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200A -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using chatbot system - Google Patents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using chatbo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200A
KR20230006200A KR1020210087087A KR20210087087A KR20230006200A KR 20230006200 A KR20230006200 A KR 20230006200A KR 1020210087087 A KR1020210087087 A KR 1020210087087A KR 20210087087 A KR20210087087 A KR 20210087087A KR 20230006200 A KR20230006200 A KR 2023000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tenance
sales
purchase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5530B1 (en
Inventor
최진영
김현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30B1/en
Publication of KR2023000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06Q50/50

Abstract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that can provide highly reliable chatbot services for each domain such as vehicle sales, purchase, and maintenance, and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that analyzes input conversation data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classifies a domain o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into one or more vehicle service domains among a plurality of vehicle-related domains comprising a vehicle sales domain, a vehicle purchase domain and a vehicle maintenance domain; and a chatbot module that vectorizes a text o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to generate a user request vector and provide a Q&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request vector according to a scenario set for the vehicle service domain classifi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Description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USING CHATBOT SYSTEM}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도메인에 특화된 챗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tbot system specialized in a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domain and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차량을 판매 또는 구매하려고 하는 사용자나 사용 중인 차량의 정비(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매매 또는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 매매 관련 서비스 시스템이나 차량 정비 관련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차량 매매 관련 서비스 시스템이나 차량 정비 관련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질의를 하거나, 검색하는 등의 방법으로 차량의 매매나 정비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매매 또는 정비 관련 서비스는 사용자가 차량을 판매, 구매 또는 정비할 때에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In general, vehicle sales-related service systems or vehicle maintenance-related service systems are used to provide appropriate sales or maintenance services to users who want to sell or purchase vehicles or users who need maintenance (maintenance) of vehicles in use. . A user accesses a vehicle sales-related service system or a vehicle maintenance-related service system and receives a vehicle sales or maintenance service by making an inquiry or searching. However, conventional vehicle sales or maintenance-related services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quired when a user sells, purchases, or maintains a vehicle.

챗봇(chatbot)은 사용자가 메신저에 채팅(대화) 형태로 질문을 입력하면 일상언어로 사람과 대화 형태의 해답(응답)을 해주는 대화형 메신저 시스템으로, 최근에 들어 전자상거래, 은행이나 기업, 공공기관, 교육기관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고객 지원이나 정보 습득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챗봇을 활용하면, 차량 매매 또는 정비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A chatbot is an interactive messenger system that provides answers (response) in the form of a conversation with a person in everyday language when a user inputs a question in the form of a chat (conversation) into a messenger. It is used for purposes such as customer support or information acquisition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Utilizing these chatbots can provide a lot of help to users who want to receive vehicle sales or maintenance-related services.

그러나, 종래의 챗봇 솔루션은 질의응답을 등록하여 운용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일반적인 고객문의 외에 차량의 매매나 정비와 같이 차량 관련 도메인과 관련하여 상세한 답변을 요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서비스의 특성상 사용자가 차량 정비 관련 문의를 하기 전 또는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선 제안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나, 기존 챗봇 솔루션으로는 이러한 조건부 선 제안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chatbot solutions register and operate Q&A, and there is a limit to appropriately responding to various scenarios that require detailed answers in relation to vehicle-related domains, such as vehicle sales or maintenance, in addition to general customer inquiries. .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vehicle-related services, there are cases where a user needs to make a pre-suggestion before making a vehicle maintenance-related inquiry or before a problem occurs with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판매, 구매, 정비 등의 도메인 별로 신뢰도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capable of providing highly reliable chatbot services for each domain, such as vehicle sales, purchase, and maintenance, and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 정비 관련 문의를 하거나 차량에 문제 발생 전에 사용자에 선 제안이 가능한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that allows users to make inquiries about vehicle maintenance or to make suggestions to users before problems occur in the vehicle, and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전습관, 안전운전점수 등을 분석하여 적절한 권장 정비 항목을 선 제안하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that pre-proposes appropriate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by analyzing the user's driving habits and safe driving scores, and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대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의 도메인을 차량 판매 도메인, 차량 구매 도메인 및 차량 정비 도메인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차량 관련 도메인 중의 하나 이상의 차량 서비스 도메인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되는 도메인 분류 모듈; 및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의 텍스트를 벡터화하여 사용자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도메인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차량 서비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에 부합하는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챗봇 모듈;을 포함한다.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input dialog data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sets the domain of the input dialog data to a vehicle sales domain, a vehicle purchase domain, and a vehicle maintenance domain. a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configured to classify into one or more vehicle service domains among a plurality of vehicle-related domains; and vectorizing text of the input dialogue data to generate a user request vector, and providing a query response service conforming to the user request vector according to a scenario set for the vehicle service domain classifi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Chatbot module;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은: 다양한 차량 매물 데이터 및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database for storing various vehicle sales data and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판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판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판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판매 차량과 관련된 스펙에 해당하는 유사 차량을 검색하여 유사 스펙 차량 가격과, 상기 판매 차량의 예상 판매 가격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판매 챗봇 모듈;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구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구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구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과 상기 사용자의 차량 구매 요구사항과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구매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차량 매물을 검색하여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구매 챗봇 모듈; 및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정비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정비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정비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보유 차량의 점검 이력, 누적 주행 마일리지, 및 운전습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기반으로 권장 정비 항목을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 챗봇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tbot module: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sales domain, provides a question and answer service related to vehicle sales according to a set vehicle sales scenario, and corresponds to a specification related to the user's vehicle for sale in the vehicle database. a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configured to search for a similar vehicle to be sold and provide a price of a vehicle with a similar specification and an estimated sales price of the vehicle for sale;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purchase domain, a question answering service related to vehicle purchase i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vehicle purchase scenario, and a similarity between a vehicle for sale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the user's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is determined. a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configured to analyze and search for and recommend a vehicle for sale that meets the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and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a question and answer service related to vehicle maintenance i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vehicle maintenance scenario, and an inspection history, accumulated driving mileage, and driving habit data of the user's vehicle are provided. and a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configured to analyze and recommend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based o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상기 차량 판매 챗봇 모듈은: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판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판매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판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판매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판매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판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도 순으로 유사 차량 매물의 매물 가격을 출력하고; 상기 판매 차량 정보와 상기 유사 차량 매물 간에 차이가 있는 차이 항목을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유사도 및 상기 차이 항목에 따라 상기 매물 가격을 보정하여 예상 판매가를 예측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compares the user request vector with a set vehicle sales vector, and requests sales vehicl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year, and mileage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sales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sales vehicl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sales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sales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sales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sales request data with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to output listing prices of similar vehicles in order of similarity; analyzing a difference item ha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al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imilar vehicle for sal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sale pric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item to predict and output the expected selling price.

상기 차량 구매 챗봇 모듈은: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구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주행거리 및 예산을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구매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구매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구매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구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관련도 순으로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에 따라 상기 추천 매물의 판매가를 보정하여 환산된 환산 매물가를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환산 매물가 순으로 정렬하여 리스트화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compares the user request vector with a set vehicle purchase vector, and requests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model year, mileage, and budget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purchas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purchas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purchase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with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to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order of relevance; correcting the selling price of the recommended product according to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to calculate a converted selling pric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sort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the order of converted sales price, list them, and output them.

상기 차량 정비 챗봇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온보드 차량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전습관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운전습관 벡터를 설정된 차량 정비 벡터와 비교하여 차량 정보, 점검 이력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차량 정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정비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정비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상기 운전습관 벡터 및 상기 정비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정비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권장 정비 항목 및 정비 시점을 추천하고; 그리고 추천된 정비 시점 전에 미리 정비 추천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collects vehicle driving-related data from an on-board vehicle diagnosis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of the user; generating a driving habit vector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driving-related data; compar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driving habit vector with a set vehicle maintenance vector and request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inspection history, and mileage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maintenanc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and storing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in a user database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the driving habit vector, and the maintenanc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with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recommending the recommended maintenance item and maintenance time point; And it may be configured to send a maintenance recommend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in advance before the recommended maintenance time poi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은: (a) 도메인 분류 모듈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대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의 도메인을 차량 판매 도메인, 차량 구매 도메인 및 차량 정비 도메인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차량 관련 도메인 중의 하나 이상의 차량 서비스 도메인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b) 챗봇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의 텍스트를 벡터화하여 사용자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도메인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차량 서비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에 부합하는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analyzes input dialog data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sets the domain of the input dialog data to a vehicle sales domain and a vehicle classifying into one or more vehicle service domains among a plurality of vehicle-related domains including a purchasing domain and a vehicle maintenance domain; and (b) by a chatbot module, text o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is vectorized to generate a user request vector, and the user request vector is matched according to a scenario set for the vehicle service domain classifi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It includes; providing a question answering service.

상기 (b) 단계는: (b-1) 차량 판매 챗봇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판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판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판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차량 매물 데이터 및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판매 차량과 관련된 스펙에 해당하는 유사 차량을 검색하여 유사 스펙 차량 가격과, 상기 판매 차량의 예상 판매 가격을 제공하는 단계; (b-2) 차량 구매 챗봇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구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구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구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과 상기 사용자의 차량 구매 요구사항과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구매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차량 매물을 검색하여 추천하는 단계; 및 (b-3) 차량 정비 챗봇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정비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정비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정비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보유 차량의 점검 이력, 누적 주행 마일리지, 및 운전습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기반으로 권장 정비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b) includes: (b-1) providing, by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a question answering service related to vehicle sales according to a set vehicle sales scenario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sales domain; Searching for a similar vehicle corresponding to a specification related to the user's sales vehicle in a vehicle database storing various vehicle listing data and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and providing a price of a vehicle with similar specifications and an estimated sales price of the sales vehicle; (b-2)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purchase domain,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provides a question-and-answer service related to vehicle purchase according to a set vehicle purchase scenario, and vehicle listings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analyz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user's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and searching for and recommending vehicles that meet the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and (b-3) by the car maintenance chatbot module, i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car maintenance domain, a car maintenance question and answer ser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car maintenance scenario, and the user's own vehicle and recommending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based o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by analyzing inspection history, accumulated driving mileage, and driving habit data.

상기 (b-1)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판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판매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판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판매 요청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판매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판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도 순으로 유사 차량 매물의 매물 가격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판매 차량 정보와 상기 유사 차량 매물 간에 차이가 있는 차이 항목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 및 상기 차이 항목에 따라 상기 매물 가격을 보정하여 예상 판매가를 예측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b-1) may include: comparing the user request vector with a set vehicle sales vector and requesting, fro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year, and mileage, vehicle information for sale for an omitted item, to the user terminal. ; generating a sales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vehicle information for sal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sales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sales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sales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sale request data with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outputting listing prices of similar vehicles in order of similarity; analyzing a difference item ha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al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imilar vehicle for sale; and correcting the sale pric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item to predict and output an expected selling price.

상기 (b-2)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구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주행거리 및 예산을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구매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구매 요청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구매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구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관련도 순으로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에 따라 상기 추천 매물의 판매가를 보정하여 환산된 환산 매물가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환산 매물가 순으로 정렬하여 리스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tep (b-2): Comparing the user request vector with a set vehicle purchase vector and requesting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for an omitted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model year, mileage, and budget to the user terminal. step; generating a purchas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purchas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purchase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with vehicle sale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to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order of relevance; calculating; and arrangi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order of converted sales price, listing them, and outputting them.

상기 (b-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온보드 차량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전습관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운전습관 벡터를 설정된 차량 정비 벡터와 비교하여 차량 정보, 점검 이력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차량 정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정비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정비 요청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상기 운전습관 벡터 및 상기 정비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정비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권장 정비 항목 및 정비 시점을 추천하는 단계; 및 추천된 정비 시점 전에 미리 정비 추천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b-3) may include: collecting vehicle driving-related data from an on-board vehicle diagnosis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of the user; generating a driving habit vector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driving-related data; compar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driving habit vector with a set vehicle maintenance vector and request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inspection history, and mileage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maintenanc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the driving habit vector, and the maintenanc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and storing the generated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in a user database; comparing the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with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recommending the recommended maintenance item and maintenance time point; and sending a maintenance recommend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before a recommended maintenance time poi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to execute the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판매, 구매, 정비 등의 도메인 별로 신뢰도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capable of providing highly reliable chatbot services for each domain such as vehicle sales, purchase, and maintenance, and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량 정비 관련 문의를 하거나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선 제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운전습관, 안전운전점수 등을 분석하여 적절한 권장 정비 항목을 선 제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suggestions to the user before the user inquires about vehicle maintenance or a problem occurs with the vehicle, and recommends appropriate maintenance items by analyzing the user's driving habits and safe driving scores. line can be sugges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13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14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계 S15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130 of FIG. 2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140 of FIG. 2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150 of FIG. 2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구성에 대하여는, 발명의 요지가 흐려지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or components well known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may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 ~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모듈, ~부, ~시스템'은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s used herein, '~ module, ~ unit, ~ system' i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mean, for example, software, an FPGA, or a hardware component. Functions provided by '~module, ~unit, ~system' may be performed separately by a plurality of components or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additional components. The '~module, ~unit, ~system'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100)은 챗봇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차량의 매매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10), 도메인 분류 모듈(120), 챗봇 모듈(130), 출력부(140), 차량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15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 주행거리 산출모듈(170), 안전운전점수 산출모듈(180), 및 해시 처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chatbot system 100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ervices related to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to users based on a chatbot, and an input unit 110 ),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chatbot module 130, output unit 140, vehicle database (DB; database) 150, user database 160, mileage calculation module 170, safe driving score calculation A module 180 and a hash processing unit 190 may be included.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화 형태의 입력 대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차량 매매, 유지보수 등의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태블릿, 랩탑, 스마트 단말과 같은 휴대형 단말이나,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데스크탑 컴퓨터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input conversation data in a conversation form from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n input interface. The user terminal 10 is a terminal of a user requesting service provision such as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ablet, laptop, or smart terminal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r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desktop computer or the like having, bu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입력 대화 데이터는 차량 서비스 도메인의 분류를 위해 도메인 분류 모듈(120)로 전달된다. 입력 대화 데이터의 도메인 별 시나리오에 따라 효과적인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메인 분류 모듈(120)은 입력 대화 데이터의 도메인(domain)을 차량 판매 도메인, 차량 구매 도메인 및 차량 정비 도메인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차량 관련 도메인 중의 하나 이상의 차량 서비스 도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input conversation data input by the input unit 110 is transferred to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for classification of vehicle service domains.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question-answering service according to domain-specific scenarios of the input dialogue data,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classifies the domain of the input dialogue data into a plurality of domains including a vehicle sales domain, a vehicle purchase domain, and a vehicle maintenance domain. It can be classified into one or more vehicle service domains among two vehicle-related domains.

실시예에서, 도메인 분류 모듈(120)은 입력 대화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각 도메인 별로 설정된 키워드와 비교하여 유사도에 따라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도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차량을 판매하면서 새로 차량을 구매하기를 원하는 경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차량 판매 도메인과 차량 구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에는 입력 대화 데이터에서 차량 판매 도메인과 관련된 텍스트와, 차량 구매 도메인과 관련된 텍스트를 구분하는 처리가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compares the text extracted from the input conversation data with keywords set for each domain, and classifies the text into one or a plurality of domains according to similarities. For example, when a user desires to purchase a new vehicle while selling a vehicle owned by the user, input conversation data may be classified into those corresponding to a vehicle sales domain and a vehicle purchase domain. In this case, a process of distinguishing between text related to the vehicle selling domain and text related to the vehicle purchasing domai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in the input dialogue data.

챗봇 모듈(130)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자연어(natural language)의 의미를 분석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통해 입력 대화 데이터의 텍스트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이진수 등으로 변환하여 수치화하는 텍스트 벡터화(Text vectorization)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요청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텍스트 벡터화 방식은 예를 들어,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 워드임베딩(Word Embedding), 워드투벡터(Word2Vec)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hatbot module 130 analyzes the meaning of natural language, which is a language used in daily life, so that the computer can process it, and the text o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an be understood by the computer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 user-requested vector may be generated by performing text vectorization processing in which a binary number of the form is converted into digits, etc. In this case, text vectorization methods include, for example, one-hot encoding, word embedding, and word2ve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메인 별로 특화된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챗봇 모듈(130)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요청 벡터는 차량 서비스 도메인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챗봇 모듈(130)은 도메인 분류 모듈(120)에 의해 분류된 차량 서비스 도메인(차량 판매 도메인, 차량 구매 도메인, 차량 정비 도메인 등)에 대해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 요청 벡터에 부합하는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o provide a chatbot service specialized for each domain, the user request vector generated by the chatbot module 13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ehicle service domain. The chatbot module 130 provides a query response service that meets the user request vector according to scenarios set for the vehicle service domains (vehicle sales domain, vehicle purchase domain, vehicle maintenance domain, etc.) classifi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can do.

실시예에서, 챗봇 모듈(130)은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 및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메인 분류 모듈(120)에 의해 입력 대화 데이터가 차량 판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설정된 차량 판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판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hatbot module 130 may include a car sales chatbot module 132 , a car purchase chatbot module 134 , and a car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that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sales domain,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provide a vehicle sales question answering service according to a set vehicle sales scenario.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차량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사용자가 판매하려는 차량과 관련된 스펙에 해당하는 유사 차량을 검색하여 해당 유사 스펙 차량의 판매 가격, 다수의 유사 스펙 차량의 판매 가격 평균가, 사용자가 판매하려는 차량의 예상 판매 가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외장/내장 사진을 분석하여 차량 관리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차량의 예상 판매 가격에 반영할 수 있다.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searches the vehicle database 150 for similar vehicles corresponding to specifications related to the vehicle the user intends to sell, and determines the sales price of the vehicle with similar specifications, the average selling price of a plurality of vehicles with similar specifications, and You can provide an estimated selling price for the vehicle you intend to sell. At this time,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analyze the exterior/interior picture of the vehicl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determine the vehicle management state, and reflect the result to the estimated sales price of the vehicl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자신이 판매하려는 차량의 차종, 연식, 주행거리 등의 차량 정보와 함께 "차량을 판매하고 싶습니다"와 같은 간단한 메시지를 입력하고, 차량의 외장 및 내장 사진을 촬영하여 챗봇 모듈(130)로 전달하는 행위만으로 자신의 차량(중고차)의 적정 판매가격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판매하려는 중고차의 차종, 연식, 주행거리에 따른 중고차 가격을 정확히 알지 못하더라도,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을 통해 유사 스펙 차량 가격과 예상 판매 가격을 확인하여 판매 대상 차량의 적정한 판매가를 결정할 수 있다.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he user inputs a simple message such as "I want to sell a vehicle" together with vehicle information such as the model, year, and mileage of the vehicle he/she wants to sell, and takes pictures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ppropriate selling price of one's own vehicle (used car) only by the act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hatbot module 130.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exact price of the used car according to the model, year, and mileage of the used car he/she wants to sell,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checks the price of a car with similar specifications and the expected sales pric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price of the car to be sold. You can determine the selling price.

도메인 분류 모듈(120)에 의해 입력 대화 데이터가 차량 구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설정된 차량 구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구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차량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차량 매물과 사용자의 차량 구매 요구사항과의 유사도(예를 들어,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를 분석하여 차량 구매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차량 매물을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알림 수신에 동의한 경우,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유사도가 높은 차량 매물의 신규 등록 시에 사용자 단말기(10)로 알림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that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purchase domain,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provide a vehicle purchase question answering service according to a set vehicle purchase scenario.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analyzes the similarity (eg, cosine similarity) between the vehicle listing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150 and the user's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and obtains a vehicle that meets the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You can search for properties and recommend them. If the user agrees to receive the notification,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periodically transmit a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when a vehicle for sale having a high similarity is newly registered.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자신이 구매하려는 차량의 차종, 연식, 주행거리, 예산, 중고차/신차/외제차 등과 같은 차량 요구사항, 사용자 요구사항(예를 들어, 성별, 연령, 결혼 여부, 자녀수, 자녀연령, 부양가족, 장애인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 구매 관련 정보(차량 구매 요구사항)와 함께 "차량을 구매하고 싶습니다"와 같은 간단한 메시지를 입력하는 행위만으로 차량 매물에 관한 추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he user may request vehicle requirements such as the model, year, mileage, budget, used car/new car/foreign car of the vehicle he/she intends to purchase, and user requirements (eg, gender, age, marital status). , number of children, age of children, dependents, disabled people, etc.) together with various vehicle purchase-related information (requirements for purchasing a vehicle), along with recommendation information on vehicle sales simply by entering a simple message such as “I want to purchase a vehicle” can be provided.

사용자 요구사항은 사용자가 차량의 차종을 제한하지 않았거나, 다양한 차종으로 기재한 경우에 해당 사용자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차종에 따라 점수(가중치)를 부여하여 차량 매물의 추천순위를 결정하는데 활용되거나, 예를 들어 같은 차종에 해당하는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중고차 매물이 있는 경우에 차량의 색상 등을 고려하여 차량 매물을 추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User requirements are used to determine the recommendation ranking of vehicles for sale by assigning points (weights)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s that meet the user's requirements when the user does not limit the vehicle type or describes various vehicle types, For example, when there are many used cars for sale of different colors corresponding to the same car model, it can be used to recommend a car for sale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of the car.

도메인 분류 모듈(120)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 대화 데이터가 차량 정비 도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설정된 차량 정비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정비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사용자의 보유 차량의 차종, 연식, 마지막 점검일을 포함한 점검 이력, 누적 주행 마일리지, 및 운전습관 데이터 등을 분석하여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기반으로 권장 정비 항목(권장 정비 리스트)을 추천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that the user's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provide a vehicle maintenance question and answer service according to a set vehicle maintenance scenario. there is.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analyzes the user's vehicle type, year, inspection history including the last inspection date, cumulative driving mileage, and driving habit data to provide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recommended maintenance) based on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list) can be recommended.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사용자의 요청시에 권장 정비 항목을 제공하는 수동적 기능과, 사용자가 별도로 요청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권장 정비 항목을 제공하는 능동적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주행 시 OBD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챗봇 시스템의 서버로 GPS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차량 주행거리와 안전운전 점수 등을 계산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할 수 있다. 안전운전 점수는 예시적으로 아래의 표 1과 같은 조건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perform a combination of a passive function of providing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upon a user's request and an active function of actively providing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even without a separate request from the user. When driving a vehicle, the user terminal 10 linked with the OBD can transmit GPS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chatbot system, and based on this, the vehicle mileage and safe driving score can be calculated and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60. The safe driving score may be exemplari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1 below.

운전 형태driving mode 조건condition 안전 운전safe driving 아래의 3조건에 해당 되지 않는 경우If the following 3 conditions are not met 과속Speeding 제한속도 기준 ±10 km/h를 초과할 경우When exceeding the speed limit standard ±10 km/h 급가속sudden acceleration 1초에 +10km/h 이상의 속도 변화 시For speed changes of more than +10 km/h in 1 second 급감속rapid deceleration 1초에 - 10km/h 이하의 속도 변화 시per second - for speed changes of 10 km/h or less

사용자 보유 차량의 차종, 연식, 점검 이력, 누적 주행 마일리지, 및 운전습관 데이터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고, 신뢰도 높은 안전운전 점수 등의 수집을 위해 사용자 보유 차량에 탑재된 OBDⅡ(On-board diagnosticsⅡ) 등의 온보드 차량 진단 시스템(20)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권장 정비 항목과 각 권장 정비 항목의 점검 필요 시기를 기반으로, 실제 정비 수요가 발생하기 이전에, 정비 시기에 맞추어 정비 추천 알림을 발송하는 등 사용자 단말기(10)에 선제적으로 정비 항목을 제안하는 선톡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오일 교체 시기 한달 전, 브레이크 패드 교체 필요 시 등과 같이 차량 보수와 관련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 정비 권장 및 제안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The vehicle type, year, inspection history, accumulated driving mileage, and driving habit data of the vehicle owned by the user may be obtained from data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nd are retained by the user to collect highly reliable safe driving scores. It may also be obtained through an on-board vehicle diagnostic system 20 such as OBDII (On-board diagnostics II)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sends maintenance recommendation notifications to the user terminal 10 in accordance with the maintenance time before the actual maintenance demand occurs based on the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and the time required for inspection of each recommended maintenance item. A pre-talk function that preemptively proposes maintenance items can be provided. For example, when conditions related to vehicle maintenance are satisfied, such as one month before the engine oil replacement period or when brake pads need to be replaced, a maintenance recommendation and suggestion notification may be sent to the user terminal 10 .

출력부(140)는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에 의해 제공되는 판매 차량의 예상 판매 가격과 판매 차량과 유사 스펙의 차량 판매 가격,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에 의해 제공되는 추천 차량 매물,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에 의해 제공되는 권장 정비 항목(목록) 등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전송)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expected sales price of the sales vehicle provided by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the sales price of a vehicle having similar specifications to the sales vehicle, and the recommended vehicle sale and vehicle sales provided by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uch as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list) provided by th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be output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차량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양한 차량 매물 데이터 및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 매물 데이터는 다양한 사용자의 중고차 매물의 차종, 연식, 누적 주행거리, 구입가, 외장 관리 상태, 내장 관리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는 차종에 따른 각종 정비 항목에 대한 점검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atabase 150 may store various vehicle listing data and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Vehicle listing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model, year, cumulative mileage, purchase price, exterior management status, and interior management status of used cars for sale by various users. Th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aintenance cycle for various maintenance items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는 사용자의 주행거리, 운전지역, 운전습관, 안전운전 점수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주행거리, 운전지역, 운전습관, 안전운전점수 등의 정보는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온보드 차량진단 시스템(20)으로부터 수집된 주행 관련 정보(GPS 데이터, 속도/가속도 프로파일 등)를 기반으로 획득될 수 있다.The user database 160 may store information such as a user's mileage, driving region, driving habit, and safe driving scor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mileage, driving area, driving habits, and safe driving score is based on driving-related information (GPS data, speed/acceleration profile, etc.) collected from the on-board vehicle diagnosis system 20 installed in the user's vehicle. can be obtained with

주행거리 산출모듈(170)은 온보드 차량진단 시스템(20)으로부터 수집된 주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차량 주행거리(누적 주행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안전운전점수 산출모듈(180)은 온보드 차량진단 시스템(20)으로부터 수집된 주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안전운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전지역은 GPS 데이터를 기초로 분석될 수 있으며, 해당 운전지역의 특성(도시, 교외, 고속도로, 비포장도로, 등)에 따라 차량의 정비 항목 점검 주기를 판단하거나, 중고차의 판매 가격을 예상하는데 추가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The mileage calculation module 170 may analyze the driving-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board vehicle diagnosis system 20 to calculate the user's vehicle mileage (accumulated mileage). The safe driving score calculation module 180 may calculate the user's safe driving score by analyzing the driving-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board vehicle diagnosis system 20 . The user's driving area can be analyzed based on GPS data, a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area (city, suburbs, highway, unpaved road, etc.), the vehicle's maintenance item inspection cycle can be determined, or the sales price of a used car can be estimated. may be additionally reflected.

해시 처리부(190)는 주행거리 산출모듈(170)과 안전운전점수 산출모듈(180) 등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의 각종 주행 관련 정보를 해시(Hash) 함수를 이용하여 해시 처리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및 수집 데이터를 임의로 수정하지 못하도록 하고,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hash processing unit 190 hash-processes various driv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mileage calculation module 170 and the safe driving score calculation module 180 using a hash function,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user database 160. can be sav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rbitrary modification of input and collected data, and secure data reliability by mapping to hash values.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시키는 함수일 수 있다. 사용자의 주행 관련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지 않고 단방향 암호화 기법에 따라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진 값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변조가 불가능하여 데이터 무결성 검증이 가능하며, 보안성을 확보하여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The hash function may be a function that maps data of an arbitrary length to data of a fixed length. By storing the value obtained by the hash function in the user database 160 according to the one-way encryption technique without storing the user's driving-related information as it is, data integrity verification is possible because data cannot be tampered with, and information leakage is ensured by security. can preven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은 차량 판매, 구매, 정비 등의 도메인 별로 신뢰도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플랫폼의 형태나 규모와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 문의 응대에서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운전습관, 안전운전점수, 차량 정보, 정비 관련 조건 등에 따라 선제적인 제안이 가능하여, 주행 마일리지 및 기간별 트래킹이 필요한 차량 유지보수 관리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ighly reliable chatbot services for each domain such as vehicle sales, purchase, and maintenance, and is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or scale of the platform. this is possi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preemptive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user's driving habits, safe driving score, vehicle information, maintenance-related conditions, etc., rather than simply responding to inquiries, so it can be used appropriately for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that requires tracking of driving mileage and period. there i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메인 분류 모듈(120)은 입력 대화 데이터의 도메인을 차량 판매 도메인, 차량 구매 도메인 및 차량 정비 도메인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차량 관련 도메인 중의 하나 이상의 차량 서비스 도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S110).2 is a flowchart of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classifies the domain of input conversation data into one or more vehicle service domains among a plurality of vehicle-related domains including a vehicle sales domain, a vehicle purchase domain, and a vehicle maintenance domain. It can (S110).

챗봇 모듈(130)은 입력 대화 데이터의 텍스트를 벡터화하여 사용자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도메인 분류 모듈(120)에 의해 분류된 차량 서비스 도메인(차량 판매 도메인, 차량 구매 도메인, 차량 정비 도메인 등)에 대해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 요청 벡터에 부합하는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20).The chatbot module 130 vectorizes the text o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to generate a user request vector, and for the vehicle service domain (vehicle sales domain, vehicle purchase domain, vehicle maintenance domain, etc.) classifi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20 According to the set scenario, a query respons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s request vector may be provided (S120).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입력 대화 데이터가 차량 판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판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판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30).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차량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판매 차량과 관련된 스펙에 해당하는 유사 차량을 검색하여 유사 스펙 차량 가격과, 판매 차량의 예상 판매 가격을 제공할 수 있다.I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sales domain,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provide a vehicle sales question and answer service according to the vehicle sales scenario set (S130).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search for similar vehicles corresponding to specifications related to the user's sales vehicle in the vehicle database and provide a price of a vehicle with similar specifications and an estimated sales price of the vehicle for sale.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입력 대화 데이터가 차량 구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구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구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40).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차량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차량 매물과 사용자의 차량 구매 요구사항과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차량 구매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차량 매물을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purchase domain,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provide a vehicle purchase question answering service according to a set vehicle purchase scenario (S140).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search for and recommend a vehicle for sale that meets the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by analyz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vehicle products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150 and the user's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입력 대화 데이터가 차량 정비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정비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정비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50).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사용자의 보유 차량의 점검 이력, 누적 주행 마일리지, 및 운전습관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기반으로 권장 정비 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provide a vehicle maintenance question and answer service according to a set vehicle maintenance scenario (S150).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recommend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based on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by analyzing the user's vehicle inspection history, accumulated driving mileage, and driving habit data.

도 3은 도 2의 단계 S13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판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판매 차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요청할 수 있다(S131). 예를 들어,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판매하시려는 차량의 차종을 알려주세요"와 같은 형태로 누락 항목에 대한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130 of FIG. 2 . 1 to 3 ,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compares a user request vector with a set vehicle sales vector and obtains sales vehicle information for the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year, and mileage. A request can be made to the user terminal 10 (S131). For example,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request input of information on the missing item in the form of "Please tell me the model of the vehicle to be sold."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판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판매 요청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S132).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사용자 요청 벡터 및 판매 요청 벡터를 차량 판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33).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generate a sales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vehicle sal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S132).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generate vehicle sales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sales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sales domain (S133).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차량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도 순으로 유사 차량 매물의 매물 가격을 출력할 수 있다(S134).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판매 차량 정보와 유사 차량 매물 간에 차이가 있는 차이 항목을 분석할 수 있다(S135).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유사도 및 차이 항목에 따라 매물 가격을 보정하여 예상 판매가를 예측하여 출력할 수 있다(S136). 일 예로, 차량 판매 챗봇 모듈(132)은 차량과 관련된 변수들(차종, 연식, 주행거리 등)과 차량 판매가 간의 다중 회귀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판매 차량의 판매가를 예측하거나, 유사도 및 차이 항목에 대해 설정된 보정값을 반영하여 판매 차량의 판매가를 예측할 수 있다.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compare the vehicle sales request data with the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150 and output the listing prices of similar vehicles in order of similarity (S134).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analyze a difference item having a difference between sales vehicle information and a similar vehicle for sale (S135).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may correct the sale pric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items to predict and output the expected selling price (S136). For example,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2 predicts the sales price of a vehicle for sale based 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the vehicle (vehicle model, year, mileage, etc.) and the vehicle sales price, or for similarity and difference items. The selling price of the sales vehicle may be predicted by reflecting the set correction value.

도 4는 도 2의 단계 S14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구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주행거리 및 예산을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구매 차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요청할 수 있다(S141).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구매 요청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S14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140 of FIG. 2 . 1, 2, and 4,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compares the user request vector with the set vehicle purchase vector and determines the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model year, mileage and budget.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S141).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generate a purchas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vehicle purcha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S142).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사용자 요청 벡터 및 구매 요청 벡터를 차량 구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43).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차량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관련도 순으로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결정할 수 있다(S144).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generat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purchas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purchase domain (S143).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compare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with the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150 to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order of relevance (S144).

실시예에서,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에 따라 추천 매물의 판매가를 보정하여 환산된 환산 매물가를 산출할 수 있다(S145). 차량 구매 챗봇 모듈(134)은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환산 매물가 순으로 정렬하여 리스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S146). 따라서 단순히 추천 매물의 가격 순으로 정렬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준으로 환산한 매물가 순으로 추천 매물을 정렬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적절한 차량 매물을 추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correct the selling price of the recommended product according to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to calculate the converted sales price (S145).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4 may list and output a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by arranging them in the order of converted sales price (S146).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 more suitable vehicle for sale to the user by sorting and outputting the recommended items in the order of selling price converted based on the user's requirements, rather than simply sorting in the order of price of the recommended items.

도 5는 도 2의 단계 S15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온보드 차량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51).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전습관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S15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150 of FIG. 2 . Referring to FIGS. 1, 2, and 5 ,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collect vehicle driving-related data from the on-board vehicle diagnosis system installed in the user's vehicle (S151).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generate a driving habit vector of the user by analyzing vehicle driving-related data (S152).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운전습관 벡터를 설정된 차량 정비 벡터와 비교하여 차량 정보, 점검 이력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차량 정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요청할 수 있다(S153).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정비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정비 요청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S154).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compares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driving habit vector with the set vehicle maintenance vector, and provides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missing items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inspection history, and mileage to the user terminal 10 ) can be requested (S153). The car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generate a maintenanc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the car maintenan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 into text vectors (S154).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사용자 요청 벡터, 운전습관 벡터 및 정비 요청 벡터를 차량 정비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할 수 있다(S155).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차량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와 비교하여 권장 정비 항목 및 정비 시점을 추천할 수 있다(S156). 차량 정비 챗봇 모듈(136)은 추천된 정비 시점 전에 미리 정비 추천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10)에 발송할 수 있다(S157).The car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generate car maintenance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the driving habit vector, and the maintenanc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car maintenance domain, and store it in the user database 160 (S155). .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compare the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with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150 to recommend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and maintenance timing (S156). The car maintenance chatbot module 136 may send a maintenance recommend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in advance before the recommended maintenance time (S157).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은 플랫폼의 형태나 규모와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차량 판매, 구매, 정비 등의 도메인 별로 신뢰도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 문의 응대에서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운전습관, 안전운전점수, 차량 정보, 정비 관련 조건 등에 따라 선제적인 제안이 가능하여, 주행 마일리지 및 기간별 트래킹이 필요한 차량 유지보수 관리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users with highly reliable chatbot services for each domain, such as vehicle sales, purchases, and maintenance, regardless of the type or scale of the platform. , It is possible to make preemptive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user's driving habits, safe driving score, vehicle information, maintenance-related conditions, etc., rather than simply responding to inquiries, so it can be used appropriately for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that requires tracking of mileage and period. .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programmable logic units (PLUs), microprocessors,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know that a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include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 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Also,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소프트웨어 및/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ROMs, RAMs, and flash memori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110: 입력부
120: 도메인 분류 모듈
130: 챗봇 모듈
132: 차량 판매 챗봇 모듈
134: 차량 구매 챗봇 모듈
136: 차량 정비 챗봇 모듈
140: 출력부
150: 차량 데이터베이스
16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70: 주행거리 산출모듈
180: 안전운전점수 산출모듈
190: 해시 처리부
100: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110: input unit
120: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130: chatbot module
132: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134: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136: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140: output unit
150: vehicle database
160: user database
170: mileage calculation module
180: safe driving score calculation module
190: hash processing unit

Claims (11)

챗봇을 기반으로 차량의 매매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대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의 도메인을 차량 판매 도메인, 차량 구매 도메인 및 차량 정비 도메인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차량 관련 도메인 중의 하나 이상의 차량 서비스 도메인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되는 도메인 분류 모듈; 및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의 텍스트를 벡터화하여 사용자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도메인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차량 서비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에 부합하는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챗봇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to provide services related to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based on chatbots,
Domain classification configured to analyze input dialogue data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classify a domain of the input dialogue data into one or more vehicle service domains among a plurality of vehicle-related domains including a vehicle sales domain, a vehicle purchase domain, and a vehicle maintenance domain. module; and
A chatbot configured to vectorize text o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to generate a user request vector, and to provide a query response service conforming to the user request vector according to a scenario set for the vehicle service domain classifi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including 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다양한 차량 매물 데이터 및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판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판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판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판매 차량과 관련된 스펙에 해당하는 유사 차량을 검색하여 유사 스펙 차량 가격과, 상기 판매 차량의 예상 판매 가격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판매 챗봇 모듈;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구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구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구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과 상기 사용자의 차량 구매 요구사항과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구매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차량 매물을 검색하여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구매 챗봇 모듈; 및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정비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정비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정비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보유 차량의 점검 이력, 누적 주행 마일리지, 및 운전습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기반으로 권장 정비 항목을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 챗봇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database for storing various vehicle listing data and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The chatbot module is:
If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sales domain, a question and answer service related to vehicle sales i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vehicle sales scenario, and a similar vehicle corresponding to specifications related to the user's vehicle for sale is searched in the vehicle database. a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a similar specification vehicle price and an estimated sales price of the vehicle for sale;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purchase domain, a question answering service related to vehicle purchase i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vehicle purchase scenario, and a similarity between a vehicle for sale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the user's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is determined. a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configured to analyze and search for and recommend a vehicle for sale that meets the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and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a question and answer service related to vehicle maintenance is provided according to a set vehicle maintenance scenario, and the inspection history, accumulated driving mileage, and driving habit data of the user's vehicle are analyzed.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comprising a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configured to recommend a recommended maintenance item based o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판매 챗봇 모듈은: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판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판매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판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판매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판매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판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도 순으로 유사 차량 매물의 매물 가격을 출력하고;
상기 판매 차량 정보와 상기 유사 차량 매물 간에 차이가 있는 차이 항목을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유사도 및 상기 차이 항목에 따라 상기 매물 가격을 보정하여 예상 판매가를 예측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comparing the user-requested vector with a set vehicle sales vector and requesting sales vehicl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model year, and mileage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sales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sales vehicl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sales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sales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sales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sales request data with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to output listing prices of similar vehicles in order of similarity;
analyzing a difference item ha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al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imilar vehicle for sale; And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configured to predict and output an estimated selling price by correcting the sale pric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i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구매 챗봇 모듈은: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구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주행거리 및 예산을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구매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구매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구매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구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관련도 순으로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에 따라 상기 추천 매물의 판매가를 보정하여 환산된 환산 매물가를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환산 매물가 순으로 정렬하여 리스트화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comparing the user request vector with a set vehicle purchase vector and requesting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model year, mileage, and budget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purchas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purchas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purchase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with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to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order of relevance;
correcting the selling price of the recommended product according to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to calculate a converted selling price; And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configured to list and output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order of converted sales pr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비 챗봇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온보드 차량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전습관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운전습관 벡터를 설정된 차량 정비 벡터와 비교하여 차량 정보, 점검 이력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차량 정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정비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정비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상기 운전습관 벡터 및 상기 정비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정비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권장 정비 항목 및 정비 시점을 추천하고; 그리고
추천된 정비 시점 전에 미리 정비 추천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챗봇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collecting vehicle driving-related data from an on-board vehicle diagnostic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of the user;
generating a driving habit vector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driving-related data;
compar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driving habit vector with a set vehicle maintenance vector and request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inspection history, and mileage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maintenanc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and storing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in a user database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the driving habit vector, and the maintenanc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with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recommending the recommended maintenance item and maintenance time point; And
A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configured to send a maintenance recommend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in advance before a recommended maintenance time.
챗봇을 기반으로 차량의 매매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으로서,
(a) 도메인 분류 모듈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대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의 도메인을 차량 판매 도메인, 차량 구매 도메인 및 차량 정비 도메인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차량 관련 도메인 중의 하나 이상의 차량 서비스 도메인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b) 챗봇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의 텍스트를 벡터화하여 사용자 요청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도메인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차량 서비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에 부합하는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
As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that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based on chatbots,
(a)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analyzes the input dialogu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the domain of the input dialogue data as one or more vehicles among a plurality of vehicle-related domains including a vehicle sales domain, a vehicle purchase domain, and a vehicle maintenance domain. classifying into service domains; and
(b) a chatbot module vectorizes the text of the input dialogue data to generate a user request vector, and a query conforming to the user request vector according to a scenario set for the vehicle service domain classified by the domain classification module; Providing a response service;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includ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차량 판매 챗봇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판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판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판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차량 매물 데이터 및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판매 차량과 관련된 스펙에 해당하는 유사 차량을 검색하여 유사 스펙 차량 가격과, 상기 판매 차량의 예상 판매 가격을 제공하는 단계;
(b-2) 차량 구매 챗봇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구매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구매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구매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과 상기 사용자의 차량 구매 요구사항과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구매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차량 매물을 검색하여 추천하는 단계; 및
(b-3) 차량 정비 챗봇 모듈에 의해, 상기 입력 대화 데이터가 상기 차량 정비 도메인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된 차량 정비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 정비에 관한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보유 차량의 점검 이력, 누적 주행 마일리지, 및 운전습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를 기반으로 권장 정비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b) is:
(b-1)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sales domain, the vehicle sales chatbot module provides a question and answer service related to vehicle sales according to a set vehicle sales scenario, and various vehicle sales data and vehicle types searching for a similar vehicle corresponding to a specification related to the user's sales vehicle in a vehicle database storing maintenance information, and providing a similar specification vehicle price and an estimated sales price of the sales vehicle;
(b-2)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purchase domain, the vehicle purchase chatbot module provides a question-and-answer service related to vehicle purchase according to a set vehicle purchase scenario, and vehicle listings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analyz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user's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and searching for and recommending vehicles that meet the vehicle purchase requirements; and
(b-3) When the input conversation data corresponds to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the vehicle maintenance chatbot module provides a question and answer service related to vehicle maintenance according to a set vehicle maintenance scenario, and checks the vehicle owned by the user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history, accumulated driving mileage, and driving habit data and recommending recommended maintenance items based o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판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판매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판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판매 요청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판매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판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판매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도 순으로 유사 차량 매물의 매물 가격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판매 차량 정보와 상기 유사 차량 매물 간에 차이가 있는 차이 항목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 및 상기 차이 항목에 따라 상기 매물 가격을 보정하여 예상 판매가를 예측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b-1) is:
comparing the user-requested vector with a set vehicle sales vector and requesting, from the user terminal, vehicle information for sale for an omitted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model year, and mileage;
generating a sales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vehicle information for sal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sales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sales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sales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sale request data with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outputting listing prices of similar vehicles in order of similarity;
analyzing a difference item ha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al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imilar vehicle for sale; and
and estimating and outputting an estimated selling price by correcting the sale pric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i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를 설정된 차량 구매 벡터와 비교하여 차종, 연식, 주행거리 및 예산을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구매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매 차량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구매 요청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구매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구매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매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관련도 순으로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구매 요청 데이터에 따라 상기 추천 매물의 판매가를 보정하여 환산된 환산 매물가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추천 매물을 환산 매물가 순으로 정렬하여 리스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b-2) is:
comparing the user request vector with a set vehicle purchase vector and requesting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model, model year, mileage, and budget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purchas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purchase vehicl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purchas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purchase domain;
comparing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with vehicle listing data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to determine a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order of relevance;
correcting a selling price of the recommended item according to the vehicle purchase request data and calculating a converted selling price; and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orti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products in order of converted sales price, listing them, and outputting th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된 온보드 차량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주행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전습관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및 상기 운전습관 벡터를 설정된 차량 정비 벡터와 비교하여 차량 정보, 점검 이력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항목들 중 누락된 항목에 대해 차량 정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정비 정보를 텍스트 벡터화하여 정비 요청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 벡터, 상기 운전습관 벡터 및 상기 정비 요청 벡터를 상기 차량 정비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해시값으로 매핑하여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비 요청 데이터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유형별 정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권장 정비 항목 및 정비 시점을 추천하는 단계; 및
추천된 정비 시점 전에 미리 정비 추천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b-3) is:
collecting vehicle driving-related data from an on-board vehicle diagnostic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of the user;
generating a driving habit vector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driving-related data;
comparing the user request vector and the driving habit vector with a set vehicle maintenance vector and request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a missing item among items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inspection history, and mileage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maintenance request vector by converting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text vectors;
generating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by mapping the user request vector, the driving habit vector, and the maintenance request vector to a hash value set for the vehicle maintenance domain, and storing the generated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in a user database;
comparing the vehicle maintenance request data with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stored in the vehicle database and recommending the recommended maintenance item and maintenance time point; and
A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nding a maintenance recommend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in advance before a recommended maintenance time point.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챗봇 기반 차량 매매 및 유지보수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chatbot-based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10.
KR1020210087087A 2021-07-02 2021-07-02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using chatbot system KR102635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87A KR102635530B1 (en) 2021-07-02 2021-07-02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using chatbo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87A KR102635530B1 (en) 2021-07-02 2021-07-02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using chatbo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00A true KR20230006200A (en) 2023-01-10
KR102635530B1 KR102635530B1 (en) 2024-02-07

Family

ID=8489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087A KR102635530B1 (en) 2021-07-02 2021-07-02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using chatbo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521A (en) * 2008-06-18 2009-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used car transaction man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26647B1 (en) * 2016-10-19 2018-03-22 김성국 Personal customized automobile mediating system by machine learning technology
KR102155739B1 (en) * 2019-10-24 2020-09-14 한경훈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bot service with adaptive reuse of question and answer datas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521A (en) * 2008-06-18 2009-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used car transaction man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26647B1 (en) * 2016-10-19 2018-03-22 김성국 Personal customized automobile mediating system by machine learning technology
KR102155739B1 (en) * 2019-10-24 2020-09-14 한경훈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bot service with adaptive reuse of question and answer data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530B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4455A1 (en) Data analytics engine for dynamic network-based resource-sharing
US10937089B2 (en)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system
US10963942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recommendations of unique items
Abrahams et al. An integrated text analytic framework for product defect discovery
US11710071B2 (en) Data analysis and rendering
US20230073709A1 (en) Image analysis and ident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with output estimation
US20210110306A1 (en) Meta-transfer learning via contextual invariants for cross-domain recommendation
US10319007B1 (en) Database image matching using machine learning with output estimation
Ghazizadeh et al. Text mining to decipher free-response consumer complaints: Insights from the NHTSA vehicle owner’s complaint database
US20210350393A1 (en) Behavioral data analytics platform
US20190279294A1 (en) Database image matching using machine learning with output personalization
CN111737544A (en) Search intention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bdelrahman et al. Data-driven robust scoring approach for driver profiling applications
US20230099627A1 (en)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an action
Hu et al. Public perceptions of police behavior during traffic stops: logistic regression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 compared
CN113327132A (en) Multimedia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635530B1 (en) Chatbot system for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and method of vehicle sales and maintenance service using chatbot system
WO20231682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analysis of electronic transaction representment data using machine learning
US202302816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analysis of electronic transaction representment data using machine learning
US11397973B1 (en) Generating training data for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services
US20230060204A1 (en) Generating training data for machine learning model for secondary object recommendations
Cai et al. Effect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n privacy decision-making in connected autonomous vehicle scenarios
CN111291829A (en) Automatic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ed pictures
Breger Criteria for algorithmic fairness metric selection under different supervised classification scenarios
Li et al. Driving cycle prediction based on Markov chain combined with driving information m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