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127A -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127A
KR20220118127A KR1020210021883A KR20210021883A KR20220118127A KR 20220118127 A KR20220118127 A KR 20220118127A KR 1020210021883 A KR1020210021883 A KR 1020210021883A KR 20210021883 A KR20210021883 A KR 20210021883A KR 20220118127 A KR20220118127 A KR 2022011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cut
body portion
collecting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철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02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127A/en
Publication of KR2022011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74Vaginal or cervical secre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lf-collection of a sample having a cutting structure, which enables a sample of a collector to be collected by oneself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in particular, allows the collector to easily and stably cut only a collection part after the sample is collected, so that the size of a collected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 device for self-collection of a sample includes: a tubular body part which has one end closed and the other end opened; a collection part which is formed at a closed end of the body part; and a cutout part which is formed in the body part.

Description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Specimen self-collection apparatus having a cutout structure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검채 채취 후 채취 부위만을 채취자가 쉽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절취할 수 있어 채취 결과물의 사이즈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men self-collecting device having a cut-ou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allows the individual to collect his/her own specimen without assistance from others. It relates to a self-collecting device for specimens having a cut-out structure that can be cut and the size of the collection resul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통상적으로 검사를 위해 사람의 검체를 채취하는 것은 검사기관나 의료기관을 사람이 직접 방문하여 전문가에 의해 검체를 채취하게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In general, in collecting human samples for testing, most of the people visit a testing institution or medical institution and have a specialist collect the sample.

그러나 의료기관이 원거리에 있거나 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위한 시간을 내기 어려운 사람은 자신이 특별히 병을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을 것이지만 예방차원에서 검사를 받으려는 사람은 이러한 장애가 되는 조건들 때문에 검사를 미루거나 검사를 받는 것을 포기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However, if a medical institution is far away or it is difficult to find time to visit a medical institution, if they have a special disease, they will visit a medical institution and receive an examination despite these conditions. There are quite a few cases where they delay the examination or give up taking the examination because of them.

또한 여성이 자궁경부암 검사와 같이 자신의 신체의 민감한 부분에서 검체를 채취해야 하는 경우에는 타인에게 자신의 신체를 보여주는 것을 꺼리게되어 검사를 미루거나 포기하는 케이스도 상당수 보고되고 있다. Also, when a woman needs to collect a sample from a sensitive part of her body, such as a cervical cancer test, there are many cases of delaying or abandoning the test because they are reluctant to show their body to others.

따라서 자신 스스로 검체를 채취한 후 검사기관로 검체를 보내주는 방식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필요한 검사를 받게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it is convenient and safe to collect a sample by oneself and then send the sample to an inspection institution, more people will be able to receive the necessary tests.

이러한 검체 자가 채취 기구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369호(명칭: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질내 검체 셀프 채취기)가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such a self-collecting device for a sample, there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044369 (title: self-collecting vaginal specimen for human papilloma virus test).

이 종래 기술의 채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후단(110)과 막힌 선단(120)을 갖는 튜브(100)로 구성되어 튜브(100)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손가락이 들어가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후단(100)과 선단(120)의 사이에는 확장부(130)를 구비하여 손가락과의 마찰을 줄여 손가락을 빼낼 때 선단(120)만이 뒤집어지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This prior art collector is composed of a tube 100 having an open rear end 110 and a closed tip 120 as shown in FIG. It provides interior space. In particular, an extension 130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end 100 and the front end 120 to reduce friction with the finger so that only the front end 120 is turned over when the finger is pulled out.

이 같은 종래 기술의 채취기 구조에서는 실제 검체의 채취가 이루어진 채취부(200) 뿐만 아니라 전체 튜브(100)가 채취 결과물이 되기 때문에 이 튜브(100) 전체를 용기에 담아 분석 기관에 보내야 한다. 이 때문에 운송을 위해 채취 결과물을 담게 되는 용기의 사이즈는 커질 수 밖에 없으며, 검체의 변형 방지를 위해 이 용기에 주입되는 보존액 역시 많은 양이 주입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조 단가가 상승함은 물론 불필요하게 큰 사이즈의 용기는 운송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다. 이 같은 문제는 전술한 많은 장점을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의 저변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In this prior art collector structure, not only the collection unit 200 where the actual sample is collected but also the entire tube 100 becomes the collection result, so the entire tube 100 must be placed in a container and sent to the analysis institution. For this reason, the size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collection result is stored for transport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e preservative solution injected into this container must also be injected in a large amoun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ample, which increases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unnecessarily. A large size container reduces transport efficiency. Such a problem is a big obstacle to the low change of the sample self-collecting apparatus, which has many advantage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검채 채취 후 채취 부위만을 채취자가 쉽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절취할 수 있어 채취 결과물의 사이즈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allow the individual to collect his/her own specimen without assistance from others, and in particular, only the collection site after sampling is easily and stably cut by the collector It is to provide a sample self-collecting device having a cut-out structur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collection result.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통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폐쇄된 단부에 형성되는 채취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절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losed and the other end is an open cylindrical body portion; a collecting part formed at the closed end of the body part; and a cutout formed in the body portion. It provides a sample self-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부는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몸체부에 형성되어 몸체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o separate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부는 몸체부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제 2 지관절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nger joint portion of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부는 절취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ut-ou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perforated li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부는 절취띠로 형성되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두 개의 절취선을 형성시키고 두 개의 절취선 사이에 티어 테이프를 절취선의 형성 방향과 나란하게 삽입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as a perforated band, and two perforated lines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tear tape is inserted between the two perforated lines in parallel with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perforation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구성되며, 가장 바깥쪽 외피에만 상기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body portion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lay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ut is formed only on the outermost shell.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one can collect one's own specimen without the help of others.

특히 검채 채취 후 채취 부위만을 채취자가 쉽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절취할 수 있어 채취 결과물의 사이즈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효과는 운송을 위해 채취 결과물을 담게 되는 용기의 사이즈를 줄이고 용기에 주입되는 보존액의 양을 줄여 전체적인 제조 단가를 낮추고 운송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는 결국 채취기의 상품성을 높이고 저변화를 촉진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In particular, it has the effect of remarkably reducing the size of the collection result since the collector can easily and stably cut only the collection site after sampling. This effect reduces the size of the container that contains the harvested product for transportation and reduces the amount of preservative injected into the container, thereby lowerin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ing transportation efficiency. This will eventually increase the marketability of the harvester and make it possible to promote low chan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질내 검체 셀프 채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이용한 자가 채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자가 채취 기구의 절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자가 채취 기구의 용기 수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ginal sample self-collec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lf-collecting device for a specimen having a cut-o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lf-collecting process using a specimen self-collecting device having a cut-o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lf-collecting device for a specimen having a cut-ou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tting process of the specimen self-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ainer accommodation state of the specimen self-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lf-collecting device for a specimen having a cut-ou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lf-collecting device for a specimen having a cut-o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통형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폐쇄된 타단 부위에 형성되는 채취부(20)와,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몸체부(10)에 형성되는 절취부(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self-collecting device for specimen having a cut-o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body portion 10 with one end closed and the other end ope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clos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ng portion 20 formed, and a cutout portion 40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상기 몸체부(1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실리콘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and silicone.

상기 몸체부(10)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채취자의 손가락이나 별도의 채취도구가 들어갈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몸체부(10)는 질 내부에 삽입될 때 손가락이나 채취도구가 질 내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질 내부를 보호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는 몸체부(10)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end closed and the other end open to form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a collector's finger or a separate collection tool can be inserted. This body part 10 will protect the inside of the vagina while preventing the fingers or collecting tool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vagina when inserted into the vagina. In the drawings, the body portion 10 is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여기에서 상기 채취도구는 채취자가 몸체부(10)를 질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도구로서 채취자의 손가락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 같은 채취도구는 손가락과 흡사하게 전체적으로 기다란 스틱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채취자의 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쉽게 꺽이거나 부러지지 않는 수준의 강도와 부드러운 외면을 가진다면 어떠한 재료로라도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ollection tool may be used instead of the collector's finger as a tool to assist the collector to insert the body part 10 into the vagina. Such a collecting tool may have an overall elongated stick shape similar to a finger, and may be composed of any material as long as it has a level of strength and a soft outer surface that is not easily bent or broke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collector's hand.

상기 채취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막힌 말단 부위 외피에 형성되는 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채취부(20)는 몸체부(10)의 막힌 말단 부위에서 외피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채취부(20)는 자궁경부의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세포가 사이에 낄 수 있는 홈, 돌기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채취부(20)의 홈에는 항원-항체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 및 HPV에 반응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호발색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채취부(20)는 몸체부(10)의 막힌 말단 부위 외피에 부착되는 패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채취부(20)는 세포가 사이에 낄 수 있는 브러쉬, 면, 솜 등 피부에 자극이 되지 않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채취부(20)는 촘촘하게 구성된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0)의 막힌 말단 부위 외피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친수성 섬유는 생물학적 검체를 신속하게 흡수하여 지지함은 물론 용액에서 잘 분해되어 검체를 온전히 방출해 냄으로써 분석에 사용되는 검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The collecting part 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in the shell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body part 10 . That is, the collecting uni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shell at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body unit 10 . The collecting unit 20 is for collecting a sample of the cervix,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grooves and protrusions in which cells can be caught. In addition, the groove of the collecting unit 20 may include a material capable of causing an antigen-antibody reaction and a signal-producing material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response to HPV. As another example, the collecting unit 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ad attached to the shell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body unit 10 . The collection unit 20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forms that do not irritate the skin, such as a brush, cotton, cotton, etc. in which cells can be caught. As another example, the harvesting unit 20 may be formed in the shell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made of densely composed hydrophilic fibers. This hydrophilic fiber not only absorbs and supports the biological sample quickly, but also dissolves well in the solution and releases the sample completely,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ample used for analysis.

상기 절취부(40)는 몸체부(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몸체부(10)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게 된다. 이 같은 절취부(40)는 몸체부(10)에서 특정 구간에 형성되게 되며, 해당 구간을 기준으로 몸체부(10)를 둘로 나누게 되는 것이다. The cut-out portion 40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to separate the body portion 10 into two parts. The cut-out portion 40 is formed in a specific s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body portion 10 is divided into two based on the section.

여기에서 검체 채취 이후에는 상기 절취부(40)의 위치를 기준으로 몸체부(10)의 막힌 부위 말단 즉 채취부(20)까지는 보존액이 담긴 용기에 담겨져 밀봉되게 된다. 이와 달리 절취부(40)의 위치를 기준으로 몸체부(10)의 개방 부위 말단까지는 분석 과정과 무관하므로 폐기될 것이다. Here, after sample coll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cut-out portion 40 to the end of the block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that is, the collection portion 20 is contained in a container containing a preservative solution and sealed. 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ope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t-out portion 40 will be discarded because it is irrelevant to the analysis process.

상기 절취부(40)의 바람직한 위치는 손가락에서 마디뼈와 마디뼈의 사이 즉 지관절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의 몸체부(10)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부(40)가 끝마디뼈와 중간마디뼈의 사이 즉 제 2 지관절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의 몸체부(10)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이 제 2 지관절 부위를 기준으로 해 몸체부(10)를 분리했을 때 검체의 보존율이 높으며 동시에 그 부피가 현저히 작기 때문이다. Preferably, the cut-out portion 40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nger joint region between the joint bone and the joint bone in the finger, and preferably, the cut-out portion 40 is the tip join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between the bone and the intermediate phalanx, that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nger joint region. This is because, when the body portion 10 is separated based on the second finger joint portion, the retention rate of the specimen is high and the volume thereof is remarkably small.

상기 절취부(40)는 손가락으로 전달되는 작은 힘으로 쉽게 절취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절취 과정에서 몸체부(10)에 전해지는 힘이 적어 채취가 이루어진 부위에 큰 요동이 가지 않아야 한다. The cut-out portion 40 can be easily cut with a small force transmitted by a finger, and at the same tim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body portion 10 during the cut-off process is small, so that there should not be large fluctuations in the area where the extraction is made.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부(40)는 절취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절취부(40)의 위치를 톱니바퀴가 형성된 절취롤러에 통과시켜 몸체부(10)에서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취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절취선 형태의 절취부(40)가 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절취롤러는 1cm 당 10개 이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몸체부(10)에 절취선이 매우 촘촘하게 형성되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채취자는 손가락으로 전달되는 작은 힘만으로 몸체부(10)를 둘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cut-out portion 40 may be formed of a perforated line. By passing the position of the cut-out portion 40 of the body portion 10 through a perforating roller having a cog wheel to form a perforation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10, the perforated line-shaped perforation portion 40 is It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 Such a perforating roller has 10 or more teeth per 1 cm, so that the perforation line is formed very densely in the body portion 10 . Therefore, the collector will be able to divide the body portion 10 into two with only a small force transmitted by the finger.

이때 상기 몸체부(10)는 두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외피에만 절취선 형태의 상기 절취부(40)를 형성시키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렇게 두겹으로 몸체부(10)를 구성할 경우 절취부(40)를 구성하는 미세 천공을 통해 내외부가 연통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0 may be made of two layers,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the cut-out portion 40 in the form of a perforated line only on the outer skin. When the body portion 10 is configured in two layer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micro-perforations constituting the cut-out portion 40 .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부(40)는 절취띠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절취부(40)의 위치를 두 라인의 톱니바퀴가 형성된 절취롤러에 통과시켜 몸체부(10)에서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두 개의 절취선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 두 개의 절취선 사이에 티어 테이프를 절취선의 형성 방향과 나란하게 삽입시킴으로써 절취띠 형태의 절취부(40)가 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채취자는 이 티어 테이프를 잡아 당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몸체부(10)를 안정적으로 둘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같은 절취띠는 절취자의 손가락이 몸체부(1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 검체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cut-out portion 40 may be formed of a cut-out band. The position of the cut-out portion 40 of the body portion 10 is passed through a tear-off roller having two lines of cog wheels to form two perforated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body portion 10, and these two By inserting the tear tape between the perforated lines parallel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perforated line, the perforated strip-shaped perforation 40 may be formed in the body 10 . The collector will be able to stably divide the body portion 10 into two with a simple operation of pulling the tear tape. In particular, such a perforated band will make it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pecimen by preventing the perforator's finger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10 .

이때 상기 몸체부(10)는 두겹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가장 바깥쪽의 외피에만 절취띠 형태의 상기 절취부(40)를 형성시키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렇게 두겹 이상으로 몸체부(10)를 구성할 경우 채취자의 손가락이나 채취도구에 의해 외피가 오염되지 않아 채취 결과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되며, 절취부(40)를 구성하는 미세 천공을 통해 내외부가 연통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것이다.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10 may be made of two or more layers,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the cut-out portion 40 in the form of a perforated band only on the outermost shell. When the body portion 10 is configured in two or more layers in this way, the skin is not contaminated by the collector's fingers or collection tools,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ion result can be increased. Communication will be fundamentally prevented.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30은 몸체부(10)가 손가락으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밀착력을 제공하는 조임부이다. Reference numeral 30,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drawings, is a tightening part that provides adhesion so that the body part 10 does not come off from the fingers.

이제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이용한 자가 채취 과정을 설명한다. Now, a self-collecting process using the specimen self-collect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ut-out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이용한 자가 채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자가 채취 기구의 절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lf-collecting process using a specimen self-collecting device having a cut-o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utting process of the specimen self-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여성이 직접 질 내에서 검체를 자가 채취하는 과정은 크게 삽입 단계, 채취 단계, 분리 단계, 밀봉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The process of self-collecting a sample from the vagina by a woman largely includes an insertion step, a collection step, a separation step, and a sealing step.

먼저 삽입 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이 자신의 손가락을 기구의 몸체부(10)에 끼워넣고 자신의 질(50) 내부를 통해 자궁경부(60)로 몸체부(10)를 삽입하게 된다. First, in the insertion step, as shown in FIG. 3 , a woman inserts her finger into the body 10 of the appliance and inserts the body 10 into the cervix 60 through the inside of her vagina 50 . do.

다음으로 채취 단계에서는 몸체부(10)의 말단에 있는 채취부(20)가 자궁경부(60)에 진입하면, 손가락 끝을 움직여 채취부(20)에 자궁경부의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Next, in the collecting step, when the collecting part 20 at the end of the body part 10 enters the cervix 60, the sample of the cervix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20 by moving a fingertip.

다음으로 분리 단계에서는 몸체부(10)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빼낸 후 상기 절취부(40)를 이용해 몸체부(10)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게 된다. 예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자는 절취띠 형태의 절취부(40)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몸체부(10)를 절취하게 되고 그 결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는 분리되게 된다. Next, in the separation step, the body part 10 is separated into two parts by using the cut-out part 40 after taking out the finger while the body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vagina of the woman.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 (a), the collector cuts off the body portion 10 with a simple operation of pulling the cut-out portion 40 in the form of a perforation band, an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b) As shown, the body portion 10 is separated.

이 같은 분리 단계는 다음 과정인 밀봉 단계에서 극명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밀봉 단계에서 사용자는 분리된 채취부(20)의 부위만을 보존액이 담긴 용기에 넣고 밀봉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채취 결과물의 사이즈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결국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을 위해 채취 결과물을 담게 되는 용기(70)의 사이즈를 줄이고 용기(70)에 주입되는 보존액(80)의 양을 줄여 전체적인 제조 단가를 낮추고 운송 효율을 높이게 되며, 나아가 채취기의 상품성을 높이고 저변화를 촉진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This separation step will make a stark difference in the next step, the sealing step. In the sealing step, the user puts only the separated portion of the collection unit 20 in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preservative solution and seals it. This eventually reduces the size of the container 70 to contain the collection result for transportation as shown in FIG. 6 and reduces the amount of the preservative 80 injected into the container 70 to lower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ransportation efficiency. , and furthermore, it will increase the marketability of the extractor and make it possible to promote low chang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 구조를 가지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lf-collecting mechanism for a specimen having a cut-ou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같은 몸체부(10)에 채취자가 손가락을 끼워넣고 질(50) 내부를 통해 자궁경부(60)로 몸체부(10)를 삽입하고,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몸체부(10)의 내부는 이미 손가락 피부에서 발생되는 땀과 습기에 의해 손가락과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The sampler inserts a finger into the body part 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body part 10 into the cervix 60 through the inside of the vagina 50, an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sample, the body part 10 The inside comes into strong contact with the finger due to sweat and moisture already generated from the skin of the finger.

따라서 몸체부(10)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빼낼 때 몸체부(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과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채취부(20)가 몸체부(10)의 안쪽으로 말려들어오면서 뒤집어져 결국 채취부(20)가 몸체부(10)의 안쪽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body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vagina of a woman and the finger is pulled out, the body part 10 is the body part 10 by the strong frictional force with the finger as shown in FIG. 7 . ) is rolled in and turned over, and eventually the collecting part 20 will be located inside the body part 10 .

이 경우 채취자는 절취띠 형태의 절취부(40)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몸체부(10)를 절취하게 되고 그 결과 몸체부(10)는 절취부(40)의 위치를 기준으로 분리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같이 몸체부(10)가 말려 뒤집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절취부(40)를 통해 채취부(20)의 부위만을 간단히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llector cuts the body portion 10 with a simple operation of pulling the cut-out portion 40 in the form of a perforated band, and as a result, the body portion 10 will be sepa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t-out portion 40 . Therefor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10 is rolled upside down as described above, only the portion of the collection portion 20 can be simply separated through the cut-out portion 40 .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몸체부 20 : 채취부
30 : 조임부 40 : 절취부
50 : 질 60 : 자궁 경부
70 : 용기 80 : 보존액
10: body part 20: collection part
30: tightening part 40: cut-out part
50: vagina 60: cervix
70: container 80: preservation solution

Claims (6)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통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폐쇄된 단부에 형성되는 채취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절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
A tubular body with one end closed and the other end open;
a collecting part formed at the closed end of the body part; and
a cutout formed in the body part; A sample self-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몸체부에 형성되어 몸체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ut-out part is formed on the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o separate the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몸체부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제 2 지관절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lf-collecting device for specim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nger joint portion of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절취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ecimen self-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with a perforated lin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절취띠로 형성되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두 개의 절취선을 형성시키고 두 개의 절취선 사이에 티어 테이프를 절취선의 형성 방향과 나란하게 삽입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erforated portion is formed of a perforated strip, and two perforated lines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a tear tape is inserted between the two perforated lines in parallel with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perforated line.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구성되며, 가장 바깥쪽 외피에만 상기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자가 채취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part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layers, and the self-collecting device for specim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ut is formed only on the outermost shell.
KR1020210021883A 2021-02-18 2021-02-18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 KR202201181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83A KR20220118127A (en) 2021-02-18 2021-02-18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83A KR20220118127A (en) 2021-02-18 2021-02-18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27A true KR20220118127A (en) 2022-08-25

Family

ID=8311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83A KR20220118127A (en) 2021-02-18 2021-02-18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812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81678A1 (en) Hinged needle
US6387058B1 (en) Self-sampling brush and method for use
US20210121110A1 (en) Sampling assembly
CN101132732B (en) Dynamic integrated lancing test strip with sterility cover
US5611352A (en) Cervical biopsy device
US6352513B1 (en) Personal cervical cell collector
EP1280461B1 (en) Apparatus for sampling cervical tissue
US20110021950A1 (en) Cell collector
KR200461199Y1 (en) Silicon swab having safeguard tube
US20210262046A1 (en) Kit and method for collecting body fluid for medical diagnosis
US20200390425A1 (en) Self sampling universal kit, methods and use
US4562847A (en) Instrument for obtaining samples from uterus of animals
KR20220118127A (en)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with cutting structure
KR102204506B1 (en) Swab assembly for specimen collection
KR101776820B1 (en) cervical specimen self gathering Apparatus
KR200484486Y1 (en) Device for taking a sample
US20050215920A1 (en) Endocervical curettings receiver
JP2022539642A (en) body sample collection device
US20160045190A1 (en) Endoscopic biopsy one-way trap
US20240041440A1 (en) Collecting Device, Kit, Manufacturing Process, Sampling Methods and Use
KR20220118126A (en) Apparatus for self-sampling cells
KR101851755B1 (en) Instrument for gathering a cell
JPS60179054A (en) Surgical instrument
JP4507539B2 (en) Puncture needle disposal instrument
JP2010017601A (en) Puncturing needle scrapp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