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393A -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393A
KR20220132393A KR1020210037639A KR20210037639A KR20220132393A KR 20220132393 A KR20220132393 A KR 20220132393A KR 1020210037639 A KR1020210037639 A KR 1020210037639A KR 20210037639 A KR20210037639 A KR 20210037639A KR 20220132393 A KR20220132393 A KR 20220132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channel network
platfor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022B1 (ko
Inventor
안준한
Original Assignee
아도바 주식회사
안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도바 주식회사, 안준한 filed Critical 아도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0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은,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한 커머스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managing contents in Multi-channel Network}
본 발명은 컨텐츠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Multi-channel Network)에서의 컨텐츠의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방송국에서 방송국 카메라를 통하여 방송 전문가에 의해 컨텐츠가 주로 제작되고 방송 채널을 통하여 제작된 컨텐츠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관련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인터넷 스트리밍 플랫폼이 생기고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 스트리밍 플랫폼상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일종의 기획사와 같은 멀티 채널 네트워크 또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Multi-channel network)이 생겨났다.
다만, 국가별, 영상 플랫폼별, 크리에이터별 등 컨텐츠 제작 및 제공 환경이 상이하고 니즈도 달라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요소가 점차 다양해지고 많아지고 있어,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와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한 시스템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과제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Multi-channel network)에서 컨텐츠 제작 및 편집 등 처리를 지원하고, 그렇게 처리된 컨텐츠가 다양한 영상 플랫폼에 제공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은,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한 커머스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 상점은,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플랫폼 별로 개별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 상점은,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별로 개별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 상점은,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계정에 종속된 하나만 생성되되,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영상 플랫폼 별로 서브 상점이 링크되도록 계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 상점은,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계정에 종속된 하나만 생성되되,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와 링크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의 개인 상점 이용시, 자동으로 해당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 액세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단말로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 또는 개인 상점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 또는 개인 상점은, 상기 수집한 소비자 액세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 요청 소비자의 이용 영상 플랫폼 정보, 구매 요청 상품 정보, 구매 요청 수량 정보, 배송 지원 정보, 및 구매 제안/역제안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을 위한 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머스 시스템은, 상기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는 써트-파티와 상기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의 크리에이터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은,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과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고, 개인 상점을 생성하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상점의 상품 리스트가 업데이트되면,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컨텐츠에 대한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와 추천 업로드 타이밍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타이틀을 가진 컨텐츠를 결정된 업로드 타이밍에 타겟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로드되는 컨텐츠는 상기 업데이트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는, 각종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액세스한 커머스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은,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말; 상기 컨텐츠를 소비하는 영상 플랫폼;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제작된 컨텐츠를 상기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액세스한 커머스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 다양하고 컨텐츠 제작 및 제공 환경을 지원하여 컨텐츠를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 처리되는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제1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크리에이터 정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영상 업로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영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타이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타이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업로드 시간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업로드 시간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타이틀 제공 및 최적화된 업로드 시간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개인 상점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개인 상점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용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그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여기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숫자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기재된 숫자들에 의해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 구성요소들이 해당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적어도 하나의"와 같은 표현은, 구성요소들의 리스트 전체를 수식하고, 그 리스트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수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A와 B 모두, B와 C 모두, A와 C 모두, A와 B와 C 전체, 또는 그 조합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Multi-channel network)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다중 채널 네트워크는 크리에이터(creator)의 컨텐츠 제작 및 편집 등 처리를 지원하고, 그렇게 처리된 컨텐츠가 다양한 영상 플랫폼(video platform)에 제공될 수 있도록 통합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이라 함은, 크리에이터에 의해 컨텐츠 제작, 업로드 등을 수행 가능한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영상 플랫폼'은 컨텐츠를 소비하는 모든 형태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컨텐츠(contents)'라 함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되어 시청자(또는 소비자)에 의해 시청(또는 소비)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컨텐츠는 데이터 포맷의 제한이 없어, 예컨대 비디오(또는 이미지) 전용, 오디오 전용, 텍스트 전용이나 전술한 데이터 포맷의 어떤 조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MCN: Multi-channel Network)서 처리되는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처리되는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1)은, 단말(10), 컴퓨팅 디바이스(20), 및 영상 플랫폼(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1)의 핵심 구성요소만을 간략히 도시하고 설명한바,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단지 '단말(10)', '컴퓨팅 디바이스(20)', '영상 플랫폼(30)'으로 기술하더라도, 그것은 문맥에 따라 복수의 의미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는 해당 구성에서 직접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타 전자장치(eletronic device)를 통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단말(10)은 영상 플랫폼(30)에 업로드되어 소비될 컨텐츠를 촬영 내지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10)은 컨텐츠의 촬영만을 위한 디바이스, 촬영된 컨텐츠를 편집이나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디바이스가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디바이스라고 표현하였더라도 그것은 단말(10)의 일부분으로서 내장 또는 부착 가능한 형태의 센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이거나 그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구성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10)은 자판, 이미지 촬영모듈, 오디오 입력모듈 등을 내장하거나 그와 연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들(예를 들어, 단말1, 단말2, ?? , 단말n,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n개의 단말들 각각 또는 n개의 단말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들은 하나의 사용자, 즉 크리에이터(creator)(또는 그의 계정)에 대응되며 그를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10)은 PC, TV, 키오스크,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은 고정 단말과,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지털 촬영장치와 같은 이동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10)은 컨텐츠 촬영, 편집, 생성 등 1차 처리를 위한 전용 디바이스(dedicated device)일 수 있다.
영상 플랫폼(30)은 단말(10)에 의해 업로드되는 컨텐츠가 해당 플랫폼의 가입자 또는 시청자에 의해 소비될 수 있도록 지원 내지 처리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플랫폼(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플랫폼들(예를 들어, 영상 플랫폼1, 영상 플랫폼2, ?? , 영상 플랫폼m, 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영상 플랫폼(30)에 속한 각 영상 플랫폼이 상호 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필요가 없으며, 국가, 지역이나 위치 등에 의한 제한 역시 없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타 구성요소, 즉 단말(10)과 영상 플랫폼(30)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1)을 속하거나 이용하는 단말(10)의 컨텐츠 처리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studio system)을 포함한 다양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으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제어부(controller), 제어장치 등으로 명명되어 기술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한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명령어,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내지 펌웨어, 데이터 등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emory) 내지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내장하거나 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내지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상호 간에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3G(generation), LTE(Long-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TM), 와이파이(Wi-Fi) 등을 포함하여 현재 이미 구현 또는 상용화되었거나 추후 구현 내지 상용화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모두 포함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는 컨텐츠 처리 과정에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블록체인(Block-chain) 등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들을 이용하거나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learning)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이에 관한 상세 설명은 공지기술을 참조하고 여기서 관련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제1 대시보드(dashboard)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크리에이터 정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영상 업로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영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과정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타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전부 또는 일부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도시된 순서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0).
이 때, 다중 영상 플랫폼이라 함은, 복수의 영상 플랫폼을 나타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각 플랫폼 별로 구분하여 수집, 처리,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각 플랫폼 별로 크리에이터, 채널, 유저 데이터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데이터 포맷, 크기, 종류(또는 카테고리) 등 미리 정의한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수집, 처리,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복수의 영상 플랫폼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로 데이터(raw data)로 그대로 저장할 수도 있고, 가공 후 저장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타임스탬프, 카테고리, 데이터 포맷, 크기 등과 같은 속성 정보를 부가할 수 있으며, 속성 태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가중치를 부가하여 처리 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가중치는 예컨대, 크리에이터, 플랫폼, 실시간 검색 순위, 트래픽 등과 관련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통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 결과를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관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인 경우에는 객체 인식, 인식된 객체 크롭, 모션 디텍팅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가 오디오인 경우에는 STT(Speech to Text)와 같은 음성 인식 기술, 텍스트인 경우에는 TTS(Text to Speech)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집은, 크롤링(crawling) 기법을 활용하거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집은 플랫폼에 관한 데이터를 별도 수집, 저장하고 있는 공개 데이터베이스(public DB) 등을 액세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밖에,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소정 주기/비주기로 데이터 수집을 계속하여 수행하여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단말(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20). S20 단계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제작된 컨텐츠, 예를 들어 로 데이터, 가공 전 데이터, 제작 데이터, 1차 처리 데이터 등을 단말(10)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는 후술할 S30 단계 내지 S40 단계에서 스튜디오 시스템(studio system)의 적용 내지 이용 전 단계이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수신한 컨텐츠의 처리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S30).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처리된 컨텐츠를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할 수 있다(S40).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된 (개별) 컨텐츠를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중 영상 플랫폼에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S50). 이 때, 다중 영상 플랫폼은 복수의 영상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플랫폼을 나타낼 수 있다. 관련 상세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한다.
상기 S40 단계와 S50 단계에서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추가 및 다중 영상 플랫폼에 자동 업로드 과정은, 도 11에서 후술한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도 2의 과정은 단말(10)이 아닌 웹이나 가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웹이나 별도 정의된 가상의 공간이 아닌 단말(10)엣 해당 과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술한 S20 단계는 단말(10)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10)에서 크리에이터가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단말(10) 내 메모리 등에 저장된 컨텐츠를 호출하거나 읽어 들이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편집 등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S20 단계 및/또는 S30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20)가 단말(10)로부터 컨텐츠 처리 요청 내지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10)은 미리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제작, 배포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S40 단계의 처리된 컨텐츠를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함에 따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되는 컨텐츠를 내장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에 위치한 다른 저장소에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와 관련된 주소 데이터(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만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저장과 관련된 서버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S40 단계에서 처리된 컨텐츠를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한 경우에는,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되었음과 관련된 알림 정보를 단말(10)에 제공하고, 단말(10) 도 8과 같이 단말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추후 S50 단계에서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된 컨텐츠 중 다중 영상 플랫폼에 자동 업로드할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가 상기 다중 영상 플랫폼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정된 컨텐츠가 원격에 저장되고 주소 데이터만 가지고 있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20)는 해당 주소 데이터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다중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거나 해당 주소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소를 제어하여 다중 영상 플랫폼으로 바로 업로드되도록 하거나 다중 영상 플랫폼에 해당 주소 데이터를 전송하여 링크(link)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링크의 경우, 해당 컨텐츠를 최초 소비하는 경우에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다중 영상 플랫폼에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소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에 따른 재생 지연 등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프리로드(preload) 기법이나 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이 높을 때 다운로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스튜디오 시스템(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310)은, 데이터 매니지먼트 시스템(대시보드)(320), 플랫폼(API 네트워크 모듈)(330, 360), 크롤링 모듈(340), 다중 영상 플랫폼(350), 안티-컴파일 시스템(370), 및 자동 업로드 시스템(38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튜디오 시스템(310)은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플랫폼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플랫폼(30)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튜디오 시스템(310)은 크리에이터가 다중 영상 플랫폼에 컨텐츠 업로드 전 필요한 모든 과정에 관여하고 필요한 기능이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각 구성요소는 관련 기능 실행 또는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도록 하는 하드웨어 구성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구성들은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를 위한 모듈(module)이고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은 기능과 관련하여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각각을 모듈로 설명한다. 스튜디오 시스템(310)은 크리에이터의 컨텐츠를 다중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기 위하여 상기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툴들(tools)이 포함된 모듈이다. 상기 처리라 함은, 데이터 포맷 변경, 썸네일 리사이징(thumbnail resizing), 텍스트 부가 등 편집 및 다양한 가공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스튜디오 시스템(310)은 다중 영상 플랫폼에 대한 수집 정보에 기초하거나 다중 영상 플랫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후 업로드 할 각 영상 플랫폼에 대응하여 적절한 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다른 구성들은 모두 스튜디오 시스템(310)의 하위 구성이거나 스튜디오 시스템(310)의 기능으로 볼 수도 있다. 예컨대, 대시보드(320)나 자동 업로드 시스템(380) 등이나 그를 위한 도구가 스튜디오 시스템(31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매니지먼트 시스템(320)는 크리에이터가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을 이용하는 경우에, 이용 편의를 위한 대시보드(들)을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대시보드 구성이나 기능은 예를 들어, 도 4 내지 8을 참조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4의 제1 대시보드는 제너럴 대시보드, 도 5와 도 6의 제2 대시보드는 비디오 대시보드, 그리고 도 7과 도 8의 제3 대시보드는 플랫폼 대시보드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대시보드는, 제1 영역(410)에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전체 구독자수, 전체 IP/CN 수, 전체 조회수, 전체 영상 업로드 등과 같은 정보를 게시할 수 있다. 제1 대시보드는, 제2 영역(420)에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 중 핫한 크리에이터에 대한 정보를 게시할 수 있다. 상기 크리에이더 정보는 소중 단위, 예를 들어 일, 월, 분기, 년과 같은 기준에 따라 순차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1 대시보드는, 제3 영역(430)에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에 대한 차트보드를 게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의 비디오 대시보드를 설명하면, 전술한 도 4의 제1 대시보드의 구성과 달리, 비디오 또는 동영상 컨텐츠에 기초하여 구성한 대시보드일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제2 대시보드, 즉 비디오 대시보드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영역(510)에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와 관련하여 이용 중인 플랫폼, 전체 채널, 전체 IP, 전체 비디오 개수 등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제1 영역(510)은 검색 기능을 위한 툴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특정 영상 플랫폼을 선택 가능하며, 검색 기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영상 제목이나 크레에이터 이름, 채널명 등과 같은 검색어나 검색 기준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영역(520)에서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의 비디오 컨텐츠 중 이번 주 최고 조회수를 가진 비디오 컨텐츠가 정렬되어 제공되고, 제3 영역(530)에서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의 비디오 컨텐츠 중 소정 플랫폼(들)에서 삭제된 비디오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제4 영역(540)에서는 급상승 비디오 컨텐츠의 리스트가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반면,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제1 영역(510)에서 검색 기능을 이용한 경우에 비디오 대시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제2 영역(610)에서는 검색 결과 리스트가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는 가장 많은 조회수 내지 소비수나 기타 설정에 따라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7 및 도 8의 플랫폼 대시보드를 설명하면, 전술한 도 4의 제1 대시보드 및 도 5 내지 6의 비디오 대시보드의 구성과 달리,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나 그의 컨텐츠와 관련하여 플랫폼 단위 또는 플랫폼 관련 정보를 게시하도록 구성한 대시보드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대시보드, 즉 플랫폼 대시보드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영역(710)에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이 이용하는 플랫폼에 관한 정보, 즉 플랫폼, 전체 채널, 전체 IP, 전체 구독자 수 등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제2 영역(720)에서는 상기 제1 영역(710)의 플랫폼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반면,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제1 영역(710)을 통하여 또는 제2 영역(720)에서 선택된 특정 플랫폼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되도록 플랫폼 대시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영역(810)에서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의 해당 플랫폼의 액티브 채널 정보, 전체 영상 수 등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고, 제2 영역(820)에서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의 해당 플랫폼에서 인기도와 관련된 정보 리스트가 정렬되어 제공되고, 제3 영역(830)에서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의 해당 플랫폼상에서 가장 많이 소비한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정보 리스트가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4 내지 도 8에서 각 영역이나 각 영역에 제공된 정보 내지 리스트 각각을 호버링하거나 선택하면, 관련 상세 정보가 제공되거나 팝-업 창 형식으로 해당 비디오 컨텐츠가 재생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API 네트워크 모듈)(330, 360)과 크롤링 모듈(340)은, 다중 영상 플랫폼(350)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듈이다.
안티-컴파일 시스템(370)은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업로드 시스템(380)은,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크리에이터에 의해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하고, 이후 다중 영상 플랫폼에 자동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후술한다.
도 9 내지 도 10에서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들 개인에 포커싱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1 영역(910)에서는 채널명, 소속 등과 같은 크레에이터에 대한 개인 정보, 카테고리 정보, 및 전체 조회수, 전체 구독자수, 전체 좋아요수와 같은 크리에이터 활동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영역(920)에서는 조회수 증감수, 구독자 증감수, 좋아요 증감수와 같은 크리에이터의 활동 변동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제3 영역(930)에서는 액세스 토큰 유효 상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반면,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영역(1010)에서는 최근 업로드한 컨텐츠 정보 리스트가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 영역(1020)에서는 조회수 및 컨텐츠 리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회수 기준 플랫폼의 비중, 구독자 기준 플랫폼 비중 등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리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영역(1020)의 비교 분석 결과 리포트는 히스토그램(histogram)이나 그래프(graph) 등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여 크리에이터가 보다 직관적으로 비교 분석 결과를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기술한 스튜디오 시스템(310)을 이용한 컨텐츠 업로드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업로드는 스튜디오 시스템(310)을 이용하여 크리에이터에 의해 최종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를 우선 업로드 대기 시스템에 자동 추가하고, 이후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플랫폼에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의 경우, 편의상 하나의 영상 플랫폼을 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달리, 크리에이터에 의해 컨텐츠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요청된 컨텐츠를 자동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판단된 플랫폼(들)에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영역(1110)에서는 영상 플랫폼을 선택할 수 있는 툴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영역(1120)에서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컨텐츠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업로드 대기 리스트가 제공되고, 제3 영역(1130)에서는 상기 제2 영역(1120)의 컨텐츠 업로드 대기 리스트 중 선택 또는 결정된 컨텐츠의 자동 업로드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1에서 자동 추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컨텐츠 업로드 요청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추가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상기 업로드 요청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함으로써, 크리에이터는 자동 업로드 전에 업로드 할 컨텐츠에 대한 재검토, 재편집, 업로드 요청 취소 등의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오류가 있거나 문제 소지가 있는 내용이 포함된 컨텐츠의 즉시 업로드에 따른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업로드 대기 리스트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리사이징할 수도 있고, 상기 크리에이터가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업로드 대기 리스트 단계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20)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자동 업로드 전 최종 리뷰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라 함은,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 컨텐츠의 포맷,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를 업로드 할 영상 플랫폼에 대한 정보, 컨텐츠의 크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상기 선택된 업로드 영상 플랫폼 또는 다중 영상 플랫폼 중 최적의 업로드 영상 플랫폼 추천 정보, 컨텐츠 제목 추천 정보, 컨텐츠의 카테고리나 기타 속성 정보, 컨텐츠의 영상 플랫폼 규격이나 조건 만족 여부나 문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는,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해당 영상 플랫폼에 자동 추가까지 남은 시간이나 예상 시간, 즉시 추가 요청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업로드 대기 리스트 단계에 있는 소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 속한 다른 크리에이터의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컨텐츠에 대한 업로드한 플랫폼, 조회수 등에 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 내용은, 도 12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11에서, 제2 영역(1120)의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는 드래그&드롭(drag&drop) 방식 등을 통해 제3 영역(1130)으로 이동시켜 자동 업로드 또는 즉시 업로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영역(1130), 즉 업로드 결과 단계는 상기 제2 영역(1120)의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선택 또는 결정된 컨텐츠에 대해 요청 또는 판단된 영상 플랫폼에 자동 업로드를 수행하고, '업로드 성공'또는 '업로드 실패'와 같은 자동 업로드 수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자동 업로드 수행 결과는 업로드 성공, 업로드 실패 외에, 업로드 중지, 업로드 대기, 업로드 재실행 여부에 대해서도 리포트할 수 있다. 한편, 자동 업로드 과정은 자동 업로드 진행 상황을 식별 가능하도록 바(bar)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자동 업로드 결과, 업로드 실패, 업로드 지연, 업로드 중단 등의 경우에는, 해당 사유에 대한 상세 결과 리포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상세 결과 리포트를 제공하는 경우, 만약 네트워크 사정 등과 같은 컨텐츠 외적인 문제인 경우가 아닌 경우에도,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20)는 크리에이터의 활동 비교 데이터, 컨텐츠 비교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영역(1210)은 크리에이터의 활동 비교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을 이용하는 크리에이터의 전체 컨텐츠 또는 후술할 제2 영역(1220)에 비교 대상 목록들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활동 비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영역(1220)에서는 크리에이터 본인 및/또는 다른 크리에이터의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영역(1220)에 구비된 추가하기 항목을 통하여 비교 대상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제2 영역(1220)에 제공되고, 제1 영역(1210)에서는 비교 대상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비교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교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의 컨텐츠 조회 내지 소비수 등을 포함하며, 크리에이터의 직관적인 인식 편의를 위하여 그래프 형태의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교 대상 목록에 크리에이터 자신의 컨텐츠가 포함되면,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를 이용하는 자신 또는 다른 크리에이터에 대한 비교 대상 컨텐츠가 추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천은 플랫폼, 컨텐츠 속성, 해당 플랫폼이나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이용 크리에이터 중 가장 핫한 크리에이터나 컨텐츠 등을 참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추천이나 비교 결과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의해 학습 결과를 참고하여,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내용이나 관심 테마 등에 관한 추천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교 결과, 학습 결과 등에 기초하여, 조회수가 높은 크리에이터나 그의 컨텐츠를 참고하여, 컨텐츠 제작 등에 관한 가이드 정보를 추천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 주의 핫한 컨텐츠 테마나 컨텐츠 카테고리, 해당 컨텐츠 테마나 카테고리의 평균 조회수, 핫한 플랫폼 정보, 플랫폼별 소비자들의 성향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컨텐츠를 통합 관리함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해 최적화된 타이틀(optimized title)을 추천하는 실시예, 상기 컨텐츠의 타겟 영상 플랫폼에 최적화된 업로드 시간(optimized uploading time)을 추천하는 실시예, 및 그 조합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타이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타이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과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하나로 컨텐츠의 타이틀을 추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이틀은,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 전 및 업로드 후에도 계속하여 변경될 수 있는바, 그에 따라 변경 요청이 있거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타이틀 추천은 해당 컨텐츠의 삭제 등이 있기 전까지 계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이틀의 추천은,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플랫폼에의 업로드 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어떤 액세스(access)가 있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떤 액세스라 함은, 예를 들어 컨텐츠의 타이틀 수정, 컨텐츠 내용 수정이나 변경, 컨텐츠에 대한 검색, 컨텐츠에 대한 시청수 조회, 컨텐츠 업로드 이후의 구독자나 해당 채널의 조회나 구독자 수가 임계치 이상 변화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10).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API와 크롤링 방식을 통해 수집하되 각 영상 플랫폼의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단말(10)로부터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S120), 컨텐츠의 처리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310)을 제공할 수 있다(S130).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310)을 통해 처리된 컨텐츠를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하고(S140),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된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data set)를 제공하고, 결정된 추천 타이틀 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를 다중 영상 플랫폼에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S150).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각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로, 텍스트 데이터인 키워드(keyword) 또는 키워드들의 조합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와 이모지(imoji)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를 반드시 완성된 문장의 형태로 제공할 필요는 없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제공하면 족하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로 복수의 키워드들이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각 키워드는 우선순위, 중요도 등에 따라 제공 순서나 배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로 복수의 키워들이 제공되는 경우, 각 키워드가 액세스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가 액세스 가능하다고 함은, 예를 들어 각 키워드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특정 키워드를 삭제 또는 추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소정 키워드가 액세스되거나 호버링되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가 추천 제공되어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소정 키워드가 액세스되거나 호버링되면, 해당 키워드에 대해 액세스 가능한 기능들, 예를 들어 키워드 순서 변경 내지 이동, 다른 키워드 추천, 키워드 삭제, 키워드 변경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 전체가 액세스되거나 호버링되면, 해당 추천 타이틀 세트의 완성된 형태, 예를 들어 완성된 문장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 전체가 액세스되거나 호버링되면, 해당 타이틀 데이터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들의 조합에 따라 완성 가능한 모든 형태, 즉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조합 가능한 모든 형태의 추천 타이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완성된 형태가 최초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의 순서와 다른 순서으 조합인 경우, 해당 형태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의 키워드 조합 순서가 자동 변경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각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로, 해당 추천 타이틀과 상기 추천 타이틀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키워드 조합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키워드와 이미지 조합 및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와의 조합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데이터 세트로, 크리에이터에 의해 작성된 키워드, 해당 컨텐츠의 채팅창 대화 내용이나 댓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 및 해당 컨텐츠 자체로부터 추출한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 상관 키워드, 타겟 플랫폼에서 추천하는 컨텐츠나 미리 정한 임계치 이상의 트래픽과 관련된 키워드, 및 로컬 검색엔진(local search engine)의 트렌드 키워드(trend keyword)의 조합에 따라 자동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나 속성을 참고하여,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를 참고하여 추천할 데이터 세트나 데이터 세트의 조합을 결정하고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해당 영상 플랫폼들을 계속하여 모니터링(monitoring)하여, 각 영상 플랫폼들로부터 좋은 키워드(good keyword)와 나쁜 키워드(bad keyword)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키워드 속성 데이터에 대하여 태그(tag)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이나 딥러닝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하여 제공된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와 추천된 타이틀 데이터 세트의 액세스 및 선택 등의 데이터가 상기 학습 모델 생성 또는 학습에 참고될 수 있다. 학습 수행 결과는 컨텐츠에 대한 기제공된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 또는/및 추후 제공할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한 컨텐츠와 관련하여 해당 업로드 영상 플랫폼을 계속하여 모니터링하여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 또는 선택된 최적화 타이틀 데이터의 성공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하고, 성공 또는 실패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태그 데이터는 전술한 학습 모델 생성이나 학습에 반영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전술한 모니터링 및 태그 생성 과정에서, 어떤 태그 데이터를 생성할 것인지는 미리 정의한 기준에 따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기준으로,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구독자수 또는/및 시청수 증감 임계치, 컴퓨팅 디바이스(20)에서 설정한 구독자수 또는/및 시청수 증감 임계치, 컨텐츠가 속한 카테고리나 속성 기준으로 선정된 타 컨텐츠와의 비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타 컨텐츠와의 비교에서, 상기 타 컨텐츠는 대상 컨텐츠의 업로드 전후 미리 설정된 기간 내 가장 인기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 컨텐츠가 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타 컨텐츠와의 비교에서, 상기 타 컨텐츠는 대상 컨텐츠의 업로드 전후 미리 설정된 기간 내 가장 인기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 컨텐츠와 가장 인기없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타 컨텐츠와의 비교라 함은 선정된 타 컨텐츠의 평균 구독자수나 시청수 증감 정도와 대상 컨텐츠의 구독자수나 시청수 증감 정도 비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타 컨텐츠와의 비교라 함은, 선정된 타 컨텐츠의 최고 구독자수나 시청수 증가와 선정된 타 컨텐츠의 최고 구독자수나 시청 수 감소와의 비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모니터링 및 태그 생성뿐만 아니라 최적 타이틀 추천 데이터 생성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도 13과 도 14의 내용은, 각 플랫폼, 각 채널, 각 크리에이터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되는 최적 타이틀 데이터 세트는, 플랫폼이나 채널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추천되는 최적 타이틀 데이터 세트를 위한 알고리즘은, 플랫폼에 따라, 채널에 따라, 크리에이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각 플랫폼, 각 채널, 각 크리에이터 별로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술한 내용 및 도 14는 후술하는 도 15 내지 17의 최적화된 업로드 시간 추천 방법에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업로드 시간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업로드 시간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하나로 컨텐츠의 최적 업로드 타이밍을 추천하는 것이다.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 각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타이밍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컨텐츠를 A라는 영상 플랫폼에 대해서는 제1 시간에 업로드하고, 동일한 컨텐츠를 B라는 영상 플랫폼에 대해서는 제2 시간에 업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 업로드 타이밍의 추천은 플랫폼마다 다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모든 영상 플랫폼을 고려하여 최적 업로드 타이밍을 추천 제공하고, 해당 컨텐츠를 모든 영상 플랫폼에 동시에 또는 일괄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되, S210 단계 내지 S240 단계는, 전술한 도 13의 S110 단계 내지 S149 단계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 내 타겟 영상 플랫폼의 트래픽 데이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추천 업로드 시간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고, 결정된 추천 타이틀 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를 결정된 추천 업로드 시간에 타겟 영상 플랫폼에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S250).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서로 순환 구조를 가진 제1 처리부(1610)와 제2 처리부(1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610)는 각 영상 플랫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2 처리부(1620)는 제1 처리부(1610)에 의해 수집된 각 영상 플랫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영상 플랫폼 별 최적 업로드 타이밍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업로드 타이밍 추천 데이터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610)와 제2 처리부(1620)는 각 데이터를 적용 내지 공유하여 학습하여 개선된 업로드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도록 순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순환 구조는 전술한 도 14에도 적용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통합 관리하는 컨텐츠에 최적화된 타이틀 제공 및 최적화된 업로드 시간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전술한 도 13 내지 16의 조합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하나로, 해당 컨텐츠에 대해 최적화된 타이틀을 추천 제공하고, 각 영상 플랫폼에 대한 최적화된 업로드 타이밍에 자동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되, S310 단계 내지 S340 단계는, 전술한 도 13의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 또는 도 14의 S210 단계 내지 S240 단계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업로드 대기 리스트에 자동 추가된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와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 내 타겟 영상 플랫폼의 트래픽 데이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추천 업로드 시간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고, 결정된 추천 타이틀 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를 결정된 추천 업로드 시간에 타겟 영상 플랫폼에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S3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하나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상품 판매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 상점(또는 미니-프로그램(mini-program))(이하, '개인 상점'이라 함)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개인 상점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개인 상점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서, S410 단계 내지 S430 단계는, 각각 도 13의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 도 15의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 및 도 17의 S310 단계 내지 S330 단계에 대응되는바, 해당 내용을 참조하고, 여기서 별도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310)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1910)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S440).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액세스한 커머스 시스템(1910)이 제공하는 상품 리스트로부터 단말(1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위한 개인 상점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450).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개인 상점 제공 시스템은,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및 어드민 계층, 커머스 시스템 계층, 스튜디오 시스템 계층, 크리에이터 계층, 개인 상점 계층 및 소비자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9의 개인 상점 제공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계층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크리에이터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 제공하는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가 제공하는 커머스 시스템(1910)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커머스 시스템(1910)은, 어드민(Admin)을 통하여 상품 리스트를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머스 시스템(1910)은, 상기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는 상품제조업체나 상품판매업체와 같은 써트-파티(3rd party)와 상기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 크리에이터가 직접 제조하거나 그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도 19에서는, 각 크리에이터는 하나의 개인 상점을 생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인 상점은 크리에이터의 계정 단위, 플랫폼이나 채널 단위, 지역 단위, 국가 단위 등 다양하게 정의되고 생성될 수 있다. 즉, 이는 요청 또는 설정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별로 상기 개인 상점을 개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계정에 종속된 하나의 개인 상점만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영상 플랫폼 별로 서브 상점을 생성하고, 상기 개인 상점과 플랫폼 별 서브 상점이 서로 링크되어 계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계정에 종속된 하나의 개인 상점만 생성하여 제공하되,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와 링크가 이루어지도록 서비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단말의 개인 상점을 모든 타겟 플랫폼에 제공하고,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의 요청을 해당 영상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여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가 제공하는 스튜디오 시스템의 개인 상점에 해당 플랫폼의 소비자 요청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가 해당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을 이용하면, 해당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 액세스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이나 스튜디오 시스템상에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 또는 개인 상점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용이라 함은, 반드시 상기 소비자의 상품 구매 요청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이용은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 방문과 같은 액세스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이를 크리에이터에게 알리고, 크리에이터는 해당 소비자를 위해 할인 등과 같은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구매 유도 내지 구매 유발을 위한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수집한 소비자 액세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 요청 소비자의 이용 영상 플랫폼 정보, 구매 요청 상품 정보, 구매 요청 수량 정보, 배송 지원 정보, 및 구매 제안/역제안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을 위한 툴을 포함하는 스튜디오 시스템 또는 개인 상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안/역제안 지원 정보는 전술한 구매 유도나 구매 유발의 내용과 유사하다. 또한, 제안/역제안 지원 정보는 해당 플랫폼 소비자의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에, 묶음 할인이나 기타 이벤트 정보 제안/역제안이나 새로운 또는 변경된 가격 정보 제안/역제안 등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크리에이터는 해당 플랫폼을 직접 액세스하여 해당 플랫폼에 제공된 개인 상점을 확인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가 제공하는 스튜디오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모든 타겟 플랫폼들의 개인 상점 정보를 일괄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단말(10)에 이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과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고, 개인 상점을 생성하여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S510).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제공된 개인 상점의 상품 리스트 업데이트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520). 여기서, 상품 리스트의 업데이트라 함은, 예를 들어 상품 추가, 상품 삭제, 상품 변경, 상품 수량 변경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품 리스트의 업데이트라 함은, 예를 들어 상품의 설명 변경, 속성 변경,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기존 개인 상점의 상품 리스트에 어떤 변경이 있으면, 모두 업데이트에 해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S520 단계 판단 결과, 상기 개인 상점의 상품 리스트가 업데이트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컨텐츠에 대한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와 추천 업로드 타이밍 데이터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S530).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상기 단말(10)에 의해 결정된 타이틀을 가진 컨텐츠를 결정된 업로드 타이밍에 타겟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로드되는 컨텐츠는 상기 업데이트된 상품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상품 정보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540).
상기 S530 단계에서의,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와 추천 업로드 타이밍 데이터 세트의 제공과 관련된 내용은, 전술한 도 13 내지 도 17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참조 또는 적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1의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는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20)의 구성 블록도일 수 있다.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는 메모리(2110)와 프로세서(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2는 프로세스(2120)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메모리(2110)는 각종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명령어들이 프로세서(212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대응하는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2110)는 전술한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과정에서 생성, 처리 등 되는 데이터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0)는 메모리(211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정보를 생성, 처리,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전자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명령어들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한 커머스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점은,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별로 개별 생성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점은,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계정에 종속된 하나만 생성되되,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영상 플랫폼 별로 서브 상점이 링크되도록 계층 구조로 형성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점은,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계정에 종속된 하나만 생성되되,
    상기 수집한 다중 영상 플랫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와 링크가 되도록 형성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의 개인 상점 이용시, 자동으로 해당 각 영상 플랫폼의 소비자 액세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단말로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 또는 개인 상점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서비스 제공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 또는 개인 상점은,
    상기 수집한 소비자 액세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 요청 소비자의 이용 영상 플랫폼 정보, 구매 요청 상품 정보, 구매 요청 수량 정보, 배송 지원 정보, 및 구매 제안/역제안 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을 위한 툴을 포함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머스 시스템은,
    상기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는 써트-파티와 상기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의 크리에이터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8.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과 상기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고, 개인 상점을 생성하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상점의 상품 리스트가 업데이트되면,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컨텐츠에 대한 추천 타이틀 데이터 세트와 추천 업로드 타이밍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타이틀을 가진 컨텐츠를 결정된 업로드 타이밍에 타겟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 - 상기 업로드되는 컨텐츠는 상기 업데이트된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9. 각종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액세스한 커머스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
  10.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말;
    상기 컨텐츠를 소비하는 영상 플랫폼;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제작된 컨텐츠를 상기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로 다중 채널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커머스 시스템 액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액세스한 커머스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기 단말 크리에이터의 개인 상점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10037639A 2021-03-23 2021-03-23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39A KR102492022B1 (ko) 2021-03-23 2021-03-23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39A KR102492022B1 (ko) 2021-03-23 2021-03-23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393A true KR20220132393A (ko) 2022-09-30
KR102492022B1 KR102492022B1 (ko) 2023-01-26

Family

ID=8345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639A KR102492022B1 (ko) 2021-03-23 2021-03-23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23B1 (ko) * 2023-02-14 2023-08-17 최문수 유튜브 업로드시점 분석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049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기 컨텐츠의 자동 업로드 방법 및 그 시스템과 단말기 컨텐츠의 자동 업로드 인터페이스 서버
KR20110025051A (ko) * 2009-09-02 2011-03-09 한국과학기술원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중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0502A (ko) * 2010-08-30 2012-03-08 권오석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5093B1 (ko) * 2017-02-06 2017-08-04 (주)소프트기획 접속 중인 고객의 구매행동 패턴 분석을 통한 실시간 판매 촉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77176A (ko) * 2018-12-20 2020-06-3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95021B1 (ko) * 2019-07-02 2020-12-24 권태완 온라인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049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기 컨텐츠의 자동 업로드 방법 및 그 시스템과 단말기 컨텐츠의 자동 업로드 인터페이스 서버
KR20110025051A (ko) * 2009-09-02 2011-03-09 한국과학기술원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중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0502A (ko) * 2010-08-30 2012-03-08 권오석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5093B1 (ko) * 2017-02-06 2017-08-04 (주)소프트기획 접속 중인 고객의 구매행동 패턴 분석을 통한 실시간 판매 촉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77176A (ko) * 2018-12-20 2020-06-3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95021B1 (ko) * 2019-07-02 2020-12-24 권태완 온라인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23B1 (ko) * 2023-02-14 2023-08-17 최문수 유튜브 업로드시점 분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022B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783B2 (en) Targeted content during media downtimes
US10602058B2 (en) Camera application
US11503356B2 (en) Intelligent multi-device content distribution based on internet protocol addressing
US8880623B2 (en) Prioritization in a continuous video playback experience
US11870859B2 (en) Relevant secondary-device content generation based on associated internet protocol addressing
US20140278993A1 (en) Interactive advertising
US1196825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information storage and delivery
US20160234551A1 (en) Video reaction processing
KR101942211B1 (ko) 공유된 장치 및 개인용 장치를 이용한 개인맞춤화된 사용자 기능의 협력적 제공
US20140259037A1 (en) Predicted video content aggregation
CA2991631A1 (en) Media production system with scheduling feature
KR102492022B1 (ko)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098369B1 (en) Application installation using in-video programming
US8745650B1 (en) Content segment selection based on time-shifted content viewing
US10897643B2 (en) Content streaming platform with dynamically arranged media content
KR102492014B1 (ko)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0029B1 (ko)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569089A (zh) 信息处理方法、装置、服务器、设备、系统及存储介质
EP3205087A1 (en)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ing media service recommendations
US1185626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a media profile page
US8707152B2 (en) Presenting images from slow image-event stream
KR20240002089A (ko)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30181997A1 (en) Presenting images from fast image-event stream
CN114726816A (zh) 一种建立关联关系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