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508A - 이변 또는 고정 선택 기준들 마다의 디지털 콘텐츠 액세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통지 - Google Patents

이변 또는 고정 선택 기준들 마다의 디지털 콘텐츠 액세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통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508A
KR20220123508A KR1020227019361A KR20227019361A KR20220123508A KR 20220123508 A KR20220123508 A KR 20220123508A KR 1020227019361 A KR1020227019361 A KR 1020227019361A KR 20227019361 A KR20227019361 A KR 20227019361A KR 20220123508 A KR20220123508 A KR 2022012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tem
notification
watchlist
cri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리 윌리엄 프린츠
제이슨 심슨
리스 맥케인
Original Assignee
프롬프튜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롬프튜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프롬프튜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2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58Change logging, detection, and no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adapted to provide push services, e.g. data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8Content descriptor database or directory service for end-use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7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comprising parameters, e.g. for client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Abstract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의 사양 및 그 특성, 및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사용자의 기준들의 사양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관심 목록 아이템의 업데이트된 특성을 포함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업데이트 정보를 기록된 사양과 비교하는 단계, 및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사용자의 기준들이 만족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응답하여, 변화의 통지가 사용자에 대해서 생성된다. 이러한 방법은 기록된 특성을 관심 목록 아이템의 업데이트된 특성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변 또는 고정 선택 기준들 마다의 디지털 콘텐츠 액세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통지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이변 또는 고정 선택 기준들 마다의 디지털 콘텐츠 액세스 시스템 내에서의 사용자 통지(User Notification Within Digital Content Access Systems per Mutable or Fixed Selection Criteria)"(대리인 문서 번호 110707-8070. US00)이고 2019 년 11월 9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 62/933,40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데, 이러한 문헌의 콘텐츠는 모든 목적을 위하여 그들의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원용에 의해 통합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디지털 콘텐츠, 특히 비디오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시스템 및 아키텍처를 포함한다.
모든 방식의 미디어-예를 들어, 비디오, 음악, 텍스트 및 게임-가 도래함에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인터넷을 통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닌, 디지털 콘텐츠를 주문형으로 전달하는 견실한 비즈니스가 생겼다.
소비자에게 이러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현존하는 비즈니스의 예들은, 넷플릭스™(비디오의 제공자), 아마존 프라임™(비디오, 음악 및 텍스트의 제공자) 및 애플 아이튠스™(비디오, 음악 및 게임의 제공자)을 포함한다. 심지어, RF 송신에 의한, 유선 케이블 전달에 의한,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운영되어 온 텔레비전 프로그래밍 제공자, 예컨대 ABC, CBS 및 NBC(OTA 및 케이블을 사용함), 또는 AMC 또는 Bravo™(케이블만 사용함)도 이제 RF 및 케이블 전달 모드를 소위 스트리밍 서비스로 보완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이미 많은 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와 관련하여 빨리 세어 보아도 미국 내에는 적어도 30 개의 메이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개수는 본 명세서의 장래의 독자들에게는 진기하게 여겨질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및 다른 미디어 제공자-는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장점 또는 특성에 있어서 경쟁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의 사용자 및 운영자 양자 모두에 대한 광범위한 이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 중 일부가 나열된다. 이러한 목록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형태에서,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청 목록에 있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이 지원되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시청하기 위해서 새롭게 이용가능해지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러한 통지는 아이템(들)의 타이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청 목록에 있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이 사용자의 선호 제공자들 중 임의의 제공자로부터 새롭게 이용가능해질 경우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러한 통지는 아이템(들)의 타이틀(들) 및 그로부터 아이템이 새롭게 이용가능해지는 연관된 제공자(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청 목록에 있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에 대한 임의의 통지 기준들이 새롭게 만족될 경우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아이템의 가격이 떨어질 경우, 아이템의 제공 조건(offering terms)이 변하는 경우, 아이템의 이용가능한 해상도가 확장되는 경우, 또는 임의의 다른 통지 기준들이 만족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통지 기준들이 새롭게 만족되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통지 기준들이 새롭게 만족될 경우에만 사용자 통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동일하게 발생된 내용의 사용자 통지를 그 이후의 고정된 일수 동안에 하루에 한 번, 또는 이보다 더 빈번하거나 덜 빈번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피쳐는 사용자에 의한 명시적 제어 하에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은 사용자 통지를 다수의 형태로,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의 성능을 통하여 그리고 소셜 미디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양자 모두에 의해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피쳐도 마찬가지로, 또는 좀 더 일반적으로는 통지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도, 역시 사용자에 의한 명시적 제어 하에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일 통지는 다수의 타이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여러 타이틀에 대한 정보가 개별 통지들 내에서 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피쳐도 역시 사용자에 의한 명시적 제어 하에 있을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그룹 중에서, 그룹 멤버들 각각의 시청 목록에서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찾기는 명시적인 사용자 액션이 있을 때에,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는 제어부를 작동시키거나, 발화되거나 기록된 자연어 명령을 발행하거나, 또는 일부 다른 액션이 있을 때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임의의 명시적 사용자 액션과 비동기적으로(즉, 명시적 사용자 액션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지는 각각의 그룹 멤버에 대해서 생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사용자의 통지는 각각의 시청 목록에서 발견되는 아이템(들)의 타이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그룹 중에서, 그룹 멤버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선호 제공자로부터 역시 이용가능한, 그룹 멤버들 각각의 시청 목록에서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찾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찾기는 명시적인 사용자 액션이 있을 때에,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는 제어부를 작동시키거나, 발화되거나 기록된 자연어 명령을 발행하거나, 또는 일부 다른 액션이 있을 때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임의의 명시적 사용자 액션과 비동기적으로(즉, 명시적 사용자 액션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각각의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는 주어진 사용자에 대한 아이템(들)의 타이틀 및 그로부터 아이템(들)이 이용가능한 연관된 제공자(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은, 주어진 사용자에 대하여, 대상 사용자가 친교 그룹을 함께 형성하려고 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개인을 사용자들의 커뮤니티 내에서 찾을 수 있고, 대상 사용자 및 후보 친교 그룹 멤버들에게 이러한 찾기 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후보 또는 실제 친교 그룹 멤버들 사이에서 통신을 구축하고 수행하기 위한 규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생성, 유지보수 및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피쳐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멤버쉽은 상기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 동의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러한 피쳐는 그룹 멤버들 사이에서의 텍스트 통신 및 다른 형태의 통신에 대한 지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소개되는 기법들은 후속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참조함으로써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도면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디바이스, 재료 또는 메커니즘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오직 예를 들기 위한 것이고 본 명세서에 표현된 기술적 사상의 적용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 1: "줄리 크리스티가 나온 영화 보여줘"라는 질의에 대한 예시적인 뷰파인더™ 응답(Example ViewFinder™ Response to Query "Show me movies with Julie Christie"). 디스플레이된 각각의 타이틀의 하단 중앙에 있는 인간의 눈의 양식화된 작은 그림에 주의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타이틀을 사용자의 시청 목록에 추가하도록 허용하는 콘트롤의 일 예이다. 이것은 오직 하나의 예일 뿐이고 한정하거나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도 2: 뷰파인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의 시청 목록의 예(Example of a Watch List in the ViewFinder™ Application).
이러한 시청 목록은 5 개의 비디오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는 세 개 중 한 개만이 스트리밍을 위해서 이용가능하다.
도 3: 다수의 제공자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비디오의 예(Example of Video Available from Multiple Providers).
각각의 제공자가 해당 비디오를 상이한 가격에서 제공한다는 것에 주의한다. "시청 목록에 추가(Add to Watch List)"라고 명명된, 상부 우측 코너 근처의 인간의 눈의 양식화된 그림에 역시 주의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타이틀을 사용자의 시청 목록에 추가하도록 허용하는 콘트롤의 다른 예이다. 이것은 오직 하나의 예일 뿐이고 한정하거나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도 4: 예시적인 뷰파인더™ 선호 스트리밍 서비스 선택 스크린(Example ViewFinder™ Preferred Streaming Services Selection Screen). 녹색 점검 마크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아이콘(백색 원 위를 터치함으로써 반영됨)이 사용자에 의해서 "선호되는(preferred)" 것으로 선택된다. 이것은 오직 하나의 예일 뿐이고 한정하거나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도 5: 예시적인 운영 시스템 가격 하락 통지(Example Operating System Price Drop Notification). 이것은 태블릿 디바이스 운영 체제의 성능을 통하여 전달되는 통상적인 사용자 통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통지는 텔레비전 에피소드들의 전체 시즌이 이제 콘텐츠 제공자인 "넷플릭스™(Netflix™)"의 가입자에 의해서 무료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도 6: 일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컴포넌트(Exampl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콘텐츠 제공자(011, 012, 013 및 014)의 타입 및 개수, 메타데이터 집합기(metadata aggregators; 021 및 022), 시스템 서버(030), 사용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041, 042, 043, 044, 045a, 045b) 및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050)는 오직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한정하거나 정의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시스템 내에서의 이러한 컴포넌트 및 그들의 기능은 오직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한정하거나 정의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더욱이, 비록 오직 하나의 시스템 서버가 도시되지만, 실무에서 이러한 기능의 실제 구현형태는 다수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서버에 의해서,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을 사용하며, 부하 밸런싱을 통한 확장가능성, 및 리던던시, 지리적 국지화 및 기타 등등을 통한 신뢰도를 제공하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여러 개 안에 속하는 개별적인 물리적으로 별개의 서버는 동일한 기능, 컴포넌트, 및 그 외의 동작 세부사항을 포함 또는 구현할 수 있고, 또는 기능, 컴포넌트 및 그 외의 동작 세부사항에 관하여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7: 일 실시형태 내의 예시적인 데이터 흐름(Example Data Flows Within An Embodiment). 모든 타입의 가능한 데이터 흐름 모두가 표시된 것은 아니다. 표시된 연결 및 데이터 흐름은 오직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한정하거나 정의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도 8: 예시적인 시스템 서버 컴포넌트 및 데이터 흐름(Example System Server Components and Data Flows). 표시된 컴포넌트 및 연결은 오직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한정하거나 정의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더욱이, "프로세스 및 기능" 사이, 그리고 "저장된 대상물 및 데이터 베이스" 사이의 구별은 어렵지 않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및 기능은 데이터를 휘발성 및 비-휘발성 양자 모두의 메모리 내에 저장하고 그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데이터 베이스 및 다른 저장 모달리티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그로부터 판독하는 것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들은 흔히 상기 데이터를 다양한 제어, 알고리즘 또는 명령에 따라서 검색, 정렬, 선택, 취출 및 그렇지 않으면 조직화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든 프로세스 및 기능, 모든 저장된 객체 및 데이터 베이스, 및 모든 데이터 흐름 및 통신 경로가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기능성 유닛으로 묘사되지만, 표시된 프로세스 및 기능, 및 저장된 객체 및 데이터 베이스는 사실상 다수의 별개의 물리적 서버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별개인 것으로 묘사되지만, 모든 저장된 대상물 및 데이터 베이스가 실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파일 및 계정 레코드(user profiles and account records; 860)"는 "그룹 후보 풀(group candidate pool; 870)"과 동일한 데이터 베이스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사실상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나의 저장된 객체 내에 상주하는 것으로 도시되는 데이터는 사실상 다수의 저장된 객체들 사이에서 하위분할될 수 있다.
도 9: 사용자 통지를 획득하는 방법(A Method of Achieving User Notification).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사용자 통지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10: 예시적인 사인-인 / 사인-업 스크린(Example Sign-In / Sign-Up Screen)
도 11: 예시적인 이용가능성 통지(Example Availability Notification). 이것은 스마트 폰으로 향하는 SMS 메시지로서 전달되는 통상적인 사용자 통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도면의 텍스트가 주어진 콘텐츠 아이템이 무료로 이용가능하다고 표시하고 있지만, 실제 트리거링 이벤트는 표시된 아이템이 애초에 스트리밍을 위해서 이용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도 12: 후보 친교 그룹의 사용자 통지를 검색하고 획득하는 방법(A Method of Finding and Achieving User Notification of Candidate Affinity Groups). 이러한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후보 친교 그룹의 사용자 통지를 검색하고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13: 후보 친교 그룹의 사용자 통지를 검색하고 획득하는 방법(비동기식 변형예)(A Method of Finding and Achieving User Notification of Candidate Affinity Groups, Asynchronous Variation). 이러한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후보 친교 그룹의 사용자 통지를 검색하고 획득하는 방법을 함께 포함하는 흐름도들의 쌍이 도시된다.
도 14: 주어진 사용자 그룹에 상호 허용가능한 콘텐츠의 사용자 통지를 검색하고 획득하는 방법(A Method of Finding and Achieving User Notification of Content Mutually Acceptable to a Given User Group).
도 15: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동작이 그 안에서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A Block Diagram that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mputing System in Which at Least Some Operation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전문용어
본 명세서의 타이틀 및 내용 양자 모두에서 나타나는 "기준들(criteria)"이라는 단어는 공칭적으로 복수이다. 그러나, 타이틀 및 내용 양자 모두에서, 이것은 명시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형 및 단수형 양자 모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준들"이라는 단어는, 명시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표시되지 않는 한 "기준 또는 기준들(criterion or criteria)"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금부터, 개별적인 디지털 콘텐츠 아이템은 "아이템(item)", "자산(asset)", 또는 "타이틀(title)"이라고 다양하게 불릴 것이다; 명시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진술되지 않는 한 이들은 균등물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콘텐츠(content)"라는 단어는 그 의미를 바꾸지 않으면서 선행하는 구문들 중 임의의 구문 내의 명사 앞에 삽입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 아이템이 디지털 비디오라면, 이것은 "비디오(video)"라고도 불릴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의 콘텍스트에서도 마찬가지로, 아이템은 관련된 비디오의 콜렉션, 예를 들어 텔레비전 에피소드의 창작물의 에피소드들의 전체 시즌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간단히 "콘텐츠(content)", "자산(assets)", "타이틀(titles)", "아이템(item)" 및 그 유의어로 불릴 수 있다.
소비자에게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엔티티(통상적으로는 이윤을 추구하는 비즈니스이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님)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digital content service)", "콘텐츠 서비스(content service)", 또는 콘텍스트로부터 명백하다면, 간단히 "서비스(service)"라고 불릴 것이다; "제공자(provider)"라는 단어 도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서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digital content provider)",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또는 "제공자(provider)"에서와 같이 임의의 이러한 어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를 하나의 전체의 완료된 객체로서가 아니라 스트림으로서 전달하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는 "스트리밍 서비스(streaming service)", 또는 역시 콘텍스트로부터 명백하다면, 간단히 "서비스(service)"라고 불릴 것이다. (이것은 콘텐츠 아이템을 하나의 전체의 완료된 객체로서 전달하는 것으로부터의 임의의 "서비스"를 배제하지 않는다.) 특정 타입의 미디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가리키는 것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video streaming service)"에서와 같이 그러한 의미에 맞는 기술적인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탈로그(catalog)"라고 축약되는 "콘텐츠 카탈로그(content catalog)"는 주어진 제공자에 의해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목록이다. 가장 최소화된 형태에서는, 이러한 목록은 명칭 또는 각각의 제안된 콘텐츠 아이템을 식별하는 다른 수단을 상술한다. 통상적으로, 어떤 아이템에 대한 목록 엔트리는 추가적인 설명적 세부사항, 예컨대 아이템 타입(예를 들어, 비디오, 오디오 레코드, 컴퓨터 게임), 가격 및 제공 조건, 및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때에 소비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 디지털 콘텐츠 아이템 자체가 소비자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시청, 청취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용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대상 아이템에 대한 앞서 언급된 설명적 세부사항은 "메타데이터(metadata)"라고 불린다. 그러므로, 각각의 서비스는 콘텐츠 아이템-"데이터(data)"-및 앞서 언급된 설명적 세부 사항-"메타데이터(metadata)"- 양자 모두를 일반적으로 처분한다는 것에 주의한다.
주어진 콘텐츠 아이템이 두 개 이상의 제공자의 카탈로그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각각의 콘텐츠 제공자는 자기 자신의 카탈로그를 가진다. 각각의 아이템에 대하여 각각의 제공자에 특정한 하나 이상의 제공하는 제공자, 및 가능하게는 별개의 제공 조건 및 다른 특성(예를 들어, 비디오 해상도)을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다수의 제공자로부터의 메타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카탈로그는 "통합된 카탈로그(consolidated catalog)"이다. 통상적으로, 통합된 카탈로그는 메타데이터만을 포함하고, 실제 콘텐츠 아이템 자체는 포함하지 않는다. 통합된 카탈로그, 또는 임의의 기능적으로 유사한 저장소 내에 저장되는 정보는 "메타데이터(metadata)" 및 "특성(characteristics)" 양자 모두로 다양하게 불릴 것이다. 특히, "관심 아이템 특성(item of interest characteristics)", "관심 아이템 메타데이터(item of interest metadata)", "목록 아이템 특성(list item characteristics)" 및 "목록 아이템 메타데이터(list item metadata)"라고 부르는 것은 하나의 동일한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제공 조건"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상업적인 상업적 트랜잭션을 위한 콘텐츠 제공자의 조건을 의미하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주어진 가격에서의, 또는 무료로의 판매 또는 대여이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공 조건(offering terms)"에 대해서 "사용 조건(terms of use)"이라는 단어들도 사용될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많은 수의 콘텐츠 제공자가 이미 존재하고 있고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대상인 시스템은 많은 콘텐츠 제공자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자신의 사용자를 대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제공자가 시스템에 의해서 모니터링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카탈로그가 시스템의 주어진 인스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그러한 제공자들은 해당 인스턴스의 "지원되는 제공자(supported providers)"라고 불릴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의 인스턴스의 사용자는 특정한 제공자만의 제공에 관련된 통지를 제공하고, 더 일반적으로는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 및 이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특정 제공자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시스템에게 명령하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현재 구독된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구독을 고려하고 있는 그러한 제공자에만 관련된 통지를 소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사용자들의 그룹 내에서 해당 사용자가 현재 특정한 제공자에만 구독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를 희망할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특정 제공자에게 구독하거나 구독을 해제하는 것 중 임의의 것의 이점을 탐구하는 것을 희망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제공자는 사용자의 "선호 제공자(preferred providers)"라고 불릴 것이다. 앞선 예는 오직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나열되고, 선호 제공자의 유틸리티의 선택 또는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선호 제공자는 자동 수단에 의하여(즉, 사용자에 의한 명시적 액션이 없이), 예를 들어 주어진 콘텐츠 제공자에게 특이적인 설치된 콘텐츠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검사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는 이미 충분히 견실해서, 일부 개수의 콘텐츠 서비스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만을 수행할 수 있는 상업 기업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추가적인 상업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비즈니스는 "메타데이터 집합기(metadata aggregator)"라고 불릴 것이다.
"사용자(user)" 및 "소비자(consumer)"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본 발명 자체를 사용(예를 들어, 시청, 청취, 읽기, 재생, 등)하는 개인 또는 개인들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상호교환가능하도록 사용될 것이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 폰(예를 들어, 애플 아이폰(Apple iPhone)™), 태블릿(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탭 A(Samsung Galaxy Tab A) 10.5™), 랩탑(예를 들어, 델 인스피론(Dell Inspiron)™),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유사한 성능의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이러한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를 얻고 시스템의 장점을 향유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라고 불릴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이들은 "사용자 태블릿 디바이스(user tablet device)",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user mobile device)", "사용자 랩탑 디바이스(user laptop device)" 등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전력이 끊겼을 때, 즉,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다; 이러한 메모리는 "저장소(storage)"라고도 불릴 것이다. 이러한 동일한 단어들은 메모리 및 저장 미디어를 휘발성이거나 그렇지 않거나와 무관하게 전체적으로 가리키거나,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일부 다른 디바이스의 일부를 가리키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모든 것을 망라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관련된 개념 또는 단어의 의미의 정의는 본 명세서의 내용의 다른 곳에서 나타날 수 있고, 또는 콘텍스트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플랫폼(Platform)
본 발명의 플랫폼은 관심 콘텐츠를 검색 및/또는 소비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인터넷을 거쳐서 액세스된 연관된 서버 컴포넌트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시스템은 연관된 서버 컴포넌트가 없이 시스템 자체에서 동작하는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서버 컴포넌트로부터 공칭적으로 페치되는 메타데이터에 사용자 디바이스가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아키텍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시스템 자체에서 동작하며 종래의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특정한 목적에 맞게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다. 이것은 개별적인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를 웹 서버에 저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아키텍처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연관된 서버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이러한 시스템의 일 예는 프롬프튜(Promptu) 시스템 코포레이션의 뷰파인더(ViewFinder)™ 시스템이다. 도 1은 "쥴리 크리스티가 나오는 영화를 보여줘(show me movies with Julie Christie)"라는 질의가 제시될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뷰파인더™ 에 의해 제공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사용자가 콘텐츠를 검색하고 즉시 소비하는 것을 돕는 것도 가능하지만 -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역시 수행할 수 있거나, 수행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호출하는 기능 -,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동 수단에 의하여 "관심 목록(interest list)"을 생성 및 유지하거나 생성하고 유지해 오도록 할 수도 있다. 관심 대상인 미디어가 디지털 비디오인 경우, 이것은 "시청 목록(watch list)"이라고 불린다. 미디어가 디지털 음악이라면, 이것은 "청취 목록(listen list)"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그 외의 미디어 타입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시청 목록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관심 목록에 있는 아이템은 "관심 아이템(interest item)", "관심 아이템(item of interest)", "모니터링된 아이템(monitored item)", 또는 콘텍스트로부터 명백하다면 간단히 "아이템(item)"이라고 다양하고 등가적으로 불릴 수 있다. 관심 목록 자체도 "관심 목록의 아이템(items of interest list)"이라고 다양하고 등가적으로 불릴 수 있는데, 이것은 "관심 목록 아이템(interest list items)" 및 이와 유사하게 "관심 아이템(items of interest)"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관심 아이템, 또는 모든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준들을 사용자가 특정하기 위한 수단을 역시 제공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만족될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이벤트를 통지하기 위한 이유들을 구성한다. 이러한 기준들의 예는, 임의의 제공자로부터의 아이템의 이용가능성, 특정 제공자로부터의 이러한 아이템의 이용가능성, 아이템의 드롭인 가격(drop in price)(미리 결정된 임계보다 낮을 수 있음),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렌트하기 위한 아이템의 이용가능성, 특정 비디오 해상도, 또는 일부 다른 특성 또는 특성들의 조합에서의 아이템의 이용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소위 "선택 기준들(selection criteria)"이다; 이러한 기준들은 가끔 "통지 기준들(notification criteria)"이라고도 불릴 것이다.
일부 선택 기준들은 특정 제공자로부터의 이용가능성 내에서 특정한 값을 획득하는 경우에 만족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한다. 다른 선택 기준들은 일부 특성, 예컨대 드롭인 가격에서의 변화에 의해서 만족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앞서 언급된 선택 기준들은 사용자에 의해서 공칭적으로 지정될 수 있고,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명칭의 의미에서는 "쉽게 변할 수 있다(mutable)". 그러나 선택 기준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의 과거의 거동, 명시적으로 선언된 관심 분야(interests) 또는 우선순위, 또는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다른 특성 또는 정보로부터 전체적이거나 부분적으로 고정되거나,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추론될 수 있는 시스템의 다른 버전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아키텍처 및 피쳐는 사용자들의 커뮤니티, 즉,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은 이를 통하여 이네이블되고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개별적인 사용자 계정 또는 로그인을, 이러한 능력의 내장된 구현형태에 의하거나 이러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존하는 상업적 메커니즘을 활용함으로써 생성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후자의 일 예는 시스템 계정을 사용자의 "애플 ID(Apple ID)"에 첨부하는 것일 것이다. 이러한 개별적인 사용자 계정은 관련된 사용자 특성,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청 목록, 선호 서비스, 통지 기준들, 검색 이력 또는 시청 이력을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추가하여,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 친교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그들의 시청 목록 또는 다른 관련 정보를 공유하도록 상호 합의한 두 명의 사용자 또는 나의 시스템 사용자들은 이를 통하여 이하 설명되는 유용한 특정 시스템 피쳐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은, 예를 들어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사용자들에게 상호 소개함으로써, 친교 그룹 멤버쉽을 자동으로 발견하거나 제안하기 위한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이전에는 서로 알지 못했을 수도 있는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사용자들 사이, 또는 친교 그룹의 세 명 이상 또는 두 명의 멤버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위한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친교 그룹은 간단하게 "그룹(group)"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한 타이틀 추천을 공유하거나 그들의 전체 시청 목록을 공유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하는 것은 한 명의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시스템의 현재 사용자일 수도 아닐 수도 있는 한 명의 개인에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친교 그룹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Preferred Embodiments)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우리는 이러한 시스템을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자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이 간헐적으로 연결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서버 컴포넌트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명확화를 위한 오직 하나의 예로서 제시될 뿐이고, 한정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설명은, 해당 미디어의 제공자로부터 이용가능하고, 시스템의 다른 아키텍처에 이용가능하도록 전달되는 모든 방식의 디지털 미디어로 적절한 방식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은은 다수의 형태, 구조, 변형예 또는 아키텍처로 존재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에 대해서 유사하거나 중첩되거나 상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설명을 시작하면서, 우리는 디지털 비디오의 소비자가 여러 영화들 중 하나를 시청하는 데에 관심을 가질 수 있지만, 이것은 주어진 가격 이하에서만 이용가능하거나, 이러한 사용자가 현재 구독중일 수 있는 특정 스트리밍 서비스로부터만 이용가능하거나, 또는 일부 다른 특성 또는 특성들의 세트를 만족시킬 때에만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관찰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들은 영화관을 싫어할 수도 있고(영화표의 가격이 너무 비싸다! 모든 좋은 자리들은 이미 팔렸다! 그리고 당신은 영화를 볼 때 영화에 대해서 시끄럽고 열정적으로 토의하고 싶어하는 사람 옆에 당신이 앉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없다t.), 따라서 주어진 타이틀이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이용가능해지는 것을 열정적으로 기다리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소비자들은 특정 해상도 이상의 비디오만을 시청하기를 소망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및 다른 미디어 제공자들의 견실한 비즈니스 생태계가 이미 존재한다. 이러한 제공자들은, 제공 조건(예를 들어, 가입, 콘텐츠 아이템을 대여하기 위한 가격, 콘텐츠 아이템 등을 구입하기 위한 가격), 가입 가격, 개별적인 자산의 가격, 카탈로그 크기(즉, 해당 서비스로부터 이용가능한 자산들의 크기), 장르의 범위 및 특정성, 각각의 장르 내에서의 제공되는 깊이, 비디오 종횡비(예를 들어, 4×3, 16×9, 16×10, 및 다른 것), 비디오 해상도(예를 들어, 고선명 또는 HD, 풀 HD 또는 FHD, 울트라 HD 또는 4K, 8K, 등), 비디오 녹화 포맷 및/또는 코덱, 오디오 샘플링 레이트(예를 들어, 44.1 KHz, 48 KHz, 96 KHz, 및 기타 등등), 오디오 녹음 포맷 및/또는 코덱(예를 들어, MP3, PCM 및 기타 등등)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그리고 모든 시장성이 있는 장점 또는 특성에 대해서 경쟁한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서비스에 관련되거나 해당 서비스에 의해서 제공되는 개별적인 자산에 관련될 수 있는 장점 및 특성의 앞서 나열된 목록은 길긴 하지만 망라적인 것은 아니다. 모든 특성들이 모든 미디어 타입과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일부 특성, 예를 들어 가격은 일부 사용자에게는 관심 대상일 수 있지만 그 외의 사용자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유사한 코멘트가 비디오 해상도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4K 또는 8K 비디오 모니터를 가지지 않는 소비자는 비디오 콘텐츠가 이러한 해상도에서 이용가능한지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반면에 이러한 모니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최대로 활용할 콘텐츠를 열정적으로 찾고 있을 수도 있다.
각각의 서비스의 카탈로그가 나열된 타이틀들, 및 임의의 주어진 타이틀의 특성 양자 모두에 관련하여 자주 변경될 수 있을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곧 출시될 영화인 "스타 워즈: 스카이워커의 도래(Star Wars: Rise of Skywalker)"(본 명세서를 작성할 시점에 출시될 예정임)는 다른 어느 곳에서도 스트리밍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이러한 영화가 여전히 생산 중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재 2019 년 12 월에 영화관에 릴리스될 것으로 스케줄링되어 있다. 그 이후의 일부 시간에 이것은 아마도 우선 구입을 위해서, 그리고 그 후에는 대여를 위해서,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무료로 "디즈니플러스(Disney+)™" 스트리밍 서비스로부터 이용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그래비티(Gravity)"와 같이 볼거리가 풍성한 영화는 우선 HD로 이용가능하고, 그 후에 울트라 HD로, 그리고 그 후에 8K로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개념적인 것이다; 본 명세서를 작성할 때 "그래비티(Gravity)"가 이용가능한 비디오 해상도는 저자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소비자가 언제 하나의 또는 여러 영화의 특정한 특성이 변하는지를 소비자의 선택 기준들에 유리한 방식으로 알게 되는 것은 가치가 있는 일이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많은 개수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와 특정 비디오에는 많은 수의 특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주어진 하나의 비디오가 다수의 스트리밍 서비스로부터 이용가능하지만 변하는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예가 도 3에 나타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영화들로부터, 이들 중 어느 것이 사용자의 기준을 현재 만족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 여기에서 상기 기준들은 해당 개별 사용자에게 특이한(idiosyncratic) 것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정은 사용자의 수동 동작에 의해서, 각각의 특정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이용가능한 모든 검색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고된 작업이고, 스트리밍 서비스 카탈로그에 대한 앞서 언급된 매우 빈번한 업데이트에도 불구하고, 일부 특정 영화들, 또는 심지어 특정한 영화들(즉,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영화들을 포함함)이 사용자의 선택 기준들을 만족시키려면 오래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영화를 관람하는 것이 사회적인 활동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관심 영화에 대해서, 일부 서비스의 카탈로그, 조건 또는 다른 자산 특성 또는 특성들이 이제 만족된다는 통지를 비동기적으로 수신한다면 사용자에게 가치있는 것이 될 수 있다(이를 위해서 영화를 함께 볼 다른 사람들을 조직하기 위한 초대를 발행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는 공칭적으로 시스템 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고, 본 명세서는 한정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이제 규정된 선택 기준들과 매칭되는 모니터링된 아이템의 사용자 통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버전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앞서 언급된 선택 기준들을 특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다수의 특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하는 것은 (a)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콘트롤 또는 소프트 콘트롤을 작동시킴으로써 영향받을 수 있거나, (b) 사용자 디바이스에 자연어 명령을 말을 통해서 하거나 타이핑함으로써 영향받을 수 있거나, (c) 명시적인 사용자 액션이 없이, 과거의 사용자 거동 또는 다른 사용자 특성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거나, (d) 일부 다른 수단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특정이 없으면, 선택 기준들은 하나 이상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정, 예를 들어 "임의의 관심 아이템이 선호 제공자로부터 새롭게 이용가능하게 되었음(any item of interest becomes newly available from a preferred provider)"으로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가 시청할 가능성이 있는 비디오의 시청 목록(일반적으로, "관심 목록")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결정 선택 기준들을 시청 목록에 있는 각각의 비디오와 선택적으로 연관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앞선 문단, 또는 다른 문단에서 언급된 선택 기준들을 특정하기 위한 수단들 중 임의의 수단이, 시청 목록을 생성하고, 선택 기준들을 시청 목록에 있는 비디오와 연관시키는 것 두 가지 모두를 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선택 기준들이 시청 목록에 있는 모든 비디오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어떠한 선택 기준도 시청 목록에 있는 비디오와 연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시청 목록은 이러한 경우에, 어떤 비디오가 관심 비디오인지를, 그리고 사용자가 비디오의 특성에서의 변화에 관련된 통지를 찾지 않는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단지 상기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어떤 아이템이 시청 목록에 배치되면, 해당 아이템에 대한 선택 기준들의 현재 값도 역시 기록된다. 이러한 값들은 각각의 선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 별개로 기록될 수 있다. 소망되는 정보가 즉시 이용가능하지 않거나, 관심 대상이 아니라면, 이러한 값들은 "비어 있음(empty)"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는 연관된 선택 기준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러한 값들은 기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현재 또는 장래에, 임의의 지원되는 선택 기준들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아이템 메타데이터도 역시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우리는 이러한 아이템 메타데이터를 아이템 "특성(characteristics)"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그러므로, 양자 모두의 선택 기준들, 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이 특정 제공자로부터 이용가능하다는 사실, 또는 특정 가격으로 이용가능하다는 사실, 또는 특정 비디오 해상도에서 이용가능하다는 사실, 및 해당 기준들과 연관된 현재의 값, 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는 제공자들의 현재 목록, 또는 이것이 특정 제공자로부터 이용가능해지는 현재 가격, 또는 이것이 임의의 제공자로부터 이용가능해지는 현재의 최저 가격, 또는 이것이 이용가능한 현재의 최고 비디오 해상도, 또는 임의의 지원되는 선택 기준들에 대한 현재의 값들이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기록될 수 있다. 후속하는 부분에서, 우리는 어떤 아이템이 시청 목록에 배치된 시간에 기록된 메타데이터를 추후의 시간에 수신된 아이템과 연관된 메타데이터와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우리는 전자를 "현재 메타데이터(current metadata)"라고 부르고 후자를 "업데이트 메타데이터(update metadata)" 또는 "업데이트된 메타데이터(updated metadata)"라고 부를 수 있다. 또는, 우리는 유사하게 "현재 특성(current characteristics)" 및 "업데이트 특성(update characteristics)" 또는 "업데이트된 특성(updated characteristics)"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만일 콘텍스트로부터 명백하다면, 우리는 "현재 메타데이터(current metadata)"를 간단하게 "메타데이터(metadata)"라고 부를 수 있고, 유사하게 "현재 특성(current characteristics)"을 간단하게 "특성(characteristics)"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바람직한(preferred)" 서비스는 (a) 시스템에 알려져 있는 모든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b) 사용자가 현재 구독중이거나 관심이 있다고 다른 방식으로 선언한 바 있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c) 사용자가 임의의 개별적인 모니터링된 아이템과 연관시킨 바 있는 특정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서비스들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관심이 있는 것으로 지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이 존재한다면, 이것은 사용자가 선택 기준들을 특정하기 위한 앞서 언급된 수단의 일 예일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은 사용자 디바이스로 들어가는 발화되거나 타이핑된 자연어 명령, 및 명시적 사용자 액션이 없이 과거의 사용자 거동 또는 다른 사용자 특성으로부터 추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이 이루어지면, 관심 목록에 있는 각각의 아이템은 이제, 정의에 의하면 "모니터링된 아이템(monitored item)"이 된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아이템에 대한 선택 기준들이 언제 수행되었는지를 통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선택 기준들은 아이템이 임의의 선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로부터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아이템은, 일부 규정된 양만큼, 또는 규정된 임계보다 아래로, 또는 무료로 이용가능할 수 있는 해당 아이템의 드롭인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구입으로부터 대여까지와 같은 사용 조건에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콘텐츠 품질 등급, 예컨대 "메타비평(Metacritic)" 점수의 지정, 또는 역시 "메타비평(Metacritic)" 점수와 같은 동적으로 변하는 등급이 주어진 임계보다 높아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은 구체화를 위해서 나열되고, 한정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사용자 통지를 획득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것은 이러한 방법 중 유일한 것이 아니다; 후속하는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한정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지금부터 제공되는 설명은 도 9를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된다; 인용되고 번호가 부여된 단계들은 해당 도면 내의 단계들에 대한 레퍼런스들이다. 우리는 또한 도 7에서 도시되는 컴포넌트 및 데이터 흐름도 참조할 것이다; 참조할 때 우리는 이러한 도면을 명시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
우리는 도 9에 표시된 방법의 단계들의 간략한 요약을 먼저 제공하면서 이들을 설명할 것이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적절한 데이터 소스에게 각각의 모니터링된 아이템의 현재의, 가능하게는 업데이트된 특성을 결정하도록 질의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하루에 한 번 수행될 수 있다. 현재 설명되고 있는 구성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소스는 앞서 언급된 서버 컴포넌트에 상주한다. 페치된 특성은 최소한 선택 기준들에 의해 결정된 것들을 포함한다. 이렇게 획득된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특성은 이제, 서버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과 비교된다. 이러한 비교 결과 모니터링된 아이템에 대한 선택 특성이 현재 완전히(또는 일부 인스턴스들에서는 부분적으로) 만족된다는 것이 드러나면, 사용자는 이러한 이벤트에 대해서 통지받는다. 그러면, 업데이트된 특성은 현재 저장되어 있는 특성을 대체하면서 사용자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다. 그러면, (a) 장래의 시간에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 이러한 방법이 중복된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게 하지 않는다는 것 및 (b) 마찬가지로 선택 기준들을 만족시키는 임의의 미래 목록 아이템 특성에 대한 변화가 방법이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게 할 것의 양자 모두가 가능해지게 된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방법의 단계들을 자세하게 검토한다. 당업자에게는, 본 명세서에서 그리고 도 9에서 제공된 단계 또는 액션들의 시퀀스가 동일한 효과를 마찬가지로 얻으면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통지 기준들을 사용자 디바이스 저장소로부터 취출하는 액션인 단계(0925)는 도면에 표시된 것보다 이러한 방법에서 더 일찍 일어날 수 있다; 사실상, 이것은 시스템 서버에서 수행되고 있는 액션, 예를 들어 단계(0915)의 액션과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목록 아이템 특성을 그것의 업데이트된 특성으로 대체하는 단계(0945)는, 표시된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0940) 이전에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일 액션 내에서 완료되는 것으로 도시된 단계들, 예컨대 관심 목록 아이템을 사용자 디바이스 저장소로부터 취출하는 단계는, 그 대신에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동일한 효과를 여전히 달성할 수도 있다. 사실상, 이러한 코멘트는 도 9의 동작들을 실행하는 것 전체에 적용된다.
0905로 명명된 첫 번째 단계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관심 목록 아이템, 및 그들의 연관된 특성을 사용자 디바이스 저장소로부터 취출한다.
0910으로 명명된 다음 단계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업데이트되었을 수 있는 특성을 검색할 목록 아이템을 포함하는 질의를 시스템 서버에 전송한다. 연관된 데이터 흐름이 사용자-서버 목록 아이템 메타데이터 질의인 데이터 흐름(104)으로서 도 7에 표시된다.
0915로 명명된 다음 단계에서는, 시스템 서버가 앞서 언급된 질의를 수신하고, 시스템 서버 저장소로부터 각각의 목록 아이템에 대한 업데이트되었을 수 있는 특성을 수신한다.
0920으로 명명된 다음 단계에서는, 시스템 서버가 업데이트되었을 수 있는 목록 아이템 특성을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연관된 데이터 흐름은 서버-사용자 목록 아이템 메타데이터 질의 응답인 데이터 흐름(105)으로서 도 7에 표시된다.
0925로 명명된 다음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목록 아이템 업데이트된 특성을 수신하고 사용자 디바이스 저장소로부터 사용자 통지 기준들을 취출한다.
0930으로 명명된 다음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단계(0905)에서 취출된 관심 목록 아이템 특성을, 단계(0925)에서 수신된 업데이트되었을 수 있는 관심 목록 아이템 특성 및 단계(0925)에서 취출된 사용자 통지 기준들과 비교한다.
0935로 명명된 다음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단계(0930)에서 수행된 비교의 결과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통지 기준들이 만족되었는지를 결정한다.
0940으로 명명된 다음 단계에서는, 단계(0935)의 결정에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표시된 통지를 생성한다. 하나의 통지가 하나 이상의 통지 기준들을 만족시키는 두 개 이상의 관심 아이템을 나열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자 통지의 형태 또는 매체, 예를 들어 운영 체제 통지, 인-앱 통지, SMS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소셜 미디어 메시지, 또는 일부 다른 형태에 의존하여, 상기 사용자 통지를 생성하는 것이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에게 이러한 통지의 콘텐츠 및 수신자를 시그널링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0945로 명명된 다음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저장된 현재의 관심 목록 아이템 특성을 업데이트되었을 수 있는 관심 목록 아이템 특성으로 대체한다. 이들 특성들이 동일한 경우, 다르게 말하면 현존하는 특성 및 업데이트되었을 수 있는 특성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없다면, 이러한 동작을 스킵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단계(0915, 0920) 및 다른 단계에서 상세히 설명된 관심 목록 아이템 업데이트된 특성의 생성 및 저장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다. 이러한 특정 방법에서, 이러한 정보는 통합된 콘텐츠 카탈로그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카탈로그는 시스템 서버에서 생성, 유지,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된 콘텐츠 카탈로그의 데이터, 및 연관된 데이터 흐름의 소스는 도 7에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특히, 이러한 특정한 방법에서 시스템 서버(030)는 제공자-서버 메타데이터(102)를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자(010)로부터 그리고 집합기-서버 메타데이터(103)를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 집합기(020)로부터 모두 수신할 수 있고, 이들은 시스템 서버 내에서 앞서 언급된 통합된 콘텐츠 카탈로그 내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또한, 다양한 메타데이터 집합기(020)가 제공자-집합기 메타데이터(100)를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스스로 수신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자(010) 또는 메타데이터 집합기(020), 또는 시스템 서버(030) 자체는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를 다른 소스, 예를 들어 NBC 유니버설(NBC Universal), LLC 또는 IMDb™와 같은 온라인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소스 및 연관된 데이터 흐름은 도 7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앞서 언급된 디자인에서는 선택 기준들이 사용자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저장되고, 임의의 특정 관심 아이템에 대한 선택 기준들이 만족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연산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시스템 운영자가 비용을 지불하는 시스템 서버가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소유되고 동작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및 컴퓨팅 리소스에 있어서 시스템 서버의 운영자에게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방법은 시스템 운영자에게 특정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앞서 언급된 디자인에서, 선택 기준들 및 사용자의 선호 서비스를 사용자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저장하면, 이러한 정보가 서비스의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로 반드시 송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프라이버시라는 장점이 제공된다. 만일 사용자가 예를 들어, 그들의 선호 서비스들의 목록을 숨기기를 원한다면, 이러한 이점은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통지는 하나 또는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사용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탭 A(Samsung Galaxy Tab A) 10.5™" 태블릿, 또는 애플 아이패드(Apple iPad)™와 같은 태블릿, 또는 애플 아이폰(Apple iPhone)™과 같은 스마트 폰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다. 이러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통지를 사용자 디바이스 스크린 상에 비동기적으로 포스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지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전면에서 실행될 때에만(foregrounded), 즉,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호출했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공칭적으로 실행중이지만 수동적이고 인액티브한 인스턴스를 깨운 경우(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전면으로 보내거나 및/또는 그 콘트롤을 작동함으로써)에만 전달될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통지는 일부 다른 수단, 예컨대 SMS 또는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페이스북 메신저(Facebook Messenger)"와 같은 제삼자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도 전달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러한 통지는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또는 완전히 별개의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콘텐츠 아이템을 탐색하고 이들을 시청 목록에 배치하기 위해서 태블릿을 활용할 수 있지만, 통지들을 셀폰으로 향하는 SMS 메시지를 통하여, 또는 이메일 계정으로 들어오는 이메일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에서, 사용자는 통지를 다수의 수단에 의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는 것 및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는 것 양자 모두를 통하여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통지의 콘텐츠는 선택 기준들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통지는, 배타적으로 극장에서만 배급되었던 어떤 영화가 이제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아이템이 현재 이용가능다는 것을 조언할 수 있다. 또는, 예전에는 구입할 수만 있었던 아이템이 이제 대여할 수도 있게 되었다는 것을 조언할 수도 있다. 또는, 지불해야 했던 아이템이 이제 무료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조언할 수도 있다. 또는, 해당 아이템이 이제 하나 이상의 선호 제공자들로부터 이용가능해졌다는 것을 조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안들의 목록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망라적인 것이 아니다.
시스템의 중요한 변형예는, 선택 기준들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디폴트로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서 공칭적으로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우 많은 경우에, 사용자들은 가격, 및/또는 선호 제공자들의 목록으로부터의 타이틀들의 이용가능성에만 민감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 목록에 있는 각각의 아이템에 부착된 선택 기준은 "타이틀이 사용자의 선호 제공자들 중 임의의 제공자로부터 새롭게 이용가능함(title is newly available from any of the user's preferred providers)" 또는 "임의의 제공자로부터의 타이틀 대여 가격이 $5 미만으로 떨어졌음(title price to rent from any provider has dropped below $5)"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공통적인 경우이기 때문에,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실시형태들이라고 불리지만,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시적인 아키텍처 및 방법(Example Architecture and Methods)
하나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서, 호스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관심 목록을 연관된 선택 기준들과 함께 유지한다. 이러한 선택 기준들(예를 들어, 가격, 가격 변화, 가격 변화량, 자산을 제공하는 제공자, 비디오 해상도 등)의 만족된 조건들도 마찬가지로 호스트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유지된다.
매일, 또는 그보다 자주 또는 그보다 드물게, 관심 목록에 있는 아이템이 서버 컴포넌트로 전송된다. 즉,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관심 목록에 있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서버에 질의한다. 서버는 각각의 아이템과 연관된 업데이트된 특성을 반환한다. 이들이 저장된 특성들과 비교된다. 만일 업데이트된 특성이 이제 규정된 만족된 조건에 따른 선택 기준들을 만족시키면, 사용자에게는 해당 이벤트가 통지된다.
이러한 아키텍처에서, 서버는 모든 지원되는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중앙 통합된 카탈로그를 유지한다. 이러한 중앙 통합된 카탈로그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소스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재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자산의 특성을 포함하는 각각의 지원되는 제공자의 카탈로그 데이터를 가지는 중앙 통합된 카탈로그는 하나 이상의 상업적 메타데이터 집합기, 또는 유사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무료 서비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구입하거나 무료로 제공자에 의해서 이용가능해질 수 있는 목적에 맞춰 구축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거나 또는 콘텐츠 제공자의 웹사이트로부터의 필수 사항 정보의 자동적 추출 또는 사람에 의한 추출을 통하여, 주어진 제공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다.
대안적인 아키텍처,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질의하지 않는 아키텍처가 존재한다. 오히려, 정보는 서버로부터 호스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인스턴스로 브로드캐스트되고, 이들은 이제 해당 디바이스의 관심 목록 내에 기록된 아이템에 대하여 전술된 점검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연관된 사용자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의 관심 목록에 있는 아이템, 연관된 선택 기준들, 선호 서비스, 등)는 웹사이트 또는 웹 서비스에 저장될 수 있거나, 웹 브라우저를 호스팅하는 "쿠키(cookie)" 내에 홀딩될 수 있거나, 일부 다른 수단에 의해서 일부 다른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인 아키텍처, 예를 들어 시스템이 웹사이트 또는 웹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웹사이트 또는 웹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종래의 웹 브라우저가 아닌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지 않는 아키텍처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태블릿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반대로, 서버 컴포넌트가 없을 수도 있고, 그 기능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태블릿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언급된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사용자 커뮤니티 내에서 친교 그룹을 검색하고 제안하는 시스템의 버전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버전은 시스템 서버 및 개인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기 위한 설비를 포함할 것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시스템의 이러한 버전은 주어진 사용자에 대해서, 해당 사용자가 친교 그룹을 함께 형성하고자 원할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다른 개인을 사용자들의 커뮤니티 내에서 찾을 수 있고, 해당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유사한 특성들을 가지는 사용자들에게 상호 소개함으로써 이러한 검색 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친교 그룹이 형성되면, 해당 사용자 및 한 명의 다른 개인("양자(two-party)" 친교 그룹)만을 포함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시스템의 이러한 버전은 데이팅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은 단지 통상적인 것일 뿐이고, 더 큰 친교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명시적으로 구상되고 지원된다.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후보 친교 그룹 멤버를 식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준들이 사용될 수 있다. 두 명 또는 세 명 이상의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유사한 특성의 예들은, 장르, 시대, 프랜차이즈, 출연 멤버들, 감독 또는 나열된 타이틀의 다른 특성에 의하여 또는 일부 다른 수단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와 같은, 나열된 타이틀들에 의해서 결정되는 동일하거나 크게 중첩되는 시청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후보들은 그들의 시청 목록이 대상 사용자 또는 다른 후보 그룹 멤버의 시청 목록과 중첩되는 정도에 의해서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후보들은, 그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유된 시청 목록 아이템들이 후보들의 선호 제공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현재 이용가능한 사람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후보들은, 규정된 성별, 연령 범위 또는 다른 개인적인 특성을 가지는 사람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후보들은 해당 사용자의 주어진 지리적 반경 내에 있는 사람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후보들은 친교 그룹 형성을 위해서 이용가능해지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후보들은 "양자(two-party)" 친교 그룹만을 위해서 이용가능해지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또는 반대로 세 명 이상의 멤버를 가지는 친교 그룹에 대해서만 이용가능해지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한정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식별된 후보들의 숫자는 한 명을 초과할 수 있다. 후보 선택에 있어서의 앞서 언급된 모든 변형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한정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시스템 사용자가 앞서 언급된 변형예 중에서 개별적으로 선택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메커니즘은 연관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에 설문을 완료하는 것, 또는 이러한 설문의 추후의 생성 또는 편집에 의한 것이다.
사용자 통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람들에 대한 연락처 정보, 또는 그렇지 않으면 서로 알려지지 않았을 수 있는 사람들 사이의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수단, 및 사용자의 시청 목록들 중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아이템의 타이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통지는 해당 사용자에게만 제공되거나, 후보 멤버들에게도 역시 제공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에게만 제공된다면, 사용자 통지는 대상 사용자가 추가적인 통신 또는 친교 그룹 멤버쉽을 각각의 후보에게 개별적으로 제안하거나 후보들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통지는 해당 사용자 및 각각의 후보의 상호 동의에 기반하여 연락처 정보의 공유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동의를 언제 제안할지를 결정할 때에 돕기 위하여, 사용자 계정은 개인 프로파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하나 이상의 사진 및 텍스트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후보 그룹 멤버를 검색하는 것은 비동기적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시스템에게 개인의 특성 및 후보 친교 그룹 멤버를 검색하기 위해 유용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그 후에 시스템이 제안된 후보의 통지를 비동기적으로 전송할 것을 대기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내의 콘트롤을 동작시킴으로써, 후보 친교 그룹 멤버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해당 시스템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고, 이것에 대해서 시스템은 후보들의 목록, 이용가능한 후보가 없다는 표시로 응답할 것이다.
우리는 이제 후보 친교 그룹의 사용자 통지를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것은 이러한 방법 중 유일한 것이 아니다; 후속하는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후술되는 설명은 도 12를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된다; 인용된 번호가 붙은 단계들은 해당 도면 내의 단계들에 대한 레퍼런스이다.
우리는 처음에는 그룹 멤버 후보의 검색이 요청에 의해서 수행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검색을 개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콘트롤을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에 적절한 자연어 명령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일부 다른 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 1 단계(1205로 표시됨)에서의 이러한 사용자 액션에 대한 응답으로서, 시스템은 해당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 P S 를 사용자 디바이스 메모리로부터 취출한다. P S 는 예를 들어, 대상 사용자의 시청 목록에 있는 타이틀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것은 앞선 문단들에 진술된 나열된 타이틀의 특성들 중 임의의 특성, 또는 관련된 다른 개인적 특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것은 다른 사용자를 친교 그룹 후보로서 포함하기 위한 다른 기준들, 예를 들어 성별, 대상 사용자에 대한 물리적 근접성, 또는 다른 관련된 기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210으로 표시된 다음 단계에서는, 시스템이 대상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 P S 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한다.
1215로 표시된 다음 단계에서는, 시스템 서버가 대상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 P S 를 수신하고 P S 를 시스템 서버 저장소 내에 선택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대상 사용자가 다른 대상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잠재적인 후보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1220으로 표시된 다음 단계에서는, 시스템 서버가 잠재적인 후보의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 P C1 , P C2 , …를 시스템 서버 저장소로부터 취출한다. 이러한 단계는, 예를 들어 성별, 물리적 근접성, 또는 다른 관련된 기준들에 의한 잠재적인 후보의 일부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반할 수 있다.
1225로 표시된 다음 단계에서는, 시스템 서버가 대상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 P S 및 각각의 잠재적인 후보의 사용자 개인적 특성 P Ci 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P S P Ci 가 충분히 유사한 것으로 판정되는 각각의 잠재적인 후보 Ci가 이제 후보 목록 L에 추가된다. "충분히 유사함(sufficiently similar)"이라는 판정은, 예를 들어 양자 모두의 시청 목록에 모두 존재하는 아이템들의 개수, 즉, P S P Ci 의 크기를 카운팅하고 이것이 미리 결정된 일부 임계, 또는 가능하게는 P S 자체의 크기의 결정된 미리 작은 부분을 만족시킨다고 확정함으로써, 개인적 특성의 각각의 세트가 대응하는 사용자의 시청 목록에 있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경우에 내려질 수 있다. 또는, 이것은 특성들의 두 개의 세트들 사이의 유사도를 판정하는 주지된 다른 통계적 수단에 의하여, 또는 적절하게 훈련된 신경망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1220 및 1225)가 인터리빙된 방식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인데, 본 명세서에서 잠재적인 후보의 사용자 개인적 특성은 시스템 서버 저장소로부터 순차적으로 취출되고, 이와 유사하게 후보 목록 L에 포함될지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고려됨으로써, 잠재적인 후보들 전부가 한 번에 취출될 필요가 없게 한다.
1230으로 표시된 다음 단계에서는, 대상 사용자, 및 가능하게는 후보에게도, 이렇게 조합된 후보 목록 L이 적절하게 통지된다. 이러한 통지는 해당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통지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예를 들어 후보 목록을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대상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전송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다. 또는, 후보들에게도 통지되지 않는다면, 유사한 동작이 후보들 각각에 대해서 취해질 수 있다. 많은 변형예들이 가능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것들은 예들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것들 중 하나의 비동기식 변형예가 도 13에 제공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대상 사용자는 개인 정보를 해당 도면에서 상세히 표시된 단계들(1305a 내지 1315a)을 통해서 시스템 서버에 공급한다. 그러면, 시스템 서버는 비동기적으로,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단계(1305b 내지 1315b)를 수행하여 후보 친교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1310b)에서, 사용자들의 개인적 특성의 유사도를 평가하기 위한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이 표시된 파티션을 획득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사용자들의 그룹이 시청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호 허용가능한 비디오 타이틀을 발견하기 위하여, 또는 그룹이 이러한 상호 허용가능한 비디오 타이틀을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배우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내용에서, 우리는 이러한 그룹이 시스템 내에 이미 구축되었으며, 시스템 서버가 그룹의 멤버들 및 그들의 특성에 관련된 모든 필요한 정보를 현재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할 것이다.
이러한 그룹은 앞서 존재했던 더 큰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우리는 현재 그룹을 G로 표시된 참가 그룹이라고 부르고, 그 멤버를 참가 멤버라고 부를 것이다. 후속하는 설명에서, 참가 멤버들 한 명이 I로 표시된 시작하는 멤버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또한, 시스템 서버가 각각의 참가하는 그룹 멤버에 대한 선별된(winnowed) 시청 목록을 저장소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가정된다. 이러한 가정에 의존하지 않는 다른 방법도 역시 후술된다.
"선별된 시청 목록(winnowed watch list)"이라는 것은, 동일한 해당 사용자의 선호 제공자들 중 하나로부터 스트리밍을 위해 현재 이용가능한 주어진 사용자에 대한 시청 목록에 있는 아이템을 의미한다. 상이한 사용자가 상이한 선호 제공자 목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이제부터 우리는 이해되는 "참가하는(participating)"이라는 단어를 생략하고 사용자 그룹 G만을 가리킬 것이다. 후술되는 설명은 도 14를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된다; 인용된 번호가 붙은 단계들은 해당 도면 내의 단계들에 대한 레퍼런스이다.
첫 번째 단계(1405)에서, 시작하는 사용자 I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그룹 G에 대한 상호 허용가능한 콘텐츠 검색 요청을, 예를 들어 요청을 생성하기 위하여 콘트롤을 동작시키거나(상기 콘트롤은 사용자 그룹 G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제공함), 또는 적절한 발화되거나 타이핑된 자연어 명령에 의하여, 또는 일부 다른 방법에 의하여 개시한다.
다음 단계(141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 그룹 G에 대한 상호 허용가능한 콘텐츠를 검색하라는 요청을 시스템 서버에게 전송한다; 이것은 사용자 그룹 G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것 또는 그 멤버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단계(1415)에서, 시스템 서버는 사용자 그룹 G에 대한 상호 허용가능한 콘텐츠를 검색하도록 시작하는 사용자 I에 의해 작동된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다음 단계 1420에서, 시스템 서버는 시스템 서버 저장소로부터 사용자 그룹 G의 선별된 시청 목록 W 1 , W 2 , W 3 , …, W |G| 를 취출한다.
다음 단계 1425에서, 시스템 서버는 사용자 그룹 G에 대한 상호 허용가능한 콘텐츠 M을 앞서 언급된 시청 목록의 상호 교차로서 계산한다. 기호로 표시하면, 이것은 M = W 1 W 2 W 3 ∩ … ∩ W |G| 로 표시된다.
다음 단계 1430에서, 시스템은 그룹 G의 각각의 사용자에게 상호 허용가능한 콘텐츠 M의 검색을 통지하거나, 이러한 상호 허용가능한 콘텐츠를 찾을 수 없었다고 조언한다.
위의 방법의 변형예에서, 단계(1420)는 시스템 서버가 사용자 그룹 G의 시작하는 사용자 I를 배제하는 각각의 멤버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사용자 디바이스가 시스템 서버에게 각각의 상기 멤버에 대한 선별된 시청 목록을 송신하게 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이러한 선별된 시청 목록이 시스템 서버 저장소로부터 취출되기 위해서 이용가능해져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없어진다.
위의 방법의 다른 변형예에서, 단계(1420)는, 시스템 서버가 적절한 설명 메시지를 사용자 그룹 G의 각각의 멤버에게 송신하고, 이들에게 시작하는 사용자 I에 의한 요청에 대해 조언하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가 그들의 연관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선별된 시청 목록이 시스템 서버로 전송되게 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변형예 및 일반예(Variants and Generalizations)
후술되는 문단에서, 이러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동작시키거나 구성하기 위한 대안적인 다양한 메커니즘, 컴포넌트, 또는 수단들이 나열된다. 각각의 대안은 이러한 시스템, 또는 그 일부의 변형예 또는 일반예를 구성한다. 이러한 변형예 또는 일반예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나열된 변형예 또는 일반예는 한정하는 것 또는 제약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즉, 이하 설명되는 각각의 다양한 변형예 또는 일반예에 대하여,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또 다른 변형예 또는 일반예가 존재할 수 있다.
통지의 방식 및 메커니즘(Manner and Mechanism of Notification)
사용자는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부분 안에서 통지받을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해서 능동적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만 통지받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부분 밖에서 통지받을 수 있다; 즉, 통지는 애플리케이션의 능동적인 조작, 동작, 또는 실행이 없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통지는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거나 실행하고 있는 디바이스에서 일어날 수 있고,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서 SMS 메시지 또는 이메일 메시지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통하여 일어날 수도 있다.
모니터링된 서비스(Monitored Services)
주어진 타이틀의 하나 이상의 특성의 이용가능성 또는 변화에 대해서 모니터링되는 서비스는 사용자에 의해서 모니터링되도록 명시적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한(preferred)"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라고 알려져 있다.
또는, 이러한 시스템은 주어진 타이틀의 이용가능성 또는 변화 또는 하나 이상의 특성에 대해서 모든 공지된 서비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양자 모두의 가능성이 동시에 가능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이용가능성 또는 변화 등의 통지는 이용가능성 또는 변화가 선호 서비스에 관련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타입이고, 이용가능성 또는 변화가 비-선호 서비스에 관련되는 경우에는 다른 타입이다.
모니터링 및 통지의 빈도(Frequency of Monitoring and Notification)
공칭적으로, 시스템은 관심 목록 아이템 상태에 상당한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서 매일 점검할 것이다.
또는,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 상당한 변화에 대해서 점검하기 위한 빈도를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점검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안들 중에서 선택하는 것, 또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명시적인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또는, 상이한 디폴트 값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태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통지는 상기 점검과 동기되어 일어날 수 있고, 또는 어느 하나인 고정된 간격, 알고리즘에 의해서 결정된 간격, 또는 랜덤 간격만큼 그로부터 의도적으로 스큐잉될 수도 있다(skewed). 이러한 스큐잉은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또는 시스템 서버에 가해지는 동작 부하를 레벨링하기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선택 기준들의 예(Examples of Selection Criteria)
아이템은 완전한 매입 또는 스트리밍, 또는 양자 모두를 위해서 이용가능하다.
아이템 가격이 떨어졌고, 또는 이제 일부 미리 설정된 임계 아래의 가격에서 이용가능해졌다.
아이템은 이제 무료로 이용가능하다.
아이템은 주어진 선호 스트리밍 서비스, 예를 들어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Amazon Prime Video)로부터 이용가능하다.
아이템은 주어진 해상도, 예를 들어 8K로 이용가능하다.
주어진 주인공, 예를 들어 다니엘 라디클리프(Daniel Radcliffe)가 주연한 새로운 아이템이 이용가능하다.
새로운 아이템이 주어진 프렌차이즈, 예를 들어 마블 어벤저스(Marvel Avengers)에서 이용가능하다.
주어진 가상의 등장인물, 예를 들어 해리 포터(Harry Potter)가 주연한 새로운 아이템이 이용가능하다.
새로운 아이템이 특정 주제, 예를 들어 반도체 물리학에 대해서 이용가능하다.
최소 또는 최선의 현재 선택 기준들만을 기록함(Recording Only Minimal or Best Current Selection Criteria)
이러한 시스템은 최소 또는 최선의 현재 특성만을 기록하고, 예를 들어, 자산이 임의의 제공자로부터 주어진 가격에 이용가능해지는 경우에 통지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자산 특성을 특정 제공자와 연관시키고, 이러한 자산이 특정 제공자로부터만 그러한 특성을 가지고 이용가능해지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선택 기준들의 범위(Scope of Selection Criteria)
선택 기준들 세트의 범위는 사용자의 관심 목록에 있는 모든 아이템일 수 있다.
선택 기준들 세트의 범위는 사용자의 관심 목록에 있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아이템일 수도 있다.
선택 기준들의 생성(Creation of Selection Criteria)
사용자는 선택 기준들을 명시적으로 선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결정 선택 기준들을 과거의 선택 기준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은 선택 기준들을 사용자의 시청 하드웨어, 예를 들어 킨들(Kindle) 리더기 또는 UHD 또는 8K 모니터의 특성을 관찰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관심 목록의 생성(Creation of Interest List)
사용자는 관심 목록을 명시적 액션에 의해서 생성한다.
시스템은 과거 사용자 시청 선택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아이템을 관심 목록에 자동으로 추가한다.
콘텐츠 제공자 카탈로그 및 자산 특성의 소스(Source of Content Provider Catalog and Asset Characteristics)
주어진 서비스의 카탈로그 및 카탈로그 자산의 특성은 전문적인 데이터 비즈니스,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보를 제공하는 무료 서비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주어진 서비스의 카탈로그 및 카탈로그 자산의 특성은 서비스, 또는 그 프록시, 종속물(subordinates) 또는 파트너에 의해서 제공된 온라인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발행된 설명의 수동 또는 자동 분석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HCP 컴퓨터 시스템
도 1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동작이 그 안에서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1500)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예를 들어, 다른 도면에 대해서 논의된 컴포넌트들은 컴퓨팅 시스템(1500)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거나 호스팅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5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02), 메인 메모리(1506), 비-휘발성 메모리(15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512),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18), 입력/출력 디바이스(1520), 제어 디바이스(1522)(예를 들어, 키보드 및 포인트 디바이스), 저장 매체(1526)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유닛(1524), 버스(1516)에 통신하도록 연결된 및 신호 생성 디바이스(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516)는 적절한 브릿지, 어댑터, 또는 제어기에 의해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스 및/또는 포인트-포인트 연결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버스(1516)는 시스템 버스, 주변 장치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 또는 PCI-익스프레스(PCI-Express) 버스, HyperTransport 또는 산업 표준 아키텍처(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ISA) 버스,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 버스, 범용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IIC(I2C) 버스, 또는 미국 전기전자 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표준 1394 버스("파이어와이어(Firewire)"라고도 불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공통 컴포넌트(예를 들어, 캐시 메모리)는 간명화를 위하여 도 15에서 생략되었다. 그 대신에, 컴퓨터 시스템(1500)은 예시적인 도면에 대해서 예시되거나 설명된 컴포넌트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가 그 안에 구현될 수 있는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예시하도록 의도된다.
컴퓨터 시스템(1500)은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500)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전화기, 게임 콘솔, 음악 플레이어,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네트워크-연결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텔레비전 또는 홈 어시스턴트 디바이스), AR/VR 시스템(예를 들어,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또는 컴퓨팅 시스템(1500)에 의해서 취해져야 하는 액션(들)을 규정하는 명령들의 세트를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유사한 아키텍처를 공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컴퓨터 시스템(1500)은 임베딩된 컴퓨터 시스템,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 단일-보드 컴퓨터 시스템(single-board computer system; SBC)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메시와 같은 분산 시스템일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1500)은 동작들을 실시간으로, 거의 실시간으로, 또는 배치 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2)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 종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인텔 사의 펜티움(Intel Pentium)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1506), 비-휘발성 메모리(1510), 머신-판독가능 매체(1526))는 국부적이거나 원격에 위치하거나 분산될 수 있다. 비록 하나의 매체로서 도시되지만, 머신-판독가능 매체(1526)는 명령의 하나 이상의 세트(1528)를 저장하는 다수의 미디어(예를 들어, 집중형/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된 캐시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1526)는 컴퓨팅 시스템(1500)에 의해서 실행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 인코딩,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머신-판독가능 매체(1526)가 프로세서에 의해서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머신-판독가능 매체(1526)는 비-일시적 매치일 수 있거나 비-일시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텍스트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디바이스가 구체적인 물리적 형태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유형성(tangible)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디바이스는 자신의 물리적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이렇게 상태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유형성을 유지하는 디바이스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루틴은 운영 체제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프로그램, 객체, 모듈, 또는 명령들의 시퀀스(총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이라고 불림)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디바이스(들) 내의 다양한 메모리 및 저장 디바이스 내에 다양한 시간에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예를 들어, 명령(1504, 1508, 1528))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프로세서(1502)에 의해서 판독되고 실행될 때, 명령(들)은 컴퓨팅 시스템(1500)이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수반하는 요소들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비록 실시형태들이 완전히 기능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콘텍스트에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분산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저장 미디어, 머신-판독가능 미디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미디어의 예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1510)와 같은 기록가능-타입 미디어,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및 디지털 및 아날로그 통신 링크와 같은 송신-타입 미디어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는 통상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드라이브 유닛(1524) 내에 저장된다. 소프트웨어가 실행을 위해서 메모리로 이동될 때, 프로세서(1502)는 소프트웨어와 연관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레지스터, 및 이상적으로는 실행의 속도를 가속화하는 로컬 캐시를 통상적으로 사용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내에 구현됨(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이라고 불리는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임의의 공지된 위치 또는 편리한 위치(예를 들어, 비-휘발성 저장소, 하드웨어 레지스트터)에 저장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값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판독가능한 레지스터 내에 저장될 때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configured to execute a program)".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512)는 컴퓨팅 시스템(1500)이 네트워크(1514) 내의 데이터를 컴퓨팅 시스템(1500) 및 외부 엔티티에 의해서 지원되는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컴퓨팅 시스템(1500) 외부의 엔티티와 중재할 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512)의 예는 네트워크 어댑터 카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라우터, 액세스 포인트, 무선 라우터, 스위치, 다층 스위치, 프로토콜 컨버터, 게이트웨이, 브릿지, 브릿지 라우터, 허브, 디지털 미디어 수신기, 및/또는 리피터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512)는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프록시하기 위한 승인을 관장 및/또는 관리하고, 상이한 머신 및/또는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의 변하는 신뢰 수준을 추적하는 방화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방화벽은 특정 세트의 머신 및 애플리케이션 사이, 머신 및 머신 사이,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액세스 권한의 세트를 실행할 수 있는(예를 들어, 이러한 엔티티들 사이의 트래픽의 흐름 및 리소스 공유를 조율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임의의 조합을 가지는 임의의 개수의 모듈일 수 있다. 방화벽은 개인, 머신,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및 승인 권한이 중요한 상황에 의한 객체의 액세스 및 동작 권한을 포함하는 승인을 구체화하는 액세스 제어 목록을 추가적으로 관리 및/또는 액세스할 수 있다.
I/O 디바이스(1520)의 예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 디스크 드라이브, 프린터, 스캐너, 및 다른 입력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18)의 예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시에, 컴퓨터 시스템(1500)은 디스크 운영 체제와 같은 파일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연관된 아이템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있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의 하나의 예는 레드몬드, 워싱턴에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Microsoft Corporation) 사의 윈도우즈(Windows)® 라고 알려져 있는 운영 체제들의 패밀리, 및 그들의 연관된 아이템 관리 시스템이다. 그 연관된 아이템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있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의 다른 예는 리눅스(Linux)™ 운영 체제 및 그 연관된 아이템 관리 시스템이다. 아이템 관리 시스템은 통상적으로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드라이브 유닛 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가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다양한 동작을 실행하게 하며, 이것은 아이템을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드라이브 유닛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개된 기술은 프로그래밍가능 회로부(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특수-목적 하드와이어드(즉, 비-프로그래밍가능한) 회로부, 또는 이러한 형태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특수-목적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필드-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의 일부 부분들은 알고리즘 및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에 대한 연산의 상징적 표현의 관점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알고리즘 설명 및 표현은 그들의 작업의 본질을 당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데이터 처리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사용되는 수단이다. 알고리즘은 원하는 결과에 이르게 하는 단계들의 자기-일관적인 시퀀스(self-consistent sequence)를 가리킬 수 있다. 동작들은 물리량의 물리적인 조작을 요구하는 것들이다. 보통,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물리량은 저장되고, 전송되고, 결합되고, 비교되고, 그렇지 않으면 조작될 수 있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의 형태를 가진다. 이론적으로 공통 사용을 위해서, 이러한 신호를 비트, 값, 엘리먼트, 심볼, 문자, 용어, 번호 등으로 지칭하는 것이 때로는 편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어들 및 유사한 용어들이 적합한 물리량과 연관돼야 하고, 그러한 양들에 적용되는 편리한 라벨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진술되지 않으면, 후속하는 논의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서, "처리" 또는 "컴퓨팅" 또는 "계산" 또는 "결정" 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생성"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 논의는,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또는 메모리 내에서 물리적, 예컨대 전자적, 양으로서 표현되는 데이터의,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 또는 다른 이러한 정보 저장, 송신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의 물리량(전자적인 양)으로서 이와 유사하게 표현되는 다른 데이터로 조작 및/또는 변환하는 컴퓨터, 컴퓨팅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적 컴퓨팅 디바이스의 액션 및 프로세스를 지칭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알고리즘 및 디스플레이는 임의의 특정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와 반드시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범용 시스템이 본 명세서의 교시 내용에 따르는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일부 실시형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더 전문화된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것이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되는 구성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임의의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서 설명되지 않았고,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들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상황에, 메모리 디바이스의 동작, 예컨대 이진수 0으로부터 이진수 1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상태의 변화는, 예를 들어 물리적 변환과 같은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에서는, 이러한 물리적 변환은 물품을 상이한 상태 또는 물건으로 물리적으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경우, 상태 변화는 전하의 누적 또는 저장 또는 저장된 전하의 방출을 수반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유사하게, 다른 메모리 디바이스에서는, 상태 변화는 자기적 배향에서의 물리적 변화 또는 변환 또는 분자 구조에서의 물리적 변화 또는 변환, 예컨대 결정질로부터 비정질로부터 또는 그 반대 물리적 변화 또는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메모리 디바이스 내에서의 이진수 1로부터 이진수 0으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상태 변화가 물리적 변환과 같은 변환을 포함할 수 있는 망라적인 목록인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앞선 내용은 예시적인 예들인 것으로 의도된다.
주의(Remarks)
앞선 설명 및 도면은 예시적이고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양한 특정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주어진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에, 주지된 세부사항은 설명을 방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설명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실시형태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실시형태(one embodiment)" 또는 "일 실시형태(an embodiment)"라는 언급은 그 실시형태와 연계하여 설명된 특정 피쳐,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다양한 위치에서 "일 실시형태에서" 라는 어구가 등장하는 것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형태를 전부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다른 실시형태들과 상호 배타적인 별개의 또는 대안적 실시형태를 반드시 가리키는 것도 아니다. 더욱이, 일부 실시형태에 의해서는 표현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서는 표현되지 않는 다양한 피쳐들이 설명된다. 이와 유사하게, 일부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요구 사항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요구조건들이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콘텍스트 내에서, 그리고 각각의 용어가 사용되는 특정 콘텍스트 내에서, 그들의 당업게에서의 보통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이 본 발명의 설명과 관련된 실시자에게 추가적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아래에,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논의된다. 편의성을 위하여, 특정 용어들이, 예를 들어 이탤릭체 및/또는 인용 부호를 사용하여 강조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용어의 범위 및 의미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다; 어떤 용어의 범위 및 의미는 강조되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와 무관하게 동일한 콘텍스트 내에서 동일하다. 동일한 사항이 두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진술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메모리(memory)"가 "저장소(storage)"의 하나의 형태이고 이러한 용어들이 상호교환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용어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대해서 다른 용어 및 동의어가 사용될 수 있고, 해당 용어가 상술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지 여부에 대해서 특히 중요도가 부여되는 것도 아니다. 특정 용어에 대해서 동의어가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동의어를 사용하는 것은 다른 동의어를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용어의 예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의 어느 부분에서든 예를 사용하는 것은 오직 예시적인 것이고, 본 명세서 또는 임의의 예시된 용어의 범위 및 의미를 추가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다양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를 추가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없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구, 장치, 방법 및 그들의 관련된 결과의 예들이 앞에서 제공되었다. 이러한 예에서 독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제목 또는 부제목이 사용되었고, 이것은 절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이고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정의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가 적용될 것이다.

Claims (20)

  1.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의 사양 및 그 특성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상기 관심 목록 아이템의 상기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의 사양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관심 목록 아이템의 업데이트된 특성을 포함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의 상기 기록된 사양 및 그 특성 및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의 상기 사양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 중 하나 이상이 만족된다고 결정하는 단계;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 중 하나 이상이 만족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상기 변화의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특성을 상기 관심 목록 아이템의 상기 업데이트된 특성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서비스의 사양이 추가적으로 기록되는, 컴퓨터-구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의 관심 아이템을 포함하는 질의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컴퓨터-구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기준들은,
    스트리밍 서비스로부터의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성(availability)을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기준들은,
    상기 사용자의 선호 스트리밍 공급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성을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기준들은,
    더 낮은 가격; 또는
    상이한 제공 조건(offering terms)
    중 임의의 하나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성을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나타나는 통지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는,
    SMS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소셜 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9. 관심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 아이템의 사양 및 그 특성을 기록하는 단계;
    관심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의 사양을 기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의 업데이트된 특성을 포함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관심 아이템의 상기 기록된 사양 및 그 특성 및 관심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의 상기 사양과 비교하는 단계;
    관심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 중 하나 이상이 만족된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관심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 중 하나 이상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관심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관심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상기 변화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기준들은,
    더 낮은 가격; 또는
    상이한 제공 조건(offering terms)
    중 임의의 하나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성을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나타나는 통지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는,
    SMS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소셜 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 방법.
  13. 일시적 신호 및 반송(carrying) 명령이 배제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시스템이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의 사양 및 그 특성을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상기 관심 목록 아이템의 상기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의 사양을 기록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관심 목록 아이템의 업데이트된 특성을 포함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의 상기 기록된 사양 및 그 특성 및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의 상기 사양을 비교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 중 하나 이상이 만족된다고 결정하고;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통지를 위한 상기 사용자의 기준들 중 하나 이상이 만족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관심 목록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상기 변화의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특성을 상기 관심 목록 아이템의 상기 업데이트된 특성으로 대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서비스의 사양이 추가적으로 기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의 관심 아이템을 포함하는 질의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기준들은,
    스트리밍 서비스로부터의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성(availability)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기준들은,
    상기 사용자의 선호 스트리밍 공급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기준들은,
    더 낮은 가격; 또는
    상이한 제공 조건(offering terms)
    중 임의의 하나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 목록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나타나는 통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 향하는 통지는,
    SMS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소셜 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19361A 2019-11-09 2020-11-09 이변 또는 고정 선택 기준들 마다의 디지털 콘텐츠 액세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통지 KR202201235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33402P 2019-11-09 2019-11-09
US62/933,402 2019-11-09
PCT/US2020/059749 WO2021092591A1 (en) 2019-11-09 2020-11-09 User notification for digital content access systems per mutable or fixed selection criter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508A true KR20220123508A (ko) 2022-09-07

Family

ID=7584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361A KR20220123508A (ko) 2019-11-09 2020-11-09 이변 또는 고정 선택 기준들 마다의 디지털 콘텐츠 액세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통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743220B2 (ko)
EP (1) EP4055547A4 (ko)
KR (1) KR20220123508A (ko)
CN (1) CN115023724A (ko)
AU (1) AU2020378230A1 (ko)
CA (1) CA3157133A1 (ko)
WO (1) WO2021092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3220B2 (en) * 2019-11-09 2023-08-29 Promptu Systems Corporation User notification for digital content access systems per mutable or fixed selection criteria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7622A2 (en) * 2004-08-04 2006-02-16 Dizpers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creating, managing, and delivery of enhanced feed formatted content
US8682995B1 (en) * 2004-04-07 2014-03-25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argeting communications using social network metrics
US7593740B2 (en) * 2004-05-12 2009-09-22 Google, Inc. Location-based social software for mobile devices
US20060218226A1 (en) * 2005-03-23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atic recording based on preferences
US20070073593A1 (en) 2005-09-28 2007-03-29 Redcarpet,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sumer price alerts
EP2475166A1 (en) * 2006-07-31 2012-07-1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planners
US8754765B2 (en) * 2008-11-05 2014-06-17 Penthera Partners, Inc. Notifying a user of an available media object
US9110953B2 (en) * 2009-03-04 2015-08-18 Facebook, Inc. Filtering content in a social networking service
US9571784B2 (en) * 2009-10-30 2017-02-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dia content watch list systems and methods
US9128938B2 (en) * 2010-05-28 2015-09-08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availability notification
US8271334B1 (en) * 2011-10-05 2012-09-18 Google Inc. Generating a media content availability notification
WO2013055675A1 (en) * 2011-10-10 2013-04-18 Hummel Brett Patrick System & method for tracking members of an affinity group
US20140359647A1 (en) * 2012-12-14 2014-12-04 Biscotti Inc. Monitoring, Trend Estimation, and User Recommendations
US10949080B2 (en) * 2013-03-12 2021-03-16 Gerald Douglas Hosier, JR. Online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ing information organization sharing and collective action
US20140279002A1 (en) * 2013-03-14 2014-09-1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Enhancement of user affinity experience based on offers related to a geographic area
US9386060B2 (en) * 2013-10-24 2016-07-05 Verizon and Redbox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s, LLC Processing over-the-top content for improved initial delivery
US20160140671A1 (en) * 2014-11-17 2016-05-19 Jin Hong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ntent Correlated Service Based Mobile Social Network
US20160283925A1 (en) * 2015-03-26 2016-09-29 Kohl's Department Stores, Inc. Omni-channel shopping and mobile payment system
US9749795B2 (en) * 2015-05-07 2017-08-29 Art B Co,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potential purchasers of art
US10462524B2 (en) * 2015-06-23 2019-10-29 Facebook, Inc. Streaming media presentation system
US10158908B1 (en) * 2015-09-13 2018-12-18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nt aggregator
US10349141B2 (en) * 2015-11-19 2019-07-09 Google Llc Reminders of media content referenced in other media content
US11055439B2 (en) * 2016-01-25 2021-07-06 Micro Focus Llc Confirmation message determinations
US11196826B2 (en) * 2016-12-23 2021-12-0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channels in media systems
US11303964B2 (en) * 2017-02-13 2022-04-12 DISH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content event quick access queue
US10789764B2 (en) * 2017-05-31 2020-09-29 Live Cgi, Inc.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creating a viewing experience
US11538213B2 (en) * 2017-05-31 2022-12-27 Live Cgi, Inc. Creating and distributing interactive addressable virtual content
US10542023B2 (en) * 2017-11-21 2020-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compromised social media accounts by analyzing affinity groups
US11103773B2 (en) * 2018-07-27 2021-08-31 Yogesh Rathod Displaying virtual objects based on recognition of real world object and identification of real world object associated location or geofence
US11743220B2 (en) * 2019-11-09 2023-08-29 Promptu Systems Corporation User notification for digital content access systems per mutable or fixed selection criteria
US11537258B2 (en) * 2020-10-16 2022-12-27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Hand presence over keyboard inclusiveness
US20210158843A1 (en) * 2021-02-02 2021-05-27 Shabazz Lalumba Graham Mobile application for future interaction
US20220351236A1 (en) * 2021-05-03 2022-11-03 Refercloud Llc System and methods to predict winning tv ads, online videos, and other audiovisual content before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5547A4 (en) 2023-11-15
AU2020378230A1 (en) 2022-05-26
WO2021092591A1 (en) 2021-05-14
CA3157133A1 (en) 2021-05-14
EP4055547A1 (en) 2022-09-14
US20210144115A1 (en) 2021-05-13
US11743220B2 (en) 2023-08-29
CN115023724A (zh) 2022-09-06
US20230362121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5206B2 (en) Contextual connection invitations
US20220167053A1 (en) Identifying related videos based on relatedness of elements tagged in the videos
US20200162413A1 (en) Low-friction, instant, private, personalized video sharing widget
Hermida Post-publication gatekeeping: The interplay of publics, platforms, paraphernalia, and practices in the circulation of news
US9607341B2 (en) Content access management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for externally stored content
CN111052061A (zh) 用于在移动计算设备中显露上下文动作的改进的用户界面
US201401363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interaction and content sharing across multiple networks
US20200021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suring continued access to media of a playlist despite geographic content restrictions
US20190173939A1 (en) Sharing data links with devices based on connection of the devices to a same local network
US20130159123A1 (en) Content access management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for locally stored content
US20180324126A1 (en) Social media interaction aggregation for duplicate image posts
US20200351561A1 (en) Integrated social network and media streaming platform
US20210365511A1 (en) Generation and delivery of content curated for a client
US20220191594A1 (en) Social network live events
US20230362121A1 (en) User notification for digital content access systems per mutable or fixed selection criteria
US119564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nknown users of a device to provide personalized user profiles
US106526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asset recommendations
US9578116B1 (en) Representing video client in social media
US118562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US119219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pulating data for content item
Morabito et al. Big Data and Digital Business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