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738A -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 Google Patents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738A
KR20220111738A KR1020227026315A KR20227026315A KR20220111738A KR 20220111738 A KR20220111738 A KR 20220111738A KR 1020227026315 A KR1020227026315 A KR 1020227026315A KR 20227026315 A KR20227026315 A KR 20227026315A KR 20220111738 A KR20220111738 A KR 20220111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synchronization
workspace
information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웨이텅 청
춘샤오 린
쉬청 란
호청 청
Original Assignee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324,069 external-priority patent/US9134963B1/en
Priority claimed from US14/325,466 external-priority patent/US9727391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577,772 external-priority patent/US9626157B2/en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7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1Interprogram communication via adapters, e.g. between incompatible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6Support for shared access to files; File shar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6/1834Distributed file systems implemented based on peer-to-peer networks, e.g. gnutell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06F16/275Synchronous re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를 제공한다.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작업 수요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한다. 이어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복수개 협력 작업자에 투영하고,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복수개 통일화 요소에 탑재되어,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모두 실제 작업 수요에 따라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협력 작업 환경에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모든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모두 협력 작업 환경 중의 임의의 내용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and a machine applying the method. The method of networking collaboration work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First,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of a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is model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work demand unification factors. Then, a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is projected onto a plurality of collaborators, and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ccording to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accesses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Collaborate with at least one other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to execute the task.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ll persons participating in any cooperative work to freely combine any information, any tool, or any service in the cooperative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ctual work demands, and the persons participating in all cooperative work are All are capable of running any content in a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Description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A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and a machine apply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으로 태스크(task)를 실행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ing cooperative working method for executing a task with a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 a machine applying the method.

생활이 편리한 현대에서 사람들은 연산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 작업, 문서 처리, 오락, 소셜 통신 등과 같은 각 어플리케이션을 응용하고, 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는 더욱 신속하게 전파되며, 여러가지 웹 플랫폼, 동작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도구는 개발되어 사람들에게 사용되어 더욱 효율적인 생활을 제공한다. 특히, "포스트 컴퓨터 시대"에서 기존의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혹은 다른 모바일 장치의 출현은 인류가 언제 어디서나 작업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인터넷으로 세계 각지의 사람들과 연계하여 정보 전달과 공유를 진행할 수도 있다.In today's convenient life, people use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computing power to apply each application such as work, document processing, entertainment, and social communi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is spread more rapidly, Operating systems and software tools are developed and used by people to provide a more efficient life. In particular, in the "post-computer era", the advent of existing desktop computers, tablet PCs, mobile phones, or other mobile devices has enabled mankind to work anytime, anywhere, and also communicate and share information with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through the Internet.

일반적으로, 기존의 과학 기술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막론하고) 대부분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의 사유 각도에서 발전된 산물로서, 네트워크에 수많은 장벽이 분명한 정보 스테이션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지도록 초래하는데, 이는 오히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한가지 장애물을 형성하며, 이로써 국경 없는 네트워크의 목적과 위배된다. 부가적으로 말하자면, 현실 생활에서 소위의 협력 작업은 반드시 동시에 하기의 세가지 작업 조건을 구비한다. 인원의 참여, 통신 채널 및 작업 내용의 동기화 구현이다. 그러나, 협력 작업을 준비하는 다수의 사람들은 상이한 곳에서 각각 자신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 작업을 진행할 시, 상기 세가지 작업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기란 매우 어렵다. 특히, 세번째 조건은 실현상에서 더욱 도전적인데, 그 원인은 네트워크 안전과 개인 프라이버시에 기반한 고려는 모든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동시에 그 중의 어느 한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서 관찰 및 작동(예컨대 TeamViewer® 원격 제어 소프트웨어)할 수 있는데 이는 적절한 작법이 아니다. In general, existing technology (whether hardware or software) is largely the product of an 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devices (e.g. computers), leading to the appearance of information stations with numerous barriers to the network, which are rather clear. People-to-people networking forms one obstacle in cooperative work, thereby violating the purpose of networks without borders. Incidentally, in real life, so-called cooperative work always has the following three working conditions at the same time. It is the implementation of synchronization of personnel participation, communication channels and work content. However,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preparing for cooperative work each want to use their personal devices (eg, computers) in different places and perform cooperative work through a network, it is very difficult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above three working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third condition is more challenging in realization, since considerations based on network security and personal privacy require that all persons participating in a cooperative operation simultaneously be on the personal device (eg a computer) of a person participating in any one of the cooperative operations. It can be observed and operated (eg TeamViewer® remote control software), which is not a good practic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개발자가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적극 개발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말하자면, Skype® 인터넷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는 커뮤니케이션과 토론의 매개체를 제공하였고,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다. 첫째,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Skype®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유저는 모두 협력 작업의 인원 리스트에 추가 요청되어 함께 협력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다. 둘째,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인원은 문자(messages), 오디오(audio) 또는 비디오(video) 방식으로 기타 협력 작업의 인원과 통신 및 토론한다. 셋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자신의 스크린 이미지를 공유하여 진행하는 작업의 내용을 선사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many developers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actively developing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an collaborate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Skype® Internet instant messaging software provided a medium for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and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all users who have Skype® network instant messaging software installed on their personal devices (eg computers) can be added to the list of people in the collaborative work to work together. Second, the personnel conducting the cooperative work communicate and discuss with the personnel of the other cooperative work by means of messages, audio, or video. Third, the personnel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work can share their screen image and present the contents of the work being carried out.

비록 Skype®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가 협력 작업에 필요한 세가지 작업 조건을 만족한 것처럼 보여지지만, 실질적인 응용에서 하기와 같은 흠결이 존재한다. 첫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인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반드시 Skype®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만 협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임의의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모두 자신의 수요에 따라 Skype®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에 (예컨대 비디오 리코더)와 같은 필요한 도구를 자체적으로 배치할 수 없다. 셋째, 비록 자신의 스크린 이미지를 공유하여 진행하는 작업의 내용을 선사할 수 있지만, 이는 여러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공유자가 공유한 작업 내용에 대한 동작 프로세서로서, 공유되는 자들은 단지 관찰, 발언, 및 토론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록 협력 작업의 내용이 동기화 선사될 수 있지만, 단일 인원만이 조작권을 갖고 작업의 내용을 작동할 수 있다. 넷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의 스크린은 다소 상이하여 공유자가 공유한 스크린 화면이 공유되는 자의 스크린에 완벽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공유자의 스크린이 공유되는 자의 스크린보다 작을 경우, 공유되는 자가 관찰하는 스크린 화면은 흐릿하다. 다섯째, 자신의 스크린 화면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 진행하는 작업의 내용은 대량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점용하여 이러한 경우에, (오디오가 지연되고 비디오가 지연되는) 등 네트워크 효율을 저하시킨다.Although Skype® network instant messaging software appears to satisfy the three working conditions necessary for cooperative work, the following shortcomings exist in practical application. First, the person who wants to collaborate must have Skype® Network Instant Messaging software installed on their personal devices (eg computers) to be able to collaborate. Second, not everyone participating in any collaborative work can independently deploy the necessary tools (such as video recorders) in the Skype® network instant messaging software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Third, although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contents of the work being carried out by sharing one's own screen image, it has several limitations. For example, as an action processor for the work content shared by the sharer, the sharer can only observe, speak, and discus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content of a collaborative task can be synchronized, only a single person can operate and operate the content of the task. Fourth, the screens of the personal devices (eg computers) of the persons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work are somewhat different, so that the screen screen shared by the sharer may not appear perfectly on the screen of the person being shared.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sharer may not be If it is smaller than the user's screen, the screen viewed by the shared person is blurry. Fifth, the contents of the work performed through sharing one's screen screen occupies a large amount of network bandwidth, and in this case, (audio is delayed and video is delayed), etc., lowering the network efficiency.

상기 설명에 따르면 알 수 있는 바,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하기의 수요에 부합되는 협력 작업 환경에서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첫째, 임의의 신원은 모두 협력 작업 환경에 가입 요청되어 협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임의의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모두 실제 작업 수요에 따라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협력 작업 환경에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셋째, 모든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협력 작업 환경 중의 임의의 내용에 대해 작동할 수 있고, 임의의 협력 작업의 인원은 모두 동기화되어 기타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협력 작업 환경에서 진행하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what people want is to conduct collaborative work in a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that meets the following needs. First, any identities may be requested to join the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to proceed with the collaborative work. Second, all the personnel participating in any cooperative work can freely combine any information, any tool or any service in the cooperative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ctual work demand. Third, all the personnel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work can operate on any content in the cooperative work environment, and all the persons in the arbitrary cooperative work are synchronized, so that the persons participating in the other cooperative work are affected by the actions performed in the cooperative work environment. changes can be observed.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신원이 모두 협력 작업 환경에 가입 요청되어 협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임의의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모두 실제 작업 수요에 따라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협력 작업 환경에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모든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모두 협력 작업 환경 중의 임의의 내용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임의의 협력 작업의 인원도 모두 동기화되어 기타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 협력 작업 환경에서 진행되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and a machine applying the method. It provides a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in which all identities are requested to join a cooperative work environment to proceed with cooperative work, wherein the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is that all persons participating in any cooperative work are random according to actual work demands. of information, arbitrary tools, or arbitrary services can be freely combined in a cooperative work environment, and all persons participating in all cooperative work can operate any content in the cooperative work environment All of the people in the group are also synchronized and can observe the changes caused by the motions in the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의 하나의 작업 수요에 따라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하는 단계; First, modeling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of a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ccording to one job demand of at least one job promoter;

다음,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를 투영시키고,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를 탑재(equip)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가 액세스(access)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와 협력 작업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제공한다. Then, project at least one participant into the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wherein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is equipped with the plurality of unify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so that the at least one participant can access ( access) and allowing said at least one promoter and/or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to collabor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In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promoter is associated with each other of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participant and the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task deman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promoter, the at least one participant and the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is caused by at least one actuating action proceeding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hereto. wherein at least one change corresponds to the projection of at least one other of said at least one task promoter, said at least one said participant and said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according to its synchronization setting. let it do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를 진행할 시 동기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또는 In one embodiment, when the at least one task promoter performs the at least one actuation action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participant and the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command; and/or

클라이언트 서버형 아키텍처 또는 P2P 아키텍처를 통해 상기 동기화 인스트럭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sending the synchronization instructions via a client-server architecture or a peer-to-peer architecture to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another of the at least one task promoter, the at least one participant, and the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causing a synchronization change to occur in the plurality of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ask promoter, the at least one participant, and the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는 기계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는 다른 하나의 기계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said at least one participant comprises a machine, and/or said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comprises another machi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단일 사용자 대 단일 유저의 모드로 진행하거나, 또는 단일 사용자 대 다수의 유저의 모드로 진행하거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대 다수의 유저의 모드로 진행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progresses in a single user to single user mode, or in a single user to multiple users mode, or in a multiple user to multiple users mode. do.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된다. 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dded to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comprises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and/or at least on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the at least on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and/or the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is input to the corresponding projected relation synchronization workspace by the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된다. In an embodiment, each of the unification elements is formed after a raw element obtained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is unified by the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and each of the unification elements is added to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구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native tool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includes at least one of a utility, a widget, an agent, an application, a service tool, and any executable element accessible to a related machine or server, ; and/or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정책(policy), 규칙,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운행 정책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at least one unified information unit and at least one piece of ra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include a file, a web page, a database row, a policy, a rule, an operation policy of the relation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 any information accessible to a related machine or server.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단계는,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ng step comprises:

인터넷 식별자를 거쳐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obtaining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via an Internet identifier; and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분석하고 작업 환경을 구축하여,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작업 환경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alyzing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using a projector and establishing a work environment, and executing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 space in the work environm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호환성 환경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젝터를 실행하기 위한 엔진에 로딩된다. In one embodiment, the projector is loaded into an engine for running the projector by providing a compatibility environm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Javascript 엔진, 윈도우즈 어플리케이션 또는 Linux 어플리케이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the engine includes at least one of a Javascript engine, a Windows application, or a Linux applic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오브젝트,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또는 구조화 언어 또는 구조화 프로토콜을 인스턴스화한 인스턴스이다. In one embodiment,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is an instance of an object,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 or a structured language or structured protocol.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작업 수요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하는 단계; First, modeling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of a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work demand unification factors;

다음,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복수개 협력 작업자에게 투영하고,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를 탑재(equip)되어,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더 제공한다. Then, project the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to a plurality of collaborators, wherein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is equipped with the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ccording 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is the accessing a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to collaborate with at least another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to execute a task.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In an embodiment, at least both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ing workers are 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ork deman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은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킨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change caused by at least one operating action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hereto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ynchronization setting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A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of the at least one other of the collaborators generates a synchronization chan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networking collaboration work comprises: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를 진행할 시 동기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형 아키텍처 또는 P2P 아키텍처를 통해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generating, by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operative workers, a synchronization command when the at least one operation action is performed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hereto; and/or send to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through a client-server architecture or a P2P architecture, and the plurality of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task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generating a synchronous change in spa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협력 작업자는 기계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each said collaborator comprises a machi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단일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거나,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거나, 다수의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proceeds in a single collaborator vs. single collaborator work mode, in a single collaborator vs. multiple collaborator work mode, or in multiple collaborators vs. multiple collaborators. Proceed to working mode of collaborato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된다. 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dded to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comprises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and/or at least on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the at least on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and/or the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is input into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by the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된다. In an embodiment, each of the unification elements is formed after a raw element obtained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is unified by the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and each of the unification elements is added to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단계는,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ng step comprises:

경로 링크 정보를 거쳐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obtaining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through path link information; and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해석하고 작업 환경을 구축하여,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작업 환경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erpreting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using a projector and establishing a work environment, and executing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 space in the work environm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기계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수신한 후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분석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투영 가능한 프로젝터 중의 복수개 통일화 요소에 탑재 조합시켜, 적어도 하나의 협력 작업자와 협력 작업을 진행하고, 또는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작업 수요에 따라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조합되는 기계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a machine including a projector, after the machine receives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alyzes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d synchronizes a projected relationship corresponding 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By constructing a work space,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 space is mounted and combined on a plurality of unifying elements of the projectable projector, so as to carry out a cooperative work with at least one collaborator,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ing workers is the projected access a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to collaborate with at least another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to execute a task; Here, the plurality of unifying elements provides a machine that is combined in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according to a work demand.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복수개 협력 작업자는 다른 하나의 기계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comprises another machi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은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킨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is configured to cause at least one change caused by at least one operation action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synchronization setting. A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of the at least one other of a plurality of collaborators generates a synchronization chan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계에서 구축된다. In an embodiment,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is established in at least one other machi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In an embodiment, at least both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ing workers are 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ork deman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된다. 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dded to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comprises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and/or at least on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the at least on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and/or the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is input into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by the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된다. In an embodiment, each of the unification elements is formed after a raw element obtained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is unified by the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and each of the unification elements is added to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In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native tool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includes at least one of utilities, widgets, agents, applications, services, and any executable element accessible to a related machine or server; and/or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정책, 규칙,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운행 정책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at least one unified information unit and at least one piece of ra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e, a web page, a database row, a policy, a rule, an operation policy of the relation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 any information accessible to a related machine or server. includes one

상기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하기의 장점을 구비한다. 첫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참가자는 모두 대응되는 플랫폼 및/또는 채널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의 URI를 수신하고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따라서 임의의 신원(임의의 사람, 임의의 기계를 포함함)은 모두 협력 작업을 요청할 수 있고, 특별히 자신의 개인 기기(예컨대 컴퓨터)에 별도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둘째, 통일화 프로그램이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통일화된 환경으로 형성시키고, 따라서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는 모두 임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수요에 따라 자유롭게 그 중에서 조합되고 서로 호환된다. 셋째, 임의의 협력 작업자는 모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중의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작동시키고,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투영하는 방식으로 모든 협력 작업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탑재되고, 따라서 임의의 협력 작업자는 모두 기타 협력 작업자가 협력 작업 환경에서 진행한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동기화 관찰할 수 있다. 넷째, 과거 스크린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기존의 협력 방법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사이에 교류를 진행하여 동기화의 효과에 달성시킬 것을 동기화 명령하고, 전송되는 것은 단지 동기화 명령이고, 전체 스크린의 데이터를 대체하는 것이며, 네트워크 대역폭의 사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네트워크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the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participants who wish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work receive the URI of a space instance projectable to the corresponding platform and/or channel, and provide an environment (i.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for collaborative work, and thus All identities (including any person and any machine) can request cooperative work, and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nstall application software or application programs on one's own personal device (eg, computer). Second, the unification program forms the environment (that is,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cooperative work into a unified environment, so that any information, any tool, or any service is all of any collaborator's. They can be freely combined among them and compatibl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ork demands. Third, any collaborator operates any information, any tool, or any service in the environment of the cooperative work (ie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 the environment of the multi-collaborator cooperative work (i.e.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is mounted on every collaborator's personal device (e.g. computer) in a projected manner, so that any collaborator all synchronizes observations of changes caused by the actions of other collaborators in the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can do. Fourth, compared with the existing cooperation method in which the past screen image is shared, the present invention commands synchronization to achieve the effect of synchronization by conducting exchange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jected relation synchronization workspaces, and transmitting It is only a synchronization command, replace the data of the entire screen, can greatly reduce the use of network bandwidth, and effectively increase the net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장점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The abov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일화 방법을 실현시키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2는 통일화 스크립트를 개인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로 실현시키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3은 개인 작업 공간의 바람직한 배치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의 초기 상태 모식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도4에 도시된 작업 공간 투영 방법의 운행 개념 모식도이다.
도 6은 도4에 도시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와 도5b에 도시된 투영된 작업 공간의 상대 관계 모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 방법의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9는 프로모터가 제1 참가자와 제2 참가자를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0은 도8에 도시된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도8에 도시된 사용 상황에 응용시키는 운행 개념 모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나타내는 상대 관계 개념 모식도이다.
도12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2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2c는 도10에 도시된 작업 프로모터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3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3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3c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4a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4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4c는 도10에 도시된 작업 프로모터와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5는 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이한 기계에 위치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6은 바람직하게 P2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이한 기계에 위치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 방법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개념 모식도이다.
1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for realizing the un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realizing a unified script as an intermediate language of a personal workspac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eferred arrangement of a personal work spac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itial state of a method for projecting a work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operation concept of the work space projection method shown in FIG. 4 .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shown in Fig. 4 and the projected workspace shown in Fig. 5B.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tworking cooperativ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usage situation of a networking cooperative work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romoter requests a first participant and a second participant.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iving concept in which the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shown in Fig. 8 is applied to the usage situation shown in Fig. 8;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lative relationship concept illustrating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d a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A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in which the first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s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first machine under an initial state;
Fig. 12B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ing with a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a second machine under an initial state;
Fig. 12C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in which the work promoter shown in Fig. 10 interacts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third machine under the initial state;
Fig. 13A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the first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ing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first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blank presentation;
Fig. 13B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the second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ing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second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blank presentation;
Fig. 13c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the first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ing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third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blank presentation;
Fig. 14a is a concept in which the second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s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first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presentation (which already has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It is a schematic diagram
Fig. 14b is the concept of the second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ing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second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presentation (which already has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It is a schematic diagram
Fig. 14c shows the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ask promoter and the second participant shown in Fig. 10, projected in the third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presentation (which already has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It is a conceptual diagram that works.
Fig. 15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synchronizing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located on different machines using a client-server architecture;
Fig. 16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synchronizing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located on different machines, preferably using a peer-to-peer architecture;
17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usage situation of a networking cooperative work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하기의 내용을 참조하고, 하기의 전문 용어집 및 결론적인 예시도 포함하여 충분한 이해를 돕는다. 간결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출판물은 특허의 공개 내용을 포함하고, 아래의 명세서에 병합하여 참조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fficient understanding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content, including the following glossary and concluding examples. For the sake of brevity, the publications cited herein include the disclosures of the patents,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하기의 본 발명의 예시는 비한정적인 것이고, 또한 단지 본 발명의 각종 양상 및 특징을 대표한다. 가장 한정되는 기술적 의의로부터 말하자면, 본문의 상기의 "정보원"은 유용한 메시지의 부호가 존재하는 시퀀스로 해석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유용한 메시지는 데이터를 조직하고 레이블링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정보원은 웹사이트(예컨대 인터넷 서비스), 인트라넷, 소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전자책, 데이터베이스 및 기타 정보의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컴퓨터 사용가능한 저장 매체, 모바일 장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문의 상기의 "원시 정보"는 문서,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정책, 규칙 또는 임의의 관련 기계 및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본문의 상기의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구 또는 관련 기계 및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원, 원시 정보 및 원시 도구는 모두 이에 한하지 않는다.The following examples of the invention are non-limiting and are merely representative of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Speaking from the most limited technical significance, the above "source of information" of the text can be interpreted as a sequence of signs of useful messages, the plurality of useful messages for organizing and labeling data. Here, information sources may include websites (eg, Internet services), intranets, social networks, software, e-books, databases, and other media of information (eg, non-transitory computer-usable storage media, mobile device storage media). In addition, the above "raw information" in the text may include documents, web pages, database rows, policies, rules, or data stored on any related machines and servers, and the "raw tools" in the text are utilities; It may include widgets, intelligent agents, applications, service tools, or any executable element accessible to related machines and servers. However, sources of information, raw information and raw tools are not all limited thereto.

또, "원시 정보" 및 "원시 도구"는 모두 본문의 상기 "원시 요소"의 한가지 실시행태이고, 본 발명을 실행할 경우,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보원"의 다수의 "원시 요소"는 모두 통일화된 방법으로 각각 다수의 "통일화 요소"로 모듈화되어 동일한 작업 환경 중의 다수의 "통일화 요소"는 서로 호환되어 특정된 임무를 협동하여 진행한다. 여기서, "통일화 도구" 및 "통일화 정보 유닛"은 모두 "통일화 요소"의 한가지 실시행태이다. 또, 본문의 상기 "요소 변환기(Matterizer)"는 "원시 요소"에 대해 통일화를 진행하는 부재, 장치 또는 프로그램 코드이다.In addition, both "raw information" and "raw tool" are one embodiment of the above "raw element" of the text, and when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aw elements" of the same or different "sources of information" are all unified method As each is modularized into a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in the same work environment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to cooperate with a specified task. Here, the "unification tool" and th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are both one embodiment of the "unification element". In addition, the "Matterizer" in the main text is a member, device, or program code that unifies the "primitive elem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방법은, 통일화 데이터 구조에 따라 복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한 원시 정보를 재조정함으로써, 원시 정보를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모델링(modeling)하거나, 및/또는 다른 하나의 통일화 데이터 구조에 따라 복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한 원시 도구를 재조정함으로써, 원시 도구를 통일화 도구로 모델링한다. 여기서, 상기 통일화 데이터 구조 및 상기 다른 하나의 통일화 데이터 구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상기 통일화 방법은 요소 변환기(Matterizer)로 완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nification method comprises re-adjusting raw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a unified data structure, thereby modeling the raw information into a unified information unit, and/or other By re-adjusting the raw tool obtained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one unified data structure, the raw tool is modeled as a unified tool. Here, the unified data structure and the other unified data structure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the unification method may be completed with a Matterizer.

도1을 참조하면,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일화 방법을 실현시키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은 요소 변환기(992)가 통일화 데이터 모델(993)에 따라 원시 요소(991)의 속성 및 관련 링크를 재조정하여, 원시 요소(991)를 통일화 요소(994)로 모델링함으로써, 통일화 요소(994)의 기본 속성에 원시 요소(994)의 유형(type) 및 원시 요소(994)가 위치한 곳을 지적하는 링크(link)가 포함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 this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for realizing the un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1 shows that the element converter 992 readjusts the attributes and related links of the raw element 991 according to the unified data model 993 , thereby modeling the raw element 991 as the unified element 994 . ) to include the type of the primitive element 994 and a link indicating where the primitive element 994 is locat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시 요소(991)는 적어도 원시 정보(미도시) 또는 원시 도구(미도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통일화 방법에 있어서, 원시 정보에서 획득되는 속성과 통일화 정보 유닛에서 통일된 속성이 서로 대응될 경우, 요소 변환기(992)를 거쳐 직접적으로 통일화 정보 유닛을 발생할 수 있다. 원시 정보에서 획득되는 속성과 통일화 정보 유닛에서 통일된 속성이 대응될 수 없을 경우, 먼저 원시 정보의 속성과 관련 링크에 대한 논리상의 재조정을 통해 원시 정보를 새로 정의함으로써, 원시 정보가 그 속성과 통일화 정보에서 통일된 속성이 서로 대응되는 새로운 원시 정보로 변환하여, 통일화 정보 유닛을 간접적으로 발생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aw element 991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raw information (not shown) or a raw tool (not shown). Next, in the unification method, when the attribute obtained from the original information and the unified attribute from the unified information unit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unified information unit may be directly generated through the element converter 992 . When the attribute obtained from the raw information and the unified attribute in the unified information unit cannot be matched, the raw information is unified with the attribute by first re-defining the raw information through logical readjustment of the attribute and the related link of the raw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unified attributes are converted into new ra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by indirectly generating a unified information unit.

또한,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workspace)의 작업 환경이 호환될 경우, 요소 변환기(992)를 거쳐 상기 통일화 도구를 직접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이 호환되지 않을 경우, 어댑터(adapter) 및/또는 원시 도구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는 원시 도구를 구동시켜 상기 통일화 도구를 간접적으로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adapter)는 작업 공간과 호환되는 인터페이스 구현(interface implem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original tool and the work environment of the workspace are compatible, the unification tool can be directly generated through the element converter 992 . However, whe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native tool and the workspace is not compatible, an adapter and/or a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of the native tool drives the native tool to indirectly generate the unification tool. Here, the adapter is for providing an interface implementation compatible with the workspace.

본 실시예 중 상기의 "통일화 방법의 구체적인 방식", "통일화 요소의 구체적인 획득 방식" 및 "요소 변환기의 방식"은 출원번호가 14/324,069이고, 발명의 명칭이 "A METHOD OF UNIFYING INFORMATION AND TOOL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인 미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고, 미국 특허 출원번호가 14/324,069인 국제 우선권의 주장에 기초한 출원번호가 201410768564.X이고, 발명의 명칭이 "복수의 정보원의 정보 및 도구를 통일화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장치"인 중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In this embodiment, the above "specific method of unification method", "specific acquisition method of unification element" and "method of element converter" have an application number of 14/324,069, and the title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UNIFYING INFORMATION AND TOOL"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US patent entitled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 which is based on the claim of international priority with US Patent Application No. 14/324,069, application number 201410768564.X, and is entitl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rom Multiple Sources of Information and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Chinese patent, "a method for unifying tool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applying the metho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의 통일화 방법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에 대해서만 서술하였다. 상이한 정보원의 다수의 원시 요소를 통일화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교의를 보류하는 동시에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다.The above unification method has been described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explanation. The method of unifying the multiple primitive elements of different sources of information is not so limited, and it can be readily obser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hile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 상기 설명과 상이한 두 가지 통일화 방법을 예로 든다. 첫번째 통일화 방법은 Garmin 위성 항법 중의 정보 통일화 방법에 응용되고, Garmin 위성 항법의 관심 지역 정보(Point of Interest, POI) 기능은 상기 정보 통일화 방법을 통해 그 중의 원시 지표 정보(즉, 원시 정보)를 입력하고 통일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상응한 통일화 지표 정보(즉, 통일화 정보 유닛)를 획득한다. 두번째 방법은 안드로이드(Android) 시스템에 응용되는 도구 통일화 방법이고, 안드로이드(Android) 시스템은 Linux를 기초로 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동작 시스템이지만, 안드로이드 시스템 중의 어플리케이션(즉, 원시 도구)은 대부분 Java로 편집되기에, Java로 편집되는 어플리케이션(즉, 원시 도구)은 모두 상기 도구 통일화 방법을 통해 안드로이드 시스템 중의 호환되는 통일화 어플리케이션(즉, 통일화 도구)으로 모델링되고, 나아가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실행된다.Below, two unification methods diffe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are given as examples. The first un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information unification method in Garmin satellite navigation, and the Point of Interest (POI) function of Garmin satellite navigation inputs raw index information (ie, raw information) among them through the information unification method. and proceed with the unification program to obtain the corresponding unification index information (i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The second method is a tool unification method applied to the Android system, and the Android system is an open source mobile operating system based on Linux, but most of the applications (ie, native tools) in the Android system are edited in Java. For example, all applications (ie, native tools) edited in Java are modeled as compatible unified applications (ie, unified tools) in the Android system through the tool unification method, and further executed in the Android system.

또한, 본문의 상기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호 작용하여 특정 임무를 실행하도록 되는 작업 공간을 지칭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로 작업 공간에 입력되지만, 정보 및/또는 도구를 작업 공간에 입력하는 방식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다음, 하기의 상기 정보 입력기(information importer)는 예컨대 도2 중의 정보 입력기(9881, 9882, 9883), 도6 중의 Dropbox 입력기(9761') 및 도11, 도12a~도12c, 도13a~도13c, 도14a~도14c 중의 정보 입력기(52) 등은 모두 요소 변환기의 한가지 실시양태이다. 또한, 본문의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는 작업 공간을 실현하는 중간 언어로서,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가(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인 됨)작업 공간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workspace" in the text refers to a workspace in which at least one element converter, at least one tool and/or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interact to perform a specific task, and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nd/or At least one tool is input into the workspace with at least one element converter, but the manner in which information and/or tools are input into the workspace is not limited thereto. Next, the following information importers ar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input devices 9881, 9882, 9883 in FIG. 2, the Dropbox input device 9761' in FIG. 6, and FIGS. 11, 12A to 12C, and 13A to 13C. ,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52 and the like in Figs. 14A to 14C are all one embodiment of the element converter. In addition, the "unification script" of the text is an intermediate language for realizing a workspace, and at least one element converter and/or at least one information and/or at least one tool (eg, built-in or plug-in) through the "unification script" to be provided in the work spa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이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가 통일화된 후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구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이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가 통일화된 후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이다. 또한, 상이한 임무에 따라 필요한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통일화 도구를 서로 대응되는 정보원으로써(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인 됨)개인 작업 공간에 추가하고, 다시 말하면 "작업 공간"은 사용자 지향의 "개인 작업 공간"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is at least one unified information unit formed after at least one raw information obtained by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is unified, wherein the at least one tool is obtained by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formed after at least one primitive tool is unified. In addition, unification information units and/or unification tools required according to different tasks are added to the personal workspace as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eg, built-in or plug-in), in other words, the "workspace" is a user-oriented "personal workspace" can be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도2는 통일화 스크립트를 개인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로 하는 것을 실현시키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개인 작업 공간의 바람직한 배치 모식도이다. 도2와 도3은 임무의 수요에 따라 Dropbox (982) 중의 원시 정보(985)에 대응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985'), 클라우드 스토리지(983) 중의 호환 가능한 원시 도구(986)에 대응되는 제1 통일화 도구(986') 및 서버(984) 중의 호환 불가능한 원시 도구(987)에 대응되는 제2 통일화 도구(987')를 개인 작업 공간(981)에 조합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사용자는 우선 개인 작업 공간(981)의 중간 언어를 실현하기 위한 통일화 스크립트(980)를 편집할 수 있고, 통일화 스크립트(980)로 Dropbox(982)의 정보 입력기(9881), 클라우드 스토리지(983)의 정보 입력기(9882) 및 서버(984)의 정보 입력기(9883)를 설치(configure)한다. 또한, 정보 입력기(9881)는 Dropbox(982) 중의 원시 정보(985)를 통일화 정보 유닛(985')으로 통일화하고, 개인 작업 공간(981)에 입력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Fig. 2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for realizing a unified script as an intermediate language of a personal work space,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eferred arrangement of the personal work space shown in Fig. 2 . 2 and 3 show a unified information unit 985' corresponding to the raw information 985 in the Dropbox 982, the first corresponding to the compatible raw tool 986 in the cloud storage 983,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ask. The unification tool 986 ′ and the second unification tool 987 ′ corresponding to the incompatible original tool 987 in the server 984 are combined in the personal workspace 981 . In detail, the user can first edit the unification script 980 for realizing the intermediate language of the personal workspace 981 , and as the unification script 980 ,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9881 of Dropbox 982 , cloud storage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9882 of 983 and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9883 of the server 984 are configured. Further,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9881 unifies the raw information 985 in the Dropbox 982 into the unified information unit 985', and inputs it into the personal workspace 981 .

도2와 도3은 클라우드 스토리지(983)에 보관되는 원시 도구가 호환 가능한 원시 도구(986)(즉 상기 호환 가능한 원시 도구(986)는 개인 작업 공간(981) 중 통일화 도구를 위한 컴퍼넌트 아키텍처와 호환될 수 있음)이고, 통일화 스크립트(980)정보 입력기(9882)를 통해 호환되는 원시 도구(986)에 대응되는 제1 통일화 도구(986')를 개인 작업 공간(981)에 직접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2 and 3 show that the raw tool stored in the cloud storage 983 is compatible with the compatible raw tool 986 (that is, the compatible raw tool 986 is compatible with the component architecture for the unification tool in the personal workspace 981 ). may be), and indicates that the first unified tool 986 ′ corresponding to the compatible raw tool 986 is directly provided to the personal workspace 981 through the unified script 980 and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9882 .

도2와 도3은 서버(984)에 보관되는 원시 도구가 호환 불가능한 원시 도구(987)(즉 상기 호환 불가능한 원시 도구(987)는 개인 작업 공간(981) 중 통일화 도구를 위한 컴퍼넌트 아키텍처와 호환될 수 없음)이고, 통일화 스크립트(980)는 호환 가능한 어댑터(989) 및 정보 입력기(9883)를 통해 호환되지 않는 원시 도구(987)에 대응되는 제2 통일화 도구(987')를 개인 작업 공간(981)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2 and 3 show that the raw tool stored in the server 984 is compatible with the incompatible raw tool 987 (that is, the incompatible raw tool 987 is compatible with the component architecture for the unification tool in the personal workspace 981). cannot), and the unification script 980 creates a second unification tool 987 ′ corresponding to the incompatible native tool 987 through the compatible adapter 989 and the information input method 9883 to the personal workspace 981 . ) that can be provided.

이 밖에, 도3은 사용자가 실제 응용 수요에 따라 통일화 정보 유닛(985'), 제1 통일화 도구(986') 및 제2 통일화 도구(987')가 개인 작업 공간(981)에서의 특정 영역을 배치 안배(예컨대 그(group) 또는 안착(place))하는 것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통일화 도구 및 통일화 정보 유닛 사이의 운행 관계 (예를 들어 양자 사이의 클릭킹(clicking) 동작 또는 드래깅(dragging) 동작)에 의해 통일화 도구를 사용하여 서로 대응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을 액세스 또는 제어하여 필요한 임무를 실행한다.In addition, FIG. 3 shows that the user selects a specific area in the personal workspace 981 of the unified information unit 985', the first unified tool 986', and the second unified tool 987' according to the actual application demand. It indicates to arrange (eg, group or place). Finally, the user accesses th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using the unification tool by a navig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unification tool and the unified information unit (for example, a clicking operation or a dragging operation between the two). Or take control and execute the necessary tasks.

본 실시예 중 상기의 "통일화 스크립트로써 개인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를 실현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 "실제 응용 수요에 따라 필요한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필요한 통일화 도구를 서로 대응되는 정보원으로 개인 작업 공간에 자유롭게 조합하여 임무를 실행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는, 출원번호가 14/325,466이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FOR PERFORMING TASK ON UNIFIED INFORMATION UNITS IN A PERSONAL WORKSPACE"인 미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고, 출원번호가 14/324,069, 14/325,466이고, 국제 우선권을 초안으로 하는 출원번호가 201410768564.X이고, 발명의 명칭이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에 대해 조합 작업을 진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 for realizing an intermediate language of a personal workspace with a unified script" and "a unified information unit and/or a necessary unified tool required according to actual application demands are provided in the personal workspace as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For a specific embodiment that can be freely combined to perform a task,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US patent application number 14/325,466, entitled "METHOD FOR PERFORMING TASK ON UNIFIED INFORMATION UNITS IN A PERSONAL WORKSPACE," and application number are 14/324,069, 14/325,466, international priority draft application number 201410768564.X, and the title of the invention is "Method for performing combination work on unification elements in a personal workspace and a computer applying the method Program products and systems" may be referred 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에 대해서만 서술하였다. 본원 발명의 작업 공간을 응용하는 것은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를 실현하는 통일화 스크립트로서 미리 편집될 수 있으며 이로써 미리 편집하여 작업 공간이 기본 요소 변환기 및/또는 기본 정보 및/또는 기본 도구가 내장된 작업 공간으로 되도록 하며, 이러한 작업 공간은 개인 작동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 응용 수요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작동하거나 각각 작동하도록 한다. The personal workspace has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nly. The application of the work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it can be pre-edited as a unified script that realizes the intermediate language of the workspace, thereby pre-editing so that the workspace becomes a workspace with built-in primitive transformers and/or basic information and/or basic tools; , this work space is not limited to individual operation, and allows multiple users to operate simultaneously or individually according to actual application demands.

또한, 본문의 상기 "작업 공간"은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을 통해 임의의 컴퓨터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 탑 등이며, 이에 한하지 않음)에 의해 투영되고, 임의의 사용자는 임의의 컴퓨터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투영된 작업 공간(projected workspace)"을 작동한다.In addition, the "working space" in the text is projected by an electronic device (eg, but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tablet PC, notebook, desktop, etc.) having any computer capability through the "projection method of the workspace" and any user operates a “projected workspace” o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y computer capabilit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경로 링크 정보(URI)를 거쳐 통일화 스크립트에 의해 생성된(instantiated)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획득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통일화 스크립트는 정의되어 요소 변환기, 정보 및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여 작업 공간을 모델링하고,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작업 공간에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작업 공간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며, 요소 변환기, 정보 및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켜 임무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어서, 프로젝터(projector)를 이용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분석하고 요소 변환기, 정보 및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 중의 작업 환경에 구축되도록 하여, 나아가 투영된 작업 공간을 실행하여,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투영된 작업 공간은 상호 작용한다. In one embodiment, a method of projecting a workspace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First,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instantiated by the unification script is acquired through path link information (URI). As described above, the unification script is defined to model the workspace by arranging at least one of element transformers, information and tools, and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s are used to build projected worksp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workspace, It provides an interface for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 converter, information and tools to execute a task. Then, using a projector to analyze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d build at least one of element transformers, information and tools into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further executing the projected workspace, thereby At least one user and the projected workspace interact.

여기서, 프로젝터는 원격 데이터 스테이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 또는 미리 설치된(preloaded) 어플리케이션에서 획득할 수 있고, 호환성 환경이 프로젝터를 실행하도록 되는 엔진(engine)에 로드되며, 엔진은 Javascript 엔진, 윈도우즈 어플리케이션 또는 Linux 어플리케이션 등이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통일화 스크립트는 공문서 문서형 정의(DTD), 확장성 마크업 언어 스키마(XML schema), 구조화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등에 의해 선고되어 형성되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그러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오브젝트(object),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 문서, 또는 구조화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 등이 생성하는 인스턴스(instance)일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 Here, the projector may be obtained from a remote data station,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or a preloaded application, and a compatibility environment is loaded into an engine that is intended to run the projector, the engine being a Javascript engine, a Windows application or Linux applica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unified script is declared and formed by an official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schema (XML schema), a structured language or a structured protocol,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may be an object,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document, or an instance generated by a structured language or structured protocol,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es not

도 4, 도 5a, 도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의 초기 상태 모식도이고, 도5a 및 도5b는 도4에 도시된 작업 공간 투영 방법의 운행 개념 모식도이며, 도6은 도4에 도시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와 도5b에 도시된 투영된 작업 공간의 상대 관계 모식도이다. 4, 5A, 5B and 6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itial state of a method for projecting the work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the operation shown in FIG. 4 .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operation concept of the space projection method, and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shown in FIG. 4 and the projected workspace shown in FIG. 5B .

도4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서로 링크(예컨대 네트워크 커낵션을 통과)되는 제1 전자 장치(971) 및 제2 전자 장치(972)가 존재하고, 제1 전자 장치(971)에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가 저장되며, 제2 전자 장치(972)에 프로젝터(974)가 내장되어 있다. In the initial state shown in FIG. 4 , a first electronic device 971 and a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that are linked to each other (eg,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exist, and can be projected on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971 . A space instance 973 is stored, and a projector 974 is built in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일화 스크립트(9731)는 공문서 문서형 정의(DTD)에 의해 선고되어 형성되고, 정의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이는 요소 변환기의 한가지 예시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배치되어 작업 공간을 모델링하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에 의해 생성된 인스턴스이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공간과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작업 공간(976)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며, 정보 입력기,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통일화 도구가 그 중에 추가되거나 그 중에서 제거되도록 허용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ification script 9731 is defined and formed by a public document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whereby at least one information input device (this is an example of an element converter) and/or at least one unified information The unit and/or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is disposed to model the workspace, and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is an instance generated by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and, as shown in FIG. It is for building a projected workspace 976 corresponding to the space, and an information input device, a unified information unit, and/or a unified tool are allowed to be added or removed therefrom.

또한, 제2 전자 장치(972)의 프로젝터(974)는 제2 전자 장치(972)에서 투영된 작업 공간(976)이 운행되는 작업 환경(975)을 구축하고, 마이크로커널(977)(도6을 참조)을 상기 작업 환경(975)에 탑재되도록 하며 투영된 작업 공간(976)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추가시킨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972)가 경로 링크 정보를 통해 제1 전자 장치(971) 중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을 획득할 경우, 제2 전자 장치(972) 중의 프로젝터(974)는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을 분석하기 시작하고, 이는 도5a에 도시된다. 또,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이 프로젝터(974)에 의해 분석된 후, 투영된 작업 공간(976)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에서 분석된 내용에 따라 작업 환경(975)에 구축되고, 이는 도5b에 도시되며, 이로써 제2 전자 장치(972) 단의 유저는 제2 전자 장치(972)와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의해 상호 작용할 수 있고 나아가 관련 태스크를 실행한다. In addition, the projector 974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establishes a working environment 975 in which the working space 976 projected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operates, and the microkernel 977 (Fig. 6). ) to be mounted on the work environment 975 and added to at least one information input device, at least on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and/or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in the projected workspace 976 . Here, when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acquires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971 through the path link information, the projector 974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can project We begin to analyze the spatial instance 973, which is shown in Fig. 5a. In addition, after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is analyzed by the projector 974 , the projected workspace 976 is built into the working environment 975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zed in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 This is illustrated in FIG. 5B , whereby a user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stage can interact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and the projected workspace 976 and further execute related tasks.

이하, 도6에 도시된 사용 상황에 따라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9731),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 및 투영된 작업 공간(976)의 상호 관계를 도6에 도시된 사용 상황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사용 상황은 작업공간을 구축하는 과정과 관련되고 즉 jpg 포맷 이미지 파일 및 gif 포맷 이미지 파일을 구축하여 특정된 인터넷 공간 및 유저가 관찰하는 작업 공간에 제공하고, 본 사용 상황에 있어서, 통일화 스크립트(9731)는 공문서 문서형 정의(DTD)으로써 선고되고,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로 생성된다. Hereinafte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unified script 9731,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and the projected workspace 976 according to the usage situation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usage situation shown in FIG. . The usage situation shown in Fig. 6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building a workspace, that is, a jpg format image file and a gif format image file are built and provided to a specified Internet space and a workspace observed by a user, and in this usage situation , a unified script 9731 is declared as an official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and a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973 is created in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또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에는 하나의 정보 입력기 및 하나의 통일화 도구가 추가될 수 있고, 정보 입력기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사용 상황에 있어서, 정보 입력기는 Dropbox 입력기이고, 정보 입력기는 도6에 도시된 파선 프레임 (9761)이다. 원시 정보는 Dropbox (979)정보원 중의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을 포함한다. 통일화 정보 유닛은 뒤에 설명할 상기 통일화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이고, 통일화 도구는 이미지 뷰어가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입력된 이미지 파일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고 이미지 관찰자의 정보는 도6에 도시된 파선 프레임 (9762)이다.In addition, one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one unified tool may be added 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 and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display at least one unified information uni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iece of raw information in the projected workspace 976 . ) for input. In this usage situation,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is a Dropbox input device, and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is a broken line frame 9761 shown in FIG. The raw information includes jpg format image files (9791, 9792) and gif format image files (9793) in the Dropbox (979) information source. Th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is the unified jpg format image file 9791', 9792' and the unified gif format image file 979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unification tool is an image file input to the workspace 976 on which the image viewer is projected. , and the image observer's information is the broken line frame 9762 shown in FIG.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투영된 작업 공간(976)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가 제2 전자 장치(972) 중의 프로젝터(974)에 의해 분석된 후 구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Dropbox 입력기(9761')가 파선 프레임(9761)에 대응 및 이미지 뷰어 (9762')가 파선 프레임(9762)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하고, Dropbox 입력기(9761')는 다시 Dropbox (979) 정보원 중의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을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통일화시키고 입력하여,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의 통일화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이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서 각각 서로 대응되게 나타나도록 한다. 이어서, 제2 전자 장치(972) 의 유저가 특정된 동작 방식으로 통일화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 중의 임의의 하나와 작동할 경우(예컨대 통일화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이미지 파일(9793') 중의 상기 임의의 하나를 클릭하거나, 또는 통일화 jpg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 중의 상기 임의의 하나를 이미지 뷰어(9762')에 드래깅(dragging) 및 드로핑(dropping)함), 이미지 뷰어(9762')는 통일화 jpg이미지 파일(9791', 9792')혹은 통일화 gif이미지 파일(9793') 중의 내용을 대응되게 판독하고 이를 유저에게 선사한다. 이 밖에, 상기 Dropbox 입력기(9761') 및 이미지 뷰어(9762')는 마이크로커널(977)에 의하여 탑재된다(equipped). 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ed workspace 976 is constructed after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is analyzed by the projector 974 in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opbox input device 9761 ′ corresponds to the dashed line frame 9761 in the projected workspace 976 and the image viewer 9762 ′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dashed line frame 9762 , and the Dropbox input device ( 9761') unifies the jpg format image files (9791, 9792) and the gif format image files (9793) in the Dropbox (979) information source to the projected workspace 976 and inputs them again, and jpg format image files (9791, 9792) ) and the unification of the gif format image file 9793 The jpg format image files 9791' and 9792' and the unified gif format image file 9793' appear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projected workspace 976, respectively. Then, when the user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operates with any one of the unified jpg format image files 9791' and 9792' and the unified gif format image file 9793' in a specified operation manner (eg, unified Click on any one of the image files 9791' and 9792' and the unified image file 9793', or one of the unified jpg format image files 9791' and 9792' and the unified gif format image file 9793'. Dragging and dropping any one of the above to the image viewer 9762'), the image viewer 9762' is a unified jpg image file (9791', 9792') or a unified gif image file (9793) ') is read correspondingly and presented to the user. In addition, the Dropbox input device 9761 ′ and the image viewer 9762 ′ are equipped by a microkernel 977 .

특별히 설명해야 할 것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의 경로 링크 정보는 하이퍼텍스트 통신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경로 링크 정보 또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FTP) 경로 링크 정보일 수 있고, 제1 전자 장치(971)와 제2 전자 장치(972)가 하나의 장치로 통합될 경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의 경로 링크 정보는 로컬 파일(local file) 경로링크 정보일 수 있지만, 경로 링크 정보의 형태는 공간 인스턴스(973)에 한하지 않는다. It should be specifically described, the path link information of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may b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path link information or file transfer protocol (FTP) path link information, Whe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971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972 are integrated into one device, the path link information of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973 may be local file path link information, but the path The type of link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e spatial instance 973 .

본 실시예 중 상기의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의 구체적인 방식"은 출원번호가 14/577,772이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OF PROJECTING A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인 미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고, 출원번호가 14/324,069, 14/325,466, 14/577,772인 미국 특허를 초안으로 하는 출원번호가 201410814138.5이고, 발명의 명칭이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 및 상기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을 응용하는 시스템"인 중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For the "specific method of the projection method of the working spa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lication number is 14/577,772, and the title of the invention is "METHOD OF PROJECTING A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 Nos. 201410814138.5 with U.S. patents as drafting application Nos. 14/324,069, 14/325,466, 14/577,772, and the title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projecting a workspace and a system for applying the projection method of the workspace" A Chinese patent may be referred 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의 예시와 목적은 단지 본원 발명에서 작업 공간을 임의의 산출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투영하는 방법이지만, 작업 공간을 임의의 산출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투영하는 투영 방법이며 상기와 같이 한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교의를 보류하는 동시에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다.The example and purpose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jecting the workspace is merely a method of projecting the workspace on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rbitrary computing capab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 projection method for projecting the workspace on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rbitrary computing capability.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it can be easily obser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hile retaining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임의의 작업 공간이 모두 임의의 산출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투영될 수 있기에, 즉 임의의 작업 공간은 모두 임의의 산출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전송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 공간 역시 다수의 협력 작업자가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한가지 작업 플랫폼인 바, 즉 작업 공간은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일 수 있고, 아래에서는 본원 발명의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since any workspace can be proj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y computing capability, that is, any workspace can be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y computing capability. Accordingly, the workspace is also a working platform where a plurality of collaborators work collaboratively, that is, the workspace may be a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The machin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etworking collabo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networking collaboration work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단계P1: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의 작업 수요에 따라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한다.Step P1: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of the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is model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unific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work demand of at least one promoter.

단계P2: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를 투영시키고,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탑재하고 복수개 통일화 요소,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가 동작하고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와 협력 작업을 진행한다. Step P2: projecting at least one participant into the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loading according 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a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t least one participant operating, and at least one task promoter and/or collaborate with at least one other participant.

도8~도11을 참조하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 협력 작업 방법을 나타내는 사용 상황 모식도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프로모터가 제1 참가자와 제2 참가자를 요청하는 과정 모식도이며, 도10은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도8에 도시된 상황에 사용하는 운행 개념 모식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나타내는 상대 관계 모식도이다. 8 to 11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usage situation illustrating a networking cooperativ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romoter shown in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questing process,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iving concept using the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on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8, and FIG. 11 is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d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elative relation representing space.

본 실시예는 하기의 사용상황과 관련이 있다. 즉 프로모터(23)가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를 요청하여 함께 주제 발표를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이하 프로모터(23),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는 협력 작업자(2)로 총칭하고,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는 상호 사이에 "제작 주제 발표"의 이러한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네트워킹 협력 작업 방법의 시작에 앞서, 프로모터(23)는 제4 기계(14)에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을 설치하고,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는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작업 프로모터(23)는 제작 주제 발표의 수요 및 협력 작업 시 필요한 통신 방식에 따라 필요한 통일화 요소(5)를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조합시킨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추가된 통일화 도구(51) 발표 판독 도구(511), 발표 편집 도구(512), 비디오 도구(513) 및 기록 도구(514)를 포함한다. This example relates to the following usage situations. That is, the promoter 23 requests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to jointly produce the topic presentation. Hereinafter, the promoter 23 , the first participant 21 ,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ollaborator 2 , and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2 mutually agree to the task of “presenting a production topic”. are related according to Prior to the start of the networking cooperation working method, the promoter 23 installs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in the fourth machine 14, and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is for synchronizing the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ing space. Here, the work promoter 23 combines the necessary unification element 5 in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presentation of the production topic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required for the cooperative work. In the present preferred embodiment, a unified tool 51 added to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3 includes a presentation reading tool 511 , a presentation editing tool 512 , a video tool 513 and a recording tool 514 . .

또한,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로 예시되어 형성된 인스턴스이다. 도11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컴파일된 내용(compiled contents) 및,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 중 각 통일화 요소(5)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컴파일된 내용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한다. 도11에서,점선 양단의 양쪽 끝은 상기 관계에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컴파일된 내용과 대응되는 통일화 요소(5)를 나타낸다. Further, in the present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3 is an instance formed by being exemplified in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11 shows the compiled contents of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and between each unification element 5 of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 and the compiled contents of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 indicate the correspondence of In Fig. 11, both ends of both ends of the dotted line indicate the unification element 5 corresponding to the compiled content of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in the above relation.

또한, 도8은 본 사용 상황에서 존재하는 제1 참가자(21), 제2 참가자(22) 및 작업 프로모터(23)에 사용되도록 각각 제공되는 제1 기계(11), 제2 기계(12)와 제3 기계(13)를 더 표시하였고,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각각 프로젝터(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4)는 적어도 원격 데이터 스테이션(미도시), 제4 기계(14) 중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 또는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프리로드되는(preloaded) 어플리케이션(미도시)로부터 획득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Fig. 8 shows a first machine 11 and a second machine 12 respectively provided for use by the first participant 21, the second participant 22 and the task promoter 23 present in the present use situation; A third machine 13 is further displayed, and a projector 4 is installed in the first machine 11,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respectively. Here, the projector 4 is at least a remote data station (not shown),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of a fourth machine 14 or a first machine 11 , a second machine 12 and a third machine 13 . ) is obtained from an application (not shown) that is preloaded to, but is not limited to.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는 각각 제4 기계(14)(예컨대 네트워크 링크를 통함, 도10 중 점선으로 표시됨)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제4 기계(14) 중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는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전송될 수 있으며, 추가로, 임의의 원시 요소, (예를 들면 제1 기계(11) 중의 제1 발표 자료 또는 도구, 제2 기계(12) 중의 제2 발표 자료 또는 도구, 제3 기계(13) 중의 제3 발표 자료 또는 도구,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 또는 실행 가능한 요소)는 모두 통일화된 후 제4 기계(14)에 제공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machine 11,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are each directly to the fourth machine 14 (eg, via a network link,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0).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of the fourth machine 14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machine 11 ,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 , any raw element (eg, a first presentation or tool in the first machine 11 , a second presentation or tool in the second machine 12 , a third presentation in the third machine 13 ) or tools, data or executable elements stored on a related machine or server) are all unified and then provided to the fourth machine 14 .

도7에 도시된 단계P2 및 도9를 함께 참조하면,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는 이와 대응되는 경로 링크 정보(URI)를 구비하고, 프로모터(23)가 다수의 참가자를 요청하여 함께 주제 발표(5)를 제작하고자 할 경우, 프로모터(23)는 플랫폼 및/또는 채널을 이용하여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경로 링크 정보를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에 전송하기에,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는 상기 경로 링크 정보를 통해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를 각각 제1 기계(11) 및 제2 기계(12)에 로드(load)한다. 마찬가지로, 프로모터(23)는 상기 경로 링크 정보를 통해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를 자신이 사용하는 제3 기계(13)에 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링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플랫폼은 동작 시스템 또는 브라우저일 수 있고, 경로 링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은 이메일, 인트라넷, 소셜 네트워크, 블로그, 웹사이트 또는 채팅 통신 채널 일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일 뿐, 플랫폼의 형태 및 채널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step P2 shown in Fig. 7 and Fig. 9 together,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3 has path link information (URI)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promoter 23 requests a plurality of participants to present a topic together. (5), the promoter 23 transmits the path link information of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3 to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using the platform and/or channel Thus,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load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3 through the path link information onto the first machine 11 and the second machine 12, respectively. . Similarly, the promoter 23 can load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3 into the third machine 13 it uses through the path link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latform for transmitting the route link information may be an operating system or a browser, and the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route link information may be an email, an intranet, a social network, a blog, a website, or a chat communication channel. The above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nly, and the form of the platform and the form of the channel are not limited thereto.

이어서 도7에 도시된 단계P2 및 도10을 함께 참조하면,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의 프로젝터(4)는 각각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을 운행되도록 하는 작업 환경(41)을 구축할 수 있고,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대응되는 마이크로커널(61)(도12a~도12c, 도13a~도13c, 도14a~도14c를 참조바람)을 제공하여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컴파일되는(compiled) 통일화 요소(5)를 탑재하며(equipping), 예컨대 통일화 도구(51) 및 정보 입력기(52)를 포함한다.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는 각각 경로 링크 정보를 통해 제4 기계(14) 중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를 획득할 경우, 프로젝터(4)는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대해 석하기 시작하고,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가 프로젝터(4)에 의해 분석될 경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은 프로젝터(4)가 해석한 내용에 따라 작업 환경에 구축되며, 이로써, 제1 기계(11)의 제1 참가자(21), 제2 기계(12)의 제2 참가자(22) 및 제3 기계(13)의 프로모터(23)는 각각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를 통해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과 상호 작용하며, 즉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는 모두 이에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와 작동되어, 나아가 협력 작업의 목적에 달성한다. Then, referring to step P2 shown in Fig. 7 and Fig. 10 together, the projector 4 of the first machine 11,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is a first machine 11, and establish a working environment 41 to drive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6B, 6C on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and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 6B, 6C) are compiled in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by providing the microkernel 61 (refer to FIGS. 12A to 12C, 13A to 13C, and 14A to 14C). ) equipping the unification element 5 , including, for example, an unification tool 51 and an information input device 52 . When the first machine 11,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each obtain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of the fourth machine 14 through the path link information, the projector 4 starts to analyze on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and when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is analyzed by the projector (4),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are the projectors ( 4) is built into the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whereby the first participant 21 of the first machine 11, the second participant 22 of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The promoter 23 of the interacts with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projected via the first machine 11,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respectively, i.e. the multiple All of the collaborators 2 work with their corresponding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and further achieve the purpose of the cooperative work.

이하, 도12a~도12c, 도13a~도13c, 도14a~도14c 및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들이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2a to 12c, FIGS. 13a to 13c, FIGS. 14a to 14c and a process in which the plurality of cooperating workers 2 perform a cooperating work,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networking cooperation wor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et it do

여기서, 도12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2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며, 도12c는 도10에 도시된 작업 프로모터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3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며, 도13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3c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며, 도14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와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4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며, 도14c는 도10에 도시된 작업 프로모터와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Here, Fig. 12A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the first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s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first machine under the initial state, and Fig. 12B is the second participant shown in Fig. 10 under the initial state. It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interaction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second machine; Fig. 13A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the first participant shown in Fig. 10 interacting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first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blank presentation; Fig. 13B is the schematic diagram shown in Fig. 10; It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participant interacting with a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among a second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to a blank presentation, FIG. 13C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participant shown in FIG.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blank presentation, it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interacting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third machine, Fig. 14A is the first participant and the second participant shown in Fig.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presentation (which already has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it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interacting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first machine, Fig. 14B is the second participant shown in Fig. 10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presentation (which already has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it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interacting with the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projected in the second machine, Fig. 14C is the work promoter shown in Fig. 10 and It is a conceptual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participant interacting with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f the third machine after adding and editing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to the presentation (which already has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도12a~도12c를 참조하면, 본 사용 상황 중의 초기 상태하에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은 각각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구축되고, 그 중의 정보 입력기(52)는 우선 공백 발표(53)를 통일화하고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입력하도록 설정되며, 다시 그 중의 발표 판독 도구(511)를 통해 공백 발표(53)를 나타나게 하여 제1 참가자(21), 제2 참가자(22) 및 작업 프로모터(23)가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12a는 초기 상태하에 제1 기계(11)에 구축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을 나타내고, 공백 발표(53)를 나타내는 외에도, 발표 편집 도구(512), 비디오 도구(513) 를 표시하며, 비디오 도구(513)는 제2 참가자(22) 및 프로모터(23)의 영상 화면을 나타내어, 제1 참가자(21)가 제2 참가자(22) 및 프로모터(23)와 통신 및 토론을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표 편집 도구(512)는 제1 참가자(21)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에 나타나는 발표(53)를 편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록 도구(514)는 제1 참가자(21)가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진행한 협력 작업의 과정을 기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록 내용은 이미지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된 저장 공간에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밖에, 도12a는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상호간 통신 및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참가자(21) 제1 발표 자료(54)를 공백 발표(53)에 추가하는 것을 준비하고, 발표 편집 도구(512)를 통해 공백 발표(53)를 편집하는 것을 표시하기도 한다. 12A to 12C, under the initial state during this use situatio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and 6C are respectively the first machine 11,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 13), and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52 in it is set to first unify the blank announcement 53 and input it into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and again, the announcement reading tool 511 in it ) to make the blank announcement 53 appear for observation by the first participant 21 , the second participant 22 , and the task promoter 23 . Here, Fig. 12A shows a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built on the first machine 11 under an initial state, and in addition to showing a blank presentation 53, a presentation editing tool 512, a video tool 513 , and the video tool 513 displays a video screen of the second participant 22 and the promoter 23 so that the first participant 21 communicates and discusses with the second participant 22 and the promoter 23 . to proceed, the presentation editing tool 512 is for causing the first participant 21 to edit the presentation 53 appearing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and the recording tool 514 includes the first It is for the participant 21 to record the process of the cooperative work performed by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2, and the recorded contents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etc., and are designated and stored in a specified storage space. can be In addition, FIG. 12A shows the preparation of adding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54 to the blank presentation 53 in the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among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2 . and editing the blank presentation 53 through the presentation editing tool 512 is also indicated.

마찬가지로, 도12b는 초기 상태하에 제2 기계(12)에 구축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을 표시하고, 공백 발표(53)를 나타내는 외에도, 발표 편집 도구(512), 비디오 도구(513)를 나타내고, 비디오 도구(513)는 제1 참가자(21) 및 프로모터(23)의 영상 화면을 표시하여, 제2 참가자(22)가 제1 참가자(21) 및 프로모터(23)와 통신 및 토론하기 위한 것이고, 발표 편집 도구(512)는 제2 참가자(22)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에 표시되는 발표(53)를 편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록 도구(514)는 제2 참가자(22)가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진행한 협력 작업의 과정을 기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기록 내용은 이미지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된 저장 공간에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Similarly, Fig. 12B shows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B built on the second machine 12 under the initial state, and in addition to showing the blank presentation 53, the presentation editing tool 512, the video tool 513 ), the video tool 513 displays a video screen of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promoter 23 so that the second participant 22 communicates and discusses with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promoter 23 . The presentation editing tool 512 is for causing the second participant 22 to edit the presentation 53 displayed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B, and the recording tool 514 is for the second participant 22 (22) is to record the process of the cooperative work carried out by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2, the recorded contents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etc. can

유사하게는, 도 12c는 초기 상태하에 제3 기계(13)에 구축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을 표시하고, 공백 발표(53)를 나타내는 외에도, 발표 편집 도구(512), 비디오 도구(513)를 나타내고, 비디오 도구(513)는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의 영상 화면을 표시하여, 작업 프로모터(23)가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와 통신 및 토론하기 위한 것이고, 발표 편집 도구(512)는 작업 프로모터(23)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 표시되는 발표(53)를 편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록 도구(514)는 프로모터(23)가 클릭한 후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진행한 협력 작업의 과정을 기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기록 내용은 이미지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된 저장 공간에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Similarly, Fig. 12C shows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C built on the third machine 13 under the initial state, and in addition to showing the blank presentation 53, the presentation editing tool 512, the video tool 513 , the video tool 513 displays a video screen of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 so that the task promoter 23 shows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 ), the presentation editing tool 512 is for enabling the task promoter 23 to edit the presentation 53 displayed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C, and the recording tool 514 is to record the process of the cooperative work performed by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2 after the promoter 23 clicks, and the recorded content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etc., and a specified storage space It can be specified and stored in .

이어서, 도13a~도13c를 참조하면, 이는 각각 제1 참가자(21)가 제1 발표 자료(54)를 공백 발표(53)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내용을 표시하며, 여기서, 제1 참가자(21)가 제1 발표 자료(54)를 공백 발표(53)에 추가시키는 동작을 진행할 경우(예컨대 제1 발표 자료(54)를 공백 발표(53)에 드래깅함), 제1 발표 자료(54)는 정보 입력기(52)에 의해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로 동기화되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중의 공백 발표(53)가 제1 참가자(21)의 동작에 의해 변화가 발생할 경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 6C)에서 나타나는 발표(53)는 동기화되어 동일한 변화를 발생시키는 바, 다시 말하자면,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발표(53)는 모두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 및 제1 참가자(21)에 의해 편집된 결과를 이미 구비한다. 13A-13C , this is the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6B, projected after the first participant 21 adds and edits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54 to the blank presentation 53, respectively. 6C), where the first participant 21 proceeds with the operation of adding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54 to the blank presentation 53 (eg, the blank presentation of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54) (drag on 53), the first presentation material 54 is synchronized with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54' by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52, and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 When the blank presentation 53 during 6A) is changed by the action of the first participant 21, the presentation 53 appearing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B, 6C is synchronized to generate the same change. , that is to say, the presentations 53 appearing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all already have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54' and the results edited by the first participant 21 . .

도13b는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통신 및 토론을 더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2 참가자(22)가 제2 발표 자료(55)를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를 이미 구비하고 제1 참가자(21)에 의해 편집된 후의 발표(53)에 추가시키는 것을 준비하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의 발표 편집 도구(512)를 통해 이미 추가된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의 발표(53)를 제2참가자 (22)에 의해 편집하는 것을 표시하기도 한다. 13B shows that in the process of further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2, the second participant 22 already has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55 and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54'. and prepare to be added to the presentation 53 after being edited by the first participant 21,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 54') of the presentation (53) by the second participant (22).

도14a~도14c를 참조하면, 각각 제2 참가자(22)가 제2 발표 자료(55)를 발표(53)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의해 나타나는 내용을 표시하기도 하고, 여기서, 제2 참가자(22)가 제2 발표 자료(55)를 발표(53)에 추가시키는 동작을 진행할 경우(예컨대 제2 발표 자료(55)를 발표(53)에 드래깅함), 제2 발표 자료(55)는 정보 입력기(52)에 의해 제2 통일화 발표 자료(55')로 통일화되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 중의 발표(53)가 제2 참가자(22)의 작동에 의해 변화가 발생할 경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C)에는 발표(53)도 동일한 변화가 동기화 발생하는 바, 다시 말하자면,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발표(53)는 모두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 제2 통일화 발표 자료(55') 및 제1 참가자(21)와 제2 참가자(22)가 편집한 후의 결과를 포함한다. 14A-14C, by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after the second participant 22 adds and edits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55 to the presentation 53, respectively. It also displays the content that appears, and here, when the second participant 22 proceeds with the operation of adding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55 to the presentation 53 (eg,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55 is added to the presentation 53) dragging), the second presentation material 55 is unified into the second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55' by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52, and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 the presentation in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6B When the change of 53 occurs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articipant 22, the same change occurs in the presentation 53 in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and 6C, in other words, the projected relationship The presentations 53 appearing in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and 6C are all the first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54', the second unified presentation material 55', and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 contains the result after editing.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협력 작업자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작동하여 변화가 발생할 경우, 기타 협력 작업자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킨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하기와 같은 동기화의 과정을 제공한다. 임의의 기계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작동할 경우, 동기화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와 서로 대응되며, 동기화 명령을 통해 기타 기계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각각 전송되어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동기화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동기화 프로세서는 클라이언트 서버형(client-server) 아키텍처, P2P(peer to peer) 아키텍처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hange occurs by operating in a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o any collaborator and each other, a synchronization change is generated in a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corresponding to other collaborators.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following synchroniz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hen operating in a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mounted on any machine, it corresponds to the step of outputting a synchronization command, and is transmitted to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mounted on another machine through the synchronization command, respectively, and Synchronization changes occur in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Here, the synchronization processor may be realized as a client-server architecture, a peer-to-peer (P2P) architecture, or the like.

도15를 참조하면, 이는 클라이언트 서버형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이한 기계에 위치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 하는 모식도이다. 클라이언트 서버형 동기화 아키텍처 하에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는 모두 서버(8)에 연결되고, 따라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 중의 임의의 하나의 동기화 명령은 서버(8)를 통해 기타 양자에 전송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is is a schematic diagram of synchronizing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located on different machines using a client-server architecture. Under the client-server type synchronization architecture, the first machine 11 ,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are all connected to the server 8 , and thus the first machine 11 , the second machine 12 ) and a synchronization command of any one of the third machine 13 may be sent to both the others via the server 8 .

도15는 제1 기계(11)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이 제1 참가자(21)의 작동 행위에 의해 상응하게 동기화 명령(D1)을 출력하는 것을 표시하고, 서버(8)는 상기 동기화 명령(D1)을 수신하며 동기화 명령(D1)을 제2 기계(12)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 및 제3 기계(13)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 전송시켜,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내용이 모두 제1 참가자(21)의 작동 행위에 의해 동기화 변화가 발생하도록 한다. 당연히, 제2 기계(12) 의 제2 참가자(22)가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에서 작동할 경우, 또는 제3 기계(13)의 작업 프로모터(23)가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서 작동할 경우, 마찬가지로 동기화 프로세서를 진행한다.15 shows that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mounted on the first machine 11 outputs a synchronization command D1 correspondingly by the operation action of the first participant 21, and the server 8 ) receives the synchronization command D1 and transmits the synchronization command D1 to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6B mounted on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operation mounted on the third machine 13 . transmitted to the space 6C, so that the contents appearing in the plurality of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are all caused by the actuating action of the first participant 21 to cause a synchronization change. Naturally, if the second participant 22 of the second machine 12 operates in a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B corresponding to it, or the task promoter 23 of the third machine 13 is connected to it and to each other. If operating in the corresponding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6C, it likewise proceeds with the synchronization process.

도16은 P2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이한 기계에 위치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하는 모식도이다. P2P 아키텍처 하에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 중의 임의의 하나는 모두 제4 기계(14)를 통해 서로 위치한 네트워크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서로 네트워크 연결되며, 따라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 중의 임의의 하나의 동기화 명령은 기타 양자에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synchronizing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located on different machines using a peer-to-peer architecture; Under the P2P architecture, any one of the first machine 11 , the second machine 12 , and the third machine 13 can all acquire a network location lo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ourth machine 14 and network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us, the synchronization command of any one of the first machine 11 , the second machine 12 and the third machine 13 can be sent directly to both the other.

도16은 제2 기계(12)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이 제2 참가자(22)의 작동 행위에 의해 서로 대응되게 동기화 명령(D2)을 출력하는 것을 표시하였고, 동기화 명령(D2)은 제1 기계(11)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및 제3 기계(13)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내용은 모두 제2 참가자(22)의 작동 행위에 의해 동기화 변화가 발생한다. 당연히, 제1 기계(11)의 제1 참가자(21)가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에서 작동할 경우, 또는 제3 기계(13)의 작업 프로모터(23)가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서 작동할 경우, 마찬가지로 동기화 프로세서를 진행한다. 16 shows that th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6B mounted on the second machine 12 outputs the synchronization command D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the operation action of the second participant 22, the synchronization command (D2) can be transmitted directly to a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mounted on the first machine 11 and a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6C mounted on a third machine 13, wherein All of the contents appearing in the plurality of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are synchronized changes by the actuating action of the second participant 22 . Naturally, if the first participant 21 of the first machine 11 operates in a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corresponding to it, or the task promoter 23 of the third machine 13 is connected to it and to each other. If operating in the corresponding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6C, it likewise proceeds with the synchronization process.

상기의 예시와 설명의 목적은 동기화 프로세서 및 동기화 프로세서를 실현하는 아키텍처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교의를 보류하는 동시에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above examples and descriptions is merely a synchronization processor and an architecture for realizing the synchronization processor, and it can be readily obser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hile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인 것으로 임의의 협력 작업자(2)도 실제 작업 상황에 따라 자신에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한 임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변화에 대해 동기화 설정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1 참가자(21)는 협력 작업의 과정에 있어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에 일부 관련 주의 사항 (미도시)또는 노트 (미도시)가 리마크(remark)되지만, 제1 참가자(21)는 상기 다수의 주의 사항 또는 노트를 동기화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기에, 상기 다수의 주의 사항 또는 노트는 작업 프로모터(23) 및 제2 참가자(22)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 6C)에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프로모터(23)가 협력 작업의 과정에 있어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 다수의 통일화 도구(미도시)를 포함하는 툴바(toolbar)(미도시)를 배치시켜 작업에 편의를 제공하지만, 작업 프로모터(23)가 상기 툴바를 단지 제2 참가자(22)와 공유하기를 원한다면, 프로모터(23)는 상기 툴바의 동기화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툴바는 단지 제2 참가자(22)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에 동기화되어 나타난다. Preferably, but exclusively, any collaborator 2 synchronizes changes caused by any operation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according to the actual work situation. For example, the first participant 21 remarks some relevant notes (not shown) or notes (not shown)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A in the course of the cooperative work. However, since the first participant 21 can set not to synchronize the plurality of notices or notes, the plurality of notices or notes are project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task promoter 23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 It does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s 6B, 6C. As another example, the promoter 23 arranges a toolbar (not shown) including a plurality of unification tools (not shown) in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C in the course of the cooperative work. to facilitate the task, but if the task promoter 23 wants to share the toolbar only with the second participant 22, the promoter 23 can set the synchronization of the toolbar, and the toolbar is only a second It appears synchronized with the participant 22 and the corresponding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6B.

또한,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통신 및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타의 참가자를 요청하여 협력적으로 태스크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2 참가자(22)가 주제 발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난관에 부딪혀 다른 한 명의 참가자(예컨대 제3 참가자, 미도시)를 요청하여 협조를 바랄 경우, 제3 참가자가 흔히 사용하는 플랫폼 및/또는 채널을 이용하여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경로 링크 정보를 제3 참가자에게 전송하여, 제3 참가자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자신의 기계에 로시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구축하도록 하고, 나아가 프로모터(23),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와 협력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통신 및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임의의 협력 작업자(2)는 실제 수요에 따라 기타의 통일화 요소(5)(예컨대 포토 편집 도구, 미도시)를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수시로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he plurality of cooperative workers 2 communicating and discussing, it is possible to request other participants to cooperatively perform the task. For example, when the second participant 22 encounters a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 topic presentation and requests another participant (eg, a third participant, not shown) to cooperate, the third participant is commonly used. transmits the path link information of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to the third participant using a platform and/or channel that To establish a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 further cooperate with the promoter 23 , the first participant 21 , and the second participant 22 .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discussing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2 , any collaborators 2 may use other unification elements 5 (eg, photo editing tools, not shown) according to actual needs.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may be provided from time to time in workspaces 6A, 6B, and 6C.

특별히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단일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에서 진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될 수 있거나(예컨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법), 또는 다수의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될 수 있다. 당연히,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도 기계 자체일 수 있고, 아래 다른 한가지 사용 상황으로써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It should be particularly noted that the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ed in a single collaborator versus a single collaborator working mode, or may proceed in a single collaborator vs. multiple collaborator working mode (e.g., broadcasting ( broadcasting method), or it can be carried out in a working mode of multiple collaborators versus multiple collaborators.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ollaborating workers may also be machines themselves, and a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other use situation.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사용하는 상황의 운행 개념 모식도이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로 든 사용 상황은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이 3개의 상이한 가정에 위치된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가 네트워크 협동 재생 작업을 하도록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고, 여기서,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에는 모두 대응 가능한 프로젝터 (4')가 있다.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경로를 수신할 수 있고 정보 연결한 후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 자동으로 해석하고 이에 작업 환경(41')을 구축하여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탑재된 프로젝터(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은 프로모터이고,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는 참가자이며, 케이블 TV 설정 인원(74),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는 네트워크 협동 재생의 이러한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1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iving concept of a situation using the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ge situation exemplified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is the first Internet TV box 71, the second Internet TV box 72 and the third Internet TV box 73, where the cable TV setup personnel 74 are located in three different homes. ) is to be set to perform a network cooperative playback operation, where the projector 4 ′ that is compatible with all of the first Internet TV box 71 , the second Internet TV box 72 and the third Internet TV box 73 . there is After receiving the path of the possible space instance 3' and connecting the information, it automatically interprets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and builds a work environment 41' therein to synchronize the projected relationship in the workspace 6A' , 6B', 6C') mounted on the projector 4' is installed. In this embodiment, the cable TV setup personnel 74 are promoters, and the first Internet TV box 71 , the second Internet TV box 72 and the third Internet TV box 73 are participants, and the cable TV setup personnel 74 are participants. The personnel 74, the first Internet TV box 71, the second Internet TV box 72 and the third Internet TV box 73 are related according to this task demand of network cooperative playback.

또한, 협력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은 먼저 제4 기계(14)에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모델링(modeling)하기 위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를 설치할 수 있고,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은 네트워크 협동 재생의 이러한 작업 수요에 따라 비디오 재생 도구(미도시) 및 비디오 재생 리스트(미도시)를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이 모두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 중의 작업 환경(41')에 각각 탑재되고,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는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에 의해 설정된 비디오 재생 리스트에 따라 비디오를 재생하여, 네트워크 협동 재생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다.Also, before starting the cooperative work, the cable TV setup personnel 74 may first install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 for modeling the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on the fourth machine 14 , The TV setup personnel 74 may assemble a video playback tool (not shown) and a video playback list (not shown) in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3' according to this task demand of network cooperative playback. Therefore,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s 6A', 6B', 6C' are all working environments ( 41'), the first Internet TV box 71, the second Internet TV box 72, and the third Internet TV box 73 according to the video play list set by the cable TV setup person 74. By playing the video,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network cooperative playback.

상기 설명에 따르면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의 장점은 하기와 같다. 첫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참가자는 대응되는 플랫폼(platform) 및/또는 채널을 통해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의 경로 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따라서 임의의 신원(임의의 사람 혹은 임의의 기계를 포함함)은 모두 협력 작업을 요청할 수 있고, 특별히 자신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별도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둘째, 통일화 프로그램이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 협력 작업의 환경을 통일화된 환경(unified environment)으로 형성시키고, 따라서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는 모두 임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수요에 따라 자유롭게 그 중에서 조합되고 서로 호환된다. 셋째, 임의의 협력 작업자는 모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중의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작동시키고,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투영하는 방식으로 모든 협력 작업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탑재되고, 따라서 임의의 협력 작업자는 모두 기타 협력 작업자가 협력 작업 환경에서 진행한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동기화 관찰할 수 있다. 넷째, 과거 스크린 공유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협력 작업과 비교해보면, 본원 발명은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사이에 교류를 진행하여 동기화의 효과에 달성시킬 것을 동기화 명령하고, 전송되는 것은 단지 동기화 명령이고, 전체 스크린의 데이터가 아니며, 네트워크 대역폭의 사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네트워크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advantages of the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ho wish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work receive path link information of projectable spatial instances through the corresponding platform and/or channel, and provide an environment (ie, projected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for collaborative work. Therefore, any identity (including any person or any machine) can request cooperative work, and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nstall application software or applications on their personal devices (eg, computers). Second, the unification program forms the environment of the cooperative work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ors into a unified environment, so that any information, any tool, or any service is freely available according to the work demand of any collaborator. Among them, they are combined and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ird, any collaborator operates any information, any tool, or any service in the environment of the cooperative work (ie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 the environment of the multi-collaborator cooperative work (i.e. the projected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 is mounted on every collaborator's personal device (e.g. computer) in a projected manner, so that any collaborator all synchronizes observations of changes caused by the actions of other collaborators in the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can do. Fourth, compared with the cooperative work conducted in a manner using screen sharing in the past, the present invention commands the synchronization to be achieved in the effect of synchronization by conducting an exchang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jected relation synchronization workspaces, and the transmission is It is just a synchronization command, not the data of the entire screen, can greatly reduce the use of network bandwidth, and effectively increase network efficiency.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Claims (17)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으로서,
다른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을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투영시키고, 상기 기계 상에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을 모델링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정보 입력기 및 복수개 통일화 요소가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에 탑재(equip)되고,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함 - ; 및
상기 인터페이스 상으로 정보를 드래깅하는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기에 의해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되고, 상기 기계, 상기 다른 기계, 및/또는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을 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기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A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performed by a machine, comprising:
projecting a synchronization workspace provided by another machine according to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d building a corresponding interface of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on the machine, wherein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models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comprising: a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a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re mounted in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wherein the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include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and/or at least one unification information unit; and
In response to a user action of dragging information onto the interface, the information is entered into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by the information inputter and at least one of the machine, the other machine, and/or at least one projecting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causing a synchronization change on another machine
containing,
A method of networking collaboration 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의 사용자가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의 대응되는 투영된 인터페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수행하여 대응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의 변화를 발생시키면, 상기 변화는 대응되는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기계, 상기 다른 기계,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기계 사이에서 동기화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a user of the machine performs at least one operation on a corresponding projected interface of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resulting in a change in a corresponding synchronization workspace, the change occurs to the machine, the other machine, and/or synchronized between the at least one another machine;
A method of networking collaboration wor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의 사용자가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의 대응되는 투영된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수행하면, 동기화 명령이 생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동기화 명령이 상기 기계, 상기 다른 기계,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기계에 클라이언트 서버형(client-server) 아키텍처 또는 P2P(peer to peer) 아키텍처를 통해 전송되어, 상기 기계, 상기 다른 기계,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기계 상의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의 인터페이스가 동기화되어 변화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 synchronization command is generated when the user of the machine performs the at least one operation on a corresponding projected interface of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or the synchronization command is sent to the machine, the other machine, and/or the at least one other machine via a client-server architecture or a peer-to-peer (P2P) architecture, the machine; and/or the interface of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on the other machine and/or the at least one other machine is changed in synchronization.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으로부터의 원시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되고,
상기 원시 요소는 원시 도구 또는 원시 정보인,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each said unification element is formed after a raw element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is unified by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wherein the raw element is a raw tool or raw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이 호환될 경우, 상기 통일화 도구가 상기 요소 변환기에 의해 직접 형성되는 단계; 또는
상기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이 호환되지 않을 경우, 상기 통일화 도구가 상기 원시 도구를 구동시키는 어댑터(adapter) 및/또는 상기 원시 도구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에 의해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directly forming the unification tool by the element converter whe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ing space is compatible with the original tool; or
If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ing space is not compatible with the raw tool, the unification tool is indirectly formed by an adapter that runs the raw tool and/or a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of the raw tool.
Further comprising, a method of networking cooperative wor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상이한 정보원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element)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정책(policy), 규칙(rule),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정책 또는 상이한 정보원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ative tools include utilities, widgets, agents, applications, services, or any executable element accessible to a different source of information; and/or
wherein the raw information includes a file, a web page, a database row, a policy, a rule, a policy of the relationship synchronization workspace, or any information accessible to a different information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상에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의 인터페이스를 투영시키는 것은,
인터넷 식별자(URI)를 통해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로딩하는 것을 포함하고,
프로젝터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서 작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작업 환경에서 실행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jecting the interface of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onto the machine comprises:
loading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via an internet identifier (URI);
a projector is used to establish a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d a projected interface of the synchronized work space is executed in the work environ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호환성 환경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젝터를 실행하기 위한 엔진에 로드(load)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jector is loaded into an engine for running the projector by providing a compatible environme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Javascript 엔진, 윈도우즈 어플리케이션 또는 Linux 어플리케이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ngin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Javascript engine, a Windows application, or a Linux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오브젝트,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또는 구조화 언어 또는 구조화 프로토콜을 인스턴스화한(instantiated) 인스턴스인,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is an instantiated instance of an object,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 or a structured language or structured protocol.
기계로서,
다른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을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투영시키고, 상기 기계 상에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을 모델링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정보 입력기 및 복수개 통일화 요소가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에 탑재(equip)되고,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상으로 정보를 드래깅하는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입력기는 상기 정보를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하고, 이에 의해 상기 기계, 상기 다른 기계, 및/또는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을 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기계에 동기화 변화가 발생되는,
기계.
as a machine,
a projector for projecting a synchronization workspace provided by another machine according to a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d building a corresponding interface of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on the machine;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comprises a configuration for modeling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a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a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are mounted on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and the plurality of unification elements include at least one unification tool and/or at least comprising one unified information unit;
In response to a user action of dragging information onto the interface,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inputs the information into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 thereby projecting the machine, the other machine, and/or at least one of the synchronization workspaces. of which synchronization changes to another machine are occurring,
machine.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으로부터의 원시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시 요소는 원시 도구 또는 원시 정보인, 기계.
12. The method of claim 11,
each said unification element is configured to be formed after a raw element from at least one information source is unified by at least one element transformer;
wherein the raw element is a raw tool or raw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이 호환될 경우, 상기 통일화 도구는 상기 요소 변환기에 의해 직접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이 호환되지 않을 경우, 상기 통일화 도구는 상기 원시 도구를 구동시키는 어댑터(adapter) 및/또는 상기 원시 도구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에 의해 간접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기계.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ing space is compatible with the raw tool, the unifying tool is configured to be directly formed by the element converter; and
If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ing space is not compatible with the native tool, the unification tool is configured to be indirectly formed by an adapter for running the native tool and/or a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of the native tool. ,
mach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인터넷 식별자(URI)를 통해 로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서 작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된 인터페이스는 상기 작업 환경에서 실행되는, 기계.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jectable spatial instance is configured to be loaded via an internet identifier (URI),
wherein the projector is used to establish a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ojectable space instance, and the projected interface of the synchronized working space is executed in the working environm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를 실행하는 호환성 환경을 제공하는 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엔진에 로드(load)되는, 기계.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n engine that provides a compatibility environment for running the projector,
wherein the projector is loaded into the engine.
기계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기계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기계.
as a machine,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one or more programs;
11. A processor coupled to the memory and configured to execute the one or more programs to cause the machine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machine containing
기계 판독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기계 판독가능한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기계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machine-readable instructions, comprising:
The machine readabl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cause a machine to perform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0.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227026315A 2014-07-03 2015-07-02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KR2022011173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24,069 US9134963B1 (en) 2014-07-03 2014-07-03 Method of unifying information and tool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
US14/324,069 2014-07-03
US14/325,466 US9727391B2 (en) 2014-07-08 2014-07-08 Method for performing task on unified information units in a personal workspace
US14/325,466 2014-07-08
US14/577,772 US9626157B2 (en) 2014-07-03 2014-12-19 Method of projecting a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4/577,772 2014-12-19
CN201510003717.6 2015-01-04
CN201510003717 2015-01-04
PCT/CN2015/083179 WO2016000638A1 (en) 2014-07-03 2015-07-02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KR1020177002951A KR102428231B1 (en) 2014-07-03 2015-07-02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51A Division KR102428231B1 (en) 2014-07-03 2015-07-02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738A true KR20220111738A (en) 2022-08-09

Family

ID=55018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315A KR20220111738A (en) 2014-07-03 2015-07-02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KR1020177002951A KR102428231B1 (en) 2014-07-03 2015-07-02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51A KR102428231B1 (en) 2014-07-03 2015-07-02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64818A4 (en)
JP (1) JP2017531879A (en)
KR (2) KR20220111738A (en)
CN (1) CN106663118B (en)
SG (1) SG11201610927XA (en)
TW (1) TWI563404B (en)
WO (1) WO201600063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6983B2 (en) * 2015-01-29 2022-09-27 Able World International Limited Interactive operation method, and transmitter machine, receiver machine and interactive op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1327510B (en) * 2018-12-13 2022-02-08 国家电投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Communication system for nuclear power calculation analysis service
CN109814791B (en) * 2018-12-20 2020-11-13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flow node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1095A1 (en) 2002-07-01 2004-01-01 Todd Marques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 device management
US20040016073A1 (en) 2002-07-25 2004-01-29 Knutson James D. Disposable toothbrush system
US20050080909A1 (en) 2003-10-10 2005-04-14 Anatoliy Panasyuk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able secure remote desktop access
US7730223B1 (en) 2004-07-30 2010-06-01 Apple Inc. Wireless home and office appliance management and integration
US20070016650A1 (en) * 2005-04-01 2007-01-18 Gilbert Gary J System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content over an electronic network
US8156500B2 (en) 2005-07-01 2012-04-10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self tuning of planned ac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WO2007038522A2 (en) 2005-09-27 2007-04-05 Morgan Stanley Host build and rebuild system and method
CN101216846B (en) * 2008-01-04 2010-06-02 清华大学 Emulated data visualized and cooperated sharing method
US20100138007A1 (en) 2008-11-21 2010-06-03 Qweb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on and setup of home automation
US8301270B2 (en) 2009-01-27 2012-10-30 Eldon Technolog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home automation
JPWO2010090286A1 (en) 2009-02-09 2012-08-0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245047B2 (en) 2010-12-10 2016-01-26 Wyse Technology L.L.C.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a remote desktop session utilizing a remote desktop client common interface
CN102332039B (en) * 2011-04-29 2013-07-03 华南理工大学 Allogenetic computer-aided design (CAD) model data integrating device and integrating method for network cooperative design
CN103765403A (en) 2011-09-12 2014-04-30 英特尔公司 Metadata driven collaboration between applications and web services
US9348802B2 (en) * 2012-03-19 2016-05-24 Lité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bi-directional document management
EP2847962B1 (en) 2012-05-10 2019-11-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tocol adaptation
US10235383B2 (en) * 2012-12-19 2019-03-19 Bo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items with read-only permissions in a cloud-based environment
CN103092980A (en) * 2013-01-31 2013-05-08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Method and system of data automatic conversion and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3404B (en) 2016-12-21
KR102428231B1 (en) 2022-08-01
EP3164818A4 (en) 2017-06-14
JP2017531879A (en) 2017-10-26
EP3164818A1 (en) 2017-05-10
KR20170040225A (en) 2017-04-12
SG11201610927XA (en) 2017-02-27
CN106663118B (en) 2021-05-07
TW201626257A (en) 2016-07-16
WO2016000638A1 (en) 2016-01-07
CN106663118A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164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contextual dialogue
US11687324B2 (en) Property management method and property management system and machine using the same
US7933956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US82662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with recording and selective playback of content
CN103095828A (en) Web three dimensional (3D) synchronous conference system based on rendering cloud and method of achieving synchronization
Xu et al. A flexible context architecture for a multi-user GUI
US20190324704A1 (en) Multiuser interactive display system and method
EP3457281A1 (en) Disparate workflow integration using a meshed visualization canvas
Ardito et al. Creation and use of service-based distributed interactive workspaces
KR102428231B1 (en)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US20240143266A1 (en) Shared screen tools for collaboration
Nicolaescu et al. Browser-based collaborative modeling in near real-time
US20130332813A1 (en) Generic Workspace Awareness Support for Collaborative Web Applications
Shurtz Application Sharing from Mobile Devices with a Collaborative Shared Display
US20170149578A1 (en)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TWI626835B (en) Networking conference method, workspace interac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the same
Tschudnowsky et al. Towards real-time collaboration in user interface mashups
Husmann Investigating Tool Support for Cross-Device Development
Kim et al. Cluster rendering on large high-resolution multi-displays using X3DOM and HTML
Li et al. Collaborative innovation research on co-working platform based on lean startup model
CN106471776B (en) Method for creating social network and storage medium using the same
Benölken et al. A virtual workspace for distributed design and engineering tasks
CN106326015A (en) Networked cooperative work method and machine applying same
Anupam Collaborative multimedia environments for problem-solving
Pedras et al. EnvironRC: Integrating mobil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 offshore engineering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