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643A -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 Google Patents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643A
KR20220158643A KR1020220131009A KR20220131009A KR20220158643A KR 20220158643 A KR20220158643 A KR 20220158643A KR 1020220131009 A KR1020220131009 A KR 1020220131009A KR 20220131009 A KR20220131009 A KR 20220131009A KR 20220158643 A KR20220158643 A KR 20220158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wel
button
vowels
alphab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겸
Original Assignee
김민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겸 filed Critical 김민겸
Priority to KR102022013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8643A/en
Publication of KR2022015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643A/en
Priority to KR1020230072545A priority patent/KR202301125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roposed is a technology that can simultaneously process input of modern Korean language and Korean archaic language. Moreover, proposed is the technology that can input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in a Korean language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sonant is recognized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the consonant button, and a vowel is recognized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the vowel button.

Description

스크린 자판에서의 한국어음절글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본 발명은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기 자판과 같은 적은 수의 키를 지닌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phabetic input device and method in a key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phabetic input device and method in a keypad having a small number of keys such as a telephone keyboard.

..

이동 통신의 발전에 따라, 음성 통화 위주의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등의 디 지털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초기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목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는 문자를 입력하는 수단도 포함하게 되 었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키패드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므로 키패드에 포함된 버튼의 수는 그 한계를 지니게 된다. 한편, 각 언어 의 알파벳은 키패드에 포함된 12개의 키의 수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따라서, 전 화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패드 상의 버튼들 을 하나 또는 2 이상 조합하여 그 알파벳을 표현하여야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information such as text has been added to a portable terminal focused on voice communication. Therefore, initially, the keypad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purpose of inputting a phone number also includes a means for inputting text. However, since the size of a keypad used as an input means of a portable terminal is getting smaller, the number of buttons included in the keypad has its limit. On the other hand, the alphabet of each language greatly exceeds the number of 12 keys included in the keypad. Therefore, in order to input one alphabet using the phone keypad, the alphabet must be expressed by combining one or two or more buttons on the keypad.

..

현대 한국어와 한글 고어의 입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한국어모드에서 숫자 및 영어 알파벳까지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A technology that can simultaneously process modern Korean and Korean archaic input is presented. In addition, a technology that can input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in Korean mode is presented.

도1-1. 영어의 표준키패드를 이용하여 기준키패드를 구성한 일례
도1-2. 약 3개의 알파벳을 각 버튼에 배정시, 중앙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 으로 정하고 좌우에 배치된 알파벳을 후속알파벳으로 후속키패드를 구성한 일례
도1-3. 3~4개의 알파벳을 각 버튼에 배정시, 기준키패드를 구성한 일례
도2-1. 일본어의 후속키패드를 구성한 일례 (1)
도2-2. 일본어의 후속키패드를 구성한 일례 (2)
도2-3. 2차원재활용컨트롤처리방법의 그래프
도2-4. 2차원교차컨트롤처리방법의 그래프
도3-1. 후속키패드를 구성한 일례 (아랍어)
도3-2. 후속키패드를 구성한 일례 (아랍어, 2개의 컨트롤버튼 이용)
도3-3. 약 3개의 알파벳을 각 버튼에 배정시, 중앙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 으로 정하고 좌우에 배치된 알파벳을 후속알파벳으로 후속키패드를 구성한 일례
도4-1.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쌍으로 각 버튼에 배정한 일례1 (한국어)
도4-2.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쌍으로 각 버튼에 배정한 일례2 (한국어)
도4-3.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쌍으로 각 버튼에 배정한 일례3 (한국어)
도4-4.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반복선택방법으로 입력하는 경우의 흐름도 (한국어의 일례)
도4-5. 3개 모음요소를 적용한 사례
도4-6. 도4-5를 4개 모음요소를 이용한 반복선택방법 적용 관점에서 풀어 표현한 사례
도4-7. 4개 모음요소를 4개의 버튼에 배정한 사례
도4-8. 도4-7을 반복선택방법 적용 관점에서 풀어 표현한 사례
도4-9. 도4-5의 변형 표시 사례
도4-10. 현대 한국어 모음 "ㅡ", "ㅏ", "ㅣ"를 이용한 사례
도4-11. 도6의 변형 표시 사례
도4-12. 도4-10의 변형 표시 사례 ("+"형)
도4-13. 도4-10의 변형 표시 사례 ("-ㅏ"형)
도4-14. 도4-10의 변형 표시 사례 ("H"형)
도4-15. 도4-10의 변형 표시 사례 ("ㅏㅓ"형)
도4-16. 3*4 키패드에서 4행의 버튼을 1행으로 변형한 사례 (1)
도4-17. 3*4 키패드에서 4행의 버튼을 1행으로 변형한 사례 (2)
도4-18. 현대 한국어 모음 "ㅡ", "ㅏ", "ㅓ", "ㅣ"를 이용한 사례
도4-19. 도4-12의 변형 표시 사례
도4-20. 현대 한국어 모음 "ㅡ", "ㅏ", "ㅣ"를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는 사례 (그래프)
도4-21. 현대 한국어 모음 "ㅡ", "ㅏ", "ㅣ"를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는 사례 (그래프2)
도4-22. 키패드 한국어입력 처리과정의 흐름도
도4-23. 2벌식 키보드에서의 한국어 입력 처리과정의 흐름도
도4-24. 키패드 한국어입력 처리과정의 흐름도 (자음입력에 반복선택방법流 의 방법 적용시)
도4-25. 키패드 한국어입력 처리과정의 흐름도 (자음입력에 특정버튼조합 적용시)
도4-26. 키패드 한국어입력 처리과정의 흐름도 (일반)
도4-27. 키패드 한국어입력 처리과정의 흐름도 (글자완성버튼 적용시 추가)
도5-1. 병음사전과 병음을 이용한 한자의 입력
도5-2. 전제연관심플코드를 이용한 영어의 텍스트 입력 사례
도5-3.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을 약속된 심플코드로 처리하는 사례 (1)
도5-4.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을 약속된 심플코드로 처리하는 사례 (2)
도5-5.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통한 병행입력방법 적용 사례
도5-6. 색인에 저장된 어구(단어 혹은 구절)의 그룹핑 사례
도6-1.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은 심플코드를 서버(중개서버)가 해석하고, 심플코드를 해석하여 얻은 정보를 그 정보를 필요로 하는 제3서버로 전송하는 사 례
도7-1.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각종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후속키패드의 일례 (영어키패드)
도7-2.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각종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후속키패드의 일례 (한국어키패드)
도8-1. 3*4 숫자키패드 윗쪽에 각종 기능버튼이 배치된 기존 휴대폰의 사례
도8-2. 3*4 숫자키패드 아랫쪽에 각종 기능버튼이 배치된 사례1
도8-3. 3*4 숫자키패드 아랫쪽에 각종 기능버튼이 배치된 사례2
도8-4. 3*4 숫자키패드 좌/우측에 각종 기능버튼이 배치된 사례
도8-5. 각종 기능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는 사례1
도8-6. 각종 기능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는 사례2
도8-7. 각종 기능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는 사례3
도8-8. 각종 기능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는 사례4
도9-1. 상하좌우 이동버튼을 가감승제버튼으로 활용시, 각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아이콘화하여 액정에 표시한 사례
도9-2. 각 숫자버튼에 연관된 기호를 아이콘화하여 액정에 표시한 사례
도10-1 ~ 10-4. 로마알파벳을 이용하는 언어에 있어서 자모음분리키패드의 사례
도10-5.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단축입력방법 사례 및 병행입력방법에서 입 력값을 약속된 심플코드로 처리하는 사례
도10-6. 로마알파벳을 이용하는 언어에 있어서 자모음분리키패드의 사례 (5)
도10-7.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언어제한입력방법을 적용한 흐름도 (1)
도10-8.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언어제한입력방법을 적용한 흐름도 (2)
도10-9. 불완전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언어제한입력방법을 적용한 흐름도
도10-10. (모든 단어를 구비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병행입력방법 적용사례 (1)
도10-11. (모든 단어를 구비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병행입력방법 적용사례 (2)
도10-12. (모든 단어를 구비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병행입력방법 적용 흐름 도 (1)
도10-13. (모든 단어를 구비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 적용 흐름도 (2)
도10-14. 풀코드를 시스템에서 풀입력방법 (및 병행입력방법) 적용 사례
도10-15. 대표알파벳만으로 이루어진 어구(단어 혹은 구절)의 색인을 구비 한 시스템에서의 병행입력방법 적용 사례 (1)
도10-16. 대표알파벳만으로 이루어진 어구(단어 혹은 구절)의 색인을 구비 한 시스템에서의 병행입력방법 적용 사례 (2)
도10-17. 권설음 입력을 1차적으로 심플코드(단축입력값)으로 처리하는 사 례
도11-1. 입력값이 클라이언트측에서 해석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사례
도11-2. 입력값이 서버측에서 해석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사례
도11-3 ~ 11-10. (병행입력방법에서) 심플코드를 처리하는 사례
도11-11. 심플코드(즉, 단축코드 또는 단축입력값) 유형의 사례
도12-1.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기능을 입력하는 사례
도12-2. 액정화면에 각 버튼에 배정된 컨트롤을 표시한 사례
도13-1 ~ 13-4. 입력값의 일부를 풀코드로 처리하고, 다른 일부를 심플코드 로 처리하는 사례
도14-1 ~ 14-2. 길게누름을 이용한 컨트롤처리방법의 사례
도14-3. 길게 누름 후 짧게 누름을 이용한 사례
도14-4. 짧게 누름 후 길게 누름을 이용한 사례
Figure 1-1. An example of configuring a standard keypad using the standard English keypad
Figure 1-2. When assigning about 3 alphabets to each button, the central alphabet is set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alphabet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re successive alphabets.
Figure 1-3. An example of configuring a standard keypad when assigning 3 to 4 alphabets to each button
Figure 2-1. An example of configuring a Japanese follow-up keypad (1)
Figure 2-2. An example of configuring a Japanese follow-up keypad (2)
Figure 2-3. Graph of 2D recycling control processing method
Figure 2-4. Graph of two-dimensional crossing control processing method
Figure 3-1. An example of configuring a follow-up keypad (Arabic)
Figure 3-2. An example of configuring a follow-up keypad (Arabic, using 2 control buttons)
Figure 3-3. When assigning about 3 alphabets to each button, the central alphabet is set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alphabet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re successive alphabets.
Figure 4-1. Example 1 of assigning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to each button in pairs (Korean)
Figure 4-2. Example 2 of assigning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to each button in pairs (Korean)
Figure 4-3. Example 3 of assigning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to each button in pairs (Korean)
Figure 4-4. Flowchart of inputting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by repeated selection method (example of Korean language)
Figure 4-5. Example of applying three collection elements
Figure 4-6. Examples of solving and expressing Figures 4-5 from the viewpoint of applying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using four vowel elements
Figure 4-7. Example of assigning 4 collection elements to 4 buttons
Figure 4-8. Examples of solving and expressing Figs. 4-7 from the viewpoint of applying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Figure 4-9. Deformation display example of Fig. 4-5
Figure 4-10. Examples of modern Korean vowels "ㅡ", "ㄴ", and "ㅣ"
Figure 4-11. Example of deformation display in Fig. 6
Figure 4-12. Deformation display example of Fig. 4-10 ("+" type)
Figure 4-13. Deformation display example of Fig. 4-10 ("-A" type)
Figure 4-14. Example of deformation display in Fig. 4-10 ("H" type)
Figure 4-15. Deformation display example of Fig. 4-10 ("A" type)
Figure 4-16. Example of transforming 4 rows of buttons into 1 row on a 3*4 keypad (1)
Figure 4-17. Example of transforming 4 rows of buttons into 1 row in a 3*4 keypad (2)
Figure 4-18. Examples using modern Korean vowels "ㅡ", "ㄴ", "sh", "ㅣ"
Figure 4-19. Deformation display example of Fig. 4-12
Figure 4-20. A case of combining vowels using modern Korean vowels "ㅡ", "ㄴ", "ㅣ" (graph)
Figure 4-21. A case of combining vowels using modern Korean vowels "ㅡ", "ㄴ", and "ㅣ" (Graph 2)
Figure 4-22. Flow chart of keypad Korean input processing
Figure 4-23. 2 Flow chart of Korean input processing in the beolsik keyboard
Figure 4-24. Flowchart of keypad Korean input processing (whe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o consonant input)
Figure 4-25. Flow chart of keypad Korean input processing (when a specific button combination is applied to consonant input)
Figure 4-26. Flow chart of keypad Korean input process (general)
Figure 4-27. Flow chart of keypad Korean input processing (added when the character completion button is applied)
Figure 5-1. Chinese character input using Pinyin dictionary and Pinyin
Figure 5-2. Example of text input in English using a premise-associated simple code
Figure 5-3. Case of processing input value as promised simple code in parallel input method (1)
Figure 5-4. Case of processing input value as promised simple code in parallel input method (2)
Figure 5-5. Examples of application of parallel input method through client and server
Figure 5-6. Grouping examples of phrases (words or phrases) stored in the index
Figure 6-1. Case in which the server (intermediary server) interprets the simple code received from the clien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btained by interpreting the simple code to a third server that requires the information
Figure 7-1. An example of a subsequent keypad that can input various symbols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English keypad)
Figure 7-2. An example of a follow-up keypad that can input various symbols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Korean keypad)
Figure 8-1. Example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in which various function buttons are placed above the 3*4 numeric keypad
Figure 8-2. Case 1 where various function buttons are placed under the 3*4 numeric keypad
Figure 8-3. Case 2 where various function buttons are placed under the 3*4 numeric keypad
Figure 8-4. Example of arranging various function buttons on the left/right side of the 3*4 numeric keypad
Figure 8-5. Example of using various function buttons as control buttons 1
Figure 8-6. Case 2 of using various function buttons as control buttons
Figure 8-7. Case 3 of using various function buttons as control buttons
Figure 8-8. Case 4 of using various function buttons as control buttons
Figure 9-1. Example of display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as an icon when us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buttons as addition, subtraction, increase, and subtraction buttons
Figure 9-2. A case in which symbols related to each number button are iconified and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Figures 10-1 to 10-4. Case of Consonant Separation Keypad in a Language Using the Roman Alphabet
Figure 10-5. Examples of shortened input method in consonant separation keypad and case of processing input value as promised simple code in parallel input method
Figure 10-6. Example of consonant separation keypad in a language using the Roman alphabet (5)
Figure 10-7. Flowchart of applying the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i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1)
Figure 10-8. Flowchart of applying the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i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2)
Figure 10-9. Flow chart of applying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in incomplet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Figure 10-10. (In a system with all words) Parallel input method application case (1)
Figures 10-11. (In a system with all words) Parallel input method application case (2)
Figures 10-12. (In a system equipped with all words) Parallel input method application flow chart (1)
Figures 10-13. (In a system equipped with all words) Language restriction parallel input method application flow chart (2)
Figures 10-14. Application of full code input method (and parallel input method) in the system
Figures 10-15. Example of application of parallel input method in a system equipped with an index of phrases (words or phrases) consisting only of representative alphabets (1)
Figures 10-16. Application case of the parallel input method in a system equipped with an index of phrases (words or phrases) consisting only of representative alphabets (2)
Figures 10-17. Example of processing recommendation sound input as a primary simple code (shortened input value)
Figure 11-1. Example of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when input values are interpreted on the client side
Figure 11-2. Example of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when input values are analyzed on the server side
Fig. 11-3 ~ 11-10. Examples of processing simple codes (in the parallel input method)
Figures 11-11. Examples of simplecode (i.e., shortcode or shortcode) type
Figure 12-1. Example of inputting function by control processing method
Figure 12-2. Example of displaying controls assigned to each button on the LCD screen
Figure 13-1 ~ 13-4. Example of processing part of input value as full code and other part as simple code
Figure 14-1 ~ 14-2. Example of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long press
Figure 14-3. Example of long press followed by short press
Figure 14-4. Example of using long press after short press

출원인의 선출원(출원번호 10-2000-0031879 및 PCT/KR00/00601)에서 제시하 였던,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summary of the inventions presented in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s (Application No. 10-2000-0031879 and PCT/KR00/00601) is as follows.

먼저 "부분전체선택방법"에 의하면, 키패드 상의 각 버튼에 키패드 내의 전 체 버튼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형태로 소정수의 격자들을 구성하여 알파벳들을 격 자들에 배치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알파벳(이하 "타겟알파벳"으로 약칭)이 배치된 제1 버튼와 제1 버튼의 격자들에서 그 알파벳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키패드 상 의 제2 버튼를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원하는 알파벳을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 어 도1-1에서 "A = [1]+[2] 로 입력하는 것이다.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part-to-all selection method", a predetermined number of grids are configured for each button on the keypa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all buttons in the keypad, alphabets are arranged in the grids, and the alphabet to be in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rget A desired alphabet is input by combining and pressing the first button on which the first button (abbreviated as “alphabet”) is arranged and the second button on th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alphabet in the grids of the first buttons. For example, in Fig. 1-1, "A = [1] + [2] is entered.

버튼의 격자들 중에서 제1버튼과 제2버튼이 동일하게 되는 기준격자를 포함 하여 일부의 격자를 사용하는 것, 일부의 격자를 사용하되, 제1버튼과 제2버튼의 조합의 편리도가 높은 순서의 격자를 우선 사용하는 것이 부분전체선택방법의 핵 심이었다. 이렇게 부분전체선택방법의 핵심은 기준격자에 있고, 기준격자의 개 념을 활용할 수 있는 키패드를 "기준키패드"라고 이름 붙였다. Among the grids of buttons, using some grids, including a reference grid in which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are the same, using some grids, but the convenience of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is high The key to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was to preferentially use the lattice of order. In this way, the core of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lies in the reference grid, and the keypad that can utilize the concept of the reference grid is named “reference keypad”.

다음으로 기준반복선택방법은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준키패드에서 기준격자위치의 알파벳으로부터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부분전체 선택방법에서의 버튼조합의 편리도 순서)로 버튼의 누름횟수에 따라 알파벳이 선 택되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기준반복선택방법은 기준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것인데, 기준키패드를 반복선택방법 전용화하는 것을 "단순키패드"라고 이름 붙였으며, 편의상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단순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 법을 적용하는 것을 단순반복선택방법 이라고 이름 붙였다. Next, the standar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measures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in the order close to the standard grid from the alphabet of the standard grid position on the standard keypad configured to apply the partial selection method (order of convenience of button combination in the partial selection method). It was a way to select the alphabet according to The standar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to apply th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to the standard keypad. The exclusive use of the standard keypad for th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named "simple keypad", and for convenience, th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simple keypad as previously used. This is called the simple iterative selection method.

그리고 "컨트롤처리방법"이 있었으며, 여기에는 "첨자컨트롤처리방법" 그리 고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이 있었다. 첨자컨트롤처리방법은 첨자와 기본알파벳으 로 이루어진 변형알파벳 입력시, 이를 첨자컨트롤과 기본알파벳을 조합하여 변형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은 어느 버튼에 배정되는 한 그룹의 알파벳들을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관계로 설정하고, 후 속알파벳 입력시, 대표알파벳과 대표알파벳에 부속된 부속순위를 조합하여 후속알 파벳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도4-1에서 "ㅋ = ㄱ+[*]" 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And there was "control processing method", which included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The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method was a method of inputting a modified alphabet by combining the subscript control and basic alphabet when inputting a modified alphabet consisting of a subscript and a basic alphabet. The follow-up control processing method sets the alphabets of a group assigned to a butt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follow-up alphabet, and inputs the follow-up alphabet by combin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rank attached to the representative alphabet when inputting the follow-up alphabet. was to make it possible. For example, in FIG. 4-1, "ㅋ = a + [*]" can be entered.

첨자컨트롤처리와 후속알파벳컨트롤처리는 본질적으로 유사하며 후속컨트롤 처리가 더 일반적인 것으로 보면된다. 첨자컨트롤처리의 경우도 특정 알파벳 그 룹에서 기본알파벳에 변형알파벳이 일정한 순서로 부속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 기 때문이다. 단 첨자컨트롤처리의 경우 변형알파벳이 첨자와 기본알파벳으로 분 해될 수 있기 때문에, 알파벳 그룹이 그 모양에 있어서 강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인 것이고 후속컨트롤은 그 순서 혹은 발음 등에 있어서 강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The subscript control process and the subsequent alphabet control process are essentially similar, and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 can be seen as more general. This is because even in the case of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it can be seen that modified alphabets are attached in a certain order to the basic alphabet in a specific alphabet group. In the case of monoscript control processing, since modified alphabets can be decomposed into subscripts and basic alphabets, this is the case where alphabet groups have a strong relationship in their shape, and subsequent control has a strong relationship in their order or pronunciation. is the case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장점은 기본알파벳과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 벳)과의 연관관계를 통하여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벳)을 키패드상에 표시하지 않음으로, 키패드의 배치를 단순화 시킬 수 있는 것과, 컨트롤처리를 통하여 모호 성없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었다. 후속알파벳을 생략하여 단순화한 키 패드를 "후속키패드"라 하였고, 변형알파벳을 생략하여 단순화한 키패드를 "간략 키패드"라 하였고 양자를 합하여 "간략화키패드"라 하였다. 후속알파벳(혹은 변 형알파벳)을 모두 표시한 키패드를 간략화키패드에 대비하여 "전체표시키패드"라 하였다. The advantage of apply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that the layout of the keypad can be simplified by not displaying the subsequent alphabet (or modified alphabet) on the keypa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or modified alphabet) , it was possible to input alphabets without ambiguity through control processing. The keypad simplified by omitting subsequent alphabets was called "subsequent keypad", the keypad simplified by omitting modified alphabets was called "simplified keypad", and the combination of both was called "simplified keypad". The keypad displaying all subsequent alphabets (or modified alphabets) was called "full display keypad" in preparation for the simplified keypad.

전체표시키패드에서도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 벳)을 입력할 수 있다고 하였고, 반대로 간략화키패드에서도 전체표시키패드의 배 치를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는 전체표시키패드에서의 입력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렇게 간략화키패드를 확장하여 전체표시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고, 전 체표시키패드에서도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후속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호환성이 선출원의 특징 중의 하나였다. It is said that even in the full display keypad, the subsequent alphabet (or modified alphabet) can be input throug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on the contrary, even in the simplified keypad, users who memorize the arrangement of the entire display keypad can use the input method in the full display keypad. did In this way, the simplified keypad can be expanded to form a full display keypad, and the compatibility that the subsequent alphabet can be input throug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entire display keypad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application.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효과 중의 하나는,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 과 이외에도, 선출원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과의 연관관 계를 통하여 후속알파벳을 키패드상에 표시하지 않고 "은닉"함으로써, 키패드를 단순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편의상 "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벳)을 키패드상에 표시한 전체표시키패드에서도 후속알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를 편의상 "비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이라고 부른다.One of the effects of apply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removing ambiguity, as shown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the subsequent alphabet is not displayed on the keypad and "hidde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keypad.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hidden control processing method". However, as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the subsequent alphabet (or modified alphabet) can be input throug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even in the entire display keypad displaying the subsequent alphabet (or modified alphabet) on the keypad.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a "non-hidden control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의 특성상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상세한 내용은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Since it is essential to explain with specific examples due to the n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s will be described through examples.

먼저 각 언어별로 선출원의 내용을 보완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어느 한 언어에서 언급하는 내용중 타 언어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타 언어에서 특별 히 언급하지 않아도 이를 타 언어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First, the contents of the earlier application for each language are supplemented as follows. Among the contents mentioned in one language below, it is obvious that the contents applicable to other languages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even if they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other languages.

1. 공통 보완 사항1. Common Supplements

1.1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의 키패드의 활용범위 1.1 Application scope of keypa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제시한 키패드는 이동단말기 혹은 표준키보드의 숫 자키패드 혹은 스크린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혹은 도어록 등 전 화기자판 형태의 모든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표준키보드에 구 비된 숫자키패드는 선출원 및 본발명에서 제시한 키패드와 숫자 버튼의 배치가 다 르나,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의 키패드 버튼상의 배치를 키보드에 구비된 키패드 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1] 버튼에 배치된 알파벳을 키보드에 구비된 숫자 키패드의 [1] 버튼에 배치하고, 이하 마찬 가지 방법으로 배치하여 알파벳입력, 심플코드의 활용 및 각종 코드의 암기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It is obvious that the keypad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fields in the form of a telephone keyboard, such as a numeric keypad of a mobile terminal or standard keyboard or a keypad or door lock configured by software on a screen. In addition, although the numeric keypad provided in the standard keyboard has a different layout of the keypad and number buttons presented in the prio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arrangement on the keypad buttons in the prio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keypad provided in the keyboard. . For exampl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phabets placed on the [1] button are placed on the [1] button of the numeric keypad provided on the keyboard, and arranged in the same way below to allow for alphabet input, utilization of simple codes, and various codes. It can be used for memorization.

1.2 연타지연시간 및 이타(離打)지연시간의 설정 1.2 Setting of continuous hitting delay time and other delay time

한국어, 힌디어 등과 같이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등장하는 언어에 있어서, 대표자음과 대표모음의 쌍을 각 버튼에 배정하고, 자음은 1타 모음은 2타로 선택 하는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일정 지연시간(예를 들어 0.1초) 간격 이내에 입력 된 동일버튼 2타를 1차적으로 모음으로 인식하도록 알고리즘을 구현하면, 사용자 에 거부감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 지연시간은 같은 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경우 보편적으로 일정시간 눌러지는 시간간격을 고려하여 결정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연시간을 편의상 "연타지연시간"이라고 부른다. 더 불어 일정 지연시간(예를 들어 1초) 간격 이상으로 입력된 동일버튼 2타를 1차적 으로 2개의 자음으로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시간을 편의상 "이 타(離打)지연시간"이라고 부른다. 이는 동일버튼을 3타 이상 누르는 경우에도 적 용될 수 있다. In languages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ppear alternately, such as Korean and Hindi, in applying a method of assigning a pair of representative consonants and representative vowels to each button, and selecting one consonant and two vowels for a consonant, a certain delay time ( For example, if an algorithm is implemented to recognize two strokes of the same button input within an interval of 0.1 second as a vowel primarily, it can be implemented efficiently while reducing the user's reluctance. This delay time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niversally pressed time interv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same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For convenience, this delay time is referred to as "battery delay time".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wo strokes of the same button input over a certain delay time (for example, 1 second) interval are primarily recognized as two consonants. For convenience, this delay time is referred to as "this other delay time". This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same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or more.

예를 들어 도4-1 혹은 도4-2에서 [1] + [1] 이 만약 0.08초의 지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었을 경우, 이를 모음 "ㅗ"로 1차적으로 인식하고, 만약 1.1 초 지 연시간을 가지고 입력되었을 경우 1차적으로 2개의 자음("ㄱ", "ㄱ")으로 인식하 는 것이다. 만약 0.5초의 시간지연을 가지고 입력되었을 경우는, 해당언어의 자 음과 모음의 출현구조를 통하여 하나의 모음이 입력된 것인지 혹은 두개의 자음이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0.08초 혹은 1.1초의 지연시간으로 입력 되었을 경우에도, 해당언어의 자음과 모음의 출현구조를 통하여 하나의 모음이 입 력된 것인지 혹은 두개의 자음이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할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4-1 or FIG. 4-2, if [1] + [1] is input with a delay time of 0.08 seconds, it is primarily recognized as a vowel "ㅗ", and if a delay time of 1.1 seconds If it is entered with , it is recognized as two consonants ("ㄱ", "ㄱ") primarily. If it is input with a time delay of 0.5 second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ne vowel or two consonants are input through the consonant and vowel appearance structure of the language. In addition, even when input is delayed by 0.08 seconds or 1.1 seconds, it is possible to finally determine whether one vowel or two consonants are input through the appearance structure of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language.

기존에는 일정 시간간격(예를 들어 1초) 한가지만을 설정하여, 해당 시간 이내에 동일버튼이 연속하여 입력되면 연속 2타로, 해당 시간 이상 지연되어 동일 버튼 2타가 입력되면 각기 1타씩으로 인식하도록 되어 있었다. 차이는 연속 2타 로 판단하는 기준 시간지연값(예. 0.1초)과 각기 1타씩으로 판단하는 시간지연값 (예. 1초)을 다르게 둔 것이다. Previously, only one stroke was set at a certain time interval (for example, 1 second), and if the same button was pressed consecutively within that time, it was recognized as two consecutive strokes, and if two strokes of the same button were pressed after a delay of more than that time, each was recognized as one stroke. . The difference is that the standard time delay value (eg 0.1 second) judged as two consecutive strokes and the time delay value (eg 1 second) judged as one stroke each are set differently.

보통의 경우 선출원의 부분전체선택방법과 반복선택방법중 입력의 편리도 면에서 반복선택방법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반복선택방법의 장 점(입력규칙의 단순성과 편리성)을 활용하면서,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출현하는 특정언어의 구조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대폭회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연타지 연시간과 이타지연시간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지정할 수 있도 록 함으로써, 알고리즘의 구현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general, among the partial selection method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superior in terms of input convenience. Therefore, this means that ambiguity can be largely avoided by using the structure of a specific languag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ppear alternately while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input rules), It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algorithm by setting the delay time and the delay time differently, and allowing the user to designate them.

1.3 체인형 컨트롤처리방법 1.3 Chain type control processing method

선출원에서 첨자컨트롤처리방법은 본질적으로 후속컨트롤처리방법과 같으며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이 더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하였다. 즉 선출원의 한국어의 예 에서 ㄱ, ㅋ, ㄲ 의 관계를 대표알파벳과 변형알파벳의 관계로 설명하여, ㅋ = ㄱ +{격음}, ㄲ = ㄱ+{경음}으로 설명하였으나, ㄱ(대표알파벳), ㅋ(2nd), ㄲ(3rd)와 같이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관계로 두어도 결과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In the earlier application, the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said to be a more general method. In other words, in the Korean example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ㅋ, and ㄲ was expla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modified alphabet, and ㅋ = a + {sound}, ㄲ = a + {hard sound}, but a (representative alphabet) , ㅋ (2nd), ㄲ (3rd), because the result is the same even if you p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도2-1의 일본어의 경우, 후속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한 입력예를 다시 보이면 다음과 같다. あ(대표알파벳), い(2nd), う(3rd), え(4th), お(5th) 와 같이 대 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관계를 두고, あ 를 [1] 버튼 1타로 선택(あ=[1])할 수 있으며, 2nd, 3rd, 4th, 5th 컨트롤을 임의의 컨트롤버튼(예. [*])에 두고 버튼의 누름횟수에 따라 반복선택하여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조합으로 후속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편의상 컨트롤을 선택한 상태를 중괄호로 표기하여 예를 들면,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시, あ=[1], い = あ+{2nd} = [1]+[*], う = あ+{3rd} = [1]+[*]+[*], え = あ+{4th} = [1]+[*]+[*]+[*], お = あ+{5th} = [1]+[*]+[*]+[*]+[*] 와 같이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Japanese in FIG. 2-1, an input example by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shown again as follows. Like あ (representative alphabet), い (2nd), う (3rd), え (4th), お (5th),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subsequent alphabets, select あ with one stroke of the [1] button (あ= [1]), and the 2nd, 3rd, 4th, and 5th controls are placed on an arbitrary control button (ex. [*]), and the subsequent alphabet is created by combin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by repeatedly select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can be entered. For convenience, the state of control selection is indicated with curly brackets. = [1]+[*]+[*], え = あ+{4th} = [1]+[*]+[*]+[*], お = あ+{5th} = [1]+[ *]+[*]+[*]+[*].

여기서 다시 あ(대표알파벳), い(2nd), う(3rd), え(4th), お(5th) 와 같이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관계를 두되, 컨트롤버튼에 후속컨트롤을 배치하고 반 복선택방법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하지 않고, 단지 "후속" 혹은 "다음" 컨트롤을 특정 컨트롤버튼(예. [*])을 한번 눌러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2차후속알파벳(예. い)을 입력시 대표알파벳과 "다음컨트롤"의 조합으로 입력하고 (즉 い = あ+{다음} = あ+[*]), 3차후속알파벳 え 입력시 선행알파벳(2차후속알파 벳)을 3차후속알파벳에 대한 새로운 대표알파벳(2차대표알파벳)으로 간주하여 2차 후속알파벳과 "다음컨트롤"을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う = い+{다음} = [1]+[*] + [*] 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4차후속알파벳 え 입력시 바로 앞의 선행알파벳(3차후속알파벳) う 를 4차후속알파벳에 대한 새로운 대표알파벳(3차대 표알파벳)으로 간주하여 え 입력시 え = う+{다음} = [1]+[*]+[*] + [*] 와 같이 입력할 수 있다. 5차후속알파벳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Here again,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such as あ (representative alphabet), い (2nd), う (3rd), え (4th), and お (5th), but place the subsequent control on the control button and select it repeatedly Instead of selecting it as a method,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ubsequent" or "next" control by pressing a specific control button (eg [*]) once, and when entering the second subsequent alphabet (eg い),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next control" (that is, い = あ + {next} = あ + [*]), and when entering the 3rd subsequent alphabet え, the preceding alphabet (secondary subsequent alphabet) is used for the 3rd subsequent alphabet It is regarded as a new representative alphabet (secondary representative alphabet) and can be input by combining the second follow-up alphabet and "next control". That is, う = い + {next} = [1] + [*] + [*]. Similarly, when entering the 4th successive alphabet え, the previous preceding alphabet (third successive alphabet) う is regarded as a new representative alphabet (tertiary representative alphabet) for the 4th successor alphabet, and when え is input, え = う + {next} = You can input like [1]+[*]+[*] + [*]. The same applies to the 5th order subsequent alphabet.

이 결과는 컨트롤버튼에 부속순위 컨트롤(2nd, 3rd, 4th, 5th, ...)을 배치 하고 이를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하도록 하면서, 대표알파벳과 부속순위컨트 롤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것이나 같은 결과이다. 여기서 1차대표알파벳 あ 를 모 호성 없이 선택할 수 있으면, 2차후속알파벳 い 도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으며, 나머지 후속알파벳에 대해서도 같다. 즉 え = い+{다음} = [1]+[*] + [*] 와 같이 되는데, い 를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었고, い 역시 "다음컨트롤"과 조합되는 형태이므로 결과적으로 모호성 없이 후속알파벳 인 え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result is the same result as inputting a combination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subrank control while arranging sub-ranking controls (2nd, 3rd, 4th, 5th, ...) on the control button and selecting them by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to be. Here, if the first representative alphabet あ can be selected without ambiguity, it is easy to see that the second successor alphabet い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and the same is true for the rest of the subsequent alphabets. In other words, え = い + {next} = [1] + [*] + [*]. I was able to enter い without ambiguity, and い is also a form that is combined with "next control", so as a result, the subsequent alphabet without ambiguity. In え, you can enter.

이렇게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연관관계에서, 컨트롤버튼에 부속순위컨 트롤을 두지않고, "다음" 컨트롤 하나만 둔 것으로 하고, 후속알파벳 입력시 선행 알파벳을 새로운 대표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이 선행알파벳과 "다음" 컨트롤을 조합 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편의상 "체인형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이라고 부른다. 선출 원에서 부속순위컨트롤을 후속컨트롤버튼상에 표시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특정 버 튼이 후속컨트롤버튼인 것을 인지하고 있으면 된다고 하였으나, 이러한 체인형 후 속컨트롤처리방법의 장점은 "다음 컨트롤"을 컨트롤버튼상에 표시하더라도 그 표 시가 간략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출원에서 설명한 "후속컨트롤 처리방법"과 "체인형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의 결과가 같으므로 이를 혼용하여 사용 한다. In this w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it is assumed that there is only one “next” control instead of a subordinate control on the control button, and when the subsequent alphabet is input, the preceding alphabet is regarded as a new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is preceding alphabet and “next” " The method of combining and inputting controls is called "chain-type follow-up control processing method" for convenienc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even if the subordinate control is not displayed on the subsequent control button, the user only needs to be aware that a specific button is a subsequent control button. Even if it is displayed on a button, the display can be simpl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ults of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the "chain-typ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re the same, they are used interchangeably.

1.4 건너뛰기 컨트롤처리방법 1.4 Skip control processing method

첨자컨트롤처리방법에서 ".. + e" 로 이루어진 변형알파벳 ё을 입력함에 있어서 이를 .. 과 e 를 각각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 혹은 e 를 기 본알파벳으로 두고 이와 모양 혹은 순위 등에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나머지 부 속된 알파벳을 후속알파벳으로 두어, 부속순위와 기본알파벳의 조합으로 입력할 수도 있었다(예를 들어 e(기본알파벳), /e(2nd), ^e(3rd), . . . ). 또한 이렇게 알파벳(즉 특정 숫자버튼)과 조합하여야만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컨트롤들이 배치 되는 컨트롤 버튼은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모호성 없이 변형알파벳 혹은 후속알 파벳을 입력할 수 있었다. In the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method, when inputting the modified alphabet ё consisting of ".. + e", it was shown that it can be input by combining .. and e respectively. Alternatively, with e as the basic alphabet and the rest of the appended alphabets related to it in shape or rank as subsequent alphabets, it was possible to enter the combination of the subordinate rank and the basic alphabet (e.g. e (basic alphabet), / e(2nd), ^ e(3rd), . . . ). In addition, the control buttons, in which controls that can have meaning only when combined with alphabets (ie, specific number buttons) are placed, can be used repeatedly to input modified alphabets or subsequent alphabets without ambiguity.

로마자의 경우 프랑스어에서 11개(/e, ^e, `e, ё, `a, ^a, ^i, `u, ^u, c, ^o)의 변형알파벳이 사용되며, 변형알파벳에 사용된 윗점의 종류는 5가지(/, ^, `, .., s) 이다. 첨자컨트롤의 선택순서를 /, ^, `, .., s 로 하였을 경우, ^a = a+[*]+[*] 로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프랑스어에서 알파벳 a 에는 첨자 "`"와 "^"의 두가지 밖에 결합할 수 없으므로, 첨자 "/" 가 붙을 수 없고, 이를 건너뛰 어 결합이 가능한 첨자 "^"이 선택되도록 하면, ^a = a+[*] 로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건너뛰기 컨트롤처리방법"이라 부른다. 즉 이는 a (기본알파벳), `a(2nd), ^a(3rd) 와 같이 후속알파벳의 부속순위를 두고 컨트롤처리방법으로 후 속알파벳(혹은 변형알파벳)을 입력하는 것과 같다. In the case of Roman letters, 11 variant alphabets ( / e, ^ e, `e, ё, `a, ^ a, ^ i, `u, ^ u, c, ^ o) are used in French, and are used in the modified alphabet. There are 5 types of upper points (/, ^, `, .., s). If the selection order of subscript control is /, ^, `, .., s, ^ a = a+[*]+[*] should be entered. However, since only two suffixes "`" and "^" can be combined with the alphabet a in French, the suffix "/" cannot be added . = a+[*].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a "skip control processing method". That is, it is the same as inputting the subsequent alphabet (or modified alphabet) as a control processing method with sub-orders of subsequent alphabets such as a (basic alphabet), `a (2nd), ^ a (3rd).

마찬가지로 일본어에서 장음이 존재하는 행은 あ행, や행의 알파벳과 た행 의 알파벳 중 つ 뿐이고, 탁음이 존재하는 행은 か행, さ행, た행, ほ행의 알파벳 뿐이고, 반탁음은 오직 ほ행의 알파벳에만 존재한다. 결국, 알파벳 つ 에는 장음 과 탁음의 2가지 변형알파벳이 존재하고, ほ행의 알파벳에는 탁음과 반탁음의 2가 지 변형알파벳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가지 변형알파벳이 존재하 는 6개의 알파벳을 제외한 나머지 알파벳의 변형알파벳 입력시 첨자컨트롤버튼을 1번 누름으로써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버튼을 [*] 버튼으로 두고,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시, ぁ = あ+[*], が = か+[*] 와 같이 할 수 있는 것 이다. 2가지 변형알파벳이 존재하는 6개의 알파벳의 경우 변형알파벳 입력시는 변형알파벳의 사용빈도순으로 컨트롤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컨트롤버튼을 [*] 버튼으로 두고,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시, っ = つ+[*], づ = つ+[*]+[*], ぼ = ほ+[*], ぽ = ほ+[*]+[*] 와 같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는 컨트롤 선택에 있어서, 기본알파벳과 결합할 수 없는 컨트롤은 그 효력을 발 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が = か+[*] 로 하여도 [*]이 장음컨트 롤이 아닌 탁음컨트롤을 선택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은 컨트롤과 결합되는 기본알파벳 か에는 장음이 없으므로 장음컨트롤을 선택한 것으로 하지 않고, 건너 뛰어 탁음컨트롤을 선택한 것으로 하기 때문이다. Similarly, in Japanese, the only lines in which long sounds exist are the letters つ among the letters of the lines あ and や and the lines of TA, and the lines with voiced sounds are only the letters of lines KA, さ, TA, and ほ, and semitones are only It exists only in the alphabet of line ほ.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two modified alphabets of long sound and voiced sound in the alphabet つ, and two modified alphabets of voiced sound and semi-voiced sound in the alphabet of row ほ. Therefore, when inputting the modified alphabets of the remaining alphabets except for the six alphabets in which two modified alphabets exist, it can be made possible by pressing the subscript control button once. For example, if you set the control button to [*] and apply post-control input, you can do ぁ = あ+[*], が = か+[*]. In the case of six alphabets in which two variant alphabets exist, controls can be selected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of the variant alphabet when inputting the variant alphabet.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button is set to the [*] button and the post-control input is applied, っ = つ+[*], づ = つ+[*]+[*], ぼ = ほ+[ *], ぽ = ほ + [*] + [*]. That is, in the control selection, the control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basic alphabet does not take effect. For example, even if が = か+[*], [*] can be treated as selecting a long sound control rather than a long sound control. , This is because it is skipped and the silent sound control is selected.

컨트롤의 선택을 엄격하게 적용할 경우의 장점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알 파벳의 입력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 알파벳 b 에 첨자 ".." 이 붙은 알파벳은 존재하지 않으나, 이러한 알파벳의 입력도 가능하도 록 할 수 있으며, 일본어 알파벳 あ에 탁점이 붙은 알파벳은 존재하지 않으나 그 러한 알파벳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dvantage of strictly applying the selection of controls is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alphabets that are not actually used. For example, although there is no alphabet with a subscript ".." in the French alphabet b, it is possible to input such an alphabet, and there is no alphabet with a dot in the Japanese alphabet あ, but such alphabets can also be input. that can be made possible.

컨트롤을 반복선택방법으로 선택하더라도 컨트롤처리를 통하여 입력시, 자 판에 표시된 대표알파벳을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으면(예를 들어 자판에 표시 된 대표알파벳이 하나뿐이거나 다수이어도 부분전체선택방법 등 모호성 없는 방식 을 적용할 경우), 나머지 후속알파벳도 모호성 없이 입력될 수 있다. 이는 컨트 롤처리를 통하여 모호성이 제거되기 때문인데, 컨트롤은 단독으로 특정 알파벳을 나타내지 못하고, 다른 알파벳과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인 점에 기인한다. Even if the control is selected as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displayed on the keyboard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when input through control processing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only one or multiple representative alphabets displayed on the keyboard, ambiguity such as partial selection method) If the method without ) is applied, the remaining subsequent alphabets can also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This is because ambiguity is removed through control processing, an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ontrol cannot represent a specific alphabet alone and must be combined with other alphabets.

1.5 숫자 및 영어 알파벳의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한 입력 1.5 Input by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numbers and English alphabet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바,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로 자국어 알파벳을 배치하고, 다음으로 숫자 그리고 영어알파벳을 배치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기 준반복선택방법 적용시 역시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로 이를 자국어 알파벳, 숫자 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 함에 있어서, 특정버튼에 속한 자국어 알파벳 뿐만아니라, 숫자, 영어알파벳(로마 자 계열언어가 아닌 경우)도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explained that the native language alphabets could be arranged in "an order close to the standard grid", and then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could be arranged. It has been explained that native language alphabets and numbers can be selected. Similarly, in applying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in the case of non-Roman alphabets) as well as the native language alphabet belonging to a specific button can be input through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숫자 혹은 영어알파벳을 자국어 후속알파벳에 이어 후속알파벳으로 둘 수도 있다. 편의상 일본어의 경우를 예로 들면, あ(대표알파벳), い(2nd), う(3rd), え(4th), お(5th), 1(6th), .(7th), q(8th), z(9th) 와 같이 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숫자 혹은 영어알파벳을 컨트롤처리하기 위한 가용한 버튼이 있다면, あ(대 표알파벳), い(2nd), う(3rd), え(4th), お(5th) 를 위한 컨트롤버튼을 임의의 버 튼(예를 들어 [*] 버튼)으로 두고, 다른 버튼(예를 들어 [#] 버튼)을 숫자 혹은 영어알파벳을 위한 버튼으로 두어 あ(대표알파벳), 1(2nd), .(3rd), q(4th), z(5th) 의 관계를 두어 숫자 혹은 영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 あ+[#] = [1]+[#], . = あ+[#]+[#] = [1]+[#]+[#], q = あ+[#]+[#]+[#] = [1]+[#]+[#]+[#] 과 같이 된다. 컨트롤버튼이 가용하다면, 숫자입력을 위한 컨트 롤버튼 그리고 영어알파벳을 위한 컨트롤버튼을 별도로 둘 수도 있다. Numbers or English alphabets may be placed as subsequent alphabets following the native language subsequent alphabets. For convenience, in the case of Japanese, for example, あ (representative alphabet), い (2nd), う (3rd), え (4th), お (5th), 1 (6th), . (7th), q (8th), z (9th). Also, if there are available buttons for controlling numbers or English alphabets, the control buttons for あ (representative alphabet), い (2nd), う (3rd), え (4th), and お (5th) can be set to any button. button (eg [*] button), and other buttons (eg [#] button) as buttons for numbers or English alphabets, あ (representative alphabet), 1 (2nd), . (3rd), Numbers or English alphabets can be entered in the relationship of q (4th) and z (5th). For example, 1 = あ+[#] = [1]+[#], . = あ+[#]+[#] = [1]+[#]+[#], q = あ+[#]+[#]+[#] = [1]+[#]+[#] It becomes like +[#]. If control buttons are available, a control button for inputting numbers and a control button for English alphabets can be placed separately.

이는 타 언어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각종 기호의 입력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is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as well as input of various symbols described later.

1.6 영어알파벳의 발음에 따른 그룹핑 1.6 Grouping according to English alphabet pronunciation

선출원에서 각 언어의 키패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컨트롤처리방법의 적용 및 암기용으로의 사용을 고려하여, 유사 발음군으로 알파벳을 그룹핑하여 각 숫자 버튼에 배정하였다. 영어의 경우 현재 사전순서에 따라 3 혹은 4개씩 알파벳을 그룹핑하여 각 그룹을 각 숫자버튼에 배정한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마찬 가지로 발음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그룹핑하고 각 숫자버튼에 배정하는 것이 가능 하다. 다음은 발음의 유사성에 따라 영어의 자음을 9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몇 가지 사례이다. In configuring the keypad for each languag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use for memorization, the alphabet was grouped into similar pronunciation groups and assigned to each number button. In the case of English, a method of grouping alphabets by 3 or 4 according to dictionary order and assigning each group to each number button is widely us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group and assign each group to each number button considering the similarity of pronunciation. . The following are some examples of grouping English consonants into 9 groups according to similarities in pronunciation.

B P / C S X / D T / F V H / G K Q / J Z / L R / M N / W YB P / C S X / D T / F V H / G K Q / J Z / L R / M N / W Y

B P V / C S X / D T / F H / G K Q / J Z / L R / M W / N YB P V / C S X / D T / F H / G K Q / J Z / L R / M W / N Y

영어의 자음을 8개 그룹으로 그룹핑한 사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grouping English consonants into 8 groups is as follows.

B F P V / C G K Q / S X / D T / J Z / L R / M W H / N YB F P V / C G K Q / S X / D T / J Z / L R / M W H / N Y

B F P V / C G K Q / S X / D T / J Z / L R / M N / W Y HB F P V / C G K Q / S X / D T / J Z / L R / M N / W Y H

위의 사례 이외에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5개의 모음은 2개씩 그룹핑된 그 룹에 적절히 넣으면 된다. 이는 추후 설명하는 심플코드를 이용한 단축입력방법 적용시 편리를 줄 수 있다. 비영어권 언어의 경우, 이렇게 그룹핑된 영어 알파벳 을 각 버튼에 배정함에 있어서, 자국어 발음군과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경우 G, K, Q 그룹을 발음이 유사한 알파벳 "ㄱ"이 배 정된 버튼에 배정하는 것이다. 일본어의 경우 G, K, Q 그룹을 발음이 유사한 알 파벳 "か" 가 배정된 버튼에 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영어알파벳의 그룹핑에 있 어서도, 각 언어의 자국어 알파벳 그룹핑을 고려하여 그룹핑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Five vowels can be properly put into groups grouped by two. This can provide convenience when applying a shortcut input method using a simple c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non-English languages, when assigning the grouped English alphabets to each button, it can be assigned considering the similarity with the pronunciation group of the native language. For example, in the case of Korean, groups G, K, and Q are assigned to buttons assigned with the letter "ㄱ" with a similar pronunciation. In the case of Japanese, groups G, K, and Q are assigned to buttons assigned with the alphabet "KA" with a similar pronunciation. Therefore, even in the grouping of English alphabets, grouping can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grouping of native language alphabets of each language.

2. 각 언어별 보완사항 2. Supplements for each language

*이하에서 각 언어별로 선출원의 내용을 보완하고 발전된 사항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각 언어별 보완사항에서 기술된 내용중에도 어느 한 언어에서 설명 한 내용이 타 언어에 적용될 수 있는 경우, 이를 특별히 지적하지 않아도 타 언어 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earlier application for each language are supplemented and the developed matters are described as follows. Among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supplementary matters for each language, if the contents described in one language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it is obvious that they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without specifically pointing out this.

2.1 영어 2.1 English

선출원에서 전체표시키패드에서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후속알파벳을 입 력할 수 있는 것처럼, 영어의 경우에도 대표알파벳 이외의 알파벳을 자판상에 표 시하고도 컨트롤처리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어의 경우 후속컨트롤 (2nd, 3rd)들은 같은 컨트롤버튼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 버튼), 각 각을 다른 버튼에 분리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 [#] 버튼). 영어의 경우에 ABC가 하나의 버튼에 배치되어 있을 때, A를 대표알파벳으로 하면 B, C가 각각 후속컨트롤처리를 통하여 입력이 되고, B를 대표알파벳으로 하면, A, C가 각 각 후속컨트롤처리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이다.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 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부속순위는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Just as subsequent alphabets can be entered throug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the entire display key pa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even in the case of English, it is possible to display alphabets other tha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on the keyboard and input through control processing. In the case of English, subsequent controls (2nd, 3rd) can be placed on the same control button (eg [#] button), or each can be separately placed on another button (eg [*], [#] button). In the case of English, when ABC is placed on one button, if A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B and C are input through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respectively, and if B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 and C are each subsequent control input through processing. As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the sub-order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예를 들어 A, B, C 그룹에서 A를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2nd, 3rd 컨트롤을 [*] 버튼에 두고, 컨트롤 후 입력을 적용하면, B = A+{2nd} = [2]+[*], C = A+{3rd} = [2]+[*]+[*] 이 된다. 만약 B 를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2nd, 3rd 컨트 롤을 각각 [*] 버튼과 [#] 버튼에 두고, 컨트롤 후 입력을 적용하면, A = B+{2nd} = [2]+[*], C = B+{3rd} = [2]+[#] 이 된다. 도1-2는 더욱 알파벳의 식별성을 용 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그룹의 알파벳 중 중앙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하여 중앙에 두고 좌우에 각각 후속알파벳을 배치한 사례이다. D = E+{2nd} = [3]+[*] 이 된다. For example, if A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n A, B, and C groups, the 2nd and 3rd controls are placed on the [*] button, and input is applied after control, B = A+{2nd} = [2]+[*] , C = A+{3rd} = [2]+[*]+[*]. If B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2nd and 3rd controls are placed on the [*] and [#] buttons, respectively, and the input is applied after control, A = B+{2nd} = [2]+[*], C = B+{3rd} = [2]+[#]. 1-2 is an example in which the central alphabet among the alphabets of each group is set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n the center and subsequent alphabets are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to further facilitate the identification of the alphabet. D = E+{2nd} = [3]+[*].

이렇게 대표알파벳만을 대표알파벳이 속한 버튼 1타로 입력하고 나머지 알 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을 편의상 “대표알파벳제외 컨트롤 처리방법(CPMERC : Control Processing Method Except Representative Chanracter)”라고 부르기로 한다. In this way, inputting only the representative alphabet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to which the representative alphabet belongs and inputting the remaining alphabets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called “Control Processing Method Except Representative Character (CPMERC)” for convenience.

또한 P, Q, R, S 4개 알파벳이 [7] 버튼에 배정되고, W, X, Y, Z 4개의 알파벳이 [9] 버튼에 배정되는 경우, 선출원의 한국어의 실시예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4개의 알파벳 중 한 개의 알파벳을 상하인접조합을 이루는 격자에 배치하여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1-3을 참고한다. In addition, when four alphabets P, Q, R, and S are assigned to the [7] button, and four alphabets W, X, Y, and Z are assigned to the [9] button, as pointed out in the Korean embodiment of the previous application, ,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can be applied by arranging one of the four alphabets in a lattice forming a top-down adjacent combination. See Figures 1-3.

2.2 일본어 2.2 Japanese

선출원에서 일본어의 경우에 있어서, 50음도를 기준으로 알파벳을 그룹핑하 고, あ단의 알파벳(あ, か, さ, …)을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나머지 알파벳을 후속 알파벳으로 하여 후속컨트롤처리할 수 있음을 선출원에서 밝혔다. 선출원에서 제 시한 후속알파벳의 부속순위를 적용함에 있어서 선출원의 방법3과 거의 유사하게 다음의 표와 같이 50음도표를 단순히 적용할 수도 있다. 이는 부속순위의 단순성 으로 사용자에 친근감을 줄 수 있다. ん은 선출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대표 알파벳에 부속된 것으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や행 혹은 わ행의 비어 있는 곳에는 50음도의 알파벳(예를 들어, い, う, え)이 부속되어 있는 것으로 혹 은 ん이 부속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Japanes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lphabets are grouped based on 50 sounds, and the alphabets in column あ (あ, か, さ, …) are used as representative alphabets, and the rest of the alphabets can be used as subsequent alphabets for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disclos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In applying the sub-order of subsequent alphabets presen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the 50-note chart can be simply appli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almost similar to Method 3 of the earlier application. This can give users a sense of familiarity with the simplicity of sub-ordering. A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ん can be treated as belonging to any representative alphabet. In addi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50 sound alphabets (for example, い, う, え) are attached to the empty places of the や line or わ line, or ん is attached.

선출원의 방법3Prior application method 3 50음도 단순활용 방법How to use simple 50 notes 기준 격자reference grid 2nd 2nd 3rd3rd 4th4th 5th5th 기준 격자reference grid 2nd 2nd 3rd3rd 4th4th 5th5th this this Shi s Shi s ha ha lah ri lah ri

선출원에서 일본어의 경우에 편의상 가장 대표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는 1 번째 단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하였는데, 이 역시 임의의 단의 알파벳을 대 표알파벳으로 할 수도 있고, 각 그룹에서 임의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할 수 도 있다. 또한 각 행의 알파벳을 그룹으로하여 각 버튼에 배정함에 있어서도, 선 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키패드상 버튼의 행을 기준([1], [2], [3], [4], . . . )으로 배정할 수도 있고, 열을 기준([3], [6], [9], [2], [5], . . . )으로 배 정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행을 기준으로 혹은 열을 기준으로 배정하지 않고, 임의로 배정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Japanes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for convenience, the alphabet in the first column,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most representative, was used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can also be done with Also, in assigning the alphabets of each row as a group to each button, as mentioned in the prior application, the row of buttons on the keypad is based on ([1], [2], [3], [4], . . . ), or based on columns ([3], [6], [9], [2], [5], . . . ). Similarly, it is also possible to assign randomly, rather than assigning by row or by column.

또한 선출원의 일본어의 예에서 "ん"을 [0]버튼의 기준격자위치에 두고, [*]버튼과 [#] 버튼에 각각 2nd, 3rd 그리고 4th, 5th 컨트롤을 둔 경우, [0] 버 튼을 장음/탁음/반탁음 입력을 위한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ん"을 [0]버튼이 아닌 임의의 숫자버튼에 배정된 것으로 가정하였던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0]버튼의 기준격자 위치에 "ん"을 두고,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로 장 음/탁음/반탁음 컨트롤을 추가적으로 배치하고 컨트롤 선택에 반복선택방법을 적 용하여도 된다. 왜냐하면 "ん"은 한개의 단어에서 연속하여 등장하는 경우가 없 기 때문이다. 도2-1를 참고한다. 이렇게 연속하여 등장하지 않는 알파벳을 해당 알파벳이 배치된 버튼 1타에 선택하도록 하고, 2타, 3타, … 에 다른 컨트롤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다른 모든 언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후술하 는 한국어의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에서도 이러한 성질을 활용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Japanese example of the previous application, if "ん" is placed at the standard grid position of the [0] button, and the 2nd, 3rd, and 4th, 5th controls are placed on the [*] button and [#] button, respectively, the [0] button In order to use as a control button for inputting long sound/voice sound/semi-tone sound, it has been assumed that "ん" is assigned to any number button other than the [0] button. However, in this case, "n" may be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standard grid of the [0] button, and additional controls for long sound/voice/semi-voiced sound may be placed in an order close to the standard grid,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may be applied to control selection. This is because "ん"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in a single word. See Figure 2-1. Alphabets that do not appear consecutively are selected on the first stroke of the button where the corresponding alphabet is placed, and the second stroke, third stroke, ... Allowing the selection of different controls for . is applicable for all other languages as well. This property is also utilized in the method using Korean vowel elements described later.

2.3 아랍어 2.3 Arabic

아랍어에는 28개의 자음이 존재한다. 선출원에서 숫자의 의미를 가지는 아 랍어 자음을 다음과 같이 그룹핑하고 키패드 버튼상에 배정하고, 각 알파벳을 가 장 작은 숫자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을 각 그룹의 대표알파벳으로 하여 기준격자 의 위치에 배치하고 나머지 알파벳을 작은 숫자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으로부터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선출원에서 설명)로 키패드상에 배치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선출원에서 일본어, 로마자계열 언어, 한국어, 인도어, 아랍어 등 의 경우에 컨트롤 처리에 의하여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아 랍어의 경우에 있어서도, 별로 사용되지 않는 모음을 첨자로 간주하여 첨자컨트롤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There are 28 consonants in Arabic.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Arabic consonants with numerical meanings are grouped as follows and assigned to the keypad buttons, and each alphabet with the smallest numerical meaning is used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of each group, and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standard grid A method of arranging the remaining alphabets on the keypad in an order close to the standard grid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from the alphabet having the meaning of small numbers has been proposed. In addition,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 method of inputting alphabets by control processing has been proposed in the case of Japanese, Roman alphabetic languages, Korean, Indian languages, and Arabic. Even in the case of Arabic, a method of controlling subscripts by considering vowels that are rarely used as subscripts has been proposed.

여기서는 아랍어의 자음을 컨트롤처리(후속컨트롤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하 고자 한다. 다음은 선출원에서 아랍어의 자음을 그룹핑하고 각 버튼에 배정한 예 이다. Here, I would like to present a method of controlling Arabic consonants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grouping Arabic consonant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assigning them to each butt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1] 버튼에 배정된 1, 10, 100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 중 1의 의미를 가지 는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하여 키패드상 표시하고 나머지 10, 100의 의미를 가 지는 알파벳을 후속컨트롤처리할 수 있다. 컨트롤버튼은 선출원에서와 같이 임의 의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후속컨트롤버튼을 [*] 버튼을 사용하고, 2nd, 3rd 컨 트롤을 배치할 경우, 자음 입력에 있어서 평균 입력타수는 2타가 된다. 버튼당 하나의 알파벳만이 배치되므로 버튼에 표시된 알파벳을 선택함에 있어서는 부분전 체선택방법으로 선택할 필요는 없다. 알파벳의 배치는 개념적인 것이므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키패드상에 알파벳을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1] Among the alphabets with the meaning of 1, 10, and 100 assigned to the button, the alphabet with the meaning of 1 is displayed on the keypad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remaining alphabets with the meaning of 10 and 100 can be subsequently controlled. have. As for the control button, any button can be used a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f the [*] button is used as the subsequent control button and the 2nd and 3rd controls are placed, the average number of input strokes for consonant input is 2 strokes. Since only one alphabet is placed per button, it is not necessary to select the alphabet displayed on the button using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Since the arrangement of alphabets is conceptual, it is possible not to arrange alphabets on the keypad as described below.

다시 선출원의 일본어의 경우처럼 후속컨트롤을 다른 버튼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버튼에 3rd 컨트롤 분산하여 배정한다면, 평균입력타수 약 1.7타((1+2+2)/3)가 되며 28개 자음을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게 된다. Again, as in the case of Japanes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subsequent controls can be separated into different buttons. For example, if the 3rd control is distributed and assigned to the [#] button, the average input strokes will be about 1.7 strokes ((1+2+2)/3) and 28 consonants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do.

본 출원에서는 각 단위의 알파벳의 사용빈도와 상관없이 숫자의 의미가 적 은 알파벳을 각 그룹의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나머지 단위의 알파벳에 있어서도, 적은 숫자의 의미를 가진 알파벳을 먼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보인다. 컨 트롤은 선입력 혹은 후입력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regardless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lphabet of each unit, an alphabet with a small number of meanings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of each group, and even in the alphabets of the remaining units, an example in which an alphabet with a meaning of a small number can be selected first see. Controls can be input first or second input.

후속컨트롤을 모두 [*] 버튼에 배치하고, 1단위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10단위알파벳 선택시 컨트롤 버튼 선입력을 적용하면,

Figure pat00002
= [*] +
Figure pat00003
가 되고,
Figure pat00004
= [*] + [*] +
Figure pat00005
가 된다. 나머지 알파벳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경우 [#]버튼을 모음컨트롤처리를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If all subsequent controls are placed on the [*] button, the alphabet of 1 unit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control button pre-input is applied when selecting the 10 unit alphabet,
Figure pat00002
= [*] +
Figure pat00003
become,
Figure pat00004
= [*] + [*] +
Figure pat00005
becomes Same for the rest of the alphabet. In this case, the [#] button can be used for vowel control processing.

1000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 하나만을 [0] 버튼에 배치하면, 입력시

Figure pat00006
= [0] 이 된다. 1000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을 1그룹알파벳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Figure pat00007
= [*]+[*]+[*]+
Figure pat00008
가 될 것이다. 혹은 1000의 의미를 가지 는 알파벳이 70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
Figure pat00009
)에 윗점이 붙은 형태이므로, 윗점컨 트롤을 각종 모음컨트롤에 앞서 선택되도록 하여 컨트롤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윗점컨트롤 선입력시
Figure pat00010
= [윗점컨트롤] +
Figure pat00011
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윗점이 붙어 이루어진 다른 알파벳에도 이러한 윗점컨트롤처리를 다른 입력방법과 병행하여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0] 버튼을 다른 용도의 컨트롤버튼(예를 들 어 모음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If you place only one alphabet that has the meaning of 1000 on the [0] button,
Figure pat00006
= [0]. An alphabet having a meaning of 1000 may be processed as a 1 group alphabet. in this case
Figure pat00007
= [*]+[*]+[*]+
Figure pat00008
will be Or an alphabet with a meaning of 1000 is an alphabet with a meaning of 70 (
Figure pat00009
), it is possible to control by selecting the upper point control before various vowel controls. That is, when the upper point control is pre-entered
Figure pat00010
= [top control] +
Figure pat00011
that can be entered as For other alphabets composed of upper points, this upper point control process can be allowed in parallel with other input methods. In this case, it is easy to use the [0] button as a control button for other purposes (for example, a vowel control button).

만약 컨트롤을 분리하여 3rd 컨트롤(여기서는 100단위컨트롤)을 [#] 버튼으 로 하면 200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

Figure pat00012
= [#] +
Figure pat00013
가 된다. 이 경우도 선출 원의 일본어의 경우와 같이 입력시,
Figure pat00014
= [*] + [*] +
Figure pat00015
을 병행하여 허용 할 수 있다. 1000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을 1그룹알파벳에 속하게 할 경우, 경 우
Figure pat00016
= [*]+[*]+[*]+
Figure pat00017
혹은
Figure pat00018
= [#]+[#]+
Figure pat00019
가 된다. 즉 [*] 버튼에 2nd, 3rd, 4th 컨트롤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리고 [#] 버튼에 3rd, 4th 컨트 롤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아랍인들이 우에서 좌로 가로쓰기를 하는 점을 고려하여, 즉 [#] 버튼에 2nd, 3rd, 4th 컨트롤을 배정하고, [*] 버튼 에 3rd, 4th 컨트롤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f the control is separated and the 3rd control (in this case, the 100 unit control) is used as the [#] button, the alphabet with the meaning of 200
Figure pat00012
= [#] +
Figure pat00013
becomes In this case, as well as in the case of Japanese of the original application, at the time of input,
Figure pat00014
= [*] + [*] +
Figure pat00015
can be allowed concurrently. In case of making alphabets with meaning of 1000 belong to group 1 alphabets
Figure pat00016
= [*]+[*]+[*]+
Figure pat00017
or
Figure pat00018
= [#]+[#]+
Figure pat00019
becomes In other word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2nd, 3rd, and 4th controls are placed on the [*] button, and the 3rd and 4th controls are placed on the [#] button. Considering that Arabs write horizontally from right to left, it is also possible to assign the 2nd, 3rd, and 4th controls to the [#] button and the 3rd and 4th controls to the [*] button.

이는 아랍어에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자음을 평균 약 1.7타에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는 의미가 있고, 또한 아랍인들은 자국어 알파벳이 가지고 있는 숫자 의 의미를 알고 있으므로, 굳이 키패드상에 알파벳(예에서, 1단위알파벳 즉 대표 알파벳)을 표시하지 않고도,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매우 큰 장점이 있다. 다 시 말하면, 숫자만이 표시된 키패드를 통하여 본 출원에서의 방법을 적용시, 대표 알파벳이 어느 단위의 알파벳 인지, 컨트롤버튼이 어느 단위의 알파벳을 위한 컨 트롤버튼인지, 후속컨트롤이 하나의 컨트롤버튼을 사용한다면, 각 후속컨트롤의 선택순서는 어떤지, 컨트롤버튼을 선입력하는지 등의 규칙만 숙지하면, 실제 생활 에서 필요한 대부분의 알파벳(아랍어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means that in Arabic, the mainly used consonants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in an average of about 1.7 strokes, and since Arabs know the meaning of numbers in their native language alphabets, There is a great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put the alphabet without displaying the unit alphabet, that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n other words, when applying the method in this application through a keypad displaying only number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s which unit of alphabet, the control button is the control button for which unit of alphabet, and the subsequent control is one control button If you use , you can input most of the alphabets (Arabic consonants) needed in real life by familiarizing yourself with the rules such as the selection order of each subsequent control and whether to input the control buttons first.

선출원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모음을 역시 컨트롤처리할 수 있는데, [#]과 [*]을 모두 자음컨트롤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선출원의 일본어에서와 같이 1000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을 [0] 버튼에 배치하지 않고, [1] 버튼에 배치하여 컨트롤 처리하여, [0]버튼을 모음처리용 컨트롤 버튼으로 지정하고 반복선택방법 에 의해 첨자형태의 모음(모음컨트롤, 첨자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다. 방법은 마 찬가지로 사용빈도순으로 버튼의 누름횟수에 따라 모음컨트롤(첨자형태의 모음)이 선택되는 것이다. 자음용 후속컨트롤버튼으로 [*] 하나만 사용된다면, 모음용 컨 트롤버튼으로 [#]을 사용할 수도 있고, [#]과 [0]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As pointed ou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vowels can also be controlled. When both [#] and [*] are used for consonant control processing, as in the Japanese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alphabet with the meaning of 1000 is displayed on the [0] button. Instead of arranging, place it on the [1] button for control processing, designate the [0] button as a control button for vowel processing, and select subscripted vowels (vowel control, subscript control)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e method is to select a vowel control (a vowel in the form of a subscript)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If only [*] is used as the follow-up control button for consonants, [#] can be used as the control button for vowels, or both [#] and [0] can be used.

도3-1, 도3-2의 예시에서는 1 ~ 9의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1단위 알파벳)을 각 그룹의 대표알파벳으로 하였으나, 각 그룹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많은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혼동을 줄이기 위하여 1단위알파벳(1 ~ 9 의미를 가지는 알파벳), 10단위알파벳(10 ~ 90의미를 가지는 알파벳), 100단위알 파벳(100 ~ 900의미를 가지는 알파벳) 중 임의의 단위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할 수도 있다. 도3-3은 10단위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하여 각 그룹의 중앙에 두고 나머지 좌우에 배정된 알파벳(100단위알파벳, 1단위알파벳)을 좌우측에 배정 된 컨트롤버튼을 이용하여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사례이다. In the examples of FIGS. 3-1 and 3-2, the alphabets having meanings of 1 to 9 (one-unit alphabets) are used as representative alphabets for each group, but the most frequently used alphabets in each group may be used as representative alphabets. .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confusion, an alphabet of any unit among 1 unit alphabet (an alphabet with meanings of 1 to 9), 10 unit alphabet (an alphabet with meaning of 10 to 90), and 100 unit alphabet (an alphabet with meaning of 100 to 900) can be used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3-3 shows the 10-unit alphabet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placing it in the center of each group, and using the control buttons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remaining alphabets (100-unit alphabet, 1-unit alphabet)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a case of

마찬가지로 후속컨트롤에 의하여 선택되는 알파벳도 사용빈도에 따른 각 단 위의 알파벳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단위알파벳이 가장 사용빈도가 많아, 이를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그 다음으로 1단위알파벳이 사용빈도가 많다면, 2nd 컨트롤(즉 여기서는 1단위컨트롤)과 대표알파벳을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 고, 10단위알파벳을 3rd 컨트롤(즉, 10단위컨트롤)과 대표알파벳을 조합하여 입력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Likewise, the alphabet selected by the subsequent control can be the alphabet of each uni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For example, if the 100-unit alphabet is the most frequently used, set it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if the 1-unit alphabet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he 2nd control (i.e., the 1-unit control here) and the representative alphabet can be entered in combination. It is to allow 10 unit alphabets to be input by combining the 3rd control (ie, 10 unit control) and the representative alphabet.

선출원에서 전체표시키패드에서도 후속알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므로, 마찬가지로 선출원의 키패드에서도 자음을 후속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고, 모음을 첨자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 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3*4 키패드 내에서, 모음용 첨자컨트롤버튼을 [0] 버튼으 로 하면, 자음 입력을 위한 컨트롤버튼을 [*] 버튼과 [#] 버튼에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it is said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subsequent alphabets throug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the entire display key pa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input consonants by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input vowels by the subscript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the keypad of the previous application as well. do. In the 3*4 keypad, if the [0] button is the subscript control button for vowels,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control buttons for consonant input to the [*] button and the [#] button.

2.4 한국어2.4 Korean

2.4.1 각종 컨트롤의 적용 2.4.1 Application of various controls

도4-1 ~ 도4-3은 한국어의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쌍으로 각 버튼에 배정하 고, 키패드상 표시된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방 법이다. 도4-1 에서 격음, 경음 그리고 확장모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 력하도록 하였고, 도4-2에서는 격음과 경음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 도록 하였다. 도4-3은 격음, 경음, 기본모음, 그리고 확장모음을 컨트롤처리방법 에 의하여 입력하도록 한 사례이다. 4-1 to 4-3 show a method of assigning basic Korean consonants and basic vowels in pairs to each button, and inputting the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displayed on the keypa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n Fig. 4-1, aspirated consonants, tense consonants, and extended vowels wer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in Fig. 4-2, only aspirated consonants and tense consonants wer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4-3 is an example in which aspirated consonants, tense consonants, basic vowels, and extended vowels ar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2.4.2 프로그램 구현 2.4.2 Program implementation

도4-4는 단지 구현을 위한 흐름도의 일례일 뿐이고 좀 더 효율적인 프로그 래밍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4-4에서 받침의 자음부분이 왔을 경우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자음인가를 앞서 체크함으로써, 약간 더 효율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4-4 is just an example of a flow chart for implementation, and more efficient programming is possible. For example, in FIG. 4-4, when the consonant part of the support comes, a slightly more efficient implementation is possible by checking in advance whether the consonant can form a double support.

선출원에서 제시한 한국어의 예는 유사한 특징(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출현 하는 구조)을 가지는 타 언어에 있어서도 응용될 수 있다. 타 언어의 경우에는 타 언어의 자모출현 특성을 반영하면 된다. The Korean example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 structur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e). In the case of other languages, it is sufficient to reflect the consonant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other languages.

예를 들어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의 쌍을 이용하여 힌디어 입력시스템을 구성 하고자 하면, 힌디어의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어의 경우와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 으며, 힌디어의 경우 한국어의 경우보다 자음과 모음의 출현규칙이 간단하므로 더 쉽게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you want to construct a Hindi input system using a pair of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it can be implemented similarly to the case of Korean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Hindi. The simpler the rules, the easier it is to implement.

2.5 힌디어 2.5 Hindi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힌디어 자음을 9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1] ~ [9] 버튼에 배정함으로써, [0] 버튼에 배정된 모음은 [0]버튼 1타로 선택하게 되는데, 일관성을 위하여 자음을 10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항상 대표자음은 1타로 선택 되고 10개의 모음은 2타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키패드상에 배치되지 않고 자 주 쓰이지 않는 모음 ___(ri)는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자음 을 10개의 그룹으로 그룹핑 하는데 있어서는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발음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그룹핑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10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일 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In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Hindi consonants are grouped into 9 groups and assigned to buttons [1] to [9], so that the vowel assigned to button [0] is selected with one stroke of the [0] button. It is grouped into groups, and the representative sound can always be selected as one stroke, and 10 vowels can be selected as two strokes. The vowel ___(ri), which is not placed on the keypad and is not frequently used, can be processed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grouping consonants into 10 groups,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 method of grouping considering the similarity of pronunciation is possible. An example of grouping into 10 groups is as follows.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그리고 힌디어의 첫번째 모음 ___(a) 는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 생략될 수 있다고 한다. 즉 자음이 연속하여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자음 + ___(a) + 자음" 으로 입력하더라도 "자음 + 자음" 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은 매 우 용이한 일이다. 물론 직접 "자음 + 자음"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동일한 대표자음이 연속하여 선택되어 두개의 자음이 하나의 모음으로 인식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아진다. 따라서 양자(모음 ___(a)를 자동 생략 혹은 사용자가 생략 입력)를 모두 허용할 수 있다. And it is said that the first vowel ___(a) in Hindi can be omitted between consonants. That is, the consonants appear consecutively. In this case, even if "consonant + ___(a) + consonant" is entered, it is very easy to display "consonant + consonant". Of course, it is possible to directly input "consonant + consonant", but in this case, the same representative sound is selected in succession,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wo consonants can be recognized as one vowel. Therefore, both (automatic omission of vowel ___(a) or omission input by the user) can be allowed.

2.6 미얀마어 2.6 Burmese

미얀마어에는 다음의 33개 자음이 존재한다. 이를 힌디어의 예와 같이 9개 혹은 10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대표알파벳을 정하고, 나머지 자음을 후속컨트 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There are 33 consonants in Myanmar language. As in the example of Hindi, it is grouped into 9 or 10 groups, a representative alphabet is determined, and the remaining consonants can be input by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1

3. 다차원 교차 컨트롤처리방법 3. Multi-dimensional intersection control processing method

도2-2는 위의 표에 의하여 "あ"단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하여 각 버튼 에 사전순서로 배정한 사례이다. 선출원의 사례에서 2nd, 3rd 컨트롤이 배정된 컨트롤버튼에 4nd, 5rd 컨트롤이 추가로 배정될 수도 있었으나, 여기서는 입력타 수를 최소화하고, 컨트롤버튼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2nd, 3rd 컨트롤만을 배 정한 사례를 보인다. 2-2 is an example of assigning alphabets to each button in alphabetical order by using the alphabets of the "あ" column as representative alphabets according to the table above. In the case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4nd and 5th controls could be additionally assigned to the control buttons to which the 2nd and 3rd controls were assigned. see.

도2-2에서 후속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은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컨트롤 후입력 적용시 い = あ+[*] 와 같이 된다. 다음으로 각 알파 벳의 변형알파벳인 장음, 탁음, 반탁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보인다. 도2-2에서 컨 트롤버튼으로 가용한 버튼([*] 버튼, [#] 버튼)이 모두 후속컨트롤버튼으로 사용 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변형알파벳을 위한 컨트롤버튼이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타겟알파벳의 기본알파벳이 후속알파벳인 경우 그 후속알파벳 입력후 후 속컨트롤버튼으로 사용되지 않은 후속컨트롤버튼을 변형알파벳컨트롤버튼(이를 편 의상 "반대편 컨트롤버튼"이라고 부름)으로 활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The method of inputting subsequent alphabets in FIG. 2-2 is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applying post-control input, it becomes like い = あ+[*]. Next, we show how to input the long sound, voiced sound, and semitone sound, which are the modified alphabets of each alphabet. In Fig. 2-2, all buttons available as control buttons ([*] button, [#] button) are used as subsequent control buttons. Therefore, there is no control button for the modified alphabet. However, if the basic alphabet of the target alphabet is a subsequent alphabet, after inputting the subsequent alphabet, the subsequent control button that is not used as a subsequent control button can be used as a modified alphabet control button (this is called "opposite control button" for convenience) to input. can

예를 들어, ぃ = い + "반대편 컨트롤버튼" = あ+[*] + [#], ご = こ + "반 대편 컨트롤버튼" = か+[#]+[#] + [*] 과 같이 된다. 이는 ぃ를 기본알파벳 い 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ぃ를 입력하기 위하여 후속컨트롤버튼으로 사용되지 않은 반대편 컨트롤버튼을 변형알파벳컨트롤 버튼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에서와 같이 여기서도 선출원의 건너뛰 기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체인형 컨트롤처리방법의 관점에서 보면, 반대편 컨트롤버튼을 1번 누름으로써, 기 입력된 알파벳(예에서 こ)의 변형 알파벳(예에서 ご)을 입력하기 위한 "다음 컨트롤"을 선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For example, ぃ = い + "opposite control button" = あ+[*] + [#], ご = こ + "opposite control button" = か+[#]+[#] + [*] do. This can be seen as using the opposite control button that is not used as a subsequent control button as a modified alphabet control button in order to input ぃ in apply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by considering ぃ as a modified alphabet of the basic alphabet い. As in the example, the skip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the previous application can be applied here as well.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hain-type control processing method, by pressing the control button on the opposite side once, it can be seen as selecting the "next control" to input a modified alphabet (ご in the example) of the previously entered alphabet (こ in the example) can

は행의 알파벳에는 변형알파벳이 탁음과 반탁음의 2가지가 있으므로 장음의 경우는 반대편 컨트롤버튼을 1번 누르고 반탁음의 경우는 반대편 컨트롤을 2번 누 르도록 할 수 있다. 즉 ぶ = ふ + "반대편 컨트롤버튼" = は+[*]+[*] + [#],ぷ = ふ + "반대편 컨트롤버튼 2번누름" = は+[*]+[*] + [#]+[#] 과 같이 된다. Since there are two types of modified alphabets in the alphabet of the は line, voiced sound and semitone sound, in the case of a long sound, you can press the control button on the opposite side once, and in the case of a semitone sound, press the control button on the opposite side twice. That is, ぶ = ふ + "opposite control button" = は+[*]+[*] + [#],ぷ = ふ + "press the opposite control button twice" = は+[*]+[*] + [# ]+[#].

다음으로 타겟알파벳의 기본알파벳이 대표알파벳인 경우는 위의 방법을 그 대로 적용할 수 없다. 이 경우 후속컨트롤버튼 중 임의의 버튼에 추가로 대표알 파벳의 변형알파벳을 후속알파벳으로 두어 타겟알파벳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if the basic alphabet of the target alphabet is a representative alphabet, the above method cannot be applied as it is. In this case, the target alphabet can be input by placing the modified alphabet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s the subsequent alphabet in addition to any button among the subsequent control buttons.

예를 들어, [*] 버튼을 사용하여 대표알파벳의 변형알파벳(장음, 탁음, 반 탁음)을 입력하는 경우 あ = あ+[*]+[*]+[*] 와 같이 된다. 즉 대표알파벳의 변 형알파벳(장음, 탁음, 반탁음)을 [*]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4th 후속알 파벳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For example, when inputting a modified alphabet (long sound, dull sound, semi-tone sound)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using the [*] button, あ = あ + [*] + [*] + [*]. In other words, the modified alphabet (long sound, voiced sound, semitone sound)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s regarded as the 4th subsequent alphabet that can be input using the [*] button. Summarizing the above, it becomes: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이렇게 반대편 컨트롤버튼을 활용하여 컨트롤버튼의 용도를 확장하고, 더 많은 알파벳 혹은 기타의 입력에 활용하는 것을 편의상 "교차 컨트롤처리방법" 혹 은 "지그재그 컨트롤처리방법" 혹은 "다차원 교차 컨트롤처리방법"이라고 부른다. 이는 3개 이상의 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way, using the opposite control button to expand the use of the control button and use it for more alphabetic or other input is called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or "zigzag control processing method" or "multi-dimensional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for convenience. call This can be applied even when three or more buttons are used as control buttons.

위의 표에서 첫번째 컬럼의 칸을 제외한 나머지 컬럼의 칸 역시 다른 알파 벳 혹은 각종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위의 예에서는 반대편 컨트롤버튼을 한번 적용한 것이다. 즉 ぷ 입력시 ぷ = ふ + "반 대편 컨트롤버튼 2번누름" = は+[*]+[*] + [#]+[#] 와 같이 반대편 컨트롤버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후속컨트롤버튼으로 사용된 [*] 버튼에 대하여 반대편 컨트 롤버튼([#] 버튼)을 한번만 적용한 것이다. 이를 편의상 "2차원 교차컨트롤처리" 혹은 "2단계 교차컨트롤처리" 라고 한다. In the table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cells of the remaining columns, except for the first column, can also be used for inputting other alphabets or various symbols. In the example above, the opposite control button is applied once. In other words, when inputting ぷ, ぷ = ふ + "Press the opposite control button twice" = は+[*]+[*] + [#]+[#] Use the control button on the opposite side repeatedly to use it as a subsequent control button. The opposite control button ([#] button) is applied only once to the selected [*] button. This is referred to as "two-dimensional cross-control processing" or "two-step cross-control processing" for convenience.

즉 하나의 알파벳 입력을 위하여 하나의 컨트롤버튼만을 사용하는 경우 이 를 "1차원 컨트롤처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컨트롤버튼을 "1차원적"으로 사용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2차원 (교차)컨트롤처리방법에서는 하나의 알 파벳 입력을 위하여 다른 컨트롤버튼이 2개 사용된다. 즉 ご 입력시 ご 를 こ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ご = こ + "반대편 컨트롤버튼" = か+[#]+[#] + [*] 으 로 입력하였는데, 여기서 반대편컨트롤버튼은 이미 대표알파벳 か 의 1st, 2nd 후 속알파벳인 き, く를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 버튼으로 정의되어 있었음에도, 마치 반대편 컨트롤버튼([*] 버튼)을 こ의 변형알파벳 ご 를 입력하기 위한 변형알파벳 컨트롤버튼과 같이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마치 하나의 알파벳 입력을 위 하여 하나의 컨트롤버튼을 1차원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2개의 컨트롤버튼을 "2차원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only one control button is used to input one alphabet, this can be referred to as "one-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This can be seen as using the control button “one-dimensionally”. However, in the two-dimensional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two different control buttons are used to input one alphabet. In other words, when entering ご, ご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of こ, so ご = こ + "opposite control button" = KA+[#]+[#] + [*], where the opposite control button is already a representative alphabet Even though it was defined as a control button for inputting き and く, which are the alphabets following the 1st and 2nd of KA, the control button on the opposite side ([*] button) is like a modified alphabet control button for inputting the modified alphabet ご of こ. that can be utilized. This can be seen as using two control buttons “two-dimensionally” compared to using one control button one-dimensionally for one alphabet input.

ぷ = ふ + "반대편 컨트롤버튼1번 누름" + "앞의 컨트롤버튼에 대하여 반대 편 컨트롤버튼 1번 누름" = は+[*]+[*] + [#]+[*] 과 같이 입력할 수도 있다. 즉 ぶ 의 입력에 최종적으로 사용된 컨트롤버튼(예에서 [#] 버튼)을 반복적으로 사용 하여 변형알파벳을 입력하는 것이 가용하지 않을 경우 마찬가지 방법으로 반대편 컨트롤버튼에 대한 반대편 컨트롤버튼을 다시 이용하여 다른 변형알파벳 혹은 후 속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편의상 "3차원 교차컨트롤처리" 혹은 "3단계 교차컨트롤처리"라고 부른다. 이는 교차 컨트롤처리방법을 이용하여 키패 드내에서 입력할 수 있는 알파벳 혹은 기타 알파벳 입력과 관련된 것들의 가능한 입력갯수를 무한히 확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구나 선 입력된 알파벳과 관련 성을 가진 후속알파벳 혹은 변형알파벳을 자연스럽게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 력할 수 있는 큰 의미가 있다. ぷ = ふ + "Press the opposite control button once" + "Press the opposite control button once for the previous control button" = は+[*]+[*] + [#]+[*] may be In other words, if it is not possible to input the transformed alphabet by repeatedly using the control button ([#] button in the example) that was finally used for the input of ぶ, in the same way, use the opposite control button for the opposite control button again to You can enter a modified alphabet or a subsequent alphabet.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three-dimensional cross-control processing" or "three-step cross-control processing".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possible inputs of alphabets that can be input in the keypad or those related to other alphabet inputs can be infinitely expanded using the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Moreover, there i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subsequent alphabets or modified alphabets that are related to the pre-entered alphabets can be naturally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이상의 내용을 2가지의 변형알파벳(탁음, 반탁음)이 존재하는 は 행의 예를 들어 그래프의 형태로 설명하면 도2-3과 같다. 도2-3에서 흐린 색으로 동그라미 에 ". . ."으로 표시된 것은, 위의 표에서 빈 공간에 다른 알파벳 혹은 기호를 입 력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만약 필요시 추가로 입력하고자 하는 것(알파벳 혹은 기호)를 다차원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2-3에서 [*] 버튼과 [#] 버튼은 각기 직각 방향으로 사용되고 있다. If the above content is explained in the form of a graph with an example of the は row in which two modified alphabets (voiced sound and semi-voiced sound) exist, it is as shown in FIGS. 2-3. In Fig. 2-3, what is marked with ". . ." in a circle with a dim color is what you want to input additionally if necessary, as can be used to input other alphabets or symbols in the empty space in the table above ( alphabets or symbols) can be input by the multi-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FIGS. 2-3, the [*] button and the [#] button are us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respectively.

선출원에서 [*] 버튼에 50음도의 알파벳 중 대표알파벳이 아닌 2nd, 3rd, 4th, 5th 컨트롤을 배정하고, [*] 버튼을 장음, 탁음, 반탁음 등의 변형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는 방법과 비교해 보면 선출원의 방법에서도 2차원 컨트롤처리가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ぃ = い+{변형} = い +[*]+[#] 으로 입력되는데 2개의 컨트롤버튼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차이는 선출 원에서는 컨트롤버튼의 용도가 후속컨트롤(2nd, 3rd, 4th, 5th )버튼으로만 그리 고 변형알파벳(장음, 탁음, 반탁음) 컨트롤버튼으로만 사용되었고, 본 발명의 2차 원 컨트롤처리에서는 후속알파벳 입력후 후속컨트롤버튼이 다시 변형알파벳컨트롤 버튼으로 사용된 것이다. 이렇게 주용도의 컨트롤버튼(예에서 후속컨트롤버튼)을 다시 변형알파벳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는 것을 선출원의 2차원 컨트롤처리방법과 구별하기 위하여 편의상 "2차원 재활용컨트롤처리방법" 혹은 "2차원 다용도컨트롤 처리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 button was assigned the 2nd, 3rd, 4th, and 5th control, which is not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mong the 50 phonetic alphabets, and the [*] button was used as a control button to input modified alphabets such as long sound, sound sound, and half sound sound. Compared to the method used, it can be seen that the two-dimensional control process is applied in the method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at is, ぃ = い + {transformation} = い +[*]+[#] is entered because two control buttons are used. The difference is tha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use of the control button was used only as a follow-up control (2nd, 3rd, 4th, 5th) button and only as a modified alphabet (long sound, voiced sound, semitone sound) control button, and the two-dimensional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after inputting the subsequent alphabet, the subsequent control button is again used as the modified alphabet control butt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 use of the main-use control button (subsequent control button in the example) as a modified alphabet control button from the 2-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the previous application, for convenience, "2-dimensional recycling control processing method" or "2-dimensional multi-purpose control processing method" "Let's call it

선출원의 방법은 입력방법이 단순하고 일관성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 으로 입력타수가 약간 더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의 차이을 쉽게 보이 기 위하여 선출원에서 컨트롤버튼을 각각 후속컨트롤(2nd, 3rd, 4th, 5th )버튼으 로만 그리고 변형알파벳(장음, 탁음, 반탁음) 컨트롤버튼으로만 사용하였던 경우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2-4와 같다. 도2-3, 도2-4에서도 흐린색으로 표시된 부 분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The method of the previous applic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and consistent in the input method, but has the disadvantage of relatively slightly increasing the number of input strokes. In order to easily show the difference from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control button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were used only as subsequent control buttons (2nd, 3rd, 4th, 5th) and only as control buttons for modified alphabets (long sound, voiced sound, semitone sound) is graphed When shown, it is as shown in Figs. 2-4. In FIGS. 2-3 and 2-4, the shaded parts can be expanded and applied.

위에서 교차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컨트롤 후입력의 예를 보 였는데, 이 역시 선출원에서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컨트롤 선입력 혹 은 후입력을 적용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컨트롤 선입력에 의하여 입력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ぃ = "반대편 컨트롤버튼" + い = [#] + [*]+あ 와 같이 된 다. 그러나 교차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컨트롤을 후입력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In applying the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above, an example of post-control input was shown, and this also applies to control pre-input or post-input in apply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by control pre-input can also be entered. For example, ぃ = "opposite control button" + い = [#] + [*]+あ. However, in applying the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it will be convenient to input the control afterward.

이는 일본어의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언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랍어에서 대표알파벳제외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여, 후속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하여 [*]과 [#]이 사용되는 경우, 첨자형태의 모음을 입 력하기 위하여 다차원 교차컨트롤처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태국어에서 [*] 버튼과 [#] 버튼을 각각 후속자음과 후속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버튼으 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성조부호를 입력하는데, 다차원 교차컨트롤처리방법을 사 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can be equally applied not only to Japanese but also to all other languages. For example, if [*] and [#] are used to input subsequent alphabets by apply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excluding representative alphabets in Arabic, multi-dimensional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can be used to input vowels in the form of subscripts. can In addition, even when using the [*] button and the [#] button as control buttons for inputting subsequent consonants and subsequent vowels in Thai, a multi-dimensional cross-control processing method can be used to input tonal codes.

4. 한국어입력방법 4. Korean input method

4.1. 한국어에서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 4.1. How to use vowel elements in Korean

과거 알파벳을 구성하는 획소를 각 버튼에 배정하고, 각 획소(예. →, ↓, ↙, ↘, ⊃, O 등등)의 조합으로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었다. 또한 현재 한국에서 한국어의 모음만을 3개의 모음요소(ㅡ, ., ㅣ=> 즉, 획소)로 분리하여 각 모음요소의 조합으로 키패드에서 알파벳을 입력하는 사례가 있었다. In the past, there was a method of assigni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alphabet to each button and inputting the alphabet with a combination of each element (eg →, ↓, ↙, ↘, ⊃, O, etc.). In addition, currently in Korea, there has been a case in which only Korean vowels are separated into three vowel elements (ㅡ, ., ㅣ => ie, angso), and the alphabet is entered on the keypad with a combination of each vowel element.

한국어에 있어서 모음은 몇개의 모음요소(획소)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ㅡ, ., ㅣ 3개의 모음요소(편의상 간단히 "3모음"으로도 부름)로 나누어 생 각할 수 있고, ㅡ, ., :, ㅣ 의 4개 모음요소(편의상 간단히 "4모음"으로도 부 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ㅡ, ㅣ는 모음 자체로 존재하므로, 키 패드에서의 한국어 입력방법에서 모음요소를 활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 국어의 모음을 3개의 모음요소를 조합하여 혹은 4개 모음요소를 조합하여 한국어 의 모든 다양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은 한국어를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알 수 있다. In Korean, a vowel can be divided into several vowel elements (hangso). For example, ㅡ, ., ㅣ can be divided into 3 vowel elements (also simply called “3 vowels” for convenience), and 4 vowel elements ㅡ, ., :, ㅣ (for convenience, simply called “4 vowels”) It can be thought of divided into (also called), and among them, ㅡ and ㅣ exist as vowels themselves, so it is possible to think of using vowel elements in the 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Anyone who knows Korean knows that Korean vowels can be input by combining three vowel elements or by combining four vowel elements.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4.1.1. 10자음 3모음법 4.1.1. 10 consonant 3 vowel method

먼저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기본 알파벳으로 10개의 자음평음(기본자음) 과 3개의 모음요소와 경음과 격음을 컨트롤처리방법(기본자음과 컨트롤의 조합으 로 입력)에 의하여 입력하기 위한 경음컨트롤, 격음컨트롤 등의 15가지 요소를 생 각할 수 있다. 이를 12개의 버튼을 구비한 3*4키패드에 배정하고 입력하여야 하 므로, 9개의 버튼에 10개의 기본자음 중 경음과 격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자음( 편의상 "9버튼 탈락자음" 혹은 "10-9자음" 혹은 더 간단히 "-9자음" 이라 부름)을 제외하고 나머지 9개의 기본자음을 9개의 버튼에 배정하고, 3개의 모음요소 하나 하나와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 9버튼탈락자음 3가지를 임의로 2개씩 그룹핑하여 나머지 3개의 버튼에 배정할 수 있다. 9개의 버튼에 배정된 기본자음은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고, 모음요소를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고,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된 컨트롤 혹은 9버튼 탈락자음은 배정된 버튼 3타로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10자음 3모음법" 혹은 "경음/격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된 컨트롤 혹은 9버튼 탈락자음을 배정된 버튼 3타로 선택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First, as the basic alphabet for inputting Korean, 10 consonants, plain sounds (basic consonants), 3 vowel elements, and tense consonants and aspirated consonants for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nput in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and controls), aspirated consonants You can think of 15 elements such as controls. Since this must be assigned and entered on a 3*4 keypad equipped with 12 buttons, basic consonants in which hard and aspirated consonants do not exist among 10 basic consonants on 9 buttons (for convenience, "9-button dropped consonants" or "10-9 consonants" or more simply called "-9 consonants"), the remaining 9 basic consonants are assigned to 9 buttons, and each of the 3 vowel elements, aspirated control, horn control, and 3 consonants dropped from the 9 buttons are randomly assigned. You can group them by two and assign them to the remaining three buttons. The basic consonant assigned to the 9 buttons is entered with 1 stroke of the assigned button, the vowel element is entered with 1 stroke of the assigned button, and the control grouped with the vowel element "." or the consonants dropped from 9 buttons are entered with 3 strokes of the assigned button. can do.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the "10 consonant three-vowel method with aspirated consonant/hard consonant control processing" or "the three vowel method with aspirated consonant/inspired consonant control processing". Here, the control grouped with the vowel element "." or the selection with 3 buttons assigned to the 9 button dropped consonants can be seen as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as described later.

여기서 한국어 키패드를 암기용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10개의 각 숫자버튼에 10개의 기본자음이 각각 배정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도4-5는 이러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4-5에서 "ㅎ"이 9버튼 탈락자음으로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되어 숫자버튼인 [0] 버튼에 배정되었는데, 이는 "ㅎ"이 격음 및 경음 이 존재하지 않고, 가장 사용빈도가 낮아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지 못하더라도 불편을 덜 주면서, 순서로도 가장 마지막에 있어 한국인에게 자연스러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도4-5에서 나머지 기본자음 역시 사전순서대로 각 숫자버튼에 배 정되었으므로, 사용자에게 좋은 위치식별성(가독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Here, in order to use the Korean keypad for memorization, it is desirable to assign 10 basic consonants to each of the 10 numeric buttons. Figures 4-5 show one such embodiment. In Figures 4-5, "ㅎ" is grouped with the vowel element "." as a 9-button dropped consonant and assigned to the [0] button, which is a number button. This is because it gives Koreans a sense of naturalness as it is at the end of the order, while causing less inconvenience even if the input button is low and cannot be entered with one stroke of the assigned button. 4-5, since the remaining basic consonants are also assigned to each number button in alphabetical order,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good location identification (readability) to the user.

컨트롤 후입력 적용시 ㅋ = ㄱ + {격음(컨트롤)} = [1]+[*]+[*] 으로, ㄲ = ㄱ + {경음(컨트롤)} = [1]+[#]+[#] 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출원인의 선출원 에서 일본어의 사례에서와 처럼 한국어에서 모음 "ㅡ"와 "ㅣ"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반복선택방법으로 격음컨트롤과 격음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 도록 한 것이다. "ㅔ" 혹은 "ㅖ"의 경우에는 모음 "ㅣ"가 연속하여 나오기도 하 나, 앞에 모음요소 "." 이 선행하므로 "##"을 누른 것이 컨트롤을 선택한 것이 아 니고 모음을 입력한 것임을 시스템이 알 수 있다. 선출원에서 컨트롤을 굳이 버 튼에 표시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단지 해당버튼을 눌러 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음 을 인지하고 있으면 된다고 하였는데, 격음컨트롤을 모음 "ㅡ"와 함께 그룹핑하여 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모음 "ㅡ"가 배정된 버튼을 2번 눌러 격음컨 트롤을 선택하는 것을 기억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경음컨트롤을 모음 "ㅣ"와 함 께 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모음 "ㅣ"가 배정된 버튼을 2번 눌러 경음 컨트롤을 선택함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성질 역시 출원인 발명에서 권리로써 보호받고자 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며, 후술하는 4모음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는 출원인이 제시한 실시예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응용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출원인의 발명의 권리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 하다. 이를 편의상 "선모양 모음요소("ㅡ", "ㅣ") 버튼 이용 격음/경음 컨트롤처 리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When input after control is applied, ㅋ = a + {sound (control)} = [1]+[*]+[*], ㄲ = a + {sound (control)} = [1]+[#]+[# ] can be entered. As in the case of Japanes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this is to use the property that the vowels "ㅡ" and "ㅣ" do not appear consecutively in Korean, so that the aspirated consonant control and the aspirated consonant control can be select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n the case of "ㅔ" or "ㅖ", the vowel "ㅣ" appears in succession, but the vowel element "." precedes it, so the system knows that pressing "##" did not select a control, but entered a vowel.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said that even if the control is not displayed on the button, the user just needs to be aware that the control can be selecte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You can remember to select the aspirated consonant control b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twice, and similarly, by assigning the consonant control with the vowel "ㅣ", the user intuitively presses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ㅣ" is assigned twice. There is an advantage in knowing that the horn sound control is selected by pressing, and this property is also one of the elements to be protected as a right in the applicant's invention, and the same applies to the four-vowel method described later. Thi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by the applicant, and can be equally used in other applications, and it is obvious tha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pplicant's invention.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spirated consonant/consonant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line-shaped vowel elements ("ㅡ", "ㅣ") buttons.

도4-5의 사례에서 모음요소 "."을 [0] 버튼에 배정하고, 숫자 "0"안에 암시 적으로 배치(숫자 "0" 안의 빨간점)함으로써, 모음요소 "."을 암시적을 배치할 수 있다. 결국 외형적으로 키패드상 단 하나의 알파벳만을 간결하게 배치하여 한국 어 입력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4-9와 같이 "ㅎ = . + ㅡ + ㅇ"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ㅎ"의 "."을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외형적으로 단하 나의 자소만을 배정함으로써, 간결한 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Fig. 4-5, the vowel element "." is implicitly placed by assigning the vowel element "." can do. After all, it is possible to compose a Korean input system by concisely arranging only one alphabet on the keypad. Similarly, as shown in Figures 4-9, it consists of "ㅎ = . + ㅡ + ㅇ", and a concise keypad can be configured by displaying "." of "ㅎ" in red and visually allocating only one grapheme.

격음/경음컨트롤처리 10자음 3모음법에서 격음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 여 입력하지 않고, 격음의 기본자음이 배정된 버튼을 2번 누름으로써(즉, 은닉형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격음반복선택 경음컨트롤 처리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혹은 경음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지 않고, 경음의 기본자음이 배정된 버튼을 2번 누름으로써(즉, 은닉형 반복선택방법 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이는 경음, 즉 쌍자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입력하 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를 편의상 "경음반복선택 경음컨트롤처리 반복선택 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는 격음과 경음 모두를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 력하지 않고,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격음과 경음 모두를 반복 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경우, 반복선택순서는 기본자음(1타) - 경음(2타) - 격 음(3타)로 되도록 할 수도 있고(이는 경음, 즉 쌍자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입 력하고, 격음을 기본자음이 속한 버튼 3타로 입력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기 본자음(1타) - 격음(2타) - 경음(3타) 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편의상 전자의 경우를 "先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 이라 부르기로 하고, 후자의 경우를 "先격음 반복선택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본 단락에서 설명한 몇가지를 통칭하여 편의상 "격음/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 이라 부르기로 한다. In the 10-consonant 3-vowel method of aspirated/horizontal control processing, only the aspirated consonant is not entered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but b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basic consonant of the aspirated consonant is assigned twice (i.e., by the hidden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t can be input. have.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the "three-vowel method of aspirated repetition selection and tense consonant control processing". Alternatively, only the hard sound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basic consonant of the hard sound is assigned twice (i.e., by the hidden repetitive selection method) without relying on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this is It can also be viewed as entering as .).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 "repeated selection method for horn control processing of horn sound repetition selection". Alternatively, both the aspirated consonant and the tense consonant can be input by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without inputting them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When both aspirated consonants and hard consonants are enter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e repeated selection order may be basic consonants (1 stroke) - hard consonants (2 strokes) - aspirated consonants (3 strokes). It can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and it can be regarded as inputting the aspirated sound with 3 strokes of the button to which the basic consonant belongs), and the basic consonant (1 stroke) - aspirated sound (2 strokes) - hard sound (3 strokes) . For convenience, the former case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ior consonant repeated selection 3 vowel method", and the latter case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ior consonant repetition selection 3 vowel method". For convenience, the several described in this paragraph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triple consonant/consonant repetition selection method".

또한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을 유지하면서, "격음/경음 반복선택 3 모음법"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격음/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을 유지하면서,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격음/경음 컨트 롤처리 3모음법을 유지하면서, 격음만의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혹은 경음만의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선경음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선격음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반대로 격음 /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을 유지하면서, 격음만의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경음만의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경음, 격음 모두의 컨트롤처 리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혹은 경음은 컨트롤처리방법으로만 입력하고, 격음 은 반복선택방법으로만 입력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격음은 컨트롤처리방법으로만 입력하고, 경음은 반복선택방법(즉, 기본자음의 조합)으로만 입력할 수도 있다. 예시한 바와 유사한 조합이 더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편의상 "격음/경음 컨트 롤처리 반복선택 혼용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격음과 경음의 입력방식을 특별히 지정하지 않은 경우를 일반적으로 지칭하여, 편의상 "10자음 3모음법"이라 하기로 한다. 경음과 격음의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한 입력방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the aspirated/hard consonant control processing 3 vowel method, the "aspirated/hard consonant repeated selection 3 vowel method" can be applied. can also be applied. While maintaining the three-vowel control method for aspirated consonants/hard consonant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for only aspirated consonants, or to appl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for only tense consonants, or to appl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for prior tense consonants.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such as applying the aspirated consonant repetition selection method. Conversely, while maintaining the three-vowel method of repeated selection of aspirated consonants and tense consonant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only the aspirated consonant,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only the aspirated consonant, or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both the aspirated consonant and the aspirated consonant. have. Alternatively, aspirated consonants can be entered only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aspirated consonants can be entered only by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Conversely, aspirated consonants are entered only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tense consonants are entered only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e.,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You may. Combinations similar to those exemplified may further exist, and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the “triple vowel method using aspirated consonant/serious consonant control process repeated selection mixed use”. In general, the case where the input method of aspirated consonants and tense consonants is not specifically designated is referred to as "10 consonant three-vowel method" for convenience. In case of inputting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the user to set a convenient input method.

격음과 경음의 입력에 모두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격음/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 적용시에 발생하는 모호성의 빈도는 약 140 글자에 한 글자꼴로 삼성전 자社의 입력시스템에서 약 15글자에 한글자 꼴로 발생하는 것보다 훨씬 더 적게 발생한다. 격음 혹은 경음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던,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던, 각 숫자버튼에 격음 혹은 경음을 추가로 배정하고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The frequency of ambiguity that occurs whe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for both aspirated and tense sounds is about 1 in 140 characters, which is about 15 characters in Samsung Electronics' input system. It occurs much less often than it does in Hangul characters. Whether the aspirated or aspirated consonant is input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or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the aspirated or aspirated consonant may be additionally allocated and arranged to each number button, and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4.1.2. 10자음 4모음법 4.1.2. 10 consonant four vowel method

도4-5 및 도4-9 의 사례를 풀어 도4-6에서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도4- 6에서도 도4-5에서와 동일한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도4-6에서 보듯이 이 는 한국어의 모음 "ㅕ" 혹은 "ㅛ" 등을 입력시 필요한 모음요소 ":(경우에 따라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획으로 작용하나 여기서는 편의상 수평방향의 획 ':' 으로 표시)" 를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하여 같은 버튼에 배정하고, 모음요소 ".", ":" 을 각각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배정된 버튼 1타, 2타로 각각 선택하되, 모음요소 ":"을 명시적으로 버튼상에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도 4-6에서와 같이 명시적으로 배정하고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키패드에 표시된 알 파벳을 선택하도록 하더라도 결과는 같다. 그러나 모음요소 ":"을 굳이 버튼상에 표시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모음요소 "."의 조합(즉 ":" = "." + "." = [0]+[0])으로 입력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결국 도4-5 역시 4개의 모 음요소("ㅡ", ".", ":", "ㅣ")를 이용하되,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 9버튼탈락자 음 3가지 중의 하나를 모음요소 "."과 모음요소 ":" 와 함께 그룹핑하여 임의의 버튼에 배정하고, ".", ":" 그리고 함께 배정된 9버튼 탈락자음(도4-5의 사례에서)을 각각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하되, 모음요소 ":"을 버튼상에 표 시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10자음 3모음법"과 같은 결과이나, 편의상 "10자음 점(點)모음요소 반복선택 3모음법" 혹은 "10자음 점(點)모음요소 반복선택 4모음법" 혹은 "10자음 점(點)모음요소 반복선택 모음요 소법"이라 부른다. 경음과 격음은 전술한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 다. 사실상 같은 결과이나 특별히 별도의 명칭을 붙여 설명하는 것은 도4-5역시 4개의 모음요소를 활용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되, 모음요소 ":"를 단지 버튼 상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말하려 함이고(도4-5와 같이 표시하 지 않더라도 입력방법과 입력시스템을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도4-6에서와 동일), 이는 기존의 삼성전자社의 한글입력시스템이 단지 3개의 모음요소만을 활용하는 접근방법 이었음에 반하여, 출원인이 제시한 입력시스템은 다른 관점(4개의 모음 요소 활용)에서 볼 수 있는 것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The cases of FIGS. 4-5 and 4-9 can be solved and expressed as in FIGS. 4-6. In Figures 4-6, the same input method as in Figures 4-5 can be applied. As shown in Figures 4-6, this is a vowel element necessary for inputting Korean vowels "ㅕ" or "ㅛ", etc. It acts as a horizontal or vertical stroke, but here, for convenience, the horizontal stroke ':')" is grouped together with the vowel element "." and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nd the vowel elements ".", ":" It can be seen that the button 1 and 2 are selected respectively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ut the vowel element “:” is not explicitly placed on the button. Of course, as shown in FIGS. 4-6, the result is the same even if it is explicitly assigned and the alphabet displayed on the keypad is selected by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However, even if the vowel element ":" is not displayed on the button, the user intuitively inputs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element "." (i.e. ":" = "." + "." = [0]+[0]). can be thought of as In the end, Figures 4-5 also use four vowel elements ("ㅡ", ".", ":", "ㅣ"), but one of the three vowel elements " Grouped with "." and the vowel element ":" and assigned to an arbitrary button, ".", ":" and the 9 button dropped consonants (in the case of Figs. 4-5) assigned together, respectively,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vowel element ":" is not displayed on the button. This is the same result as the above-mentioned “10 consonant 3 vowel method”, but for convenience, “10 consonant dot vowel element repeated selection 3 vowel method” or “10 consonant dot vowel element repeated selection 4 vowel method” or “10 consonant dot vowel element repeated selection 4 vowel method” It is called the consonant point (點) vowel element repetition selection vowel element method". A tense sound and a vowel sound can be input by the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In fact, the same result, but the explanation with a separate name means that Fig. 4-5 also utilizes four vowel elements and applies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ut it can be seen that the vowel element ":" is not displayed on the button. (Even if it is not displayed as in Fig. 4-5, the input method and the algorithm constituting the input system are the same as in Fig. 4-6), which means that the existing Korean input system of Samsung Electronics only uses three vowel elements. While it was an approach that utilizes, the input system presented by the applicant intends to emphasize what can be see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using four vowel elements).

도4-7은 모음요소 ":"을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하지 않고, 각기 다른 그룹으로 그룹핑한 경우를 보여준다. 즉 4개의 모음요소("ㅡ", ".", ":", "ㅣ") 가 각각 다른 버튼에 배정되며, 이를 편의상 "10자음 4모음법" 혹은 "4모음법"이 라 부르기로 한다. 4모음법은 3모음법과 통하는 점이 많으므로 비교적 간단히 설 명하며, 3모음법에서 설명한 내용중 4모음법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4모음법에 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용어 역시 3모음법에서 사용한 용어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7 shows a case where the vowel element ":" is not grouped together with the vowel element ".", but grouped into different groups. That is, four vowel elements (“ㅡ”, “.”, “:”, “ㅣ”) are assigned to different buttons, and for convenience, this is called “10 consonant 4 vowel method” or “4 vowel method”. . Since the 4-vowel method has many points in common with the 3-vowel method, it will be explained relatively briefly. Terminology can also be used similarly to the term used in the three-vowel method.

4모음법에서 마찬가지로 10개의 기본자음 중 격음과 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2개의 기본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을 8개의 버튼에 각각 배정하고, 4개의 모음 요소 하나하나와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 8개의 버튼에 배정되지 않은 2개의 자 음(편의상 "8버튼 탈락자음" 혹은 "10-8자음" 혹은 더 간단히 "-8자음" 이라 부름)을 각각 2개씩 그룹핑하여 모음요소는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고, 함께 배 정된 컨트롤 혹은 탈락자음들은 배정된 버튼 2타로 입력(즉, 반복선택방법에 의하 여 입력)할 수 있다. As in the 4 vowel method, among the 10 basic consonants, except for the 2 basic consonants that do not have aspirated and aspirated consonants, the remaining consonants are assigned to 8 buttons,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4 vowel elements, aspirated consonant control, and aspirated consonant control, 8 buttons The two consonants not assigned to (for convenience, called "8 button dropped consonants" or "10-8 consonants" or more simply "-8 consonants") are grouped by two each, and the vowel elements are entered with one stroke of the assigned button , Controls or dropped consonants assigned together can be entered with two strokes of the assigned button (i.e., enter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여기서도 10개의 기본자음이 각 숫자버튼에 배정되도록 함으로써 암기용으 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음요소 "."을 모양이 유사한 [0] 버튼 에 배정하고, 숫자 "0" 안에 표시함으로써 버튼상 간결한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혹은 숫자안의 표시를 생략해도 모양이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쉽게 인 지할 수 있음), 모음요소 ":"을 모양이 유사한 [8] 버튼에 배정하고, 숫자 "8" 내 부에 표시함으로써(혹은 숫자안의 표시를 생략해도 모양이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음) 버튼당 외형적으로 단 하나의 알파벳만을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7에서와 같이 모음 "ㅡ", "ㅣ"가 배정되는 버튼이 [*] 버 튼 및 [#] 버튼인 경우 한국어의 다양한 모음을 입력시 인접한 버튼을 누르게 되 어 운지거리를 적게하는 효과가 있다. Here, too, it is possible to use it for memorization by assigning 10 basic consonants to each number button. In addition, by assigning the vowel element "." to the [0] button with a similar shape and displaying it within the number "0", concise placement on the button can be enabled (or the shape is similar even if the display within the number is omitted, so the user can easily recognizable), by assigning the vowel element ":" to the [8] button with a similar shape, and displaying it inside the number "8" (or omitting the mark inside the number, the shape is similar, so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only one alphabet can be placed per button. As shown in Fig. 4-7, if the buttons to which the vowels "ㅡ" and "ㅣ" are assigned are the [*] button and the [#] button, pressing the adjacent button when inputting various vowels in Korean reduces the fingering distance It works.

4모음법의 경우도 격음과 경음의 입력에 있어서, 3모음법의 경우와 마찬가 지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편의상 "격음/경음 반복선 택 4모음법"이라 부른다. 또한 3모음법에서의 사례와 같이 반복선택방법을 혼용 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편의상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반복선택 혼용 4모음법"이라 한다. In the case of the 4-vowel method,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3-vowel metho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input of aspirated and tense consonants, and this method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4-vowel method for aspirated/hard consonant repetition selection" for convenience.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3-vowel method,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n combination, and it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four-vowel method using repeated selection with aspirated sound / hard sound control processing" for convenience.

도4-7의 키패드 역시 반복선택방법 관점에서 도4-8와 같이 풀어 표현할 수 있다. 도4-6과 도4-8를 비교해 보면, 도4-5와 도4-7의 차이를 명확히 알 수 있게 된다. 도4-8는 도4-6에서 [0]버튼 2타로 선택하던 모음요소 ":"을 [8]버튼으로 옮 겨 1타로 입력하도록 한 것과 같은 결과이다(물론 기본자음의 배치는 도4-6과 도4-8가 약간 다르지만 이는 통일하면 되므로). 또한 점2개로 이루어진 모음요소 ":"을 수평방향의 모음요소 ":"와 수직방향의 모음요소 ".."로 나누어 적용할 수 도 있으며, 굳이 이름을 붙인다면 5개 모음요소("ㅡ", ".", ":", "..", "ㅣ")를 이용한 "5모음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4-7의 4모음법에 비하여, 입 력타수, 인식능력 향상 등의 면에서 우수한 점이 별로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The keypad of FIGS. 4-7 can also be solved and expressed as shown in FIGS. 4-8 from the viewpoint of th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Comparing Figs. 4-6 and 4-8, the difference between Figs. 4-5 and 4-7 can be clearly seen. 4-8 is the same result as the vowel element ":" selected with two strokes of the [0] button in Fig. 6 and Figures 4-8 are slightly different, but this can be unified). In addition, the vowel element ":" consisting of two dots can be applied by dividing it into a horizontal vowel element ":" and a vertical vowel element "..", and if you dare to name it, five vowel elements ("ㅡ" , ".", ":", "..", "ㅣ") can be called the "five vowel method". However, compared to the 4-vowel method of FIGS. 4-7, there are not many advantages in terms of input strokes, recognition ability improvement, etc., so they are not mentioned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모음요소 "." 과 ":"을 [*] 버튼 및 [#] 버튼에 배정할 수도 있으나, 이 경 우는 도4-7에서와 같이 모음요소를 숫자 안에 표시함으로써, 표면적으로 단 하나 의 알파벳만 배치할 수 없게 된다. The vowel element "." and ":" can be assigned to the [*] button and the [#] button, bu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

도4-7을 기준으로 입력예를 들면 ㅕ = : + ㅣ = [8]+[#], ㅑ = ㅣ + : = [#]+[8], ㅠ = ㅡ + : = [*]+[8] 이 되며, 8버튼 탈락자음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 여 입력시, ㅁ = [8]+[8], ㅎ = [8]+[8] 이 된다. 만약 모음요소 ":"을 모음요소 "." 이 배치된 버튼 2타로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면, "ㅎ"은 선출원에서와 마찬가 지로 "."이 배정된 버튼 3타로 입력하도록 하면 된다. For example, input based on Fig. 4-7: ㅕ = : + ㅣ = [8] + [#], ㅑ = ㅣ + : = [#] + [8], ㅠ = ㅡ + : = [*] + [ 8], and when inputting the 8-button dropped consonant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ㅁ = [8]+[8], ㅎ = [8]+[8]. If the vowel element ":" is replaced with the vowel element "." If it is allowed to input with 2 strokes of this arranged button, "ㅎ" can be entered with 3 strokes of the button assigned with ".", a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입력예로, "워" 혹은 "웨"의 경우 모음 "ㅡ"와 "ㅣ" 사이의 점모양의 모음 요소 ".."은 모음요소 ":"으로 입력하면 된다. 시스템에서 일시적으로 "유 + ..." 를 입력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유" 다음에 모음 "ㅣ"가 나올 수 없으 므로 시스템은 "워"를 입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10자음 점(點)모음요소 반복선택 3모음법"에서도 "워"의 경우 "ㅡ"와 "ㅣ" 사이의 점모양의 모음요소를 입력시 모음요소 "."을 두번 입력하는 것으로 혹은 모음요소 ":"을 한번 입력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As an input example, in the case of "wo" or "we", the dotted vowel element ".." between the vowels "ㅡ" and "ㅣ" can be entered as the vowel element ":". The system may recognize that you have entered "U + ..." temporarily, but since the vowel "ㅣ" cannot appear after "U", the system may recognize that you have entered "Wo". In the "10 consonant dot vowel element repeat selection 3 vowel method", in the case of "Wo", when entering a dot-shaped vowel element between "ㅡ" and "ㅣ", enter the vowel element "." twice or a vowel It can be understood as entering the element ":" once.

위에서 설명한 내용중의 일부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복선 택방법을 적용하여 키패드에서 한국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3개의 모음요소(ㅡ, ., ㅣ)를 이용한 방법은 10개의 자음평음과 3개의 모음요소, 그리고 2개의 컨트롤(경 음, 격음) 도합 15개의 요소를 4*3 키패드 내에 그룹핑하고 배정하여 반복선택방 법을 적용하되, "3개의 모음요소"와 "2개의 컨트롤 및 1개의 자음평음(9버튼 탈락 자음)"을 각기 그룹핑하여 배정한 것이다. Some of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re explained again as follows. First, when inputting Korean on the keypad by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e method using three vowel elements (ㅡ, ., ㅣ) uses 10 consonant plain sounds, three vowel elements, and two controls (warp, aspirated sound) ) A total of 15 elements are grouped and assigned in a 4*3 keypad to appl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ut grouping "3 vowel elements" and "2 controls and 1 consonant plain sound (9 button dropped consonants)" respectively it is assigned

4개의 모음요소(ㅡ, ., :, ㅣ)를 이용한 방법은, 10개의 자음평음과 4개의 모음요소, 그리고 2개의 컨트롤 도합 16개 요소를 4*3 키패드 내에 그룹핑하고 배 정하여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되, "4개의 모음요소"와 "2개의 컨트롤 및 2개의 자 음평음(8버튼 탈락자음)"을 각기 그룹핑하여 배정한 것이다.The method using 4 vowel elements (ㅡ, ., :, ㅣ) is a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grouping and assigning 10 consonant plain sounds, 4 vowel elements, and 16 elements including 2 controls in a 4*3 keypad. However, "4 vowel elements" and "2 controls and 2 consonants (8 button dropped consonants)" are grouped and assigned respectively.

두가지 방법 모두에서 심플코드(특히 음절기준 이니셜코드)의 자연스러운 활용을 위하여 10개의 자음평음이 10개의 숫자버튼에 배정되도록 배려한 사례를 보였다. For the natural use of simple codes (especially syllable-based initial codes) in both methods, a case was shown in which 10 consonant plain sounds were assigned to 10 number buttons.

출원인이 제시한 3모음법(앞에서 제목을 붙인 여러가지 3모음법을 통칭)과 4모음법은 특정언어(여기서는 한국어)의 여러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반복선택방법 을 적용하여도 거의 모호성 없이 혹은 전혀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 시한 것이다. 이는 키패드에 표시된 알파벳을 반복선택방법을 이용하여 입력함에 있어서, 특히 한국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제시한 "언어제한 입력방법" 중에서도 "언어제한 반복선택방법" 중에서도 "한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에 최적화된 한국어 입력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3-vowel method (collectively referring to the various 3-vowel methods titled above) and the 4-vowel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use various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language (in this case, Korean) and have little or no ambiguity even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t provides a way to enter. This is because in inputting the alphabet displayed on the keypad us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especially in inputting Korean, among the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s" presented by the applican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for Korean restrictions" among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s for language restrictions" It can be seen as suggesting a Korean input method optimized for ".

이는 사실상 선출원에서 출원인이 제시한 바, 한국어등에 있어서, 기본자음 과 기본모음의 쌍을 각 버튼에 배정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출현규칙(즉, 단어생성규칙, 알파벳 결합규칙)을 이용하여 반복선택방법에 서의 모호성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을 보인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 한국어의 3 개 모음요소 혹은 4개 모음요소를 이용한 도4-5 ~ 도4-8에서 한국어의 모음(요소) "ㅡ", "ㅣ" 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으며,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선출원의 예시에서 "ㅖ")에도 모음을 입력한 것인지 컨트롤을 입력한 것인지를 알 수 있는 성질을 이 용하여 모음요소와 함께 배정된 경음컨트롤, 격음컨트롤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유사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In fact, as suggested by the applicant in the earlier application, when a pair of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is assigned to each button in Korean, etc.,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he Korean consonant and vowel appearance rules (i.e., word generation rules, alphabet It is in the same context as showing that ambiguity in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can be greatly reduced by using the combination rule). In Figures 4-5 to 4-8 using three Korean vowel elements or four vowel elements, Korean vowels (elements) "ㅡ" and "ㅣ" do not appear consecutively, but appear consecutively (example of prior application In "ㅖ"), it is also understandable from a similar point of view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consonant control and the vowel control assigned with the vowel element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using the property of knowing whether a vowel or a control is entered in "ㅖ"). can

4.1.3.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4모음법 및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 롤처리 3모음법/4모음법 4.1.3. Complete control processing 3-vowel method/4-vowel method and using the dropped consonant assignment button Complete control processing 3-vowel method/4-vowel method

도4-5에서 격음과 경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더라도, "이허 <=> 아히", "이혀 <=> 아허 <=> 야히" 와 같은 경우에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양자의 풀코드 값은 모두 같으므로). 예시에서 모음 "ㅣ" 대신 "ㅡ"가 사용된 경우도 같으며, 이와 유사한 다른 경우도 한국어를 아는 사람이면 알 수 있을 것 이다. 그러나, 실제 단어에서 이러한 경우가 다수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선출원 에서 언급한 "연타지연시간"과 "이타지연시간"의 설정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극복 할 수 있다. 도4-7의 4모음법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4-7에 서는 "아허 <=> 야히"와 같은 경우는 없으나, "이며 <=> 야미" 와 같은 경우가 있 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많은 경우는 아니며 시간지연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 발생횟수는 실제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사용빈도에 기초하여 조사해 볼 수 있으나, 수백 글자에 한글자 꼴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사실상 이로 인하여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n FIG. 4-5, even if the aspirated consonant and the tense consonant ar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mbiguity may occur in the case of "iheo <=> ahi" and "iheo <=> aheo <=> yahi" (both full codes values are all the same). In the example, the case where "ㅡ" is used instead of the vowel "ㅣ" is the same, and other similar cases will be known to those who know Korean. However, this case does not occur in many cases in actual words, and can be effectively overcome through the setting of the "battery delay time" and "other delay time"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re may be a similar case in the 4-vowel method of FIGS. 4-7. In FIGS. 4-7, there is no case like "ahhe <=> yahi", but there may be cases like "and <=> yami". However, this is also not a common case and can be overcome through time delay. The number of occurrences can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actual use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but since it is expected to occur in the form of Korean characters in hundreds of character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virtually no cases where ambiguity occurs due to this.

물론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4-5와 같은 3모음법에서 9버튼 탈락자 음(예시 도면에서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경음 혹은 격음)으로 간주하여 입력 하면 모호성없이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ㅎ = ㅇ + {격음} = [8]+[*]+[*] 으로 입력하는 것이었다. 이를 편의상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5와 유사한 형태의 4모음법에서도 8버튼 탈락자음(예시 도면에 서 "ㅎ"과 "ㅁ")을 컨트롤 처리방법에 의하여(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ㅁ"을 "ㄴ"의 변형알파벳으로,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다. 편의상 "완전컨트롤처리 4모음법"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f you input the 9-button dropout sound ("ㅎ" in the example drawing) in the 3-vowel method as shown in Figs. It is possible. For example, heh = ㅇ + {aspirated consonant} = [8]+[*]+[*].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the "complete control processing 3 vowel method". Likewise, in the 4-vowel method similar to 5, the 8-button dropped consonants ("ㅎ" and "ㅁ" in the example drawing) are controlled by the method (as described, for example, "ㅁ" is converted to "ㄴ" in the modified alphabet) , "ㅎ"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of "ㅇ") and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For convenience, it may be called the "complete control processing 4 vowel method".

그러나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 / 4모음법에 의하여 9버튼/8버튼 탈락자음 을 입력하는 것은 심플코드의 활용과 관련하여 자연스러움을 저해하게 된다. 따 라서 본 발명에서는 3모음법에서 9버튼 탈락자음(예에서 "ㅎ")을 해당 알파벳이 배정된 버튼과 컨트롤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을 제시한다(컨트롤 후입력의 경우 만 적용되며 예시 설명). 예를 들어 도4-5의 3모음법에서 ㅎ = . + {격음} = [0]+[*]+[*] 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9버튼 탈락자음을 해당 알파벳이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되는 모음요소 "." 의 변형알파벳 처럼 입력하는 것이다. 이 방법 역시 모호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면서, "ㅎ"의 입력에 [0] 버튼을 사 용함으로써, 심플코드의 활용에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탈 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이는 4모음법 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ㅎ"을 앞 글자가 종자음 (받침)이 있는 글자로 끝나고(예. "각") 그 다음에 "ㅎ" 입력시, 일시적으로 "가 고+ㅡ"로 인식될 수 있으나, 역시 모음 "ㅡ"+"ㅡ"에 대하여 연속하여 나올 수 없 으므로,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트롤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고"의 모 음요소 "."이 격음컨트롤과 결합할 수 없으므로 ".+ㅡ+ㅡ"가 "ㅎ"을 입력한 것으 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앞글자가 종자음 없이 모음요소 "."과 결합할 수 있는 모음(예. "ㅣ", "ㅡ", "ㅏ", "ㅜ" 등)으로 끝난 경우는 "ㅎ"을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된 값 "0**" 에서 "0"는 일시적으로 앞 모음과 결합되고, 모음 "ㅡ" +"ㅡ"가 입력된 것으로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마찬가지로 시스 템이 "**" 입력값이 컨트롤을 선택한 것을 알 수 있고, 선행하는 모음요소 "."과 결합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은 "ㅎ"을 입력한 것을 알 수 있게된다. 조금 더 나 아가 앞 글자가 모음요소 "."과 결합할 수 없는 모음(예. "ㅣ", "ㅏ", "ㅜ" 를 제 외한 나머지 모음)으로 글자가 끝난 경우는 [0] 버튼 입력시 "ㅎ"을 입력한 것으 로 시스템이 간주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0] 다음 "**" 이 입력되더라도 결국 "ㅎ"을 입력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However, inputting 9-button/8-button dropped consonants by the 3-vowel method / 4-vowel method of complete control hinders naturalness in relation to the use of simple code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o input the 9-button dropped consonants ("ㅎ" in the example) in the 3-vowel method with a combination of buttons and control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alphabet (applicable only to input after control, example description). For example, in the three-vowel method of Figures 4-5, heh = . + {aspirated consonant} = [0]+[*]+[*]. This is like a vowel element "." that inputs the 9-button dropped consonant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alphabet is assigned. It is entered like a modified alphabet of . This method can also completely remove ambiguity, and by using the [0] button to input "ㅎ", it is possible to maintain naturalness in the use of simple codes.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complete control processing using the dropped consonant assignment button".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4-vowel method. If this method is applied, the first letter of "ㅎ" ends with a letter with a seed sound (support) (eg "Gak"), and then when "ㅎ" is input, it can be temporarily recognized as "Go + ㅡ". However, since the vowel "ㅡ" + "ㅡ" cannot appear consecutively, the system can recognize that the user has selected the control, and the vowel element "." of "go" can be combined with the vowel control. Since there is no ".+ㅡ+ㅡ", the system can recognize it as "ㅎ". If the preceding letter ends with a vowel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vowel element "." In the value "0**", "0" is temporarily combined with the preceding vowel, and the system can temporarily recognize that the vowel "ㅡ" + "ㅡ" has been entered, but the system can similarly recognize the input value of "**" It knows that this control is selected, and since i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preceding vowel element ".", the system knows that "ㅎ" is entered. Further, if the letter ends with a vowel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vowel element "." The system may consider it as inputting "ㅎ" and display it to the user. Also, even if "**" is entered after [0], it can be regarded as having entered "ㅎ" after all.

여기서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4모음법도 포함)에서 탈락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버튼으로는 모음 "ㅡ"가 배정된 버튼이 이용되어 야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ㅔ", "ㅖ"의 경우가 한국어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4모음법 역 시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도4-7에서 [8] 버튼에 배정된 "ㅁ"을 입력시, ㅁ = [8]+[*]+[*] 로 입력할 수 있다.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4모음법 에서의 입력 사례는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ㅡ" must be used as a control button for inputting the dropped consonant in the 3-vowel method (including the 4-vowel method) for complete control processing using the dropped consonant assignment button.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is because the cases of "ㅔ" and "ㅖ" exist in Korean. The four-vowel method of complete control using the dropped consonant assignment button is also the same. Similarly, when "ㅁ" assigned to the [8] button in Fig. 4-7 is input, ㅁ = [8] + [*] + [*] can be entered. Full control processing using the dropped consonant assignment button Since the input case in the 4-vowel method is the same, it is omitted.

4.2.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4.2. Temporary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선출원에서 "연타지연시간"과 "이타지연시간" 을 하나의 버튼에 3개 이상의 알파벳이 배정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표준 영어키패드 에서 연타지연시간을 0.1초로 설정하여 [2] 버튼이 0.1초 이내에 2번 눌러지면, B 를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간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said that "delay delay time" and "delay delay time" can be applied even when three or more alphabets are assigned to one button. For example, if the [2] button is pressed twice within 0.1 second by setting the hitting delay time to 0.1 second on the standard English keypad, the system can consider that B has been entered.

마찬가지로 [2] 버튼이 연속 3번 눌러졌을 때(즉, [2]+[2]+[2]), 첫번째 입 력값과 두번째 입력값(즉, 첫번째 [2] 버튼과 두번째 [2] 버튼) 사이의 지연시간 간격이 연타지연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예. 0.1 초) 이내이고, 두번째 입력값과 세 번째 입력값 사이의 지연시간 간격이 연타지연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예. 0.1초) 이내이면(즉 [2] + 0.1초 이내 + [2] + 0.1초 이내 + [2]), C 를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2] 버튼이 연속 3번 눌러졌을 때(즉, [2]+[2]+[2]) 전체 입력시간이 연타지연시간의 2배(예. 0.2초) 이내이면, C 를 입 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Likewise, when the [2]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i.e., [2]+[2]+[2]), the first input value and the second input value (i.e., the first [2] button and the second [2] button) If the delay time interval between is within the time set as the hitting delay time (eg 0.1 second), and the delay tim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input value and the third input value is within the time set as the hitting delay time (eg 0.1 second) ( That is, [2] + within 0.1 seconds + [2] + within 0.1 seconds + [2]), and the system can recognize that C is entered. Or, when the [2] button is pressed 3 times in succession (i.e., [2]+[2]+[2]), if the total input time is within twice the delay time (e.g. 0.2 sec), enter C. You can also make the system recognize it.

선출원 및 본출원에서 언급한 각종의 지연시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 various delay time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the main applic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연타지연시간 ≤ 이타지연시간 ≤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 Continuous hitting delay time ≤ Hitting delay time ≤ Temporary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3가지 지연시간은 모두 같게 설정될 수도 있으나, 연타지연시간보다는 이타 지연시간을 길게, 그리고 이타지연시간보다는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을 길 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ll three delay times may be set the same, but it would be preferable to set the delay time longer than the continuous hitting delay time, and the temporary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longer than the other delay time.

4.3.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서버 시스템간의 호응 4.3. Interaction between client system and server system

선출원(우선권 주장을 통한 2000년 출원)에서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프 로그램은 단말기(클라이언트)측에 탑재될 수도 있고, 서버측에 탑재될 수도 있다 고 하였다. 서버측에 탑재되는 경우는 클라이언트측에서 숫자로된 입력값을 서버 측에 전송하고 서버측에서 입력값을 해석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단말기)와 서 버로 이루어진 전체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측에서 입력값을 해석하여 문자열을 서 버측으로 전송하는 형태도 가능하다고 하였다. 이 역시 출원인의 모든 문자입력 방법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e earlier application (filed in 2000 through claiming priority), it was said that the alphabet input program on the keypad could be loaded on the terminal (client) side or on the server side. 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on the server side, the client side transmits numerical input values to the server side, and the server side interprets the input values. In the entire system consisting of a client (terminal) and a server, it was also possible to interpret the input value on the client side and transmit the character string to the server side. It is obvious that this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ll character input methods of the applicant.

4.4. 4*3 키패드 외의 별도의 버튼의 사용 4.4. Use of separate buttons other than 4*3 keypad

앞에서 4*3키패드내에서 한국어의 입력을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4*3 키패드 이외의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모음요소 혹은 모음요소의 일부를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5에서 모음요소 "."을 별도의 버튼에 배정하게되면 함께 배정된 탈락자음 "ㅎ"은 배정된 버튼 1타로 선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4-7에서 모음요소 "."과 ":"을 별도의 버튼(하나의 버튼에 2 개를 둘 수도 있고, 각각을 2개의 버튼에 둘 수도 있음)에 배정하면, 8버튼 탈락 자음 "ㅁ"은 배정된 버튼 1타로 선택할 수 있다. Previously, a method to perfectly process Korean input within the 4*3 keypad was presented. However, a vowel element or a part of a vowel element may be assigned using a separate button other than the 4*3 keypad. For example, in FIGS. 4-5, if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to a separate button, the dropped consonant "ㅎ" assigned together is selected as one stroke of the assigned button. Similarly, in Fig. 4-7, if the vowel elements "." and ":" are assigned to separate buttons (two can be placed on one button, or each can be placed on two buttons), the 8-button dropped consonant " ㅁ" can be selected with one stroke of the assigned button.

또한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되, 문자입력모드에서 자주사용되지 않는 상이동 버튼, 하이동버튼, 혹은 좌이동버튼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button may be used, but an up movement button, a high movement button, or a left movement button, which are not frequently used in the text input mode, may be used.

4.5. 한국어 고어 알파벳의 입력 4.5. Typing of the Korean Archaic Alphabet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한국어의 고어를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goes further and proposes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archaic words through a keypad.

한국어에 있어서 현대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고어(소실 알파벳)로는 모음은 아래아("ㆍ"으로 표시), 자음은 반치음(삼각형 "ㅿ"으로 표시), 여린 히읗("ㅎ"에 서 점이 없는 상태로 "ㆆ"로 표시), 옛이응("ㅇ"에 위에 점이 붙은 모양으로 "ㆁ"로 표시), 순경음("ㅂ"아래에 원이 붙은 모양으로 "ㅸ"으로 표시") 등이 있 다. In Korean, archaic words (losing alphabets) that are rarely used in modern times, vowels are araeah (represented by "ㆍ"), consonants are half-chium (represented by triangle "ㅿ"), and soft hig (without a dot in "ㅎ") There are “ㆆ”), Yeeeeung (“ㅇ” with a dot on top and “ㆁ”), and Soongyeongeum (“ㅅ” with a circle attached on it and “ㅸ”).

고어중에서 모음 아래아의 경우는 비교적 현대어에 있어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ㄱ.ㅁ.고을"이라는 상호에서, 또 한글과 컴퓨터사에서 만든 유 명한 워드프로세서 "ㅎ.ㄴ글" 등에서 사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ㄱ.ㅁ.고을"에 서 "ㄱ+."이 한 글자이고 "ㅁ+."이 한 글자이며, "ㅎ.ㄴ글"에서 "ㅎ+.+ㄴ"이 한 글자이나 특허청 편집기에서 아래아를 지원하지 않아 이와 같이 표기함). 예에서 와 같이 모음 아래아는 각종 상호에서 많이 사용되므로 전화번호부 등의 입력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mong the archaic words, the vowel lower ah is often used even in relatively modern words. For example, it can be seen in the trade name "ㄱ.ㅁ.goeul", and also in "ㅎ.ㄴgeul", a famous word processor made by Hangeul and computer companies (in "ㄱ.ㅁ.goeul", "ㄱ" +." is one letter, "ㅁ+." is one letter, and "ㅎ+.+ㄴ" in "ㅎ.ㄴwriting" is one letter, but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editor does not support downa, so it is written like this). As in the example, the vowel ariha is often used in various trade names, so it can be usefully used for input such as a phone book.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모음 아래아는 모음요소 "."과 동일한 모양이므로 모 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 1타로 아래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면 자연스럽게 모 음 아래아를 입력할 수 있다. 모음 아래아 다음에 연속하여 다른 모음이 나오는 경우는 없으므로 입력규칙은 변화가 없다(만약 그러한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고 어의 모음 아래아가 자주 사용되지 않으므로 아래아 다음에 연속하여 다른 모음이 나오지 않는 것으로 하면 된다). 물론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이 두번 눌려 지면, 이는 모음 아래아가 두번 연속하여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ㅕ" 혹은 "ㅖ"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음 "ㅣ" 다음에 모음요소 "."이 두번 연속하여 눌러지면, 모음 "ㅑ" 혹은 모음 "ㅒ"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다. In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the vowel anaerah has the same shape as the vowel element ".", so if the vowel element "." There is no case where another vowel appears consecutively after the vowel ariah, so the input rule does not change. . Of course, if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is pressed twice, the system can recognize that it is for inputting "ㅕ" or "ㅖ" rather than being input twice consecutively under the vowel. Likewise, if the vowel element "."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after the vowel "ㅣ", the system may recognize that the vowel "ㅑ" or the vowel "ㅒ" is input.

고어의 자음 역시 기본자음(자음 평음)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치음 "ㅿ" 는 "ㅅ"의 변형알파벳(예. 격음)으로 간주하고, 여린 히읗 "ㆆ"은 "ㅇ"의 변형알파벳(예. 격음 혹은 경음)으로 간주하고, 옛이응 "ㆁ"는 "ㅇ"의 변형알파벳(격음 혹은 경음)으로 간주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순경음 "ㅸ"의 경우도 입력방법을 정의할 수 있으나(예. "ㅂ"과 "ㅇ"의 조합을 가 능하게 하는 오토마타 처리), 현대 한국어에서 사실상 사용되지 않는 알파벳이고 또 "ㅂ"의 변형알파벳으로 경음 "ㅃ"과 격음 "ㅍ"이 모두 존재하므로 본 발명에서 는 더 이상 자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The consonants of old words can also be entered by considering them as modified alphabets of basic consonants (consonant plain sounds). For example, the half consonant "ㅿ"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of "ㅅ" (eg, aspirated sound), and the soft heep "ㆆ"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of "ㅇ" (eg, an aspirated sound or a hard sound), and the old one is "ㆁ" can be entered as a modified alphabet of "ㅇ" (aspirated consonant or tense consonant). The input method can also be defined in the case of the consonant sound "ㅸ" (e.g., automata processing that enables the combination of "ㅅ" and "ㅇ"), but it is an alphabet that is not actually used in modern Korean and is a modified alphabet of "ㅅ" Since both the hard consonant "ㅃ" and the aspirated consonant "P" exis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mentioned in detail any 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한가지 예를 든다면, "ㅸ = ㅂ+**** = 6****" 혹은 "ㅸ = ㅂ+#### = 6####"으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각종 기호의 입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 트롤버튼을 반복하여 사용하여 유효한 알파벳을 입력하되, 컨트롤버튼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각종 기호를 입력하는 것과 같다. "6*** = 프" 가 되나, "6****" 로 고어("ㅂ"의 변형알파벳으로써의 고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컨 트롤버튼(여기서는 모음 "ㅡ", "ㅣ"가 배정된 [*], [#] 버튼)을 반복하여 사용함 으로써 각종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Just one example, you can enter "ㅸ = ㄴ+**** = 6****" or "ㅸ = ㄴ+#### = 6####". As mentioned in the input of various symbols, the control button is used repeatedly to input valid alphabets, but it is the same as inputting various symbols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ntrol button. It becomes "6*** = プ", but you can enter an archaic language (an archaic language as a modified alphabet of "ㅅ") with "6****". Likewise, by repeatedly using the control buttons (here, the [*] and [#] buttons to which the vowels "ㅡ" and "ㅣ" are assigned) will be able to input various symbols.

고어의 자음을 입력하는 것은 출원인의 다른 선출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단 출원인의 선출원 중 모음요소(ㅡ, ., ㅣ)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모 음 아래아를 자연스럽게 그리고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Entering consonants of Gore can be applied in the same way in other earlier applications of the applicant. However, in the method using the vowel elements (ㅡ, ., ㅣ) among the previous applications of the applica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vowel lower ah can be input naturally and easily.

본 발명을 통하여 키패드를 통하여 현대 한국어에서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고어 알파벳까지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현재 모음요소를 활용한 국내 삼성전자 社의 입력방법에서도 모음 아래아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되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발명에서 비교적 현대어에서도 특별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 모음 아래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put even archaic alphabets intermittently used in modern Korean through the keypad. Currently, even in the input method of Samsung Electronics in Korea using vowel elements, it is not supported to input the vowel lower ah.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hat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even in a relatively modern language, it is possible to input the vowel underah, which is used in a special case.

4.6. 병행입력방법 적용시의 특성 4.6. Characteristics when applying parallel input method

선출원에서 "단축/풀 병행입력방법" 혹은 간단히 "병행입력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는 예를 들어, 풀입력방법을 기본입력모드로 하는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매 입력값이 입력될 때마다 시스템이 입력값을 조사하여, 입력값이 특정 풀입력방법의 풀코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시스템이 인식하는 순간, 시스템이 입 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다(이를 편의상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이라함). 혹은 반대로 단축입력방법을 기본입력모드로하는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매 입력값이 입력될 때마다 시스템이 입력값을 조사하여, 입력값이 검색대상이 되 는 심플코드의 색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시스템이 확인하는 순간, 시스 템이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 이었다(이를 편의상 "단축우선 병 행입력방법"이라 함). In the previous application, "shortened/full parallel input method" or simply "parallel input method" was explained. This is, for example, when applying the parallel input method with the full input method as the default input mode, the system examines the input value every time an input value is entered, so that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the full code of the specific full input method. The moment the system recognizes it, the system regard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d processes it (for convenience, this is called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Or conversely, when applying the parallel input method with the short input method as the default input mode, the system examines the input value every time an input value is entered, and the input value no longer exists in the index of the simple code to be searched. The moment the system confirmed that it was not, the system considered the input value as full code and processed it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short-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풀입력방법으로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사용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에서 입 력값이 풀코드생성규칙을 위배하는 순간 입력값을 단축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 쉽게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It was explained that when using the "part-to-all selection method" as the full input method, it is easily possible to process the input value as a short code at the moment when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full code generation rule i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풀입력방법으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이 풀코드를 위반하는지 명시적으로 알 수 없다. 그러나 풀입력방법으로 언어제한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입력값이 특정언어의 단어생성규칙을 위배하는 순간 시스템 이 입력값을 단축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full input method, it is not known explicitly whether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full code i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However, when applying the language-restricted iterative selection method as a full input method, the moment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word generation rule of a specific language,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hort code and process it.

한국어의 3개 모음요소(ㅡ, ., ㅣ)를 활용한 방법(도4-5의 사례)에서, 음절 기준 이니셜코드를 단축코드로 하는(즉, 검색대상이 되는 심플코드의 색인에 사용 된 심플코드가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라는 의미)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입력 값으로 "12~"가 입력되면, 두번째 입력값 "2"가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한국어 음절(글자)를 형성하는 풀코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시스템이 인지할 수 없으므 로,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한국어를 아는 사람은 모두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지만, 도4-5와 유사한 형태에서 풀우 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사용자가 심플코드(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입력하면, 대 부분의 경우 2번째 입력값이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심플코드인 것을 알 수 있는 좋은 특성이 있는 것이다. In the method using the three vowel elements (ㅡ, ., ㅣ) of Korean (examples in Figures 4-5),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is used as a short code (ie, used in the index of the simple code to be searched Simple code means syllable-based initial code) When applying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when “12~” is input as an input value, the moment the second input value “2” is input, the input value forms a Korean syllable (letter) Since the system cannot recognize that the full code cannot be achieved,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yone who knows Korean can easily recognize it, but when the user enters a simple code (syllable-based initial code) when applying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n a form similar to Figure 4-5, in most cases the second input value It has a good characteristic of knowing that the input value is a simple code the moment it is input.

이 역시 한국어의 3개 모음요소를 활용한 한국어제한 입력방법에서 입력값 이 한국어의 단어생성규칙을 위배하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 단축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한국어의 3개 모음요소를 이용한 도4-5에서 입력값으로 "100~"이 입력되면(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시스템은 사용자가 "겨" 혹은 "교"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 "ㄱ+.."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하 고 이를 출력할 수도 있으나, 4번째 입력값이 모음요소 "ㅡ" 혹은 "ㅣ"가 입력되 지 않고 숫자버튼이 입력되면,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룰 수 없으므로 그 순간 입력 값을 심플코드(단축코드)로 인식하고 심플코드 색인을 참조하여 입력값에 대응되 는 어구를 출력(시각적 수단 혹은 청각적 수단)할 수 있다. 결국 도4-5와 유사한 형태에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최대 4번째 입력값이 입력되면 시스템은 입 력값이 풀코드인지 심플코드인지를 알 수 있게된다(경음/격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 적용시). This is also in the same context as the system treat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short code) the moment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Korean word generation rule in the Korean restricted input method using three Korean vowel elements. In Figures 4-5 using three vowel elements in Korean, when "100~" is input as an input valu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the system uses "a + .." can be recognized as input and outputted, but if the fourth input value is a number button without the vowel element "ㅡ" or "ㅣ" input, the input value cannot form a full code. At that moment, the input value is recognized as a simple code (short code), and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can be output (visual means or auditory means) by referring to the simple code index. Eventually, whe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in a form similar to FIG. city).

마찬가지로 4개의 모음요소(ㅡ, ., :, ㅣ)를 이용한 도4-7에서, 풀우선 병 행입력방법 적용시, 사용자가 "18~" 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거" 혹은 "고" 를 입 력하기 위하여 "ㄱ+."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하고 출력할 수 있으나, 3번째 입력값 으로 숫자버튼(자음에 대응되는)이 입력되면,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룰 수 없으므 로, 시스템은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최대 3개의 버튼이 입력되면, 시스템은 입력값이 풀코드인지 심플코드인지를 알 수 있게 되는 좋은 특성이 있다(경음/격음 컨트롤처리 4모음법 적용시). Similarly, in FIG. 4-7 using four vowel elements (ㅡ, ., :, ㅣ), whe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when the user inputs “18~”, the system responds with “go” or “go” In order to input "a+.", it can be recognized and outputted, but if a number button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is entered as the third input value, the input value cannot form a full code,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When a maximum of three buttons are input, the system has a good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know whether the input value is a full code or a simple code (when applying the 4-vowel method of aspirated/inspired control processing).

도4-5와 도4-7에서 기본자음(자음평음)의 각 숫자버튼 배정이 다르게 되어 있으나, 도4-5와 도4-7은 단지 예시일 뿐이므로 자음평음의 배치를 동일하게 유지 할 수 있다. 도4-5에서는 [0] 버튼에 "ㅎ"을 암시적으로 배정하였고, 도4-7에서 는 모음요소 "."을 숫자 "0" 안에 암시적으로 배정하였으나, 이 역시 동일한 것임 을 지적하였다. 편의상 도4-5와 유사하게 3개의 모음요소를 활용한 입력방법을 "3모음 한국어 입력방법(더 간단히는 3모음방법 혹은 3모음법)"이라 부르고, 도4-7과 유사하게 "4개의 모음요소를 활용한 입력방법을 "4모음 한국어 입력방법 (더 간단히는 4모음방법 혹은 4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In Figs. 4-5 and 4-7, the assignment of each number button of the basic consonant (consonant plain sound) is different, but since Fig. 4-5 and Fig. 4-7 are only examples, the arrangement of consonant plain sounds can be kept the same. can In Fig. 4-5, "ㅎ" was implicitly assigned to the [0] button, and in Fig. 4-7, the vowel element "." . For convenience, similar to Fig. 4-5, the input method using three vowel elements is called "3 vowel Korean input method (more simply, 3 vowel method or 3 vowel method)", and similar to Fig. The input method using vowel elements is referred to as "4 vowel Korean input method (more simply, 4 vowel method or 4 vowel method)".

4.7. 3모음법 키패드와 4모음법 키패드간의 호환성 및 암기용키패드와 숫자 만 표시된 일반키패드에서의 적용 4.7. Compatibility between 3-vowel method keypad and 4-vowel method keypad and application to memorization keypad and general keypad displaying only numbers

도4-5의 키패드와 도4-7의 키패드에서 기본자음이 배정된 버튼이 조금 다르 게 되어 있으나, 양자의 기본자음배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 동일한 키패드에서 10자음 3모음법(예. 도4-5에서 설명한 방법) 혹은 10자음 4모 음법(예. 도4-7에서 설명한 방법) 중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에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좋은 특성(양자간의 호환성)이 있다. 더 나아가 각 숫자버튼에 한국어 자음평음을 배정한 "암기용" 키패드에서도 사용자는 10자음 3모음법, 혹은 10자음 4모음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3모 음방법 혹은 4모음방법에 익숙한 사용자는 키패드에 자음평음이 표시되어 있지 않 는 키패드에서도 심플코드의 활용 및 3모음법 또는 4모음법에 의한 한국어 입력이 가능할 것이다. 숫자만 표시된 키패드혹은 암기용으로 10개의 숫자버튼에 자음평 음만이 표시된 키패드에서 심플코드를 활용하는 것, 그리고 3모음방법 4모음방법 에 의한 한국어 입력을 이용하는 것 등이 출원인의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한 것이다. Although the buttons to which the basic consonants are assigned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 keypad of Figs. 4-5 and the keypad of Fig. 4-7, the basic consonant arrangement of both can be the same. (eg, the method described in Fig. 4-5) or the 10 consonant 4 vowel method (eg, the method described in Fig. 4-7). ) is there. Furthermore, the user can use the 10 consonant 3 vowel method or the 10 consonant 4 vowel method in the "memorization" keypad in which Korean consonant plain sounds are assigned to each number button. Going one step further, users familiar with the 3-vowel method or 4-vowel method will be able to use simple codes and input Korean by the 3-vowel method or 4-vowel method even on keypads where consonant plain sounds are not displayed on the keypad. Using a simple code on a keypad displaying only numbers or a keypad displaying only consonant sounds on 10 number buttons for memorization, and using Korean input by the 3-vowel method and 4-vowel method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applicant's invention. Inclusion is self-evident.

4.8. 탈락자음의 입력 4.8. Entering dropped consonants

선출원에서 3모음법에서의 탈락자음 "ㅎ"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완전컨트롤 처리방법을 적용시(컨트롤 후입력적용), "ㅎ = 0** = .ㅡㅡ = ㅗㅡ"로 모호성 없 이 입력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를 개선하여 단어의 처음에 탈락자음 "ㅎ" 이 나오는 경우는 [0] 버튼 1타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단어의 처음 에 모음요소 '.' 이 나오지 않으므로). 더불어 모음요소 "."이 결합할 수 없는 모음 (즉 모음요소 '.'이 결합할 수 있는 모음인 'ㅡ', 'ㅣ', 'ㅏ', 'ㅜ'를 제외 한 모음) 다음에 오는 "ㅎ"은 [0] 버튼 1타로 입력할 수 있다고 하였다. When applying the complete control processing method as a method of inputting the dropped consonant "ㅎ" in the three-vowel metho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pplying input after control), input without ambiguity as "ㅎ = 0** = .ㅡㅡ = ㅗㅡ" said it could be done. In addition, by improving this, it was possible to input with one stroke of the [0] button when the dropped consonant "ㅎ"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word (since the vowel element '.' does not appear at the beginning of the word). In addition, vowels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vowel element "." He said that "heh" can be entered with one stroke of the [0] button.

"ㅎ"을 [0]버튼 3타로 입력시, 모음요소 "." 이 결합할 수 있는 모음('.결 합가능모음') 다음에 "ㅎ"이 오는 경우는 설명한 바와 같이 "이혀 <=> 아허 <=> 야히" 와 같이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고, 모호성 없이 입력하기 위 해서는 완전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여 "ㅎ = 0**" 혹은 "ㅎ = 0*"로 입력할 수 있다고 하였다. 더불어 모호성없이 입력할 경우, 입력방식의 규칙성을 위하여 "0*" 보다는 "0**" 로 입력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여기서 탈락자음 "ㅎ"을 입력 함에 있어서 탈락자음이 배정된 버튼을 이용하여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결합가능 모음" 다음에 "ㅎ"이 오는 경우 중에서도 "ㅎ" 다음에 "."이 오는 매우 특별한 경 우에만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자음 다음에 "ㅎ"이 오는 경우는 [0] 버튼 3타로 모호성없이 "ㅎ"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자음 다음에 "ㅎ"을 입력하는 경우 "0**" 혹은 "000" 중 어느 방법을 적용하여도 모호성없이 "ㅎ"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entering "ㅎ" with 3 strokes of the [0] button, the vowel element "." It was pointed out that in the case where "ㅎ" comes after this combinable vowel ('.combinable vowel'), ambiguity may occur, such as "heh <=> aheo <=> yahi" as described above, and ambiguity In order to enter without, it was said that "ㅎ = 0**" or "ㅎ = 0*" can be entered by applying the complete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addition, when inputting without ambiguity, it is recommended to input "0**" rather than "0*" for the regularity of the input method. Here, in inputting the dropped consonant "ㅎ", whe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using the button assigned to the dropped consonant, "." It can be seen that ambiguity can arise only in special cases. Conversely, if "ㅎ" comes after a consonant, you can enter "ㅎ" without ambiguity by pressing the [0] button three times. That is, when "ㅎ" is input after a consonant, "ㅎ"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even if either method of "0**" or "000" is applied.

여기서 ".결합가능모음" 다음에 "ㅎ"이 오는 경우는 "0*"로 입력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결합불가능 모음 다음에 'ㅎ' 이 오는 경우는 [0] 버튼 1타로 입력이 가능하므로) 한국어에서 ".결합가능모음" 다음에 ".+ㅡ"가 결합되는 경 우는 없기 때문이다. Here, if "ㅎ" comes after ".combinable vowel", it can be seen that "0*" can be input. (If 'ㅎ' comes after an uncombinable vowel, you can input it with one stroke of the [0] button.) This is because ".+ㅡ" is never combined after ".combinable vowel" in Korean.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탈락자음 "ㅎ"의 입력을 최대한 편리하게 하기 위 하여 단어의 첫머리 및 ".결합불가능모음" 다음에 "ㅎ"이 나올때는 탈락자음이 배 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고, ".결합가능모음" 다음의 "ㅎ"은 "0*"로 혹은 "0**"로 입력하고, 또 자음 다음에 "ㅎ"이 나올때는 "000"으로 입력가능한 것이다. Summarizing the above, in order to make the input of the dropped consonant "ㅎ" as convenient as possible, when "ㅎ"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word and after ".uncombinable vowel", enter it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assigned to the dropped consonant, "ㅎ" after "combinable vowel" can be entered as "0*" or "0**", and when "ㅎ" appears after a consonant, it can be entered as "000".

물론 입력방식의 규칙성을 위하여 항상 "ㅎ = 0**" 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위에서 정리한 "ㅎ"의 입력방식과 병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 어 단어의 첫머리에서 "0 = ㅎ" 이 되고, 다음으로 "*"이 눌러지면 "0* = 흐"가 되고, 한번 더 "*" 이 눌러지면 다시 "0** = ㅎ"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 이 더 눌러지면 "0*** = 흐"가 되고, 다시 "*" 이 더 눌러지면 "0**** = 흐ㅡ"가 되는 것이다. Of course, for the regularity of the input method, you can always input "ㅎ = 0**".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oexist with the input method of "ㅎ" summarized above. For example, "0 = ㅎ" at the beginning of a word, then "0* = ㅎ" when "*" is pressed, and "0** = ㅎ" again when "*" is pressed once more. It will be. Here, if “*” is pressed more, “0*** = huh” becomes, and if “*” is pressed more, “0**** = huh”.

마찬가지로 ".결합가능모음" 다음에 "ㅎ"을 입력하기 위하여 "0*"을 누르고 나서, 다시 "*" 이 눌러지면 동일하게 "0** = ㅎ"가 되고(입력방식을 동일하게 '0** = ㅎ'으로 적용하므로), 다시 "*"이 눌러지면 "0*** = 흐"가 될 수도 있다. Similarly, after pressing "0*" to input "ㅎ" after ".combinable vowel", if "*" is pressed again, the same "0** = ㅎ" (the input method is the same as '0 ** = ㅎ'), if "*" is pressed again, it may become "0*** = h".

위의 내용은 후술하는 한국어의 3개의 모음(예. "ㅡ", "ㅏ", "ㅣ") 을 이용하는 사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다음에 언급하는 내용 역시 마찬가지이다. 또한 "ㅎ = .+ㅡ+ㅡ = 0**" 로 입력하는 것은 "ㅎ = ㅗ+ㅇ"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치 "ㅎ"을 써 나가는 느낌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더 나아가 "." (한국어의 3개 모음 이용시는 "ㅏ" 등) 와 결합할 수 있는 모음이 입력된 다음에 "ㅎ"을 입력할 경우에도 입력규칙의 일관성을 위하여 "ㅎ = .+ㅡ+ㅡ" 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ㅡ"까지 입력되었을 때, "ㅗ"로 표시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ㅎ중ㅗ 입력"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 도4-*을 기준으로 "기히 = 1#0**#" 에서 "1#0" 까지 입력되면 "가" 가 표시되고, 한번 더 "*"이 입력되면, "가ㅡ"가 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ㅎ중ㅗ 입력"을 적용하면, "1#0*" 까지 입력되었을 때, "기ㅗ" 가 표시되고 한번 더 "*" 이 눌러지면, "기ㅎ(unicode 에서는 'ㅎ'이 받침으로, KSC5601에서는 'ㅎ'이 다음 글자의 첫자음으로 됨)"이 되고 "#"이 더 눌러지면, "기히"가 되는 것이다. 차이는 "." (3개모음 이용시는 "ㅏ" 등) 로 끝나는 모음이 입력되고 나서 "ㅡ"가 입력되었을 때, "ㅡ"와 "ㅡ" 직전에 입력된 "." 을 낱자모음 "ㅗ"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것이다. "1#0* = 기ㅗ" 가 입력되고 나서 삭제 버튼이 눌러지면 "1#0" 상태인 "가"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특별한 경우에 입력중간에 표시되는 형태만 다를 뿐 "ㅎ = .+ㅡ+ㅡ" 로 입력하는 것은 동일하다. It is self-evident that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ase of using the three Korean vowels (eg "ㅡ", "아", "ㅣ"),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In addition, inputting "ㅎ = .+ㅡ+ㅡ = 0**" is made in the shape of "ㅎ = ㅗ + ㅇ", and it is said that it is to be able to input as if writing "ㅎ". Furthermore "." Even when entering "ㅎ" after a vowel that can be combined with (such as "a" when using three vowels in Korean) is entered, "ㅎ = .+ㅡ+ㅡ" is input for consistency of the input rule. For the user's convenience, when up to ".+ㅡ" is input, it can be displayed as "ㅗ". For convenience, this is called "ㅎjungㅗ input". As a standard, if "gihi = 1#0**#" to "1#0" is entered, "ga" is displayed, and if "*" is entered once more, "gaㅡ". However, as mentioned above, "ㅎ If you apply “entering middle”, when up to “1#0*” is entered, “Ki” is displayed and if “*” is pressed once more, “Ki (‘ㅎ’ is the base in unicode, in KSC5601 'ㅎ' becomes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nd if "#" is pressed more, it becomes "gihi". The difference is that the vowel ending in "." When "ㅡ" is entered after being input, "." entered right before "ㅡ" and "ㅡ" is recognized and processed as a vowel "ㅗ". "1#0* = Kiㅗ" is entered Then, when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it can be set to “Ga”, which is the state of “1#0.” This is the same as entering “ㅎ = .+ㅡ+ㅡ”, except that the form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input is different in a special case. .

위의 내용을 조금 더 범용하게 정리하면, 특정 입력방법에서 "ㅗ = X+Y" 로 조합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고, 일련의 모음 입력후 입력된 "X"가 그 입력방법에서의 약속된 특정 자소(모음)를 이루고, 그 다음에 연속하여 입력된 "Y"가 약속된 특정 모음을 이루지 못할 경우 최종 입력된 "X+Y"를 낱자모음 "ㅗ"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것이다. "X"는 예시한 바와 같이 모음요소 "."이 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한국어 3개 모음을 이용한 방법에서와 같이 "ㅏ", "ㅓ", "ㅜ", ... 등등이 될 수 있으며, "Y"는 "ㅡ"가 될 수 있다. To make the above a little more general, it is defined as inputting in combination with "ㅗ = X + Y" in a specific input method, and "X" entered after a series of vowel inputs is the promised If a specific grapheme (vowel) is formed and then successively input "Y" does not form the promised specific vowel, the finally input "X + Y" is recognized and processed as the letter vowel "ㅗ". "X" may be a vowel element "." as shown in the example, or may be "a", "sh", "TT", ..., etc., as in the method using three Korean vowels described later, , "Y" can be "ㅡ".

위의 결과로 볼 때, 결국 낱자모음 "ㅗ" 가 입력된 다음에 "ㅡ" 가 입력되면, "ㅗ+ㅡ"를 "ㅎ"으로 처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단어의 처음에 "ㅎ"이 배정된 [0]버튼을 이용하여 "ㅎ"을 입력하는 것을 적용하지 않고, 단어시작 상태에서 "0*" 로 "ㅗ"를 입력한 후 "ㅡ (=*)"가 입력되면, "0**"을 "ㅎ" 으로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낱자 모음 "ㅗ" 가 입력된 다음에 "ㅇ"이 입력되면 "ㅗ(낱자모음)+ㅇ"을 "ㅎ"으로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이 역시 "ㅗㅇ"이 정상적인 한글 글자가 아니므로 "ㅗㅇ"의 조합을 "ㅎ"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부" 와 같은 단어에서와 같이 "ㅗ"가 낱자모음이 아닌 경우는 "ㅗ+ㅇ" 이 "ㅎ"으로 되지는 않는다. 위에서 예시한 "기히"의 경우는 "1#0* = 기ㅗ"가 되므로, 다음에 연속하여 "ㅇ (= 8)" 이 입력되면 "기ㅎ(unicode 에서는 'ㅎ'이 받침으로, KSC5601에서는 'ㅎ'이 다음 글자의 첫자음으로 됨)"으로, 다시 "ㅣ (= #)"가 입력되면 "기히"로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예시에서 "ㅎ"의 입력을 들었으나, 위의 수단으로 임의의 자소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형상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ㅎ"을 입력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f "ㅡ" is input after the letter vowel "ㅗ" is input, "ㅗ+ㅡ" is processed as "ㅎ". That is, inputting "ㅎ" using the [0] button to which "ㅎ" is assigned at the beginning of a word is not applied, and after entering "ㅗ" as "0*" in the word start state, "ㅡ (= *)" is input, "0**" can be recognized as "ㅎ" and processed. Going one step further, if "ㅇ" is input after the letter vowel "ㅗ" is input, "ㅗ (letter vowel) + ㅇ" can be recognized and processed as "ㅎ". Also, since "ㅗㅇ" is not a normal Korean character, the combination of "ㅗㅇ" is treated as "ㅎ". However, when "ㅗ" is not a vowel, as in a word such as "study", "ㅗ + ㅇ" does not become "ㅎ". In the case of "gihi" as exemplified above, it becomes "1#0* = giㅗ", so if "ㅇ (= 8)" is entered in succession next time, "gihee ('ㅎ' is the base in unicode, in KSC5601 'ㅎ' becomes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nd if "ㅣ (= #)" is input again, it can be recognized and processed as "gihi". In the example, "ㅎ" was input, but any character element can be input by the above means. However, it would be natural to enter "ㅎ", which is geometrically related.

위에서 3모음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4모음법에서도 탈락자음 입력에 대 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4-7, 도4-8에서 [8] 버튼에 ".."과 함께 배정 된 "ㅁ"을 입력함에 있어서, 단어의 첫머리에 탈락자음 "ㅁ"이 올때는 해당버튼 [1]타로 입력할 수 있고, 함께 배정된 모음요소 ".."이 결합할 수 없는 모음(즉, 모음 'ㅡ', 'ㅣ'를 제외한 모음 및 모음요소) 다음에 "ㅁ"이 올 때는 [8] 버튼 1 타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자음 다음에 탈락자음 "ㅁ"이 올 경우 는 해당 버튼 2타로 모호성없이 "ㅁ"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함께 배정된 모음 요소가 결합할 수 있는 모음 다음에 탈락자음 "ㅁ"이 오는 경우는 "8*"로 입력할 수 있다. 물론 4모음법의 경우에도 탈락자음 입력에 있어서, 단순히 탈락자음배 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방법의 적용 및 탈락자음을 타 기본자음의 변형알파벳 (격음 혹은 경음)으로 간주하는 컨트롤처리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3-vowel method was mainly explained above, the 4-vowel method can also be applied to the input of dropped consonants in the same way. In entering "ㅁ" assigned with ".." to the [8] button in Figures 4-7 and 4-8, when the dropped consonant "ㅁ" comes at the beginning of the word, enter it with the corresponding button [1]. , and the vowel element ".." assigned together cannot be combined (that is, vowels and vowel elements except for the vowels 'ㅡ' and 'ㅣ') followed by "ㅁ", press the [8] button 1 stroke that can be entered. Likewise, if the consonant followed by the dropped consonant "ㅁ", you can enter "ㅁ" without ambiguity with two strok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n addition, if the missing consonant "ㅁ" comes after the vowel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vowel elements assigned together, "8*" can be entered.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the 4-vowel method, application of the complete control processing method simply using the dropped consonant assignment button and application of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considering the dropped consonant as a modified alphabet of other basic consonants (aspirated or tense) are applied in the input of dropped consonants. It is possible.

더불어 기호의 입력에 있어서, 격음/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자음을 이용 하여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input of symbol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basic consonants that do not have aspirated / tense consonants.

4.9. 기호의 입력예 4.9. Symbol input example

기호의 입력에 있어서 가능한한, 격음/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자음이 배 정된 버튼과 모음요소 버튼(특히, 컨트롤버튼처럼 활용할 수 있는 "ㅡ", "ㅣ" 버 튼)을 조합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즉, 격음/경음의 입력방법 을 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n the input of symbols, as much as possible, a combination of buttons assigned to basic consonants without aspirated / aspirated consonants and vowel element buttons (in particular, "ㅡ" and "ㅣ" buttons that can be used like control buttons) to be input it would be convenient That is, it can be seen as applying the aspirated/hard sound input method.

예를 들어 도4-5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각종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하의 내용은 이미 선출원에서 제시된 내용이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문자입력방 법에서 뿐만 아니라 타 문자입력시스템에서도 유사하게(즉, 컨트롤처리방법 이용)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For example, various symbols can be input as follows based on FIGS. 4-5, and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already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not only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in other character input systems.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pplied similarly (ie, us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 느낌표(!) = 2** : "느낌표"의 "느 = 2*..."에서 쉽게 연상 가능▶ Exclamation mark (!) = 2** : Can be easily recalled from "Neu = 2*..." of "exclamation mark"

▶ 슬레시(/) = 2## : "나누기"의 "나 = 2#..."에서 쉽게 연상 가능▶ Slash (/) = 2## : Can be easily recalled from "I = 2#..." in "Division"

▶ 물결표(~) = 4** : "ㄹ"자의 모양 및 "르" 발음에서 물결모양 연상▶ Tilde (~) = 4**: Reminiscent of the wavy shape in the shape of the letter "ㄹ" and the pronunciation of "LE"

▶ 골뱅이(@) = 4## : "@" 기호의 회돌이 모양에서 "ㄹ+ㅣ"를 연상 ▶ Golbaengi (@) = 4##: Reminiscent of "ㄹ+ㅣ" in the loop shape of the "@" symbol

▶ 물음표(?) = 5** : "물음표"의 "물 = 5*..."에서 쉽게 연상 가능▶ Question mark (?) = 5** : Can be easily recalled from "Water = 5*..." of "Question mark"

▶ 마침표(.) = 5## : "마침표"의 "마 = 5#..."에서 쉽게 연상 가능▶ Period (.) = 5## : Easy to associate with "Ma = 5#..." of "period"

▶ 쉽표(,) = 5### : "마침표" 입력후 "#"을 한번 더 누름▶ Comma (,) = 5###: Press “#” once more after entering “period”

▶ 콜론(:) = 5#### : "쉼표" 입력후 "#"을 한번 더 누름▶ Colon (:) = 5#### : Press "#" once more after entering "comma"

▶ 세미콜론(:) = 5##### : "콜론" 입력후 "#"을 한번 더 누름▶ Semicolon (:) = 5##### : Press “#” once more after inputting “colon”

만약 [*] 버튼 혹은 [#] 버튼을 모음버튼으로 활용하지 않는 문자입력시스 템에서는 "ㄴ"이 배정된 버튼과 컨트롤버튼(예. [*] 버튼)을 조합하여, 느낌표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 버튼 혹은 [#] 버튼이 모음버튼이 아닌 컨트롤버튼 으로 활용되는 입력시스템에서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되는 시스템에서도 순경음 입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ㄴ"이 배정된 버튼과 컨트롤버튼의 반복누름을 조합 하여 느낌표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어보다 우선하는 현대어를 입력하는데, "ㄴ"이 배정된 버튼과 임의의 컨트롤버튼(예. [*] 버튼)이 최대 2번 눌러진다면, "느낌표 = ㄴ+***" 로 입력될 수 있다. If the [*] button or the [#] button is not used as a vowel button in a character input system, it is possible to input an exclamation point by combining the button assigned to "ㄴ" with a control button (eg [*] button). will be. Even in an input system in which the [*] button or [#] button is used as a control button rather than a vowel button, as described in the police tone input, repeated pressing of the button assigned to "ㄴ" and the control button is required even in a system where the control button is used as a control button. Combinations of exclamation marks can be entered. For example, if you input modern language that takes precedence over archaic language, and a button assigned to "ㄴ" and an arbitrary control button (e.g. [*] button) are pressed up to two times, enter "exclamation mark = ㄴ+***" It can be.

마침표(.)+"ㅣ" = 쉼표(,) 로 되었는데, 이 역시 특정기호(예에서 마침표) 다음에 모음 "ㅣ"가 정상적으로 결합될 수 없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만약 마 침표 다음에 모음 "ㅣ"를 입력하고 싶다면, 마침표(.) 입력후 일정시간(예. 언어 제한해제 지연시간 만큼)이 경과하도록 하여 마침표를 확정한 후 "ㅣ"를 입력하거 나, 마침표(.) 입력후 특정 버튼(예. 오른쪽 화살표, 혹은 '공백+삭제')을 눌러 마침표를 확정한 후 모음 "ㅣ"를 입력하여 ".ㅣ"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기 설명한 고어 한글의 입력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Period (.) + "ㅣ" = comma (,), which also uses the property that the vowel "ㅣ" cannot be normally combined after a specific symbol (period in the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the vowel "ㅣ" after the period, enter "ㅣ" after entering the period (.) and confirm the period by allowing a certain amount of time (e.g., the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to elapse. After inputting (.), press a specific button (eg right arrow or 'space + delete') to confirm the period, and then input the vowel "ㅣ" to enter ".ㅣ". This is also the case for the input of the above-described archaic Hangul.

위에서 느낌표 이외의 다른 기호의 경우에도 타 입력시스템에서 유사하게 적용(연상이 가능한 한글 자음이 배정된 버튼과 컨트롤버튼의 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위의 내용의 연장선상에서 다양한 다른 기호의 입력이 가능하다. It is self-evident that symbols other than the exclamation mark above can be similarly applied in other input systems (a combination of buttons and control buttons assigned with recognizable Korean consonants), and input of various other symbols as an extension of the above. this is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한글입력방법에 최적화된 기호입력사례를 보 였다. 즉 가능한한 격음/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자음버튼과 모음버튼(모음 "ㅡ", "ㅣ"가 배정된 버튼)을 이용하여 각종의 기호를 입력한 것이다. 그러나, 이미 순 경음 "ㅸ = 6****" 혹은 "ㅸ = 6####" 으로 입력하는 것을 보인 것과 같이 격음/ 경음이 존재하는 자음버튼을 이용하여서도 고어자모 혹은 각종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Above, examples of symbol input optimized for the Hangul input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That is, various symbols are input using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buttons to which vowels "ㅡ" and "ㅣ" are assigned) where there is no aspirated / tense sound as much as possible. However, as shown in the previous example of inputting pure hard sound "ㅸ = 6****" or "ㅸ = 6####", even using the consonant button with aspirated / hard sound, archaic letters or various symbols can be entered.

더 아나가 아래의 10, 11 에서 설명하는 사례와 같이 모음버튼이 반복적으 로 눌러져 여러가지 모음이 선택/입력되는 경우에도 기호 등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4-5에서 모음"ㅡ"가 배정된 [*] 버튼 1타로 "ㅡ"가 선택되고, 2타로 "ㅜ"가 선택되고, 3타로 "ㅠ"가 선택되는 경우 (즉, 모음 "ㅡ", "ㅜ", "ㅠ"의 순 서로 해당 버튼의 반복누름횟수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5*** = 뮤"가 된다. Furthermore, as in the cases described in 10 and 11 below, even when the vowel button is repeatedly pressed and various vowels are selected/input, symbols, etc. can be input. For example, in Fig. 4-5, when "ㅡ" is selected with 1 stroke of the [*] button to which vowel "ㅡ" is assigned, "TT" is selected with 2 strokes, and "ㅠ" is selected with 3 strokes (i.e., vowel In the case of "ㅡ", "TT", and "ㅠ" being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5*** = mu".

보통 특정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특정 자소가 선택되는 방법에 있어서, "최대가능반복수"(예. [*] 버튼이 3회 눌러진 경우) 다시 처음 상태(즉, 한번눌 러져서 "ㅡ"가 선택된 상태 순환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즉 "5**** = 므" 가 되는 것이다. 이는 주로 오타에 의하여 원하는 횟수보다 더 많이 눌러졌을 경우 를 배려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굳이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출원인의 선출원에 서 제시한 입력값 단위의 삭제 기능을 활용하면 충분하다) 혹은 "5**** = 5*** + * = 뮤ㅡ" 가 되도록 하는 경우가 보통일 것이다. 그러나 순경음 "ㅸ"의 입력에 서 보인 바와 같이 결합할 수 없는 알파벳(모음)이 입력된 것을 시스템이 감지하 여, 입력값 전체를 하나의 특정 알파벳(예. 대응 격자음, 고어 혹은 특정 기호)로 인식할 수 있다. Usually, in the method in which a specific grapheme is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a specific button, "maximum possible repetition" (eg, when the [*] button is pressed 3 times) again in the first state (ie, when pressed once, "ㅡ" becomes In many cases, the selected state is cycled, that is, "5**** = M". This is mainly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it is pressed more than the desired number of times due to a typo (however, this is the applicant's It is sufficient to use the deleting function of the input value unit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r "5**** = 5*** + * = mu-". As shown in the input, the system detects that an uncombinable alphabet (vowel) is input, and the entire input value can be recognized as one specific alphabet (eg, corresponding grid sound, archaic word, or specific symbol).

즉 이 경우(모음 "ㅡ", "ㅜ", "ㅠ"의 순서로 해당 버튼의 반복누름횟수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 여기서 실제로 3개의 모음이 [*]버튼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와 일부의 모음(예. 모음 "ㅡ")만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모두 포함함), "물음표 (?) = 5****" 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5****" 다음에 연속하여 [*] 버튼이 눌러졌을 때, 위의 예에서 마침표(.)가 입력된 후 다음에 [#]이 눌려졌을 때, 일 련의 기호(위 예에서, 콤마(,), 콜론(:), 세미콜론(;) 등으로 넓은 의미로는 각종 알파벳)를 인식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약속된 기호로 인식될 수 있다. 따 라서 기호가 아닌 예로, 격자음 "ㅋ = 1****" 로, "키 = 1*****"과 같이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In other words, in this case (when the vowels "ㅡ", "TT", and "ㅠ"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n the order - where three vowels are actually displayed on the [*] button and some vowels (eg, including all cases where only the vowel "ㅡ") is displayed), "question mark (?) = 5****" can be entered. When the [*] button is pressed consecutively after "5****", when [#] is pressed after a period (.) in the example above is entered, a series of symbols (in the example above , comma (,), colon (:), semicolon (;), etc. in a broad sense can recognize various alphabets), and can be recognized as promised symbols. Therefore, as a non-symbol example, the grid sound "ㅋ = 1****" and "key = 1*****" may be input.

이는 모음 "ㅡ"가 배정된 [*] 버튼의 반복누름 횟수에 따라 약속된 "ㅡ", "ㅜ", "ㅠ"가 선택되도록 하고, 더불어 연속된 반복누름횟수에 따라 " 기호컨트롤1", "기호컨트롤2", "기호컨트롤3", ... 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즉 "5+{기호컨트롤1} = 5**** = 물음표(?)" 로 하는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모음 "ㅡ"가 배정된 [*] 버튼의 반복누름 횟수에 따라 약속된 "ㅡ", "ㅜ", "ㅠ"가 선택되도록 하고, 더불어 연속된 반복누름횟수에 따라 "2nd", "3rd", "5th"... 등의 후속컨트롤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5+{2nd} = 5**** = 물음표(?)" 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5]버튼에는 "ㅁ" 이 대표알파벳으로 "?" 가 {2nd} 후속알파벳으로 암시적으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다. 이는 출원인의 선출원(출원번호는 굳이 명시하지 않는다)에서 제시한 바, 모 음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는 사례를 보인 것과 유사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This allows the promised "ㅡ", "TT", and "ㅠ" t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of the [*] button to which the vowel "ㅡ" is assigned, and in addition, "Symbol Control 1", It can be seen in the same context as making "Symbol Control 2", "Symbol Control 3", ... selected. That is, it is the same as "5+{Symbol Control 1} = 5**** = question mark (?)". Similar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of the [*] button to which the vowel "ㅡ" is assigned, the promised "ㅡ", "ㅜ", and "ㅠ" are selected, and in addition, "2nd" and "3rd"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secutive repeated presses. ", "5th"... etc. is the same as making sure subsequent controls are selected. For example, "5+{2nd} = 5**** = question mark (?)". In other words, the [5] button has "ㅁ"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 is implicitly determined as {2nd} successor alphabet. This can be seen in a similar context to the case of using a vowel button as a control button, as sugges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the application number is not necessarily specified).

모음 "ㅡ"가 배정된 버튼이 "ㅡ"의 입력으로만 사용되는 경우, 자음 다음에 나온 모음 "ㅡ"의 최대가능반복수는 1회이므로, "물음표(?) = 5**" 로 입력이 가 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확대하여 최대가능반복수가 1회 이상인 경우(위 예에서 3회인 경우)에도, 각종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자 음버튼과 조합하여 기호를 인식하지 않더라도, 모음버튼의 입력만을 기호로 인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ㅡ" 가 배정된 [*]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ㅡ", "ㅜ", "ㅠ"와 같이 3개의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 "5**** = ?" 로 하지 않고 "**** = ?" 로 하여 특정 알파벳(예. 기호)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 버튼을 이용하여 하나의 기호와 [*] 버튼이 연속눌러졌을 때의 약속된 기호들만 입력할 수 있어 좋은 방법은 아니다. 자음버튼과 조합으로 인식하는 경우, 예에서의 [5] 버튼과의 조합 뿐만 아니라 다른 버튼(예. 자음이 배정된 숫자버튼)과의 조합을 특정 기호(알파벳도 가능)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더 적은 입력타수로 다양한 기호 의 입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If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ㅡ" is assigned is used only as an input of "ㅡ", the maximum possible repetition of the vowel "ㅡ" following the consonant is 1, so input as "question mark (?) = 5**" This can be seen as possible. By expanding this, even when the maximum possible number of repetitions is one or more (three times in the example above), various symbols can be input. Of course, even if the symbol is not recogniz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sonant button, only the input of the vowel button can be recognized as a symbol. For example, if three vowels are entered like "ㅡ", "ㅜ", and "ㅠ" by repeatedly pressing the [*]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5**** = ?" without "**** = ?" As a result, a specific alphabet (eg, symbol) can be recognized. However, this is not a good method because only one symbol and the symbols promised when the [*]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can be input using the [*] button. In the case of recognition as a combination with a consonant button, combinations with other buttons (e.g., number buttons assigned with consonants) as well as combinations with the [5] button in the example can be recognized as a specific symbol (alphabets are also possible). It is obvious that the input of various symbols can be implemented with a small number of input strokes.

이상의 내용은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 모음이 배정된 버튼을 컨트 롤버튼처럼 활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입력규칙을 정하기에 따라 컨트롤버튼 은 선입력될 수도 있고 후 입력될 수도 있다. 즉 "물음표(?) = 5**" 로 입력하도 록 할 수도 있고, "**5" 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가 입력되고 나서 "**5"가 입력되면, "가+ㅡ+ㅡ+ㅁ"에서 마지막 "ㅁ"이 입력되는 순 간 시스템은 입력값을 "가?"로 인식하게 된다. "감" 다음에 "**5"가 입력되면, "가므ㅡㅁ"에서 마지막 "ㅁ"이 입력되는 순간 최종 입력된 "5**"을 감지하여 입력값을 "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나머지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As the above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by the applicant, it can be seen as using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is assigned as a control button, and the control button can be input first or later according to the input rules. That is, it can be entered as "question mark (?) = 5**" or as "**5". For example, if "**5" is entered after "A" is entered, the moment the last "ㅁ" is entered in "Ga+ㅡ+ㅡ+ㅁ", the system recognizes the input value as "A?" do. If "**5" is entered after "gam", the moment the last "ㅁ" is entered in "Gamuㅡㅁ", the last input "5**" can be detected and the input value can be recognized as "gam?" have. The same goes for the rest.

이상을 정리하면, 특정 모음버튼이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누름횟수에 따라 정해진 알파벳이 선택되는 방법에서, 모음버튼의 최대가능반복수 이상으로 입력되 는 순간을 시스템이 감지하여 눌러진 일련의 모음버튼 입력값과 특정 (자음)버튼 과의 조합(정해진 바에 따라 일련의 모음버튼이 선입력 혹은 후입력될 수 있음)을 약속된 알파벳(기호)의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To summarize the above, in the method in which a certain vowel button is used repeatedly and a certain alphabe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the system detects the moment when the vowel button is input more than the maximum possible repetition number and inputs a series of vowel buttons pressed. A combination of a value and a specific (consonant) button (a series of vowel buttons can be input first or second, depending on what is decided) is processed as an input of the promised alphabet (symbol).

이는 알파벳(기호 포함) 뿐만 아니라 각종의 기능 입력에도 적용될 수 있다. 기능의 입력에 적용시 출원인의 선출원의 "다차원 교차컨트롤처리방법"에 서 보인바(N차원 교차 컨트롤처리방법으로 알파벳을 입력시, N+1회 컨트롤버튼의 교차 조합으로 기능을 입력)와 같이, 특정 기능의 입력은 컨트롤버튼의 반복누름 에 의하여 각종 알파벳(기호 등)이 입력되도록 하고, 마지막에 이루어지도록 정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 5**** = 물음표(?), 5***** = 느낌표(!), 5****** = 엔터기능 활성화) This can be applied to various function inputs as well as alphabets (including symbols). When applied to the input of functions, as shown in the "multidimensional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of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when inputting alphabets with N-dimensional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inputting functions by cross combination of control buttons N+1 times) , It is desirable to set the input of a specific function so that various alphabets (symbols, etc.) ar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ntrol button, and to be done at the end. (eg. 5**** = question mark (?), 5***** = exclamation mark (!), 5****** = activate the enter function)

만약 "5***** = 엔터기능 활성화" 이고 "5****** = 느낌표(!)" 라면, "5*****"에 의하여 엔터기능이 활성화 되고 나서 다시 [*] 버튼이 눌러졌을 때, 시스템이 실행된 엔터기능을 무효화(취소)하고 전체 입력값 "5******" 을 느낌표(!)로 해석하는 것은 구현상으로도 부자연스럽고 사용자에게도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이는 각종의 알파벳(기호 포함) 입력시 컨트롤버튼으로 사용되는 모음 버튼이 최대 N회 사용되었을 때, 그 이상(즉, N+1회)의 반복누름을 이용하여 기능 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이다. If "5***** = Enter function activated" and "5****** = exclamation point (!)", enter function is activated by "5*****" and [*] again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system invalidates (cancels) the executed enter function and interprets the entire input value "5******" as an exclamation point (!), which is unnatural in terms of implementation and confusing to users. to be. This means that when the vowel buttons used as control buttons are used up to N times when inputting various alphabets (including symbols), it is desirable to input the function using repeated pressing more than that (ie, N + 1 times) to be.

4.10. 모음요소 "."을 이용한 임의의 모음(예. 모음 "ㅏ")의 입력 4.10. Input of an arbitrary vowel (e.g. vowel "A") using the vowel element "."

모음요소 "."을 이용하여 고어 "아래아"를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음을 보 였다. 모음요소 "."은 모양에 있어서도 아래아와 유사하므로 사용자에게 친화감 을 줄 수 있다. 아래아를 모음요소 "."으로 입력시, 모음조합과정(즉, 모음처리 과정)에서 모음조합시작(예. 자음 입력후) 에서 모음조합종료(예. 다음 자음 입력 혹은 공백등 모음종료를 줄 수 있는 기능의 활성화) 사이에 [0] 버튼만이 눌러졌 으면 이를 아래아로 처리하는 것이다. It was shown that the archaic word "araeah" can be naturally input by using the vowel element "." The vowel element "." is similar to Haerah in terms of shape, so it can give users a sense of familiarity. When entering the vowel element "." below, in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i.e., vowel processing process), from the start of vowel combination (eg, after entering a consonant) to the end of vowel combination (eg, input the next consonant or space, etc.) If only the [0] button is pressed during the activation of a function that is present), it is processed as below.

기본적으로 모음요소를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것은 모음요소의 조합으 로 어떤 단일모음을 형성해 내는 것이다. 모음조합과정이란 모음조합시작에서 모 음조합종료 까지를 의미한다. 모음조합시작 상태는 자음입력후, 공백등의 기능 활성화 후, 혹은 기 인식된 모음에 현재 입력된 모음이 결합되지 않는 것이 인식 되었을 때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음 입력값 "1#*... = 기ㅡ ..." 에서 "*" 이 눌러졌을 때, 기 인식된 모음 "ㅣ" 다음에 모음요소 "ㅡ"가 결합하여 다른 단 일모음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새로이 모음조합시작 상태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모음결합종료 상태는 새로이 자음이 인식된 때, 공백 등의 기능 활성 화가 인식된 때 등등을 의미한다. 아래의 설명예에서는 편의상 자음과 자음사이 에서의 모음조합과정(모음조합시작에서 모음조합종료까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Basically, inputting vowels using vowel elements is to form a certain single vowel with a combination of vowel elements.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means from the start of vowel combination to the end of vowel combination. The vowel combination start state means after a consonant is input, after a function such as a space is activated, or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currently input vowel is not combined with a previously recognized vowel. For example, when "*" is pressed in the vowel input value "1#*... = Kiㅡ ...", the vowel element "ㅡ" is combined after the previously recognized vowel "ㅣ" to create another single vowel. cannot be formed, so it is recognized as a new vowel combination start state. Likewise, the vowel combination end state means when a new consonant is recognized, when function activation such as a space is recognized, and so on. In the description example below, for convenience,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between consonants (from the start of vowel combination to the end of vowel combin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예를 들어 "105 = ㄱ + . + ㅁ"으로 아래아를 모음으로 하는 하나의 글자로 될 것이다. "1"이 눌러져서 자음이 인식되고 나서 "0"이 눌러지면, 시스템은 1차 적으로 모음조합과정의 시작을 인식하게 된다. 입력값 "10~"에 대해서, 시스템은 "ㄱ+." ("거", "겨", "고", 혹은 "교"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 러나 "5"가 눌러져서 자음처리과정이 시작되고 모음조합과정이 종료되는 것을 인 식하면, 입력값 "0"을 아래아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입력값 "105"에 대하 여 "ㄱ => ㄱ+. => ㄱ+.+ㅁ"으로 인식된다. 여기서 "+" 기호를 써서 나타낸 것은 고어 아래아(즉, '.')를 모음으로 하는 하나의 글자로 나타나게 되는 것을 의미한 다. For example, "105 = a + . + ㅁ" will be one letter with the lower ah as a vowel. When "1" is pressed to recognize a consonant and then "0" is pressed, the system primarily recognizes the start of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For the input value "10~", the system returns "a+." (Process of entering "geo", "braff", "go", or "gyo"). However, when it is recognized that "5" is pressed to start the consonant processing process and end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the input value "0" can be processed as below. That is, the input value “105” is recognized as “a => a+. => a+.+ㅁ”. Here, what is represented by using the "+" symbol means that it appears as a single letter with the old word araeah (ie, '.') as a vowel.

3모음법에서 이용된 3개의 모음요소 "ㅡ", ".", "ㅣ" 중에서 "ㅡ"와 "ㅣ"는 그 자체로 모음으로 존재하나 모음요소 "."만이 다른 모음요소와 조합되어 현대 한국어 모음을 표현한다. 여기서는 모음요소 "."을 이용하여 현대 한국어에서 거 의 사용되지 않는 아래아를 입력하지 않고, 현대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일 모음 (예. "ㅏ")을 입력할 수 있음을 보인다. Among the three vowel elements "ㅡ", ".", and "ㅣ" used in the 3 vowel method, "ㅡ" and "ㅣ" exist as vowels by themselves, but only the vowel element "." is combined with other vowel elements, Represents Korean vowels. Here, it is shown that by using the vowel element ".", it is possible to input a single vowel (eg, "a") that is frequently used in modern Korean without inputting araeah, which is rarely used in modern Korean.

모음요소 "."이 배정된 [0] 버튼을 이용하여 현대 한국어의 단일모음을 입 력함에 있어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고 아래아와 발음도 유사한(사실상 같은) 현대 한국어 모음 "ㅏ"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inputting a modern Korean single vowel using the [0]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it is recommended to input the modern Korean vowel "a",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has a similar (actually identical) pronunciation to Haerah. would be preferable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으로 모음 "ㅏ"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은, 모음 요소 "."이 배정된 버튼으로 아래아를 입력하는 것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105" 입력시 "1"이 눌러졌을 때, 시스템은 자음 "ㄱ"으로 인식하고, 다음 "0"이 눌러지 면, 시스템은 1차적으로('0**' 혹은 '000' 이 입력되면 자음처리과정이 되므로) 모음조합과정을 수행한다. 입력값 "10"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시스템은 "ㄱ+." ) "거", "겨", "고", 혹은 "교"를 입력하는 중간 단계로 인식할 수 있으나, 다음에 자음입력 "5"가 입력되면(혹은 모음조합과정의 종료를 줄 수 있는 공백 및 기타 기능의 활성화), 시스템은 모음조합과정이 종료되고, 입력값 "0"을 약속된 모음 "ㅏ"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입력값 "105"에 대하여, "ㄱ => ㄱ+. => 감" 으로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다른 모음(예. 'ㅣ')이 입력되면, 전체 입력값 "105# = 가미"와 같이 되는 것은 자명하다. Entering the vowel "a" with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is similar to inputting the word "a" with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For example, when "105" is input and "1" is pressed, the system recognizes it as a consonant "a", and then when "0" is pressed, the system primarily ('0**' or '000' If it is input, it becomes a consonant processing process), so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is performed. Similarly for the input value "10", the system returns "a+." ) It can be recognized as an intermediate step of entering "geo", "chicken", "go", or "gyo", but if the next consonant input "5" is entered (or a space that can end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and activation of other functions), the system can recognize the input value “0” as the promised vowel “A” after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is finished. That is, the input value “105” is recognized as “a => a+. If another vowel (eg 'ㅣ') is input here, it is obvious that the entire input value becomes "105# = kami".

예시한 "105 = 감"으로 되는 처리과정은 사실상, "1#05"에 대하여 "ㄱ => 기 => 가 => 감"으로 처리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1#0" 후 "5"가 눌러지면, 모음 조합과정의 종료를 인식하고 입력값 "#0"에 대하여 모음 "ㅏ"로 확정하는 것이다. 다만 "ㅏ = ㅣ+. = #0"으로 입력시 시스템이 입력값의 입력에 따라 출력하는 형태 가 모음 "ㅏ"를 필기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사용자에게 친화감을 주는 것 뿐이다. The exemplified process of "105 = gam" is actually the same as the process of "a => ki => ga => gam" for "1#05". If "5" is pressed after "1#0", the end of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is recognized and the vowel "A" is determined for the input value "#0". However, when "a = ㅣ+. = #0" is input, the system outputs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writing the vowel "a", so it only gives the user a sense of familiarity.

이렇게 모음요소 "."으로 자주 사용되는 모음 "ㅏ"를 입력하는 것은, 모음 요소 "ㅣ"와 "."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입력하는 것보다 자연스러움면에서 미흡 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모음요소 "." 만으로 모음 "ㅏ"를 입력하는 것과 동시 에 "ㅣ"와 "."의 결합(즉 도면에서 '#0')으로 "ㅏ"를 입력할 수도 있으므로 문제 가 되지는 않는다. It is true that entering the frequently used vowel "a" as the vowel element "." is less natural in terms of naturalness than inputting the vowel elements "ㅣ" and "." sequentially. However, the vowel element "."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the vowel "A" only, it is not a problem because you can also enter "A" as a combination of "ㅣ" and "." (that is, '#0' in the drawing).

여기서 고어 아래아의 입력은 "00"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 예를 들면, "100" 까지 눌러지면, 시스템은 "교" 혹은 "겨"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ㄱ+.+." 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다음 입력값으로 결합가능한 모음버튼이 오지 않고 자음 혹은 기타 모음조합과정의 종료를 줄 수 있는 기타 기능의 활성화가 인 식되면, 시스템은 "100"을 "ㄱ+아래아"로 인식하게 된다. "1005" = "ㄱ+아래아+ ㅁ"으로 인식하게 된다. 역시 고어 아래아 입력의 필요성이 적다면, 사용빈도가 많은 모음 "ㅓ" 등의 다른 모음을 [0] 버튼 2타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input of Gore Ahahah can be input as "00". For the same example, if "100" is pressed, the system enters "a+.+." However, if the vowel butto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next input value does not come and the activation of other functions that can give the end of the consonant or other vowel combination process is recognized, the system converts “100” to “a + haerah”. come to recognize "1005" = "a + below ah + m" is recognized. Again, if there is little need for input of gore words, other vowels such as the frequently used vowel "o" can be input with two strokes of the [0] button.

사용자에 따라서는 모음요소 "."으로 아래아를 입력하지 않고 "ㅏ"를 입력 하는 점에 대하여 직관이 부족하여 덜 선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를 위하 여 [0] 버튼 1타로 아래아를 입력하도록 하고, [0]버튼 2타로 모음 "ㅏ"를 입력하 도록 할 수 있다. 처리과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 경 우에도 동시에 "ㅏ = ㅣ+. = #0"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모음 요소 "."이 배정된 [0] 버튼 2타(즉 '00')로 모음 "ㅏ"를 입력하는 것 역시 입력 의 편리도 면에서는 "ㅣ+. = #0"으로 입력하는 것보다 편리도가 높다. Depending on the user, the vowel element "." may be less preferred due to lack of intuition about the point of inputting "a" without inputting lower ah. For these users, it is possible to input the lower ah with one stroke of the [0] button, and input the vowel "a" with two strokes of the [0] button. Since the proces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 is omitted. Even in this case, it will be possible to input "A = ㅣ +. = #0" at the same time. Entering the vowel "a" with two strokes of the [0] button (i.e. '00')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is also more convenient than entering "ㅣ+. = #0" in terms of input convenience. degree is high

위에서 제시한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예시 도면에서 [0]버튼) 1타로 "ㅏ"를 입력하도록 할 것인지 혹은 1타로 고어 아래아를 입력하고 2타로 "ㅏ"를 입력하도록 할 것인지를 사용자의 기호대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ㅏ"가 아닌 다른 모음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역시 사용자가 설 정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presented above is assigned (the [0] button in the example drawing) determines whether to input "A" with one stroke or enter Gore Ahah with one stroke and enter "A" with two strokes. I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a vowel other than "A", and this will also be set by the user.

모음 "ㅏ"는 한국어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이므로 모음요소 "."을 이용하여 현대어에서 사용하는 임의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서 다른 모음보다도 "ㅏ"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음 "ㅏ"는 한국어 모음 전체 중 약 22% 정도의 사용빈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빈도는 "ㅏ", "ㅣ", "ㅡ" 순이면 이 세가지 모음이 한국어 전체 사용빈도의 약 50% 이다. 즉 모음요 소 "."으로 "ㅏ"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사용되는 모음의 약 절반을 각각 특정 버튼 1타로 입력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Since the vowel "a" is overwhelmingly used in Korean, it is preferable to enter "a" rather than other vowels in enabling the input of any vowel used in modern languages using the vowel element "." . The vowel "a" has a frequency of use of about 22% of all Korean vowels. In addition, if the frequency of use is in order of "a", "ㅣ", and "ㅡ", these three vowels account for about 50% of the total frequency of use in Korean. In other words, by enabling the input of "a" as the vowel element ".", it means that about half of the actually used vowels can be input with one specific button, respectively.

이상에서 3모음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4모음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 즉 도4-7, 도4-8에서 모음결합과정(모음결합시작 ~ 모음결합종료)에 서 모음요소 "." 만이 인식되면 이를 약속된 모음(예. 'ㅏ')로 처리할 수 있고, 모음요소 ".."이 인식되면(즉, [8]버튼 입력) 이를 약속된 다른 단일모음(예. 아 래아 혹은 'ㅓ')으로 처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음요소를 이용한 입력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three-vowel method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four-vowel method. That is, in the vowel combining process (vowel combining start ~ vowel combining end) in Figs. If only is recognized, it can be processed as a promised vowel (eg 'A'), and when the vowel element ".." is recognized (ie, pressing the [8] button), it can be treated as another promised single vowel (eg, below or 'ㅇ') can be processed.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applied to an input system using vowel elements currently used in Korea.

모음결합과정이 모음조합시작에서 모음조합종료까지를 의미한다고 하였으므 로, 이러한 모음입력에 부가하여 다른 모음을 조합할 수 없다. "10"으로 모음 " 가"를 입력하고 다시 여기에 모음요소 "ㅣ"를 조합하여 "개"를 입력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10#"은 "ㅓ"가 되는데, "0"이 입력되었을 때 모음조합과정이 시작되 었고 "#"이 눌러졌을 때 모음조합과정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앞에서 설 명한 내용은 추가적으로 모음요소가 결합하여 변화하는 모음이 아닌 단독으로 사 용되는 모음 입력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예. "감"에서 모음 "ㅏ" 혹 은 "가+단어종료"에서 "ㅏ"). Since the vowel combining process means from the start of vowel combination to the end of vowel combination, other vowels cannot be combined in addition to these vowel inputs. This means that you cannot enter "dog" by entering the vowel "ga" with "10" and combining it with the vowel element "ㅣ". "10#" becomes "sh" because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started when "0" was input and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continued when "#" was pressed. In other words, the above description can be applied only to vowel inputs used alone, not to vowels in which additional vowel elements are combined and changed (eg, vowel "a" or "ga + end of word" in "gam"). in "A").

여기서 모음요소 중 원래 단독으로 모음으로 존재하지 못하는 모음요소 "."은 모음요소로, 또 단독으로 모음으로 존재하되 추가적으로 모음요소(혹은 요 소모음)이 결합할 수 있는 모음(예. 자체로 모음으로 존재하는 "ㅡ", "ㅣ" 및 모 음요소 결합에 의하여 생성된 모음으로써 "ㅏ", "ㅑ" ... 등과 같이 추가적으로 모음요소 결합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는 모음)을 "요소모음"이라 부른다. 여기서 "ㅡ", "ㅣ"는 모음요소이기도 하고 동시에 요소모음이기도 하다. Among the vowel elements, the vowel element ".", which originally does not exist as a vowel by itself, exists as a vowel element and as a vowel alone, but is a vowel that can be additionally combined with a vowel element (or a vowel by itself). As a vowel created by combining "ㅡ", "ㅣ" and vowel elements that exist as "A", "ㅑ" ..., vowels that can be additionally changed by combining vowel elements) are "element collections" It is called. Here, "ㅡ" and "ㅣ" are both vowel elements and element collections at the same time.

이상에서 한국어 모음요소 "ㅡ", ".", "ㅣ" 를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되, 모음조합을 시작하는 [.] 버튼의 입력에 대하여, "ㅏ"로 처리하는 것과, [.]버튼의 2번 눌러짐에 대하여 "ㅓ"로 처리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한국어 키패드는 호환성을 가지므로, 하기(4.11)에서의 현대 한국어의 3개 모음 (예. "ㅏ", "ㅣ", "ㅡ") 를 이용한 모음입력에서 적용한 내용을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ㅘ = .+ㅡ+." 으로, "ㅙ = .+ㅡ+.+ㅣ" 으로, "ㅝ = ㅡ+.+.+."으로, "ㅞ = ㅡ+.+.+.+ㅣ" 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above, a vowel is input using the Korean vowel elements "ㅡ", ".", and "ㅣ", but processing the input of the [.] button that starts the vowel combination as "a", and the [.] butt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rocessing of "o" for pressing twice is described. Since the Korean keypa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atibility, the contents applied in the vowel input using three modern Korean vowels (eg "a", "ㅣ", "ㅡ") in (4.11) can be additionally applied. can That is, "ㅘ = .+ㅡ+." As a result, "ㅙ = .+ㅡ+.+ㅣ", "ㅝ = ㅡ+.+.+.", and "ㅞ = ㅡ+.+.+.+ㅣ" can be entered.

4.11. 현대 한국어의 3개 모음 (예. "ㅏ", "ㅣ", "ㅡ") 을 이용한 모음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시스템 4.11. Vowel input method using 3 vowels of modern Korean (e.g. "a", "ㅣ", "ㅡ") and Korean input system using the same

한국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음은 "ㅏ", "ㅣ", "ㅡ" 의 순으로 3개의 모음이라고 한다. 특히 모음 "ㅏ"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음이다. 이하에서는 " ㅡ", "ㅣ"와 임의의 한개 모음(예시에서는 모음 "ㅏ")를 포함하는 3개의 모음을 이용하여 한국어 모음을 처리하는 방법을 보인다. 선출원에서 선보인대로 한국어 의 10개 평자음과 "ㅏ", "ㅣ", "ㅡ" 3개의 모음의 13개 알파벳을 기본알파벳으로 이용하므로 12개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에서는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자음과 하나 의 모음을 구비하는 사례를 예시 한다. 단, 이러한 예시와는 별개로, 다음에 제 시되는 모음을 조합하여 처리하는 것은 다른 경우(선출원에세 제시한 각종 자음입 력방법, 타 시스템에서의 자음입력방법 뿐만 아니라 향후 출현할 어떠한 새로운 자음입력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출원의 다른 장(章, Chapter)에서 언급한 내용은 다음에서도 적용가능 함은 자명하다. The most used vowels in Korean are said to be three vowels in the order of "a", "ㅣ", and "ㅡ". In particular, the vowel "A" is the most used vowel. Hereinafter, a method of processing Korean vowels using three vowels including "ㅡ", "ㅣ" and one arbitrary vowel (in the example, the vowel "A") is shown. As introduc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13 alphabets of 10 flat consonants and three vowels "a", "ㅣ", and "ㅡ" of Korean are used as basic alphabets, so in a keypad equipped with 12 buttons, one consonant per button and an example of having one vowel is exemplified. However, apart from these examples, combining and processing the following vowels is different (various consonant input method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onsonant input methods in other systems, as well as any new consonants to appear in the future) Input method) can also be applied in the same way. It is obvious that the contents mentioned in other chapte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elow are also applicable to the following.

선출원에서의 발명을 고려하여, 도4-10, 도4-11은 모음 "ㅏ"와 자음 "ㅎ"을 하나의 버튼에 구비한 사례이다. 도4-10에서는 키패드를 간결하게 유지하기 위하 여, [0]버튼의 숫자 "0" 안에 모음 "ㅏ"를 표시하였으며, 도4-11과 같은 의미이다. 도4-10의 사례에서 모음 "ㅡ", "ㅏ", "ㅣ" 는 각각 [*]버튼, [0]버튼, [#]버튼에 의하여 선택/입력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사례일 뿐이며, 변형 이 가능함은 쉽게 알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 [*]버튼을 [*]버튼 혹은 모음 " ㅡ"버튼, [0]버튼을 [0]버튼 혹은 모음 "ㅏ"버튼, [#]버튼을 [#]버튼 혹은 모음 "ㅣ"버튼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특히 자음 "ㅎ"이 함께 배정된 [0]버튼은 경우 에 따라 "ㅎ" 버튼이라고도 부르기로 한다. Considering the invention in the previous application, FIGS. 4-10 and 4-11 are cases in which the vowel "a" and the consonant "ㅎ" are provided in one button. In Fig. 4-10, in order to keep the keypad concise, the vowel "a" is displayed in the number "0" of the [0] button, which has the same meaning as in Fig. 4-11. In the case of FIGS. 4-10, the vowels "ㅡ", "아", and "ㅣ" can be selected/input by the [*] button, the [0] button, and the [#] button, respectively. Of course, this is just one example, and it is easy to see that variations are possible. For convenience, below [*] button [*] button or vowel "ㅡ" button, [0] button [0] button or vowel "A" button, [#] button [#] button or vowel "ㅣ" button let's call it In particular, the [0] button assigned with the consonant "ㅎ" is also called the "ㅎ" button in some cases.

이하에서 도4-10, 도4-11에서 [0] 버튼은 1차적으로 "ㅏ"버튼으로 적용되므 로, "ㅏ"가 배정된 버튼에 자음(예시 도면에서 "ㅎ")이 함께 배정되지 않은 경우 도 동일하다. 또한 나머지 모음버튼에 자음이 함께 배정된 경우 혹은 임의의 컨 트롤과 함께 배정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모음 "ㅡ", "ㅣ" 와 함께 배 정된 자음의 입력이 모음의 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ㅋ = ㄱ+ㅡ+ㅡ = 1**" 로 입력하는 것은 "자음+ㅡ" 다음에 모음 "ㅡ"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성질 을 이용한 것으로 모음의 입력에 결과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언급한대로 " 결정적"으로 처리되는 성질). In the following, since the [0] button in FIGS. 4-10 and 4-11 is primarily applied as the "A" button, the consonant ("ㅎ" in the example drawing) is not assigned to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Same if not. It can also be applied when a consonant is assigned to the remaining vowel buttons or when assigned with an arbitrary control. However, the input of the consonant assigned together with the vowels "ㅡ" and "ㅣ" must not affect the input of the vowel ("ㅋ = ㄱ+ㅡ+ㅡ = 1**" input is "consonant + ㅡ" Next, it uses the property that the vowel "ㅡ"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and does not affect the input of the vowel as a result - as mentioned, it is a property that is treated as "critical").

다음에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3개 모음을 이용하여 나머지 모음을 입력하 는 사례를 보이면 표1과 같다. In the following, Table 1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the remaining vowels using the three vowel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3

표1의 내용은 3개의 모음요소 "ㅡ", ".", "ㅣ"를 이용하여 한국어 모음을 입력하되, "." 가 배정된 버튼1타로 모음 "ㅏ"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하다. 표1 에서 예를 들어, "ㅜ = ㅡ+ㅏ"로 정의되어 있는데, 이는 한국어에서 모음 "ㅡ" 다 음에 모음 "ㅏ"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전체 입력값("ㅡ+ㅏ")을 모음 "ㅜ"로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정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모음 "ㅐ"의 경 우 "ㅏ"와 "ㅣ"로 분해되므로, "0#"으로 입력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으나, 모 음 "ㅓ = 0#"으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ㅐ = #0#"으로 입력하도록 정의한 것이다. 나머지 모음에 대하여 조합을 정의한 것도 유사하게 생각할 수 있다. 표1의 정의 에 따라, 한국어의 21개 모음을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게 된다. For the contents of Table 1, input Korean vowels using three vowel elements "ㅡ", ".", and "ㅣ", but "." It is the same as entering the vowel "A" with one stroke of the assigned button. For example, in Table 1, it is defined as "TT = ㅡ + A", which uses the property that the vowel "A"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after the vowel "ㅡ" in Korean, so that the entire input value ("ㅡ + ") can be considered as the vowel "TT" defined so that the system recognizes it. In the case of the vowel "ㅐ", it is decomposed into "ㄴ" and "ㅣ", so it may be natural to enter "0#", but since the vowel "sh = 0#" is defined, "ㅐ = #0# It is defined to be entered as ". It is similarly conceivable to define combinations for the rest of the vowels.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in Table 1, 21 Korean vowels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표1에서 어느 하나의 모음버튼이 눌러짐을 인식하여 모음처리과정(즉, 모음 조합과정)이 개시되는 상태에서 표1의 입력값 중 해당하는 입력값이 감지되었을 때, 시스템은 해당모음을 식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4-10에서 [1] ~ [9]의 자 음버튼 중 하나의 버튼이 눌러진 후에, 혹은 일련의 입력으로 자음의 입력이 인식 된 후(예. "1** = ㅋ") 에 모음버튼(도4-10에서 [#], [0], [#] 버튼) 중 하나의 버튼이 눌러지면, 시스템은 모음처리과정이 시작됨을 인식하고 해당 모음버튼의 입력과 그 이후의 일련의 입력값(모음버튼)의 입력을 감지하여 표1에 따라 해당 입력값에 대응되는 모음을 식별해 낼 수 있게 된다. When a corresponding input value among the input values in Table 1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a vowel processing process (ie, a vowel combination process) is initiated by recognizing that any one vowel button in Table 1 is pressed, the system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vowel. do. For example, after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1] to [9] in Figure 4-10 is pressed, or after input of a consonant is recognized as a series of inputs (eg, "1** = ㅋ" ), when one of the vowel buttons ([#], [0], [#] buttons in Fig. 4-10) is pressed,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starts and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vowel button and subsequent By detecting input of a series of input values (vowel buttons), it is possible to identify vowel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values according to Table 1.

그러나, 표1에서 (모음)확정(가능)여부에 동그라미가 표시된 모음의 경우는 해당 입력값의 입력에 대하여 해당 모음임을 확정할 수 있으나, 나머지의 경우는 다음 입력값에 따라 다른 모음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이 눌러지면, 시 스템은 표1에 따라, "ㅓ"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으나, 다음에 "#"이 한번 더 눌러 지면, 시스템은 전체 입력값 "0##"을 모음 "ㅔ"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표1에 서 "0##" 다음에 다른 입력값이 추가되어 전체 입력값을 다른 입력값으로 시스템 이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시스템은 입력값 "0##"에 대하여 모음 "ㅔ"로 확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llection marked with a circle indicating whether (vowel) can be confirmed (available) in Tab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a corresponding collection with respect to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input value, but other collection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following input values. have. For example, if "0#" is pressed, the system can recognize the input of "o" according to Table 1, but if "#" is pressed one more time, the system returns the entire input value "0#". #" is recognized as the vowel "ㅔ". In Table 1, there is no case where another input value is added after "0##" so that the system recognizes the entire input value as another input value, so the system converts the input value "0##" to the vowel "ㅔ". can be definitively recognized.

마찬가지로 표1에서 확정(가능)여부란에 동그라미 표시가 없는 모음의 경우 는 다음 입력값에 따라 다른 모음으로 인식될 수 있다. 모음 "ㅏ = 0" 역시 다음 입력에 따라 "ㅓ", "ㅕ", "ㅗ", "ㅛ", ... 등의 모음이 될 수 있으므로, 자음 다 음에 모음 [0] 버튼이 눌러졌을 때 (예를 들어 "10"), 출력되는 형태는 "ㄱ

Figure pat00024
" 혹 은 "ㄱㆍ" 혹은 "ㄱ@" 혹은 "가" 등의 형태 중의 임의의 한가지로 출력될 수 있다. 다음 입력으로 자음버튼이 입력되거나 자음의 입력이 인식되면(예를 들어 "1" 이 추가로 입력), 전체 입력값 "101"에서 중간에 입력된 "0"을 모음 "ㅏ"로 확정적으로 인식하고, "각"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ㅏ = 0" 으로 입 력하도로 하였으나, "#0" 으로 역시 "ㅏ"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Similarly, in the case of vowels not circled in the confirmed (available) column in Table 1, they can be recognized as other vowels according to the following input values. The vowel "A = 0" can also become a vowel such as "sh", "ㅕ", "ㅗ", "ㅛ", ... according to the following input, so if the vowel [0] button was pressed after the consonant (e.g. "10"), the output format is "a"
Figure pat00024
It can be output in any one of the forms such as " or "ㄱㆍ" or "ㄱ@" or "가". When a consonant button is input as the next input or a consonant input is recognized (for example, "1" With this additional input), "0" entered in the middle of the entire input value "101" is definitively recognized as the collection "A", and "Gak" can be output, where "A = 0" is input. However, it is possible to allow "#0" to also input "A".

여기서 시스템이 특정한 일련의 입력값에 대하여 해당하는 모음을 "인식"( 일시적으로 인식 확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모두 포함)하는 문제와 인식된 내용을 "출력(예. 액정 등에 표시)"하는 것과는 완전히 별개의 문제이다. (시스템에 따 라서는 인식된 내용을 출력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인식된 내용을 출력할지, 말지는 선택적인 문제임) 일시적으로 인식된 내용(여기서는 인식된 모 음)에 대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다음 입력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을 고려 하여 적절한 형태로 출력(예. "ㄱ

Figure pat00025
") 하여 줄 수 있으며, 확정적으로 인식되는 순간 다시 적절하게 표시(예. "각")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10"이 입력된 후 단어의 종료(예. 공백, 입력의 종료 등)가 인식되면, 시스템은 기 입력 된 "10 = 가"로 확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표1에서는 일부의 경우만 입 력중 출력형태를 예시하였다. Here, the problem of the system "recognizing" the corresponding collection for a specific series of input values (including all cases of temporarily recognizing and definitive recognition) and "outputting" the recognized content (e.g., displaying on liquid crystals) are completely separate. is the problem of (Depending on the system,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not necessary to output the recognized contents, and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recognized contents is an optional matter) Regarding the temporarily recognized contents (recognized vowels in this case), example As described above, output in an appropriate form (e.g., "a
Figure pat00025
"), and as soon as it is recognized definitively, it can be displayed appropriately (eg, "each"). Likewise, after "10" is entered, the end of the word (eg, blank, end of input, etc.) If is recognized, the system can reliably recognize the already input “10 = 가” In Table 1, the output form during input is illustrated in only some cases.

도11-1은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한 도면으로 단말기(client)내에서 키패 드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값을 제어부(controller)에서 메모리를 참조하여 해석하 고, 해석된 결과(문자열)을 표시부(display unit)에 표시하거나, 혹은 송출부 (sender)를 통하여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해석된 문자열을 표시부(예. 액정 등)에 표시하는 문제 및 서버측에 전송하는 문제는 입력값을 해 석하는 과정과는 별개로 선택적인 문제이다. 하드웨어 적인 구성에 있어서도, 예 시 도면과 다르게 제어부에서 메모리까지 포함하여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문제이 며, 절대적인 것인 아닌 것이다. 도11-2 역시 선출원에서 제시된 도면으로 입력 값을 클라이언트측에서 서버측으로 전송하고, 서버측에서 입력값을 해석하는 사례 를 보여준다. 11-1 is a diagram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in which the input value input through the keypad in the terminal (client) is interpreted by referring to the memory in the control unit (controller), and the interpreted result (string)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display unit) or transmitted to the server side through the sender. The problem of displaying the interpreted character string on the display unit (eg, liquid crystal, etc.) and the problem of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side are optional problems separate from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input value. Even in the hardware configuration, it is a problem that may have including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memory, unlike the example drawing, and is not absolute. 11-2 is also a diagram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shows an example of transmitting an input value from the client side to the server side and interpreting the input value on the server side.

여기서 모음 "ㅡ" 대신에 우향 화살표 "→"가 적용되고, 모음 "ㅣ" 대신에 하향 화살표 "↓"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유사한 효과를 주게 된다. <표1>에 서 모음 "ㅡ", "ㅣ" 대신에 화살표 "→"와 "↓"가 각각 적용되면 된다. 모음 " ㅡ", "ㅣ" 대신에 "→"와 "↓"가 각각 키패드 버튼상에 표시되는 것 보다는 모음 "ㅡ", "ㅣ"가 표시되는 것이 사용자 친화적인 면에서 더욱 좋을 것이다. 이는 후 술하는 "4개 모음을 이용한 모음입력방법"에서도 동일하다. 더 나아가 모음 " ㅡ", "ㅣ"와 유사한 수평선, 수직선 등의 형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ight arrow "→" is applied instead of the vowel "ㅡ", and the down arrow "↓" is applied instead of the vowel "ㅣ", giving a similar effect. In <Table 1>, the arrows "→" and "↓" can be applied instead of the vowels "ㅡ" and "ㅣ" respectively. Instead of the vowels "ㅡ" and "ㅣ", it would be better in terms of user friendliness if the vowels "ㅡ" and "ㅣ" are displayed rather than "→" and "↓" respectively displayed on the keypad buttons. This is the same in the "vowel input method using four vowels" to be described later.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use shapes such as horizontal lines and vertical lines similar to the vowels "ㅡ" and "ㅣ".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 도4-5에서 [0] 버튼에 배정된 "."으로 모 음 아래아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은 결국 [0] 버튼을 "아래아 버튼"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나머지 모음의 조합에 있어서, 3개의 모음 "ㅡ", "ㅣ", ".(아래아)" 버튼 을 조합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3개의 모음 "ㅡ", "ㅏ", "ㅣ"로 모든 모음 을 입력하는 방법 역시, 모음 아래아(도면에서 "."으로 표시됨) 가 배정된 버튼( 도4-5, 도4-9에서의 [0]버튼)으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모음 "ㅏ"를 입력하도록 한 사례와 본질적으로 같다. As suggested by the applican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nputting the vowel lower with "." assigned to the [0] button in Figs. In the combination, the three vowels "ㅡ", "ㅣ", and ". (Araeah)" buttons are combined to input. The method of inputting all vowels with three vowels "ㅡ", "ㄴ", and "ㅣ" is also the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indicated by "." in the drawing) (in Figs. 4-5 and 4-9 [0] button)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example in which the most frequently used vowel "A" is entered.

따라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한 여러가지 성질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 명하다. 예를 들어, 기본자음이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한 격자음/경자음의 입력, 모음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한 모음의 입력,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한(즉, 모음 버튼과 조합하는) 격자음/경자음의 입력, 모음과 함께 배정된 자음(예. "ㅎ")의 입력 등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모음처리과정 개시와 함께 연속 입력된 "00"을 약 속된 모음으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various properties presen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can be used. For example, lattice/hard consonant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a button to which a basic consonant is assigned, vowel input by repeated pressing of a vowel button, lattice sound by a control processing method (ie, combination with a vowel button) / Input of light consonants, input of consonants assigned with vowels (eg "ㅎ"), etc.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00" continuously input together with the start of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as a promised vowel.

예를 들어, [0]버튼 2회 입력이 모음 "ㅓ"로 약속되어 있다면, "1001" 입력 시 처음의 "1"입력시 "ㄱ"으로 인식하고, 2번째의 "0" 입력시 모음처리과정이 시 작된 것으로 인식하고, 다시 3번째 "0"입력시 모음 "ㅓ"로 일시적으로 인식하고, 4번째 "1" 입력이 입력되면 모음처리과정의 종료를 인식하여 연속입력된 "00"을 "ㅓ"로 확정적으로 인식하여, 입력값 "1001"에 대하여 "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4-10, 도4-11에서 격자음 입력에 있어서,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한 컨트롤처리방 법에 의하여, "ㅋ = ㄱ+{격음컨트롤} = ㄱ+ㅡ+ㅡ = 1**" 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 다. "1*"까지 입력되면, 시스템은 "그"로 인식하나 그 다음에 연속하여 입력되는 "*"을 보아 전체 입력값 "1** = ㅋ"으로 결정적(deterministic)으로 시스템이 인 식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101" 다음에 4번째 입력값으로 "*"이 입력되면, 시 스템은 입력값을 "가그"로 인식하게 된다. 이는 2벌식 키보드에서의 한글오토마 타로써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다음으로 5번째 입력값으로 "*"이 입력되면, "...1**"에서 마지막에 입력된 "1**"을 "ㅋ"으로 인식하고 확정하게 되므로, 전체 입력값 "101**"에 대하여 "가+ㅋ"으로 인식하게 된다. (註 : 유니코드체계 이용 시, 'ㅋ'이 '가'의 종성받침으로 하나의 글자로 표시되어야 하나 특허청 전자문서 편집기에서 KSC 5601 완성형만을 지원하므로 '가+ㅋ'으로 표시함) 결정적 (deterministic)이라는 의미는 일련의 입력값 "...1**" 중에서 "1**"이 감지되는 순간, "1**"을 "ㅋ"으로, 즉, 마치 PC키보드에서 [ㅋ] 버튼이 입력된 것처럼 처리 하고 인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For example, if input of the [0] button twice is promised as the vowel "o", when inputting "1001", the first input of "1" is recognized as "a", and the second input of "0" is treated as a vowel. It recognizes that the process has started, and when the third “0” is input, it is temporarily recognized as a vowel “o”, and when the fourth “1” input is input, it recognizes the end of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and continuously It is definitely recognized as "sh", and it can be recognized as "gwa" for the input value "1001". In the lattice sound input in Figs. 4-10 and 4-11,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pplying post-control input, input as "ㅋ = a + {sound control} = a + ㅡ + ㅡ = 1**" can make it If up to "1*" is entered, the system recognizes it as "that", but by seeing "*" that is subsequently input, the entire input value "1** = ㅋ" is deterministically recognized by the system. will be. If "*" is entered as the 4th input value after "101", the system recognizes the input value as "Gag". This is very natural as a Hangul automaton on the 2-beol keyboard. Next, if "*" is entered as the 5th input value, the last input "1**" in "...1**" is recognized as "ㅋ" and confirmed, so the entire input value "101**" For ", it is recognized as "Ga + ㅋ". (Note: When using the Unicode system, 'ㅋ' should be displayed as one letter as the final support for 'a', but it is displayed as 'Ga + ㅋ' because the electronic document editor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supports only the KSC 5601 complete form.) ) means that the moment "1**" is detected among a series of input values "...1**", "1**" is converted to "ㅋ", that is, as if the [ㅋ] button on the PC keyboard is input. It means that it can be processed and recognized as if it had been done.

마찬가지로 경자음 입력에 있어서, "ㄲ = ㄱ+{경음컨트롤} = 1## = ㄱ+ㅣ+ ㅣ"으로 할 수 있다. "ㅎ"의 입력 역시, "ㅎ"을 "ㅇ"의 변형알퍄벳(격자음)으로 간주하여 "ㅎ = ㅇ+{격음컨트롤} = ㅇ+ㅡ+ㅡ = 8**" 로 입력하거나, 혹은 "ㅎ"을 "ㅏ"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ㅎ = ㅏ+ㅡ+ㅡ = 0**"로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어의 시작 상태에서는 "ㅎ"을 [0]버튼 1타로, 그리고 "ㅡ", 'ㅣ", "ㅏ", "ㅜ", "ㅚ" 등의 모음(모음 "ㅏ" - 즉 예시에서 [0]버튼 - 가 결합하여 다 른 모음으로 될 수 있는 모음) 이외의 모음이 식별된 다음에는 [0] 버튼 1타로 " ㅎ"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은 이미 타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더 나아 가 "ㅎ"이 배정된 버튼 1타로 "ㅎ"을 입력할 수 있는 경우에도 "0**" 혹은 "8**" 이 "ㅎ"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변형알파벳을 3타 이상으로 입력하는 변형알파벳 "3+타"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 "ㄱ = 1", "ㅋ = 111", "ㄲ = 1111" 또는 "ㄱ = 1", "ㄲ = 111", "ㅋ = 1111". 이 경 우는 매우 드물지만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격 자음, 경자음 또는 탈락자음(기본알파벳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는 자음, 예를 들어 기본자음 "ㅇ"에 대하여 탈락자음 "ㅎ", 기본자음 "ㄴ"에 대하여 탈락자음 "ㄹ")의 입력에 소정의 선택순서에 의한 단순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 도 자명하다 예를 들어, ㄱ = 1, ㅋ = 11, ㄲ = 111 또는 ㄱ = 1, ㄲ = 11, ㅋ = 111 또는 ㄴ = ㄴ, ㄹ = ㄴ+ㄴ ("ㄹ"을 "ㄴ"의 변형알파벳(격자음 또는 경자음)으 로 간주하는 경우) 또는 ㅇ = ㅇ, ㅎ = ㅇ+ㅇ (도4-10을 기준으로 ㅇ = 8, ㅎ = 88) 로 되는 것이다. 그러나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모호성없이 입력하는 경우 에 비하여, 변형알파벳(격자음, 경자음, 탈락자음 등) "3+"타 입력방법 및 단순반 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은 모호성이 발생하면서, 입력타수의 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는 등 장점이 없다. 제시하는 모음입력기술은 본 발명에서 언급한 또는 언급하지 않은 특정 자음입력기술의 적용과 별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 며, 이상의 내용은 앞에서 설명한, 모음요소 "."으로 "ㅏ"를 입력하는 내용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Similarly, in the light consonant input, "ㄲ = ㄱ + {hard sound control} = 1 ## = ㄱ + ㅣ + ㅣ". For the input of "ㅎ", consider "ㅎ" as a modified alphabet (lattice sound) of "ㅇ" and enter "ㅎ = ㅇ + {sound control} = ㅇ+ㅡ+ㅡ = 8**", or Considering "ㅎ" as a modified alphabet of "아", "ㅎ = A+ㅡ+ㅡ = 0**"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Also, in the beginning state of a word, "ㅎ" is pressed with one stroke of the [0] button, and vowels such as "ㅡ", 'ㅣ', "ㄴ", "ㅜ", and "ㅚ" (the vowel "아" - that is, in the example [ After a vowel other than a vowel (which can become another vowel by combining the 0] button -) is identified, "ㅎ" can be input with one stroke of the [0] button, which is the same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Furthermore, even if "ㅎ" can be entered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assigned to "ㅎ", it is also possible to make "0**" or "8**" be recognized as "ㅎ".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modified alphabet "3+stroke" input method to input more than 3 strokes (eg "a = 1", "ㅋ = 111", "ㄲ = 1111" or "a = 1", "ㄲ = 111", "ㅋ = 1111". This case is very rare, but there may be ambiguity). Also, as mentioned above, lattice consonants, hard consonants, or dropped consonants (consonants considered as modified alphabets of basic alphabets, e.g. It is also obvious that the simpl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by a predetermined selection order can be applied to the input of the dropped consonant "ㅎ" for the basic consonant "ㅇ" and the dropped consonant "ㄹ" for the basic consonant "ㄴ"). For example, a = 1, ㅋ = 11, ㄲ = 111 or a = 1, ㄲ = 11, ㅋ = 111 or ㄴ = ㄴ, ㄹ = ㄴ + ㄴ ("ㄹ" is a variation of "ㄴ" light consonants)) or ㅇ = ㅇ, ㅎ = ㅇ + ㅇ (ㅇ = 8, ㅎ = 88 based on Figure 4-10) However, if input without ambiguity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Compared to, inputting modified alphabets (lattice consonants, hard consonants, dropped consonants, etc.) by the “3+” input method and simpl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causes ambiguity and has advantages such 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put strokes. Of course, the proposed vowel input technology can be applied separately from the application of the specific consonant input technology mentioned or not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 is described above. As long as,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ontents of inputting "a" as the vowel element "."

위의 자음과 모음의 입력방식 적용시 입력값에 대하여 "결정적(deterministic)으로" 자음과 모음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한글 음절(덩어리 글자)를 구성하는 것은 기존의 기술(예. 2벌식 키보드 에서의 자모음 결합 오토마타)을 적용하여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적용시 결정적(deterministic) 입력방법으로, 자음과 모음을 시스템이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므로, 굳이 흐름도는 제시하지 않는다. When the above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is applied,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identified "deterministically" with respect to the input value, so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to form Hangul syllables (block letters) is an existing technology ( For example, it can be easily processed by applying the consonant combination automata in the double keyboard. As a deterministic input method when the above contents are applied, the system can identify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re is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m, so a flowchart is not necessarily presented.

"ㅓ"를 특정 모음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ㅏ]버튼(즉, [0]버튼) 2회누 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00 = ㅓ" 또는 "0# = ㅓ"로 되는 것이다. 만약 "ㅓ"를 "00"으로만 입력하도록 한다면, "0#"을 "ㅓ"가 아닌 "ㅐ"로만 정의하고, "ㅐ = 0#"으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단 "0## = ㅔ" 인데, "0#"까지 눌려졌을 때, "ㅔ"와 모양이 다른 "ㅐ"가 표시될 수 있는 점이 있 다. 예를 들어, "10#"까지 눌러지면, "개"로 인식 (및 표시) 되고, "#"이 한번 더 눌러지면, "10## = 게"로 인식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개"입력 후 "ㅣ"를 한번 더 눌러주어 "ㅐ"의 가운데 점(또는 작은 수평선 획)이 안쪽으로 밀려 "ㅔ" 가 되는 것으로 연상할 수 있다.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ㅑ"의 입력을 " ㅏ" 버튼의 연속2번 눌러짐으로, 즉 "ㅑ = ㅏ+ㅏ"로 정의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하면 여기서 "ㅐ = ㅏ+ㅣ"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여기서 "ㅓ = ㅏ +ㅣ"로 입력해야 하므로). It was said that "sh"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A] button (ie, the [0] button) twice by repeatedly pressing a specific vowel button. That is, it becomes "00 = 0" or "0# = 0". If "ㅐ" is input only as "00", "0#" can be defined only as "ㅐ" rather than "ㅐ" and entered as "ㅐ = 0#". However, "0## = ㅔ", but when pressed to "0#", there is a point where "ㅐ" with a different shape from "ㅔ"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if "10#" is pressed, it will be recognized (and displayed) as "dog", and if "#" is pressed once more, "10## = crab" will be recognized. At this time, the user may associate "ㅔ" by pressing "ㅣ" once more after inputting "dog" so that the center dot (or small horizontal stroke) of "ㅐ" is pushed inward.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input of "ㅑ" can be defined as pressing the "a" button twice in succession, that is, "ㅑ = A + A", but in this case, input as "ㅐ = A + I" It becomes difficult to do (since you have to enter "sh = a +ㅣ" here).

표1에서 "ㅘ = ㅏ+ㅡ+ㅣ+ㅏ = 0*#0" 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더불어 "ㅘ = [ㅗ+ㅏ] = ㅏ+ㅡ+ㅏ = 0*0" 로 정의할 수도 있다. "[ ... ]" 안에 표시한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복모음을 분해하여 표시한 것이다. 단 이를 적용하면, 모음 "ㅗ = ㅏ+ㅡ = 0* (아래아, 즉 '.'이 결합할 수 없는 모음 "ㅗ")"다음에 [0]버튼 이 눌러졌을 때, [0]버튼과 함께 배정된 자음(예에서 "ㅎ")을 [0]버튼 1타로 입력 하도록 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기 제시한 다른 수단(예. 0**, 8**, 0*, .. 등)으로 "ㅎ"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ㅙ = [ㅗ+ㅐ] = ㅏ+ㅡ + ㅏ+ㅣ = 0*0#"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ㅘ = ㅏ+ㅡ+ㅏ(= 0*0)"로 정의하 는 것과 "ㅙ = ㅏ+ㅡ+ㅏ+ㅣ(= 0*0#)"로 정의하는 것은 표1에서 "ㅘ = ㅏ+ㅡ+ㅣ+ㅏ (= 0*#0)"로, "ㅙ = ㅏ+ㅡ+ㅣ+ㅏ+ㅣ(= 0*#0#)"로 정의한 것과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 하도록 할 수도 있다. "ㅘ = ㅏ+ㅡ+ㅏ(= 0*0)"로 정의하는 것과 "ㅙ = ㅏ+ㅡ+ㅏ+ ㅣ(= 0*0#)"로 정의하는 것이 입력타수가 더 적으므로 우선 적용하고, 추가적으로 (선택적으로) "ㅘ = ㅏ+ㅡ+ㅣ+ㅏ(= 0*#0)"로, "ㅙ = ㅏ+ㅡ+ㅣ+ㅏ+ㅣ(= 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ㅘ = ㅏ+ㅡ+ㅏ(= 0*0)"로 정의하 는 것과 "ㅙ = ㅏ+ㅡ+ㅏ+ㅣ(= 0*0#)"로 정의하는 것은 "ㅓ = ㅏ+ㅏ(= 00)"로 정의 하는 것과는 별개로(즉, "ㅓ = ㅏ+ㅏ(= 00)"로 정의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능하다. In Table 1, it is defined as "ㅘ = A+ㅡ+ㅣ+A = 0*#0", but it can also be defined as "ㅘ = [ㅗ+A] = A+ㅡ+A = 0*0". What is shown in "[...]" is a decomposition of the complex vowel for better understanding. However, if this is applied, when the [0] button is pressed after the vowel "ㅗ = A+ㅡ = 0* (araeah, that is, the vowel "ㅗ" that '.' cannot be combined), together with the [0] button It becomes difficult to input the assigned consonant ("ㅎ" in the example) with one stroke of the [0] button. However, it is possible to input "ㅎ" by other means (eg, 0**, 8**, 0*, .., etc.). Similarly, it is also possible to define "ㅙ = [ㅗ + ㅐ] = A + ㅡ + A + l = 0 * 0 #". The definition of "ㅘ = A+ㅡ+A (= 0*0)" and the definition of "ㅙ = A+ㅡ+A+ㅣ(= 0*0#)" are "ㅘ = A+" in Table 1. ㅡ+ㅣ+A (= 0*#0)", which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definition of "ㅙ = A+ㅡ+ㅣ+아+ㅣ(= 0*#0#)", and either one can be selectively applied. and can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Defining “ㅘ = A + ㅡ + A (= 0 * 0)” and “ㅙ = A + ㅡ + A + ㅣ (= 0 * 0 #)” have fewer input strokes, so apply them first. , additionally (optionally) "ㅘ = A+ㅡ+ㅣ+아(= 0*#0)", "ㅙ = A+ㅡ+ㅣ+A+ㅣ(= 0*#0#)"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The definition of "ㅘ = A + ㅡ + A (= 0 * 0)" and the definition of "ㅙ = A + ㅡ + A +ㅣ (= 0 * 0 #)" are "sh = A + A (= 00)" (that is, it is possible even if it is not defined as "sh = a + a (= 00)").

참고로, 선출원에서 예시한 도4-5의 한국어 키패드에서 모음요소가 "ㅡ", ".", "ㅣ"의 순서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입력의 자연스러움 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ㅡ", ".", "ㅣ" 를 자세히 보면, 복모음 "ㅢ", " ㅟ", "ㅝ", "ㅞ", . . .등의 복모음의 모양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삼 성전자社의 키패드에서처럼 "ㅣ", ".", "ㅡ"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면, 복모음이 잘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복모음의 입력에 있어서도 좌측에서 우측으로 흐르듯 이 자연스럽게 입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한걸음 더 나아가, "ㅘ = ㅏ+ㅡ+ㅏ(= 0*0)"로 입력하는 것은 "ㅘ = ㅏ+ㅡ+ㅣ+ㅏ(= 0*#0)"로 입력하는 것 보다 타수를 줄이는 의미도 있지만, 입력의 자연스러움을 증가시킨다. 예시한 도4-10의 한국어 키패드에서 한국어 모음이 "ㅡ", "ㅏ", "ㅣ"의 순서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0"을 입력하는 것은 우측 버튼([#]버튼)을 누른 후 좌측 버튼([0]버튼)을 누르게 되어 자연스러움을 저해하는 것이다. For reference, in the Korean keypad of FIGS. 4-5 illustra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vowel elements are arranged from left to right in the order of "ㅡ", ".", and "ㅣ", which serves to increase the naturalness of input do. If you look closely at "ㅡ", ".", and "ㅣ", the complex vowels "ㅢ", "ㅟ", "ㅝ", "ㅞ", . . You can observe the shape of complex vowels such as . However, conversely, if they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ㅣ", ".", and "ㅡ" as in the keypad of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e consonant vowels are not observed well.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put of the complex vowel cannot be input naturally as it flows from left to right. Similarly, going one step further, entering "ㅘ = A + ㅡ + A (= 0 * 0)" will reduce the number of strokes than entering "ㅘ = A + ㅡ + I + A (= 0 * # 0)" Meaningful, but increases the naturalness of the input. In the illustrated Korean keypad of FIG. 4-10, Korean vowels are arranged from left to right in the order of "ㅡ", "ㄴ", and "ㅣ", and entering "...#0" is done by pressing the right button ([ After pressing the #] button, pressing the left button ([0] button) hinders naturalness.

더 나아가 "ㅓ = 00"으로 하여, "ㅏ = 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를 "ㅝ", "ㅞ" 등의 복모음 입력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1에서 "ㅝ = ㅡ+ㅏ+ㅏ+ ㅣ = *00#" 로 정의되어 있으나, "ㅝ"에 있는 "ㅓ"를 "ㅏ+ㅏ = 00"으로 하여, "ㅝ = [ㅜ+ㅓ] = ㅡ+ㅏ+ㅏ+ㅏ = *000" 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역시 표1에서 "ㅞ = ㅡ +ㅏ+ㅏ+ㅣ+ㅣ"로 정의되어 있으나, "ㅞ"에 있는 "ㅓ"를 "ㅏ+ㅏ = 00"으로 하여, "ㅞ = [ㅜ+ㅓ+ㅣ] = ㅡ+ㅏ+ㅏ+ㅏ+ㅣ = *000#"로 할 수 있다. "ㅘ", "ㅙ"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ㅝ = ㅡ+ㅏ+ㅏ+ㅏ(= *000)"로 "ㅞ = ㅡ+ㅏ+ㅏ+ㅏ+ㅣ(= *000#)"로 하는 것은 "ㅓ = ㅏ+ㅏ = 00"으로 정의하는 것과는 별개로 가능하며, 표1에서 "ㅝ", "ㅞ"를 정의한 것과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한가지만 적용되 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ㅓ" 의 입력을 "ㅓ = ㅏ+ㅣ (= 0#)" 가 아닌 "ㅓ = ㅏ +ㅏ (= 00)" 으로만 정의한다면, "ㅐ = ㅏ+ㅣ (= 0#)" 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 을 것이다. Furthermore, "sh = 00" can be applied to complex vowel inputs such as "ㅝ" and "ㅞ", as in the case of "a = 0". For example, in Table 1, "ㅝ = ㅡ + A + A + ㅣ = *00#" is defined, but "ㅝ" in "ㅝ" is set to "A + A = 00", so that "ㅝ = [ TT+sh] = ㅡ+a+a+a = *000". Also in Table 1, it is defined as "ㅞ = ㅡ +a+a+ㅣ+ㅣ", but "sh" in "ㅞ" is set to "a+a = 00", so that "ㅞ = [TT+sh+ㅣ ] = ㅡ+a+a+a+ㅣ = *000#". As in the case of "ㅘ" and "ㅙ", "ㅝ = ㅡ+a+a+a (= *000)" and "ㅞ = ㅡ+a+a+a+ㅣ(= *000#)" It is possible independently of defining "o = A + A = 00", and it may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definition of "ㅝ" and "ㅞ" in Table 1, or it may be applied selectively. If the input of "sh" is defined only as "sh = A + A (= 00)" rather than "sh = A+ㅣ (= 0#)", "ㅐ = A+ㅣ (= 0#)" you will be able to input

"ㅝ = ㅡ+ㅏ+ㅏ+ㅏ(= *000)", "ㅞ = ㅡ+ㅏ+ㅏ+ㅏ+ㅣ(= *000#)"를 적용시, "1*00"까지 눌려지면, "규"로 인식하게 되나, [0] 버튼이 한번더 눌러지면, "궈" 로 인식하게 된다. [#]이 한번 더 눌러지면, "궤"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마 찬가지로 이 경우도 "*000"이 정상적인 모음(즉, "ㅝ")의 입력을 의미하므로 모음 "ㅠ(=*00)" 다음에 "ㅎ(즉, [0]버튼에 모음과 함께 배정된 자음)"이 배정된 버튼 1타로 "ㅎ"을 입력되지 못하는 것은 자명하다. When applying "ㅝ = ㅡ+a+a+a (= *000)", "ㅞ = ㅡ+a+a+a+ㅣ(= *000#)", when pressed up to "1*00", " However, if the [0] button is pressed once more, it is recognized as "Ku". If [#] is pressed once more, it will be recognized as "box". Similarly, in this case, "*000" means input of a normal vowel (ie, "ㅝ"), so the vowel "ㅠ(=*00)" followed by "ㅎ (ie, [0] button assigned with a vowel It is obvious that "ㅎ" cannot be input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to which "consonant)" is assigned.

유사하게 "ㅏ"는 "ㅏ" 가 배정된 [ㅏ]버튼(도면에서 [0]버튼)으로 입력할 수 있고, "ㅏ = ㅣ+ㅏ (=#0)" 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4.10절 및 4.11절). "ㅓ = ㅏ+ㅏ (= 00)" 으로만 입력시 "ㅓ = ㅏ+ㅣ (= 0#)"으로 하지 않고 "ㅐ = ㅏ+ㅣ (= 0#)" 으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ㅏ = ㅣ+ㅏ (= #0)" 으로 하지 않고 "ㅏ = ㅏ (= 0)"으로 만 정의한다면, "ㅣ+ㅏ"의 조합으로 다른 알파벳을 입력하는 것이 가 능하다. 예를 들어 "ㅑ = ㅣ+ㅏ+ㅏ (= #00)"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ㅑ = ㅣ+ㅏ (= #0)"으로 입력하도록 입력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모음 "ㅑ"의 음가(音價)가 "ㅣ+ㅏ" 인 것은 일정수준이상의 교육을 받은 사람이면 알고 있는 내용이다. 다 만 가장 사용빈도가 많은 모음인 모음 "ㅡ", "ㅏ", "ㅣ"를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 하되, 모음 "ㅏ" 가 배정된 버튼(즉 예시 도면에서

Figure pat00026
- 숫자 '0' 안에 'ㅏ' - 가 배치) 을 "아래아(.)"처럼 연상하여 나머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데, "ㅑ"는 음 가를 기준으로 조합하여 입력하게 되는 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표1에서 "ㅒ = ㅣ +ㅏ+ㅏ+ㅣ (=#00#)" 으로 되어 있으나, 이를 "ㅒ = [ㅑ+ㅣ] = ㅣ+ㅏ+ㅣ (= #0#)" 으로 정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ㅐ = ㅣ+ㅏ+ㅣ"가 아닌 "ㅐ = ㅏ+ㅣ"로 입력한다 는 전제). 마찬가지로 모음 "ㅑ = ㅣ+ㅏ+ㅏ"로 하는 것과 "ㅑ = ㅣ+ㅏ"로 하는 것, 그리고 모음 "ㅒ = ㅣ+ㅏ+ㅏ+ㅣ"로 하는 것과 "ㅒ = ㅣ+ㅏ+ㅣ"로 하는 것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ㅑ = ㅣ+ㅏ"로 "ㅒ = ㅣ+ㅏ+ㅣ"로 하면 모음 "ㅑ"와 "ㅒ"의 입력타수가 표1의 경우보다 1타씩 줄어들게 된다. 이 내용을 선출원에서 기술하지 않은 이유는 모음 "ㅑ"와 "ㅒ"는 사용빈도 가 많지 않은 모음이므로 입력타수 감소에는 많은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Similarly, "a" can be entered with the [a] button ([0] button in the drawing) to which "a" is assigned, or it can be entered as "a = ㅣ+a (=#0)" (Section 4.10 and Section 4.11). When entering only "sh = A + A (= 00)", as in "ㅐ = A + l (= 0#)" instead of "Sh = A + l (= 0#)", "A = If you define only "A = A (= 0)" instead of "ㅣ+A (= #0)", it is possible to input other alphabets with the combination of "ㅣ+A". For example, it is defined as "ㅑ = ㅣ + A + A (= #00)", but the input rule can be defined to input "ㅑ = ㅣ + A (= #0)". The sound value of the vowel "ㅑ" is "ㅣ + A", which is known to anyone who has receiv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However, enter the vowel using the most frequently used vowels "ㅡ", "ㄱ", and "ㅣ", but the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A" (i.e., in the example drawing
Figure pat00026
- 'A' - placed in the number '0') can be entered like "Aeraeah (.)" and the remaining vowels can be entered, but "ㅑ" is entered in combination based on the sound value. Similarly, in Table 1, "ㅒ = ㅣ +a+a+ㅣ (=#00#)", but by defining it as "ㅒ = [ㅑ+ㅣ] = ㅣ+a+ㅣ (= #0#)" You can enter (provided that you enter "ㅐ = ㄴ+ㅣ" rather than "ㅐ = ㅣ+아+ㅣ"). Similarly, the vowel "ㅑ = ㅣ+a+a" and "ㅑ = ㅣ+a", and the vowel "ㅒ = ㅣ+a+a+ㅣ" and "ㅒ = ㅣ+a+ㅣ" It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If "ㅑ = ㅣ + A" and "ㅒ = ㅣ + A + ㅣ", the number of input strokes for the vowels "ㅑ" and "ㅒ" is reduced by one stroke compared to the case of Table 1. The reason why this content is not describ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is that the vowels "ㅑ" and "ㅒ" are not frequently used vowels, so they do not have much effect on reducing the number of strokes entered.

"ㅡ", ".", "ㅣ" 3개의 모음요소를 이용한 모음 입력에서는 임의의 자음(예. "ㄱ") 다음에 "."버튼이 입력되면 일시적으로 "ㄱ."으로 표시되고, 다음 에 "ㅡ"가 입력되면 ".+ㅡ"를 "ㅗ"로 인식하여 "고" 가 표시되게 된다. 즉 입력 중간에 완전한 형태의 한글이 표시되지 못하는 단점에 있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 모음(본 예에서 "ㅡ", "ㅏ", "ㅣ") 를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임의의 자 음(예. "ㄱ") 다음에 "ㅏ"가 배정된 버튼이 눌러졌을 때, "가"와 같이 완전한 형 태의 한글이 표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ㅓ = ㅏ+ㅏ"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10" 입력에 대하여 "가"로 표시되고, "0"이 한번 더 눌러지면 "거"와 같이 완전 한 형태의 한글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특정 절차(알고리즘)에 의하여 특정 알 파벳(또는 한글 글자)를 인식하고 식별하는 문제와 이 인식된 특정 알파벳(또는 한글 글자)를 표시하는 문제는 별개의 문제이다. "ㅡ", ".", "ㅣ" In vowel input using three vowel elements, if the "." button is input after a consonant (eg "a"), it is temporarily displayed as "a.", and the next If "ㅡ" is entered in ".+ㅡ" is recognized as "ㅗ" and "high" is displayed. That i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mplete form of Hangul is not displayed in the middle of input. However, if you input a vowel by combining modern Korean vowels ("ㅡ", "ㄴ", "ㅣ" in this example), the button assigned to "ㄴ" after any consonant (eg "ㄱ") is pressed When los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play the complete form of Hangul, such as "ga". Even when "o = A + A" is applied, "ga" is displayed for the input of "10", and when "0" is pressed once more, a complete Korean character such as "geo" can be displayed. Of course, the problem of recognizing and identifying a specific alphabet (or Korean character) by a specific procedure (algorithm) and the problem of displaying this recognized specific alphabet (or Korean character) are separate issues.

또한 입력방법(입력절차)과 그 입력방법을 위한 키패드버튼상에 어떻게 적 절한 형태로 한글자소 또는 한글자소를 표상하는 부호형태를 표기할지의 문제는 별개의 문제임은 당연하다. 예를들어 도4-5에서와 같이 [0]버튼에 모음요소 "." 이 표기(숫자 "0" 안에 빨간색 점)된 키패드에서 [0] 버튼을 "ㅏ"버튼으로 간주하 여 모음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키패드 버튼상의 표기 형태는 변형이 가 능하다. 극단적으로 한글자소가 표기(marking)되지 않은 키패드에서도 본 입력방 식을 적용할 수 있음을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 있다. 몇가지 키패드 표기의 변형 형태의 예를 들면 도4-12과 같다. 도4-12는 숫자 "0(Zero)" 안에 "+"를 넣어 모 음 "ㅏ"와 "ㅓ"를 동시에 표상할 수 있도록 표시한 키패드이고, 도4-13는 역시 숫 자 "0(zero)" 안에 "-ㅏ"형상을 넣어 "ㅏ"를 "ㅓ"에 우선하여 연상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 사례이다. 또한 도4-14에서와 같이 숫자 "0(zero)" 안에 "ㅏ"와 "ㅓ" 를 좌우에 두고 붙여 놓은 형태인 "H" 형상을 넣어 "ㅏ"와 "ㅓ"를 연상하도록 한 키패드 사례이다. 입력중 일시적으로 표시되는 형태 역시 이와 같이 다양할 수 있는 것도 마찬가지 이다. 도4-15는 "ㅏ"와 "ㅓ"를 각기 표시한 사례이다. 다른 경우에서도 도4-15에서와 같이 숫자 "0"은 따로 표시되어도 상관없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과 더불어 본 발명의 모음조합방법을 응용하는 한 이외의 모 든 변형 형태 역시 본 발명의 범주임은 자명하다. 예시 도면에서 "ㅎ"이 흐린회 색으로 표시된 것은 언급한대로 "ㅎ"이 표기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다.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e input method (input procedure) and the problem of how to mark the Korean character elements or the code form representing the Korean character elements in an appropriate form on the keypad button for the input method are separate issu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5, the vowel element "." Just as it is possible to input a vowel by considering the [0] button as the “A” button on the keypad marked with this mark (red dot inside the number “0”), the notation on the keypad button can be modified. It has been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at this input method can be applied even to keypads where Korean characters are not marked. Examples of modified forms of several keypad marks are shown in FIGS. 4-12. 4-12 is a keypad displaying the vowels "a" and "o" by putting "+" in the number "0 (Zero)" at the same time, and FIG. 4-13 is also the number "0 (zero) This is an example of a keypad that puts the shape of "-A" in " )" so that "A" can be associated with "o" in priority.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4-14, a keypad case in which "H" shape, which is a form of attaching "A" and "o" to the left and right, is put in the number "0 (zero)" to remind "A" and "o" to be. It is the same that the form temporarily displayed during input can also be diverse like this. 4-15 is an example of displaying "a" and "o" respectively. In other cases, as in FIGS. 4-15, the number "0" may be displayed separately, and various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and all variations other than the application of the vowel comb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f-explanatory. In the exemplary drawing, the fact that "ㅎ" is displayed in a light gray color means that "ㅎ" may not be marked as mentioned.

특정 버튼(예. [0]버튼)을 이용하여 "1상하향모음 (ㅏ, ㅓ, ㅗ, ㅜ)"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경우, 버튼상에 표시될 수 있는 형태를 추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4-13 에서 제시한 "-ㅏ" 형태의 변형으로

Figure pat00027
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13 에서와 마찬가지로 "ㅏ"를 우선 연상할 수 있도록 하여 좌측 왼편의 수평선을 회색으로 한 사례로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없는 경우도 포함함). 또는 해당버튼을 이용하여 1상하향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Figure pat00028
형태를 버튼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입력 중간에 표시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마찬가지이다. 해당 버튼을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입력되는 모음에 따라 첫번째 제시한
Figure pat00029
형태의 좌우대칭형 또는 두번째 제시한
Figure pat00030
형태의 상하대칭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이 [0] 버튼에 표시될 경우) 다른 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숫자 "0" 이 함께 표시되거나 함께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역시 "ㅎ" 도 함께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시하는 형상은 어느 광고에 나오는 "우주의 질서와 땅의 조화" 또 거기에 인간중심(人間中心)의 사상을 담고자 한 것이다. If one or more of the "1 up and down vowels (a, sh, ㅗ, TT)" is input using a specific button (e.g. [0] button), if a form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button is additionally presented As follows. In the form of "-a" presented in Fig. 4-13
Figure pat00027
can be displayed (as in FIGS. 4-13, the horizontal line on the left side is grayed out so that “a” can be first recalled, including cases where there is no grayed part). Or when inputting 1 up and down vowel u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Figure pat00028
A shape can be displayed on a button. It is the same that it may be used in the form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input as in other cases. According to the vowels that are preferentially entered u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first
Figure pat00029
Bilateral symmetrical form or the second presented
Figure pat00030
A top-bottom symmetrical form can be used. (If this shape is displayed on the [0] button), as in other cases, the number “0” may or may not be displayed together, and “ㅎ” may also be displayed together or not. The proposed shape is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the harmony of the earth" in an advertisement, and it is intended to contain the human-centered ideology.

Figure pat00031
형태 또는
Figure pat00032
형태에서 각각 왼쪽, 아래쪽에 흐린 회색으로 표현된 분은, 다른 키패드 도면에서 "ㅎ"을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 것처럼,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쉽게 알 수 있다.
Figure pat00033
형태에서 좌측의 회색부분을 제외하면, 도4-10 에서 동그라미 또는 숫자 "0" 안에 "ㅏ" 가 있는 형상과 유사하게, "ㅏ"에 동그라미 또는 숫자 "0"이 걸쳐있는 형상이 된다.
Figure pat00034
형태는 도4-13에서 "-ㅏ" 에 동그라미 또는 숫자"0"이 걸쳐 있는 모양인데, 마찬가지로 도4-12의 "+"에 동그라미 또는 숫자 "0"이 걸쳐있는 모양으로 변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Figure pat00031
form or
Figure pat00032
In the form, it is easy to see that those expressed in gray on the left and bottom, respectively, may or may not be displayed, as in other keypad drawings, "ㅎ" may or may not be displayed.
Figure pat00033
Except for the gray part on the left side of the shape, similar to the shape with "A" in a circle or number "0" in Fig. 4-10, it becomes a shape with a circle or number "0" over "A".
Figure pat00034
The shape is a shape in which a circle or number "0" is crossed over "-A" in Fig. self-explanatory

언급한대로 한글의 특성상 평자음(예. "ㄱ") 그리고 그 평자음에 대응되는 격자음(예. "ㅋ")과 경자음(예. "ㄲ")을 대표할 수 있고 발음과 모양에 있어서 유 사성이 있으므로 변형알파벳을 키패드상에 표시하지 않고 은닉하고 평자음(예. " ㄱ") 만을 키패드에 표시하고 나머지 자음을 자연스럽게 연상하고 입력(예. 컨트 롤처리방법, 반복선택방법, 변형알파벳 3+타 입력방법 등등을 포함한 모든 방법) 할 수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과학적인 문자체계인 한글의 특성을 살려 예 시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간결한 키패드(최소한의 자소를 버튼상에 배치)를 구 성할 수 있는 것 역시 한글의 위대한 특성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변형알파벳(격자음, 경자음, 탈락자음)을 기본자음(평자음)과 함께 배정되는 키패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탈락자음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격자음 또는 경자음)으로 간주하는 경우 "ㅇ"과 "ㅎ"이 함께 키패드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탈락자음 "ㄹ"을 "ㄴ"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는 경우(선출원에서 언급한 대로 이 경우는 "ㅎ"이 기본자음이 될 수 있음) "ㄴ"과 "ㄹ"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예시한 도면에서 평자음과 함께 변형알파 벳을 병기하여 키패드 버튼상에 표기한 키패드를 적용하는 것도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즉, 격자음과 경자음중 격자음만을 평자음과 함께 키패드상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경자음만을 평자음과 함께 키패드 버튼상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평자음, 격자음, 경자음을 모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격자음중 일부의 격자음만 평자음과 함께 추가로 표시되는 경 우, 또는 경자음 중 일부의 경자음만이 평자음과 함께 표시되는 경우 등 모든 경 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As mention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it can represent flat consonants (eg "ㄱ"), lattice sounds (eg "ㅋ") and hard consonants (eg "ㄲ") corresponding to the flat consonants, and in pronunciation and shape Because of the similarity, the modified alphabet is not displayed on the keypad, but hidden, and only plain consonants (eg "a") are displayed on the keypad, and the rest of the consonants are naturally associated and input (eg, control processing metho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modified alphabet All methods including 3+ other input methods, etc.) can be used. As exemplified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the most scientific writing system existing on earth, it can be said that one of the great characteristics of Hangeul is that it can compose a naturally concise keypad (minimum number of character elements placed on buttons). Of course. However, it is obvious that in some cases, keypads in which modified alphabets (lattice consonants, hard consonants, and dropped consonants) are assigned together with basic consonants (plain consona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ropped consonant "ㅎ"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of "ㅇ" (grid or light consonant), "ㅇ" and "ㅎ" can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keypad, and the dropped consonant "ㄹ" is replaced by "ㄴ" If it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as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in this case "ㅎ" can be the basic consonant), "ㄴ" and "ㄹ" can be displayed together. It is obviou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keypad marked on the keypad button by writing the modified alphabet together with the plain consonant in the exemplified drawing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only the lattice sound along with the flat consonant on the keypad, and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only the hard consonant along with the flat consonant on the keypad butto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ll of them.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ll case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when only some of the lattice consonants are additionally displayed together with flat consonants, or when only some of the hard consonants are displayed together with flat consonants.

출원인이 선출원 및 본출원에서 제시한 모든 한국어 키패드는 호환성을 가 질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한글의 구성체계는 왼쪽에 자음 오른쪽에 모음 (즉, 좌자우모형), 그리고 윗쪽에 자음 아랫쪽에 모음 (즉, 상자하모형)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 사람들의 관념 속에는 "ㄱ"은 숫자 "1"에, "ㄴ"은 숫자 "2" 에, 그리고 "ㄷ"은 숫자 "3"에 대응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항목 분류를 위한 연번 구성시 (1), (2), (3), (4), … 와 같이 숫자를 쓰기도 하고, "가", " 나", "다", "라", … 또는 ㉠, ㉡, ㉢, ㉣, … 을 쓰기도 하는 데서도 쉽게 알 수 있다. "ㄱ", "ㄴ", "ㄷ", … 을 연번에 이용하기 위한 원문자 ㉠, ㉡, ㉢, … 이 KSC5601 문자세트에 존재하는 것 역시 이를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숫자 1, 2, 3, 4 … 버튼에 순서대로 "ㄱ", "ㄴ", "ㄷ", "ㄹ" … 을 배정하는 것이 우리 의 문자와 수적 관념에 부합하는 최적형태임은 자명하다. It has been explained that all Korean keypads presented by the applican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this application can have compatibility. The composition system of Hangeul consists of consonants on the left, vowels on the right (i.e., consonants on the right), and vowels on the bottom of consonants on the top (i.e., box submodel). And in the notion of Korean people, "ㄱ" corresponds to the number "1", "ㄴ" corresponds to the number "2", and "ㄴ" corresponds to the number "3". When configuring serial numbers for item classification, (1), (2), (3), (4), … I also write numbers like "go", "me", "da", "la", ... Or ㉠, ㉡, ㉢, ㉣, … It is easy to know even when writing . “a”, “b”, “c”, … Original characters ㉠, ㉡, ㉢, … It can be said that the existence of this KSC5601 character set also proves this. i.e. the numbers 1, 2, 3, 4... "ㄱ", "ㄴ", "ㄴ", "ㄹ" in order on the buttons... It is obvious that assigning is the optimal form that meets our concept of letters and numbers.

또 다른 예로 조선시대 초보적인 형태의 암호문에서 한글 자음위치에 숫자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당시 사용된 한자 一, 二, 三, 四, 五, …)를 사용한 경 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시" 를 "七ㅣ"로 "머"를 "五ㅓ"로 표시하는 것이다. 실제로 한글의 자음 위치에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한 단어 또는 문구를 보고 그 원 래의 문장을 알아내는 것은 한국사람으로써 매우 용이한 일이다. 이는 이러한 규 칙을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도 해당된다. 일례로 서바이벌역사퀴즈라는 TV프로그 램에서 조선시대 쓰여진 문장중에 "三ㅐ 五ㅓ 四ㅣ" 를 보여주고 무슨 뜻인지 물 었을 때, 원래의 문장이 "대머리"인 것을 "모든" 참가자가 맞추었다. (물론 퀴즈 참가자들은 첫자음을 숫자로 표시하였다는 규칙을 알지 못하는 상태였다)Another example was the use of numbers (not Arabic numerals, Chinese characters 一, 二, 三, 4, 5, …) in the position of Korean consonants in a rudimentary form of cryptography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example, "shi" is displayed as "七ㅣ" and "me" as "五sh". In fact, it is very easy for Koreans to find out the original sentence by looking at words or phrases that display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positions of Hangul. This is true even for those who are not aware of these rules. For example, in a TV program called Survival History Quiz, “三ㅐ 五や 四ㅣ” was shown among sentences written in the Joseon Dynasty and when asked what it meant, “all” participants guessed that the original sentence was “bald.” (Of course, the quiz participants were unaware of the rule that the first consonant was marked with a number)

따라서 출원인이 제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숫자 버튼에 평자음을 (순서대로) 배정하고 하단의 버튼에 모음을 배정하는 것이 자음과 연관된 우리나라 사람들의 수적관념에도 부합하고 "상자하모형" 한글 구성에도 부합하는 것은 자명하다. 그 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3개의 모음요소 "ㅡ", ".", "ㅣ"를 이용한 삼성전자社 의 자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거대기업인 삼성전자社 자판의 영향으로 일부의 업체들은 모음버튼(또는 모음요소버튼 또는 요소모음버튼)을 자음보다 상단에 두 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결코 바람직하지는 않으나 키패드 하단의 [*], [0], [#] 버튼을 [1], [2], [3] 숫자 버튼의 상단에 배치하여 도4-16, 도4-17 와 같은 형태 의 자판을 구성할 수 있다. 상자하모형 자모배치는 위배되었지만, 자음을 순서대 로 숫자버튼에 배정할 수 있다. 예시 도면 역시 출원인의 선출원 범주에 포함되 는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예시 도면에서 "한글"의 "한" 또는 "ㅎ.ㄴ ('.'은 아 래아)" 글자를 볼 수 있다. "ㅎ"이 흐린 회색으로 표현된 것은 언급한 바 "ㅎ"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ㅎ"을 [0] 버튼에 표시함으로써, 10개의 평자음을 10개의 숫자버튼([1] ~ [0] 버튼)에 배치하는 것은 現 대한민국 표준 키패드(KSC-xxxx)를 수용하는 의미를 갖는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drawing presented by the applicant, assigning plain consonants (in order) to number buttons and assigning vowels to buttons at the bottom corresponds to Korean people's numerical concept related to consonants and also corresponds to the composition of the "box and bottom model" Hangul. It is self-evident to do However, in Korea, Samsung Electronics' keyboard using three vowel elements "ㅡ", ".", and "ㅣ" is widely us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giant company Samsung Electronics' keyboard, some companies have a desire to place the vowel button (or vowel element button or element vowel button) above the consonants. Although it is never desirable, the [*], [0], [#] buttons at the bottom of the keypad are placed on top of the [1], [2], [3] number buttons to form the same shape as Figures 4-16 and 4-17. The keyboard of can be configured. Although the arrangement of consonants in the box-under-shaped pattern is violated, consonants can be assigned to number buttons in order. It is obvious that the exemplary drawings are also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prior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And in the example drawing, you can see the letters "Han" or "ㅎ.ㄴ ('.' is below)" of "Hangul". The fact that "ㅎ" is expressed in gray means that the aforementioned "ㅎ" may not be displayed. However, by displaying "ㅎ" on the [0] button, arranging 10 flat consonants on 10 number buttons ([1] ~ [0] buttons) means accepting the current Korean standard keypad (KSC-xxxx) have

이상의 내용은 한국어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전체 모음사용빈도의 약 50%) 3개의 모음 "ㅏ", "ㅡ", "ㅣ"를 이용하여 모든 모음을 입력하는 사례를 보인 것으로, 이를 변형한 유사한 모든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ㅏ" 대신 "ㅡ", "ㅣ", "ㅏ"를 제외한 임의의 모음 (예. "ㅓ" 혹은 " ㅗ" 등을 비롯한 다른 임의의 모음)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ㅏ" 대신 "ㅓ" 를 적용시 "ㅠ = ㅡ+ㅓ+ㅓ"로 될 수 있으며, 위에서 제시한 표에서 모음 "ㅏ"를 대체되는 모음("ㅓ")을 이용하여 모음의 조합을 구성하면 된다. 그러나 모음 " ㅏ"가 타 모음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사용빈도가 많으므로(언급한 바, 모음 전체 사용빈도의 22%) 모음 "ㅏ"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입력효율면 에서 좋지 않다. The above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all vowels using the three vowels "A", "ㅡ", and "ㅣ", which are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n (about 50% of the total vowel usage frequency).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all similar cases. For example, it includes applying any vowel except for "ㅡ", "ㅣ", and "ㄴ" (eg, any other vowel including "sh" or "ㅗ") instead of "ㄱ". When "o" is applied instead of "a", it can be "ㅠ = ㅡ+o+o", and in the table presented above, the vowel "a" is replaced by a vowel ("o") to form a combination of vowels You can do it. However, since the vowel "A" is used overwhelmingly more frequently than other vowels (as mentioned, 22% of the total frequency of use of the vowel), the case where the vowel "A" is used is not as good in terms of input efficiency.

표1을 조금 더 일반화하여 (요소)모음 "ㅡ", "ㅣ", "X" 의 3개 모음 (및 3 개 모음버튼)을 이용하여 모음을 처리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아래의 표에서 한국어의 21개 모음중 모음 "ㅡ", "ㅣ"를 제외한 19개 모음중 모음 "X"로 사용되는 모음은 모음 "X"가 배정된 버튼(즉, [X]버튼) 1타로 입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By generalizing Table 1 a little more, processing vowels using three vowels (and three vowel buttons) of (element) vowels "ㅡ", "ㅣ", and "X" can be done as follows. In the table below, among the 21 vowels in Korean, among the 19 vowels excluding "ㅡ" and "ㅣ", the vowel used as vowel "X" is the button assigned to vowel "X" (i.e., the [X] button) 1 It is self-evident that it can be input in other words.

모음collec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XX XX 1One all ㅣ+Xㅣ+X 22 eh ㅣ+ X +ㅣㅣ+ X +ㅣ 33 hey ㅣ+ X + Xㅣ+ X + X 44 this guy ㅣ+ X + X +ㅣㅣ+ X + X +ㅣ 55 yes X +ㅣX + l 66 to X +ㅣ+ㅣX +ㅣ+ㅣ 77 woman X + X +ㅣX + X +I 88 yes X + X +ㅣ+ㅣX + X +ㅣ+ㅣ 99 fuck you X +ㅡX +- 1010 X +ㅡ+ㅣ+ XX +ㅡ+ㅣ+ X 1111 X +ㅡ+ㅣ+ X +ㅣX +ㅡ+ㅣ+ X +ㅣ 1212 X +ㅡ+ㅣX +ㅡ+ㅣ 1313 blanket X + X +ㅡX + X +- 1414 sob ㅡ+ Xㅡ+ X 1515 ㅡ+ X + X +ㅣㅡ+ X + X +ㅣ 1616 ㅡ+ X + X +ㅣ+ㅣㅡ+ X + X +ㅣ+ㅣ 1717 ㅡ+ X +ㅣㅡ+ X +ㅣ 1818 ㅡ+ X + Xㅡ+ X + X 1919 2020 ㅡ+ㅣㅡ+ㅣ 2121 tooth tooth

이를 더 일반화하여 한국어의 임의의 3개 모음버튼을 사용하여 위의 표와 유사한 조합에 의하여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A", "B", "X" 를 요소모음으로 하고 다음과 유사하게 나머지 모음을 조합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모음 "A", "B", "X" 는 각각의 모음이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될 수 있음 은 또한 자명하다. 사용자의 편리성 및 입력타수의 최소화를 위해 "ㅡ", "ㅣ" 와 "ㅏ" 를 포함하는 3개의 모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By further generalizing this, vowels can be input by a combination similar to the table above using any three vowel buttons in Korean. For example, you can input vowels "A", "B", and "X" as element vowels and input the remaining vowels in combination similar to the following. It is also obvious that the vowels "A", "B", and "X" can be input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assigned to each vowel. For user convenience and minimization of the number of input strokes, it is preferable to use three vowels including “ㅡ”, “ㅣ” and “A”.

모음collec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XX XX AA AA BB BB 1One all B+XB+X 22 eh B+ X +BB+X+B 33 hey B+ X + XB+ X + X 44 this guy B+ X + X +BB+X+X+B 55 yes X +BX+B 66 to X +B+BX+B+B 77 woman X + X +BX+X+B 88 yes X + X +B+BX + X +B+B 99 fuck you X +AX+A 1010 X +A+B+ XX +A+B+ X 1111 X +A+B+ X +BX+A+B+ X+B 1212 X +A+BX+A+B 1313 blanket X + X +AX+X+A 1414 sob A+ XA+X 1515 A+ X + X +BA+X+X+B 1616 A+ X + X +B+BA+ X + X +B+B 1717 A+ X +BA+X+B 1818 A+ X + XA+X+X 1919 2020 A+BA+B 2121 tooth

제시한 바와 같이 한국어의 3개 모음 ("ㅏ", "ㅡ", "ㅣ") (및 3개 모음버튼)을 이용하여 모음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데, 이렇게 현대 한국어 의 3개 모음을 이용하는 모음입력방법의 사례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의 사례는 모음 "ㅓ", "ㅡ", "ㅣ"를 이용하는 사례이다. 여기서는 편 의상 자음의 입력에는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아래의 사 례에서 모음 입력 규칙에 "ㅡ" 또는 "ㅣ"가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임) As suggeste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nput vowels using the three vowels ("아", "ㅡ", "ㅣ") of Korean (and the three vowel buttons). An example of the vowel input method is additionally presented as follows. The following example is an example of using the vowels "sh", "ㅡ", and "ㅣ". Here, for convenience,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not applied to the input of consonants. (This is because "ㅡ" or "ㅣ" appears consecutively in the vowel input rule in the case below.)

모음collection 모음
분해
collection
decomposi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B)적용시, 적용 불가 (B) When applicable, not applicable
(A)(A) (B)(B) 1One all ㅣ+ㅣ ㅣ+ㅣ ㅣ+ㅡ or ㅓ+ㅓㅣ+ㅡ or ㅇ+ㅇ 22 eh ㅣ+ㅓ
(ㅣ+ㅣ+ㅣ (X))
ㅣ+sh
(ㅣ+ㅣ+ㅣ (X))
ㅣ+ㅡ+ㅣㅣ+ㅡ+ㅣ
33 hey ㅣ+ㅣ+ㅣ ㅣ+ㅣ+ㅣ ㅣ+ㅡ+ㅡ or
ㅣ+ㅣ+ㅡ
ㅣ+ㅡ+ㅡ or
ㅣ+ㅣ+ㅡ
44 this guy ㅑ+ㅣ
ㅏ+ㅓ
ㅑ+ㅣ
A+sh
ㅣ+ㅣ+ㅣ+ㅣ or
ㅣ+ㅣ+ㅓ
ㅣ+ㅣ+ㅣ+ㅣ or
ㅣ+ㅣ+sh
ㅣ+ㅡ+ㅡ+ㅣ or
ㅣ+ㅣ+ㅡ+ㅣ
ㅣ+ㅡ+ㅡ+ㅣor
ㅣ+ㅣ+ㅡ+ㅣ
55 yes yes 66 to ㅓ+ㅣㅇ+ㅣ ㅓ+ㅣㅇ+ㅣ ㅡ+ㅣ+ㅣㅡ+ㅣ+ㅣ ㅟ(B), ㅠ(B)ㅟ(B), ㅠ(B) 77 woman ㅡ+ㅓ
(ㅡ+ㅡ+ㅣ (X))
ㅡ+sh
(ㅡ+ㅡ+ㅣ (X))
88 yes ㅕ+ㅣㅕ+ㅣ ㅡ+ㅓ+ㅣㅡ+ㅇ+ㅣ 99 fuck you ㅣ+ㅡ or
ㅓ+ㅓ
ㅣ+ㅡ or
o + o
1010 ㅗ+ㅏㅗ+a ㅣ+ㅡ+ㅣ+ㅣㅣ+ㅡ+ㅣ+ㅣ ㅣ+ㅡ+ㅣ+ㅡㅣ+ㅡ+ㅣ+ㅡ 1111 ㅘ+ㅣ
ㅚ+ㅓ
ㅘ+ㅣ
ㅚ+sh
ㅣ+ㅡ+ㅣ+ㅣ+ㅣ
ㅣ+ㅡ+ㅣ+ㅓ
ㅣ+ㅡ+ㅣ+ㅣ+ㅣ
ㅣ+ㅡ+ㅣ+sh
ㅣ+ㅡ+ㅣ+ㅡ+ㅣ
ㅣ+ㅡ+ㅣ+ㅓ
ㅣ+ㅡ+ㅣ+ㅡ+ㅣ
ㅣ+ㅡ+ㅣ+sh
1212 ㅗ+ㅣㅗ+ㅣ ㅣ+ㅡ+ㅣㅣ+ㅡ+ㅣ 1313 blanket ㅣ+ㅣ+ㅡㅣ+ㅣ+ㅡ 1414 sob ㅡ+ㅡㅡ+ㅡ 1515 ㅜ+ㅓTT + ㅇ ㅡ+ㅡ+ㅓ
ㅡ+ㅡ+ㅇ
ㅡ+ㅣ+ㅡ or
ㅡ+ㅣ+ㅡ+ㅣ
ㅡ+ㅣ+ㅡ or
ㅡ+ㅣ+ㅡ+ㅣ
ㅞ(B-1)ㅞ(B-1) 1616 ㅝ+ㅣㅝ+ㅣ ㅡ+ㅡ+ㅓ+ㅣ or
ㅡ+ㅡ+ㅓ+ㅓ
ㅡ+ㅡ+sh+ㅣ or
ㅡ+ㅡ+sh+sh
ㅡ+ㅣ+ㅡ+ㅣ or
ㅡ+ㅣ+ㅡ+ㅣ+ㅣ
ㅡ+ㅣ+ㅡ+ㅣ or
ㅡ+ㅣ+ㅡ+ㅣ+ㅣ
ㅝ(B-2)ㅝ(B-2)
1717 ㅜ+ㅣTT+ㅣ ㅡ+ㅡ+ㅣㅡ+ㅡ+ㅣ ㅡ+ㅣ+ㅣㅡ+ㅣ+ㅣ ㅔ(B), ㅠ(B)ㅔ(B), ㅠ(B) 1818 ㅡ+ㅡ+ㅡ ㅡ+ㅡ+ㅡ ㅡ+ㅣ+ㅣㅡ+ㅣ+ㅣ ㅔ(B), ㅟ(B)ㅔ(B), ㅟ(B) 1919 2020 ㅡ+ㅣㅡ+ㅣ 2121 tooth tooth

위에서 "모음분해"란에 복모음을 분해하여 적은 것은 이해를 돕기위하여 표 기한 것이다. (A), (B) 및 "or" 로 하나의 모음에 대하여 몇가지(다수)의 입력규 칙을 제시한 것은 다양한 사례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decomposition of complex vowels in the "vowel decomposition" column above is indicated for better understanding. Presenting several (multiple) input rules for one vowel as (A), (B) and "or" shows that various cases are possible.

위 사례의 특징 중의 한가지는 모음 "ㅣ"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ㅏ", "ㅑ" 를 입력하고, 모음 "ㅡ"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ㅜ", "ㅠ"를 입력하는 것이다. 즉, "ㅡ" 버튼을 1번 누르면 "ㅡ"가 되고, 2번누르면 "ㅜ"가 되고, 3번 누르면 " ㅠ"가 된다.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은 버튼을 반복하여 누르 는 편리함과 함께 버튼의 누름에 따라 획이 추가되는 느낌을 가질 수 있으므로 입 력의 자연스러움을 제공한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case is to input "A" and "ㅑ" by repeatedly pressing the vowel "ㅣ" button, and input "TT" and "ㅠ" by repeatedly pressing the vowel "ㅡ" button. That is, when the "ㅡ" button is pressed once, it becomes "ㅡ", when it is pressed twice, it becomes "TT", and when it is pressed three times, it becomes "ㅠ".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i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repeatedly pressing the same button and the feeling of adding a stroke by pressing the button, providing naturalness of input)

또 한가지 특징은 모음 "ㅡ"와 "ㅣ" 의 수평선형태와 수직선형태를 이용하 여 나머지 모음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때, "ㅓ", "ㅢ", "ㅜ" 가 모두 "수평선형 태와 수직선형태"의 조합이된다. 이들 모음중 "ㅢ = ㅡ+ㅣ"로 입력하는 것이 타 당하다. 모음 "ㅓ"는 자체로 "ㅓ"가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할 수 있고, 모음 " ㅜ"는 "ㅡ"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모음 "ㅟ = [ ㅜ+ㅣ]"와 "ㅕ" 의 경우도 "ㅡ+ㅡ+ㅣ"로 표현될 수 있으나, ("ㅟ"의 "ㅜ = ㅡ+ㅡ" 로 하면) 이때에도 "ㅕ = ㅡ+ㅡ+ㅣ"로 하지 않고 "ㅕ = ㅡ+ㅓ"로 함으로써, "ㅟ = ㅡ+ㅡ+ㅣ"로 할 수 있게 된다. "ㅐ" 역시 "ㅐ = ㅣ+ㅣ+ㅣ" 로 하지 않고 "ㅐ = ㅣ+ㅓ"로 함으로써, "ㅑ = ㅣ+ㅣ+ㅣ"로 하는 것이다. Another feature is to input the rest of the vowels us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of the vowels "ㅡ" and "ㅣ". At this time, "sh", "ㅢ", and "TT" are all a combination of "horizontal line shape and vertical line shape". Among these vowels, it is appropriate to enter "ㅢ = ㅡ+ㅣ". The vowel "sh" can be entered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to which "sh" is assigned, and the vowel "TT" can be naturally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button. In addition, the vowels "ㅟ = [ TT+ㅣ]" and "ㅕ" can be expressed as "ㅡ+ㅡ+ㅣ", but (if "TT = ㅡ+ㅡ" of "ㅟ"), "ㅕ" = ㅡ + ㅡ + ㅣ instead of "ㅕ = ㅡ + ㅇ", it is possible to do "ㅟ = ㅡ + ㅡ + ㅣ". "ㅐ" is also "ㅐ = ㅣ+ㅣ+ㅣ" instead of "ㅐ = ㅣ+ㅇ", so "ㅑ = ㅣ+ㅣ+ㅣ".

위의 사례의 특징은 모음 "ㅓ"가 포함된 모음 (예를 들어, ㅔ, ㅕ, ㅖ, ㅝ, ㅞ, 그리고 더 나아가 "ㅐ", "ㅒ", "ㅙ" 등의 모음) 을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 는 것이다. "ㅕ"의 경우도 "ㅡ+ㅡ+ㅣ"로 입력한다면, 타수도 3타가 될 뿐더러, "ㅟ = [ㅜ+ㅣ] = ㅡ+ㅡ+ㅣ" 를 입력하기 어려워진다. 물론 "ㅟ = ㅡ+ㅣ+ㅣ"로 한다면, "ㅕ = ㅡ+ㅡ+ㅣ" 로 할 수도 있지만, "ㅟ"에 포함되어 있는 "ㅜ"를 모음 "ㅜ"의 입력방법(ㅜ = ㅡ+ㅡ)과 다른 방법으로 입력하게 되어 입력규칙의 단순성 및 사용자 편의성, WYSWYG 등의 측면에서 좋지 않다고 보인다. The characteristic of the above case is that a vowel containing the vowel "sh" (for example, ㅔ, ㅕ, ㅖ, ㅝ, ㅞ, and furthermore, vowels such as "ㅐ", "ㅒ", "ㅙ") is naturally entered. It can be done. In the case of "ㅕ", if you enter "ㅡ+ㅡ+ㅣ", the number of strokes will be 3, and it will be difficult to enter "ㅟ = [ㅜ+ㅣ] = ㅡ+ㅡ+ㅣ". Of course, if "ㅟ = ㅡ+ㅣ+ㅣ", it can be done as "ㅕ = ㅡ+ㅡ+ㅣ", but the "TT" included in "ㅟ" is the input method of the collection "TT" (TT = ㅡ+ ㅡ) and input in a different way, which is not good in terms of simplicity of input rules, user convenience, and WYSWYG.

위 표에서 "(B)적용시 적용불가"의 의미는, 모음 "ㅔ", "ㅟ", "ㅠ" 의 (B) 는 모두 "ㅡ+ㅣ+ㅣ"로 되어 있으므로, 한가지 모음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table above, the meaning of "not applicable when (B) is applied" applies to only one vowel because (B) of the vowels "ㅔ", "ㅟ", and "ㅠ" are all "ㅡ+ㅣ+ㅣ" It means you can.

위의 사례를 변형하여 "ㅡ"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ㅗ", "ㅛ"로 되거나, "ㅣ"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ㅓ", "ㅕ"로 되도록 변형할 수도 있다. (양자 중 한한가지 또는 두가지 모두) 그러나 위의 사례에서 보인 것보다 입력의 자연스러 움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성 면에서는 좋지 않을 것이다. The above case can be modified to become "ㅗ" or "ㅛ"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button, or to "sh" or "ㅕ"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One of the two or both) However, it will not be better in terms of the naturalness of input and user convenience than shown in the case above.

위의 사례에서 모음처리과정의 시작시에 모음 "ㅡ" 또는 "ㅣ" 가 연속하여 나오는 입력사례를 제외한 나머지 입력방법은, 변형알파벳(격/경자음 등)을 컨트 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단, 변형알 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사례의 입력규칙과 충돌되지 않는 한에 서). 마찬가지로 <표1> 등에서의 입력사례 중 위의 사례와 충돌되지 않는 (즉, 다른 모음에 대하여 동일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에서 위의 사례와 선택적으로 적 용할 수 있다. 이는 본발명 전체에서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In the above case, except for the input cases in which the vowels "ㅡ" or "ㅣ" appear consecutively at the beginning of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the rest of the input methods are inputting modified alphabets (case / hard consonants, etc.)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provided, however, that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input rules of the case where modified alphabets are entered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Likewise, among the input cases in <Table 1>, etc., the above case can be selectively appli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above case (ie, it is not defined identically for other vowels). It is obvious that this is applicable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은 위와 유사하게 모음 "ㅡ", "ㅣ"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ㅓ", "ㅕ" 및 "ㅏ", "ㅑ" 등을 입력하고, 모음 "ㅡ", "ㅣ"의 수평선형태 및 수직선형태의 조합 을 이용하여 나머지 모음을 입력하되, "ㅏ", "ㅡ", "ㅣ"의 3개 모음버튼을 이용하 는 경우의 사례이다. Next, similarly to the above, enter "sh", "ㅕ" and "A", "ㅑ" by repeatedly pressing the vowels "ㅡ" and "ㅣ", and the horizontal shape of the vowels "ㅡ" and "ㅣ" This is an example of using the three vowel buttons of "a", "ㅡ", and "ㅣ" while inputting the remaining vowels using a combination in the form of a vertical line.

모음collection 모음
분해
collection
decomposi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B)적용시, 적용불 가 (B) When applicable, not applicable
(A)(A) (B)(B) 1One all all ㅣ+ㅣ ㅣ+ㅣ ㅛ(A), ㅑ(A-4)ㅛ(A), ㅑ(A-4) 22 eh ㅏ+ㅣ A + l ㅣ+ㅡ+ㅣㅣ+ㅡ+ㅣ 33 hey ㅏ+ㅡ or
ㅣ+ㅣ+ㅣ or
ㅣ+ㅣ+ㅡ or
ㅣ+ㅣ
A + ㅡ or
ㅣ+ㅣ+ㅣ or
ㅣ+ㅣ+ㅡ or
ㅣ+ㅣ
ㅣ+ㅡ+ㅡㅣ+ㅡ+ㅡ
44 this guy ㅑ+ㅣㅑ+ㅣ ㅏ+ㅡ+ㅣ A+ㅡ+ㅣ ㅣ+ㅡ+ㅡ+ㅣㅣ+ㅡ+ㅡ+ㅣ 55 yes ㅏ+ㅏA + A 66 to ㅓ+ㅣㅇ+ㅣ ㅏ+ㅏ+ㅣA + A + l ㅡ+ㅣ+ㅣㅡ+ㅣ+ㅣ ㅟ(B), ㅠ(B)ㅟ(B), ㅠ(B) 77 woman ㅡ+ㅏ or
ㅡ+ㅏ+ㅏ or
ㅏ+ㅏ+ㅏ or
ㅡ+A or
ㅡ+A+A or
A+A+A or
ㅡ+ㅡ+ㅣㅡ+ㅡ+ㅣ ㅟ(A)ㅟ(A)
88 yes ㅕ+ㅣㅕ+ㅣ ㅡ+ㅡ+ㅣ+ㅣ or
ㅏ+ㅏ+ㅏ+ㅏ
ㅡ+ㅡ+ㅣ+ㅣ or
A+A+A+A
99 fuck you ㅣ+ㅡㅣ+ㅡ 1010 ㅗ+ㅏㅗ+a ㅣ+ㅡ+ㅏㅣ+ㅡ+A 1111 ㅘ+ㅣㅘ+ㅣ ㅣ+ㅡ+ㅏ+ㅣㅣ+ㅡ+A+ㅣ 1212 ㅗ+ㅣㅗ+ㅣ ㅣ+ㅡ+ㅣㅣ+ㅡ+ㅣ 1313 blanket ㅣ+ㅣ+ㅡㅣ+ㅣ+ㅡ 1414 sob ㅡ+ㅡㅡ+ㅡ 1515 ㅜ+ㅓTT + ㅇ ㅡ+ㅡ+ㅏ or
ㅡ+ㅣ+ㅡ
ㅡ+ㅡ+A or
ㅡ+ㅣ+ㅡ
ㅡ+ㅡ+ㅏ+ㅏ or
ㅡ+ㅣ+ㅡ+ㅣ
ㅡ+ㅡ+A+A or
ㅡ+ㅣ+ㅡ+ㅣ
ㅞ(A-2)ㅞ(A-2) 1616 ㅝ+ㅣㅝ+ㅣ ㅡ+ㅡ+ㅏ+ㅣ or
ㅡ+ㅣ+ㅡ+ㅣ
ㅡ+ㅡ+A+ㅣ or
ㅡ+ㅣ+ㅡ+ㅣ
ㅡ+ㅡ+ㅏ+ㅏ+ㅣ or
ㅡ+ㅣ+ㅡ+ㅣ+ㅣ
ㅡ+ㅡ+A+A+ㅣ or
ㅡ+ㅣ+ㅡ+ㅣ+ㅣ
1717 ㅜ+ㅣTT+ㅣ ㅡ+ㅡ+ㅣㅡ+ㅡ+ㅣ ㅡ+ㅣ+ㅣㅡ+ㅣ+ㅣ ㅔ(B), ㅠ(B)ㅔ(B), ㅠ(B) 1818 ㅡ+ㅡ+ㅡ ㅡ+ㅡ+ㅡ ㅡ+ㅣ+ㅣㅡ+ㅣ+ㅣ ㅔ(B), ㅟ(B)ㅔ(B), ㅟ(B) 1919 2020 ㅡ+ㅣㅡ+ㅣ 2121 tooth tooth

모음 "ㅓ", "ㅡ", "ㅣ"의 사용빈도는 전체모음 사용빈도의 약 40%이고, 모 음 "ㅏ", "ㅡ", "ㅣ"의 사용빈도는 약 50% 이므로, "ㅏ", "ㅡ", "ㅣ"를 사용하는 것이 입력타수면에서는 효율적일 수 있다. 그리고 모음 "ㅏ"가 포함된 모음 (예. "ㅐ", "ㅑ", "ㅒ", "ㅘ", "ㅙ" 등) 의 입력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ㅟ = ㅡ+ㅡ+ㅣ" 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ㅕ = ㅡ+ㅡ+ㅣ"로 입력하 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ㅕ = ㅏ+ㅏ+ㅏ" 로 입력한다면, "ㅏ" 버튼 의 누름에 따라 "ㅏ", "ㅓ", "ㅕ" 로 되는 것이다. The frequency of use of vowels "sh", "ㅡ", and "ㅣ" is about 40% of the total frequency of use of vowels, and the frequency of use of vowels "a", "ㅡ", and "ㅣ" is about 50%, so " Using ", "ㅡ", and "ㅣ" can be efficient in terms of input stroke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naturally inputting vowels (eg, "ㅐ", "ㅑ", "ㅒ", "ㅘ", "ㅙ", etc.) including the vowel "아". However, in order to input "ㅟ = ㅡ+ㅡ+ㅣ", there is a disadvantage such as not being able to input "ㅕ = ㅡ+ㅡ+ㅣ". Therefore, if you enter "ㅕ = A + A + A", "A", "sh", and "ㅕ" will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s of the "A" button.

하나의 모음에 대한 입력방법중 한가지만을 적용하거나 여러가지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음은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동일한 입력값(위 사례 에서 동일한 모음조합)을 갖는 모음이 다수인 경우 한가지만 가능하도록 하면 된 다.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ly one of the input methods for one vowel or several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However, similarly, if there are multiple vowels with the same input value (the same vowel combination in the case above), only one is required.

"ㅝ" 입력의 (A)에서 "ㅝ = ㅡ+ㅡ+ㅏ"로 한 것은 모음 "ㅜ" 다음에 "ㅏ"가 조합되는 한국어 모음이 없으므로, "ㅝ = ㅡ+ㅡ+ㅏ"로 하여 입력타수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그러나 입력규칙의 단순성, 일관성 면에서는 단점이 된다. 따라서 "ㅝ = ㅡ+ㅡ+ㅏ"와 동시에 "ㅝ" 입력의 (B)에서와 같이 "ㅝ = [ㅜ+ㅓ] = ㅡ+ㅡ+ㅏ+ㅏ" 로도 입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동시에 "ㅝ" 의 입력에 모음 "ㅡ", "ㅣ"의 수평선 및 수직선 형태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In (A) of the "ㅝ" input, "ㅝ = ㅡ + ㅡ + A" is input as "ㅝ = ㅡ + ㅡ + A" because there is no Korean vowel that is combined with "a" after the vowel "TT" It has been shown that the number of strokes can be reduced. However, it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simplicity and consistency of input rules. Therefore, as in (B) of the "ㅝ" input at the same time as "ㅝ = ㅡ+ㅡ+A", "ㅝ = [ㅜ+sh] = ㅡ+ㅡ+아+아" can be input as well. At the same time, i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combin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of the vowels "ㅡ" and "ㅣ" in the input of "ㅝ".

또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4-*의 키패드 간의 호환성이 있음은 자명 하다. (예를 들어, 4-10에서 설명한 입력방식을 4-9에서 적용가능)Also, as mention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re is compatibility between the keypads of FIG. 4-*. (For example, the input method described in 4-10 can be applied in 4-9)

유사한 사례로 역시 현대 한국어의 3개 모음을 이용하고, 그중에서도 모음 "ㅏ", "ㅡ", "ㅣ"를 사용하면서, "ㅣ"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ㅓ", "ㅕ", "ㅖ" 를 입력하고, "ㅡ"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ㅜ", "ㅠ"를 입력하고, "ㅑ"는 "ㅏ"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입력하고, "ㅗ", "ㅛ"는 수평선/수직선 형태의 모음인 "ㅡ"와 "ㅣ" 의 조합으로 (즉, "ㅗ = ㅣ+ㅡ", "ㅛ = ㅣ+ㅣ+ㅡ") 10개 기본모음(즉,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을 입력하고, 나머지 모음은 이들 모음들의 조합으로 입 력하는 사례를 보인다. As a similar example, while using the three vowels of modern Korean, among them the vowels "a", "ㅡ", and "ㅣ", press the "ㅣ" button repeatedly to obtain "sh", "ㅕ", and "ㅖ". , input "TT" and "ㅠ"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button, enter "ㅑ" by repeatedly pressing the "A" button, and enter "ㅗ" and "ㅛ" in the form of horizontal/vertical lines With a combination of vowels "ㅡ" and "ㅣ" (i.e., "ㅗ = ㅣ+ㅡ", "ㅛ = ㅣ+ㅣ+ㅡ") 10 basic vowels (i.e., A, ㅑ, sh, ㅕ, ㅗ , ㅛ, TT, ㅠ), and the remaining vowels ar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these vowels.

모음collection 모음
분해
collection
decomposi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B)적용시, 적용불 가 (B) When applicable, not applicable
(A)(A) (B)(B) 1One all all 22 eh ㅏ+ㅣ A + l 33 hey ㅏ+ㅏ A + A 44 this guy ㅑ+ㅣㅑ+ㅣ ㅏ+ㅏ+ㅣ A + A + l 55 yes ㅣ+ㅣㅣ+ㅣ 66 to ㅓ+ㅣㅇ+ㅣ ㅡ+ㅣ+ㅣㅡ+ㅣ+ㅣ 77 woman ㅣ+ㅣ+ㅣ ㅣ+ㅣ+ㅣ 88 yes ㅕ+ㅣㅕ+ㅣ ㅣ+ㅣ+ㅣ+ㅣㅣ+ㅣ+ㅣ+ㅣ 99 fuck you ㅣ+ㅡㅣ+ㅡ 1010 ㅗ+ㅏㅗ+a ㅣ+ㅡ+ㅏㅣ+ㅡ+A 1111 ㅘ+ㅣㅘ+ㅣ ㅣ+ㅡ+ㅏ+ㅣㅣ+ㅡ+A+ㅣ 1212 ㅗ+ㅣㅗ+ㅣ ㅣ+ㅡ+ㅣㅣ+ㅡ+ㅣ 1313 blanket ㅣ+ㅣ+ㅡㅣ+ㅣ+ㅡ 1414 sob ㅡ+ㅡㅡ+ㅡ 1515 ㅜ+ㅓ
ㅠ+ㅣ
TT + ㅇ
ㅠ+ㅣ
ㅡ+ㅡ+ㅣ+ㅣ or
ㅡ+ㅡ+ㅡ+ㅣ
ㅡ+ㅡ+ㅣ+ㅣ or
ㅡ+ㅡ+ㅡ+ㅣ
1616 ㅝ+ㅣ
ㅠ+ㅣ+ㅣ
ㅝ+ㅣ
ㅠ+ㅣ+ㅣ
ㅡ+ㅡ+ㅣ+ㅣ+ㅣ or
ㅡ+ㅡ+ㅡ+ㅣ+ㅣ
ㅡ+ㅡ+ㅣ+ㅣ+ㅣ or
ㅡ+ㅡ+ㅡ+ㅣ+ㅣ
1717 ㅜ+ㅣTT+ㅣ ㅡ+ㅡ+ㅣㅡ+ㅡ+ㅣ 1818 ㅡ+ㅡ+ㅡ ㅡ+ㅡ+ㅡ 1919 2020 ㅡ+ㅣㅡ+ㅣ 2121 tooth tooth

위의 사례에서 10개 기본모음 중 "ㅡ"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입력하지 않는 "ㅗ", "ㅛ"에만 모음 "ㅡ"와 "ㅣ"의 조합이 이용되었다. 그리고 "ㅔ" 의 입력에 도 "ㅔ = ㅡ+ㅣ+ㅣ" 로 수평선/수직선 형태의 모음인 "ㅡ"와 "ㅣ"의 조합이 이용 되었다. 만약 "ㅕ = ㅣ+ㅣ+ㅣ"로 하지 않고 모음 "ㅡ"와 "ㅣ"의 조합으로 하여 "ㅕ = ㅡ+ㅡ+ㅣ"로 한다면, "ㅔ = [ㅓ+ㅣ] = "ㅣ+ㅣ+ㅣ"로 할 수 있을 것이다. 10개 기본모음 이외의 모음은 모두 위에서 입력되는 10개 기본모음의 조합으로 입 력하고 있다. 단 "ㅞ = [ㅜ+ㅔ] = ㅡ+ㅡ+ㅣ+ㅣ+ㅣ" 로 "ㅞ"에 포함된 "ㅔ"를 "ㅣ +ㅣ+ㅣ"로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인지하기 쉬운 입력규칙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above, the combination of vowels "ㅡ" and "ㅣ" was used only for "ㅗ" and "ㅛ", which are not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button among the 10 basic vowels. And even for the input of "ㅔ", the combination of "ㅡ" and "ㅣ", which are vowels in the form of horizontal/vertical lines, was used as "ㅔ = ㅡ+ㅣ+ㅣ". If "ㅕ = ㅡ+ㅡ+ㅣ" is made by combining the vowels "ㅡ" and "ㅣ" instead of "ㅕ = ㅣ+ㅣ+ㅣ", "ㅔ = [sh+ㅣ] = "ㅣ+ㅣ +ㅣ". Vowels other than the 10 basic vowels are all entered as a combination of the 10 basic vowels entered above. However, "ㅞ = [TT+ㅔ] = ㅡ+ㅡ+ㅣ+ㅣ With +ㅣ", "ㅔ" included in "ㅞ" is set to "ㅣ +ㅣ+ㅣ" It can be seen that the input rule that is easy to recognize is applied as a whole.

위에서 "ㅗ", "ㅛ", "ㅔ" 등을 비롯하여 수평선 수직선 형태의 모음인 "ㅡ"와 "ㅣ"의 조합이 이용된 모음의 입력에 있어서 <표1>에서와 같은 입력규칙 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input of vowels using a combination of "ㅗ", "ㅛ", "ㅔ", etc. as well as horizontal and vertical vowels "ㅡ" and "ㅣ" above, the same input rules as in <Table 1> are selectively Of course, it can be applied.

한국어의 3개 모음 (및 3개 모음버튼)을 이용하여 한국어 모음을 입력하는 사례를 추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21개 모음 을 편의상 수직/수평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inputting Korean vowels using three Korean vowels (and three vowel buttons) is as follows. First, the 21 vowels used in modern Korean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vertical/horizontal form for convenience as follows.

"ㅡ"를 편의상 "수평 모음"이라 하고, "ㅣ"를 편의상 "수직 모음"이라 한부 른다. "ㅡ"와 "ㅣ"가 포함된 "ㅘ", "ㅙ", ㅚ", "ㅝ", "ㅞ", "ㅟ", "ㅢ"를 "수직 수평 모음" 이라고 부른다. "ㅡ"를 포함하여 작은 획이 추가된 형태의 "ㅗ", " ㅛ", "ㅜ", "ㅠ" 를 "수평(기본)형 모음"이라 한다. 그리고 "ㅣ"를 포함하여 작 은 획이 추가된 형태의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를 "수 직(기본)형 모음"이라 한다. "ㅡ" is called a "horizontal vowel" for convenience, and "ㅣ" is called a "vertical vowel" for convenience. "ㅘ", "ㅙ", ㅚ", "ㅝ", "ㅞ", "ㅟ", "ㅢ" containing "ㅡ" and "ㅣ" are called "vertical and horizontal vowels". "ㅗ", "ㅛ", "ㅜ", and "ㅠ" in the form of small strokes added are called "horizontal (basic) type vowels." "A", "ㅐ", "ㅑ", "ㅒ", "sh", "ㅔ", "ㅕ", "ㅖ" are called "vertical (basic) vowels".

또한 10개 기본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방향에 따 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ㅏ", "ㅑ" 는 우향(右向)모음, "ㅓ", "ㅕ"는 좌향(左 向)모음, "ㅗ", "ㅛ"는 상향(上向)모음, "ㅜ", "ㅠ"는 하향(下向)모음, 그리고 기 본이 되는 "ㅡ", "ㅣ"는 무향(無向)모음 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 나눈다면 오른 쪽방향으로 하나의 작은 획이 추가된 "ㅏ"는 "1-우향모음", 오른쪽으로 2개의 작 은 획이 추가된 "ㅑ"는 "2-우향모음" 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나머지 모음(ㅓ, ㅕ, ㅗ, ㅛ, ㅜ, 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부를 수 있다. 상향모음과 하향모음을 합하여 "상하향모음" 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우향모음과 상향모음을 합하여 "우상 향모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나머지 방향의 모음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부를 수 있다. 모음 "ㅗ", "ㅜ" 를 통칭하여 "1-상하향모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모음 "ㅏ", "ㅓ"를 통칭하여 "1-좌우향모음"이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ㅛ", "ㅠ"를 합하여 "2-상하향모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ㅑ", "ㅕ"를 통칭하여 "2-좌 우향모음"이라고 할 수 있다. 10개 기본모음 이외의 모음중 "ㅔ", "ㅖ" 등도 유 사하게 분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10 basic vowels (a, ㅑ, sh, ㅕ, ㅗ, ㅛ, ㅜ, ㅠ, ㅡ, ㅣ)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s follows. "A", "ㅑ" are right-facing vowels, "sh", "ㅕ" are left-facing vowels, "ㅗ", "ㅛ" are upward vowels, "TT", " ㅠ" is a descending vowel, and the basic "ㅡ" and "ㅣ" are undirected vowels. If further divided, "A" with one small stroke added to the right can be called "1-right vowel", and "ㅑ" with two small strokes added to the right can be called "2-right vowel". The rest of the vowels (sh, ㅕ, ㅗ, ㅛ, TT, ㅠ) can be called in the same way. Upward vowels and downvowels can be combined to be called "upward and downvowels", rightward vowels and upvowels together can be called "upward vowels", and vowels in the other directions can be called similarly. The vowels "ㅗ" and "TT" can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1-up and down vowels", and the vowels "a" and "sh" can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1-left and right vowels". Similarly, "ㅛ" and "ㅠ" can be combined to be called "2-Upward and Downward Vowels", and "ㅑ" and "ㅕ" can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2-Left and Rightward Vowels". Among the vowels other than the 10 basic vowels, "ㅔ" and "ㅖ" can be similarly classified.

*무향모음인 "ㅡ", "ㅣ"를 기본으로하여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상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하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1- 상하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상하향모음이 모두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 다. 마찬가지로 무향모음인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좌향모음이 입 력되도록 할 수 있고, 우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1-좌우향모음이 입력되 도록 할 수 있고, 좌우향모음이 모두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복누름에 따른 선택순서는 사전순서 또는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참고로 한국어 모음의 사용빈도 순서는 "ㅏ, ㅣ, ㅡ, ㅓ, ㅗ, ㅜ, ㅕ, ㅐ, ㅔ, ㅢ, ㅘ, ㅚ, ㅛ, ㅑ, ㅝ, ㅟ, ㅠ, ㅖ, ㅙ, ㅞ, ㅒ" 의 순서라고 하며, 상 위 9개 모음이 전제 사용빈도의 90%를 점하고 있다. *Based on the undirected vowels "ㅡ" and "ㅣ",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upward vowels can be input, and downward vowels can be input, and 1- up and down vowels can be input. It can be entered, and both up and down vowels can be entered. Similarly,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undirected vowel "ㅣ" is assigned, left-handed vowels can be input, right-handed vowels can be input, 1-left-handed vowels can be input, left-right You can also have all vowels enter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rder of selection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ctionary order or the frequency of use. For reference, the frequency order of Korean vowels is "a, ㅣ, ㅡ, sh, ㅗ, TT, ㅕ, ㅐ, ㅔ, ㅢ, ㅘ, ㅚ, ㅛ, ㅑ, ㅝ, ㅟ, ㅠ, ㅖ, ㅙ, ㅞ, It is called the order of ㅒ", and the top 9 vowels account for 90% of the total frequency of use.

먼저 도4-5 를 기준으로 "ㅡ", ".", "ㅣ"의 3개 모음요소를 이용하여 모음 을 조합하는 방법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물론 [0]버튼에 "ㅎ"을 둘 수도 있고 두지 않을 수도 있다. 현재의 방법(삼성전자社에서 사용하는 모음획조합에 의한 방법)에서는 "고", "교", "거", "겨" 등의 글자를 입력시 입력중간에 완전한 한글글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고 하였다. (예. "교" 입력시 "ㄱ => ㄱ. => ㄱ.. => 교" 로 됨) 즉, 좌상향모음(좌향모음과 상향모음)의 입력시 이러 한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ㅡ", "ㅣ"의 반복누름으로 상향모음 및 좌향모음을 입력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ㅡ"가 배정된 버튼 의 반복누름에 따라 상향모음이 입력되도록 정의 하면 해당버튼의 반복누름에 따 라 "ㅡ" => "ㅗ" => "ㅛ" 로 되는 것이다. "1***"을 누르면 "ㄱ => 그 => 고 => "교" 로 된다. 이는 기존의 방법에서와 같이 입력중간에 "ㄱㆍ", "ㄱㆍㆍ"과 같은 형태가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 누름으로 좌향모음을 입력하게 하면, 해당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ㅣ => ㅓ => ㅕ"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좌우의 버튼을 조합하여 "ㅗ", "ㅓ" 등을 입력하는 기 존의 방법에서보다 입력의 편리도가 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머지 모음 의 입력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 선출원 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선택 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좌향모음의 입력에 "ㅣ"버튼의 반복누름을 이용 하는 경우 "ㅔ", "ㅖ" 등의 입력이 자연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굳이 입력한다 면 수직/수평형 모음의 조합을 이용하여 "ㅔ = ㅡ+ㅣ+ㅣ (입력 중간의 "ㅡ+ㅣ = ㅢ"로 됨)"로 "ㅖ = ㅡ+ㅡ+ㅣ+ㅣ"로 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the method of combining vowels using three vowel elements of "ㅡ", ".", and "ㅣ" based on Figs. 4-5 is currently widely used. Of course, "ㅎ" may or may not be placed on the [0] button. In the current method (the method by vowel stroke combination used by Samsung Electronics), when entering letters such as "Go", "Gyo", "Geo", and "Gyeol", complete Korean characters are not made in the middle of the input. said that there is (Example. When inputting “kyo”, “a => a. Therefore,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inputting upvowels and leftward vowels by repeatedly pressing "ㅡ" and "ㅣ". For example, if it is defined that an upward vowel is input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of a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ㅡ" => "ㅗ" => "ㅛ"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of the button. If you press "1***", it becomes "a => that => high => "kyo". This prevents forms such as "ㄱㆍ" and "ㄱㆍㆍ" from appearing in the middle of input as in the existing method. Likewise, if a leftward vowel i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ㅣ => ㅕ => ㅕ"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repeated pressing of the button. It can be seen that the convenience of input is higher than in the existing method of inputting "ㅗ", "ㅓ", etc. For the input of the remaining vowels, the existing method,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However, when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to input left vowel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puts such as "ㅔ" and "ㅖ" are not natural. Using a combination of equilibrium vowels, "ㅔ = ㅡ+ㅣ+ㅣ ("ㅡ+ㅣ = ㅢ" in the middle of the input)" and "ㅖ = ㅡ+ㅡ+ㅣ+ㅣ" will be possible.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상하향모음"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ㅡ => ㅗ => ㅜ" (=> "ㅛ => ㅠ") 와 같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복누름에 따라 "상하향모음"이 선 택되는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사전순서 및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결 정할 수 있다. 사용빈도가 적은 "2-상하향모음"보다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많은 "1-상하향모음"이 먼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정 모음을 입 력하기 위하여 반복누름의 횟수가 너무 많아지는 것은 입력의 편리성과 직관성을 위하여도 좋지 않으므로, "2-상하향모음"에 대하여는, 대응되는 1-상하향모음과 "ㆍ"의 조합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ㅛ = [ㅗ+ㆍ] = ㅡ+ㅡ+ㆍ (= **0)" 으로 할 수 있다. 역시 [ . . . ] 에 표시한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모음을 분해하여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ㆍ"은 모음요소로 생각해도 되고, 후속 컨트롤로 생각해도 된다. 즉 "ㅗ"의 후속알파벳으로 "ㅛ"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은 자연스럽다. 즉 "ㅗ"를 입력한 후 후속컨트롤을 선택(예에서는 [0]버튼 1타) 하여 "ㅗ"의 후속알파벳을 입력하는 것이다 (참고 컨트롤처리방법, 체인형 컨트롤 처리방법). "ㅛ = [ㆍ+ㅗ] =ㆍ+ㅡ+ㅡ (=0**)" 로 할 수도 있지만 도4-5를 기준으 로 할 때, 입력중간에 "ㆍ"이 표시되어 완전한 한글글자가 표시되지 않는 점이 있 다. "ㅠ = [ㅜ+ㆍ] = ㅡ+ㅡ+ㅡ+ㆍ (= ***0)" 으로 할 수 있다. 기존의 입력방법 에서 보다 "ㅠ" 입력의 타수가 1타 늘어났지만 "ㅠ"는 사용빈도가 별로 많지 않은 모음이므로 전체 입력타수 증가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It is possible to input "up and down vowels"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For example,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of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ㅡ => ㅗ => TT" (=> "ㅛ => ㅠ") is made. The order in which "up and down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It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ctionary order and frequency of use. It would be preferable to first select "1-Upper and Downward Vowels", which are used more frequently than "2-Upper and Downward Vowels", which are used less frequently. Since it is not good for the convenience and intuitiveness of input that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to input a specific vowel is too large, for "2-up and down vowels", input in a combination of the corresponding 1-up and down vowels and "ㆍ" can make it For example, "ㅛ = [ㅗ+ㆍ] = ㅡ+ㅡ+ㆍ (= **0)". Also [ . . . ] is a decomposition of vowels for better understanding. Here, "ㆍ" can be considered as a vowel element or as a follow-up control. In other words, it is natural to think that there is "ㅛ" as the subsequent alphabet of "ㅗ". That is, after entering "ㅗ", select the subsequent control (in the example, one stroke of the [0] button) to input the subsequent alphabet of "ㅗ" (reference control processing method, chain type control processing method). "ㅛ = [ㆍ+ㅗ] =ㆍ+ㅡ+ㅡ (=0**)", but based on Figs. 4-5, "ㆍ" is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input to display complete Korean characters There are things that don't work. "ㅠ = [TT+ㆍ] = ㅡ+ㅡ+ㅡ+ㆍ (= ***0)". Compared to the existing input method, the number of strokes for inputting “ㅠ” increased by one stroke, but since “ㅠ” is a vowel that is not used very often,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input strokes.

마찬가지로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상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하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한다면,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대응하 여 "ㅡ" => "ㅗ", => "ㅛ" 로 되고, 하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한다면, "ㅡ" => "ㅜ" => "ㅠ" 가 되는 것이다. 동일하게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좌 향모음 또는 우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Similarly, upvowels can b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and downvowels can b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If an upvowel is input, "ㅡ" => "ㅗ", => "ㅛ" in response to repeated pressing of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and if a downvowel is input, "ㅡ" => "TT" => It becomes "ㅠ". In the same way, a leftward vowel or a rightward vowel can b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a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ㅣ"가 배정된 버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ㅣ"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좌우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면, "ㅣ => ㅏ => ㅓ" (=> "ㅑ => ㅕ") 와 같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값을 표시하여 보면, "ㅣ = #", "ㅏ = ##", "ㅓ = ###", . . . 과 같이 된다. "ㅑ", "ㅕ"를 괄호안에 둔 것은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많은 사 용빈도로 사용되는 모음 "ㅓ"의 입력에 3타가 소요("###")되고 있다. "ㅑ" 의 입 력에 있어서도 "ㅑ = [ㅏ+ㆍ] = ㅣ+ㅣ+ㆍ (= ##0)" 으로 "ㅕ = [ㅓ+ㆍ] = ㅣ+ㅣ+ ㅣ+ㆍ (= ###0)" 으로 할 수 있다. 또 "ㅔ", "ㅐ" 및 "ㅖ", "ㅒ" 등의 입력이 자 연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물론 "ㅔ", "ㅐ" 및 "ㅖ", "ㅒ" 등의 입력에 기존의 입력방법(삼성전자社 방식) 또는 수직/수평 모음의 조합을 적용할 수 있으나, 사 용자가 숙지해야 할 입력규칙이 많아진다. 수평/수직 모음의 조합을 이용한다면, "ㅔ = ㅡ+ㅣ+ㅣ"로 하고, "ㅐ = ㅣ+ㅡ+ㅣ"로 할 수 있으나, 작은 획 또는 짧은 획 ("ㅔ"에서 첫획, "ㅐ"에서 중간획)을 "ㅡ"로 조합하는 데 대한 약간의 부자연스러 움이 있게 된다.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ㅣ" => "ㅏ" => "ㅓ" => "ㅐ" => "ㅔ" 로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ㅒ", "ㅖ"는 각각 "ㅐ", "ㅔ"와 "ㆍ"의 조합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역시 하나의 모음 (예. "ㅔ") 이면서 많이 사용되는 모음의 입력에 반복누름의 횟수(예. 5회)가 지 나치게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ㅐ" 및 "ㅔ"의 입력에 있어서 "ㅐ = [ㅏ+ㅣ] = . . . " 로, "ㅔ = [ㅓ+ㅣ] = . . ."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자연스러 움에도 그렇게 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That is, if left and right vowels are input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of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ㅣ => A => ㅇ" (=> "ㅑ => ㅕ"). For example, when displaying the input value, "ㅣ = #", "A = ##", "sh = ###", . . . becomes like Putting "ㅑ" and "ㅕ" in parentheses means that it may or may not be input. Here, it takes 3 strokes ("###") to input the vowel "sh", which is used frequently. Even for the input of "ㅑ", "ㅑ = [A+ㆍ] = ㅣ+ㅣ+ㆍ (= ##0)" as "ㅕ = [sh+ㆍ] = ㅣ+ㅣ+ ㅣ+ㆍ (= ## #0)". In addition, inputs such as "ㅔ", "ㅐ", "ㅖ", and "ㅒ" are not natural. Of course, the existing input method (Samsung Electronics method) or a combination of vertical/horizontal vowels can be applied to inputs such as "ㅔ", "ㅐ", "ㅖ", and "ㅒ", but inputs that the user should be aware of more rules When using a combination of horizontal/vertical vowels, "ㅔ = ㅡ+ㅣ+ㅣ" and "ㅐ = ㅣ+ㅡ+ㅣ" can be used, but small strokes or short strokes (the first stroke in "ㅔ", "ㅐ There is a bit of unnaturalness about combining the middle stroke from " to "ㅡ". To overcome this, "ㅣ" => "A" => "sh" => "ㅐ" => "ㅔ"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of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and "ㅒ", " ㅖ" can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ㅐ", "ㅔ" and "ㆍ" respectively. Agai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repetitions (eg 5 times) is too large for input of a vowel (eg "ㅔ") that is used a lot. Also, for the input of "ㅐ" and "ㅔ", it is natural to input "ㅐ = [A+ㅣ] = . . ." and "ㅔ = [sh+ㅣ] = . . .", but it is not so. There are also downsides.

위의 추가사례에서는 모음버튼의 반복누름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므로 변형알파벳(격자음, 경자음, 탈락자음)의 입력에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려면, 평자음과 모음버튼을 조합함에 있어서, 모음생성을 위한 최대반복횟수에 1타를 더 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ㅡ"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ㅡ" => "ㅗ" => " ㅜ" 로 된다면(즉 모음입력에 최대 3타 소요된다면), "ㅋ = ㄱ+ㅡ+ㅡ+ㅡ+ㅡ (= 1****)" 로 되는 것이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역시 하나의 자소를 입력하는데 많은 횟수의 반복누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반복선택방법 과 같이 자음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자음을 입력하는 것은 언제나 가능하다. In the above additional case, vowels are input using repeated pressing of the vowel button, so to appl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to the input of modified alphabets (lattice consonants, light consonants, dropped consonants), in combining flat consonants and vowel buttons, One stroke must be added to the maximum number of repetitions for creation. For example, if "ㅡ" => "ㅗ" => "ㅜ"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button (that is, if it takes up to 3 strokes to input vowels), "ㅋ = A + ㅡ + ㅡ + ㅡ + ㅡ (= 1****)". This is also true in other embodiments. Al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number of repeated presses are required to input one grapheme. As i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t is always possible to input consonants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nsonant button.

다음에 기술하는 내용이 본 출원의 핵심임을 밝힌다. 현재 삼성전자社의 입력방식과 키패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삼성전자社가 우리나라의 최대의 기업인 관계로 "한국어 3개모음 및 그 조합"을 이용한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이 삼성전자 社와의 기존 기술과 전혀 저촉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특허에 관한 전문지식이 없 는 중소기업들이 출원인의 기술을 채용하고 싶어도 이를 채용하는데 대하여 우려 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다음의 추가 사례를 제시한다. It is reveal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re the core of this application. Currently, Samsung Electronics' input method and keypad are widely used, and Samsung Electronics is the largest company in Korea, so the applicant's prior application technology using "Korean 3 vowels and their combinations" does not conflict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at all. In spite of this, it is a reality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out expertise in patents are concerned about adopting the applicant's technology even if they want to adopt it. To this end, the following additional examples are presented.

위에서 추가로 제시한 "ㅡ", "ㆍ", "ㅣ"의 모음요소를 이용한 사례에서 " ㅐ", "ㅔ"의 입력이 자연스럽지 못한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ㅡ", "ㅣ"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상하향모음 및 좌우향모음을 입력시 기존보다 입력타수가 늘어나는 점도 있었다. 다음의 사례에서 현대 한국어 모음 "ㅡ", "ㅏ", "ㅣ" 또는 "ㅡ", "ㅓ", "ㅣ"를 이용하고 또한 모음버튼의 반복누름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고 모음을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는 사례를 보인다. 도4-*의 모든 키패드는 호환성이 있다 고 하였다. 특히 [0]버튼에 "ㆍ"을 표시한 도면과 "ㅏ"를 표시(또는 "ㅏ"의 변형 으로 "+", "-ㅏ", "H", "ㅏㅓ" 등등을 표시)한 도면에서도 "ㆍ"이 표시된 [0]버튼 을 "ㅏ"가 표시된 버튼으로 생각할 수 있고, "0"안에 "ㅏ"가 표시된 [0]버튼을 사 용자는 "ㆍ" 처럼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모음요소" 또는 "후속컨트 롤"처럼 간주될 수 있는 "ㆍ"을 입력하는데 예시 도면에서 "ㅏ" 등이 표시된 [0] 버튼이 이용됨을 밝힌다. In the case of using the vowel elements of "ㅡ", "ㆍ", and "ㅣ" suggested above, it was pointed out that the input of "ㅐ" and "ㅔ" was not natural. In addition, there was a point that the number of input strokes increased than before when inputting up and down vowels and left and right vowels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and "ㅣ" buttons. In the following example, modern Korean vowels "ㅡ", "아", "ㅣ" or "ㅡ", "sh", "ㅣ" are used, and the vowel combination can be input naturally by repeatedly pressing the vowel button. Show examples of possible All keypads in Fig. 4-* were said to be compatible. In particular, in the drawings where "ㆍ" is displayed on the [0] button, and "a" is displayed (or "+", "-A", "H", "ㅋ", etc. are displayed as variations of "A") The [0] button marked with "ㆍ" can be thought of as a button marked with "a", and the user can use the [0] button marked with "a" in "0" by recognizing it as "ㆍ". It is revealed that the [0] button marked with “a” in the example drawing is used to input “ㆍ”, which can be regarded as “vowel element” or “subsequent control”.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한 "ㅡ", "ㆍ", "ㅣ"를 이용한 사례에서 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피하고, 단점으로 지적한 사례를 극복하는 부분을 위주 로 기술한다. 먼저 "ㅡ", "ㅏ", "ㅣ"를 이용한 사례이다. "ㅣ" 버튼의 반복누름 으로 "ㅐ", "ㅔ"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ㅣ"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선택 되는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ㅐ"를 먼저 선택되도록 한다면, "ㅐ = ㅣ+ㅣ (= ##)" 이 되고, "ㅔ = ㅣ+ㅣ+ㅣ (= ###)" 이 된다. "ㅐ"를 "ㅣ+ㅣ"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은 "ㅐ"의 형상에서 2개의 수직선 모양을 볼 수 있 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자연스럽게 적응이 가능하다. 언급하였듯이 "ㅐ" 다음 에 "ㅣ"를 한번 더 눌러 "ㅐ" 중간의 작은획이 왼쪽으로 밀려나오는 것으로 사용 자는 연상할 수 있다. 입력예로 "개 = 1##"이 되고, "게 = 1###"이 된다. In the case of using "ㅡ", "ㆍ", and "ㅣ" presented to explain this embodiment, the same part as in the case will be avoided, and the part that overcomes the case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will be mainly described. First, it is an example of using "ㅡ", "ㄴ", and "ㅣ". You can input "ㅐ", "ㅔ"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The order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For example, if "ㅐ" is selected first, "ㅐ = ㅣ+ㅣ (= ##)" and "ㅔ = ㅣ+ㅣ+ㅣ (= ###)". Inputting "ㅐ" as "ㅣ+ㅣ" is naturally adaptabl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because two vertical lines can be seen in the shape of "ㅐ". As mentioned, the user can imagine that by pressing "ㅣ" one more time after "ㅐ", the small stroke in the middle of "ㅐ" is pushed to the left. For example, "Dog = 1##" and "Crab = 1###".

"ㅒ"는 "ㅐ"와 "ㆍ"의 조합으로 입력(역시 조합되는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음)하고, "ㅖ"는 "ㅔ"와 "ㆍ"의 조합으로 자연스럽게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5를 기준으로 하면 "ㅒ = [ㅐ+ㆍ] = ㅣ+ㅣ+ㆍ (= ##0)" 이 되고, "ㅖ = [ㅔ+ㆍ] = ㅣ+ㅣ+ㅣ+ㆍ (= ###0)" 이 된다. 도4-10 ~ 도4-13을 기준 으로 하면 "ㅒ = [ㅐ+ㆍ] = ㅣ+ㅣ+ㅏ (= ##0)" 이 되고, "ㅖ = [ㅔ+ㆍ] = ㅣ+ㅣ+ ㅣ+ㅏ (= ###0)" 이 된다. 사용자는 도4-10 ~ 도4-13에서 원 또는 숫자 "0" 안에 "ㅏ"가 들어 있는 [0] 버튼을 "ㆍ" 또는 "후속컨트롤(즉, "ㅒ"를 "ㅐ"의 후속알파 벳) 버튼" 처럼 의식하여 입력하면 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도 같다. 다른 사례로 "ㅒ = [ㅐ+ㅡ] = ㅣ+ㅣ+ㅡ (= ##*)" 이 되고, "ㅖ = [ㅔ+ㅡ] = ㅣ+ㅣ+ㅣ+ㅡ (= ###*)" 로 할 수도 있다. 이 역시 "ㅡ"버튼을 컨트롤버튼(첨자 컨트롤 또는 후속컨트롤) 처럼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ㅡ"버튼 과 조합되는 순서는 다른 모음의 입력값과 충돌되지 않는 한에서, "ㅡ"버튼 선입 력 또는 후입력하는 것으로 될 수 있는 것도 같다. 이는 동일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 이외의 복모음은 다양한 조합방법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음 을 보여주는 것이다. "ㅒ" is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ㅐ" and "ㆍ" (the order of combinations can also be arbitrarily determined), and "ㅖ" is entered naturally as a combination of "ㅔ" and "ㆍ". For example, based on FIGS. 4-5, "ㅒ = [ㅐ+ㆍ] = ㅣ+ㅣ+ㆍ (= ##0)", and "ㅖ = [ㅔ+ㆍ] = ㅣ+ㅣ+ㅣ+ ㆍ (= ###0)". Based on Figs. 4-10 to 4-13, "ㅒ = [ㅐ+ㆍ] = ㅣ+ㅣ+A (= ##0)", and "ㅖ = [ㅔ+ㆍ] = ㅣ+ㅣ+ ㅣ+A (= ###0)". In Figs. It's easy to see that you just need to enter it consciously, like a "bet) button". This is also the case below. As another example, "ㅒ = [ㅐ+ㅡ] = ㅣ+ㅣ+ㅡ (= ##*)", "ㅖ = [ㅔ+ㅡ] = ㅣ+ㅣ+ㅣ+ㅡ (= ###*) " can also be done with It can be seen that this also uses the "ㅡ" button as a control button (subscript control or subsequent control). Likewise, the order of combining with the "ㅡ" button is the same as that the "ㅡ" button can be input first or secon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input value of another vowel. This shows that complex vowels other than vowels input by repeated pressing of the same button can be input by various combination methods.

"ㅏ"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ㅏ" => "ㅓ" (=> "ㅑ" => "ㅕ") 와 같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ㅏ"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1-좌우향 모음" 또는 "좌우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복누름에 따른 선택순서 는 사전순서 및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1-좌우향모음(즉, "ㅏ", "ㅓ")"까지 입력되도록 하면 이는 기 제시한 <표1> 및 도4-20, 도4-21의 입 력방법과 유사하게 된다.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의 사용빈도를 고려하 여 "ㅏ"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ㅏ" => "ㅓ" => "ㅕ" => "ㅑ" 로 되도 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도 "ㅑ", "ㅕ" 등의 모음을 입력시 반복누름 횟수가 많아지게 되는 점이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 제시한 "ㅑ", "ㅕ" 의 입력 을 이용하여 "ㅑ = [ㅏ+ㅡ] (= 0*)" 로, "ㅕ = [ㅓ+ㅡ] (= 00*) 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ㅏ"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을 이용하여 "좌우향모음"을 입력하는 것은 "ㅡ", "ㅓ", "ㅣ" 3개의 모음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ㅓ"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을 이용하여 "ㅓ" => "ㅏ" (=> "ㅕ" => "ㅑ") 와 같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ㅏ" (또는 "ㅓ")가 배 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버튼에 배정된 모음을 포함하여 "좌우향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다른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모양에 있어서 유사성을 가지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자소를 키패드에 배치하면서, 자연스러운 입력을 가 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ㅏ"가 배정된 버튼을 한번 누르면 "ㅏ"가 입력되고, 두번 눌러서 "ㅓ"가 되므로, 즉 "ㅏ"가 배정된 버튼을 두번 누르면 기 입력된 "ㅏ"가 수직선을 중심으로 좌우가 바뀐 형태인 "ㅓ"가 입력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ㅏ" 버튼 2회 입력시 좌우 대칭형으로 바뀌는 규칙을 쉽게 연상할 수 있다.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A" => "sh" (=> "ㅑ" => "ㅕ") can be entered. That is, "1-left-right vowel" or "left-right vowel" i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The selection order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ctionary order and frequency of use. If up to "1-left and right vowels (i.e., "a", "sh")" are input, this becomes similar to the previously presented <Table 1> and the input method of FIGS. 4-20 and 4-21.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owel input by repeated pressing, "A" can be made "A" => "sh" => "ㅕ" => "ㅑ" according to the repeated pressing of the button assigned to "A" is of course Here, too, when inputting vowels such as "ㅑ" and "ㅕ",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increases. At this time, using the inputs of "ㅑ" and "ㅕ" presented in another embodiment, "ㅑ = [a + ㅡ] (= 0 *)", "ㅕ = [sh + ㅡ] (= 00 *)" Inputting "left and right vowels"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can be applied in the same way even when inputting using three vowels "ㅡ", "sh", and "ㅣ". There is. Or,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Left and Right Vowels” including the vowels assigned to the button can be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and other vowels can be entered. In addition, by enabling the input of vowels having similar shapes, natural input is possible while arranging the minimum number of graphemes on the keypad. When pressed, "A" is entered, and when pressed twice, it becomes "o". In other words, when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is pressed twice, the input "A" is entered as "o" in the form of the left and right reversed centering on the vertical line. , The user can easily associate the rule of changing left and right symmetrical when pressing the "a" button twice.

이렇게 "ㅏ" (또는 "ㅓ")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좌우향모음 또는 좌향모음 또는 1-좌우향모음을 입력하는 것을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면 도4-28과 같다. 기존의 모음요소를 조합하는 입력방식에 비하여 사용빈도가 많은 모음인 "ㅏ"는 1타에 입력할 수 있으면서, 비교적 사용빈도가 적은 모음인 "ㅕ" (또는 선택순서를 지정하기에 따라 "ㅑ") 의 입력타수가 1타 늘어난 정도이므로 전체 입 력타수는 기존 모음조합방법에 비하여 훨씬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의 편리도 또한 증가된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음 "ㅏ" 대신 모음 "ㅗ" 또는 모음 "ㅜ"가 사용되는 경우 에는 해당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상하향모음 (또는 1-상하향모음) 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다. In this way, inputting left-right vowels, left-hand vowels, or 1-left-right vowels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a" (or "q") is assigned is shown in the form of a graph, as shown in FIG. 4-28. Compared to the existing input method that combines vowel elements, "A", a vowel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entered in one stroke, while "ㅕ", a vowel with a relatively low frequency of use (or "ㅑ" depending on the selection order) Since the number of input strokes of ") is increased by one stroke, it can be seen that the total number of input stroke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vowel combination method. In addition, since vowels can b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same button, it can be said that the convenience of input is also increased. Similarly, when the vowel "ㅗ" or the vowel "TT" is used instead of the vowel "아", it is easy to see that up and down vowels (or 1-up and down vowels) can b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ㅏ" (또는 "ㅓ")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2-좌우향모음("ㅑ", "ㅕ")까지 입력되도록 하면 하나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반복누름으로 눌러지 는 횟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ㅑ = [ ㅏ+ㅡ] = ㅏ+ㅡ (=0*)" 로, "ㅕ = [ㅓ+ㅡ] = ㅏ+ㅏ+ㅡ (= 00*)" 로 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ㅏ", "ㅓ") 이외의 모음의 조 합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If you repeatedly press the button to which "a" (or "sh") is assigned to enter up to 2-left and right vowels ("ㅑ", "ㅕ"), the number of times that you press repeatedly to enter one vowel is high. There is a downside to losing.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here, "ㅑ = [A + ㅡ] = A + ㅡ (= 0 *)", "ㅕ = [sh + ㅡ] = A + A + ㅡ (= 00 *)" have. This basically shows that combinations of vowels other than the vowels ("A", "sh") input by repeated pressing can appear in various ways.

모음 "ㅘ"의 입력에 있어서, "ㅘ = [ㅗ+ㅏ] = ㅡ+ㅡ+ㅏ (= **0)" 로 할 수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ㅡ" 버튼의 반복누름을 이용하여 상향모음 또는 상하향모음 또는 1-상하향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은 기 설명한 바와 같다. "상 향모음 또는 상하향모음" 은 "상(하)향모음"과 같이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여기 서 "ㅡ"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ㅡ" => "ㅗ" => "ㅜ" 와 같이 1-상하향 모음을 입력할 경우 2-상하향모음인 "ㅛ"는 "ㅗ"와 "ㆍ"의 조합으로 하여 "ㅛ = [ㅗ+ㆍ] = ㅡ+ㅡ+ㅏ (= **0)" 로, "ㅠ = [ㅜ+ㆍ] = ㅡ+ㅡ+ㅡ+ㅏ (= ***0)" 으로 입력시 "ㅛ (= 00*)" 는 "ㅘ (= 00*)"와 동일한 코드값을 가지므로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ㅡ"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상향모음을 입력하도록 하여 "ㅡ" => "ㅗ" => "ㅛ" 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ㅛ = ㅡ+ㅡ+ㅡ (= ***)" 이 되어 " ㅘ = **0"과 충돌하거나 중복되지 않는다. 하향모음은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예. <표1> 및 기타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 "ㅜ = ㅡ+ㅏ (= *0)" 으로 "ㅠ = ㅡ+ㅏ+ㅏ (= *00)" 과 같이 할 수 있다. In the input of the vowel "ㅘ",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ㅘ = [ㅗ + A] = ㅡ + ㅡ + A (= **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put up vowels, up and down vowels, or 1-up and down vowels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button. "Upward vowel or up/down vowel" is written as "up(down) up vowel". Similarly, if you input 1-up and down vowels like "ㅡ" => "ㅗ" => "T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here, "ㅛ", which is a 2-up and down vowel, is combined with "ㅗ" By combining "ㆍ", "ㅛ = [ㅗ+ㆍ] = ㅡ+ㅡ+a (= **0)", "ㅠ = [ㅜ+ㆍ] = ㅡ+ㅡ+ㅡ+a (= ** *0)", "ㅛ (= 00*)" has the same code value as "ㅘ (= 00*)", so it collides. Therefore,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button, an upward vowel can be input so that "ㅡ" => "ㅗ" => "ㅛ". That is, "ㅛ = ㅡ+ㅡ+ㅡ (= ***)" does not collide with or overlap with "ㅘ = **0". Downward vowels can be entered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eg, <Table 1> and other examples). For example, "TT = ㅡ+a (= *0)" can be used as "ㅠ = ㅡ+a+a (= *00)".

나머지 모음의 입력에 있어서, "ㅟ = [ㅜ+ㅣ] = ㅜ+ㅣ = *0#" 으로, "ㅝ = [ㅜ+ㅓ] = ㅜ+ㅓ (= *0 00)" 으로, "ㅞ = [ㅜ+ㅓ+ㅣ] = ㅜ+ㅓ+ㅣ (= *000#) 으로 할 수 있다. "ㅡ"가 배정된 버튼으로 상하향모음을 모두 입력하게 하는 경우, " ㅡ"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ㅡ" => "ㅗ" => "ㅜ" => "ㅛ" => "ㅠ" 로 된다. "ㅛ", "ㅠ" 등의 입력에 입력타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이렇게 할 경우 모음 "ㅝ" 의 입력에 있어서 "ㅝ = [ㅜ+ㅓ] = ㅡ+ㅡ+ㅡ+ㅏ+ㅏ (= ***00)" 인 데, "ㅜ" 입력 후 "ㅏ"가 나오는 모음이 없으므로 "ㅝ = [ㅜ+ㅓ] = ㅡ+ㅡ+ㅡ+ㅓ (= ***00)" 가 아닌 "ㅝ = [ㅜ+ㅓ] = ㅡ+ㅡ+ㅡ+ㅏ (= ***0)" 으로 할 수 있는 장 점도 있다. 즉 "ㅜ" 입력 후 "ㅏ" 가 배정된 버튼을 한번 눌러 "ㅝ"를 입력하는 것이다. "ㅏ"가 배정된 버튼에 "ㅏ", "ㅓ"를 동시에 연상할 수 있는 "+", "-ㅏ", "H" 등이 표시된 도4-12 ~ 도4-14 의 경우 더 자연스럽게 "ㅝ"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ㅛ", "ㅠ" 의 입력에 선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수직 /수평 형태의 모음 "ㅡ", "ㅣ"의 조합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ㅛ = ㅣ+ㅣ+ㅡ (= ##*)" 으로, "ㅠ = ㅡ+ㅣ+ㅣ (= *##)" 으로 되는 것이다. In the input of the rest of the vowels, "ㅟ = [TT + ㅣ] = TT + ㅣ = *0#", "ㅝ = [TT + osh] = TT + SH (= *0 00)", "ㅞ = [TT+sh+ㅣ] = TT+sh+ㅣ (= *000#) When inputting all up and down vowels with the button assigned "ㅡ", repeat the button assigned "ㅡ" Depending on the press, "ㅡ" => "ㅗ" => "TT" => "ㅛ" => "ㅠ" Inputs such as "ㅛ" and "ㅠ" have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input strokes, but like this In the case of input of the vowel "ㅝ", "ㅝ = [TT+sh] = ㅡ + ㅡ + ㅡ + A + A (= ***00)", and after entering "TT", the vowel "a" appears Since there is no "ㅝ = [TT+sh] = ㅡ+ㅡ+ㅡ+sh (= ***00)", not "ㅝ = [ㅜ+sh] = ㅡ+ㅡ+ㅡ+A (= ***0 )". In other words, after inputting "TT", press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to enter "ㅝ". 4-12 to 4-14, where "+", "-A", "H", etc., which can be associated at the same time,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ter "ㅝ" more naturally. "ㅛ", " As sugges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input of "ㅠ" may be input in a combination of vertical / horizontal vowels "ㅡ" and "ㅣ". For example, "ㅛ = ㅣ+ㅣ+ㅡ (= # #*)", and "ㅠ = ㅡ+ㅣ+ㅣ (= *##)".

이상의 내용중 일부를 표형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으며 그래프 형식으로 정리하면 도4-29 와 같다. 하나의 모음을 입력하는데 동일버튼의 반복입력이 3회 를 넘지 않는 일부의 모음입력 사례만을 정리하였다. 모든 설명을 표로 정리한 것 은 아니며 또한 표의 모든 내용을 도면으로 정리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3개 모음요소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규칙을 정의하고자 하였을 때, 가장 부자연스럽고 처리가 어려웠던 "ㅐ", "ㅔ" 의 입력을 "ㅣ"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점, "ㅏ" 버튼의 반복누름을 이용하여 "ㅏ" "ㅓ"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점, 또는 "ㅡ"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ㅡ", "ㅗ", "ㅛ"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핵심적인 부분인 모음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에 대해서는 그래프에서 회색채움으로 표시하였다. 이렇게 반복누름에 의하 여 입력할 수 있는 이들 모음을 이용하여 나머지 모음들을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을 보였고, 나머지 모음의 입력에 있어서는 하나의 모음에 대해서도 다양 한 조합방법이 가능함을 보였다. 특정 모음의 입력에 있어서 충돌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의 모음조합이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많 은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당 업자에게 자명하다. Some of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in tabular form as follows, and summarized in graph form as shown in Fig. 4-29. In inputting one vowel, only some vowel input cases in which the repeated input of the same button does not exceed 3 times are summarized. Not all explanations are organized in tables, and not all contents in tables are organized in drawings.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this embodiment is that when trying to define rules for inputting vowels by repeatedly pressing three vowel element buttons, the input of "ㅐ" and "ㅔ", which were the most unnatural and difficult to process, was performed using the "ㅣ" button One point to allow natural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A" button, one point to input "A" and "o" by repeatedly pressing the "A" button, or "ㅡ"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ㅡ" button. , "ㅗ", "ㅛ", etc. can be mentioned. Vowel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vowel button, which is a key part in this embodiment, are displayed in gray in the graph. In this way, it was shown that the remaining vowels can be input naturally using these vowels that can be input by repeated pressing, and various combination methods are possible for one vowel in the input of the remaining vowel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owel combinations in other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or additionally applied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in the input of specific vowels, and many variations may occur.

모음collection 모음
분해
collection
decomposi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4-* 예시키패드에서의 버 튼입력값4-* Button input value on example keypad
1One all all 00 22 eh ㅣ+ㅣㅣ+ㅣ #### 33 hey
ㅏ+ㅡ

A+ㅡ
ㅏ+ㅏ+ㅏ or
ㅏ+ㅡ
A+A+A or
A+ㅡ
000 or
0*
000 or
0*
44 this guy ㅑ+ㅣor
ㅐ+ㆍor
ㅐ+ㅡ
ㅑ+ㅣor
ㅐ+ㆍor
ㅐ+ㅡ
ㅏ+ㅏ+ㅏ+ㅣ or
ㅣ+ㅣ+ㅏ or
ㅣ+ㅣ+ㅡ
A+A+A+ㅣ or
ㅣ+ㅣ+A or
ㅣ+ㅣ+ㅡ
000# or
##0 or
##*
000# or
##0 or
##*
55 yes ㅏ+ㅏA + A 0000 66 to ㅣ+ㅣ+ㅣㅣ+ㅣ+ㅣ ###### 77 woman
ㅓ+ㅡ

ㅇ+ㅡ
ㅏ+ㅏ+ㅏ+ㅏ or
ㅏ+ㅏ+ㅡ
A+A+A+A or
A+A+ㅡ
0000
00*
0000
00*
88 yes ㅔ+ㆍ or
ㅔ+ㅡ
ㅔ+ㆍ or
ㅔ+ㅡ
ㅣ+ㅣ+ㅣ+ㅏ or
ㅣ+ㅣ+ㅣ+ㅡ
ㅣ+ㅣ+ㅣ+A or
ㅣ+ㅣ+ㅣ+ㅡ
###0 or
###*
###0 or
###*
99 fuck you ㅡ+ㅡㅡ+ㅡ **** 1010 ㅗ+ㅏㅗ+a ㅡ+ㅡ+ㅏㅡ+ㅡ+A **0**0 1111 ㅘ+ㅣㅘ+ㅣ ㅡ+ㅡ+ㅏ+ㅣㅡ+ㅡ+A+ㅣ **0#**0# 1212 ㅗ+ㅣㅗ+ㅣ ㅡ+ㅡ+ㅣㅡ+ㅡ+ㅣ **#**# 1313 blanket ㅡ+ㅡ+ㅡㅡ+ㅡ+ㅡ ****** 1414 sob ㅡ+ㆍㅡ+ㆍ ㅡ+ㅏㅡ+A *0*0 1515 ㅜ+ㅓTT + ㅇ ㅡ+ㅏ+ㅏ+ㅏㅡ+a+a+a *000*000 1616 ㅜ+ㅓ+ㅣTT + ㅇ+ㅣ ㅡ+ㅏ+ㅏ+ㅏ+ㅣㅡ+a+a+a+ㅣ *000#*000# 1717 ㅜ+ㅣTT+ㅣ ㅡ+ㅏ+ㅣㅡ+A+ㅣ *0#*0# 1818 ㅡ+ㅏ+ㅏ ㅡ+A+A *00 *00 1919 ** 2020 ㅡ+ㅣㅡ+ㅣ ㅡ+ㅣㅡ+ㅣ *#*# 2121 tooth tooth ##

다른 실시예를 추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실시예에서 "ㅣ"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ㅐ"를 입력하고, "ㅓ"를 "ㅏ"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입력하였는데, "ㅡ", "ㅏ", "ㅣ"가 배정된 키패드에서 "ㅐ = [ㅏ+ㅣ] = . . ." 로 입력하는 것 을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다. 물론 표7과 관련된 실시예에서도 "ㅐ = [ㅏ+ㅣ] = . . ." 로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ㅐ = [ㅏ+ㅣ] = . . ." 로 입력할 수 있 으므로 "ㅣ"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ㅣ" => "ㅓ" (=> "ㅔ") 로 입력되도 록 할 수 있다. 즉 "ㅣ"의 반복누름으로 "1-좌향모음"을 입력하는 것이다. 여기 서 "ㅓ = ㅣ+ㅣ (= ##)" 이므로, "ㅔ"는 "ㅓ"와 "ㅣ"의 조합으로 자연스럽게 "ㅔ = [ㅓ+ㅣ] = ㅓ+ㅣ (= ###)" 이 된다. 예를 들어 "1##" 의 입력에 대하여 "ㄱ => 기 => 거"와 같이 되므로 사용자는 "ㅣ" 가 배정된 버튼 2타로 "ㅣ"의 좌측(즉 자 음쪽) 작은획이 채워지는 입력규칙을 숙지하면 된다. Another embodiment is further presented as follows. In the above embodiment, "ㅐ" wa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and "sh" wa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A" button, but "ㅡ", "ㅐ = [아+ㅣ] = . . ." It is natural to think of entering as . Of course,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able 7, "ㅐ = [A+ㅣ] = . . ." can also be entered as However, "ㅐ = [a+ㅣ] = . . ." Since it can be input as "ㅣ", it can be input as "ㅣ" => "sh" (=> "ㅔ")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ㅣ". That is, by repeatedly pressing "ㅣ", "1-leftward vowel" is input. Here, "sh = ㅣ+ㅣ (= ##)", so "ㅔ" is a combination of "sh" and "ㅣ", so naturally "ㅔ = [sh+ㅣ] = sh+ㅣ (= ###)" becomes For example, for the input of "1##", it becomes "a => Ki => Big", so the user fills in the small stroke to the left of "ㅣ" (i.e., the negative side) with two strokes of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You just need to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entry rules.

마찬가지로 다음으로 "ㅡ"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상향모음을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즉 "ㅡ"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ㅡ" => "ㅗ" => "ㅛ" 가 입력되는 것이 다. "1**" 입력에 대하여 "ㄱ => 그 => 고" 로 되므로, 역시 사용자는 "ㅡ"가 배 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상측(즉 자음쪽) 작은획이 채워지는 입력규칙만을 숙지 하면 된다. 하향모음인 "ㅜ", "ㅠ"의 입력은 역시 선출원 및 다른 실시예(예. 표1)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ㅜ = ㅡ+ㅏ (= *0)" 으로 "ㅠ = ㅡ+ㅏ+ㅏ (= *00)" 과 같이 할 수 있다.Similarly, next, an upward vowel i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 button. That is, "ㅡ" => "ㅗ" => "ㅛ" is entered according to the repeated pressing of the "ㅡ" button. For "1**" input, "a => that => high", so if the user knows only the input rule that the upper (ie, consonant) small stroke is filled in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do. The input of the downward vowels "TT" and "ㅠ" can also be input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other embodiments (eg Table 1). For example, "TT = ㅡ+a (= *0)" can be used as "ㅠ = ㅡ+a+a (= *00)".

"ㅐ"의 입력에 대하여 "ㅐ = [ㅏ+ㅣ] = ㅏ+ㅣ (= 0#)" 로 하면 된다. "ㅕ", "ㅒ", "ㅖ", 의 입력은 각각 "ㅓ", "ㅐ", "ㅔ"와 "ㆍ(예시 키패드에서 " 0"안에 "ㅏ"가 배정된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ㅕ = [ㅓ+ㆍ] = ㅣ+ㅣ+ㅏ (= ##0)" 으로, "ㅒ = [ㅐ+ㆍ] = ㅏ+ㅣ+ㅏ (= 0#0)" 으로, " ㅖ = [ㅔ+ㆍ] = ㅣ+ㅣ+ㅣ+ㆍ (= ###0)"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ㅕ = [ㅓ+ㅡ] = ㅣ+ㅣ+ㅡ (= ##*)" 으로, "ㅒ = [ㅐ+ㅡ] = ㅏ+ㅣ+ㅡ (= 0#*)" 으로, " ㅖ = [ㅔ+ㅡ] = ㅣ+ㅣ+ㅣ+ㅡ (= ###*)" 과 같이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ㅑ"는 "ㅏ"의 변형알파벳 또는 후속알파벳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하 여 "ㅏ"가 배정된 버튼의 2타로 입력할 수 있다. 즉 "ㅑ = ㅏ+ㅏ (= 00)" 이 된 다. 여기서 "ㅒ = [ㅑ+ㅣ] = ㅏ+ㅏ+ㅣ (= 00#)"로도 할 수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나머지 모음(복모음)은 기 설명한 모음입력의 조합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 다. 즉 "ㅘ = [ㅗ+ㅏ] = ㅡ+ㅡ+ㅏ (= **0)" 으로 "ㅚ = [ㅗ+ㅣ] = ㅡ+ㅡ+ㅣ (= **#)" 으로, "ㅙ = [ㅗ+ㅏ+ㅣ] = ㅡ+ㅡ+ㅏ+ㅣ (= *0#)" 으로 "ㅟ = [ㅜ+ㅣ] = ㅡ+ ㅏ+ㅣ (=*0#)" 으로, "ㅝ = [ㅜ+ㅓ] = ㅡ+ㅏ+ㅣ+ㅣ (= *0##)" 으로 "ㅞ = [ㅜ+ㅓ+ ㅣ] = ㅡ+ㅏ+ㅣ+ㅣ+ㅣ (= *0###)" 으로 할 수 있다. For the input of "ㅐ", "ㅐ = [A+ㅣ] = A+ㅣ (= 0#)". The input of "ㅕ", "ㅒ", "ㅖ", respectively, is a combination of "sh", "ㅐ", "ㅔ" and "ㆍ (buttons assigned "a" in " 0" in the example keypad)" You can do this by typing That is, "ㅕ = [sh+ㆍ] = ㅣ+ㅣ+A (= ##0)", "ㅒ = [ㅐ+ㆍ] = A+ㅣ+A (= 0#0)", " ㅖ = [ㅔ+ㆍ] = ㅣ+ㅣ+ㅣ+ㆍ (= ###0)”. Here, "ㅕ = [sh+ㅡ] = ㅣ+ㅣ+ㅡ (= ##*)", "ㅒ = [ㅐ+ㅡ] = A+ㅣ+ㅡ (= 0#*)", " ㅖ =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such as [ㅔ+ㅡ] = ㅣ+ㅣ+ㅣ+ㅡ (= ###*). "ㅑ" can be input with two strokes of the button assigned "A" by inputting the modified alphabet of "아" or the subsequent alphabet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at is, "ㅑ = A + A (= 00)". Here, you can also see that "ㅒ = [ㅑ +ㅣ] = A + A +ㅣ (= 00#)". The rest of the vowels (complex vowels) can be easily enter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previously described vowel inputs. That is, "ㅘ = [ㅗ+a] = ㅡ+ㅡ+a (= **0)", "ㅚ = [ㅗ+ㅣ] = ㅡ+ㅡ+ㅣ (= **#)", "ㅙ = [ ㅗ+a+ㅣ] = ㅡ+ㅡ+a+ㅣ (= *0#)" to "ㅟ = [TT+ㅣ] = ㅡ+ A+ㅣ (=*0#)" to "ㅝ = [TT +sh] = ㅡ+a+ㅣ+ㅣ(= *0##)" To "ㅞ = [ㅜ+sh+ㅣ] = ㅡ+아+ㅣ+ㅣ+ㅣ(= *0###)" can do.

이상의 실시예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ㅡ", "ㅏ", "ㅣ" 3개 모음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되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ㅣ", "ㅓ", "ㅔ" 를 또는 "ㅣ", "ㅓ" 를("ㅔ = ㅓ+ㅣ" 이므로 역시 "###"으로 할 수 있으므로) 입 력하도록 하고, "ㅏ"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ㅏ", "ㅑ"를 입력할 수 있도 록 하고,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ㅡ", "ㅗ", "ㅛ" 등을 입력하여 전 체적으로 단순하고 숙지하기 용이한 모음입력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결국 "ㅡ", "ㆍ", "ㅣ" 를 이용하고, 반복누름으로 모음을 입력하는 데 있어서 입력이 부자연 스러웠던 "ㅔ", "ㅐ" 등을 "ㅡ", "ㅏ", "ㅣ"의 3개 현대 한국어 모음의 조합을 이 용하고 또한 반복누름을 이용하면서 나머지 모음도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 사용자는 "ㅡ" 입력후 "ㅡ"가 배정된 버튼을 반복적으로 한번 더 눌러 "ㅗ"를 입력하는 것과 "ㅣ"입력후 "ㅣ"가 배정된 버튼을 한번 더 눌러 "ㅓ"가 입 력되는 것이 일관성이 있으므로 숙지하는데 용이하다.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 는 모음 이외의 모음도 다양한 방법으로 숙지하기 쉽고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 었다. 또 나머지 모음은 기본이 되는 모음과 후속컨트롤버튼([0]버튼)의 조합으 로 입력할 수 있었다. 사용자는 "ㅏ"가 배정된 버튼(예시 도면에서 숫자 "0"안에 "ㅏ"가 표시된 버튼)은 경우에 따라 "ㆍ"처럼 연상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이미 설 명하였다. 이상의 내용중 일부를 표 형식으로 정리하면 표8 과 같으며, 그래프 형태로 정리하면 도4-30 과 같다. 모든 설명을 표로 정리한 것은 아니며 또한 표 의 모든 내용을 도면으로 정리한 것은 아니다. 도4-30 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 인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은 회색채움으로 표시하였다. 동일한 모음의 입력에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 경우는 모두 적용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입력방법의 직관성을 위해 하나의 자소입력에 동일버튼이 3 회이상 눌러지는 경우는 피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특정 모음의 입력에 있어서, 타 실시예의 모음입력방법과 중복되거나 충돌되지 않는 한에서 타 실시예에서의 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도 자명하다. Summarizing the key contents in the above embodiment, input a vowel using three vowels "ㅡ", "A", and "ㅣ", b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ㅣ", "sh", "ㅔ" or "ㅣ", "sh" (since "ㅔ = ㅇ+ㅣ", it can also be done as "###"), an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 Allows input of "a", "ㅑ", and inputs "ㅡ", "ㅗ", "ㅛ", etc.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a vowel that is overall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It is an input method. In the end, "ㅡ", "ㆍ", and "ㅣ" were used, and "ㅔ" and "ㅐ", etc., which were unnatural to input vowels by repeated pressing, were replaced by "ㅡ", "A", and "ㅣ". It was shown that the remaining vowels can be input naturally while using a combination of three modern Korean vowels and using repeated pressing. After inputting "ㅡ", the user inputs "ㅗ"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ㅡ" once more, and after inputting "ㅣ",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ㅣ" once more inputs "o". It is easy to understand because it is consistent. Vowels other than the vowels entered by repeated pressing were easy to understand and could be input naturally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rest of the vowels could be input with a combination of the basic vowel and the subsequent control button ([0] button).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at the user can use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a button marked with "A" in the number "0" in the exemplary drawing) in some cases associating with "ㆍ". Some of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in table form as shown in Table 8, and summarized in graph form as shown in Fig. 4-30. Not all explanations are organized in tables, and not all contents in tables are organized in drawings. In Fig. 4-30, the most essential part, the vowel input by repeated pressing, is marked with gray fill. When there are multiple methods for the same vowel input, it indicates that all of them can be applied or selectively applied. For the intuitiveness of the input method, the case where the same button is pressed three or more times in one grapheme input is summarized, and in the input of a specific vowel, other embodiments are used unless they overlap or conflict with the vowel input method of other embodiments. It is also apparent that the method in can be selectively applied.

모음collection 모음
분해
collection
decomposi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4-* 예시키패드에서의 버 튼입력값4-* Button input value on example keypad
1One all all 00 22 eh ㅏ+ㅣA + l ㅏ+ㅣ A + l 0# 0# 33 hey ㅏ+ㅏ A + A 00 00 44 this guy ㅑ+ㅣor
ㅐ+ㆍ or
ㅐ+ㅡ
ㅑ+ㅣor
ㅐ+ㆍ or
ㅐ+ㅡ
ㅏ+ㅏ+ㅣ or
ㅏ+ㅣ+ㅏ or
ㅏ+ㅣ+ㅡ
A+A+ㅣ or
A+ㅣ+A or
A+ㅣ+ㅡ
00# or
0#0 or
0#*
00# or
0#0 or
0#*
55 yes ㅣ+ㅣㅣ+ㅣ #### 66 to ㅓ+ㅣㅇ+ㅣ ㅣ+ㅣ+ㅣㅣ+ㅣ+ㅣ ###### 77 woman ㅓ+ㆍ or
ㅓ+ㅡ
ㅇ+ㆍ or
ㅇ+ㅡ
ㅣ+ㅣ+ㅏ or
ㅣ+ㅣ+ㅡ
ㅣ+ㅣ+A or
ㅣ+ㅣ+ㅡ
##0 or
##*
##0 or
##*
88 yes ㅔ+ㆍ or
ㅔ+ㅡ
ㅔ+ㆍ or
ㅔ+ㅡ
ㅣ+ㅣ+ㅣ+ㅏ or
ㅣ+ㅣ+ㅣ+ㅡ
ㅣ+ㅣ+ㅣ+A or
ㅣ+ㅣ+ㅣ+ㅡ
###0 or
###*
###0 or
###*
99 fuck you ㅡ+ㅡㅡ+ㅡ **** 1010 ㅗ+ㅏㅗ+a ㅡ+ㅡ+ㅏㅡ+ㅡ+A **0**0 1111 ㅘ+ㅣㅘ+ㅣ ㅡ+ㅡ+ㅏ+ㅣㅡ+ㅡ+A+ㅣ **0#**0# 1212 ㅗ+ㅣㅗ+ㅣ ㅡ+ㅡ+ㅣㅡ+ㅡ+ㅣ **#**# 1313 blanket ㅡ+ㅡ+ㅡㅡ+ㅡ+ㅡ ****** 1414 sob ㅡ+ㆍㅡ+ㆍ ㅡ+ㅏㅡ+A *0*0 1515 ㅜ+ㅓTT + ㅇ ㅡ+ㅏ+ㅣ+ㅣㅡ+A+ㅣ+ㅣ *0##*0## 1616 ㅜ+ㅔ =
ㅜ+ㅓ+ㅣ
TT + ㅔ =
TT + ㅇ+ㅣ
ㅡ+ㅏ+ㅣ+ㅣ+ㅣㅡ+A+ㅣ+ㅣ+ㅣ *0###*0###
1717 ㅜ+ㅣTT+ㅣ ㅡ+ㅏ+ㅣㅡ+A+ㅣ *0#*0# 1818 ㅡ+ㅏ+ㅏ ㅡ+A+A *00 *00 1919 ** 2020 ㅡ+ㅣㅡ+ㅣ ㅡ+ㅣㅡ+ㅣ *#*# 2121 tooth tooth ##

다음으로 "ㅡ", "ㅓ", "ㅣ" 3개의 모음을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는 사례를 추가적으로 보인다. "ㅡ", "ㅏ", "ㅣ"를 적용한 실시예 중 표8 및 관련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피한다. 사례로 제시한 4-*의 도면에서 [0]버튼에 " ㅓ"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즉, [0]버튼은 "ㅓ"버튼). Next, an example of combining vowels using three vowels "ㅡ", "sh", and "ㅣ" is additionally shown. Since it is similar to Table 8 and related examples among the examples in which “ㅡ”, “a”, and “ㅣ” are applied, a detailed description is avoided. In the drawings of 4-* presented as an example, it is considered that " ⓓ" is placed in the [0] button (ie, the [0] button is the "ⓓ" button).

모음 "ㅓ"를 "ㅓ"가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ㅣ" => "ㅏ" (=> "ㅐ") 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ㅐ = [ㅏ+ㅣ]" 이므로 "ㅏ = ㅣ+ㅣ (= ##)"로 입력되도록 한다면, 자연히 "ㅐ = [ㅏ+ㅣ] = ㅣ+ㅣ+ㅣ (= ###)" 이 된다. 모음 "ㅔ = [ㅓ+ㅣ] = ㅓ+ㅣ (= 0#)" 로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다. 기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ㅖ = [ㅔ+ㆍ] = ㅓ+ㅣ+ㅓ (= 0#0)" 으로, "ㅒ = [ㅐ+ㆍ] = ㅣ+ㅣ+ㅣ+ㅓ (= ###0)" 으로 할 수 있다. "ㅕ"는 "ㅓ"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입력할 수 있다. "ㅚ = [ㅗ+ ㅣ] = ㅡ+ㅡ+ㅣ (= **#)" 으로, "ㅘ = [ㅗ+ㅏ] = ㅡ+ㅡ+ㅣ+ㅣ (= **##)" 으로 "ㅙ = [ㅗ+ㅏ+ㅣ] = ㅡ+ㅡ+ㅣ+ㅣ+ㅣ (= **###)" 할 수 있다. "ㅠ = [ㅡ+ㆍ+ㆍ] = ㅡ+ ㅓ+ㅓ (= *00)" 으로 하면, "ㅝ = [ㅜ+ㅓ] = ㅡ+ㅓ+ㅓ = (= *00)" 과 충돌하게 된 다. 이 경우 "ㅠ"를 수평/수직 형태의 모음의 조합으로 "ㅠ = ㅡ+ㅣ+ㅣ (= *##)" 으로 할 수 있다. 모음 "ㅠ"의 입력에 "ㅠ = ㅡ+ㅣ+ㅣ (= *##)" 로 하는 것은 다 른 실시예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Since the vowel "sh" can be entered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assigned to "sh", "ㅣ" => "ㄴ" (=> "ㅐ") can b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ㅣ" . Since "ㅐ = [A+ㅣ]", if "A = ㅣ+ㅣ (= ##)" is entered, naturally "ㅐ = [A+ㅣ] = ㅣ+ㅣ+ㅣ (= ###)" do. It can be entered naturally with the vowel "ㅔ = [sh+ㅣ] = sh+ㅣ (= 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ㅖ = [ㅔ + ㆍ] = ㅔ + ㅣ + ㅇ (= 0 # 0)", "ㅒ = [ㅐ + ] = ㅣ + ㅣ + ㅣ + ㅇ (= ## #0)". "ㅕ" can b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ㅕ" is assigned. As "ㅚ = [ㅗ+ ㅣ] = ㅡ+ㅡ+ㅣ (= **#)", as "ㅘ = [ㅗ+A] = ㅡ+ㅡ+ㅣ+ㅣ (= **##)" as "ㅙ = [ㅗ+아+ㅣ] = ㅡ+ㅡ+ㅣ+ㅣ+ㅣ (= **###)" If you set "ㅠ = [ㅡ+ㆍ+ㆍ] = ㅡ+ ㅇ+sh (= *00)", it will collide with "ㅝ = [ㅜ+sh] = ㅡ+sh+sh = (= *00)" All. In this case, "ㅠ" can be set as "ㅠ = ㅡ+ㅣ+ㅣ (= *##)" as a combination of horizontal/vertical vowels. The input of the vowel "ㅠ" as "ㅠ = ㅡ+ㅣ+ㅣ (= *##)"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다른 방법으로는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 으로 "ㅡ => ㅗ => ㅜ => ㅛ => ㅠ" 로 상하향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ㅘ = [ ㅗ+ㅏ] = ㅗ+ㅏ (= **##)" 으로, "ㅝ = [ㅜ+ㅓ] = ㅜ+ㅓ = ***0" 하는 것이다. 나머지 복모음은 복모음을 구성하는 모음들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피한다. As another method, as suggested above,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ㅡ => ㅗ => ㅜ => ㅛ => ㅠ" is entered as up and down vowels, and "ㅘ = [ ㅗ + A ] = ㅗ + A (= **##)", and "ㅝ = [TT + osh] = TT + osh = ***0". The rest of the complex vowels can be processed as the input of the vowels constituting the complex vowel, and a detailed description is avoided.

나머지 모음의 입력에 있어서는 타 실시예의 사례를 유사하게 이용할 수 있 다. 이상의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표9와 같으며, 그래프 형태로 정리하면 도4-31 과 같다. 이상의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ㅡ", "ㅓ", "ㅣ" 3개의 모음을 이용 하여 나머지 모음을 조합시,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ㅣ" => "ㅏ" => "ㅐ" 를 입력하도록 한 점, "ㅓ"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ㅓ", "ㅕ" 를 입 력한 점 등, 그리고 그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운 모음조합방법을 제시한 점을 들 수 있다. 나머지 모음은 한번 누름 및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 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 Examples of other embodiments may be similarly used for the input of the remaining vowels. If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in a table, it is shown in Table 9, and if summarized in a graph form, it is shown in Fig. 4-31. The biggest feature of the above embodiment is that when combining the remaining vowels using three vowels "ㅡ", "sh", and "ㅣ", "ㅣ" => "A" =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 It is possible to point out that "ㅐ" was input, "sh" and "ㅕ" wer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sh" was assigned, and, as a result, a natural vowel combination method was suggested. . It was shown that the remaining vowels can be input in various ways using vowels input by pressing once and repeatedly.

모음collection 모음
분해
collection
decomposi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4-* 예시키패드에서의 버 튼입력값4-* Button input value on example keypad
1One all ㅣ+ㅣㅣ+ㅣ #### 22 eh ㅏ+ㅣA + l ㅣ+ㅣ+ㅣㅣ+ㅣ+ㅣ ###### 33 hey ㅏ+ㆍA+ㆍ ㅣ+ㅣ+ㅓㅣ+ㅣ+sh ##0##0 44 this guy ㅑ+ㅣor
ㅐ+ㆍ
ㅑ+ㅣor
ㅐ+ㆍ
ㅣ+ㅣ+ㅏ+ㅣ or
ㅣ+ㅣ+ㅣ+ㅓ
ㅣ+ㅣ+A+ㅣ or
ㅣ+ㅣ+ㅣ+sh
##0# or
###0
##0# or
###0
55 yes yes 00 66 to ㅓ+ㅣㅇ+ㅣ 0#0# 77 woman ㅓ+ㅓo + o 0000 88 yes ㅔ+ㆍㅔ+ㆍ ㅓ+ㅣ+ㅓㅇ+ㅣ+ㅇ 0#00#0 99 fuck you ㅡ+ㅡㅡ+ㅡ **** 1010 ㅗ+ㅏㅗ+a ㅡ+ㅡ+ㅣ+ㅣㅡ+ㅡ+ㅣ+ㅣ **##**## 1111 ㅘ+ㅣㅘ+ㅣ ㅡ+ㅡ+ㅣ+ㅣ+ㅣㅡ+ㅡ+ㅣ+ㅣ+ㅣ **###**### 1212 ㅗ+ㅣㅗ+ㅣ ㅡ+ㅡ+ㅣㅡ+ㅡ+ㅣ **#**# 1313 blanket ㅡ+ㅡ+ㅡㅡ+ㅡ+ㅡ ****** 1414 sob ㅡ+ㆍㅡ+ㆍ ㅡ+ㅓㅡ+sh *0*0 1515 ㅜ+ㅓTT + ㅇ ㅡ+ㅓ+ㅓ+ㅓㅡ+sh+sh+sh *000*000 1616 ㅜ+ㅓ+ㅣTT + ㅇ+ㅣ ㅡ+ㅓ+ㅓ+ㅓ+ㅣㅡ+sh+sh+sh+ㅣ *000#*000# 1717 ㅜ+ㅣTT+ㅣ ㅡ+ㅓ+ㅣㅡ+ㅇ+ㅣ *0#*0# 1818 ㅡ+ㅣ+ㅣㅡ+ㅣ+ㅣ *##*## 1919 ** 2020 ㅡ+ㅣㅡ+ㅣ ㅡ+ㅣㅡ+ㅣ *#*# 2121 tooth tooth ##

"ㅡ", "ㅓ", "ㅣ"를 이용한 표9과 관련된 실시예는 "ㅡ", "ㅏ", "ㅣ"를 이 용한 실시예 중 표8 의 내용과 관련된 실시예에 대응되는 실시예이다. "ㅡ", ㅓ', "ㅣ"를 이용한 실시예로써 표7와 관련되는 실시예는 표7 의 내용과 유사한 부분이 많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피하고 간단히 언급한다. "ㅓ"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ㅓ => ㅏ (=> ㅕ => ㅑ)" 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ㅓ" 배정 버 튼의 반복누름으로 좌우향모음이 입력되는 것이다.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 름으로 "ㅣ => ㅐ (=> ㅔ)" 가 되도록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ㅔ = [ㅓ+ ㅣ] = ㅓ+ㅣ (= 0#)" 으로 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 름으로 "ㅣ => ㅐ => ㅒ" 가 되도록 할 수 있다.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 으로 "ㅡ => ㅗ => ㅛ" 가 되거나(즉, 상향모음 입력), "ㅡ => ㅗ => ㅜ (=> ㅛ => ㅠ)" 가 되면(즉, (1-)상하향모음 입력), "ㅘ = [ㅗ+ㅏ] = ㅡ+ㅡ+ㅏ (= **00)" 이 되어야 하나, "ㅗ" 다음에 "ㅓ" 가 결합하는 모음이 없으므로 "ㅘ = **0" 로 할 수 있다. 나머지 모음의 입력은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표와 그래프는 생 략한다. Examples related to Table 9 using "ㅡ", "sh", and "ㅣ" correspond to exampl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able 8 among examples using "ㅡ", "A", and "ㅣ" to be. As examples using "ㅡ", ㅇ', and "ㅣ", the examples related to Table 7 have many similarities to the contents of Table 7,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avoided and briefly mentioned. "sh => A (=> ㅕ => ㅑ)" can be made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sh" is assigned. 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vowels ar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o" assignment button. It is the same as making "ㅣ => ㅐ (=> ㅔ)"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However, since "ㅔ = [sh+ ㅣ] = ㅇ+ㅣ (= 0#)", it is possible to make "ㅣ => ㅐ => ㅒ"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have. When “ㅡ => ㅗ => ㅛ” is obtain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i.e., upvowel input), or “ㅡ => ㅗ => TT (=> ㅛ => ㅠ)” ( That is, (1-) up and down vowel input), "ㅘ = [ㅗ + A] = ㅡ + ㅡ + A (= **00)", but since there is no vowel that "ㅗ" is joined after "ㅗ" It can be done with "ㅘ = **0". The input of the rest of the vowels can be applied similarly, and tables and graphs are omitted.

위에서 제시한 실시예(표7, 표8, 표9 및 관련 설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ㅡ", "ㅏ", "ㅣ" 3개의 모음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되, "ㅏ"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좌우향모음 (또는 1-좌우향모음)을 입력한 점, "ㅣ"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ㅣ", "ㅓ", "ㅔ"를 입력하거나 "ㅣ", "ㅐ", "ㅔ"를 입력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ㅡ", "ㅓ", "ㅣ" 3개 모음을 이용하 여 모음을 입력하는데 있어서, "ㅓ"가 배정된 버튼으로 좌우향모음 (또는 1-좌우 향모음)을 입력한 점,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ㅣ", "ㅏ", "ㅐ"를 입 력하거나 "ㅣ", "ㅐ", "ㅒ"를 입력한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ㅡ", "X", "ㅣ"를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되,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상향모음 (또는 상하향모음 또는 1-상하향모음)을 입력한 점 등등을 정리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presented examples (Tables 7, 8, and 9 and related descrip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vowel is input using three vowels "ㅡ", "ㄴ", and "ㅣ", but a left-right vowel (or 1-left-right vowel) is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A", "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ㅣ", "sh", and "ㅔ" are input, or "ㅣ", "ㅐ", and "ㅔ" are input. In addition, in inputting a vowel using three vowels "ㅡ", "sh", and "ㅣ", the point that a left and right vowel (or 1-left and right vowel) is input with the button to which "sh" is assigned, "ㅣ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 is assigned, "ㅣ", "ㄴ", and "ㅐ" are input, or "ㅣ", "ㅐ", and "ㅒ" are input. In addition, while inputting vowels using "ㅡ", "X", and "ㅣ",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upward vowels (or up and down vowels or 1-up and down vowels) are entered. can

표7, 표8, 표9 및 관련 실시예에서 "ㅡ", "ㅏ", "ㅣ" 또는 "ㅡ", "ㅓ", "ㅣ" 가 배정된 버튼의 한번 누름 또는 반복누름으로 입력되는 모음 이외의 모음 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모음입력과 출돌되지 않는 한 적절히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표8 에서 "ㅜ"를 입력한 후("ㅜ"의 입력방법은 여러가 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ㅣ"가 배정된 버튼(예에서 [#]버튼)을 한번 눌러 " ㅟ"를 입력하였고 또 한번 더 눌러 "ㅝ"를 입력하였고, 또 한번 더 눌러 "ㅞ"를 입력하였다. 이는 표8에서 "ㅣ"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ㅣ", "ㅓ", "ㅔ"를 입력하므로 당연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표9에서 "ㅗ" 입력후(역시 "ㅗ"의 입력방법은 표9에서의 방법이외의 방법이 될 수도 있다), "ㅣ"가 배정된 버튼을 한번 눌러 "ㅚ"를 입력하였고, 한번 더 눌러 "ㅘ"를 입력하였고, 또 한번 더 눌러 "ㅙ"를 입력하였다. 역시 표9관련 실시예에서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 복누름으로 "ㅣ", "ㅏ", "ㅐ"가 입력되므로 당연한 것이다. 이렇게 복모음 입력 에 있어서 좌우 버튼의 누름보다 반복누름이 이용되는 것은 입력의 편리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표9 관련 실시예에서의 "ㅚ", "ㅘ", "ㅙ" 입력방법이 표8관 련 실시예에서의 "ㅚ", "ㅘ", "ㅙ" 입력방법과 충돌하지 않으므로, 표8관련 실시 예에서도 표9관련 실시예에서의 "ㅚ", "ㅘ", "ㅙ"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8 관련 실시예에서의 "ㅟ", "ㅝ", "ㅞ" 입력방법이 표8관련 실시예 에서의 "ㅟ", "ㅝ", "ㅞ" 입력방법과 충돌하지 않으므로, 표8관련 실시예에서도 표9관련 실시예에서의 "ㅟ", "ㅝ", "ㅞ"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In Tables 7, 8, and 9 and related examples, "ㅡ", "ㄴ", "ㅣ" or "ㅡ", "sh", "ㅣ" is a vowel input by pressing once or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It was said that other vowels can be used selectively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with vowel input in other embodiments. For example, after entering "TT" in Table 8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for the input method of "TT"), press the button assigned to "ㅣ" (the [#] button in the example) once to I entered "ㅟ", pressed it again to enter "ㅝ", and pressed it again to enter "ㅞ". This is natural because "ㅣ", "sh", and "ㅔ" are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in Table 8. Similarly, after entering "ㅗ" in Table 9 (also, the input method of "ㅗ" may be a method other than the method in Table 9), press the button assigned to "ㅣ" once to input "ㅚ", and once "ㅘ" was entered by pressing more, and "ㅙ" was entered by pressing again. Also,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able 9, it is natural that "ㅣ", "아", and "ㅐ" ar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In inputting complex vowels, using repeated pressing rather than pressing the left and right buttons can help improve the convenience of input. Since the input method of "ㅚ", "ㅘ", and "ㅙ"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able 9 does not conflict with the input method of "ㅚ", "ㅘ", and "ㅙ"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able 8, related to Table 8 In the embodiment, the "ㅚ", "ㅘ", and "ㅙ" input methods in Table 9 related examples can be applied. Likewise, since the input method of "ㅟ", "ㅝ", and "ㅞ"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able 8 does not conflict with the input method of "ㅟ", "ㅝ", and "ㅞ"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able 8, related to Table 8 In the embodiment, the "ㅟ", "ㅝ", and "ㅞ" input methods in Table 9 related examples can be applied.

여기서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1-상하향모음"을 입력하게 하 면,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ㅡ => ㅗ => ㅜ"로 된다. 표8에서 표9 의 "ㅘ" 입력방법("ㅘ = [ㅚ+ㅣ] = …")을 적용한다고 하면, 표8에서와 같이 "ㅘ = [ㅗ+ㅏ] = ㅡ+ㅡ+ㅏ (= **0)" 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 "ㅛ = [ㅗ+ㆍ] = ㅡ+ㅡ+ ㅏ (= **0)" 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ㅠ = [ㅜ+ㆍ] = ㅡ+ㅡ+ㅡ+ㅏ (= ***0)" 으로 할 수 있다. 표8 및 관련 실시예에서는 "ㅕ = [ㅓ+ㆍ] = ㅣ+ㅣ+ㅏ (= ##0)" 으로 하고 있다. 또한 "ㅑ"는 "ㅏ" 버튼의 반복누름(2회누름)으로 입력 하고 있는데, 이를 풀어 보면 "ㅑ = [ㅏ+ㆍ] = ㅏ+ㅏ (=00)" 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2-상하좌우향모음 4가지 (ㅑ, ㅕ, ㅛ, ㅠ) 을 입력하는데 있어서, 각 2-상하좌우향모음에 대응되는 1-상하좌우향모음(즉, ㅏ, ㅓ, ㅗ, ㅜ) 과 변형알파벳컨트롤 또는 후속컨트롤을 조합하여 규칙성 있게 입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컨트롤버튼으로는 "ㅏ"가 배정된 버튼 (예시 키패드에서 "0"안에 "ㅏ" 등이 표시된 [0]버튼)이 활용되었다. 표8에서 "ㅖ", "ㅒ" 등은 이미 대응되 는 모음 "ㅔ", "ㅐ" 와 "ㆍ(변형알파벳컨트롤 또는 후속컨트롤)"을 조합하는 것으 로 일관성 있게 입력되고 있었으므로 전체적으로 단순한 입력규칙에 의하여 입력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ㅒ = [ㅑ+ㅣ] = …" 로도 입력할 수 있었음) 편 의상 "ㅔ", "ㅐ" 를 "2-수직모음" 이라 부르고, "ㅔ" 를 "1-좌향+2-수직모음" 이 라 부른다. "ㅖ" 는 "2-좌향+2수직모음" 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ㅐ"를 "1- 중향+2수직모음"이라 부르고 "ㅒ"를 "2-중향+2수직모음"이라 부른다. Here, if "ㅡ" is input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ㅡ", "ㅡ => ㅗ => TT" is obtain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ㅡ". In Table 8, if the "ㅘ" input method ("ㅘ = [ㅚ+ㅣ] = …") of Table 9 is applied, as shown in Table 8, "ㅘ = [ㅗ + A] = ㅡ+ㅡ+A (= **0)", so "ㅛ = [ㅗ+ㆍ] = ㅡ+ㅡ+ A (= **0)". Similarly, "ㅠ = [TT+ㆍ] = ㅡ+ㅡ+ㅡ+a (= ***0)". In Table 8 and related examples, "ㅕ = [sh+ㆍ] = ㅣ+ㅣ+A (= ##0)". In addition, "ㅑ" is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A" button (press twice), and if you solve it, you can see "ㅑ = [A+ㆍ] = A+A (=00)", so overall 2- In inputting four up and down left and right vowels (ㅑ, ㅕ, ㅛ, ㅠ), 1-up and down left and right vowels corresponding to each 2-up and down left and right vowels (i.e., a, sh, ㅗ, TT) and modified alphabet You can see that the control or follow-up controls are entered regularly. Of course, as a control button, a button assigned with "A" (eg, the [0] button with "A" in "0" on the keypad) was used. In Table 8, "ㅖ", "ㅒ", etc. have already been input consistently by combining the corresponding vowels "ㅔ", "ㅐ" and "ㆍ (modified alphabet control or subsequent control)", so overall simple input You can see that it is entered according to the rules. (Of course, "ㅒ = [ㅑ+ㅣ] = …" could also be entered) In the editorial, "ㅔ" and "ㅐ" are called "2-vertical vowels", and "ㅔ" is called "1-leftward + 2-vertical vowels" called "collection". "ㅖ" can be called "2-left + 2 vertical vowels". In addition, "ㅐ" is called "1-centered + 2 vertical vowels" and "ㅒ" is called "2-centered + 2 vertical vowels".

"ㅣ" 입력 후 한번 더 눌러 "ㅓ"가 되는 것과 "ㅡ" 버튼을 한번 눌러 "ㅡ" 입력후 한번 더 눌러 "ㅗ"가 되는 것이 일관성이 있으므로, 굳이 키패드 버튼상에 특정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입력되는 모음을 함께 표시하지(예. [*] 버튼에 "ㅡ ㅗ ㅜ" 를 함께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반복누름으로 입력되는 모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함께 키패드 버튼상에 표시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 하다. 사용자는 단지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ㅣ", "ㅓ", ("ㅔ") 를 입력할 수 있는 점,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ㅡ", "ㅗ", "ㅜ" 를 입 력할 수 있는 점, 1-상하좌우향 모음과 예시 도면에서의 [0]버튼("ㆍ"처럼 생각) 의 조합으로 2-상하좌우향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점, "ㅚ" 다음에 "ㅣ" 버튼을 반 복적으로 눌러 "ㅘ", "ㅙ" 를 입력할 수 있는 점, "ㅟ" 다음에 "ㅣ" 버튼의 반복 누름으로 "ㅘ", "ㅙ" 를 입력할 수 있는 점 등을 인지하고 있으면 된다.Since it is consistent to press "ㅣ" and press it once more to become "sh" and press the "ㅡ" button once to enter "ㅡ" and then press it again to become "ㅗ",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press a specific button on the keypad button.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y the input vowels together (eg, display "ㅡ ㅗ ㅜ" together with the [*] button).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all or part of the vowels input by repeated pressing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keypad button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 where the user can only input "ㅣ", "sh", ("ㅔ")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an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ㅡ", " ㅗ", "TT" can be input, 1-up, down, left and right vowels and the [0] button in the example drawing (think "ㆍ") 2-up, down, left and right vowels can be input , "ㅘ", "ㅙ" can be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after "ㅚ", "ㅘ", "ㅙ"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after "ㅟ" You just need to be aware of the points you can enter.

이상의 내용을 표형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으며 그래프로 정리하면 도4-32와 같다. 설명한 모든 내용을 표에 정리하지는 않았으며 표의 모든 내용을 그래프로 정리한 것은 아니다. 표9관련 실시예에서 표8관련 실시예에서의 "ㅚ", "ㅘ", "ㅙ" 입력방법을 적용하고,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1-상하향모 음(즉, "ㅗ", "ㅠ")을 입력하고, 2-상하좌우향모음을 대응되는 1-상하좌우향모음 과 후속컨트롤버튼(예에서 "ㅏ"가 배정된 [0]버튼)의 조합으로 입력하면 표10과 거의 유사하게 된다. 다만 "ㅓ"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ㅓ => ㅕ"를 입 력하는 부분, "ㅏ", "ㅑ"를 입력하는 부분 정도만 다르게 된다. 굳이 표와 그래 프 형태로 제시하지 않는다. 언급한 바와 같이 "ㅏ"가 "ㅓ"보다 사용빈도가 훨씬 더 많으므로 표10 및 관련 실시예에서 보다 좋지 않게 된다. If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in the form of a table, it is as follows, and if summarized in a graph, it is shown in Fig. 4-32. Not all of the information described has been summarized in the table, and not all of the information in the table has been summarized in a graph. In Examples related to Table 9, the "ㅚ", "ㅘ", and "ㅙ" input methods in the Examples related to Table 8 were applied, and 1-up and down vowels (i.e., "ㅡ" were assign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If you enter ㅗ", "ㅠ"), and enter 2-up, down, left, right and left vowels in combination with the corresponding 1-up, down, left and right vowels and subsequent control buttons ([0]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in the example), the table It is almost identical to 10. However, only the part where "sh => ㅕ" is input and the part where "a" and "ㅑ" ar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sh" is assigned differs. It is not necessarily presented in the form of tables and graphs. As mentioned, "a" is used much more frequently than "q", so it is worse than in Table 10 and related examples.

표10 및 관련 실시예에서 "ㅜ" 입력에 3타("ㅡ" 가 배정된 버튼 3타)가 소 요되고 있지만, 동일버튼의 반복누름이므로(운지거리 zero), 입력의 편리도 면에 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용빈도의 상위 약 90%를 점하고 있는 9개 모음(ㅏ, ㅣ, ㅡ, ㅓ, ㅗ, ㅜ, ㅕ, ㅐ, ㅔ) 중에서 "ㅕ", "ㅐ" 를 제외한 나 머지 모음(전체사용빈도의 약 80% 이상)을 특정 모음버튼의 한번 누름 또는 반복 누름으로 입력하고 나머지 모음(전제사용빈도의 약 20%)의 입력에 인접버튼의 조 합을 이용하므로 모음 입력의 운지거리를 대폭 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사용빈도의 50%를 차지하는 "ㅡ", "ㅏ", "ㅣ"를 1타에 입력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 의 버튼(3개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타수 또한 최소의 입력타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able 10 and related embodiments, it takes 3 strokes (3 strokes of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to input "TT", but since the same button is repeatedly pressed (zero fingering distance), in terms of input convenienc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among the 9 vowels (a, ㅣ, ㅡ, sh, ㅗ, ㅜ, ㅕ, ㅐ, ㅔ) that occupy the top 90% of the frequency of use, all vowels except "ㅕ" and "ㅐ" (all used About 80% or more of the frequency) is input with a single press or repeated press of a specific vowel button, and a combination of adjacent buttons is used for the input of the remaining vowels (about 20% of the total frequency of use), so the fingering distance of vowel input is greatly reduced. can know that In addition, since "ㅡ", "ㄴ", and "ㅣ", which account for 50% of the total frequency of use, can be entered in one stroke, the minimum number of strokes can be maintained by using the minimum number of buttons (3 buttons). can know that

모음collection 모음
분해
collection
decomposition
조합되는 3개모음3 vowels to be combined 4-* 예시키패드에서의 버 튼입력값4-* Button input value on example keypad
1One all all 00 22 eh ㅏ+ㅣA + l ㅏ+ㅣ A + l 0# 0# 33 hey ㅏ+ㅏ A + A 00 00 44 this guy ㅑ+ㅣor
ㅐ+ㆍ or
ㅐ+ㅡ
ㅑ+ㅣor
ㅐ+ㆍ or
ㅐ+ㅡ
ㅏ+ㅏ+ㅣ or
ㅏ+ㅣ+ㅏ or
ㅏ+ㅣ+ㅡ
A+A+ㅣ or
A+ㅣ+A or
A+ㅣ+ㅡ
00# or
0#0 or
0#*
00# or
0#0 or
0#*
55 yes ㅣ+ㅣㅣ+ㅣ #### 66 to ㅓ+ㅣㅇ+ㅣ ㅣ+ㅣ+ㅣㅣ+ㅣ+ㅣ ###### 77 woman ㅓ+ㆍ or
ㅓ+ㅡ
ㅇ+ㆍ or
ㅇ+ㅡ
ㅣ+ㅣ+ㅏ or
ㅣ+ㅣ+ㅡ
ㅣ+ㅣ+A or
ㅣ+ㅣ+ㅡ
##0 or
##*
##0 or
##*
88 yes ㅔ+ㆍ or
ㅔ+ㅡ
ㅔ+ㆍ or
ㅔ+ㅡ
ㅣ+ㅣ+ㅣ+ㅏ or
ㅣ+ㅣ+ㅣ+ㅡ
ㅣ+ㅣ+ㅣ+A or
ㅣ+ㅣ+ㅣ+ㅡ
###0 or
###*
###0 or
###*
99 fuck you ㅡ+ㅡㅡ+ㅡ **** 1010 ㅚ+ㅣㅚ+ㅣ ㅡ+ㅡ+ㅣ+ㅣㅡ+ㅡ+ㅣ+ㅣ **##**## 1111 ㅘ+ㅣㅘ+ㅣ ㅡ+ㅡ+ㅣ+ㅣ+ㅣㅡ+ㅡ+ㅣ+ㅣ+ㅣ **###**### 1212 ㅗ+ㅣㅗ+ㅣ ㅡ+ㅡ+ㅣㅡ+ㅡ+ㅣ **#**# 1313 blanket ㅗ+ㆍㅗ+ㆍ ㅡ+ㅡ+ㅏㅡ+ㅡ+A **0**0 1414 sob ㅡ+ㅡ+ㅡㅡ+ㅡ+ㅡ ****** 1515 ㅟ+ㅣㅟ+ㅣ ㅡ+ㅡ+ㅡ+ㅣ+ㅣㅡ+ㅡ+ㅡ+ㅣ+ㅣ ***##***## 1616 ㅝ+ㅣㅝ+ㅣ ㅡ+ㅡ+ㅡ+ㅣ+ㅣ+ㅣㅡ+ㅡ+ㅡ+ㅣ+ㅣ+ㅣ ***###***### 1717 ㅜ+ㅣTT+ㅣ ㅡ+ㅡ+ㅡ+ㅣㅡ+ㅡ+ㅡ+ㅣ ***#***# 1818 ㅜ+ㆍTT+ㆍ ㅡ+ㅡ+ㅡ+ㅏ ㅡ+ㅡ+ㅡ+a ***0 ***0 1919 ** 2020 ㅡ+ㅣㅡ+ㅣ ㅡ+ㅣㅡ+ㅣ *#*# 2121 tooth tooth ##

이상에서 상위 사용빈도 90%에 속하는 9개 모음 중 일부의 모음 (예. 실시 예에 따라 "ㅜ", "ㅐ" 등 일부 모음) 을 제외하고는 동일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입 력하도록 함으로써 모음입력의 운지거리를 줄이고 입력의 편리도를 향상시켰다. 예시 도면에서 특정 모음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을 해당 버튼에 병기한 키패드 역시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예 를 들어 "ㅡ, "ㅏ", "ㅣ" 를 이용한 실시예에서, "ㅣ"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 으로 "ㅣ", "ㅓ" 를 입력하는 경우 [#]버튼에 "ㅣ ㅓ" (또는 "ㅣ ㅓ ㅔ")를 표시 하고, "ㅏ"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ㅏ", "ㅑ"를 입력하는 경우 [0] 버튼 에 "ㅏ ㅑ"를 표시하고, "ㅡ" 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ㅡ", "ㅗ", "ㅛ"를 입력하는 경우 "ㅡ ㅗ" (또는 "ㅡ ㅗ ㅛ")를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하학적 인 형태를 취하고 있는 한국어 모음 중, 사용빈도가 많으면서도 기본적인 형태의 모음 "ㅡ" 및 "ㅣ" 만(각 실시예에 따라 "ㅏ" 또는 "ㅓ"까지)을 각 버튼상에 표시 하고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을 은닉하여 간결한 키패드를 구성하면서도 입력규칙을 숙지하기 쉽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중의 하나, 또한 이렇게 할 수 있는 것이 우리 한글의 놀라운 점이기도 한 것이다. Vowel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same button, except for some vowels (e.g., some vowels such as "TT" and "ㅐ"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mong the nine vowels belonging to the top 90% of the above frequency of use. Reduced the fingering distance and improved the convenience of input. In the exemplary drawing, it is obvious that a keypad in which a vowel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a specific vowel button is also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using “ㅡ,” “ㄴ”, and “ㅣ”, when “ㅣ” and “sh” ar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ㅣ ㅇ” is input to the [#] button. (or "ㅣ ㅇ ㅔ"), and if "A" or "ㅑ" i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A ㅑ" is displayed on the [0] button, and "ㅡ" If "ㅡ", "ㅗ", "ㅛ" i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 "ㅡ ㅗ" (or "ㅡ ㅗ ㅛ") is displayed. However, it is one of the Korean vowels taking a geometric shape. , Although there is a high frequency of use, only the basic vowels "ㅡ" and "ㅣ" (up to "a" or "o"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are displayed on each button, and the vowel input by repeated pressing is hidden. I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input rules while configuring a simple keypad, and it is also a surprising feature of our Korean language that it can do this.

격자음, 경자음 입력에 있어서 평자음과 모음입력을 위한 최대반복가능횟수 +1타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ㅣ"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ㅣ", "ㅓ", "ㅔ"가 입력된다고 하면, 모음 입력에 최대 3회가 소요되므로 "ㄲ = ㄱ+ㅣ+ㅣ+ㅣ+ㅣ = 1####" 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입력의 하나의 자소를 입력하 기 위한 반복누름의 횟수가 너무 많아지고 부자연스러워지므로, 자음중 변형알파 벳(격자음, 경자음, 탈락자음)의 입력은 해당하는 평자음이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 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 또는 변형알파벳3+타 입력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물 론 후술하는 "길게누름"을 이용하여 "ㄲ = ㄱ+ㅣ長 = 1#~" 으로 할 수도 있으나, 보통의 한글입력에 필요한 자소를 길게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은 입력의 흐름 을 방해하므로 좋지 않다. (예에서 "ㅣ長" 은 "ㅣ"를 길게누름이고 "#~"은 [#]버 튼을 길게누름임) It was said that in the input of lattice and hard consonants, it was possible to input by combining the maximum number of repetitions + 1 stroke for flat consonants and vowel input. For example, if "ㅣ", "sh", and "ㅔ" are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it takes up to 3 times to input vowels, so "ㄲ = ㄱ+ㅣ+ㅣ+ㅣ+ㅣ = 1 ####". However, since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to input one grapheme of the input becomes too large and unnatural, the input of the modified alphabet (lattice consonant, light consonant, dropped consonant) A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repeated pressing or a modified alphabet 3+ other input method can be applied. Of course, "ㄲ = ㄱ+ㅣlength = 1#~" can be done by using "long press" described later, but it is not good to input the character elements necessary for normal Korean input by long pressing because it interferes with the input flow. not. (In the example, "ㅣlength" is a long press of "ㅣ" and "#~" is a long press of the [#] button)

탈락자음 "ㅎ"의 입력은 표8 ~ 표10의 실시예에서 "0*" 로 입력하는 모음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0]버튼에 "ㅎ"이 배정된 경우 "ㅎ = [ㆍ+ㅡ+( ㅇ)] = ㅏ+ㅡ (= 0*)" 로 입력할 수 있다. 물론 탈락자음 "ㅎ"은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기본알파벳으로 간주하는 자음인 "ㅇ"이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입 력("ㅇ"이 배정된 버튼 2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표7에서 "ㅑ = [ㅏ+ㅡ] = ㅏ+ㅡ (= 0*)" 로 하고 있는데, 이를 적용하지 않으면( 표7에서 "ㅑ" 입력에 다른 방법도 있으므로), 역시 탈락자음 "ㅎ = 0*"로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으며, "ㅑ = 0*"로 한다면, "ㅎ = 0**"로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다. [0]버튼 3타로 입력하는 모음이 없으면, "ㅎ"의 입력에 [0]버튼 3타를 이 용할 수 있는 것은 선출원에서 설명하였으며 이 경우 역시 모호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로 든 탈락자음 "ㅎ"은 반드시 "ㅎ"만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선출 원에서 언급하였듯이 격자음과 경자음이 존재하지 않는 자음중 "ㄴ"을 기본알파벳 으로 두고 "ㄹ"를 변형알파벳 (또는 후속알파벳) 으로 간주하여 "ㄹ"을 탈락자음 으로 둘 수 있다. 결국 "ㅏ" 가 배정된 버튼에 함께 배정된 자음의 입력을 모음 입력값으로 존재하지 않는 "0*"로 입력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It can be seen that the input of the dropped consonant "ㅎ" does not have a vowel input as "0*" in the examples of Tables 8 to 10. Therefore, if "ㅎ" is assigned to the [0] button, "ㅎ = [ㆍ+ㅡ+(ㅇ)] = A+ㅡ (= 0*)" can be entered. Of course, the dropped consonant "ㅎ" can be enter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the consonant "ㅇ", which is considered the basic alphabet, by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wo strokes of the button assigned to "ㅇ"). There may be ambiguities. In Table 7, "ㅑ = [A + ㅡ] = A + ㅡ (= 0*)", but if this is not applied (because there are other methods for inputting "ㅑ" in Table 7), the dropped consonant "ㅎ = 0*"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and if "ㅑ = 0*", "ㅎ = 0**"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If there is no vowel input with three strokes of the [0] button, it is explai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at three strokes of the [0] button can be used for input of "ㅎ", and in this case, ambiguity may also occur. The dropped consonant "ㅎ" as an exampl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ㅎ", and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mong the consonants that do not have lattice and hard consonants, "ㄴ" is set as the basic alphabet and "ㄹ" is the modified alphabet ( Or, it can be regarded as a subsequent alphabet) and "ㄹ" can be left out as a consonant. In the end, it means that the input of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can be entered as "0*", which does not exist as a vowel input value.

일반화된 2벌식 키보드의 한글오토마타에서도 "ㅢ"는 "ㅡ"입력후 "ㅣ"를 입 력함으로써 조합하여 입력하고 있다. 다만, 키보드에서는 다수의 모음버튼을 구 비하고 있으므로 "ㅢ", "ㅝ", "ㅞ", "ㅘ", "ㅙ" 등의 일부의 모음만을 모음버튼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즉, 모음조합규칙)만이 차이일 뿐이다. 3개의 모음("ㅡ", "ㅣ", "ㅏ" 혹은 "ㅡ", "ㅣ", ".(아래아)"를 이용한 모음조합은 보다 많은 모음이 약속된 조합에 따라 입력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4-20는 표1을 기준으로 모 음조합에 따른 모음처리과정을 그래프형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20에서 "시 작"은 모음처리과정의 시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이 눌러지면, 자음( 즉, "ㄱ = 1") 다음 눌러진 모음인 "0"에서 모음 처리과정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2벌식 키보드에서 [ㄱ]+[ㅡ]가 입력되면, 조합이 가능한 모음 버튼인 [ㅡ]버튼이 눌러졌을 때, 모음조합과정이 시작되는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 하고 다음 입력값이 [ㅣ]가 눌러졌을 때 전체입력값을 "긔"로 인식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ㄱ]+[ㅡ] 다음에 [ㄱ] 이 눌러지면, [ㅡ]의 입력으로 부터 시작된 모음 조합과정의 종료를 인식하고 전체 입력값을 "극"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은 자명하 다. Even in the Korean automata of the generalized double keyboard, "ㅢ" is input in combination by inputting "ㅡ" and then "ㅣ". However, since the keyboard is equipped with a large number of vowel buttons, inputting only some vowels such as "ㅢ", "ㅝ", "ㅞ", "ㅘ", "ㅙ", etc. as a combination of vowel buttons (ie, vowel combination rules) is the only difference. Vowel combinations using three vowels ("ㅡ", "ㅣ", "아" or "ㅡ", "ㅣ", ".(araeah)" only differ in that more vowels are entered according to the promised combination. Figure 4-20 is a graph showing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vowel combination based on Table 1. In Figure 4-20, "start" means the start of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For example, " When 10*..." is pressed,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starts from "0", which is the vowel pressed next to the consonant (i.e., "a = 1"). When [ㅡ] is entered,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starts when the [ㅡ] button, which is a vowel button that can be combined, is pressed, and the next input value is “ㅇ” when [ㅣ] is pressed, the entire input value [a] + [ㅡ] If [a] is pressed after [a] + [ㅡ], the end of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started from the input of [ㅡ] is recognized and the entire input value is recognized as "pole". It is self-evident.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중 표1과 다른부분을 포함하여 그래프 형태로 다시 정 리하면 도4-21과 같다. 도4-2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모음과 회색채움으로 표시된 모음은 중복되고 있는데, 회색채움으로 표시된 모음입력방법이 제시한 바와 같이 더 입력효율이 개선된 내용이므로 우선적용하고 점선으로 표시된 내용은 선택적으 로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4-21에서 회색채움으로 표시된 모의 입 력시에만 단일모음(예. "감"에서 "ㅏ") 또는 요소모음(예. "과"에서 "ㅏ") 중 일 부에 포함된 모음 "ㅏ"를 "ㅏ"로 인식하여 입력하고, 나머지 경우에 사용된 모음 "ㅏ"는 ㆍ(아래아) 를 연상하여 입력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0]버튼에

Figure pat00035
로 표시된 것은 ㆍ(아래아) 와 "ㅏ"를 동시에 연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음도 쉽 게 알 수 있다. Among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including the parts different from Table 1, it is summarized again in the form of a graph, as shown in Figures 4-21. In Fig. 4-21, the vowel indicated by dotted line and the vowel indicated by gray fill are overlapping. may or may not apply. Vowel "A" included in some of the single vowels (eg "gam" to "a") or element collections (eg "and" to "a") only at the time of mock input shown in gray fill in Fig. 4-21 It can be seen that it is input by recognizing it as "a", and the vowel "a" used in the other cases is entered by associating with ㆍ (araeah). [0] button
Figure pat00035
It is also easy to see that what is marked wit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mind of both ㆍ (araeah) and "a" at the same time.

프로그램 구현에 있어서, 키패드에서의 입력값에 의하여 인식되는 자음과 모음을 2벌식 키보드 한글오토마타 프로그램의 입력값으로 주어 처리하는 것도 구 현상 가능할 것이나, 문자입력시스템의 인프라적인 성격 및 다양한 응용에 비추어, 정밀한 구현을 위하여는 그리 바람직하지 않음을 지적한다. In program implementa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cess the consonants and vowels recognized by the input values on the keypad as input values for the double keyboard Hangul automata program, but in light of the infrastructural nature and various applications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not so desirable for precise implementation.

이상에서 당업계의 종사자가 아니더라도 한글을 알고 있고 소프트웨어에 기 본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면 충분히 본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으나, 노파심에서 흐름도를 간단히 제시하고자 한다. 자음(즉, 탈락자음)과 함께 배정된 모음버튼(예. [0]버튼)은 편의상 "(탈락)자음배정 모음 버튼"으로 부른다. 격자음과 경자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컨트롤 후 입력 적용, "ㅋ = ㄱ+ㅡ+ㅡ", "ㄲ = ㄱ+ㅡ+ㅡ")하고, 탈락자음(예. "ㅎ")을 역시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예. "ㅎ = ㅇ+ㅡ+ㅡ" 또는 "ㅎ = ㅏ+ㅡ+ㅡ" 또는 "ㅎ = .+ㅡ+ㅡ")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above, even if you are not a person in the field, you know Hangul and have basic knowledge of software, you can fully understand this system, but I would like to present a simple flow chart. A vowel button (eg, [0] button) assigned with a consonant (ie, a consonant that has been dropped) is called a "(dropped) consonant assignment vowel button" for convenience. Grid consonants and light consonants are input according to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pply input after control, "ㅋ = ㄱ + ㅡ + ㅡ", "ㄲ = ㄱ + ㅡ + ㅡ"), and drop out consonants (eg "ㅎ") Also, input (eg "ㅎ = ㅇ+ㅡ+ㅡ" or "ㅎ = A+ㅡ+ㅡ" or "ㅎ = .+ㅡ+ㅡ") i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도4-22의 흐름도에서, (1) ~ (4) 부분은 기존의 일반화되어 있는 2벌식 키 보드에서의 한글오토마타와 동일하고, 회색으로 표시한 (A), (B) 부분만이 본 입 력시스템에 따른 입력방식의 특성을 반영한 부분임을 알 수 있다. (B)부분은 일 련의 모음버튼이 입력된 후 조합이 불가능한 자음배정 모음버튼(예. [0]버튼)이 눌러지면, 그 모음버튼에 배정된 자음의 입력이 인식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4-22 에서 (B) 부분이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도4-22에 서 첫번째 입력값이 탈락자음배정 모음버튼이면, 그 모음버튼에 배정된 탈락자음 의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은 매우 간단한 사항이므로 흐름도를 간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표현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최초 입력값으로 모음버튼이 눌러졌을 때, 낱자로써의 모음조합과정이 진행되는 것도 편의상 구분하여 표시하지 않았다. 도 4-22의 흐름도는 가능한한 단순하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한글입력기술 그리고 모음입력기술이 작동될 수 있음을 가능한한 이해하기 쉽게 개괄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세부적인 부분이 달라지고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 이며,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현재 완성형 문 자체계를 쓰는 컴퓨팅 환경에서 "유니코드"체계를 사용하는지 "KSC5601 완성형" 체계만을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서도 세부적인 내용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음은 물 론이다. 참고로 도4-23는 도4-22에서 본 입력방식에서의 특성부분((A), (B)부 분)을 제거한 도면으로 일반화되어있는 2벌식 키보드에서의 한글오토마타 처리과 정을 보여준다. 다만 도4-22의 (3)부분에서 "모음조합규칙" 에 대응되는 모음이 존재하는지 체크하는 부분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조합규칙(표1, 각종 그 래프 및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시)이 적용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In the flow chart of FIG. 4-22, parts (1) to (4) are the same as Hangul automata in the existing generalized two-beol type keyboard, and only the parts (A) and (B) marked in gray are visible. It can be seen that the par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ower system. Part (B) shows that when a consonant assignment vowel button (eg, [0] button) that cannot be combined is pressed after a series of vowel buttons are input, the input of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vowel button is recognized. In FIG. 4-22, the fact that part (B) is marked with a dotted line means that it may be omitted. In Fig. 4-22, if the first input value is the vowel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button, it is very simple to process the input of the dropped consonant assigned to the vowel button, so it is not expressed in order to keep the flow chart concise. Likewise, when the vowel button is pressed as the initial input value,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as a letter is not separately displayed for convenience. The flow charts in FIGS. 4-22 generally show that the Hangul input technology and the vowel input technology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as simply as possible and as easily as possible to understand, and in actual implementation, details are changed and modified. Of course, it can be, and it is obvious tha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details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whether the "Unicode" system or only the "KSC5601 complete" system is used in a computing environment that currently uses the complete text system. For reference, FIG. 4-23 is a drawing in which the characteristic parts ((A) and (B) parts) of this input method in FIG. However, in the part (3) of Fig. 4-22, in the part of checking whether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vowel combination rule" exists, the vowel combination rule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able 1, various graphs and presen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quite natural that this applies.

출원인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입력방법(모음조합방법)은 특정 자음입력 방법과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혔으나, 역시 노파심에서 자음입력에 있어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흐름도를 보이면 도4-24와 같다. 출원인이 본 발 명 및 선출원에서 제시한 반복선택방법(평자음-격자음-경자음 순으로 선택, 평자 음-경자음-격자음 순으로 선택) 또는 변형알파벳 3+타 입력방법 등이 적용되는 경 우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자음버튼의 반복누름으로 자음이 식별 - 자음버튼의 입력이 모음버튼의 조합에 영향을 주지 않음) 모든 자음입력방법과 함께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4)부분에서 자음을 식별하는데 있어 서 특정 자음입력기술에 특정한 절차에 따라 자음을 식별해내면 된다. (B)부분은 물론 없어도 된다. 흐름도를 간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 에 우화살표 [>]버튼 또는 특정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기 입력된 글자를 확정하여 주는 부분은 표현하지 않았으나 이미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내용으로 당 업계의 종사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알고 있으므로 굳이 표시하지 않는다. 마찬 가지로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자음을 입력하고 있는 삼성전자社의 자음입력방법 과 함께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Although the applicant has revealed that the vowel input method (vowel combination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a specific consonant input method, the flow chart of the case where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o consonant input in nopasim is also shown in Figure 4- equal to 24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earlier applications (selection in the order of flat consonant - lattice consonant - hard consonant, selection in order of flat consonant - hard consonant - lattice consonant) or modified alphabet 3 + other input method is applied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not only in this case, but also in the case of similar (identification of consonants by repeated pressing of consonant buttons - input of consonant buttons does not affect the combination of vowel buttons) when applied with all consonant input methods . In identifying consonants in part (4), consonants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a specific procedure for a specific consonant input technology. Part (B) is of course not required. In order to keep the flow chart concise, in case of ambiguity, the part that confirms the previously entered characters using the right arrow [>] button or a specific function button is not expressed, but it is already generalized and widely used, and it is widely used in the art. Everyone knows it, even if you are not a worker, so I don't bother to show it. Likewis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use it with the consonant input method of Samsung Electronics Co., Ltd., which inputs consonants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마찬가지로 현재 LG전자社에서 채용하고 있는 한글입력시스템에서 자음버튼 과 "가획버튼" 그리고 "병서버튼"을 조합하여 자음을 식별(예. "ㄷ = ㄴ+가획")하 고 있는데, 이와 유사하게 자음버튼과 특정 기능버튼의 조합에 의하여 자음을 식 별하는 자음입력기술에서도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입력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찬가지로 자음버튼 및 특정 기능버튼의 입력이 모음조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역시 노파심에 이 경우의 흐름도를 간단히 제시하면 도4-25와 같다. Likewise, in the Korean input system currently employed by LG Electronics, consonants are identified by combining the consonant button, "provisional stroke button" and "byeongseo button" (e.g. "ㄴ = ㄴ + stroke"), similar to this consonant It is obvious that the vowel input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onsonant input technology for identifying consonants by a combination of a button and a specific function button. Likewise, the input of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specific function button does not affect the vowel combination. Again, if you simply present the flow chart in this case to the old woman, it is shown in Figure 4-25.

지금까지 충분히 설명되었으리라 믿지만, 한국어(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인 식하여 한국어 글자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 자음입력기술과 상관없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조합기술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역시 노파심에 흐름도를 제시하면 도4-26와 같다. 매우 당연한 것이 지만, 도4-26에서 자음버튼 또는 모음버튼 또는 특정 기능버튼이 눌러졌을 때, 특 정 자음입력방식의 자음이 식별될 수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모음조합기술이 적 용(도4-26의 (4)부분에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자음과 모음이 혼 합되어 배정된 어떠한 형태의 키패드에서 한국어의 3개 모음(예. "ㅡ", "ㅏ", "ㅣ")을 조합하여 한국어 모음을 조합하는 모든 방법에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예를들어 예시 도면에서 [0]버튼 3타로 탈락자음 "ㅎ"을 입력하는 것을 적용하는 경우(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은 이미 지적, 즉 자음 "ㅎ"의 입력이 모음입 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임 : 약속된 시간지연 또는 [>]버튼 등 이용 글자확정으 로 해결가능)에도 본 발명의 모음조합방법이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이렇 게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정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자음조합이 모음조합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도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바 약속된 시간지연 또는 특정 기능버튼 (예. 우 화살표[>]버튼)의 입력으로 기 입력된 글자를 의도적으로 확정하고, 단어 시작상태에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모음조합방법 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너무나 자명한 것이다. 도4-26의 흐름도에서 "글자종료 버튼"이 눌러졌을 때, 기 입력중인 내용을 확정적으로 인식하고 "시작" 상태에서 부터 진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내용이다. 다시 노파심에 흐 름도 형태로 제시하면 도4-27과 같으며 도4-26에서 글자완성버튼의 눌러짐을 체크 하는 부분만 추가된 도면이다. I believe that it has been sufficiently explained so far, but in a system that recognizes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Hangul) and processes Korean letters,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regardless of the specific consonant input technology, the vowel combination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t is self-evident that it can Also, if you present a flow chart to the old woman, it is as shown in Figure 4-26. As a matter of course, the vowel combination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ven when a consonant of a specific consonant input method can be identified when a consonant button or a vowel button or a specific function button is pressed in FIGS. 4-26 (Fig. 4 In (4) part of -26) shows that it can be. Likewise, it is self-evident that it is applicable to all methods of combining Korean vowels by combining three Korean vowels (eg "ㅡ", "ㄴ", "ㅣ") on any type of keypad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mixed and assigned.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input of the dropped consonant "ㅎ" with three strokes of the [0] button in the example drawing (it has already been pointed out that ambiguity may occur, that is, the input of the consonant "ㅎ" affects the vowel input It is obvious that the vowel comb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n a case where it is crazy: it can be solved by a promised time delay or letter confirmation using the [>] button). In this way, even when consonants and vowels are assigned together, and even when consonant combinations affect vowel combinations, it is already widely used, so it is possible to delay the promised time or input a specific function button (e.g. right arrow [>] button). It is obvious that the vowel comb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y intentionally confirming the input letter and processing it as being input in the word start state. In the flow chart of FIG. 4-26, it is already widely known that when the "character end button" is pressed, the contents being input are confirmed and proceeded from the "start" state. When presented again in the form of a flow chart to the old woman, it is the same as in Figure 4-27, and in Figure 4-26, only the part that checks the pressing of the letter completion button is added.

이는 본 출원에서 어느 한 부분(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중 다른 부분(실시 예)에서 적용가능함을 명시한 내용으로 볼 수 있으며, 이 내용 또한 본 발명의 다 른 부분(예. 4개 모음을 이용한 모음조합방법 등)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변형알파벳(격자음, 경자음, 탈락자음 등)의 입력에 반복선택방법, 변형알파벳 3+타 입력방법, 컨트롤처리방법 등이 모 두 적용되거나 일부의 자음의 입력에 일부의 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예. 격자음은 컨트롤처리방법으로 입력, 경자음은 반복선택방법으로 입력 등등)도 본 모음조합방법과 함께 적용될 수 있는 것도 자명한 것이다. 역시 아래 에 기술되는 바 특정 버튼의 "길게누름"을 이용하여 특정 자음(약속된 자음)을 식 별하는 입력시스템에서도 적용가능한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LG전자 社가 채용하고 있는 입력시스템에서와 같이 일부의 자음을 가획버튼과 조합하여 입력하고 일부의 자음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경우(자음입력이 모음조 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에도 본 발명의 모음조합방법이 적용가능한 것도 너무나 자명한 것이다. LG전자社가 채용하고 있는 입력시스템의 자음입력방법을 조금 변 형하여 "ㅂ"을 별도의 버튼에 배치하고 그 버튼 1타로 입력하는 경우도 역시 마찬 가지이다. (현재 LG전자社 채용 시스템에서는 "ㅂ = ㅁ+가획"으로 입력하고 있음) This can be seen as content that specifies that it is applicable to other parts (embodiment) of the contents described in one part (embodiment) of this application, and this contents are also other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e.g., a collection using four collections). Combination method, etc.) can be applied, of course. For example, as mentioned above, all of th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modified alphabet 3+ other input method, control processing method, etc. are applied to the input of modified alphabets (lattice consonants, hard consonants, dropped consonants, etc.), or input of some consonants It is also obvious that some methods can be selectively applied (eg, grid consonants are input as a control processing method, light consonants are input as a repetitive selection method, etc.) can also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present vowel combination method. It is also easy to see that it can be applied to an input system that identifies a specific consonant (promised consonant) by using a "long press" of a specific button as described below. Likewise, as in the input system employed by LG Electronics, even when some consonants are input in combination with a select button and some consonants are input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consonant input does not affect vowel combinations) It is also obvious that the vowel comb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consonant input method of the input system used by LG Electronics is slightly modified to place "ㅅ" on a separate button and input it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Currently, LG Electronics' recruitment system inputs "ㅅ = ㅁ + 喜料")

4.12. 현대 한국어의 4개 모음 (예. "ㅏ", "ㅣ", "ㅡ", "ㅓ") 을 이용한 모 음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시스템 4.12. Vowel input method using four modern Korean vowels (e.g. "a", "ㅣ", "ㅡ", "sh") and Korean input system using the same

마찬가지로 도4-18, 도4-19에서와 같이 "ㅡ", "ㅣ"를 포함하여 임의의 4개 모음의 조합을 이용하여 모음을 처리하는 한국어 입력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빈도가 많은 모음 "ㅏ"와 "ㅓ"를 포함하여 4개의 모음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4개 모음은 전체의 모음중 약 60%의 사용빈도를 갖는다. 표11는 4개 모음의 조합을 이용하는 사례이다. Likewise, as shown in FIGS. 4-18 and 4-19, a Korean input system that processes vowels can be configured using a combination of four arbitrary vowels including "ㅡ" and "ㅣ". For example, four vowels including the frequently used vowels "A" and "sh" may be used. These four vowels have a frequency of use of about 60% of the total vowels. Table 11 is an example of using a combination of four vowels.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6

3개모음을 이용하는 경우에서 설명한 내용과 거의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 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도4-18에서는 모음 "ㅓ"를 숫자 "8"안에 표시 하였고, 도4-19에서는 밖에 표시하였으나, 앞에서와 같이 이는 같은 의미의 도면 이다. 도4-18, 도4-19에서의 예시와 같이 [8]버튼 [0]버튼에 자음이 함께 배정되 어 있지 않은 경우, 반대로 "ㅡ", "ㅣ"가 배정된 버튼에 자음이 배정되어 있는 경 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Since it can be applied almost the same as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case of using three vowels, a detailed description is not provided. In Fig. 4-18, the vowel "o" is displayed inside the number "8", and in Fig. 4-19, it is displayed outside, but as before, this is a drawing with the same meaning. As in the examples in Figs. 4-18 and 4-19, if consonants are not assigned to the [8] button [0] button, conversely,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buttons to which "ㅡ" and "ㅣ" are assign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imilarly applied even if there is.

도4-18, 도4-19에서 모음 "ㅏ"와 "ㅓ"의 위치(배정된 버튼)는 서로 바뀔 수 도 있다. 또한 도4-18, 도4-19의 도면을 기준으로 4개 모음에 의하여 조합되는 모음의 정의는 표11에서 "ㅏ", "ㅓ"가 서로 바뀐 조합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In FIGS. 4-18 and 4-19, the positions (assigned buttons) of the vowels "a" and "o" may be interchanged.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the vowels combined by the four vowels based on the drawings of FIGS. 4-18 and 4-19 may be defined as a combination in which “a” and “q” are interchanged in Table 11.

사용자는 모음 "ㅏ"가 배정된 [0]버튼을 마치 아래아 버튼처럼 사용하여 조 작할 수 있고, 모음 "ㅓ"가 배정된 [8]버튼을 마치 2개의 아래아가 있는 버튼처럼 사용할 수 있다. 숫자 "0"의 모양과 숫자 "8"의 모양에서 이를 연상하기 용이하 다. 시스템은 모음처리과정의 시작 상태를 감지하고 나서, 표11에서 정해진 규칙 에 따라 입력값을 모음으로 해석하면 된다. The user can use the [0] button to which the vowel "A" is assigned as if it were a button, and the [8] button to which the vowel "◯" is assigned can be used as if it has two buttons. It is easy to associate this with the shape of the number "0" and the shape of the number "8". After the system detects the start state of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the input value is interpreted as a vowel according to the rules set forth in Table 11.

앞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ㅏ"의 입력에 있어서, "#0"역시 "ㅏ"로 인식 되도록 할 수 있으며, "ㅓ"의 입력에 있어서, "0#" 도 "ㅓ"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ㅏ", "ㅓ" 대신에 임의의 모음 (예. 모음 "ㅗ", "ㅜ")이 모음 "ㅡ", "ㅣ"와 함께 4개의 모음으로 사용된 경우에도 같다. Similar to the above, in the input of "A", "#0" can also be recognized as "A", and in the input of "o", "0#" can also be recognized as "o" . Similarly, the same applies when an arbitrary vowel (eg vowel "ㅗ", "TT") is used as four vowels together with the vowels "ㅡ" and "ㅣ" instead of "ㄴ" and "sh".

모음 "ㅡ", "ㅣ"와 임의의 모음 "X", "Y" 를 포함하는 4개의 모음버튼을 이 용하여,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4개의 모음버튼을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사례는 다음의 표와 같이 될 수 있다. 다음의 표에서 한국어의 21개 모음중 모음 "ㅡ", "ㅣ"를 제외한 19개 모음중 모음 "X", "Y"로 사용되는 모음은 모음 "X"와 "Y"가 각각 배정된 버튼(즉, [X]버튼, [Y]버튼) 1타로 각기 입력될 수 있음은 자 명하다.An example of inputting a vowel by combining the four vowel buttons used in modern Korean using four vowel buttons including the vowels "ㅡ" and "ㅣ" and arbitrary vowels "X" and "Y" is as follows. can be like the table. In the following table, the vowels used as vowels "X" and "Y" among the 19 vowels excluding "ㅡ" and "ㅣ" among the 21 vowels in the Korean language are the buttons assigned to the vowels "X" and "Y" respectively. (ie [X] button, [Y] button) It is obvious that each can be input with one stroke.

모음collection 조합되는 4개모음4 vowels to be combined XX YY 1One all ㅣ+Xㅣ+X 22 eh ㅣ+X+ㅣㅣ+X+ㅣ 33 hey ㅣ+Yㅣ+Y 44 this guy ㅣ+Y+ㅣㅣ+Y+ㅣ 55 yes X+ㅣX+I 66 to X+ㅣ+ㅣX+ㅣ+ㅣ 77 woman Y+ㅣY+I 88 yes Y+ㅣ+ㅣY+ㅣ+ㅣ 99 fuck you X+ㅡX+- 1010 X+ㅡ+ㅣ+XX+ㅡ+ㅣ+X 1111 X+ㅡ+ㅣ+X+ㅣX+ㅡ+ㅣ+X+ㅣ 1212 X+ㅡ+ㅣX+ㅡ+ㅣ 1313 blanket Y+ㅡY+ㅡ 1414 sob ㅡ+Xㅡ+X 1515 ㅡ+Y+ㅣ
or ㅡ+X+X+ㅣ
ㅡ+Y+ㅣ
or ㅡ+X+X+ㅣ
1616 ㅡ+Y+ㅣ+ㅣ
or ㅡ+X+X+ㅣ+ㅣ
ㅡ+Y+ㅣ+ㅣ
or ㅡ+X+X+ㅣ+ㅣ
1717 ㅡ+X+ㅣㅡ+X+ㅣ 1818 ㅡ+Yㅡ+Y 1919 2020 ㅡ+ㅣㅡ+ㅣ 2121 tooth

이를 더 일반화하여 한국어의 임의의 3개 모음버튼을 사용하여 위의 표와 유사한 조합에 의하여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A", "B", "X", "Y" 를 요소모음으로 하고 위와 유사하게 나머지 모음을 조합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모음 "A", "B", "X", "Y" 는 각각의 모음이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될 수 있음은 또한 자명하다. 사용자의 편리성 및 입력타수의 최소화를 위해 "ㅡ", " ㅣ" 와 "ㅏ", "ㅓ" 를 포함하는 4개의 모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By generalizing this more, you can input a vowel by a combination similar to the table above using any three vowel buttons in Korean. For example, vowels "A", "B", "X", and "Y" can be used as element collections, and the rest of the vowels can be entered in combination similar to the above. It is also obvious that the vowels "A", "B", "X", and "Y" can be input with one stroke of the button assigned to each vowel. For user's convenience and minimization of the number of input strokes, it would be desirable to use four vowels including "ㅡ", "ㅣ" and "아", "sh".

도4-12, 도4-13에서 자음의 입력에 있어서도, "ㅎ = 0** = ㅏ+ㅡ+ㅡ"로, " ㅇ = 8** = ㅓ+ㅡ+ㅡ"로 입력할 수 있는 점은 같다. 여기서 사용빈도가 많은 자 음 "ㅇ"이 모음 "ㅓ"와 함께 [8]버튼에 배정되어 입력에 불편함이 있으나, 자음 "ㅇ"의 배치는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Even in the input of consonants in Figs. 4-12 and 4-13, "ㅎ = 0** = A + ㅡ + ㅡ" and "ㅇ = 8 ** = ㅇ + ㅡ + ㅡ" is the same Here, the frequently used consonant "ㅇ" is assigned to the [8] button together with the vowel "ㅇ", which is inconvenient for input, but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 "ㅇ"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현대 한국어의 4개 모음을 이용하는 모음입력방법의 사례를 추가로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3개 모음을 이용하는 사례에서 "ㅣ"의 반복누름으로 "ㅏ", "ㅑ"를 입력하고, "ㅣ" 버튼의 반복누름으로 "ㅜ", "ㅠ"를 입력하면서, 모음 " ㅡ" 와 "ㅣ"의 수평선, 수직선 형태의 조합을 이용하여 나머지 모음을 입력하는 사례이다. 다음의 사례에서 입력규칙의 자연스러움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음 " ㅓ", "ㅗ", "ㅡ", "ㅣ" 4개의 모음을 이용하는 사례를 간단히 보이면 다음과 같다. "ㅗ" 또는 "ㅓ"를 포함하고 있는 모음들을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다. 3개 모음을 이용하는 사례에서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피한다. An example of a vowel input method using the four vowels of modern Korean is additionally presented as follows. In the case of using three vowels, input "a" and "ㅑ" by repeatedly pressing "ㅣ", and input "TT" and "ㅠ" by repeatedly pressing the "ㅣ" button, while entering the vowels "ㅡ" and " This is an example of inputting the remaining vowels using a combin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of ㅣ". In the following example, an example of using four vowels " ㅇ", "ㅗ", "ㅡ", and "ㅣ" in order to secure the naturalness of the input rule is as follows. You can naturally input vowels including "ㅗ" or "ㅗ". It is similar to the case of using three vowels, so a detailed explanation is avoided.

모음collection 모음
분해
collection
decomposition
조합되는 4개모음4 vowels to be combined (B)적용시, 적용 불가 (B) When applicable, not applicable
(A)(A) (B)(B) 1One all ㅣ+ㅡㅣ+ㅡ ㅣ+ㅣㅣ+ㅣ ㅑ(A-3)ㅑ(A-3) 22 eh ㅏ+ㅣ A + l ㅣ+ㅡ+ㅣㅣ+ㅡ+ㅣ 33 hey ㅣ+ㅣ+ㅣ or
ㅣ+ㅣ+ㅡ or
ㅣ+ㅣ
ㅣ+ㅣ+ㅣ or
ㅣ+ㅣ+ㅡ or
ㅣ+ㅣ
ㅣ+ㅡ+ㅡㅣ+ㅡ+ㅡ
44 this guy ㅑ+ㅣ
ㅏ+ㅓ
ㅑ+ㅣ
A+sh
ㅣ+ㅣ+ㅓ or
ㅣ+ㅣ+ㅡ+ㅣ
ㅣ+ㅣ+sh or
ㅣ+ㅣ+ㅡ+ㅣ
ㅣ+ㅡ+ㅡ+ㅣㅣ+ㅡ+ㅡ+ㅣ
55 yes yes 66 to ㅓ+ㅣㅇ+ㅣ ㅓ+ㅣㅇ+ㅣ ㅡ+ㅣ+ㅣㅡ+ㅣ+ㅣ ㅟ(B), ㅠ(B)ㅟ(B), ㅠ(B) 77 woman ㅡ+ㅓㅡ+sh 88 yes ㅕ+ㅣㅕ+ㅣ ㅡ+ㅓ+ㅣㅡ+ㅇ+ㅣ 99 fuck you fuck you 1010 ㅗ+ㅏㅗ+a ㅗ+ㅣ+ㅣㅗ+ㅣ+ㅣ 1111 ㅘ+ㅣㅘ+ㅣ ㅗ+ㅣ+ㅣ+ㅣㅗ+ㅣ+ㅣ+ㅣ 1212 ㅗ+ㅣㅗ+ㅣ ㅗ+ㅣㅗ+ㅣ 1313 blanket ㅣ+ㅗㅣ+ㅗ 1414 sob ㅡ+ㅡㅡ+ㅡ 1515 ㅜ+ㅓTT + ㅇ ㅡ+ㅡ+ㅓ ㅡ+ㅡ+ㅇ ㅡ+ㅣ+ㅡ or
ㅡ+ㅣ+ㅡ+ㅣ
ㅡ+ㅣ+ㅡ or
ㅡ+ㅣ+ㅡ+ㅣ
1616 ㅝ+ㅣㅝ+ㅣ ㅡ+ㅡ+ㅓ+ㅣ ㅡ+ㅡ+sh+ㅣ ㅡ+ㅣ+ㅡ+ㅣ or
ㅡ+ㅣ+ㅡ+ㅣ+ㅣ
ㅡ+ㅣ+ㅡ+ㅣ or
ㅡ+ㅣ+ㅡ+ㅣ+ㅣ
1717 ㅜ+ㅣTT+ㅣ ㅡ+ㅡ+ㅣㅡ+ㅡ+ㅣ ㅡ+ㅣ+ㅣㅡ+ㅣ+ㅣ ㅔ(B), ㅠ(B)ㅔ(B), ㅠ(B) 1818 ㅡ+ㅡ+ㅡ ㅡ+ㅡ+ㅡ ㅡ+ㅣ+ㅣㅡ+ㅣ+ㅣ ㅔ(B), ㅟ(B)ㅔ(B), ㅟ(B) 1919 2020 ㅡ+ㅣㅡ+ㅣ 2121 tooth tooth

4.13. 특정 모음요소(혹은 요소모음)가 배정된 특정 버튼의 연속입력으로 특정 (단일)모음을 입력하는 방법 4.13. A method of inputting a specific (single) vowel by continuous input of a specific button to which a specific vowel element (or collection of elements) is assigned

예시한 도면들(도4-5 ~ 도4-9)에서 모음요소 버튼에 격음/경음 컨트롤 및 탈락자음이 배정되어 있지 않고, 순수하게 모음요소 버튼으로만 사용되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별도의 컨트롤버튼이 있거나 혹은 격음 및 경음은 기본자음 이 배정된 버튼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선택되는 것으로 또 탈락자음은 기본자음 으로 간주하는 자음이 배정된 버튼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선택되는 것으로 가정 한다. In the illustrated drawings (Figs. 4-5 to 4-9), it is assumed that the vowel element button is not assigned to the consonant / horn control and the dropped consonant, and is used purely as a vowel element button.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separate control button or that vowels and horns are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basic consonant is assigned, and that the dropped consonant is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consonant considered as the basic consonant is assigned. .

한국어의 모음의 사용빈도는 "ㅏ", "ㅣ", "ㅡ", "ㅓ", "ㅗ", 그리고 "ㅜ" 의 순이며, 이 6개의 모음이 전체의 약 77%를 차지한다. 모음요소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서 자체로 모음으로 존재하지 않는 모음요소 "."을 이용하여 특정 단일모음 을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 더 나아가 모음결합과정(모음결합시작 ~ 모음결합 종료까지)에서 동일한 모음요소버튼만의 연속입력을 감지하여 약속된 어떤 단일모 음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requency of use of vowels in Korean is in the order of "a", "ㅣ", "ㅡ", "sh", "ㅗ", and "TT", and these six vowels account for about 77% of the total. In the input method using vowel elements, it was shown that a specific single vowel can be input by using the vowel element ".", which does not exist as a vowel by itself. Furthermore, in the vowel combining process (from vowel combining start to vowel combining end), continuous input of only the same vowel element button can be detected so that a certain single vowel can be recognized.

모음요소 "ㅡ"가 배정된 버튼을 한번 누르면 모음 "ㅡ"가 인식되고 연속하 여 한번 더 눌러지면, "ㅜ"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굼"를 입력함 에 있어서, 모음요소의 조합으로 "1*05"으로 입력할 수도 있지만, "1**5"으로 입 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모음요소 "ㅣ"가 배정된 버튼을 한번 눌러지 면 "ㅣ"가 인식되고 한번 더 눌러지면, "ㅏ"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 어 "감"를 입력함에 있어서 "1#05"으로 할 수도 있고 혹은 "1##5"으로 할 수도 있 다는 의미이다. When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ㅡ" is assigned is pressed once, the vowel "ㅡ" is recognized, and when pressed one more time in succession, "TT"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in inputting “Gum”, “1*05” may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vowel elements, but “1**5” may also be entered. Similarly, when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ㅣ" is assigned is pressed once, "ㅣ" is recognized, and when it is pressed once more, "A"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it means that "1#05" or "1##5" can be used to input "Persimmon".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을 이용하여 단일모음 을 입력시에는 모음 "ㅓ", "ㅕ", "ㅗ", "ㅛ" 등을 입력하는 중간과정으로 인식하 므로 모음결합과정의 종료를 인식하기 전까지는 단지 "." 으로 출력될 수 있을 것 이다. 그러나 모음요소 "ㅡ"와 "ㅣ"가 배정된 버튼을 이용할 경우에는 격음/경음 의 컨트롤처리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음 다음(즉, 모음결합과정시작 상태) 에 모음요소(혹은 요소모음) "ㅡ"가 연속하여(즉 'ㅡ+ㅡ') 나오지 않고, 또 모음 요소 "ㅣ"가 연속하여(즉 "ㅣ+ㅣ") 나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모음조합과정이 종료되기 전에도 약속된 모음을 확정적으로 인식하고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 입력시 입력에 따라 "ㄱ => 기 => 가 (=> 감)" 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 다. 이렇게 확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경우는 모음요소 조합에 의하여 입력된 경우처럼 추가적으로 다른 모음요소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시한 도4- 5에서 "1**# = 귀" 로, "1### = 개"로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모음요 소가 배정된 버튼을 반복누름에 의하여 특정 모음이 인식되고 나서 또 다른 모음 요소가 조합되어 다른 모음으로 될 수 있는 경우에는, 결합될 수 없는 모음요소의 입력을 인식하는 순간 그 이전 입력값까지를 모음조합과정종료로 인식하고 현재의 입력값에 대하여 모음조합과정시작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entering a single vowel using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it is recognized as an intermediate process of entering the vowels "sh", "ㅕ", "ㅗ", "ㅛ", etc. Until it recognizes the end of the process, just "." could be output as However, when using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s "ㅡ" and "ㅣ" are assigned, the vowel element (or element vowel) "ㅡ By using the property that "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i.e. 'ㅡ+ㅡ') and the vowel element "ㅣ"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i.e. "ㅣ+ㅣ"), the promised vowel is created even before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is terminated. It can be recognized and output definitively. For example, when inputting "1##(5)", "a => Ki => (=> Gam)"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put. In the case where it can be reliably recognized in this way, other vowel elements can be additionally combined, as in the case of input by combining vowel elements. That is, in the illustrated FIGS. 4-5, "1**# = ear" and "1### = dog" can be made. If a specific vowel is recogniz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is assigned in this way and then another vowel element can be combined to form another vowel, the moment the input of the vowel element that cannot be combined is recognized, the previous input Up to the value can be recognized as the end of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and the current input value can be recognized as the start state of the vowel combination process.

또 모음요소가 배정된 버튼을 3번이상 눌러서 다른 단일모음을 입력하는 것 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ㅡ"가 배정된 버튼이 3번 눌려지면 "ㅠ"를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궈"를 "규+ㅣ= 1***#"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 음). 마찬가지로 "ㅣ"가 배정된 버튼이 3번 눌러지면 언급한 바와 같이 "ㅐ"기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고, 아니면 "ㅑ"가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당연히 여기 서 'ㅐ'와 'ㅑ'는 양립하지 못하며, 'ㅐ'를 3타로 입력한다면, 'ㅑ'를 4타로 입력 하도록 할 수 있음). 또 마찬가지로 "." 이 배정된 버튼 3타로 "ㅕ"를 4타로 "ㅛ" 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에 탈락 자음이 함께 배정되지 않고 모음요소만이 배정되어 있는 상태임을 전제로 하였음) 탈락자음의 입력에서 언급했듯이 모음조합시작 상태에서, 도4-5를 기준으로 모음 요소 "."이 연속하여 3번 이상 나올 수 없는 성질을 이용하여 "1000 = 겨"로, "10000 = 교"로 확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3회 이상의 입력에 있어서는 모음요소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이나 입력의 편리도면에서 큰 차이가 없고, 또 입력방법의 직관성 면에서 부족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another single vowel b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is assigned three or more times. For example, if a button assigned to "ㅡ" is pressed three times, "ㅠ" may be recognized (here, "Guo" may be input as "Gyu+ㅣ= 1***#") . Similarly, if the button to which "ㅣ" is assigned is pressed three times, as mentioned above, "ㅐ" can be recognized, or "ㅑ" can be recognized (of course, 'ㅐ' and 'ㅑ' are compatible here) If you can't do it, and if you enter 'ㅐ' with 3 strokes, you can enter 'ㅑ' with 4 strokes). Again, "." It is possible to input "ㅕ" with 3 strokes of this assigned button and "ㅛ" with 4 strokes. (Here, it is assumed that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is not assigned to the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element, but only the vowel element is assigned.) As a criterion, by using the property that the vowel element "." cannot appear more than three times in a row, "1000 = bran" and "10000 = bridge" can be reliably recognized. However, in three or more inputs,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terms of convenience of input or input with a combination of vowel elements, and it is also insufficient in terms of intuitiveness of the input method.

위의 결과는 사용빈도가 많은 일부 모음의 입력 편리도를 높인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ㅡ" 의 후속모음으로 모양의 유사성이 있는 특정 모음( ㅜ, ㅠ, ...)을 두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 ㅣ"의 후속모음으로 특정 모음(예, ㅏ, ㅐ, ㅑ, ... 혹은 ㅏ, ㅑ, ㅐ)을 두고 반 복선택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이 배정된 버튼을 이 용하여 특정 모음(예. ㅓ, ㅗ, ㅕ, ㅛ, ...)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4개의 모음요소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모음 요소 "."이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ㅓ", "ㅗ"를 입력하도록 하고, 모 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ㅕ", "ㅛ"를 입력하도록 할 수 도 있다.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input convenience of some frequently used vowels has been increased. In summary, it can be seen that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was applied with specific vowels (TT, ㅠ, ...) having a similar shape as the subsequent vowels of "ㅡ". Likewise, it can be seen that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with a specific vowel (eg, a, ㅐ, ㅑ, ... or a, ㅑ, ㅐ) as a subsequent vowel of "ㅣ". Similarly, it can be seen that a specific vowel (eg, sh, ㅗ, ㅕ, ㅛ, ...) can be input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using the button to which "." is assigned. In the method of using four vowel elements, "sh" and "ㅗ" ar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and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You can also input "ㅕ", "ㅛ" by .

모음요소 "ㅡ"이 배정된 버튼을 이용하여 "ㅡ, ㅜ, ㅠ, ..."의 순서로, " ㅣ"에 대하여 "ㅣ, ㅏ, ㅐ,..." 혹은 "ㅣ, ㅏ, ㅑ, ㅐ, ..."의 순서로, 또 모음요 소 "."이 배정된 버튼을 이용하여 모음요소 "."으로 시작하는 모음 "ㅓ", "ㅗ"를 입력하도록 한 것도 사용자에게 친화감을 주기 위한 것이나, 예시일 뿐이고, 다른 특정모음들이 다른 순서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In order of "ㅡ, ㅜ, ㅠ, ..." using the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element "ㅡ", "ㅣ, AH, ㅐ,..." or "ㅣ, ㄴ, ㅑ" for "ㅣ" , ㅐ, ..." and using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to input the vowels "sh" and "ㅗ" starting with the vowel element "." It is intended to give, but it is only an example, and other specific vowels may be input in a different order.

여기서 한걸음 더 아나가 3개 혹은 4개의 모음요소를 이용하는 방법이 아닌 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개념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모음버튼에 "ㅡ", "ㅣ", "ㅏ", "ㅓ", "ㅗ", "ㅜ" 등 6개의 요소모음이 각각 배정되어 있는 입 력시스템에서 "ㅑ"는 [ㅏ] 버튼 2타로, "ㅕ"는 [ㅓ] 버튼 2타로, "ㅛ"는 [ㅗ] 버 튼 2타로, 그리고 "ㅠ"는 [ㅜ] 버튼 2타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ㅏ]버튼 2타로 보다 사용빈도가 많은 "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역시 모음 "ㅏ", "ㅓ", "ㅗ", "ㅜ" 중 같은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없으므로 입력즉시 확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렇게 10개의 기본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 면, 나머지 모음은 이 10개 모음의 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 'ㅝ = ㅜ+ㅓ' 혹은 'ㅝ = ㅠ+ㅣ', 'ㅞ = ㅜ+ㅓ+ㅣ'). 마찬가지로 특정모음버튼 3타 이상으로 이외의 모음(예. 복합모음, 확장모음)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Going one step further,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even in a method other than a method using three or four vowel elements. [ A] button 2 strokes, "ㅕ" can be entered with 2 strokes of the [sh] button, "ㅛ" with 2 strokes of the [ㅗ] button, and "ㅠ" with 2 strokes of the [TT] button. Similarly, it is possible to enter "ㅐ", which is used more frequently, with two strokes of the [a] button. This can also be reliably recognized immediately as input because there is no case where the same vowels appear consecutively among the vowels "a", "sh", "ㅗ", and "TT". If you can input 10 basic vowels like this, you can input the rest of the vowels as a combination of these 10 vowels (e.g. 'ㅝ = TT+sh' or 'ㅝ = ㅠ+ㅣ', 'ㅞ = TT+ ㅇ+ㅣ'). Similarly, it is possible to input other vowels (eg, complex vowels, extended vowels) with three or more strokes of the specific vowel button.

이는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을 두지 않고, 모음 "ㅑ"를 "ㅏ"를 기본모 음으로 하는 후속알파벳으로 하여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의 미한다. 이 역시 모호성없이 반복누름에 의한 입력이라는 편리함과 함께, 버튼의 누름에 따라 마치 필기해 나가는 과정과 유사한 입력으로 사용자에게 친화감을 줄 수 있다. 더불어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을 별도로 추가하여 7개의 모음버튼 을 구비한 입력시스템에서도 요소모음버튼의 반복누름 혹은 모음요소 "."과의 조 합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ㅕ"는 [ㅓ]버튼 2타 혹은 [.] 버튼과 [ㅓ] 버튼과 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means that the vowel "ㅑ" can be input by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with the vowel "ㅑ" as the follow-up alphabet with "아" as the basic vowel, without having a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In addition to the convenience of repeated pressing without ambiguity, this input similar to the process of taking notes according to button presses can give a user a sense of familiarity. In addition, even in an input system equipped with 7 vowel buttons by adding a button to which the vowel element "." is assigned, it is possible to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vowel button or combining it with the vowel element "." For example, "ㅕ" can be input with two strokes of the [sh] button or a combination of the [.] button and the [sh] button.

5. 색인을 통하여 모호성을 극복하는 방법 5. How to overcome ambiguity through indexing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여러 단어가 하나의 코드로 표현되어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도4-1의 입력예에서 "고이"가 "굉"으로 "굉"이 "고이"로 인식될 수 있 는 모호성이 있음을 지적했다. 그런데 보통은 단어단위로 단어를 입력하는데, 예 를 들어 "굉장히" 라는 단어는 존재하지만 "고이장이"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 다. 도4-1에서 양자는 모두 같은 코드값을 갖는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단말기 (클라이언트) 혹은 서버측에 특정 키패드와 특정 알파벳입력방법에 대하여 모호성 이 발생할 수 있는 단어들에 대한 색인을 준비하고 이를 등록해 둔다. "굉장히" 혹은 "고이장이"가 입력이 되었을 때 시간지연 등에 의해서도 양자를 구별할 수 없을 때, 색인에 "굉장히"가 올바른 단어로 등록이 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단어(이하에서 편의상 "타겟단어"라고 함)는 "굉장히"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이 구별할 수 없는 모호성이 발생했을 경우만 적용되며, 시 스템(단말기측 혹은 서버측 시스템)에서 정의한 시간지연값 혹은 사용자가 정의한 시간지연값에 의하여 구별이 가능한 경우는 그에 따라야 함은 당연하다. 즉 사용 자가 의도적으로 끊어(시간지연 혹은 공백 혹은 우측진행 버튼 혹은 기타의 특정 버튼을 사용하여) "고이장이"를 입력하였다면 비록 의미상 그른 단어라 할지라도 그 단어가 타겟단어이므로 "고이장이"를 출력하여야 한다.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ambiguity may occur because several words are expressed as one code. In the input example of FIG. 4-1,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is an ambiguity in which “Goi” can be recognized as “Goi” and “Goi” can be recognized as “Goi”. However, words are usually entered word by word. For example, the word "very" exists, but the word "troublesome" does not exist. In Fig. 4-1, both have the same code value. Therefore, the terminal (client) or server prepares an index for words that may cause ambiguity with respect to a specific keypad and a specific alphabet input method, and registers them. When "very" or "troubling" is entered and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even by time delay, etc., if "very" is registered as the correct word in the index, the word the user wants to input (below for convenience referred to as the "target word") is "very much". This is applied only when an ambiguity that the system cannot distinguish occurs, and if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y the time delay value defined by the system (terminal-side or server-side system) or the time delay value defined by the user, it is natural to follow it. do. That is, if the user intentionally interrupts (by using a time delay or space, right-moving button or other specific buttons), even if it is a semantically incorrect word, the word is the target word, so "trouble" is entered. " should be output.

색인을 준비하는 방법은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단어에 대하여 올 바른 단어(예에서 "굉장히")만을 등록해 둘 수도 있고, 그른 단어(예에서 "고이장 이")만을 등록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올바른 단어와 그른 단어를 모두 등록해 두 어도 무방하며, 단지 시스템은 색인의 어떤 단어가 올바른 단어인지 그른 단어인 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As for the method of preparing the index, only the correct word (eg "very" in the example) or the wrong word (eg "highly") can be registered for words in cases where ambiguity may occur. . In addition, it is okay to register both correct and incorrect words, and the system only needs to have information about which words in the index are correct and incorrect.

이는 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 를 들어 한국의 삼성전자사의 입력방법에서 "국가 <=> 구카" 와 같은 모호성이 발 생하는데 여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도4-1와 유사하게 자 모의 쌍을 각 버튼에 배치하고 자음1타, 격음2타, 경음3타, 모음1타로 선택할 수 있게 하면서, 음절(글자) 단위로 음절완성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 다. 사용자가 "굉장히"를 입력시, 일시적으로 "고이장이"가 출력되더라도, 단어 종료되는 순간(예를 들어 공백입력 등)에 색인을 참조하여 이를 "굉장히"로 수정 할 수 있다. This can be applied to all cases where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on the keypad. For example, in the input method of Samsung Electronics in Korea, ambiguity such as "Country <=> Guka" occurs, but it can be applied here as well. In addition, similar to Fig. 4-1, when a pair of consonants is placed on each button and the syllable completion button is pressed in units of syllables (letters) while enabling selection of consonant 1 stroke, aspirated 2 stroke, horn 3 stroke, and vowel 1 stroke can also be applied to When the user inputs "very", even if "noisy" is temporarily output, it can be modified to "very" by referring to the index at the moment the word ends (for example, blank input).

이때, 단어의 색인이 클라이언트측과 서버측에 모두 존재할 경우 1차적으로 클라이언트측의 색인을 검색하여 올바른 단어의 식별을 시도하고, 식별실패시 2차 적으로 서버측의 색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올바른 단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 다. At this time, if the word index exists on both the client side and the server side, the client side index is first searched to try to identify the correct word, and if the identification fails, the server side index is searched secondarily to finally find the correct word Can identify words.

단어의 단위를 구별하는 것은 누구나 생각할 수 있듯이 단어와 단어를 구분 해 주는 요소에 의해서 식별하면 된다. 예를 들어 공백과 공백사이, 단어시작과 공백사이, 공백과 입력끝 사이, 공백과 모드전환 사이 등등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색인을 참조하여 올바른 단어를 결정하는 것은 단어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단어의 구분을 주는 요소 입력시 색인참조가 이루어지고 올바른 단어가 결정될 수 있다. As anyone can think of, distinguishing a unit of a word can be done by identifying a word and an element that distinguishes the word. For example, between a space and a space, between a word start and a space, between a space and the end of an input, between a space and a mode change, etc. can be considered. Determining the correct word by referring to the index is performed on a word-by-word basis, so when inputting an element that distinguishes words, the index reference is made and the correct word can be determined.

이는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모호성이 발생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삼성전자社의 방법에서 종성과 초 성이 같은 버튼에 속한 자음인 경우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국가" <=> "구카" 를 예로 들 수 있다. 알파벳 별로 코드를 두어 입력시, 음절(글자) 단위 를 인식하지 않고 입력하므로 사실상 많은 경우에 무의식 적으로 "국가"를 입력하 면 "구카"로 된다. 이 경우도 시간지연 등에 의하여도 두 단어중의 어느 단어가 타겟단어인지를 알 수 없으면, 시스템(단말기 혹은 서버)은 색인을 참조하여 타겟 단어를 알아낼 수 있다. 단 이 경우는 "국"의 종성 "ㄱ"과 "가"의 초성 "ㄱ"이 연속하여 눌러졌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타겟단어는 "국가"인 경우가 많으 므로, 시간지연에 상관없이 색인을 참조하여 타겟단어를 식별해 내는 방법도 효율 적일 수 있다. This can be applied to all cases where ambiguity occurs by applying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For example, in Samsung Electronics' method currently used in Korea, ambiguity may occur when the final and initial consonants belong to the same button. For example "country" <=> "gukka". When entering a code by alphabet, input without recognizing the syllable (letter) unit, so in fact, in many cases, if you input "country" unconsciously, it becomes "gukka". Even in this case, if it is not known which of the two words is the target word due to a time delay or the like, the system (terminal or server) can find out the target word by referring to the index. However, in this case, even if the final consonant "a" of "country" and the initial consonant "a" of "ga" are pressed consecutively, in most cases the target word is "country", so the index can be indexed regardless of the time delay. A method of identifying a target word by reference may also be effective.

또한 이는 한국어에만 국한되지 않고 반복선택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의 모든 언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영어입력에 있어서 혹은 다 른 언어 키패드의 영어모드에서, [2]-[2]-[2]를 입력한 것이 "AB" 인지 "BA" 인지 알 수 없는 모호성이 발생한 경우에 "AB" 가 올바른 단어로 색인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타겟단어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모 호성이 발생하는 복수의 단어가 모두 올바른 단어로 색인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사용빈도가 많은 단어를 사용자에 1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최종적으 로 타겟단어를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is is not limited to Korean and can be applied to all languages in the case of using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For example, in English input or in English mode of other language keypads, if [2]-[2]-[2] is entered as "AB" or "BA", if ambiguity occurs, "AB" If " is registered in the index as a correct word, it can be recognized and provided as a target word to the user. If a plurality of words in which ambiguity occurs are all registered in the index as correct words, frequently used words may be primarily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user may finally determine the target word.

만약 어떤 단어의 입력에 대하여 모호성이 있을 경우, 색인을 참조하여도 그 입력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모두 올바른 단어로 인식된다면, 사용자에게 적절한 방법(시각적, 청각적)에 의한 피드백을 주어 선택하게 하면 된다. If there is ambiguity about the input of a certain word, if all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 recognized as correct words even after referring to the index, the user can be given feedback by an appropriate method (visual or auditory) to make a selection. .

사용자로 하여금 타겟단어를 확정하게 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창에 올바른 단어로 인식된 복수의 단어를 사용빈도순서(혹은 우선순위순서)로 나열하고 상하 스크롤에 의하여 혹은 디스플레이된 순서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 로 하여금 타겟단어를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만을 표시하고 타겟단어가 아닌 경우 다음 단어를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컨 트롤(편의상 "다음단어컨트롤"이라 함)을 선택함으로써 다음으로 사용빈도가 많은 단어를 표시되도록 하고, 역시 타겟단어가 아닌 경우 마찬가지로 다음단어컨트롤 을 다시 선택함으로써 계속해서 타겟단어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겟단어를 검색한 후 임의의 다른 버튼의 입력(예를 들어 다른 알파벳의 선택 혹은 공백, 모드전환 등 다음단어컨트롤 선택의 선택이 아닌 일체의 버튼 입력)으로 타 겟단어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A method for allowing the user to determine the target word is to list a plurality of words recognized as correct words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or order of priority) on the display window, and scroll up and down or use the number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order. This allows the user to determine the target word. Alternatively, you can display the next most frequently used word by selecting a control (referred to as "next word control" for convenience) to display only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 and to display the next word if it is not the target word. And, if it is not the target word, similarly, by selecting the next word control again, the target word can be continuously searched. In this case, after searching for the target word, the target word is confirmed by inputting any other button (for example, selecting another alphabet or pressing any button other than selecting the next word control selection such as blank or mode switch). can

다음단어컨트롤의 선택은 선출원에서 기술한 "부분전체선택방법" 혹은 "반 복선택방법(기준/단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특정 버튼의 기준격자의 위치에 다음단어컨트롤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면, 그 특정 버튼 1타로 다음단어컨 트롤이 선택될 것이다. The selection of the next word control can be applied to both the "partial whole selection method" or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standard/simple)"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f it is assumed that the next word control is arranged a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grid of a specific button, the next word control will be selected with one stroke of the specific button.

6. 6. 심플코드simple code 활용방법 및 단축입력방법/병행입력방법 Utilization method and shortcut input method/parallel input method

6.1 알파벳 연관 심플코드 생성방법 6.1 Alphabet related simple code generation method

정보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정보시스템에 접근할 경우 알파벳의 입력이 필 수적이다. 혹은 입력하여야 할 알파벳을 숫자코드화 하여 입력할 수 있다. 소형 화된 정보통신 단말기에서는 보통 키패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는 경 우가 많다. 여기서 말하는 코드란 모든 종류의 코드를 말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를 들면 전화번호, 증권종목(상장회사)코드, 도시코드, 부서코드, 전철역코드, 은행코드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각종의 명칭을 코드화하여 입력하는 잇점은 입력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When accessing an information system u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essential to input the alphabet. Alternatively, the alphabets to be input may be input by numeric coding. Miniaturiz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often employ keypad-type interfaces. The code referred to here refers to all types of codes, an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phone numbers, securities (listed company) codes, city codes, department codes, subway station codes, bank codes, and the like. The advantage of coding and inputting various names is that input can be simplified.

정보통신 단말기란 PC, 이동통신기기, 스마트폰, PDA, 양방향 문자 송수신 기기, ATM기(자동 입출금기) 등 모든 형태의 정보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전자수첩과 같이 통신기능이 없는 단말기까지 망라한다. 정보시스템이란 GUI통하여 시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ARS와 같이 소리로만 접 할 수 있는 시스템 등 모든 형태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좁게는 서 버측 시스템을 의미하며, 넓게는 서버 시스템과 호응하는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소 프트웨어도 포함한다.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 all typ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C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mart phones, PDAs, interactive texting devices, and ATMs (automated teller machines). In addition, it covers terminals without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electronic notebooks. Information systems include all types of systems, such as systems that can be accessed visually through a GUI, as well as systems that can be accessed only by sound, such as ARS. In addition, the system narrowly means a server-side system, and broadly includes client software of a terminal compatible with the server system.

키패드상 배치된 알파벳을 이용하여 각종 코드의 암기용으로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코드의 암기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심플네이밍, 이니셜네이밍, 풀 네이밍에 의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t can be usefully used for memorizing various codes by using the alphabets arranged on the keypad. In using for memorization of codes, there may be methods by simple naming, initial naming, and full naming. A brief summary of its contents is as follows:

심플네이밍은 코드화 하고자 하는 단어 혹은 구절(단어 혹은 구절을 통칭하 여 이하에서 간단히 "어구"라 함)과 연관된 숫자를 코드로 지정하는 것이다. 예 를 들어, 한국어의 경우, 기업명코드의 경우, 도4-2을 기준으로 "가산전자"의 코 드를 ㄱ, ㅅ, ㅈ, ㅈ 과 연관된 "1799"를 심플코드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가 산전자"에서 심플코드 "1799"와 연관된 ㄱ, ㅅ, ㅈ, ㅈ 을 부각하여 표시함으로써 특정 단어의 심플코드를 더욱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러한 어구로 부터 심플코드를 추출해 낼 수도 있다. 심플네이밍의 경우 코드화 하고자 하는 단어에 속한 어떤 알파벳과 연관된 숫자를 코드로 정하는 것이므로, 예로 든 "가산전자"의 코드를 반드시 "1799"로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주식이란"의 심플코드를 ㅈ, ㅅ, ㅣ, ㄹ 과 연관된 값을 심플코드로 할 수 있듯이, 가산전자의 경우 다른 예를 들면, ㄱ, ㅅ, ㄴ, ㅈ 과 연관된 "1729"로 할 수도 있고, ㄱ, ㅅ, ㅓ, ㅈ 과 연관된 "1749"로 할 수도 있고, "가산전자"를 구성하는 전체 알파벳과 연관된 "13294293"으로 할 수도 있다. 어구를 구성하는 전체 알파벳과 연관된 코 드를 심플코드로 하는 것을 편의상 "전체연관 심플네이밍"이라고 하고 특정 어구 의 일부 알파벳과 연관하여 심플코드를 지정하는 것을 편의상 "일부연관 심플네이 밍"이라고 부른다. 어떤 경우이든 심플네이밍(즉 심플코드)은 어구단위로 그 어 구를 구성하는 알파벳에 연관되어 코드를 지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한 국어 이외의 언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ptain"에서 자 음 "CPTN" 과 연관되는 "2786"를 심플코드로 할 수 있는데 이는 일부연관 심플코 드이며, 이를 특히 편의상 "자음연관 심플코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Simple naming is to designate a number associated with a word or phrase to be coded (a word or phrase collectively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phrase”) as a code. For example, in the case of Korean, in the case of a company name code, the code of "Gasan Electronics" based on Figure 4-2 is "1799" associated with a, ㅅ, ㅅ, ㄴ as a simple cod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ke it easier to know the simple code of a specific word by highlighting and displaying the simple code "1799" and the simple code "1799" in "Gasan Electronics". can also be extracted. In the case of simple naming, since a number related to a certain alphabet belonging to a word to be coded is determined as a code, the example code of "Gasan Electronic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1799". For example, as the simple code of "stock" can be a simple code for the values associated with ㅅ, ㅅ, ㅣ, and ㄹ, in the case of additive electrons, for example, "1729" associated with ㄱ, ㅅ, ㄴ, ㄴ , or "1749" associated with a, ㅅ, sh, ㅅ, or "13294293" associated with the entire alphabet constituting "additional electrons". For convenience, the code associated with the entire alphabet constituting the phrase is called "all related simple naming" for convenience, and the designation of a simple code in association with some alphabets of a specific phrase is called "partially related simple naming" for convenience. In any case, simple naming (i.e., simple code) can be seen as specifying a code in relation to the alphabet constituting the phrase in a phrase unit. This can be applied to languages other than Korean as well. For example, "2786" associated with the consonant "CPTN" in "captain" can be a simple code.

"escape"와 같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 대하여 자음연관 심플코드를 생 성하면, "SCP"에 해당하는 "727"이 되는데, 이는 "scape"의 자음연관 심플코드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축약된 심플코드를 사용하되, 정의되는 심플코드와 심플 코드 대응어구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사용상의 편리를 더하기 위하여 첫모음과 자 음을 연관한 심플코드를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첫모음+자음기준 심플코 드"라 이름붙인다. 이러한 첫모음+자음연관 심플코드 역시 다른 심플코드와 마찬 가지로 특정 단어에 대하여 심플코드를 기계적으로 생성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 다.If a consonant-related simple code is generated for a word that starts with a vowel, such as "escape", it becomes "727" corresponding to "SCP", which is the same as the consonant-related simple code of "scape". Therefore, while using an abbreviated simple code, it is possible to think of a simple code that associates the first vowel and consonant in order to minimize duplication of the defined simple code and the corresponding phrase of the simple code, and to add convenience in use. For convenience, this is called "first vowel + consonant standard simple code". This first vowel + consonant related simple code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chanically generate a simple code for a specific word, like other simple codes.

단어뿐 아니라 구절 역시 심플네이밍에 의하여 코드화될 수 있다. 선출원 에서 예를 든 "어디로 가려는가"라는 어구에서 의미를 가장 잘 함축하고 있는 글 자(음절)을 활용하여 ㅇ, ㄷ, ㄱ, ㄹ 에 매핑되는 "8314"를 심플코드로 할 수 있 다. 영어의 경우 선출원에서 예를 든 "date tonight" 에서 음가를 가지고 있는 d, t, t, n 에 연관되는 "3886"을 심플코드로 할 수 있다. Not only words but also phrases can be coded by simple naming. "8314" mapped to ㅇ, ㄴ, ㄱ, ㄹ can be used as a simple code by using the letters (syllables) that best imply the meaning in the phrase "Where are you going?" In the case of English, "3886" related to d, t, t, and n having sound values in "date tonight" as an exampl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an be used as a simple code.

이니셜네이밍은 일부연관 심플네이밍의 특별한 경우이다. 한국어의 경우 이니셜네이밍은 음절(글자)을 기준으로 초성(첫자음)에 매핑되는 숫자를 코드로 지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편의상 "음절(글자)기준 이니셜네이밍"이라 고 한다. "가산전자"의 경우 음절기준 이니셜네이밍에 의한 이니셜코드는 각 음 절(글자)의 자음초성에 연관된 "1799"가 된다. 음절기준 이니셜네이밍의 경우도 한국어 이외의 언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경우, "entertainment" 라는 단어의 음절기준 이니셜네이밍에 의한 이니셜코드를 e, t, t, m 에 연관되는 "3886"으로 할 수 있다. 음절기준 이니셜네이밍은 한 음절이 하나의 글자를 이루는 한국어의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국어 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한 음절이 하나의 글자를 이루는 중국어, 일본 어 등의 다른 언어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중국어의 경우 北京 (Beijing : 첫번째 ‘e’에는 4성조부호가, 마지막 ‘i’에는 2성조부호가 붙음) 의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는 도1-1을 기준으로 b, j 에 연관되는 “25”가 되며, 도 10-1 ~ 10-4 를 기준으로는 “14”가 된다. Initial naming is a special case of partially associated simple naming. In the case of Korean, initial naming may be a method of specifying a number mapped to an initial consonant (first consonant) based on a syllable (letter) as a code.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syllable (letter) based initial naming". In the case of "Gasan electron", the initial code by syllable-based initial naming becomes "1799" related to the initial consonant of each syllable (letter). Syllable-based initial naming can also be applied to languages other than Korean. For example, in the case of English, the initial code by syllable-based initial naming of the word "entertainment" may be "3886" associated with e, t, t, and m. Syllable-based initial naming can be more useful in the case of Korean, where one syllable forms one letter. It can be usefully used not only in Korean but also in other languages such as Chinese and Japanese, where one syllable forms one character. In the case of Chinese,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of Beijing (Beijing: a 4-tone sign is attached to the first 'e' and a 2-tone sign is attached to the last 'i') is “25” related to b and j based on Figure 1-1. , and is “14” based on FIGS. 10-1 to 10-4.

마찬가지로 구절에 대해서도 이니셜 네이밍이 가능한데, 선출원에서 예를 든 "어디로 가려는가" 라는 구절에서 각 단어의 첫 알파벳인 ㅇ, ㄱ 과 연관된 "81"을 이니셜 코드로 할 수 있다. 영어의 경우 선출원에서 예를 든 "dance with the wolf" 라는 어구에 대하여 단어기준 이니셜네이밍의 이니셜코드는 d, w, t, w 와 연관된 "3979"가 이니셜코드가 된다. 단어기준 이니셜네이밍은 구절 전체에 대하여 코드를 부여할 경우 모든 언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Similarly, initial naming is possible for phrases. In the phrase “Where are you going?” as an exampl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81” associated with the first letters of each word, ㅇ and a, can be used as the initial code. In the case of English, the initial code of the word-based initial naming for the phrase "dance with the wolf" as an example in the earlier application is "3979" associated with d, w, t, and w. Word-based initial naming can be usefully used in all languages when codes are assigned to entire phrases.

심플코드(전체연관 심플코드 부분연관 심플코드)와 이니셜코드(음절기준 이 니셜코드, 단어기준 이니셜코드)를 통틀어 편의상 "심플코드(즉 넓은 의미의 심플 코드)" 혹은 "단축코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전체연관 심플코드, 자음연관 심플 코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단어기준 이니셜코드는 특히 그 코드 생성에 있어서 규칙성이 있으므로, 이를 범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타인이 그러한 규칙으로 심 플코드를 생성해 놓은 경우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Simple code (total related simple code, partially related simple code) and initial code (syllable-based initial code, word-based initial cod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imple code (i.e. simple code in a broad sense)" or "short code" for convenience do. All-related simple codes, consonant-related simple codes, syllable-based initial codes, and word-based initial codes are especially regular in their code generation, so they can be used universally, and others have created simple codes with such rules. Even if it is easy to use.

풀네이밍은 특정 문자입력방법에 의해 코드화하고자 하는 어구의 입력값이 다. 따라서 이는 적용되는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알파벳단위로 어떤 어구에 해당하는 숫자값을 코드로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선출원에서 예 를 든 "서울"의 경우 도4-2을 기준으로 부분전체선택방법(선출원에서 언급)에 의 한 풀코드는 "7745888944"가 된다. 만약 기준반복선택방법(선출원에서 언급)에 의한 풀코드는 "7448884" 가 된다. 만약 도4-2와 다른 키패드를 적용하거나 또 다른 알파벳 입력방법을 적용할 경우는 그에 따른 풀코드 값이 있게 될 것이다. Full naming is the input value of a phrase to be coded by a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e,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pplied, and can be seen as a code of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a certain phrase in an alphabetic unit. In the case of "Seoul" as an example in the earlier application, the full code by the partial partial selection method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is "7745888944" based on Figure 4-2. If the full code by the standar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is "7448884". If a keypad different from that in Fig. 4-2 or another alphabet input method is applied, there will be a corresponding full code value.

6.2 기존의 중국어 한자 입력방법 6.2 Existing Chinese Hanja Input Method

중국어의 입력 방법은 한글에서의 한자 입력방법과 같이, 중국어 발음에 해 당하는 영문을 입력하고 "한자 변환키"를 사용하여 변환가능한 한자가 되시되면 해당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즉, 로마알파벳으 로 한어병음을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이에 대응되는 한자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었다. 도5-1을 참고한다. 중국어에 있어서 풀코드는 중국어의 영어발음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As with the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in Hangul, it is common to enter English corresponding to Chinese pronunciation and select and input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when a Chinese character that can be converted is obtained using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key". In other words, when Chinese Pinyin was entered in the Roman alphabet, the system searched for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and provided it to the user. See Figure 5-1. In Chinese, the full cod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English pronunciation of Chinese.

6.3 유니크化 심플코드 6.3 Unique simple code

심플코드의 해독이 클라이언트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즉, 클라이언 트측에서 특정 어구와 그 특정어구에 해당하는 심플코드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입력된 심플코드에 대응하는 어구를 서버측에 전달할 수 있다. 클라이 언트측에서 심플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의 성격에 따라 서 버측에서 심플코드를 요하는 경우는 심플코드자체(즉, 숫자나열)를 서버측으로 전 송하면 된고 서버측에서 이 심플코드를 해석하면 된다. 이것이 심플코드의 해독 이 클라이언트측에서 혹은 서버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것이다. If the simple code can be decoded on the client side (ie, when the client side has a specific phrase and a simple cod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hrase),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simple cod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ide. can Even if the simple code can be decoded on the client side, if the server side requires a simple code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application, the simple code itself (ie, a sequence of numbers)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side, and the server side can send this simple code. should be interpreted. This means that the decryption of the simple code can be done either on the client side or on the server side.

다수의 어구에 대하여 심플코드를 정의하여 사용할 경우, 동일한 심플코드 에 대응되는 어구가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심플코드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호성을 편의상 "2차모호성"이라 한다. 이 경우 시스템내부에서는 동일한 값을 갖는 심플코드에 일련번호를 덧붙여 유일한 코드값을 만들어 저장할 수 있을 것이 나, 사용자는 주로 특정 어구와 연관된 심플코드를 사용하게 되므로 2차모호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그러한 어구들을 사용 우선순위에 따라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줄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다른 어구이면서 동일한 심플 코드를 갖는 경우, 시스템내부에서 심플코드에 어구의 사용빈도에 따른 우선순위 에 따라 일련번호를 붙이므로써, 일련번호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주는 우선순위 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일련번호를 붙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우선순 위 정보를 시스템이 별도로 가지고 있어도 되며, 단지 그렇게 할 수 있는 예를 보 인 것이다. When a simple code is defined and used for a plurality of phrases, a plurality of phrases corresponding to the same simple code may exist. The ambiguity that may occur between simple codes is referred to as "secondary ambiguity" for convenience. In this case, a unique code value can be created and stored by appending a serial number to a simple code with the same value inside the system, but since the user mainly uses a simple code related to a specific phrase, secondary ambiguity occurs. 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the system should be able to recommend such phrases to the user according to usage priority. In the case of different phrases but having the same simple code, serial numbers can be used as priorities to recommend to users by attaching serial numbers to the simple codes according to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hrases inside the system. Of course,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attach a serial number, and the system may have the priority information separately, and this is just an example of how it can be done.

예를 들어, "증권정보"의 심플코드를 음절기준이니셜코드인 "9196" 과 "주 권정보"의 심플코드를 역시 음절기준이니셜코드인 "9196"로 같다면 각 단어의 상 용빈도에 따라 일련번호를 붙이고 그 일련번호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주는 우선 순위로 사용할 수 있다. "증권정보"의 사용빈도가 높다면 그에 우선순위를 주어 "증권정보" = "91961"으로 하고, "주권정보" = "91962"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 로 先生(xiansheng : 모음 a 가 제1성조)과 學生(xuesheng : 첫번째 e 가 제2성조)의 음절기준 이니셜코드가 “97”로써 같다면, 각 단어의 사용빈도에 따 라 일련번호를 붙여 그 일련번호를 우선순위로 활용할 수 있다. 先生(xianshen g)의 사용빈도가 學生(xuesheng)의 사용빈도보다 더 높다면, 先生(xiansheng) = 971 로 하고, 學生(xuesheng) = 972 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일련번호를 덧붙여 생성된 심플코드를 편의상 "유니크化 심플코드"라 하기로 하고, 일련번호 를 붙이지 않고 중복성이 있는 심플코드를 단순히 "심플코드"라 하며, 양자를 모 두 포괄하여 역시 "심플코드"라 한다. For example, if the simple code of "securities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9196" and the simple code of "sovereign information" is also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9196",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ch word A serial number can be attached and the serial number can be used as a priority for recommending to the user. If the frequency of use of "stock information" is high, priority can be given to it, and "stock information" = "91961" and "sovereign information" = "91962". Likewise, if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of 先生 (xiansheng: vowel a is the first tone) and student (xuesheng: the first e is the second tone) are the same as “97,” serial numbers are add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word. You can use that serial number as a priority. If the frequency of use of 先生(xianshen g)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xuesheng), you can set 先生(xiansheng) = 971 and 學生(xuesheng) = 972. The simple code generated by adding a serial number in this way is called "unique simple code" for convenience, and the simple code with redundancy without attaching a serial number is simply called "simple code", and both are encompassed and also called "simple code". code".

先生(xiansheng)과 學生(xuesheng)의 예에서, 사용자가 “97”만을 입력하 면, 시스템이 先生(xiansheng)과 學生(xuesheng)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가 이중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처음부터 이를 인지하고 "971"을 입 력하였다면, 시스템에서는 이를 " 先生(xiansheng)"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example of 先生(xiansheng) and 學生(xuesheng), if the user only inputs “97”, the system can provide 先生(xiansheng) and 學生(xuesheng) to the user, let the user double-select, If it recognizes this from the beginning and inputs "971", the system can recognize it as "先生(xiansheng)".

여기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의 기초로 사용된 "x, s”를 부각하여 표시함으 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더 좋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부각하여 표시하는 방 법 중의 한가지는 先生(XianSheng)와 같이 대문자로 표시하는 것이다. 더 이렇게 대문자로 표시된 단어로부터 시스템이 심플코드 “97”을 해석해 낼 수도 있다.Here, by emphasizing and displaying "x, s" used as the basis of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a better visual effect can be given to the user. One of the methods of emphasizing and displaying is a capital letter such as 先生 (XianSheng). It is to be displayed as .. Further, the system may interpret the simple code “97” from the capitalized words.

6.4 심플코드의 활용 사례 6.4 Use case of simple code

도시이름에 대하여 심플코드(음절기준이니셜코드)를 부여한 사례를 들면 다 음과 같다. 이는 철도 정보시스템 등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An example of assigning a simple code (syllable-based initial code) to a city name is as follows. This can be usefully used in railway information systems and the like.

. 서울 = 78, 수원 = 78, 대전 = 39, 신탄진 = 739, . . . . Seoul = 78, Suwon = 78, Daejeon = 39, Sintanjin = 739, . . .

여기서 서울과 수원의 음절기준 이니셜코드가 같으므로, 시스템내에서는 이 를 회피하기 위하여 연번을 붙여 "서울 = 781", "수원 = 782" 와 같이 심플코드를 유니크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스템에 "78"만을 송출하면 시스템에서는 적절하 게 피드백을 주어(예를 들어 서울과 수원의 목록을 제공 혹은 음성으로 알려줌), 사용자로 하여금 서울과 수원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면된다. 사용자가 처음부 터 이를 인지하고 "781"을 입력하였다면, 시스템에서는 이를 "서울"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Here, since Seoul and Suwon have the same syllable-based initial code, in order to avoid this, simple codes such as "Seoul = 781" and "Suwon = 782" can be uniqueized by attaching serial numbers in the system. If the user transmits only "78" to the system, the system gives appropriate feedback (for example, provides a list of Seoul and Suwon or informs by voice),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one of Seoul and Suwon. If the user recognizes this from the beginning and inputs "781", the system can recognize it as "Seoul".

만약 서버측 시스템에서 심플코드 "78"을 필요로하는 것이 아니고 "서울"이 라는 단어 자체를 필요로 하면, 클라이언트측에서 심플코드 "78"을 해석하여 "서 울"을 서버측으로 전송하면 된다. 혹은 클라이언트측에서 심플코드를 해석할 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의 성격에 따라 서버측에서 심플코드 자체를 필요로하면, 입력된 심플코드 자체를 서버측으로 송출하면 된다. If the server side system does not require the simple code "78" but the word "Seoul" itself, the client side interprets the simple code "78" and transmits "Seoul" to the server side. Alternatively, even if the client side can interpret the simple code, if the server side requires the simple code itself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pplication, the input simple code itself can be sent to the server side.

도시이름에 대하여 심플코드(전체연관 심플코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자 음연관 심플코드, 첫모음+자음연관 심플코드)를 부여하는 다른 예를 들면, 도1- 1을 기준으로, 北京(Beijing)의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는 b, j 에 연관된 “25”가 되고, 전체연관 심플코드는 “2345464”이 되고, 자음연관 심플코드는 b, j, n, g 에 연관된 “2564”가 된다. As another example of giving a simple code (full associated simple code, syllable-based initial code, consonant-related simple code, first vowel + consonant-related simple code) for city names, based on Figure 1-1, Beijing (Beijing ),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is “25” related to b and j, the overall related simple code is “2345464”, and the consonant related simple code is “2564” related to b, j, n, and g.

다시 증권종목(상장회사)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는 각종 증권 정보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Again, an example of a securities issue (listed company) is as follows. This can be usefully used in various stock information systems.

. 동화제약 = 3098, 디지틀조선 = 39397, 한통프리텔 = 83643, . . . . Dongwha Pharmaceutical = 3098, Digital Chosun = 39397, Hantong Freetel = 83643, . . .

여기서 예를 들어 "디지털조선"의 경우 음절기준 이니셜코드의 기초로 사용 된 "ㄷ, ㅈ, ㅌ, ㅈ, ㅅ"을 부각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더 좋 은 효과를 줄 수 있다. He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Digital Chosun", a better visual effect can be given to the user by emphasizing and displaying "c, ㅅ, ℓ, ㅅ, ㅅ" used as the basis of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은행코드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는 ATM기 및 각종 금융 정보시스템 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An example of a bank code is: This can be useful in ATMs and variou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s.

. 국민(은행) = 14, 하나(은행) = 82, . . . . Kookmin (bank) = 14, Hana (bank) = 82, . . .

여기서 이렇게 기 정의된 심플코드를 사용자가 입력시 클라이언트(단말기) 측에서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어구입력에 활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를 "단축입력방법"이라 하며, 다음에 "병행입력방법"과 더불어 상세 히 설명한다. Here, it is obvious that the predefined simple code can be used for phrase input by interpreting the predefined simple code on the client (terminal) side when the user inputs it and showing it to the user. This is called a "short-cut input method"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parallel input method" next.

6.5 선택빈도에 따른 우선순위 자동 재지정 6.5 Automatic reassignment of priorities based on frequency of selection

더 나아가 최초 "증권정보"와 "주권정보" 의 우선순위가 각각 1, 2위로 지 정되어 있었으나, 특정 사용자가 "주권정보"를 선택하는 횟수가 현저하게 많다면, "주권정보"의 우선순위를 "증권정보"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설명한 대로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일련번호를 바꾸어 이를 실현할 수 있 다. 우선순위 정보를 별도로 시스템에서 가지고 있는 경우는 그 우선순위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Furthermore, although the priorities of "securities information" and "sovereign information" were initially designated as 1st and 2nd respectively, if a specific user selects "sovereign information" significantly more, the priority of "sovereign information" can be adjusted to be higher than the priority of "securities information". As explained, there are various methods, but it can be realized by changing the serial number. If priority information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system, it is possible by changing the priority information.

"주권정보"를 선택하는 횟수가 현저하게 많은지 여부의 판단기준은 시스템 이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재)지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판단기준의 예를 들면, 10회 중 8번 이상 기 지정된 우선순위와 다르게 선택하면, 기존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정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옵션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정여부를 물어 확인 받을 수도 있다.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ng "sovereignty information" is remarkably high can be determined by the system or (re)designated by the user. As an example of such a criterion, if selection is made differently from a pre-specified priority 8 times or more out of 10 times, the existing priorities may be automatically corrected. Depending on the option, the user may be asked to confirm the correction.

이는 다른 언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위 사례에서 “주 권정보”와 “증권정보”를 각각 “先生(xiansheng)”과 “學生(xuesheng)”으로 바꾼 경우에도 동일하게 생각할 수 있다.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and the same can be considered when “sovereign information” and “stock information” are changed to “senior (xiansheng)” and “learning (xuesheng)” respectively in the above case.

6.6 심플코드 자동지정 및 심플코드 연관 알파벳의 부각 표시 6.6 Simple code automatic designation and simple code related alphabet display

특히 전체연관 심플코드 이외에 자음연관 심플코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단어기준 이니셜코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심플코드 생성에 있어서 규칙성이 있으 므로, 사용자가 특정 어구에 대한 심플코드 지정시, 심플코드 생성규칙을 지정한 상태에서 특정 어구를 입력하면 그에 대응되는 심플코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시 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심플코드와 연관되는 알파벳을 부각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영어의 경우 심플코드와 연관되는 알 파벳을 부각하여 표시하는데, 대문자를 사용하여 부각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consonant-related simple codes, syllable-based initial codes, and word-based initial codes, in addition to all related simple codes, have regularity in simple code generation as described above, so when a user designates a simple code for a specific phrase, simple code is generated If a specific phrase is entered in the state of designating a rule, the corresponding simple code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and stored in the system. In addition, by emphasizing and displaying the alphabet related to the simple code,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In the case of English, the alphabet related to the simple code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and it can be displayed by using capital letters.

또한 선출원에서 "단축입력방법" 및 "단축/풀 병행입력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단축입력을 위한 심플코드는 시스템에서 정의하여 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이를 변경할 수도 있고, 또한 사용자는 새로운 어구에 대한 심플코드를 지정할 수 도 있다. Also, in the previous application, "shortened input method" and "shortened/full parallel input method" were suggested. A simple code for short input may be defined by the system, the user may change it, and the user may designate a simple code for a new phrase.

새로운 어구에 대한 심플코드를 정함에 있어서, 선출원에서 소개한 전체연 관심플코드, 부분연관심플코드, 자음연관심플코드, 음절기준이니셜코드, 단어기준 이니셜코드 등의 심플코드 생성규칙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dance with the wolf"에 대한 심플코드를 생성함에 있어서, 단어기준 이니셜코드 를 심플코드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심플코드 생성모드에서 "dance with the wolf" 를 입력하고, 그에 대한 단어기준 이니셜코드인 "3983"를 입력하여야 한다. 마찬 가지로 "증권정보"에 대한 심플코드를 생성함에 있어서, 음절기준이니셜코드를 심 플코드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심플코드 생성모드에서 "증권정보" 를 입력하고, "9196"을 입력하여야 한다. In determining a simple code for a new phrase, simple code generation rules such as total related simple code, partially related simple code, consonant related simple code, syllable-based initial code, and word-based initial code introduc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an be used. . For example, in generating a simple code for "dance with the wolf", if the user wants to use a word-based initial code as a simple code, enter "dance with the wolf" in the simple code creation mode, and The word-based initial code "3983" must be entered. Similarly, when generating a simple code for “securities information”, if you want to use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as a simple code, you must enter “securities information” and “9196” in the simple code generation mode.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특정 어구에 대하여 심플코드를 지정함에 있어서, 사 용자가 원하는 심플코드의 유형을 시스템에 기억시키고 심플코드를 생성하고자 하 는 어구를 입력함으로써, 굳이 특정 어구에 대한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도 심플코 드가 자동적으로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사 용한다는 것을 시스템에서 설정하고, "증권정보"만 입력함으로써 "증권정보"에 대 한 심플코드가 자동으로 "9196"으로 지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사용한다는 것을 시스템에서 설정하고, 先生(xiansheng)을 입력함으로써 先生(xiansheng)에 대한 심플코드가 자동으로 “97”로 지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if the user designates a simple code for a specific phrase, the user stores the type of simple code desired by the system and inputs the phrase to generate a simple code, without having to enter the code for the specific phrase. A simple code can be assigned automatically. In the above example, by setting the system to use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and entering only "securities information", the simple code for "securities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designated as "9196". Similarly, by setting the system to use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and entering 先生 (xiansheng), the simple code for 先生 (xiansheng) can be automatically designated as “97”.

영어의 경우는 심플코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알파벳을 부각하여 표시함에 있 어서 대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심플코드 지정방식을 대문자를 심플코드로 사용하는 것으로 미리 지정하고, "DaTe ToNignt" 입력시 자동으로 대 문자 "DTTN" 에 대응되는 "3886"이 심플코드로 지정되도록 할 수 있고 혹은 "ToNignt ShoW" 입력시 자동으로 대문자 "TNSW"에 대응되는 "8679"가 심플코드로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English, it was said that capital letters can be used to highlight and display the alphabet to be used as a simple code. Therefore, the simple code designation method can be set in advance to use uppercase letters as simple codes, and when "DaTe ToNignt" is input, "3886" corresponding to uppercase letters "DTTN" can be automatically designated as simple codes, or "ToNignt ShoW" " When inputting, "8679" corresponding to the capital letter "TNSW" can be automatically designated as a simple code.

6.7 심플코드를 활용한 어구의 단축입력방법 및 병행입력방법 6.7 Shortcut input method and parallel input method of phrase using simple code

심플코드(이니셜코드는 심플코드의 특별한 경우이므로 특별히 따로 언급하 지 않는 한 심플코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함)를 입력시 시스템(클라이언트측 시스 템 혹은 서버측 시스템)에서 그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로 인식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특정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를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보여주면 이를 단어의 입력에도 활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When entering a simple code (initial code is a special case of simple cod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is included in simple code), the system (client-side system or server-side system) uses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can be recognized and processed.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if a phras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imple code is recognized and shown to the user again, it can be used for word input.

실제로 외국의 알파벳 입력방법에서는 단어별로 "전체연관 심플코드"를 부 여한 색인을 단말기(클라이언트측 시스템)에 저장하고 있으면서, 사용자가 코드 입력시 그에 대응되는 단어를 단어별 우선순위에 따라 보여주고 타겟단어를 확정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입력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http://www.tegic.com 과 http://www.zicorp.com 의 두 인터넷 사이트를 참고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전체연관 단축입력방법" 혹은 " 외국의 방법"이라고 하기로 한다. 혹은 이러한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입 력시스템이 Tegic 사의 “T9” 이므로 “T9유사 입력방법(T9LIM : T9 Like Input Method)”이라 부르기로 한다. 도5-2는 Tegic사의 T9 시스템에서의 입력사례를 보여준다. 도5-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meet 를 입력하기 위하여 “622 …”을 입 력하면 처음에는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off”를 제공하나, “6228” 이 입력되면, “meet”가 표시된다. In fact, in the foreign alphabet input method, the index with “all related simple codes” assigned to each word is stored in the terminal (client-side system), and when the user enters the code, the corresponding word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each word, and the target It implements a character input system by allowing words to be confirmed. For this, you can refer to two Internet sites, http://www.tegic.com and http://www.zicorp.com. For convenience,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all-related short-cut input method" or "foreign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since the representative input system using this approach is Tegic's “T9”, it will be called “T9LIM: T9 Like Input Method”. Figure 5-2 shows an example of input in Tegic's T9 system. As shown in Fig. 5-2, in order for the user to input meet, “622 … ” is entered, the system initially provides “off” to the user, but when “6228” is entered, “meet” is displayed.

Tegic社와 Zi社의 방법을 출원인이 제시하였던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방 법과 비교하면, 출원인의 알파벳 입력방법은 알파벳 단위로 유니크한 코드를 부여 하고, 풀코드에 의하여 타겟알파벳 혹은 타겟어구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위에서 언급한 외국의 방법은 단어단위로 전체연관 심플코드를 부여하고, 그 심플 코드에 의하여 타겟단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omparing Tegic's and Zi's method with the alphabet input method on the keypad proposed by the applicant, the applicant's alphabet input method assigns a unique code to each alphabet unit, an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target alphabet or target phrase by the full code. In the foreign method mentioned above, a simple code associated with the whole is given in word units, and the target word can be input by the simple code.

외국의 방법의 단점은 단어단위로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미리 정의된 단어만 을 입력할 수 있는 점, 다른 단어이면서 같은 코드를 가지는 경우 자주 사용되지 않는 단어의 입력을 위하여 토글버튼 혹은 이동버튼을 이용하여 타겟단어를 선택 하고 확정함으로써 입력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 입력시 타겟단어가 아닌 단어가 일시적으로 출현할 수 있는 점, 시스템의 저장용량을 많이 차지하고 구현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 등이 있다. The disadvantage of the foreign method is that only predefined words can be entered by giving a code in word units, and if it is a different word but has the same code, you can use a toggle button or a move button to input a word that is not frequently used. It is not easy to input by selecting and confirming the target word, a word other than the target word may temporarily appear during input, and it takes up a lot of storage capacity of the system and requires a lot of cost to implement.

여기서 상용어구(상용단어 혹은 상용구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에 대하여 심플코드(일부연관 혹은 전체연관)를 부여하고, 심플코드를 이용하여 타겟어구를 입력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상용어구에 대한 심플코드는 시스템에서 기 정의되 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으로 지정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 다. 혹은 시스템에서 기 정의한 심플코드를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가 임으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은 특정 상용어구에 대한 심플코드값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ere, it is pointed out that a simple code (partial association or total association) is assigned to a common phrase (a concept including both a common word or a common phrase), and a target phrase can be input using the simple code. Simple codes for common phrases may be pre-defined in the system and provided to users, or the user should be able to designate them as a matter of course. Alternatively, the user should be able to arbitrarily modify the simple code previously defined in the system. The fact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designate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the simple code value for a specific common phrase.

본 발명에서 심플코드(부분연관 심플코드, 전체연관 심플코드, 이니셜코드 모두 포함)를 이용하여 타겟어구를 입력하는 방법을 편의상 "단축입력방법"이라고 하며, 풀코드에 의하여 타겟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을 편의상 단축입력방법에 대 비하여 "풀입력방법"이라고 한다. 또한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축입력방 법과 풀입력방법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단축입력방법과 풀입력방 법을 병행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편의상 "단축/풀 병행입력방법" 혹은 간단히 "병 행입력방법"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inputting a target phrase using a simple code (including all of partially related simple codes, fully related simple codes, and initial codes) is called a "short input method" for convenience, and a method of inputting a target alphabet by a full code For convenience, it is called "full input method" in comparison to the short input method. In addition, as described below, the shortcut input method and the full input method can be applied in parallel, and for convenience, the method of applying the shortcut input method and the full input method in parallel is called "shortened/full parallel input method" or simply " It will be called "parallel line input method".

알파벳 단위로 유니크한 코드를 부여하고 그 코드를 입력하여 타겟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풀입력방법 중에서 특히 반복선택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발 생하는 모호성을 편의상 "1차 모호성" 혹은 "알파벳모호성"이라 부르기로 한다. 반면에 외국의 방법에서처럼 모든 단어에 대하여 코드를 부여하고, 이 코드를 통 하여 타겟단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에서, 같은 코드에 대하여 서로 다른 여러 단어가 존재하는 모호성이 있는데, 이를 편의상 "2차 모호성" 혹은 "어구모 호성"이라 부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순히 모호성이라고 하면 1차모호성을 의미한다. Among the full input methods that give a unique code in alphabetical units and input the code to input the target alphabet, the ambiguity caused by using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called "primary ambiguity" or "alphabetic ambiguity" for convenience. to call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assigning a code to every word and enabling the input of a target word through this code, as in the foreign method, there is an ambiguity in which several different words exist for the same code. It will be called "secondary ambiguity" or "word ambiguity". In the present invention, ambiguity simply means primary ambiguity.

특정 입력값에 대하여 1차적으로 심플코드로 해석하고(즉 1차적으로 단축입 력방법을 적용 혹은 기본입력모드로 단축입력모드 적용), 입력값에 대응되는 심플 코드가 없으면, 2차적으로 풀코드로 인식(즉 2차적으로 풀입력방법을 적용)하는 등의 시나리오 구성이 가능하며, 반대로 입력값에 대하여 1차적으로 풀코드를 이 루는지 검사하고(즉 1차적으로 풀입력방법을 적용 혹은 기본입력모드로 풀입력모 드 적용), 풀코드를 형성하지 못하면 심플코드로 인식(즉 2차적으로 단축입력방법 을 적용)하는 등의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입력값에 대하여 1차적으로 심플코드로 해석하는 것은 기본입력모드로 "단축입력모드"를 적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반대로 1차적으로 풀코드로 해석하는 것은 기본입력모드로 "풀입력모드"를 적용하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자입력에 있어서 상용어구를 위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는 1차적으로 단축입력방법이 적용(즉 기본입력모드로 단축입력모드 사용)되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않은 사용자는 1차적으로 풀입력방법이 적용(즉 기본 입력모드로 풀입력모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or a specific input value, it is primarily interpreted as a simple code (i.e., the short input method is applied first or the short input mode is applied as the basic input mode), and if there is no simple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the full code is secondari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scenarios such as recognizing (i.e., secondarily applying the full input method), and conversely, inspecting whether the full code is primarily formed for the input value (i.e., applying the full input method primarily or default Scenarios such as application of full input mode as input mode) and recognition as simple code if full code cannot be formed (i.e. application of shortened input method secondarily) are possible. Interpreting the input value primarily as a simple code can be seen as applying the "shortened input mode" as the basic input mode, and on the contrary, interpreting the input value primarily as a full code sets the "full input mode" as the basic input mode. can be seen as applied. For users who mainly use common phrases in character input, it is desirable to first apply the short input method (ie, use the short input mode as the basic input mode), and for users who do not, first apply the full input method (That is, use the full input mode as the default input mode).

여기서 기본입력모드를 풀입력모드로 설정한 경우, 입력값에 대하여 1차적 으로 풀코드로 간주하여 해석하므로, 심플코드가 입력된 경우에도 그 입력값이 풀 코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타겟단어가 아닌 다른 단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2에서 풀입력방법으로 기준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경우, "옥수수" 라는 단어의 심플코드를 "877"로 하고(음절기준 이니셜코드 사 용), 이를 입력시 1차적으로 풀코드로 간주하므로 이를 "여"로 인식할 수 있는 것 이다. 이는 "옥수수", "옥수수를", "무진장", "와르르", "우수수", "와장창", " 우당탕" 등과 같이 2, 3번째 글자의 초성이 동일한 버튼에 대응되는 경우에 있게 된다. 반대로 기본입력모드로 단축입력모드로 설정한 경우, 입력값에 대하여 1차 적으로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해석하므로, 풀코드가 입력된 경우에도 타겟단어가 아닌 다른 단어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이는 심플코드와 풀코드간의 모호성인데, 이를 편의상 "3차모호성"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Here, when the basic input mode is set to the full input mode, the input value is primarily regarded as a full code and interpreted, so even when a simple code is input, the input value can form a full code, and the user can A word other than the target word may be inpu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standar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as the full input method in FIG. 4-2, the simple code of the word "corn" is set to "877" (using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and the primary is regarded as a full code, so it can be recognized as "Yeo". This happens in cases where the initial consonants of the second and third letters correspond to the same button, such as "corn", "corn", "inexhaustible", "warreu", "excellence", "wajangchang", and "udangtang". Conversely, when the short input mode is set as the basic input mode, the input value is primarily regarded as a simple code and interpreted, so even if a full code is input, it can be recognized as a word other than the target word. That is, this is the ambiguity between the simple code and the full code, which will be referred to as "third-order ambiguity" for convenience.

이러한 3차모호성의 경우도, 기존의 방법과 유사하게 토글방법 혹은 리스트 에서 선택하는 방법으로 극복할 수 있다. 혹은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 러한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입력값을 입력하기 전에 단어단위로 풀입력모드에 서 단축입력모드로 혹은 단축입력모드에서 풀입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 "아/아"컨트롤을 두어 단어단위의 히라가나/가타가나 전환 컨트롤을 두고 이를 선택함으로써, 히라가나모드에서 가 타가나 한 단어를 입력하거나 혹은 가타가나 모드에서 히라가나 한 단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유사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기본입력모드가 풀입력모드인 경우, "단축/풀" 컨트롤을 두고 이를 선택한 후 입력되는 입력값에 대하여, 시스 템은 이를 처음부터 심플코드로 인식하고 색인을 참조하여 입력값에 해당하는 타 겟단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단축입력모드를 기본입력모드로 사 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축/풀" 컨트롤 선택후 입력되는 입력값을 처음부 터 풀코드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다. "단축/풀" 컨트롤은 마찬가지로 타겟단어 에 대하여 선입력될 수도 있고 후입력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선입력하도록 하 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Even in the case of this third ambiguity, it can be overcome by the toggle method or the method of selecting from the list, similar to the existing method. Alternatively, there may be another method, which is to switch from the full input mode to the short input mode or from the short input mode to the full input mode on a word-by-word basis before inputting an input value that can cause ambiguity. As suggested in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this is done by selecting a hiragana / katakana conversion control in word units with the "A / A" control, inputting one word in katakana in hiragana mode or inputting one word in katakana in katakana mode It's similar to being able to do it. For example, if the basic input mode is the full input mode, the system recognize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from the beginning and returns to the input value by referring to the index. The corresponding target wor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imilarly, when using the short input mode as the basic input mode, the input value entered after selecting the "short/full" control can be recognized and processed as full code from the beginning. The "short/full" control may be entered either before or after the target word, but in this case, it would be convenient to make it enter first.

병행입력방법 적용시의 입력값이 풀코드인지 심플코드인지의 판단은 앞에서 1차모호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색인을 참조하는 것처럼 단어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음과 같이 입력중간에 입력값이 풀코드인지 심플코드인지 판단될 수도 있 다. When applying the parallel input metho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input value is full code or simple code can be made in word units as if referring to the index to remove the first ambiguity, or whether the input value is full code in the middle of input as follows. It may be judged whether it is a simple code.

풀입력방법을 기본모드로 하고 병행입력방법을 적용시, 하나하나의 코드입 력시마다, 입력값이 풀코드를 형성하는지 조사하여 풀코드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 으로 판단되는 시점에서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판단하여 심플코드 색인을 참조하여 그에 대응되는 어구를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병행입력방법의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단축입력방법을 기본모드로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나하나의 코드입력시마다 입력값과 색인을 비교하여 색인에 있는 입력값과 일치 하는 단어가 없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이를 기 설정된 풀입력방법의 풀코드로 판 단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입력중간에 발생하는 3차 모호성을 각각의 풀입력 방법에서의 규칙을 적용하여 입력초기에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풀입 력방법으로 선출원에서 제시하지 않은 알파벳입력방법을 사용할 경우도 마찬가지 로 적용될 수 있다.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풀입력방법(기준반복선택방법, 부분 전체선택방법)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When the full input method is set as the basic mode and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every time each code is input, whether the input value forms a full code is checked, and at the point when it is judged that the full code cannot be formed, the input value is changed to a simple code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efficiency of the parallel input method by referring to the simple code index and showing the corresponding phrase to the user. Likewise, when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as the default mode, the input value and the index are compared for each code input, and the moment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word matching the input value in the index, it is set in the full input method. It can be judged and processed with the full code of This means that the third-order ambiguity occurring in the middle of input can be removed at the beginning of input by applying the rules in each full input method. Th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case of using an alphabet input method not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s a full input method. For example, based on the pool input method (standar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partial selection method)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is as follows.

한국어의 경우 예를 들면, 풀입력방법으로 도4-2을 기준으로 기준반복선택 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풀코드에 의한 모든 음절의 2번째 입력값과 3번째 입력 값은 항상 같은 값을 가져야 하므로 이러한 조건에 위배되는 경우 입력값을 심플 코드로 판단하여 처리할 수 있다. 쌍자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처리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는 그에 따른 판단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기준반복방법을 적 용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In the case of Korean, for example, when the standar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applied based on Figure 4-2 as a full input method, the second and third input values of all syllables by full code must always have the same value. If these conditions are violated, the input value can be determined as a simple code and processed. When processing double consonants as a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is allowed, the corresponding criteria can be applied. This is applicable in all cases where the standard iteration method is applied.

또한 모든 언어에 있어서, 풀입력방법으로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시, 하 나의 알파벳에 2개의 입력값이 대응되며, 그 2개의 입력값 중 1번째 입력값에 대 하여 2번째 입력값은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경우 도1-1에서와 같이 좌우직선조합만을 사용하는 경우, 숫자를 부분전체선택방법으로 선택하지 않도록 하면, 첫번째 행의 버튼([1], [2], [3])이 하나의 알파벳에 대응되는 1번째 입력 값으로 사용되었을 경우 2번째 입력값으로 올 수 있는 값은 역시 1번째 행의 버튼 ([1], [2], [3])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2]+[1] 이 입력되고 나서 다시 두번째 행의 버튼([4], [5], [6])이 입력되면, 풀코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음에 올 수 있느 값은 역시 두번째 행의 버튼([4], [5], [6]) 중의 하나인 것이다. 입력값이 이를 위배하는 순간 시스템에서는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고, 그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단어를 사용자에게 우선순위에 따라 추천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5-3에서와 같이 부분전체선택방법을 풀입력방법으로 하고, 풀입력방법을 기본입력모드로 하는 병행입력방법에서, 사용자가 “help”의 심플코드를 4357 입 력시, 2번째 입력값 3이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시 스템이 인식하고,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n all languages, when the partial selec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full input method, two input values correspond to one alphabet, and the second input value is limited for the first input value of the two input values ha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English, when using only the combination of left and right straight lines as shown in FIG. ) is used as the first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one alphabet, the values that can come as the second input value are also the buttons in the first row ([1], [2], [3]). Likewise, if [2]+[1] is input and then the buttons ([4], [5], [6]) of the second row are input again, the value that can come next to form the full code is also the second row It is one of the buttons ([4], [5], [6]) of The moment the input value violates this, the system regard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d can recommend words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to the user according to priorit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3, in the parallel input method in which the partial selection method is the full input method and the full input method is the basic input mode, when the user inputs the simple code of “help” as 4357, the second The moment input value 3 is entered,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a full code, and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d process it.

만약 도4-2에 대하여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한다면, 풀코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최초 [1] 버튼의 입력에 대하여 올 수 있는 다음 버튼은 [1] 또는 [2] 버 튼 밖에 없다. 이를 위배하였을 경우 입력값이 풀코드가 아닌 심플코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색인을 참조하여 입력값에 대응되는 타겟단어를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 에게 추천하여 줄 수 있다. 도1-3에서와 같이 P, Q, R, S 의 4개 알파벳이 [7] 버튼에 배정되는 경우, 선출원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4개의 알파벳 중 하나의 알 파벳을 상하인접조합을 이루는 격자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하나의 알 파벳을 위한 풀코드를 이루기 위하여 [7] 버튼이 입력되면 다음에 올 수 있는 버 튼은 3번째 행의 버튼([7], [8], [9]) 혹은 상하인접조합의 버튼([4] 버튼)만이 올 수 있으므로, 이에 위배되는 경우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선출원에서 제시한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모든 언어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If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o FIG. 4-2, the next button that can come to the input of the first [1] button to form a full code is only the [1] or [2] button. If this is viola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value is a simple code rather than a full code, and the target word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can be recommen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iority by referring to the index. As shown in Figures 1-3, when the four alphabets of P, Q, R, and S are assigned to the [7] button, as pointed ou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ne of the four alphabets is placed in a lattice that forms an upper and lower adjacent combination. And even in this case, if the [7] button is input to form a full code for one alphabet, the button that can come next is the button in the third row ([7], [8], [9] ) or a top-bottom adjacent combination button ([4] button), so if this is violated, the input value can be processed as a simple code. This is applicable to all languages when applying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presen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예를 들어 도1-1을 기준으로한 심플코드 색인에 北京(Beijing)의 심플코드 가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로써 “25”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풀입력방법으로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사용하고, 풀입력모드를 기본입력모드로 하여, 사용자가 “25 ”을 입력하였을 경우, 시스템은 처음(단어시작시점 부터) [2] 입력 후 [5]가 입 력되는 순간 입력값 “25”가 풀코드를 이룰 수 없는 것([2] 다음에 올 수 있는 좌우직선조합의 버튼은 [1], [2], [3] 중의 하나이므로)을 인식하고, 심플코드 색 인을 참조하여 입력값 “25”에 대응되는 “北京” 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중국어의 경우 특별히 예시한 심플코드 “25”에 대응하는 어구로 한자 (漢字, 즉 北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한자 “北京”이 타겟단어이므로). 중국어가 아닌 소리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 있어서는 심플코드 “25”에 대응하는 “Beijing”를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될 것이다. 심플코드 “25”에 대 응하는 어구가 여러 개 있다면, 목록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특정버튼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토글방식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5-4를 참고한다. For example, in the state where “25” is stored as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of Beijing (Beijing) simple code in the simple code index based on Figure 1-1, use the full partial selection method as a full input method, When the user inputs “25” with the full input mode as the default input mode, the system first inputs [2] and then inputs [5], the input value “25” becomes the full code. cannot be achieved (because the button of the left and right straight combination that can come after [2] is one of [1], [2], and [3]), and refer to the simple code index to enter the input value “25 “Beijing” corresponding to “Beijing”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case of Chines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Chinese character (漢字, 北京) as a phrase corresponding to the specially illustrated simple code “25” (because the Chinese character “北京” is the target word). In a language using phonetic characters other than Chinese, the system will provide “Beijing”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25” to the user. If there are several phrases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25”,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ist or by repeatedly pressing a specific button (by a toggle method), the user can select the phrase he wants. Fig. 5-4 see

결국 도5-4와 같이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北京(Beijing)”과 같 이 자주 사용하는 단어에 대한 심플코드를 색인에 등록하여 두고, 일반적인 풀입 력방법과 단축입력을 모드전환없이 병행하되, 심플코드로 등록된 단어를 입력시 적은 타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fter all, applying the parallel input method as shown in Fig. 5-4 registers simple codes for frequently used words such as “北京 (Beijing)” in the index, and uses the general full input method and short input simultaneously without mode switching. However, when entering a word registered as a simple code, it is possible to enter it with a small number of strokes.

도4-5의 경우는 버튼당 기본자음이 하나씩만 배정되어 있으므로, 한국어에 서 범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심플코드로 사용할 경우, 단 축입력방법과 풀입력방법을 병행하여 적용시에도 3차 모호성 없이 입력이 가능한 좋은 특성이 있다. 즉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사용자가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입 력하면, 2번째 입력(경음, 격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경우)부터 입 력값이 풀코드를 이룰 수 없게 되므로, 심플코드의 색인을 검색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적절한 단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풀코드 입력의 경 우도 같다. In the case of Figures 4-5, since only one basic consonant is assigned to each button, when using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in Korean as a simple code, the shortened input method and the full input method are applied in parallel It also has good properties that allow input without third-order ambiguity. In other words, when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if the user inputs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the input value cannot form a full code from the second input (in case of entering the consonant and aspirated consonan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so the index of simple code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nd recommend appropriate words according to the priority to the user. The case of full code input is the same.

위에서 예를 든 바와 같이,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입력중간에 입력값이 심플 코드인지 풀코드인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중의 하나이다. 이는 출원인이 제시한 풀입력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뿐만이 아니라 다른 풀입력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한가지 예를 예를 들면, 각 알파벳이 배정된 제1버 튼과 제1버튼에서의 알파벳의 순위에 해당하는 제2버튼을 조합하여 알파벳을 입력 하는 방법이 있었다. 즉, 도1-1에서 P = [7]+[1] 로 입력하는 것이었다. 이 경 우 제2버튼은 도1-1에서 [1] , [2], [3] 버튼중의 하나가 되므로, 입력값이 이 규 칙을 위배하는 순간, 시스템은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 이다. 특히 출원인이 제시한 풀입력방법은 위의 예시에서와 같이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루는지를 입력중간에도 쉽게 알 수 있는 좋은 특성이 있다. As mentioned above, one of the "co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an input value is a simple code or a full code in the middle of input when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This applies not only to the case of using the full input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but also to the case of using other full input methods.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inputting alphabets by combining a first button assigned to each alphabet and a second button corresponding to the rank of the alphabet in the first button. That is, in FIG. 1-1, P = [7] + [1] was input. In this case, the second button becomes one of the [1], [2], and [3] buttons in Fig. 1-1, so the moment the input value violates this rule, the system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that can be dealt with. In particular, the full input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has a good characteristic in that it is easy to know whether the input value forms a full code even in the middle of input when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as in the example above.

또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심플코드 혹은 풀코드를 해석 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측에서 일어날 수도 있고, 서버측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그리고 선출원에서 1차모호성(알파벳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한 색인을 룩업하는데 있어서, 1차적으로 클라이언트측의 색인을 참조하고 2차적으로 서버측 색인을 참 조하는 시나리오를 심플코드 혹은 풀코드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1차적으로 서버측 색인을 참조하고, 2차적으로 클라이언트측 색인 을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더 나아가 입력값을 먼저 심플코드로 해석하되, 1차적으로 클라이언트 측의 색인을 참조하고, 2차적으로 서버측 색인을 참조하며, 입력값에 대한 심플코드를 검색하지 못하면, 다시 풀코드로 해석하되, 1차적으로 클라이언트 측에서 해석하고, 클라이언트측에 이러한 해석기능이 없으 면, 2차적으로 서버측에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입력값을 1차적으 로 심플코드로 해석하되, 클라이언트측의 색인과 서버측의 색인을 모두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타겟단어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석방법(심플코드, 풀코드)과 해석장소(클라이언트측, 서 버측)를 적용함에 있어서 이와 유사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정리하면, 해석방법 (심플코드, 풀코드)과 해석장소(클라이언트측, 서버측)의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입력값에 대하여 도5-5에서 (A)-(B)-(C)-(D)의 순 서로 혹은 (A)-(C)-(B)-(D)의 순서뿐만 아니라 (A), (B), (C), (D)의 모든 다양한 조합에 의한 순서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Also, as mentioned in the prior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interpreting the simple code or the full code may occur on the client side or on the server side. And in looking up the index to overcome the primary ambiguity (alphabetic ambiguity)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nterpreting the simple code or full code in the scenario that primarily refers to the index on the client side and secondarily refers to the index on the server side It can also be applied in Conversely, it is also possible to refer primarily to the server-side index and secondarily to the client-side index. In addition, the input value is interpreted as simple code first, and the index on the client side is firstly referred to, and the index on the server side is secondarily referred to. However, it is possible to analyze primarily on the client side, and secondarily on the server side if the client side does not have such an analysis function.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input value primarily as a simple code, but refer to both the client-side index and the server-side index, provide it to the user,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target word. In this way, a similar transformation is possible in applying the analysis method (simple code, full code) and analysis place (client side, server side). In other words, in summary,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in the application of analysis methods (simple code, full code) and analysis places (client side, server side). That is, the order of (A)-(B)-(C)-(D) or the order of (A)-(C)-(B)-(D) in FIG. ), (B), (C), and (D).

이렇게 단축입력방법과 풀입력방법을 병행하여 적용하는 장점은 다음과 같 다. 우선 풀입력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기 정의된 단어 이외의 사 전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라도 모든 단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용어구에 대하여 단축입력방법의 사용을 위한 심플코드를 편의대로(부분연관/전체연관) 지정할 수 있고, 부분연관 심플코드를 지정하여 둠으로써 입력타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단어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구절에 대해서도 단어기준 이니셜코드를 부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외국의 방법에서는 모든 단어의 입력에 단어단 위의 색인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므로, 서로 다른 단어에 대하여 같은 코드가 부 여되는 경우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전체연관 심플코드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The advantages of applying the short input method and the full input method in parallel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full input method can be used, the user can input all words, even words that do not exist in the dictionary other than predefined words, and simple codes for using the short input method for common phrases are provided for convenience (partial association /all related) can be specified, and the number of input stroke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specifying a partial related simple cod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ord-based initial codes can be assigned not only to words but also to phrases. However, foreign methods use word-based indexing for all word input, so in order to minimize the case in which the same code is assigned to different words, a fully associated simple code has to be used.

또한 시스템이 특정 상용어구와 그 상용어구에 대한 코드값을 가지고 있는 "색인"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모든 단어에 대한 "색인"을 가지고 있는 외국의 방법에서 보다 훨씬 더 적은 용량의 저장장소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 "색인" 은 모호성을 없애기 위하여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단어에 대하여 올바른 단어 에 대한 "색인" 혹은 그른 단어에 대한 "색인"을 시스템에서 가지고 있어야 하는 데, 이 모호성을 없애기 위하여 준비하는 색인과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ystem must have an "index" that has a specific common phrase and a code value for that common phrase, which requires a much smaller storage space than foreign methods that have an "index" for all words. do. And this "index" should have an "index" for the correct word or an "index" for the wrong word for words that may cause ambiguity in order to eliminate ambiguity. can be used jointly.

모든 언어에 있어서 특정 단어의 음가를 가지고 있는 것은 자음이므로 자음 을 추출하여 약어를 만드는 기법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영어의 경우 예 를 들면, 군대용어중 "captain" 에서 음가를 가지고 있는 자음 "CPT"를 추출하여 약어로 사용하고, "private" 에서 "PVT"를 약어로 사용하고, "sergent"에서 "SG T"를 약어로 사용하고, "staff sergent"에서 "SSG"를 약어로 사용하고, "sergent first class"에서 SFC를 약어로 사용하는 등등이다. 물론 예로 든 "captain" 과 "private" 는 각각 2음절로 이루어져 있지만, 여기서 약어로 추출된 자음은 각 음 절을 대표하는 자음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captain" 의 경우는 "CPT"와 연관 된 "278"을 심플코드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Since consonants have the phonetic value of a specific word in all languages, the technique of extracting consonants to create abbreviations has already been widely used. In the case of English, for example, extract the consonant "CPT" having a phonetic value from "captain" among military terms and use it as an abbreviation, use "PVT" as an abbreviation in "private", and use "SG T" in "sergent" " as an abbreviation, "SSG" as an abbreviation in "staff sergent", and SFC as an abbreviation in "sergent first class", and so on. Of course, the examples of "captain" and "private" each consist of two syllables, but the consonants extracted as abbreviations here can be seen as consonants representing each syllable. Therefore, in the case of "captain", "278" related to "CPT" can be designated as a simple code.

이렇게 음절을 기준으로 임의로 상용어구에 대하여 부분연관 심플코드를 지 정하여 단축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입력노력을 감소시키는 이외에도 큰 의미가 있다. 음성학적으로 음절은 "심리적 실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음 절에서 음가를 가지고 있는 것은 자음인 것이다. 예로 든 captain 에서 모음 "AAI"만을 추출하였을 경우 captain 을 유추해 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 나 자음 "CPTN" 혹은 "CPT"를 추출하면 쉽게 captain 을 유추해 낼 수 있다. 영 어의 어떤 문장에서 각 단어별로 모음을 제거하고 자음만을 나열해 놓아도 보통의 경우 원래의 문장을 유추해 낼 수 있다고 한다. 즉 음절을 이루는 주체인 각 자 음과 연관하여 부분연관 심플코드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단축입력 방법에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사용자에게 편리를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way, being able to apply the shortened input method by specifying partially related simple codes for common phrases arbitrarily based on syllables is significant in addition to reducing input effort. Phonetically, syllables are defined as "psychological entities". Also, it is consonants that have phonetic values in syllables. In the case of extracting only the vowel "AAI" from the example captain, it is almost impossible to infer the captain. However, the captain can be easily inferred by extracting the consonants "CPTN" or "CPT". It is said that in an English sentence, even if vowels are removed for each word and only consonants are listed, the original sentence can be inferred. In other words, the use of partially associated simple codes in relation to each consonant, which is the subject of a syllable, means that the user can naturally adapt to the shortened input method and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특히 영어권에서는 약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고, 상장회사명과 같은 경우는 일정한 개수로 이루어진 약어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이 약어에 기초 하여 심플코드를 활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it is common to use abbreviations, and in the case of listed company names, a certain number of abbreviations are designated, so simple codes can be utilized based on these abbreviations.

특정 어구에 대하여 사용자가 편의대로 심플코드(부분연관, 전체연관)를 지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상용어구에 대한 코드값을 기억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만약 어떤 사용자가 극히 일부의 상용어구만을 필요로하 는 사용자라면(예를 들어 10개 이하의 상용어구만을 사용), 상용어구의 알파벳에 연관된 코드를 굳이 부여하지 않고, 단지 각 상용어구에 1, 2, 3, . . . 등과 같 이 심플코드를 부여할 수도 있다. Allowing the user to designate a simple code (partial association, total association) for a specific phrase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y to remember the code value for the common phrase. Furthermore, if a user needs only a small number of common phrases (for example, using only 10 or less common phrases), codes related to alphabets of common phrases are not necessarily assigned, but only for each phrase 1, 2, 3, . . . A simple code can be given, such as

6.8 심플코드/대응어구의 그룹핑 및 검색범위 지정 6.8 Simple code/corresponding phrase grouping and designation of search range

다수의 어구에 대하여 심플코드를 지정하면, 많은 중복성이 발생할 가능성 이 있는데,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들을 그룹핑을 하여, 특정 어구그룹에 대해 서만 심플코드를 검색하도록 하여 심플코드간의 모호성(2차모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어구가 반드시 하나의 그룹에만 속해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그룹에 속해 있을 수도 있다. If a simple code is specified for a large number of phras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ot of redundancy may occur. By grouping the phrases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and searching for a simple code only for a specific phrase group, ambiguity between simple codes (secondary ambiguity) ) can be reduced. A phrase does not necessarily belong to only one group, but may belong to several groups.

예를 들어, 심플네이밍한 어구들을 상장회사명, 도시명, 상용어구, … 등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다시 상용어구 그룹을 사회분야, 정치분야, ... 등의 세부그 룹으로 하여 트리형태로 그룹핑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2단계의 트리형태의 그 룹핑을 제시하였으나, 3단계, 4단계 혹은 그 이상 단계로 트리형태의 그룹핑이 가 능하다. 도5-6을 참고한다. 사용자가(혹은 시스템이) 심플코드의 검색범위를 상 장회사명 그룹으로 한정하면, 특정 심플코드 입력시 시스템은 상장회사명 그룹의 범주에서만 입력된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네이밍된 어구를 검색하므로 2차모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검색범위를 상용어구로 하면 상용어구 그룹이하의 모든 세부그룹을 포함하여 검색범위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용어구 그룹중 사회분야 그룹을 검색범위로 지정하면, 사회분야를 포함하는 그 이하(트리형태의 그룹구조에서)의 그룹만이 검색범위로 될 것이다. For example, simple naming phrases can be listed company names, city names, common phrases, … Groups such as common phrases can be grouped into sub-groups such as social field, political field, etc., and grouped in tree form. In this example, 2-step tree-type grouping is presented, but tree-type grouping is possible with 3-step, 4-step, or more steps. See Figures 5-6. If the user (or the system) limits the simple code search range to the listed company name group, when a specific simple code is entered, the system searches for the named phrase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simple code only in the category of the listed company name group. It can reduce ambiguity. Likewise, if the search range is a common phrase, it can be made into a search range including all subgroups below the common phrase group. If the social field group of the common phrase group is designated as the search range, only the groups below it (in the tree-type group structure) including the social field will be the search range.

도5-6에서의 트리형태의 그룹은 윈도우의 탐색기에서 폴더처럼 생각하면 된 다. 검색범위는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재지정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시명의 서브그룹으로 행정구역의 계층구조가 저장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특정 도 시를 선택하고 나면, 그 다음 입력값에 대한 검색범위는 당연히 특정도시의 하위 행정구역 단위의 명칭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시중 “서울”을 선 택하고 나면, 다음 선택범위는 서울시에 있는 “구”가 되며, 다시 사용자가 “양 천구”를 선택하고 나면, 다음 선택범위는 양천구내에 있는 “동”이 되는 것이다. The tree-type group in Figs. 5-6 can be thought of as a folder in Windows explorer. The search range may be automatically reassigned by the system. For example, whe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s stored as subgroups of city names, an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ity, the search range for the next input value is, of course, the name of the sub-administrative district unit of the specific city. will be For example, after the user selects “Seoul” among cities, the next selection range is “Gu” in Seoul, and once the user selects “Yangcheon-gu” again, the next selection range is “Gu” in Yangcheon-gu. Dong” will be.

6.9 중계서버의 활용 6.9 Utilization of relay server

심플코드의 해석은 클라이언트측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버측에서 이루 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심플코드(경우에 따라 풀코드 포함)의 해독을 전담하여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를 클라이언트측 혹은 다른 서버측에 제공하는 중계서버 를 둘 수 있다. 도6-1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도6-1에서 클라이언트측에서 1차 적으로 심플코드를 해독하고 입력된 심플코드에 대응하는 어구를 해석하지 못하면, 2차적으로 중계서버에서 입력된 심플코드에 대응하는 어구를 해석하고 해 석실패시, 다시 3차적으로 각각의 서버에서 입력된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3차 심플코드 해독 서버(편의상 "3차서버"라 함)는 입 력된 심플코드 혹은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서버가 된다. Interpretation of the simple code may be performed on the client side or the server side. Decryption of such simple code (including full code in some cases) is dedicated to providing phrases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to the client side or other server side. A relay server can be provided. Reference may be made to Figure 6-1. In addition, in FIG. 6-1, if the client side first decodes the simple code and fails to interpret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mple code, the relay server secondarily interprets and interprets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mple code. In case of failur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input from each server in a third way. The tertiary simple code decryption server (referred to as "tertiary server" for convenience) becomes a server loaded with an application using the input simple code or a phrase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중계서버를 두면, 3차서버측에서는 심플코드가 아닌 어구를 필요로 하는 경 우에도, 사용자가 심플코드를 입력하고, 3차서버측에서 심플코드와 심플코드에 대 응되는 어구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도, 중계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심플코드 를 중계서버가 해석하여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를 3차서버측에 전달해 주는 것 이 가능하다. If there is a relay server, even if the tertiary server side requires a phrase other than a simple code, the user enters the simple code, and the tertiary server side does not store the simple code and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for the relay server to interpret the simple code input from the user and deliver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to the tertiary server.

심플코드의 코드값 하나 하나가 입력될 때마다,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 가 저장된 색인을 검색하여 클라이언트측 혹은 각 서버측에 피드백을 줄 수도 있 고 단어단위로 피드백을 줄 수도 있다. Whenever each code value of the simple code is entered, the index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is searched and the feedback can be given to the client side or each server side, or it can be given in word units.

6.10 단어단위의 구분 6.10 Classification of word units

본 발명에서 단어단위라 함은 단어시작에서부터 단어종료까지를 의미한다. 이는 단어와 단어의 구분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단어시작, 공백, 모드전환, 엔 터, …)의 조합을 통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백 ~ 공백, 공백 ~ 모드 전환 등은 단어시작 ~ 단어종료 등을 통하여 단어가 입력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단어단위로 피드백을 주는 것은 현재 네트웍 환경을 지원하는 언어를 통하 여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word unit means from the beginning of a word to the end of a word. Thi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all elements (word start, space, mode change, enter, …) that can distinguish words from words. For example, space ~ space, space ~ mode switching, etc. can identify that a word is input through word start ~ word end, etc. Giving feedback in word units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through a language that supports the current network environment.

6.11 심플코드/대응어구의 다운로드 6.11 Simple code/corresponding phrase download

더 나아가 서버측에 있는 심플코드와 심플코드에 대응하는 어구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저장시키지 않아도, 클라이언트 측으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download the simple code on the server side and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to the client side without the user directly inputting and storing it.

다운받는 단위는 하나 하나의 어구 단위로 다운받을 수도 있고, 위에서 예 를 든 어구의 그룹 단위(트리구조의 그룹)로 다운받을 수도 있다. 상위의 그룹을 선택시 하위의 그룹까지 다운받을 수 있다. 서버측 어구그룹의 트리구조를 그대 로 유지하면서 다운받을 수도 있고, 해당그룹과 하위그룹에 속한 어구들을 클라이 언트측에 사용자가 지정하는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다운받을 수도 있다. 심플코 드의 해독을 주기능으로 하는 중계서버가 있다면, 중계서버에서 이러한 기능을 담 당할 수도 있다. The unit to be downloaded can be downloaded in units of individual phrases, or in groups of phrases (tree structure group) as exemplified above. If you select a higher group, you can download lower groups as well. It can be downloaded while maintaining the tree structure of the server-side phrase group, or phrases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group and subgroups can be downloaded as a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on the client-side. If there is a relay server whose main function is decryption of simple codes, the relay server may be in charge of this function.

7. 기호의 입력 7. Input of symbols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바,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로 자국어 알파벳을 배치하고, 다음으로 숫자 그리고 영어알파벳을 배치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기 준반복선택방법 적용시 역시 기준격자에 가까운 순서로 이를 자국어 알파벳, 숫자 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 함에 있어서, 특정버튼에 속한 자국어 알파벳 뿐만아니라, 숫자, 영어알파벳도 후 속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explained that the native language alphabets could be arranged in "an order close to the standard grid", and then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could be arranged. It has been explained that native language alphabets and numbers can be selected. Similarly, in applying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as well as native language alphabets belonging to a specific button can be input through the subsequent control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선출원에서 키패드상에 표시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던, 각종 기호 등을 키패드상에 표시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입력 할 수 있는 방법(즉, 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을 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oes one step further and presents a method (that is, by a hidden control processing method) that can efficiently input various symbols, etc., which were displayed on the keypa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so that they can be input do.

즉 선출원에서 컨트롤들을 배치하였던 격자중 적절한 격자에 "기호컨트롤" 을 두고, 기호컨트롤과 기호를 의미할 수 있는 버튼(컨트롤 버튼이 아닌 다른 버 튼)을 조합하여 기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호를 의미할 수 있는 버튼의 예를 들면, 마침표의 경우 마침표에서 "ㅁ"을 쉽게 연상할 수 있으므로 [5] 버튼 이 된다. That is, "symbol control" is placed in an appropriate grid among the grids in which controls are arrang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symbols are input by combining symbol controls and buttons that can signify symbols (buttons other than control buttons). Here, as an example of a button that can mean a symbol, in the case of a period, "ㅁ" can be easily associated with the period, so it becomes the [5] button.

예를 들어 선출원의 발명 내용 중 한국어의 실시예(도4-2)에서 기호컨트롤 을 [*] 버튼을 2번 연속누름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격자의 위치에 둘 수 있다. 즉 ㄱ(대표알파벳), ㅋ(2nd), 기호(3rd), ... 와 같이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의 관 계를 두는 것이다. 컨트롤 선입력의 경우, "마침표"를 입력시, ㅁ = {기호}+ㅁ = [*]+[*]+[5] 이 된다. 컨트롤 후 입력시, ㅁ = ㅁ+{기호} = [5]+[*]+[*] 이 된다. 만약, 기호컨트롤을 [*] 버튼을 3번 눌러서 선택할 수 있는 격자의 위치에 두었을 경우는 예에서 [*] 버튼의 입력을 하나씩 더하면 된다. For example, in the Korean language embodiment (Fig. 4-2) among the inventions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symbol control can be placed in a grid position that can be selected by pressing the [*] button twice in succession. In other words, it i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ve alphabets and subsequent alphabets, such as ㄱ (representative alphabet), ㅋ (2nd), symbol (3rd), .... In the case of control pre-input, when entering "period", ㅁ = {symbol} + ㅁ = [*]+[*]+[5]. When inputting after control, ㅁ = ㅁ+{Symbol} = [5]+[*]+[*]. If the symbol control is placed on a grid position that can be selected by pressing the [*] button three times, in the example, inputs of the [*] button can be added one by one.

기호컨트롤을 하나만 두었을 경우, 10개의 각 숫자버튼마다 기호의 의미를 한가지씩 부여하더라도, 10개 정도의 기호만을 입력할 수 있다. 각 버튼에 기호 의 의미를 부여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If there is only one symbol control, only about 10 symbols can be input even if one symbol is assigned to each of the 10 number buttons. An example of assigning the meaning of a symbol to each button is as follows.

[1] 버튼 : ? 의 의미 부여 ("ㄱ" 이 배치되어 있는데 ? 와 모양이 유사) [1] button: ? Giving the meaning of ("ㄱ" is placed, but the shape is similar to ?)

*[2] 버튼 : ! 의 의미 ("ㄴ"이 배치되어 있는데 "느낌표"의 첫글자 동일) *[2] button: ! The meaning of ("ㄴ" is placed, the same as the first letter of "exclamation mark")

[3] 버튼 : $ 의 의미 ("ㄷ"이 배치되어 있는데 "달러"의 첫글자 동일) [3] Button: Meaning of $

[4] 버튼 : . . . [4] button : . . .

[5] 버튼 : . 의 의미 ("ㅁ"이 배치되어 있는데 "마침표"의 첫글자 동일) [5] button : . The meaning of ("ㅁ" is placed, the same as the first letter of "period")

[6] 버튼 : * 의 의미 ("ㅂ"이 배치되어 있는데 "별표"의 첫글자 동일) [6] Button: Meaning of * ("ㅅ" is placed, the same as the first letter of "asterisk")

[7] 버튼 : , 의 의미 ("ㅅ"이 배치되어 있는데 "쉼표"의 첫글자 동일) [7] button: Meaning of , (“ㅅ” is placed, same as the first letter of “comma”)

[8] 버튼 : " 의 의미 ("ㅇ"이 배치되어 있는데 "인용부호"의 첫글자 동일) [8] Button: Meaning of " ("ㅇ" is placed, same as the first letter of "quotation mark")

[9] 버튼 : ~ 의 의미 (모음 "ㅡ"가 배치되어 있는데 ~ 와 모양이 유사) [9] Button: Meaning of ~ (The vowel "ㅡ" is placed, and the shape is similar to ~)

[0] 버튼 : @ 의 의미 (숫자 0 이 배치되어 있는데 @와 모양 유사) [0] button: meaning of @ (number 0 is placed, similar to @)

위에서와 같이 각종의 기호를 연상시킬 수 있는 버튼과 기호컨트롤을 조합 함으로써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각 버튼에 기호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예에 서와 같이 기호의 자국어 명칭/모양과 배치된 알파벳의 연관관계, 혹은 영어 명칭 /모양과 배치된 영어 알파벳과의 연관관계, 배치된 숫자 명칭/모양과의 연관관계 등을 고려하여 기호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위와 같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개개인으로 하여금 각 버튼 별로 기호의 의미를 (재)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As above, you can input symbols by combining buttons and symbol controls that can remind you of various symbols. Giving the meaning of a symbol to each button is, as in the exa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ve language name/shape of the symbol and the arranged alphabet,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glish name/shape and the arranged English alphabet, and the arranged number name/shape The meaning of the sign can be given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Since this may vary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 it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to be as above, and it is possible to (re)set the meaning of the symbol for each button.

이를 통하여 예시에서와 같이 빈번히 쓰이는 기호를 연상이 용이한 숫자버 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인 것처럼 처리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물음표를 모양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ㄱ"이 배치된 [1] 버튼과 연관시킨 것은 물음표보다 더 빈번 히 쓰이는 마침표가 "ㅁ"으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Through this, as in the example, frequently used symbols can be processed as if they are subsequent alphabets belonging to number buttons that are easy to associate. In the example above, the question mark is associated with the [1] button where "a" is placed considering the similarity of shape because the period that is used more frequently than the question mark starts with "ㅁ".

마찬가지로 버튼별로 기호의 의미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영문명칭/모양 혹 은 숫자명칭/모양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래의 예는 자국어의 경우와 혼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Likewise, in giving meaning to symbols for each button, an English name/shape or a numeric name/shape can be used. The example below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case of the native language.

[1] 버튼 : ? 의 의미 (알파벳 "q" 가 배치되어 있는데 "Question mark"의 첫글자 동일) [1] button: ? Meaning of (Alphabet "q" is placed, same as the first letter of "Question mark")

[2] 버튼 : , 의 의미 ("c"가 배치되어 있는데 "Comma"의 첫글자 동일) [2] Button: Meaning of , ("c" is placed, same as the first letter of "Comma")

[3] 버튼 : . 의 의미 ("d"가 배치되어 있는데 "Dot"의 첫글자 동일)[3] button : . Meaning of ("d" is placed, the same as the first letter of "Dot")

[4] 버튼 : ! 의 의미 ("i"가 배치되어 있는데 "!"와 모양 유사) [4] button: ! Meaning of ("i" is placed, similar in shape to "!")

[5] 버튼 : . . . [5] button: . . .

[6] 버튼 : . . . [6] button : . . .

[7] 버튼 : / 의 의미 ("s"가 배치되어 있는데 "Slash"의 첫글자 동일) [7] Button : Meaning of / ("s" is placed, same as the first letter of "Slash")

[8] 버튼 : : 의 의미 (숫자 "8"이 배치되어 있는데 : 과 모양 유사 ) [8] Button: Meaning of : (The number "8" is placed, similar in shape to : )

[9] 버튼 : ! 의 의미 ("x"가 배치되어 있는데 "eXclamation mark"와 발음 연관) [9] button: ! The meaning of ("x" is placed, it is related to pronunciation with "eXclamation mark")

[0] 버튼 : @ 의 의미 (숫자 0 이 배치되어 있는데 @와 모양 유사) [0] button: meaning of @ (number 0 is placed, similar to @)

영어를 기준으로 기호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영어가 혼용하여 표기된 키 패드를 사용하는 비영어권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colon 을 숫자 8 의 모양의 유사성을 두어 설정하는 것 역시 언어에 상관없이 범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comma 역시 숫자 9 와의 모양의 유사성을 두어 [9]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할 수도 있으나, 위의 예에서는 그러하지 아 니하였다. Giving the meaning of symbols based on English can be useful even in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that use keypads marked with a mixture of English. In addition, setting the colon with the similarity of the shape of the number 8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universally used regardless of language. Similarly, comma can also be regarded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9] button due to its similarity in shape with the number 9, but this was not the case in the example above.

기호컨트롤은 적절한 버튼에 설정하면 된다. 영어의 경우 도1-1에서 [*] 버튼에 다른 용도의 컨트롤을 배치하지 않는다면, [*] 버튼 1타로 기호컨트롤을 선택하도록(즉 [*]버튼 기준격자의 위치에 기호컨트롤을 두는 것)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첨자가 붙은 변형알파벳이 존재하는 유럽 각국어의 경우는 [0] 버튼 혹은 [#] 버튼의 기준격자의 위치에 기호컨트롤을 둘 수 있다. 단 [0] 버튼에 기호컨 트롤을 두는 경우는 위의 예에서 처럼 "@" 기호의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이 좋 다. Symbol controls can be set to appropriate buttons. In the case of English, if you do not place a control for another purpose on the [*] button in Fig. 1-1, select the symbol control with one stroke of the [*] button (ie, place the symbol control at the position of the [*] button reference grid) You may. In the case of European languages in which modified alphabets with subscripts exist, symbol controls can be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standard grid of the [0] button or [#] button. However, in the case of putting the symbol control on the [0] button, it is recommended not to give the meaning of the "@" symbol as in the example above.

기호컨트롤을 [*]버튼에 두고 컨트롤후입력을 적용하면, 영어의 경우 도1-1 에서 colon(:) 입력시, : = [8]+{기호} = [8]+[*] 과 같이 된다. If the symbol control is placed on the [*] button and input after control is applied, in the case of English, when entering colon (:) in Fig. 1-1, as in : = [8] + {Symbol} = [8] + [*] do.

위의 예에서 보듯이 각 버튼에 연관되는 기호의 의미를 하나씩 부여하고 기 호컨트롤을 컨트롤 버튼의 어느 한 격자에만 두는 경우는 약 10개의 기호만을 입 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버튼에 의미를 부여하는데 있어서도 영어의 예에서와 같이 "s" 가 배정된 버튼에 slash, semi-colon, period 등의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으나, 그 중 하나인 slash 의 의미만을 부여하였다. "d" 가 배정된 버튼에도 dot의 의미를 부여하였으므로, exclamation mark 의 경우 부득이 모양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i"가 배정된 버튼에 "!" 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As shown in the example above, if the meaning of the symbol related to each button is given one by one and the symbol control is placed on only one grid of the control button, only about 10 symbols can be entered. In addition, in assigning meaning to each button, as in the example of English, meanings such as slash, semi-colon, period, etc. can be assigned to the button to which "s" is assigned, but only one of them, slash, is given. Since the button assigned "d" also has the meaning of dot, in the case of an exclamation mark, inevitably considering the similarity of shape, the button assigned "i" has "!" meaning was given.

따라서 기호컨트롤을 다수 두어(예를 들어 기호컨트롤1, 기호컨트롤2, . . .), 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많은 수의 기호를 컨트롤처리방법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 가 배정된 버튼에 dot 의 의미를 부여하 고(혹은 "ㅁ"이 배정된 버튼에 "마침표"의 의미를 부여하고), 모양이 유사한 comma 를 dot의 후속알파벳인 것처럼 처리할 수 있다. Therefore, by placing a plurality of symbol controls (for example, symbol control 1, symbol control 2, . . . ) so that the control can be selected, more symbols can be input throug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For example, giving the meaning of dot to the button assigned to "d" (or giving the meaning of "period" to the button assigned to "ㅁ"), and comma with a similar shape as if it were the subsequent alphabet of dot. can be dealt with

격자음 또는 경자음이 존재하는 기본자음이 배정된 버튼에 연관시킨 기호 입력의 예를 들면 “dot(.) = 3****”로 할 수 있다. “3*** = 크”로 되기 때문 에 [*]버튼 4번 약속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comma(,) = 3*****”와 같이 dot(.)에 입력 후 [*]버튼을 추가로 한번 더 눌러 입력이 가능한데, 이는 한국어 음절이 모음 “ㅡ”로 시작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comma(,)의 입력은 체인형 후속컨트롤처리방법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An example of a symbol input associated with a button to which a basic consonant with a lattice consonant or a light consonant is assigned can be “dot (.) = 3****”. Since “3*** = big”, you can enter the symbol promised by the [*] button 4 times. As in “comma(,) = 3*****”, input is possible by pressing the [*] button one more time after inputting in dot(.). This is because Korean syllables do not start with the vowel “ㅡ”. it was used Input of comma(,) can be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chain type follow-up control processing method.

만약 격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면(즉 격 음컨트롤이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면), [*] 버튼2타에 "기호컨트롤1"이 선택됨은 당연하다(건너뛰기 컨트롤처리). 마찬가지로 모양이 유사한 colon 과 semi-colon 도 같은 버튼에 배정된 후속알파벳들로써 간주하고,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 력할 수 있다. 이외의 다른 기호들에 대해서도 이와 유사한 요령으로 적용할 수 있다. If the aspirated consonant is not entered according to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that i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aspirated consonant control), it is natural that "Symbol Control 1" is selected for the 2 strokes of the [*] button (skip control processing). Likewise, colons and semi-colons with similar shapes are regarded as subsequent alphabet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nd can be entered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 similar procedure can be applied to other symbols.

이렇게 "기호컨트롤1"과 "기호컨트롤2"로 2개의 기호컨트롤을 사용하는 경 우도, 각각의 버튼에 기호의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며, 입력할 수 있는 기호의 갯수에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dot와 comma를 그리고 colon과 semi-colon 을 그룹핑한 것과 같은 요령으로 기호를 그룹핑하고, 다수의 기호컨트 롤을 둠으로써, 더 많은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Even in the case of using two symbol controls as "Symbol Control 1" and "Symbol Control 2", the meaning of a symbol must be given to each button and it must be remembered, and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symbols that can be entered. do. Therefore, you can enter more symbols by grouping symbols in the same way as grouping dot and comma, colon and semi-colon, and placing multiple symbol controls.

기호들을 그룹핑하는 방법 역시 사용자의 편의대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호 그룹핑의 예를 보인 다. 먼저, 각종의 기호의 모양의 형태를 기준으로 dot 의 변형형태를 하나의 그 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ot(.), comma(,), colon(:), semi- colon(;), quotation mark("), . . . , question mark(?), exclamation mark(!), . . . 와 같이 그룹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dot 형태, 즉 "0차원" 형태의 기 호를 그룹으로 그룹핑 한 것이다. 여기서 ? 와 ! 는 0 차원 형태와 1차원 형태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0차원 형태(dot 형태)의 그룹에 포함시킨 것이다. 그룹 의 부속순위를 정함에 있어서는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 등을 고려 할 수 있으나, 역시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하는 기호의 갯수가 많을 때는 기호컨트롤을 후입력하도 록 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고, 디스플레이 창이 있는 단말기에서는 컨트롤버튼의 누름에 따라 기호가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t is also desirable to allow the method of grouping symbols to be don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symbol grouping that can be generally used is shown. First, based on the shape of various symbols, the deformed form of dot can be set as one group. For example, dot(.), comma(,), colon(:), semi-colon(;), quotation mark("), . . . , question mark(?), exclamation mark(!), . . It is possible to group as in. This is a grouping of symbols in dot form, that is, "0-dimensional" form. Here, ? and ! have both 0-dimensional form and 1-dimensional form, so 0-dimensional form ( It is included in a group in the form of dot). In determining the sub-order of the group,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frequency of use can be considered, but it would be better to allow the user to set it as well. When the number of symbols to be considered is large, it will be convenient to input the symbol control afterward, and in a terminal with a display window, you can see that the symbol changes according to the press of the control button.

이렇게 그룹핑된 dot 형태(0차원 형태)의 기호를 특정 버튼에 연관시키는 것 역시 사용자의 편의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을 대 표할 수 있고 가장 빈번히 쓰이는 기호가 dot 라고 하면 dot 의 "d"를 포함하고 있는 [3]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1-1에 기호컨트롤을 추 가한 도7-1의 예에서 기호컨트롤 버튼을 [*] 버튼으로 하고, 컨트롤 후입력을 적 용하면, dot = [3]+[*], comma = [3]+[*]+[*], colon = [3]+[*]+[*]+[*], semi- colon = [3]+[*]+[*]+[*]+[*], . . . 과 같이 된다. 혹은 0차원 형태이므로 [0]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한다면, [3] 버튼이 아닌 [0] 버튼과 결합하게 될 것이다. 아니면, dot 형태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므로 [1] 버튼에 속한 후속 알파벳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Associating the grouped dot-shaped (0-dimensional) symbols with a specific button can also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For example, if it can represent a group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symbol is dot, it can be regarded as a follow-up alphabet belonging to the [3] button containing the "d" of dot. In the example of FIG. 7-1 where a symbol control is added to FIG. 1-1, if the symbol control button is set to [*] button and input after control is applied, dot = [3] + [*], comma = [3] +[*]+[*], colon = [3]+[*]+[*]+[*], semi- colon = [3]+[*]+[*]+[*]+[*] , . . . becomes like Or, since it is a 0-dimensional form, if it is regarded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0] button, it will be combined with the [0] button, not the [3] button. Alternatively, since the dot form is the most basic form, it can be regarded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1] button.

다음으로 line 형태, 즉 "1차원" 형태의 기호를 그룹으로 그룹핑 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slash(/), 모자기호(^), question mark(?), exclamation mark(!), 둥근괄호1((), 둥근괄호2()), 꺾쇠괄호1(<), 꺾쇠괄호2(>), 직각괄호 1([), 직각괄호2(]), 물결기호(~), minus(-), 화살표1(<-), 화살표2(->), . . . 등과 같이 그룹핑할 수 있다. 역시 선출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부속순위를 두면되며, 이를 특정버튼의 후속알파벳으로 연관시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버튼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하거나 혹은 알파벳 "l"이 배치된 [5] 버튼의 후속알파 벳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Next, line-type, that is, "one-dimensional" type symbols can be grouped into groups. For example, slash (/), cap (^), question mark (?), exclamation mark (!), round bracket 1 ((), round bracket 2 ()), angle bracket 1 (<), square bracket 2 (>), right angle bracket 1 ([), right angle bracket 2 (]), tilde (~), minus (-), arrow 1 (<-), arrow 2 (->), . . . can be grouped, etc. Also,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is sufficient to set the order of subs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etc., and associating it with the subsequent alphabet of a specific button can set an appropriate butto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is regarded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1] button or a subsequent alphabet of the [5] button in which the alphabet “l” is placed.

그 다음, line의 결합형태, 즉 "2차원" 형태의 기호를 그룹으로 그룹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t(@), ampersent(&), asterisk(*), sharp(#), dollar($), 원화기호(W+=), 엔화기호(¥), . . . , heart1(♡), heart2(♥), 클로버1(♧), 하 얀세모1(◁), 하얀세모2(▷), 하얀세모3(∇), . . . , 검은세모1(◀), . . ., ☏, ☎, ☜, ♨ 등과 같이 그룹핑할 수 있다. 역시 부속순위는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둘 수 있으며, 특정 버튼과 연관시키는 것은 적절한 방법을 택하면 된다. 단 앞 에서의 0차원 형태의 기호, 1차원 형태의 기호를 연관시킨 버튼이 아닌 다른 버튼 에 연관시키면 된다. Then, the combination of lines, that is, "two-dimensional" symbols can be grouped into groups. For example, at(@), ampersent(&), asterisk(*), sharp(#), dollar($), won symbol(W+=), yen symbol(¥), . . . , heart1(♡), heart2(♥), clover1(♧), white triangle 1(◁), white triangle 2(▷), white triangle 3(∇), . . . , black triangle 1(◀), . . You can group them like ., ☏, ☎, ☜, ♨, etc. Again, sub-orders can be set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use, and an appropriate method can be selected to associate them with a specific button. However, it is only necessary to associate it with a button other than the button associated with the 0-dimensional symbol and 1-dimensional symbol in the previous section.

위에서와 같이 0차원, 1차원, 2차원 형태의 3개 그룹(이를 편의상 "3대그룹"으로 부름)으로 기호를 그룹핑할 경우 연관되는 숫자버튼을 3개만 기억 하면 되는 장점이 있으나, 빈번히 사용되지 않는 기호를 입력할 경우, 컨트롤버튼 을 여러번 눌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약간 그룹을 더 세분화하는 예(이를 편의상 "세부그룹"으로 부름)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As shown above, when symbols are grouped into three groups of 0-dimensional, 1-dimensional, and 2-dimensional forms (called "three major groups" for convenien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only three related number buttons need to be remembered. In case of inputting symbols, there is a disadvantage of pressing the control button several times. Therefore, an example of subdividing the group slightly (this is called a "subgroup" for convenience) is as follows.

먼저 2차원 형태의 기호그룹에서 line 의 결합형태를 이루는 기호그룹(예. *, #, %, ...)과, 단일폐곡선을 이루는 기호그룹(예. ◁, ◀, ...)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그룹에서 ☏, ☎, ☜, ☞, ♨, ... 등과 같이 그림형태를 이루는 기 호를 별도의 그룹으로 둘 수 있다. 역시 적절한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두 면 된다. 이들 그룹을 별도로 둘 경우, 앞의 기호 그룹에서 이들 기호를 제외할 수도 있고 제외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는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First, the two-dimensional symbol group is divided into a symbol group that forms a combination of lines (eg, *, #, %, ...) and a symbol group that forms a single closed curve (eg, ◁, ◀, ...). can Also, in a group, symbols such as ☏, ☎, ☜, ☞, ♨, ... can be placed as a separate group. You can also leave it as the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appropriate button. When these groups are separated, these symbols may or may not be excluded from the preceding symbol groups, and the same shall be true for other cases.

다음으로 1차원 혹은 2차원 형태의 기호 중 수학식에 사용되는 기호들, 즉 +, -, *, /, root(√), sigma(∑), integral(∫), . . . 등을 별도의 그룹으로 둘 수 있다. 역시 적절한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두면 된다. Next, the symbols used in mathematical expressions among the on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ymbols, that is, +, -, *, /, root (√), sigma (∑), integral (∫), . . . etc. can be placed in a separate group. You can also leave it as the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appropriate button.

또한 방향을 나타낼 수 있는 기호들, 즉 →, ←, ↑, ↓, ↗, ↙, ↖, ↘, ◁, ▷, ◀, . . . 을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역시 적절한 버튼과 연관하여 후 속알파벳을 간주하면 된다. There are also symbols that can indicate directions, namely →, ←, ↑, ↓, ↗, ↙, ↖, ↘, ◁, ▷, ◀, . . . can be divided into groups. Again, consider the subsequent alphabet in association with the appropriate button.

그리고 비교적 타당성있게 또 하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 각종의 괄호들, 즉 (, ), [, ], {, }, <, >, . . . 을 또 하나의 그룹으로 둘 수도 있다. 또한 괄호형태로 그룹핑함에 있어서도, 왼쪽 괄호와 오른쪽 괄호를 각각 그룹으로 둘 수도 있다. And the various parentheses that can relatively reasonably form another group: (, ), [, ], {, }, <, >, . . . may be placed as another group. Also, when grouping in the form of parentheses, the left parenthesis and the right parenthesis may be grouped respectively.

3대그룹만을 두지 않고, 세부그룹을 두고 그에 의하여 기호를 입력할 수 있 도록 하는 경우는 세부그룹에 속한 알파벳을 3대그룹에 그대로 둘 수도 있고 두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였는데, 3대그룹에 두더라도 가능한 한 부속순위를 후순위에 두어야 할 것이다. In the case of not placing only the three major groups, but placing subgroups so that symbols can be entered by them, it was said that the alphabet belonging to the subgroups may or may not be left in the three major groups. should be put on the back burner.

이상의 기호 그룹핑을 도1-1에 적용하여 각 기호의 그룹을 특정버튼의 후속 알파벳으로 간주하는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0차원 형태의 기호그룹을 [0] 버 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 1차원 형태의 기호그룹을 [1]버튼에 속한 후속알 파벳으로 간주, 2차원 형태의 기호그룹을 [2]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 2 차원 형태의 기호그룹 중 단일폐곡선형태의 기호그룹을 [8]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 벳으로 간주, 2차원 형태의 기호그룹 중 그림형태의 기호그룹을 [7]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 수학식 기호그룹을 [6]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 방향 기호그룹을 [3]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 괄호 기호그룹을 나머지 숫자버튼중 임의의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 이 기호 그룹을 각 버튼에 연관시킴에 있어서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사용자의 편의대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An example of considering each symbol group as a subsequent alphabet of a specific button by applying the above symbol grouping to FIG. 1-1 is as follows. The 0-dimensional symbol group is regarded as the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0] button, the 1-dimensional symbol group is regarded as the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1] button, and the 2-dimensional symbol group is regarded as the [2] button Regarded as the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among the two-dimensional symbol groups, the symbol group in the form of a single closed curve is regarded as the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8] button, and among the two-dimensional symbol groups, the symbol group in the form of a picture is considered as the [7] button Considered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mathematical symbol group regarded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6] button, direction symbol group regarded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the [3] button, parenthesis symbol group belonging to any button among the remaining number buttons It can be regarded as a successor alphabet. As described above, in associating a symbol group with each button,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may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이상을 종합하면, 기호를 특정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컨트롤 처리함에 있어서 3개의 그룹(0차원, 1차원, 2차원)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으며, 혹 은 약간 더 세분화하여 10개 이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거의 대부분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 본 발명의 핵심중의 하나이다. 또한 각 기호의 그룹 을 특정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함에 있어서, 이름, 차원, 모양, 등등 기 호의 그룹과 연관된 버튼에 속한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컨트롤처리함으로써, 기호를 키패드에 표시하지 않고, 간결한 알파벳 배치를 유지하면서, "은닉형 후속 컨트롤처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중의 하나이다. Summarizing the above, the symbols can be grouped into 3 groups (0-dimensional, 1-dimensional, 2-dimensional) in control processing by considering the symbols as subsequent alphabets belonging to a specific button, or subdivided slightly into 10 or less groups It is one of the key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how that almost all symbols can be input by grouping into. In addition, in considering the group of each symbol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a specific button, it is treated as a subsequent alphabet belonging to a button related to a group of symbols such as name, dimension, shape, etc. It is one of the key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use the "hidden follow-up control processing method" while maintaining the alphabet arrangement.

본 출원에서 기호를 위한 컨트롤버튼으로 주로 [*] 버튼 혹은 상하좌버튼 중의 임의의 버튼을 사용하였는데, 숫자 및 영어알파벳을 위한 후속컨트롤버튼으 로 [#] 버튼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버튼이 이미 후속컨트롤 버튼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는 [#] 버튼상의 가용한 격자에 숫자 및 영어알파벳을 위한 컨 트롤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도 컨트롤의 선택에 있어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표알파벳과 결합할 수 없는 컨트롤은 건너뛰어 그 다음 가용 한 컨트롤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he [*] button or any of the up and down buttons was mainly used as a control button for symbols, but the [#] button can be used as a follow-up control button for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For example, if the [#] button is already being used as a follow-up control button, additional controls for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can be placed in the grid available on the [#] button. In this case, in the control selection, as mentioned above, controls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representative alphabet can be skipped and the next available control can be selected.

8. 이동버튼 활용방법 8. How to use the move button

8.1 이동버튼의 컨트롤버튼으로의 활용 8.1 Use of movement buttons as control buttons

선출원에서 각종의 컨트롤이 배치되는 컨트롤버튼을 4*3 키패드 내의 임의 의 버튼에 둘 수도 있고, 4*3키패드 이외의 별도의 버튼에 둘 수도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선출원에서 특히 알파벳의 갯수가 많고, 변형알파벳이 다수 존재 하는 언어에 있어서, 4*3 키패드내에서 컨트롤버튼으로 사용할 버튼이 부족한 것 을 경험하였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문자입력모드에서 비교적 빈번히 사용되지 않는 좌/상/하 이동버튼의 1차기능을 선출원과 본 발명에서 언급하였던 컨트롤버 튼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그러한 예를 보인다. 즉, 문자입력모드에서 4*3 키패드 밖의 별도의 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함에 있어서, 상/하/좌 이동 버튼을 컨트롤 버튼으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said that the control buttons on which various controls are arranged can be placed on any button in the 4 * 3 keypad or on a separate button other than the 4 * 3 keypad. In addition, in the earlier application, especially in languages with a large number of alphabets and a large number of modified alphabets, you may have experienced a lack of buttons to be used as control buttons in the 4 * 3 keypa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 primary function of the left/up/down movement buttons, which are not used relatively frequently in the text input mode, can be utilized as the control button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such an example. That is, in using a separate button outside the 4*3 keypad as a control button in the text input mode, the up/down/left movement buttons are used as control buttons.

도8-1는 현재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더형 단말기의 버튼을 도시한 것 이다. 파선으로 표시된 [i] 버튼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버튼이며 이 버튼은 단말 기에 따라서 존재하기도 하고 존재하지 않기도 한다. 여기서 우측 이동버튼은 공 백입력용으로 사용되고, 특히 한국어에서는 1차모호성 제거를 위한 음절(글자)확 정버튼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문자입력모드가 아닌 메뉴선택모드에서는 상/하/좌 이동버튼은 메뉴의 선택을 위한 이동버튼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문자입 력모드에서 상/하/좌 이동버튼은 사용빈도가 많지 않으며, 특히 상/하 이동버튼은 빈번히 사용되지 않는다. 편의상 상/하/좌 이동버튼을 합쳐 "상하좌 이동버튼" 혹은 "상하좌버튼" 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상/하 이동버튼을 "상하 이동버튼" 혹 은 "상하버튼"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어느 한 방향의 이동버튼만을 언급할 때에 도 같은 요령으로 한다. 8-1 shows the buttons of a clamshell terminal that is currently typically used. The [i] button marked with a broken line is a button for Internet access, and this button may or may not exist depending on the terminal. Here, the right movement button is used for blank input, and is also used as a syllable (letter) confirmation button to remove primary ambiguity in Korean. In the menu selection mode other than the text input mode, the up/down/left movement buttons are usefully used as movement buttons for menu selection. However, in the text input mode, the up/down/left movement buttons are not frequently used, especially the up/down movement buttons are not frequently used. For convenience, the up/down/left movement button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up/down/left movement buttons" or "up/down left buttons", and the up/down movement buttons are referred to as "up/down movement buttons" or "up/down buttons". The same procedure is used when referring to only one direction movement button.

8.2 이동버튼 하단 배치 8.2 Placement at the bottom of the movement button

우선 이 상하좌버튼은 보통 숫자버튼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러나 문자입력모드에서 이들 버튼의 1차기능을 각종의 알파벳 입력을 위한 버튼 으로 활용하려면, 주로 컨트롤버튼으로 활용되는 [*], [#] 버튼과 함께 4*3키패드 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유용함을 알 수 있다. 도8-2, 도8-3은 이를 도시한 것 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렇게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편의상 본 발명의 예에서는 이동버튼을 4*3키패드 하단에 배치한 예로써 설명한다. First of all, these up and down buttons are usually placed above the number buttons. However, in order to utilize the primary function of these buttons as buttons for entering various alphabets in character input mode, it is useful to place them at the bottom of the 4*3 keypad along with the [*] and [#] buttons, which are mainly used as control buttons. can know 8-2 and 8-3 show this.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do this, and for convenience,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movement button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a 4*3 keypad.

여기서 4*3키패드와 상하좌버튼을 합하여 5*3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부분전체선택방법의 적용시, 각 버튼을 3x5 의 15개 격자로 나누 어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반드시 도8-3에서와 같이 5*3키패 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하좌버튼을 배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Here, it can be seen that a 5*3 keypad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4*3 keypad and the up and down buttons. This means that each button can be divided into 15 lattices of 3x5 when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is applied. Likewise,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the up and down buttons to configure a 5*3 keypad as shown in FIG. 8-3.

8.3 이동버튼 좌측면 혹은 우측면 배치 8.3 Placement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ovement button

상하좌우 이동버튼을 4*3 키패드의 좌측 혹은 우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4*3 키패드와 이동버튼을 합하여 4*4 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8-4는 상하좌우 이동버튼을 4*3키패드의 오른쪽에 구비한 경우의 예이다.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buttons can be plac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4*3 keypad. In this case, in applying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a 4*4 keypad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4*3 keypad and the movement button. 8-4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buttons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a 4*3 keypad.

이는 단말기에서 액정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추세에 있는데, 단말기의 액정 의 크기를 더 크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10-2000-0002081, 10-2000-0005671, 10-2000-0067852, 10-2001-0002137 에서 제시 한 이동단말기에서의 측면배터리 장착방법을 병행적용시 좋은 특성이 있다. This tends to increase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in the terminal,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in the terminal can be made larger. In addition, there is a good characteristic when the side battery moun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presented in the applicant'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8.4 컨트롤버튼 및 알파벳입력을 위한 버튼으로의 각종 활용 사례 8.4 Examples of various uses as control buttons and buttons for alphabet input

다음에서, 이동버튼을 활용하는 사례를 든다. 단 아래의 사례에만 국한되 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move button is give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cases below.

8.4.1 기호컨트롤버튼으로의 활용 사례 8.4.1 Example of use as a symbol control button

한국어의 실시예에서, [*] 버튼과 [#] 버튼에 각각 격음컨트롤과 경음컨트 롤을 배치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 버튼에 격음컨트로과 격음컨트롤을 배치하 고, [#] 버튼을 기본모음컨트롤과 확장모음컨트롤만을 배치한 경우가 있었으며, [#] 버튼에 확장모음컨트롤만을 배치한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기호컨트롤 을 [*] 버튼 혹은 [#] 버튼상에 배치하면, 컨트롤버튼 후입력에 따라 먼저 격음, 경음 등이 먼저 나오고, 다음에 기호가 선택되게 된다. 이는 타 언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In the Korean language embodiment, there was a case where a consonant control and a consonant control were placed on the [*] button and the [#] butt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in which aspirated consonant controls and aspirated consonant controls were placed on the [*] button, only basic vowel controls and extended vowel controls were placed on the [#] button, and only extended vowel controls were placed on the [#] button. In this case, if the symbol control is placed on the [*] button or the [#] button, the aspirated sound or horn sound comes out first according to the input after the control button, and then the symbol is selected. This is also true for other languages.

그러나 기호컨트롤을 분리하여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에 두게되면, 기 호의 그룹과 연관된 버튼과 기호컨트롤이 배치된 기호컨트롤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하는 즉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8-5은 하 이동버튼의 1차기능을 기호컨트롤 의 선택을 위한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한 예이다. 0차원형태의 기호그룹에 대하여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한 예를 보이면, dot = [3]+[v], comma = [3]+[v]+[v], colon = [3]+[v]+[v]+[v], semi-colon = [3]+[v]+[v]+[v]+[v], . . . 과 같이 된 다. However, if the symbol control is separated and placed on any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the symbol can be input immediately by combining the button associated with the symbol group and the symbol control button in which the symbol control is placed. 8-5 is an example of using the primary function of the down movement button as a control button for selecting a symbol control. To show an example of applying post-control input to a 0-dimensional symbol group, dot = [3]+[v], comma = [3]+[v]+[v], colon = [3]+[v] +[v]+[v], semi-colon = [3]+[v]+[v]+[v]+[v], . . . became like

8.4.2 한국어에서의 모음요소 버튼으로 활용 사례 8.4.2 Cases of use as vowel element buttons in Korean

특히 선출원에서 한국어의 예에서 모음요소(ㅡ, ㅣ, .)을 활용한 경우에 있 어서, 모음요소 "."과 "ㅎ"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ㅎ" 입력에 불편이 있었는데, 모음요소를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불편을 극복할 수 있다. 만약 기호컨트롤을 하 이동버튼에 두고, 모음요소 "."을 상 이동버튼에 두 면 상하좌버튼에서 2개의 버튼을 사용하게 된다. 혹은 상하좌버튼에 한국어의 모 음요소 3개를 각각 둘 수도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tilizing vowel elements (ㅡ, ㅣ, .) in Korean example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re was inconvenience in inputting "ㅎ" by placing the vowel elements "." and "ㅎ" together, but the vowel element This inconvenience can be overcome by arranging the button at any one of the up, down, and left buttons. If the symbol control is placed on the down movement button and the vowel element "." is placed on the up movement button, two buttons are used on the up and down left buttons. Alternatively, three Korean vowel elements may be placed on the up, down, and left buttons, respectively.

격음컨트롤을 둔 버튼에 기호컨트롤을 둔 것과 마찬가지로,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의 기준격자위치에 한국어의 모음요소 "." 를 두고, 기준격자에 가까 운 순서로 기호컨트롤들을 둘 수도 있다. 도8-6은 이러한 예이다. 이 경우도 모 음요소 "."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반복선택방법으로 배치된 모음요소와 기호컨트롤을 선택하더라도 모호성없이 모음요소와 기호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다. 도8-6에서 [v] 버튼을 1번 누르면 모음요소"."이 선택되고 두번 누르면, 기호컨트 롤1이 선택되고, 3번누르면 기호컨트롤2가 선택된다. As with the symbol control on the button with the aspirated consonant control, the Korean vowel element "." , and symbol controls may be placed in order close to the reference grid. 8-6 is such an example. Even in this case, since the vowel element "." is not used alone, even if the vowel element and symbol control arrang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are selected, the vowel element and symbol control can be selected without ambiguity. In Fig. 8-6, if you press the [v] button once, the vowel element "." is selected, if you press it twice, symbol control 1 is selected, and if you press it three times, symbol control 2 is selected.

8.4.3 일본어에서 첨자컨트롤버튼으로의 활용 사례 8.4.3 Use case of subscript control button in Japanese

일본어의 경우에도, 50음도표의 배치를 각 버튼에 대응시키고, 2nd, 3rd 후 속컨트롤을 [*] 버튼에 두고, 4th, 5th 후속컨트롤을 [#] 버튼에 둔 경우(선출원 의 배정방법3), 장음/탁음/반탁음 입력을 위한 컨트롤을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 튼에 둘 수 있다. 도8-7을 참고할 수 있다. Even in the case of Japanese, when the arrangement of the 50 sound charts corresponds to each button, the 2nd and 3rd subsequent controls are placed on the [*] button, and the 4th and 5th subsequent controls are placed on the [#] button (assignment method 3 of the prior application) ), the control for long/voice/half voice input can be placed on any of the up/down/left buttons. Reference may be made to Figures 8-7.

8.4.4 아랍어에서 모음 입력을 위한 첨자컨트롤버튼으로의 활용 사례 8.4.4 Application of subscript control button for vowel input in Arabic

아랍어의 경우 첨자형태의 모음을 처리하기 위한 컨트롤을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들)에 분산배치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rabic, controls for processing subscripted vowels can be distributed to any button(s) among the up, down, and left buttons.

8.4.5 태국어에 있어서의 컨트롤버튼으로의 활용 사례8.4.5 Example of use as a control button in Thai

태국어의 경우도 자음컨트롤과 모음컨트롤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컨트롤 버튼을 후속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였는데,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을 컨트롤버 튼으로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혹은 기타의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ai, consonant control and vowel control were not separated, and one control button was used as a follow-up control button. Or you can use it as a control button on a guitar.

8.5 단축/풀 전환 컨트롤버튼으로의 활용 사례 8.5 Use case of short/full conversion control button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할 경우, 심플코드와 풀코드간에 발생하는 3차모호성이 있는데, 이를 없애기 위하여 단어단위의 "단축/풀" 전환 컨트롤을 두는 방법을 제 시하였다. 예를 들어, 풀입력방법을 기본모드로 하고 병행입력방법적용시 단축입 력방법에 의하여 단어를 입력하려면, 먼저 "단축/풀" 전환 컨트롤을 선택하고 공 백(우 이동버튼)을 입력하고, 심플코드를 입력하는 것이었다. 물론 공백과 "단축 /풀" 전환 컨트롤의 순서는 바뀌어도 된다. 여기서 단어단위의 "단축/풀" 전환컨 트롤을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에 둘 수 있다. 혹은 "단축/풀" 전환 컨트롤과 공백(우 이동버튼)을 합한 기능을 하는 컨트롤을 상하좌버튼 중 임의의 버튼의 기 준격자위치에 둘 수 있다. 도8-8을 참고할 수 있다. When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there is a tertiary ambiguity that occurs between the simple code and the full code. For example, to enter a word by the short input method when the full input method is the default mode and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first select the "short/full" switching control and enter a space (right movement button), It was a simple code entry. Of course, the order of the spaces and the "short/full" toggle controls can be reversed. Here, the "short/full" conversion control in word units can be placed on any button among the up, down, and left buttons. Alternatively, a control functioning as a combination of a "short/full" switching control and a space (right movement button) can be placed at a standard grid position of any button among the up, down, and left buttons. Reference may be made to Figures 8-8.

만약 도8-8의 숫자버튼에 도1-1의 영어 알파벳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 정하고, 기본알파벳입력모드를 풀입력모드인 상태에서 help의 전체연관 심플코드 "4357" 을 입력하여, 단어 help 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 풀코드입력 +[^]+[4]+[3]+[5]+[7]+ [>]+ 풀코드 입력 ~" 과 같이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 이동버튼 [^]의 이동기능을 제한하고 단어단위의 "단축/풀" 전환 기능과 공백 기능을 합하였으므로 [^] 버튼이 눌려지는 순간 시스템은 그 다음 나오는 "[4]+..." 이 풀코드가 아닌 심플코드임을 인지하고 색인을 참조하여 입력 [4]에 가장 근접한 단어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4]+[3]+[5]+[7] 의 입력이 끝나고 공백 버튼([>] 버튼) 눌려지는 순간 단어가 종료되므로, 단어단 위의 "단축/풀" 모드전환도 종료되고 시스템은 다시 풀코드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 다. 만약 심플코드(4357)의 입력후에 다시 [^] 버튼이 눌려지게 된다면, 시스템 은 역시 단어가 종료된 것을 인지하여 심플코드 4357에 해당하는 help를 확정하고 다시 심플코드의 입력을 기다리게 될 것이다. If it is assumed that the English alphabet of FIG. 1-1 is arranged in the number button of FIG. If you want to enter, you can enter as "~ full code input +[^]+[4]+[3]+[5]+[7]+ [>]+ full code input ~". In other words, since the movement function of the upward movement button [^] is limited and the "short/full" conversion function and the space function are combined in word units, the moment the [^] button is pressed, the system moves to the next "[4]+... " Recognizing that this is a simple code rather than a full cod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words closest to the input [4] to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index. As soon as the [4]+[3]+[5]+[7] input is completed and the space button ([>] button) is pressed, the word ends, so the "short/full" mode conversion in word units is also terminated, and the system waits for the input of the full code again. If the [^] button is pressed again after entering the simple code 4357, the system will also recognize that the word has ended, confirm the help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4357, and wait for the input of the simple code again.

병행입력방법에서 우 이동버튼(공백 버튼)을 하나만 사용하게 되면, 선출원 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풀코드와 심플코드간에 발생하는 3차모호성이 있을 수 있 고,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시스템은 버튼의 입력시 마다, 심플코드가 존재하는지 혹은 약속된 풀코드를 이루는지를 검사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단어단위의 "단축/풀" 모드전환과 공백을 합한 버튼을 둠으로써, 입력값이 풀코드인지 심플코 드인지 시스템이 미리 인지할 수 있으므로, 계산과 검색을 줄여, 시스템의 성능 향상이 가능할 것이다. If only one right button (space button) is used in the parallel input method,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re may be tertiary ambiguity between the full code and the simple code. To avoid this, the system Each time, it wa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simple code existed or whether the promised full code was achieved. However, by placing a button that combines word-based "short/full" mode switching and spaces, the system can recognize in advance whether the input value is full code or simple code, reducing calculation and search, improving system performance. It will be possible.

8.6 계산기모드에서 가감승제 버튼으로의 활용 사례 8.6 Example of use of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subtraction buttons in calculator mode

4개의 이동버튼은 그 위치에 상관없이 계산기모드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 는 가감승제(+, -, x, /) 버튼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감승제 기호를 버튼에 표기할 수도 있으나, 알파벳입력에 비하여 계산기는 자주사용되지 않을 것 이므로 버튼에 표기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알파벳입력모드에서는 각 버튼이 이동 버튼 혹은 컨트롤버튼으로 사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The four movement buttons can be usefully used as the most frequently used addition/decrement/multiplication (+, -, x, /) buttons in calculator mode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symbols can be marked on the buttons, but they may not be marked on the buttons because the calculator will not be used frequently compared to alphabet input. This is because each button will be used as a movement button or control button in the alphabet input mode.

또한 계산기에서 쓰일 수 있는 연산자를 가감승제버튼에 두고 (은닉형) 반 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산기모드에서 자주사용 되는 연산자(이항연산자)는 반복하여 출현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2++1 이라는 계산은 있을 수 없다. 또한 24 은 2xx4 로 풀어 승(x)버튼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제곱"연산자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승(x)버튼에 후 속연산자로 제곱(xx)연산자가 있는 것으로 하여 반복선택하는 것과 같다. 마찬가 지로 (O3)은 3//2 로 풀어 제(/)버튼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제곱근"연산자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의 이항연산자는 중복하여 출현하지 않으므로 적절 한 가감승제버튼에 속한 후속연산자로 두고 후속연산자를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lace operators that can be used in the calculator on the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subtraction buttons, and select them by the (hidden) repetitive selection method. Operators (binary operators) frequently used in calculator mode use properties that do not appear repeatedly. For example, there can be no calculation of 2++1. Also, 24 can be solved as 2xx4 so that the "square" operator can be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multiplier (x) button. That is, it is the same as repeating selection assuming that the multiplication (x) button has a square (xx) operator as a subsequent operator. Similarly, (O3) can be solved by 3//2 to select the "square root" operator by repeatedly pressing the (/) button. Since other binary operators do not appear redundantly, it can be set as a successor operator belonging to an appropriate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division button, and the successor operator can be selected by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상하좌우 이동버튼 중 3개의 버튼에 가감제(+, -, /) 연산자를 두고 승(x) 연산자는 [*]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다. Additive (+, -, /) operators are placed on three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buttons, and the [*] button can be used for the multiplication (x) operator.

9. 도움기능 활성화 9. Enable help function

여기서 각각의 입력모드에서 버튼(상/하/좌/우)에 표시되지 않은 기능을 스 크린(액정)에 표시하여 사용의 편리를 더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정의 일부를 소 모하는 단점이 있는데, 물론 각 연산자버튼의 기능을 숫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굳 이 액정의 공간을 소비하면서 이를 표시되도록 할 필요가 없으나 그렇지 못한 사 용자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도8-1을 참고할 수 있으며, 도9-1은 도8- 4와 같이 상하좌우버튼이 4*3 키패드의 오른쪽에 배치된 경우를 가정하여, 유사한 형태로 배치한 경우의 예이다. In each input mode, functions that are not displayed on the buttons (up/down/left/righ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liquid crystal) for added convenience.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of consuming part of the liquid crystal. Of course, the user who knows the function of each operator button does not need to display it while consuming the space of the liquid crystal, but it can be of great help to users who do not. have.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8-1, and FIG. 9-1 i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are arranged in a similar form as in FIG.

이렇게 사용자의 편의와 의도에 따라 버튼의 기능(즉 버튼에 할당된 연산자 혹은 각 버튼에 연관된 기호그룹)을 표시하여 주는 것을 편의상 "도움기능 활성화"라고 한다. 도움기능 활성화는 각각의 모드(예. 알파벳입력모드, 계산기 모드)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모드에서 필요기능에 대해서(예. 알파벳 입력모드에서 기호그룹에 연관된 숫자버튼 혹은 컨트롤버튼의 용도) 이루어질 수 도 있다. Displaying the function of a button (that is, an operator assigned to a button or a symbol group related to each butt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intention is called "activation of the help function" for convenience. Activation of the help function may be performed for each mode (eg alphabet input mode, calculator mode), or for necessary functions in each mode (eg use of number buttons or control buttons related to symbol groups in alphabet input mode). can also be

마찬가지로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컨트롤버튼의 기능 혹은 기호그룹과 연 관되는 숫자버튼 역시 사용자가 필요로 할 경우 액정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 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9-2을 참고한다. 도9-2는 앞에서 예시한 기호그룹 분류에 의거하여 각 기호그룹에 연관되는 숫자버튼을 아이콘화하여 액정에 표시한 예이다. 각 숫자버튼에 연관된 기호그룹의 기호중 편의상 첫번째로 선태되는 기 호만을 숫자버튼 아이콘에 부기한 것이다. Likewise, the number button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control button or the symbol group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when the user needs it,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promoted. See Figure 9-2. 9-2 is an example in which the number buttons related to each symbol group are iconified and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based on the symbol group classification exemplified above. Among the symbols of the symbol group associated with each number button, only the symbol selected first for convenience is added to the number button icon.

10. 삭제버튼 활용방법 10. How to use the delete button

삭제버튼을 활용함에 있어서 이를 선출원에서 소개한 "최종입력취소"로 활 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2에서 "ㄱ"을 입력하려다, [1]+[*]을 입력하여 "ㅋ"을 입력하였는데 삭제버튼을 눌러서 최종입력([*])을 취소함으로써 "ㄱ" 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컨트롤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서 후속알파벳을 입력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취소버튼을 연속하여 누르는 경우는 통상의 방법대로 이미 입력된 알파벳이 삭제되도록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가나ㅋ"을 입력한 상태에서 취소버튼을 1번 누르면 "가나ㄱ"이 되고, 한번 더 누 르면, "가나"가 되고, 또 한번 더 누르면, "가" 가 된다. 로마자의 경우 "ab a.."을 입력한 상태(마지막의 "a.."은 "..+a"로 이루어진 변형알파벳)에서 삭제버 튼을 한번 누르면 "aba"가 되고, 한번 더 누르면 "ab"가 되고, 또 한번 더 누르면 "a"가 되는 것이다. 즉 이미 형성된 알파벳에 대해서는 알파벳단위로 삭제되는 것이다. When using the delete button, it can be used as "cancellation of final input" introduc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For example, in Figure 4-2, I tried to input "a", but I entered "ㅋ" by typing [1] + [*], but I returned it to "a" by canceling the final input ([*]) by pressing the delete button. it can be done This can be useful when inputting subsequent alphabets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ntrol button. In the case of continuously pressing the cancel button, the already input alphabet may be deleted in the usual way. For example, if you press the cancel button once in the state of entering "Kanaㅋ", it becomes "Kana A", if you press it once more, it becomes "Kana", and if you press it again, it becomes "Ga". In the case of the Roman alphabet, "ab a.." is entered (the last "a.." is a modified alphabet consisting of "..+a"), and pressing the delete button once becomes "aba", and pressing it again " It becomes "ab", and if you press it again, it becomes "a". That is, the already formed alphabets are deleted in units of alphabets.

11. 키보드의 11. of the keyboard 숫자키패드와with numeric keypad 전화단말기에서의 키패드의 통일화 Unification of keypads in telephone terminals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제시한 키패드는 이동단말기 혹은 표준키보드의 숫 자키패드 혹은 스크린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혹은 도어록 등 전 화기자판 형태의 모든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표준키보드에 구 비된 숫자키패드는 선출원 및 본발명에서 제시한 키패드와 숫자 버튼의 배치가 다 르나,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의 키패드 버튼상의 배치를 키보드에 구비된 키패드 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1] 버튼에 배치된 알파벳을 키보드에 구비된 숫자 키패드의 [1] 버튼에 배치하고, 이하 마찬 가지 방법으로 배치하여 알파벳입력, 심플코드의 활용 및 각종 코드의 암기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It is obvious that the keypad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fields in the form of a telephone keyboard, such as a numeric keypad of a mobile terminal or standard keyboard or a keypad or door lock configured by software on a screen. In addition, although the numeric keypad provided in the standard keyboard has a different layout of the keypad and number buttons presented in the prio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arrangement on the keypad buttons in the prio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keypad provided in the keyboard. . For exampl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phabets placed on the [1] button are placed on the [1] button of the numeric keypad provided on the keyboard, and arranged in the same way below to allow for alphabet input, utilization of simple codes, and various codes. It can be used for memorization.

그러나 혼동을 줄이고 사용의 편리를 더하기 위하여, 키보드의 숫자키패드 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화기 키패드의 숫자배치를 활용할 수 있다. 즉 키보드의 숫자키패드의 숫자배열에 있어서, 전화기의 키패드에서와 같이 제1행의 버튼에 [1], [2], [3] 버튼을 두고, 2행의 버튼에 [4], [5], [6] 버튼을 두고, 3행의 버 튼에 [7], [8], [9] 버튼을 두는 것이다. 더불어 전화기의 키패드에서와 같이 [*] 버튼과 [#] 버튼을 둘 수도 있다. However, in order to reduce confusion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the number arrangement of the phone keypad can be utilized in configuring the numeric keypad of the keyboard. That is, in the number arrangement of the numeric keypad of the keyboard, as in the keypad of the phone, buttons [1], [2], and [3] are placed on the buttons of the first row, and buttons [4] and [5] are placed on the buttons of the second row. , [6] buttons, and [7], [8], and [9] buttons on the third row. In addition, [*] button and [#] button can be placed as in the keypad of the phone.

12. 언어제한 입력방법 12.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언어제한 입력방법은 특정언어의 단어생성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의 결합규 칙을 이용하여 문자입력에 있어서의 모호성을 줄이는 것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자 세히 설명한다. The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means reducing ambiguity in character input by using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rules in word generation of a specific languag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하에서 어느 한가지 언어에서 언급한 내용중 다른 언어에서 적용할 수 있 는 내용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아도 다른 언어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더 나아가 로마알파벳을 사용하지 않는 언어에 있어서도 유사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 다. It is obvious that among the contents mentioned in one language below, the contents applicable to other languages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without special mention. Furthermore, similar concepts can be applied to languages that do not use the Roman alphabet.

12.1 로마알파벳을 사용하는 언어에 있어서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중국어 제한 반복선택방법 12.1 Chinese Restriction Repeat Selection Method on Consonant Separation Keypad in Languages Using Roman Alphabet

12.1.1 중국어 성모와 운모의 구성 12.1.1 Composition of Chinese virgin and mica

중국어에는 21개의 성모와 16개의 운모(이중

Figure pat00037
(^e) 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함)가 있다고 한다. 성모는 자음에 해당하고, 운모는 모음에 해당한다 고 한다. 중국대륙에서는 중국어음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한어병음방안을 이용하 고, 대만에서는 주음부호를 이용하여 중국어음을 입력한다고 한다. 한어병음은 라틴자모즉 로마알파벳을 이용하여 중국어음을 표기하는 것이다. 주음부호와 그 에 대응되는 한어병음(로마알파벳)을 괄로안에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In Chinese there are 21 virgins and 16 mica (double
Figure pat00037
(^e) is said to be rarely used). It is said that the Virgin corresponds to consonants and mica corresponds to vowels. In mainland China, the Chinese Pinyin method is used as a method of displaying Chinese sounds, and in Taiwan, Chinese sounds are input using the main sound code. Chinese Pinyin is to express Chinese sounds using the Latin alphabet, that is, the Roman alphabet. The main sound code and the Chinese pinyin (Roman alphabet) corresponding to it are shown in parentheses as follows.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8

다음은 중국어의 결합운모를 설명한 것이다. 결합운모는 3가지 모음 i, u, ..u 를 앞세우고 뒤에 다른 운모가 결합하는 것이라고 한다. 다음 표는 결합운모 일람표로 결합이 가능한 경우를 표시한 것이라고 한다. The following is an explanation of Chinese combined mica. Combined mica is said to be a combination of three vowels i, u, ..u with other mica behind it. The following table is a list of combined mica and indicates cases in which bonding is possible.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39

위 표에서 ia 의 결합은 가능하나, io 의 결합은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table above, it can be seen that ia can be combined, but io cannot be combined.

12.1.2 로마알파벳을 이용한 중국어 한어병음의 입력 12.1.2 Input of Chinese Pinyin using Roman alphabet

결국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로마알파벳을 이용하는 경우, 중국어의 21 개 성모는 18개 로마알파벳의 조합으로 모두 입력할 수 있고, 16개 운모는 7개의 단운모의 조합 혹은 로마알파벳 모음과 로마알파벳 자음의 조합으로 모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Eventually,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above, when using the Roman alphabet, all 21 Chinese characters can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18 Roman alphabets, and 16 mica can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7 single mica or a combination of Roman alphabet vowels and Roman alphabets. All combinations of alphabetic consonants can be entered.

또한 단운모 중 ^e 와 ..u 는 각각 e 와 u 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컨 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5개의 기본모음에 4가지 성조 부호가 붙을 수 있는데, 이 역시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결국 로마알파벳을 사용하는 중국어의 경우 5개의 로마알파벳 기본모음을 이용하여 모 든 중국어의 운모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영어알파벳(즉, 로마알파벳)에 존재하지 않는 변형알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프랑스어, 독일어 등의 입력에서 이미 보인 내용이다. 중국어의 운모를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경우의 기본알파벳(기본모음)과 후속알파벳(후속모음)과의 부속관 계를 설정하는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among monomica, ^e and ..u can b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considering them as modified alphabets of e and u, respectively. Next, four tonal codes can be attached to the five basic vowels, which can also b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the end, in the case of Chinese using the Roman alphabet, all Chinese mica can be input using the five basic vowels of the Roman alphabet. This is the input of the modified alphabet that does not exist in the English alphabet (ie, the Roman alphabe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which has already been shown in inputs such as French and German. An example of setting the sub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alphabet (basic vowel) and the subsequent alphabet (subsequent vowel) when Chinese mica is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as follows.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0

위의 예는 1성조 ~ 4성조의 성조부호가 붙은 알파벳이 후속알파벳으로 되었 고, ^e 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하므로 부속순위를 가장 하위에 둔 것이다. 부속순위는 사용빈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u 를 6th 가 아닌 2nd 후속알파벳으로 하고 나머지 후속알파벳의 부속순위를 하나씩 후 순위로 둘 수도 있다.In the example above, the alphabets with tonal signs from 1 to 4 became the subsequent alphabets, and ^e was rarely used, so the subordinate order was placed at the lowest. Of course, the sub-order may vary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use. For example, you can set ..u as the 2nd follow-up alphabet instead of the 6th, and set the sub-orders of the remaining follow-up alphabets one by one.

입력예로 컨트롤버튼으로 [*] 버튼을 사용하고, 컨트롤 후입력 적용시, -e = e + [*], /e = e + [*]+[*], ve = e + [*]+[*]+[*], `e = e + [*]+[*]+[*]+[*], ^e = e + [*]+[*]+[*]+[*]+[*] 과 같이 된다. 도1-1에서 키패드상 표시된 "e" 를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적용하면, e = [3]+[2] 가 되므로 -e = [3]+[2] + [*] 가 된 다. 도1-1에서 키패드상 표시된 알파벳을 부분전체선택방법으로 선택하면, 人 (r/en : 제2성) 의 풀코드는 “7832**65”가 된다. 여기서 키패드상 표시된 "e" 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부분전체선택방법이 아닌 어떠한 다른 입력방법(예. 단순반 복선택방법)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an input example, when using the [*] button as a control button and applying input after control, - e = e + [*], / e = e + [*]+[*], v e = e + [*] +[*]+[*], `e = e + [*]+[*]+[*]+[*], ^e = e + [*]+[*]+[*]+[*] +[*] becomes equivalent. If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o "e" displayed on the keypad in Fig. 1-1, e = [3] + [2], so -e = [3] + [2] + [*]. If the alphabet displayed on the keypad in Fig. 1-1 is selected by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the full code of 人 (r / en: 2nd star) becomes “7832 ** 65”. Here, it is obvious that any other input method (eg, simpl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other than the partial-total selection method can be used to input "e" displayed on the keypad.

결국 컨트롤버튼을 단 하나만 사용하므로 입력방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이는 로마알파벳을 사용하지 않고 주음부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1-1에서 영어알파벳에 대응되는 주음부호를 표시한 키패드에 서 동일하게 입력방식 적용).After all, since only one control button is used, the input method can be simplified. This can be equally applied even when the Roman alphabet is not used and the main note is used (for example, the same input method is applied to the keypad displaying the main note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alphabet in FIG. 1-1).

12.1.3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중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 12.1.3 Chinese Restriction Repeat Selection Method on Consonant Separation Keypad

중국어 성모를 18개 로마알파벳으로 모두 입력할 수 있는데, 그중 zh, ch, sh 만 로마알파벳 자음이 연속하여 나온다. 중국어에서 성모없이 운모만으로 이 루어진 음절을 한어병음으로 표기할 때, 형식적으로 y, w 등을 붙여 표시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衣 = yi(1성)", "五 = wu(3성)" 와 같이 된다. You can enter all 18 Chinese Virgins in the Roman alphabet, but only zh, ch, and sh have consecutive Roman alphabet consonants. In Chinese, when a syllable consisting only of mica without a mother is written in Chinese Pinyin, it is said to be formally marked with y, w, etc. For example, "衣 = yi (1 star)", "五 = wu (3 stars)".

그리고 선출원에서 언급하였듯이, 한자(漢字) 한글자가 한 음절을 이루는 중국어에 있어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심플코드로 사용하는 것이 많은 편리를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가능한 18개의 로마알파벳 자음이 각 숫자 버튼에 배정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18개 로마알파벳 자음을 2개씩 그룹핑하여 [1] ~ [9] 숫자 버튼에 배정하는 것을 제시한다. And,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using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as a simple code in Chinese, where Chinese characters form one syllable, can provide a lot of convenienc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ssign possible 18 Roman alphabet consonants to each number button. In the present invention, 18 Roman alphabet consonants are grouped into two groups and assigned to number buttons [1] to [9].

b p / d t / g k / z j / c q / s x / m n / l r / h f b p / d t / g k / z j / c q / s x / m n / l r / h f

위의 예는 발음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그룹핑한 사례로, 심플코드의 활용시 동일한 심플코드(음절기준 이니셜코드)에 대응하는 어구(단어 혹은 구절)가 다수 인 경우 발음이 유사한 어구가 같은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가지도록 배려한 것이 다. 위의 예는 단지 예시중 한가지일 뿐이며,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발음의 유 사성에 의하여 그룹핑할 수도 있으며, 영어알파벳 사전순서, 영어알파벳 대응 주 음부호 사전순서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하여 그룹핑이 가능하다. 이렇게 유사한 발 음을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같은 버튼에 배정하는 또 다른 잇점은 로마알파벳 을 사용하는 모든 언어에 있어서, 유사한 발음의 자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적으므로, 그 만큼 모호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지는 것이다. 또한 심플코드 (특히 음절기준 이니셜코드)의 활용에 있어서도 동일한 심플코드에 대응되는 어구 가 다수 있더라도, 그 어구들이 유사한 발음(음가)를 가진 어구들이므로 사용자에 게 혼란을 최소화하고, 심플코드 활용에 자연스러움을 줄 수 있다. The above example is a case of grouping based on similarity of pronunciation. When using a simple code, if there are multiple phrases (words or phrases) corresponding to the same simple code (syllable-based initial code), phrases with similar pronunciation are based on the same syllable It was a consideration to have an initial code. The above example is just one example,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It can be grouped by similarity of pronunciation, and grouping is possible by various criteria, such as the dictionary order of English alphabets and the lexical order of notes corresponding to English alphabets. Another advantage of grouping similar pronunciations into the same group and assigning them to the same button is that in all languages using the Roman alphabet, consonants with similar pronunciations rarely occur consecutively, so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ambiguity. will lose In addition, in the use of simple codes (especially syllable-based initial codes), even if there are many phrases corresponding to the same simple code, since the phrases have similar pronunciation (phonetic value), confusion to users is minimized and It can give you a natural look.

또 한가지는 zh, ch, sh 가 중국어의 성모로써 존재하는데, z 와 h 가, c 와 h 가, 그리고 s 와 h 가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중국 어에서 보통 "성모+운모"로 음절이 이루어 지는데 본 실시예에서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어도 큰 상관은 없다. 단, 도10-1에서 표시되지 않은 w, y, v 등을 입력 시 s, h, w 등을 함께 배정하고 배정된 버튼 3타로 입력하도록 하지 않으면 된다) Another thing is that zh, ch, and sh exist as the mother of Chinese characters, so that z and h, c and h, and s and h are not grouped into the same group. (In Chinese, syllables are usually composed of "Virgin + Mica", but in this embodiment, it does not matter much if they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However, when entering w, y, v, etc., which are not shown in Fig. 10-1, s, Allocate h, w, etc. together and do not input with 3 assigned buttons)

위에서 예시한 9개 그룹을 도10-1에서와 같이 [1] ~ [9] 의 9개 버튼에 임 의로 배정하고, 각 알파벳의 입력에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중국어의 특성상 성모를 입력시 zh, ch, sh 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로마알파벳 자음이 연속 하여 나오는 경우는 없게된다. 따라서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알파벳을 입력하더 라도 모호성 없이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10-1에서 b = [1], p = [1]+[1] 로 입력이 가능한 것이다. 각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 중 어느 알파벳을 1타로 선 택되도록 할 것인지는 알파벳의 사용빈도에 따라 사용빈도가 많은 알파벳이 1타로 선택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10-1, the 9 groups exemplified above can be randomly assigned to the 9 buttons [1] to [9],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input of each alphabe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there is no case where Roman alphabet consonants appear consecutively except for zh, ch, and sh when entering the Virgin Mary. Therefore, even if an alphabet is enter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input without ambiguity. For example, in FIG. 10-1, b = [1], p = [1] + [1] can be input. Of course, which alphabet among the alphabets assigned to each button is to be selected as one strok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lphabet so that an alphabet with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selected as one stroke.

중국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로마알파벳 "v" 를 9개의 그룹중 임의의 그 룹에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음이 유사한 "f" 가 있는 그룹에 "v"를 추가로 두 고(혹은 명시적으로 배정하지 않고) 해당 버튼 3타로 "v"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 다. "衣 = yi(1성)", "五 = wu(3성)" 등에서 사용되는 w, 와 y 역시 적절한 자음 그룹에 두고(혹은 명시적으로 배정하지 않고) 이를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 (예. w와 y를 각 알파벳이 속한 버튼 3타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y 를 / l, r / 이 속한 그룹에 두었을 경우, 해당 버튼(도10-1에서 [8] 버튼) 1타 로 “l”을 입력하고, 2타로 “r”을 입력하고, 3타로 “y”를 입력하며, w 를 / m, n / 이 혹한 그룹에 두었을 경우, 해당 버튼(도10-1에서 [7] 버튼) 1타로 “m ”을 입력하고, 2타로 “n”을 입력하고, 3타로 “w”를 입력하는 것이다. The Roman alphabet "v", which is rarely used in Chinese, can be placed in any of the 9 groups. For example, you can add a "v" to a group with a similar sounding "f" (or not explicitly assign it) and have the button press 3 to enter "v". The w and y used in "衣 = yi (1 voice)", "五 = wu (3 voices)", etc. are also placed in appropriate consonant groups (or not explicitly assigned) and entered by repeated selection (eg .W and y can be entered with 3 strokes of the button to which each alphabet belongs). For example, if y is placed in the group to which / l and r / belong, input “l” with one stroke of the corresponding button ([8] button in Fig. 10-1), input “r” with two strokes, Enter “y” with 3 strokes, and if w is placed in a group where / m and n / are weak, enter “m” with the corresponding button ([7] button in Fig. 10-1) 1 stroke, and “n” with 2 strokes ” and enter “w” with 3 strokes.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한어병음 입력시 로마알파벳 자음과 모음이 번갈 아 나오는 성질을 이용하여 모호성을 대폭 줄이는 것을 편의상 “중국어제한 반복 선택방법”이라 부른다. 이러한 성질을 특별히 중국어뿐만이 아닌 모든 언어에 일반적으로 적용시에는 편의상 “언어제한 반복선택방법(LRRSM : Language Restricted Repeat Selection Method)”이라 하고, 특별히 중국어에 적용하였을 경우를 “중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Chiese Restricted RSM)”이라 한다. 언어제 한 반복선택방법은 한국어 혹은 힌디어 등에 있어서,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의 쌍을 각 버튼에 배정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시,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나오는 성질을 이용하여 적은 모호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또한 한국 어의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에 있어서, 모음 “ㅡ”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성 질을 이용하여 격음컨트롤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것도 유 사한 것이며, 이는 “한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 이라 할 수 있다. Applying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nd using the property of alternating Roman alphabet consonants and vowels when inputting Chinese Pinyin to drastically reduce ambiguity is called “Chinese Restricted Repetitive Selection Method” for convenience. When this property is applied in general to all languages, not just Chinese, it is called “Language Restricted Repeat Selection Method (LRRSM)” for convenience, and when it is specially applied to Chinese, it is called “Chinese Restricted Repeat Selection Method (Chiese Restricted RSM)”.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for language restrictions assigns a pair of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to each button in Korean or Hindi, etc., and whe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e so that they can be entered with less ambiguity. It is in the same context as In addition, in the method using Korean vowel elements, it is similar that the vowel control can be select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using the property that the vowel “ㅡ”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which is similar to the “Korean limite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 can be said.

특히 도10-1 ~ 10-4에서와 같이 자음이 배정된 버튼(편의상 “자음버튼”이 라 부름)과 모음이 배정된 버튼(편의상 “모음버튼”이라 부름)을 분리하고(즉, 자음과 모음을 같은 버튼에 배정하지 않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시 자음과 모음 이 결합하는 각 언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모호성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좋은 특징이 있게 된다. 이렇게 도10-1 ~ 10-4에서와 유사하게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각각 분리하여 각 버튼에 소정 개수(예. 1~3개)의 자음 혹은 모음을 배정하여 구성한 키패드를 편의상 “자모음분리키패드(CVSK(Consonant Vowal Separated Keypad))” 라 부르기로 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10-1 to 10-4, separate the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called “consonant buttons” for convenience) and the buttons to which vowels are assigned (called “vowel buttons” for convenience) (i.e., consonants and Vowels are not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nd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here is a good feature that greatly reduces ambiguity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nguag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Similarly to FIGS. 10-1 to 10-4, the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predetermined number (eg 1 to 3) of consonants or vowels are assigned to each button. Let's call it the keypad (CVSK (Consonant Vowal Separated Keypad)”.

도10-1에서 키패드상 표시된 로마알파벳 자음과 모음을 반복선택방법에 의 하여 중국어 한어병음을 입력시에도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성모의 입력을 위하여 자음버튼(도10-1에서 [1] ~ [9] 버튼)중 같은 버튼 이 연속적으로 눌러졌을 때, 키패드상 표시된 2번째 자음이 입력된 것을 시스템이 쉽게 알 수 있다. 중국어 성모를 입력하기 위하여 같은 로마알파벳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 2번 눌려진 버튼이 w, y, v 등이 배정 된 버튼이고, 같은 버튼이 한번 더 눌러졌을 때(즉 3번 눌러졌을 때)는 기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w, y, v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을 시스템이 쉽게 알 수 있다. [7] 버튼 3타로 “w = 777” 로 입력할 경우, 이는 “mmm” 혹은 “mn” 혹은 “ nm” 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중국어의 성모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In FIG. 10-1, it is easy to see that the Roman alphabet consonants and vowels displayed on the keypad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even when inputting Chinese Han Chinese Pinyin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When the same button among the consonant buttons (buttons [1] to [9] in Fig. 10-1) is continuously pressed for the input of the Virgin Mary, the system can easily know that the second consonant displayed on the keypad has been entered. This is because there is no case where the same Roman alphabet appears consecutively to input the Chinese Virgin. Here, the button pressed twice is a button to which w, y, v, etc. are assigned, and when the same button is pressed once more (ie, when pressed 3 times), as described above, to input w, y, v, etc. The system can easily know what to do. [7] If you enter “w = 777” with 3 strokes of the button, it can be interpreted as “mmm” or “mn” or “nm”, because there is no case that the Chinese mother is composed like this.

도10-1에서와 같이, a, e, i, o, u, ..u 의 6개의 모음을 2개씩 3개의 그룹 으로 나누어 4*3 키패드의 3개 버튼(예. [*], [0], [#] 버튼)에 두고 각각의 모음 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중 국어에 있어서 동일한 로마알파벳 모음이 2번 연속 나오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한자를 한어병음으로 표기할 때, "…aa..." 과 같이 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10-1, the six vowels of a, e, i, o, u, ..u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two each, and three buttons of a 4 * 3 keypad (eg [*], [0 ], [#] buttons), and each vowel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is is possible because there is no case where the same Roman alphabet vowel appears twice in a row in Chinese. For example, when a certain Chinese character is written in Chinese Pinyin, there is no case like "...aa...".

단 여기서 복운모 ai, ei, ou 와 결합운모의 ia, ie, uo 를 놓고 보면, a 와 i, 그리고 e 와 i 그리고 o 와 u 는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a 와 i 가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같은 버튼에 배정되 면(예. [*] 버튼), 해당버튼 3타(즉, '***')를 입력한 것이 'ai'를 입력한 것인지 'ia'를 입력한 것인지 알 수 없는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10-1은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그룹핑한 사례를 보여준다. 도10-1의 모음 그룹핑 및 배 치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위 제약 사항을 만족하는 한에서 변형이 가능함은 물 론이다. 도10-1에서 각 모음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 어 i = [0], o = [0]+[0], iao = [0]+[*]+[0]+[0] 와 같이 입력할 수 있다. However, if you look at the complex mica ai, ei, ou and the combined mica ia, ie, uo here, you can see that a and i, e and i, and o and u should not b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If a and i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and assigned to the same button (eg [*] button), whether or not entering 3 strokes of the button (ie '***') is 'ai' This is because ambiguity may occur in which it is not known whether ia' was entered. 10-1 shows an example of grouping in consideration of these contents. Of course, the vowel grouping and arrangement of FIG. 10-1 are not absolute and can be modified as long as the above constraints are satisfied. In Fig. 10-1, each vowel can be input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For example, i = [0], o = [0]+[0], iao = [0]+[*]+[0]+[0].

a 와 i, 그리고 e 와 i 그리고 o 와 u 는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지 않는 한에서, “a, e, o”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고(도10-2, 도10-4 참고), 나머지 모음 “i, u, u”를 하나의 그룹으로 할 수 있다. 역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 2개의 모음 그룹을 각각 3*4 키패드 내에서 임의의 버튼(예. 각각 [*], [#] 버 튼)에 할당하고, 자음 “w, y, v”를 별도의 그룹으로 나머지 버튼(예. [0] 버 튼)에 할당할 수 있다. 하나의 그룹에 3개의 알파벳이 그룹핑될 때 (예. "a, e, o"), 모음의 조합(예. "ae", "ea", "aaa")을 나타내는 해당버튼 3타에 해당하는 중국어 운모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해당버튼 3타로 "o"가 모호성 없이 인식될 수 있다. 예에서 “ao" 입력시 해당버튼 4타로 되는데, “oa”가 한어병음으로 존재 하지 않으므로 역시 모호성 없이 인식될 수 있다. 도10-6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0-6에서 “v”는 중국어의 입력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w, y” 등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같은 버튼에 배정하는 것은 반자음(즉, 반모음)을 같은 버튼에 배정하는 효과가 있다. Unless a and i, e and i, and o and u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a, e, o” are grouped (see FIGS. 10-2 and 10-4), and the remaining vowels “i, u, u” can be made into one group. Also,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Assign each of these 2 vowel groups to a random button (e.g. [*], [#] buttons respectively) within the 3*4 keypad, and assign the consonants “w, y, v” as separate groups to the remaining buttons ( eg [0] button). When three alphabets are grouped in one group (eg "a, e, o"), the corresponding button representing a combination of vowels (eg "ae", "ea", "aaa") corresponds to 3 strokes Since Chinese mica does not exist, "o" can be recognized without ambiguity with three strok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n the example, when “ao” is input, the corresponding button becomes 4 strokes, but since “oa” does not exist as a Chinese Pinyin, it can also be recognized without ambiguity. Refer to FIG. 10-6. In FIG. 10-6, “v” is Chinese Since it is not used for the input of, it may not be displayed, and grouping “w, y”, etc. into one group and assigning them to the same button has the effect of assigning half consonants (i.e., half vowels) to the same button.

도10-2, 10-4, 10-6에서 “a, e, o”가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 되었는데, “ ao”의 조합만이 가능하다. 만약 하나의 버튼에 “a, o”만이 배정된다면, 해당 버튼 3타는 “ao”로 모호성없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3개의 알파벳이 배정되고 버튼 누름의 횟수에 따라 “a - o - e” 의 순서로 선택된다면, 해당 버 튼을 3번 누른 것이 “ao”인지 “e”인지 알 수 없는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3개 이상의 모음이 같은 버튼에 배정되고 3개의 모음 중 2개 모음의 한가지 조합이 가능한 경우)에 조합이 가능한 2개 모음을 해당 버튼 각각 1타, 2타로 선택되도록 하지 않고, 각각 1타, 3타(혹은 2타, 3타도 가능하며 해당 버튼 5타를 “ao”로 인식할 수 있음)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언어제한을 이용하 여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다. 정리하면, 3개 알파벳 그룹에서 버튼누름 횟수에 따른 선택순서를 정함에 있어서, 연속하여 등장할 수 있는 알파벳을 각각 해당버 튼 1타, 2타로 선택되지 않도록 선택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In Figures 10-2, 10-4, and 10-6, “a, e, and o”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but only a combination of “ao” is possible. If only “a, o” is assigned to one button, 3 strok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can be recognized as “ao” without ambiguity. However, if three alphabets are assigned and selected in the order of “a - o - e”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ambiguity may occur, not knowing whether the button was pressed 3 times as “ao” or “e” . Therefore, in this case (when three or more vowels are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nd one combination of two vowels out of three vowels is possible), the two vowels that can be combined are not selected as 1 stroke and 2 stroke respectively, respectively, Ambiguity can be removed by using language restrictions by selecting 1 stroke or 3 strokes (or 2 strokes or 3 strokes, and 5 strok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can be recognized as “ao”). In summary, in determining the selection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in the three alphabet groups, the selection order is determined so that alphabets that can appear consecutively are not selected with the corresponding button 1 and 2 strokes, respectively.

도10-1 ~ 도 10-4 에서 로마알파벳으로 성모를 입력시, 같은 버튼이 최대 2~3 번 눌러질 수 있으며, 시스템은 버튼의 반복누름 횟수를 인식하여, 그 반복누 름횟수에 따라 타겟알파벳을 식별해낼 수 있다. 로마알파벳으로 운모입력시, 역 시 도 10-1, 도10-3 에서 같은 버튼이 연속하여 3번 눌러질 수 있는 경우는 결합 운모 “iou” 의 “io” 를 입력하기 위하여 [0] 버튼이 연속하여 3번 눌러지는 경우뿐이다. 사용자의 입력에 대하여 시스템은 “0 = i" 로 일시적으로 인식하고, [0] 버튼이외의 버튼이 눌러지면 확정한다. [0] 버튼이 한번 더 눌러 지면, 시스템은 “00 = o”로 일시적으로 인식하고, 마찬가지로 [0] 버튼 이외의 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확정한다. 여기서 [0] 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시스템 은 “000 = io” 로 확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한어병음의 입력에 있어서 “oi ”가 나오는 경우는 없는 “중국어제한”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 버튼의 경우 는 최대 2번 눌러질 수 있으므로, 시스템은 “* = a” 로 일시적으로 인식하고, “** = e” 로 확정할 수 있다. 한어병음 입력시 동일한 로마알파벳 모음이 연속 하여 나오지 않고, 같은 버튼에 배정된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없기 때문 이다. 10-1 to 10-4, when the Virgin Mary is entered in Roman alphabet, the same button can be pressed up to 2 or 3 times, and the system recognizes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of the button, and the targe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alphabet can be identified. When inputting mica in Roman alphabet, also in FIGS. 10-1 and 10-3, if the same button can be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the [0] button is used to input “io” of combined mica “iou” Only if it is pressed 3 times in succession. Regarding the user's input, the system temporarily recognizes it as "0 = i" and confirms it when a button other than the [0] button is pressed. When the [0] button is pressed once more, the system temporarily recognizes it as "00 = o" , and similarly, if a button other than the [0] button is pressed once more, it is confirmed. Here, if the [0] button is pressed once more, the system can confirm “000 = io” because the input of Chinese Pinyin This is because “oi” is used without “Chinese restriction.” In the case of the [*] button, it can be pressed up to two times, so the system temporarily recognizes it as “* = a” and “** = e” This is because the same Roman alphabet vowels do not appear consecutively when inputting Chinese Pinyin, and vowel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do not appear consecutively.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모호성없이(혹은 중국어 이외의 경우에서 현저히 적 은 모호성으로) 입력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한 이유는, 같은 자음버튼(예. 도10-1에 서 [1] 버튼)이 한번 혹은 연속하여 눌러지는 동안 시스템은 동일 버튼내의 자음 중의 하나를 입력하는 것으로 인식하게되고, 뒤이어 다른 자음버튼(예. 도10-1에 서 [9] 버튼)이 눌러지면 시스템은 연속된 자음이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이유는 각 버튼당 약 3개의 알파벳을 배정하지 않고 약 2개 의 알파벳이 배정되기 때문이다. 자음과 모음을 쌍으로 그룹핑하는 경우의 선출 원에서 언급한 바, 버튼당 3개의 알파벳이 배정되었을 때에 비하여 2개의 알파벳 이 배정되었을 때, 모호성 발생 가능성은 현저하게 줄어들며, 이는 쉽게 알 수 있 다. 또한 버튼당 2개의 알파벳이 배정되었을 때는 출원인이 제시한 연타지연시간 과 이타지연시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The reason why the input system can be configured without ambiguity i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or with significantly less ambiguity in cases other than Chinese) is that the same consonant button (eg, [1] button in Fig. 10-1) is pressed once or continuously While being pressed, the system recognizes that one of the consonants within the same button is entered, and when another consonant button (eg, [9] button in FIG. because you will recognize it. Another reason is that about 2 letters are assigned to each button instead of about 3 letters.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n the case of grouping consonants and vowels in pairs, the possibility of ambiguity is significantly reduced when two alphabets are assigned to each button compared to when three alphabets are assigned to each button, which can be easily seen. In addition, when two alphabets are assigned to each button, the continuous hitting delay time and hitting delay time suggested by the applicant can be applied more effectively.

도10-7는 (R) 부분을 제외하면,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일반적인 반복선택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10-7에서 편의상 입력값은 자음버튼 혹은 모음버 튼인 것으로 한다. 즉, 특별한 용도 혹은 기능(예. 후속알파벳의 입력을 위한 후 속컨트롤버튼)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10-7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단지 참 고할 수 있다. 도10-7에서 특정버튼이 한번 눌러짐에 대하여 특정버튼의 1회 누 름에 대응되는 알파벳을 타겟알파벳으로 일시적으로 인식하는 등의 세부적인 절차 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이러한 과정은 도10-7에서 (R0)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R)과정에서 언어제한을 판단할 수 있으며, (R)과정은 흐름도상의 임의의 부분에서 개입될 수 있다. 즉 첫번째 입력값이 자음버튼들 중의 하나이고, 연속 눌려진 버튼에 자음이 2개만 배정된 버튼이고,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이 연속 하여 나오는 경우가 없으면(예. 도10-1에서 [1] 버튼), (R1) 에서 동일버튼이 2번 눌려진 순간 입력값을 하나의 자음(예. 도10-1에서 “P”로)으로 확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마치 도4-4에서 언어제한을 이용하여 모호성을 제거하는 것(반복선 택방법 적용시 모호성없이 혹은 적은 모호성으로 타겟알파벳을 확정)과 유사하다. 도10-7의 절차는 도4-4의 절차보다는 훨씬 단순한 것을 알 수 있다. 10-7 shows the procedure of a general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except for part (R). 10-7, for convenience, the input value is a consonant button or a vowel button.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special purpose or function (eg, a follow-up control button for input of a follow-up alphabet). Figures 10-7 are not absolute and are for reference only. In FIG. 10-7, detailed procedures such as temporarily recognizing an alphabet corresponding to one press of a specific button as a target alphabet when a specific button is pressed once are not displayed. However,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in process (R0) in FIG. 10-7. The language restriction can be determined in the (R) process, and the (R) process can be intervened in any part of the flow chart. That is, if the first input value is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a button to which only two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continuously pressed button, and the alphabet assigned to the same button does not appear in succession (e.g., [1] button in Fig. 10-1 ), (R1), the moment the same button is pressed twice, the input value can be determined as one consonant (eg, “P” in Fig. 10-1). This is similar to removing ambiguity using language restrictions in Fig. 4-4 (determining the target alphabet without ambiguity or with little ambiguity when applying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It can be seen that the procedure of FIG. 10-7 is much simpler than that of FIG. 4-4.

동일한 혹은 동일하지 않은 자음버튼들이 연속하여 눌러지다가, 모음버튼이 눌러지면 시스템은 기 입력된 자음버튼들의 입력값으로부터 타겟알파벳을 확정하 고, 모음처리과정을 진행하며, 모음처리과정에서의 최초 입력값은 자음처리과정에 서 마지막으로 입력된 모음버튼이 된다. 모음처리과정에서 자음처리과정으로 바 뀌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Identical or unequal consonant buttons are continuously pressed, and when the vowel button is pressed, the system determines the target alphabet from the input values of the previously entered consonant buttons, proceeds with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and performs the initial input in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The value becomes the vowel button entered last in the consonant processing process.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vowel processing process to the consonant processing process.

도10-7에서 언어제한 (R) 에 의하여 판단하는 방법은 결합가능한 자음 및 모음의 목록(예. “ch”, “sh”, “zh”, “iao”, “iou”, “ia”, “ie”, “ uai”, “uei”, “ua”, “uo”, “ue”, “ai”, “ao", “ua”, “uo”, “..ue”, “ou” …) 혹은 (특정 키패드에서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결합불가능한 자음 및 모음의 목록(예. “bb”, “aa”, “ee”, “oa”, …)을 시스템이 가지고 있으면서, 입력값이 모호성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에, 결합불가 능한 경우를 제외하고 결합가능한 경우를 시스템에서 타겟알파벳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이 방법이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10-2(중국어제한)에서 “ao = 0000”을 입력시, 시스템은 “ao"를 모음결합가능 목록에 가지고 있으면서, 시스템은 입력값 “0000” 에 대하여 “ao"를 타겟알파벳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한가지 방법은 도10-2, 도10-4의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사용자의 오 입력이 없을시, [0] 버튼 만이 최대 4번 눌러질 수 있는데, 이렇게 모호성이 발생 할 수 있는 특별한 경우만 고려하여, 이 경우 “0000 = ao” 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 과정은 도10-7의 처리과정에 따르면 된다. 10-7, the method of judging by language restriction (R) is a list of combinable consonants and vowels (eg “ch”, “sh”, “zh”, “iao”, “iou”, “ia”, “ie”, “ uai”, “uei”, “ua”, “uo”, “ue”, “ai”, “ao”, “ua”, “uo”, “..ue”, “ou” … ) or a list of uncombinable consonants and vowels (eg “bb”, “aa”, “ee”, “oa”, …) (in case ambiguity may occur in a specific keypad), while the system has the input value In cases where this ambiguity can occur, it is generally possible to make the system recognize combinable cases as target alphabets, except for uncombinable cases. For example, in FIG. 10-2 (limited to Chinese) When “ao = 0000” is input, the system can recognize “ao” as the target alphabet for the input value “0000” while having “ao” in the vowel combinable list. Another method is FIG. 10 -2, I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of FIG. 10-4, when there is no user input error, only the [0] button can be pressed up to 4 times, considering only the special case where ambiguity can occur, in this case “ 0000 = ao” can be recognized. The rest of the process follows the process shown in FIG. 10-7.

도10-7에서 생략된 부분의 절차는 기 표시된 절차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도10-7을 더욱 일반화하여 생략된 부분 없이 표현하면 도10-8과 같다. 도10-8은 도10-7과 같은 의미이다. 도10-8에서 {1} 부분은 버튼입력이 이루어짐을 가상적 으로 의미하며, (1) 부분으로 들어오는 화살표에 표시된 “n <- (n+1)” 은 버튼 누름의 횟수가 하나 더 증가함을 의미한다. It can be seen that the procedures of the parts omitted in FIG. 10-7 are similar to the previously displayed procedures. If Fig. 10-7 is further generalized and expressed without omitted parts, it is as shown in Fig. 10-8. Fig. 10-8 has the same meaning as Fig. 10-7. In Fig. 10-8, {1} virtually means that button input is made, and “n <- (n + 1)” indicated by the arrow entering part (1) means that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increases by one more it means.

중국어 음절을 병음으로 표기함에 있어서, "en", "eng", "an", "ang", "er" 등의 운모가 사용되는 경우, 음절의 끝이 영어자음(영어알파벳 자음)으로 끝나게 된다 (예. ren : 人). 즉 단어 혹은 구절의 중간에서 어느 음절의 끝에 올 수 있 는 영어 알파벳 자음은 "n", "g", "r" 등 인 것이다. 이렇게 병음의 어느 음절의 끝에 올 수 있는 자음들을 편의상 "병음음절끝가능자음(CCESP : Consonants which Can be at the End of a Syllable of Pinyin)"이라 부르기로 한다. In the pinyin representation of Chinese syllables, when mica such as "en", "eng", "an", "ang", and "er" is used, the end of the syllable ends with an English consonant (English alphabet consonant) (Ex. ren: 人). That is, the consonants of the English alphabet that can come to the end of any syllable in the middle of a word or phrase are "n", "g", "r", etc. Consonants that can be at the end of any syllable of Pinyin are referred to as "Consonants which Can be at the End of a Syllable of Pinyin (CCESP)" for convenience.

이러한 병음음절끝가능자음이 사용되는 음절(즉, "en", "eng", "an", "ang", "er" 등의 운모가 사용되는 음절)의 경우, 대표적으로, 다음 음절의 영어 자음이 앞 음절의 영어자음인 경우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Zhongguo (中國) 의 경우, "~gg~" 가 "~k~" 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매우 특별한 경우에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병음음절끝가능자음(예. "n", "g", "r" ...)을 이들이 속한 각각의 그룹에서 해당버튼 2타로 선택되도록 하면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면10-6에서와 같이 "n", "g", "r" 등이 속한 그 룹에 2개의 알파벳만이 배정되어 있을 때). In the case of syllables in which such pinyin ending consonants are used (ie, syllables in which mica such as "en", "eng", "an", "ang", and "er" are used), typically, the English of the next syllable If the consonant is an English consonant of the preceding syllable, ambiguity may occur. For example, in the case of Zhongguo (中國), "~gg~" can be recognized as "~k~". In this very special case, ambiguity can occur, which is caused by selecting possible pinyin syllable consonants (eg "n", "g", "r" ...) with two strok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n each group to which they belong. can be removed (when only two alphabets are assigned to the group to which "n", "g", "r", etc. belong, as in Fig. 10-6).

도면10-6에서 병음음절끝가능자음 중의 하나인 "n"이 해당버튼 ([7] 버튼) 2타로 선택되므로 "rennai (忍耐)"의 경우 "88**7777*#"로 모호성없이 입력될 수 있는 것과 같다. "nn"을 입력하기 위하여 "7777"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는 모호 성없이 "nn"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병음에서 단어 혹은 구절의 중간에 "mmmm", "nmm", "mnm", "mmn" 등의 조합이 불가능하므로). 즉, 도면10-6에서 " g"와 "k"의 선택순서를 "k - g" 로 하면 병음을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는 것이 다. In Figure 10-6, "n", one of the consonants that can end the pinyin syllable, is selected with two stroke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7] button), so in the case of "rennai (忍耐)", "88**7777*#"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same as can To enter "nn", you enter "7777", which can be recognized as "nn" without ambiguity ("mmmm", "nmm", "mnm", "in the middle of a word or phrase in Pinyin) mmn" and so on are not possible). That is, if the selection order of "g" and "k" in Fig. 10-6 is "k - g", Pinyin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이렇게 병음음절끝자음을 해당 그룹에서 2타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모호 성을 제거할 수 있으려면, 해당 그룹에 2개의 알파벳이 그룹핑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도면10-4에서와 같이 3개의 영어알파벳 "m, n, w" 가 그룹핑되어 있고 버튼 의 누름횟수에 따라 "m - n - w" 의 순서로 선택된다고 하면, "n"이 해당버튼 2타 로 선택된다고 할지라도, "renmin (人民)"를 입력시 "rewin" 와 모호성을 일으키 게 될 것이다 (여기서 "rewin"이 실제로 중국어 병음에서 존재하지 않으므로, 시 스템이 입력값을 "renmin (人民)"으로 인식할 수도 있지만, "rewin"이 가능한 병 음 조합이므로). In this way, in order to be able to remove ambiguity by allowing the pinyin syllable ending consonant to be selected as two strokes in the corresponding group, two alphabets must be grouped in the corresponding group. If, as shown in Fig. 10-4, three English alphabets "m, n, w" are grouped and selected in the order of "m - n - w"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n" is the corresponding button 2 Even if it is selected as other, inputting "renmin (人民)" will cause ambiguity with "rewin" (here "rewin" does not actually exist in Chinese Pinyin, so the system converts the input to "renmin (人民)) )", but since "rewin" is a possible Pinyin combination).

따라서 도면10-4에서와 같이 영어자음이 3개씩 그룹핑되는 것이 가능한 경 우, 병음음절끝가능자음 ("n", "g", "r" 등)은 2개의 영어자음들이 그룹핑되는 그 룹으로 그룹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음이 2개씩 그룹핑되는 경 우에도, 병음음절끝자음 중 "n" 과 "r", 그리고 "g" 와 "r" 이 같은 그룹으로 그 룹핑되는 경우 역시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n"과 "r" 2개의 영어자음이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있으면, "~nr~" 입력시 "~rn~"과 모호성을 일으키게 될 것이다. "g" 와 "r" 이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10-4, if it is possible to group English consonants by three, the possible consonants at the end of the pinyin syllable ("n", "g", "r", etc.) are a group in which two English consonants are grouped It can be seen that grouping is necessary. In addition, even when consonants are grouped by two, it can be seen that ambiguity may also occur when "n" and "r", and "g" and "r" of pinyin consonants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 For example, if two English consonants "n" and "r"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rnr~" input will cause ambiguity with "~rn~". The same applies when "g" and "r"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도면10-*에서 "n"과 "g"는 각기 다른 버튼에 배정되어 있으므로 모호성없이 입력될 수 있다. 물론 "n"과 "g"가 같은 그룹에 그룹핑되어 있더라도, "n"과 " g"만이 그룹핑된다면, 모호성없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과 "g"가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5] 버튼에 배정되어 있다면, "모음+ng" 를 입력하기 위하여 [5] 버튼이 3번 눌러지면(즉 "555"가 입력되면), 이를 "모음+gn" 이 아닌"모음 +ng"로 인식할 수 있다. 병음에서 단어의 중간에 "모음+gn"이 나올 수 없는 언어 제한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n", "g"가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있을 경우, 버튼누름횟수에 따른 선택순서를 "g - n" 로 하면, 해당버튼을 2번눌 렀을때, "g"가 표시되고, 한번 더 누르면, "ng"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자 연스럽게 WIS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더 정확히는 What You Press is What You See) 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10-2, 10-4, 10-6에서 모음 "a", "e", "o"가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 버튼(도면10-6의 예)에 배정되어 있는데, 해당 버튼의 누름횟수에 따른 선택순서를 "o - e - a" 로 하면, 역시 [*] 버튼이 3번눌러졌을 때, 시스템은 "a"로 인식하여 표시하여 줄 수 있고, 다시 [*] 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자연스럽게 "ao"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친화감 을 줄 수 있다. In Figure 10-*, "n" and "g" are assigned to different buttons, so they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Of course, even if "n" and "g" are grouped in the same group, if only "n" and "g" are grouped, they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For example, if "n" and "g"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and assigned to the [5] button, when the [5]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to input "vowel + ng" (i.e., "555" is input ), it can be recognized as "vowel + ng" rather than "vowel + gn". This is because in Pinyin, you can use the language restriction that "vowel + gn" cannot occur in the middle of a word. If "n" and "g"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if the selection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is "g - n", when the button is pressed twice, "g" is displayed, and When pressed, "ng" can be displayed, so naturally WIS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more precisely, What You Press is What You See) can be realized. In Figs. 10-2, 10-4, and 10-6, the vowels "a", "e", and "o" are grouped into one group and assigned to the [*] button (example of Fig. 10-6), If the selection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is "o - e - a", when the [*] button is pressed 3 times, the system can recognize and display it as "a", and then [*] When the button is pressed once more, "ao" is naturally displayed, giving a more friendly feeling to the user.

"n"과 "g"만이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어느 버튼(예에서 [5]버튼)에 배 정되어 있을 때, 모음버튼이 눌러지고 나서 "5555"가 입력된다면, "모음+ngg" 로 인식되고, "55555"가 입력된다면, "모음+ngn"으로 인식될 것이다. 중국어 병음에 서 "모음+ng"가 비교적 많이 사용된다면, 이렇게 "n" 과 "g" 를 같은 그룹으로 그 룹핑함으로써, 입력의 편리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심플코드의 활용을 위하 여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자음을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것이 자연스러우므로 좋은 접근방법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When only "n" and "g"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and assigned to a button ([5] button in the example), if "5555" is entered after the vowel button is pressed, it is recognized as "vowel + ngg" and if "55555" is entered, it will be recognized as "vowel + ngn". If "vowel + ng" is used relatively frequently in Chinese Pinyin, input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grouping "n" and "g" into the same group. However, it is not a good approach because it is natural to group consonants with similar pronunciation into the same group for the use of simple codes.

"n" 과 "g" 이외의 영어자음(예. 'm')이 함께 그룹핑될 경우, 병음을 모호 성없이 입력하기 위하여, "m - n - g" 혹은 "m - g - n" 의 순서로 선택되도록 하 면(즉, 'n', 'g' 이외의 자음을 해당버튼 1타로 선택되도록 하면) 역시 모호성없 이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누름횟수에 따라 "m - g - n" 의 순서로 선택 시, 모음버튼이 눌러지고 나서, 해당버튼을 5번 누른 것은 "(모음)+ng"로 인식되 고, 6번 누른 것은 "(모음)+ngm"으로, 7번 누른 것은 "(모음)+ngg"로 인식되고, 8 번 누른 것은 "(모음)+ngn"으로 모호성없이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ng" 입력시 의 반복누름 횟수가 과다하게 많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When English consonants other than "n" and "g" (e.g. 'm') are grouped together, the sequence of "m - n - g" or "m - g - n" is used to input Pinyin without ambiguity. (ie, if consonants other than 'n' and 'g' are selected with one stroke of the corresponding button), they can also be recognized without ambiguity. For example, when selecting in the order of "m - g - 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pressing the button 5 times after the vowel button is pressed is recognized as "(vowel) + ng", and pressing the button 6 times Pressing 7 times is recognized as "(vowel) + ngm", pressing 7 times is recognized as "(vowel) + ngg", and pressing 8 times can be recognized as "(vowel) + ngn" without ambiguity. However, it will not be desirable because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when "ng" is input is excessively increased.

도면10-7, 10-8, 10-9 에서, 단어의 처음이 아닌 단어의 중간에서의 자음처 리과정에서 "nX", "ngX", "rX" (대문자 "X" 는 성모를 영어자음으로 표시한 것을 의미함) 와 같이 자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도, 병음에서 가능한 자음조합으로 입력값을 처리하면 된다. 단어의 처음에는 "nX", "ngX", "rX" 와 같이 영어자음 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결국 병음의 입력에서, 단어 혹은 구 절의 중간에 나올 수 있는 영어자음은 이론적으로 "~ngch~", "~ngsh~", "~ngzh~" 와 같이 최대 4개이며, 도면10-7, 10-8, 10-9 에서 단어의 중간에서의 자음처리과 정에서 이러한 언어제한을 이용하면 된다. In Figures 10-7, 10-8, and 10-9, "nX", "ngX", and "rX" in the process of consonant processing in the middle of a word rather than at the beginning of a word (capital letter "X" represents the English consonant Even when consonants appear consecutively, such as ), the input value can be processed with consonant combinations possible in Pinyin. This is because English consonants, such as "nX", "ngX", and "rX", do not appear consecutively at the beginning of a word. After all, in Pinyin input, English consonants that can appear in the middle of a word or phrase are theoretically up to four, such as "~ngch~", "~ngsh~", and "~ngzh~", and Figures 10-7, 10 In -8, 10-9, these language restrictions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consonants in the middle of words.

음절의 끝에 영어자음이 옮으로써,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도 모호 성없이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각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 그룹에서, 버튼의 누름횟수에 따른 선택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이는 선출원 에서 제시한 내용을 세부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병음음절끝자 음은 음절의 처음 그리고 끝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자음이므로 비교적 자주 사용 되는 자음으로 볼 수 있고, 이렇게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은 자주발생하는 경우가 아니라고 볼 수 있으며,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도 병음/한자 색 인을 참조하여 존재하는 않는 병음(예에서 "rewin")을 제외시킬 수 있으므로, 입 력의 편리도 등을 고려하여, 병음음절끝자음이 속한 각 그룹에서 병음음절끝가능 자음이 선택되는 순서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By moving English consonants to the end of syllables, we proposed a method that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even when ambiguity may occur. In the alphabet group assigned to each button, the selection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so this can be seen a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Pinyin syllable ending consonants are consonants that can be used both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a syllable, so they can be seen as relatively frequently used consonants. Since pinyin that does not exist ("rewin" in the example) can be excluded by referring to the Pinyin/Chinese character index,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input, etc., possible pinyin syllable ending consonants in each group to which the pinyin syllable ending consonant belongs are You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order in which they are selected.

이상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도10-1에서 각 로마알파벳당 평균 1.5타에 입 력할 수 있으며, 실제 중국어에서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빈출 알파벳을 1타로 선 택되도록 하면 더 적은 입력타수로 입력이 가능할 것이다. In Figure 10-1, which contains the above, each Roman alphabet can be entered at an average of 1.5 strokes, and if the frequent alphabet is selected as one stroke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in actual Chinese, it will be possible to input with fewer input strokes. will be.

12.1.4 컨트롤버튼으로 사용되는 기능버튼의 본래 기능 입력 12.1.4 Original function input of function buttons used as control buttons

도10-1에서 로마알파벳 모음에 첨자가 붙는 변형알파벳 입력시, 3*4 키패드 밖의 임의의 “별도의 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 입력모드에서 좌(左)측 이동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한다면, -e = e + [<], /e = e + [<]+[<], ve = e + [<]+[<]+[<],`e = e + [<]+[<]+[<]+[<], ^e = e + [<]+[<]+[<]+[<]+[<] 와 같이 입력할 수 있으며, 좌 이동버튼을 5번 연속하여 누르면 “e”와 결합하는 컨트롤을 더 이상 선택할 수 없으므로, 이동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e”는 입력한 상태). 만 약 삭제 버튼(편의상 “[X]” 로 표시) 변형알파벳 입력을 위한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한다면, -e = e + [X], /e = e + [X]+[X], ve = e + [X]+[X]+[X], `e = e + [X]+[X]+[X]+[X], ^e = e + [X]+[X]+[X]+[X]+[X] 와 같이 입력할 수 있으며, 삭제 버튼을 5번 연속하여 누르면 기 입력한 “e”가 삭제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렇게 다른 기능을 가진 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되, 컨트롤버튼의 누름횟수 에 따라 컨트롤이 선택되고 나서, 더 이상 선택되는 컨트롤이 없는 경우 본래의 기능(예. 이동기능)이 선택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In Fig. 10-1, when inputting a modified alphabet with a subscript attached to a Roman alphabet vowel, any “separate button” outside the 3 * 4 keypad can be used as a control button to input. For example, if you use the left (left) movement button ([<]) as a control button in Chinese input mode, - e = e + [<], / e = e + [<]+[<], v e = e + [<]+[<]+[<], `e = e + [<]+[<]+[<]+[<], ^e = e + [<]+[<]+[ You can input like <]+[<]+[<], and if you press the left movement button 5 times in succession, you can no longer select the control that is combined with “e”, so the movement function can be activated ( “e” is entered). If the delete button (marked as “[X]” for convenience) is used as a control button for entering modified alphabets, - e = e + [X], / e = e + [X]+[X], v e = e + [X]+[X]+[X], `e = e + [X]+[X]+[X]+[X], ^e = e + [X]+[X]+[X ]+[X]+[X] can be entered, and if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5 times in succession, the previously entered “e” can be deleted. A button with such a different function can be used as a control button, but after a contro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control button, if there is no control to be selected anymore, the original function (e.g. movement function) can be selected. have.

위의 예에서 좌 이동기능이 활성화되고 나면, 단어시작 상태가 되므로 좌 측 이동버튼 [<] 을 한번만 누르더라도 좌측이동기능이 입력되게 된다. 즉 “e” 를 입력후 컨트롤버튼인 [<] 버튼을 5번 누르면, “e”만이 입력된 상태에서 커서 가 좌측으로 한칸 이동하게 되며, 또 한번 누르면, 다시 옆으로 한칸 이동하게 된 다. 이는 모든 언어에서 적용가능한 것이다. In the example above, after the left movement function is activated, it is in the word start state, so even if the left movement button [<] is pressed once, the left movement function is input. That is, if you press the control button [<] button 5 times after entering “e”, the cursor moves one space to the left while only “e” is entered, and if you press it again, it moves one space to the side. This is applicable in all languages.

12.1.5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중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 (3*4 키패드내에 서의 변형알파벳의 입력)12.1.5 Chinese Restriction Repeat Selection Method on Consonant Separation Keypad (Input of Transformed Alphabet in 3*4 Keypad)

여기서는, 3*4 키패드 내에서 로마알파벳 모음위에 첨자가 붙는 변형알파벳 (성조부호가 붙는 경우 포함)까지 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보인다. Here, it is shown that even modified alphabets with subscripts on top of Roman alphabet vowels (including tonal codes attached) can be entered within the 3 * 4 keypad.

결합운모 일람표를 보면, "i" 다음에 올 수 없는 모음은 "i" 와 "u" 인 것 을 알 수 있다(바꾸어 말하면 'a' 또는 'e' 또는 'o' 가 올 수 있다). 또 "u" 다 음에 올 수 없는 모음은 "u"와 "i" 인 것을 알 수 있다(바꾸어 말하면 역시 'a' 또는 'e' 또는 'o' 가 올 수 있다). 따라서 도10-2에서와 같은 모음 배치가 가능 하다. 도10-2에서 좌측의 모음 "i, a, e" 에 성조기호를 붙일 때는 우측의 "u" 가 배정된 [#] 버튼을 컨트롤버튼 처럼 사용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모음 "o, u"에 성조부호를 붙일 때는 좌측의 [*] 버튼을 성조기호 컨트롤버튼처럼 사용 하면 된다. 예를 들어 /o(제2성) = o + [*]+[*] = [0]+[0]+[0] + [*]+[*] 으로, /a (제2성) = a + [#]+[#] = [0] + [#]+[#] 으로, ^e = e + [#]+[#]+[#]+[#]+[#] = [0]+[0] + [#]+[#]+[#]+[#]+[#] 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복운모 ao = a + o = [0] + [0]+[0]+[0] 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모음 a 다음에 모음 a, e 등이 올 수 없고, oa 와 같은 경우도 없으므로, 모호성 없이 시스템에서 식별할 수 있다. 모 음 ..u 는 모음 u 와 모양에 있어서 유사성이 있으므로, u 가 배정된 버튼을 2타 (은닉형 반복선택방법)로 입력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combined mica list, it can be seen that the vowels that cannot come after "i" are "i" and "u" (in other words, 'a' or 'e' or 'o' can come).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vowels that cannot come after "u" are "u" and "i" (in other words, 'a' or 'e' or 'o' can also come). Therefore, the arrangement of vowels as shown in FIG. 10-2 is possible. In Fig. 10-2, when attaching tonal symbols to the vowels "i, a, e" on the left, the [#] button to which "u" is assigned on the right can be used as a control button. Likewise, when attaching tonal marks to the vowels "o, u" on the right, use the [*] button on the left like a tonal symbol control button. For example, /o (second voice) = o + [*]+[*] = [0]+[0]+[0] + [*]+[*], so /a (second voice) = a + [#]+[#] = [0] + [#]+[#] so that ^e = e + [#]+[#]+[#]+[#]+[#] = [0 ]+[0] + [#]+[#]+[#]+[#]+[#]. It can be entered as complex mica ao = a + o = [0] + [0]+[0]+[0], and vowels a, e, etc. cannot come after vowel a, and there is no case like oa, It can be identified by the system without ambiguity. Since the vowel .. u is similar in shape to the vowel u, the button assigned to u can be entered with two strokes (repetitive hidden selection method).

이는 중국어에서 모음 "a, e, o" 중 a 와 e 다음에 모음 u 가 나오지 않는 성질, 모음 o 다음에 모음 i 가 나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 한 제약조건, 즉 a 와 i, 그리고 e 와 i 그리고 o 와 u 는 같은 그룹으로 두지 않 고, 3개의 버튼에 모음을 2개씩 배정하면서, 중국어의 로마알파벳 모음 결합 규칙 을 이용하여 도10-2에서 처럼 모음이 배정된 버튼을 컨트롤버튼처럼 사용하는 것 은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도10-2에서 i 와 u 를 [*] 버튼 또는 [#] 버튼에 둔 것은, 이들 버튼을 컨트롤버튼처럼 사용하는데 인식을 용이하게하기 위한 점 그리고 배치의 균형성 등을 고려한 것이다. 도10-2에서의 모음의 평균 입력타수 역시 도10-1에서와 마찬가지로 약 1.5 타이다. In Chinese, among the vowels "a, e, o", the vowel u does not appear after a and e, and the vowel i does not appear after vowel o. The constraints described above, that is, do not put a and i, e and i, and o and u in the same group, assign two vowels to three buttons, and use the Chinese Roman alphabet vowel combination rule. Fig. 10 As in -2,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ossible to use a button to which a vowel is assigned as a control button. In FIG. 10-2, i and u are placed on the [*] button or [#] butt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se buttons are used like control buttons to facilitate recognition and balance of arrangement. The average number of input strokes of the vowels in FIG. 10-2 is also about 1.5 strokes as in FIG. 10-1.

도10-2의 변형사례로 [0] 버튼에 배정된 3개의 알파벳 중 일부를 4*3 키패 드 밖의 "별도의 버튼"으로 분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하/좌 버튼 중의 임 의의 버튼으로 3개 알파벳 중 일부의 알파벳을 분리하여 배정할 수 있는 것이다. As a modified example of FIG. 10-2, some of the three alphabets assigned to the [0] button may be separated as “separate buttons” outside the 4*3 keypad. For example, some of the three alphabets can be separated and assigned to any of the up/down/left buttons.

도10-1 ~ 도10-4에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면서도 모호성없이 한어병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은 자음버튼([1] ~ [9] 버튼)과 모음버튼 [*], [0], [#] 버튼) 을 분리하였고, 중국어를 한어병음으로 표기할 때의 로마알파벳의 자음과 모음의 출현규칙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In FIGS. 10-1 to 10-4, the consonant buttons ([1] to [9] buttons) and the vowel buttons [*], [0], [ #] button) was separated, and the Roman alphabet's consonant and vowel appearance rules were used when Chinese was written in Chinese Pinyin.

12.2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영어제한 반복선택방법 12.2 English Restriction Repeat Selection Method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영어 등의 경우에 있어서도 중국어의 경우와 유사하게 도10-1 ~ 도10-4와 유사한 자모음분리키패드(CVSK)에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적은 모호성으로 입 력할 수 있다. 이는 로마알파벳을 사용하는 모든 언어에서, 단어의 구조가 자음 과 모음이 번갈아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Even in the case of English, similar to the case of Chinese, it is possible to input with less ambiguity by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n the consonant-consonant separation keypad (CVSK) similar to FIGS. 10-1 to 10-4. This is because in all languages using the Roman alphabet, the structure of words consists of alternating consonants and vowels.

영어의 경우 "단어시작"에서 부터 자음군이 최대한 반복되는 경우는 "strengths" 에서 와 같이 "CCCVCCCC" 의 경우라고 한다(C는 자음, V는 모음). 단어시작시 최대 3개의 자음이 올 수 있으나, 이는 "st~" 혹은 "sp~"로 시작하는 경우뿐 이라고 한다(예를 들어, spree, spleen, strength 등). In the case of English, the case where the consonant group is repeated as much as possible from "word beginning" is called "CCCVCCCC" as in "strengths" (C is a consonant and V is a vowel). Up to three consonants can be present at the beginning of a word, but this is only the case when it starts with "st ~" or "sp ~" (eg, spree, spleen, strength, etc.).

도10-1와 유사하게 자음이 약 2 ~ 3개 씩 배정된 키패드에서(편의상 도10-1 에서 "..u" 만이 배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가정함) 사용자가 영어단어 "student"를 입력하기 위하여 "622~"를 입력시, 시스템은 "단어시작"후 입력된 "622"가 "sdd"를 입력한 것이 아니고 "st"를 입력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 다(영어의 특정 단어에서 3개의 자음이 연속하여 나올 수 있는 경우는 "st~" 혹은 "sp~"로 시작하는 경우라고 하였고 시스템이 이러한 영어단어생성규칙 혹은 알파 벳결합규칙을 기억하고 있으면 되므로). "stu~"에서 "u" 입력시는 모음이 배정된 버튼이 눌러지므로 자음군(예에서 "st")이 끝나고 모음(예에서 "u")이 오는 것을 알 수 있다. "stu"입력 후 "d"를 입력하기 위하여 "2"가 입력되면 다시 자음이 시작되는 것을 시스템이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student"의 "~ent"를 입력하기 위하여 "~**7722" 를 사용자가 입력시, "**" 이 입력되었을 때, 선출원에서 설명 한 바와 같이 영어의 경우 "a"가 연속하여 등장하지 않으므로 "aa"가 아닌 "e"가 입력된 것을 시스템이 쉽게 알 수 있고, "7722"에 대하여도 "mmt", "ndd", "nt", "mmdd" 등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타지연시간" 그리고 "이타지연시간"을 각기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반복선택방법에서 발생하는 모호성을 대폭 줄일 수 있다.Similar to Fig. 10-1, the user inputs the English word "student" on a keypad in which about 2 to 3 consonants are assigned (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only "..u" is not assigned in Fig. 10-1) When entering "622~" for this purpose, the system can process "622" entered after "word start" as entering "st" rather than "sdd" (3 in a specific word in English). If consonants can come out consecutively, it is said that it starts with "st ~" or "sp ~", and the system only needs to remember these English word generation rules or alphabet combination rules). When entering “u” in “stu~”, the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is pressed, so it can be seen that the consonant group (“st” in the example) ends and the vowel (“u” in the example) comes. If "2" is input to input "d" after inputting "stu", the system knows that the consonant starts again. Likewise, when the user inputs "~**7722" to input "~ent" of "student", when "**" is entered,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 appears consecutively in English. Since it is not "aa", the system can easily know that "e" was entered, and "7722" can also be interpreted as "mmt", "ndd", "nt", "mmdd", etc. As mentioned above, the ambiguity generated i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can be greatly reduced by setting the "hit delay time" and the "hit delay time" differently.

자음과 모음이 혼재되어 각 버튼에 배정되어 있는 현재의 표준 영어키패드 (도1-1)에서도 이렇게 특정언어의 단어생성규칙(알파벳결합규칙)을 반영하여 반복 선택방법 적용시에 발생할 수 있는 모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자음과 모음이 하나의 버튼에 혼재하여 배정된 경우는 언어제한 입력방법(특히 반 복선택방법을 풀입력방법으로 하는)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도1-1에서 "student"를 반복선택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입력시, "stu~" 는 "777888~" 이 되는데, "777"에 대하여 시스템에 "s" 로 인식하였다고 가정하더라 도, 다음에 나오는 "888"이 "ut(즉 sut)"인지, "tu(즉 stu)"인지, "v(즉 sv)"인지 알 수 없게 된다(물론 영어제한 입력방법을 적용시 "s" 다음에 "ttt" 가 나올 수 없으므로, 시스템은 입력값 "888"에 대하여 "ttt"가 아닌 것으로 간주할 수는 있 음). 마찬가지로 "~de~"를 입력하기 위하여 "333"을 사용자가 입력시에도 "de"인 지 "ed"인지 알 수 없는데, "~de~"에 앞서 입력한 "888777"이 "sut", "stu", "s v"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3가지 경우 각각에 대하여 "~de~"와 "~ed~"의 모든 경 우가 올 수 있다. Even in the current standard English keypad (Fig. 1-1),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mixed and assigned to each button, the word generation rule (alphabetic combination rule) of a specific language is reflected in this way to eliminate ambiguity that may occur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can reduce However, when consonants and vowels are mixed and assigned to one button,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the language-restricted input method (especially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s the full input method). For example, in FIG. 1-1, when the user inputs "student" us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stu ~" becomes "777888 ~", and it is assumed that "777" is recognized as "s" by the system Also, it is unknown whether the next "888" is "ut (i.e. sut)", "tu (i.e. stu)", or "v (i.e. sv)" (of course, when the English restriction input method is applied, "s Since "ttt" cannot occur after ", the system may consider the input value "888" not "ttt"). Similarly, even when the user inputs "333" to input "~de~", it is unknown whether it is "de" or "ed", but "888777" entered before "~de~" is "sut", " Since it can be interpreted as "stu" or "s v", all cases of "~de~" and "~ed~" can come for each of the three cases.

이렇게 언어제한 입력방법을 적용하더라도, 풀 입력방법으로 반복선택방법 을 적용시 많은 모호성이 발생하는 이유는, 언어제한 입력방법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의 출현규칙(즉, 단어생성규칙, 알파벳결합규칙)을 이용하는데, 입력값이 자 음을 입력하기 위한 것인지, 혹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것인지가 명확히 구분되 지 않기 때문이다. 도10-1 도10-4에서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각기 분리되어 배정 된 경우는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모음이 배정된 버튼이 눌러지면,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자음이 배정된 버튼이 눌러지면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 템이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대폭 모호성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Even if the language-restricted input method is applied, the reason why a lot of ambiguity occurs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as a full input method is that the consonant and vowel appearance rules (ie word generation rules, alphabet combination rules) in the language-restricted input method is used, because it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whether the input value is for entering consonants or vowels. As shown in Fig. 10-1 and Fig. 10-4, if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separately assigned, when the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is pressed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he button to which the consonant is assigned is pressed to input the vowel. Since the system can recognize it for inputting ground consonant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ambiguity.

로마알파벳을 사용하는 영어(English)의 경우 모음이 연속하여 2개 이상 나 오는 경우는 많이 있다(예. captain 에서 ‘ai’). 또한 실제 단어에서 같은 모 음(기본모음 a, e, i, o, u)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food, teen 과 같이 oo, ee 의 경우는 비교적 빈번하고, vacuum 와 같이 uu 의 경우는 드물게 있다. 출원 인은 아직까지 영어사전에 존재하는 단어 중에서 ... aa ... 그리고 ... ii ... 가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를 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영어의 5개 기본모음을 [*], [0], [#] 버튼에 배정함에 있어서, ‘a’를 1타로 선택되도록 하고 e, o, u 중 나 머지를 2타로 선택되도록 하면 실제로 많은 경우에 모호성이 제거된다. 예를 들 어 [*] 버튼에 모음 ‘a, o’ 를 두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면, [*] 버튼이 2타 입력되었을 때, 두개의 모음 aa 가 입력된 것이 아니고 모음 o 가 입력된 것으로 시스템이 간주할 수 있게된다. 마찬가지로 [0] 버튼에 ‘i, u’ 를 배정하고 반 복선택방법을 적용하면, [0] 버튼이 2타 입력되었을 때, 역시 2개의 모음 ii 가 입력된 것이 아니고, 모음 u 가 입력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다. 단어에 서 aa, ii 와 같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없는 것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고 하 더라도, 선출원에서 언급한 “연타지연시간” 및 “이타지연시간”을 다르게 설정 하는 것으로 모호성을 거의 없앨 수 있다. 나머지 모음 ‘e’는 나머지 [#] 버튼 에 배정하고 1타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English using the Roman alphabet,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wo or more vowels appear in succession (eg, ‘ai’ in captain). 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same vowels (basic vowels a, e, i, o, u) appear consecutively in real words is relatively frequent in the case of oo and ee, such as food and teen, and rare in the case of uu, such as vacuum. . The applicant has not yet seen a case in which ... aa ... and ... ii ... appear consecutively among words that exist in the English dictionary. Therefore, in assigning the five basic vowels of English to the [*], [0], and [#] buttons, if 'a' is selected as one stroke and the rest of e, o, and u are selected as two strokes, there are actually many In this case, ambiguity is removed. For example, if the [*] button has the vowels 'a, o'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when two [*] buttons are input, it is assumed that the two vowels aa were not entered, but the vowel o was entered. system can be considered. Likewise, if 'i, u' is assigned to the [0] button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when two [0] buttons are input, it is also not two vowels ii, but a vowel u. system can recognize it. Even if it is not absolute that words do not appear consecutively, such as aa and ii, ambiguity can be almost eliminated by setting differently the “hit delay time” and “other delay time”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remaining vowel ‘e’ can be assigned to the remaining [#] button and entered with one stroke.

만약 [*], [0], [#] 버튼 중 하나의 버튼을 특수한 용도의 버튼으로 사용하 고 싶으면, 모음 ‘e’ 를 모음이 배정된 임의의 버튼에 두면 된다. 예를 들어 ‘i, e, u’ 를 [0] 버튼에 둘 수 있다. 모음 u 는 [0] 버튼 3타로 입력하게되는 데, 이유는 모음 u 가 영어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모음이기 때문이다. 결국 ‘i, e, u’ 가 [0] 버튼에 배정된 상태에서 영어에서 i 가 연속하여(즉 ...ii...) 나오는 경우가 없으면, i 와 e 는 모호성 없이 입력될 수 있고(각각 1 타, 2타), u 를 [0] 버튼 3타로 입력시, u 인지, ie 인지, ei 인지 알 수 없는 모 호성이 발생하게 된다. u 의 사용빈도가 낮은 것은 이러한 경우가 적게 일어나게 됨을 의미한다. If you want to use one of the buttons [*], [0], and [#] as a button for a special purpose, you can place the vowel ‘e’ on any button to which the vowel is assigned. For example, ‘i, e, u’ can be placed on the [0] button. The vowel u is entered with three strokes of the [0] button, because the vowel u is the least frequently used vowel in English. After all, if 'i, e, u' is assigned to the [0] button and there is no case where i appears consecutively in English (i.e. ...ii...), i and e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 1 stroke and 2 strokes, respectively), when u is inputted with the [0] button 3 strokes, ambiguity arises in which it is unknown whether it is u, ie, or ei. The low frequency of use of u means that this case will occur less frequently.

결국 자모음분리캐패드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다수의 모음을 하나의 버튼에 배정함에 있어서, 사전에 존재하는 영어의 단어중에 서 동일한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모음을 1타로 선택하도록 하여 복수개의 모음이 배정된 버튼에서 반복선택방법으로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서, 거의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게 된다. In the end, ambiguity can be greatly reduced by using the consonant and vowel separator pad, and furthermore, in assigning multiple vowels to one button, among English words in the dictionary, vowels in which the same vowel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are counted as one stroke. In inputting a vowel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on a button to which a plurality of vowels are assigned by selecting, it is possible to input with almost no ambiguity.

이렇게 연속하여 등장하지 않는 모음을 1타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 그리고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모음을 3타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은 버튼당 약 2~3개의 자 음이 배정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Selecting vowels that do not appear consecutively as one stroke and selecting the least frequently used vowel as three strokes can be equally applied even when about 2 to 3 consonants are assigned to each button.

위에서는 로마알파벳을 사용하는 영어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로마알파벳을 사용하는 타 언어의 경우에도 이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case of English using the Roman alphabe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using the Roman alphabet.

12.3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인도네시아어제한 반복선택방법 12.3 Repetitive Selection Method for Indonesian Restrictions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인도네시아어도 로마알파벳(영어알파벳)을 이용하여 단어를 표기한다. 인 도네시아어의 음절은 다음의 경우와 같이 구성된다고 한다. (C 는 자음, V 는 모 음)Indonesian also uses the Roman alphabet (English alphabet) to mark words. A syllable in Indonesian is said to consist of the following case. (C is a consonant, V is a vowel)

V : be-a 관세 V: be-a tariff

VC : am-bil 잡다 VC: catch am-bil

CV : go-sok 문지르다 CV: go-sok rub

CVC : pon-dol 오두막 CVC: pon-dol cabin

CCV : tra-di-si 전통 CCV: tra-di-si tradition

CCVC : con-trak 계약 CCVC : con-trak contract

CVCC : teks-tur 직물 CVCC : teks-tur fabric

CCCV : kon-struk-si 건설 CCCV: construction of kon-struk-si

CCCVC : strip-tis 나체춤 CCCVC : strip-tis nude dance

자음이 3개 이상 나오는 경우는 쉽게 알 수 있듯이 영어 등에서 온 외래어 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인도네시아어의 경우도 “st~” 혹은 “sp~” 로 시작하지 않으면, 단어의 첫머리에 자음이 3개 이상 반복하여 나오지 않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어생성규칙(알파벳 결합규칙)을 이용하여 인도 네시아어제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As you can easily see, if there are three or more consonants, it is a foreign word from English.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ven in the case of Indonesian, if you do not start with “st~” or “sp~”, you can guess that three or more consonants do not appear repeatedly at the beginning of a wor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Indonesian language-restricted repetition selection method using these word generation rules (alphabetic combination rules).

q, x 는 물리학, 수학 등의 자연과학 기호에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즉 문 자입력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q, x 는 특정 그룹에 명시적으로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입력에 있어서도 3타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어의 경우와 마찬자지로 2개 이상의 로마알파벳을 조합하여 하나 의 인도네시아어 음을 표기하는 경우가 있으며, ny, sy, kh, ng 등 4가지 이다. It is said that q and x are used in natural science symbols such as physics and mathematics.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hardly used for text input. Therefore, q and x may not be explicitly placed in a specific group, and even in the input, they can be input in 3 strokes.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Chinese, there are cases in which two or more Roman alphabets are combined to represent one Indonesian sound, and there are four such as ny, sy, kh, and ng.

이외에 분철되지 않는 자음군으로는 bl, br, dr, dw, dy, fl, fr, gl, kr, ks, kw, pl, ps, rps, rs, sk, skr, sl, sp, spr, sr, str, sw 등이 있다고 한다. 특히 “skr~”, “spr~”, “str~” 등은 단어의 첫머리에 나올 수 있으므로 후술 하는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이 풀코드인지 심플코드인지를 판별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출원인으로써, “rps”가 단어의 첫머리에 나오는 경 우가 있는지 모르나, 있다면 이 역시 마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Other consonant groups that are not divided include bl, br, dr, dw, dy, fl, fr, gl, kr, ks, kw, pl, ps, rps, rs, sk, skr, sl, sp, spr, sr, str , sw, etc. are said to exist. In particular, since “skr~”, “spr~”, and “str~” can appear at the beginning of a word, they can be used as a means of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value is full code or simple code in the language-restricted parallel input method described later. (As an applicant, I do not know if there are cases where “rps” appears at the beginning of a word, but if so, it can be used as well.)

영어 알파벳 자음21개중 q, x 를 제외한 19개의 자음을 9개의 그룹으로 그 룹핑하는 어떤 방법이든 가능하나, 인도네시아어의 특성을 반영하여 그룹핑하면 된다. 예를 들어, Any method of grouping 19 consonants excluding q and x among the 21 consonants of the English alphabet into 9 groups is possible, but grouping is sufficien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Indonesian. for example,

BP / DT / GK / CJ / MN / LR / SZ / FV / HWY BP/DT/GK/CJ/MN/LR/SZ/FV/HWY

와 같이 그룹핑할 수 있다. can be grouped as

q와 x 는 적절한 그룹에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 를 “GK” 그룹에 두고, x 를 “SZ” 그룹에 그룹핑할 수 있다. q and x can be grouped into appropriate groups. For example, you can put q in the “GK” group and group x in the “SZ” group.

인도네시아어 모음을 표기하는데에는 a, i, u, e, o 5개의 모음이 사용된다. 또 ai, au, oi 3개의 이중모음이 있으며, oi 는 매우 드물게 쓰인다고 한다. 따라서 5개의 모음을 2개 혹은 3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데 있어서도 가 능한한 a 와 i 가, 그리고 a 와 u 가 같은 그룹에 그룹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ae / uo / i 와 같이 그룹핑하는 것이다. 또한 영 어의 경우와 같이 같은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연속하여 나오더라도 출현빈 도가 적은) 모음을 각 그룹에서 그 모음이 속한 버튼 1타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ive vowels a, i, u, e, and o are used to mark Indonesian vowels. There are also three diphthongs ai, au, and oi, and oi is said to be used very rarely. Therefore, even when grouping 5 vowels into 2 or 3 groups, it would be desirable to avoid grouping a and i and a and u into the same group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grouping like ae / uo / i.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English, it would be desirable to select a vowel in which the same vowel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even if it appears consecutivel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low) as one stroke of the button to which the vowel belongs in each group.

12.4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일본어제한 반복선택방법 12.4 Japanese Restriction Repeat Selection Method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일본어의 입력에 있어서 로마알파벳을 이용하여 일본어 발음을 입력하고 이 를 다시 일본어로 변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도10-1 ~ 10-4 와 유사한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로마알파벳을 이용하여 일본어음을 입력하고 이 를 일본어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あ, い, う, え, お 는 각각 a, i, u, e, o 로 표기할 수 있다. な, に, ぬ, ね, の 는 각각 na, ni, nu, ne, no 로 표 기할 수 있으며, 나머지 알파벳도 로마알파벳 자음과 모음을 조합한 형태로 표기 할 수 있다. In Japanese input, the method of inputting Japanese pronunciation using the Roman alphabet and converting it back to Japanese has been widely used.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input Japanese sounds using the Roman alphabet on the consonant and vowel separation keypad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S. 10-1 to 10-4 and convert them into Japanese.あ, い, う, え, お can be written as a, i, u, e, o respectively.な, に, ぬ, ね, and の can be written as na, ni, nu, ne, and no, respectively, and the rest of the alphabet can be written in a combination of Roman alphabet consonants and vowels.

일본어에서 로마알파벳 자음이 연속하여 2번 나오는 것은 촉음 혹은 요음 (작은 글씨로 표기됨)이 사용되는 경우이다. 또한 로마알파벳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단어중에 あ, い, う, え, お 의 조합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흔하지 않다는 가정하에 살펴보면, 많아야 2번 정도이며, 3번 이상 연속하여 나는 경우가 매우 드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로마알파벳의 5개의 모음(a, i, u, e, o)을 도10-1 ~ 10-4와 유사하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3개의 버튼에 배정하고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모음을 입력하더라도 모호성이 별로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어의 경우 “a“ 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일본어가 “あ”인 것을, “na”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되는 일본어가 “な”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나머지 일본어 알파벳에 대해서도 동일함). 따라서 사용자가 “na”를 입력하고, 입력값이 “na” 인 것을 시스템에서 확인하는 순간, 시스템이 사용자 에게 “な” 를 제공할 수 있다. In Japanese, when a consonant in the Roman alphabet appears twice in a row, it is when a tactile sound or a yoeum (indicated in small letters) is used. In addition, if you look at the case where the Roman alphabet vowels appear consecutively, assuming that it is not common for the combination of あ, い, う, え, お to appear consecutively in a word, it is at most about 2 times, and it is very rare to occur more than 3 times in success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rare Therefore, even if the five vowels (a, i, u, e, o) of the Roman alphabet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imilar to Fig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t much ambigu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apanese, it is easy to see that when “a” is entered, the corresponding Japanese is “あ”, and when “na” is entered, the corresponding Japanese is “な” (the same applies to the rest of the Japanese alphabet). Therefore, the moment the user inputs “na” and the system confirms that the input value is “na”, the system can provide “な” to the user.

50음도표의 일본어 표기에 사용되는 로마알파벳 자음은, k, s, t, n, h, m, y, r, w, g, z, d, b, p 의 14개 이다. 요음의 표기에는 로마알파벳 자음2개를 조합하여 표현하거나(예. cha, sha), “y”를 조합하여 표현(예. kya)하거나, “j ” 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로마알파벳 자음이 연속하여 2번이상 나오는 경우는 ch, sh, ky, ny, hy, my, ry, gy, py, py 등의 경우와, 촉음이 사용되는 경우이다. 촉음이 사용되면, k, s, t, p 중에서 같은 알파벳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있게 된다고 한다(예. ippai). 따라서 16개(14개 + c, j)의 로마알파벳 자음이 일본어 입력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고, 이렇게 일본어 입력에 필수적인 자 음을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자모음분리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 5개의 로 마알파벳 자음(f, l, q, v, x) 역시 영어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 필요할 것이나, 16개 알파벳을 중심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There are 14 Roman alphabet consonants used in the Japanese transcription of the 50-tone table: k, s, t, n, h, m, y, r, w, g, z, d, b, p. In the notation of yoeum, it is expressed by combining two consonants of the Roman alphabet (eg cha, sha), by combining “y” (eg kya), or by using “j”. Roman alphabet consonants occur two or more times in succession in cases such as ch, sh, ky, ny, hy, my, ry, gy, py, py, and when tactile sounds are used. When tactile sounds are used, there are cases where the same alphabet appears consecutively among k, s, t, and p (eg ippai).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16 (14 + c, j) Roman alphabet consonants are essential for Japanese input, and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can be configured to facilitate input of consonants essential for Japanese input. The remaining five Roman alphabet consonants (f, l, q, v, x) will also be needed to input English, etc., but they can be grouped around 16 alphabets. For example:

BP / DT / GK / CJ / H / MN / R / SZ / YW / => 9개 그룹으로 그룹핑 BP / DT / GK / CJ / H / MN / R / SZ / YW / => Grouping into 9 groups

BP / DT / GK / CJ / H / MN / Y / SZ / RW / => 9개 그룹으로 그룹핑BP / DT / GK / CJ / H / MN / Y / SZ / RW / => Grouping into 9 groups

BP / DT / GK / CJ / HR / MN / SZ / YW / => 8개 그룹으로 그룹핑 BP / DT / GK / CJ / HR / MN / SZ / YW / => Grouping into 8 groups

영어의 입력에 필요한 5개의 로마알파벳 자음은 중국어의 경우에서와 같이 각 그룹에 적절히 추가할 수 있다. 8개의 그룹으로 그룹핑 한 사례에서는 3*4 키 패드에서 나머지 4개 버튼을 모음버튼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모음버튼을 3개만 사용한다면, 나머지 한 개의 버튼을 영어입력에 필요한 자음을 위한 용도로 활용 할 수도 있다. Five Roman alphabet consonants required for English input can be appropriately added to each group as in the case of Chinese. In the case of grouping into eight groups, the remaining four buttons on the 3*4 keypad can be used as vowel buttons, or if only three vowel buttons are used, the remaining one button can be used for consonants required for English input. may be

12.5 의도적 언어제한해제 12.5 Intentional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언어제한 반복선택방법은 사전(dictionary)에 존재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단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풀입력방법"의 장점을 희생하는 것이므로 사 용자로 하여금 이러한 언어제한의 제약을 둘 것인지 두지 않을 것인지를 미리 설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언어제한 입력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제한 입력모드"에서도, 사용자가 사전에 존재하지 않고 단어생성규칙 (알파벳결합규칙)에 어긋나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는 알파벳 입력후 특정기 능(예를 들어, 공백과 좌측진행 혹은 단어종료 등)을 입력하여 타겟알파벳을 의도 적으로 확정시킨 후, 다음 알파벳을 입력함으로써 모든 알파벳 조합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0-1에서 "영어제한 입력모드"에서 사용자가 "622~" 를 입력 하면, 시스템은 "sdd~"가 아닌 "st~"로 인식한다고 하였는데, 만약 사용자가 "sdd~"를 입력하고 싶으면 "62"를 입력 후 공백과 좌이동 기능을 입력하고 "2"를 입력하거나 혹은 "62"를 입력 후 "단어종료기능(혹은 단어종료의 효과를 줄 수 있 는 컨트롤)"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른 어떤 수단을 입력하고 "2"를 입력하면 된 다. "62" 입력후 단어종료기능이 활성화되면 시스템은 다음에 입력되는 "2"는 " 단어시작" 후 처음으로 나오므로 이를 "d"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의 도적으로 단어종료기능을 입력하여 특정 언어제한 입력모드에서 언어제한을 극복 하는 것을 편의상 "의도적 언어제한해제"라고 부르기로 한다. "sdd~" 의 예는 " 의도적 영어제한해제"인 셈이다. The language restriction iterative selection method sacrifices the advantage of the "full input method" that allows all words to be enter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exist in the dictionary, so the user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impose these language restriction restrictions.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t whether it will be in advance. However, even in the "Language Restricted Input Mode" that enables the language-restricted input method, if the user wants to input a word that does not exist in the dictionary and violates the word generation rule (alphabetic combination rule), a specific function (e.g. For example, after inputting a space, left movement, word ending, etc.) to intentionally determine the target alphabet, all alphabet combinations can be input by inputting the next alphabet. For example, in FIG. 10-1, if the user inputs "622~" in the "English restricted input mode", the system recognizes it as "st~" rather than "sdd~", but if the user enters "sdd~" If you want to enter "62", enter a space and left movement function, then enter "2" or enter "62" and then select "word end function (or control that can give effect of word end)" Just enter "2" followed by some other means to activate it. If the word end function is activated after entering "62", the system can recognize it as "d" because the next input "2" appears first after "word start". Overcoming the language restriction in a specific language restriction input mode by intentionally inputting the word termination function in this way will be referred to as "intentional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for convenience. An example of "sdd~" is "intentional release of English restriction".

마찬가지로 도10-2에서 "중국어제한 입력모드(중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 적 용)"에서 사용자가 한어병음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나, 영어에는 존재하는 모음 조 합인 "ui"를 입력하고 싶으면, "u" 를 입력후 단어를 종료시킬 수 있는 수단(앞의 예에서 언급)을 다시 입력하고 나서, "i"를 입력하면 된다. 그렇지 않고 도10- 2를 기준으로 "중국어제한 입력모드(중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 적용)"에서 "u" 입 력후 "i" 가 배정된 버튼을 누르면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u" 의 변형알파 벳(예. "u"에 성조부호가 붙는 알파벳 혹은 "u" 위에 ".."이 붙는 알파벳 - "..u" 를 "u"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입력하도록 할 경우)이 입력되게 될 것이다(중 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i" 가 배정된 버튼을 모음 "u", "o" 다음에 입력 할 경우 컨트롤버튼처럼 사용한다고 하였으므로). 결국 사용자는 중국어제한 입 력모드에서도 한어병음에 존재하지 않는 조합의 단어(예를 들어 영어단어 등 모든 알파벳 조합)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중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사 용자가 중국어제한 입력모드(중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적용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 서, 그 설정을 다시 바꾸지 않고도 중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모든 알파벳 조합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의도적 중국어제한해제"인 셈이다. Similarly, in FIG. 10-2, in "Chinese restricted input mode (Chinese restricted repeated selection method applied)", if the user wants to input "ui", a vowel combination that does not exist in Chinese Pinyin but exists in English, "u" After entering the means to terminate the word (mentioned in the previous example), enter "i" again. Otherwise, if you press the button to which "i" is assigned after entering "u" in "Chinese restricted input mode (Chinese restricted repeated selection method applied)" based on Fig. 10-2,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modified alpha of "u" Bet (e.g., an alphabet with a tonal sign attached to "u" or an alphabet with ".." attached to "u" - when inputting "..u" as a modified alphabet of "u") will be entered (Since it was said that when applying the Chinese restriction repeated selection method, the button assigned to "i" is used like a control button if inputted after the vowels "u" and "o"). As a result, the user can input a combination of words that do not exist in Chinese Pinyin (for example, all alphabetic combinations such as English words) even in the Chinese restricted input mode. In other words, a user who mainly uses Chinese can input all alphabet combinations that do not exist in Chinese without changing the setting again while setting the Chinese restriction input mode (Chinese restriction repeated selection method application mode). . This is equivalent to "intentional lifting of the Chinese language restriction".

도4-5의 한국어의 3개 모음요소를 이용한 방법에서 낱글자로써 자음 혹은 모음을 입력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5에서 낱글자로써의 자음 "ㄱ"과 모음 "ㅡ"를 입력하고자 하면, "단어시작" 상태에서 [1]을 입력하고 나서 단어종료기능을 줄 수 있는 수단을 입력하고, 다시 단어시작 상태에서 [*]을 입력하면 된다. [1] 버튼과 [*] 버튼을 연속하여 입력하면 "그"가 되기 때문이다. 표준 키보드(영어 및 한국어의 표준키보드)에서는 우측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단어종료" 공백이 입력되지 않고 단어종료기능일 활성화되도록 되어 있으 며, 본 발명에도 우측 화살표 버튼이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이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In the method using the three Korean vowel elements of FIGS. 4-5,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input of consonants or vowels as single characters. For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the consonant "a" and the vowel "ㅡ" as single letters in Figures 4-5, enter [1] in the "word start" state, then enter a means to give the word end function, Again, enter [*] at the beginning of the word. This is because if you input the [1] button and the [*] button consecutively, it becomes "that". In the standard keyboard (standard keyboard for English and Korean), when the right arrow button is pressed, the word end function is activated without entering a "word end" spac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ight arrow button is additionally provided, this is the same can be applied

12.6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 12.6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연타지연시간"과 "이타지연시간" 을 하나의 버튼에 3개 이상의 알파벳이 배정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도1-1의 표준 영어키패드 에서 연타지연시간을 0.1초로 설정하여 [2] 버튼이 0.1초 이내에 2번 눌러지면, B 를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간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t was said that "hit delay time" and "hit delay time" can be applied even when three or more letters are assigned to one button. For example, in the standard English keypad of FIG. 1-1, if the [2] button is pressed twice within 0.1 second by setting the hitting delay time to 0.1 second, the system can consider that B has been entered.

마찬가지로 [2] 버튼이 연속 3번 눌러졌을 때(즉, [2]+[2]+[2]), 첫번째 입 력값과 두번째 입력값(즉, 첫번째 [2] 버튼과 두번째 [2] 버튼) 사이의 지연시간 간격이 연타지연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예. 0.1 초) 이내이고, 두번째 입력값과 세 번째 입력값 사이의 지연시간 간격이 연타지연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예. 0.1초) 이내이면(즉 [2] + 0.1초 이내 + [2] + 0.1초 이내 + [2]), C 를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2] 버튼이 연속 3번 눌러졌을 때(즉, [2]+[2]+[2]) 전체 입력시간이 연타지연시간의 2배(예. 0.2초) 이내이면, C 를 입 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Likewise, when the [2]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i.e., [2]+[2]+[2]), the first input value and the second input value (i.e., the first [2] button and the second [2] button) If the delay time interval between is within the time set as the hitting delay time (eg 0.1 second), and the delay tim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input value and the third input value is within the time set as the hitting delay time (eg 0.1 second) ( That is, [2] + within 0.1 seconds + [2] + within 0.1 seconds + [2]), and the system can recognize that C is entered. Or, when the [2] button is pressed 3 times in succession (i.e., [2]+[2]+[2]), if the total input time is within twice the delay time (e.g. 0.2 sec), enter C. You can also make the system recognize it.

또한 영어의 경우 예를 들어 도10-1에서 "..u" 가 없는 상태를 가정하고, 영어의 모음 "a" 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성질, "i" 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성 질을 엄격하게 적용하면, "NII"와 같은 약자를 입력시, 반드시 단어종료기능의 입 력에 의한 "의도적 영어제한해제"를 통하여 영어제한 반복선택모드에서 "NII"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NI"를 입력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단어종료기능 을 굳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NI 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일정시간은 선출원 에서 언급한 "이타지연시간"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타지연시간"보다 더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예를 들어 "NI"를 입력후 2초가 경과 하면 단어종료기능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NI가 확정되고, 시스템은 다시 "단어시작"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편의상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 간"이라 부르며, 역시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이다. 이는 모든 언어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English,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re is no "..u" in FIG. If applied, when entering an abbreviation such as "NII", it will be possible to input "NII" in English restriction repeated selection mode through "intentional English restriction cancellation" by entering the word termination function. Howeve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entering "NI", NI can be determined even if the word termination function is not entered. This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equal to the "other delay time"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but it would be preferable to set it longer than the "other delay time". For example, if 2 seconds pass after inputting "NI", NI is confirmed even if the word ending function is not input, and the system returns to the "word start" state. For this convenience, it is called "temporary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the user to set it as well. It is self-evident that this can be applied equally to all languages.

각종의 지연시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 various delay ti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연타지연시간 ≤ 이타지연시간 ≤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 Continuous hitting delay time ≤ Hitting delay time ≤ Temporary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3가지 지연시간은 모두 같게 설정될 수도 있으나, 연타지연시간보다는 이타 지연시간을 길게, 그리고 이타지연시간보다는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을 길 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ll three delay times may be set the same, but it would be preferable to set the delay time longer than the continuous hitting delay time, and the temporary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longer than the other delay time.

12.7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포루투갈어제한 반복선택방법12.7 How to select the repetition of Portuguese words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포루투갈어에서 k, w, y 는 약자 혹은 외래어에만 쓰인다고 하나, 역시 문 자입력을 위하여 필요할 것이다. 포루투갈어에서 겹자음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In Portuguese, k, w, and y are said to be used only for abbreviations or foreign words, but they will also be needed for character input. In Portuguese, double consonants are said to be:

bl, cl, dl, fl, gl, pl, tl, bl, cl, dl, fl, gl, pl, tl,

br, cr, dr, fr, gr, pr, tr, vr br, cr, dr, fr, gr, pr, tr, vr

이외에도 gn, mn, pn, ps, pt, tm, ch, lh, nh, rr, ss 와 같이 겹자음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포루투갈어제한입력방법을 위한 자모음분리키패드를 구성함 에 있어서, 위 연속하여 나오는 위 알파벳들이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10-* 을 참고할 수 있다. 다만 “mn”이 같은 그 룹으로 그룹핑되어 있는데, 이는 적절히 변형하여 다른 그룹으로 둘 수도 있다. 도10-* 의 키패드가 다른 언어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발음의 유사성 에 근거(예. 유사한 음가를 가지는 유성음과 무성음을 같은 그룹으로 - 예. /b p/, /d t/, /g k/ … - 그룹핑)하여 그룹핑하였고,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알파벳 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적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re are double consonants such as gn, mn, pn, ps, pt, tm, ch, lh, nh, rr, and ss. Therefore, in configuring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for the Portuguese restricted input metho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above alphabets from being grouped into the same group. See Fig. 10-* for example. However, “mn” is grouped into the same group, but it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placed in another group. The reason why the keypad of FIG. 10-* can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languages is based on the similarity of pronunciation (eg, voiced and unvoiced sounds having similar phonetic values in the same group - eg. /b p/, /d t/, /g k/ . . . - Grouping) was grouped, and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alphabets with similar pronunciations appear consecutively.

포루투갈어 기본모음은 a, e, i, o, u 의 5개 모음이 있고, 이중 a, e, o 는 강모음 I, e 는 약모음 이라고 한다. 서로 다른 2개의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 는 경우는 “강모음+약모음” 의 6가지(ai, au, ei, eu, oi, ou), 그리고 “약모 음+약모음”의 1가지(ui) 라고 한다. 즉 강모음과 약모음을 각각 별도의 그룹으 로 그룹핑할 수 있다 (예. 도10-6에서 “..+u”가 없는 상태). 이러한 그룹핑 이 외에도 약모음과 강모음을 같은 그룹으로 되지 않도록하여 임의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a / e o / u i/ 와 같이 그룹핑할 수도 있다. There are five basic vowels in Portuguese: a, e, i, o, and u, of which a, e, and o are strong vowels, I and e are called weak vowels. When two different vowels appear consecutively, there are 6 types of “strong + weak vowel” (ai, au, ei, eu, oi, ou) and 1 type of “weak + weak vowel” (ui). It is said. That is, strong vowels and weak vowels can be grouped into separate groups (eg, without “..+u” in FIG. 10-6). In addition to such grouping, it is also possible to group weak vowels and strong vowels into an arbitrary number of groups 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the same group. For example, it can be grouped like /a / e o / u i/.

12.8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스페인어제한 반복선택방법12.8 Spanish Restriction Repetition Selection Method on Consonant Separation Keypad

스페인어에는 영어에 없는 알파벳으로 “~+n (n 위에 ~ 가 붙은 알파벳)” 이 있다. k 와 w 는 외래어의 표기에만 쓰인다고 하나, 문자입력을 위하여 역시 필요할 것이다. 스페인어에서 겹자음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Spanish has an alphabet that does not exist in English, “~+n (the alphabet with ~ above n)”. It is said that k and w are used only for notation of foreign words, but they will also be needed for character input. In Spanish, double consonants are:

bl, cl, dl, fl, gl, pl bl, cl, dl, fl, gl, pl

br, cr, dr, fr, gr, pr, tr br, cr, dr, fr, gr, pr, tr

즉 스페인어제한입력방법을 위한 자모음분리키패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l 과 r 이 함께 배정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고, 위 이중자음을 구성할 수 있는 알파 벳이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같은 버튼에 배정되지 않아야 한다. 도10-1 ~ 10-4, 및 도10-6의 자음 그룹핑을 참고할 수 있다. That is, in configuring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for the Spanish restricted input method, it is necessary that l and r are not assigned together, and the alphabets that can compose the above double consonants ar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and assigned to the same button. do. Reference may be made to consonant groupings in FIGS. 10-1 to 10-4 and FIG. 10-6.

스페인어 기본모음은 a, e, i, o, u 의 5개 모음이 있고, 이중 a, e, o 는 강모음 I, e 는 약모음 이라고 한다. 서로 다른 2개의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강모음 + 약모음” 의 6가지, “약모음+강모음”의 6가지, 그리고 “약 모음+약모음”의 2가지(iu, ui) 라고 한다. 3중모음의 경우도 “약모음+강모음+ 약모음”과 같이 조합된다고 한다. 즉 강모음과 약모음을 각각 별도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면(예. 도10-6에서 “..+u”가 없는 상태), “약모음+약모음”의 경우만 모호성이 있게 된다. 이 경우 iu, ui 가 모두 가능하므로, 연타지연시간/이타지 연시간을 적용하여 혹은 의도적언어제한해제 등 출원인이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모호성을 극복할 수 있다. 동일한 모음이 연속하여 등장하는 경우, 동일한 자음 이 연속하여 등장하는 경우 및 그외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 다. There are five basic vowels in Spanish: a, e, i, o, and u, of which a, e, o are strong vowels, I and e are called weak vowels. When two different vowels appear in succession, there are 6 types of “strong vowels + weak vowels”, 6 types of “weak vowels + strong vowels”, and 2 types of “weak vowels + weak vowels” (iu, ui). do. In the case of a triple vowel, it is said that it is combined like “weak vowel + strong vowel + weak vowel”. That is, when strong vowels and weak vowels are grouped into separate groups (eg, without “..+u” in FIG. 10-6), there is ambiguity only in the case of “weak vowels + weak vowels”. In this case, since both iu and ui are possible, the ambiguity can be overcome by applying the delay time between hitting and hitting or using the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such as intentional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The same applies to cases in which identical vowels appear consecutively, cases in which identical consonants appear consecutively, and other cases in which ambiguity may occur.

12.9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이탈리아어제한 반복선택방법12.9 Italian Restriction Repeat Selection Method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이탈리아어에서 j, k, w, x, y 는 고어 혹은 외래어의 표기에만 쓰인다고 한다. 영어 등의 입력을 위해서는 필요할 것이다. 자음의 그룹핑에 있어서, 이 5개의 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을 중심으로 그룹핑하고, 나머지 5개의 자음을 적절히 그룹핑할 수 있을 것이다. In Italian, j, k, w, x, and y are said to be used only for archaic or loanwords. It will be necessary for input such as English. In the grouping of consonants, the remaining consonants excluding these five consonants may be grouped, and the remaining five consonants may be appropriately grouped.

이탈리아어에서 이중모음은 ia, io, ie, iu, ai, ei, oi, ui, uo, ou, eu 등이 있다고 한다. 역시 iu, ui 를 제외하면 강모음(a, e, o)와 약모음(u, I)의 조합이다. 삼중모음의 경우도 “약모음+강모음+약모음”의 구조이다. 따라서 /a e o/, /u I/ 와 같이 강모음과 약모음의 그룹핑을 이용할 수 있으며, ui, iu 의 경우는 모호성이 있을 수 있게 된다. Diphthongs in Italian are ia, io, ie, iu, ai, ei, oi, ui, uo, ou, eu. Again, except for iu and ui, it is a combination of strong vowels (a, e, o) and weak vowels (u, I). In the case of triplet vowels, the structure is “weak vowel + strong vowel + weak vowel”. Therefore, grouping of strong vowels and weak vowels can be used, such as /a e o/ and /u I/, and ambiguity can occur in the case of ui and iu.

12.10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독일어제한 반복선택방법12.10 German Restriction Selection Method i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독일어의 복자음은 ch, chs, ck, ds, dt, ng, nk, pf, ph, sch, sp, st, th, ts, tz, tsch 등이 있다고 한다. 역시 연속하여 나오는 자음이 같은 그룹으 로 그룹핑되지 않도록 그룹핑함에 도10-* 의 자음 그룹핑을 참고할 수 있다. 또 한 독일어에서 “sch~” 의 경우는 어두에 자음이 3개 이상 나올 수 있는 경우라 고 하므로 후술하는 언어제한병행입력방법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Tsch의 경우 도 어두에 나올 수 있으나 매우 드물게 쓰인다고 한다. Double consonants in German include ch, chs, ck, ds, dt, ng, nk, pf, ph, sch, sp, st, th, ts, tz, tsch. Consonant grouping in FIG. 10-* can also be referred to for grouping so that consecutive consonants are not grouped into the same group. In addition, in the case of “sch~” in German, it is said that three or more consonants can appear at the beginning, so it can be used in the language restriction parallel input method described later. Tsch can also appear in the beginning, but it is said to be used very rarely.

독일어에는 5개의 단모음이 있고, a, o, u 위에 “..” 이 붙는 변모음이 있다. 이중모음으로는 au, ei, ai, eu, “..au”, ie, 등이 있다고 한다. 단모 음(기본모음)만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시, ie, ei 의 경우가 있으므로, i 와 e 를 다른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a e o/, /I u/ 와 같 이 그룹핑할 수 있으며,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There are five short vowels in German, and there is a side vowel with “..” above a, o, and u. Diphthongs include au, ei, ai, eu, “..au”, ie, etc. When inputting vowels using only short vowels (basic vowels), there are cases of ie and ei, so it is necessary to group i and e into different groups. For example, /a e o/, /I u/ can be grouped,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동일한 자음 혹은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출원인이 제시한 여러가 지 방법에 의하여 모호성을 회피할 수 있다. When the same consonant or vowel appears consecutively, ambiguity can be avoided by various methods suggested by the applicant.

12.11 베트남어제한 입력방법 12.11 Vietnamese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12.11.1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베트남어제한 입력방법 12.11.1 How to input Vietnamese restrictions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베트남어의 음절은 주로 “모음”, “자음+모음”, “모음+자음”, 및 “자 음+모음+자음”의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특히 베트남어에는 단음절어가 기 본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 복음절어가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단음절어가 많다 는 것은 자모음 분리키패드에서 입력시스템을 구성하기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t is said that syllables in Vietnamese are mainly composed of “vowel”, “consonant + vowel”, “vowel + consonant”, and “consonant + vowel + consonant”. In particular, it is said that monosyllabic words form the basis of Vietnamese. Although the number of evangelical words is increasing,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monosyllabic words means that it is easy to configure the input system on the consonant separator keypad.

베트남어에는 a, e, i(y), o, u 5개의 기본모음과 “v+a (a 위에 v가 붙은 모음. 이한 ‘x+모음’ 은 모음 위에 ‘x’가 붙은 모음)”, “^+a”, “^+o”, “,+o”, “,+u” 등 6개의 변모음이 있다고 한다. “y”는 “i”를 길게 발음한 다고 한다. 5개의 기본모음만으로 자모음 분리키패드를 구성하고 나머지 변모음 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기본모음과 변모음 일부만으로 자 모음분리키패드를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11개의 모음 모두로 자모음분리키패드 를 구성할 수도 있다. In Vietnamese, there are 5 basic vowels a, e, i(y), o, u, “v + a (a vowel with a v attached to it. This 'x + vowel' is a vowel with an 'x' attached to the top of the vowel)”, “^ It is said that there are 6 vowels such as +a”, “^+o”, “,+o”, and “,+u”. “y” is said to pronounce “i” long. A consonant vowel separation keypad can be configured with only five basic vowels, and the remaining vowels can b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 consonant-vowel separation keypad can be constructed with only some basic vowels and variations, or a consonant-vowel separation keypad can be configured with all 11 vowels.

베트남어2중모음 및 3중모음은 그 결합형태가 다양하여 5개의 기본모음을 도10-*에서와 유사하게 2~3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면서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모호 성이 없도록 그룹핑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베트남어에는 6가지 성조가 있으 며, 5가지 성조부호가 모음 위 혹은 아래에 표시된다. 그리고 베트남어에서 동일 한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없는데, 이는 베트남어의 모음을 입력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성질이다. 따라서 5개의 기본모음을 5개의 그룹으로 두고, 은닉형 반복선택방법 의하여 변모음을 입력하고, 또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기본모음 및 변모음에 성조부호를 붙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y 는 i 의 변모음 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모음을 / ‘a’, ‘v+a’, ‘^+a’ / ‘o’, ‘^+o’, ‘,+o’ / ‘u’, ‘,+u’ / ‘i’, ‘y’ / ‘e’, ‘^+e’ / 의 5개 그룹으로 나누는 것이다. 이를 변형하여 변모음의 수가 적은 그룹을 합하여 4개 그룹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 ‘a’, ‘v+a’, ‘^+a’ / ‘o’, ‘^+o’, ‘,+o’ / ‘u’, ‘,+u’ / ‘i’, ‘y’, ‘e’, ‘^+e’ / 의 4개 그룹으로 나 누는 것이다. 단 5개의 그룹으로 두면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모음을 모호성없 이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각 그룹에서 임의의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하여 키 패드상에 표시하고 나머지 알파벳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주로 단모음이 대표 알파벳이 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며, 4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사례에서, i, e 가 모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버튼누름횟수에 따른 선택순서는 사용빈도 등 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Vietnamese double vowels and triple vowels have various combinations, so it is not easy to group five basic vowels into 2 or 3 groups similarly to Fig. 10-* so that there is no ambiguity whe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n addition, there are six tones in Vietnamese, and five tonal signs appear above or below vowels. In addition, there is no case where the same vowel appears consecutively in Vietnamese, which is a useful property for inputting Vietnamese vowels. Therefore, it is conceivable to put 5 basic vowels into 5 groups, input the vowels by the hidden repetition selection method, and attach tonal codes to the basic vowels and the vowels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Here, y can be regarded as a vowel of i. That is, vowels / 'a', 'v+a', '^+a' / 'o', '^+o', ',+o' / 'u', ',+u' / 'i', It is divided into five groups of 'y' / 'e' and '^+e' /.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this and combine groups with a small number of vowels into four groups. For example / 'a', 'v+a', '^+a' / 'o', '^+o', ',+o' / 'u', ',+u' / 'i', It is divided into four groups: 'y', 'e', '^+e' /. If there are only five groups, it is possible to input vowels without ambiguity by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n each group, an arbitrary alphabet can be displayed on the keypad as a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rest of the alphabets may not be displayed. It would be natural for mainly single vowels to be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in the case of dividing into four groups, it is possible for both i and e to be displayed. The selection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베트남어의 자음으로는 영어에 없는 “-+d (‘d’ 가운데에 ‘-‘)” 가 있 고, 영어의 f, z 등이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d’는 ‘d’ 의 변형알파벳으 로 간주하여, (은닉형) 반복선택방법 혹은 컨트롤처리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교과서에 따라서는 베트남어에서 f, w, z가 사용되지 않는다고 하기도 하고, 또 어떤 교과서에서는 반자음으로 w, j 가 사용된다고도 한다. 최소한 f, z는 사용 되지 않고, w 는 드물게 사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w를 사용되 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나, 필요한 경우 적절한 그룹에 포함시키면 된다. Vietnamese consonants include “-+d (‘-‘ in the middle of ‘d’)” that are not found in English, and English f and z are not used. ‘-+d’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of ‘d’, and the (hidden) repetition selection method or control processing method can be applied. Some textbooks say that f, w, and z are not used in Vietnamese, and some textbooks say that w and j are used as half consonants. At least f and z are not used, and w is rar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 is considered not to be used, but if necessary, it can be included in an appropriate group.

또한 복자음으로 ch, gh, gi, kh, ng, ngh, nh, ph, qu, th, tr 등이 있다 고 한다. 이중 gi, qu 는 형태상으로 자음과 모음의 결합이므로 여기서는 고려하 지 않는다. 베트남어가 주로 단음절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타 언어와 달리 “자+모+자” 로 이루어진 음절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 하고, 위의 복자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음과 자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자음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반복선택방법 을 적용함에 있어서 위의 복자음을 구성하는 자음이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되지 않 도록 그룹핑하면 중국어의 사례에서와 같이 자음을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게 된 다. In addition, it is said that there are double consonants such as ch, gh, gi, kh, ng, ngh, nh, ph, qu, th, and tr. Since gi and qu are morphologically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they are not considered here. The fact that Vietnamese is mainly composed of monosyllables means that, unlike other languages, syllables consisting of “ja+mo+ja” rarely appear in succession, and consonants and consonants appear consecutively, except for the case of the double consonant above. That means there are very few cases. In the end, when consonants a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f the consonants constituting the above consonants are grouped so that they are not grouped into the same group, the consonants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as in the case of Chinese.

예를 들어, b p / d t / g k / c q / s x / m n / l r / h v j와 같이 8개 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b p v / d t / g k q / s x c / m n j / h l r / 와 같이 6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도 있다. 임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것 도 가능할 것이다. f, z, 등의 사용되지 않는 자음은 적절한 그룹에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t can be grouped into 8 groups such as b p / d t / g k / c q / s x / m n / l r / h v j. It can also be divided into six groups, such as b p v / d t / g k q / s x c / m n j / h l r /. Grouping into arbitrary groups will also be possible. Unused consonants such as f, z, etc. can be additionally included in appropriate groups.

자음을 8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모음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면, 3*4 키패드 내에서 자음과 모음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자음을 6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모 음을 5개의 그룹으로 두면 11개 버튼에서 자음과 모음을 수용할 수 있으며, 나머 지 하나의 버튼을 모음에 성조부호를 붙이기 위한 컨트롤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음을 6개 그룹으로 나누고, 모음을 4개 그룹으로 나누면, 10개의 숫자버 튼으로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이는 심플코드 활용에 있 어서 심플코드가 숫자로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나머지 2개의 버튼은 성조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버튼 및 모호성을 제거하기 위한 후속컨트롤버튼 으로 활용할 수 있다. If consonants are divided into 8 groups and vowels are divided into 4 groups, both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accommodated within a 3*4 keypad. If the consonants are divided into 6 groups and the vowels are divided into 5 groups,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accommodated on 11 buttons, and the remaining one button can be used as a control button to attach tonal signs to vowels. If the consonants are divided into 6 groups and the vowels are divided into 4 groups, 10 number buttons can accommodate both consonant and vowel buttons,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simple code consist only of numbers in the use of simple codes there is The remaining two buttons can be used as a control button for inputting a tonal code and a follow-up control button for removing ambiguity.

12.11.2 자음과 모음의 쌍을 이용하는 베트남어제한 입력방법 12.11.2 Vietnamese restriction input method using consonant and vowel pairs

베트남어의 모음과 자음을 쌍으로 그룹핑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 다. 한국어의 경우를 참고할 수 있다. 자음과 모음의 쌍을 10개로 하면, 나머지 자음과 모음은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면 된다. Vietnamese vowels and consonants can be grouped in pairs and a repetitive selection method can be applied. You can refer to the case of Korean. If the number of pairs of consonants and vowels is set to 10, the remaining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12.12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러시아어제한 입력방법 12.12 Russian Restriction Input Method on Consonant Separation Keypad

러시아어를 위한 자모음분리키패드를 구성하기 위하여 출원인의 선출원 PCT/KR02/00247 을 참고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struct a consonant separation keypad for Russian,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prior application PCT/KR02/00247 of the applicant.

러시아어에는 33개의 알파벳이 존재한다. 그중 10개는 모음이고, 20개는 자음이며, 1개의 반모음(혹은 반자음), 그리고 2개의 기호알파벳(경자음부호, 연 자음부호)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re are 33 alphabets in Russian. It consists of 10 vowels, 20 consonants, 1 half vowel (or half consonant), and 2 symbol alphabets (hard consonant code, soft consonant code).

다음은 33개의 자모를 알파벳 순서에 따라 대문자와 소문자를 나열한 것이 다. The following is a list of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in alphabetical order of the 33 letters.

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

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

20개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유성자음과 무성자음으로 나누어진다. 괄호안 은 발음을 의미한다. The 20 consonants are divided into voiced and voiceless consonants as follows. Parentheses indicate pronunciation.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1

모음은 경모음과 연모음으로 나누어진다. Vowels are divided into hard vowels and soft vowels.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2

러시아어의 자음을 적절하게 그룹핑하는데 있어서, 유사한 음가를 가지는 유성음과 무성음을 그룹으로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б(b) п(p) / д(d) т(t) / … 와 같이 분류하는 것이다. 발음상 쌍을 이루지 않는 자음들은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적절히 그룹핑할 수 있다. 몇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으며, 쌍을 이루는 무성음과 유성음을 함께 그룹핑하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properly grouping Russian consonants, voiced and unvoiced consonants having similar phonetic values can be grouped. For example /б(b) п(p) / д(d) т(t) / … to be classified as Consonants that are not phonetically paired can be properly grouped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 few examples are as follows, and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while grouping paired unvoiced and voiced sounds together.

10개 그룹핑10 groupings

사례1 : БП/ ДТ/ ГК/ ВФ/ ЗС/ ЖШ/ ЛР/ МН/ ХЦ/ ЧЩ Example 1: БП/ ДТ/ ГК/ ВФ/ ЗС/ ЖШ/ ЛР/ МН/ ХЦ/ ЧЩ

사례2 : БВ/ ГК/ ДТ/ ЖЗ/ ЛР/ МН/ ПФ/ СХ/ ЦЧ/ ШЩ Case 2: БВ/ ГК/ ДТ/ ЖЗ/ ЛР/ МН/ ПФ/ СХ/ ЦЧ/ ШЩ

9개 그룹핑 사례 : (b) п(p) / д(d) т(t) /г(g) к(k) / в(v) ф(f) х(x) / з(z) с(s) / ж(zh) ш(sh) / ц(ts) ч(tsh) щ(shsh) / л(l) р(r) /м(m) н(n) 9 grouping examples: (b) п(p) / д(d) т(t) /г(g) к(k) / в(v) ф(f) х(x) / з(z) с( s) / ж(zh) ш(sh) / ц(ts) ч(tsh) щ(shsh) / л(l) р(r) /м(m) н(n)

8개 그룹핑 사례 : (b) п(p) / д(d) т(t) /г(g) к(k) / в(v) ф(f) х(x) / з(z) с(s) ж(zh) / ш(sh) ц(ts) ч(tsh) щ(shsh) / л(l) р(r) / м(m) н(n) 8 grouping examples: (b) п(p) / д(d) т(t) /г(g) к(k) / в(v) ф(f) х(x) / з(z) с( s) ж(zh) / ш(sh) ц(ts) ч(tsh) щ(shsh) / л(l) р(r) / м(m) н(n)

7개 그룹핑 사례 : 7 grouping examples:

. . . . . . . . . . . .

위의 예에서 반자음 Й 및 경자음 부호 Ъ와 연자음 부호 Ь를 적절한 그룹 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그룹을 각 버튼에 배정함에 있어서 키패드 를 간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일부의 알파벳(예. Й, Ъ, Ь 및 이외의 알파벳) 을 생략하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the example above, the half consonant Й, hard consonant Ъ, and soft consonant Ь can also be included in the appropriate group. Also, in allocating these groups to each button, some alphabets (eg Й, Ъ, Ь and other alphabets) may be omitted and not displayed in order to keep the keypad simple.

모음 역시 경모음과 연모음의 쌍을 이용하여 10개의 모음을 5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러시아어의 모음 알파벳은 10개가 있고, 발음으로는 11개의 모음 소리가 있으나, 모음의 기본음소는 (a), (e), (i), (o), (u) 의 5개가 있다 고 한다. 이중 (e), (o) 는 강세 아래에서만 나타난다고 한다. 즉 모음 음소 (a), (o)를 강모음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강세가 없는 위치에서의 모음음소는 나머지 3개 라고 한다. 따라서 러시아어의 10개 모음 알파벳 중 5개의 기본 알파 벳을 두고, 이중 강모음에 해당하는 모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또 나머지 나머지 3 개의 기본모음을 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그룹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종 류의 모음이 연속하여(예. 강모음 다음에 연속하여 강모음) 나오기 어려운 것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а(a) о(o) / у(u) э(e) и(i) / 와 같 이 2개의 그룹으로 혹은 а(a) о(o) / у(u) э(e) / и(i) / 와 같이 3개의 그 룹으로 둘 수 있다. 기본모음과 대응되는 쌍을 이루는 모음은 기본모음이 속한 그룹에 함께 두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거나, 기본모음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 여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Vowels may also be grouped into 5 groups by using pairs of hard vowels and soft vowels. There are 10 vowel alphabets in Russian, and there are 11 vowel sounds in pronunciation. Of these, (e) and (o) are said to appear only under stress. In other words, the vowel phonemes (a) and (o) can be seen as strong vowels. The vowel phoneme in the unstressed position is called the remaining three. Therefore, with 5 basic alphabets among the 10 vowel alphabets of the Russian language, vowels corresponding to double strong vowels can be divided into one group and the remaining three basic vowels can be divided into one or more groups. This is because it can be expecte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same kind of vowel to occur consecutively (eg, hard vowel followed by strong vowel). а(a) о(o) / у(u) э(e) и(i) / in two groups or а(a) о(o) / у(u) э(e) / и (i) / can be put into three groups. Paire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s can be put together in the group to which the basic vowels belong,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can be applied, or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can be applied by considering them as modified alphabets of the basic vowels.

자음과 모음의 그룹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3*4 키패드내에서 자모음분리키패 드를 구성할 수 있다(예. 모음 5개 그룹과 자음 7개 그룹, 모음3개 그룹과 자음 9 개 그룹). 러시아어에서 영어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자음이 연속되는 경우가 있으 나(예. CCCVC...), 전형적인 음절구조는 자음과 모음의 반복구조(CV, CVCV, CVCVCV, …) 라고 한다. 이는 자모음 분리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시 대 부분의 경우 모호성 없이(즉, 매우 적은 모호성으로) 러시아어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Consonant and vowel groups can be properly used to configure a consonant-consonant separation keypad within a 3*4 keypad (eg 5 groups of vowels and 7 groups of consonants, 3 groups of vowels and 9 groups of consonants). In Russian, as in English, there are cases in which a number of consonants are consecutive (eg CCCVC...), but the typical syllable structure is a consonant and vowel repetition structure (CV, CVCV, CVCVCV, ...). This means that Russian words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that is, with very little ambiguity) in most cases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12.13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힌디어제한 입력방법 12.13 Hindi restriction input method on consonant separation keypad

출원인의 선출원 PCT/KR00/00601 에서 힌디어 자음을 발음의 유사성에 근거 하여 9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사례를 보였고, 본 발명에서 10개의 그룹으로 그 룹핑하는 사례를 보였다. 힌디어의 경우도 발음의 유사성을 강하게 가진 그룹자 음을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음을 보였다. 예를 들어 앞에서 제시한 그림 에서 (k), (kh), (g), (gh) 의 발음을 가진 그룹자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 는 것이다. 나머지 유사발음 그룹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위에서 제시한 힌 디어의 35개 자음 중 아랫점이 있는 __(ud), __(udh) 를 제외한 33개 자음을 9개 그룹 혹은 8개 그룹으로 임의로 그룹핑할 수 있다. __(ud), __(udh) 는 각각 __(d), __(dh)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기본알파벳이 속한 그룹에 둘 수 있다. In the prior application PCT/KR00/00601 of the applicant, a case of grouping Hindi consonants into 9 groups based on similarity of pronunciation was shown, and a case of grouping into 10 groups w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Hindi, it was also shown that group consonants with strong similarity in pronunciation can b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For example, group consonants with pronunciations of (k), (kh), (g), and (gh) in the figure presented above are grouped into one group. The same applies to the rest of the similar pronunciation groups. Among the 35 consonants of Hindi presented above, 33 consonants, excluding __(ud) and __(udh) with lower points, can be grouped into 9 groups or 8 groups arbitrarily. __(ud) and __(udh) are regarded as modified alphabets of __(d) and __(dh), respectively, and can be placed in the group to which the basic alphabet belongs.

다음은 선출원에서 기술한 힌디어의 모음이다. The following is a collection of Hindi words describ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3

이하에서 편의상 힌디어 모음을 밑줄 옆 괄호안에 영어 발음으로(밑줄에는 해당 발음의 힌디어 알파벳이 있는 것으로 간주) 혹은 단순히 괄호안에 영어알파 벳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편의상 __(aa) 는 (a-)으로, __(ee)는 (i-)로, __(oo) 는 (o-)로, __(ae)는 (e)로, __(aae)는 (ai)로 표기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Hindi vowels are written in English pronunciation in parentheses next to the underscore (the Hindi alphabet of the corresponding pronunciation is considered to be in the underline) or simply written in English alphabet in parentheses. For convenience, __(aa) becomes (a-), __(ee) becomes (i-), __(oo) becomes (o-), __(ae) becomes (e), and __(aae) becomes ( ai).

모음 __(ri)는 자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고 한다. 모음 __(ri)를 제외한 10개의 모음을 위에서와 같이 2개씩 쌍을 지어 5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 다. The vowel __ (ri) is said to be classified as a consonant. Ten vowels, excluding the vowel __(ri), can be grouped into five groups by pairing two pairs as above.

힌디어의 모음은 (a), (i), (u)의 단모음과 __(a-), __(i-), __(u-)의 장모 음으로 크게 나눠지며 나머지 4개의 모음은 복합모음으로 단모음의 조합으로 표시 될 수 있다고 한다. 즉 __(e) = (a) + (i) or (a) + (i-), __(ai) = (a) + (e), __(o) = (a) + (u) or (a) + (u-), __(au) = (a) + (o) 와 같이 된다고 한다. 따 라서 기본모음 (a), (i), (u)를 각각 3개의 그룹으로 하여 3개의 버튼에 배정하고, 각 버튼 1타로 기본모음을 입력하고, 기본모음에 대응되는 장모음은 기 본모음이 배정된 버튼 2타로 입력하고, 나머지 4개의 복합모음은 기본모음의 조합 으로 입력할 수 있다. Vowels in Hindi are largely divided into short vowels (a), (i), and (u) and long vowels __ (a-), __ (i-), and __ (u-), and the remaining four vowels are compound vowels. It is said that it can be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single vowels. That is, __(e) = (a) + (i) or (a) + (i-), __(ai) = (a) + (e), __(o) = (a) + (u) or ( It is said that a) + (u-), __(au) = (a) + (o). Therefore, the basic vowels (a), (i), and (u)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assigned to three buttons, and a basic vowel is entered with one stroke of each button, and the long vowel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 is the basic vowel. It can be entered with two strokes of the assigned button, and the remaining four complex vowels can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basic vowels.

예를 들어 (a), (i), (u) 가 각각 [*], [0], [#] 버튼에 배정되어 있을 경우, __(a-) = ** 로, e = *0 혹은 *00 로 입력하는 것이다. 만약 **0 가 눌러 지면 “**” 까지 눌러졌을 때 시스템은 __(a-)로 인식하나 다음에 “0” 이 눌러 지는 순간 **0을 (a) + (e) = __(ai)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 이 눌러지면 “**” 까지 눌러졌을 때 시스템은 __(a-)로 인식하나 다음에 “#” 이 눌러지는 순간 **#을 (a) + (o) = __(au)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f (a), (i), and (u) are assigned to buttons [*], [0], and [#] respectively, __(a-) = ** and e = *0 or * to enter 00. If **0 is pressed, the system recognizes it as __(a-) when it is pressed up to “**”, but the moment “0” is pressed next, **0 is (a) + (e) = __(ai) can be recognized as Likewise, when **# is pressed, the system recognizes it as __(a-) when “**” is pressed, but the moment “#” is pressed, **# is (a) + (o) = __(au) can be recognized as

이는 힌디어의 10개 모음이 하나의 단어에서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경우에 가능하다. 힌디어의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있다면,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0 입력시, __(a-) 와 __(i) 를 입력한 것인지, __(ai) 를 입 력한 것인지 알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10개의 기본모음이 연속하여 나오 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빈도가 적으면, **0 과 같이 복합모음 __(ai) 를 의미할 수 있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시스템이 입력값을 복합모음으로 인식하는 언 어제한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장모음과 __(a-) 와 단모음 __(i) 의 조합을 입력하려면, “의도적언어제한해제” 혹은 “언어제한해제지연시간”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즉 예에서 ** 을 입력하고 일정시간만큼 혹은 의도적 으로 단어종료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나서 0 를 입력하는 것이다. This is possible if the 10 Hindi vowels do not appear consecutively in a single word. If there are cases where vowels in Hindi appear consecutively, ambiguity may occur. That is, when **0 is entered, it is unknown whether __(a-) and __(i) were entered or __(ai) was entered. However, even if there are cases in which 10 basic vowels appear consecutively, if the frequency is small, the system basically recognizes the input value as a complex vowel when it can mean a complex vowel __(ai), such as **0. Any restrictions may be applied. In this case, if the user wants to input a combination of long vowels, __(a-), and short vowels __(i), it can be solved by using “intentional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or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That is, in the example, ** is entered, and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or intentionally activating the word termination function, 0 is entered.

힌디어 역시 주된 음절구조가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나오는 형태이나, 자음 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도 있다. 수직선으로 끝나는 자음 다음에 또 자음이 나 올 경우 수직선이 없어지면서, 다음 자음과 결합하여 결합자음을 이룬다. 수직선 이 없는 자음은 알파벳 아래에 “,” 비슷한 기호가 붙으면서 다음 자음과 결합하 게 된다고 한다. 이외에도 몇가지 규칙이 있으며 불규칙적인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렇게 자음이 연속하여 입력된 것으로 인식(일시적으로 인식 혹은 확정적 으로 인식)되는 경우, 결합자음으로 표시하여 주는 오토마타를 구현하는 것은 용 이한 일이다. In Hindi, the main syllable structure is the alter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but there are also cases in which consonants appear consecutively. If another consonant occurs after a consonant ending in a vertical line, the vertical line disappears and is combined with the next consonant to form a combined consonant. A consonant without a vertical line is said to be combined with the next consonant with a “,” similar symbol at the bottom of the alphabet. In addition, there are some rules and there are irregular cases. In this way, when consonants are recognized as being input continuously (temporarily recognized or definitively recognized), it is easy to implement an automata that displays combined consonants.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나라에서도 키패드상 영어알파벳을 병기하 여 영어의 입력에 활용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힌디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 므로, 유사발음을 가진 힌디어자음과 영어의 자음을 같은 버튼에 배정함으로써 심 플코드의 활용 및 문자입력에 자연스러움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 으며 변형이 가능하다. Even in countries where English is not used as a native language, the English alphabet is written on the keypad and used for English input. Since Hindi and English are used as official languages in India, naturalness can be added to the use of simple codes and text input by assigning Hindi consonants and English consonants with similar pronunciation to the same button. For example, it is as follow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4

위에서 z,w 등과 같은 영어자음은 중국어의 경우에서와 같이 적절한 그룹에 추가로 혹은 별도로 둘 수 있다. 또한 키패드상의 배치를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각 그룹에서 일부의 알파벳만을 키패드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은닉형반복선택방법 적용). 예를 들어 위의 그룹핑에서 첫번째 그룹을 임의의 버튼에 배정시 __(k) 와 __(g) 만을 배정할 수 있다. 각 그룹에서 버튼누름횟수에 따라 선택되는 순 서는 임의로 정하면 된다. 모음 __(ri) 를 R L 이 배정되는 버튼에 배정할 수도 있다. Above, English consonants such as z and w may be added or separately placed in appropriate groups as in the case of Chinese. In addition, in order to simplify the arrangement on the keypad, only a part of alphabets in each group may be displayed on the keypad (applying the hidden repetition selection method). For example, when assigning the first group to an arbitrary button in the above grouping, only __(k) and __(g) can be assigned. The order of sel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in each group can be determined arbitrarily. You can also assign the vowel __(ri) to a button to which R L is assigned.

역시 키패드상의 배치를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영어모음(영어알파벳 모음) 만을 표기할 수 있다. 앞의 예에서 보였듯이 힌디어 모음의 경우는 영어 모음과 발음상 유사성을 강하게 가지므로 영어 모음만을 표기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럽다. 더 나아가 자음의 경우도 위의 힌디어 자음과 영어 모음의 대비표에서 보였듯이 발음의 유사성을 강하게 가진, /G K/, /M N/, /D T/, /B P/, /R L/ . . . 의 그룹 과 대응되는 힌디어 자음을 생략하여 표시하지 않고 영어 자음만을 표시함으로써, 키패드를 더욱 간결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힌디어 알파벳이 생략된 경우 에도 경우에도, 중국어의 예에서 중국어제한 입력모드에서 병음을 모호성없이 입 력할 수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힌디어제한 입력모드에서는 힌디어제한에 따라 모호성없이 힌디어를 입력하게 된다. Again, only English vowels (English alphabet vowels) can be marked to simplify the arrangement on the keypad. As shown in the previous example, since Hindi vowels have a strong phonetic similarity with English vowels, it is very natural to mark only English vowels. Furthermore, in the case of consonants, /G K/, /M N/, /D T/, /B P/, /R L/, which have a strong similarity in pronunciation, as shown in the comparison table of Hindi consonants and English vowels above. . . The keypad can be made more concise by displaying only English consonants without omitting and displaying Hindi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group of . Of course, even if the Hindi alphabet is omitted in this way, just as Pinyin could be input without ambiguity in the Chinese restricted input mode in the Chinese example, Hindi is input without ambiguity according to the Hindi restricted input mode.

이하에서 선출원에서 설명한 내용을 일부 다시 정리하고, 세부적인 사항을 추가로 정리한다. In the following, some of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re rearranged, and details are further summarized.

힌디어 모음은 자음 다음에 올 때, 앞 자음과 결합하여, 상기 예시한 "축약형" 으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045
(k)" 다음에 "
Figure pat00046
(a-)" 가 오면 "
Figure pat00047
(a-)"의 축약형(즉, 자음결합형) "
Figure pat00048
"이 "
Figure pat00049
(k)" 와 합쳐져 "
Figure pat00050
" 로 되는 것이다. 나머지 모음에 대해서도 같으며, 자음 다음에 특정 모음이 왔을 때, 결합형으로 표시되는 것은 이미 인도어 워드프로세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When a Hindi vowel comes after a consonant, it is combined with the preceding consonant and expressed as the "abbreviated form" illustrated above. For example, "
Figure pat00045
(k) " followed by "
Figure pat00046
(a-)" when "
Figure pat00047
(a-) Abbreviation of "(i.e., consonant combination)"
Figure pat00048
"this "
Figure pat00049
(k) merged with "
Figure pat00050
". It is the same for the rest of the vowels, and when a specific vowel comes after a consonant, the combined form is already widely used in Indian word processors.

마찬가지로, 선출원에서 간단히 언급한 대로, 자음 다음에 자음이 나와 결합하여 "복합자음"을 이룰 때에도 자음간에 결합 글자를 이루는 일정한 규칙(힌디어 맞춤법에 해당)이 있다고 하며, 이미 힌디어 워드프로세서에서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음 "

Figure pat00051
(a)" 의 축약형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자음만 표기된 상태 (예. "
Figure pat00052
(k)") 가 모음 "
Figure pat00053
(a)"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음성학적으로는 "
Figure pat00054
" 는 (k) 가 아닌 (ka) 라는 것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힌디어 워드프로세서(예. "MS Word 2000 의 힌디어 IME" 를 포함하여 몇몇 제품. 이하에서는 특별히 다른 언급을 하지 않는 한 Microsoft사의 "MS Word 2000 의 힌디어 IME"을 의미) 에서는 자음 다음에 모음 "
Figure pat00055
(a)" 키가 눌러졌을 때, 자음 아래에 콤마형태(힌디어에서는 "할"이라고 함)가 결합된 글자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056
(k)" 다음에 "
Figure pat00057
(a)" 키를 누르면, "
Figure pat00058
(k)" 를 인식하고 출력하는 것이다. 자음아래에 콤마형태가 붙은 자음(반자음=순수자음) 다음에 다른 자음이 입력되면, 소정의 규칙에 의하여 "복합자음"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059
(k)" 다음에 "
Figure pat00060
(y)" 가 입력되면, 복합자음 "
Figure pat00061
" 가 되는 것이다. 이는 마치 한국어에서 종성으로 이중받침을 형성할 수 있는 자음들(예. "ㄹ" 과 "ㅁ")이 연속해서 입력되면, 작은 글씨로 종성 "ㄻ"이 입력되는 것과 유사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복합자음 생성에는 규칙적인 형태도 있고, 불규칙한 형태도 있다고 하며, 자세한 내용은 힌디어 교과서를 참고하면 된다. 이상의 사항은 특별한 내용이 아니라 힌디어 초급교과서에 있는 내용이며 또한 이미 널리 알려진 여러 제품(힌디어 워드프로세서 등)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내용이다. Likewise, as briefly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even when a consonant is followed by a consonant to form a "compound consonant", it is said that there is a certain rule (corresponding to Hindi spelling) that forms a combined letter between consonants, and it is already applied in Hindi word processors and widely It is being used. collection "
Figure pat00051
(a) The abbreviation of " does not exist, but only consonants are marked (e.g. "
Figure pat00052
(k)") is a vowel "
Figure pat00053
(a)". Phonetically, "
Figure pat00054
" is (ka), not (k). Several products, including the most commonly used Hindi word processor (eg "Hindi IME for MS Word 2000". Below, unless otherwise specified, Microsoft's " In MS Word 2000, meaning "Hindi IME"), a consonant followed by a vowel "
Figure pat00055
(a) When the " key is pressed, a letter with a comma form (called "hal" in Hindi) is output under a consonant. For example, "
Figure pat00056
(k) " followed by "
Figure pat00057
(a) When the " key is pressed, "
Figure pat00058
(k)" is recognized and output. If another consonant is input after a consonant with a comma under the consonant (half consonant = pure consonant), a "composite consonant" is 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For example, "
Figure pat00059
(k) " followed by "
Figure pat00060
(y)" is entered, the compound consonant "
Figure pat00061
". This is similar to how the final consonant "ㄻ" is entered in small letters when consonants that can form double endings (eg "ㄹ" and "ㅁ") are entered consecutively in Korean. It is said that there are regular and irregular forms in the production of compound consonants, and for details, you can refer to Hindi textbooks. It is already widely used in products (such as Hindi word processors).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도 자음 다음에 모음 "

Figure pat00062
(a)" 키가 입력되었을 때, 이를 자음아래에 할(콤마형상)이 붙은 자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063
(k)" 또는 "
Figure pat00064
(k)"를 포함한 다른 알파벳이 [1]버튼에 배정되어 있고, [1]버튼 한번 누름으로 "
Figure pat00065
(k)" 를 입력하고 나서, "
Figure pat00066
(a)" 가 배정된 버튼 (예. [*]버튼)을 누르면, "
Figure pat00067
(k)" 로 인식하는 것이다. 기존의 워드프로세서 제품의 경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기서 "
Figure pat00068
(y)" 가 입력되면, 복합자음 "
Figure pat00069
" 가 되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
Figure pat00070
(k)" 까지 인식된 후, "
Figure pat00071
(a)"가 배정된 버튼이 한번 더 눌려지면 "
Figure pat00072
(a-)" 이 인식되어, 결과는 "
Figure pat00073
(k) +
Figure pat00074
(a-) =
Figure pat00075
" 이 되는 것은 선출원에서 출원인이 제시한 내용이다. 마찬가지로 "
Figure pat00076
(k)" 까지 인식된 후, "
Figure pat00077
(u)"가 입력되면, "
Figure pat00078
(k) +
Figure pat00079
(o) =
Figure pat00080
" 가 된다. (선출원에서 이미 언급한 대로, 복합모음을 기본모음(a, i, u)의 조합으로 입력시, "
Figure pat00081
(o) =
Figure pat00082
(a) +
Figure pat00083
(u)" 이므로)Simi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consonant, a vowel "
Figure pat00062
(a) It is obvious that when the " key is inpu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sonant with a division (comma shape) under the consonant. For example, "
Figure pat00063
(k)" or "
Figure pat00064
(k) Other alphabets including " are assigned to the [1] button, and pressing the [1] button once "
Figure pat00065
(k)", then "
Figure pat00066
(a) If you press the button to which " is assigned (e.g. [*] button),
Figure pat00067
(k)". As mentioned in the case of existing word processor products, here "
Figure pat00068
(y)" is entered, the compound consonant "
Figure pat00069
Being " is the same, except that "
Figure pat00070
(k) After being recognized up to "
Figure pat00071
(a) When the button to which " is assigned is pressed once more, "
Figure pat00072
(a-)" is recognized, the result is "
Figure pat00073
(k) +
Figure pat00074
(a-) =
Figure pat00075
" What becomes is the content presented by the applicant in the earlier application. Likewise "
Figure pat00076
(k) After being recognized up to "
Figure pat00077
(u)" is entered, "
Figure pat00078
(k) +
Figure pat00079
(o) =
Figure pat00080
". (As already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when entering a compound vowel as a combination of basic vowels (a, i, u), "
Figure pat00081
(o) =
Figure pat00082
(a) +
Figure pat00083
(u)" so)

힌디어 1음절 단어는 "(자음)+모음+(자음)" 의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괄호안의 자음은 자음이 올 수도 있고, 오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2음절 단어는 "(자음)+모음+자음+모음+(자음)" 의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즉 자음을 사이에 두고 모음이 2개 있어 2음절을 형성하는 것이다. 2음절이상의 단어도 역시 마찬가지라고 한다. 상기 자음이 복합자음이더라도 복합자음을 이루는 자음과 자음 사이에 모음 "

Figure pat00084
(a)" 키가 입력되므로 현실적으로는 자음버튼이 한번 이상 눌러지고 다음에 모음 "
Figure pat00085
(a)" 키가 눌러지고 다시 자음키가 한번 이상 눌러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힌디어 자음 입력에 "반복선택방법" 을 적용하더라도 모호성 없이 힌디어 단어를 입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t is said that a word with one syllable in Hindi is made up of "(consonant) + vowel + (consonant)". Consonants in parentheses mean that the consonant may or may not occur. Likewise, two-syllable words are said to be made up of "(consonant) + vowel + consonant + vowel + (consonant)". That is, there are two vowels between the consonants to form two syllables. The same is true for words with more than two syllables. Even if the consonant is a compound consonant, the vowel "between the consonants and consonants forming the compound consonant
Figure pat00084
(a) Since the " key is entered, in reality, the consonant button is pressed more than once, and the next vowel "
Figure pat00085
(a)" key is pressed and then the consonant key is pressed one or more times. Therefore, in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o input of Hindi consonants, it means that Hindi words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모음이 단어의 맨처음에 나오는 경우, 축약형으로 표시될 필요는 없다. 즉, 자음이 인식된 다음에 모음버튼이 눌러진 경우가 아닌 모든 경우 (예. 단어의 시작부분에서 모음키 입력)에는 모음키 입력에 대하여 모음을 "축약형"이 아닌 "기본형"으로 인식하고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힌디어 워드프로세서에서도 자음 입력후가 아닌 단어의 처음 또는 모음 다음에 입력되었을 때, 축약형으로 표시되는데 (예. "

Figure pat00086
(a-)" 의 경우 "
Figure pat00087
(a-)"으로), 이는 명백히 사용자의 편의성에 반하는 것이다. 자음 다음에 입력되는 경우가 아닌 경우, 사용자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입력하기를 의도하는 것이므로, 자동으로 모음이 기본형(예. "
Figure pat00088
(a-)")으로 인식되고 표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워드프로세서에서는 "shift" + "
Figure pat00089
(a-)" 버튼을 입력해야 기본형으로 인식되고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를 사용하는 워드프로세서에서, 자음 다음에 입력되는 경우가 아닌 경우(예. 단어의 처음) 힌디어 기본형 모음이 자동으로 인식되는 발명을 추가로 제시하는 것이다. When a vowel appears at the beginning of a word, it need not appear as an abbreviation. That is, in all cases other than the case where the vowel button is pressed after the consonant is recognized (e.g., inputting the vowel key at the beginning of a word), the vowel is recognized as "basic" rather than "abbreviated" for vowel key input, and It is preferable to print out Similarly, in the Hindi word processor, when entered at the beginning of a word or after a vowel rather than after a consonant, it is displayed as an abbreviation (e.g. "
Figure pat00086
For (a-)""
Figure pat00087
(a-)"), which is obviously against the user's convenience. If it is not entered after a consonant, the user intends to enter a word that begins with a vowel, so the vowel is automatically added to the default form (eg. "
Figure pat00088
(a-)"). In current word processors, "shift" + "
Figure pat00089
(a-)" button must be input to be recognized and output as a basic form.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word processor using a keyboard, when it is not entered after a consonant (eg, the beginning of a word), the basic Hindi vowel is automatically recognized It is to further present the invention to be.

키보드상에서 적용하는 예를 들면, 단어의 시작상태(예. 공백 입력 직후)에서 모음 "

Figure pat00090
(a)"키가 눌러지면, 기본형 모음 "
Figure pat00091
(a)" 가 인식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예를 들면, 단어의 시작상태(예. 입력모드로 진입 직후, 또는 공백 입력 직후)에서 모음 "
Figure pat00092
(a)" 가 배정된 버튼(예. [*]버튼)을 한번 누르면, 기본형 모음 "
Figure pat00093
(a)" 가 인식되고, 다시 모음 "
Figure pat00094
(a)"를 한번 더 누르면, 모음 "
Figure pat00095
(a-)"가 인식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applied on the keyboard, the vowel "
Figure pat00090
(a)"When the key is pressed, the basic vowel"
Figure pat00091
(a)" is recognized. For exampl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ginning state of a word (eg, immediately after entering the input mode or immediately after entering a space), the vowel "
Figure pat00092
(a) If you press the button to which " is assigned (e.g. [*] button) once, the basic collection "
Figure pat00093
(a) " is recognized, and recollected "
Figure pat00094
(a) If you press " once more, the vowel "
Figure pat00095
(a-)" is recognized.

선출원에서 "길게누름후의 짧게누름" 에 의하여 알파벳을 인식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모음조합시작시의 모음버튼을 "길게누름" 에 의하여 "기본형" 모음을 입력할 수 있고, 이후의 조합되는 모음버튼은 짧게 누름에 의하여 다른 기본형 모음을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입력 후 모음조합시작 상태에서, 모음 "

Figure pat00096
(a)" 버튼이 길게 눌러지면, 기본형 모음 "
Figure pat00097
(a)"로 인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모음 "
Figure pat00098
(u)" 버튼이 짧게 눌러지면, 모음 "
Figure pat00099
(a)" 버튼의 길게누름과 모음 "
Figure pat00100
(u)" 버튼의 짧게 누름의 조합을 기본형 모음 "
Figure pat00101
(o)" 로 인식하고 출력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
Figure pat00102
(k)" 다음 "
Figure pat00103
(a)" 가 눌러지면 "
Figure pat00104
"이 되고, 다시 "
Figure pat00105
(a)" 가 한번 더 눌러지면, "
Figure pat00106
=
Figure pat00107
(k) +
Figure pat00108
(a-)" 이 되고, 다시
Figure pat00109
(i) 가 입력되면 "
Figure pat00110
=
Figure pat00111
(k) +
Figure pat00112
(ai)" 가 된다. 그러나 마지막
Figure pat00113
(i) 를 길게 눌러줌으로써, "
Figure pat00114
Figure pat00115
" 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Figure pat00116
(i) 가 한번 더 눌러지면 "
Figure pat00117
Figure pat00118
" 이 된다. 정리하면 모음버튼 길게누름을 통해 강제적으로 모음의 기본형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길게누름 이후 조합되는 모음 역시 기본형모음으로 표시됨을 의미한다. 이는 출원인이 제시한 모든 모음조합에 적용가능하며, 모음이 조합되는 최초의 모음버튼의 길게누름 이후 모음 버튼의 짧게 누름의 조합에 의하여 다른 모음의 기본형을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출원인이 제시한 모음조합((a), (i), (u)의 조합) 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의 모음조합에 의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vious application, a technology for recognizing alphabets by "short press after long press" is introduced. Similarly, a "basic" vowel can be input by "long pressing" the vowel button at the beginning of vowel combination, and other basic vowels can be combined by short pressing the vowel button to be combined thereafter. For example, in the vowel combination start state after consonant input, vowel "
Figure pat00096
(a) When the " button is long pressed, the basic collection "
Figure pat00097
(a)". Next, the vowel "
Figure pat00098
(u) When the " button is pressed briefly, the vowel "
Figure pat00099
(a) " Long press and vowel of the button "
Figure pat00100
(u) " A combination of short presses of the button "
Figure pat00101
(o)" to be recognized and printed. Likewise, "
Figure pat00102
(k) "next"
Figure pat00103
(a) When " is pressed, "
Figure pat00104
"become, again"
Figure pat00105
(a) When " is pressed once more, "
Figure pat00106
=
Figure pat00107
(k) +
Figure pat00108
(a-)", then again
Figure pat00109
If (i) is entered "
Figure pat00110
=
Figure pat00111
(k) +
Figure pat00112
(ai)". But the last
Figure pat00113
(i) By long pressing, "
Figure pat00114
Figure pat00115
". Here
Figure pat00116
(i) If is pressed once more, "
Figure pat00117
Figure pat00118
". In summary, it means that the basic form of a vowel can be forcibly displaye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vowel button, and the vowel that is combined after long pressing is also displayed as a basic type vowel. This can be applied to all vowel combinations proposed by the applicant.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basic type of another vowel by a combination of a short press of the vowel button after a long press of the first vowel button in which the vowel is combined. This is the vowel combination proposed by the applicant ((a), (i), (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ombination of u) but also to the case of inputting vowels by other types of vowel combinations.

4개 복합모음을 기본모음의 조합으로 입력한다는 전제에서, 자음 또는 모음으로 취급되는 "

Figure pat00119
(ri)"의 입력은 임의의 기본모음의 3번 눌러짐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음이 유사한 모음 "
Figure pat00120
(i)" 버튼의 3번 눌러짐으로 입력할 수 있다. 참고로 선출원에서 "
Figure pat00121
(e) =
Figure pat00122
(a) +
Figure pat00123
(i) 또는
Figure pat00124
(a) +
Figure pat00125
(i-)" 으로 입력할 수 잇다고 하였는데, "__(e) = __(a) + __(i)" 로 입력하면 되며, 굳이 "__(e) = __(a) + __(i-)"으로 입력할 필요는 별로 없다. 다음으로 모음 "
Figure pat00126
(a-)" 에 반달표가 붙은 모음 "
Figure pat00127
" 역시 모음 __(a) 가 배정된 버튼(예. [*]버튼) 의 3번누름으로 입력할 수 있다. On the premise that four complex vowels ar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basic vowels, "
Figure pat00119
(ri)" can be input by pressing an arbitrary basic vowel 3 times. For example, a vowel with a similar pronunciation "
Figure pat00120
(i)" can be entered by pressing the button 3 times. For reference, in the previous application, "
Figure pat00121
(e) =
Figure pat00122
(a) +
Figure pat00123
(i) or
Figure pat00124
(a) +
Figure pat00125
(i-)", but you can enter it as "__(e) = __(a) + __(i)". "You don't really need to type it as a vowel to "
Figure pat00126
(a-)" followed by a half-moon vowel "
Figure pat00127
" It can also be entered by pressing the button 3 times to which the vowel __(a) is assigned (e.g. [*] button).

자음 아래에 점(.)이 붙는 자음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편의상 "아랫점"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힌디어 기본 자음중 "

Figure pat00128
(ud)", "
Figure pat00129
(udh)" 가 있고, 5개의 차용자음으로 "
Figure pat00130
(k)", "
Figure pat00131
(kh)", "
Figure pat00132
(g)", "
Figure pat00133
(j)", "
Figure pat00134
(ph)" 가 있다. 5개의 차용자음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게 아랫점이 붙는 글자의 입력은 각 자음을 발음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기 제시한 자음그룹에 두고 해당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의 표는 아랫점이 붙은 자음을 발음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함께 그룹핑한 사례이다. 물론 각 그룹은 임의의 버튼에 할당할 수 있으며,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버튼에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할당된 알파벳의 수가 많아지면, 버튼의 반복누름의 횟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You can see that there is a consonant with a dot (.) under the consonant.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lower point". Among the basic consonants in Hindi, "
Figure pat00128
(ud)", "
Figure pat00129
(udh)", with five borrowed consonants "
Figure pat00130
(k)", "
Figure pat00131
(kh)", "
Figure pat00132
(g)", "
Figure pat00133
(j)", "
Figure pat00134
(ph)". Five borrowed consonants are said to be rarely used. In order to input letters with a lower point, each consonant is placed in a previously suggested consonant group based on the similarity of pronunciation and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following table is an example of grouping consonants with lower dots based on similarity of pronunciation. Of course, each group can be assigned to any button, and variations are possible. In this case, one button If the number of alphabets explicitly or implicitly assigned to is increas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repeated presses of the button increases.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5

위의 표를 기준으로 각 자음 그룹을 대표하는 자음을 하나씩 각 버튼에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9개 그룹의 첫번째 자음을 [1] ~ [9] 버튼에 각각 배치(즉, "

Figure pat00136
(k)" 는 [1]버튼에 배치, "
Figure pat00137
(ch)" 는 [2]버튼에 배치, ... "
Figure pat00138
(r)" 은 [9]버튼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음은, __(a), __(i), __(u) 를 각각 [*], [0], [#] 버튼에 배치하면 매우 안정감있는 키패드가 구성된다. 위의 그룹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각 그룹을 대표하는 자음 하나씩 만을 키패드에 표시할 수도 있으나, 복수로 표시(예. [1]버튼에 "
Figure pat00139
(k)" 와 "
Figure pat00140
(g)" 표시 또는 2개 이상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각 그룹은 임의의 버튼에 배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예시에 의하여 나열된 순서로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알파벳이 선택된다고 하면, "
Figure pat00141
(k)"가 배정된 버튼을 한번 누르면 "
Figure pat00142
(k)" 가 인식되고, 한번 더 누르면 "
Figure pat00143
(g)" 가 인식되고, 한번 더 누르면 "
Figure pat00144
(kh)" 가 인식되는 식이다. Based on the table above, one consonant representing each consonant group can be arbitrarily placed on each button. For example, the first consonant of the above 9 groups is placed on each of the [1] to [9] buttons (i.e. "
Figure pat00136
(k)" is placed on button [1], "
Figure pat00137
(ch)" is placed on the [2] button, ... "
Figure pat00138
(r)" can be placed on the [9] button). Also, for example, for vowels, __(a), __(i), and __(u) are respectively [*], [0], [#] When placed on a button, a very stable keypad is formed. The above groups are just examples, and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are possible. In addition, only one consonant representing each group can be displayed on the keypad, but multiple displays (eg. [1] button "
Figure pat00139
(k)" and "
Figure pat00140
(g)" or two or more) is also possible, and it is obvious that each group can be assigned to an arbitrary button. Assuming that the alphabet is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s in the order listed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
Figure pat00141
(k) When the button to which " is assigned is pressed once, "
Figure pat00142
(k)" is recognized, and if you press it once more, "
Figure pat00143
(g)" is recognized, and if you press it once more, "
Figure pat00144
(kh)" is a recognized expression.

다음으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밝힌 "길게누름을 이용한 컨트롤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 "

Figure pat00145
(d)" 를 입력한 후, 약속된 버튼(예. [6]버튼)을 길게 눌러 "
Figure pat00146
(ud)" 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랫점이 붙지 않는 알파벳에도 아랫점을 덧붙인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범용성이 있다. Next,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a long press" disclos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can be used. For example, the consonant "
Figure pat00145
(d) After entering ", press and hold the promised button (e.g. [6] button) to "
Figure pat00146
(ud)" can be entered. Using this method, there is versatility to input characters with a bottom dot added to the alphabet without a bottom dot.

그리고 반비자음(비자음의 반음)의 표시로 자음 위에 점이 붙는 자음이 있다. 편의상 이 점음 "윗점" 이라고 부른다. 윗점이 붙는 알파벳 역시 "길게누름을 이용한 컨트롤처리 방법" 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 "

Figure pat00147
(k)" 을 입력한 후, 약속된 버튼(예. [9]버튼)을 길게 눌러 "
Figure pat00148
" 를 입력할 수 있다. And there is a consonant with a dot on top of the consonant as a sign of a half consonant (half of a non consonant). For convenience, this dot is called "upper dot". Alphabets with upper points can also be entered with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long press". For example, the consonant "
Figure pat00147
(k)", press and hold the promised button (e.g. [9] button) to "
Figure pat00148
" can be entered.

다음으로 모음이 비음화한 비모음(콧소리모음)은 모음위에 "반달+점" 모양 기호("

Figure pat00149
" - 점선으로 된 동그라미 부분에는 자음 또는 모음이 위치함)가 붙는 것이다. 이를 편의상 "반달점" 이라 부른다. 모음 "
Figure pat00150
(a)" 는 생략되어 표시되지 않으므로, 실제로는 반달점이 모음 또는 자음위에 붙게된다. 마찬가지로 "길게누름을 이용한 컨트롤처리방법" 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151
(k)" 다음 "
Figure pat00152
(a-)" 을 입력하면 "
Figure pat00153
(ka-)" 가 되고, 다시 약속된 버튼(예. [8]버튼)을 길게 누르면, "
Figure pat00154
" 가 된다. 역시, "
Figure pat00155
(k)" 다음 약속된 버튼(예. [8]버튼)을 길게 누르면, "
Figure pat00156
" 가 된다. 만약 "
Figure pat00157
(k)" 를 포함한 알파벳 그룹이 [8]버튼에 할당되고, [8]버튼에 "
Figure pat00158
(k)" 하나 또는 다른 알파벳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면, "
Figure pat00159
" 는 "88~" 로 입력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8~" 은 [8]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을 의미)Next, the nasal vowel (nasal vowel) in which the vowel is nasalized is a "half-moon + dot" symbol ("
Figure pat00149
" - A consonant or vowel is placed in the dotted circle part). This is called a "half-moon point" for convenience. Vowels "
Figure pat00150
(a)" is omitted and not displayed, so the half-moon point is actually attached to the vowel or consonant. Likewise, it can be entered with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long press". For example, "
Figure pat00151
(k) "next"
Figure pat00152
(a-)" if you type "
Figure pat00153
(ka-)", and if you press and hold the promised button (e.g. [8] button), "
Figure pat00154
" becomes. After all, "
Figure pat00155
(k)" Press and hold the next promised button (e.g. [8] button), "
Figure pat00156
" becomes. If "
Figure pat00157
(k) An alphabetic group including " is assigned to the [8] button, and the [8] button is "
Figure pat00158
(k)" if one or the other alphabets are co-located, "
Figure pat00159
" is entered as "88~". (Here, "8~" means long-pressing the [8] button)

다음으로 상기 예시한 힌디어 입력방법하에서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하는 사례를 간단히 보이고자 한다. 힌디어 음절은 "자음+모음+..." 으로 시작하거나 "모음+..." 으로 시작하며, 자모음이 번갈아 나오는 구조라고 하였다. 따라서 힌디어 입력시 "(첫모음)+음절기준이니셜코드" 또는 "(첫모음값)+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 를 이용한 병행입력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첫모음)+자음기준 심플코드" 또는 "(첫모음값)+자음값기준 심플코드" 를 활용할 수 있다. "첫모음", "첫모음값"에 괄호를 한 것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음절도 있기 때문이다. Next, we will briefly show an example of applying the parallel input method under the Hindi input method exemplified above. It was said that a Hindi syllable starts with "consonant + vowel + ..." or "vowel + ...",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e. Therefore, when inputting Hindi, parallel input using "(first vowel) + syllable standard initial code" or "(first vowel value) + syllable standard initial value simple code" is possible. Similarly, "(first vowel) + simple code based on consonant" or "(first vowel value) + simple code based on consonant value" can be utilized. Parentheses are used for "first vowel" and "first vowel value" because some syllables start with consonants.

단축입력값으로 "(첫모음값)+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 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의 사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단어시작 후 처음입력으로 자음이 입력되고, 모음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자음이 입력되면,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나오는 힌디어제한(힌디어 단어 생성규칙)을 위반한 것이 되므로,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해석하여, 첫음절의 자음과 두번째 음절의 자음이 일치하는 단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사례로

Figure pat00160
(s) 가 입력되고 나서 모음버튼이 입력되지 않고, 다른 자음버튼(예. (t) 그룹의 알파벳이 배정된 버튼)이 입력되는 순간 자음이 연속하므로 힌디어 제한(힌디어 단어생성 규칙)을 위반하므로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해석하는 것이다.
Figure pat00161
(s) 가 입력되고 나서
Figure pat00162
(t') 가 입력되면 단어의 처음이 "
Figure pat00163
(s)__
Figure pat00164
(t')..." 와 일치하는 단어를 사용자에 추천(예. 리스트 형태)하여 줄 것이다. 만약 한번 더 (t)그룹의 알파벳이 배정된 버튼이 눌러지면, "
Figure pat00165
(s)__
Figure pat00166
(th)..." 와 일치하는 단어를 사용자에 추천하여 줄 것이다. (밑줄부분에는 모음이 있음을 의미) "
Figure pat00167
(s)__
Figure pat00168
(th)..." 까지 입력되면 이에 일치하는 단어 "
Figure pat00169
", ... 등등의 단어를 사용자에 추천하여 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음+자음" 이 인식되고, 다시 모음버튼의 입력없이 다른 자음버튼이 눌러지는 순간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첫모음+자음+___+자음..."이 일치하는 단어를 사용자에 추천하여 주게 될 것이다. Assuming that "(first vowel value) + syllable standard initial value simple code" is used as the short input value, an example of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s follows. If a consonant is entered as the first input after the word starts and the consonant is entered again without the vowel button being pressed, it violates the Hindi restriction (Hindi word generation rul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e. , and a word in which the consonants of the first syllable and the consonants of the second syllable match are recommended to the user. as a specific example
Figure pat00160
The vowel button is not entered after (s) is entered, and the consonant continues at the moment when another consonant button (eg. (t) group alphabet assigned button) is entered, violating the Hindi restriction (Hindi word generation rule). It is to interpre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Figure pat00161
After (s) is entered
Figure pat00162
If (t') is entered, the beginning of the word is "
Figure pat00163
(s)__
Figure pat00164
(t')..." will be recommended to the user (eg in the form of a list). If the button assigned to the alphabet of the (t) group is pressed once more, "
Figure pat00165
(s)__
Figure pat00166
(th)..." will be suggested to the user. (The underscore means there is a vowel) "
Figure pat00167
(s)__
Figure pat00168
If up to (th)..." is entered, the word that matches "
Figure pat00169
Words such as ", ..., etc. can be recommended to the user. Likewise, "vowel + consonant" is recognized, and the moment another consonant button is pressed without inputting the vowel button again, the input value is interpreted as a simple code and processed. In this case, words that match "first vowel + consonant + ___ + consonant..." will be recommended to the user.

만약 같은 버튼에 있는 자음만의 조합(예. "

Figure pat00170
(k)__
Figure pat00171
(g)..." 와 같은 입력값을 처리하려면, " (k)" 입력후 일정시간(선출원에서 언급한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 또는 이타지연시간) 동안의 시간지연을 통하여 "
Figure pat00172
(k)" 를 확정하고 나서, "
Figure pat00173
(g)" 를 입력하는 식으로 가능하다. 또는 약속(예. 우측이동버튼 누름)에 따라 기 입력된 "
Figure pat00174
(k)" 를 확정하고 나서 "
Figure pat00175
(g)" 를 입력하는 식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병행입력방법의 사례는 모두 선출원에서 언급(PC용 키보드 및 키패드에서 적용가능함)한 것으로 새로운 내용이 아니다. If a combination of only consonants on the same button (e.g. "
Figure pat00170
(k)__
Figure pat00171
In order to process an input value such as "(g)...", after inputting "(k)", through a time delay for a certain time (language restriction release delay time or other delay time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
Figure pat00172
(k) After confirming "
Figure pat00173
(g) It is possible by entering "
Figure pat00174
(k) after confirming "
Figure pat00175
It is possible by entering "(g)". All examples of these parallel input methods are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pplicable to PC keyboards and keypads), and are not new.

본 발명에서 "버튼누름" 에 반응하여 알파벳이 인식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프로그램상의 디테일한 부분에서, 실무적으로는 버튼이 눌러질 때 소정의 알파벳이 인식되도록 하기도 하고, 버튼이 눌려졌을 때는 알파벳을 인식하지 않고, 눌렸다가 떨어질 때 소정의 알파벳이 인식되도록 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버튼누름" 이라고 표현한 것은 눌렸다가 떨어지는 순간 알파벳이 인식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는 본 발명의 다른 내용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phabets are recognized in response to "button pressing". In the detailed part of the program, in practice, a predetermined alphabet is recognized when a button is pressed, an alphabet is not recognized when a button is pressed, and a predetermined alphabet is recognized when a button is pressed and then released. Of course, the expression "button pres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se where the alphabet is recognized the moment it is pressed and released. This is also the same in other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14 반자음분리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언어제한 입력방법 12.14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각 언어별로 반자음(즉, 반모음)은 조금씩 다르다,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w, y, j 등을 반자음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어떤 언어에서는 j 를 제외하기도 하 고, 또 어떤 언어에서는 v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w, y 는 거의 모든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반자음으로 취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Half consonants (i.e., half vowels) are slightly different for each language. In English, w, y, j, etc. are generally treated as half consonants, and some languages exclude j, while others include v. do it too In general, w and y seem to be treated as half consonants in common in almost all languages.

여기서 반자음은 모음과 유사한 성질 및 음가를 가지므로, 반자음을 별도의 그룹으로 두는 것은 발음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자음을 그룹핑하는 것의 연장선상 에 있는 것이다. Here, since half consonants have similar properties and phonetic values to vowels, putting half consonants into a separate group is an extension of grouping consonants based on similarity in pronunciation.

또한 언어별로 영어알파벳 중 특정 언어에서 사용하지 않는 알파벳(예를 들 어 스페인어에서 외래어 등에만 사용된다고 하는 k 와 w)이 있기도 하고, 영어알 파벳 이외의 알파벳(출원인은 편의상 변형알파벳 혹은 추가알파벳이라 하였음)이 쓰이기도 한다. 영어알파벳 중 사용되지 않는 알파벳 역시 보편적으로 쓰이는 영 어의 입력을 위하여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로마알 파벳의 수가 많지 않으면 반자음과 함께 그룹핑하고 같은 버튼에 배정할 수 있다. 중국어에서의 도10-6을 참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among the English alphabets for each language, there are alphabets that are not used in a specific language (for example, k and w, which are said to be used only in foreign words in Spanish), and alphabets other than English alphabets (applicants call them modified or additional alphabets for convenience). ) is also used. Alphabets that are not used among English alphabets will also be needed for input of commonly used English. Therefore, if there are not many Roman alphabets that are not used in a specific language, they can be grouped together with half consonants and assigned to the same button.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10-6 in Chinese.

또한 특정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알파벳들을 함께 그룹핑하여 같은 버튼 에 배정할 수도 있다. Also, alphabets that are not used in a specific language can be grouped together and assigned to the same button.

12.15 불완전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언어제한입력방법 12.15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on Incomplet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본 발명에서 각 언어에 최적화된 자모음분리키패드를 구성하고 반복선택방 법을 적용함으로써 모호성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이렇 게 자모음분리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입력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를 근간으로 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를 약간 변형하여 일부의 버튼에 자모음을 함께 배정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서 제시한 자모 음분리키패드에서의 언어제한입력방법의 변형된 범주이다. 이를 편의상 “불완전 자모음분리키패드”라 부르고, 자모음이 함께 배정된 버튼을 편의상 “자모음혼합 버튼”이라 부르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shown that ambiguity can be removed or minimized by constructing a consonant separation keypad optimized for each language and applying a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in this way, the algorithm of the input system can be simplified.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is. Therefore, the case of slightly modifying this and assigning consonants and consonants to some buttons is also a modified category of the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in the consonant sound separation keypad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is is called an "incomplete consonant-consonant separation keypad", and a button assigned with consonants is called a "consonant-consonant mixing button" for convenience.

예를 들어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모음 “i”와 (반)자음 “y”를 함께 그룹 핑하고, 특정 버튼에 배정하고 버튼누름횟수에 따라 소정의 순서에 의하여 자음 (여기서는 반자음)과 모음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나머지 버튼은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으로 분리). “iy” 혹은 “yi” 처럼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없으면, 중국어제한입력방법을 적용하여 역시 모호성없이 한어병음입력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자모음이 혼합배정된 특정버튼의 누름횟수에 따라 “y”(한번 누름), “i” (두번 누름) 의 순서로 선택된다고 가정하고, 자음버튼이 눌러지고 나서 이 자모 음혼합버튼이 한번 눌러지는 순간, 이전 자음버튼의 입력이 자음을 입력한 것으로 확정되므로, 시스템은 자모음혼합버튼이 한번 눌려진 것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y ”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모음 “i”가 입력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중국어에서 특정 자음 다음에 자음 “y” 가 나올 수 없는 언어제한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For example, in the consonant and vowel separation keypad, the vowel “i” and (half) consonant “y” are grouped together, assigned to a specific button, and consonants (here, half consonants) and vowels are grouped in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It can also be selected (the remaining buttons are separated into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If there are no consecutive occurrences like “iy” or “yi”, Chinese pinyin input is possible without ambiguity by applying the Chinese restriction input method. In this case, assuming that consonants are selected in the order of “y” (press once) and “i” (press tw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specific button mixed and assigned, and after the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he consonant sound mixture button The moment it is pressed once, since the input of the previous consonant button is confirmed as having entered a consonant, the system does not temporarily consider that “y” was input for the consonant mixture button being pressed once, and the vowel “i” is input. can be determined as This is because in Chinese you can use language restrictions where the consonant “y” cannot occur after a certain consonant.

또 다른 예를 들어 모음 “i”와 자음 “j”를 혹은 모음 “i”와 자음 “k ”를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언어제한)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한어 병음 입력시 “…ik…” 혹은 “…ki…” 와 같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있으면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특별한 이유없이 이렇게 일부의 버튼에 자음과 모음을 함께 배정하는 것은, 입력알고리즘을 복잡하게 만들고 입력시스템 구성의 효율성 을 떨어뜨리며, 완전한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언어제한입력방법을 적용하는 것 보다 좋지 않다. 다만, 각 언어의 특성상 10개의 숫자버튼에 모두 자음을 배정하 기 위한 특별한 목적 등을 위하여 일부의 버튼에 자모음혼합버튼을 둘 수도 있다 (한국어의 사례 참조). For another example, the vowel “i” and the consonant “j” or the vowel “i” and the consonant “k” can b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and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language restriction) can be applied. When inputting Chinese Pinyin, “… ik… " or "… ki… Ambiguity may occur if there are consecutive cases such as “.” Assigning consonants and vowels to some buttons together for no particular reason complicates the input algorithm,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input system configuration, and is not better than applying the language-restricted input method on a complete consonant-consonant separation keypad. .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each language, consonant-consonant mixture buttons may be placed on some buttons for the special purpose of allocating consonants to all 10 number buttons (refer to the case of Korean).

이는 도10-7의 흐름도를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10-9를 참고한다. 자 모음혼합버튼이 한 개 이상 있는 경우도 동일하며, 하나의 자모음혼합버튼에 2개 이상의 자모음이 배정된 경우도 동일하다. 불완전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의 언어제 한을 적용하는 것은 조금 더 복잡하며(위의 “i”와 “y”의 사례 참조), 각 언어 별 자음과 모음의 결합규칙을 적용하여야 하므로, 각 언어별 언어제한을 세부적으 로 적용한 흐름도는 도10-9보다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도10-9는 도10-7을 일부 변형하고 일반적인 내용만을 매우 간략히 표현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This can be applied by modifying the flowchart of FIG. 10-7. See Figures 10-9. The case where there is one or more consonant-vowel mix buttons is the same, and the case where two or more consonant vowels are assigned to one consonant-vowel mix button is the same. Applying language restrictions on the incomplete consonant-consonant separation keypad is a little more complicated (see the case of “i” and “y” above), and since the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rules for each language must be applied, each language A flow chart in which language restrictions are applied in detail may be more complicated than in FIGS. 10-9. 10-9 is considered to be a partial modification of FIG. 10-7 and a very simplified expression of only the general content.

예를 들어, 도5-1의 표준 영어키패드에서 중국어 병음 입력시, 5개의 모음 이 각기 다른 버튼에 배정되어 있으므로 모음은 모호성 없이 인식될 수 있다. 자 음의 경우 "~모음+n" 다음에 자음이 오는 경우는 모호성없이 인식될 수 있다. "~n+X" ('X'는 성모를 영어자음으로 표시한 것) 에서 "~모음+n+m"이 입력될 경우, 모음이 [6] 버튼에 함께 배정된 모음 "o"가 결합될 수 있는 모음(예를 들어 모음 'a') 이 오면 일시적으로 "~ao" 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정상적인 중국어 병 음음절이 "m"으로 끝나지 않으므로, 다음 입력값에 의하여 인식되는 모음을 보아 그 이전 입력값을 "~anm+모음"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a" 가 결합할 수 없는 모음(예를 들어 'e') 다음에 "n+m = 666"이 입력된 경우 "eo"의 결합이 불가능한 언어제한을 이용하여 "~eo" 가 아닌, "~enm~"으로 처리할 수 있다 (중국어 병음에 서 '~emn~'은 불가능 하므로). For example, when inputting Chinese pinyin on the standard English keypad of FIG. 5-1, since five vowels are assigned to different buttons, the vowels can be recognized without ambiguity. In the case of a consonant, if a consonant comes after "~ vowel + n", it can be recognized without ambiguity. When "~ vowel + n + m" is entered in "~ n + X" ('X' is the English consonant for the Virgin Mary), the vowel "o" assigned together to the [6] button is combined. When a possible vowel (for example, the vowel 'a') is encountered, it can be temporarily recognized as "~ao". However, since normal Chinese bottle syllables do not end with "m", the previous input value can be recognized as "~ anm + vowel" by looking at the vowel recognized by the next input value. If "a" is entered after a vowel that cannot be combined (for example, 'e') and "n + m = 666" is entered, it is not "~eo" by using the language restriction that "eo" cannot be combined. It can be processed with "~enm~" (since '~emn~' is not possible in Chinese Pinyin).

"~모음+ng"로 끝나는 음절 다음에 자음이 올 때,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gg~" 가 "~nh~"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중국어의 경우 시스템 은 "~ngg~" 및 "~nh~"와 일치하는 한자를 모두 색인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 공할 수 있다. "~ngh+모음~" 의 경우는 "~ni+모음" 로 인식될 수 있다. 만약 뒤 이어 인식되는 모음이 "i"다음에 결합할 수 없는 모음(예를 들어 'u') 이면 입력 값을 "~nghu"로 인식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마찬가지로 "~ngh+모음~" 및 "~ni+모음~" 모두에 대응하는 한자를 검색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일 부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에 가능한 해석결과와 일치하는 단어를 모두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When a consonant follows a syllable ending in "~ vowel + ng", ambiguity may occur. For example, "~ngg~" can be recognized as "~nh~". For Chinese, the system can retrieve all Chinese characters matching "~ngg~" and "~nh~" from the index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In the case of "~ ngh + vowel ~", it can be recognized as "~ ni + vowel". If the next recognized vowel is a vowel that cannot be combined after "i" (for example, 'u'), the input value can be recognized as "~nghu".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ll of "~ni+vowels~" can be searched and processed. In addition, when some ambiguity occurs, all words matching possible interpretation results can be searched and provided to the user.

도1-1의 표준영어키패드에서 중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중국어 병음 입력시, “~ngh+모음~” 의 경우는 “~ni+모음” 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경우 가 있다고 하였고 이 경우는 두가지 모두에 대하여 일치하는 어구를 병음색인에서 검색하여 처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병음색인에 풀코드(도1-1을 기준으로한 반복 선택방법에서의 풀코드)를 모두 저장하고 있는 경우, 중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입력값이 생성할 수 있는 모든 경우(예. “~ngh+모음” 및 “~ni+모음”)에 대하여 색인을 검색하여 일치하는 어구를 시스템이 인식해 낼 수 있는 것이다. In the standard English keypad of Fig. 1-1, when Chinese Pinyin is input by applying the Chinese restriction repetition selection method, there are cases where "~ ngh + vowel ~" can be recognized as "~ ni + vowel", and in this case, both It was said that matching phrases can be searched and processed in the Pinyin index. When all full codes (full codes in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based on Figure 1-1) are stored in the Pinyin index, all cases where the input value can be generated (e.g. .“~ngh+vowel” and “~ni+vowel”), the system can recognize matching phrases by searching the index.

예를 들어 도1-1, 도5-1에서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222”는 “aaa”, “ ab”, “ba”, “c”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도1-1, 도5-1에서 “beijing = 22334445444664” 이고, 여기서 연속된 숫자그룹은 다수의 알파벳 조합으로 인식 될 수 있다. 연속된 숫자 그룹인 “22~” 는 “aa” 혹은 “b” 로 해석될 수 있 다. “~33~”은 “dd” 혹은 “e”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2233~” 은 “ aadd~”, “aae~”, “bdd~” 또는 “be~” 의 4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입력값이 증가하면 가능 조합의 가짓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입력값에 대하여 해석가능한 알파벳 조합을 편의상 역시 “가능알파벳조합” 혹은 “후보 알파벳조합”이라 부른다. For example, whe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n FIGS. 1-1 and 5-1, “222” can be recognized as “aaa”, “ab”, “ba”, and “c”. Therefore, in FIGS. 1-1 and 5-1, "beijing = 22334445444664", where a group of consecutive numbers can be recognized as a plurality of alphabet combinations. “22~”, a group of consecutive numbers, can be interpreted as “aa” or “b”. “~33~” can be interpreted as “dd” or “e”. Therefore, “2233~” can be interpreted as “aadd~”, “aae~”, “bdd~” or “be~”. As the input value increases, the number of possible combinations increases exponentially. Such an interpretable alphabet combination for the input value is also called a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 or a “candidate alphabet combination” for convenience.

그러나, “22~”가 눌러졌을 때 “aa~” 혹은 “b~”로 해석될 수 있는데, 색인을 참조하여 “aa~”로 시작하는 단어가 더 이상 색인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시스템이 확인하면, 시스템은 “aa~”로 시작하는 조합은 제외하고, 입력값 “22~ ”를 “b~”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중국어 병음이 “aa~” 로 시작하지 않는 중국어 제한을 이용하여 입력값 “22~”를 “b~”로 해석할 수 있는 것과 유 사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2233~” 이 눌러졌을 때, “bdd~”, “be~” 의 2 가지 조합에 대해서만 색인을 검색하게 되고, 여기서 다시 “bdd~”로 시작하는 어구가 색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시스템이 확인하면, “bdd~”로 시작 하는 조합은 더 이상 고려하지 않고, “be~”만을 대상으로 다음 입력값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 역시 중국어 병음에서 “bdd~” 가 불가능한 중국어제한을 이용 하여 “입력값 “2233~”을 “be~”로 처리하는 것과 유사하게 볼 수 있다. 입력 값 “22334~” 에 대하여 “beg~”로 해석될 수 있다. 또 입력값 “223344~”에 대하여 “begg~” 혹은 “beh~”로 해석할 수 있는데, 병음 색인을 검색하여 “ begg~”로 시작하는 단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시스템은 입력값 “223344~”를 “beh~”로 처리하게 된다. 이는 중국어제한 입력방법(예. 중국어 병음 생성규칙에 의거하여 “begg~” 가 유효한 음절이 아니고 “beh~” 만이 유효한 병음 음절을 이루는 중국어제한을 이용한 입력방법)을 이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볼 수 있다. “4”가 한번 더 눌러져서 입력값이 “2233444~”가 되면, “behg~” 혹은 “bei~” 로 해석될 수 있는데, 역시 색인을 검색하여 “behg~” 로 시작하는 단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시스템이 확인하는 순간 입력값 을 “bei~”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중국어제한 입력방법에서 “behg~”가 불 가능한 병음 조합이므로 입력값 “2233444~”를 “bei~”로 해석하여 처리하는 것 과 유사하게 볼 수 있다. However, when “22~” is pressed, it can be interpreted as “aa~” or “b~”, and when the system checks that the word starting with “aa~” no longer exists in the index by referring to the index, , the system can process the input value “22~” as “b~”, excluding combinations starting with “aa~”. This can be seen similarly to the way that the input value “22~” can be interpreted as “b~” using the Chinese restriction that Chinese Pinyin does not start with “aa~”. Therefore, when “2233~” is pressed, the index is searched only for the two combinations of “bdd~” and “be~”, and here again, the phrase starting with “bdd~” no longer exists in the index. When the system confirms, combinations starting with “bdd~” are no longer considered, and only “be~”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input values. It can also be seen as similar to processing “input value “2233~” as “be~” by using the Chinese restriction that “bdd~” is not possible in Chinese Pinyin. It can be interpreted as “beg~” for the input value “22334~”. In addition, the input value “223344~” can be interpreted as “begg~” or “beh~”. The moment the system searches the Pinyin index and confirms that there are no more words starting with “begg~”, the system inputs The value “223344~” is processed as “beh~”. This can be seen as similar to using a Chinese restricted input method (e.g., an input method using Chinese restrictions where “begg~” is not a valid syllable and only “beh ~” is a valid Pinyin syllable based on Chinese Pinyin generation rules). If “4” is pressed once more and the input value becomes “2233444~”, it can be interpreted as “behg~” or “bei~”. As soon as the system confirms that it does not, the input value can be processed as “bei~”, and since this is a Pinyin combination where “behg~” is not possible in the Chinese restricted input method, the input value “2233444~” is interpreted as “bei~” It can be seen as similar to processing

입력하고자 하는 모든 단어와 풀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단순히 “beijing = 22334445444664” 에서 후보 알파벳조합의 가짓수는 2*2*4*1*4*2*1 = 128 가지이다. 물론 이 128가지 후보 알파벳 조합을 모두 색인과 비교하여 일치 하는 단어에 대해서만 처리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그러나 시스템 이 입력초기부터 입력값을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는 입력값의 증가에 따라 색 인에 존재하지 않는 알파벳 조합(위 예에서, ‘aa~’, ‘bdd~’, behg~’ 등등) 을 입력초기에 제외해 나가는 방법이 유용할 것이다.In a system that stores all words and full codes to be entered, the number of candidate alphabet combinations in “beijing = 22334445444664” is 2*2*4*1*4*2*1 = 128. Of course, i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pare all of these 128 candidate alphabet combinations with the index and process only matching words. However, in a system that can recognize an input value from the beginning of the input, as the input value increases, alphabet combinations that do not exist in the index (in the example above, 'aa~', 'bdd~', behg~', etc.) Excluding at the beginning of the input would be useful.

이렇게 반복선택방법에서의 동일한 입력값이 연속하여 증가함에 따라 발생 하는 많은 수의 후보 알파벳조합 중에서, 색인에 존재하는 일부의 후보 알파벳조 합만을 대상으로 시스템이 검색해 나갈 수 있다. 입력값에 의한 후보 알파벳조합 이 모두 색인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시스템은 입력값을 약속된 유형의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In this way, among a large number of candidate alphabet combinations generated as the same input value in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continuously increases, the system can search for only some candidate alphabet combinations existing in the index. If it is confirmed that all candidate alphabet combinations by the input value do not exist in the index,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of the promised type.

12.16 비은닉형 컨트롤처리방법의 적용 12.16 Application of non-hidden control processing method

이상의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임의의 버튼(3*4키패드 내의 버튼 혹은 외부 의 별도의 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정하고, 대표알파벳만을 해당 버튼 1타로 선택 되도록 하고, 나머지 알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0-6의 키패드에서 [0] 버튼에 배정된 “w, y, v”를 임의의 자음버튼에 배정하고, [0] 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활용하여, “p = b+0 = 10” 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컨트롤 후입력적용시). 이는 이미 선출원에서 언급한 내용이다. I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above, an arbitrary button (a button within the 3*4 keypad or a separate external button) is set as a control button, only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s selected with one stroke of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the rest of the alphabet can b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can For example, in the keypad of FIG. 10-6, “w, y, v” assigned to the [0] button is assigned to any consonant button, and the [0] button is used as a control button to obtain “p = b + 0 = 10” (when applying input after control). This has already been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13. 13. 입력값의of the input 길이로 판단하는 병행입력방법 Parallel input method judged by length

색인에 저장된 단축코드의 길이는 경우에 따라 특정 개수 이하로 될 수 있 다. 또한 특정한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혹은 시스템에 의하여 입력되는 단축코드 의 유형(예를 들어, 유형1(도시명), 유형2(은행명), . . . 선출원에서 유형1, 유 형2는 트리형태로 그룹지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이 지정될 수 있다. 만약 유형1 (도시명)으로 입력되는 단축코드의 유형이 지정되고, 도시명의 단축코드의 길이가 3 이하라고 가정하면, 단축입력방법을 기본모드로 하는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입 력값의 길이가 3을 초과하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3개의 입력값이 입력되고 단어종료기능(예. 공백)이 입력되면,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 리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shortcode stored in the index may be less than a certain number in some cases.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 type of short code entered by the user or by the system (eg, type 1 (city name), type 2 (bank name), . . .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ype 1 and type 2 are grouped in a tree form) can be built) can be specified. Assuming that the type of shortcode entered as type 1 (city name) is specified and the length of the city name shortcode is 3 or less, when the parallel input method with the short input method as the default mode is applied, the length of the input value is 3 When it exceeds , the system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and can process it. Conversely, when applying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f three input values are entered and a word termination function (eg, blank) is entered,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이는 한국어, 중국어와 같이 특정한 유형(도시명 - 北京, 회사명 - 四通集 團, . . . )의 단축코드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하로 될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 할 것이다(한국어 중국어 등에 있어서 특정 유형의 명사는 일정 수 이하의 음절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고,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단축코드로 이용하는 것이 자연스러 우므로. 예를 들어 한국어서 대부분의 은행명은 2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은 행명에 대한 음절기준 이니셜 코드의 길이는 2가 됨). This will be particularly useful in cases where the length of a short code of a specific type (city name - Beijing, company name - 四通集團, . . . ) can be less than a certain length, such as Korean and Chinese (specific Since tangible nouns are often composed of a certain number of syllables or less, and it is natural to use them as short codes for syllable-based initial codes. The length of the code becomes 2).

이는 입력값이 단축코드인지 풀코드인지를 입력 초기에 판단하여 사용자에 게 제공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즉 입력값의 길이가 특정 길이 이상인지, 이하인 지만으로 입력값이 심플코드인지 풀코드인지 판단하여도 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즉 매번 입력값이 입력될 때마다 단축코드 색인을 검색하지 않고, 단지 입 력값의 길이가 특정 길이 이상인지만을 체크하면 되므로 구현을 단순화하고 시스 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t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value is a short code or a full code at the beginning of the input and does not have to provide it to the user. It can also be useful if That i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implementation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ecause it does not search the shortcode index every time an input value is entered, but only checks whether the length of the inpu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ngth.

14.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 14. Parallel input method with language restrictions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은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입력값이 특정언어 의 “단어생성규칙”을 위배하는 순간(즉, 언어제한을 위배하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만약 입력값과 일치하는 값이 심플코드 색인에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다시 입력값을 풀코드 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The language-restricted parallel input method applies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the moment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word generation rule” of a specific language (ie, the moment it violates the language restriction), the system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d is to proces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value matching the input value no longer exists in the simple code index, the input value can be treated as a full code again.

14.1 언어제한 반복선택방법을 풀입력방법으로 하는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14.1 Language-restricted parallel input method using the language-restricted repeated selection method as the full input method

14.1.1 중국어14.1.1 Chinese

특히 도10-1 ~ 10-4를 기준으로한 중국어의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는 자음버 튼인 [1] ~ [9] 의 숫자값만을 가지게 된다(모음 a, o, e 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감탄사 정도이며 현실적으로 거의 없다고 하고, 모음 i, u, ..u 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는 앞에 y, w, y 를 각각 붙이므로). 반복선택방법 을 적용한 풀코드는 도10-1 ~ 10-4의 예에서 대부분의 경우 2번째 혹은 적어도 3 번째 입력값은 모음 입력을 위하여 [*], [0] 혹은 [#] 버튼 중의 한개 버튼이 입 력되어야 한다. 이러한 성질은 선출원의 한국어의 예(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에 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병행입력방법"을 적용시 입력초기에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 루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는 좋은 특성을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Chinese syllable-based initial code based on Figs. 10-1 to 10-4 has only the numeric values of consonant buttons [1] to [9] (even when vowels a, o, and e are used alone It is said that there is, but it is said to be an exclamation, and practically there are few, and when the vowels i, u, ..u are used alone, y, w, and y are added in front, respectively). In the example of Figures 10-1 to 10-4, the full code to which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s the second or at least the third input value in most cases is one of the [*], [0] or [#] buttons for vowel input. should be entered. As mentioned in the Korean example of the previous application (method using vowel elements), this property is a good property to know whether or not the input value forms a full code at the beginning of the input when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provides

예를 들어 풀입력방법으로 도10-1 ~ 10-4를 기준으로한 반복선택방법을 사 용하고, 풀입력모드를 기본입력모드로 하는 병행입력방법(풀우선 병행입력방법)에 서, 입력값이 "693 ... = shk ..." 가 입력되면, 3번째 값 [3] 이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루지 못하는 것('sh' 까지는 가능해도 그 다음 자음 'k' 가 올 수는 없으므로)을 시스템이 인지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 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역시 “112 … = pd …” 가 입력되면, 3번째 입력 값 [2] 가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루지 못하는 것(중국어 입력에서 ‘11’ 이 ‘bb’가 될 수 없고 ‘p’로 해석될 수 밖에 없으며, p 다음에 로마알 파벳 자음 d 혹은 t가 오면 중국어 음절을 이룰 수 없으므로)을 시스템이 인식하 고,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7771 … = wb…” 이 입력되면 4번째 입력값 [1] 이 입력되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결국 대부분의 경우 2번째 혹은 3번째 입 력값이 입력되면 입력값이 풀코드인지 아닌지를 시스템이 알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parallel input method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using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based on Figs. 10-1 to 10-4 as the full input method and using the full input mode as the basic input mode, input If the value "693 ... = shk ..." is entered, the moment the third value [3] is entered,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a full code (even if it is possible up to 'sh', the next consonant 'k' Since the system can recognize it,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gain, “112 … =pd... ” is entered, the moment the third input value [2] is entered,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a full code (in Chinese input, '11' cannot be 'bb' and can only be interpreted as 'p', If the Roman alphabet consonant d or t comes after p, the system recognizes the Chinese syllable), and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Similarly, “7771 … =wb... ” is entered, the moment the 4th input value [1] is entered, the system can proces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fter all, in most cases, when the second or third input value is entered, the system can know whether the input value is full code or not.

“14 … = bj …” 가 입력되면, 2번째 입력값 [4] 가 입력되는 순간 시스 템이 입력값이 유효한 중국어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것(중국어 성모중 bj와 같이 로마알파벳 자음이 결합되는 경우가 없으므로)을 인식하고,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도10-5에서 시스템이 심플코드 “14”의 대응어구 인 “Bejing” 혹은 “北京” 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심플코 드의 색인에 “14”혹은 “14”로 시작하는 심플코드가 없다면, 시스템은 입력값 을 다시 풀코드로 간주하여 “bj”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된다. “14 … = bj... ” is entered, the moment the second input value [4] is entered,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a valid Chinese syllable (because there are no cases where Roman alphabet consonants are combined, such as bj in the Chinese Virgin Mary), The input value can be treated as a simple code. That is, in FIG. 10-5, the system can provide the user with “Bejing” or “Beijing”, which is a corresponding phrase of the simple code “14”. If there is no “14” or simple code starting with “14” in the simple code index, the system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full code again and provides “bj” to the user.

이는 마치 모음요소를 활용한 한국어의 경우(도4-5)에서와 동일하다. 기 설명한 도4-5에서의 풀입력방법은 한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으로 볼 수 있고, 풀우 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12”가 입력되면, 입력값이 유효한 한국어 음절을 이 루지 못하므로, 시스템은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심플코드 색인을 참조하 여 심플코드에 대응하는 어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심플코드 색 인에 “12”와 일치하는 심플코드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시스 템은 입력값을 다시 풀코드로 간주하여 “ㄱ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This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using vowel elements (Figs. 4-5). The full input method in FIGS. 4-5 described above can be seen as a Korean-restricted iterative selection method, and when applying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when “12” is input,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a valid Korean syllable, so the system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d provides the user with a phrase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by referring to the simple code index. However,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imple code matching “12” no longer exists in the simple code index, the system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full code again and provides “ㄱㄴ” to the user.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5-4와 도10-5의 심플코드 색인에서 심플코드는 정렬 되어 있는 상태로 표시하였으나, 시스템 내부에서 어떤 형태로 저장되어도 상관없 으며, 다만 심플코드 색인 검색시 필요하면 시스템은 심플코드를 정렬하여 입력값 이 심플코드 색인에 더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면 된다.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the simple codes are displayed in a sorted state in the simple code index of FIGS. 5-4 and 10-5, but it does not matter in what form they are stored inside the system. However, if necessary when searching the simple code index, the system is to sort the simple codes and check whether the input value exists in the simple code index any more.

또한 단축입력모드(검색대상이 되는 심플코드 색인에 도10-1을 기준으로 [1] ~ [9]로 이루어진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만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를 기본입 력모드로 하는 병행입력방법(단축우선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 "1* ..." 에서 2번째 값 [*] 이 입력되는 순간 시스템은 심플코드 색인을 검색하지 않고도 입력 값이 풀코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 역시 도5-4에서의 한국어의 경우와 동일하다. In addition, a parallel input method using the shortened input mode (assuming that only syllable-based initial codes consisting of [1] to [9] are stored based on Fig. 10-1 in the simple code index to be searched) as the basic input mode (Short-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the moment the second value [*] in the input value "1* ..." is entered, the system can recognize and process the input value as full code without searching the simple code index. have. This is also the same as the case of Korean in FIG. 5-4.

도5-4, 도10-5에서 병음/한자 색인과 심플코드 색인을 하나의 색인으로 설 명하였다. 그러나 도5-1에서와 같이 병음/한자 색인(간단히 "병음색인"이라 부름. "병음 + 병음대응 한자"를 저장한 색인 - 입력된 병음으로부터 대응하는 한자 검색용)이 존재하고, 또 심플코드/병음 색인(간단히 "심플코드색인"이라 부 름. "심플코드 + 심플코드대응 병음 + 병음대응 한자" 혹은 "심플코드 + 심플코 드대응 병음"을 저정한 색인)이 별도로 둘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하다. In Figures 5-4 and 10-5, the Pinyin/Chinese character index and the simple code index are described as one index. However, as shown in Fig. 5-1, there is a Pinyin / Chinese character index (simply called "Pinyin index". An index that stores "Pinyin + Pinyin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s" - for searching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s from the input Pinyin), and a simple code /Pinyin index (simply called "simple code index". It is self-evident that an index that stores "simple code + simple code corresponding Pinyin + Pinyin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or "simple code + simple code corresponding Pinyin") can be separately placed do.

도5-4, 도10-5에서와 같이 심플코드 색인에 반드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만 저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자음기준 이니셜코드와 같이 다른 유형의 심플코드 가 함께 저장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자기로 심플코드의 종류에 따라 음절 기준이니셜코드색인, 자음기준이니셜코드색인, 전체연관심플코드색인 등과 같이 각각의 색인을 두어 구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5-4 and 10-5, it is not necessary that only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is stored in the simple code index, and other types of simple codes such as the consonant-based initial code may be stored together. Likewise, depending on the type of simple code, it may be implemented by putting each index, such as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index, a consonant-based initial code index, or a total associated simple code index.

도10-10에서와 같이 "北京"에 대하여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14", 자음기준 심플코드 "1473", 그리고 전체연관 심플코드 "1*#4#73"가 있다고 가정한다. 도 10-10의 키패드에서 중국어제한 풀우선병행입력방법을 적용시, 음절기준 이니셜코 드 "14" 그리고 자음기준 심플코드 "1473" 의 경우는 두번째 입력값 "7"이 눌러지 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고 색인을 검색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런데, "beijing"의 전체연관 심플코드 "1*#4#73" 의 경우는 입력값 "1*#4 ..." 을 풀코드로 해석하면 "baiz ..."이 되고, "1*#4"까지는 병음의 생성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다. 그러나 "baiz ..." (및 "baij ..." - 다음입력값에 따 라 "baij ..."로 될 수 있으므로)은 도10-11의 병음색인에 존재하는 병음이 아니 다. 따라서 시스템은 입력값 하나하나의 입력에 따라, 입력값을 풀코드로 해석하 여, 입력값이 "b... => ba... => bai... => baiz..." 로 각기 인식할 때마다 병음 색인을 참조하여 일치하는 어구를 검색한다. 도10-10에서 보듯이 "bai~"까지는 일치하는 병음을 찾을 수 있으나, 입력값이 "baiz~" (및 잠재적 "baij~")로 인식 되는 순간 시스템은 병음색인에 더 이상 일치하는 어구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 게 된다(도10-10의 (1) 참조). 따라서 "baiz~" 까지의 입력값 "1*#4 ..."을 심플 코드로 간주하고 심플코드 색인을 참조하여 일치하는 어구를 검색해 낼 수 있다 (도10-11의 (2)-(A), (2)-(B) 참조). 여기서 심플코드 색인에서도 입력값 "1*#4# ..." 과 일치하는 어구를 찾을 수 없으면, 시스템은 다시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 하여 "bai ..." 로 처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0-10, it is assumed that "Beijing" has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14", a consonant-based simple code "1473", and a total association simple code "1*#4#73". When applying the Chinese restriction full 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n the keypad of FIGS. 10-10, in the case of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14" and the consonant-based simple code "1473", the moment the second input value "7" is pressed, the system inputs The value can be regarded as a simple code and processed by searching the index. By the way, in the case of "1*#4#73", the overall related simple code of "beijing", if the input value "1*#4 ..." is interpreted as a full code, it becomes "baiz ...", and "1* Up to #4" does not violate the rules of pinyin generation. However, "baiz ..." (and "baij ..." - since it can be "baij ..." according to the following input value) is not a Pinyin that exists in the Pinyin index of Figures 10-11. Therefore, the system interprets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according to each input value, and the input value becomes "b... => ba... => bai... => baiz..." For each recognition, the pinyin index is consulted to find a matching phrase. As shown in Figure 10-10, it is possible to find matching Pinyin up to "bai~", but as soon as the input value is recognized as "baiz~" (and potential "baij~"), the system no longer matches the phrase in the Pinyin index.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re is no (see (1) in Fig. 10-10). Therefore, the input value "1*#4 ..." up to "baiz~" is regarded as a simple code, and a matching phrase can be searched by referring to the simple code index (Fig. 10-11 (2)-(A ), see (2)-(B)). Here, even in the simple code index, if a phrase matching the input value "1*#4# ..." cannot be found, the system may consider the input value as full code again and process it as "bai ...".

뜻글자인 중국어의 특성상 모든 병음과 한자의 색인(병음/한자 색인)을 시 스템에 저장하여야 하므로, 입력값이 유효한 병음음절을 이루더라도 병음/한자 색 인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는 순간 시스템은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시스템이 인식하는 순간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which is a meaning character, all Pinyin and Chinese character indexes (Pinyin/Hanja index) must be stored in the system, so even if the input value forms a valid Pinyin syllable, the system confirms that it does not exist in the Pinyin/Hanja index This means that the value is treated as a simple code. This can be seen in the same context as processing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the moment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a full code.

같은 단어에 대하여 다른 형태의 심플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도10-10 에서와 같이 혹은 도10-11 에서와 같이 하나의 병음에 대하여 심플코드를 멀티플 카타로 그의 어떤 형태로 가지고 있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 여 처리(즉, 입력값을 단축입력으로 간주하여 처리)함에 있어서, 도10-11에서의 (2)-(A) 혹은 (2)-(B) 의 처리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도10-11의 (2)-(B)의 처 리과정을 이용하면 색인에 심플코드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2)-(B) 의 과정은 입력값 하나하나의 입력시마다 입력값이 이룰 수 있는 병음의 조합과 색인의 병음 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병음을 검색해 내는 것이다. 입력값이 이룰 수 있는 병음 의 조합은 [1] 버튼에 2개 알파벳이 배정되어 있고 [*] 버튼에 3개의 알파벳이 배 정되어 있으므로, "1*"까지 눌러졌을때 각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의 조합 6가지 (=2x3) 가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를 편의상 "심플코드 가능알파벳조합" 혹은 "가능알파벳조합"이라 부르기로 한다. 도10-11에서 [#] 버튼에 2개 알파벳 이 배정되어 있으므로 "1*#"까지 눌러지면 12가지 조합이, "1*#4"까지 눌러지면 24가지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시스템에서 구현시 실제 중국어 병음사전 에서 "poi ..."로 시작하는 병음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poi..." 이하의 조합은 고려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입력값 "1*#4"에 대하여 "poi..."이하의 조합 인 "poiz..." 및 "poij..." 도 제외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poi..." 뿐 아니라 가능알파벳조합 중 병음색인에 존재하지 않는 조합을 제외하면서 입력값과 일치하는 병음을 검색할 수 있다. When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simple codes for the same word, it is possible to have a simple code in any form as a multiple kata for one Pinyin as shown in FIG. 10-10 or FIG. 10-11. In processing by considering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that is, processing by considering the input value as an abbreviated input), the processing of (2)-(A) or (2)-(B) in FIG. 10-11 Optionally possible. If the process of (2)-(B) in Figs. 10-11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simple code in the index. The process of (2)-(B) compares the combination of pinyin that can be achieved by the input value with the pinyin of the index for each input value, and searches for the matching pinyin. The combination of pinyin that the input value can achieve is that 2 alphabets are assigned to the [1] button and 3 alphabets are assigned to the [*] button, so when “1*” is pressed, the alphabets assigned to each button It is easy to see that 6 (= 2x3) combinations of are possible.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simple code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 or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 In Figures 10-11, since two alphabets are assigned to the [#] button, 12 combinations are possible when "1 * #" is pressed, and 24 combinations are possible when "1 * # 4" is pressed. However, when implemented in the system, since there is no Pinyin starting with "poi ..." in the actual Chinese Pinyin dictionary, combinations below "poi ..." can be excluded from consideration. That is, with respect to the input value "1*#4", "poi..." and "poij..." which are combinations below "poi..." can also be excluded. Similarly,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Pinyin that matches the input value while excluding "poi ..." as well as combinations that do not exist in the Pinyin index among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s.

도10-11의 (2)-(A) 의 처리 과정을 이용하는 것은 색인에 심플코드를 가져 야 하나, 불규칙하게 정의된 심플코드가 사용된 경우도 처리할 수 있다. (2)- (B)의 처리 과정을 이용하는 것은 심플코드를 색인에 저장하지 않아도 되나 일정 한 규칙을 가진 심플코드(예를 들어, 전체연관 심플코드)가 입력된다는 전제가 필 요하고 시스템에서는 그 약속된 심플코드 유형(예를 들어, 전체연관 심플코드)을 미리 알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Using the process of (2)-(A) in Figs. 10-11 requires a simple code in the index, but it can also handle cases where an irregularly defined simple code is used. Using the process of (2)-(B) does not require storing simple codes in the index, but requires the premise that simple codes with certain rules (for example, all related simple codes) are input, and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know in advance the promised simple code type (eg, fully associated simple code).

입력하기를 원하는 모든 병음/한자의 색인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중국어의 특성상 도10-12, 도10-13에서와 같이 풀코드로 해석한 값이 색인에 존재하지 않을 때, 입력값을 심플코드(즉, 단축입력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풀우선병행입력방법 적용시, 도10-12는 중국어 입력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혹은 자음기준 심플 코드를 사용하는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절기준 이니셜코드가 입력되면, 시스템은 이를 풀코드로 해석하여 병음색인을 검색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2~3번째 입력값이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병음 색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10-13 은 중국어의 언어적 특성을 이용하여 병음색인을 검색하기 이전에 입력값이 유효 한 병음음절을 구성하는지를 체크하는 절차가 더해진 것을 보여준다. Due to the nature of Chinese, which must have an index of all Pinyin / Chinese characters you want to input, as shown in Figs. 10-12 and 10-13, when the value interpreted as a full code does not exist in the index, the input value , Shortcut input value) and processing is possible. When applying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FIGS. 10-12 show procedures generally applicable to Chinese input. This can be equally applied to a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using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or a consonant-based simple code. For example, if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is entered, the system interprets it as a full code and searches the Pinyin index. In most cases, the moment the second or third input values are entered, the input value no longer exists in the Pinyin index Because the system can recognize it. 10-13 show that a procedure for checking whether the input value constitutes a valid Pinyin syllable is added before searching the Pinyin index us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중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의 입력시스템에서도, 입력하고자 하는 모든 단어의 색인을 시스템이 저장하고 있을 때, 마찬가지로 도10-12, 도10-13에서의 절차에서와 같이, 하나하나의 입력값이 입력될 때마다, 입력값을 풀코드로 해석하 여 색인의 단어를 검색하여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단어가 더 이상 존 재하지 않으면, 입력값을 단축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input system of not only Chinese but also other languages, when the system stores the index of all words to be input, as in the procedures in FIGS. 10-12 and 10-13, each input value is input. Each time, the input value is interpreted as a full code, the word in the index is searched for and matched, and if the matching word no longer exists, it is possible to treat the input value as a short code and process it.

14.1.2 영어 등 14.1.2 English, etc.

"st~" 혹은 "sp~" 로 시작하면서 최초 단어시작시부터 4번째 자음이 입력되 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그리고 "st~" 혹은 "sp~"로 시작하지 않으면서 최초 단 어시작부터 3번째 자음이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순간, 시스템은 입력값을 심 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4th consonant is recognized as input from the start of the first word starting with "st~" or "sp~", and 3 from the start of the first word without starting with "st~" or "sp~" As soon as it is recognized that the th consonant is input,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예를 들어 도1-1의 키패드에서 단순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고, “467... = gms ...” 입력시 세번째 입력값 [7]이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영어의 단어생성 규칙을 위배하므로,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 다. 만약 심플코드 색인에 install 의 전체연관 심플코드 “4678255 = install” 가 저장되어 있다면, 심플코드 대응어구인 install 을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는 것이다. 검색범위의 심플코드 색인에 “467…” 과 일치하는 심플코 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값을 다시 풀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impl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keypad of FIG. Since it violates,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If “4678255 = install”, the simple code related to all installs, is stored in the simple code index, the system can provide the simple code corresponding phrase, install, to the user. In the simple code index of the search range, “467… If there is no simple code that matches ”, the input value can be treated as a full code again.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자모음분리키패드에서 영어제한반복선택방법을 풀 입력방법으로 사용하면, 입력값이 영어의 입력규칙(예. 단어시작으로부터 "st~" 혹은 "sp~"로 시작하지 않으면서 3개의 자음이 올 수 없음)을 위배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And, as described above, if the English restriction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used as a full input method on th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the input value is set according to the English input rules (e.g., without starting with "st~" or "sp~"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d). Since it is easy to see whether the three consonants violate), the parallel input method can be applied more efficiently.

14.2 대표알파벳제외 컨트롤처리방법을 풀입력방법으로 하는 언어제한 병행 입력방법 14.2 Parallel input method with language restrictions us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excluding representative alphabets as the full input method

도1-1에서 각 버튼의 첫번째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해당 버튼 1타로 입 력하고, 나머지 알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경우(즉, 대표알파벳제 외 컨트롤처리방법 적용), 영어의 앞에서 설명한 단어생성규칙을 활용하여 단어생 성규칙을 위배시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 을 적용할 수 있다. In FIG. 1-1, when the first alphabet of each button is input as one stroke of the corresponding button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remaining alphabet is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e,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other tha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s applied), the English described above By utilizing the word generation rul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language restriction parallel input method that treat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when the word generation rule is violated.

예를 들어 도1-1에서 첫번째 알파벳을 대표알파벳으로 하고 나머지 알파벳 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경우, “467... = gms ...” 입력시 세번째 입력값 [7]이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영어의 단어생성규칙을 위배하므로, 시스템 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in FIG. 1-1, when the first alphabet i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remaining alphabets are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the moment the third input value [7] is input when “467 ... = gms ...” is input Since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word generation rules of English, the system can treat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마찬가지로 영어 이외의 언어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나머 지 사항은 반복선택방법을 풀입력방법으로 하는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에서와 유 사하다. Likewise, i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and the rest is similar to the language-restricted parallel input method in which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s the full input method.

14.3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에서의 3차모호성 극복 14.3 Overcoming the 3rd ambiguity in the language restriction parallel input method

“scope”의 전제연관 심플코드 “72673”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이 이를 1차적으로 풀코드로 인식하면 “72673 = pampd” 과 같이 되어 입력값이 영 어의 단어생성규칙을 위반하지 않으므로 시스템은 입력값을 1차적으로 풀코드로 인식하게 되고, 2차적으로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해석하여 심플코드에 대응하는 scope 로도 인식하는 “3차모호성”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풀입력방법으로 도 1-1을 기준으로 단순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된 경우이다. In the case of entering “72673”, a simple code related to the whole of “scope”, when the system first recognizes it as a full code, it becomes “72673 = pampd” and the input value does not violate the English word generation rule, so the system firstly recognizes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and secondarily interpret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d recognizes it as a scope corresponding to the simple code, resulting in “third ambiguity”. Here, as the full input method, a simpl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applied based on FIG. 1-1.

이 경우 시스템은 1차적으로 사용자에게 pampd 를 제공하게 되다. 그러나, 사용자가 scope 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특정 버튼(예를 들어, 아래화살표 [v] 버 튼)을 눌러 scope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72673”이 입력되고 나서 단 어입력이 종료되면(예를 들어 공백 등이 입력되면), 입력값을 1차적으로 풀코드로 해석한 “pampd”와 심플코드로 해석한 “scope”를 사용자에게 리스트로 제공하 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ystem primarily provides pampd to the user. However, if the user wants to enter the scope, he or she can select the scope by pressing a specific button (for example, the down arrow [v] button). Or, when “72673” is entered and word input is terminated (for example, when a space is entered), “pampd”, which interprets the input value primarily as full code, and “scope”, which interprets the simple code as user You can also provide it as a list and let the user select it.

위의 경우는 대표알파벳제외 컨트롤처리방법을 풀입력방법으로 사용하는 병 행입력방법에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이 아닌 단축우선 병행입력방법에서도 입력값 입력후 단어가 종료되는 시점에 입력값이 심 플코드 색인에 존재하는 경우라도,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하였을 때, 언어제한을 위반하지 않으면(3차모호성이 발생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특정 버튼을 반복 하여 눌러 혹은 리스트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cas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parallel input method us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excluding representative alphabets as the full input method. In addition, in the short-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rather tha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even if the input value exists in the simple code index at the time the word ends after inputting the input value, when the input value is regarded as a full code, language restrictions are not enforced. If there is no violation (if third-order ambiguity occurs), the user can be made to make a selection (press a specific button repeatedly or select from a list).

영어 이외의 언어(특히, 대표알파벳제외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일본어 의 경우 등)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I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in particular, the case of Japanese to whic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excluding representative alphabets is applied).

다수의 후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동버튼중 자주 사용되지 않는 임 의의 버튼을 이용하여 시스템이 출력한 후보어구 중 타겟어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3차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모호성이 발생하는 모든 경 우에 적용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다. In order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candidates, it is possible to select a target phrase among candidate phrases output by the system by using an arbitrary button that is not frequently used among the movement buttons.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at this can be applied not only to cases where tertiary ambiguity occurs, but also to all cases where ambiguity occurs.

15. 언어제한을 위배한 문자열을 이용하는 병행입력방법 15. Parallel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trings that violate language restrictions

입력값(풀코드 혹은 심플코드)는 클라이언트측에서 해석될 수도 있고, 서버 측에서 해석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도11-1, 도11-2는 각각 클라이언트측에서 해 석되는 경우와 서버측에서 해석되는 경우를 나타낸 선출원의 도면이다. 즉 단순 히 "시스템"이라 하면 클라이언트측 시스템 혹은 서버측 시스템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인 것이다. 입력값이 심플코드인 경우 이를 클라이언트측에서 해석하여 심플 코드 대응어구를 문자열(text)로 서버측에 전송하는 경우, 서버측에서는 이를 활 용하여 각종의 서비스를 제공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입력값을 숫자로 서버측에 전송하고, 서버측에서 해석하는 경우도, 서버측에서 심플코드를 해석하여 각종의 서비스에 활용하면 된다. 클라이언트측에서 DTMF 톤을 송출하고 이 입력값을 서 버측에서 전달받아 활용하는 것도, 당연히 숫자값을 클라이언트측에서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사례중의 하나이다.It was said that the input value (full code or simple code) could be interpreted either on the client side or on the server side. 11-1 and 11-2 are views of the previous application showing a case of analysis on the client side and a case of analysis on the server side,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f you simply say "system", it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both client-side and server-side systems. If the input value is a simple code, if the client side interprets it and transmits the simple code corresponding phrase to the server side as a text, the server side can use it to provide various services. Similarly, when the input value is transmitted as a number to the server side and interpreted by the server side, the server side can interpret the simple code and use it for various services. Sending a DTMF tone on the client side and receiving and utilizing this input value on the server side is, of course, one of the cases of transmitting numeric values from the client side to the server side.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이 언어제한을 위배하여(즉, 입력값이 특 정언어의 유효한 음절을 이루지 못하여),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되, 심플코드의 색인에 입력값과 일치하는 심플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시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런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4-5를 기준으로 "삼성전자"를 염두에 두고 "7799"를 입력하였는 데, 클라이언트측 시스템내의 심플코드 색인에 "7799" 와 "7799"에 대응되는 "삼 성전자"를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시스템은 단순히 "ㅅㅅㅈㅈ"을 사용자가 입력한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만약 증권정보시스템의 경우, 클라이언트측에서 입력값 "7799"를 서버측으로 전송하거나, 혹은 입력값 "7799"에 대응되는 삼성전자를 서 버측으로 전송하면, 증권정보서버에서 "7799"를 해석할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없 을 것이다(증권정보 서버에서는 심플코드 "7799"와 심플코드 대응어구인 "삼성전 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 그러나 클라이언트측에서 문자입력모드에서 사 용자가 "7799"를 입력후 클라이언트측에서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 고, 클라이언트측 심플코드 색인에 "7799"가 존재하지 않아 이를 다시 풀코드로 간주하여 문자열 "ㅅㅅㅈㅈ"을 서버측에 전송하는 경우 증권정보 서버에서는 이를 활용하기 어렵게 된다. In the language-restricted parallel input method, when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language restriction (ie,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valid syllables of a specific language), the system treat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d processes it, but enters it in the index of the simple code. A simple code that matches the value may not exist. In this case, it is said that the input value is regarded as a full code again.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7799" with "Samsung Electronics" in mind based on Figs. If you don't store "e", the system will simply assume that "ㅅㅅㅅㅅ" was enter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a securities information system, if the client side transmits the input value "7799" to the server side, or if Samsung Electronics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7799"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ide, the stock information server can interpret "7799". (Assuming that the stock information server has the simple code "7799" and the simple code corresponding phrase "Samsung Electronics"). However, after the user inputs "7799" in the character input mode on the client side, the client side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and processes it, and since "7799" does not exist in the client side simple code index, it is returned to full code. When the character string "ㅅㅅㅅ지"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ide, it becomes difficult to utilize it in the stock information server.

따라서 증권정보 서버에서는 전송된 문자열 "ㅅㅅㅈㅈ"가 의미를 가지는 값 이 아닌 경우, "ㅅㅅㅈㅈ"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된 "7799"를 추출하고, 심플코 드 "7799"의 대응어구인 "삼성전자"를 추적하여 이를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다. 혹은 한국어에서 심플코드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사용할 경우만 적용할 수 있 는 다른 방법으로, 시스템은 심플코드 대응어구 중 "ㅅㅅㅈㅈ"과 음절의 첫자음이 일치하는 "삼성전자"를 추적하여 이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stock information server, if the transmitted string "ㅅㅅㅅ지" is not a value that has meaning, "7799" used to input "ㅅㅅジジ" is extracted, and "Samsung Electronics", the corresponding phrase of the simple code "7799", is extracted. It can be tracked and utilized in the system. Or, as another method that can be applied only when using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as a simple code in Korean, the system tracks "Samsung Electronics" whose first consonant of a syllable matches "ㅅㅅㅅ지" among phrases corresponding to simple codes and utilizes it. service can be provided.

이는 키패드가 아닌 키보드를 사용하는 PC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기존의 PC 등을 클라이언트로 사용하는 증권정보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삼성전자"의 주가를 조회하기 위하여 "삼성전자"를 입력여야 했지만, "ㅅㅅㅈ ㅈ"만을 입력하고 서버측으로 전송하더라도, 증권정보 서버 시스템에서 "ㅅㅅㅈㅈ"이 낱글자의 나열로써 상장회사명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지하고, 앞 서 설명한 2가지 방법("7799"를 추출 후 "삼성전자"추적 혹은 "ㅅㅅㅈㅈ"와 음절 의 첫자음이 일치하는 "삼성전자" 추적)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다. This can be equally applied in a PC environment using a keyboard rather than a keypad. That is, in a stock information system using an existing PC as a client, the user had to input "Samsung Electronics" to inquire the stock price of "Samsung Electronics", but even if he only inputs "ㅅㅅㅅㅅㅅ"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side, the stock information server The system recognizes that "ㅅㅅ지지" does not exist in the listed company name as a list of words, and uses the two methods described above (after extracting "7799", "Samsung Electronics" is tracked or the first consonant of the syllable is matched with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by tracking "Samsung Electronics".

또 다른 방법은 서버측 색인에 “7799(심플코드), 삼성전자(심플코드 대응 어구)” 뿐만 아니라 “ㅅㅅㅈㅈ(편의상 ‘심플코드 대응문자’라고 함)”를 등록 하여 두고, 클라이언트측으로부터 전송된 값 “ㅅㅅㅈㅈ”이 유효한 한국어 음절 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고 저장된 심플코드 대응문자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것이 “삼성전자”라는 것을 알아낼 수 있다. Another method is to register not only “7799 (simple code), Samsung Electronics (word corresponding to simple code)” in the server-side index, but also “ssjj (referred to as 'simple code correspondence' for convenience)”, and send After confirming that the value “ㅅㅅㅅ지” does not form a valid Korean syllable and comparing it with the stored simple code corresponding character,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user's intention is “Samsung Electronics”.

이상의 내용을 그림으로 정리하면 도11-3과 같으며, (A), (B), (C)가 선택 적으로 가능하다. If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in a figure, it is as shown in Fig. 11-3, and (A), (B), and (C) are selectively possible.

더 나아가 기존의 PC 등의 클라이언트에서 키보드 등과 같은 장치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등의 경우(예를 들어, PC의 워드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이용하여 음절의 첫자음만을 입력하고, 시스템(클라이언트 혹은 서버)에서 이를 타겟어구로 변환함으로써, 고 속으로 문자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각종 정보시스템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ㅅㅅㅈㅈ” 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색인을 검색하여 음절의 첫자음이 “ㅅㅅㅈㅈ”인 “삼성 전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다른 방법(약속된 특정 키 패드를 기준으로한 입력값의 심플코드 추출 및 색인검색, 심플코드 대응문자를 색 인에 저장)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11-5를 참고할 수 있다. (A), (B), (C)가 선택 적으로 가능하다. Furthermore, even in the case of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device such as a keyboard on a client such as a PC (for example, when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word processor of a PC), syllable-based initial codes are used. By entering only the first consonant of a syllable and converting it into a target phrase in the system (client or server), it is possible to input text at high speed or to utilize it in various information systems.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enter “Samsung Electronics”, and the user enters “ㅅㅅㅁ지”, the system can search the index and provide “Samsung Electronics” with the first consonant of the syllable as “ㅅㅅㅅㅅ” to the user. The other methods described above (simple code extraction and index search of input values based on a specific keypad promised, and stor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simple codes in the index) can also be applied.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11-5. (A), (B), and (C) are optionally possible.

지금까지는 상용어구를 등록하여 두고 이를 입력함에 있어서, 단순히 어구 와의 연관성과 관련없이 단순히 특수기능버튼과 숫자버튼 등을 조합하여 입력하도 록 지정하는 정도였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를 상용어구로 등록하고, "alt + 1"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Up until now, in registering common phrases and inputting them, it was simply designated to be input by combining special function buttons and number buttons, etc., regardless of their relationship with phrases. For example, register "Samsung Electronics" as a common phrase and input "alt + 1".

마찬가지로 도10-2을 기준으로 “四通集團(satongjipdan : 출원인이 중국어 발음을 알지 못하는 관계로 편의상 한국어 발음을 한어병음인 것으로 간주하여 사 용하나, 중국어 발음에도 유사하게 적용하면 됨)”의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는 s, t, j, d 에 대응되는 “6242”가 된다. 사용자가 “6242”를 입력하였을 때, 클 라이언트측 시스템의 심플코드 색인에 6242와 四通集團(satongjipdan)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클라이언트측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단지 “sdzd”만을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가 “sdzd”를 서버측으로 전송하면, 서버측에서는 “sdzd” 가 유 효한 중국어 음절을 이루지 못하므로, “sdzd”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값 “ 6242”를 추출하고, 심플코드(여기서는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6242”에 대응되 는 “四通集團”을 검색해낼 수 있는 것이다(서버측 시스템에서는 심플코드와 대 응어구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 Similarly, based on Fig. 10-2, the syllable of “四通集團 (satongjipdan: since the applicant does not know Chinese pronunciation, Korean pronunciation is regarded as Chinese Pinyin for convenience, but similarly applied to Chinese pronunciation)” The standard initial code is “6242” corresponding to s, t, j, and d. When the user inputs “6242”, if 6242 and Satongjipdan are not registered in the simple code index of the client-side system, the client-side system only provides “sdzd” to the user. When the user transmits “sdzd” to the server side, since “sdzd” does not form a valid Chinese syllable, the server side extracts the input value “6242” entered by the user from “sdzd” and uses a simple code (here,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四通集團” corresponding to “6242” can be searched (assuming that the server side system stores simple codes and corresponding phrases).

한국어의 사례에서 “ㅅㅅㅈㅈ” 및 각 자음과 함께 배정된 알파벳과 각 음 절의 첫자음이 일치하는 어구를 검색해내는 것과 처럼, 도10-2을 기준으로 “sdzd ” 및 기타의 변형이 가능한 자음조합(예. “xdjd”, “stjt”, “sdjt”, … 16 가지 경우 존재)과 각 음절의 첫자음이 일치하는 단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 다. In the case of Korean, “sdzd” and other deformable consonant combinations ( For example, “xdjd”, “stjt”, “sdjt”, … 16 cases) and the first consonant of each syllabl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역시 서버측에 심플코드 대응문자 “sdzd”를 함께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측 으로부터 전송된 값 “sdzd”이 유효한 중국어음절을 이루지 못하므로, 전송값과 색인의 심플코드 대응문자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것이 “四通集團”인 것 을 시스템이 알아낼 수 있다. Also, since the server side stores the simple code corresponding character “sdzd” together, and the value “sdzd” transmitted from the client side does not form a valid Chinese syllable, the transmitted value and the simple code corresponding character of the index are compared to determine what the user intends. The system can find out that it is “Four Communications Group”.

이상의 내용을 그림으로 정리하면 도11-4와 같으며, (A), (B), (C)가 선택 적으로 가능하다.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in figures as shown in Fig. 11-4, and (A), (B), and (C) are selectively possible.

도11-3, 도11-4에서의 처리과정은 서버측에서 행해질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 측에서 행해질 수 있다. The processing in Figs. 11-3 and 11-4 may be performed on the server side or on the client side.

키패드를 구비한 장치뿐만 아니라 PC등의 정보통신기기에서도 사용자가 “ stjd” 입력시 한어병음의 음절의 첫자음이 일치하는 단어(“四通集團”)을 검색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가 “stjd” 입력시 시스템(예. PC)에서 단축코드(심플코드 대응문자)를 각 음절의 첫자음 “stjd” 로 등록하여 두고, 두번째 자음이 입력되는 순간, 중국어 언어제한을 위배(sh, ch, zh 등이 아 닌 2개의 로마알파벳 자음 등장)하므로, 입력값을 단축입력값으로 간주(사용자가 단축입력을 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입력값 “stjd” 에서 심플 코드를 추출하는 것은 미리 약속된 키패드(예. 10-2)에 의하여 심플코드(예. 6242)를 추출할 수 있다. 도11-6을 참고할 수 있으며, (A), (B), (C)가 선택적으 로 가능하다.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Cs as well as devices equipped with keypads, when a user inputs “stjd”, a word (“四通集團”) matching the first consonant of a syllable of Chinese Pinyin can be searched and provided to the user. Or, when the user inputs “stjd”, the system (eg PC) registers the short code (simple code corresponding character) as “stjd”, the first consonant of each syllable, and the moment the second consonant is entered, the Chinese language restriction is violated ( Since two Roman alphabet consonants, not sh, ch, zh, etc., appear), the input value can be regarded as a shortened input value (considered that the user is entering a shortened input) and processed. Extracting a simple code from the input value “stjd” can extract a simple code (eg 6242) by a pre-arranged keypad (eg 10-2). 11-6 can be referred to, and (A), (B), and (C) are optionally possible.

도11-6의 (B)는, 입력값이 생성하는 그리고 유효한 병음 음절을 생성하지 않는 단어 (예에서는 "음절기준이니셜값"으로 "stjd")와 색인에 저장된 어구의 각 음절의 첫 알파벳 ("sa-tong-jip-dan => stjd") 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어구를 검 색해 내는 것이다. 이는 단축입력값으로 음절기준이니셜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10-*의 키패드에서는 "stjd"에 대응하는 음절기준이니셜값은 "622442"이 된다. 도11-6의 (B)는 도면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심플코드 색인을 구비하지 않고, 단지 한자의 입력을 위한 병음의 색인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가능 하다. 마찬가지로 입력값이 "자음기준입력값"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시스템에서는 입력값이 생성하는 단어(문자열)와 색인에 저장된 어구의 자음이 일치하는 어구를 검색해 낼 수 있다. 11-6 (B) shows the word that the input value generates and that does not generate a valid Pinyin syllable (in the example, “stjd” as “syllable standard initial value”) and the first letter of each syllable of the phrase stored in the index ( "sa-tong-jip-dan => stjd") to find matching phrases. This can be seen as using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as a shortened input value. In the keypad of Fig. 10-*, the syllable standard initial value corresponding to "stjd" is "622442". 11-6(B), as can be easily seen from the drawing, it is possible only to have a pinyin index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without having a simple code index. Likewise, even if the input value is "consonant reference input value", the system can search for a word (string) generated by the input value and a phrase whose consonant of the phrase stored in the index matches.

정리하면 규칙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단축입력하는 입력값의 종류는 심플 코드의 종류와 유사하게 "음절기준이니셜값"(예를 들어, "beijing 의 음절기준이 니셜값은 "144 = bj" 가 됨), "자음기준입력값" ("beijing" 의 자음기준입력값은 "144773 = bjng"가 됨), "첫모음+음절기준이니셜값", "단어기준이니셜값"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시스템은 입력값이 언어제한을 위배하는 순간 입력값을 단축입력 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In summary, the type of input value that can be recognized regularly is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ilar to the type of simple code (for example,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of "beijing" is "144 = bj" ), "consonant standard input value" ("beijing"'s consonant standard input value becomes "144773 = bjng"), "first vowel + syllable standard initial value", "word standard initial value", etc. The system treats the input value as an abbreviated input value the moment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language restriction.

지금까지 제시한 "단축입력값"의 종류를 정리하면 도11-11의 표와 같다. 도11-11에서 단축입력값 (A)는 (B) ~ (L)까지를 포괄하며, 이는 지금까지 제시하 였던, 시스템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인식할 수 있는 단축입력값의 종류를 보여준 다. 임의의 일부 알파벳에 연관하여 정해진 일부연관심플코드 그리고 임의의 일부 알파벳만으로 이루어진 단축입력값도 포함된다. "전체입력값" (Z)는 풀입력방법 의 풀코드가 됨을 알 수 있다. The types of "short-cut input values" presented so far are summarized in the table of Figs. 11-11. In Fig. 11-11, the abbreviated input value (A) covers (B) to (L), which shows the types of abbreviated input values that the system can recognize according to certain rules, which have been presented so far. Some associated simple codes determined in relation to some arbitrary alphabets and short input values consisting of only some arbitrary alphabets are also included. It can be seen that the "total input value" (Z) becomes the full code of the full input method.

기 제시한 대로 어떤 조건(예를 들어, 입력값이 풀코드의 생성규칙을 위반 하는, 또는 특정언어의 유효한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등등)에 해당하면 입력 값을 단축입력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 (즉, 입력값이 약속된 풀입력방법의 풀코드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처리) 이, 병행입력방법의 핵심내용이므로 본 발 명에서 제시하지 않은 단축입력값이 사용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병행입력방법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11-11의 표에서 (H) ~ (L)의 단축입력값은, 도11- 5, 도11-6에서와 같이, 키패드를 구비한 장치 뿐만아니라 PC와 같은 장치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도11-6의 (B)는 단축입력값으로 "음절기준이니셜값"이 사용된 사례를 보여준다. 단축입력값을 통칭하는 용어로 심플코드 혹은 단축코드 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H) ~ (L) 의 단축입력값 역시 포괄적인 의미의 심플코드로 볼 수 있다. 즉 도11-11에서의 (I) "음절기준이니셜값"은 "음절기준이니셜값 심 플코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H) ~ (L) 의 단축입력값 역시 마찬가지로 명명 할 수 있을 것이다. As previously suggested, if an input value violates the full code generation rule or does not form valid syllables in a specific language, etc., the input value is regarded as an abbreviated input value and processed. (In other words, the input value is regarded as not the full code of the promised full input method and processed) Since this is the core content of the parallel input method, even when a shortened input value not sugge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parallel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self-evident that it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methods. Shortcut input values of (H) to (L) in the table of FIGS. 11-11 can be used not only in devices equipped with keypads but also in devices such as PCs, as shown in FIGS. 11-5 and 11-6. (B) of FIG. 11-6 shows an example in which "syllable reference initial value" is used as a shortened input value. The term simple code or short code was used as a general term for short input values, and the short input values of (H) to (L) can also be seen as simple codes in a comprehensive sense. That is, (I) "syllable reference initial value" in Figures 11-11 can be referred to as "syllable reference initial value simple code", and the shortened input values of (H) to (L) can also be named similarly .

도10-*에서 음절기준이니셜값으로 "14 = bz"가 입력되면 시스템은 "bz"와 각 음절의 자음이 일치하는 어구를 색인에서 검색해 낼 것이다. 여기서 다시 " 4"가 입력되면 "144 = bj" 이므로 "bj"와 각 음절의 첫자음이 일치하는 어구(예를 들어, "beijing")를 색인에서 검색해 낼 것이다. In FIG. 10-*, if "14 = bz" is input as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the system will search the index for phrases in which "bz" and the consonants of each syllable match. If "4" is entered here again, since "144 = bj", a phrase matching "bj" with the first consonant of each syllable (for example, "beijing") will be searched from the index.

본 발명에서는 한걸음 더 나아가 앞에서 예시한 단축입력값 중 임의의 단축 입력값이 입력되었을 때, 이를 여러 종류의 단축입력값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보 인다. 예를 들어, 어떤 단축입력값에 대하여 1차적으로 소정의 단축입력값(예를 들어, 음절기준이니셜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하고, 2차적으로 다른 단축입력값(예 를 들어, 자음기준입력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하고, 3차적으로 또 다른 단축입력값 으로 간주하여 처리하고, 이하 하나의 단축입력값에 대하여 여러종류의 단축입력 값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도10-*을 기준으로 단축입력값 "144 = bj" 가 입력되면 시스템은 1차적으로 "bj"와 각 음절의 첫 알파벳이 일치하는 어구(예 를 들어, "beijing")를 색인에서 검색하고, 1차 검색결과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상 관없이, 2차적으로 색인의 어구중 자음이 일치하는 어구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goes one step further and shows that when any short-cut input value among the short-cut input values exemplified above is input, it can be interpreted as various types of short-cut input values. For example, for a certain shortened input value, it is primarily regarded as a predetermined shortened input value (eg, syllable reference initial value) and processed, and secondarily, other shortened input values (eg, consonant reference input value ), it is treated as another short-cut input value thirdly, and it is suggested that one short-cut input value can be interpreted as several types of short-cut input values. Based on Figure 10-*, when the short input value "144 = bj" is entered, the system primarily searches the index for a phrase (eg, "beijing") in which the first letter of each syllable matches "bj" and , regardless of whether the primary search result exists or not,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secondary phrase whose consonant matches among the phrases in the index.

이는 사용자가 도11-11에서 제시한 어떤 단축입력값을 입력하더라도 시스템 이 해석해 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적용하면 하나의 단축입력값에 대하여 다수의 검색결과가 있을 수 있게 되는데, 출력되는 우선순위는 적용하는 단축입력값의 유형에 따라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절기준이니 셜값으로 해석하여 검색된 어구(들)을 우선으로, 다음으로 자음기준입력값으로 해 석하여 검색된 어구(들)을 그 다음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만약 어떤 사용자가 단 축입력값으로 음절기준이니셜값을 주로 사용한다면, 음절기준 이니셜값에 의하여 해석된 어구(들)을 1차적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 서 단축입력값의 유형에 따른 우선순위를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떤 사용자가 자음기준이니셜값 만을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단 축입력값을 자음기준 이니셜값으로만 해석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같은 유형의 단축입력값으로 해석하여 얻어진 어구들의 출력 우선순위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와 같은 요소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출 력되는 우선순위는 단축입력값 해석에 적용된 단축입력 유형에 관계없이 검색된 어구들 각각의 사용빈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This shows that the system can interpret any short-cut input value presented in FIGS. 11-11 by the user. If this is applied, there can be multiple search results for one shortcut input value, and the output priority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hortcut input value to be applied. For example, the searched phrase(s) by interpreting as a syllable-based initial value is first interpreted as a consonant-based input value, and the searched phrase(s) is output next. If a user mainly uses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as an abbreviated input value, it would be desirable to set the phrase(s) interpreted by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to be output primaril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user to designate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type of shortcut input value. In addition, if a user wants to use only the consonant standard initial value, it would be desirable to be able to set the abbreviated input value to be interpreted only as the consonant standard initial value. As already mentioned, the output priority of the phrases obtained by interpreting the same type of short input value can be determined by factors such as frequency of use. In addition, the output prior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searched phrases regardless of the type of abbreviated input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abbreviated input value.

"jinzhi (禁止) 과 zhuijian(逐ㅇ) 의 경우는 음절기준 이니셜값 각각 "jz", "zj"로 모두 "444" 이다. 이 경우는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3번째 입 력값 "4"가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병음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시스템이 인 지할 수 있게 된다. 도10-* 을 기준으로 음절기준이니셜값이 같은 버튼에 배정된 각기 다른 알파벳인 경우는 가능한 모든 경우를 검색하면 된다. 즉 단축입력값 "444"에 대하여 각 음절이 "jz"와 일치하는 어구 미치 "zj"와 일치하는 어구를 모 두 검색하면 된다. In the case of "jinzhi (禁止) and zhuijian (逐ㅇ),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s are "jz" and "zj", respectively, and both are "444". In this case, whe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the third input value is "4" The moment " is entered, the system can recognize that the input value does not form a pinyin syllable. Based on Fig. In other words, for the shortened input value "444", search for all phrases matching "zj" and phrases in which each syllable matches "jz".

마찬가지로 단축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에도, 입력값을 도11-11의 (B) ~ (L)의 단축입력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입력값을 1차적으로 음절 기준이니셜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하고 2차적으로 음절기준이니셜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고, 3차적으로 자음기준이니셜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다른 단축입력값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값을 단축입력값으로 처리하 여 더 이상 일치하는 단어가 색인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는 순간 시스템은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면 된다.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단축입력값 의 종류를 미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Similarly, even when the abbreviated 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the input value can be processed by considering it as the abbreviated input value of (B) to (L) in FIGS. 11-11. In addition, the input value is firstly treated as a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econdly treated as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thirdly treated as a consonant-based initial value, and treated as other abbreviated input values in the same way below. It is possible. As soon as it is confirmed that the input value is processed as a shortened input value and no matching words exist in the index, the system treats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and processes it.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the user to specify in advance the type of commonly used shortcut input value.

“jinzhi (禁止) 과 zhuijian(逐ㅇ) 의 경우는 음절기준 이니셜값을 사용할 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권설음의 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 및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중국어에서 권설음 “ch”, “sh”, “zh ” 는 사실상 단일 성모이고, 주음부호로는 하나의 기호로 표기되나, 영어알파벳 으로 표기시 2개의 알파벳 조합으로 된 것이다. 따라서 도10-6에 따른 zhuijian 의 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 역시 “h”를 포함하여 “zh+j”에 대응되는 “ 4944”로 할 수 있다. 음절기준이니셜코드는 “zh+j”에 대응되는 “494”가 될 것이다. 도10-*의 키패드에서 권설음 “ch”, “sh”, zh” 를 이루는 첫 알파벳 “c”, “s”, “z” 가 두번째 알파벳 “h”와 다른 버튼에 배정되어 있으므로, “jinzhi (禁止)” 과 “zhuijian(逐ㅇ)”의 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를 모두 “444”로 하였을 때의 모호성이 없게 된다. “In the case of jinzhi (禁止) and zhuijian (逐ㅇ),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sing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and syllable-based initial code of the recommended sound can be done as follows. In Chinese, the recommended sounds “ch”, “sh”, and “zh” are in fact a single mother, and are expressed as one symbol as the main note, but are a combination of two alphabets when written in the English alphabet. Therefore, the syllable standard initial value simple code of zhuijian according to FIG. 10-6 can also be “4944” corresponding to “zh + j” including “h”.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will be “494” corresponding to “zh + j”. In the keypad of FIG. There is no ambiguity when both syllable standard initial value simple codes of “禁止)” and “zhuijian (逐ㅇ)” are set to “444”.

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를 단축입력값으로 이용하는 풀우선 병행입력방 법에서, 입력값 “4~”는 “z~”로 인식되고, 입력값 “49~”가 입력되면 “zh~” 로 인식하고 처리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zh~” 로 시작하는 단어는 다수 이므 로 시스템이 입력값 “49~”를 “zh~” 로 처리하여 대응어구를 사용자에게 출력 하더라도 의미가 적을 것이다. 따라서 입력값 “49”에 대하여 시스템은 음절기 준이니셜값 심플코드로 해석하여 음절의 구성이 “z__h__”인 어구를 출력하여 제 공할 수 있다 (밑줄 부분은 모음이 위치함을 의미). 만약 “49”를 “zh”로만 해석하면, 음절기준 이니셜값이 “z__h__” 인 단어를 단축입력하기 어렵게 된다. 중국어의 경우 대분분의 단어가 하나의 음절(글자) 혹은 두개의 음절(글자)로 이 루어져 있으므로, 2음절 단어의 단축입력을 위하여, 권설음 입력에 대하여 단축입 력으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10-17을 참고한다. 도10-17에서 액정상에 [禁止] 다음에 흐린색으로 [. . .] 으로 표시된 것은 “z__h__”인 단어가 다수인 경우 후순위의 다른 단어들이 출력됨을 의미한다. 후순위로 “zh__”인 단어들이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zh__”인 단어가 먼저 출력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일반적으로 “z__h__” 형태의 단어가 먼저 출 력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I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using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as a short input value, the input value “4~” is recognized as “z~”, and the input value “49~” is recognized as “zh~” and will be dealt with.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words that start with “zh~”, even if the system processes the input value “49~” as “zh~”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phrase to the user, it will be meaningless. Therefore, for the input value “49”, the system can interpret it as a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and output a phrase whose syllable composition is “z__h__” (the underlined part means that the vowel is located). If “49” is interpreted only as “zh”, it becomes difficult to enter a word with a syllable-based initial value of “z__h__” in abbreviation. In the case of Chinese, since most of the words consist of one syllable (letter) or two syllables (letter),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 recommended consonant input as a shortened input for the shortened input of the two-syllable word. See Figures 10-17. In Fig. 10-17, [禁止] in the liquid crystal phase followed by [. . .] means that if there are many words of “z__h__”, other words in the lower order are output. Of course, the words “zh__” can be output in the lower order, and the word “zh__” can be set to be output firs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but in general, it is better to output the word “z__h__” first. It will be convenient.

“49” 다음에 모음 입력이 인식되면(예를 들어, 모음버튼이 눌러지면), 시 스템은 입력값을 “zh__” 로 처리(즉, 입력값을 풀코드로 처리)하게 된다. “49 ” 다음에 자음 입력이 인식되면(예를 들어, 자음버튼이 눌러지면), 시스템은 입 력값을 “zh__X__” 로 처리하게 된다 (대문자 ‘X’는 임의의 성모를 표현하는 영어 자음). 즉 정리하면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에서도 권설음의 “ch”, “sh”, “zh” 등의 입력에 대하여 일차적으로 심플코드(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 혹은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로 해석하고, 다음 입력값이 모음인지 자음인지에 따라 풀코 드 혹은 심플코드로 해석하는 것이다. When a vowel input is recognized after “49” (for example, when the vowel button is pressed), the system processes the input value as “zh__” (ie, processes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When a consonant input is recognized after “49” (for example,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he system processes the input value as “zh__X__” (capital ‘X’ is an English consonant representing an arbitrary Virgin). In other words, even i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nputs such as “ch”, “sh”, and “zh” of recommended sounds are primarily interpreted as simple codes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or syllable-based initial code), and the next input Depending on whether the value is a vowel or a consonant, it is interpreted as a full code or a simple code.

위의 내용은 자음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를 단축입력값으로 하고, 단축우선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한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단, 단축입력값으로 음절기준 이 니셜값 심플코드를 적용하고,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하되, 단지 단어 시작상 태 (확인버튼이 눌러지거나 혹은 입력시스템에서 약속된 형태의 단어종료 후)에서 권설음이 입력되었을 때는 입력값을 단축입력값으로 간주하여 처리(예에서, 단어 의 초성이 “z__h__” (‘ch’, ‘sh’ 등의 다른 권설음의 경우는 그에 따름) 와 일치하는 단어를 검색)하는 것이다. The above is a similar result to applying the consonant standard initial value simple code as the shortened input value and applying the shortened 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However,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is applied as the shortened input value, and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but only at the beginning of the word (after the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or the word ends in the form promised in the input system) When a recommended sound is entered, the input value is regarded as a shortened input value and processed (in the example,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word is “z__h__” (in the case of other recommended sounds such as 'ch' and 'sh', it is followed). ) will do.

이상에서 도10-*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른 키패드에서도 위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based on FIG. 10-*, it is obvious that the above concept can be applied to other keypads as well.

더 나아가 PC 의 키보드 그리고 키패드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변형된 모 든 형태의 자판(스크린 상에서 구현되는 자판의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에서 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ame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keyboard and keypad of the PC, but also to all types of similarly modified keyboards (the types of keyboards implemented on the screen can be very diverse).

16. 16. 심플코드simple code 가능알파벳 조합을 이용하는 병행입력방법 Parallel input method using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s

앞에서 설명한 방법중 심플코드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각 음절의 첫자음과 비교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측에서 심플코드의 색인(예. 6242 / satongjipdan / 四通集團)을 가지지 않고, 단지 특정 어구의 색인만(예. satongjipdan / 四通集團)을 가진 경우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2…” 에서 두번째 [2] 가 입력되는 순간, 시스템은 입력값이 중국어 언어제한 을 위배하는 것을 인식하고 입력값, “62… = sd…, st…, xd…, xt…(편의상 ‘ 가능알파벳조합’이라 부름)” 과 색인의 단어 중에서 각 음절의 첫자음이 일치하 는 어구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버튼 누름의 횟수가 많 아지면, 가능알파벳조합의 수가 더 많아지게 되며 이 가능알파벳조합을 이용하여 색인의 어구와 비교/검색하면 된다. 도11-7을 참고할 수 있다. 도11-7의 색인에 서 “四通集團” 행(record)에서 다중(multiple)적으로 “s t j p” 및 “s d .. ”, “x d …”, “x t …” 의 목록(2**4 = 16가지가 가능함) 을 가지고 있으면 서, 입력값 “sd …” 에 대하여 각 레코드의 이 다중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四通集團 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역시 같은 개념이나 구현이 어렵고, 장점이 없으므로 권장하지 않는다. 도11-9를 참고한다. 어느 방법이나 입력값으 로 표현될 수 있는 가능알파벳조합과 색인의 어구(도11-9에서는 병음)을 비교하는 것은 같다. Among the methods described above, when using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as a simple code, comparing with the first consonant of each syllable does not have a simple code index (eg 6242 / satongjipdan / 四通集團) on the client side, but only a specific It can be usefully applied even if you only have an index of phrases (eg satongjipdan / 四通集團). For example, “62… As soon as the second [2] in “” is entered,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Chinese language restriction, and the input value, “62… = sd... , st... , xd... , xt... (For convenience, it is called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 and the words in the index, the first consonant of each syllable can be searched for and provided to the user. As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increases, the number of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s increases, and the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s are used to compare/search with phrases in the index. Reference may be made to Figs. 11-7. In the index of FIG. 11-7, “s t j p” and “s d .. ”, “x d .. ”, “x d … ”, “x t … ” (2**4 = 16 possible), and the input value “sd … ” could be compared with this multi-value in each record to provide the user with a 4-way map. This is also not recommended because the same concept or implementation is difficult and has no advantages. See Figures 11-9. In either method, it is the same as comparing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s that can be expressed as input values and phrases in the index (Pinyin in Fig. 11-9).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측에서 심플코드 색인(예. 7799, 삼성전자)을 가지지 안고, 단지 특정 어구의 색인(예. 삼성전자)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 삼성전자”를 염두에 두고, “77…”를 입력시, 시스템은 2번째 [7] 이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한국어 언어제한을 위배하는 것을 인식하고, 입력값 “77… = ㅅ ㅅ…, ㅅㅆ…, ㅆㅅ…, ㅆㅆ… (편의상 ‘가능알파벳조합’이라 부름)” 과 색인 의 단어 중에서 각 음절의 첫자음이 일치하는 어구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11-8을 참고할 수 있다. Similarly, if the client does not have a simple code index (eg 7799, Samsung Electronics), but only has an index of a specific phrase (eg Samsung Electronics), the user has “Samsung Electronics” in mind, and “77… ”,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Korean language restriction the moment the second [7] is entered, and the input value “77…” is entered. = s s... , ss… , ss… , ㅆㅆ… (For convenience, it is called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 and the words in the index, the first consonant of each syllable can be searched for and provided to the user. Reference may be made to Figs. 11-8.

만약 입력값과 일치하는 어구가 색인에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 되면,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된다. 이는 사용자가 음 절기준 이니셜코드의 값만을 입력한다는 전제하에, 색인에 심플코드를 두지 않고, 단지 단어의 색인만을 둔 상태에서 병행입력방법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것 이다. 단, 이 방법 역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이 풀코드 생성규칙을 위배하거나, 풀우선 언어제한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이 언어제한을 위배하는 순 간을 시스템이 감지하는 절차까지는 동일하며, 입력값에 대응되는 어구를 검색해 내는 절차만 다른 것이다. 즉, 풀코드 생성규칙을 위반하거나 언어제한을 위배하 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풀코드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되,심플코드를 이용하지 않고 입력값이 음절기준 이니셜코드인 점을 이용하여 입력값에 대응되는 어구를 해석(혹은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hrase matching the input value no longer exists in the index, the input value can be regarded as a full code and provided to the user. Under the premise that the user inputs only the value of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it is possible to produce an effect similar to the parallel input method without putting a simple code in the index, but only putting the index of words. However, this method is also the same until the system detects the moment when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full code generation rule in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or the input value violates the language restriction in the full-priority language-restricted parallel input method. , only the procedure of searching for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is different.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full code generation rule is violated or the language restriction is violated, the system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not a full code, but uses the fact that the input value is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without using a simple code. The phrase corresponding to is interpreted (or searched) and provided to the user.

병행입력방법의 핵심적인 내용은 풀코드 생성규칙을 위반하는 순간, 혹은 언어제한을 위반하는 순간을 시스템이 자동으로 감지하여,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즉, 사용자가 풀입력이 아닌 단축입력을 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었고, 이는 결국 기 제시한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에 대응되는 어구를 검색해내는 부 분만 특별한 경우(음절기준 이니셜코드 이용)에 한정하여 변형한 것이다. The core content of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that the system automatically detects the moment when the full code generation rule is violated or the language restriction is violated, and the input value is regarded as a simple code (i.e., when the user inputs abbreviated input instead of full input). ), which was eventually modified by limiting only the part of searching for the phra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in the previously presented parallel input method to a special case (using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음절기준 이니셜코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체연관 심플코드, 자음연관 심플코드, 첫모음+자음연관 심플코드 등과 같이 규칙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동으로 심플코드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입력값으로 부터의 "가능알파벳조합"과 비교 하여 색인의 어구를 비교하여 색인으로부터 타겟어구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0-11에서 시스템이 입력값 하나하나의 입력시마다 입력값을 풀코드로 해석하여 풀코드로 해석된 병음이 병음색인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시스템은 입력값을 단축입력값으로 간주하여 입력값에 대한 "가능알파벳조합" 과 병음을 비 교함으로써 타겟어구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도면으로 표시하면 도11-10 와 같이 되며, 이는 도10-11의 일부분((2)-(B)부분)를 표현한 것으로 전체연관심 플코드가 사용된 경우의 사례이다.As in the case of syllable-based initial codes, if a simple code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because it has regularity, such as all related simple codes, consonant related simple codes, first vowel + consonant related simple codes, "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target phrase from the index by comparing the phrase of the index against the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s". 10-11, the system interprets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whenever each input value is entered, and the moment it confirms that the Pinyin interpreted as a full code does not exist in the Pinyin index, the system considers the input value as an abbreviated input value. Thus, the target phrase can be searched by comparing the "possible alphabet combination" for the input value with Pinyin. 11-10 shows this as a drawing, which expresses a part ((2)-(B) part) of FIG.

17. 17. 풀코드를full code 저장하고 있는 입력시스템에서의 in the input system that stores 풀입력방법Full input method 및 병행입력방법 and parallel input method

특정 키패드에서의 특정 언어제한 풀입력방법에 의하여, 입력값에 대한 올 바른 단어를 식별해내는 것이 조금은 복잡한 경우가 있음을 전술한 내용에서 알 수 있다. (예. 표준영어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에 의한 영어 입력 및 중국어 병 음 입력) 앞서 중국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국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에서 도 입력하고자 하는 모든 단어의 색인을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경우, 입력값을 1 차적으로 풀코드로 해석하고, 색인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를 2차적으로 약속된 심플코드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can be seen from the foregoing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it is a little complicated to identify the correct word for the input value by the specific language restriction full input method on a specific keypad. (Example: English input and Chinese Pinyin input by repetitive selection method on the standard English keypad) As described above in Chinese, if the system has an index of all words to be input not only in Chinese but also in other languages, the input valu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firstly as full code, and secondly to interpret it as promised simple code if it does not exist in the index.

이하에서 편의상 중국어의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10-14에서와 같이 중 국어 병음(타 언어의 경우 가능한 단어)을 모두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풀코드 를 모두 저장하고 있으면, 시스템은 단순히 입력값과 일치하는 어구를 검색하여 타겟알파벳을 인식해 낼 수 있다. 만약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한다면, 일치 하는 풀코드 값이 색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시스템은 입 력값을 약속된 유형의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게 된다. 도10-14에서 "北京" 을 입력하는 과정은 입력값을 풀코드로 해석하여 처리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단지 풀코드를 색인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색인의 검색을 통하여 풀코드를 해석하 는 것이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case of Chine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S. 10-14, if all full codes are stored in a system that stores all Chinese Pinyin (possible words in other languages), the system simply searches for phrases that match the input value and recognizes the target alphabet. can pay If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the moment it confirms that the matching full code value no longer exists in the index, the system treats the input value as a simple code of the promised type and processes it. In FIGS. 10-14, the process of inputting "北京" can be seen as a process of interpreting and processing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Since the full code is stored in the index, the full code is analyzed through the index search.

언어제한 입력방법에 의하여 모호성없이 단어가 식별될 수 있는 풀입력방법 을 적용하는 경우, 색인에 풀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유용하지 않다. 그러나 반복선택방법과 같이 모호성있는 풀입력방법을 적용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어구의 모든 색인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앞서 “불완전 자모음분리키패 드에서의 언어제한입력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풀 입력방법을 적용시 입력하고자 하는 모든 단어가 색인에 저장되어 있다면(중국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 이 풀코드 색인을 이용하여 입력값을 처리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full input method in which words can be identified without ambiguity by the language restricted input method, it is not useful to store the full code in the index. However, it can be useful if you apply an ambiguous full input method, such as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and store all indexes of the phrase you want to input. As described above in “Language Restriction Input Method in Incomplete Consonant Separation Keypad”, if all words to be input are stored in the index when applying the full input method that can cause ambiguity (not only in Chinese but also in other languages) can be applied), and the input value can be processed using this full code index.

이상에서 중국어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중국어 이외의 경우에도 적용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1-1의 키패드 뿐만 아니라 도10-*의 키패드 및 기타의 다른 키패드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the example of Chinese,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pplied to cases other than Chinese. In addition, i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keypad of FIG. 1-1 as well as the keypad of FIG. 10-* and other keypads.

18. 18. 입력값을input value 동시에 At the same time 여러가지Several 유형의 type of 코드(입력값)으로as code (input) 처리하는 병행입력 방법 Parallel input method to process

입력값에 대하여 소정의 어떤 유형들의 코드(입력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하 는 병행입력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10-14에서 입력값에 대하여 동시에 풀 코드(A)와 전체연관심플코드(B)로 간주하여 처리하면, 시스템은 입력값 "1*#"에 대하여 풀코드로 해석하였을 때의 "bai" 와 전체연관심플코드로 해석하였을 때의 "bei"를 인식해낼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은 동시에 "bai"와 "bei"를 사용자에 게 제공할 수 있다. A parallel input method that considers and processes input values as certain types of codes (input values) is possible. For example, in FIGS. 10-14, if the input value is treated as a full code (A) and a full associated simple code (B) at the same time, the system interprets the input value "1 * #" as a full code. "bei" can be recognized when interpreted as "bai" and the overall association simple code. In this case, the system can provide "bai" and "bei"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풀우선병행입력방법의 경우 풀코드로 해석하였을 때의 "bei"만을 출력하는 점, 그리고 단축우선병행입력방법의 경우 약속된 단축코드로 해석한 결과인 "ba i"만을 출력하는 점이 차이이다. 이러한 병행입력방법에서도 입력값이 특정 유형 의 코드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는 순간 입력값을 다른 유형의 코드 로만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국 이는 이미 언급한 병행입력방법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시스템의 색인에 반드시 도10-14에서 처럼 풀코드 와 전체연관심플코드를 저장되어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입력값에 대하여 동 시에 여러가지 유형의 코드로 해석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difference is that in the case of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only "bei" is output when interpreted as a full code, and in the case of the short-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only "ba i" is output, which is the result of interpreting the short code promised. Even in this parallel input method, as soon as it is confirmed that the input value no longer exists in a specific type of code, it is possible to treat the input value only as a different type of code, and eventually this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already mentioned parallel input method. will say yes The index of the system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store full codes and all associated simple codes as shown in Figs.

19. 모호성이 발생하는 단어의 우선순위 19. Priority of words where ambiguity occurs

특정한 어느 한가지 입력방법(예. 특정한 풀입력방법, 혹은 특정한 유형의 단축입력방법)에서, 같은 입력값에 대하여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는 도10-14 및 기타의 도면에서와 같이 특정 입력방법을 적용시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의 우선 순위를 근거로 하여 그 순서에 따라 타겟어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14에서 풀입력방법을 적용시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 풀코드(A)간의 우선순위 인 "(A) 우선순위" 에 따라 타겟어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줄 수 있다. In any one specific input method (eg, a specific full input method or a specific type of short input method), when ambiguity occurs for the same input value, a specific input method is applied as shown in FIGS. 10-14 and other drawings. Target phrases may be output according to the order based on the order of priority when ambiguity occurs. For example, if ambiguity occurs when applying the full input method in FIGS. 10-14, the target phrase can be output and recommended to the user according to "(A) priority", which is the priority between full codes (A). have.

다음으로 입력값이 소정의 여러 유형의 코드로 해석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앞서 예시한 대로 도10-14에서 입력값 "1*#" 에 대하여 풀코드로 해석하면 "bai" 가 되고, 전체연관심플코드로 해석하면 "bei"가 되는데, 이렇게 서로 다른 유형의 코드로 해석하여 모호성이 발생할 때, 시스템은 풀코드(도면10-14에서 (A))와 전 체연관심플코드(도면10-14에서 (B))로 동시에 해석할 때의 우선순위에 의하여 타 겟어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Next, a case where an input value is interpreted as various types of predetermined codes will be described. As illustrated above, in FIGS. 10-14, if the input value "1*#" is interpreted as a full code, it becomes "bai", and if it is interpreted as an overall associated simple code, it becomes "bei", which is interpreted as different types of codes. When ambiguity occurs, the system selects the target phrase according to the priority when simultaneously interpreting the full code ((A) in Fig. 10-14) and the entire associated simple code ((B) in Fig. 10-14).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예를 들어 입력값을 1차적으로 풀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되, 풀코드 생성규 칙을 위반하거나 특정언어의 음절생성규칙을 위반하거나 혹은 색인에 대응하는 풀 코드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 되는 순간, 입력값을 음절기준이니셜코 드 및 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 을 단축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때, "음절기준이니셜코드" 와 "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 간의 모호성이 발생할 때의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음절기준이니셜코드가 (C)이고 음절기준이니셜값 심플코드가 (D) 라면, "(C)+(D)우선순위"에 의하여 타겟어구를 출력하는 것) For example, the input value is primarily treated as a full code, but it is confirmed that the full code generation rule is violated, the syllable generation rule of a specific language is violated, or the full code corresponding to the index no longer exists. At the moment, in the parallel input method that treats the input value as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and a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when processing the input value as a short code, "syllable-based initial code" and "syllable-based initial value" When ambiguity between "value simple code" occurs, it can be processed based on the priority. (That is, if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is (C) and th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is (D), outputting the target phrase by "(C) + (D) priority")

중국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한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고 병음을 타 겟어구로 하면 타 언어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Chinese was explained as an example, but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if Pinyin is used as the target phrase rather than Chinese characters.

20. 컨트롤처리방법을 20. Control processing method 풀입력방법으로full input method 하는 병행입력방법 parallel input method

도2-1, 도2-2와 같이 컨트롤버튼을 [*] 및 [#] 버튼으로 하고 대표알파벳제 외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하되 색인에 대표알파벳 만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모두 저장하고 단축우선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하면, 입력값 으로 "*" 혹은 "#"이 눌러지는 순간 시스템은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As shown in Figs. 2-1 and 2-2, when the control buttons are [*] and [#] buttons and a control processing method other than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s applied, the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but the word consisting only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s applied to the index It was pointed out that if all are saved and the shortcut 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the moment "*" or "#" is pressed as the input value, the system can process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도2-1 및 도2-2의 일본어의 경우 단축코드는 모두 숫자값으로만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대표알파벳만으로 이루어진 모든 단어를 저장하 고 있는 색인(단축코드색인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단축코드 색인과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두고, 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하되 입력값으로 숫자버튼만이 계 속 눌러지는 동안은 입력값을 풀코드로 해석한 결과와 대표알파벳만으로 이루어진 단어의 색인(혹은 이를 포함하고 있는 심플코드색인)을 참조하여 단축코드로 해석 한 결과를 모두 소정의 우선순위에 의하여 타겟어구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Japanese in FIGS. 2-1 and 2-2, it is assumed that all short codes consist of only numeric values. In this case, put an index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short code index or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short code index) that stores all words consisting of only representative alphabets, and apply the parallel input method, but use the number buttons as input values. While only is continuously pressed, the result of interpreting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and the result of interpreting the input value as a short code by referring to the index of words consisting only of representative alphabets (or the simple code index including it) are given a certain priority. As a result,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s a target phrase.

예를 들어, 입력값 도2-1, 도2-2에서 입력값 “111” 에대하여 풀코드로 처 리하면(즉, 풀우선병행입력방법을 적용하면), “あああ”로 해석되는데, 만약 대 표알파벳만으로 이루어진 모든 단어의 색인을 참조하여 “ああ~”로 시작하는 단 어가 존재하지 않고, “あい” 혹은 “あい~” 만이 존재한다면, “あい” 또는 “あい~” 를 “ああ~”보다 우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input value “111” is processed as a full code in FIGS. 2-1 and 2-2 (that is, if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is applied), it is interpreted as “あああ”, if By referring to the index of all words consisting only of representative alphabets, if there is no word that starts with “ああ~” and only “あい” or “あい~” exists, “あい” or “あい~” is replaced with “ああ~” Priority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도10-15, 도10-16을 참고한다. 도10-15에서 입력값 “11”에 대하여 풀코 드로 해석하되, 이것이 대표알파벳만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므로 다시 “대표알파벳 만으로 이루어진 모든 단어의 색인”을 검색하여 유효한 단어인지 확인한다. 여 기서 “11”을 풀코드로 해석한 “ああ” 가 색인에 존재하면 입력값에 대하여 이 를 유효한 단어로 인식하면 된다. 대표알파벳으로만 이루어진 모든 단어의 색인 에 입력값에 대응하는 어구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는 순간 시스템 은 입력값을 다시 심플코드로 해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あい”를 시스템이 인식 하게 된다. 도10-15에서 시스템은 입력값 “11” 대하여 최우선으로 “あい”로 인식하게 된다. “11” 다음의 입력값에 따라 “あい...” (“...”은 “あい” 다음에 다른 알파벳이 덧붙어 있는 경우) 로 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이 이를 “あ い” 다음 순위로 출력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색인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타겟 어구가 “ああ” 일 수도 있으므로 이 역시 “あい”의 다음 순위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10-15에서 “あい...” 과 “ああ” 가 흐린 색으로 그리고 2번째와 3번 째 추천순서로 표시된 것은 시스템이 이렇게 출력할 수도 있고 단지 “あい” 만 을 출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See Figs. 10-15 and 10-16. In Figures 10-15, the input value “11” is interpreted as a full code, but since this is a word made up of only representative alphabets, it is searched again for “index of all words made up of only representative alphabets” to check if it is a valid word. Here, if “ああ”, which interprets “11” as a full code, exists in the index, it can be recognized as a valid word for the input value. As soon a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longer a phra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in the index of all words consisting only of representative alphabets, the system interprets the input value again as a simple code and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あい”. 10-15, the system recognizes “あい” as the highest priority for the input value “11”. Depending on the input value after “11”, it can be “あい...” (“...” is when another alphabet is added after “あい”), so the system ranks it next to “あい”. can also be printed out. Likewise, even if it does not exist in the index, the target phrase may be “ああ”, so this may also be output as the next rank of “あい”. In FIGS. 10-15, “あい ...” and “ああ” are displayed in pale colors and in the second and third recommended order indicates that the system can output this way and only output “あい”.

*도10-15에서 (1), (2), (3)은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고, “입력값을 동 시에 여러 유형의 코드로 인식하는 병행입력방법”에서 언급한 것처럼 동시에 일 어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색인에 풀코드 및 심플코드를 표시한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고, 풀코드 및 심플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동일한 절 차를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심플코드가 음절기준이니셜코드 혹은 전체연관 심플크드와 같이 규칙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심플코드인 경우). 도10-16에서와 같이 대표알파벳으로만 이루어진 모든 단어의 색인과 심플코드 색인이 하나의 색 인으로 존재하는 경우도 동일한 내용이다. 구현상의 자료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In Figures 10-15, (1), (2), and (3) may occur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as mentioned in “Concurrent input method for recognizing input values as multiple types of codes at the same time.” have. Similarly, the indication of full code and simple code in the index is only for helping understanding, and it is self-evident that the same procedure can be performed even if the full code and simple code are not stored (the simple code is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or In the case of simple code that can be interpreted regularly, such as fully associative simple code). As shown in FIGS. 10-16, the case where the index of all words consisting only of representative alphabets and the index of simple codes exist as one index is the same. Implementation data structure can be realized in various forms.

시스템의 작동 결과는 기 설명한 병행입력방법과 유사하나, 단축우선병행입 력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풀우선병행입력방법 혹은 일반적인 병행입력방법 을 적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operation result of the system is similar to the parallel input method described above, but it can be seen as applying the full-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or general parallel input method rather than applying the short-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이는 대표알파벳제외 컨트롤처리방법을 풀입력방법으로 하는 병행입력방법 에서 뿐만 아니라 컨트롤처리방법을 풀입력방법으로 하는 모든 병행입력방법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is can be equally applied to all parallel input methods that use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s the full input method as well as the parallel input method that uses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s the full input method, excluding representative alphabets.

21. 기능의 입력 21. Enter function

기능 중 어구(문장)을 입력시 공백은 필수기능이라 할 수 있고, 삭제(입력 취소)기능 역시 필요하다. 엔터기능은 입력후 일정시간 동안 무입력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역시 필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3가지 기능을 통칭하여 편의상 "3기본기능" 이라고 부른다. 또한 영어와 같이 대소문자가 존재하는 언어에 있어 서는 대/소문자전환 기능도 필요하다. 상/하/좌/우 이동기능 중 좌/우 이동기능 은 삭제 그리고 공백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고 상/하 이동기능은 필수기능은 아니 라고 볼 수 있다.Among the functions, when entering a phrase (sentence), a space is an essential function, and a deletion (cancellation of input) function is also required. The enter function can be solved without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input, but it can also be said to be a necessary function. These three function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ree basic functions" for convenience. In addition, in languages wher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exist, such as English, a case conversion function is also required. Among the up/down/left/right movement functions, the left/right movement function can be replaced with the delete and blank functions, and the up/down movement function is not an essential function.

여기서 어구 입력을 위한 각종 기능 중 필수기능 순으로 나열해 본 사례를 몇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 물론 이는 참고사항일 뿐이고,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 며, 특정한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영어 키패드를 통하여 중 국어를 입력하는 경우는 한자변환 기능이 가장 필수기능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어나 한국어와 같은 한자 문화권 언어에 있어서도 한자변환 기능은 중요 한 기능이 될 수 있다. Here, a few examples of various functions for inputting phrases in order of essential functions are as follows. Of course, this is just a reference, not an absolute standard, and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specific situation. This is because if Chinese is input through the English keypad,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function will be the most essential function. In addition,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function can be an important function even in Chinese characters such as Japanese or Korean.

1. 공백 - 엔터 - 삭제 - 대/소문자 전환 - 자국어/숫자/영어 모드전환 - 이동(상/하/좌/우) 1. Space - Enter - Delete - Case conversion - Native language/number/English mode conversion - Move (up/down/left/right)

2. 공백 - 삭제 - 엔터 - 자국어/숫자/영어 모드전환 - 대/소문자 전환 - 이동(상/하/좌/우) 2. Space - Delete - Enter - Native language/number/English mode conversion - Uppercase/lowercase conversion - Move (up/down/left/right)

3. 공백 - 엔터 - 삭제 - 한자변환 - 자국어/숫자/영어 전환 - 이동(상/하/ 좌/우) 3. Space - Enter - Delete -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 Native language/number/English conversion - Move (up/down/left/right)

4. 한자변환 - 공백 - 엔터 - 삭제 - 영어/숫자 모드전환 - 이동4.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 space - enter - delete - English/number mode conversion - move

17.1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한 기능의 입력 17.1 Function input by control processing method

알파벳 및 각종 기호를 컨트롤 처리방법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을 설 명하였다. 각종 기능을 선택하는데에도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12- 1은 숫자 버튼에 각종 기능의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기능컨트롤"과 조합하여 구 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각 버튼에 연관된 숫자버튼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연관지어 지정할 수 있다. 도12-1에서 좌우상하 화살표는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중앙에 엔터를 두는 것 역시 용이하게 숫자버튼과 그에 연관된 기능을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나머지 필요한 기능역시, 각 언어별로 기능의 명칭과 관련있는 알파벳이 배치된 버튼에 연관지음으로써, 기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12-1에서 shift 기능을 "S" 가 배정된 [7] 버튼과 연관하는 것이다. It has been explained that alphabets and various symbols can be selected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The same can also be applied to selecting various functions. 12-1 is an example showing that the meaning of various functions is given to number buttons and it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hem with “function control”. Numeric buttons associated with each button can be assign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you can easily remember them. In FIG. 12-1, the left, right, up, and down arrows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and putting the enter in the center is also to make it easy to know the number buttons and their related functions. The remaining necessary functions can also be easily memorized by associating them with buttons arranged with alphabets related to the names of functions for each language. In FIG. 12-1, the shift function is associated with the [7] button to which “S” is assigned.

도12-1에서 편의상 선출원의 한국어의 경우에서 처럼 [*] 버튼을 누름횟수 에 따라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이 선택되고 그 다음으로 기능컨트롤이 선택된다 고 가정할 때, 엔터 = [5]+{기능} = [5]+[*]+[*]+[*] 이 된다. 만약 [5] 버튼1타 로 선택하는 알파벳이 격음/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알파벳이면, 건너뛰기 컨트롤처 리를 적용하여 [5]+[*] 까지 눌렀을 때 엔터가 입력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In Figure 12-1, as in the case of the Korean language of the previous application for convenience, assuming that the aspirated consonant control and the consonant control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the [*] button, and then the function control is selected, enter = [5] + { function} = [5]+[*]+[*]+[*]. If the alphabet selected with one stroke of the [5] button is an alphabet that does not have aspirated / tense sounds, skip control processing can be applied and enter can be assumed when [5] + [*] is pressed.

각 버튼에 연관된 기능은 숫자버튼위에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 도 있다. 그런데 각종 기호의 그룹과 연관된 숫자버튼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액정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버튼위에 표시하지 않고, 간결한 배치를 유 지하면서, 사용의 편리를 더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는 여기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12-2를 참고한다. 또한 기호입력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기능 과 숫자버튼과의 연관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재정의하도록 할 수도 있다.Functions related to each button may or may not be displayed on the number buttons.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convenience of use can be added while maintaining a simple arrangement without displaying on the buttons by displaying the number buttons related to groups of various symbols on a part of the liquid crystal screen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The same can be applied here. See Figure 12-2. Also, as pointed out in the symbol input,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and number buttons can be redefined by the user.

영어의 경우와 같이 [*] 혹은 [#] 버튼이 다른 컨트롤버튼으로 사용되지 않 는 경우는 [*] 버튼 1타로 “기능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도12-1에서 기 능이 연관된 숫자버튼과 [*] 버튼을 한번 눌러 기능을 입력할 수 있다. As in the case of English, if the [*] or [#] button is not used as another control button, you can select “function control” with one stroke of the [*] button. You can enter a function by pressing the [*] button once.

17.2 다차원 교차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한 기능의 입력 (컨트롤버튼의 교차 조합 이용)17.2 Function input by multi-dimensional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cross combination of control buttons)

하나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하여 한가지의 컨트롤버튼이 사용되는 경우를 1차원 컨트롤처리방법이라고 하였다. 같은 컨트롤버튼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 우도 마찬가지이다. The case where one control button is used to input one alphabet is called a one-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method. The same applies when the same control button is used repeatedly.

컨트롤버튼으로 [*], [#]이 사용되고, 1차원 컨트롤처리방법으로 알파벳 및 각종의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 컨트롤버튼의 교차 조합(이 경우 [*]+[#], [#]+[*])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버튼이 반복적으로 사 용되지 않는 경우라면, [*]+[*] 혹은 [#]+[#] 등을 이용하여 기능을 입력할 수도 있다. “[*]+[#]” 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모양이므로 우측이동 기능 (혹은 공백)으로 활용시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반대로 [#]+[*] 는 왼쪽 에서 오른쪽으로 좌측이동기능(혹은 삭제)으로 활용시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 and [#] are used as control buttons, and when alphabets and various symbols are input as a one-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method, the cross combination of control buttons (in this case, [*]+[#], [#]+[ *]) to input various functions. If the control button is not used repeatedly, the function can be entered using [*]+[*] or [#]+[#]. Since “[*]+[#]” looks like it goes from left to right, users can easily recognize it when using it as a right movement function (or a space). Conversely, [#]+[*]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when used as a left-to-right movement function (or deletion).

이를 다차원 교차 컨트롤처리방법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입력예로 컨트롤 후입력을 적용하여, ^a = a + [*] 로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a + [*] +[#]”을 입력하면, a + [*] 까지 입력시 시스템은 ^a 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나, 다음에 [#] 이 올 수 없으므로([#] 버튼이 다른 컨트롤버튼으로 사용되 고 있더라도), [#] 이 입력되는 순간, 시스템은 “[*] +[#]”이 우측이동기능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선입력으로 지정한 경우도 유사함을 알 수 있다. This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ltidimensional intersection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the case of inputting ^a = a + [*] by applying post-control input as an input example, if the user inputs “a + [*] +[#]”, the system returns up to a + [*] ^a is recognized as input, but since [#] cannot come next (even if the [#] button is used as another control button), the moment [#] is entered, the system responds with “[*] +[ #]” can be recognized as inputting the right movement fun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where it is specified as a control line input is similar.

일본어의 경우에 2차원컨트롤처리방법이 적용되었다. 이 경우 컨트롤버튼 을 3회(혹은 그 이상) 번갈아 조합함으로써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백 = [*]+[#]+[*], 삭제 = [#]+[*]+[#] 로 입력하는 것이다. 공백 기능의 사례 에서 [*]+[#]+[*] 을 눌렀을 때 형성되는 모양이 마치 오른쪽 화살표의 화살촉을 연상시키므로 이를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삭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 를 눌렀을 때 왼쪽 화살표의 화살촉을 연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In the case of Japanese, a two-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method was applied. In this case, the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alternately combining the control buttons 3 times (or more). For example, blank = [*]+[#]+[*], delete = [#]+[*]+[#]. In the example of the space function, the shape formed when pressing [*]+[#]+[*] reminds us of the arrowhead of the right arrow, so we can easily remember this. Similarly, in the case of delete, when you press [#]+[*]+[#], you can remind yourself of the arrowhead of the left arrow, so you can remember it easily. The reason this is possibl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이를 정리하면, 1차원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컨트롤버튼을 2회번 갈아 조합하고, 2차원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경우는 컨트롤버튼을 3회 번갈아 조합함으로써 각종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알파벳 및 각종의 기호의 입력을 위해 N차원 컨트롤처리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N+1회 컨트롤버튼을 번갈아 조합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Summarizing this, it can be seen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input by changing the control buttons twice in case of applying the one-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combining the control buttons three times in case of applying the two-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method. have. That is, when the N-dimensional control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to input alphabets and various symbols, various functions can be input by alternately combining control buttons N+1 times.

22. 한자 변환 22. Kanji Conversion

한국어, 중국어 한어병음과 한자는 1:多 의 대응관계 이다. 예를 들어 “ 예의”에 대응되는 한자는 禮意, 禮儀, 銳意 … 와 같이 다수 있게 된다.Korean and Chinese Chinese Pinyin and Chinese characters have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of 1:Many. For example, th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courtesy” are 禮意, 禮儀, 銳意… There will be many like

중국어의 경우도 “beijing” 에 대응되는 한자는 北京, 背景 등이 있게 된 다(성조부호를 붙이지 않았을 경우). 따라서 한자변환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 후 속 한자(예. 北京(2nd), 背景(3rd)) 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의 를 beijing 을 입력후 한자변환기능을 한번누르면 北京 이 되고 한번 더 누르면, 背景 이 되는 것이다. 혹은 리스트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hines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beijing” also have Beijing, 背景, etc. (unless a tonal code is added). Therefore, by repeatedly p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button, the next Chinese character (eg, 北京 (2nd), 背景 (3rd)) can be selected. For example, if you press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function once after entering beijing for example, it becomes Beijing, and if you press it once more, it becomes 背景. Or you can choose from a list.

중국어의 경우는 한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을 원하는 모든 한자(편의상 “타겟한자”라 부름)를 색인에 저장하고 있어야 하므로, 한어병음을 입력하는 중 간에라도, 타겟한자를 확정할 수 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eij …”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北京” 밖에 없다면, 사용자가 “beij” 까지 입력시 “北京”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병음색인에 "beijing(北京)"이 단 하나만 존재한다면, 입력 중간에 사용자가 타겟 한자를 확 정하지 않더라도, "beijing"이 모두 확정적으로 인식되는 순간 시스템은 "beijing"을 "北京"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case of Chinese, in order to input Chinese characters, all Chinese characters (called “target Chinese characters” for convenience) must be stored in the index. can be provided to For example, “beij… If the only word that starts with ” is “北京”, when the user inputs up to “beij”, “北京”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f there is only one "beijing(北京)" in the pinyin index, even if the user does not confirm the target Chinese character in the middle of input, the system converts "beijing" to "北京" as soon as "beijing" is recognized as definitive. that can be printed out.

그리고 일본어의 경우는 히라가나와 가타가나는 1:1의 대응관계를 가지고, 히라가나 혹은 가타가나와 한자는 1:多의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히라가나 입력 후 가타가나 변환컨트롤(예. 도2-1에서 “아/아” 컨트롤)을 입력하여 가타가나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만약 도2-1에서 변형알파벳을 교차컨트롤 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고, “아/아” 컨트롤을 [0] 버튼 2타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특정 히라가나 혹은 가타가나에 대응되는 한자들을 [0] 버튼 의 반복누름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아” 컨트롤을 후입력 하는 것으로 지정하였다면, 히라가나 단어(혹은 알파벳)를 입력후 [0]+[0] 을 누 르면 입력한 히라가나에 대응되는 가타가나로 변환되고, 다시 [0] 버튼을 누르면, 첫번째 한자로 변환되고, 다시 [0] 버튼을 한번 누르면 그 다음 한자로 변환되는 것이다. 반대로 가타가나 입력모드에서는 가타가나 입력후 [0]+[0] 을 누르면 대 응되는 히라가나로 변환되고, 다시 [0] 버튼을 한번 누르면 한자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And in the case of Japanese, hiragana and katakana have a 1:1 correspondence relationship, and hiragana or katakana and Chinese characters have a 1:many relationship. Therefore, it has been explained that it is possible to convert to katakana by inputting a katakana conversion control (eg, “a / a” control in FIG. 2-1) after inputting hiragana. If the modified alphabet is entered by the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FIG. 2-1, the “A/A” control can be selected with two strokes of the [0] button. Here again,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hiragana or katakana can be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0] button. For example, if you set the “A/A” control to post-input, if you press [0]+[0] after entering a hiragana word (or alphabet), it will be converted to the katakana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hiragana, and then [0 If you press the ] button, the first Chinese character is converted, and if you press the [0] button once again, the next Chinese character is converted. Conversely, in the katakana input mode, pressing [0]+[0] after inputting katakana converts it to the corresponding hiragana, and pressing the [0] button once again converts it to kanji.

23. 23. 심플코드simple code 색인의 구축 Building an index

출원인이 제시한 심플코드 중 전체연관심플코드, 음절기준이니셜코드, 자음 연관심플코드, 첫모음+자음연관심플코드, 단어기준이니셜코드 등은 기계적으로(즉, 자동으로) 특정 어구(단어 혹은 구절)로부터 심플코드를 추출해낼 수 있는 좋은 성질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풀입력방법을 사용하여 한번 입력한 단어에 대하여 심플코드 색인(심플코드 및 심플코드 대응어구로 이루어진 색인)을 자동으로 구축하고, 이를 병행입력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심플코드가 저장되는 것은 도5-5와 유사한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측 혹은 서버측이 될 수도 있고, 혹은 클라이언트측과 서버측 모두에 저장될 수도 있다.Among the simple codes presented by the applicant, all related simple codes, syllable-based initial codes, consonant-related simple codes, first vowel + consonant-related simple codes, and word-based initial codes are mechanically (ie, automatically) specific phrases (words or phrases). ) has a good property of extracting a simple code from it. Therefore, a simple code index (an index made up of simple codes and simple code corresponding phrases) is automatically constructed for a word once input by the user using the full input method, and can be used in the parallel input method. The simple code may be stored on the client side or the server side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FIG. 5-5, or may be stored on both the client side and the server side.

같은 어구에 대하여 다른 종류의 심플코드(예. 전체연관심플코드 및 음절기 준이니셜코드)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특정유형의 심플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며, 사용자는 자동으로 생성되는 심플코드의 종 류를 인지하고 있으면 되며, 이를 병행입력방법 적용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적용하면, 사용자의 문자입력이 많아질수록 심플코드 색인이 풍부해지는 효과가 있다. For the same phrase, different types of simple codes (eg, fully associated simple codes and syllable-based initial codes) can be generated. However, in general, it will be convenient to use a specific type of simple code, and the user only needs to be aware of the type of automatically generated simple code, which can be used when applying the parallel input method. If this is appli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imple code index becomes richer as the user inputs more characters.

특정 언어의 특정 어구로부터 음절기준이니셜코드를 추출해내기 위해서는 특정 단어로부터 음절을 분리해 내야 한다. 특정 언어의 특정 단어에서 음절을 분리해 내는 것은 특정 언어의 분철(음절분리)규칙에 따르면 가능하다. 각 언어 마다 분철규칙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특정 단어로부터 음절을 자동으 로 분리해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며 여기서는 자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In order to extract a syllable-based initial code from a specific phrase in a specific language, syllables must be separated from a specific word. Separating syllables from a specific word in a specific languag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rules of division (syllable separation) of a specific language. Since each language has a splitting rule, it is not difficult to automatically separate syllables from a specific word using this, and it is not discussed in detail here.

예를 들어, 중국어 병음에서 "Zhongguo" 의 경우, 모음 "o" 와 "uo"를 중심 으로 "Zhong" 와 "guo" 로 음절분리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의 병음을 인 식하는 과정보다 훨씬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어의 앞에서부터 forward scanning 하여 음절을 분리해내는 예를 보이면, "zho"다음 자음 "n"이 다음 음절 의 자음인지 알 수 없지만, 그 다음 자음 "g"를 보아 첫음절에 속한 자음임을 알 수 있고, 마찬가지로 "g"는 다음 음절의 자음이 될 수도 있지만, 그 다음 "g"를 보아 첫번째 "g"는 첫음절에 속한 자음이고 두번째 "g"는 다음 음절을 이루는 자 음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병음에서 어느 한 음절이 "~ng"로 끝날 수 있음) "zhongg"까지 스캐닝하여 첫번째 음절 "zhong"를 분리해 낼 수 있다. 다음으로 "u"는 당연히 두번째 음절을 이루는 모음이고, 연속하여 나오는 모음 "o" 역시 두 번째 음절을 이루는 모음임을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다. (병음에서 영어모음 "uo"가 연속하여 나올 수 있음) "o" 다음에 나오는 알파벳이 더이상 없으므로 시 스템은 "zhongguo" 의 음절을 "zhong" 와 "guo"로 분리해 낼 수 있고, 따라서 음 절의 이니셜값이 "zg"인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zhongguo"의 음절기준 이니셜코 드 가 "43" (도면 10-6기준) 인 것을 식별해낼 수 있다. 나머지 언어의 경우에도 해당 언어의 음절분리규칙에 따라 특정 단어 혹은 구절로부터 자동으로 음절을 분 리해 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Zhongguo" in Chinese Pinyin, the syllables can be separated into "Zhong" and "guo" centering on the vowels "o" and "uo", which is faster than the process of recognizing Pinyi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done much more easily. In an example of separating syllables by forward scanning from the front of a word, it is not known whether the consonant "n" after "zho" is the consonant of the next syllable, but it can be seen that the consonant "g" belongs to the first syllable. Similarly, "g" may be a consonant of the next syllable, but looking at the next "g", the first "g" is a consonant belonging to the first syllable, and the second "g" is a consonant constituting the next syllable. . (Any syllable in Pinyin can end in "~ng") The first syllable "zhong" can be isolated by scanning up to "zhongg". Next, the system may recognize that "u" is a vowel constituting the second syllable, and the consecutive vowel "o" is also a vowel constituting the second syllable. (In Pinyin, the English vowel "uo" can appear consecutively) Since there are no more letters after "o", the system can separate the syllables of "zhongguo" into "zhong" and "guo", so the sound It can recognize that the initial value of the clause is "zg", and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syllable-based initial code of "zhongguo" is "43" (based on drawing 10-6). Of course, in the case of other languages, syllables can be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a specific word or phrase according to the syllable separation rules of the language.

24. 특수부호(첨자)를 붙이지 않은 어구로부터의 24. From phrases without special code (subscript) 타겟어구target phrase 해석 Translate

beijing 의 경우, 모음에 성조부호를 붙이지 않는 경우 “北京” 혹은 “背 景” 에 모두 대응된다고 하였고 이 경우 특정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 타겟어구를 선택하거나, 리스트에서 양자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하였다. In the case of beijing, it is said that it corresponds to both “北京” or “背景” if no tonal sign is attached to the vowel, and in this case, you can select a target phrase by repeatedly pressing a specific button, or select one of the two from the list. said there is

마찬가지로 중국어 이외의 언어에서도 성조부호를 붙이지 않거나, 첨자가 붙은 모음을 입력하여야 함에도 기본모음만을 입력한 경우, 특정버튼의 반복누름 에 응답하여 색인을 검색하여 타겟어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색인을 검색하 여 첨자가 붙은 모음을 포함하는 대응어구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 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Similarly, in languages other than Chinese, if a tonal sign is not attached or if only a basic vowel is entered even though a subscripted vowel must be entered, the index is searched in response to repeated pressing of a specific button to provide the user with a target phrase or to search the index Therefore, a list of corresponding phrases including subscripted vowel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이는 베트남어와 같이 변형알파벳이 다수 있고, 성조부호등이 복잡하게 구 성된 언어에서 유용할 것이다. 단 기본알파벳에 첨자가 붙어 이루어진 어구의 색 인을 시스템에서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색인을 구축하는 것 도 사용자가 기 입력한 단어로부터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입력을 통하 여 사용자가 “^+abc”라는 단어(‘a’위에 첨자 ‘^’ 붙은 경우)를 입력하면, 시스템은 “^+abc”을 시스템 저장하고 있다가(시스템에서 “abc”와 ‘abc’에 대응되는 “^+abc”를 모두 저장하고 있어도 무방함), 다시 사용자가 “abc” 입 력후 특정버튼을 누르면 “^+abc”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abc”를 입력시 “^+abc” 와 같이 “abc”에 대응하는 어구들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만약 “abc”가 타겟어구라면 사용자는 특정버튼을 누르지 않거나, 시스템이 관련어구의 리스트을 제공하더라도 ‘abc’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리 스트가 제공되는 시점은 단어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점이 될 수 있고 입력중간의 임의의 시점이 될 수 있다. This will be useful in languages such as Vietnamese, which have a large number of modified alphabets and complex tonal codes. However, the system must have an index of phrases formed by adding subscripts to the basic alphabet. Likewise, building such an index can also be built from words already enter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a user enters the word “^+abc” (when a subscript '^' is attached to 'a') through character input, the system stores "^+abc" in the system (the system saves It is okay to store “^+abc” corresponding to “abc” and “abc”), and if the user presses a specific button after inputting “abc”, “^+abc” is provided to the user or the user presses “abc” When inputting , a list of phrases corresponding to “abc”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uch as “^+abc”. If “abc” is the target phrase, the user will choose “abc” even if he does not press a specific button or the system provides a list of related phrases. The point at which the list is provided can be the point at which input of words ends, or it can be any point in the middle of input.

25. 어구(단어 혹은 구절)의 일부를 25. Part of a phrase (word or phrase) 풀입력방법으로full input method 입력하고, 일부를 단축 입력방법으로 입력하는 병행입력방법 Parallel Input

단어의 입력(풀코드 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내용과 일치하는 단어를 색인으 로부터 출력하여 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기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윈도우의 “자동완성기능”을 생각하면 된다. 풀입력(풀코드 에 의한 입력)시에도 색인(예. 병행입력을 위한 색인)을 참조하여 색인에 저장된 어구(단어 혹은 구절) 중에서 일치하는 어구를 출력하여 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선 택/확정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echnique of outputting the words matching the input contents from the index according to the word input (full code input) and allowing the user to select it has been widely used. For example, think of the “autocomplete feature” of Windows. Even during full input (entry by full code), it refers to the index (eg index for parallel input) and outputs matching phrases among the phrases (words or phrases) stored in the index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confirm. Of course you can.

이를 도4-5 ~ 도4-8의 입력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색인에 “고맙습니다”와 “고마워요” 등의 단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10* = 고”까지 입력되면, 시스템은 “고...”와 일치하는 단어(즉, “고”로 시작하는 단어로써, “고맙습니다”, “고마워요”, . . . )를 적절한 형태로 출력하여 줄 수 있다. 휴대폰과 유사한 환경에서는 입력값에 의하여 생성 되는 내용은 입력라인(도13-1에서 액정 상단)에 보어지게 되고, 색인을 참조하여 출력하는 후보 어구(단어 혹은 구절)들은 하단에 목록 혹은 목록과 유사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버튼(네비게이션 버튼)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 어를 선택한 후 확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휴대폰 액정을 예로 들어 도13-1을 참 고한다. 도13-1은 풀입력에 따라 형성되는 음절과 일치하는 단어를 액정의 하단 에 출력하는 사례이다.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input systems of FIGS. 4-5 to 4-8. For example, assume that the index stores words such as “thank you” and “thank you”. If up to “10* = high” is entered, the system will match words with “go…” (i.e. words starting with “go”, such as “thank you”, “thank you”, . . . ) in the appropriate form. can be printed out. In a mobile phone-like environment,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input value is displayed on the input line (top of the liquid crystal in Fig. 13-1), and the candidate phrases (words or phrases) output by referring to the index are listed at the bottom or can be output in the form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word using a movement button (navigation button), etc., and then confirm and input the word. Take a mobile phone liquid crystal as an example and refer to FIG. 13-1. 13-1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 word matching a syllable formed according to full input at the bottom of the liquid crystal.

여기서 “고맙습니다”를 입력시, “고”까지 입력한 후 나머지 음절을 단 축입력(예시에서 음절기준 이니셜값 심플코드를 이용한 단축입력)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 즉 “고+ㅁㅅㄴㄷ = 10*+5723”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첫번째 음절이 “고”이고 나머지 음절은 이니셜값이 “ㅁㅅㄴㄷ”에 대응되는 단어 (즉, “고맙습니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When entering “thank you” here, after entering “go”, the remaining syllables can also be entered as abbreviated input (in the example, a shortened input using a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In other words, “Go + ㅁㅅㄴㄹ = 10 * + 5723” is entered. Her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word in which the first syllable is “go” and the rest of the syllables have initial values corresponding to “ㅁㅅㄴㅅ” (that is, “thank you”).

단, 한국어의 음절 중 약 절반은 종성(받침)이 있는 음절이고, 나머지 절반 은 종성이 없는 음절이다. “고맙습니다”의 경우 “1*05723”를 연속하여 입력 할 경우 “곰ㅅㄴㄷ”로 되는데, 시스템은 “곰ㅅ = 1*057”까지는 정상적인 풀입 력으로 처리하다가 “2”가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의 일부가 정상적인 한국어 음 절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인식하고 나머지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부분(예. “ㅅㄴ ㄷ = 723”)을 단축입력으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 역시 선출원에서 언급 한 “병행입력방법 (풀(입력)우선 병행입력방법)”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풀입 력에 의하여 인식된 음절(예. “곰”)은 당연히 풀코드로 해석하고, 나머지 입력 값(예. “ㅅㄴㄷ = 723”)은 심플코드로 해석하는 것이다. However, about half of Korean syllables are syllables with a final consonant (support), and the other half are syllables without a final consonant. In the case of “Thank you”, if “1*05723” is entered continuously, it becomes “bear”. Recognizing that part of the value does not form a normal Korean syllable, the part that does not form the rest of the syllable (eg “ㅅㄴㅅ = 723”) can be treated as a shortened input. This also belongs to the category of “parallel input method (full (input) priority parallel input method)”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and the syllables recognized by full input (eg “bear”) are of course interpreted as full code, and the rest The input value (eg “ㅅㄴㅇ = 723”) is interpreted as a simple code.

여기서 풀입력에 의하여 기 형성된 음절을 포함하여 색인에서 일치하는 단 어(예. 색인에 “곰습니다”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를 찾아 제공할 수도 있고, 심 플코드로 해석하는 입력값에 대응되는 단어(예. 색인에 “습니다”가 저장되어 있 을 경우)를 제공할 수도 있고, 양자의 경우를 모두 출력할 수도 있다. 양자를 모 두 출력시에는 정해진 약속(예. 풀코드로 해석된 부분을 포함하는 단어를 우선, 혹은 반대로, 혹은 단어의 우선순위에 의거, 혹은 특정 그룹의 단어들에 대하여 우선)에 의하여 특정 단어가 상위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수단이 가능 하므로, 이러한 출력 순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 다. Here, it is possible to find and provide matching words in the index (eg, when “bear” is stored in the index), including pre-formed syllables by full input, or to provide You can either provide a word (eg, if “yes” is stored in the index), or print both cases. When outputting both, a specific word is g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mise (e.g., priority is given to words containing parts interpreted as full code, or conversely, or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words, or priority is given to specific groups of words) can be output at the top. Since various means are possible,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the user to set this output order.

양자를 모두 출력하는 경우 “곰ㅅㄴㄷ”에 대응하여, “곰습니다”와 “습 니다”가 액정 하단에 출력되었을 때, 사용자가 “곰습니다”를 선택하면, “곰ㅅ ㄴㄷ” 전체가 “곰습니다”로 교체될 것이며, “습니다”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 되는 “ㅅㄴㄷ”이 “습니다”로 교체되어 “곰습니다”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In case of outputting both, in response to “bears”, when “bears” and “bears” are output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f the user selects “bears”, the entire “bears” is displayed as “bears”. It will be replaced with “Yes”, and if “Yes” is selected, it is natural that the corresponding “ㅅㄴㅅ” will be replaced with “Yes” and become “It is bear”.

여기서 색인에 “고맙습니다”만이 저장되어 있다면, 입력값 “1*05723”의 연속입력에 대응하여 “고맙습니다”를 출력하여 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시스 템은 추가적으로 “1*05723”에 대하여 해석이 가능한 “곰ㅅㄴㄷ”와 “고ㅁㅅㄴ ㄷ”로 동시에 해석하여 색인을 참조하여 일치하는 단어를 출력(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곰ㅅㄴㄷ”을 “고ㅁㅅㄴㄷ”로 해석하는 것은 단축입력의 시작으로 인지된 “ㅅ”앞의 음절이 종성자음으로 끝난 경우, 이를 앞자음에서 제외하고(즉, “고”), 종성자음을 낱자음으로 “고”와 “ㅅ”사이에 넣으면 된 다. 조금 복잡해 보이나 한글처리에 대하여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은 쉽게 알 수 있다. 이중자음이 종성으로 사용된 경우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3-2는 출력의 우선순위를 “우선출력하는 것으로 지정된 특정 그룹의 단어(들) - 풀코드로 해석된 부분을 포함하는 단어(들) - 풀코드로 해석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단어(들) - . . .” 의 순서를 적용하여 후보 단어를 출력한 사례를 보여준 다. 여기서 “습니다”는 우선출력하는 것으로 지정된 그룹에 속한 것으로 하여 가장 상위에 출력되었다. Here, if only “Thank you” is stored in the index, “Thank you” cannot be output in response to continuous input of the input value “1*05723”. Therefore, the system can additionally interpret “1*05723” as “bear” and “go” and refer to the index to output matching words (provided to the user). Interpreting “bear” as “go You can put it between “go” and “ㅅ” as a single consonant. It looks a bit complicated, but those who have basic knowledge about Hangul processing can easily understand it. When a double consonant is used as a final consonant, it can be similarly applied. 13-2 shows the priority of output as “word(s) of a specific group specified as priority output - word(s) including a part interpreted as full code - word(s) not including a part interpreted as full code ( field) - . . .” An example of outputting candidate words by applying the order of is shown. Here, “yes” is output first, and it belongs to the designated group and is output at the top.

만약 사용자가 “고ㅁㅅㄴㄷ”로만 해석되도록 하고 싶다면, “10* = 고” 까지 입력 후 음절확정을 줄 수 있는 약속된 조작(예. 약속된 일정시간 무입력, 혹은 오른쪽 화살표 [>]버튼 한번 누름 등)후 “5723”을 누름으로써 “고ㅁㅅㄴ ㄷ”로만 해석되어 이에 대응하는 단어만을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기 인식된 음절인 “고”를 포함하여 “고ㅁㅅㄴㄷ”에 대응되는 단어(예. “고맙 습니다”) 를 출력할 수도 있고, “고”를 제외하고, “ㅁㅅㄴㄷ”에 대응되는 단 어(예. “맞습니다”가 색인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를 출력할 수도 있고, 양자의 경우를 모두 출력할 수도 있다. 도13-3을 참고한다. If the user wants to be interpreted only as “GoㅁㅅㄴDD”, the promised operation that can give syllable confirmation after inputting up to “10* = Go” (e.g., no input for the promised period of time, or pressing the right arrow [>] button once) Etc.) and then pressing “5723”, it can be interpreted only as “Goㅁㅅㄴㄱ” and only the corresponding word can be search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 word corresponding to “goㅁㅅㄴㄴ (eg, “thank you”) including the already recognized syllable “go”, or to output a single word corresponding to “ㅁㅅㄴㅅ” except for “go”. (eg, if “yes” is stored in the index), or both. See Figure 13-3.

여기서 의도적인 음절확정을 위한 조작 버튼으로 오른쪽 화살표 버튼(이하 에서 “[>]버튼”으로 표기)을 한번 누르는 것이 음절확정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버튼은 공백버튼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데, 음절확정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공백의 입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고” 입력후 한번 [>]버튼이 눌 러지면, 음절 “고”가 확정되고, 한번 더 [>]버튼이 눌러지면, “고 ” (‘고’+ 공백)으로 되는 것이다. 즉 “10*>5723”이 입력되면, 시스템은 이를 “고ㅁㅅㄴ ㄷ”로 해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단어인 “고맙습니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시스템이 예시한 색인을 참조하는 경우, “10*>57 = 고ㅁㅅ” 까지만 입력되더라도 시스템은 “고맙습니다”를 출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Here, pressing the right arrow butt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button”) as an operation button for intentional syllable confirmation can act as syllable confirmation. In addition, the [>] button can also be used as a blank button, and after the syllable is confirmed, it can act as a blank input. In other words, if the [>] button is pressed once after entering “high”, the syllable “high” is confirmed, and if the [>] button is pressed once more, it becomes “high” (‘high’ + blank). That is, if “10*>5723” is input, the system can interpret it as “Goㅁㅅㄴㄴ”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word “Thank you” to the user. Of course, if the system refers to the example index, it is obvious that the system can output “thank you” even if only “10*>57 = goㅁㅅ” is entered.

이러한 병행입력방법에서, 풀입력에 의하여 형성된 음절을 포함하여 처리하 는 경우는 풀입력 중간에 일치하는 후보단어를 제공시 후보단어의 목록에서 타겟 단어를 확정하도록 하는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또한 기 형성된 음절을 제외하고 단축입력으로 처리되는 입력값(즉, 심플코드로 해석하는 입력값)에만 대응되는 후 보단어를 출력하는 경우는 자주사용되는 접미어 혹은 어조사 등을 단축입력으로 신속히 입력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맙”까지 입력후, (소정의 수 단으로 입력내용을 확정하고), “ㅅㄴㄷ”로 “습니다 (색인에 저장되어 있는 것 으로 가정시)”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렇게 “...습니다”와 같이 자주 사용되는 접미어는 색인에서 별도의 그룹(예. 접미어 그룹)으로 두고 병행입력에서의 후보 단어 출력시 해당 그룹의 단어가 우선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고 맙ㅅㄴㄷ”의 입력시, 색인에 “고맙습니다” 와 “습니다”가 모두 저장되어 있 다면, 후보 단어목록에 “고맙습니다”와 “습니다”가 모두 출력될 수도 있다. In this parallel input method, processing including syllables formed by full input will be useful when a target word is determined from a list of candidate words when matching candidate words are provided in the middle of full input. In addition, in the case of outputting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only to input values processed by abbreviated input (i.e., input values interpreted as simple codes) excluding pre-formed syllables, frequently used suffixes or word investigations are quickly entered as abbreviated input. It will be useful. For example, after inputting “thank you” (confirm the input contents with a predetermined method), enter “yes (assuming that it is stored in the index)” with “ㅅㄴㅅ”. In this way, frequently used suffixes such as “...” can be placed in a separate group (eg, suffix group) in the index, and the words of that group can be output preferentially when outputting candidate words in parallel input. If “thank you” and “thank you” are stored in the index, both “thank you” and “yes” may be output in the candidate word list.

한가지 더 예를 들면, “세종ㄷㅇ = 70##90*838”입력시 “세종”까지는 풀 입력으로 처리하고, 적절한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38”을 단축입력값으로 처리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색인에 “세종대왕”만이 있으면, “세종대왕”이 출력 될 것이다. 반대로 색인에 “대왕”만이 있으면, “대왕”만이 출력될 것이다. “세종대왕”과 “대왕”이 모두 있으면, 모두 출력될 수도 있으나, 약속에 의하 여 한가지(풀입력으로 처리한 부분을 포함/불포함)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 직할 것이다. 또, “문무대왕”의 경우 “문무”까지 풀입력으로 입력후, “ㄷㅇ ”을 연속하여 입력하면, “문묻ㅇ”이 될 것이다. 따라서 “문무”까지 풀입력 으로 입력하고, “대왕”만을 단축입력으로 입력하려면, “문무” 입력후, 입력된 음절 “문무” 확정(예. 음절의 종료를 줄 수 있는 오른쪽 화살표 [>]버튼을 한번 눌러주어 확정) 후, “38 = ㄷㅇ”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대왕”이 “ㄷㅇ = 38”에 대응되는 색인의 다른 단어(예. “다와”) 보다 우선순위가 낮더라도, 색인에 “문무대왕”이 저장되어 있다면 입력값 “5*025*0>38”에 대하여 다른 후 보단어(예. “다와”) 보다 우선하여 “대왕” 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For one more example, when inputting “Sejong = 70##90*838”, up to “Sejong” can be processed as a full input, and “38” that does not form an appropriate syllable can be processed as a shortened input value. Likewise, if there is only “King Sejong the Great” in the index, “King Sejong the Great” will be output. Conversely, if there is only “Great” in the index, only “Great” will be output. If both “King Sejong” and “The Great” are present, both may be output, but it would be desirable to output only one (including/excluding the part processed as full input) by promise. Also, in the case of “The Great King Munmu”, if you input “ㄴㅇ” continuously after inputting “Munmu” as a full input, it will become “Munmu-ㅇ”. Therefore, if you want to enter “Munmu” as a full input and enter only “Daewang” as a shortened input, enter “Munmu” and confirm the entered syllable “Munmu” (e.g. the right arrow [>] button to end the syllable) After confirming by pressing once), you can enter “38 = ㅇ”. Here, even if “Great King” has a lower priority than other words in the index corresponding to “ㄴㅇ = 38” (eg “Dawa”), if “Munmu the Great” is stored in the index, the input value is “5*025*0”. For “>38”, “The Great” can be output prior to other candidate words (eg “Dawa”).

더 나아가 “ㄱㅁ습ㄴㄷ = 157*623” 와 같이 단축입력으로 입력하다가 일 부의 음절을 풀입력에 의하여 입력하는 경우도, 이에 대응되는 “고맙습니다”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157 = ㄱㅁㅅ”까지 입력되면 시스템은 심플코드(예 시에서 음절기준 이니셜값 심플코드 혹은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157”를 해석하 여 각 음절이 “ㄱㅁㅅ”에 대응되는 단어를 검색한다. 다시 “*6”이 입력되면, “157*6 = ㄱㅁ습”으로 “7*6 = 습”이라는 음절이 형성되는 것을 시스템이 인식 할 수 있다. 즉 기 입력된 “15” 가 단축입력값임을 시스템이 인지하고, 다시 “23”이 입력되면, 이는 적절한 음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단축입력값으로 처리 할 수 있다. 역시 이 사례에서도 시스템은 “ㄱㅁ습ㄴㄷ”에서 일부음절은 풀코 드로 해석하고, 또 일부음절은 단축코드로 해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고맙습니다 ”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even if some syllables are input by full input after inputting by short input, such as “ㄱㅁㅇㄴㅇ = 157*623”, it is possible to process it as “thank you” corresponding to it. If up to “157 = ㄱㅁㅅ” is entered, the system interprets the simple code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or syllable-based initial code in the example) “157” and searches for words in which each syllable corresponds to “ㄱㅁㅅ”. If “*6” is input again, the system can recognize that the syllable “7*6 = wet” is formed with “157*6 = ㄴㅇ”. That is, if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previously input “15” is a shortened input value, and “23” is input again, it can be processed as a shortened input value because an appropriate syllable is not formed. Also in this case, the system can interpret some of the syllables in “ㄱㅁㅇㄴㄴ” as a full code, and interpret some syllables as a short code, and provide a corresponding “thank you” to the user.

중국어의 경우 한 음절은 “성모+운모”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였다. 한어 병음표시시 “성모”는 로마알파벳의 자음이고, “운모”는 로마알파벳의 모음 혹 은 “모음+n” 혹은 “모음+ng”로 되어 있다고 하였다. 즉 병음으로 표기되는 중국어 한자 한 글자(한 음절)는 로마알파벳의 “자음+모음” 혹은 “자음+모음+n ” 혹은 “자음+모음+ng” 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드물게 모음 “a ”, “e”, 또는 “o”로 시작하는 음절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병음 한 음절의 끝에 올 수 있는 로마알파벳 자음은 “n” 혹은 “ng”만이 가능함을 이미 지적하 였다. 이는 한국어의 종성처럼 간주될 수 있다. 종성(한 음절의 끝자음)으로 쓰 일 수 있는 자음이 “n” 혹은 “ng”만이 가능한 것이다. In the case of Chinese, it is said that one syllable consists of “Virgin Mother + Mica”. When displaying Chinese pinyin, “Sungmo” is a consonant of the Roman alphabet, and “mica” is a vowel of the Roman alphabet, “vowel + n” or “vowel + ng”.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one Chinese character (one syllable) represented by Pinyin is composed of “consonant + vowel” or “consonant + vowel + n” or “consonant + vowel + ng” of the Roman alphabet. Rarely, there may be syllables beginning with the vowels “a”, “e”, or “o”. Here, it has already been pointed out that only “n” or “ng” is possible for the Roman alphabet consonant that can come at the end of a pinyin syllable. This can be regarded as a final consonant in Korean. Only “n” or “ng” can be used as a final consonant (the final consonant of a syllable).

예를 들어 병음색인에 “中華(zhonghua)”, “民國(minguo)”, “中華民國 (zhonghuaminguo)”, . . . 등의 단어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中華 (zhonghua = 49***7739##*, 도10-6기준)”까지 풀입력에 의하여 병음을 입력하고, “民國(minguo)”만을 단축입력(예시에서 단축입력값으로 음절기준 이니셜값 심플 코드를 이용한 단축입력)으로 “mg = 73 (도10-6기준)” 입력하는 예를 든다. “ 中華”의 입력에서 해당 병음(“zhonghua = 49***7739##*”) 입력후 나열된는 후 보한자 중 선택하여 확정하는 과정이 매개되고 나서 “mg = 73”이 입력될 수도 있고, 병음 “zhonghua = 49***7739##*” 입력후 연속하여 “mg = 73”이 입력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73 = mg”에 대응되는 “民國(minguo)”, 民歌 (minge), . . . 등의 단어만을 후보단어로 출력하는 것이 당연하다. 후자의 경 우는 입력값 “49***7739##*”에 대하여 “中華”로 해석하고, 단축입력값으로 인 식된 “73”에 대응되는 “民國”과 함께 “中華民國”을 출력하는 것이 또한 당 연하다. 입력값 “49***7739##*73 = zhonghua + mg”에 대하여 “49***7739##*7 ”까지의 입력에 대하여, 마지막의 “7”은 병음성모의 입력으로 정상적인 풀입력 으로 시스템이 인지하나, 마지막의 “3”이 입력되는 순간 시스템은 최종 입력된 2개의 입력값 “73”이 단축입력값임을 인지하게 된다. 이는 기 설명한 한국어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시스템은 입력값 “49***7739##*73” 에 대하여 풀입력 값 “49***7739##*”에 대응하는 “中華” 와 단축입력값 “73”에 대응하는 “民 國”으로 이루어진 단어인 “中華民國”을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3- 4을 참고한다. For example, “中華(zhonghua)”, “民國(minguo)”, “中華民國 (zhonghuaminguo)”, . . . Assuming that such words are stored, enter Pinyin by full input until “中華 (zhonghua = 49***7739##*, based on Figure 10-6)”, and enter only “民國 (minguo)” as abbreviation An example of inputting “mg = 73 (based on FIG. 10-6)” as (in the example, a short input using a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as a short input value). In the input of “中華”, after inputting the corresponding Pinyin (“zhonghua = 49***7739##*”),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confirming the selection among the listed candidates is mediated, and then “mg = 73” can be entered, or Pinyin After inputting “zhonghua = 49***7739##*”, “mg = 73” may be input continuously. In the former case, “Minguk (minguo)”, 民歌 (minge), . . . It is natural to output only words such as etc. as candidate words. In the case of the latter, it is better to interpret the input value “49***7739##*” as “China” and output “People’s Republic of China” together with “People’s Country” corresponding to “73” recognized as a shorthand input value. It is also obvious. Regarding the input value “49***7739##*73 = zhonghua + mg”, for inputs up to “49***7739##*7”, the last “7” is a pinyin voice input, which is a normal full input , the system recognizes it, but the moment the last “3” is input, the system recognizes that the last two input values “73” are short input values. This is the same as the case of Korean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for the input value “49***7739##*73”, the system selects “China” corresponding to the full input value “49***7739##*” and “People’s Republic” corresponding to the shortened input value “73”.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is a word made up of “.” See Figures 13-4.

반대로 “中華”를 단축입력에 의하여 “zh = 49”로 입력후 후보 단어 중 “中華”를 선택하여 입력하지 않고, 연속으로 “民國”을 풀입력으로 “ 7#773##***”을 입력하였을 때 (즉, “497#773##*** = zhminguo”)에도 “ z__h__minguo”에 대응되는 “中華民國”을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民國 (minguo)”의 입력을 위하여 “73##***” 입력시 “73##*** = mguo = m__guo”로 해석하여 “民國”을 출력할 수 있다. “73”까지 눌러지는 순간 시스템은 단축 입력으로 간주하고 “m__g__”에 대응되는 단어를 검색하여 처리하게되나, 다음에 오는 “##*** = uo”를 두번째 음절을 이루는 모음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mg” 다음 “uo”를 입력하는 것은 “m__g__”에 대응되는 후보 단어들 중 “民國”을 압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Conversely, after entering “zh = 49” by abbreviated input, “7#773##***” is entered without selecting “China” among the candidate words and inputting “People’s Republic” in full. Even when inputted (i.e., “497#773##*** = zhminguo”), “People’s Republic of China” corresponding to “z__h__minguo” can be output. Similarly, when inputting “73##***” for the input of “民國 (minguo)”, it can be interpreted as “73##*** = mguo = m__guo” and output “民國”. The moment “73” is pressed, the system regards it as a shortened input and searches for and processes the word corresponding to “m__g__”, but processes the following “##*** = uo” as a vowel that forms the second syllable. . Entering “uo” after “mg” serves to compress “Minguk” among the candidate words corresponding to “m__g__”.

기타의 수단(단축입력, 풀입력, 획을 이용한 입력 등 모든 한자입력수단)으 로 한자 “중화”를 기 입력하고 나서, “민국”을 단축입력에 의하여 “73”으로 입력시, 단순히 입력값 “73” 를 심플코드로 해석하여 “m__g__”에 대응되는 단 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면, 다수의 후보단어들(예. “民國(minguo)”, 民歌 (minge), . . .)이 목록의 형태로 출력될 것이다. 그러나, “中華民國”이 저장 되어 있으면, “民國”이 색인에 저장되어 있는 것과는 별개로, “中華+mg = 中華 +73”을 “中華民國”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中華”는 이미 한 자로 입력된 상태이므로, 입력값 “mg = 73”에 대응하여 “民國”을 다른 후보단 어(예. “民歌(minge)”, . . .)보다 우선하여 출력할 수 있다. After entering the Chinese character “Chinese” by other means (shortened input, full input, input using strokes, etc.), and then inputting “Minguk” as “73” by shortened input, simply input value If “73” is interpreted as a simple code and a word corresponding to “m__g__” is provided to the user, a number of candidate words (eg “民國(minguo)”, 民歌 (minge), . . .) will be output in the form However, if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stored, it is possible to interpret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People's Republic of China", apart from the fact that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stored in the index. In this case, “中華” has already been entered as a Chinese character, so in response to the input value “mg = 73”, “People’s Country” is output prior to other candidate words (eg “民歌(minge)”, . . .) can do.

여기서 “zhong...”가 입력되었을 때, 시스템은 “zho” + “n__g__” 혹 은 “zhon”+”g__” 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어 병음에 “zho ” 혹은 “zhon”으로 이루어진 음절은 존재하지 않으므로(즉 당연히 병음색인에 도 없음), “zhong...” 에 대하여 색인을 참조하여 “中”으로 해석하게 된다. 만약 존재한다면 “zhong”까지 입력되었을 때, 소정의 출력순서에 따라 후보 단 어로써 출력할 수 있다. 도10-6을 기준으로 “zhongg... = 49***7733”의 입력에 대하여, “zhonk..” = “zho” + “n__k__” 혹은 “zhon”+ “k__” 로 해석될 수도 있도 있을 것이다. 이는 기 제시한 바 입력값을 풀코드와 단축입력값(심플 코드)로 동시에 해석하는 병행입력방법과 유사한 맥락이다. When “zhong...” is entered here, the system may interpret it as “zho” + “n__g__” or “zhon” + “g__”. However, in fact, since there is no syllable consisting of “zho” or “zhon” in Chinese Pinyin (ie, of course, it is not even in the Pinyin index), “zhong...” is interpreted as “中” by referring to the index. If it exists, it can be output as a candidate wor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utput order when “zhong” is input. Based on Figure 10-6, for the input of “zhongg... = 49***7733”, it may be interpreted as “zhonk..” = “zho” + “n__k__” or “zhon” + “k__”. There will be. This is in a similar context to the parallel input method that interprets the input value as a full code and a shortened input value (simple code) at the same time as previously presented.

이상의 예시에서 단축입력값(심플코드)으로 편의상 “음절기준 이니셜값 심 플코드”를 사용한 사례를 제시하였으나, 단축입력값으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 ” 적용되는 경우는 심플코드해석에 있어서 도11-3 ~ 도11-10에서 언급한 내용을 응용할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 a case of using “syllable-based initial value simple code” for convenience as a shortened input value (simple code) was presented, but when “syllable-based initial code” is applied as a shortened input value, in simple code interpretation, Fig. 11- 3 ~ The contents mentioned in FIGS. 11-10 can be applied.

26. 길게 누름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26.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long press and 길게누름을long press 이용한 컨트롤처리 방 법 Control processing method used

일반적으로 하나의 버튼 한번 누름으로 하나의 대상(예. 알파벳, 숫자, 영 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언어에서 영어알파벳, 기호(특수문자), 기능, 각종 용도 의 컨트롤 등을 포괄하여 “알파벳 등”이라 함)을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버튼을 한번 누르되 “길게 누름”을 이용하여 단순히 한번 누름으로써 표현하는 대상과 다른 대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특정 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을 “ 길게 누름” 혹은 “장타”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하에서 “길게 누름”이라고 표현하지 않는 것은 보통의 버튼 눌러짐을 의미하며, 특별히 길게 누름과 대비하 여 설명할 때에는 “단타” 라고 한다. 이하에서 영어의 사례에서 일반적인 내용 을 설명하고, 각 언어별로 응용 사례를 들어 설명하나, 어느 한 언어에서 설명한 내용이 타 언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In general, “Alphabet, etc.” encompasses one object (e.g. alphabet, number, English alphabet, symbols (special characters), functions, and controls for various purposes) with one button press. ) can be expressed. Here,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once, it is possible to express an object different from the object expressed simply by pressing a specific button once using “long press”. Hereinafter, pressing and holding a specific button will be referred to as “long press” or “long hit”. Hereinafter, what is not expressed as “long press” means a normal button press, and is referred to as “short press” when it is explained in contrast to a particularly long press. In the following, the general contents are explained in the case of English, and the application examples are given for each language, but it is obvious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one language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languages.

26.1 영어 (및 공통) 26.1 English (and common)

26.1.1 길게 누름을 이용한 알파벳 입력26.1.1 Alphabet input using long press

현재 특정 숫자버튼을 길게 누름으로써, 해당 숫자를 입력하는 것이 사용되 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숫자만 입력가능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1-1에서 각 숫자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이 해당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 중 첫번째 알파벳을 입력(예. [2]번버튼 1번 누름으로 “A”를 입력)하는 것이라고 가정할 때, 길게 누름에 의하여 두번째 알파벳(예. “B”)를 입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단 길 게 누름은 입력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끊는 요인으로 자주 입력하는 알파벳의 입력 에 응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길게 누름(장타)에 의한 입력은 자주 사용되지 않는 대상을 입력하는데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가능한한 길게 누름으로 인식되는 시간을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Currently, it is used to input a corresponding number by long pressing a specific number button. However,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input only numbers. For example, pressing each number button once in FIG. Assuming that it is input), it can be done by inputting the second alphabet (eg “B”) by long pressing. However, long pressing is a factor that breaks the natural flow of input, so it is not desirable to apply it to frequently entered alphabetic inpu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pply input by long pressing (long hit) to input an object that is not frequently used. In addition,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the user to set the time that is recognized as a long press as long as possible according to each user's skill level.

본 발명에서는 길게 누름을 적절하게 이용하되, 이를 통하여 특정 입력방법 의 입력규칙을 단순화하고, 표현범위를 넓히고, 더 나아가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 음을 보인다. 여기서 편의상 [2]버튼의 길게 누름을 “2” 다음에 물결표(~)를 붙 여 “2~”로 표기한다. 언급하였듯이, 기존의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도1-1에서 [2]버튼이 3번 눌러지면, “222”가 “C”인지, “AAA”인지, “AB”인지 “BA” 인지 알 수 없는 모호성이 발생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ng press is appropriately used, but through this, it is shown that the input rules of a specific input method can be simplified, the expression range can be expanded, and furthermore, ambiguity can be removed. Here, for convenience, the long press of the [2] button is expressed as “2~” by attaching a tilde (~) after “2”. As mentioned, when the existing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when the [2]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in FIG. 1-1,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222” is “C”, “AAA”, “AB” or “BA”. ambiguity arises.

도1-1에서 “A”는 [2]버튼 길게 누름 또는 해당 버튼 한번 누름, “B”는 “A”입력후 해당 버튼 한번 누름, “C”는 “B”입력후 해당버튼 한번 누름(혹은 “A”입력후 2번누름도 같다)과 같이 정의하는 예를 든다. 같은 버튼에 있는 알 파벳이 연속으로 입력되는 경우는 2번째 이후의 알파벳 입력에 있어서, 길게 누름 으로 시작하면 역시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DACB” 입력 시 “3 2 2~22 2~2” 로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으며, 같은 버튼에 있는 “ACB ”가 연속하여 나오지만, “C”, “B” 입력시 길게 누름이 매개됨으로써 모호성 없이 식별이 가능한 것이다. 이 사례는 기존의 반복선택방법과 거의 유사한 느낌 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경우만, 길게누름을 이용하여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DACB = 322~222~2”의 사례에서 “A”입력에 [2]버튼 길게 누름(즉, “2~”)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1-1, “A” presses the [2] button for a long time or presses the button once, “B” presses the button once after inputting “A”, and “C” presses the corresponding button once after inputting “B” (or It is the same as pressing 2 times after entering “A”). If the alphabet on the same button is input continuously, in the second and subsequent alphabet inputs, if you start with a long press, you can also input without ambiguity. For example, when inputting “DACB”, you can input “3 2 2~22 2~2” without ambiguity, and “ACB ” on the same button appears continuously, but when you input “C” or “B”, long press By being mediat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without ambiguity. This case can be entered with a feeling almost similar to the existing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nd only when the alphabet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re entered consecutively, there is an effect of removing ambiguity by using a long press. Of course, in the case of “DACB = 322~222~2”,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long press of the [2] button (ie, “2~”) for the “A” input.

위의 사례는 특정 버튼에 배정(명시적 배정 및 암시적 배정 모두 포함)된 알파벳 중 임의의 알파벳(예. “A”)을 대표알파벳으로 두고, 나머지 알파벳을 후 속알파벳(예. “B”, “C”)으로 두어 후속알파벳은 대표알파벳과 후속알파벳이 배정된 버튼을 소정횟수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A (대표알파벳) - B(2nd 후속알파벳) - C(3rd 후속알파벳)” 의 관계를 두어, “A = 2~”으로, “B = A + 2 = “2~2”로, “C = B + 2 = A+2 + 2 = 2~22”로 하 는 것이다. 또한 “A”를 길게 누름이 아닌 보통의 누름(즉, 단타)로도 입력할 수 있다고 한 것은,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경우가 아니 면, 대표알파벳의 입력에 있어서 기존의 반복선택방법에서와 같이 보통의 한번 누 름(즉, 단타)으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이를 편의상 “대 표알파벳 길게 누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이라 부른다. In the case above, an arbitrary alphabet (eg “A”) among the alphabets assigned to a specific button (including both explicit and implicit assignments) is set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rest of the alphabets are the successor alphabets (eg “B”). , “C”), it can be seen that the subsequent alphabet is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other words, “A (Representative Alphabet) - B (2nd Subsequent Alphabet) - C (3rd Subsequent Alphabet)” relationship, “A = 2~”, “B = A + 2 = “2~2”, “C = B + 2 = A + 2 + 2 = 2 to 22”. In addition, the fact that “A” can be input with a normal press (i.e., a single hit) rather than a long press means that, unless the alphabet assigned to the same button is input continuously, the existing repetition in the input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input with a normal single press (ie, single stroke) as in the selection metho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만약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2개의 알파벳만을 입력한다면, 하나의 알파벳 을 보통의 한번 누름(즉, 단타)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의 알파벳을 길게 누름(즉, 장타)으로 정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 도10-1에서 “B = 1”, “P = 1~”) 그 러나, 도1-1과 같이 버튼당 3개의 알파벳이 배정(명시적으로 배정 혹은 암시적으 로 배정)되어 있을 경우(예. [2]버튼), 제1알파벳을 한번 누름으로 정의하고(예. “A = 2”, 제2알파벳을 길게 누름으로 정의하고(예. “B = 2~”, 3번째 알파벳을 두번 누름(예. “C = 22”) 혹은 길게 누름과 한번 누름(예. “C = 2~2”)으로 정 의하면, 제3알파벳 입력시에 역시 모호성이 있게된다. “C = 22”로 정의하였을 경우 “AA”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 “C = 2~2”로 정의하였을 경우 “BA”로도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사례에서 제1, 제2, 제3알파벳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도 보통의 단순반복선택방법에서보다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 횟 수는 대폭 줄어들게 된다. If you input only two alphabets using one button, you can define one alphabet as a regular single press (ie, single hit) and the other alphabet as a long press (ie, long hit). (Ex. “B = 1”, “P = 1~” in Fig. 10-1) However, as shown in Fig. 1-1, three alphabets are assigned to each button (explicitly assigned or implicitly assigned). (eg [2] button), define the first alphabet as one press (eg “A = 2”, define the second alphabet as a long press (eg “B = 2~”, 3rd alphabet) If you press twice (eg “C = 22”) or long press and press once (eg “C = 2~2”), there will also be ambiguity when entering the third alphabet. “C = 22” This is because it can be interpreted as “AA” when defined as “C = 2~2”, and can also be interpreted as “BA” when defined as “C = 2 ~ 2.” In this ca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alphabets are arbitrarily defin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times that ambiguity can occur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normal simple iterative selection method.

길게 누름을 이용한 반복선택방법의 장점은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는 점 과 함께, 각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 뿐만 아니라 숫자 그리고 각 버튼에 연관된 기 호까지 입력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버튼x”에 특 정 알파벳(들) “A1, A2, A3, ...”가 연관(명시적으로 배정 혹은 암시적으로 배 정)되어 있고, 특정 숫자“N1”가 연관되어 있고, 특정기호(들) “S1, S2, S3, ...”가 연관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버튼x”에 연관된 임의의 알파벳을 길게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 “A1”을 대표알파벳으로 지정하고, “버튼x”를 길게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버튼x”에 연관된 “A1, A2, A3, N1, S1, S2, S3”를 입력하는 것을 그 래프 형태로 나타내면 도14-3와 같다. 도14-3에서 “A1S1 = xx~xxxx”로 혹은 “ A1S1 = x~x~xxxx”로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언어에 있어서는 영어 알파벳 “E1, E2, E3, ...”를 추가로 연관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advantage of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using a long press is that it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and it can be more useful when entering not only the alphabet assigned to each button, but also numbers and symbols related to each button. For example, certain alphabet(s) “A1, A2, A3, ...” are associated (explicitly assigned or implicitly assigned) to a certain “button x”, and a certain number “N1” Assume that it is related, and that the specific symbol(s) “S1, S2, S3, ...” are related. Here, it can be defined as inputting an arbitrary alphabet related to “button x” by long pressing. For example, designate the alphabet “A1” as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input by long pressing “button x”. If inputting “A1, A2, A3, N1, S1, S2, S3” related to “button x” is shown in the form of a graph, it is shown in FIG. 14-3. 14-3, it can be seen that “A1S1 = xx~xxxx” or “A1S1 = x~x~xxxx” is input. Here, if English is not the native language, the English alphabet "E1, E2, E3, ..." may be additionally associated and input.

더 나아가 “버튼x”에 연관된 대상들(예. “A1, A2, A3, N1, S1, S2, S3”)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대표알파벳 길게 누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이 아닌, 보통의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연관된 숫자 및 각종 기호(특수문자)를 입력하 는 것도 가능하다. 단 같은 버튼에 연관된 대상을 연속하여 입력할 경우는 모호 성이 발생하므로, 하나의 대상을 입력한 후 “약속된 일정시간의 지연” 혹은 구 분자(예. “병행입력방법에서의 보완사항”에서 설명한 [>]버튼 1회 누름)의 입력 에 의하여 모호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버튼x”에 “ A1, A2, A3, N1, S1, S2, S3” 이 연관되어 있고, “S1A1”을 반복선택방법에 의 하여 입력할 경우 “S1A1 = xxxxx>x” 로 입력될 수 있다. 이는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쓰이는 기법이나, 특정 버튼에 특정 숫자 및 기호 그룹까지 연관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다른 것이다. Furthermore, in inputting objects related to “button x” (eg, “A1, A2, A3, N1, S1, S2, S3”), it is not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but the normal repeated selection By applying the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related numbers and various symbols (special characters). However, since ambiguity occurs when objects related to the same button are entered consecutively, after entering one object, “delay of a certain time promised” or separator (e.g., in “Complements in the parallel input method”) It is necessary to prevent ambiguity from occurring by the input of the explained [>] button once). For example, if “A1, A2, A3, N1, S1, S2, S3” are related to “button x” and “S1A1” is enter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S1A1 = xxxxx>x” is entered. It can be. This is a technique used to overcome ambiguity i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ut the difference is that it allows input i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number and symbol group to a specific button.

현재는 보통 “버튼x”에 연관된(배정된) 자국어 알파벳 “A1, A2, A3”가 있을 경우, “x =A”, “xx = B”, “xxx = C”로 되거나, 정의된 최대 반복누름 횟수를 초과하여(예. “버튼x” 4회 눌러짐) 눌러진 경우 “xxxx = A” 로, “ xxxxx = B”와 같이 순환 토글되는 정도였다. 순환토글되도록 한 것은 반복선택 방법 적용시의 입력오류 발생시 누르던 버튼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다시 타겟알 파벳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배려로 보인다. 그러나, 출원인이 제시한 바, 삭제 버튼의 입력이 생성중인 알파벳 전체의 삭제가 아닌 “최근입력값”의 삭제로 작 용하도록 하면 굳이 순환토글되는 방식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xx = B”만 눌러야 하는데, “xxx = C”를 입력한 경우, “xx”를 추가로 눌러 “B”를 입력 하지 않더라도, 삭제버튼을 한번 누름으로써 “B”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Currently, if there is a native language alphabet “A1, A2, A3” associated (assigned) to “button x”, “x =A”, “xx = B”, “xxx = C”, or a defined maximum repetition When pressed exceeding the number of presses (eg, “button x” was pressed 4 times), it cycled toggling like “xxxx = A” and “xxxxx = B”. The circular toggle seems to be a consideration to input the target alphabet again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hat was pressed when an input error occurred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was applied. However, as suggested by the applicant, if the input of the delete button acts as the deletion of the “recent input value” rather than the deletion of the entire alphabet being created,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the circular toggle method. You only need to press “xx = B”, but if you enter “xxx = C”, you can enter “B” by pressing the delete button once, even if you do not enter “B” by additionally pressing “xx” .

도14-4는 특정 버튼의 짧게 누름 이후 길게 누름에 의하여 알파벳을 입력하 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14-4에서 A1, A2, A3, ... 행은 기존의 반복선택방법에 의한 입력과정이다. B2는 어떤 버튼(예. 버튼 “x”)의 짧게 누름에 의하여 A1이 입력되고 나서, 동일버튼의 길게 누름이 결합되어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A1 = x”, “B2 = xx~” 이다. 여기서 버튼x 의 길게 누름만으로 어떤 알파벳 입력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그리고 버튼x를 이용해서 알파벳 A1, B2 만 입력한 다고 가정하면, 모호성없이 인식될 수 있다. 버튼x 의 길게 누름이 어떤 알파벳 (예. 알파벳 E1)으로 정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A1”과 “E1”이 동시에 나오 는 경우가 없다면 이러한 언어제한(A1과 E2가 동시에 나오지 않는 언어제한)을 이 용하여 모호성없이, A1, B2, E1 을 입력할 수 있다. 14-4 shows the process of inputting alphabets by pressing a specific button for a long time after a short press. In Fig. 14-4, lines A1, A2, A3, ... are the input process by the existing repetitive selection method. B2 can be seen that A1 is input by a short press of a certain button (eg, button “x”), and then a long press of the same button is combined and input. That is, “A1 = x”, “B2 = xx~”. Here, if an alphabetic input is not defined only by a long press of button x, and assuming that only alphabets A1 and B2 are input using button x, it can be recognized without ambiguity. Even if the long press of button x is defined as a certain alphabet (eg alphabet E1), if “A1” and “E1” do not appear at the same time, this language restriction (language restriction that A1 and E2 do not appear at the same time) is overcome. can be used to enter A1, B2, E1 without ambiguity.

역시 도14-4에서 “버튼x”의 길게 누름이 어떤 알파벳 입력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A1, B2, C3 는 모호성없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A1, A2, D3 의 경 우는 “A1 = x”, “A2 = xx = A1A1” 으로 모호성이 있을 수 있으나, 만약 어떤 언어에서 A1이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다면, 이러한 언어제한(A1이 연속해서 나오지 않는 언어제한)을 이용하여 A1, A2, D3 를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게된다. 도 14-4에서와 같은 방법을 편의상 “짧게 누름 후의 길게 누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 ”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 도10-6에서 “i = #”, “u=#~” 으로 입력하는 정하 고, “##~”로 임의의 모음(예. “..u” - “u” 위에 첨자 “..”이 붙은 알파 벳)을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다 (중국어 병음에서 “i”와 “u”는 연속하여 나 오지 않음). 물론 “i”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으므로, “##”으로 다른 어떤 대 상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다른 언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14-4에서 A1, A2, A3 행의 후순위 알파벳(예. S1, S2, S3, ...)을 입력 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lso in FIG. 14-4, if the long press of “button x” is not defined as any alphabetic input, A1, B2, and C3 can be recognized without ambigui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1, A2, and D3, there may be ambiguity as “A1 = x” and “A2 = xx = A1A1”, but if A1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in a language, these language restrictions (A1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language restrictions), A1, A2, and D3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The same method as in FIG. 14-4 is called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long press after short press” for convenience. For example, in Figure 10-6, “i = #”, “u=#~” is determined, and “##~” is an arbitrary vowel (eg, “ .. u” - “u” with a subscript “ ..”)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in Chinese Pinyin, “i” and “u” do not occur consecutively). Of course, since “i”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any other object with “##”.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as well. In FIG. 14-4, it can be used to input the lower order alphabets (eg S1, S2, S3, ...) of rows A1, A2, and A3.

26.1.2 길게 누름을 이용한 컨트롤처리방법 26.1.2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long press

다음으로 컨트롤의 선택에 응용하는 사례를 보인다. 이하의 사례에서 컨트 롤은 후입력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앞의 예에서, [2]버튼 단타, 장타 모 두 “A”를 표현하도록 한 것은 단지 기존의 반복선택방법과 유사한 느낌으로 입 력할 수 있는 사례를 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특정 버튼 한번 누름에 의하여 특정 대상을 표현할 수 있고, 또 동일한 버튼의 길게 누름에 의하여 다른 대상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버튼(예. [1]버튼)의 한번누름이 특정 대상(예. 임의의 “알파벳x” - 여기서 “x”는 실제 “x”가 아닌 임의의 알파벳 을 의미하는 것임)을 표현할 수 있고, 길게 누름이 다른 특정 대상(예. 임의의 “ 알파벳y”)를 표현할 수 있다. 즉, “알파벳x = 1”, “알파벳y = 1~” 과 같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예를 든 어떤 “알파벳x” 와 “알파벳y”는 개념적인 것이 므로, 기 설명한 “대표알파벳 길게 누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에서 “A = 2~” 혹은 “A = 2” 로 정의하였다 하더라도 보통의 누름(즉, 단타)에 의한 “A”는 알파벳x 에 해당하고, 길게 누름에 의한 “A”는 “알파벳y”에 해당하는 것이다. Next, an example of application to control selection is shown. In the following case,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is input later. In the previous example, the [2] button expresses “A” for both short and long hits, just to give an example that can be input with a feeling similar to the existing repetitive selection method. However, a specific object can be expressed by pressing a specific button once, and another object can be expressed by long-pressing the same button. For example, one press of a specific button (eg [1] button) triggers a specific target (eg, a random “alphabet x” - where “x” means a random alphabet, not the actual “x”). can be expressed, and a long press can express another specific object (eg, arbitrary “alphabet y”). That is, “alphabet x = 1”, “alphabet y = 1~”. Some of the “alphabet x” and “alphabet y” examples here are conceptual, so even if they were defined as “A = 2~” or “A = 2” in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for a long time” “A” by normal pressing (ie single hit) corresponds to the alphabet x, and “A” by long pressing corresponds to the “alphabet y”.

이는 컨트롤의 선택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버 튼(예. 컨트롤버튼으로써의 [*] 버튼) 한번 누름이 특정 대상(예. 임의의 “컨트 롤a1”)를 표현할 수 있고, 동일한 버튼의 길게 누름이 다른 특정 대상(예. 임의 의 “컨트롤b1”)를 표현할 수 있다. 컨트롤버튼의 반복누름으로 “a2컨트롤”, “a3컨트롤”, ... 등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컨트롤버 튼의 길게 누름에 의하여 “b1컨트롤”을 선택한 후, 길게 누름이 아닌 반복누름 으로 “b2컨트롤”, “b3컨트롤”, “b4컨트롤”, ... 등을 선택될 수 있는 것이 다. 역시 모호성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앞의 예시에서 대표알파벳 “A”만을 길게 누름으로 입력하고, 나머지 후속알파벳 선택에 있어서, 단타를 조합하도록 한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selection of controls. For example, a single press of an arbitrary button (eg [*] as a control button) can express a specific object (eg, an arbitrary “control a1”), and a long press of the same button can express another specific target (eg, an arbitrary “control a1”). Yes, you can express any “control b1”). It is said that “a2 control”, “a3 control”, etc. can be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ntrol button. The important thing here is that after selecting “b1 control” by pressing and holding the control button, “b2 control”, “b3 control”, “b4 control”, etc. can be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rather than long pressing. will be. Again, ambiguity does not occur. This can refer to the case in which only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 is input by long pressing in the previous example, and single strokes are combined in the selection of the remaining subsequent alphabets.

편의상 특정 버튼(예. [1]버튼)과 “b1컨트롤”의 조합에 의하여 입력되는 대상을 “B1” 과 같이 표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For convenience, if the object entered by the combination of a specific button (eg [1] button) and “b1 control” is displayed as “B1”, it becomes as follows.

“A1 = x + {a1컨트롤} = 1*”, “A2 = x + {a2컨트롤} = 1**”, “A3 = x + {a3컨트롤} = 1***”, . . . , “A1 = x + {a1control} = 1*”, “A2 = x + {a2control} = 1**”, “A3 = x + {a3control} = 1***”, . . . ,

“B1 = x + {b1컨트롤} = 1*~”, “B2 = x + {b2컨트롤} = 1*~*”, “B3 = x + {b3컨트롤} = 1*~**”, . . . “B1 = x + {b1control} = 1*~”, “B2 = x + {b2control} = 1*~*”, “B3 = x + {b3control} = 1*~**”, . . .

물론 b1, b2, b3 컨트롤의 선택에 각각 장타1회, 장타2회, 장타3회를 적용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길게 누름을 자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지 않음 은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다. B1, B2, B3, ... 의 사례와 같이 컨트롤버튼 1회 길 게 누름 이후 보통의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을 편의상 “길게 누름후 반복누 름”이라하고, 이러한 컨트롤처리방법을 “길게 누름후 반복누름에 의한 컨트롤처 리방법”이라고 한다. A1, A2, ... 계열은 기 제시한 컨트롤처리방법을 의미하고, B1, B2, ... 계열은 “길게 누름후 반복누름에 의한 컨트롤처리방법” 을 의미한다. 위 내용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내면 도14-1과 같다. 이상의 내용 은 대표알파벳 길게 누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에서와 같이 최초의 컨트롤 선택에 만 한번의 길게누름을 적용하여 확장한 사례이다. 더불어 도14-2에서와 같이 추 가적으로 길게 누름을 매개하여 다양한 확장(예. C계열, D계열)이 가능하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1 long hit, 2 long hits, and 3 long hits to the selection of the b1, b2, and b3 controls, respectively. However, it is a very obvious fact that it is not good to use long press frequently. As in the case of B1, B2, B3, ..., inputting by normal pressing after long pressing the control button once is called "repeated pressing after long pressing" for convenience. Control processing method by repeated pressing”. The A1, A2, ... series mean the previously presented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the B1, B2, ... series mean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by long pressing and then repeatedly pressing". The above contents are shown in a graph form as shown in FIG. 14-1. The above is an extended case by applying one long press only to the first control selection, as i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2, various extensions (eg, C series, D series) are possible by mediating an additional long press.

여기서 컨트롤버튼이 아닌 버튼(예에서 [1]버튼)의 길게 누름을 적용(예. “알파벳y”) 하면, 또 다른 대상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길게 누름을 이용한 반복선택방법(예. “A = 2~”, “B = 2~2”, “C = 2~22”)으로 키 패드 각 버튼에 표시된 알파벳(도1-1에서 3개의 알파벳)을 모호성없이 식별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숫자 버튼 조작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는 3가지 알파벳 선택 후 컨트롤 버튼의 반복누름, 혹은 길게 누름후 반복누름에 의하여 각기 다른 그룹 의 변형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1-1에서 “A”입력후 컨트롤버튼 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특정 그룹(예. 그룹1)의 알파벳(기호, 숫자, 모국어, 영어 알파벳 등을 포괄하는 의미)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길게 누름 후 반복누름 ”에 의하여 또 다른 특정 그룹(예. 그룹2)의 알파벳을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마 찬가지로 “B” 입력과 컨트롤버튼의 반복누름 조합에 의하여 그룹3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으며, 길게 누름 후 반복누름에 의하여 또 다른 그룹인 그룹4의 알파 벳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도1-1 키패드 버튼상 표시된 3개 알파벳에 대하여 뿐만 아니라, 임의의 규칙(예. “2~222”)을 정하고 이에 대하여 컨트롤버튼의 반 복누름과 길게 누름후 반복누름 등에 의하여 임의의 그룹의 알파벳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f a long press of a button other than a control button (eg, [1] button) is applied (eg, “alphabet y”), another target can be expressed. Furthermore, the alphabet displayed on each keypad button (eg, “A = 2 ~”, “B = 2 ~ 2”, “C = 2 ~ 22”) using a long press Since it is said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ree alphabets) without ambiguity, after selecting three alphabets that can be selected by operating the number buttons,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ntrol button or long pressing and then repeatedly pressing, different groups of modified alphabets can be input. will be. That is, after inputting “A” in FIG. 1-1, by repeatedly pressing the control button, it is possible to input the alphabet (meaning encompassing symbols, numbers, native language, English alphabet, etc.) of a specific group (eg group 1), You can input the alphabet of another specific group (eg group 2) by “long press and then repeat press”. Similarly, the alphabet of group 3 can be input by the combination of “B” input and repeated pressing of the control button, and the alphabet of another group, group 4, can be input by pressing and holding and then pressing repeatedly. In addition to the three alphabets displayed on the keypad buttons in Figure 1-1, a random rule (eg “2 to 222”) is set, and for this, an arbitrary group is selected by repeatedly pressing and holding the control button and then pressing repeatedly.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the alphabet.

길게 누름후 반복누름에 의한 컨트롤처리방법은 한국어의 사례(도4-5 ~ 도 4-8) 및 일본어의 사례(도2-1, 2-2) 등등 에서와 같이 컨트롤버튼이 기본적인 모 국어의 입력에 소요되는 경우, 문장 중에서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숫자의 입력 및 영어 알파벳(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언어에서)의 입력 등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하에서 각 언어별로 응용 사례를 간단히 언급하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언어에 도 적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by pressing and holding for a long time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Korean (Fig. 4-5 ~ Fig. 4-8) and Japanese (Fig. 2-1, 2-2), etc. If it takes input, it will be very useful for inputting intermittently used numbers in sentences and inputting English alphabets (in a language other than English). Below, application examples for each language are briefly mentioned, and may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that are not mentioned.

26.2 한국어26.2 Korean

도4-5 ~ 도4-8의 사례에서 변형알파벳(예. 격자음/경자음 및 탈락자음)을 기본자음이 속한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입력(예. “ㄱ=1”, “ㄲ=11”, “ㅋ =111” 또는 “ㄱ=1”, “ㅋ=11”, “ㄲ=111”)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같은 버튼에 속한 알파벳이 연속으로 나오는 경우 2번째 이후에 나오 는 알파벳 입력시, 길게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4-5에서 [1]버튼의 연속누름을 “ㅋ”으로 정의하면, “ㄱ”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 “ㄱ +ㄱ”이 아닌 “ㅋ”으로 인식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두번째 “ㄱ”입력시 길게 누름으로 입력하면 “ㄱ+ㄱ”으로 인식될 수 있다. 즉 “국가”에서 두번째 음절 의 “ㄱ”입력시 길게 누름을 이용하는 것이다. “국카”입력시에도 두번째 음절 의 “ㅋ”입력에 길게 누름을 이용하여 “ㅋ = 1~1”로 입력하는 것이다. 이는 변형알파벳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과 선택적으로(2가지 중 한가 지만, 혹은 2가지 모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Figs. 4-5 to 4-8, the modified alphabet (eg lattice/hard consonant and dropped consonant) is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basic consonant belongs (eg “a=1”, “ㄲ= 11”, “ㅋ = 111” or “ㄱ = 1”, “ㅋ = 11”, “ㄲ = 111”). That is, when alphabets belonging to the same button appear consecutively, when inputting the second and subsequent alphabets, press and hold to input. For example, if continuous pressing of the [1] button is defined as “ㅋ” in FIGS. 4-5, when “a” appears consecutively, it can be recognized as “ㅋ” rather than “a + a”. When inputting “a”, if you press and hold it, it can be recognized as “a + a”. In other words, long press is used when inputting “a” of the second syllable in “country”. Even when inputting “Kukka,” input “ㅋ = 1~1” by long pressing the “ㅋ” input of the second syllable. This can be selectively applied (only one of the two, or both at the same time) to inputting the modified alphabe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대표알파벳이 아닌 일부의 알파벳을 길게 누름에 입력하는 사례로 격자음 혹은 경자음 중 하나를 길게 누름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음을 길게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정의하면, 경자음(쌍자음)은 기본자음의 조 합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물론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뚜기”의 경우 “오ㄷ두기” (“ㄷ”은 “오”의 종성받침) 로 되는 모호성이 있다. As an example of inputting some alphabets other than representative alphabets by long pressing, you can input by long pressing either a lattice sound or a light consonant. For example, if it is defined as input by pressing and holding the lattice sound, hard consonants (twin consonants) can be input as a combination of basic consonants. Of course,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n the case of “Ottogi,” there is ambiguity in “Oddugi” (“c” is the consonant of “O”).

마찬가지로 모음과 함께 배정된 자음(예. 도4-5, 도4-6에서 [0]버튼에 배정 된 “ㅎ”)의 입력에 길게 누름을 응용할 수 있다. 즉 “ㅎ = 0~” 과 같이 되는 것이다. 출원인의 사견으로 선출원에서 기 제시한 바 도4-5를 기준으로 “ㅎ = 8**” 또는 “ㅎ = 0**” 또는 “ㅎ = 0 (선출원에서 기 제시한 특별한 경우만 가 능)”로 입력하는 것이 길게 누름을 이용하는 것보다 입력 효율면에서 좋을 것으 로 짐작된다. 기 제시한 탈락자음(예. “ㅎ”)의 입력방법 및 길게 누름에 의한 입력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다. Similarly, a long press can be applied to the input of a consonant assigned with a vowel (eg, “ㅎ” assigned to the [0] button in Figs. 4-5 and 4-6). In other words, it becomes like “ㅎ = 0~”. As the applicant's personal opinion, “ㅎ = 8**” or “ㅎ = 0**” or “ㅎ = 0 (only special cases previously sugges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based on Figures 4-5 as previously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is presumed that inputting with ' is better in terms of input efficiency than using a long press. The input method of the previously suggested dropped consonant (eg “ㅎ”) and the input method by long pressing can be selectively applied.

길게누름 후 짧게누름을 이용하여 어느 대상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였는데, 도4-5 ~ 도4-13의 도면에서 모음버튼(모음요소 또는 요소모음이 배정된 버튼)을 길게 눌러 한글자음이 아닌 어떤 대상을 입력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을 때, 어느 특정 버튼의 길게누름 후 짧게누름으로 그 특정버튼에 연관된 일련의 대상을 입력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기 설명한 바와 같이 “. (마침표) = ㅁ+ㅡ+ㅡ”로 정의하였을 때, 한글 자음이 아닌 “어떤 대상 (예에서 마침표)” 다음에 모음 “ ㅡ” 로 시작하는 한글 글자가 없으므로 “, (콤마) = ㅁ+ㅡ+ㅡ+ㅡ” 로 정의할 수 있는 것과 같다. 만약 [*]버튼(“ㅡ” 가 배정된 버튼)의 길게 누름을 “-(하 이픈)” 정의하였다면, 임의의 다른 대상 (예. 밑줄)을 길게누름 후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 (하이픈) = *~” 이 되고 “_(밑줄) = *~*” 이 된다. 이는 역시 한글의 모음이 단어의 처음에 나오지 않는 성질을 이 용한 것이다. 모음요소 “.”이 한글의 처음에 나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 단어시작 상태”에서 “.”이 배정된 버튼(예에서 [0]버튼)의 짧게 누름을 “ㅎ” 의 입력으로 할 수 있음을 밝힌 것과 같이, “단어시작 상태” 에서 모음버튼의 눌러짐을 특정 대상(예. 그 모음버튼에 연관된 특수문자)의 입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의 시작상태에서 “ㅡ”가 배정된 버튼(예에서 [*]버튼)이 눌러지면 이를 “-(하이픈)”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를 적용시 낱자로써 의 모음 “ㅡ”를 입력하지 못하는 단점은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ㅡ”가 배 정된 버튼의 입력으로 자음이 아닌 특정 대상(예에서 “- ”)이 인식된 후 연속하 여 “ㅡ”가 배정된 버튼이 눌러지면 이를 연관된 다른 대상(예. 특수문자 “_ ”)의 입력으로 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It is said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a target by using a short press after a long press, but in the drawings of Figs. When a certain object is defined as input, a series of objects related to the specific button can be input by pressing a certain button for a long time and then pressing it briefly. The reason is as described above “. (period) = ㅁ+ㅡ+ㅡ”, since there is no Korean character starting with the vowel “ㅡ” after “some object (period in the example)” that is not a Korean consonant, “, (comma) = ㅁ+ㅡ +ㅡ+ㅡ” is the same as what can be defined. If “-(hyphen)” is defined as a long press of the [*] button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it can be defined by long-pressing any other object (e.g. underscore) and then repeatedly pressing it. . That is, “- (hyphen) = *~” and “_ (underscore) = *~*”. This is also due to the fact that vowels in Hangeul do not appear at the beginning of words. Using the property that the vowel element “.” does not appear at the beginning of Korean, a short press of the button assigned “.” (the [0] button in the example) in the “word start state” can be input as “ㅎ” As revealed, the pressing of the vowel button in the “word start state” can be defined as the input of a specific object (eg, a special character related to the vowel button). For example, when a button assigned “ㅡ” ([*] button in the example) is pressed at the beginning of a word, it can be set to “-(hyphen)”. However, when applying th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vowel “ㅡ” cannot be entered as a character. Of course, even in this case, after a specific object (“-” in the example) that is not a consonant is recognized by the input of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and then the button to which “ㅡ” is assigned is pressed, it is associated with another object (eg. It can be defined to be input of special character “_”).

다음으로 “길게 누름후 반복누름에 의한 컨트롤처리방법”을 응용하는 사 례를 제시한다. 출원인의 대표적인 한국어 입력시스템은 홈페이지 http://www.simplecode.net 에 시뮬레이터와 함께 소개(고어, 기호의 입력 및 병 행입력기술까지 소개)되어 있으며, 더불어 숫자 및 영어 알파벳의 입력도 모드전 환없이 가능함을 언급하고 있다. Next, an example of applying “control processing method by long press and then repeated press” is presented. Applicant's representative Korean input system is introduced along with a simulator on the homepage http://www.simplecode.net (introduction of archaic language, symbol input and parallel input technology), and input of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is also switched to mode. It is mentioned that it is possible without

이를 본 업계의 관계자로부터 모드전환 없이 숫자 및 영어의 입력기술까지 제공하여 달라는 요구가 있어 어쩔 수 없이 본 출원을 실행하게 되었음을 밝힌다. (참고로 이러한 요청이 있었던 업체는 출원인의 한국어 입력기술을 채택하지 않는 것으로 되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It is revealed that this application was inevitably executed because there was a request from people in the industry to provide input technology for numbers and English without mode conversion. (For reference, the company that made this request did not adopt the Korean input technology of the applicant. It is a pity.)

입력에 있어서 일반적인 사용빈도는 “자국어 알파벳 - 각종 기호(특수 문 자) - 숫자 - 영어 알파벳”의 순으로 볼 수 있다. 도4-5 등에서 보듯이 숫자 및 영어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컨트롤 버튼이 없는 상태이다. 여기서 숫자 버튼과 [*]버튼의 길게 누름(즉, “*~ = 숫자컨트롤”)과 조합하여 숫자를 입력하 는 것이 가능하다. 즉, “숫자 1 = 1*~” 로 하는 것이다. [*]버튼은 1차적으로 모음버튼이면서 동시에 컨트롤버튼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버튼 한번 누름은 모 음 “ㅣ”를 표하지만, [*]버튼 한번 길게 누름은 임의의 대상(예에서는 “숫자 컨트롤”)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general frequency of use in input can be seen in the order of “national language alphabet - various symbols (special characters) - numbers - English alphabet”. As shown in FIGS. 4-5, etc., there is no control button that can be used to input numbers and English. Here, it is possible to input a number in combination with a long press of the number button and the [*] button (ie, “*~ = number control”). That is, “number 1 = 1*~”. The [*] button is primarily a vowel button and is used as a control button at the same time. Pressing the [*] button once displays the vowel “ㅣ”, but pressing the [*] button once for a long time is an arbitrary target (in the example, “ number control”).

영어 알파벳의 입력은 여러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A = 2#~”, “B = 2#~#”, “C = 2#~#” 로 정의할 수 있다. “2#~#” 입력에 대하여 “A” 와 모음 “ㅣ”로 인식되지 않고, “B”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은 것은 한국어에서 모음 “ㅣ”로 시작되는 음절이 없는 성질(일종의 한국어 제한)을 이용하는 것이 다. 만약 [#]버튼의 길게 누름 및 반복누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면, 영어 알 파벳을 숫자의 후속알파벳으로 간주하여 “A = 2*~*” 혹은 “A = 2*~# (교차 컨 트롤처리방법)” 으로 “B = 2*~**” 혹은 “B = 2*~##”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정 의할 수 있다. The English alphabet can be inpu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 2#~”, “B = 2#~#”, “C = 2#~#” can be defined. Regarding “2#~#” input, what is not recognized as “A” and vowel “ㅣ” and can be recognized as “B” is the property of no syllables starting with vowel “ㅣ” in Korean (a kind of Korean restriction) is to use If long pressing and repeated pressing of the [#] button is used for other purposes, the English alphabet is regarded as the subsequent alphabet of numbers, and “A = 2*~*” or “A = 2*~# (cross control processing Method)”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such as “B = 2*~**” or “B = 2*~##”.

길게 누름에 의한 컨트롤처리방법의 사례를 한가지 더 제시한다. 도4-5 ~ 도4-8에서, 모음 “ㅡ”가 배정된 버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ㅜ”, “ㅠ”를 입 력하는 것(즉, “ㅡ = *”, “ㅜ = **”, “ㅠ = ***”)로 정의하면, 알파벳 입력 에 최대 3타(즉, 최대 가능 반복횟수)의 [*]버튼 연속누름이 소요된다. 이 경우 격음컨트롤은 “최대가능 반복횟수 + 1” 회 누름(즉, [*]버튼 4회)에 의하여 선 택될 수 있다. “즉, “ㅋ = 1****”인 것이다. 이 경우 연속 4회 누르는 부담 을 완화하기 위하여 “격음컨트롤 = *~”로 하여 “ㅋ = ㄱ+{격음컨트롤} = 1*~” 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경자음 및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는 탈락자음에 대해서 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처리방법에서 격음컨트롤을 반복선택방 법에 의하여 선택하는 모든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길게 누름에 의한 변형알파 벳 입력 및 기존의 반복누름에 의한 변형알파벳 입력이 선택적(양자 중 하나만 혹 은 양자 모두)으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숫자의 입력은 다른 버튼(예 [#]버튼)을 이용하면 된다. One more example of a control processing method by a long press is presented. In Figures 4-5 to 4-8, inputting “TT” and “ㅠ” by repeatedl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the vowel “ㅡ” (i.e., “ㅡ = *”, “TT = ** ”, “ㅠ = ***”), it takes up to 3 strokes (that is, the maximum possible number of repetitions) of consecutive pressing of the [*] button to input the alphabet. In this case, the aspirated consonant control can be selected by pressing “maximum number of repetitions + 1” times (ie, [*] button 4 times). “In other words, “ㅋ = 1 ****”. In this case, in order to alleviate the burden of pressing 4 times in succession, it can be defined as “ㅋ = ㄱ+{Acoustic consonant control} = 1*~” with “aspirated consonant control = *~”. The same can be applied to dropped consonants that are considered hard consonants and modified alphabet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ll cases in which the consonant control is selected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n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the modified alphabet input by long pressing and the modified alphabet input by conventional repeated pressing are optional (either one or both Of course, both are possible. In this case, you can use other buttons (eg [#] button) to input numbers.

26.3 일본어 26.3 Japanese

도2-1, 도2-2의 일본어의 사례에서와 같이 후속알파벳이 다수인데, 반복선 택방법에 의하여 후속알파벳을 입력시 유용할 수 있다. 즉 “あ = 1” 또는 “あ = 1~”로, “い = 1~1”, “う = 1~11”, “え = 1~111”, “お = 1~1111”로 정 의하는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 중 2번째 나오는 알파벳만, 길게 누름(즉, “1~ ”)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순히 한번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 여도 모호성없이 입력된다. 그러나, 도2-1, 도2-2의 일본어 사례에서 후속컨트롤 처리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적은 입력타수로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이미 보였는데, 대표알파벳 길게 누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 As in the case of Japanese in FIGS. 2-1 and 2-2, there are many subsequent alphabets, which can be useful when inputting subsequent alphabets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at is, “あ = 1” or “あ = 1~”, “い = 1~1”, “う = 1~11”, “え = 1~111”, “お = 1~1111” will be. As mentioned, if the alphabet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ppear consecutively, only the second alphabet among the letter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is entered using a long press (ie, “1 ~ ”), otherwise, simply Even if it is entered by pressing once, it is entered without ambiguity. However, in the Japanese cases of FIGS. 2-1 and 2-2, it has already been shown that input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with a small number of input strokes by applying the follow-up control processing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long-press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have.

*대표알파벳 길게 누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지 않고, 컨트롤처리방 법으로 후속알파벳을 입력하는 사례에서 길게누름을 이용하여 변형알파벳을 입력 하는 사례를 보인다. 도2-2에서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후속알파벳 입력시, 도 2-3에서와 같이 대표알파벳(예. “は”)의 변형알파벳(예. “ば”, “ぱ”) 입력 시, 입력타수가 다소 많고 부자연스러운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해당버튼(도 2-2에서 [6]버튼)의 길게 누름을 대표알파벳의 변형알파벳(예. “ば”)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나머지 변형알파벳 “ぱ = ば + 소정의 컨트롤버튼(예. [*]버튼) = 6~*”로 정의할 수 있다. *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subsequent alphabet as a control method without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the case of inputting the modified alphabet using long pressing is shown. When inputting subsequent alphabets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in Fig. 2-2, when inputting modified alphabets (eg, “ば”, “ぱ”) of representative alphabets (eg, “は”) as shown in Fig. 2-3, input stroke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rather many and unnatural. In this case, a long pres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button [6] in FIG. 2-2) can be defined as a modified alphabet (eg “ば”)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The rest of the modified alphabet can be defined as “ぱ = ば + predetermined control button (eg [*] button) = 6~*”.

여기서 알파벳이 배정된 버튼의 길게 누름을 이용하여 변형알파벳을 입력하 지 않으면, 대표알파벳 길게 누름에 의한 반복선택방법과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한 후속알파벳 입력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변형알파벳(예. “ば”, “ぱ”)의 입 력은 임의의 컨트롤버튼(예. [*]버튼) 의 길게 누름과 대표알파벳 “は”의 조합 으로 “ぱ”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ば(임의의 변형알파벳) = は + *~ = 6*~”으로, “ぱ(임의의 다른 변형알파벳) = は + *~* = 6*~*” 로 정의할 수 있 다. 만약 “は”의 변형알파벳이 다수인 경우도 “6*~**”, “6*~***”, ... 과 같이 길게 누름후 반복누름을 이용하여 모호성없이 입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과 “*~”이 각각 다른 대상을 표현할 수 있는 것처럼 “**”과 “ *~*”이 각기 다른 대상(여기서는 임의의 컨트롤)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if the modified alphabet is not input by using the long press of the button assigned to the alphabet,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by long press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and the subsequent alphabet input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can be applied together. The input of modified alphabets (eg “ば”, “ぱ”) can be performed by long-pressing an arbitrary control button (eg [*] button) and a combination of the representative alphabet “は” to enter “ぱ”. . That is, it can be defined as “ば (any modified alphabet) = は + *~ = 6*~” and “ぱ (any other modified alphabet) = は + *~* = 6*~*”. If there are many modified alphabets of “は”, it is possible to input without ambiguity by pressing and holding repeatedly, such as “6 * ~ **”, “6 * ~ ***”, ... Of course. Just as “*” and “*~” can represent different objects, “**” and “*~*” can represent different objects (in this case, arbitrary controls).

여기서 중요한 것은, 길게 누름에 의하여 임의의 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한번 길게 누름 이후에 길게 누름에 이용된 버튼(예. 컨트롤버 튼)의 반복누름에 의하여 모호성없이 다른 대상(예. 임의의 컨트롤)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not only can an arbitrary control be selected by long press, but also another object (eg, arbitrary control) can be expressed.

마찬가지로 숫자 및 영어 알파벳의 입력에 있어서, 한국어에서 설명한 것을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숫자 2 = 2#~”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A = 2#~# ”, “B = 2#~##”, . . . 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Likewise, in the input of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what has been described in Korean can be applied. For example, “number 2 = 2#~” can be defined, “A = 2#~# ”, “B = 2#~##”, . . . can be defined as

26.4 중국어 26.4 Chinese

도10-1 ~ 도10-6 등의 키패드에서 모호성없이 (혹은 거의 모호성없이) 중국 어 병음을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b__b__”로 구성된 단어(밑줄 부 분은 모음으로 구성된 병음음절)를 단축입력하기 위하여 “bb = 11”을 입력시, 중국어 병음에서 “bb”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언어제한이 적용되면, “11 = p ”로 인식될 것이다. 이 경우는 언급한 바와 같이, “b = 1”을 입력후 소정의 시간지연 혹은 특정 조작(예. [>]버튼 누름)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입력값 “1”을 “b”로 확정 후 “b = 1”을 입력하여야 한다. 역시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 을 연속하여 입력할 경우 발생하는 모호성의 문제로 볼 수 있다. 이 경우도 대표 알파벳 길게 누름에 의한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여 ([1]버튼의 대표알파벳 “b ”를 “b = 1~”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b = 1~1~” 혹은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이 연속으로 나올때 2번째 이후에 있는 알파벳 입력에 길게 누름을 적용하여 “bb = 11~” 로 할 수 있는 것이다. It was shown that Chinese pinyin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or almost without ambiguity) on keypads such as Figs. 10-1 to 10-6. However, when entering “bb = 11” to shorten a word composed of “b__b__” (the underscore part is a Pinyin syllable composed of vowels), if the language restriction that “bb” does not appear consecutively in Chinese Pinyin is applied, “ 11 = p ” will be recognized. In this case, as mentioned above, after inputting “b = 1”, the input value “1” is intentionally confirmed as “b” by a predetermined time delay or a specific operation (eg, pressing the [>] button), and then “b” = 1” must be entered. It can also be seen as a problem of ambiguity that occurs when alphabet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re entered consecutively. In this case, it can be solved by applying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representative alphabet (representative alphabet “b ” of the [1] button as “b = 1~”). For example, “bb = 1~1~” or when the alphabet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ppear consecutively, “bb = 11~” can be obtained by applying a long press to the alphabet input after the second.

다음으로 숫자와 기호를 입력하는 것을 보인다. 도10-6을 기준으로 설명한 다. 중국어에서 영어의 입력은 영어 알파벳 입력후 이를 한자로 변환하지 않으면 되므로 굳이 언급하지 않는다. 도10-6을 기준으로 “숫자 1 = 1*~”과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도10-6에서 [*]버튼 한번 누름은 “a”로 인식하게 되나, 길게 누름 (“*~”)은 별개의 대상(예에서 “숫자 컨트롤”)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10-6에서, 각종의 기호 입력에는 [#]버튼의 길게 누름 및 반복누름을 이용한 컨 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버튼에 dot(.), comma(,), colon(:), semi-colon(;) 등을 연관시키고, “dot(.) = 2#~”, “ comma(,) = 2#~#”, “colon(:) = 2#~##”, “semi-colon(;) = 2#~###” 으로 정 의할 수 있다. “2#~#”이 “dot(.) + i”로 인식되지 않고 “comma(,)”로 인식 될 수 있는 것은 중국어 병음이 “i”로 시작하지 않는 중국어 제한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사례 참조) 마찬가지로 “2#~##” 도 “dot(.)+i+i” 혹은 “comma(,)+i”로 인식되지 않고 “colon(:)”으로 인식될 수 있다. 만약, “ dot(.)+i”를 입력하고 싶으면, 언급한 바대로, “2#~”까지 입력후 소정의 시간 경과로 “dot(.)” 확정 후 혹은 특정 조작(예. [>]버튼 누름)에 의하여 “dot (.)” 확정후 “# = i”를 입력하면 된다.Next, it shows entering numbers and symbols.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10-6. Input of English in Chinese is not mention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convert it to Chinese characters after inputting English alphabets. Based on Figure 10-6, it can be defined as "number 1 = 1 * ~". In Fig. 10-6, pressing the [*] button once is recognized as “a”, but long pressing (“*~”) can represent a separate object (“numerical control” in the example). 10-6, it is preferable to apply a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a long press and repeated press of the [#] button to various symbol inputs. For example, associate dot(.), comma(,), colon(:), semi-colon(;), etc. with the [2] button, “dot(.) = 2#~”, “ comma(,) = 2#~#”, “colon(:) = 2#~##”, “semi-colon(;) = 2#~###”. “2#~#” is not recognized as “dot(.) + i” but can be recognized as “comma(,)” because Chinese Pinyin uses the Chinese restriction that does not start with “i”. (Refer to Korean example) Likewise, “2#~##” is not recognized as “dot(.)+i+i” or “comma(,)+i”, but can be recognized as “colon(:)”. If you want to input “dot(.)+i”, as mentioned, after inputting “2#~” and confirming “dot(.)”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or for a specific operation (e.g. [>] After confirming “dot (.)” by pressing the button), input “# = i”.

도10-6에서 특정 그룹의 기호(들)의 입력에 [*]버튼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 는, 드물지만 “a”, “e”, “o” 등으로 시작하는 병음이 있으므로, “길게누름 후의 반복누름”을 이용시,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숫자의 경우는 하나씩만 존재하므로 [*]버튼 길게 누름 한번만 조합하면 되기 때문이다. 도10-1 ~ 10-5의 경우, [*]버튼과 [#]버튼에 배정된 “i” 와 “u”로 시작하는 병음이 없으므로, [*]버튼과 [#]버튼을 이용하여 길게누름 후 반복누름을 이용한 컨트롤 처리방법으로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The reason why the [*] button was not used to input the symbol(s) of a specific group in Fig. 10-6 is that there are rare Pinyin that start with “a”, “e”, “o”, etc. This is because ambiguity may occur when using “repeated press”. This is because there is only one number in the case of numbers, so you only need to press and hold the [*] button once. In the case of Figs. 10-1 to 10-5, since there is no pinyin starting with “i” and “u” assigned to the [*] button and the [#] button, use the [*] button and the [#] button to It is always possible to input numbers, symbols, etc. as a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repeated pressing after pressing.

이상의 내용은 도10-1 ~ 도10-6의 키패드 뿐만 아니라 다른 키패드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obvious that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keypads as well as the keypads of FIGS. 10-1 to 10-6.

26.5 로마자를 사용하는 언어26.5 Languages using the Roman alphabet

로마자를 사용하는 유럽언어에 있어서, 기본알파벳에 첨자가 붙은 변형알파 벳이 다수 존재한다. 앞에서 설명한 각종의 길게누름을 적용하여 변형알파벳의 입력 및 특수문자 입력 등에 적용할 수 있다. In European languages using the Roman alphabet, there are many modified alphabets with subscripts attached to the basic alphabet. By applying various long presses described above, it can be applied to input of modified alphabets and input of special characters.

27. 스크린 자판상에서 끊어지지 않은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27.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syllables (= consonant characters) by unbroken dragging on the screen keyboard

27.1 드래그 기법을 사용한 기존의 입력방법 27.1 Existing input method using drag technique

최근 UMPC (Ultra Mobile PC) 등 컨버전스형 기기의 등장으로 액정(스크린)상에 표시된 자판에서 드래그(Drag)기법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기술이 다수 선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은 "모아키"라는 입력기로써 대표적인 개념은 도면15-1에 있는 것과 같은 액정상의 자판에서 특정 자음(예. "ㅇ")을 펜으로 터치(또는 마우스로 클릭)한 후 "상/하/좌/우"측으로 드래그하면 각각 "오/우/어/아"가 입력되는 기술이다. 하나의 자음만을 터치하고 떼면(즉, 드래그하지 않고), 도면15-2에서와 같이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ㅡ]버튼, [ㆍ]버튼, [ㅣ]버튼이 터치된 자음 주위에 팝업되어 추가적으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드래그"는 "제스처" 라는 용어로도 불리고 있으며 터치 또는 클릭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또는 클릭을 떼지 않고 끌어 움직인다는 의미이다. 상기 드래그가 끝나는 시점은 드래그 이후 펜터치를 떼거나 마우스 클릭을 떼는 순간이 된다. 드래그의 개념은 마우스 제스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한번 사용해 보면 쉽게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드래그"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Recently, with the advent of convergence devices such as UMPC (Ultra Mobile PC), a number of technologies for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drag technique on a keyboard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screen) have been introduced. The representative technology is an input device called "Moaki", and the representative concept is to touch a specific consonant (eg "ㅇ") with a pen (or click with a mouse) on a liquid crystal keyboard as shown in Fig. When dragging to the left/right side, "oh/right/uh/ah" is input respectively. If you touch and release only one consonant (ie, without dragging), the [ㅡ] button, [ㆍ] button, and [ㅣ] button that can input vowels pop up around the touched consonant as shown in Fig. 15-2. Allows additional vowels to be entered. Here, "drag" is also referred to as a "gesture" and means dragging and moving without releasing the touch or click in a state of being touched or clicked. The point at which the dragging ends is the moment when the pen touch is released or the mouse click is released after the dragging. The concept of drag can be easily understood after using a program that supports mouse gestures, and the term "drag"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모아키는 그 동안 다른 입력기가 제공하지 않았던 특성으로 인해, 비록 터치스크린 상에서만 작동한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인기를 누리고 있다. 단점이 몇가지 있는데, 한국어 모음으로 감성을 표현하는 이모티콘 (예. "ㅜㅜ", "ㅠㅠ", "ㅡ.ㅡ", ...) 을 입력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19개의 자음버튼을 액정에 깔아 놓아 PDA의 경우는 화면의 약 절반이 자판으로 소요된다는 점, 그리고 버튼 입력에는 동일한 입력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Due to the characteristics that other input methods have not provided, Moaki enjoys some popularity despite the limitation of operating only on the touch screen. There are some downsides, such as the inability to input emoticons (e.g. "TT", "TT", "ㅡ.ㅡ", ...) that express emotions with Korean vowels, and the 19 consonant buttons on the screen. In the case of a PDA, about half of the screen is consumed as a keyboard, and the same input technology cannot be used for button input.

또한 특정 자판에서 드래그를 시작해서 끝나는 2개의 버튼을 상기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게 하는 내용도 있다. 예를 들어, [ㄱ]버튼에서 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를 시작하고 드래그해서 [ㅣ]버튼까지 드래그한 후 놓으면, "기" 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는 반드시 "초성+중성"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 다만 이 경우는 항상 점(시작버튼) 대 점(끝버튼)의 2개 버튼에만 적용된다. 구현하는 것 역시도 매우 간단하여, 드래그가 시작된 "드래그 시작버튼"과 드래그가 끝난 "드래그 종료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처리하면 된다. 드래그가 시작되는 것을 탐지하는 것은 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이 시작되고 펜이 떨어지지 않은 상태(또는 마우스 클릭이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 터치된 위치(좌표)가 움직이는 것을 탐지하면 된다. 이는 PC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마우스 제스처" 를 탐지하는 것과 같은 것이고, 이미 다수의 개인 사용자가 자신의 마우스 제스처 프로그램들을 배포하고 있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차 및 과정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re is content that allows input of two buttons starting and ending with dragging on a specific keyboard by the dragging. For example, if you start a pen touch (or mouse click) from the [a] button, drag it to the [ㅣ] button, and then release it, "ki" is input. This does not necessarily apply only to "primary + neutral", but applies to all cases. However, this case is always applied only to two buttons: a point (start button) to a point (end button). It is also very simple to implement, just process the "drag start button" where the drag started and the "drag end button" where the drag ended are pressed. The start of dragging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at the first touched position (coordinates) moves in the state where the pen touch (or mouse click) starts and the pen does not drop (or the mouse click does not drop). This is the same as detecting a "mouse gesture" that is widely used on a PC, and since it is a technique widely known to the extent that many individual users are already distributing their own mouse gesture programs,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s the above procedures and processes in detail. I never do that.

27.2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연속 드래그에 의한 음절 입력 기술의 구성27.2 Configuration of syllable input technology by continuous drag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을 한번의 연속하는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상기 "모아키" 제품에서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직접 확인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ique for inputting one Korean syllable (consonant letter) by one continuous drag. It was directly confirmed that this technology was not presented in the "Moaki" product.

본 발명의 내용은 액정상 표시된 자판(키패드, 키보드, 기타 모든 변형된 형태) 상의 자음, 모음 버튼을 드래그하여 음절을 입력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편의상 휴대폰 자판을 예롤 들어 설명하며, 특히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제시한 자판 및 입력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모든 형태의 한국어 자판은 자음이 배치된 자음버튼과 모음이 배치된 모음버튼이 각기 나누어져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으로 도면15-3은 삼성전자社의 휴대폰 자판이고, 도면15-4는 LG전자社의 휴대폰 자판이다. 각각의 입력방식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모든 입력방식에서 각 자음버튼에 배치된 자음(다수개의 자음이 배치된 경우는 최소한 첫번째 배치된 자음)은 해당 버튼 한번 눌러짐으로 입력되고, 모음 역시 모음이 배치된 모음버튼 한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나, 모음버튼은 적은수 (통상 3~4개 버튼)로 구성되며 나머지 모음은, 모음버튼을 해당 입력방법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방법으로 조합하여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cases of inputting syllables by dragging consonant and vowel buttons on a liquid crystal display keyboard (keypad, keyboard, and all other modified forms). For convenience, a mobile phone keyboar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in particular, the keyboard and input method presented by the applican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All types of Korean keyboards are divided into consonant buttons with consonants and vowel buttons with vowels. Typically, drawing 15-3 is a mobile phone keyboard of Samsung Electronics, and drawing 15-4 is a mobile phone keyboard of LG Electronics. Each input method is too well known to be described here. However, in all input methods, the consonant placed on each consonant button (at least the first consonant when multiple consonants are placed) is entere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once, and the vowel is also entered by pressing the vowel button where vowels are placed once. However, the vowel buttons are composed of a small number (usually 3 to 4 buttons), and the remaining vowels are input by combining the vowel buttons with a predetermined method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input method.

본 발명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어떤 입력방법에서도 한국어 자판을 구성할 때, 자음버튼들끼리 구룹으로 모아 구성하고, 모음버튼끼리 그룹으로 모아 구성한다는 것이다. 그렇게하지 않아도 해당 입력방법을 적용하는데는 상관이 없으나, 누구라도 사용자의 "버튼위치식별성"을 위해서 그렇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누구라도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뒤죽박죽 섞어 구성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는 키보드의 한국어 자판도 마찬가지이다. 출원인이 제시했던 자판중 한가지(출원인의 선출원 및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4장에서 설명. 특히 4.1.1 및 4.11에 기재된 내용. 이하 "출원인의 한국어 입력방법"이라 함)는 도면15-5(a) 또는 도면15-5(b)와 같으며, 마찬가지로 자음버튼끼리 모아 놓고, 모음버튼끼리 한데 모아 구성되어 있다. 도면15-5(a) 와 도면15-5(b)는 상호 호환될 수 있는 키패드(자판)라고 하였다. 상호 호환될 수 있다는 것은 도면15-5(a)를 기준으로 설명한 입력방법을 도면15-5(b)에서도 적용할 수 있고, 반대로 도면15-5(b)를 기준으로 제시한 입력방법을 도면15-5(a)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도면15-3, 도면15-4에서의 기존의 키패드 한글입력방법 및 출원인이 제시한 한국어 입력방법에서, 자음버튼의 갯수보다 모음버튼의 갯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configuring a Korean keyboard in any input method, consonant buttons are grouped together and vowel buttons are grouped. Even if you don't do that, it doesn't matter to apply the corresponding input method, but anyone is doing it for the user's "identification of button position". For example, it means that no one will mix and match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This is also the case with the Korean keyboard. One of the keyboards proposed by the applicant (explained in Chapter 4 of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contents described in 4.1.1 and 4.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licant's Korean input method") is shown in Figure 15-5 ( It is the same as a) or Fig. 15-5 (b), and similarly, the consonant buttons are grouped together, and the vowel buttons are grouped together. Figures 15-5 (a) and Figure 15-5 (b) were called keypads (keyboards) that can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Being mutually compatible means that the input method described based on Figure 15-5 (a) can also be applied to Figure 15-5 (b), and conversely, the input method presented based on Figure 15-5 (b) is shown in Figure 15-5 (b). This means that it can also be applied in 15-5(a). In the existing keypad Korean input method in Fig. 15-3 and Fig. 15-4 and the Korean input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the number of vowel buttons is relatively less than the number of consonant buttons in most cases.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은 "초성+중성"으로 이루어진 글자가 약 절반이고,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가 약 절반이다. 이는 "자음+모음"으로 이루어진 글자가 약 절반이고, "자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글자가 약 절반이라는 의미와 같다. About half of Korean syllables (consonant characters) consist of "initial consonant + neutral", and about half of them consist of "initial consonant + neutral + final consonant". This is the same as the meaning that about half of the letters composed of "consonants + vowels" and about half of the letters composed of "consonants + vowels + consonants".

도면15-6은 도면15-5(a)를 PC의 "숫자키패드"에 적용한 도면으로 동일한자판(키패드)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특별한 경우가 아닌한 도면15-6에서는 12개의 문자버튼([ㄱ] ~ [ㅈ] 자음버튼 9개, [ㅡ], [ㅏ], [ㅣ] 모음버튼 3개)만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도면15-5(a)를 기준으로(즉, 도면15-5(a) 및 관련설명에서 제시한 출원인의 한국어 입력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15-6에 기반하여 "출원인의 한국어 입력방법" 에서 출원인이 제시한 입력방법에 의거하여 "고"를 입력시, [ㄱ]+[ㅏ]+[ㅡ] 를 누르면 된다. 구현(programming)상, 특정 버튼(예. [ㄱ]버튼)이 눌러진 순간 글자(예. "ㄱ")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특정버튼을 눌렀다 떼는 순간 글자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화면입력기(예. 스크린키보드)에서는 화면상의 버튼을 눌렀다 떼는 순간(즉, 펜을 누르는 순간이 아닌 눌렀다 떼는 순간, 또는 마우스를 클릭하는 순간이 아닌 클릭했다 놓는 순간) 글자가 입력되도록 구현(예. MS Windows에 기본 내장되어 있는 스크린 키보드)되어 있으며, 기술상의 차이는 없다. 휴대폰의 경우도 제조회사에 따라서 버튼을 누르는 순간 글자가 표시되는 제품도 있고,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글자가 표시되지 않지만 떼는 순간 글자가 표시되는 제품도 있으며, 양자간의 차이가 없는 것과 같다. Fig. 15-6 is a drawing in which Fig. 15-5 (a) is applied to a "numeric keypad" of a PC, and the same keyboard (keypad)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only 12 character buttons ([a] ~ [j] consonant buttons 9, [ㅡ], [a], [ㅣ] vowel buttons 3) in Drawing 15-6, unless there is a special case , Based on Figure 15-5 (a) (ie, based on the applicant's Korean input method presented in Figure 15-5 (a) and related description). When inputting "high" based on the input method suggested by the applicant in "Applicant's Korean input method" based on Fig. 15-6, press [a] + [a] + [ㅡ]. In terms of implementation (programming), a character (eg "a")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oment a specific button (eg the [a] button) is pressed, or a character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oment a specific button is pressed and released. may be In most screen input devices (e.g., screen keyboards), characters are input the moment you press and release a button on the screen (ie, the moment you press and release the button instead of the moment you press the pen, or the moment you click and release the mouse, not the moment you click). Yes, it is a built-in screen keyboard in MS Windows),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echnology. In the case of mobile phon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some products display letters the moment the button is pressed, and some products do not display letters while the button is pressed, but display letters the moment you release it,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이하에서 출원인이 제시한 상기 출원인의 한국어 입력방법에 의거하여 주로설명하며 다른 입력방법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 출원인의 한국어 입력방법에 기반하여 설명하는 내용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입증된 기술이며, 본 발명의 특허출원 이후 홈페이지 http://www.simplecode.net 를 통하여 프로그램된 문자입력기 제품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도면15-6은 상기 공개될 문자입력기에 적용된 UI(User Interface)이다. Hereinafter, it is mainly explained based on the applicant's Korean input method presented by the applicant, and it is obvious that the same or similar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other input methods. The content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applicant's Korean input method is a proven technology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will be released as a programmed character input device product through the homepage http://www.simplecode.net after the patent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filed. to be. 15-6 is a UI (User Interface) applied to the character input device to be disclosed.

도면15-6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고"라는 글자를 쓰기 위하여 [ㄱ]버튼에서 시작하여 [ㅏ]버튼을 거쳐 [ㅡ]버튼으로 드래그하면, 도면15-7에서와 같이 거쳐가는 버튼(즉, 드래그되는 버튼)은 다수의 버튼이 될 것이다. 드래그되는 버튼들을 시스템이 인지하는 것은, 화면상의 버튼이 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된 순간부터 떨어지기 전까지 소정의 짧은 시간(예. 1/100초)간격으로 펜 또는 마우스 커서의 위치의 변화가 어느 버튼상에 위치하는지를 체크하면 된다. Based on drawing 15-6, if the user starts from the [a] button to write the letter "high" and drags through the [a] button to the [ㅡ] button, as shown in drawing 15-7, the button (i.e. , the button being dragged) will be multiple buttons. When the system recognizes the buttons being dragged, the position of the pen or mouse cursor changes in a predetermined short time (eg 1/100 second) interval from the moment the button on the screen is touched (or mouse clicked) until it is released. You just need to check which button it is located on.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15-7와 같이 "드래그하는 것"을 "드래그" 또는 "드래그 동작"이라고 부르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거쳐가는 버튼을 "드래그된 버튼"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면15-7에서 드래그 동작이 시작된 "드래그 시작버튼"은 [ㄱ]버튼이고, 드래그 동작이 종료된 "드래그 종료버튼"은 [ㅡ]버튼이고, "드래그된 버튼"은 [ㄱ]버튼, [ㄴ]버튼, [ㅁ]버튼, [ㅇ]버튼, [ㅈ]버튼, [ㅏ]버튼, [ㅡ]버튼이 된다. 도면15-7의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드래그된 버튼(들)을 표기할 때, [ㄱ → ㄴ → ㅁ → ㅇ → ㅈ → ㅏ → ㅡ] 로 표기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15-7에서와 같이 드래그를 표시할 때, 드래그시작버튼은 동그라미(●)를 넣어 표시하고, 드래그의 끝점은 화살촉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ragging" is referred to as "drag" or "drag operation" as shown in Figs. . In Fig. 15-7, the "drag start button" where the drag operation starts is the [a] button, the "drag end button" where the drag operation ends is the [ㅡ] button, and the "dragged button" is the [a] button, [ These are the b] button, the [ㅁ] button, the [ㅇ] button, the [j] button, the [a] button, and the [ㅡ] button. When the button(s) dragged by the dragging operation of FIG. 15-7 are marked, [a → b → ㅁ → ㅇ → ㅣ → ahn → ㅡ] will be mark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dragging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5-7, the drag start button is indicated by putting a circle (●), and the end point of the drag is indicated by an arrowhead.

인접한 버튼을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다. 그러나 드래그된 버튼이 다수인 경우는 어떤 버튼이 사용자가 입력을 의도한 버튼인지를 판단하는 문제는 고민스러운 문제이다. 도면15-6에서 "그" 를 입력하기 위하여 [ㄱ]에서 드래그를 시작하면 [ㄹ]버튼, [ㅅ]버튼을 거쳐 [ㅡ]버튼으로 가게 된다. 어느 버튼이 사용자가 입력을 의도했던 버튼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 내용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It is easy to input adjacent buttons by dragging. However,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dragged buttons, determining which button is the button the user intends to input is a worrisome problem. In Fig. 15-6, if you start dragging from [a] to input "that", you go to the [ㅡ] button through the [ㄹ] button and the [ㅅ] button. It is intended to present a very efficient method for determining which button is the button the user intended to input, and this content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수의 자음버튼 그룹([ㄱ]버튼 ~ [ㅈ]버튼)에서 상대적으로 소수인 모음버튼 그룹까지 가려면 다수의 자음버튼을 거쳐서 가게 되는데, 사용자가 의도한 것이 드래그된 모든 자음버튼을 누르려 하였던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즉, 도면15-7에서 자음버튼에서 시작하여 모음버튼으로 드래그하면 최초에 드래그가 시작된 자음버튼(드래그 시작버튼)은 최소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의도한 버튼이라고 판단하고, 그 다음으로 거쳐간 자음버튼들(예에서 [ㄴ]버튼, [ㅁ]버튼, [ㅇ]버튼, [ㅈ]버튼)은 드래그 시작버튼과 함께 유효한 초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입력하려하지 않았던 버튼으로 간주되어 무시된다. 이는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의 초성에 자음이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성질에서 기인한다. 다음으로 최초로 거쳐가는 모음버튼(예에서 [ㅏ]버튼)은 사용자가 입력을 의도한 모음버튼으로 간주되고, 다음으로 이미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된 [ㅏ]버튼과 결합하여 "ㅗ"를 형성할 수 있는 [ㅡ]버튼 역시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드래그된 버튼 [ㄱ → ㄴ → ㅁ → ㅇ → ㅈ → ㅏ → ㅡ] 중 시스템에 의하여 무시된 버튼을 제외하고 유효한 버튼으로 시스템이 인지한 버튼만을 표기하면, [ㄱ → ㅏ → ㅡ] 가 된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도면15-8(a)와 같이, [ㄱ → ㄴ → ㅁ → ㅂ → ㅈ → ㅏ → ㅡ] 와 같이 드래그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ㄴ → ㅁ → ㅂ → ㅈ"이 무효화 되므로, 유효한 것으로 인지하는 버튼은 [ㄱ → ㅏ → ㅡ] 로 동일하게 된다. 설사 사용자가 도면15-8(b)와 같이 드래그 했더라도 결과는 마찬가지가 된다. In order to go from a large number of consonant button groups ([a] button to [j] button)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vowel button group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ed to press all the dragged consonant buttons. I never do that. That is, when dragging from the consonant button to the vowel button in Fig. 15-7, the first consonant button (drag start button) where the drag started is determined to be at least the button the user intended to input, and the next consonant button ( In the example, [ㄴ] button, [ㅁ] button, [ㅇ] button, and [ㅅ] button) do not form a valid initial consonant together with the drag start button, so they are regarded as buttons that the user did not want to input and are ignored. This is due to the nature that consonants do not appear consecutively at the beginning of Korean syllables (consonant characters). Next, the first vowel button ([A] button in the example) is regarded as the vowel button that the user intends to input,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A] button already considered as a valid button to form "ㅗ". [ㅡ] button is also considered as a valid button. Excluding the buttons ignored by the system among the dragged buttons [a → b → ㅁ → ㅇ → ㄴ → a → ㅡ], if only the buttons recognized by the system are marked as valid buttons, [a → a → ㅡ] becomes [a → a → ㅡ]. Depending on the user, as shown in Fig. 15-8 (a), it may be dragged as follows [a → b → ㅁ → f → ㅣ → a → ㅡ]. Also in this case, "ㄴ → ㅁ → ㄴ → ㄴ" is invalidated, so the button recognized as valid is [a → a → ㅡ]. Even if the user drags as shown in Fig. 15-8 (b), the result is the same.

만약 사용자가 위의 드래그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ㄴ]버튼까지 드래그 했다고 하면(즉, [ㅡ]버튼에서 펜 터치를 놓거나 마우스 클릭을 놓지 않고, [ㄴ]버튼에서 펜 터치를 놓거나 마우스 클릭을 놓음), 역시 다수개의 자음버튼을 거쳐가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15-9에서와 같이 총 드래그된 버튼은 [ㄱ → ㄴ → ㅁ → ㅇ → ㅈ → ㅏ → ㅡ → ㅇ → ㅁ → ㄴ] 이 된다. 이 경우에도 중간에 거쳐가게 되는 다수개의 자음버튼(예에서 초성부분에서 [ㄴ]버튼, [ㅁ]버튼, [ㅇ]버튼, [ㅈ]버튼, 그리고 종성부분에서 [ㅇ]버튼, [ㅁ]버튼)을 모두 사용자가 입력하기를 원했던 것으로(즉, 유효한 버튼으로) 판단하지 않고 무시한다. 한국어 음절이 "자음+모음+자음" 으로 이루어지므로 최종 그래그가 끝나는 자음(예에서 "ㄴ")만을 입력하기 원했다고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드래그된 버튼 중 유효한 버튼만을 나타내면 , [ㄱ → ㅏ → ㅡ → ㄴ] 이며, 드래그 결과 인지(또는 인식)되는 음절(자모결합글자)은 "곤"이 된다. If the user did not end the drag operation above and dragged up to the [b] button (i.e., without releasing the pen touch or mouse click from the [ㅡ] button, release the pen touch or mouse click from the [b] button) release), it also goes through a number of consonant butto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9, the total number of dragged buttons becomes [a → b → ㅁ → ㅇ → ㄴ → ㄱ → ㅡ → ㅇ → ㅁ → ㄴ]. Even in this case, a number of consonant buttons (in the example, [ㄴ] button, [ㅁ] button, [ㅇ] button, [ㅅ] button in the initial part, and [ㅇ] button, [ㅁ] button in the final part buttons) are all ignored without determining that the user wanted to enter (i.e., a valid button). This is because Korean syllables consist of "consonant + vowel + consonant", so it is reasonable to judge that you wanted to input only the consonant ("ㄴ" in the example) that ends the final drag. If only valid buttons are displayed among the dragged buttons, [a → a → ㅡ → b], and the syllable (consonant letter) recognized (or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dragging becomes "gon".

위 사례에서 보듯이, 최초 드래그시작버튼과 마지막 드래그종료버튼은 항상 유효한 버튼으로 시스템이 인식하고, 소정의 입력방법에 의거하여 중간에 거쳐간 버튼 중 한국어 음절을 이루는데 필요한 버튼만을 유효한 버튼으로 인식하고 나머지 드래그된 버튼은 무시됨으로써, 한번의 드래그에 의하여 한국어 음절을 입력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As seen in the above case, the first drag start button and the last drag end button are always recognized by the system as valid buttons, and only the buttons necessary to form Korean syllables are recognized as valid button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put Korean syllables by dragging once as the rest of the dragged buttons are ignored.

다음으로 동일한 모음버튼을 2번 눌러 입력하는 경우를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음을 보인다. 만약 "유"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ㅇ → ㅡ → ㅏ] 까지 드래그하여 "우" 를 입력한 후, [ㅏ]버튼을 클릭하여 "유"를 입력하여야 할 것이다. 2가지 다른 방법을 제시하면 [ㅇ → ㅡ → ㅏ] 까지 드래그 한후 드래그를 종료하지 않고 모음 "ㅜ"와 결합될 수 없는 모음인 [ㅡ]버튼까지 드래그 했다가 다시 [ㅏ]버튼으로 드래그 하는 것이다. 드래그된 버튼을 표기하면 [ㅇ → ㅡ → ㅏ → ㅡ → ㅏ] 가 된다. 역시 마찬가지로 "ㅜ" 다음에 결합할 수 없는 모음버튼인 [ㅡ]버튼을 무시하고, 그 다음의 [ㅏ]버튼만을 유효한 버튼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단점은 현재 모음만의 입력을 일종의 이모티콘 처럼 사용(예. "ㅜ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내용을 적용하지 않으면, "ㅜㅜ"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ㅡ → ㅏ → ㅡ → ㅏ] 로 드래그 하여 한번에 "ㅜㅜ"를 입력할 수 있다.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배포될 예정인 제품(http://www.simplecode.net)에서는 [ㅡ → ㅏ → ㅡ → ㅏ] 로 "ㅜㅜ"를 입력하는 것으로 하였다. 다른 방법으로는 [ㅇ → ㅡ → ㅏ] 이후 드래그를 끊지 않고, [ㅏ]버튼에서 임의의 자음버튼(예에서 [ㅈ]버튼)까지 드래그 했다가 다시 [ㅏ]버튼으로 드래그하는 것이다. 즉, [ㅇ → ㅡ → ㅏ → ㅈ → ㅏ] 로 드래그하면 "유"를 입력할 수 있다. 종성이 입력되기 위해서는 그 자음버튼(예에서 [ㅈ]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되어야 하는데, 드래그가 이어져 다시 모음버튼(예에서 [ㅏ]버튼)으로 드래그되었으므로, 마지막의 [ㅏ]버튼이 입력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즉 종성입력으로 유효하게 되지 않은 [ㅈ]버튼은 단지 이후에 드래그된 [ㅏ]버튼이 "한번 더" 입력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역할만을 하게된다. 물론 [ㅇ → ㅡ → ㅏ] 까지 드래그를 종료하여 "우"를 입력하고 나서, [ㅏ]버튼을 한번 터치(또는 클릭)해도 된는 것은 당연하다. 만약 [ㅇ → ㅡ → ㅏ → ㅈ → ㅏ → ㅈ → ㅂ → ㅁ] 이 드래그 되면, "윰"으로 시스템이 인지하고 처리하게 된다 (도면15-10. 종성에서 [ㅈ]버튼과 [ㅂ]버튼은 무시됨) Next, it is shown that input by pressing the same vowel button twice can be input by dragging. If you want to input "Y", you will have to drag [ㅇ → ㅡ → A] to input "right", and then click the [A] button to input "Y". If you suggest two different methods, drag it up to [ㅇ → ㅡ → A], drag it to the [ㅡ] button, which is a vowel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vowel "TT", without ending the dragging, and then drag it again with the [A] button. . If you mark the dragged button, it becomes [ㅇ → ㅡ → A → ㅡ → A]. Similarly, the [ㅡ] button, which is a vowel button that cannot be combined after "TT", is ignored, and only the next [A] button is recognized as a valid button. The dis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there are cases where the input of only the current vowel is used as a kind of emoticon (eg "TT"), but this case cannot be expressed. For example, if the above content is not applied, in order to input "TT", you can input "TT" at once by dragging [ㅡ → A → ㅡ → A]. In the product (http://www.simplecode.net) that is planned to be implemented and distributed as a program, "TT" is entered as [ㅡ → ア → ㅡ → ア]. Another method is to drag from the [A] button to a random consonant button ([ㅅ] button in the example) without stopping dragging after [ㅇ → ㅡ → A], and then drag it back to the [A] button. In other words, if you drag [ㅇ → ㅡ → A → ㅣ → A], you can input "U". In order for the final consonant to be entered, the dragging must end at the consonant button ([i] button in the example). to treat it as That is, the [j] button that is not valid due to the final input serves only to inform that the [a] button dragged thereafter has been input “once more”. Of course, it is natural to end dragging to [ㅇ → ㅡ → A], input "right", and then touch (or click) the [A] button once. If [ㅇ → ㅡ → A → ㄴ → A → ㄴ → ㄴ → ㅁ] is dragged, the system recognizes and processes it as "yum" (Fig. 15-10. is ignored)

이상의 내용은 "초성"만이 입력된 상태, "초성+중성"이 입력된 상태, 또는 "초성+중성+종성"이 입력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드래그를 시작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도15-5(a) 및 도15-6을 기준으로 몇가지 입력사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드래그되는 버튼 중 무효화(무시)되는 버튼은 표기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힌다. "윙" 입력시, [ㅇ → ㅅ → ㅡ → ㅏ → ㅣ → ㅈ → ㅇ] 으로 드래그하면 "윙"을 한번의 드래그 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다. [ㅇ]버튼 다음의 [ㅅ]버튼은 유효한 초성을 이루지 못하므로 무시되고, [ㅈ]버튼 역시 "ㅇ"이 종성이므로 무시된다. "ㅅ"이 사용자가 원하는 초성이었다면 "ㅅ"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었을 것이기 때문이고, "ㅈ"이 종성이었다면, "ㅈ"에서 드래그를 끝냈을 것이기 때문이다. 도면15-6에서 [ㅇ]버튼에서 [ㅅ]버튼을 거치지 않고 [ㅇ → ㅡ → ...]로 드래그할 수도 있지만, [ㅅ]버튼이무시되는 경우를 보이기 위하여 제시한 사례이다. 만약 도면15-11에서와 같이 [ㅇ → ㅅ → ㅡ → ㅏ → ㅣ → ㅈ → ㅇ → ㅈ] 으로 드래그되었다면, "위+ㅈ"('위'+'ㅈ'받침)이 입력될 것이다. [ㅇ]버튼 다음에 다른 다수의 자음버튼들이 드래그되어도(예. [ㅇ → ㅅ → ㄹ → ㅁ → ㅇ → ㅡ →....]) 최초의 [ㅇ]버튼만이 유효한 초성으로 간주되고 모음 [ㅡ]버튼 이전에 다른 자음버튼은 무시된다. 마찬가지로 [...→ ㅈ → ㅇ → ㅈ] 과 같이 드래그 되어도 마지막 [ㅈ]버튼만을 유효한 종성으로 간주하고 나머지 자음버튼은 무시된다. 즉, 초성에서는 드래그시작버튼을 포함하여 소정의 입력방법으로 초성을 이루는 버튼만을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하였고, 마찬가지로 종성에서는 드래그종료버튼을 포함하여 소정의 입력방법에서 종성을 이루는 버튼만을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The above is possible even when dragging is additionally started in a state in which only "initial consonant" is input, in a state in which "initial consonant + neutral" is input, or in a state in which "initial consonant + neutral + final consonant" is input. Some examples of input are as follows based on Figs. 15-5 (a) and 15-6. For convenience, it is stated that among the buttons that are dragged, the buttons that are invalidated (ignored) may not be displayed. When inputting "Wing", if you drag [ㅇ → ㅅ → ㅡ → A → ㅣ → ㅅ → ㅇ], you can input "Wing" with one drag motion. The [ㅅ] button next to the [ㅇ] button is ignored because it does not form a valid initial consonant, and the [ㅅ] button is also ignored because "ㅇ" is the final consonant. This is because if "ㅅ" was the initial consonant the user wanted, the drag would have started at "ㅅ", and if "ㅅ" was the final consonant, the drag would have ended at "ㅅ". In Figure 15-6, it is possible to drag from the [ㅇ] button to [ㅇ → ㅡ → ...] without passing through the [ㅅ] button, but this is an example presented to show the case where the [ㅅ] button is ignored. If it is dragged to [ㅇ → ㅅ → ㅡ → A → ㅣ → ㅅ → ㅇ → ㄴ] as in Fig. 15-11, "up + ㅅ" ('up' + 'ㅅ' base) will be input. Even if multiple consonant buttons are dragged after the [ㅇ] button (e.g. [ㅇ → ㅅ → ㄹ → ㅁ → ㅇ → ㅡ →...]), only the first [ㅇ] button is considered a valid initial consonant and the vowel Other consonant buttons before the [ㅡ] button are ignored. Likewise, even if dragged like [...→ ㅅ → ㅇ → ㄴ], only the last [ㄴ] button is considered as a valid final consonant, and the remaining consonant buttons are ignored. That is, in the initial consonant, only the button forming the initial consonant in a predetermined input method, including the drag start button, was considered a valid button, and similarly, in the final consonant, only the button constituting the final consonant in a predetermined input method, including the drag end button, was considered a valid button. will be.

또 다른 입력예로, "붸+ㄺ"('붸'에 'ㄺ'받침)을 입력하기 위하여는 [ㅂ → (ㅁ → ㅇ) → ㅡ → ㅏ] 로 드래그하여 "부" 입력후, [ㅏ → ㅣ] 로 드래그하여 "붜" 입력후, [ㅣ → (ㅈ → ㅇ → ㅁ) → ㄹ] 로 드래그하여 "붸+ㄹ"('붸'에 'ㄹ'받침) 입력후 [ㄱ]버튼 클릭하면 된다. 도면15-12(a)를 참고한다. "(ㅁ → ㅇ)", "(ㅈ → ㅇ → ㅁ)"과 같이 괄호로 표기한 것은 무시(무효화)되는 버튼이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표기하지 않을 수 있다. 또 한가지는 [ㅂ → ㅡ → ㅏ → ㅈ → ㅏ → ㅣ → ㅈ → ㅣ] 로 "붸" 입력후, [ㄹ → ㄱ] 으로 "붸+ㄺ"('붸'에 'ㄺ'받침) 이 입력된다. 도면15-12(b)를 참고한다. "붸" 입력시 들어간 2번의 [ㅈ]버튼은 각각 [ㅏ]버튼의 연속입력 [ㅣ]버튼의 연속입력을 구분해 주기 위해 들어간 것이다. 드래그되는 버튼이 자음버튼에서 시작해서 자음버튼을 거쳐서 모음버튼으로 갈때는 중간의 자음버튼을 무효화 하지만, 드래그가 자음버튼에서 시작해서 자음버튼에서 끝나면, 드래그가 시작되는 자음버튼과 드래그가 끝나는 자음버튼을 모두 입력한 것으로 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ㄹ → ㄱ] 드래그로 종성 "ㄺ"이 입력된다. 물론 [ㅂ → ㅡ → ㅏ → ㅈ → ㅏ → ㅣ → ㅈ → ㅣ → ㄹ] 로 한번에 "붸+ㄹ"('붸'에 'ㄹ'받침)까지 입력후 [ㄱ]버튼을 눌러 "붸+ㄺ"('붸'에 'ㄺ'받침)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상의 내용은 모두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입증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출원 이후 모두 http://www.simplecode.net 를 통하여 제품으로 공개될 예정이다.As another input example, to input "ㄺ + ㄺ" ('ㄺ' for 'ㄺ'), drag [ㅅ → (ㅁ → ㅇ) → ㅡ → ] and enter "B", then [a → Drag to ㅣ] and input "B", then drag to [ㅣ → (ㄴ → ㅇ → ㅁ) → ㄹ] and enter "V + ㄹ" (subject to 'ㄹ' to 'V'), then click the [ㄱ] button You can do it. Refer to Fig. 15-12 (a). Buttons marked with parentheses, such as "(ㅁ → ㅇ)" and "(ㅁ → ㅇ → ㅁ)", are ignored (invalidated) buttons, and may not be marked below for convenience. Another thing is to input "V" with [ㅅ → ㅡ → A → ㅣ → A → ㅣ → ㅣ → ㅣ], then enter "V + ㄺ" ('ㄺ' in 'V') with [ㄹ → ㄱ] do. Refer to drawing 15-12 (b). The two [i] buttons entered when inputting "V" were entered to distinguish the continuous input of the [ㅣ] button for continuous input of the [a] button, respectively. When the button being dragged starts from the consonant button and goes through the consonant button to the vowel button, the middle consonant button is disabled, but when the drag starts from the consonant button and ends at the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 starts and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 ends It is natural to assume that all are entered. Therefore, the final consonant "ㄺ" is input by dragging [ㄹ → ㄱ]. Of course, [ㄴ → ㅡ → A → ㄴ → A → ㅣ → ㄴ → ㅣ → ㄹ] at once to enter "V + ㄹ" ('D' followed by 'D'), then press the [ㄱ] button to enter "V + ㄺ" You can also enter "('ㄺ' for 'ㄺ'). All of the above has been demonstrated by being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all will be released as products through http://www.simplecode.ne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는 구현(프로그래밍) 예정인 내용이다. 더 나아가 도15-6을 기준으로, [ㄱ → ㄴ] 으로 드래그하여 "ㅋ"을 입력하는 것으로 정의한다면, [ㄱ → ㄴ → ㅁ → ㅇ → ㅡ] 로 그래그하면, "ㄱ → ㄴ" 드래그로 초성 "ㅋ"이 입력된 것으로 처리하고(즉, 초성을 이루는 [ㄱ]버튼과 [ㄴ]버튼을 유효한 입력으로 간주), 중간의 [ㅁ]버튼과 [ㅇ]버튼은 무시되므로, 시스템은 "크" 가 입력된 것을 인지하고 처리할 수 있다. 만약 [ㄱ]버튼에서 버튼 밖(外)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ㅋ"입력으로 정의한다면, 도면15-13(a)에서와 같이 [ㄱ → 外 → ㅡ]로 드래그한 것을 "크"가 입력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ㄱ → 文/Num] 로 드래그하여 "ㄲ"을 입력하는 것으로 정의한다면, 도면15-13(b)에서와 같이 [ㄱ → 文/Num → ㄱ → ㄹ → ㅅ → ㅡ] 로 드래그하면, "끄"를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지하고 처리할 수 있다. The following is the content scheduled for implementation (programming). Furthermore, based on Figure 15-6, if it is defined as dragging [a → b] and inputting "ㅋ", dragging [a → b → ㅁ → ㅇ → ㅡ], dragging "a → b" The initial consonant "ㅋ" is processed as input (ie, the [a] button and [b] button constituting the initial consonant are regarded as valid inputs), and the middle [ㅁ] button and [ㅇ] button are ignored, so the system It can recognize and process the input of "K". If dragging from the [a] button to the left outside the button is defined as "ㅋ" input, as shown in Fig. 15-13 (a), dragging to [a → 外 → ㅡ] is "k" input can be treated as Also, if it is defined as inputting "ㄲ" by dragging to [a → 文/Num], dragging to [a → 文/Num → a → ㄹ → ㅅ → ㅡ] as shown in Figure 15-13 (b), The system can recognize and process it as "Off".

타 문자입력기술을 기초로 사례를 몇가지 더 들면 다음과 같다. LG전자사에서 채용한 문자입력기 도면15-4를 기준으로 [ㄱ]버튼에서 드래그를 시작하여 다른 자음버튼을 거쳐 [덧쓰기]버튼을 지나, [ㅗ]버튼, [ㅏ]버튼, [ㅣ]버튼을 거쳐 [ㄴ]버튼에서 드래그가 끝나면, 연속 드래그에 의하여 "쾌+ㄱ"('쾌'에 'ㄱ'받침) 이 입력된다. 드래그 과정을 예시한 도면은 도면15-14이며, 드래그된 버튼을 표기하면 [ㄱ → ㄹ → ㅅ → 덧쓰기 → ㅅ → ㅇ → ㅁ → ㅗ → ㅏ → 外 → ㅣ → ㅇ → ㅁ → ㄴ→ ㄱ] 이 된다. 도면15-4에서와 같이 버튼과 버튼 사이가 떨어져 있는 경우는 대각선위치에 있는 버튼으로 바로 갈 수 있으나, 버튼사이의 간격이 없는 경우를 가정하여 수직/수평방향의 버튼을 지나서 드래그되는 것으로 도면15-14에서 표현하였다. 보통 스크린키보드는 액정상의 버튼 간격이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ㅋ"을 입력하기 위하여 드래그 하는 과정에서 [ㄹ]버튼과 [ㅅ]버튼을 지나지만, 한국어 음절에서 초성에 2개의 자음이 연속하여 오지 않으므로, [ㄹ]버튼과 [ㅅ]버튼은 무시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ㅣ]버튼에서 [ㄱ]버튼으로 드래그하기 위하여 [ㅇ]버튼, [ㅁ]버튼, [ㄴ]버튼을 거쳐가지만 역시 모음 다음에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인 [ㄱ]버튼만이 유효한 것으로(즉, [ㅇ]버튼, [ㅁ]버튼, [ㄴ]버튼 무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가지 더 예를 들면, 마찬가지로 [ㄱ]버튼에서 시작하여 [ㅗ]버튼을 지나 [ㅁ]버튼에서 드래그가 끝나면, "곰"을 입력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런데 드래그된 버튼이 도면 15-15와 같이 [ㄱ → ㄴ → ㅁ → ㅗ → ㅁ → ㅇ → ㅅ → 덧쓰기 → ㅅ → ㄹ → ㅁ] 가 되었을 때는 모음 "ㅗ" 다음에 드래그된 버튼인 [덧쓰기]버튼으로 "교+ㅁ"('교'에 'ㅁ'받침)을 입력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만약 모음 "ㅗ" 다음에 드래그된 "ㅁ", "ㅇ", "ㅅ" 중 한가지가 입력되려면 [ㅗ]버튼 다음에 [ㅁ]버튼, [ㅇ]버튼, [ㅅ]버튼 중 하나에서 그래그가 종료되었어야 한다. 삼성전자社의 자판에서 [ㅅ]버튼에서 드래그 동작을 시작하여 [ㅣ]버튼 [ㆍ]버튼을 지나 [ㅇ]버튼에서 드래그 동작이 종료되면 "상"이 입력된다. (도면15-16참조)A few more examples based on other text input technologie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drawing 15-4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adopted by LG Electronics, start dragging from the [a] button, pass through other consonant buttons, pass the [overwrite] button, and then [ㅗ] button, [a] button, [ㅣ] When the drag is completed from the [b] button via the button, "pleasure + a" ('plea' followed by 'a') is input by continuous dragging. Drawings exemplifying the dragging process are drawings 15-14, and the dragged button is marked [a → ㄹ → ㅅ → overwrite → ㅅ → ㅇ → ㅁ → ㅗ → A → 外 → ㅣ → ㅇ → ㅁ → ㄴ→ ㄱ ] becomes. As shown in Fig. 15-4, if the butt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you can go directly to the button located diagonally, but assuming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buttons, it is dragged past the button in the vertical / horizontal direction. Fig. 15 -14 was expressed. This is because the normal screen keyboard does not have a space between the buttons on the liquid crystal. In the process of dragging to input "ㅋ", it passes the [ㄹ] and [ㅅ] buttons, but since two consonants do not come in succession in Korean syllables, the [ㄹ] and [ㅅ] buttons can be ignored. There is. Similarly, in order to drag from the [ㅣ] button to the [ㄱ] button, the [ㅇ] button, [ㅁ] button, and [ㄴ] button are passed, but only the [a] button, which is the consonant button after the drag is terminated after the vowel, is valid. (That is, ignore the [ㅇ] button, [ㅁ] button, and [ㄴ] button). For one more example, similarly, if the drag starts from the [a] button, passes through the [ㅗ] button, and ends at the [ㅁ] button, it can be treated as having entered "bear". However, when the dragged button becomes [a → ㄴ → ㅁ → ㅗ → ㅁ → ㅇ → ㅅ → Overwrite → ㅅ → ㄹ → ㅁ] as shown in Fig. 15-15, the button dragged after the vowel "ㅗ" [add It can be processed as inputting "Kyo + ㅁ" ('Kyo' followed by 'ㅁ') with the [Write] button. If one of the dragged "ㅁ", "ㅇ", and "ㅅ" is entered after the vowel "ㅗ", a drag is entered from one of the [ㅁ] button, [ㅇ] button, and [ㅅ] button next to the [ㅗ] button. should have ended On the keyboard of Samsung Electronics, when the drag operation starts from the [ㅅ] button, passes through the [ㅣ] button, [ㆍ] button, and the drag operation ends at the [ㅇ] button, "Up" is input. (See drawings 15-16)

다음으로 현재 PC에서 사용하는 한글 2벌식 키보드가 액정상에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사례를 든다. 편의상 도면15-17에서 한글 자모가 표기된 자음버튼 및 모음버튼만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며, 효율화를 위해 글쇠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15-17에서 드래그된 버튼이 [ㄱ → ㅅ → ㅎ → ㅗ → ㅓ → ㅏ → ㅣ → ㅏ → ㅓ → ㅗ → ㅎ → ㄹ → ㅇ] 이라고 하면, 이 경우도 동일하게 드래그 시작버튼인 [ㄱ]버튼 이후의 [ㅅ]버튼, [ㅎ]버튼을 무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최초로 드래그된 모음버튼인 [ㅗ]버튼은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되므로 [ㅗ]버튼과 결합할 수 없는 [ㅓ]버튼, [ㅏ]버튼 역시 무시할 수 있고, [ㅗ]버튼과 결합할 수 있는 [ㅣ]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음으로 "ㅚ"와 결합할 수 없는 [ㅏ]버튼, [ㅓ]버튼, [ㅗ]버튼 역시 무시하고, 마지막 3개 자음버튼 중 [ㅎ]버튼, [ㄹ]버튼 역시 무시하고 드래그가 종료된 [ㅇ]버튼만을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할 수 있다. 결과는 "굉"이 입력된다. 상기 결과는 2벌식 키보드에서의 입력방법에 기초하여 나온 결과이다. Next, an example is given based on the case where the Korean double keyboard used in the current PC is on the liquid crystal. 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only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marked with Korean consonants in Figures 15-17, and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key is changed for efficiency is also included. In Fig. 15-17, if the dragged button is [a → ㅅ → ㅎ → ㅗ → ㅇ → A → ㅣ → A → ㅗ → ㅗ → ㅎ → ㄹ → ㅇ], in this case, the drag start button [a You can ignore the [ㅅ] and [ㅎ] buttons after the ] button. Next, the [ㅗ] button, which is the first dragged collection button, is considered a valid button, so the [sh] button and the [a] button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ㅗ] button can also be ignored, and the [ㅗ] button can be combined. The [ㅣ] button can be regarded as a valid button. Next, the [A] button, [sh] button, and [ㅗ] button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ㅚ" are also ignored, and among the last three consonant buttons, the [ㅎ] button and the [ㄹ] button are also ignored, and the drag ends. Only the [ㅇ] button can be considered as a valid button. As a result, "Awesome" is entered. The above result is a result obtained based on the input method on the double keyboard.

상기 시스템에 의하여 인지(또는 인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액정상에표시 또는 음성으로 송출)하는 시점은, 드래그 중간에 드래그된 버튼 중에서 유효한 버튼으로 시스템이 인식하는 순간 출력할 수도 있고, 드래그가 모두 종료된 시점에 출력할 수도 있다. 양자가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고, 오히려 드래그하는 중간에 글자가 출력되는 것이 약간 혼란스러운 면도 있다. 사용자가 인식하는 하나의 단위가 완성된 자음, 모음, 또는 음절(자모결합글자)인데, 하나의 음절을 한번의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이므로, 드래그 종료후 시스템에 의하여 인지/인식된(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시스템에 입력된) 하나의 음절을 출력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The timing of outputting the result recognized (or recognized) by the system to the user (displayed on the screen or transmitted by voice) can be output at the moment the system recognizes it as a valid button among the buttons dragged in the middle of the dragging. It can also be output when all are finishe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nd rather, the output of letters in the middle of dragging is a little confusing. One unit recognized by the user is a completed consonant, vowel, or syllable (consonant letter), and since one syllable is input by dragging once, after the end of dragging, it is recognized/recognized by the system (or It doesn't seem too bad to output a single syllable (which was entered into the system by

이상의 절차로 한번의 드래그로 한국어 음절을 입력하는 것을 보였다. 특히 예시한 출원인의 입력방법하에서는 대부분의 한국어 음절이 한번 드래그로 입력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내용하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일례를 들어 도면15-2의 모아키 자판에서처럼 하나의 버튼을 터치(또는 클릭)한 후 모음버튼이 팝업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모아키에서는 상기 제시한 음절단위의 드래그 입력을 전혀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모아키 입력기술은 그 기술의 속성상 터치스크린 방식에서만 적용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로, 동일한 한국어 글자 입력기술을 버튼누름방식 및 터치스크린상에서의 펜 터치 또는 드래그방식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ith the above procedure, it was shown that Korean syllables were input with one drag. In particular, under the exemplified input method of the applicant, most Korean syllables can be input by dragging once.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under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even when a collection button pops up after touching (or clicking) one button, as in the Moaki keyboard of Figure 15-2. Of course, Moaki does not support drag input in units of syllables as suggested above. Moreover, Moaki input technology can be applied only to the touch screen method due to the nature of the technology, but as the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Korean character input technology can be used by button pressing method and pen touch or drag method on the touch screen.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상기 설명한 드래그 기술은 터치스크린 상의 자판에서 펜 터치하는 경우 및 화면상의 자판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및 스크린키보드 기술은 이미 보편화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하드웨어적인 구조는 기재하지 않는다. 만약 현재의 터치스크린 하드웨어 구성보다 조금 더 정밀한 하드웨어 구성 기술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하는데 문제가 없음은 너무나 자명하고, 이미 일반화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또는 스크린 키보드를 위한 장치 구성을 기재하는 것은 전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The drag technique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both to a case of pen touch on a keyboard on a touch screen and to a case of clicking a mouse on a keyboard on a screen. Since touch screen and screen keyboard technologies are already common technologies, hardware structures are not described. Even if a hardware configuration technology that is slightly more precise than the current touch screen hardware configuration emerges, it is self-evident that there is no problem in apply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ot at all to describe a device configuration for a touch screen or screen keyboard that is already generalized. Because it has no meaning.

상기 내용을 청구항 형식으로 정리하며 다음과 같다.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in the form of claims and are as follows.

스크린(액정)상의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자판에서, 소정의 입력방법에 기초하여, 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상태에서 드래그하는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한국어 글자(자음, 모음, 자모결합글자, 단어 또는 구절)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 keyboar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on a screen (liquid crystal), based on a predetermined input method, Korean letters (consonants, vowels, consonant letters, words or phrase) in the method of inputting,

(a) 드래그 동작의 시작을 탐지하고 상기 드래그가 시작된 버튼(드래그시작버튼)을 인지하는 단계(a) detecting the start of a drag operation and recognizing the button (drag start button) on which the drag starts

(b)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드래그된 버튼들을 인지하며, 소정의 입력방법에 의하여, 상기 드래그된 버튼들 중에서 상기 드래그시작버튼을 포함하여 한국어 초성을 형성할 수 있는 자음버튼만을 유효한 입력으로 인지하는 단계(b) recognizing the buttons dragged by the drag operation, and recognizing only the consonant buttons that can form Korean initial consonants, including the drag start button, as valid inputs among the dragged buttons by a predetermined input method step

로 글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스크린)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liquid crystal (screen)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s are input with

에 추가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may include:

(c)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모음버튼이 모음버튼(또는 모음버튼들)이 드래그됨을 인지하는 단계(c) Recognizing that a vowel button (or vowel buttons) is dragged by the dragging operation

(d) 최초로 드래그된 모음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드래그된 모음버튼이 상기소정의 입력방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모음을 인지하는 단계(d) Recognizing vowels formed by the dragged vowel buttons, including the initially dragged vowel button, by the predetermined input method

로 글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s are input with

또는 스크린상의 2벌식 키보드에서의 드래그 사례에서 보였듯이, Or, as shown in the case of dragging on the on-screen double keyboard,

(c)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모음버튼(또는 모음버튼들)이 드래그됨을 인지하는 단계(c) Recognizing that a vowel button (or vowel buttons) is dragged by the dragging operation

(d) 최초로 드래그된 모음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드래그된 모음버튼 중에서 상기 소정의 입력방법에 의하여 한국어 중성을 형성할 수 있는 모음버튼만을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인지하는 단계(d) Recognizing only the vowel buttons that can form Korean neutrals by the predetermined input method among the dragged vowel buttons, including the first dragged vowel button, as valid vowel buttons

로 글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s are input with

에 또 추가적으로in addition to

(e) 상기 드래그 동작이 종료됨을 인지하는 단계(e) Recognizing that the drag operation is terminated

(f)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을 유효한 입력으로 처리하는 단계(f) processing the consonant button for which the drag is terminated as a valid input

로 글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s are input with

을 포함할 수 있다. can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주요 사상이, 드래그된 버튼(들) 중에서 드래그시작버튼과 드래그종료버튼은 항상 유효한 버튼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입력방법에 따라 상기 드래그시작버튼과 유효하게 결합할 수 있는 버튼만을 유효한 버튼으로 판단하고, 또한 상기 드래그종료버튼과 유효하게 결합할 수 있는 버튼만을 유효한 버튼으로 판단하는 것이 핵심적인 내용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유효한 버튼으로 판단된 버튼은 상기 소정의 글자입력방법에 의하여 처리되어 시스템은 입력된 글자를 인식하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시작버튼 및 드래그종료버튼을 제외한 드래그된 버튼(편의상 "시작종료제외 드래그된 버튼") 중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을 형성할 수 없는 버튼은 무효화(무시)하고 한국어 음절을 형성할 수 있는 버튼만을 유효한 버튼으로 판단하여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ai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at the drag start button and the drag end button are always valid buttons among the dragged button(s), and only the buttons that can be effectively combined with the drag start butt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put method are effective. It can be seen that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button as a button and to determine only the button that can be effectively combined with the drag end button as a valid button. Of course, the button determined as a valid button is processed by the predetermined letter input method, and the system recognizes the input letter and outputs it to the user. In addition, among the dragged buttons excluding the drag start button and the drag end button (for convenience, "the dragged button except for start and end"), buttons that cannot form Korean syllables (consonant consonants) are invalidated (ignored) and Korean syllables can be formed. This includes judging and processing only possible buttons as valid buttons.

따라서, therefore,

스크린(액정)상의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자판에서, 소정의 입력방법에 기초하여, 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상태에서 드래그하는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한국어 글자(자음, 모음, 자모결합글자, 단어 또는 구절)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 keyboar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on a screen (liquid crystal), based on a predetermined input method, Korean letters (consonants, vowels, consonant letters, words or phrase) in the method of inputting,

(a)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드래그되는 버튼(들)을 인식하고, (a) recognizing the button(s) being dragged by the drag operation;

(b) 상기 드래그된 버튼 중 드래그시작버튼 및 드래그종료버튼을 상기 글자입력을 위한 유효한 버튼으로 판단하고, (b) determining a drag start button and a drag end button among the dragged buttons as valid buttons for the letter input;

(c) 소정의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에 따라, 상기 드래그시작버튼과 결합할 수 있는 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판단하는 것 (c) Determining a butto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drag start button as a valid butt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스크린)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liquid crystal (screen)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도면15-1 ~ 도면15-17에서 드래그된 버튼 중 무효화(무시)되는 버튼을 제외하고, 유효한 버튼을 판단하는 것을 보였듯이, 추가적으로 As shown in Fig. 15-1 to Fig. 15-17, valid buttons are judged except for invalidated (ignored) buttons among the dragged buttons, additionally.

상기 (c)에서 유효한 버튼을 판단하는 것은 한국어 음절 형성을 위한 한국어 자모결합규칙에 의하는 것Determining the valid button in (c) above is based on the Korean consonant combination rules for forming Korean syllables.

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스크린)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liquid crystal (screen) keyboard, characterized by

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결과로 인식된 한국어 글자를 출력(스크린상에 표시 또는 음성으로 출력 ...)할 수 있다. can include Of course, Korean characters recognized as a result can be output (displayed on the screen or output as voice...).

28. 스크린 자판상에서 끊어지지 않은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2편28. Device for inputting Korean syllables (= consonant characters) by unbroken dragging on the screen keyboard and its method, Part 2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7장에서 소개한 “스크린 자판상에서 끊어지지 않은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의 연장선상에서 추가적인 기술을 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technology is presented as an extension of the “Korean syllable (= consonant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by uninterrupted drag on the screen keyboard” introduced in Chapter 27 above.

28.1 드래그 기법을 사용한 입력방법의 원형28.1 Prototype of input method using drag technique

매우 오래전 “오페라(http://www.opera.com)” 라는 웹브라우저에서 “마우스 제스처”라는 기능을 제공했었다. 지금은 각종 유틸리티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MS 윈도우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 인터넷익스플로러(IE)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보편화된 기술이 되었다. 도면16-1(a)와 도면16-1(b)는 최신버전(v9.6) 오페라 브라우저에의 “마우스 제스처” 기능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면16-1(a)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채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다음 페이지를 보여주고, 도면16-1(b)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채 왼쪽으로 드래그하면 이전 페이지를 보여준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은 어느 웹브라우저에서도 “왼쪽화살표 버튼”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은 “오른쪽화살표 버튼”으로 표시되어 있다. A long time ago, a web browser called “Opera (http://www.opera.com)” provided a function called “Mouse Gesture”. Now, it has become a common technology used by many people in Internet Explorer (IE), which is basically installed in MS Windows through various utility programs. Figure 16-1 (a) and Figure 16-1 (b) show the operation of the “mouse gesture” function in the latest version (v9.6) Opera browser. In Fig. 16-1 (a), clicking the right mouse button and dragging to the right shows the next page, and in Fig. 16-1 (b), clicking the right mouse button and dragging to the left shows the previous page. The button to move to the “previous page” is displayed as a “left arrow button” in any web browser, and the button to move to the “next page” is displayed as a “right arrow button”.

다음으로 도면16-2(a)는 Microsoft社에서 무료로 배포하였던 Embeded Visual C++ 3.0에 들어 있는 Pocket PC 2000 에뮬레이터의 초기화면이고, 도면 16-2(b) 는 상기 에뮬레이터에서 워드프로세서를 실행했을 때, 나타나는 스크린키보드 화면이다. 도면16-2(c)는 상기 스크린키보드 입력기의 옵션설정 화면이다. 도면16-2(c)에서 보듯이 이 당시 이미, 상하좌우 4방향 드래그에 의한 입력이 제공되고 있었다. 도면16-2(c) 의 내용을 정리하면, 도면16-3 과 같으며, 한번 클릭(또는 터치)하면 버튼에 마킹되어 있는 기본 문자인 알파벳 “X”가 입력되고,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Shift와 결합된 문자가 입력되고,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공백이 입력되고,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엔터기능이 입력되고,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백스페이스 기능이 입력된다. Next, Fig. 16-2(a) is the initial screen of the Pocket PC 2000 emulator included in Embeded Visual C++ 3.0 distributed free of charge by Microsoft, and Fig. 16-2(b) is when the word processor is executed in the emulator. , This is the screen keyboard screen that appears. Figure 16-2 (c) is an option setting screen of the screen keyboard input device. As shown in Figure 16-2 (c), at this time, input by dragging in four directions was already provided. Summarizing the contents of drawing 16-2(c), it is the same as drawing 16-3, and if you click (or touch) once, the alphabet “X”, which is the basic character marked on the button, is input, and if you drag upward, Shift and Combined characters are input, dragging to the right inputs a space, dragging to the bottom inputs the enter function, and dragging to the left inputs the backspace function.

도면16-4는 일본어에서의 응용사례를 보여준다. 한번 터치하면 기본 문자인 “あ”가 입력되고, 상하좌우 방향의 그래그에 따라, 일본어 50음도에서 “아”행의 나머지 글자인 “い”, “う”, “え”, “お” 가 각각 입력된다.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드래그 입력기술이 있다. Figure 16-4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in Japanese. If you touch it once, the basic character “あ” is input, and according to the graph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emaining characters of the “A” line in the Japanese 50-note scale, “い”, “う”, “え”, and “お”, respectively is entered In addition, there are many types of drag input techniques.

28.2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28.2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드래그 입력기술인 삼성전자社 “모아키” 입력기는 “ㅗ”, “ㅏ”, “ㅜ”, “ㅓ” 의 4개 모음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지원하고 있다. “ㅗ”, “ㅏ”, “ㅜ”, “ㅓ” 의 4개 모음은 한국어에서 약 49.16% 의 사용빈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약 절반 정도의 모음을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는 의미를 둘 수 있다. Currently, Samsung Electronics’ “Moaki” input device, which is the most used drag input technology, supports drag input for the four vowels “ㅗ”, “아”, “ㅜ”, and “sh”. Since the four vowels “ㅗ”, “아”, “ㅜ”, and “sh” have a frequency of use of about 49.16% in Korean, it can mean that about half of the vowels can be input by dragging. .

모음 “ㅡ”와 “ㅣ”는 모두 합하여 약 28% 정도의 사용빈도를 가지고 있다.그러나 기존의 방식에서는 모음 “ㅡ”와 “ㅣ”는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지 못하므로, 입력방법의 일관성, 통일성이 유지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27장(편의상 “드래그 1편 발명”이라 함)에서 출원인이 제시한 연속된 한번의 드래그에 의하여 하나의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을 입력하는 것은 전혀 할 수 없는 것이다. The vowels “ㅡ” and “ㅣ” have a frequency of use of about 28% in total. However, in the existing method, the vowels “ㅡ” and “ㅣ” cannot be input by dragging, so the input method is consistent and unified. this is not being maintained.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input one Korean syllable (consonant letter) by dragging one continuous time suggested by the applicant in Chapter 27 (referred to as “Invention of Drag Part 1” for convenience).

우리 한글에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하나의 글자(음절)은 생각의 기본 단위로 볼 수 있다. 즉, 우리의 사고체계에서 자소(자음 또는 모음) 단위로 사고하고 인식하기 보다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하나의 글자 단위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나의 사상단위인 음절(종성 받침 포함)을 일관된 방법에 의하여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하게 하는 것이 제27장 “1편 발명”과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Korean Hangeul, a single character (syllable), which is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seen as the basic unit of thought. In other words, rather than thinking and recognizing in units of phonemes (consonants or vowels) in our thinking system, we recognize them in units of letters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Chapter 27 “Part 1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suggest that syllables (including final consonants), which are one thought unit, are input with one drag in a consistent method.

상기 “ㅗ”, “ㅏ”, “ㅜ”, “ㅓ” 의 4개 모음(사용빈도 49.16%)과 “ㅡ”, “ㅣ” 의 2개 모음(사용빈도 약 28%)를 더한 6개 모음은 약 77.23% 의 사용빈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6개 모음은 전체의 약 3/2이상의 모음을 일관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ㅛ”, “ㅑ”, “ㅠ”, “ㅕ” 4개의 모음은 약 6.98%의 사용빈도를 가지고 있다. “ㅡ”, “ㅣ” 의 2개 모음(사용빈도 약 28%), “ㅗ”, “ㅏ”, “ㅜ”, “ㅓ” 의 4개 모음(사용빈도 49.16%), 그리고 “ㅛ”, “ㅑ”, “ㅠ”, “ㅕ” 4개의 모음(사용빈도 6.98%)을 모두 합한 10개 모음의 사용빈도는 약 84.22%가 되어 한국어 모음의 거의 대부분을 일관된 드래그 입력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출원인이 1편에서 제시한 기술을 접목하면 모든 모음을 하나의 일관된 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출원인이 1편에서 제시한 기술을 접목하여 종성 받침까지 포함하여 한번의 연속된 드래그로 하나의 연속된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6 vowels by adding the 4 vowels of “ㅗ”, “ㄴ”, “ㅜ” and “sh” (frequency of use 49.16%) and 2 vowels of “ㅡ” and “ㅣ” (frequency of use of about 28%) Since has a frequency of use of about 77.23%, it is possible to input about 3/2 or more of the six vowels in a consistent way. In addition, the four vowels “ㅛ”, “ㅑ”, “ㅠ”, and “ㅕ” have a frequency of use of about 6.98%. 2 vowels of “ㅡ” and “ㅣ” (frequencies of use of about 28%), 4 vowels of “ㅗ”, “ㄴ”, “ㅜ” and “sh” (frequencies of use of 49.16%), and “ㅛ”, The frequency of use of 10 vowels, which is the sum of the four vowels “ㅑ”, “ㅠ”, and “ㅕ” (frequency of use 6.98%), is about 84.22%, so most of the Korean vowels can be input by a consistent drag input method. there will be In addition, if the applicant applies the technology presented in Part 1, all vowels can be entered in one consistent method. In addition, by incorporating the technology presented in Part 1 by the applicant, it is possible to input with one continuous drag, including the final support, with one continuous drag.

드래그 1편 발명은 조만간 구현된 제품(PDA용 제품)으로 공개될 예정이어서 본 발명(제28장의 내용)을 출원하게 되었으며,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The invention of Drag 1 is scheduled to be released as an implemented product (a product for a PDA) in the near future, s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of Chapter 28) has been filed, and the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rough examples.

28.3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연속 드래그에 의한 음절 입력 기술의 구성28.3 Configuration of syllable input technology by continuous drag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기존의 기술(대표적으로 모아키 입력기)에 1편발명에서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First, it is shown that the technology in the first piece of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typically, Moaki input device).

도면 15-1, 도면15-2의 모아키에서의 주된 사상은 상측드래그에 의하여 “ㅗ”를 입력하고, 우측드래그에 의하여 “ㅏ”를 입력하고, 하측드래그에 의하여 “ㅜ”를 입력하고, 좌측드래그에 의하여 “ㅓ”를 입력하는 것이다. 즉 도면16-5(b)에서와 같이 [ㄱ]버튼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가”가 입력되고, 도면16-5(b)에서와 같이 [ㄱ]버튼에서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구”가 입력된다. The main idea in the Moaki of Fig. 15-1 and Fig. 15-2 is to input “ㅗ” by upper drag, input “A” by right drag, input “TT” by lower drag, and It is to input “ㅇ” by dragging. That is, as shown in Fig. 16-5 (b), when dragging from the [a] button to the right, “a” is input, and as shown in Fig. 16-5 (b), when dragging downward from the [a] button, “sphere” is entered. is entered

그런데 도면16-6(a)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짧게 드래그 되었다가 하측으로 더 길게 드래그 되면 결과는 “가”가 아닌 “구”가 입력된다. 또한 도면16-6(b)에서와 같이 하측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우측으로 더 길게(하측 드래그 길이보다) 드래그 되면 결과는 “가” 가 입력된다. 도면16-6(c)에서와 같이 약 45도 정도의 사선방향으로 그래그 하면 결과는 경우에 따라 “가” 가 되기도 하고 “구” 가 되기도 한다. 여기서, 모아키의 구현방식은 드래그 시작점과 드래그 끝점의 X축 이동거리(편의상 “dX”라고 함)와 Y축 이동거리(편의상 “dY”라고 함)를 계산하여 X축 이동거리 dX가 Y축 이동거리 dY 보다 크면 수평방향의 드래그(본 사례에서는 우측드래그)로 인식하고, dY가 dX보다 크면 수직방향의 드래그(본 사례에서는 하측드래그)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최근 삼성전사社의 옴니아 등 최신폰에 적용된 “모아키 2.0” 버전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However, as shown in Fig. 16-6 (a), if dragged to the right side for a short time and then dragged to the lower side longer, the result is "a" instead of "a".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6 (b), if dragged to the lower side and then dragged to the right longer (than the lower drag length), “A” is input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6-6 (c), when dragging in an oblique direction of about 45 degrees, the result sometimes becomes “ga” or “sphere”. Here, Moaki’s implementation method calculates the X-axis movement distance (referred to as “dX” for convenience) and the Y-axis movement distance (referred to as “dY” for convenience) of the drag start point and drag end point, so that the X-axis movement distance dX moves the Y-axis. If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dY, it is recognized as a horizontal drag (right drag in this case), and if dY is greater than dX, it is recognized as a vertical drag (in this case, a lower drag).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is works in the same way in the “Moaki 2.0” version applied to the latest phones such as Omnia of Samsung Electronics.

그러나 1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서 일단 우측 방향의 드래그가 진행되면 모음 “ㅏ”를 인식하는 것으로 새로이 정의한다. 만약 도면16-6(a)에서와 같이 [ㄱ → ㅅ → ㅎ] 으로 드래그 되었다면, [ㄱ] 에서 [ㅅ]의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된 것으로 “ㅏ”가 인식(결과는 “ㄱ”과 합하여 “가”)되고 마지막 버튼으로 “ㅎ”이 인식되었으므로 결과는 “갛”이 인식된다. 도면16-6(c)는 [ㄱ → ㅅ → ㅎ] 으로 드래그 된 것인지, [ㄱ → ㄹ → ㅎ] 으로 드래그 된 것인지 애매해 보이나, [ㄱ → ㅅ → ㅎ] 으로 드래그 되었다면 “갛”이 인식될 것이고, [ㄱ → ㄹ → ㅎ] 으로 드래그 되었다면 [ㄱ]에서 [ㄹ]의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 된 것으로 “ㅜ”가 인식(결과는 “구”)되고, 드래그의 마지막 버튼이 [ㅎ]버튼 이므로 결과는 “구+ㅎ('구'아래 'ㅎ'받침)”이 인식된다. 여기서 드래그 방향에 의하여 모음이 인식된 것을 편의상 중괄호 안에 모음을 표기하여 {x} 와 같이 표기하기로 한다. 즉, [ㄱ → ㅅ → ㅎ] 는 [ㄱ → {ㅏ} → ㅎ] 와 같이 표기할 수 있고, [ㄱ → ㄹ → ㅎ] 는 [ㄱ → {ㅜ} → ㅎ] 와 같이 표기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 invention of Part 1, it is newly defined as recognizing the vowel “a” once dragging in the right direction is performed. If dragged [a → ㅅ → ㅎ] as in Fig. 16-6 (a), “a” is recognized as being dragged from [a] to the right of [ㅅ] (the result is “a” combined with “a”). is”) and “ㅎ” is recognized as the last button, so “red” is recognized as a result. In Figure 16-6 (c), it seems ambiguous whether it was dragged with [a → ㅅ → ㅎ] or [a → ㅅ → ㅎ], but if it was dragged with [a → ㅅ → ㅎ], “red” is recognized If it is dragged in [a → ㄹ → ㅎ], “TT” is recognized as being dragged from [a] to the lower direction of [d] (the result is “9”), and the last button of dragging is the [ㅎ] button Therefore, the result is recognized as “Gu + Heh ('Heh' support under 'Gu')”. Here, the vowel is recognized by the dragging direction, and for convenience, the vowel is written in curly braces as {x}. That is, [a → ㅅ → ㅎ] can be written as [a → {A} → ㅎ], and [a → ㄹ → ㅎ] can be written as [a → {ㅜ} → ㅎ] .

만약 “각”을 입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도면 16-7(a)에서 [ㄱ → ㅅ → ㄱ] 으로 드래그 되었는데, [ㄱ]버튼에서 [ㅅ]버튼으로 우측드래그된 것이 “ㅏ”로 인식되므로, [ㄱ → {ㅏ} → ㄱ] 로 결과는 “각”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런데, 모아키2.0 버전에서는 우측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드래그를 “다른 모음”을 인식하는 것으로 처리하고 있다. 예컨대 도면16-7(a)에서와 같이 우측드래그 이후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돌아오는 드래그동작을 모음 “ㅐ”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를 적용한다면, 도면16-7(a)의 드래그는 “개”로 인식될 것이다. 이 경우는 “각”을 입력하기 위하여는 다른 방식의 드래그동작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16-7(b)에서와 같이 [ㄱ → ㅅ → ㅎ → ㅍ → ㅊ → ㄹ → ㄱ] = [ㄱ → {ㅏ} → ㅎ → ㅍ → ㅊ → ㄹ → ㄱ] 으로 드래그하면, [ㄱ]버튼에서 [ㅅ]버튼으로의 우측드래그에 의하여 “가” 가 인식되고, 드래그의 마지막 버튼인 “ㄱ”을 제외한 “ㅍ”, “ㅊ”, “ㄹ” 은 무효화되므로, 결과는 “각” 이 인식된다. [ㄱ → ㅅ → ㅎ → ㄹ → ㄱ] = [ㄱ → {ㅏ} → ㅎ → ㅍ → ㅊ → ㄹ → ㄱ] 로 드래그 하였을 경우도 결과는 동일하게 “각”이 인식된다. 설령 도면16-7(c)와 같이 [ㄱ]버튼에서 [ㅅ]버튼으로 드래그 된 후 복잡한 경로로 그래그 되었더라도 최종 인식되는 결과는 동일함을 알 수 있다. If you want to enter “each”, you can do something like this: In Fig. 16-7(a), it was dragged to [a → ㅅ → a], and right dragging from the [a] button to the [ㅅ] button is recognized as “a”, so [a → {a} → a] The result can be recognized as "angular". However, in Moaki 2.0 version, the drag that is dragged to the right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is treated as recognizing “another coll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7 (a), the drag operation returning to the drag start button after right drag is processed as a vowel “ㅐ”. If this is applied, the drag of Fig. 16-7 (a) will be recognized as a "dog". In this case, a different type of drag operation will be required to input “Gak”. For example, as shown in drawing 16-7(b), if you drag [a → ㅅ → ㅎ → m → ch → ㄹ → a] = [a → {a} → heh → p → ch → d → a] , “A” is recognized by right dragging from the [a] button to the [ㅅ] button, and “P”, “ch”, and “d” are invalidated except for the last button of the drag, “ㄱ”, so the result is “Angle” is recognized. [a → ㅅ → ㅎ → ㄹ → ㄱ] = [a → {a} → ㅎ → π → ch → ㄹ → ㄱ] Even when dragged, “Gak” is recognized as the same result. Even if dragged from the [a] button to the [ㅅ] button as shown in Fig. 16-7 (c) and then dragged in a complicated path, it can be seen that the final recognized result is the same.

모아키2.0버전에서는 [ㄱ]버튼에서 드래그 시작되어 우측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다시 [ㄱ]버튼으로 돌아오는 경우에 모음 “ㅐ”가 인식 (결과는 “개”가 인식)된다고 하였다. 좌측드래그 후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돌아오면 “ㅔ”가 인식되고, 상측드래그 후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돌아오면 “ㅚ”가 인식되고, 하측드래그 후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돌아오면 “ㅟ”가 인식된다. 그런데 실제로 사용해 보면 도면16-6(*)에서와 동일한 현상이 있다. (도면16-6(*)에서 “*” 기호는 all 을 의미) 즉 도면16-6(c)에서와 같이 약 45도 방향으로 드래그 했다가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돌아오면, 어떤 경우는 “ㅐ”가 인식(즉, 우측드래그로 처리)되고, 어떤 경우는 “ㅟ”가 인식(즉, 하측드래그로 처리)된다. 이는 도면16-6에서 지적했던 바와 같은 로직으로 X축 방향의 최대이동거리와 Y축 방향의 최대이동거리를 비교하여 드래그의 방향(본 사례에서는 우측드래그 또는 하측드래그)을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우측드래그는 인접한 우측버튼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버튼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설명한다. 나머지 경우(상/하/좌측 드래그)도 동일하다. In Moaki version 2.0, when dragging starts from the [a] button, drags to the right, and then returns to the [a] button, the vowel “ㅐ” is recognized (as a result, “dog” is recognized). If you return to the drag start button after dragging to the left, “ㅔ” is recognized, if you drag up and return to the drag start button again, “ㅚ” is recognized, and if you drag down and return to the drag start button again, “ㅟ” is recognized. . However, when actually used, the same phenomenon as in Fig. 16-6 (*) occurs. (In Figure 16-6(*), the “*” sign means all) That is, as shown in Figure 16-6(c), if you drag in the direction of about 45 degrees and then return to the drag start button, in some cases, “ㅐ ” is recognized (ie processed as right drag), and in some cases “ㅟ” is recognized (ie treated as lower drag). This is the logic as pointed out in Figure 16-6,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irection of the drag (in this case, right drag or down drag) is processed by comparing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with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in the Y-axis direction. have.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ight drag is described as being dragged to an adjacent right button and t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button. The rest of the cases (up/down/left drag) are the same.

“갱”을 입력하려면, 도면16-8(a)에서와 같이, [ㄱ → ㅅ → ㄱ → ㄷ → ㅇ] 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ㄱ]버튼에서 시작하여 우측의 [ㅅ]버튼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다시 [ㄱ]버튼으로 돌아온 것이 “ㅐ”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ㄱ → {ㅐ} → ㄷ → ㅇ] 으로 설명할 수 있고, “개” 다음에 드래그 마지막 버튼인 자음 “ㅇ”이 유효한 버튼이므로 “ㄷ”은 무효화 된다. 결과는 “갱”이 인식된다. 만약 “객”을 입력하려면, 도면16-8(b)에서와 같이, [ㄱ → ㅅ → ㄱ → ㄹ → ㄱ] 으로 드래그 하면 된다. [ㄱ → ㅅ → ㄱ → ㄹ → ㄱ] 는 [ㄱ → {ㅐ} → ㄹ → ㄱ] 으로 설명할 수 있고, “개” 가 인식된 이후 드래그 마지막 버튼인 “ㄱ”만이 유효한 버튼으로 인식되고, “ㄹ”은 무효화 되기 때문이다. [ㄱ → ㅅ → ㄱ] 이 [ㄱ → {ㅐ}] 로 인식되고 나면, [ㄱ → ㄹ → ㄱ] 로 하측 드래그하였다가 다시 원래 버튼으로 돌아온 것은 “ㅟ”로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ㄱ → ㅅ → ㄱ → . . . → ㄱ] 로 드래그된 모든 경우에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 . .” 는 16-8(c)에서와 같이 다른 다수의 버튼(문자버튼, 기능버튼 또는 자판스킨 외부 포함)을 거쳐 드래그된 것을 의미한다. To input “gang”, just drag [a → ㅅ → a → c → ㅇ] as shown in Figure 16-8 (a). Starting from the [a] button, being dragged to the [ㅅ] button on the right and then returning to the [a] button is defined as “ㅐ”, so it can be explained as [a → {ㅐ} → c → ㅇ], Since the consonant “ㅇ”, the last button dragged after “dog”, is a valid button, “c” is invalid. The result is that the “gang” is recognized. If you want to input “object”, drag it to [a → ㅅ → a → d → a], as shown in Fig. 16-8 (b). [a → ㅅ → ㄱ → ㄹ → ㄱ] can be described as [a → {ㅐ} → ㄹ → ㄱ], and after “dog” is recognized, only “a”, the last button to drag, is recognized as a valid button, This is because “d” is nullified. After [a → ㅅ → ㄱ] is recognized as [a → {ㅐ}], dragging down to [a → ㄹ → ㄱ] and t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button will not be recognized as “ㅟ”. [a → ㅅ → a → . . . → A] can handle all cases dragged in the same way. “. . .” As in 16-8 (c), means that it is dragged through a number of other buttons (including text buttons, function buttons, or the outside of the keyboard skin).

이상으로 기존의 대표적인 드래그 문자입력기인 삼성전자社 모아키에서 1편 발명의 내용(“초성+중성” 인식된 이후 드래그된 자음버튼 중 드래그 마지막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하고 나머지 자음버튼을 무효화)을 적용하기 위하여 입력로직을 일부 수정하여 적용하고 드래그에 의하여 종성 받침까지 입력할 수 있는 사례를 보였다. 그러나 이 경우도 8개의 모음을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할 수는 있지만 모든 한국어 모음을 일관성있게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지는 못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모든 모음을 일관성있게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며, 또한 종성 받침까지 입력할 수 있는 내용을 설명한다. 1편 발명에서 언급하였듯이 이하의 내용은 모든 다른 문자입력기(예. 삼성전자社 채용 문자입력기, LG전자社 채용 문자입력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편의상 http://www.simplecode.net 에 소개한 출원인의 문자입력기술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As above, Samsung Electronics Moaki, a representative existing drag character input device, applied the contents of the first part of the invention (processing the last button of the dragged consonant buttons as a valid button after “initial consonant + neutral” was recognized and invalidating the remaining consonant buttons) In order to do this, the input logic was partially modified and applied, and an example of inputting up to the final support by dragging was shown. However, even in this case, eight vowels can be input by dragging, but all Korean vowels cannot be input consistently by dragging.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vowels are consistently input by dragging, and contents that can be input even to the final consonant will be described. As mentioned in Part 1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informa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ll other text input devices (e.g., text input devices adopted by Samsung Electronics and text input devices adopted by LG Electronics), but for convenience, http://www.simplecode.net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character input technology of the introduced applicant.

제27장 1편 발명에서 도면15-5(a) 와 도면15-5(b) 가 호환성있는 자판임을 언급하였다. http://www.simplecode.net 사이트에 소개된 “pc용/한손장애우용 문자입력기” 화면인 도면15-6에서도 [ㅏ]버튼의 표시를 “ㆍ” 으로 표시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설치시의 기본 설정은 [ㅏ]버튼을 “ㆍ”으로 표시하는 것(즉, 도면15-5(b))이다. 도면16-9(a)와 도면16-9(b) 역시 조만간 pda용 제품으로 공개될 프로그램의 화면이다. 도면16-9(b) 가 기본설정이나, 도면16-9(a) 자판으로 이하의 내용을 설명하며, 기본적인 버튼조합에의한 모음입력기술은 http://www.simplecode.net 사이트에 소개한 “한글기본2” 를 적용한 것이다. In Chapter 27, Part 1 Invention, it was mentioned that Figures 15-5 (a) and Figure 15-5 (b) are compatible keyboards. In Figure 15-6, which is the “character input device for pc/one-handed handicapped” screen introduced on the http://www.simplecode.net site, an option to set whether to display the [a] button as “ㆍ” is displayed. It is provided, and the basic setting when installing the program is to display the [a] button as “ㆍ” (ie, Figure 15-5 (b)). 16-9(a) and 16-9(b) are also screens of programs to be released as products for pdas in the near future. Figure 16-9 (b) is the basic setting, but the following is explained with the keyboard in Figure 16-9 (a), and the vowel input technology by basic button combination is introduced on the http://www.simplecode.net site This is the application of “Basic Hangeul 2”.

먼저 기존 모아키 방식의 드래그 입력기술에서 자음버튼에서 상/하/좌/우 드래그로 각각 모음 “ㅗ”, “ㅜ”, “ㅓ”, “ㅏ”를 입력하고 있다. 그 결과 약 28%의 사용빈도를 가지는 모음 “ㅡ”와 “ㅣ”는 드래그로는 전혀 입력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했다. 본 발명에서는 드래그에 의한 일관된 입력을 위하여, 그리고 “필기 습관”에 부합하여, 좌에서 우로 드래그하여 모음 “ㅡ”를 입력하는 것이 타당하고, 상에서 하로 드래그하여 모음 “ㅣ”를 입력하는 것이 타당함을 지적한다. 출원인은 모아키제품을 사용해 보면서 이 부분이 가장 의아했다. 좌에서 우로 드래그하면 당연히 “ㅡ”가 함께 입력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상에서 하로 드래그하면 당연히 모음 “ㅣ”가 함께 입력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그것이 직관적으로 우리의 관념에 더 일치하지 않는가 하는 것이었다. 아마도 도면16-3과 도면16-4의 사례를 참고한 탓이 아닌가 짐작된다. 도면16-10(a)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드래그 되면 모음 “ㅡ”가 인식되는 것이다. 즉, [ㄱ → ㄴ] 은 [ㄱ → {ㅡ}] 로 되어 입력된 결과는 “그” 로 인식된다. 우측드래그에 대하여 반드시 버튼이 달라져야 할 필요는 없다. 도면16-10(b) 에서와 같이 같은 버튼내에서라도 “일정 길이”만큼 드래그 되면 그 결과를 “ㅡ”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면16-10(c)에서와 같이, “그”에서 모음 “ㅡ”가 “ㄱ”의 아래에 있으므로, [ㄱ]버튼 아래의 [ㄹ]버튼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어 우측 [ㅁ]버튼으로 드래그되면 “그”로 인식되도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ㄱ]버튼 아래의 [ㄹ]버튼 내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드래그 되면 그 결과를 “그”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도면16-10(a)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다른 경우(16-10(b), (c), (d))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도면16-10(a), (b)는 도면16-10(c), (d)와 동시에 적용될 수는 없으며, 한가지가 선택(개발자가 지정 또는 사용자가 환경설정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면16-10(*)의 도면은 모음 “ㅣ”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모음 “ㅣ”에 대한 설명은 피한다. First of all, in the drag input technology of the existing moaki method, the vowels “ㅗ”, “ㅜ”, “sh”, and “ㄴ” are input by dragging up/down/left/right from the consonant button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vowels “ㅡ” and “ㅣ”, which had a frequency of use of about 28%, could not be entered at all by dragg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ropriate to input the vowel “ㅡ” by dragging from left to right, and to input the vowel “ㅣ” by dragging from top to bottom for consistent input by dragging and in accordance with “writing habits” point out The applicant was most curious about this part while using Moaki products. When dragging from left to right, of course “ㅡ” should be entered together. If you drag from top to bottom, of course the vowel “ㅣ” should be entered together. It was intuitively whether it was more in line with our notions. It is probably due to reference to the examples of drawings 16-3 and 16-4. As shown in Fig. 16-10 (a), when dragged to the right, the vowel “ㅡ” is recognized. That is, [a → b] becomes [a → {ㅡ}], and the input result is recognized as “that”. The butt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fferent for the right drag. As in Fig. 16-10 (b), even within the same button, if dragged as much as “a certain length”, the result can be recognized as an input of “ㅡ”. Also, as in Fig. 16-10 (c), since the vowel “ㅡ” in “that” is below “a”, dragging starts from the [d] button under the [a] button to the right [ㅁ] button. When dragged, it can be recognized as “he”. Similarly, when dragged within the [d] button under the [a] button as much as “a certain length”, the result can be recognized as “tha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Figure 16-10 (a), and of course it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cases (16-10 (b), (c), (d)). However, drawings 16-10 (a) and (b) cannot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drawings 16-10 (c) and (d), and one of them can be selectively applied (designated by the developer or selected by the user in environment settings). It is natural that you can Since the drawing of Fig. 16-10 (*)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ase of the vowel “ㅣ”, the description of the vowel “ㅣ” is avoided.

다음으로 종성을 입력하는 것은 도면16-11(a)에서와 같이 [ㄱ → ㄴ → ㅁ→ ㄹ] 로 드래그하면 [ㄱ → {ㅡ} → ㅁ → ㄹ] 이 되어, “ㅁ”은 무효화되고 드래그 마지막버튼인 “ㄹ”만이 유효한 버튼으로 인식되어 “글”이 인식된다. 마찬가지로 “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면16-11(b) 에서와 같이 [ㄱ → ㄴ → ㅁ → ㄹ → ㄱ] 드래그하면, [ㄱ → {ㅡ} → ㅁ → ㄹ → ㄱ] 이 되어, “ㅁ”, “ㄹ”은 무효화되므로 결과는 “극”이 인식된다. 이는 아래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모음 (예. “ㅏ”)이 입력되는 것으로 하지 않는다면, [ㄱ → ㄴ→ ㄱ] 드래그로 “극”을 입력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16-11(c) 에서와 같이 [ㄱ → ㄴ → (外) → ㄱ] 으로 드래그되었더라도 “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됨은 자명하다. 여기서 “(外)”는 “문자버튼 이외” 또는 “자판 스킨 바깥” 으로 새기면 된다. 드래그 문자입력에 관여하는 문자버튼들 이외의 버튼(예. Space, Enter, Mode, Skin, Back Space, 한자변환) 까지도 상기 “(外)” 로 간주할 수 있다. Next, inputting the last name becomes [a → {ㅡ} → ㅁ → ㄹ] by dragging [a → b → ㅁ → ㄹ] as shown in drawing 16-11 (a), so “ㅁ” is invalid and the drag Only the last button “ㄹ” is recognized as a valid button and “Text” is recognized. Similarly, to input “pole”, drag [a → b → m → d → a] as shown in drawing 16-11 (b), [a → {ㅡ} → m → d → a], and “ㅁ ”, “ㄹ” is invalidated, so the result is recognized as “extreme”. As suggested below, this can be done by inputting “pole” by dragging [a → b → a], unless another vowel (eg “a”) is input. As in Fig. 16-11 (c), it is obvious that even if dragged to [a → b → (outside) → a], “pole” is recognized as input. Here, “(外)” can be engraved as “other than text buttons” or “outside the keyboard skin”. Even buttons other than character buttons involved in drag character input (eg, Space, Enter, Mode, Skin, Back Spac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can be regarded as “(外)”.

다음으로 “ㅗ”, “ㅏ”, “ㅜ”, “ㅓ” 4개의 모음은 그 모음의 형태에 따라 상측으로 드래그했다가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드래그되면 “ㅗ”가 인식되고, 우측으로 드래그했다가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드래그되면 “ㅏ”가 인식되고, 하측으로 드래그했다가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드래그되면 “ㅜ”가 인식되고, 좌측으로 드래그했다가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드래그되면 “ㅓ”가 인식되는 것을 제시한다. Next, the four vowels “ㅗ”, “아”, “ㅜ”, and “sh” were dragged upward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owels, and then dragged to the drag start button again, “ㅗ” was recognized and dragged to the right. When is dragged to the drag start button again, “A” is recognized, and when is dragged downward and then dragged to the drag start button again, “TT” is recognized, and when is dragged to the left and then dragged to the drag start button again, “sh” is displayed. Present what is recognized.

우선 “가”의 경우는 도면 16-12(a)에서 보듯이 “ㄱ”의 우측에 “ㅏ”가 놓여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도면16-12(b)에서와 같이 [ㄱ → ㄴ → ㄱ] 로 우측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가”로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면16-12(c)에서와 같이 굳이 버튼이 바뀌지 않더라도 소정의 길이 만큼 우측으로 이동하였다가 돌아오는 경우도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16-12(b) 의 드래그 형태로 설명하나, 다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도면16-12(b) 에서와 같이 우측버튼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되돌아오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여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ㄱ → ㄴ → “ㄱ”, “ㄴ”을 제외한 모든 자음버튼들... → ㄴ → ㄱ] 으로 드래그된 경우도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구”의 경우도 상기 “가”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면은 별도로 제시하지 않는다. First of all, in the case of “a”, as shown in Fig. 16-12 (a), “a” is placed on the right side of “a”. Therefore, as shown in Fig. 16-12 (b), if it is dragged to the right with [a → b → a] and then dragged again with the drag start button, it will be natural to recognize it as “a”. Similarly, as in Fig. 16-12 (c), even if the button does not change, the case of moving to the righ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returning can be treated in the same way, bu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though explained in the form of a drag,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cases. Here, as shown in Fig. 16-12 (b), it is possible to define all cases where the drag is performed with the right button and then returned to the drag start button. For example, if dragged to [a → b → all consonant buttons except “a”, “b”… → b → a], the same can be done. Since the case of "Gu" is the same as the case of "A" above, drawings are not presented separately.

“거”의 경우는 도면16-13(a)에서 보듯이 “ㄱ”의 좌측에 “ㅓ”가 놓여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도면16-13(b)에서 보듯이 “ㄱ”의 우측에 있는 [ㄴ]버튼에서 드래그를 시작하여 “ㅓ” 를 구성하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되돌아도는 것(즉, [ㄴ → ㄱ → ㄴ]) 을 “거”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자들의 드래그 습관을 고려하여, 도면 16-13(c)에서와 같이 단지 모음 “ㅓ”의 형태에 따라 [ㄱ]버튼에서 좌측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다시 [ㄱ]버튼으로 되돌아오는 것(즉, [ㄱ → (外=모드버튼) → ㄱ])을 “거”로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도면16-12(c) 에서와 같이 버튼이 바뀌지 않더라도 동일버튼내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이동하였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도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16-13(b)의 경우는 [ㄴ]버튼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좌측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다시 우측으로 드래그되는 것이고, 도면16-13(c)의 경우는 [ㄱ]버튼 내에서 좌측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우측으로 드래그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16-13(c)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고”의 경우는 “거”의 경우와 동일하다. 일례로 모음 “ㅗ”가 “ㄱ”의 아랫쪽에 있으므로 [ㄱ]버튼의 아랫쪽에 위치한 [ㄹ]버튼을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하여, [ㄹ → ㄱ → ㄹ] 로 드래그 된 것을 “고”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ㄱ]버튼을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하여 [ㄱ → (外=스킨상측) → ㄱ] 으로 그래그하여 “고”를 입력하는 것과 하나의 시스템에서 공존할 수는 없으며, 개발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설정(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따라 한가지만 적용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In the case of “almost”, as shown in Fig. 16-13 (a), “o”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a”. Therefore, as shown in Fig. 16-13 (b), starting dragging from the [b] button on the right side of “a”, dragging in the left direction constituting “o” and then returning to the drag start button (ie, [b → a → b]) can be recognized as “giant”. However, considering the dragging habits of current users, as shown in Figs. 16-13(c), it is dragged from the [a] button to the lef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owel “o” and then returns to the [a] button (that is, , [a → (outside = mode button) → a]) can be recognized as “large”. Of course, as shown in Fig. 16-12(c), even if the button does not change, moving within the same butt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returning again can be processed in the same way.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16-13 (b), it is dragged to the left by a predetermined length within the [b] button and then dragged to the right again, and in the case of Fig. 16-13 (c), the [a] button It is dragged to the left and then dragged to the right again.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13(c). The case of “high” is the same as the case of “almost”. For example, since the vowel “ㅗ” is at the bottom of “ㄱ”, the [d] butt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 button is used as the drag start button, and the dragged [d → a → d] is treated as “high” You will be able to. However, this cannot coexist in one system with inputting “high” by dragging the [a] button as the drag start button [a → (outside = upper side of the skin) → a], and the developer’s choice or user It is obvious that only one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if the user is allowed to select).

상기 “ㅗ”, “ㅏ”, “ㅜ”, “ㅓ”의 입력에 있어서, 같은 버튼내에서(또는 버튼 밖으로의 드래그에서도 적용 가능) 소정의 거리만큼 드래그 되었다가 다시 돌아왔을 때, 우측방향으로 진행했던 것인지, 하측 방향으로 진행했던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ㅡ”와 “ㅣ”의 입력사례 설명에서 드래그 시작점의 좌표에서 최대로 드래그된 지점의 좌표의 dX, dY 그리고 dX, dY 값이 어느쪽이 더 크고 작은지를 가지고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판단하는 시점은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진입했을 때 또는 드래그 시작 지점에 가장 근접했을 때로 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X축 방향의 편차인 dX 가 소정의 거리(또는 길이. 프로그램상에서는 픽셀의 갯수 정도로 표현될 것)이내이고, dY 가 소정의 거리 이상이면서 dY가 양수이면 우측방향의 드래그로 인식될 수 있다. 다른 경우도 유사하며, 어려운 사항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방향(예. 우측)으로의 드래그를 판단하는 것은 대표적으로 드래그된 버튼이 변화(예. [ㄱ → ㄴ])된 경우를 가지고 설명한다고 하였으나, 사용자 입장에서도 소정의 길이로 판단하는 것보다는 명백히 드래그된 버튼의 변화를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입력오류를 확실히 줄일 수 있는 좋은 접근방법이다. (같은 버튼내에서 또는 다른 버튼으로 드래그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드래그된 길이의 소정의 길이변화로 판단한다면, 사용자입장에서는 충분히 드래그로 인식될 것으로 생각하고 드래그했는데, 시스템에서는 드래그되지 않고 단순히 클릭(또는 터치)로 판단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왕에 격자형태로 구획된 스크린자판상에서 버튼의 변화 (예. [ㄱ → ㄴ])라는 규칙을 적용하면, 사용자입장에서도 분명하게 인지하고 분명하게 드래그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오류의 가능성을 그 만큼 줄여준다. 도면16-9(*)의 자판 스킨디자인 역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디자인된 것이다. 12개의 문자입력버튼이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가장 말단에 있는 버튼(예. [ㄱ], [ㄷ], [ㅡ], [ㅣ] 버튼)에서도 상하좌우 드래그시 버튼내에서만 드래그할 필요없이 사용자입장에서도 확실하게 버튼외부로 드래그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input of “ㅗ”, “ㄴ”, “ㅜ”, and “sh”, when dragged within the same button (or applicable to dragging outside the butt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returned, rightwar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put cases of “ㅡ” and “ㅣ”,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process has been carried out or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based on the dX, dY and dX, dY values of the coordinates of the maximum dragged point from the coordinates of the drag start point. You can easily judge which one is larger and which is smaller. The time of judgment may be when the drag start button is entered or when it is closest to the drag start point. As a simple example, if dX, the deviation in the X-axis direc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ngth. In the program, it will be expressed as the number of pixels), and d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Y is a positive number, it can be recognized as a drag in the right direction. . The other cases are similar, and since they are not difficult, detailed descriptions are not made.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said that determining a drag in a certain direction (eg, right) is typically described with a case where the dragged button changes (eg, [a → b]), but eve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 predetermined Rather than judging by the length, judging by the change of the obviously dragged button is a good approach that can definitely reduce input errors. If it is judged by the predetermined length change of the dragged length (including the case of being dragged within the same button or with another button), the user thought that it would be sufficiently recognized as a drag and dragged, but in the system, it is not dragged and simply clicked ( or touch), but if you apply the rule of button change (eg [a → b]) on a screen keyboard partitioned in a grid, you can clearly recognize and drag clearl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is reduces the possibility of errors by that much. The keyboard skin design of Figure 16-9 (*) is also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s 12 character input buttons are located in the center, the user can enter without having to drag only within the button when dragging up, down, left, or right even on the most distal button (e.g. [a], [c], [ㅡ], [ㅣ] button) You can definitely drag it outside the button in .

도면16-14(a)에서 보듯이 “갸” 에서 모음 “ㅑ”는 자음 옆에 늘어서는 형상이다. 따라서 그 형태에 부합하여 도면16-14(b)에서 보듯이 좌에서 우로 그래그 되었다가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다시 돌아오고, 다시 한번 더 좌에서 우로 드래그 되었다가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이 타당하다. 도면16-14(b)에서 [ㄱ → ㄴ → ㄱ → ㄴ → ㄱ] 으로 드래그 되었는데, 이를 중괄호 형식을 빌어 표현하면 [ㄱ → {ㅑ}] 로 표현할 수 있다.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 되었다가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다시 돌아도는 것(모음 “ㅏ”의 입력)을 2번 하는데, “ㅏ”를 연속 2번 입력한 것이 “ㅑ”로 인식되는 것으로 연상할 수 있다. 이를 표현하면 [ㄱ → ㄴ → ㄱ → ㄴ → ㄱ] = [ㄱ → {ㅏ+ㅏ}] = [ㄱ → {ㅑ}] 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또한 [ㄱ → ㄴ → ㄷ → ㄴ→ ㄱ → ㄴ → ㄱ] 로 드래그 되었어도 동일한데, 첫번째 드래그가 [ㄷ]버튼까지 갔다가 드래그 시작버튼인 [ㄱ]버튼으로 돌아온 경우도 “ㅏ” 를 입력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마찬가지로 [ㄱ → ㄴ → ㄷ → ㄴ→ ㄱ → ㄴ → ㄱ] = [ㄱ → {ㅏ+ㅏ}] = [ㄱ → {ㅑ}] 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규”의 경우는 상기 “갸”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ure 16-14 (a), the vowel “ㅑ” in “gyah” is a shape that is lined up next to a consonant.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as shown in Figure 16-14 (b), it is reasonable to drag from left to right and then return to the drag start button, and then drag from left to right again and then return to the drag start button. . It was dragged to [a → b → a → b → a] in Fig. 16-14 (b), which can be expressed as [a → {ㅑ}] in the form of braces. Alternatively, it can be associated with being dragged to the right and then returning to the drag start button twice (input of the vowel “a”), and inputting “a” twice in succession is recognized as “ㅑ”. This can be expressed as [a → b → a → b → a] = [a → {a+a}] = [a → {ㅑ}]. Also, it is the same even if it is dragged with [a → b → c → b→ a → b → a], but if the first drag goes to the [c] button and returns to the drag start button [a] button, “a” can be entered. Since it is said that there is, it can be thought like [a → b → c → b→ a → b → a] = [a → {a+a}] = [a → {ㅑ}]. The case of “Kyu” is the same as the case of “Gya”, so no further explanation is given.

“겨”의 경우는 [상기 “가”의 설명 : 상기 “거”의 설명 = 상기 “갸”의 설명 : “겨”의 설명] 으로 대응되므로, 역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다만 모음 “ㅕ”가 자음 “ㄱ”의 우측에 배치되므로, 도면16-13(b)의 “거” 입력사례에서와 같이 [ㄱ]버튼의 우측버튼인 [ㄴ]버튼을 드래그시작버튼으로 하여 [ㄴ → ㄱ → ㄴ → ㄱ → ㄴ] 와 같이 드래그하는 것으로 “겨”를 정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 [ㄱ]버튼을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하여 좌측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을 2번 한다면, [ㄱ → (外=모드) → ㄱ → (外=모드) → ㄱ] 과 같이 드래그될 수 있다. 이는 [ㄱ → {ㅓ+ㅓ}] = [ㄱ → {ㅕ}] 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도면16-13(b)가 도면 16-13(c)와 하나의 시스템에서 공존할 수 없는 것과 같이 프로그래머의 구현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한가지로 정하여 사용되면 된다. 도면은 별도로 첨부하지 않으며, “교”의 경우는 “겨”의 경우와 동일하다. In the case of “braff”, it corresponds to [description of “a” above: explanation of “major” above = description of “gyya”: explanation of “braff”], so detailed description is not provided either. However, since the vowel “ㅕ” is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sonant “a”, as in the case of inputting “something” in Fig. 16-13 (b), the [b] button, which is the right button of the [a] button, is used as the drag start button You can also define “chaff” by dragging like [b → a → b → a → b]. If you use the [a] button as the drag start button and drag it to the left and then return it twice, it can be dragged like [a → (outside = mode) → a → (outside = mode) → a].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 {sh+sh}] = [a → {ㅕ}]. However, as Fig. 16-13(b) cannot coexist with Fig. 16-13(c) in one system, it is only necessary to determine and use one according to the programmer's implementation or the user's setting. The drawing is not attached separately, and the case of “bran” is the same as that of “bran”.

이상에서 약 28%의 사용빈도를 갖는 “ㅡ”, “ㅣ”의 2개 모음과, 약 50% 정도의 사용빈도를 갖는 “ㅗ”, “ㅏ”, “ㅜ”, “ㅓ” 4개 모음과 약 7%정도의 사용빈도를 갖는 “ㅛ”, “ㅑ”, “ㅠ”, “ㅕ” 4개 모음 모두를 합하여 약 84%의 사용빈도를 갖는 10개 모음을 일관된 방식의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을 보였다. 편의상 이하에서 이러한 모음 입력방식을 1편 발명에서의 드래그 모음입력기술과 대비하여 “방향성 드래그” 또는 “방향성 드래그에 의한 모음입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정의의 드래그에 의한 입력규칙이 연속된 드래그로 모음을 조합할 때 갖는 의미를 설명한다. 종성 받침까지 연속된 드래그로 입력하는 것은 상기 모아키에 1편 발명을 적용한 사례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2편 발명은 1편 발명의 내용과 함께 하나의 시스템에서 동시에 공존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의미를 가진다. From the above, the two vowels “ㅡ” and “ㅣ” have a frequency of use of about 28%, and the four vowels “ㅗ”, “a”, “TT” and “sh” have a frequency of use of about 50%. and “ㅛ”, “ㅑ”, “ㅠ”, and “ㅕ” four vowels with a frequency of use of about 7%, and input 10 vowels with a frequency of use of about 84% by dragging in a consistent manner seemed to do For convenience, hereinafter, this vowel input method will be referred to as “directional drag” or “vowel input by directional drag” in contrast to the drag vowel input technology in Part 1 of the invention. Next, the meaning of the input rule by dragging of the above definition when combining vowels by continuous dragging will be explained. Inputting with continuous drag until the final support can refer to the case of applying the invention of Part 1 to the Moaki. In addition, this Part 2 invention has the meaning that it can coexist and be used in one system together with the contents of Part 1 invention.

먼저 상기 “ㅗ”, “ㅏ”, “ㅜ”, “ㅓ”의 입력에 있어서, 종성 받침까지 연속된 드래그로 입력하는 것을 보인다. 만약 모아키에서와 같이 우측방향의 드래그로 “ㅏ”를 입력한다면 [ㄱ → ㄴ → ㄷ → ㅂ → ㅈ → ㅣ] 로 드래그 되었을 때, [ㄱ → {ㅏ} → 무효화버튼들... → ㅣ] 로 볼 수 있는데, [ㄱ]버튼에서 우측 방향의 [ㄴ]버튼으로 드래그한 것이 “ㄱ”과 함께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ㄱ+ㅡ = 그”를 연속된 드래그(1편 발명 참조)로 입력하기 위하여 [ㅡ] 버튼으로의 드래그를 위하여 진행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편의상 이렇게 한쪽 방향의 드래그에 의하여 인식되는 모음(예. {ㅏ})을 “암시적 드래그된 모음” 이라고 부르고, 연속된 드래그에 의하여 인식되는 모음(예 “ㅡ”)을 “명시적 드래그된 모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First of all, in the input of “ㅗ”, “아”, “ㅜ”, and “sh”, it is shown that the input is performed by continuous dragging to the final support. If you type “a” by dragging in the right direction as in Moaki, when dragged [a → b → c → f → ㅣ → ㅣ], [a → {a} → invalidate buttons... → ㅣ] , it can be seen that dragging from the [a] button to the [b] button in the right direction was for inputting the vowel “a” together with “a” or “a + ㅡ = that” was dragged continuously (1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 was performed for dragging to the [ㅡ] button in order to input by referring to the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vowels recognized by dragging in one direction (eg {A}) are called “implicit dragged vowels”, and the vowels recognized by continuous dragging (eg “ㅡ”) are called “explicit dragged vowels”. Let's call it ”. The solution would be something like this:

(A) 암시적 드래그된 모음과 명시적 드래그된 모음이 결합할 수 있는 경우 모두를 동시에 인정하거나, (A) simultaneously admit both implicit and explicit dragged collections if they are combinable;

(B) 암시적 드래그된 모음과 명시적 드래그된 모음이 결합할 수 없는 경우 명시적 드래그된 모음만을 인정하거나, (B) if the implicit and explicit dragged collections cannot be combined, only the explicit dragged collections are recognized;

(C) 명시적 드래그된 모음이 있는 경우는 항상 암시적 드래그된 모음은 인정하지 않고, 명시적 드래그된 모음만 인정하는 것(C) To disregard implicit dragged collections whenever there is an explicit dragged collection, and only accept explicit dragged collections.

. . . . . . . . . . . . . .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A) 를 적용하면 [ㄱ → {ㅏ} + ㅣ] 가 모두 인정되어 결과는 “개”로 될 것이다. 명시적 드래그된 모음이 “ㅡ” 였다면 [ㄱ → {ㅏ} + ㅡ] 로 되는데, “{ㅏ}+ㅡ” 를 어떤 모음으로 정의하지 않고 있다면, “그”가 인식될 것이다. (상기 (B)) 본 발명의 사례에서 제시한 기본 문자입력기술(http://www.simplecode.net 에서 “한글기본2”) 에서는 “ㅏ+ㅡ = ㅗ”로 정의하고 있지만, 이는 [ㆍ]버튼으로도 표기할 수 있는 [ㅏ]버튼과 [ㅡ]버튼이 결합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고, 암시적 드래그된 모음인 {ㅏ} 와 명시적 드래그된 모음인 “ㅡ”의 결합을 “ㅗ”로 인정할지 말지의 문제는 별개의 사안이다. etc. may be present. If the above (A) is applied, all [a → {a} + ㅣ] will be recognized and the result will be “dog”. If the explicitly dragged vowel was “ㅡ”, it becomes [a → {A} + ㅡ], but if “{A}+ㅡ” is not defined as any vowel, “that” will be recognized. (Above (B)) In the basic character input technology present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 Hangeul 2” at http://www.simplecode.net), it is defined as “a + ㅡ = ㅗ”, but this is [ㆍ It is applied when the [A] button and the [ㅡ] button, which can also be expressed as the ] button, are combined, and the combination of the implicit dragged vowel {a} and the explicit dragged vowel “ㅡ” is “ㅗ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o admit it as a ” is a separate issue.

상기에서 간단히 살펴보았듯이, 한쪽 방향의 드래그에 의한 모음의 입력은 연속된 드래그에 의하여 다른 모음을 조합할 때, 조금 복잡한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사례에서는 모음버튼이 자음버튼의 아랫쪽에 자리하고 있지만, 자판의 형태는 삼성전자사의 자판처럼 모음버튼이 자음버튼의 윗쪽에 있을 수도 있고, LG전자사의 자판처럼 모음버튼이 자음버튼의 오른쪽에 있을 수도 있고, 다른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인다. 본 발명에서는 “ㅡ”와 “ㅣ” 만을 일방향의 드래그 입력으로 정의하였고, 이 경우에는 상기 (A), (B), 또는 (C)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ㄱ → ㄴ → 자음버튼들... → ㅣ] 로 드래그 되면 [ㄱ → {ㅡ} → ㅣ] = “긔”로 인식될 것이다. As briefly reviewed above, the input of vowels by dragging in one direction causes a slightly complicated problem when combining other vowels by continuous dragging.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wel button is located below the consonant button, but in the form of the keyboard, the vowel button may be above the consonant button like the keyboard of Samsung Electronics, and the vowel button is to the right of the consonant button like the keyboard of LG Electronics. It may be in, and other various forms will be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ㅡ” and “ㅣ” are defined as one-way drag inputs, and in this case, the above (A), (B), or (C) may be applied. For example, if dragged to [a → b → consonant buttons... → ㅣ], it will be recognized as [a → {ㅡ} → ㅣ] = “gui”.

그런데 본 발명에서 암시적 드래그된 “ㅏ”를 입력하는 방법을 한쪽 방향의 드래그가 아닌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한쪽 방향의 드래그에서는 “암시적 드래그된 모음” 이었지만, 다시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돌아오는 과정으로 인해 “ㅏ” 모음이 명시적으로 인식(명시化)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ㄱ → ㄴ → ㄱ → 자음버튼들... → ㅣ] 로 드래그되었다면, “ㄱ → ㄴ → ㄱ”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모음 “ㅏ”를 입력한다는 것이 명확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결과는 [ㄱ → {ㅏ=명시化} → ㅣ] 가 되여 “개”가 인식될 것이다. 1편 발명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연속 드래그에 의하여 “기”를 입력하기를 원했다면 [ㄱ → 자음버튼들... → ㅣ] 드래그 했어야 하며, [ㄱ]버튼에서 [ㄴ]버튼으로 드래그했다가 다시 [ㄱ]버튼으로 되돌아올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즉 드래그 시작버튼으로 되돌아오는 드래그에 의하여 방향성 드래그에 의한 모음입력의 암시성을 제거해 주는 의미가 있으며, 연속드래그에 의하여 결합가능한 모음을 결합해 나갈 수 있어, 끊어지지 않는 한번의 드래그로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ㄱ → (外=상측) → ㄱ → 자음버튼들... → ㅏ] = [ㄱ → {ㅏ=명시化} → ㅏ] 가 되어 결과은 “과”가 인식된다. [ㄱ → (外=상측) → ㄱ → 자음버튼들... → ㅏ → ㅣ] = [ㄱ → {ㅏ=명시化} → ㅏ → ㅣ] 는 “괘”가 인식될 것이다. 종성 받침 까지 입력하는 사례를 보인다면, [ㄱ → (外=상측) → ㄱ → 자음버튼들... → ㅏ → (자음버튼들...) → ㅇ] = [ㄱ → {ㅏ=명시化} → ㅏ → → ㅇ] 가 되어 결과은 “광” 이 인식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ㅗ”, “ㅏ”, “ㅓ”, “ㅜ” 입력은 1편 발명의 내용과 결합하여 연속 드래그에 의하여 모은 모음을 입력할 수 있고 더불어 종성 받침까지 연속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가 있다. (약 50%의 사용빈도를 갖는 모음에 대해서 암시성 제거=명시化, 연속드래그 가능化) 이는 “ㅛ”, “ㅑ”, “ㅠ”, “ㅕ”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implicitly dragged “A” is defined as returning to the drag start button rather than dragging in one direction. Although it was an “implicit dragged vowel” in one-way dragging, the “A” vowel can be explicitly recognized (specified) due to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drag start button again. For example, if it is dragged to [a → b → a → consonant buttons... → ㅣ], it is clear that the user inputs the vowel “a” through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a → b → a” drag start button you know it's going to happen Therefore, the result will be [a → {a = explicitization} → ㅣ] and “dog” will be recognized. As shown in Part 1 of Invention, if the user wanted to input “ki” by continuous dragging, he should have dragged [a → consonant buttons ... → ㅣ], and dragged from the [a] button to the [b] button and then again This is because there is no reason to return to the [a] button. In other words, by dragging back to the drag start button, it has the meaning of removing the implicitness of vowel input by directional drag, and it is possible to combine vowels that can be combined by continuous dragging, so that all vowels can be input with one uninterrupted drag. You can do it. For example, [a → (outside = upper side) → a → consonant buttons... → a] = [a → {a = explicit} → a], and the result is “and”. [a → (outside = upper side) → a → consonant buttons... → a → ㅣ] = [a → {a = explicitization} → a → ㅣ] will be recognized as a “triangle”. If you see an example of inputting up to the final consonant, [a → (outside = upper side) → a → consonant buttons ... → a → (consonant buttons ...) → ㅇ] = [a → {a = clarification } → A → → ㅇ], and the result is “light”. The “ㅗ”, “a”, “sh”, and “TT” inpu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contents of the first piece of invention to input the collection of vowels by continuous dragging, and input by continuous dragging to the final support It has meaning to make it possible. (Elimination of suggestibility for vowels with a frequency of use of about 50% = explicit, continuous dragging possible) The same can be applied to “ㅛ”, “ㅑ”, “ㅠ”, and “ㅕ”.

우측 드래그로 모음 “ㅡ”를 입력하고, 하측 드래그로 모음 “ㅣ”를 입력하므로 일방향 드래그로는 모음 입력에 단지 가지의 드래그(우측 드래그, 하측 드래그)만이 사용된다. 좌측 드래그는 1편 발명의 도면15-13(a)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 시작버튼에 배치된 평자음(예. “ㄱ”)에 대응되는 격자음 (예. “ㅋ”)을 입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측 드래그는 1편 발명의 도면15-3(b)에 제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 시작버튼에 배치된 평자음(예. “ㄱ”)에 대응되는 경자음(예. “ㄲ”)을 입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면16-3에서 보듯이 상측 드래그는 “Shift+X” 가 입력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기존(Pocket PC 2002, 2003 에뮬레이터에서는 한글 자판에서도 상측 드래그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함)의 사용관념에도 부합한다. 다만 도면15-3(b) 에서 [ㄱ → (外=상측) → ㄱ → ㄹ → ㅅ → ㅡ] 로 드래그 한 것이 “끄” 가 인식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 [ㄱ → (外=상측) → ㄱ] 를 “고”로 정의하였으므로, 이 규칙과의 충돌을 피하고 “끄” 가 인식되려면, 도면16-15(a) 에서와 같이 [ㄱ → (外=상측) → “ㄱ”아닌 다른 자음버튼들... → ㅡ] 으로 드래그 되어야 [ㄱ → {경자음} → ㅡ] = “끄” 가 될 것이다. 도면16-15(b)의 드래그 결과는 “꿍”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례에서 제시한 것처럼 모음버튼이 자음버튼 아랫쪽에 배치된 자판의 경우는 일방향 드래그라 할지라도 상측 드래그는 암시성(혼동)의 우려가 없다. 왜냐하면 임의의 자음버튼에서 드래그를 시작하여 거의 항상 아랫쪽에 있는 모음버튼 쪽으로 드래그가 진행되어야 하나(1편 발명), 상측으로 드래그 되었다는 상측 드래그에 의하여 약속된 무언가(예. 경자음 또는 격자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드래그 한것이 확실하므로 약속된 무언가를 입력하고자 했다는 것을 명시化 해주기 때문이다. Since the vowel “ㅡ” is input with the right drag and the vowel “ㅣ” is input with the lower drag, only the drags (right drag, lower drag) are used for vowel input with one-way drag. As suggested in Figures 15-13 (a) of Part 1 of the invention, the left drag is to input the grid sound (eg “ㅋ”) corresponding to the flat consonant (eg “ㄱ”) placed on the drag start button. can do. Similarly, the upper drag is to input a light consonant (eg, “ㄲ”) corresponding to a flat consonant (eg, “a”) disposed on the drag start button, as shown in Figure 15-3 (b) of Part 1 of the Invention. can be done with As shown in Figure 16-3, the upper drag is defined as “Shift+X” input, so it corresponds to the existing concept of use (in Pocket PC 2002 and 2003 emulators, confirm that the upper drag works even on the Korean keyboard) . However, in Figure 15-3 (b), dragging to [a → (外=upper side) → a → ㄹ → ㅅ → ㅡ] is expressed as “off” being recogniz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 (外= Since upper side) → a] is defined as “high”, to avoid conflict with this rule and to recognize “off”, as shown in Fig. 16-15 (a), [a → (外 = upper side) → not “a” Other consonant buttons... → ㅡ] should be dragged to [a → {light consonant} → ㅡ] = “off”. The result of dragging in Fig. 16-15 (b) will be "Kung". As suggest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keyboard in which the vowel button is placed below the consonant button, even if it is a one-way drag, there is no concern about suggestibility (confusion) in the upper drag. Because dragging should start from an arbitrary consonant button and drag should almost always proceed toward the vowel button at the bottom (Part 1 invention), but something promised by the upper drag (e.g. light consonant or lattice sound) that was dragged upward Because it is clear that you dragged to input, it makes it clear that you wanted to input something that was promised.

상기 방향성드래그와 1편 발명의 내용을 결합한 본 발명의 내용은 예시한 자판처럼 모음버튼이 자판 스킨상에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모아키의 경우처럼 모음버튼이 팝업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bines the directional drag and the contents of the first part of the invention, may have vowel buttons displayed on the keyboard skin as in the example keyboard, but can be similarly applied even when vowel buttons pop up as in the case of Moaki. .

다음으로 종성 받침까지 연속된 드래그로 입력하는 사례는 본 발명에서 모아키에서 1편 발명을 적용하여 종성받침을 입력하는 사례와 유사하므로 몇가지 사례를 통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Next, since the case of inputting the final support by continuous dragging is similar to the case of inputting the final support by applying the first piece of invention in Moaki in the present invention, a few examples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ㄱ → ㄴ → ㄱ] 은 “가”로 인식되므로 “극”을 입력하려면 도면16-16(a)와 같이 [ㄱ → ㄴ] 으로 드래그하여 “그” 가 인식되도록 하고, 다시 [ㄱ]버튼으로 드래그하지 않고 우회하여 드래그 마지막 버튼이 [ㄱ]버튼이 되도록 드래그하면 된다. 다음으로 “그”를 입력하기 위하여 [ㄱ → ㄴ] 으로 드래그하면 “그”가 인식되는데, “근”을 입력하려면, [ㄱ → ㄴ] 드래그후 연속해서 다른 버튼(또는 스킨바깥 포함)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드래그 마지막버튼으로 [ㄴ]버튼이 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면16-16(b)와 같이 할 수 있다. “귿”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ㄱ → ㄴ → ㄷ] 으로 드래그 하면, [ㄱ → {ㅡ} → ㄷ] = “귿”으로 인식된다. 즉 명시적으로 [ㄱ]버튼에서 우측으로 인접버튼인 [ㄴ]버튼까지 드래그하면 우측드래그({ㅡ}) 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First, [a → b → a] is recognized as “a”, so to input “pole”, drag it to [a → b] as shown in Fig. 16-16(a) so that “it” is recognized, and again [a] Instead of dragging with a button, you can detour and drag the last button to become the [a] button. Next, if you drag [a → b] to input “that”, “that” is recognized. To input “root,” drag [a → b] and then use another button (or including outside the skin) in succession. After moving it, make it the [b] button with the last button of dragging. For example, it can be as shown in Fig. 16-16 (b). To input “귿”, simply drag [a → b → c], [a → {ㅡ} → c] = “귿”. That is, if you explicitly drag from the [a] button to the right adjacent button [b] button, it is recognized as a right drag ({ㅡ}).

“간”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면16-17(a) 와 같이 [ㄱ → ㄴ → ㄱ → ㄴ] 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이는 [ㄱ → {ㅏ} → ㄴ] 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각”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면16-17(b)와 같이 [ㄱ → ㄴ → ㄱ]까지 드래그 하여 “가” 가 인식되도록 한 후 다른 버튼(버튼들 또는 스킨외부 포함)으로 옮겼다가 드래그 마지막 버튼으로 [ㄱ]버튼이 되도록 하면 된다. “ㅛ”, “ㅑ”, “ㅠ”, “ㅕ”의 경우도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피한다. In order to input “liver”, drag it to [a → b → a → b] as shown in Fig. 16-17 (a). This is because it can be interpreted as [a → {a} → b]. Likewise, in order to input “Gak”, as shown in Fig. 16-17 (b), drag up to [a → b → a] so that “a” is recognized, move to another button (including buttons or outside the skin), and drag the last The button should be the [a] button. The cases of “ㅛ”, “ㅑ”, “ㅠ”, and “ㅕ” are similar, so a detailed explanation is avoided.

29. 동일한 버튼의 연속눌러짐을 이용한 한국어 자음 입력방법29. Korean consonant input method using continuous pressing of the same button

현재 국내 대기업(예. 삼성전자社)에 의하여 제품화되어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 입력기술은 자음버튼을 반복누름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 "반복선택방법"으로 표현하였고, 문자입력업계에서는 "멀티탭방법"으로 부르고 있다. 편의상 "반복선택방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방식의 단점은 모호성이 있다는 것이다. Currently, the Korean input technology that is commercialized and mainly used by large domestic companies (eg Samsung Electronics) is a method using repeated pressing of consonant button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ressed as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nd in the text input industry, it is called "multi-tap method". For convenience, the term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s used. The downside of this approach is that it is ambiguity.

도면4-* 의 키패드는, "ㄱ"이 배열된 버튼에 "ㅋ", "ㄲ"이 추가로 배열되어 있거나, 물리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더라도 논리적으로 "ㅋ", "ㄲ"이 "ㄱ"이 배열된 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키패드이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삼성전자社의 키패드에서는 "ㄱ"과 "ㅋ"이 하나의 버튼에 배열되어 있고, "ㄲ"은 그 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키패드이다. 본 발명의 도면 4-*의 키패드 또는 현재의 삼성전자社의 키패드에서, 해당 버튼을 1번 누름으로 "ㄱ"이 인식(또는 입력)되고, 2번 누름으로 "ㅋ"이 인식되고, 3번 누름으로 "ㄲ"이 인식되는 경우, "국가"를 입력하면, "구카"로 되는 모호성이 있다고 하였다. In the keypad of Fig. 4-*, "ㅋ" and "ㄲ" are additionally arranged in the buttons where "a" is arranged, or logically "ㅋ" and "ㄲ" are "a" even if they are not physically arranged. It is a keypad associated with an array of buttons. And in the currently used keypad of Samsung Electronics, "a" and "ㅋ" are arranged on one button, and "ㄲ" is a keypad related to that button. In the keypad of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urrent Samsung Electronics keypad, "a" is recognized (or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once, "ㅋ" is recognized by pressing it twice, and "ㅋ"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button three times. It was said that when "ㄲ"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re is an ambiguity that becomes "Kuka" when "country" is entered.

다음에서 반복선택방법의 기본 성질을 정리하고, 편리성을 증진하고 모호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을 제시한다. 이하의 설명은 현재의 유니코드 한글글자를 기준으로 하며, 향후 유니코드로 표현될 수 있는 추가적인 한글글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the basic properties of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are summarized, and a technology that improves convenience and dramatically improves ambiguity is presente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the current Unicode Hangul characters, and can be applied to additional Hangul characters that can be expressed in Unicode in the future.

29.1 반복선택방법의 성질 및 현재의 응용 사례29.1 Characteristics and Current Applications of Iterative Selection Methods

반복선택방법(즉, 멀티탭방법)의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성질은 다음과 같다. N 개의 알파벳이 배열되어 있을 때, 해당 버튼 1번 눌러짐은 첫번째 알파벳이 입력되고, 2번 눌러짐은 2번째 알파벳이 입력되고, 3번째 눌러짐은 3번째 알파벳이 입력되고, ... , N번째 눌러짐은 N번째 알파벳이 입력된다. 어떤 버튼에 대해서 N개의 알파벳이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으면, N번 눌러졌을 때 사이클이 완료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어떤 버튼 2번눌러짐이 2번째 알파벳이 입력된 것인지, 1번째 알파벳이 2번 입력된 것인지 알 수 없는 모호성이 있다. The basic and common properties of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ie, the multi-tap method) are as follows. When N alphabets are arranged, the first alphabet is input when the button is pressed once, the second alphabet is input when the button is pressed twice, the third alphabet is input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ird, ... , For the Nth pressing, the Nth alphabet is input. If N letters are arranged or associated for a button, the cycle is completed when N times are pressed. As mentioned, there is an ambiguity in not knowing which button is pressed twice, whether the second alphabet is input or the first alphabet is input twice.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두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입력상태가 초기화 되도록 하는 응용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버튼이 1번 눌러지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1번째 알파벳이 확정되므로, 다시 한번 더 눌러졌을 때, 1번째 알파벳이 한번 더 입력되는 것이다. In order to resolve this ambiguity, there is an application case in which a timer is set so that the input state is initialized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For example, i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pressed once and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first alphabet is confirmed, so when it is pressed again, the first alphabet is input once more.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또다른 방법은, "순환토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 b c" 3개의 알파벳이 배열되어 있는 버튼을 1번 누르면 "a"가 인식되고, 2번 누르면 "b"가 인식되고, 3번 누르면 "c"가 인식되고, 4번 누르면 순환되어 다시 "a"가 인식되고, 5번 누르면 "b"가 인식된다. 이는 N+1번 눌러졌을 때 다시 1번째 알파벳 하나만이 인식되고, N+2번 눌러졌을 때 다시 2번째 알파벳만이 인식되는 것이다. 이를 편의상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반복선택방법의 공통적인 기본사항만이 적용된다면, 3번 눌러짐에 의하여 "c"가 입력된 다음, 다시 1번 더 눌러지면 이미 입력된 "c" 다음에 "a"가 추가로 입력되는 것이다. 이를 편의상 "기본 반복선택방법" 또는 "비순환식 반복선택방법"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Another method that is being used to overcome ambiguity is "circular toggle". For example, if you press the button with the three letters "a b c" once, "a" is recognized, if you press it twice, it recognizes "b", if you press it three times, it recognizes "c", and if you press it four times, it cycles. “a” is recognized again, and “b” is recognized when pressed 5 times. This means that when N+1 is pressed, only the first alphabet is recognized, and when N+2 is pressed, only the second alphabet is recognized.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 “circular toggle-type iterative selection method”. If only the common basics of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are applied, "c" is input by pressing three times, and then "a" is additionally input after the already entered "c" if pressed one more time. .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 "basic iterative selection method" or a "non-recursive iterative selection method".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Cyclic toggle type repeat selection method

(1번눌러짐) → a → (2번눌러짐) → b → (3번눌러짐) → c (사이클종료)→ (4번눌러짐) → a → (5번눌러짐) → b → (6번눌러짐) → c (사이클종료) → (7번눌러짐) → a → . . . (1 time pressed) → a → (2 times pressed) → b → (3 times pressed) → c (cycle end) → (4 times pressed) → a → (5 times pressed) → b → ( 6 times) → c (end of cycle) → (7 times pressed) → a → . . .

기본 반복선택방법 (비순환식 반복선택방법)Basic repetition selection method (non-recursiv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1번눌러짐) → a → (2번눌러짐) → b → (3번눌러짐) → c (사이클종료)→ (4번눌러짐) → ca → (5번눌러짐) → cb → (6번눌러짐) → cc (사이클종료) → (7번눌러짐) → cca → . . . (1 time pressed) → a → (2 times pressed) → b → (3 times pressed) → c (cycle end) → (4 times pressed) → ca → (5 times pressed) → cb → ( 6 times) → cc (end of cycle) → (7 times pressed) → cca → . . .

상기 기본 반복선택방법과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을 을 좀 더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으로 나타내면 도면17-1과 같다. The basic iterative selection method and the circular toggle-type iterative selection method are illustrated in Fig. 17-1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상기 "(2번눌러짐)" 은 해당 버튼이 "총 2번 눌러짐" 을 의미하는 것으로상기 "(1번눌러짐)"을 포함하여 2번 눌러졌을 경우를 의미함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도면17-1에서도 같다. 상기 예시한 2가지(순환토글식/비순환식 반복선택방법)는 모두 현재 제품에서 보여지고 있는 동작이며, 상기 타이머 동작과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기본 반복선택방법의 동작이 더 맞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으나, 상기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현재 대기업에 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The "(presses twice)"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button is "presses a total of two times", and of course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button is pressed twice, including "(presses once)". This is also the same in Fig. 17-1. The two exemplified above (circular toggle/non-cyclic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re all operations shown in current products, and are sometim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timer operation. The present inventors have a view that the operation of the basic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more appropriate, but the circular toggle method of repeated selection is currently widely used by large companies.

29.2 현재 한국어에서의 응용 사례29.2 Current Application in Korean

한국어에서는 경자음(형태적으로 부를때 "쌍자음"으로도 부름)을 평자음이 배정된 버튼의 2번 눌러짐으로 입력하는 사례가 있다. 이 경우의 동작은 2벌식 한글키보드에서의 오토마타를 개량한 동작으로 역시 큰 흐름에서는 2벌식 동작이다. 우리 한국어에서 정상적인 음절(자모결합글자)의 나열중에 "XY"와 같이 자음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X"가 앞글자의 받침이고 "Y"가 뒷글자의 초성자음인 경우이며, 이하의 예시에서도 연속된 2개의 자음은 앞글자의 받침과 뒷글자의 초성자음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밝힌다. In Korean, there is a case of inputting a hard consonant (also called a "twin consonant" when morphologically called) by pressing the button assigned to the flat consonant twice. The operation in this case is an improved operation of the automata in the double-style Korean keyboard, and is also a double-style operation in a large flow. In Korean, when consonants appear in succession like "XY" among normal syllables (consonants), "X" is the base of the first letter and "Y" i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econd letter. It is also revealed that two consecutive consonants can be interpreted as the support of the first letter and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econd letter.

예를 들어, 최초입력상태에서 "ㄱ"버튼이 한번 눌러지면 "ㄱ"이 입력되고, 한번 더 눌러지면 "ㄲ"이 된다. 여기서 한번 더 눌러지면 "ㄲㄱ" 이 된다. 이는 상기 기본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된 동작이다. 만약 상기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된다면, "ㄲㄱ"이 아닌 "ㄱ"이 될 것이다. 최초입력상태 또는 초성자음입력상태에서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되는 것은 이유가 있어 보이나, 연속된 일련의 입력시에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For example, if the "a" button is pressed once in the initial input state, "a" is input, and if it is pressed once more, "ㄲ" becomes. If you press it once more, it becomes "ㄲㄱ". This is an operation to which the basic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f the circular toggle typ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t will be "a" instead of "ㄲㄱ". There seems to be a reason for the circular toggle method to be applied in the initial input state or initial consonant input state, but it seems undesirable to apply the cycle toggle method in the case of a series of consecutive inputs.

"각" 이 입력된 상태에서 "ㄱ"버튼이 한번 눌러지면 "

Figure pat00176
"이 된다. 이는 "ㄱ"이 이미 입력된 "ㄱ"과 결합하여 "ㄲ"으로 한국어 음절(자모결합글자)를 이룰 수 있으면 한국어 자모결합글자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입력된 "
Figure pat00177
" 다음에 모음(예. "ㅏ")가 입력되면 "각가"가 된다. 이 역시 기존의 2벌식 한글키보드 오토마타(이하 "2벌식 한글오토마타")에서 받침있는 글자 다음에 모음이 입력되면, 앞글자의 받침이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으로 빠져나오는 동작(예. "각" 다음에 "ㅏ"가 입력되면 "가가"로 됨)과 동일하다. 만약 상기 "
Figure pat00178
" 다음에 "ㄱ"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입력된 "ㄱ"이 앞글자와 결합할 수 없으므로 "
Figure pat00179
ㄱ"이 된다. 이 역시 기존의 2벌식 한글오토마타에서 앞글자와 결합할 수 없는 자음이 입력되면,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으로 처리하는 것과 동일하다. 같은 논리로 상기 "
Figure pat00180
ㄱ" 다음에 "ㄱ"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
Figure pat00181
ㄲ"로 된다. 상기 "
Figure pat00182
ㄲ" 다음에 "ㄱ"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기본 반복선택방법 적용시는 "
Figure pat00183
ㄲㄱ"이 되고, 최초입력상태 또는 초성자음입력상태에서는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 적용하면, "
Figure pat00184
ㄱ"이 된다. If "A" button is pressed once in the state where "Gak" is entered, "
Figure pat00176
". This means that if "ㄱ" can be combined with already entered "ㄱ" to form a Korean syllable (consonant combination character) with "ㄲ", it will be processed as a Korean consonant combination character.
Figure pat00177
If a vowel (eg, "a") is entered after ", it becomes "Gakga". This is also the case when a vowel is entered after a supported letter in the existing 2-beol-sik Hangul keyboard automata (hereinafter "2-beol-sik Hangul automata"). I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in which the base of a letter escapes with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eg, if "a" is entered after "gak", it becomes "ga").
Figure pat00178
" Next, if the "a" button is pressed once more, the entered "a" cannot be combined with the preceding letter, so "
Figure pat00179
This is also the same as processing it a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if a consonant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preceding letter is input in the existing two-beol type Hangul automata.
Figure pat00180
If the "a" button is pressed one more time after "a"
Figure pat00181
ㄲ". The above "
Figure pat00182
If the "a" button is pressed one more time after "ㄲ", when applying the basic repetition selection method, "
Figure pat00183
ㄲㄱ", and in the initial input state or initial consonant input state, if the circular toggle repeat selection method is applied, "
Figure pat00184
becomes "a".

기본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된 경우를 상기 그래프 형태로 정리하면, "ㄱ"이 배정된 "ㄱ"버튼에 "ㄲ"이 2번째 알파벳으로 배정되어 있거나 연관되어 있을 때, Summarizing the case where the basic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n the form of the graph above, when "ㄲ" is assigned as the second alphabet or related to the "a" button to which "a" is assigned,

(1번눌러짐) → ㄱ → (2번눌러짐) → ㄲ → (3번눌러짐) → ㄲㄱ → (4번눌러짐) → ㄲㄲ → (5번눌러짐) → ㄲㄲㄱ → . . . (Pressed 1 time) → ㄱ → (Pressed 2 times) → ㄲ → (Pressed 3 times) → ㄲㄱ → (Pressed 4 times) → ㄲㄲ → (Pressed 5 times) → ㄲㄲㄱ → . . .

단, 초성자음상태에서는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5번 눌러짐으로 "ㄲㄱ" (상기 "

Figure pat00185
ㄲㄱ" 사례) 이 아닌, "ㄱ" (상기 "
Figure pat00186
ㄱ" 사례) 이 되도록 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initial consonant state, the circular toggle repeat selection method is applied, so that "ㄲㄱ" (above "
Figure pat00185
ㄲㄱ case), not "ㄱ" (above "a")
Figure pat00186
A" case) can be made.

29.3 선출원의 개선 및 한국어 자음 입력에의 최적화29.3 Improvement of Prior Application and Optimization for Korean Consonant Input

우리나라 사람들이 누구나 알고 있는 현대 한국어 자음의 기본적인 체계는 다음과 같다. The basic system of modern Korean consonants that everyone in Korea knows is as follows.

Figure pat00187
Figure pat00187

평자음 "ㄱ", 경자음 "ㄲ", 격자음 "ㅋ"은 발음과 형태상으로 강한 유사성을가지는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있다. 격자음 "ㅋ"은 "ㄱ"을 상하로 늘어놓은 형태이고, 경자음 "ㄲ"은 "ㄱ"을 좌우로 늘어놓은 형태이다. "ㅍ"과 "ㅊ" 역시 대응되는 평자음 "ㅂ"과 "ㅈ"에 대하여 각각 강한 형태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나, "ㅃ"과 "ㅉ" 이 "ㅂ"과 "ㅈ"에 대하여 각각 가지고 있는 형태적 연관성보다 조금 약하다. The flat consonant "ㄱ", the hard consonant "ㄲ", and the grating consonant "ㅋ" form a group that has a strong similarity in pronunciation and form. The lattice sound "ㅋ" is a form of "ㄱ" arranged vertically, and the hard consonant sound "ㄲ" is a form of "ㄱ" arranged left and right. "P" and "C" also have strong morphological associations with the corresponding flat consonants "ㅅ" and "ㅅ", respectively, but "ㅃ" and "ㅃ" have a Slightly weaker than the morphological association.

이하에서 "ㄱ", "ㄲ", "ㅋ"에 대하여 예시하는 것은, 다른 평자음(예. "ㄷ"), 다른 격자음(예. "ㅌ"), 다른 경자음(예. "ㄸ")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Examples of "ㄱ", "ㄲ", and "ㅋ" below include other plain consonants (eg "ㄴ"), other grid sounds (eg "ℓ"), and other hard consonants (eg "ㄸ"). ) can be applied in the same way.

현재 삼성전자社의 한국어 입력기술에서와 같이 "ㄱ"버튼 2번 눌러짐으로 "ㅋ"을 입력하는 경우는 "국가"를 입력하면, "구카"로 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사례에서와 같이 "ㄱ"버튼 2번 눌러짐으로 "ㄲ"을 입력하는 경우는 "국가"를 입력하는 것이 "구까"로 되지는 않는다. 또한 지적한대로 경자음이 격자음보다 형태적인 면에서 대응되는 평자음과 더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출원인이 4-*의 키패드에서 보인 것과 같이 경자음과 격자음을 대표할 수 있는 평자음만을 버튼에 배열함으로써, 간결한 키패드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inputting "ㅋ"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as in the current Korean input technology of Samsung Electronics, the phenomenon of "gukka" cannot be avoided when entering "country". However, as in the case above, when "ㄲ" is input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inputting "country" does not become "gukka". Also, as pointed out, hard consonants have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flat consonants than lattice consonants. In addition, as shown in the keypad of 4-* by the applicant, a concise keypad can be configured by arranging only flat consonants that can represent light consonants and grid sounds on buttons.

출원인이 제시했던 "3+타 입력방법" 에서 "ㄱ"버튼 한번 눌러짐으로 "ㄱ"이 인식되고, 2번 눌러짐으로 "ㄱ"이 한번 더 인식되고, 3번 눌러짐으로 "ㅋ"이 인식되고, 4번 눌러짐으로 "ㄲ"이 인식되는 사례가 있었다. "ㄱ"버튼 4번 눌러짐까지가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하나의 자소인 "ㄲ"을 입력하기 위하여 4번 연속 눌러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시한 바와 같이, "ㄱ"버튼이 2번 눌러졌을 때, 2벌식 한글오토마타에 의하여 때로는 "ㄲ"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ㄱㄱ"이 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즉, 경우에 따라 "ㄲ"을 입력하기 위하여 "ㄱ"버튼을 4번까지 누르지 않더라도 2번만 누르고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In the "3+ other input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a"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a" button once, "a" is recognized once more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and "ㅋ"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a" button three times. Recognized, there was a case where "ㄲ" was recognized by pressing 4 times. Until the "a" button is pressed 4 times, one cycle is formed. To input one character element "ㄲ", it must be pressed 4 times in succession. However, as suggested above, it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sometimes it becomes "ㄲ" and sometimes it becomes "ㄱㄱ" by the 2-beol type Hangul automata. That is, in some cases, even if you do not press the "a" button up to 4 times to input "ㄲ", it is possible to press only 2 times.

"ㄱ"과 "ㄲ"(2번눌러짐에 의한)이 연속하여 나오거나 "ㄲ" (2번눌러짐에 의한)과 "ㄱ"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ㄱㄲ", "ㄲㄱ", "ㅋ"이 모두 같은 입력값을 가지므로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떡

Figure pat00188
기"의 "
Figure pat00189
기" 에서 "ㄲ"과 "ㄱ"이 연속하여 나온다. 기본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떡
Figure pat00190
기"를 입려하면 "떡보키"로 될 것이다. "
Figure pat00191
기"가 입력되는 과정을 보면, "복" → "
Figure pat00192
" → "
Figure pat00193
" → "보키" 와 같이 될 것이다. 이는 "ㄱ"버튼을 2번 누른 것이 절대적으로 "ㄲ"이 되는 것이 아니라 2벌식 한글오토마타에 의하여 때로는 "ㄲ" (예. "
Figure pat00194
")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ㄱㄱ" (예. "복기")이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
Figure pat00195
기"에서와 같이 "ㄲㄱ"이 연속하여 나오거나("ㄲ"받침 다음 "ㄱ"초성자음), "ㄱㄲ"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ㄱ"받침 다음 "ㄲ"초성)는 "극히" 드물다. "ㄲㄱ"와 같이 "받침+초성자음"이 나오는 경우는 0.013% 이고, "ㄱㄲ"과 같이 "받침+초성자음"이 나오는 경우는 0.038% 이다. 다른 평자음(예. "ㄷ")과 경자음(예. "ㄸ")의 경우도 유사하므로, 사실상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다. If "a" and "ㄲ" (by pressing twice) appear in succession, or "ㄲ" (by pressing twice) and "a" appear in succession, "ㄱㄲ", "ㄲㄱ", "ㅋ" has the same input value, so there may be ambiguity. For example, "rice cake
Figure pat00188
of "ki"
Figure pat00189
"ㄲ" and "ㄱ" appear in succession in "ki". By applying the basic repetitive selection method, "tteok"
Figure pat00190
If you try to wear "ki", you will become "tteokboki"."
Figure pat00191
If you look at the process of inputting "ki", "bok" → "
Figure pat00192
" → "
Figure pat00193
" → "vokey". This means that pressing the "a" button twice does not absolutely become "ㄲ", but sometimes "ㄲ" (eg "
Figure pat00194
"), and sometimes it becomes "ㄱㄱ" (eg "revival"). However, "
Figure pat00195
As in "ki", it is "extremely" rare for "ㄲㄱ" to appear consecutively ("ㄲ" ending followed by "ㄱ" initial consonant) or "ㄱㄲ" to appear consecutively ("ㄱ" ending followed by "ㄲ" initial consonant). 0.013% of cases in which "support + initial consonant" occurs, such as "ㄲㄱ", and 0.038% in the case of "support + initial consonant", such as "ㄱㄲ". The case of hard consonants (eg "ㄸ") is similar, so it is practically negligible.

또한 4번 누름에 의하여 "ㄲ"이 입력되는 기술이 적용되므로, 의 "

Figure pat00196
기"의 "ㄲ"을 "ㄱ"버튼 4번 눌러짐으로 입력하면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다. 이 역우, 기본 반복선택방법으로 "
Figure pat00197
기"가 입력되는 과정을 보면, "복" → "
Figure pat00198
" → "
Figure pat00199
" → "
Figure pat00200
" → "
Figure pat00201
ㄱ" → "
Figure pat00202
기" 가 된다. "ㄱ"버튼 2번 누름에 의한 "ㄲ"은 다음 입력(예. 모음입력)에 따라 "ㄱㄱ"으로 될 수 있지만, "ㄱ"버튼 4번 눌러짐이 항상 "ㄲ"이 되므로 "
Figure pat00203
기"의 경우는 모호성없는 입력이 가능하다. "오뚜기"의 경우도 "ㄷ"버튼 2번 눌러짐으로 "ㄸ"을 입력하면, "
Figure pat00204
두기"와 같이 된다. 즉, "오뚜기=
Figure pat00205
두기"인 모호성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ㄷ"버튼 4번 눌러짐으로 "ㄸ"을 입력하면 모호성없이 "오뚜기"로 올바르게 입력할 수 있다. "오뚜기"를 입력하기 위하여 "ㄷ"버튼을 눌러 "오ㄸ"을 입력하는 과정과 "가까이"를 입력하기 위하여 "
Figure pat00206
"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모음 "ㅜ" 및 "ㅏ"의 입력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입력기술 또는 다른 어떠한 모음입력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유사한 경우에서도 같다.In addition, since the technology in which "ㄲ" is input by pressing 4 times is applied,
Figure pat00196
If you enter "ㄲ" of "Gi" by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you can enter it without ambiguity.
Figure pat00197
If you look at the process of inputting "ki", "bok" → "
Figure pat00198
" → "
Figure pat00199
" → "
Figure pat00200
" → "
Figure pat00201
a" → "
Figure pat00202
"ㄲ"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can become "ㄱㄱ" according to the next input (eg vowel input), but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always results in "ㄲ" so "
Figure pat00203
In the case of "Ottogi", input without ambiguity is possible. In the case of "Ottogi", if you enter "ㄸ" by pressing the "c" button twice,
Figure pat00204
It becomes like "Doogi". In other words, "Ottogi =
Figure pat00205
However, if "ㄸ" is entered by pressing the "c" button 4 times, "Ottogi" can be entered correctly without ambiguity. To enter "Ottogi", press the "c" button to " The process of entering "oh" and "near" to enter "
Figure pat00206
The process of inputting " is as follows. The vowel input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any other vowel input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the input of the vowels "TT" and "A" below, and the same applies in similar cases below.

오 →

Figure pat00207
Figure pat00208
ㄷ →
Figure pat00209
→ 오ㄸ →("ㅜ"입력)→ 오뚜Oh →
Figure pat00207
Figure pat00208
c →
Figure pat00209
→ Oh ㄸ → (Enter "TT") → Odu

가 → 각 →

Figure pat00210
Figure pat00211
Figure pat00212
→("ㅏ"입력)→ 가까Go → Gak →
Figure pat00210
Figure pat00211
Figure pat00212
→(enter "a")→ close

"ㄱ"버튼 2번 누름에 의하여 입력된 "

Figure pat00213
" 다음에 "ㅏ"가 입력되면 "각가"가 되지만, "ㄱ"버튼 4번 누름은 항상 절대적으로 "ㄲ"이 된다고 하였으므로, "ㄱ"버튼 4번 누름 다음에 "ㅏ"가 입력되면 "가까"가 된다. "Entered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Figure pat00213
If "a" is entered after ", it becomes "gagga", but it is said that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is always absolutely "ㄲ", so if "a" is entered after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near""It becomes

이렇게 "ㄱ"버튼 4번 눌러짐으로 "ㄲ"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ㄱㅋ", "ㅋㄱ", "ㄲ"은 모두 같은 입력값을 가지므로, 모호성이 있게된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에서 이러한 경우는 역시 "극히" 드물다. "ㄱㅋ"과 같이 "받침+초성자음"이 나오는 경우는 0.013%이고, "ㅋㄱ"과 같이 "받침+초성자음"이 나오는 경우는 0% 로 조사되어 있다. 다른 평자음(예. "ㄷ")과 격자음(예. "ㅌ")의 경우도 유사하므로, 사실상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다. Even when "ㄲ" is input by pressing the "a" button four times, there is ambiguity because "ㄱㅋ", "ㅋㄱ", and "ㄲ" have the same input value. But in practice, in our words, this case is also "extremely" rare. The case of "support + initial consonant" such as "ㄱㅋ" is 0.013%, and the case of "support + initial consonant" such as "ㅋㅋ" is investigated as 0%. Other flat consonants (eg "c") and lattice consonants (eg "t") are similar, so they are virtually negligible.

기본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ㄱ"버튼이 연속하여 눌러졌을 때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he change when the "a"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by applying the basic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s follows.

ㄱ → ㄲ or ㄱㄱ → ㅋ → ㄲ (사이클 종료) → ㄲㄱ → ㄲㄱㄱ or ㄲㄲ → ㄲㅋ → ㄲㄲ (사이클 종료) → ㄲㄲㄱ → . . .ㄱ → ㄲ or ㄱㄱ → ㅋ → ㄲ (end of cycle) → ㄲㄱ → ㄲㄱㄱ or ㄲㄲ → ㄲㅋ → ㄲㄲ (end of cycle) → ㄲㄲㄱ → . . .

기본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가"라는 글자 다음에 "ㄱ"버튼이 연속하여 눌러졌을 때의 변화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Applying the basic repetitive selection method, the change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consecutively after the letter "a" is as follows.

가 → 각 →

Figure pat00214
Figure pat00215
Figure pat00216
(사이클 종료) →
Figure pat00217
ㄱ →
Figure pat00218
ㄲ →
Figure pat00219
ㅋ →
Figure pat00220
ㄲ (사이클 종료) → . . .Go → Gak →
Figure pat00214
Figure pat00215
Figure pat00216
(end of cycle) →
Figure pat00217
a →
Figure pat00218
ㄲ →
Figure pat00219
ㅋ →
Figure pat00220
ㄲ (end of cycle) → . . .

"가" 다음에 "ㄱ"버튼이 4번 눌러진 상태는 "

Figure pat00221
"이고, 8번 눌러진 상태는 "
Figure pat00222
ㄲ"이 된다. 4번 눌러지고 나면 입력규칙 사이클이 종료되었으므로 기 입력된 글자(예."
Figure pat00223
")는 완성되고, 5번째 눌러짐은 다시 1번 눌러짐(새로 "ㄱ"입력)과 동일한 효과를 내게된다.The state in which the "a" button is pressed 4 times after "a" is "
Figure pat00221
", and the state pressed 8 times is "
Figure pat00222
ㄲ". After being pressed 4 times, the input rule cycle is over, so the previously entered character (eg. "
Figure pat00223
") is completed, and the fifth press produces the same effect as pressing the first time (new "a" input).

받침의 입력에서 초성자음으로의 전환상태에서는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지막의 "

Figure pat00224
ㄲ" 상태에서 한번 더 "ㄱ"버튼이 눌러지면, 다음의 2가지로 처리될 수 있다. 기본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되면, "
Figure pat00225
ㄲㄱ"이 될 것이다. 사이클 종료후, 눌러진 "ㄱ"버튼이 한번 더 눌러졌을 때, 입력중인 글자가 초성자음 상태에서는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된다면, "
Figure pat00226
ㄱ"이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ㄱ"버튼이 한번 더 눌러진다면 "
Figure pat00227
ㄲ"이 될 것이다. 상기 기본 반복선택방법 적용의 경우, 그리고 사이클종료후 초성자음일 때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시의 경우를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나타내면 도면17-2와 같다. 도면17-2에서, 4번 눌러졌을 때의 "ㄲ"은 1사이클이 완료되었을 때의 결과이고, 8번 눌러졌을 때의 "ㄲㄲ"은 2사이클이 완료되었을 때의 결과인 것이다.In the transition state from the input of the support to the initial consona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lar toggle method of repeated selection is not applied. of the last "
Figure pat00224
If the "a" button is pressed once again in the "ㄲ" state, the following two processes can be processed. If the basic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applied, "
Figure pat00225
After the cycle ends, when the pressed "a" button is pressed once more, if the circular toggle method of repeated selection is applied in the initial consonant state of the letter being input, "
Figure pat00226
In this state, if the "a" button is pressed once more, "
Figure pat00227
ㄲ". In the case of applying the basic repetition selection method and in the case of application of the circular toggl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when the initial consonant is a consonant after the end of the cycle, the figure is shown in Fig. 17-2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In Fig. 17-2, "ㄲ" when pressed four times is the result when one cycle is completed, and "ㄲㄲ" when pressed eight times is the result when two cycles are completed.

한국어 받침(종성자음)중 "ㄺ" 과 같은 이중받침(겹받침)이 있다. 이중받침 "xy"와 같은 형태에서 "x"가 "ㄱ"과 결합하여 "xy"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의 동작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알까기" 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ㄱ"버튼 2번 누름으로 "ㄲ"을 입력하려고 하면 "앍가기"가 된다. 그러나 "ㄱ"버튼 4번 누름으로 항상 "ㄲ"이 되도록 하여 간단히 해결된다. "알" 다음에 "ㄱ"버튼이 눌러진 경우는 다음과 같으며, 다른 유사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2번 눌러졌을 때 "ㄱㄱ" (예. "앍ㄱ")이 되고, 3번 눌러졌을 때 "ㅋ" (예 "알ㅋ")이 되고, 4번 눌러졌을 때 항상 "ㄲ" (예. "알ㄲ")이 되는 것이다. 아래에서 모음 "ㅏ"의 입력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입력기술 또는 다른 어떠한 모음입력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유사한 경우에서도 같다.Among Korean support (final consonant), there is a double support (deep support) such as "ㄺ". In the form of a double support "xy", "x" can be combined with "ㄱ" to form "xy". The operation in this case is also the same. For example, if you try to enter "ㄲ"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to enter "know", it becomes "go to know". However, it is easily solved by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so that it always becomes "ㄲ". The case where the "a" button is pressed after "Al" is as follows, and can be applied to other similar cases as well. When pressed 2 times, it becomes "ㄱㄱ" (eg. "ㄴㄱ"), when pressed 3 times, it becomes "ㅋ" (eg, "Alㅋ"), and when pressed 4 times, it always produces "ㄲ" (eg. " It will become known"). In the following, the vowel input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any other vowel input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the input of vowel "a", and the same applies in similar cases below.

알 → 앍 → 앍ㄱ → 알ㅋ → 알ㄲ →("ㅏ"입력)→ 알까Al → Yes → Yes → Yes → No

우리 한국어에서 "ㅆ" 받침 다음 "ㅅ" 초성자음이 나오는 경우 (즉, "ㅆㅅ")는 "~했습니다", "~었습니다"와 같이 다수 있지만, 반대로 "ㅅ" 받침 다음 "ㅆ" 초성자음이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기본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ㅆ" 받침 다음에 "ㅅ"버튼이 눌러지면 "ㅅ"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ㅅ"버튼에는 "ㅅ"과 "ㅆ"만이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4-*의 키패드 역시 그러하다. In our Korean language, there are many cases of "ㅅ" consonant followed by "ㅅ" consonant (i.e., "ㅆㅅ"), such as "~ I did" and "~ I was", but conversely, "ㅅ" consonant followed by "ㅆ" consonant Rarely does this come out. When applying the basic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t is natural that "ㅅ" becomes "ㅅ" when the "ㅅ" button is pressed after the "ㅆ" base. This is because only "ㅅ" and "ㅆ" are arranged or related to the "ㅅ" button. The keypad of Fig. 4-* is also the same.

이중받침 "xy" 중 "y"의 위치에 "ㅅ"이 오는 경우는 "ㄳ", "ㄽ", "ㅄ" 등이 있다. "ㄱㅆ", "ㄹㅆ", "ㅂㅆ" 의 경우는 단순히 "ㅅ"버튼을 2번 눌러 "ㅆ"을 입력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얼쑤"의 경우 "ㅅ"버튼을 2번눌러 "ㅆ"을 입력하려고 하면 "

Figure pat00228
수" 와 같이 된다. 이 경우도 "ㅅ"버튼 4번 누름으로 "ㅆ"을 입력하면 간단히 해결되며, 동작은 다음과 같다. "얼" 다음에 "ㅅ"버튼이 눌러질 때의 변화이다. 2번 눌러졌을 때 "ㅅㅅ" (예. "
Figure pat00229
ㅅ") 이 되고, 3번 눌러졌을 때 "ㅅㅆ" (예. "
Figure pat00230
ㅆ") 이 되고, 4번 눌러졌을 때 절대적으로 "ㅆ"이 되므로 "얼ㅆ"가 된다. 아래에서 모음 "ㅜ"의 입력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입력기술 또는 다른 어떠한 모음입력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유사한 경우에서도 같다.Among the double support "xy", when "ㅅ" comes to the position of "y", there are "ㄳ", "ㄽ", and "ㅄ". In the case of "ㄱㅆ", "ㄹㅆ", and "ㄴㅆ", it is difficult to input "ㅆ" by simply pressing the "ㅅ" button tw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Ulsu", if you try to enter "ㅆ" by pressing the "ㅅ" button twice,
Figure pat00228
In this case, it is simply solv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4 times and entering "ㅆ", and the operation is as follows. This is the change when the "ㅅ" button is pressed after "Eol". When pressed twice, "ㅅㅅ" (eg. "
Figure pat00229
ㅅ"), and when pressed 3 times, "ㅅㅆ" (eg. "
Figure pat00230
ㅆ"), and when it is pressed 4 times, it absolutely becomes "ㅆ", so it becomes "Eol ㅆ". Below, the vowel input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any other vowel input technology will be applied to the input of the vowel "TT". It can be, and the same applies in similar cases below.

얼 →

Figure pat00231
Figure pat00232
ㅅ →
Figure pat00233
ㅆ → 얼ㅆ →("ㅜ"입력)→ 얼쑤Earl →
Figure pat00231
Figure pat00232
ㅅ →
Figure pat00233
ㅆ → ㅆ → (enter "TT") → ulsu

모음 다음에 초성자음으로 "ㅆ"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아싸"의 경우 "ㅆ"을 "ㅅ"버튼 2번으로 입력하면 상기 한글오토마타에 의하여 "앗사"로 된다. 아래에서 우화살표(→)는 "ㅅ"버튼의 눌러짐을 의미한다. 모음 "ㅏ"의 입력은 어떠한 모음입력방법(출원인이 제시하지 않은 다른 입력방법 포함)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처럼 "ㅣㆍ"로 입력될 수도 있고,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ㆍ"버튼 한번 누름으로도 입력될 수 있다. "아" 다음에 "ㅅ"버튼이 눌러졌을 때의 변화이다. There are cases where "ㅆ" comes out as a first consonant after a vowe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ssa", if "ㅆ" is input with the "ㅅ" button 2 times, it becomes "assa" by the Hangul automata. The right arrow (→) below means that the "ㅅ" button is pressed. Any vowel input method (including other input methods not suggested by the applicant) can be applied to the input of the vowel "A". For example, it may be input as "ㅣㆍ" as before, or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may be input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This is the change when the "ㅅ" button is pressed after "Ah".

아 → 앗 → 았 →("ㅏ" 입력)→ 앗사Ah → Oops → Got → (Input "A") → Assa

일관성있는 입력규칙을 위하여 그리고 모호성없는 입력을 위하여, "ㅅ"버튼 4번 누름을 "ㅆ"으로 처리할 수 있다. 2번 누름에 의한 "ㅆ"은 다음 입력(예. 모음입력)에 따라 "ㅅㅅ"으로 변화할 수 있지만, "ㄲ"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번 누름에 의한 "ㅆ"은 절대적으로 적용된다. 3번 누름은 앞에서 설명한대로 "ㅆㅅ"이 된다. "ㅅ"버튼 4번 누름을 이용한 "아싸"의 입력과정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For consistent input rules and input without ambiguity, pressing the "ㅅ" button 4 times can be treated as "ㅆ". "ㅆ" by pressing 2 times can be changed to "ㅅㅅ" according to the next input (eg vowel input), but "ㅆ" by pressing 4 times is absolutely applied, as in the case of "ㄲ". Pressing 3 times becomes "ㅆㅅ"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process of "assa" by pressing the "ㅅ" button 4 times is as follows.

아 → 앗 → 았 → 았ㅅ → 았 →("ㅏ" 입력)→ 아싸Ah → Ah → Yes → Yes → Yes → (Input "a") → Yes

모호성이 있는 경우(예. 받침과 초성자음으로 "ㄱㅋ"을 입력), 모호성을 극복하는 방법은 기존의 방법처럼 타이머(일정 시간 무입력 체크) 적용에 의한 입력토큰 종료, 스페이스버튼 눌러짐 또는 오른쪽화살표버튼 눌러짐에 의한 입력토큰 종료 등의 방법이 있다. (받침과 초성자음으로) "ㄱㅋ"을 입력하려면, "ㄱ"입력후 상기 오른쪽화살표버튼을 눌러 입력토큰을 끊어주고, 다시 "ㄱ"버튼을 3번 눌러 "ㅋ"을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모호성이 있는 경우를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If there is ambiguity (eg, enter "ㄱㅋ" as the base and initial consonant), the way to overcome the ambiguity is to end the input token by applying a timer (check no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ress the space button, or right There is a method such as ending an input token by pressing an arrow button. To input "ㄱㅋ" (with support and initial consonant), after inputting "ㄱ", press the right arrow button to disconnect the input token, and then press the "ㄱ" button three times to input "ㅋ". Here is a list of cases where there is ambiguity:

ㄱㅋah 0.0130.013 ㅋㄱlol 00 ㄱㄲ 0.0380.038 ㅋㅋhaha 00 ㄷㅌdt 00 ㅌㄷtd 0.0640.064 ㄷㄸdㄸ 0.0020.002 ㅌㅌTT 00 ㅂㅍoops 0.0130.013 ㅍㅂPff 0.0040.004 ㅂㅃ 0.0010.001 ㅍㅍㅍ ㅍ 0.0010.001 ㅅㅆss 0.0030.003 ㅈㅊjch 0.0590.059 ㅊㅈchj 0.0020.002 ㅈㅉxx 00 ㅊㅊcongrats 0.0030.003 합계Sum 0.2030.203

우리 한국에서 "받침+초성자음"으로 되는 경우와 "중성모음+초성자음"의 경우는 약 반반씩의 비율이다. 본 발명에서 "중성모음+초성자음"의 경우는 모호성이 없다. 평자음(예. "ㄱ"버튼) 4번 눌러짐으로 경자음(예. "ㄲ")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합계 0.2%는 전체 경우를 놓고보면, 0.1%가 된다. 1000글자중 한번 모호성이 발생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4-*의 키패드에서 제시한 한국어 입력기술은 글자당 약3.5타 소요되므로, 약3500타 누르면 한번 모호성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사실상 거의 모호성이 없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모호성이 적은 이유는 우리 한글에서 유사한 음가를 가지는 자음(예. "ㄱ"과 "ㅋ")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가 극히 적은 때문이기도 하다. In Korea, the ratio of "support + initial consonant" and "neutral vowel + initial consonant" is about half and half.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ambiguity in the case of "neutral vowel + leading consonant". This is because a hard consonant (eg, "ㄲ")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eg, "a" button) 4 times. Therefore, the sum of 0.2% is 0.1% for the entire case. This can be seen as meaning that ambiguity occurs once in 1000 characters, and the Korean input technology presented in the keypad of Figure 4-*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bout 3.5 strokes per character, so if you press about 3500 strokes, ambiguity occurs once. . In fac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ambiguity. The reason for this low ambiguity is also because there are very few consecutive consonants with similar phonetic values (eg "ㄱ" and "ㅋ") in Korean Hangul.

상기 결과는 출원인의 선출원인 "3+타 입력방법"의 한가지 사례("ㄱ"은 한번누름, "ㅋ"은 3번누름, "ㄲ"은 4번누름)에서 "ㄲ"을 입력하기 위하여 4번 연속 누르는 것이 다소 지루함을 줄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ㄱ"버튼 2번 누름으로도 "ㄲ"을 입력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인지적으로도 "ㄲ"은 "ㄱ"이 좌우로 중첩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가로쓰기를 하는 우리나라 사용자의 정서에도 부합할 수 있는 방법인 "ㄱ"버튼 2번 누름으로 "ㄲ"을 입력할 수도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과는 "ㄱ"버튼 2번 눌러짐으로 "ㄲ"이 인식되고, 3번 눌러짐으로 "ㅋ"이 인식되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4번 눌러짐으로 "ㄲ"을 입력함으로써, 모호성을 대폭 줄인 효과(예. "

Figure pat00234
기"를 입력한 것이 "보키"로 되지 않음. "오뚜기"를 입력한 것이 "
Figure pat00235
두기"로 되지 않음)가 있다. The above result is 4 to input "ㄲ" in one case of "3 + other input method" (press once for "a", press 3 times for "ㅋ", press 4 times for "ㄲ") of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Pressing twice in succession can be somewhat boring, but in most cases, pressing the "a" button twice has the effect of allowing "ㄲ" to be input. Cognitively, "ㄲ" is in the form of "ㄱ" overlapping left and right, so it is possible to input "ㄲ" by pressing the "ㄱ" button twice, which is a method that can match the sentiment of Korean users who write horizontally. There is one effect. In addit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ㄲ"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and "ㄲ" is input by pressing the "a" button four time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in which "ㅋ"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a" button three times, greatly reducing ambiguity. reduced effect (e.g. "
Figure pat00234
Entering "ki" does not turn into "voki". Entering "Ottogi" does not result in "vokey"
Figure pat00235
It does not become "leave").

평자음버튼의 연속눌러짐에 있어서, 받침에서 초성자음으로의 입력시는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 보다는 기본 반복선택방법이 적합하다는 지적을 하였다. 그러나 사이클이 완료되었을 때는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더 나아가 평자음 버튼 2번 눌러짐에 의하여 인식된 경자음이 "초성자음"이면, 굳이 4번 눌러짐을 다시 경자음으로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ㄱ"버튼의 1번 눌러짐은 "ㄱ"으로 인식하고, 2번 눌러짐은 "ㄲ" 또는 "ㄱㄱ"으로 인식하고, 3번 눌러짐은 "ㅋ"으로 인식한다. 2벌식 한글오토마타에 의하여 2번 눌러졌을 때 인식된 "ㄲ"이 초성자음이었다면, 3번 눌러짐으로 사이클이 완성되고, 다시 한번 더 눌러진 것은 기 인식된 "ㅋ"과 함께 "ㅋㄱ" (기본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또는 "ㄱ"(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 적용시)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도면17-3과 같이 된다. 도면17-3에서는 편의상 그래프(또는 다이어그램)형식과 프로우차트 형식을 통합하여 표현하였다. 그러나, 입력규칙의 일관성을 위하여는 4번 눌러짐을 항상 "ㄲ" (즉, 경자음) 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의 견해로는 입력규칙을 일관성있게 4번 눌러짐을 항상 경자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In the case of continuous pressing of the flat consonant butt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 basic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more suitable than the circular toggle method of repeated selection when inputting from the base to the initial consonant. However, it was mentioned that when the cycle is completed, the circular toggle method of repeated selection can be applied. Furthermore, if the hard consonant recognized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twice is a "primary consonant", it may not be necessary to process the pressed four times as a hard consonant again. That is, pressing the "a" button once is recognized as "a", pressing it twice is recognized as "ㄲ" or "ㄱㄱ", and pressing it three times is recognized as "ㅋ". If "ㄲ" recognized when pressed twice by the 2-beol-sik Hangul automata was an initial consonant, the cycle is completed by being pressed 3 times, and when pressed again, the recognized "ㅋ" and "ㅋ ㄱ" (default Whe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or "a" (when the circular toggle type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f this is expressed in a picture, it becomes as shown in Figure 17-3. In Figure 17-3, a graph (or diagram) format and a flowchart format are integrated and expressed for convenience. However, for the consistency of the input rule, pressing 4 times can always be treated as "ㄲ" (ie, a hard consonant), and in the opinion of the present inventor, it is always a hard consonant to press 4 times consistently in the input rule. It looks desirable.

상기 사례는 평자음을 기본자음으로 하고, 경자음, 격자음까지 입력하는 경우의 사례였다. 상기 사례는 도면4-*에서 제시한 키패드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출원인이 제시하지 않은 다른 형태의 키패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사례는 출원인이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입력방법과 함께 적용될 수도 있으며, 현재 존재하는 또는 향후에 출현할 다른 모음입력방법과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The above case was a case where flat consonants were used as basic consonants, and hard consonants and lattice consonants were also input. The above case can be applied to the keypad shown in Figure 4-* and also to other types of keypads not suggested by the applicant. In addition, the above case may be applied with the vowel input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pplied with other vowel input methods that currently exist or will appear in the future.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전혀 모호성없이 입력할수 있는 기술인, 모음버튼을 이용한 컨트롤처리방법 (예.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과 동시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격자음과 경자음을 입력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모음버튼을 이용한 컨트롤처리방법 (예.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을 혼용하여 사용한다면, 모호성은 더욱 적어질 것이다. 도면4-*의 키패드를 기준으로 "ㅎ"의 입력은 제시하지 않았는데, "ㅎ"은 별도의 버튼으로 분리될 수도 있음을 선출원에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규칙적으로 평자음, 격자음, 경자음의 관계를 이용하여 간결한 키패드(예. 도면4-*)에서 "극히" 적은 모호성으로 입력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 핵심이다. 이는 본 발명의 도면4-*의 키패드에서 뿐만 아니라 어떠한 변형된 사례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핵심적인 사항인 것이다.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탈락자음으로 표현하였던 "ㅎ"(또는 "ㄹ")의 입력은 아래에 설명하듯이 격자음 또는 경자음의 입력을 응용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별도로 언급한다. It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vowel button (eg,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 which is a technology that can be input without any ambiguity, presen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When inputting lattice sounds and light consonants, if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vowel button (eg,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 presen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is used in combination, the ambiguity There will be fewer. Based on the keypad of Fig. 4-*, the input of "ㅎ" was not suggested, but the earlier application explained that "ㅎ" could be separated as a separate button. The key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w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with "extremely" little ambiguity in a simple keypad (eg Fig. 4-*) by regularl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at consonants, lattice consonants, and hard consonants. This is a key point that can be applied “commonly” to any modified case as well as to the keypad of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of "ㅎ" (or "ㄹ"), which was expressed as a dropped consonan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can be applied to the input of a lattice sound or a light consonant as described below, and will be separately mentioned below.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항인 상기의 입력기술은 "한글기본3"의 기술로 사이트 http://www.simplecode.net 를 통해 제품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The above input technology, which is a key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of "Basic Hangeul 3" and will be released as a product through the site http://www.simplecode.net.

29.4 반복누름에 의한 탈락자음 (예. "ㅎ")의 처리 최적화29.4 Optimization of the processing of dropped consonants (eg "ㅎ") by repeated pressing

다음으로 변형사례를 추가로 제시한다. "ㅇ"버튼에 "ㅎ"이 추가로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이다. 선출원의 표현으로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격자음 또는 경자음)으로 간주하는 경우이다. 선출원에서는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격자음 또는 경자음)으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사례에 대응된다. "ㅇ"버튼 눌러짐에 따라 기본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Next, additional examples of transformation are presented. It is assumed that "ㅎ" is additionally arranged or related to the "ㅇ" button. In the case of the earlier application, "ㅎ"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lattice consonant or hard consonant) of "ㅇ".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corresponds to the case of treating "ㅎ" as a modified alphabet (lattice consonant or hard consonant) of "ㅇ". If the basic repetition selec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ㅇ" button is pressed, it will be as follows.

ㅇ → ㅇㅇ → ㅎ (사이클 종료) → ㅎㅇ → ㅎㅇㅇ → ㅎㅎ (사이클종료) → ㅎㅎㅇ → . . .ㅇ → ㅇㅇ → ㅎ (end of cycle) → ㅎㅇ → ㅎㅇㅇ → haha (end of cycle) → ㅎㅇ → . . .

현대 한국어에서는 "쌍이응"이 없지만, 만약 고어자소인 "쌍이응"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면, 2벌식 한글오토마타에 의하여 "ㅇ"버튼 2번 눌러짐이 경우에 따라 "쌍이응"도 될 수 있을 것이다.In modern Korean, there is no "ssang-yi-eung", but if you can input "ssang-yi-eung", an archaic character element, the "ㅇ" button pressed twice by the double-beol type Hangul automata will be "ssang-i-eung" in some cases.

또한 선출원에서 제시했던 사례와 같이 "ㄴ"과 "ㄹ"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나의 버튼에 배열 또는 연관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ㄴ"과 "ㄹ"의 처리는 상기 "ㅇ"과 "ㅎ"의 경우와 유사하게 처리할 수 있다. "ㄹ"을 "ㄴ"의 변형알파벳(즉, 격자음 또는 경자음)으로 간주하여 처리한다면, 9개 기본자음이 [1] ~ [9]의 9개 버튼에 배정될 수 있으므로, "ㅇ"과 "ㅎ"은 각기 다른 버튼에 배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case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ㄴ" and "ㄹ" may be arranged or associated with one button as a group to be processed. In this case, the processing of "ㄴ" and "ㄹ" can be processed similarly to the case of "ㅇ" and "ㅎ". If "ㄹ" is regarded as a modified alphabet of "ㄴ" (i.e., a lattice sound or a light consonant) and processed, 9 basic consonants can be assigned to 9 buttons from [1] to [9], so "ㅇ" and "ㅎ" may be assigned to different buttons.

"ㅇ"과 "ㅎ"을 상기 예시한 기본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한다면, "ㅇ" 과 "ㅎ"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 등을 포함하여, 상기 제시한 것(약 1000글자에 한번 또는 약 3500타에 한번)보다 더 많은 모호성이 있게 된다. If "ㅇ" and "ㅎ" are input by the basic repetitive selection method exemplified above, including the case where "ㅇ" and "ㅎ" appear consecutively, the above suggested (once in about 1000 characters or about 3500 Once in a while) there is more ambiguity.

그러나,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전혀 모호성없이 입력할수 있는 기술인, 모음버튼을 이용한 컨트롤처리방법 (예.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과 동시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만약 "ㅎ"의 입력에 항상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한 "ㅎ = ㅇㅡㅡ" 또는 "ㅎ = ㆍㅡㅡ" 로 입력한다면, 모든 격자음, 경자음의 입력에 상기 반복누름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약 1000글자(약 3500타)에 1번 모호성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선출원에서 "ㅎ = ㅏㅡㅡ"로 입력하도록 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정상적인 단어는 아니지만 젊은 세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ㅋㅋ"을 입력할 때도, "ㄱㅡㅡ"로 "ㅋ"을 입력하면 모호성없이 입력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격자음과 경자음을 입력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모음버튼을 이용한 컨트롤처리방법 (예.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을 혼용하여 사용한다면, 모호성은 더욱 적어질 것이다. However, it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vowel button (eg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 which is a technology that can be input without any ambiguity, presen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If "ㅎ" is always entered as "ㅎ = ㅇㅡㅡ" or "ㅎ = ㆍㅡㅡ"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the above method of repeated pressing is used for input of all grid sounds and light consonants Even so, ambiguity will occur once in about 1000 characters (about 3500 strokes).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earlier application requires input as "ㅎ = ㅡㅡ". Also, even when entering "ㅋ", which is not a normal word but is widely used in the younger generation, it is possible to input without ambiguity by entering "ㅋ" with "ㄱㅡㅡ". When inputting lattice sounds and light consonants, if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vowel button (eg,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 presen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is used in combination, the ambiguity There will be fewer.

다음으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내용중의 한가지인, "ㆍ"버튼(숫자버튼 [0]버튼에 배정되어 있는) 3번 눌러짐으로 "ㅎ"을 입력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선출원에서 언급하였듯이 격자음을 평자음버튼 3번 누름으로 입력하는 것과 일관성있는 입력규칙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ㆍ"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ㅎ"을 "ㆍ"버튼 누름으로 입력하는 의미가 있다. 자음 다음에 "ㆍ"버튼이 3번 눌러져서 "ㅎ"이 입력되는 경우는 모호성이 없으며,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것처럼 모호성이 있으나, 매우 적다. 먼저 기존의 삼성전자社가 사용중인 모음입력방법이 적용된 경우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호성이 있을 수 있는 경우는 모음 "ㅏ" (기존방식에서 "ㅣㆍ" 으로 입력됨) 다음, "ㅑ" 다음 "ㅜ"다음, "ㅠ" 다음에 "ㅎ"(받침 또는 다음글자의 초성자음)이 나오는 경우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기본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되면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기", "그" 등 다음에 "ㆍ"버튼이 연속하여 눌러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아래의 우화살표 "→"는 "ㆍ"버튼의 눌러짐을 포함하여 표현되었으며, 아래에서도 같다. Next, one of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inputting "ㅎ" by pressing the "ㆍ" button (assigned to the number button [0] button) 3 times can be applied.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is has the meaning of providing input rules consistent with inputting lattice sounds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3 times, and inputting "ㅎ" related to the "ㆍ" button by pressing the "ㆍ" button. . If the "ㆍ"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after the consonant and "ㅎ" is input, there is no ambiguity, and there is ambiguity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but it is very small. First, a brief look at the case where the vowel input method used by Samsung Electronics is applied is as follows. In cases where there may be ambiguity, the vowel "A" (input as "ㅣㆍ"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n "ㅑ", then "TT", then "ㅠ" followed by "ㅎ" (support or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 there may be ambiguity. If the basic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t will be as follows. The case where the "ㆍ"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after "group", "that", etc. is as follows. The right arrow "→" below is expressed including the pressing of the "ㆍ" button, and the same is true below.

기 → 가 → 갸 → 갸ㆍ →

Figure pat00236
Ki → Ga → Gya → Gyaㆍ →
Figure pat00236

그 → 구 → 규 → 규ㆍ →

Figure pat00237
He → Gu → Gyu → Gyuㆍ →
Figure pat00237

오토마타를 변형하지 않고 기본 반복선택방법만을 적용한다면, "가", "갸", "구", "규" 등 다음에 "ㅎ"이 오는 경우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한 "ㅎ = ㅇㅡㅡ" 또는 "ㅎ = ㆍㅡㅡ" 를 사용할 수 있다. "ㅏ", "ㅑ", "ㅜ", "ㅠ" 다음에 받침으로 "ㅎ"이 오는 경우는 각각 0.022%, 0.001%, 0%, 0% 이다. "ㅏ", "ㅑ", "ㅜ", "ㅠ" 다음에 초성자음으로 "ㅎ"이 오는 경우는 각각 0.563%, 0.02%, 0.4%, 0.094% 이다. 이중에서 "ㅏ" 다음 초성자음으로 "ㅎ"이 오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무시할 수 있는 미미한 수준이다. 최대한 한국어 음절을 이루는 것으로 기본 반복선택방법의 적용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If only the basic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without transforming the automata, if "ㅎ" comes after "ga", "gyya", "gu", "gyu", etc., "ㅎ = ㅇㅡ ㅡ" or "ㅎ = ㆍㅡㅡ" can be used. The case where "ㅎ" comes next as a support after "아", "ㅑ", "ㅜ", and "ㅠ" is 0.022%, 0.001%, 0%, and 0%, respectively. The cases where "ㅎ" comes as the initial consonant after "a", "ㅑ", "ㅜ", and "ㅠ" are 0.563%, 0.02%, 0.4%, and 0.094%, respectively. Among them, it is a negligible level, except for the case where "ㅎ" comes as the initial consonant after "A". Applying the basic repetitive selection method to form Korean syllables as much as possible, it becomes as follows.

기 → 가 → 갸 → 갸ㆍ →

Figure pat00238
→ 갛 →
Figure pat00239
Figure pat00240
ㆍ(or 가ㅎㆍ) →
Figure pat00241
ㆍㆍ(or 갸ㅎㆍㆍ)Ki → Ga → Gya → Gyaㆍ →
Figure pat00238
→ red →
Figure pat00239
Figure pat00240
ㆍ(or 가ㅎㆍ) →
Figure pat00241
ㆍㆍ(or Gyahehㆍㆍ)

그 → 구 → 규 → 규ㆍ →

Figure pat00242
Figure pat00243
Figure pat00244
Figure pat00245
ㆍ(or 규ㅎㆍ) →
Figure pat00246
ㆍㆍ(or 규ㅎㆍㆍ)He → Gu → Gyu → Gyuㆍ →
Figure pat00242
Figure pat00243
Figure pat00244
Figure pat00245
ㆍ(or Kyuheㆍ) →
Figure pat00246
ㆍㆍ (or Kyu heh ㆍ ㆍ)

상기 사례의 입력중간에 뒤이어 입력되는 입력값이 "ㆍ"버튼인 경우(예. "기호 = 가흐")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중성모음 "ㅑ", "ㅠ" 다음에 받침 "ㅎ" 그리고 초성자음 "ㅎ"이 나오는 경우는 각각 0.001%, 0%, 0.02%, 0.094% 로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다. 상기와 같이 "ㆍ"버튼이 연속눌러지는 경우 모호성이 있을 수 있는데, 만약 "

Figure pat00247
"을 입력하고 싶었다면, 상기 "갸" 다음에 "ㆍ"버튼의 연속누름을 종료해 주는 수단(예. 우측이동버튼 또는 스페이스버튼 등등. 이하 대표하여 "우이동버튼"으로 표현)을 누른 후, "ㆍ"버튼 3번 누름으로써 "
Figure pat00248
"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타이머에 의하여 "갸" 입력후 일정시간(예. 0.2초)이 경과하면 "ㆍ"버튼 연속누름에 의한 처리가 종료되는 것으로 하여, "갸" 다음 0.2초 경과후 "ㆍ"버튼 3번 눌러짐으로 "
Figure pat00249
"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갛" 상태에서 "가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ㆍ"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
Figure pat00250
"이 되는데, 이 경우도 "갛" 상태에서 상기 우이동버튼 또는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갛"을 확정한 상태에서 "ㆍ"버튼과 "ㅡ"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 "가호"를 입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bove case, if the input value that is input following the middle of the input is the "ㆍ" button (eg, "symbol = gah"), there may be ambiguity. However, the cases where the neutral vowels "ㅑ" and "ㅠ" followed by the consonant "ㅎ" and the initial consonant "ㅎ" occur at 0.001%, 0%, 0.02%, and 0.094%, respectively, which are almost negligible. 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mbiguity when the "ㆍ"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Figure pat00247
If you wanted to input ", after pressing the means for ending the continuous pressing of the "ㆍ" button after the "Kya" (e.g., the right movement button or the space button, etc., hereinafter represented by the "right movement button"), By pressing the "ㆍ" button 3 times, "
Figure pat00248
" can be entered. Or, if a certain amount of time (eg 0.2 seconds) elapses after entering "gyya" by the timer, the process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ㆍ" button ends, and 0.2 seconds after "gyah" After that, by pressing the "ㆍ" button 3 times, "
Figure pat00249
" can be input. If you press the "ㆍ" button once more to input "protective protection" in the "red" state, "
Figure pat00250
In this case, "Red" can be input by sequentially pressing the "ㆍ" button and the "ㅡ" button in the state where "Red" is determined by the right movement button or the timer in the "Red" state.

기존에는 상기 우이동버튼 또는 상기 타이머로로 기 입력된 글자를 확정하므로 "갸" 상태에서 우이동버튼이 눌러지면 "갸"가 확정되고, 다시 "ㆍ"버튼이 3번 눌러져서 "ㅎ"이 입력되면, "갸ㅎ"이 되었었다. 그러나 상기 사례에서는 "ㆍ" 버튼의 연속눌러짐에 의한 오토마타를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기존처럼 기 입력된 글자(예. "갸", 또는 "갛")를 완전히 확정시켜주는 것은 상기 우이동버튼을 2번 누르는 것 또는 상기 타이머에 의한 일정시간(예. 상기 0.2초보다 큰값이 0.3초)이 경과하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ㆍ"버튼에 의하여 모호성이 있는 경우는 기존의 수단(예. 우이동버튼, 타이머)으로 1차적(예. 우이동버튼 1번누름 또는 0.2초 타이머)으로 "ㆍ"버튼 연속누름의 토큰이 끊어지는 것으로 처리하고 2차적(예. 우이동버튼 1번 더 누름 또는 0.2초보다 큰 값의 타이머)으로 기 입력된 글자가 확정되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아래의 사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the past, since the input character is confirmed by the right-move button or the timer, when the right-move button is pressed in the “gyya” state, “gyah” is confirmed, and when the “ㆍ”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and “ㅎ” is input , It became "Gyahah". However, in the above case, it plays a role of breaking the automata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ㆍ” button. As in the past, completely confirming the input character (eg "gyya" or "red") is to press the right button twice 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the timer (eg, a value greater than 0.2 seconds is 0.3 seconds). ) can be treated as elapsed. In other words, if there is ambiguity by the "ㆍ" button, the token of continuous pressing of the "ㆍ" button is primary (eg pressing the right button once or a timer for 0.2 seconds) by conventional means (e.g. right-move button, timer). It can be treated as cut off and confirmed as a secondary (e.g., pressing the right movement button one more time or a timer with a value greater than 0.2 seconds) that has been previously entered. Thi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ase below.

다른 한가지 방법은 "ㆍ"버튼의 연속 누름중에 삭제버튼이 눌러지면 자음입력을 위한 "ㆍ"버튼의 연속눌러짐 토큰을 종료(자음입력을 위한 "ㆍ"버튼의 연속눌러짐 로직을 초기화)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모음입력에 있어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갛" 상태에서 삭제버튼이 눌러지면 자소단위 또는 인지단위(아래에서 설명)인 "ㅎ"이 삭제되어 "가"가 된다. 삭제버튼이 한번 눌러졌으므로 기존의 "ㆍ"버튼의 연속눌러짐 처리가 종료되었고, 이 상태에서 다시 "ㆍ"버튼이 3번 눌러지면 "갛"이 된다. 이 역시 아래의 사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글자가 출력되었을 때 사용자는 삭제버튼을 눌러 수정하게 되는데, 삭제버튼 누르기 전의 로직대로 원하지 않는 글자가 다시 나오는 것이 아니고, 원하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nother method is to terminate the continuous pressing token of the "ㆍ" button for consonant input (initialize the logic of continuous pressing of the "ㆍ" button for consonant input) when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during continuous pressing of the "ㆍ" button. can be done with Vowel input can operate in the same way as before. For example, when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in the "red" state, "ㅎ", which is a character element unit or cognitive unit (described below), is deleted and becomes "ga". Since the delete button was pressed once, the process of continuous pressing of the existing “ㆍ” button ended, and in this state, if the “ㆍ” button was pressed three times again, it became “red”. This can also be applied equally to the cases below. The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when a character the user does not want is displayed, the user presses the delete button to correct it, but the unwanted character does not appear again according to the logic before pressing the delete button, and the desired character can be input.

또한 "ㅑ", "ㅠ" 다음에 자음(받침 또는 초성자음)이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변형된 오토마타를 적용할 수 있다. Also, since consonants (supporting consonants or leading consonants) rarely appear after "ㅑ" or "ㅠ", the following modified automata can be applied.

기 → 가 → 갸 → 갸ㆍ →

Figure pat00251
→ 갛 → 갛ㆍ(or 가ㅎㆍ) → 갛ㆍㆍ(or 가ㅎㆍㆍ) →
Figure pat00252
ㆍㆍ(or 갸ㅎㆍㆍ)Ki → Ga → Gya → Gyaㆍ →
Figure pat00251
→ Red → Redㆍ (or Gaㅎㆍ) → Redㆍㆍ(or Gaㅎㆍㆍ) →
Figure pat00252
ㆍㆍ(or Gyahehㆍㆍ)

그 → 구 → 규 → 규ㆍ →

Figure pat00253
Figure pat00254
Figure pat00255
(or 구ㅎㆍ) →
Figure pat00256
ㆍㆍ(or 구ㅎㆍㆍ) →
Figure pat00257
ㆍㆍ(or 규ㅎㆍㆍ)He → Gu → Gyu → Gyuㆍ →
Figure pat00253
Figure pat00254
Figure pat00255
(or Guheh ㆍ) →
Figure pat00256
ㆍㆍ(or Guㅎㆍㆍ) →
Figure pat00257
ㆍㆍ (or Kyu heh ㆍ ㆍ)

선출원에서 "ㆍ"버튼 한번 누름으로 모음 "ㅏ"를 입력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ㆍ"버튼 2번 눌러짐으로 "ㅓ"를 입력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이는 도면4-* 등에서와 같이 "ㆍ" 버튼 대신, 모음 "ㅏ"를 연상시킬 수 있는 버튼(예. "ㅏ"버튼 또는 "ㅏ"와 숫자"0"을 조합한 형상의 버튼 등등)이 사용된 경우도 같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ㆍ"버튼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에 기본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되는 사례 중 한가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역시 아래의 우화살표(→) 는 "ㆍ"버튼의 눌러짐을 포함하여 표현되었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 technique of inputting the vowel "A"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was presented. In addition, a technique of inputting "o" by pressing the "ㆍ" button twice has been proposed. As shown in Fig. 4-*, instead of the "ㆍ" button, a button reminiscent of the vowel "A" is used (e.g., a button shaped like "A" button or a combination of "A" and the number "0", etc.) The case is the sam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a "•" butt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one of the cases where the basic itera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s as follows. Also, the right arrow (→) below was expressed including the pressing of the "ㆍ" button.

ㄱ → 가 → 거 → ㄱㅎ → 갛 → 겋ㄱ → 가 → Geo → ㄱㅎ → Red → か

상기 사례는 입력중인 "ㆍ"버튼이 최대한으로 한국어 음절을 이루는 것으로 처리하므로, "갛", "겋" 등에서의 "ㅎ"의 입력을 "ㆍ"버튼 3번 누름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 "그" 다음에 "ㆍ"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역시 상기 제시한 것처럼 변형된 오토마타를 적용할 수 있다. The above case shows that the "ㆍ" button being input is processed as forming Korean syllables at the maximum, so that the input of "ㅎ" in "red", "か", etc. can be processed by pressing the "ㆍ" button 3 times. . When the "ㆍ" button is pressed after "group" and "that", the modified automata can also be applied as suggested above.

기 → 가 → 갸 → 갸ㅏ →

Figure pat00258
→ 갛 → 가하 → 가허 → 갸허Ki → Go → Gya → Gyaa →
Figure pat00258
→ Red → Gaha → Gaheo → Gyaheo

그 → 구 → 규 → 규ㅏ →

Figure pat00259
Figure pat00260
구하 → 구허 → 규허That → Gu → Gyu → Gyu →
Figure pat00259
Figure pat00260
Guha → Guheo → Kyuheo

여기서 "갛" (또는 "가ㅎ" 포함)은 상기 "ㄱ → 가 → 거 → ㄱㅎ → 갛 → 겋"에서 제시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약 22%가 넘는 자주 사용하는 모음인 "ㅏ"의 경우 "ㆍ"버튼 1번누름으로 입력할 수 있는데, 굳이 "ㅣㆍ"와 같이 2타로 입력할 사용자는 별로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변형 오토마타를 적용할 수 있다. Here, "red" (or "gaㅎ" included) can use the technique presented in "a → ga → geo → a heh → red → gg". In the case of "a", which is a frequently used vowel of more than 22%, it can be entered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but there are not many users who dare to input it with two strokes like "ㅣㆍ". Therefore, transformation automata can be applied as follows.

기 → 가 → 갸 → 갸ㅏ →

Figure pat00261
기하 → 기허 → 가허 → 갸허Ki → Go → Gya → Gyaa →
Figure pat00261
Giheo → Giheo → Gaheo → Gyaheo

사용자가 "가호"를 입력하고자 했다면, "가허" 상태에서 삭제버튼을 한번 눌러 "가ㅎ" (또는 "갛") 이 되도록하고, 다시 소정의 모음입력방법(예. "ㆍㅡ")에 따라 "ㅗ"를 입력하여 "가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시한 바와 같이 삭제버튼누름에 의하여, 탈락자음(예. "ㅎ")의 입력을 위한 "ㆍ"버튼의 연속입력 처리 로직이 초기화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가허" 상태에서 삭제버튼을 눌러 "가ㅎ"이 되는 것은 아래에 제시한 "삭제버튼 처리의 개선" 을 참고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호"를 입력하고자 했다면 상기 "기하" 상태에서, 선출원의 모음입력방법에 따라, "ㅡ"버튼을 눌러 "기호" 라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If the user wanted to input "gaho", press the delete button once in the "gaheo" state so that it becomes "gaㅎ" (or "red"), and agai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vowel input method (eg "ㆍㅡ") You can enter "gaho" by entering "ㅗ". As suggested above, by pressing the delete button, the continuous input processing logic of the "•" button for input of the dropped consonant (eg, "ㅎ") may be initialized. To become "Ga ㅎ" by pressing the delete button in the "Permit" state, you can refer to the "Improvement of the delete button process" presented below. If the user wants to input a "symbol", in the "geometry" state, according to the vowel input method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word "symbol"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ㅡ" button.

29.5 반복선택방법을 이용한 입력기술의 최적화29.5 Optimization of Input Technology Using Iterative Selection Methods

우리 현대 한국어 유니코드체계에서 경자음(쌍자음)은 "ㄲ", "ㄸ", "ㅃ", "ㅆ", "ㅉ"의 5개가 있는데, 이중 종성자음으로 쓰일 수 있는 것은 "ㄲ"과 "ㅆ" 뿐이다. 이렇게 종성자음이 될 수 없는 쌍자음 "ㄸ", "ㅃ", "ㅉ" 을 편의상 "종성불가 쌍자음"이라고 부르고, 대응되는 평자음 "ㄷ", "ㅂ", "ㅈ"을 편의상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In our modern Korean Unicode system, there are five hard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ㄲ", "ㄸ", "ㅃ", "ㅆ", and "ㅆ". It's just "ㅆ". The pair consonants "ㄸ", "ㅃ", and "ㅃ" that cannot be final consonants are called "non-final consonants" for convenience, and the corresponding plain consonants "ㄴ", "ㅅ", and "ㅅ" are called "pair consonants" for convenience. It will be called a flat consonant without consonant formation."

상기 "29.3 선출원의 개선 및 한국어 자음 입력에의 최적화"에서 출원인의 선출원을 개선하여 평자음버튼(예. [ㄱ]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ㄱ → ㄲ or ㄱㄱ → ㅋ → ㄲ → . . ." 로 입력되는 것을 제시한 바 있다. 상기에서 중요한 것은 [ㄱ]버튼이 2번 눌러졌을 때, 쌍자음(경자음)으로 인식되었다가 그 다음 모음이 입력되면 2개의 평자음(즉, "ㄱㄱ")으로 되므로, [ㄱ]버튼 2번 눌러졌을 때의 쌍자음은 임시적인 쌍자음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In the above "29.3 Improvement of previous application and optimization of Korean consonant input",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was improved, and as the flat consonant button (eg, [a] button) is pressed, "a → ㄲ or ㄱㄱ → ㅋ → ㄲ → . . ."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put as . What is important in the above is that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it is recognized as a double consonant (light consonant), and when the next vowel is input, it becomes two plain consonants (i.e., "ㄱㄱ"), so [a] button 2 The consonant when pressed once can be seen as a temporary consonant.

언급하였듯이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평자음버튼(예. [ㄱ]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ㄱ → ㄲ → ㅋ"으로 입력되는 것을 제시한 바 있다. 이를 개선하여 여기에서도 상기 "29.3 선출원의 개선 및 한국어 자음 입력에의 최적화"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ㄱ]버튼이 2번 눌러졌을 때의 쌍자음(예. "ㄲ")을 그 다음 입력에 따라 "ㄱㄱ"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는 임시적인 쌍자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it was suggested that "a → ㄲ → ㅋ"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flat consonant button (eg, [a] button). By improving this, as suggested in "29.3 Improvement of previous application and optimization of Korean consonant input", the double consonant (eg "ㄲ")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ext input. It can be treated as a temporary double consonant that can also be divided into "ㄱㄱ".

즉, 평자음 버튼 눌러짐에 따라 "ㄱ → ㄲ or ㄱㄱ → ㅋ" 과 같이 되는 것이다. 설명했던 바와 같이, "가" 다음에 [ㄱ]버튼이 2번 눌러지면 "

Figure pat00262
"이 되지만 이 상태에서 모음(예. "ㅏ")이 입력되면 "각가" 가 되는 것이다. "
Figure pat00263
"상태에서 "ㄱ"이 입력되면 "
Figure pat00264
"이 되고, "
Figure pat00265
"상태에서 "ㄴ"이 입력되면 "
Figure pat00266
ㄴ"이 된다. 평자음버튼의 2번 눌러짐이 쌍자음으로 되는 것은 2벌식 한글조합규칙에 따라, 동일한 평자음이 2번 입력된 것을 쌍자음으로 처리할 수 있으면 쌍자음으로 인식하고, 2개의 평자음으로 처리할 수 있으면 2개의 평자음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상기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 평자음버튼의 연속 눌러짐에 따라 적합한 한국어 자모결합규칙(한글오토마타)에 의하여 적합한 자모결합글자가 형성되는 한에서 "평자음 → 쌍자음 또는 2개의 평자음 → 격자음"으로 인식되는 것을 의미한다. That is, as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it becomes like "a → ㄲ or ㄱㄱ → ㅋ". As explained, if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after "A", "
Figure pat00262
", but if a vowel (eg "A") is entered in this state, it becomes "gakga". "
Figure pat00263
"If "a" is entered in the status "
Figure pat00264
"becoming"
Figure pat00265
"If "b" is entered in the status "
Figure pat00266
b".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twice becomes a double consonant according to the 2 beolsik Hangul combination rule, if the same flat consonant can be treated as a double consonant, it is recognized as a double consonant, and 2 If it can be processed as two plain consonants, it is recognized as two plain consonants. If the above contents are rearranged, suitable consonant combination letter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Korean consonant combination rules (Hangul automata) according to the continuous pressing of the flat consonant button. It means that it is recognized as "a flat consonant → a double consonant or two flat consonants → a lattice sound" as long as it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처리하였을 때의 모호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시한 0.1% 의 모호성이 있으에 다음과 같이 중성모음 다음에 쌍자음이 초성자음으로 오는 경우가 추가된다. 이는 평자음버튼 4번눌러짐으로 쌍자음을 절대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제외하였기 때문이다. The ambiguity of processing as above is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re is an ambiguity of 0.1% suggested above, a case where a pair consonant comes as an initial consonant after a neutral vowel is added as follows. This is because the absolute input of double consonants is excluded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4 times.

모음+ㄲVowel + ㄲ 모음+ㄸVowel + ㄸ 모음+ㅃVowel + ㅃ 모음+ㅆVowel + ㅆ 모음+ㅉVowel + ㅔ 합계Sum 0.8560.856 0.440.44 0.1440.144 0.2190.219 0.1690.169 1.828 1.828

상기는 중성모음 다음에 초성자음이 오는 경우이므로, 종성자음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발생빈도이다. 우리 한국어에서 종성자음이 없이 중성모음으로 끝나는 글자가 약 절반(정확히는 54%)이고, 종성자음이 있는 글자가 약 절반(정확히는 46%)이다. 정확히는 54%의 비중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나 약 반반씩으로 보고, 상기 1.8% 의 약 절반인 0.9%의 모호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0.1%의 모호성과 합치면 약 1%의 모호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Since the above is the case where the initial consonant comes after the neutral vowel, it i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final consonant. In our Korean language, about half of the letters (54% to be exact) end with a neutral vowel without a final consonant, and about half (46% to be exact) of letters with a final consonant. To be precis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oportion of 54%, but about half and half,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mbiguity of 0.9%, which is about half of the above 1.8%. When combined with the above 0.1% ambiguit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bout 1% ambiguity.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아닌 단순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된다면 "ㄱ → ㄲ or ㄱㄱ → ㅋ (사이클종료) → ㅋㄱ → ㅋㄲ → ㅋㅋ → . . ." 과 같이 된다. 상기 "XY" 형태에서 "X"가 종성자음이면 "Y"는 초성자음이므로, 입력상태가 초성자음 상태일 때만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ㄱ → ㄲ or ㄱㄱ → ㅋ → ㅋㄱ → ㅋㄲ → ㅋㅋ → ㅋㄱ → ㅋㄲ → ㅋㅋ. . ." 와 같이 된다. 현재 젊은이들 사이에서 "ㅋㅋ" 또는 "ㅋㅋㅋ" 와 같은 어구가 자주 사용되고 있으므로, 설령 "X"가 초성자음 상태이어도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아닌 단순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If the simpl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is applied instead of the circular toggle repeat selection method, "a → ㄲ or ㄱㄱ → ㅋ (cycle end) → ㅋ ㅋ → ㅋ ㄲ → ㅋ → . ." becomes like In the "XY" form, if "X" is a final consonant and "Y" is a leading consonant, the circular toggle repeat selection method may be applied only when the input state is the leading consonant state. For example, "a → ㄲ or ㄱㄱ → ㅋ → ㅋa → ㅋㄲ → ㅋㅋ → ㅋㄱ → ㅋㄲ → ㅋ . ." becomes like Currently, phrases such as "ㅋ" or "ㅋ" are often used among young people, so even if "X" is in the initial consonant state, it may be better to apply a simpl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rather than a circular toggl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상기에서 평자음버튼(예. [ㄱ]버튼)이 2번 눌러졌을 때, 쌍자음(예. "ㄲ")이 되는 것은 초성자음 상태에서는 항상 일어난다. 그러나 종성자음으로 입력되는 경우는, [ㄷ]버튼 (또는 [ㅂ]버튼 또는 [ㅈ]버튼) 의 2번 눌러짐은 쌍자음이 아닌 2개의 평자음(예. "ㄷㄷ")으로 항상 인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267
ㄷ"와 같이 되는 것이다. ("오" 아래 종성자음으로 "ㄸ"이 올 수 없으므로) 즉, 중성모음까지 입력된 상태에서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이 2번 연속하여 입력되면 자연히 1번째 입력은 종성자음으로, 2번째 입력은 초성자음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In the above, when the plain consonant button (eg,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becoming a double consonant (eg, "ㄲ") always occurs in the initial consonant state. However, when the final consonant is input, pressing the [c] button (or the [b] button or the [j] button twice) will always be recognized as two flat consonants (eg "c") rather than a pair consonant. do. For example "
Figure pat00267
(Because "ㄸ" cannot come as a final consonant under "Oh") In other words, if a plain consonant without a double consonant consonant is input twice in a state where up to a neutral vowel is input, the first input is naturally As the final consonant, the second input is divided into the leading consonant.

입력규칙을 "평자음 → 쌍자음 or 2개의 평자음 → 격자음" (예. "ㄱ → ㄲ or ㄱㄱ → ㅋ")으로 제시하더라도 사용자는 "평자음 → 쌍자음 → 격자음" 으로 인식하기 쉽다. 물론 "ㄱ"과 같은 평자음버튼을 2번 눌렀을 때의 쌍자음은 경우에 따라 2개의 평자음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인지하지만, 평자음버튼을 2번 눌렀을 때 쌍자음이 출력되지 않으면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성불가 쌍자음은 종성자음으로 될 수 없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의 변형형태를 제시한다. Even if the input rule is presented as "flat consonant → double consonant or two flat consonants → lattice sound" (e.g. "a → ㄲ or ㄱㄱ → ㅋ"), it is easy for users to recognize it as "flat consonant → double consonant → lattice sound" . Of course, it is recognized that the double consonant when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such as "a" can be divided into two flat consonants in some cases, but if the double consonant is not output when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wice, it will feel strange It could be. Therefore, a modified form of the above embodiment is suggested by using the property that the final consonant cannot be a final consonant.

종성가능 쌍자음(예. "ㄲ", "ㅆ")은 중성모음 상태(예. "가")에서 평자음버튼이 2번 눌러졌을 때, 항상 받침 쌍자음으로 표시되고 그 다음 입력에 따라 그대로 쌍자음으로 되기도 하고 2개의 평자음으로 나누어지기도 하므로 사용자에게도 자연스럽고 아무런 문제가 없다.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즉, "ㄸ", "ㅃ", "ㅉ")의 경우는 중성모음 상태(예. "가")에서 평자음버튼이 연속 2번 눌러졌을 때, 상기 로직대로 하면 2개의 평자음(종성자음+초성자음)으로 표시되어야 하나, 사용자가 평자음버튼의 2번 눌러짐을 쌍자음(경자음)으로 인지하고 있으므로, 초성자음으로의 쌍자음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 다음에 [ㄷ]버튼이 연속 2번 눌러지면 "가ㄸ"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할 때의 장점은 평자음버튼의 2번 눌러짐이 항상 쌍자음으로 표시된다는 것이다. 단점은 종성자음으로의 "ㄷ" 다음에 초성자음 "ㄷ"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처리(예. 타이머에 의한 소정시간지연, 1번째 "ㄷ"입력후 구분버튼누름에 의한 수동구분, ...)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ㄷ]버튼 2번 누름이 초성자음 "ㄸ"으로 처리되므로) 이 경우의 모호성이 발생하는 비율을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Consonant consonants (eg "ㄲ", "ㅆ") are always displayed as supporting consonants when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wice in the neutral vowel state (eg "Ga"), and are displayed as they are according to the next input. It can be a double consonant or divided into two flat consonants, so it is natural for the user and there is no problem. In the case of flat consonants that cannot form double consonants (ie, "ㄸ", "ㅃ", and "ㅔ"), when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in the neutral vowel state (eg "가"), if the above logic is followed It should be displayed as two flat consonants (final consonant + initial consonant), but since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wice as a double consonant (hard consonant), it is processed as a double consonant to the initial consonant. For example, if the [c] button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after "a", it is processed as "ga ㄸ". The advantage of doing this is that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twice is always displayed as a double consonant. The downside is that if the first consonant "c" appears consecutively after the final consonant "c", the user manually handles it (e.g., a predetermined time delay by a timer, manual by pressing the classification button after entering the first "c") distinction, ...) is to be done. (Since pressing the [c] button twice is treated as the initial consonant "ㄸ") Calculating the rate at which ambiguity occurs in this case is as follows.

모음+ㄲVowel + ㄲ 0.8560.856 ㄷ+ㄷc + c 0.0150.015 ㅂ+ㅂb+f 0.0710.071 모음+ㅆVowel + ㅆ 0.2190.219 ㅈ+ㅈj+j 0.030.03 합계Sum 1.1911.191

상기에서도 우리 한국어에서 종성자음(받침)이 없는 글자는 약 54%이므로"중성모음+초성자음"인 경우(예. "모음+ㄲ")는 정확히는 54%의 비중으로 고려하여야 하고, 종성자음(받침)이 있는 경우는 약 46%이므로 "자음+자음"인 경우(예. "ㄷ+ㄷ")는 정확히는 46%의 비중으로 고려하여야 하나, 종성자음(받침)이 있는 글자와 받침이 없는 글자가 약 반반씩이므로 50:50의 비중인 것으로하여 단순 합계한 결과이다. 상기 1.191% 를 절반으로 나누면 약 0.6%의 모호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시한 0.1%의 모호성을 더하면 약 0.7%의 모호성이 있다. 이는 상기에서 입력규칙을 "평자음 → 쌍자음 or 2개의 평자음 → 격자음" 로만 제시한 경우에 발생하는 약 1% 모호성에 비하여 모호성이 감소한 효과가 있다. As mentioned above, since about 54% of the letters without a final consonant (support) in our Korean language are "neutral vowels + initial consonants" (e.g. "vowels + ㄲ"), it should be considered exactly as 54% of the weight, and the final consonants ( Support) is about 46%, so in the case of "consonant + consonant" (e.g. "c + c"), it should be considered exactly as 46%, but letters with final consonants (support) and letters without support Since is about half and half, it is the result of simple summing assuming that the ratio is 50:50. Dividing this 1.191% in half gives an ambiguity of about 0.6%. If we add the 0.1% ambiguity presented above to this, we have about 0.7% ambiguity. This has an effect of reducing ambiguity compared to about 1% ambiguity that occurs when only "flat consonants → double consonants or two flat consonants → lattice sounds" are presented as the input rule above.

여기서 "ㅅ"에는 쌍자음(경자음)만이 있고 격자음이 없다. 따라서, 상기 출원인이 제시한 기술([ㅅ]버튼 누름에 따라, "ㅅ → ㅆ or ㅅㅅ → ㅆㅅ or ㅅㅆ → ㅆ")을 적용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상기 "모음+ㅆ"의 경우가 빠지므로 상기 합계는 0.972%이고 이를 반으로 나누면 약 0.5%이므로 상기 0.1%와 합하여 약 0.6%의 모호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역시 상기에서 입력규칙을 "평자음 → 쌍자음 or 2개의 평자음 → 격자음" 로만 제시한 경우에 발생하는 약 1% 모호성에 비하여 모호성이 감소한 효과가 있다. Here, "ㅅ" has only double consonants (hard consonants) and no lattice soun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technology proposed by the applicant (by pressing the [ㅅ] button, "ㅅ → ㅆ or ㅅㅅ → ㅅㅅ or ㅅㅆ → ㅆ"), and in this way, the case of "vowel + ㅆ" Since the above sum is 0.972% and divided by half, it is about 0.5%, so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n ambiguity of about 0.6% when combined with the above 0.1%. Agai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ambiguity compared to about 1% ambiguity that occurs when only "flat consonants → double consonants or two flat consonants → lattice sounds" are presented as the input rule above.

물론 여기에서 "ㄱ"의 경우는 [ㄱ]버튼 4번 눌러짐을 절대적 "ㄲ"으로 처리하고,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의 경우는 평자음버튼의 4번 눌러짐을 "2개 평자음"으로 처리(예. "ㄷ → ㄸ → ㅌ → ㄷㄷ")하는 것을 추가로 적용하면, 모든 평자음버튼의 4번 눌러짐을 절대적으로 쌍자음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단 0.1%의 모호성만이 있게 된다. Of course, in the case of "ㄱ" here,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is treated as an absolute "ㄲ", and in the case of a flat consonant that cannot form a pair consonant,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4 times is treated as "two flat consonants". (Example. If you additionally apply "c → ㄸ → t → dc"), there is only 0.1% ambiguity as described as processing all flat consonant buttons pressed 4 times as absolute double consonants. .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3+타 입력방법"과 그 개선사례를 제시하였던 바 있다. 기존의 반복선택방법은 어떤 버튼상에 [x y z ...] 가 배열(명시적 배열 또는 암시적 연관 모두 포함)되어 있을 때, 1번째 "x"는 상기 버튼 한번 눌러짐으로 입력되고, 2번째 배열되어 있는 "y" 는 상기 버튼 2번 눌러짐으로 입력되고, 3번째 배열되어 있는 "z" 는 상기 버튼 3번 눌러짐으로 입력되고, ... n번째 배열되어 있는 알파벳은 상기 버튼 n번 눌러짐으로 입력된다. 특정 버튼에 배열되어 있는 알파벳(예. "x")를 한번 눌러짐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은 당연(키보드에서와 동일)하고, 2번째 배열된 알파벳 및 나머지 알파벳은 해당 버튼 2번 눌러짐 또는 그 이상 눌러짐으로 입력되므로, 기존의 반복선택방법은 "2+타 입력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3+ other input methods" and examples of improvement were presented. In the existing repetitive selection method, when [x y z ...] is arranged (including both explicit arrangement or implicit association) on a button, the first "x" is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once, and the second Arranged "y" is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twice, third array "z" is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three times, ... nth arrayed alphabet is the button n times It is entered by pressing. It is natural (same as on a keyboard) to input an alphabet arranged on a specific button (eg "x") by pressing it once, and the second arranged alphabet and the rest of the alphabet are pressed twice or more Since it is input by pressing, the existing repetitive selection method can also be referred to as "2+other input method".

상기 발명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9.3 선출원의 개선 및 한국어 자음 입력에의 최적화"에서 제시한 방법을 정리하면 "x", "y", "z", ... 가 배열된 [x y z ...] 버튼의 반복 눌러짐에 따라 "x → xx('ㄱㄱ'에 대응) 또는 z('ㄲ'에 대응) → y('ㅋ'에 대응) → z('ㄲ'에 대응) → ..." 로 되는 것과 같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버튼이 연속 눌러짐에 따라 "ㄷ → ㄸ → ㅌ" 으로 되는 것은 "x → y → z" 로 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ㄷ → ㄸ → ㅌ → ㄷㄷ" 으로 되는 것은 "x → y → z → xx" 로 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사항이 유용한 것은 어느 버튼에 "x", "y", "z"를 배열하고 해당 버튼 1번 눌러짐으로 "x"가 입력되도록 입력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통상 "x"가 가장 사용빈도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해당 버튼의 반복누름에 따라 "x → y → z"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기존 사용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xx"를 입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는데, "버튼에 배열(또는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의 갯수 + 1" 회 버튼 누름으로, 해당 버튼 한번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알파벳(즉 "x")을 2개 입력(즉, "xx")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가 있다. [ㄷ]버튼에 대하여 "ㄷ → ㄸ → ㅌ → ㄷㄷ" 을 적용한 것은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즉, "ㄷ", "ㅂ", "ㅈ")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일관성을 위하여 쌍자음종성가능 평자음(즉, "ㄱ", "ㅅ")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버튼에 배열(또는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의 갯수 + 1" 회 버튼 누름으로, 해당 버튼 한번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알파벳을 2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편의상 "배열갯수1초과누름 2알파벳 입력방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A summary of the above invention is as follows. Summarizing the method presented in "29.3 Improvement of Prior Application and Optimization for Korean Consonant Input", the repeated pressing of the [x y z ...] button in which "x", "y", "z", ... is arranged It is the same as "x → xx (corresponding to 'ㄱㄱ') or z (corresponding to 'ㄲ') → y (corresponding to 'ㅋ') → z (corresponding to 'ㄲ') → ...". As the double consonant incongruent flat consonant butt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inuously pressed, "c → ㄸ → ℓ" is the same as "x → y → z". Therefore, becoming "ㅅ → ㄸ → テ → ㄴㄴ" is the same as becoming "x → y → z → xx". This is useful because "x", "y", and "z" are arranged on a button and the input system is configured so that "x" is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once, usually "x" is used most frequently. Because there are many. Therefore, whi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xisting us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input of "x → y → z"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of the corresponding button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input "xx". The number of alphabets arranged (or related) on the button + 1" button press, which enables two alphabets (ie "x") to be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once (ie "xx") It has meaning. The application of "ㄴ → ㄸ → ㄴ → ㄴㄱ" to the [C] button can be equally applied to flat consonants that cannot be consonant (i.e., "ㄴ", "ㅅ", "ㅅ"), and consistency For this purpose,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lat consonants that can be consonant (i.e., "a", "ㅅ"). In this way, by pressing the button "number of alphabets arranged (or related) on the button + 1" times, two alphabets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once are input for convenience, "2 alphabet input method by pressing more than 1 number of arrays" let's call it

"배열갯수1초과누름 2알파벳 입력방법"은 버튼에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이 2개 (즉, "x"와 "y"가 배열된 [x y]버튼)일 때(예. "ㅅ"과 "ㅆ"만이 배열 또는 연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동면10-*의 키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버튼누름에 따라 "x → y → xx" 로 되는 것이며, "배열 또는 연관된 알파벳의 갯수(2개) + 1" 회 버튼누름에 의하여 "xx"를 입력하는 것이다. 한국어에 적용시, 초성자음에서는 "기존의" 순환토글식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되도록(즉, 버튼의 반복 눌러짐에 따라 "x → y → x → y → x → ...")하고, 종성자음으로 입력될 때에만 한정하여 상기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x"가 종성자음일 때 "xx"의 2번째 "x"는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이다. "Arranged number exceeding 1 press 2 alphabet input method" is when there are two alphabets arranged or related to the button (i.e. [x y] button with "x" and "y" arranged) (e.g. "ㅅ" and It is obvious that only "ㅆ" can be equally applied to arrangement or association). For example,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keypad of Dongmyeon 10-*. That is, "x → y → xx" according to button press, and "xx" is input by button press "arrangement or number of related alphabets (2) + 1" times. When applied to Korean, the "conventional" circular toggle repeat selection method is applied to initial consonants (ie, "x → y → x → y → x → ..." as the button is repeatedly pressed), and the final consonan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above invention only when consonants are input. When "x" is the final consonant, the second "x" of "xx" i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배열갯수1초과누름 2알파벳 입력방법"을 일반화하여 표현하면, 버튼에 "N"개(N=1 또는 1보다 큰 자연수)의 알파벳 A_1, A_2, A_3, ... A_N 이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을 때, 상기 버튼이 한번 눌러졌을 때는 1번째로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 A_1이 인식되고, 상기 버튼이 N번 눌러지면 N번째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 A_N이 인식되고, N+1번 눌러지면 A_1 이 2개 인식되는 것이다. If you generalize and express "the method of pressing 2 alphabets by pressing the number of arrays exceeding 1", "N" (N = 1 or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of alphabets A_1, A_2, A_3, ... A_N are arranged or related to the button When the button is pressed once, the first arranged or related alphabet A_1 is recognized,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N times, the Nth arranged or related alphabet A_N is recognized, and when pressed N+1 times Two A_1 are recognized.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배열갯수1초과누름 2알파벳 입력방법"은 도면10-*의 키패드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키패드 및 컴퓨터의 키보드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obvious that the "arranged number of pressing more than 1 alphabet input method"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keypad of Fig. 10-*, but also to all other keypads and computer keyboards.

29.6 평자음버튼 연속 누름에 의한 입력의 최적화29.6 Optimization of input by continuous pressing of the flat consonant button

상기 "29.5"에서 "ㄷ", "ㅂ", "ㅈ"의 쌍자음(즉, ㄸ, ㅃ, ㅉ)은 종성자음으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 편의상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 이라고 이름붙였다. 그리고 "ㄷ", "ㅂ", "ㅈ" 중에서 "ㅂ"과 "ㅈ"만이 이중받침(예. ㄼ, ㄵ)을 구성하는 2번째글자(예. ㅂ, ㅈ)로 사용된다. "ㄱ"과 "ㅅ"의 쌍자음(즉, ㄲ, ㅆ)은 종성으로 사용되므로 편의상 "쌍자음종성가능 평자음" 이라고 이름 붙였다. "ㄱ"과 "ㅅ"은 모두 이중 받침(예. ㄺ, ㄳ)을 구성하는 2번째 글자로 사용된다. In "29.5", the pair consonants (i.e., ㄸ, ㅃ, ㅔ) of "C", "ㅅ", and "ㅅ" are not used as final consonants, so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y are named "consonants that cannot be consonants." . And among "ㄴ", "ㅅ", and "ㅅ", only "ㅅ" and "ㅅ" are used as the second letter (eg ㅅ, ㄴ) constituting a double support (eg ㄼ, ㄵ). The twin consonants of "ㄱ" and "ㅅ" (ie, ㄲ, ㅆ) are used as final consonants, so for convenience, they are named "pair consonants that can be finalized with twin consonants". Both "ㄱ" and "ㅅ" are used as the second letter constituting a double support (eg ㄺ, ㄳ).

우리 한글의 두벌식오토마타에서 종성자음 다음에 다음글자의 초성자음이 나올때 복잡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얼쑤"의 경우 "?d"이 입력되었다가 "?dㅅ", 다시 "얼쑤"와 같이 입력될 수 있는 사례(29.3)를 보였다. 이하에서는 주로 평자음이 종성자음으로 입력되고 나서 변화되는 모습을 실시예로 기술하며, 평자음이 초성자음으로 입력되는 경우는 복잡성이 없으므로 선출원에서 제시한 비순환식 또는 순환식 처리를 적용하면 된다. A complex phenomenon may appear when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ppears after the final consonant in the two-beol-type automata of our Korean language. In the case of "Ulsu", "?d" was entered, then "?dㅅ", and then "Ulsu" was entered (29.3). In the following, the appearance of changing a plain consonant after being input as a final consona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since there is no complexity in the case where a plain consonant is input as a leading consonant, the non-cyclic or circular processing propos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an be applied.

쌍자음은 형태상으로로 평자음이 2개 있는 형태를 띄고 있으므로 평자음 2번 누름으로 입력하는 것이 인지적으로 자연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연속누름이 보장되는 완벽한 한글입력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29.6)에서는 인지적으로도 자연스럽고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도 평자음 2번 누름으로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double consonants are in the form of two flat consonants, it may be cognitively natural to input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twice. However, in this case, continuous pressing is not guaranteed for perfect Korean input. In the present invention (29.6), it is intended to present an input method that is cognitively natural and minimizes ambiguity while inputting double consonants by pressing flat consonants twice.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주로 도면 10-*의 키패드를 예로 설명하더라도, 기존의 2벌식키보드(컴퓨터자판), 단모음키보드(2벌식키보드에서 'ㅑ', 'ㅕ', 'ㅛ', 'ㅠ' 가 빠진 자판) 등 모든 자판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평자음이 종성으로 입력되고 그 다음 같은 버튼이 연속눌러져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이어지는 사례를 제시하는데 기 입력된 첫 글자는 주로 "가"를 사용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keypad shown in FIG. 10-* is mainly described as an example, the existing two-beol keyboard (computer keyboard), short vowel keyboard (in the two-beol keyboard, 'ㅑ', 'ㅕ', 'ㅛ', It is self-evident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keyboards, such as keyboards without 'ㅠ'. In presenting an example where a flat consonant is entered as a final consonant and then the same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to lead to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the first letter already entered is mainly used.

먼저 본 발명(29.6)과 출원인의 선출원의 차이를 명확히 보이기 위하여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한다. First,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29.6) and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are briefly summarized.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을 2번 입력하여 쌍자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중성모음까지 입력된 사태(예. '가')에서 "ㄷ"이 입력되면 "갇"이 되고, 다시 "ㄷ"이 입력되면 "갇ㄷ" 또는 "가ㄸ"이 될 수 있다. "갇ㄷ"으로 처리하는 것과, "가ㄸ"으로 처리하는 것은 이미 출원인의 선출원(29.5)에서 제시한 바 있다. Let's take a look at the case of inputting a double consonant by inputting a flat consonant twice. In a situation where up to a neutral vowel is entered (eg 'ga'), if "c" is input, it becomes "trap", and if "c" is input again, it can be "trap" or "ga ㄸ". The treatment as "kpa" and the treatment as "ga ㄸ" have already been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5) of the applicant.

가 → 갇 → 가ㄸGo → Trapped → Go

실제 사용빈도에 기반하여 보면, "가ㄸ"으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함을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선출원에서는 도면 10-*의 [ㄷ]버튼에 "ㄸ"과 "ㅌ"이 연관되어 있으므로, "가ㄸ" 상태에서 "ㄷ"이 한번 더 입력되면 "같"이 되고, "ㄷ"이 한번 더 입력되면 "갇ㄷ"이 되는 것이 제시되었다. "ㅂ", "ㅈ"에 대해서도 같다. Based on the actual frequency of use, it w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that it is advantageous to treat it as "ga ㄸ". Also, in the previous application, since "ㄸ" and "T" are related to the [c] button of Figure 10-*, if "c" is input once more in the "Ga ㄸ" state, it becomes "same", and "c" is It was suggested that if more input was made, it would become "trapped". The same applies to "ㅅ" and "ㅅ".

가 → 갇 → 가ㄸ → 같 → 갇ㄷGo → Kapp → Ga ㄸ → Same → Kapp c

가 → 갑 → 가ㅃ → 갚 → 갑ㅂA → A → Gaㅃ → Repay → Gab

가 → 갖 → 가ㅉ → 갗 → 갖ㅈga → have → ga t → 갗 → have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 중에서 "ㅂ"과 "ㅈ"은 "ㄼ", "ㄵ"과 같이 이중받침의 2번째 글자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를 도면 10-*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mong the plain consonants that cannot be consonant with double consonants, "ㅅ" and "ㅅ" can be used as the second letter of the double support, such as "ㄼ" and "ㄵ", and this case is as follows based on Figure 10-*.

갈 → ?E → 갈ㅃ → ?H → ?EㅂGo → ?E → Go → ?H → ?Ef

간 → ?C → 간ㅉ → 간ㅊ → ?CㅈLiver → ?C → Liver → Liver → ?C

쌍자음종성가능 평자음에 대해서 도면 10-*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egarding the flat consonants that can form double consonants, the following is done based on Figure 10-*.

가 → 각 → ?A → ?J → 각ㄱA → Gak → ?A → ?J → Gak

↘ (모음 (예. ㅡ) 입력) → 가끄 ↘ (Enter a vowel (eg. ㅡ)) → Gakkeu

가 → 갉 → 갈ㄲ → 갈ㅋ → 갉ㄱGo → gnaw → galㄲ → galkk → gnaw

가 → 갓 → 갔 → 갓ㅅGo → Gat → Gat → Gats

↘ (모음 (예. ㅡ) 입력) → 가쓰 ↘ (Enter a vowel (ex. ㅡ)) → Katsu

각 → ?B → 각ㅆ → ?BㅅGak → ?B → Gakㅆ → ?Bㅅ

이상 도면10-*을 기준으로 출원인의 선출원(29.5)에서 제시된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하에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한 사항에 대하여 각 글자별로 입력을 최적화하는 사례를 보인다. Based on the above drawing 10-*,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5) of the applicant are summarized. Hereinafter, an example of optimizing the input for each letter with respect to the matters presen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is shown.

이하에서 자음 "XY"로 표현된 것은, 첫번째 글자는 종성자음 두번째 글자는 초성자음으로 보면된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2개의 초성자음을 표현할 수도 있다. 우리 한글의 사용빈도에 의하면, "ㄷㄷ", "ㅂㅂ", "ㅈㅈ"으로 나오는 경우는 각각 0.015%, 0.071%, 0.03% 로 모두 합하여 0.116%로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ㅅㅅ"으로 나오는 경우는 0.055% 에 불과하다. 모음으로 끝난 글자(예. '가', '나', '다',...) 다음에 종성자음과 초성자음으로 "ㄷㄷ", "ㅂㅂ", "ㅈㅈ", "ㅅㅅ"이 나오는 빈도는 모두 합하여 약 0.171% 밖에는 되지 않는 것이다. 반면에 모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초성자음으로 "ㄸ", "ㅃ", "ㅉ", "ㅆ"이 나오는 빈도는 각각 0.44%, 0.144%, 0.169%, 0.219% 로 모두 합하여 0.972% 로 약 1%에 가깝다. 따라서 "ㄷ", "ㅂ", "ㅈ", "ㅅ"에 대해서는 출원인의 선출원(29.5)에서처럼 "ㄷ → ㄸ → ㅌ" 의 쌍자음을 절대적 쌍자음으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함을 알 수 있다. In the following, the consonant "XY" is expressed as a consonant in which the first letter is the final consonant and the second letter is the initial consonant. However, in some cases, two initial consonants may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our Korean language, the cases of "D", "B", and "Ji" were 0.015%, 0.071%, and 0.03%, respectively, and the total was 0.116%, which is very small. In addition, only 0.055% of cases appear as "ㅅㅅ".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letters ending in vowels (e.g. 'ga', 'na', 'da',...) followed by final consonants and initial consonants "ㅅㅅ", "ㅅㅅ", "ㅅㅅ", "ㅅㅅ" All together, it is only about 0.171%.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ies of "ㄸ", "ㅃ", "ㅆ", and "ㅆ" appearing as initial consonants after a letter ending in a vowel are 0.44%, 0.144%, 0.169%, and 0.219%, respectively, for a total of 0.972%, which is about 1. close to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advantageous to treat the twin consonants of "ㅅ → ㄸ → ℓ" as absolute twin consonants, as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29.5), for "ㅅ", "ㅅ", "ㅅ", and "ㅅ".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이 4번 눌러졌을 때, 2개 평자음을 인식하는 것으로 처리하지 않고, 비순환식으로 처리하는 사례를 몇가지 보이면 다음과 같다. When a flat consonant without double consonants is pressed 4 times, a few examples of non-cyclic processing without recognizing two flat consonants are as follows.

가 → 갇 → 가ㄸ → 같 (사이클종료) → 같ㄷga → locked → ga ㄸ → equal (cycle end) → equal

가 → 갑 → 가ㅃ → 갚 (사이클종료) → 갚ㅂA → A → Ga ㅃ → Pay (end of cycle) → Pay

가 → 갖 → 가ㅉ → 갗 (사이클종료) → 갗ㅈGA → GA → GA → 갗 (cycle end) → 갗

"평자음 → 쌍자음 → 격자음" 까지를 하나의 사이클로 보고, 비순환식으로 처리하면 "ㅌㄷ", "ㅍㅂ", "ㅊㅈ"을 각 버튼 4번누름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사이클종료" 시점을 굳이 표시하지 않는다. "ㅌㄷ", "ㅍㅂ", "ㅊㅈ"으로 나오는 빈도는 각각 0.064%, 0.004%, 0.002% 로 모두 합하면 0.07% 이다. 0.07%는 "ㄷㄷ", "ㅂㅂ", "ㅈㅈ"으로 나오는 경우 0.116% 보다도 조금 적으나 두가지 빈도가 모두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비순환식 처리를 제시하는 이유는, 격자음이 평자음버튼 3번누름으로 입력되므로 평자음버튼 4번 눌러짐으로 "격자음 + 평자음"이 입력되는 것이 인지적으로 좀 더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If you view "pyeong consonant → double consonant → lattice consonant" as one cycle, and process it in a non-circular manner, you can enter "DD", "PB", and "CJ" by pressing each button 4 times. In the following, unless absolutely necessary, the point of "end of cycle" is not indicated. The frequencies of "D", "P-B", and "C-J" are 0.064%, 0.004%, and 0.002%, respectively, and the sum of all is 0.07%. It can be seen that 0.07% is slightly less than 0.116% when it comes out as "dc", "bb", and "jj", but both frequencies are very small. Nevertheless, the reason for presenting the acyclic process is that since the lattice sound is input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3 times, it is cognitively more natural that "lattice sound + flat consonant" is input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4 times. because it's ugly

순환식으로 처리되는 사례를 몇가지 보이면 다음과 같다. Here are some examples of circular processing:

가 → 갇 → 가ㄸ → 같 → 갇Go → Caught → Ga ㄸ → Same → Caught

가 → 갑 → 가ㅃ → 갚 → 갑A → A → Ga ㅃ → Repay → A

가 → 갖 → 가ㅉ → 갗 → 갖ga → have → gayeot → 갗 → have

인지적으로도 [ㄷ]버튼 3번눌러 "ㅌ"을 입력하고 나서 [ㄷ]버튼을 한번 더 눌러 "ㄷ"이 인식되므로, 총 [ㄷ]버튼 4번누름으로 "ㅌㄷ"을 입력하므로 비순환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순환식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사용자에게 인지적으로도 자연스럽다. 5번 이상 눌러졌을 때 비순환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Cognitively, after pressing the [c] button 3 times to enter "ㅅ", pressing the [c] button once more will recognize "ㅅ", so pressing the [c] button 4 times will input "ㅅ", which is non-cyclical. It is cognitively more natural for the user than processing in a circular fashion. If you show that it is processed in a non-circular way when it is pressed more than 5 times, it is as follows.

가 → 갇 → 가ㄸ → 같 → 같ㄷ → 같ㄸ → 같ㅌ → 같ㅌㄷGo → Kapp → Go → Same → Same c → Same ㄸ → Same → Same → Same

가 → 갑 → 가ㅃ → 갚 → 갚ㅂ → 갚ㅃ → 갚ㅍ → 갚ㅍㅂA → A → Gaㅃ → Repay → Repay → → Repay → Repay → → Repay

가 → 갖 → 가ㅉ → 갗 → 갗ㅈ → 갗ㅉ → 갗ㅊ → ?Oㅊㅈga → ga → gajj → 갗 → 갗j → 갗 → 갗ch → ?Ochj

평자음이 기 입력된 앞글자의 종성자음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case in which a double consonant can be formed by combining a plain consonant with a final consonant of a pre-entered initial letter is as follows.

간 → ?C → 간ㅉ → 간ㅊ → ?Cㅊ (사이클종료. 4번누름 = 'ㅈㅊ')Liver → ?C → Liver → Liver ch → ?Cch (Cycle ends. Press 4 times = 'jch')

또는 or

간 → ?C → 간ㅉ → 간ㅊ (사이클종료) → 간ㅊㅈ (비순환형. 4번누름 = 'ㅊㅈ')Liver → ?C → Liver → Liver (cycle end) → Liver

[ㅈ]버튼 3번눌러 "ㅊ"을 입력할 수 있고, "ㅈㅊ"은 [ㅈ]버튼 4번누름에 대응하므로, 상기와 같은 경우 [ㅈ]버튼 4번누름으로 "ㅈㅊ"이 인식되는 것은 인지적으로 좋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빈도에 있어서 "ㄵㅊ"으로 나오는 것은 0% 이므로, [ㅈ]버튼 4번누름(버튼에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는 자음의 수를 초과하여 눌렀을 때)을 "ㅈㅊ"으로 처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례에서 보듯이 상황(이중받침으로 결합될 수 있는 종성자음 다음에 평자음버튼이 눌러졌는지,...)에 따라 그리고 입력규칙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사이클 마디가 달라질 수 있다. You can input "ch" by pressing the [j] button 3 times, and "jch" corresponds to pressing the [j] button 4 times. It has cognitively good features. However, since 0% of the actual frequency of use is "ㄵㅁ", pressing the [j] button 4 times (when the number of consonants associated with the button is pressed) is not treated as "jch". it is desirable As shown in the above case, the cycle nod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ther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after the final consonant that can be combined with a double support, ...) and how the input rule is defined.

마찬가지로 쌍자음종성가능 평자음인 "ㄱ"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이 되는 "ㄺ"에 대하여 살펴본다. Similarly, we look at "ㄺ", which becomes a double support by combining with "ㄱ", a flat consonant that can form double consonants.

갈 → 갉 → 갈ㄲ → 갈ㅋ → 갉ㅋ (사이클종료. 4번누름 = 'ㄱㅋ')Gal → gnaw → Gal ㄲ → Gal ㅋ → Gnaw (Cycle ends. Press 4 times = 'ㄱㅋ')

또는 or

갈 → 갉 → 갈ㄲ → 갈ㅋ (사이클종료) → 갈ㅋㄱ (비순환형처리. 4번누름 = 'ㅋㄱ')Gal → gnaw → Gal ㄲ → Gal ㅋ (Cycle ends) → Gal ㅋ ㅋ (Non-circular processing. Press 4 times = 'ㅋ ㄱ')

도면 10-*에서 [ㅅ]버튼에는 "ㅅ"과 "ㅆ"만이 연관되어 있다. 출원인의 선출원(29.3)에서 설명하였듯이 [ㅅ]버튼 누름에 따라 "ㅅ → ㅆ or ㅅㅅ → ㅆㅅ or ㅅㅆ → ㅆㅆ"으로 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실제로 사용빈도에 있어서 "ㅆㅅ"은 "했습니다" , "갔습니다", "왔습니다", ... 와 같이 상대적으로 다수 (빈도 0.375%) 사용되므로 [ㅅ]버튼 3번 누름을 "ㅆㅅ"으로 처리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고 인지적으로도 타당하다. 마찬가지로 "?B→..."의 사례에서도 "ㅅ"이 3개로 이루어진 형태의 "ㅅㅆ"을 [ㅅ]버튼 3번 누름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ㅅㅅ"으로 나오는 경우는 0.055%이고, "ㅅㅆ"이 나오는 경우는 0.003%로 양자가 거의 미미하므로 인지적으로 타당([ㅅ]버튼 3번 누름으로 'ㅅㅆ'입력)한 방향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In Figure 10-*, only "ㅅ" and "ㅆ" are associated with the [ㅅ] button. As explai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3) of the applicant, it was explained that "ㅅ → ㅆ or ㅅㅅ → ㅅ → ㅅ ㅅ or ㅅㅆ → ㅆㅆ" according to pressing the [ㅅ] button. In fact,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ㅆㅅ" is used a relatively large number (frequency 0.375%) such as "I did", "I went", "I came", ..., so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is treated as "ㅆㅅ" It is much more natural and cognitively valid. Likewise, in the case of "?B→...", "ㅅㅆ" in the form of three "ㅅ"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ㅅ] button three times. The case of "ㅅㅅ" is 0.055%, and the case of "ㅅㅅ" is 0.003%, so both are almost insignificant, so it can be processed in one direction that is cognitively valid (by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to enter 'ㅅㅆ') have.

가 → 갓 → 갔 → 갔ㅅ → 갔 (선출원 29.3)가 → Gat → 가 → ㅅ → 가 (earlier application 29.3)

↘ (모음 (예. ㅡ) 입력) → 갓스 (선출원 29.3) ↘ (Enter a vowel (eg. ㅡ)) → Gods (earlier application 29.3)

↘ (모음 (예. ㅡ) 입력) → 가쓰 (선출원 29.5) ↘ (Enter a vowel (ex. ㅡ)) → Katsu (earlier application 29.5)

↘ 갓ㅆ (본 발명. 3번누름 =- 'ㅅㅆ') ↘ God (invention. Press 3 times =- 'ㅅㅆ')

각 → ?B → 각ㅆ → ?Bㅅ (선출원 29.5)Gak → ?B → Gakㅆ → ?Bㅅ (earlier application 29.5)

↘ ?Bㅆ (본 발명. 3번누름 = 'ㅅㅆ') ↘ ?B ㅆ (Invention. Press 3 times = 'ㅅㅆ')

"갓ㅆ" 상태에서 [ㅅ]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갔ㅆ"로 처리될 수도 있으나, "ㅆㅆ"의 사용빈도는 0%로 이므로 굳이 "ㅆㅆ"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있지는 않다. 모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ㅅ]버튼이 3번 눌러졌을 때, "ㅅㅆ"으로 나오는 빈도는 0.055% 인데 비해 "ㅆㅅ"으로 나오는 경우는 0.375%로 훨씬 더 높으므로, 비순환식으로 처리하여 "ㅅㅆ"이 아닌 "ㅆㅅ"이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If the [ㅅ] button is pressed once more in the "God ㅆ" state, it may be treated as "Ga ㅆ", but since the frequency of use of "ㅆ ㅆ" is 0%, there is no need to process it as "ㅆ ㅆ". When the [ㅅ] button is pressed 3 times after a letter ending in a vowel, the frequency of "ㅅㅆ" is 0.055%, whereas the frequency of "ㅅㅆ" is much higher at 0.375%. It is reasonable to make "ㅆㅅ" be recognized instead of ".

가 → 갓 → 갔 (사이클종료) →갔ㅅGo → Go → Go (Cycle End) → Go

그리고 실제로 "ㄳㅆ", "ㄽㅆ", "ㅄㅆ"으로 나오는 경우는 각각 0%, 0%, 0.02% 이다. 따라서 실제로 없는 "ㄳㅆ", "ㄽㅆ" 으로 처리하지 않고, 비순환식으로 처리한다면 다음과 같이 된다. 모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ㅅ]버튼이 3번 눌러졌을 때와 동일하게 "ㅆㅅ"으로 처리되므로 사용자에게 통일적이고 일관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And in reality, "ㄳㅆ", "ㄽㅆ", and "ㅄㅆ" are 0%, 0%, and 0.02%, respectively. Therefore, if you do not process "ㄳㅆ" and "ㄽㅆ" that do not actually exist, and process them in a non-circular manner, it becomes as follows. Since it is treated as "ㅆㅅ" in the same way as when the [ㅅ] button is pressed 3 times after a letter ending in a vowel, a unified and consistent feeling of us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각 → ?B → 각ㅆ (사이클종료) → 각ㅆㅅeach → ?B → each ㅆ (end of cycle) → each ㅆㅅ

갈 → ?F → 갈ㅆ (사이클종료) → 갈ㅆㅅGal → ?F → Gal ㅆ (cycle end) → Gal ㅆㅅ

순환식으로 처리한다면 다음과 같이 된다. If processed in a circular fashion, it becomes:

각 → ?B → 각ㅆ → ?BEach → ?B → Each → ?B

갈 → ?F → 갈ㅆ → ?FGo → ?F → Go → ?F

그러나 "값싼" 과 같이 "ㅄㅆ"이 나오는 경우는 적어도 0.02%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ㅅ]버튼 3번 누름으로 "ㅅㅆ" (정확히는 'xㅅㅆ'. x=ㅂ)으로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며,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사항 중의 하나이다. 도식화하여 보이면 아래와 같다. However, since there are at least 0.02% of cases where "ㅄㅆ" appears like "cheap", it is better to process it so that it is recognized as "ㅅㅆ" (exactly 'xㅅㅆ'. x=ㅅ) by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as follows. It is reasonable, and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ally, it looks like this:

갑 → 값 → 갑ㅆ → 값ㅆ (사이클종료)A → Value → A ㅆ → Value ㅆ (end of cycle)

도면10-*을 기준으로 한번 눌러진 평자음이 앞글자의 종성자음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루면서 "ㄵㅊ", "ㄳㅆ", "ㄽㅆ", "ㄺㅋ"로 나오는 빈도는 각각 0% 이며, "ㅄㅆ"만이 유일하게 의미있는 사용빈도를 가진다. 상기 발명을 출원인의 선출원(29.3, 29.5)과 대비하여 보이면 다음과 같다. Based on Figure 10-*, the flat consonant once pressed is combined with the final consonant of the preceding letter to form a double support, and the frequency of "ㄵCh", "ㄳㅆ", "ㄽㅆ", and "ㄺㅋ" is 0, respectively. %, and only "ㅄㅆ" has a meaningful usage frequency. If the above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 applications (29.3, 29.5) of the applicant, it is as follows.

갑 → 값 → 값ㅅ → 값ㅆ → 갑ㅆ (선출원29.3의 '얼쑤' 사례 참고)A → Value → Value ㅅ → Value ㅆ → Ga ㅆ (Refer to the case of 'Ulsu' in Prior Application 29.3)

갑 → 값 → 갑ㅆ → 값ㅅ (선출원 29.5)A → value → value ㅆ → value ㅅ (earlier application 29.5)

"ㄱㅆ", "ㄹㅆ", "ㅂㅆ"으로 나오는 경우는 각각 0.023%, 0.171%, 0.017% 로 모두 합하면 0.21% 이다. 반면에 "ㄳㅅ", "ㄽㅅ"으로 나오는 경우는 각각 0%씩이고 "ㅄㅅ"으로 나오는 경우는 0.02% 밖에는 되지 않는다. 선출원(29.3)에서는 사용빈도가 없거나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ㄳㅅ", "ㄽㅅ", "ㅄㅅ"가 [ㅅ]버튼 2번누름으로 처리되었고, 상대적으로 빈도가 많은 "ㄱㅆ", "ㄹㅆ", "ㅂㅆ" 가 [ㅅ]버튼 4번 누름으로 처리되었다. 또한 선출원(29.5)에서는 [ㅅ]버튼 2번누름으로 "ㄱㅆ", "ㄹㅆ", "ㅂㅆ"이 처리되었으나, [ㅅ]버튼 3번누름으로 "ㅄㅆ"을 처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더 많은 "ㄱㅆ", "ㄹㅆ", "ㅂㅆ" 이 [ㅅ]버튼 2번 누름으로 처리되면서도, [ㅅ]버튼 3번 누름으로 자연스럽게 "ㅄㅆ"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ases of "ㄱㅆ", "ㄹㅆ", and "ㄴㅆ" are 0.023%, 0.171%, and 0.017%, respectively, and the sum of all is 0.21%. On the other hand, "ㄳㅅ" and "ㄽㅅ" are 0% each, and "ㅄㅅ" is only 0.02%.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3), "ㄳㅅ", "ㄽㅅ", and "ㅄㅅ" with little or no frequency of use were process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twice, and "ㄱㅆ" and "ㄹㅆ" with relatively high frequency ", "ㅅㅆ" was process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4 times. In addition,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5), "ㄱㅆ", "ㄹㅆ", and "ㄴㅆ" were process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twice, but "ㅄㅆ" was not process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ㄱㅆ", "ㄹㅆ", and "ㄴㅆ", which are relatively more frequently used, are process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twice, "ㅄㅆ" can be naturally process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본 발명의 다른 부분에서도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Fㅅ" 과 같이 입력규칙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다른 유사경우 포함)는 "?F"까지 입력하고 나서 소정의 수단(예. 사용자가 음절마침수단 누름)에 의하여 글자입력을 종료하고 "ㅅ"을 입력하는 식으로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Even if it is not mentioned in other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input rule is not defined such as "?Fㅅ" (including other similar cases), after inputting "?F", a predetermined means (eg, the user ends the syllable) It is obvious that it is possible to end character input by pressing means) and input "ㅅ".

다음으로 "가 → 각 → ?A" 다음에 모음이 입력되었을 때, "ㄱㄱ"으로 처리(선출원 29.3)할 지, "ㄲ"으로 처리(선출원 29.5)할 지의 문제이다. Next, when a vowel is input after "A → each → ?A", it is a matter of whether to process it as "ㄱㄱ" (earlier application 29.3) or "ㄲ" (earlier application 29.5).

"ㄱㄱ"으로 나오는 것은 1.096% 이며 상대적으로 매우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모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초성자음으로 "ㄲ"이 나오는 것은 0.859% 이다. 우리 한글에서 종성자음이 없는 글자가 약 54%이고 종성자음이 있는 글자가 약 46%이므로 종성자음이 없는 글자의 빈도(예. 0.859%)를 54%의 비중으로, 종성자음이 있는 글자의 빈도(예. 1.096%)를 46%의 비중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다. 지금까지는 양자가 대략 반반씩이므로 가중치(54%, 46%)를 적용하지 않고 단순히 비교하였으나, 여기서는 좀 더 정밀하게 가중치(54%, 46%)까지 고려하여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ㄱㄱ" is 1.096% and occupie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And "ㄲ" appears as the initial consonant after a letter that ends with a vowel is 0.859%. In Korean Hangul, the number of letters without a final consonant is about 54% and the number of letters with a final consonant is about 46%, so the frequency of letters without a final consonant (eg 0.859%) is set at 54%, and the frequency of letters with a final consonant is set at 54%. (Ex. 1.096%) should be considered as a percentage of 46%. So far, since both are approximately half and half, comparisons have been made simply without applying weights (54%, 46%), but here, a more precise comparison by considering weights (54%, 46%) is as follows.

"ㄱㄱ" 으로 나오는 경우 1.096%의 46% = 0.504If it comes out as "ㄱㄱ", 46% of 1.096% = 0.504

모음+초성"ㄲ"으로 나오는 경우 0.859%의 54% = 0.46%When it comes out as vowel + initial consonant "ㄲ", 54% of 0.859% = 0.46%

조금이라도 "ㄱㄱ"의 빈도가 더 많으므로, "ㄱㄱ"으로 처리하는 것이 약간 더 유리하지만, 사실상 양자의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출원인의 선출원(29.3, 29.5) 중에서 한가지를 적용할 수 있다. 도면 10-*을 기준으로 출원인의 선출원(29.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ㄱ]버튼 2번 누름을 "ㄲ" 또는 "ㄱㄱ"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4번 눌러짐을 절대적인 "ㄲ"으로 처리할 수 있다. Since the frequency of "ㄱㄱ" is slightly higher, it is slightly more advantageous to process it as "ㄱㄱ", bu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virtually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refore, one of the previous applications (29.3, 29.5) of the applicant can be applied.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3) of the applicant based on Figure 10-*, pressing the [a] button twice can be treated as "ㄲ" or "ㄱㄱ", and pressing 4 times can be treated as absolute "ㄲ". can

가 → 각 → ?A → ?J → ?A → (모음(예. ㅡ) 입력) → 가끄A → Gak → ?A → ?J → ?A → (Enter a vowel (ex. ㅡ)) → Gakkeu

↘ (모음 (예. ㅡ) 입력) → 각그 ↘ (Enter a vowel (eg. ㅡ)) → Each

더 나아가 싸이클이 종료된(즉, ㄱ→ㄲ→ㅋ 싸이클에서 'ㅋ'이 입력된) 다음 앞글자의 종성자음 x(예. ㄹ)에 "ㄱ"이 결합할 수 있는 경우는 "ㄱㅋ"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비순환형 또는 순환형으로 처리힐 수 있다. 그러나 "ㄺㅋ"의 빈도는 0% 이므로 "ㄱㅋ"으로 처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f "ㄱ" can be combined with the final consonant x (ex. It can be treated or treated in a non-circular or cyclic type. However, since the frequency of "ㄺㅋ" is 0%, it is preferable not to process it as "ㄱㅋ".

갈 → 갉 → 갈ㄲ → 갈ㅋ → 갉ㅋ (사이클종료. 4번누름 = 'ㄱㅋ'으로 인식)gal → gnaw → galㄲ → galㅋ → gnaw (Cycle ends. Press 4 times = Recognized as 'ㄱㅋ')

또는or

갈 → 갉 → 갈ㄲ → 갈ㅋ (사이클종료) → 갈ㅋㄱ (비순환형처리. 4번누름 = 'ㅋㄱ')Gal → gnaw → Gal ㄲ → Gal ㅋ (Cycle ends) → Gal ㅋ ㅋ (Non-circular processing. Press 4 times = 'ㅋ ㄱ')

"ㄾ"과 "ㄿ"은 별도의 이중받침으로 쓰일 수 있으므로 4번 눌러졌을 때 "ㄷㅌ", "ㅂㅍ"이 아닌 "ㅌㄷ", "ㅍㅂ"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ㄾ" and "ㄿ" can be used as separate double supports, it is preferable that they become "ㅅ" and "β" rather than "DTI" and "WF" when pressed 4 times.

갈 → 갈ㄷ → 갈ㄸ → ?G (사이클종료) → ?GㄷGo → Go → Go → ?G (cycle end) → ?G

갈 → ?E → 갈ㅃ → ?H (사이클종료) → ?HㅂGo → ?E → Go → ?H (cycle end) → ?Hf

[ㄱ]버튼 4번 눌러짐을 "ㄱㅋ"(본 실시예에서는 'ㄺㅋ'으로 입력됨)이 아닌 "ㅋㄱ"으로 처리하는 것은 "ㅌㄷ" (본 실시예에서는 'ㄾㄷ'으로 입력됨), "ㅍㅂ" (본 실시예에서는 'ㄿㅂ'으로 입력됨) 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것과 일관성이 있게 된다. 또한 실제 사용자들이 "ㅋㅋ" 등의 표현을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갈" 다음에 [ㄱ]버튼 연속 6번 눌러 "ㅋㅋ"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cessing the pressing of the [a] button 4 times as "ㅋㅋ" rather than "ㄱㅋ" (in this embodiment, input as 'ㄺㅋ') is "ㄴㄴ" (in this embodiment, input as 'ㄾㄴ'), It becomes consistent with recognizing and processing "P-B" (in this embodiment, input as 'ㄿ-'). In addition, actual users often use expressions such as "ㅋ",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you can input "ㅋ" by pressing the [a] button 6 times in succession after "go".

도면 10-*을 기준으로 [ㄱ]버튼의 연속눌러짐에 대하여 출원인의 선출원(29.5)을 적용한 것을 도식으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Based on Figure 10-*, the application of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29.5) to the continuous pressing of the [a] button is as follows.

가 → 각 → ?A → ?J → 각ㄱ (선출원 29.5)A → Gak → ?A → ?J → Gak A (earlier application 29.5)

↘ (모음(예. ㅡ) 입력) → 가끄 ↘ (Enter a vowel (ex. ㅡ)) → Gakkeu

상기와 같이 처리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ㄷ", "ㅂ", "ㅈ", "ㅅ" 버튼 2번누름이 항상 쌍자음으로 처리되는 것과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쌍자음이 있는 평자음 중에서 "ㄷ", "ㅂ", "ㅈ", "ㅅ"을 각각 연속 2번 입력한 것은 각각의 쌍자음으로 항상 처리되도록 하며, "ㄱㄱ" (예. '국가'에서 종성자음 및 초성자음)은 인지적으로 항상 "ㄱ"이 2개인 것으로 사용자는 인식하므로 [ㄱ]버튼 2번 누름을 "ㄱㄱ"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ㄱ"이 이중받침으로 결합될 수 없는 종성자음(예. 'ㅁ')으로 끝난 글자(예. '감') 다음에 [ㄱ]버튼이 4번 눌러졌다면 "감ㄱㄱ"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ㄱ]버튼 4번누름이 "ㄱㄱ"으로 되는 것은 종성자음에서 초성자음으로 넘어오는 것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경우(감+ㄱ...)처럼 1번누름이 초성자음으로 인식되는 경우는 3번 눌렀을 때까지를 사이클 마디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역시 상황에 따라 또는 관점에 따라 사이클 마디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consistency with the fact that two presses of the "c", "b", "ㅅ", and "ㅅ" buttons are always treated as twin consonants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as sugge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lain consonants with twin consonants, inputting "c", "ㅅ", "ㅅ", and "ㅅ" twice in succession, respectively, is always processed as each pair consonant, " ㄱㄱ" (eg, the final consonant and the initial consonant in 'country') is cognitively recognized by the user as always having two "a", so it may be more desirable to treat pressing the [a] button twice as "ㄱㄱ" have. If "ㄱ" is pressed 4 times after a letter ending with a final consonant (eg, 'ㅁ')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a double support (eg, 'gam'), it should be "gam ㄱㄱ". However, if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becomes "ㄱㄱ", it is to process the transition from the final consonant to the initial consonant. It is reasonable to view until pressed three times as a cycle node. This also means that the cycle node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viewpoint.

또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된 "ㄲ = ㄱㅣㅣ", "ㅋ = ㄱㅡㅡ"와 같이 모음버튼과 조합하여 입력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also obvious that it can be input in combination with a vowel button, such as "ㄲ = ㄱㅣㅣ" and "ㅋ = ㄱㅡㅡ" presen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였듯이, 종성자음으로 끝난 글자(예. ㅂ) 다음에 특정 글자(예. ㅅ)가 인식된다는 것은, 그 앞의 종성자음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경우는 이중받침으로 입력(예. ㅄ)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중받침을 이룰 수 없는 경우는 그 자체의 자음으로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t that a specific letter (eg. ㅅ) is recognized after a letter ending with a final consonant (eg. ㅅ) is double if it is combined with the preceding consonant to form a double support It means that it is entered as a support (eg ㅄ), and if a double support cannot be achieved, it means that it is entered as its own consonant.

도면10-*을 기준으로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ased on Figure 10-*,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각 버튼에 첫번째로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은 각 버튼 1번누름으로 인식된다. The alphabet first arranged or related to each button is recognized as one press of each button.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ㄷ', 'ㅂ', 'ㅈ')에 대해서는 1번누름으로 해당 평자음이 인식된다. 2번누름은 항상 해당 쌍자음으로 인식된다. 이는 모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이 2번 입력되더라도 "ㄷㄷ"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처리하는 것이 인지적측면("ㄷ" 2번 누름에 의하여 "ㄸ"이 입력된다는 사용자의 인식)과 사용빈도 측면에서 유리함을 설명하였다. 3번 누름은 항상 해당 격자음으로 인식된다. 4번누름은 대응되는 격자음과 해당 평자음으로 인식된다. 이 역시 상기 설명한 바 인지적 측면 및 실용적 측면을 모두 종합하여 최적화된 결과이다. For flat consonants that cannot be consonant with double consonants ('c', 'b', 'j'), the corresponding flat consonant is recognized by pressing once. Pressing twice is always recognized a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This means that even if a flat consonant with no consonant consonants is entered twice after a letter that ends with a vowel, it is not recognized as "c".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is processing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gnitive aspect (user's perception that "ㄸ" is input by pressing "c" twice) and frequency of use. Pressing 3 times is always recognized as the corresponding grating sound. Pressing 4 times is recognized as a corresponding lattice sound and a corresponding flat consonant sound. This is also an optimized result by integrating both the cognitive and practical aspects as described above.

[ㅅ]버튼에는 "ㅅ"과 "ㅆ"이 연관 또는 배열되어 있다. [ㅅ]버튼 한번 누름으로 "ㅅ"이 인식된다. 2번누름은 항상 "ㅆ"으로 인식된다. 이는 모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ㅅ]버튼이 2번 눌러져서 "ㅆ"으로 인식된 후, 다시 모음이 입력되어도 "ㅅㅅ"으로 되지 않고 초성자음 "ㅆ"으로 인식된다는 의미이며, 또한 "ㅅ"이 결합될 수 있는 종성자음(예. 'ㄱ')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ㅅ"이 2번 눌러져도 "ㅅㅅ"이 인식되어 그 결과 "ㄳㅅ"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ㅆ"으로 인식된다는 의미이다. [ㅅ]버튼 3번 누름은 "ㅆㅅ"으로 인식된다. 이 역시 "ㅅ"이 결합될 수 있는 종성자음(예. 'ㄱ')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ㅅ"이 3번 눌러져도 "ㄳㅆ"으로 되지 않고 "ㅆㅅ"으로 인식된다는 의미이다. 단, 종성자음 "ㅂ"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ㅅ]버튼이 3번 눌러지면 "ㅅㅆ"으로 인식되어 그 결과는 "ㅄㅆ"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ㅅ] button, "ㅅ" and "ㅆ" are associated or arranged. "ㅅ"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once. Pressing twice is always recognized as "ㅆ". This means that after a letter ending in a vowel, the [ㅅ] button is pressed twice and recognized as "ㅆ", and even if a vowel is entered again, it does not become "ㅅㅅ" and is recognized as the initial consonant "ㅆ", and also "ㅅ" Even if "ㅅ" is pressed twice after a letter ending with a final consonant (eg 'ㄱ') that can be combined, "ㅅㅅ" is recognized, and as a result, it is always recognized as "ㅆ" rather than "ㄳㅅ". It means. Pressing the [ㅅ] button three times is recognized as "ㅆㅅ". This also means that "ㅅ" is recognized as "ㅆㅅ" instead of "ㄳㅆ" even if "ㅅ" is pressed 3 times after a letter ending with a final consonant (eg 'ㄱ') to which "ㅅ" can be combin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when the [ㅅ]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after a letter ending in the final consonant "ㅅ", it is recognized as "ㅅㅆ" and the result is "ㅄㅆ".

"ㄱ"에 대해서는 2가지의 처리가 가능하다. [ㄱ]버튼 1번 눌러짐은 "ㄱ"으로 인식된다. [ㄱ]버튼 2번누름은 "ㄲ" 또는 "ㄱㄱ"으로 인식된다. "ㄱㄱ"으로 인식되는 것은 다음의 몇가지를 들 수 있다. 모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ㄱ]버튼이 2번 눌러지면 종성자음 "ㄲ"으로 되지만 그 다음 모음이 입력되면 "ㄱㄱ"으로 인식되는 것, 그리고 "ㄱ"이 결합할 수 있는 종성자음(예. ㄹ)다음에 [ㄱ]버튼이 2번 눌러지면 "ㄱㄱ"이 인식되어 그 결과 "ㄺㄱ"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ㄱ]버튼 3번누름은 "ㅋ"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ㄱ]버튼 4번누름은 항상 "ㄲ"으로 인식된다. 이는 4번 누름에 의하여 입력된 종성자음 "ㄲ" 다음에 모음이 오더라도 "ㄱㄱ"으로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For "a", two types of processing are possible. Pressing the [a] button once is recognized as "a". Pressing the [a] button twice is recognized as "ㄲ" or "ㄱㄱ". What is recognized as "ㄱㄱ" includes several of the following. If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after a letter ending in a vowel, the final consonant "ㄲ" becomes the final consonant, but if the next vowel is entered, it is recognized as "ㄱㄱ", and the final consonant that "ㄱ" can be combined (eg. d) Next,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ㄱㄱ" is recognized, and as a result, "ㄺㄱ" means. Pressing the [a] button three times is recognized as "ㅋ". And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is always recognized as "ㄲ". This means that even if a vowel comes after the final consonant "ㄲ" input by pressing 4 times, it does not become "ㄱㄱ".

이상이 도면10-*을 기준으로 인지적인 측면과 실용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같은 평자음버튼을 연속 눌러 쌍자음 및 격자음을 입력할 때, 종합적으로 최적화된 처리를 제시하였다. 도면10-*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유사한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Based on Figure 10-*, the above presented a comprehensively optimized process when inputting double consonants and lattice sounds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same flat consonant button in consideration of both cognitive and practical aspects. Although described based on Figure 10-*, the same can be applied to similar cases.

상기에서 [ㄱ]버튼 눌러짐에 의한 또 한가지는 처리는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도 있듯이 상기 요약에서 제시한 기술을 권장한다. [ㄱ]버튼 1번눌러짐은 "ㄱ"으로 인식된다. [ㄱ]버튼 2번 눌러짐은 항상 "ㄲ"으로 인식된다. 이는 종성자음으로 입력된 상기 "ㄲ" 다음에 모음이 오더라도 "ㄱㄱ"으로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ㄱ]버튼 3번누름은 항상 "ㅋ"으로 인식된다. [ㄱ]버튼 4번 누름은 "ㄱㄱ"으로 인식된다. Another processing by pressing the [a] button in the above is as follows. However, a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ques presented in the above summary are recommended. Pressing the [a] button once is recognized as “a”. Pressing the [a] button twice is always recognized as "ㄲ". This means that even if a vowel comes after the "ㄲ" input as the final consonant, it does not become "ㄱㄱ". Pressing the [a] button three times is always recognized as "ㅋ".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is recognized as "ㄱㄱ".

본 발명에서 설명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rearranged as follows.

다수의 버튼을 가지고 있으며, 각 버튼에는 하나 이상의 한국어 알파벳이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으며, 평자음버튼에 각각 상기 평자음에 대응되는 쌍자음과 격자음이 연관 또는 배열되어 있는 키패드에서 한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on a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each button having one or more Korean alphabets arranged or related, and pair consonants and lattice sounds corresponding to the flat consonants are related or arranged in flat consonant buttons, respectively. in

상기 버튼의 1번 눌러짐으로 상기 눌러진 버튼에 첫번째로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이 인식되고, When the button is pressed once, the alphabet first arranged or related to the pressed button is recognized,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인 "ㄷ", "ㅂ", "ㅈ" 버튼중 어느 한 버튼의 1번 눌러짐으로 해당 평자음이 인식되고, The flat consonant is recognized by pressing any one of the buttons "c", "b", and "ㅅ", which are flat consonants that cannot be formed as twin consonants,

"ㄷ", "ㅂ", "ㅈ" 버튼중 같은 버튼의 2번 연속 눌러짐으로 대응되는 쌍자음이 인식되고,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same button twice in succession among the "c", "b", and "j" buttons,

"ㄷ", "ㅂ", "ㅈ" 버튼중 같은 버튼의 3번 연속 눌러짐으로 대응되는 격자음이 인식되고, When the same button is pressed 3 times in succession among the "c", "b", and "j" buttons, the corresponding grid sound is recognized.

"ㄷ", "ㅂ", "ㅈ" 버튼중 같은 버튼의 4번 연속 눌러짐으로 대응되는 격자음과 해당 평자음이 인식되며, When the same button is pressed 4 times in succession among the "c", "b", and "j" buttons, the corresponding lattice sound and the corresponding flat consonant sound are recognized,

"ㅅ" 버튼의 1번 눌러짐으로 "ㅅ"이 인식되고, "ㅅ"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once,

"ㅅ" 버튼의 2번 눌러짐으로 "ㅆ"이 인식되고, 이에 의한 종성자음 "ㅆ" 다음에 연속하여 모음버튼이 입력되었을 때 초성자음 "ㅆ"이 인식되고, By pressing the "ㅅ" button twice, "ㅆ" is recognized, and when the vowel button is continuously input after the final consonant "ㅆ", the initial consonant "ㅆ" is recognized,

"ㅅ" 버튼의 3번 눌러짐으로 "ㅆㅅ"이 인식되며,"ㅅㅅ"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ㄱ" 버튼의 1번 눌러짐으로 "ㄱ"이 인식되고, By pressing the "a" button once, "a" is recognized,

"ㄱ" 버튼의 2번 눌러짐으로 "ㄲ" 또는 "ㄱㄱ"이 인식되고, 이에 의한 종성자음 "ㄲ" 다음에 연속하여 모음이 입력되었을 때 종성자음과 초성자음의 "ㄱㄱ"으로 인식되며,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ㄲ" or "ㄱㄱ" is recognized, and when a vowel is continuously input after the final consonant "ㄲ", it is recognized as "ㄱㄱ" of the final consonant and the initial consonant,

"ㄱ" 버튼의 3번 눌러짐으로 "ㅋ"이 인식되고, "ㅋ"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a" button three times,

"ㄱ" 버튼의 4번 눌러짐으로 "ㄲ"이 인식되고, 이에 의한 종성자음 "ㄲ" 다음에 연속하여 모음이 입력되었을 때 초성자음 "ㄲ"으로 인식되는 것"ㄲ"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a" button 4 times, and when a vowel is continuously input after the final consonant "ㄲ" by this, it is recognized as the initial consonant "ㄲ"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입력방법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characterized by

상기에 다음의 내용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e following may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above.

상기에 있어서, In the above,

종성자음 "ㅂ"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연속하여 "ㅅ" 버튼의 3번 눌러짐으로 "ㅅㅆ"이 인식(기 입력된 종성자음 "ㅂ"과 합하여 'ㅄㅆ'이 입력)되는 것"ㅅㅆ"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three times consecutively after a letter ending in the final consonant "ㅅ" ('ㅄㅆ' is input by combining with the previously entered final consonant "ㅅ")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입력방법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characterized by

상기에 다음의 내용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e following may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above.

상기에 있어서, In the above,

자음버튼 한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는 자음은 "ㄱ", "ㄴ", "ㄷ", "ㅁ", "ㅂ", "ㅅ", "ㅇ", "ㅈ" 의 자음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Consonants entered by pressing the consonant button once include at least the consonants of "a", "b", "c", "ㅁ", "ㅅ", "ㅅ", "ㅇ", and "ㄴ"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입력방법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characterized by

상기에 다음의 내용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e following may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above.

상기에 있어서, 사이클종료 이후 비순환형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입력방법 In the above, the 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cessed in a non-circular manner after the end of the cycle

또한 상기에서의 [ㄱ]버튼 눌러짐 처리 대신에, [ㄱ]버튼 2번 눌러짐으로 절대적으로 "ㄲ" 인식되고, 3번 눌러짐으로 "ㅋ"이 인식되고, [ㄱ]버튼 4번 눌러짐으로 "ㄱㄱ"이 인식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Also, instead of the [a] button pressing process in the above,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ㄲ" is absolutely recognized, and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ㅋ" is recognized, and by pressing the [a] button four times, It can be applied that "ㄱㄱ" is recognized as a burden.

다음으로 2벌식키보드(컴퓨터자판) 또는 구글社의 "단모음키보드"처럼 "ㄱ", "ㄷ", "ㅂ", "ㅅ", "ㅈ"버튼에 각각 "ㄲ", "ㄸ", "ㅃ", "ㅆ", "ㅉ"만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의 처리를 살펴본다. 구글社의 단모음키보드는 컴퓨터자판에서 'ㅑ', 'ㅕ', 'ㅛ', 'ㅠ'가 빠져 있으며, ㅑ = ㅏㅏ, ㅕ = ㅓㅓ, ㅛ = ㅗㅗ, ㅠ = ㅜㅜ 로 입력된다. 안드로이드마켓(구글플레이스토어)를 통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있으므로 단모음키보드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단, 컴퓨터자판을 기준으로 설명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다른 자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Next, "ㄲ", "ㄸ", "ㅃ" buttons "a", "c", "ㅅ", "ㅅ", "ㅅ", respectively, like the double keyboard (computer keyboard) or Google's "single vowel keyboard" Let's take a look at processing when only ", "ㅆ", and "ㅆ" are associated. Google's single vowel keyboard is missing 'ㅑ', 'ㅕ', 'ㅛ', and 'ㅠ' from the computer keyboard, and ㅑ = AH, ㅕ = sh, ㅛ = ㅗㅗ, ㅠ = TT is entered. Since it is widely used through the Android Market (Google Play Store),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the single vowel keyboard are omitted. However, even if the description is based on a computer keyboard, it is obvious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keyboards.

현재 기존의 2벌식키보드 등에서 쌍자음을 평자음 2번 누름으로 처리하는 것은 많은 프로그램에서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정시간안에 2번 연속 눌러지면 쌍자음으로 처리하고 소정시간을 넘어 2번 연속 눌러지면 평자음 2번 입력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쌍자음을 입력할 때는 빠르게 2번 눌러주고, 평자음 2번을 입력할 때는 천천히 2번 눌러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1분에 300타~400타를 치는 사용자가 있다면 그 사용자는 무자비하게 항상 빠르게 누른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전통적으로 12버튼 자판 등에서 있었던 "모호성"의 문제는 지금도 중요한 문제일 수 밖에 없다. Currently, many programs show that double consonants are processed by pressing flat consonants twice in the existing double keyboard. However, if it is pressed twice consecutive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processed as a double consonant, and if it is pressed twice consecutively beyond a predetermined time, it is processed as two plain consonants. However, when the user inputs a double consonant, he presses it twice quickly, and when he inputs a flat consonant twice, he does not press it twice slowly. If there is a user who hits 300 to 400 strokes per minute,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mercilessly always presses quickly. After all, the problem of "ambiguity" that traditionally existed in 12-button keyboards is still an important issue.

기존에는 평자음이 2번 눌러졌을 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처리되었다. In the past, when a flat consonant was pressed twice, it was generally processed as follows.

가 → 갇 → 갇ㄷ → 갇ㄸGo → Trapped → Trapped → Trapped

출원인의 선출원(29.5)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다른 자음(즉, ㄱ, ㅂ, ㅅ, ㅈ)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Applying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29.5), we get: The same is true for other consonants (i.e., ㄱ, ㄴ, ㅅ, ㄴ).

가 → 갇 → 가ㄸ → 갇ㄷGo → Kapp → Ga ㄸ → Kapp c

여기서 평자음버튼에는 해당 평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 2개 만이 연관되어 있으므로, 평자음 버튼 3번 누름이 "ㄷㄷ"으로 된다. 인지적으로 홀수번 누름으로 짝수개의 자음을 입력하는 것이 약간은 부자연스러운 점이 있다. [ㄷ]버튼 2번 누름을 "ㄸ"으로 처리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인지적으로 자연스러움은 이미 출원인의 선출원(29.3)에서 설명한 바 있다. Here, since only two pair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lat consonant are associated with the flat consonant button,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three times becomes "ㅅ U". Cognitively, it is a little unnatural to input an even number of consonants with an odd number of presses. The fact that processing the [c] button twice as "ㄸ" is cognitively natural for the user has already been explai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3) of the applicant.

이미 언급한대로,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이 "ㄷㄷ", "ㅂㅂ", "ㅈㅈ"으로 나오는 경우는 각각 0.015%, 0.071%, 0.03% 로 모두 합하여 0.116%로 매우 적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평자음버튼 3번 누름을 "ㄷㄸ"으로 처리할 수 있다. As already mentioned, the cases in which the paired consonant incongruent plain consonants appear as "dc", "bb", and "jj" are 0.015%, 0.071%, and 0.03%, respectively, and the total is 0.116%, which is very small. Therefore,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3 times can be processed as "□ㄸ" as follows.

가 → 갇 → 가ㄸ → 갇ㄸga → trapped → ga ㄸ → trapped ㄸ

가 → 갑 → 가ㅃ → 갑ㅃA → A → Ga ㅃ → A ㅃ

가 → 갖 → 가ㅉ → 갖ㅉga → have → ga pp → have

종성자음 다음에 나오는 이중받침으로 결합될 수 있는 평자음(예. ㅂ, ㅈ)이 눌러진 경우는 다음과 같다. The case where a flat consonant (eg, ㅅ, ㅅ) that can be combined with a double support following a final consonant is pressed is as follows.

갈 → ?E → 갈ㅃ → ?EㅃGo → ?E → Go → ?Eㅃ

간 → ?C → 간ㅉ → ?CㅉLiver → ?C → Liver → ?C

이는 본 발명에서 이미 설명한 이는 본 발명에서 이미 제시한 "갈 → 갉 → 갈ㄲ → 갈ㅋ → 갉ㅋ"의 사례와 같다. 사용빈도 측면에서 보면 "ㄷㄸ", "ㅂㅃ", "ㅈㅉ"으로 나오는 경우는 각각 0.002%, 0.001%, 0% 에 불과하다. 또한 "ㄼㅃ", "ㄵㅉ" 은 각각 0%, 0.002% 이다. 5가지 경우를 모두 합해도 0.005% 이다. 상기 제시한 "ㄷㄷ", "ㅂㅂ", "ㅈㅈ"으로 나오는 경우인 0.116% 보다도 훨씬 적다. 그럼에도 특정 자음 3개의 형태로 이루어진 자음(예. ㄷㄸ) 에 대한 "인지적 부합성" 측면에서 상기와 같이 처리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This is the same as the case of “gal → gnaw → gal ㄲ → gal ㅋ → gnaw” alread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use, only 0.002%, 0.001%, and 0% of "Dㄸ", "ㅅㅃ", and "ㅅㅃ" were used, respectively. In addition, "ㄼㅃ" and "ㄵㅅ" are 0% and 0.002%, respectively. The sum of all five cases is 0.005%. It is much less than 0.116%, which is the case with "D", "B", and "J" presented above. Nevertheles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onants (eg, □ㄸ) can be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in terms of "cognitive compatibility" for consonants composed of three specific consonants.

상기는 모음으로 끝난 글자 또는 종성자음이 있더라도 기 입력된 종성자음이 눌러진 평자음과 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경우, 특정 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글자의 수(예에서는 평자음과 쌍자음 2개) 를 초과하여 눌러졌을 때, 이를 "평자음 쌍자음" 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것이다. Even if there is a letter or final consonant ending in a vowel, the number of letters associated with a specific button (in the example, two plain consonants and two consonants ), it is recognized and processed as a "flat consonant consonant" when it is pressed in excess of ).

"ㅆ"의 경우 종성자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모음 다음에 [ㅅ]버튼이 연속하여 눌러진 경우는 출원인의 선출원 및 본 발명에서 제시된대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 → 갓 → 갔 → 갔ㅅ"와 같이 된다. 단, "ㅅ"이 이중받침으로 결합될 수 있는 종성자음(예. "ㅂ", "ㄱ", "ㄹ")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ㅅ]버튼이 3번 연속 눌러지는 경우는 상기 제시한 대로 "갑 → 값 → 갑ㅆ → 값ㅆ" 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ㄲ"의 경우도 "ㅆ"의 경우와 동일하다. 종성자음에서 이중받침으로 결합되는 경우의 예를 들면 "갈 → 갉 → 갈ㄲ → 갉ㄲ" 으로 처리될 수 있다. 모두 평자음버튼의 3번 누름을 "ㅅㅆ" 또는 "ㄱㄲ"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것이다. Since "ㅆ" can be a final consonant, if the [ㅅ] button is pressed consecutively after a vowel, it can be processed as sugges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becomes like "Go → Gat → Gone → Gwas". However, if the [ㅅ]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in succession after a letter ending with a final consonant (e.g., "ㅅ", "ㄱ", "ㄹ") that can be combined with "ㅅ", As such, it can be processed as "A → value → value ㅆ → value ㅆ". The case of "ㄲ" is the same as that of "ㅆ". For example, when a consonant consonant is combined with a double support, it can be processed as “gal → gnaw → gal ㄲ → gnaw ㄲ”. All three presses of the flat consonant button are recognized and processed as "ㅅㅆ" or "ㄱㄲ".

상기는 모두 평자음 버튼이 눌러졌을 때 종성으로 처리되는 경우이며, 초기상태에서 평자음버튼이 눌러졌을 때 초성자음인 경우는 이미 선출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비순환식 또는 순환식으로 처리하면 된다. All of the above cases are processed as final consonants when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and in the case of initial consonants when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in the initial state, as already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is simply a non-cyclic or circular process.

이를 일반화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A_1이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이고, A_1, A_2, A_3, ... A_N 과 같이 N개의 한국어 자음이 하나의 버튼에 연관되어 있을 때, N회 눌러짐은 누름 횟수에 대응되는 자음으로 인식되고, "N+1회" 눌러짐을 "A_1 A_N" 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설명한 대로, "A_1 A_N"은 "XY"와 같이 종성자음과 초성자음이다. 인식된 A_1 은 종성자음이거나 기 입력된 종성자음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루며, 인식된 A_N은 초성자음으로 처리된다. If this is generalized, it is expressed as follows. When A_1 is a flat consonant with no double consonants, and N Korean consonants, such as A_1, A_2, A_3, ... A_N, are related to one button, pressing N times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 It means that “N+1 times” is recognized and processed as “A_1 A_N”. As already explained, "A_1 A_N" is a final consonant and a leading consonant like "XY". The recognized A_1 is a final consonant or combined with a previously input final consonant to form a double base, and the recognized A_N is treated as a leading consonant.

단, A_1이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의 경우는 모음으로 끝난 글자 또는 입력되는 평자음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종성자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해당 버튼이 연속 눌러진 경우이며, A_1이 쌍자음종성가능 평자음의 경우는 A_1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종성자음으로 끝난 글자 다음에 해당 버튼이 연속 눌러진 경우이다.However, if A_1 is a plain consonant that cannot form a pair consonant, it is the case where the button is pressed continuously after a letter ending with a vowel or a final consonant that can be combined with an input flat consonant to form a double support, and A_1 is a pair In the case of a plain consonant capable of consonant ending, the corresponding button is pressed continuously after a letter ending with a final consonant that can form a double support by combining with A_1.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o summarize this:

다수의 버튼을 가지며 상기 버튼에는 N개(N은 1 또는 1이상을 포함하는 자연수)의 한국어 자음(A_1, A_2, ... A_N)이 배열 또는 연관되어 있는 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한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It has a plurality of buttons, and on the buttons, Korean consonants (A_1, A_2, ... A_N) of N (N is 1 or a natural number including 1 or more) are arranged or related to Korean by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on the keypad. In the input method,

상기 A_1은 쌍자음종성불가 평자음이며, 모음으로 끝난 글자 또는 A_1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종성자음이 입력된 후, The A_1 is a flat consonant that cannot be formed as a double consonant, and after a letter ending with a vowel or a final consonant that can form a double support by combining with A_1 is input,

또는or

상기 A_1은 쌍자음종성가능 평자음이며, A_1과 결합하여 이중받침을 이룰 수 있는 종성자음이 입력된 후, The A_1 is a flat consonant capable of forming a pair consonant, and after a final consonant that can form a double support in combination with A_1 is input,

상기 버튼이 1번 눌러지면 A_1이 인식되고, When the button is pressed once, A_1 is recognized,

상기 버튼이 2번 눌러지면 A_2가 인식되고, When the button is pressed twice, A_2 is recognized,

상기 버튼이 N번 눌러지면 A_N이 인식되고, When the button is pressed N times, A_N is recognized,

상기 버튼이 N+1번 눌러지면 "A_1 A_N"이 인식되는 것Recognizing "A_1 A_N" when the button is pressed N+1 times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입력방법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characterized by

추가적으로 상기에서, A_2는 쌍자음인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above, A_2 may further include a pair consonant.

29.7 반복누름에 의한 탈락자음 (예. "ㅎ")입력시의 모호성 해결29.7 Resolving ambiguity when inputting dropped consonants (eg "ㅎ") by repeated pressing

출원인의 선출원(29.4)에서 도면10-*을 기준으로 [ㆍ]버튼 3번 눌러짐으로 [ㆍ]버튼에 연관 또는 배열되어 있는 "ㅎ"을 입력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몇몇 사례에서 [ㆍ]버튼 1번 누름을 "ㅏ"로 [ㆍ]버튼 2번 누름을 "ㅓ"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4) of the applicant, it was proposed to input "ㅎ" associated with or arranged in the [•] button by pressing the [•] button three times based on Figure 10-*. In some cases, it has been explained that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is treated as “a” and pressing the [ㆍ] button twice as “o” as follows.

ㄱ → 가 → 거 → ㄱㅎ → 갛 → 겋ㄱ → 가 → Geo → ㄱㅎ → Red → か

상기에서 "가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갛" 상태에서 "ㆍㅡ"를 누르면 "거흐"이 될 것이다. "겋" 상태에서 "ㆍㅡ"를 눌러 "거호"가 되는 것이 문제가 없는 것은 선출원(29.4)에서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if you press "ㆍㅡ" in the "red" state to input "gaho", it will be "geuh". It was explai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4) that there is no problem in becoming a “geo-ho” by pressing “ㆍㅡ” in the “g” state.

"ㅏ"를 "ㅣㆍ"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ㆍ]버튼 연속눌러짐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In the case of inputting "a" as "ㅣㆍ",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 following can be processed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ㆍ] button.

기 → 가 → 갸 → ?? → 갛 → ?yGi → Go → Gya → ?? → red → ?y

이 경우에도 "기허"를 입력하기 위하여 "??" 상태에서 "ㆍㅣ"를 누르면 "가히"가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가허"를 입력하기 위하여 "갛" 상태에서 "ㆍㅣ"를 누르면 "갸히"가 될 것이다. "기허"와 마찬가지로 "기호" (ㅗ=ㆍㅡ로 입력), 그리고 "가허"와 마찬자로 "가호"의 경우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기허 ↔ 가히"의 입력값은 같으나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모호성이 있는 것이다. Even in this case, "??" If you press "ㆍㅣ" in the status, it will become "Gahi". Likewise, if you press "ㆍㅣ" in the "Red" state to enter "Gaheo", it will become "Gyahi". The same problem occurs in the case of "symbol" (entered as ㅗ=ㆍㅡ), and "Gaheo" as well as "Gaheo" as in "Kiheo". In other words, the input value of "giheo ↔ gahi" is the same, but there is ambiguity that can appear differently.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소정시간경과후 입력", 또는 "끊음버튼누름"([공백]버튼도 끊음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음) 등이 있다. 기존에는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끊음버튼이 눌러지면 이미 입력된 글자(예. '??')가 완성되어 그 다음 "ㆍㅡ"가 입력되면 "??ㅗ"와 같이 되었다. 즉, 아래와 같다. In general, means for resolving such ambiguity include “enter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pressing the hangup button” (a [blank] button can also be used as a hangup button). In the pas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or when the cutoff button was pressed, the already input character (eg '??') was completed, and then "ㆍㅡ" was inputted to become "??ㅗ". That is, as follows.

기 → 가 → 갸 → ?? → 갛 → ?yGi → Go → Gya → ?? → red → ?y

↘ (소정시간경과 or 끊음버튼, ㆍㅡ누름) → ??ㅗ ↘ (Elapsed time or hang up button, press ㆍㅡ) → ??ㅗ

그러나 본 발명의 사례에서는 소정시간경과 또는 끊음버튼누름에 대하여 이미 입력된 글자 "??"이 종성자음까지 입력되었다는 상태는 유지하되, "ㆍㅡ" 눌러짐에 대하여 "가히"로 처리하지 않고, "기호"로 처리하여야 하는 것이다. 즉, 소정시간경과 또는 끊음버튼누름에 의하여 글자조합이 완전히 종료되는 것이 아니고, 그 다음 입력되는 "ㆍㅡ"에 대하여 이미 입력된 "??"에 변화(예. '?? → 갛')를 주지않도록 되는 것이다. 이를 편의상 "소정시간경과 또는 끊음버튼누름에 의한 입력상태확정" 또는 줄여서 "입력상태확정" 라고 부르기로 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that the already input character "??" has been input up to the final consonant is maintained for the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or when the disconnect button is pressed, but the press of "ㆍㅡ" is not treated as "possibly", It should be treated as a "sign". That is, the letter combination is not completely terminated by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or by pressing the cut-off button, and a change (e.g., '?? → Red') to the already input "??" will not be given.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determination of the input state by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or by pressing the disconnect button” or “determination of the input state” for short.

상기 사례에서 살펴보듯, 소정시간경과 또는 끊음버튼누름을 사용하지 않으면, [ㆍ]버튼 3번 눌러짐으로 "ㅎ"이 입력되고 나서 그 다음 모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연이어 [ㆍ]버튼이 눌러지는 글자의 경우에 문제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시간경과 또는 끊음버튼누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As seen in the above case, i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the hangup button is not used, "ㅎ" is input by pressing the [ㆍ] button 3 times, and then the character by pressing the [ㆍ] button successively to input the next vowel. It can be seen that a problem occurs in the case of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ique that can solve this problem without using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or pressing the disconnect button.

[ㆍ]버튼 연속 3번 눌러짐에 의하여 "ㅎ"이 입력되고 나서, [ㆍ]버튼으로 시작하는 모음이 아닌 [ㅡ]버튼 또는 [ㅣ]버튼으로 시작하는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즉, "??"에서 "ㅣ"가 입력되면 "기히"가 되고, "갛"에서 "ㅣ"가 입력되면 "가히"가 된다. 여기까지는 전혀 문제가 없다. After "ㅎ" is input by pressing the [ㆍ] button three times in succession, there is no problem when a vowel starting with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is input instead of the vowel starting with the [ㆍ] button. none. In other words, if "ㅣ" is entered in "??", it becomes "gihi", and if "ㅣ" is entered in "red", it becomes "gahi". No problems at all so far.

여기서 탈락자음 "ㅎ" 이 입력된 다음에 [ㅡ]버튼 2번 누름으로 다른 알파벳(다른 자음)을 입력하지 않으므로, "기히"상태에서 "ㅣ"가 한번 더 입력되면 "기허"로 처리할 수 있다. [ㅣ]버튼 눌러짐에 따른 모음의 변화만을 표현하면 "ㅣ → ㅓ"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 도식에서 우측화살표는 "ㅣ"버튼 눌러짐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 "ㅣ"가 연속하여 눌러지거나, "ㅡ"가 연속하여 눌러지는 것은 화살표사이에 별도로 (ㅣ입력) 또는 (ㅡ입력)을 표기하지 않음)Here, after the dropped consonant "ㅎ" is entered,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will not input another alphabet (other consonants), so if "ㅣ" is entered once more in the "gihi" state, it can be processed as "giheo". have. If only the change of the vowel according to the [ㅣ] button is pressed, it can be expressed as "ㅣ → ㅇ". In the diagram below, the right arrow contains the "ㅣ" button pressed. (Below, if "ㅣ" is pressed continuously or "ㅡ" is pressed continuously, (ㅣinput) or (ㅡinput) is not marked separately between the arrows.)

?? → 기히 → 기허?? → Gihi → Giheo

"기허" 상태에서 "ㅣ"가 한번 더 입력되면, "기헤"로 된다. (ㅔ=ㅓㅣ 이므로) "ㅕ"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ㅣㅣ"로 입력된 "ㅓ" 다음에 [ㆍ]버튼을 한번 눌러 "ㅕ"를 입력할 수 있다. "ㅕ"가 인식된 상태에서 "ㅣ"가 한번 더 눌러지면 "ㅖ"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If "ㅣ" is entered once more in the "Giheo" state, it becomes "Gihe". (Because ㅔ=shㅣ) To input "ㅕ", you can input "ㅕ"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after "sh" entered as "ㅣㅣ". When “ㅣ” is pressed once more in the state where “ㅕ” is recognized, “ㅖ” becomes “ㅖ”. To summarize this:

?? → 기히 → 기허 → 기헤?? → Gihi → Giheo → Gihe

↘ (ㆍ입력) →기혀 → 기혜 ↘ (ㆍInput) → Giheol → Gihye

"ㅣㅣㆍ" (즉, "ㅓㆍ") 에 의하여 입력된 "ㅕ" 다음에 "ㅣ"눌러짐에 의하여 "ㅖ"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갛" 상태에서 처리되는 것도 동일하다. It is natural that "ㅖ" becomes "ㅖ" by pressing "ㅣ" after "ㅕ" input by "ㅣㅣㆍ" (ie, "ㅇㆍ"). It is the same as being processed in the "red" state.

갛 → 가히 → 가허 → 가헤red → gahi → gaheo → gahe

↘ (ㆍ입력) →가혀 → 가혜 ↘ (ㆍInput) → Gyeol → Gahye

"?y" 상태에서 "ㆍㅣ" 또는 "ㆍㆍ"을 눌러 "갸허"로 입력하는 것이 문제가 없음은 선출원(29.4)에서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사용상의 일관성을 위하여 상기 내용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도식화하여 보이면 다음과 같다. It has been explai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29.4) that there is no problem in inputting "gyaheo" by pressing "ㆍㅣ" or "ㆍㆍ" in the "?y" state. However, for consistency in use,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applied, and if it is shown schematically, it is as follows.

?y → 갸히 → 갸허 → 갸헤?y → Gyahi → Gyaheo → Gyahe

↘ (ㆍ입력) →갸혀 → 갸혜 ↘ (ㆍinput) → Gyaheo → Gyahye

다음으로 [ㆍ]버튼 3번누름으로 입력되는 자음(예. ㅎ) 다음에 "ㅗ" 또는 "ㅛ"를 입력하는 경우를 보인다. Next, it shows the case of inputting "ㅗ" or "ㅛ" after the consonant (eg. ㅎ) entered by pressing the [ㆍ] button 3 times.

상기 "??" 상태에서 [ㅡ]버튼 2번눌러짐을 "ㅗ"로 처리할 수 있다. remind "??" In the state,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can be treated as "ㅗ".

?? → 기흐 → 기호?? → gich → sign

상기에서 [ㅡ]버튼 눌러짐에 따른 모음의 변화만을 표현하면 "ㅡ → ㅗ" 가 된다. 모음 "ㅗ"의 경우는 "ㅗ" 다음에 "ㅡ"가 결합되는 모음이 없으므로, [ㅡ]버튼 3번 누름을 "ㅛ"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ㅕ"의 처리 경우와 일관성을 위하여 "ㅗㆍ"을 "ㅛ"로 처리할 수 있다. 양자 중 한가지만 적용하여도 되며, 양자가 동시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를 도식화하여 보이면 아래와 같다. In the above, if only the change of the vowel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ㅡ] button is expressed, “ㅡ → ㅗ” becomes. In the case of the vowel "ㅗ", since there is no vowel to which "ㅡ" is combined after "ㅗ", pressing the [ㅡ] button three times can be treated as "ㅛ". In addition, "ㅗㆍ" can be treated as "ㅛ" for consistency with the processing case of "ㅕ". Only one of the two may be applied, or both may be applied simultaneously. If you look at it schematically, it looks like this:

?? → 기흐 → 기호 → 기효?? → Gihe → Symbol → Gihyo

↘ (ㆍ입력) → 기효 ↘ (ㆍInput) → Term

만약 [ㅡ]버튼 3번으로 "ㅛ"를 입력하는 것만을 적용한다면, 선출원에서 보인바와 같이 "ㅗㆍ"눌러짐을 "ㅘ"로 처리할 수도 있다. "ㅘ"로 되고 나서 "ㅣ"가 눌러지면 "ㅙ"로 될 것이다. If only inputting "ㅛ" with [ㅡ] button 3 is applied, as shown in the previous application, pressing "ㅗㆍ" can be treated as "ㅘ". If it becomes "ㅘ" and then "ㅣ" is pressed, it will become "ㅙ".

?? → 기흐 → 기호 → 기효?? → Gihe → Symbol → Gihyo

↘ (ㆍ입력) → 기화 → (ㅣ입력) → 기홰 ↘ (ㆍinput) → Vaporization → (ㅣinput) → Kihyeom

상기 "기호" 상태에서 "ㅣ"가 눌러지면 "기회"로 되고, "기회" 상태에서 "ㆍ"이 눌러지면 "기화"로 되고, "기화" 상태에서 "ㅣ"가 눌러지면 "기홰"가 된다. When “ㅣ” is pressed in the “symbol” state, it becomes “opportunity”, when “ㆍ” is pressed in the “opportunity” state, it becomes “vaporization”, and when “ㅣ” is pressed in the “vaporization” state, “kihyon” becomes do.

?? → 기흐 → 기호 → (ㅣ입력) → 기회 → (ㆍ입력) → 기화 → (ㅣ입력) → 기홰?? → Gihe → Symbol → (ㅣInput) → Opportunity → (ㆍInput) → Kihwa → (ㅣInput) → Gihyeop

"??" 상태에서의 입력사례를 보였으나, "갛" 상태에서의 처리도 "??" 상태에서의 처리와 완전히 동일('??', '기' 만이 각각 '갛', '가'로 바뀜)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R" 상태 및 "??" 상태에서의 처리역시 "??", "갛" 상태에서의 처리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 The example of input in the state was shown, but the processing in the "red" state was also "??" Since it is completely the same as the processing in the state (only '??' and 'ki' are changed to 'red' and 'ga', respectively), the description is omitted. Similarly "?R" state and "??" The processing in the state is also exactly the same as the processing in the "??" and "red" states, so the description is omitted.

이상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ㆍ]버튼에 함께 배치된 자음(예. ㅎ)을 [ㆍ]버튼 3번 누름으로 입력하면서, 동시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10개의 자음(자음그룹)을 10개 숫자버튼에 각각 하나씩 완전하게 배열함으로써, 숫자와 한글자음의 대응관계를 활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모호성없이 완벽한 한글입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의미가 있다.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above, while inputting consonants (eg, heh) arranged together on the [ㆍ] button by pressing the [ㆍ] button 3 times, at the same time “a, b, c, d, ㅁ, f, ㅅ, ㅇ By completely arranging 10 consonants (consonant groups) one by one on each of the 10 number buttons,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correspondence between numbers and Korean consonants, while realizing perfect Korean input without ambiguity. have.

"?y" 상태에서는 "ㅓ = ㆍㅣ" 또는 "ㅓ = ㆍㆍ"으로 처리할 수 있고, "ㅕ = ㆍㆍㅣ"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y" 상태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갸허", "갸혀", "갸호", "갸효"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y" state, "sh = ㆍㅣ" or "sh = ㆍㆍ" can be processed, and "ㅕ = ㆍㆍㅣ" can be processed.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ven in the "?y" state, "gyaheo", "gyyaeo", "gyyaho", and "gyahyo" can be input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ㆍ]버튼 3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는 자음(예. ㅎ)이 종성자음으로 입력된 경우에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보였다. [ㆍ]버튼 3번누름으로 초성자음이 입력된 경우는 기존처럼 "ㅓ=ㆍㅣ", "ㅕ=ㆍㆍㅣ", "ㅗ=ㆍㅡ", "ㅛ=ㆍㆍㅡ"로 입력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ㆍ]버튼 3번누름으로 초성자음이 입력된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입력규칙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above, a technology that can be input without ambiguity was shown when a consonant (eg. ㅎ) input by pressing the [ㆍ] button 3 times is input as a final consonant. If the initial consonant is entered by pressing the [ㆍ] button three times, as before, “sh=ㆍㅣ”, “ㅕ=ㆍㆍㅣ”, “ㅗ=ㆍㅡ”, “ㅛ=ㆍㆍㅡ” input does nothing. there was no problem. However, even when the initial consonant is input by pressing the [•] button three times, the vowel input rul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rovide consistency to the user.

선출원에서 "격자음 = 평자음ㅡㅡ", "쌍자음 = 평자음ㅣㅣ"로 입력하는 것을 보였고, 이 격자음과 쌍자음 다음에는 "ㅡㅡ" 또는 "ㅣㅣ"를 눌러 다른 자음을 입력하지 않는다고 하면(다시말해 "격자음+ㅡㅡ" 또는 "격자음+ㅣㅣ"로 다른 자음을 입력하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음입력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shown that "lattice = plain consonantㅡㅡ", "twin consonant = flat consonantㅣㅣ", and after this lattice consonant and double consonant, press "ㅡㅡ" or "ㅣㅣ" to enter another consonant If not (in other words, if another consonant is not input with "lattice + ㅡㅡ" or "lattice + ㅣㅣ"), the vowel input rule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similarly.

또한 더 나아가 "격자음 = 평자음ㅡㅡ", "쌍자음 = 평자음ㅣㅣ"으로 입력하는 것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제자리누름 만으로 입력하면서도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인지적으로도 부합할 수 있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ㅡ" 또는 "ㅣ" 연속 2번 누름을 이용하여 격자음과 쌍자음을 입력하는 것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경우에 본 발명의 모음입력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까지 입력된 상태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Furthermore, even if inputting "lattice = flat consonant ㅡㅡ" or "twin consonant = flat consonant ㅣ" is not applied, it can be process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cognitively matched while minimizing ambiguity while inputting only by pressing in place. A way has been suggested. Therefore, if inputting lattice consonants and double consonants by pressing "ㅡ" or "ㅣ" twice in succession is not applied, the vowel input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all cases in order to provide consistency in use to the user. have. For example, if it is show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state where up to "each" is input, it is as follows.

각 → 가그 → 가고 → 가교Gak → Gag → Gago → Bridge

↘ (ㆍ입력) → 가교 or 가과 ↘ (ㆍInput) → Bridge or Addition

각 → 가기 → 가거 → 가게Gak → Go → Go → Go → Shop

↘ (ㆍ입력) → 가겨 → ↘ (ㆍEnter) → Go →

예시되지 않은 나머지 모음의 입력은 모음요소 "ㅡ", "ㆍ", "ㅣ" 를 이용한 기존의 방법 및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제시한 모음입력규칙(예. ㅢ=ㅡㅣ, ㅚ=ㅗㅣ, ㅘ=ㅗㅏ, ㅙ=ㅗㅐ=ㅗㅏㅣ, ...)을 적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The input of the rest of the vowels not exemplified is based on the existing method using the vowel elements "ㅡ", "ㆍ", and "ㅣ" and the vowel input rules suggest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e.g. ㅢ=ㅡㅣ, ㅚ=ㅗㅣ, ㅘ =ㅗA, ㅙ=ㅗㅐ=ㅗ아ㅣ, ...) can be applied as alread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o summarize this:

천지인으로 알려진 모음요소 "ㅡ", "ㆍ", "ㅣ"각 각각 배열된 3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한국어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using three buttons arranged respectively for vowel elements "ㅡ", "ㆍ", and "ㅣ" known as Cheonjiin,

"ㅣ" 버튼 1번 눌러짐에 의하여 "ㅣ"가 인식되며, "ㅣ"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ㅣ" button once,

"ㅣ" 버튼 2번 눌러짐에 의하여 "ㅓ"가 인식되며,"ㅇ"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ㅣ" button twice,

상기 인식된 "ㅓ" 다음에 "ㆍ"이 눌러지면 "ㅕ"로 인식되며, If "ㆍ" is pressed after the recognized "ㅕ", it is recognized as "ㅕ",

상기 인식된 "ㅓ" 다음에 "ㅣ"가 눌러지면 "ㅔ"로 인식되며, If "ㅣ" is pressed after the recognized "sh", it is recognized as "ㅔ",

"ㅡ" 버튼 1번 눌러짐에 의하여 "ㅡ"가 인식되며, “ㅡ” is recognized by pressing the “ㅡ” button once,

"ㅡ" 버튼 2번 눌러짐에 의하여 "ㅗ"가 인식되며,By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ㅗ" is recognized,

상기 인식된 "ㅗ" 다음에 "ㆍ"이 눌러지면 "ㅛ" 또는 "ㅘ"로 인식되며, If "ㆍ" is pressed after the recognized "ㅗ", it is recognized as "ㅛ" or "ㅘ",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모음 입력방법Korean vowel input method on the keypad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에서 추가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may additionally include:

상기에 있어서, In the above,

상기 인식된 "ㅗ" 다음에 "ㆍ"이 눌러지면 "ㅘ"로 인식되는 경우, If "ㆍ" is pressed after the recognized "ㅗ", it is recognized as "ㅘ",

상기 인식된 "ㅗ" 다음에 "ㅡ"가 눌러지면 "ㅛ"로 인식되는 것When "ㅡ" is pressed after the recognized "ㅗ", it is recognized as "ㅛ"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모음 입력방법Korean vowel input method on the keypad characterized by

상기에 있어서, In the above,

상기 모음버튼의 눌러짐은 "ㆍ" 버튼에 연관 또는 배열된 자음이 "ㆍ" 버튼 3번 눌러짐으로 인식된 후의 모음버튼 눌러짐인 것The pressing of the vowel button is the pressing of the vowel button after the consonants associated with or arranged in the "ㆍ" button are recognized as pressing the "ㆍ" button three times.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모음 입력방법Korean vowel input method on the keypad characterized by

30. 삭제버튼 처리의 개선30. Improved handling of the delete button

30.1 "인지단위" 기준으로의 삭제버튼 처리30.1 Deletion button processing based on "perception unit"

현재 키패드 입력기술에서는 자소 단위의 삭제(취소) 로직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를 입력한 상태에서 "삭제"버튼을 누르면, "ㅇ"이 된다. 키보드에서는 "ㅔ" 입력시 "ㅔ"버튼을 한번 눌러 입력하므로, 마지막 입력된 "ㅔ"가 삭제되어 "ㅇ"이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도면4-*을 포함한 키패드에서는 "ㅔ" 는 "ㅓ+ㅣ = ㆍㅣㅣ"와 같이 조합되어 입력된다. 편의상 현재 삼성전자社에서 적용하고 있는 모음입력방법으로 "에"가 입력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화살표는 각각 "ㆍ", "ㅣ", "ㅣ" 가 눌러짐을 나타낸다.In the current keypad input technology, the deletion (cancellation) logic of the character element unit is mainly applied. For example, if you press the "Delete" button while entering "E", it becomes "ㅇ". When entering "ㅔ" on the keyboard, press the "ㅔ" button once to enter it, so it is natural that the last input "ㅔ" is deleted and becomes "ㅇ". However, in the keypad including Fig. 4-*, "ㅔ" is input in combination like "ㅇ+ㅣ=ㆍㅣㅣ". For convenience, the process of inputting "e" with the vowel input method currently applied by Samsung Electronics is as follows. The right arrow indicates that "ㆍ", "ㅣ", and "ㅣ" are pressed, respectively.

ㅇ → ㅇㆍ → 어 → 에ㅇ → ㅇㆍ → uh → eh

사용자는 "ㅓ+ㅣ"로 인지하고 입력한 것이다. 따라서 인지단위로의 삭제 로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에"가 입력된 상태에서 삭제버튼이 눌러지면 최종입력한 것으로 인지되는 "ㅣ"가 삭제되어 "어"가 되고, 한번 더 삭제버튼이 눌러지면 "ㅇ"이 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어" 상태에서 "ㄱ"이 눌러지면 "억"이 될 것이다. The user recognizes and inputs "ㅇ+ㅣ". Therefore, deletion logic in recognition units can be applied. When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in the state where "e" is input, "ㅣ" recognized as the last input is deleted to become "uh", and when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once more, it becomes "ㅇ". If "a" is pressed in the "uh" state, it will be "billion".

종합하면 "자소단위"가 아닌 자소가 조합된 "인지단위"로의 삭제로직이 적용되는 것이다. 몇가지 다른 사례를 들면 "애"를 입력시 "ㅇㅣㆍㅣ" 로 입력하였다면 사용자는 "ㅏ+ㅣ"로 "ㅐ"를 입력한 것으로 인지하므로 "애" 상태에서 삭제버튼이 한번 눌러지면 "아"가 되고, 한번 더 눌러지면 "ㅇ"이 된다. 상기 "아"상태에서 삭제버튼이 눌러지면 "이"가 되는 것이 아닌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지하는 단위는 "ㅏ" 이며, "ㅣㆍ" 에서 "ㆍ"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인지단위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In summary, the deletion logic is applied to the "recognition unit" in which the character elements are combined rather than the "character element unit". For some other examples, if "ㅇㅣㆍㅣ" is entered when "AE" is entered, the user recognizes that "ㅐ" has been entered with "A+ㅣ", so if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once in "AE" state, "Ah" ", and when pressed once more, it becomes "ㅇ". When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in the "A" state, it may be questioned whether it becomes "this". However, the unit recognized by the user is “A”, and “ㆍ” in “ㅣㆍ” is not an independent recognition unit.

대표적인 사례로 삼성전자사의 모음입력방법이 적용되었을 때의 인지단위에 의한 삭제 적용사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으며, 키패드에서 모음을 입력하는 다른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ㆍ"버튼으로 "ㅏ"를 입력하는 기술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개의 기본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는 모두 하나의 인지단위 이므로 삭제버튼 한번 누름에 의하여 삭제된다. 편의상 기존의 2벌식 키보드에서의 동작과 동일한 경우는 1가지만 표기한다. 아래의 우화살표(→)는 삭제버튼의 눌러짐을 의미하며, 아래에의 유사한 사례에서도 같다.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following is a case of deletion by cognitive unit when Samsung Electronics' vowel input method is applied, and i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cases of inputting vowels on the keypad. For example, i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technology of inputting "A" with the "ㆍ" button. The 10 basic vowels "아", "ㅑ", "sh", "ㅕ", "ㅗ", "ㅛ", "ㅜ", "ㅠ", "ㅡ", and "ㅣ" are all cognitive units, so It is deleted by pressing the delete button once. For convenience, only one case tha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double keyboard is indicated. The right arrow (→) below means that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and the same applies to similar cases below.

ㅔ → ㅓ → 모두 삭제됨ㅔ → ㅔ → All deleted

ㅐ → ㅏ → 모두 삭제됨ㅐ → A → All deleted

ㅏ → 모두 삭제됨A → All deleted

ㅓ → 모두 삭제됨ㅇ → All deleted

. . . . . .

ㅝ → ㅜ → 모두 삭제됨 (기존 2벌식 키보드에서도 동일)ㅝ → ㅜ → All deleted (same as the existing 2-beol keyboard)

ㅞ → ㅝ → ㅜ → 모두 삭제됨ㅞ → ㅝ → ㅜ → All deleted

ㅒ → ㅑ → 모두 삭제됨ㅒ → ㅑ → all deleted

ㅙ → ㅘ → ㅗ → 모두 삭제됨ㅙ → ㅘ → ㅗ → all deleted

키패드 한국어 입력에서 대표적인 인지단위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을 수 있다. "ㅔ"는 주로 "ㅓ"와 "ㅣ"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ㅓ"와 "ㅣ"는 별개의 인지단위가 될 수 있다. "ㅐ" 는 주로 "ㅏ"와 "ㅣ"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ㅏ"와 "ㅣ"는 별개의 인지단위가 될 수 있다. "ㅙ"의 경우도 "ㅗ", "ㅏ", "ㅣ"의 조합으로 입력되므로 각각이 별개의 인지단위가 될 수 있다. "ㅞ"의 경우도 "ㅜ", "ㅓ", "ㅣ" 의 조합으로 입력되므로, 각각이 별개의 인지단위가 될 수 있다. Representative cognitive units in keypad Korean input may include the following. "ㅔ" is mainly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ㅇ" and "ㅣ". Therefore, "ㅇ" and "ㅣ" can be separate cognitive units. "ㅐ" is usually entered as a combination of "아" and "ㅣ". Therefore, "A" and "ㅣ" can be separate cognitive units. In the case of "ㅙ", since it is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ㅗ", "아", and "ㅣ", each can be a separate recognition unit. Since "ㅞ" is also entered as a combination of "TT", "sh", and "ㅣ", each can be a separate recognition unit.

30.2 삭제버튼누름후 입력완료된 글자의 재조합30.2 Recombination of inputted characters after pressing delete button

삭제버튼 눌러짐에 의한 삭제로직에 있어서 또 한가지 응용이 있을 수 있다. 현재 PC에서의 2벌식 한글오토마타 적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우측화살표(→)는 삭제버튼 눌러짐을 포함하고 있으며, 아래의 사례에서도 같다. There may be another application in the deletion logic by pressing the delete button. The following is the case of application of the 2-bit Hangul automata on the current PC. The right arrow (→) includes the delete button being pressed, the same in the case below.

가나다 → 가나ㄱ → 가나 → 가 → . . . Kana → Kana a → Kana → A → . . .

최근 스마트폰 등에서 적용되고 있는 변형 오토마타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Examples of transforming automata that have recently been applied to smartphones are as follows.

가나다 → 가낟 → 가나 → 간 → 가 → ㄱKanaDa → GaKit → Kana → Gan → A → A

특징은 중성모음이 삭제되어 초성자음만이 남을 때, 앞글자의 종성자음이 될 수 있으면 앞글자의 종성자음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유사한 예로 "갈기" 에서 삭제버튼이 한번 눌러지면 "갉"이 된다. 상기 "간"이 되었을 때, "ㄱ"이 눌러지면 "간ㄱ"이 되고, "ㅣ"가 눌러지면 "가니"가 된다. 이는 오타 수정의 융통성을 주는 요소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나다"에서 삭제버튼을 눌러 "가나ㄷ"이 되는 것을 심리적으로 "기대"하고 있었는데, "가낟"이 되는 것은 혼란을 주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가낟다"를 입력하고자 했었다면 삭제버튼 한번 누르고 바로 "다"를 추가로 입력하면 된다. 그러나 "가나드"로 수정하고자 했던 경우는 기대와 다른 "가낟"이 되므로 당황스러울 수 있는 것이다. The characteristic is that when the neutral vowel is deleted and only the initial consonant remains, if it can become the final consonant of the initial letter, it is combined with the final consonant of the initial letter. As a similar example, if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once in "grinding", it becomes "gnawing". When the above "gan" is reached, when "a" is pressed, it becomes "gani", and when "ㅣ" is pressed, it becomes "gani". This can be one of the elements that give flexibility in correcting typos. However, the user was psychologically "expecting" that the user clicked the delete button on "Kanada" to become "Kanad", but becoming "Ganada" could be a confusing factor. If the user wanted to input "thin", press the delete button once and immediately add "da". However, if you want to modify it to "Ganard", it can be embarrassing because it becomes "Ganard",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you expected.

따라서 중간적인 형태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Therefore, an intermediate form is suggested. For example:

가노라 → 가노ㄹ → 가노 → 가ㄴ → 가 → ㄱGanora → Ganod → Kano → Gb → G → A

삭제버튼 연속눌러짐에 의하여 최종입력중인 글자가 삭제되어도 입력토큰이 끊어지지 않고 글자가 재조합 될 수 있는 특징은 가지면서, 중성모음이 삭제되었을 때, 초성자음이 앞글자의 종성자음으로 결합되지 않는 것이다. 동시에 삭제버튼 입력후 새로 눌러지는 버튼누름이 남아있는 글자와 결합될 수 있으면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노" 상태에서 "ㅇ" 눌러지면 "가농"으로 되며, 상기 "가노" 상태에서 "ㅣ"가 눌러지면 "가뇌"가 된다. 이는 사용자에 혼란이 적으면서도 삭제버튼 사용시의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Even if the character being finally input is deleted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delete button, the input token does not break and the character can be recombined. When the neutral vowel is deleted, the initial consonant is not combined with the final consonant of the preceding will be. At the same time, if the button press newly pressed after entering the delete button can be combined with the remaining letters, it is combined. For example, if "ㅇ" is pressed in the "Kano" state, it becomes "Ganon", and if "ㅣ" is pressed in the "Gano" state, it becomes "Ganeoe". This may provide flexibility when using the delete button with less confusion to the user.

31. 모호성 제거를 위한 수단31. Means for Disambiguation

31.1 영어 등 공통31.1 English, etc. common

아래에서 편의상 영어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나, 다른 언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For convenience, an example of English is given below, but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도면1-1(표준 영어키패드)에서 반복선택방법(멀티탭방법) 적용시, 입력값 "222" 는 "aaa", "ab", "ba", "c" 와 같이 모호성이 있음을 선출원에서 설명하였다. 기존에는 "aaa", "ba", "c"가 아닌 "ab"를 입력하는 방법 크게 2가지 있었다. 선출원에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2"를 눌러 "a"를 입력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a"가 확정된 후, "22"를 눌러 "b"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시간지연에 의한 구분방식으로, 편의상 "시간지연방식" 또는 "타이머방식"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다른 방법은 "2"를 눌러 "a"를 입력하고 나서, 소정의 구분버튼(예. [#]버튼)을 눌러주어 "a"를 확정하고 나서 다시 "22"를 눌러 "b"가 입력되는 것이었다. 즉 구분버튼 누름에 의한 인위적인 방식이며, 이를 편의상 "구분버튼방식"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When applying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multi-tap method) in Fig. 1-1 (standard English keypad), the input value "222" explain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at there is ambiguity such as "aaa", "ab", "ba", "c" did Previously, there were two ways to input "ab" instead of "aaa", "ba", and "c".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fter pressing "2" to input "a"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a" is confirmed, "22" can be pressed to input "b". That is, it is a classification method by time delay, and for convenience, it will be called "time delay method" or "timer method". Another method is to press "2" to input "a", press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button (eg [#] button) to confirm "a", and then press "22" again to input "b". it was to become That is, it is an artificial method by pressing a classification button, and for convenience, it will be referred to as a “classification button method”.

출원인의 선출원(26.1.1)에서 "acb" 를 모호성없이 입력하기 위하여 "2 2~22 2~2" 와 같이 ("2~" 는 [2]버튼 길게 누름을 의미) 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첫번째 "a"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값 "2"를 길게 누름에 의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즉 같은 버튼에 배열(또는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이 연속하여 입력될 경우, 2번째 이후(즉, 3번째, 4번째, ... 포함)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첫번째 입력값을 길게 누르는 것이다. 만약 "abc"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2 2~2 2~22" 와 같이 될 것이다. 가독성을 위하여 하나의 알파벳(예. "a", "b", "c")을 나타내는 입력값(예. "2", "2~2", "2~22") 사이에 공백을 넣어 표현하였지만, 공백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은 전혀 아니며, 이는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26.1.1), it was pointed out that in order to input "acb" without ambiguity, you can do something like "2 2~22 2~2" ("2~" means pressing and holding the [2] button). . In addition, it was said that the input value "2" for inputting the first "a" can be input by long pressing. That is, when alphabets arranged (or related) on the same button are continuously input, the first input value for inputting the alphabet after the second (ie, including the third, fourth, ...) is pressed and held. If you were to type "abc", it would be something like "2 2~2 2~22". For readability, it is expressed by putting a space between input values (eg "2", "2~2", "2~22") representing one alphabet (eg "a", "b", "c") However, blanks do not have any meaning at all, and this is the same in the following.

이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복선택방법에서 "a" 는 입력값 "2" 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으므로, "a = 2" 로 표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b = 22"로 표현할 수 있고, "c = 222"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abc = 222222" 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222222"는 "bbb"도 될 수 있고 "cc"도 될 수 있다. 출원인의 선출원에서는 "a"다음에 나오는 "c"를 입력하기 위한 "222"의 첫 입력값을 길게 누르고, 다시 "c"다음에 나오는 "b"를 입력하기 위한 "22"의 첫 입력값을 길게 누르는 것으로 처리한 것이다. 이렇게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이 연속하여 나올때, 다음 알파벳의 첫 입력값을 길게 눌러 처리하는 것을 편의상 "후행알파벳장타처리"라고 부르기로 한다. 더 정확히는 "후행알파벳의 최초(처음)버튼 장타처리" 라고 부를 수도 있으나, 간단히 "후행알파벳장타처리"라고 하는 것이다. Looking at this process in more detail: In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a" can be entered by the input value "2", so it can be expressed as "a = 2". Similarly, it can be expressed as “b = 22” and “c = 222”. Therefore, it can be expressed as "abc = 222222". However, "222222" can be either "bbb" or "cc". In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long press the first input value of "222" to input "c" following "a", and then press the first input value of "22" to input "b" following "c" It is treated as a long press. When the alphabet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come out in succession, processing by long pressing the first input value of the next alphabet is called "post-alphabet processing" for convenience. More precisely, it can be called "the first (first) button long hit processing of the trailing alphabet", but it is simply called "the trail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다음으로 유사한 사례로 "cab"를 다른 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는 사례를 보인다. 선출원에서는 같은 버튼에 배정된 알파벳이 연속하여 나올 때, 먼저 나오는 알파벳은 원래대로 입력하고, 그 다음 알파벳을 길게누름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먼저 나오는 알파벳을 장타에 의하여 입력할 수도 있음을 보인다. 예를 들어 "cab"를 입력할 때, 입력값 "222~ 2~ 22" 와 같이 할 수 있다. 선행알파벳을 구성하는 마지막 입력값을 길게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입력값의 표기 "222~ 2~ 22" 에서 공백은 본 특허문서를 읽는 분들의 가독성 향상을 위해 넣은 것이고 공백이 가지는 의미는 없다. 물론 "cd"를 입력시에는 "222 3"과 같이 하면 되며, 굳이 길게누름을 개입시키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cad" 입력시에는 "222~ 2 3"과 같이 "c"의 입력에만 길게누름을 적용하고 "a" 입력시 길게누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a"다음에 같은 버튼에 배열된 알파벳이 아닌 "d"가 나오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이를 편의상 "선행알파벳의 최종(마지막)버튼 장타처리"라고 하며 더 간단히 "선행알파벳장타처리" 라고 부르기로 한다. Next, as a similar case, an example of inputting "cab" by another method is shown. In the previous application, when the alphabet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appear consecutively, the first alphabet appears as it is, and then it was shown that it can be input by long-pressing the alphabet. However, it shows that the first alphabet can be entered by long hitting. For example, when entering "cab", the input value can be "222~ 2~ 22". It is input by pressing and holding the last input value constituting the preceding alphabet. Spaces in the notation of input values "222~ 2~ 22" are included to improve the readability of those who read this patent document, and the spaces have no meaning. Of course, when entering "cd", you can do something like "222 3", and you do not have to press and hold it. Similarly, when inputting "cad", a long press is applied only to the input of "c", such as "222~ 2 3", and there is no need to use a long press when inputting "a". This is because "a" is followed by "d", which is not an alphabet arranged on the same button. Similarly, for convenience, this is referred to as "last (last) button long hit processing of preceding alphabet", and will be more simply called "preced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이렇게 반복선택방법이 적용될 때, 선행알파벳(예. "ca"에서 "c")의 입력에 장타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없앨 때는 마지막 입력값을 장타로 처리해야 하고, 후행알파벳(예. "ac"에서 "c")의 입력에 장타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없앨 때는 처음 입력값을 장타로 처리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선행알파벳장타처리"와 "후행알파벳장타처리"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양자중 한가지가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경우는 "환경설정"에서 양자중 한가지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is repeated selection method is applied, when using a long hit to the input of the preceding alphabet (eg "ca" to "c") to eliminate ambiguity, the last input value must be treated as a long hit, and the trailing alphabet (eg "ac" It is important to treat the first input value as a long hit when removing ambiguity by using a long hit for the input of "c") in . The "preced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and the "later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cannot be applied simultaneously, but one of them is selectively applied. When implemented as a program, the user can select and use one of the two in "environment setting".

31.2 한글고어(옛한글) 입력 및 모호성의 제거 수단31.2 Means for inputting Korean archaic language (old Hangul) and removing ambiguity

본 발명에서는 현대 한국어와 한글고어를 포함하는 글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도면4-*의 키패드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키패드 및 PC의 키보드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기술임을 미리 밝힌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inputting both modern Korean and Hangul archaic characters. It is stated in advance that the information described below is a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keypad of Figure 4-* but also to other types of keypads and PC keyboards.

도면4-33(a) ~ 도면4-33(c)는 2007년 유니코드로 추가된 한글고어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노란바탕으로 표시된 부분이 새로 추가된 자모이다. 도면4-33(a) ~ 도면4-33(c)의 모든 자모는 현재 유니코드로 확정되었으며, 도면4-33(d) ~ 도면4-33(f)는 2010년 기준으로 유니코드v6.0 으로 등록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유니코드의 글자는 개정을 통하여 계속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고어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는 것이며, 컴퓨터에서 한글고어를 포함하여 자모조합된 한글글자를 표현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다루는 대상이 아님을 밝힌다. 컴퓨터(PC, 스마트폰, 휴대폰, ... 등)에서 유니코드완성형한글과 함께 호환성있게 한글고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의 문제는 추가적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초대형 국책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참고로 한글고어를 포함하여 자모조합된 한글글자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첫가끝조합형"이 알려져있으며, 다른 어떤 방식(즉, 유니코드 완성형, 첫가끝조합형, ...)에서도 본 발명의 입력기술은 적용이 가능하다. Figure 4-33 (a) to Figure 4-33 (c) show the Korean language that was added as Unicode in 2007. In the above drawing, the part marked with a yellow background is a newly added letter. All characters in Fig. 4-33(a) to Fig. 4-33(c) are currently confirmed as Unicode, and Fig. 4-33(d) to Fig. 4-33(f) are Unicode v6. It shows that it is registered as 0. As such, Unicode characters are continuously being added through revis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ology capable of efficiently inputting Korean archaic words, and it is revealed that a method of expressing Korean alphabetic characters including Korean archaic words in a computer is not a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how to handle Korean Gore in a compatible way with Unicode-complete Hangul on computers (PCs, smartphones, mobile phones, etc.) will be a "super-large national project" that requires additional research. For reference, as a representative method of expressing Hangul letters combined with Korean alphabets, including Korean archaic words, "end combination type" is known, and in any other method (ie, Unicode completion type, start combination type, ...), the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31.2.1 한글고어 자음의 입력31.2.1 Input of Korean old consonants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한글고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일부 소개하였다. 도면4-*의 키패드에서 한글고어를 입력하는 사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입력값을 "숫자버튼값" (예. "1**" 등)이 아닌 "한글버튼값" (예. "ㄱㅡㅡ" 등)으로 표기하는 것은 가독성을 높여 본 문서를 읽으시는 분들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그 내용은 완전히 같다는 것을 미리 밝힌다. 먼저 선출원에서 "y" 입력에 대해, "y = xㅡㅡ" 또는 "z = xㅣㅣ" 로 입력하는 원천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예를 들어 "ㅋ = ㄱㅡㅡ", "ㅍ = ㅂㅡㅡ" 와 같이 입력하는 것이었다. 또한 "ㅸ = ㅍㅡㅡ = ㅂㅡㅡㅡㅡ" 와 같이 함으로써 한글고어까지도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편의상 "모음버튼이용 컨트롤처리방법"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면4-*의 키패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연관된 한글고어자음까지도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대표자음인 평자음 "ㅂ"과의 유사도를 보면 "ㅍ"보다 "ㅸ"이 더 유사성이 강할 수도 있으나,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하고 추가적으로 한글고어를 처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some methods of inputting Korean archaic words were introduc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ase of inputting Korean language on the keypad of Fig. 4-*. In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ing the input value as a "Korean button value" (eg, "ㄱㅡㅡ", etc.) rather than a "number button value" (eg, "1**", etc.) increases readability and makes it easier for readers to read this document. It is for the convenience of the people, and it is revealed in advance that the contents are completely the same. First of all, in the previous application, for the input of "y", the original technology of inputting "y = xㅡㅡ" or "z = xㅣㅣ" was presented. For example, "ㅋ = ㄱㅡㅡ", "P = ㄴㅡㅡ" were enter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even Korean language can be input by doing something like "ㅸ = プㅡㅡ = ㄴㅡㅡㅡㅡ".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a vowel button". While maintaining the keypad of Figure 4-* as it is, it is possible to input even the related Korean archaic consonants naturally. Looking at the similarity with the representative sound, the flat consonant "ㅅ", "ㅸ" may have a stronger similarity than "P", but modern Korean input is given priority and Korean archaic words can be additionally processed.

현대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하면서, 고어자음까지 모음버튼을 이용한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처리하는 사례를 보이면 도면4-34(a)와 같다. 유니코드에는 새로이 발견되는 한글고어(옛한글) 글자가 계속 추가되고 있으므로, 도면4-34(a) 이외에 다른 알파벳이 추가될 수도 있으나, 도면4-34(a)와 유사한 구성으로 얼마든지 입력이 가능하다. 도면4-34(a)에서 1차조합되는 쌍이응(ㆀ) 과 2차조합되는 옛이응(

Figure pat00268
)은 서로 바뀌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 Priority is given to the input of modern Korean, and an example of processing even archaic consonants by the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vowel button is shown in Figure 4-34 (a). In Unicode, newly discovered Korean archaic (old Korean) characters are continuously added, so other alphabets may be added in addition to Figure 4-34 (a), but input is possible with a configuration similar to Figure 4-34 (a). It is possible. In Figure 4-34 (a), the first pair of pairs (ㆀ) and the second pair of pairs (ㆀ)
Figure pat00268
) may be configured interchangeably.

"ㅸ = ㅍㅡㅡ" 에서 "y"는 "ㅸ"이고, "x"는 "ㅍ"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ㅹ = ㅃㅣㅣ = ㅂㅣㅣㅣㅣ" 가 된다. 상기에서 평자음(예. "ㄱ") 아래 좌측에 표기된 자음(예. "ㅋ")은 "ㅡ"버튼 2번 누름의 조합으로 입력되고, 우측에 표기된 자음(예. "ㄲ")은 "ㅣ"버튼 2번 누름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 [ㅡ]버튼 또는 [ㅣ]버튼은 바뀌어 적용될 수도 있다. "1차조합"되는 알파벳은 평자음 다음에 "ㅡ" 또는 "ㅣ"버튼이 연속 2번 눌러지고, "2차조합"되는 알파벳은 1차조합되는 알파벳 다음에 "ㅡ" 또는 "ㅣ" 버튼이 연속 2번 눌러지고, "3차조합"되는 알파벳은 2차조합되는 알파벳 다음에 "ㅡ"버튼 또는 "ㅣ"버튼이 연속2번 눌러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2차조합"에서 "ㅡ" 또는 "ㅣ" 버튼이 연속하여 4번 눌러지게 된다. 3차조합에서는 6번, 4차조합에서는 8번 눌러지게 된다. In "ㅸ = ㅡㅡ", "y" is "ㅸ", and "x" is "P". Likewise, "ㅹ = ㅃㅣㅣ = ㄴㅣㅣㅣ". In the above, the consonant marked on the left under the flat consonant (eg "ㄱ") (eg "ㅋ") is entered by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and the consonant marked on the right (eg "ㄲ") is " It can be input by a combination of pressing the ㅣ" button twice. In the above example,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may be changed and applied. For the alphabet to be "primary combination", press the "ㅡ" or "ㅣ" button twice consecutively after the plain consonant, and for the alphabet to be "secondary combination", press the "ㅡ" or "ㅣ" button next to the first combination. This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and the “3rd combination” alphabet is followed by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two times in succession after the second combination alphabet. As a result, the “ㅡ” or “ㅣ” button in the “secondary combination” is continuously pressed four times. It is pressed 6 times in the 3rd combination and 8 times in the 4th combination.

상기와 같이 [ㅡ]버튼 또는 [ㅣ]버튼이 각각 2번, 4번, 6번, 8번 눌러짐으로 조합되는 것은 한글고어 모음 중 "

Figure pat00269
" 와"
Figure pat00270
" (및 "
Figure pat00271
" 와"
Figure pat00272
"가 포함된 한글 고어 모음)를 각각 [ㅡ]버튼 2번 누름과 [ㅣ]버튼 2번 누름으로 입력하지 않고 다른 수단(예. 각각 [ㅡ]버튼 길게 누름, [ㅣ]버튼 길게 누름)으로 입력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만약 "
Figure pat00273
" 와"
Figure pat00274
"를 각각 [ㅡ]버튼 2번 누름과 [ㅣ]버튼 2번 누름으로 입력한다면, "y = x +(최대반복누름 가능횟수+1회)" 로 하여야 하므로, "ㅋ = ㄱㅡㅡㅡ" 와 같이 된다. "
Figure pat00275
= ㄱㅡㅡ"로 되고, 한글고어에서도 자음 다음에 모음 "ㅡ"가 연속하여 3번 나오는 경우는 없으므로, "최대반복누름 가능횟수" 는 정상적으로 한국어 자모결합글자를 이루는 최대횟수로써 2회가 된다. 이를 적용하면, 도면 4-34(a)에서 "ㅡ" 또는 "ㅣ"가 조합되는 횟수는 각각 3회씩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bination of press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2 times, 4 times, 6 times, and 8 times, respectively, is one of the Korean Gore collections.
Figure pat00269
"Wow"
Figure pat00270
" (and "
Figure pat00271
"Wow"
Figure pat00272
A collection of Korean words that contain "") by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and pressing the [ㅣ] button twice, respectively, but by other means (e.g. long-pressing the [ㅡ] button, long-pressing the [ㅣ] button) It is possible if you type in. If "
Figure pat00273
"Wow"
Figure pat00274
If you enter " by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and pressing the [ㅣ] button twice, respectively, "y = x + (maximum number of repetitions + 1 time)", so "ㅋ = ㅡㅡㅡ" It becomes like."
Figure pat00275
= ㅡㅡ", and since there is no case where the vowel "ㅡ" appears three times in succession after a consonant even in Korean archaic language, the "maximum number of repetitions possible" is normally 2 times as the maximum number of Korean consonant combinations. If this is applied, the number of times "ㅡ" or "ㅣ" is combined in Fig. 4-34(a) is 3 times, respectively.

향후 한글고어가 키패드 한국어 입력에서 사용되는 때가 올지도 모르지만, 설령 그 때가 온다고 하더라도 현대 한국어 글자 보다는 훨씬 더 적게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최소한 현대 한국어의 자음(예. "ㅋ")에 대해서는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2회 누름의 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으면서, 도면3-34에서 2차조합 이상의 한글고어 글자(예. "

Figure pat00276
", "
Figure pat00277
", ...)에 대해서만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3회 눌러짐의 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은 아래 "한글고어 모음의 입력 및 모호성 제거 수단" 에서 따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1차조합되는 알파벳(예. "ㅋ")은 [ㅡ]버튼 또는 [ㅣ]버튼 2번 눌러짐이 적용되고, 2차조합 또는 그 이상 차수로 조합되는 알파벳은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3번 눌러짐이 적용되는 것으로 사례를 제시한다. In the future, there may come a time when archaic Hangul is used in keypad Korean input, but even if that time comes, it will be used much less than modern Korean characters. Therefore, at least modern Korean consonants (eg "ㅋ") can be input with a combination of press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twice, and in Fig. ."
Figure pat00276
", "
Figure pat00277
The technique that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three times only for ", ...)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in "Means for inputting Korean vowels and removing ambiguity" below. Alphabets that are combined in the first order (eg "ㅋ") are applied by pressing the [ㅡ] button or [ㅣ] button twice, and in the alphabets that are combined in the second order or higher order, the [ㅡ] button or [ㅣ] An example is presented in which the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

Figure pat00278
"은 유니코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사용되고 있다. 먼저 여린히읗 "ㆆ = ㅇㅡㅡ" 로 입력한 후, [ㅣ]버튼을 2번 누르면 "
Figure pat00279
"가 되고, [ㅡ]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즉, "ㆆㅣㅣㅣ = ㅇㅡㅡㅣㅣㅣ") "
Figure pat00280
" 가 인식될 수 있다. 또는 여린히읗 "ㆆ = ㅇㅡㅡ" 로 입력된 후, [ㅡ]버튼이 3번 눌러지면 (즉, "ㆆㅡㅡㅡ = ㅇㅡㅡㅡㅡㅡ") "
Figure pat00281
"로 처리될 수 있다. 옛이응과 쌍이응의 입력사례를 더 보이면, 쌍이응 "ㆀ = ㅇㅣㅣ"로 입력되고, 옛이응 "
Figure pat00282
= ㆀㅣㅣㅣ = ㅇㅣㅣㅣㅣㅣ" 로 될 수 있다. "
Figure pat00278
" is not included in Unicode, but is used in some programs. First, softly enter "ㆆ = ㅇㅡㅡ" and then press the [ㅣ] button twice to "
Figure pat00279
", and when the [ㅡ] button is pressed once more (ie, "ㆆㅣㅣㅣ = ㅇㅡㅡㅣㅣㅣ") "
Figure pat00280
" can be recognized. Or, after entering softly "ㆆ = ㅇㅡㅡ", if the [ㅡ] button is pressed 3 times (ie, "ㆆㅡㅡㅡ = ㅇㅡㅡㅡㅡㅡ") "
Figure pat00281
" can be processed. If you show more input examples of the old and the double, the pair is input as "ㆀ = ㅇㅣㅣ", and the old is "
Figure pat00282
= ㆀㅣㅣㅣ = ㅇㅣㅣㅣㅣㅣ”.

현재 PC 키보드 입력에서 "ㅸ"은 "ㅂ"과 "ㅇ"의 조합으로, "ㅱ"은 "ㅁ"과 "ㅇ"의 조합으로, "ㅹ"은 "ㅃ"과 "ㅇ"의 조합으로 입력하기도 한다. 이 역시 키패드입력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도면4-34(a)에서는 이러한 알파벳(예. "ㅸ")을 둥근괄호에 넣어 표현하였다. 이 경우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아래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In the current PC keyboard input, "ㅸ" is a combination of "ㅅ" and "ㅇ", "ㅱ" is a combination of "ㅁ" and "ㅇ", and "ㅹ" is a combination of "ㅃ" and "ㅇ". do it too Since this can also be equally applied to keypad input, in Fig. 4-34 (a), these alphabets (eg "ㅸ") are expressed by putting them in round brackets. In this case, ambiguity may occur, which can be resolved by the method suggested below.

4-*의 키패드사례에서는 "ㅎ"이 [0]버튼에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배정되어 있으나, [0]버튼 한번 누름으로 "ㅎ"을 입력하지는 못한다. (선출원에서 제시한 특별한 경우는 제외) 선출원에서 "ㅎ = ㆍㅡㅡ" 또는 "ㅎ = ㅇㅡㅡ" 로 입력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논리로 보면 여린히읗 "ㆆ = ㅇㅡㅡ" 로 입력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으나, 현대 한국어를 우선하여 "ㅎ = ㅇㅡㅡ"로 할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도면4-34(a) 에서는 [ㅎ]버튼이 별도로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으나, 도면4-*의 키패드에서와 같이 어떤 버튼의 한번 누름으로 "ㅎ"을 입력할 수 없는 경우는 선출원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버튼의 조합으로 "ㅎ"을 입력할 수 있다. 만약 "ㆆ = ㅇㅡㅡ" 로 한다면, "ㅎ = ㆍㅡㅡ" 또는 "ㅎ = ㆍㆍㆍ" 로 할 수 있는 것이다. "ㆅ = ㅎㅣㅣ" ("

Figure pat00283
"를 허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ㆅ = ㅎㅣㅣㅣ" ("
Figure pat00284
"를 허용할 경우)로 입력할 수 있다. In the keypad case of 4-*, "ㅎ" is explicitly or implicitly assigned to the [0] button, but "ㅎ" cannot be entered by pressing the [0] button once. (Except for special cases present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The earlier application states that "ㅎ = ㆍㅡㅡ" or "ㅎ = ㅇㅡㅡ" can be entered. In terms of logic, it may feel natural to type in "ㆆ = ㅇㅡㅡ", but it is revealed that it can be done with "ㅎ = ㅇㅡㅡ" by giving priority to modern Korean. In Fig. 4-34 (a), it is expressed as if there is a separate [ㅎ] button, but as in the keypad of Fig. Similarly, "ㅎ" can be entered with a combination of buttons. If you do "ㆆ = ㅇㅡㅡ", you can do it with "ㅎ = ㆍㅡㅡ" or "ㅎ = ㆍㆍㆍ". "ㆅ = ㅎㅣㅣ"("
Figure pat00283
") or "ㆅ = ㅎㅣㅣㅣ"("
Figure pat00284
" if allowed).

도면4-34(b)은 평자음버튼의 반복누름으로(즉, 반복선택방법으로) 나머지 자음을 입력하는 경우를 구성한 사례이다. 도면4-34(b)에서 버튼의 2번 이상 눌러짐에 의하여 입력되는 알파벳의 순서는 적절히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찬가지로 도면4-34(b)에서는 마치 [ㅎ]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ㅎ"이 입력되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으나, 도면4-*의 키패드에서와 같이 어떤 버튼의 한번 누름으로 "ㅎ"을 입력할 수 없는 경우는 선출원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버튼의 조합으로 "ㅎ"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ㅎ = ㆍㅡㅡ" 로 입력한다면, 도면4-34(b)에서 "2번 눌러짐"으로 표현되어 있는 "ㆅ = ㆍㅡㅡ ㆍㅡㅡ"가 된다. 4-34(b) i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remaining consonants are input by repeatedl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ie, by the repeated selection method). 4-34(b), it is obvious that the order of alphabets input by pressing the button twice or more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Similarly, in Fig. 4-34 (b), it is expressed as if "ㅎ" is input by pressing the [ㅎ] button once, but as in the keypad of Fig. 4-*, "ㅎ" is input by pressing any button once. If it is not possible, you can enter "ㅎ" with a combination of buttons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For example, if you input "ㅎ = ㆍㅡㅡ", it becomes "ㆅ = ㆍㅡㅡ ㆍㅡㅡ", which is expressed as "press twice" in Fig. 4-34 (b).

도면4-34(a)와 도면4-34(b)를 살펴보면, 조합되는 방식(예. "모음버튼이용 컨트롤처리방법" 적용 및 "3+타 입력방법" 적용)이 다를 뿐 기본알파벳(예. 평자음)에 연관된 알파벳들을 일관된 형태로 구성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4-34(b)에서 제시한 구성의 특징을 보면, "3+타 입력방법"을 적용하여, 현대 한국어에서 같은 평자음이 종성자음과 초성자음으로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를 처리하기 위하여 평자음버튼 연속2번 눌러졌을 때 2개의 평자음이 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물론 도면4-34(b)에서 괄호안에 표현한 것처럼 평자음버튼이 2번 눌러졌을 때 경자음(쌍자음)으로 될 수 있으나 그 다음에 모음이 입력되면 2개의 평자음이 된다. 도면4-34(b)에서 3번 이상 눌러짐으로 입력되는 알파벳 중 현대 한국어 자음이 아닌 한글 고어 알파벳은 사실상 사용빈도가 현저히 적을 것이다. Looking at Fig. 4-34 (a) and Fig. 4-34 (b), only the combination method (eg, application of "control processing method using vowel button" and application of "3+ other input method") is different, but the basic alphabet (eg,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ommonality in composing alphabets related to flat consonants) in a consistent form.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Fig. 4-34 (b), by applying "3 + other input method", in order to process the case where the same plain consonant appears consecutively as a final consonant and a leading consonant in modern Korean, plain consonants The biggest feature is that when the button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two flat consonants are produced. Of course, as shown in parentheses in Fig. 4-34 (b), when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wice, it can be a light consonant (double consonant), but if a vowel is input next, it becomes two flat consonants. In Figure 4-34 (b), among the alphabets input by pressing three or more times, the Korean archaic alphabet, which is not a modern Korean consonant, will actually have a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of use.

본 발명의 4-*의 키패드는 모두 호환성이 있음을 지적하였고, [ㆍ]버튼은 [ㅏ] 또는 "ㅏ"를 나타내는 형상으로 표기될 수도 있으며, [ㆍ]버튼 한번 누름으로 "ㅏ"를 입력할 수 있음을 밝혔으므로, 상기 또는 하기의 설명에서 입력값 "ㆍ"는 입력값 "ㅏ"로 교체 표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가독성을 위해 그리고 편의상 [ㆍ]버튼 한번 누름으로 "ㅏ"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입력값은 "ㆍ"으로 표현한다. It was pointed out that all of the keypads of 4-*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atible, and the [ㆍ] button may be displayed in a shape representing [A] or “A”, and input “A”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Since it has been revealed that it can be done, in the above or following description, the input value "ㆍ" may be replaced with the input value "A", but for the sake of read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Even when inputting, the input value is expressed as "ㆍ".

31.2.2 현대 한국어 및 한글고어 자음 입력시 모호성 제거 수단31.2.2 Means for removing ambiguity when inputting modern Korean and Korean archaic consonants

현대 한국어에서는 초성자음으로 2개 이상의 자음이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초성자음으로 "ㅦ", "ㅳ"과 같은 형태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에서 경자음(형태적으로는 쌍자음)은 하나의 자소로 간주한다. pc의 키보드에서도 "ㄲ" 은 "shift + ㄱ"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종성자음이 입력되고 나서 모음버튼이 눌러지면, 기 입력된 종성자음 중 초성자음으로 될 수 있는 하나의 자음이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으로 된다. 예를 들어 "긁" 다음에 "ㅣ"가 눌러지면 "글기"가 되는 것이다. 이는 현재 한국인이 사용하고 있는 현대 한국어 2벌식 오토마타(즉, "2벌식 한글자모조합규칙")의 기본적인 사항이다. In modern Korean, two or more consonants do not occur consecutively as initial consonants. For example, forms such as "ㅦ" and "ㅳ" do not appear as initial consonants. In modern Korean, hard consonants (morphologically, twin consonants) are considered as one grapheme. "ㄲ" is also entered as "shift + ㄱ" on the PC's keyboard. Therefore, when the vowel button is pressed after the final consonant is input, one consonant that can be the initial consonant among the previously input final consonants become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For example, if "ㅣ" is pressed after "scratch", it becomes "writing". This is the basics of the modern Korean double-syllabic automata (ie, "two-syllabic Korean consonant combination rule") currently used by Koreans.

자음의 조합으로 이루어 자음(예. ㅦ, ㅫ, .. 등)은 당연히 각각의 자음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 "ㅦ = ㄴ+ㄷ") 그러나, "

Figure pat00285
" 를 입력하면 현대 한국어 오토마타에서는 "간다"로 된다. 즉 바꾸어 말하면, 동일한 입력값에 대하여 "
Figure pat00286
"와 "간다"로 될 수 있는 모호성이 있는 것이다. 이는 초성자음 위치에 따른 모호성이므로 편의상 "초성자음위치 모호성"이라고 부를 수 있다. 물론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해야 하므로 단순히 연속입력하였을 경우는 "간다"로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면, "
Figure pat00287
"를 입력하기 위하여 기존 테크닉을 적용하면, "가"를 입력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가" 라는 글자가 확정되도록 한 다음 "
Figure pat00288
"를 입력하면 된다. 또는 "가"를 입력한 다음 글자의 종료를 확정하는 "구분버튼"을 눌러 "가"를 확정한후 "
Figure pat00289
"를 입력하면 된다. 이 경우 "ㄴ"과 "ㄷ"의 연속입력이 초성자음 "ㅦ" 으로 되는 것은 한글고어를 포함하는 2벌식오토마타(한글조합규칙)이 적용되므로 자명한 것이다. Consonants made up of combinations of consonants (eg, ㅦ, ㅫ, .., etc.) are naturally preferably entered as a combination of each consonant. (Ex. "ㅦ = ㄴ+ㄴ") However, "
Figure pat00285
If you enter ", it becomes "go" in modern Korean automata. In other words, for the same input value, "
Figure pat00286
There is an ambiguity that can be "and" goes. This is an ambigui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itial consonant, so it can be called "ambiguity in the position of the initial consonant" for convenience. It is natural to be "going". Then, "
Figure pat00287
Applying the existing technique to input ",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entering "A", the character "A" is confirmed, and then "
Figure pat00288
You can enter ". Or, after entering "a", press the "separate button" to confirm the end of the letter, confirm "a", and then "
Figure pat00289
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the continuous input of "b" and "c" becomes the initial consonant "ㅦ" because the double-acting automata (Korean combination rule) including Korean archaic is applied.

본 발명에서는 구분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선출원에서 언급하였듯이, "x~"는 [x]버튼 길게누름을 의미한다. 먼저 "가"를 입력시, 마지막 입력하는 버튼을 길게 누름으로써 "가"라는 글자를 확정한 후, "ㄴ", "ㄷ"을 입력하여 초성자음 "ㅦ"을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ㅏ"를 "ㅣㆍ"으로 입력한다면, "ㆍ"을 길게 누름으로써 "가"라는 글자를 확정하여 다음 입력은 "가"의 종성자음이 아닌 다음글자의 초성자음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즉, "ㄱㅣㆍ" 에서 "ㆍ"을 길게 누르는 것(즉, 입력값 " ㄱㅣㆍ~")이다. "ㅏ"를 "ㆍ"버튼 한번 누르는 것으로 입력한다면, "ㄱㆍ"에서 "ㆍ"을 길게 누르는 것(즉, 입력값 " ㄱㆍ~")이다. 이는 상기 밝힌 "선행알파벳장타처리"와 유사하다. 표현식으로 나타내면, "

Figure pat00290
= ㄱㅣㆍ~ㄴㄷㅣㆍ" 또는 "
Figure pat00291
= ㄱㆍ~ㄴㄷㆍ"로 입력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ology that enables this without using a division button.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x ~" means long pressing the [x] button. First, when entering "a", the letter "a" is confirmed by long pressing the last input button, and then the initial consonant "ㅦ" is input by inputting "b" and "c". For example, if you enter "a" as "ㅣㆍ", press and hold "ㆍ" to confirm the letter "ga", and the next input is processed a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not the final consonant of "ga". . That is, pressing and holding "ㆍ" in "ㄱㅣㆍ" (ie, the input value "ㄱㅣㆍ~"). If you input "a"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you press and hold "ㆍ" in "ㄱㆍ" (ie, the input value "ㄱㆍ~"). This is similar to the "preced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described above. Expressed as an expression, "
Figure pat00290
= Aㅣㆍ~ㄴㅇㆍ" or "
Figure pat00291
= Aㆍ~ㄴㅇㆍ” is entered.

다음으로 "가"를 입력한 후,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 "ㄴ"을 길게누름(장타)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표현식으로 나타내면, "

Figure pat00292
= ㄱㅣㆍㄴ~ㄷㅣㆍ" 또는 "
Figure pat00293
= ㄱㆍㄴ~ㄷㆍ"로 입력하는 것이다. "ㄴ"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을 길게 누름으로써, "ㄴ"이 "가"의 받침이 아닌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임을 명시화해주는 것이다. 이는 상기 설명한 "후행알파벳장타처리"와 유사하다. 다만, 길게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글자(예. "ㄴ")가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임을 명시화하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만을 처리한다면, "ㄴ"에 이어서 "ㄷ"을 입력하는 것이 "ㄴㄷ"으로 2개의 낱자음이 입력되겠지만, 한글고어의 입력을 포함하는 2벌식 오토마타를 적용한다면 "ㄴ"과 "ㄷ"의 입력이 "ㅦ"으로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Next, after entering "a", press and hold (long hit) the initial consonant "b" of the next letter. Expressed as an expression, "
Figure pat00292
= ㄱㅣㄴㅇㅇㆍ" or "
Figure pat00293
= ㄱㆍㄴ~ㄴㆍ”. By pressing and holding the button to input “ㄴ”, it is specified that “ㄴ” is not the base of “가”, but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This is It is similar to the described "Long Hit Processing of Trailing Alphabets". However, it is specified that the letter input by long pressing (eg "b") i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If only modern Korean is processed, "b" is followed by "b" Although inputting "ㅅ" will result in two consonants being input as "ㄴㄴ", it is natural that the inputs of "ㄴ" and "ㄴ" become "ㅦ" if we apply the two-beol type automata that includes the input of Korean language. .

만약 상기와 같이 길게누름 없이 "ㄱㅣㆍㄴㄷ" 또는 "ㄱㆍㄴㄷ"이 눌러지면 한글고어를 지원하는 2벌식 오토마타에서는 "ㅦ"이 종성자음으로 되어 "

Figure pat00294
" 으로 될 것이다. 물론 그 다음 모음(예. "ㅏ")이 입력되면 "간다"와 같이 현대 한국어 2벌식 오토마타가 적용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다. If "ㄱㅣㄴㄴ" or "ㄱㆍㄴㄴ" is pressed without a long press as above, "ㅦ" becomes the final consonant in the 2-beol type automata that supports Hangul Gore.
Figure pat00294
". Of course, when the next vowel (eg "a") is entered, it is also natural that the modern Korean double-beol automata is applied, such as "go".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모호성없이 현대 한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던 바 있고, 또한 매우 적은 모호성을 현대 한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던 바 있다. 예를 들어 평자음버튼(예. [ㄱ]버튼)의 반복눌러짐에 따라 "ㄱ - ㄱㄱ - ㅋ - ㄲ" 으로 되는 경우 약 1000글자입력에 한번 정도로 모호성이 있다고 하였다. "닭꼬치"의 경우 "ㄱ"받침 다음에 초성자음 "ㄲ"이 오는 경우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선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면 "닭"의 "ㄱ"입력시 길게누름으로 입력하여 "닭"이라는 글자를 확정하고, 다음에 동일한 [ㄱ]버튼이 눌러졌을 때 초성자음으로 처리함으로써 모호성없이 입력이 가능하다.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면 "닭" 입력후, [ㄱ]버튼을 길게누름이 오면 기 입력된 "닭"의 "ㄱ"과 조합되지 않고 초성자음이 시작된다는 것을 명시화하게 된다. 뒤이어 [ㄱ]버튼이 한번 더 눌러지면 초성자음 "ㄲ"을 인식되고, 한번 더 눌러지면 초성자음 "ㅋ"으로 인식되고, 한번 더 눌러지면 초성자음 "ㄲ"으로 인식된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a technique for inputting modern Korean without ambiguity was presented, and a technique for inputting modern Korean with very little ambiguity was presented. For example, when the flat consonant button (eg, the [a] button) is repeatedly pressed, "a - ㄱㄱ - ㅋ - ㄲ" is said to have ambiguity about once in about 1000 character inputs. In the case of "chicken skewers", there may be ambiguity if the initial consonant "ㄲ" comes after the "ㄱ" base. If the preced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is applied, when “a” of “chicken” is input, the letter “chicken” is confirmed by long pressing, and when the same [a] button is pressed next, it is processed as a consonant, so that input without ambiguity is achieved. It is possible. If the trail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is applied,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for a long time after inputting "chicken", it is specified that the initial consonant starts without being combined with the "a" of the previously input "chicken". Subsequently, if the [a] button is pressed once more, the initial consonant "ㄲ" is recognized, if it is pressed once more, it is recognized as the initial consonant "ㅋ", and if it is pressed once more, it is recognized as the initial consonant "ㄲ".

31.2.3 한글고어 모음 입력 및 모호성 제거 수단31.2.3 Means for Inputting Korean Vowels and Eliminating Ambiguity

현대 한국어 모음은 21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고어의 경우는 훨씬 더 다양한 형태의 모음이 존재한다.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느나, 대부분이 이중모음 또는 복모음의 형태이므로 기본모음의 조합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먼저 모음의 갯수를 살펴보면, 도면4-33(*)의 유니코드 1161 ~ 11A7 까지 71개 모음(현대 한국어의 21개 모음을 제외하면 50개 고어 모음)이 있고, 도면4-33(*)의 유니코드 D7B0 ~ D7C6 까지 23개의 모음이 있어, 현대 한국어의 21개 모음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유니코드v6.0에 등록된 한국어 모음은 94개로 파악된다. 도면4-33(*)의 유니코드에 포함된 한글고어 알파벳 중에서 모음을 한눈에 쉽게 볼 수 있도록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Modern Korean vowels consist of 21 vowels, but in the case of archaic languages, there are much more diverse types of vowels. There are various forms, but most of them are in the form of diphthongs or double vowels, so it is possible to input with a combination of basic vowels. First, looking at the number of vowels, there are 71 vowels from Unicode 1161 to 11A7 in Figure 4-33 (*) (50 ancient vowels excluding 21 vowels in modern Korean), and in Figure 4-33 (*) There are 23 vowels from Unicode D7B0 to D7C6, and 94 Korean vowels have been registered in Unicode v6.0 so far, including 21 modern Korean vowel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vowels among the Korean alphabets included in the Unicode of Figure 4-33 (*)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en at a glance.

Figure pat00295
Figure pat00295

Figure pat00296
Figure pat00296

상기 (2)에서 "ㅣㅕ"는 "ㅣ"와 "ㅕ"가 합쳐진 모음을 의미하고, "ㅣㅖ"는 "ㅣ"와 "ㅖ"가 합쳐진 모음을 의미한다. pc키보드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모음은 키보드상의 모음(예. 키보드에서 버튼 한번 누름 또는 shift 와의 동시 누름으로 입력할 수 있는 모음)의 조합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2), "ㅣㅕ" means a vowel that is a combination of "ㅣ" and "ㅕ", and "ㅣㅖ" means a vowel that is a combination of "ㅣ" and "ㅖ". Based on the PC keyboard, most vowels can be input as a combination of vowels on the keyboard (eg, vowels that can be input by pressing a button on the keyboard once or pressing simultaneously with shift).

먼저 일반인에게 천지인으로 알려진 "ㅡ", "ㆍ", "ㅣ" 3개 모음요소의 조합으로 모음을 입력하면서, [ㆍ]버튼으로 "ㅏ"를 입력하지 않고 "ㆍ"을 입력하는 경우(편의상 "아래아 3모음법"으로 부름) 의 한글고어 모음입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글고어 모음까지 입력할 경우 [ㆍ]버튼 한번 눌러짐은 한글고어 모음 "아래아" 를 입력하게 된다. 이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이미 제시하였던 내용이다. [ㆍ]버튼이 2번 눌러지면, 아래아가 좌우로 2개 붙어있는 모음(유니코드 11A2 모음, 상기 (2)의 5번째줄 5번째 모음)이 입력된다. 사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으며, 예시하지 않은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First, when inputting a vowel as a combination of three vowel elements "ㅡ", "ㆍ", and "ㅣ" known to the general public as "ㆍ" without entering "a" with the [ㆍ] button (for convenience) Looking at the Korean vowel input of the "Area 3 vowel method") is as follows. If you input up to the Korean vowel,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will enter the Korean vowel "Aeraeah". This is the content already presented in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When the [ㆍ] button is pressed twice, a vowel (Unicode 11A2 vowel, 5th row, 5th vowel in (2) above) with two lower word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is input. An example is shown as follows, and the same can be applied to cases that are not illustrated.

Figure pat00297
= ㅣㆍㆍㅡ ("
Figure pat00298
"와 모호성 있음)
Figure pat00297
= ㅣㆍㆍㅡ ("
Figure pat00298
"with ambiguity)

Figure pat00299
= ㅣㆍㅡㆍ
Figure pat00299
= ㅣㆍㅡㆍ

Figure pat00300
= ㅣㆍㆍㆍㅡ
Figure pat00300
= ㅣㆍㆍㆍㅡ

Figure pat00301
= ㅣㆍㆍㆍㆍㅡ
Figure pat00301
= ㅣㆍㆍㆍㆍㅡ

Figure pat00302
= ㆍㅣㆍㅡ
Figure pat00302
= ㆍㅣㆍㅡ

Figure pat00303
= ㆍㅣㅡㆍ
Figure pat00303
= ㆍㅣㅡㆍ

Figure pat00304
= ㆍㅣㅡ
Figure pat00304
= ㆍㅣㅡ

Figure pat00305
= ㆍㆍㅣㆍㅡ
Figure pat00305
= ㆍㆍㅣㆍㅡ

Figure pat00306
= ㆍㆍㅣㅡㆍ
Figure pat00306
= ㆍㆍㅣㅡㆍ

Figure pat00307
= ㆍㅣㆍㅡ
Figure pat00307
= ㆍㅣㆍㅡ

Figure pat00308
= ㆍㅣㅣㆍㅡ
Figure pat00308
= ㆍㅣㅣㆍㅡ

Figure pat00309
= ㆍㆍㅣㅣㆍㅡ
Figure pat00309
= ㆍㆍㅣㅣㆍㅡ

Figure pat00310
= ㆍㅡㆍㅡ
Figure pat00310
= ㆍㅡㆍㅡ

Figure pat00311
= ㆍㅡㅡㆍ
Figure pat00311
= ㆍㅡㅡㆍ

Figure pat00312
= ㆍㆍㅡㅣㆍㆍ
Figure pat00312
= ㆍㆍㅡㅣㆍㆍ

Figure pat00313
= ㆍㆍㅡㅣㆍㆍㅣ
Figure pat00313
= ㆍㆍㅡㅣㆍㆍㅣ

Figure pat00314
= ㆍㆍㅡㆍㆍㅣ
Figure pat00314
= ㆍㆍㅡㆍㆍㅣ

Figure pat00315
= ㆍㆍㅡㆍㅡ
Figure pat00315
= ㆍㆍㅡㆍㅡ

Figure pat00316
= ㆍㆍㅡㅣ
Figure pat00316
= ㆍㆍㅡㅣ

Figure pat00317
= ㅡㆍlㆍ
Figure pat00317
= ㅡㆍlㆍ

Figure pat00318
= ㅡㆍlㆍl
Figure pat00318
= ㅡㆍlㆍl

Figure pat00319
= ㅡㆍㆍㅣㅡ
Figure pat00319
= ㅡㆍㆍㅣㅡ

Figure pat00320
= ㅡㆍㆍㆍㅣㅣ
Figure pat00320
= ㅡㆍㆍㆍㅣㅣ

Figure pat00321
= ㅡㆍㅡㆍ
Figure pat00321
= ㅡㆍㅡㆍ

Figure pat00322
= ㅡㆍㆍㅣㆍ
Figure pat00322
= ㅡㆍㆍㅣㆍ

Figure pat00323
= ㅡㆍㆍㆍㅣ
Figure pat00323
= ㅡㆍㆍㆍㅣ

Figure pat00324
= ㅡㆍㆍㆍㅣㅣ
Figure pat00324
= ㅡㆍㆍㆍㅣㅣ

Figure pat00325
= ㅡㆍㆍㆍㆍㅣ
Figure pat00325
= ㅡㆍㆍㆍㆍㅣ

Figure pat00326
= ㅡㆍㆍㆍㆍㅣㅣ
Figure pat00326
= ㅡㆍㆍㆍㆍㅣㅣ

Figure pat00327
= ㅡㆍㆍㅡㆍ
Figure pat00327
= ㅡㆍㆍㅡㆍ

Figure pat00328
= ㅡㆍㆍㅣ("ㅝ"와 모호성 있음. 별도 설명)
Figure pat00328
= ㅡㆍㆍㅣ(There is ambiguity with "ㅝ". Explain separately)

Figure pat00329
= ㅡㅡㆍ
Figure pat00329
= ㅡㅡㆍ

Figure pat00330
= ㅡㅡ
Figure pat00330
= ㅡㅡ

Figure pat00331
= ㅡㅣㅡㆍ
Figure pat00331
= ㅡㅣㅡㆍ

Figure pat00332
= ㅣㅣㆍ
Figure pat00332
= ㅣㅣㆍ

Figure pat00333
= ㅣㅣㆍㆍ
Figure pat00333
= ㅣㅣㆍㆍ

Figure pat00334
= ㅣㆍㅡ ("
Figure pat00335
"와 모호성 있음)
Figure pat00334
= ㅣㆍㅡ ("
Figure pat00335
"with ambiguity)

Figure pat00336
= ㅣㅡㆍ
Figure pat00336
= ㅡㆍ

Figure pat00337
= ㅣㅡ
Figure pat00337
= ㅡ

Figure pat00338
= ㅣㆍ ("ㅏ"와 모호성 있음. 별도 설명)
Figure pat00338
= ㅣㆍ (There is ambiguity with "a". Separate explanation)

Figure pat00339
= ㆍ
Figure pat00339
= ㆍ

Figure pat00340
= ㆍㆍㅣ ("ㅕ"와 모호성 있음. 별도 설명)
Figure pat00340
= ㆍㆍㅣ (There is ambiguity with "ㅕ". Separate explanation)

Figure pat00341
= ㆍㅡㆍ
Figure pat00341
= ㆍㅡㆍ

Figure pat00342
= ㆍㅣ ("ㅓ"와 모호성 있음. 별도 설명)
Figure pat00342
= ㆍㅣ (There is ambiguity with "sh". Separate explanation)

Figure pat00343
= ㆍㆍ
Figure pat00343
= ㆍㆍ

Figure pat00344
= ㅣㆍㅡ ("
Figure pat00345
"와 모호성 있음)
Figure pat00344
= ㅣㆍㅡ ("
Figure pat00345
"with ambiguity)

Figure pat00346
= ㅣㆍㆍㅡㆍ
Figure pat00346
= ㅣㆍㆍㅡㆍ

Figure pat00347
= ㆍㆍㅣㅣㆍㆍ
Figure pat00347
= ㆍㆍㅣㅣㆍㆍ

Figure pat00348
= ㆍㅡㅣㆍㆍ
Figure pat00348
= ㆍㅡㅣㆍㆍ

Figure pat00349
= ㆍㅡㅣㆍㆍㅣ
Figure pat00349
= ㆍㅡㅣㆍㆍㅣ

Figure pat00350
= ㆍㅡㆍㆍㅣ
Figure pat00350
= ㆍㅡㆍㆍㅣ

Figure pat00351
= ㆍㅡㅡㆍ (추가 설명 있음)
Figure pat00351
= ㆍㅡㅡㆍ (with additional explanation)

Figure pat00352
= ㆍㆍㅡㅣㆍ
Figure pat00352
= ㆍㆍㅡㅣㆍ

Figure pat00353
= ㆍㆍㅡㅣㆍㅣ
Figure pat00353
= ㆍㆍㅡㅣㆍㅣ

Figure pat00354
= ㅡㆍㆍㆍㅣ (참고 [ㆍ]버튼 3번)
Figure pat00354
= ㅡㆍㆍㆍㅣ (Reference [ㆍ] button 3)

Figure pat00355
= ㅡㆍㅣㅣ ("
Figure pat00356
"와 모호성 있음)
Figure pat00355
= ㅡㆍㅣㅣ ("
Figure pat00356
"with ambiguity)

Figure pat00357
= ㅡ ㆍㆍㅣㆍㅣ
Figure pat00357
= ㅡ ㆍㆍㅣㆍㅣ

Figure pat00358
= ㅡ ㆍㆍㆍㅡ (참고 [ㆍ]버튼 3번)
Figure pat00358
= ㅡㆍㆍㆍㅡ (Note [ㆍ] button 3)

Figure pat00359
= ㅡㅣㆍ
Figure pat00359
= ㅡㅣㆍ

Figure pat00360
= ㅡㆍㅣ ("ㅟ"와 모호성 있음)
Figure pat00360
= ㅡㆍㅣ (there is ambiguity with "ㅟ")

Figure pat00361
= ㅡㆍㅣㅣ ("
Figure pat00362
"와 모호성 있음)
Figure pat00361
= ㅡㆍㅣㅣ ("
Figure pat00362
"with ambiguity)

Figure pat00363
= ㅡㆍㅡ
Figure pat00363
= ㅡㆍㅡ

Figure pat00364
= ㅣㅣㆍㆍㆍㅡ (참고 [ㆍ]버튼 3번)
Figure pat00364
= ㅣㅣㆍㆍㆍㅡ (Note [ㆍ] button 3)

Figure pat00365
= ㅣㅣㆍㆍㅣ
Figure pat00365
= ㅣㅣㆍㆍㅣ

Figure pat00366
= ㅣㆍㆍㅣ ("ㅒ"와 모호성 있음)
Figure pat00366
= ㅣㆍㆍㅣ (There is ambiguity with "ㅒ")

Figure pat00367
= ㅣㆍㆍㅣㅣ
Figure pat00367
= ㅣㆍㆍㅣㅣ

Figure pat00368
= ㆍㅣㅡㆍ
Figure pat00368
= ㆍㅣㅡㆍ

Figure pat00369
= ㅣㆍㆍㅡ ("
Figure pat00370
"와 모호성 있음)
Figure pat00369
= ㅣㆍㆍㅡ ("
Figure pat00370
"with ambiguity)

Figure pat00371
= ㅣㅡㆍㆍ
Figure pat00371
= ㅣㅡㆍㆍ

Figure pat00372
= ㅣㅣ
Figure pat00372
= ㅣㅣ

Figure pat00373
= ㆍㅣㆍ
Figure pat00373
= ㆍㅣㆍ

Figure pat00374
= ㆍㆍㅣㅣ ("ㅖ"와 모호성 있음. 별도 설명)
Figure pat00374
= ㆍㆍㅣㅣ (There is ambiguity with "ㅖ". Separate explanation)

. . . . . . . . . . . .

상기에서 모호성이 있는 경우가 더 있을 수도 있으나, 아래의 설명과 유사하게 적용하면 된다. "ㅡ", "ㆍ", "ㅣ"의 조합을 이용하여 21개 현대 한국어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모호성없이 입력중간에도 항상 완전한 모음이 조합되었었다. 그러나 한글고어 모음까지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중간에 완전한 모음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375
"를 입력하기 위하여 " ㅣㆍㅡ"까지 입력하였을 때, "ㅏ"와 "ㅡ"가 결합된 모음이 없으므로 "ㅏㅡ"로 일시적으로 되었다가 [ㆍ]버튼이 눌러지면 전체 입력값 "ㅣㆍㅡㆍ"이 "
Figure pat00376
" 로 된다. 이는 다른 유사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There may be more cases where there is ambiguity in the above, but it can be applied similarly to the description below. In the case of inputting 21 modern Korean vowels using the combination of "ㅡ", "ㆍ", and "ㅣ", complete vowels were always combined without ambiguity even in the middle of input. However, in the case of inputting up to Korean vowels, complete vowels may not be made in the middle of input. For example "
Figure pat00375
When you input up to "ㅣㆍㅡ" to input ", since there is no vowel combined with "A" and "ㅡ", it temporarily becomes "ㄴㅡ", and when the [ㆍ] button is pressed, the entire input value "ㅣㆍ ㅡㆍ"Lee"
Figure pat00376
". This may work in the same way in other similar cases.

이렇게 3개 모음요소의 조합으로 한글고어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동일한 입력값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모음이 있는 경우가 있다. 몇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In the case of inputting a Korean vowel as a combination of three vowel elements, there may be two or more vowels for the same input value. Some examples include:

ㅝ =

Figure pat00377
= ㅡㆍㆍㅣㅝ =
Figure pat00377
= ㅡㆍㆍㅣ

ㅏ =

Figure pat00378
= ㅣㆍA =
Figure pat00378
= ㅣㆍ

ㅓ =

Figure pat00379
= ㆍㅣㅇ =
Figure pat00379
= ㆍㅣ

ㅕ =

Figure pat00380
= ㆍㆍㅣㅕ =
Figure pat00380
= ㆍㆍㅣ

ㅖ =

Figure pat00381
= ㆍㆍㅣㅣㅖ =
Figure pat00381
= ㆍㆍㅣㅣ

. . . . . . . . . . . .

이 역시 모음입력시의 "모호성"이라고 볼 수 있다. 편의상 "알파벳內 모호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좁혀서 "모음內 모호성"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해야 하므로, 상기 입력값이 눌러졌을 때, 현대 한국어 모음인 "ㅝ", "ㅏ", "ㅓ", "ㅕ"가 입력되는 것은 당연하다. "

Figure pat00382
" 의 입력시, 기존의 시간지연(즉, 타이머) 기법을 적용한다면 "ㅠ"까지 입력하고 소정시간 경과하여 "ㅠ"가 확정된 다음 "ㅣ" 를 눌러 "
Figure pat00383
"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구분버튼을 사용한다면 "ㅠ"입력후 구분버튼을 눌러 "ㅠ"를 확정후 "ㅣ"를 눌러 "
Figure pat00384
"를 입력하게 된다. 기존에는 "ㅠ"입력후 구분버튼 또는 시간지연 등의 수단으로 "ㅠ" 확정후 "ㅣ"를 누르면 "ㅠㅣ"와 같이 "ㅣ"가 낱자모음으로 입력되었으나, 한글고어 모음의 입력이 전제된 한글조합규칙 적용시 "
Figure pat00385
"로 조합되어야 한다. 출원인이 설명했던 "선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면, "ㅠ"의 마지막 입력값인 "ㆍ"을 길게 눌러 "ㅠ"를 확정한 다음 "ㅣ" 를 눌러 "
Figure pat00386
"를 입력할 수 있다. 표현식으로 나타내면 "
Figure pat00387
= ㅡㆍㆍ~ㅣ" 가 된다. 또는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면 "ㅠ" 다음에 눌러지는 [ㅣ]버튼을 길게 누름으로써 기 눌러진 "ㅡㆍㆍ"이 "ㅠ"로 인식하고 여기에 "ㅣ"가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
Figure pat00388
"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표현식으로 나타내면, "
Figure pat00389
= ㅡㆍㆍㅣ~" 가 된다. 상기 "
Figure pat00390
", "
Figure pat00391
", "
Figure pat00392
", "
Figure pat00393
" 의 입력도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This can also be seen as "ambiguity" at the time of vowel input. For convenience, it may be called "ambiguity within the alphabet", and narrowly referred to as "ambiguity within the vowel". Since the input of modern Korean should be prioritized, it is natural that modern Korean vowels "ㅝ", "아", "sh", and "ㅕ" are input when the input value is pressed. "
Figure pat00382
When inputting ", if the existing time delay (i.e., timer) technique is applied, input up to "ㅠ"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ㅠ" is confirmed, and then press "ㅣ"
Figure pat00383
" is entered. Also, if you use the classification button, after inputting "ㅠ" and pressing the classification button to confirm "ㅠ", press "ㅣ" to "
Figure pat00384
" is entered. In the past, if you press "ㅣ" after inputting "ㅠ" and confirming "ㅠ" by means such as a classification button or time delay, "ㅣ" is input as a vowel like "ㅠㅣ", but it is an old Korean language. When applying the Korean combination rule, which presupposes the input of vowels, "
Figure pat00385
". If the "preced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explained by the applicant is applied, press and hold "ㆍ", the last input value of "ㅠ" to confirm "ㅠ", and then press "ㅣ" to "
Figure pat00386
You can type ". Expressed as an expression, "
Figure pat00387
= ㅡㆍㆍ~ㅣ". Or, if "trail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is applied, by long pressing the [ㅣ] button pressed after "ㅠ", the previously pressed "ㅡㆍㆍ" is recognized as "ㅠ" Here, "ㅣ" is combined, resulting in "
Figure pat00388
". Expressed as an expression, "
Figure pat00389
= ㅡㆍㆍㅣ~". Above "
Figure pat00390
", "
Figure pat00391
", "
Figure pat00392
", "
Figure pat00393
The input of " can be processed in the same way.

다음으로 "ㅡ", "ㆍ", "ㅣ" 3개 모음요소의 조합으로 모음을 입력하면서 [ㆍ]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ㅏ"를 입력하거나, "ㅡ", "ㅏ", "ㅣ" 3개 모음버튼을 이용하여 한글고어 모음입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를 편의상 "아래아=ㅏ 3모음법"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 "ㅏ" ([ㆍ]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는 "ㅏ" 또는 [ㅏ]버튼의 "ㅏ")는 임의의 다른 모음(예. "ㅓ", "ㅗ", "ㅜ", ... 중 하나)인 경우도 같다. 아래의 설명에서 편의상 "ㆍ"으로 나타낸다. 아래아를 단독으로 입력하는 것은 선출원에서 제시했던 바와 같이 [ㆍ]버튼을 2번 눌러 입력한다. 그외의 한글고어 모음조합에서는 [ㆍ]버튼이 생긴 그대로 조합되는 획 "ㆍ"처럼 사용된다. 예를 들어, "ㅓ = ㆍㅣ" 로 "ㅕ = ㆍㆍㅣ" 로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미 설명한 "ㅡ", "ㆍ", "ㅣ" 3개 모음버튼으로 한글고어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ㆍ]버튼으로 "ㆍ"입력 경우)와 동일하거나 또는 "ㅏ"를 입력하기 위한 "ㅣㆍ"이 "ㆍ"으로 단순히 대체되는 경우도 설명을 생략한다. 입력 사례는 "아래아 3모음법"에서와 거의 유사하므로 별도로 제시하지는 않는다. Next, while inputting a vowel with a combination of three vowel elements "ㅡ", "ㆍ", and "ㅣ", press the [ㆍ] button once to input "A", or "ㅡ", "ㄴ", "ㅣ" " If you look at the Korean vowel input using the three vowel buttons, it is as follows. For convenience,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eraeah = A 3 vowel method". Hereinafter, the "a" ("a" input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or "a" of the [a] button) is any other vowel (e.g. "sh", "ㅗ", "TT") , ...) is also the cas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it is indicated by "•".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o input the lower child alone, press the [ㆍ] button twice to input. In other Korean vowel combinations, the [ㆍ] button is used like a stroke “ㆍ” that is combined as it is. For example, "sh = ㆍㅣ" is entered as "ㅕ = ㆍㆍㅣ". It is the same as the case of inputting a Korean vowel with the three vowel buttons "ㅡ", "ㆍ", and "ㅣ" (in case of inputting "ㆍ" with the [ㆍ] button), or "ㅣ" for inputting "ㄴ". The description is also omitted when “ㆍ” is simply replaced with “ㆍ”. The input case is almost similar to that in the "Area 3 vowel method", so it is not presented separately.

"

Figure pat00394
"의 입력시, "ㅏ"를 "ㆍ"으로 입력하는 것을 적용하면 "
Figure pat00395
"의 입력값은 "ㆍㆍㅡ"가 되는데, 이는 현대 한국어 모음의 "ㅑ"와 같게 된다. (즉 "
Figure pat00396
"와 "ㅑ"의 모호성이 있게 되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하여 잘 작동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
Figure pat00397
"의 "ㅏ"는 "ㅣㆍ"로 입력하여 "
Figure pat00398
= ㅣㆍㆍㅡ" 로 되어야 한다. "
Figure pat00394
When inputting ", applying "a" to "ㆍ" inputs "
Figure pat00395
The input value of " becomes "ㆍㆍㅡ", which is the same as "ㅑ" in modern Korean vowels.
Figure pat00396
There is ambiguity between " and "ㅑ". Since modern Korean input must be given priority to make it work well, "
Figure pat00397
The "a" of "is entered as "ㅣㆍ" to "
Figure pat00398
= ㅣㆍㆍㅡ".

형태적으로 "ㆍ"이 다른 모음에 부속된 모음(예. "ㅓ", "ㅕ", ..)이 아닌 아래아가 온전히 포함된 모음(예. "

Figure pat00399
", "
Figure pat00400
", "
Figure pat00401
", "
Figure pat00402
", "
Figure pat00403
", "
Figure pat00404
", ...)의 아래아를 입력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번째는 [ㆍ]버튼 1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아래아 3모음법" 에서와 동일하다. 또한가지 방법은 이렇게 형태적으로 아래아가 온전히 포함된 모음의 아래아부분은 [ㆍ]버튼 2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록 하는 것이다. "아래아=ㅏ 3모음법"에서의 한글고어 모음입력을 말할 때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이경우 [ㆍ]버튼 2번 누름으로 아래아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Morphologically, "ㆍ" is not a vowel attached to another vowel (eg, "sh", "ㅕ", ..), but a vowel containing the lower ah (eg, "
Figure pat00399
", "
Figure pat00400
", "
Figure pat00401
", "
Figure pat00402
", "
Figure pat00403
", "
Figure pat00404
There can be two ways to input the lower ah of ", ...). The first is to input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which is the same as in the "3 lower ah method". Also, One way is to input the lower part of the vowel that contains the lower part completely in this way by pressing the [ㆍ] button twice. In this case, if it is not, press the [ㆍ] button twice to input the lower a.

상기 모음내 모호성이 있는 "ㅝ", "ㅏ", "ㅓ", "ㅕ"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자음 다음에 [ㆍ]버튼 한번 눌러짐으로 단일모음 "ㅏ" (다른 한글고어 모음에 포함되어 있는"ㅏ"가 아닌) 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ㅣㆍ"의 경우(모음 "ㅣ" 다음에 눌러지는 "ㆍ"은 "ㆍ"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하면)는 "

Figure pat00405
"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ㅣㆍ=ㅏ"가 아닌 "ㅣㆍ=
Figure pat00406
"로 적용되는 것은 키패드에서 한글고어의 입력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시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알파벳내 모호성이 있는 4가지 모음에 대해 "아래아=ㅏ 3모음법" 적용시의 모호성은 다음과 같다.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of "ㅝ", "아", "ㅋ", and "ㅕ" with ambiguity in the vowel. However, by pressing the [ㆍ] button once after the consonant, you can enter a single vowel "a" (not "a" included in other Korean vowels), so in the case of "ㅣㆍ" (vowel "ㅣ" If "ㆍ" pressed next is considered to act as "ㆍ") is "
Figure pat00405
" can also be entered. Instead of "ㅣㆍ=A", "ㅣㆍ=
Figure pat00406
It would be desirable to apply " to the time when the input of Korean archaic words is universally used on the keypad. The ambiguity when applying the "araeah = 3 vowel method" to the four vowels with ambiguity in the alphabet is as follows Same as

ㅝ =

Figure pat00407
= ㅡㆍㆍㅣㅝ =
Figure pat00407
= ㅡㆍㆍㅣ

ㅑ =

Figure pat00408
= ㅣㆍㆍ (모음에 포함되어 있는 단일한 "ㆍ"을 [ㆍ]버튼 2타로 입력하므로. 이하 동일)ㅑ =
Figure pat00408
= ㅣㆍㆍ (Since the single “ㆍ” included in the vowel is entered with two strokes of the [ㆍ] button. The same below)

ㅕ =

Figure pat00409
= ㆍㆍㅣㅕ =
Figure pat00409
= ㆍㆍㅣ

Figure pat00410
= ㆍㆍㆍㅣ
Figure pat00410
= ㆍㆍㆍㅣ

Figure pat00411
= ㆍㆍㆍㅣㅣ
Figure pat00411
= ㆍㆍㆍㅣㅣ

Figure pat00412
= ㆍㆍㆍㆍ
Figure pat00412
= ㆍㆍㆍㆍ

Figure pat00413
= ㆍㆍ
Figure pat00413
= ㆍㆍ

Figure pat00414
= ㆍㆍㅡㆍ
Figure pat00414
= ㆍㆍㅡㆍ

Figure pat00415
= ㆍㆍㅣㅡㆍ
Figure pat00415
= ㆍㆍㅣㅡㆍ

. . . . . . . . . . . .

선행알파벳장타처리 적용시, "

Figure pat00416
= ㅡㆍㆍ~ㅣ", "
Figure pat00417
= ㅣ~ㆍㆍ", "
Figure pat00418
= ㆍㆍ~ㅣ", "
Figure pat00419
= ㆍㆍ~ㆍㅣ", "
Figure pat00420
= ㆍㆍ~ㆍㅣㅣ" 로 입력된다. 후행알파벳장타처리 적용시, "
Figure pat00421
= ㅡㆍㆍㅣ~", "
Figure pat00422
= ㅣㆍ~ㆍ", "
Figure pat00423
= ㆍㆍㅣ~", "
Figure pat00424
= ㆍㆍㆍ~ㅣ", "
Figure pat00425
= ㆍㆍㆍ~ㅣㅣ" 로 입력된다. When applying preced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
Figure pat00416
= ㅡㆍㆍ~ㅣ", "
Figure pat00417
= ㅣㆍㆍ", "
Figure pat00418
= ㆍㆍ~ㅣ", "
Figure pat00419
= ㆍㆍ~ㆍㅣ", "
Figure pat00420
= ㆍㆍ~ㆍㅣㅣ". When applying trail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
Figure pat00421
= ㅡㆍㆍㅣ~", "
Figure pat00422
= ㅣㆍ~ㆍ", "
Figure pat00423
= ㆍㆍㅣ~", "
Figure pat00424
= ㆍㆍㆍ~ㅣ", "
Figure pat00425
= ㆍㆍㆍ~ㅣㅣ" is entered.

상기 "아래아 3모음법"과 "아래아=ㅏ 3모음법"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5가지 경우 중 "

Figure pat00426
"의 경우를 제외한 4가지 경우는 모두 아래아 형태가 모음의 일부로 포함되어 야기된 모호성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선/후행장타처리와 상관없이, 상기와 같이 모호성이 있는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 [ㆍ]버튼의 길게 누름을 아래아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427
= ㅣㆍ~", "
Figure pat00428
= ㆍ~ㅣ", "
Figure pat00429
= ㆍ~ㆍㅣ", "
Figure pat00430
= ㆍ~ㆍㅣㅣ" 로 입력된다. "
Figure pat00431
"의 경우만 선행알파벳장타처리(예. "
Figure pat00432
= ㅡㆍㆍ~ㅣ") 또는 후행알파벳장타처리(예. "
Figure pat00433
= ㅡㆍㆍㅣ~")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모음내 모호성"이 없는 경우(예. "ㅜ")는 [ㆍ]버튼이 길게 눌러졌더라도(예. 입력값 "ㅡㆍ~") 보통의 눌러짐(예. 입력값 "ㅡㆍ")과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ㆍ]버튼의 길게 누름으로 절대적으로 아래아를 입력하는 것은 선/후행장타처리의 로직을 사용자가 생각하지 않아도 모호성이 있는 상기 경우에 한글고어 모음을 정확히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ㆍ]버튼의 길게 누름으로 "ㅎ"을 입력하는 것은 함께 적용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ㆍ]버튼 길게누름으로 모음요소 "ㆍ"을 입력하거나 (예. "ㅜ = ㅡㆍ~") 아래아의 형상이 포함된 한글고어 모음(예. "
Figure pat00434
", "
Figure pat00435
", "
Figure pat00436
", "
Figure pat00437
", ...)의 아래아를 절대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아래아버튼장타처리"라고 부르기로 한다. Another method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Area 3 vowel method" and the "Area = A 3 vowel method" is as follows. Among the above 5 cases, "
Figure pat00426
In all four cases except the case of ", it can be seen that the ambiguity caused by the inclusion of the lower-ah form as a part of the vowel is ambiguity. Therefore, regardless of the leading / trailing sluggish treatment, if a vowel with ambiguity is input as described above, [ㆍ You can also do a long press of the ] button down, for example, "
Figure pat00427
= ㅣㆍ~", "
Figure pat00428
= ㆍ~ㅣ", "
Figure pat00429
= ㆍ~ㆍㅣ", "
Figure pat00430
= ㆍ~ㆍㅣㅣ" is entered. "
Figure pat00431
Only in the case of ", the leading alphabet is sluggish (e.g. "
Figure pat00432
= ㅡㆍㆍ~ㅣ") or trail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e.g. "
Figure pat00433
= ㅡㆍㆍㅣ~") can be applied selectively. As described above, if there is no "ambiguity within a vowel" (eg "TT"), even if the [ㆍ] button is pressed for a long time (eg, the input value "ㅡ ㆍ~") can be processed in the same way as a normal press (eg, input value "ㅡㆍ"). Entering an absolute bottom with a long press of the [ㆍ] button in this way reduces the logic of first/following long hitting. Even if the user does not think, the Korean vowel can be accurately input in the case of ambiguity.However, it is natural that inputting "ㅎ" by long pressing the [ㆍ] button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annot be applied together. In this way, by pressing and holding the [ㆍ] button, enter the vowel element "ㆍ" (eg "ㅜ = ㅡㆍ~"), or a collection of Korean old words including the shape of Haerah (eg "
Figure pat00434
", "
Figure pat00435
", "
Figure pat00436
", "
Figure pat00437
Absolutely inputting the bottom of ", ...) will be called "lower button long hit processing".

출원인이 제시했던 모음버튼을 컨트롤버튼으로 사용하는 기술(예. "y = xㅡㅡ" 또는 "z = xㅣㅣ")을 적용하면서 한글고어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대표적으로 출원인이 제시한 것은 "ㅋ = ㄱㅡㅡ" 또는 "ㄲ = ㄱㅣㅣ" 로 입력하였다. 즉, 자음(예. "ㄱ")의 입력 다음에 "ㅡ"가 2번 눌러지거나, "ㅣ"가 2번 눌러지면 "ㅋ" 또는 "ㄲ"이 입력되는 것이다. 이는 현대 한국어에서 "ㅡ"가 연속하여 2번 나오지 않는 성질 그리고 "ㅣ"가 연속하여 2번 나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었다. We look at how to input Korean vowels while applying the technology of using the vowel button proposed by the applicant as a control button (eg "y = xㅡㅡ" or "z = xㅣㅣ"). Representatively, what the applicant suggested was entered as "ㅋ = ㅡㅡ" or "ㄲ = ㄱㅣㅣ". That is, when “ㅡ” is pressed twice after a consonant (eg “a”) is input, or “ㅣ” is pressed twice, “ㅋ” or “ㄲ” is input. This was to use the property that "ㅡ" does not appear twice in a row and "ㅣ" does not appear twice in a row in modern Korean.

그런데 한글고어에서는 자음 다음에 "ㅡ" 또는 "ㅣ"가 2번 연속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438
", "
Figure pat00439
", "
Figure pat00440
", "
Figure pat00441
", "
Figure pat00442
", "
Figure pat00443
", ... 등이 있다. 입력값 "ㄱㅡㅡ"를 누른 것이 "ㅋ" 도 될 수 있고, "
Figure pat00444
" 도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입력되는 결과인 알파벳(예. "ㅋ")과 자모결합글자(예. "
Figure pat00445
") 간의 모호성으로 편의상 "알파벳-글자間 모호성" 또는 "알파벳-글자 모호성" 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
Figure pat00446
" 와 "
Figure pat00447
"를 각각 [ㅡ]버튼 2번 누름 그리고 [ㅣ]버튼 2번 누름으로 입력한다면, "ㅋ = ㄱㅡㅡㅡ"로 입력되어야 한다. 그러나 과연 얼마나 사용될지도 모르는 한글 고어의 입력을 위해 현대 한국어 알파벳(예. "ㅋ")의 입력에 불편(예. [ㅡ]버튼 3번 누름의 조합)을 초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현대 한국어와 한글고어의 입력을 함께 적용하더라도,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하여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렇다면 "ㅋ"의 입력과 "
Figure pat00448
"의 입력을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는지를 다음에서 보인다.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ㅡ" or "ㅣ" appears twice in a row after a consonant in Korean language. For example, "
Figure pat00438
", "
Figure pat00439
", "
Figure pat00440
", "
Figure pat00441
", "
Figure pat00442
", "
Figure pat00443
There are ", ..., etc. Pressing the input value "ㄱㅡㅡ" can also be "ㅋ", and "
Figure pat00444
" can also be. This is the input result of the alphabet (eg "ㅋ") and consonant characters (eg "
Figure pat00445
") may be conveniently referred to as "inter-alphabetic-letter ambiguity" or "alphabet-letter ambiguity". As mentioned above, "
Figure pat00446
" Wow "
Figure pat00447
", respectively, by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and pressing the [ㅣ] button twice, it should be entered as "ㅋ = ㅡㅡㅡ". It is not desirable to cause inconvenience (eg, combination of pressing the [ㅡ] button 3 times) to the input of (eg "ㅋ"). Therefore, even if modern Korean and Korean archaic input are applied together, modern Korean input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it first. Then, the input of "ㅋ" and "
Figure pat00448
The following shows how to process the input of ".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하여 고려해야 하므로, "ㄱㅡㅡ" 를 누르면 "ㅋ"으로 되는 것이 타당하다. 기존의 시간지연 또는 타이머 기법을 적용하면, "

Figure pat00449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을 누른후 소정시간 지연(즉, 타이머) 또는 구분버튼 눌러짐에 의하여 "ㄱ"을 확정하고 "ㅡㅡ"를 2번 누르도록 하면된다. "알파벳-글자 모호성"을 해결하는 과정은 일련의 버튼누름(예. "ㄱㅡㅡ")이 하나의 알파벳(예. "ㅋ")으로 인식되지 않고 자음과 모음의 조합(예. "
Figure pat00450
")으로 인식되도록 특별히(예. 시간지연, 구분버튼, 선/후행장타, ...) 처리하는 것이므로, 그 성질은 "알파벳내 모호성" 과 유사하다. Since the input of modern Korean should be considered first, it is reasonable that "ㅋ" is displayed when "ㄱㅡㅡ" is pressed. Applying the existing time delay or timer technique, "
Figure pat00449
In order to enter ", after pressing "a", confirm "a" by delaying a predetermined time (ie, timer) or by pressing the division button, and press "ㅡㅡ" twice. "Alphabet-letter ambiguity" The process of solving is that a series of button presses (eg "ㄱㅡㅡ") are not recognized as one alphabet (eg "ㅋ"), but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eg "
Figure pat00450
"), so it is specially processed (eg time delay, division button, leading/trailing long hit, ...), so its nature is similar to "ambiguity within the alphabet".

만약 선행알파벳장타처리를 이용하면 "ㄱ"을 길게 눌러 "ㄱ"을 확정하고 나서, "ㅡ"를 2번 누르면 된다. 이렇게 하여도 초성자음위치 모호성에서 후행알파벳장타처리로 입력하는 것과 충돌되지는(즉, 모호성이 발생하지는) 않으며, 극히 특이한 경우에 모호성이 있더라도 사실상 거의 없는 수준이다. 즉, "ㄱ"을 길게눌러 초성자음으로 확정한 후 "ㅡ"를 2번 누르면 "ㅋ"이 아닌 "

Figure pat00451
" 가 되는 것이다. 어떤 자음 다음에 모음 "
Figure pat00452
"가 입력되는 것은 그 앞에 입력된 자음이 어차피 초성자음으로 처리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만약 현대 한국어에서도 사용되는 "ㅋ"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ㄱ]버튼의 길게 누름(즉, "ㄱ~ㅡㅡ")이 아닌 보통의 누름(즉, "ㄱㅡㅡ")으로 누르면 된다. 이는 주로 사용되는 현대 한국어 자음의 입력에는 길게 누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조합되는 모음버튼(예.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눌러짐도 2회만 적용되는 장점이 있다. 도면4-34(a)에서 회색음영으로 표시된 알파벳은 현대 한국어 자음을 나타낸다. 도면4-34(a)에서 1차조합에 의하여 입력되는 자음은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2번 눌러짐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자음 다음에 "ㅡ"가 연속하여 2번 나오는 고어 글자(예. "
Figure pat00453
")의 입력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2차조합, 3차조합, ... 에 의하여 입력되는 자음도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2번 눌러짐의 조합으로 입력되지만, 상기와 같은 고어 글자(예. "
Figure pat00454
")의 입력을 허용한다면 2차조합, 3차조합, 4차조합, ... 에 의하여 입력되는 자음은 [ㅡ]버튼 또는 [ㅣ]버튼 3회 눌러짐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ㅸ =
Figure pat00455
ㅡ = ㅍㅡㅡㅡ = ㅂㅡㅡㅡㅡㅡ" 와 같이 되는 것이다. If the preced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is used, long press "a" to confirm "a", and then press "ㅡ" twice. Even if this is done,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input of the trail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in the initial consonant position ambiguity (ie, ambiguity does not occur), and even if there is ambiguity in extremely special cases, it is virtually non-existent. In other words, press and hold "ㄱ" to confirm the initial consonant, then press "ㅡ" twice to "ㅋ" instead of "ㅋ"
Figure pat00451
It becomes ". A consonant followed by a vowel "
Figure pat00452
" is entered because the consonant entered before it is bound to be treated as a first consonant anyway. If it was to input "ㅋ", which is also used in modern Korean, press and hold the [a] button (i.e., "~ㅡㅡ"), but press it with a normal press (i.e., "ㄱㅡㅡ"). This is a combination of vowel buttons (eg, [ㅡ ] button or [ㅣ] butt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ed only twice. In Fig. 4-34 (a), the gray shaded alphabet represents modern Korean consonants. In Fig. 4-34 (a), the first The consonant input by combination is entered by a combination of press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twice.
Figure pat00453
If the input of ") is not allowed, the consonants entered by the secondary combination, tertiary combination, ... are also entered with the combination of press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twice, but the same old letters as above (Yes. "
Figure pat00454
If input of ") is allowed, the consonants entered by the 2nd combination, 3rd combination, 4th combination, ... are input in combination by press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three times. For example, , "ㅸ =
Figure pat00455
ㅡ = ㅡㅡㅡ = ㅡㅡㅡㅡㅡ”.

이렇게 도면3-34에서 1차조합되는 자음은 [ㅡ]버튼 또는 [ㅣ]버튼 2번 누름의 조합으로 입력하려면, 몇가지 한글 오터마타(한글 자모결합규칙)에서 몇가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 "간

Figure pat00456
" 와 "
Figure pat00457
"은 눌러지는 버튼(즉, 입력값)이 같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글고어(예. "
Figure pat00458
")보다 현대 한국어(예. "ㅌ")이 우선하여 쉽게 입력되어야 하므로, 길게 누름을 사용하지 않는 입력값 "ㄷㅡㅡ"는 "ㅌ"으로 되고, "ㄷ~ㅡㅡ" 는 "
Figure pat00459
"로 되는 것이다. 이는 "초성자음위치 모호성"에서 "후행알파벳장타처리" 적용시 길게누름에 의하여 입력되는 자음을 초성자음으로 처리하는 것과 일치하게 된다. 즉, "
Figure pat00460
" 이 아닌 "간ㄷ"을 입력하기 위하여,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여 "ㄷ"을 길게 눌러 입력하는 것과 같게 된다.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that is firstly combined in Fig. 3-34 by press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twice, there are some matters to be considered in some Korean automata (Korean consonant combination rules). "liver
Figure pat00456
" Wow "
Figure pat00457
" is the same as the button being pressed (i.e., the input value). A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language (eg "
Figure pat00458
") rather than modern Korean (e.g. "ℓ") should be entered easily, so the input value "ㅅㅡㅡ" that does not use a long press becomes "ℓ", and "ㅅ~ㅡㅡ" is "
Figure pat00459
". This is consistent with processing the consonant input by long pressing as the initial consonant when applying "Long Hit Processing of Trailing Alphabet" in "Position Ambiguity of Initial Consonant". In other words, "
Figure pat00460
In order to input "Kan" instead of ", it is the same as pressing and holding "c" by applying the trail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또한 "초성자음위치 모호성"에서 "후행알파벳장타처리" 적용시 길게누름 직전에 입력된 자음(예. "ㅅ")이 종성받침이 아닌 초성자음으로 인식되고 그 다음 장타처리에 의하여 입력된 자음(예. "ㄷ")이 합하여 초성자음(예. "

Figure pat00461
")을 형성할 수 있으면 이를 각각의 낱자음(예. "ㅅ")과 초성자음(예. "ㄷ")으로 인식(예. "ㅅㄷ")하지 않고, 입력값 전체(예. "ㅅㄷ~")를 초성자음(예. "
Figure pat00462
")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
Figure pat00463
" 다음에 모음이 오면 "
Figure pat00464
" 전체가 초성자음으로 된다. "ㅅ"이 초성자음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입력값으로 "ㅅ~"이 눌러진 이후에 "ㄷ~"이 눌러진 경우(예. 입력값 "ㅅ~ㄷ~")도 결과는 동일하다. "
Figure pat00465
" 와 "
Figure pat00466
" 은 눌러지는 버튼이 동일한데, 역시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하여, 길게 누름을 사용하지 않는 "ㄷㅡㅡ"는 "ㅌ"이 되고, 길게 누름을 사용하는 "ㅅㄷ~ㅡㅡ"는 "
Figure pat00467
"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간단히 언급한 대로 도면3-34에서 2차조합, 3차조합, ... 에 의하여 입력되는 자음은 모두 한글고어 자음으로 사용빈도가 매우 적을 것이므로 [ㅡ]버튼 또는 [ㅣ]버튼 3번 눌러짐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것이 적합해 보인다. In addition, when applying "Long Hit Processing for Initial Consonants" in "Positional Ambiguity of Initial Consonants", the consonant entered just before the long press (eg "ㅅ") is recognized as the initial consonant, not the final consonant, and the consonant entered by the subsequent long hitting process ( Ex. "c") is combined to form the first consonant (ex. "
Figure pat00461
"), it is not recognized as individual consonants (eg "ㅅ") and initial consonants (eg "ㅅ"), but the entire input value (eg "ㅅㅅ~"). ") as a first consonant (eg. "
Figure pat00462
"). "
Figure pat00463
"Next comes the vowel"
Figure pat00464
" The whole becomes a leading consonant. In order to clarify that "ㅅ" is a leading consonant, if "ㅅ~" is pressed after "ㅅ ~" is pressed as an input value (e.g., the input value "ㅅ~ㅅ~" ) has the same result."
Figure pat00465
" Wow "
Figure pat00466
" is the same button to be pressed, but also prioritizes modern Korean input, so "ㅅㅡㅡ" that does not use a long press becomes "T", and "ㅅㄴ~ㅡㅡ" that uses a long press "
Figure pat00467
As mentioned briefly above, the consonants input by the secondary combination, tertiary combination, ... in Fig. 3-34 are all Hangul Gore consonants and are very rarely used, so the [ㅡ] button or It seems appropriate to enter the combination of pressing the [ㅣ] button three times.

"알파벳-글자 모호성"에 대하여,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면 "ㄱ"을 누른 후, "ㅡ"를 길게 누르고나서 "ㅡ"를 한번 더 누르면 된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468
= ㅡ~ㅡㆍ"가 된다. For "alphabet-letter ambiguity", if trail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is applied, press "a", press "ㅡ" for a long time, and then press "ㅡ" once more. For example, "
Figure pat00468
= ㅡ~~ㅡㆍ".

상기에서 여러가지 경우의 모호성에 대하여 "선행알파벳장타처리" 또는 "후행알파벳장타처리" 의 사례를 보였는데, 알파벳-글자 모호성에 있어서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할 경우 [ㅡ] 버튼을 길게 한번 누르는 것으로 "

Figure pat00469
"를 입력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ㅣ]버튼 한번 길게 누르는 것을 "
Figure pat00470
"로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471
= ㅡ~ㅡㆍ"가 아닌 "
Figure pat00472
= ㅡ~ㆍ"로 입력되는 것이다. 이는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는 경우 "
Figure pat00473
" 입력시 길게누름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입력타수를 1타 줄여주며, 직관적으로도 "
Figure pat00474
"를 "ㅡ" 길게누름으로 입력하는 것으로 연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를 편의상"수직/수평모음장타처리 (입력방법)"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In the above, cases of "preced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or "later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were shown for ambiguity in various cases. "
Figure pat00469
It can also be defined as inputting ". Likewise, long-pressing the [ㅣ] button once "
Figure pat00470
". For example, "
Figure pat00471
= ㅡ~~ㅡㆍ " not "
Figure pat00472
= ㅡ~ㆍ" is entered. This is the case when "trail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is applied.
Figure pat00473
"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ss and hold for input, but it reduces the number of input strokes by one stroke, and intuitively "
Figure pat00474
It can be associated with inputting "ㅡ" by long pressing,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This is called "vertical/horizontal vowel long hitting processing (input method)" for convenience.

상기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자음 다음에 "ㅡ" 또는 "ㅣ"가 연속하여 2번 눌러질 수 있는 모음은 "

Figure pat00475
", "
Figure pat00476
", "
Figure pat00477
", "
Figure pat00478
", "
Figure pat00479
", "
Figure pat00480
", ... 등이 있는데, 이러한 모음의 입력에 [ㅡ]버튼 또는 [ㅣ]버튼 길게 누름으로 상기 모음에 포함된 "
Figure pat00481
" 또는 "
Figure pat00482
"를 각각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역시 "수직/수평모음장타처리"를 이용하는 것이 된다. (상기 "
Figure pat00483
= ㅡ~ㆍ"로 입력하는 사례 참조) 현재까지 등록된 유니코드v2.0에서는 "ㆍㅡㅡ = ㅗㅡ" 가 결합된 형태의 모음은 없다. 그러나 "
Figure pat00484
" 를 "ㆍㅡㅡㆍ"으로 입력한다면 그 과정에서 눌러지는 "ㆍㅡㅡ" 가 "ㅎ"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하여 "ㆍㅡㅡ" 를 항상 "ㅎ"으로 인식되도록 한다면, "
Figure pat00485
"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ㆍㅡ~ㆍ"으로 할 수 있다. 즉 "
Figure pat00486
"에 포함되어 있는 "
Figure pat00487
"를 [ㅡ]버튼 길게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As exemplified above, a vowel in which "ㅡ" or "ㅣ" can be pressed twice in succession after a consonant is "
Figure pat00475
", "
Figure pat00476
", "
Figure pat00477
", "
Figure pat00478
", "
Figure pat00479
", "
Figure pat00480
There are ", ..., etc., and in the input of these vowels, press and hold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to "
Figure pat00481
" or "
Figure pat00482
" can be entered separately. This also uses "vertical/horizontal vowel long hitting processing". (The above "
Figure pat00483
= ㅡㅡㆍ") In Unicode v2.0 registered so far, there is no vowel in the form of "ㆍㅡㅡ = ㅗㅡ" combined. However, "
Figure pat00484
If you enter "ㆍㅡㅡㆍ" as "ㆍㅡㅡㆍ", "ㆍㅡㅡ" pressed in the process can be interpreted as "ㅎ". Therefore, "ㆍㅡㅡ" is always replaced with "ㅎ", giving priority to modern Korean input. If it is to be recognized, "
Figure pat00485
To input ", you can use "ㆍㅡ~~ㆍ". In other words, "
Figure pat00486
"included in"
Figure pat00487
" is entered by long pressing the [ㅡ] button.

"ㅔ = ㆍㅣㅣ", "ㅞ = ㅡㆍㆍㅣㅣ", 또는 "

Figure pat00488
= ㅡㆍㅣㅣ"와 같이 모음이 먼저 인식되고 나서 "ㅣ"가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상기와 같이 자음이 인식되고 나서 "ㅣ" (또는 "ㅡ")가 연속 나오는 경우와 구별되기 때문에 "알파벳-글자 모호성"이 없으므로 굳이 길게누름을 이용하여 입력할 필요는 없다. 일관성을 위하여, "ㅔ", "ㅞ", "
Figure pat00489
", ... 등에 들어 있는 "
Figure pat00490
"를 길게누름으로 입력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ㅔ = ㆍㅣ~" 으로 하는 것이나, 권장하지 않는다. 특히 "알파벳내 모호성"에 대해 후행알파벳장타처리로 입력하는 것과 충돌되는 부분이 있어 함께 적용하지 못할 수 있다. "ㅔ = ㆍㅣㅣ", "ㅞ = ㅡㆍㆍㅣㅣ", or "ㅞ = ㅡㆍㆍㅣㅣ"
Figure pat00488
= ㅡㆍㅣㅣ", the vowel is recognized first and then "ㅣ" appears consecutivel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se where "ㅣ" (or "ㅡ") appears consecutively after the consonant is recognized, the "alphabet -There is no “letter ambiguity”, so there is no need to press and hold to input. For consistency, “ㅔ”, “ㅞ”, “
Figure pat00489
", in ... etc."
Figure pat00490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input by pressing and holding ". For example, "ㅔ = ㆍㅣ~", but it is not recommended. In particular, for "ambiguity within the alphabet", the part that conflicts with input by long-pressing the trailing alphabet They may not be applied together.

상기에서 "초성자음위치 모호성", "알파벳내 모호성", "알파벳-글자 모호성" 등의 사례를 들었는데, 각각의 경우에 대해 선행알파벳장타처리 및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초성자음 위치모호성"의 경우에는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고, "알파벳내 모호성"의 경우에는 선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고, "알파벳-글자 모호성"에 대해서는 선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면, 선행알파벳장타처리는 일련의 버튼 누름중에서 특정 버튼이 길게 눌러지는 순간 그 길게 눌러진 버튼을 포함한 입력값의 결과를 확정하는 느낌이 있고, 후행알파벳장타처리는 특정 버튼이 길게 눌러지는 순간 그 이전까지 눌러진 입력값을 확정하고 새로이 입력을 시작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어느 경우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예. 환경설정에서 미리 세팅)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s such as "initial consonant position ambiguity", "alphabet ambiguity", and "alphabet-letter ambiguity" have been cited. For each case, the preced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and the follow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can be selectively appli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itial consonant position ambiguity,” the trail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is applied, in the case of “alphabet ambiguity,” the preced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is applied, and in the case of “alphabet-letter ambiguity,” the preceding alphabet sluggish processing is applied. It can be don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preced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has a feeling that the moment a specific button is pressed for a long time among a series of button presses, the result of the input value including the long pressed button is confirmed, and the follow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has a feeling that a specific button is long pressed. The moment it is pressed, it can be felt as if the previously pressed input value is confirmed and a new input is started. In either case, it can be used selectively (e.g. pre-setting in environment settings)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출원인의 견해로 좋은 적용사례는 "초성자음 위치모호성"의 경우에는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예외적으로 "

Figure pat00491
= ㅡㆍㆍ~ㅣ")하고, "알파벳내 모호성"의 경우에는 아래아버튼장타처리를 적용하고, "알파벳-글자 모호성"에 대해서는 선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용하였을 때, 일련의 버튼누름에 의한 한국어 입력중 다음글자의 초성자음으로 돌출되어 나타나게 되는 자음은 길게누름으로 확정하고, "
Figure pat00492
"를 입력하기 위한 "ㄱ"은 [ㄱ]버튼 길게 누름으로 "ㄱ"을 확정하는 일관성있는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아래아버튼장타처리"를 이용하여 현대 한국어 모음과 한글고어 모음간의 모호성이 있는 경우에도 단일한 규칙("
Figure pat00493
" 예외)으로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길게누름은 사용되지 않으므로, [ㅡ]버튼과 [ㅣ]버튼의 길게누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e opinion of the applicant, a good application case is to apply trailing alphabet long hitting treatment in the case of "initial consonant position ambiguity" (except for
Figure pat00491
= ㅡㆍㆍ~ㅣ"), and in the case of "ambiguity within the alphabet", the lower button long hitting process is applied, and for "alphabet-letter ambiguity", the preced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 is applied. Apply as above. When it is done, the consonant that appears a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during Korean input by pressing a series of buttons is confirmed by long pressing, and "
Figure pat00492
"ㄱ" for inputting "a" can be used consistently by long-pressing the [a] button to confirm "a". In addition, by using the "down button long hit processing", there is ambiguity between modern Korean vowels and Korean old Korean vowels. Even if a single rule ("
Figure pat00493
" exception). In addition, long pressing of the [ㅡ] button or [ㅣ] button is not used, so long pressing of the [ㅡ] button and the [ㅣ] button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이상에서 현대 한국어의 입력과 동시에 한글고어까지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In the above, a technology that can input modern Korean and Korean archaic at the same time was presented.

31.3 한글고어(옛한글)을 이용한 확장표기 방법 및 표시방법31.3 Extended nota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using old Korean language (old Hangul)

31.3.1 한글의 확장표기 방법31.3.1 Extended notation method of Hangul

한국어에는 없는 외국어 등의 발음을 표기하고자 하는 시도가 과거로 부터 있어 왔다. 접근방법으로는 첫번째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한글고어(옛한글)을 이용하는 방안, 두번째는 외국어 발음에 대응되는 자모를 새로 만드는 방안 등이 있다. There have been attempts in the past to mark the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s that are not in Korean. As an approach, the first method is to use the old Korean language (old Hangeul) that is not used now, and the second method is to create a new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a foreign language.

"병서"는 예를 들어 "ㄲ", "ㅄ", "ㅳ", "ㅴ", ... 등과 같이 한글자모를 좌우로 나란히 써서 새로운 발음을 표현하는 방법이고, "연서"는 "ㅸ", "ㆄ", ... 등과 같이 한글자모를 상하로 나란히 써서 새로운 발음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Byeongseo" is a method of expressing new pronunciation by writing Korean consonants side by side, such as "ㄲ", "ㅄ", "ㅳ", "ㅴ", ..., etc., and "Yeonseo" is "ㅸ", It is a method of expressing a new pronunciation by writing Korean consonants vertically, such as "ㆄ", ..., etc.

현대 한국어에 동일한 발음이 없는 대표적인 외국어 소리는 "v", "f", "r"(권설음으로의 'r'), "z", "

Figure pat00494
", "
Figure pat00495
", "
Figure pat00496
","
Figure pat00497
", ... 등을 들 수 있다. 우리 한글의 옛글자까지 포함된 모음은 워낙 다양한 복모음이 가능하므로 (유니코드상의 한글 모음 약 100글자) 외국어 표기에 있어서도 별로 논란이 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실질적인 음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자음이기 때문이기도 한 것 같다. 옛한글을 포함하는 한글자모를 사용하여 현대 한국어 발음으로 사용되지 않는 외국어 발음을 표기함에 있어서, 다음의 몇가지 원칙을 생각해볼 수 있다. Representative foreign language sounds that do not have the same pronunciation in modern Korean are "v", "f", "r"('r' in the consonant sound), "z", "
Figure pat00494
", "
Figure pat00495
", "
Figure pat00496
","
Figure pat00497
", ..., etc. Vowels, including the old letters of our Korean alphabet, can have so many different vowels (about 100 Hangul vowels on Unicode), so there is not much controversy in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 And actually It seems that it is also because it is the consonant that has the actual sound value.In writing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s that are not used as modern Korean pronunciation using Hangul consonants, including old Hangul, the following several principles can be considered.

첫째, 표기된 글자를 일반인이 발음하였을 때, 또는 간단한 설명이 있을 때, 유사한 발음이 될 수 있어야 한다.First, when the marked letter is pronounced by an ordinary person or when there is a brief explanation, similar pronunciation should be possible.

둘째, 해당 발음을 적합하게 표현할 수 있는 병서 또는 연서에 의한 방법이 있는 경우 새로 글자를 만들기 보다 병서와 연서에 의한 방법을 먼저 고려한다. Second, if there is a method by conjugation or conjugation that can properly express the pronunciation, consider the method of conjunctive writing and conjunctive writing rather than creating a new letter.

셋째, 병서 또는 연서에 의한 경우, 소리의 기본이 되는 글자가 먼저 나오는 것이 좋다. Third, in the case of a letter or combination letter, it is good that the letter that is the basis of the sound comes out first.

이하에서 병서(이하에서 '병서'는 '연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를 주로 사용하여 외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expressing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mainly using Byeongseo (hereinafter 'Byeongseo'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Yeonseo') will be described.

현재 "b" 발음과 "v" 발음을 모두 한글로는 "ㅂ"으로 표기하므로 서로 다른 "b"와 "v"의 구별이 되지 않는다. 알파벳 "b" 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비" 로 하고, 알파벳 "v"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브이"로 많이 표기하고 있다. 과거 초급 영어책에서는 "v" 를 "

Figure pat00498
"라고 표기한 경우도 있었다. "v"발음 윗이빨을 아랫입술에 살짝 대어 발음하는 "v"의 발음에 "
Figure pat00499
"라는 표기가 더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
Figure pat00500
" 표기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 먼저 현대 한국어 발음에서 자음 "X"에 "ㅢ"가 결합된 글자의 현실 발음은 "Xㅣ"로 거의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희"의 경우 정확한 발음은 "흐이"를 1음절로 빨리 발음하는 것이나, 현실 발음은 "히"로 발음되고 있는 현상이 있는 것이다. "ㅢ"의 발음이 정확히 살아 있는 경우는 음가가 없는 "ㅇ" 다음 순수하게 모음 "ㅢ"가 나오는 경우로 보인다. 예를 들어 "의자" 에서 "의"는 정확하게 "으이"가 1음절로 빨리 발음되는 형태로 발음되고 있다. 또 한가지 문제는 "bi"와 "vi"에서 자음이 달라졌는데도, 한글 표기에서는 같은 자음(즉, "ㅂ")을 사용하고, 모음의 표기가 달라져야 하는 것(즉, "비", "
Figure pat00501
")도 표기의 불일치를 준다. 모음을 달리 표기하여 각기 다른 자음의 발음을 표현한 사례는 "show" 의 "" 발음을 "s"와 동일한 "ㅅ"으로 표기하면서 모음을 "ㅛ"로 사용한 사례(즉 "쇼" 또는 "쑈")도 있다. Currently, both "b" and "v" pronunciations are written as "ㅅ" in Korean, so it is not distinguishable between "b" and "v". When writing the alphabet "b" in Korean, it is written as "B", and when writing the alphabet "v" in Korean, it is written as "V". In the past beginner English books, "v" was replaced with "
Figure pat00498
"v"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of "v", which is pronounced by lightly touching the upper teeth to the lower lip, "
Figure pat00499
"" may be more appropriate. However, these "
Figure pat00500
" There is a slight problem with the notation. First of all, in modern Korean pronunciation,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letter combining the consonant "X" with "ㅢ" is almost integrated into "Xㅣ". For example, in the case of "hee", the correct pronunciation is to pronounce "heui" quickly with one syllable, but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onunciation of "ㅢ" is pronounced as "hi." It seems that "ㅢ" comes out. For example, in "chair", "ui" is pronounced exactly as "eui" is pronounced quickly with one syllable. Another problem is that the consonants in "bi" and "vi" Even though it has changed, the same consonant (i.e., "ㅅ") is used in Hangul transcription, and the vowel transcription must be different (i.e., "bi", "
Figure pat00501
") also gives inconsistency in notation. In the case of expressing the pronunciation of different consonants by writing the vowel differently, the case of using the vowel as "ㅛ" while transcribing the "" pronunciation of "show" as "ㅅ" the same as "s" (i.e. "show" or "show").

전통적으로 "v"발음을 순경음 "ㅸ"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순경음" 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입술가벼운소리"가 되고, "v"의 음가에 보다 가깝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물론 과거 순경음 "ㅸ"의 정확한 소리가 어떤 소리였는지는 알 길이 없다. 마찬가지 논리로 "ㆄ"으로 "f"발음을 표기하는 것에 대한 의견도 있었다. 상기에서 대표적인 "v", "f"발음의 표기 사례를 설명하였는데, "v"와 "f"발음의 표기에 대한 기존의 의견 몇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raditionall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appropriate to express the pronunciation of "v" using the consonant sound "ㅸ". If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sounding sound" is a "sound of light lips", it is possible to explain that it is closer to the sound value of "v". Of course, there is no way to know what the exact sound of the past police officer "ㅸ" was. In the same logic, there was also an opinion about writing "f" pronunciation with "ㆄ". In the above, representative examples of notation of "v" and "f" pronunciations have been described, and some existing opinions on the notation of "v" and "f" pronunci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v : "ㅸ", "ㅎㅂ"(병서), "ㅂㅎ"(병서), ...v: "ㅸ", "ㅎㅅ" (byeongseo), "ㅅㅎ" (byeongseo), ...

f : "ㆄ", "ㅎㅍ"(병서), "ㅍㅎ"(병서), ...f: "ㆄ", "ㅎπ" (byeongseo), "ㄴㅎ" (byeongseo), ...

상기에서 "ㅍㅎ"을 "f" 발음으로 사용하자고 하는 것은 영어에서 철자 "ph"가 주로 "f" 로 발음되는 데에서 착안한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 논리로 "ㅂㅎ"을 "v"발음 표기에 사용하자는 방안이 나왔다고 볼 수 있다. The suggestion to use "PH" as the "f" pronunciation above seems to have come from the fact that the English letter "ph" is usually pronounced as "f". With the same logic, it can be seen that a plan to use "ㅅㅎ" for the pronunciation of "v" has come out.

우리 한글에서 "평자음+ㅎ" 또는 "ㅎ+평자음"은 "격자음"으로 소리나는 현상이 있다. 예를 들어, "많다" 는 "만타"로 소리나므로 "ㅎ+ㄷ"이 "ㅌ" 으로 소리나는 것을 알 수 있고, "먹히다" 는 "머키다"로 소리나므로 "ㄱ+ㅎ"이 "ㅋ" 으로 소리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평자음+ㅎ"이 맞는 것인지 "ㅎ+평자음"이 맞는 것인지는 증명할 수 없으며, 상기 사례에서와 같이 2가지 모두 맞다고 할 수 있다. "흐"라는 소리를 가지는 "ㅎ"이 보통소리(평자음. 예. "ㄱ")과 결합되어 "ㅋ", "ㅌ", "ㅍ", ... 등의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것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음성학에서는 유기음화(有氣音化)하는 어려운 말로 표현하는 것 같다. 즉, "ㅎ"이 결합되면 원래의 소리(예. "ㄱ")이 조금 더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ㅂㅎ"은 "ㅍ"발음에 해당됨이 명백하므로 "v"발음을 표현하는데는 부적절하고, 마찬가지로 "ㅍㅎ"으로 "f" 발음을 표현하는 것도 부적절하다. In our Hangeul,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pyeong consonant sound + ㅎ" or "ㅎ + flat consonant sound" is sounded as "lattice consonant sound". For example, since "a lot" sounds like "manta", you can see that "ㅎ + ㄴ" sounds like "ℓ", and "eaten" sounds like "mucky", so "ㄱ+ㅎ" sounds like "ㅋ" ", you can hear the sound. Here, it cannot be proven whether "flat consonant + ㅎ" or "ㅎ + flat consonant" is correct, and it can be said that both are correct as in the case above.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ㅎ" with the sound "heh" is combined with a normal sound (flat consonant, eg "ㄱ") to produce sounds such as "ㅋ", "ℓ", "P", ... It can be. In phonetics, it seems to be expressed in difficult words that are organic. That is, when "ㅎ" is combined, it can be seen that the original sound (eg "ㄱ") becomes a little stronger. It is inappropriate to express the "v" pronunciation because it is obvious that "ㅅㅎ" corresponds to the "P" pronunciation, and similarly, it is inappropriate to express the "f" pronunciation with "ㄴㅎ".

전통적으로 음성학에서는 조음점과 조음방식에 의한 음성의 계통분류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 한글 또한 음성학자 세종대왕의 탁월한 식견과 직관에 의하여 탄생한 과학적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어 발음 표기에 상기 음성학의 지식을 활용하여 일반인들이 이해하고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Traditionally, phonetics uses the systemic classification of sounds by articulation points and articulation methods, and Korean Hangeul can also be said to be a scientific product created by the excellent insight and intuition of King Sejong, a phonetic scholar. However, it seems unreasonable that ordinary people should understand and use the knowledge of phonetics for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transcription.

"ㅂ+ㅇ"이 결합된 순경음 "ㅸ"이 초성자음으로 표기되는 경우는, 음성학자가 아닌 "일반인의 관점"에서 "ㅂ"와 "ㅇ"이 합쳐진 발음으로 인지할 수 있는데, 초성자음 "ㅇ"은 음가가 없으므로 "ㅂ" 발음이 약화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역시 음성학자가 아닌 일반인의 관점에서 "b"발음 보다는 "v"발음이 약한 발음으로 인지되므로, 순경음 "ㅸ"으로 "v"를 표현하는 것은 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pure consonant "ㅸ" combined with "ㅅ + ㅇ" is expressed as a first consonant, it can be recognized as a pronunciation combining "ㅅ" and "ㅇ" from the "general person's point of view", not a phonetic scientist, but the initial consonant "ㅇ" Since "" has no sound value,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pronunciation of "ㅅ" is weakened. Agai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general public, not a phonetician, the "v" pronunciation is perceived as weaker than the "b" pronunciation,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reasonable to express "v" with the sound "ㅸ".

현대 한국어로 "v"를 "브이" 라고 표기하고, 과거에 "

Figure pat00502
"라고 표기했던 적이 있는데, 순경음 "ㅸ"을 이용하여 "
Figure pat00503
"라고 표기하였을 때와 비교해 보면 공통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Figure pat00504
"라고 표기해 놓고 사전 지식이 없는 일반인에 읽어 보라고 하면 어떻게 읽을지 고민하다가, 1차적으로 "ㅂ"과 "ㅇ"을 분해하고 "(브)"라는 "ㅂ"발음을 앞에 두고, 그 다음 남아 있는 "이"와 붙여서 빨리 발음하려고 할 수 있다. (이는 "ㅝ"를 발음할 때 "ㅜ"와 "ㅓ"를 빨리 발음하면 "ㅝ"가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모음의 경우는 복모음이 완전하게 단모음의 조합으로 설명되나, 다음에 설명하는 자음의 경우는 약간 다른 듯 하다) 즉 "(브)" 로 음절이 체 완성되기 전에 "이"와 붙여서 발음하면 현재 표기하고 있는 "브이"를 빨리 발음한 결과와 유사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는 "
Figure pat00505
"의 발음과 유사하게 된다. 물론 "
Figure pat00506
"의 발음 역시 "v"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므로 "
Figure pat00507
" 의 표기를 "v"로 정의하고 발음하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게 된다. 다만 "그렇듯한" 그리고 "타당해 보이는" 표기를 해당 발음으로 "정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ㄲ"을 모르고 "ㄱ" 의 발음만 알고 있는 사람이 "ㄲ"을 보고 어쩐지 "끄"하고 발음하고 싶은 생각이 든다면, 그리고 "ㅋ"을 모르고 "ㄱ"의 발음만 알고 있는 사람이 "ㅋ"을 보고 어쩐지 "크" 라고 발음하고 싶다면 "그럴듯한" 좋은 표기인 것이다. 여기에 이론과 교육이 더해져 "ㄲ"은 "ㄱ"을 좌우로 배열한 글자 이므로 "끄"라는 소리가 난다는 배경이 설명된다면, 사용자는 "ㄲ"의 표기와 그에 따른 발음을 매우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점이 우리 한글의 과학성 중의 한가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modern Korean, "v" is written as "V", and in the past "
Figure pat00502
", but using the sound "ㅸ"
Figure pat00503
If you compare it with when it was marked as “, you can see that there is a commonality.”
Figure pat00504
", and thinking about how to read it if you ask the general public without prior knowledge to read it, first disassemble "ㅅ" and "ㅇ", put "(B)" in front of the "ㅅ" pronunciation, and then You can try to pronounce it quickly by attaching it to "i" that is present. (This can be thought of as "ㅝ" when pronouncing "TT" and "sh" quickly when pronouncing "ㅝ". In the case of vowels, the consonant vowel is perfect. It is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single vowels, but the case of the consonants described next seems to be slightly different) In other words, if you pronounce it in conjunction with "i" before the syllable is completed with "(B)", you can quickly pronounce "V" currently written. It will be similar to the pronounced result. Next, it will be "
Figure pat00505
It becomes similar to the pronunciation of ". Of course "
Figure pat00506
The pronunciation of " is not exactly the same as "v", so "
Figure pat00507
It is necessary to "educate" to define and pronounce the notation of " as "v". However, it is essential to "define" the notation of "like" and "reasonable" with the corresponding pronunciation. For example, "ㄲ If a person who does not know " and only knows the pronunciation of "ㄱ" sees "ㄲ" and somehow wants to pronounce it as "Kuu", and a person who does not know "ㅋ" but only knows the pronunciation of "ㄱ" feels like "ㅋ" If you want to pronounce "keu" somehow, it is a "plausible" notation. Here, the theory and education are added to explain the background that "ㄲ" is a letter arranged with "ㄱ" on the left and right, so it sounds like "kkeu" If so, the user will be able to use the notation of "ㄲ" and its pronunciation very naturally, and this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scientific properties of our Korean language.

어떤 발명자는 "비"에 윗점을 찍어서 "

Figure pat00508
" 로 표기하고 이를 "v"발음으로 사용하자는 주장도 있으나, "
Figure pat00509
" 의 표기와 "v"발음간의 어떠한 상관관계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표기법을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아 보인다. Some inventors put a dot on "rain" and said "
Figure pat00508
There is an argument to mark it as " and use it as a "v" pronunciation, but "
Figure pat00509
Even though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notation of " and the pronunciation of "v", it does not seem reasonable to insist on the notation.

만약 "v" 발음을 순경음 "ㅸ" 또는 "

Figure pat00510
"으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하다면, "v"와 유사계열의 발음은 "f" 역시 "ㆄ" 또는 "
Figure pat00511
" 으로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If the "v" is pronounced as a cop sound "ㅸ" or "
Figure pat00510
If it is appropriate to express it as ", the pronunciation of "v" and similar series "f" is also "ㆄ" or "
Figure pat00511
" can be denoted as

다음으로 "

Figure pat00512
"의 경우는 가장 유사한 현대 한국어 발음이 "ㄷ"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ㄷ"보다는 약한 느낌의 발음이다. 따라서 "ㄷ"과 "ㅇ"이 상하로 연서 또는 좌우로 병서된 글자로 표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음 "X"와 이응 "ㅇ"이 순서대로 연서 또는 병서된 글자는 같은 글자로 간주하며 그 이유는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일반인의 관점에서 보면 "
Figure pat00513
ㅣ" 를 발음할 때 "(드)"라는 음절이 완전히 형성되기 이전에 "이" 와 빨리 합쳐져서 발음되므로 "ㄷ"과 "ㅇ"(음가 없음)의 중간 발음 (즉, "ㄷ"의 발음이 약화된 발음) 정도로 발음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시도한 발음이 비록 "" 발음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유사하다면(최소한 강약의 느낌에 있어서), 상기 표기를 "" 발음의 표기로 검토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영어의 "this"에서 "" 발음을 "
Figure pat00514
ㅣ" 와 같이 표기할 수 있게 된다. 음성학자가 아닌 일반인인 본 발명자의 느낌으로는 "
Figure pat00515
" 를 표시하는데 "ㄷ"와 여린ㅎ "ㆆ"을 연서 또는 병서한 형태도 가능해 보인다. 물론 음성학자의 관점에서 보면 "유성음"인 ""의 발음을 "
Figure pat00516
" 또는 "
Figure pat00517
" 으로 표기하는 것이 부정확하므로, "
Figure pat00518
" 표기하기 위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이 정확하다는 주장을 할 수도 있다. to the next "
Figure pat00512
In the case of ", the most similar modern Korean pronunciation can be said to be "ㄴ". Also, at the same time, it is a weaker pronunciation than "ㄴ". Therefore, "ㄴ" and "ㅇ" are written in a combination of letters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Hereinafter, the consonant "X" and the consonant "ㅇ"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letter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and the reason will be explained separately below.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general public, "
Figure pat00513
When pronouncing ㅣ", before the syllable "(de)" is completely formed, it is pronounced as it is quickly combined with "이", so the middle pronunciation of "ㄴ" and "ㅇ" (no sound) (i.e., the pronunciation of "ㄴ" If the pronunciation tried in this way is similar to the "" pronunciation even if it does not completely match (at least in terms of the feeling of strength and weakness), the above notation can be reviewed as a notation of the "" pronunciation. In English "this", "" pronunciation "
Figure pat00514
ㅣ". In the opinion of the present inventor, who is not a phonetician, "
Figure pat00515
" is also possibl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ㅅ" and soft "ㆆ". Of cou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a phonetician, the pronunciation of "voiced sound"
Figure pat00516
" or "
Figure pat00517
Since it is inaccurate to write " as "
Figure pat00518
“It could be argued that it is correct to create new letters for writing.

"

Figure pat00519
" 발음의 경우는 현대 한국어에서 가장 유사한 기본 발음이 "ㅆ"이라고 볼 수 있다. "
Figure pat00520
" 발음이 "ㅆ"보다 약한지는 모르겠으나, "ㅆ"보다 강한 발음이라고는 느껴지지 않는다. 따라서 "ㅆ"과 "ㅇ"을 상하로 연서하여 "
Figure pat00521
"로 표현할 수 있다. "though"를 "
Figure pat00522
ㅗㅌ" 또는 "
Figure pat00523
ㅗ트"로 표기(자모결합 글자로 표기되어야 하나 편의상 중성모음과 종성자음을 늘어 썼음)한다면 "(쓰)"라는 발음이 형성되기 전에 "
Figure pat00524
" 또는 "오트"와 결합된 형태로 발음하려 할 것이다. 이 발음이 "
Figure pat00525
" 와 동일한 발음은 아니지만 "
Figure pat00526
" 발음과 유사한 느낌을 준다면, "
Figure pat00527
"를 "" 발음의 표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의 "thank you"를 현재의 한글로 표기할 때, "쌩큐"라고도 하고, 어떤 사람은 "땡큐"라고도 표기한다. 따라서 "ㄸ+ㅇ"의 연서(또는 병서) 형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 "
Figure pat00519
" In the case of pronunciation, the most similar basic pronunciation in modern Korean can be seen as "ㅆ". "
Figure pat00520
" I don't know if the pronunciation is weaker than "ㅆ", but I don't think it's stronger than "ㅆ". Therefore, "ㅆ" and "ㅇ" are linked together "
Figure pat00521
" can be expressed as "though"
Figure pat00522
s" or "
Figure pat00523
If it is written as "ㅗte" (it should be written as a consonant letter, but for convenience, the neutral vowel and the final consonant are increased), before the pronunciation of "(tsu)" is formed, "
Figure pat00524
" or "ot". This pronunciation is "
Figure pat00525
It's not the same pronunciation as ""
Figure pat00526
"If it gives you a feeling similar to the pronunciation,"
Figure pat00527
"" can be used as a notation for the pronunciation of "". When transcribing "thank you" in English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it is also called "Thank you", and some people also write "thank you". Therefore, "ㄸ + ㅇ" It seems tha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conjunctive (or conjunctive) form of

"

Figure pat00528
"의 경우는 현대 한국어에서 가장 유사한 발음은 "ㅅ" 이다. 역시 "ㅅ"보다는 약한 느낌의 발음이다. 따라서 "ㅅ"을 기본 글자로 하고 역시 연서 또는 병서된 글자인 "
Figure pat00529
" 또는 "
Figure pat00530
" 로 표현할 수 있다. "show" 를 "ㅅㅇㅗ" (자모결합 글자로 표기되어야 하나 편의상 중성모음과 종성자음을 늘어 썼음)로 적으면 일반인은 "(스)"라는 음절이 완성되기 전에 "오"와 결합되는 식으로 발음하는 것을 고민할 수 있다. 우리 한글에서 "ㅣ+ㅗ = ㅛ"인데 "ㅡ+ㅗ"는 "ㅛ"는 아니지만 유사한 발음의 변형이 될 것으로 짐작된다. "ㄱ"이 "ㅎ"과 합쳐지면 "ㅋ" 소리가 나는데, 일반인의 느낌으로 "" 발음은 기본이 되는 "ㅅ"(또는 "ㅆ")에 "ㅎ"이 합쳐진 소리보다는 많이 약하지만, "ㄱ+ㅎ"의 경우 처럼 "흐"하는 기운이 아주 약간 섞여 있는 느낌이 있다. 따라서 시옷과 여린ㅎ이 좌우로 병서된 "ㅅㆆ"로 또는 상하로 연서된 글자로 표현될 수도 있어 보인다. "z"는 반치음 "ㅿ" 으로 표기하자는 주장이 있다. "
Figure pat00528
In the case of ", the most similar pronunciation in modern Korean is "ㅅ". It is also a weaker pronunciation than "ㅅ". Therefore, "ㅅ" is the basic character, and "
Figure pat00529
" or "
Figure pat00530
It can be expressed as "." If "show" is written as "ㅅㅇㅗ" (it should be written as a consonant letter, but for convenience, the neutral vowel and final consonant are increased), the general public will say "oh" before the syllable "(s)" is completed. In our Korean language, "ㅣ+ㅗ = ㅛ", but "ㅡ+ㅗ" is not "ㅛ", but it is assumed that it will be a variation of similar pronunciation. When combined with "ㅎ", a "ㅋ" sound is produced. To the general public, the "" pronunciation is much weaker than the basic "ㅅ" (or "ㅆ") plus "ㅎ" sound, but "ㄱ+ㅎ" As in the case of , there is a feeling that the energy of "heu" is very slightly mixed. Therefore, it seems that siot and soft ㅎ can be expressed as "ㅅㆆ" written side by side or as letters linked up and down. "z" is a half-tone. There is an argument to write "ㅿ".

"

Figure pat00531
"은 현대 한국어의 "ㅈ"과 가장 유사한데 "ㅈ"보다는 부드러운 발음으로 느껴진다. 따라서 "
Figure pat00532
" 또는 "
Figure pat00533
"으로 할 수 있다. "d"은 "" 보다 강한 발음이다. 따라서 "ㅉ+ㅇ"의 연서(또는 병서) 형태로 표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church" 등에서 나타나는 "ch"에 대응되는 발음은 현재 "ㅊ"으로 통용되고 있으므로 언급하지 않는다. "
Figure pat00531
"is most similar to modern Korean "ㅅ", but it feels softer than "ㅅ". Therefore, "
Figure pat00532
" or "
Figure pat00533
"d" is a stronger pronunciation than "".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o write in the form of a conjugation (or conjugation) of "ㅳ + ㅇ".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ch" in "church" etc. is not mentioned because it is currently used as "ㅋ".

영어의 "l" 발음은 현대 한국어의 "ㄹ"로 적고 있으며 크게 이의가 없는 듯하다. 영어의 "l"이 "ㄹ"이라면, 영어의 "r" 은 "ㄹ"을 기본소리로 하고 "ㄹ" 보다 약한 발음으로 볼 수 있으므로 "

Figure pat00534
" 또는 "
Figure pat00535
" 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The pronunciation of "l" in English is written as "ㄹ" in modern Korean, and there seems to be no objection. If "l" in English is "ㄹ", "r" in English has "ㄹ" as the basic sound and can be seen as a weaker pronunciation than "ㄹ".
Figure pat00534
" or "
Figure pat00535
" can be written as

이상에서 영어에는 있으나 우리 현대 한국어에는 없는 몇가지 대표적인 발음을 기존의 한글자모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상의 사항은 다른 언어의 발음 표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we have explained how to express some representative pronunciations that are present in English but not in modern Korean using the existing Hangul consonants. The abov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phonetic transcriptions of other languages.

31.3.2 확장한글의 표시 방법31.3.2 Display method of extended Korean

상기 설명한 현대 한국어에 없는 외국어 발음 등을 표시하는 것을 편의상 "확장한글"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유니코드에 있는 옛한글 자체를 사용하는 것과 상기 설명한 방안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Displaying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s that are not in modern Korean as described above will be referred to as "extended Hangul" for convenience.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the use of the old Hangul itself in Unicode and the methods described above.

도면4-33(*)의 유니코드에 있는 글자는 과거 옛문헌에 들어 있는 한글고어를 유니코드로 등록한 것이다. 따라서 도면4-33(*)의 유니코드를 살펴보면 옛문헌에 사용된 글자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X+ㅇ" 또는 "ㅇ+X" 로 연서 또는 병서된 글자를 살펴보면, "X+ㅇ" 가 있으면서 동시에 "ㅇ+X" 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X"는 임의의 자음이고, "ㅇ"는 "이응"이다. 즉, "X+ㅇ"라는 글자의 발음과 "ㅇ+X"라는 글자의 발음은 서로 다르며, 그 서로 다른 미묘한 발음의 차이를 각각 표현하려 했던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물론 이를 확인하려면 옛문헌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하나, 국어학자가 아닌 본 발명자가 그렇게 할 수 있는 여유는 없다. The characters in Unicode in Figure 4-33 (*) are Korean archaic words contained in old literature in the past registered as Unicode. Therefore, if you look at the Unicode of Figure 4-33 (*), you can observe the characters used in the old literature. By the way, if you look at the letters written in combination with "X + ㅇ" or "ㅇ + X", you can see that there is "X + ㅇ" and "ㅇ + X" at the same time. Here, "X" is any consonant, and "ㅇ" is "Leeung". That is, the pronunciation of the letters "X + ㅇ" and the letters "ㅇ + X" are different, and it is assumed that they tried to express the subtle difference in pronunciation. Of course, in-depth investigation of old literature is required to confirm this, but the present inventor, who is not a Korean linguist, cannot afford to do so.

아래에 설명하는 내용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중요한 것은 "X+ㅇ" 이 상하로 연서된 글자가 있으면, 좌우로 병서된 글자는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ㅸ"과 같이 연서된 글자가 유니코드에 있으면 "ㅂㅇ" 과 같이 병서된 글자는 유니코드에(즉, 옛문헌에) 없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

Figure pat00536
"과 같이 병서된 글자가 유니코드에 있으면 "
Figure pat00537
"과 같이 연서된 글자는 없는 것이다. 단 하나 예외처럼 보이는 것이 "
Figure pat00538
" 과 "
Figure pat00539
"인데, "
Figure pat00540
"에서의 이응은 "옛이응" 이므로 "
Figure pat00541
"에서의 "ㅇ"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결국 "X+ㅇ" 형태에서 연서된 글자가 유니코드에 존재하면 병서된 글자는 유니코드에 없고, 반대로 병서된 글자가 유니코드에 존재하면 연서된 글자는 유니코드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X+ㅇ" 형태의 글자를 상하 연서 또는 좌우 연서로 표현한 것은 2가지 다 같은 발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What is described below is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f "X + ㅇ" has letters written vertically, there are no letters written side-by-side. For example, if a concatenated letter such as "ㅸ" is in Unicode, a concatenated letter such as "ㅅㅇ" is not in Unicode (ie, in the old literature). Likewise "
Figure pat00536
"If there are conjoined characters in Unicode, such as "
Figure pat00537
There are no letters written together like ". The only thing that looks like an exception is "
Figure pat00538
" class "
Figure pat00539
"It is,"
Figure pat00540
The yi-eung in " is "old yi-eung", so "
Figure pat00541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erent from "ㅇ" in ". In the end, if the concatenated characters in the form of "X + ㅇ" exist in Unicode, the conjugated characters do not exist in Unicode, and conversely, if the concatenated characters exist in Unicode, they are concatenated. It can be said that characters do not exist in Unicode. To summarize this, if a letter in the form of "X + ㅇ" is expressed as a top-down sequence or a left-right sequence, both of them can be defined as expressing the same pronunciation.

다음으로 이렇게 연서 또는 병서된 글자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리 한글에서 자모음이 결합된 글자의 형태는 자음이 좌측, 모음 우측에 있는 형태(예. "가". 편의상 (1)번형태 또는 모음우치형)가 있고, 자음이 상측, 모음이 하측에 있는 형태(예. "구". 편의상 (2)번 형태 또는 모음하치형)가 있고, 중간 형태(편의상 (3)번형태. 예. "과")가 있다. Next, a method of expressing the letters written together or written in parallel will be described. In Korean Hangeul, the consonant is on the left side and the vowel is on the right side (e.g. "ga". For convenience, (1) type or vowel right type), the consonant is on the upper side and the vowel is on the lower side. There is a form (eg "gu". For convenience, (2) form or vowel lower form), and an intermediate form (for convenience (3) form. eg "and").

따라서 "X+ㅇ" 형태의 자음을 초성자음으로 표기할 때, 상기 (1)번형태에서는 상하로 연서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2)번형태에서는 좌우로 병서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번 형태에서는 연서 또는 병서된 형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코드에는 "ㅸ" 과 같이 상하로 연서된 형태만이 제시되어 있으나, "ㅏ" 모음과 결합하면 "

Figure pat00542
"로 표시하고, 모음 "ㅜ"와 결합하면 "
Figure pat00543
"와 같이 좌우로 병서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번형태의 경우는 연서 또는 병서 중 어느 한가지를 적용할 수 있는데, 절충방안으로는 유니코드에 있는 형태(연서 또는 병서)대로 적용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ㅸ"은 유니코드에 상하 연서 형태로 있으므로 "ㅘ"와 결합시 연서형태로 표시하는 것이고, "
Figure pat00544
"은 좌우 병서 형태로만 유니코드에 있으므로 "ㅘ"와 결합시 병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다. (3)번형태를 표시하는 방법은 초성자음만이 입력되었을 때도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모음이 입력되기 전에 초성자음으로써 "X+ㅇ"형태의 자음이 입력되면, 상하 연서로 표시할 지, 좌우 병서로 표기할 지 정하기 어려운데, 유니코드의 기본형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처음 입력상태에서 "ㅂ"와 "ㅇ"이 눌러져서 초성자음 "X+ㅇ"가 인식되었을 때, 유니코드에 있는 상하 연서로 "ㅸ" 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에 "ㅡ" 또는 "ㅜ"가 입력되면 "
Figure pat00545
" 또는 "
Figure pat00546
"로 표시되는 것이다. 만약 초성자음 "ㅸ" 다음에 "ㅣ"가 입력된다면 "
Figure pat00547
"로 표시될 것이다. 이는 "
Figure pat00548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Therefore, when consonants in the form of "X + ㅇ" are expressed as initial consonants,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m in the form of consonants up and down in the form of (1), and in the form of left and right in the form of (2) it is desirable In the form (3) above, a concatenated or combined form can be selectively applied. For example, in Unicode, only upper and lower concatenation forms such as "ㅸ" are presented, but when combined with the vowel "ㄴ", "
Figure pat00542
", and when combined with the vowel "TT", "
Figure pat00543
It is desirable to display it in the form of writing left and right like ". (3) In the case of the form, either conjugation or conjugation can be applied. As a compromise, the form (conjunction or conjugation) in Unicode For example, since "ㅸ" is in the form of a top-down concatenation in Unicode, it is displayed in a concatenated form when combined with "ㅘ".
Figure pat00544
Since " is only left-right consonant form in Unicode, it is displayed in consonant form when combined with "ㅘ".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form (3) can be usefully applied even when only initial consonants are input. Vowels are input If a consonant in the form of "X + ㅇ" is entered as the initial consonant before it becomes a consonant, it is difficult to specify whether to display it as a top-down consonant or a left-right consonant, but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basic form of Unicode. For example, in the first input state, " When the initial consonants "X + ㅇ" are recognized by pressing "ㅅ" and "ㅇ", it can be displayed as "ㅸ" by upper and lower consonants in Unicode. Then, if "ㅡ" or "ㅜ" is entered, "
Figure pat00545
" or "
Figure pat00546
". If "ㅣ" is entered after the initial consonant "ㅸ", "
Figure pat00547
". This will be displayed as "
Figure pat00548
"The same goes for

상기 (1),(2),(3)형태는 모두 종성자음이 없는 경우의 사례를 들었는데, 종성자음이 있는 경우(예. "각", "국", "곽". 편의상 (4)번형태)는 종성자음의 유무와 상관없이 초성자음으로의 "X+ㅇ"을 상기 (1),(2),(3)번형태에 따라 좌우 병서형태 또는 상하 연서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고, 상기 (1)번형태에서 처럼 초성자음 "X+ㅇ"을 표시할 수도 있다. 종성자음이 있는 글자의 경우 모음우치형의 모음이 결합되더라도 좌우 병서된 글자로 표시하는 것은 종성자음이 위치할 영역을 확보해 주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모음우치형의 모음인 "ㅣ"가 결합된 경우에도 종성자음 "ㄱ"이 있으면 초성자음은 좌우 병서로 하여 "

Figure pat00549
"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네모꼴로 표현되는 자모결합글자에서 종성자음이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표시되는 순서는 "ㅸ" 이 소정의 수단(예. "ㅂ"과 "ㅇ"의 순차입력 또는 특정 문자입력시스템에서 정해진 수단)에 의하여 "ㅸ"이 초성자음으로 인식되었을 때는 "ㅸ"으로 표시되고, 이어서 "ㅣ"가 입력되면 "ㅸㅣ"로 표시되고, "ㄱ"이 입력되면 "
Figure pat00550
" 이 표시되는 것이다. In the above (1), (2), and (3) forms, examples of cases where there is no final consonant are given, but if there is a final consonant (eg "gak", "guk", "gwak". For convenience, number (4)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nal consonant, "X + ㅇ" as a leading consonant may be displayed in a left-right consonant form or a top-down consonant form according to the form (1), (2), and (3) above, and the above ( 1) As in the form, the initial consonant "X + ㅇ" can be displayed. In the case of letters with final consonants, even if the vowels of the vowel right type are combined, displaying them as left and right consonants is to secure the area where the final consonants will be located. For example, even when the vowel "ㅣ", which is a vowel-like vowel, is combined, if there is a final consonant "ㄱ", the initial consonant is left and right and "
Figure pat00549
It can be displayed as ". This is to secure a space for the final consonant in the consonant consonant expressed in a square shape. When "ㅸ" is recognized as a leading consonant by sequential input or by means determined in a specific character input system), it is displayed as "ㅸ", and when "ㅣ" is input, it is displayed as "ㅸㅣ" and "ㄱ" is input When "
Figure pat00550
" will be displayed.

상하로 연서된 자음은 "X+ㅇ"의 형태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상기 "X+ㅇ" 형태의 글자가 유니코드상에서는 상하 연서의 형태로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종성자음으로 사용될 때는 반드시 좌우 연서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영어의 "~er"발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

Figure pat00551
" 을 종성자음으로 사용하는 경우 비록 유니코드에는 상하 연서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
Figure pat00552
"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553
" 과 같이 "ㄹ+ㅇ"을 좌우 연서로 표시하는 것이 상하 연서로 표시하는 것보다 형태적인 안정감을 주는데 훨씬 도움이 된다. 이는 "X+ㅇ" 형태의 모든 자음이 종성자음으로 사용될 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Consonants linked up and down appear only in the form of "X + ㅇ". Even when the letters in the form of "X + ㅇ" exist only in the form of upper and lower consonants in Unicode, when used as a final consonant, it is preferable to always display them in the form of left and right concatenation. For example, to indicate the pronunciation of "~er" in English, "
Figure pat00551
When " is used as a final consonant, although it is in the form of upper and lower consonants in Unicode, "
Figure pat00552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t in the form of ". For example, "
Figure pat00553
Displaying "ㄹ + ㅇ" as a left-right sequence, such as ", is much more helpful in giving a sense of morphological stability than displaying it as a top-down sequence. This can be equally applied when all consonants in the form of "X + ㅇ" are used as final consonants. .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 한글고어(옛한글)에 사용된 3개 이상의 알파벳이병서된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XXX"형, "XYY"형, "XXY"형, "XYZ"형 등이 있다. "XXX"형의 사례는 "

Figure pat00554
" 을 들 수 있고, "XYY"형의 사례는 "
Figure pat00555
" 를 들 수 있고, "XXY"형의 사례는 "
Figure pat00556
" 를 들 수 있고, "XYZ"형의 사례는 "ㅴ" 를 들 수 있다. 상기 "XXX"형의 경우는 삼각형 형태로 "X" 아래에 "XX" 를 두는 형태로 표시되거나, 역삼각형 형태로 "XX"아래에 "X"를 두는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557
"을 삼각형 형태로 표시하면 "
Figure pat00558
" 가 된다. "XYY"형의 경우는 삼각형 형태로 "X"아래에 "YY"를 두는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559
"을 삼각형 형태로 표시하면 "
Figure pat00560
" 이 된다. "XXY"형의 경우는 역삼각형 형태로 "XX" 아래에 "Y"를 두는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
Figure pat00561
" 을 역삼각형 형태로 표시하면 "
Figure pat00562
" 이 된다. "XYZ" 형태는 삼각형 형태로 "X" 아래에 "YZ"를 두거나, 역삼각형 형태로 "XY" 아래에 "Z"를 두는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ㅴ"을 삼각형 형태로 표시하면 "
Figure pat00563
" 가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이 우리 한글의 형태미를 살리는데 훨씬 도움이 된다. Going one step further, looking at the form in which three or more alphabets used in our old Korean language (old Hangul) are written in parallel is as follows. There are "XXX" type, "XYY" type, "XXY" type, and "XYZ" type. Cases of type "XXX" are "
Figure pat00554
", and the case of type "XYY" is "
Figure pat00555
", and the case of type "XXY" is "
Figure pat00556
", and examples of the "XYZ" type include "ㅴ". In the case of the "XXX" type, i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riangle with "XX" placed under "X", or in the form of an inverted triangl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t in the form of putting "X" under "XX". For example, "
Figure pat00557
If "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riangle, "
Figure pat00558
". In the case of "XYY" typ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YY" under "X" in the form of a triangle. For example, "
Figure pat00559
If "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riangle, "
Figure pat00560
In the case of the "XXY" typ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t in the form of placing "Y" under "XX" in the form of an inverted triangle. For example, "
Figure pat00561
If "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nverted triangle, "
Figure pat00562
It is preferable to display "XYZ" in the form of placing "YZ" under "X" in the form of a triangle or placing "Z" under "XY" in the form of an inverted triangle. For example, "ㅴ If "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riangle, "
Figure pat00563
". Doing this is much more helpful in preserving the beauty of the shape of our Hangeul.

유니코드에 없는 "

Figure pat00564
" 을 표시하려면, "
Figure pat00565
"에 대응되는 새로운 코드를 유니코드에 등록하여야 하는 것이 아닌가 의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낱자로의 유니코드를 사용하여 자모결합된 글자를 표현한다면 (예. 첫가끝조합형, .... 등등), 순경음 "ㅸ" 의 유니코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단, 버튼의 눌러짐에 따라 한글조합을 처리함에 있어 모음우치형의 모음(예. "ㅏ")이 입력되면 상하 연서된 형태(예. "ㅸ")로 처리하고, 모음하치형의 모음(예. "ㅡ")가 입력되면 좌우 병서된 형태(예. "
Figure pat00566
")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는 다른 "X+ㅇ" 형 자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XXX"형, "XYY"형, "XXY"형, "XYZ"형 자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not in unicode"
Figure pat00564
To display ", "
Figure pat00565
You may wonder whether a new code corresponding to " should be registered in Unicode. However, if you use Unicode as a character to express conjoined characters (e.g. end-to-end combination, .... etc.), Unicode of the consonant sound "ㅸ" can be used as it is However, in processing the Korean combination as the button is pressed, if a vowel of the vowel type (eg "a") is input, the form of conjugation up and down (eg "ㅸ"), and if a vowel-shaped vowel (eg "ㅡ") is entered, it is written in a left-right format (eg "
Figure pat00566
"). This is the same for other "X + ㅇ" type consonants, and the same for "XXX" type, "XYY" type, "XXY" type, and "XYZ" type consonants.

32. 한국어모드에서 공백, 숫자, 영어 알파벳의 입력32. Entering spaces, numbers, and English alphabets in Korean mode

32.1 공백의 입력 32.1 Entering Spaces

상기에서 별도의 구분버튼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글고어 입력시의 모호성을 해결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삼성전자社가 채용하고 있는 도면15-3 키패드에서는 문자입력에 직접 사용되지 않는 [#]버튼을 구분버튼과 공백버튼을 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현실적으로는 상/하/좌/우 이동버튼 중 우측이동버튼(통상 오른쪽 화살표 또는 유사한 기호가 버튼상에 표기됨)을 구분버튼과 공백버튼을 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고, 단어 하나 정도의 입력이 아닌 문장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기 입력된 문장의 편집을 위한 용도로 상/하/좌/우 이동버튼이 사실상 필수적이므로 [#]버튼을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큰 의미는 없다. 그러나 10개의 숫자버튼과 [*], [#]버튼을 포함하는 12개 버튼내에서 공백까지 입력하여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있을 수도 있다. In the above, it was proposed to solve the ambiguity when inputting Korean Gore without using a separate distinguishing button. In the keypad in Fig. 15-3 adopted by Samsung Electronics, the [#] button, which is not used directly for character input, is used as a separator button and a blank button. In reality, among the up/down/left/right movement buttons, the right movement button (usually a right arrow or similar symbol is displayed on the button) is used as a separator button and a space button, and it is not an input of one word. In the case of inputting a sentence, since the up/down/left/right movement buttons are virtually essential for editing a previously entered sentence, it is not very meaningful to use the [#] button for this purpose. However, there may be a requirement that up to blanks be entered within 12 buttons including 10 number buttons and [*] and [#] buttons.

출원인의 선출원에서"y = xㅡㅡ" 로 입력하는 것을 보였고, 이는 특수문자 또는 공백의 입력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현대 한국어만 입력하는 경우 격자음 또는 경자음(즉, 쌍자음)이 없는 자음(예."ㄹ")의 입력 다음에 [ㅡ]버튼 또는 [ㅣ]버튼 2번 눌러짐을 공백으로 처리한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공백 = ㄹㅣㅣ" 로 한 것이다. 이는 우측이동버튼을 공백버튼으로 겸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단어 사이에 공백을 추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데, 이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가나다"를 입력후"가"와"나" 사이에 공백을 추가하기 위하여 이동버튼으로 커서를"나"에 위치시키고 다시 우측이동버튼을 눌러도 공백이 추가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예시한 대로"공백 = ㄹㅣㅣ"로 추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번 공백이 입력된 후, 우리 한글에서 입력시작상태(즉, 공백입력 직후)에 모음이 연속하여 나오지 않으므로 [ㅣ]버튼 한번 더 누른 것을 공백이 한번 더 입력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공백2개 = ㄹㅣㅣㅣ"로 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it was shown that "y = xㅡㅡ" was entered, and it is obvious that this can be applied to input of special characters or spaces. In the case of inputting only modern Korean, there is a case where the [ㅡ] button or [ㅣ] button pressed twice after input of a consonant without a lattice sound or hard consonant (ie, double consonant) (eg, "ㄹ") was treated as a blank. have. For example, "blank = ㄹㅣㅣ". This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space cannot be added between words when the right movement button is also used as a space button, but in this cas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example, in order to add a space between "A" and "I" after inputting "Kanada", a space is not added even if the cursor is placed on "B" with the move button and the right button is pressed again. In this case, as exemplified above, "blank = ㅣㅣ" can be added. After a space is entered once, vowels do not appear consecutively in the input start state (ie, immediately after entering a space) in Korean, so pressing the [ㅣ] button once more can be treated as a space being entered once more. For example, it can be done with "2 spaces = ㅣㅣㅣ".

한글고어까지 입력하는 경우를 통틀어"알파벳-글자 모호성"에 대하여"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거나,"수직/수평모음장타처리" 를 적용하지 않는 한, [ㅡ]버튼 또는 [ㅣ]버튼을 길게 누르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ㅡ]버튼 또는 [ㅣ]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 중 한가지를 공백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만약 [ㅣ]버튼이 길게 눌러져서 처음으로 공백이 입력되고 나면, 우리 한글에서 공백다음에 모음으로 글자가 시작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ㅣ]버튼 한번 눌러짐을 공백이 한번 더 입력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공백2개 = ㅣ~ㅣ", 공백3개 = ㅣ~ㅣㅣ", ... 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공백2개 = ㅣ~ㅣ~"와 같이 입력하여도 된다. In the case of inputting even Korean words,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does not apply unless "trail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is applied to "alphabet-letter ambiguity" or "vertical/horizontal vowel long hitting processing" is applied. No long press. Therefore, one of pressing and hold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can be treated as a blank input. If the [ㅣ] button is pressed for a long time and a space is entered for the first time, using the property that a letter does not start with a vowel after a space in Korean, we can treat one press of the [ㅣ] button as entering a space once more can For example, "2 spaces = ㅣ~ㅣ", 3 spaces = ㅣ~ㅣㅣ", .... Of course, you can enter "2 spaces = ㅣ~ㅣ~" .

공백 다음에 눌러진 모음버튼(예. [ㅣ]버튼)을 공백으로 처리하는 것(예."공백2개 = ㅣ~ㅣ")은 공백 다음에 낱자모음을 입력하기 어렵게하는 단점이 있다. 실제 우리 문자생활에서"ㅠㅠ"와 같이"ㅡ"로 시작하는 낱자모음은 비교적 빈번히 사용되나,"ㅣ"로 시작하는 낱자모음은 그다지 많이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ㅣ]버튼의 길게누름 및 길게누름 후 연속누름을 공백의 입력 및 공백의 연속입력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Treating the vowel button pressed after a space (eg, the [ㅣ] button) as a space (eg, "2 spaces = ㅣ~ㅣ")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it difficult to input a vowel after a space. In real life, vowels starting with "ㅡ" like "ㅠ" are used relatively frequently, but vowels starting with "ㅣ" are not used very much. Therefore, it would be better to use the long press of the [ㅣ] button and the continuous press after the long press as a blank input and continuous blank input.

다음으로 [ㅡ]버튼의 길게 누름을"모드전환"기능 등 다른 기능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모드전환기능은 빈번히 사용되는 기능이 아니므로, 길게누름에 의하여 모드전환한다고 하여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 현실적으로는 [모드전환]버튼은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될 것이므로, 실질적인 의미는 없고, 단지 그렇게 할 수 있는 가능성만을 보여주는 것이다. 왜냐하면 "성명", "상호", ... 등의 온전한 하나의 단어가 아닌 "ㅠㅠ" 와 같은 글자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라면, 다수의 단어 및 문장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이므로 현실적으로 입력된 내용(예. 단어들, 문장, ...)을 볼 수 있는 액정과 편집을 위한 상/하/좌/우 이동버튼 그리고 모드전환버튼 등이 별도로 구비될 것이기 때문이다. Next, a long press of the [ㅡ] button can be used for other functions such as the “mode conversion” function. Since the mode switching function is not a function that is frequently used, there is no big problem with mode switching by pressing and holding for a long time. Realistically, since the [mode conversion] button will be provided as a separate button, it has no practical meaning and only shows the possibility of doing so. Because if it is necessary to input a letter such as "ㅠㅠㅠ" rather than a complete word such as "name", "company name", ..., it is necessary to input a large number of words and sentences, This is because liquid crystals for viewing words, sentences, ...), up/down/left/right movement buttons for editing, and mode conversion buttons will be provided separately.

32.2 한국어모드에서 숫자의 입력 32.2 Entering numbers in Korean mode

현재 현대 한국어를 입력하는 경우, 한글모드에서 숫자버튼을 길게 누르면 해당 숫자가 입력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한글모드에서 숫자 "1"이 배정되어 있는 [ㄱ]버튼을 길게 누르면 숫자 "1"이 입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면4-*에서 예시한 키패드에서도 현대 한국어만을 입력하는 것은 모호성없이(또는"3+타 입력방법" 등 반복누름에 의한 입력시 극히 적은 모호성) 한글입력이 가능하므로, 숫자버튼의 길게 누름으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고어까지 입력할 경우"초성자음위치 모호성"에 대하여 자음버튼(즉, 숫자버튼)의 길게 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현대 한국어와 함께 한글고어까지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버튼의 길게누름으로 숫자를 입력할 수 없게 된다. Currently, when inputting modern Korean, pressing and holding a number button in Hangul mode often inputs a corresponding number. For example, if you press and hold the [a] button to which the number "1" is assigned in the Korean mode, the number "1" is input. However, even in the keypad illustrated in Figure 4-*, inputting only modern Korean is possible without ambiguity (or very little ambiguity when input by repeated pressing, such as "3 + other input method"), so it is possible to input Korean by long pressing the number button. You can enter a number. However, when inputting up to Korean archaic words, a long press of the consonant button (ie, number button) can be used for "initial consonant position ambiguity". That is, in order to input modern Korean as well as Korean language, it is impossible to input numbers by long-pressing the number buttons.

전화번호, 주민번호 등 다수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글모드에서 숫자버튼의 길게누름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고, 숫자모드로 전환하여 입력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한글입력 중간에 하나 정도 입력되는 숫자를 한글모드에서 입력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다음에서 한국어모드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In order to input a number of numbers such as phone number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it is not realistic to input using long presses of the number buttons in the Korean mode, and you will have to switch to the number mode and input them.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 means for inputting a number entered in the middle of the Korean input in the Korean mode. The following describes the technique of inputting numbers in Korean mode.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제시하였던 바, "y = x+(모음버튼반복누름가능 최대횟수+1번 더 누름)" 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제시한 바 있다. "모음버튼반복누름가능 최대횟수"는 한글조합이 가능한 한에서의 최대횟수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y"는 "숫자", "x"는 입력된 자음, "모음버튼"은 [ㅡ]버튼, [ㆍ]버튼, 또는 [ㅣ]버튼이 될 수 있다. 먼저 현대 한국어만을 입력하는 경우의 예를 들어, "크 = ㄱㅡㅡㅡ" 이므로, "숫자 1 = ㄱㅡㅡㅡㅡ" 으로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자음이 입력된 후 [ㆍ]버튼은 최대2번 까지 눌러진다고 하였으므로, "숫자 1 = ㄱㆍㆍㆍ"으로 할 수도 있다. 선출원에서 [ㆍ]버튼 3번 눌러짐을 "ㅎ"으로 하는 기술을 보였는데, 이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입력값 "ㄱㆍㆍㆍ"은 "ㄱㅎ"으로도 해석될 수 있지만, "ㄱ" 초성자음 다음에 "ㅎ"이 결합하여 자모결합글자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 이를 상기와 같이 숫자 "1" 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일련의 버튼누름 중에서 [ㄱ]버튼의 눌러짐이 초성자음이 아니고 종성자음으로 되는 경우는, "ㄱ"이 초성자음이라는 것을 명확하도록 입력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후행알파벳장타처리"를 적용하여 "숫자 1 = ㄱ~ㆍㆍㆍ"로 하여야 하는 것이다. As the applicant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suggested that "y = x + (the maximum number of times that the vowel button can be pressed repeatedly + press one more time)". The "maximum number of times that the vowel button can be pressed repeatedly" means the maximum number of times in which Korean combinations are possible. In the above, “y” may be a “number”, “x” may be an input consonant, and “vowel button” may be a [ㅡ] button, a [ㆍ] button, or a [ㅣ] button. First, for example, when only modern Korean is input, "K = ㅡㅡㅡ", so "number 1 = ㅡㅡㅡㅡ" can be used. As another method, since it is said that the [ㆍ] button is pressed up to two times after a consonant is entered, “number 1 = ㄱㆍㆍㆍ” can also be us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technique of pressing the [•] button three times was shown as "ㅎ", which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The input value "ㄱㆍㆍㆍ" can also be interpreted as "ㄱㅎ", but if "ㅎ" is combined after the initial consonant of "ㄱ" and does not form a consonant letter, input the number "1" as above that can be treated as However, if the pressing of the [a] button among a series of button presses is not the initial consonant but the final consonant, it must be entered clearly that "a" is the initial consonant. For example, "Number 1 = A ~ㆍㆍㆍ" should be applied by applying "trailing alphabet long hit processing".

다음으로 현대 한국어를 포함하여 한글고어까지 입력하는 경우에 한국어모드에서 숫자의 입력을 살펴본다. "ㄱㅡㅡㅡㅡ"는 "ㅋ" 아래에 "

Figure pat00567
"가 결합된 글자로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유니코드v2.0에 등록된 한글고어 모음에서도 "ㅡ"가 3개 연속결합된 모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숫자 1 = ㄱㅡㅡㅡㅡㅡ"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고어의 입력을 포함하면 "숫자 7", "숫자 9" 등의 경우는 도면4-34(a)에 있는 것처럼 훨씬 더 많은 횟수가 눌러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글고어의 입력을 포함하는 "아래아 3모음법"에서도 자음의 입력 다음에 [ㆍ]버튼은 최대 2번까지 눌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숫자 1 = ㄱㆍㆍㆍ"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만 한글고어에서는 "xy" 형태의 자음이 초성으로도 나올 수 있으며, "y"위치에 "ㅎ"이 있는 경우(예. "
Figure pat00568
")도 있기 때문에 완전히 동일하게 적용하기 어렵다. Next, in the case of inputting modern Korean as well as Korean language, the input of numbers in the Korean mode will be examined. "ㄱㅡㅡㅡㅡ" is "ㅋ" under "ㅋ"
Figure pat00567
" can be a combined character. However, even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ancient words registered in Unicode v2.0, there is no vowel in which three consecutive "ㅡ" are combined. Therefore, "number 1 = ㅡㅡㅡㅡ ㅡ". However, if you include the input of Korean language, "number 7", "number 9", etc. have a problem that you have to press a lot more times, as shown in Fig. 4-34 (a). Even in the "Area 3 Vowel Method" including the input of Korean Gore, the [ㆍ] button can be pressed up to 2 times after consonant input. Therefore, the above "number 1 = ㄱㆍㆍㆍ" can be similarly applied However, consonants in the form of "xy" can also appear as initial consonants in Korean Gore, and if there is "ㅎ" in the position of "y" (e.g. "
Figure pat00568
"), so it is difficult to apply them exactly the same.

상기와 같이 자음의 입력후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반복누름을 이용하는 경우는 버튼 반복누름의 횟수가 너무 많아지고, 한글고어 자음의 입력까지 모음버튼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참조. 도면4-34(a))는 누름횟수가 과다하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숫자 y = xㅡ~" (즉, "숫자 y = x *~) 또는 "숫자 y = xㅣ~" (즉, "숫자 y = x #~") 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x"는 [1]~[0]의 10개 숫자버튼이다. 이는 한글고어의 입력에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길게누름이 적용되지 않는 한에서 적용가능한 것임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숫자 "1 = ㄱㅣ~ = 1 #~" 로 할 수 있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한국어 모드에서의 숫자의 입력을 "숫자가 배열된 버튼 한번 누름 + 숫자가 배열되지 않은 버튼의 길게 누름" 의 조합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sing the [ㅡ] button or the [ㅣ] button repeatedly after inputting consonants, the number of repeated button presses becomes too large, including inputting Korean Gore consonants with a combination of vowel buttons (See Fig. 4-34 (a))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pressing is excessively increased. Therefore, it can be "number y = xㅡ~" (ie, "number y = x *~) or "number y = xㅣ~" (ie, "number y = x #~"). In the above, "x " is 10 number buttons from [1] to [0]. It is natural that this is applicable as long as long pressing of the [ㅡ] button or [ㅣ] button is not applied to the input of Korean Gore. For example, It can be done with the number "1 = ㄱㅣ~ = 1 #~". To reorganize this, number input in Korean mode is "pressing the button with numbers arranged once + long pressing the button with non-numbers arranged" It is treated as a combination.

이는 도면15-3, 도면15-4의 기존 대기업 제조회사의 한글 키패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한국어모드에서의 숫자입력은 "숫자버튼 한번 누름 + 숫자가 배열되지 않은 버튼 길게 누름"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15-3의 삼성전자사 키패드에서, 숫자 "2 = ㆍ+ #~"로, 숫자 "4 = ㄱ + #~"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15-4의 키패드에서, 숫자 "2 = ㄴ + #~" 과 같이 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can also be applied to Korean keypads of existing large manufacturing companies in Figs. 15-3 and 15-4. That is, number input in the Korean mode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 once + long pressing the button on which numbers are not arranged". For example, in the keypad of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 Figure 15-3, the number "2 = ㆍ+ #~" and the number "4 = a + #~" can be used. In the keypad of Figure 15-4, you can do something like the number "2 = B + #~".

32.3 한국어모드에서 영어알파벳의 입력 32.3 Input of English alphabet in Korean mode

상기에서 한글모드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기술을 보였다. 다음으로 한글모드에서 영어 알파벳을 입력하는 것을 제시한다. 통상 도면1-1에서와 같이 하나의 버튼에 3개의 알파벳이 배정되어 있는 영문키패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한글고어까지 통틀어 한국어의 음절은 항상 자음으로 시작하며, 모음으로 시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숫자의 입력과 그 숫자 다음에 눌러진 [ㅡ], [ㆍ], 또는 [ㅣ]의 모음버튼으로 버튼에 배정된 영어 알파벳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우리 한글에서 모음으로 정상적인 음절이 시작되지 않기 때문이다. 표현식으로 나타내보면 "영어알파벳 y = 숫자+모음버튼" 과 같이 된다. 예를 들어, "a = 2+모음버튼 = ㄴㅣ~ +모음버튼" 과 같이 될 수 있다. Above, the technique of inputting numbers in Hangul mode was shown. Next, inputting English alphabets in Korean mode is presented. Usually, as shown in Fig. 1-1, an English keypad in which three alphabets are assigned to one button is mainly used. In addition, syllables in Korean always start with consonants, not with vowels. Therefore, the English alphabet assigned to the button can be input with the input of a number and the vowel button of [ㅡ], [ㆍ], or [ㅣ] pressed after the number. This is because normal syllables do not start with vowels in Korean Hangul. Expressed as an expression, it is like "English alphabet y = number + vowel button". For example, it may be "a = 2 + vowel button = ㄴㅣ + vowel button".

통상의 경우 도면1-1에서와 같이 하나의 버튼(예. [2]버튼)에 약 3개의 영어 알파벳(예. "a b c")이 배열된다. 숫자의 입력 다음에 눌러지는 모음버튼 [ㅡ], [ㆍ], 또는 [ㅣ]버튼에 따라 각각의 알파벳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첫번째 배열된 영어 알파벳(예. "a")은 "숫자 2 + ㅡ"로, 두번째 배열된 영어 알파벳(예. "b")는 "숫자 2 + ㆍ"으로, 세번째 배열된 영어 알파벳(예. "c")은 "숫자2 + ㅣ"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 "a"(즉, 1번째 배열된 영어알파벳)의 입력에 모음버튼 [ㅡ]버튼을 누르는 것을 적용하면, "a = 2ㅣ = ㄴㅣ~ ㅡ" 와 같이 된다. 영어 알파벳 "b"(즉, 2번째 배열된 영어알파벳)의 입력에 모음버튼 [ㆍ]버튼 누름을 적용하면, "b = 2ㆍ = ㄴㅣ~ ㆍ"로 되고, 영어 알파벳 "c"(즉, 3번째 배열된 영어알파벳)의 입력에 모음버튼 [ㅣ]버튼 누름을 적용하면, "c = 2ㅣ = ㄴㅣ~ ㅣ" 로 된다. 만약 "2a"를 입력하려면 "2a = ㄴㅣ~ ㄴㅣ~ㅡ"로 될 것이다. 상기 입력값의 표시에서 공백은 가독성을 높여 본 문서를 읽으시는 분들을 편하게 하려는 것일 뿐,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In a normal case, about three English alphabets (eg "a b c") are arranged in one button (eg, [2] button) as shown in Fig. 1-1. Each alphabe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vowel button [ㅡ], [ㆍ], or [ㅣ] button pressed after the number input. That is, the first arranged English alphabet (eg "a") is "number 2 + ㅡ", the second arranged English alphabet (eg "b") is "number 2 + ㆍ", and the third arranged English alphabet ( Ex. "c") can be "Number 2 + ㅣ". For example, if pressing the vowel button [ㅡ] button is applied to the input of the English alphabet “a” (ie, the first English alphabet arranged), “a = 2ㅣ = ㄴㅣ~ ㅡ” is obtained. If pressing the vowel button [ㆍ] button is applied to the input of the English alphabet “b” (ie, the second arranged English alphabet), it becomes “b = 2ㆍ = ㄴㅣㆍ”, and the English alphabet “c” (ie , If you apply the press of the vowel button [ㅣ] button to the input of the third arranged English alphabet), it becomes "c = 2ㅣ = ㄴㅣ~ ㅣ". If you enter "2a", it will be "2a = ㄴㅣ ㄴㅣㅡ". As described above, blanks in the display of the input values are meant to improve readability and make the readers of this document more comfortable, but do not have meaning.

상기 설명에서 "영어 알파벳 = 숫자+모음버튼 반복누름"으로 하지 않는지 의구심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숫자입력후 [ㅡ]버튼의 1번 눌러짐은 "a", [ㅡ]버튼의 2번 눌러짐은 "b", [ㅡ]버튼의 3번 눌러짐은 "c"와 같이 하면, 기존의 반복선택방법에서와 같이 모호성이 있게 되기 때문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you may have doubts whether "English alphabet = number + vowel button repeatedly pressed". If, after entering a number, pressing the [ㅡ] button once is “a”,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is “b”, and pressing the [ㅡ] button three times is “c”, the existing This is because there is ambiguity as in the iterative selection method of .

상기의 내용을 적용하였을 때, 숫자 "2"와 연속하여 낱자모음(예. "ㅠ")이 나오는 경우(즉, "2ㅠ")는 입력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시간지연(즉, 타이머), 구분버튼 등의 기존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렇게 "2ㅠ"를 입력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When the above is applied, if a vowel (eg, "ㅠ") appears consecutively with the number "2" (ie, "2ㅠ"), it cannot be entered. Similarly, conventional means such as a time delay (ie, a timer) and a division button may be applied. However, in reality, there will be very few cases where "2ㅠ" is input like this.

도면1-3에서와 같이 [7]버튼에 "p", "q", "r", "s" 의 4개 알파벳이 배정된 경우 3개의 알파벳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알파벳은 "3개 알파벳중 하나+눌러지지 않은 모음버튼" 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 "q", "r"을 각각 상기 "a", "b", "c"와 같이 입력한다면, "s = r+눌러지지 않은 모음버튼 = p ㆍ 또는 p ㅣ 또는 q ㅡ 또는 q ㅣ 또는 r ㅡ 또는 r ㆍ" 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p ㆍ = ㅅㅡ~ㅡㆍ"이고, "pㅣ = ㅅㅡ~ㅡㅣ" 임은 쉽게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3, when four alphabets of "p", "q", "r", and "s" are assigned to the [7] button, the three alphabets can be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alphabet can be input with "one of the three alphabets + vowel button not pressed". For example, if "p", "q", and "r" are entered as "a", "b", and "c", respectively, "s = r + unpressed vowel button = p ㆍ or p ㅣ or q ㅡ or q ㅣ or r ㅡ or r ㆍ". Here, it is easy to see that "pㆍ = ㅅㅡㅡㅡㆍ" and "pㅣ = ㅅㅡㅡㅣ".

상기와 같이 "숫자의 입력"과 "한국어 자음이 배열되지 않은 버튼(더 정확히는, 자음의 입력을 시작하지 않는 버튼)" 눌러짐의 조합으로 영어 알파벳을 입력하는 것은 도면15-3, 도면15-4 등 다른 키패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15-3의 키패드에서, "a = 2+ㅣ~ = ㆍ#~ㅣ", "b = 2+ㆍ~ = ㆍ#~ㆍ", "c = 2+ㅡ~ = ㆍ#~ㅡ"와 같이 할 수 있다. 도면15-4의 키패드에서 "a = 숫자2+* = ㄴ#~*", "b = 숫자2+0 = ㄴ#~0", "c = 숫자2+# = ㄴ#~#"과 같이 할 수 있다. 도면 15-4에서 [*]버튼(즉, [덧쓰기]버튼)과 [#]버튼(즉, [나란히]버튼)을 마지막 조합에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도면15-4 키패드의 입력규칙에서 "ㅋ = ㄱ*"로 되어 있어 자음의 입력이 "*"버튼의 누름으로 시작하지 않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inputting the English alphabet by pressing a combination of "input of numbers" and "a button in which Korean consonants are not arranged (more precisely, a button that does not start inputting consonants)" is pressed in FIGS. 15-3 and 15- I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keypads such as 4. For example, in the keypad of Figure 15-3, "a = 2+ㅣ~ = ㆍ#~ㅣ", "b = 2+ㆍ~ = ㆍ#~ㆍ", "c = 2+ㅡ~ = ㆍ# You can do something like "~ㅡ". In the keypad of Figure 15-4, as in "a = number 2 + * = B # ~ *", "b = number 2 + 0 = B # ~ 0", "c = number 2 + # = B # ~ #" can do. The reason why the [*] button (ie, the [Overwrite] button) and the [#] button (ie, the [Side by side] button) can be used in the last combination in Figure 15-4 is the input rule of the keypad in Figure 15-4. ㅋ = ㄱ*", so the input of consonants does not start with pressing the "*" button.

더 나아가 한국어 모드에서 숫자가 배정된 버튼(통상 한국어 자모도 함께 배열)의 길게 누름으로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4-*의 키패드에서 숫자 "2"를 [2]버튼(즉, [ㄴ]버튼) 길게 누름으로 입력한다면 (선행알파벳장타처리, 후행알파벳장타처리와 같이 알파벳 입력에 길게 누름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a = (숫자)2ㅡ = ㄴ~ㅡ = (버튼)2~ㅡ" 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면15-3에서 숫자 "4"가 배정된 버튼(즉, [4]버튼이면서 동시에 [ㄱ]버튼)의 길게 누름으로 숫자 4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설명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면15-3에서 숫자 "4 = ㄱ~ = 4~" 으로 입력하고 나서, 자음의 입력을 시작하지 않는 어떤 버튼(예. [ㅣ]버튼)이 한번 눌러지면 [4]버튼에 배열되어 있는 어느 알파벳(예. 첫번째 영어 알파벳인 "g")가 입력될 수 있다. 즉, "g = ㄱ~ㅣ = 4~1" 로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면15-4의 키패드에서도 "a = ㄴ~* = 2~*" 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inputting a number by long pressing a button assigned to a number in the Korean mode (typically, Korean consonants are also arranged). If the number "2" is input by pressing and holding the [2] button (ie, the [b] button) in the 4-*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long pressing to alphabet input, such as preced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and trailing alphabet long hitting processing) On the premise that it does not), "a = (number) 2ㅡ = b~ㅡ = (button) 2~ㅡ" can be done. As another example, the above description is the same even when the number 4 is input by long pressing the button to which the number "4" is assigned in Fig. 15-3 (ie, the [4] button and the [A] button at the same time). can be applied In Figure 15-3, after inputting the number "4 = a ~ = 4 ~", if any button that does not start inputting a consonant (eg, [ㅣ] button) is pressed once, any of the buttons arranged in the [4] button An alphabet (eg, "g", the first English alphabet) can be input. That is, "g = a ~ l = 4 ~ 1". Similarly, in the keypad of Figure 15-4, "a = b ~ * = 2 ~ *" can be input.

33. PC등의 키보드에서의 한국어 입력33. Korean input on a keyboard such as a PC

33.1 한글 2벌식 키보드 한국어 입력에서의 개선 사항33.1 Improvements in Korean input with Korean double keyboard

현재 PC등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2벌식 키보드는 도면18-1(a)와 같다. 도면18-1(b)는 도면18-1(a)에서 문자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좌측부분만을 표시한 것이다. 누구나 아는 바와 같이 "ㄱ"이 표기된 [ㄱ]버튼이 한번 눌러지면 "ㄱ"이 인식된다. 또한 "ㄱ"위에 표기된 "ㄲ"은 [Shift]버튼과 동시에 [ㄱ]버튼이 눌러졌을 때, "ㄲ"이 인식되는 것을 나타낸다. "ㄲ" 등이 버튼에 추가로 표기될지 여부의 문제는 선택적인 사항(예를 들어, [ㄱ]버튼에 "ㄲ"이 추가로 표기될 수도 있고, 표기되지 않을 수도 있는 사항)이다. The double keyboard currently used as a standard in PCs is shown in Figure 18-1 (a). Fig. 18-1 (b) shows only the left part including the character button in Fig. 18-1 (a). As everyone knows, when the [a] button marked with "a" is pressed once, "a" is recognized. In addition, "ㄲ" marked on "a" indicates that "ㄲ" is recognized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Shift] button. The question of whether “ㄲ” or the like is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button is optional (eg, “ㄲ” may or may not be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a] button).

현행 2벌식 키보드에서 [ㄹ]버튼(영문키보드 기주능로는 [F]버튼)은 왼손 검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기준버튼이고 [ㅓ]버튼(영문키보드 기준으로는 [J]버튼)은 오른손 검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기준버튼이다. 왼손을 사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왼손영역은 [ㅅ], [ㅎ], [ㅠ] 버튼을 포함하여 좌측의 15개 버튼이고, 오른손을 사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오른손영역의 버튼은 [ㅛ], [ㅗ], [ㅜ]버튼을 포함하여 우측의 11개 버튼이다. 오른손 영역의 문자버튼이 11개인 것은, 영문알파벳이 배열된 버튼만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현행 표준2벌식 키보드의 자모음 배치의 구성은 "ㄱ", "ㄴ", "ㄷ", ... "ㅍ", "ㅎ" 의 14개 자음을 배열하고 있으며, 모음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10개 자음에 "ㅐ", "ㅔ"를 더 포함하여 12개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15개버튼으로 이루어진 왼손영역에 14개 자음을 배열하면 1개의 버튼이 남고, 11개 버튼으로 이루어진 오른손영역에 12개 모음을 배열하려면, 하나의 버튼이 모자라게 된다. 결과적으로 왼손영역의 남는 버튼에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ㅠ"를 배열한 형태가 현재의 2벌식 키보드이다. In the current two-beol keyboard, the [ㄹ] button (the [F] button in the English keyboard function) is the reference button where the left index finger is located, and the [sh] button (the [J] button in the English keyboard standard) is the right index finger This is the standard button to be located. The left hand area for pressing buttons using the left hand includes 15 buttons on the left including the [ㅅ], [ㅎ], and [ㅠ] buttons, and the buttons in the right hand area for pressing buttons using the right hand are [ㅛ], [ㅗ These are 11 buttons on the right, including ] and [TT] buttons. The fact that there are 11 character buttons in the right hand area is based on only buttons arranged with English alphabets. The composition of the consonant arrangement of the current standard 2 beolsik keyboard is arranged with 14 consonants of "a", "b", "c", ... "p", "heh", and the vowels are "a", " ㅑ", "sh", "ㅕ", "ㅗ", "ㅛ", "TT", "ㅠ", "ㅡ", "ㅣ" plus 10 consonants including "ㅐ" and "ㅔ" It consists of 12 buttons. As a result, if 14 consonants are arranged in the left hand area composed of 15 buttons, one button remains, and if 12 vowels are arranged in the right hand area composed of 11 buttons, one button is missing. As a result, the current two-beol keyboard is a form in which the least frequently used “ㅠ” is arranged on the remaining buttons in the left hand area.

키보드는 숫자판 형태의 키패드와는 달리 사용자는 어느 알파벳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인지하지 않고, 자율신경에 의하여 "눈"과 "머리"가 아닌 "손"과 "몸"으로 사용하는 기기이다. 그런데, 자음영역으로 볼 수 있는 왼손영역에 모음 "ㅠ"가 있는 것이 파격과 부자연스러움을 주는 요소가 된다. 이는 본 출원인과 같이 약 25년 이상 한글키보드를 사용해온 사람에게도 동일하며,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이러한 사유로 불편을 호소하고 개선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경우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Unlike a keypad in the form of a numeric keypad, the user does not recognize which alphabet is in which position, and uses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ith "hands" and "body" instead of "eyes" and "head". However, the presence of the vowel "ㅠ" in the left hand area, which can be seen as a consonant area, is an element that gives an unconventional and unnatural feeling. This is the same for those who have used the Korean keyboard for more than 25 years like the present applicant, and if you search on the Internet, you can easily search for cases that complain of inconvenience and point out the need for improvement for these reasons.

5개의 경자음(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은 각각 [Shift]버튼과 "ㄱ", "ㄷ", "ㅂ", "ㅅ", "ㅈ" 버튼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인식된다. 예를 들어, "ㄲ = Shift^ㄱ" 인 것이다. 여기서 편의상 "^"를 사용하여 표현하였으며, "^"는 그 앞에 있는 [Shft]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ㄱ]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단 여기서 "^"는 연속하여 눌러짐을 나타내는 "+"로도 대체되어 표기될 수도 있다. 선출원에서 "Shift+X" 로 표기한 것도 같은 표현이다. 입력값의 표현식에서 "+"는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였으며, 입력값을 읽기 편하게 하기 위하여 때로 "+"를 표시하기도 하고, 때로 "+"를 표시하지 않기도 하였으나 같은 표현이다. "Shft X" 와 같이 "^" 또는 "+" 없이 표현되더라도 [Shift]는 다음 눌러지는 버튼과 함께 눌러지는 것으로 간주한다. Windows OS 에서도 "고정키(Sticky Key)"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주면 "Shft^X" 동시누름이 아닌 "Shift+X" 순차누름으로도 동일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고정키가 적용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Shift 를 사용하는 것이 키보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며, Shift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대부분이 2벌식 한글오토마타를 약간씩 변형하여 적용하는 시도였다. 예를 들어, 원래 "ㅖ = Shift^ㅔ", "ㅒ = Shift^ㅐ" 이나, [ㅔ]버튼 2번눌러짐로 으로 "ㅖ"를 입력(즉, "ㅖ = ㅔ+ㅔ")하거나 [ㅐ]버튼 2번 눌러짐으로 "ㅒ"를 입력(즉, "ㅒ = ㅐ+ㅐ")는 것을 들 수 있다. The five light consonants (twin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ㅆ" are each It is recognized by simultaneously pressing the "j" buttons. For example, "ㄲ = Shift^ㄱ". Here, "^" is used for convenience, and "^" is to express that the [a] button is pressed while the [Shft] button in front of it is pressed. However, "^" may be replaced with "+" indicating successive pressing. It is the same expression as "Shift+X" in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said that "+" may not be displayed in the expression of the input value, and in order to make the input value easier to read, sometimes "+" is displayed, sometimes "+" is not displayed, but it is the same expression. Even if it is expressed without "^" or "+" like "Shft X", [Shift] is considered to be pressed together with the next pressed button. Even in Windows OS, if the "Sticky Key" function is set to be used, the same input can be performed by sequentially pressing "Shift+X" instead of pressing "Shft^X" simultaneously,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cky key is Of course,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it is applied. Using shift becomes an element that hinders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keyboard, and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input without using shift. Most of them were attempts to apply the two-beol-style Hangul automata by slightly modifying it. [ ㅐ] button is pressed twice to input "ㅒ" (ie, "ㅒ = ㅐ + ㅐ").

상기 5개의 경자음 중 사용빈도가 현저하게 많은 "ㅆ"을 독립된 하나의 버튼에 배치하려는 시도는 끊임없이 있어왔다. 학자이자 발명자인S대학교의 K교수는 "ㅆ"을 도면18-1(a) 또는 도면18-1(b)의 [ㅠ]버튼(즉, [B]버튼)에 배치하고, 가장 누르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ㅔ]버튼(즉, [P]버튼)의 위치에 "ㅔ"를 빼고 "ㅠ"를 배치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ㅠ"는 [ㅠ]버튼 (즉, [P]버튼) 한번눌러짐으로 인식되지만, 여기서 "ㅔ"는 버튼상에 배열되지 않으므로 [ㅓ]버튼과 [ㅣ]버튼의 조합으로 인식된다. 즉 "ㅔ = ㅓ+ㅣ", "ㅖ = ㅕ+ㅣ"로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이는 이를 약간 변형하여 "ㅆ"을 현재의 [ㅠ]버튼(즉, "B"버튼)에 배치하고, [ㅜ]버튼 2번 눌러짐으로 "ㅠ"를 인식(즉, "ㅠ=ㅜ+ㅜ")하는 것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여기서 상기 "ㅖ = ㅔ+ㅔ", "ㅒ = ㅐ+ㅐ"로 입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ㅠ = ㅜ+ㅜ"로 입력하는 것 역시 키보드에서 변형된 2벌식 오토마타로써 사용되고 있었다. 인터넷에서 "새나루" 입력기를 검색하면 쉽게 알 수 있다. There have been endless attempts to place "ㅆ", which is significantly used among the five hard consonants, on an independent button. Professor K of S University, a scholar and inventor, placed "ㅆ" on the [ㅠ] button (ie, [B] button) in Figure 18-1 (a) or Figure 18-1 (b), and placed it in the most difficult position to press. It is proposed to place "ㅠ" after subtracting "ㅔ" from the position of the [ㅔ] button (ie, the [P] button) in . "ㅠ" is recognized as pressing the [ㅠ] button (ie, the [P] button) once, but since "ㅔ" is not arranged on the button, it is recognized as a combination of the [sh] button and the [ㅣ] button. That is, "ㅔ = ㅕ + ㅣ", "ㅖ = ㅕ + ㅣ". Another slightly modified this, placing "ㅆ" on the current [ㅠ] button (i.e., "B" button), and recognizing "ㅠ" by pressing the [TT] button twice (i.e., "ㅠ=TT"). + TT") was also suggested. Here, as in the case of inputting "ㅖ = ㅔ + ㅔ" and "ㅒ = ㅐ + ㅐ", inputting "ㅠ = TT + TT" was also used as a modified double-type automata on the keyboard. You can easily find out if you search for "Saenaru" input method on the Internet.

상기 5개의 경자음(쌍자음) 중에서 "ㅆ"하나의 사용빈도는 나머지 4개의 경자음 모두의 사용빈도를 합한 것의 약 1.5배 정도로 압도적으로 사용빈도가 많다. 자음과 모음의 통합빈도에서 "ㅆ"은 순위 20위로 1.135%의 사용빈도를 가지며, "ㅠ"는 순위 33위로 0.216% 의 사용빈도를 가진다. 30개 자음(이중 받침 포함)중에서 "ㅆ"은 11위로 1.913%의 사용빈도를 가지며, 21개 모음중 "ㅠ"는 17위로 0.513%의 사용빈도를 가진다. Among the five hard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the frequency of use of one "ㅆ" is overwhelmingly about 1.5 times the sum of the frequencies of use of all the other four hard consonants. In the combined frequency of consonants and vowels, "ㅆ" ranks 20th with a frequency of 1.135%, and "ㅠ" ranks 33rd with a frequency of 0.216%. Among 30 consonants (including double endings), "ㅆ" ranks 11th with a frequency of 1.913%, and among 21 vowels, "ㅠ" ranks 17th with a frequency of 0.513%.

본 발명에서는 왼손영역(즉, 자음영역)에 있는 현재의 [ㅠ]버튼(즉, [B]버튼)에 경자음 중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많은 "ㅆ"을 배치하고 (즉, [B]버튼 한번 누름으로 "ㅆ"을 인식), [Shift]버튼 [ㅜ]버튼을 조합하여 "ㅠ"를 입력(즉, "ㅠ = Shift^ㅜ" 로 인식)하는 것을 제시한다. [B]버튼에 "ㅠ"를 빼고 "ㅆ"을 배치하였으므로 반드시 "ㅠ"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 도면18-2를 참고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ㅠ = ㅜ+ㅜ"로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는 한글 고어 모음에서 "ㅜ"가 상하로 연서되어 있는 모음인 "

Figure pat00569
"을 "ㅜ+ㅜ"로 입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
Figure pat00570
= Shift^ㅜ"로 한다면, "ㅠ = ㅜ+ㅜ"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ㅠ = ㅜ+ㅜ"로 한다면, 형태적으로 "ㅜ" 2개로 이루어진 모음인 "
Figure pat00571
"를 "ㅜ+ㅜ"로 입력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움에도 불구하고 그렇게하지 못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ㅆ" among light consonants is placed on the current [ㅠ] button (ie, [B] button) in the left-hand area (ie, consonant area) (ie, [B] button once Recognizing "ㅆ" by pressing), [Shift] button and [TT] button are combined to input "ㅠ" (ie, recognizing "ㅠ = Shift^TT"). Since "ㅆ" was placed on the [B] button without "ㅠ", a method to input "ㅠ" must be presented together. See Figure 18-2. It can be done with the currently used "ㅠ = TT + TT", but in this case, "TT" is a vowel in which "TT" is linked up and down in Korean old language vowels.
Figure pat00569
There is a problem that " cannot be entered as "TT + TT". Of course, "
Figure pat00570
= Shift ^ TT", you can also do "ㅠ = TT + TT". However, if you use "ㅠ = TT + TT", morphologically, "TT" is a collection of two "TT"
Figure pat00571
Although it is the most natural to enter "TT + TT" as "TT + TT", it is not possible to do so.

과거부터 한글 고어(즉, 옛한글)을 입력하는 문제에 있어서, 반치음 "ㅿ"을 어떻게 입력할지 어려움이 있었다. 옛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대표적인 편집기 프로그램이 "아래아한글" 워드프로세서에서는 "ㅿ = Shift^ㅁ"으로 입력한다. 그러나 전혀 연관성 없는 자음인 "ㅁ"에 반치음 "ㅿ"를 연관시켰다고 하는 것은 논리적이지 않다. 따라서 "ㅆ"을 [B]버튼에 배열하여 해당 버튼 1번 눌러짐으로 입력하는 것이 정착이 된다면, 발음과 형태상으로 연관성있는 [ㅅ]버튼을 이용하여 "ㅿ = Shift^ㅅ"으로 입력하는 것이 타당하다. In the past, in the problem of inputting Korean archaic words (ie, old Hangul), there has been difficulty in how to input the half-tone "ㅿ". A typical editor program that can input old Hangeul is "Aeraeah Hangul". In a word processor, enter "ㅿ = Shift^ㅁ". However, it is not logical to say that the half consonant "ㅿ" is related to the completely unrelated consonant "ㅁ". Therefore, if it is settled to arrange "ㅆ" on the [B] button and inpu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once, use the [ㅅ] button related to pronunciation and form to enter "ㅿ = Shift^ㅅ" it is reasonable

다만 현재는 [ㅅ]버튼 2번 눌러짐으로 "ㅆ"을 입력하는 변형 2벌식 입력기술 역시 사용되고 있다. (아래아한글 워드프로세서의 옛한글 입력기능, 새나루 한글입력기 등 참고) 옛한글 반치음 "ㅿ" 이 실생활에 사용되는 시기가 올지 안올지 불확실하고, 사용되는 때가 온다고 하더라도 현대 한국어 자모음에 비하면 현저히 사용빈도가 낮을 것이다. 따라서 현대 한국어 입력을 우선하여 [ㅅ]버튼 2번 눌러짐으로 "ㅆ"을 입력하고, [ㅅ]버튼 3번 눌러짐으로 반치음 "ㅿ"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ㅅㅅㅅ"을 누른 것이 종성 "ㅆ"과 초성 "ㅅ"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반치음 "ㅿ"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밝힌 바와 같이 [ㅅ]버튼 반복 눌러짐에 따라 "ㅅ → ㅆ or ㅅㅅ → ㅆㅅorㅅㅆ → ㅆ" 으로 작동하고, [ㅅ]버튼의 5번 연속 눌러짐을 반치음 "ㅿ"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ㅅ]버튼의 반복 눌러짐에 의한 변화에서 [ㅅ]버튼이 4번 눌러졌을 때 이를 절대적 "ㅆ"으로 처리해야하는 경우는 많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ㅅ]버튼 반복 눌러짐에 따라 "ㅅ → ㅆ or ㅅㅅ → ㅆㅅorㅅㅆ"으로 하고, [ㅅ]버튼 4번 눌러짐을 반치음 "ㅿ"로 처리할 수도 있다. 즉, [ㅅ]버튼의 3번눌러짐 또는 4번눌러짐 또는 5번눌러짐을 반치음 "ㅿ"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currently, a modified 2-beol type input technology that inputs "ㅆ" by pressing the [ㅅ] button twice is also used. (Refer to the old Hangul input function of the Hangul Hangul word processor, Saenaru Hangul input method, etc.) It is uncertain whether the time when the old Hangul halftone "ㅿ" will be used in real life will come, and even if it does, the frequency of us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will be low Therefore, prior to modern Korean input, "ㅆ"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ㅅ] button twice, and the half-tone "ㅿ" can be input by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pressing "ㅅㅅㅅ" is not recognized as the final consonant "ㅆ" and the initial consonant "ㅅ", but is recognized as a half consonant "ㅿ". Therefore, as sta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as the [ㅅ] button is repeatedly pressed, it operates as "ㅅ → ㅆ or ㅅㅅ → ㅆㅅorㅅㅆ → ㅆ", and 5 consecutive presses of the [ㅅ] button are treated as a half-tone "ㅿ" can do. However, in practice, there may not be many cases in which the [ㅅ] button is pressed 4 times in a change due to repeated pressing of the [ㅅ] button, which should be treated as an absolute "ㅆ". Therefore, as the [ㅅ] button is repeatedly pressed, "ㅅ → ㅆ or ㅅㅅ → ㅆㅅorㅅㅆ", and pressing the [ㅅ] button 4 times can be treated as a half-tone "ㅿ". That is, pressing 3 times, 4 times, or 5 times of the [ㅅ] button can be defined and used as a half-tone "ㅿ".

언급한 바와 같이 10손가락을 사용하는 키보드는 숙달된 자율신경에 의하여 사용하는 기기이므로, 기존의 습관을 바꾸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현대 한국어의 입력을 우선하여 "ㅆ = Shift^ㅅ"으로 하되, "Shift^ㅅ"에 의한 "ㅆ"이 연속하여 입력되면, 이를 반치음 "ㅿ"로 처리할 수 있다. 즉, 반치음 "ㅿ = Shift^ㅅ + Shift^ㅅ" 또는 "ㅿ = Shift^ㅅ+ㅅ" 으로 하는 것이다. "ㅿ = Shift^ㅅ + Shift^ㅅ"는 "Shft^ㅅ" 에 의하여 "ㅆ"을 입력하고 나서 [Shift] 버튼과 [ㅅ]버튼 모두에서 손을 뗀 상태에서 다시 "Shft^ㅅ"을 눌러주는 동작을 표현한 것이고, "ㅿ = Shift^ㅅ+ㅅ"는 [Shft]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ㅅ]버튼을 눌렀다 떼고, 여전히 [Shift]버튼은 눌러져 있는 상태에서 [ㅅ]버튼을 한번 더 누르는 것을 의미하며, 양자는 "Shift^ㅅ" 을 2번 누른다는 것을 표현한 동일한 표현인 것이다. 우리 현대 한글의 사용빈도표에 의하면 종성자음 "ㅆ" 다음에 초성자음 "ㅆ"이 나오는 경우는 없는 것(즉, 0%)으로 조사되어 있다. 물론 실제로는 종성자음 "ㅆ" 다음에 초성자음 "ㅆ"이 나오는 단어가 한두개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으나, 현대 한국어 생활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닌 것이다. As mentioned, the keyboard using 10 fingers is a device that is used by the trained autonomic nervous system, so it may be difficult to change existing habits. Therefore, "ㅆ = Shift^ㅅ" is given priority to modern Korean input, but if "ㅆ" by "Shift^ㅅ" is continuously input, it can be processed as a half-tone "ㅿ". That is, it is made with a half tone "ㅿ = Shift^ㅅ + Shift^ㅅ" or "ㅿ = Shift^ㅅ+ㅅ". For "ㅿ = Shift^ㅅ + Shift^ㅅ", enter "ㅆ" by "Shft^ㅅ", then press "Shft^ㅅ" again while releasing both the [Shift] button and the [ㅅ] button. "ㅿ = Shift^ㅅ+ㅅ" is to press and release the [ㅅ] button while holding down the [Shft] button, and press the [ㅅ] button once more while the [Shift] button is still pressed. That means, both are the same expression that expresses pressing "Shift^ㅅ" twice. According to the usage frequency table of our modern Korean language, there is no case where the initial consonant "ㅆ" appears after the final consonant "ㅆ" (i.e., 0%). Of course, in realit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may be one or two words in which the initial consonant "ㅆ" appears after the final consonant "ㅆ", but it is not so much that it affects modern Korean life.

"ㅅ"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는 한글고어(옛한글)는 반치음 "ㅿ"과 "

Figure pat00572
" 이 있다. 별도의 버튼으로 독립시킨 [ㅆ]버튼(즉, [B]버튼)과 [Shift]버튼을 조합하여 어떤 대상을 입력할 수 있는데, "ㅿ" 또는 "
Figure pat00573
"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기존에 "ㅆ"을 "Shift^ㅅ"으로 입력하였던 습관을 고려한다면, "
Figure pat00574
= Shift^ㅆ" 으로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Shift^ㅆ"으로 "ㅿ" 와 "
Figure pat00575
"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한다고 하더라도, "ㅿ"가 연속하여 나오거나, "
Figure pat00576
"가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따라서 "Shift^ㅆ" 2번 눌러짐에 의하여 "ㅿ" 또는 "
Figure pat00577
" 중 나머지 한가지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ㅿ = Shift^ㅆ")에서 "ㅆ"은 [ㅆ]버튼(즉, [B]버튼)을 의미한다.Old Hangeul (Old Hangul), which has a strong relationship with "ㅅ", is the half-tone "ㅿ" and "
Figure pat00572
". You can input an object by combining the independent [ㅆ] button (i.e., [B] button) and the [Shift] button as a separate button.
Figure pat00573
Any one of " can be entered. Considering the habit of entering "ㅆ" as "Shift^ㅅ" in the past, "
Figure pat00574
= Shift^ㅆ" would make sense. With "Shift^ㅆ", "ㅿ" and "
Figure pat00575
Even if you enter any of ", "ㅿ" comes out in succession, or "
Figure pat00576
" will rarely appear in succession. Therefore, by pressing "Shift^ㅆ" twice, "ㅿ" or "
Figure pat00577
It is possible to have the remaining one of " input. Here ("ㅿ = Shift^ㅆ"), "ㅆ" means the [ㅆ] button (ie, the [B] button).

"

Figure pat00578
"을 입력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ㅅ]버튼과 [ㅆ]버튼의 눌러짐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
Figure pat00579
= ㅅ+ㅆ"이 된다. 우리 현대 한국어 사용빈도표에서 "ㅅ" 다음에 "ㅆ"이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는 "0.003%" 로 조사되어 있으므로, 사실상 무시될 수 있을 정도의 미미한 수준이다. 단, "ㅆ" 다음에 "ㅅ"이 나오는 경우는 매우 많으므로, "
Figure pat00580
"의 입력에 "ㅆ+ㅅ"을 사용할 수는 없다. 또한 [ㅅ]버튼 3번 눌러짐으로 "
Figure pat00581
"을 입력하기 어려운 것은, "ㅆ = ㅅ+ㅅ"을 허용하는 경우 현대 한국어에서 "ㅆ" 다음에 "ㅅ"이 나오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
Figure pat00582
= ㅅ+ㅆ"에서 "ㅆ"의 입력은 [ㅆ]버튼 한번누름에 의하는 것만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기존 2벌식키보드에서처럼 "ㅆ = Shift^ㅅ" 으로 완전하게 "ㅆ"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입력하는 것도 포함한다. "ㅆ = ㅅㅣㅣ" 와 모호성없이 완전하게 "ㅆ"을 입력하는 수단에 의하는 것(참고. 도면4-*의 키패드에서의 입력 사례)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만약 "
Figure pat00583
= ㅅ+ㅆ"으로 입력한다면, "Shift^ㅆ"으로 반치음 "ㅿ"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현재는 키보드에서 "
Figure pat00584
"을 [ㅅ]버튼 3번 눌러짐으로 입력하고 있는데, 이 역시 가능하다. "
Figure pat00585
"은 초성자음으로만 쓰이고 종성자음으로는 쓰이지 않기 때문에 종성자음 "ㅆ" 다음에 "ㅅ"이 입력된 것을 "
Figure pat00586
"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고, "ㅆㅅ"으로 처리한다. "ㅆㅅ"다음에 [ㅅ]버튼이 2번 눌러지면 "ㅆ
Figure pat00587
"이 된다. "
Figure pat00578
Another way to input "is to be recognized as pressing the [ㅅ] and [ㅆ] buttons. In other words, "
Figure pat00579
= ㅅ + ㅆ". In our modern Korean usage frequency table, the case where "ㅅ" followed by "ㅆ" appears consecutively is "0.003%", so it is a negligible level. , "ㅅ" is often followed by "ㅅ", so "
Figure pat00580
"ㅆ + ㅅ" cannot be used for the input of ". Also, by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
Figure pat00581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enter " is that "ㅅ" often appears after "ㅆ" in modern Korean when "ㅆ = ㅅ + ㅅ" is allowed. "
Figure pat00582
= ㅅ + ㅆ", the input of "ㅆ" is not only possible by pressing the [ㅆ] button once. As in the existing 2-beol type keyboard, "ㅆ = Shift^ㅅ" can completely input "ㅆ"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ㅆ = ㅅㅣㅣ" and "ㅆ" completely without ambiguity (Reference. Example of input on the keypad in Fig. 4-*). what if "
Figure pat00583
= ㅅ + ㅆ", you can input the half-tone "ㅿ" with "Shift^ㅆ". Currently, "
Figure pat00584
" is being entered by pressing the [ㅅ] button 3 times, but this is also possible."
Figure pat00585
Since " is used only as a first consonant and not a final consonant, "ㅅ" is entered after the final consonant "ㅆ"
Figure pat00586
", not "ㅆㅅ". If the [ㅅ] button is pressed twice after "ㅆㅅ", "ㅆㅅ"
Figure pat00587
"It becomes

우리 한글은 훈민정음창제 당시 28자가 발표되었고, "ㆍ, ㅿ, ㆆ, ㆁ" 글자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사용되지 않는 4개의 글자 역시 살려 쓰려는 시도가 있으므로, 이를 자연스럽게 입력하는 것 역시 한글입력기술 발명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이다. 아래아 "ㆍ"는 [ㅏ]버튼 2번누름 또는 "Shift^ㅏ"로, 여린ㅎ "ㆆ = Shft^ㅎ"으로, 옛이응 "ㆁ = Shft^ㅇ"으로 하고 있으며, 모두 무리가 없고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반치음 "ㅿ = Shift^ㅁ"으로 하고 있는데, 연관성이 전혀 없는 "ㅁ"에 반치음 "ㅿ"을 연관시킨 것으로 우리 한글의 과학성을 해치는 요소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반치음 "ㅿ" 과 연관성이 있는 [ㅅ]버튼 또는 [ㅆ]버튼을 이용(예. "Shfit^ㅅ", "Shfit^ㅅ"2번, 또는 [ㅅ]버튼 3번 이상 누름. [ㅆ]버튼 2번 누름 또는 "Shift^ㅆ")하여 모호성없이(또는 거의 모호성없이) 반치음 "ㅿ"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At the time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28 characters of Korean Hangeul were announced, and the characters "ㆍ, ㅿ, ㆆ, ㆁ" are not currently used. Since there is an attempt to write the unused four letters as well, inputting them naturally is also a necessary element in the invention of Hangul input technology. Below, "ㆍ" is done by pressing the [a] button twice or by "Shift^a", soft "ㆆ = Shft^ㅎ", oldieung "ㆁ = Shft^ㅇ", all of which can be said to be reasonable and natural. can However, the half-tone "ㅿ = Shift^ㅁ" is used, but the half-tone "ㅿ" is related to the unrelated "ㅁ", which harms the scientific nature of our Korean language. In the present invention, use the [ㅅ] button or [ㅆ] button associated with the halftone "ㅿ" (eg, press "Shfit^ㅅ", "Shfit^ㅅ" twice, or the [ㅅ] button three or more times. [ By pressing the [ㅆ] button twice or "Shift^ㅆ"), the halftone "ㅿ" can be entered without ambiguity (or almost without ambiguity).

상기 발명을 요약하면, 자음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왼손영역의 버튼에 자음만이 배치되므로, 의식의 혼란을 없앨 수 있고, 현대 한국어 생활에서 "ㅆ"은 2개의 자소로 인지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하나의 자소처럼 인지되고 있는데, 동시에 사용빈도도 상대적으로 높은 "ㅆ"을 [ㅆ]버튼 한번눌러짐으로 입력하면서, "ㅠ = Shift^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반치음 "ㅿ"도 연관성이 강한 [ㅅ]버튼 또는 [ㅆ]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Summarizing the above invention, since only consonants are placed in the button of the left hand area, which can be called the consonant area, confusion in consciousness can be eliminated, and "ㅆ" is recognized as two phonemes in modern Korean life, but rather one It is recognized as a grapheme, but at the same time, "ㅆ", which ha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entered as "ㅠ = Shift^TT" while entering the [ㅆ] button once. The halftone "ㅿ" can also be input using the [ㅅ] button or [ㅆ] button, which has a strong correlation.

상기 본 발명은 현행 2벌식 한글키보드에서 각 버튼상에 배열되는 알파벳의 위치가 일부 변경되는 경우 또는 현행 2벌식 한글키보드에 배치되는 알파벳이 다소 달라지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alphabets arranged on each button in the current two-beol Korean keyboard is partially changed or the alphabets arranged on the current two-beol Korean keyboard are slightly different.

33.2 한글 2벌식 키보드 한글 고어 입력33.2 Hangul 2 Beolsik Keyboard Hangul Gore Input

상기에서 "ㅅ"과 연관되어 있는 일부의 한글고어 자음(예. 반치음 "ㅿ", "

Figure pat00588
" 등)의 입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제31장에서 한글 고어의 입력을 위한 수단을 제시한 바 있다. 이하에서 2벌식 키보드에서 일반적으로 한글고어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제시한다. Some of the old Korean consonants associated with "ㅅ" above (eg, half-tone "ㅿ", "
Figure pat00588
", etc.) has been mentioned. In Chapter 31, a means for inputting Korean archaic words has been suggested. Below, a means for inputting Korean archaic words in general on a two-beol type keyboard is additionally presented.

2벌식 키보드에서는 경자음(쌍자음)을 Shift와 평자음의 조합(예. "ㄲ = Shift^ㄱ")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격자음은 별도의 버튼에 배열(예. [ㅋ]버튼)되어 있다. 변형된 한글조합로직을 적용하여 평자음버튼 2번 눌러짐에 의하여 경자음을 입력(예. "ㄲ = ㄱ+ㄱ")하기도 한다. 키보드에서도 도면4-34(b)에서의 로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On the double keyboard, light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ar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Shift and flat consonants (eg "ㄲ = Shift ^ ㄱ"). And grid sounds are arranged on a separate button (eg [ㅋ] button). By applying the modified Hangul combination logic, hard consonants are input (eg "ㄲ = ㄱ + ㄱ")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twice. The logic in Fig. 4-34(b) can also be applied to the keyboard.

그러나 격자음의 경우는 별도의 버튼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평자음버튼 3번 눌러짐을 격자음으로 처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2벌식 키보드에서 [Shift]버튼과 평자음버튼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경자음의 입력에만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제시한 "3+타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평자음버튼(예. [ㄱ]버튼) 3번 눌러짐을 경자음(예. "ㄲ")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평자음버튼이 2번 눌러졌을 때 "ㄱㄱ" 또는 임시적인 "ㄲ"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임시적인 "ㄲ" 다음에 모음이 입력되면 종성자음 "ㄱ"과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 "ㄱ"으로 되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가" 다음에 [ㄱ]버튼이 한번 눌러지면 "각"이 되고, 한번 더 눌러지면 "

Figure pat00589
"이 되고, 한번 더 눌러지면 역시 동일하게 "
Figure pat00590
"이 된다. 한번 더 눌러지면 "
Figure pat00591
ㄱ"이 될 수 있다. [ㄱ]버튼이 2번 눌러졌을 때의 "
Figure pat00592
" 다음에 모음(예. "ㅣ")이 입력되면 "
Figure pat00593
기"가 된다. [ㄱ]버튼이 3번 눌러졌을 때의 "
Figure pat00594
" 다음에 모음(예. "ㅣ")이 입력되면 "가끼"가 된다. However, since the lattice sound is separated as a separate button,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3 times may not be treated as a lattice sound. Therefore, the "3+ other input method" proposed by the applicant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an be applied only to the input of hard consonants input by the combination of the [Shift] button and the flat consonant button on the double-beol keyboard. That is,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eg, [a] button) three times is processed as a hard consonant (eg, "ㄲ"). Here, when the flat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wice, it can be processed as "ㄱㄱ" or a temporary "ㄲ". As described above, when a vowel is input after the temporary "ㄲ", the final consonant "a" and the initial consonant "a" of the next letter are entered. For example, if the [A] button is pressed once after "A", it becomes "Gak", and if it is pressed once more, "
Figure pat00589
", and when pressed once more, the same as "
Figure pat00590
". When pressed once more, "
Figure pat00591
It can be "a".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twice, "
Figure pat00592
If a vowel (e.g. "ㅣ") is entered after the "
Figure pat00593
When the [a] button is pressed 3 times, the "
Figure pat00594
If a vowel (eg "ㅣ") is entered after ", it becomes "Kaki".

상기 사례는 도면4-34(b)의 설명에서와 같이 "ㄱ" 다음에 "ㄲ"이 나오는 경우 등은 모호성이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빈도표상에서 이러한 경우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미미하다. 현대 한국어의 입력만을 고려한다면, 평자음버튼의 3번 눌러짐이 절대적인 경자음(쌍자음)으로 인식되므로, [ㄱ]버튼 한번 더 눌러짐(즉, 총 4번 눌러짐)은 "경자음+평자음"으로 되는 것(예. "ㄲㄱ")이 현대 한국어 입력에 자연스럽다. 만약 "ㄱ"버튼이 5번 눌러지면 "ㄲㄲ" 이 된다. 두번째 "ㄲ"은 "ㄱ"의 2번 눌러짐으로 입력되었으나 초성자음이므로 "ㄱㄱ"으로 나누어질 수 없으므로 굳이 "ㄱ"의 3번 입력으로 "ㄲ"을 처리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사용의 일관성을 위해 한번 더 눌러짐(즉 "ㄱ" 6번 눌러짐)을 "ㄲㄲ"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거나, "ㄲㄲ"에서 한번 더 눌러짐을 도면 4-34(b)에서의 경자음 다음의 글자(예. "ㅱ", "ㅸ", "ㆁ", ... 등. 이하에서 "쌍자음다음글자"로 부름)의 입력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자음버튼의 3번 눌러짐을 경자음으로 처리하는 것까지만 적용한다면, [ㅂ]버튼 4번 눌러짐을 순경음비읍 "ㅸ"으로 할 수 있다. 도면4-34(b)를 참고한다. [ㅇ]버튼 4번 눌러짐을 옛이응 "ㆁ"으로 할 수 있다. 만약 평자음버튼 4번 눌러짐을 "경자음+평자음"으로 하는 것까지만 적용한다면, [ㅇ]버튼 5번 눌러짐을 옛이응 "ㆁ"으로, [ㅂ]버튼 5번 눌러짐을 "ㅸ"으로 할 수 있다. 만약 평자음버튼 5번눌러짐을 "경자음+경자음"으로 하는 것까지만 적용한다면, 6번 눌러짐으로 "쌍자음다음글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평자음버튼 6번 눌러짐을 "경자음+경자음"으로하는 것 까지 적용한다면, 7번 눌러짐으로 "쌍자음다음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에서는 경장음(쌍자음)을 "Shift^평자음" 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평자음버튼 3번 눌러짐을 상기 "쌍자음다음글자"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ㅇ]버튼 3번 눌러짐을 옛이응 "ㆁ" 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As in the description of Fig. 4-34(b), in the case of "a" followed by "ㄲ", there is ambiguity. However, on the frequency of use table, this case is negligible. Considering only modern Korean input,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3 times is recognized as an absolute hard consonant (double consonant), so pressing the [a] button once more (i.e., pressing a total of 4 times) means "hard consonant + It is natural for modern Korean input to be "pyeong consonant" (eg "ㄲㄱ"). If the "a" button is pressed 5 times, it becomes "ㄲㄲ". The second "ㄲ" was input by pressing "ㄱ" twice, but since it is an initial consonant, it cannot be divided into "ㄱㄱ", so there is no need to process "ㄲ" with the third input of "ㄱ". However, for consistency of use, pressing one more time (ie, pressing "a" 6 times) may be treated as "ㄲㄲ". In any case, pressing one more time in "ㄲㄲ" means that the letter following the light consonant in Figure 4-34 (b) (eg "ㅱ", "ㅸ", "ㆁ", ..., etc. It can be used for the input of "the letter following the consonant"). For example, if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three times is applied only to processing it as a light consonant sound, pressing the [ㅅ] button four times can be made into a light consonant sound "ㅸ". Refer to Fig. 4-34 (b). Pressing the [ㅇ] button 4 times can be changed to "ㆁ". If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4 times only applies to "light consonant + flat consonant", pressing the [ㅇ] button 5 times can be changed to "ㆁ" and pressing the [ㄴ] button 5 times to "ㅸ" have. If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5 times applies only to "hard consonant + hard consonant", you can enter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 by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6 times, and presses the flat consonant button 6 times to "hard consonant + light consonant" If you apply to "light consonants", you can enter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s" by pressing 7 times. On the keyboard, since a light long consonant (double consonant) can be input as "Shift ^ flat consonant", pressing the flat consonant button 3 times can be processed as the input of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 For example, pressing the [ㅇ] button three times is treated as "ㆁ".

도면4-34(b)에서 예시된 "쌍자음다음글자"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순경음비읍 "ㅸ"은 "ㅂ"과 "ㅇ"의 조합으로도 입력될 수 있으므로, 도면4-34(b)의 "쌍자음다음글자" 에서 빠질 수도 있다. 여린ㅎ "ㆆ = Shift^ㅎ"으로도 입력될 수 있으므로, 역시 "쌍자음다음글자"에서 빠질 수도 있다. 도면4-34(b)에서의 "쌍자음다음글자"의 순서(예. "

Figure pat00595
", "
Figure pat00596
", ... "
Figure pat00597
", "
Figure pat00598
", ...) 역시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일 뿐이므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키보드에서 "3+타 입력방법"을 적용시 평자음버튼 3번 눌러짐 또는 3번 이상 눌러짐에 의하여 "쌍자음다음글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letter following a double consonant" illustrated in Fig. 4-34 (b)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absolute. As described above, since "ㅸ" can be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ㅅ" and "ㅇ", it may be omitted from "letter following double consonants" in Fig. 4-34(b). Since it can also be entered as a soft heh "ㆆ = Shift ^ heh", it may also be omitted from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 The order of "letter after double consonant" in Figure 4-34 (b) (eg "
Figure pat00595
", "
Figure pat00596
", ... "
Figure pat00597
", "
Figure pat00598
", ...) is also not absolute and is only an example, so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modified appropriately. Summarizing the above, when applying the "3 + other input method" on the keyboard, press the flat consonant button 3 times By loading or pressing three or more times,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 is entered.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y = xㅡㅡ" 또는 "z = xㅣㅣ" 로 입력하는 기술을 소개하였다. 격자음과 경자음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되었는데, 26개 이상의 버튼을 가지는 키보드에서는 격자음버튼이 별도로 있고, 경자음은 "Shift^평자음"으로 입력되므로, 상기의 기술을 다른 알파벳의 입력에 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한 "쌍자음다음글자" 의 입력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순경음비읍 "ㅸ = ㅂㅡㅡ"로, 여린ㅎ "ㆆ = ㅇㅡㅡ"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단 여기서 "

Figure pat00599
", "
Figure pat00600
", "
Figure pat00601
", "
Figure pat00602
", "
Figure pat00603
", "
Figure pat00604
", ... 와 같이 자음 다음에 "ㅡ" 또는 "ㅣ"가 연속 2번 나오는 모음을 [ㅡ]버튼 2번 누름 또는 [ㅣ]버튼 2번 누름으로 처리한다면, 상기 "쌍자음다음글자"의 입력을 위해서는 [ㅡ]버튼 3번 눌러짐 또는 [ㅣ]버튼 3번 눌러짐이 적용되어야 한다. 즉, "ㅇ" 다음에 "ㅡ"는 "으"로 되고 한번 "ㅡ"가 입력되면 "
Figure pat00605
"가 되고, 한번 더 "ㅡ"가 입력되면 여린ㅎ "ㆆ"이 되는 것이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the technology of inputting "y = xㅡㅡ" or "z = xㅣㅣ" was introduced. Grid consonants and hard consonants were input in the same way as above, but on a keyboard with more than 26 buttons, there is a separate grid sound button, and hard consonants are input as "Shift ^ flat consonants", so the above technique can be used to input other alphabets. can be applied to That is, it can be used for the input of the above-mentioned "letter following a double consonant". For example, it can be done with "ㅸ = ㄴㅡㅡ" in Sungyeongeumbieup, and "ㆆ = ㅇㅡㅡ" in a soft ha. but here "
Figure pat00599
", "
Figure pat00600
", "
Figure pat00601
", "
Figure pat00602
", "
Figure pat00603
", "
Figure pat00604
If you process a vowel in which "ㅡ" or "ㅣ" occurs twice consecutively after a consonant, such as ", ..., by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or the [ㅣ] button twice,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 For the input of, pressing the [ㅡ] button three times or pressing the [ㅣ] button three times must be applied.
Figure pat00605
", and if "ㅡ" is entered once more, it becomes a soft "ㆆ".

또 다른 방법으로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

Figure pat00606
", "
Figure pat00607
", "
Figure pat00608
", "
Figure pat00609
", "
Figure pat00610
", "
Figure pat00611
", ... 앞에 오는 초성자음을 입력시 초성자음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여(예. 길게 누름에 의하여 초성자음 입력)입력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In another way, as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
Figure pat00606
", "
Figure pat00607
", "
Figure pat00608
", "
Figure pat00609
", "
Figure pat00610
", "
Figure pat00611
When inputting the initial consonant that precedes ", ..., a method of inputting the initial consonant by clarifying that it is the initial consonant (eg, inputting the initial consonant by long pressing) has bee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ift^ㅡ" 또는 "Shift^ㅣ"를 이용하는 기술을 추가로 제시한다. 2가지로 응용될 수 있는데, 1번째로 "

Figure pat00612
", "
Figure pat00613
", "
Figure pat00614
", "
Figure pat00615
", "
Figure pat00616
", "
Figure pat00617
", ... 등에 포함되어 있는 "
Figure pat00618
" 또는 "
Figure pat00619
" 입력시 "Shift^ㅡ" 또는 "Shift^ㅣ"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적용하면 "
Figure pat00620
", "
Figure pat00621
", "
Figure pat00622
", "
Figure pat00623
", "
Figure pat00624
", "
Figure pat00625
", ... 앞에 오는 초성자음 입력시 길게누름 등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하면, "y = xㅡㅡ" 또는 "z = xㅣㅣ" 로 원하는 모든 글자(예. "쌍자음다음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2번째로 "y = xㅡㅡ" 또는 "z = xㅣㅣ" 에서 "ㅡㅡ" 및 "ㅣㅣ"를 각각 "Shift^ㅡ" 및 "Shift^ㅣ"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즉 "y = x+Shift^ㅡ" 또는 "z = x+Shift^ㅣ" 로 하는 것이다. 역시 모호성없이 "쌍자음다음글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도면4-34(a)에서 이를 적용한 사례를 보이면, 반치음 "ㅿ = ㅅ+ Shift^ㅡ" 로, "
Figure pat00626
= ㅿ + Shift^ㅡ = ㅅ+ Shift^ㅡ + Shift^ㅡ" 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Shift^ㅡ" 를 2번 누르는 것은 [Shift]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ㅡ]버튼을 2번 누르는 동작도 동일한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즉, "Shift^ㅡ + Shift^ㅡ"는 "Shift^ㅡ+ㅡ"로도 표현될 수 있다. A technique using "Shift^ㅡ" or "Shift^ㅣ" is additionally presented. It can be applied in two ways, the first is "
Figure pat00612
", "
Figure pat00613
", "
Figure pat00614
", "
Figure pat00615
", "
Figure pat00616
", "
Figure pat00617
contained in ", ..., etc."
Figure pat00618
" or "
Figure pat00619
" When inputting, "Shift^ㅡ" or "Shift^ㅣ" can be used. Applying this "
Figure pat00620
", "
Figure pat00621
", "
Figure pat00622
", "
Figure pat00623
", "
Figure pat00624
", "
Figure pat00625
You do not need to press and hold when entering the initial consonant before ", .... In this way, you can type all the letters you want with "y = xㅡㅡ" or "z = xㅣㅣ" (e.g.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 "). Second, in "y = xㅡㅡ" or "z = xㅣㅣ", "ㅡㅡ" and "ㅣㅣ" are replaced with "Shift^ㅡ" and "Shift^ㅣ" respectively. It is input using. That is, "y = x + Shift ^ ㅡ" or "z = x + Shift ^ I".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 without ambiguity. Figure 4-34 If you show an example of applying this in (a), with a half tone "ㅿ = ㅅ + Shift^ㅡ", "
Figure pat00626
= ㅿ + Shift^ㅡ = ㅅ+ Shift^ㅡ + Shift^ㅡ". Pressing "Shift^ㅡ" twice above means pressing the [ㅡ] button 2 times while holding down the [Shift] button.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at the operation of pressing once is the same, that is, "Shift^ㅡ + Shift^ㅡ" can also be expressed as "Shift^ㅡ+ㅡ".

상기에서 [ㅡ]버튼 2번 누름을 이용(예. "y = xㅡㅡ")하는 기술에서 [ㅡ]버튼 2번 누름을 "Shift^ㅡ"로 처리하는 것을 보였다. 더 나아가 키보드에서는 [ㅡ]버튼 [ㅣ]버튼이 아닌 다른 모음버튼(예. [ㅑ]버튼, [ㅕ]버튼, [ㅛ]버튼, ...)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y = x+모음버튼2번누름"에 "ㅡ" 또는 "ㅣ"가 아닌 다른 모음버튼이 응용될 수 있다. 동일한 모음이 2번 연속나오지 않는 모음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모음 "ㅏ", "ㅓ", "ㅗ", "ㅜ" 의 2번 누름으로 대응되는 "ㅑ", "ㅕ", "ㅛ", "ㅠ"를 각각입력하는 2벌식 오토마타는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한글 고어모음의 입력에 "ㅜ"가2번 나오는 모음이 있고, "ㅗ"가 2번 나오는 모음이 있다. "ㅏ", "ㅓ", "ㅗ", "ㅜ" 중 동일모음의 2번 눌러짐으로 다른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ㅏ", "ㅓ", "ㅗ", "ㅜ" 모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ㅏ", "ㅓ", "ㅗ", "ㅜ" 중 동일모음의 연속눌러짐으로 다른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라하더라도, 상기 "ㅡ", "ㅣ"를 이용하는 경우에 제시한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Above, it was shown that pressing the [ㅡ] button twice is treated as "Shift^ㅡ" in a technique using two presses of the [ㅡ] button (eg, "y = xㅡㅡ"). Furthermore, since the keyboard has additional vowel buttons (e.g., [ㅑ] button, [ㅕ] button, [ㅛ] button, ...) other than the [ㅡ] button and the [ㅣ] button, "y = x+ A vowel button other than "ㅡ" or "ㅣ" may be applied to "Press the vowel button twice". It is preferable that a vowel in which the same vowel does not appear twice in a row is applied. Currently, the two-beol-type automata that inputs "ㅑ", "ㅕ", "ㅛ", and "ㅠ" corresponding to two presses of the vowels "아", "sh", "ㅗ", and "TT" is used in some have. In addition, there is a vowel in which "TT" appears twice and a vowel in which "ㅗ" appears twice in the input of Korean vowels. If you do not apply that another vowel is input by pressing the same vowel twice among "a", "sh", "ㅗ", and "TT", the vowels "a", "sh", "ㅗ", and "TT" It is also possible to use Even if another vowel is input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same vowel among "a", "sh", "ㅗ", and "TT", the method presented in the case of using "ㅡ" and "ㅣ" is the same. can be applied

2벌식 키보드에 배열되는 모음중 "ㅣ" 계열의 "ㅑ", "ㅕ"는 한글 고어 모음까지 포함하여(도면4-33(*)의 유니코드 v6.0 참조) 동일한 모음이 연속하여 2번 나오지 않는다. 또한 "ㅡ"계열의 "ㅛ", "ㅠ" 역시 동일한 모음이 연속하여 2번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y = xㅛㅛ", "z = xㅑ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ㅛㅛ" 대신 "ㅠㅠ"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ㅑㅑ" 대신 "ㅕㅕ"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2번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모음버튼의 2번 연속눌러짐의 조합을 이용하면, 상기 "ㅡ", "ㅣ"의 사례에서와 같이 길게누름 또는 [Shift]버튼의 사용을 하지 않고도 원하는 모든 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반치음 "ㅿ = ㅅ+ㅛㅛ"로, "

Figure pat00627
= ㅿ+ㅛㅛ = ㅅ+ㅛㅛㅛㅛ"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ㅆ"을 "ㅅ+ㅑㅑ"로 하지 않고 "Shift^ㅅ" 또는 [ㅆ]버튼 한번 눌러짐으로만 한다면, "
Figure pat00628
= ㅅ+ㅑㅑ" 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4-34(*)의 나머지 글자(예. "쌍자음다음글자")에 대해서도 같다. Among the vowels arranged on the double keyboard, "ㅑ" and "ㅕ" of the "ㅣ" series include Korean old vowels (see Unicode v6.0 in Figure 4-33(*)), and the same vowels are used twice in succession. doesn't come out In addition, "ㅛ" and "ㅠ" in the "ㅡ" series also do not appear twice in a row. Therefore, "y = xㅛㅛ", "z = xㅑㅑ", etc.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apply "ㅠ" instead of the above "ㅛㅛ", an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ㅕㅕ" instead of "ㅑㅑ". By using the combination of two consecutive pressings of the vowel button that does not appear twice in this way, as in the case of "ㅡ" and "ㅣ" above, all desired letters can be written without long pressing or using the [Shift] button. be able to input. For example, with the half-tone "ㅿ = ㅅ + ㅛㅛ", "
Figure pat00627
= ㅿ+ㅛㅛ = ㅅ+ㅛㅛㅛㅛ". Likewise, if you do not change "ㅆ" to "ㅅ+ㅑㅑ" and only press "Shift^ㅅ" or the [ㅆ] button once, "
Figure pat00628
= ㅅ + ㅑㅑ". The same is true for the remaining letters (eg, "the letter following the double consonant") in Figure 4-34 (*).

34. 스크린 자판상에서의 회귀드래그를 이용한 연속된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음절 입력방법 34. Korean syllable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 using regression drag on the screen keyboard

본 발명은 출원인의 연속된 드래드에 의하여 한국어를 입력하는 기술(본 명세서의 제27장)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2008년 제26장의 발명을 소개한 이후로 무려 약 6년만의 성과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rther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input technique (Chapter 27 of this specification) by the applicant's continuous drag. This is the first achievement in about six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invention in Chapter 26 in 2008.

먼제 제27장에서는 초성, 중성, 종성을 끊어지지 않는 연속된 드래그로 입력하는 것을 보였다. 예를들어, 도면15-7, 도면15-8과 같이 드래그하여 "고"를 입력하고, 도면15-9와 같이 드래그하여 "곤"을 입력하는 것이다. 제27장에서의 드래그를 편의상 "순차성드래그" 또는 "순차드래그"라 부르기로 한다. In Chapter 27, it was shown that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onsonants were input with continuous dragging. For example, input "go" by dragging as shown in Figs. 15-7 and 15-8, and input "gon" by dragging as shown in Fig. 15-9. The drag in Chapter 27 is called "sequential drag" or "sequential drag" for convenience.

도면15-13에서는 특별한 경우에 평자음버튼(예. "ㄱ")에 연관된 격자음(예. "ㅋ")과 쌍자음(예. "ㄲ")을 초성자음으로 하여 연속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드"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드"를 입력하기 위하여 "ㄷ → ㄴ → ... → ㅡ" 로 자연스럽게 드래그할 수도 있는데, 도면15-13이 적용되면 시스템에서는 "트"를 입력한 것으로 잘못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제27장에서는 연속된 드래그로 버튼에 표시되지 않은 자음(예. 격자음, 쌍자음)을 종성자음으로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도면15-14, 도면15-15, 도면15-16에서는 하나의 버튼에 2개의 자음이 연관되어 있을 때, 2번째 연관된 자음을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한번의 드래그로 버튼에 표시되지 않았거나 버튼에 표시되었더라도 2번째 또는 그 이상으로 연관된 자음(예. "ㅋ", "ㄲ", ...)까지도 모두 오류없이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In drawings 15-13, in a special case, the lattice sound (eg "ㅋ") and the pair consonant (eg "ㄲ") related to the flat consonant button (eg "a") are input by continuous dragging as the initial consonant. showed that it could However, in the process of inputting "de", the user can naturally drag "c → b → ... → ㅡ" to input "de", but when drawing 15-13 is applied, the system inputs "de" It may be treated incorrectly. In addition, in Chapter 27,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consonants not displayed on the button (eg grid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could not be input with one drag as the final consonant by continuous dragging. Similarly, in FIGS. 15-14, 15-15, and 15-16, when two consonants are related to one button, a method for inputting the second related consonant by dragging is no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not displayed on the button or displayed on the button with one drag, even the second or more related consonants (eg "ㅋ", "ㄲ", ...) can be input without errors. present.

이하의 기술은 출원인의 안드로이드용 문자입력기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구현됨으로써 검증되어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http://www.simplecode.net 및 구글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마켓)을 통하여 공개될 예정이다. The following technology has been verified by being partially implemented through the applicant's text input device for Android, and will be released through http://www.simplecode.net and the Google Play Store (Android Market) at an appropriate time.

34.1 관련 개념 및 용어의 정리34.1 Summary of related concepts and terms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편리를 위해 발명자가 정의한 드래그 관련 핵심 용어 몇가지와 그 개념을 간단히 정리한다. For conveni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some key terms related to drag defined by the inventors and their concepts will be briefly summarized.

도면19-1은 출원인 제품의 공식 홈페이지 http://www.simplecode.net 및 구글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마켓)에 공개되어 있는 제품의 자판 이미지이다. 도면19-1에서 [0]버튼의 "ㆍ"은 본 발명의 선출원에서 제시되었듯이 "ㅏ" 또는 다른 형태(예. 도면15-*에 표시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Figure 19-1 is a keyboard image of a product published on the official website http://www.simplecode.net and the Google Play Store (Android Market) of the applicant's product. In Fig. 19-1, "ㆍ" of the [0] button may be displayed as "A" or other forms (eg, the form shown in Fig. 15-*)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same.

도면 19-1에서와 같이 [ㅁ]버튼(즉, [5]버튼)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드래그했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드래그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우측으로 드래그가 진행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는 드래그, 상측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 하측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가 가능하다. 이렇게 다른 버튼을 진행했다가 다시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오는 드래그를 "회귀성드래그" 또는 더 간단히 "회귀드래그" 라고 부르기로 한다. 좌측으로 진행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는 편의상 "좌향회귀드래그"라고 부르고 나머지 경우도 각각 "우향회귀드래그", "상향회귀드래그", "하향회귀드래그" 라는 식으로 부르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19-1, it is possible to drag to the left based on the [ㅁ] button (ie, the [5] button) and the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Likewise, it is possible to drag to the right and the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o drag to the top and then return, and to drag to the bottom and the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is way, a drag that proceeds with another button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ill be called a "regressive drag" or more simply a "regressive drag". A drag that proceeds to the left and returns again is called a "leftward regression drag" for convenience, and the remaining cases are called "rightward regression drag", "upward regression drag", and "downward regression drag", respectively.

좌향회귀드래그는 [ㅁ → ㄹ → ㅁ] 와 같이 드래그되었으며, 우향회귀드래그는 [ㅁ → ㅂ → ㅁ] 으로 드래그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좌향회귀드래그 및 우향회귀드래그는 수평방향으로 진행되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이므로, 양자를 합하여 "수평회귀드래그"라고 부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향회귀드래그 및 하향회귀드래그는 수직방향으로 진행되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이므로, 양자를 "수직회귀드래그"라고 부를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leftward regression drag was dragged as [ㅁ → ㄹ → ㅁ], and the rightward regression drag was dragged as [ㅁ → ㄴ → ㅁ]. Since the leftward and rightward regression drags are drags that proce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return again, they can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horizontal regression drags". Similarly, since the up-regression drag and the down-regression drag are drags that proce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return again, both can be called "vertical recursion drags".

또한 도면19-2와 같은 좌향회귀드래그도 있을 수 있다. 도면19-3에서는 하나의 버튼 내에서 좌측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온 경우이다. 이는 일정거리 이상을 진행했다가 소정의 각도로 "꺾임"을 탐지하여 다시 소정의 거리를 진행한 것을 탐지하는 식으로, 같은 버튼내에서의 회귀드래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용자입장에서 과연 드래그로 인식될 수 있는 임계거리 만큼 드래그 된 것인지 알기 어렵고 오류의 가능성이 많은 단점이 있다. 반면에 도면19-1과 같이 드래그가 시작된 버튼(예. [ㅁ]버튼)에서 인접한 버튼으로 넘어갔다가 다시 원래의 버튼으로 돌아오는 것은 사용자가 격자형으로 구획된 인접버튼으로의 드래그 궤적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오류의 가능성이 대폭 줄어들게 되는 좋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may be a leftward regression drag as shown in Fig. 19-2. In Figure 19-3, it is a case of dragging to the left within one button and t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regression drag within the same button by detecting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fter progressing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then detecting that the predetermined distance has proceeded again.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know whether the drag has been dragged by a critical distance that can be recognized as a drag,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rror.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9-1, moving from the button where the drag started (eg the [ㅁ] button) to the adjacent button and t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button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drag trajectory to the adjacent button partitioned in a grid pattern. Since it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there is a good effect that the possibility of error by the user is greatly reduced.

도면19-2와 같이 같은 버튼내에서 이루어지는 회귀드래그를 편의상 "버튼내 회귀드래그" 라고 부르고, 도면19-1과 같이 주변버튼으로 진행했다가 다시 원래의 버튼으로 돌아오는 회귀드래그를 편의상 "버튼외 회귀드래그"라고 부르기로 한다. 현실적으로 터치스크린 단말기상의 자판이 그리 크지 않으며 버튼 역시 매우 작은 것이 현실이고, 상기에서와 같이 버튼외 회귀드래그가 더 좋은 성질이 있으므로, 이하에서 회귀드래그는 버튼외 회귀드래그로 설명한다. 이렇게 버튼외 회귀드래그의 좋은 성질을 바탕으로 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한가지 이다. As shown in Fig. 19-2, the regression drag performed within the same button is called "regression drag within the button" for convenience, and the regression drag that proceeds to the surrounding button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button as shown in Fig. 19-1 is referred to as "regression drag outside the button" for convenience. Let's call it "regression drag". In reality, the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terminal is not very large and the buttons are also very small, and since the regression drag other than the button has better properties as described above, the regression drag will be described as a regression drag other than the button. It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t is based on the good properties of the non-button regression drag.

도면 19-3은 인접버튼을 넘어 드래그가 진행되었다가 다시 드래그가 시작된 버튼으로 되돌아오는 회귀드래그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19-3의 우향회귀드래그의 궤적을 보면, [ㅁ → ㅂ → Qwerty → ㅂ → ㅁ] 으로 드래그 된 것을 알 수 있다. 편의상 도면19-3에서와 같이 인접버튼을 하나 더 넘어 드래그되었다 최초 드래그를 시작한 원래의 버튼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2단 회귀드래그" 라고 부르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도면19-1은 "1단 회귀드래그" 라고 부를 수 있으며, 도면19-2는 "0단 회귀드래그"라고 부를 수 있다. 즉, 버튼외 회귀드래그는 1단 이상(예. 1단, 2단, 3단, ...)의 회귀드래그이다. Fig. 19-3 shows an example of a regression drag in which the drag proceeds beyond an adjacent button and then returns to the button where the drag started. Looking at the trajectory of the rightward regression drag in Figure 19-3, it can be seen that it was dragged [ㅁ → ㄴ → Qwerty → ㄴ → ㅁ]. For convenience, as shown in Fig. 19-3, dragging beyond one more adjacent button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button where the initial drag started is called "two-stage regression drag". Likewise, Fig. 19-1 can be called a "step 1 regression drag", and Fig. 19-2 can be called a "step 0 regression drag". That is, non-button regression drags are regression drags with more than one stage (eg, stage 1, stage 2, stage 3, ...).

도면19-4의 드래그 궤적을 보면, [ㅁ → ㄹ → ㅅ → ㅇ → ㅁ] 으로 드래그되었다. 최초 좌측으로 드래그되었고, 인접한 버튼인 [ㄹ]버튼에서 다시 최초의 버튼으로 돌아온 것이 아니고, 다른 버튼을 거쳐서 최초 드래그 시작버튼인 [ㅁ]버튼으로 돌아온 것이다. 이 역시 2단 회귀드래그의 한가지 형태로 볼 수 있다. 실제로 도면19-3에서 4번([ㅁ → ㅂ → Qwerty → ㅂ → ㅁ]) 만에 원래의 버튼으로 되돌아 왔는데, 도면19-4에서도 4번([ㅁ → ㄹ → ㅅ → ㅇ → ㅁ])만에 원래의 버튼으로 되돌아 온 것을 알 수 있다. 도면19-4 드래그의 방향을 붙인다면 "2단 좌향회귀드래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면19-3의 좌향회귀드래그와 도면19-4의 좌향회귀드래그는 드래그의 패턴이 다르므로, 각각 다른 입력대상이 식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Looking at the drag trajectory of Figure 19-4, it was dragged [ㅁ → ㄹ → ㅅ → ㅇ → ㅁ]. It was initially dragged to the left, and it did not return to the first button from the adjacent button [L] button, but returned to the first drag start button [ㅁ] button through another button. This can also be seen as a form of two-stage regression drag. Actually, I returned to the original button in 4 times ([ㅁ → ㄴ → Qwerty → ㅇ → ㅁ]) in drawing 19-3, but 4 times in drawing 19-4 ([ㅁ → ㄹ → ㅅ → ㅇ → ㅁ]) You can see that it returns to the original button after a while. Fig. 19-4 If the direction of the drag is attached, it can be called "two-stage leftward regression drag". Of course, since the drag pattern of the leftward regression drag in Fig. 19-3 and the leftward regression drag in Fig. 19-4 are different, different input targets may be identified.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으나 1단 회귀드래그가 연속하여 2번 일어난 것도 일종의 2단 회귀드래그로 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튼궤적이 [ㄱ → ㄴ → ㄱ → ㄴ → ㄱ] 의 경우는 1단 우향회귀드래그가 연속하여 2번 일어났다. 만약 [ㄱ → ㄴ → ㄱ → ㄹ → ㄱ] 의 버튼궤적은 우향회귀드래그가 1번 있고 연속하여 하향회귀드래그가 한번 더 일어난 경우이다. 이 역시 1단 회귀드래그가 연속하여 2번 일어난 것이다. 1단 회귀드래그가 연속하여 2번 일어난 형태의 2단 회귀드래그 역시 도면19-3, 도면19-4 와는 패턴이 다르므로, 다른 입력대상이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exemplified in the drawing, even if the first-stage regression drag occurs twice in succession, it can also be regarded as a kind of two-stage regression drag.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button trajectory is [a → b → a → b → a], one-stage rightward regression drag occurred twice in succession. If the button trajectory of [a → b → a → d → a] is a case where there is one rightward regressive drag and one more consecutive downward regressive drag. This is also the case where the first stage regression drag occurred twice in succession. Since the 2-stage regression drag, in which the 1-stage regression drag occurs twice in succession, also has a different pattern from those in Figs. 19-3 and 19-4, other input objects can be identified.

마찬가지로 사선방향의 회귀드래그도 생각할 수 있는데, 좌상방향(또는 상좌방향)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를 좌상향회귀드래그(또는 상좌향회귀드래그), 우상방향(또는 상우방항)으로 진행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를 우상향회귀드래그(또는 상우향회귀드래그), 좌하방향(또는 하좌방향)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를 좌하향회귀드래그(또는 하좌향회귀드래그), 우하방향(또는 하우방향)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돌아오는 드래그를 우하향회귀드래그(또는 하우향회귀드래그)라고 라고 각각 부르기로 한다. 도면19-5을 참고하며, 편의상 도면19-5의 4가지 형태의 사선방향 회귀드래그를 통틀어 "사선회귀드래그" 라고 부르기로 한다. Similarly, diagonal regression dragging can also be considered. Dragging that was dragged in the upper left direction (or upper left direction) and then returned was performed in the upper left regression drag (or upper left regression drag) or upper right direction (or upper right direction). A drag that returns again is an upward regression drag (or an upright regression drag), a drag that has been dragged in a left-down direction (or a downward-left direction) and a return drag is a downward-left regression drag (or a downward-leftward regression drag), a right-down direction (or a downward-left direction) A drag that is dragged in a direction) and then returns is called a downward-right regressive drag (or a downward-regressive drag),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19-5, for convenience, the four types of oblique regression drags in Fig. 19-5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blique regression drags".

도면19-5에서 좌하향회귀드래그의 버튼궤적을 보면, [ㅁ → ㄹ → ㅅ → ㅇ → ㅁ] 으로 드래그된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ㅁ → ㅇ → ㅅ → ㄹ → ㅁ] 역시 좌하향회귀드래그(정확히는 하좌향회귀드래그)임을 알 수 있다. 도면19-4 역시 [ㅁ → ㄹ → ㅅ → ㅇ → ㅁ] 으로 드래그되었다. 즉 버튼궤적만 비교하면 도면19-4의 드래그를 좌하향회귀드래그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19-4의 드래그와 도면19-5의 [ㅁ → ㄹ → ㅅ → ㅇ → ㅁ] 으로 드래그를 버튼궤적만 비교하여 같은 패턴의 드래그로 간주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표현해야 할 입력대상(예. 알파벳)의 가짓수가 많다면, 도면19-4의 드래그와 도면19-5의 버튼궤적 [ㅁ → ㄹ → ㅅ → ㅇ → ㅁ] 드래그를 각기 다른 입력대상을 표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면19-5의 좌하향회귀드래그([ㅁ → ㄹ → ㅅ → ㅇ → ㅁ])와 도면19-4의 2단 좌향회귀드래그를 구별하는 방법은 버튼궤적뿐만 아니라 드래그의 "꺽임" 각도를 탐지함으로써 가능하다. 도면19-4에서는 약 90도 내외의 각도로 3번 꺾임이 발생한데 비하여, 도면19-5에서는 약 180도 내외의 각도로 1회 꺽임이 발생한 것을 탐지하면 되며, 프로그램으로 양자의 드래그 패턴을 구별해내는 것은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다. 결국 도면 19-5의 사선회귀드래그는 "꺾임" 각도까지 감안하여 "1단 사선회귀드래그"로 해석할 수도 있고, "꺽임" 각도는 감안하지 않고 버튼궤적만으로 판단하여 "2단 회귀드래그"로 해석할 수도 있다. Looking at the button trajectory of the downward-left recursion drag in Fig. 19-5, it can be seen that it was dragged [ㅁ → ㄹ → ㅅ → ㅇ → ㅁ]. Or [ㅁ → ㅇ → ㅅ → ㄹ → ㅁ] is also a downward-left regressive drag (exactly, a downward-left regressive drag). Drawing 19-4 was also dragged to [ㅁ → ㄹ → ㅅ → ㅇ → ㅁ]. That is, if only the button trajectory is compared, the drag of Fig. 19-4 can be viewed as a downward-left regressing drag. Therefore, the drag of FIG. 19-4 and the [ㅁ → ㄹ → ㅅ → ㅇ → ㅁ] drag of FIG. 19-5 can be applied by considering only the button trajectory as a drag of the same pattern. However, if the number of input objects (eg alphabets) to be expressed is large, the drag of Fig. 19-4 and the button trace [ㅁ → ㄹ → ㅅ → ㅇ → ㅁ] drag of Fig. 19-5 can be applied to different input targets can be used to express The method for distinguishing the downward-left regressive drag ([ㅁ → ㄹ → ㅅ → ㅇ → ㅁ]) of Fig. 19-5 and the two-stage left regressive drag of Fig. 19-4 detects the "bend" angle of the drag as well as the button trajectory It is possible by doing In Figure 19-4, three bends occur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whereas in Figure 19-5, it is sufficient to detect that one bend has occurred at an angle of about 180 degrees, and distinguish both drag patterns with the program It's not that difficult to do. In the end, the oblique regression drag in Figure 19-5 can be interpreted as a "one-stage oblique regression drag" by considering the "bending" angle, or it can be interpreted as a "two-stage regression drag" by judging only the button trajectory without considering the "bending" angle. can also be interpreted.

사선방향의 회귀드래그 역시 버튼내에서 이루어지는 버튼내 회귀드래그(즉, 0단 회귀드래그)가 있을 수 있고, 인접버튼(상하좌우 인접버튼 및 대각선 인접버튼)의 범위를 넘어 드래그되는 2단 회귀드래그가 있을 수 있다. 도면상의 표시는 생략한다. 현재 스마트폰 등에서 자판 및 버튼의 크기가 작은 것을 감안하면, 버튼내 회귀드래그(즉, 0단 회귀드래그)는 방향(예. 수평방향, 수직방향, 사선방향,...)에 상관없이 모두 같은 입력대상(예. 알파벳)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Regression drag in the diagonal direction can also be within-button regression drag (ie, 0-step regression drag) within a button, and two-step regression drag dragged beyond the range of adjacent buttons (top, bottom, left, right, and diagonally adjacent buttons). There may be. Marks on the drawings are omitted. Considering the small size of the keyboard and buttons in current smartphones, etc., the regression drag within the button (i.e., 0-step regression drag)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e.g., horizontal, vertical, diagonal, ...). It can be used to identify the input target (eg alphabet).

이상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핵심적인 개념을 본 발명자가 정의한 용어를 통하여 정리하였다. 이하에서는 특정 자음버튼(예. [ㄱ]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입력대상(예. "ㄲ", "ㅋ", 숫자, 기능...)을 상기 설명한 개념에 의하여 입력처리하는 것을 구체적인 자판을 기준으로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한번 설명한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이하의 모든 실시예의 키패드에서는 버튼과 버튼사이에 간격이 없이 조밀하게 버튼이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Above, the core concepts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ummarized through the terms defined by the present inventors. Hereinafter, a specific keyboard is used to process the input target (eg "ㄲ", "ㅋ", number, function...) associated with a specific consonant button (eg [a] button) according to the concept described above. An example is presented as a reference. It is obvious that what has been described once in the following embodiment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lso, in the keypads of all embodiments below, it is considered that the buttons are densely arranged with no gaps between the buttons.

34.2 회귀드래그를 이용한 연관 자음의 입력 실시예 (출원인의 자판)34.2 Example of inputting related consonants using regression drag (applicant's keyboard)

도면19-1을 기준으로 출원인이 제시한 입력규칙은 "ㅋ = ㄱㅡㅡ", "ㄲ = ㄱㅣㅣ" 또는 "ㄲ = ㄱㄱ", "ㅋ = ㄱㄱㄱ" 등이다. 결국 도면19-1에서 [ㄱ]버튼에는 버튼에 표시된 "ㄱ" 이외에도"ㄲ", "ㅋ"이 연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평자음버튼(예. [ㄷ]버튼)에도 각각 대응되는 격자음(예. "ㅌ")과 쌍자음(예. "ㄸ")이 연관되어 있다. 버튼에 표시된 "ㄱ"도 [ㄱ]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ㄱ"은 1번째로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으로 볼 수 있고, "ㄲ"과 "ㅋ"은 각각 후순위(예. 2번째, 3번째,...)로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으로 볼 수 있다. Based on Figure 19-1, the input rule suggested by the applicant is "ㅋ = ㅡㅡ", "ㄲ = ㄱㅣㅣ" or "ㄲ = ㄱㄱ", "ㅋ = ㄱㄱㄱ", etc. As a result, in Figure 19-1, it can be seen that "ㄲ" and "ㅋ" are associated with the [a] button in addition to "a" displayed on the button. Similarly, other flat consonant buttons (eg, [c] button) are associated with corresponding grid sounds (eg, "t") and double consonants (eg, "ㄸ"). Considering that the "a" displayed on the button is also related to the [a] button, "a" can be seen as the first related alphabet, and "ㄲ" and "ㅋ" are respectively subordinate (eg. It can be seen as an alphabet related to the third, ...).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회귀드래그(즉, 좌향회귀드래그 및 우향회귀드래그)를 통해 격자음을 입력하고, 수직회귀드래그(즉, 상향회귀드래그 및 하향회귀드래그)를 통해 쌍자음을 입력하는 사례를 보인다. 물론 한번의 회귀드래그로 특정 버튼(예. [ㄱ]버튼)에 연관된 자음(예 "ㄲ")이 인식되도록 하고, 끊어지지 않고 연이어진 또 한번의 회귀드래그(예. 1단 회귀드래그가 연속 2번 일어나는 형태의 2단 회귀드래그)로 다른 연관된 자음(예. "ㅋ")이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특정 버튼에 연관된 자음을 인식하는데 연거푸 2번의 회귀드래그를 실행하여야 하는 것보다는 1번의 회귀드래그로 필요한 대상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에 수직회귀드래그 및 수평회귀드래그에 대하여 각각의 입력대상이 인식되는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a lattice sound is input through a horizontal regression drag (ie, a leftward regression drag and a rightward regression drag) and a double consonant is input through a vertical regression drag (ie, an upward regression drag and a downward regression drag) is shown. . Of course, a consonant (eg "ㄲ") related to a specific button (eg, [a] button) is recognized with a single regression drag, and another continuous regression drag (eg, 1-stage regression drag is 2 consecutive).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other related consonants (eg "ㅋ") with a two-stage regression drag that occurs once. However, since it is easier to input the required object with one regression drag than to perform two regression drags in succession to recognize the consonants associated with a specific button, each input target for vertical regression drag and horizontal regression drag It is to present an example of this recognition.

격자음 입력에 수평회귀드래그를 주로 이용하고, 쌍자음 입력에 수직회귀드래그를 주로 이용하는 실시예를 보이는 것은 우리 한글의 격자음의 형태(예. "ㅋ", "ㅌ", "ㅍ", "ㅊ")가 수평방향에 관념적으로 부합하고, 쌍자음의 형태(예. "ㄲ", "ㄸ", "ㅃ", "ㅆ", "ㅉ")가 평자음이 좌우로 나란히 있는 모양이어서 수직방향에 관념적으로 부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드시 격자음에는 수평회귀드래그를 이용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쌍자음에는 반드시 수직회귀드래그를 이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격자음 입력에 수직회귀드래그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쌍자음 입력에 수평회귀드래그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회귀드래그 중에서 좌향회귀드래그 또는 우향회귀드래그 한가지만 적용할 수도 있으며, 수직회귀드래그 중에서 상향회귀드래그 또는 하향회귀드래그 한가지만 적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19-5의 사선회귀드래그(구체적으로는 4가지 패턴의 드래그를 의미하며,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1단 사선회귀드래그 또는 2단 회귀드래그)에 의하여 특정 버튼(예. [ㄱ]버튼)에 연관된 자음(예. "ㄲ", "ㅋ",...)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버튼외 회귀드래그(즉, 1단 또는 1단 이상의 회귀드래그)에 의하여 특정버튼에 연관된 자음을 인식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horizontal regression drag is mainly used for lattice sound input and vertical regression drag is mainly used for double consonant input is the shape of Korean lattice sounds (eg "ㅋ", "ℓ", "P", " ㅋ") ideally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hape of double consonants (e.g. "ㄲ", "ㄸ", "ㅃ", "ㅆ", "ㅃ") is vertical because the flat consonants are side by side. Because it ideologically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However,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use horizontal regression drag for lattice consonants, and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use vertical regression drag for double consonants. Conversely, vertical regression drag may be applied to lattice input, and horizontal regression drag may be applied to consonant input. Also, among the horizontal regression drags, only one of the leftward regression drag or the rightward regression drag can be applied, and among the vertical regression drags, only one of the upward regression drag and the downward regression drag can be applied. Similarly, a specific button (e.g. [a] button) by the oblique regression drag in Fig. 19-5 (specifically, it means four patterns of dragging, and depending on interpretation, one-stage oblique regression drag or two-stage regression drag) It is possible to recognize consonants related to (eg "ㄲ", "ㅋ", ...). What is important is that consonants associated with a specific button are recognized by a non-button regression drag (ie, one-step or more than one-step regression drag).

출원인의 선출원(제27장)에 의하면, 도면19-6의 [ㄱ → ㄴ → ㄱ → ㄹ → ㅅ → ㅡ → ㆍ → ㅇ → ㅁ → ㅂ] 드래그 결과는 "굽"이 입력된다. 드래그가 시작된 버튼인 [ㄱ]버튼은 유효한 입력으로 되고 그 이하 자음버튼은 무효화되고, 모음버튼인 [ㅡ]와 [ㆍ]은 유효한 버튼으로 인식되고, 마찬가지로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인 [ㅂ]버튼은 유효한 버튼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평회귀드래그로 격자음이 인식되는 것으로 하면 입력된 결과는 "쿱"이 된다. 만약 사용자가 "굽"을 입력할 의도였으면 [ㄱ]버튼에서 드래그를 시작하여 우측의 [ㄴ]버튼을 거쳐 다시 [ㄱ]버튼으로 돌아올 이유가 없고, 당연히 [ㄱ → ㄹ → ㅅ → ㅡ → ...] 와 같이 드래그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초성자음으로 "ㄱ" 만을 입력하고자 하였다면 [ㄱ]버튼에서 드래그를 시작하여 다시 [ㄱ]버튼으로 돌아오지 않고 다른 버튼을 거쳐 바로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버튼(예. [ㅡ]버튼)으로 드래그하였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드래그를 시작한 버튼으로 다시 되돌아온 것은 사용자가 그 회귀드래그(예. 수평회귀드래그)에 약속된 알파벳(예. "ㅋ")을 입력하기 위한 것임을 전혀 오류없이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19-6에서 우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격자음을 입력하는 것을 보였으나, 수평회귀드래그를 모두 격자음을 인식하는 것으로 한다면, [ㄱ → Mode → ㄱ → ㄹ → ㅅ → ㅡ → ㆍ → ㅇ → ㅁ → ㅂ] 의 드래그 역시 "쿱"이 인식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pplicant's earlier application (Chapter 27), the result of dragging [a → b → a → d → ㅅ → ㅡ → ㆍ → ㅇ → ㅁ → ㅇ in Figure 19-6 is "heel". The [a] button, which is the button where the drag started, becomes a valid input, and the consonant buttons below it are invalidated, and the vowel buttons [ㅡ] and [ㆍ] are recognized as valid buttons, and similarly,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 is finished [ㄴ] This is because the button is recognized as a valid button.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attice sound is recognized by horizontal regression drag, the input result is "Coop". If the user intended to enter "heel", there is no reason to start dragging from the [a] button, go through the [b] button on the right and return to the [a] button, and of course [a → ㄹ → ㅅ → ㅡ → . ..] because it would have been dragged. In other words, if the user wants to input only "a" as the initial consonant, start dragging from the [a] button and go back to the [a] button, and go through another button to enter the vowel button (e.g., [ㅡ] button). that it would have been dragged to . However, the return to the button that started the drag allows the user to clearly identify without any errors that the user inputs the promised alphabet (eg "ㅋ") to the regression drag (eg horizontal regression drag). In Fig. 19-6, it is shown that the lattice sound is input by rightward regression drag, but if all horizontal regression drags are recognized as lattice sounds, [a → Mode → a → ㄹ → ㅅ → ㅡ → ㆍ ㆍ → ㅇ → ㅁ → ㅅ] can also be made to recognize "coop".

도면19-6에서의 우향회귀드래그를 검출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드래그를 시작한 자음버튼은 유효한 것으로 인식하는데, 모음버튼 이전까지의 버튼궤적 [ㄱ → ㄴ → ㄱ → ㄹ → ㅅ → ...] 에서 드래그를 시작한 [ㄱ]버튼이 다시 출현(3번째 드래그된 "ㄱ")을 검출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2번째로 드래그된 버튼이 [ㄴ]버튼으로 드래그가 시작된 버튼인 [ㄱ]버튼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버튼궤적만으로 우향회귀드래그가 이루어진 것을 쉽게 탐지할 수 있다. 만약 "ㄱ → Mode → ㄱ → ㄹ → ㅅ → ..." 로 드래그되었다면, 2번째 드래그된 [Mode]버튼이 [ㄱ]버튼의 좌측에 위치하였으므로 좌향회귀드래그를 탐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tecting the right-handed drag in Fig. 19-6 is very simple. The consonant button that started dragging is recognized as valid, but the [a] button that started dragging reappears (the third dragged " It is possible to detect a"). Since the second dragged button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a] button, which is the button where the drag was started with the [b] button, it is easy to detect that a rightward regression drag was performed only with the button trajectory. If dragged as "a → Mode → a → ㄹ → ㅅ → ...", the second dragged [Mode] button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a] button, so a leftward regressive drag can be detected.

다음으로 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쌍자음을 인식하는 것을 보인다. 도면19-7의 드래그 역시 출원인의 선출원(제27장)에 의하면, "굽"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수직회귀드래그(도면19-7에서는 하향회귀드래그)로 쌍자음이 인식되는 것으로 하면 결과는 "꿉"이 된다. 버튼궤적에 의하여 상향회귀드래그를 탐지하려면, [ㄱ]버튼 위의 영역에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높이의 가짜버튼을 설정함으로써 쉽게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자판 프로그램에서는 자판밖의 영역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면19-8은 자판의 상단에 작은 높이의 가짜버튼(실제로는 거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을 설정한 사례를 보여준다. 도면19-8을 기준으로 상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초성자음으로 쌍자음을 입력하는 사례는 도면19-9이다. 도면19-9에서 상단 5개의 가짜버튼을 편의상 각각 DB1, DB2, DB3, DB4, DB5라고 하면, 도면 19-9에서는 "ㄱ → DB2(ㄱ위버튼) → ㄱ → ..." 으로 드래그되었고, 결과는 "꿉"이 인식된다. Next, it shows recognizing double consonants by vertical regression drag. The drag of Fig. 19-7 is also recognized as a "heel" according to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Chapter 27). However, if double consonants are recognized by vertical regression drag (downward regression drag in Fig. 19-7), the result is "Kub". To detect upward dragging by the button trajectory, it is easily possible by setting a fake button with a small invisible height in the area above the [a] button. This is because, in general, keyboard programs do not recognize areas outside the keyboard. Figure 19-8 shows an example of setting a small height fake button (actually, it is desirable to make it almost invisible) at the top of the keyboard. Figure 19-9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consonants as initial consonants by upward recursion drag based on Figure 19-8. If the top five fake buttons in Figure 19-9 are DB1, DB2, DB3, DB4, and DB5,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in Figure 19-9, they were dragged to "a → DB2 (a up button) → a → ...", and the result "Kup" is recognized.

만약 초성자음으로 "ㅆ"을 입력하는 경우 [ㅅ → ㅡ → ...] 와 같이 하향드래그를 적용하면 "스"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ㅅ → ㄹ → ㅅ → ㅡ → ...] 와 같이 상향회귀드래그를 적용하면 아무런 문제없이 "쓰"가 인식될 수 있다. "ㅅ"의 경우는 격자음이 없으므로, 수평회귀드래그(즉, 좌향회귀드래그 및 우향회귀드래그) 역시 "ㅆ"으로 처리할 수 있다. If "ㅆ" is entered as the initial consonant, if a downward drag is applied as in [ㅅ → ㅡ → ...], "s" is recognized as input. However, if an upward recursion drag is applied like [ㅅ → ㄹ → ㅅ → ㅡ → ...], "th" can be recognized without any problem. In the case of "ㅅ", there is no lattice sound, so horizontal regression drags (ie, leftward and rightward regression drags) can also be treated as "ㅆ".

다음으로 [ㅇ]버튼에 "ㅎ"이 연관된 것으로 처리하는 경우이다. 현대한국어에서 "ㅇ"에 대응되는 격자음이 없으므로, 수직회귀드래그 및 수평회귀드래그를 모두 "ㅎ"으로 처리할 수 있다. [ㅇ → ㆍ → ㅇ] 과 같이 하향회귀드래그되면, "앙"으로 인식된다(선출원 제27장 참조). 따라서 하향회귀드래그를 제외한 상향회귀드래그 [ㅇ → ㅁ → ㅇ → ...], 좌향회귀드래그 [ㅇ → ㅅ → ㅇ → ...], 우향회귀드래그 [ㅇ → ㅈ → ㅇ → ...] 을 "ㅎ"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입력사례의 도면은 생략한다. Next, it is a case where "ㅎ" is related to the [ㅇ] button. Since there is no lattice sound corresponding to "ㅇ" in modern Korean,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regression drags can be treated as "ㅎ". If dragged downward like [ㅇ → ㆍ → ㅇ], it is recognized as "ang" (refer to Chapter 27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refore, upward regression drag [ㅇ → ㅁ → ㅇ → ...], leftward regression drag [ㅇ → ㅅ → ㅇ → ...], rightward regression drag [ㅇ → ㅅ → ㅇ → ...] can be processed as "ㅎ" input. Drawings of input cases are omitted.

출원인의 선출원에서는 [ㆍ]버튼에도 "ㅎ"이 연관되어 있었다. 선출원에 의하면 [ㆍ → ㅇ → ㆍ → ㅣ] 로 드래그되면, 드래그가 시작된 [ㆍ]버튼은 유효하고 이와 결합될 수 없는 [ㅇ]버튼은 무효화되고, 나머지 결합할 수 있는 모음버튼인 [ㆍ]버튼과 [ㅣ]버튼이 유효하므로, 결과는 "ㅕ"로 인식된다. 드래그에 의하여 하나의 자모결합글자를 입력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통의 누름과 드래그르 조합하여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초성자음은 누름(Tap)으로 입력하고, 중성모음(예. "ㅕ")만을 드래그로 입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ㅕ"의 사례와 같이 모음버튼에서 시작한 1단 드래그([ㆍ → ㅇ → ㆍ → ...]의 사례는 [ㆍ]버튼에서 시작한 1단 상향드래그)에 의하여 모음이 인식되는 것으로 한다. 그렇다면 [ㆍ]버튼에 연관된 "ㅎ"은 2단 또는 그 이상(3단, 4단,...)의 상향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ㆍ → ㅇ → ㅁ → ㅇ → ㆍ] 2단 상향드래그를 "ㅎ"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19-13의 "히+ㅎ(종성)" 입력사례에서 초성자음 "ㅎ"의 입력을 참고할 수 있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applicant, "ㅎ" was also associated with the [ㆍ] button. According to the previous application, when dragging [ㆍ → ㅇ → ㆍ → ㅣ], the [ㆍ] button from which the drag started is valid, the [ㅇ] button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it is invalid, and the remaining combineable vowel buttons [ㆍ] Since the button and the [ㅣ] button are valid, the result is recognized as "ㅕ". One consonant letter can be input by dragging, but in some cases, it is preferable to input by combining normal pressing and dragging. Also, in some cases, the initial consonant may be input by tapping, and only the neutral vowel (eg "ㅕ") may be input by dragging.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ase of "ㅕ", one-step drag started from the vowel button (in the case of [ㆍ → ㅇ → ㆍ → ...], one-step upward drag started from the [ㆍ] button) Assume that vowels are recognized. If so, "ㅎ" associated with the [•] button can be input by upward dragging in 2 steps or more (3 steps, 4 steps, ...). For example, [ㆍ → ㅇ → ㅁ → ㅇ → ㆍ] 2-step upward drag can be handled as "ㅎ". Reference can be made to the input of the initial consonant "ㅎ" in the input case of "Hi + ㅎ (final)" in Figures 19-13.

모음버튼으로부터 시작된 1단 회귀드래그는 모음입력으로 처리하고, 2단 회귀드래그는 약속된 자음(예. "ㅎ")의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모음버튼으로부터 시작된 1단 회귀드래그는 약속된 자음(예. "ㅎ")의 입력으로 처리하고, 2단 회귀드래그는 모음입력으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주로 자음버튼에서 드래그 시작하여 모음버튼에서 드래그가 끝나거나(즉, "초성자음+중성모음"으로 이루어진 글자의 입력), 자음버튼에서 드래그 시작하여 모음버튼을 거쳐 자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즉, "초성자음+중성모음+종성자음"으로 이루어진 글자)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모음버튼에서 드래그를 시작하는 경우는 적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1단 회귀드래그이거나, 2단 회귀드래이거나)나, 모음버튼에서 시작하여 다시 그 모음버튼으로 돌아온 회귀드래그를 약속된 자음(예. "ㅎ")으로 처리하는 할 수 있는 것은 같으며 이 역시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제시하는 실시예이다.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stage regression drag started from the vowel button is processed as a vowel input, and the second-stage regression drag is processed as an input of a promised consonant (eg "ㅎ"), but the opposite can be defined.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a first-stage regression drag started from the vowel button as an input of a promised consonant (eg "ㅎ"), and process a second-stage regression drag as a vowel input. This is because the user usually starts dragging from the consonant button and ends dragging from the vowel button (i.e., inputs a letter consisting of "initial consonant + neutral vowel"), or starts dragging from the consonant button, passes through the vowel button, and ends dragging from the consonant button. (That is, a letter consisting of "initial consonant + neutral vowel + final consonant") in most cases, and there will be few cases where dragging starts from the vowel button. In any case (one-stage regression drag or two-stage regression drag), it is the same that the regression drag that starts from the vowel button and returns to the vowel button can be treated as the promised consonant (eg "ㅎ"), This is also an embodiment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초성자음에 대하여 2번째 또는 그 이상으로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을 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는 사례를 보였다. 다음으로 종성자음까지도 입력할 수 있는 사례를 보인다. Above, we showed the case of inputting the second or more related alphabet for the initial consonant by regression drag. Next, an example in which even the final consonant can be entered is shown.

출원인의 선출원(제27장)에서는 마지막으로 드래그된 자음버튼만이 유효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이는 도면19-1에서 버튼에 표시된 9개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만이 한번의 연속된 드래그에 의하여 종성자음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선출원에 의하면 도면19-10은 "굽"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에서도 마지막으로 드래그된 자음버튼이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되는 것은 같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m"으로 인식된다. 도면19-10에서 [ㄱ → ㄴ → ㄱ → ㄹ → ㅅ → ㅡ → ㆍ → ㅇ → ㅁ → ㅂ → ㅁ → ㅂ] 으로 드래그 되었다. 최종 드래그된 모음버튼인 [ㆍ]버튼 이후의 버튼궤적은 [... → ㅇ → ㅁ → ㅂ → ㅁ → ㅂ]와 같다. 만약 사용자가 종성자음으로 "ㅂ"만을 입력할 의도였다면 굳이 [... → ㅂ → ㅁ → ㅂ]으로 드래그할 필요없이, [... → ㅇ → ㅁ → ㅂ]으로 드래그가 종료되었어야 한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hapter 27) of the applicant, only the last dragged consonant button was treated as valid. This means that only the nine consonants (a, b, c, d, ㅁ, f, ㅅ, ㅇ, ㄴ) displayed on the button in Figure 19-1 can be input as final consonants by one continuous drag. According to the earlier application, Figures 19-10 are recognized as "heel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that the last dragged consonant button is treated as a valid butt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recognized as "?m". It was dragged from drawing 19-10 to [a → b → a → d → ㅅ → ㅡ → ㆍ → ㅇ → ㅁ → ㄴ → ㅁ → ㄴ ]. The button trajectory after the [ㆍ] button, which is the last dragged vowel button, is the same as [... → ㅇ → ㅁ → ㅇ → ㅁ → ㄴ]. If the user intended to enter only "ㅅ" as the final consonant, the drag should have ended with [... → ㅇ → ㅁ → ㄴ] without the need to drag [... → ㅇ → ㅁ → ㄴ] .

종성자음 입력에 좌향드래그를 탐지하는 것은 마지막으로 드래그된 [ㅂ]버튼에서 역순으로 버튼궤적을 분석함으로써 매우 간단히 가능하다. [... → ㅂ → ㅁ → ㅂ] 에서 마지막으로 드래그된 버튼의 앞에 [ㅂ]버튼 앞에 [ㅂ]버튼이 드래그되었고 그 사이에는 [ㅂ]버튼의 좌측에 위치한 [ㅁ]버튼이 드래그된 것으로부터 종성입력에 [ㅂ]버튼의 좌향드래그(수평드래그의 한가지 형태)가 적용된 것이 매우 쉽게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오류(예. 0단 회귀드래그에서의 사용자 오류)없이 탐지될 수 있다. 초성자음은 드래그가 시작된 자음버튼을 기준으로 회귀드래그를 탐지하였지만, 종성자음은 그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을 기준으로 회귀드래그를 탐지하는 것이다. Detecting leftward drag in the final consonant input can be done very simply by analyzing the button trajectory in reverse order from the last dragged [ㄴ] button. In [... → ㄴ → ㅁ → ㄴ], the [ㅁ] button was dragged in front of the [ㄴ] button in front of the last dragged button, and the [ㅁ] button located to the left of the [ㄴ] button was dragged in between. The application of the left drag (a form of horizontal drag) of the [ ] button to the final input can be detected very easily and without user error (e.g., user error in the 0-step regression drag). The initial consonant detects the regression drag based on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 started, but the final consonant detects the regression drag based on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 ends.

선출원(제27장)에 의하면 도면19-11은 "각"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버튼궤적은 [ㄱ → ㄹ → ㅅ → ㅇ → ㆍ → ㅇ → ㅁ → ㄹ → ㄱ → ㄹ → ㄱ] 이므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유효한 모음버튼인 [ㆍ]버튼 이후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 최종 드래그된 자음버튼인 [ㄱ]버튼 앞에 "ㄱ → ㄹ" 이 있으므로 종성입력에 하향회귀드래그([ㄹ]버튼은 [ㄱ]버튼 아래 배치)가 적용된 것을 탐지하여 결과는 "깎"이 된다. According to the earlier application (Chapter 27), drawings 19-11 are recognized as "corner". However, since the button trajectory is [a → ㄹ → ㅅ → ㅇ → ㆍ → ㅇ → ㅁ → ㄹ → a → ㄹ → ㄱ],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inal drag that is considered valid after the [ㆍ] button, which is a valid vowel button Since there is "a → d" in front of the [a] button, which is a consonant button, it detects that a downward regression drag (the [d] button is placed under the [a] button) is applied to the final input, and the result is "cut".

도면 19-12의 [ㅇ → ㆍ → ㅣ → ㅈ → ㅇ → ㅅ → ㄹ → ㅅ]은 선출원에 의하면 "엇"이 인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었"이 인식된다. 종성입력에 [...→ ㅅ → ㄹ → ㅅ]의 상향회귀드래그가 적용된 것을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사용자가 "엇"을 입력하는 것이 원래의 의도였다면 [...→ ㅅ → ㄹ → ㅅ] 으로 회귀드래그할 필요없이 [ㅇ → ㆍ → ㅣ → ㅈ → ㅇ → ㅅ] 에서 드래그가 종료되었어야 하기 때문이다. "ㅅ"의 경우는 대응되는 격자음이 없으므로 수평회귀드래그(즉, 좌향회귀드래그 및 우향회귀드래그) 역시 "ㅆ"으로 처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도면19-12의 [...→ ㅅ → ㄹ → ㅅ] 대신에 [...→ ㅅ → 스페이스 → ㅅ] 의 좌향회귀드래그 및 [...→ ㅅ → ㅇ → ㅅ]의 우향회귀드래그 역시 종성자음 "ㅆ"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종성자음 "ㅆ"의 예를 들었으나, [ㅇ]버튼에 연관된 "ㅎ"의 입력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즉, [ㅇ]버튼에 대하여 상향회귀드래그, 좌향회귀드래그, 우향회귀드래그를 "ㅎ"으로 처리)이 가능하며 사례도면은 생략한다. In [ㅇ → ㆍ → ㅣ → ㅅ → ㅇ → ㅅ → ㄹ → ㅅ] in Figures 19-12, "uh"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previous application. 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as" is recognized. This is because it can detect that the upward regressive drag of [...→ ㅅ → ㄹ → ㅅ] is applied to the final input. If the original intention was for the user to enter "uh", the drag should have ended at [ㅇ → ㆍ → ㅣ → ㅇ → ㅇ → ㅅ] without the need to drag back to [...→ ㅅ → ㄹ → ㅅ]. because it does In the case of "ㅅ", there is no corresponding lattice sound, so horizontal regression drags (ie, leftward regression drags and rightward regression drags) can also be treated as "ㅆ". That is, instead of [...→ ㅅ → ㄹ → ㅅ] of Figures 19-12, [...→ ㅅ → Space → ㅅ] of leftward regression drag and [...→ ㅅ → ㅇ → ㅅ] of rightward regression Drag can also be processed with the final consonant "ㅆ". The example of the final consonant "ㅆ" is given, but the same applies to the input of "ㅎ" related to the [ㅇ] button (i.e., upward regressive drag, leftward regressive drag, and rightward regressive drag for the [ㅇ] button are "ㅎ" ") is possible, and case drawings ar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음버튼으로부터 시작된 1단 드래그는 모음입력으로 인식하고, 2단 이상의 드래그는 약속된 알파벳(예. "ㅎ")으로 처리하는 것을 보인다. 도면19-13의 버튼궤적은 [ㆍ → ㅇ → ㅁ → ㅇ → ㆍ → ㅇ → ㅈ → ㅣ → ㆍ → ㅇ → ㅁ → ㅇ → ㆍ] 이다. 모음버튼인 [ㆍ]버튼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어 2단 상향드래그가 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ㆍ → ㅇ → ㅁ → ㅇ → ㆍ → ...]) 약속된 자음 "ㅎ"이 초성자음으로 인식된다. 다음으로 드래그된 자음버튼 [...→ ㅇ → ㅈ → ...] 은 "ㅎ" 과 결합할 수 없으므로 무효화된다. 모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되었으므로 선출원(제27장)을 적용하면 유효한 버튼인 [ㅣ → ㆍ → ... → ㆍ] 은 모음 "ㅑ"로 인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유효한 모음버튼 [ㅣ] 다음에 최종드래그된 버튼인 [ㆍ]을 포함하여 2단 상향회귀드래그가 일어난 것을 탐지하여 적용하면 결과는 "히+ㅎ(종성)"이 된다. 만약 [ㆍ → ㅇ → ㅁ → ㅇ → ㆍ → ㅇ → ㅈ → ㅣ → ㆍ ㅇ → ㆍ → ㅇ → ㅁ → ㅇ → ㆍ] 와 같이 드래그되었다면 "?K"이 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one-stage drag initiated from the vowel button is recognized as a vowel input, and two or more stages of drag are processed as a promised alphabet (eg, "ㅎ"). The button trajectory in Fig. 19-13 is [ㆍ → ㅇ → ㅁ → ㅇ → ㆍ → ㅇ → ㄴ → ㅣ → ㆍ → ㅇ → ㅁ → ㅇ → ㆍ]. It can be seen that dragging started from the [ㆍ] button, which is a vowel button, and dragged up two steps ([ㆍ → ㅇ → ㅁ → ㅇ → ㆍ → ...]), so the promised consonant "ㅎ" is recognized as the initial consonant. . The next dragged consonant button [...→ ㅇ → ㅅ → ...] is invalid because it cannot be combined with "ㅎ". Since the drag ends at the vowel button, if the previous application (Chapter 27) is applied, the valid button [ㅣ → ㆍ → ... → ㆍ] is recognized as the vowel "ㅑ".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two-step upward recursion drag is detected and applied, including the last dragged button [ㆍ] following the valid vowel button [ㅣ], the result is “Hi + ㅎ (final tone)”. If it is dragged like [ㆍ → ㅇ → ㅁ → ㅇ → ㆍ → ㅇ → ㄴ → ㅣ → ㆍ ㅇ → ㆍ → ㅇ → ㅁ → ㅇ → ㆍ], it becomes "?K".

이해를 돕기 위하여 초성자음 "ㅎ"을 [ㅇ]버튼에 연관된 자음으로 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고, 종성자음 "ㅎ"을 [ㆍ]ㅂ튼에 연관된 자음으로 2단 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는 사례를 보이면 도면19-14와 같다. 선출원을 적용하면 "야" (첫번째 모음버튼을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간주하고 나머지 조합가능한 모음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함) 또는 "야ㅏ" (드래그된 모든 모음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 가 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ㅇ]버튼에서 좌향회귀드래그되었으므로 초성자음 "ㅎ"이 인식되고, 모음 "ㅏ"가 인식되고, 최종드래그된 버튼인 [ㆍ]버튼으로부터 2단 상향드래그되었으므로 종성자음 "ㅎ"이 인식되더 결과는 "?K"이 된다. 버튼궤적에 의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ㆍ]버튼으로부터의 2단 상향회귀드래그를 "ㅎ" 입력으로 처리였으나, 초성자음의 경우 설명과 마찬가지로 1단 상향드래그를 종성자음 "ㅎ"으로 처리하고, 모음버튼으로부터 시작된 2단 상향회귀드래그를 모음입력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ase of inputting the initial consonant "ㅎ" as a consonant related to the [ㅇ] button by horizontal regression drag, and inputting the final consonant "ㅎ" as a consonant related to the [ㆍ] ㄴ button by two-stage vertical regression drag When shown, it is shown in drawing 19-14. If the previous application is applied, "Ya" (the first vowel button is regarded as a valid vowel button and the remaining combinable vowel buttons are treated as valid buttons) or "Ya" (all dragged vowel buttons are treated as valid button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ince the [ㅇ] button is dragged in a leftward rotation, the initial consonant "ㅎ" is recognized, the vowel "a" is recognized, and the final consonant "ㅎ" is dragged upward two steps from the [ㆍ] button, which is the last dragged button. " is recognized and the result is "?K". The description of the button trajectory is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2-step upward drag from the [ㆍ] button was processed as “ㅎ” input, but in the case of the initial consonant, the 1-step upward drag was treated as the final consonant “ㅎ” as in the description, and the 2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upward recursion drag as a vowel input.

34.3 회귀드래그를 이용한 연관 자음의 입력 실시예 (삼성전자社 자판)34.3 Example of inputting related consonants using regression drag (Samsung Electronics keyboard)

도면15-16 및 도면19-15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삼성전자社의 12버튼 한글자판이다. 도면19-15에서 [ㄱ]버튼에는 "ㅋ"이 2번째로 배열되어 있어 "ㅋ"이 [ㄱ]버튼에 연관된 자음임을 알 수 있다. [ㄴ]버튼에 2번째 배열된 "ㄹ"역시 [ㄴ]버튼을 2번눌러 입력하므로 "ㄹ"이 [ㄴ]버튼에 연관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는 [ㅅ]버튼, [ㅇ]버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쌍자음은 배열되어 있지 않지만 [ㄱ]버튼을 3번 눌러 "ㄲ"을 입력하므로 "ㄲ"이 [ㄱ]버튼에 연관되어 있음도 알 수 있다. 이는 나머지 쌍자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Figures 15-16 and 19-15 are 12-button Hangul keyboards from Samsung Electronics, which are currently widely used. In Figures 19-15, "ㅋ" is arranged second in the [a] button, so it can be seen that "ㅋ" is a consonant related to the [a] button. It is easy to see that "ㄹ" is related to the [ㄴ] button because "ㄹ" arranged secondly on the [ㄴ] button is also input by pressing the [ㄴ] button twice. This is the same for the [ㅅ] button and the [ㅇ] button. The consonants are not arranged, but since "ㄲ" is input by pressing the [a] button three times, it can be seen that "ㄲ" is related to the [a] button. The same is true for the rest of the consonants.

출원인의 선출원(제27장)에서는 2번째로 연관되어 있는 자음을 한번의 연속된 드래그로 입력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번째로 배열되어 있는 자음을 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고, 쌍자음을 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는 실시예를 보인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hapter 27) of the applicant, it was not possible to input the second related consonant with one continuous dra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arranged consonant is input by horizontal regression drag and a pair of consonants is input by vertical regression drag is shown.

선출원의 도면15-16에서 한번의 연속된 드래그로 "상"을 입력하는 것을 보였다. 도면19-16과 같이 드래그되었을 때, 선출원에 의하면 "상" 이 인식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함"이 된다. 버튼궤적을 살펴보면, [ㅅ → ㅈ → ㅅ → ㅂ → ㄱ → ㅣ → ㆍ → ㄴ → ㅅ → ㅇ → 마침표 → ㅇ] 으로 되어 있다. [ㅅ → ㅈ → ㅅ → ...]의 우향회귀드래그에서 "ㅎ"이 인식되고, [...→ ㅣ → ㆍ → ...] 에서 "ㅏ"가 인식되고, [...→ ㅇ → 마침표 → ㅇ]의 좌향회귀드래그에서 "ㅁ"이 인식된다. In the drawings 15-16 of the previous application, it was shown that "phase" was input with one continuous drag. When dragged as shown in Figs. 19-16, "above"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previous application, but becomes "a"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Looking at the button trajectory, it is [ㅅ → ㅅ → ㅅ → ㄴ → ㄱ → ㅣ → ㆍ → ㄴ → ㅅ → ㅇ → period → ㅇ]. "ㅎ" is recognized in the rightward regression drag of [ㅅ → ㄴ → ㅅ → ...], "a" is recognized in [...→ ㅣ → ㆍ → ...], and [...→ ㅇ → Period → ㅇ] "ㅁ" is recognized in the leftward regression drag.

도면19-17은 선출원에 의하면 "간"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깔"로 인식될 수 있다. 하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초성자음 "ㄲ"이, 우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종성자음 "ㄹ"이 인식되었다. Figures 19-17 are recognized as "liver" according to the prior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recognized as "cal". The initial consonant "ㄲ" was recognized by the downward regressive drag, and the final consonant "ㄹ" was recognized by the rightward regressive drag.

선출원에 따르면 도면19-18은 "간"으로 인식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19-18의 결과는 "칼"이 된다. 도면19-18에서 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2번째로 연관된 자음이 인식되는 것으로 하면, 좌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ㅋ"이 인식된다. 또한 "ㄴ"에는 대응되는 쌍자음이 없으므로 도면19-18에서 수직회귀드래그(예. 하향회귀드래그) 역시 2번째 연관된 자음인 "ㄹ"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earlier application, Figures 19-18 are recognized as "liver",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 of Figures 19-18 is "knife". In Figures 19-18, if the second associated consonant is recognized by horizontal regression drag, "ㅋ" is recognized by leftward regression drag. In addition, since "ㄴ" does not have a corresponding double consonant, the vertical regression drag (eg, downward regression drag) in Figs.

도면19-18에서 중요한 성질이 사실을 지적하고자 한다. 만약 "각"이 입력되고 나서, 도면19-18과 같이 드래그 되었을 때, [ㄱ]버튼에서 시작한 좌향회귀드래그를 "ㅋ"으로 해석하되 [ㄱ]버튼이 2번 눌러진 것으로 처리하면, "각" 다음에 "칼"인 "각칼"이 아니라, "가깔"로 인식될 것이다. [ㄱ]버튼이 3번 눌러진 것은 도면19-18의 자판에서 "ㄲ"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음버튼으로부터 드래그되어 모음버튼에서 끝나거나 (즉, "자음+모음"으로 이루어진 글자), 자음버튼으로부터 드래그되어 모음버튼을 거쳐 자음버튼에서 드래그가 끝나는 경우(즉, "자음+모음+자음")는 드래그 시작버튼부터의 입력을 하나의 자모결합글자로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결과는 "각칼"이 된다. 이는 도면19-18의 자판에서 누름(Tap)으로만 입력할 경우 동일한 버튼값에 대하여 "각칼 ↔ 가깔" 의 모호성이 있지만, 하나의 자모결합글자를 한번의 드래그로 입력하는 본 발명을 통하여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는 중요한 성질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가깔"을 입력하려고 한다면 "가" 를 입력한 다음(드래그 또는 누름방법 아무 것이나 가능), 도면 19-17과 같이 드래그하면 그 결과는 "가깔"이 입력될 것이다. In Figures 19-18, an important property is to be pointed out. If "Gak" is input and then dragged as shown in Figs. 19-18, the leftward regression drag started from the [a] button is interpreted as "ㅋ" but the [a] button is treated as being pressed twice, "each " Next, it will be recognized as "Kakal", not "Kakkal", which is a "knife". The reason why the [a]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is that it becomes “ㄲ” on the keyboard in Figs. 19-18. However, if dragged from the consonant button ends at the vowel button (i.e., a letter consisting of "consonant + vowel"), or dragged from the consonant button via the vowel button and ends at the consonant button (i.e., "consonant + vowel + consonant") ) can process the input from the drag start button to be one consonant letter. Then the result will be "angular knife". When inputting only by pressing (Tap) on the keyboard of Figures 19-18, there is ambiguity of "Gakkal ↔ Gakkal" for the same button value, but without ambiguity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e consonant letter is input with one drag It shows important properties that can be entered. If the user wants to input "Gakkal", enter "Ga" (any drag or press method is possible), and then drag as shown in Figs. 19-17, and the result will be "Gakkal".

정리하면 본 발명의 드래그 입력은 누름(Tap)방법과 혼?O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앞에 종성자음으로 나온 자음(예. "ㄱ") 다음에 연속하여 그 자음(예. "ㄱ")에 연관된 자음(예. "ㅋ", "ㄲ")이 초성자음으로 나오는 경우에도 누름방법만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모호성없이 처리할 수 있는 중요한 성질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드래그에 의하여 인식된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 을 하나의 단위로 보아 앞 글자의 종성자음(예. "ㄱ")과 상관없이 드래그된 음절을 "초성+중성" 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처리함으로써 가능하다. In summary, the drag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ap method, but is related to the consonant (eg "a") consecutively after the consonant (eg "a") that came out as the final consonant before. Even when consonants (eg "ㅋ", "ㄲ") appear as initial consonants, they show an important property that can be processed without ambiguity, unlike the case of using only the pressing method, which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by considering the "consonant + vowel" or "consonant + vowel + consonant" recognized by dragging as a unit, and the dragged syllable regardless of the final consonant (eg "a") of the previous letter is "initial + neutral" " or "initial consonant + neutral + final consonant".

34.4 회귀드래그를 이용한 연관 자음의 입력 실시예 (LG전자社 자판)34.4 Example of inputting related consonants using regression drag (LG Electronics keyboard)

도면15-14, 도면15-15 및 19-19는 LG전자社의 12버튼 한글자판이다. 도면19-19에서 "ㅋ = ㄱ+획추가", "ㄲ = ㄱ+쌍자음" 으로 입력하고, "ㄷ = ㄴ+획추가", "ㅌ = ㄴ+획추가+획추가", "ㄸ = ㄴ+획추가+쌍자음" 으로 입력한다.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자판이므로, 상기 자판에 의한 입력규칙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ures 15-14, Figures 15-15 and 19-19 are LG Electronics' 12-button Korean keyboard. In drawings 19-19, enter "ㅋ = ㄱ + add stroke", "ㄲ = ㄱ + double consonant", and "ㄴ = ㄴ + add stroke", "ℓ = ㄴ + add stroke + add stroke", "ㄸ = Enter as "b + stroke addition + double consonants". Since it is a popular keyboar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put rules using the keyboard is omitted.

도면19-19에서, [ㄱ]버튼에는 "ㄱ"이 1번째로 연관되어 있고, "ㅋ", "ㄲ"이 2번째 또는 그 이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ㅋ = ㄱ+획추가"로 입력되므로, [ㄱ]버튼이 "ㅋ"의 메인버튼이 되고 보조버튼으로 [획추가]라는 기능버튼이 쓰인 것이다. 또한 "ㄲ = ㄱ+쌍자음"으로 입력되므로, [ㄱ]버튼이 "ㄲ"의 메인버튼이 되고, 보조버튼으로 [쌍자음]이라는 기능버튼이 쓰인 것으로 볼 수 있다. 19-19, it can be seen that "a" is associated with the [a] button first, and "ㅋ" and "ㄲ" are associated with the second or more. Since "ㅋ = ㄱ + Add stroke" is entered, the [ㄱ] button becomes the main button of "ㅋ", and the function button [Add stroke] is used as an auxiliary button. In addition, since "ㄲ = ㄱ + double consonant" is input, the [a] button becomes the main button of "ㄲ",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 button [twin consonant] is used as an auxiliary button.

같은 논리로 [ㄴ]버튼에는 1번째로 "ㄴ"이 연관되어 있고, 2번째 또는 그 이상으로 "ㄷ", "ㅌ", "ㄸ"이 연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ㅁ]버튼에는 "ㅂ", "ㅍ", "ㅃ"이 연관되어 있고, [ㅅ]버튼에는 "ㅈ", "ㅊ", "ㅉ"이 연관되어 있고, [ㅇ]버튼에는 "ㅎ"이 연관되어 있다. [ㄴ]버튼, [ㅁ]버튼, [ㅅ]버튼에는 각각 3개의 자음이 연관되어 있는데, 가장 사용하기 쉬운 1단 회귀드래그에 의하여 각각 연관되어 있는 평자음 "ㄷ", "ㅂ", "ㅈ"이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자음 및 쌍자음에 비하여 평자음 "ㄷ", "ㅂ", "ㅈ"은 사용빈도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좌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ㄴ]버튼, [ㅁ]버튼, [ㅅ]버튼에 각각 연관되어 있는 "ㄷ", "ㅂ", "ㅈ"이 인식되는 것을 보인다. 우향회귀드래그는 "자음+모음+자음"으로 되어 다른 글자가 인식되기 때문에 도면19-19의 키패드(자판)에서는 좌향회귀드래그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와의 일관성을 위하여 수직회귀드래그(즉, 상향회귀드래그 및 하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쌍자음"이 인식되는 것으로 한다. In the same logic, "b" is associated with the [b] button first, and "c", "t", and "ㄸ" are associated with the second or more. Similarly, the [ㅁ] button is associated with "ㅅ", "P", and "ㅃ", the [ㅅ] button is associated with "ㅅ", "C", and "ㅔ", and the [ㅇ] button is associated with "ㅎ" "It is related. Three consonants are associated with the [ㄴ] button, [ㅁ] button, and [ㅅ] button,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 because the flat consonants "c", "b", and "j" are used much more frequently than lattice consonants and double consonan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c", "ㅅ", and "ㅅ" associated with the [b] button, the [ㅁ] button, and the [ㅅ] button are recognized by the leftward regressive drag. This is because the rightward regression drag is "consonant + vowel + consonant" and other letters are recognized, so the leftward regression drag must be used in the keypad (keyboard) of Figures 19-19. In addition, for consistency with other embodiments, it is assumed that "twin consonants" are recognized by vertical regression drags (ie, upward regression drags and downward regression drags).

선출원(제27장)을 적용하면 도면19-20은 "명"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1단 좌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ㅂ"이 인식되고, 드래그가 종료된 버튼인 [ㅇ]버튼을 기준으로 좌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ㅎ"이 인식되면 결과는 "??"이 된다. 버튼궤적에 의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19-20에서 종성자음 "ㅎ"을 입력하기 위하여 좌향회귀드래그 사례를 보였는데, [ㅇ]버튼에는 "ㅇ"과 "ㅎ"만이 연관되어 있으므로, 좌향회귀드래그(예. [...→ ㅇ → ㅅ → ㅇ]) 이 아닌, 상향회귀드래그(예. [...→ ㅇ → ㅁ → ㅅ]) 역시 "ㅎ"으로 처리할 수 있다. If the earlier application (Chapter 27) is applied, drawings 19-20 are recognized as "nam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ㅅ" is recognized by the one-stage leftward regression drag and "ㅎ" is recognized by the leftward regression drag based on the [ㅇ] button, which is the button where the drag is ended, the result is "??" becom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utton trajectory is omitted. In Figures 19-20, an example of leftward regression drag to input the final consonant "ㅎ" was shown, but since only "ㅇ" and "ㅎ" are associated with the [ㅇ] button, leftward regression drag (eg [...→ ㅇ → ㅅ → ㅇ]), but upward recursion drags (ex. [...→ ㅇ → ㅁ → ㅅ]) can also be handled with "ㅎ".

[ㄴ]버튼, [ㅁ]버튼, [ㅅ]버튼에 각각 연관되어 있는 격자음 "ㅌ", "ㅍ", "ㅊ"은 2단 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인식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선출원에 의하면 도면19-21의 결과는 "남" 으로 인식되지만 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탑"으로 인식된다. 도면19-21에서 [ㄴ]버튼으로 부터 시작된 2단 좌향회귀들그에 의하여 "ㅌ"이 인식되는 사례를 보여준다. The lattice sounds "t", "p", and "ch" associated with the [b] button, the [ㅁ] button, and the [ㅅ] button, respectively, can be recognized by a two-stage horizontal regression drag. According to the earlier application, the result of Figures 19-21 is recognized as "South",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cognized as "Top". In Figures 19-21, two-step leftward regressions started from the [b] button show an example in which "T" is recognized.

[ㅅ]버튼으로 부터 시작된 드래그에 의하여 "ㅊ"을 인식하는 것을 보인다. [ㅅ]버튼은 일직선으로 2단 수평회귀드래그를 사용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먼저 도면19-22와 같이 "획추가"버튼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드래그 시작버튼인 [ㅅ]버튼으로부터 [ㅅ → 획추가 → ㅅ(무효화) → 획추가 → ...] 와 같이 드래그 되었으므로 "ㅊ"이 인식된다. 이는 선출원(예. 도면15-14)에서 이미 설명한 부분이다. 도면19-22의 결과는 "참"으로 인식된다. 상기 "탑"의 사례 역시 도면19-22와 같이 [획추가]버튼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shows that "ㅅ" is recognized by dragging started from the [ㅅ] button. The [ㅅ] button is in a posi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the 2-stage horizontal regression drag in a straight line. First, it is possible to use the "add stroke" button as shown in Figs. 19-22. From the [ㅅ] button, which is the drag start button, "ㅅ" is recognized because it was dragged as follows: [ㅅ → Add stroke → ㅅ (invalidation) → Add stroke → ...]. This is a part already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eg, Figures 15-14). The results of Figures 19-22 are recognized as "True". In the case of the "top",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Add stroke] button as shown in Figs. 19-22.

또 한가지 방법은 도면19-4의 2단 회귀드래그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면19-23에서 [ㅅ → 스페이스 → 한글 → ㄹ → ㅅ → ...] 으로 드래그되었으며, 도면19-4형태와 같이 2단 좌향회귀드래그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버튼궤적에서 드래그 시작버튼인 [ㅅ]버튼으로부터 다시 "ㅅ"이 나타난 마디를 보면 [ㅅ → X → ㅅ → ...] 이 아니고, [ㅅ → X → Y → Z → ㅅ → ...] 과 같으므로 2단 회귀드래그로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선방향의 좌상향회귀드래그 역시 같은 버튼궤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궤적을 좌향회귀드래그로 처리하는 사례를 보인다. 따라서 도면19-23의 결과는 "참"으로 인식된다. Another method is to use the two-stage regression drag in Fig. 19-4. In Figure 19-23, it was dragged to [ㅅ → Space → Hangul → ㄹ → ㅅ → ...], and it can be seen that a two-stage leftward regression drag was performed as shown in Figure 19-4. If you look at the node where "ㅅ" appears again from the drag start button [ㅅ] button in the button trajectory, it is not [ㅅ → X → ㅅ → ...], but [ㅅ → X → Y → Z → ㅅ → ...] Since it is the same as , it can be recognized as a two-stage regression drag. Of course, as already described, an upward-left homing drag in an oblique direction can also have the same button trajectory, but in this embodiment, the button trajectory is treated as a leftward homing-drag. Therefore, the result of Figs. 19-23 is recognized as "True".

다른 변형된 형태의 2단 회귀드래그에 의한 사례를 보이면 도면19-24와 같다. 도면19-24에서 [ㅅ → 스페이스 → ㅅ → 스페이스 → ㅅ → ...] 로 드래그 되었는데, 1단 회귀드래그의 연속 2번을 2단 회귀드래그로 간주하여 "ㅊ"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면19-24의 결과 역시 "참"이 된다. 도면19-22의 "탑"의 "ㅌ" 입력에도 도면19-24의 "ㅊ" 입력과 동일하게 1단 회귀드래그 연속2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n example of another modified form of two-stage regression drag is shown in Fig. 19-24. In Fig. 19-24, it was dragged as [ㅅ → space → ㅅ → space → ㅅ → ...], and two consecutive 1-stage regression drags can be regarded as 2-stage regression drags and recognized as "ㅅ". The result of Figures 19-24 also becomes "Tru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single-stage regression drag twice consecutively to the input of “t” of “top” in Fig. 19-22 in the same way as the input of “ch” in Fig. 19-24.

"ㅈ"은 수평회귀드래그로 입력하고 [획추가]버튼과 조합하여 "ㅊ"을 인식하는 사례를 보이면 도면19-25와 같다. 도면19-25의 버튼궤적은 [ㅅ → ㅇ → ㅅ → 획추가 → ...] 으로 드래그되었는데, [ㅅ → ㅇ → ㅅ → ...] 에서 "ㅈ"이 인식되고 연이은 [획추가]버튼으로 "ㅊ"이 인식될 수 있다. 도면19-25의 결과 역시 "참"이 된다. 도면19-25의 [획추가]버튼을 이용하는 것은 선출원에서도 보였지만, 본 발명에서 획추가 버튼을 이용하지 않고도 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연관된 자음을 입력할 수 있음을 보인 것 역시 본 발명의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n example of inputting "ㅅ" with a horizontal regression drag and recognizing "ㅅ" in combination with the [Add stroke] button is shown in Fig. 19-25. The button trajectory of drawings 19-25 was dragged to [ㅅ → ㅇ → ㅅ → Add stroke → ...], "ㅅ" was recognized in [ㅅ → ㅇ → ㅅ → ...] and the [Add stroke] button continued As "ch" can be recognized. The result of Figs. 19-25 also becomes "True". Although the use of the [Add stroke] button in Figures 19-25 was shown in earlier applications,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that related consonants can be input by regression drag without using the Add stroke button. will be.

다음으로 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쌍자음을 입력하는 사례를 보인다. 도면19-26에서 [ㅅ]버튼에서 시작하여 상향회귀드래그된 것을 알 수 있다. 도면19-26의 결과는 "쌍"이 된다. [ㅅ]버튼 아래에 [획추가]버튼이 있으므로 하향회귀드래그를 적용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도면19-27에서의 버튼궤적은 [ㄴ]버튼에서 시작하여 [ㄴ → ㅁ → ㄴ → ...] 하향회귀드래그 되었으므로, "ㄴ"에 연관된 쌍자음 "ㄸ"이 인식된다. 도면19-27의 결과는 "땀"이 인식된다. 나머지 쌍자음 "ㄲ", "ㅃ", "ㅉ"에 대해서도 같으므로 사례도면은 생략한다. Next, an example of inputting double consonants by vertical regression drag is shown. In Figures 19-26, it can be seen that upward dragging started from the [ㅅ] button. The results in Figures 19-26 are "pairs". Since there is an [Add stroke] button under the [ㅅ] button, downward regression drag was not applied. Likewise, since the button trajectory in Fig. 19-27 starts from the [b] button and is dragged down [b → ㅁ → b → ...], the consonant "ㄸ" associated with "b" is recognized. As a result of Figs. 19-27, "sweat" is recognized. The same is true for the remaining twin consonants "ㄲ", "ㅃ", and "ㅃ", so the example drawings are omitted.

도면19-27은 마치 "ㄴ"의 쌍자음이 "ㄸ"인 것처럼 처리되는 것이다. 논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ㄴ]버튼에서 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ㄷ"이 인식되고, 끊어지지 않고 연속된 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ㄸ"이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튼궤적이 [ㄴ → ㄱ → ㄴ → ㅁ → ㄴ → ...] 과 같이 된다면 [ㄴ]버튼에서 시작되어 우향회귀드래그가 1번 일어났으며 연이어 하향회귀드래그가 1번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즉, 우향회귀드래그(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ㄷ"이 인식되고, 연이은 하향회귀드래그(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ㄸ" 이 인식되는 것이다. [ㅁ]버튼, [ㅅ]버튼에 연관된 "ㅃ", "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9-27 is processed as if the consonant of "b" is "ㄸ". In order to clarify the logic, “c” can be recognized by horizontal regression drag in the [b] button, and “ㄸ” can be recognized by continuous vertical regression drag without interruption. For example, if the button trajectory is [b → a → b → m → b → ...], starting from the [b] button, one rightward regressive drag occurred, followed by one downward regressive drag. Able to know. That is, "c" is recognized by rightward regression drag (horizontal regression drag), and "ㄸ" is recognized by successive downward regression drag (vertical regression drag). The same can be applied to "ㅃ" and "ㅃ" related to the [ㅁ] button and the [ㅅ] button.

LG전자사의 자판에서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기능버튼이 [#]위치인 좌하 구석에 위치하고 있고, 좌측에 [ㅡ]버튼 상측에 [ㅣ]버튼이 있어 [쌍자음]버튼을 드래그하려면 반드시 [ㅡ]버튼, [ㅣ]버튼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통한 드래그 입력에서 [쌍자음]버튼으로 드래그하지 않고도 한번의 끊어지지 않는 드래그로 격자음과 쌍자음을 포함한 자음을 초성자음 및 종성자음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 역시 본 발명이 내놓은 성과중의 하나이다. The [Twin Consonant] function button for inputting double consonants on LG Electronics' keyboard is located in the lower left corner at the [#] position, and there is a [ㅣ] button on the top of the [ㅡ] button on the left, dragging the [Twin Consonant] button To do this, you must go through the [ㅡ] button and the [ㅣ] button. However, in the drag input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consonants including lattice sounds and double consonants can be input as initi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s with one uninterrupted drag without dragging with the [twin consonant] button. one of the achievements

34.5 회귀드래그를 이용한 연관 자음의 입력 실시예 (팬택社 자판)34.5 Example of inputting related consonants using regression drag (Pantech keyboard)

도면19-28은 팬택社의 12버튼 한글자판이다. 도면19-28에 의한 입력규칙은 광범위하게 알려져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자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ㄱ]버튼에는 "ㄱ"을 포함하여 "ㅋ", "ㄲ"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ㄷ]버튼, [ㅂ]버튼, [ㅈ]버튼에 대해서도 각각 같다. 또한 [ㄴ]버튼, [ㅁ]버튼, [ㅇ]버튼에는 해당 자음을 포함하여, 각각 "ㄹ", "ㅅ", "ㅎ"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되어 있는 알파벳의 수가 최대 3개를 초과하지 않으며, 2번째 이상으로 연관되어있는 알파벳은 최대 2개이다. 마찬가지로 수평회귀드래드그에 의하여 격자음 또는 2번째로 배열된 자음을 인식하고, 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쌍자음을 인식하는 사례를 보인다. Drawings 19-28 are Pantech's 12-button Korean keyboard. Since the input rule according to Figs. 19-28 is widely known, it is not described in detail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ㅋ" and "ㄲ" are related to the [a] button, including "a". This is the same for the [c] button, the [b] button, and the [j] button, respective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ㄴ] button, the [ㅁ] button, and the [ㅇ] button are associated with "ㄹ", "ㅅ", and "ㅎ", respectively,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The number of related alphabets does not exceed a maximum of three, and the second or more related alphabets are a maximum of two. Similarly, examples of recognizing lattice consonants or second-arranged consonants by horizontal regression dragging and recognizing double consonants by vertical regression dragging are shown.

도면19-29의 버튼궤적은 [ㄱ → ㄷ → ㄱ → ㅣ → ㅏ → 백스페이스 →ㅏ → ㅓ → ㄴ → ㅂ → ㅁ → ㅂ] 이다. [ㄱ]버튼으로부터 시작된 [ㄱ → ㄷ → ㄱ → ...] 에서 하향회귀드래그를 탐지할 수 있고 그 결과 "ㄲ"을 인식할 수 있다. 모음버튼에서 모음버튼까지의 버튼궤적은 [...→ ㅣ → ㅏ → 백스페이스 →ㅏ → ㅓ → ...] 이다. 도면19-29의 키패드는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하여 반드시 [ㅣ]버튼 또는 [ㅓ]버튼을 거쳐서 드래그하여야 한다. 선출원에서 모음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최초 드래그된 모음버튼은 유효한 것으로 처리하고, 최초드래그된 모음버튼을 포함하여 조합이 가능한 모음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도면15-17 참조). 또 한가지 대안으로는 드래그된 모음버튼을 모두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처리하는 것이 선출원에서 제시된 바 있었다. The button trajectory in Figures 19-29 is [a → c → a → ㅣ → a → backspace →a → sh → b → f → mchi → f]. A downward regressive drag can be detected in [a → c → a → ...] starting from the [a] button, and as a result, "ㄲ" can be recognized. The button trajectory from the vowel button to the vowel button is [...→ ㅣ → A → Backspace → A → ㅇ → ...]. The keypads in Figures 19-29 must be dragged through the [ㅣ] button or the [q] button to input the vowel "a". In the previous application, as a method of recognizing vowels, the initially dragged vowel button is treated as valid, and the vowel buttons that can be combined, including the initially dragged vowel button, are treated as valid buttons (see drawings 15-17). As another alternative, processing all dragged vowel buttons as valid vowel buttons has been suggest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이는 출원인의 자판(예. 도면19-6), 삼성전자社 자판(예. 도면19-15), LG전자社 자판(예. 도면19-19)과 같이 자음버튼영역에 모든 모음버튼이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경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한글쿼티자판 또는 도면29-28의 팬택社 자판과 같이 자음버튼에 인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예. [ㅏ]버튼)이 있는 경우는 그 모음(예. 모음 "ㅏ") 및 그 모음에 연관된 모음을 입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도면19-28의 [ㅏ]버튼은 자음버튼 [ㄴ]과 대각선 꼭지점으로 인접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버튼이 조밀하게 밀집되어 있으므로 [ㄴ]버튼을 거쳐 [ㅣ]버튼 또는 [ㅓ]버튼을 지나지 않고 [ㅏ]버튼으로 드래그될 수 없기 때문이다. 버튼과 버튼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있다고하더라고 그 간격을 통해서 [ㄴ]버튼에서 [ㅣ]버튼 또는 [ㅓ]버튼을 지나지 않고 [ㅏ]버튼으로 드래그한다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all vowel buttons are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area, such as the applicant's keyboard (eg drawing 19-6), Samsung Electronics' keyboard (eg drawing 19-15), and LG Electronics' keyboard (eg drawing 19-19). There is no problem if they are arranged. However, if there is a vowel button (eg [A] button) that is not adjacent to a consonant button, such as the Korean QWERTY keyboard or the Pantech keyboard in Fig. 29-28, the vowel (eg vowel "a") and the vowel There is a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input related vowels. The [A] button in Figs. 19-28 is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b] at a diagonal vertex, but is considered not adjacent to it in this embodiment. This is because the buttons are densely packed, so they cannot be dragged to the [A] butt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 button and the [ㅣ] button or the [q] button. Even if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buttons, it is impossible to drag from the [b] button to the [ㅣ] button or the [q] butt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ap to the [A] button.

따라서 본 실시예를 통하여 이렇게 자음버튼에 면(面)으로 인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을 처리하는 사례를 보인다. 도면19-29의 모음버튼에서 모음버튼까지의 버튼궤적은 [...→ ㅣ → ㅏ → 백스페이스 →ㅏ → ㅓ → ...] 이다. 도면19-29에서의 입력규칙에 "ㅣ+ㅏ"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ㅏ" 다음에 연이어 다른 모음이 나온 것이 아니고 "백스페이스" 그리고 다시 "ㅏ"가 나온 것은 명백히 "ㅏ+ㅏ" 인 "ㅑ"를 입력하기 위한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ㅑ" 다음에 "ㅣ"가 드래그되었다면 "ㅒ"가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ㅑ" 다음에 드래그된 "ㅓ"는 도면19-29의 입력규칙에 의하여 적절한 모음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치막에 드래그된 "ㅓ"는 종성자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단지 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드래그가 종료된 버튼이 자음버튼(예. [ㅂ]버튼)인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마지막 모음버튼 이후의 버튼궤적은 [...→ ㄴ → ㅂ → ㅁ → ㅂ] 이다. 최종 드래그된 자음인 "ㅂ"은 항상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데 [ㅂ → ㅁ → ㅂ]으로 좌향회귀드래그된 것을 탐지할 수 있으므로 종성자음 "ㅍ"으로 인식된다. 결국 도면19-29의 결과는 "??"이 된다. Therefore, through this embodiment, an example of processing a vowel button that is not adjacent to a consonant button in this way is shown. The button trajectory from the vowel button to the vowel button in Figs. 19-29 is [...→ ㅣ → A → Backspace → A → ー → ...]. "ㅣ+A" does not exist in the input rule in Figures 19-29.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is not followed by another vowel, but "Backspace" and "A" again are for entering "ㅑ", which is obviously "A + A". If "ㅣ" is dragged after "ㅑ", "ㅒ" will be recognized. However, "o" dragged after "ㅑ" does not form an appropriate vowel according to the input rule of FIGS. 19-29.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o" dragged to the end just passes to input the final consonant. This can also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button where the drag ends is a consonant button (eg, the [ ] button). The button trajectory after the last vowel button is [...→ ㄴ → ㄴ → ㅁ → ㄴ]. The final dragged consonant "ㅅ" is always considered valid, but it is recognized as the final consonant "P" because it can be detected that it is dragged leftward with [ㅅ → ㅁ → ㄴ]. Eventually, the result of Figs. 19-29 becomes "??".

자음입력에 관한 것은 23.3의 삼성전자사社 자판에서 보인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렇게 자음버튼에 면(面)으로 인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이 있는 자판에서 연속된 드래그에 의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것에 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sonant input is almost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keyboard of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 23.3, so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this embodiment, inputting vowels by continuous dragging on a keyboard having vowel buttons that are not adjacent to consonant buttons is summarized as follows.

도면19-28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우선 "가"는 [ㄱ → ㅣ → ㅏ]로 드래그하여 입력이 가능하다. 설명한 바와 같이 "ㅣ+ㅏ"가 다른 모음의 입력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앞서 드래그된 [ㅣ]버튼은 유효하지 않은 버튼으로 간주된다. 만약 사용자가 "기"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ㅣ]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ㄱ → ... → ㅓ → ㅏ]로 드래그된 경우도 "가"로 인식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거"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ㅓ]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갸"는 도면28-9에서 보인 바와 같이 "ㄱ → ㅣ → ㅏ → 백스페이스 → ㅏ]로 가능하다. 3번째 드래그된 [ㅏ]버튼이 사용자가 의도한 버튼이므로 [ㅏ]에 앞서 결합될 수 없는 [ㅣ]버튼이 무효화되고 마지막 [ㅏ]버튼이 유효한 버튼이기 때문이다. 자음버튼과 인접한 나머지 모음버튼은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drawings 19-28. First of all, "a" can be input by dragging [a → ㅣ → ahn]. As described above, the previously dragged [ㅣ] button is regarded as an invalid button because "ㅣ+A" is not defined as another vowel input. This is because if the user had intended to input "ki", the drag would have ended at the [ㅣ] button. Similarly, when dragged as [a → ... → sh → a], it can be recognized as "a". This is because if the user had intended to input “something”, the drag would have ended at the [sh] button. Next, "gyah" can be done with "a → ㅣ → a → backspace → a] as shown in drawing 28-9. Since the third dragged [a] button is the user's intended button, prior to [a] This is because the [ㅣ] button that cannot be combined is invalidated and the last [A] button is a valid button.The consonant button and the remaining vowel buttons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can be processed as described in the applicant's previous application, so the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으로 키패드(자판) 상단에 가짜버튼을 두어서 해결하는 방법을 보인다. 도면19-30에서는 상단에 5열에 맞추어 가짜버튼을 두었다. 편의상 5개의 가짜버튼을 DB1, DB2, DB3, DB4, DB5 라고 부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단에 DB 하나의 가짜버튼을 두어도 상관이 없지만, 도면19-4 의 2단 회귀드래그 및 도면19-5의 사선방향의 회귀드래그를 식별해내려면 버튼의 열(column)의 수에 맞추어 가짜버튼을 두는 것이 더 융통성이 있다. Next, we will show you how to solve it by placing a fake button at the top of the keypad (keyboard). In drawing 19-30, fake buttons are placed in line with the 5th row at the top. For convenience, we will call the five fake buttons DB1, DB2, DB3, DB4, and DB5.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matter if one DB fake button is placed at the top, but in order to identify the two-stage regression drag in Fig. 19-4 and the oblique regression drag in Fig. 19-5, Placing fake buttons in numbers is more flexible.

도면19-30의 버튼궤적은 [ㄱ → DB2 → ㄱ → DB3 → DB4 → ㅏ → ㅓ → ㄴ → ㄷ → ㄱ → ㄷ → ㄱ] 이다. 드래그시작 버튼인 [ㄱ]버튼으로부터 [ㄱ → DB2 → ㄱ → ...] 에서 상향회귀드래그되었으므로 "ㄲ"이 인식된다. 모음버튼에서 모음버튼까지의 버튼궤적은 [...→ ㅏ → ㅓ → ...] 인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자음버튼에 면(面)으로 인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인 [ㅏ]에 드래그하기 위하여 가짜버튼(DB3, DB4)을 거쳐 [ㅏ]버튼으로 드래그하였으므로 이 경우는 [ㅏ]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만약 사용자가 "ㅓ"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ㅓ]버튼은 자음버튼에 대해 면(面)으로 인접되어 있으므로 [ㄱ → DB2 → ㄱ → ㄷ → ㄴ → ㅓ → ...] 와 같이 드래그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ㅏ+ㅓ"는 도면19-30의 입력규칙에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모음버튼 [ㅓ]는 무효화된다. 마지막 모음버튼 이후의 버튼궤적 [...→ ㄴ → ㄷ → ㄱ → ㄷ → ㄱ] 에서 최종드래그된 자음버튼인 [ㄱ]버튼은 유효한 버튼이고 그 앞에서 하향회귀드래그가 일어났으므로 자음 "ㄲ"이 인식된다. 결국 도면19-30의 결과는 "깎"이 인식된다.The button trajectory in Fig. 19-30 is [a → DB2 → a → DB3 → DB4 → a → lor → b → c → a → c → a]. "ㄲ" is recognized because upward dragging was performed in [a → DB2 → a → ...] from the [a] button, which is the drag start button. The button trajectory from the vowel button to the vowel button is [...→ a → sh → ...]. Since it was dragged to the [A] button through the fake buttons (DB3, DB4), it is reasonable to treat the [A] button as a valid button in this case. If the user was to input "sh", the [sh] button is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so drag as [a → DB2 → a → c → b → sh → ...] because it would have Since “a+sh” is not defined in the input rule of FIGS. 19-30, the vowel button [q] is invalid. In the button trajectory after the last vowel button [...→ b → c → a → c → a], the [a] button, which is the consonant button finally dragged, is a valid button and downward recursion dragged in front of it, so the consonant "ㄲ" this is recognized As a result, the result of Figs. 19-30 is recognized as "sharp".

상기 도면19-30의 결과는 세부적인 드래그 입력규칙에 대해 사용자가 숙지하고 있으면서 입력되는 모음이 "ㅏ"인지 "ㅓ"인지 사용자가 두뇌에서 생각해야 한다. 도면19-31은 보다 쉽게 "깍"을 입력할 수 있게 해준다. 도면19-31의 버튼궤적은 [ㄱ → DB2 → ㄱ → DB3 → DB4 → ㅏ → DB4 → DB3 → DB2 → ㄱ → ㄷ → ㄱ] 이다. 드래그된 모음버튼이 [ㅏ]버튼 밖에 없으므로 사용자는 [...→ DB4 → ㅏ → ㅓ →...] 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입력되는 모음이 "ㅏ"인지 "ㅓ"인지 생각할 필요가 없다. 초성자음 "ㄲ"과 종성자음 "ㄲ"을 인식하는 것은 도면19-3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As a result of FIGS. 19-30, the user must think in his or her brain whether the input vowel is "A" or "Q" while the user is familiar with the detailed drag input rule. Figures 19-31 make it easier to enter "cut". The button trajectory in Fig. 19-31 is [a → DB2 → a → DB3 → DB4 → a → DB4 → DB3 → DB2 → a → c → a]. Since the dragged vowel button is only the [A] button, the user does not have to think about whether the input vowel is "A" or "sh" when dragged to [...→ DB4 → A → sh →...]. Recognizing the initial consonant "ㄲ" and the final consonant "ㄲ" is as described in Figs. 19-30.

34.6 회귀드래그를 이용한 연관 알파벳의 입력 실시예 (쿼티한글 자판)34.6 Example of inputting related alphabets using regression drag (QWERTY Korean keyboard)

도면18-1(*)은 현재 PC등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2벌식 키보드이며, 쿼티한글자판으로 일반적으로 불리우고 있다. 14개의 자음버튼과 12개의 모음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ㄱ]버튼, [ㄷ]버튼, [ㅂ]버튼, [ㅅ]버튼, [ㅈ]버튼에 각각 대응되는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이 연관되어 있다. 이는 "ㄲ = shift + ㄱ"으로 입력하는 것으로부터도 쉽게 알 수 있다. 연속된 드래그에 의하여 쌍자음을 입력할 때, 기 설명한 수직회귀드래그 또는 수평회귀드래그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8-1 (*) is a double keyboard that is currently used as a standard in PCs, etc.,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QWERTY Korean keyboard. It consists of 14 consonant buttons and 12 vowel buttons. The consonants "ㄲ", "ㄸ", "ㅃ", "ㅆ", and "ㅃ" correspond to the [a] button, [c] button, [ㅅ] button, [ㅅ] button, and [ㅅ] button, respectively. It is related. This can be easily seen from inputting "ㄲ = shift + a". When inputting consonants by continuous dragging, it is possible to process using the above-described vertical regression drag or horizontal regression drag.

예를들어 도면19-32와 같이 드래그하여 "??"이 인식될 수 있다. [ㄱ]버튼에 연관된 자음이 "ㄱ"을 제외하 "ㄲ" 하나이므로, 수직회귀드래그 또는 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ㄲ"이 인식되는 것으로 할 수 있음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For example, "??" can be recognized by dragging as shown in Fig. 19-32. Since the consonants associated with the [a] button are only "ㄲ" except for "a", the fact that "ㄲ" can be recognized by vertical regression drag or horizontal regression drag is a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쿼티한글자판에는 자음버튼과 인접하지 않은 면(面)에 위치한 모음버튼이 있다. 이렇게 자음버튼과 인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이 있는 자판에서의 연속된 드래그에 의한 모음입력은 별도로 제35장에서 정리한다. The QWERTY Korean keyboard has a vowel button located on a side that is not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In this way, vowel input by continuous dragging on a keyboard with a vowel button that is not adjacent to a consonant button is separately organized in Chapter 35.

34.7 회귀드래그를 이용한 연관 자음의 입력 실시예 정리 34.7 Summary of input examples of related consonants using regression drag

본 발명에서 회귀드래그를 이용하여 자음버튼(예. [ㄱ]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자음(예. "ㄲ", "ㅋ",...)까지도 초성자음 및 종성자음으로 입력하는 실시예를 보였다. 이를 정리하면, 최초 드래그된 자음버튼은 유효한 자음버튼으로 간주하고, 모음버튼 이전까지 드래그된 자음버튼들 중에서 회귀드래그를 탐지하고 이를 약속된 자음(예. "ㅋ")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즉, 마지막으로 드래그된 자음버튼)은 유효한 자음버튼으로 간주하고, 마지막 드래그된 모음버튼 다음에 드래그된 자음버튼들 중에서 최종 드래그된 자음버튼(예. "ㄱ")과 비교하여 회귀드래그를 탐지하여 이를 약속된 자음(예. "ㄲ")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in which even consonants (eg "ㄲ", "ㅋ", ...) associated with a consonant button (eg [a] button) are input as initi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s using regression drag seemed In summary, the initially dragged consonant button is regarded as a valid consonant button, and among the consonant buttons dragged before the vowel button, a regression drag is detected and treated as a promised consonant (eg "ㅋ"). Similarly, the consonant button dragged out (i.e., the consonant button dragged last) is considered a valid consonant button, and among the consonant buttons dragged after the last dragged vowel button, the last dragged consonant button (eg "a") It is to detect regression drag by comparing it with and process it as a promised consonant (eg "ㄲ").

이미 설명한 대로, 도면19-1 ~ 도면19-5 에서 표현된 각각의 회귀드래그는 각각 개별적인 입력대상이 인식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외 회귀드래그(즉, 1단 또는 1단 이상의 회귀드래그)를 통하여 특정 자음버튼(예. [ㄱ]버튼)에 연관된 자음(예. "ㄲ", "ㅋ")이 인식되는 사례를 보였다. 더 구체적으로는 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2번째 연관 또는 배열된 자음 또는 격자음이 인식되도록 하는 사례를 보였고, 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쌍자음이 인식되되도록 하는 사례를 보였다. As already described, each regression drag represented in FIGS. 19-1 to 19-5 can be defined so that each individual input object is recogniz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onants (eg, "ㄲ", "ㅋ") associated with a specific consonant button (eg, [a] button) through a non-button regression drag (ie, one-step or more than one-step regression drag) Recognized examples were shown. More specifically, a case of recognizing the second associated or arranged consonant or grid sound by horizontal regression drag was shown, and a case of recognizing twin consonants by vertical regression drag was shown.

단계로 기재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은 자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어 모음버튼에서 드래그가 끝나거나, 자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어 자음버튼에서 드래그가 끝나는 경우이다. It is described in steps as follows. The following cases are cases in which dragging starts from the consonant button and ends with the vowel button, or dragging starts with the consonant button and ends with the consonant button.

스크린(액정)상의 다수의 자음버튼과 다수의 모음버튼을 격자형으로 밀집하여 구비하는 자판에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 상태에서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버튼들을 드래그하는 드래그동작에 의하여 한국어 글자(자음, 모음, 자모결합글자, 단어 또는 구절)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On a keyboar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and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on a screen (liquid crystal) densely in a lattice form, Korean letters (consonants , vowel, consonant letter, word or phrase) in the method of inputting,

상기 자음버튼 중 하나 이상의 자음버튼에는 다수의 자음이 연관되어 있으며, 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associated with one or more consonant buttons among the consonant buttons,

(a) 드래그동작의 시작을 탐지하고 상기 드래그가 시작된 자음버튼(드래그시작버튼)을 포함하여 버튼궤적을 인식하는 단계(a) detecting the start of the drag operation and recognizing the button trajectory including the consonant button (drag start button) where the drag started

(b) 상기 드래그시작버튼에서 모음버튼 앞까지의 버튼궤적(b) Button trajectory from the drag start button to the front of the vowel button

또는or

드래그된 버튼중 모음버튼이 없는 경우는 상기 드래그시작버튼에 드래그종료버튼까지의 버튼궤적If there is no vowel button among the dragged buttons, the button trajectory from the drag start button to the drag end button

에서 상기 드래그시작버튼을 포함하는 회귀드래그를 탐지하는 단계Detecting a regression drag including the drag start button in

(c) 상기 드래그가 시작된 자음버튼에 연관된 자음 중에서, 상기 회귀드래그에 대하여 약속된 자음을 인식하는 단계(c) Recognizing consonants promised for the regression drag among the consonants related to the consonant button from which the dragging started.

로 글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s are input with

상기 내용은 도면19-10의 드래그 버튼궤적 [ㄱ → ㄴ → ㄱ → ㄹ → ㅅ → ㅡ → ㆍ → ㅇ → ㅁ → ㅂ → ㅁ → ㅂ] 중에서 모음버튼 [ㆍ]에서 드래그가 종료경우 (즉, [ㄱ → ㄴ → ㄱ → ㄹ → ㅅ → ㅡ → ㆍ])를 참고할 수 있다. 버튼궤적 [ㄱ → ㄴ → ㄱ → ...] 에서 회귀드래그를 탐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The above is the case where the drag ends at the vowel button [ㆍ] among the drag button trajectories [a → b → a → d → ㅅ → ㅡ → ㆍ → ㅇ → ㅁ → ㅇ → ㅁ → ㅁ] in Fig. 19-10 (i.e., You can refer to [a → b → a → d → ㅅ → ㅡ → ㆍ]). It has been explained that regression drag can be detected in the button trajectory [a → b → a → ...].

다음은 자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어 모음버튼을 거쳐 자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경우이다. The following is a case where dragging starts from the consonant button, passes through the vowel button, and ends at the consonant button.

스크린(액정)상의 다수의 자음버튼과 다수의 모음버튼을 격자형으로 밀집하여 구비하는 자판에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 상태에서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버튼들을 드래그하는 드래그동작에 의하여 한국어 글자(자음, 모음, 자모결합글자, 단어 또는 구절)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On a keyboar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and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on a screen (liquid crystal) densely in a lattice form, Korean letters (consonants , vowel, consonant letter, word or phrase) in the method of inputting,

상기 자음버튼 중 하나 이상의 자음버튼에는 다수의 자음이 연관되어 있으며, 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associated with one or more consonant buttons among the consonant buttons,

상기 드래그는 자음버튼에서 시작하여 모음버튼을 포함하여 자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되며, The drag starts from the consonant button and ends with the consonant button including the vowel button,

(a) 드래그동작의 시작을 탐지하고 상기 드래그가 시작된 자음버튼(드래그시작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인식하고, 드래그된 버튼궤적 중에서 최초 모음버튼 앞까지의 버튼들로부터 약속된 초성자음을 인식하는 단계(a) detecting the start of the drag operation, recognizing the consonant button (drag start button) where the drag has started as a valid button, and recognizing the promised initial consonant from the buttons up to the first vowel button in the dragged button trajectory

(b) 드래그 버튼궤적에서 최초 모음버튼에서부터 최종 모음버튼까지의 버튼궤적에서 약속된 모음을 중성모음으로 인식하는 단계(b) Recognizing vowels promised as neutral vowels in the button trajectory from the first vowel button to the final vowel button in the drag button trajectory.

(c) 최종 드래그된 모음버튼 다음의 버튼부터 드래그 종료버튼인 자음버튼까지의 버튼궤적으로부터 드래그 종료버튼인 자음버튼의 회귀드래그를 탐지하는 단계(c) Detecting the regression drag of the consonant button, which is the drag end button, from the button trajectory from the button next to the last dragged vowel button to the consonant button, which is the drag end button

(e) 상기 드래그 종료버튼인 자음버튼에 연관된 자음 중에서, 상기 탐지된 회귀드래그에 대하여 약속된 자음을 종성자음으로 인식하는 단계(e) Recognizing, among the consonants associated with the consonant button that is the drag end button, a consonant promised for the detected regression drag as a final consonant.

로 글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s are input with

상기 내용은 도면19-10의 드래그 버튼궤적 [ㄱ → ㄴ → ㄱ → ㄹ → ㅅ → ㅡ → ㆍ → ㅇ → ㅁ → ㅂ → ㅁ → ㅂ] 를 참고할 수 있다. 버튼궤적 [...→ ㅂ → ㅁ → ㅂ] 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자음버튼인 [ㅂ]버튼의 회귀드래그를 탐지하여 [ㅂ]버튼에 연관된 자음(예. "ㅍ")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The above content may refer to the drag button trajectory [a → b → a → d → ㅅ → ㅡ → ㆍ → ㅇ → ㅁ → ㅇ → ㅁ → ㅁ] in Fig. 19-10. In the button trajectory [...→ ㄴ → ㅁ → ㄴ],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nput of a consonant (e.g. "P") related to the button by detecting the regression drag of the [ㅅ] button, which is the consonant button where the drag is terminated. explained that it can.

또한 추가적으로, Also additionally,

상기 2가지 경우에 있어서,In the above two cases,

상기 회귀드래그는 1단 또는 1단 이상의 회귀드래그인 것The regression drag is a one-step or more than one-step regression drag.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by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 And in the above,

수평회귀드래그에 의하여 격자음 또는 자음버튼에 2번째 배열된 자음이 인식되는 것Recognizing the second consonant arranged in the grid sound or consonant button by horizontal regression drag

and

수직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쌍자음이 인식되는 것Recognizing double consonants by vertical regression drag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by

역시 도면19-10의 드래그 버튼궤적 [ㄱ → ㄴ → ㄱ →...] 및 [ㄱ]버튼과 [ㄴ]버튼의 위치관계로부터 수평회귀드래그(더 정밀하게는 "우향회귀드래그")를 탐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Detect horizontal regression drag (more precisely, "rightward regression drag") from the drag button trajectory [a → b → a →...]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 button and the [b] button in Fig. 19-10 explained that it could be done.

도면19-13 및 도면19-14에서 모음버튼(예. [ㆍ]버튼)에서 드래그가 시작되어 다시 그 모음버튼(예. [ㆍ]버튼)으로 되돌아오는 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약속된자음(예. "ㅎ")이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In Fig. 19-13 and Fig. 19-14, the drag is started from the vowel button (eg [ㆍ] button) and the consonant promised by the regression drag returning to the vowel button (eg [ㆍ] button) (eg, [ㆍ] button). "ㅎ") was possible to be recognized. To summarize this, it is as follows.

스크린(액정)상의 다수의 자음버튼과 다수의 모음버튼을 격자형으로 밀집하여 구비하는 자판에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 상태에서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버튼들을 드래그하는 드래그동작에 의하여 한국어 글자(자음, 모음, 자모결합글자, 단어 또는 구절)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On a keyboar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and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on a screen (liquid crystal) densely in a lattice form, Korean letters (consonants , vowel, consonant letter, word or phrase) in the method of inputting,

모음버튼에서 모음버튼이 아닌 버튼을 거쳐 다시 그 모음버튼으로 돌아오는 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약속된 자음이 인식되는 것The promised consonant is recognized by the regression drag from the vowel button to the button other than the vowel button and back to the vowel button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도면19-5의 사선방향의 회귀드래그로 중의 한가지로 각 버튼에 대응되어 있는 숫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좌하향회귀드래그는 버튼궤적만 비교하면 도면19-4의 2단 좌향회귀드래그와 같을 수 있기 때문에 그림19-4의 2단 좌향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는 다른 입력대상이 있는 경우는 "꺾임" 각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may be input with one of the diagonal regression drags in Fig. 19-5. Of course, the downward-left regression drag can be the same as the two-stage leftward regression drag of Figure 19-4 if only the button trajectory is compared, so if there is another input target input by the two-stage leftward regression drag of Figure 19-4, it is "bend". angles must be taken into account.

더 나아가 회귀드래그가 아닌 사선방향의 드래그에 의하여 각 버튼에 대응되어 있는 숫자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드래그가 종료된 버튼이 사선방향의 버튼인지만 판별하면 되므로 "꺾임" 각도를 계산하지 않고 버튼궤적만 분석하는 것으로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단, 모음버튼에서 시작되어 자음버튼으로 드래그가 끝나는 경우(예. LG전자 자판에서 [ㅓ]버튼에서 좌상향 드래그되어 [ㄴ]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되는 경우) "모음+자음"의 입력으로 처리하지 않고 숫자의 입력으로 처리된다. 맨위 상단에 위치한 버튼에서 좌상향회귀드래그 또는 좌상향드래그하는 경우는 DB1 ~ DB5 의 가짜버튼을 적은 높이로 둠으로써 오류(0단 드래그 및 0단 회귀드래그에서의 오류)가능성 없이 쉽게 해결가능함을 설명하였다. Furthermore, the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can be recognized by diagonal dragging instead of regression dragging. Thi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alyzing only the button trajectory without calculating the "bend" angle, since it is only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button on which the drag has ended is a button in the diagonal direction. However, if the drag starts from the vowel button and ends with the consonant button (e.g. dragging upward from the [sh] button on the LG Electronics keyboard and ending with the [ㄴ] button), it is treated as an input of "vowel + consonant" It is treated as a numeric input without Explain that in the case of upward-left or upward-left-dragging from the button located at the top, it can be easily solved without the possibility of errors (errors in the 0-stage drag and 0-stage regression drag) by placing the fake buttons of DB1 ~ DB5 at a small height. did

35. 자음버튼에 인접한 면(面)에 위치하지 않은 모음버튼이 있는 자판에서의 연속된 드래그에 의한 모음인식 35. Vowel recognition by continuous dragging on a keyboard with a vowel button that is not locat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도면18-1(*)의 2벌식 키보드(즉, 쿼티한글자판)에는 12개의 모음버튼이 있다. 현대 한국어의 모음은 21개 인데, 그중에서 "ㅒ"는 [ㅐ]버튼에 연관되어 있고, "ㅖ"는 [ㅔ]버튼에 연관되어 있다. 이는 "ㅒ = shift + ㅐ"로, "ㅖ = shfit + ㅔ"로 입력하는 것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현대 한국어 모음 21개 중 14개(버튼에 표시된 12개 + ㅒ, ㅖ)를 제외한 나머지 7개 모음은 "ㅚ", "ㅘ", "ㅙ", "ㅟ", "ㅝ", "ㅞ", "ㅢ" 로 모두 2개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모음이다. 7개 이중모음 중 5개의 모음이 "ㅣ"와 최종 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double keyboard (ie, QWERTY Korean keyboard) of Figure 18-1 (*) has 12 vowel buttons. There are 21 vowels in modern Korean, among which "ㅒ" is related to the [ㅐ] button and "ㅖ" is related to the [ㅔ] button. This can be easily seen from inputting "ㅒ = shift + ㅐ" and "ㅖ = shift + ㅔ". Except for 14 of the 21 modern Korean vowels (12 displayed on the button + ㅒ, ㅖ), the remaining 7 vowels are "ㅚ", "ㅘ", "ㅙ", "ㅟ", "ㅝ", "ㅞ", "ㅢ" is a diphthong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vowels. It can be seen that 5 of the 7 diphthongs are finally combined with "ㅣ".

선출원(제27장)에서는 첫번째로 드래그된 모음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가정하였으나, 도면19-32와 같이 자음버튼에 면(面)으로 인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이 있는 경우에 모음 "ㅓ", "ㅏ", ... 등과 같이 자음버튼과 인접하지 않은 모음을 중성모음으로 입력하는 것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핵심은 유효한 음절을 형성하는 모음버튼을 식별해 내는 것이다. 유효한 모음이 다수인 경우(즉, 모호성이 있는 경우) 리스트를 띄워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합리적인 규칙으로 정확히 하나의 모음을 식별해 내는 것을 제시한다.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hapter 27), the first dragged vowel button was assumed to be a valid button, but as shown in Fig. 19-32, if there are vowel buttons that are not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the vowels "o" and "o" Entering a vowel that is not adjacent to a consonant button, such as ", ..., as a neutral vowel will be described. The key to this embodiment is to identify the vowel buttons that form valid syllables. When there are multiple valid vowels (ie, when there is ambiguity),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 list and let the user select.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 identifying exactly one vowel with a reasonable rule.

한글쿼티자판에서 모음버튼은 3개의 행(줄)으로 이루어져 있다. 1번째 행의 모음 "ㅛ", "ㅕ", "ㅑ", "ㅐ", "ㅔ" 은 이중모음을 구성하는 앞모음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1번째 행의 모음버튼에서 2번째 행 또는 3번째 행의 모음으로 드래그되는 것은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2번째 행의 우측에 배치된 모음은 좌측에 배열된 모음과 대체적으로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는다. 예를들어 "ㅣ" (우측모음)와 "ㅏ", "ㅓ", "ㅗ" (좌측모음)는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으며, "ㅏ"(우측모음)와 "ㅓ"(좌측모음)는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으며, "ㅓ"(우측모음)와 "ㅗ"(우측모음)은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이중모음이 "X+ㅣ"의 형태이고, "ㅣ+X"의 형태가 아닌 것을 생각하면 된다. 또한 3번째행의 모음(예. "ㅜ")과 2번째 행의 모음(예. "ㅓ", "ㅣ")는 이중모음을 형성할 수 있지만, 2번째 행의 모음(예. "ㅓ"과 3번째 행의 모음(예. "ㅡ")은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는다. In the Korean QWERTY keyboard, the vowel button consists of three rows (lines). The vowels "ㅛ", "ㅕ", "ㅑ", "ㅐ", and "ㅔ" in the first row are not used as front vowels constituting a diphthong. Therefore, dragging from the vowel button in the first row to the vowel in the second or third row does not form a diphthong. Also, vowel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row do not generally form diphthongs with vowels arranged on the left side. For example, "ㅣ" (right vowel) and "ㄴ", "sh", and "ㅗ" (left vowel) do not form diphthongs, and "a" (right vowel) and "sh" (left vowel) do not form diphthongs. It does not form a diphthong, and "sh" (right vowel) and "ㅗ" (right vowel) do not form a diphthong. This can be considered that most diphthongs are in the form of "X + ㅣ" and not in the form of "ㅣ + X". Also, vowels in the 3rd row (eg "ㅜ") and vowels in the 2nd row (eg "sh", "ㅣ") can form a diphthong, but vowels in the 2nd row (eg "sh") and vowels in the third row (eg "ㅡ") do not form diphthongs.

자음버튼에 면(面)으로 인접하지 않은 모음을 중성모음으로 입력함에 있어서, 이렇게 우측에 위치한 모음과 좌측에 위치한 모음이 이중모음을 이루지 않는 것, 2번째 행에 위치한 모음과 1번째 행에 위치한 모음이 이중모음을 이루지 않는 것, 그리고 2번째 행에 위치한 모음과 3번째행에 위치한 모음이 이중모음을 이루지 않는 것은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한글쿼티자판의 중요한 성질이 된다. In inputting a vowel that is not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as a neutral vowel, the vowel located on the right and the vowel located on the left do not form a diphthong, the vowel located in the second row and the vowel located in the first row It is an important property of the Korean QWERTY keyboard in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vowel does not form a diphthong, and that the vowel located in the second row and the vowel located in the third row do not form a diphthong.

만약 사용자가 "앙"을 입력하기 위하여 도면20-1처럼 [ㅇ → ... ㅛ → ㅕ → ㅑ → ㅏ → ㅓ → ㅗ → ... ㅇ] 과 같이 드래그한 경우를 살펴본다. 이 사례는 사용자가 모음 "ㅏ"을 입력하기 위하여 1번째행의 모음버튼으로 드래그하가다 의도하는 2번째행의 모음 "ㅏ"로 진행하고 2번째 행에서 다시 좌측 자음버튼쪽을 진행한 것이다. 선출원(제27장)에서는 모든 모음버튼이 자음버튼과 면(面)으로 인접한 경우를 가정하여 처음 드래그된 모음(예. [ㅛ]버튼)이 유효한 버튼인 것으로 간주하였으나, 만약 사용자가 "ㅛ"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 ㅛ →ㅕ → ㅑ → ㅏ → ...]" 와 같이 우측으로 더 진행할 이유가 없고 [ㅛ]까지 드래그하고 나서 다시 좌측의 자음버튼쪽으로 드래그가 진행되었어야 한다. [...→ ㅛ → ㅕ → ㅑ → ㅏ → ㅓ → ㅗ → ...] 는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가장 우측에 위치한 모음 "ㅏ"를 사용자가 의도한 모음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결과는 "앙"이 인식된다. If the user drags [ㅇ → ... ㅛ → ㅕ → ㅑ → A → sh → ㅗ → ... ㅇ] as shown in Fig. 20-1 to input "ang", look at it. In this case, the user drags to the vowel button in the first row to input the vowel "a", proceeds to the intended vowel "a" in the second row, and proceeds to the left consonant button again in the second row. In the previous application (Chapter 27), assuming that all vowel buttons are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the first dragged vowel (eg, [ㅛ] button) was considered a valid button, but if the user clicked "ㅛ" If it was for entering [...→ ㅛ →ㅕ → ㅑ → A → ...]", there is no reason to proceed further to the right, and after dragging to [ㅛ], dragging again toward the consonant button on the left Since [...→ ㅛ → ㅕ → ㅑ → A → ㅛ → ㅗ → ...] does not form a diphthong, it is reasonable to determine that the rightmost vowel "a" is the vowel intended by the user. Therefore, the result is recognized as "ang".

본 발명의 핵심은 한글쿼티자판과 같이 자음버튼에 면으로 인접하지 않고 모음버튼으로만 둘러쌓인 모음버튼이 있고, 좌측에 자음버튼이 배치되고 우측에 모음버튼이 위치된 자판에서 드래그된 모음버튼들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한 모음버튼을 유효한 모음으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드래그된 모음버튼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한 모음버튼을 "드래그된 최우측모음버튼"이라 부르기로 하며, 더 간단히 "최우측모음버튼" 또는 "최우측모음" 이라 부르기로 한다. 더불어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되는 모음버튼인 최우측모음과 이중모음을 이루는 경우는 그 이중모음(도면15-17의 "ㅚ")이 인식된다.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re is a vowel button surrounded only by the vowel button without being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like the Korean QWERTY keyboard, and the vowel buttons dragged from the keyboard where the consonant button is placed on the left and the vowel button is located on the right. Among them, the rightmost vowel button is regarded as a valid vowel and processed. Among the vowel buttons dragged in this way, the rightmost vowel button is referred to as a "dragged rightmost vowel button", and will be more simply referred to as a "rightmost vowel button" or a "rightmost vowel". In addition, when forming a diphthong with the rightmost vowel, which is a vowel button considered as a valid button, the diphthong ("ㅚ" in Figs. 15-17) is recognized.

선출원의 도면15-17의 버튼퀘적은 [ㄱ → ㅅ → ㅎ → ㅗ → ㅓ → ㅏ → ㅣ → ㅏ → ㅓ → ㅗ → ㅎ → ㄹ → ㅇ] 이다. 모음 부분의 버튼궤적은 [...→ ㅗ → ㅓ → ㅏ → ㅣ → ㅏ → ㅓ → ㅗ →...] 이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굉"이 인식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명의 사상으로 해석하더라도 최우측모음인 [ㅣ]가 유효한 모음버튼이고, 그 앞의 "ㅗ"와 결합하여 이중모음 "ㅚ"로 되기 때문이다. 도면15-17에서 "괭"으로 되지 않는 이유는 쿼티한글자판에서 [ㅐ]버튼이 별도로 있어 "ㅙ = ㅗㅏㅣ"로 입력하지 않고, "ㅙ = ㅗㅐ"로 입력하기 때문이다. 만약 사용자가 "강"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모음버튼 [ㅗ]를 피해서 (예. 1번째 행의 모음 또는 3번째 행의 모음으로 드래그를 진행하였다가) [ㅏ]버튼까지 드래그하고 다시 자음버튼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The button quests of drawings 15-17 of the previous application are [a → ㅅ → ㅎ → ㅗ → ㅇ → a → ㅣ → a → osh → ㅗ → ㅎ → ㄹ → ㅇ]. The button trajectory of the vowel part is [...→ ㅗ → ㅗ → A → ㅣ → A → ㅗ → ㅗ →...]. As already explained, it makes sense for "goong" to be recognized. This is because the rightmost vowel [ㅣ] is an effective vowel button even if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ecomes a double vowel "ㅚ" by combining with "ㅗ" in front of it. The reason why it does not become "hoe" in Figures 15-17 is that there is a separate [ㅐ] button on the QWERTY Korean keyboard, so enter "ㅙ = ㅗㅐ" instead of entering "ㅙ = ㅗㅐ". If it was for the user to input "Kang", the user intentionally avoided the vowel button [ㅗ] (e.g. dragging to the vowel in the first row or the vowel in the third row) to the [A] button. Drag and drag again with the consonant button.

우리 한글은 "초성+중성" (즉, "자음+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자모결합글자)이 있고, "초성+중성+종성" (즉, "자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자모결합글자)가 있다. "초성+중성"의 경우 모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되므로 문제가 훨씬 간단해 진다. 최종드래그된 모음버튼을 유효한 버튼으로 간주하여 처리하고, 더불어 그 최종드래그된 모음버튼과 이중모음을 이룰 수 있는 경우는 그 이중모음을 인식하면 된다. 즉 "초성+중성"으로 이루어진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자음버튼에서 드래그를 시작하여 모음버튼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경우는 모음버튼의 위치(예. 최우측모음)에 상관없이 최종드래그된 모음버튼을 최우측모음인 것으로 처리하면 된다. Korean Hangul has a syllable (consonant letter) consisting of "initial consonant + neutral" (i.e., "consonant + vowel"), and a syllable consisting of "initial consonant + neutral + final consonant" (i.e., "consonant + vowel + consonant") ( There is a consonant letter). In the case of "primary consonant + neutral consonant", the drag ends at the vowel button, so the problem becomes much simpler. The last dragged vowel button is regarded as a valid button and processed, and if a double vowel can be formed with the last dragged vowel button, the double vowel can be recognized. That is, if the user starts dragging from the consonant button and ends dragging from the vowel button to input a letter consisting of "initial consonant + neutral", the last dragged vowel butt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vowel button (eg, the rightmost vowel) is treated as the rightmost vowel.

한글쿼티자판과 같이 좌측에 자음버튼그룹이 있고, 우측에 모음버튼그룹이 있는 경우는 설명한 바와 같이 최우측모음을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자음버튼에 면(面)으로 인접하지 않은 모음버튼그룹이 상측에 있는 경우는 최상측모음을, 하측에 있는 경우는 최하측모음을, 좌측에 있는 경우는 최좌측모음을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최우측모음, 최좌측모음, 최상측모음, 최하측모음 등을 통칭하여 "최말단모음" (좀 더 정확히는 "드래그된 최말단모음버튼" 또는 "최말단모음버튼") 이라고 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최우측모음"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consonant button group on the left side and a vowel button group on the right side, such as the Korean QWERTY keyboard,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rightmost vowel as a valid vowel button as described above. However, if a vowel button group that is not adjacent to a consonant button is on the upper side, the uppermost vowel is treated as a valid vowel button, if it is on the lower side, the lowermost vowel is treated as a valid vowel button, and if it is on the left side, the leftmost vowel is treated as a valid vowel button. Of course it is reasonable to do so. The rightmost vowel, the leftmost vowel, the uppermost vowel, the lowest vowel, etc.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most vowel" (more precisely, "the dragged most vowel button" or "the most recent vowel button"). For convenience, the term "rightmost vowel" is used as it is.

도면20-2와 같이 드래그된 경우를 살펴본다. 3번째행의 모음(예. "ㅜ")과 2번째행의 모음(예. "ㅣ")은 이중모음을 형성할 수 있고, 3번째행의 모음(예. "ㅜ")과 1번째 행의 모음(예. "ㅔ")는 이중모음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20-2의 처음 드래그된 모음버튼부터 마지막으로 드래드된 모음버튼까지의 버튼궤적은 [...→ ㅗ → ㅠ → ㅜ → ㅡ → ㅏ → ㅣ → ㅔ → ...] 이다. "ㅗ+ㅣ", "ㅜ+ㅣ", "ㅜ+ㅔ"를 놓고보면, 사용자가 "ㅚ"를 입력하고자 하였던 것인지, "ㅟ"를 입력하고자 하였던 것인지, "ㅞ"를 입력하고자 하였던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최우측모음이 "ㅔ" 이므로 "ㅔ"에 앞에서 결합될 수 있는 모음 "ㅜ"와 함께 "ㅞ"를 입력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면20-2의 결과는 "웩"이 인식된다. 만약 위의 버튼궤적에서 최우선모음인 "ㅔ"와 결합될 수 있는 이중모음이 없었다면 "ㅔ"가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됨은 당연하다. Let's take a look at the case of being dragged as shown in Fig. 20-2. A vowel in the third line (eg "TT") and a vowel in the second row (eg "ㅣ") can form a diphthong, and a vowel in the third row (eg "TT") and a vowel in the first row A vowel in (eg "ㅔ") can form a diphthong. The button trajectory from the first dragged vowel button to the last dragged vowel button in Fig. 20-2 is [...→ ㅗ → ㅠ → ㅜ → ㅡ → A → ㅣ → ㅔ → ...]. Considering "ㅗ+ㅣ", "TT+ㅣ", and "TT+ㅔ",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wanted to input "ㅚ", "ㅟ", or "ㅞ". Hard to do. However, since the rightmost vowel is "ㅔ", it can be determined that "ㅞ" was intended to be input together with the vowel "TT" that can be previously combined with "ㅔ". As a result of Fig. 20-2, "wack" is recognized. If there is no diphthong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top vowel "ㅔ" in the button trajectory above, it is natural that "ㅔ" is treated as a valid button.

현재 스마트폰에서 단어사전을 이용하여 추천단어의 리스트를 띄워주는 테크닉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만약 단어사전에 "우위", "우웩", ... 등의 단어가 저장되어 있었다고 가정하고, 도면20-2의 드래그가 일어나기 전에 기 입력된 글자가 "우" 였다면, 도면20-2의 드래그를 "위"와 "웩"으로 해석하여 "우위"와 "우웩"을 추천단어 리스트에 띄워주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우위"를 입력하려는 과정에서 좀더 길게 드래그가 일어나서 최우측모음인 [ㅔ]버튼까지 드래그된 것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어사전에 "우위"가 있음을 전제로 하며, 비록 최우측모음 또는 최우측모음과 결합될 수 있는 이중모음이 아니더라도, 인식될 수 있는 다수의 후보 모음들 중에서 단어사전에 있는 단어를 형성하는 모음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의도하였던 모음으로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만약 단어사전이 없거나 단어사전이 있더라도 단어사전에 "우위"가 없다면, 최우측모음인 "ㅔ"에 근거하여 도면20-2의 결과를 "웩"으로 인식하고 출력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Currently, the technique of displaying a list of recommended words using a word dictionary in a smartphone is widely used. If it is assumed that words such as "woo", "wow", ... are stored in the word dictionary, and if the previously input letter is "woo" before the drag of drawing 20-2 occurs, the drag of drawing 20-2 It is also possible to interpret "Wi" and "Wow" and display "Wuuu" and "Wow" on the list of recommended words. This is because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dragged the rightmost vowel [ㅔ] button in the process of inputting "Wuuu" by dragging for a longer time. This presupposes that there is "predominance" in the word dictionary, and even if it is not the rightmost vowel or a diphthong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rightmost vowel, it is possible to form a word in the word dictionary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vowels that can be recognized. The vowel is interpreted as a vowel that the user intends to input, and the user is given a choice. If there is no word dictionary or there is no word dictionary even if there is a word dictionary, it would be reasonable to recognize and output the result of FIG. 20-2 as “weck” based on the rightmost vowel “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쿼티한글자판에서 대체적으로 우측의 모음과 좌측의 모음이 이중모음을 이루지 않는 성질은, 사용자가 이중모음을 드래그하여 입력할 때, 좌측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서 이중모음을 이루는 모음을 드래그하면 되는 좋은 특성을 제공한다. 도면20-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모음 "ㅞ"를 입력하기 위하여 [...→ ㅜ → ... → ㅔ → ...] 와 같이 드래그하고 종성자음 "ㄱ"을 입력하기 위하여 좌측의 자음버튼쪽으로(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쓸고 지나갈때의 모음들은 대체로 최우측모음과 합하여 이중모음을 형성하지 않는 좋은 특성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As already explained, the property that the vowel on the right and the vowel on the left do not form a diphthong in the QWERTY Korean keyboard is that when the user drags and inputs a diphthong, dragging a vowel that forms a diphthong while dragging from left to right It provides good properties to be As shown in Figure 20-2, the user drags [...→ TT → ... → ㅔ → ...] to input the vowel "ㅞ" and inputs the final consonant "a". It means that the vowels when sweeping toward the button (ie, from right to left) generally have a good property of not forming a diphthong by combining with the rightmost vowel.

도면20-3은 쿼티한글자판 상단의 10개의 열에 맞추어 작은 높이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DB1 ~ DB10 의 10개 가짜버튼을 둔 사례이다. 도면20-3 등의 쿼티한글자판에서 자음버튼과 면(面)으로 인접한 모음버튼은 [ㅛ]버튼, [ㅗ]버튼, [ㅠ]버튼의 3개 버튼이다. 그러나 도면20-3과 같이 가짜버튼 영역을 통하거나 자판외부로 우회하여 그래그할 수 있게 하면 1번째 행의 모음(예. "ㅕ", "ㅑ", "ㅐ", "ㅔ")은 자음버튼에서 다른 모음버튼을 거치지 않고 특정 모음(예. "ㅑ")으로 직접 드래그될 수 있다. 3번째 행의 모음(예. "ㅜ", "ㅡ") 역시 [스페이스]버튼, [Enter]버튼, [백스페이스]버튼 등의 기능버튼 영역을 통하여 자음버튼에서 특정모음(예. "ㅜ")으로 직접 드래그 될 수 있다. 자음버튼과 면으로 인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의 경우도 특정 모음버튼으로 직접 드래그할 수 있는 우회수단이 있으면 자음버튼과 인접하여 있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있다. 단 [ㅓ]버튼, [ㅏ]버튼과 같이 완전히 모음으로만 둘러쌓인 모음버튼의 경우는 본 발명의 핵심사상의 적용이 필요하며, 완전히 모음버튼으로만 둘러쌓인 모음버튼이 아닌 경우라도 사용자가 우회하여 드래그하지 않는 경우는 본 발명의 핵심사상(최우측모음을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처리)을 적용하면 된다. Figure 20-3 is an example of putting 10 fake buttons, DB1 to DB10, from left to right at a small height according to the 10 columns at the top of the QWERTY Korean keyboard. In the QWERTY Korean keyboard such as Fig. 20-3, the consonant buttons and the vowel buttons adjacent to the surface are three buttons: [ㅛ] button, [ㅗ] button, and [ㅠ] button. However, as shown in Fig. 20-3, if you make it possible to drag through the fake button area or detour to the outside of the keyboard, the vowel in the first row (eg "ㅕ", "ㅑ", "ㅐ", "ㅔ") is a consonant It can be directly dragged from a button to a specific vowel (eg "ㅑ") without passing through other vowel buttons. Vowels in the third row (eg "TT", "ㅡ") are also specific vowels (eg "TT") ) can be dragged directly to Even in the case of a vowel button that is not adjacent to a consonant button, if there is a bypass means that can be directly dragged to a specific vowel button, there is an effect similar to that adjacent to the consonant button. However, in the case of a vowel button completely surrounded only by vowels, such as the [sh] button and the [a] butt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or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ven if the vowel button is not completely surrounded only by vowel buttons, the user can bypass In the case of not dragging, the cor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ing the rightmost vowel as an effective vowel button) may be applied.

도면20-3과 같이 가짜버튼 영역을 두지 않더라도 문자입력시스템내에 단어 색인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판 상단에 추천단어리스트를 제공하는 "추천단어영역" 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 추천단어영역을 가짜버튼영역처럼 사용하면 된다. 단어추천기능은 Windows 또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에서의 "자동완성기능"과 유사한 것으로 추천단어영역은 자동완성 후보 리스트를 띄워주는 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이는 현재 스마트폰 등의 문자입력기 어플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도면에 의한 사례제시는 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20-3, if a "recommended word area" is provided that has a word index in the text input system and provides a list of recommended words at the top of the keyboard, even if the fake button area is not placed, the recommended word area is like a fake button area. You can use it. The word recommendation function is similar to the "auto-completion function" in the address bar of Windows or web browsers. You can think of the suggested word area as an area that displays an auto-completion candidate list. This is currently widely used in text input applications such as smartphones. Case presentation by drawing is not provided.

[ㅐ]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ㅒ", [ㅔ]버튼에 연관되어 있는 "ㅖ"는 회귀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ㅒ"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혼동이 없고 가장 쉬운 방법은, 도면20-3에서 [...→ DB9 → ㅐ → DB9 → ㅐ → ...] 으로 드래그하는 것이다. "ㅖ"의 경우도, [...→ DB10 → ㅔ → DB10 → ㅔ → ...] 로 드래그하여 "ㅖ"를 입력할 수 있다. 그래그 궤적에 의한 도면은 생략한다. It was explained that "ㅒ" related to the [ㅐ] button and "ㅖ" related to the [ㅔ] button could be input by regression dragging. There is no confusion and the easiest way to input "ㅒ" is to drag it to [... → DB9 → ㅐ → DB9 → ㅐ → ...] in Fig. 20-3. In the case of "ㅖ", you can input "ㅖ" by dragging [...→ DB10 → ㅔ → DB10 → ㅔ → ...]. The drawing by the rag trajectory is abbreviate|omitted.

그러나 회귀드래그는 동일한 버튼이 2번 출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짜버튼 DBx 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다. 도면20-4의 버튼궤적은 [...→ ㅐ → ㅏ → ㅑ → ㅐ → ㅏ → ...] 이다. [ㅐ]버튼이 2번 나오므로 [ㅐ]버튼에 대해 회귀드래그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고, [ㅏ]버튼이 2번 나오므로 [ㅏ]버튼에 대해 회귀드래그가 이루어졌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의도한 중성모음이 "ㅒ" 인 것은 2가지로 판단이 가능하다. 첫번째로 한글쿼티자판에서 [ㅏ]버튼에 연관된 알파벳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ㅏ]버튼의 회귀드래그가 특정모음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X(특정 알파벳) = 기능버튼(shift) + ㅏ" 또는 "X(특정 알파벳) = ㅏㅏ" 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ㅏ]버튼의 회귀드래그가 특정모음의 입력으로 정의되어 있더라도, "ㅐ"와 "ㅏ" 중에서 최우측모음이 [ㅐ]버튼이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모음은 "ㅒ" 인 것을 시스템이 판단할 수 있다. 가장 명확한 것은 [ㅐ]버튼 회귀드래그가 [ㅏ]버튼의 회귀드래그보다 먼저 이루어졌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알파벳이 "ㅒ"임을 판단할 수 있다. [..→ ㅐ → X → ... → ㅐ → ...] 로 [ㅐ]버튼의 회귀드래그가 끝나고나서 [ㅏ]버튼에 대한 회귀드래그가 별도로 더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ㅐ]버튼의 회귀드래그를 위하여 주변버튼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우연히 [ㅏ]회귀드래그가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20-4의 결과는 "걜"이 인식된다. However, since the regression drag has the feature that the same button appears twice, it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out using the fake button DBx. The button trajectory in Fig. 20-4 is [...→ ㅐ → A → ㅑ → ㅐ → A → ...]. Since the [ㅐ] button appears twice, it is easy to see that the regression drag was performed for the [ㅐ] button, and since the [A] button appears twice, it is easy to know that the regression drag was performed for the [A] button.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neutral vowel intended by the user is "ㅒ" in two ways. First, since the alphabet associated with the [A] button is not defined in the Korean QWERTY keyboard, the regression drag of the [A] button is not defined as a specific vowel. For example, it is not defined as "X (specific alphabet) = function button (shift) + A" or "X (specific alphabet) = A A". Second, even if the regression drag of the [a] button is defined as a specific vowel input, the system determines that the vowel intended by the user is "ㅒ" because the rightmost vowel among "ㅐ" and "a" is the [ㅐ] button. can do. The most obvious thing is that the [ㅐ] button regression drag was performed before the [A] button regression drag,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s intended alphabet is "ㅒ". [..→ ㅐ → X → ... → ㅐ → ...] After the regression drag of the [ㅐ] button is finished, the regression drag for the [a] button is not made separately, but the regression of the [ㅐ] button In the process of dragging the surrounding buttons for dragging, [A] recursion dragging happened by chance. As a result of Fig. 20-4, "long&quot; is recognized.

상기 설명은 도면19-28의 팬택사 한글자판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도면19-30사례에서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하여 "ㅏ"와 결합할 수 있는 [ㅣ]버튼을 지나지 않고, "ㅏ"와 결합할 수 없는 "ㅓ"버튼을 지나서 드래그 되었다. 도면19-30과 같이 최우측모음이 다수(도면19-30에서 "ㅏ", "ㅓ")인 경우는, 그 다수의 최우측모음 중에서 어느 최우측모음을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면19-29의 사례에서는 [ㅏ]버튼에 대해 회귀드래그가 일어났으므로 사용가 의도한 모음버튼이 [ㅏ]버튼 (즉, 인식결과 모음은 "ㅑ")임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도면19-30의 사례에서는 드래그된 최우측모음(예. [ㅏ]버튼, [ㅓ]버튼) 중에서 첫번째로 드래그된 최우측모음을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한 사례이다. 이렇게 드래그된 최우측모음이 다수인 경우 최우측모음 중에서 첫번째 최우측모음을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하는 것은 타당성을 가진다. 다수의 최우측모음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의도한 모음으로 드래그를 진행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예. 가짜버튼, 기능버튼, 버튼외부, 쿼티한글자판에서 1행에서 2행으로 드래그, ...)을 통하여 입력을 의도한 모음으로 드래그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above description appears similarly in the case of Pantax's Hangul keyboard in Figures 19-28. In the case of Figures 19-30, it was dragged past the [ㅣ] button that can be combined with "A" to input the vowel "A", and past the "o" button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A". As shown in Fig. 19-3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ightmost vowels ("a" and "o" in Fig. 19-30),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rightmost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rightmost vowels is to be an effective vowel button. need. In the case of Figs. 19-29, since regression drag has occurred for the [A] button, it can be clearly seen that the intended vowel button is the [A] button (ie, the recognition result collection is “ㅑ”). In the case of FIGS. 19-30, the rightmost vowel dragged first among the dragged rightmost vowels (eg, [a] button, [q] button) is treated as a valid button. When there are many rightmost vowels dragged in this way, it is reasonable to process the first rightmost vowel among the rightmost vowels as a valid button. If there are multiple rightmost vowels, the user can use various means (e.g. fake button, function button, outside button, drag from 1st row to 2nd row in QWERTY Korean keyboard, ...) to proceed with dragging to the intended collection. This is because you can drag the input to the intended collection through

본 발명에서 팬택사 한글자판 및 한글쿼티자판의 사례를 통하여 자음버튼과 면(面)으로 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연속 드래그에 의하여 모음을 인식하는 것을 보였다. 현재 터치스크린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판이 선보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사상(예. 최우측모음을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간주)은 다른 자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른 자판의 한가지 예를 더 들면 구글社의 단모음자판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쿼티한글자판에서 "ㅑ", "ㅕ", "ㅛ", "ㅠ"가 빠져 있어, 쿼티한글자판이 10열 자판임에 비하여 8열자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ㅑ = ㅏㅏ", "ㅕ = ㅓㅓ", "ㅛ = ㅗㅗ", "ㅠ = ㅜㅜ" 로 입력하므로 [ㅏ]버튼, [ㅓ]버튼, [ㅗ]버튼, [ㅜ]버튼에 각각 "ㅑ", "ㅕ", "ㅛ", "ㅠ" 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쿼티한글자판에서 [ㅐ]버튼, [ㅔ]버튼에 "ㅒ", "ㅖ"가 각각 연관되어 있는 것과 같으며, 쿼티한글자판의 "ㅒ" 입력사례를 참고하면 된다.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자판이므로 도면제시는 생략한다. 주로 이중모음의 뒷모음을 형성하는 "ㅣ"가 2번째 행의 가장 우측에 위치한 점 역시 쿼티한글자판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다. 구글社의 단모음자판 또한 최우측모음을 유효한 버튼으로 처리하는 것 역시 같은 원리로 쿼티한글자판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사례 제시는 생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xamples of the Pantech company's Korean keyboard and Korean QWERTY keyboard, it was shown that vowels are recognized by continuous dragging when there is a vowel button that is not in contact with a consonant button. Various types of keyboards are currently being introduced on the touch screen, and it is obvious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g, considering the rightmost vowel as an effective vowel button)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keyboards. One more example of another keyboard is the example of Google's single vowel keyboard. In the QWERTY Korean keyboard, "ㅑ", "ㅕ", "ㅛ", and "ㅠ" are missing, so the QWERTY Korean keyboard is composed of 8-row keyboard compared to the 10-row keyboard. "ㅑ = Aa", "ㅕ = shr", "ㅛ = ㅗㅗ", "ㅠ = TT" are entered, so the [A] button, [sh] button, [ㅗ] button, and [TT] button have "ㅑ" respectively. , "ㅕ", "ㅛ", and "ㅠ" are related. This is the same as "ㅒ" and "ㅖ" are related to the [ㅐ] button and the [ㅔ] button on the QWERTY Korean keyboard, respectively, and you can refer to the "ㅒ" input example of the QWERTY Korean keyboard. Since it is a keyboard that is currently widely known, the presentation of drawings is omitted. The fact that "ㅣ", which mainly forms the back vowel of a double vowel, is located on the rightmost side of the second row also has a similar property to the QWERTY Korean keyboard. Google's single vowel keyboard also treats the rightmost vowel as a valid button, as described in the QWERTY Korean keyboard in the same principle, so the example is omitted.

상기 내용을 단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 above contents are summarized in steps as follows.

스크린(액정)상의 다수의 자음버튼과 다수의 모음버튼을 격자형으로 밀집하여 구비하는 자판에서, 터치(또는 마우스 클릭) 상태에서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여 버튼들을 드래그하는 드래그동작에 의하여 한국어 글자(자음, 모음, 자모결합글자, 단어 또는 구절)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On a keyboar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and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on a screen (liquid crystal) densely in a lattice form, Korean letters (consonants , vowel, consonant letter, word or phrase) in the method of inputting,

상기 자판에는 자음버튼과 면(面)으로 접하지 않은 모음버튼이 하나 이상 존재하며, The keyboard has one or more vowel buttons that are not in contact with consonant buttons,

(a) 드래그된 최초 모음버튼과 중간에 드래그된 버튼과 드래그된 마지막 모음버튼을 인식하는 단계(a) Recognizing the dragged first vowel button, the middle dragged button, and the dragged last vowel button

(b) 상기 드래그된 버튼들 중에서 자음버튼그룹에서 가장 멀리 있는 최말단모음을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인식하는 단계(b) Recognizing the last vowel farthest from the consonant button group among the dragged buttons as a valid vowel button

(c) 상기 드래그된 버튼들 중에서 상기 유효한 모음버튼으로 인식된 모음와 결합하여 이중모음이 형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c) determining whether a double vowel is formed by combining with a vowel recognized as the effective vowel button among the dragged buttons;

로 글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액정) 자판상에서의 연속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a screen (liquid cryst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s are input with

..

Claims (1)

한국어 자음버튼과 한국어 모음버튼을 구비한 자판에서 한국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 누름에 대응하여 자음이 인식되고,
상기 모음버튼 누름에 대응하여 모음이 인식되며,

In the method of inputting Korean on a keyboard equipped with a Korean consonant button and a Korean vowel button,
A consonant is recognized in response to pressing the consonant button,
A vowel is recognized in response to pressing the vowel button,

KR1020220131009A 2021-01-26 2022-10-13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KR2022015864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009A KR20220158643A (en) 2021-01-26 2022-10-13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KR1020230072545A KR20230112581A (en) 2021-01-26 2023-06-07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09A KR20210027300A (en) 2021-01-26 2021-01-26 Korean syllable characters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KR1020210093822A KR20210110248A (en) 2021-01-26 2021-07-16 Method for inputting Korean syllable characters on screen keyboard and device therefor
KR1020220131009A KR20220158643A (en) 2021-01-26 2022-10-13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822A Division KR20210110248A (en) 2021-01-26 2021-07-16 Method for inputting Korean syllable characters on screen keyboard and device theref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545A Division KR20230112581A (en) 2021-01-26 2023-06-07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643A true KR20220158643A (en) 2022-12-01

Family

ID=7514862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109A KR20210027300A (en) 2021-01-26 2021-01-26 Korean syllable characters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KR1020210093822A KR20210110248A (en) 2021-01-26 2021-07-16 Method for inputting Korean syllable characters on screen keyboard and device therefor
KR1020220131009A KR20220158643A (en) 2021-01-26 2022-10-13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KR1020230072545A KR20230112581A (en) 2021-01-26 2023-06-07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109A KR20210027300A (en) 2021-01-26 2021-01-26 Korean syllable characters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KR1020210093822A KR20210110248A (en) 2021-01-26 2021-07-16 Method for inputting Korean syllable characters on screen keyboard and device theref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545A KR20230112581A (en) 2021-01-26 2023-06-07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10027300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248A (en) 2021-09-07
KR20230112581A (en) 2023-07-27
KR20210027300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763B1 (en) Korean input method and device therefor in which the consonant is recognized by a long press in the repetitive selection method and the continuous input of consonants concatenated or arranged on the same button is possible
KR102122611B1 (en) 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processed in a cyclic and non-cyclic manner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consonant and the final consonant
KR201800989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by directional drag on buttons arranged in less than 5 alphabets on one button
KR20220158643A (en) Korean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KR101304352B1 (en) Korean syllable input method by continuous directional drag on screen keyboard
KR101377892B1 (en) Korean input method on the keypad that processes a part of a word or phrase as a full input method or a short input method, respectively
KR101355377B1 (en) Korean syllable input method by continuous dragging on screen keyboard
JP4262981B2 (en) Keypad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00110260A (en) Korean syllable characters input method and device on screen keyboard
KR200900770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CN102156616B (en) Touch screen key-writing input method
KR1011399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KR101973208B1 (en) Left-hand consonant input Keyboard input method for right-handed and left-handed Korean input
KR1018440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phabet including Korean in keypad by non-recursive repetition selection method
KR101869229B1 (en) List of left and right characters in Korean alphabet combined letter or list of upper and lower letters and input method
KR1012753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KR1011063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KR1010869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KR20180112753A (en) A method for deleting Korean input characters on a keypad in which 10 Korean clusters are deleted as a unit of a,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KR200800384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from keypad
KR20120127691A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device
KR20180123994A (en) Korean Input Method in Keypad Processed in Circular and Noncircular Forms according to Initial Consonant and Consonant Consonants
KR20130030344A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device
CN102289299A (en) Chinese character Pinyin input method using English letter keys for selecting characters
KR20180033491A (en) A method of combining Korean characters after erasing and deleting input characters by a recognition unit on a keypad and it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