100)로부터 DC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 303에서 모뎀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뎀의 식별정보(또는 모뎀 식별자)는 착탈형 모뎀(110)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로, 예를 들어, 두 자리의 숫자로 구성될 수 있다. 착탈형 모뎀(110)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AT 커맨드(AT command)를 생성하여 AMI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DC power is applied from the AMI device 100,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dem in operation 303. Mod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modem identifier) i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type of the detachable modem 110, and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two-digit number.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generate an AT command as shown in Table 2 below and transmit it to the AMI device 100.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뎀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AT 커맨드는, "AT+BEARER"일 수 있고, <##> 부분에 모뎀 식별자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모뎀(110)이 "한전 AMI SUN 모뎀"이고, 이에 대응되는 모뎀 식별자가 "1"인 경우, 착탈형 모뎀(110)은 "AT+BEARER=01\01\rOK\r"와 같은 AT 커맨드를 생성하여 AMI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뎀 식별자는, 모뎀의 통신 종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베어러 값으로, 예를 들어, 하기 표 3과 같이 미리 약속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the AT command for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dem may be "AT+BEARER", and a modem identifier may be input in <##>. For example, if the detachable modem 110 is "KEPCO AMI SUN modem" and the corresponding modem identifier is "1", the detachable modem 110 is "AT+BEARER=01\01\rOK\r" and The same AT command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AMI device 100. The modem identifier is a network bearer value representing the communication type of the modem, and may be pre-promised,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3 below.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표 3은, 네트워크 베어러 값이 1인 경우, 착탈형 모뎀(120)이 AMI 2.0 SUN MAC profile 지원 모뎀이고, 네트워크 베어러 값이 2인 경우, 착탈형 모뎀(120)이 AMI 2.0 SUN IP Profile 지원 모뎀임을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 베어러 값이 3인 경우, 착탈형 모뎀(120)이 LTE(Logn Term Evolution) 모뎀이고, 네트워크 베어러 값이 4인 경우, 착탈형 모뎀(120) IoT PLC 모뎀임을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 베어러 값이 5인 경우, 착탈형 모뎀(120)이 HPGP(Home Plug Green Phy) 모뎀이고, 네트워크 베어러 값이 99인 경우, 착탈형 모뎀(120)이 C_SMGW(C-type Smart Meter Gateway) 모뎀임을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 베어러 값이 6~98인 경우, 지정되지 않은 예비값으로, 사업자 및/또는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표 3은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able 3 shows that when the network bearer value is 1, the detachable modem 120 is a modem supporting AMI 2.0 SUN MAC profile, and when the network bearer value is 2, the detachable modem 120 is a modem supporting AMI 2.0 SUN IP Profile. can When the network bearer value is 3, the detachable modem 120 is a Logn Term Evolution (LTE) modem, and when the network bearer value is 4, it may indicate that the detachable modem 120 is an IoT PLC modem. If the network bearer value is 5, the detachable modem 120 is a Home Plug Green Phy (HPGP) modem, and if the network bearer value is 99, it indicates that the detachable modem 120 is a C-type Smart Meter Gateway (C_SMGW) modem. can When the network bearer value is 6 to 98, it is an unspecified reserve value and may be set by the operator and/or designer. Table 3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hereto.

일실시예에 따르면, 착탈형 모뎀(110)은 접속부의 UART1, UART2, UART3 관련 핀들, 또는 USB 관련 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모뎀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AMI 기기(100)는 접속부의 UART1, UART2, UART3 관련 핀들, 또는 USB 관련 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착탈형 모뎀(1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modem 11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dem using at least one of UART1, UART2, UART3 related pins, or USB related pins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AMI device 100 transmits the UART1 of the connection pa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be received using at least one of UART2, UART3 related pins, or USB related pins.

동작 305에서, AMI 기기(100)는 수신된 모뎀의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신호선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는 착탈형 모뎀(110)으로부터 접속부의 UART1, UART2, UART3 관련 핀들, 또는 USB 관련 핀 중 어느 핀을 이용하여 모뎀의 식별정보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고, 모뎀의 식별정보 수신에 이용된 핀을 기반으로 통신선로를 구성하고,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operation 305, the AMI device 100 may regist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odem and register a signal line. For example, the AMI device 100 checks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dem has been received from the detachable modem 110 by using which pin among UART1, UART2, and UART3 related pins or USB related pins of the connection part, an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dem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communication line based on the pin used for and store state information.

AMI 기기(100)는 동작 307에서 AMI 기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AMI 기기의 식별정보는, AMI 기기(100) 해당 기기의 형식을 나타내는 기기 식별자로, 예를 들어, 두 자리 숫자로 구성될 수 있다. AMI 기기(100)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AT 커맨드(AT command)를 생성하여 착탈형 모뎀(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AMI device 100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in operation 307.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is a device identifier representing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of the AMI device 100, and may consist of, for example, two-digit numbers. The AMI device 100 may generate an AT command as shown in Table 4 below and transmit it to the detachable modem 110.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AT 커맨드는, "AT+METERID"이고, <##> 부분에 기기 식별자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가 "한전단상전력량계"인 경우, 기기 식별자는 "51"이고, "AT+METERID=<51>"와 같은 AT 커맨드를 생성하여 착탈형 모뎀(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4, the AT command for transmitt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T+METERID", and a device identifier may be input in <##>. For example, when the AMI device 100 is a "one-phase power meter", the device identifier is "51", and an AT command such as "AT+METERID=<51>"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etachable modem 110 there is.

일실시예에 따르면, AMI 기기(100)가 계기인 경우, 기기 식별자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계기의 기기 ID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AMI device 100 is an instrument, the device identifier may be obtained from the device ID of the instrument,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 ID는 제조사 번호, 기기 형식(또는 기기 형식 번호), 및 일련 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기기 ID에 포함된 번호 정보들 중 기기 형식을 나타내는 번호 정보를 기기 식별자로 이용할 수 있다. 기기 형식을 나타내는 번호는, 예를 들어, 하기 표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5, the device ID may consist of a manufacturer number, a device type (or device type number), and a serial number.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number information indicating a device type among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a device ID may be used as a device identifier. Numbers indicating device types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6 below, for example.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표 5 및 표 6의 기기 식별자의 구성 및 기기 형식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configuration and device format of the device identifiers in Tables 5 and 6 are only examples for easy understanding,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hereto.

동작 309에서, 착탈형 모뎀(110)은 AMI 기기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착탈형 모뎀(110)이 접속된(또는 장착된) AMI 기기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모뎀(110)은 AMI 기기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AMI 기기가 계기인지, 또는 데이터집중장치인지 구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착탈형 모뎀(110)은 접속된 AMI 기기가 계기인 경우 어떤 종류의 계기인지 확인할 수 있다.In operation 309,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check the type of AMI device to which the detachable modem 110 is connected (or install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For example, the detachable modem 110 can distinguish whether the corresponding AMI device is an instrument or a data concentrator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Additionally,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check what type of device the connected AMI device is if the device is a device.

동작 311에서, 착탈형 모뎀(110)은 결정된 종류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된 AMI 기기가 데이터집중장치인 경우, 복수의 계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자신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결정하고,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접속된 AMI 기기가 계기인 경우, 접속된 계기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데이터집중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자신의 동작 모드를 슬레이브 모드(또는 계기 부착 모드)로 결정하고, 계기 부착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operation 311,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set its ow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For example, if the connected AMI device is a data concentrator, it can set its operation mode to master mode in order to collect data from a plurality of devices, and perform settings to operate in master mode. As another example, if the connected AMI device is an instrument, determine its operation mode as slave mode (or instrument attachment mode) and operate in instrument attachment mode in order to transmit measured data from the connected instrument to the data concentrator. settings can be made for

동작 313에서, 착탈형 모뎀(110)은 동작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를 AMI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AMI 기기(100)는 동작 315에서 착탈형 모뎀(11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착탈형 모뎀(110)에 대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AMI 기기(100)는 착탈형 모뎀(110)을 이용하여 다른 AMI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다른 AMI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In operation 313,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mode to the AMI device 100. The AMI device 1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110 in operation 315 to complete registr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110 . Thereafter, the AMI device 100 may receive data from another AMI device or transmit data to another AMI device using the detachable modem 110 .

도 4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에서 모뎀을 식별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AMI 기기(100)는 도 1 및 도 3의 AMI 기기(100)일 수 있다.4 is a flowchart of identifying a modem in an AMI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a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but not necessarily sequentially. For example, the order of each operation may be changed, or at least two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Here, the AMI device 100 may be the AMI device 100 of FIGS. 1 and 3 .

도 4를 참조하면, AMI 기기(100)는 동작 401에서 착탈형 모뎀(110)으로 DC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는 접속부(102)에 착탈형 모뎀(110)이 삽입되면, 접속부의 전원 공급을 위한 핀들을 이용하여 착탈형 모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AMI device 100 may apply DC power to the detachable modem 110 in operation 401 . For example, when the detachable modem 1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2, the AMI device 100 can supply power to the detachable modem 110 using pi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or.

동작 403에서, AMI 기기(100)는 착탈형 모뎀(110)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는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탈형 모뎀(1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AT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In operation 403, the AMI device 10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detachable modem 110.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able 2, the AMI device 100 may receive an AT command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110.

동작 405에서, AMI 기기(100)는 수신된 착탈형 모뎀(110)의 식별 정보 및 신호선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는 UART1 내지 UART3 관련 핀들, 또는 USB 관련 핀들 중 어느 핀을 통해 AT 커맨드가 수신되었는지 인지하고, 인지된 핀에 대한 통신선로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신호선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In operation 405, the AMI device 100 may register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ignal line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110. For example, the AMI device 100 recognizes which pin among UART1 to UART3-related pins or USB-related pins has received an AT command, configures a communication line for the recognized pin, and transmits state information about it to the signal line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동작 407에서, AMI 기기(100)는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착탈형 모뎀(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는 표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MI 기기(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AT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In operation 407, the AMI device 100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to the detachable modem 100.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able 4, the AMI device 100 may transmit an AT command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100.

동작 409에서, AMI 기기(100)는 착탈형 모뎀(110)으로부터 모뎀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뎀의 설정 정보는, AMI 기기(100)의 식별 정보에 따라 결정된 동작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In operation 409, the AMI device 100 may receive modem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detachable modem 110.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modem may indicate an operation mod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100.

동작 411에서, AMI 기기(100)는 모뎀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착탈형 모뎀(110)에 대한 등록 절차를 완료함으로써, 착탈형 모뎀(110)을 이용하여 다른 AMI 기기와 원격검침을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operation 411, the AMI device 100 stores modem setting information and completes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detachable modem 110, there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other AMI devices for remote meter reading using the detachable modem 110 can do.

도 5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탈형 모뎀에서 접속된 AMI 기기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착탈형 모뎀(110)은 도 1 및 도 3의 착탈형 모뎀(110)일 수 있다.5 is a flowchart of sett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AMI device connected in a detachable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a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but not necessarily sequentially. For example, the order of each operation may be changed, or at least two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Here,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be the detachable modem 110 of FIGS. 1 and 3 .

도 5를 참조하면, 착탈형 모뎀(110)은 동작 501에서 AMI 기기(100)로부터 DC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모뎀(110)의 접속부(112)가 AMI 기기(100)의 접속부(102)에 접속되면, 접속부의 전원 공급을 위한 핀들을 통해 AMI 기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receive DC power from the AMI device 100 in operation 501 . For example, when the connector 112 of the detachable modem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2 of the AMI device 100,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AMI device 100 through pi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or. .

접속된 AMI 기기(1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착탈형 모뎀(110)은 동작 503에서, 착탈형 모뎀(110)의 식별 정보를 접속된 AMI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모뎀(110)은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탈형 모뎀(1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AT 커맨드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착탈형 모뎀(110)은 UART1 내지 UART3 관련 핀들, 또는 USB 관련 핀들 중 어느 핀을 통해 AT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connected AMI device 100,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110 to the connected AMI device 100 in operation 503.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able 2, the removable modem 110 may generate and transmit an AT command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vable modem 110 .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transmit an AT command through any one of UART1 to UART3 related pins or USB related pins.

착탈형 모뎀(110)은 동작 505에서 AMI 기기(1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모뎀(110)은 표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MI 기기(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AT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100 in operation 505 .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able 4,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receive an AT command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100.

착탈형 모뎀(110)은 동작 507에서 접속된(또는 장착된) AMI 기기에 따른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착탈형 모뎀(110)은 수신된 AT 커맨드에서 AMI 기기(10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AMI 기기(100)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접속 중인 AMI 기기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모뎀(110)은 AMI 기기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접속 중인 AMI 기기가 계기인지, 또는 데이터집중장치인지 구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착탈형 모뎀(110)은 결정된 AMI 기기의 종류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중인 AMI 기기가 데이터집중장치인 경우, 자신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결정하고, 접속 중인 AMI 기기가 계기인 경우, 자신의 동작 모드를 슬레이브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모드는, 복수의 계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모드이며, 슬레이브 모드는 접속 중인 계기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데이터집중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모드이다. In operation 507,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set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nnected (or mounted) AM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achable modem 110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100 from the received AT command, and based on the obta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100, the type of AMI device currently being accessed can be checked. For example, the detachable modem 110 can distinguish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AMI device is an instrument or a data concentrator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set its ow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AMI device. For example, if the AMI device being connected is a data concentrator, its oper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master mode, and if the AMI device being connected is an instrument, its own oper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slave mode. The master mode is a mode for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instruments, and the slave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measured data from a connected instrument to a data concentrator.

착탈형 모뎀(110)은 동작 509에서, 동작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를 AMI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AMI 기기(100)가 착탈형 모뎀(110)을 정상적으로 등록 완료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operation 509, the detachable modem 110 may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mode to the AMI device 100. This is to ensure that the AMI device 100 normally completes registr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110.

도 6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장형 무선 모뎀과 착탈형 간선 모뎀이 장착된 AMI 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의 AMI 기기(100)는, 도 1 및 도 3의 AMI 기기(100)일 수 있다. 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AMI device equipped with a built-in wireless modem and a detachable trunk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MI device 100 of FIG. 6 may be the AMI device 100 of FIGS. 1 and 3 .

도 6을 참조하면, AMI 기기(100)는 내장형 무선 모뎀(601)을 포함하고,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장착된 계기일 수 있다.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AMI 기기(100)의 접속부(102)를 통해 AMI 기기(100)에 장착 및/또는 접속될 수 있다.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도 1의 착탈형 모뎀(110)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AMI device 100 may be an instrument including a built-in wireless modem 601 and equipped with a detachable main line modem 602 .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be mounted on and/or connected to the AMI devic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02 of the AMI device 100 .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be the detachable modem 110 of FIG. 1 .

AMI 기기(100)의 접속부(102)를 통해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장착되는 경우, AMI 기기(100)는 상술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착탈형 간선 모뎀(602)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s moun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02 of the AMI device 100, the AMI device 100 performs the operations described in FIGS. 3 and 4 to connect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an be obtained.

AMI 기기(100)에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장착된 경우, AMI 기기(100) 또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AMI 기기(100)의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마스터 모드는, 주변 계기들에 포함된 내장형 무선 모뎀들의 마스터 모뎀으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AMI 기기(100) 또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AT 커맨드를 생성하여 내장형 무선 모뎀(601)으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s installed in the AMI device 100, the AMI device 100 or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of the AMI device 100 to the master mode. can be changed The master mode may be a mode operating as a master modem of built-in wireless modems included in peripheral devices. As shown in Table 7, the AMI device 100 or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generate an AT command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and provide it to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AT 커맨드는 "AT+LISTEN"일 수 있고, <#> 부분에 제어 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 코드 1은, 마스터 모드로의 설정을 나타내고, 0은 마스터 모드 해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 또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내장형 무선 모뎀(601)을 마스터 모드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AT+LISTEN: <1>\r"과 같은 AT 커맨드 메시지를 생성하여 내장형 무선 모뎀(6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AMI 기기(100) 또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마스터 모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AT+LISTEN: <0>\r"과 같은 AT 커맨드 메시지를 생성하여 내장형 무선 모뎀(6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AMI 기기(100)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의 탈착(또는 탈거)로 인해 착탈형 간선 모뎀(602)과 정상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마스터 모드를 해제하고 기본 모드로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7, the AT command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may be "AT+LISTEN", and a control code may be input in <#>. Control code 1 may indicate setting to master mode, and 0 may indicate master mode release. For example, when the AMI device 100 or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wants to set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to the master mode, it generates an AT command message such as "AT+LISTEN: <1>\r"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MI device 100 or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wants to release the master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an AT command message such as "AT+LISTEN: <0>\r" is generated to I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When the AMI device 100 does not normally communicate with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due to de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the master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is released and set to the basic mode can be controlled to

내장형 무선 모뎀(601)은 AMI 기기(100) 또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으로부터 마스터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AT 커맨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마스터 모드로 설정을 변경하여 주변의 다른 계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내장형 무선 모뎀(601)은 마스터 모드로 변경된 경우, 주변 계기들에 포함된 내장형 무선 모뎀들의 마스터 모뎀으로 동작할 수 있다. 내장형 무선 모뎀(601)은 주변 계기들의 내장형 무선 모뎀들의 마스터 모뎀으로 동작함으로써, 주변 계기들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다른 계기들의 데이터 및/또는 AMI 기기(100)에서 계측된 데이터는, AMI 기기(100)의 제어에 따라 착탈형 간선 모뎀(610)으로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receives an AT command message to set to the master mode from the AMI device 100 or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t can change the setting to the master mode and communicate with other nearby devices. there is. When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is changed to the master mode, it can operate as a master modem for built-in wireless modems included in peripheral instruments.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operates as a master modem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s of the peripheral devices, and can collect data measured by the peripheral devices. The collected data of other instruments and/or the data measured by the AMI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achable trunk modem 610 under the control of the AMI device 100.

도 7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와 착탈형 간선 모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AMI 기기(100)는 도 1, 도 3, 도 4, 및 도 6의 AMI 기기(100)이고,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도 1, 도 3, 도 5의 착탈형 모뎀(110), 및 도 6의 착탈형 간선 모뎀(602)일 수 있다. 여기서,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AMI 기기(100)에 장착되면, AMI 기기(100)과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7의 동작들은 도 3이 동작이 수행된 이후의 동작일 수 있다.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7 is a flowchart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n AMI device and a detachable trunk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a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but not necessarily sequentially. For example, the order of each operation may be changed, or at least two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Here, the AMI device 100 is the AMI device 100 of FIGS. 1, 3, 4, and 6, and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s the detachable modem 110 of FIGS. 1, 3, and 5; and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of FIG. 6 . Here, when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s installed in the AMI device 100, the AMI device 100 and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perform the procedure shown in FIG. 3 . Hereinafter, the operations of FIG. 7 may be operations after the operation of FIG. 3 is performed. Operations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7 may be omitted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7을 참조하면,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동작 700에서 AMI 기기(100)의 내장형 무선 모뎀(601)으로 모드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도 3의 동작 309 및 동작 311, 및/또는 도 5의 동작 507에서,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접속 중인 기기가 내장형 무선 모뎀(601)을 포함하는 AMI 기기(100)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접속 중인 AMI 기기(100)의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모드가 마스터 모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해,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AT 커맨드를 이용하여 내장형 무선 모뎀(601)에 모드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00은 생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00은, 도 3의 동작 313 및/또는 도 5의 동작 509와 적어도 일시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시점에 수행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instruct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of the AMI device 100 to change the mode in operation 700 . For example, in operation 309 and operation 311 of FIG. 3 and/or operation 507 in FIG. It can be recognized that it is an AMI device 100 that does. In this case, the detachable main line modem 602 uses the AT command as shown in Table 7 to change the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of the AMI device 100 being connected to the master mode. 601) may be instructed to change the m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peration 700 may be o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ration 700 may be performed at least temporarily at the same time as operation 313 of FIG. 3 and/or operation 509 of FIG. 5 or may be performed at different times.

AMI 기기(100)의 내장형 무선 모뎀(601)은 동작 701에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장형 무선 모뎀(601)은 AMI 기기(100), 또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으로부터 모드 변경 지시를 수신함으로, 기본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장착되면, 착탈형 간선 모뎀(602)에 대한 등록을 완료한 후,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는,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AT 커맨드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기인 AMI 기기(100)는 데이터집중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착탈형 간선 모뎀(602)의 장착이 감지되면, AMI 기기(100)에 내장된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를 주변 계기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마스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AMI 기기(100)가 착탈형 간선 모뎀(602)을 감지하여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동작 700은 생략될 수 있다.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of the AMI device 100 may change the mode in operation 7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can change from the basic mode to the master mode by receiving a mode change command from the AMI device 100 or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 For example, when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s installed, the AMI device 100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internal wireless modem 601 after completing registration of the removable trunk modem 602 . The operation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can be changed using AT commands as shown in Table 7. For example, when the AMI device 100, which is an instrument, detects the installation of a detachable trunk modem 602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data concentrator, the operation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built in the AMI device 100 is changed to the surroundings. You can change to master mode to collect instrument data. When the AMI device 100 detects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and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internal wireless modem 601, operation 700 may be omitted.

AMI 기기(100)는 동작 703에서 모드가 변경된 내장형 무선 모뎀(601)을 이용하여 주변 계기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I 기기(100)는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내장형 무선 모뎀(601)을 이용하여 주변 계기와 통신함으로써, 주변 계기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주변 계기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는, 주변 계기에서 계측된 데이터, 및 주변 계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계기는 수용가 집합 계기함 내에 포함된 다른 계기들일 수 있다. The AMI device 100 may collect data of peripheral devices using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whose mode is changed in operation 703 . For example, the AMI device 100 may collect data of the peripheral devices by communicating with the peripheral devices using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operating in the master mod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eripheral devices may include data measured by the peripheral device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eripheral instruments may be other instruments included within the consumer aggregation instrument box.

AMI 기기(100)는 동작 705에서, 수집된 주변 계기의 데이터 및 AMI 기기(100)의 데이터를 착탈형 간선 모뎀(6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AMI 기기(100)의 데이터는 AMI 기기(100)에서 계측한 데이터, 및 AMI 기기(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MI device 100 may transmit the collected peripheral device data and the AMI device 100 data to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n operation 705 . Data of the AMI device 100 may include data measured by the AMI device 10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100.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동작 707에서 AMI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접속 중인 AMI 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위 통신 기기인 데이터집중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transm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AMI device 100 to the upper device in operation 707 . For example,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transfer data received from the AMI device 100 being connected to a data concentrator, which is an upper communication device.

도 8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에서 내장형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주변 계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예시도이다. 8 is an exemplary diagram of collecting information of a peripheral device by using a built-in wireless modem in an AMI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을 참조하면, 계기 2(820)는 도 6 및/또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탈형 간선 모뎀(822)의 장착이 감지되면, 내장형 무선 모뎀(821)의 모드를 기본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device 2 820 changes the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821 from the basic mode to the master mode when mounting of the detachable trunk modem 822 is detected as described in FIGS. 6 and/or 7 . can be changed to

마스터 모드로 변경된 내장형 무선 모뎀(821)은 주변에 위치한 계기1(810), 및 계기3(830)의 내장형 무선 모뎀들(811, 831)과 통신하여, 계기1(810), 및 계기3(830)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계기1(810), 계기2(820), 및 계기(830)은 모두 동일한 수용가 집합 계기함 내에 포함된 계기들일 수 있다. 내장형 무선 모뎀(821)은 주변 계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착탈형 간선 모뎀(822)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built-in wireless modem 821 changed to the master mode communicates with the built-in wireless modems 811 and 831 of instrument 1 810 and instrument 3 830 located nearby, and instrument 1 810 and instrument 3 ( 830) measurement data may be collected. Instrument 1 810, instrument 2 820, and instrument 830 may all be instruments included in the same customer aggregation instrument box. The built-in wireless modem 821 may transmit data collected from peripheral devices to the detachable trunk modem 822 .

착탈형 간선 모뎀(822)은 상위통신기기(840)의 착탈형 모뎀2(842)와 통신할 수 있다. 상위통신기기(840)는 데이터집중장치일 수 있다. 착탈형 간선 모뎀(822)은 계기2에서 계측된 데이터, 및 내장형 무선 모뎀(821)을 통해 획득된 주변 계기의 계측 데이터를 데이터집중장치(84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trunk modem 822 can communicate with the detachable modem 2 842 of the upper communication device 840 . The upper communication device 840 may be a data concentrator. The detachable main line modem 822 may transmit the data measured by device 2 and the measurement data of peripheral devices acquired through the built-in wireless modem 821 to the data concentrator 840 .

상위통신기기(840)는 착탈형 모뎀2(842)를 통해 획득된 계기들의 계측 데이터를 착탈형 모뎀 1(841)을 통해 상위 시스템(85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upper communication device 840 may transmit measurement data of instruments obtained through the removable modem 2 842 to the upper system 850 through the removable modem 1 841.

상술한 바와 같이, 계기에 착탈형 간선 모뎀이 장착되는 경우, 계기의 내장형 무선 모뎀을 마스터 모뎀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내장형 무선 모뎀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계기들에 추가적인 간선 모뎀을 설치하지 않고, 해당 통신 범위 내의 계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위 데이터 집중 장치로 전송할 수 있어, 비용 편익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device i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unk modem, by operating the device's built-in wireless modem as a master modem, other device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do not install additional trunk modems, and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ata can be collected from instruments within range and transmitted to a higher-level data concentrator, improving cost-benefit.

이하 도 9 및 도 10에서는, 내장형 무선 모뎀의 모드를 AMI 기기가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 설명되는 도 9 및 도 10의 일부 동작들(예: 동작 905 내지 911, 및 동작 1001 및 1003)은, AMI 기기에 장착된 착탈형 간선 모뎀이 내장형 무선 모뎀의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FIGS. 9 and 10 , the case where the AMI device changes the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some operations of FIGS. 9 and 10 described below (eg, operations 905 to 911 and operations 1001 and 1003) are the same even when the detachable trunk modem installed in the AMI device changes the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can be applied

도 9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MI 기기에서 내장형 무선 모뎀을 운용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AMI 기기(100)는 도 1, 도 3, 및 도 6의 AMI 기기(100)일 수 있다.9 is a flowchart of operating an embedded wireless modem in an AMI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a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but not necessarily sequentially. For example, the order of each operation may be changed, or at least two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Here, the AMI device 100 may be the AMI device 100 of FIGS. 1, 3, and 6.

도 9를 참조하면, AMI 기기(100)는 동작 901에서 착탈형 간선 모뎀(602)을 감지할 수 있다.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AMI device 100 may detect a detachable trunk modem 602 in operation 901 .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can detect as described in FIGS. 3 and 4 .

동작 903에서, AMI 기기(100)는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는,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AT 커맨드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operation 903, the AMI device 100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internal wireless modem 601 to the master mode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The operation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can be changed using AT commands as shown in Table 7.

동작 905에서, AMI 기기(100)는 착탈형 간선 모뎀이 AMI 기기(100)에서 탈착(또는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MI 기기(100)는 접속부(102)를 통해 착탈형 간선 모뎀과의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탈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operation 905, the AMI device 100 may detect whether the detachable trunk modem is detached (or detached) from the AMI device 100. The AMI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s detached when normal communication with the detachable trunk modem is impossibl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02 .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AMI 기기(100)에서 탈착되지 않고 장착된 상태인 경우, AMI 기기(100)는 동작 907에서 내장형 무선 모뎀(601)을 이용하여 주변 계기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동작 909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착탈형 간선 모뎀(602)으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detachable main line modem 602 is not detachable from the AMI device 100 and is in a mounted state, the AMI device 100 collects data of peripheral devices using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in operation 907, and in operation 909 Data collected in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착탈형 간선 모뎀(602)이 AMI 기기(100)에서 탈착된 경우, AMI 기기(100)는 동작 911에서 내장형 무선 모뎀(601)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에서 기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기본 모드로 변경된 내장형 무선 모뎀은, 외장형 간선 모뎀에 구비된 내장형 무선 모뎀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모드로 변경된 내장형 무선 모뎀은 외장형 간선 모뎀에 구비된 내장형 무선 모뎀으로, AMI 기기(100)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is detached from the AMI device 100, the AMI device 100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from the master mode to the basic mode in operation 911. The built-in wireless modem changed to the basic mode can communicate with the built-in wireless modem included in the external trunk modem. For example, the built-in wireless modem changed to the basic mode is a built-in wireless modem included in an external trunk modem and can transmit data measured by the AMI device 100.

도 10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착탈형 간선 모뎀에서 AMI 기기 및 상위통신기기와 통신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도 1, 도 3, 도 5의 착탈형 모뎀(110), 및 도 6의 착탈형 간선 모뎀(602)일 수 있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ommunication with an AMI device and an upper communication device in a detachable trunk mod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a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but not necessarily sequentially. For example, the order of each operation may be changed, or at least two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Here,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be the detachable modem 110 of FIGS. 1, 3, and 5, and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of FIG.

도 10을 참조하면,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동작 1001에서 AMI 기기(100)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계측 데이터는, AMI 기기(100)의 내장형 무선 모뎀(601)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 및 AMI 기기(100)에서 직접 계측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acquire measurement data from the AMI device 100 in operation 1001 . The acquired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data collected by the built-in wireless modem 601 of the AMI device 100 and data directly measured by the AMI device 100.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동작 1003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상위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형 간선 모뎀(602)은 접속 중인 AMI 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위 통신 기기인 데이터집중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transmit the data acquired in operation 1003 to the upper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the detachable trunk modem 602 may transfer data received from the AMI device 100 being connected to a data concentrator, which is an upper communication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MI 기기 및 모뎀 간의 접속부를 표준화함으로써, 모뎀에 대한 구분 없이 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호 운영성을 확보하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MI 기기와 모뎀 간의 식별 방법 및 운용 방법을 통해, 특정 통신 방식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신 방식에 적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standardi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MI device and the modem,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regardless of the modem, thereby securing interoperability and reducing operating costs effec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rough an identification method and an operating method between an AMI device and a modem,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100: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기기
102: 접속부 110: 착탈형 모뎀
112: 접속부 201, 215: 모뎀용 DC 전원
202: Rx/Tx 전환 신호 203, 204, 212: GND
205: UART1_RXD 206: MODE
207: UART1_TXD 208: Reserved
209: Reset 210: UART3_RXD
211: UART3_TXD 213: USB_DP/UART2_RXD
214: USB_DM/UART2_TXD 216: USB_VBUS
217: TX_SIGN 218: RX_SIGN
219: RX_SIGP 220: RX_SIGP
601: 내장형 무선 모뎀
100: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device
102: connection unit 110: detachable modem
112: connection part 201, 215: DC power supply for modem
202: Rx/Tx switching signal 203, 204, 212: GND
205: UART1_RXD 206: MODE
207: UART1_TXD 208: Reserved
209: Reset 210: UART3_RXD
211: UART3_TXD 213: USB_DP/UART2_RXD
214: USB_DM/UART2_TXD 216: USB_VBUS
217: TX_SIGN 218: RX_SIGN
219: RX_SIGP 220: RX_SIGP
601: built-in wireless modem

Claims (22)

원격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시스템에서 기기와 착탈형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한 핀맵 구조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 두 개의 전원 공급 핀들;
세 개의 그라운드 전원 핀들;
상기 기기와 상기 착탈형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한 세 쌍의 통신 핀들;
전력선 통신을 위한 두 쌍의 신호 핀들;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을 위한 접속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송수신 모드 전환 신호를 위한 송수신 전환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초기 동작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동작 모드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리셋을 위한 리셋 핀; 및
예비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맵 구조.
In the pin map structur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and a removable modem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two power supply pins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three ground power pins;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detachable modem;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Connection signal pin for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a transmission/reception switching signal pin for a transmission/reception mode conversion signal of the detachable modem;
an operation mode pin indicating an initial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a reset pin for resetting the detachable modem; and
A pin map structure comprising spare pi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 쌍의 통신 핀들은,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 통신, AT_COMMAND 통신, 모듈 데이터 통신, 또는 PPP(Point to Point Protocol) 통신에 이용되는 한 쌍의 제1 UART 통신 핀들;
RS-485 멀티 드롭 통신, 또는 상기 AT_COMMAND 통신에 이용되는 한 쌍의 제2 UART 통신 핀들; 및
USB 포트로 이용되거나, 상기 착탈형 모뎀과 상기 기기에 내장된 모듈 간의 통신을 위한 한 쌍의 USB/UART 겸용 통신 핀들을 포함하는, 핀맵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a pair of first UART communication pins used for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HDLC) communication, AT_COMMAND communication, module data communication, or Point to Point Protocol (PPP) communication;
a pair of second UART communication pins used for RS-485 multi-drop communication or the AT_COMMAND communication; and
A pin map structure that is used as a USB port or includes a pair of USB/UART combined communication pin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vable modem and a module embedded in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을 위한 두 쌍의 신호 핀들은,
전력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한 쌍의 핀들; 및
전력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한 쌍의 핀들을 포함하는, 핀맵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A pair of pi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A pin map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pi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 signal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원격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시스템에서 AMI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20개의 핀으로 구성된 접속부를 통해 착탈형 모뎀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
상기 착탈형 모뎀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는 동작;
상기 착탈형 모뎀으로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착탈형 모뎀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an AMI device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system,
Applying power to the detachable modem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composed of 20 pins;
obtaining and registe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movable modem;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to the detachable modem; and
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전원부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 두 개의 전원 공급 핀들;
세 개의 그라운드 전원 핀들;
상기 기기와 상기 착탈형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한 세 쌍의 통신 핀들;
전력선 통신을 위한 두 쌍의 신호 핀들;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을 위한 접속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송수신 모드 전환 신호를 위한 송수신 전환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초기 동작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동작 모드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리셋을 위한 리셋 핀; 및
예비 핀을 포함하는 핀맵을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part,
Two power supply pins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to reduce noise of the power supply unit;
three ground power pins;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detachable modem;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Connection signal pin for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a transmission/reception switching signal pin for a transmission/reception mode conversion signal of the detachable modem;
an operation mode pin indicating an initial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a reset pin for resetting the detachable modem; and
A method comprising a pinmap comprising spare pi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MI 기기는, 상기 세 쌍의 통신 핀들 중 어느 한 쌍의 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착탈형 모뎀과 통신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AMI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detachable modem using any one pair of pins among the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 쌍의 통신 핀들 중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 수신에 이용된 어느 한 쌍의 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착탈형 모뎀과의 통신 선로를 구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configuring a communication line with the detachable modem by using any one pair of pins us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among the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는, AT_COMMAND 통신을 기반으로 수신되며,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는, 상기 착탈형 모뎀의 통신 종류에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is received based on AT_COMMAND communic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is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of the detachable mod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는, AT_COMMAND 통신을 기반으로 전송되며,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는,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is transmitted based on AT_COMMAND communic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is set to a number value for the device type. W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는, 상기 AMI 기기가 계기인 경우, 계기에 대한 기기 식별자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계기에 대한 기기 식별자는, 제조사 번호,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 또는 일련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number for the device type is obtained from the device identifier for the device when the AMI device is a device,
The device identifier for th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nufacturer number, a device type number, or a serial nu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모뎀이 착탈형 간선 모뎀인 경우, 상기 AMI 기기에 내장된 내장형 무선 모뎀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모드는, 상기 AMI 기기의 내장형 무선 모뎀이 주변 계기들의 내장형 무선 모뎀에 대한 마스터 모뎀으로 동작하는 모드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detachable modem is a detachable trunk modem,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uilt-in wireless modem built into the AMI device to a master mode,
The master mode is a mode in which the built-in wireless modem of the AMI device operates as a master modem for built-in wireless modems of peripheral devi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드로 변경된 상기 내장형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계기들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 및
상기 수집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착탈형 모뎀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collecting measurement data of the peripheral instruments using the built-in wireless modem changed to the master mode;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to the removable mod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모뎀이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착탈형 모뎀의 탈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내장형 무선 모뎀을 상기 마스터 모드에서 기본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모드는, 상기 AMI 기기의 내장형 무선 모뎀이 외장형 간선 모뎀에 구비된 내장형 무선 모뎀과 통신하는 모드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detecting whether the detachable modem is detached; and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built-in wireless modem from the master mode to a basic mode when the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modem is detected;
The basic mode is a mode in which the built-in wireless modem of the AMI device communicates with a built-in wireless modem provided in an external trunk mod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MI 기기는, 계기, 데이터집중장치, 또는 스마트미터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MI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ter, a data concentrator, and a smart meter gateway.
원격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시스템에서 착탈형 모뎀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20개의 핀으로 구성된 접속부를 통해 AMI 기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동작;
상기 AMI 기기로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AMI 기기로부터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착탈형 모뎀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AMI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detachable modem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system,
An operation of receiving power from an AMI device through a connection composed of 20 pins;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to the AMI device;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from the AMI device;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set operation mode to the AMI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모뎀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착탈형 모뎀이 접속 중인 기기의 종류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접속 중인 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의 종류는, 계기, 데이터집중장치, 또는 스마트미터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determining a type of device to which the detachable modem is connec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nected device;
The type of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strument, a data concentrator, or a smart meter gatewa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전원부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 두 개의 전원 공급 핀들;
세 개의 그라운드 전원 핀들;
상기 기기와 상기 착탈형 모뎀 간의 통신을 위한 세 쌍의 통신 핀들;
전력선 통신을 위한 두 쌍의 신호 핀들;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을 위한 접속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송수신 모드 전환 신호를 위한 송수신 전환 신호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초기 동작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동작 모드 핀;
상기 착탈형 모뎀의 리셋을 위한 리셋 핀; 및
예비 핀을 포함하는 핀맵을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connection part,
Two power supply pins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to reduce noise of the power supply unit;
three ground power pins;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detachable modem;
two pairs of signal pin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Connection signal pin for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a transmission/reception switching signal pin for a transmission/reception mode conversion signal of the detachable modem;
an operation mode pin indicating an initial operation mode of the detachable modem;
a reset pin for resetting the detachable modem; and
A method comprising a pinmap comprising spare pin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모뎀은, 상기 세 쌍의 통신 핀들 중 어느 한 쌍의 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AMI 기기와 통신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The detachable modem communicates with the AMI device using any one pair of pins among the three pairs of communication pi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는, AT_COMMAND 통신을 기반으로 전송되며,
상기 착탈형 모뎀의 식별 정보는, 상기 착탈형 모뎀의 통신 종류에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is transmitted based on AT_COMMAND communic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modem is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of the detachable mode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는, AT_COMMAND 통신을 기반으로 수신되며,
상기 AMI 기기의 식별 정보는,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is received based on AT_COMMAND communic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MI device is set to a number value for the device typ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는, 상기 AMI 기기가 계기인 경우, 계기에 대한 기기 식별자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계기에 대한 기기 식별자는, 제조사 번호, 기기 형식에 대한 번호, 또는 일련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20,
The number for the device type is obtained from the device identifier for the device when the AMI device is a device,
The device identifier for th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nufacturer number, a device type number, or a serial nu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모뎀이 착탈형 간선 모뎀인 경우, 상기 AMI 기기의 내장형 무선 모뎀에 의해 수집된 주변 계기들의 계측 데이터, 및 상기 AMI 기기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주변 계기들의 계측 데이터, 및 상기 AMI 기기의 계측 데이터를 상위 통신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4,
When the detachable modem is a detachable trunk modem, receiving measurement data of peripheral instruments collected by the built-in wireless modem of the AMI device and measurement data of the AMI device;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peripheral devices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AMI device to a higher communication device.





KR1020210089346A 2021-07-07 2021-07-07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085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346A KR20230008550A (en) 2021-07-07 2021-07-07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346A KR20230008550A (en) 2021-07-07 2021-07-07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550A true KR20230008550A (en) 2023-01-16

Family

ID=8511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346A KR20230008550A (en) 2021-07-07 2021-07-07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85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480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ter reading and high speed data transfer
KR100823059B1 (en)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watt hour meter possible to wire and wireless
CN106131056B (en) Industrial wireless adapter and working method thereof
EP2585797B1 (en) Virtual smart energy meter
US20080005395A1 (en) Adapter to convert USB device into WUSB device
CN105446928A (en) Address automatically allocated serial bu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5471973A (en) Remote monitoring method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dicating lamp color of monitored object
CN108111382A (en) Communicator and its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I3C buses
WO2014099093A1 (en) System on a module for smart grid nodes
WO2016066219A1 (en) Prepaid metering adaptor
JP2014522615A (en) A method to support the introduction of a home automation system and the associated installation driver package
JP2000286757A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equipment for automatic metering system,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and automatic metering system
KR20230008550A (en)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device and modem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6991541U (en) Power meter reading system multipurpose test system
WO2012043916A1 (en) Gateway for linking smart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ami system, and system linking method using same
CN204880963U (en) Refrigerator operating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CN103246223A (en) Zigbee-based sensing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
CN107966938A (en) A kind of multi-medium intelligent terminal device
US20220252485A1 (en) Sensing System
KR20030027975A (en) Wireless Modem for Remote Telemetering
CN106373361A (en) Wireless collection and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CN105300199A (en) RS-422/485 communication test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guided missile automatic testing
CN105468493B (en) It is automatically positioned rack server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JP3862638B2 (en) Joint meter reading system and relay terminal
CN205541402U (en) Environment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