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146A -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146A
KR20220138146A KR1020210043910A KR20210043910A KR20220138146A KR 20220138146 A KR20220138146 A KR 20220138146A KR 1020210043910 A KR1020210043910 A KR 1020210043910A KR 20210043910 A KR20210043910 A KR 20210043910A KR 20220138146 A KR20220138146 A KR 20220138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nodes
vote
proposed
blockchai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식
파쿨린 니콜라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세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세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세그
Priority to KR102021004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146A/ko
Priority to PCT/KR2022/002585 priority patent/WO2022215862A1/ko
Publication of KR2022013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30Decision processes by autonomous network management units using voting and bid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2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topology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을 위한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의 정책에 관한 투표가 제안되는 단계, 상기 제2 그룹에 의해 상기 제안된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투표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투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에 의하여 투표가 진행되는 단계, 및 상기 투표의 결과를 상기 정책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ON-CHAIN GOVERNANCE DECISION METHOD OF BLOCKCHAIN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on-chain) 거버넌스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위임 지분 증명(DPoS: Deligated Proof of Stakes) 방식의 블록체인 시스템에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의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에서 블록과 블록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유래하였다. 블록체인은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로 구성된 분산 네트워크 상에서 해쉬링크로 묶인 데이터를 공유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총칭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이하, 블록체인 시스템)은 분산 네트워크(P2P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위하여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노드들이 같은 결과 값을 결정해야 하므로 합의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현재는 작업 증명(proof of work) 방식, 지분 증명(proof of stake) 방식, 위임된 지분 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투표에 의한 온체인 거버넌스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의 정책에 관한 투표가 제안되는 단계, 상기 제2 그룹에 의해 상기 제안된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투표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투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에 의하여 투표가 진행되는 단계, 및 상기 투표의 결과를 상기 정책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노드들이 상기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투표를 제안한 노드의 자격을 검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투표를 제안한 노드의 자격을 검증하는 것은, 상기 투표를 제안한 노드가 제1 그룹에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룹은, 상기 복수의 노드들 중 위임을 통해 미리 정한 수량 이상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노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노드들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제네시스 블록에 기록된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노드들에 의해, 상기 제안된 투표의 철회(revoke)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노드는 상기 투표를 제공받고 타이머를 시작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다른 노드로부터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전달되지 않은 투표 메시지는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노드들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변경에 관한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은, 복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노드가 상호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은 서로 다른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포함되고,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의 정책에 관한 투표가 제안되는 단계, 상기 제2 그룹에 의해 상기 제안된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투표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투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에 의하여 투표가 진행되는 단계, 및 상기 투표의 결과를 상기 정책에 반영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 및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은, 지분 증명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노드들 사이의 정책 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일정한 지분을 소유하거나 지분이 위임된 노드에 의해 제안된 투표에 의한 민주적인 방식으로 정책의 결정이 진행되는 동시에, 각각의 투표들은 운영 위원회인 제2 그룹에 의해 검증되고 진행됨으로써 효율적인 투표 진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투표에 의한 결정이 가능한 항목이 나열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온체인 거버넌스를 위한 투표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러나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과, 함수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은 복수의 노드(100)가 이루는 제1 그룹(200) 및 제2 그룹(300)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200)과 제2 그룹(300)에 속하는 복수의 노드들(100)은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들(100) 중 어느 하나의 노드로부터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발생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트랜잭션의 결과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0)는 의사 결정 체계를 의미하는 거버넌스(governance)를 블록체인 내부에서 관리 및 구현하는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를 채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이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10) 내부의 정책 변경을 위한 합의를 위해 블록체인 내의 투표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투표에 의한 결정이 가능한 항목이 나열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에서 투표에 의한 결정이 가능한 항목은 크게 블록체인 네트워크(10)의 운영 방향에 관한 정책(Policy actions), 트랜잭션(Transactions) 및 제1 그룹(200), 제2 그룹(300) 및 기타 다른 그룹을 이루는 멤버의 자격의 결정(Group Defini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정책의 생성(Create), 변경(Update), 삭제(Remove)의 투표에 의한 제안이 가능하며, 각 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노드와 수행할 수 없는 노드(Allowed/Denied)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정책의 찬성 및 반대에 관한 투표에서 각 노드들은 하나의 투표권을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나 제1 그룹(200) 또는 제2 그룹(300) 내에 생성된 또 다른 그룹에 의해 복수의 투표권이 행사될 수 있으며 각 지분에 기초한 집중 투표제(Cumulative voting)이나 지분 중 잠긴(locked) 분량의 제곱만큼의 투표권을 갖는 제곱 투표(quadratic voting)로 투표가 진행될 수도 있다. 이는 그룹 멤버에 관한 투표(Group Definitions)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트랜잭션(transaction)에 관한 투표의 경우 투표의 생성이 가능한(allowed) 노드/그룹과, 투표의 생성이 불가능한(denied) 노드/그룹이 투표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트랜잭션의 승인에 관한 투표도 노드/그룹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거버넌스를 위해 복수의 노드들(100) 특정한 조건을 갖는 노드들 만이 투표를 제안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위임지분증명 방식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에서 특정한 노드가 제1 그룹(200)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미리 정한 수량 이상의 지분을 갖는 경우에만 해당 노드는 제1 그룹(200)에 포함되고, 거버넌스를 위한 투표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위임 지분 증명(Deligated Proof of Stake)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에 있어서 임의의 노드는 제1 그룹(200) 또는 제2 그룹(300)에 속하지 않는 다른 노드들로부터 지분을 위임받아 미리 정한 수량 이상의 지분의 자격을 충족시킴으로서 제1 그룹(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해당 투표는 제1 그룹(200)에 속하는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제안되지만 투표의 표결을 위해서는 제2 그룹(300) 또는 다른 그룹의 멤버에 의한 승인이 필요할 수 있다.
제2 그룹(3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의 운영 위원회(Steering Committee)일 수 있다. 제2 그룹(300)은 블록의 생성, PoS의 방향 등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노드들(100) 중 미리 선정된 그룹일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서 생성된 첫 번째 블록인 제네시스 블록에 제2 그룹(300)을 이루는 노드가 기록될 수 있다. 제2 그룹(300)에 속하는 노드들은 예를 들어 중요 개발자 또는 블록체인 런칭을 담당하는 오프체인 재단(off-chain foundation)의 대표들에 의한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그룹(300)에 속한 노드의 수는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제2 그룹(300)에 속하는 노드들에 의한 투표에 의해 제2 그룹(300)에 속한 노드의 변경, 추가 및 제거를 진행할 수 있다.
제1 그룹(200)을 이루는 노드(201, 202, 203)와 제2 그룹(301, 302)을 이루는 노드는 중복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노드들(100) 중에는 제1 그룹(200)에 포함되면서 제2 그룹(30)에 속하는 노드가 있을 수 있다.
제2 그룹(300)에 속하는 노드들은 복수의 노드들(100) 중 규약을 위반한 어느 하나의 노드를 추방하거나, 도난당한 코인의 회수 등의 중대한 문제에 관하여 투표를 제안할 수 있다. 즉, 제1 그룹(200)에서 투표로서 제안할 수 있는 안건과, 제2 그룹(300)에 의해 제안될 수 있는 안건의 범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2 그룹(300)의 멤버에 의해 제안된 투표는 제2 그룹(300)의 멤버에 의한 투표만이 진행되며, 제1 그룹(200)에 속하는 멤버에는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그룹(300)에 속하는 노드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의 네트워크 파라미터, 예를 들어 채굴 속도 또는 코어 노드의 최대 개수의 변경에 관한 투표를 제안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10)의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를 위한 투표 절차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위한 투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은, 제1 그룹에 속한 노드로부터 투표가 제안되는 단계(S110), 투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S120), 제1 그룹에 투표를 제공하여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S130) 및 투표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그룹에 속한 노드로부터 투표가 제안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제1 그룹(200)에 속한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로부터 투표가 제안된다. 상기 투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의 정책에 관한 안건을 포함하는 투표일 수 있다. 투표는 제1 그룹(200)에 포함된 노드로 전달되기 전에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20).
제안된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제1 그룹(200)의 멤버로부터 제안된 것인지 검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그룹(200)은 위임된 지분이 미리 정한 수량 이상인 노드들이 포함되는 그룹이다. 따라서 제안된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투표를 제안한 노드가 소유하거나 위임된 지분이 미리 정한 수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판단하는 것은 임의의 노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안된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관리자(moderator)를 구성하는 임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는 제2 그룹(300)에 포함된 노드 중 어느 하나가 투표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그룹(300)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에 의해서 투표의 유효 여부가 판단될 수도 있다.
판단 결과 투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그룹(200)에 포함된 노드에 대하여 투표가 제공되고, 제1 그룹(200)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들은 투표를 진행한다. 제1 그룹(200)에 속하는 복수의 노드들에 대하여 투표에 관한 메시지가 멀티캐스트될 수 있다. 메시지에는 투표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책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룹(200)에 속한 복수의 노드들은 제안된 안건에 대하여 찬성 또는 반대의 의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1 그룹(200)에 속하는 다른 노드들에 대하여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투표가 완료되면, 투표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제1 그룹(200)에 속하는 노드들은 멀티캐스트되어 수신한 제1 그룹(200)의 다른 노드로부터의 투표수를 집계함으로써 투표의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그룹(200)에 속하는 노드들은 투표와 동시에 타이머를 시작하고, 미리 정한 시간 동안 투표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은 노드를 제외하고 투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정족수(예를 들어 25%)를 만족시키지 못한 투표는 투표 결과와 상관 없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어 무시될 수 있다.
제1 그룹(200)에 속한 노드로부터 제안된 투표는 원칙적으로 수정이 불가능하다. 다만 제1 그룹(200)에 속한 노드로부터 제안된 투표는 제2 그룹(200)에 속한 멤버들 사이의 투표에 의해 그 철회(revoke) 여부가 승인되거나 거부될 수 있다.
이상 제1 그룹(200)에 속한 노드에 의해 투표가 진행되는 과정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를 이루는 복수의 노드들(100)은 제1 그룹(200) 이외에 또 다른 규칙을 기준으로 제2 그룹(300)에 의해 승인될 수 있는 또 다른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그룹(300)은 제1 그룹(200) 및 또 다른 그룹을 관리하는 운영 위원회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술한 온체인 거버넌스를 채용함으로써 지분 증명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노드들 사이의 정책 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일정한 지분을 소유하거나 지분이 위임된 노드에 의해 제안된 투표에 의한 민주적인 방식으로 정책의 결정이 진행되는 동시에, 각각의 투표들은 운영 위원회인 제2 그룹에 의해 검증되고 진행됨으로써 효율적인 투표 진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디스크, ROM, RAM, CD-ROM,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블록체인 시스템 100: 노드
200: 제1 그룹 300: 제2 그룹

Claims (10)

  1. 제1 그룹과 제2 그룹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의 정책에 관한 투표가 제안되는 단계;
    상기 제2 그룹에 의해 상기 제안된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투표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투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에 의하여 투표가 진행되는 단계; 및
    상기 투표의 결과를 상기 정책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노드들이 상기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투표를 제안한 노드의 자격을 검증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를 제안한 노드의 자격을 검증하는 것은,
    상기 투표를 제안한 노드가 제1 그룹에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은,
    상기 복수의 노드들 중 위임을 통해 미리 정한 수량 이상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노드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노드들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제네시스 블록에 기록된 노드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노드들에 의해,
    상기 제안된 투표의 철회(revoke)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노드는 상기 투표를 제공받고 타이머를 시작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다른 노드로부터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전달되지 않은 투표 메시지는 무시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노드들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변경에 관한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 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복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노드가 상호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은 서로 다른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포함되고,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의 정책에 관한 투표가 제안되는 단계;
    상기 제2 그룹에 의해 상기 제안된 투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투표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투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복수의 노드에 의하여 투표가 진행되는 단계; 및
    상기 투표의 결과를 상기 정책에 반영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온체인 거버넌스를 결정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KR1020210043910A 2021-04-05 2021-04-05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 KR20220138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10A KR20220138146A (ko) 2021-04-05 2021-04-05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
PCT/KR2022/002585 WO2022215862A1 (ko) 2021-04-05 2022-02-22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10A KR20220138146A (ko) 2021-04-05 2021-04-05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46A true KR20220138146A (ko) 2022-10-12

Family

ID=8354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910A KR20220138146A (ko) 2021-04-05 2021-04-05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38146A (ko)
WO (1) WO20222158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4143B2 (en) * 2016-05-05 2019-05-28 Lance Timothy Kasper Consensus system for manipulation resistant digital record keeping
KR102060466B1 (ko) * 2019-02-21 2019-12-30 주식회사 모파스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가상화폐 거래 방법
KR102645070B1 (ko) * 2019-05-15 2024-03-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블록체인운영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0471B1 (ko) * 2019-12-26 2021-03-23 주식회사 록스307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효율적인 트랜젝션을 수행하기 위한 그룹 증명 생성 방법
KR102222804B1 (ko) * 2020-03-04 2021-03-04 주식회사 와파스시스템즈 블록체인 기반 악성코드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5862A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ushan et al. Untangling blockchain technology: A survey on state of the art, security threats, privacy services, ap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JP7319404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上の迅速な分散型総意
Thin et al. Formal analysis of a proof-of-stake blockchain
Sonnino et al. Replay attacks and defenses against cross-shard consensus in sharded distributed ledgers
CN108830602B (zh) 一种基于变色龙哈希函数的许可链构造及管控方法
CN108848055B (zh) 一种区块链共识方法、记账节点及节点
CN110189128B (zh) 一种用于区块快速生成的分布式共识的方法和装置
CN109964242A (zh) 一种基于信任关系的区块链共识方法
Graf et al. Accountability in a permissioned blockchain: Formal analysis of hyperledger fabric
CN110084596B (zh) 一种处理区块链混合共识的方法和装置
Cheng et al. Polynomial-based modifiable blockchain structure for removing fraud transactions
Bao et al. A survey of blockchain consensus safety and security: State-of-the-art, challenges, and future work
Moradi et al. On-off attack on a blockchain-based iot system
Kumar et al. The blockchain technology for secure and smart applications across industry verticals
US20230410101A1 (en) Blockchain
Swarnkar et al. Security, privacy, trust management and performance optimiz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Zhang et al. An efficient and robust committee structure for sharding blockchain
CN113283892A (zh) 一种基于投票机制的PoSearch与PBFT融合共识算法
Pang et al. AbitBridge: A cross-chain protocol based on main-sub-chain architecture
KR20220138146A (ko) 블록체인 시스템의 온체인 거버넌스 결정 방법
Luo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CN11159838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防范票据市场风险的交易系统
CN114611112A (zh) 一种群智协同缓解未披露漏洞的激励系统及激励方法
Raj Demystify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Lisi et al. Automated responsible disclosure of security vulner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