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899A - 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 - Google Patents

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899A
KR20220161899A KR1020210070206A KR20210070206A KR20220161899A KR 20220161899 A KR20220161899 A KR 20220161899A KR 1020210070206 A KR1020210070206 A KR 1020210070206A KR 20210070206 A KR20210070206 A KR 20210070206A KR 20220161899 A KR20220161899 A KR 20220161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orklift
image
risk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6448B1 (en
Inventor
이정표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Priority to KR1020210070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448B1/en
Publication of KR2022016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orklift forward collision risk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a part covered by a lifted moving object and a dangerous object can be displayed based on a forward image and an image taken by a time of flight (TOF) camera. The forklift forward collision risk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comprises: a first camera (110)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a mast assembly (210) of a forklift (200) to photograph the anterior site; a second camera (12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mast assembly (210) of the forklift (200) to photograph the anterior site; a control unit (130) for overlaying at least a portion of a captured image (500) of the second camera (120) on a captured image (400) of the first camera (110) to generate an output image (600) in which a portion covered by a moving object (230) lifted from a viewpoint of the first camera (110) is displayed; and a display unit (140) displaying the generated output image (600).

Description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Forward collision risk detection monitoring device of forklift {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을 촬영한 이미지와 TOF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리프팅 된 이동 대상 물체에 의해 가려진 부분과 위험 물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n image taken from the front and an image taken by a TOF camera, a part covered by a moving target object lifted and the position of the dangerous object are detected. It relates to a front collision risk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for a forklift.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의 인력으로 들기 어려운 고중량의 화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화물을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시킬 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이다.In general, a forklift truck is a special type of industrial truck used to lift or unload a load. It is a vehicle.

이러한 지게차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운행가능한 형태의 차체를 가지며, 차체의 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조작 구동가능한 형태의 마스트조립체가 설치된다.The structure of such a forklift truck basically has a vehicle body capable of being driven, and a mast assembly capable of being manipulated and driven to load cargo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여기서 마스트조립체는 아웃터 마스트와, 아웃터 마스트의 내측에 겹치도록 설치되는 다단의 인너 마스트들로 구성되며, 인너 마스트에는 캐리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캐리지와 인너 마스트는 일차 및 이차 리프트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Here, the mast assembly is composed of an outer mast and multi-stage inner masts install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inside the outer mast, and a carriage is assembled to be movable vertically on the inner mast. The carriage and inner mast are moved up and down by primary and secondary lift cylinders.

그리고 마스트조립체의 캐리지에는 한 쌍의 포크가 설치되며, 한 쌍의 포크의 경우 화물을 직접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상기 캐리지 상에 서로 폭 방향을 향한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In addition, a pair of forks are installed in the carriage of the mast assembly, and in the case of the pair of forks,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adjusted on the carriage so that cargo can be directly lifted.

여기서, 포크를 대신하여 다른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힌지드 버켓, 사이드쉬프트, 로드 스테빌라이저, 로테이딩 포크 등을 장착할 수도 있다.Here, instead of the fork, other attachments such as a hinged bucket, a side shift, a load stabilizer, and a rotating fork may be mounted.

이때, 어태치먼트는 어태치먼트 라인에 의해 작동유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attachment is configured to receive hydraulic fluid through the attachment line.

그런데 지게차를 이용한 화물의 적재과정에서 운전석의 전방에 마스트 및 포크가 설치되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는 작업자의 운행은 물론 화물을 올리거나 내리는 전반적인 작업에 운전자의 전방을 향한 시야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mast and fork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in the process of loading cargo using a forklift,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secure the front view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raising or lowering the cargo as well as the operation of the worker moving while the cargo is loaded. There was a problem.

특히, 화물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과정에서 화물과 마스트 등에 사야가 가려짐에 따라 작업장 내 항상 충돌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lways a risk of collision in the workplace as the saya is covered by the cargo and the mast 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transporting the cargo.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76199호(2016.06.30.)에는 지게차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의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캐리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운전석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하단에 카메라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카메라 브라켓과,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브라켓과 슬라이딩되도록 조립되는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카메라 브라켓과 가이드 브라켓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고소 작업시 항상 포크 하방에 카메라가 위치하며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가 공지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76199 (2016.06.30.) discloses a forklift vehicle body, a mast assembly provid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a carriage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mast rail of the mast assembly, and provided in front of the carriage A forklift comprising a pair of forks, a camera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rriag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fork, and a monitor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A camera bracket having a camera at the bottom and a slo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racket assembled to slide with the camera bracket by a guide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camera bracket and the guide bracket, the camera is always located below the fork during work at height, and the efficiency of work and A fork camera mounting structure of a forklift that can improve convenience is known.

그러나, 마스트에 대응된 차체의 정중앙 하부 또는 차체의 양측에 전방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위치하기 때문에 양자 모두 포크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운전자에 대한 전방 시야 확보가 여전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amera for taking a front image is locat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vehicle body corresponding to the mast or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it is still difficult to secure a front view for the driver in a state where cargo is loaded on both forks.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76199호(2016.06.30.)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76199 (2016.06.30.)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을 촬영한 이미지와 TOF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리프팅 된 이동 대상 물체에 의해 가려진 부분과 위험 물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collision risk detection monitoring device for a forklift that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part covered by the lifted moving object based on the image taken by the front and the TOF camera is intended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로서,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상단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하단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에 제2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를 적어도 일부 오버레이하여 제1 카메라의 시점에서 리프팅 된 이동 대상 물체에 의해 가려진 부분이 표시되도록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comprising: a first camera installed on top of a mast assembly of a forklift and photographing the front; a second camera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st assembly of the forklift to photograph the front side; a control unit that overlays at least a portion of an image captured by a second camera on an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to generate an output image such that a portion covered by the moving object lif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first camera is displayed;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generated output image.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이미지는 리프팅한 이동 대상 물체에 의해 가려진 포크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상 포크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imag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virtual fork image indicating a position of a fork covered by the lifted moving target object is displayed.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2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amer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Time of Flight (TOF) camera.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2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포크의 높이 및 전방의 충돌 위험 대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height of the fork and the collision risk object in front from the image taken by the second camera.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TOF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를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기반의 클러스터링을 통해 포인트들이 형성하는 평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평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ROI(Region of Interest)에 대응하는 포인트들로부터 위험 대상을 감지하며, 위험 대상이 감지됨에 따라 위험 대상 표시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 이미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tects a plane region formed by points through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based clustering of images taken by a TOF camera, and sets a predetermined ROI (Region Region) based 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lane reg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from points corresponding to the object of interest, and a dangerous object display image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an output image as the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본 발명은 전방을 촬영한 이미지와 TOF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리프팅 된 이동 대상 물체에 의해 가려진 부분과 위험 물체의 위치를 표시하여 충돌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risk of collision b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part covered by the lifted moving object based on the image taken from the front and the image taken by the TOF camera.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제1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제2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제1 및 제2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합성하여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제1 및 제2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위험 대상을 표시하여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camera-captured image of the device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captured by a second camera of the device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mposite of images taken by first and second cameras of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angerous subject displayed based on images captured by first and second cameras of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y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Prior to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configuration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within the scope of not disturbing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he concept of appropriate terms to best describe his/her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 module" refer to units that proces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classifi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would be self-evident.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제1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5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제2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6은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제1 및 제2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합성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7은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의 제1 및 제2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위험 대상을 표시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front collision risk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of a forklift front collision risk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n for explana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ork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3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captured by a second camera of the front collision risk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and FIG. 6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ynthesis of images taken by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of the device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and FIG.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angerous object based on the images captured by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of the device.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100)는 전방을 촬영한 이미지와 TOF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리프팅 된 이동 대상 물체에 의해 가려진 부분과 위험 물체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1 카메라(110)와, 제2 카메라(120)와, 제어부(130)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7, the monitoring device 100 for detect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moving target object lifted based on an image taken from the front and an image taken by a TOF camer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amera 110, a second camera 120, a controller 130, and a display unit 14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ortion covered by the screen and the dangerous object may be displayed.

상기 제1 카메라(110)는 지게차(200)의 마스트 조립체(210)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게차(200)의 전측방향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CCD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CMOS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임의의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1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ast assembly 210 of the forklift 200 and photographs the front direction of the forklift 200, and a camera using a CCD sensor, a camera using a CMOS sensor, or an optical signal It can be composed of a camera using an arbitrary sensor that converts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제2 카메라(120)는 지게차(200)의 마스트 조립체(210)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게차(200)의 전측방향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2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st assembly 210 of the forklift 200 to photograph the front direction of the forklift 200, and is preferably a Time of Flight (TOF) camera. have.

상기 TOF 카메라는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TOf 센서에서 IR의 비상(Flight)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로 환산한 값을 통해 거리(d)를 측정한다. The TOF camera measures the distance (d) through a value converted into a distance by measuring the flight time of IR from the TOf sensors arranged in an array form.

상기 제어부(130)는 제1 카메라(110)에서 촬영한 제1 출력 이미지(400)에 제2 카메라(120)에서 촬영한 제2 출력 이미지(500)의 적어도 일부 오버레이하여 출력 이미지(60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30 overlay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output image 500 taken by the second camera 120 on the first output image 400 taken by the first camera 110 to obtain an output image 600. Create and control to be displayed.

즉, 도3과 같이 지게차(200)에 이동 대상 물체(230)가 리프팅 된 상태에서 지게차(200)의 전측방향에 위험 대상(300, 310)이 있는 경우, 제1 카메라(110)는 도4와 같이, 위험 대상(300, 310)이 이동 대상 물체(230)에 가려진 제1 출력 이미지(400)가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when the moving target object 230 is lifted on the forklift 200 as shown in FIG. 3 and there is a dangerous object 300 or 310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orklift 200, the first camera 110 is set to FIG. 4 As such, the first output image 400 in which the dangerous objects 300 and 310 are covered by the moving target object 230 is displayed.

또한, 지게차(200)에 이동 대상 물체(230)가 리프팅 된 상태에서 제2 카메라(120)는 도5와 같이 위험 대상(300, 310)이 포함된 제2 출력 이미지(50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object 230 is lifted by the forklift 200, the second camera 120 may display the second output image 500 including the dangerous objects 300 and 310 as shown in FIG. 5. have.

상기 제어부(130)는 제1 카메라(110)의 시점에서 마스트 조립체(210)를 통해 리프팅 된 이동 대상 물체(230)가 상기 제1 카메라(110)를 가리는 경우, 가려진 부분이 표시되도록 제2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카메라(110)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오버레이하되, 상기 리프팅한 이동 대상 물체(230)에 의해 가려진 포크(220)의 위치가 출력 이미지(600)에 나타날 수 있도록 도6과 같이, 가상 포크 이미지(610)를 이동 대상 물체(230)의 하단에 추가 표시한 출력 이미지(600)를 생성할 수도 있다.When the moving target object 230 lifted through the mast assembly 210 covers the first camera 110 from the viewpoint of the first camera 110,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econd camera to display the covered portion. Overlaying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taken in 120 with the image taken by the first camera 110, the position of the fork 220 covered by the lifted moving object 230 is the output image 600 As shown in FIG. 6 , an output image 600 in which the virtual fork image 610 is additionally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moving target object 230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포크(220)의 높이와, 전방의 충돌 위험 대상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an detect the height of the fork 220 and the collision risk object in front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120 .

즉, 상기 제어부(130)는 전체 촬영된 TOF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에서 포크에 해당하는 영역과 사람과 같은 위험 대상이 있는 영역을 인식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30 recognizes an area corresponding to a fork and an area with a dangerous object such as a person in the captured image of the TOF camera.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픽셀 위치의 빛(IR) 줄기 단위 벡터와 깊이(Depth) 값을 곱하여 촬영된 이미지상의 각 픽셀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를 종합하여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control unit 130 multiplies the light (IR) stem unit vector of the corresponding pixel position by the depth value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each pixel in the 3D space of the captured image, and synthesizes the 3D point cloud data generate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TOF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를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기반의 클러스터링을 통해 포인트들이 형성하는 2차원 평면 영역을 검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a two-dimensional plane area formed by points through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based clustering of images captured by the TOF camera.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2차원 평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ROI(Region of Interest)에 대응하는 포인트들로부터 위험 대상을 감지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a dangerous object from points corresponding to a preset Region of Interest (ROI) based on coordinate information of a 2D flat area.

즉, 상기 제어부(130)는 모든 포인트의 Z좌표를 '0'으로 가정하고, 임의로 추출된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모델로 사용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30 assumes that the Z coordinates of all points are '0' and uses a circle centered on an arbitrarily extracted point as a model.

그러나, 3차원 공간 상에서는 수직으로 서 있는 원기둥이 될 수 있다.However, it may be a cylinder standing vertically in a 3D space.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XY 평면에 투영된 모든 점에 대하여, 중심점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IN 영역' 이하이면 예를 들어 '1'을 카운트하고, 중심점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OUT 영역' 이하인 경우 예를 들어 '-2'를 카운트하여 클러스터링 한다.In addition, for all points projected on the XY plane, the controller 130 counts, for example, '1' i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IN area',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is preset 'OUT area'. area' or less, for example, '-2' is counted for clustering.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RANSAC으로 추출된 포인트의 최고점은 예를 들어 키로 구분하고, 상기 키로부터 일정 거리 아래까지의 폭(예를 들어 머리 폭)을 측정하여 구분하며, 상기 키로부터 또 다른 거리 아래 범위의 폭(예를 들어 어깨 폭)을 측정하여 구분하고, 구분된 머리 폭과 어깨 폭이 정해진 범위 안에 들어오면, 사람으로 인식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lassifies the highest point of the point extracted by RANSAC as, for example, a key, measures and classifies the width (eg, head width) from the key to a certain distance below, and divides it into another The width (for example, shoulder width) of the range below the distance is measured and classified, and if the divided head width and shoulder width fall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t is recognized as a person.

이때, 사람 인식시 사용하는 원의 반경이 클 경우, 팔 부분까지 몸통으로 처리되어 제거되므로 팔 인식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클러스트링에서 사용된 반경보다 좁은 범위만 몸통으로 인정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 radius of the circle used for human recognition is large, arm recognition may be difficult because the arm is treated as the body and removed, so only a range narrower than the radius used in the cluster ring may be recognized as the body and removed.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RANSAC을 통해 제2 출력 이미지(500)에서 위험 대상을 감지함에 따라 감지된 위험 대상(300), 위험 대상 1(310)이 출력 이미지(600)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도7과 같이, 위험 대상 표시 이미지(620)와 위험 대상 표시 이미지 1(630)을 각각 생성하여 출력 이미지(600)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the controller 130 detects a dangerous object in the second output image 500 through RANSAC, the detected dangerous object 300 and the dangerous object 1 310 may be displayed on the output image 600. As shown in FIG. 7 , a risk object display image 620 and a risk object display image 1 630 ar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output image 600 to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출력 이미지(6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output image 600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30 so that it can be visually checked.

따라서, 전방을 촬영한 이미지와 TOF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리프팅 된 이동 대상 물체에 의해 가려진 부분과 위험 물체의 위치를 표시하여 충돌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isk of collision b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part covered by the lifted moving object based on the image taken by the TOF camera and the image taken from the fron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ing numbers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describ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chang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the interpreta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viously, it is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00 : 모니터링 장치
110 : 제1 카메라
120 : 제2 카메라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200 : 지게차
210 : 마스트 조립체
220 : 포크
230 : 이동 대상 물체
300 : 위험 대상
310 : 위험 대상 1
400 : 제1 출력 이미지
500 : 제2 출력 이미지
600 : 출력 이미지
610 : 가상 포크 이미지
620 : 위험 대상 표시 이미지
630 : 위험 대상 표시 이미지 1
100: monitoring device
110: first camera
120: second camera
130: control unit
140: display unit
200: forklift
210: mast assembly
220: fork
230: moving target object
300: Dangerous target
310: risk target 1
400: first output image
500: second output image
600: output image
610: virtual fork image
620: Danger target display image
630: Danger target display image 1

Claims (5)

지게차(200)의 마스트 조립체(210) 상단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
상기 지게차(200)의 마스트 조립체(210) 하단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120);
상기 제1 카메라(110)의 촬영 이미지(400)에 제2 카메라(120)의 촬영 이미지(500)를 적어도 일부 오버레이하여 제1 카메라(110)의 시점에서 리프팅 된 이동 대상 물체(230)에 의해 가려진 부분이 표시되도록 출력 이미지(600)를 생성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생성된 출력 이미지(600)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는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
a first camera 110 installed on top of the mast assembly 210 of the forklift 200 to photograph the front;
a second camera 1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st assembly 210 of the forklift 200 to photograph the front;
By over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tured image 500 of the second camera 120 on the captured image 400 of the first camera 110, the moving target object 230 lif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first camera 110 a control unit 130 generating an output image 600 so that the obscured portion is displayed; and
A front collision risk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for a forklift including; a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output image 6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미지(600)는 리프팅한 이동 대상 물체(230)에 의해 가려진 포크(220)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상 포크 이미지(610)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image 600 is a forklift forward collision risk detection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virtual fork image 610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fork 220 covered by the lifted moving target object 230 is display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120)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camera 120 is a time of flight (TOF)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ward collision risk detection monitoring device of the forklif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포크(220)의 높이 및 전방의 충돌 위험 대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the height of the fork 220 and the forward collision risk object in the image taken by the second camera 12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TOF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를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기반의 클러스터링을 통해 포인트들이 형성하는 평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평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ROI(Region of Interest)에 대응하는 포인트들로부터 위험 대상을 감지하며,
위험 대상이 감지됨에 따라 위험 대상 표시 이미지(620, 630)를 생성하여 출력 이미지(6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a plane region formed by points through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based clustering of an image taken by a TOF camera,
Detecting a risk object from points corresponding to a preset Region of Interest (ROI)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lane area;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a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a forklift,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dangerous object display images (620, 630) ar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output image (600).
KR1020210070206A 2021-05-31 2021-05-31 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 KR102536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06A KR102536448B1 (en) 2021-05-31 2021-05-31 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06A KR102536448B1 (en) 2021-05-31 2021-05-31 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99A true KR20220161899A (en) 2022-12-07
KR102536448B1 KR102536448B1 (en) 2023-05-26

Family

ID=8444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206A KR102536448B1 (en) 2021-05-31 2021-05-31 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4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700B1 (en) * 2024-02-02 2024-04-16 오토아이티(주)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for forklif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526A (en) * 2004-03-31 2005-10-20 Daifuku Co Ltd Moving shelf device with obstacle detection device
JP2008143701A (en) * 2006-12-13 2008-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View improving system and method for industrial vehicle
JP2013086959A (en) * 2011-10-21 2013-05-13 Sumitomo Heavy Ind Ltd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fork of forklift
JP2015174705A (en)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Forklift work aiding device
KR20160076199A (en)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두산 Fork Camera Mounting Structure of Forklift
JP2020033165A (en) * 2018-08-31 2020-03-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Forklift remote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526A (en) * 2004-03-31 2005-10-20 Daifuku Co Ltd Moving shelf device with obstacle detection device
JP2008143701A (en) * 2006-12-13 2008-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View improving system and method for industrial vehicle
JP2013086959A (en) * 2011-10-21 2013-05-13 Sumitomo Heavy Ind Ltd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fork of forklift
JP2015174705A (en)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Forklift work aiding device
KR20160076199A (en)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두산 Fork Camera Mounting Structure of Forklift
JP2020033165A (en) * 2018-08-31 2020-03-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Forklift remote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700B1 (en) * 2024-02-02 2024-04-16 오토아이티(주)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for forklif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448B1 (en)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0954B2 (en) Surrounding information-obtain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KR1011237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afe operation of heavy machinery
JP2019156641A (e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fork lift and control program
US9169108B2 (en) Performance line display unit
US20180267551A1 (en) Vehicle positioning and object avoidance
JP6017691B2 (e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crane system and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JP5227841B2 (en) Ambient monitoring device
US20080011554A1 (en) Movable sensor device on the loading means of a forklift
JP7103077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forklifts
KR20140009148A (en) Work machine peripheral monitoring device
JP6541734B2 (en) Shovel
WO2019163378A1 (en) Forklift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KR201300699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peration guide inform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JP6222933B2 (en) Map making device for work vehicles
JPWO2019163378A5 (en)
KR102536448B1 (en) Monitoring device to detect the risk of forward collision of forklift
JP6766516B2 (en) Obstacle detector
KR102117046B1 (en) System for prevention crash of forklift truck
JP6257947B2 (en) Work vehicle ambien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JP2021066576A (en) Operation support device of cargo handling vehicle
JP2019142714A (e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fork lift
JP6080450B2 (en) Surveillance camera device
EP3687937B1 (en) Operator assistance system and a method in relation to the system
JP2021022802A (en) Industrial vehicle remote operation system
JP6943004B2 (en) Indust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