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946A - Drug sorting device - Google Patents

Drug sor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946A
KR20220148946A KR1020227037345A KR20227037345A KR20220148946A KR 20220148946 A KR20220148946 A KR 20220148946A KR 1020227037345 A KR1020227037345 A KR 1020227037345A KR 20227037345 A KR20227037345 A KR 20227037345A KR 20220148946 A KR20220148946 A KR 20220148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returned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3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4763B1 (en
Inventor
슌스케 나카다치
šœ스케 나카다치
유키나가 요시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4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제의 배향 및 자세와, 형상, 크기, 종류, 유효 기한 등의 성상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높은 자유도를 확보하여 약제를 격납하는, 약제 분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 분류 장치는, 약제의, 적어도 형상, 크기, 종류의 성상을 포함하는 약제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약제를 격납하는 격납부와, 상기 격납부에의 약제의 격납 상황을 기억하는 격납 정보 기억부와,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약제 관련 데이터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수용된 약제를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약제 데이터 및 격납 정보 기억부에 기초하여, 당해 약제가 격납되는 격납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약제를 격납하고, 격납된 상기 약제의 약제 데이터와, 격납 위치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약제 관련 데이터 테이블에 기록한다.Provided is a drug sor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recognizes properties such as orientation and posture of a drug, shape, size, type, expiration date, and the like to secure a high degree of freedom and store the drug. The drug classification apparatus of this invention stores the recognition part which recognizes the drug data containing at least the shape, size, and type of a drug, the storage part which stores a drug, and the storage state of the drug in the said storage par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drug-related data table for recording data related to drugs; based on the drug data obtained by recognizing the contained drug by the recognition unit and the storage information storing section, The storage position in which a chemical|medical agent is stored is determined, the said chemical|medical agent is stored, and the chemical|medical agent data of the stored said chemical|medical agent, and storage position data are correlated and recorded in the said chemical|medical agent association data table.

Figure P1020227037345
Figure P1020227037345

Description

약제 분류 장치 {DRUG SORTING DEVICE}Drug sorting device {DRUG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약제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sorting device.

환자에게 처방된 약제가, 처방 변경 등의 이유에 의해 의료 기관 내의 약제 처방을 관리하는 부서로 반환되는 경우가 있다(반품 약제). 특허문헌 1에는, 반품 약제의 처리 작업의 효율화와, 이 작업에 있어서의 휴먼 에러 방지를 위한, 반품 약제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격납하는 반품 약제 분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Drugs prescribed to patients may be returned to a department managing drug prescriptions in medical institutions due to a change in prescription or the like (returned drug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returned medicine sorting devic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storing returned medicines for efficient processing of returned medicines and prevention of human error in this operation.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15343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3-215343

일반적으로, 반품 약제는, 종류, 형상, 크기, 사용 기한 등의 성상이 다양하게 상이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여, 종래의 반품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성상이 다양하게 상이한 반품 약제를 그 후의 불출 작업의 효율 등의 요인을 고려한 높은 자유도를 확보하여 격납하는 것에 대해, 특별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성상이 다양하게 상이한 반품 약제를, 예를 들어 처방 정보에 따른 자유로운 불출이 가능해지도록, 높은 자유도를 확보하여 격납하는 것에 대해, 특별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In general, returned drugs are variously different in properties such as type, shape, size, and expiration dat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turned medicine sorting device, including the on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high degree of freedom in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the efficiency of subsequent dispensing operations and storage of returned medicines having variously different properties is specially considered. it is not done More specifically, it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in particular the storage of returned medicines having variously different properties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so that, for example, free dispensing according to prescription informa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종류, 형상, 크기, 사용 기한 등의 성상이 다앙하게 상이하고, 또한 비정렬 상태로 공급된 약제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높은 자유도를 확보하여 격납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recognize and store drugs having variously different properties such as type, shape, size, and expiration date and supplied in an unaligned state to secure a high degree of freedom.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약제 분류 장치는, 약제의, 적어도 형상, 크기, 종류의 성상을 포함하는 약제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부와,A drug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drug data including properties of at least a shape, size, and kind of a drug;

약제를 격납하는 격납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medicines;

상기 격납부에의 약제의 격납 상황을 기억하는 격납 정보 기억부와,a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orage state of the drug in the storage unit;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약제 관련 데이터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 drug-related data table for recording data about the drug;

를 구비하고,to provide

수용된 약제를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약제 데이터 및 상기 격납 정보 기억부에 기초하여, 당해 약제가 격납되는 격납 위치를 결정하고,Based on the medicine data obtained by recognizing the stored medicine by the recognition unit and 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a storage position in which the medicine is stored is determined;

상기 약제를 격납하고,storing the medicament;

격납한 상기 약제의 약제 데이터와, 격납 위치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약제 관련 데이터 테이블에 기록한다.The drug data of the stored said drug is correlated with storage position data, and it records in the said drug-related data table.

본 발명의 약제 분류 장치에 따르면, 약제의 배향 및 자세와, 형상, 크기, 종류, 사용 기한과 같은 성상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예를 들어 처방 정보에 따른 자유로운 불출이 가능한 것과 같은, 높은 자유도를 확보하여 약제를 격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ug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entation and posture of the drug, the shape, size, type, an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xpiration date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for example, a high degree of freedom such as free dispensing according to prescription information is possible. It can be secured and stored medicin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약제 반려 제어 장치가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는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지시 단말기에 접속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반품약 불출 장치 및 반품약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불출 라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의 (1)은 불출 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2)는 회수 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불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메인 화면도이다. 도 7의 (b)는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메인 화면도에서, 각종 설정 버튼을 터치하였을 때에 나타나는 버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약제 회수 화면도이다.
도 9는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약품 회수 처리의 대상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에 레코드를 작성하는 처리예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회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자동 회수 설정 화면도(일람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약품 유효 기한 등록 일람 화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약품 유효 기한 등록 화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각종 설정에 있어서의 기타 설정 화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반환 약품 설정 화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반환 허가 설정 화면도이다.
도 19는 반환 허가 설정 화면에 의한 반환 허가 설정에 기초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반환 트레이 병동 등록 화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입출고 조회 화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불출 라인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병동별 약품 집계표 도면이다.
도 23은 약품 집계표에 있어서의 마크를 부여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2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불출 라인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회수 리라이트 카드 도면이다. 도 24의 (b)는 회수 리라이트 카드를 출력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layout of the database which the medicine return control apparatus 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stores. (A) is a diagram showing the layout of the table for restock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B) is a diagram showing the layout of the dispensing table for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 is a figure which shows the layout of the table for collection|recovery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layout of the local database connected to the instruction|indication terminal 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ensing line system including a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and a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Fig. 5 (1)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at the time of dispensing. Fig. 5 (2)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at the time of collection.
6 is a flowchart of dispensing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main screen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b) is a button that appears when various setting buttons are touched in the main screen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Fig. 8 is a medicine collection screen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for extracting target data of a drug recovery process of the returned drug management system.
Fig. 10 is a flowchart of a processing example of creating a record in a table for collec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11 is a flowchart of a recovery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reen diagram of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creen diagram (list diagram) of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reen diagram showing a list of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s in the returned dru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medicine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screen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diagram of other setting screens in various settings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turned medicine setting screen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return permission setting screen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19 is a flowchart of a process based on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by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screen.
It is a return tray ward registration screen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 Fig. 21] Fig. 21 is a screen diagram showing an entry/exit inquiry screen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diagram of a drug summary table for each ward output by the dispensing lin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flowchart of a process for giving a mark in the drug summary table.
Fig. 24(a) is a diagram of a collection rewrite card output by the dispensing lin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b) is a flowchart of a process for outputting a retrieval rewrite card.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에 수용되는 약제로서, 병원 등에 있어서의 미사용 반품약을 거론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되는 약제는 미사용 반품약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수용되는 약제는, 제약 메이커로부터 납입된 새로운 약제를 수납 상자로부터 취출하여 랜덤하게 수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그 랜덤하게 수용하는 것이라 함은, 동일 약품을 정렬시키지 않고 수용하는 것이나, 복수종의 새로운 미사용 약품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 등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unused returned medicine in a hospital etc. is mentioned as a medicine accommodated 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ine sorting apparatus). Here, in the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medicine accommodated is not limited to unused returned medicine. That is, the drug to be accommodated may be one in which a new drug delivered from a pharmaceutical maker is taken out from the storage box and accommodated at random. In addition, the random accommodation may include accommodating the same medicine without arranging it,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new unused medicines at the same time, or the like.

[실시 형태 1][Embodiment 1]

1. 구성1. Configuration

1.1.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의 구성 1.1. Configuration of returned drug management system (medicine sor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불출 장치(수용약 불출 장치)(2), 지시 단말기(4) 및 약제 반려 제어 장치(약제 수용 제어 장치)(6)에 의해 구성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utline structure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ine sort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tai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an instruction terminal 4 , and a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medicine acceptance control device) 6 .

도 1에 도시하는 지시 단말기(4)는, 제어부(프로세서), 입력부, 표시부, 기억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다. 제어부(프로세서)는, 연산 처리 및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는, CPU, MPU 등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입력부는, 장치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혹은 수취하는 부위이며, 통상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는, 프로세서(제어부)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을 표시하는 부위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는, 제어부(프로세서)에 의해 가동하는 프로그램이나 모델 생성에 필요한 파라미터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는,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부위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부위이다. 이들 프로세서(제어부), 입력부, 표시부, 기억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적절한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지시 단말기(4)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또는 태블릿 단말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지시 단말기(4)는, 약제에 관한 데이터의 기억부로서의 로컬 데이터베이스(3)를 구비한다.The instruction terminal 4 shown in Fig. 1 includes a control unit (processor), an input unit, a display unit, a storage unit,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processor)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entire system.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ocessor such as a CPU and an MPU, and executes a predetermined program to realize a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input unit is a site for generating or receiving input data for the device, and is usually constituted by a keyboard, a mouse, a touch panel, or the like. A display part is a site|part which displays the process result etc. by a processor (control part), and is compris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 plasma display, etc. The storage unit stores a program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processor), parameter data necessary for model generation, and the lik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is a portion that operates as an interfac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rinte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is a part operating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network. These processor (control unit), input unit, display unit, storage unit,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ppropriate bus. The instruction terminal 4 is constituted by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workstation, or a tablet terminal. Moreover, the instruction|indication terminal 4 is equipped with the local database 3 as a memory|storage part of the data concerning a medicine.

또한, 약제 반려 제어 장치(약제 수용 제어 장치)(6)는, 제어부(프로세서), 입력부, 표시부, 기억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다. 제어부(프로세서)는, 연산 처리 및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는, CPU, MPU 등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입력부는, 장치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혹은 수취하는 부위이며, 통상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는, 프로세서(제어부)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을 표시하는 부위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는, 제어부(프로세서)에 의해 가동하는 프로그램이나 모델 생성에 필요한 파라미터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는,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부위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부위이다. 이들 프로세서(제어부), 입력부, 표시부, 기억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적절한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또는 태블릿 단말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로 구성된다.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또한 약제에 관한 데이터의 기억부로서의 복수의 테이블(7a, 7b, 7c···)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와 접속한다.Moreover, the chemical|medical agent return control apparatus (medicament accommodation control apparatus) 6 is equipped with a control part (processor), an input part, a display part, a memory|storage part,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part,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part. A control unit (processor)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entire system.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ocessor such as a CPU and an MPU, and executes a predetermined program to realize a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input unit is a site for generating or receiving input data for the device, and is usually constituted by a keyboard, a mouse, a touch panel, or the like. A display part is a site|part which displays the process result etc. by a processor (control part), and is compris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 plasma display, etc. The storage unit stores a program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processor), parameter data necessary for model generation, and the lik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is a portion that operates as an interfac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rinte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is a part operating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network. These processor (control unit), input unit, display unit, storage unit,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ppropriate bus.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is constituted by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workstation, or a tablet terminal. The chemical|medical agent return control apparatus 6 connects with the database 5 which stores several table 7a, 7b, 7c... as a storage part of the data regarding a chemical|medical agent further.

데이터베이스(5)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 반품약 불출 장치 공유 설정 테이블 및 약품 마스터 등(도 2 참조)의, 약제 관련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한다. 한편, 지시 단말기(4)에 부속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는, 반품약 재고 테이블(9) 등(도 3 참조)의, 약제 관련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한다.The database 5 includes a table 7a for restock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a table 7b for dispens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a table 7c for collecting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a shared setting table for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a drug master, and the like ( 2) of the drug-related data table. On the other hand, the local database 3 attached to the instruction terminal 4 includes a drug-related data table such as a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and the like (see FIG. 3 ).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은, 반품약 불출 장치(2) 내에 격납되는 반품 약제의 내용을 나타내는 테이블(데이터베이스)이며, 반품약 불출 장치(2)의 반환 동작 시에 신규의 레코드가 발생한다. 도 2의 (A)에,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use table 7a is a table (database) indicating the contents of returned medicines store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and a new record is generated during the return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do. The layout of the table 7a for restock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is shown to Fig.2 (A).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은, 불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반품약 불출 장치(2) 내에 존재하는 반품 약제 및 불출 내용을 나타내는 테이블(데이터베이스)이며, 반품약 불출 장치(2)의 반환 동작 시에 신규의 레코드가 발생한다. 도 2의 (B)에,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dispensing table 7b is a table (database) indicating returned medicines and dispensing contents existing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hat is the object of the dispensing operation, 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returned. A new record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The layout of the table 7b for dispens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is shown to FIG.2(B).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은, 회수되는 반품약 불출 장치(2) 내에 존재하는 반품 약제 및 회수 이유 등을 나타내는 테이블(데이터베이스)이며, 반품약 불출 장치(2)의 회수 동작 시에 신규의 레코드가 발생한다. 도 2의 (C)에,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llection table 7c is a table (database) indicating the returned medicines existing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o be recovered, the reasons for collection, and the like, and whe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collected A new record is generated. The layout of the table 7c for collection|recovery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is shown to FIG.2(C).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수」 동작은,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약제를 격납부(15)로부터 한꺼번에 불출하는 동작이며, 그 특정 조건에는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것」이나 「특정 약종인 것」 등 다양한 조건이 포함된다. 따라서, 「회수」 동작은,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약제의 「불출」 동작과는 명확하게 상이한 동작이다. 또한, 「유효 기한」은 「사용 기한」이라고 바꾸어 말하는 경우가 있지만, 양어는 같은 의미이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operation in this embodiment is an operation|movement which discharges the chemical|medical ag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dition all at once from the storage part 15, The specific condition includes "the expiration date has expired" or "a specific drug type."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refore, the "collection" operation|movement is an operation|movement clearly different from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dispensing" of a chemical|medical agent performed based on prescription data. In addition, although the "expiration date" is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expiration date", both terms have the same meaning.

약품 마스터는, 약품 코드를 키 항목(키 필드)으로 하고, 각 약품의 특성 데이터·속성 데이터를 구비하는 마스터 파일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약품 마스터는, 각 병원이 채용하는 약품에 대한 마스터 파일이면 된다.A drug master is a master file which uses a drug code as a key item (key field), and is provided with characteristic data and attribute data of each drug. In addition, the medicine master of this embodiment should just be a master file about the medicines employ|adopted by each hospital.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은,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 있어서의 격납 위치(어드레스) 등을 나타내는 로컬 파일이며, 반품약 불출 장치(2)의 반환 동작 시에 신규의 레코드가 발생한다. 도 3에,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is a local file indicating storage locations (addresses) and the like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A new record is generated during the return operation of . 3, the layout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is shown.

격납 정보 기억부는, 격납부(15)에의 약제의 격납 상황을 기억하는 기억 영역이며, 지시 단말기(4)의 기억부에 포함되어도 되고, 약제 반려 제어 장치(약제 수용 제어 장치)(6)의 기억부에 포함되어도 된다.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part is a storage area which memorize|stores the storage state of the chemical|medical agent in the storage part 15, may be included in the storage part of the instruction|indication terminal 4, and the storage of the chemical|medical agent return control device (medicine accommodation control device) 6 may be included in the

반품약 불출 장치(수용약 불출 장치)(2)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 및 지시 단말기(4)와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하면서,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에 수용된 미사용 반품 약제를, (뒤에서도 설명하는) 인식부(14)에 의해 인식하여 그 인식에 따라서 반품 약제를 자신의 (뒤에서도 설명하는) 격납부(15)에 분류하여 격납한다. 즉,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인식부(14)의 인식 동작에 기초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2)로의 반환 일시와 일련번호로 구성되는) 「약품 식별 코드」, 「반품약 불출 장치 자체의 유닛의 번호」, (개개의 약품에 부여되는) 「약품 바코드」, 「유효 기한」, 「약품의 직경과 전체 길이」, 「약품의 배향 및 자세」 등의 약제의 성상에 관한 데이터를 파악하고, 이들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대해 격납부(15)에 있어서의 격납 위치를 검색하도록 통지한다.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 있어서의 충전 위치, 즉, 빈 위치와 배치 방법을, 격납 정보 기억부를 사용하여 검색한다.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ntai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exchanges necessary data with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and the instruction terminal 4, and exchanges the unused returned medicines stored 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ine sorting device). ,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4 (to be described later), an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the returned medicine is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own storage unit 15 (also described later). That i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provides a “medicine identification code” (consisting of the date and time of return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nd a serial number) and “returned medicine” based on the recognition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unit 14 . Regarding the properties of the drug, such as “unit number of the dispensing device itself”, “drug barcode” (given to each drug), “expiration date”, “diameter and overall length of drug”, and “orientation and posture of drug” The data is grasped, and based on these data,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is notified to search for the storage position in the storage unit 15 .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determines the filling position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based on the data from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that is, the empty position and the arrangement method. Search using memory.

반품 약제의 격납부(15)에 있어서의 빈 위치와 배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뒤에서도 서술하는 바와 같이, 격납부(15)에는, 연직 방향으로 복수의 선반이 설치되고, 각 선반에는 격납 트레이가 배치된다. 각 선반의 격납 트레이에는 복수의 열이 설치되고, 또한 각 열은 복수의 횡(방향의) 위치를 구비한다. 격납 트레이는, S 사이즈(의 약제)용의 것, M 사이즈(의 약제)용의 것, 및 L 사이즈(의 약제)용의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 반품 약제의 사이즈(의 데이터)를 수취하면, 반품 약제가 S, M, L 중 어느 사이즈인지를 판단하고, 그것에 대응한 격납 트레이를 특정한다. 그리고 나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격납 정보 기억부를 사용하여, 당해 사이즈의 약제를 배치할 수 있는 영역(약제간의 마진 영역도 포함함)이 있는지 여부를 찾으려고 하고(즉, 검색하고), 있으면 충전 위치 정보(즉, (뒤에서도 설명하는) 「선반, 열, 횡방향 위치」의 데이터)가 결정되게 된다. 이때 (뒤에서 설명하는) 마스크가 설정된 위치에 대해서는, 검색의 대상 외가 된다.An empty position and an arrangement method in the storage part 15 of a returned medicine are demonstrat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torage unit 1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el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torage tray is arranged on each shelf. A plurality of rows are provided in the storage tray of each shelf, and each row has a plurality of transverse (direction) positions. The storage tray is classified into one for S size (medicine), one for M size (medicine), and one for L size (medicine). Whe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receives the size (data) of the returned medicine from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t determines which size of the returned medicine is S, M, and L, and specifies a storage tray corresponding to it. . The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tries to find (ie, searches for) whether there is an area (including a margin area between medicines) in which the medicine of the size concerned can be placed, and if so, fill it.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data of "shelf, row, and lateral positions" (described later)) is determined.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mask is set (described later) is not the target of the search.

지시 단말기(4)는, 검색의 결과 결정한 충전 위치 정보, 즉, (뒤에서도 설명하는) 「선반, 열, 횡방향 위치」 데이터를 「약품 식별 코드」나 「반품약 불출 장치 자체의 유닛의 번호」의 데이터와 함께, 반품약 불출 장치(2)에 통지한다.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수취한 충전 위치 정보에 의해, 격납부(15)에의 반품 약제의 분류 및 격납을 행한다.The instruction terminal 4 transmits the filling position information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search, that is, the “shelf, row, and lateral position” data (to be described later) as the “medicine identification code” or the “unit number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itself.” ' is notified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ogether with the data.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classifies and stores the returned medicine in the storage unit 15 based on the received filling position information.

격납부(15)에의 반품 약제의 분류 및 격납 후에는,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격납 정보 기억부에 있어서, 충전 위치에 마스크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이후, 동일한 위치에 겹쳐 약제가 배치(격납)되는 일은 없어진다. 이와 같이, 격납 정보 기억부에 있어서, 격납 트레이의 약제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마스크가 설정되고, 약제가 (불출 등에 의해)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마스크가 제거되어 당해 위치는 배치(충전) 가능 영역으로서 존재한다. 이상과 같이,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배치 가능 영역의 검색에 있어서는, 배치하려고 하는 약제가 가장 효율적으로 배치(격납)될 수 있는 장소를 찾으려고 한다. 따라서, 격납부(15)에서 낭비적인 격납 공간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After classification and storage of the returned medicine in the storage unit 15 ,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sets the mask at the filling position in 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Thereafter, it is eliminated that a chemical|medical agent is arrange|positioned (stored) overlapping with the same position. In this way, in 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mask is set at the position where the medicine is placed on the storage tray, and the mask is removed at the position where the medicine does not exist (by dispensing or the like), and the position is the placement (filling) area. exists as As described above,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tries to find a place where the medicine to be arranged can be most efficiently arranged (storage) in the search of the disposable area. Therefore, wasteful storage space is not generated in the storage unit 15 .

또한,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 수취하는 「약품 바코드」로부터 약품 코드를 추출하고, 이 약품 코드를 키 항목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5)에 있어서의 약품 마스터를 검색하여, 약품의 종류, 명칭, 구분(냉소 보관, 항암제, 극약, 등) 등의 데이터를 파악한다. 또한,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의 격납 발생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 약제 반려 제어 장치(6) 및 지시 단말기(4)에 즉시 통지되어,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뒤에서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도 2의 (A) 참조)과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도 2의 (B) 참조)에 레코드를 작성하고, 지시 단말기(4)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 내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도 3 참조)에 레코드를 작성한다. 이때, 로컬 데이터베이스(3) 내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에는, 격납되는 약제에 관한 데이터와 격납부(15)에 있어서의 충전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관련지어 저장된다.Further,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extracts the drug code from the "medicine barcode" received from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2, and uses this drug code as a key item to store the drug master in the database 5. By searching, data such as the type, name, and classification of the drug (storage in a cold storage, anticancer drug, extreme drug, etc.) are identified. In addition, data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storage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immediately notified from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o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and the instruction terminal 4, and the medicine The return control device 6 includes a table 7a for restock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fer to (A) of FIG. 2) and a table 7b for dispens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as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later). A record is created in (B)), and the instruction terminal 4 creates a record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see FIG. 3) in the local database 3 . At this time,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in the local database 3, the data regarding the stored medicine and the data regarding the filling position in the storage unit 15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약제 불출 시에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불출하는 약제의 조건을 지정한 불출 지시를 생성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2)로 송신한다.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로부터 수신한 불출 지시에 따라서 불출 동작을 행한다.At the time of drug dispensing,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generates a dispensing instruction specifying the conditions of the drug to be dispens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ispensing instruction to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2 .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performs a dispen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dispensing instruction received from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

또한, 반품약 불출 장치(2)를 포함하는 (뒤에서 설명하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도 4 참조) 전체가, 예를 들어 야간에 정지하고 있을 때라도, 반품약 불출 장치(2)의 반환 동작 및 그것에 대응하는 지시 단말기(4)의 동작만이 가동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내용만 갱신되게 된다. 따라서, 다음날 아침, 불출 라인 시스템(101) 전체가 재기동할 때에는,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되는 테이블(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 등)과, 지시 단말기(4)에 부속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반품약 재고 테이블(9) 등)의, 동기를 취하는 처리가 행해진다.In addition, even when the entire dispensing line system 101 (refer to FIG. 4 ) including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described later) is stopped at night, for example,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returned. In some cases, only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corresponding thereto are operating. In that case, only the contents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are updated. Therefore, on the next morning, when the entire dispensing line system 101 is restarted, the tables stored in the database 5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stock table 7a,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dispensing table 7b,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The processing of synchronizing the table 7c for apparatus collection|recovery etc.) and the local database 3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etc.) attached to the instruction|indication terminal 4 is performed.

반품약 불출 장치(2)와 지시 단말기(4), 및 반품약 불출 장치(2)와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각각, RS-232C 등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지시 단말기(4)와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LAN 등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nd the instruction terminal 4, 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nd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are respectively connected via RS-232C or the like. In addition, the instruction terminal 4 and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are connected via LAN or the like.

1.2. 불출 라인 시스템의 구성1.2. Configuration of dispensing line system

도 4의 상부에 도시하는 도면은, 본 실시 형태의 반품약 불출 장치(2)를 포함하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의 전체 구성도이다. 반품 약제의 불출이나 회수를 위한 트레이가, 불출 라인 시스템(101) 내를 통과한다. 불출 라인 시스템(101)은, 유저의 사양에 따라 다앙한 기기 구성이 생각되지만,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공급 리프터(103), 보틀 불출기(105), 반품약 불출 장치(2), 랜덤 불출기(107), 특수 불출기(109), 냉소 불출기(111), 포장기(113), 프린터 유닛(115), 배출 리프터(리라이트 구비)(117) 및 적재 리프터(119)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figure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4 is the whole block diagram of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which include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of this embodiment. A tray for dispensing and collecting returned medicine passes through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can have various device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user. For example, in FIG. 4 , the supply lifter 103 , the bottle dispensing machine 105 ,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and the random Consists of a dispenser 107, a special dispenser 109, a cold dispenser 111, a packing machine 113, a printer unit 115, a discharge lifter (with relight) 117, and a loading lifter 119, etc. has been

공급 리프터(103)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흐르는 트레이를 충전하는 장치이다. 보틀 불출기(105)는, 수액 백(생리 식염수)을 불출하는 장치이다. 랜덤 불출기(107)는 앰플을 불출하는 장치이다. 특수 불출기(109)는, 특수 형상의 앰플(5연 앰플 등)을 불출하는 장치이다. 냉소 불출기(111)는, 냉소 보관이 필요한 앰플 전용 불출 장치이다. 포장기(113)는, 이 포장기(113)에 도달할 때까지 불출된 약품을 봉지(약 봉지)에 충전하는 장치이다. 프린터 유닛(115)은, 주사 처방전(처방에 기초하는, 트레이 내에 불출된 약품의 리스트)이나 (약 봉지나 약 자체에 첨부되는) 투여 대상 환자 정보를 부여한 라벨을 프린트하는 장치이다. 랜덤 불출기(107)나 특수 불출기(109)는, 신품의 앰플(즉, 비반품 약제)을 불출한다. 또한, 불출 라인 시스템(101)에 있어서의 랜덤 불출기(107)나 특수 불출기(109)는 어떠한 불출기라도 구성될 수 있다.The supply lifter 103 is a device for filling a tray that flows through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from left to right. The bottle dispenser 105 is a device for dispensing an infusion bag (physiological saline). The random dispenser 107 is a device for dispensing ampoules. The special dispensing machine 109 is a device for dispensing special-shaped ampoules (such as 5-station ampoules). The cold dispenser 111 is an ampoule-only dispenser that needs to be stored in a cool place. The packaging machine 113 is a device that fills a bag (medicine bag) with medicines dispensed until they reach the packaging machine 113 . The printer unit 115 is a device for printing an injection prescription (a list of drugs dispensed into a tray based on a prescription) or a label to which administration target patient information (attached to the drug bag or drug itself) is given. The random dispensing machine 107 and the special dispensing machine 109 dispense new ampoules (that is, non-returned medicines). In addition, the random dispenser 107 or the special dispenser 109 in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may be any dispensing machine.

불출 라인 시스템(101)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상이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반품약 불출 장치(2)를 2대 이상 포함해도 된다. 또한, 불출 라인 시스템(101)은,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에는 통상, 특정 약품을 그 약품 전용의 카세트에 정렬하여 수용하는 방식과, 특정 약품을 그 약품 전용의 카세트에 랜덤하게 수용하는 방식이 있다. 전술한 랜덤 불출기(107)는, 특정 약품을 그 약품 전용의 카세트에 랜덤하게 수용하는 방식의 것이다.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4 ,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wo or mor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s 2 . Also,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may include a cassette type injector dispensing machine. Cassette-type injection dispensers generally have a method of arranging and accommodating a specific drug in a cassette dedicated to the drug, and a method of randomly accommodating a specific drug in a cassette dedicated to the drug. The above-described random dispenser 107 is a type of randomly accommodating a specific drug in a cassette dedicated to the drug.

상기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는, 카세트에 채워진 앰플을 그 카세트로부터 불출하는 장치이다. 약제를 격납하는 카세트는,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 내에 삽입되어 보유 지지된다. 카세트는,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의 종(연직)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다수 배치된다. 카세트의 내부에는, 개개의 카세트에 대응하는 약제가 격납된다.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나 지시 단말기(4)로부터 특정 약제를 불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그 특정 약제를 격납하는 카세트로부터 그 특정 약제를 불출한다.The cassette-type injection dispensing machine is an apparatus for dispensing an ampoule filled in a cassette from the cassette. The cassette for storing the drug is inserted and held in the cassette-type injection dispenser. A plurality of cassett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ssette-type injector dispensing machine. A drug corresponding to each cassette is stored inside the cassette. The cassette-type injection drug dispensing machine, upon receiving a signal for dispensing a specific drug from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or the instruction terminal 4, dispenses the specific drug from a cassette storing the specific drug.

또한, 상술한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에 가상상 대응하는 가상 카세트(의 개념)가 구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뒤에서 설명하는,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는, 현실의 카세트에 의해 구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상상 혹은 논리상, 카세트의 개념에 따라서 약제를 격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case in which (concept of) a virtual cassette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cassette-type injection dispensing machine is virtual.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not constructed with a real cassette, but can store medicine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cassette in a virtual or logical sense.

전술한 약품 마스터는, 약품(약품 코드)마다, 재고 상한, 재고 상수 및 재고 하한의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 있어서, 개개의 약제(약품)는 다양한 격납 위치(격납 어드레스)에 격납되지만, 약품마다 정리하면, 동일한 약품은 가상상, 격납부(15)가 구비하는 전체 격납 영역 내에 어느 영역을 구비하게 된다. 이 동일한 약품마다의 영역을, (개수상의) 재고 상한, 재고 상수 및 재고 하한에 의해 제약을 가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상 카세트의 방식이다.The above-described drug master, for each drug (drug code), may have data of the upper limit of the stock, the constant of the stock, and the data of the lower limit of the stock.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ndividual medicines (medicines) are stored in various storage positions (storage addresses). A certain area is provided within the entire storage area provided by It is a virtual cassette method to manage this same area for each drug with restrictions by (number of) upper limit of stock, constant of stock, and lower limit of stock.

여기서, 「재고 상수」는, 그 약품밖에 둘 수 없는 가상상의 할당 영역에 대응하는 개수이다. 이 「재고 상수」는 가상 카세트의 개념에 있어서의 기본적 수치이다. 「재고 상수」는 「최대 실장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재고 상한」은, 그 약품이 격납부(15) 내에서 가상상 점유해도 상관없는 개수의 상한값이다. 단, 가상상 그 상한값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영역에는, 다른 약품이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재고 하한」은, 약품 잔량이 근소한 것을 외부에 통지하기 위한 경계값이다. 「재고 하한」은 「충전 기준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Here, the "stock constant" i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allocation area in which only the drug can be placed. This "stock constant" is a basic numerical value in the concept of a virtual cassette. "Stock constant" may be referred to as "maximum mounting quantity". Next, the "inventory upper limit" is the upper limit of the number of objects which the drug does not mind even if it occupies virtually in the storage part 15. As shown in FIG.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ther drugs may enter the area that can be occupied by the virtual upper limit. In addition, a "stock lower limit" is a threshold value for notifying the outside that a chemical|medical agent residual quantity is small. A "lower limit of inventory" may be referred to as a "charging standard amount".

약품 마스터에 있어서의 약품(약품 코드)마다의 레코드에 있어서는, 재고 상한, 재고 상수 및 재고 하한이 모두 설정되어도 되고, 모두 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가상 카세트의 방식에 따라서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 격납되는 약품 및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의 카세트에 격납되는 약품을, 이하, 「카세트 약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record for each drug (drug code) in the drug master, the stock upper limit, the stock constant, and the stock lower limit may or may not all be se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irtual cassette method, the medicin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nd the medicines stored in the cassette of the cassette-type injection dispensing machine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ssette medicines”. there is

1.3. 반품약 불출 장치의 구성1.3. Configuration of the return drug dispensing device

도 4의 하부에 도시하는 도면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개략의 블록도이다. 반품약 불출 장치(2)는, 미사용 (앰플이나 바이알 등의) 반품 약제를 격납하는 반환 동작, 격납된 반품 약제를 불출하는 불출 동작 및 격납된 반품 약제를 회수하는 회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수납부(12), 인식부(14), 격납부(15) 및 불출부(16)를 포함한다.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can perform a return operation for storing unused returned medicines (such as ampoules or vials), a dispensing operation for dispensing the stored returned medicines, and a collection operation for collecting the stored returned medicine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ncludes a storage unit 12 , a recognition unit 14 , a storage unit 15 , and a dispensing unit 16 .

수납부(12)는, 예를 들어 7개의 반환 트레이(도 20 참조)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환 트레이는, 예를 들어 병원의 개개의 병동에 있어서 사용되지 않은 앰플이나 바이알 등의 반품 약제를 우선 수용하는 트레이이다. 인식부(14)는, 약제 분류 장치 내에 수용된 약제를 인식한다. 즉, 인식부(14)는 개개의 반환 트레이에 실린 반품 약제의 배향, 자세, 형상, 직경 및 전체 길이, 그리고 약품 코드 및 유효 기한 등의 데이터를 화상 처리에 의해 인식한다. 인식부(14)에 의해 인식된 반품 약제는, 격납부(15)에 격납된다.The accommodating part 12 is comprised so that 7 return trays (refer FIG. 20) may be accommodated, for example. A return tray is a tray which preferentially accommodates returned medicines, such as an ampoule and a vial, which are not used in each ward of a hospital, for example. The recognition part 14 recognizes the chemical|medical agent accommodated in the chemical|medical agent classification apparatus. That is, the recognition unit 14 recognizes data such as the orientation, posture, shape, diameter and overall length of the returned medicine loaded on each return tray, and the medicine code and expiration date by image processing. The returned medicine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4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

앰플이나 바이알 등의 반품 약제는, 반품약 불출 장치(2)에 포함되는 제1 로봇이 구비하는 제1 흡착 노즐 및 제1 흡착 패드에 흡착되면서, 제1 로봇에 의해 반환 트레이로부터 인식부(14)까지 이송된다. 또한, 그들 반품 약제는, 반품약 불출 장치(2)에 포함되는 제2 로봇이 구비하는 제2 흡착 노즐 및 제2 흡착 패드에 흡착되면서, 제2 로봇에 의해 인식부(14)로부터 격납부(15)까지 이송된다. 제1 흡착 노즐 및 제2 흡착 노즐은, 진공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에 의해 반품 약제를 해방 가능하게 흡착하는 것이며, 선단에 각각 고무제의 제1 흡착 패드 및 제2 흡착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Returned medicines such as ampoules and vials are absorbed by the first suction nozzle and the first suction pad included in the first robot include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while being absorbed by the first robot from the return tray by the recognition unit 14 ) is transferred to Moreover, these returned medicines are absorbed by the 2nd suction nozzle and the 2nd suction pad with which the 2nd robot include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2 is equipped, and the 2nd robot removes the storage part (14) from the recognition part (14). 15) is transferred. The 1st adsorption|suction nozzle and the 2nd adsorption|suction nozzle adsorb|suck the returned chemical|medical agent so that release is possible with the vacuum supplied from a vacuum source, The 1st suction pad made of rubber and the 2nd suction pad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ront-end|tip.

불출부(16)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로부터의 처방 지시에 따라서, 격납부(15)에 격납된 약제를, 불출 라인 시스템(101) 내부를 통과하는 트레이에 불출한다. 또한, 불출부(16)는, 격납부(15)에 격납된 약제를, 지시 단말기(4)로부터 입력되고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에 의해 생성되는 회수 지시(더미 처방 지시)에 따라서, 불출 라인 시스템(101) 내부를 통과하는 트레이로 회수한다.The dispensing unit 16 dispenses the medicin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to a tray passing through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in accordance with a prescription instruction from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 In addition, the dispensing unit 16 dispenses the medicin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according to the collection instruction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input from the instruction terminal 4 and generated by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 It is returned to a tray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line system 101 .

2. 동작2. Action

2.1. 반품약 불출 장치의 반환 동작2.1. Return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반품약 불출 장치(2)는, 반품 약제가 실린 반환 트레이를 수납부(12)에서 수납하여, 그들 반품 약제를 인식부(14)에 의해 인식하고, 그 인식에 따라서 반품 약제를 격납부(15)에 분류하여 격납함으로써 반품 약제의 반환 동작을 행한다. 또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이용자는 반환 동작의 개시 지시를 반품약 불출 장치(2), 또는 지시 단말기(4)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행할 수 있도록,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구성되어 있다.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receives the return tray loaded with the returned medicine in the storage unit 12, recognizes the returned medicine by the recognition unit 14, an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the returned medicin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 the return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is performed by sorting and storing. In additio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can give an instruction to start the return operation from either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or the instruction terminal 4 .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수납부(12)는, 앰플이나 바이알 등의 반품 약제가 실린, 예를 들어 7개의 반환 트레이를 수납한다. 이들 7개의 반환 트레이 각각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12) 내에서 적층되어 일시적으로 격납된다.The accommodating part 12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2 accommodates, for example, seven return trays in which returned medicines, such as an ampoule and a vial, were loaded. Each of these seven return trays is stacked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 as shown in FIG.

적층되어 일시적으로 격납되는 7개의 반환 트레이 중, 가장 하부의 반환 트레이를, NG(No Good) 트레이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즉, 반품약 불출 장치(2)는, 반품 약제로서 격납부(15)에 애당초 넣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것을 「NG」로 하여, 이 NG 트레이로 옮긴다고 하는 동작을 할 수도 있다. NG 트레이로 옮겨지는 대상으로서, 예를 들어 이하의 3종류를 들 수 있다.Among the seven return trays stacked and temporarily stored, the lowest return tray can also function as an NG (No Good) tray. That i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may perform an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returned medicine to the NG tray by setting it to "NG" as the returned medicine that is judged not to be placed in the storage unit 15 in the first place. As objects to be transferred to the NG tray, the following three types are mentioned, for example.

[1] 약품 형상이 일반적인 앰플이나 바이알의 형상이 아닌 것[1] Drugs that are not in the shape of general ampoules or vials

[2] 후술하는 「반환 허가 설정」 화면에서 「반환 불가 약품」으로서 설정한 것[2] Those set as “non-returnable drugs” on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screen to be described later

[3]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에 접속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약품인 것[3] Drugs not registered in the drug master included in the database connected to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개개의 반품 약제가 이들 [1]∼[3]에 해당되는지 여부는, 인식부(14) 및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가 판정한다. 특히 [2]나 [3]에 해당되는지 여부의 판정 시에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에 접속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참조된다([2]에 대해서는 뒤에서도 설명함). 또한, 가장 하부의 반환 트레이 이외의 반환 트레이가, NG 트레이로서 기능해도 된다. 이때, 가장 하부의 반환 트레이는 비NG 트레이로서 기능해도 된다.Whether each returned medicine falls under these [1] to [3] is determined by the recognition unit 14 and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 In particular, at the time of determination of whether it corresponds to [2] or [3], the database connected to the chemical|medical agent return control apparatus 6 is referred ([2] is demonstrated also later). In addition, return trays other than the lowermost return tray may function as an NG tray. At this time, the lowermost return tray may function as a non-NG tray.

개개의 반환 트레이(NG 트레이는 제외함)에 실린 반품 약제는, 인식부(14)에 있어서, 화상 처리에 의해 인식된다. 그때, 약품 코드를 포함하는 바코드나, 유효 기한 등의 데이터가 취득된다.Returned medicines loaded on individual return trays (excluding NG trays) are recognized by image processing in the recognition unit 14 . At that time, data such as a barcode including a drug code and an expiration date are acquired.

또한, 반환되는 개개의 약품에는 「약품 식별 코드」가 할당된다. 이 「약품 식별 코드」는, 예를 들어 「반환 트레이의 반품약 불출 장치로의 반환 일시」+ 「일련번호」로 구성되는, 일의적 식별 코드이다.In addition, a "medicin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each returned medicine. This "medication identification code" is, for exampl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composed of "the date and time of return of the return tray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 "serial number".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인식된 데이터를 약제 반려 제어 장치(6) 및 지시 단말기(4)로 송신한다. 송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도 2의 (A) 참조)과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도 2의 (B) 참조)에 레코드를 작성하고, 지시 단말기(4)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 내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도 3 참조)에 레코드를 작성한다.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ransmits the recognized data to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and the instruction terminal 4 . Based on the transmitted data,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configure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use table 7a (see Fig. 2A) 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dispensing table 7b (Fig. 2(A)) B)), and the instruction terminal 4 creates a record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see FIG. 3 ) in the local database 3 .

인식부(14)에 의해 인식된 반품 약제는, 격납부(15)에 분류되어 격납된다. 격납부(15)에는, 연직 방향으로 복수의 선반이 설치되어 있고, 각 선반에는 복수의 열의 격납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열은 복수의 횡(방향의) 위치를 구비한다. 즉, 격납부(15)에서는, (선반, 열, 횡방향 위치)에 의해, 약제의 격납 위치(격납 어드레스)가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이 (선반, 열, 횡방향 위치)의 정보는, 「충전 선반 번호」, 「충전 열 번호」 및 「충전 횡방향 위치」의 필드로서, 로컬 데이터베이스(3)인, 도 3에 나타내는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레코드 내에 기록된다.The returned medicine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4 is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 A plurality of shelves are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1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ows of storage trays are provided on each shelf. Further, each row has a plurality of transverse (directional) positions. That is, in the storage part 15, the storage position (storage address) of a chemical|medical agent is uniquely determined by (a shelf, a row, a lateral direction position). The information of this (shelf, row, lateral position) is the returned drug inventory shown in FIG. 3 , which is the local database 3 as the fields of “filling shelf number”, “filling row number” and “filling lateral position”. It is recorded in the records of table 9.

2.2. 반품약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2.2. Dispensing operation of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이, 반품약 불출 장치(2)의 불출부(16)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로부터의 처방 지시에 따라서 격납부(15)에 격납된 약제를, 불출 라인 시스템(101) 내부를 통과하는 트레이에 불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ensing unit 16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sends the medicin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in accordance with a prescription instruction from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to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 Dispense to a tray that passes through the inside.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외부 시스템(예를 들어, 병원 종합 시스템)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접수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도 2의 (B) 참조)을 참조하여, 대상 약품 코드를 포함하는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그 약제를 불출하도록 「할당 처리」를 행한다. 할당 처리 후,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대해, 약품 코드나 불출 개수 등을 포함하는 불출 지시 데이터를 보낸다. 그 밖의, 반품약 불출 장치(2)에 존재하지 않는 약품에 대해서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상의 랜덤 불출기(107)나 냉소 불출기(111)로부터 불출을 행하도록 랜덤 불출기(107)나 냉소 불출기(111)에 불출 지시 데이터를 보낸다.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receives prescription data from an external system (eg, a hospital comprehensive system), refers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dispensing table 7b (refer to FIG. 2B ), When there is a record including the target drug code, "allo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the drug is delivered preferentially. After the assignment processing,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sends,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dispensing instruction data including a drug code, the number of dispensing, and the like. For other medicines that do not exist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performs dispensing from the random dispensing machine 107 or the cold dispensing machine 111 on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 The dispensing instruction data is sent to the random dispensing machine 107 or the cynical dispensing machine 111 so as to be executed.

보내진 불출 지시 데이터(약품 코드, 개수)를 기초로 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2), 또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도 3 참조)의 각 레코드에 있어서의 약품 코드를 검색하여, 추출할 약제를 재결정(재추출)한다. 이때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각 레코드의 「유효 기한」의 항목이 참조된다. 이것은,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효 기한이 불명인 반품약 및 유효 기한이 가까운 반품약이 우선하여 불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의 할당 처리 후, 다른 처방 지시의 캔슬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재결정(재추출)을 행한다. 구체적인 추출(불출) 작업 시에는, 「충전 선반 번호, 충전 열 번호, 충전 횡방향 위치」의 필드의 데이터가 이용된다.Based on the sent dispensing instruction data (drug code, number),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nd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each The drug code in the record is searched and the drug to be extracted is recrystallized (re-extracted). At this time, the item of "expiration date" of each record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is referred. This is because, as will be explained later, there are cases where the returned drug with an unknown expiry date and the returned drug with the close expiry date are given priority.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ancellation of another prescription instruction may occur after the assignment processing of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performs recrystallization (re-extraction). At the time of a specific extraction (dispensing) operation, the data of the field of "filling shelf number, filling row number, filling lateral position" is used.

어느 약품에 대해, 불출의 개수보다 격납부(15)에서의 재고의 개수의 쪽이 많은 경우, 약제 반려 제어 장치(6) 및 반품약 불출 장치(2)는 다음과 같이 하여 불출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먼저,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이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유효 기한」이 불명인(즉, 「유효 기한」에 관한 데이터가 공백인) 경우, 그것이 우선된다. 다음으로,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이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유효 기한」이 가까운 것이, 「유효 기한」이 먼 것보다 우선된다. 반품약 불출 장치(2)가 불출 라인 시스템(101)에 복수의 유닛으로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의 반품약 불출 장치(2) 사이에서 유효 기한이 동일한 반품 약제가 존재한다고 하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반품약 불출 장치(2) 사이에서(즉, 유닛 사이에서), 우선 순위가 결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뒤에서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효 기한」이 불명인 약제가 불출의 대상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 기한」의 내용에 의한 우선도나 유닛 사이에서의 우선도에 따라서, 불출의 우선도가 결정되면 된다.When the number of the stocks in the storage unit 15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dispensing for a certain drug,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perform the following to prioritize the dispensing. decide First,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re-use table 7a or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is unknown (that is, the data regarding the "expiration date" is blank), it takes precedence. Next, the closer "expiration dat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inventory table 7a or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takes precedence over the far "expiration date". Whe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assembled in a plurality of units in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it is also assumed that returned medicines having the same expiration date exist among the plurality of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s 2 .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hat the priority is determined among the plurality of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s 2 (that is, between units). In addition, as will be explained later, there are cases where a drug whose "expiration date" is unknown is not subject to dispensing. In that case, as described above, the priority of dispensing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expiration period" or the priority between units.

도 5의 (1)은, 불출 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1)에 있어서의 감시 모니터(86)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의 기능 구성이다. 감시 모니터(86)는, 외부 시스템에 의해 갱신되는 처방 데이터(85)를 감시한다. 감시 모니터(86)는, 갱신된 처방 데이터(85)에 기초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의 레코드에 대해 할당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불출 지시 데이터(87)를 생성하고, 생성된 불출 지시 데이터(87)를 받아, 반품약 불출 장치(2), 랜덤 불출기(107) 및 냉소 불출기(111) 등은 앰플 피킹 처리(불출)(91)를 실시하고, 불출 라인 시스템(101)은 집계표(89)를 작성한다.Fig. 5 (1)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at the time of dispensing. The monitoring monitor 86 in FIG. 5(1) is a functional structure of the medicine return control apparatus 6. As shown in FIG. The monitoring monitor 86 monitors the prescription data 85 updated by an external system. Based on the updated prescription data 85 , the monitoring monitor 86 performs assignment processing on the records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dispensing table 7b . Thereby,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generates the dispensing instruction data 87 , receives the generated dispensing instruction data 87 , and receive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the random dispenser 107 , and the cynical dispenser (111) and the like perform the ampoule picking process (dispensing) 91 , and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creates a tally table 89 .

도 6은, 도 5의 (1)에 나타내는, 반품약 불출 장치(2) 및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불출 처리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우선,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처방 데이터(85)를 모아서 정기적으로 처리한다(감시 처리)(ST41).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에 대상 약품 레코드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T42), 있으면, 그 약품의 레코드에 대해 할당 처리를 행한다(ST43). 없으면,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처방 데이터(85)를 반품약 불출 장치(2) 이외의 불출기(예를 들어, 랜덤 불출기(107)나 냉소 불출기(111))로 송신한다. 또한, 감시 처리(ST41)는, 할당 처리(ST43)의 직후에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6 is a specific flowchart of the dispensing process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nd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5 ( 1 ). First, the chemical|medical agent return control apparatus 6 collects the prescription data 85 from an external system, and processes it regularly (monitoring process) (ST41).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checks whether or not there is a target drug record in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dispensing table 7b (ST42), and if there is, performs assignment processing for the drug record (ST43). If not,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transmits the prescription data 85 to a dispenser other than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2 (eg, the random dispenser 107 or the cynical dispenser 111 ). In addition, the monitoring process (ST41) may be comprised so that it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allocation process (ST43).

약제 반려 제어 장치(6)가,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에 대상 약품 레코드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ST42·"예") 그 약품의 레코드에 대해 할당 처리를 행하면(ST43),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불출 지시 데이터(87)를 보낸다(ST44). 한편, 반품약 불출 장치(2)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로부터 해당 약품 코드의 레코드를 재결정(재추출)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각 레코드의 「유효 기한」의 항목이 참조된다(ST45). 결정(추출)된 데이터에 의해 약제의 「충전 선반, 충전 열, 충전 횡방향 위치」를 인식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2)는 불출을 행한다(ST46).When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confirms that there is a target drug record in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dispensing table 7b (ST42 YES), and performs assignment processing on the drug record (ST43), return Dispensing instruction data 87 is sent to the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ST44). On the other h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recrystallizes (re-extracts) the record of the corresponding medicine code from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item of "expiration date" of each record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is referred (ST45). Based on the determined (extracted) data, the "filling shelf, filling row, and filling lateral position" of the medicine is recognized, 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dispenses (ST46).

반품약 불출 장치(2)의 불출을 받아,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의 당해 레코드의 「불출 완료 일시(불출 완료 일자, 불출 완료 시간)」를 갱신한다(ST47).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당해 레코드의 「불출 완료 일시(불출 완료 일자, 불출 완료 시간)」를 갱신한다(ST48). 이때 동시에,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당해 레코드의 「불출 이유」의 필드를, 「불출」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설정한다. 또한, 반품약 불출 장치(2)의 불출을 받아,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격납 정보 기억부에 있어서, 약제가 불출에 의해 존재하지 않게 된 위치에 대해서는 마스크를 제거한다. 따라서, 격납 정보 기억부에서 당해 위치는, 배치(충전) 가능 영역이 된다.Upon receiving the dispens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updates the “dispensing completion date and time (dispensing completion date, dispensing completion time)” of the recor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dispensing table ( ST47).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updates "dispensing completion date and time (dispensing completion date, dispensing completion time)" of the record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ST48). At the same time,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sets the field of the "dispensing reason" of the record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to data indicating "dispensing". Further, upon receiving the dispens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removes the mask in 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medicine ceases to exist due to dispensing. Accordingly, the position in 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becomes an arrangement (charging) possible area.

2.3.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동작2.3. Behavior of the returned drug management system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a)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메인 화면도이다. 메인 화면을 포함하는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조작 화면은, 지시 단말기(4)가 표시하고 동작시킨다. 유저는, 이 메인 화면상에서 다양한 처리(기능)를 선택할 수 있다.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유저의 선택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반품약 관리 시스템이 실행할 수 있는, 주된 처리(기능)의 예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Fig. 7(a) is a main screen diagram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operation screen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main screen is displayed and operated by the instruction terminal 4 . The user can select various processes (functions) on this main scree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executes process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Examples of the main processing (function) that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can execute include the following.

[1] 약품 회수 처리[1] Drug recall processing

[2] 유효 기한 등록 처리[2]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processing

[3] 반환 허가 설정 처리[3] Return permission setting processing

[4] 병동 등록 처리[4] Ward registration processing

[5] 각종 표시 처리[5] Various display processing

이하, 각각의 처리에 대해, 반품약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for each process.

2.3.1. 약품 회수 처리2.3.1. Drug recall processing

2.3.1.1. 약품 회수 화면에 의한 것2.3.1.1. Thing by drug collection screen

약품 회수 처리는, (a)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의 설정, (b) 회수 대상 약품의 추출 및 (c) 회수 실행의 순서로 행해진다.The drug recovery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a) setting the drug recovery process conditions, (b) extracting the drug to be recovered, and (c) executing the recovery.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 있어서, 약품 회수 버튼(30)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8에 나타내는 약품 회수 화면으로 이행한다. 약품 회수 화면은, 그 좌측부에 있어서, 회수의 추출 조건 설정부(56)를 포함한다. 추출 조건 설정부(56)에서, 유저에 의해 상세 조건이 입력되거나, 혹은 상세 조건에 관한 체크 박스가 체크되고((a)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의 설정), 추출 실행 버튼이 클릭되면, 지시 단말기(4)는 화면의 우측 상부에 추출 조건에 적합한 약품(의 데이터)을 표시한다.I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when the chemical|medical agent collection button 30 is touched (or clicked), it shifts to the chemical|medical agent collection screen shown in FIG. The drug recovery screen includes an extraction condition setting unit 56 for recovery in the left part thereof. In the extraction condition setting unit 56, when a detailed condition is input by the user or a check box related to the detailed condition is checked ((a) setting of the drug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 and the extraction execution button is clicked, the instruction terminal ( 4) displays (data of) drugs suitable for extraction conditions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screen.

데이터의 추출 및 추출 데이터의 표시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혹은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각 레코드 및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에 접속되는 데이터베이스(5)에 포함되는 약품 마스터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도 9를 이용하여, 약품 회수 처리의 대상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xtraction of data and display of the extracted data are displayed in each record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inventory table 7a (or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and a database connected to the medicine rejection control device 6 It is performed based on the drug master included in (5). The process for extracting the target data of a chemical|medical agent collection process is demonstrated concretely using FIG.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의 각 레코드를 판독한다(ST02, ST03). 다음으로,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추출 조건이, 약품 마스터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것인지, 또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혹은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각 레코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T04).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reads each record of the table 7a for restock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ST02, ST03).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ion condition relates to data stored in the drug master, or each record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inventory table 7a (or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 it is determined whether it relates to the data stored in (ST04).

약품 회수 화면에서 설정된 추출 조건이 약품 마스터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것인 경우,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의 각 레코드에 포함되는 약품 코드를 키 항목으로 하여 약품 마스터를 검색한다(ST05).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검색된 약품 마스터의 각 레코드에 있어서의 필드 데이터(예를 들어, 약종 플래그 등)의 내용이 추출 조건에 적합하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로부터의 추출·표시를 행한다(ST06, ST07, ST08, ST09).When the extraction conditions set on the drug collection screen relate to data stored in the drug master,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uses the drug code included in each record of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inventory table 7a as a key item. to search for the drug master (ST05).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extract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from the re-use table 7a if the contents of the field data (eg, medicine flag, etc.) in each record of the retrieved medicine master meet the extraction conditions. • Display (ST06, ST07, ST08, ST09).

예를 들어, 도 8의 약품 회수 화면에 있어서의 추출 조건으로서 「향정신약」이 선택되어 있고,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의 어느 레코드에 포함되는 약품 코드를 키 항목으로 하여 검색한 약품 마스터의 레코드 「약종 플래그」에 「1」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면,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검색된 약품 마스터의 레코드에 있어서의 필드 데이터의 내용이 추출 조건에 적합하다고 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의 당해 레코드의 추출 표시를 행한다.For example, in the drug collection screen of FIG. 8, "psychotropic drug" is selected as the extraction condition, and a drug code contained in a record of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re-use table 7a is used as a key item to search for a drug If "1" is set in the master record "medicine flag",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determines that the content of the field data in the retrieved drug master record meets the extraction conditions, 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Extraction and display of the record in the re-employment table 7a is performed.

한편, 약품 회수 화면에서 설정된 추출 조건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혹은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각 레코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것인 경우(예를 들어, 추출 조건이 「장기 체류」 「유효 기한 만료」 「유효 기한 임박」 등인 경우),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혹은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필드(예를 들어, 「유효 기한」이나 「작성 일자」 등의 필드)에 기초하여 추출·표시가 행해진다(ST10, ST11, ST12, ST13)((b) 회수 대상 약품의 추출). 이상의 처리를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에 대해 행한다(ST03, ST14).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raction conditions set on the drug collection screen relate to data store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inventory table 7a (or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each record) (for example, extraction conditions) In the case of this "long-term stay", "expiration of expiration date", "expiration date is imminent", etc.), the field (for example, "expiration date" or Extraction and display are performed (ST10, ST11, ST12, ST13) ((b) extraction of the drug to be recovered) based on a field such as "date of preparation"). The above processing is performed for all records in the table for re-us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ST03, ST14).

도 10은, 추출 조건이 「유효 기한 임박」일 때의, 도 9의 스텝 ST10에 있어서의 구체적 처리를, 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각 레코드가, 그 레코드에 있어서의 「유효 기한」 항목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효 기한 임박」이라고 하는 회수 추출 조건에 적용되는지를 체크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또한, 이 흐름도에서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과,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은, 동기하는 것으로서 양 데이터 파일을 취급하고 있다.Fig. 10 is a flowchart mainly showing the specific processing in step ST10 of Fig. 9 when the extraction condition is "near the expiration date". That is, in the flowchart shown in FIG. 10, each record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is "expiration date is imminent" based on the data of the "expiration date" item in the record. A process is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 recovery extraction conditions are applied. In this flowchart,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inventory table 7a and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are synchronized, and both data files are handled.

먼저, 「유효 기한 임박 일수」데이터가 설정되어 저장된다(ST22). 유효 기한 임박 일수」데이터의 설정은, 예를 들어 도 7의 (a)의 메인 화면의 각종 설정 버튼에 관한 기능 중 하나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설정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와 접속하는 반품약 불출 장치 공유 설정 테이블에 저장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약품 회수 화면에 있어서의, 회수의 추출 조건 설정부(56)의 「유효 기한 임박」의 체크 박스가 선택된다.First, "number of days nearing the expiration date" data is set and stored (ST22). The setting of the "number of days nearing the expiration date" data may be set, for example, by one of the functions related to various setting buttons on the main screen of FIG. 7A . The set data may be store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shared setting table connected with the medicine return control apparatus 6, for example. Next, the check box of "expiration date is imminent" of the extraction condition setting part 56 of collection|recovery in the chemical|medical agent collection screen shown in FIG. 8 is selected by a user.

「유효 기한 임박」의 체크 박스가 선택되면,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각 레코드를 차례로 판독한다(ST24).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레코드 중의 「유효 기한」의 데이터 및 반품약 불출 장치 공유 설정 테이블에 저장되는 「유효 기한 임박 일수」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유효 기한 임박인지 여부의 계산(판정)을 한다(ST26). 유효 기한이 임박이라고 계산(판정)하면,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추출·표시를 행한다(ST27, ST28). 이상의 처리를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모든 레코드에 대해 행한다(ST25, ST29).When the check box of "expiration date is imminent"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sequentially reads each record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ST24). Using the data of “expiration date” in the records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and the “number of days nearing the expiration date” data stored in the shared setting tabl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is configured to: Calculation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recognition is performed is performed (ST26). If it is calculated (determined) that the expiration date is imminent,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performs extraction and display (ST27, ST28). The above processing is performed for all records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ST25, ST29).

또한, 앞에 설명한 「카세트 약품」을 약품 회수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경우에는 「카세트 약품 제외」의 체크 박스에 체크되게 된다. 또한, 「상한 초과 약품」버튼(55)이 터치(혹은, 클릭)되어 있으면, (가상)카세트에 있어서의 「재고 상한」을 초과하고 있는 약품만을 약품 회수의 대상으로 하게 된다. 또한, 「불출 대상 외」의 체크 박스에 체크되면, 실장 약(즉, 「카세트 약품」) 이외의 비실장 약에 있어서, 반품약 불출 장치(2)에 의해 불출을 하지 않는 약제를, 약품 회수의 대상으로 하게 된다. 이에 의해, 불출 라인 시스템(101)으로부터 불출하는 약제와, 수동으로 조제하는 약제를 명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cassette medicine" is excluded from the object of drug collection, the check box of the "cassette medicine exclusion" is checked. In addition, when the "exceeding upper limit drug" button 55 is touched (or clicked), only drugs exceeding the "inventory upper limit" in the (virtual) cassette are subject to drug collection. In addition, if the check box of "not subject to dispensing" is checked, drugs that are not dispensed by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2 for non-packaged drugs other than packaged drugs (ie, "cassette drugs") are retrieved. will be the target of Thereby, the chemical|medical agent dispensed from the delivery line system 101, and the chemical|medical agent prepared manually can be classified clearly.

다음으로, (c) 회수 실행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약품 회수 화면에 있어서의 「회수 실행」 버튼(57)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대해 회수 지시를 행한다. 이때,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을 참조하면서,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에 접속되는 데이터베이스(5)에 포함되는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도 2의 (C) 참조)에 신규의 데이터(레코드)의 기입을 행한다.Next, (c) collection execu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execution of collection" button 57 on the medicine collection screen shown in FIG. 8 is touched (or clicked),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issues a collection instruction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refers to the table 7a for restock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while referring to the table 7c for collecting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included in the database 5 connected to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 ) (refer to FIG. 2C), new data (record) is written.

도 5의 (2)는, 회수 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2)에 있어서의 회수 감사 모니터(88)는,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의 기능 구성이며, 지시 단말기(4)가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도 2의 (C) 참조)에 데이터의 기입을 신규로 행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수 감사 모니터(88)는,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 내의 「회수 일련번호」 필드가 인크리먼트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에의 데이터의 신규의 기입 발생에 의해,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의 회수 감사 모니터(88)는,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회수 데이터)(90)를 생성한다. 생성된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회수 데이터)(90)는, 앰플 피킹 처리(회수 작업)(92)를 실시하기 위해,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로부터 반품약 불출 장치(2)로 송신된다.Fig. 5 (2)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at the time of collection. The collection inspection monitor 88 in Fig. 5 (2)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and the instruction terminal 4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return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llection table 7c (in Fig. 2 ( See C)), it is constantly monitored whether data has been newly written. Specifically, the collection inspection monitor 88 monitors whether the "collection serial number" fiel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llection table 7c is incremented. Upon occurrence of new writing of data in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llection table 7c, the collection audit monitor 88 of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generates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collection data) 90 . . The generated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collection data) 90 is transmitted from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n order to perform the ampoule picking process (collection operation) 92 .

여기서의 지시 데이터는 회수 데이터이며 실제의 처방 데이터는 아니므로,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라고 칭하고 있다. 여기서 「더미 처방」이라 함은, 외부 시스템(예를 들어, 상기 병원 종합 시스템)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환자마다의 처방과는 달리, 전술한 각종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행하는 약제의 불출을 위한 더미의 불출 지시 정보이며, 통상의 처방에 기초하는 불출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품약 불출 장치(2)에 하게 하는 것이다.Since the instruction data here is collection data and not actual prescription data, it is referred to as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Here, the "dummy prescription" refers to an instruction for dispensing a dummy for dispensing a drug based on the above-mentioned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unlike a prescription for each patient sent from an external system (eg, the hospital comprehensive system). It is information and cause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dispensing based on a normal prescription.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를 받아, 반품약 불출 장치(2)는,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품 식별 코드를 기초로, 로컬 데이터베이스(3) 내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을 참조·검색하고, 그 약품 식별 코드가 부여된 약품의 「충전 선반 번호, 충전 열 번호, 충전 횡방향 번호」를 파악하고, 파악한 「충전 선반 번호, 충전 열 번호, 충전 횡방향 번호」에 기초하여, 실제의 회수 작업을 행한다((c) 회수 실행).Upon receiving the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refers to and searches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in the local database 3 based on the drug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 determine the “filling shelf number, filling row number, and filling lateral number” of the drug to which the drug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and based on the grasped “filling shelf number, filling row number, and filling lateral number”, the actual number of Do the work ((c) execute the recall).

도 11은, 도 5의 (2)에 나타내는 회수 처리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우선, 지시 단말기(4)는, 약품 회수 화면상에서 설정된 추출 조건에 기초하여, 회수 대상 약품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약품에의 회수 지시를 행한다(ST61). 회수 지시의 직후, 지시 단말기(4)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을 참조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에 신규의 레코드의 기입을 행한다.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에 있어서의 회수 감사 모니터(88)는,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에 신규의 레코드가 작성된 것을 체크하면(ST63),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회수 데이터)(90)를 발행한다(ST64).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회수 데이터)(90)를 받아, 반품약 불출 장치(2)는, 반품약 재고 테이블(9)로부터,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회수 데이터)(90)에 있어서의 약품 식별 코드의 레코드를 추출한다(ST65).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추출된 데이터에 의해 약제의 「충전 선반, 충전 열, 충전 횡방향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충전 선반, 충전 열, 충전 횡방향 위치」에 기초하여 회수 작업을 행한다(ST66).Fig. 11 is a specific flowchart of the recovery process shown in Fig. 5 (2). First, the instruction terminal 4 extracts the collection target medicine data based on the extraction conditions set on the medicine collection screen, and gives a collection instruction to the extracted medicine (ST61). Immediately after the collection instruction is given, the instruction terminal 4 refers to the table 7a for restock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and writes a new record to the table 7c for collec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When the collection audit monitor 88 in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checks that a new record has been create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llection table 7c (ST63), the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collection data) ( 90) is issued (ST64). Upon receiving the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collection data) 90 ,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receives the drug identification code in the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collection data) 90 from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 A record is extracted (ST65).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recognizes the "filling shelf, filling row, and filling lateral position" of the drug based on the extracted data, and collects it based on the recognized "filling shelf, filling row, filling lateral position" The operation is performed (ST66).

반품약 불출 장치(2)의 회수 작업을 받아,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중,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에 있어서의 약품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레코드의 「불출 완료 일시(불출 완료 일자, 불출 완료 시간)」를 갱신한다. 동시에, 약제 반려 제어 장치(6)는,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 중, 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에 있어서의 약품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레코드의 「불출 완료 일시(불출 완료 일자, 불출 완료 시간)」를 갱신한다(ST67).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당해 레코드의 「불출 완료 일시(불출 완료 일자, 불출 완료 시간)」를 갱신한다(ST68). 이때 동시에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당해 레코드의 「불출 이유」의 필드를, 「지시 회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설정한다. 불출 시와 마찬가지로, 반품약 불출 장치(2)의 회수 작업을 받아,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격납 정보 기억부에 있어서, 약제가 회수에 의해 존재하지 않게 된 위치에 대해서는 마스크를 제거한다. 따라서, 격납 정보 기억부에서 당해 위치는, 배치(충전) 가능 영역이 된다.In response to the collection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sends a “dispensing Completion date and time (dispensing completion date, dispensing completion time)” is updated. At the same time,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controls the "dispensing completion date and time (dispensing completion date, dispensing completion time)" of the record containing the drug identification code in the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llection table 7c. )" is updated (ST67).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updates the "dispensing completion date and time (dispensing completion date, dispensing completion time)" of the record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ST68). At this time,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sets the field of the "dispensing reason" of the record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to data indicating the "number of orders". As in the case of dispensing, in response to the collection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removes the mask in 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medicine ceases to exist due to collection. Accordingly, the position in the storage information storage unit becomes an arrangement (charging) possible area.

2.3.1.2. 자동 회수 설정 화면에 의한 것2.3.1.2. Thing by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screen

또한, 지시 단말기(4)에서는, 전술한 「(a)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의 설정」을 다른 화면에서 행할 수도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 있어서, 각종 설정 버튼(34)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설정 화면으로 분기하기 위한 설정 화면 버튼군(34a∼34e)이 표시된다. 여기서 「자동 회수 설정」 버튼(34a)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소정의 일시(시각)나 소정의 조건 충족 시에 회수 작업을 행하도록,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미리 지시를 내려 두기 위한 화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화면에서는, 「소정의 일시(시각)」를 화면 하부에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 충족」이라 함은,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톡 선반이 만재로 되었을 때」나 「반환 트레이 내의 반품약이 모두 반환 완료된 타이밍」이다. 이 「스톡 선반이 만재로 되었을 때」나 「반환 트레이 내의 반품약이 모두 반환 완료된 타이밍」은,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에 있어서의 선반 만재 시 버튼(58a)이나 반환 완료 시 버튼(58)이 「온」됨으로써, 설정된다.Moreover, in the instruction terminal 4, the above-mentioned "(a) setting of chemical|medical agent collection processing conditions" can also be performed on another screen. When various setting buttons 34 are touched (or clicked) o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as shown in Fig. 7(b), a group of setting screen buttons for branching to various setting screens (34a to 34e) are displayed. Here, when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button 34a is touched (or clicked),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is displayed. This screen is a screen for giving in advance an instruction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so as to perform a collection operation upon a predetermined date and time (time) or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screen shown in Fig. 12 is configured to set "predetermined date and time (time)" in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In addition, "predetermined condition satisfaction" means "when the stock shelf becomes full" or "the timing at which all returned medicines in the return tray are returned", as shown in FIG. 12, for example. This “when the stock shelf is full” and “the timing when all the returned medicines in the return tray are returned” are defined by the button 58a when the shelf is full or the return complete on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 It is set when the hour button 58 is "on".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화면의 상부의 자동 회수 조건 설정부(56a)를 통해 상세 조건이 입력됨으로써, 혹은 상세 조건에 관한 체크 박스가 체크됨으로써,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의 설정이 행해진다.In the automatic withdrawal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when detailed conditions are input through the automatic collection condition setting unit 56a at the top of the screen, or when a check box related to detailed conditions is checked, chemical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s is set.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의 자동 회수 조건 설정부(56a)의 「유효 기한 임박」체크 박스가 체크된 후, 도 7의 (a)의 메인 화면으로 되돌아간 경우, 지시 단말기(4)는,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내에 대상 레코드가 있다고 판정하면, 도 7의 (a)의 메인 화면의 버튼(22)의 표시를 「유효 기한 임박 약품 없음」으로부터 「유효 기한 임박 약품 있음」으로 바꾸고, 또한 버튼(22)을 점멸시킨다. 여기서, 「유효 기한 임박 약품 있음」 버튼(22)이 터치 혹은 클릭되면, 추출 조건에 적합한 약품(의 데이터)이 표시된, 도 8에 나타내는 약품 회수 화면이 표시된다. 이 후, 「회수 실행」 버튼(57)이 클릭되면, 회수 지시가 실행된다.In the case of returning to the main screen of FIG. 7(a) after the "expiration date is imminent" check box of the automatic collection condition setting unit 56a of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is checked, the instruction terminal In (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target record in the table 7a for re-us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the display of the button 22 on the main screen of FIG. There is an imminent drug", and the button 22 blinks further. Here, when the "drugs near expiration date" button 22 is touched or clicked, the drug collection screen shown in FIG. 8 is displayed in which (data of) drugs suitable for extraction conditions are displayed. After that, when the "execution of collection" button 57 is clicked, a collection instruction is executed.

또한, 「회수 실행」 버튼(57)에 의한 회수 지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도 12의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상에서 설정된 자동 회수를 위한 조건·일시에 기초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2)로의 회수 지시가 실행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collection instruction is not made by the “recall execution” button 57,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 The recovery instruction to 2) is executed.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의 자동 회수 조건 설정부(56a)의 「장기 체류」 등의 체크 박스가 체크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상한 초과 약품」 버튼(56b), 「카세트 약품 제외」의 체크 박스, 및 「불출 대상 외」의 체크 박스에 대해서도, 도 8의 약품 회수 화면에 있어서의 각각의 버튼이나 체크 박스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한다.Even when a check box such as "Long-term stay" of the automatic collection condition setting unit 56a of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is checked, the same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is executed. The function similar to each button and check box in the drug collection screen of FIG. to provide

이와 같이,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에서는, 회수 작업을 행하는 기준이 되는, 소정의 일시(시각)나 소정의 조건이 설정된다. 즉, 이들 소정의 일시(시각)나 소정의 조건의 충족 시에 회수 작업이 행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약품 회수 처리가,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 있어서의 약제의 충전율이 소정의 역치 이상이 되면 행해진다고 하는 것과 같이, 반품약 관리 시스템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여기서의 「충전율」이라 함은, 격납부(15)에 격납 가능한 최대의 약제 수에 대한, 격납부(15)에 실제로 격납되어 있는 약제 수의 비율이다.In this way, on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a predetermined date and time (time) and predetermined conditions, which serve as criteria for performing the collection operation, are set. That is, the col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se predetermined date and time (time) or predetermined conditions are satisfied. Here, even if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edicine recovery proces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when the filling rate of the medicine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do. In addition, the "filling rate" here is a ratio of the number of the chemical|medical agents actually stored in the storage part 15 with respect to the maximum number of chemical|medical agents which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part 15. As shown in FIG.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의 자동 회수 조건 설정부(56a)에는, 「반려 지정」의 체크 박스도 마련되어 있다. 이 「반려 지정」의 체크 박스가 나타내는 데이터는, 당해 약제가 반품약 관리(약제 분류) 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반려 지정」의 체크 박스가 체크되면, 데이터상, 반려 지정된 약품이 자동 회수 대상이 된다. 데이터상, 반려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는, 반품약 재고용 테이블(9)의 「지정 약품 플래그」 필드의 내용(즉, 「지정 약품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반려 지정 대상임)에 의해 판별된다. 또한, 각 약품에 대해 「반려 지정」 대상인지 여부의 구분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별도로, 지시 단말기(4)에 있어서, 약품마다의 설정 화면이 마련되어도 된다.The automatic collection condition setting unit 56a of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is also provided with a check box for "designation of carry". The data indicated by the check box of this "accompanying designation" indicates that the drug is subject to returned drug management (drug classification). When the checkbox of this "Specify to be returned" is checked, the medicines designated to be returned are subject to automatic collection in the data. Whether or not a rejection designation has been made on the data is determined by the contents of the "designated drug flag" field of the returned drug re-use table 9 (that is, if the "designated drug flag" is set, it is a rejection designation target). In addition,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whether each drug is a target of "accompanying designation", for example, a setting screen for each drug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instruction terminal 4 .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의 자동 회수 조건 설정부(56a)에는, 「비탑재약」의 체크 박스도 마련되어 있다. 이 「비탑재약」의 체크 박스가 나타내는 데이터는, 당해 약제가 반품약 관리(약제 분류) 대상이 아닌(즉,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에 탑재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탑재약에는, 예를 들어 특별한 상병 수술에서만 사용되는 사용 빈도가 낮은 약제나, 취급에 대해 주의해야 할 약제 등이 포함된다. 이 「비탑재약」의 체크 박스가 체크되면, 데이터상, 비탑재약이라고 설정된 약품이 자동 회수 대상이 된다. 데이터상, 비탑재약이라고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는, 반품약 재고용 테이블(9)의 「비탑재약 플래그」 필드의 내용(즉, 「비탑재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비탑재약임)에 의해 판별된다. 또한, 각 약품에 대해 「비탑재약」인지 여부의 구분에 관해서도, 예를 들어 별도로, 지시 단말기(4)에 있어서, 약품마다의 설정 화면이 마련되어도 된다.Moreover, in the automatic collection condition setting part 56a of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the check box of "non-equipped medicine" is also provided. The data indicated by the check box of this "non-equipped drug" indicates that the drug is not subject to returned drug management (drug classification) (that is, it is not loaded into the returned drug management system (medicine classifying device)). Non-incorporated drugs include, for example, drugs with a low frequency of use used only in special morbidity surgery, drugs with caution about handling, and the like. When the check box of this "non-equipped drug" is checked, the drug set as non-equipped drug on the data becomes an object of automatic collection. On the data, whether or not it is set as an off-the-shelf drug depends on the contents of the "non-equipped drug flag" field of the returned drug re-use table 9 (that is, if the "non-equipped drug flag" is set, it is a non-equipped drug). is determined Moreover, also regarding the division of whether it is "non-equipped drug" for each drug, for example, separately, in the instruction terminal 4, a setting screen for each drug may be provided.

상술한, 「반려 지정」의 체크 박스 및 「비탑재약」의 체크 박스는, 도 8에 나타내는 약품 회수 화면의 좌측부의 추출 조건 설정부(56)에 마련되어도 된다.The above-mentioned check box of "accompanying designation" and the check box of "non-equipped medicine" may be provided in the extraction condition setting unit 56 of the left part of the medicine collection screen shown in FIG. 8 .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 회수를 위한 조건·일시(즉, 자동 회수 패턴)가, 복수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 있어서, 각종 설정 버튼(34)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설정 화면으로 분기하기 위한 설정 화면 버튼군(34a∼34e)이 표시된다. 「자동 회수 설정」 버튼(34a)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지만, 여기서, 먼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복수의 자동 회수를 위한 조건·일시의 일람을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 화면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 plurality of conditions/dates (that is, automatic collection pattern) for automatic collection may be set. As described above, when various setting buttons 34 are touched (or clicked) o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branching to various setting screens as shown in FIG. 7B A group of setting screen buttons 34a to 34e for When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button 34a is touched (or clicked),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is displayed. Here, first, a plurality of automatic collections as shown in FIG. You may make it display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screen which shows a list of conditions and time for .

도 13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 화면에서는, 「패턴 추가」 버튼(150)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계속해서 또한 처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에서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이 설정되어 「등록」 버튼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이 등록된 후, 도 13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이 되돌아간 때에는, 등록된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이, 일람에 포함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도 13에 있어서의 「패턴 추가」 버튼(150)의 터치 및 도 12에 있어서의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의 설정·등록이 복수 회 행해지면, 도 13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 화면에는, 복수의 약품 회수 처리 조건, 즉, 자동 회수를 위한 조건·일시(자동 회수 패턴)가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서 설정 등록된 후, 표시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패턴 변경」 버튼은, 자동 회수 패턴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으로 진행하는 버튼이고, 「패턴 삭제」 버튼은, 자동 회수 패턴을 삭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선택 체크(156) 란은,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체크란이다. 복수의 선택 체크(156) 란의 선택이 행해지면, 선택된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이(예를 들어, AND 조건에 의해) 조합되어 실제의 약품 회수 처리 조건이 결정된다. 또한, 복수의 약품 회수 처리 조건에 관한 데이터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 내의, 예를 들어 반품약 불출 장치 공유 설정 테이블에 저장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반환 처리 완료 시에 약품 회수 처리를 행할 것인지(즉, 「소정의 조건 충족」에 약품 회수 처리를 행할 것인지), 또는 타이머 설정 시에 약품 회수 처리를 행할 것인지(즉, 「소정의 일시(시각)」에 약품 회수 처리를 행할 것인지)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In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3, when the "add pattern" button 150 is touched (or clicked),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is displayed continuously and for the first time. When the chemical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 is set on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and the “Register” button is touched (or clicked), after the chemical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 is registered, the automatic recovery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3 return to When this is returned, the registered chemical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s are included in the list and displayed. In this way, when the touch of the "pattern addition" button 150 in FIG. 13 and the setting and registration of the chemical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s in FIG. 12 are performed multiple times,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3 shows a plurality of The drug collection processing conditions, that is, the conditions and date and time (automatic collection pattern) for automatic collection, are set and registered 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nd then displayed. In addition, the "pattern change" button shown in FIG. 13 is a button which advances to the screen for changing the automatic collection pattern, and the "pattern deletion|deletion" button is a button for deleting the automatic collection pattern. The selection check 156 field is a check box for selecting the chemical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 When a plurality of selection check 156 fields are selected, the selected chemical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s are combined (eg, by AND conditions) to determine the actual chemical recovery process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data related to a plurality of drug collection processing conditions may be stored in the local database 3, for example, in the shared setting tabl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Specifically, whether the drug recovery process is performed upon completion of the return process (that is, whether the drug recovery process is performed when "predetermined condition is met"), or whether the drug recovery process is performed when the timer is set (ie, whether data such as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drug collection process at "date (time)" is stored.

이상과 같이,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의한 약품 회수 처리에 의해, 불필요한 반품 약제나 격납에 적합하지 않은 부적절한 반품 약제가,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 적절하게 적시에 제거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격납부(15)에서 불필요한 재고나 낭비적인 재고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반품약 불출 장치(2)의 불출 작업에 있어서의 효율성이나 확실성(안전성)이 높아진다.As described above, unnecessary returned medicines or inappropriate returned medicines not suitable for storage are appropriately and timely removed from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by the medicine recovery processing by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Thereby, unnecessary inventory and wasteful inventory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storage unit 15 . Accordingly, the efficiency and certainty (safety) in the dispensing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re increased.

2.3.1.3. 약품 회수 처리의 변형예에 대해2.3.1.3. About a modification of the drug collection process

약품 회수 처리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수납부(12)는 7개까지의 반환 트레이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수납부(12)는, 8개 이상의 반환 트레이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A modified example of the chemical recovery process will be described. The accommodating part 12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2 shown in FIG. 20 is comprised so that up to 7 return trays may be accommodated. The accommodating part 12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2 may be comprised so that eight or more return trays may be accommodated.

여기서, 도 12에 나타내는 자동 회수 설정(패턴 설정) 화면에 있어서의 반환 완료 시 버튼(58)이 「온」되어 있고, 「반환 트레이 내의 반품약이 모두 반환 완료된 타이밍」이 자동 회수를 행하는 타이밍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Here, on the automatic collection setting (patter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2, the button 58 is turned on when the return is completed, and the "timing when all returned medicines in the return tray have been returned" is the timing at which automatic collection is performed. Suppose it is set.

이 경우,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7개의 반환 트레이(NG 트레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6개의 반환 트레이)가 반환 완료된 시점에서, 즉시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대해 자동 회수의 작업을 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지시 단말기(4)의 화면상에 「자동 회수를 행하겠습니까?」라는 팝업 및 「예」「아니오」의 버튼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의 버튼이 선택되면,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대해 자동 회수의 작업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아니오」의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8개째 이후의 반환 트레이(NG 트레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7개 이후의 반환 트레이)의 반환이 완료됨으로써, 반품약 관리 시스템이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대해 자동 회수의 작업을 행하도록 지시한다고 하는 것과 같이 반품약 관리 시스템이 구성되어도 된다.In this case,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utomatically collect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mmediately when the 7 return trays (6 return trays when the NG tray is set) have been returned. Instead of instructing to do so, a pop-up asking "Are you sure you want to perform automatic collection?" and buttons of "Yes" and "No"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 When the "Yes" button is selected,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instructs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o perform an automatic collection operation. When the "No" button is selected, the return of the 8th and subsequent return trays (or 7 or more return trays if the NG tray is set) is completed, so that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returns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a returned drug management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struct the automatic collection operation to be performed.

2.3.2. 유효 기한 등록 처리2.3.2. Expiration registration processing

2.3.2.1. 불명인 유효 기한을 등록하는 처리2.3.2.1. Processing to register an unknown expiration date

반품약 관리 시스템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내에 「유효 기한」이 불명인(즉, 미입력인) 레코드가 있다고 판정하면, 도 7의 (a)의 메인 화면의 버튼(28)의 표시를 「유효 기한 불명 약품 없음」으로부터 「유효 기한 불명 약품 있음」으로 바꾸고, 버튼(28)을 점멸시킨다. 여기서, 「유효 기한 불명 약품 있음」 버튼(28)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유효 기한」 필드가 불명인 약품(의 데이터)의 일람 리스트가 표시된, 도 14에 나타내는 약품 유효 기한 등록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 기한」은 「사용 기한」이라고 바꾸어 말하는 경우가 있지만, 양어는 같은 의미이다.Whe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determines that there is a record with an unknown "expiration date" (that is, not entered) in the table 7a for restocking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the button 28 of the main screen of FIG. The display is changed from "there is no drug with an unknown expiration date" to "there is a drug with an unknown expiration date", and the button 28 is made to flash. Here, when the “Drugs with unknown expiration date” button 28 is touched (or clicked), a list of medicines (data of) whose “expiration date” field is unknown is displayed.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list screen shown in FIG. 14 . is displayed.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xpiration date" may be replaced with "expiration date" in some cases, both terms have the same meaning.

도 14에 나타내는 약품 유효 기한 등록 일람 화면에 있어서도, 추출 조건 설정부(62)의 설정에 의해, 일람 리스트의 표시를 압축할 수 있다.Also in the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list screen shown in FIG. 14 , the display of the list list can be compressed by the setting of the extraction condition setting unit 62 .

도 14에 나타내는 약품 유효 기한 등록 일람 화면의 일람 리스트에 있어서, 하나의 행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15에 나타내는, 약품 유효 기한 등록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는,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인식부(14)에 의해 취득된, 터치된 행에 관련되는 약품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약품 유효 기한 등록 화면에서, 당해 약품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유효 기한이 입력(등록)된다. 이 등록 화면은, 등록자의 ID(식별자)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고, 그 필드를 통해 등록자의 ID가 동시에 입력(등록)되어도 된다. 또한, 개별의 약품 식별 코드가 할당되는 약품마다(즉, 약품 식별 코드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3) 내에 약품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다.In the list list of the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list screen shown in FIG. 14, when one row is touched (or clicked), the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15 is displayed. On this screen, the image data of the medicine obtained by the recognition unit 14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nd related to the touched row is displayed. On the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screen, the expiration date is input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he image data of the drug. This registration screen may include a field for inputting the registrant's ID (identifier), and the registrant's ID may be simultaneously input (registered) through the field. Further, for each drug to which an individual drug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hat is, for each drug identification code), the image data of the drug is stored in the local database 3 .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의한 유효 기한 등록 처리에 의해, 유효 기한이 인식되지 않은 약제에 대해서도, 유효 기한을 추가 등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품약 불출 장치(2) 내의 유효 기한 관리 대상의 약제 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준비되지 않은 재고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지고, 또한 사용할 수 있었던 약제를 사용하지 않은 채 유효 기한을 넘기는 것과 같은 낭비를 발생시키는 일도 없어진다.By the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processing by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the expiration date can be additionally registered also for drugs whose expiration date is not recognized. Thereby, the number of medicines subject to expiration management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occurrence of unprepared inventory is eliminated, and the expiration date without using the medicines that have been used can be further increased. There is also no such thing as generating waste such as passing over.

2.3.2.2. 유효 기한을 재판독하는 처리2.3.2.2. Processing to re-read the expiration date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약품 유효 기한 등록 일람 화면의 「재판독」 버튼(63)은,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 격납된 반품 약제를, 인식부(14)의 화상 처리에 의해 다시 인식시키고, 이에 의해 유효 기한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재취득하기 위한 버튼이다. 구체적으로는, 약품 유효 기한 등록 일람 화면의 일람 리스트 중 하나의 행을 터치(혹은, 클릭)하면서, 「재판독」 버튼(63)을 터치(혹은, 클릭)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반품약 불출 장치(2)는, 터치된 행에 나타나 있는 약제를, 격납부(15)로부터 인식부(14)로 복귀시켜, 인식부(14)에 화상 처리에 의한 인식을 다시 행하게 한다. 유효 기한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재취득 후,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재판독된 약제를 다시 격납부(15)에 격납한다. 이때, 지시 단말기(4)는,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재판독 플래그의 필드에 대해, 재판독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reread" button 63 on the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list screen shown in FIG. 14 displays the returned drug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s an image of the recognition unit 14 . It is a button for reacquiring recognition by processing, thereby reacquiring data including an expiration date. Specifically, the "reread" button 63 is touched (or clicked) while touching (or clicking) one row of the list list on the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list screen. By doing in this way,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returns the medicine displayed in the touched row from the storage unit 15 to the recognition unit 14, and causes the recognition unit 14 to recognize recognition by image processing again. make it do After reacquiring the data including the expiration date,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stores the reread medicine in the storage unit 15 again. At this time, the instruction terminal 4 stores data indicating that rereading has been performed for the field of the reread flag of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

상술한, 지시 단말기(4)에 표시되는 약품 유효 기한 등록 일람 화면의 「재판독」 버튼(63)에 관한 처리에 의해, 유효 기한이 인식되지 않은 약제에 대해,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인식부(14)에 의해 유효 기한을 재취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반품약 불출 장치(2) 내의 유효 기한 관리 대상의 약제 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 부주의한 재고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지고, 또한 사용할 수 있었던 약제를 사용하지 않은 채 유효 기한을 넘기는 것과 같은 낭비를 발생시키는 일도 없어진다.For drugs whose expiration date is not recognized by the processing related to the “reread” button 63 on the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list screen displayed on the instruction terminal 4 as described above,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he validity period can be reacquired by the recognition unit 14 . Thereby, the number of medicines subject to expiration management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occurrence of inadvertent inventory is eliminated, and the expiration date is extended without using the medicines that have been used. There is no such thing as generating waste such as handing over.

또한, 반품약 재고 테이블(9)의 재판독 플래그의 필드에서, 재판독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약제에 대해서는, 반품약 관리 시스템 및 지시 단말기(4)는 상술한 「재판독」 버튼(63)에 관한 처리를 행하게 하지 않는다고 하는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불필요하고 낭비적인, 재판독 처리(재인식 처리)의 반복을 피할 수 있다.In the field of the re-reading flag of the returned medication inventory table 9, for medications in which data indicating that re-reading has been performed is stored, the returne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instruction terminal 4 use the above-described "re-read" butt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at the processing according to (63) is not performed. By performing such control,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can avoid unnecessary and wasteful repetition of reread processing (recognition processing).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약품 유효 기한 등록 일람 화면에 있어서는, 유효 기한 데이터가 부정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출 또는 회수된 약품에 관해서는 일람 리스트상에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 the drug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list screen shown in Fig. 14, in order to prevent the expiration date data from being changed illegally, it is preferable not to display the dispensed or recalled drugs on the list list.

2.3.2.3. 사용 기한 불명 약품 불출 설정에 의한 불출 허가 처리2.3.2.3. Dispensing permission processing by drug dispensing setting of unknown expiration date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 있어서, 각종 설정 버튼(34)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설정 화면으로 분기하기 위한 설정 화면 버튼군(34a∼34e)이 표시된다. 여기서 「기타 설정」 버튼(34c)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16에 나타내는 기타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기타 설정 화면의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 온·오프」 버튼(160)에 의해, 유효 기한 불명 약품의 불출을 행하는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 온·오프」 버튼(160)에 의해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이 「온」상태로 되면,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이 온 상태인 것」이 지시 단말기(4)의 기억부(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예를 들어 반품약 불출 장치 공유 설정 테이블)에 기억되고, 이에 의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의 「유효 기한」이 불분명한 레코드에 관한 약제도, 불출 처리 대상이 된다. 또한,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 온·오프」 버튼(160)에 의해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이 「오프」상태로 되면,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이 오프 상태인 것」이 지시 단말기(4)의 기억부(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예를 들어 반품약 불출 장치 공유 설정 테이블)에 기억되고, 이에 의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의 「유효 기한」이 불명인 레코드에 관한 약제는 불출 처리 대상은 되지 않는다.When various setting buttons 34 are touched (or clicked) o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as shown in Fig. 7(b), a group of setting screen buttons for branching to various setting screens (34a to 34e) are displayed. Here, when the "Other setting" button 34c is touched (or clicked), the other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6 is displayed. With the "expiration date unknown drug dispensing on/off" button 160 on the other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6,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dispensing of the drug with an unknown expiration date is performed. In other words, when the dispensing of unexpired drug is turned on by the “dispensing of unknown drug on/off” button 160 , “dispensing of unknown drug by expiry date is on” is displayed on the instruction terminal 4 . Drugs related to records stored in the storage unit (for example, the shared setting tabl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in the local database 3), and the “expiration dat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use table 7a is unclear; subject to disbursement processing. In addition, when the “dispensing of unknown medicines by expiry date is turned off” by the “dispensing of unknown medicines by expiration date on/off” button 160, “dispensing of unknown medicines by the expiration date is off” is displayed on the instruction terminal 4 The medicin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for example, a shared setting tabl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in the local database 3), whereby the medicine relating to the record of which the "expiration dat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re-use table 7a is unknown is disbursed It is not subject to processing.

또한, 유효 기한(사용 기한) 불명 약품의 불출 처리에 있어서의 취급에 대해 설정하는 화면이, 더 준비되어 있다. 도 17은, 그러한 유효 기한(사용 기한) 불명 약품 중 임의의 약제의 불출 처리에 있어서의 취급에 대해 설정하는 화면인 「반환 약품 설정」 화면이다. 도 7의 (b)에 나타내는, 각종 설정 화면으로 분기하기 위한 설정 화면 버튼군(34a∼34e)에서, 「메인터넌스」 버튼(34e)이 터치(혹은, 클릭)되고, 또한 「반환 약품 설정」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반환 약품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임의의 약제를 지정하고, 화면 좌측부의 「사용 기한(유효 기한) 무효」부에 있어서 「불출 상시 허가」 버튼(166)이 선택되면, 도 16에 나타내는, 기타 설정 화면의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 온·오프」 버튼(160)의 상태에 관계없이, 또한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의 「유효 기한」의 상태에 관계없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에 있어서의 레코드에 관한 약제가 불출 처리 대상이 된다.In addition, a screen for setting handling in the dispensing process of a drug whose expiration date (expiration date) is unknown is further prepared. Fig. 17 is a "return medicine setting" screen which is a screen to set for handling in the dispensing process of any medicine among such medicines whose expiration date (expiration date) is unknown. In the group of setting screen buttons 34a to 34e for branching to various setting screens shown in Fig. 7B, the "maintenance" button 34e is touched (or clicked), and further, the "return medicine setting" button When (not shown) is touched (or clicked), the return medicine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7 is displayed. When an arbitrary drug is designated and the "Always allow dispensing" button 166 is selected in the "Use by date (expiration date) invalid" section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Dispensing drugs with unknown expiry date" is displayed on the other setting screen shown in FIG.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on/off" button 160, an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expiration date"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re-use table 7a, the record in the returned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re-use table 7a Drugs are subject to dispensing processing.

한편, 화면 좌측부의 「사용 기한(유효 기한) 무효」부에 있어서 「불출 허가 설정 대응」 버튼(164)이 선택되면, 도 16에 나타내는, 기타 설정 화면의 「유효 기한 불명약 불출 온·오프」 버튼(160)의 상태에 적합하게 하여,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에 있어서의 레코드에 관한 약제가 불출 처리 대상이 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반환되는 약제에 대해 불출 대상은 아니지만, 회수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ensing permission setting correspondence” button 164 is selected in the “Use by date (expiration date) invalid” section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Dispensing medicines with unknown expiration date on/off” of the other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6 i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button 16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drug related to a recor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use table 7a becomes a dispensing process target.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set the returned drug as a collection target, although it is not a dispensing target.

이와 같이, 유효 기한 불명 약품을 불출 처리에서 어떻게 취급하는지에 대해,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et finely how drugs of unknown expiry date are handled in the dispensing process.

2.3.3. 반환 허가 설정 처리2.3.3. Return permission setting processing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 있어서, 각종 설정 버튼(34)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설정 화면으로 분기하기 위한 설정 화면 버튼군(34a∼34e)이 표시된다. 여기서 「반환 허가 설정」 버튼(34b)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18에 나타내는 반환 허가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반품해도 되는 약품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즉, 도 18에 나타내는 설정 화면에서는 반품하면 안 되는 반환 불가 약품의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유저가 원하는 반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화면은, 소정의 시간대에 있어서, 및 소정의 약품 이외의 약품(즉, 반환 불가 약품이 아닌 약품)에 대해 반환 작업을 행하도록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미리 지시를 내려 두는 화면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화면에서는, 「소정의 시간대」를 화면의 하부에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화면은, 「반환 불가 약품」을 화면의 상부에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한 초과 약품」의 체크 박스에 체크되어 있으면, (가상) 카세트에 있어서의 「재고 상한」을 초과하고 있는 약품이 반환 불가 약품이 된다. 또한, 「불출 대상 외」의 체크 박스에 체크되어 있으면, 실장 약(즉, 「카세트 약품」) 이외의 비실장 약에 있어서, 반품약 불출 장치(2)에 의해 불출을 하지 않는 약품이 반환 불가 약품이 된다.When various setting buttons 34 are touched (or clicked) o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as shown in Fig. 7(b), a group of setting screen buttons for branching to various setting screens (34a to 34e) are displayed. Here, when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button 34b is touched (or clicked),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8 is displayed. This screen is a screen for setting medicines that may be returned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That is, by setting the conditions of non-returnable medicines which must not be returned on the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8, a user's desired return process can be performed. More specifically, this screen provides an instruction in advance t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o perform a return operation for a medicine other than a predetermined medicine (ie, a medicine that is not a non-refundable medicin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is is the drop screen. In the screen shown in FIG. 18, it is comprised so that "predetermined time zone" may be set at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In addition, the screen shown in FIG. 18 is comprised so that "non-returnable medicine" may be set at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For example, if the checkbox of "Exceeding the upper limit drug" is checked, the drug exceeding the "inventory limit" in the (virtual) cassette becomes a non-refundable drug. In addition, if the check box of “Not subject to dispensing” is checked, non-delivered medicines other than packaged medicines (that is, “cassette medicines”) that are not dispensed by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cannot be returned. become a drug.

화면의 하부에서, 시간대가 설정되면, 그 시간대에만 반환 작업을 행하도록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지시된다. 또한, 화면의 상부에서, 반환 불가 약품이 설정되면, 반환 트레이 내의 반환 불가 약품을 NG 트레이로 옮기도록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지시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when a time zone is set,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instructed to perform a return operation only in that time zone. In addi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when the non-returnable medicine is set,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instructed to move the non-returnable medicine in the return tray to the NG tray.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반환 허가 설정 화면에서 설정된 반환 허가 설정에 기초하는, 반환 트레이상의 약제에 대한 반환 처리의 흐름도이다. 먼저, 반환 허가 설정 화면상에서 설정된 개시 시각이 되면, 본 처리가 개시된다(ST81).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인식부(14)는, 반환 트레이상의 약제를 1개씩 인식하는 작업을 행한다(ST82). 반환 허가 설정 화면의 상부에 있어서, 반환 불가 약품에 대한 (조건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ST84·"아니오"),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약제를 격납부(15)에 격납한다. 이와 동시에,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이후의 처리(불출 처리, 회수 처리 및 집계 처리 등)에 대비하기 위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에서, 각각, 신규 레코드를 작성한다(ST89). 또한,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인식부(14)는 약제의 인식 작업을 계속한다(ST82).Fig. 19 is a flowchart of a return process for the medicine on the return tray based on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set on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screen shown in Fig. 18 . First, when the start time set on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screen comes, this process is started (ST81). The recognition unit 14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performs an operation for recognizing the medicines on the return tray one by one (ST82). In the upper part of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screen, if (condition) setting for the non-returnable medicine is not made (ST84·NO),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stores the medicine in the storage unit 15 . Simultaneously,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prepares for subsequent processing (dispensing processing, collection processing, count processing, etc.) ) and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respectively, new records are created (ST89). Further, the recognition unit 14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continues the recognition operation of the medicine (ST82).

반환 허가 설정 화면의 상부에 있어서, 반환 불가 약품에 대한 (조건의) 설정이 있으면(ST84·"예"),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인식부(14)에 의해 인식된 바코드에 포함되는 약품 코드에 기초하여, 약품 마스터를 판독한다(ST85).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가, 약품 마스터에 있어서의 항목(필드)데이터에서 반환 불가 조건에 적합한 것이 있거나(ST86·"예"), 혹은 그 밖에 반환 불가 조건이 있다(ST87·"예")고 판별하면,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약제를 NG 트레이로 옮긴다. 이와 동시에,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이후의 처리(불출 처리, 회수 처리 및 집계 처리 등)에 대비하기 위해, NG 플래그를 「1」로 하여 NG 코멘트의 기입을 행한 후,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에서, 각각, 레코드를 작성한다(ST90).In the upper part of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screen, if there is a setting (conditional) for the non-returnable medicine (ST84, "Yes"),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recognition unit 14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 the drug master is read based on the drug code included in the barcode recognized by (ST85). In the item (field) data in the drug master,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meets the non-returnable condition (ST86, “Yes”), or there is another non-returnable condition (ST87, “Yes”) ,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moves the medicine to the NG tray.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writes NG comments with the NG flag set to “1” in order to prepare for subsequent processing (dispensing processing, collection processing, count processing, etc.), and then dispensing the returned medicine. In the device inventory table 7a and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in the local database 3), records are respectively created (ST90).

한편,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가, 약품 마스터에 있어서의 항목(필드) 데이터에서 반환 불가 조건에 적합한 것이 없고(ST86·"아니오"), 또한 그 밖에도 반환 불가 조건이 없다(ST87·"아니오")고 판별하면, 반품약 불출 장치(2)는 약제를 격납부(15)에 격납한다. 이와 동시에, 지시 단말기(4)의 제어부는, 이후의 처리(불출 처리, 회수 처리 및 집계 처리 등)에 대비하기 위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에서, 각각, 신규 레코드를 작성한다(ST89). 또한,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인식부(14)는, 약제의 인식 작업을 계속한다(ST82).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does not satisfy the non-returnable condition in the item (field) data in the drug master (ST86·“No”), and there is no other non-returnable condition (ST87·“No”) ),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stores the medicine in the storage unit 15 . Simultaneously, the control unit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prepares for subsequent processing (dispensing processing, collection processing, count processing, etc.) ) and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respectively, new records are created (ST89). Further, the recognition unit 14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continues the medicine recognition operation (ST82).

도 19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관한 처리는, 인식부(14)의 인식 대상 약제가 없어지면(ST83·"예"), 종료된다(ST91). 또한, 도 18에서 설정되는 종료 시각에(ST88·"예"), 처리가 종료된다(ST91).The process related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19 will be complete|finished when the recognition target chemical|medical agent of the recognition part 14 disappears (ST83* "Yes") (ST91). Further, at the end time set in Fig. 18 (ST88·"YES"), the processing ends (ST91).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의한 반환 허가 설정 처리에 의해, 본래, 반품약 불출 장치(2)에 보관되어야 할 약제가 아닌 약제에 대해, 보관 관리상, 다른 보관해야 할 장소(냉소, 극약 관리고 등)가 있는 것에 대해 주의를 환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효 기한이 임박한 것이나 만료된 것, 혹은 불명인 것까지를 반품약 불출 장치(2) 내에 격납해 버려, 본래 수용해야 할 약제의 공간을 메워 버리는 것과 같은 일도 없어진다. 그 결과, 더욱 효율적이고 정확한 반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For medicines that are not originally to be store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due to the return permission setting processing by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for storage management, other storage places (cynicism, drug management warehouse, etc.)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all attention to the presence of drugs, items with an imminent expiration date, expired, or unknown items are store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filling up the space for medications that should be originally stored. There is no such thing as As a result, more efficient and accurate retur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2.3.4. 병동 등록 처리2.3.4. Ward registration processing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 있어서, 병동 등록 버튼(38)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20에 나타내는 병동 등록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수납부(12) 내에 수납되어 있는 반환 트레이마다, 반환원의 병동명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품약 불출 장치(2)에 있어서의 수납부(12)는, 예를 들어 최대 7개의 반환 트레이가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0의 병동 등록 화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2)는 7개의 트레이 수납 선반을 구비한다. 개개의 트레이 수납 선반에 실제로 반환 트레이가 설치되면, 그것에 대응하여, 도 20의 병동 등록 화면의 좌측부에 있어서, 반환 트레이 화상이 표시된다.I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when the ward registration button 38 is touched (or clicked), the ward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20 is displayed. This screen is a screen for registering the name of the ward of the return source for each return tra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unit 12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for example, a maximum of seven return trays. That is, as shown in the ward registration screen of FIG. 20, the storage part 12 is provided with 7 tray storage shelves. When a return tray is actually installed in each tray storage shelf, a return tray image is displayed in the left part of the ward registration screen of FIG.

표시된 개개의 반환 트레이에 대해 병동 등록 화면의 우측부에서는, 반환 트레이의 반환원의 병동명을 선택한 후, 등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병동명의 데이터는, 반환되는 각 약제의 데이터와 결부시켜,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에 저장할 수 있다.In the right part of the ward registration screen for each displayed return tray, after selecting the ward name of the return source of the return tray, registration is possible. The data of the ward name may be stored in a database (eg,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use table 7a) in association with the data of each returned medicine.

반품약 관리 시스템에 의해 반환 트레이의 병동명을 등록함으로써, 각 병동별의 반품 약제의 상황을 신속하고 또한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병동명의 데이터는, 통계 데이터로서, 구체적인 전표 등의 작성에 이용할 수 있다.By registering the ward name of the return tray by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the status of returned medicines for each ward can be quickly and clearly grasped. In particular, the data of the ward name can be used as statistical data for preparation of specific slips and the like.

2.3.5. 각종 표시 처리2.3.5. Various display processing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서는, 다양한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좌측부에서는,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수납부(12)에 있어서, 비어 있는(즉, 실제로 반환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트레이 수납 선반의 수가 표시된다(도 7의 (a)에서는, 예로서 「공 5」라고 표시되어 있음). 또한, 최하단의 NG 트레이로 약제가 옮겨져 있는지 여부가 표시된다(도면에서는, 예로서 「약품 없음」이라고 표시되어 있음).O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the number of empty tray storage shelves in the storage unit 12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hat is, no return tray is actually installed) is displayed (see FIG. 7 ( In a), as an example, "ball 5" is indicated). Furthermore, it is displayed whether or not the chemical|medical agent is transferred to the NG tray of the lowermost stage (in the figure, "no medicine" is displayed as an example).

또한, 화면 우측부에서는,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 격납된 약제의, 크기별(즉, S, M, L별) 구성 비율이, 그래프에 의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여기서의 「크기별 구성 비율」이라 함은, (S, M, L의) 각 사이즈에 대응하는 선반에 있어서의, 대응 사이즈를 구비하는 약제가 점유하는 비율이다.In addition, in the right part of the scree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medicin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by size (ie, by S, M, L) is displayed in real time by a graph. The "composition ratio for each size" here is the ratio occupied by drugs having the corresponding size in the shelf corresponding to each size (S, M, L).

또한,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서는, 흡착 패드 교환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제 반려 제어 장치(약제 수용 제어 장치)(6)의 기억부에는, 고무제의 흡착 패드(제1 흡착 패드, 제2 흡착 패드)가 장착 혹은 교환된 연월일이, 흡착 패드의 사용 개시일로서 각각 기억되어 있다.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은, 흡착 패드의 사용 개시일로부터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2개월과 20일)이 경과하면, 지시 단말기(4)의 메인 화면에 「제1 흡착 패드(또는, 제2 흡착 패드)를 교환해야 할 3개월이 다가오고 있습니다.」라고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은, 흡착 패드의 사용 개시일로부터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3개월)이 경과하면, 지시 단말기(4)의 메인 화면에 「제1 흡착 패드(또는, 제2 흡착 패드)를 교환해야 할 3개월이 지났습니다. 바로 교환해 주세요.」라고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lso, o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 a suction pad replacement message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in the storage part of the chemical|medical agent return control device (medical agent accommodation control device) 6, the rubber-made suction pad (1st suction pad, 2nd suction pad) was mounted|worn or replaced with the date and time of use of the suction pad. Each is memorized as a start dat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2 months and 20 days) has elapsed from the start date of use of the suction pad,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al agent sorting device) displays the message "First suction pad ( Alternatively, the second suction pad) is about to be replaced.”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3 months) has elapsed from the start date of use of the suction pad,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al agent sorting device) displays the message "The first suction pad (or , 2nd suction pad) has been replaced after 3 months. Please exchange it immediately.”

또한, 약제 반려 제어 장치(약제 수용 제어 장치)(6)의 기억부에는, 흡착 패드(제1 흡착 패드, 제2 흡착 패드)의 교환일 이후의, 흡착 노즐 및 흡착 패드(제1 흡착 노즐 및 제1 흡착 패드, 제2 흡착 노즐 및 제2 흡착 패드)의 가동 횟수(즉, 흡착 패드의 흡착 횟수)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은, 흡착 패드의 사용 개시일로부터의 가동 횟수가 소정의 횟수(예를 들어, 27000회)를 초과하면, 지시 단말기(4)의 메인 화면에 「제1 흡착 패드(또는, 제2 흡착 패드)를 교환해야 할 30000회의 사용이 다가오고 있습니다.」라고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은, 흡착 패드의 사용 개시일로부터의 가동 횟수가 소정의 횟수(예를 들어, 30000회)를 초과하면, 지시 단말기(4)의 메인 화면에 「제1 흡착 패드(또는, 제2 흡착 패드)를 교환해야 할 30000회의 사용을 초과하였습니다. 바로 교환해 주세요.」라고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memory|storage part of the chemical|medical agent return control apparatus (medicament accommodation control apparatus) 6, the adsorption|suction nozzle and adsorption pad (1st adsorption|suction nozzle and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1st suction pad, the 2nd suction nozzle, and the 2nd suction pad) (namely, the number of times of suction of the suction pad) is stored, respectively.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al agent sorting device) displays "1st suction pad" on the main screen of the instruction|indication terminal 4, when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from the use start date of the suction pad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27000 times). (or the second suction pad) is about to be replaced 30000 times.” In additio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al agent sorting device) displays "1st on the main screen of the instruction terminal 4 when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from the start date of use of the suction pad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30,000 times). Exceeded 30000 uses requiring replacement of the suction pad (or the second suction pad). Please exchange it immediately.”

또한, 반품약 불출 장치(수용약 불출 장치)(2)의 인식부(14)는, 흡착 패드의 흡인 압력을 정기적으로 모니터하는 흡인 압력 모니터를 구비해도 된다. 그리고, 흡인 압력 모니터가 모니터하는 흡착 패드(제1 흡착 패드, 제2 흡착 패드)의 흡인 압력이 소정값을 하회하는 사태가 발생하면, 지시 단말기(4)의 메인 화면에 「제1 흡착 패드(또는, 제2 흡착 패드)의 흡인 압력이 저하되어 있습니다. 교환해 주세요.」라고 표시하도록,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이 구성되어도 된다.Further, the recognition unit 14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ntai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may include a suction pressure monitor that periodically monitors the suction pressure of the suction pad. Then, if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suction pressure of the suction pad (first suction pad, second suction pad) monitored by the suction pressure monitor fall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e message “First suction pad ( Alternativel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second suction pad) is lowered. Please exchange it.", a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ine sor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이상과 같은 메인 화면에 있어서의 흡착 패드 교환 메시지를 표시시킬지 여부를 설정하는 화면이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에서 구축되어 있고, 그것을 지시 단말기(4)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흡착 패드를 교환해야 할 소정의 사용 기간, 흡착 패드를 교환해야 할 소정의 가동 횟수 및 흡착 패드를 교환해야 할 소정의 최저한의 흡인 압력값을 설정하는 화면도 반품약 관리 시스템(약제 분류 장치)에서 구축되어 있고, 그것을 지시 단말기(4)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for setting whether or not to display the suction pad replacement message on the main screen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al agent sorting device), and it is usable by the instruction terminal 4 . Similarly, a screen for sett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use for replacing the suction pad, a predetermined number of operations for replacing the suction pad, and a predetermined minimum suction pressure value for replacing the suction pad is also provided i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edical agent sorting device). It is preferably constructed in , and it is possible to use it in the pointing terminal 4 .

또한,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서는, 카세트식 주사약 불출기, 및 반품약 불출 장치(2)의 격납부(15)에 있어서의, 카세트 약품의 재고 상황을 「카세트 약품 재고」 버튼(21b)에 의해 표시하고 있다. 먼저, 카세트에 있어서, 재고 수가 제로인 카세트가 적어도 1개 있으면, 「결품 있음」이라고 표시된다. 「결품 있음」에 해당되는 카세트가 없어도, 재고 수가 충전 기준량(재고 하한)보다 적고 1 이상인 카세트가 적어도 하나 있으면, 「소량 있음」이라고 표시된다. 「결품 있음」에 해당되는 카세트나 「소량 있음」에 해당되는 카세트가 없고, 모든 카세트에 있어서, 재고 수가 최대 실장량(재고 상수)과 충전 기준량(재고 하한) 사이에 있으면, 「적정」이라고 표시된다. 또한, 메인 화면에 있어서, 불출 라인 시스템(101) 중에서의 카세트에 있어서의 재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o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A, the "cassette medicine stock" button is used to display the stock status of cassette medicines in the storage unit 15 of the cassette-type injection medicine dispensing machine and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t is indicated by (21b). First, in the cassette, if there is at least one cassette having a zero stock number, it is displayed as “defective”. Even if there is no cassette corresponding to "In short supply", if there is at least one cassette whose stock count is less than the standard filling amount (lower limit of stock) and there is at least one cassette, "Small stock" is displayed. If there are no cassettes corresponding to “Defective” or cassettes corresponding to “Small quantity”, and for all cassettes, if the number of stocks is between the maximum loading amount (stock constant) and the standard filling amount (lower stock limit), “appropriate” is displayed do. In addition, on the main screen, you may make it display the stock information in the cassette in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FIG.

2.3.6. 입출고 이력 표시 처리2.3.6. Incoming and outgoing history display processing

도 7의 (a)에 나타내는 메인 화면에 있어서, 조회 버튼(32)이 터치(혹은, 클릭)되고, 또한 「입출고 조회」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도 21에 나타내는 입출고 조회 화면(입출고 이력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화면 좌측부의 「추출 조건」을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5)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 조건에 적합한 입고 데이터, 즉, 반환 약제 데이터의 일람, 또는 출고 데이터, 즉, 불출 데이터 및 회수 데이터의 일람이 표시된다. 이때, 화면 우측 하단부에 일람(추출 조건에 적합한 반환 약제 데이터의 일람, 또는 추출 조건에 적합한 불출 데이터 및 회수 데이터의 일람)에 포함되는 데이터 건수가 표시된다.In the main screen shown in Fig. 7 (a), when the inquiry button 32 is touched (or clicked), and the "Inquiry-out inquiry" button (not shown) is touched (or clicked), in Fig. 21 The warehousing inquiry screen (entry/exit history screen) shown is displayed. When the "extraction condition" of the left part of the screen is input here, on the basis of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5 and the local database 3, the stock data suitable for the extraction conditions, that is, a list of returned medicine data, or the departure data, that is, , a list of dispensing data and collection data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data included in the list (a list of returned medicine data suitable for extraction conditions, or a list of dispensing data and collection data suitable for extraction conditions)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part of the screen.

도 21에 나타내는 입출고 조회 화면(입출고 이력 화면)의 우측부에서는, 출고 데이터의 일람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출고 데이터의 일람에서는 「불출 이유」의 항목이 표시된다. 불출 이유에는, 「불출」과 「지시 회수」가 포함된다. 불출 이유의 표시는,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에 있어서의 「불출 이유」의 필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불출 처리 시에는, 반품약 불출 장치 불출용 테이블(7b)로부터 불출 지시 데이터(87)가 생성되므로(도 5의 (1) 참조), 그것을 받아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에 있어서의 「불출 이유」의 필드에 「불출」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회수 처리 시에는,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로부터 회수 데이터(더미 처방 지시 데이터)(90)가 생성되므로(도 5의 (2) 참조), 그것을 받아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로컬 데이터베이스(3)의 반품약 재고 테이블(9)에 있어서의 「불출 이유」의 필드에 「지시 회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In the right part of the warehousing inquiry screen (entry/exit history screen) shown in FIG. 21, the list of warehousing data is displayed. In addition, in the list of delivery data, the item of "discharge reason" is displayed. The reasons for disbursement include “disbursement” and “number of instructions”. Display of the dispensing reason i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field of the "dispensing reason"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 In the dispensing process, the dispensing instruction data 87 is generated from the dispensing table 7b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fer to (1) of FIG. 5). Data indicating "discharge" is stored in the field of "reason for disbursement"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collection data (dummy prescription instruction data) 90 is generated from the table 7c for collec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refer to (2) in FIG. 5). In the field of the "dispensing reason" in the returned medicine inventory table 9 of the local database 3, data indicating "the number of orders" is stored.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1에 나타내는 입출고 조회 화면(입출고 이력 화면)의 우측부에서는, 출고 데이터의 일람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된 일람 리스트에 있어서, 임의의 약품의 데이터에 관한 1행이 터치(혹은, 클릭)되면, 반품약 불출 장치(2)의 인식부(14)에 의해 취득된, 터치(혹은, 클릭)된 행에 관련되는 약품의 「유효 기한(사용 기한)」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와, 반품약 불출 장치 재고용 테이블(7a) 내의 「유효 기한(사용 기한)」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유효 기한 등록 체크 화면)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 유효 기한 등록 체크 화면을 이용함으로써, 반품약 불출 장치(2)에 있어서 판독된 유효 기한 데이터가 정확한지 체크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right part of the warehousing inquiry screen (entry/exit history screen) shown in FIG. 21, the list of warehousing data is displayed. In the displayed list list, when one row of data of any drug is touched (or clicked), the touched (or clicked) row acquired by the recognition unit 14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 screen on which image data including the "expiration date (expiration date)" of the drug related to screen) may be displayed. By using this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check scree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xpiration date data read by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correct.

또한, 표시하는 일람 리스트에 있어서는, 이미 불출이나 회수가 이루어진 반품약 불출 장치(2)에는 없는 약품에 대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그들 약품에 관해서도 반품약 불출 장치(2)가 판독한 유효 기한 데이터가 정확한지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효 기한 등록 체크 화면은, 이미 불출이나 회수가 이루어져 반품약 불출 장치(2)에는 없는 약품에 대한 데이터도 표시하므로, 유효 기한 데이터가 부정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이미 불출되어 반품약 불출 장치(2)에는 없는 약품에 대해, 이 화면으로부터 유효 기한 데이터의 변경을 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list to be displayed, data on medicines that have already been dispensed or retrieved are displayed, so the expiration date data read by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for those medicines is also displayed. You can check if is correct. In addition, since this expiration date registration check screen also displays data on medicines that have already been disbursed or collected and are not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n order to prevent the expiration date data from being illegally changed, at least have already been dischar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xpiration date data cannot be changed from this screen for medicines that are not present.

2.3.7. 복수의 약품이 할당된 바코드에 관한 표시와 약품의 선택2.3.7. Marking on barcodes to which multiple drugs are assigned and selection of drugs

하나의 약품 바코드에 대해 복수의 약품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약품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을, 지시 단말기(4)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시 단말기(4)의 당해 화면에서는, 복수의 약품 중 하나의 약품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 후,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그 약품 바코드에 대응하는 약품으로서, 선택된 약품을 사용하게 된다.A plurality of drugs may be assigned to one drug barcode. In that case,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may display a screen indicating that a plurality of medicines are allocated on the instruction terminal 4 . Moreover, on the said screen of the instruction|indication terminal 4, one medicine can be selected from several medicine. After selectio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uses the selected medicine as the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medicine barcode.

2.3.8. 약품 집계표의 출력2.3.8. Output of drug summary table

반품약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은, 네트워크 접속된 프린터로부터 전표 출력할 수 있다. 도 22는, 전표 중 하나인 병동별 약품 집계표(70)를 나타내고 있다. 병동별 약품 집계표(70)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으로부터 불출을 행한 약제에 대해, 불출 실시일마다, 병동별로 집계를 행하여 출력되는 전표이다. 표 내에서는 약품별로 불출된 개수가 표시되어 있다.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including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can output a slip from a network-connected printer. Fig. 22 shows a drug aggregate table 70 for each ward, which is one of the slips. The medicine counting table 70 for each ward is a slip outputted by counting the medicines dispensed from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for each dispensing day and each ward. In the table, the number of dispensed drugs for each drug is indicated.

병동별 약품 집계표(70)에서는, 약품별로 불출된 개수 내에,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 불출된 것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도 22에서는, 별 마크)(72)가 약품의 개수 표시의 우측에 나타난다.In the medication aggregate table 70 for each ward, if the number of items dispensed from the returned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2 is included in the number of items dispensed for each medication, a mark (star mark in FIG. It appears to the right of the number display.

도 23은, 약제 반려 제어 장치(6)가 출력하는 불출 지시 데이터(87)에 기초하여, 반품약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이 병동별 약품 집계표(70)를 출력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불출 실행된 후의 불출 지시 데이터(87)를 순차 취출한다(ST102). 순차 취출하는 불출 실행된 후의 불출 지시 데이터(87)에 대해,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불출 실시일별·병동별로, 불출 약품마다의 개수를 집계해 간다. 이때,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 불출 실행된 것이 불출 약품에 포함되어 있으면,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그 불출 약품에 대해 「반품약 있음」 플래그를 기억한다(ST104). 불출 실행된 후의 불출 지시 데이터(87)가 종료되면(ST103·"예"),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집계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Fig. 23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including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outputs the drug summary table 70 for each ward based on the dispensing instruction data 87 output by the drug return control device 6 It is a flow chart.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sequentially retrieves the dispensing instruction data 87 after dispensing has been executed (ST102). With respect to the dispensing instruction data 87 after dispensing, which is sequentially taken out,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counts the number of dispensing medicines by dispensing execution date, by ward, and by dispensing ward. At this time, if the medicines dispensed from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are included in the delivered medicines,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stores a "returned medicine present" flag for the delivered medicines (ST104). When the dispensing instruction data 87 after dispensing is finished (ST103·"YES"),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ends the counting process.

계속해서, 반품약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은, 불출 실시일별·병동별로, 불출 약품마다의 개수를 인쇄한다(ST105). 이때, 불출 약품마다의 개수 내에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 불출된 약품이 포함되어 있으면, 즉, 인쇄 대상인 불출 약품에 대해 「반품약 있음」 플래그가 기억되어 있으면, 반품약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은, 불출 약품의 개수 데이터의 근방에 마크를 인쇄한다(ST107). 불출 약품의 집계 데이터가 종료되면(ST108·"예"), 인쇄에 관한 처리는 종료된다(ST109).Then,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including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prints the number of each dispensing medicine for each dispensing day and each ward (ST105). At this time, if the number of drugs dispensed from the returned drug dispensing device 2 is included in the number of dispensed drugs, that is, if the “Returned drug present” flag is stored for the dispensed drug to be printed, a returned dru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prints a mark in the vicinity of the number data of dispensing medicines (ST107). When the total data of dispensing medicines is finished (ST108·YES), the processing related to printing is finished (ST109).

이와 같이, 병동별 약품 집계표(70)에 있어서, 약품별로 불출된 개수 내에 반품약 불출 장치(2)로부터 불출된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가 개수 표시의 우측에 나타나면, 불출 약품에 반품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명확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that the number dispensed from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is included in the number of drugs dispensed for each ward in the ward-specific drug counting table 70, a mark indicating that fact appears on the right side of the number display. It becomes clear that the drug contains a returned drug.

또한, 불출 라인 시스템(101)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집하는 트레이에 대해, 불출된 약제의 정보를 나타내는 「주사 처방전」인 처방전(종이)이 부가되는 경우가 있다. 이 주사 처방전에 표시되는 약품 정보에 있어서도, 상기한 병동별 약품 집계표(70)와 마찬가지로, 반품약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할 수 있다.Moreover, a prescription (paper) which is an "injection prescription" which shows information of the dispensed drug may be added to the tray which collects the drug dispensed from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FIG. Also in the drug information displayed on this injection prescription, a mark indicating that a returned drug is included can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drug aggregate table 70 for each ward described above.

2.3.9. 회수 리라이트 카드의 출력2.3.9. Output of the collection rewrite card

반품약 관리 시스템이 회수 동작을 행하였을 때에는, 반환 트레이에 대해 회수 리라이트 카드(74)를 부여한다. 여기서의 리라이트 카드는, 문자 정보, 도형 정보 및 바코드 등의 정보를, 재기록 장치에 의해 표시 변경 가능한 카드이며, 류코 방식이나 백탁 방식의 것이 이용 가능하다. 회수 리라이트 카드로서, 이들 방식의 리라이트 카드 대신에 전자 페이퍼나 액정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어도 된다.When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performs the collection operation, a collection rewrite card 74 is provided to the return tray. The rewrite card here is a card that can display and change information such as character information, graphic information, and bar code by a rewriter, and a leuco system or a cloudy system can be used. As the collection rewrite card, an electronic paper or a liquid crystal display may be used instead of the rewrite card of these systems.

반품약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불출 라인 시스템(101)이 반환 트레이에 대해 부여하는 「회수 리라이트 카드」(74)에는, 회수 조건이 표시된다. 도 24의 (a)는, 회수 리라이트 카드(74)에 있어서의 회수 조건의 표시예이다.The collection condition is displayed on the "collection rewrite card" 74 provided to the return tray by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including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24A is a display example of the collection conditions in the collection rewrite card 74. As shown in FIG.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을 참조하여 회수 조건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장기 체류 플래그나 유효 기한 임박 플래그 등의 필드가 참조된다. 즉, 도 8(또는 도 12)에 나타내는 약품 회수 화면에서 입력된 추출 조건이, 회수 리라이트 카드(74)에 표시된다. 회수 리라이트 카드(74)는, 예를 들어 불출 라인 시스템(101)에 있어서의 배출 리프터(리라이트 구비)(117)에 있어서 작성할 수 있다.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grasps the collection condition with reference to the return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llection table 7c. For example, fields such as a long stay flag or an expiration date flag are referenced. That is, the extraction conditions input on the chemical recovery screen shown in FIG. 8 (or FIG. 12 ) are displayed on the recovery rewrite card 74 . The collection rewrite card 74 can be created in the discharge lifter (with rewrite) 117 in the dispensing line system 101, for example.

도 24의 (b)는, 도 24의 (a)에 나타내는 회수 리라이트 카드를 출력하는 처리의 흐름도이다. 먼저, 반품약 불출 장치(2)의 회수 작업에 의해, 약제 반려 제어 장치(6)의 제어부는 반품약 불출 장치 회수용 테이블(7c)에 신규의 레코드를 작성한다(ST122). 반품약 관리 시스템은, 당해 레코드에 의해, 회수의 이유를 취득한다(ST123). 배출 리프터(리라이트 구비)(117)는, 리라이트 카드에 당해 회수의 이유를 인쇄하여, 회수를 위한 트레이와 함께 출력한다(ST124).Fig. 24(b) is a flowchart of a process for outputting the numbered rewrite card shown in Fig. 24(a). First, by the collection operation of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2, the control unit of the medicine return control device 6 creates a new record in the return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llection table 7c (ST122). The returned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quires the reason for collection from the record (ST123). The discharge lifter (with rewrite) 117 prints the reason for the collection on the rewrite card and outputs it together with the collection tray (ST124).

이와 같이, 회수 리라이트 카드(74)에 의해 회수 조건이 명확하게 표시됨으로써, 회수 대상 약품에 대한 처치가 즉시 파악되게 된다. 그뿐 아니라, 트레이의 오탑재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회수한 후의 작업의 오류가 경감되고, 동시에 작업 효율도 향상된다.In this way, the recovery condition is clearly displayed by the recovery rewrite card 74, so that the treatment for the recovery target drug is immediately grasped. Not only that, since mismounting of the tray can be prevented, errors in work after collection are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2 : 반품약 불출 장치
3 : 로컬 데이터베이스
4 : 지시 단말기
5 : 데이터베이스
6 : 약제 반려 제어 장치
12 : 수납부
14 : 인식부
15 : 격납부
16 : 불출부
101 : 불출 라인 시스템
103 : 공급 리프터
105 : 보틀 불출기
107 : 랜덤 불출기
109 : 특수 불출기
111 : 냉소 불출기
113 : 포장기
115 : 프린터 유닛
117 : 배출 리프터(리라이트 구비)
119 : 적재 리프터
2: Return medicine dispensing device
3: local database
4: instruction terminal
5: Database
6: Drug return control device
12: storage unit
14: recognition unit
15: containment
16: dispensing unit
101: dispensing line system
103: supply lifter
105: bottle dispenser
107: random dispenser
109: special dispenser
111: cynicism
113: packing machine
115: printer unit
117: discharge lifter (with relight)
119: load lifter

Claims (6)

처리 대상의 약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약제 식별 정보와는 달리 당해 처리 대상의 약제에 할당되는 일의적 식별 정보와 병동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제1 처리부와,
상기 제1 처리부에 의해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약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2 처리부,
를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
A first processing unit for registe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treatment target drug and the w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dru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reatment target drug;
a second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ing target drug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first processing unit;
A management system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반품 약제로서 등록되는 약제이며,
상기 병동은, 상기 약제의 반환원으로서 등록되는 병동인,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ug is a drug registered as a returned drug,
The said ward is a ward which is registered as a return source of the said medicine, The management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약제가 수용되는 수용부에 대응하는 상기 병동의 식별 정보와 당해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약제의 일의적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first processing unit register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rd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unit in which the medicament is accommodated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dicamen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약제에 대해 적어도 상기 약제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3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처리 대상의 약제는, 상기 제3 처리부에 의해 상기 약제 식별 정보가 인식된 약제이며,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3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 식별 정보와 당해 약제에 할당되는 일의적 식별 정보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병동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는, 관리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 third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at least the medic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medicin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he drug to be processed is a drug for which the dru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hird processing unit,
The said 1st process part makes the said dru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aid drug recognized by the said 3rd process part correspond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said dru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aid ward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e management system .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처리 대상의 약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약제 식별 정보와는 달리 당해 처리 대상의 약제에 할당되는 일의적 식별 정보와 병동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약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2 단계,
를 실행하는 관리 방법.
one or more processors,
A first step of registe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treatment target drug and the w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dru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reatment target drug;
A second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treatment target drug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first step;
Administrative methods to run.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처리 대상의 약제의 종류에 대응하는 약제 식별 정보와는 달리 당해 처리 대상의 약제에 할당되는 일의적 식별 정보와 병동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약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2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one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and stored on a medium,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giste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treatment target drug and the w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dru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reatment target drug;
A second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treatment target drug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first step;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ng
KR1020227037345A 2014-08-22 2015-08-20 Drug sorting device KR1026647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9815 2014-08-22
JP2014169815 2014-08-22
JPJP-P-2014-230988 2014-11-13
JP2014230988 2014-11-13
PCT/JP2015/073346 WO2016027849A1 (en) 2014-08-22 2015-08-20 Drug sorting device
KR1020227015690A KR102461105B1 (en) 2014-08-22 2015-08-20 Drug sor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690A Division KR102461105B1 (en) 2014-08-22 2015-08-20 Drug sorting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926A Division KR20240067285A (en) 2014-08-22 2015-08-20 Drug sor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946A true KR20220148946A (en) 2022-11-07
KR102664763B1 KR102664763B1 (en)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5343A (en) 2012-04-06 2013-10-24 Central Un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returned dr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5343A (en) 2012-04-06 2013-10-24 Central Un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returned dr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196A (en) 2022-05-23
KR102398298B1 (en) 2022-05-16
JP7044127B2 (en) 2022-03-30
JP2022069588A (en) 2022-05-11
KR102461105B1 (en) 2022-10-31
TW201609503A (en) 2016-03-16
JPWO2016027849A1 (en) 2017-04-27
CN106572943A (en) 2017-04-19
JP2016116942A (en) 2016-06-30
TWI680921B (en) 2020-01-01
JP6746986B2 (en) 2020-08-26
WO2016027849A1 (en) 2016-02-25
JP2020104023A (en) 2020-07-09
KR20170047233A (en) 2017-05-04
JP5904315B1 (en) 2016-04-13
CN112133448A (en) 2020-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105B1 (en) Drug sorting device
CA2828034C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harmacy workflow
KR101345543B1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BR112015026987B1 (en) Refrigerated dispensing system with controlled stock
WO2015060296A1 (en) Drug distribution assistance system
CN103797507A (en) Facility-wide medication management systems
WO2005123003A1 (en) Medicine management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JP7372584B2 (en) Medicine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KR101674195B1 (en) Information gathering and managing system for available drug of pharmacies
JP4398210B2 (en) Chemical management device and chemical management system
KR101058813B1 (en) Pharmacy Control System
KR102664763B1 (en) Drug sorting device
JP4903841B2 (en) Chemical management device
KR20240067285A (en) Drug sorting device
JP2006109860A (en) Dispensing system and dispensing method
JP6808996B2 (en) Mounted chemical management system
JP6010579B2 (en) Automatic medicine picking method
JP2022073510A (en) Medicine picking work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