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121A - Flat feeder - Google Patents

Flat f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121A
KR20220129121A KR1020210033137A KR20210033137A KR20220129121A KR 20220129121 A KR20220129121 A KR 20220129121A KR 1020210033137 A KR1020210033137 A KR 1020210033137A KR 20210033137 A KR20210033137 A KR 20210033137A KR 20220129121 A KR20220129121 A KR 2022012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large cylinder
transf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6067B1 (en
Inventor
김영주
이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3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067B1/en
Publication of KR2022012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1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0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07C5/065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with multiple measuring appliances adjusted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for example length or thickness, which detect the shape of an object so that if it conforms to the standard set by the measuring appliance, it is removed from the conveyor, e.g. by means of a number of differently calibrated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3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a pair of belt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7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vertical articles, e.g. by extracting articles laterally from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6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2Suctio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 feeder that can accurately classify large ordinary postal items such as booklets or postal items one by one, and can more quickly and accurately automatically put the large ordinary postal items into a sorter by solving the problem of large ordinary postal items being til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feeder comprises a supply unit, a feed unit, a transfer unit and a conversion unit. The supply unit supplies large ordinary postal items. The feed unit separates and inserts the large ordinary postal items one by one.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accelerating unit for measuring and transferring the length of the inserted large ordinary postal item, and a second accelerating unit for measuring and transferring the length of the large ordinary postal item in succession to the first accelerating unit. The conver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to transport the large ordinary postal item. When the length of the large ordinary postal item measured by the second accelerating unit is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large ordinary postal item measured by the first accelerating unit, the conveying of the transfer unit is stopped.

Description

플랫 투입기{FLAT FEEDER}Flat Feeder {FLAT Feeder}

본 발명은 플랫 투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자나 우편물과 같은 대형통상을 소터에 한 개씩 자동 투입하기 위한 플랫 투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inse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inserter for automatically inserting large boxes such as booklets or mail into a sorter one by one.

최근 우편물이나 책자와 같은 대형통상에 대한 물류 수요의 증가와, 이러한 대형통상을 취급하는 인력의 인건비가 증가하면서, 대형통상 자동으로 분류하거나 이송하는 장치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demand for logistics for large commerce such as mail or booklets increases, and the labor cost of personnel handling these large commerce increases, a number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sorting or transporting large commerce have been developed.

특히, 상기 대형통상의 자동 분류를 수행하는 소터의 경우, 자동으로 대형통상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대형통상이 한 개씩 투입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한 개씩 자동투입을 위한 장치 역시 자동화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orter performing the automatic sorting of the large bins, one large bin must be input one by one in order to automatically sort the large bins, and an automated product is being developed for a device for automatic input one by one.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844호에서는 우편 또는 소화물의 분류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위치제어 벨트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여, 우편물의 소팅시 위치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70844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n automated sorting system for mail or parcels, and a technology for accurately performing position control when sorting mail is appli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2262호에서는 구분 대상물의 이송 및 분기장치로서, 우편물의 소팅을 위한 구분 및 분류 공급을 위한 자동화된 장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92262 discloses an automated device configuration for sorting and sorting and supplying mail for sorting as a transfer and branching device for a sorting object.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자동 소팅을 위한 분류 공급장치의 경우, 특히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나 규격을 가지는 우편물이나 책자 등의 경우, 2개 이상이 하나로 묶여 제공되는 경우라도 이를 구분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우편물이나 책자가 공급되는 상황에서 수직으로 기립하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정확하고 빠른 공급 또는 분류가 수행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한 개씩 신속하게 투입되거나 투입되는 과정에서 2개 이상이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를 감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sorting supply device for automatic sorting being developed so far, especially in the case of mail or bookle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size or standard,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m even when two or more are bundled together. , when the mail or booklet is being fed, if it is not able to stand upright and tilted, there is a problem such as not being able to perform accurate and fast feeding or sorting. It is not easy to detect the case of simultaneous supp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84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7084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2262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92262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자나 우편물과 같은 대형통상을 한 개씩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대형통상이 기울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소터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 투입할 수 있는 플랫 투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classify large bins such as booklets or mail one by one, and solve the problem of inclination of large bin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in the sorter It is to provide a flat feeder that can be automatically f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투입기는 공급유닛, 투입유닛, 이송유닛 및 전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유닛은 대형 통상을 공급한다.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을 한 개씩 구분하여 투입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1 가속유닛, 및 상기 제1 가속유닛에 연속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2 가속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대형 통상을 반출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을 중단시킨다. A flat ins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an input unit, a transfer unit and a conversion unit. The supply unit supplies a large barrel. The input unit separates the large barrel one by one.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accelerating unit that measures and transfers the length of the input large bin, and a second accelerating unit that measures and transfers the length of the large bin in succession to the first accelerating unit. The conver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to take out the large barrel. In this case, when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measured by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is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measured by the first acceleration unit, the transfer of the conveying unit is stopp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유닛은, 복수의 대형 통상들을 기립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들을 한 개씩 구분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ly unit supplies a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in a standing state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input unit separates the large cylinders one by on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converted to and put into the transfe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하는 투입 롤러부, 및 상기 투입롤러부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되는 대형 통상이 복수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버스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is arranged to face the input roller part for putting the large barrel into the transfer unit, and the input roller part to prevent overlapping of a plurality of large barrels put into the transfer unit It may include a reverse rolle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 롤러부는,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이송유닛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회전하는 투입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버스 롤러부는, 상기 투입벨트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버스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roller unit includes an input belt rotating to transport the large cylinder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unit, and the reverse roller unit includes a reverse belt rota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nput bel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 롤러부는, 상기 투입벨트를 회전시키는 투입 구동롤, 상기 투입벨트를 관통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투입벨트 방향으로 흡입하는 석션부, 및 상기 투입 구동롤과 함께 상기 투입벨트를 회전시키는 투입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roller unit, the input drive roll for rotating the input belt, a suction unit that passes through the input belt and sucks the large cylin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put belt, and the input belt together with the input drive roll 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roller for rot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벨트에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석션부의 흡입력이 상기 대형 통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input belt,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may be provided to the large cylind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롤러는,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대형 통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상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roller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on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cylinder, and prevents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cylinder from inclin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이 밀려 가압되는 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가압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roll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roller for sensing whether the large cylinder supplied by the supply unit is pushed and press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이 형성하는 공급공간에 상기 대형 통상이 위치하는 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위치확인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roll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ing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large barrel is located in the supply space formed by the supply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속유닛은, 상기 제1 가속유닛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 전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속유닛은, 상기 제2 가속유닛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 전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단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전단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제2 가속유닛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cceleration unit,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acceleration unit includes a first front end sensor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input large normal,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the second acceleration and a second shear sensor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unit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large barrel, wherein the length of the large barrel measured by the second shear sensor is the length of the large barrel measured by the first shear sensor ,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may be stopp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속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1 우측 이송부, 및 상기 대형 통상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우측 이송부의 이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1 좌측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cceleration uni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arge cylinder, a first right conveying part for transporting the large cylinder, an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arge cylinder, the first right conveying part At a speed different from the conveying speed, it may include a first left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large barr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속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2 우측 이송부, 및 상기 대형 통상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2 우측 이송부의 이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2 좌측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arge cylinder, a second right conveying part for transporting the large cylinder, an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arge cylinder, the second right conveying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left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large barrel at a speed different from the conveying spe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형 통상을,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witching unit, the large barrel vertically moved by the transfer unit, can change the transfer direction so as to be transferred horizontal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가속유닛들을 구비하여 이송되는 대형 통상의 길이를 반복 측정함으로써,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형 통상을 한 개씩 낱개로 소터로 제공할 수 있어, 정확한 대형 통상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peatedly measuring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to be transported with a plurality of acceleration units,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large cylinder is transport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through which the large cylinder can be easily determined. can be provided one by one in a sorter, making it possible to supply an accurate large-size normal.

이 경우, 대형 통상을 이송하는 이송유닛에서, 대형 통상의 양 측면에 접촉하여 대형통상을 이송시키는 벨트의 이송 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대형통상들이 중첩되어 이송되는 경우, 전체 대형 통상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유도되므로, 길이 측정을 통해 복수개의 대형 통상이 중첩되어 이송되는 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large cylinder, by controll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belt conveying the large cylinder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large cylinder differently, when a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are overlapped and transferred, the entire large cylinder Since the length is induced to increase, it can be easily determined whether a plurality of large barrels are conveyed overlappingly through the length measurement.

또한,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유닛으로 대형 통상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투입 롤러부의 벨트의 이송 방향과, 투입 롤러부에 마주하는 리버스 롤러부의 벨트의 이송 방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경우를 용이하게 판정하여 대형 통상이 한 개씩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 large cylinder is fed from the supply unit to the conveying unit, by controll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elt of the input roller part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elt of the reverse roller part facing the input roller par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overlap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case of being transported and induce the large barrels to be accurately transported one by one.

또한, 대형 통상을 투입 롤러부의 벨트, 즉 투입벨트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하도록 석션부를 구비하고, 석션부를 통해 흡입되는 석션 효율을 투입벨트에 형성되는 관통홀들을 통해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suction unit is provided to more effectively attach the large barrel to the input roller belt, that is, the input belt, and the suction efficiency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input belt.

또한, 대형 통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대형 통상을 기립 상태로 유도하도록 투입롤러의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대형 통상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효과적인 투입이나 이송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형 통상이 가압하는 경우 투입의 중단을 유도하도록 가압롤러가 구비됨으로써, 대형 통상이 지나치게 기울어지거나 그 양이 많아 밀려 제공되는 것을 센싱하여 투입의 중단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put roller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cylinder to guide the large cylinder to a standing stat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effective input or transfer in a tilted state of the large cylinder. In this case, by providing a pressure roller to induce the interruption of the input when the large barrel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cess the interruption of the input by sensing that the large barrel is too inclined or the amount is too large to be pushed.

한편, 공급공간 상에 대형 통상이 위치하는 것을 센싱하는 위치확인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투입유닛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ositioning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large barrel on the supply space is additional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나아가, 전환유닛을 통해 수직으로 이송되는 대형통상을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전환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대형통상이 관성에 의해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소터로의 공급을 유도할 수 있다.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nduce a stable supply to the sorter, while converting the large cylinders transferred vertically through the conversion unit to be conveyed horizontally, and thereby preventing the relatively heavy large cylinders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due to inerti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투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투입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랫 투입기를 이용하여 대형통상을 투입하는 경우의 대형통상의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투입롤러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1의 이송유닛, 전환유닛 및 출구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송유닛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전환유닛 및 출구유닛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t ins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unit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input unit of Figure 1;
Figure 4 is an image showing the inclined state of the large cylinder when the large cylinder is put using the flat inserter of Fig. 1 .
5 is an image illustrating the input roller unit of FIG. 3 .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ransfer unit, the switching unit and the outlet unit of Figure 1;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transfer unit of FIG. 6 in detail.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witching unit and the outlet unit of FIG. 6 in detai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투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t ins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unit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플랫 투입기(10)는 공급유닛(100), 투입유닛(200), 이송유닛(300), 전환유닛(400) 및 출구유닛(50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flat inserte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upply unit 100, an input unit 200, a transfer unit 300, a conversion unit 400, and an outlet unit 500. include

상기 공급유닛(100)은, 복수의 대형통상들(20)을 공급하는 것으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공급컨베이어(102)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102)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형통상들(20)이 상기 투입유닛(200) 방향으로 공급된다. The supply unit 100 is to supply a plurality of large troughs 20, the supply conveyor 102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is provided, on the supply conveyor 102, the plurality of large The cylinders 20 are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input unit 200 .

상기 투입유닛(200)은 상기 공급유닛(10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대형통상들(20)을, 한 개씩, 즉 낱개로 구분하여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제공한다. The input unit 2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upply unit 100, and the large bins 20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00 are divided one by one, that is, the transfer unit 300. provided as

이 경우, 상기 투입유닛(200)은,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공급되는 상기 대형통상들(20)을, 낱개로 구분하여, 상기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input unit 200 divides the large cylinders 20 supplied along the first direction (X) into individual piece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 It is provided to the transfer unit 300 along Y).

또한,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투입유닛(200)으로부터 투입된 상기 대형통상들(20)을 한 개씩 이송시키며,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공급한다.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300 transfers the large barrels 20 input from the input unit 200 one by one, and supplies them to the conversion unit 400 .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대형통상들(20)이 한 개씩 공급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상기 대형통상들(20)이 한 개씩 공급되는 가의 여부를 재차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nsfer unit 300 may check again whether or not the large bins 20 are additionally supplied one by one so that the large bins 20 can be supplied one by one.

한편, 상기 이송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대형 통상들이 이송되는 이송공간(302)을 형성하는 이송커버(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공간(302)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부에 별도의 이송 지지부(303)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unit 300, as shown in Figure 2, may be provided with a transfer cover 301 forming a transfer space 302 in which the actual large barrels are transferred, and the transfer space 302 is on the ground. A separate transfer support 30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to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

이러한 이송커버 및 이송 지지부는, 상기 이송유닛(300)은 물론,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 공급유닛(100), 상기 투입유닛(200) 및 상기 전환유닛(400)에도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공간(302)의 크기나 상기 이송 지지부(303)의 높이는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is transfer cover and transfer support part, the transfer unit 300, of course, the description is omitted, bu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upply unit 100, the input unit 200 and the conversion unit 400, It is obvious that the size of the transfer space 302 formed by the transfer cover or the height of the transfer support 303 can be variously designed and changed.

이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공급된 상기 대형통상들(20)은 상기 전환유닛(40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출구유닛(500)을 통해 유출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터로 공급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irection of the large barrels 20 supplied through the transfer unit 300 is changed by the switching unit 400, and finally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unit 500, although not shown. , can be supplied as a sorter.

즉, 상기 전환유닛(400)은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여 제공되는 상기 대형통상(20)을 수평 방향으로 뉘여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출구유닛(500)으로 제공한다. That is, the conversion unit 400 converts the transfer direction so that the large cylinder 20 provided by standing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transfer unit 300 is supplied in a state ly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utlet unit ( 500) is provided.

이하에서는, 상기 플랫 투입기(10)의 세부 구성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flat inserter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도 1의 투입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랫 투입기를 이용하여 대형통상을 투입하는 경우의 대형통상의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투입롤러부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input unit of Figure 1; Figure 4 is an image showing the inclined state of the large cylinder when the large cylinder is put using the flat inserter of Fig. 1 . 5 is an image illustrating the input roller unit of FIG. 3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유닛(200)은 제1 투입 베이스(210), 제2 투입 베이스(220), 투입 롤러부(230), 가압롤러(240), 리버스 롤러부(250), 제1 이송롤러(260) 및 제2 이송롤러(270)를 포함한다. 3 to 5 , the input unit 200 includes a first input base 210 , a second input base 220 , an input roller part 230 , a pressure roller 240 , and a reverse roller part 250 . ), and a first conveying roller 260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270 .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 및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는 소정의 베이스 플레임을 각각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투입유닛(200)의 상기 구성요소들은 각각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 또는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 상에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input base 210 and the second input base 220 constitute a predetermined base flame, respectively, and the components of the input unit 200 are the first input base 210 or the input unit 200, respectively. It may be positioned and fixed on the second input base 220 .

이 경우,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방향(Y)으로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는 상대적으로 제1 방향(X)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input base 210 may have a relatively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second direction (Y) as shown, and the second input base 220 is relatively long in the first direction (X). ) and may have a long rectangular shape.

그리하여,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공급되는 공급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Thus, along the first direction (X), the supply space 101 to which the large cylinders 20 are supplie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와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의 사이를 따른 상기 제2 방향(Y)으로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한 개씩 이송된다. In addition, the large cylinders 20 are transported one by one in the second direction Y along between the first input base 210 and the second input base 220 .

상기 투입 롤러부(230)는 상기 제1 방향(X)으로 상기 공급공간(101)으로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들(20)을 한 개씩 상기 제2 방향(Y)으로 분류하여 이송하는 것으로, 투입 구동롤(231), 투입롤러(232), 석션부(233) 및 투입 벨트(234)를 포함한다. The input roller unit 230 classifies and transports the large cylinders 20 supplied to the supply space 101 in the first direction (X) in the second direction (Y) one by one, It includes a driving roll 231 , an input roller 232 , a suction unit 233 , and an input belt 234 .

상기 투입 구동롤(231)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롤러(232)는 상기 투입 구동롤(231)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투입 벨트(23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회전한다. The input driving roll 231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the input roller 232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put driving roll 23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put belt 234 and rotates.

이 경우, 상기 투입 구동롤(231) 및 상기 투입롤러(23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투입 벨트(234)도 상기 투입 구동롤(231) 및 상기 투입롤러(232)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put drive roll 231 and the input roller 232 may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input belt 234 is also formed between the input drive roll 231 and the input roller 232 . It can be moved by rotating clockwise while being wou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하여, 상기 공급공간(101)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은, 상기 투입 벨트(234)와 밀착하면서 상기 투입 벨트(234)의 이송에 따라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 및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의 경계를 따라 이송된다. Thus, the large cylinder 20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rom the supply space 10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put belt 234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input belt 234 . In the arrow direction shown, the first input base 210 and the second input base 220 is transported along the boundary.

상기 석션부(233)는 상기 투입 구동롤(231) 및 상기 투입롤러(232)의 사이에, 즉 상기 회전되는 상기 투입벨트(234)의 내측에 위치한다. The suction part 233 is located between the input driving roll 231 and the input roller 232 , that is, inside the input belt 234 which is rotated.

상기 석션부(233)는 공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상기 석션부(233)가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상기 공급공간(101)으로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은 상기 투입 벨트(234)에 보다 쉽게 밀착될 수 있으며, 밀착 상태를 보다 잘 유지할 수 있다. The suction part 233 sucks air, and as the suction part 233 sucks air, the large cylinder 20 supplied to the supply space 101 is more than the input belt 234 . It can be easily adhered, and the adherence state can be better maintained.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벨트(234) 상에는 복수의 관통홀들(236)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석션부(233)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이 상기 관통홀들(236)을 통과하여 상기 대형 통상(20)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36 are formed on the input belt 234 , and accordingly,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sucked in the suction unit 233 is applied to the through-holes ( 236 to the larger barrel 20 .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공간(101)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들(20)은 복수개가 상기 공급공간(101)에 위치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상부가 상기 투입유닛(200)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 when a plurality of the large cylinders 20 supplied through the supply space 101 are located in the supply space 101 , the upper part is naturally the input unit 200 . It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대형 통상들(20)의 상부가 상기 투입유닛(200)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상기 투입 벨트(234)에 균일하게 밀착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상기 투입롤러부(230)에 의해 상기 대형 통상을 하나씩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투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However,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cylinders 20 is inclined toward the input unit 200 in this way, the large cylinders 20 are not uniform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put belt 234 , and thus the input It becomes difficult to put the large cylinders one by one into the transfer unit 300 by the roller unit 230 .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투입롤러(232)의 상측에 돌출부(235)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35)는 상기 공급공간(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 a protrusion 23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put roller 232 , and the protrusion 235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supply space 101 . do.

이 경우, 상기 돌출부(235)는, 상기 투입롤러(232)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공급공간(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trusion 235 may be fixed to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supply space 101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input roller 232 .

그리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대형 통상들(20)의 상부가 상기 투입유닛(200)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대형 통상들(20)의 상부를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수직으로 기립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Thus, when the upper portions of the large cylinders 20 are inclined toward the input unit 200 as in FIG. 4 , the upper portions of the large cylinders 20 stand verticall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ing direction again. to assist in positioning.

한편, 상기 돌출부(235)는 상기 투입롤러(232)로부터 상기 투입 구동롤(23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자연스럽게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대형 통상(20)이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보다 자연스럽게 투입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235 is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from the input roller 232 toward the input driving roll 231 naturally increases, so that the large cylinder 2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Y). so that the input can be induced more naturally.

상기 가압롤러(240)는 상기 투입 롤러부(2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투입 롤러부(230)와 유사한 정도로 상기 공급공간(101)을 향해 돌출된다. The pressure roller 2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roller part 230 and protrudes toward the supply space 101 to a degree similar to that of the input roller part 230 .

상기 가압롤러(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As shown, the pressure roller 240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상기 가압롤러(240)는 상기 공급공간(101)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상기 가압롤러(240)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롤러(240)를 가압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The pressure roller 240 determines whether the large cylinders 20 provided through the supply space 101 ar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roller 240 to press the pressure roller 240 .

즉,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상기 가압롤러(240)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롤러(240)에서 가압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대형 통상들이 지나치게 많이 눌리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통상들의 기울어진 정도가 지나치게 심한 상태로, 상기 투입 롤러부(230)에 의한 대형 통상의 투입 동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일 수 있다. That is, when the large cylinders 20 ar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roller 240 and a pressur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pressure roller 240, the large cylinders are pressed too much or, as shown in FIG. In a state wher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normals is excessively severe, it may be a situation in which a large normal input operation by the input roller unit 230 cannot be easily performed.

따라서, 상기 가압롤러(240)로부터 가압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가압신호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크게 발생하는 경우(즉,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기 대형 통상들이 상기 가압롤러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투입 롤러부(230)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공급 공간(101)에 위치하는 대형 통상들의 상태를 재확인하도록 한다. Therefore, when a pressur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pressure roller 240, or when the pressure signal is generated larger than a preset value (that is, when the large cylinders press the pressure roller over a preset value) ),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nput roller unit 230 and to reconfirm the state of the large barrels located in the supply space 101 .

이 경우, 상기 대형 통상들의 상태를 재확인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대형 통상을 공급하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102)를 반대방향, 즉 상기 투입 롤러부(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대형 통상들을 보다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투입 롤러부(230)를 향해 재 이송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by reconfirming the state of the large cylinders, if necessary, the supply conveyor 102 for supplying the large cylinders may be transfer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put roller unit 230 . Thus, in a state in which the large cylinders are positioned to stand more vertically, they can be re-transferred toward the input roller unit 230 .

한편, 상기 가압롤러(240) 상에는 위치확인센서(2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확인센서(241)는 상기 가압롤러(240) 전방, 즉 상기 공급공간(101) 상에 상기 대형 통상(20)이 위치하는 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대형 통상(2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투입롤러부(230)를 비롯한 상기 대형 통상(20)의 이송을 위한 구동을 시작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confirmation sensor 241 may be provided on the pressure roller 240, and the position confirmation sensor 241 is in front of the pressure roller 240, that is, on the supply space 101, the large cylinder ( 20) is located or not, and when the large cylinder 20 is located, the driving for the transfer of the large cylinder 20 including the input roller 230 is started.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는 상기 투입롤러부(23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리버스 구동롤(251), 리버스 회전롤(252), 리버스 벨트(253) 및 지지유닛(254)을 포함한다.The reverse roller unit 250 is disposed to face the input roller unit 230 , and includes a reverse driving roll 251 , a reverse rotation roll 252 , a reverse belt 253 , and a support unit 254 .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는, 전체적으로, 상기 투입 롤러부(230) 중 상기 투입 구동롤(231)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 상에 위치한다. The reverse roller unit 25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input base 220 so as to face the input driving roll 231 of the input roller part 230 as a whole.

이는, 상기 투입 롤러부(230)의 상기 투입벨트(234)가 일정부분 상기 공급공간(101)으로 노출되어 상기 대형 통상(20)과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input belt 234 of the input roller unit 230 is partially exposed to the supply space 101 to be in contact with the large cylinder 20 .

또한,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는, 상기 투입 롤러부(230)의 회전 또는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송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대형 통상(20)이 복수개가 겹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reverse roller unit 250 is to be rotated or transpo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or transport direction of the input roller unit 230, thereby preventing the large cylinder 20 from overlapping a plurality of input. do.

구체적으로, 상기 리버스 구동롤(251)은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리버스 구동롤(251)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리버스 구동롤(251) 및 상기 리버스 회전롤(252), 상기 지지유닛(254)을 따라 연결되는 상기 리버스 벨트(253)의 회전 또는 이송이 수행된다. Specifically, the reverse driving roll 251 provides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reverse roller unit 250 , and the reverse driving roll 251 and the reverse rotation roll are provided by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reverse driving roll 251 . (252), rotation or transfer of the reverse belt 253 connected along the support unit 254 is performed.

이 경우, 상기 리버스 벨트(253)는, 상기 투입벨트(234)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버스 벨트(253) 역시, 전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한다. In this case, the reverse belt 253, and the input belt 234,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should be transferred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ly, the reverse belt 253 must also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as a whole.

이를 위해, 상기 리버스 구동롤(25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하며, 상기 리버스 벨트(253)의 장력을 제어하는 상기 리버스 회전롤(252)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한다. To this end, the reverse driving roll 251 should also rotate clockwise, and the reverse rotation roll 252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reverse belt 253 should rotate counterclockwise.

또한, 상기 지지유닛(254) 상에 포함되는 지지롤러들(255)은 상기 리버스 벨트(253)의 이송 방향과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rollers 255 included on the support unit 254 may rotate clockwise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reverse belt 253 .

즉, 상기 리버스 벨트(25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실제 대형 통상(20)이 상기 화살표로 표시된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형 통상들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송되는 경우, 이를 차단할 수 있다. That is, the reverse belt 253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actual large cylinder 20 is transferred in a direction that prevents it from being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Y indicated by the arrow. When a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overlap and are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Y), this may be blocked.

예를 들어, 2개의 제1 및 제2 대형 통상들이 중첩되어 상기 투입롤러부(230)를 통해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투입되는 경우, 제1 대형 통상의 일 측면은 상기 투입벨트(234)와의 밀착에 의해 상기 이송유닛(300)을 향하는 방향(양의 제2 방향(+Y))으로 이송력을 제공받지만, 제1 대형 통상에 밀착되는 제2 대형 통상의 타 측면은 상기 리버스 벨트(253)와의 밀착에 의해 오히려 반대 방향, 즉 음의 제2 방향(-Y)인 공급공간(10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력을 제공받게 된다. For example, when two first and second large cylinders overlap and are fed into the transfer unit 300 through the input roller unit 230 , one side of the first large cylinder is the input belt 234 . The conveying force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positive second direction (+Y)) toward the conveying unit 300 by close contact with, bu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arge cylinder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arge cylinder is the reverse belt ( 253), the feed force is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upply space 101, which is the negative second direction (-Y).

그리하여, 상기 제1 대형 통상만이 상기 이송유닛(300)을 향해 제공될 뿐, 상기 제2 대형 통상은 상기 이송유닛(300)으로의 제공이 차단될 수 있다. Thus, only the first large cylinder is provided toward the transfer unit 300 , the second large cylinder may be blocked from being provided to the transfer unit 300 .

한편, 상기 지지유닛(254)은 복수의 지지롤러들(255)과 상기 지지롤러들(255)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56)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support unit 254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255 and a support frame 256 to which the support rollers 255 are fixed.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256)은,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프레임인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56)이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투입 벨트(234)와 상기 리버스 벨트(253) 사이의 갭(gap)이 증가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5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투입 벨트(234)와 상기 리버스 벨트(253) 사이의 갭(gap)이 감소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support frame 256 is a fram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when the support frame 256 rotates counterclockwise, for example, the input belt 234 and the reverse belt 253 are The gap between them increases, and when the support frame 256 rotates clockwise, the gap between the input belt 234 and the reverse belt 253 decreases.

이를 통해, 상기 투입 벨트(234)와 상기 리버스 벨트(253) 사이의 갭(gap)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투입롤러부(230)를 통해 투입되는 대형 통상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라도, 상기 대형 통상에 대하여 적절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a gap between the input belt 234 and the reverse belt 253, so that even if the large normal sizes input through the input roller unit 2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ar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ropriate adhesive force with respect to normal.

상기 제1 이송롤러(260)는 상기 제1 투입 베이스(210)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투입롤러부(2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The first transfer roller 260 is positioned on the first input base 21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roller unit 230 in the second direction (Y).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이송롤러(270)는 상기 제2 투입 베이스(220)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상기 리버스 롤러부(25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이송롤러(270)는 상기 제1 이송롤러(260)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Similarly, the second conveying roller 27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input base 22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verse roller unit 250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this case, the second transfer roller 27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transfer roller 260 .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들(260, 270)은 상기 투입롤러부(23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을 추가로 이송시켜, 상기 이송유닛(300)의 투입을 유도하게 된다. Thus,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260 and 270 additionally transfer the large cylinder 20 that is input through the input roller unit 230 to induce the input of the transfer unit 300 . will do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들(260, 270)의 개수나 배열 등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는 설계 변경사항이다. In this case,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260 and 270 is a design change that can be variously changed.

이상과 같이, 상기 투입유닛(200)을 통해서 상기 대형 통상들(20)이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투입되며, 상기 이송유닛(300)에서의 이송 상태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arge cylinders 20 are put into the transfer unit 300 through the input unit 200 , and the transfer state in the transfer unit 3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은 도 1의 이송유닛, 전환유닛 및 출구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송유닛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전환유닛 및 출구유닛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ransfer unit, the switching unit and the outlet unit of Figure 1;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transfer unit of FIG. 6 in detail.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witching unit and the outlet unit of FIG. 6 in detail.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투입유닛(200)을 통해 투입된 상기 대형 통상들(20)을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송시켜,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제공한다. 6 and 7, the transfer unit 300 transfers the large cylinders 20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200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conversion unit 400 provided as

상기 이송유닛(300)은 제1 가속유닛(310) 및 상기 제1 가속유닛(310)에 연속되는 제2 가속유닛(320)을 포함한다. The transfer unit 300 includes a first acceleration unit 310 and a second acceleration unit 320 continuous to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

또한,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의 전단에 위치한 제1 전단 센서(311),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의 후단에 위치한 제1 후단 센서(312),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의 전단에 위치한 제2 전단 센서(321), 및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의 후단에 위치한 제2 후단 센서(322)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300, the first front end sensor 311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the first rear end sensor 312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front end sensor 321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320 , and a second rear end sensor 322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320 .

상기 제1 전단 센서(311)는 상기 제1 가속유닛(310)으로 이송된 대형 통상(20)의 길이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상기 제2 전단 센서(321)는 상기 제2 가속유닛(320)으로 이송된 대형통상(20)의 길이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The first shear sensor 311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20 transferred to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 and the second shear sensor 321 is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320 . It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large barrel 20 transported to the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전단 센서들(311, 321)은, 상기 대형 통상이 이동하는 속도 및 이동하는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front end sensors 311 and 321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moving speed and moving time of the large barrel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large barrel.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전단 센서(311) 및 상기 제2 전단 센서(321)에서 각각 상기 대형 통상(20)의 길이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서로 다른 2개의 센서들(311, 321)에서 획득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의 길이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이송유닛(300)의 이송을 중단시키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obtaining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large cylinder 20 from the first front end sensor 311 and the second front end sensor 321, respectively, in the two different sensors 311 and 321 When the obtained length information of the large cylinder 2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unit 300 is stopped.

즉, 상기 서로 다른 2개의 센서들(311, 321)에서 획득되는 상기 대형 통상(20)의 길이 정보가 서로 다르다면, 후술하겠으나,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이송되는 대형 통상이, 한 개씩 낱개로 이송되지 않고 복수개가 서로 중첩되어 이송되는 상태라고 간주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이송유닛(300)의 이송을 중단하여야 한다. That is, if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large cylinder 20 obtained from the two different sensors 311 and 321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arge cylinder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300 are one by one. Since it may be regarded a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transferred to each other overlapping each other instead of being transferred individually,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unit 300 must be stopped.

상기 제1 후단 센서(312) 및 상기 제2 후단 센서(322)는 이러한 상기 이송유닛(300)의 이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센서인 것으로, 상기 제1 후단 센서(312)를 통해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의 동작, 즉 이송을 인지하고 이러한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의 이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후단 센서(322)를 통해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의 동작, 즉 이송을 인지하고 이러한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의 이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rear end sensor 312 and the second rear end sensor 322 are sensors for stopping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unit 300 , and the first acceleration unit through the first rear end sensor 312 . Feedback control for recognizing the operation of 310, that is, the transfer and stopping the transfer of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may be performed, and similarly,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through the second rear end sensor 322 Feedback control for recognizing the operation of 320 , that is, the transfer, and stopping the transfer of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320 may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대형통상들(20)이 중첩되며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단 센서들(311, 321)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 정보가 변화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 when the large cylinders 20 overlap and are transported, the large normal length information obtained by the first and second shear sensors 311 and 321 changes. Explain why.

우선,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은 제1 우측 이송부(330) 및 제1 좌측 이송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은 제2 우측 이송부(350) 및 제2 좌측 이송부(360)를 포함한다. First,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includes a first right transfer unit 330 and a first left transfer unit 340 , and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320 includes a second right transfer unit 350 and a second left transfer unit 340 . It includes a transfer unit 360 .

나아가,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제1 및 제2 우측 이송부들(330, 340)이 위치하는 제1 이송 베이스(304), 및 상기 제1 및 제2 좌측 이송부들(340, 360)이 위치하는 제2 이송 베이스(305)를 더 포함한다. Furthermore, the transfer unit 300 includes a first transfer base 304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ight transfer units 330 and 340 are loc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left transfer units 340 and 360 .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transfer base 305 on which it is located.

상기 대형 통상(2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이송 베이스(304) 및 상기 제2 이송 베이스(305)의 사이를 따라 이송된다. 즉,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을 통해서는, 상기 제1 우측 이송부(330)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부(340) 사이를 통해 상기 대형 통상(20)이 이송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가속유닛(320)을 통해서는, 상기 제2 우측 이송부(350)와 상기 제2 좌측 이송부(360) 사이를 통해 상기 대형 통상(20)이 이송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large cylinder 20 is transferred along between the first transfer base 304 and the second transfer base 305 . That is, through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the large cylinder 20 is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right transfer unit 330 and the first left transfer unit 340, and similarly, the second acceleration Through the unit 320 , the large cylinder 20 is transferred between the second right transfer unit 350 and the second left transfer unit 360 .

한편, 상기 제1 우측 이송부(33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33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332), 및 상기 구동롤(331)과 회전롤들(332)을 따라 이송되는 제1 우측 이송벨트(333)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first right transfer unit 330 rotates with a driving roll 33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he rotational rolls 332 that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maintain the tension of the transfer belt, and the driving roll 331 . and a first right conveying belt 333 conveyed along the rolls 332 .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좌측 이송부(34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34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342), 및 상기 구동롤(341)과 회전롤들(342)을 따라 이송되는 제1 좌측 이송벨트(343)를 포함한다. Similarly, the first left transfer unit 340 rotates with the driving roll 34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he rotational rolls 342 that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maintain the tension of the transfer belt, and the driving roll 341 . and a first left conveying belt 343 conveyed along the rolls 342 .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는, 상기 대형 통상(20)을 상기 제2 방향(Y)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 방향이 제어된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right transfer belt 333 and the first left transfer belt 343 have a transfer direction controlled to transfer the large cylinder 20 in the second direction (Y). .

즉,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는 전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대형 통상(20)에 상기 제2 방향(Y)으로의 이송력을 제공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는 전체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대형 통상(20)에 상기 제2 방향(Y)으로의 이송력을 제공한다. That is, the first right conveying belt 333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a whole and provides a conveying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Y to the large cylinder 20 , and similarly the first left conveying belt 343 .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a whole and provides a feeding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Y) to the large cylinder ( 20 ).

그러나,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의 이송 속도 또는 회전 속도는 서로 다르게 이송된다. However, the transport speed or rotation speed of the first right transport belt 333 and the first left transport belt 34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의 이송 속도 또는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르게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 사이로 이송되는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서로 중첩된다면, 상기 복수의 대형 통상들이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 사이에서 이송됨에 따라 그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In this way, as the transport speeds or rotation speeds of the first right transport belt 333 and the first left transport belt 343 are controll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 first right transport belt 333 and the first left transport belt 333 are controlled differently. If a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conveyed between the conveying belts 343 overlap each other, the distance is increased as the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are conveyed between the first right conveying belt 333 and the first left conveying belt 343 . it will happen

예를 들어, 2개의 제1 및 제2 대형 통상들이 이송되는 경우, 제1 대형 통상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우측 이송벨트(333)에 밀착되어 제1 속도로 이송되지만, 제2 대형 통상의 타 측면은 상기 제1 좌측 이송벨트(343)에 밀착되어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이송되며, 이러한 이송 속도의 차이에 의해, 서로 동일한 크기로 중첩된 제1 및 제2 대형 통상들은, 이송이 진행됨에 따라 그 간격이 증가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wo first and second large cylinders are transported, one side of the first large cylind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ight conveying belt 333 and conveyed at a first speed, but the second large cylinder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eft conveying belt 343 and conveyed at a second speed slower than the first speed, and by this difference in conveying speed, the first and second large barrels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same size are, As the transfer progresses, the interval increases.

따라서, 상기 제1 전단 센서(311)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는, 상기 대형 통상들이 복수개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속유닛(310)을 따라 이송된 후, 상기 제2 가속유닛(320)으로 진입하는 경우, 그 길이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상기 제2 전단 센서(321)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는 변화하게 된다. Therefore,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measured by the first shear sensor 311 is, when a plurality of the large cylinders overlap, after being transferred along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320 ), the length is increased and thus the length of the large normal measured by the second shear sensor 321 is changed.

즉, 이러한 제1 전단 센서(311)에서의 측정 길이와, 제2 전단 센서(321)에서의 측정 길이의 차이를 통해, 상기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length in the first shear sensor 311 and the measurement length in the second shear sensor 321,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plurality of the large barrels are transported in an overlapping state with each other. be able to

그리하여, 복수개의 대형 통상들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이송유닛(300)의 이송을 중단시키고, 중첩된 대형 통상들을 한 개씩 이송되도록 분류 또는 솎아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제공되는 대형 통상은 한 개씩으로 유지될 수 있다. Thus, when a plurality of large barrels are transported in an overlapping stat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top the transport of the transport unit 300 and perform sorting or thinning operations such that the overlapping large barrels are transported one by one, through which Finally, the large cylinders provided to the conversion unit 400 may be maintained one by one.

한편, 상기 제1 가속유닛(310)에서 제1 우측 이송부(330)와 제1 좌측 이송부(340)의 이송 속도의 차이를 유지한 것은, 상기 제2 가속유닛(320)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maintaining the difference in the transport speed of the first right transfer unit 330 and the first left transfer unit 340 in the first acceleration unit 310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in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320 . have.

상기 제2 우측 이송부(350)도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35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352), 및 상기 구동롤(351)과 회전롤들(352)을 따라 이송되는 제2 우측 이송벨트(353)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좌측 이송부(360)도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36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362), 및 상기 구동롤(361)과 회전롤들(362)을 따라 이송되는 제2 좌측 이송벨트(3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right transfer unit 350 also includes a driving roll 35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he rotational rolls 352 that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maintain the tension of the transfer belt, and the driving roll 351 and the rotational rolls. It includes a second right conveying belt 353 conveyed along the 352 , and similarly, the second left conveying unit 360 also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It may include rotating rolls 362 for maintaining the , and a second left conveying belt 363 conveyed along the driving roll 361 and the rotating rolls 362 .

나아가, 상기 제2 우측 이송벨트(353)와, 상기 제2 좌측 이송벨트(363)의 이송 속도 또는 회전 속도는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대형통상들이 복수개가 중첩되며 이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transport speed or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right transport belt 353 and the second left transport belt 363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Thu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arge barrels from being transferred in a plurality of overlapping.

한편,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전환유닛(400)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Meanwhile,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8 , the conversion unit 4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한 개씩 낱개로 대형 통상들이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제공되면, 상기 전환유닛(400)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이송되는 상태를 전환시킨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arge barrels are provided to the switching unit 400 one by one through the transfer unit 300 , the switching unit 400 switches the state in which the large barrels are transported.

상기 전환유닛(400)은, 우측 전환부(410), 좌측 전환부(420), 상기 우측 전환부(410)가 위치하는 제1 전환 베이스(404), 및 상기 좌측 전환부(420)가 위치하는 제2 전환 베이스(405)를 포함한다. The switching unit 400, the right switching unit 410, the left switching unit 420, the first switching base 404 in which the right switching unit 410 is located, and the left switching unit 420 is located and a second conversion base (405).

그리하여, 상기 대형 통상은 상기 우측 전환부(410)와 상기 좌측 전환부(420)의 이송에 따라, 기립한 상태로 이송되는 이송 상태가, 수평으로 뉘어지는 상태로 이송 상태가 전환된다. Thus,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of the right switching unit 410 and the left switching unit 420, the large cylinder is transferred from a state of being transported in an upright state to a state in which it is lying horizontally.

상기 우측 전환부(41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41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412), 및 상기 구동롤(411)과 회전롤들(412)을 따라 이송되는 우측 전환벨트(413)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좌측 전환부(420)도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롤(421),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송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회전롤들(422), 및 상기 구동롤(421)과 회전롤들(422)을 따라 이송되는 좌측 전환벨트(423)를 포함한다. The right shift unit 410 includes a driving roll 41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rotational rolls 412 that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maintain the tension of the conveying belt, and the driving roll 411 and rotational rolls ( 412), and similarly, the left shifting unit 420 also includes a driving roll 42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rotation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and maintains the tension of the transport belt. It includes the rolls 422 and the left shift belt 423 transferred along the driving roll 421 and the rotating rolls 422 .

이 경우, 상기 우측 전환벨트(413) 및 상기 좌측 전환벨트(423)의 사이로 상기 대형 통상(20)이 이송되는데, 이 경우, 상기 우측 전환벨트(413) 및 상기 좌측 전환벨트(4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유닛(400)의 초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환 베이스들(404, 405)에 수직인 상태로 기립되며 이송되지만, 상기 전환유닛(400)의 말단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환 베이스들(404, 405)과 평행한 상태로 이송된다. In this case, the large cylinder 20 is transferred between the right shifting belt 413 and the left shifting belt 423. In this case, the right shifting belt 413 and the left shifting belt 423 are, As shown in FIG. 8 , at the beginning of the conversion unit 400 , it is transported while standing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conversion bases 404 and 405 , but at the end of the conversion unit 400 . It is convey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diverting bases (404, 405).

그리하여, 상기 전환유닛(400)으로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진입한 상기 대형 통상(20)은, 상기 전환유닛(400)에 의해 기립 방향이 전환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전환 베이스들(404, 405)과 수평한 상태로 위치가 변환되며 이송된다. Thus, the large cylinder 20 entered in a vertically standing state with the switching unit 400 is converted by the switching unit 400 in the standing direction, and finally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bases The position is converted to a horizontal state with the 404 and 405 and transferred.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대형 통상은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상기 출구유닛(500)을 통해 외부로 반출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출구유닛(500)을 통해 반출되는 상기 대형 통상은 소터로 제공될 수 있다. Thus, finally, the large cylinder is carried out through the outlet unit 500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ground, and although not shown, the large cylinder carried out through the outlet unit 500 can be provided as a sorter. hav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출구유닛(500)에는, 대형 통상이 낙하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러한 거리센서의 측정에 의해, 상기 대형 통상이 낙하하는 위치에서 대형 통상이 추가로 소터로 제공되지 않은 등의 이유로 멈춘 상태로 위치하는 가의 여부르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outlet unit 5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falling position of the large barrel, and by measuring the distance sensor, the large barrel is dropped from the falling positio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large bin is located in a stopped state for reasons such as not being additionally provided as a sorter.

그리하여, 대형 통상이 소터로 제공되지 않고 멈춘 상태로 위치한다면, 상기 플랫 투입기(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Thus, if the large barrel is not provided as a sorter and is positioned in a stopped state, the operation of the flat inserter 10 may be stopp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가속유닛들을 구비하여 이송되는 대형 통상의 길이를 반복 측정함으로써,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형 통상을 한 개씩 낱개로 소터로 제공할 수 있어, 정확한 대형 통상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repeatedly measuring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to be transported with a plurality of acceleration units,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a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are transported overlapping each other, and thi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arge bins individually as a sorter, making it possible to accurately supply large bins.

이 경우, 대형 통상을 이송하는 이송유닛에서, 대형 통상의 양 측면에 접촉하여 대형통상을 이송시키는 벨트의 이송 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대형통상들이 중첩되어 이송되는 경우, 전체 대형 통상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유도되므로, 길이 측정을 통해 복수개의 대형 통상이 중첩되어 이송되는 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large cylinder, by controll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belt conveying the large cylinder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large cylinder differently, when a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are overlapped and transferred, the entire large cylinder Since the length is induced to increase, it can be easily determined whether a plurality of large barrels are conveyed overlappingly through the length measurement.

또한,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유닛으로 대형 통상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투입 롤러부의 벨트의 이송 방향과, 투입 롤러부에 마주하는 리버스 롤러부의 벨트의 이송 방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대형 통상이 복수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경우를 용이하게 판정하여 대형 통상이 한 개씩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 large cylinder is fed from the supply unit to the conveying unit, by controll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elt of the input roller part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elt of the reverse roller part facing the input roller par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large cylinders overlap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case of being transported and induce the large barrels to be accurately transported one by one.

또한, 대형 통상을 투입 롤러부의 벨트, 즉 투입벨트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하도록 석션부를 구비하고, 석션부를 통해 흡입되는 석션 효율을 투입벨트에 형성되는 관통홀들을 통해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suction unit is provided to more effectively attach the large barrel to the input roller belt, that is, the input belt, and the suction efficiency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input belt.

또한, 대형 통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대형 통상을 기립 상태로 유도하도록 투입롤러의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대형 통상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효과적인 투입이나 이송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형 통상이 가압하는 경우 투입의 중단을 유도하도록 가압롤러가 구비됨으로써, 대형 통상이 지나치게 기울어지거나 그 양이 많아 밀려 제공되는 것을 센싱하여 투입의 중단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put roller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cylinder to guide the large cylinder to a standing stat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effective input or transfer in a tilted state of the large cylinder. In this case, by providing a pressure roller to induce the interruption of the input when the large barrel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cess the interruption of the input by sensing that the large barrel is too inclined or the amount is too large to be pushed.

한편, 공급공간 상에 대형 통상이 위치하는 것을 센싱하는 위치확인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투입유닛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ositioning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large barrel on the supply space is additional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나아가, 전환유닛을 통해 수직으로 이송되는 대형통상을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전환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대형통상이 관성에 의해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소터로의 공급을 유도할 수 있다.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nduce a stable supply to the sorter, while converting the large cylinders transferred vertically through the conversion unit to be conveyed horizontally, and thereby preventing the relatively heavy large cylinders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due to inertia.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 플랫 투입기 20 : 대형 통상
100 : 공급유닛 101 : 공급공간
200 : 투입유닛 230 : 투입 롤러부
235 : 돌출부 236 : 관통홀
240 : 가압롤러 250 : 리버스 롤러부
260 : 제1 이송롤러 270 : 제2 이송롤러
300 : 이송유닛 310 : 제1 가속유닛
320 : 제2 가속유닛 311, 321 : 전단 센서
312, 322 : 후단 센서 330 : 제1 우측 이송부
340 : 제1 좌측 이송부 350 : 제2 우측 이송부
360 : 제2 우측 이송부 400 : 전환유닛
410 : 우측 전환부 420 : 좌측 전환부
500 : 출구유닛
10: flat inserter 20: large normal
100: supply unit 101: supply space
200: input unit 230: input roller unit
235: protrusion 236: through hole
240: pressure roller 250: reverse roller unit
260: first conveying roller 270: second conveying roller
300: transfer unit 310: first acceleration unit
320: second acceleration unit 311, 321: shear sensor
312, 322: rear end sensor 330: first right transfer unit
340: first left transfer unit 350: second right transfer unit
360: second right transfer unit 400: conversion unit
410: right conversion unit 420: left conversion unit
500: exit unit

Claims (13)

대형 통상이 공급되는 공급유닛;
상기 대형 통상을 한 개씩 구분하여 투입하는 투입유닛;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1 가속유닛, 및 상기 제1 가속유닛에 연속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며 이송시키는 제2 가속유닛을 포함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대형 통상을 반출시키는 전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가속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 supply unit to which a large container is supplied;
an input unit for separately inputting the large cylinders one by one;
a transfer unit including a first acceleration unit for measuring and transferring the inputted large cylinder, and a second acceleration unit for measuring and transferring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in succession to the first accelera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and includes a conversion unit for carrying out the large barrel,
Fla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unit is stopped when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measured by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is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measured by the first accele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복수의 대형 통상들을 기립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들을 한 개씩 구분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ly unit supplies a plurality of large barrels in a standing state in the first direction,
The input unit is a flat input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by dividing the large cylinders one by one, and switching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input to the transf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하는 투입 롤러부; 및
상기 투입롤러부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되는 대형 통상이 복수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버스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an input roller unit for putting the large cylinder into the transfer unit; and
and a reverse roller part disposed to face the input roller part and preventing a plurality of large barrels fed into the transfer unit from overlapp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롤러부는,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이송유닛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회전하는 투입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버스 롤러부는, 상기 투입벨트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버스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put roller unit includes an input belt rotating to transfer the large cylinder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The reverse roller unit fla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verse belt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nput bel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롤러부는,
상기 투입벨트를 회전시키는 투입 구동롤;
상기 투입벨트를 관통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상기 투입벨트 방향으로 흡입하는 석션부; 및
상기 투입 구동롤과 함께 상기 투입벨트를 회전시키는 투입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4, The input roller unit,
an input drive roll for rotating the input belt;
a suction unit passing through the input belt and sucking the large cylinder in the direction of the input belt; and
Fla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put roller for rotating the input belt together with the input drive ro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벨트에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석션부의 흡입력이 상기 대형 통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6.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input belt,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large cylind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롤러는,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대형 통상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상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5, The input roller,
Fla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cylinder to prevent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cylinder from incli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대형 통상이 밀려 가압되는 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nput unit,
The flat input machin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roller, and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roller for sensing whether the large cylinder supplied by the supply unit is pushed and pres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유닛은,
상기 투입롤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이 형성하는 공급공간에 상기 대형 통상이 위치하는 가의 여부를 센싱하는 위치확인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nput unit,
The flat inserter, arranged adjacent to the input roller,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ing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large barrel is located in the supply space formed by the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속유닛은, 상기 제1 가속유닛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된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 전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속유닛은, 상기 제2 가속유닛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 전단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단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가, 상기 제1 전단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대형 통상의 길이와 다른 경우, 상기 제2 가속유닛의 동작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celeration unit includes a first front end sensor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acceleration unit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input large normal,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includes a second front end sensor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The fla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measured by the second shear sensor is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large cylinder measured by the first shear senso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속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1 우측 이송부; 및
상기 대형 통상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우측 이송부의 이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1 좌측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cceleration unit,
a first right transfer uni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arge cylinder to transport the large cylinder; an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arge cylinder, the flat input machine comprising a first left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large cylinder at a speed different from the conveying speed of the first right conveying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속유닛은,
상기 대형 통상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2 우측 이송부; 및
상기 대형 통상의 타 측에 접촉하여, 상기 제2 우측 이송부의 이송 속도와 다른 속도로, 상기 대형 통상을 이송시키는 제2 좌측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acceleration unit,
a second right transfer uni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arge cylinder to transport the large cylinder; an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arge cylinder, the flat input machine comprising a second left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large cylinder at a speed different from the conveying speed of the second right convey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기 대형 통상을,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투입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rsion unit,
Fla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conveying direction so that the large cylinder, which is vertically moved by the conveying unit, is conveyed horizontally.
KR1020210033137A 2021-03-15 2021-03-15 Flat feeder KR102506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37A KR102506067B1 (en) 2021-03-15 2021-03-15 Flat fee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37A KR102506067B1 (en) 2021-03-15 2021-03-15 Flat fee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121A true KR20220129121A (en) 2022-09-23
KR102506067B1 KR102506067B1 (en) 2023-03-08

Family

ID=8344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137A KR102506067B1 (en) 2021-03-15 2021-03-15 Flat fee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06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22A (en) * 1993-06-25 1995-01-13 Toshiba Corp Paper sheet transfer device
KR20070109905A (en) * 2006-05-11 2007-11-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aper sheet separating and take-out device
KR20120097078A (en) * 2011-02-24 2012-09-03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Letter feeder supplying letters by the sheet
KR101270844B1 (en) 2011-11-02 2013-06-05 장희상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KR102192262B1 (en) 2018-12-11 2020-12-16 고성호 Sorting target Transfer and Bran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22A (en) * 1993-06-25 1995-01-13 Toshiba Corp Paper sheet transfer device
KR20070109905A (en) * 2006-05-11 2007-11-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aper sheet separating and take-out device
KR20120097078A (en) * 2011-02-24 2012-09-03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Letter feeder supplying letters by the sheet
KR101270844B1 (en) 2011-11-02 2013-06-05 장희상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KR102192262B1 (en) 2018-12-11 2020-12-16 고성호 Sorting target Transfer and Branc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067B1 (en)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4664B2 (en) Alignment transfer device for film unit with lens
CN102224093B (en) Conveying apparatus for envelopes and related methods
US20120118700A1 (en) Device for the return of empties, in particular plastic bottles and metal cans
JP2008503415A (en) Paper processing equipment
US4739606A (en) Conveyor means of system for in-line processing of envelopes and the like
JP2006515229A (en) How to sort flat mail items in distribution order
JP4824775B2 (en) Device for collating flat objects and for further conveying collated objects
CN211070897U (en) Sorting equipment
GB2279634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d-like articles
JPH10509094A (en) Equipment for sorting conveyed articles
JP2001515002A (en) Feeding device
KR20220129121A (en) Flat feeder
JP2006516471A (en) Thin stacking compartment for flat mail
US6520342B1 (en) Product handling apparatus
US6042102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transferring flat unit loads
JP7184426B2 (en) Conveying device, Conveying method and Conveying control program
US9174815B2 (en) Continuous printer and paper delivery system
KR20220052722A (en) Automatic Logistics Sorting Devices
JP2000095380A (en) Card-like article carrying device
KR20040035713A (e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a stack of sheet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US20230382582A1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packaging units into a transport container
JPH028123A (en) Feeder for paper sheets
JP2946301B2 (en) Mail direction change mechanism of mail sorting device
JPH08259016A (en) Paper sheets take out device and mail handling device
CN114313902A (en) Automatic part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