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850A -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 Google Patents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850A
KR20220129850A KR1020210034694A KR20210034694A KR20220129850A KR 20220129850 A KR20220129850 A KR 20220129850A KR 1020210034694 A KR1020210034694 A KR 1020210034694A KR 20210034694 A KR20210034694 A KR 20210034694A KR 20220129850 A KR20220129850 A KR 20220129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output voltage
voltage
wireless power
sid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7706B1 (en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706B1/en
Publication of KR2022012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8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7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A wireless power transcei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of rectified power supplied in the form of alternating current;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capabl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rom the adjusted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adjust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transmission-sid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djusted voltag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eption-sid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es: a power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a reception-side control unit which calculates the maximum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by controlling th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alculates the optimal capacitance of a capacitor included in the power reception unit based on the maximum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The maximum efficiency of a system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Wireless power transceiver, method and program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유선 전력 전송 방식은 연결된 도체선에 의해 전력을 송수신하는 방식으로서, 전력 공급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The wired power transmission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through a connected conductor wire, and is main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requiring power supply.

다만, 도체선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However, as the necessity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without a conductor wire has emerg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various studies related thereto are being conducted.

접촉 손실이 없고, 기계적 마모가 발생되지 않으며, 안정성 및 신뢰성이 보장되는 고유의 장점 때문에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감시, 정밀 농업 및 물류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에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적용시키려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Due to the inherent advantages of no contact loss, no mechanical wear, and guaranteed stability and reliability, the importanc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s rising, especially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urveillance, precision agriculture and logistics.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ppl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to a system.

무선 항공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정렬 불량으로 인한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정렬 불량을 해결하기 위하여 2차측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 무게가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applied to a wireless aircraft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misalignment.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secondary side is increased in order to solve the misalignment,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is excessively increased may occur.

종래의 무선 항공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체 시스템의 최대 효율성만을 고려할 뿐, 전체 시스템의 평균 효율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applied to the conventional wireless aircraft system only considers the maximum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and does not consider the averag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entire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6986호, 2016년 04월 05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36986, published on April 05, 20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한 항공기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출력 조절 및 효율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that provide a hybri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and improving efficiency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of an infinite aircraf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한다.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교류 형태로 공급되어 정류된 전력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 상기 전압 조정부에서 출력된 조정 전압을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측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 전압을 제어하는 송신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include: a voltage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a voltage of rectified power supplied in an alternating current form; a power transmitter for generating the adjusted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adjuster as a signal capabl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transmitting-sid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djustment voltage based on a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전력 송신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고,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수신부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최적 전기 용량을 산출하는 수신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include: a power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er; and a receiving-side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by controll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alculating an optimal electric capacity of a capacitor included in the power receiving unit based on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can do.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는,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추가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수신측 제어부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receiver, an additional parallel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and a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and turned on or off by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수신측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조절하여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Also,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by adjusting a duty cycle of the switch.

또한, 상기 수신측 제어부는, 상기 듀티 사이클을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1차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샘플링하고, 상기 듀티 사이클을 상기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2차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기준 전압차 이하인 경우 상기 듀티 사이클 변동값이 감소된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samples a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is primarily reduced by a preset duty cycle variation value as an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nd sets the duty cycle by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eiving side in a secondly reduced state with the output voltage of the existing receiving side, and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the receiving side output voltage in the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is reduced is the maximum reception It can be determined by the side output voltage.

또한, 상기 수신측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기준 전압차보다 큰 경우, 상기 샘플링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Also,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sampling process and the comparing process again.

또한, 상기 수신측 제어부가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조정 전압 및 작동 주파수가 기 설정된 설정 조정 전압 및 설정 작동 주파수로 설정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calculating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voltage and operating frequency are set to preset adjustment voltage and set operation frequency.

또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전압 조정부에 대한 최초 기준 조정 전압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조정부에 대한 기준 조정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side control unit sets an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for the voltage adjustment unit and a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fo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and the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for the voltage adjuster.

또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을 상기 기준 조정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Also,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may set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as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hen th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and the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are the same.

또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에 기 설정된 기준 조정 변동값을 추가하고,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에서 상기 기준 조정 변동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adds a preset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to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and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s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When it is greater than the voltage, the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may be reduced from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또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기준 조정 전압과 상기 조정 전압의 차이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l)를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may perform feedback control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and the adjustment voltage.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교류 형태로 공급된 전력을 정류하여 상기 전압 조정부로 공급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power supplied in the form of AC and supplying it to the voltage adjusting unit.

또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제어 결과 및 상기 정류부의 정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조정부에 대한 기준 전류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 전류와 상기 전압 조정부의 전류의 차이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l)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calculates a reference current for the voltage adjuster based on the control result and the rectified output voltage of the rectifying unit, and provides feedback control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current and the current of the voltage adjuster. ) can be done.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은,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최적 전기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포함되어 공급된 전력의 전압을 조절하는 PFC(power factor correction) 컨버터에 대한 최초 기준 조정 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FC 컨버터에 대한 기준 조정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performed by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includes the steps of controlling a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o calculate a maximum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 calculating an optimal electric capacity of a capacitor includ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based on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setting an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for a power factor correction (PFC) converter that is inclu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controls a voltage of supplied power; setting a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fo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determining a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for the PFC converter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and the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추가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 capacitor; an additional parallel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and a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and turned on or off by a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을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감소시킨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듀티 사이클을 상기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감소시킨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가 기준 전압차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을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may include: sampling a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of the switch is reduced by a preset duty cycle variation value as an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compar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is reduced by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with the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nd determin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s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또한,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기준 전압차보다 큰 경우, 상기 샘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lculating of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the sampling and the comparing may be performed again.

또한, 상기 기준 조정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을 상기 기준 조정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ing of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may include setting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as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hen th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and the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are the same.

또한, 상기 기준 조정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에 기 설정된 기준 조정 변동값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에서 상기 기준 조정 변동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may include: adding a preset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to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nd reducing the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from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hen th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전압이 조정 전압(UDC-link)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최대 출력 전압 추적 제어에 의해 ZPA(Zero Phase Angle)에 가까운 조건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voltage may be controlled by the adjustment voltage U DC-link control, and a condition close to ZPA (Zero Phase Angle) may be achieved by the maximum output voltage tracking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 차측(송신측) 및 2 차측(수신측) 스위치 모두에 대해 ZVS(Zero Voltage Switching)이 적용되므로, 턴온 스위칭 손실이 저감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Zero Voltage Switching (ZVS) is applied to both the primary side (transmitting side) and secondary side (receiving side) switches, turn-on switching los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전압 정보만을 1 차측(송신측)으로 전송하면 되므로, 2차측(수신측)의 구조가 간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output voltage information needs to be transmitted to the primary side (transmitting side),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side (receiving side) can be configured simp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출력 및 오정렬 조건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a system of high power and misalignment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의 최대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efficiency of the system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가능한 출력 전압 및 전류의 범위가 향상되므로, 시스템의 동작범위가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nge of the controllable output voltage and current is improved, the operating range of the system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블록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회로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블록도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회로도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전력 송신기(10)와 전력 수신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transmitter 10 and a power receiver 20 .

전력 송신기(10)의 구성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transmitter 10

전력 송신기(10)는 전력 공급부(11), PFC 컨버터부(12) 및 전력 송신부(13)를 포함한다. The power transmitter 1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 , a PFC converter unit 12 ,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13 .

전력 수신기(20)는 전력 수신부(21) 및 정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receiver 20 may include a power receiver 21 and a rectifier 22 .

먼저, 전력 송신기(1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전력 공급부(11)는 기 설정된 전압(Ugrid)을 가지는 교류 형태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Firs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tter 10 will be described. The power supply unit 11 may supply AC power having a preset voltage U grid .

PFC 컨버터부(12)는 정류부(121) 및 전압 조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류부(121)는 전력 공급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공급부(11)에서 입력 받은 교류 형태의 전력을 정류할 수 있다. The PFC converter unit 12 may include a rectifying unit 121 and a voltage adjusting unit 122 , and the rectifying unit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1 to receive AC power in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 can be rectified.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정류부(121)는 풀브리지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정류부(121)는 네 개의 다이오드(1211, 1212, 1213, 1214)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ectifier 121 may be a full-bridge diode. The rectifying unit 121 may include four diodes 1211 , 1212 , 1213 , and 1214 .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하프브리지 정류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정류기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alf-bridge rectifier composed of two diodes,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types of known rectifier circuits.

정류부(121)는 전력 공급부(11) 및 전압 조정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rectifier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1 and the voltage adjuster 122 .

전압 조정부(122)는 인덕터(1221, LB), 스위치(1222, QB), 다이오드(1223, DB), 커패시터(1224)를 포함한다. 송신측 제어부(31)는 스위치(1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1222)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송신측 제어부(31)는 전력 수신기(20)의 수신측 출력 전압(Uo)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voltage regulator 122 includes an inductor 1221 , L B , a switch 1222 , Q B , a diode 1223 , D B , and a capacitor 1224 .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1222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1222 . In addition,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of the power receiver 20 .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222)는 모스펫(MOSFET) 소자일 수 있다. 송신측 제어부(31)의 제어과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witch 1222 may be a MOSFET device. The control process of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PFC 컨버터부(12)는 승강압이 가능한 구조의 PFC(Power Factor Correction) 회로나 강압이 가능한 구조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not shown, the PFC converter unit 12 may be configured as a PFC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ep-up or step-down or a circu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ep-down.

PFC 컨버터부(12)에서 교류 전력이 직류 전력으로 조절된다. AC power is adjusted to DC power in the PFC converter unit 12 .

또한, 전력 송신기(10)는 전력 송신부(13)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13)는 전압 조정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진 신호 발생부(131) 및 공진부(13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tter 10 includes a power transmitter 13 . The power transmitter 13 includes a resonance signal generator 131 and a resonance part 13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oltage regulator 122 .

공진 신호 발생부(131)는 전압 조정부(122)에서 입력된 전력을 기 설정된 이득으로 변환하여 공진부(132)로 송신할 수 있다. The resonance signal generator 131 may convert the power input from the voltage adjuster 122 into a preset gain and transmit it to the resonance part 132 .

공진 신호 발생부(131)는 커패시터(1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스위치(1311, Q1), 제2 스위치(1312, Q2), 제3 스위치(1313, Q3), 제4 스위치(1314, Q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스위치(1311, 1312, 1313, 1314)는 모스펫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sonance signal generator 1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acitor 1224 , the first switches 1311 and Q1 , the second switches 1312 and Q2 , the third switches 1313 and Q3 , and the fourth switch 1314 . , Q4). In an embodiment,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1311 , 1312 , 1313 , and 1314 may be configured as MOSFET devices.

공진부(132)는 공진 신호 발생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패시터(1322, 1323) 및 코일(1321, 1324)를 포함하고,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The resonance unit 1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onance signal generator 131 , and includes capacitors 1322 and 1323 and coils 1321 and 1324 , and may constitute a resonance circuit.

전력 수신기(20)의 구성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receiver 20

다음으로, 전력 수신기(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receiver 20 will be described.

전력 수신기(20)는 전력 수신부(21) 및 정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receiver 20 may include a power receiver 21 and a rectifier 22 .

전력 수신부(21)는 코일(211) 및 코일(211)과 직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212, C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수신부(21)는 커패시터(212)와 병렬로 연결되는 병렬 커패시터(213, CSN) 및 스위치(214, Q5)를 포함한다. The power receiver 21 may include a coil 211 and capacitors 212 and C 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oil 211 . In addition, the power receiver 21 includes a parallel capacitor 213 , C SN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212 and a switch 214 , Q 5 .

스위치(214)는 수신측 제어부(32, 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며, 수신측 제어부(32)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수신측 제어부(32)의 제어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214)는 모스펫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witch 214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see FIG. 3 ),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 The control operation process of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one embodiment, the switch 214 may be configured as a MOSFET device.

정류부(22)는 전력 수신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다이오드(221, D1), 제2 다이오드(222, D2), 제3 다이오드(223, D3) 및 제4 다이오드(224, D4)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류부(22)는 2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하프브리지 정류기 또는 공지된 다양한 구성의 정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ctifier 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receiver 21 , and includes a first diode 221 , D1 , a second diode 222 , D2 , a third diode 223 , D3 , and a fourth diode 224 , D4 . ) is inclu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ctifier 22 may include a half-bridge rectifier composed of two diodes or a rectifier circuit having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정류부(22)는 커패시터(225, CO)를 포함하며, 커패시터(225)는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221, 222, 223, 224)가 구성하는 정류 회로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ectifying unit 22 includes a capacitor 225 , C O , and the capacitor 225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rectifying circuit configured by the first to fourth diodes 221 , 222 , 223 and 224 .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제어 과정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control proces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제어 과정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3 , a control process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오정렬 조건 하에서, 전력 송신부(13)의 코일(1324)의 리액턴스(LP) 값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전력 수신부(21)의 코일(211)의 리액턴스(LS) 값은 전력 수신측의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Under the misalignment condition, the reactance (L P ) value of the coil 1324 of the power transmitter 13 is kept constant, but the reactance ( LS ) value of the coil 211 of the power receiver 21 is the position of the power receiv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이러한 리액턴스(LS)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전력 수신부(21)의 커패시터(212)는 병렬 커패시터(213) 및 스위치(214)와 병렬로 연결된다. 스위치(214)가 수신측 제어부(32)에 의해 기 설정된 방법으로 펄스폭 제어(Pulse Width Modulcated Control, PWM-Control)됨에 따라, 리액턴스(LS)의 변동이 보상될 수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the reactance L S , the capacitor 212 of the power receiver 21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arallel capacitor 213 and the switch 214 . As the switch 214 is Pulse Width Modulcated Control (PWM-Control) in a preset method by the receiving-side controller 32 , the change in the reactance LS may be compensated.

커패시터(212) 및 병렬 커패시터(213)의 평균 조정 용량(Equicalent tuning capacitance)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The average tuning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212 and the parallel capacitor 213 may be deriv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평균 조정 용량(CEQ)은 커패시터(212)의 전기 용량(CS), 병렬 커패시터(213)의 전기 용량(CSN), PWM 신호가 ON 상태인 시간(ton), PWM 신호가 OFF 상태인 시간(toff), 총 시간(T, ton+toff)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The average adjustment capacitance (C EQ ) is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212 (C S ), the capacitance of the parallel capacitor 213 (C SN ), the time the PWM signal is ON (t on ), the time the PWM signal is OFF In time (t off ), it can be derived by the total time (T, t on +t off ).

또한, 공진 주파수(wo)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Also, the resonance frequency wo may be derived by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또한, 총 전기 용량(C'S)은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tal electric capacity (C' S ) may be derived by Equation 3 below.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또한, 공진 조건에서의 전력 수신측의 조정된 임피던스(Z'S)는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ed impedance (Z' S ) of the power receiving side in the resonance condition may be derived by Equation 4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또한, 조정된 입력측 임피던스(Z'in)는 아래의 수학식 5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Also, the adjusted input-side impedance Z' in may be derived by Equation 5 below.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또한, 송신측과 수신측의 상호 인덕턴스(M)는 아래의 수학식 6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K는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mutual inductance (M)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can be derived by Equation 6 below. K represents a coupling coefficient.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또한, 조정된 수신측 전류(I'S)는 아래의 수학식 7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justed receiving-side current (I' S ) may be derived through Equation 7 below.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또한, 조정된 전압 변환비(Voltage conversion ration, G'V)는 아래의 수학식 8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justed voltage conversion ratio ( G'V ) may be derived through Equation 8 below.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또한, 수신측 전압(Uab)을 상호 인덕턴스(M)에 대해 미분하면 아래의 수학식 9가 도출될 수 있다.In addition, by differentiating the receiving-side voltage U ab with respect to the mutual inductance M, Equation 9 below may be derived.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수학식 8 및 수학식 9를 통하여, 최대 출력 전압 이득이 CS와 LS사이의 공진 조건에서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수학식 9의 우변이 0이 되는 조건을 나타낸다. Through Equations 8 and 9,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output voltage gain is generated under a resonance condition between C S and L S . In this case, the condition that the right side of Equation (9) becomes 0 represents the condition.

또한, 최대 출력 전압 이득이 발생될 때 CEQ가 0임을 알 수 있다. It can also be seen that C EQ is zero when the maximum output voltage gain is generated.

다만, 오정렬 상태로 인한 LS의 변동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값의 CEQ를 찾아야 한다. However, in order to satisfy the fluctuation of LS due to misalignment, it is necessary to find an appropriate value of C EQ .

결과적으로, 최대 출력 전압 조건에서 공진이 발생되므로, 최적화된 C'S 값은 최대 출력 전압을 추적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Consequently, since resonance occurs at the maximum output voltage condition, an optimized C 'S value can be specified by tracking the maximum output voltage.

도 4에는 최대 출력 전압을 특정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4 shows a process of specifying the maximum output voltage.

도 4를 참조하면, 수신측 제어부(32)는 전력 수신기(20)의 수신측 출력 전압(UO)을 제어하여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전력 수신부(21)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최적 전기 용량(C'S)을 산출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calculates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by controll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of the power receiver 20 , and power based on the calculated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The optimal capacitance C' S of the capacitor included in the receiver 21 is calculated.

수신측 제어부(32)는 스위치(214)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조절하여 수신측 출력 전압(UO)을 조절한다.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adjusts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by adjusting the duty cycle of the switch 214 .

먼저, PFC 컨버터부(12)의 커패시터(1224)의 전압(UDC-link)이 기 설정된 전압으로 설정되고, 작동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로 설정된다(S11).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전압은 320V로 설정되고, 기 설정된 주파수는 150kHz)로 설정될 수 있다. First, the voltage (U DC-link ) of the capacitor 1224 of the PFC converter unit 12 is set to a preset voltage, and the operating frequency is set to the preset frequency (S11). In an embodiment, the preset voltage may be set to 320V, and the preset frequency may be set to 150 kHz).

커패시터(1224)의 전압(UDC-link)의 조절은 전력 수신기(20)로부터 전력 송신기(10)로 전송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Adjustment of the voltage U DC-link of the capacitor 1224 may be performed based on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 receiver 20 to the power transmitter 10 .

다음으로, 수신측 제어부(32)가 스위치(214)의 듀티 사이클을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1차적으로 감소시킨다(S12). Next,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primarily reduces the duty cycle of the switch 214 by a preset duty cycle variation value (S12).

일 실시예에서, 수신측 제어부(32)는 초기의 듀티 사이클을 1로 설정하고, 듀티 사이클 변동값을 0.05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n embodiment,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may set the initial duty cycle to 1 and set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to 0.0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수신측 제어부(32)가 듀티 사이클이 1차적으로 감소된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Uo_old)으로 샘플링한다(S13).Next,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samples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is primarily reduced as the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_old ( S13 ).

다음으로, 수신측 제어부(32)가 스위치(214)의 듀티 사이클을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2차적으로 감소시킨다(S13).Next,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secondarily reduces the duty cycle of the switch 214 by a preset duty cycle variation value (S13).

일 실시예에서, 듀티 사이클 변동값은 0.05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may be set to 0.0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수신측 제어부(32)가 듀티 사이클이 2차적으로 감소된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수신측 출력 전압(Uo)으로 샘플링한다(S15).Next,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samples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is secondarily reduced as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 S15 ).

다음으로, 수신측 제어부(32)가 수신측 출력 전압(Uo)과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Uo_old)을 비교한다(S16).Next,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compares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with the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_old ( S16 ).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 전압차 이하인 경우, 수신측 제어부(32)는 듀티 사이클 변동값이 2차적으로 감소된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Uo)을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결정한다.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determines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is secondarily reduced as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일 실시예에서, 기준 전압차는 0.5V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may be set to 0.5V.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비교 결과가 상기 기준 전압차보다 큰 경우, 수신측 제어부(32)는 기존 수신측 측정 전압과 수신측 측정 전압을 샘플링하여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repeats the process of sampling and comparing the existing receiving-side measured voltage and the receiving-side measured voltage.

즉, 수신측 제어부(32)가 스위치(214)의 듀티 사이클을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추가로 감소시킨다(S17). 듀티 사이클 변동값이 추가로 감소되면, 수신측 제어부(32)가 듀티 사이클이 감소된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Uo_old)로 샘플링하고, 듀티 사이클을 추가로 감소시켜 수신측 출력 전압(Uo)을 샘플링하여 서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 전압차 이하인 경우 수신측 출력 전압(Uo)을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결정한다. That is,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further reduces the duty cycle of the switch 214 by a preset duty cycle variation value (S17). When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is further reduced,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32 samples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the reduced duty cycle state as the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o_old, and further reduces the duty cycle to the receiving side The output voltage Uo is sampl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o is determined as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에서의 듀티 사이클 및 C'S를 특정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duty cycle and C′ S at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can be specif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측 제어부(31)는 제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PFC 컨버터부(12)의 캐패시터(1224)의 전압(UDC-link)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출력 전압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may control the voltage (U DC-link ) of the capacitor 1224 of the PFC converter unit 12 in order to increase control accuracy. It also allows for simultaneous adjustment of the output voltage.

도 5에는 커패시터(1224)의 전압(UDC-link)을 제어하는 과정이 도시된다.5 shows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oltage (U DC-link ) of the capacitor 1224 .

도 5를 참조하면, 송신측 제어부(31)는 전압 조정부(122)에 대한 최초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 및 전력 수신기(20)에 대한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Uo_ref)을 설정한다(S21). Referring to FIG. 5 ,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sets an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DC-link_ref for the voltage adjustment unit 122 and a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U o_ref for the power receiver 20 ( S21).

일 실시예에서, 최초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은 320V로 설정되고,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Uo_ref)은 48V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n embodiment,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DC-link_ref may be set to 320V, and the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U o_ref may be set to 48V.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송신측 제어부(31)는 전력 수신기(20)에서 측정되는 수신측 출력 전압(Uo)과 전압 조정부(122)의 커패시터(1224)의 전압(UDC-link)을 샘플링한다. In addition,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samples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measured by the power receiver 20 and the voltage U DC-link of the capacitor 1224 of the voltage adjusting unit 122 .

다음으로, 송신측 제어부(31)는 수신측 출력 전압(Uo)과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Uo_ref)이 동일한지 판단한다(S22). Next,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and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_ref are the same ( S22 ).

동일한 경우, 송신측 제어부(31)는 최초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_old)을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으로 동일하게 유지한다(S23). In the same case,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maintains the sam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_old as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 S23 ).

수신측 출력 전압(Uo)이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Uo_ref)보다 작은 경우, 송신측 제어부(31)는 최초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_old)에서 기 설정된 기준 조정 변동값(ΔUDC-link_ref)만큼을 증가시켜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을 재설정한다(S25).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 조정 변동값(ΔUDC-link_ref)은 0.1V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_ref ),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sets a preset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ΔU DC- ) in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_old ) link_ref ) to reset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S25). In an embodiment, the preset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ΔU DC-link_ref may be set to 0.1V.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수신측 출력 전압(Uo)이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Uo_ref)보다 큰 경우, 송신측 제어부(31)는 최초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_old)에서 기 설정된 기준 조정 변동값(ΔUDC-link_ref)만큼을 감소시켜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을 재설정한다(S25).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 조정 변동값(ΔUDC-link_ref)은 0.1V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_ref ),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sets a preset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ΔU DC- ) in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_old ) link_ref ) to reset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S25). In an embodiment, the preset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ΔU DC-link_ref may be set to 0.1V.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24단계 또는 S25단계가 완료된 후, 송신측 제어부(31)는 수신측 출력 전압(Uo)과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Uo_ref)이 동일한지 판단한다(S22). After step S24 or S25 is completed,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and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_ref are the same ( S22 ).

동일한 경우, 송신측 제어부(31)는 최초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_old)을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으로 동일하게 유지한다(S23). In the same case,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maintains the sam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_old as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 S23 ).

즉, 송신측 제어부(31)는 수신측 출력 전압(Uo)과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Uo_ref)이 일치될때까지 S24단계, S25단계 및 S23단계를 반복한다. That is,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repeats steps S24, S25, and S23 until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and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_ref match.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이 특정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may be specified.

또한, 송신측 제어부(31)는 특정된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과 커패시터(1224)의 전압(UDC-link)의 차이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l)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PI(Portional-Integral)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제어, PID제어 및 Fuzzy 제어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performs feedback control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cified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 and the voltage (U DC-link ) of the capacitor 1224 . In an embodiment, a Portional-Integral (PI) control may be per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ethods such as P control, PID control, and fuzzy control may be used.

또한, 송신측 제어부(31)는 피드백 제어 결과 및 정류부(121)의 정류 출력 전압(lUrecl)에 기초하여 전압 조정부(122)에 대한 기준 전류(ILB_ref)를 산출하고, 기준 전류(ILB_ref)와 전압 조정부(122)의 전류(ILB)의 차이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l)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PI(Portional-Integral)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제어, PID제어 및 Fuzzy 제어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31 calculates the reference current I LB_ref for the voltage adjuster 122 based on the feedback control result and the rectified output voltage lU rec l of the rectifier 121 , and the reference current I LB_ref ) and the current (I LB ) of the voltage adjuster 122 performs a feedback control based on the difference (Feedback Controll). In an embodiment, a Portional-Integral (PI) control may be per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ethods such as P control, PID control, and fuzzy control may be used.

일 실시예에서, 송신측 제어부(31)는 전압 루프를 외부 루프로 구성하고 전류 루프를 내부 루프로 구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ransmitting-side controller 31 may configure a voltage loop as an outer loop and a current loop as an inner loop.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의 계산과 이중 루프제어를 적용함에 따라, 교류 입력 전압은 동일한 위상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조정 전압(UDC-link)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By calculating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 and applying the double loop control, the AC input voltage has the same phase. In addition, the adjustment voltage U DC-link can be precisely controlled.

이중 루프제어가 적용됨에 따라 조정 전압(UDC-link)의 안정성과 정확성이 보장되며,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의 계산 방식에 의해 오정렬 조건에서도 기준 조정 전압(UDC-link_ref)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As the double loop control is applied, the stability and accuracy of the adjustment voltage (U DC-link ) is guaranteed, and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 can be adjusted even under misalignment conditions by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U DC-link_ref ). can be calculated accurately.

또한, 결합 계수(k) 추정 방식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결합계수(k)의 부정확한 추정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coefficient (k) estimation method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accurate estimation of the coupling coefficient (k) from occurring.

또한, 수신측 출력 전압(UO)이 작동 주파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력 송신기(10) 측에 의해 제어되므로, 전력 수신기(20)측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is controlled by the power transmitter 10 in a state where the operating frequency is fixed, the size of the power receiver 20 can be reduced.

조정 전압(UDC-link)과 공진 네트워크 구성(Resonant network components, Lin, CP, Cf, CS, LB 등)의 관계는 수학식 1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RMS value).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justment voltage U DC-link and the resonant network components (Resonant network components, L in , C P , C f , C S , L B , etc.) may be defined by Equation 10 (RMS value).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또한, 정류부(22)의 입력전압(Uab) 수신측 출력 전압(UO)의 관계는 수학식 11 및 수학식 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RMS value).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voltage U ab of the rectifying unit 22 and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U O may be defined by Equations 11 and 12 (RMS value).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AC/DC 등가 저항은 아래의 수학식 1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AC/DC equivalent resistance may be defined by Equation 13 below.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제어에 의한 효과의 설명Description of the effect of the contro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한 항공기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출력 조절 및 효율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제어 방법이 제시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ybrid control method for output control and efficiency improvement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of an infinite aircraft is provided.

출력 전압은 PFC 컨버터부(12)의 조정 전압(UDC-link)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최대 출력 전압 추적 제어에 의해 ZPA(Zero Phase Angle)에 가까운 조건이 달성된다. The output voltage may be controlled by the adjustment voltage U DC-link control of the PFC converter unit 12, and a condition close to ZPA (Zero Phase Angle) is achieved by the maximum output voltage tracking control.

또한, 1 차측(송신측) 및 2 차측(수신측) 스위치 모두에 대해 ZVS(Zero Voltage Switching)이 적용되므로, 턴온 스위칭 손실이 저감된다. In addition, since ZVS (Zero Voltage Switching) is applied to both the primary side (transmitting side) and secondary side (receiving side) switches, the turn-on switching loss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출력 전압 정보만을 1 차측(송신측)으로 전송하면 되므로, 간명한 구조를 이룬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needs to transmit the output voltage information to the primary side (transmitting side), it has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고출력 및 오정렬 조건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ystem of high power and misalignment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의 최대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efficiency of the system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따르면, 제어가능한 출력 전압 및 전류의 범위가 향상되므로, 시스템의 동작범위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nge of the controllable output voltage and current is improved, the operating range of the system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components, and the names of the components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entity,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prior to being combined are equally performed. can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and stored in a medium in order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server that is hardware.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C, C++, JAVA, machine language, etc. that a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read through a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code (Code) coded in the computer language of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a function defining functions necessary for executing the methods, etc.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or code related to memory reference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in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enced.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located remotely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remote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a cache, a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compute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the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전력 송신기
11: 전력 공급부
121: 정류부
1211: 다이오드
1212: 다이오드
1213: 다이오드
1214: 다이오드
122: 전압 조정부
1221: 인덕터
1222: 스위치
1223: 다이오드
1224: 커패시터
12: 전압 조정부
13: 전력 송신부
131: 공진 신호 발생부
1311: 제1 스위치
1312: 제2 스위치
1313: 제3 스위치
1314: 제4 스위치
132: 공진부
1321: 코일
1322: 커패시터
1323: 커패시터
1324: 코일
20: 전력 수신기
21: 전력 수신부
211: 코일
212: 커패시터
213: 병렬 커패시터
214: 스위치
22: 정류부
221: 제1 다이오드
222: 제2 다이오드
223: 제3 다이오드
224: 제4 다이오드
225: 커패시터
31: 송신측 제어부
32: 수신측 제어부
10: power transmitter
11: power supply
121: rectifying unit
1211: diode
1212: diode
1213: diode
1214: diode
122: voltage regulator
1221: inductor
1222: switch
1223: diode
1224: capacitor
12: voltage regulator
13: power transmitter
131: resonance signal generator
1311: first switch
1312: second switch
1313: third switch
1314: fourth switch
132: resonance unit
1321: coil
1322: capacitor
1323: capacitor
1324: coil
20: power receiver
21: power receiver
211: coil
212: capacitor
213: parallel capacitor
214: switch
22: rectifying unit
221: first diode
222: second diode
223: third diode
224: fourth diode
225: capacitor
31: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32: receiving-side control unit

Claims (17)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교류 형태로 공급되어 정류된 전력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
상기 전압 조정부에서 출력된 조정 전압을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측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 전압을 제어하는 송신측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전력 송신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고,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수신부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최적 전기 용량을 산출하는 수신측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rectified power supplied in the form of alternating current;
a power transmitter for generating the adjusted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adjuster as a signal capabl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transmitting-sid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djustment voltage based o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 power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er; and
a receiving-side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by controll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alculating an optimal electric capacity of a capacitor included in the power receiving unit based on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신부는,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추가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수신측 제어부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측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조절하여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receiver,
an additional parallel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and
and a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and turned on or off by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To calculate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by adjusting the duty cycle of the switch,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제어부는,
상기 듀티 사이클을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1차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샘플링하고,
상기 듀티 사이클을 상기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2차적으로 감소시킨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 전압차 이하인 경우 상기 듀티 사이클 변동값이 감소된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sampl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is primarily reduced by a preset duty cycle variation value as an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compar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is secondarily reduced by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and the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determin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is reduced as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기준 전압차보다 큰 경우, 상기 샘플링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the sampling and the comparing are performed again.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제어부가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조정 전압 및 작동 주파수가 기 설정된 설정 조정 전압 및 설정 작동 주파수로 설정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 of the receiving-side control unit calculating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The adjustment voltage and operating frequency will be performed in a state set to a preset adjustment voltage and set operating frequency,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전압 조정부에 대한 최초 기준 조정 전압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조정부에 대한 기준 조정 전압을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setting an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for the voltage adjuster and a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fo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determining a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for the voltage adjustment unit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and the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을 상기 기준 조정 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nd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re the same,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is set as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에 기 설정된 기준 조정 변동값을 추가하고,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에서 상기 기준 조정 변동값을 감소시키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dding a preset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to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reducing the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from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기준 조정 전압과 상기 조정 전압의 차이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l)를 수행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To perform feedback control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and the adjustment voltage,
Wireless power transceiv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교류 형태로 공급된 전력을 정류하여 상기 전압 조정부로 공급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제어 결과 및 상기 정류부의 정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조정부에 대한 기준 전류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 전류와 상기 전압 조정부의 전류의 차이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l)를 수행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further comprises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power supplied in the form of alternating current and supplying it to the voltage adjusting unit,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calculating a reference current for the voltage adjusting unit based on the control result and the rectified output voltage of the rectifying unit;
To perform feedback control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current and the current of the voltage regulator,
Wireless power transceiver.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최적 전기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포함되어 공급된 전력의 전압을 조절하는 PFC(power factor correction) 컨버터에 대한 최초 기준 조정 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FC 컨버터에 대한 기준 조정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comprising:
calculating a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by controll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alculating an optimal electric capacity of a capacitor includ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based on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setting an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for a power factor correction (PFC) converter that is inclu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controls a voltage of supplied power;
setting a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fo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determining a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for the PFC converter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and the reference reception-side output voltage;
How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pow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추가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apacitor;
an additional parallel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and
Including a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and turned on or off by a control signal,
How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pow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을 기 설정된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감소시킨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을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듀티 사이클을 상기 듀티 사이클 변동값만큼 감소시킨 상태의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존 수신측 출력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가 기준 전압차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을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Calculating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comprises:
sampling a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of the switch is reduced by a preset duty cycle variation value as an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compar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duty cycle is reduced by the duty cycle variation value with the existing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nd
determining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s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How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pow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신측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기준 전압차보다 큰 경우, 상기 샘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Calculating the maximum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comprises: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difference, the sampling and the comparing are performed again,
How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pow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정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을 상기 기준 조정 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comprises:
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nd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re the same,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is set as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How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pow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정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에 기 설정된 기준 조정 변동값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수신측 출력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최초 기준 조정 전압에서 상기 기준 조정 변동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comprises:
adding a preset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to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and
reducing the reference adjustment variation value from the initial reference adjustment voltage when th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eceiving-side output voltage;
How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power.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1 to 16,
program.
KR1020210034694A 2021-03-17 2021-03-17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102517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694A KR102517706B1 (en) 2021-03-17 2021-03-17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694A KR102517706B1 (en) 2021-03-17 2021-03-17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850A true KR20220129850A (en) 2022-09-26
KR102517706B1 KR102517706B1 (en) 2023-04-03

Family

ID=8345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694A KR102517706B1 (en) 2021-03-17 2021-03-17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70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761A (en) * 2008-09-27 2011-07-01 위트리시티 코포레이션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KR20150011273A (en) * 2013-07-22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impedance matching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multi targets and th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thereof
KR20160036986A (en)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KR20180009175A (en) * 2016-07-18 2018-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80064238A (en) * 2016-12-05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761A (en) * 2008-09-27 2011-07-01 위트리시티 코포레이션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KR20150011273A (en) * 2013-07-22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impedance matching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multi targets and th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thereof
KR20160036986A (en)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KR20180009175A (en) * 2016-07-18 2018-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80064238A (en) * 2016-12-05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706B1 (en)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824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JP6489212B2 (en) Variable distance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with fixed tuning and power limiting function
US10903687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improved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US10396600B2 (en) Power transmitter, resonance-type contactless power suppl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1965671B (en) Inductive power supply with duty cycle control
US10923958B2 (en) Power transmitter, resonance-type contactless power suppl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8187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for
WO2019092701A1 (en) Capacitive wireless power transfer by means of adaptive matching networks
US20180351391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9466987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US9773609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71786A1 (en) Contactless feeding apparatus
KR20160121347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wireless power with adjustable voltage gain using variable resonant frequency and method using thererof
US20200076235A1 (en) Wireless power maximum efficiency tracking by system control
KR101996966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28487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2517706B1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US20200083719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reception device
WO2018084722A1 (en) Inductive power transfer
WO2017078543A1 (en) Inductive power receiver
Wu et al. Design of efficient optimize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JP7332025B2 (en) transmission equipment
Zhong et al. Review of Maximum-Efficiency-Operation Techniques
JP2024060491A (en)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CN116488357A (en) Phase shift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electric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