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13A - 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and art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and art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13A
KR20220118613A KR1020210022227A KR20210022227A KR20220118613A KR 20220118613 A KR20220118613 A KR 20220118613A KR 1020210022227 A KR1020210022227 A KR 1020210022227A KR 20210022227 A KR20210022227 A KR 20210022227A KR 20220118613 A KR20220118613 A KR 2022011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electrode layer
transparent electrode
layer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중원
Original Assignee
박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원 filed Critical 박중원
Priority to KR102021002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613A/en
Priority to PCT/KR2022/001256 priority patent/WO2022177190A1/en
Publication of KR2022011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chromic stacked body; and a second electrochromic stacked body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electrochromic stacked bod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chromic stacked bodies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 counter electrode layer; and an ion conduc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counter electrode layer.

Description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 및 그것을 갖는 제품{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AND ARTICLE HAVING THE SAME}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nd product having same

본 발명은 전기 변색 소자 및 그것을 갖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 및 그것을 갖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an articl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nd an article having the same.

전기 변색 소자는 전기 변색 물질이 전기화학적으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을 일으킬 때 나타나는 가역적인 색 변화를 이용하는 소자이다. 전기 변색 소자는 건축용 스마트 윈도우, 자동차용 미러(리어 미러, 사이드 미러 등), 자동차용 선루프,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안경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응용 분야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is a device using a reversible color change that occurs when an electrochromic material undergoes an electrochemical oxidation or reduction reacti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can be used in smart windows for construction, automobile mirrors (rear mirror, side mirror, etc.), automobile sunroof, display device, and glasses, and the field of application thereof is continuously increasing.

전기 변색 소자는 일반적으로 투명 전극층들 사이에 배치된 카운터 전극층, 이온 전도층 및 전기 변색층을 포함한다. 카운터 전극층으로부터 이온 전도층을 통해 전기 변색층으로 이온이 공급되어 전기 변색이 발생한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generally includes a counter electrode layer, an ion conducting layer and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Ions are supplied from the counter electrode layer to the electrochromic layer through the ion conductive layer to cause electrochromic.

투명 전극층들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 신호 강도를 조절하여 전기 변색 소자의 착색농도(Darkness)를 조절할 수 있지만, 착색농도는 전기 변색 소자의 광 투과율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전기 변색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착색농도 범위가 한정된다. 또한, 기존의 액상을 이용한 전기 변색 소자는 넓은 착색농도의 범위를 가지는 전기 변색 소자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Darknes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an electric signal applied through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but the color concentration is limited by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refore, the range of the coloring concentr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limit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ctrochromic device using a liquid phase has a limitation in providing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wide range of color concentrations.

한편, 전기 변색 소자를 이용하여 안경을 제조할 경우, 고기능성 또는 패션을 위한 목적으로 전기 변색 소자의 색상 및 착색농도를 다양하게 가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액상 전기 변색 소자나 광변색 렌즈는 일반적으로 단일 컬러를 구현할 수 있을 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when manufacturing glasses us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it is necessary to variously vary the color and the coloring concentra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for the purpose of high functionality or fashion. However, conventional liquid electrochromic devices or photochromic lenses can only implement a single color, but cannot implement a variety of colo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현 가능한 착색농도 범위를 증가시킨 전기 변색 소자 및 그것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n increase in the color concentration range that can be realized and a produc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 및 그것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lors and a produc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는, 제1 전기 변색 적층체; 및 상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 상부에 배치된 제2 전기 변색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 각각은, 전기 변색층; 카운터 전극층; 및 상기 전기 변색층과 상기 카운터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이온 전도층을 포함한다.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and a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s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counter electrode layer; and an ion condu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counter electrode layer.

상기 전기 변색층, 카운터 전극층, 및 이온 전도층은 모두 금속 산화물층일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the counter electrode layer, and the ion conductive layer may all be metal oxide laye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 및 상기 제2 전기 변색 적층체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전기 변색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may be electrochromic in different colors.

상기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는, 제1 투명 전극층; 제2 투명 전극층; 및 제3 투명 전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는 상기 제1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기 변색 적층체는 상기 제2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3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다.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may includ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includes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전극층은 상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에 공통으로 결합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may be a common electrode commonly coupled to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나아가, 상기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는 상기 제3 투명 전극층 상부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층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또는 망간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산화막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is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an aluminum oxide film, a hafnium oxide film, or a manganese oxide film.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xide film or polyim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또한, 상기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는 상기 제1 투명 전극층 아래에 배치된 베이스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se substrate disposed under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상기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는, 상기 제2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기 변색 적층체 사이에 배치된 제4 투명 전극층;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4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may include: a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and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은 위에서 설명한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은 상기 전기 변색 소자가 결합된 안경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described above. The product may further include a spectacle frame to which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coupled.

나아가, 상기 안경 프레임은 상기 전기 변색 소자에 접속하는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glasses frame may include connectors for connecting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채택함으로써 착색농도(Darkness)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서로 다른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들을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변색 소자는 고체 박막을 이용하므로, 잔색이 남지 않을 정도로 빠른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고, 온도 의존성이 낮으며,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element capable of increasing a range of darkness by adopt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elemen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lors by stacking electrochromic devices capable of implementing different colors.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olid thin film, a switching operation that is fast enough to leave no residual color is possible, the temperature dependence is low, and various colors can be active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hav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장점 및 특징이 또한 이하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변색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변색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갖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갖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갖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변색 렌즈를 갖는 보조 키트를 장착한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romic lamin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6B, and 6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glasses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glasses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glasses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eyeglasses equipped with an auxiliary kit having an electrochromic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각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상부"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lso, when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on” or “on” another component, each component is different from each component, as well as when each component is “immediately above” or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It includes the case where an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them.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laminate 30a and 3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변색 소자(100)는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 변색 소자(100)는 베이스 기판(21), 버퍼층(23), 제1 투명 전극층(25), 제2 투명 전극층(33), 제3 투명 전극층(35) 및 보호층(37)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는 각각 전기 변색층(27a, 27b), 이온 전도층(29a, 29b) 및 카운터 전극층(31a, 31b)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ncludes a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and a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ncludes a base substrate 21 , a buffer layer 23 ,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 and a protective layer 37 . may include The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may includ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and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respectively.

베이스 기핀(21)은 상면 및 하면을 갖는다. 베이스 기판(21)의 상면 및 하면은 평평한 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기 변색 소자(100)가 안경으로 사용될 경우, 베이스 기판(21)의 상면 및 하면은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베이스 기판(21)의 상면 및 하면의 곡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할 수 있다.The base gipin 21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substrate 21 may be flat surfac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s used as glass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substrate 21 may have a convex or concave shape. In particular, the user's eyesight may be corrected by using the curvatur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substrate 21 .

베이스 기판(21)은 제1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를 지지하며, 가시광에 투명하다. 베이스 기판(21)은 예를 들어, 글래스,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계, 폴리 이미드(PI: Polyimide)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계, 아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 allyl diglycol carboanate; 예,. CR39)계, 우레탄 베이스 프리폴리머(Urethane based pre-polymer; 예, 트라이벡스(Trivex))계, 아크릴릭(Acrylic)계,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계,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계, 폴리우레아우레탄계(Polyurea-urethane), 폴리(티오)우레탄(Poly(thio)urethane)계, 또는 에피설파이드(Episulfide)계 등의 폴리머 계열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The base substrate 21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and is transparent to visible light. The base substrate 21 is, for example, glas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based, polyimide (PI)-bas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aryl diglycol carbonate ( ADC: allyl diglycol carboanate; eg, CR39)-based, urethane based pre-polymer; eg, Trivex)-based, acrylic, polycarbonate (PC: Polycarbonate)-based, polyurethane (PU: polyurethane), polyurea-urethane, poly (thio) urethane, or episulfide.

버퍼층(23)은 베이스 기판(21)과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 사이에 배치되어 기판(21)으로부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를 보호한다. 버퍼층(23)은 폴리머 계열의 기판(21)으로부터 이물질이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버퍼층(23)은 예를 들어, SiOx, AlOx 등의 산화물층, SiNx 등의 질화물층 또는 비정질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23)은 물리 기상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 등 진공 기반의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23)은 베이스 기판(21)의 재료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21)이 글래스로 제조된 경우, 버퍼층(23)은 생략될 수도 있다.The buffer layer 23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substrate 21 and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to protect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from the substrate 21 . The buffer layer 23 blocks the diffusion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olymer-based substrate 21 to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The buffer layer 23 may include, for example, an oxide layer such as SiOx or AlOx, a nitride layer such as SiNx, or amorphous silicon. The buffer layer 23 may be formed using a vacuum-based deposition technique such as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buffer layer 23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base substrate 21 . For example, when the base substrate 21 is made of glass, the buffer layer 23 may be omitted.

제1 투명 전극층(25), 제2 투명 전극층(33) 및 제3 투명 전극층(35)은 투명 전도성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디움주석 산화막(ITO)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명 전극층(25), 제2 투명 전극층(33) 및 제3 투명 전극층(35)은 물리 기상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 등 진공 기반의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명 전극층들(25, 33, 35)은 예를 들어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으며, 증착 후 히터에 의해 열처리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명 전극층들(25)은 예컨대, 500Å내지 5000Å의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film, for example, an indium tin oxide film (I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may be formed using a vacuum-based deposition technique such as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first to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 33 , and 35 may be deposited using, for example, a sputtering apparatus, and may be heat-treated by a heater after deposition. The first to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may be deposited to a thickness of, for example, 500 Å to 5000 Å.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는 제1 투명 전극층(25)과 제2 투명 전극층(3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는 제2 투명 전극층(33)과 제3 투명 전극층(35)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는 각각 전기 변색층(27a, 27b), 이온 전도층(29a, 29b), 및 카운터 전극층(31a, 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명 전극층(33)은 제1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에 공통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공통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전극층들(31a, 31b)이 제2 투명 전극층(33)에 접할 수 있으며, 제2 투명 전극층(33)은 전기 변색을 위한 애노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변색층들(27a, 27b)이 제2 투명 전극층(33)에 접할 수 있으며, 제2 투명 전극층(33)은 전기 변색을 위한 캐소드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includes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and the third It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35 .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includ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and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respectively. may includ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may be common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and thus may be used as a common electrode. As shown in FIG. 2 ,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may contact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may be used as an anode for electrochromism.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 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may be used as a cathode for electrochromism. .

전기 변색층(27a, 27b)은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무색층에서 유색층으로, 또는 제1 유색층에서 제2 유색층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전기 변색 특성을 갖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WO3, NiO, NiWO, NIWNbO, MoO3, Nb2O5, TiO2, CuO, Ir2O3, Cr2O3, MnO2, Mn2O3, V2O5, Ni2O3, Co2O3, SiO2, Ta2O5, ZrO2, 또는 CeO2 등의 금속 산화물층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각 재료의 화학 양론비가 기재되지만, 비화학 양론비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기 변색층(27a)과 제2 전기 변색층(27b)은 동종의 금속 산화물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기 변색층(27a)과 제2 전기 변색층(27b)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 산화물층일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색상의 전기 변색을 구현하기 위해 제1 전기 변색층(27a)과 제2 전기 변색층(27b)은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금속 산화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are converted from a colorless layer to a colored layer or from a first colored layer to a second colored layer by oxidation or reduction reaction. Materials having such electrochromic properties include, for example, WO 3 , NiO, NiWO, NIWNbO, MoO 3 , Nb 2 O 5 , TiO 2 , CuO, Ir 2 O 3 , Cr 2 O 3 , MnO 2 , Mn and a metal oxide layer such as 2 O 3 , V 2 O 5 , Ni 2 O 3 , Co 2 O 3 , SiO 2 , Ta 2 O 5 , ZrO 2 , or CeO 2 . Here, the stoichiometric ratio of each material is described,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materials in non-stoichiometric ratios. In an embodiment,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7a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7b may be the same type of metal oxide layer.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7a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7b may be different types of metal oxide layers. In particular,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7a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7b may be formed of metal oxide layers exhibiting different colors in order to implement electrochromic colors of various colors.

전기 변색층(27a, 27b)은 물리 기상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 등의 진공 기반 증착 기술, 예컨대,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 변색층(27a)은 제1 투명 전극층(25) 상에, 제2 전기 변색층(27b)은 제2 이온 전도층(29b) 상에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기 변색층(27a, 27b)은 예를 들어 1000Å내지 10000Å의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 전기 변색층(27a, 27b)은 물리 기상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평평한 표면 뿐 아니라 굴곡진 표면 상에도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전기 변색층(27a, 27b)을 증착하는 동안, 캐리어 가스, 예컨대, Ar과 함께 H2 가스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변색층(27a, 27b) 내에 수소 이온이 도입될 수 있다. 나아가, 전기 변색층(27a, 27b)의 표면에 이동 이온으로 사용하는 재료의 층, 예를 들어, Li층이 추가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may be deposited using a vacuum-based deposition technique such as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example, sputtering.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7a may be deposit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7b may be deposited on the second ion conductive layer 29b using a sputtering technique. hav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may be deposited to a thickness of, for example, 1000 Å to 10000 Å. Since 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may be formed using a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they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thickness on a curved surface as well as a flat surface.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using the sputtering technique, a carrier gas, for example, H 2 gas together with Ar may be supplied, so that hydrogen ions in 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are absorbed. can be introduced. Furthermore, a layer of a material used as mobile ions, for example, a Li layer, may be add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한편, 이온 전도층(29a, 29b)은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의 양단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전기 변색층(27a, 27b)과 카운터 전극층(31a, 31b) 사이에서 이온을 전도하는 층이다. 이온 전도층(29a, 29b)은 이동 이온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이온은 예를 들어, H+, Li+, D+,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전도층(29a, 29b)은 금속 산화물층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LiWOx, 예컨대, Li2WO4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소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온 전도층(29a)과 제2 이온 전도층(29b)은 동종의 금속 산화물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 산화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conduct ions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and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is the floor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bile ions. The mobile ions may include, for example, H+, Li+, D+, alkali metal ions or alkaline earth metal ions.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are formed of a metal oxide layer,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LiWOx, for example, Li2WO4, and further include hydrogen ions. The first ion conductive layer 29a and the second ion conductive layer 29b may be formed of the same type of metal oxide lay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different types of metal oxide layers.

이온 전도층(29a, 29b)은 물리 기상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 등의 진공 기반 증착 기술, 예컨대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이온 전도층(29a, 29b)은 예컨대 300Å내지 30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이온 전도층(29a, 29b)을 증착하는 동안, 캐리어 가스, 예컨대, Ar과 함께 H2 가스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온 전도층(29a, 29b) 내에 수소 이온이 도입될 수 있다. Ar과 H2 가스의 유량비(Ar/H2)는 90/10 ~ 98/2 범위 내일 수 있다.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may be deposited using a vacuum-based deposition technique, such as a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for example, a sputtering technique.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for example, 300 Å to 3000 Å.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using the sputtering technique, a carrier gas, for example, H 2 gas along with Ar may be supplied, so that hydrogen ions in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are absorbed. can be introduced. The flow ratio of Ar and H 2 gas (Ar/H 2 ) may be in the range of 90/10 to 98/2.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온 전도층(29a, 29b)은 폴리머 계열의 전해질을 포함하지 않고, 무기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온 전도층(29a, 29b)은 종래 기술의 전해질층과 달리 실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나아가, 이온 전도층(29a, 29b)은 물리 기상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평평한 표면 뿐 아니라 굴곡진 표면 상에도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do not include a polymer-based electrolyte and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material. Accordingly,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do not require sealing unlike the electrolyte layers of the prior art. Furthermore, since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and 29b may be formed using a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they may be formed to a uniform thickness on a curved surface as well as a flat surface.

카운터 전극층(31a, 31b)은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무색층에서 유색층으로 또는 제1 유색층에서 제2 유색층으로 변환될 수 있다. 카운터 전극층(31a, 31b)은 전기 변색층(27a, 27b)의 반응과 반대되는 반응을 통해 전기 변색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카운터 전극층(31a, 31b)은 금속 산화물층으로 형성되며, 금속 산화물층의 예로는, WO3, NiO, NiWO, NIWNbO, MoO3, Nb2O5, TiO2, CuO, Ir2O3, Cr2O3, MnO2, Mn2O3, V2O5, Ni2O3, Co2O3, SiO2, Ta2O5, ZrO2, 또는 CeO2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각 재료의 화학 양론비가 기재되지만, 비화학 양론비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제1 카운터 전극층(31a)과 제2 카운터 전극층(31b)은 서로 동종의 금속 산화물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 산화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다양한 색상의 전기 변색을 구현하기 위해 제1 카운터 전극층(31a)과 제2 카운터 전극층(31b)은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금속 산화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may be converted from a colorless layer to a colored layer or from a first colored layer to a second colored layer by oxidation or reduction reaction.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may have electrochromic properties through a rea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are formed of a metal oxide layer, and examples of the metal oxide layer include WO 3 , NiO, NiWO, NIWNbO, MoO 3 , Nb 2 O 5 , TiO 2 , CuO, Ir 2 O 3 , Cr 2 O 3 , MnO 2 , Mn 2 O 3 , V 2 O 5 , Ni 2 O 3 , Co 2 O 3 , SiO 2 , Ta 2 O 5 , ZrO 2 , or CeO 2 , or the like. Here, the stoichiometric ratio of each material is described,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materials in non-stoichiometric ratios. The first counter electrode layer 31a and the second counter electrode layer 31b may be formed of the same type of metal oxide lay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different types of metal oxide layers. In particular, the first counter electrode layer 31a and the second counter electrode layer 31b may be formed of metal oxide layers having different colors in order to realize electrochromic colors of various colors.

카운터 전극층(31a, 31b)은 물리 기상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 등의 진공 기반 증착 기술, 예컨대,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카운터 전극층(31a, 31b)은 예컨대 약 500Å내지 5000Å의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 카운터 전극층(31a, 31b)을 증착할 때, 타겟에 가해지는 전압에 더해 베이스 기판(21) 측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 측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고밀도의 카운터 전극층(31a, 31b)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운터 전극층(31a, 31b) 내의 핀홀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may be deposited using a vacuum-based deposition technique such as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example, sputtering.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may be deposited to a thickness of, for example, about 500 Å to about 5000 Å. When depositing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a bias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base substrate 21 side in addition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target. By applying a bias voltage to the side of the base substrate 21,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with high density, thereby reducing pinholes in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한편, 카운터 전극층(31a, 31b) 내의 핀홀은 전기 변색 소자의 메모리 효과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카운터 전극층(31a, 31b)을 고밀도로 증착하여 핀홀을 감소시킴으로써 전기 변색 소자의 메모리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카운터 전극층(31a, 31b) 내의 핀홀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카운터 전극층(31a, 31b)을 증착할 수도 있고, 카운터 전극층(31a. 31b)을 증착한 후, 약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nholes in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reduce the memory effect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ly, the memory effect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pinholes by depositing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at a high density. Further, in order to reduce pinholes in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may be deposited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after depositing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the temperature of about 100 to 300° C. Heat treatment may also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스퍼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카운터 전극층(31a, 31b)을 증착하는 동안, 캐리어 가스, 예컨대, Ar과 함께 H2 가스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운터 전극층(31a, 31b) 내에 수소 이온이 도입될 수 있다. 수소 이온의 도입은 전기 변색 효율을 향상시킨다.During the deposition of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using the sputtering technique, a carrier gas, for example, H 2 gas together with Ar may be supplied, so that hydrog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can Introduction of hydrogen ions improves the electrochromic efficiency.

나아가, 카운터 전극층(31a, 31b) 증착시에 이동 이온으로 사용하는 재료의 층, 예를 들어, Li층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카운터 전극층(31a, 31b)의 표면에 이동 이온으로 사용하는 재료의 층, 예를 들어, Li층이 추가될 수 있다. Li층은 Li 이온을 공급하여 전기 변색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킨다.Furthermore, a layer of a material used as a mobile ion when depositing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for example, a Li layer may be added. In addition, a layer of a material used as mobile ions, for example, a Li layer, may be added to the surface of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The Li layer supplies Li ions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운터 전극층(31a, 31b)은 도전성 폴리머로 제조되지 않으며, 무기물 재료로 형성된다. 특히, 카운터 전극층(31a, 31b)은 물리 기상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평평한 면 뿐 아니라 굴곡진 표면 상에도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are not made of a conductive polymer, but are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In particular, since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may be formed using a physical vapor deposition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they may be formed to a uniform thickness not only on a flat surface but also on a curved surface.

보호층(37)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전기 변색 소자를 보호한다. 보호층(37)은 수분으로부터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를 보호하며, 나아가, 스크래칭 등과 같은 결함 발생을 방지하도록 외부의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전기 변색 소자(30a, 30b)를 보호한다.The protective layer 37 protects the electrochromic elemen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protective layer 37 protects the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from moisture, and further protects the electrochromic elements 30a and 30b from external physical forces to prevent defects such as scratching.

보호층(37)은 제3 투명 전극층(3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37)은 제3 투명 전극층(35) 상에 물리 기상 증착, 화학 기상 증착 기술 또는 원자층 증착 기술 등의 진공 기반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보호층(37)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또는 망간 산화막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막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37 may be form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37 may be deposit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using a vacuum-based deposition technique such as physical vapor deposi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atomic layer deposition. The protective layer 37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xide film or polyimide of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an aluminum oxide film, a hafnium oxide film, or a manganese oxide film.

보호층(37)은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호층(37)을 채택함으로써 별도의 글래스 기판을 생략할 수 있어 제품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별도의 글래스 기판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37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s a multilayer. By adopting the protective layer 37, a separate glass substrate can be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product. Also, the bonding process for bonding the separate glass substrate can be omitted,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do.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호층(37) 상에 반사 방지 코팅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 코팅은 굴절률이 다른 층들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 코팅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재료 및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n anti-reflection coating may be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37 . The anti-reflection coating may be formed by laminating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e antireflective coating may be formed using materials and techniques well known in the art.

한편, 반사 방지 코팅이 보호층(37)을 대신하여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호층(37)은 생략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nti-reflection coating may protect the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n place of the protective layer 37 , and thus the protective layer 37 may be omitted.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드 코팅이 베이스 기판(21)의 하면을 덮을 수 있다. 하드 코팅은 베이스 기판(21)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드 코팅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또는 망간 산화막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막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코팅 대신에 베이스 기판(21)의 하면에 반사 방지 코팅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hard coating may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21 . The hard coating prevents damage such as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21 from occurring. The hard coating may include, for example, an oxide film or polyimide of at least one of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an aluminum oxide film, a hafnium oxide film, or a manganese oxide film. An anti-reflection coating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21 instead of the hard coating.

전기 변색 소자(100)는 제1 투명 전극층(25), 제2 투명 전극층(33), 및 제3 투명 전극층(35)에 전압이 인가되고, 카운터 전극층(31a, 31b)과 전기 변색층(27a, 27b) 사이에서 이온 전도층(29a, 29b)을 통해 전하, 특히, 이온이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전기 변색이 발생한다. 전기 변색층(27a, 27b)과 카운터 전극층(31a, 31b)은 각각 환원 반응 및 산화 반응, 또는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 변색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투명 전극층(25), 제2 투명 전극층(33), 및 제3 투명 전극층(35)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제1 투명 전극층(25), 제2 투명 전극층(33), 및 제3 투명 전극층(35)에 커넥터들이 각각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 and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7a are , 27b) through the ion conductive layers 29a, 29b, charges, in particular ions, migrate, thereby causing electrochromism. The electrochromic layers 27a and 27b and the counter electrode layers 31a and 31b may exhibit electrochromism by a reduction reaction and an oxidation reaction, or an oxidation reaction and a reduction reaction, respectively. To apply a voltage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 and the third transparent Connectors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yer 35 .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와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가 중첩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착색농도(Darkness)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단일의 전기 변색 적층체를 채택할 경우에 비해, 2개의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를 채택함으로써 광 투과도를 더 낮출 수 있으며, 따라서, 더 어둡게 만들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the range of the color density (Darkness) can be increased. That is, compared to the case of adopting a single electrochromic laminate, the light transmittance can be lowered by adopting the two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and thus can be made darker.

나아가,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와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전기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는 청색 계열의 색상으로 전기 변색될 수 있고,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는 초록색이나 갈색 계열의 색상으로 전기 변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를 이용하여 청색 계열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를 이용하여 초록색이나 갈색 계열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may be electrochromic in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may be electrochromic in a blue-based color,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may be electrochromic in a green or brown-based color. Accordingly, a blue-based color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or a green or brown-based color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변색 소자(100)가 두 개의 전기 변색 적층체(30a, 30b)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지만, 전기 변색 소자(100)는 더 많은 수의 전기 변색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현할 수 있는 색상의 개수도 증가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including two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has a larger number of electrochromic laminates. may include,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colors that can be implemented may also increas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2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변색 소자(200)는 도 1 및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기 변색 소자(100)와 대체로 유사하다. 다만, 전기 변색 소자(100)에서 제2 투명 전극(33)이 공통 전극으로 사용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의 전기 변색 소자(200)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4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or 3 . However, unlike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in which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3 is used as a common electrod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common electrode.

즉,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는 제1 투명 전극층(25)과 제2 투명 전극층(33a)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는 제3 투명 전극층(35)과 제4 투명 전극층(33b) 사이에 배치된다. 제4 투명 전극층(33b)은 제2 투명 전극층(33a)과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투명 전극층(33a)과 제4 투명 전극층(33b) 사이에 절연층(39)이 배치된다.That is,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a,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includes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33b.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b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a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and betwee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a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b, an insulating layer ( 39) is placed.

따라서,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는 제1 투명 전극층(25)과 제2 투명 전극층(33a)에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는 제4 투명 전극층(33b)과 제3 투명 전극층(35)에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may be driven by connecting power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a,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may be formed in a fourth transparent It may be driven by connecting power to the electrode layer 33b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전기 변색 적층체들(30a, 30b)이 절연층(39)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지만, 더 많은 수의 전기 변색 적층체들이 서로 적층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wo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are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stacked with an insulating layer 39 interposed therebetween, but a larger number of electrochromic laminates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3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3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기 변색 소자(100)와 대체로 유사하나, 제3 전기 변색 적층체(30c) 및 제4 투명 전극층(41)이 추가된 것에 차이가 있다. 제2 투명 전극층(33)은 제1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들(30a, 30b)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공통 전극으로 사용되며, 제3 투명 전극층(35)은 제2 및 제3 전기 변색 적층체들(30b, 30c)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공통 전극으로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but the third electrochromic laminate 30c and the fourth transpar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electrode layer 41 is adde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is common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and is used as a common electrode,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is the second and third electrochromic laminates. It is commonly coupled to the sieves 30b and 30c and is used as a common electrode.

3개의 전기 변색 적층체들(30a, 30b, 30c)을 채택함으로써 착색농도 범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3개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By adopting the three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30b, and 30c, the color concentration range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t least three colors can be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전기 변색 적층체들(30a, 30b, 30c)이 투명 전극층들(25, 33, 35, 41)과 함께 적층된 것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더 많은 수의 전기 변색 적층체들이 적층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shown and described that three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30b, 30c are laminated together with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33, 35, 41, but a larger number of electrochromic laminates may be stacked.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공통 전극을 채택하는 대신, 보호층을 사용하여 전기 변색 적층체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도 있다.Also,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electrochromic laminates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by using a protective layer instead of adopting a common electrode.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6A, 6B, and 6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우선, 베이스 기판(21) 상에 버퍼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버퍼층(23)은 베이스 기판(21)이 폴리머 계열의 물질로 제조된 경우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이 글래스로 형성된 경우, 버퍼층(23)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층(23)은 화학 기상 증착 또는 물리 기상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 first, a buffer layer 23 may be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21 . In particular, the buffer layer 23 may be formed when the base substrate 21 is made of a polymer-based material. When the base substrate 21 is formed of glass, the buffer layer 23 may be omitted. The buffer layer 23 may be formed us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phys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이어서, 버퍼층(23) 상에 투명 전극층(25) 및 전기 변색 적층체(30a)가 차례로 형성된다. 이들 층들은 화학 기상 증착 또는 물리 기상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층들은 일련의 스퍼터링 증착 장치들 및 열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인-라인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착 및 열처리될 수 있다. 전기 변색 적층체(30a) 상에 추가로 투명 전극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Subsequently,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and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a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buffer layer 23 . These layers may be formed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phys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s. 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se layers may be sequentially deposited and thermally treated using an in-line sputtering apparatus including a series of sputtering deposition apparatuses and a thermal treatment apparatus.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a.

도 6b를 참조하면, 제2 기판(121) 상에 버퍼층(123), 투명 전극층(35), 및 전기 변색 적층체(30b)가 차례로 형성된다. 버퍼층(123)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전기 변색 적층체(30b) 상에 투명 전극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 층들은 화학 기상 증착 또는 물리 기상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제2 기판(1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층들은 일련의 스퍼터링 증착 장치들 및 열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인-라인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착 및 열처리될 수 있다. 전기 변색 적층체(30a) 상에 추가로 투명 전극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B , a buffer layer 123 ,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 and an electrochromic laminate 30b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21 . The buffer layer 123 may be omitted. In addition,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b. These layers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21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phys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s. 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se layers may be sequentially deposited and thermally treated using an in-line sputtering apparatus including a series of sputtering deposition apparatuses and a thermal treatment apparatus.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a.

제2 기판(121)은 투명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기판(121)은 불투명 기판일 수도 있다.The second substrate 121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second substrate 121 may be an opaque substrate.

도 6c를 참조하면, 제2 기판(121) 상에 배치된 전기 변색 적층체(30b)를 접착층(133)을 이용하여 전기 변색 적층체(30a)에 본딩한다. 접착층(133)은 도전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 필름 또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층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C ,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b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21 is bonded to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a using an adhesive layer 133 . The adhesive layer 133 may be conductive, for example, a conductive adhesive film or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한편, 전기 변색 적층체(30a) 및 전기 변색 적층체(30b) 상에 각각 투명 전극층이 형성된 경우, 이들을 상호 접합하거나,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 접착층을 이용하여 추가로 형성된 투명 전극층들을 서로 본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a and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b, they may be bonded to each other, or additionally formed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may be bonded to each other using a conductive or non-conductive adhesive layer.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기판(121)은 전기 변색 적층체(30b)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보호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기판(121)은 전기 변색 적층체(30b) 상에 잔류하여 보호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판(121)은 투명 기판일 것이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substrate 121 may be removed from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b, and a protective lay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ubstrate 121 may remain on the electrochromic laminate 30b to be used as a protective layer. In this case, the second substrate 121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기판(21) 및 제2 기판(121) 상에 각각 전기 변색 적층체들(30a, 30b)을 형성하고 이들을 본딩하여 전기 변색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지만, 전기 변색 소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100, 200, 300)는 베이스 기판(21) 상에 각 층들을 물리 기상 증착 기술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차례로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by forming the electrochromic laminates 30a and 30b on the base substrate 21 and the second substrate 121, respectively, and bonding them will be described. The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s 100 , 200 , an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depositing each layer on the base substrate 21 using a phys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or a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hav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100)를 갖는 안경(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glasses 10 having 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변색 안경(10)은 안경 프레임(11), 안경 다리들(13), 및 전기 변색 소자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경 프레임(11)은 전기 변색 소자(100)을 지지하기 위한 렌즈 홀더를 갖는다. 또한, 안경 프레임(11)은 전기 변색 소자들(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electrochromic glasses 10 may include a spectacle frame 11 , temples 13 , and electrochromic elements 100 . The spectacle frame 11 has a lens holder for support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 Also, the glasses frame 11 may include power supply lin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s 100 .

안경 다리들(13)은 안경(10)을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안경 다리들(13) 내에 컨트롤러, 배터리, 스위칭 장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안경 다리들(13)은 각각 힌지를 통해 안경 프레임(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안경 다리들(13) 및 안경 프레임(11)의 기본적인 구조는 US9,482,880호를 참조할 수 있다.The temples 13 have a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glasses 10 to the user's head. In addition, a controller, a battery, a switching device, etc. may be mounted in the temples 13 . Each of the temples 13 may be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11 via a hinge. The basic structure of the temples 13 and the spectacle frame 11 may refer to US 9,482,880.

전기 변색 소자들(100)은 안경 프레임(11)의 클립 끼워져(clip-on) 고정될 수 있다. 전기 변색 소자들(100)은 안경 프레임(1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변색되거나 전력이 차단되어 탈색될 수 있다. 전기 변색 소자들(100)은 고체 박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빠른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변색 및 탈색이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변색 및 탈색되는 속도가 빠르다. The electrochromic elements 100 may be fixed by clip-on of the glasses frame 11 . The electrochromic elements 1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glasses frame 11 and may be discolored by a switching operation or may be discolored due to power cut off. Since the electrochromic devices 100 use a solid thin film, discoloration and discoloration may be performed by a fast switching operation, and thus discoloration and discoloration speed are high.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변색 안경(10)은 실외뿐만 아니라 자동차 실내와 같이 자외선이 차단된 환경에서도 자유롭게 변색 및 탈색이 가능하다. 상기 전기 변색 안경(10)은 시력 교정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선글라스 기능을 갖는 시력 교정용 안경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변색 소자(100)는 볼록한 상면 및 오목한 하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의 곡률을 이용하여 시력 교정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기 변색 안경(10)은 전기 변색을 이용하여 광 셔터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현실 스마트 안경이나 정보 디스플레이 스마트 안경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electrochromic glasse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freely discolor and discolor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 an environment where UV rays are blocked, such as indoors of a car. The electrochromic glasses 10 may have a vision correction function, and thus may be suitably used as vision correction glasses having a sunglasses function. For example,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have a convex upper surface and a concave lower surface, and may have a vision correction function using curvatur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Furthermore, the electrochromic glasses 10 may be used as virtual reality smart glasses or information display smart glasses that perform an optical shutter function using electrochromic.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갖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glasses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안경 프레임(11a)에 커넥터들(15a, 15b, 15c)이 제공된다. 안경 프레임(11a)에 결합되는 전기 변색 소자(100)는 커넥터들(15a, 15b, 15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들(15a, 15b, 15c)은 안경 프레임(11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고 핀들일 수 있다. 커넥터들(15a, 15b, 15c)은 안경 프레임(11a) 내 전기적 연결 라인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넥터들(15a, 15b, 15c)을 이용하여 전기 변색 소자(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connectors 15a , 15b , and 15c are provided on the spectacle frame 11a .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11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s 15a, 15b, and 15c. The connectors 15a, 15b, and 15c may be mounted to the glasses frame 11a, and may be, for example, pogo pins. The connectors 15a, 15b, and 15c may be connected to electrical connection lines in the glasses frame 11a, and thus,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using the connectors 15a, 15b, and 15c. have.

한편, 커넥터들(15a, 15b, 15c)을 접속하기 위해 전기 변색 소자(100)의 투명 전극층들(25, 33, 35)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투명 전극층(25)은 보호층(37), 제3 투명 전극층(35),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 제2 투명 전극층(33), 및 제1 전기 변색 적층체(30a)를 스크라이빙 또는 식각 등의 공정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제2 투명 전극층(33)은, 보호층(37), 제3 투명 전극층(35),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30b)를 스크라이빙 또는 식각 등의 공정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제3 투명 전극층(35)은 보호층(35)을 스크라이빙 또는 식각 등의 공정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 33 , and 35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exposed to connect the connectors 15a , 15b and 15c .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includes a protective layer 37,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a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and a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30a. may be exposed by removing it through a process such as scribing or etching.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3 may be exposed by removing the protective layer 37 ,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30b through a process such as scribing or etching. .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35 may be exposed by removing the protective layer 35 through a process such as scribing or etching.

본 실시예에서, 전기 변색 소자(10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투명 전극층들(25, 33, 35)이 노출된 것으로 도시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투명 전극층들(25, 33, 35)을 노출시키는 홀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들(15a, 15b, 15c)은 상기 홀들을 통해 투명 전극층들(25, 33, 35)에 접속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 33 , and 35 are illustrated as being exposed at the ed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holes expos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 33 , 35 may be formed, and the connectors 15a , 15b , 15c are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 33 , 35 through the holes. can be

전기 변색 소자(100)가 안경 프레임(11a)에 결합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기 변색 소자들(200, 300)도 유사한 방식으로 안경 프레임(11a)에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is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11a, the electrochromic elements 200 and 300 may also be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11a in a similar manner.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갖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9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glasses having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변색 안경은 안경 프레임(11b)을 포함하며, 커넥터들(15a, 15b, 15c)이 전기 변색 소자(100)가 결합되는 결합홈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들(15a, 15b, 15c)은 전기 변색 소자(100)의 측면에서 투명 전극층들(25, 33, 35)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electrochromic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the glasses frame 11b, and the connectors 15a, 15b, and 15c are to be dispos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is coupled. can The connectors 15a , 15b , and 15c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 33 , and 35 at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

투명 전극층들(25, 33, 35)이 상대적으로 얇을 경우, 상대적으로 두꺼운 도전성 투명 필름이 각 투명 전극층(25, 33, 35)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고, 커넥터들(15a, 15b, 15c)은 이들 도전성 투명 필름에 접속할 수 있다.When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s 25, 33, 35 are relatively thin, a relatively thick conductive transparent film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bove or below each transparent electrode layer 25, 33, 35, and the connectors 15a, 15b and 15c) can be connected to these conductive transparent film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들(15a, 15b, 15c)이 전기 변색 소자(100)의 측면에서 전기 변색 소자(1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므로, 전기 변색 소자(100)의 표면을 스크라이빙이나 식각 등에 의해 제거할 필요가 없다. 한편, 전기 변색 소자(100)의 측면들은 커넥터들(15a, 15b, 15c)이 접속하는 영역들을 제외하고 하드 코팅으로 덮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nnectors 15a , 15b , and 15c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from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 th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is scribing or There is no need to remove it by etching or the like. Meanwhile, the side surface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covered with a hard coating except for regions to which the connectors 15a , 15b , and 15c are connect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변색 소자(100)가 안경 프레임(11b)에 결합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전기 변색 소자들(200, 300)도 유사한 방식으로 안경 프레임(11b)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is shown and described as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11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ther electrochromic elements 200 and 300 are also connected to the spectacle frame 11b in a similar manner. ) can be comb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변색 소자를 갖는 보조 키트를 장착한 안경(2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glasses 20 equipped with an auxiliary kit hav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실시예에서 전기 변색 안경은 안경 프레임(11) 및 안경 프레임에 장착된 전기 변색 소자(100)를 포함한다. 전기 변색 소자(100)는 시력 교정 및 전기 변색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 the electrochromic glasses include a spectacle frame 11 and an electrochromic element 100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include both a vision correction function and an electrochromic function.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시력 교정 기능은 안경에 의해 수행되고, 전기 변색 기능은 보조 키트에 의해 수행된다. 즉, 보조 키트는 보조 프레임(221) 및 전기 변색 소자(100)를 가지며, 전기 변색 소자(100)는 보조 프레임(221)에 장착된다.In contrast, in this embodiment, the vision correction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glasses, and the electrochromic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auxiliary kit. That is, the auxiliary kit includes the auxiliary frame 221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is mounted on the auxiliary frame 221 .

한편, 보조 키트는 안경 프레임(213)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보조 키트의 전기 변색 소자(100)는 안경 프레임(213)에 결합된 안경 렌즈에 정렬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xiliary kit may be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213 ,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of the auxiliary kit may be aligned with the spectacle lens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213 .

보조 키트는 배터리 및 컨트롤러 등 전기 변색 소자(100)의 변색 및 탈색을 구동하기 하기 위한 수단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안경 프레임(213)에 전기 변색 렌즈(100)의 변색 및 탈색을 구동하기 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보조 키트는 안경 프레임(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kit may itself include means for driving the discoloration and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0, such as a battery and a controller, and to drive discoloration and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lens 100 to the spectacles frame 213 Means are provided for doing so, and the auxiliary k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ctacle frame 213 .

본 명세서에서, 전기 변색 소자(100, 200, 300)를 갖는 제품의 예로 안경(10, 20)을 예시하지만, 전기 변색 소자(100, 200, 300)는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변색 소자(100, 200, 300)는 건축용 스마트 윈도우, 자동차용 미러(리어 미러, 사이드 미러 등), 자동차용 선루프,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glasses 10 and 20 are exemplified as an example of a product hav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s 100, 200, and 300, but the electrochromic elements 100, 200, and 300 may be used in various products. For example, the electrochromic elements 100 , 200 , and 300 may be used for architectural smart windows, automobile mirrors (rear mirrors, side mirrors, etc.), automobile sunroofs, display devices, and the like.

앞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은 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addition, matter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제1 전기 변색 적층체; 및
상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 상부에 배치된 제2 전기 변색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 각각은,
전기 변색층;
카운터 전극층; 및
상기 전기 변색층과 상기 카운터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이온 전도층을 포함하는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
a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and
a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s,
electrochromic layer;
counter electrode layer; and
and an ion condu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counter electrod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층, 카운터 전극층, 및 이온 전도층은 모두 금속 산화물층인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chromic layer, the counter electrode layer, and the ion conductive layer are all metal oxide layers.
청구항 1에 이어서,
상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 및 상기 제2 전기 변색 적층체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전기 변색되는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
Following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are electrochromic in different colors.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투명 전극층;
제2 투명 전극층; 및
제3 투명 전극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는 상기 제1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기 변색 적층체는 상기 제2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3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is a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전극층은 상기 제1 전기 변색 적층체 및 제2 전기 변색 적층체에 공통으로 결합된 공통 전극인 전기 변색 소자.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is an electrochromic device that is a common electrode commonly coupled to the first electrochromic laminate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투명 전극층 상부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층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또는 망간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산화막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xide film or polyim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an aluminum oxide film, a hafnium oxide film, or a manganese oxide fil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전극층 아래에 배치된 베이스 기판을 더 포함하는 다중 전기 변색 소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ulti-electrochrom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ase substrate disposed under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lay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기 변색 적층체 사이에 배치된 제4 투명 전극층;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층과 상기 제4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minate; and
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lay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다중 적층 전기 변색 소자를 포함하는 제품.An article comprising the multi-layered electrochromic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소자가 결합된 안경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제품.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duct further comprising a spectacle frame to which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coupl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은 상기 전기 변색 소자에 접속하는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제품.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pectacle frame includes connectors for connecting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KR1020210022227A 2021-02-19 2021-02-19 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and article having the same KR2022011861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27A KR20220118613A (en) 2021-02-19 2021-02-19 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and article having the same
PCT/KR2022/001256 WO2022177190A1 (en) 2021-02-19 2022-01-24 Multilayer electrochromic device and product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27A KR20220118613A (en) 2021-02-19 2021-02-19 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and artic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13A true KR20220118613A (en) 2022-08-26

Family

ID=8293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227A KR20220118613A (en) 2021-02-19 2021-02-19 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and artic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18613A (en)
WO (1) WO2022177190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0304B2 (en) * 2001-01-23 2010-12-14 Kenneth Martin Jacobs Continuous adjustable 3Deeps filter spectacles for optimized 3Deeps stereoscopic viewing and its control method and means
WO2016115165A1 (en) * 2015-01-12 2016-07-21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charge sequestration and related methods
US9482880B1 (en) * 2015-09-15 2016-11-01 Ashwin-Ushas Corporation, Inc. Electrochromic eyewear
EP3926391A4 (en) * 2019-02-21 2022-11-23 Leaphigh Inc.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comprising same
KR102201636B1 (en) * 2019-08-13 2021-01-12 박중원 Electrochrom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190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8098B2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10488730B2 (en) Electrochromic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romic device, and electrochromic light control device
US10254616B2 (en) Variable transmittance optical filter with substantially co-planar electrode system
KR101535100B1 (en) Electrochromic smart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U2420772C2 (en) Electrochemical system on plastic substrate
US7586663B1 (en) Gel polymer electrolytes
KR101393821B1 (en) Electrochromic optical element having an apodized aperture
US20150331295A1 (en) Electrochromic display element, display device, information system, and electrochromic dimming lens
KR102341630B1 (en)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comprising the same
US7158276B1 (en) Pressure sensitive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20154175A (e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lighting control lens unit
KR20210156269A (en)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comprising the same
US20130293825A1 (en)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optical systems employing the same
US9069187B2 (en) Photochromic spectacles
US77197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ptical filters
WO2021029561A1 (en) Electrochromic device
KR20220118613A (en) Multi stack electrochromic device and article having the same
WO2022085667A1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spectacle lens
JPH08220568A (en) Electrochromic element
EP3830638A1 (en) Ophthalmic lens having anti-reflective and electrochromic functions
KR20220028253A (en) Glasses having electrochromic lenses
JP2021092747A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chromic light control element, electrochromic light control lens, and electrochromic device
JP2020160442A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ight control lens unit, and electrochromic element
WO2022244768A1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spectacle lens
EP0829032B1 (en) Monolithic multi-layer electrochromic composite system with inner buffer 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