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176A - 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176A
KR20220142176A KR1020210048598A KR20210048598A KR20220142176A KR 20220142176 A KR20220142176 A KR 20220142176A KR 1020210048598 A KR1020210048598 A KR 1020210048598A KR 20210048598 A KR20210048598 A KR 20210048598A KR 20220142176 A KR20220142176 A KR 2022014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values
user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창원
Original Assignee
(주)아이트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트리온 filed Critical (주)아이트리온
Priority to KR102021004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176A/en
Publication of KR2022014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1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a system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that performs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for processing a material moved through a plurality of moving units may comprise: a standard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control standards for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performed while the material moves through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obtain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at are information about the materi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nsing timings while the at least one process is performed, generates material information by adding tags indicating a process in which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were obtained among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to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nd stores the material information in the standard management unit; an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that converts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tandard timings based on a rate of chang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 monitoring unit that generates management information obtained by adding moving unit tags indicating moving uni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andard timings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to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n even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event occurrence location of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correction value satisfying the control standard among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execu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tandard for the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event occurrence location. Accordingly, operational homogeneity can be ensured.

Description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스마트 팩토리는 단순 자동화 공장이 아닌,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해 스스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작업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된 지능화 공장을 의미한다. 내부적으로 기업 내부의 생산, 제품, 설비 및 인력운영의 관점에서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통한 혁신과 변화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 공급중심의 제조업에서 소비중심의 제조업으로, 제조업 생태계가 급격한 속도로 변화하고 있어, 신속한 생존전략 확보가 필요하다. 최근 10여년간 IT 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기업의 “경영 및 공장 운영 체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리딩하고 있다. A smart factory is not a simple automated factory, but an intelligent factory designed to collect data and issue work orders by integrating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 planning, desig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nally, the need for innovation and chang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ies in terms of internal production, products, facilities, and manpower operation is increasing. As the manufacturing ecosystem is rapidly changing from supply-oriented manufacturing to consumption-oriented manufacturing in the pas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rapid survival strategy.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over the past decade is lead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corporate “management and factory operation systems”.

제조 영역에서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공정관리, 납기 안정성과 생산량 최대화가 아닌 최적화를 통한 이익 극대화 방안이 필요하다. 제품 측면에서, 불량 제어 고도화, 불량사전차단 능력향상, 품질 수준의 향상 및 소비자 요구에 맞는 신제품을 개발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설비 측면에서, 설비 노후화, 설비 가동률 향상, 설비 보전역량 확대, 설비 관리 및 보전 이력에 대한 데이터화를 통해 예지 정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인력 측면에서, 노동 생산성 확보, 노하우 내재화와 조업편차 축소, 사람의 한계 극복 및 소통 용이성 확보를 통한 생산성 하락 방지 활동이 필요하다. In the manufacturing area, it is necessary to maximize profits through optimization rather than cost reduc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process control, delivery stability and production maximization. In terms of products, there is a need for a process to advance defect control, improve the ability to prevent defects in advance, improve quality, and develop new products that meet consumer needs. In terms of facilitie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predictive maintenance through data on facility aging, facility operation rate improvement, facility maintenance capacity expansion, and facility management and maintenance history. In terms of manpower, it is necessary to prevent a decrease in productivity by securing labor productivity, internalizing know-how and reducing operation deviation, overcoming human limitations and securing ease of communication.

통신 영역에서,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 대용량 트래픽 처리 및 통신규약의 표준화를 통해 IoT, M2M의 구현이 용이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영역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 데이터 처리 기술 발달, 오픈소스로 노하우 확장 등을 통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기술환경 측면에서, 인터스트리 4.0의 트렌드화, IT와 OT의 융합, 오픈소스 및 플랫폼 기술의 발달로 안정적인 지원이 가능한 구조로 발전될 수 있다. 하드웨어 영역에서, 저장 비용의 하락, 하드웨어 가성비의 증가 및 클라우딩 환경의 보편화로 탄력적인 비용 계획이 수립될 수 있다. In the communication field, the implementation of IoT and M2M may be easy throug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processing of large-capacity traffic, and standardization of communication protocols. In the software area, costs can be reduced through large-capacity data processing, data 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know-how to open sources. In terms of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it can be developed into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stable support through the trend of Industry 4.0, the convergence of IT and OT, and the development of open source and platform technologies. In the hardware area, a flexible cost plan can be established with a decrease in storage cost, an increase in hardware cost-effectiveness, and the generalization of a clouding environment.

스마트 팩토리는 빠르게 변화는 무한경쟁 외부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업무 효율성 및 가성비의 증대를 이끌고 있는 기술 발전과 결합한 기업내부 혁신 의지가 기업 경쟁력 확보의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The smart factory can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which are rapidly changing and infinitely competitive. The will to innovate within a company combined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that leads to in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cost-effectiveness is establishing itself as an essential factor in secur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스마트 팩토리는 1인당 생산량 증가, 생산 능력 증가, 납기 준수율 증가, 생산 설비 운영 효율 증가, 설비 가동률 개선 역량 증가, 고객 만족도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 불량률 감소, 제조 원가, 불용 재고의 감소, 생산 관련 의사결정 시간 감소, 생산 설비 장애 발생 건수 감소 및 이상 대응 시간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A smart factory can increase production per capita, increase production capacity, increase delivery time compliance, increase production facility operation efficiency, increase facility utilization rate improvement capability, and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mart factory can reduce the production defect rate, reduce manufacturing costs, reduce unused inventory, reduce production-related decision-making time, reduce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production equipment failures, and reduce abnormal response time.

스마트 팩토리와 관련하여, 대기업은 이미 높은 수준의 제조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나, 수요 지속 감소, 설비열화, 노동 환경 저하 등 산업 구조적 문제점에 봉착해 있다. 과거의 만들기만 하면 팔리는 양적 성장의 시대가 아닌, 극한적으로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신 공장운영 시스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소기업은 조업 운전자 의존도가 높아서, 지속적인 표준 고도화를 통해서 개인별 편차를 억제하는 균질생산체제 확보가 필요하다. 중소기업은 여건 상 진단, 설계, 운영 전문가가 부족하고 재정적 어려움이 있어 대안이 필요하다.In relation to the smart factory, large enterprises have already built a high-level manufacturing system, but they are facing structural problems such as continuous decline in demand, deterioration of facilities, and deterior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Instead of the past era of quantitative growth that sells simply by making, attention is focused on a new factory operation system that can maximize profitability. Since SMEs are highly dependent on operating operators, it is necessary to secure a homogeneous production system that suppresses individual deviations through continuous standard advancemen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need alternatives because they lack experts in diagnosis, design, and operation and have financial difficultie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 방식의 공장을 스마트 팩토리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converting an existing factory into a smart factory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무빙유닛들을 통해 이동되는 소재를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상기 소재가 상기 복수의 무빙유닛들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수행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제어기준을 관리하는 기준 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의 센싱 타이밍들에 대응하는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인 복수의 센싱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중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이 획득된 공정을 나타내는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소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재정보를 상기 기준 관리부에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을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하는 정보 전처리부, 상기 복수의 보정 값들에 상기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상기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보정 값들 중 상기 제어기준을 만족하는 보정 값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인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에 대해서, 상기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system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that performs at least one process of processing a material moved through a plurality of mov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while the material is moved through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A referen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control standards for at least one process, obtain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at are information about the materi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nsing timings while the at least one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at generates material information in which tags indicating a process in which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obtained among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are added, respectively, and stores the material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and a rate of chang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n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that converts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ased on A monitoring unit that generates management information to which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corresponding moving unit are added respectively, and an event occurrence location that i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correction value satisfying the control criterion among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with respect to an even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event and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event occurrence.

상기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정보 전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보정 값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 생성룰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을 상기 기준 관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user information generation rule input by a user based on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nd sets the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to the It can be stored in the standard management unit.

상기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에 상기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상기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 중 상기 제어기준을 만족하는 사용자 정보 값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인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에 대해서, 상기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the monitoring unit includes user information obtained by adding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to the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generating, and the event detection unit detects an event occurrence location that i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user information value satisfying the control criter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event occurrence loca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may be executed.

상기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재의 압연 길이 또는 상기 소재의 너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the monitoring unit may monitor the rolling length of the material or the width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상기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the monitoring unit may monitor a history of the at least one proces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상기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재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the monitoring unit may monitor the location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상기 기준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기준 및 상기 사용자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erence control unit may include a user reference input by a user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reference.

상기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이벤트 발생 위치와 상기 사용자기준에 대응되는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와 상기 사용자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각각 수행할 수 있다.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the event detection unit detects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and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criterion,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and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user criteria may be respectively executed.

또한, 상기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은, 상기 소재의 온도, 압력, 부하, 전류, 길이, 두께 또는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센싱 값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상태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종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include sensing values for at least one of temperature, pressure, load, current, length, thickness, or weight of the material, and the tags ar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tus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상기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상기 이벤트 감지부가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때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when the event detection uni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본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동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사람이 운전하도록 설계된 기존의 공장에서 사람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작업 조작을 억제함으로써 오퍼레이션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a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is technology, operation homogeneity can be secured by overcoming human limitations and suppressing manual operation in the existing factory designed for human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가 무빙유닛을 통과할 때마다 이벤트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정보의 센싱 타이밍을 동일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값이 변환된 보정 값과 무빙유닛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제어기준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whenever a material passes through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qually correcting the sensing timing of materi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able for explaining a correction value converted from a sensing value and a moving unit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inputs a control criter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fo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설비 외 공장시스템이 전혀 없는 중소기업은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확보할 수 있고, 대기업은 기존의 Silo 및 Layer형 시스템적 한계를 극복하고, IoT기반의 자율 운전 공장 솔루션의 확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 공장을 스마트 팩토리로 전환은 프로세스, 데이터, 시스템 3가지 영역에서 균형 있게 추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at do not have a factory system other than facilities can secure a smart factory system, and large enterprises can overcome the existing silo and layer-type system limitations, and secure an IoT-based autonomous driving factory solu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sion of an existing factory to a smart factory can be promoted in a balanced way in three areas: process, data, and system.

공장의 구성요소들의 역할 및 기능을 정의하고, 프로세스 이슈를 도출하여 개선 기회를 도출함으로써, 프로세스가 디지털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별 혁신 KPI 수립하고, 단계별 인력배치안을 수립하고, 역할 및 프로세스를 정리하여 단계별 새로운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단계별 장애요인 도출을 통해 장애 극복방안을 수립하여 평가하고, 정의한 혁신 과제를 선포식함으로써, 프로세스가 디지털화 될 수 있다. By defining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factory, and deriving process issues to derive improvement opportunities, the process can be digitized. Specifically, by establishing step-by-step innovation KPIs, establishing step-by-step manpower allocation plans, designing new processes for each step by arranging roles and processes, establishing and evaluating obstacles overcoming measures by deriving step-by-step obstacles, and declaring defined innovation tasks. , the process can be digitized.

태그 주소 맵을 조사하고, 추가 태그를 선정하고 맵을 완성하고, 필수적인 센서를 추가로 설치하고, 설계된 검수 조건에 따라 추가 센서를 테스트하고, 데이터 중계 서버를 설치하여 센서와 통신장비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태그 데이터 구조화 설계를 통해 데이터의 정합성 및 실시간성을 테스트하고, 자동 검출 대상을 선정하여 자동 검출을 셋업함으로써 데이터가 디지털화 될 수 있다. Investigate the tag address map, select additional tags and complete the map, install additional required sensors, test additional sensors according to the designed inspection conditions, and install a data relay server to build a senso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operating system Data can be digitized by testing the consistency and real-time of data through tag data structured design, and setting up automatic detection by selecting an automatic detection target.

최적화된 태그 수집 툴을 선정하여 Micro Service Architecture, 데이터 추적 구조 및 경우의 수 별 평가 모델을 설계함으로써, 시스템이 디지털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업별 특화 모듈을 선정하여 설계하고, 설비 제원 레이아웃을 조사하고, 소재의 위치를 판단 및 예측하고, 생산 스케쥴에 따라 작업을 지시하고, 공정 모니터링을 통해 제어를 실시간으로 변경하고, 돌발 이상을 사전에 감지하여 조치를 취하고, 회사 제어 표준을 내재화시켜 통합 테스트를 함으로써 시스템이 디지털화 될 수 있다. By selecting an optimized tag collection tool and designing a Micro Service Architecture, data tracking structure, and evaluation model by number of cases, the system can be digitized. Specifically, by selecting and designing specialized modules for each industry, investigating the equipment specification layout, judging and predicting the location of materials, instructing work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chedule, changing the control in real time through process monitoring, and unexpected abnormalities The system can be digitized by detecting and taking action in advance, internalizing company control standards and performing integration tests.

기존 공장은 사람이 운전하는 공장이었으나, 스마트 팩토리는 데이터가 운영하는 공장일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정보가 손실 없이 축적되고, 균질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빅 데이터 기술이 활용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수집된 데이터에 반응하는 스마트 팩토리가 구현될 수 있다. Existing factories were human-driven factories, but smart factories can be data-driven factories. A smart factory can accumulate information without loss and achieve homogeneous performance. Since big data technology can be utilized, a smart factory that responds to collected data in real time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팩토리 인텔리전스 오토노머스 솔루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기존 Layered 시스템과 상호보완적 Horizontal 시스템일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과거 Silo 시스템인 설비, 운전, 품질 통합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AI 머신러닝용 신 표준의 오브젝트화를 통해서 고도화 체계를 확보하고, 머신러닝, 딥러닝 자동 러닝 후, 즉시 운영체계에 반영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공장별 투자 최소화를 위해 셋업형 자율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actory intelligence autonomous solution. Specifically,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may be a horizontal system complementary to the existing Layered system.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support the integrated design of equipment, operation, and quality, which is a silo system of the past.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secure an advanced system through objectification of the new standard for AI machine learning, and immediately reflect it in the operating system after automatic learning of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provide a setup-type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to minimize investment per pla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공정 전에는 생산계획 및 스케쥴을 관리하고, 공정 중에는 작업지시 및 제어를 수행하고, 공정 후에는 생산 실적을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공전 전에는 설비 이상징후 감지, 설비 성능 평가, 컨디션기반 정비를 통해 설비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품질 스펙 이탈감지, 스펙 내 산포이상 감지, Early Warning 을 통해 공정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정형품질 모니터링, 정형불량원인분석, 품질기준개선분석을 통해 제품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production plans and schedules before the process, perform work orders and control during the process, and manage the production performance after the process.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manage the quality of equipment through abnormal symptom detection, equip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ndition-based maintenance before idle.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manage process quality through quality specification deviation detection, dispersion abnormality detection within specifications, and early warning.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manage product quality through standard quality monitoring, analysis of causes of defects in the format, and quality standard improvement analys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산업간 차이를 이해한 데이터 추출 및 프로세스 구현을 통해 장치 산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설비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가공점별 시계열데이터 연결을 트래킹하고, 셋업형 트래킹을 통해 다양한 공장을 구현하고 데이터 전처리를 자동화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속프로세스 산업 공장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solution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device industry through data extraction and process implementation that understands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Specifically,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extract vast amounts of data from facilities, track time-series data connections for each processing point through data pre-processing, and implement various factories and automate data pre-processing through setup-type tracking.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solve the difficulties of continuous process industrial factories by utilizing dat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정의 표준화 항복 및 수집 방법에 따라 자동화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공정 통과 시점에서 제품 생산 완료된 제품의 전체 공정을 추적하여 소재 이동 시점의 설비, 제어, 품질 등 현황을 기록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브랜드 수종별 구분 적재 관리하고 휠로더가 물리야드에 부착된 RFID를 이용해 자동으로 인식하고 기록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품질 불량 검사 결과를 품질부서에서 등록하면 불량유발인자 통계분석이 자동 구동되어 Root Cause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수집되는 모든 태그들을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누락 없이 24시간 모니터링하고, 24시간 균질 제어가 가능한 자율운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은 전체 공정상황을 모든 사용자가 동시에 공유하므로 전후 공정사항에 즉시 대응하고, 과거 운전제어실적과 원가 발생 실적을 분석하여 과거 실적 중 최고의 제어방식을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automated data according to a user-defined standardized surrender and collection method.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track the entire process of the finished product at the time of passing the process, and record the status of equipment, control, quality, etc. at the time of material movement.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manage the load by brand and species, and automatically recognize and record the wheel loader using RFID attached to the physical yard.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provide the root cause by automatically driv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efect inducing factors when the quality department registers the quality defect inspection results.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can monitor all collected tags 24 hours a day without omission of data from the system, and provide users with autonomous driving capable of 24-hour homogeneous control. Since the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shares the entire process status with all users at the same time, it can respond immediately to the before and after process issues, analyze the past operation control performance and cost accrual performance, and recommend the best control method among the past performance and provide it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기준 관리부(110), 정보 수집부(120), 정보 전처리부(130), 모니터링부(140), 이벤트 감지부(150), 제어부(160) 및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포함된 복수의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 저장, 소재 흐름 추적, 생산 및 설비 전체 현황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기준에 따라 생산계획은 편성하여 스마트 팩토리를 운용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복수의 무빙유닛들을 통해 이동되는 소재를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집, 저장, 소재 흐름 추적, 생산 및 설비 전체 현황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최적의 생산계획을 편성하고 조정하며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system 100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includes a standard management unit 110 ,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 an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 a monitoring unit 140 , an event detection unit 150 , and a control unit. 160 and a notification unit.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may collect and store data through a plurality of included modules, track material flow, and monitor the overall status of production and facilities.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may operate the smart factory by organizing the production plan according to the control criteria input by the user.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may perform at least one process of processing a material moved through a plurality of moving units.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may organize and adjust an optimal production plan and operate the smart factory by performing data collection, storage, material flow tracking, and monitoring of the entire production and facility status.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장치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을 이용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장치는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들은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에서 수집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들은 양방?h 통신을 활용하여 생산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효율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may include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use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provide the Internet or a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In some ca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us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other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5G, and oth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based on Internet protocols may be used.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may shar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mart factory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can improve inefficiency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production site by utilizing two-way ?h communication.

기준 관리부(110)는 소재가 복수의 무빙유닛들을 통해 이동되는 동안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제어기준을 관리할 수 있다. 제어기준은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재의 길이, 무게 또는 두께가 미리 정해진 제어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소재의 불량이라는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제어기준은 소재의 불량에 대응하여 소재에 추가적인 가공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가동을 통해 소재의 특성이 제어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manage control standards for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performed while the material is moved through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The control criterion may b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includ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reference. For example, when the length, weight, or thickness of the material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control criterion, an event of material defect may occur. The control criterion may include a command instructing additional processing to the material in response to the defect of the material. Additional operation allows the material properties to meet the control criteria.

기준 관리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기준 및 사용자기준이 충족될 때 수행될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기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통해 소재가 가공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 공정, 설비 정보, 작업 조건 또는 제어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criterion manager 110 may include a user criterion input by a user and a command to be executed when the user criterion is satisfied. The material may be processed through at least one process in response to user standards. The standard management unit 110 may set and manage factory, process, facility information, working conditions, or control standards for producing a product.

사용자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기준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완성품의 불량, 가공중인 소재의 결합, 가공 설비의 고장 및 완성품 생산완료 등을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완성품의 불량, 가공중인 소재의 결합의 발생에 대응하여 정정 공정을 추가하는 커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비의 고장에 대응하여 설비의 교체 또는 우회 공정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완성품 생산완료에 대응하여 생산량을 기초로 생산계획을 변경하는 커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완성품의 생산량과 재고처리량을 기초로 생산량을 증가 또는 감소 시키는 커맨드를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a user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The user can set events such as defects in the finished product, combination of materials being processed, breakdown of processing equipment, and completion of production of the finished product. A user may set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e user may set a command for adding a correction process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defect in the finished product or a combination of materials being processed. The user may set a command to instruct the replacement or bypass process of the equipment in response to the failure of the equipment. The user may set a command for changing the production plan based on the production amount in response to the completion of production of the finished product. The user can set a comman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roduction volume based on the finished product production and inventory throughput.

기준 관리부(110)는 복수의 제어기준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제어기준은 서로 독립적이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도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기준을 수신하여 기존의 제어기준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store a plurality of control standards. The stored control criteria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but priority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receive the control reference from the user and update the existing control reference.

기준 관리부(110)는 생산 현장에 필요한 상태인식 기준, 작업표준, 레시피 등을 등록하여 활용하게 하고, 사용자 스스로 기준을 변경하여 고도화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머신 러닝을 통해 자율 운전 전환 기술 데이터 베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공장, 공정, 설비, 제품, 작업표준, 제어기준 등 기준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없이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할 수 있는 자율운전기준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andard management unit 110 registers and utilizes state recognition standards, work standards, recipes, etc.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site, and may provide a guide so that the user can change and upgrade the standards by himself/herself.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secure an autonomous driving conversion technology database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standard management unit 110 may register standard data such as factories, processes, equipment, products, work standards, and control standards required for product production. The standard management unit 110 may store autonomous driving standards capable of managing the smart factory without developing a separate application.

정보 수집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의 센싱 타이밍들에 대응하는 소재에 관한 정보인 복수의 센싱 값들을 획득하고, 복수의 센싱 값들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중 복수의 센싱 값들이 획득된 공정을 나타내는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소재정보를 생성하고, 소재정보를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값들은 이벤트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진행되는 설비에서 센싱되는 정보를 형식에 관계없이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싱 값들은 소재의 온도, 압력, 부하, 전류, 길이, 두께 또는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센싱한 값을 포함하고, 태그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상태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종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cquire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at are information about a materi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nsing timings while at least one process is being performed, and applies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o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of the at least one process. It is possible to generate material information to which tags indicating processes in which values are obtained are added, respectively, and store the material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information sensed by a facility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ar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format.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include sensed values for at least one of temperature, pressure, load, current, length, thickness, or weight of a material, and the tags include stat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or at least one or mor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ocess type information.

정보 수집부(120)는 OPC UA 표준을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형태의 데이터도 센싱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20)는 분산 병렬 처리 방식을 통해 소재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sense data of various protocols based on the OPC UA standard, and may also sense data in the form of a database or a fil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sense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tributed parallel processing method.

정보 수집부(120)는 공간 제약 및 수집 비용의 추가 없이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20)는 소재정보 발생 즉시 수집할 수 있고, 다양한 태그들을 지원할 수 있다. 수집된 소재정보는 운전실, 엔지니어, 관리자 등에게 전송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share and utilize the collected information without adding space restrictions and collection costs.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immediately upon generation and may support various tags.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ab, engineers, managers, and the like.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기초로 복수의 센싱 값들을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정보 수집부(120)에서 센싱한 소재정보를 향후 분석에 용이하게 전처리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onvert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ased on the change rates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may easily pre-process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for future analysis.

구체적으로, 복수의 센싱 값들이 센싱된 센싱 타이밍이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센싱값들이 수집된 타이밍이 서로 다르므로, 수집된 데이터를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센싱 값들을 기초로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계산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 기초로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하거나 또는 태그들 별로 정의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센싱 타이밍이 다른 소재정보가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될 수 있다. Specifically, sensing timings at which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sensed may be different. Since the timing at which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collected is different, it may be difficult to compare the collected data.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change rate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onvert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ased on the change rates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y using a regression model or may calculate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ccording to criteria defined for each tag. Material information having different sensing timings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보정 값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 생성룰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을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거나 또는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generation rule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nd store the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generate user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The generated user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a message or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예를 들어, 정보 전처리부(130)는 소재정보가 센싱되는 시점에 특정 소재정보의 총합, 평균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소재정보가 센싱되는 시점에 사용자가 정의한 공식에 의한 특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모니터링 중 소재단위로 소재 상태, 설비 상태 또는 순환품 상태 등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사용자 정보는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may calculate the total, average, and the like of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nsed.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may calculate a specific value according to a user-defined formula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nsed.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may calculate a material state, a facility state, or a circulating product state, etc. in units of materials during monitoring. The calculated us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정보 전처리부(130)는 태그들 별 전처리 보정 Rule을 지원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센싱 타이밍에 결측 데이터 발생 시 태그들 별로 정의된 기준(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등)에 따라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하고, 센싱 장치의 서로 다른 센싱 타이밍을 기준 센싱 타이밍으로 정렬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support a preprocessing correction rule for each tag. When missing data is generated at the sensing timing,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calculates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ccording to criteria (average value, maximum value, minimum value, etc.) defined for each tag, and sets different sensing timings of the sensing device as the reference sensing timing can be sorted by

모니터링부(140)는 복수의 보정 값들에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소재를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다르더라도 무빙유닛은 동일할 수 있다. 소재를 가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따라 소재에 부가되는 태그는 다를 수 있다. 동일한 무빙유닛에 대응되는 소재정보라도 소재에 부가되는 태그는 다를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140 may generate management information in which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are respectively added to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Even if at least one process of processing the material is different, the moving unit may be the same. The tags added to the material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process of processing the material. Even if the materi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ame moving unit, the tag added to the material may be different.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생산 전 소재, 생산중인 소재, 생산 후 소재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소재의 압연 길이 또는 소재의 너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소재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40)는 소재의 흐름을 추적하고 설비 전체의 운영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공정통과 가공점 또는 길이방향 가공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material before production, the material in production, and the material after production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rolling length of the material or the width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history of at least one proces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location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at is, the monitoring unit 140 may track the flow of materials and monitor the operating status of the entire facility.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a process passing processing point or a longitudinal processing point.

모니터링부(140)는 정보 수집부(120)에서 소재정보에 부가한 태그들에 재료번호, 제품번호, 지시번호, 가공 전후 위치 등을 맵핑 하고, 다양한 가계도(Lot Genealogy)를 완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소재 위치 인식 태그(예를 들어, 산소공장, 제강공장, 원료, 코크스, 턴디쉬, 절단, 산소 포화도, 용강 혼입 주편 등)를 정렬할 수 있다. 매스 물질인 경우 소재 위치 인식 태그는 연주 용강 또는 Slab일 수 있다. 일반 물질인 경우 소재 위치 인식 태그는 열연 가열로, 압연 등일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ap a material number, a product number, an instruction number, a position before and after processing, etc. to the tags added to the material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nd complete various lot genealogy. The monitoring unit 140 may align the material location recognition tags (eg, oxygen plant, steel mill, raw material, coke, tundish, cutting, oxygen saturation, molten steel mixed cast, etc.). In the case of a mass material, the material location recognition tag may be a steel for playing or a slab. In the case of a general material, the material location recognition tag may be a hot rolling furnace, rolling, or the like.

모니터링부(140)는 압연 길이, 폭 가변(Roll 부하, 냉각수 온도, 압력 등)을 정렬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매스 물질 일정량 법칙의 방식을 이용하거나, Roll의 외경과 가공시간을 곱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재료 가공 이력(충당, 목적전환, 정정, Scarp 이력 등)을 추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Top-Tail 전환, 상면-하면 전환, 가로-세로 전환, 절단, 전단, 시편 대표성 추적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오더 추적, 리소스 추적, 인벤토리 추적, 물질 추적을 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140 may arrange the rolling length and variable width (roll load, coolant temperature, pressure, etc.). The monitoring unit 140 may use a method of the mass material constant amount rule or a method obtained by multiply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roll by the processing time. The monitoring unit 140 may track the material processing history (application, purpose conversion, correction, scarp history, etc.). The monitoring unit 140 may perform order tracking, resource tracking, inventory tracking, and material tracking using methods such as Top-Tail conversion, top-bottom conversion, horizontal-vertical conversion, cutting, shearing, and specimen representativeness tracking.

모니터링부(140)는 플렉서블 셋업(Single Source Rollout)을 지원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공장 레이아웃, 공정, 설비 기준을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장 확대 적용시 매번 시스템을 개발하지 않고 Rollout 된 기존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140 may support a flexible setup (Single Source Rollout). The monitoring unit 140 may register factory layout, process, and facility standards. Accordingly, the existing system that has been rolled out can be applied without developing the system each time when expanding the factory.

모니터링부(140)는 공장, 공정, 설비 정보, 태그, 작업 표준, 제어 기준 등을 기반으로 소재의 이동과 설비로부터 발생한 태그를 연계하여 소재의 흐름을 추적하고, 설비 전체의 운영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140 tracks the flow of materials by linking the movement of materials and tags generated from facilities based on factory, process, facility information, tags, work standards, control standards, etc., and monitor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ntire facility. can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보정 값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 생성룰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을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에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 중 제어기준을 만족하는 사용자 정보 값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인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에 대해서,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generation rule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nd store the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monitoring unit 140 may generate user information by adding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a plurality of moving units to a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respectively.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n event occurrence location, which i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user information value satisfying a control criterion among a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event occurrence location.

이벤트 감지부(15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보정 값들 중 제어기준을 만족하는 보정 값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인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된 제어기준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설비, 품질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which i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correction value that satisfies a control criterion among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and a location where the event occurs.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n event occurring in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equipment, and quality based on the control criteria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이벤트 감지부(150)는 가공된 소재에서 발생되는 불량, 소재를 가공하는 설비의 성능 저하, 정비시점 도래, 소모품 교체시점 도래 또는 스마트 팩토리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수량의 증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감지결과에 따라 이벤트의 발생을 기준 관리부(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어부(16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defects occurring in the processed material,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processing the material, the arrival of the maintenance time, the arrival of the time of replacement of consumables, o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quantity of products produced in the smart factory.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transmit the occurrence of an event to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transmit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event to the control unit 160 .

이벤트 감지부(150)는 스마트 팩토리에서 발생하는 무한대에 가까운 상황을 원격지에서도 파악하고, 24시간동안 사용자 및 운전시스템에 적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 표준과 설비 제어 기준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데이터와 설비의 정지, 가동, 소모품 교체, 정비 시점 도래 등 이벤트 데이터 발생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다.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 situation close to infinity occurring in the smart factory even from a remote location, and provide timely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 driving system for 24 hours.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data that exceeds the thresholds of work standards and facility control standards for producing products and event data such as equipment stop, operation, replacement of consumables, and arrival of maintenance time.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센싱 값들은 정보 전처리부(130)에 의해 복수의 보정값들로 변경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사용자 정보를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센싱값들, 복수의 보정값들 또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제어기준을 비교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센싱값들, 복수의 보정값들 또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기준을 충족할 때, 관리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be chang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y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store user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compare the control criterion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or a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generates an event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or a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eets a control criterion. position can be detected.

기준 관리부(110)는 복수의 제어기준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복수의 제어기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들의 발생 여부를 독립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벤트 감지부(150)는 이동중인 소재에서 발생된 불량을 감지하는 것과는 별개로 다른 소재를 가공하는 설비의 교체시기가 도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복수의 제어기준들 사이에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가 설정되는 경우, 이벤트 감지부(150)는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store a plurality of control standards. The event detecting unit 150 may independently detect whether a plurality of event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rol criteria have occurred. That is,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whether the replacement time of the equipment for processing another material has arrived, apart from detecting a defect occurring in the moving material. However, the user may set the priority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criteria. When the priority is set,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response to the priority.

제어부(160)는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에 대해서,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이벤트의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 무빙유닛을 통해 이동되는 소재 또는 소재를 가공하는 설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제어기준에 포함된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벤트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스마트 팩토리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event occurrence posi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event occurrence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 it is possible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cluded in the control standar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material moved through the moving unit or the equipment processing the material. The control unit 160 may perform a schedule adjustment of the smart factory or a command corresponding to an even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소재의 수급을 조정하고, 소재의 수급에 따라 생산량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소재의 상태 파악을 통해 실시간으로 소재의 불출 또는 조달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품의 생산량에 따라 소재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소재를 가공하는 설비의 상태에 따라 생산량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소재의 수급량이 감소하는 경우 설비의 생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품의 주문량이 증가하는 경우, 소재의 공급을 늘려 제품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이벤트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생산계획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생산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material, and change the pro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material. The control unit 160 may instruct the dispensing or procurement of the material in real time through understanding the state of the material.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product. The control unit 160 may change the pro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equipment processing the material. The control unit 160 may reduce the production of the equipment when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material is reduced. When the order quantity of the product increases, the control unit 160 may increase the supply of the material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That is,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production plan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affecting the production pla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

제어부(160)는 생산 지시 후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상황까지 대처 가능한 노 터치 오퍼레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실시간 원료, 부재료 상태 파악을 통한 불출, 조달지시, 원료, 부재료 상황에 따른 생산지시 변경 처리 및 생산라인 상황을 고려한 원료, 부재료 적시 배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원료, 부재로 수급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실시간 설비, 공정상태 파악, 공정능력 계산, 공정능력 파악에 따른 생산지시 변경, 설비 이상 징후 포착시 점검, 정비 통지 발행 및 지시 변경 실적 유관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생산능력을 파악하고 지시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물류조달, 설비 상태, 통계적 프로세스 제어 현환, Overview&Drill to Detail 기능 제공 및 Remote Monitoring&Operation 서비스를 통해 종합 생산, 설비 상황 관제를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생산계획의 등록, 편성 및 생산 진행현황을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 상황을 판단하여 작업지시를 조정할 수 있고, 생산계획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발생 시 생산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support a no-touch operation that can cope with a situation changed in real time after a production instruction. The control unit 160 adjusts the supply and demand of raw materials and sub-materials in real time through dispensing through real-time raw material and sub-material status identification, procurement instructions, production order change processing according to raw material and sub-material conditions, and timely arrangement of raw materials and sub-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the production line conditions. can The control unit 160 grasps real-time production capacity through a system interface related to real-time facility, process status identification, process capacity calculation, production instruction change according to process capacity identification, inspection when equipment abnormality is detected, maintenance notification issuance and instruction change performance related system interface, You can change the instructions. The control unit 160 may perform comprehensive production and facility status control through logistics procurement, facility status, statistical process control display, Overview&Drill to Detail function provision, and Remote Monitoring&Operation service.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work order by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tus through the registration, organization, and monitoring of the production progress status of the production plan, and may adjust the production plan when an event affecting the production plan occurs.

기준 관리부(110)는 복수의 제어기준들을 저장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복수의 제어기준들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복수의 이벤트들의 발생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맨드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소재의 불량 발생에 대한 추가적인 정정 공정을 수행하는 것과 별개로 스마트 팩토리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store a plurality of control standards.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and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rol standards. The controller 160 may independently execute a plurality of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plurality of events.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production volume of products produced in the smart factory separately from performing an additional correction process for the occurrence of material defects.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이벤트 감지부(150)가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때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리부는 사용자에게 팝업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알림부는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알림뿐 아니라, 이벤트에 대한 대응조치 및 대응 이후 상황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when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notification unit may transmit a pop-up message to the user or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system 100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The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the user not only of the event, but also the response action for the event and the situation after the respons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가 무빙유닛을 통과할 때마다 이벤트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whenever a material passes through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소재들(210) 중 하나의 소재(215)가 복수의 무빙유닛들(241, 242, 243, 244, 245)을 통해 이동되는 동안, A 공정(230) 및 B 공정(235)이 수행되어 완성품(220)이 생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하나의 소재(215)가 이동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소재들(210)이 서로 다른 무빙유닛들을 통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무빙유닛의 개수와 소재를 가공하는 공정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정보 획득 방법은 도 1의 설명에 대응될 수 있다. 2 and 3, while one material 215 of the plurality of materials 210 is moved through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241, 242, 243, 244, 245, A process 230 ) and B process 235 may be performed to produce a finished product 220 . Although one material 215 is moved in FIGS. 2 and 3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materials 210 may be moved through different moving units.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moving units and the number of processes for processing the material may be different.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of FIGS. 2 and 3 may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 of FIG. 1 .

도 2에서 하나의 소재(215)가 첫 번째 무빙유닛(241)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첫 번째 무빙유닛(241)에 의해 이동되는 소재(215)에는 A 공정(230)이 수행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20)는 A 공정(230)이 수행되는 동안 소재(215)에 대한 정보인 복수의 센싱 값들을 센싱하고, 복수의 센싱 갑들에 A 공정(230)에 대한 태그들을 부가한 소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소재(215)에 대한 소재정보는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센싱 값들은 정보 전처리부(130)에 의해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소재(215)에 대한 복수의 보정 값들 중 일부에 미리 결정된 기준 타이밍에 대응되는 첫 번째 무빙유닛(241)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를 부가할 수 있다. In FIG. 2 , one material 215 may be moved by the first moving unit 241 . Process A 230 may be performed on the material 215 moved by the first moving unit 241 .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sense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at are information on the material 215 while the A process 230 is performed, and material information in which tags for the A process 230 are add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devices. can be obtained.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terial 215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y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 The monitoring unit 140 may add a moving unit tag indicating the first moving unit 241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for the material 215 .

첫 번째 무빙유닛(241)에 대응된 복수의 보정 값들을 통해 모니터링부(140)는 미리 결정된기준 타이밍에 대응되는 소재(215)의 온도, 압력, 부하, 전류, 길이, 두께 또는 무게를 알 수 있고, 복수의 보정 값들에 부가된 태그들을 통해 소재의 고유번호, 소재의 종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상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종류를 알 수 있다. 첫 번째 무빙유닛(241)에 대응된 복수의 보정 값들이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된 제어기준을 만족할 때, 이벤트 감지부(150)는 첫 번째 무빙유닛(241)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Through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ing unit 241, the monitoring unit 140 can know the temperature, pressure, load, current, length, thickness or weight of the material 215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 And, through the tags added to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it is possible to know the unique number of the material, the type of the material, the state of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or the type of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When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ing unit 241 satisfy the control criterion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can know that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first moving unit 241. .

도 3에서 하나의 소재(215)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첫 번째 무빙유닛(241)에서 두 번째 무빙유닛(242)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에 흐름에 따라 하나의 소재(215)는 마지막 무빙유닛(245)로 이동되고, A 공정과 B 공정이 끝나면 완성품(220)이 생산될 수 있다. In FIG. 3 , one material 215 may be moved from the first moving unit 241 to the second moving unit 242 over time. Similarly, as time passes, one material 215 is moved to the last moving unit 245 , and when the A and B processes are completed, the finished product 220 may be produced.

무빙유닛은 소재를 이동시키는 단위이므로, 소재를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과는 무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무빙유닛을 통해 이동되는 소재에 서로 다른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서 하나의 소재(215)의 일부에는 A 공정(230)이 수행되고, 나머지 일부에는 B 공정(235)이 수행될 수 있다. Since the moving unit is a unit for moving the material, it may be independent of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of processing the material. That is, different processes may be performed on the material moved through one moving unit. In FIG. 3 , the process A 230 may be performed on a part of one material 215 , and the process B 235 may be performed on the other part of the material 215 .

정보 수집부(120)는 A 공정(230)과 B 공정(235)이 수행되는 동안 소재(215)에 대한 정보인 복수의 센싱 값들을 센싱하고, 복수의 센싱 값들에 A 공정(230)에 대한 태그들 및 B 공정(235)에 대한 태그들을 부가한 소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소재(215)에 대한 소재정보는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센싱 값들은 정보 전처리부(130)에 의해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소재(215)에 대한 복수의 보정 값들 중 일부에 미리 결정된 기준 타이밍에 대응되는 두 번째 무빙유닛(242)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를 부가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senses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that are information on the material 215 while the A process 230 and the B process 235 are performed, and receives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for the process A 230 . It is possible to acquire tags and material information to which tags for the B process 235 are added.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terial 215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y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 The monitoring unit 140 may add a moving unit tag indicating the second moving unit 242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for the material 215 .

정보 수집부(120)가 생성한 소재정보는 소재를 이동시키는 무빙유닛에 대응될 수 있다. 소재에 이벤트가 발생될 때, 이벤트 감지부(150)는 이벤트 발생 위치를 무빙유닛에 대응하여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무빙유닛 및 무빙유닛과 관련된 소재 또는 설비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materi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correspond to a moving unit that moves the material. When an event occurs in the material,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n event occurrenc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unit.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event on the moving unit and the moving unit and related materials or equipment.

예를 들어, 세 번째 무빙유닛(243)에서 소재의 두께가 제어기준을 초과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B 공정(235)은 소재의 두께를 조절하는 가공 공정일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세 번째 무빙유닛(243)에서 소재의 불량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6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불량이 감지된 세 번째 무빙유닛(243)을 통해 이동하는 소재를 가공하는 설비에 추가적으로 소재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소재가 네 번째 무빙유닛(244)에서도 불량이 감지될 때, 마찬가지로 제어부(160)는 네 번째 무빙유닛(244)과 관련된 설비에 추가적인 공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다섯 번째 무빙유닛(245)에서 불량이 감지되지 않을 때, 제어부(160)는 추가적인 공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in the third moving unit 243 exceeds the control standard. Process B 235 may be a processing process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 material defect in the third moving unit 243 and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160 . The control unit 160 may perform a process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in addition to the equipment processing the material moving through the third moving unit 243 in which the defect is detected. When the material is also defective in the fourth moving unit 244 , similarly, the control unit 160 may cause an additional process to be performed in the equipment related to the fourth moving unit 244 . Afterwards, when a defect is not detected in the fifth moving unit 245 , the controller 160 may not perform an additional proces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정보의 센싱 타이밍을 동일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qually correcting the sensing timing of materi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센싱 타이밍이 서로 다른 소재정보(온도, 압력, 부하, 전류)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의 소재정보 전처리 방법은 도 1의 설명에 대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material information (temperature, pressure, load, current) having different sensing timings may be stored. The method of pre-proces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FIG. 4 may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 of FIG. 1 .

정보 수집부(120)는 소재에 대한 정보인 복수의 센싱 값들을 센싱하고, 복수의 센싱 값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중 복수의 센싱 값들이 획득된 공정을 나타내는 태그를 부가한 소재정보를 획득하고, 소재정보를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센싱된 소재정보는 센싱 장비에 따라 센싱 타이밍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소재정보의 센싱 타이밍이 다르면, 이벤트 감지부(150)가 소재정보를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센싱 값들을 기초로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계산하고,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기초로 복수의 센싱 값들을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정보 수집부(120)에서 생성한 소재정보를 향후 분석에 용이하게 전처리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sense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at are information on a material, and obtains material information in which a tag indic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mong at least one process is obtained is add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sensed material information may have different sensing timings depending on sensing equipment. If the sensing tim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it may be difficult for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to compare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calculates change rates of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nd converts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based on the change rates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can be converted into correction values.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may easily pre-process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for future analysis.

도 4에서, 온도에 대한 소재정보와 압력에 대한 소재정보는 센싱 주기는 같으나 소재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타이밍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온도에 대한 소재정보와 전류에 대한 소재정보는 센싱 횟수는 같으나 센싱 타이밍이 서로 다를 수 있다. In FIG. 4 , the sensing period of the material information on temperature and the material information on pressure are the same, but the sensing timing for sensing the material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terial information for temperature and material information for current may sense the same number of times but have different sensing timings.

정보 전처리부(130)는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하거나 또는 태그들 별로 정의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센싱 타이밍이 다른 복수의 센싱 값들이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경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y using a regression model or may calculate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ccording to criteria defined for each tag.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having different sensing timings may be chang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예를 들어, 정보 전처리부(130)는 부하에 대한 복수의 센싱 값들을 기초로 회귀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회귀모델을 기초로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태그들 별로 정의된 기준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압력에 대한 소재정보들을 기초로 센싱 타이밍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generate a regression model based on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of the load.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generated regression model.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according to a standard defined for each tag.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may be calculated using an average value of the sensing timing based on the material information on the pressure.

복수의 보정 값들은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에 대응되고, 관리정보는 복수의 보정 값들에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포함하므로, 이벤트 감지부(150)가 관리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a plurality of moving units to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so event detection The unit 150 may detect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and a location of the event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값이 변환된 보정 값과 무빙유닛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5 is a table for explaining a correction value converted from a sensing value and a moving unit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싱 타이밍들일 때 센싱된 복수의 센싱 값들은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센싱 값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중 복수의 센싱 값들이 획득된 공정을 나타내는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소재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값들은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기초로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될 수 있다.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이 복수의 보정 값들에 각각 부가된 관리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sensed at a plurality of sensing timings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Specifically, material information in which tags indic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are obtained among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may be added to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respectively, may be generated.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ased on change rates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Management information in which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a plurality of moving units are respectively added 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may be generated.

도 5에서, 복수의 센싱 타이밍들(t1, t2, t3, t4, t5, t6)일 때 복수의 센싱 값들(X1, X2, X3, X4, X5, X6)이 획득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값들(X1, X2, X3, X4, X5, X6)의 종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5에서, X1, X3, X4, X6가 소재의 온도에 대한 정보이고, X2, X5가 소재의 길이에 대한 정보라고 가정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값들(X1, X2, X3, X4, X5, X6)에 태그들(공정1, 공정2)가 부가된 소재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In FIG. 5 ,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X1, X2, X3, X4, X5, and X6 may be obtained at the plurality of sensing timings t1, t2, t3, t4, t5, and t6.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X1, X2, X3, X4, X5, and X6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FIG. 5 , it may be assumed that X1, X3, X4, and X6 are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material, and X2 and X5 are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material. Material information in which tags (process 1, process 2) are added to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X1, X2, X3, X4, X5, X6) may be generated.

복수의 센싱 값들은 미리 결정된 기준 타이밍들(tr1, tr2, tr3)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Y1, Y2, Y3, Y4, Y5)로 변환될 수 있다. 기준 타이밍들(tr1, tr2, tr3)이 동일하더라도 복수의 센싱 값들(X1, X2, X3, X4, X5, X6)의 종류가 다를 때, 복수의 보정 값들(Y1, Y2, Y3, Y4, Y5)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X1은 소재의 온도에 대한 정보이고, X2는 소재의 길이에 대한 정보이므로 정보의 종류가 서로 다르다. 기준 타이밍이 tr1일 때 센싱 값들 X1과 X2는 보정 값들 Y1, Y2로 변환될 수 있다. 반대로, 소재의 온도에 대한 정보인 X3, X4는 기준 타이밍이 tr2 일 때 보정 값 Y3가 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Y1 , Y2 , Y3 , Y4 , and Y5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tr1 , tr2 , and tr3 . Even when the reference timings tr1, tr2, and tr3 are the same, when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X1, X2, X3, X4, X5, and X6 are different,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Y1, Y2, Y3, Y4, Y5 )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since X1 is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of the material and X2 is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the material, the types of information are different. When the reference timing is tr1, the sensed values X1 and X2 may be converted into correction values Y1 and Y2. Conversely, X3 and X4, which are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material, may be the correction value Y3 when the reference timing is tr2.

무빙유닛 태그들(무빙유닛1, 무빙유닛2)은 복수의 보정 값들(Y1, Y2, Y3, Y4, Y5)에 부가될 수 있다. 무빙유닛 태그들(무빙유닛1, 무빙유닛2)은 소재가 이동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며, 소재에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과는 무관할 수 있다. 무빙유닛 태그들(무빙유닛1, 무빙유닛2)은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The moving unit tags (moving unit 1, moving unit 2) may be added to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Y1, Y2, Y3, Y4, and Y5. The moving unit tags (moving unit 1, moving unit 2) indicate a moving unit to which a material is moved, and may be independent of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performed on the material. The moving unit tags (moving unit 1 and moving unit 2) may indicate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a plurality of moving unit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제어기준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inputs a control criter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벤트의 판단기준인 사용자기준과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기준을 기초로 스마트 팩토리가 관리될 수 있다. 도 6의 사용자기준 입력 방법은 도 1에 대한 설명에 대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user may input a user criterion that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 event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rough the interface 600 . The smart factory can be managed based on the user criteria input by the user. The user reference input method of FIG. 6 may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 of FIG. 1 .

기준 관리부(110)는 소재가 복수의 무빙유닛들을 통해 이동되는 동안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제어기준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사용자기준을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manage control standards for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performed while the material is moved through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The user may store the user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tandard in the standard management unit 110 .

사용자는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사용자기준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기준은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준에 대응될 수 있다. 이벤트의 발생시 제어부(160)는 사용자기준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벤트 판단기준 입력란에 미리 결정된 용어로 이루어진 제1 사용자기준(610)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사용자기준(610)에 대응하는 제1 커맨드(630)를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put user criteria through the interface 600 . The user criterion may correspond to a control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When an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criterion. The user may input the first user criterion 610 composed of predetermined terms in the event determination criterion input field. The user may input the first command 6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criterion 610 .

이벤트 판단기준은 복수의 사용자기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복수의 커맨드들이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기준들에 의해 이벤트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재의 길이와 두께가 모두 사용자기준을 초과해야 불량이 발생되었다고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재의 불량에 대응하여 소재의 길이와 두께에 대한 추가 가공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사용자기준(610)과 제2 사용자기준(620)을 등록하고, 이벤트 발생에 대응한 제1 커맨드(630) 및 제2 커맨드(640)를 등록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제1 사용자기준(610), 제2 사용자기준(620), 제1 커맨드(630) 및 제2 커맨드(640)를 포함하는 제어기준을 저장할 수 있다. The event determination criter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er criteria. A plurality of commands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criteria.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at a defect occurs only when both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material exceed the user standard.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instructing additional processing for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material in response to the defect of the material. The user may register the first user criterion 610 and the second user criterion 620 , and register the first command 630 and the second command 640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store a control reference including a first user reference 610 , a second user reference 620 , a first command 630 , and a second command 640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의 센싱 타이밍들에 대응하는 소재에 관한 정보인 복수의 센싱 값들을 획득하고,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기초로 복수의 센싱 값들을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하고, 복수의 보정 값들에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관리정보를 생성하고, 관리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보정 값들 중 제어기준을 만족하는 보정 값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인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하고,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에 대해서,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방법은 도 1의 설명에 대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system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acquire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at are information about a materi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nsing timings whil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are performed, and based on a change rat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 moving unit tag that convert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and indicate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to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Generate management information by adding them, and detect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that i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correction value that satisfies a control criterion among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for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event occurrence position ,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can be executed. The method of managing the smart factory of FIG. 7 may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 of FIG. 1 .

S701 단계에서, 정보 수집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의 센싱 타이밍들에 대응하는 소재에 관한 정보인 복수의 센싱 값들을 획득하고, 복수의 센싱 값들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중 복수의 센싱 값들이 획득된 공정을 나타내는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소재정보를 생성하고, 소재정보를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값들은 이벤트의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진행되는 설비에서 센싱되는 정보를 형식에 관계없이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싱 값들은 소재의 온도, 압력, 부하, 전류, 길이, 두께 또는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센싱한 값을 포함하고, 태그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상태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종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701,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cquire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at are information about a materi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nsing timings whil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are being performed, and adds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o the at least one process. It is possible to generate material information in which tags indic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are obtained, respectively, are added, and store the material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information sensed by a facility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ar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format.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include sensed values for at least one of temperature, pressure, load, current, length, thickness, or weight of a material, and the tags include stat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or at least one or mor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ocess type information.

S702 단계에서,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기초로 복수의 센싱 값들을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정보 수집부(120)에서 센싱한 소재정보를 향후 분석에 용이하게 전처리할 수 있다. In operation S702 ,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onvert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ased on the change rates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130 may easily pre-process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for future analysis.

구체적으로, 복수의 센싱 값들이 센싱된 센싱 타이밍이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센싱값들이 수집된 타이밍이 서로 다르므로, 수집된 데이터를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센싱 값들을 기초로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계산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 기초로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할 수 있다. 정보 전처리부(130)는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하거나 또는 태그들 별로 정의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보정 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센싱 타이밍이 다른 소재정보가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될 수 있다. Specifically, sensing timings at which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sensed may be different. Since the timing at which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collected is different, it may be difficult to compare the collected data.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change rate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onvert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ased on the change rates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The information pre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y using a regression model or may calculate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ccording to criteria defined for each tag. Material information having different sensing timings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S703 단계에서, 모니터링부(140)는 복수의 보정 값들에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소재를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다르더라도 무빙유닛은 동일할 수 있다. 소재를 가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따라 소재에 부가되는 태그는 다를 수 있다. 동일한 무빙유닛에 대응되는 소재정보라도 소재에 부가되는 태그는 다를 수 있다.In step S703 , the monitoring unit 140 may generate management information in which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are added to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respectively. Even if at least one process of processing the material is different, the moving unit may be the same. The tags added to the material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process of processing the material. Even if the materi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ame moving unit, the tag added to the material may be different.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생산 전 소재, 생산중인 소재, 생산 후 소재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소재의 압연 길이 또는 소재의 너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소재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40)는 소재의 흐름을 추적하고 설비 전체의 운영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공정통과 가공점 또는 길이방향 가공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material before production, the material in production, and the material after production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rolling length of the material or the width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history of at least one proces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location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at is, the monitoring unit 140 may track the flow of materials and monitor the operating status of the entire facility.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a process passing processing point or a longitudinal processing point.

S704 단계에서, 이벤트 감지부(15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보정 값들 중 제어기준을 만족하는 보정 값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인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기준 관리부(110)에 저장된 제어기준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설비, 품질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In step S704 ,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which i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correction value satisfying a control criterion among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and a location where the event occurs.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an event occurring in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equipment, and quality based on the control criteria stored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

이벤트 감지부(150)는 가공된 소재에서 발생되는 불량, 소재를 가공하는 설비의 성능 저하, 정비시점 도래, 소모품 교체시점 도래 또는 스마트 팩토리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수량의 증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감지결과에 따라 이벤트의 발생을 기준 관리부(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준 관리부(110)는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어부(16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defects occurring in the processed material,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processing the material, the arrival of the maintenance time, the arrival of the time of replacement of consumables, o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quantity of products produced in the smart factory.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may transmit the occurrence of an event to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110 may transmit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event to the control unit 160 .

복수의 보정 값들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때, 모니터링부(140)는 관리정보를 기초로 소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703 단계). When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do not meet the control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the monitoring unit 140 may monitor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ep S703).

S705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에 대해서,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이벤트의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 무빙유닛을 통해 이동되는 소재 또는 소재를 가공하는 설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제어기준에 포함된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벤트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스마트 팩토리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705 , the control unit 160 may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event occurrence posi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e event occurrence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cluded in the control criterion may be execute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moving unit, the material moved through the moving unit, or the equipment for processing the material. The control unit 160 may perform a schedule adjustment of the smart factory or a command corresponding to an even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소재의 수급을 조정하고, 소재의 수급에 따라 생산량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소재의 상태 파악을 통해 실시간으로 소재의 불출 또는 조달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품의 생산량에 따라 소재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소재를 가공하는 설비의 상태에 따라 생산량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소재의 수급량이 감소하는 경우 설비의 생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품의 주문량이 증가하는 경우, 소재의 공급을 늘려 제품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이벤트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생산계획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생산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material, and change the pro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material. The control unit 160 may instruct the dispensing or procurement of the material in real time through understanding the state of the material.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product. The control unit 160 may change the pro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equipment processing the material. The control unit 160 may reduce the production of the equipment when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material is reduced. When the order quantity of the product increases, the control unit 160 may increase the supply of the material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That is,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production plan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affecting the production pla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vent detection unit 15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이벤트가 발생한 무빙유닛을 감지하므로, 무빙유닛에 따라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할 수 있다. 소재를 가공하는 공정 전체에 대하여 대응할 경우 발생되는 비효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mart factory detects the moving unit in which the event has occurred, it can respond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ccording to the moving uni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efficiency that occurs when responding to the entire process of processing th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기준들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할 수 있다.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factory can be managed according to user criteria input by a user. Various types of smart factories can be mana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veloping a separate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싱 값들의 센싱 타이밍이 다르더라도,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기초로 복수의 센싱 값들이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될 수 있다. 소재정보의 분석 업무를 수월하게 할 수 있으므로 소재정보 분석 업무가 가속화 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ensing timings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different,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ased on the change rates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can Since the analysis of material information can be facilitated, the analysis of material information can be accelera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have to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
110: 기준 관리부
120: 정보 수집부
130: 정보 전처리부
140: 모니터링부
150: 이벤트 감지부
160: 제어부
100: A system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110: standards management unit
12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information preprocessor
140: monitoring unit
150: event detection unit
160: control unit

Claims (10)

복수의 무빙유닛들을 통해 이동되는 소재를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재가 상기 복수의 무빙유닛들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수행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제어기준을 관리하는 기준 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의 센싱 타이밍들에 대응하는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인 복수의 센싱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중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이 획득된 공정을 나타내는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소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재정보를 상기 기준 관리부에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의 변화율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을 미리 결정된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정 값들로 변환하는 정보 전처리부;
상기 복수의 보정 값들에 상기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상기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보정 값들 중 상기 제어기준을 만족하는 보정 값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인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에 대해서, 상기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In the system for managing a smart factory that performs at least one process of processing a material moved through a plurality of moving units,
a referen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control standards for the at least one process performed while the material moves through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While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are performed,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at are information about the material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nsing timings are obtained,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mong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are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generates material information to which tags indicating a process performed are added, and stores the material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an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converting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into a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timings based on a change rate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a monitoring unit generating management information in which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are added to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respectively;
an ev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event occurrence location, which i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correction value satisfying the control criterion among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ecut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event occur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보정 값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 생성룰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을 상기 기준 관리부에 저장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pre-processing unit,
A system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a user information generation rule input by a user based on the plurality of correction values, and storing the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in the reference managemen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에 상기 복수의 무빙유닛들 중 상기 복수의 기준 타이밍들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을 나타내는 무빙유닛 태그들을 각각 부가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정보 값들 중 상기 제어기준을 만족하는 사용자 정보 값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인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무빙유닛에 대해서, 상기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수행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onitoring unit,
generating user information by adding moving unit tags indicating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ference timings among the plurality of moving units to the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respectively;
The event detection unit,
Detects an event occurrence location that is a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a user information value that satisfies the control criterion among the plurality of user information value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s
A system for execu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event occur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재의 압연 길이 또는 상기 소재의 너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unit,
A system for monitoring the rolling length of the material or the width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이력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unit,
A system for monitoring the history of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재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unit,
A system for monitoring the location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관리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기준 및 상기 사용자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ndard management unit,
A system including a user criterion input by a user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criter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이벤트 발생 위치와 상기 사용자기준에 대응되는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와 상기 사용자기준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각각 수행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vent detection unit,
Detecting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and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criterion,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is
A system for execu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riterion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criterion,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값들은,
상기 소재의 온도, 압력, 부하, 전류, 길이, 두께 또는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센싱 값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상태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의 종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including a sensing value for at least one of temperature, pressure, load, current, length, thickness, or weight of the material,
The tags are
A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status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or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가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때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when the event detection uni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KR1020210048598A 2021-04-14 2021-04-14 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1421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98A KR20220142176A (en) 2021-04-14 2021-04-14 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98A KR20220142176A (en) 2021-04-14 2021-04-14 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76A true KR20220142176A (en) 2022-10-21

Family

ID=8380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598A KR20220142176A (en) 2021-04-14 2021-04-14 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17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46B1 (en) 2023-10-05 2023-12-04 (주)제이시스 Mes construction system for completing smart-factory without coding
KR102612694B1 (en) 2023-06-28 2023-12-13 주식회사 제이시스 Mes building system for smart-factory
KR102625337B1 (en) 2023-10-23 2024-01-15 주식회사 제이시스 Universal PC-based smart factory construction system
KR102641624B1 (en) 2023-10-30 2024-02-28 주식회사 제이시스 Universal mes construc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694B1 (en) 2023-06-28 2023-12-13 주식회사 제이시스 Mes building system for smart-factory
KR102609246B1 (en) 2023-10-05 2023-12-04 (주)제이시스 Mes construction system for completing smart-factory without coding
KR102625337B1 (en) 2023-10-23 2024-01-15 주식회사 제이시스 Universal PC-based smart factory construction system
KR102641624B1 (en) 2023-10-30 2024-02-28 주식회사 제이시스 Universal mes constru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2176A (en) Smart factory man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hang et al. Enabling the Future of Manufacturing: Integration of Robotics and IoT to Smart Factory Infrastructure in Industry 4.0
Huang et al. Industry 4.0: Development of a multi-agent system for dynamic value stream mapping in SMEs
Kang et al. A Hierarchical structure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operation management and continuous improvement in production systems
Nurprihatin et al.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policy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maintenance performance using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CN106527373B (en) Workshop Autonomous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ultiple agent
Zhang et al. IoT-enabled dynamic lean control mechanism for typical production systems
Iannone et al. Managing OEE to optimize factory performance
KR101104118B1 (en) Intelligent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ion using CPM
Schuh et al. High resolution supply chain management: optimized processes based on self-optimizing control loops and real time data
CN105467946A (en) Aluminum electrolytic MES system based on accurate perception and intelligent decision
Mourtzis et al. Integrated and adaptive AR maintenance and shop-floor rescheduling
CN104657835A (en) Machining workshop schedul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Wang et al. Framework of automated value stream mapping for lean production under the Industry 4.0 paradigm
Peng et al.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enabled supply-side energy modelling for refined energy management in aluminium extrusions manufacturing
Reyes Levalle et al. Collaborative production line control: Minimisation of throughput variability and WIP
CN113537812A (en) Customize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non-standard articles
Nicholds et al. An integrated performance driven manufacturing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overall system effectiveness
Li et al. RFID-based tracking and monitoring approach of real-time data in production workshop
CN116300720A (en) Intelligent flexible scheduling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system for production line
CN116258337A (en) Industry chain collaborative management system based on enterprise manufacturing operation
Zarrar et al. Iot-enabled lean manufacturing: Use of iot as a support tool for lean manufacturing
Chen et al. Automatic quality inspection system for discrete manufacturing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N111176174B (en) Multifunctional supervision system for stamping workshop
Salvadorinho et al. Shop floor data in Industry 4.0: study and design of a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