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737A - 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 - Google Patents

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737A
KR20230007737A KR1020210088430A KR20210088430A KR20230007737A KR 20230007737 A KR20230007737 A KR 20230007737A KR 1020210088430 A KR1020210088430 A KR 1020210088430A KR 20210088430 A KR20210088430 A KR 20210088430A KR 20230007737 A KR20230007737 A KR 2023000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waveguide
band
conver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0815B1 (en
Inventor
강승택
이창형
서예준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815B1/en
Publication of KR2023000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8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4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variable factor of coupling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that removes a signal of a 28 GHz band while passing through less than 6 GHz for a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passes the signal in a low frequency band, which is Sub-6 GHz for a 5G mobile communication, as a combined-type filter of a waveguide and a coaxial line, and blocks the signal from mmWave, which is the high-frequency band, thereby enabling a structure of the filter to be very small and lightweight, and having an effect of being easy to embed into a system. 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comprises: a waveguide; and a coaxial line.

Description

5세대 이동통신용 6 GHz 이하 통과하면서 28 GHz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

본 발명은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파관과 동축선의 결합형 필터로서 5G 이동통신용 Sub-6 GHz인 저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대역인 밀리미터파(mmWave)에서 신호를 차단하는 5세대 이동통신용 6 GHz 이하 통과하면서 28 GHz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as a waveguide and coaxial line combined filter that passes signals in a low frequency band, such as Sub-6 GHz for 5G mobile communication, and signals in a high frequency band, mmWave It relates to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that removes signals in the 28 GHz band while passing below 6 GHz for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hat blocks

5세대 이동통신에서 무선 통신과 이동 통신 기술은 Sub-6 GHz 대역인 3.5 GHz와, 28GHz와 같은 고주파 대역을 사용한다.In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high frequency bands such as 3.5 GHz and 28 GHz, which are Sub-6 GHz bands.

고주파 신호의 전력은 공간에서 전파할 때, 그 감쇄가 거리 제곱에 비례하고, 파장 제곱에 반비례하여 매우 큰 손실이 불가피하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When the power of a high-frequency signal propagates in space, its attenuation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wavelength, so a very large loss is unavoidable. Accordingly, power los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minimized.

수 GHz 대역에서 무선통신 회로들은 손실이 발생하는 적층 기판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저가로 대량 생산에 용이하여 지금까지 통용되어 왔다.In the several GHz band,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are made in the form of laminated boards that generate losses, and have been commonly used so far because they are easy to mass-produce at low cost.

그러나 5G와 같이 주파수가 밀리미터파 대역에서는 적층 기판 회로의 손실이 급증하여 통신 품질이 낮아지며,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를 만족할 수 없다.However, in the millimeter wave band, such as in 5G, the loss of the multilayer board circuit increases rapidly, reducing communication quality, and cannot satisfy the demand for large-capacity data transmiss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서는 방사 공간에 노출된 적층 기판 대신에 금속 벽으로 갇힌 구조의 도파관(Waveguide)을 사용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aveguide with a structure confined by a metal wall was used instead of the laminated substrate exposed to the radiation space.

그러나 종래의 도파관은 단일 대역의 대역 차단 여파기이고, 20GHz가 차단 주파수로 20GHz 이하에서의 신호를 모두 통과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5G 이동통신용 Sub-6 GHz 이하의 신호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veguide is a band blocking filter of a single band, and 20 GHz is a cut-off frequency and cannot pass all signals below 20 GHz,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signals below Sub-6 GHz for 5G mobile communication cannot pass. do.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31775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31775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파관과 동축선의 결합형 필터로서 5G 이동통신용 Sub-6 GHz인 저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대역인 밀리미터파(mmWave)에서 신호를 차단하는 5세대 이동통신용 6 GHz 이하 통과하면서 28 GHz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veguide and coaxial line combined filter that passes signals in the low frequency band, which is Sub-6 GHz for 5G mobile communication, and blocks signals in the high frequency band, mmWa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that removes signals in the 28 GHz band while passing 6 GHz or less for mobile commun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는,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입력단에서 도파관의 단면적이 순차적으로 커지다가 일정 길이의 중간부를 통과하여 출력단으로 갈수록 도파관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도파관; 및A waveguide having a constant size in such a way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increases sequentially at the input end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utput end through a middle portion of a certain length; and

상기 도파관의 내부 중심부를 관통하는 동축선을 포함하며, 상기 도파관과 동축선의 결합형 필터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통과시키고, 특정한 고주파 대역인 밀리미터파(mmWave)에서 신호를 차단한다.It includes a coaxial line penetrating the inner center of the waveguide, and a combined filter of the waveguide and the coaxial line passes signals in a low frequency band and blocks signals in a specific high frequency band, mmWav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는,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고,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태의 복수의 입력 변환기를 구성하고,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1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는 제1 임피던스 정합부;It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of the input port, constitutes a plurality of input converters in the form of gradually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the inner space part penetrates each other, and a first inner metal bar of a certain length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part.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penetrating;

상기 제1 임피던스 정합부에 접속하여 일정한 길이로 내부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직사각형 중공 단면이 관통되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2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고, 상부면에 상부 금속통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부 금속통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하며, 상기 상부 금속통과 상기 하부 금속통 각각에 금속 재질의 단락핀(Shorting Pin)을 삽입하여 필요한 차단 대역을 생성하는 중앙 도파관; 및It is connected to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to form an empty inner spac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penetrates, and a second inner metal bar of a predetermined lengt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 An upper metal cylind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lower metal cylind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shorting pin made of metal is provided on each of the upper metal cylinder and the lower metal cylinder. a central waveguide for generating a required cut-off band by inserting; and

상기 중앙 도파관에 접속하여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복수의 출력 변환기를 구성하고,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3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며, 상기 제3 금속 내심 바의 끝단을 출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는 제2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한다.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waveguide to form a plurality of output transducers having gradual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s, and the inner space passes through each other, and a third inner metal bar of a certain lengt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 A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 to the coaxial line of the output port.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도파관을 기반으로 한 필터로 5G 이동통신용 Sub-6 GHz인 저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대역인 밀리미터파(mmWave)에서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assing signals in a low-frequency band, which is Sub-6 GHz for 5G mobile communication, and blocking signals in a high-frequency band, mmWave, with a filter based on a waveguide.

본 발명은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의 구조가 매우 작고 가볍고, 시스템에 내장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structure of 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mall and light, and has an effect of being easily incorporated into a system.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이동통신용 6GHz 이하의 신호를 통과하면서 28GHz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도파관과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파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도파관과 본 발명의 금속 내심 바와 단락핀을 구비한 도파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극점의 공진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극점의 공진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임피던스 정합부와 제2 임피던스 정합부의 구조를 상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의 차단 대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that removes a signal of a 28 GHz band while passing a signal of 6 GHz or less for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op view of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veguide of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waveguide having a metal inner core bar and a shorting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ior art waveguid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ngle pole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polar resona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and a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op and side views.
10 is a diagram showing a cut-off band of a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5G 이동통신 시스템과 밀리미터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는 도파관 회로와 부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Ka 대역 위성통신, 항공통신, 국방 무선통신, 차량충돌 방지용 레이다의 RF단을 포함한다.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devices that transmit and receive millimeter wave signals are dominated by waveguide circuits and components. These devices include Ka-band satellite communication, aviation communication, defens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RF stage of radar f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본 발명은 도파관을 기반으로 한 대역 차단 필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nd-stop filter based on a waveguide.

밀리미터파 대역의 통신장치의 입출력신호와 성능 측정용 장비들의 신호 전달은 도파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파관은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5G 이동통신 주파수 신호의 유입을 차단해야 한다. 이러한 잡음 억제를 위해서는 Ka 대역용 표준 도파관(WR-28)으로서 25.5 GHz부터 30.5GHz까지의 광대역의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 차단 여파기(Bandstop Filter, BSF)를 만들어야 한다.Signal transmission of the input/output signal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millimeter wave band and the signals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equip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waveguide. The waveguide must block the inflow of 5G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signals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 To suppress such noise, a bandstop filter (BSF) that removes wideband noise from 25.5 GHz to 30.5 GHz must be made as a standard waveguide (WR-28) for the Ka band.

종래의 Ka 대역 표준 도파관은 20GHz 이상에서 차단 주파수(Cut Off Frequency)를 가지므로 차단 주파수 미만의 신호를 통과할 수 없다.Conventional Ka-band standard waveguides have a cut-off frequency above 20 GHz, and thus cannot pass signals below the cut-off frequency.

본 발명은 낮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원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passing a signal of a low frequency band and blocking a signal of a desired specific frequency ban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이동통신용 6GHz 이하의 신호를 통과하면서 28GHz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that removes a signal in the 28 GHz band while passing a signal of 6 GHz or less for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top view of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를 위에서 본 모습이고, 도 2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를 아래에서 본 모습이다.1 is a top view of 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ping filter, and FIG. 2 is a view of 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ping filter from the bottom.

5G 네트워크는 크게 두가지 대역폭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Sub-6 GHz(6G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이 있고 28G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이 있습니다. 여기서, 고주파수 대역을 mmWave(밀리미터파)라고 부릅니다.5G network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bandwidths. There is a low frequency band of Sub-6 GHz (below 6 GHz) and a high frequency band above 28 GHz. Here, the high-frequency band is called mmWave (millimeter w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이동통신용 6GHz 이하에서 신호를 통과하면서 28GHz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입력단에서 도파관의 단면적이 순차적으로 커지다가 일정 길이의 중간부를 통과하여 출력단으로 갈수록 도파관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도파관이다.Subminiatur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100 that removes signals in the 28GHz band while passing signals at 6GHz or less for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a middle portion of a certain length aft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increases sequentially at the input end It is a waveguide having a certain size in the form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to the output end.

도파관의 내부 중심부를 관통하는 동축선을 포함하며, 도파관과 동축선의 결합형 필터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통과시키고, 특정한 고주파 대역인 밀리미터파(mmWave)에서 신호를 차단한다.It includes a coaxial line penetrating the inner center of the waveguide, and the combined filter of the waveguide and the coaxial line passes signals in a low frequency band and blocks signals in a specific high frequency band, mmWave.

결합형 필터는 5G 이동통신용 Sub-6 GHz 이하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25.5GHz 내지 30.5GHz 대역의 밀리미터파 대역 중 5G 이동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차단한다.The combined filter passes signals below Sub-6 GHz for 5G mobile communication and blocks signals in the 5G mobile frequency band among millimeter wave bands in the 25.5GHz to 30.5GHz band.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최좌측과 최우측에 입력포트(111)와 출력포트(139)로 이루어지고,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 중앙 도파관(120) 및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를 포함한다.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100 is composed of an input port 111 and an output port 139 on the leftmost and rightmost sides, and includes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a central waveguide 120, and a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도파관은 입력포트(111)의 동축선(111a)에 접속하여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태의 복수의 입력 변환기를 구성한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와,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에 접속하여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고, 필요한 차단 대역을 생성하는 금속 하우징을 구비한 중앙 도파관(120) 및 금속 하우징(121)에 접속하여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복수의 출력 변환기를 구성하고, 출력포트(139)의 동축선(139a)에 접속하는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0를 포함한다.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100 includes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input converters having a gradually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by connecting the waveguide to the coaxial line 111a of the input port 111, and the first impedance A central waveguide 120 having a metal housing that is connected to the matching unit 110 to form a certain length and creates a required cut-off band, and a plurality of output converters that are connected to the metal housing 121 and have gradual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s. and a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0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139a of the output port 139.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 중앙 도파관(120) 및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the central waveguide 120, and 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는 입력포트(111)로부터 도파관의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태이다.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from the input port 111 gradually increases.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는 동축선(111a)이 삽입된 입력포트(111), 제1 입력 변환기(112), 제2 입력 변환기(113), 제3 입력 변환기(114) 및 제4 입력 변환기(115)를 포함한다.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includes an input port 111 into which a coaxial line 111a is inserted, a first input converter 112, a second input converter 113, a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a fourth input converter. Transducer 115 is included.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는 입력포트(111)와 접속되는 직사각형의 제1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1 입력 변환기(112)와, 제1 입력 변환기(112)와 연통되어 제1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2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2 입력 변환기(113)와, 제2 입력 변환기(113)와 연통되어 제2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3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3 입력 변환기(114)와, 제3 입력 변환기(114)와 연통되어 제3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4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4 입력 변환기(115)를 포함한다.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having a rectangular first hollow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input port 111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hollow cross section. And a second input converter 113 having a large rectangular second hollow cross section, and a third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input converter 113 and has a width and a larger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than the second hollow cross section. It includes a three-input converter 114 and a fourth input converter 115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having a rectangular fourth hollow section with a width and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third hollow section.

제1 입력 변환기(112), 제2 입력 변환기(113), 제3 입력 변환기(114) 및 제4 입력 변환기(115)는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the second input converter 113, the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the fourth input converter 115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제1 입력 변환기(112), 제2 입력 변환기(113), 제3 입력 변환기(114) 및 제4 입력 변환기(115) 각각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중공 단면이 관통되어 형성된다.Each of 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the second input converter 113, the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the fourth input converter 115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has a constant length, and has a rectangular hollow section passing through it. to be formed

또한, 제1 입력 변환기(112), 제2 입력 변환기(113), 제3 입력 변환기(114) 및 제4 입력 변환기(115)는 중공 단면이 동일하지 않고, 서로 다른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the second input converter 113, the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the fourth input converter 115 do not have the same hollow section and have different predetermined widths and heights. .

제1 입력 변환기(112), 제2 입력 변환기(113), 제3 입력 변환기(114) 및 제4 입력 변환기(115)는 중공 단면의 둘레가 벽에 의해 밀폐되어 있고, 제1 입력 변환기(112), 제2 입력 변환기(113), 제3 입력 변환기(114) 및 제4 입력 변환기(115)로 갈수록 중공 단면의 폭과 너비가 점진적으로 커진다.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the second input converter 113, the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the fourth input converter 115 have their hollow cross sections sealed by walls, and 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 the width and width of the hollow section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second input converter 113, the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the fourth input converter 115.

제1 입력 변환기(112), 제2 입력 변환기(113), 제3 입력 변환기(114) 및 제4 입력 변환기(115)는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1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116, 117, 118, 119)를 관통하며, 제1 금속 내심 바(116, 117, 118, 119)의 일단이 입력포트(111)의 동축선(111a)에 접속된다.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the second input converter 113, the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the fourth input converter 115 have internal spaces passing through each other, and a first input convert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It passes through the inner metal bars 116, 117, 118, and 119, and one end of the first metal inner bars 116, 117, 118, and 119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111a of the input port 111. connected

제1 금속 내심 바(116, 117, 118, 119)의 크기는 제1 입력 변환기(112), 제2 입력 변환기(113), 제3 입력 변환기(114) 및 제4 입력 변환기(115)의 중공 단면의 단면적에 따라 크기가 점차 커지며, 즉, 제1 금속 내심 바(116, 117, 118, 119)의 폭과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이다.The sizes of the first metal inner core bars 116, 117, 118, and 119 are hollow in the first input converter 112, the second input converter 113, the third input converter 114, and the fourth input converter 115. The size gradually increase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 section, that is,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inner core bars 116, 117, 118, and 119 increase.

제1 금속 내심 바(116, 117, 118, 119)는 입력포트(111)의 동축선(111a)에 연결되어 수 GHz와 같은 낮은 주파수 대역과 밀리미터파 대역의 초광대역 상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기능을 한다.The first metal inner core bars 116, 117, 118, and 119 are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111a of the input port 111 to match the impedance on a low frequency band such as several GHz and an ultra-wide band of millimeter wave band. do.

중앙 도파관(120)은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와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중공 단면이 관통된 금속 하우징(121)을 형성한다.The central waveguide 12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and 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constant length as a whole, and has a metal housing through which a rectangular hollow section passes ( 121) form.

금속 하우징(121)은 내부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122)를 형성하고, 중심부를 일정한 길이의 제2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123)가 관통하고 있다. 금속 하우징(121)의 내부 공간부(122)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다.The metal housing 121 forms an empty inner space 122, and a second inner metal bar 12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asses through the center. The inner space 122 of the metal housing 121 is filled with air.

금속 하우징(121)은 상부면에 상부 금속통(124)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부 금속통(126)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metal housing 121 is formed by spaced apart upper metal cylinder 124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and formed by spaced apart lower metal cylinder 126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surface.

각각의 상부 금속통(124)과 각각의 하부 금속통(126)은 일정한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 있어 금속 하우징(121)의 내부 공간부(122)와 연통되어 있고, 금속 하우징(121)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다.Each of the upper metal cylinder 124 and each of the lower metal cylinder 126 has a hexahedral shape of a certain size and has an empty in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122 of the metal housing 121, and the metal housing 121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각각의 상부 금속통(124)은 중앙에 금속 재질의 상부 단락핀(Shorting Pin)(125)을 삽입하고, 각각의 하부 금속통(126)은 중앙에 금속 재질의 하부 단락핀(Shorting Pin)(127)을 삽입하고 있다.Each upper metal cylinder 124 inserts an upper shorting pin 125 made of metal in the center, and each lower metal cylinder 126 has a lower shorting pin made of metal in the center ( 127) is inserted.

각각의 상부 단락핀(125)은 상부 금속통(124)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부 금속통(124)의 내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제2 금속 내심 바(123)의 근처까지 도달한다.Each upper shorting pin 125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upper metal cylinder 124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metal cylinder 124 to reach the vicinity of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123 .

각각의 하부 단락핀(127)은 하부 금속통(126)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하부 금속통(126)의 내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제2 금속 내심 바(123)의 근처까지 도달한다.Each lower shorting pin 127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lower metal cylinder 126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metal cylinder 126 to reach the vicinity of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123 .

각각의 상부 단락핀(125)과 각각의 하부 단락핀(127)은 TE10 모드의 진행 방향의 자기장이 존재하는 직렬 인덕턴스와, 병렬로 연결된 영향으로 인한 병렬 인덕턴스들로 이루어진 공진기의 인덕터(Inductor) 역할을 한다.Each of the upper shorting pins 125 and each of the lower shorting pins 127 is an inductor of a resonator composed of a series inductance in which a magnetic fiel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E 10 mode exists and a parallel inductance due to the effect connected in parallel play a role

상부 단락핀(125)과 제2 금속 내심 바(123)의 사이의 제1 갭(Gap)(128)과, 하부 단락핀(127)과 제2 금속 내심 바(123)의 사이의 제2 갭(Gap)(129)은 공진기의 커패시터(Capacitor) 역할을 한다.A first gap 128 between the upper shorting pin 125 and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123 and a second gap between the lower shorting pin 127 and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123 (Gap) 129 serves as a capacitor of the resonator.

대역 차단 필터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인하여 특정 주파수를 골라내거나 걸러내는 주파수 선택 특성인 공진(Resonance)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차단 영역의 극점(Pole) 주파수를 발생시킨다.In the band-stop filter, a resonance phenomenon, which is a frequency selection characteristic that selects or filters out a specific frequency, occurs due to an inductor and a capacitor, and thus generates a pole frequency in a cut-off region.

상부 단락핀(125)과 상부 금속통(124) 및 하부 단락핀(127)과 삽입된 하부 금속통(126)은 대역 차단 필터의 차수에 맞추어 여러 개가 되어 종축 방향상에서 일렬로 배치된다.The upper shorting pin 125, the upper metal cylinder 124, the lower shorting pin 127, and the inserted lower metal cylinder 126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band cut filter.

대역 차단 필터는 상부 금속통들(124) 간의 간격과 하부 금속통들(126) 간의 간격으로 공진기들 간의 결합(Coupling)을 조절하면, 극점들의 위치도 조정되어 잡음 억제 대역이 형성된다.When the coupling between resonators is adjus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metal cylinders 12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metal cylinders 126 in the band cut filter, the positions of poles are also adjusted to form a noise suppression band.

제1 갭(128)과 제2 갭(129)은 공진기의 커패시터로 차단 영역의 극점을 결정할 수 있다.The first gap 128 and the second gap 129 are capacitors of the resonator and may determine poles of the blocking region.

복수의 상부 금속통(124)의 배열과 간격과 복수의 하부 금속통(126)의 배열과 간격은 인접 요소의 결합량으로 복수의 극점들의 이격을 통해 차단 대역을 형성한다.The arrangement and spacing of the plurality of upper metal cylinders 124 and the arrangement and spacing of the plurality of lower metal cylinders 126 form a blocking band through the spacing of a plurality of poles by the coupling amount of adjacent elements.

상부 금속통(124)과 하부 금속통(126)은 공진기의 인덕터의 역할로서, 상부 단락핀(125)의 접지 기능과 하부 단락핀(127)의 접지 기능과, 제2 금속 내심 바(123)와의 간격 조절 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upper metal tube 124 and the lower metal tube 126 serve as inductors of the resonator, and the grounding function of the upper shorting pin 125 and the grounding function of the lower shorting pin 127, and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123 It can play a role of support when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상부 금속통(124)과 하부 금속통(126)은 직경과 깊이를 변경하여 공진 주파수의 미세 조정한다.The diameter and depth of the upper metal cylinder 124 and the lower metal cylinder 126 are changed to fine-tune the resonant frequency.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와 반대로 도파관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이다.In contrast to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gradually decreases.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제1 출력 변환기(131), 제2 출력 변환기(132), 제3 출력 변환기(133), 제4 출력 변환기(134) 및 동축선을 삽입한 출력포트(139)를 포함한다.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output converter 131, a second output converter 132, a third output converter 133, a fourth output converter 134, and an output port 139 into which a coaxial cable is inserted. ).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금속 하우징(121)과 접속되는 직사각형의 제1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1 출력 변환기(131)와, 제1 출력 변환기(131)와 연통되어 제1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2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2 출력 변환기(132)와, 제2 출력 변환기(132)와 연통되어 제2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3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3 출력 변환기(133)와, 제3 출력 변환기(133)와 연통되어 제3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4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4 출력 변환기(134)를 포함한다. 제4 출력 변환기(134)는 출력포트(139)에 접속한다.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having a rectangular first hollow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metal housing 121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hollow cross section. And a second output converter 132 having a large rectangular second hollow cross section and a third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output converter 132 and has a width and a larger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than the second hollow cross section. It includes a three-output converter 133 and a fourth output converter 134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output converter 133 and having a rectangular fourth hollow section that is larger in width and width than the third hollow section. The fourth output converter 134 is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139.

제1 출력 변환기(131), 제2 출력 변환기(132), 제3 출력 변환기(133) 및 제4 출력 변환기(134)는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the second output converter 132, the third output converter 133,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134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제1 출력 변환기(131), 제2 출력 변환기(132), 제3 출력 변환기(133) 및 제4 출력 변환기(134) 각각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중공 단면이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the second output converter 132, the third output converter 133,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134 each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have a constant length, and a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passes through them. to be formed

또한, 제1 출력 변환기(131), 제2 출력 변환기(132), 제3 출력 변환기(133) 및 제4 출력 변환기(134)는 중공 단면이 동일하지 않고, 서로 다른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진다.In addition, 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the second output converter 132, the third output converter 133,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134 do not have the same hollow section and have different predetermined widths and heights. .

제1 출력 변환기(131), 제2 출력 변환기(132), 제3 출력 변환기(133) 및 제4 출력 변환기(134)는 중공 단면의 둘레가 벽에 의해 밀폐되어 있고, 제1 출력 변환기(131), 제2 출력 변환기(132), 제3 출력 변환기(133) 및 제4 출력 변환기(134)로 갈수록 중공 단면의 폭과 너비가 점진적으로 작아진다.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the second output converter 132, the third output converter 133,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134 have their hollow cross-sections sealed by walls, and 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 the second output converter 132, the third output converter 133,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134, the width and width of the hollow section gradually decrease.

제1 출력 변환기(131), 제2 출력 변환기(132), 제3 출력 변환기(133) 및 제4 출력 변환기(134)는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의 제3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135, 136, 137, 138)를 관통하며, 제3 금속 내심 바(135, 136, 137, 138)의 일단이 출력포트(139)의 동축선(139a)에 접속된다.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the second output converter 132, the third output converter 133,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134 have internal spaces passing through each other, and a third output conver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It passes through the inner metal bars 135, 136, 137, and 138, and one end of the third inner metal bars 135, 136, 137, and 138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139a of the output port 139. connected

제3 금속 내심 바(135, 136, 137, 138)는 제1 출력 변환기(131), 제2 출력 변환기(132), 제3 출력 변환기(133) 및 제4 출력 변환기(134)의 중공 단면의 단면적에 따라 크기가 점차 작아지며, 즉, 제3 금속 내심 바(135, 136, 137, 138)의 폭과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이다.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s 135, 136, 137, and 138 are hollow sections of the first output converter 131, the second output converter 132, the third output converter 133,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134. The size gradually decrease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that is,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s 135, 136, 137, and 138 decrease.

제3 금속 내심 바(135, 136, 137, 138)는 출력포트(139)의 동축선(139a)에 연결되어 수 GHz와 같은 낮은 주파수 대역과 밀리미터파 대역의 초광대역 상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기능을 한다.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s 135, 136, 137, and 138 are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139a of the output port 139 to match the impedance on a low frequency band such as several GHz and an ultra-wide band of millimeter wave band. do.

제1 금속 내심 바(116, 117, 118, 119), 제2 금속 내심 바(123) 및 제3 금속 내심 바(135, 136, 137, 138)는 동축선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metal inner core bars 116, 117, 118 and 119,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123 and 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s 135, 136, 137 and 138 serve as coaxial lines.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밀리미터파 대역을 차단하고, 5G 이동통신용 Sub-6 GHz를 통과하고, 동축선이 내부 중심부를 관통하여 도파관(Waveguide)과 동축선의 결합형의 필터이다.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cutting filter 100 blocks the millimeter wave band, passes through Sub-6 GHz for 5G mobile communication, and has a coaxial line passing through the inner center, and is a combined filter of a waveguide and a coaxial line.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구조가 매우 작고 가볍고, 시스템에 내장이 용이하고, 전체 길이가 56mm이고, 중앙 도파관(120)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7.11mm이고, 중앙 도파관(120)에서 상부 금속통(124)과 하부 금속통(126)까지의 길이가 7.52mm이다.The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100 has a very small and light structure, is easy to embed into the system, has an overall length of 56 mm, a length of the central waveguid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7.11 mm,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waveguide 120. The length from the metal tube 124 to the lower metal tube 126 is 7.52 mm.

도 5는 종래 기술의 도파관과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파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veguide of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좌측 부분은 일반적인 금속 도파관(내부가 비어 있어 공기나 단일 절연체로 채워짐)이다.As shown in Fig. 5, the left part of Fig. 5 is an ordinary metal waveguide (empty inside and filled with air or a single insulator).

도 5의 우측 부분은 본 발명의 도파관이고, 도파관의 내부 공간부에 금속 내심 바를 관통한 모습이다.The right part of FIG. 5 is the wave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al inner core bar penetrates the inner space of the waveguide.

일반적인 금속 도파관은 TE10 모드를 신호 전달에 사용하고, 동축선은 TEM 모드를 신호 전달에 사용한다.A typical metal waveguide uses TE 10 mode for signal transmission, and a coaxial wire uses TEM mode for sign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도파관의 내부에 금속 도심 바를 관통시켜 TE10 모드에 변경을 주어 TEM 모드와 전기적 및 전자기적으로 정합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TE 10 mode by penetrating a metal centroid bar inside the waveguide to electrically and electromagnetically match the TEM mode.

도 6은 종래 기술의 도파관과 본 발명의 금속 내심 바와 단락핀을 구비한 도파관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waveguide having a metal inner core bar and a shorting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ior art waveguide.

본 발명은 금속통(124, 126)에 단락핀(125, 127)을 삽입한 것이다. 금속통(124, 126)은 단락핀(125, 127)의 접지 기능과, 제2 금속 내심 바(123)의 간격 조절 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ing pins 125 and 127 are inserted into the metal cylinders 124 and 126. The metal tubes 124 and 126 perform a grounding function of the shorting pins 125 and 127 and a support role when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123.

본 발명의 도파관은 금속통(124, 126)의 직경과, 금속통(124, 126)과 단락핀(125, 127)의 사이의 간격으로 공진 주파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In the wave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frequency can be finely adjusted by the diameter of the metal cylinders 124 and 126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etal cylinders 124 and 126 and the shorting pins 125 and 12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극점의 공진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극점의 공진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ngle-pole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pole-point resona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통은 단락핀이 내부벽에 붙어있고, 단락핀은 종축 방향으로 금속 내심 바를 향해서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형태는 단일 극점의 공진기로 사용한다.As shown in Fig. 7, the metal cylinder has a shorting pin attached to the inner wall, and the shorting pin is disposed close to the metal inner core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type is used as a single pole resonato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락핀(125)과 하부 단락핀(127)은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하여 인접 요소들 간의 결합(Coupling, 제i번 공진기와 제j번 공진기 간의 결합계수인 Mij으로 표현함)에 의해 차단 대역을 형성하고, 그들의 간격을 조정하여 복수의 극점들을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대역(대역 차단 필터의 차단 대역)을 만족시킨다.As shown in FIG. 8, the upper shorting pin 125 and the lower shorting pin 127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row so that adjacent elements are coupled (Coupling, the coupling coefficient between the ith resonator and the jth resonator is M A cut-off band is formed by ij ), and a plurality of poles are formed by adjusting their intervals to satisfy a required band (cut-off band of a band-stop filter).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임피던스 정합부와 제2 임피던스 정합부의 구조를 상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and a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op and side views.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는 입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여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태의 복수의 입력 변환기를 구성한다.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of the input port to form a plurality of input transducers having a gradually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복수의 출력 변환기를 구성하여 출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한다.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 constitutes a plurality of output converters having gradual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s and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of the output port.

제1 임피던스 정합부(110)와 제2 임피던스 정합부(130)는 도파관과 동축선의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는 트랜지션(Transition)형 임피던스 정합기이다.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0 and 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0 are transition type impedance matching devices that perform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waveguide and the coaxial line.

제1 금속 내심 바(116, 117, 118, 119)와 제3 금속 내심 바(135, 136, 137, 138)는 폭과 두께를 삽입 손실 크기와 주파수 대역폭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만족도에 따라 결정한다.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inner core bars 116, 117, 118, and 119 and 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s 135, 136, 137, and 138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loss and impedance matc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width.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의 차단 대역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 cut-off band of a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5G 이동통신용 28GHz 대역에서 신호 억압 목적을 요구하고, 25.5GHz 내지 30.5GHz 대역에서 신호를 도파관으로 억압하면서 5G Sub-6 GHz 주파수 대역인 3.5 GHz을 포함한 그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통과시킨다.Th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the purpose of suppressing signals in the 28GHz band for 5G mobile communication, and suppresses signals in the 25.5GHz to 30.5GHz band with a waveguide, including the 5G Sub-6 GHz frequency band of 3.5 GHz. Passes signals in the following frequency bands.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waveguide band-stop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입력포트(111)로부터 출력포트(139)까지의 부품 전체의 전달계수를 의미하는 S21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S21이 25.5GHz 내지 30.5GHz에서 가장자리 주파수가 -3dB 이하이면서 목표 차단 주파수 구간 안에서 급격히 -15dB 이하로 떨어져 매우 우수한 대역차단 특성을 보인다.In the waveguide band-stop fil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 21 meaning the transfer coefficient of the entire component from the input port 111 to the output port 139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S 21 has an edge frequency of -3dB or less at 25.5GHz to 30.5GHz and rapidly drops to -15dB or less within the target cutoff frequency range, showing excellent band-block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5G 이동통신용 Sub-6 GHz 이하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밀리미터파 대역 중 5G 이동 주파수 대역(25.5GHz 내지 30.5GHz 대역)에서 신호를 차단한다.Th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signals below Sub-6 GHz for 5G mobile communication and blocks signals in the 5G mobile frequency band (25.5 GHz to 30.5 GHz band) among millimeter wave bands.

본 발명의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100)는 입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고,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태의 복수의 입력 변환기를 구성하고,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1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는 제1 임피던스 정합부;The waveguide band-stop fil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of the input port, constitutes a plurality of input transducers in a form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the inner space part penetrates each other, and a certain length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part.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penetrating the first metal inner core bar;

제1 임피던스 정합부에 접속하여 일정한 길이로 내부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직사각형 중공 단면이 관통되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2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고, 상부면에 상부 금속통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부 금속통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하며, 상부 금속통과 하부 금속통 각각에 금속 재질의 단락핀(Shorting Pin)을 삽입하여 필요한 차단 대역을 생성하는 중앙 도파관; 및It is connected to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to form an empty inner spac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penetrates, and a second inner metal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n upper metal cylind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lower metal cylind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shorting pin made of metal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upper metal cylinder and the lower metal cylinder. a central waveguide that creates the required cutoff band; and

중앙 도파관에 접속하여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복수의 출력 변환기를 구성하고,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3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며, 제3 금속 내심 바의 끝단을 출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는 제2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한다.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waveguide to form a plurality of output transducer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he inner space passes through each other, and the third inner metal bar of a certain lengt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connecting an end of 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 to the coaxial line of the output por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0: 렌즈 케이스 101: 렌즈통
100: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110: 제1 임피던스 정합부
111: 입력포트 111a: 동축선
112: 제1 입력 변환기 113: 제2 입력 변환기
114: 제3 입력 변환기 115: 제4 입력 변환기
116, 117: 118, 119: 제1 금속 내심 바
120: 중앙 도파관 121: 금속 하우징
122: 내부 공간부 123: 제2 금속 내심 바
124: 상부 금속통 125: 상부 단락핀
126: 하부 금속통 127: 하부 단락핀
128: 제1 갭 129: 제2 갭
130: 제2 임피던스 정합부 131: 제1 출력 변환기
132: 제2 출력 변환기 133: 제3 출력 변환기
134: 제4 출력 변환기
135, 136: 137, 138: 제3 금속 내심 바
139: 출력포트 139a: 동축선
100: lens case 101: lens barrel
100: subminiatur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110: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111: input port 111a: coaxial line
112: first input converter 113: second input converter
114: third input converter 115: fourth input converter
116, 117: 118, 119: first metal inner core bar
120: central waveguide 121: metal housing
122: inner space 123: second metal inner core bar
124: upper metal box 125: upper shorting pin
126: lower metal box 127: lower shorting pin
128: first gap 129: second gap
130: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131: first output converter
132: second output converter 133: third output converter
134 fourth output converter
135, 136: 137, 138: third metal inner core bar
139: output port 139a: coaxial line

Claims (12)

입력단에서 도파관의 단면적이 순차적으로 커지다가 일정 길이의 중간부를 통과하여 출력단으로 갈수록 도파관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도파관; 및
상기 도파관의 내부 중심부를 관통하는 동축선을 포함하며, 상기 도파관과 동축선의 결합형 필터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통과시키고, 특정한 고주파 대역인 밀리미터파(mmWave)에서 신호를 차단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A waveguide having a constant size in such a way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increases sequentially at the input end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utput end through a middle portion of a certain length; and
It includes a coaxial line penetrating the inner center of the waveguide, and the combined filter of the waveguide and the coaxial line passes signals in a low frequency band and blocks signals in a specific high frequency band, mmWave. Subminiatur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형 필터는 5G 이동통신용 Sub-6 GHz 이하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25.5GHz 내지 30.5GHz 대역의 밀리미터파 대역 중 5G 이동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bined filter is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that passes signals of Sub-6 GHz or less for 5G mobile communication and blocks signals of the 5G mobile frequency band among the millimeter wave bands of the 25.5 GHz to 30.5 GHz ba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입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여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태의 복수의 입력 변환기를 구성한 제1 임피던스 정합부;
상기 제1 임피던스 정합부에 접속하여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고, 필요한 차단 대역을 생성하는 금속 하우징을 구비한 중앙 도파관; 및
상기 금속 하우징에 접속하여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복수의 출력 변환기를 구성하고, 출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는 제2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veguide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of the input port and includes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configuring a plurality of input transducers having a gradually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a central waveguide having a metal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and generating a required cut-off band; and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comprising a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connected to the metal housing to form a plurality of output converters having gradual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s and connected to a coaxial line of an output por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동축선이 삽입된 입력포트와 접속되는 직사각형의 제1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1 입력 변환기와, 상기 제1 입력 변환기와 연통되어 제1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2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2 입력 변환기와, 상기 제2 입력 변환기와 연통되어 제2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3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3 입력 변환기와, 상기 제3 입력 변환기와 연통되어 제3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4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4 입력 변환기를 포함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A first input converter having a rectangular first hollow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input port into which the coaxial line is inserted, and a rectangular second hollow cross s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put converter and having a width and a larger width than the first hollow cross section A second input converter having a second input converter, a third input converter having a rectangular third hollow cross section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input converter and having a rectangular third hollow cross section that is larger in width and width than the second hollow cross section, and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input converter and has a third hollow cross section.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comprising a fourth input transducer having a rectangular fourth hollow cross-section with a width and width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변환기, 제2 입력 변환기, 제3 입력 변환기 및 제4 입력 변환기는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1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며, 상기 제1 금속 내심 바의 일단이 상기 입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금속 내심 바는 상기 제1 입력 변환기, 상기 제2 입력 변환기, 상기 제3 입력 변환기 및 상기 제4 입력 변환기의 중공 단면의 단면적에 따라 폭과 두께가 점차 커져서 상기 저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밀리미터파 대역까지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input transducer, the second input transducer, the third input transducer, and the fourth input transducer have inner spaces passing through each other and passing through a first inner metal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 One end of the first metal inner core bar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of the input port,
The first metal inner core bar gradually increases in width and thickness according to cross-sectional areas of hollow sections of the first input converter, the second input converter, the third input converter, and the fourth input converter, so that the millimeter wave in the low frequency band is formed. 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with up-to-band impedance match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직사각형 중공 단면이 관통되며, 상부면에 상부 금속통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부 금속통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상부 금속통과 상기 각각의 하부 금속통은 상기 금속 하우징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금속 하우징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하며, 상기 각각의 상부 금속통은 중앙에 금속 재질의 상부 단락핀(Shorting Pin)을 삽입하고, 상기 각각의 하부 금속통은 중앙에 금속 재질의 하부 단락핀(Shorting Pin)을 삽입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metal housing is formed to a certain length to form an empty inner space, a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is penetrated, an upper metal cylind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lower metal cylind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f the upper metal cylinder and each of the lower metal cylinder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etal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f the upper metal cylinder has a metal upper portion at the center.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in which a shorting pin is inserted, and a lower shorting pin made of metal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each lower metal cylind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은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2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며, 상기 상부 단락핀과 상기 제2 금속 내심 바의 사이의 제1 갭(Gap)과, 상기 하부 단락핀과 상기 제2 금속 내심 바의 사이의 제2 갭(Gap)을 형성하여 차단 대역의 극점(Pole)을 결정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al housing passes through a second metal inner metal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nd a first gap between the upper shorting pin and the second metal inner metal bar, and the lower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cutting filter for determining a pole of a blocking band by forming a second gap between a shorting pin and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상부 단락핀은 상기 상부 금속통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금속통의 내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금속 내심 바의 근처까지 도달하고, 상기 각각의 하부 단락핀은 상기 하부 금속통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 금속통의 내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금속 내심 바의 근처까지 도달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upper shorting pins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upper metal cylinder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metal cylinder to reach the vicinity of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and each of the lower shorting pins is inserted into the lower metal cylinder.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tha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tube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metal tube to reach the vicinity of the second metal inner core ba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속통들 간의 간격과 하부 금속통들 간의 간격을 조정하면, 복수의 극점들의 이격을 통해 차단 대역을 형성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metal cylinder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metal cylinders are adjusted, a cutoff band is formed through the spacing of a plurality of pole point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접속되는 직사각형의 제1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1 출력 변환기와, 상기 제1 출력 변환기와 연통되어 제1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2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2 출력 변환기와, 상기 제2 출력 변환기와 연통되어 제2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3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3 출력 변환기와, 상기 제3 출력 변환기와 연통되어 제3 중공 단면보다 폭과 너비가 큰 직사각형의 제4 중공 단면을 가지는 제4 출력 변환기와, 상기 제4 출력 변환기는 상기 출력포트에 접속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A first output converter having a rectangular first hollow cross section connected to the metal housing, and a second output convert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put converter and having a rectangular second hollow cross section having a width and a larger width than the first hollow cross section. And, a third output converter having a rectangular third hollow cross section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output converter and has a width and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hollow cross section, and a third output converter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output converter and has a width and a width that are greater than the third hollow cross section a fourth output converter having a rectangular fourth hollow cross section with a large c, wherein the fourth output converter is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변환기, 상기 제2 출력 변환기, 상기 제3 출력 변환기 및 상기 제4 출력 변환기는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의 제3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며, 상기 제3 금속 내심 바의 일단이 상기 출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3 금속 내심 바는 상기 제1 출력 변환기, 상기 제2 출력 변환기, 상기 제3 출력 변환기 및 상기 제4 출력 변환기의 중공 단면의 단면적에 따라 폭과 두께가 점차 작아져 상기 저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밀리미터파 대역까지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output converter, the second output converter, the third output converter,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have inner spaces passing through each other, and a third inner metal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nd one end of 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of the output port,
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 has a width and a thickness gradually reduced according to cross-sectional areas of the hollow sections of the first output converter, the second output converter, the third output converter, and the fourth output converter, so that the millimeter is reduced in the low frequency band.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stop filter that performs impedance matching down to the waveband.
입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고,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태의 복수의 입력 변환기를 구성하고,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1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는 제1 임피던스 정합부;
상기 제1 임피던스 정합부에 접속하여 일정한 길이로 내부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직사각형 중공 단면이 관통되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2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고, 상부면에 상부 금속통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부 금속통을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하며, 상기 상부 금속통과 상기 하부 금속통 각각에 금속 재질의 단락핀(Shorting Pin)을 삽입하여 필요한 차단 대역을 생성하는 중앙 도파관; 및
상기 중앙 도파관에 접속하여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복수의 출력 변환기를 구성하고, 내부 공간부가 서로 관통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일정한 길이의 제3 금속 내심 바(Inner Metal Bar)를 관통하며, 상기 제3 금속 내심 바의 끝단을 출력포트의 동축선에 접속하는 제2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도파관 대역 차단 필터.
It is connected to the coaxial line of the input port, constitutes a plurality of input converters in the form of gradually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the inner space part penetrates each other, and a first inner metal bar of a certain length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part. a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penetrating;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to form an empty inner spac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rectangular hollow cross section penetrates, and a second inner metal bar of a predetermined lengt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 An upper metal cylind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lower metal cylind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shorting pin made of metal is provided on each of the upper metal cylinder and the lower metal cylinder. a central waveguide for generating a required cut-off band by inserting; and
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waveguide to form a plurality of output transducers having gradual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s, and the inner space passes through each other, and a third inner metal bar of a certain lengt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 A subminiature waveguide band blocking filter comprising a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connecting an end of the third metal inner core bar to a coaxial line of an output port.
KR1020210088430A 2021-07-06 2021-07-06 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 KR102550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430A KR102550815B1 (en) 2021-07-06 2021-07-06 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430A KR102550815B1 (en) 2021-07-06 2021-07-06 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737A true KR20230007737A (en) 2023-01-13
KR102550815B1 KR102550815B1 (en) 2023-07-03

Family

ID=8490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430A KR102550815B1 (en) 2021-07-06 2021-07-06 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81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820B2 (en) * 1979-02-20 1988-12-05
US20020154863A1 (en) * 2000-09-13 2002-10-24 Takayuki Mizuno Planar lightwave circuit and optical circuit
KR101331775B1 (en) 2012-08-13 2013-11-21 (주)하이게인안테나 Waveguide low pass filter using rings and ridg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8705B (en) * 2016-07-22 2021-09-07 三菱电机株式会社 Coaxial-waveguide conve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820B2 (en) * 1979-02-20 1988-12-05
US20020154863A1 (en) * 2000-09-13 2002-10-24 Takayuki Mizuno Planar lightwave circuit and optical circuit
KR101331775B1 (en) 2012-08-13 2013-11-21 (주)하이게인안테나 Waveguide low pass filter using rings and rid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815B1 (en)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8303B2 (en) Multi-layer digital elliptic filter and method
US6765458B2 (en) LC high-pass filter circuit device, laminated LC high-pass filter device, multiplexer,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N1241289C (en) High-frequency band pass filter assembly comprising attenuation poles
US10720711B2 (en) Antenna structures for spatial power-combining devices
US7915978B2 (en) Compact tunable dual band stop filter
US8947177B2 (en) Coupling mechanism for a PCB mounted microwave re-entrant resonant cavity
US20120098627A1 (en) Common mode filter
CN207165728U (en) A kind of compact-sized ultra wide band bandpass filter
CN113991269B (en) Miniaturized high-harmonic-suppression dual-passband filter based on dielectric integrated suspension line
US10680304B2 (en) Combiner
WO2016177086A1 (en) Filter, filte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550815B1 (en) A Small Waveguide Dual Function Bandstop Filter to Suppress 5G Mobile 28 GHz Band While Passing Sub-6 GHz Bands
KR100249836B1 (en) Duplexer with step-impedence resonator
KR20100088329A (en) Coplaner waveguide having multi-frequency resonance property
CN111095671B (en) Dielectric filter and array antenna device
KR101274031B1 (en) Band rejection filter for controlling return loss of pass band
WO2014132657A1 (en) Pole band-pass filter
WO2021117355A1 (en) Dielectric waveguide resonator and dielectric waveguide filter
CN104134837A (en) Planar CQ (Cascade Quadruplet) band-pass filter
CN107919516B (en) A kind of voltage-controlled resonator of miniaturization substrate integrated coaxial line
KR102620680B1 (en) Very Compact and Highly Low Loss Metamaterial Type Coaxial Cavity Filter
Chen et al. Compact Ka-band substrate-integrated waveguide filter with spurlines fo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CN114824715B (en) W-band filtering power divider based on rectangular micro-coaxial structure
CN107681235A (en) A kind of compact-sized ultra wide band bandpass filter
KR101033506B1 (en) Wide band resonance filter having coup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