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52U - 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 - Google Patents

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52U
KR20230001452U KR2020220000063U KR20220000063U KR20230001452U KR 20230001452 U KR20230001452 U KR 20230001452U KR 2020220000063 U KR2020220000063 U KR 2020220000063U KR 20220000063 U KR20220000063 U KR 20220000063U KR 20230001452 U KR20230001452 U KR 202300014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cription
contact surface
nose
animal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0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영현
신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to KR2020220000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452U/en
Publication of KR20230001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5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60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 G06V40/63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by static gui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비문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입력창 주위에 가이드를 구비한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비문이미지 획득장치는 탄성이 있는 소재의 가이드 부재가 동물의 코가 접촉하는 비문접촉면을 둘러싸는 상부 및/또는 양 옆 가장자리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따라 비문접촉면 보다 높게 마련되어 비문접촉면에 접촉한 동물의 코가 미끄러져 비문접촉면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Disclosed is an inscription image capture device having a guide around an input window to prevent an inscription from slipping. In the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high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along all or part of the upper part and / or both side edges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that the animal's nose contacts. It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nose of the animal does not slip and leave the contact surface of the nose.

Description

비문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입력창 주위에 가이드를 구비한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An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having a guide around the input window to prevent the inscription from slipping {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

본 고안은 동물의 비문(鼻紋)인증에 사용되는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로서 비문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입력창 주위에 가이드를 구비한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used for animal inscription authentication and having a guide around an input window so that the inscription does not slip.

동물 인증도 사람에 대한 인증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개체인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유실된 반려견을 확인할 때나 축산농가에서 사육하는 소처럼 사육 및 유통 과정에서 관리번호가 바뀌지 않은 동일한 소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Animal authentication is also a process of confirming that they are the same entity as human authentication. For example, it is used when checking lost companion dogs or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it is the same cow whose management number has not changed during the breeding and distribution process, such as a cow raised in a livestock farm.

동물에 대한 인증으로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동물(예컨대, 소)의 귀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장착하거나 몸에 마이크로 칩을 이식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RFID 태그나 마이크로 칩은 쉽게 바꿀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마이크로 칩은 동물에게 부작용과 고통을 줄 수도 있다. As a conventionally widely used method for animal authentication, there is a method of attach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to the ear of an animal (eg, cow) or implanting a microchip into the body. However, RFID tags or microchip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easily replaceable, and microchips in particular can cause side effects and pain to animals.

사람의 지문처럼, 동물 개별 개체가 고유하게 보유한 특징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비문(鼻紋)이 있다. 동물의 코의 주름 모양인 비문이 사람의 지문(指紋)처럼 개체 유일성이 있기 때문이다. 비문 인증은 비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그 주름 등의 모양에서의 특징을 등록하였다가 인증하는 방식으로 지문인식과 유사하다. Like human fingerprints, inscriptions are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imals. This is because the inscription, which is the shape of an animal's nose, has individual uniqueness, just like a human fingerprint. Inscription authentication is similar to fingerprint recognition in that it acquires an image of an inscription, registers its features in the shape of the wrinkles, etc., and then authenticates it.

종래에 비문 인증을 위해 비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식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문을 직접 촬영하는 방식(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6323호 참조)이었다. 그러나 비문을 단순히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식은 직사광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조명 상태에 아주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문의 주름 모양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해상도를 가진 비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쉽지 않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acquiring an inscription image for inscription authentication was a method of directly photographing an inscription using a camera (refer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6323). However, since the method of simply photographing an inscription with a camera is great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lighting conditions as well as direct sunlight, it is not easy to obtain an inscription image with a resolution sufficient to recognize the wrinkle shape of the inscription.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06345호는 프리즘을 이용한 광학식의 비문인증장치를 제시하였다. 이 방식은 지문 인식에 사용하는 광학식 지문 획득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비문 패턴도 지문처럼 융선과 골로 구분될 수 있는데, 광학식 비문 이미지 획득은 비문을 비추는 빛이 융선과 골에서 다른 광학적 처리를 수행된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Meanwhi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706345 suggested an optical inscription authentication device using a prism. This method applies the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method used for fingerprint recognition as it is. Inscription patterns can also be divided into ridges and valleys like fingerprints. Optical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uses the fact that different optical processes are performed on the ridges and valleys of the light illuminating the inscription.

해당 특허는 프리즘을 이용한다는 정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특허가 제시한 광학식 비문 이미지 획득 방식에 의하더라도 주름 모양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비문 이미지를 획득하기는 쉽지 않다. 그것은 동물의 코가 습하기 때문에 비문의 골에 물이나 기름이 채워지면서 비문의 골에서 융선과 비슷한 광학적 처리가 일어나 융선과 골이 구분되지 않게 되고, 전체적으로 검거나 전체적으로 밝은 이미지가 되기 때문이다. The patent suggests the extent to which a prism is used. However, it is not easy to obtain an inscription image capable of recognizing wrinkles, etc., even by the optical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method proposed by the patent. This is because the animal's nose is humid, so water or oil fills the inscription's troughs, and optical processing similar to ridges occurs in the inscription's troughs, making the ridges and valleys indistinguishable, resulting in a black or entirely bright image.

한편, 프리즘을 이용한 광학식의 비문인증은 동물의 코를 프리즘에 직접 접촉해야 한다. 동물과의 소통의 한계로 동물의 코를 프리즘에 접촉시키는 과정이 쉽지 않다. 실제로 건강한 동물의 코는 다소 습한 상태이기 때문에 프리즘에 접촉하는 중에 프리즘의 면에서 쉽게 미끄러진다. 이렇게 몇 번 비문 이미지 획득에 실패하면, 동물에 따라서 비문 접촉을 거부하는 일들이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in optical print authentication using a prism, the animal's nose mus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prism. Due to limitations in communication with animals, it is not easy to bring the animal's nose into contact with the prism. Indeed, because the nose of a healthy animal is rather moist, it easily slides off the face of the prism while in contact with it. If the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fails several times in this way, things that reject the inscription contact may occur depending on the animal.

1. KR 10-1706345 (애완견 관리를 위한 비문 인식처리장치)1. KR 10-1706345 (Inscription recognition processing device for pet dog management) 2. KR 10-2019-0066323 A1 (비문촬영시스템)2. KR 10-2019-0066323 A1 (inscription photographing system)

본 고안의 목적은 동물의 비문(鼻紋)인증에 사용되는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로서 비문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입력창 주위에 가이드를 구비한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equipped with a guide around an input window so that the inscription does not slip as an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used for animal inscription authent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는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 비문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비문센서부(110)와, 상기 비문접촉면(101a)이 일측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비문센서부(1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30)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상기 비문접촉면(101a)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150)는 상기 케이스(130)의 외면에서 상기 비문접촉면(101a)을 둘러싸는 상부 가장자리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따라 상기 비문접촉면(101a)보다 높게 마련되어 상기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 동물의 코가 상측으로 미끄러져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cription sensor unit 110 that generates an image of an inscription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d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is exposed on one side. It includes a case 130 for accommodating the inscription sensor unit 110 therein, and a guide member 150 provided at the edge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with an elastic material. Here, the guide member 150 is provided high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long all or a part of the upper edge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to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Support the animal's nose so that it does not slide upward and escap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150)는 상기 케이스(130)의 외면에서 상기 비문접촉면(101a)를 둘러싸는 양 옆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도 상기 비문접촉면(101a)보다 높게 마련되어 상기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하는 동물의 코가 좌우측으로 미끄러져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guide member 150 is provided high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even in some areas of both side edges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It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nose of the animal in contact with it does not slip left and right.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케이스(130)의 외면에서 상기 비문접촉면(101a)를 둘러싸는 아랫부분은 상기 비문접촉면(101a)과 동일한 높이 또는 조금 높거나 조금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비문접촉면(101a)를 둘러싸는 아랫부분이 상기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하는 동물의 코의 진행을 막지 않는 것이 좋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ower part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or slightly higher or slightly lower height as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d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art surrounding 101a) does not block the progress of the animal's nose contacting the nose print contact surface 101a.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150)는 상기 비문접촉면(101a)보다 높은 둔덕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비문접촉면(101a)을 향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동물의 코가 상기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할 때 동물의 코를 상기 비문접촉면(101a)으로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guide member 150 is provided in a mound shape high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d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so that the nose of the animal is o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Upon contact, the animal's nose can be guided to the nose print contact surface 101a.

본 고안의 비문이미지 획득장치는 탄성이 있는 소재의 가이드 부재가 동물의 코가 접촉하는 비문접촉면을 둘러싸는 상부 및/또는 양 옆 가장자리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따라 비문접촉면 보다 높게 마련되어 비문접촉면에 접촉한 동물의 코가 미끄러져 비문접촉면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In the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high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along all or part of the upper part and / or both side edges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that the animal's nose contacts. It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nose of the animal does not slip and leave the contact surface of the nose.

가이드 부재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되어 동물의 코를 압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문접촉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현되어 동물의 코를 지문접촉면으로 자연스럽게 안내한다. The guide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not to compress the animal's nose, and is inclined toward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to naturally guide the animal's nose to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문이미지 획득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문센서부의 동작을 광학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비문이 접촉한 상태의 도 1의 획득장치의 일부를 절단하여 x-x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op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scrip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view from xx by cutting a part of the acquisition device of Figure 1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비문이미지 획득장치(100)는 비문 이미지 생성을 위해 비문이 접촉하는 비문접촉면(101a)이 마련된 광학식 비문센서부(110)와, 비문접촉면(101a)이 일측에 노출된 상태로 비문센서부(1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30)와, 비문접촉면(101a)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inscription sensor unit 110 provided with an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to which an inscription contacts to generate an inscription image, and an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It includes a case 130 for accommodating the inscription sensor unit 110 therein in a state exposed to one side, and a guide member 150 provided at the edge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비문센서부(110)는 광굴절기(201)를 구비하여 광굴절기(201)의 일면인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 동물의 코(AN), 즉 비문의 이미지를 광학식으로 생성하는 센서로서,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방식의 광학식 비문센서부(110)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3244호 (발명의 명칭: 광학식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 및 비문 등록방법)의 비문센서부를 비문센서부(110)로 사용할 수 있다. 광굴절기(201)의 일면이 케이스(130)의 외부로 노출된 비문접촉면(101a)이 된다. The inscription sensor unit 110 is provided with an optical refractor 201 to optically generate an image of an animal's nose AN, that is, an inscription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which is one surface of the optical refractor 201. As, any conventionally known optical inscription sensor unit 110 is possible. For example, the inscription sensor unit of the applicant's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33244 (Title of Invention: Optical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Inscription Registration Method) can be used as the inscription sensor unit 110. One side of the optical refractor 201 becomes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30 .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비문센서부(110)는 비문이 직접 접촉하는 광굴절기(201)와, 광굴절기(201)로 비문 이미지 획득용 광을 출사하는 내부광원(203), 광굴절기(201)에서 출사되는 비문 영상을 이미지 센서(207)에 결상하는 렌즈(205)와, 디지털 비문 이미지를 최종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207)를 포함한다. 케이스(130)는 광굴절기(201)의 비문접촉면(101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비문센서부(110)를 수용한다. The inscription sensor unit 110 illustratively shown in FIG. 2 includes an optical refractor 201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an internal light source 203 for emitting light for obtaining an inscription image with the optical refractor 201, and a light It includes a lens 205 that forms an inscription image emitted from the refractor 201 on an image sensor 207 and an image sensor 207 that finally creates a digital inscription image. The case 130 accommodates the inscription sensor unit 110 so that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f the optical refractor 201 is exposed to the outside.

비문, 즉 동물의 코(AN)는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다. 비문 이미지가 비문 전체에 대한 이미지가 되도록, 비문접촉면(101a)의 면적은 동물의 코(AN)를 전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크기가 좋으며, 따라서 비문접촉면(101a)의 면적 또는 광굴절기(201)의 크기는 대상 동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강아지의 경우에도 소형견, 중형견 또는 대형견에 따라 코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강아지의 비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에도 대상 견의 종류에 따라 비문접촉면(101a)의 크기를 다르게 구현하는 것이 좋다. The inscription, that is, the animal's nose (AN) is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The area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is good enough to contact the nose AN of the animal as a whole so that the inscription image becomes an image of the entire inscription, and therefore the area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r the optical refractor 201 The size of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arget animal. Even in the case of a dog, since the size of the nose is different according to a small dog, a medium dog, or a large dog, it is good to implement a different size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ccording to the type of target dog even when acquiring an inscription image of a dog.

동물의 코(AN)를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 상태에서, 비문센서부(110)의 내부광원(203)이 광굴절기(201)의 비문접촉면(101a)을 향해 이미지 획득을 위한 광을 비춘다. 광굴절기(201)로 조사된 광은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 비문에 의해 비문 영상으로 변환된 다음, 렌즈(205)로 입사된다. 도 2와 같은 산란식 비문센서부(110)에서, 내부광원(203)에서 출사된 광은 직각 또는 전반사를 위한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비문접촉면(101a)에 입사되는데, 비문의 융선(AN2)이 접촉한 부분과 골(AN3)이 접촉한 부분에서 다른 광학 프로세스가 일어나면서 비문영상으로 바뀐다. 비문 영상은 렌즈(205)에 의해 이미지 센서(207)에 결상된다. 이미지 센서(207)는 비문 영상을 디지털 비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된 비문의 비문 이미지를 획득한다. In a state in which the animal's nose AN is in contact with the epileptic contact surface 101a, the internal light source 203 of the epilepsy sensor unit 110 directs the light for image acquisition toward the epitaph contact surface 101a of the optical refractor 201. illuminates The light irradiated by the optical refractor 201 is converted into an inscription image by the inscription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d then is incident on the lens 205. In the scattering type inscription sensor unit 110 as shown in FIG. 2,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ternal light source 203 is incident o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t a right angle or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for total reflection, and the inscription ridge AN2 is As another optical process occurs at the contact part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the valley AN3, it is changed into an inscription image. The inscription image is formed on the image sensor 207 by the lens 205. The image sensor 207 acquires an inscription image of an inscription contact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by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inscription image into a digital inscription image.

케이스(130)의 외면에서, 비문접촉면(101a)를 둘러싸는 하부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상부 가장자리 및 양 옆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부재(150)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150)는 비문접촉면(101a)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 동물의 코(AN)가 위쪽이나 양옆으로 미끄러져 비문접촉면(101a)을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비문 이미지는 동물의 코(AN)의 형상 중에서 적어도 콧구멍과 콧구멍 사이의 공간을 포착해야 하며, 코(AN)의 윗부분이 비문접촉면(101a)을 벗어나서는 안된다. 가이드 부재(150)는 동물의 코(AN)가 비문접촉면(101a)을 벗어나지 않고 비문접촉면(101a)에 정확히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guide members 150 are provided on the upper edge and both side edges except for the lower edge area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1 and 3, the guide member 150 is formed higher than the contact surface 101a, so that the nose AN of the animal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101a slides upward or to the sides to the contact surface 101a. ) do not deviate. In addition, the inscription image must capture at least the space between the nostrils and the nostrils in the shape of the animal's nose AN, and the upper part of the nose AN must not deviate from the nose contact surface 101a. The guide member 150 guides the animal's nose AN to be accurately placed on the nose contact surface 101a without leaving the contact surface 101a.

가이드 부재(150)는 비문접촉면(101a)의 윗변 가장자리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비문접촉면(101a)의 양 옆변의 가장자리 전체 또는 일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은 가운데가 높은 둔덕 형상의 가이드 부재(150)가 비문접촉면(101a)의 윗변 가장자리 전체와 양 옆변의 가장자리 중 상부를 따라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50)는 비문접촉면(101a)을 향해 경사면(151)으로 형성되어 동물의 코(AN)가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할 때 동물의 코(AN)를 비문접촉면(101a)으로 안내하는 것이 좋다. The guide member 150 may be disposed on all or part of the upper edge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d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on all or part of both side edges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For example, FIGS. 1 and 3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guide member 150 having a mound-like middle is dispos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entire upper side edge and both side edges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15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51 toward the nose contact surface 101a, so that when the animal's nose AN contacts the nose contact surface 101a, the animal's nose AN moves to the nose contact surface 101a. It is good to be guided by

비문접촉면(101a)의 아랫변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케이스(130)의 외면 중에서 비문접촉면(101a)의 아랫쪽 부분은 비문접촉면(101a)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비문접촉면(101a)보다 조금 낮은 높이로 구현되어야 한다. 도 3에서처럼, 비문접촉면(101a)의 양 옆 가장자리의 아랫부분에도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즉, 케이스(130)의 외면 중에서 비문접촉면(101a)의 양 옆의 아랫부분은 비문접촉면(101a)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비문접촉면(101a)보다 조금 낮은 높이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도 1 및 도 3에서처럼, 비문접촉면(101a)의 아랫쪽 및 양 옆의 아랫부분이 비문접촉면(101a)보다 조금 높게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런 구조의 높이가 가이드 부재(150)처럼 동물의 코(AN)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진로를 방해하는 높이가 되어서는 안된다. A guide member is not disposed on the edge of the lower side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In other wor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the lower part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r a little low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s shown in Figure 3, it is better not to arrange a guide member even in the lower part of both side edges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That i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the lower part of both sides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is preferably implemen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r a little low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both sides of the nasal contact surface 101a may be implemented a little higher than the nasal contact surface 101a, but the height of this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guide member 150, the animal's nose (AN) It must not be at a height that prevents slipping or obstructs the way.

코(AN)가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할 때, 도 3에서처럼 코(AN)의 상부가 가이드 부재(150)에 의해 안내되면서 비문접촉면(101a)의 윗변 가까이 위치하는 방식으로 접촉을 시도하게 되는데, 비문접촉면(101a)의 아랫변의 가장자리 및/또는 양 옆의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는 동물의 코가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할 때 동물의 코를 압박할 수도 있고 동물의 코를 비문접촉면(101a)으로부터 이격시켜 밀어낼 수 있어서, 비문 이미지의 획득에 방해가 된다. 동일한 이유로, 비문접촉면(101a)의 양 옆 가장자리의 아랫부분에도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When the nose AN contacts the nose contact surface 101a, as shown in FIG. 3, the upper part of the nose AN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150 and tries to make contact in such a way that it is located near the upper side of the nose contact surface 101a. However, the guide member disposed at the lower edge of the lower side and / or the lower side of the nose contact surface 101a may press the nose of the animal when the nose of the animal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101a, or the nose of the animal. It can be pushed away from the contact surface (101a), which hinders the acquisition of the inscription image. For the same reason, it is better not to place a guide member on the lower part of both side edges of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가이드 부재(15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됨으로써 동물이 코를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이드 부재(150)의 소재로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50)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가이드 부재(150)는 코(AM)가 미끄러져 비문접촉면(101a)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몇 개의 기둥 또는 반원 형상의 탄성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member 1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animal does not press the nose and cause pain. As a material for the guide member 150, elastic silicone or the like may be used. The shape of the guide member 150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Since the characteristic guide membe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nose AM from slipping and leaving the nasal contact surface 101a, several pillars or semicircular elastic members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비문 이미지 획득장치 101a: 비문접촉면
110: 비문센서부 130: 케이스
150: 가이드 부재
100: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101a: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10: inscription sensor unit 130: case
150: guide member

Claims (4)

비문이미지 획득장치에 있어서,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 비문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비문센서부(110);
상기 비문접촉면(101a)이 일측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비문센서부(1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30);
탄성이 있는 소재로 상기 케이스(130)의 외면에서 상기 비문접촉면(101a)을 둘러싸는 상부 가장자리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따라 상기 비문접촉면(101a)보다 높게 마련되어 상기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한 동물의 코가 상측으로 미끄러져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하는 비문이미지 획득장치.
In the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An inscription sensor unit 110 generating an image of an inscription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Case 130 for accommodating the inscription sensor unit 110 therein while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is exposed on one side;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high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long all or a part of the upper edge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and the animal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including a guide member 150 that supports the nose to prevent it from slipping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50)는 상기 케이스(130)의 외면에서 상기 비문접촉면(101a)를 둘러싸는 양 옆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도 상기 비문접촉면(101a)보다 높게 마련되어 상기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하는 동물의 코가 좌우측으로 미끄러져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이미지 획득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150 is provided high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even in some regions of both side edges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so that the animal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the nose so that it does not slip left and righ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30)의 외면에서 상기 비문접촉면(101a)를 둘러싸는 아랫부분은 상기 비문접촉면(101a)과 동일한 높이 또는 조금 높거나 조금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비문접촉면(101a)를 둘러싸는 아랫부분이 상기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하는 동물의 코의 진행을 막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이미지 획득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part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0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or slightly higher or slightly lower height as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The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surrounding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does not block the progress of the nose of the animal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50)는 상기 비문접촉면(101a)보다 높은 둔덕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비문접촉면(101a)을 향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동물의 코가 상기 비문접촉면(101a)에 접촉할 때 동물의 코를 상기 비문접촉면(101a)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이미지 획득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guide member 150 is provided in a mound shape higher than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d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so that the nose of the animal is in contact with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An inscrip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uiding to the inscription contact surface (101a).
KR2020220000063U 2022-01-10 2022-01-10 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 KR2023000145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63U KR20230001452U (en) 2022-01-10 2022-01-10 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63U KR20230001452U (en) 2022-01-10 2022-01-10 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52U true KR20230001452U (en) 2023-07-18

Family

ID=8742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063U KR20230001452U (en) 2022-01-10 2022-01-10 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452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45B1 (en) 2014-05-27 2017-02-15 (주)링크옵틱스 dog nose pattern recognition apparatus
KR20190066323A (en) 2017-12-05 2019-06-13 (주)링크옵틱스 Animal nose print photograp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45B1 (en) 2014-05-27 2017-02-15 (주)링크옵틱스 dog nose pattern recognition apparatus
KR20190066323A (en) 2017-12-05 2019-06-13 (주)링크옵틱스 Animal nose print photograph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2673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EP3319009B1 (en) Living body recognition apparatus, living body recognition method and living body authentication system
KR101494717B1 (en) Apparatus of Animal Recognition System using nose patterns
EP2755163B1 (en) Biometric information image-capturing device, biometric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iometric information image-capturing device
EP1643415B1 (en) Fingerprint image pickup device
US20080304111A1 (en) Identification reader
KR102233244B1 (en) Apparatus for Acquiring Nose Pattern Image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Noise Pattern
KR20210013901A (en) All in One Nose Pattern Image Detector Comprising at Least one Code Reader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Nose Pattern
JP6743429B2 (en) Biometric apparatus, biometric method, and biometric program
US20230386249A1 (en)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KR20230001452U (en) Nose pattern imag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round a nose attachment window so that the nose does not slip on
JP2010251930A (en) Reading device
KR102168508B1 (en) Animal nose print photographing apparatus
KR20200143017A (en) Apparatus for Acquiring Nose Pattern Image
KR102357917B1 (en) Contact-type nose reader for pets
KR102226544B1 (en) Nose print scanning device of companion animal
EP3372163A1 (en)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of veins in a palm
KR20240002171A (en) Nose Pattern Image Generator Comprising Elastic Pads Contacting Nose of Animals
JP2007215899A (en) Pers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KR20240022155A (en) Sensor for Scanning Nose Pattern of Animal, Nose Pattern Image Acqui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ensor, and Nose Pattern Image Acquiring Method
JP7067774B2 (en) Imaging device
KR101109237B1 (en) Biometrics equipment
RU2298222C2 (en) Anamorphic system for reading papillary patterns and method for using said system
JP2019049809A (en)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JP6051597B2 (en) Biological information reader and electronic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