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010A -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010A
KR20220135010A KR1020210040454A KR20210040454A KR20220135010A KR 20220135010 A KR20220135010 A KR 20220135010A KR 1020210040454 A KR1020210040454 A KR 1020210040454A KR 20210040454 A KR20210040454 A KR 20210040454A KR 20220135010 A KR20220135010 A KR 2022013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communication
time
information
server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시모바일
Priority to KR102021004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010A/ko
Publication of KR2022013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6Screening of IP real time communications, e.g. spam over Internet telephony [SPIT]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라이브 통신에 있어서 무리한 지연 또는 조작이 있게 되면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서버와의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의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지연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 통신 제어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출해 내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System of control communication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ultiple client terminals}
본 발명은 라이브 통신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정보(예컨대, 동영상, 음성, 텍스트, 이미지, 값 등)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라이브 통신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라이브 통신은 실시간으로 정보(예컨대, 동영상, 음성, 텍스트, 이미지, 값 등)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 통신을 이용하여, 일대다수가 소통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이브 통신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로는 예를 들어, 아프리카 TV, 프렌즈 타임,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 등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라이브 통신은 기본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단일의 서버 간에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라이브 통신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클라이언트(접속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요청)하면, 서버는 각각의 클라이언트에게 그에 대한 결과를 송출한다.
상술한 라이브 통신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부연설명한다.
도 2는 프렌즈 타임을 예로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과 서버 간의 라이브 통신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렌즈 타임은 실시간 동영상으로 퀴즈를 내고, 다수의 클라이언트(접속자)가 정답을 맞추어 우승자를 가리는 앱(APP)이다.
도 2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접속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대기방에 입장한 이후에는, 서버는 첫번째 퀴즈가 시작됨을 알리는 퀴즈 진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예컨대, 00:00)이 되면 대기방에 입장한 클라이언트들과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대기방에 입장한 클라이언트들에게 기준 시간이 되는 절대 시간(즉, 타임 라인)을 제공하고, 다수의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절대 시간(즉, 타임 라인)으로 타이머를 실행함으로써 서버와의 시간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클라이언트(접속자)와 서버간의 시간 동기화가 완료되면, 서버는 첫번째 퀴즈 진행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첫번째 퀴즈가 시작됨을 알리는 정보(예컨대, 이미지, 문자 등)를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첫번째 퀴즈에 대한 퀴즈 풀이를 행하는 퀴즈 풀이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예컨대, 00:10)이 되면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여 해당 시점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로 퀴즈 풀이 시작에 대한 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그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다수의 클라이언트는 첫번째 퀴즈에 대한 퀴즈 풀이를 하게 된다. 즉, 각각의 클라이언트는 첫번째 퀴즈에 대한 퀴즈 풀이 시간동안 첫번째 퀴즈에 대한 답을 제각기 입력한다.
첫번째 퀴즈 풀이 구간이 종료되어 첫번째 퀴즈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는 결과 확인 구간이 시작되면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여 해당 시점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로 결과 확인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정답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그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 및 정답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첫번째 퀴즈에 대한 퀴즈 진행과 퀴즈 풀이 및 결과 확인이 종료되면 후속하는 퀴즈(예컨대, 두번째 퀴즈, 세번째 퀴즈 등)에 대한 퀴즈 진행과 퀴즈 풀이 및 결과 확인이 반복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라이브 통신에서 개인마다 다양한 이슈로 인해 통신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라이브 통신에서의 지연은 누적되고, 잦은 지연은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치명적인 요소가 된다.
특히, 일반적인 지연 수준(즉, 짧은 시간 정도의 지연 수준)이 아닌 시간이 크게 소비되는 무리한 지연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리한 지연은 조작 또는 네트워크 문제로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3457호(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6906호(라이브 이벤트의 비디오 스트리밍과 온라인 게임 환경의 동기화)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2205호(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라이브 통신에 있어서 무리한 지연 또는 조작이 있게 되면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브 통신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서버와의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의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지연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 통신 제어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출해 내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와의 라이브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라이브 통신 구간별로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지연(딜레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스스로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튕겨져 나가게 된다.
한편,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라이브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가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에서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를 편법 사용자로 간주하여 해당 사용자(접속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라이브 통신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프렌즈 타임을 예로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과 서버 간의 라이브 통신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통신 제어 장치가 채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라이브 통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서버에서의 라이브 통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통신 제어 장치가 채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10), 네트워크(20), 및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로 세분화될 수 있다.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버(30)에 접속하여 라이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서버(30)와의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는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 지연 시간을 체크하고,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내이면 해당 라이브 통신 구간의 진행 시간을 지연된 시간만큼 감축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지연된 시간만큼 차감한 시간동안 해당 라이브 통신 구간을 진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 통신 구간에서는 해당 구간에 상응하는 라이브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문자 등을 포함)를 화면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서버(30)와의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는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 지연 시간을 체크하고,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어느 하나의 라이브 통신 구간에서의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스스로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튕겨져 나가게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2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2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서버(30)는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에게로 라이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는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중에서 시간 조작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출하여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즉, 서버(30)는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에게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시간 조작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검출되면 검출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튕겨낸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의 라이브 통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내용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라이브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프렌즈 타임을 예를 들어 라이브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가 서버(30)에게로 정보 요청을 보내고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게로 서버(30)의 정보가 도착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3초) 이내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일단, 도 4에서 퀴즈 진행 구간은 대략 10초 정도이고, 퀴즈 풀이 구간은 대략 10초 정도이고, 결과 확인 구간은 대략 5초 정도인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상술한 기설정된 시간은 퀴즈 진행 구간은 대략 10초 정도이고, 퀴즈 풀이 구간은 대략 10초 정도이고, 결과 확인 구간은 대략 5초 정도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경우에 설정될 수 있는 시간이다. 만약, 퀴즈 진행 구간과 퀴즈 풀이 구간 및 결과 확인 구간의 시간이 상기 예시한 시간과 다르다면 기설정되는 시간 역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과 서버(30) 간의 시간 동기화 이후에, 첫번째 라이브 퀴즈가 시작되는 경우(즉, 첫번째 퀴즈 진행용 라이브 통신 구간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작 시점(예컨대, 00:00)에서 도 5에서와 같은 라이브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문자 등을 포함)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첫번째 라이브 퀴즈에 대한 문제 풀이가 시작되는 경우(즉, 첫번째 퀴즈 풀이용 라이브 통신 구간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작 시점(예컨대, 00:10)에서 도 6에서와 같은 라이브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문자 등을 포함)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첫번째 라이브 퀴즈에 대한 결과 확인이 시작되는 경우(즉, 첫번째 결과 확인용 라이브 통신 구간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작 시점(예컨대, 00:20)에서 도 7에서와 같은 라이브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문자 등을 포함)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 라이브 퀴즈부터는 반복적으로 첫번째 라이브 퀴즈에서와 같은 라이브 컨텐츠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번째 라이브 퀴즈가 시작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작 시점(예컨대, 00:25)에서 도 8에서와 같은 라이브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문자 등을 포함)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 표시될 수 있고, 두번째 라이브 퀴즈에 대한 문제 풀이가 시작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작 시점에서 도 6에서와 같은 라이브 컨텐츠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서버(30)와의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는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 지연 시간을 체크하게 된다. 여기서, 라이브 통신 구간은 퀴즈 풀이 구간 및 결과 확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퀴즈 진행 구간도 라이브 통신 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은 첫번째 퀴즈 풀이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예컨대, 00:10)이 되면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여 해당 시점(예컨대, 00:10)에서 서버(30)에게로 첫번째 퀴즈 풀이 시작에 대한 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30)는 그에 대한 응답(ACK) 정보로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게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은 자신이 서버(30)에게로 정보 요청을 전송한 시간에서부터 자신에게로 도착한 정보의 도착 시간까지의 소요 시간(즉,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3초)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소요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3초) 이내이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은 지연이 발생된 시간을 차감하고 남은 시간 동안만 해당 라이브 통신 구간을 진행시킨다.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첫번째 퀴즈 풀이 구간의 진행 시간이 10초이지만 지연이 발생된 시간이 2초이다. 이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은 지연이 발생된 시간(즉, 2초)만큼 차감한 시간(즉, 8초) 동안만 첫번째 퀴즈 풀이 구간을 진행시키게 되므로, 지연 시간 이후의 8초 동안 해당 첫번째 퀴즈 풀이 구간에 상응하는 라이브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문자 등을 포함)를 표시할 것이다.
이후의 라이브 통신 구간에서도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연이 발생된 시간만큼 차감한 시간 동안만 해당 라이브 통신 구간을 진행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에는 반대로, 도 9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가 서버(30)에게로 정보 요청을 보내고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게로 서버(30)의 정보가 도착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3초)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일단, 도 9에서 퀴즈 진행 구간은 대략 10초 정도이고, 퀴즈 풀이 구간은 대략 10초 정도이고, 결과 확인 구간은 대략 5초 정도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9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서버(30)와의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는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 지연 시간을 체크하게 된다. 여기서, 라이브 통신 구간은 도 9를 예로 들면 퀴즈 진행 구간, 퀴즈 풀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퀴즈 풀이 구간 이후의 결과 확인 구간도 라이브 통신 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은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과 서버(30) 간의 시간 동기화 이후에 퀴즈 풀이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예컨대, 00:10)이 되면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여 해당 시점(예컨대, 00:10)에서 서버(30)에게로 첫번째 퀴즈 풀이 시작에 대한 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30)는 그에 대한 응답(ACK) 정보로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에게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은 자신이 서버(30)에게로 정보 요청을 전송한 시간에서부터 자신에게로 도착한 정보의 도착 시간까지의 소요 시간(즉,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3초)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그런데, 도 9에서와 같이 소요 시간(즉,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은 스스로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튕겨져 나가게 된다. 즉,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벗어난다.
예를 들어,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벗어나는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은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퀴즈 진행을 중단하고 메인 화면으로 이동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팝업식으로 화면표시하고, 스스로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튕겨져 나가게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는 도 10에서와 같은 구성이 탑재(포함)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라이브 통신 제어 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은 동기화부(11), 정보 요청부(12), 정보 수신부(13), 지연 계산부(14), 안내문 생성부(15), 표시부(16), 제어부(17), 및 앱 실행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부(11)는 서버(30)와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과 서버(30)는 제각기 타임 라인을 가지게 되는데, 동기화부(11)에서의 시간 동기화가 완료됨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은 서버(30)와 동일하게 타임 라인의 카운트를 행할 수 있다.
정보 요청부(12)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버(30)에게로 라이브 통신 구간의 시작 시점에 소정의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요청하는 소정의 정보는 시간 정보일 수 있고, 시간 정보 및 정답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통신 구간이 퀴즈 풀이 구간이면 정보 요청부(12)는 해당 퀴즈 풀이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시간 정보를 서버(30)에게로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라이브 통신 구간이 결과 확인 구간이면 정보 요청부(12)는 해당 결과 확인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시간 정보 및 정답 정보를 서버(30)에게로 요청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3)는 정보 요청부(12)에서 요청된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한다.
지연 계산부(14)는 서버(30)와의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는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의 지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연 시간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이 서버(30)에게로 정보 요청을 전송한 시간에서부터 자신에게로 도착한 응답 정보의 도착 시간까지의 소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안내문 생성부(15)는 소정의 안내문(예컨대,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퀴즈 진행을 중단하고 메인 화면으로 이동함을 알리는 안내문)을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16)는 안내문 생성부(15)에서 생성한 안내문을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팝업식으로 화면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는 지연 계산부(14)에서 계산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는 지연 계산부(14)에서 계산된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3초) 이내이면 해당 라이브 통신 구간을 지연된 시간만큼 감축하여 진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 통신 구간으로는 도 4를 예로 들면, 퀴즈 진행 구간, 퀴즈 풀이 구간, 및 결과 확인 구간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예시한 각각의 라이브 통신 구간에서는 해당 구간의 라이브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문자 등을 포함)가 화면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7)는 지연 계산부(14)에서 계산된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을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벗어나게 한다. 즉, 제어부(17)는 어느 하나의 라이브 통신 구간에서의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접속자)를 네트워크 이슈 사용자 또는 편법 사용자로 간주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을 라이브 통신 서비스 밖으로 튕겨낸다.
그리고, 제어부(17)는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벗어나게 한 경우, 안내문 생성부(15)를 제어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내문(예컨대,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퀴즈 진행을 중단하고 메인 화면으로 이동함을 알리는 안내문)을 생성시켜 표시부(16)에 팝업식으로 화면표시되게 한다.
앱 실행부(18)는 서버(30)로부터 라이브 통신 서비스 앱을 다운로드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라이브 통신 서비스 앱을 제어부(17)의 제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은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라이브 통신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서버에서의 라이브 통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내용은 서버(30)에서 수행되는 라이브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프렌즈 타임을 예를 들어 라이브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일단, 도 11에서 퀴즈 진행 구간은 대략 10초 정도이고, 퀴즈 풀이 구간은 대략 10초 정도인 것으로 가정한다.
접속자(사용자)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시간을 조작하는 편법을 행할 수 있다. 즉, 시간을 조작하게 되면 퀴즈에 대한 결과를 정상 진행과 비교하여 손쉽게 답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접속자들의 정답을 보고나서 답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일부의 접속자는 시간을 조작하는 편법을 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30)는 이와 같은 편법을 사용하는 접속자가 손쉽게 답을 획득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시간 조작 편법을 행한 접속자에 대해서는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1에서와 같이, 임의의 접속자(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간을 조작(예컨대, -5초)하였다면 시간 조작을 행한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은 각각의 퀴즈 진행 구간 및 퀴즈 풀이 구간을 정상 진행에 비해 5초 정도 늦게 진행될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과 서버(30)는 시간 동기화가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접속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하여 시간 조작을 하게 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은 서버(30)와의 시간 동기화를 무시하고 조작된 시간에 근거하여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진행 구간, 퀴즈 풀이 구간)의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이와 같이 시간을 조작하게 되면 퀴즈에 대한 결과를 정상 진행과 비교하여 손쉽게 답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30)는 시간 조작 편법을 행한 접속자에 대해서는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서버(30)는 정상 진행의 타임 라인(즉, 시간 동기화에 근거하는 타임 라인)에 따라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풀이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부터 기설정된 시간 범위(예컨대, 2초)내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풀이 구간)에 상응하는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자는 시간 조작 편법을 행한 접속자로 간주하여 해당 접속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한다.
도 11에서는 퀴즈 진행 구간이 대략 10초 정도이고, 퀴즈 풀이 구간이 대략 10초 정도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경우에 기설정된 시간 범위가 정상 진행의 타임 라인에서 퀴즈 진행 구간과 퀴즈 풀이 구간에 중첩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 경우에, 중첩되게 설정되는 시간 범위는 대략 4초 정도의 시간일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되는 시간 범위는 언제든지 조정가능하다. 즉, 퀴즈 진행 구간 및 퀴즈 풀이 구간의 시간이 상기 예시한 시간과 다르다면 기설정되는 시간 범위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의 시간이 조작되었을 경우, 정상 진행 상황에서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풀이 구간)이 시작되더라도 조작 진행 상황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상기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 이전의 라이브 통신 구간(즉, 퀴즈 진행 구간)이 여전히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서버(30)는 이와 같은 사실에 입각하여, 정상 진행의 타임 라인에 따라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풀이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부터 기설정된 시간 범위(예컨대, 2초)내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풀이 구간)에 상응하는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은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간주(검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한다.
다시 말해서, 서버(30)는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풀이 구간)이 정상적으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상기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이 진행되지 않고 이전의 라이브 통신 구간(즉, 퀴즈 진행 구간)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진행되고 있다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은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간주(검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한다.
이와 같이,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간주(검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하는 경우, 서버(30)는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에게로 퀴즈 진행을 중단(즉, 해당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튕겨냄)하고 메인 화면으로 이동함을 알리는 안내문을 전송한다.
서버(30)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30)에는 도 12에서와 같은 구성이 탑재(포함)될 수 있다. 서버(3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라이브 통신 제어 장치의 다른 예가 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서버(30)는 동기화부(31), 정보 수신부(32), 정보 전송부(33), 안내문 생성부(34), 안내문 전송부(35), 접속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36), 검출부(37), 제어부(38), 및 앱 다운로드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부(31)는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과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과 서버(30)는 제각기 타임 라인을 가지게 되는데, 동기화부(31)에서의 시간 동기화가 완료됨에 따라, 서버(30)는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과 동일하게 타임 라인의 카운트를 행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2)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인가되는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로부터의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하는 요청 정보는 시간 정보일 수 있고, 시간 정보 및 정답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통신 구간이 퀴즈 풀이 구간이면 정보 수신부(32)는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라이브 통신 구간이 결과 확인 구간이면 정보 수신부(32)는 시간 정보 및 정답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정보 수신부(32)는 현재의 라이브 통신 구간이 퀴즈 풀이 구간인 경우,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로부터 입력되는 퀴즈 풀이용 답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정보 수신부(32)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로부터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전송부(33)는 정보 수신부(32)에 수신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예컨대, 시간 정보, 정답 정보 등)를 네트워크(2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안내문 생성부(34)는 소정의 안내문(예컨대, 편법 유저이므로 퀴즈 진행을 중단하고 메인 화면으로 이동함을 알리는 안내문)을 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안내문 전송부(35)는 안내문 생성부(34)에서 생성한 안내문을 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접속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36)는 서버(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보(예컨대, 접속자 정보(로그인 정보 등))를 수집할 수 있다. 접속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36)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38)는 안내문 생성부(34)에서 생성한 안내문을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a ~ 10n 중에서 하나 이상)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검출부(37)는 정보 수신부(32)에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시간 조작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출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37)는 정보 수신부(32)에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풀이 구간)이 정상적으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이 진행되지 않고 이전의 라이브 통신 구간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진행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단말로 검출해 낼 수 있다.
제어부(38)는 해당 서버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8)는 검출부(37)에서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출해 내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안내문 생성부(34) 및 안내문 전송부(35)를 제어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내문을 해당 접속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에게로 전송시킨다.
반대로,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예컨대, 퀴즈 풀이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부터 기설정된 시간 범위내로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에 상응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38)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자를 정상적인 접속자로 간주하여 해당 접속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계속 진행시킨다.
앱 다운로드부(39)는 제어부(38)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a ~10n)에게로 라이브 통신 서비스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버(3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라이브 통신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라이브 통신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a ~ 10n : 클라이언트 단말 11, 31 : 동기화부
12 : 정보 요청부 13 : 정보 수신부
14 : 지연 계산부 15, 34 : 안내문 생성부
16 : 표시부 17, 38 : 제어부
18 : 앱 실행부 20 : 네트워크
30 : 서버 32 : 정보 수신부
33 : 정보 전송부 35 : 안내문 전송부
36 : 접속 클라이언트 정보 수집부 37 : 검출부
39 : 앱 다운로드부

Claims (6)

  1.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라이브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서버와의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의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지연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 통신 제어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라이브 통신 구간마다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출해 내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내이면 해당 라이브 통신 구간을 진행시키되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만큼 감축하여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라이브 통신 서비스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안내문을 생성하는 안내문 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검출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이 정상적으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특정 라이브 통신 구간이 진행되지 않고 이전의 라이브 통신 구간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진행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단말로 검출해 내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시간이 조작된 편법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검출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라이브 통신 서비스를 중단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KR1020210040454A 2021-03-29 2021-03-29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KR20220135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54A KR20220135010A (ko) 2021-03-29 2021-03-29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54A KR20220135010A (ko) 2021-03-29 2021-03-29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10A true KR20220135010A (ko) 2022-10-06

Family

ID=8359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454A KR20220135010A (ko) 2021-03-29 2021-03-29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01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57B1 (ko) 2000-11-29 2009-06-18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12205A (ko) 2011-06-30 2013-02-01 이광현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210006906A (ko) 2018-04-06 2021-01-19 노비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프라이빗 리미티드 라이브 이벤트의 비디오 스트리밍과 온라인 게임 환경의 동기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57B1 (ko) 2000-11-29 2009-06-18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12205A (ko) 2011-06-30 2013-02-01 이광현 스마트폰을 이용한 퀴즈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210006906A (ko) 2018-04-06 2021-01-19 노비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프라이빗 리미티드 라이브 이벤트의 비디오 스트리밍과 온라인 게임 환경의 동기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7165B (zh) 一种显示方法及装置
CN106791892B (zh) 一种轮麦直播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898899B1 (ko) 디바이스들 간 애플리케이션 상태 전송
US11247134B2 (en) Message push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531768B2 (en) Detection of shared content viewed by attendees in online meetings
US20120173622A1 (en) Social screen casting
EP29782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video information
US10931605B2 (en) Ev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100200B2 (en) Video augmented text chatting
CN106210797B (zh) 网络直播方法及装置
US20150058058A1 (en) Automatic Detection of Network Conditions Prior to Engaging in Online Activities
KR20190026946A (ko) 디바이스들 간 애플리케이션 콘텍스트의 제로-클릭 공유
JP2007534076A (ja) ネットワークチャット環境におけるチャット負荷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43573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transitioning device-based interaction
CN112291629B (zh) 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WO2022121302A1 (zh) 游戏直播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2235587B (zh) 直播的开播方法及设备
CN111314721A (zh) 一种异常直播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EP4329380A1 (en) Voice call method and voice call apparatus
CN110830813B (zh) 一种视频切换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7020671A1 (zh) 视频交互方法、装置及视频源设备
CN105898596B (zh) 直播间显示控制方法及装置
KR20220135010A (ko)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스트리밍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CN111835617B (zh) 用户头像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135007A (ko) 라이브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