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566A -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566A
KR20220159566A KR1020210067279A KR20210067279A KR20220159566A KR 20220159566 A KR20220159566 A KR 20220159566A KR 1020210067279 A KR1020210067279 A KR 1020210067279A KR 20210067279 A KR20210067279 A KR 20210067279A KR 20220159566 A KR20220159566 A KR 2022015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cessor
beam pattern
warn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2370B1 (en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6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370B1/en
Publication of KR2022015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5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6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 passenger getting-off warning, which comprises: a door sensor detecting opening of a door provided to a vehicle; a radar sensor detecting an object accessing the door; a light source outputting a beam pattern on a floor surface of a front road of the door;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which is detected by the door sensor, and whether the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sensor.

Description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s to get off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본 발명은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차하는 탑승객을 충돌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which can protect a passenger getting off from a collision accident.

학교 또는 학원과 집 간의 이동을 위한 목적으로 통학용 승합차 또는 통학용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학용 승합차 또는 통학용 버스의 경우,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표지판을 펼치거나, 또는 차량에 구비된 경광등을 작동시켜 주변으로 탑승객의 하차 상황을 알림으로써 차량으로 접근하는 차량과 하차하는 탑승객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있다.For the purpose of moving between schools or academies and houses, school vans or school buses are in operation. In general, in the case of a school van or school bus, a sig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is unfolded, or a warning light provided in the vehicle is operated to inform the surroundings of the situation of passengers getting off, so that the vehicle approaching the vehicle and getting off the vehicle Collision between passengers is prevented.

그러나, 전술한 종래 방법의 경우, 차량의 주변으로 탑승객의 하차 상황에 대해 경고할 뿐, 정작 하차하는 탑승객에게는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경고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warning about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is not sufficiently provided to the passengers getting off the vehicle, only warning about the situation of getting off the vehicle around the vehicle.

이에 따라, 하차하는 탑승객에게도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해 경고함으로써 하차하는 탑승객을 충돌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the passengers getting off the vehicle from a collision by warning the passengers about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7110호(2013.12.16.)의 '어린이 통학용 승합차에 설치되어 어린이의 안전한 승하차를 도모하는 승하차 안전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37110 (2013.12.16.) 'Getting on and off safety system installed in a school van for children to promote safe getting on and off'.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하차하는 탑승객을 충돌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getting off warn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otecting passengers getting off from a collision accid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 센서;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 상기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빔 패턴을 출력하는 광원; 및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한 도어의 개방 여부, 및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한 객체의 감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warning passengers getting off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sensor configured to detect opening of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a radar sensor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a light source outputting a beam pattern to the floor surface of the road in front of the door;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ensor and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를 중단시키도록 상기 광원을 통해 제1 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controls the light source to stop passengers getting off. 1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beam patter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빔 패턴은, 하차 중단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1 경고 문양 및 제1 경고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am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rst warning pattern and a first warning phrase implying the meaning of stopping getting off.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빔 패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object through the radar sensor, and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in the first beam patter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패턴의 점멸 주기, 밝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lickering cycle, brightness and size of the first beam patter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광원을 통해 제2 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not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controls the light source to allow the passengers to get off.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2 beam pattern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차 승인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2 경고 문양 및 제2 경고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eam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warning pattern and a second warning phrase implying the meaning of getting of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은 프로세서가, 도어 센서를 통해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한 도어의 개방 여부, 및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한 객체의 감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빔 패턴을 출력하는 광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by a processor, whether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is opened through a door sensor; detecting, by the processor,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through a radar sensor; and controlling, by the processor, a light source that outputs a beam pattern to a road surface in front of the door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ensor and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를 중단시키도록 상기 광원을 통해 제1 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l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stops passengers getting off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first beam pattern through the light source so as to.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빔 패턴은, 하차 중단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1 경고 문양 및 제1 경고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am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rst warning pattern and a first warning phrase implying the meaning of stopping getting off.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빔 패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further includes measuring a distance to the object through the radar sensor, and in the controlling step, the processor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ncluding in the first beam patter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패턴의 점멸 주기, 밝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l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 flashing period, brightness, and size of the first beam patter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광원을 통해 제2 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l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not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passengers get of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eam pattern is output through the light source so as to be visibl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차 승인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2 경고 문양 및 제2 경고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eam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warning pattern and a second warning phrase implying the meaning of getting of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된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의 감지 여부에 따라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빔 패턴을 출력하여 탑승객에게 경고함으로써 하차하는 탑승객과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 간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approaching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is detected, and a beam pattern is output on the floor surface of the road in front of the door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is detected to alert passengers, thereby preventing passengers getting off and approaching the vehicle. Collision accidents between object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의 빔 패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device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beam pattern output through a passenger getting off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beam pattern of a method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device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device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beam pattern output through the passenger getting off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는 도어 센서(100), 레이더 센서(200), 광원(300) 및 프로세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는 차량에 승차한 탑승객의 하차 시 탑승객과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 간의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학용 승합차 및 통학용 버스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1 and 2 , the passenger getting off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sensor 100, a radar sensor 200, a light source 300, and a processor 400. A passenger getting off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 collision accident between a passenge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car, motorcycle, bicycle, etc.) when a passenger gets off the vehicle, for commuting It can be applied to vans and school bus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vehicles.

도어 센서(100)는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도어 센서(100)는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른 결과를 후술하는 프로세서(4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센서(100)는 도어 상태가 개방 상태인 경우 HIGH 신호를 프로세서(400)로 출력하고, 도어의 상태가 개방 상태가 아닌 경우 LOW 신호를 프로세서(40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센서(100)는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의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센서(100)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 버튼의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도어 개폐 버튼의 상태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door sensor 100 may detect the opening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The door sensor 100 may detect whether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is opened and output a result of the detection to a processor 40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door sensor 100 may output a HIGH signal to the processor 400 when the door is open, and output a LOW signal to the processor 400 when the door is not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oor sensor 100 may identify a state of an on/off switch according to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 based on the state of the identified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oor sensor 100 may identify a state of a door open/close button for opening/closing the door, and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 based on the identified state of the door open/close button.

레이더 센서(200)는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200)는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른 결과를 프로세서(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200)는 도어로 객체가 접근하는 경우 HIGH 신호를 프로세서(400)로 출력하고, 도어로 객체가 접근하지 않는 경우 LOW 신호를 프로세서(40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radar sensor 200 may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The radar sensor 200 may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and transmit a result of the detection to the processor 400 . For example, the radar sensor 200 may output a HIGH signal to the processor 400 when an object approaches a door and output a LOW signal to the processor 400 when an object does not approach a door.

레이더 센서(200)는 소정의 주기로 도어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객체와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지 여부 및 객체와의 거리가 이전 주기에 비해 감소하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객체가 도어로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200)는 해당 객체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고, 이전 주기에 비해 해당 객체의 거리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객체가 도어에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radar sensor 200 may measure the distance to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door at a predetermined cycle, based on whether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an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cyc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by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is approaching the door. For example, the radar sensor 2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pproaching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distance and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can do.

광원(300)은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300)은 차량의 도어가 위치한 외부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40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300 may output a beam pattern on the road floor in front of the door.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30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vehicle where the door is located, and may output various types of beam pattern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400 .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센서(200), 도어 센서(100) 및 광원(300)과 연결되어, 도어 센서(100)를 통한 도어의 개방 여부, 및 레이더 센서(200)를 통한 객체의 감지 여부에 기반하여 광원(3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0 is connected to the radar sensor 200, the door sensor 100, and the light source 3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ensor 100 and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Based on this, the light source 300 may be controlled.

이하에서는 프로세서(400)가 광원(300)을 제어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300 by the processor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를 통해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로부터 HIGH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어가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도어 센서(100)로부터 LOW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어가 개방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rst, the processor 400 may detect the opening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door sensor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determine that the door is open when a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door sensor 100, and when a LOW signal is input from the door sensor 100, the door is not open. can be judged to be

이어서,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센서(200)를 통해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센서(200)로부터 HIGH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어로 객체가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레이더 센서(200)로부터 LOW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어로 객체가 접근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rocessor 400 may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determine that an object is approaching a door when a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radar sensor 200, and when a LOW signal is input from the radar sensor 200, the object is approaching the door. It can be judged that it is not approaching.

이어서,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를 통한 도어의 개방 여부, 및 레이더 센서(200)를 통한 객체의 감지 여부에 기반하여 광원(300)을 제어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300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ensor 100 and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를 통해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레이더 센서(200)를 통해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를 중단시키도록 광원(300)을 통해 제1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로부터 HIGH 신호가 입력되고, 레이더 센서(200)로부터 HIGH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하차하는 탑승객과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 간의 충돌 사고를 방지하도록, 탑승객의 하차 시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 중단을 요구하는 빔 패턴을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stops passengers getting off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100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A first beam pattern may be output through the light source 3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output a first beam pattern when a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door sensor 100 and a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radar sensor 200 . That is, the processor 400,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between a passenger getting off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f there is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when the passenger gets off, the processor 400 transmits a beam pattern requesting the passenger to stop getting off to the front of the door. It can be printed on the road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빔 패턴은 하차 중단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1 경고 문양 및 제1 경고 문구로 이루어진 빔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고 문양은 경고의 의미를 내포하는 표시(예를 들어, X표시)일 수 있고, 제1 경고 문구는 "경고! 내리지 마세요."와 같은 문구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탑승객에게 객체의 접근을 경고하거나 탑승객의 하차를 중단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문양 및 문구가 제1 경고 문양 및 제1 경고 문구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빔 패턴은 제1 색상(예를 들어, 빨간색)일 수 있다. 도 3a는 제1 빔 패턴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eam pattern may be a beam pattern composed of a first warning pattern and a first warning phrase implying a stop of getting of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first warning pattern may be a sign implying a warning (eg, X mark), and the first warning phrase may be a phrase such as "Warning! Do not drop".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types of patterns and phrases for warning passengers of the approach of an object or stopping passengers from getting off may be employed as the first warning pattern and first warning phrase. Meanwhile, the first beam pattern may be a first color (eg, red). 3A shows an example of a first beam patter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광원(300)을 레이더 센서(200)를 통해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제1 빔 패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객체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1 빔 패턴에 포함시킴으로써 도어로의 객체 접근 여부뿐만 아니라, 객체와 도어 간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탑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300 and the object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and transmit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to the first beam pattern. can include That is, the processor 400 may provide passengers with information o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door as well as whether the object is approaching the door by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istance to the object measured in real time in the first beam pattern.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센서(200)를 통해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1 빔 패턴의 점멸 주기, 밝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센서(200)를 통해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1 빔 패턴의 점멸 주기를 빠르게 하거나, 제1 빔 패턴의 밝기를 높이거나, 제1 빔 패턴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센서(200)를 통해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가 멀수록 제1 빔 패턴의 점멸 주기를 느리게 하거나, 제1 빔 패턴의 밝기를 낮추거나, 제1 빔 패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객체와의 거리에 따라 빔 패턴의 점멸 주기, 밝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킴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객체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 flashing period, brightness, and size of the first beam pattern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object measured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speed up the blinking period of the first beam pattern,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beam pattern, or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beam pattern as the distance to the object measured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is closer. size can be increased. Meanwhile, the processor 400 slows down the flashing period of the first beam pattern, lowers the brightness of the first beam pattern, or increases the size of the first beam pattern as the distance to the object measured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increases. can reduce That is, the processor 400 may more intuitively provide information on the distance to the object to the occupant by varying at least one of the flickering period, brightness, and size of the beam pattern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measured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를 통해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레이더 센서(200)를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광원(300)을 통해 제2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로부터 HIGH 신호가 입력되고, 레이더 센서(200)로부터 LOW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도어의 주변에서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하차가 가능함을 알리는 빔 패턴을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is a light source so that passengers get off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100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not detected by the radar sensor 200. A second beam pattern may be output through 3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output the second beam pattern when a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door sensor 100 and a LOW signal is input from the radar sensor 200 . That is, when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not detected from the vicinity of the door, the processor 400 may output a beam pattern indicating that getting off is possible on the floor surface of the road in front of the do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빔 패턴은 하차 승인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2 경고 문양 및 제2 경고 문구로 이루어진 빔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고 문양은 승인 또는 허락의 의미를 내포하는 표시(예를 들어, O표시)일 수 있고, 제2 경고 문구는 "주변을 확인한 후 하차하세요."와 같은 문구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차가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문양 및 문구가 제2 경고 문양 및 제2 경고 문구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빔 패턴은 제2 색상(예를 들어, 녹색)일 수 있다. 도 3b는 제2 빔 패턴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beam pattern may be a beam pattern composed of a second warning pattern and a second warning phrase implying approval for getting off. For example, the second warning pattern may be a sign implying approval or permission (eg, O mark), and the second warning phrase may be a phrase such as “Check your surroundings and get off.”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types of patterns and phrases for notifying that getting off is possible may be employed as the second warning pattern and the second warning phrase. Meanwhile, the second beam pattern may be a second color (eg, green). 3B shows an example of a second beam patter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를 통해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광원(300)을 통해 빔 패턴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not output a beam pattern through the light source 30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not opened through the door sensor 100 .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 및 레이더 센서(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광원(300)을 통해 빔 패턴을 출력할지 여부, 및 광원(300)을 통해 출력되는 빔 패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0 determines whether to output a beam pattern through the light source 300 based on signals input in real time from the door sensor 100 and the radar sensor 200, and the type of beam pattern output through the light source 300. can deci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의 감지 여부에 따라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빔 패턴을 출력하여 탑승객에게 경고함으로써 하차하는 탑승객과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 간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object approaching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and warns passengers by outputting a beam pattern on the road surface in front of the doo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detected, thereby approaching passengers getting of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accidents between object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의 빔 패턴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beam pattern of a method for warning a passenger to get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assenger getting off w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00)는 도어 센서(100)를 통해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00 단계)First, referring to FIG. 4 , the processor 400 may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100 (step S100).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센서(200)를 통해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00 단계)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e processor 400 may detect whether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exists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step S200).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400)는 광원(300)을 제어하여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제1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S300 단계). 제1 빔 패턴은 하차 중단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1 경고 문양 및 제1 경고 문구로 이루어진 빔 패턴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센서(200)를 통해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S310 단계),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1 빔 패턴의 점멸 주기, 밝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320 단계). 또한, 프로세서(400)는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제1 빔 패턴에 포함시킬 수 있다.When there is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300 to output a first beam pattern on the floor of the road in front of the door (step S300). The first beam pattern may be a beam pattern composed of a first warning pattern and a first warning phrase implying a stop of getting off the vehicle. Referring to FIG. 5 , the processor 400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object through the radar sensor 200 (step S310), and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the blinking period, brightness, and size of the first beam pattern. At least one of them may be controlled (step S320). Also, the processor 400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in the first beam pattern.

반면,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400)는 광원(300)을 제어하여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제2 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S400 단계). 제2 빔 패턴은 하차 승인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2 경고 문양 및 제2 경고 문구로 이루어진 빔 패턴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object approaching the door,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300 to output a second beam pattern on the floor of the road in front of the door (step S400). The second beam pattern may be a beam pattern composed of a second warning pattern and a second warning phrase that imply approval for getting of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및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의 감지 여부에 따라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빔 패턴을 출력하여 탑승객에게 경고함으로써 하차하는 탑승객과 차량으로 접근하는 객체 간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 exit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object approaching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and outputs a beam pattern on the floor surface of the road in front of the door according to whether the object is detected. Thus, a collision accident between a passenger getting off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by warning the passeng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Even if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the implementation of features discuss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n apparatus or program).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a processor, which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a computer, microprocessor,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도어 센서
200: 레이더 센서
300: 광원
400: 프로세서
100: door sensor
200: radar sensor
300: light source
400: processor

Claims (14)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 센서;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
상기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빔 패턴을 출력하는 광원; 및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한 도어의 개방 여부, 및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한 객체의 감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A door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a radar sensor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a light source outputting a beam pattern to the floor surface of the road in front of the door; and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ensor and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를 중단시키도록 상기 광원을 통해 제1 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transmits a first beam pattern through the light source to stop passengers getting off. An apparatus for warning passengers to get off,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은, 하차 중단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1 경고 문양 및 제1 경고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beam pattern is composed of a first warning pattern and a first warning phrase containing a meaning of stopping getting off the passeng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빔 패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rocessor measures a distance to the object through the radar sensor, and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in the first beam patter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패턴의 점멸 주기, 밝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at least one of a flashing period, brightness, and size of the first beam patter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obje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광원을 통해 제2 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not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the processor generates a second beam pattern through the light source so that passengers get off. An apparatus for warning passengers to get off,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차 승인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2 경고 문양 및 제2 경고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beam pattern is composed of a second warning pattern and a second warning phrase implying approval for getting off the passenger.
프로세서가, 도어 센서를 통해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한 도어의 개방 여부, 및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한 객체의 감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 도로 바닥면에 빔 패턴을 출력하는 광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
detecting, by a processor, whether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is opened through a door sensor;
detecting, by the processor,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through a radar sensor; and
Controlling, by the processor, a light source that outputs a beam pattern to the floor surface of the road in front of the door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ensor and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A method for warning passengers getting off.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를 중단시키도록 상기 광원을 통해 제1 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the controlling step, the process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a first beam pattern is output through the light source to stop passengers getting off. How to warn passengers to get off.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은, 하차 중단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1 경고 문양 및 제1 경고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beam pattern is composed of a first warning pattern and a first warning phrase implying a stop of getting off.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빔 패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by the processor, measuring a distance to the object through the radar sensor,
In the controlling step, the processor,
and including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measured object in the first beam patter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객체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패턴의 점멸 주기, 밝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controlling step, the processor,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flashing period, brightness, and size of the first beam pattern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measured objec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탑승객의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광원을 통해 제2 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the controlling step, the process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through the door sensor and an object approaching the door is not detected through the radar sensor, a second beam pattern is output through the light source to allow passengers to get off. How to warn passengers to get off.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차 승인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2 경고 문양 및 제2 경고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객 하차 경고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second beam pattern is composed of a second warning pattern and a second warning phrase implying permission to get off.
KR1020210067279A 2021-05-25 2021-05-25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KR102552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279A KR102552370B1 (en) 2021-05-25 2021-05-25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279A KR102552370B1 (en) 2021-05-25 2021-05-25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566A true KR20220159566A (en) 2022-12-05
KR102552370B1 KR102552370B1 (en) 2023-07-07

Family

ID=8439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279A KR102552370B1 (en) 2021-05-25 2021-05-25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37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3710A (en) * 2011-11-14 2013-05-30 Hyundai Motor Co Ltd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ing graphic light proj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15846B1 (en) * 2013-01-23 2013-10-18 김원현 Temperature adjustment appartus for vechile tire and method thereof
KR101979389B1 (en) * 2017-07-03 2019-05-16 권기환 On boarding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62348B1 (en) * 2018-06-12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200143216A (en) * 2018-05-13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3710A (en) * 2011-11-14 2013-05-30 Hyundai Motor Co Ltd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ing graphic light proj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15846B1 (en) * 2013-01-23 2013-10-18 김원현 Temperature adjustment appartus for vechile tire and method thereof
KR101979389B1 (en) * 2017-07-03 2019-05-16 권기환 On boarding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43216A (en) * 2018-05-13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1962348B1 (en) * 2018-06-12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370B1 (en)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15820A (en) A kind of enabling security system based on full-view image
CN111923832A (en) Vehicle door opening early warning method,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A2992399C (en) Starting control device and starting control method
US200700244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vehicular safety distance
CN111284404A (en) Safety getting-off auxiliary device for vehicle, system with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120122170A (en)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collision between a passenger and vehicle coming from backside for vehicles
US11935415B2 (en) Method for assisting an occupant in exiting a vehicle, taking into account following objects, computing device,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CN102837653B (en) Car door opening safeguard system
KR20200072897A (en) Apparatus of managing vehicle invas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25523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KR101823785B1 (en) Safe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bus rides
KR101876295B1 (en) Apparatus for alarming collision of pedestrian
CN110450780A (en) A kind of follow the bus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low speed anticollision
KR20140036722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lert approaching vehicular considering driver's eyes
KR2021014081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2493296B1 (en) Safety assistance system for getting on and off vehicle
JP2009176221A (en) Driving support device
WO2019035640A1 (en) Safety distance maintenance warning device for vehicle
KR1026349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of vehicle
JP2005148998A (en) On-vehicle control device
KR102450318B1 (en)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lane change
KR20220119207A (en) Warning system for getting on and off vehicle
KR202000050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notifying door state of vehicle
KR1003727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of automobile
KR20190000493U (en) Safety distance warning device for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