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408A - The anti-green algae system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The anti-green algae system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408A
KR20220121408A KR1020210025402A KR20210025402A KR20220121408A KR 20220121408 A KR20220121408 A KR 20220121408A KR 1020210025402 A KR1020210025402 A KR 1020210025402A KR 20210025402 A KR20210025402 A KR 20210025402A KR 20220121408 A KR20220121408 A KR 2022012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space
aquatic plants
alga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규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21002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1408A/en
Publication of KR2022012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4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 algae prevention system using aquatic plants and a method thereof. The green algae prevention system using aquatic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oyant pot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loating on the surface of water; a space division pattern unit formed by dividing a space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uoyant pots; and floating aquatic plants that are vegetated within the space division pattern unit to prevent green algae.

Description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THE ANTI-GREEN ALGAE SYSTEM AND METHOD THEREFOR}A system for preventing algal blooms using aquatic plants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연 친환경적 방법으로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 대비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 미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algae using aquatic plants and a method therefo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lgae in a natural environment-friendly method, as well as to expect high efficiency compared to the structure at a significantly lower cost than in the prior art. Also,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lgae using aquatic plant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beautific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녹조란 하천 또는 호소에 식물성 플랑크톤인 조류(남조류, 녹조류, 규조류 등)의 증가, 특히 녹조류, 남조류의 급격한 증가로 물빛이 녹색으로 변화는 현상을 의미한다.Green algae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color of water changes to green due to an increase in phytoplankton algae (blue-green algae, green algae, diatoms, etc.) in a river or lake, particularly a rapid increase in green algae and blue-green algae.

이러한 녹조는 일조량이 많은 낮에는 광합성을 통해 물속에 유기물과 산소를 공급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역할을 하나 밤에는 물속의 산소를 흡수하여 물속의 저 산소를 유발하여 물고기 등 수중 동물의 폐사를 야기하고, 일부 녹조류의 경우(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배나(Anabaena),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아파니조메논(Aphanizomenon) 등)는 환경이 나빠지면 냄새물질과 유해독소를 생성 배출하여 음용 동물의 질병 및 폐사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These algae play a role of phytoplankton supplying organic matter and oxygen to the water through photosynthesis during the day when there is a lot of sunlight, but at night they absorb oxygen in the water and cause low oxygen in the water, causing the death of aquatic animals such as fish. In the case of some green algae (such as Microcystis, Anabaena, Oscillatoria, Aphanizomenon, etc.) and death, so caution is required.

녹조를 발생시키는 영향인자는 아래와 같다.The influencing factors that cause algae are as follows.

첫째, 영양염류로서 녹조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질산염, 인산염 등 무기 영양염류가 많은 생활폐수, 축산폐수 등이 적절히 처리되지 않고 하천이나 호소에 유입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는 조류의 급격한 증가를 유발하는 것이다.First, as nutrients, factors affecting green algae cause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algae that use them when domestic wastewater, livestock wastewater, etc., rich in inorganic nutrients such as nitrates and phosphates, are not properly treated and are introduced into rivers or lakes.

둘째, 수온 상승으로서 봄~가을까지 일조량이 많아지고 이를 통한 수온이 20~30℃ 이상(특히 25℃ 이상) 상승하면 조류의 광합성이 왕성해져 녹조에 영향을 주는 조류의 증가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 것이다.Second, as the water temperature rises, the amount of sunlight increases from spring to autumn, and when the water temperature rises by 20~30℃ or higher (especially 25℃ or higher), photosynthesis of algae is active and the rate of increase of algae affecting green algae increases rapidly. .

셋째, 유입 수량의 부족으로서 강수량 부족 등으로 유입 수량이 부족하고 유속이 느려지면 유입된 오염원(무기 영양염류)의 적체, 축적 등으로 이를 이용하는 조류의 증가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다.Third, if the inflow is insufficient due to insufficient precipitation and the flow rate is slow, the rate of increase in the number of algae using it increases rapidly due to accumulation and accumulation of the inflow pollutants (inorganic nutrients).

따라서, 상술된 영향인자를 개선하여 녹조를 제어 및/또는 개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절기 강수량이 부족하여 하천, 호소의 유입 수량이 부족해지면 유속이 느려져 생활하수, 축산폐수로부터 유입된 영양염류가 느려진 유속으로 정체 또는 적체되어 이를 이용한 조류의 급격한 증식을 유발하여 녹조 현상이 발생하므로 녹조가 발생하는 하천의 하류에서 하천수를 펌핑하여 지하로 매설된 용수관을 이용하여 하천의 상류로 이송하여 상류의 수원으로 재공급함으로써 하천, 호소의 유입수량 부족 및 유속 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and / or improve algae by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influencing factors, for example, when the inflow of rivers and lakes is insufficient due to insufficient precipitation in summer, the flow rate is slowed down, so that the nutrient introduced from domestic sewage and livestock wastewater The algae phenomenon occurs by stagnating or accumulating at a slowed flow rate, which causes rapid proliferation of algae using the salt, so pumping river water from the downstream of the river where algal blooms occur and transporting it to the upstream of the river using a water pipe buried underground. By re-supplying the upstream water sour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shortage of inflow water in rivers and lakes and the decrease in flow rate.

또한, 하천수 또는 호소수를 상류로 이송하는 중에 지하에 매설된 용수관은 지하의 낮은 지열로 인하여 냉각되고 이를 통과하는 용수의 수온도 낮아져 수온 상승으로 발생하는 조류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ipe buried underground while transporting river water or lake water upstream is cooled due to the low underground heat, and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it is lowered, thereby suppressing the proliferation of algae caused by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또한, 하류 하천수 또는 호소수를 펌핑하여 지하 용수 배관을 통해 상류로 재 공급하여 유입수량을 증가시켜서 무기영양 염류의 정체 또는 적체 문제를 개선하며 용수 배관으로 이송하면서 배관 내부로 공기 공급배관을 이용하여 미세 공기를 포화상태로 공급하여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산화를 유발하여 오염원을 제거하고 이송된 용수를 지하 저수조에 저장하면서 수온을 최적화 상태로 추가 냉각시키고 저수조에서 폭기 방법(산기관, 마이크로버블을 이용)을 통하여 공기(산소)를 공급하여 유기물과 영양 염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umping downstream river or lake water and re-supplying it to the upstream through the underground water pipe, the inflow water amount is increased to improve the problem of stagnation or accumulation of inorganic nutrient salts. Air is supplied in a saturated state to cause oxidation of organic or inorganic substances to remove pollutants, and while the transferred water is stored in an underground water tank, the water temperature is further cooled to an optimized state, and the aeration method (using a diffuser, microbubbles) is performed in the water tank. By supplying air (oxygen)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remove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또한, 지하용수 배관을 통해 상류로 용수를 이송하면서 용수배관에 공기를 포화 공급하고 지하 저수조에서 산기관을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조류증식으로 인해 저하된 용존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ransferring water upstream through the underground water pipe, air is supplied to the water pipe saturated with air, and air is supplied using an aeration pipe from the underground water tank, so that dissolved oxygen lowered due to algal growth can be sufficiently supplied.

한편, 녹조 방지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747737호의 쿨링 타워의 녹조 발생 방지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system for preventing algae, a system for preventing algae from occurring in a cooling tower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747737 is described.

상기 기술은, 상부가 개방되어 열 교환용 냉각수를 살수하고 저수하는 살수조와, 상기 살수되는 냉각수가 열교환되도록 팬이 설치되고 상기 팬에 외기를 공급하는 통풍구가 설치된 쿨링 타워와, 상기 살수조의 상부와 쿨링타워의 통풍구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막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타워의 녹조 발생 방지시스템이 제공된다.In the above technology, a water spray tank with an open upper part to spray and store cooling water for heat exchange, a cooling tower provided with a fan for heat exchange with the sprayed cooling water, and a ventilation hole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fa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pray tank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reventing algal blooms in the cooling tower, which is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hole of the cooling tower and includes a awning to block sunlight.

따라서, 쿨링 타워의 살수조와 상기 쿨링 타워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게 되는 통풍구로 햇빛이 입사되지 않도록 차양막으로 가려 녹조의 발생 및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쿨링 타워의 녹조 발생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문헌의 기술은 구조 대비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Accordingly, the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algal blooms in a cooling tower, which can prevent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algae by covering the water tank of the cooling tower and the ventilation hole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with a shading film to prevent sunlight from entering the cooling tower.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technique of the above document has insufficient effect compared to the structure.

이에, 하천이나 호소(湖沼) 등에 발생하는 녹조의 발생을 억제하여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Accordingly,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and 2 has been proposed as a system for improving water quality 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algae occurring in rivers or lakes.

이는 하류에서 물을 채수하는 채수용 지하수조(10); 채수용 지하수조(10)와 지하저수조(30)를 연결하며, 상기 채수용 지하수조(10)에 저장된 물을 상류로 이송하는 용수배관(20); 상기 채수용 지하수조(10)에서 용수배관(20)을 통해 유동된 물을 저장하고, 지열 냉각시켜 다시 방류시키는 지하저수조(30); 및 상기 지하저수조(30) 내부에서 물의 유동방향으로 미세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35);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부(35)는 공기 공급을 위한 배관이 구성되되, 상기 배관은 냉매가 흐르는 냉매배관과, 상기 냉매배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기가 흐르는 공기배관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녹조 발생 억제에 따른 수직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방안이다.It includes an underground water tank 10 for collecting water from the downstream; a water pipe 20 connecting the underground water tank 10 for water collection and the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30 and transferring the water stored in the underground water tank 10 for water collection upstream; an underground water tank 30 for storing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pipe 20 in the underground water tank 10 for water collection, cooling it with geothermal heat, and discharging it again; and an air supply unit 35 for supplying fine air in the direction of water flow in the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30, wherein the air supply unit 35 is configured with a pipe for supplying air, the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It is a method to provide the effect of vertica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of algal blooms by configuring it to include a refrigerant pipe and an air pipe through which air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refrigerant pipe flows.

이 외에도 도 3 및 도 4의 기술처럼 보(D)가 설치된 수역에 설치된 설치되어 강물을 양수하는 물레바퀴(2)와; 상기 물레바퀴(2)로 양수한 강물을 상류로 송수하여 다시 하류로 흘러보낼 수 있도록 보(D)가 설치된 수역에서 상류로 연결되는 회수로(1)와; 상기 회수로(1)에서 강물을 정화시켜 상류로 흘려보내는 정수설비(5)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적용해서 녹조 발생을 저지하려는 시도도 있어 왔다.In addition to this, the water wheel (2) installed in the water body where the beam (D) is installed and pumping the river water as shown in FIGS. 3 and 4; a recovery path (1) connected upstream from a water body in which a weir (D) is installed so that the river water pumped by the water wheel (2) can be sent upstream and flowed again downstream;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lgae by applying a system including a water purification facility 5 for purifying river water from the recovery path 1 and flowing it upstream.

상기 기술들이 녹조 발생을 저지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 기술들은 시설비가 많이 든다는 점에서 비용 대비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무엇보다도 자연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lthough the above technologies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lgae, the above technologies are inevitably low in cost-effectiveness in terms of high facility costs, and above all, in that they are not eco-friendly in nature,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solve this problem.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8-0000036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1998-0000036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22956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3-0022956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11615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3-0111615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021057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7-0021057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 친환경적 방법으로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 대비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 미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lgae in a natur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as well as high efficiency compared to the structure at a significantly lower cost than the prior art, and also contribute to the beautific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provide a preven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상기 목적은,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는 구조로 된 복수 개의 부력 화분; 복수 개의 상기 부력 화분을 연결해서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되는 공간 구획 패턴부; 및 녹조 방지를 위해 상기 공간 구획 패턴부 내에 식생되는 부유성 수생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purpose is, a plurality of buoyant flowerpot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float to the surface of the water; a space partitioning pattern part formed by partitioning a spac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buoyant flowerpots; And it is achieved by a system for preventing algal blooms using aquatic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floating aquatic plants that are vegetated in the space partition pattern part to prevent algae.

상기 부력 화분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교차하게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박스(box) 타입의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측판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부력 기능을 제공하는 부력체; 상기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 중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돌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되 상대편 부력 화분의 연결 돌기가 연결되는 연결 돌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t flowerpot, a base plate; a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cross-connected to the base plate and forming a box-typ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a buoyancy body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side plate plate to provide a buoyancy function; at least one connec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and a connecting protrusion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to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s of the opposing buoyancy pots are connected.

한편, 상기 목적은,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는 구조의 부력 화분을 제조하는 부력 화분 제조단계; 제조된 복수 개의 부력 화분을 연결해서 원하는 패턴(pattern)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부력 화분을 이용한 공간 구획단계; 및 상기 부력 화분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부유성 수생식물을 심어 식생하는 부유성 수생식물 식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 buoyant potted plant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buoyant pot with a structure that can float to the surface; A space partitioning step using a buoyant flowerpot for dividing the space in a desired patter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anufactured buoyant flowerpots; And it is also achieved by the method for preventing algae using aquatic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ating aquatic plant vegetation step of planting the floating aquatic plants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buoyant pots.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 친환경적 방법으로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 대비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 미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lgae in a natural environment-friendly method, as well as high efficiency compared to the structure at a significantly lower cost than in the prior art, and also has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beautific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녹조 방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지하저수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다른 구조의 녹조 방지시스템에 대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부력 화분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을 구축하기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적용되는 부력 화분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부력 화분에 수생식물이 식생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에 적용되는 부력 화분의 이미지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alga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ground water tank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views of an algae prevention system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in the prior art.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n algae prevention system using an aquatic pla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oyant flowerpot.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algae using aquatic plants for constructing FIG. 6 .
9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algae using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oyancy pot applied to Figure 9.
11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10 .
12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quatic plants are vegetated in buoyant pots.
13 is an image of a buoyant pollen applied to a system for preventing algae using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since the embodiments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have various forms.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becaus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in some cases, the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제1 실시예)(Example 1)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부력 화분의 단면 예시도, 도 8은 도 6을 구축하기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방법의 순서도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 algae prevention system using an aquatic pla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oyant flowerpot, and FIG. 8 is for constructing FIG.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eventing algae using aquatic plants.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연 친환경적 방법으로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 대비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 미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게끔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revent the occurrence of algae in a natur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but also can expect high efficiency compared to the structure at a significantly lower cost than the prior art, and also contribute to the beautific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특히, 본 시스템은 가두리로 활용, 수상의 조경효과와 수생식물의 공간을 대량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is system can be used as a cage to secure a large amount of space for aquatic plants and landscaping effect on the water.

개구리밥, 생이가래 등 부유성 수생식물의 계절적 특성을 활용해서 온대성 ~ 열대성 단점인 비월동성을 극복하며, 녹조 발생기인 7~9월 효과적인 녹조 발생 억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By utilizing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floating aquatic plants such as frogfish and sputum, it overcomes non-wintering, which is a disadvantage of temperate to tropical, and maximizes the effective suppression effect of algal blooms in July and September, when algal blooms occur.

참고로 수생식물의 특성을 살펴본다.For referenc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aquatic plants.

첫째, 토양 없이 물에 뿌리를 최대한 접촉하면서 오염물질을 흡수하며, 무한 증식하면서 수면을 덮는다. 그늘막 효과로 수온 상승을 억제한다.First, it absorbs contaminants by contacting the roots with water as much as possible without soil, and covers the surface of the water while proliferating indefinitely. It suppresses the rise in water temperature with a shade effect.

둘째, 4월 하순쯤 적은 양이 투입되면 기온, 수온이 상승하면서 급팽창하고, 7~8월에 수면을 채워줄 수 있다.Second, if a small amount is injected around the end of April, it can expand rapidly as the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rise, and fill the water surface in July and August.

특히, 본 시스템은 수상의 조경과 수질개선, 수생 생태계 조성으로 어류와 수서곤충류, 조류 등 복합 생태계 형성 등 다목적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is system has multi-purpose effects such as the formation of a complex ecosystem such as fish, aquatic insects, and birds by improving the landscaping and water quality of the water and creating an aquatic ecosystem.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은 도 6과 같은 녹조 방지시스템, 그리고 도 8과 같은 녹조 방지방법에 그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providing such an effect can be applied to the algae prevention system as shown in FIG. 6 and the algae prevention method as shown in FIG. 8 .

도 8을 참조해서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방법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방법은 부력 화분 제조단계(S10), 부력 화분을 이용한 공간 구획단계(S20) 및 부유성 수생식물 식생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method for preventing algae using aquatic plants will be described first. The method for preventing algae using an aquatic pla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buoyant pollen manufacturing step (S10), a space partitioning step using buoyant pollen (S20) and a floating aquatic plant vegetation step (S30).

부력 화분 제조단계(S10)는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는 구조의 부력 화분(110)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부력 화분(110)은 도 7과 같은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buoyant flowerpot manufacturing step (S10) is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uoyant flowerpot 110 having a structure that can float to the surface. The buoyancy pot 11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7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부력 화분을 이용한 공간 구획단계(S20)는 도 5처럼 제조된 복수 개의 부력 화분(110)을 연결해서 원하는 패턴(pattern)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공정이다.The space partitioning step (S20) using a buoyant flowerpot is a process of dividing a space in a desired patter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uoyant flowerpots 110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5 .

도면에는 직사각 형태의 패턴(pattern)으로 공간 구획 패턴부(130)를 형성하고 있지만, 공간 구획 패턴부(130)는 삼각형 패턴, 원형 패턴, 별 패턴 등 다양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그 자체로도 아름다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though the space partitioning pattern part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ttern in the drawings, the space partitioning pattern part 130 may be various such as a triangular pattern, a circular pattern, a star pattern,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beautiful aesthetic feeling by itself.

부유성 수생식물 식생단계(S30)는 도 6처럼 부력 화분(11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부유성 수생식물(140)을 심어 식생하는 공정이다. 가두리 타입으로 적용된다.The floating aquatic plant vegetation step (S30) is a process of planting and vegetating the floating aquatic plants 140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buoyant pots 110 as shown in FIG. 6 . It is applied as an edge type.

여기서, 부유성 수생식물(140)이란 단기간 대량 번식이 가능한 개구리밥, 생이가래 등의 부유성 수생식물(140)을 가리킨다. 또한, 부력 화분(110)에 식재할 수 있다.Here, the floating aquatic plant 140 refers to the floating aquatic plant 140 such as frogfish and sputum that can be mass-produ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addition, it can be planted in the buoyancy pot (110).

이처럼 보 또는 호수의 수변에 부력 화분(110)을 통해 공간을 구획, 형성하고, 각각의 공간에 부유성 수생식물(140)을 심어 증식을 통해 각 공간을 채우도록 하면 녹조가 발생하는 시기에 부유성 수생식물(140)을 통해 녹조 발생이 방지되게 한다.In this way, if a space is partitioned and formed through a buoyancy pot 110 on the waterside of a weir or lake, and floating aquatic plants 140 are planted in each space to fill each space through proliferation, buoyancy occurs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lgae.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algae through the oily aquatic plant 140 .

이러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방지시스템은 부력 화분(110), 공간 구획 패턴부(130) 및 부유성 수생식물(1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lgal bloom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ed by this method may include a buoyant flowerpot 110 , a space partitioning pattern unit 130 , and a floating aquatic plant 140 .

부력 화분(110)은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는 구조로 된 부유성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력 화분(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교차하게 연결되되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함께 박스(box) 타입의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112)와,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측판 플레이트(11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부력 기능을 제공하는 부력체(113)와,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112) 중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돌기(114)와,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112)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되 상대편 부력 화분(110)의 연결 돌기(114)가 연결되는 연결 돌기홈(115)을 포함할 수 있다.Buoyancy pollen 110 is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float to the surface. The buoyancy pot 110 includes a base plate 111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112 that are cross-connected to the base plate 111 and form a box-typ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111, The buoyancy body 113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111 and the side plate 112 to provide a buoyancy function, and at least one connecting protrusion 114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112 . )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112, which are recessed in the other one,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protrusion groove 115 to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114 of the opposing buoyancy pot 110 is connected.

이러한 구조로 인해 부력 화분(110)은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간 구획 패턴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the buoyant flowerpot 110 may float to the surface, thereby forming the space partitioning pattern unit 130 .

그뿐만 아니라 부력 화분(110)들에 연결 돌기(114)와 연결 돌기홈(115)이 형성되기 때문에 부력 화분(110)들이 떨어지지 않고 원하는 모양, 즉 패턴으로 연결된 상태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protrusion 114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groove 115 are formed in the buoyant flowerpots 110 , the buoyant flowerpots 110 do not fall off and can take a state connected in a desired shape, that is, a pattern.

공간 구획 패턴부(130)는 복수 개의 부력 화분(110)을 연결해서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면에는 직사각 형태의 패턴(pattern)으로 공간 구획 패턴부(130)를 형성하고 있지만, 공간 구획 패턴부(130)는 삼각형 패턴, 원형 패턴, 별 패턴 등 다양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그 자체로도 아름다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pace partitioning pattern part 130 is a part formed by dividing a spac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uoyancy pots 110 . Although the space partitioning pattern part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ttern in the drawings, the space partitioning pattern part 130 may be various such as a triangular pattern, a circular pattern, a star pattern,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beautiful aesthetic feeling by itself.

부유성 수생식물(140)은 녹조 방지를 위해 상기 공간 구획 패턴부(130) 내에 식생되는 식물이다. 물 위에 떠야 해서 일반 식물 말고, 부유 기능이 있는 수생식물(14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ating aquatic plant 140 is a plant that is vegetated in the space partition pattern part 130 to prevent algae. It is preferable that the aquatic plant 140 has a floating function, rather than a general plant because it should float on water.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eries of processes for construc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는 구조의 부력 화분(110)을 제조한다. 부력 화분(110)은 앞서 기술한 도 7과 같은 구조일 수 있다.First, a buoyant flowerpot 110 having a structure that can float to the surface is manufactured. The buoyancy pot 11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7 described above.

다음, 도 5처럼 제조된 복수 개의 부력 화분(110)을 연결해서 원하는 패턴(pattern)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공정이다. 공간 구획 패턴부(130)는 도면과 달리, 삼각형 패턴, 원형 패턴, 별 패턴 등 다양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그 자체로도 아름다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Next, it is a process of dividing a space in a desired pattern (patter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uoyancy pots 110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5 . The space partition pattern unit 130 may be various, such as a triangular pattern, a circular pattern, a star pattern, and the like, unlike the drawings.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beautiful aesthetic feeling by itself.

그런 다음, 도 6처럼 부력 화분(11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부유성 수생식물(140)이 식생되도록 한다.Then, as shown in FIG. 6 , the floating aquatic plants 140 are vegetat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buoyant pots 110 .

이처럼 보 또는 호수의 수변에 부력 화분(110)을 통해 공간을 구획, 형성하고, 각각의 공간에 부유성 수생식물(140)을 식생 증식을 통해 각 공간을 채우도록 하면 녹조가 발생하는 시기에 부유성 수생식물(140)을 통해 녹조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으로 환경 미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f a space is partitioned and formed through a buoyancy pot 110 at the waterside of a weir or lake, and each space is filled with floating aquatic plants 140 through vegetation growth, buoyancy occurs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green algae. Generation of algae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oily aquatic plant 140 . In addition, various designs can contribute to environmental beautific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연 친환경적 방법으로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 대비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 미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acts 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lgae in a natural environment-friendly method, as well as high efficiency compared to the structure at a significantly lower cost than the prior art, and also contributes to the beautific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 able to do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의 구조도, 도 10은 도 9에 적용되는 부력 화분의 단면 예시도, 도 11은 도 10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12는 부력 화분에 수생식물이 식생된 상태의 도면이다.9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lgae prevention system using an aquatic pla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oyant pollen applied to FIG. 9,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12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quatic plants are vegetated in buoyant pots.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방지시스템 역시, 부력 화분(210), 공간 구획 패턴부(230) 및 부유성 수생식물(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alga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include a buoyant pot 210 , a space partitioning pattern unit 230 , and a floating aquatic plant 140 .

부력 화분(210)은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는 구조로 된 부유성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력 화분(210)은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베이스 플레이트(211)에 교차하게 연결되되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함께 박스(box) 타입의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212)와,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측판 플레이트(21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부력 기능을 제공하는 부력체(213)와,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212) 중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돌기(214)와,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212)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되 상대편 부력 화분(210)의 연결 돌기(214)가 연결되는 연결 돌기홈(215)을 포함할 수 있다.Buoyancy pollen 210 is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float to the surface. The buoyancy pot 210 includes a base plate 211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212 that are cross-connected to the base plate 211 and form a box-typ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211, The buoyancy body 213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211 and the side plate 212 to provide a buoyancy function, and at least one connecting protrusion 214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212 . ) and a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212 that are recessed in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212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protrusion groove 215 to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214 of the opposing buoyancy pot 210 is connected.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부력 화분(210)은 단순 부력 구조물이 아닌 수생식물(240)이 식재될 수 있는 수생식물 식재용 부력 화분(210)으로 적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oyancy pot 210 applied to this embodiment is applied as a buoyancy pot 210 for planting an aquatic plant in which the aquatic plant 240 can be planted, not a simple buoyancy structure.

이러한 수생식물 식재용 부력 화분(210)에 식재되는 수생식물(240)은 140번으로 도시된 수생식물처럼 반드시 부유성일 필요는 없다.The aquatic plants 240 planted in the buoyant pots 210 for planting aquatic plant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floating like the aquatic plants shown at number 140 .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 식재용 부력 화분(210)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에는 플레이트 개구(211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플레이트 개구(211a)에 통기망 부재(217)가 볼트(218)로 결합한다. 통기망 부재(217)에는 복수 개의 통기망(217a)이 형성된다. 따라서, 물이 드나들 수 있다.A plate opening 211a is formed in the base plate 211 applied to the buoyant pot 210 for planting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ventilation network member 217 is bolted 218 to this plate opening 211a. combine with The ventilation network member 217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networks (217a). Thus, water can come and go.

플레이트 개구(211a)에 연통하게 부력체(213)들 사이에 식재 공간부(213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식재 공간부(213a)의 하부에 식재용 스펀지(219)가 마련된다. 식재용 스펀지(219)에 수생식물(240)의 줄기 또는 뿌리 영역이 식될 수 있다.A planting space 213a is formed between the buoyancy bodies 213 in communication with the plate opening 211a, and a planting sponge 219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nting space 213a. The stem or root region of the aquatic plant 240 may be planted on the planting sponge 219 .

이와 같은 구조의 수생식물 식재용 부력 화분(210)이 마련되면, 수생식물 식재용 부력 화분(210)이 부력 기능 외에도 식재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어서 녹조 방지에 탁월한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buoyancy pot 210 for planting aquatic plants having such a structure is provided, the buoyancy pot 210 for planting aquatic plants can additionally provide a plant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buoyancy function,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role in preventing algae.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자연 친환경적 방법으로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 대비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 미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lgae in a natural environment-friendly method, as well as high efficiency compared to the structure at a significantly lower cost than the prior art, and also contribute to the beautific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제3 실시예)(Example 3)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에 적용되는 부력 화분의 이미지이다.13 is an image of a buoyant pollen applied to a system for preventing algal blooms using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부력 화분(310)은 화분 본체(311)와, 화분 본체(311)를 부상시키는 부상체(3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buoyancy pot 310 applied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ot body 311 and a floating body 312 for levitating the pot body 311 .

화분 본체(311)에는 부력 화분(310) 상호간을 결속해 주는 밴드(313) 등의 수단이 갖춰진다.The pot body 311 is provided with means such as a band 313 for binding the buoyancy pot 310 to each other.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자연 친환경적 방법으로 녹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보다 현저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 대비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 미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lgae in a natural environment-friendly method, as well as high efficiency compared to the structure at a significantly lower cost than the prior art, and also contribute to the beautific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부력 화분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2 : 측판 플레이트 113 : 부력체
114 : 연결 돌기 115 : 연결 돌기홈
130 : 공간 구획 패턴부 140 : 부유성 수생식물
110: buoyancy pot 111: base plate
112: side plate plate 113: buoyancy body
114: connection projection 115: connection projection groove
130: space division pattern unit 140: floating aquatic plants

Claims (3)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는 구조로 된 복수 개의 부력 화분;
복수 개의 상기 부력 화분을 연결해서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되는 공간 구획 패턴부; 및
녹조 방지를 위해 상기 공간 구획 패턴부 내에 식생되는 부유성 수생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
A plurality of buoyant flowerpots with a structure that can float to the surface;
a space partitioning pattern part formed by partitioning a spac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buoyant flowerpots; and
A system for preventing algal blooms using aquatic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floating aquatic plants that are vegetated in the space partition pattern part to prevent algal bloo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화분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교차하게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박스(box) 타입의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측판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부력 기능을 제공하는 부력체;
상기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 중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돌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되 상대편 부력 화분의 연결 돌기가 연결되는 연결 돌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ant pollen is
base plate;
a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cross-connected to the base plate and forming a box-typ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a buoyancy body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side plate plate to provide a buoyancy function;
at least one connec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and
The system for preventing algal blooms using aquatic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essed in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 plates and includes a connecting protrusion groove to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opposing buoyant pot is connected.
수면으로 떠 오를 수 있는 구조의 부력 화분을 제조하는 부력 화분 제조단계;
제조된 복수 개의 부력 화분을 연결해서 원하는 패턴(pattern)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부력 화분을 이용한 공간 구획단계; 및
상기 부력 화분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부유성 수생식물을 심어 식생하는 부유성 수생식물 식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녹조 방지방법.
A buoyant flowerpot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buoyant flowerpot with a structure that can float to the surface;
A space partitioning step using a buoyant flowerpot for dividing the space in a desired pattern by connecting the manufactured plurality of buoyant flowerpot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lgal blooms using aquatic plants, comprising the step of planting and vegetating floating aquatic plants in a space partitioned by the buoyant pots.
KR1020210025402A 2021-02-25 2021-02-25 The anti-green algae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201214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402A KR20220121408A (en) 2021-02-25 2021-02-25 The anti-green alga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402A KR20220121408A (en) 2021-02-25 2021-02-25 The anti-green algae system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408A true KR20220121408A (en) 2022-09-01

Family

ID=8328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402A KR20220121408A (en) 2021-02-25 2021-02-25 The anti-green algae system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1408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036A (en) 1998-01-15 1998-03-30 배평암 Buoyancy multi-level adjustable rich man and its assembly band and buoyancy adjustment method
KR20130022956A (en) 2011-08-26 2013-03-07 부일 이 Umbrella
KR20130111615A (en) 2010-12-20 2013-10-10 애플 인크. Event recognition
KR20170021057A (en) 2015-08-17 2017-0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036A (en) 1998-01-15 1998-03-30 배평암 Buoyancy multi-level adjustable rich man and its assembly band and buoyancy adjustment method
KR20130111615A (en) 2010-12-20 2013-10-10 애플 인크. Event recognition
KR20130022956A (en) 2011-08-26 2013-03-07 부일 이 Umbrella
KR20170021057A (en) 2015-08-17 2017-0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32706B (en) A kind of method that builds wetland type river course
CN102219305B (en) Vertical revetment river lake water wet land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4195983A (en) Ecological softening structure of rigid revetment
CN105256766A (en) Ecology-simulated water bank protection slope structure
CN104005364A (en) Unpowered river bank landscape wet l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CN108978579B (en) Riverway environment restoration structure and riverway ecological environment restoration method
CN204874037U (en) Ecological chinampa device of coupling aeration
KR20220121408A (en) The anti-green algae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2633367A (en)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 for treating eutrophic water body by utilizing Nuphar sinensis
CN103991968A (en) Reinforced multifunctional ecological floating island
CN116750886A (en) Low-temperature-domain activated water purification ecological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for wetland plant bed-trench system
CN206128023U (en) Ecological ditch canal system interconnected system, control nitrogen phosphorus pollution's irrigation canals and ditches
CN203999146U (en) A kind of enhancing multi-functional ecological floating island
Kumar et al. Vertical farming promising cultivation for horticultural crops
CN206735913U (en) Rural area production and living sewage disposal system
CN113149223A (en) Method for constructing small and micro lake-surrounding wetland suitable for mountainous and hilly areas
JP5860317B2 (en) Regulating pond
CN112811605A (en) Wetland combination system for improving wetland plant diversity
CN110156167A (en) Hardening basal plane ecological canal and ecological canal system
CN103755035A (en) Surface flow wetl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combined-type flows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
KR101900934B1 (en) Water culture apparatus for preventing spread of green algae
KR200211901Y1 (en) Plant Floating Island
CN215559303U (en) River channel ecological reconstruction system
CN104229998A (en) Natural style ecological floating b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05346971U (en) A buoyant device for planting benthophy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1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120

Effective date: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