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865A - Management sy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865A
KR20220119865A KR1020210023235A KR20210023235A KR20220119865A KR 20220119865 A KR20220119865 A KR 20220119865A KR 1020210023235 A KR1020210023235 A KR 1020210023235A KR 20210023235 A KR20210023235 A KR 20210023235A KR 20220119865 A KR20220119865 A KR 20220119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ingredients
food
suppli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혜현
Original Assignee
(유) 토리앤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토리앤쿡 filed Critical (유) 토리앤쿡
Priority to KR102021002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9865A/en
Publication of KR2022011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8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an institutional foodservice using the Internet, wherein a standard document form for an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can be provided by sharing accurate data in real time, overall businesses from ordering a food material to warehousing, receiving and issuing goods, and payment management are comprehensively processed, thereby enhancing business efficiency, surplus manpower can be utilized efficiently by minimizing simple collection and analysis management functions within a company, diet management and recipe management become more convenient and simple by providing a standard menu table, a standard recipe, and a nutrition analysis table, and standardization of menu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logistics and purchase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by having a large number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and communicating with each business site using each bulletin board from the aspect of a head office, everyone can share data, thereby providing a convenience, details of an order at each business site can be automatically collected for each supplier, each branch and each item, and a purchase status and a purchase process can be individually managed, thereby reducing business hours.

Description

단체 또는 공유 급식 관리시스템 {Management sy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Management sys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병원·산업체 등에서 특정다수인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계속 공급하는 단체급식에 있어서 회원가입에 의한 이용자가 공중통신망인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식재료관리에서부터 조리방법관리, 식단관리, 식재료 발주, 입고/출고관리, 식재료 재고관리, 매출관리까지 일괄적으로 처리 가능함은 물론, 이용자측에 팩스가 없어도 식재료 납품업체에 팩스로서 식재료를 발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맞는 메뉴 구성을 통한 식재료의 손실방지과 운영비용 및 단순업무작업을 위한 인건비 절감 등 다양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group meal service that is regularly and continuously supplied to a specific number of people in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etc., through the Internet, which is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By connecting,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process from food ingredient management to cooking method management, meal management, food ingredient ordering, stocking/shipping management, ingredient inventory management, and sales management. It relates to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that can provide various benefits such as prevention of loss of ingredients through menu composition suitable for users and reduction of operating costs and labor costs for simple work tasks.

일반적으로 학교·병원·산업체 등에서 특정 다수인에 대하여 매일 1회에서 2∼3회씩 정해 놓고 정해진 식단에 맞추어 실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현대사회에서 급식의 흐름은 사회활동의 확대에 따라 각 분야에서 단체급식을 실시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으며,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군대·산업체·학교·기숙사·병원·사회복지시설·교도소 등 많은 시설에서 급식이 행해지고 있고, 이들 시설 중 1회 100명분 이상 또는 1일 250명분 이상의 식사를 공급하는 장소를 단체급식처라고 한다.In general, it means that schools, hospitals, industries, etc. set one to two or three times a day for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implement it according to a set diet. The tendency to provide group meals is expanding, and as the industry develops, many facilities such as the military, industry, schools, dormitories, hospitals,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prisons provide meals, and among these facilities, more than 100 people or 1 A place that provides meals for more than 250 people per day is called a group catering place.

이러한 단체급식은 가정에서의 식사와는 달리 규모가 큰 대량급식으로 식단·급식비, 시간과 일손, 시설과 설비 등의 제약과 위생관리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많은 결함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예로서는 식단에 변화가 없거나, 맛이 좋지 않Unlike meals at home, these group meals are large-scale, large-scale meals, and have many defects due to restrictions such as meal/feeding costs, time and labor, facilities and facilities, and problems with hygiene management. No change or bad taste

을 경우 등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위생관리 및 식재료의 유통기한 이행을 철저히 하지 않을 경우 집단 식중독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여야 한다.case, etc. Especially in summer, if hygiene management and expiration date of ingredients are not thoroughly followed, there is a risk of collective food poisoning.

특히, 영양사는 급식관리상 가장 중요한 영양면·경제면·조리면·작업면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식단을 작성하되, 식단의 주기는 보통 8∼12일로 정하여 같은 요일에 같은 음식이 제공되지 않고 변화를 주어야하며,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의한 영양을 고려하여야 함은 물론, 식재료의 구입 및 관리를 철저히하여 유통기한을 넘기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a nutritionist prepares a meal by fully considering the nutritional aspects, economic aspects, cooking noodles, and working aspect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meal management, but the diet cycle is usually set for 8 to 12 days, so the same food is not provided on the same day of the week and changes are not made. Nutrition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amount of nutrition for Korean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purchase and management of food ingredients should be thorough to prevent the expiration date or spoilage.

그러나, 현재의 단체급식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병원·산업체 등의 단체급식처에 있어서는 1~2인의 영양사가 모든관리를 진행하게 되므로 식단 메뉴의 설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단체급식처에 따라 조리과정이 서로 다르게 되어 음식맛에 많은 차이가 있게되고, 식재료에 대한 영양과 칼로리 등을 환산하여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해당하는 영양관리와 식재료 관리에 있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함으로써 운영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in group catering facilities such as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where group meals are currently implemented, one or two nutritionists take care of all management, 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etting menus, as well as in group catering facilities. Therefore, the cooking process is different, so there is a lot of difference in the taste of food, and by converting the nutrition and calories of the ingredients, the nutrition manag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amount of nutrition for Koreans and the management of the ingredients are not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so there are many operational problems. it contains

즉, 현재의 단체급식처는 본사와 떨어져 있는 각 업장을 연결하는 정보기술(IT)인프라 시설이 취약하여 팩스나 전화를 일일이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고, 반면 본사에서는 자료의 단순 취합업무의 분담량이 심각하여 사업장(단In other words, the current group catering service has a weak information technology (IT) infrastructure that connects each business place away from the head office, so it is cumbersome to use faxes or telephones one by one. Because the share is serious,

체급식처)의 규모가 증가할 때마다 인력(영양사)는 늘어나지만 본사업무의 분담량은 오히려 더 늘어나게 된다.Whenever the size of the catering establishment) increases, the number of manpower (nutritionist) increases, but the amount of work shared by the head office increases.

그 일예로서, 식단작성시 자료를 찾고 취합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매일 반복업무와 월말에 집중되는 마감관리작업,각종 보고자료 등으로 인해 고객에게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시간이 부족하며, 재고관리 및 식자재관리가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As an example, it takes a lot of time to find and collect data when preparing meals, and there is not enough time to provide friendly service to customers due to daily repetitive tasks, deadline management work that is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month, and various report data, and inventory management. 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food material management is carried out manually.

따라서, 단체급식처에서는 식재료관리에서부터 레시피관리, 식단관리, 식재료 발주, 입.출고관리, 재고관리, 매출관리를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단체급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system that manages and operates group catering more efficiently by collectively processing food material management, recipe management, meal management, food ordering, warehousing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and sales management in group catering establishments. the current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용자가 공중통신망(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며 식재료관리에서부터 레시피, 식단, 영양분석, 식재료발주, 식재료 입.출고관리, 식재료재고, 식재료 납품업체, 결산관리를 일괄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웹서버와, 납품업체DB, 식재료DB, 영양분석DB, 식단DB, 발주DB, 입.출고DB, 레시피DB로 이루어져 상기 웹서버와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비하여 함으로써 단체급식처인 이용자가 공중통신망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여 식재료관리에서부터 레시피관리, 식단관리, 식재료 발주, 입고/출고관리, 식재료 재고관리,매출관리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s connected through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Internet) in order to meet the above needs, from food ingredient management to recipe, diet, nutritional analysis, food ingredient ordering, ingredient stocking and warehousing management, ingredient inventory, ingredient supplier, and settlement management. It consists of a web server with a built-in program for batch processing, supplier DB, food ingredients DB, nutrition analysis DB, diet DB, ordering DB, in/out DB, and recipe DB. By providing a group catering service, users can access the web server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cess food ingredients management, recipe management, meal management, food ingredient ordering, stocking/shipping management, ingredient inventory management, and sales management in a lump sum. make it a technical task.

본 발명은 단체급식처에서 관리에 필요한 식단, 식재료, 영양분석값, 식재료의 입.출고 및 재고량, 납품업체 및 이 납품업체에 식재료를 구입하기 위한 발주서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0)가 구비되고, 각종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는 입.출력장치(25)(26)와, 단체급식처인 이용자 단말기(10a~10n)를 공중통신망(90)으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atabase server 30 in which meals required for management in a group catering service, food ingredients, nutritional analysis values, input/exit and inventory amount of ingredients, a supplier and an order form for purchasing ingredients from the supplier are stored, and , input/output devices 25 and 26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user terminals 10a to 10n, which are group meals, are connected to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27)와, 상기 입력장치(25) 및 통신인터페이스(27)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와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며 시스템의 모든 기본적인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구동프로그램 저장부(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와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고 단체급식처에서 여러 가지의 항목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계 관리할 수 있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된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서버(30)를 연계 동작시키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로 이루어진 웹서버(20)가 구비되고, 단체급식처의 이용자 단말기(10a~10n)로부터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웹서버(20)에 접속하여 납품업체에 식재료발주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납품업체의 팩스(60)로 발주서를 전송하는 게이트(40) 및 공중전화교환망(5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이다.a communication interface 27 for connecting to ) and the drive program storage unit 21 in which all basic control programs of the system are built-in and data exchange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are made, and data are exchanged systematically for various items in the group dining area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program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and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and a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having a plurality of programs that can be linked and managed with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the database In order to read or record various data stored in the server 30, a web server 20 comprising a database server linking unit 23 for linking and operating the database server 30 is provided, and the user terminal 10a of the group catering place is provided. ~10n) to access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from the gate 40 and transmit the order form to the supplier's fax 6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when ordering food to the supplier; and It is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50 is provided.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단체급식처 업계의 표준문서양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재료의 발주에서부터 입.출고, 수불관리에 이르기까지 전체업무가 일괄적으로 처리되어 업무효율이 높아지고, 회사내의 단순취합 및 분석관리 기능을 최소화시켜 잉여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식단표, 표준레시피, 영양분석표를 제공하여 식단관리, 레시피관리가 더욱 편리하고 간편하게 되며, 메뉴관리의 표준화와, 물류 및 구매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andard document format for the group catering industry by sharing accurate data in real time, and the entire business from ordering food materials to receiving/delivering, and managing payment and receiving is processed in a lump. This improves work efficiency and minimizes the simple collection and analysis management functions within the company to efficiently utilize surplus manpower. , standardization of menu management, and easy logistics and purchase management are effective.

또한, 단체급식처를 다수 보유하고 본사 측면에서는 각 게시판을 이용하여 각 업장과 연락이 이루어지게 되어 모두가 자료를 공유하게 되므로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고, 각 업장별 발주내용을 납품업체별, 지점별, 품목별로 자동 취합할 수 있음은 물론, 구매현황, 구매과정을 개별적으로 각각 관리할 수 있어 업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e have a large number of group catering establishments, and the head office uses each bulletin board to communicate with each business, providing convenience because everyone can share data.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utomatically collect items by item,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manage the purchase status and purchase process, thereby reducing work hou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웹서버
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웹서버에
있어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의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웹서버
접속시 메인화면의 메뉴 계층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전체 동작
흐름도.
도 5a의 (가), (나)는 납품업체 및 단체급식처의 회원 DB등록 순서도.
도 5b는 DB등록된 납품업체 회원의 화면출력 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식재료 DB등록 순서도.
도 6b의 (가)는 식재료 등록을 위한 자료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이고,
(나)는 등록 완료된 식재료의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영양분석 DB등록 순서도.
도 7b의 (가)는 식재료의 영양분석등록을 위한 자료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
(나)는 등록된 식재료의 영양분석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레시피 DB등록 순서도.
도 8b의 (가)는 레시피 등록을 위한 자료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이고,
(나)는 등록 완료된 레시피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식단DB 등록 순서도.
도 9b의 (가)는 식단 등록을 위한 자료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
(나)는 등록 완료된 식단의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발주DB) 등록 진행순서도.
도 10b의 (가)는 내부 발주서 등록을 위한 자료 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
(나)는 등록 완료된 발주내역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납품업체 발주시의 진행
순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납품업체 발주신청시 화면
출력 상태도.
도 12a의 (가), (나)는 발주서에 의해 납품업체로부터 구입된 식재료의 입.
출고관리 진행순서도.
도 12b의 (가), (나)는 입.출고관리시 화면출력 상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web server in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diagram.
Figure 3a is a web server of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Figure 3b is data of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se server.
Figure 4a is a web server of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nu hierarchy of the main screen when connected.
Figure 4b i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w chart.
(A), (B) of Figure 5a is a flow chart of member DB registration of suppliers and group catering companies.
Figure 5b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of the DB registered supplier member.
Figure 6a is a food DB registration flow chart in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a)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when data input for food registration,
(B)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 list of registered ingredients on the screen.
Figure 7a is a nutrition analysis DB registration flow chart in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b (a)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at the time of data input for registration of nutritional analysis of ingredients.
(B) is an example of outputting the nutritional analysis list of registered ingredients on the screen.
Figure 8a is a recipe DB registration flow chart in the group feed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of Figure 8b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when data input for recipe registration,
(B) is an example of outputting the registered recipe on the screen.
Figure 9a is a flow chart of DB registration in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9B (A)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when data is input for food registration.
(B)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 list of registered meals on the screen.
Figure 10a is an order DB) registration process flow chart in the group cater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of Figure 10b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when data is input for registration of an internal order form.
(B) is an example of outputting a list of registered order details on the screen.
Figure 11a is the progress of the supplier order in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chart.
Figure 11b is a screen when ordering a supplier in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 status diagram.
(A) and (B) of FIG. 12A are the mouths of the ingredients purchased from the supplier according to the order form.
Delivery management process flow chart.
(A) and (B) of Figure 12b are screen output state diagrams during input/output manage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 and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carried out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먼저,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First, terms used herein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병원·산업체 등에서 특정 다수인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계속 공급하는 단체급식에 있어서 회원가입에 의한 이용자가 공중통신망인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식재료관리에서부터 조리방법관리, 식단관리, 식재료 발주, 입고/출고관리, 식재료 재고관리, 매출관리까지 일괄적으로 처리 가능함은 물론, 이용자측에 팩스가 없어도 식재료 납품업체에 팩스로서 식재료를 발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맞는 메뉴 구성을 통한 식재료의 손실방지과 운영비용 및 단순업무작업을 위한 인건비 절감 등 다양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group meal service that is regularly and continuously supplied to a certain number of people in schools, hospitals, industries, etc., through the Internet, which is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By connecting,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process from food ingredient management to cooking method management, meal management, food ingredient ordering, stocking/shipping management, ingredient inventory management, and sales management. It relates to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that can provide various benefits such as prevention of loss of ingredients through menu composition suitable for users and reduction of operating costs and labor costs for simple work tasks.

일반적으로 학교·병원·산업체 등에서 특정 다수인에 대하여 매일 1회에서 2∼3회씩 정해 놓고 정해진 식단에 맞추어 실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현대사회에서 급식의 흐름은 사회활동의 확대에 따라 각 분야에서 단체급식을 실시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으며,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군대·산업체·학교·기숙사·병원·사회복지시설·교도소 등 많은 시설에서 급식이 행해지고 있고, 이들 시설 중 1회 100명분 이상 또는 1일 250명분 이상의 식사를 공급하는 장소를 단체급식처라고 한다.In general, it means that schools, hospitals, industries, etc. set one to two or three times a day for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implement it according to a set diet. The tendency to provide group meals is expanding, and as the industry develops, many facilities such as the military, industry, schools, dormitories, hospitals,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prisons provide meals, and among these facilities, more than 100 people or 1 A place that provides meals for more than 250 people per day is called a group catering place.

이러한 단체급식은 가정에서의 식사와는 달리 규모가 큰 대량급식으로 식단·급식비, 시간과 일손, 시설과 설비 등의 제약과 위생관리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많은 결함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예로서는 식단에 변화가 없거나, 맛이 좋지 않을 경우 등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위생관리 및 식재료의 유통기한 이행을 철저히 하지 않을 경우 집단 식중독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여야 한다.Unlike meals at home, these group meals are large-scale, large-scale meals, and have many defects due to restrictions such as meal/feeding costs, time and labor, facilities and facilities, and problems with hygiene management. There is no change or the taste is not good. Especially in summer, if hygiene management and expiration date of ingredients are not thoroughly followed, there is a risk of collective food poisoning.

특히, 영양사는 급식관리상 가장 중요한 영양면·경제면·조리면·작업면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식단을 작성하되, 식단의 주기는 보통 8∼12일로 정하여 같은 요일에 같은 음식이 제공되지 않고 변화를 주어야하며,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의한 영양을 고려하여야 함은 물론, 식재료의 구입 및 관리를 철저히하여 유통기한을 넘기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a nutritionist prepares a meal by fully considering the nutritional aspects, economic aspects, cooking noodles, and working aspect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meal management, but the diet cycle is usually set for 8 to 12 days, so the same food is not provided on the same day of the week and changes are not made. Nutrition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amount of nutrition for Korean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purchase and management of food ingredients should be thorough to prevent the expiration date or spoilage.

그러나, 현재의 단체급식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병원·산업체 등의 단체급식처에 있어서는 1~2인의 영양사가 모든 관리를 진행하게 되므로 식단 메뉴의 설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단체급식처에 따라 조리과정이 서로 다르게 되어 음식맛에 많은 차이가 있게되고, 식재료에 대한 영양과 칼로리 등을 환산하여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해당하는 영양관리와 식재료 관리에 있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함으로써 운영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in group catering facilities such as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that currently provide group meals, one or two nutritionists take care of all the management, 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etting menus, Therefore, the cooking process is different, so there is a lot of difference in the taste of food, and by converting the nutrition and calories of the ingredients, the nutrition manag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amount of nutrition for Koreans and the management of the ingredients are not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so there are many operational problems. it contains

즉, 현재의 단체급식처는 본사와 떨어져 있는 각 업장을 연결하는 정보기술(IT)인프라 시설이 취약하여 팩스나 전화를 일일이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고, 반면 본사에서는 자료의 단순 취합업무의 분담량이 심각하여 사업장(단In other words, the current group catering service has a weak information technology (IT) infrastructure that connects each business place away from the head office, so it is cumbersome to use faxes or telephones one by one. Because the share is serious,

체급식처)의 규모가 증가할 때마다 인력(영양사)는 늘어나지만 본사업무의 분담량은 오히려 더 늘어나게 된다.Whenever the size of the catering establishment) increases, the number of manpower (nutritionist) increases, but the amount of work shared by the head office increases.

그 일예로서, 식단작성시 자료를 찾고 취합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매일 반복업무와 월말에 집중되는 마감관리작업,각종 보고자료 등으로 인해 고객에게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시간이 부족하며, 재고관리 및 식자재관리가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As an example, it takes a lot of time to find and collect data when preparing meals, and there is not enough time to provide friendly service to customers due to daily repetitive tasks, deadline management work that is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month, and various report data, and inventory management. 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food material management is carried out manually.

따라서, 단체급식처에서는 식재료관리에서부터 레시피관리, 식단관리, 식재료 발주, 입.출고관리, 재고관리, 매출관리를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단체급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system that manages and operates group catering more efficiently by collectively processing food material management, recipe management, meal management, food ordering, warehousing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and sales management in group catering establishments. the current situ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12b.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며, 1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웹서버의 구성도이고,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b server in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도 3a는 웹서버에 있어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의 구성도이며, Figure 3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in the web server,

도 3b는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구성도이다.Figure 3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atabase server in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웹서버 접속시 메인화면의 메뉴 계층도이고, Figure 4a is a menu hierarchical view of the main screen when connecting to the web server of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전체 동작흐름도이며, Figure 4b is an overall operation flow chart of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도 5a 내지 도 10b는 데이터베이스 등록과정의 진행순서도 및 화면표시 상태도이다.5A to 10B are flowcharts of a database registration process and a screen display state diagram.

도 11a는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납품업체에 발주시의 진행순서도이며, Figure 11a is a flow chart when ordering from the supplier in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b는 납품업체 발주신청시 화면상태도이고, Figure 11b is a screen state diagram at the time of an order application for a supplier,

도 12a의 (가), (나)는 발주서에 의해 납품업체로부터 구입된 식재료의 입.출고관리 진행순서도이며, (A) and (B) of FIG. 12A are flow charts of stocking and warehousing management of ingredients purchased from a supplier according to an order form,

도 12b의 (가), (나)는 입.출고관리시 화면출력 상태도이다.(A) and (B) of FIG. 12B are screen output state diagrams during input/output management.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와 웹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구성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roup foo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nd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eb server and the database ser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다양한 식단 메뉴에 대한 데이터, 식단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식재료 종류에 대한 데이터, 각 종류별 식재료가 기지는 영양분석 데이터, 상기 식재료의 입고 및 출고에 의한 재고 데이터, 식재료를 납품하는 납품업체 및 이 납품업체에 식재료를 구입하기 위한 발주테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30)가 구비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on various menus, data on various types of food materials required for a diet, nutritional analysis data for each type of food ingredients, and information on the ingredients A database server 30 is provided in which inventory data by warehousing and shipment, a supplier supplying food materials, and ordering data for purchasing food materials to the supplier are stored.

그리고, 단체급식처의 이용자단말기(10a~10n)에서 공중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30)와 연결하여 식재료관리에서부터 레시피관리, 식단관리, 영양분석관리, 식재료 발주관리, 식재료 입고 및 출고관리, 식재료 재고관리, 식재료 납품업체관리, 결산관리까지 일괄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웹서버(20)가 구비된다.And, by connecting with the database server 3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of the group catering place, from food ingredient management, recipe management, diet management, nutrition analysis management, food ingredient ordering management, food material stocking and shipment management, food ingredients A web server 20 is provided so as to collectively process inventory management, food supplier management, and settlement of accounts.

또한, 이용자 단말기(10a~10n)로부터 식재료 구입시 납품업체의 팩스(60)로 식재료발주서를 전송하는 게이트(40) 및 공중전화교환망(50)이 구비되어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식재료를 납품하는 납품업체 및 급식을 제공하는 단체급식처에서는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회원 가입함으로써 각종 관리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 gate 40 and a public telephone switching network 50 are provided for transmitting the food material order form to the fax 60 of the supplier when purchasing food from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so that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ddition, suppliers that supply ingredients and group caterers that provide meals can receive various management programs and data by subscribing to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s a memb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에 있어 웹서버(2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도로서, 각종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는 입.출력장치(25)(26)와, 각종 데이터를 일정한 서식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10a~10n)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27)가 구비된다.2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eb server 20 in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put/output devices 25 and 26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arious data and various data A communication interface 27 is provided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in a predetermined format.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25) 및 통신인터페이스(27)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 (24)와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며 시스템의 모든 기본적인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구동프로그램 저장부(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와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고 식재료관리.조리방법관리.식단관리.영양분석관리.식재료발주관리.식재료 입출고관리.식재료 재고관리.식재료 납품업체관리.결산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와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각종 데이터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 서버(30)를 연계 동작시키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that controls the system by arithmetic processing of all data transmitted from the input device 25 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7, and the data exchange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is made of the system All basic control programs are built-in driving program storage unit 21, and data exchange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is made, and food material management, cooking method management, diet management, nutrition analysis management, food material ordering management, food material arrival and departure Management, food material inventory management, food material supplier management, settlement management, etc. are systematically linked and managed in a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with a built-in program, and data is exchang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In order to execute the program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a database server interworking unit 23 for linking and operating the database server 30 in which various data is recorded is provided.

이하 도 1 내지 도 2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이용자단말기(10a~10n)와 웹서버(20) 간의 상호 및 데이터 전송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mutual and data transmi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and the web server 20 of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웹서버(20)에 다수의 단체급식처 및 음식재료 납품업체가 회원으로 가입한 상태에서 이용자단말기(10a~10n)와 웹서버(20)를 공중통신망 (90)을 통해 접속하게 되면 웹서버(20)에서는 도 2의 통신인터페이스(27)를 통해 정보 및 데이터를 읽어들여 단체급식처의 회원임을 확인하게 되며, 이용자단말기 (10a~10n)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함으로써 관리프로그램 저장부(22)된 각종 관리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연계 처리하여 다시 공중통신망 (90)을 통해 이용자단말기(10a~10n)로 전송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in the state that a number of group catering establishments and food ingredient suppliers are registered as members in the web server 20,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and the web server 20 are connected to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When access is made through the web server 20, information and data are rea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7 of FIG. By controlling the database server interworking unit 23 in the processing device 24, various management programs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and various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30 are linked and processed to connect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gain.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s (10a ~ 10n) through the.

또한, 단체급식처에서 이용자단말기(10a~10n)를 통해 납품업체에 음식재료의 구입을 위해 발주를 신청하게 되면 웹서버(20)에서는 단체급식처에서 지정한 업체와 식재료를 게이트(40)와 공중전화교환망(50)을 통해 납품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팩스(60)를 통해 주문서를 자동 발송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oup catering service requests an order for the purchase of food materials from the supplier through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the web server 20 sends the company and ingredients designated by the group catering service to the gate 40 and the public The order form is automatically sent through the fax 60 owned by the supplier through the telephone switching network 50 .

다음은 도 3a 내지 도 4b에 의해 웹서버의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구성과 메인화면의 메뉴 계층구조, 시스템 전체 동작흐름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and the database server 30 of the web server, the menu hierarchy of the main screen, and the overall operation flow of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4B .

도 3a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관리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낸것으로서, 식단에 필요한 음식재료를 제공하는 납품업체를 관리하는 납품업체 관리프로그램(22a)과, 식단에 필요한 음식재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식재료관리 프로그램(22b)과, 각종 음식재료에 대한 영양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영양분석관리 프로그램(22c)과, 각종 음식에 대한 조리방법을 제시하여 주는 레시피관리 프로그램(22d)과, 8∼12일 주기로 식단의 메뉴를 제시하여 주는 식단관리 프로그램(22e)과, 식단에 필요한 음식재료를 납품업체에 주문하기 위한 발주관리 프로그램(22f)과, 납품업체로부터 접수된 음식재료 및 사용에 따른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위한 입.출고관리 프로그램(22g)과, 음식재료 사용에 따른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하는 재고관리 프로그램(22h)과, 단체급식에 의한 수익금액을 자동적으로 계산하여 결산을 용이하게 하는 결산관리 프로그램(22i)으로 이루어져 있다.Figure 3a shows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management programs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the supplier management program (22a) for managing the suppliers that provide food ingredients necessary for the diet, and food necessary for the diet. A food ingredient management program 22b for efficiently managing ingredients, a nutrition analysis management program 22c that analyzes and provides nutrition for various food ingredients, and a recipe management program 22d that suggests cooking methods for various foods ), a diet management program (22e) that presents a menu of meals every 8 to 12 days, an order management program (22f) for ordering food ingredients necessary for a meal from a supplier, and food materials received from the supplier And an inventory management program (22h) that allows you to easi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according to the use of food ingredients, and an inventory management program (22g) to efficiently manage the use and management, and automatically calculate the amount of revenue from group meals It consists of a settlement management program 22i that facilitates the settlement of accounts.

도 3b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DB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종 음식재료를 납품할 수 있는 납품업체가 저장된 납품업체DB (31)와, 음식을 조리하는데 있어 필요한 모든 음식재료가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DB (32)와, 상기의 모든 음식재료에 대한 영양분이 저장된 영양분석DB(33)와, 일정주기로 식단의 메뉴가 저장되어 있는 식단DB(34)와, 단체급식처에서 납품업체에 음식재료를 주문할 수 있는 발주DB(35)와, 납품업체로부터 접수된 음식재료와 그 사용에 따른 입.출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입.출고DB(36)와, 식재료를 이용해 만든 요리명 및 조리법 등이 저장되는 레시피DB(37)로 이루어진다.Figure 3b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ous DBs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30, the supplier DB 31 in which the suppliers that can supply various food materials are stored, and all food materials necessary for cooking food. A food ingredient DB 32 in which is stored, a nutrition analysis DB 33 in which nutrients for all the above food ingredients are stored, a menu DB 34 in which the menu of the meal is stored at regular intervals, and delivery from a group catering service An ordering DB 35 that can order food ingredients from a company, a warehousing DB 36 for efficiently managing warehousing and warehousing according to the food ingredients received from the supplier and their use, and It consists of a recipe DB 37 in which the name of the dish and the recipe are stored.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웹서버 접속시 메인화면의 메뉴 계층도로서, 단체급식처에서 이용자단말기(10a~10n)를 사용하여 공중통신망(10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하게 되면 메인화면이 나타나게 되며, 이 메인화면에는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전에 해당 식재료를 납품하는 업체를 관리하고 해당 납품업체가 납품하고 있는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납품업체 관리메뉴와, 식재료 군별로 관리가 되며 식재료의 규격, 단가, 납품업체 등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 수정, 출력할 수 있는 식재료 관리메뉴가 나타난다.Figure 4a is a menu hierarchical view of the main screen when accessing the web server of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ccessing (20), the main screen appears, and on this main screen, before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ingredients, you can manage the company that supplies the ingredients and view the information on the ingredients that the supplier is supplying. The company management menu and the ingredients management menu, which are managed by ingredient group, and input, modify, and output information about ingredients such as ingredient specifications, unit prices, and suppliers, appear.

그리고, 메인화면에는 해당 식재료에 대해서 100g을 기준으로 분석되고, 입력된 영양 값을 기준으로 해당 요리의 식재료에 대한 영양분석 값을 자동으로 산출 및 출력하고 추후에 식단 작성시 사용되는 영양분석 관리메뉴와, 기존에 입력해 둔 식재료를 이용해 요리명, 식재료명, 주재료 및 부재료, 조리방법 등(이하 " 레시피'라함)을 작성 및 출력하여 레시피를 구성하는 레시피 관리메뉴와, 이미 작성되어진 레시피를 기준으로 일간, 주간, 월간 단위로 재고 관리식단을 구성하는 식단 관리메뉴가 표시된다.In addition, on the main screen, the corresponding ingredients are analyzed based on 100 g, and the nutritional analysis values for the ingredients of the corresponding dishe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output based on the input nutritional values, and the nutritional analysis management menu used when preparing a meal later. A recipe management menu that composes a recipe by creating and printing the name of the dish, the name of the ingredient, the main and sub-ingredients, and the cooking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cipe”) using previously input ingredients, and The menu for managing the inventory is displayed on a daily, weekly, and monthly basis.

또한, 기존에 작성된 식단이나 레시피, 식재료의 자료를 이용하여 내부적으로 구매팀과 업장간에 발주서 작성이 가능하고, 식재료 입력시 입력한 환산량을 기준으로 소요량산출 및 예상금액 산출을 자동 진행하여 해당 업장 영양사로 하여금 발주의뢰서 작성시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하는 발주 관리메뉴와, 상기 발주 관리메뉴의 실행 과정에서 업장에서 발주 신청된 자료에 대하여 발주 승인(내부 발주)하여 납품업체에 발주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업체에 자동으로 팩스로 전송하는 발주의뢰 관리메뉴가 표시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ternally create an order form between the purchasing team and the business using data from previously prepared diets, recipes, and ingredients. Order management menu that allows nutritionists to minimize errors that can be made when writing an order request form The order request management menu is displayed, which creates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faxes it to the relevant company.

그리고, 납품업체로 발주를 낸 부분에 대하여 해당 납품업체의 입고되어야 할 식재료의 목록표시 및 입고확인이 가능하며, 입고된 품목에 대하여 업장별로 출고 확인이 가능하고 발주된 내역이 없더라도 출고처리를 할 수 있는 입.출고 관리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 list of ingredients to be stocked by the supplier and check the stock for the part that has placed an order with the supplier. possible in-and-out management

메뉴와, 업장별로 보유하고 있는 식재료에 대하여 재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재고 관리메뉴와, 각 업장별로 매출확인은 물론, 일간, 주간, 월간 단위로 매출결산을 수행하는 매출결산 관리메뉴가 나타난다.A menu, an inventory management menu that enables inventory management of ingredients owned by each business, and a sales settlement management menu that performs sales settlement on a daily, weekly, and monthly basis as well as checking sales for each business are displayed.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의 전체 동작흐름도로서, 크게는 납품업체 및 단체급식처를 웹서버(20)에 등록하는 회원 가입과정(100)을 거치게 되며, 상기 회원 가입과정(100)을 거친 이용자는 각각의 메뉴 선택에 의해 다양한 DB등록 및 관리를 실행하게 된다.Figure 4b is an overall operational flow chart of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through a member registration process 100 of registering a supplier and a group catering place in the web server 20, the membership registration The user who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100 executes various DB registration and management by selecting each menu.

즉, 이용자는 식재료 납품업체 및 식재료의 종류, 영양분석, 레시피, 식단, 발주, 결산 등의 자료 입력에 의해 식재료 DB등록(220), 영양분석 DB등록(230), 레시피 DB등록(240), 식단 DB등록(250), 발주 DB등록(260)을 실행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를 구축하는 DB등록과정(200)을 수행하며, 이때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는 각 이용자별 코드가 독립적으로 부여됨으로써 영역이 구분되어 저장된다.That is, the user enters data such as food material supplier and food material type, nutritional analysis, recipe, diet, order, settlement, etc. The DB registration process 200 of building the database server 30 is performed by executing the menu DB registration 250 and ordering DB registration 260, and at this time, the database server 30 is independently assigned a code for each user. Areas are separated and stored.

또한, 이용자는 상기 DB등록과정(200)을 통해 저장된 각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납품업체에 식재료를 발주(310)하고, 식재료의 입.출고확인(320), 재고관리 (330) 및 결산관리(340)하는 이용자 처리과정(300)을 진행하게 되며, 이때 상기 DB등록과정(200) 및 이용자 처리과정(300)에서의 모든 내용이 화면상에 표시되고, 출력명령에 의해 프린터로 출력하는 DB출력과정(280) 및 이용자정보 출력과정(360)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user places an order 310 for food materials to a supplier using their respective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DB registration process 200, and checks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ingredients 320, inventory management 330, and settlement management ( 340), the user processing process 300 is performed, and at this time, all the contents in the DB registration process 200 and the user processing process 300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DB output is outputted to the printer by an output command. A process 280 and a user information output process 360 are performed.

다음은 도 5a 및 도 5b에 의해 납품업체 및 단체급식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회원가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ocess of registering as a member in order to utilize the group cater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supplier and a group catering company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

도 5a의 (가)는 납품업체의 회원 DB등록(210) 순서도이고, 도 5b는 DB등록된 납품업체 회원목록의 화면출력 상태도로서, 먼저 식재료를 단체급식처에 납품하는 납품업체는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연결한 후, 메인화면에서 회원가입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5b에서와 같이 식재료를 납품하는 회사의 정보(업체명, 사업자등록번호 등)와 납품가능한 식재료 등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납품업체DB(31)에 저장한다.Figure 5a (a) is a flow chart of the member DB registration 210 of the supplier, and Figure 5b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of the DB registered supplier member list. After connecting to the web server 20 through 90), if the member registration menu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information on the company that supplies the ingredients (company nam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etc.) It is input and stored in the supplier DB 31 of the database server 30 .

여기서 납품업체 관리메뉴에는 납품업체 수정/입력/찾기/삭제의 보조항목이 있어 항시 수정, 삭제, 찾기 등이 가능하여자료의 갱신이 용이하게 된다.Here, in the supplier management menu, there are auxiliary items of supplier edit/input/find/delete, so it is possible to edit, delete, find, etc. at any time, making it easy to update data.

도 5a의 (나)는 단체급식처인 이용자가 웹서버(20)에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순서도로서, 전술한 납품업체의 회원가입과 동일한 절차를 통해 가입하되, 영양사의 정보를 추가 입력함으로써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B) of FIG. 5A is a flowchart for a user who is a group caterer to sign up for membership in the web server 20, and joins through the same procedure as that of the above-mentioned supplier, but joins by additionally entering information from a nutritionist. the procedure will proceed.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웹서버(20)에 접속 및 회원에 가입하여 본 발명의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DB등록과정(200)을 첨부된 도 6a 내지 도 9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connects to the web server 20 and joins a member to operate the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B registration process 20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9B attached as follows. same.

이하 도 6a 내지 도 11b에 의해 DB등록과정(200)의 진행순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dure of the DB registration proces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11B .

도 6a는 단체급식처의 이용자가 식재료 등록 및 관리를 위한 진행순서도이며, 도 6b의 (가)는 식재료 등록을 위한 자료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이고, 도 6b의 (나)는 등록완료된 식재료의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이다.6A is a flow chart for a user of a group catering service to register and manage ingredients, FIG. 6B (A)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when data is input for ingredient registration, and FIG. 6B (B) is a list of ingredients that have been registered is an example of output on the screen.

먼저, 회원가입된 단체급식처에서 본 시스템에 식재료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자단말기(10a~10n)로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한 후, 메인화면에서 도 6a에서와 같이 식재료 관리메뉴를 선택(단계 221)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관리 프로그램 (22b)을 읽어들여 실행(단계 222)함과 동시에 납품업체DB(31)에서 등록된 납품업체의 리스트를 읽어들이게(단계 223)된다.First, after connecting to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s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to input the food material data into the system at the group catering service registered as a member, on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6a Likewise, when the food material management menu is selected (step 22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reads and executes the food material management program 22b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step 222),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lier DB A list of suppliers registered in (31) is read (step 223).

이때, 화면에는 도 6b의 (가)와 같이 식재료군, 식재료명, 사용여부, 납품업체, 단위, 규격, 환산량, 단가, 제조사, 등급등의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란이 나타나게 되고, 이 란에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단계 224)후, 저장명령을 내리게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식재료DB(32)에 저장(단계 225)을 완료하게 되며, 인쇄명령에 의해 등록된 식재료의 목록을 출력장치(26)인 프린터로서 출력(단계 226, 227)함과 동시에 도 6b의 (나)에서와 같이 프린터에 출력되는 상태의 서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6B, on the screen, a field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ingredients such as ingredient group, ingredient name, usage status, supplier, unit, standard, conversion amount, unit price, manufacturer, grade, etc. appears on the screen. Afte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ingredients in this field (step 224), when a storage command is issu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controls the database server interworking unit 23 to control the ingredients DB 32 of the database server 30 storage (step 225) is completed, and the list of ingredients registered by the print command is output (steps 226, 227) to the printer, which is the output device 26, and at the same time, to the printer as shown in (b) of FIG. 6b. The format of the output state i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7a는 단체급식처의 이용자가 영양분석관리를 위한 진행순서도이며, 도 7b의 (가)는 영양분석 등록을 위한 자료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이고, 도 7b의 (나)는 등록완료된 식재료의 영양분석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이다.Figure 7a is a flow chart for nutrition analysis management by a user of a group catering service, Figure 7b (a)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when data is input for nutrition analysis registration, Figure 7b (b) is the nutrition of registered ingredients It is an example of outputting the analysis list on the screen.

먼저 회원가입된 단체급식처에서 본 시스템에 식재료의 영양분석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자단말기(10a~10n)로 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한 후, 도 7a에서와 같이 메인화면에서 영양분석 관리메뉴를 선택(단계 231)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영양분석관리 프로그램(22c)을 읽어들여 실행(단계 232)함과 동시에 식재료DB(32)에서 이미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의 리스트를 읽어들이게(단계 233) 된다.First, in order to input the nutritional analysis data of ingredients into the system at the group catering service registered as a member,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access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then Likewise, when the nutrition analysis management menu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step 23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reads and executes the nutrition analysis management program 22c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step 232). At the same time, a list of ingredients already stored in the ingredients DB 32 is read (step 233).

이때, 화면에는 도 7b의 (가)와 같이 각 식재료에 대한 100g을 기준으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 10여개 항목의 영양값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란이 나타나게 되며, 이 란에 각 식재료에 대한 영양정보를 입력(단계 234)후, 저장명령을 내리게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영양분석DB(33)에 저장(단계 235) 완료하게 되며, 인쇄명령에 의해 등록된 식재료의 영양값을 출력장치(26)인 프린터로서 출력(단계 236, 237)함과 동시에 도 7b의 (나)에서와 같이 프린터에 출력되는 상태의 서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되고, 입력한 영양분석 값은 추후에 식단 작성시 사용된다.At this time, on the screen, as shown in (A) of FIG. 7B , a column for entering information on the nutritional value of 10 items such as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based on 100 g of each food material appears, and in this column, each ingredient is displayed. After inputting nutritional information (step 234), when a storage command is giv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controls the database server linkage unit 23 and stores it in the nutrition analysis DB 33 of the database server 30 (step 234). 235) is completed, and the nutritional values of the ingredients registered by the print command are output to the printer, which is the output device 26 (steps 236 and 237), and at the same time as in (B) of FIG. The form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entered nutritional analysis value will be used later when preparing a diet.

도 8a는 단체급식처의 이용자가 식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요리명, 조리방법 등의 관리를 위한 레시피DB(37) 등록 진행 순서도이며, 도 8b의 (가)는 레시피 등록을 위한 자료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이고, 도 8b의 (나)는 등록 완료된 레시피를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이다.8A is a flowchart showing the recipe DB 37 registration process for managing the names of dishes and cooking methods made by the user of the group catering service using ingredients, and FIG. 8B (A)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when data is input for recipe registration. and (B) of FIG. 8B is an exemplary diagram of outputting the registered recipe on the screen.

먼저, 회원가입된 단체급식처에서 본 시스템에 레시피를 등록하기 위해 이용자단말기(10a~10n)로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한 후, 도 8a에서와 같이 메인화면에서 레시피 관리메뉴를 선택(단계 241)할 경우 중앙처리장치(24)에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관리 프로그램(22d)을 읽어들여 실행(단계 242)하게 되며, 이때 단체급식처 및 급식대상을 지정(단계 243)하게 되면 식재료DB(32)에서 식재료의 리스트를 읽어들이게(단계 244)된다.First, after accessing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s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to register the recipe in the system at the group catering service registered as a member, on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8a When the recipe management menu is selected (step 24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reads and executes the recipe management program 22d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step 242), and at this time, the group meal service And when a target to be fed is designated (step 243), a list of ingredients is read from the ingredients DB 32 (step 244).

이러한 상태에서 이미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데이터를 복사하기 위해 복사명령을 내릴 경우(단계 245) 레시피DB(37)로부터 이미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데이터를 읽어(단계 246)들이게 되며, 이때 화면에는 도 8b의 (가)와 같이 레시피을 입력할 수 있는 란이 나타나게 되며, 이 란에 요리명과, 식재료 소요량(g) 및 주재료.부재료, 조리방법 등의 정보를 입력/수정(단계 237)후, 저장명령을 내리게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 (30)의 레시피DB(37)에 저장(단계 248) 완료하게 되며, 인쇄명령에 의해 등록된 식재료의 영양값을 출력장치(26)인 프린터로서 출력(단계 249)함과 동시에 도 8b의 (나)에서와 같이 프린터에 출력되는 상태의 서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a copy command is issued to copy the recipe data that is already stored (step 245), the recipe data already stored in the recipe DB 37 is read (step 246), and at this time, the screen of FIG. A field for entering a recipe appears as shown in A), and after entering/modifying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dish, the amount of ingredients required (g), main and sub-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 (step 237) in this field, a save command is issu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controls the database server interworking unit 23 to complete the storage (step 248) in the recipe DB 37 of the database server 30, and outputs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registered ingredients by the print command. As the device 26 is output as a printer (step 249), the form of the state output to the prin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B) of FIG. 8B.

도 9a는 단체급식처의 이용자가 이미 작성되어진 레시피를 이용하여 식단을 작성하는 식단DB(34) 등록 진행순서도이며, 도 9b의 (가)는 식단 등록을 위한 자료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이고, 도 9b의 (나)는 등록 완료된 식단의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로서, 식단DB(34)는 이미 작성되어진 레시피를 기준으로 일별로 식단을 작성하는 기능으로 일간,주간, 월간, 년간 단위로 식단을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9A is a flow chart of the menu DB 34 registration process in which a user of a group catering company creates a meal using a recipe that has already been written, and FIG. (B) of 9b is an example in which a list of registered meals is output on the screen, and the menu DB 34 is a function of creating daily meals based on already prepared recipes, daily, weekly, monthly, and yearly units. to be able to compose a meal.

먼저, 회원가입된 단체급식처에서 본 시스템에 식재료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자단말기(10a~10n)로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한 후, 도 9a에서와 같이 식단 관리메뉴를 선택(단계 251)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식단관리 프로그램(22e)읽어들여 실행(단계 252)함에 따라 도9b의 (가)와 같이 급식일자, 단체급식처(업장), 급식대상, 끼니 등을 지정(단계 253)하게 되면 레시피DB(37)에 등록된 레시피의 리스트를 읽어들이게(단계 254)된다.First, after accessing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s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in order to input food material data into the system at the group catering service registered as a member, diet management as shown in FIG. 9A When a menu is selected (step 25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reads and executes the meal management program 22e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step 252), as shown in FIG. 9b (a). When a meal date, a group catering place (business establishment), a meal target, a meal, etc. are designated (step 253), a list of recipes registered in the recipe DB 37 is read (step 254).

이러한 상태에서 레시피DB(37)에 등록된 요리명을 선택 및 수정하여 일별로 식단을 구성(단계 255)한 후, 저장명령을 내리게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식단DB(34)에 저장(단계 256)을 완료하게 되며, 인쇄명령에 의해 등록된 식단의 목록을 출력장치(26)인 프린터로서 출력(단계 257, 258)함과 동시에 도 9b의 (나)에서와 같이 프린터에 출력되는 상태의 서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In this state, after selecting and modifying a dish name registered in the recipe DB 37 to configure a daily meal (step 255), when a save command is issu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controls the database server interworking unit 23 This completes the storage (step 256) in the menu DB 34 of the database server 30, and outputs the list of registered meals by the print command as a printer, which is the output device 26 (steps 257 and 258).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B) of FIG. 9B, the form of the state output to the prin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식단 관리메뉴에서는 식단 작성시 해당 레시피에 대한 간단한 영양분석 값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영양분석 값을 고려한 식단작성이 가능하고, 특정 기간에 작성된 예상되는 식재료의 소요량 확인과, 특정기간의 식단에 대해서 끼니별로 급식인원 관리는 물론, 식단에 대한 식단가를 관리하는 기능도 부여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menu management menu, you can check the simple nutritional analysis value for the recipe when preparing the meal, so you can create a diet considering the nutritional analysis value, check the expected amount of ingredients prepared in a specific period, and check the diet for a specific period. In addition to managing the number of meals for each meal, it also has a function to manage the meal price for each meal.

도 10a는 단체급식처의 이용자가 납품업체에 식재료를 발주하기 전에 내부적으로 구매팀과 업장간에 내부 발주서를 작성하기 위한 발주DB(35) 등록 진행순서도이며, 도 10b의 (가)는 내부 발주서 등록을 위한 자료 입력시 화면출력 상태도이고, 도 10b의 (나)는 등록 완료된 발주내역 목록을 화면상에 출력한 예시도이다.Figure 10a is a flow chart of registration of the order DB 35 for internally creating an internal order form between the purchasing team and the business place before the user of the group catering place places an order for ingredients from the supplier. It is a screen output state diagram when data is input for , and (B) of FIG. 10B is an exemplary diagram outputting a list of registered order details on the screen.

즉, 회원가입된 단체급식처에서 본 시스템에 내부 발주서를 작성하기 위해 이용자단말기(10a~10n)로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한 후, 도 10a에서와 같이 발주관리메뉴를 선택(단계 261)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발주관리 프로그램(22f)읽어들여 실행(단계 262)함에 따라 도 10b의 (가)와 같이 단체급식처를 지정(단계 263)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식재료DB(32), 식단DB(34), 레시피DB(37)에 등록된 식재료, 레시피, 식단의 리스트를 읽어들이게(단계 264)된다.That is, after connecting to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s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in order to write an internal order form in the system at the registered group catering service, order management as shown in FIG. 10a When the menu is selected (step 26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reads and executes the order management program 22f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step 262), as shown in FIG. 10b (a). When a group catering place is designated (step 263), a list of ingredients, recipes, and meals registered in the ingredients DB 32, the diet DB 34, and the recipe DB 37 of the database server 30 is read (step 264). )do.

이러한 상태에서 작성일자, 입고희망일, 재료분류, 업장, 식단, 요리, 식재료를 입력하여 내부 발주서를 작성(단계 265) 한 후, 저장명령을 내리게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발주DB(35)에 저장(단계 257)을 완료하게 되며, 추가발주 및 내부발주 요청 또는 발주취소의 메뉴선택에 의해 수정, 추가, 삭제 등을 수행(단계 268)하게 되고, 인쇄명령에 의해 등록된 식단의 목록을 출력장치(26)인 프린터로서 출력(단계 269)함과 동시에 도 10b의 (나)에서와 같이 프린터에 출력되는 상태의 서식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In this state, after entering the date of creation, desired date of stocking, material classification, business place, diet, cooking, and ingredients to fill out an internal order form (step 265), when a storage command is issu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sends a database server interlocking unit ( 23) is controlled to complete the storage (step 257) in the order DB 35 of the database server 30, and modify, add, delete, etc. Step 268) is performed, and the list of meals registered by the print command is output to the printer which is the output device 26 (step 269), and at the same time, the form of the state output to the printer is displayed as shown in (B) of FIG. will be displayed on the

또한, 내부 발주서 작성시 기존에 작성된 식단이나 레시피, 식재료를 이용하여 발주서 작성이 가능하며, 식재료 입력시 입력한 환산량을 기준으로 소요량을 산출함과 동시에 예상금액까지 산출함으로서 해당 업장 영양사로 하여금 발주의뢰서 작성시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writing an internal order form, it is possible to write an order form using previously prepared meals, recipes, and ingredients. It is designed to minimize errors that can be made when writing a request form.

상기와 같이 작성된 내부 발주서에 의해 실제로 납품업체에 식재료를 발주하는 발주의뢰관리와, 이 발주된 식재료의 입.출고관리를 실행하는 정보처리과정 (300)을 첨부된 도 11a 내지 도 14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1A to 14,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300 for executing the ordering request management of actually ordering food materials from the supplier based on the internal order form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put/output management of the ordered ingredient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A to 14 .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도 11a는 이용자가 작성한 내부 발주서를 이용하여 실제 납품업체에 식재료 구입을 위해 발주 신청하는 납품업체 발주(310)시 진행순서도이며, 도 11b는 납품업체 발주신청시 화면출력 상태도이다.11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placing an order for a supplier to purchase food ingredients from a supplier using an internal order form written by a user, and FIG.

즉, 회원가입된 단체급식처에서 납품업체에 발주하기 위해 이용자단말기 (10a~10n)로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한 후, 도 11a에서와 같이 발주관리메뉴를 선택(단계 311)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발주관리 프로그램(22f)읽어들여 실행(단계 312)한 다음,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발주DB(35)에 저장되어 있는 내부 발주서의 리스트를 읽어들이게(단계 313)된다.That is, after accessing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s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to place an order from the group catering company registered as a member, the order management menu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1a. When (step 311) is perform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reads and executes the order management program 22f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step 312), and then the order DB 35 of the database server 30 ) to read the list of internal orders stored in (step 313).

상기 내부 발주서의 리스트에서 선택 및 수정과정을 거쳐 실제 발주서를 생성(단계 314)한 후, 저장명령을 내리게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발주DB(35)에 저장(단계 315)을 완료하게 되며, 납품업체에 발주신청을 지시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통신인터페이스(27)를 통하여 발주서를 전송하게 된다.After the actual order form is created (step 314) through selection and modification from the list of internal order forms, and a store command is issu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controls the database server interworking unit 23 to control the database server 30 The storage (step 315) is completed in the order DB 35 of

이때, 발주서는 게이트(40) 및 공중전화교환망(50)을 통해 납품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팩스(60)로 자동 출력되며, 인쇄명령에 의해 발주서를 출력장치(26)인 프린터로 출력(단계 318)하는 한편, 도 11b에서와 같이 발주내역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rder form is automatically output to the fax 60 owned by the supplier through the gate 40 and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50, and the order form is output to the printer, which is the output device 26, by a print command (step 318). ) on the other hand, the order detail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1B.

도 12a의 (가), (나)는 발주서에 의해 납품업체로부터 구입된 식재료의 입. 출고관리(320)시 진행순서도이며, 도 12b의 (가), (나)는 입.출고관리(320)시 화면출력 상태도이다.(A) and (B) of FIG. 12A are the mouths of the ingredients purchased from the supplier according to the order form. It is a flow chart at the time of shipment management 320, and (A) and (B) of FIG. 12B are screen output state diagrams at the time of arrival/delivery management (320).

먼저 회원가입된 단체급식처에서 식재료의 입고관리를 하기 위해 이용자단말기(10a~10n)로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한 후, 도 12a의 (가)에서와 같이 입고확인메뉴를 선택(단계 321)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입출고 관리 프로그램(22g)을 읽어들여 실행 (단계 322)한 다음,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납품업체DB(31)에 저장되어 있는 납품업체 리스트를 읽어들이게(단계 323)된다.First, in order to manage the stocking of ingredients in the group catering service that is registered as a member,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access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then store them as in FIG. 12a (a). When the confirmation menu is selected (step 32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reads and executes the entry/exit management program 22g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step 322), and then the database server 30 A list of vendors stored in the vendor DB 31 is read (step 323).

상기 납품업체별로 입고량을 확인 및 수정(단계 324)한 다음, 저장명령을 내리게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입.출고DB(36)에 저장(단계 325)을 완료하게 되고, 인쇄명령(단계 326)에 의해 입고된 식재료의 내역을 출력장치(26)인 프린터로서 출력(단계 327)하며, 입고관리시의 화면은 도 12b의 (가)와 같이 표시된다.After confirming and correcting the stock amount for each supplier (step 324), when a storage command is issu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controls the database server interworking unit 23 to control the database server 30, ) to complete the storage (step 325), and output (step 327) the details of the ingredients received by the print command (step 326) to the printer which is the output device 26, and the screen at the time of stocking management is shown in FIG. 12b (A) is displayed.

또한, 식재료의 출고관리를 하기 위해 이용자단말기(10a~10n)로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웹서버(20)에 접속한 후, 도 12a의 (나)에서와 같이 출고확인메뉴를 선택(단계 331)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입출고 관리 프로그램(22g)을 읽어들여 실행(단계 332)한 다음,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발주DB(35)에 저장되어 있는 내부발주서 리스트를 읽어들이게(단계 333)된다.In addition, after connecting to the web server 2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s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in order to manage the shipment of ingredients, select the shipment confirmation menu as in (B) of FIG. 12A (step 33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reads and executes the warehouse/delivery management program 22g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step 332), and then the order DB 35 of the database server 30 The internal order list stored in the is read (step 333).

상기 내부 발주서를 기준으로 식재료별 출고량을 확인(단계 334)한 다음, 저장명령을 내리게되면 중앙처리장치(24)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입.출고DB(36)에 저장(단계 335)을 완료하게 되고, 인쇄명령(단계 336)에 의해 입고된 식재료의 내역을 출력장치(26)인 프린터로서 출력(단계 337)하게 되며, 출고관리시의 화면은 도 12b의 (나)와 같이 표시된다.After confirming the quantity delivered by each ingredient based on the internal order form (step 334), when a storage command is issu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controls the database server interlocking unit 23 to store the database server 30 in the warehouse DB. The storage (step 335) is completed in (36), and the details of the ingredients received by the print command (step 336) are output as the printer which is the output device 26 (step 337), and the screen at the time of shipment management is It is displayed as shown in (B) of FIG. 12B.

한편, 정보처리과정(300)에서는 전술한 발주의뢰관리, 입.출고관리 외에 재고관리(340)에 의한 식재료의 재고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출결산관리(350)에 의해 업장별, 일별, 월별로 매출사항을 자동적으로 정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300,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order request management and stocking/outgoing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of ingredients by the inventory management 340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and by the sales settlement management 35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ettle sales by day and by month.

Claims (3)

단체급식처에서 관리에 필요한 식단, 식재료, 영양분석값, 식재료의 입.출고 및 재고량, 납품업체 및 이 납품업체에 식재료를 구입하기 위한 발주서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0)가 구비되고,
각종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는 입.출력장치(25)(26)와, 단체급식처인 이용자 단말기(10a~10n)를 공중통신망(90)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27)와, 상기 입력장치(25) 및 통신인터페이스(27)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와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며 시스템의 모든 기본적인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구동프로그램 저장부(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와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고 단체급식처에서 여러 가지의 항목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계 관리할 수 있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에 저장된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서버(30)를 연계 동작시키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연동부(23)로 이루어진 웹서버(20)가 구비되고,
단체급식처의 이용자 단말기(10a~10n)로부터 공중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웹서버(20)에 접속하여 납품업체에 식재료발주시 공중통신망(90)을 통해 납품업체의 팩스(60)로 발주서를 전송하는 게이트(40) 및 공중전화교환망(50)이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
A database server 30 is provided in which meals required for management in the group catering service, food ingredients, nutritional analysis values, food stocks, stocks, suppliers and orders for purchasing ingredients from the suppliers are stored,
Input/output devices 25 and 26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27 for connecting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which are group catering places, to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the input device ( 25)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24 that controls the system by processing al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7, data exchange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is made, and all basic control programs of the system are built-in The driving program storage unit 21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exchange data and store a management program in which a plurality of programs that can be systematically linked and managed for various items in a group catering place are stored. In order to read or write various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30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program controlled by the unit 22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4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database
A web server 20 comprising a database server linking unit 23 for linking the server 30 is provided,
When ordering food to the supplier by accessing the web server 20 from the user terminals 10a to 10n of the group catering company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the order form is sent to the supplier's fax 60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90.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gate 40 and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50 for transmit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로그램 저장부(22)는, 식단에 필요한 음식재료를 제공하는 납품업체를 관리하는 납품업체 관리프로그램(22a)과, 식단에 필요한 음식재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식재료관리 프로그램(22b)과, 각종 음식재료에 대한 영양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영양분석관리 프로그램(22c)과, 각종 음식에 대한 요리명 및 조리방법을 제시하여 주는 레시피관리 프로그램(22d)과, 일간, 주간,
월간, 년간 단위로 식단의 메뉴를 제시하여 주는 식단관리 프로그램(22e)과, 식단에 필요한 음식재료를 납품업체에 주문하기 위한 발주관리 프로그램(22f)과, 납품업체로부터 접수된 음식재료 및 사용에 따른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입.출고관리 프로그램(22g)과, 음식재료 사용에 따른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하는 재고관리 프로그램(22h)과, 단체급식에 의한 수익금액을 자동적으로 계산하여 결산을 용이하게 하는 결산관리 프로그램(22i)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program storage unit (22), a supplier management program (22a) for managing a supplier that provides food ingredients necessary for the diet, and food ingredients management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food ingredients necessary for the diet A program 22b, a nutrition analysis management program 22c that analyzes and provides nutrition for various food ingredients, a recipe management program 22d that presents cooking names and cooking methods for various foods, daily, weekly,
A menu management program (22e) that presents menu items on a monthly and yearly basis, an order management program (22f) for ordering food ingredients required for a meal from a supplier, and A warehouse management program (22g) to efficiently manage A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lement management program (22i) for facilitating settlement of accounts is sto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0)는,
각종 식재료를 납품할 수 있는 납품업체가 저장된 납품업체DB(31)와, 음식을 조리하는데 있어 필요한 모든 식재료가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 DB(32)와, 상기의 모든 식재료에 대한 영양분석값이 저장된 영양분석DB(33)와, 일정주기로 식단의 메뉴가 저장되어 있는 식단DB(34)와, 단체급식처에서 납품업체에 음식재료를 주문할 수 있는 발주DB(35)와, 납품업체로부터 접수된 음식재료와 그 사용에 따른 입.출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입.출고DB(36)와, 식재료를 이용해 만든 요리명 및 조리법 등이 저장되는 레시피DB(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 급식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base server 30,
A supplier DB 31 in which suppliers capable of supplying various ingredients are stored, a food ingredient DB 32 in which all ingredients necessary for cooking food are stored, and nutrition in which nutritional analysis values for all ingredients are stored. The analysis DB 33, the menu DB 34 in which the menu of the meal is stored at a certain period, the ordering DB 35 that can order food ingredients from the supplier at the group catering place, and the food materials received from the supplier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input/export DB 36 for efficiently performing stock-and-deliver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Internet, and a recipe DB 37 in which the names of dishes made using ingredients and recipes are stored. Group meal management system.
KR1020210023235A 2021-02-22 2021-02-22 Management sy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 KR202201198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35A KR20220119865A (en) 2021-02-22 2021-02-22 Management sy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35A KR20220119865A (en) 2021-02-22 2021-02-22 Management sy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865A true KR20220119865A (en) 2022-08-30

Family

ID=8311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235A KR20220119865A (en) 2021-02-22 2021-02-22 Management sy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98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ghazadeh Improving logistics operations across the food industry supply chain
US8825534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ufacturing estimation production assembly and inventory management
Hwa Chung et al. ERP adoption: a technological evolution approach
Ricker et al. Order fulfillment: the hidden key to e-commerce success
US7353195B2 (en) System for purchase management and for facilitating distribution
King et al. Reengineering the food supply chain: the ECR initiative in the grocery industry
US8712823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supply capacity estimation
Sohal et al. Supply chain management in Australian manufacturing—two case studies
Whiteoak Rethinking efficient replenishment in the grocery sector
KR102191381B1 (en) Total Information Solution of food system for group feeding
US20040064350A1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program
KR102289914B1 (en) Total Information Solution of food method and system for group feeding
Pinna et al. Emerging trends in healthcare supply chain management—an Italian experience
Lee et al. Entrepreneurial applications of the lean approach to service industries
JPH11306233A (en) Overall production system for medical supplies manufacturing company
KR20030017664A (en) A management system of group feeding using internet
KR20220119865A (en) Management sytem of communal or sharing feeding
Chen et al. An overview of workflow management system structure in the supply chain
CN1667629A (en) Network-based digitalized logistic chain management system for office appliances automatic goods-selling
US200201436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upply and demand in a structured environment
KR102467117B1 (en) The hospi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connection with meal ser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Afoakwah et al. Emerging Trends in Healthcare Supply Chain: An Approach to Agile Services
TW200832244A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y processing data on production line
Bird Computerization in the OR
Ngoenko et al. A knowledge model for university food deliver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